full-mouth rehabilitation of partial edentulism in a deep bite patient · 2017-04-24 · full-mouth...

11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187 https://doi.org/10.4047/jkap.2017.55.2.187 c cc 2017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 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서론 과개교합(deep bite) 은 최대 교두 간 접촉위 시 하악 전치에 대 한 상악 전치의 절단연의 수직피개량이 과도한 교합양식을 말 한다. 1 Dawson 2 은 중심위에서 안정된 전치 접촉을 가진 과개교 합 환자는 대부분 악관계에 있어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그 자 체로 병적인 상태가 아니라 하였으며, McDonagh 3 는 대다수의 과개교합 환자는 증상이 없고, 심미적인 외형이 만족스럽다면 치료를 받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안정적인 교 합접촉이 없는 과개교합 환자의 경우 연조직 외상∙치아마 모∙수복공간 부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2,4 따라서 과개교 합의 환자를 진단할 때 교합접촉이 얼마나 안정적인지 판단하 여야 하며, 정지접촉이 없다면 전치가 정출과 마모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전치부의 교합접촉을 형성해주거나, 가철성 보철 물로 수복, 또는 연결 고정하여 과도한 정출을 방지하여야 한 . 2 중심위에서 심하게 마모가 되는 과개교합의 경우, 상악 설면 이 관통될 정도로 마모가 되고 이 공간으로 하악 전치가 정출 하여 수복공간이 부족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정치료를 통해 상하악 전치의 치축각도를 개선하거나 수직고경을 증가 시키면 안정적인 교합 접촉을 형성해주기 위한 보철수복이 가 능하다. 2,5 본 증례에서는 편측 구치부가 상실되고 중심위에서 극심한 면 대 면 접촉이 발생한 과개교합 환자에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으로 교합평면을 수정하고 조화로운 교 합관계를 회복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CASE REPORT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Full-mouth rehabilitation of partial edentulism in a deep bite patient Sung-Hoon Kim, Ye-Kyu Rhee, Kyung-Ho Ko, Yoon-Hyuk Huh, Lee-Ra Cho, Chan-Jin Park*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and Research Institute of Oral Science, College of Dentistr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Deep overbite patients who do not have proper occlusal relationship may cause problems such as teeth wear and antagonist extrusion. These lead to the collapse of occlusal plane and esthetic problem.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is frequently essential to resolve those problems. This case report demonstrates a full-mouth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 severe deep bite that contacts surface to surface by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Treatment procedures included diagnosis, treatment planning, implant surgery, and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7;55:187-97) Keywords: Deep bite; Vertical dimension; Full mouth rehabilitation; Partial edentulism *Corresponding Author: Chan-Jin Park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and Research Institute of Oral Science, College of Dentistr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Jukheon-gil 7, Gangneung 25457, Republic of Korea +82 (0)33 640 3153: e-mail, [email protected] Article history: Received September 19, 2016 / Last Revision October 20, 2016/ Accepted November 9, 2016

Upload: others

Post on 29-May-2020

18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ISSN 0301-2875, eISSN 2005-3789 187

https://doi.org/10.4047/jkap.2017.55.2.187

c

cc

2017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서론

과개교합(deep bite)은최 교두간접촉위시하악전치에

한상악전치의절단연의수직피개량이과도한교합양식을말

한다.1 Dawson2은중심위에서안정된전치접촉을가진과개교

합 환자는 부분 악관계에 있어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그 자

체로 병적인 상태가 아니라 하 으며, McDonagh3는 다수의

과개교합환자는증상이없고, 심미적인외형이만족스럽다면

치료를 받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하 다. 하지만 안정적인 교

합접촉이 없는 과개교합 환자의 경우 연조직 외상∙치아마

모∙수복공간부족의문제를일으킬수있다.2,4 따라서과개교

합의환자를진단할때교합접촉이얼마나안정적인지판단하

여야 하며, 정지접촉이 없다면 전치가 정출과 마모를 일으킬

수있으므로전치부의교합접촉을형성해주거나, 가철성보철

물로 수복, 또는 연결 고정하여 과도한 정출을 방지하여야 한

다.2

중심위에서심하게마모가되는과개교합의경우, 상악설면

이 관통될 정도로 마모가 되고 이 공간으로 하악 전치가 정출

하여 수복공간이 부족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정치료를

통해 상하악 전치의 치축각도를 개선하거나 수직고경을 증가

시키면안정적인교합접촉을형성해주기위한보철수복이가

능하다.2,5

본 증례에서는 편측 구치부가 상실되고 중심위에서 극심한

면 면 접촉이 발생한 과개교합 환자에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으로 교합평면을 수정하고 조화로운 교

합관계를회복한증례를보고하고자한다.

CASE REPORT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강릉원주 학교치과 학치과보철학교실및구강과학연구소

Full-mouth rehabilitation of partial edentulism in a deep bite patient

Sung-Hoon Kim, Ye-Kyu Rhee, Kyung-Ho Ko, Yoon-Hyuk Huh, Lee-Ra Cho, Chan-Jin Park*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and Research Institute of Oral Science, College of Dentistr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Deep overbite patients who do not have proper occlusal relationship may cause problems such as teeth wear and antagonist extrusion. These lead to the collapse of occlusal planeand esthetic problem.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is frequently essential to resolve those problems. This case report demonstrates a full-mouth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severe deep bite that contacts surface to surface by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Treatment procedures included diagnosis, treatment planning, implant surgery, andprosthodontic rehabilitat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7;55:187-97)

Keywords: Deep bite; Vertical dimension; Full mouth rehabilitation; Partial edentulism

*Corresponding Author: Chan-Jin ParkDepartment of Prosthodontics and Research Institute of Oral Science, College of Dentistry,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Jukheon-gil 7, Gangneung 25457, Republic of Korea+82 (0)33 640 3153: e-mail, [email protected] history: Received September 19, 2016 / Last Revision October 20, 2016/ Accepted November9, 2016

188 한치과보철학회지 55권 2호, 2017년 4월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증례

1. 과거 병력 및 초진 검사

59세남성환자가이가닳아지고없어서음식씹기가힘들다

는주소로내원하 다. 고혈압으로투약중이 으며악관절장

애및저작근장애, 기타비기능적인악습관은없었다. 구강내

소견및방사선사진검사에서상악좌측견치및모든구치부,하악 좌측 제2 구치의 상실과 더불어 상악 전치부 구개측의

심한 교모를 동반한 깊은 수직피개를 보 고, 하악 전치부는

도재 수복물로 파절 및 절단면 마모를 보 다. 과도한 편심위

간섭에 의하여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비우식성치경부병소가

상악 전치 및 상악 우측 제1, 2소구치부에 관찰되었다. 측방두

부규격사진분석상상하악치축각도가정상보다설측으로위

치(Mx.1 to FH: 90�, normal: 111�/ IMPA: 78.2�, normal: 90.0�) 하다. 구강외소견상정면에서비 한교근을가진사각형의안

면 형태가 보여 강한 교합력이 의심되었으며, 측면에서 오목

한안모가관찰되었다 (Fig. 1, Fig. 2).

Fig. 1. Intraoral photographs. (A) Anterior dentition attrition, (B) #14,15 non-carious cervical lesion, (C) Anterior deep bite, (D) #23,24,25,26,27 missing, (E) #32=42 PFMbridge fracture.

B C

E

A

D

Fig. 2. Preoperative panoramic radiograph.

한치과보철학회지 55권 2호, 2017년 4월 189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2. 진단모형 분석 및 보철 수복 공간 평가

양수조작법을 사용하여 중심위 채득2 및 안궁이전 한 후 진

단모형을분석해보았을때, 전치부에서3.7 mm의수평피개와

7.0 mm의깊은수직피개량을보 다 (Fig. 3C, Fig. 3D). 상악전치

부 설면은 마모되어 있으며 하악 치아는 정출하여 상악 구개

부에부분적으로치은에교합되었다 (Fig. 3A). 이는하악전치

가 상악 전치의 구개면의 진행형의 마모를 일으키는 Akerly’sclassification type IV로판단된다.6 또한상하악정중선이일치하지

않고, 상악우측제2 구치의정출로인해우측구치부의교합

평면이스피만곡을따르지않았다 (Fig. 3B). 수직고경의감소를

알기위해안모평가, 교합면간거리, 발음, 마모의기왕력, 구치

부지지상실여부등을분석하여결정하 다. 구외평가시얇

은구순연및쳐진구각부가관찰되었으며, Willis법,7 McGee법8

에 따른 비율은 정상범위 다. 안정위 공간에 한 평가에서

최 교두감합위보다5 - 6 mm의교합면간거리의증가가관찰

되었다. 좌측의 구치부 지지상실은 있었지만 우측의 구치부

지지는확립된상태 다. 수직고경에 한평가요소들을종합

하 을 때 수직고경의 감소가 된 것으로 판단된다. 진단 모형

및 수직고경 평가를 종합하 을 때, 상기 환자는 교합고경의

상실과 마모를 동반한 과개교합으로 인해 보철 수복 공간이

부족한것으로판단된다 (Fig. 3).

3. 치료계획

기능로와조화되지못한하악보철물과강한교합력, 불안정

한 교합으로 인해 상악 절치의 구개부 마모로 과도한 수직피

개를 가지는 과개교합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상악 좌측

구치부의 상실과 더불어 상악 우측 구치부 정출로 인한 역스

피만곡(reverse curve of Spee)으로불안정한교합이관찰되었다. 또한, 교합고경은 정상 범위이나 수복공간이 부족하 다. 보철

수복공간 확보를 위해 교합고경을 거상하거나 전치부의 교정

적인재위치로상실된면을수복할수있다. 교정적치료고려

하 으나, 교정치료 동안의 심미적 문제와 교정치료 기간에

한 부담으로 거부하여 교합고경을 거상하여 안정적인 교합

및적절한전방유도를형성하는것을목적으로치료계획을수

립하 다. 편측지지상실회복을위해상악좌측편측국소의

치치료가가능하나환자의강한교합력으로가철성보철물의

유지 가능성이 모호하고, 거상된 수직교합 고경 유지에 한

장기적 예후가 의심된다. 조화로운 전방유도와 수직피개, 수

Fig. 3. Diagnostic cast analysis. (A) Anterior dentition attrition (B) Reverse curve of Spee (C, D) Anterior deep bite (E) Mandibular occlusal view.

B C

E

A

D

190 한치과보철학회지 55권 2호, 2017년 4월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평피개량을재설정하기위해하악구치부를제외한모든잔존

치를 수복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었고, 이를 위해

최소한의수직고경거상을통해모든잔존치아고정성보철물

수복 및 상악 좌측 상실치 부위를 임플란트로 수복하기로 하

다. 상악좌측견치, 상악좌측제1, 2소구치, 상악좌측제1구치부위에식립으로치료계획진행하 다.

4. 보철 수복 과정

고정성 보철물로 잔존치 수복하기 6개월 전에 빠른 구강 기

능 회복을 위해 상악좌측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Luna,Shinhung MST, Wonju, South Korea) 시행하 다. 상악좌측견치, 상악좌측제1, 2소구치, 상악좌측제1 구치부위에식립한임플

란트 중 상악 좌측 제1 구치부 임플란트는 초기고정력 실패

로발거하 다. 임플란트식립 6개월후치유지 주체결및상하임플란트

임시 보철물을 위해 구강 내 고정체 수준에서 인상용 코핑 체

결후, 기성트레이와실리콘인상재(Exafine, GC, Tokyo, Japan)를이용하여 인상을 채득하 다. 수복공간 확보를 위해 전치부

기준수직고경을 2 mm 거상하여진단납형제작하 고 (Fig. 4),

우측 견치유도 교합 및 좌측 군기능교합 부여하 다. 진단납

형을기준으로임시관을제작하고지 치삭제및임시수복을

시행하 다. 진단용매트릭스를이용하여치아삭제를시행하

고, 임시수복물을제작하여임시고정성보철물을시적하여12주간 사용하면서 적응 정도를 평가하 다. 임시수복물 사용

시 잦은 보철물 탈락 및 파절로, 지속적인 교합조정과 임시관

수리를하 고임시보철물장착12주후교합의안정화관찰되

고 저작 및 발음 양상도 적절하 기 때문에 최종수복을 진행

하 다. 개인트레이및실리콘인상재를이용하여지 치및임플란

트 인상을 채득하 다. Type IV 초경석고(GC Fujirock EP, GCEurope, Leuven, Belgium)를 이용하여 주모형을 제작하고 (Fig.5), 임시수복물의 안궁이전 시행하 다. 실리콘 교합인기재

(Futar D, Kettenbach GmbH & Co. KG, Eschenburg, Germany)를이용

하여임시수복물의악간관계를기록하 고, 임시수복물장착

상태의모형과주모형을교차부착하여반조절성교합기에부

착하 고 (Fig. 6), 임시수복물의전방유도를복제하기위해맞

춤형전치유도판을제작하 다. 부착된주모형에임시보철물

을복제하여임플란트맞춤형지 주제작하 다 (Fig. 7). 최종

수복물의 형태는 임시보철물의 교합 양식 로 우측 견치유도

Fig. 4. Diagnostic wax-up. (A) Maxillary occlusal view, (B) Left lateral view at centric occlusion, (C) Frontal view at centric occlusion, (D) Right lateral view at centricocclusion, (E) Mandibular occlusal view.

B C

E

A

D

한치과보철학회지 55권 2호, 2017년 4월 191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교합, 좌측 군기능교합으로 납형을 제작하고, 도재 전장관 제

작을위한되깍기(cut-back)를시행하 다 (Fig. 8). 상악좌우측소

구치및구치부에금속교합면부여하고, 상악제2소구치는제

1 구치 형태로 교합면 제작하 다. 금속구조물을 제작하여

구강 내 시적하여 금속 구조물의 적절한 적합도 및 형태를 확

인하 고, 환자의 연령과 안모 색상을 고려하여 색조를 선택

하고, 도재를 축성하여 구강 내 시적 (Fig. 9) 및 재부착 과정을

진행하 다.

실리콘교합인기재를이용하여악간관계채득및안궁이전

을시행하 다. 전방유도인기장치(anterior programming device)를제작하여 악간관계를 기록하고 개인트레이를 이용한 픽업인

상을 산화아연유지놀 인상재(Cavex outline, Cavex Holland BV,Haarlem, Netherland)로채득하여재부착과정을시행하 다 (Fig.10). 교합조정및 레이징후최종고정성보철물을완성하

다. 지 주를각각의임플란트에체결후30 Ncm의조임회전력

을적용하여구강내체결하고, 구강내에최종고정성보철물

Fig. 5. Die preparation. (A) Occlusal view (maxilla), (B) Occlusal view (mandible).

A B

Fig. 6. Interocclusal relationship registrations using provisional restorations. (A) registration of provisional restoration, (B, C, D) registration of maxillary abutment,(E, F) registration of mandibular abutment.

Fig. 7. Implant customized abutment. (A) Implant axis (yellow line), (B) Customized abutment.

A B

A B C

D E F

192 한치과보철학회지 55권 2호, 2017년 4월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Fig. 9. Gold coping try-in and porcelain build-up. (A) Gold coping, (B) Porcelain build-up.

A

B

Fig. 8. Full contour wax-up cut back. (A) Occlusal view (maxilla), (B) Occlusal view (mandible).

A B

Fig. 10. Remount procedure. (A) Anterior programming device, (B) Pick-up impression.

A

B

한치과보철학회지 55권 2호, 2017년 4월 193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을 합착하 다 (Fig. 11). 중심위와 최 교두 감합위가 일치함

을 확인하 으며, 임시보철물과 동일한 교합양식을 재현하

다.최종보철물합착 6개월후검진시파노라마및치근단방사

선 사진상 양호한 치조골 수준 관찰되었으며, 경두개 방사선

사진상 하악 과두에 특이소견 관찰되지 않았고, 임상 증상 관

찰되지 않았다. 구내 검사 시 다른 보철물에는 특이점 관찰되

지 않았지만 상악 우측 견치에 도재 파절이 발생하 다 (Fig.12A). 이는 충분히 도재를 지지하지 못 한 금속구조물로 인한

도재의 응집 파절(cohesive failure)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문진 시 환자는 평소에 치아가 많은 우측으로 저작하 는데

어느 때부턴가 우측이 세게 물리고 좌측은 잘 안 물린다는 불

편감을호소하 다. 교합상태를 확인해 보았을 때, 하악 우측 제2 구치 근심협

측교두의 교합조기 접촉을 발견하 는데, T-scan III (T-scan III,Tekscan Inc., Boston, MA, USA)으로확인시하악우측제2 구치

교합조기접촉과 더불어 우측이 교합력 전체의 80%를 담당하

다. 더불어 최 교두간 접촉시 떨림이 심한 것도 관찰 되는

데이는교합간섭등으로교합이안정되지못하고불안정하다

고판단할수있다 (Fig. 13A). 교합조정후확인시교합의양측

비율은 좌우 45%, 55%로 비교적 균등해졌으며 최 교두 간

접촉 시 떨림이 사라지고 안정적으로 변환하 다 (Fig. 13B).

Fig. 11. Definitive prosthesis. (A) Working side during right lateral excursion, (B) Maxillary occlusal view, (C) Non-working side during right lateral excursion, (D) Leftlateral view at centric occlusion, (E) Frontal view at centric occlusion, (F) Right lateral view at centric occlusion, (G) Non-working side during left lateral excursion, (H)Mandibular occlusal view, (I) Working side during left lateral excursion.

A B C

D E F

G H I

Fig. 12. Intraoral photographs. (A) #13 porcelain fracture, (B) #13 monolithic zirconia crown restoration.

A B

194 한치과보철학회지 55권 2호, 2017년 4월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T-scan 에서수차례측방운동을유도했음에도불구하고우측의

경우 상호보호교합으로 최종 수복했지만 6개월 검진 시 군기

능교합으로변화가보이고, 좌측의경우는군기능교합으로수

복하 지만 6개월 검진 시 견치유도교합으로 변화하 다. 이러한 변화는 치아 수복 수의 부족으로 인해 습관성 우측 저작

형태로 발생한 교합의 적응 과정으로 사료된다. 강한 교합력

과측방운동을담당한상악우측견치보철물의파절로우측측

방운동도군기능교합으로계획하 다. 중심위및측방운동시

교합조정후조정된보철물의설면형태를복제하여상악우측

견치를monolithic zirconia로재수복하 다 (Fig. 12B). 상악우측견

치 수복 후 중심교합 시 좌우측 균등한 교합 접촉과 측방운동

시좌우측모두군기능교합을얻었다. 이후보철수복이완료된 1년후까지병적인증상이나타나

지않았으며안정적인교합접촉을이루며기능적심미적결과

를얻었다. 이후에도상악좌측제1 구치부위의임플란트보

철과 더불어 고정성 보철물 및 임플란트 보철물에 한 주기

적인 교합조정 및 보철적, 치주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

단된다.

고찰

모든 치아의 중심위에서 안정적인 유지접촉이 과개교합의

환자치료목표가된다. 본환자의경우편향성간섭없이전치

부의극심한면 면접촉이발생하어생긴상악구개면마모

와 하악 합치의 정출로 깊은 수직 피개를 나타나 안정적인

유지접촉을나타내지않았다. 환자는 2급악간관계를가지고

있는데, 2급 악간 관계를 갖는 사람에서는 1급인 경우보다 생

리적안정위에서하악이더전방으로위치하는경향이있으며

전방위치된하악은심미성, 입술봉쇄, 근육기능, 발음, 호흡에

도움을준다고하 다.5 더불어2급환자는습관위(habitual posi-tion)에서 넓은 범위의 하악 운동을 하는 경향이 있어,9,10 Ash와Ramfjord11는 long centric이0.5 - 1 mm 보다커야한다고주장하

는데, 기능범위보다 long centric이크다면부작용이없을것이라

하 다. 2급 부정교합환자는 조화로운 교합을 형성하기 위하

여 수직교합고경을 증가시켜 보철수복 공간을 확보하는 경우

가많다.12 수직고경의변화는하악과두복합체, 치주, 교합형태

에적응반응을유발하는데,13 Ambard와Mueninghoff5는 class II 악간관계의환자에서수직고경을증가시켜보철수복을하는경

Fig. 13. T-scan data. (A) Before occlusal adjustment, (B) After occlusal adjustment.

A

B

최 무비 교합력의 %힘 = 98.6%

0.17초(OT 차이)OT - A = 0.2초(0.5%)OT - B = 0.37초(97.0%)

2.459초(DT 차이)DT - C = 0.71초(98.3%)DT - D = 3.169초(1.1%)

0.65초(시간)좌 = 18.4%오른쪽 = 81.6%

사용자 환경에서 범위 설정

허용범위 내

경계선 범위

Outside Range

최 무비 교합력의 %힘 = 94.2%

0.2초(OT 차이)OT - A = 0.2초(2.7%)OT - B = 0.4초(84.3%)

0.12초(DT 차이)DT - C = 3.099초(86.9%)DT - D = 3.219초(2.0%)

2.489초(시간)좌 = 44.5%오른쪽 = 55.5%

사용자 환경에서 범위 설정

허용범위 내

경계선 범위

Outside Range

한치과보철학회지 55권 2호, 2017년 4월 195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우, 교합접촉을올바르게형성하면증가된수직고경에서근육

의적응은허용할수있다고주장하 다. 이를위해수직고경

의 증가하여 보철 수복 공간을 확보하고, 상실부의 임플란트

식립을 동반한 완전 구강 회복이 이루어졌다. 보철 전후를 측

방두부규격사진에서비교하 을때 interincisal angle이초진시

167�에서보철수복후 143�로변화하여전치부치축각도개선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합고경 증가로 인한 mandibular planeangle은초진시23.9�에서보철수복후25.8�로변화하여하악의

1.9도의 clockwise rotation을관찰할수있었는데퇴행성관절염의

징후가관찰되지않았으므로보철수복으로인해하악이후하

방회전하 을것으로판단된다. 초진시 7.0 mm의수직피개와

3.7 mm의수평피개 던상하악관계가2.3 mm의수직피개와3.2mm의 수평피개로 변화하여 적절한 전치부 관계를 회복하

다는것을확인할수있다. 하지만 6개월검진시하악우측제2구치의 교합조기 접촉, 측방운동을 담당했던 상악 우측 견

치의 파절과 측방운동 교합양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치아 수복 수의 부족으로 인해 습관성 우측 저작 형태

로 발생한 교합의 적응 과정으로 판단된다. 턱관절 질환 환자

와비 칭적인치아상실의환자에서선호하는쪽으로저작을

하는습관이보고되었다.14,15 심한선호측으로의저작은하악의

운동과 저작력, 저작효율과 같은 악구강계의 기능의 변화를

나타낸다.16,17 편측구치부상실환자를 상으로건강한치열을

가진 환자와 근전도 검사 및 편측 저작 인지 정도를 비교하

을때, 편측구치부상실환자가건강한치열을가진환자에비

해더큰선호측으로의저작이나타났으며인지정도도더크

게나타났다.18 본환자의경우턱관절이상증상이없었으며상

악 좌측 구치부 상실부에 임플란트 식립 부족으로 인해 보철

수복 후에도 우측으로 지속적인 저작을 하 고, 이로 인한 교

합의 변화가 나타난 것을 판단된다. 임시수복 단계에서 주기

적인 교합조정을 통해 교합의 안정을 관찰하 고, 이를 전방

유도인기장치를 이용한 재부착과정을 진행하 음에도 교합

의 변화가 관찰되어 선호 측으로 저작하게 되는 요인을 가지

고 있는 환자에 있어 충분한 임시치관의 사용과 세심한 교합

조정및정기검진이필요한것으로사료된다. 이경우T-scan 이좌우 교합력을 비교하고, 교합조정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추가적인 선호 측으로의 저작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교합을

얻기위해상악좌측구치부상악좌측제1 구치부위의추가

적인 임플란트 식립하기로 하 다. 측방운동 교합양식 선택

시 건전한 견치가 잔존한 환자에서 D’Amico가 제안한 상호보

호교합은 구치부의 이개가 교근의 활성을 감소시켜 2급 부정

교합의수복에있어선택될수있다.5,19 본환자의경우좌측편

측상실부가임플란트보철수복되어있어임플란트에가해지

는측방력을최소화하기위해군기능교합으로형성하 다. 우측의 경우에 임시수복 및 최종 보철 시 견치유도 교합으로 진

행하 으나 상악우측견치의 보철물 파절이 발생하여, 응력집

중을 막기 위해 군기능 교합으로 형성하 고, 상 적으로 낮

은파절율을보이는monolithic zirconia로수복하 다.20

결론

중심위에서 과도한 면 면 접촉이 발생한, 편측 구치부가

상실된 과개교합 환자는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보철수복으

로 안정적인 교합관계의 회복과 조화로운 전방∙측방유도를

얻을수있다. 심한과개교합및마모를가진본환자의경우보

철수복공간확보를위해수직고경증가를동반한임플란트및

고정성보철물로 전악구강회복을 하여 안정적인 교합관계의

회복과 조화로운 전치관계를 이뤄줄 수 있었다. 향후 고정성

보철물 및 임플란트 보철에 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

으로사료된다.

ORCID

Sung-Hoon Kim http://orcid.org/0000-0001-5486-7900Ye-Kyu Rhee http://orcid.org/0000-0001-8705-0139Kyung-Ho Ko http://orcid.org/0000-0002-1260-8844Yoon-Hyuk Huh http://orcid.org/0000-0003-4072-5199Lee-Ra Cho http://orcid.org/0000-0003-3989-2870Chan-Jin Park http://orcid.org/0000-0003-4734-214X

References

1. The glossary of prosthodontic terms. J Prosthet Dent 2005;94:10-92.

2.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St.Louis, Mo.: Mosby; 2007. xiii, p. 630.

3. McDonagh S, Chadwick J. The combined orthodontic and sur-gical treatment of traumatic Class II division 2 in the adult. DentUpdate 2004;3:83-8, 90-1.

4. Beddis HP, Durey K, Alhilou A, Chan MF. The restorativemanagement of the deep overbite. Br Dent J 2014;217:509-15.

5. Ambard A, Mueninghoff L. Planning restorative treatment forpatients with severe Class II malocclusions. J Prosthet Dent2002;88:200-7.

6. Akerly WB. Prosthodontic treatment of traumatic overlap of theanterior teeth. J Prosthet Dent 1977;38:26-34.

7. Willis FM. Features of the face involved in full denture prosthesis.Dent Cosmos 1935;77:851-4.

8. McGee AM, Skinner M. Facial asymmetry and the attributionof personality traits. Br J Soc Psychol 1987;26:181-4.

9. Curtis TA, Langer Y, Curtis DA, Carpenter R. Occlusal consid-erations for partially or completely edentulous skeletal class II pa-tients. Part I: Background information. J Prosthet Dent 1988;60:202-11.

10. Burnett CA, Clifford TJ. The mandibular speech envelope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incisal tooth wear. Int J Prosthodont1999;12:514-8.

11. Ash MM, Ramfjord SP. Occlusion. 4th ed. Philadelphia: W.B.Saunders; 1995. viii, p. 472.

12. Capp NJ, Warren K. Restor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excessive vertical overlap. Int J Prosthodont 1991;4:353-60.

196 한치과보철학회지 55권 2호, 2017년 4월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13. Gopi Chander N, Venkat R. An appraisal on increasing theocclusal vertical dimension in full occlusal rehabilitation and itsoutcome. J Indian Prosthodont Soc 2011;11:77-81.

14. Ratnasari A, Hasegawa K, Oki K, Kawakami S, Yanagi Y,Asaumi JI, et al. Manifestation of preferred chewing side for hardfood on TMJ disc displacement side. J Oral Rehabil 2011;38:12-7.

15. Diernberger S, Bernhardt O, Schwahn C, Kordass B. Self-reportedchewing side preference and its associations with occlusal,temporomandibular and prosthodontic factors: results from thepopulation-based Study of Health in Pomerania (SHIP-0). JOral Rehabil 2008;35:613-20.

16. Wilding RJ, Adams LP, Lewin A. Absence of association betweena preferred chewing side and its area of functional occlusalcontact in the human dentition. Arch Oral Biol 1992;37:423-8.

17. Bates JF, Stafford GD, Harrison A. Masticatory function--areview of the literature. 1. The form of the masticatory cycle. JOral Rehabil 1975;2:281-301.

18. Yamasaki Y, Kuwatsuru R, Tsukiyama Y, Oki K, Koyano K.Objective assessment of mastication predominance in healthy den-tate subjects and patients with unilateral posterior missing teeth.J Oral Rehabil 2016;43:575-82.

19. Williamson EH, Lundquist DO. Anterior guidance: its effect on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temporal and masseter muscles.J Prosthet Dent 1983;49:816-23.

20. Sulaiman TA, Abdulmajeed AA, Donovan TE, Cooper LF,Walter R. Fracture rate of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s up to5 years: A dental laboratory survey. J Prosthet Dent 2016;116:436-9.

한치과보철학회지 55권 2호, 2017년 4월 197

CASE REPORT

과개교합을 갖는 부분무치악환자의 전악수복

김성훈∙이예규∙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강릉원주 학교치과 학치과보철학교실및구강과학연구소

과도한수직피개를가진과개교합환자에서안정적인유지접촉이없는경우연조직외상, 치질파괴, 합치정출의문제가일어날수있고이는결

과적으로 교합평면의 붕괴와 기능적, 심미적 문제로 이어진다. 치아의 상실과 마모가 발생된 환자에 한 치료계획 수립 시 올바른 교합수직고경

설정을 통해 환자의 안정적인 악간관계를 회복시켜야 한다. 본 증례는 중심위에서 극심한 면 면 접촉이 발생된, 편측 구치부가 상실된 과개교합

환자에게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술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 다. 보철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 수직고경증가를 동반한 완전구강회

복술로 안정적인 교합관계와 조화로운 전방, 측방유도를 얻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 한치과보철학회지 2017;55:187-97)

주요단어:과개교합; 수직고경; 전악수복; 부분무치악

*교신저자: 박찬진

25457 강원도강릉시죽헌길 7, 강릉원주 학교치과 학치과보철학교실

033 640 3153: e-mail, [email protected]원고접수일: 2016년 9월 19일 / 원고최종수정일: 2016년 10월 20일 / 원고채택일:2016년 11월 9일

2017 한치과보철학회

이 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 리 3.0 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수있습니다.

c

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