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13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Digital Commons @ Fuller Korean Doctor of Ministry Projects / 한인 목회 박사 졸업 논문 Korean Studies Center 2-20-2019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로그램 로그램 Seongbaek Park 박성백 Follow this and additional works at: https://digitalcommons.fuller.edu/kdmin Part of the Missions and World Christianity Commons Recommended Citation Recommended Citation 박성백,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박사학위논문, 풀러신 학대학원, 2019. This Project is brought to you for free and open access by the Korean Studies Center at Digital Commons @ Fuller. It has been accepted for inclusion in Korean Doctor of Ministry Projects / 한인 목회학 박사 졸업 논문 by an authorized administrator of Digital Commons @ Fuller. For more information, please contact [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08-Aug-2021

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Fuller Theological Seminar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Fuller Digital Commons Fuller

Korean Doctor of Ministry Projects 한인 목회학 박사 졸업 논문 Korean Studies Center

2-20-2019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

로그램 로그램

Seongbaek Park 박성백

Follow this and additional works at httpsdigitalcommonsfulleredukdmin

Part of the Missions and World Christianity Commons

Recommended Citation Recommended Citation 박성백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박사학위논문 풀러신학대학원 2019

This Project is brought to you for free and open access by the Korean Studies Center at Digital Commons Fuller It has been accepted for inclusion in Korean Doctor of Ministry Projects 한인 목회학 박사 졸업 논문 by an authorized administrator of Digital Commons Fuller For more information please contact archivesfulleredu

MINISTRY FOCUS PAPER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MINISTRY

BY

SEONGBAEK PARK

FEBRUARY 2019

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DEVELOPING CHURCH HEALTH IN THE

CONTEXT OF

THE POSTMODERN KOREAN CHURCH

이 논문을 풀러 신학교목회학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지도 주 종 훈 박사

박 성 백

2019년 2월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ii

Abstract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Developing Church Health

in the Context of the Postmodern Korean ChurchSeongBaek Park

Doctor of Ministry2019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This paper argues for assessing church health on the basis of

relationshipsmdasha structural foundation of the churchmdashin contrast to a theory that

bases the health of a church on numerical growth even when viewing the church

as an organism The use of growing churches as the standard of church growth

scholars including natural church growth theorists cannot encompass the differing

situations of ministries and individual churches Various church reformation

movements point to the burden of proving church health in a saturated market of

an aging population as impoverishing church infrastructure Consequently the

current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requires churches to overcome the bias that

thinks a church that does not grow is not a healthy church Moreover postmodern

society pursues relativity and plurality which isolates individuals who ultimately

desire meaningful relationships This paper thus argues for the Korean church to

actively develop relationship schools that strengthen healthy relationships thereby

improving church health

Chapter 1 identifies the problem of church health in the Korean church

and chapter 2 describes qualities of a postmodern society and its beginnings in

modernity Chapter 3 then establishes relationship theology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aper and its argument In chapter 4 various church health theories

iii

centered on relationships are compared This examination of theories of existing

church health scholars leads to this projectrsquos theoretical basis of relationship

theology constructed on the thinking of two specific scholars

Cases of relationship recovery programs and characteristics of such

programs tried by the Korean Church are surveyed in chapter 5 The chapter goes

on to emphasize the need for a biblical relationship training program and then to

construct 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improving church health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by proposing a 10-lesson program for biblical relationship

development Chapter 6 concludes the paper ultimately arguing that relational

health as a core value of the church enabled by member training from a

perspective of relationship theology must be a new standard for measuring church

health Effectively running such a relationship school focused on relationships with

God the world and believers can improve church health via improved

relationships

Theological Mentors Jong Hun Joo PhD

Yea Sun E Kim DSocSci

Euiwan Cho PhD

iv

헌 사

이 논문을 아들을 위해 불철주야 기도로 지원해주신 어머님과 사랑하는 아내 그

리고 하나님께서 주신 최고의 선물인 예은 다윗 정은에게 바칩니다

v

감사의 글

오늘 이 날에 이르기까지 늦은 나이에 목회학박사 과정을 위한 도미를 허락해주

시고 이후에 귀국해서 멈출 수도 있었을 논문과정을 끝까지 마치게 인도해주신 하나

님께 먼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신약성경에 대한 탁월한 통찰을 통해 세속화되

어 가는 교회를 향한 안타까움 가득한 외침으로 깨어있는 목회자의 길을 몸소 보여주

신 김세윤 교수님 외롭고 어려운 유학 시절동안 부족한 목회자가 자신을 가두던 껍

질을 깨고 세상 앞에 당당히 설 수 있도록 보석 같은 개인상담의 시간을 통해 목회적

인 사고의 지평을 넓혀주신 엄예선 교수님 먼 나라를 오가며 분주한 사역 중에도 부

족한 목사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격려와 채찍으로 논문을 마치기까지 세심하게 지

도해 주신 주종훈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여러 가지로 모자라기 만한 아들을 귀히 여겨 주시고 항상 후원해 주신 어머니

와 힘들 때마다 따뜻한 위로자와 상담자가 되어준 사랑하는 아내와 내가 이 땅에서

감당해야할 첫 번째 사명이자 다른 모든 사역을 위한 발걸음에 힘을 더해주던 세 아

이들에게도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그 동안 많은 기도와 도움을 주신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많고 많은 교회

속에 개척이라는 길을 여시고 맡겨주신 은혜와진리교회가 관계라는 교회 존재의 기초

위에 더욱 건강한 교회로 자라나 많은 열매를 맺어낼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더욱 열심

히 헌신하겠습니다

2019년 2월 박 성 백

vi

목 차

제 1 장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1 해체주의 인간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2 상대주의 진리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다원주의 종교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4 극단적 개인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과학기술의 발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 자본주의경제의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4 모더니티의 위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vii

2 교회와 코이노니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1 하나님의 백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2 그리스도의 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3 성령의 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1 관계중심의 리더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4 가정 중심의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2 은사 중심적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3 열정적 영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4 기능적 조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9

5 영감 있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6 전인적 소그룹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7 필요 중심적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8 사랑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1 긍정적인 목회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viii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5 동질집단의 원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6 효과적인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7 성경적인 우선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2 제자 삼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3 영적은사의 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맺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절 Stephen A Macchia의 교회건강이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영적인 제자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다 교회들의 연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ix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1 온누리교회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2 뉴욕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3 웹기반의 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가 온라인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1 프로그램의 동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2 프로그램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x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3 프로그램 시행준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나 소그룹 리더교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1 교육과정편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2 성취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3 차시별 강의계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4 진행상 유의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5 본시 강의의 설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1) 관계 안의 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2) 복음과 믿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3) 하나님과의 친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4) 용납과 용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5) 갈등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6) 의사소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7) 먼저 대접하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8) 타인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

(9) 건강한 가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

(10) 섬김과 돌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

제 6 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2 절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

xi

참고 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1

Vit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xii

표 목 차

lt표 1gt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lt표 2gt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lt표 3gt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1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980~90년대를 지나면서 한국교회는 기록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어내었다 1910년

에만 하여도 한국 전체인구의 단지 1에 불과했던 개신교 인구는 고도 성장기를 거

치면서 전체 5천만 인구의 거의 20에 달하는 성장을 이루었고 수많은 대형교회들이

생겨났으며 바야흐로 한국 개신교의 전성기라 불리기에 충분한 시대였다 그러나 21

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 개신교는 정체되기 시작하였고 게다가 사회적으로 많은 비판

을 받게 되었으며 반기독교진영의 공격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그중 중요한 원인 하나는 기존 교회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의 외적인 요소

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

의 유일한 소망이다 산업화로 인하여 풍요해진 것처럼 보이는 세상의 이면에는 온갖

공해물질로 범벅된 자연환경의 오염과 이로 인해 야기된 각종 질병으로 인간의 육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를 비롯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되어가고 있

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질병과 가족들의 육신의 질고로 말미암아 건강에 대해 갈

수록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이 건강이라는 용어의 사용도 단순하게 인

간의 육신에 대한 표현에서 벗어나 정신의학의 영역 사회과학적인 영역 영적인 영역

에까지 그 사용 폭이 넓어져 가고 있으며 이는 결국 교회의 건강이라는 표현에까지

2

이르게 된다 이처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결국 그만큼 각종 분

야에서 많은 질병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만큼 각종 질병으로부터의 치료가 중요시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건강의 의미에 대하여 직관적으로는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

하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정의하면 소극적인 의미인 질병이 없음을 넘어서 각 개체가

가진 본연의 목적을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감당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

인 개념1)이다 이것을 교회공동체와 관련하여 다시 진술한다면 건강한교회란 교회 내

부의 질병이나 연약한 부분이 없이 모든 지체들이 물리적 관계적으로 온전한 상태에

있으면서 사회적으로 감당해야할 책무로서의 소금과 빛 됨의 역할을 다하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작금에 와서 교회의 건강은 늘 교회의 성장이라는 열매와 결부

시켜 표현되고 있다 교회의 건강지수를 조사하는 대부분의 기준들이 교회가 양적으

로 성장하고 있는가라는 결과를 통해서 판단되어 왔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수적

성장하지 않는 교회는 건강하지 않고 병들어있는 교회로 치부되고 마는 것이다

한국경제가 한창 발전을 하던 과정에서 사람들은 수적 양적인 요소들을 판단의

근거로서 최선이라 여길 수 있었지만 이러한 세속적 세계관이 교회 내에도 여과 없이

반영되어 교회조차도 숫자를 판단의 주된 요인으로 삼는 오류를 범하게 된 것이다

왜 사람들은 숫자를 통해 진리를 판단하려 드는 것인가 이는 다른 요인들과 달리 가

시적이며 객관적인 근거로의 활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기에 계산하는 것

이 쉽지 않을지라도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건강의 진정한 본질적 요소들

에 집중해야만 할 필요가 있다

lsquo교회 성장rsquo과 함께 lsquo교회건강rsquo을 강조하게 된 데에는 전통적인 교회성장에 대한

생각들이 지나치게 기계적인 수적 성장을 강조하는 것에 반기를 든 모양새이다2) 그

러나 이렇게 등장한 lsquo교회건강rsquo에 대한 이론들조차도 결국은 lsquo성장하면 건강하다rsquo라는

개념과 같이 숫자의 함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lsquo건강하면 성장한다rsquo라는 논리로 확대

적용되어 교회의 건강이 마치 양적 성장을 위한 기본 전제이어야 하는 것처럼 받아들

여지게 되었다 즉 교회의 건강성을 수적 성장의 여부로 판단하게 되어버린 것이다

특별히 한국교회에서 많이 활용되어 온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자연적교회성장

1) 세계보건기구헌장 참조 httpwwwwhointaboutmissionen2) 김점옥 차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7

3

(Natural Church Development)이론은 질적 요소의 충족을 통한 건강은 양적성장으로 결

론지어진다는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시하며 양적성장과 교회건강에 대한 연결을 오히

려 더 정당화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적 현실에 대하여 필자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자인 Schwarz와 교

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과소평가

된 교회의 본질적 요소인 lsquo관계rsquo를 교회건강의 새로운 기준으로 주장하고자 한다 건

강은 결코 성장만으로 판단되어서는 타당하지 않다 현대 교회에 만연한 성장주의는

결국 교회 내부 건강의 부실함을 야기하였고 각종 폐단 및 후유증의 주된 원인이 되

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관계가 성경적이고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관계

성으로 볼 수 있는가 그것은 삼위일체의 교제를 칭하는 개념인 페리코레시스에 바탕

을 둔 공동체적 관계성이다 그 관계를 원리로 해서 하나님 성도 세상 사이 관계의

균형을 추구하는 모습이 필요하고 이렇게 세워진 관계신학적 이론을 적용하는 lsquo관계

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교회건강개선rsquo이라는 논제를 가지고 필자의 주장을 정리해 나

가려 한다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위와 같은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시작된 교회건강성에 대한 논문을 위해 필자는

먼저 숫자중심 성장주의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근대 모더니즘과 관계지향적 특성

을 가진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살펴본 후 NCD

의 이론과 다른 북미지역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서적들을 대상으로 기존 이론의 약점

들을 드러내고 더불어 다른 교회건강 학자들의 이론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연구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계신학이라는 아직은 생소한 신학분야의 이론적 기반을 마

련한 후에 각 교회나 단체에서 행해지는 관계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를 연구할 것

이다 그러고 나서 교회건강을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이라는 대안을 마

련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따라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현대 한국교회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는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먼저 현대 한국교

4

회의 배경연구로서는 모던시대의 특징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을 바탕으로 모던과

포스트모던이 교차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며 그러한 한국교회 상황

에서 현재 주로 인용되어왔던 Christian Schwarz를 통해 세워진 NCD의 교회 건강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과 교회 건강에 대한 다른 견해들인 피터 와그너(Peter Wagner)

리스 앤더슨(Leith Anderson)3) 스티븐 마치아(Stephen Macchia)4)의 이론들을 살펴본 뒤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서 그동안 성장주의 영향 아래 한국교회에서 배제되어왔던 부분

에 관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교회의 핵심특성인 공동체적 본질로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사역이 교회 건강성의 새로운 기준임을 제시해보려 하고 이론적인 기

반으로서 관계신학이라는 개념을 정리해 본 뒤 이를 실제 목회 현장에 적용할 수 있

는 lsquo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rsquo까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범위 안에서 연구를 진행하

고자 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문제제기와 목적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어 연구

의 방법 및 범위를 서술한다

제2장에서는 모던과 포스트모던 두 시대 사이에서 양쪽 모두의 영향 아래 있기

에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두 가지 특성 모두를 가지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

과 영향을 배경연구로서 활용해 보려 한다

제3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연구를 위해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개념을 근거로

관계신학적 관점으로 교회의 본질을 연구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한국교회에 영향을 주고 있고 교회성장운동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

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와 주장을 정리하고 교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연구를 살펴보고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성장을 논하던 기존 이론과 달리 하나님

3) NAE(국제복음주의연합)의 의장을 역임하였고 Minnesota에 있는 Woodale Church에서 35년동안 사역하다 지난 6월 은퇴하였으며 Fuller Theological Semianr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강의를

하고 있으며 Dying for Change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Winning the Values War의 저자이

다4) 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Vision New England(The Evangelistic Association of New England)의 의장을 역임

하였으며 Becoming a Healthy Church 외 다수의 저작물이 있는 지역교회와 선교단체를 위해

국제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역자이다

5

성도 세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교회건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Macchia와 Anderson

의 이론을 연구 정리하면서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들을 비교하여 기존 이론 가운데

에도 관계지향적인 요소들이 이미 자리하고 있었음을 더불어 밝혀보려 한다

제5장에서는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행해지던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로서 국내

온누리교회 미국의 뉴욕관계학교 웹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스웨덴의 온라인 관계학

교의 경우를 조사하여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를 찾아보고 그동안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경을 중심으로 하여 10차시 과정으로 구성된 관계학교 전체과정의 개요를 제안하려

한다

제6장에서는 연구에 따른 최종적인 결론으로 논문 전체에 대한 요약과 결론 그

리고 그에 따른 적용 및 다른 연구자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어

보려 한다

6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양적성장에 치중하던 한국교회가 질적성장이라는 관점에서 건강한교회를 지향하

게 된 일은 분명 긍정적인 현상임에도 이마저도 또 하나의 교회성장운동으로 변질되

어가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살펴보기 전에 그에 대한 환경적 배경을 제공하게 된 이

시대의 전체적인 문화와 사고의 큰 흐름으로서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더불어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그 모태라고 할 수 있는 모더니티

사회의 현상과 특징들을 비교하여 논함으로서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을 좀 더 이해

할 수 있고 그 영향들이 교회 안에 어떻게 작용하게 되었는지를 알아가 보고자 한다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인류는 과학산업기술의 발전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이성을 긍정적으로만 맹신하

게 된 것이 모더니티 근대주의의 발로이다 이를 통해 계몽주의 경험주의 유토피아

적 이상향에 젖어 중세 신앙을 거부하게 되면서 인간 이성의 자유를 구가하던 시대인

모더니티 사회는 결국 이성의 과신에 대한 수많은 부작용과 또 하나의 공허한 신앙을

선택하게 된 결과로 이어진다 포스트모더니티로의 진입은 이러한 모더니티를 비판하

면서 해체하는 것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가고자 하는 시도였다 그러므로 포스트

모더니티는 모더니티의 사상적 기반을 떠나서는 정확한 이해가 불가하다 포스트모더

니즘의 시작은 일차세계대전 이후 그동안 팽배해 왔던 근대주의적 유토피아 이상에

대한 환멸과 비판을 기초로 하였다 또한 과학의 한계에 대한 의식과 자원고갈 인구

와 환경문제라는 위기의식을 기반으로 문명 전체의 불분명한 미래상에 대한 불안을

뿌리로 하게 된다 이는 그동안 근대문명을 지배해온 모더니즘의 주된 사고체계인 계

7

몽주의사상과 과학주의적 세계관의 문제의식에서부터 기인하였다는 의미이다5) 이처

럼 모더니티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사상적 특징들을 먼

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해체주의 인간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의 사상적 발단을 제공한 이는 프리드리

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이다 니체는 기독교적 가치의 무의미를 선포하

였고 진리의 체계를 주장하는 모든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사상을 주장하는데 형이상학

을 부정하는 근거는 모든 형이상학이 자신이 전제한 가정에서부터 출발하고 있기 때

문이라는 것이다 니체의 허무주의적 주장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

을 형성하였다 니체에게 있어서 우리 자신과 세계에 대해 유일하게 참된 진리는 만

물이 지닌 억제할 수 없는 lsquo힘에의 의지rsquo와 lsquo통제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rsquo뿐이라는

것이다 lsquo지식rsquo과 lsquo진리rsquo는 단지 효과적인 도구일 뿐이지 초월적 실체가 아니며 인간

이 고안한 개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것들은 항상 인간의 이익이나

목적에 공헌하기 때문에 결코 lsquo객관적rsquo일 수 없다는 주장이 포스트모더니티의 특징으

로서 니체로부터 시작된 해체주의의 주된 사상이다6) 이러한 해체주의는 또한 허무주

의로 연결되어 결국 인간 본연의 가치상실과 존재에 대한 회의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더 이상 개인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존재가치가 전과 같이 존중받지 못할 위기에 처하

게 되었다는 것은 베이비부머시대의 인구폭발과 맞물려 인간의 가치상실이라는 결과

를 낳게 된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에 저항해야 할 한국교회는 오히려 한 영혼 한 영

혼의 가치를 소홀히 함으로써 세상을 닮아가는 형국이 되었고 결과를 중심으로 한 교

회건강 이론을 비판 없이 도입하였다

2 상대주의 진리관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대주의는 세계를 역사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보편

적 원리나 통일성이 없는 파편더미로 보는 가치체계이다 공통적 가치와 기준이 없으

5) David Klemm Hermeneutical Inquiry Volume 1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Atlanta Scholars Press 1986) 196) Dave Robinson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21-22

8

며 진리에 상대적 국면이 있음을 인정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신적권위라든지 이성적

법칙이라든지 절대성을 표방하는 것 자체를 모두 배격하기에 이르게 된다 상대주의

의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포스트 모던적 상대주의는 상대성 자체를 궁극적인 것으로

절대시하고 규범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대주의에서는 lsquo절대rsquo나 lsquo절대적rsquo이란 존재할

수 없다 진리라는 주장들은 지역적 역사적 요인들이 만들어낸 상대성을 지니기 때문

에 그 어떤 것도 절대적 진리라고 판단할 수 있는 초문화적인 기준은 존재할 수 없

다7)

절대적 진리의 존재가 인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사회나 문화의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거대담론이 사라지게 됨으로 공동의 lsquo너와 내rsquo가 이루어낸 공동체성은 찾기

힘들고 파편화된 개인만 남아 외롭게 존재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또 이런 상대주의

는 가치와 도덕을 무너뜨려 극단적 실용주의를 만들어낸다 또 신앙이나 이성에 의해

규제되던 감성 관능 탐욕 등의 폭발적 해방을 이미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상대주의

의 만연은 결국 아무것도 절대적인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극단을 낳음으로써 자체적인

모순에 빠지게 됨으로 해체주의와 연결되어 인간의 존재가치를 상실하고 회의를 불러

일으키고 결국 이는 쾌락을 진리의 기준으로 삼아 단지 lsquo즐거운 것이 좋은 것rsquo이라는

사고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도 종국에는 극단적 고독과 소외를 낳음으

로써 인간 내부에 잠재해 있던 공동체에 대한 갈망을 원하게 된다8)

그러므로 이 시대에 교회가 접근해야 할 세상은 대상이 특정화되지 않은 일방적

인 전파를 통한 복음사역이 아닌 소외와 외로움에 빠진 이들에게 먼저 다가갈 수 있

는 관계가 중심이 되는 건강한교회를 통한 공동체적인 접촉점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된

3 다원주의 종교관

포스트모더니티의 세 번째 특징으로서 근대의 문제가 이성주의에 입각하여 문화

와 사회를 획일화하는 세계관으로 삶을 억압하고 비인간화 하는데서 비롯된다고 반기

를 드는 데로부터 결국 그에 대한 해체작업과 그 결과로 말미암는 다원성에 대한 강

조로 흐르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이성의 객관성을 부정하여 문화와 사회의 토대역

7)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2388) Ibid 241

9

할을 박탈하려 하게 된다 이성주의 학문인 철학과 과학이 기초적 중심 위치를 상실

하면 문화가 다원화될 것이라고 여기는데 이 전략이 근대문화를 해체하게 된다 이

다원주의 특성은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어 오늘날 삶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다원화된

사회가 되어버렸다

이런 변화 속에 교회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경험하게 된다

긍정적인 영향은 기독교와 줄곧 충돌해온 인본주의와 독단적 합리주의의 지배력이 약

화되어 기독교의 전도나 문화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고 반면 부정적인 영향은

모든 종교와 신앙의 균등을 주장하는 종교다원주의가 득세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다원주의는 오늘의 세속 사회에 가장 잘 부합하는 문화적 이데올로기이며 이러

한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믿음을 고백하거나 일방적으로 전파하는 것을 무식과 교만

독선으로 여기게 되어 금기시하게 된 것이다9)

뿐만 아니라 뉴비긴은 한걸음 더 나아가 한 사회 안에 있는 여러 다양한 문화들

과 생활방식들을 환영하고 이런 것이 인간의 삶을 풍요하게 해준다고 믿는 문화적 다

원주의와는 달리 종교적 다원주의 대해서는 그 입장을 달리하여 종교들 간의 차이가

진리와 거짓의 문제가 아니라 진리에 대한 다른 인식 방법의 차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종교적인 믿음에서 어떤 것은 옳고 어떤 것은 그르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종교적인 믿음은 개인의 문제이고 각 사람은 자신의 믿음을 가질 권

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종교적 다원주의의 특징이고 뿐만 아니라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할 포스트모던시대의 특징이다10)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이러한 종교적 다원주의를 다원주의의 맥락에서 지지하

고 있다 그리고 종교적 다원주의는 이제 서구교회 전체가 고민하고 있는 심각한 문

제가 되었으며 우리 한국교회 역시도 더 이상 자유롭지가 않다 복음의 순수성과 절

대성이 더 이상 그 자리를 지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회 내부에서조차도 그 영향력

이 약화되어가고 있는 이 시대는 네트워크의 비약적인 기술발전 영상매체와 미디어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시각적 자극에 민감해질 데로 민감해진 다원화된 개인들만이

존재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한 상황 속에 건강한교회에 대한 견해들 또한 다양

하게 되었고 그만큼 통합적인 평가가 어렵다 그만큼 가시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한

9)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1310) Lesslie Newbigin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40

10

숫자 중심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은 많은 이들에게 수용되어질 수 있었다

4 극단적 개인주의

앞부분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티사회의 특징들은 우리를 서로에게로부터 분리시

켜 자아를 봉인하고 개인 영역에 한정시키는 극단적 개인주의 성향으로 나타나게 된

다 이러한 흐름은 절대적인 권위와 연합을 부정한다는 의미에서 포스트모던이 기독

교 신앙에 대한 심각한 도전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면에서는 기존 질서로서 이성 중심

의 과학문명이 낳은 모더니티에 대한 지극한 회의에서 시작되었기에 하나님 중심의

절대적 신앙관의 확립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과도기적 시기로 보아야 한

다11)

오늘날의 사람들은 지금까지 지나온 여러 세대들보다 더욱 초자연적인 것들 특

별히 영적인 것들에 대해 열려있게 되었으며 사람들은 교회나 조직화된 종교체계에는

적대적일 수 있으나 예수님을 포함하여 영적인 것에는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포

스트모더니즘 기반의 문화에서는 서로 간의 공통점을 주장하지 않음으로 모두가 함께

동의하여 논쟁을 종결할 수 있는 공통적 토대가 사라지고 보편적 세계관을 부정하게

됨으로써 차이에 대한 존중과 지역적이고 개체적인 것을 환영하는 정서가 대중적인

것이 되었다 이성주의 문화의 해체 속에 기독교적 문화를 사람들이 또 다른 진리 중

의 하나로 인식하게 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독교에 대한 도전일 뿐 아니라 만인이 편견 없이 기독교 신앙을 기본적으로 받아들

일 수 있게 하는 기회로서 작용하기도 한다12)

포스트모던사회의 특징인 해체주의 상대주의 다원주의 개인주의의 포괄적 특징

은 반공동체적이라는 것이다 각 개체를 중시하고 함께 하는 가치를 배격하며 진리의

상대성을 기치로 삼는 시대정신 속에 단일 목표를 세우고 함께 가는 공동체 지향은

반시대적이 되어버린 것처럼 외부적으로 나타나지만 결국 그 속에서 각 개인의 가치

를 상실당하고 소외되며 피폐해진 이들은 오히려 진실한 공동체 속에서 관계를 찾게

되는 성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1) James K A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5612) Stanley J Grenz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12

11

이로써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탈관계적이면서 오히려 더욱 관계를 추구하는 이

중성을 지니게 될 것임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한국 사회뿐 아니라 한국교회가 성장과

성공에 치중하게 된 배경으로서 현대 한국사회의 급속한 근대화 현대화 과정에서 포

스트모더니티와 함께 스며들게 된 모더니티적 특성들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모더니티 사회의 사고관은 인류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경험함으로 이성의 능력을

신뢰하게 되면서 계몽주의와 경험주의 자본주의 경제이론 그리고 역사발전이론에 대

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그 뿌리에는 다음과 같은 사고의 전환이 중심

이 된다

그 첫 번째는 자연주의적 세계관으로서 창조주와 창조세계를 구분하여 그동안

창조주에 의존된 창조세계를 바라보던 관점이 무너지고 창조주인 초자연과 창조세계

인 자연을 둘로 구분하는 이분법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게 되었다는 것이다13) 자연은

더 이상 창조주로부터 나온 산물로서의 지배가운데 있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진

화라는 흐름 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사물가운데 존재하는 법칙을 발견하고 우주를 지

배하는 기본원리를 파헤침으로서 인류의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두 번째는 진보주의적 역사관인데 이 속에 뿌리깊이 자리 잡은 기본적인 사관은

진화론적 역사관으로 역사도 자연과 같은 과정을 통해 미개한 상태에서 계몽된 상태

로 발전하며 이와 같은 발전과정을 통해 인간은 자연법칙을 찾아내고 자연과학적 지

식을 축적함으로써 인간 문명사회는 더 나은 단계로 lsquo계속해서 진보해 나갈 것이고

이를 통해 인간은 행복을 얻게 될 것rsquo이라는 사고이다14) 이와 같은 생각들이 교회 안

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다 이는 과거의 전통과 새로운 문화의 충돌에서 자꾸만 새롭

고 신선한 프로그램들을 추구하는 모습들로 나타나고 있다

자연주의적 세계관과 진보주의적 역사관이라는 두 가지 사고의 바탕 위에 세워

진 모더니티 사회의 특징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3) Paul G Hiebert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 사람 2010) 277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41

12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근대 이전의 시대인 전근대를 신화와 교권의 시대로 규정할 수 있다면 근대는

이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과학과 이성의 시대였다 15세기 활자의 발명과 함

께 한 인쇄술의 발전은 일반 대중에게까지 큰 영향을 주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계몽

주의 운동이 시작되는 기틀이 마련되게 된다 대체적으로 계몽주의는 lsquo17세기 후반부

터 18세기에 걸쳐 유럽을 지배했던 사상 풍조를 가리키는 것rsquo으로서 르네상스의 인본

주의 정신과 17세기 과학의 혁명적인 발달을 한데 묶어 근대세계를 출현 시키는 결정

적인 계기를 만들었다15) 이성의 노력으로 인간 영혼에 있는 신성을 무한히 계발할

수 있다는 사상인 낙관적인 인본주의로서 르네상스 인문주의 운동은 신학의 도움 없

이 이성으로 자연의 원리를 발견하고 과학을 발전시키며 인류의 행복을 기약할 수 있

는 진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서유럽을 통해 철학 과학과 같은 사회 다방면

에 걸쳐 영향을 주게 되면서 계몽주의 사상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계몽주

의는 근대의 정신세계와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된다

그러므로 계몽주의 시대는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

는 도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

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부하게 되었다16)

결국 이러한 이성 중심의 사고는 인간의 자발적인 노력과 기술의 발달을 통한

진보로 물리적 자연환경과 사회와 문화를 더 좋은 것으로 만들어갈 것이라는 인간 자

신에 대한 낙관적 믿음을 낳게 하였으며 더 이상 외부의 어떤 존재를 신뢰의 대상으

로 삼지 않고 인간 자신에게 집중하게 되는 사상적인 배경으로 교회의 성장이 주관자

로서 하나님께 전적으로 달린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노력을 통한 교회 공동체의 건강

성을 향상시킴을 통해 성장과 번영을 얼마든지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근대주의적 낙관

론이라는 모순이 가능하게 되었다

15)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8116)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3

2 과학기술의 발달

16-17세기 유럽 특히 영국에서 시작한 과학혁명은 오늘날까지 IT혁명으로 영향

을 주고 있다 과학은 근대 문명 진보의 기초를 놓았고 17세기 초 프랜시스 베이컨이

세계를 이해하고 자연의 비을 풀기위한 노력으로 경험주의를 주장하는 배경이 되었

으며 인류에게 많은 유익한 변화를 이루게 하였다17) 인류는 항상 도구를 사용해왔는

데 18세기 초부터 과거와 달리 굉장히 복잡하고 효율적인 기계가 갑자기 출현했고 자

연에 대한 과학적 지식으로 자연을 지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현대기술을 통해 우리

는 원자를 분열시킬 수 있고 방대하고 복잡한 정보를 마이크로 칩에 저장할 수도 있

다 과학이 우리에게 통찰력과 지식을 주었다면 기술은 우리에게 힘을 주었다 그리고

인간은 그 힘으로 환경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모더니티는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에 대해 확고한 인식론적이고 과학기술적 자

기 확신에 사로잡힌 대답을 내어놓는다 모더니티의 과학적 방법론으로 대상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기술을 통해 세계를 조종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18) 과학

기술의 발전과 산업혁명은 대량생산과 이를 판매하기 위한 시장개척으로 이어져 식민

주의적 제국주의로 발전되었고 힘을 가진 인간의 정복욕을 부추기는 도구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사회과학적 발전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이 삶의 전반에 대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이러한 기술문화는 교회 안으로까지 이어져 적절한

도구와 기술의 사용이 가능한 토양을 제공하게 되었다

3 자본주의 경제의 성장

계몽주의와 과학기술의 발달에 이은 경제성장을 통해 문맹이 극복되고 질병은

사라지며 가난이 근절되고 제한된 자원을 서로 차지하기 위한 전쟁은 없어질 것이며

더 이상 물질적 사회적 궁핍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로지 진보만이 있는 사회로의 전

환과 그런 문명을 통해 어쩌면 모든 사람들이 역사상 처음으로 참된 행복과 참된 자

유를 누릴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이와 같은 무한긍정주의야말로 모더니티

사회를 규정짓는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그리고 그 자본주의적 성장주의는 교회의 급

17) Brian Walsh J Richard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118) Ibid 35

14

속한 성장의 틈바구니에 파고들어 교회가 하나의 조직으로서 여겨지고 관리와 경영을

통해 얼마든지 성장시킬 수 있는 대상물로 여겨지게 되었다 교회는 엄연히 그리스도

의 피 값으로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여야 함에도 인위적 조작이 주도력을 발휘

하는 또 하나의 인간 자아실현의 장이 되어 버린 것이다

4 모더니티의 위기

이러한 모더니티의 사상적 흐름을 인간존재와 관련하여 이형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첫째는 개인주의로서 자율적인 개인이 공동체 혹은 전통의 속박으

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홀로 생각하는 인간이다둘째는 합리주의로서 이성은 하나의 보편적인 인간 능력이며 한

개인에게 이성적인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도 이성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셋째는 방법론적 회의를 통해 진리에 이르는 방법이 lsquo이해를 추구

하는 신앙rsquo이 아니라 lsquo이성의 철저한 비판적인 반성rsquo으로 바뀌었

다넷째는 이원론으로 실재가 정신과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몸과 마음의 이분법뿐만 아니라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을 뒷받침하게 된다다섯째는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 미신으로부터 해방되어 참 지식

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으며 일단 과거로부터 벗어난 이성

은 과학과 문화를 통해서 인간사회와 역사를 불가피하게 진보시킨

다는 생각이다19)

위와 같은 특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모더니티는 인간에 대한 맹신으로 인

간의 이성이 부각됨으로써 하나님을 떠난 인간상을 자리 잡게 하였다 또한 하나님

없이도 인간이 충분히 선을 추구하고 행복을 이뤄낼 수 있는 착각 속으로 인간의 역

사를 몰고 갔다 게다가 신앙의 개인화를 비롯한 개인주의가 시작하면서 개인의 고립

현상과 소외 고독의 문제들이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이성에 의지하던 인간은 자

신의 뿌리로서의 창조자와의 관계를 잃어버리고 배회하는 인간상이 서서히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화려하게 등장했던 계몽주의와 과학혁명으로 말미암은 승승장구하던 모더니티

19)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36

15

사회의 사상적 흐름도 결국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모더니티의 위기는 12차 세계대전

후 유럽의 실존주의 운동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20세기에 들어서 갑작스럽게 등장

한 위기의 전조들은 이미 19세기부터 있어왔고 당시 진보적이고 혁신적이라 불리던

영국의 공장 생산 시스템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과 아동 노동의 착취 속에서 위기

의 조짐이 시작됐는데 이미 3백 년 전 유럽과 아메리카의 진보의 토대가 되었던 아프

리카 노예 산업에서부터 위기의 조짐이 있었으며 어쩌면 모더니티의 위기는 근대가

태동하던 바로 그 시점 즉 콜럼버스가 인디언을 노예로 삼던 그 때부터 시작된 것이

라고 볼 수 있다20) 서양의 근대는 계몽주의 세계관이 주도한 시대였으며 그 주된 사

상과 같이 인간의 이성을 신앙으로부터 독립시키려는 시도와 더불어 이성의 능력에

대한 무한한 신뢰로까지 연결되게 되었다 그러한 신뢰가 무너지면서 결국 모더니즘

의 위기는 시작되었다21) 모더니티라는 바벨탑의 붕괴는 획일적인 전체주의적 야망을

제한하고 민족과 문화의 다양성을 창출해 내시는 하나님의 섭리로서 세상을 향한 하

나님의 역사적 목표를 가로막는 오만한 시도였던 바벨탑의 결과를 다시 기억하게 한

다 그러므로 이런 배경 속에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는 신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복음

을 위한 긍정적인 역사적 기회로 생각될 수 있는 여지를 가진다22)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모더니티가 교회에 대해 끼친 영향 또한 지대하고 파괴적이다 지금 한국 사회에

혼재에 있는 두 사상 모두는 여전히 사회 일각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 특별히 합리화

라는 이름으로 들어온 세속화의 물결은 모더니티의 잔재로 교회를 흔들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단연 교회성장운동이 일으킨 영향은 지대하다 긍정 주의적이고 진보적 역

사관으로 무장한 모더니티는 인간 이성과 기술의 진보에 의해 실용화시킨 방법들로

인간의 속성에서조차 특성화 수치화시킴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23)

20)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4521)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6722)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8923) Os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48

16

모더니티가 끼친 가장 큰 영향은 ldquo세속주의(secularism)rdquo에 의한 것이 아니라 ldquo세

속화(secularization)rdquo에 의한 것으로 세속주의는 단지 철학이고 세속화는 하나의 일어나

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세속화에 대해 가장 알기 쉬운 특징은 숫자들과 기술에

대한 찬사로서 알 수 있다 두 가지는 대형교회운동(megachurch movement)에서 두드러

지게 나타난다24)

큰 것이 좋은 것이라는 근대주의적 사고가 교회에도 깊이 뿌리 박혀 있다 또한

이제 교회 안에 있는 목회자도 거룩한 종교인이 아닌 종교적 경영자로 변질되어 가고

있음도 현 세대에 나타나고 있는 모더니티적 경향의 산물이다 교회 생활에서 조차도

얼마나 기술주의적 사고가 커져 있는지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많은 기술들 기도하

는 방법들 성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 기독교 서점을 빼곡히 메우고 있는 뭔가

를 위한 방법들과 기술들에 관한 책들은 현대 시대에 남아있는 기술의 진보성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로서의 모더니티의 잔재들인 것이다

문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시대에 있는 교회들이 아직도 성장주의 무천년설 등과

같은 모더니티의 기반 위에 있다는 사실이다 현대 한국교회가 시대를 앞서가기는커

녕 오히려 과거의 영화를 부여잡고 있기에 교회는 계속해서 사회와 문화의 흐름에

려가고 있는 현실이 부인할 수 없는 현재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모더니티를 통해 형성된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원리가 교회 안에 들어오면서부터

교회는 숫자에 민감해지기 시작했으며 교회의 교회됨을 그저 여러 가지 수치적 지표

를 통해 판단하고 순위를 매기기까지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요와 공급의 입장으

로 교회와 성도의 관계를 표현할 때 결국 교회는 수요자이며 소비자인 성도들의 입맛

을 가장 우선으로 놓아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필요에 의해 언제든 응답할 준비를

해야만 하고 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공급자이자 판매자로서의 교회 상을

만들어 버리고 말았다 결국에는 강단에서 선포되는 메시지조차도 그 자체의 사명으

로서 예언자적인 기능을 잃어버리고 청중이 요구하고 당장 필요로 하는 값싼 복음을

전하고 있는 모습은 그야말로 모더니티가 낳은 숫자 우선 성장주의의 침투에 의한 결

과로 보아야 한다25)

20세기를 통해 일어났던 교회성장운동은 결국 그리스도의 교회가 근본적으로 자

24) Ibid4925) Eddie Gibbs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73

17

신의 특성과 부르심에 의해 인도받고 형성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사업가적 경제논

리에 의해 인도될 것인가라는 혼란을 야기 시켰다 하나님으로 하나님 되게 함으로써

그분의 말씀과 성령으로 그 존재와 결정적인 원리들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닌 모더니

티에 의해 파생된 다양한 산업적인 결과물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하나

님의 권위는 더 이상 결정권을 잃어버리고 ldquo사람이 떡으로 사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말씀으로 사는 것이다(마태복음 44 개역개정4판)rdquo라는 말씀조차

그 수정을 요구할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다 모더니티의 잔재는 결국 신적 권위와 신

앙의 힘을 평가절하시킴으로서 종교자체를 영적인 실제가 없이도 얼마든지 수사학적

이고 조직적인 방법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처럼 만들어가고 있다26)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

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는 기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

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

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

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

부하게 되었고 결국 이러한 시대 흐름의 영향으로 교회에서조차 눈에 보이는 가시적

성과에 집중하게 된 것이다27)

세상의 모습은 모더니티를 비판하고 포스트모더니티의 새로운 경향으로 접어들

었음에도 교회 안에는 여전히 가시적인 성장주의의 흐름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모더

니티 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교회라면 응당 그 전 시대

의 특징들이 부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잔재되어 있는 현대 한국사회의 모

더니티적 잔재물들은 교회 내부에까지 영향을 끼쳐 건물의 규모 신도 수 각종 자산

의 성장을 통한 성공주의 모델을 양산시키게 된 것이다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현재 한국교회가 겪고 있는 위기의 상황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평범한 이들로

구성된 사회와의 소통 부재와 단절에서부터 빚어진 것이다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대표되는 한국교회의 일방적인 선교를 통해 기독교적인 언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함으

26)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3527)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8

로써 세상과의 분리를 자초하였다 듣는 이의 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언어의

전달로 말미암아 오히려 세상은 교회에 귀를 닫아 버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세상을 향

해 나아가 소금과 빛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교회가 lsquoAgain 1907rsquo을 외치며 일어

났던 부흥의 열정으로 말미암은 후유증에 오히려 교회와 세상 사이의 담은 더욱 높아

져만 가고 있다 기독교의 언어는 세상의 언어로 번역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세상에

서 소통되는 언어가 교회에서 사용되어야 하고 삼위일체의 비을 간직하신 하나님께

서 하늘의 높은 보좌를 버리시고 이 땅에 성육신하심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한 함

으로써 자력으로는 도저히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는 인간의 무능력함을 친히 자신을

세상 가운데 계시하시는 행위를 통해 구원의 다리를 건설하신 것은 하나님의 언어를

세상의 언어로 번역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28)

그럼에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각 개인들이 그러한 것처럼 교회조차도 극단적 개

교회주의에 빠져 교회의 연합까지도 도외시되고 있다 성장이라는 기치아래 성도 개

개인을 소중히 하기 보다는 건축을 위해 쏟아 부은 재정적 부담을 감당하기 위한 교

회를 위한 존재로 여긴다 거기에 서로 돕는 교회의 모습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성장을 위해서라면 다른 교회의 성도라도 받아들여 빈자리를 채워야만 생존

할 수 있는 처지가 되어버린 현대 한국교회의 이기적인 모습 앞에 세상은 더 이상의

대화를 원치 않는다 교회의 연합이 희미해진 이 시대에 교회는 세상에서조차도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교회는 세상 속에서 이웃과의 관계를 통해 그 존재감을 드러

내며 사명을 성취해야 함에도 이기적인 교회의 모습 앞에 세상은 교회를 점점 멀리하

고 되고 말았다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1970년대를 지나는 동안 한국은 국가적인 경제재건 사업을 통해 괄목할 만한 단

기간의 급속한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제 성장과 함께 한국교회의 동반성장

의 과정을 통해 성공이라는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약속되고 풍요와 안녕이라는 복을

획득하는 것과 맥을 함께 함으로써 성취의 정도와 내용이 높고 풍족할수록 축복을 많

28)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통권 제589호) 2008년 1월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169

19

이 받은 존재로 인정되는 사고방식이 한국 교회 안에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축

복을 위한 공급자로서 목회자의 위신을 세움으로써 목회자가 축복을 인가하는 허가자

의 권위를 갖게 되었고 이는 정치 경제에서 소수에게 집중된 권력과 자본의 모습과

동일한 형태로 교회 안에서도 축복권이라는 것이 생겨나 그것이 목회자에게만 집중됨

으로써 목회자의 신격화와 권위주의를 부추겼으며 사회적 물질적 성공에 대한 종교

적인 정당성을 부여하게 되었다29) 성도의 신앙생활이라는 것이 결국 하나님과의 관

계가 중심이 아닌 목회자와의 관계에 달린 것이 되어버리고 말았고 이는 근대 권위주

의에 익숙한 교회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성과 맞물려 갈등은 더욱 커져갔다 인간의 필요를

채우는 데 일조하던 목회자의 리더십은 결과적으로 인간의 상황에 대해 근본적인 문

제 해결을 이루어 낸다기보다는 오히려 점점 더 커지는 요구와 까다로운 입맛을 경험

하게 하고 필요충족을 통해 만족감을 얻어내기 보다는 오히려 더 커진 요구와 그로

말미암은 목회자에 대한 실망으로 연결되어 종국에는 교회자체에 대한 회의와 부정을

낳게 된다30)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흐름에 따라 성도들의 요구는 다양화되어가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맹목적 믿음과 순종이라는 핵심가치를 추구하던 모더니즘 사고에 익

숙하던 기성세대와 포스트모던 문화에 익숙해져 설득과 표현의 다양화를 바라는 신세

대 사이의 갈등이 교회 안에서도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청년들의 이탈

현상으로 이어져 교회마다 청년이하 차세대와의 문화단절 세대단절 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다31) 이는 결국 교회를 나가지 않으면서도 자신을 그리스도인으로 여기

며 다양한 매체와 방법들을 통해 홀로 신앙생활을 해나가는 성도들인 가나안 성도라

는 기형적 구조로까지 이어지게 되었고 그 수는 무려 전체 그리스도인의 10퍼센트 정

도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32) 이외에도 다른 많은 요인들로 야기된 교회 내부의 갈

등이 셀 수 없이 발생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29)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5030)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6531)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44032)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35

20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 중 하나는 이성을 중시하던 모더니티와 달리 탈 이성주

의를 주창하며 신비로운 체험이나 감성을 중시하게 된 데에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는

영상과 이미지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시대이다33) 그러므로 포스트모던 사회에

서는 영상매체를 통해 사람들의 감성을 이끌어내고 지식과 정보를 전달한다 그 속에

서 사람들은 정형화된 진리에 입각한 논리와 판단보다는 순간순간의 느낌에 의존하여

어떤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한 시대의 영향아래 있는 교회 또한 영상과 이미지

가 주는 감성에 좌우되어 진리의 말씀으로서 성경 보다는 감성에 호소하는 목회자의

언변에 성도들은 오히려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그 속에서 체험하는 감정을 은혜

라 여기며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의 능력이 아닌 잠시 동안 감정의 위로를 주지만

오래지 않아 기억 속에 흘러가고 마는 언어유희에 반응하고 있는 현실이다

현대인들에게 종교는 하나의 기호품과 같이 되어서 자신이 원하고 선택하는 것

옳다고 여기는 것을 진리로 생각하며 절대적 진리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강한 체험을 제공하며 그럴듯하게 왜곡된 진리 앞에 사람들은 쉽게 넘어가고 있고34)

결국 어느 때 못지않게 이교집단이 많아진 것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에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교회에서 조차도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고 전도를 위한 행사들이 마련

되지만 그 속에는 시대적 특징과 관련된 신비적 체험과 감성에 호소하는 다양한 기법

들이 사용되고 있다 게다가 그것들이 사람들을 움직여 교회의 성도수가 증가하면 또

다른 많은 교회들은 그것을 그대로 답습하기에 이른다 이에 대해 한국교회는 절대적

진리로서 성경말씀에 기초한 건강한교회의 원리들을 세워가야 할 절실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교회는 그리스도의 교회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감

당하기 위해서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라는 과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지금까지

많은 교회들이 큰 것 많은 것을 추구해왔고 어떤 면에서 그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

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교회가 물량적인 면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비

해 세상 속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은 이에 전혀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언론과 온라

인 사이트를 통한 사회적인 비판의 정도는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를 그저 말세에 성

33)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3934) Ibid 238

21

도들이 당하는 고난이나 핍박으로 받아들이고 무시할 것인가 아니면 자신을 반성하고

새로운 변화의 몸부림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영향력을 다시

금 회복할 것인가는 한국 교회건강성의 정도에서 판가름 나게 된다 모더니즘의 잔재

가 아직도 상존하고 있지만 포스트모던 사회를 살아내야 하고 시대를 변혁시키는 주

체로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어야 하는 한국교회는 중요한 도전 앞에 서있다 그동안

성장이라는 가치를 최고로 여기던 시대에서 좀 더 성숙하여 사람들의 다양성을 이해

포용하고 행사 위주의 전도가 아닌 진정한 관계맺음을 통한 사명의 실천이 필요한 때

이다

이제 필자는 양적성장에 치우친 교회건강이론을 대신할 새로운 기준으로서 관계

가 중심인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이론적인 기반을 세우기 위해 관계가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아직은 생소한 분야이지만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관계

신학적 근거를 가지고 다음 장에서 연구해 보려한다

22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35)

이번 장에서는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이해를 위해 관계신학에 대해 살펴 보려한

다 그리고 관계가 어떻게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 건강한교

회를 세우는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이론적인 기초를 마련해보려 한다

신학의 분야는 가장 기본적인 4가지의 분야36)를 비롯해서 시대적인 필요에 따라

연구되어지는 선교신학 현대신학 해방신학 목회신학 윤리신학 등의 가지들로 구성

되어 있다 그러나 관계신학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전혀 생소한 신학 분야이다 20세

기 후반 들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는 삼위일체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와 갖가지 환

경문제에 대응하여 기독교의 생태학적인 역할들이 강조되고 있고 교회마다 심각한 어

려움을 겪고 있는 관계적인 갈등이라는 배경 속에서 관계신학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필요가 있고 기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이해가 가능하지만 아직은 관계신학에 대한

의미가 명료하게 정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건강한교회를 위한 연구라는

시각에서 관계신학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관계신학은 하나님이 관계하시는 하나님이라는 것과 하나님은 관계 속의 순종을

35) 관계신학이라는 용어는 주로 에큐메니컬 진영의 사상적 기반으로서 인종과 문화를 뛰어넘

어 서로 간의 원만한 하나 됨을 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보다는 하나님과

인간 세상 사이의 관계를 그 연구의 중심으로 삼아 신학적인 기반으로서 성경 전체에 흐르는

창조와 구원의 해석을 관계의 건설과 무너짐 회복의 과정으로 이해하여 lsquo하나님과 성도rsquo lsquo성도들의 모임으로서 교회와 세상rsquo lsquo교회 안에서의 성도들rsquo이라는 관계의 완성을 연구하려는 의

도에서 이 단어를 사용하려 한다36) 주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23

원하신다는 것과 진리는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관계신학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 이루어지는 인격적 관계를 우선적으로 강조한다 관계신학은 하나님은 관계를

떠나서는 생각되어질 수 없는 실재이심을 분명히 제시하는 신학이다 관계신학의 관

점에서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하나님과 바른 관계 속에 있는 것이요 또한 하나님 안

에 그리고 하나님과 함께 있는 것이다

관계신학의 의미에 대해 김영선37)은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관계신학은 모든 신학적 진리를 관계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

하는 신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님 인간 세계 신앙 교회 세례 기도 예배 목회를 비롯한 신앙의 내용을 관계라는 관점

에서 해석하며 신학적 진리의 자료와 신학적 진리를 전달하는 수

단을 묘사하는 술어이다 관계신학 관점에서 신학은 관계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진리이고 복음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선

물이다38)

관계신학은 이론적 근거가 전무한 독보적 신학분야가 아닌 그동안 관계성을 추

구하던 많은 학자들의 견해를 기반으로 하나님 성도 이웃에 대한 관계를 중심으로

보고 신학적 진리를 탐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신학분야인데 이러한 학자들로는

관계철학의 마틴 부버 관계성의 신학의 에 부루너 하나님 만남의 신학의 루이스

세릴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 신학 관계론적 신학의 마조리 수하키 관계론적 신학의

폴 스폰하임 등이 있다39)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지식은 모두 그분의 계시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러므로 필

자가 관계신학을 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이론적 기초로 삼고자 하는 이유는 하나님의

완성된 계시로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얼마나 관계를 이야기하고 있고 그 관계를

세우기 위해 하나님의 수많은 인내와 개입이 존재해왔으며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이

망가진 하나님과 우리 인간 그리고 세상간의 관계회복을 위한 은혜의 자리였음을 상

기시키려는 목적이다 그리고 그 목적을 잘 이해하는 기초 위에서야 비로소 성경적인

건강한교회가 세워질 수 있음을 말하려 한다

37) 영국 런던대학에서 조직신학으로 M Th PhD 학위를 받고 현재 협성대 교수로 재직 중

이다3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4839) Ibid 50

24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건강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하는 사람들 간의 연합성과 개별성의 균형

이 필요하다 연합성이란 생물학적 측면에 뿌리를 둔 생명력으로서 이를 통해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거나 연합하기를 원하게 되며 우리로 하여금 공동체를 지향하게

만들고 서로 의존하게 만든다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예민하게 반응

하며 돌봄과 사랑을 통해 서로가 가까워지기를 추구하게 된다 연합성을 추구하는 힘

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삶을 나누고 가까이 하는 기쁨이며 이를 통해 공동체는 부스

러지지 않고 유지되고 하나 됨을 향해 서로가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도 그 가운데 소속된 구성원 중에 불안수준이 높거나 정서적 성숙이 낮은 사람이

있을 경우 그 사람은 전체적인 공동체에 긴장요인을 높임으로서 서로 간의 가까워짐

이 과도한 기대나 요구로 나타나게 되면서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 개별성이란 자기 자신이 독립적으로 되도록 이끄는 생물학적인 생명력이

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개개인이 정서적으로 독립된 사람이 되고 자신에게 개인적으

로 와 닿는 사실에 근거하여 독자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존재가 되게 한

다 공동체 전체의 비전을 중시하지만 그 속에서도 자기 자신의 관점이나 기준을 근

거로 행동하여 개인의 비전이 희생되지 않도록 하여 다른 사람과 구별된 개별적인 존

재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개인은 온전히 자기 자신이 될 수 있을 때

비로소 정서적으로 성장하고 자신의 꿈과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공동체적인 목표를

좇을 때보다 활력 있고 개인으로서 삶의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것도 공동체에 속한 각 개인이 개별성만을 추구하게 된다면 단연 공동체는 존재할

수 없게 될 것이다40)

그러므로 연합성과 개별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때 그 공동체는 건강

한 공동체로서의 사명과 본질에 충실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적절한 균형으로

서의 기준을 어디에서 발견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필자는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와

교회의 코이노니아 신구약 성경을 통해 제시해보려 한다

40) Ronald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97-104

25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역대의 교부와 신학자들은 삼위일체의 상호 관계성을 들추어내면서 삼위일체의

공동체성을 파악하고 있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관계 개념을 사용하여 삼위일체를 다

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한 분 하나님의 존재 안에는 세 가지 관계성이 존재하고 이 관계

성은 곧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으로서의 관계인데 여기서 관계라는

것은 하나님이 인간이나 피조세계와 가지는 관계가 아니라 삼위

하나님간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규정하면서 삼위일체 하나님

의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려고 노력하였다는 것은 사실이라 할 것

이다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기 위한 노력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lsquo관계rsquo(relation)라는 범주(category)를 도입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또한 갑바도기아 교부들에게서 보여 지는 것처럼 이 삼위를 구체

적인 개체들로 인식하지 않고 그보다는 어떤 관계로 정의하였다

즉 삼위일체의 위격들의 동일 신적 본질의 시각에서 삼위의 구별

을 이해하고자 함으로 그 삼위 사이의 구별은 본질과 관련되지 않

고 관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삼위는 서로

나누어 가질 수 없는 것으로서의 각기 고유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서보다는 오직 그 위격들 상호간의 관계 혹은 비교(즉 아버지 되

심 paternity 아들 되심 filiation 은사 gift 등과 같은)에 의해서만

구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삼위 중 제2위가 성자라고 불리는 이유

는 본성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제1위 곧 성부

와의 관계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삼위 중 제1위이

신 성부가 성부라 불리는 것은 제2위이신 성자와의 관계 때문이

다)41)

칼뱅도 ldquo하나님은 자신을 한 하나님으로 선포하시면서 동시에 우리의 보기에는

구별된 세 위로 자신을 드러내신다rdquo42)고 하면서 삼위 하나님이 개별적인 존재이면서

관계 속에 존재하시는 분이심을 말하고 있다

칼 바르트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논하면서 ldquo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는 창조자와

피조자의 관계나 피조자들끼리의 관계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관계의 표본이다rdquo43)라고

말하고 있다 그 관계성은 삼위 중 어느 한 분도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세 분

은 다 같이 상호관계 안에서만 존재하며 영원하신 한 분 하나님 안에서 공통으로 존

41) 아우구스티누스 김종흡 역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 (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174-17642) John Calvi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13 2143) Karl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402

26

재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곧 성부 성자 성령이 상호 관계 속에서 하나가 되며

한 위격의 존재가 다른 위의 존재 안에 관계적으로 동참하면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

다 또한 바르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은 영원히 고독하게 자족적이고 자아 의존적으로 존재하는

분이 아니라 삼위일체론적 본성 안에서 상호 관계적인 공동체로

존재하신다고 믿는다 즉 성부 성자 성령 사아에 일어나는 관계

공동체의 상호 교제가 하나님과 인간의 코이노니아와 인간과 인간

의 코이노니아의 근거와 모본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의 모든 관계는 하나님 안에서 영원히 계

속되는 관계적 공동체를 반영하는 것이며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

와 성령 안에서 인간들 속에 이러한 공동체를 창조하려 하신다44)

중세 가톨릭교회의 극히 잘못된 교리 중의 하나였던 lsquo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rsquo

라는 대목 또한 단순하게 오직 교회만이 구원을 위한 은혜와 중재자로서의 시여자라

는 의미가 아닌 오히려 단순하게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로부터 분리된 기독교적

신앙이 존재할 수 없음을 말한다45)

전술한 바와 같이 성령이 성부 성자와 나누는 삶은 코이노니아의 삶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알아보면 삼위하나님의 코이노니아로서 내적 특성은 lsquo페리코레시스

(perichoresis)rsquo라는 개념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는 삼위

가 서로의 정체성이나 상호성을 잃지 않고 서로 내재하며 서로 관통하는 역동적인

관계성을 의미한다 즉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란 상호침투(mutual interpenetration) 또는 상호내

제(mutual indwelling)를 말한다 상호내재에 대한 개념을 좀 더 살펴보면 이는 삼위 각

각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삼위 간의 상호침투와 상호순환을 통해 역할과 기능을

상호 역동적으로 교환하며 함께 움직여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성부는 자신의

초월성과 능력을 유지하면서도 성자의 고난에 함께 동참할 수 있고 성자는 자신의

위엄 능력 창조적 주동성을 유지하면서도 성부께 순종하실 수 있다는 뜻으로 설명될

수 있다46)

교부들부터 바르트까지의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주장을 정리해보면 성부 하나

님은 단순하게 권위를 가지고 명령하는 위치로서가 아니라 성자와 성령을 섬기기 위

44)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6345)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3046) 김영선 관계신학 22

27

해 존재하는데 이는 자신을 비우고 주는 모습들로 나타나며 성자는 성부의 뜻에 순종

하며 드리기 위해 존재함으로서 성부가 성자가 되거나 성령이 성자가 되려는 모습을

주장하지 않고 성령은 자신의 뜻대로 하지 않고 성부와 성자의 뜻을 드러내며 각각

그 역할을 감당해 나감을 말한다 서로의 자리를 존중하고 서로를 위해 봉사함으로

그 존재의 삼위하나님의 신성을 찾는다47)

이처럼 삼위 하나님은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로서 우리에게 자신을 계시하신

관계적인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2 교회와 코이노니아

16세기 종교 개혁가들은 부패한 중세 가톨릭교회에 대항하여 내건 구호로서 lsquo성

도의 교통(Communio Sanctorum)rsquo을 사용하였다 성도의 교통이란 그리스도를 주로 고

백하는 무리들인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공동체 즉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를 의미하

는 말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수직적으로는 하나님과 교제하고 수평적으로는 성도들이

서로 하나 되어 교제하는 모임인 공동체는 교회의 본질적 요소이자 교회가 관계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는 당위적 이유가 된다

성도의 교통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오순절 성령 강림을 통해 하나님과 사람

이 하나 되고 성령의 교제케 하는 역사로 lsquo나rsquo에서 lsquo우리rsquo로 바뀌어 사람과 사람이 하

나 되는 전인격적인 교제가 가능한 공동의 몸이 되었다 그것이 바로 신약의 교회이

며 실제적인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모습이다 그리고 그 교회를 실제적인 공동체로 되

게 하는 것은 성령의 코이노니아를 통해서이다48)

이러한 성령의 코이노니아 사역은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하나님과 우리를 교제케 해주시고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서로 교제하게 해주시며

또 나아가서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도 교제의 관계를 이루

게 하신다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코이노니아의 유형들을 좀 더 세하게 살펴보면

첫 번째 사역인 수직적 관계에서는 성도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와 하나님과 교제하게

하는 것인데 이는 인간의 죄로 하나님과 단절되었던 관계를 예수님의 구속사역으로

회복시키는 속에서 예수님 한 분과 전 사회적인 구속사역을 예수님과 성도 개인 간의

47) 김영선 관계신학 5548) Ibid 57

28

구속사역의 관계가 되게 하는 역할 자가 성령이라는 것이다 더불어서 성령의 역사를

통해 성도는 그리스도와의 교제를 통해 하나님과의 무너졌던 관계를 다시 회복하게

된다 두 번째 사역으로서 수평적 관계에서는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될 수 있

도록 상호 간에 교제를 가능케 해주는 일이다 사도행전 2장의 마지막 부분인 42-47절

은 초대 교회의 공동체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코이노니아라는 용어 또한 본

격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세 번째로 코이노니아는 예수 믿는 자들끼리만 아름다

운 나눔의 삶을 갖는 집단 이기주의적인 교제의 모습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더 나아가 온전한 코이노니아로서 교회공동체라는 울타리를 넘어서 지역 사회 속에

있는 고통당하는 이웃을 돌아보고 더불어 삶을 만들어가는 영역까지를 일컬으며 이는

사도 바울이 디모데전서 618에서 ldquo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하고 나눠주기를

좋아하며 동정하는 자가 되게 하라rdquo는 말씀에 분명하게 등장하고 있다49)

이러한 성령의 사역 가운데 있는 교회공동체의 사명은 세 가지 차원의 관계회복

으로 정리해볼 수 있으며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본질과 사명을 고려할 때 교회의 건

강성의 척도는 결국 관계성과 관련된 사명으로 규정되어야 합당하다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신구약성경 전체를 통틀어서 나타난 하나님의 현현과 계시는 다분히 관계를 세

우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창조물을 향한 주된 관심은 분명

관계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내용을 모두 나열할 수는 없지만 그 중 세

가지 정도만을 가지고 성경의 관계성의 근거로 삼아보고자 한다

창세기에 나타난 아담과 하와는 선악과를 따먹음으로 인해 죽음에 합당한 죄를

범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죄와 함께 하나님을 더욱 마음 아프게 한 행동은 그들

이 범죄함으로 인하여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숨어버린 것이다 즉 그들은 그들 편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에 단절을 선언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깨져버린 관계는 결국 하나님

과의 영영한 관계의 파괴로 이어지게 된다50)

또한 사도행전 2장 42~47절 초대교회의 모습을 바탕으로 존 스토트는 살아있는

교회의 네 가지 특질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49)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6950) 창세기 3장 10절 참조

29

첫째 성도들은 사도들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

침에 전념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사도적인 교회이다둘째 성도들은 서로서로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서로 사랑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돌봄과 나눔의 교회이다셋째 성도들은 하나님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떡을 떼고 기

도하면서 기쁨과 경건으로 하나님을 예배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예

배하는 교회이다넷째 성도들은 바깥세상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증거하며 밖

으로 나아갔다 살아있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위의 모든 특질들이 지칭하고 있는 것은 성도들과 다른 대상과의

관계를 중심개념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51)

에베소서 2장 21절을 보면 ldquo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

전이rdquo의 본문에 사용된 lsquo연결하여(συναρμολογεω)rsquo는 lsquo함께(συν)rsquo와 lsquo서로 결합하여(α

ρμολογεω)rsquo의 합성어로써 건물의 이음새가 한 치의 오차 없이 정확하게 결합된 상태

를 나타내는 표현이며 그리스도와 성도 간의 상호 긴하고 유기적인 관계성을 나타

낸다

부부관계를 향한 에베소서 5장 22절 이하의 말씀에서처럼 아내가 없는 남편이

가능할 수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을 성경은 말씀하고 있다 아내가 없는 남편이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

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성부와 성자 성령은

상호관계 속에서 그 존재적인 구별과 위격이 발견된다 그러나 본질은 동등하다 인간

은 인간 홀로 있어서는 본질적인 구별이 불가하다 만물이 함께 존재하므로 관계를

통해서 인간의 인간됨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관계가 바로 본질이다 관계를 발전시키

는 기준과 핵심요소 중의 하나는 믿음(faith)에 관련된 것이다 구원은 결국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끊어진 관계의 회복을 의미한다고 할 때 그러한 맥락에서 구원의 근거로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이 바로 믿음인 것이다

단지 몇 부분만을 탐색한 것에 불과하지만 신구약전체를 망라하여 하나님께서

그분의 말씀을 통해 인간에게 계시하시는 것은 건강한 관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그 하나님의 비전은 신약시대 들어 성령강림 이후 세워진 교회에서 성취된다 그러므

로 교회의 건강성을 세워가는 데는 관계신학적 기초가 타당하다고 본다

51) John R W Stott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39

30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포스트모던 시대 한국교회의 일탈에 대한 부작용으로 lsquo가나안성도rsquo라 불리는 나

홀로 신앙이 또 하나의 선택 가능한 대안이 되고 있는 지금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관계는 기독교의 중심축이다 예수님께서도

십자가 위에서 마지막 순간에 자신의 관계공동체인 가족 즉 어머니를 끝까지 배려하

셨다 이처럼 현대인들의 영적인 생활은 하나님과 함께 나 홀로 집에서 이루는 것이

아닌 서로 간의 다면적 관계 속에서 해야 한다 우리가 공동체로 있을 때 하나님이

임재하시며 우리와 소통하신다52)

그런 면에서 현대 신학의 주된 관심이 lsquo교회란 무엇인가rsquo에 대한 교회의 본질에

있기 보다는 lsquo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rsquo라고 하는 외적인 모습 또는 기능과 관

련된 질문에 더한 관심을 가진 이유는 지금까지의 교회론이 교회의 실제적인 모습과

역동적인 사역과 동떨어진 형이상학적이고 관념적인 이론 이상의 것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53) 이론만 반복하는 것은 분명 실제와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흐를 수 있는

함정을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성경적인 교회에 대한 본질을 분명히 하는 것 없이

실용적인 측면에서만 교회론을 다루는 것 또한 위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단은 교

회의 본질이 성도의 교제이며 관계에 대한 것임을 성경적인 이해를 통해 명확히 할

필요를 가지게 된다

1 하나님의 백성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관은 일차적으로 하나님이 친히 그의 백성과 맺은

관계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택하시고 자신의 백성으로 삼

으셨다는 전제 위에 교회는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그 속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누리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모임이다54)

신약에서 표현된 그리스도인들을 하나님이 선택한 이스라엘 백성의 연속과 확장

의 개념은 신약 교회에서 새로운 이스라엘로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으

52) Leonard Sweet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15653) 김현진 공동체신학 2254) Ibid 30

31

로서의 교회를 의미하며 이는 결국 민족적 구분이 아닌 그리스도 안에서 이스라엘 백

성을 초월하여 유대인만 아니라 이방인들도 하나님의 동일한 백성이 될 수 있음을 의

미하며 이를 정리할 때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란 개념은 종말론적 개념으로서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고대하며 현재에로 돌입하는 하나님 나라의 표징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제 하에 세

상 한가운데서 세상을 위해 살아야 하지만 세상에 물들지 않고 오히려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는 것이야말로 종말론적 하나님의 백성이 취해야 할 삶의 방식으로 큉은 말하

고 있다55)

하나님의 백성은 그와 관계를 맺었던 이전에 존재했던 백성이 아니고 하나님의

모으심으로써 그리고 하나님의 거주하심으로써 새로이 구성된다 하나님의 백성은 그

들이 하나님께 연합되어 있다는 유일한 이유 때문에 서로서로에게 연합될 수 있게 된

것이다56)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말하는 또 다른 특성은 교회의 공동체적 성경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개인주의적 교회관과는 대립되는 개념이다 교회는 신앙을 가진 개인들

의 단순한 집합정도가 아니라 공동체를 통해 개인과 성도의 교제로 나아감을 말한

다57) 즉 교회는 개인의 모임을 넘어선 개인 간의 사귐과 섬김의 교제가 있는 공동체

를 말하는 것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관점의 의미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규정은 그의 사명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난 새 관계를 통해서이다 그에 대해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

하나님의 그 자신에게로 그의 백성을 부르심은 세상에 대한 사명

에 종속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궁극적인 계획은 그리스도

안에서 택함 받은 새 인류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하는 것이기 때

문이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남은 자를 택하시고 구속하신 하

나님의 주권의 두려운 신비를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세상에서의 하나님의 사명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것에

대한 그의 계시를 알아야 한다58)

55) Hans Kung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169-17156) Edmund P Clowney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2757) Kung 교회 17358)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2

2 그리스도의 몸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보는 시각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기독론적인 방법

으로서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 중심의 본질성과 그리스도와 성도의 불가분의 연합

성을 나타내는 표현이며 더불어 유기적인 구조로서 교회를 가장 잘 나타내는 말이다

그리스도의 몸이 강조하는 것은 온 성도가 머리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히 연합하

여 한 생명의 근원 아래서 몸에 붙여 있는 지체로서 각자의 역할과 생물학적인 관계

와 연결 아래 있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를 보는 시각은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몸으로서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간의 관계와 함께 서로 지체로 영향을 주고받는 성도들 상호간의 관

계를 강조하는데 고전 1227에서 ldquo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rdquo고

말함으로써 바울은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 성도 개개인의 상호연결성과 서로 간에 의

존관계로 교회를 다루면서 개개인에게 주어진 다양한 은사들마저도 개인의 유익을 위

한 것이 아니라 몸 전체의 덕을 세우기 위해 주어진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자신이 세상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표징과 도

구로서 자신 만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세상을 위한 존재이며 그리스도의 몸인 동시에

죄인들의 공동체이다

교회의 본질을 그리스도의 몸으로 비유함에 있어서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

하고 있다

그리스도께서 구약으로부터 계속 반복되어진 언약의 머리되심이라

는 배경 위에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언약의 머리가 그

리스도일 때 그 언약 안에서 화해의 장이라는 역할을 감당하는 교

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 비유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안에 관계적인

어려움이 무너지고 진정한 화해가 이루어지는 것 또한 그리스도께

서 십자가에 달리신 그 몸에서 부터인데 우리 안에 원수 된 것은

그 안에서 소멸되었고 우리 둘은 그로 말미암아 아버지께 나아감

을 얻게 되었음을 확실히 하고 있다59)

그리스도의 몸이란 개념 속에는 교회를 계급 제도보다는 예배공동체로 정의하는

데 이 예배를 통하여 현존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몸을 이루어 나가시는 사건으

로 예배를 통해 한 인간의 모습이 아닌 성도의 교제로서 공동체의 모습을 취하게 된

59)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3

다 예배의 참됨은 성도들의 사랑의 교제 속에서 입증되며 이러한 생각은 거룩한 존

재와의 교제를 통해 성도들이 일치되는 것을 교회의 본질로 보는 사도신경의 교회론

과도 일치하는 부분이다60)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이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이며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

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

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한다61)

그리스도께서 성도들을 그의 몸의 일부분이 되도록 함으로써 은혜가운데 두신

이유는 성도들 또한 서로 간에 한 몸이 되도록 노력할 것을 요구하심이다 어느 한

부분이 약해져있거나 병들어 있다면 그것은 몸 전체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심지어

는 생명 전체를 위협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 건강한 몸은 건강한 각 지체들이 건강

한 관계로 서로 상호작용할 때 가능한 일이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건강한교

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각 지체가 건강해야할 뿐만 아니라 그 연결을 의미하는 관계에

서도 건강한 관계를 이루고 있음으로 해서 몸된 교회는 존재의 건강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공동체는 보이는 않는 그리스도의 몸의 가시적인 형태이다 역사적으로 이 그리

스도의 몸이란 용어를 너무나 추상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어왔는데 이는 지극히

구체적인 형상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이 공동체적인 삶으로 함께 살아감으로써 그리스도

의 한 몸이 됨을 나타내야 하고 이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주체의 자리를 회복할

때 보이지 않는 그리스도가 몸된 교회로서 그리스도의 공동체를 통해 보여져 나타나

게 될 것이다62)

60)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29061)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33462) 김현진 공동체신학 37

34

3 성령의 전

오순절에 성령이 강림하심으로 비로소 신약 교회의 탄생이 이루어졌고 이후로

성령께서는 계속해서 교회를 세우시고 교회 안에 내주하고 계신다 고전 1213에서는

ldquo우리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자나 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

이 되었고 또 다 한 성령을 마시게 하셨느니라rdquo63)고 말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바울은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들 안에 계심으로 우리가 lsquo하나님의 성전인 것(고전 316)rsquo과 우

리 각자의 몸이 lsquo성령의 전(고전 619)rsquo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또한 에베소서 2장 21~22

절에서는 lsquo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가고rsquo이며 lsquo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거하실 처소가 되

어간다rsquo고 말하고 있다 게다가 성령은 오순절강림을 통해 각 제자들이 방언을 말함으

로 복음을 증거하며 기사와 표적을 나타내었던 것과 같이 교회 안에 자신의 능력을

부어주심으로 교회를 교회되게 하며 교회가 감당해야할 사명을 주관하신다 예수 그

리스도를 믿고 하나님을 아는 것은 성령의 능력으로 말미암는 사건이고 초대 교회의

형성은 성령의 능력 안에서만 가능한 사건이었다

클라우니는 신약시대 교회에 대하여 교회의 통일성을 성령의 교제의 결과로 보

았다 성령의 사역을 그리스도와의 생명의 연합으로 이야기하면서 결국 교회란 그리

스도 안에서의 공동의 삶으로 해석하고 있다64)

예수님이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

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완

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암

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

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다65)

또한 성령의 가장 중요한 사역 중의 하나는 고린도후서 13장 13절 ldquo성령의 교통

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rdquo의 말씀과 같이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사이의

교제가운데 그 능력을 나타냄으로 교회 안에 사랑의 교제와 연합이 있게 하신다 성

령께서는 성도들로 화목제물 된 그리스도의 구속을 바탕으로 하나님과 화목한 관계로

교제하게 하며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되는 교제와 관계를 이끌어가는 실제적인

63) 성경인용은 한국어 개정판 성경을 사용하였다64) Edmund P Clowney 교회론 8765)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

35

주관자이시다 성령이 각 사람 마음에 임할 때 그 사람은 성령의 교통케 하심을 통하

여 하나님과 끊어진 관계가 회복되며 이뿐 아니라 교회를 이루는 지체로서 각 성도들

과 연합하며 교제를 가능케 하신다 더불어 각 지체들이 은혜로 받게 되는 각양 다양

한 은사들이 모두 성령께서 그 뜻을 따라 나누어 주는 성령의 은사로서 이를 통해 교

회는 하나의 모임에서 더 나아가 유기적으로 각 기능을 감당하는 부분을 통해 교회의

본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

자가 속해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

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

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게 된 것이다66)

창조주 하나님과 각 개인의 관계 속에 혼란과 왜곡이 일어날 때 그 관계는 병든

모습을 띠게 되고 이는 구조적으로 창조세계 전체에도 함께 혼란을 불러일으키게 되

는데 이를 다른 용어로 lsquo죄rsquo라고 한다67) 나의 죄는 셀 수 없이 많은 형태로 다른 이

들에게 영향을 끼치며 그리고 다른 사람의 죄 또한 나에게 그러하다 개인이 모두의

영역 안으로 그리고 모두가 내 안의 영역에 대해 동일하게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보게 된다68)

많은 프로그램들을 시행하는 모임들을 가진 교회가 아닌 그저 모임들로 이루어

진 교회 관계가 중심이 되는 사역을 위해서는 당연히 교회는 접촉과 보살핌이 가능

한 구조로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이는 전체 교회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

핌 조직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결코 큰 수를 단위로 해서는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즉 교회가 작아질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다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

66) Ronald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5867) Colin E Gunton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5968) Ibid 63

36

든 구성원이 얼마나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린 것이다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지금까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성도들 사이의 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직접적인 참여나 헌신을 통하여 관계를 세워가고 깨어진 관계를 치료하며 약해진 관

계를 강화시키는 것에 주로 집중해왔으며 신학자들은 그 모든 과정을 하나님의 섭리

와 주권으로 이해해왔다 현재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관계로 인하여 죽어가고

고통당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 관계신학은 모든 사람들을 죄와 고통가운데에

서 구원하기 원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한 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그들의 집이 불타며

많은 잔인한 사람들로 인해 일어나는 범죄들 속에서 입고 있는 상처까지도 살펴야한

다 게다가 자연세계는 무분별한 인간의 개발에 신음하고 있다 교회는 관계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를 통해 세상을 돌보며 연약한 자에게 찾아가며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에까지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일을 해내야 하는 사명을 품고 있다 이어

서 관계신학의 관점에서 교회 사역가운데 필요한 관계중심의 실천적 과제에 대해 논

해보고자 한다

1 관계중심의 리더십

목회자 리더십의 근원은 하나님과의 관계로부터 나와야 한다 목회자가 관계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으로 세워질 때는 단연 하나님과 사명을 맡은 자로서 하나님과의

바르고 건전한 관계가 우선되어져야 한다 그 다음 목회자는 특정한 교회나 특정한

영역에 파송 받아 목회를 하는 특수한 지도자로서 목회를 하는 자리인 교회와의 관계

에서 제대로 된 리더십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더불어 목회자는 교회가 속한 지역

사회 속에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만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풀러신학교의 교수로 재직했던 Carl F George는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는 무엇

37

인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람들을 억지로 조직에 끼워 맞추지 않으며 오히려 사람들이 상

호 간에 친근감을 갖도록 도와줌으로서 미래의 교회에서는 목회자

들이 관계목회를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모든 지도자들은 사역이 아니라 관계를 중시하고 또한 소그

룹들조차도 그들의 직무나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양육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핌을 중심 가치로 여겨야 한다69)

목회사역은 주로 관계와 관련되어 있으며 성도들의 정서적 경험과 연관되어 있

음으로 해서 성공적인 사역은 단순히 성경적 신학적 지식이나 사역자의 경건 수준

혹은 기도의 분량이나 헌신도 어떤 특정한 목회기술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아닌 오

히려 사역자의 정서적 성숙 및 그 수준과 불가분의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70)

또한 Carl F George는 미래교회의 모습을 예견하면서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의

실천적 모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1 사람들이 의존에서 벗어나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2 사람들이 공동체 내에서 자신들의 영적 은사를 활용할 수 있도

록 그들에게 힘과 권한을 부여한다3 목회 자체를 방법이나 커리큘럼보다는 변화된 삶과 더 많이 연

결시킨다4 사람들을 성씨(姓氏)의 가나다순이나 우편번호(지역)나 나이 등

을 기준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친근감에 기초를 둔 관계를

기준으로 나눈다5 부끄러움 죄의식 또는 책임보다는 목회자가 먼저 본을 보이는

것에 의해 동기를 부여한다71)

Schwarz가 이야기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성장하는 교회에서 가능한 것은

그 교회가 이미 성장이라는 궤도에 올라서 있기 때문이다 작은 교회에서 성직자와

구별되어 교회로부터 일체의 사례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 이미 지적으로 높은 수준에

올라있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새롭게 훈련시켜 세우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69) Carl F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7470)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571)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75

38

이는 결국 성장하지 않는 교회로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의 부재라는 외적인 모습

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은 이미 성장한 교회에서

가능할뿐더러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것은 상황과 특수성을 무시한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도 적용 가능한 것이 바로 관계중심의 리

더십을 통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이다 평신도를 사역자로 훈련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적 재정적 시간적인 요소들이 필요하지만 반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을 위해서는

훨씬 작은 훈련과 재정으로도 가능하다 물론 여기에서 관계가 의미하는 바는 그리스

도의 온전한 제자로서 하나님과 교회와 세상과의 관계를 말한다 포스트모던 시대

성도들은 어느 때보다 건강한 관계에 목말라 있다 교회에서 목회자부터 관계를 세우

는 목회의 자리로 나아가야 한다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그동안의 복음이 일관되게 각 개인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해서만 거론되고 있

는데 이를 바로잡아 개인과 개인의 모임으로서 교회공동체를 통한 복음이 선포되어야

한다 배고픔에 처한 자에게는 음식을 얻을 수 있는 길이 복음이 될 것이고 불치의

병에 걸려 죽음을 앞에 둔 이에게는 병으로부터의 치유에 대한 방법이 복음이 될 것

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순간적인 것이 아닌 영원과 관련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교회

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자가 속해

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

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

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

게 된 것이다72)

예수님께서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72)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58

39

완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

암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

들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라고 김세윤은 말

하고 있다73) 즉 예수님의 복음은 늘 공동체적이고 교회지향적이었다 복음이 단순하

게 불신자를 설득해 교회 안으로 데리고 들어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수의 복음을

통해 회복된 관계를 증거해야한다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에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으로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의 모습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하고

있다74) 그러므로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요약되는 가진 자들에겐 부의 연장으로서

없는 자들에겐 고통스런 인내 후에 성취될 보상으로서의 천국에 대한 복음이 아닌 현

세에 이미 이루어진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가 바로 예수님이 증거하신 하나님 나라의

복음임을 증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

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든 구성원이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

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

린 것이다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더불어 예배는 하나님과 인간의 진지한 만남이기에 그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체험이 존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많은 은사주의 교회들은 방언과 같은 가시적인 현

상을 강조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예수 그리스도의 마지막 만찬을 통해 세운 의례로서

73)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74) Ibid 334

40

성만찬의 회복은 예배에서의 만남과 임재의 체험의 증거로서 건전한 방편이 될 수 있

기독교는 관계의 종교이다 많은 관계들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은 그리스도

와 맺는 관계이며 모든 것은 그 관계를 어떻게 관리하고 유지하는가에 달려 있는데

실제로 성도들로 하나님이신 예수님과의 관계에 대해 제대로 된 훈련의 기회가 제공

되지 못해 왔다75)

삼위일체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은 관계를 맺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

고 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서로 다른 인격체들과의 관계 속에서 사랑과 협력 그리

고 일치된 공동체의 본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이 하나님을 닮아가는 삶을 살고자 노

력한다면 하나님은 은혜를 베풀어 인간의 공동체도 삼위일체를 닮아 가도록 인도하

신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서로 교제하고 섬기는 것은 그것이 서로에게 기쁨이 되기

때문으로 진정한 사귐에는 기쁨이 나타나는데 이처럼 삼위일체 하나님의 서로 간의

사귐과 섬김을 통해 그 존재 목적을 나타내며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코이노니아의 모

범을 보이고 있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상호 사귐과 섬김의 공동체이듯 교회 안에서

성도들 사이에도 이와 같은 사귐과 섬김을 통한 온전한 공동체를 이루어 나아가야 한

다 구원사역의 본질도 이처럼 하나님과 세상과 성도들 사이의 사귐과 교제를 회복하

는 본질적으로 삼위 하나님의 모습과 동일하다 가장 초기의 모습으로서 삼위일체 하

나님이 관계적 공동체의 모습은 다시 성부 하나님의 계획과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을

통해 성령께서 이루신 교회 공동체 속에 다시 투영되어 모든 관계의 모범으로서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공동체를 세워가야 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드려지는 진정한

예배란 하나님과의 사귐 성도들과의 사귐 그리고 세상을 향한 사귐으로서의 결단이

함께 하는 예배여야 할 것이다

함께 모여 드리는 공예배가 각 개인이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는 자리에서 더욱

성숙해서 공동체가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며 그 안에서 일어나는 공동체적 경험으로

서 성만찬과 같은 개별적이었던 개인의 연합을 경험하는 화해의 역사가 일어나는 예

배여야 한다 교회 안에서부터 막힌 담이 무너지지 않고 어떻게 세상 속에서 관계의

회복을 논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모든 공예배는 다양한 방편을 통해 서로 안에 공

75) Leonard Sweet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52

41

동체로서의 체험을 가능케 하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4 가정 중심의 사역

건강한교회의 바탕으로서 건강한 가정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에 대한 아이의 느낌

과 이미지는 부모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나님의 이미지와 그 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부모 사이의 연속성은 직접적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정반대일수도 있다76)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

한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

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교회 내에서 가정을 위하고 자녀 부부 부모자녀 간에 있어지는 일등에

대하여 많은 가르침과 다양한 사역의 실행들이 있어왔다 게다가 한국적인 정서 또한

가정에서 효(孝)와 경(敬)을 중시하는 문화적 전통으로 인해 늘 가정은 중요시되어왔

고 가정교육의 중요성 또한 늘 강조되어 왔던 부분이다 그럼에도 현대에 들어와서

나타나는 많은 가정의 문제들 앞에서 교회는 그리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무기

력하게 방관자적 입장에 놓여할 때가 많았다 그러는 중에 사회적인 추세보다는 앞선

입장에서 많은 신학교들에서 상담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거기에 발맞추어 교

회에서 가정 사역을 적극적으로 나서서 시행하기 시작하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

이지만 여전히 교회는 양적인 성장과 결과에 민감하게 가정 사역을 대하고 있다는 사

실은 아직 성숙하지 못한 가정사역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현대 사회는 이러한 친감을 다시 가정으로부터 빼앗아 여러 가지 상업

적인 목적을 가진 대형기업과 각종 디지털장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소셜네트웍이 차

지해 가고 있으며 포스트모던사회가 추구하는 쾌락중심의 관계를 최고의 선으로 여김

으로서 이 세대 가운데 가정이 설 자리는 갈수록 좁아져 가고 있다

교회 안에 함께 하는 이들에게는 저마다 가족에 대한 해결되지 않은 애착의 문

제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자기의 일이나 사역의 현장에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교회를 대리 가족으로 삼아 그곳에서 가족의 묵은 문제를 다루거나 개선하려는 시도

76) Michael St Clair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24

42

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으며 가족에게서 받지 못했던 미흡했던 관계의 개선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본인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과

거의 가족 경험에 대한 자동적인 반응으로서 원가족 경험은 부부 및 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교회에서 사역하는 방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77) 때로는 이것들이

교회의 건강성을 훼손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가정

을 더 이상 교회성장의 밑거름으로가 아닌 교회가 도달해야할 목표로 삼아 가정을 회

복시키고 세우며 성도들이 건강한 가정에서 진정한 사랑의 관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삶과 신앙의 일치 신앙과 신학의 건설적인 만남을 추구하는 모든 신학은 lsquo하나

님의 주권rsquo을 전제로 한다 하나님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창조하셨기 때문에 이 세상

의 어떤 것도 그의 주권적 질서 밖에 존재 할 수 없다 하나님이 정치 경제 문화 생

활 전반을 포함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주관하신다는 것은 하나님이 교회 안에서만 아

니라 정치 경제 문화 영역에서도 일하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교회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강조로써 교회의 신뢰도 추락에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요소 가

운데 하나인 이원론적 사고와 편견을 극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관계신학적 입장에서

교회는 더욱 세상 속으로 나아가야 하고 특별히 주변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세우는 사

명을 감당해야 한다 우주는 하나님의 영광이 펼쳐지는 무대라는 칼뱅의 고백처럼 정

치 경제 문화를 망라한 전 사회의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이 인정되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정치 경제 사회적 부정 비리 사건들에 거의 빠짐

없이 교회와 관련된 이들 더욱이 교회의 중직자들까지도 연루되어 있어 왔다 교회의

중직을 맡아 봉사하던 이들이 어떻게 세상의 비판과 조롱거리가 될 정도의 삶을 살게

되었을까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지만 첫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세

상이 그만큼 골고루 악해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교회의 중직

을 맡을 정도로 교회 생활을 많이 해 온 그들이지만 세상의 악한 세력과 맞서 싸우며

77)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8

43

살기에는 너무 무력해서 세상과 타협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그들은 우

리에게 lsquo교훈을 주고 책망하며 또한 바르게 하여 줌으로써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여 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온전케 하여 주는 말씀의 능력rsquo을 체험하지 못했기 때

문에 악한 세상의 세력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 악해지고 더욱 속이기도 하고

속기도 해서 lsquo정직한 사람은 성공하기 힘들다rsquo는 말이 옳은 말로 들릴 정도로 악한 세

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이다 그렇지만 말씀을 우리 삶의 우선적인 등불로 삼아 그 말

씀으로부터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여 ldquo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더욱 온전케 되

어rdquo(딤후317) 진정으로 하나님의 사람들이라 불릴 수 있는 정직한 그리스도인들이 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신뢰도가 높지 못하다는 비판은 바로 한국 기독교인들이

신앙인답지 못함 즉 정직하지 못함을 지적한다 한국 교회의 부정직성은 한국교회가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을 향한 충성이 부족함을 뜻한다 그러므로 지역사회가 교회

를 신뢰하게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신앙인 됨의 기초인 영성을 점검해야 한

다 신앙과 삶의 일치에 대한 당위성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고백 뿌리 깊은

죄성에 대한 통찰에 기초한 계속적인 자기개혁 등은 한국 교회 신뢰도 증진에 전제

요소들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신앙적 내용들에 대한 확인과 점검 즉 신학적 작업은

성도들로 하여금 복음을 개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삶의 태도를 갖게 할 것이다 이

러한 복음에 대한 개방적 수용은 한국 교회로 하여금 ldquo개혁되어진 교회라도 계속 개

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78))rdquo라는 종교개혁의 정

신을 계승하도록 할 것이다 하나님의 주권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확고한 비전은 한

국 교회와 사회 전반에 대해 일관된 개혁적인 태도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전

하게 한다 또한 기본적인 영성에 대한 점검은 기독교인들을 자신의 삶과 태도를 절

대시하거나 그 안에 안주하지 않고 하나님 나라의 비전 즉 lsquo하나님과 이웃사랑의 삶rsquo

과 lsquo작은 자와 함께 하는 삶rsquo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므로 신뢰받는 교회 즉 건강

한교회가 될 수 있다 지역사회가 병들고 위험에 처하게 될 때 교회 또한 그러한 위

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교회는 세워진 그 지역을 위해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터전

78)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 fn1-11529

44

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과감하게 그 안에 참여하고 소금과 빛

의 역할을 감당해 나가야 한다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Leonard Sweet은 그의 책 관계의 영성에서 ldquo성경에서 일관되게 정의하는 믿음은

기본적으로 하나님과 이웃 세상 그리고 자연과 맺는 일련의 관계rdquo79)라고 말하고 있

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라함은 결국 성도 개인과 하나님 뿐 아니라 하나님께서 창

조한 자연 만물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관계적 믿음 안에 있는 사역의 모습은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고 지키며 가꾸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일이어야 한다

교회 건축에서부터 환경친화적 건축이 되어야 하고 교회 안의 모든 활동에서 교회는

하나님의 창조세계인 자연의 보호자임을 나타내야 한다 일회용품 사용의 억제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교회차량의 친환경화에까지 비록 많은 비용 부담을 감내해

야 하고 당장 모든 교회가 시행할 수는 없지만 하나님의 교회는 창조세계에 대한 책

임을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한다 주일 하루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하는 일과 같은

경우도 교회 내의 성도들에게 뿐만 아니라 세상을 향한 교회의 사명을 증거하는 강력

한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더불어서 주차 때문에 일어났던 교회 주변 이웃들과의 갈등

을 줄이는 효과를 더불어 누릴 수 있다

지구 온난화로부터 야기된 해수온도 상승과 빙하의 감소는 생태계의 커다란 파

괴를 초래하고 있다80) 이외에도 각종 환경오염과 오존층파괴 생태보호종의 무분별

한 남획은 지구 생태계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인간의 탐욕에 의해 일어난 환

경재앙이 이제는 인간의 삶의 터전을 무너뜨리며 결국에는 전 지구적인 재앙을 일으

키게 될 것은 자명하다 거듭난 그리스도인으로서 성도는 자연 만물과도 회복된 관계

속으로 나아가야 한다 환경을 지키고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일에 교회의 역할이 필요

하다 기후붕괴를 일으킨 지구온난화를 관계신학적인 관점에서 인식하고 생태계의 위

기 상황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회복을 위한 사역에 대한 논의와 비전이 일어나야 한

다81)

79) Sweet 관계의 영성 3780)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한국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참고

45

다음 장에서는 다양한 교회건강이론들에 대해 살펴보면서 특징들을 비교하고 이

시대에 필요한 건강한교회는 어떤 교회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81) 김영선 관계신학 336

46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그동안 한국교회는 성장과 부흥에 집중해 왔다 양적으로 많이 모이고 규모가 큰

교회는 다른 교회들의 모범적인 부흥의 사례가 되었고 그 교회 목회자 또한 부흥의

방법을 배우려는 이들의 모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이슈들

을 겪으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인다는 단지 그 이유로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시점에서 질적인 성장을 강조하는 교회건강에 대

한 움직임은 고무적인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그 내부를 좀 더 살펴보면 그 또한

변형된 양적성장운동임을 보게 된다 일정한 활동을 통해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양적

성장을 통해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규정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그동안의

양적성장에 비해 뒤쳐진 질적 특성을 보완하여 계속적인 교세의 성장을 위한 것이다

건강은 교회의 외적 규모를 가지고 결정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크지만 병이

걸려있는 교회가 얼마든지 존재하며 작지만 내실이 든든해서 건강한교회들 또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번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을 살펴보면서 먼저는 독일에

본부를 두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을 연구한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이론과

Wagner Anderson Macchia의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을 연구한 결과들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비교해서 NCD 이론에 나타난 약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

운 방안으로서 다음 장의 관계성 중심 사역을 위한 관계신학으로의 주장에 대한 근거

를 마련해 보려 한다

47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Schwarz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NCD의 이론에 따르면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는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보다 괄목할만하게 개발된 질적 특성들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질적 특성들은 대표적으로 8가지이며 이것들은 모든 교회 내에 존재

하는 요소이다 Schwarz의 연구는 양적 성장 자체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질적 성장의

원리를 통한 접근방식을 취한다 이 방법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가정은 좋은 lsquo질적

특성rsquo은 lsquo양적 성장rsquo이라는 결과를 반드시 가져온다는 것이다 lsquo질적 특성rsquo이라는 용어

는 어떤 상황에 처한 모든 종류의 교회들에게 타당한 원리로서 묘사된다 여덟 가지

질적 특성의 모든 측면들은 질적 및 양적 성장을 경험하기를 원하는 어떤 교회에 대

해서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며 연구 결과이다82)

계속해서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에 대해 개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NCD 이론을 통해 제시하는 교회건강의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이다 지도자의 리더십에 따라 교회가 나아가는 방향과 목회철학을 비롯한 사

역들이 정해진다 리더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질적으로 건강

하고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면 교회 지도자는 교인

들을 양육하고 훈련하여 교회 사역자로 세우고 그들에게 권한과 책임을 위임하는데

있다는 사실이다 그와 같은 지도력은 lsquo유능한 지도력rsquo이 아니라 lsquo사역자를 세우는 지

도력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83)

NCD의 조사 연구 결과는 lsquo목표 지향적rsquo이 지도력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이긴 하

지만 흥미로운 것은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나 성장하지 않는 교회의 지도자나 이 점

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며 건강한교회의 지도자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세우는

지도자라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 유념할 부분은 평신도를 사역의 동역자로 세우는 교

회 지도자가 있는 교회가 lsquo성장한다rsquo는 것을 이유로 교회건강을 위한 질적 특성들 중

82) Christian A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18383) Ibid 28

48

하나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는 것이다84)

2 은사 중심적 사역

두 번째 질적 특성인 은사 중심적 사역 역시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과 긴한 관

계가 있다고 한다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가 가져야 할 첫 번째 리더십이 사역자를 세

우는 리더십이라면 두 번째 질적 특성은 지도자가 교인들을 사역자로 세워 실제적으

로 어떤 분야의 사역을 감당하도록 교인의 은사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을 말하

는데 하나님께서는 이미 각각의 그리스도인들 마다 그들이 해야 할 사역을 이미 정해

놓으셨다는 것이고 교회 지도자들의 역할은 교인들이 그들의 은사를 발견하여 은사와

연관된 사역을 하도록 돕는 것이 교회 리더십의 역할이라고 규정짓고 있다85)

교회 지도자의 역할은 교인들이 자신의 은사가 무엇인지를 발견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은사를 따라 사역할 수 있도록 잘 조정해 주는 것인데 그리스

도인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은사를 따라 섬길 때 인간의 힘으로 하는 부분은 줄어드는

대신 성령의 능력 안에서 이뤄지는 일은 더 많아지게 된다 NCD의 조사 결과 흥미롭

게도 은사 사용 여부만큼 그리스도인의 삶에 만족을 가져다주는 요소는 없다는 사실

이 나타났다 ldquo은사 중심rdquo(나의 사역은 내 은사와 맞다)과 ldquo기쁨이 넘치는 삶rdquo(나는 나

자신을 행복하고 만족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연관성이 있다

는 사실이 조사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이라는 것이다86)

3 열정적 영성

세 번째 질적 특성으로서 lsquo열정적 영성rsquo은 구체적으로 교인들이 실제로 헌신하며

사는 믿음과 뜨거운 열심을 의미한다 질적으로 평균 이상이거나 평균 이하인 것을

불문하고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분해 주는 핵심적 요소는 영적

신조나 영적 관계는 아니었다 ldquo이 교회 성도들은 불붙어 있는가 성도들이 기쁨과 열

정으로 헌신과 믿음의 삶을 살고 있는가rdquo하는 점이다 이 점에 있어서 성장하는 교회

나 퇴보하는 교회 사이에는 그 교회의 영적 문화의 모습에 관계없이 큰 차이가 있으

84) Ibid 2285)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3086)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4

49

므로 NCD는 이러한 질적 특성을 lsquo열정적 영성rsquo이라 부른다87)

NCD는 열정적 영성이라는 질적 특성을 교인들의 기도 생활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들이 조사한 교회의 성도가 기도하는 데 얼마만큼의 시간(양)을 보내느냐

하는 것은 그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에 미미한 영향밖에는 주지 못한다 반면 그 기

도가 영감 있는 경험이었나 하는 것은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개인적으로 성경을 보는 것과 개인의 영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들의 조사 결과도

이와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NCD가 말하는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사

이에서 눈에 띄게 다른 것은 영적 열정의 정도이다 교인들이 얼마나 기쁨과 헌신적

으로 살고 있으며 이러한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것이 질적

성장을 하는 교회의 세 번째 특징이라고 말하고 있다88)

4 기능적 조직

네 번째 특성에 숨은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한 교회 내의 형식과 조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느냐의 여부이다 교회

조직 자체는 절대로 궁극적인 목적이 될 수 없고 오히려 조직은 단순히 목적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요구 사항에 맞지 않는 것들(지도력을 감소시키는 조직

불편한 예배 시간 교인들에게 효과적이지 못한 프로그램 등)은 모두 바뀌든지 중단되

어야 한다는 것이 NCD의 조사결과이다89) 이러한 질적 특성은 어떤 교회가 가지고

있는 조직의 수가 많고 적음 혹은 이 조직의 신구(新舊)가 중요치 않음을 가리킨다

오히려 그 기준은 그 조직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lsquo얼마나 유용한가rsquo로 결정된다는 것이

다90)

NCD는 적절하고 기능적인 교회 조직에 관한 수많은 사례들을 수집하고 이 조직

들을 비교하면서 이러한 조직들은 명백하게 의미 있는 공통 요소들을 갖고 있다고 말

한다 첫째 조직들은 지도노선(또는 목회철학)에 맞추어 방향을 정한다 둘째 성공적

조직들은 유용치 않은 모든 것을 기꺼이 제거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87) Ibid 268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689)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3590) Christian A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228

50

목회 철학에서 정의한 특정한 초점에 집중한다 셋째 성장하는 교회의 조직들은 거의

전적으로 증식 조직들이고 이 증식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자율성과

자활 능력을 갖는 하부구조를 만든다는 것이다91) 이처럼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는

사역의 효과를 높이고 어떤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조직을 개발하고 갱

신하는 교회라는 것이 NCD의 네 번째 질적 특성이다

Schwarz의 연구가 바탕이 된 NCD의 이론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그 질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고 이를 교회의 건강성

의 척도라고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다른 질적 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5 영감 있는 예배

교회 성장을 결정짓는 요소 가운데 하나는 예배이다 모든 교회는 예배한다 단

순히 예배드리는 것이 교회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문계는 어떠한 예배인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예배의 어떤 방법으로 드려야 하는가하는 방법상의 문제도 아니

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교회의 예배가 예배 참석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예배인가 하

는 것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별해주는 한 가지 기준은 성

장하는 교회는 영감 있는 예배를 드린다는 것이 NCD의 진단이다 교회 성장에 있어

서 결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진 다른 기준이 있다면 그것은 ldquo예배가 과연 성도들에게

영감 넘치는 예배인가rdquo라는 점이다 NCD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회들을 상대로 예

배에 관해 질문한 11개에 대한 대답 모두가 서로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체되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와 성장하는 교회를 구분하는 확실한 기준은 바로 예배라고 말

한다92)

예배는 신자 중심으로 드려지거나 불신자 중심으로 드려질 수도 있고 전통적 스

타일로나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드려질 수도 있고 사용되어지는 언어가 거룩하거나

세상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교회 성장과 무관한 것이다93) 어떤 특정한 예배

형태가 교회성장을 좌우하는 것이 아니고 lsquo영감 있는 예배rsquo가 있는 교회가 질적으로

91)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2992)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93) Ibid

51

성장하는 교회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NCD는 lsquo영감 있는rsquo이라는 말의 근원인 인

스피라티오(inspiratio)라는 단어의 뜻에는 하나님의 영으로부터 오는 영감이라는 의미

가 내포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관념적인 성령의 임재가 아니라 성령이 진정으로 역사

할 때에 예배의 분위기는 물론 예배 절차에 구체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94)

6 전인적 소그룹

NCD는 420만 개의 응답을 분석한 후 170개의 교회성장 요소를 발견하였고 그

가운데 다시 8가지 요소들을 정리했는데 그 8가지 요소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성장

요소로 lsquo전인적 소그룹rsquo을 들고 있다 그들은 전 세계에 걸쳐 성장하는 교회나 쇠퇴하

는 교회에 관해 연구하면서 소그룹의 계속적인 번식은 보편적 교회 성장 원리가 된다

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더 나아가 소그룹이 교회의 질적 특성과 양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려면 어떻게 소그룹이 운영되어야 하는지 또한 밝혀냈다 그렇게 되려면

소그룹이 단순히 성경구절을 공부하는 데 그치지 말고 그 구절의 메시지를 매일의 삶

에 적용시키는 전인적(단지 각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온전한)인 소

그룹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소그룹 안에서는 사람들이 자기가 실제 처해 있는

개인적인 문제나 질문들을 내어놓을 수 있어야 한다95) 여기서 말하는 전인적 소그룹

이란 교인 개개인이 서로 간에 친한 교제를 나눌 수 있고삶의 현실적인 영역에서

도움을 받으며 또한 강한 영적 교제도 나눌 수 있는 체제를 의미한다 소그룹이라는

소우주(小宇宙)내부에서도 교회 전체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동일한 과정이 발생한

다고 말하고 있다96)

질적 지수가 높은 교회와 수적으로 성장하는 교회에서는 예배 참석보다는 소그

룹에 우선을 두는 경향이 다분하다 소그룹이라는 것은 좋기는 하지만 안 해도 되는

취미생활과 같은 선택 활동이 아니다 교회 생활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들 중

많은 부분이 소그룹 안에서 이뤄진다 교회가 커질수록 소그룹 원리는 계속되는 성장

을 위한 결정적 요인이라는 사실을 NCD 연구가 확인해 주고 있다97)

94)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3195) Ibid 3296)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479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2

52

사실 이 소그룹은 다른 질적 특성들과 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소그룹이 이루어

지려면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필수적이고 소그룹 환경 내에서 은사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다 소그룹은 조직을 언제든지 갱신할 수 있는 순발력이 있고 즐거운 예

배를 경험케 되며 불신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전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한 친한 사랑의 관계를 나눌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소그룹인 것이다 이처럼 NCD

가 8가지 질적 특성 가운데 소그룹을 가장 중요한 원리로 꼽는 것은 소그룹이 갖는

장점이 다른 질적 특성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2장에서도 살핀 바와 같이

소그룹은 포스트모던이라는 시대에 현대인들의 진정한 관계에 대한 필요를 채워주는

중요한 도구라는 면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7 필요 중심적 전도

성장하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 이것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전도를 하지 않

는 교회는 없다 모든 교회는 전도에 힘을 쓴다 그러나 문제는 전도의 필요성이 아니

라 전도를 통해 교회가 실제로 성장하는가 하는 것이다

Schwarz는 우리의 관심을 끄는 문제는 전도의 필요 여부가 아니라 실제로 하고

있는 전도가 교회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며 성장하는 교회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어붙이는 인위적인 전도 방법과 전혀 반대되는 불신자들의 의문에 답해

주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방법이라고 말한다98) 전도의 은사가 있는 사람과 하나

님께서 다른 분야의 일로 부른 사람을 반드시 구분해야 한다 연구 조사 결과 높은

질적 지수를 갖고 있는 교회의 지도자는 누가 전도의 은사를 갖고 있는지를 알고 그

들에게 맞는 사역을 맡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99)

교회 성장의 열쇠는 교회가 전도의 초점을 불신자들이 당면한 문제와 필요를 충

족시키는 것에 맞추는 데 있다 이러한 lsquo필요 중심적rsquo 접근 방식은 불신자들의 필요를

충족시켜주지 못함으로 불가피하게 불신자들에게 부담과 압력을 느끼게 하는 인위적

프로그램과 다르다 이미 갖고 있는 관계를 전도를 위한 기회로 사용하는 것이 핵심

이다100) 현존하는 불신자들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전도의 초점을 그들의 필요를

98)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4499) Ibid100)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5

53

충족시키는 실제적 전도를 실행하는 교회가 NCD가 제시하는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

의 일곱 번째 특성이다

8 사랑의 관계

마지막으로 NCD는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실제적으로 경험

되는 교회라는 것이다 인간의 관계에서 사랑이 다양한 모습으로 자주 경험되는 교회

가 그렇지 못한 교회보다 질적 양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평균적으로 볼 때 성장

하는 교회들은 정체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에 눈에 띄게 높은 lsquo사랑 지수rsquo(love

quotient)를 갖고 있다 웃음이 넘치는 교회 생활과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 사이에는

중요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놀라운 사실은 이것이 그렇게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교회 성장 문헌에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NCD의 연구 자료에

의하면 그것은 분명히 교회 성장 원리로서 충분한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우리가 사랑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듣기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사랑이 정말

어떻게 역사하는지 경험하기를 원한다101)

낮은 사랑 지수를 보인 교회들은 행하는 전도는 대개 단지 말로만 하는 활동으

로 제한되지만 잘 발달된 사랑 지수를 가진 교회들은 언어적 방법으로만 움직이는 교

회들보다 다른 사람들을 훨씬 더 크게 끌어들인다는 것이다 조사에 참가한 1000명

이상이 출석하는 교회들을 조사해 본 결과 그들에게 있어야 할 여러 가지 질적 특성

들 중 가장 빈번하게 최소치 요소가 lsquo사랑의 관계rsquo였다는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었

다 사랑이 부족한 곳에서는 어디서나 교회가 더 성장할 수 없도록 심각하게 방해받

는다는 것이 NCD의 마지막 질적 특성과 관련된 주장이다102)

이상으로 Schwarz의 연구를 바탕으로 둔 NCD의 교회건강의 이론적 근거인 8가

지 질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위의 8가지 특성을 수치화하여 그 중 가장 낮은

수치의 영역을 보완함으로써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그들이 말하는 lsquo최소치

전략rsquo이다103) 이를 통해 Schwarz의 연구가 질적인 특성을 말하고 있지만 결국 이 또

한 양적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얼마나 결과 중심적으로 교회의 건강을 다루고

101)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6102) Ibid 37103)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51

54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적교회성장은 교회건강이 목적이 아닌 교회의 양

적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Schwarz의 연구와 함께 교회성장과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연결시켜 제시한 다른

학자로는 Peter Wagner가 있다 이어서 Wagner가 제시한 건강한교회의 7가지 특성들에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Wagner는 그의 책 Your Church Can Grow에서 건강한교회의 일곱 가지 생체적인

특성들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아픈 환자들이 의사를 찾아 치료해야 하는 것과 같이

교회 또한 잘못된 많은 행동으로 말미암아 아프게 될 수 있지만 질병을 치료하고 건

강을 회복할 때 교회를 다시 성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일곱 가지의 요소들이 있다

고 말한다

1 긍정적인 목회자

그 첫 번째의 특성은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모든 성도들에게 동

기를 부여할 수 있는 역동적인 리더십을 가진 목회자에게서 찾고 있다 성장하는 건

강한교회의 목사는 전형적으로 성도들과의 생생한 관계들을 통해 획득한 강한 권위를

바탕으로 교회를 이끌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104) 목사가 특별한 은사를 가지고 성도들

의 원하는 바를 파악하고 그들에게 나아갈 길을 제시함으로서 교회 전체의 사역들을

열정적으로 이끌어 갈 때 사람들은 목사를 신뢰하고 그를 따르게 됨으로써 건강한 교

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5)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두 번째의 특성은 성장을 위해서 자신의 은사를 분명히 발견하고 잘 사용하도록

훈련된 평신도라는 것이다 평신도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

104) C Peter Wagn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66105) Ibid 75

55

용할 수 있겠지만 성경에서 묘사된 영적인 은사들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구성원들로서 기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

사람은 주어진 영적 은사를 개발하고 그 은사를 사용하여 직무를 수행해야 하며 성도

들이 자신의 영적인 은사와 그 은사의 이점을 발견하는 것은 성장하는 교회를 위해

필요한 다양하고 복잡한 필요들을 채울 수 있으며 이를 위해 27가지106)의 영적인 은

사를 구분지어 제시하고 있다107)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세 번째의 특성은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의 필요와 기대를 얼마만큼 충분히 채

워줄 수 있는가를 말하는 성도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이다 새신자들이 정착하고 싶은

교회가 되기 위해서 교회는 그 구성원들을 잘 섬겨야 하며 이를 통해 외부적으로 좋

은 평판을 갖게 된 교회는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함께 얻게 된다고 한다

친한 교제 목회적 돌봄 어린 자녀들을 위한 주일학교 교육과 같은 사역들은 교회

가 성도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성도들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것들이

다 만약 교회의 자원이 좀 더 넉넉하다면 독신들을 위한 사역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을 통해 그 지역에 독신인 사람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

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것은 교회의 크기와 무관하게 교회가 속한 지역의 불신자들

의 필요를 주의 깊게 살피고 이를 목회에 적용하는 사역의 철학을 통해 사람들을 필

요에 민감한 교회구조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8)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Wagner가 말하는 교회성장을 위한 네 번째 특성으로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내

부 기관들에 관한 것인데 축제로서의 각종 의식과 회중 셀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이라 한다 이 말은 세 가지의 기본적인 회집이 주어진 상황

106) Wagner는 그의 책 교회성장 될 수밖에 없는 성령의 은사 27가지라는 책 전반을 통해 예

언 섬김 가르침 권면 헌금 지도자 긍휼 지혜 지식 믿음 병 고침 기적 영분별 방언 방언통역 사도 서로 돕는 일 행정 전도 목회 독신 궁핍을 자처함 순교 대접함 선교 중보기도 귀신을 쫒음의 27가지 은사들을 정의하고 있다107) C Peter Wagner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6108) Ibid 17

56

속에 있는 교회를 위해 올바른 균형감각을 찾도록 고려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가장

큰 규모로서 멤버십 모임은 거의 어떤 규모로든 가능하고 중간 규모로서 친교모임과

가장 작은 규모로서 영적인 친족 모임으로 8~12명 정도가 적당한데 이러한 세 가지

구조를 Wagner는 lsquoCelebration Congregation Cell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의 큰 단위로서 교회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진 조직적인 형태로의 소그룹에 대한 내용

이 그가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네 번째 특성이다109)

5 동질집단의 원리

다섯 번째는 동질집단의 원리의 적용으로서 성도들이 자신이 속한 그룹으로부터

벗어나서 교회에만 속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문화적 사회적인 그룹에

그대로 머물면서 고립되거나 문화적인 장벽을 넘지 않고도 신앙생활을 유지할 수 있

도록 교회가 구조를 갖추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사회적인 구조를 중요시하는 교회성

장이라야 건강한교회를 이룰 수 있다는 Wagner의 주장은 lsquo그의 교회성장의 주된 원리

를 유지하면서 또한 건강한교회가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서 구성원

들이 자신이 속한 동질집단과의 관계를 잘 유지하고 이를 통해 그 집단 전체에게 그

리스도의 영향력을 전함으로서 속해 있는 집단 전체를 아우르는 형태rsquo를 동질집단이

라 부르고 있다110)

6 효과적인 전도

여섯 번째는 효과적인 전도방법에 대한 것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실용주의

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요구사항을 찾아 그것을 충족시키며 대집회를 통한

전도 집중 전도대회 교회성장이라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나아가는 몸의 전도운동

등의 방법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에는 동질 집단

구성의 원리를 통하여 사람들을 요구를 분간해 낼 수 있다고 하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정신은 다양하고 효과적이며 지역사회에 적합한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되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분명한 목적을 세우는 것이다 사용하는 방법에는 개교회 단

위의 협력도 있지만 경쟁심을 활용하는 것도 있고 효과가 없는 옛 방법을 과감히 버

109) Wagner The Healthy Church 18110) Ibid

57

리고 보다 더 효과적인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필요에 민감한 전도를

하는 방법도 있으며 이를 통해 교회가 성장할 수 있다고 Wagner는 말하고 있다111)

7 성경적인 우선순위

일곱 번째는 lsquo성경적인 우선순위rsquo를 말하는데 지금까지의 여러 가지의 특성들을

성경적인 순서로 적절하게 배열하여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서 이루어

지고 있는 여러 가지 정책에서 사용되는 우선순위의 적절한 배치를 말한다 또한 사

람들이 요구하는 많은 항목들 중 오직 교회만이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을

아는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교회가 세울 수 있는 가장 최선의 우선순위는 그리스도

께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이고 이어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

마지막은 전도 사회봉사를 위시한 이 세상에서의 그리스도의 사역에 전적으로 의탁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112)

이상으로 Schwarz의 이론과 함께 Wagner가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가 되

기 위한 7가지 요소들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제시하는

다른 두 가지 이론을 살펴보려 하는데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이 그것이다 두 이

론도 공히 위에서 언급한 교회내부의 요소들을 분명히 다루고 있지만 Anderson의 경

우 건강한교회의 중요한 특성으로서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관계를 주장하고 있고

Macchia의 경우는 교회의 건강을 하나님과 성도와 그리고 세상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분하고 있음은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건강을 판단하는 시

점에서 중요한 대안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먼저는 Anderson의 건강한교

회의 특성 6가지를 살펴본 뒤 Macchia의 세 가지로 구분된 10가지 특성들에 대하여

하나씩 살펴보겠다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NAE113)의 회장을 맡고 있고 미네소타 주의 미네아폴리스에 있는 우데일교회를

111)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71112)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87113) NAE(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는 40개의 교단 45000개 이상 교회의 연합체로서

58

담임하고 있는 Leith Anderson은 건강한교회에 대하여 6가지 특성을 다음과 같이 말하

고 있다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첫째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교회란 하나님의 평판을 그 지역이나 전 세계의

신자나 불신자에게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교회인데 많은 지역사회 속에서 하나님의

평판은 교회의 평판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서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약속을 정확

히 지키고 섬김을 받으려는 것보다 섬기려하는 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기독교적 방법

으로 어려운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교회로서의 조직을 유지시키고 교단을 대변하려

하는 대신 사회적 관계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에 더 관심

을 갖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첫 번째 특성으로 말하고 있다114)

2 제자 삼음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특성 두 번째는 제자 삼는 교회로서 같은 교회

에 그 교인을 계속 유지시키게 하는 것보다 교인이 훈련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며

모든 신자들이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인식을 바꾸어 훈련된 사람을 배출하려고

계속적으로 애를 쓰는 교회이다 실제적인 측면에서 항상 제자 지향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 그들의 프로그램과 형태를 구비하고 주일학교를 제자를 길러내도록 고무하고

장려하는 교회이다 문제를 일으키는 성도에 대해서도 그저 교회에 계속 출석하면 되

는 모양새로 방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성도가 그 문제성을 인식하고 성경적인 신자로

변화되도록 계속해서 사랑하고 만나고 훈련시키고 지도하는 실제적인 교회를 의미한

다는 것이다115)

3 영적은사의 훈련

셋째는 영적 은사가 활용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 말하는데 Anderson

미국 사회에서 개혁주의 신앙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을 원칙으로 삼고 있는 협의회이다114) Leith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165115) Ibid 167

59

이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건강한교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영적인 은사는 세속적인 직

업과 유사한 직무로서 사역은 직함보다 중요하고 은사는 주로 개인보다는 교회에 주

어졌음을 교육하면서 모든 그리스도인이 적어도 한 가지의 은사를 갖고 있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위원회나 조직을 최대한 축소하면서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사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말하고 있다 교회 조직이 필요한 곳에 사람을

두기 보다는 성령이 은사를 준 그 사역에 그들로 하여금 힘을 다하도록 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일컫고 있다116)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네 번째의 특징은 주변 환경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는 교회로서 고립되지 않고

주변 사회와 소통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거룩이라

는 영적인 본성 때문에 필연적으로 반문화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예수님께서 이 땅

에 오심으로 죄악 된 세상 환경에 자신을 참여시켰던 것처럼 건강한교회는 종교적이

지 않은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방법을 찾고 죄인들과

같이 되기 위해서 참소와 오해를 무릅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 건물의 사용

에 있어서도 정규 교회 활동과 외부 세속 활동 사이의 구별을 없앰으로써 세상에 좀

더 가까이 갈 수 있으며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며 적극적으로 세상

과 관계를 맺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모습 중 하나라고 이야기하고 있다117)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다섯 번째 특징은 건강의 증거로서 재생산에 대

한 내용이다 협력전도를 통해 전교인이 재생산에 참여하고 모든 사람이 직접적으로

전도에 참여하지 않을지라도 모든 사람이 복음 전도에 기능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전해

야 한다는 것이다 숫자의 함정에 빠져 많은 수가 교회에 등록하는 형태의 전도를 건

강의 척도로 삼을 것이 아니라 lsquo얼마나 새신자들이 교회에 동화되어 어떤 모습으로라

도 전도에 참여하기까지 이르고 있는가rsquo를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측정해야 함을 주

장함으로서 새로운 사람들이 교회생활에 적절히 동화되어 교회라는 공동체 조직이 빈

116)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68117) Ibid 170

60

틈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레고 조각이 짜 맞추어지는 것처

럼 교회 또한 새로운 신자들이 들어올 때 다시 재편성되어 새신자와 기존 신자가 다

시 새롭게 짜 맞추어 들어감으로서 관계성을 형성하고 기존 구조에서 새로운 구조로

기꺼이 변화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진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118)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마지막으로 건강한교회는 건강한 믿음을 소유함으로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자신

들이 하나님께 속해 있으며 또한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이심을 실제로 받아들

이고 믿으며 하나님이 무엇을 원하시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교회의 나아갈 바를 정하

되 기도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통해 모든 교회 생활을 일구어가는 교회라는 것이

다 그들은 성경으로부터 모범과 사례를 인용하여 그들의 교회 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성경의 구절들을 연구 비교하고 영감과 방향을 가르쳐 주는 자원으로 성

경을 확신하며 토론의 중간에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기도모임을 요청하는 것에

불편을 느끼는 않을 때 그러한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할 수 있다고 Anderson은 말하

고 있다119)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는 이전 이론들과 달리 성장에 대한 요소가 빠져

있고 대신 교회내부를 비롯해서 외부적으로도 적절한 관계 속에 있어야 함을 통해

세워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런 와중에 교회 내부 요소들에 대한 언급이 소홀해진

면이 있다 교회의 내부적 특성과 외부적 특성에 대해 적절한 균형을 가지고 3가지로

분류해서 제시하고 있는 Macchia의 주장을 이어서 제시하려 한다

제 4 절 Stephen A Macchia120)의 교회건강이론

Macchia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100개의 중소형교회121) 8000

118)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75119) Ibid 182120) Stephen A Macchia은 LTI(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교회 내에서 요구

되는 리더십과 팀사역을 위한 영적 섬김을 위한 사역을 감당하고 있으며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의 Pierce Center for Disciple-Building에서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또한Phoenix Seminary에서도 교수진으로 사역하고 있다

61

명의 회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교회의 특성을 연구하면서 이 자료를 토대로

건강한교회로서의 10가지 특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ldquo건강한교회는 성장이 아닌 각 특성들이 얼마나 개선되어져 가는지를 통해 평가되어

야 한다rdquo는 것이다122) 그 10가지의 특성들은 또 다시 세 가지의 개별적인 영역인 하

나님 성도들 세상과의 관계요소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이어서 설

명할 하나님의 임재가 충만한 공동체로서의 특성에 대한 것이다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acchia가 말하는 건강한교회로서의 첫 번째 특징은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 능력

을 힘입게 됨을 의미한다고 한다 건강한교회는 활발하게 성령의 인도를 구하고 날마

다의 삶과 사역에서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는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강력한 임재에 대

하여 하나님의 임재가 경험될 때 나타나는 가장 가시적인 현상은 기쁨이 충만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기쁨이 충만한 건강한교회는 새신자들의 마음을 움직여 교회

공동체로 이끄는 매력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123)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성령을 부어주

실 때 우리는 그분의 사랑과 주되심을 더욱 이해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우리를 통해

하나님께서 일하시며 그런 성도들이 모인 교회가 건강과 생명력으로 가득 차면서 교

회를 구성하는 이들의 삶 속에서 성령의 열매인 사랑 희락 평화 오래 참음 친절

선함 신실함 온화함 자기절제를 가득하게 맺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충만

한 임재를 통해 성령께서 교회를 주관할 때 성령의 은사가 충만하게 될 것이며 이것

이 바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모습이며 또한 건강한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124)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건강한교회로서의 두 번째 특성은 마음과 뜻과 힘과 정성을 다해 하나님을 예배

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모여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표징을 나타내는 것이고 한다 모

121) NCD의 연구와 달리 대형교회가 아닌 대부분의 교회 현실에 가까운 사이즈인 중소형교회

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122)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13123) Ibid 27124) Ibid 37

62

든 피조물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음 받았지만 오직 인간만은 아

버지 되신 하나님과 사랑의 관계를 누리도록 창조되었다 우리는 우리가 하는 모든

일들을 통해 하나님을 높이고 영화롭게 하는 삶의 방식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우리는

우리의 사랑을 밖으로 흘려보내는 행위를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며 예배하도록

독특하게 지음 받았다는 것이다125) 이러한 접근을 통해 우리는 형태적인 면에서도 사

람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보다는 하나님께서 예배 속에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가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예배의 방식을 바꾸어 갈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의 성도들은 예배 속에서 단지 푹신한 자리에 앉아서 수동적으로 행해지

는 일이 아닌 하나님과 의미 있는 체험을 하게 되기를 갈망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

장 효과적인 방법은 회중들이 마음과 뜻과 정성과 힘을 다해 예배 속에 참여할 수 있

도록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발전시키는 것으로써 하나님의 사람들이 능동적으로 예배

가운데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교회의 건강정도를 판단할 수 있

음을 Macchia는 말하고 있다126)

다 영적인 제자훈련

Macchia가 이야기하는 또 다른 특징은 날마다 영적인 제자도를 개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전 연령대의 성도들에게 영적인 훈련과 모델 그리고 기회들을 제공하는 교

회가 건강한교회라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우리의 관계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우리가 결정을 내리는 능력과 방식들 우리의 사명을 이해하는

정도 사역 속에서 섬김을 위한 우리의 비전들과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건강한

교회의 성도는 무엇이 헌신된 삶인지를 잘 배워서 그리스도와 함께 걸으며 생동감 있

게 사는 것의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다른 이들에게 이러한 영적인 삶의 여

정 속으로 동참하기 위한 성장을 권면할 수 있다127)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제자가 된

다는 것은 우리가 믿음의 삶 속에서 훈련받고 사랑의 열매들을 맺으며 자기절제를 훈

련하고 주님과 동행하는 활동들 속으로 참여하며 동시에 분주함과 싸우고 그러한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순종하는 삶을 이야기한다128) 또한 내적인 평온을 통해

125)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41126) Ibid 46127) Ibid 60

63

하나님의 이끄심에 민감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그러므로 건강한교회란 ldquo성도들의 삶

이 영적인 제자로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교회를 의미한다rdquo고 말한다129)

여기까지의 특성들은 성도가 어떻게 하나님과 건강한 관계 속에 설 수 있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는 부분이다 다음은 성도들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이어서 Macchia는 하나님과 관계뿐만 아니라 성도들과의 관계가 필수요소라고

말하는데 그 첫 번째는 공동체를 통해 배움과 성장을 성취할 수 있는 교회가 건강한

교회라고 주장한다 교회는 신자들이 안전하고 견고한 상황 속에서 하나님과 다른 사

람들과 함께 걷는 여정 속에 자라가도록 돕는 교회이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공동체

속으로 불러서 훈련하시고 그분의 가르침과 모범을 따르도록 하셨으며 이것을 세상

가운데 증거 하도록 하셨다 예수님은 늘 크건 작건 모임 속에서 가르치시고 때로는

먹이기도 하셨다 공동체를 창조한 놀라우신 이는 우리가 날마다의 삶과 사역 속에

성장하고 배워하는 모델을 직접 행하심을 통해 가르치셨다 맞벌이를 해야 하는 많은

가족들은 벅찬 업무와 해야 할 일들에 둘러싸여 있다 보니 소득은 조금 늘어나지만

정작 가족을 세우고 견고하게 하며 가족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쓸 수 있는 자원을

잃고 만다 그뿐만 아니라 아직 독신의 경우에도 그들의 시간을 빼앗아가는 수많은

일들에 파묻혀 친구들과 가족을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여분의 시간은 점점 줄

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도 건강한교회는 신자들이 공동체 속에 들어

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환경을 조성해내는 교회여야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130)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가정에서 화목한 관계를 유지하고 성도들 사이에 사랑의

관계를 가지며 그들이 섬기는 공동체 내에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세워가도록 그들을

128)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68129)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61130)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81

64

위한 노력을 다하는 교회를 의미한다고 한다 우리가 행하는 서로를 향한 사랑과 돌

봄은 우리의 교회가 함께 모일 수 있게 만드는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

은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계들로는 무조건적인 표현 서로

에게 진실함과 신실함으로 대하는 것 은혜 자비 용서 갈등을 해결하고 소통을 원활

하게 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노력들을 요구한다 교회는 성도들의 각 가정을 위한 사

역을 통해 그들이 가족 속에서 연합을 경험하게 해야 하며 공예배를 포함한 모든 사

역의 활동영역에서 가족에게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관계를 세우

는 행위를 통해 교회는 성도들안에 예수님의 사랑의 삶의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보일

수 있고 하나님이 원하셨던 진정한 공동체로서 서로의 필요를 채워주고 함께 물건을

통용하는 초대교회 사랑의 기독교를 실현시킬 수 있는 건강한교회로 세워져갈 수 있

다고 말하고 있다131)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교회의 건강성은 각 성도들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인식하고 각자에게 지도자로서

부여한 은사를 깨달으며 그 은사를 활용하여 서로에게 서번트리더가 되도록 권면하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요한복음 131~17을 통해 예수님께서 친히 겉옷을 벗

고 수건을 두르시고 제자들의 발을 하나하나 씻으신 후에 다신 옷을 걸치고 자리에

앉아 제자들에게 자신과 같이 행할 것을 가르치시는 모습에서 서번트리더의 모델을

찾을 수 있는데 우리는 다른 사람 위에 군림하도록 부름 받은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

들을 섬김으로써 예수님의 모범을 따르도록 부름 받았다 또 다른 서번트리더의 모습

은 인도함을 받는 리더 사랑 많은 리더 배우는 리더 잘 들을 수 있는 리더 다른 사

람들의 짐을 가볍게 해 주는 리더 계급구조를 내버리는 리더가 됨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한다132)

여기까지의 배움과 성장이 가능한 공동체 서로 사랑으로 돌보는 관계 섬기는

자의 삶은 모두 교회 내부에서 서로간의 관계를 세우는 요소들이다 이어서 Macchia

가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서 말하는 요소들은 세상 속에서 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에 관련된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131)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11132) Ibid 131

65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이어서 제시하는 내용은 교회의 세상과 관계회복을 위해 생각해봐야 할 부분과

함께 교회 조직을 어떻게 건강하게 이끌어갈 것인가에 대하여 다루고 있고 특별히 교

회마다 많은 갈등의 주요인이 되고 있는 행정과 재정적인 부분까지 다루고 있다는 면

에서 다른 이론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건강한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진리를 증거하고 그분의

사랑을 나타내기 위한 일에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교회라는 것이다 신자는 자신 안

에 일어나는 기쁨을 세상 속으로 흘려보내는 삶을 살아야 한다 이 기쁨은 단순한 감

정이 아닌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충만함의 결과로 나타나는 희락이다 이처

럼 세상을 향해 초점을 맞춘 삶은 성령의 도움으로 가능한 일로서 실용성을 지향하는

긍정주의와는 다른 것인데 사람들과 복음을 나누며 그리스도의 몸이 갖는 잠재적 본

성을 이용하여 먼저 믿는 우리가 서로 사랑으로 교제하고 떡을 떼며 기도와 예배와

공동체적인 삶을 통해 하나님을 찬미할 때 이를 통해 날마다 구원받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났던 사도행전적인 역사가 현재에도 일어나야 한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

도를 알도록 우리는 오케스트라의 악기가 되어 아름다운 음악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도구로서 세상지향적인 교회가 되어야 하고 이런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

하고 있다133)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의 자원 재정 그리고 조직이 성장과 사역의 개발을 최대한 지원할 수 있도

록 적절하게 사용되는 것이 교회건강의 중요한 요소라고 한다 많은 교회에서 정말

능력 있는 행정가는 담임목사가 아닐 수도 있다 담임목사들의 경우 교회행정에서 주

도권을 잃는 것을 용납하지 않지만 한 사람에게 너무 많은 책무를 부여하는 것보다는

목회자와 동일한 비전을 가지고 교회와 그리스도께 헌신된 사람을 주의 깊게 성령의

인도함을 따라 교회의 행정가로 선택하고 목사와 행정가가 긴한 관계로 이어진다면

133)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4

66

교회는 한층 건강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러한 행정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전략적

인 계획수립과 목표결정 하나님의 뜻을 이룸을 최선으로 하는 재정구조 계속적인 평

가와 권면 그리고 장기적인 사역에서 발생하는 변동요소들을 잘 관리해나가는 것들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134)

다 교회들의 연합

건강한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들이 서로 협력하고 자원을 공유하며

배움의 기회들을 높이고 서로 연합된 예배공동체를 이루어가도록 노력하는 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우리 앞에 놓인 사명을 교회가 이

루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필요를 실감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협력과 연합은 훨씬 더 효과적인 전도와 사역을 이루어낸다 각

교회들은 예배의 형식 교회정책 지역의 선호도 교회에 대한 기본적인 신학에 있어

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공통되는 요소를 발견함을 통해 도시단위 지역

단위로 연합할 수 있으며 그 지역 도시의 복음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수행해감으로써

우리가 섬기도록 부름 받은 지역을 위한 효과적이고 영속적인 영향들을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135)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자원들의 청지기라고 가르치며 그

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도록 충분히 관대한 희생의 마음으로 살아가도록 도전하는

교회라고 Macchia는 말한다 교회가 시간 재능 재정을 관대하고 선한 목적을 가지고

기꺼이 나눔으로서 물질만능의 세속적인 시대상을 극복할 수 있고 세상 속에 그리스

도의 몸 됨을 알리는 복음증거의 좋은 발판이 되어 진다 청지기정신은 지난 시대 속

에서는 개혁교회의 감춰진 주제였지만 갈수록 그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예

수님께서 ldquo네 보물 있는 그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마태복음 621 개역개정4

판)rdquo라고 가르치신 것 외에도 신구약성경 2000곳 이상에서 재정과 물질자원의 사용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더욱 이 주제에 대하여 교육하고 알려야할 이유를

134)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9135) Ibid 186

67

제시한다 자원은 나누어질 때 더 많은 열매를 거둘 수 있고 하나님은 기꺼이 나누는

사람을 사랑하신다 건강한교회는 우리들 각자에게 속한 자원들을 우리 자신의 것이

아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도록 잠정적으로 맡기신 것을 삶 속에서 실제로 실

천하도록 성도들을 이끌어가는 교회라는 것이다13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Schwarz는 그의 책 자연적교회성장의 서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서 교회를

유기체로 인식하고 외적 장애요인이 성장과 접한 관련이 있음에 대한 공헌을 하였

우리가 교회성장을 만들어 내려고 해서는 안 되고 오히려 하나님

께서 이미 교회에 부여하신 생명체적 잠재력을 풀어놓아 스스로

운행되도록 해야 한다 교회 내부나 외부에 존재하는 성장 장애

요인(환경장애)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교회 밖에 존

재하는 요인들은 우리가 다룰 수 없는 사항들이기 때문에 우리는

교회 성장과 부흥을 방해하는 교회의 내적 요인 제거에 초점을 두

어야 한다 그럴 때 교회 성장은 저절로 이루어진다137)

교회성장에 대하여 인위적인 방식이 아닌 하나의 생명체로서 교회의 성장을 방

해하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교회성장이 자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

고 이에 대하여 교회성장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를 주장하는 데에는 교회 성

장과 관련하여 큰 공헌을 한 점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이것을 교회의 건강으

로 연결하여 건강한교회는 성장한다는 원리로 규정짓는 데에는 교회건강에 대한 분명

한 개념정립이 다시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적 질적 특성을 구분할 때 양적인

것은 인간의 오감을 통해 쉽게 외부로 나타내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을 말하는 반면 질

적 특성은 그러한 체제 속에 담겨있는 정신과 비가시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의 양적인 성장이란 단순하게 교인들의 숫자나 건물의 크기 교회재

136)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1013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10

68

정의 규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교회 안에 있는 교인들의 신앙연륜 성경에 대한

지식의 정도 날마다 성경을 묵상하는 성도의 수 기도하는 시간과 같은 것을 포함하

는 개념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Schwarz가 말하는 질적 특성의 많은 부분이 실은

양적 특성에 해당하며 실제로 질적 특성이라 함은 비가시적이고 시간이 흐르면서 검

증되어야 하는 부분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Schwarz의 질적 특성의 8가지 원

리만을 가지고 교회건강의 정도와 연결시키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오히려 교회

의 건강이란 위에서 다룬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흐트러뜨리는 교회의 내적 요인과 외

적 요인이 없는 상태로서 질병이 제거되어 각 기관들이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함으로

써 교회존재의 본질적 요소인 소금과 빛의 사명을 감당하는 상태라 함이 건강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에 빗대어 더 바람직한 정의가 된다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또한 Schwarz의 이론 중 유익한 공헌으로는 큰 교회가 작은 교회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에 대한 실제 조사결과이다 교회성장과 관련된 170가지 변

수들 중에서 교회의 크기는 자유주의적 신학과 전통주의의 뒤를 이어 세 번째로 강한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사실과 실제 통계 조사로써 5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50

여명 정도의 소형교회들과 3000명 정도 모이는 대형교회들의 출석률 변화를 보았을

때 소형교회는 평균 출석수의 변화는 32명의 새신자가 생겼던 반면 대형교회의 경우

는 같은 기간 112명의 새신자가 생겼고 이를 상대적인 비율로 계산했을 때 소형교회

가 대형교회에 비해 1600퍼센트나 높은 성장가능성을 보였다는 사실을 알려준다138)

복음전도의 효과 면에서 소형교회가 대형교회보다 통계적 비율이 더 높다는 사

실은 대형교회일수록 자체시스템을 유지하는데 많은 자원을 사용하며 성도들이 자신

의 은사에 따라 일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139)

NCD 연구가 우리에게 끼치는 유익은 단지 이러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들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교회가 8가지 질적 특성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는 데에 있다

즉 세계 32개국 1000여개 교회를 대상으로 420만개의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것을

13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47139) Ibid 48

69

바탕으로 해서 각각의 질적 특성을 점수로 표시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했

다 따라서 어떤 교회든지 1명의 담임목사와 30명의 교인들이 설문지에 응답한다면

각각의 질적 특성에 대하여 구체적인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이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가장 낮은 질적 특성 최소치 요인이다 한 교회의 성장은 바로 이 최소치 요인에 의

해서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최소치 요인이 밝혀졌을 때 그것을 개선시키면 자연적

으로 거의 대부분(994 퍼센트)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140) 이러한 원리를 최소치 전

략이라 부른다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NCD측에서 제시하는 이론은 자본주의적 논리에 의해 들어간 비용 대비 이윤 창

출이라는 구조에 맞게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방법으로써 유기체의 건강을 다

루기에는 불충분하다 게다가 그 결과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도 25교단 1000개 교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많은 교회가 속한 평균 점수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평가점수

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부분은 교회건강이라는 목표를 다른 교회와의 비교를 통해 점

수를 매기는 방식으로써 전체 교회에서 그 교회의 점수의 위치는 알 수 있지만 상대

적인 기준을 가지고 그것을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평가하기에는 부적절하다 교회의

건강에는 절대적인 기준이 필요하고 그 기준은 물론 모든 지혜의 원천인 성경 속에서

찾아져야만 한다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이나 설문 모두 교회의 숫자적 성장을 중심동기로 하고

있는데 이를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으로 연결하는 것은 무리이다 이는 교회의 숫자적

성장 잠재력에 대한 평가이다 이 수치가 높을 때 교회가 건강하다고 하는 것은 논리

적 비약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부분은 사역자를 세우는 일에 있어서이다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들은 사역을 위해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기회와 권한을 부여하는 일에 중점을 둔다 그들은 평신도들

을 자신들이 설정해 놓은 목표나 자신들의 비전을 이루는 데 필요한 lsquo조력자rsquo 정도로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피라미드형의 권위구조를 거꾸로 뒤집어서 리더들이 교인들을

섬기며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부여해 주신 영적 잠재력을 개발하여 쓸 수 있도록

140)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81

70

돕는다 이런 목회자들은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자들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을 준비시키고 격려하고 동기를 부여하고 훈련시키는데 주안점을 둔

다 이런 지도자들은 교회의 수많은 일들을 자신들이 다 하느라 시간을 뺏기는 대신

그들의 시간을 제자훈련 권한 위임 그리고 재생산에 투자한다 이런 식으로 투자한

노력의 결과는 상상할 수 없는 성장을 가져온다 이것이 바로 영적 lsquo자생조직rsquo이 생겨

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141) 이처럼 교회의 건강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있음에도 교회

의 성장여부를 통해 목회리더십의 성취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교회건강을 성장이라는

열매와 과도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NCD이론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8가지 질적 특성이 모두 교회건강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이 아니라 교회성장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으로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지

표를 세운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각 특성들이 모두 결과물을 가지고 교회성장이라

는 열매를 맺었을 때의 지표를 기준으로 하여 교회건강지표를 만들었다 건강에 대한

정의가 성장이라는 결과를 통해서만 측정하고 있다 교회가 건강하면 반드시 양적인

성장이 뒤따른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이 연구조사에서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을 조사해서 그 교회

의 괄목할만하게 외부로 드러나는 특성을 조사해서 그 중 높은 수치를 기록한 8가지

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교회의 특성이라는 주장은 다분히 시작과 과정이 배제

된 체 결과만으로 판단하는 주장이다 교회가 성장하던 도중 외적규모의 정체가 일어

날 때 그중 낮은 점수를 기록한 특성을 보완하면 다시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고 이것이 건강이 회복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라면 수적으로 비교

적 작은 교회 목회상황 자체가 다른 곳 더 이상 유동인구가 없어서 성도수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특수한 곳에서의 건강한교회란 이루기 불가능한 요원한 일이 될 뿐

이다 그러므로 NCD와 Wagner의 이론 모두 특정한 장소 특정한 규모의 교회에 적용

했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지역교회가 반드시 성

장을 이루어야만 건강한교회라는 결론은 객관적이지 못하다

141) Christian A Schwarz 윤수인 역 자연적 교회성장 23

71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교회가 속한 노회나 교단에서의 다른 교회와의 관계가 중요하며 더불어 교회와

주변 사회(이웃)와의 관계와 평가 또한 중요한 교회건강의 요소이다 수적으로 거대해

진 교회들마다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공예배 때마다 지역

주민과 심각한 주차갈등을 겪는 도심대형교회의 경우를 예로 들더라도 지역사회와 상

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교회를 단지 양적으로 성장했고 8가지 질적 요소를

충족시켰다는 이유로 건강한교회라 지칭하는 것은 억지스런 주장이다 교회는 존재

자체로도 물론 의미가 있지만 사명공동체임을 생각할 때 교회가 자신의 사명의 대상

으로서 세상 속에서 외면당하고 있다면 그곳에서 교회의 건강을 논하는 것은 주변 이

웃들과 먼저 화해한 후에 예배의 자리로 나오도록 말씀하신 예수님의 권면과도 맞지

않다 교회의 건강을 논하기 위해서는 세상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분명

살펴야 한다

그리고 교회는 개별적인 존재로서의 교회이기도 하지만 지상의 모든 교회는 그

리스도를 몸으로 연합체로서의 교회의 특성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서로 경쟁

의 대상이 아니다 교회와 이웃과의 관계 뿐 아니라 교회와 다른 교회와의 관계 또한

해당 교회가 건강한교회인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요소일진데 지금까지 살펴본

Schwarz와 Wagner의 이론에서는 배제되어 있다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양적 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의 기준으로 삼던 앞선 두 이론들과 달리 Anderson과

Macchia는 성장이라는 요소 자체를 배제한 체 교회가 내부 외부적으로 어떤 관계 속

에 있는지를 중시하고 있다 Anderson의 경우는 지역사회의 관계에서 교회의 평판을

통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지역사회와의 관계맺음에 대해 별도

의 특성을 규정지음으로써 세상과의 관계에 대하여 많은 강조점을 두고 있다

Macchia의 이론이 여타 교회건강이론과 다른 점은 세 가지 관계의 회복 측면에

서 교회의 건강을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다142) 그래서 구분 자체부터 하나님과의 관계

142)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3

72

요소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로 나누어 건강한교회로 세워

져가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관계위주의 기준을 가져야함을 말하고 있다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한국교회 상황에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중대한 문제의 대부분이 실제로 교회 행

정과 재정문제에서 불거지고 있음이 현실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교회행정에 대해 목

회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위임함으로써 건강한교회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부분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많은 한국교회들의 재정 권한이 담임목회자나 소수의 상위 리더

십에 집중되어 있기에 일어나는 어려움들을 두고 건강한교회로의 나아감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기에 교회의 재정 관리는 일정한 전문가를 통해 사역을 해나가고 평가와

권면으로 보호하는 구조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거기에 마지막 요소로 이야기한 청

지기정신은 그러한 재정 관리에 더더욱 필요성을 제기하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예수님의 제자들이 미리 겪었던 갈등과 같이 성도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운 부분

들 중 하나는 서로 비교하고 시기 질시하는 현실에 대한 것이다 교회 안의 한 지체

임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몸과 같이 사랑하기는커녕 비교하며 서로를 깎아 내리려는

구조가 존재함을 2장에서 잠시 다루었다 특히나 한국교회에서는 서로를 향한 섬김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성도의 관계는 사랑과 섬김이면 어느 정도 회복이 가능한 부분이

다 목회에서 가장 힘든 때가 건축과 직분자를 세울 때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교회

안에서마저 경쟁과 비교로 직분을 감투로 여기며 끝나지 않는 갈등요소를 품고 있는

현실에서 lsquo섬기는 자가 큰 자rsquo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에 충실한 서번트리더십의 개발은

질병이 없는 건강한교회를 위한 필수적이 요소라 할 수 있다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다음 표는 위에서 연구한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의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을 Schwarz의 이론을 기준으로 유사한 것들끼리 모아 놓은 표이다 최대한 유사

73

점을 찾아보았지만 그 안에는 서로 다른 점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교회 내부의

문제를 제대로 분석하여 최소치이론을 가지고 교회의 성장 가능성을 연구한 면에서

Schwarz의 이론이 중심이 된 NCD의 건강한교회의 특성에는 나름대로의 균형과 포괄

적인 교회 내부에 대한 분석이 있음에도 교회의 본질과 사명이 내부 외부가 모두 균

형 잡힌 건강한교회의 필수 요소라는 점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긍정적인 목회자 제자 삼음 영적인 제자훈련

은사 중심적 사역잘 동기 부여된

평신도영적 은사의 훈련

열정적 영성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기능적 조직

영감 있는 예배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전인적 소그룹 동질집단의 원리

필요중심적 전도

효과적인 전도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사랑의 관계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기타요소들 성경적인 우선순위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하게 반응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연합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표 1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74

오히려 10가지 특성과 이를 세 가지 관계적인 면에서 나누어 주장하는 Macchia

의 교회건강이론은 교회의 본질적인 면에서 하나님과의 관계 세움을 추구하는 영성적

인 측면과 교회 안에서 성도들의 관계를 강조하는 성도들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해 지

적하고 있으며 교회의 사명적인 측면에서 지역사회에 속한 교회의 역할을 보충함으로

써 본질과 사명을 모두 포함하는 교회건강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이

세 가지 관계적인 측면에서 교회건강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건강한교회와 그

렇지 않은 교회를 구분하는 기준 또한 외부적인 성장을 가지고 논하기 보다는 교회가

추구하는 관계성143)의 성취 여부를 기준으로 교회건강여부를 결정해야한다고 주장한

Schwarz의 이론과 비교했을 때 Wagner의 이론은 상당부분 구분상의 유사성을 가

지고 있다 Anderson의 이론은 여러 요소를 축약한 흔적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강조

하고 있다 그러면서 발견된 특이점은 표에 밑줄 친 요소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관계

성에 대한 것들이다 밑줄 친 특성들은 다음 장에서도 다루겠지만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적 요소라 할 수 있는 것들인데 직관적으로만 보기에도 많은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들은 사실 관계성에 대한 주장을 이미 내세우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이 이론을 활용할 때 관계에 대한 강조점을 단지 교회성장을 위한

도구로 오용한 면이 없지 않다 Schwarz의 교회성장 이론에서 다루는 8가지 질적 특

성 중 소그룹과 사랑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이미 교회 구성원들의 관계가 교회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43) 관계성(Relationship)의 정의에 대하여 사전적인 의미로서 관계(關係)는 둘 이상의 사물 사람 현상 등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특별히 둘 이상의

사람들 사이가 우호적인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관련됨을 추구하는 성향 또는 정신이나 마

음으로 관계성을 정의하려 한다

75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지난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이론들 중에서 Leith Anderson과

Stephen Macchia의 주장을 통해 교회공동체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의 건강성이 교회 전

체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특징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Macchia의 경우는 그

러한 관계를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분야로 구분지어 세 관계 모두가 적절

하게 건강해야 건강한교회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음으로는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을 위해 치유회복 사역을 하고 있는

세 단체를 살펴보고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관계성 중심의 사역에 관한 내용과 특징

을 살펴보려 한다

1 온누리교회의 예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온누리교회는 한남동 한국기독교선교원에서 故하용조 목사를 중심으로 12가정이

모여 기도하며 제자훈련을 시작하면서 세워진 교회이다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

를 꿈꾸며 성경적인 교회론을 토대로 목회방향을 설정하였고 1985년 10월 6일 78명

의 성도가 모여 온누리교회 설립예배를 드렸다 온누리교회의 목회 비전은 한마디로

Acts29 비전이다 교회를 시작할 때 주셨던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의 비전을 새

롭게 하고 구체화한 것이 Acts29 비전인데 Acts29란 사도행전 29장을 의미하는 것으

로 사도행전은 끝나지 않았고 계속 씌어져야 함을 뜻하며 사도행전 28장 이후의 기

록이 바로 이 시대 교회들의 기록이 된다면 온누리교회를 통해 기록되기를 원하는 마

76

음에서 Acts29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144)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한국의 대표적인 교회 중 하나인 온누리교회의 관계성 프로그램은 크게 두 가지

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회복사역과 가정사역이다 회복사역은 영적 정신적 육체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건강한 인격체로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자신과 같은 어려움

을 겪는 사람들을 돕는 사역자로 설 수 있도록 도우며 궁극적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

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예배자로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종류로는 자신

을 이해하고 성경적인 정체성 회복을 돕기 위해 역기능가정 자존감 숨겨진 아픔 용

서와 축복의 주제로 구성된 자아회복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회복을 통해 혼자서도 안

정된 관계를 세워가도록 돕는 동반의존 소모임 자신의 관계성을 돌아보며 건강한 관

계를 유지하고 발전을 위한 관계회복 소그룹 등이 있다145)

가정 사역 분야에는 하나님께서 꿈꾸는 아름다운 가정의 모델을 성경적으로 제

시하고 여러 훈련과정으로 짜여진 하나님의 가정훈련학교 이론과 실제를 통해 성경

적인 바른 가정을 세워가도록 돕는 젊은 부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부부간의 관계를

진단하고 치유와 개선을 돕는 코칭 프로그램인 아름다운 동행 그리고 사별에 의해

혼자된 성도가 영적치유와 회복을 경험하도록 돕는 야베스맘(여성사별자모임)과 이혼

자가 겪는 아픔과 상처를 함께 돌보는 이혼자치유학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46)

대부분의 한국교회가 그러하듯 온누리교회의 관계중심 프로그램은 주로 회복과

돌봄을 목적을 가지고 실시되고 있는데 소그룹 코칭 상담의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

다 그리고 이루어지는 사역이 주로 사후 회복과 돌봄에 대한 것으로 여러 가지 다양

한 가치들이 혼재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뒷전에 려있는 관계성에 대한 사

회적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144)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145) 온누리교회 홈페이지 참조 2013년 정기모임 안내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 groups146)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참조

77

2 뉴욕관계학교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관계학교는 뉴욕청소년센터의 스텝들을 훈련시키며 시작되었다 그 후 청소년센

터 상담 사역부로 활동하다 lsquo뉴욕관계학교rsquo라는 이름으로 독립해서 뉴욕청소년센터의

협력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는 단체이다 목회자반(15주) 사모반(15주) 셀그룹 리더반

(15주) 청소년사역자반(15주) 부모반(10주) 부부반(10주) 교사반(8주)으로 나뉘어 정

규 과정반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lsquo찾아가는 공개강의rsquo도 진행하

고 있으며 대표는 김사훈 박사가 맡고 있다14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남편의 아내에 대한 정서적 지지가 건강한 결혼 생활을 만들고 바로 그 지지가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태도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강조하는 김사훈 박

사148)는 또한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모델이 되려할 때 거기에는 부모를 모방하며 시

행착오를 경험할 수 있는 충분한 자유와 책임감의 부여가 필수적임을 겸하여 강조하

고 있다 김박사에 의해 설립된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 부모자녀의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 관계학교에서 시행하는 공개강좌의 경우 lsquo관계

와 영성rsquo이라는 주제로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이 강좌의 진행도

주로 모든 관계의 원시경험을 제공하는 가족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관계는

피할 수 없는 도전으로서 자신과 하나님과의 관계 교인과 교인관의 관계 목회자와

교인과의 관계 교인의 가정에서의 관계 등이 건강하게 이끌어 질 때 결국 건강한교

회가 될 수 있다는 기치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비전을 가지고 사역중이다149)

뉴욕관계학교의 경우는 사후 회복사역과 더불어 사전 준비교육으로서 관계에 대

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소그룹 인도에 대한 교육은 시대흐름에 필요한 교

147)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기사 인용148) 목회상담 전문가 한국기독교 상담 심리치료학회 전문가 상담실 로뎀나무아래 대표

149)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기사 인용

78

회의 변화를 이끌어 가는데 나름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 교회들의 호

응이 그다지 적극적이지 못한 이유로 초반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으로 소개할 관계학교 유형은 비록 기독교적 신앙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지

만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루고 있는 스웨덴 비영리 단체가 운영하는 웹기반

의 온라인 관계학교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3 웹 기반의 관계학교

가 온라인 관계학교의 소개

The Relationship School은 여러 가지 관계 속에 있는 이들이 영감을 얻고 실제적

인 도움을 받으며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들을 습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온라인

강의들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스웨덴의 한 비영리 단체이다 제공되는 논문과 영상

강의들은 Filippa와 Markus에 의해서 대부분 제작되었다150) 시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어디서든 접근이 용이하도록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으며 온라인피드백을 위한

각종 사이트들과 연결되어 있다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The Relationship School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은 총 26개의 클래스가 있고 그 내

부에는 강의마다 자신의 상황들을 점검해보고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소개 글과

관련 논문 그리고 영상 강의로 구성되어 있는데 26가지 강의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150)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79

l 관계의 세 가지 단계들

l 이해하는 것과

이해받는 것

l 사랑의 강을 건너는

다리

l 네 가지 위험신호

l 상호거래적인 분석들

l 조절

l 마음표현의 놀라운 힘

l 인간의 필요들에 대하여

l 필요 이상의 것

l 돈과 사랑

l 나부터 시작해서

우리로 나아가기

l 신뢰와 존중

l 남자에게 편지쓰기

l 관계들 속의 투사

l 피드백

l 극단성과 열정

l 관계의 유형

l 관계게임의 규칙

l 회상에 대하여

l 변화

l 갈등과 갈등다루기

l 가치 있는 것

l 관계에 대한 지식

l 사랑과 친밀감

l 긍적적 부정적

소용돌이

l 삶의 균형 잡기

표 2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위와 같은 강의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삶이 다음과 같이 변화될 수 있기를 바라

는 그들의 목적을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사람들이 아침에 일어나 마음을 두근거리게 하는 긍정감정을 느끼

고 어른들이 자신의 상황에 대하여 스스로가 책임을 지겠다는 다

짐을 하고 아이들이 지속적이고 삶을 풍성하게 하는 관계들 속에

있을 그 때가 바로 우리들이 이 메시지를 통해 바라던 우리의 최

종 목적이 달성된 것입니다151)

위 사이트의 경우 인터넷이 연결된 어디에서든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과정들을

숙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고 다양한 관계들 속에 응용할 수 있는 영역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번역된 자막이 따로 없어서 영어권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강의내용

은 주로 심리상담 분야를 통해서이고 시공간적 제약이 없이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

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도 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하여 강의 내용이 새로운 업데이트가

되지는 못하고 있다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지금까지 관계사역에 대해 힘쓰고 있는 세 단체의 사례를 살펴보았는데 그들이

가진 몇 가지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1)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80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관계사역을 구성하는 커리큘럼의 내용들이 회복과 치유에 집중되어 있다 이혼

자 사별자에 대한 위로가 필수적인 사역임에는 틀림없으나 그 전에 이혼까지 이르지

않도록 예방을 위한 사역 또한 함께 진행할 필요가 있다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관계

라는 부분이 문제가 생겨나고 그것이 외부로 드러나기 전까지는 잠재되어 있는 경우

가 많고 그 속에서 상황이 상당히 악화된 뒤에야 치료를 위한 훈련과 더불어 예방과

그 과정 중에서도 충분히 서로를 개방하고 점검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

이 현실이다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관계성이라는 분야가 심리상담학의 발전과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 부분이기에

대부분의 관계에 대한 회복과 훈련에 인문학적인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위

사례를 비롯해서 많은 한국 교회들이 여건이 되는 데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단연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곳은 가정회복에 대한 내용이다 그만큼 가

정문제 자녀교육의 문제가 사회 전반적인 어려움으로 교회마다 부부관계 부모자녀관

계의 회복을 위해 각종 양육프로그램을 세워가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그럼에도 관

계라는 것이 대상에 따라 한 형태로만 회복되는 것이 아닌 유기적으로 다양한 관계가

모두 포괄적으로 회복될 때 제대로 된 치유가 가능한데 이처럼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돌아보고 점검하며 방향을 제시해주는 곳은 기존의 교회 관계사역에 대한 리서

치 과정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다 관계는 신앙 가정 사회 교회 직장 학교 속에서 다

양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고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러므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전인적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1 프로그램의 동기

성화의 과정으로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우리가 이 땅에서 살아가는 동안 만나게

81

되는 모든 만남에서 어떻게 하면 건강한 만남을 가지고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교

회를 이루어 갈 수 있는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은 관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다 어떻게 교회 공동체를 관리하는가에 대해 경영학적인 입장이 아닌 사회학적인 입

장에서 개인의 유기적 연결에 집중한다면 결국 교회의 건강은 건강한 성도들의 연결

이라는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강은 질병이 없이 본연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는 것이다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

는 바탕은 구성원들로서 성도의 건강한 관계성에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

면 건강한 관계를 이룰 수 있는 것인가 건강한 관계를 위해서는 선험적인 앎이 필요

하다 선험적인 앎이란 관계의 창조자가 가지신 생각에 대한 인식이다 그러므로 건강

한 관계를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하나님께서 관계를 어떻게 지으셨고 무엇을 원하시는

가에 대한 기본적인 훈련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관계학교를 제안하려

한다 필자가 제안하는 관계학교는 기존 성도들을 포함하여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함께 하는 개개인 모두가 기본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서 일정한 훈련기간을 가

지고 입학과 졸업이 명확하며 일정한 기준을 성취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

된다

여기에서 다른 많은 명칭들이 있음에도 학교라는 친숙한 명칭을 사용한 의도는

입학과 졸업이 분명하고 성취도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고 각 개인에게만 교육의 성취

에 대한 책임을 맡기지 않고 모두가 일정한 수준 이상의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교

육 주체 또한 교육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도록 힘써야 하는 존재

임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서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관계학교는 이전 장에서 다루었던 Macchia의 건

강한교회의 10가지 특성에 대한 이해와 Anderson의 6가지 특성들 가운데 관계성을 드

러내는 요소들을 취합하여 그 내용을 구성해보려 한다 또한 사례연구에서 살펴보았

던 여타의 기존 관계회복 프로그램들이 이미 중점을 두는 분야를 재론하기보다는 성

도들이 현장에서 살아가면서 얽혀있는 주변관계의 전반을 다루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프로그램의 방향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82

위의 관계프로그램 사례연구에서도 살펴본 것처럼 대부분의 관계회복 프로그램

이 상담신학 기반에 시행되고 있다 이 또한 현대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접근이다 필

자는 Bonhoeffer의 ldquo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될 때 그곳에는 하나의 공동체가 세워지며

이사야 5511의 말씀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은 기독교적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 안에

역사하며 교회는 또한 하나님과 말씀과 깊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성도의 공동체는 결

국 말씀의 활동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rdquo152)라는 명제를 바탕으로 성경중심의 관

계학교 프로그램을 제안해 보려 한다 건강한교회를 위한 모든 시도는 하나님의 말씀

인 성경에서부터 비롯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교회의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의

모든 커리큘럼의 구성을 성경중심으로 편성하고 있다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본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짧은 차시 안에 모든 영역을 깊이 있게 다루는 것

은 어렵겠지만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관계 요소의 전반적인 부분을 다루어보고 함께

생각을 나누며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보려 한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부

정적인 면을 감쇄시키는 방향의 훈련이 아니라 이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긍정적

요인들에 대한 강화의 방향을 갖는 것이 이 관계훈련의 목적이다 매주 한 회기씩 8

주 동안 진행될 관계학교의 모든 과정은 지향하는 목적이 성도들의 관계훈련에 있는

바 매 회기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실제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현장은 지극히 평범하고 쉬운 사고를 좋아하는 일반성도일 경우가 많다 게다

가 한국교회 현장은 감성적 접근이 효율적인 여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게 형성되어 있

다 교육이라는 말 자체가 갖는 부담감을 극복하기 위해서 실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커리큘럼은 최대한 성도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학문적인 용어와 내용구성보다는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것들로 진행하려 한다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관계의 문제는 모든 현대인의 고민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에서 시행하되 지역사

회 전체에 홍보를 통하여 관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성경을 그

152) Dietrich Bonhoeffer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238

83

저 일상적인 삶과 무관한 기독교의 교리서신이 아닌 일반인 모두가 듣고 지혜를 얻을

수 있는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한국의 2030 세대는 어려서부터 사교육을 강요당하고 청소년기에는 공부 기계가

되었으며 대학생이 되어서는 학점 관리하고 스펙 쌓느라고 그 좋다는 청춘 시기의

낭만조차 맛보지 못한 채 사회로 내몰린다 그러나 이들은 분명 그들만의 잘못이 아

님에도 취직을 못 했다는 이유로 동년배들에게서 존중받지 못하고 사회에서도 존중받

지 못하며 심지어는 가족에게서조차 존중받지 못한다 그 결과가 청년 고독사라는 믿

을 수 없는 현실로 나타나 갈수록 젊은 청년들이 젊은 나이에 월세가 몇 달째 린

쪽방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믿을 수 없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153)

그러한 세상 가운데 교회에서 lsquo관계학교rsquo라는 일반인에게도 공감할 수 있는 프로

그램을 가지고 나아간다면 좋은 접촉점이 될 수 있고 교회의 문턱을 낮추어 비신자에

게로 다가가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게다가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내용 또한

우리의 일반적인 삶의 이야기이기에 이 기회를 통해 전도대상자들과 신뢰관계를 형성

할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도 좋을 듯하다

3 프로그램 시행준비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다음은 교회 내에서 관계학교를 시행하기 전에 모든 성도들이 자신의 관계를 돌

아보고 교육에 대한 필요와 동기를 가질 수 있는 몇 가지 설문을 제시하려 한다 따

로 문서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되던 주보의 공간을 활용하여 관계학교 개설에 대한 광

고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참여를 독려하며 동기 부여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관계학교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은 다음과 같다

lt 당신의 관계들에 대하여 확인해 봅시다 gt

1 당신은 가족을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친한 우리는 함께 있는 것 그리고 서로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

아한다

화목한 서로 어울리기는 하지만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한다

153)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32

84

말이 없는 아무도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삶을 나누지 않는다

불신하는 가족들 사이의 관계는 대체로 서로 시기하며 적의를 품

고 있다

2 다음 중 친한 친구나 가족과 있을 때 당신을 가장 잘 표현한 내용은 무

엇입니까

자연스러운 편하게 느끼며 자연스럽게 행동한다

열린 내가 믿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소극적인 사람들이 먼저 말을 걸어 주기를 기다리는 편이다

갈등하는 믿는 것에 항상 굳게 서 있는 것은 아니다

불만스러운 아무도 나를 이해해 주지 않는 것처럼 느낀다

3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당신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어느 것

입니까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민감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를 이해심

이 많은 사람으로 생각한다

나는 깊이 있게 나누지를 못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대체로 피상적이다

나는 다른 사람을 아무렇게나 막 대한다 그래서 쉽게 화를 내서

갈등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나는 다른 사람과 갈등을 겪을 때 이를 쉽게 해결한다

나는 가능하면 조화를 이루고 싶기 때문에 비그리스도인 친구 앞

에서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것을 억제한다

나 소그룹 리더교육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먼저 전체 프로그램 내내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할 소그룹

의 리더들을 세우는 것부터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 기본적인 신앙이 제대로 세워져

있고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진 소그룹리더를 선발하고 교육하는 일의 전체

관계학교 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교육의 많은 부분

이 소그룹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소그룹 인도자의 훈련이 선행되어

야 한다 4단계로 진행하며 그 내용은 성경적 이해 인도법 문제해결 요령 리더의 중

요성과 자질의 순서로 구성해 본다 각 차시들을 구성할 간략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

85

소그룹리더를 위한 교육에서 첫 번째 차시는 소그룹의 기원에 대하여 구약과 신

약 성경의 내용을 통해 이해하는 시간이다

먼저 구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습은

1 창세기 218~25 본문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지으신 뒤 가정이라는 소그룹

을 만드시는 장면인데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을 좋지 못하다하시며 관계의

시작점을 만드시는 내용이다 최초의 가정 소그룹을 만드신 분은 하나님

이시다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소그룹의 일원으로서 하와를 지으신 뒤 어

떻게 하셨는가 그리고 아담은 하와를 보고 어떻게 반응했는가 아담에게

로 데려가셨고 하와를 극찬으로 반응하였다

2 소그룹은 인간 공동체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이다 본문에 기록된 결혼

원리를 통해서 소그룹은 하나님께서 설계하신 창조물임을 보게 된다 이

것이 구약성경에 나타난 인류 최초의 소그룹이다

3 출애굽 후 모세의 장인 이드로의 제안으로 시작된 천부장 백부장 오십부

장 십부장 형태 또한 구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델로서 힘든 광야

생활에서 백성들의 결속과 관계의 효율을 추구하였던 예가 된다

이어서 신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전형적인 모습은

4 예수님께서 직접 뽑아서 훈련하고 파송한 열두제자 소그룹이다 예수님의

지상사역은 결국 열두 제자를 부르시고 그들과 함께하신 이야기이다

5 사도행전은 성령강림으로 시작된 초대교회가 성전교회와 가정교회라는 이

중구조 안에서 진행되며 발전된 모습을 곳곳에 소개하고 있고 이 내용은

에베소교회와 로마교회의 시작인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의 가정소그룹의

배경을 기록하고 있다154)

두 번째 차시는 지도자의 자세와 소그룹 인도를 위한 내용이다

1 마태복음 23장 3~11절을 보면 예수님께서 당시 지도자적 위치에 있던

이들의 모습을 거울삼아 제자들을 가르치는 부분이 나오는데 우리가 선생

님(랍비) 혹은 지도자라 불리기를 즐겨하지 말라고 가르치신다 그 이유

154)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17

86

는 우리는 모두 다 한 아버지 아래에서 한 형제이며 지도자는 한분 오직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이라고 말씀한다 또한 올바른 지도자는 섬김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이다 예수님이야말로 이러한 섬김의 모범

을 보이신 분이다(빌 26~9 참조)

2 소그룹의 인도는 준비단계 성경공부 개인적인 적용과 나눔 기도라는 4

단계로 구성된다 시간도 최장 2시간이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잘 들어주기 관찰하기 정리하기 본이 되기 집중하기 성령

충만함을 구하기의 몇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155)

3 이와 함께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모임을 미리 계획하되 그 계획한 것에

맞추느라 쫓기듯 진행하지 말아야 하며 흔히 생길 수 있는 잠시의 침묵을

당황하지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성령의 인도하심에 민감하며 반응하면서

각 사람들 하나하나를 존중하고 고무시키는 방향을 유지한다면 소그룹이

지향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함을 나눠본다

세 번째 차시에서는 소그룹을 이끌어 가면서 생겨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소그룹

지도자들이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대해 다루게 된다

1 흔히 생겨나는 문제로는 미묘한 파벌형성 흥미와 즐거운 모임에만 치우

쳐서 본래의 방향성을 상실하거나 때로는 소그룹 구성원들의 필요와 기대

를 어긋나서 소그룹이 운영되는 경우 등이 있다

2 이외에도 사람들의 모임이기 때문에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구성원들 간

의 대인관계의 어려움이라든지 지도자가 훈련과정에 있을 때의 비효과적

인 지도력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3 이러한 문제에 대한 최선의 반응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든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마음을 이끌어내야 한다

4 그리고 언제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인 모임의 기본 규칙으로서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마칠 수 있어야 한다 중간 중간 제기되는 논쟁의 불씨

가 될 수 있는 토론을 회피하는 기술도 필요하다 일단 문제가 발생한다

155)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35

87

면 다음 자리를 기약하지 말고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그 자리에서 처리해

야 한다

3 사람은 문제의 해결을 통해 성숙하는 것처럼 소그룹 또한 문제를 잘 다루

고 지혜롭게 처리해낸다면 이후보다 소그룹 전체가 성숙됨의 자리로 나아

갈 수 있음도 주지해야 할 내용이다156)

4 소그룹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중 가장 빈번한 것이 서로의 기질의 차

이 비교의식 신앙스타일의 상이함으로 유발되는 갈등상황이다 현세대를

lsquo갈등회피세대rsquo라고 부르는 이들이 있는데 갈등은 피할 것만이 아니라 온

유한 언어의 사용과 용서 그리고 믿음의 기도를 통해 극복된다면 그 잠

재적 유익은 소그룹의 결속에 강한 촉매제가 된다157)

네 번째 차시에서는 데살로니가전서 2장 5~12절 말씀을 묵상하면서 믿음의 지

도자에 대한 구체적인 실례를 나누어본다

1 7절과 11절 말씀을 통해 소그룹 지도자가 추구해야할 모습은 유순함과

더불어 7절에서 예로 든 lsquo유모가 자녀를 위해rsquo 헌신하는 모습처럼 구성원

들을 대할 수 있는 존경받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개발해 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소그룹에서 리더는 그 모임이 나아가야할 미래의 모습을 제시하고 구성원

들을 함께 성장시키며 최종 목적을 이루어 갈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자질

과 능력을 한데 모으는 역할을 감당한다

3 이를 통해 얻어낸 결과물을 함께 구성원들이 누릴 수 있도록 배분하는 역

할도 감당하게 된다 그래서 소그룹은 지도자의 모습만큼 자라날 수 있기

에 지도자는 소그룹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해내야 한다158)

4 이러한 소그룹 지도자에게는 부르심에 대한 확신과 함께 몇 가지 자질을

갖추도록 해야 하는데 성숙된 신앙인으로서 늘 주님과 가까이 하는 삶을

살아야하고 사랑 중심의 성품을 개발시켜야 하고 자신의 부족함을 잘 살

156)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1157) Jimmy Long IVF자료 개발부 편역 소그룹리더핸드북 (서울 IVP 1996) 121158)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7

88

펴 늘 겸손함으로 노력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

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구성원들이 스스럼없이 말할 수

있도록 이끌며 혼자만의 지도력이 아닌 함께 일구는 팀워크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자질이 요구된다

이상은 관계학교를 진행하면서 4~5명 정도로 편성될 소그룹을 이끌어갈 리더들

을 위해 말씀을 중심으로 소그룹을 인도하도록 하기 위한 간단한 교육 내용이다 소

그룹 리더의 경우 일단 기본적으로 신앙에 대한 연륜이 되어있어야 하며 관계학교를

이끌어가는 목회자와 계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 전반에 대한 상황을 그때그때 전

달할 수 있도록 지혜로움을 배양시키는 훈련은 필수적이다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양적성장을 기준으로 한 건강한교회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지금까

지의 문제제기와 신학적 연구를 거쳐 실제 목회현장에서 대안으로 제시해볼 수 있는

관계학교에 대한 개략적인 교육내용을 제안하려 한다 전술한 것처럼 이 프로그램은

주로 성경본문을 강의의 주된 내용으로 삼고 거기에 동기유발 질문과 적용과 나눔의

시간을 통해 교육생들이 관계에 대한 지평을 넓혀가는 과정으로 구성해 보았다 학교

라는 명칭이 갖는 일정수준이상의 성취가 객관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각 차시의 마

침에서 확인질문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소그룹 활동을 통해 진솔한 대화가 나누어지도

록 진행하는 요령이 필수적이다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총

10주에 걸쳐 소그룹편성으로 진행된다 강의 내용은 시작단계에서는 그동안 자기 안

에 있던 관계의 문제들 교회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단절과 갈등 속에서 제대로 반응

하지 못했던 자기 모습을 돌아보면서 관계에 대한 훈련이 필요함을 인정하는 단계로

부터 시작해서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의 이웃들 그리고 가장 가까이에 있는 가족들

과의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가르침을 함께 학습하며 토론 나눔 격려를 통해 9주를

학습한 뒤 마지막 10주째에는 이 모든 가르침을 통해 이루어야 할 건강한교회는 결국

사명공동체로서 세상 속에서 전도와 선교의 삶을 섬기는 자로 살아가도록 서로에게

89

도전함으로써 마무리를 짓게 된다

1 교육 과정 편성

이처럼 전체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차시별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서 서술하고자 한다

2 성취기준

관계학교를 통해 이루어가고자 하는 전반적인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다

l 좋은 관계는 당연한 것이 아닌 노력을 필요로 하는 열매인 것을 배운다

l 건강한 관계는 모두 하나님과의 건강한 관계를 맺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한국인에게는 쉽지 않은 자기 개방의 활동을 통해 성도들과 좋은 관계를 시작할 수

있다

l 갈등은 중요한 전환점을 위한 생산적 과정으로 여기고 관리를 통해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나갈 수 있음을 배운다

l 그리스도인이 세상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의 모델을 배운다

l 관계의 황금률이라고 불리는 마태복음 7장 12절에 대해 배운다

l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을 통해 건강한 관계를 배울 수

있고 세대를 넘어 전수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건강한 가족관계야 말로 건강한교회 공동체를 위해 이 시대에 가장 절실한 과제인

것을 확인하고 배운다

대주제(영역) 관계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

소주제

(핵심개념 또는

학습주제)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 각 영역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발견하기

일반화된 지식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

중점 함양 역량 상호이해와 의사소통 그리고 개방성의 증대

90

3 차시별 강의계획

이어서 10차시로 구성된 관계학교의 각 차시별 학습내용을 표로 구성해 보았다

구분 차시 영역 주제 기능 성취도평가

건강한

교회를 위한

도움

주제

발견1

관계안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고

인정하기

시작하기 자기평가 자기이해

주제

학습

2

하나님과

의 관계

복음과 믿음으로 시작된

하나님과의 관계

정체성수

립소그룹활동

구원의

확신

3 하나님의 친밀감을 통해

애착관계 형성하기수용하기 자기평가 신앙의 성숙

4

성도와의

관계

용납과 용서 표현하기 소그룹활동

열린

공동체로의

나아감

5 갈등관리 조절하기 소그룹활동내부

갈등해결

6

세상과의

관계

의사소통 낮아지기 자기평가외부지향적

당위성부여

7대접받고 싶은 데로 먼저

대접하기대접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이웃사랑의

실천

8가족과의

관계

타인이해를 통해 가족

이해하기이해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서로의

차이를

이해

건강한 가족 속에서 관계의

완성실행하기 소그룹활동

건강한

가족공동체

주제

적용9

주제

실천10 실천 섬김과 돌봄 반복하기 실제 활동 재생산

표 3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91

4 진행상 유의점

l 학교라는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예습과제와 복습과제를 충실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동기를 부여한다

l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과 경험을 고려하여 강의자의 일방적인 흐름이 아닌 학습

자의 나눔을 통해 교육이 더욱 풍성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교육적 요소들을 잘 활용하되 성경적인 배경과 범위 안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l 각 차시마다 실천과제를 두고 적절한 확인을 통해 교육기간동안 자신 안에 일

어나는 관계의 변화를 서로가 확인해 주며 체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각 시간마다 나누어지는 간증과 나눔에 대해 철저하게 교육생 내에서만 비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강조를 반복한다

5 본시 강의의 설계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관계학교 강의가 시작되기에 앞서 참가학생들과의 개별적인 면담이나 주변 지인

을 통해 해당자의 관계에 대한 사전지식을 평가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정도로 구성되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전체 진행에서 교육의 내용을 조절하고 특별히

관심이 집중되어야 할 참가자를 구별하여 함께 기도함으로써 참가학생들에 대한 실태

분석과 강의 방법을 선정해 볼 수 있다 아래는 그 내용과 방법이다

구분 조 사 내 용 상 중 하 실태분석 및 교육방향

지식

건강한교회를 위해 요구되

어지는 것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일반 성도들과 지역사회

참가자들로 구성된 교육

생의 관계에 대한 이해

도를 파악하고 그에 적

절한 수준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내용과 깊이

의 정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한다

경험 관계에 대한 교육이나 훈

련을 받아본 적이 있는가

필요

자신의 삶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관계들의 목표는

무엇인가

92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한 주간 중 정한 요일에 서로가 약속한 시간을 통해 1차시씩 10주 단위로 시행

되는 본시 강의의 시작은 먼저 차시별 목적을 제시하고 이후 도입부에 10분정도의 찬

양 간식 간단한 레크레이션의 순서를 배치한다 어느 정도 교육생들의 집중이 이루

어지면 지난 한 주간동안의 자신의 삶을 나누면서 마음을 여는 시간을 갖는다 이후

활동 내용은 먼저 탐색하기 과정으로 동기유발과 탐구하기 시간으로서 주제에 대한

이론적 교육이 이루어진다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다과를 나눈 뒤 제시된 내용에 대

해 자신에게 어떻게 적용해 볼 것인가를 소그룹 단위로 함께 고민하며 나누는 시간을

진행한 뒤 차시별 평가의 방법으로서 진행된 강의에 대한 만족도와 자신의 삶에 어떻

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그 동안의 개념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등을 묻는 설

문 평가를 진행하고 개인 상담이 필요한 경우도 질문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마

치면서 다음 차시에 대한 예습질문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함께 주제에 적합한 찬양

을 하면서 기도하는 것으로 각 차시가 구성된다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1) 관계 안의 나

하나님께서는 창조의 과정 속에서 마지막으로 사람을 창조하실 때 아담 홀로 만

드시지 않고 하와를 만드시며 더불어 동역할 수 있도록 하셨다 이는 인간이 기본적

으로 무리를 지어 사는 존재임을 피력한 것이다 인간은 아무도 혼자 살 수는 없다

우리는 도움이 필요한 인간이다 우리 인간은 아무도 다른 사람과의 사랑과 친함이

필요 없을 정도로 강하지 못하다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어머니에게 의존한다 우리는

lsquo나rsquo이기 이전에 이미 lsquo우리rsquo인 것이다 그리하여 상당한 의존이 이루어지고 충족된 후

에 자동적으로 밖으로 탐험을 하기 시작한다 이때 우리 자신의 한계를 배워감으로

도움이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 계속되는 삶의 여정에서 성공을 하든지

독립적이 되던 간에 우리는 여전히 도움이 필요한 존재임을 알아가게 된다159) 이 차

시에서는 중심성구인 창조 때 하나님의 아담의 모습에 대한 판단을 시작으로 인간은

관계 속에 사는 존재임을 함께 나누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59) John Bradshaw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23

93

차 시 제 1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관계 안의 나 토론형식 질의답변 및 자율토론

중심성구 창세기 218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강의목표 우리는 관계 속에 살도록 창조되었음을 이해한다

강의주제 나는 다른 사람이 필요합니다 나도 다른 이들에게 필요한 존재입니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속한 직장(학교 교회) 안에서 나와 진정성 있는 관계를 찾아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현대는 혼밥 혼여 혼영과 같은 개인주의 문화가 극

도로 팽배해져 있습니다교회 안에서도 서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관계가 점

점 사라지고 있습니다하나님께서는 홀로 살아가는 것을 싫어하십니다

현대 문화에

대한 통계

PPT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롬 125 이와 같이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히 1025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더욱 그리하자

전 49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빌 24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전 412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요 1335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

l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었

습니다

l 그리스도 안에서 자꾸 모이는 것을 하나님께서 기뻐하

십니다

l 어려운 시간들이 다가올 때 혼자보다 함께 나눔으로써

그 짐을 가볍게 할 수 있습니다l 우리가 서로 사랑하고 돌보는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 땅에 보내신 사명입니다

94

(2) 복음과 믿음

이번 차시의 교육목표는 본 단계를 통해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의 복음

에 대한 믿음을 재확인하고 구원사건이 하나님과의 관계의 시작인 것에 대하여 함께

나누고 이를 통해 모든 회복된 관계의 시작이 어디에서부터여야 하는지를 규명한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차 시 제 2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복음과 믿음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구원확신에세이

중심성구로마서 815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짖느

니라

강의목표 복음과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자녀 됨의 관계가 회복되었음을 배운다

강의주제 모든 관계의 회복은 하나님과의 회복에서부터 시작된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복음제시 영상

예습적과제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이 있는지 그 순간이 언제였는지를

생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왜 우리에게 예수님이 필요한가구원받은 삶이란 어떤 삶인가우리가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

는 무엇인가

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을 다시

점검하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창 217 선악을 알게 하는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롬 310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요 316~17 독생자를 주셨으니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요 524 내 말을 듣고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구원 얻는

복음에 대해

성경말씀을

통해 다시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살면서 다른 이들의 도움이 간절히 필요했던 순간이

있습니까

주변 사람들 중에 나의 도움이 꼭 필요한 사람이 있

다면 누가 있을까요

정직성과

비유지에

대해

주지시키기

95

(3) 하나님과의 친감

믿음은 동적이며 관계적이다 현상유지가 아닌 변화를 추구하며 하나님과의 아들

됨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믿음이란 하나님의 아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매일

매일 하나님을 추구하는 삶이며 그것이 가능해졌음을 세상 앞에 말씀으로 보여주신

것을 우리는 복음이라 부른다 믿음이란 결코 일방적일 수 없으며 단독으로 사용되어

지는 종류가 아니다 믿음이란 대상과 주체를 이어주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믿

음을 지적인 앎과 고백에서 더 나아가 믿음의 대상이 되는 하나님과 회복된 영원한

관계 안에 있음을 인정하고 누리는 것이다161) 이상 Leonard Sweet의 언급처럼 하나님

과의 친감으로 더욱 나아가야 함을 이 차시를 통해 학습하게 된다

160) Sweet 관계의 영성 51161) 김영선 관계신학 55

학습

정리

얻으리라

행 1631 이르되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 하고

고전 1652 나팔소리가 나매 죽은 자들이 우리도 변화되

리라

계 225 다시 밤이 없겠고 세세토록 왕노릇하리로다

창156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

로 여기시고

l 우리 모두는 죄악으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입니

l 자기의 힘으로 죄악을 극복하거나 죽음의 굴레를 벗을

수 있는 이는 없습니다l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자로 고백할 때 우리

자신 뿐 아니라 가정 가운데에도 영생이 임하게 됩니다

l 마지막 때에 우리 모두는 신령한 몸으로 변화되어 세세

토록 예비하신 본향에서 완전한 영생의 삶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l 아브람의 믿음은 기대고 맡기며 의지하는 것을 의미한

l 기독교의 목적은 사람들이 믿음을 갖도록 하나님과 예

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회복된 관계를 갖도록 하는 것

이다160)

확인하며

혹시 미비한

부분들은

없는지

개인적으로

점검하는

시간을

갖는다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예수님을 믿고 구원의 은혜를 받은 뒤 나의 삶은 어

떻게 변했습니까서로가 자신의 구원 간증을 나누며 구원이후 하나님

과의 관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확인해봅니다

96

차 시 제 3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영적 친감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요한복음 423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이렇게 예배하는 자

들을 찾으시느니라

강의목표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의 깊은 친함 속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과 사귐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자신의 예배생활(공예배와 개인예배)을 돌아보기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을 영으로 예배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진정한 예배를 드릴 때 우리 안에 어떤 일이 일어납니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신 277 또 화목제를 드리고 거기에서 먹으며 네 하나님 여

호와 앞에서 즐거워하라

대하 71 솔로몬이 기도를 마치매 번제물과 제물을 사르고

여호와의 영광이 그 성전에 가득하니

대하 2930 히스기야 왕이 여호와를 찬송하게 하매 몸을굽혀 예배하니라

롬 325 이 예수를 화물제물로 세우셨으니눅 2219 감사기도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내 몸이

라 나를 기념하라벧전 25 너희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신령한 제사

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

l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의 관계로 나아간다

l 예배 가운데 하나님의 임재가 있다

l 예수님께서 영영한 화목제물이 되셔서 우리를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케 하신다

l 우리는 예수님을 덕입어 하나님 앞에 나아가 그분을 만

나며 더불어 사귐의 자리로 나아간다

ppt 자료

성막제사

예배에 대한

영상물

97

(4) 용납과 용서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성도들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멀리 있을 때와는 전혀

다른 상대방의 진면목을 보게 된다 그때 우리는 관계가 더욱 깊어지는 경험보다는

실망과 서로 다름에 대해 배타적인 타인과 자신의 모습을 피할 수 없다 게다가 연약

한 우리는 필수적으로 말과 행동에서 실수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다 이때 닫힌 관계

를 푸는 열쇠가 있는 데 그것은 용서이다 깨어지고 멀어진 관계를 회복하려면 용서

의 기술이 필요하다162)

용납은 공동체의 삶에 특별히 중요하다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는 부득불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이는 결국 여러 가지 면에서 너무나도 다른 상대방을 참아내야

하는 상황이 생기게 마련이다 게다가 우리에게 죄를 범하고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이들을 대할 때 용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가 하나님께 잘못한 일에 대하여

무지하거나 완악하여 인정하지 않을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용납하고 기다려 주신

다163) 이 차시에서는 성도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적극적인 실천과 상대방과 나의 다른

면 상대방이 가진 부족한 면을 받아들이는 용납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162) 김영선 관계신학 309

163)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353

l 예배가운데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며 찬송 말씀과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더 깊이 알아가며 우리의 모

습을 고백할 수 있다

탐 구

활 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하나님께 대한 예배를 통해 우리는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게 하신다

주제상황 마 524 예물을 제단 앞에 두고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자기 체험을

나누어보기

차 시 제 4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용납과 용서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토론

중심성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강의목표 용서와 용납의 차이를 이해하고 성도들 간의 관계에서 실천할 수 있다

98

164) John Bevere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204

강의주제 용납은 약함에 대한 이해이고 용서는 악함에 대한 이해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습적과제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내가 용서받은 죄의 목록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과거에 누군가로부터 크게 용서받아본 적이 있는가

내게 잘못한 것이 명백함에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상

대방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

용납과

용서를

주제로 한

찬양활용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마 1820~35 두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몇 번이나 용

서하여 주리이까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형제를 용서

하지 아니하면잠 1911 노하기를 더디 하는 것이 사람의 슬기요 허물을

용서하는 것이 자기의 영광이니라

엡 432 서로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그리스도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

고후 111 원하건대 너희는 나의 좀 어리석은 것을 용납하

라 청하건대 나를 용납하라

l 하나님께서 주신 용서를 경험한 우리는 타인을 용서할

수 있어야 한다l 두세 사람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일 때 그 가운데 예수

님께서 함께 해주시겠다는 말씀 뒤에 나오는 일만 달란

트 빚진 자의 비유는 우리에게 성도간의 용서에 대한 중

요한 메시지를 주고 있습니다164)

l 상대방의 허물을 용서하는 것은 자신을 위한 일이기도

합니다l 서로의 연약함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용납하는 것은 공동

체를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일만 달란트

빚진 자와

일백

데나리온

빚진 자의

스토리를

역할극으로

구성해보기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용납과 용서는 어떻게 다릅니까

자신을 세 번이나 부정한 베드로를 예수님께서 대하셨던

모습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있나요

소그룹별로

나누기

99

(5) 갈등관리

이 차시에서는 관계 속에서 원하시는 하나님의 의도를 성경을 통해 살펴보고 그

럼에도 늘 끊임없이 생겨나던 성경 속의 갈등 문제를 어떻게 다루셨는지를 함께 공부

하면서 참가학생들 안에 있는 갈등의 문제를 다루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 시 5차시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식 배열

단 원 갈등관리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토의

중심성구 마태복음 59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강의목표교회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상황을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을 통해 공동체의 견고한 연합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갈등은 더욱 깊은 관계로의 디딤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교회생활에서 가장 어려운 순간은 언제인지에 대해 고민해보기

과정

(시간)

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시편 3412~14 잠 171 마522~24을 통해서 볼 때 화

평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많은 갈등상황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민202~13 막 933~34 약41~2 행151~35

갈등은 왜 일어납니까

성경본문 들

에 대한 ppt

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다툼과 갈등이 일어나면 당신은 어떻게 반응합니까

l 모세는 (민 202~13)

l 예수님께서는 어떻게 하셨습니까 (막 933)

l 야고보사도는 (약 41~2)

l 초대교회에서는 (행 151~35)

사도행전 1536~41

초대교회에는 많은 갈등이 있었지만 그 속에서도 순기능이

나타나서 오히려 복음의 확대가 있었습니다

l 갈등에 대해 공부하고 훈련하십시오

l 갈등을 피하지 말고 긍정적으로 여기십시오

ppt자료

중간 중간 각

개인의 의견

도 들어보기

100

(6) 의사소통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성경이 성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의

핵심이다 그런 면에서 성도는 이웃사랑에 대한 피할 수 없는 도전 앞에 서 있다 성

도들이 맺고 있는 모든 관계는 의사소통을 통해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의사소통이 부재하면 관계가 깨지며 관계가 계속해서 발전하려면 의사소통을 충분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의사소통은 쉽지 않다 의사소통은 과학이 아니라 예술에

가깝다 관계에 있어서 건강한 의사소통은 기계적이고 직접적이기 보다는 의미의 섬

세한 묘사와 차이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65) 그렇기 때문에 성도가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에 그 모든 관계에 있어서 신뢰라는 기초 위에 세워져야 하며 마음

이 담겨 있어야 하고 또한 정직해야 한다 위와 같이 세상과의 건강한 관계를 세워

가는데 있어서 신뢰의 기반이 되는 의사소통 문제를 이번 차시에서 다루게 된다

165) Tom Holladay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150

차 시 제 6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의사소통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나눔

중심성구 잠언 1820 사람은 입에서 나오는 열매로 말미암아

강의목표 의사소통에 있어서 개방적이고 명확하며 세한 방법들을 학습한다

학습

정리

l 갈등을 기회로 승화시키고 관리하십시오

l 그리스도를 본받고 본을 보이십시오

l 도저히 해결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떠나는 것도 지

혜입니다

토의

상호

피드

소그

룹별

토의

실습

소그룹별로 한 주제상황을 설정 후에 서로 자유로운 토의

를 거친 후 전체발표를 통해 다른 소그룹의 피드백을 확인

해봅니다

주제상황 1 행 61~7 헬라파 유대인들의 불평

주제상황 2 몬 111~18 빌레몬과 오네시모의 갈등

소그룹리더의

적절한

토의진행에

유의

101

강의주제 지혜로운 의사소통은 관계와 전도의 핵심요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개인체험간증

예습적과제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타인의 견해를 들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질문

가까운 누군가와 제대로 된 대화를 나누어본 것이 최근

언제인가

우리의 언어생활이 늘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는 무엇이

라고 여기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마 537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

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

을 알리라

약 119 너희가 알지니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

기는 더디하며잠 1727 말을 아끼는 자는 지식이 있고

l 의사소통의 기본은 거짓을 피하고 정직함을 타협하지

않는 것이다l 때론 침묵보다 뭔가 시도하는 것이 지혜이다

l 말하기보다 잘 듣는 경청의 태도가 필수적이다

l 누군가와의 의사소통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이다

탐구

활동

정리

의견

나눔

통해

정리

하기

예수님께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신 적절한 방법

들의 예를 성경에서 찾아보자

질문 ldquo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rdquo 비유 ldquo천국 씨뿌리기rdquo 만져주심

102

(7) 먼저 대접하기

황금률은 사랑의 진정한 본질을 보여주는 공용 언어이다 사랑은 다른 사람에게

받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냥 주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것은 앎과 행동 사이가 쉽

지 않으나 우리의 불완전함 때문에 포기할 수 없는 세상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우리의

모습이다166) 세상에 대해 우리의 필요를 채우려는 마음을 뒤로 두고 먼저 세상의 필

요를 채워주는 이들이 많아진다면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차시

에서는 교회가 어떻게 세상의 필요를 채워주고 더 가까워질 수 있는지를 배워나갈 것

이다 그 시작은 마태복음 7장 12절 말씀인 황금률에서부터 비롯한다 그 대략적인 내

용에 대해 다룰 이 차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66) Tom Holladay 양영선 역 사랑으로 가꾸는 삶 315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먼저 대접하기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누가복음 631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강의목표 이웃사랑의 실천은 적극적으로 다가가서 먼저 대접하는 삶임을 배운다

강의주제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은 대접하고 섬기는 모습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시영상

예습적과제 이웃에게 먼저 다가가서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기를 시도해 본다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복음을 전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가요

이웃과의 관계를 이끌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규칙은

무엇일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롬 58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우리를 위하여 죽

으심으로눅 635 오직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고 선대하며요 1315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103

(8) 타인이해

이번 차시에서는 타인을 이해하기 위한 성경적인 시도로서 lsquo긍휼rsquo에 대한 내용을

제시해 보려한다 그동안 살아온 삶의 히스토리가 전혀 다른 존재를 이해한다는 것은

제한된 지혜안에 있는 성도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에 앞서 성도들을 향해 세상

을 향해 하나님의 한결같은 마음이신 긍휼함을 품는 다면 타인이해에 한 발짝 더 나

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간략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타인이해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유다서 12 긍휼과 평강과 사랑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 지어다

강의목표 이웃을 이해하고 그들을 사랑할 수 있는 존재로 나를 지으셨음을 안다

강의주제타인을 받아들일 수 없는 우리가 이해하는 길은 그들을 긍휼히

여김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학습

정리

마 540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까지도 가지게

하며

요일 418 사랑 안에 두려움이 없고 온전한 사랑이 두려움

을 내쫓나니

l 우리는 자격이 없을 때 사랑을 받았음을 기억해야합니

l 희생적인 사랑으로 세상에 그 모습을 내보여야 한다

l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 우리는 예수님의 모범을 기억해

야 합니다

l 소유보다 사람에게 더 높은 가치를 두는 것이 이웃사랑

이다

l 세상을 향한 우리의 태도는 빚진 자로서의 섬김입니다

탐구

활동

정리

토론

나눔

으로

정리

하기

오늘 내가 먼저 필요를 채워 주어야 할 대상이 있다

면 누구일까요

내가 아니면 그 사람에게 도움을 베풀 수 없는 이웃

이 옆에 없는지 찾아봅시다

104

(9) 건강한 가족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한 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가장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 대해 백문백답을 만들어서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나와 생각이 다른 이들을 나는 어떻게 대하고 있는

가정 직장 학교 교회에서 나는 왜 타인을 수용해야

하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출 3319 은혜 베풀 자에게 은혜를 베풀고 긍휼히 여길

자에게 긍휼을 베푸느니라

잠 1012 미움은 다툼을 일으켜도 사랑은 모든 허물을 가

리느니라

잠 1429 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크게 명철하여도 마음

이 조급한 자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느니라

잠 1917 가난한 자를 불쌍히 여기는 것은 그의 선행을

그에게 갚아주시리라

행 436일컬어 바나바라(번역하면 위로의 아들이라)하니사 423 상한 갈대를 꺽지 아니하며눅 2251예수께서그 귀를 만져 낫게 하시더라

요일 47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l 하나님께서는 아무 자격이 없는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

셨다

l 타인을 향한 하나님의 명령은 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l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만져주심으로 이해하셨다

l 이해보다는 사랑이 먼저이다

l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긍휼이 필요한 존재이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가족들이 서로를 사랑하면서도 자꾸만 다툼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나를 통해 속한 공동체가 서로를 이해하

는 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105

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건강한 가족은 결국 건강한 가족관계에서 출발한다 이

차시에서는 성경에서 말씀하는 동등성을 기반으로 한 부부관계에 대해서 배우게 된

다 사실 부부관계훈련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이 과정만을 따로 떼어서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포괄적으로 다

루기 때문에 깊이 있는 학습보다는 넓게 다루되 심화과정을 따로 개설하는 것이 효과

적일 것이다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 이어서 다루게 된다

차 시 제 9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건강한 가정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나눔

중심성구잠언 171 마른 떡 한 조각만 있고도 화목한 것이 제육이 집에 가득하고도

다투는 것보다 나으니라

강의목표 가족 구성원의 상호헌신을 통해 건강한 가정을 이루어감을 안다

강의주제 건강한 가정을 이루는 것은 성경적인 인간관계를 세우는 주춧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성경 속에 나타난 가족들의 특징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자기가 속한 가정의 모습에 아쉬운 부분은 없나요

나는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미 76 아들이 아버지를 멸시하며 사람의 원수가 곧 자기

의 집안 사람이리로다

엡 521 그리스도를 경외함을 피차 복종하라

잠 1822 아내를 얻는 자는 복을 얻고 여호와께 은총을 받

는 자니라

엡 533 그러나 너희도 각각 자기의 아내 사랑하기를 자신

같이 하고 아내도 자기 남편을 존경하라

잠 1632 노하기를 더디하는 자는 용사보다 낫고 자기의 마

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나으니라

잠 2325 네 부모를 즐겁게 하며 너를 낳은 어미를 기쁘게

106

(10) 섬김과 돌봄

10주간의 관계학교를 마무리하면서 이번 차시에서는 성도들의 사명적 과제인 세상

을 섬기는 삶에 대해 다루려 한다 모든 관계의 문제는 결국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

서 모범을 보이신 것처럼 섬김의 삶에서 종결된다 성도들 또한 모든 관계라는 상황

가운데 섬기는 자로 부름 받았음을 도전함으로써 모든 차시를 마무리 지으려 한다

학습

정리

하라

잠 243 집은 지혜로 말미암아 건축되고 명철로 말미암아

견고하게 되며

l 가정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작은 하나님 나라이다l 말세의 때에 가정을 향한 영적인 공격이 극에 달하고

있다l 가정의 건강성은 가족들 개개인 모두가 자기 역량에 따

른 헌신을 감당해내는가를 통해 결정된다l 너무 쉽게 분노와 다툼에 자신을 내어주는 모습을 돌아

보아야 한다l 가족을 위한 지혜는 하나님께로부터 나온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우리 가정은 함께 예배하는 시간이 있는가

우리 가족은 서로에 대한 헌신의 정도가 어떠한가

차 시 제 10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섬김과 돌봄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사명에세이 작성

중심성구빌 22~4 마음을 같이하여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강의목표 우리는 하나님 세상 성도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기는 사람임을 안다

107

강의주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관계는 주께 하듯 섬기는 관계이다

관계요소

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섬기는 분으로 이 땅의 삶을 사셨던 예수님을 묵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 세상 성도와의 관계에서 어떨 때 가장 평안

한 마음이 들던가요

주께 하듯 섬긴다는 말은 어떤 뜻인가요

강사 자신의

체험을

나눠보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벧전 38 형제를 사랑하며 불쌍히 여기며 겸손하며롬 1216 서로 마음을 같이하며 도리어 낮은 데 처하며잠 1717 형제는 위급한 때를 위하여 났느니라

고전 135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롬 152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빌 127 오직 너희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

라골 323 무슨 일을 하든지 주께 하듯 하고엡 67 기쁜 마음으로 섬기기를 주께 하듯 하고 사람들에게

하듯 하지 말라

l 형제를 불쌍히 여길 때 그를 사랑할 수 있습니다l 우리의 마음을 겸손히 할 때 섬길 수 있습니다l 어려운 상황에 있는 이웃을 더욱 돌보아야 합니다l 우리는 서로를 섬기도록 지음 받았습니다l 주께 하듯 형제를 사랑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l 건강한 관계는 나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상대방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길 때 성취할 수 있습니다

말씀 본문

PPT영상준비

각각의

소주제에서

강사의

전달보다

학생들의

반응에 더

집중하기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관계 속에서 가장 힘든 때는 언제 인가요혹시 내 안에 아직도 이기적인 편견에 빠져있지 않을

까요오늘 내가 섬기도록 내 곁에 두신 사람은 누구인가

정직과

비유지에

대한

사전교육

108

이상으로 10주간의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내용의 개요를 제시해보았다 세부적인

내용은 교회마다 특성과 여건이 다르기에 그 상황에 맞추어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본

다 관계학교라고는 하지만 바쁜 현대를 살아가는 성도들의 모습을 감안하여 하나님

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10차시 정도로만

요약해 보았다 개별적으로 좀 더 깊은 내용은 추후 교회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진행

하면 되리라 여기며 여기까지 해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대략적인 개요 내용을 정리

하고자 한다

109

제 6 장

결 론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에서 한국교회는 시대적응에 실패한 모양새이다 이러한 현상

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들 중 하나는 기존 교회

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

의 외적인 요소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

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현실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의 유일한 소망이다 여타 다른

나라의 기독교 발전과 달리 한국 기독교는 짧은 순간에 급속한 수적 성장을 이루었는

데 급격한 변화에는 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처럼 한국 개신교 내부에서 교회를 이루

는 구성원으로서 각 개인 간의 거리가 너무 긴해지고 말았으며 이는 상대방을 충분

히 수용하고 이해하기에 중간에 필수적이었던 시간들을 생략하고 만다 결국 이는 교

회 내부에서 관계의 문제로 불거져 나오게 된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여전히 한국교

회는 양적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성을 확인하려 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시작된 이 논문은 지금까지 포스트모더니티와 모더니티의 사

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시작으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주장하는 4가지 이론들

을 살펴보았다 그 속에서 Anderson과 Macchia의 주장에서 발견된 관계적 특성을 교회

의 건강성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이를 위한 이론적 뒷받침으로 관계신

학을 살펴보았다 관계중심의 사역을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주장

하면서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이루어지는 관계훈련의 사례를 찾아보았는데 여기에

110

서 발견된 특징은 사후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중심 상담기법이 주로 사용되어짐을 발

견하면서 필자는 성경을 중심으로 하면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공부하는 것

을 통해 전도의 기회로도 활용 가능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안해보는 것으

로 본 논문을 진행해왔다

제한된 지면에 방대한 주제를 연구하다보니 아무래도 각 내용들이 심도 깊게 연

구되지 못하고 단지 관계학교라는 10차시의 과정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가벼이 지

나갈 수밖에 없었던 한계가 있음을 인정한다 또한 포스트모던이든 교회건강이론이든

관계신학이든 그 안에 담긴 내용은 훨씬 다양하고 여러 가지 한계에 대한 나름의 보

완책을 가지고 있지만 양적성장을 통해 건강한교회를 구분 지으려는 현 세태에 대한

비판을 강조하려 하다 보니 그러한 보완점을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다

제 2 절 제언

미래의 교회는 그동안 집중하던 사역지향의 틀을 넘어서 관계에 기초를 두는 공

동체로 세워져야 할 것인데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평가를 받으며 서로를 자랑

하며 서로의 성공을 축하해 주며 서로의 문제해결을 도와주며 서로를 칭찬해 주며

서로를 높여 주는 관계성의 개발을 그 공동체의 핵심가치와 목표로 하는 교회를 세우

는 목회가 이 시대에 절실하다 교회마다 그동안 성장과정에서 소홀히 되었던 부분으

로 인한 성장 통을 앓고 있고 거기에 최상위 리더십이 교체되는 시점에 그 문제는 불

거져 나와 결국은 분립의 길을 선택한 많은 교회의 예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고 세상을 아우르며 자신의 존재의미와 본질에 충실한 건강한교

회는 하나님과도 성도들과도 이웃과도 건강한 교회여야 할 것을 주장하며 이 논문을

마치려 한다

111

참고 문헌

1 국내 서적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김점옥 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신국원 문화이야기 서울 IVP 2002

______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최애경 인간관계의 이해와 실천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06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 2008년 1월호(통권

제589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112

2 번역 서적

Augustine(Saint) 성아우구스티누스 삼위일체론 김종흡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Bevere John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Bonhoeffer Dietrich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Bradshaw John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Calvin Joh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Clair Michael St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Clowney Edmund P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George Carl F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Gibbs Eddie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Hiebert Paul G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사람 2010

Holladay Tom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Kun Hans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Long Jimmy 소그룹리더핸드북 IVF자료 개발부 편역 서울 IVP 1996

Newbigin Lesslie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Richardson Ronald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_______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Robinson Dave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Schwarz Christian A 자연적 교회성장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2001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윤수인 역 서울 NCD 201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Stott John R W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113

Sweet Leonard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_______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Walsh Brian and Middleton J Richard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 외국 서적

Anderson Leith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15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92

_______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Grenz Stanley J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Guinnes O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Gunton Colin E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Klemm David Hermeneutical Inquiry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David Klemm

ed Atlanta Scholars Press 1986

Macchia Stephen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_______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Smith James K A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Wagner C Pet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_______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14

4 웹사이트

httpwwwwhointaboutmissionen세계보건기구헌장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groups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httprelationshipschoolcom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fn1-11529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115

Vita ofSeongBaek Park

Present PositionSenior Pastor of Grace-Truth Chruch in GwangJu South Korea

Personal Data

Birthdate 01201972Marital Status MarriedHome Address 12 SangmuDaero 263 GwangsanGu GwangJuPhones +82-10-2587-5579Denomination PresbyterianOrdained 10072008

Education

B A 2001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in PhysicsM Div eq 2007 Gwangshin Theological SeminaryTh M 2009 Gwangshin UniversityDMin 201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 Recommended Citation
      • vartmpStampPDFG81n_kR6vhtmp1568331363pdfQYYRp
Page 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MINISTRY FOCUS PAPER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MINISTRY

BY

SEONGBAEK PARK

FEBRUARY 2019

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DEVELOPING CHURCH HEALTH IN THE

CONTEXT OF

THE POSTMODERN KOREAN CHURCH

이 논문을 풀러 신학교목회학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지도 주 종 훈 박사

박 성 백

2019년 2월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ii

Abstract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Developing Church Health

in the Context of the Postmodern Korean ChurchSeongBaek Park

Doctor of Ministry2019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This paper argues for assessing church health on the basis of

relationshipsmdasha structural foundation of the churchmdashin contrast to a theory that

bases the health of a church on numerical growth even when viewing the church

as an organism The use of growing churches as the standard of church growth

scholars including natural church growth theorists cannot encompass the differing

situations of ministries and individual churches Various church reformation

movements point to the burden of proving church health in a saturated market of

an aging population as impoverishing church infrastructure Consequently the

current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requires churches to overcome the bias that

thinks a church that does not grow is not a healthy church Moreover postmodern

society pursues relativity and plurality which isolates individuals who ultimately

desire meaningful relationships This paper thus argues for the Korean church to

actively develop relationship schools that strengthen healthy relationships thereby

improving church health

Chapter 1 identifies the problem of church health in the Korean church

and chapter 2 describes qualities of a postmodern society and its beginnings in

modernity Chapter 3 then establishes relationship theology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aper and its argument In chapter 4 various church health theories

iii

centered on relationships are compared This examination of theories of existing

church health scholars leads to this projectrsquos theoretical basis of relationship

theology constructed on the thinking of two specific scholars

Cases of relationship recovery programs and characteristics of such

programs tried by the Korean Church are surveyed in chapter 5 The chapter goes

on to emphasize the need for a biblical relationship training program and then to

construct 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improving church health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by proposing a 10-lesson program for biblical relationship

development Chapter 6 concludes the paper ultimately arguing that relational

health as a core value of the church enabled by member training from a

perspective of relationship theology must be a new standard for measuring church

health Effectively running such a relationship school focused on relationships with

God the world and believers can improve church health via improved

relationships

Theological Mentors Jong Hun Joo PhD

Yea Sun E Kim DSocSci

Euiwan Cho PhD

iv

헌 사

이 논문을 아들을 위해 불철주야 기도로 지원해주신 어머님과 사랑하는 아내 그

리고 하나님께서 주신 최고의 선물인 예은 다윗 정은에게 바칩니다

v

감사의 글

오늘 이 날에 이르기까지 늦은 나이에 목회학박사 과정을 위한 도미를 허락해주

시고 이후에 귀국해서 멈출 수도 있었을 논문과정을 끝까지 마치게 인도해주신 하나

님께 먼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신약성경에 대한 탁월한 통찰을 통해 세속화되

어 가는 교회를 향한 안타까움 가득한 외침으로 깨어있는 목회자의 길을 몸소 보여주

신 김세윤 교수님 외롭고 어려운 유학 시절동안 부족한 목회자가 자신을 가두던 껍

질을 깨고 세상 앞에 당당히 설 수 있도록 보석 같은 개인상담의 시간을 통해 목회적

인 사고의 지평을 넓혀주신 엄예선 교수님 먼 나라를 오가며 분주한 사역 중에도 부

족한 목사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격려와 채찍으로 논문을 마치기까지 세심하게 지

도해 주신 주종훈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여러 가지로 모자라기 만한 아들을 귀히 여겨 주시고 항상 후원해 주신 어머니

와 힘들 때마다 따뜻한 위로자와 상담자가 되어준 사랑하는 아내와 내가 이 땅에서

감당해야할 첫 번째 사명이자 다른 모든 사역을 위한 발걸음에 힘을 더해주던 세 아

이들에게도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그 동안 많은 기도와 도움을 주신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많고 많은 교회

속에 개척이라는 길을 여시고 맡겨주신 은혜와진리교회가 관계라는 교회 존재의 기초

위에 더욱 건강한 교회로 자라나 많은 열매를 맺어낼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더욱 열심

히 헌신하겠습니다

2019년 2월 박 성 백

vi

목 차

제 1 장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1 해체주의 인간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2 상대주의 진리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다원주의 종교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4 극단적 개인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과학기술의 발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 자본주의경제의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4 모더니티의 위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vii

2 교회와 코이노니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1 하나님의 백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2 그리스도의 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3 성령의 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1 관계중심의 리더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4 가정 중심의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2 은사 중심적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3 열정적 영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4 기능적 조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9

5 영감 있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6 전인적 소그룹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7 필요 중심적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8 사랑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1 긍정적인 목회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viii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5 동질집단의 원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6 효과적인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7 성경적인 우선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2 제자 삼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3 영적은사의 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맺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절 Stephen A Macchia의 교회건강이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영적인 제자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다 교회들의 연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ix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1 온누리교회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2 뉴욕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3 웹기반의 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가 온라인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1 프로그램의 동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2 프로그램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x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3 프로그램 시행준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나 소그룹 리더교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1 교육과정편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2 성취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3 차시별 강의계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4 진행상 유의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5 본시 강의의 설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1) 관계 안의 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2) 복음과 믿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3) 하나님과의 친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4) 용납과 용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5) 갈등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6) 의사소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7) 먼저 대접하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8) 타인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

(9) 건강한 가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

(10) 섬김과 돌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

제 6 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2 절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

xi

참고 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1

Vit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xii

표 목 차

lt표 1gt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lt표 2gt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lt표 3gt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1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980~90년대를 지나면서 한국교회는 기록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어내었다 1910년

에만 하여도 한국 전체인구의 단지 1에 불과했던 개신교 인구는 고도 성장기를 거

치면서 전체 5천만 인구의 거의 20에 달하는 성장을 이루었고 수많은 대형교회들이

생겨났으며 바야흐로 한국 개신교의 전성기라 불리기에 충분한 시대였다 그러나 21

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 개신교는 정체되기 시작하였고 게다가 사회적으로 많은 비판

을 받게 되었으며 반기독교진영의 공격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그중 중요한 원인 하나는 기존 교회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의 외적인 요소

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

의 유일한 소망이다 산업화로 인하여 풍요해진 것처럼 보이는 세상의 이면에는 온갖

공해물질로 범벅된 자연환경의 오염과 이로 인해 야기된 각종 질병으로 인간의 육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를 비롯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되어가고 있

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질병과 가족들의 육신의 질고로 말미암아 건강에 대해 갈

수록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이 건강이라는 용어의 사용도 단순하게 인

간의 육신에 대한 표현에서 벗어나 정신의학의 영역 사회과학적인 영역 영적인 영역

에까지 그 사용 폭이 넓어져 가고 있으며 이는 결국 교회의 건강이라는 표현에까지

2

이르게 된다 이처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결국 그만큼 각종 분

야에서 많은 질병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만큼 각종 질병으로부터의 치료가 중요시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건강의 의미에 대하여 직관적으로는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

하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정의하면 소극적인 의미인 질병이 없음을 넘어서 각 개체가

가진 본연의 목적을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감당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

인 개념1)이다 이것을 교회공동체와 관련하여 다시 진술한다면 건강한교회란 교회 내

부의 질병이나 연약한 부분이 없이 모든 지체들이 물리적 관계적으로 온전한 상태에

있으면서 사회적으로 감당해야할 책무로서의 소금과 빛 됨의 역할을 다하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작금에 와서 교회의 건강은 늘 교회의 성장이라는 열매와 결부

시켜 표현되고 있다 교회의 건강지수를 조사하는 대부분의 기준들이 교회가 양적으

로 성장하고 있는가라는 결과를 통해서 판단되어 왔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수적

성장하지 않는 교회는 건강하지 않고 병들어있는 교회로 치부되고 마는 것이다

한국경제가 한창 발전을 하던 과정에서 사람들은 수적 양적인 요소들을 판단의

근거로서 최선이라 여길 수 있었지만 이러한 세속적 세계관이 교회 내에도 여과 없이

반영되어 교회조차도 숫자를 판단의 주된 요인으로 삼는 오류를 범하게 된 것이다

왜 사람들은 숫자를 통해 진리를 판단하려 드는 것인가 이는 다른 요인들과 달리 가

시적이며 객관적인 근거로의 활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기에 계산하는 것

이 쉽지 않을지라도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건강의 진정한 본질적 요소들

에 집중해야만 할 필요가 있다

lsquo교회 성장rsquo과 함께 lsquo교회건강rsquo을 강조하게 된 데에는 전통적인 교회성장에 대한

생각들이 지나치게 기계적인 수적 성장을 강조하는 것에 반기를 든 모양새이다2) 그

러나 이렇게 등장한 lsquo교회건강rsquo에 대한 이론들조차도 결국은 lsquo성장하면 건강하다rsquo라는

개념과 같이 숫자의 함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lsquo건강하면 성장한다rsquo라는 논리로 확대

적용되어 교회의 건강이 마치 양적 성장을 위한 기본 전제이어야 하는 것처럼 받아들

여지게 되었다 즉 교회의 건강성을 수적 성장의 여부로 판단하게 되어버린 것이다

특별히 한국교회에서 많이 활용되어 온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자연적교회성장

1) 세계보건기구헌장 참조 httpwwwwhointaboutmissionen2) 김점옥 차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7

3

(Natural Church Development)이론은 질적 요소의 충족을 통한 건강은 양적성장으로 결

론지어진다는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시하며 양적성장과 교회건강에 대한 연결을 오히

려 더 정당화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적 현실에 대하여 필자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자인 Schwarz와 교

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과소평가

된 교회의 본질적 요소인 lsquo관계rsquo를 교회건강의 새로운 기준으로 주장하고자 한다 건

강은 결코 성장만으로 판단되어서는 타당하지 않다 현대 교회에 만연한 성장주의는

결국 교회 내부 건강의 부실함을 야기하였고 각종 폐단 및 후유증의 주된 원인이 되

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관계가 성경적이고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관계

성으로 볼 수 있는가 그것은 삼위일체의 교제를 칭하는 개념인 페리코레시스에 바탕

을 둔 공동체적 관계성이다 그 관계를 원리로 해서 하나님 성도 세상 사이 관계의

균형을 추구하는 모습이 필요하고 이렇게 세워진 관계신학적 이론을 적용하는 lsquo관계

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교회건강개선rsquo이라는 논제를 가지고 필자의 주장을 정리해 나

가려 한다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위와 같은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시작된 교회건강성에 대한 논문을 위해 필자는

먼저 숫자중심 성장주의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근대 모더니즘과 관계지향적 특성

을 가진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살펴본 후 NCD

의 이론과 다른 북미지역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서적들을 대상으로 기존 이론의 약점

들을 드러내고 더불어 다른 교회건강 학자들의 이론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연구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계신학이라는 아직은 생소한 신학분야의 이론적 기반을 마

련한 후에 각 교회나 단체에서 행해지는 관계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를 연구할 것

이다 그러고 나서 교회건강을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이라는 대안을 마

련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따라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현대 한국교회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는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먼저 현대 한국교

4

회의 배경연구로서는 모던시대의 특징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을 바탕으로 모던과

포스트모던이 교차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며 그러한 한국교회 상황

에서 현재 주로 인용되어왔던 Christian Schwarz를 통해 세워진 NCD의 교회 건강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과 교회 건강에 대한 다른 견해들인 피터 와그너(Peter Wagner)

리스 앤더슨(Leith Anderson)3) 스티븐 마치아(Stephen Macchia)4)의 이론들을 살펴본 뒤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서 그동안 성장주의 영향 아래 한국교회에서 배제되어왔던 부분

에 관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교회의 핵심특성인 공동체적 본질로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사역이 교회 건강성의 새로운 기준임을 제시해보려 하고 이론적인 기

반으로서 관계신학이라는 개념을 정리해 본 뒤 이를 실제 목회 현장에 적용할 수 있

는 lsquo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rsquo까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범위 안에서 연구를 진행하

고자 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문제제기와 목적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어 연구

의 방법 및 범위를 서술한다

제2장에서는 모던과 포스트모던 두 시대 사이에서 양쪽 모두의 영향 아래 있기

에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두 가지 특성 모두를 가지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

과 영향을 배경연구로서 활용해 보려 한다

제3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연구를 위해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개념을 근거로

관계신학적 관점으로 교회의 본질을 연구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한국교회에 영향을 주고 있고 교회성장운동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

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와 주장을 정리하고 교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연구를 살펴보고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성장을 논하던 기존 이론과 달리 하나님

3) NAE(국제복음주의연합)의 의장을 역임하였고 Minnesota에 있는 Woodale Church에서 35년동안 사역하다 지난 6월 은퇴하였으며 Fuller Theological Semianr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강의를

하고 있으며 Dying for Change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Winning the Values War의 저자이

다4) 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Vision New England(The Evangelistic Association of New England)의 의장을 역임

하였으며 Becoming a Healthy Church 외 다수의 저작물이 있는 지역교회와 선교단체를 위해

국제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역자이다

5

성도 세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교회건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Macchia와 Anderson

의 이론을 연구 정리하면서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들을 비교하여 기존 이론 가운데

에도 관계지향적인 요소들이 이미 자리하고 있었음을 더불어 밝혀보려 한다

제5장에서는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행해지던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로서 국내

온누리교회 미국의 뉴욕관계학교 웹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스웨덴의 온라인 관계학

교의 경우를 조사하여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를 찾아보고 그동안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경을 중심으로 하여 10차시 과정으로 구성된 관계학교 전체과정의 개요를 제안하려

한다

제6장에서는 연구에 따른 최종적인 결론으로 논문 전체에 대한 요약과 결론 그

리고 그에 따른 적용 및 다른 연구자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어

보려 한다

6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양적성장에 치중하던 한국교회가 질적성장이라는 관점에서 건강한교회를 지향하

게 된 일은 분명 긍정적인 현상임에도 이마저도 또 하나의 교회성장운동으로 변질되

어가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살펴보기 전에 그에 대한 환경적 배경을 제공하게 된 이

시대의 전체적인 문화와 사고의 큰 흐름으로서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더불어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그 모태라고 할 수 있는 모더니티

사회의 현상과 특징들을 비교하여 논함으로서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을 좀 더 이해

할 수 있고 그 영향들이 교회 안에 어떻게 작용하게 되었는지를 알아가 보고자 한다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인류는 과학산업기술의 발전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이성을 긍정적으로만 맹신하

게 된 것이 모더니티 근대주의의 발로이다 이를 통해 계몽주의 경험주의 유토피아

적 이상향에 젖어 중세 신앙을 거부하게 되면서 인간 이성의 자유를 구가하던 시대인

모더니티 사회는 결국 이성의 과신에 대한 수많은 부작용과 또 하나의 공허한 신앙을

선택하게 된 결과로 이어진다 포스트모더니티로의 진입은 이러한 모더니티를 비판하

면서 해체하는 것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가고자 하는 시도였다 그러므로 포스트

모더니티는 모더니티의 사상적 기반을 떠나서는 정확한 이해가 불가하다 포스트모더

니즘의 시작은 일차세계대전 이후 그동안 팽배해 왔던 근대주의적 유토피아 이상에

대한 환멸과 비판을 기초로 하였다 또한 과학의 한계에 대한 의식과 자원고갈 인구

와 환경문제라는 위기의식을 기반으로 문명 전체의 불분명한 미래상에 대한 불안을

뿌리로 하게 된다 이는 그동안 근대문명을 지배해온 모더니즘의 주된 사고체계인 계

7

몽주의사상과 과학주의적 세계관의 문제의식에서부터 기인하였다는 의미이다5) 이처

럼 모더니티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사상적 특징들을 먼

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해체주의 인간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의 사상적 발단을 제공한 이는 프리드리

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이다 니체는 기독교적 가치의 무의미를 선포하

였고 진리의 체계를 주장하는 모든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사상을 주장하는데 형이상학

을 부정하는 근거는 모든 형이상학이 자신이 전제한 가정에서부터 출발하고 있기 때

문이라는 것이다 니체의 허무주의적 주장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

을 형성하였다 니체에게 있어서 우리 자신과 세계에 대해 유일하게 참된 진리는 만

물이 지닌 억제할 수 없는 lsquo힘에의 의지rsquo와 lsquo통제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rsquo뿐이라는

것이다 lsquo지식rsquo과 lsquo진리rsquo는 단지 효과적인 도구일 뿐이지 초월적 실체가 아니며 인간

이 고안한 개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것들은 항상 인간의 이익이나

목적에 공헌하기 때문에 결코 lsquo객관적rsquo일 수 없다는 주장이 포스트모더니티의 특징으

로서 니체로부터 시작된 해체주의의 주된 사상이다6) 이러한 해체주의는 또한 허무주

의로 연결되어 결국 인간 본연의 가치상실과 존재에 대한 회의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더 이상 개인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존재가치가 전과 같이 존중받지 못할 위기에 처하

게 되었다는 것은 베이비부머시대의 인구폭발과 맞물려 인간의 가치상실이라는 결과

를 낳게 된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에 저항해야 할 한국교회는 오히려 한 영혼 한 영

혼의 가치를 소홀히 함으로써 세상을 닮아가는 형국이 되었고 결과를 중심으로 한 교

회건강 이론을 비판 없이 도입하였다

2 상대주의 진리관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대주의는 세계를 역사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보편

적 원리나 통일성이 없는 파편더미로 보는 가치체계이다 공통적 가치와 기준이 없으

5) David Klemm Hermeneutical Inquiry Volume 1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Atlanta Scholars Press 1986) 196) Dave Robinson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21-22

8

며 진리에 상대적 국면이 있음을 인정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신적권위라든지 이성적

법칙이라든지 절대성을 표방하는 것 자체를 모두 배격하기에 이르게 된다 상대주의

의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포스트 모던적 상대주의는 상대성 자체를 궁극적인 것으로

절대시하고 규범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대주의에서는 lsquo절대rsquo나 lsquo절대적rsquo이란 존재할

수 없다 진리라는 주장들은 지역적 역사적 요인들이 만들어낸 상대성을 지니기 때문

에 그 어떤 것도 절대적 진리라고 판단할 수 있는 초문화적인 기준은 존재할 수 없

다7)

절대적 진리의 존재가 인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사회나 문화의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거대담론이 사라지게 됨으로 공동의 lsquo너와 내rsquo가 이루어낸 공동체성은 찾기

힘들고 파편화된 개인만 남아 외롭게 존재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또 이런 상대주의

는 가치와 도덕을 무너뜨려 극단적 실용주의를 만들어낸다 또 신앙이나 이성에 의해

규제되던 감성 관능 탐욕 등의 폭발적 해방을 이미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상대주의

의 만연은 결국 아무것도 절대적인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극단을 낳음으로써 자체적인

모순에 빠지게 됨으로 해체주의와 연결되어 인간의 존재가치를 상실하고 회의를 불러

일으키고 결국 이는 쾌락을 진리의 기준으로 삼아 단지 lsquo즐거운 것이 좋은 것rsquo이라는

사고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도 종국에는 극단적 고독과 소외를 낳음으

로써 인간 내부에 잠재해 있던 공동체에 대한 갈망을 원하게 된다8)

그러므로 이 시대에 교회가 접근해야 할 세상은 대상이 특정화되지 않은 일방적

인 전파를 통한 복음사역이 아닌 소외와 외로움에 빠진 이들에게 먼저 다가갈 수 있

는 관계가 중심이 되는 건강한교회를 통한 공동체적인 접촉점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된

3 다원주의 종교관

포스트모더니티의 세 번째 특징으로서 근대의 문제가 이성주의에 입각하여 문화

와 사회를 획일화하는 세계관으로 삶을 억압하고 비인간화 하는데서 비롯된다고 반기

를 드는 데로부터 결국 그에 대한 해체작업과 그 결과로 말미암는 다원성에 대한 강

조로 흐르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이성의 객관성을 부정하여 문화와 사회의 토대역

7)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2388) Ibid 241

9

할을 박탈하려 하게 된다 이성주의 학문인 철학과 과학이 기초적 중심 위치를 상실

하면 문화가 다원화될 것이라고 여기는데 이 전략이 근대문화를 해체하게 된다 이

다원주의 특성은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어 오늘날 삶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다원화된

사회가 되어버렸다

이런 변화 속에 교회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경험하게 된다

긍정적인 영향은 기독교와 줄곧 충돌해온 인본주의와 독단적 합리주의의 지배력이 약

화되어 기독교의 전도나 문화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고 반면 부정적인 영향은

모든 종교와 신앙의 균등을 주장하는 종교다원주의가 득세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다원주의는 오늘의 세속 사회에 가장 잘 부합하는 문화적 이데올로기이며 이러

한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믿음을 고백하거나 일방적으로 전파하는 것을 무식과 교만

독선으로 여기게 되어 금기시하게 된 것이다9)

뿐만 아니라 뉴비긴은 한걸음 더 나아가 한 사회 안에 있는 여러 다양한 문화들

과 생활방식들을 환영하고 이런 것이 인간의 삶을 풍요하게 해준다고 믿는 문화적 다

원주의와는 달리 종교적 다원주의 대해서는 그 입장을 달리하여 종교들 간의 차이가

진리와 거짓의 문제가 아니라 진리에 대한 다른 인식 방법의 차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종교적인 믿음에서 어떤 것은 옳고 어떤 것은 그르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종교적인 믿음은 개인의 문제이고 각 사람은 자신의 믿음을 가질 권

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종교적 다원주의의 특징이고 뿐만 아니라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할 포스트모던시대의 특징이다10)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이러한 종교적 다원주의를 다원주의의 맥락에서 지지하

고 있다 그리고 종교적 다원주의는 이제 서구교회 전체가 고민하고 있는 심각한 문

제가 되었으며 우리 한국교회 역시도 더 이상 자유롭지가 않다 복음의 순수성과 절

대성이 더 이상 그 자리를 지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회 내부에서조차도 그 영향력

이 약화되어가고 있는 이 시대는 네트워크의 비약적인 기술발전 영상매체와 미디어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시각적 자극에 민감해질 데로 민감해진 다원화된 개인들만이

존재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한 상황 속에 건강한교회에 대한 견해들 또한 다양

하게 되었고 그만큼 통합적인 평가가 어렵다 그만큼 가시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한

9)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1310) Lesslie Newbigin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40

10

숫자 중심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은 많은 이들에게 수용되어질 수 있었다

4 극단적 개인주의

앞부분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티사회의 특징들은 우리를 서로에게로부터 분리시

켜 자아를 봉인하고 개인 영역에 한정시키는 극단적 개인주의 성향으로 나타나게 된

다 이러한 흐름은 절대적인 권위와 연합을 부정한다는 의미에서 포스트모던이 기독

교 신앙에 대한 심각한 도전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면에서는 기존 질서로서 이성 중심

의 과학문명이 낳은 모더니티에 대한 지극한 회의에서 시작되었기에 하나님 중심의

절대적 신앙관의 확립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과도기적 시기로 보아야 한

다11)

오늘날의 사람들은 지금까지 지나온 여러 세대들보다 더욱 초자연적인 것들 특

별히 영적인 것들에 대해 열려있게 되었으며 사람들은 교회나 조직화된 종교체계에는

적대적일 수 있으나 예수님을 포함하여 영적인 것에는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포

스트모더니즘 기반의 문화에서는 서로 간의 공통점을 주장하지 않음으로 모두가 함께

동의하여 논쟁을 종결할 수 있는 공통적 토대가 사라지고 보편적 세계관을 부정하게

됨으로써 차이에 대한 존중과 지역적이고 개체적인 것을 환영하는 정서가 대중적인

것이 되었다 이성주의 문화의 해체 속에 기독교적 문화를 사람들이 또 다른 진리 중

의 하나로 인식하게 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독교에 대한 도전일 뿐 아니라 만인이 편견 없이 기독교 신앙을 기본적으로 받아들

일 수 있게 하는 기회로서 작용하기도 한다12)

포스트모던사회의 특징인 해체주의 상대주의 다원주의 개인주의의 포괄적 특징

은 반공동체적이라는 것이다 각 개체를 중시하고 함께 하는 가치를 배격하며 진리의

상대성을 기치로 삼는 시대정신 속에 단일 목표를 세우고 함께 가는 공동체 지향은

반시대적이 되어버린 것처럼 외부적으로 나타나지만 결국 그 속에서 각 개인의 가치

를 상실당하고 소외되며 피폐해진 이들은 오히려 진실한 공동체 속에서 관계를 찾게

되는 성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1) James K A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5612) Stanley J Grenz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12

11

이로써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탈관계적이면서 오히려 더욱 관계를 추구하는 이

중성을 지니게 될 것임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한국 사회뿐 아니라 한국교회가 성장과

성공에 치중하게 된 배경으로서 현대 한국사회의 급속한 근대화 현대화 과정에서 포

스트모더니티와 함께 스며들게 된 모더니티적 특성들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모더니티 사회의 사고관은 인류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경험함으로 이성의 능력을

신뢰하게 되면서 계몽주의와 경험주의 자본주의 경제이론 그리고 역사발전이론에 대

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그 뿌리에는 다음과 같은 사고의 전환이 중심

이 된다

그 첫 번째는 자연주의적 세계관으로서 창조주와 창조세계를 구분하여 그동안

창조주에 의존된 창조세계를 바라보던 관점이 무너지고 창조주인 초자연과 창조세계

인 자연을 둘로 구분하는 이분법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게 되었다는 것이다13) 자연은

더 이상 창조주로부터 나온 산물로서의 지배가운데 있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진

화라는 흐름 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사물가운데 존재하는 법칙을 발견하고 우주를 지

배하는 기본원리를 파헤침으로서 인류의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두 번째는 진보주의적 역사관인데 이 속에 뿌리깊이 자리 잡은 기본적인 사관은

진화론적 역사관으로 역사도 자연과 같은 과정을 통해 미개한 상태에서 계몽된 상태

로 발전하며 이와 같은 발전과정을 통해 인간은 자연법칙을 찾아내고 자연과학적 지

식을 축적함으로써 인간 문명사회는 더 나은 단계로 lsquo계속해서 진보해 나갈 것이고

이를 통해 인간은 행복을 얻게 될 것rsquo이라는 사고이다14) 이와 같은 생각들이 교회 안

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다 이는 과거의 전통과 새로운 문화의 충돌에서 자꾸만 새롭

고 신선한 프로그램들을 추구하는 모습들로 나타나고 있다

자연주의적 세계관과 진보주의적 역사관이라는 두 가지 사고의 바탕 위에 세워

진 모더니티 사회의 특징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3) Paul G Hiebert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 사람 2010) 277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41

12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근대 이전의 시대인 전근대를 신화와 교권의 시대로 규정할 수 있다면 근대는

이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과학과 이성의 시대였다 15세기 활자의 발명과 함

께 한 인쇄술의 발전은 일반 대중에게까지 큰 영향을 주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계몽

주의 운동이 시작되는 기틀이 마련되게 된다 대체적으로 계몽주의는 lsquo17세기 후반부

터 18세기에 걸쳐 유럽을 지배했던 사상 풍조를 가리키는 것rsquo으로서 르네상스의 인본

주의 정신과 17세기 과학의 혁명적인 발달을 한데 묶어 근대세계를 출현 시키는 결정

적인 계기를 만들었다15) 이성의 노력으로 인간 영혼에 있는 신성을 무한히 계발할

수 있다는 사상인 낙관적인 인본주의로서 르네상스 인문주의 운동은 신학의 도움 없

이 이성으로 자연의 원리를 발견하고 과학을 발전시키며 인류의 행복을 기약할 수 있

는 진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서유럽을 통해 철학 과학과 같은 사회 다방면

에 걸쳐 영향을 주게 되면서 계몽주의 사상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계몽주

의는 근대의 정신세계와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된다

그러므로 계몽주의 시대는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

는 도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

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부하게 되었다16)

결국 이러한 이성 중심의 사고는 인간의 자발적인 노력과 기술의 발달을 통한

진보로 물리적 자연환경과 사회와 문화를 더 좋은 것으로 만들어갈 것이라는 인간 자

신에 대한 낙관적 믿음을 낳게 하였으며 더 이상 외부의 어떤 존재를 신뢰의 대상으

로 삼지 않고 인간 자신에게 집중하게 되는 사상적인 배경으로 교회의 성장이 주관자

로서 하나님께 전적으로 달린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노력을 통한 교회 공동체의 건강

성을 향상시킴을 통해 성장과 번영을 얼마든지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근대주의적 낙관

론이라는 모순이 가능하게 되었다

15)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8116)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3

2 과학기술의 발달

16-17세기 유럽 특히 영국에서 시작한 과학혁명은 오늘날까지 IT혁명으로 영향

을 주고 있다 과학은 근대 문명 진보의 기초를 놓았고 17세기 초 프랜시스 베이컨이

세계를 이해하고 자연의 비을 풀기위한 노력으로 경험주의를 주장하는 배경이 되었

으며 인류에게 많은 유익한 변화를 이루게 하였다17) 인류는 항상 도구를 사용해왔는

데 18세기 초부터 과거와 달리 굉장히 복잡하고 효율적인 기계가 갑자기 출현했고 자

연에 대한 과학적 지식으로 자연을 지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현대기술을 통해 우리

는 원자를 분열시킬 수 있고 방대하고 복잡한 정보를 마이크로 칩에 저장할 수도 있

다 과학이 우리에게 통찰력과 지식을 주었다면 기술은 우리에게 힘을 주었다 그리고

인간은 그 힘으로 환경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모더니티는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에 대해 확고한 인식론적이고 과학기술적 자

기 확신에 사로잡힌 대답을 내어놓는다 모더니티의 과학적 방법론으로 대상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기술을 통해 세계를 조종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18) 과학

기술의 발전과 산업혁명은 대량생산과 이를 판매하기 위한 시장개척으로 이어져 식민

주의적 제국주의로 발전되었고 힘을 가진 인간의 정복욕을 부추기는 도구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사회과학적 발전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이 삶의 전반에 대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이러한 기술문화는 교회 안으로까지 이어져 적절한

도구와 기술의 사용이 가능한 토양을 제공하게 되었다

3 자본주의 경제의 성장

계몽주의와 과학기술의 발달에 이은 경제성장을 통해 문맹이 극복되고 질병은

사라지며 가난이 근절되고 제한된 자원을 서로 차지하기 위한 전쟁은 없어질 것이며

더 이상 물질적 사회적 궁핍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로지 진보만이 있는 사회로의 전

환과 그런 문명을 통해 어쩌면 모든 사람들이 역사상 처음으로 참된 행복과 참된 자

유를 누릴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이와 같은 무한긍정주의야말로 모더니티

사회를 규정짓는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그리고 그 자본주의적 성장주의는 교회의 급

17) Brian Walsh J Richard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118) Ibid 35

14

속한 성장의 틈바구니에 파고들어 교회가 하나의 조직으로서 여겨지고 관리와 경영을

통해 얼마든지 성장시킬 수 있는 대상물로 여겨지게 되었다 교회는 엄연히 그리스도

의 피 값으로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여야 함에도 인위적 조작이 주도력을 발휘

하는 또 하나의 인간 자아실현의 장이 되어 버린 것이다

4 모더니티의 위기

이러한 모더니티의 사상적 흐름을 인간존재와 관련하여 이형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첫째는 개인주의로서 자율적인 개인이 공동체 혹은 전통의 속박으

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홀로 생각하는 인간이다둘째는 합리주의로서 이성은 하나의 보편적인 인간 능력이며 한

개인에게 이성적인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도 이성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셋째는 방법론적 회의를 통해 진리에 이르는 방법이 lsquo이해를 추구

하는 신앙rsquo이 아니라 lsquo이성의 철저한 비판적인 반성rsquo으로 바뀌었

다넷째는 이원론으로 실재가 정신과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몸과 마음의 이분법뿐만 아니라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을 뒷받침하게 된다다섯째는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 미신으로부터 해방되어 참 지식

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으며 일단 과거로부터 벗어난 이성

은 과학과 문화를 통해서 인간사회와 역사를 불가피하게 진보시킨

다는 생각이다19)

위와 같은 특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모더니티는 인간에 대한 맹신으로 인

간의 이성이 부각됨으로써 하나님을 떠난 인간상을 자리 잡게 하였다 또한 하나님

없이도 인간이 충분히 선을 추구하고 행복을 이뤄낼 수 있는 착각 속으로 인간의 역

사를 몰고 갔다 게다가 신앙의 개인화를 비롯한 개인주의가 시작하면서 개인의 고립

현상과 소외 고독의 문제들이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이성에 의지하던 인간은 자

신의 뿌리로서의 창조자와의 관계를 잃어버리고 배회하는 인간상이 서서히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화려하게 등장했던 계몽주의와 과학혁명으로 말미암은 승승장구하던 모더니티

19)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36

15

사회의 사상적 흐름도 결국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모더니티의 위기는 12차 세계대전

후 유럽의 실존주의 운동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20세기에 들어서 갑작스럽게 등장

한 위기의 전조들은 이미 19세기부터 있어왔고 당시 진보적이고 혁신적이라 불리던

영국의 공장 생산 시스템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과 아동 노동의 착취 속에서 위기

의 조짐이 시작됐는데 이미 3백 년 전 유럽과 아메리카의 진보의 토대가 되었던 아프

리카 노예 산업에서부터 위기의 조짐이 있었으며 어쩌면 모더니티의 위기는 근대가

태동하던 바로 그 시점 즉 콜럼버스가 인디언을 노예로 삼던 그 때부터 시작된 것이

라고 볼 수 있다20) 서양의 근대는 계몽주의 세계관이 주도한 시대였으며 그 주된 사

상과 같이 인간의 이성을 신앙으로부터 독립시키려는 시도와 더불어 이성의 능력에

대한 무한한 신뢰로까지 연결되게 되었다 그러한 신뢰가 무너지면서 결국 모더니즘

의 위기는 시작되었다21) 모더니티라는 바벨탑의 붕괴는 획일적인 전체주의적 야망을

제한하고 민족과 문화의 다양성을 창출해 내시는 하나님의 섭리로서 세상을 향한 하

나님의 역사적 목표를 가로막는 오만한 시도였던 바벨탑의 결과를 다시 기억하게 한

다 그러므로 이런 배경 속에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는 신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복음

을 위한 긍정적인 역사적 기회로 생각될 수 있는 여지를 가진다22)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모더니티가 교회에 대해 끼친 영향 또한 지대하고 파괴적이다 지금 한국 사회에

혼재에 있는 두 사상 모두는 여전히 사회 일각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 특별히 합리화

라는 이름으로 들어온 세속화의 물결은 모더니티의 잔재로 교회를 흔들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단연 교회성장운동이 일으킨 영향은 지대하다 긍정 주의적이고 진보적 역

사관으로 무장한 모더니티는 인간 이성과 기술의 진보에 의해 실용화시킨 방법들로

인간의 속성에서조차 특성화 수치화시킴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23)

20)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4521)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6722)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8923) Os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48

16

모더니티가 끼친 가장 큰 영향은 ldquo세속주의(secularism)rdquo에 의한 것이 아니라 ldquo세

속화(secularization)rdquo에 의한 것으로 세속주의는 단지 철학이고 세속화는 하나의 일어나

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세속화에 대해 가장 알기 쉬운 특징은 숫자들과 기술에

대한 찬사로서 알 수 있다 두 가지는 대형교회운동(megachurch movement)에서 두드러

지게 나타난다24)

큰 것이 좋은 것이라는 근대주의적 사고가 교회에도 깊이 뿌리 박혀 있다 또한

이제 교회 안에 있는 목회자도 거룩한 종교인이 아닌 종교적 경영자로 변질되어 가고

있음도 현 세대에 나타나고 있는 모더니티적 경향의 산물이다 교회 생활에서 조차도

얼마나 기술주의적 사고가 커져 있는지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많은 기술들 기도하

는 방법들 성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 기독교 서점을 빼곡히 메우고 있는 뭔가

를 위한 방법들과 기술들에 관한 책들은 현대 시대에 남아있는 기술의 진보성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로서의 모더니티의 잔재들인 것이다

문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시대에 있는 교회들이 아직도 성장주의 무천년설 등과

같은 모더니티의 기반 위에 있다는 사실이다 현대 한국교회가 시대를 앞서가기는커

녕 오히려 과거의 영화를 부여잡고 있기에 교회는 계속해서 사회와 문화의 흐름에

려가고 있는 현실이 부인할 수 없는 현재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모더니티를 통해 형성된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원리가 교회 안에 들어오면서부터

교회는 숫자에 민감해지기 시작했으며 교회의 교회됨을 그저 여러 가지 수치적 지표

를 통해 판단하고 순위를 매기기까지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요와 공급의 입장으

로 교회와 성도의 관계를 표현할 때 결국 교회는 수요자이며 소비자인 성도들의 입맛

을 가장 우선으로 놓아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필요에 의해 언제든 응답할 준비를

해야만 하고 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공급자이자 판매자로서의 교회 상을

만들어 버리고 말았다 결국에는 강단에서 선포되는 메시지조차도 그 자체의 사명으

로서 예언자적인 기능을 잃어버리고 청중이 요구하고 당장 필요로 하는 값싼 복음을

전하고 있는 모습은 그야말로 모더니티가 낳은 숫자 우선 성장주의의 침투에 의한 결

과로 보아야 한다25)

20세기를 통해 일어났던 교회성장운동은 결국 그리스도의 교회가 근본적으로 자

24) Ibid4925) Eddie Gibbs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73

17

신의 특성과 부르심에 의해 인도받고 형성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사업가적 경제논

리에 의해 인도될 것인가라는 혼란을 야기 시켰다 하나님으로 하나님 되게 함으로써

그분의 말씀과 성령으로 그 존재와 결정적인 원리들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닌 모더니

티에 의해 파생된 다양한 산업적인 결과물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하나

님의 권위는 더 이상 결정권을 잃어버리고 ldquo사람이 떡으로 사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말씀으로 사는 것이다(마태복음 44 개역개정4판)rdquo라는 말씀조차

그 수정을 요구할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다 모더니티의 잔재는 결국 신적 권위와 신

앙의 힘을 평가절하시킴으로서 종교자체를 영적인 실제가 없이도 얼마든지 수사학적

이고 조직적인 방법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처럼 만들어가고 있다26)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

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는 기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

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

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

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

부하게 되었고 결국 이러한 시대 흐름의 영향으로 교회에서조차 눈에 보이는 가시적

성과에 집중하게 된 것이다27)

세상의 모습은 모더니티를 비판하고 포스트모더니티의 새로운 경향으로 접어들

었음에도 교회 안에는 여전히 가시적인 성장주의의 흐름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모더

니티 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교회라면 응당 그 전 시대

의 특징들이 부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잔재되어 있는 현대 한국사회의 모

더니티적 잔재물들은 교회 내부에까지 영향을 끼쳐 건물의 규모 신도 수 각종 자산

의 성장을 통한 성공주의 모델을 양산시키게 된 것이다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현재 한국교회가 겪고 있는 위기의 상황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평범한 이들로

구성된 사회와의 소통 부재와 단절에서부터 빚어진 것이다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대표되는 한국교회의 일방적인 선교를 통해 기독교적인 언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함으

26)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3527)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8

로써 세상과의 분리를 자초하였다 듣는 이의 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언어의

전달로 말미암아 오히려 세상은 교회에 귀를 닫아 버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세상을 향

해 나아가 소금과 빛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교회가 lsquoAgain 1907rsquo을 외치며 일어

났던 부흥의 열정으로 말미암은 후유증에 오히려 교회와 세상 사이의 담은 더욱 높아

져만 가고 있다 기독교의 언어는 세상의 언어로 번역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세상에

서 소통되는 언어가 교회에서 사용되어야 하고 삼위일체의 비을 간직하신 하나님께

서 하늘의 높은 보좌를 버리시고 이 땅에 성육신하심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한 함

으로써 자력으로는 도저히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는 인간의 무능력함을 친히 자신을

세상 가운데 계시하시는 행위를 통해 구원의 다리를 건설하신 것은 하나님의 언어를

세상의 언어로 번역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28)

그럼에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각 개인들이 그러한 것처럼 교회조차도 극단적 개

교회주의에 빠져 교회의 연합까지도 도외시되고 있다 성장이라는 기치아래 성도 개

개인을 소중히 하기 보다는 건축을 위해 쏟아 부은 재정적 부담을 감당하기 위한 교

회를 위한 존재로 여긴다 거기에 서로 돕는 교회의 모습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성장을 위해서라면 다른 교회의 성도라도 받아들여 빈자리를 채워야만 생존

할 수 있는 처지가 되어버린 현대 한국교회의 이기적인 모습 앞에 세상은 더 이상의

대화를 원치 않는다 교회의 연합이 희미해진 이 시대에 교회는 세상에서조차도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교회는 세상 속에서 이웃과의 관계를 통해 그 존재감을 드러

내며 사명을 성취해야 함에도 이기적인 교회의 모습 앞에 세상은 교회를 점점 멀리하

고 되고 말았다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1970년대를 지나는 동안 한국은 국가적인 경제재건 사업을 통해 괄목할 만한 단

기간의 급속한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제 성장과 함께 한국교회의 동반성장

의 과정을 통해 성공이라는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약속되고 풍요와 안녕이라는 복을

획득하는 것과 맥을 함께 함으로써 성취의 정도와 내용이 높고 풍족할수록 축복을 많

28)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통권 제589호) 2008년 1월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169

19

이 받은 존재로 인정되는 사고방식이 한국 교회 안에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축

복을 위한 공급자로서 목회자의 위신을 세움으로써 목회자가 축복을 인가하는 허가자

의 권위를 갖게 되었고 이는 정치 경제에서 소수에게 집중된 권력과 자본의 모습과

동일한 형태로 교회 안에서도 축복권이라는 것이 생겨나 그것이 목회자에게만 집중됨

으로써 목회자의 신격화와 권위주의를 부추겼으며 사회적 물질적 성공에 대한 종교

적인 정당성을 부여하게 되었다29) 성도의 신앙생활이라는 것이 결국 하나님과의 관

계가 중심이 아닌 목회자와의 관계에 달린 것이 되어버리고 말았고 이는 근대 권위주

의에 익숙한 교회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성과 맞물려 갈등은 더욱 커져갔다 인간의 필요를

채우는 데 일조하던 목회자의 리더십은 결과적으로 인간의 상황에 대해 근본적인 문

제 해결을 이루어 낸다기보다는 오히려 점점 더 커지는 요구와 까다로운 입맛을 경험

하게 하고 필요충족을 통해 만족감을 얻어내기 보다는 오히려 더 커진 요구와 그로

말미암은 목회자에 대한 실망으로 연결되어 종국에는 교회자체에 대한 회의와 부정을

낳게 된다30)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흐름에 따라 성도들의 요구는 다양화되어가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맹목적 믿음과 순종이라는 핵심가치를 추구하던 모더니즘 사고에 익

숙하던 기성세대와 포스트모던 문화에 익숙해져 설득과 표현의 다양화를 바라는 신세

대 사이의 갈등이 교회 안에서도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청년들의 이탈

현상으로 이어져 교회마다 청년이하 차세대와의 문화단절 세대단절 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다31) 이는 결국 교회를 나가지 않으면서도 자신을 그리스도인으로 여기

며 다양한 매체와 방법들을 통해 홀로 신앙생활을 해나가는 성도들인 가나안 성도라

는 기형적 구조로까지 이어지게 되었고 그 수는 무려 전체 그리스도인의 10퍼센트 정

도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32) 이외에도 다른 많은 요인들로 야기된 교회 내부의 갈

등이 셀 수 없이 발생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29)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5030)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6531)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44032)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35

20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 중 하나는 이성을 중시하던 모더니티와 달리 탈 이성주

의를 주창하며 신비로운 체험이나 감성을 중시하게 된 데에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는

영상과 이미지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시대이다33) 그러므로 포스트모던 사회에

서는 영상매체를 통해 사람들의 감성을 이끌어내고 지식과 정보를 전달한다 그 속에

서 사람들은 정형화된 진리에 입각한 논리와 판단보다는 순간순간의 느낌에 의존하여

어떤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한 시대의 영향아래 있는 교회 또한 영상과 이미지

가 주는 감성에 좌우되어 진리의 말씀으로서 성경 보다는 감성에 호소하는 목회자의

언변에 성도들은 오히려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그 속에서 체험하는 감정을 은혜

라 여기며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의 능력이 아닌 잠시 동안 감정의 위로를 주지만

오래지 않아 기억 속에 흘러가고 마는 언어유희에 반응하고 있는 현실이다

현대인들에게 종교는 하나의 기호품과 같이 되어서 자신이 원하고 선택하는 것

옳다고 여기는 것을 진리로 생각하며 절대적 진리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강한 체험을 제공하며 그럴듯하게 왜곡된 진리 앞에 사람들은 쉽게 넘어가고 있고34)

결국 어느 때 못지않게 이교집단이 많아진 것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에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교회에서 조차도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고 전도를 위한 행사들이 마련

되지만 그 속에는 시대적 특징과 관련된 신비적 체험과 감성에 호소하는 다양한 기법

들이 사용되고 있다 게다가 그것들이 사람들을 움직여 교회의 성도수가 증가하면 또

다른 많은 교회들은 그것을 그대로 답습하기에 이른다 이에 대해 한국교회는 절대적

진리로서 성경말씀에 기초한 건강한교회의 원리들을 세워가야 할 절실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교회는 그리스도의 교회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감

당하기 위해서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라는 과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지금까지

많은 교회들이 큰 것 많은 것을 추구해왔고 어떤 면에서 그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

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교회가 물량적인 면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비

해 세상 속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은 이에 전혀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언론과 온라

인 사이트를 통한 사회적인 비판의 정도는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를 그저 말세에 성

33)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3934) Ibid 238

21

도들이 당하는 고난이나 핍박으로 받아들이고 무시할 것인가 아니면 자신을 반성하고

새로운 변화의 몸부림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영향력을 다시

금 회복할 것인가는 한국 교회건강성의 정도에서 판가름 나게 된다 모더니즘의 잔재

가 아직도 상존하고 있지만 포스트모던 사회를 살아내야 하고 시대를 변혁시키는 주

체로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어야 하는 한국교회는 중요한 도전 앞에 서있다 그동안

성장이라는 가치를 최고로 여기던 시대에서 좀 더 성숙하여 사람들의 다양성을 이해

포용하고 행사 위주의 전도가 아닌 진정한 관계맺음을 통한 사명의 실천이 필요한 때

이다

이제 필자는 양적성장에 치우친 교회건강이론을 대신할 새로운 기준으로서 관계

가 중심인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이론적인 기반을 세우기 위해 관계가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아직은 생소한 분야이지만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관계

신학적 근거를 가지고 다음 장에서 연구해 보려한다

22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35)

이번 장에서는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이해를 위해 관계신학에 대해 살펴 보려한

다 그리고 관계가 어떻게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 건강한교

회를 세우는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이론적인 기초를 마련해보려 한다

신학의 분야는 가장 기본적인 4가지의 분야36)를 비롯해서 시대적인 필요에 따라

연구되어지는 선교신학 현대신학 해방신학 목회신학 윤리신학 등의 가지들로 구성

되어 있다 그러나 관계신학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전혀 생소한 신학 분야이다 20세

기 후반 들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는 삼위일체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와 갖가지 환

경문제에 대응하여 기독교의 생태학적인 역할들이 강조되고 있고 교회마다 심각한 어

려움을 겪고 있는 관계적인 갈등이라는 배경 속에서 관계신학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필요가 있고 기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이해가 가능하지만 아직은 관계신학에 대한

의미가 명료하게 정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건강한교회를 위한 연구라는

시각에서 관계신학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관계신학은 하나님이 관계하시는 하나님이라는 것과 하나님은 관계 속의 순종을

35) 관계신학이라는 용어는 주로 에큐메니컬 진영의 사상적 기반으로서 인종과 문화를 뛰어넘

어 서로 간의 원만한 하나 됨을 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보다는 하나님과

인간 세상 사이의 관계를 그 연구의 중심으로 삼아 신학적인 기반으로서 성경 전체에 흐르는

창조와 구원의 해석을 관계의 건설과 무너짐 회복의 과정으로 이해하여 lsquo하나님과 성도rsquo lsquo성도들의 모임으로서 교회와 세상rsquo lsquo교회 안에서의 성도들rsquo이라는 관계의 완성을 연구하려는 의

도에서 이 단어를 사용하려 한다36) 주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23

원하신다는 것과 진리는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관계신학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 이루어지는 인격적 관계를 우선적으로 강조한다 관계신학은 하나님은 관계를

떠나서는 생각되어질 수 없는 실재이심을 분명히 제시하는 신학이다 관계신학의 관

점에서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하나님과 바른 관계 속에 있는 것이요 또한 하나님 안

에 그리고 하나님과 함께 있는 것이다

관계신학의 의미에 대해 김영선37)은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관계신학은 모든 신학적 진리를 관계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

하는 신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님 인간 세계 신앙 교회 세례 기도 예배 목회를 비롯한 신앙의 내용을 관계라는 관점

에서 해석하며 신학적 진리의 자료와 신학적 진리를 전달하는 수

단을 묘사하는 술어이다 관계신학 관점에서 신학은 관계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진리이고 복음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선

물이다38)

관계신학은 이론적 근거가 전무한 독보적 신학분야가 아닌 그동안 관계성을 추

구하던 많은 학자들의 견해를 기반으로 하나님 성도 이웃에 대한 관계를 중심으로

보고 신학적 진리를 탐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신학분야인데 이러한 학자들로는

관계철학의 마틴 부버 관계성의 신학의 에 부루너 하나님 만남의 신학의 루이스

세릴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 신학 관계론적 신학의 마조리 수하키 관계론적 신학의

폴 스폰하임 등이 있다39)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지식은 모두 그분의 계시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러므로 필

자가 관계신학을 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이론적 기초로 삼고자 하는 이유는 하나님의

완성된 계시로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얼마나 관계를 이야기하고 있고 그 관계를

세우기 위해 하나님의 수많은 인내와 개입이 존재해왔으며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이

망가진 하나님과 우리 인간 그리고 세상간의 관계회복을 위한 은혜의 자리였음을 상

기시키려는 목적이다 그리고 그 목적을 잘 이해하는 기초 위에서야 비로소 성경적인

건강한교회가 세워질 수 있음을 말하려 한다

37) 영국 런던대학에서 조직신학으로 M Th PhD 학위를 받고 현재 협성대 교수로 재직 중

이다3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4839) Ibid 50

24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건강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하는 사람들 간의 연합성과 개별성의 균형

이 필요하다 연합성이란 생물학적 측면에 뿌리를 둔 생명력으로서 이를 통해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거나 연합하기를 원하게 되며 우리로 하여금 공동체를 지향하게

만들고 서로 의존하게 만든다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예민하게 반응

하며 돌봄과 사랑을 통해 서로가 가까워지기를 추구하게 된다 연합성을 추구하는 힘

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삶을 나누고 가까이 하는 기쁨이며 이를 통해 공동체는 부스

러지지 않고 유지되고 하나 됨을 향해 서로가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도 그 가운데 소속된 구성원 중에 불안수준이 높거나 정서적 성숙이 낮은 사람이

있을 경우 그 사람은 전체적인 공동체에 긴장요인을 높임으로서 서로 간의 가까워짐

이 과도한 기대나 요구로 나타나게 되면서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 개별성이란 자기 자신이 독립적으로 되도록 이끄는 생물학적인 생명력이

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개개인이 정서적으로 독립된 사람이 되고 자신에게 개인적으

로 와 닿는 사실에 근거하여 독자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존재가 되게 한

다 공동체 전체의 비전을 중시하지만 그 속에서도 자기 자신의 관점이나 기준을 근

거로 행동하여 개인의 비전이 희생되지 않도록 하여 다른 사람과 구별된 개별적인 존

재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개인은 온전히 자기 자신이 될 수 있을 때

비로소 정서적으로 성장하고 자신의 꿈과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공동체적인 목표를

좇을 때보다 활력 있고 개인으로서 삶의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것도 공동체에 속한 각 개인이 개별성만을 추구하게 된다면 단연 공동체는 존재할

수 없게 될 것이다40)

그러므로 연합성과 개별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때 그 공동체는 건강

한 공동체로서의 사명과 본질에 충실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적절한 균형으로

서의 기준을 어디에서 발견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필자는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와

교회의 코이노니아 신구약 성경을 통해 제시해보려 한다

40) Ronald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97-104

25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역대의 교부와 신학자들은 삼위일체의 상호 관계성을 들추어내면서 삼위일체의

공동체성을 파악하고 있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관계 개념을 사용하여 삼위일체를 다

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한 분 하나님의 존재 안에는 세 가지 관계성이 존재하고 이 관계

성은 곧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으로서의 관계인데 여기서 관계라는

것은 하나님이 인간이나 피조세계와 가지는 관계가 아니라 삼위

하나님간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규정하면서 삼위일체 하나님

의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려고 노력하였다는 것은 사실이라 할 것

이다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기 위한 노력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lsquo관계rsquo(relation)라는 범주(category)를 도입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또한 갑바도기아 교부들에게서 보여 지는 것처럼 이 삼위를 구체

적인 개체들로 인식하지 않고 그보다는 어떤 관계로 정의하였다

즉 삼위일체의 위격들의 동일 신적 본질의 시각에서 삼위의 구별

을 이해하고자 함으로 그 삼위 사이의 구별은 본질과 관련되지 않

고 관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삼위는 서로

나누어 가질 수 없는 것으로서의 각기 고유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서보다는 오직 그 위격들 상호간의 관계 혹은 비교(즉 아버지 되

심 paternity 아들 되심 filiation 은사 gift 등과 같은)에 의해서만

구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삼위 중 제2위가 성자라고 불리는 이유

는 본성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제1위 곧 성부

와의 관계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삼위 중 제1위이

신 성부가 성부라 불리는 것은 제2위이신 성자와의 관계 때문이

다)41)

칼뱅도 ldquo하나님은 자신을 한 하나님으로 선포하시면서 동시에 우리의 보기에는

구별된 세 위로 자신을 드러내신다rdquo42)고 하면서 삼위 하나님이 개별적인 존재이면서

관계 속에 존재하시는 분이심을 말하고 있다

칼 바르트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논하면서 ldquo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는 창조자와

피조자의 관계나 피조자들끼리의 관계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관계의 표본이다rdquo43)라고

말하고 있다 그 관계성은 삼위 중 어느 한 분도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세 분

은 다 같이 상호관계 안에서만 존재하며 영원하신 한 분 하나님 안에서 공통으로 존

41) 아우구스티누스 김종흡 역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 (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174-17642) John Calvi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13 2143) Karl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402

26

재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곧 성부 성자 성령이 상호 관계 속에서 하나가 되며

한 위격의 존재가 다른 위의 존재 안에 관계적으로 동참하면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

다 또한 바르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은 영원히 고독하게 자족적이고 자아 의존적으로 존재하는

분이 아니라 삼위일체론적 본성 안에서 상호 관계적인 공동체로

존재하신다고 믿는다 즉 성부 성자 성령 사아에 일어나는 관계

공동체의 상호 교제가 하나님과 인간의 코이노니아와 인간과 인간

의 코이노니아의 근거와 모본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의 모든 관계는 하나님 안에서 영원히 계

속되는 관계적 공동체를 반영하는 것이며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

와 성령 안에서 인간들 속에 이러한 공동체를 창조하려 하신다44)

중세 가톨릭교회의 극히 잘못된 교리 중의 하나였던 lsquo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rsquo

라는 대목 또한 단순하게 오직 교회만이 구원을 위한 은혜와 중재자로서의 시여자라

는 의미가 아닌 오히려 단순하게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로부터 분리된 기독교적

신앙이 존재할 수 없음을 말한다45)

전술한 바와 같이 성령이 성부 성자와 나누는 삶은 코이노니아의 삶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알아보면 삼위하나님의 코이노니아로서 내적 특성은 lsquo페리코레시스

(perichoresis)rsquo라는 개념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는 삼위

가 서로의 정체성이나 상호성을 잃지 않고 서로 내재하며 서로 관통하는 역동적인

관계성을 의미한다 즉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란 상호침투(mutual interpenetration) 또는 상호내

제(mutual indwelling)를 말한다 상호내재에 대한 개념을 좀 더 살펴보면 이는 삼위 각

각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삼위 간의 상호침투와 상호순환을 통해 역할과 기능을

상호 역동적으로 교환하며 함께 움직여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성부는 자신의

초월성과 능력을 유지하면서도 성자의 고난에 함께 동참할 수 있고 성자는 자신의

위엄 능력 창조적 주동성을 유지하면서도 성부께 순종하실 수 있다는 뜻으로 설명될

수 있다46)

교부들부터 바르트까지의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주장을 정리해보면 성부 하나

님은 단순하게 권위를 가지고 명령하는 위치로서가 아니라 성자와 성령을 섬기기 위

44)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6345)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3046) 김영선 관계신학 22

27

해 존재하는데 이는 자신을 비우고 주는 모습들로 나타나며 성자는 성부의 뜻에 순종

하며 드리기 위해 존재함으로서 성부가 성자가 되거나 성령이 성자가 되려는 모습을

주장하지 않고 성령은 자신의 뜻대로 하지 않고 성부와 성자의 뜻을 드러내며 각각

그 역할을 감당해 나감을 말한다 서로의 자리를 존중하고 서로를 위해 봉사함으로

그 존재의 삼위하나님의 신성을 찾는다47)

이처럼 삼위 하나님은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로서 우리에게 자신을 계시하신

관계적인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2 교회와 코이노니아

16세기 종교 개혁가들은 부패한 중세 가톨릭교회에 대항하여 내건 구호로서 lsquo성

도의 교통(Communio Sanctorum)rsquo을 사용하였다 성도의 교통이란 그리스도를 주로 고

백하는 무리들인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공동체 즉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를 의미하

는 말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수직적으로는 하나님과 교제하고 수평적으로는 성도들이

서로 하나 되어 교제하는 모임인 공동체는 교회의 본질적 요소이자 교회가 관계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는 당위적 이유가 된다

성도의 교통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오순절 성령 강림을 통해 하나님과 사람

이 하나 되고 성령의 교제케 하는 역사로 lsquo나rsquo에서 lsquo우리rsquo로 바뀌어 사람과 사람이 하

나 되는 전인격적인 교제가 가능한 공동의 몸이 되었다 그것이 바로 신약의 교회이

며 실제적인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모습이다 그리고 그 교회를 실제적인 공동체로 되

게 하는 것은 성령의 코이노니아를 통해서이다48)

이러한 성령의 코이노니아 사역은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하나님과 우리를 교제케 해주시고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서로 교제하게 해주시며

또 나아가서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도 교제의 관계를 이루

게 하신다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코이노니아의 유형들을 좀 더 세하게 살펴보면

첫 번째 사역인 수직적 관계에서는 성도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와 하나님과 교제하게

하는 것인데 이는 인간의 죄로 하나님과 단절되었던 관계를 예수님의 구속사역으로

회복시키는 속에서 예수님 한 분과 전 사회적인 구속사역을 예수님과 성도 개인 간의

47) 김영선 관계신학 5548) Ibid 57

28

구속사역의 관계가 되게 하는 역할 자가 성령이라는 것이다 더불어서 성령의 역사를

통해 성도는 그리스도와의 교제를 통해 하나님과의 무너졌던 관계를 다시 회복하게

된다 두 번째 사역으로서 수평적 관계에서는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될 수 있

도록 상호 간에 교제를 가능케 해주는 일이다 사도행전 2장의 마지막 부분인 42-47절

은 초대 교회의 공동체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코이노니아라는 용어 또한 본

격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세 번째로 코이노니아는 예수 믿는 자들끼리만 아름다

운 나눔의 삶을 갖는 집단 이기주의적인 교제의 모습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더 나아가 온전한 코이노니아로서 교회공동체라는 울타리를 넘어서 지역 사회 속에

있는 고통당하는 이웃을 돌아보고 더불어 삶을 만들어가는 영역까지를 일컬으며 이는

사도 바울이 디모데전서 618에서 ldquo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하고 나눠주기를

좋아하며 동정하는 자가 되게 하라rdquo는 말씀에 분명하게 등장하고 있다49)

이러한 성령의 사역 가운데 있는 교회공동체의 사명은 세 가지 차원의 관계회복

으로 정리해볼 수 있으며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본질과 사명을 고려할 때 교회의 건

강성의 척도는 결국 관계성과 관련된 사명으로 규정되어야 합당하다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신구약성경 전체를 통틀어서 나타난 하나님의 현현과 계시는 다분히 관계를 세

우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창조물을 향한 주된 관심은 분명

관계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내용을 모두 나열할 수는 없지만 그 중 세

가지 정도만을 가지고 성경의 관계성의 근거로 삼아보고자 한다

창세기에 나타난 아담과 하와는 선악과를 따먹음으로 인해 죽음에 합당한 죄를

범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죄와 함께 하나님을 더욱 마음 아프게 한 행동은 그들

이 범죄함으로 인하여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숨어버린 것이다 즉 그들은 그들 편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에 단절을 선언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깨져버린 관계는 결국 하나님

과의 영영한 관계의 파괴로 이어지게 된다50)

또한 사도행전 2장 42~47절 초대교회의 모습을 바탕으로 존 스토트는 살아있는

교회의 네 가지 특질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49)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6950) 창세기 3장 10절 참조

29

첫째 성도들은 사도들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

침에 전념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사도적인 교회이다둘째 성도들은 서로서로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서로 사랑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돌봄과 나눔의 교회이다셋째 성도들은 하나님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떡을 떼고 기

도하면서 기쁨과 경건으로 하나님을 예배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예

배하는 교회이다넷째 성도들은 바깥세상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증거하며 밖

으로 나아갔다 살아있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위의 모든 특질들이 지칭하고 있는 것은 성도들과 다른 대상과의

관계를 중심개념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51)

에베소서 2장 21절을 보면 ldquo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

전이rdquo의 본문에 사용된 lsquo연결하여(συναρμολογεω)rsquo는 lsquo함께(συν)rsquo와 lsquo서로 결합하여(α

ρμολογεω)rsquo의 합성어로써 건물의 이음새가 한 치의 오차 없이 정확하게 결합된 상태

를 나타내는 표현이며 그리스도와 성도 간의 상호 긴하고 유기적인 관계성을 나타

낸다

부부관계를 향한 에베소서 5장 22절 이하의 말씀에서처럼 아내가 없는 남편이

가능할 수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을 성경은 말씀하고 있다 아내가 없는 남편이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

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성부와 성자 성령은

상호관계 속에서 그 존재적인 구별과 위격이 발견된다 그러나 본질은 동등하다 인간

은 인간 홀로 있어서는 본질적인 구별이 불가하다 만물이 함께 존재하므로 관계를

통해서 인간의 인간됨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관계가 바로 본질이다 관계를 발전시키

는 기준과 핵심요소 중의 하나는 믿음(faith)에 관련된 것이다 구원은 결국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끊어진 관계의 회복을 의미한다고 할 때 그러한 맥락에서 구원의 근거로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이 바로 믿음인 것이다

단지 몇 부분만을 탐색한 것에 불과하지만 신구약전체를 망라하여 하나님께서

그분의 말씀을 통해 인간에게 계시하시는 것은 건강한 관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그 하나님의 비전은 신약시대 들어 성령강림 이후 세워진 교회에서 성취된다 그러므

로 교회의 건강성을 세워가는 데는 관계신학적 기초가 타당하다고 본다

51) John R W Stott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39

30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포스트모던 시대 한국교회의 일탈에 대한 부작용으로 lsquo가나안성도rsquo라 불리는 나

홀로 신앙이 또 하나의 선택 가능한 대안이 되고 있는 지금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관계는 기독교의 중심축이다 예수님께서도

십자가 위에서 마지막 순간에 자신의 관계공동체인 가족 즉 어머니를 끝까지 배려하

셨다 이처럼 현대인들의 영적인 생활은 하나님과 함께 나 홀로 집에서 이루는 것이

아닌 서로 간의 다면적 관계 속에서 해야 한다 우리가 공동체로 있을 때 하나님이

임재하시며 우리와 소통하신다52)

그런 면에서 현대 신학의 주된 관심이 lsquo교회란 무엇인가rsquo에 대한 교회의 본질에

있기 보다는 lsquo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rsquo라고 하는 외적인 모습 또는 기능과 관

련된 질문에 더한 관심을 가진 이유는 지금까지의 교회론이 교회의 실제적인 모습과

역동적인 사역과 동떨어진 형이상학적이고 관념적인 이론 이상의 것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53) 이론만 반복하는 것은 분명 실제와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흐를 수 있는

함정을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성경적인 교회에 대한 본질을 분명히 하는 것 없이

실용적인 측면에서만 교회론을 다루는 것 또한 위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단은 교

회의 본질이 성도의 교제이며 관계에 대한 것임을 성경적인 이해를 통해 명확히 할

필요를 가지게 된다

1 하나님의 백성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관은 일차적으로 하나님이 친히 그의 백성과 맺은

관계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택하시고 자신의 백성으로 삼

으셨다는 전제 위에 교회는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그 속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누리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모임이다54)

신약에서 표현된 그리스도인들을 하나님이 선택한 이스라엘 백성의 연속과 확장

의 개념은 신약 교회에서 새로운 이스라엘로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으

52) Leonard Sweet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15653) 김현진 공동체신학 2254) Ibid 30

31

로서의 교회를 의미하며 이는 결국 민족적 구분이 아닌 그리스도 안에서 이스라엘 백

성을 초월하여 유대인만 아니라 이방인들도 하나님의 동일한 백성이 될 수 있음을 의

미하며 이를 정리할 때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란 개념은 종말론적 개념으로서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고대하며 현재에로 돌입하는 하나님 나라의 표징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제 하에 세

상 한가운데서 세상을 위해 살아야 하지만 세상에 물들지 않고 오히려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는 것이야말로 종말론적 하나님의 백성이 취해야 할 삶의 방식으로 큉은 말하

고 있다55)

하나님의 백성은 그와 관계를 맺었던 이전에 존재했던 백성이 아니고 하나님의

모으심으로써 그리고 하나님의 거주하심으로써 새로이 구성된다 하나님의 백성은 그

들이 하나님께 연합되어 있다는 유일한 이유 때문에 서로서로에게 연합될 수 있게 된

것이다56)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말하는 또 다른 특성은 교회의 공동체적 성경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개인주의적 교회관과는 대립되는 개념이다 교회는 신앙을 가진 개인들

의 단순한 집합정도가 아니라 공동체를 통해 개인과 성도의 교제로 나아감을 말한

다57) 즉 교회는 개인의 모임을 넘어선 개인 간의 사귐과 섬김의 교제가 있는 공동체

를 말하는 것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관점의 의미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규정은 그의 사명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난 새 관계를 통해서이다 그에 대해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

하나님의 그 자신에게로 그의 백성을 부르심은 세상에 대한 사명

에 종속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궁극적인 계획은 그리스도

안에서 택함 받은 새 인류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하는 것이기 때

문이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남은 자를 택하시고 구속하신 하

나님의 주권의 두려운 신비를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세상에서의 하나님의 사명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것에

대한 그의 계시를 알아야 한다58)

55) Hans Kung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169-17156) Edmund P Clowney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2757) Kung 교회 17358)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2

2 그리스도의 몸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보는 시각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기독론적인 방법

으로서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 중심의 본질성과 그리스도와 성도의 불가분의 연합

성을 나타내는 표현이며 더불어 유기적인 구조로서 교회를 가장 잘 나타내는 말이다

그리스도의 몸이 강조하는 것은 온 성도가 머리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히 연합하

여 한 생명의 근원 아래서 몸에 붙여 있는 지체로서 각자의 역할과 생물학적인 관계

와 연결 아래 있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를 보는 시각은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몸으로서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간의 관계와 함께 서로 지체로 영향을 주고받는 성도들 상호간의 관

계를 강조하는데 고전 1227에서 ldquo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rdquo고

말함으로써 바울은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 성도 개개인의 상호연결성과 서로 간에 의

존관계로 교회를 다루면서 개개인에게 주어진 다양한 은사들마저도 개인의 유익을 위

한 것이 아니라 몸 전체의 덕을 세우기 위해 주어진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자신이 세상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표징과 도

구로서 자신 만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세상을 위한 존재이며 그리스도의 몸인 동시에

죄인들의 공동체이다

교회의 본질을 그리스도의 몸으로 비유함에 있어서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

하고 있다

그리스도께서 구약으로부터 계속 반복되어진 언약의 머리되심이라

는 배경 위에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언약의 머리가 그

리스도일 때 그 언약 안에서 화해의 장이라는 역할을 감당하는 교

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 비유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안에 관계적인

어려움이 무너지고 진정한 화해가 이루어지는 것 또한 그리스도께

서 십자가에 달리신 그 몸에서 부터인데 우리 안에 원수 된 것은

그 안에서 소멸되었고 우리 둘은 그로 말미암아 아버지께 나아감

을 얻게 되었음을 확실히 하고 있다59)

그리스도의 몸이란 개념 속에는 교회를 계급 제도보다는 예배공동체로 정의하는

데 이 예배를 통하여 현존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몸을 이루어 나가시는 사건으

로 예배를 통해 한 인간의 모습이 아닌 성도의 교제로서 공동체의 모습을 취하게 된

59)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3

다 예배의 참됨은 성도들의 사랑의 교제 속에서 입증되며 이러한 생각은 거룩한 존

재와의 교제를 통해 성도들이 일치되는 것을 교회의 본질로 보는 사도신경의 교회론

과도 일치하는 부분이다60)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이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이며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

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

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한다61)

그리스도께서 성도들을 그의 몸의 일부분이 되도록 함으로써 은혜가운데 두신

이유는 성도들 또한 서로 간에 한 몸이 되도록 노력할 것을 요구하심이다 어느 한

부분이 약해져있거나 병들어 있다면 그것은 몸 전체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심지어

는 생명 전체를 위협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 건강한 몸은 건강한 각 지체들이 건강

한 관계로 서로 상호작용할 때 가능한 일이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건강한교

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각 지체가 건강해야할 뿐만 아니라 그 연결을 의미하는 관계에

서도 건강한 관계를 이루고 있음으로 해서 몸된 교회는 존재의 건강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공동체는 보이는 않는 그리스도의 몸의 가시적인 형태이다 역사적으로 이 그리

스도의 몸이란 용어를 너무나 추상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어왔는데 이는 지극히

구체적인 형상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이 공동체적인 삶으로 함께 살아감으로써 그리스도

의 한 몸이 됨을 나타내야 하고 이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주체의 자리를 회복할

때 보이지 않는 그리스도가 몸된 교회로서 그리스도의 공동체를 통해 보여져 나타나

게 될 것이다62)

60)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29061)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33462) 김현진 공동체신학 37

34

3 성령의 전

오순절에 성령이 강림하심으로 비로소 신약 교회의 탄생이 이루어졌고 이후로

성령께서는 계속해서 교회를 세우시고 교회 안에 내주하고 계신다 고전 1213에서는

ldquo우리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자나 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

이 되었고 또 다 한 성령을 마시게 하셨느니라rdquo63)고 말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바울은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들 안에 계심으로 우리가 lsquo하나님의 성전인 것(고전 316)rsquo과 우

리 각자의 몸이 lsquo성령의 전(고전 619)rsquo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또한 에베소서 2장 21~22

절에서는 lsquo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가고rsquo이며 lsquo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거하실 처소가 되

어간다rsquo고 말하고 있다 게다가 성령은 오순절강림을 통해 각 제자들이 방언을 말함으

로 복음을 증거하며 기사와 표적을 나타내었던 것과 같이 교회 안에 자신의 능력을

부어주심으로 교회를 교회되게 하며 교회가 감당해야할 사명을 주관하신다 예수 그

리스도를 믿고 하나님을 아는 것은 성령의 능력으로 말미암는 사건이고 초대 교회의

형성은 성령의 능력 안에서만 가능한 사건이었다

클라우니는 신약시대 교회에 대하여 교회의 통일성을 성령의 교제의 결과로 보

았다 성령의 사역을 그리스도와의 생명의 연합으로 이야기하면서 결국 교회란 그리

스도 안에서의 공동의 삶으로 해석하고 있다64)

예수님이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

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완

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암

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

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다65)

또한 성령의 가장 중요한 사역 중의 하나는 고린도후서 13장 13절 ldquo성령의 교통

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rdquo의 말씀과 같이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사이의

교제가운데 그 능력을 나타냄으로 교회 안에 사랑의 교제와 연합이 있게 하신다 성

령께서는 성도들로 화목제물 된 그리스도의 구속을 바탕으로 하나님과 화목한 관계로

교제하게 하며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되는 교제와 관계를 이끌어가는 실제적인

63) 성경인용은 한국어 개정판 성경을 사용하였다64) Edmund P Clowney 교회론 8765)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

35

주관자이시다 성령이 각 사람 마음에 임할 때 그 사람은 성령의 교통케 하심을 통하

여 하나님과 끊어진 관계가 회복되며 이뿐 아니라 교회를 이루는 지체로서 각 성도들

과 연합하며 교제를 가능케 하신다 더불어 각 지체들이 은혜로 받게 되는 각양 다양

한 은사들이 모두 성령께서 그 뜻을 따라 나누어 주는 성령의 은사로서 이를 통해 교

회는 하나의 모임에서 더 나아가 유기적으로 각 기능을 감당하는 부분을 통해 교회의

본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

자가 속해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

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

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게 된 것이다66)

창조주 하나님과 각 개인의 관계 속에 혼란과 왜곡이 일어날 때 그 관계는 병든

모습을 띠게 되고 이는 구조적으로 창조세계 전체에도 함께 혼란을 불러일으키게 되

는데 이를 다른 용어로 lsquo죄rsquo라고 한다67) 나의 죄는 셀 수 없이 많은 형태로 다른 이

들에게 영향을 끼치며 그리고 다른 사람의 죄 또한 나에게 그러하다 개인이 모두의

영역 안으로 그리고 모두가 내 안의 영역에 대해 동일하게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보게 된다68)

많은 프로그램들을 시행하는 모임들을 가진 교회가 아닌 그저 모임들로 이루어

진 교회 관계가 중심이 되는 사역을 위해서는 당연히 교회는 접촉과 보살핌이 가능

한 구조로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이는 전체 교회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

핌 조직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결코 큰 수를 단위로 해서는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즉 교회가 작아질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다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

66) Ronald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5867) Colin E Gunton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5968) Ibid 63

36

든 구성원이 얼마나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린 것이다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지금까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성도들 사이의 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직접적인 참여나 헌신을 통하여 관계를 세워가고 깨어진 관계를 치료하며 약해진 관

계를 강화시키는 것에 주로 집중해왔으며 신학자들은 그 모든 과정을 하나님의 섭리

와 주권으로 이해해왔다 현재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관계로 인하여 죽어가고

고통당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 관계신학은 모든 사람들을 죄와 고통가운데에

서 구원하기 원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한 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그들의 집이 불타며

많은 잔인한 사람들로 인해 일어나는 범죄들 속에서 입고 있는 상처까지도 살펴야한

다 게다가 자연세계는 무분별한 인간의 개발에 신음하고 있다 교회는 관계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를 통해 세상을 돌보며 연약한 자에게 찾아가며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에까지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일을 해내야 하는 사명을 품고 있다 이어

서 관계신학의 관점에서 교회 사역가운데 필요한 관계중심의 실천적 과제에 대해 논

해보고자 한다

1 관계중심의 리더십

목회자 리더십의 근원은 하나님과의 관계로부터 나와야 한다 목회자가 관계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으로 세워질 때는 단연 하나님과 사명을 맡은 자로서 하나님과의

바르고 건전한 관계가 우선되어져야 한다 그 다음 목회자는 특정한 교회나 특정한

영역에 파송 받아 목회를 하는 특수한 지도자로서 목회를 하는 자리인 교회와의 관계

에서 제대로 된 리더십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더불어 목회자는 교회가 속한 지역

사회 속에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만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풀러신학교의 교수로 재직했던 Carl F George는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는 무엇

37

인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람들을 억지로 조직에 끼워 맞추지 않으며 오히려 사람들이 상

호 간에 친근감을 갖도록 도와줌으로서 미래의 교회에서는 목회자

들이 관계목회를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모든 지도자들은 사역이 아니라 관계를 중시하고 또한 소그

룹들조차도 그들의 직무나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양육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핌을 중심 가치로 여겨야 한다69)

목회사역은 주로 관계와 관련되어 있으며 성도들의 정서적 경험과 연관되어 있

음으로 해서 성공적인 사역은 단순히 성경적 신학적 지식이나 사역자의 경건 수준

혹은 기도의 분량이나 헌신도 어떤 특정한 목회기술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아닌 오

히려 사역자의 정서적 성숙 및 그 수준과 불가분의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70)

또한 Carl F George는 미래교회의 모습을 예견하면서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의

실천적 모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1 사람들이 의존에서 벗어나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2 사람들이 공동체 내에서 자신들의 영적 은사를 활용할 수 있도

록 그들에게 힘과 권한을 부여한다3 목회 자체를 방법이나 커리큘럼보다는 변화된 삶과 더 많이 연

결시킨다4 사람들을 성씨(姓氏)의 가나다순이나 우편번호(지역)나 나이 등

을 기준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친근감에 기초를 둔 관계를

기준으로 나눈다5 부끄러움 죄의식 또는 책임보다는 목회자가 먼저 본을 보이는

것에 의해 동기를 부여한다71)

Schwarz가 이야기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성장하는 교회에서 가능한 것은

그 교회가 이미 성장이라는 궤도에 올라서 있기 때문이다 작은 교회에서 성직자와

구별되어 교회로부터 일체의 사례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 이미 지적으로 높은 수준에

올라있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새롭게 훈련시켜 세우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69) Carl F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7470)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571)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75

38

이는 결국 성장하지 않는 교회로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의 부재라는 외적인 모습

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은 이미 성장한 교회에서

가능할뿐더러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것은 상황과 특수성을 무시한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도 적용 가능한 것이 바로 관계중심의 리

더십을 통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이다 평신도를 사역자로 훈련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적 재정적 시간적인 요소들이 필요하지만 반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을 위해서는

훨씬 작은 훈련과 재정으로도 가능하다 물론 여기에서 관계가 의미하는 바는 그리스

도의 온전한 제자로서 하나님과 교회와 세상과의 관계를 말한다 포스트모던 시대

성도들은 어느 때보다 건강한 관계에 목말라 있다 교회에서 목회자부터 관계를 세우

는 목회의 자리로 나아가야 한다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그동안의 복음이 일관되게 각 개인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해서만 거론되고 있

는데 이를 바로잡아 개인과 개인의 모임으로서 교회공동체를 통한 복음이 선포되어야

한다 배고픔에 처한 자에게는 음식을 얻을 수 있는 길이 복음이 될 것이고 불치의

병에 걸려 죽음을 앞에 둔 이에게는 병으로부터의 치유에 대한 방법이 복음이 될 것

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순간적인 것이 아닌 영원과 관련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교회

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자가 속해

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

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

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

게 된 것이다72)

예수님께서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72)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58

39

완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

암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

들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라고 김세윤은 말

하고 있다73) 즉 예수님의 복음은 늘 공동체적이고 교회지향적이었다 복음이 단순하

게 불신자를 설득해 교회 안으로 데리고 들어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수의 복음을

통해 회복된 관계를 증거해야한다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에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으로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의 모습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하고

있다74) 그러므로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요약되는 가진 자들에겐 부의 연장으로서

없는 자들에겐 고통스런 인내 후에 성취될 보상으로서의 천국에 대한 복음이 아닌 현

세에 이미 이루어진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가 바로 예수님이 증거하신 하나님 나라의

복음임을 증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

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든 구성원이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

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

린 것이다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더불어 예배는 하나님과 인간의 진지한 만남이기에 그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체험이 존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많은 은사주의 교회들은 방언과 같은 가시적인 현

상을 강조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예수 그리스도의 마지막 만찬을 통해 세운 의례로서

73)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74) Ibid 334

40

성만찬의 회복은 예배에서의 만남과 임재의 체험의 증거로서 건전한 방편이 될 수 있

기독교는 관계의 종교이다 많은 관계들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은 그리스도

와 맺는 관계이며 모든 것은 그 관계를 어떻게 관리하고 유지하는가에 달려 있는데

실제로 성도들로 하나님이신 예수님과의 관계에 대해 제대로 된 훈련의 기회가 제공

되지 못해 왔다75)

삼위일체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은 관계를 맺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

고 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서로 다른 인격체들과의 관계 속에서 사랑과 협력 그리

고 일치된 공동체의 본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이 하나님을 닮아가는 삶을 살고자 노

력한다면 하나님은 은혜를 베풀어 인간의 공동체도 삼위일체를 닮아 가도록 인도하

신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서로 교제하고 섬기는 것은 그것이 서로에게 기쁨이 되기

때문으로 진정한 사귐에는 기쁨이 나타나는데 이처럼 삼위일체 하나님의 서로 간의

사귐과 섬김을 통해 그 존재 목적을 나타내며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코이노니아의 모

범을 보이고 있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상호 사귐과 섬김의 공동체이듯 교회 안에서

성도들 사이에도 이와 같은 사귐과 섬김을 통한 온전한 공동체를 이루어 나아가야 한

다 구원사역의 본질도 이처럼 하나님과 세상과 성도들 사이의 사귐과 교제를 회복하

는 본질적으로 삼위 하나님의 모습과 동일하다 가장 초기의 모습으로서 삼위일체 하

나님이 관계적 공동체의 모습은 다시 성부 하나님의 계획과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을

통해 성령께서 이루신 교회 공동체 속에 다시 투영되어 모든 관계의 모범으로서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공동체를 세워가야 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드려지는 진정한

예배란 하나님과의 사귐 성도들과의 사귐 그리고 세상을 향한 사귐으로서의 결단이

함께 하는 예배여야 할 것이다

함께 모여 드리는 공예배가 각 개인이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는 자리에서 더욱

성숙해서 공동체가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며 그 안에서 일어나는 공동체적 경험으로

서 성만찬과 같은 개별적이었던 개인의 연합을 경험하는 화해의 역사가 일어나는 예

배여야 한다 교회 안에서부터 막힌 담이 무너지지 않고 어떻게 세상 속에서 관계의

회복을 논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모든 공예배는 다양한 방편을 통해 서로 안에 공

75) Leonard Sweet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52

41

동체로서의 체험을 가능케 하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4 가정 중심의 사역

건강한교회의 바탕으로서 건강한 가정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에 대한 아이의 느낌

과 이미지는 부모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나님의 이미지와 그 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부모 사이의 연속성은 직접적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정반대일수도 있다76)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

한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

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교회 내에서 가정을 위하고 자녀 부부 부모자녀 간에 있어지는 일등에

대하여 많은 가르침과 다양한 사역의 실행들이 있어왔다 게다가 한국적인 정서 또한

가정에서 효(孝)와 경(敬)을 중시하는 문화적 전통으로 인해 늘 가정은 중요시되어왔

고 가정교육의 중요성 또한 늘 강조되어 왔던 부분이다 그럼에도 현대에 들어와서

나타나는 많은 가정의 문제들 앞에서 교회는 그리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무기

력하게 방관자적 입장에 놓여할 때가 많았다 그러는 중에 사회적인 추세보다는 앞선

입장에서 많은 신학교들에서 상담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거기에 발맞추어 교

회에서 가정 사역을 적극적으로 나서서 시행하기 시작하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

이지만 여전히 교회는 양적인 성장과 결과에 민감하게 가정 사역을 대하고 있다는 사

실은 아직 성숙하지 못한 가정사역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현대 사회는 이러한 친감을 다시 가정으로부터 빼앗아 여러 가지 상업

적인 목적을 가진 대형기업과 각종 디지털장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소셜네트웍이 차

지해 가고 있으며 포스트모던사회가 추구하는 쾌락중심의 관계를 최고의 선으로 여김

으로서 이 세대 가운데 가정이 설 자리는 갈수록 좁아져 가고 있다

교회 안에 함께 하는 이들에게는 저마다 가족에 대한 해결되지 않은 애착의 문

제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자기의 일이나 사역의 현장에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교회를 대리 가족으로 삼아 그곳에서 가족의 묵은 문제를 다루거나 개선하려는 시도

76) Michael St Clair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24

42

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으며 가족에게서 받지 못했던 미흡했던 관계의 개선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본인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과

거의 가족 경험에 대한 자동적인 반응으로서 원가족 경험은 부부 및 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교회에서 사역하는 방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77) 때로는 이것들이

교회의 건강성을 훼손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가정

을 더 이상 교회성장의 밑거름으로가 아닌 교회가 도달해야할 목표로 삼아 가정을 회

복시키고 세우며 성도들이 건강한 가정에서 진정한 사랑의 관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삶과 신앙의 일치 신앙과 신학의 건설적인 만남을 추구하는 모든 신학은 lsquo하나

님의 주권rsquo을 전제로 한다 하나님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창조하셨기 때문에 이 세상

의 어떤 것도 그의 주권적 질서 밖에 존재 할 수 없다 하나님이 정치 경제 문화 생

활 전반을 포함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주관하신다는 것은 하나님이 교회 안에서만 아

니라 정치 경제 문화 영역에서도 일하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교회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강조로써 교회의 신뢰도 추락에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요소 가

운데 하나인 이원론적 사고와 편견을 극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관계신학적 입장에서

교회는 더욱 세상 속으로 나아가야 하고 특별히 주변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세우는 사

명을 감당해야 한다 우주는 하나님의 영광이 펼쳐지는 무대라는 칼뱅의 고백처럼 정

치 경제 문화를 망라한 전 사회의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이 인정되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정치 경제 사회적 부정 비리 사건들에 거의 빠짐

없이 교회와 관련된 이들 더욱이 교회의 중직자들까지도 연루되어 있어 왔다 교회의

중직을 맡아 봉사하던 이들이 어떻게 세상의 비판과 조롱거리가 될 정도의 삶을 살게

되었을까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지만 첫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세

상이 그만큼 골고루 악해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교회의 중직

을 맡을 정도로 교회 생활을 많이 해 온 그들이지만 세상의 악한 세력과 맞서 싸우며

77)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8

43

살기에는 너무 무력해서 세상과 타협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그들은 우

리에게 lsquo교훈을 주고 책망하며 또한 바르게 하여 줌으로써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여 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온전케 하여 주는 말씀의 능력rsquo을 체험하지 못했기 때

문에 악한 세상의 세력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 악해지고 더욱 속이기도 하고

속기도 해서 lsquo정직한 사람은 성공하기 힘들다rsquo는 말이 옳은 말로 들릴 정도로 악한 세

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이다 그렇지만 말씀을 우리 삶의 우선적인 등불로 삼아 그 말

씀으로부터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여 ldquo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더욱 온전케 되

어rdquo(딤후317) 진정으로 하나님의 사람들이라 불릴 수 있는 정직한 그리스도인들이 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신뢰도가 높지 못하다는 비판은 바로 한국 기독교인들이

신앙인답지 못함 즉 정직하지 못함을 지적한다 한국 교회의 부정직성은 한국교회가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을 향한 충성이 부족함을 뜻한다 그러므로 지역사회가 교회

를 신뢰하게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신앙인 됨의 기초인 영성을 점검해야 한

다 신앙과 삶의 일치에 대한 당위성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고백 뿌리 깊은

죄성에 대한 통찰에 기초한 계속적인 자기개혁 등은 한국 교회 신뢰도 증진에 전제

요소들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신앙적 내용들에 대한 확인과 점검 즉 신학적 작업은

성도들로 하여금 복음을 개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삶의 태도를 갖게 할 것이다 이

러한 복음에 대한 개방적 수용은 한국 교회로 하여금 ldquo개혁되어진 교회라도 계속 개

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78))rdquo라는 종교개혁의 정

신을 계승하도록 할 것이다 하나님의 주권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확고한 비전은 한

국 교회와 사회 전반에 대해 일관된 개혁적인 태도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전

하게 한다 또한 기본적인 영성에 대한 점검은 기독교인들을 자신의 삶과 태도를 절

대시하거나 그 안에 안주하지 않고 하나님 나라의 비전 즉 lsquo하나님과 이웃사랑의 삶rsquo

과 lsquo작은 자와 함께 하는 삶rsquo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므로 신뢰받는 교회 즉 건강

한교회가 될 수 있다 지역사회가 병들고 위험에 처하게 될 때 교회 또한 그러한 위

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교회는 세워진 그 지역을 위해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터전

78)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 fn1-11529

44

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과감하게 그 안에 참여하고 소금과 빛

의 역할을 감당해 나가야 한다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Leonard Sweet은 그의 책 관계의 영성에서 ldquo성경에서 일관되게 정의하는 믿음은

기본적으로 하나님과 이웃 세상 그리고 자연과 맺는 일련의 관계rdquo79)라고 말하고 있

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라함은 결국 성도 개인과 하나님 뿐 아니라 하나님께서 창

조한 자연 만물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관계적 믿음 안에 있는 사역의 모습은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고 지키며 가꾸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일이어야 한다

교회 건축에서부터 환경친화적 건축이 되어야 하고 교회 안의 모든 활동에서 교회는

하나님의 창조세계인 자연의 보호자임을 나타내야 한다 일회용품 사용의 억제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교회차량의 친환경화에까지 비록 많은 비용 부담을 감내해

야 하고 당장 모든 교회가 시행할 수는 없지만 하나님의 교회는 창조세계에 대한 책

임을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한다 주일 하루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하는 일과 같은

경우도 교회 내의 성도들에게 뿐만 아니라 세상을 향한 교회의 사명을 증거하는 강력

한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더불어서 주차 때문에 일어났던 교회 주변 이웃들과의 갈등

을 줄이는 효과를 더불어 누릴 수 있다

지구 온난화로부터 야기된 해수온도 상승과 빙하의 감소는 생태계의 커다란 파

괴를 초래하고 있다80) 이외에도 각종 환경오염과 오존층파괴 생태보호종의 무분별

한 남획은 지구 생태계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인간의 탐욕에 의해 일어난 환

경재앙이 이제는 인간의 삶의 터전을 무너뜨리며 결국에는 전 지구적인 재앙을 일으

키게 될 것은 자명하다 거듭난 그리스도인으로서 성도는 자연 만물과도 회복된 관계

속으로 나아가야 한다 환경을 지키고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일에 교회의 역할이 필요

하다 기후붕괴를 일으킨 지구온난화를 관계신학적인 관점에서 인식하고 생태계의 위

기 상황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회복을 위한 사역에 대한 논의와 비전이 일어나야 한

다81)

79) Sweet 관계의 영성 3780)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한국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참고

45

다음 장에서는 다양한 교회건강이론들에 대해 살펴보면서 특징들을 비교하고 이

시대에 필요한 건강한교회는 어떤 교회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81) 김영선 관계신학 336

46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그동안 한국교회는 성장과 부흥에 집중해 왔다 양적으로 많이 모이고 규모가 큰

교회는 다른 교회들의 모범적인 부흥의 사례가 되었고 그 교회 목회자 또한 부흥의

방법을 배우려는 이들의 모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이슈들

을 겪으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인다는 단지 그 이유로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시점에서 질적인 성장을 강조하는 교회건강에 대

한 움직임은 고무적인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그 내부를 좀 더 살펴보면 그 또한

변형된 양적성장운동임을 보게 된다 일정한 활동을 통해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양적

성장을 통해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규정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그동안의

양적성장에 비해 뒤쳐진 질적 특성을 보완하여 계속적인 교세의 성장을 위한 것이다

건강은 교회의 외적 규모를 가지고 결정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크지만 병이

걸려있는 교회가 얼마든지 존재하며 작지만 내실이 든든해서 건강한교회들 또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번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을 살펴보면서 먼저는 독일에

본부를 두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을 연구한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이론과

Wagner Anderson Macchia의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을 연구한 결과들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비교해서 NCD 이론에 나타난 약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

운 방안으로서 다음 장의 관계성 중심 사역을 위한 관계신학으로의 주장에 대한 근거

를 마련해 보려 한다

47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Schwarz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NCD의 이론에 따르면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는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보다 괄목할만하게 개발된 질적 특성들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질적 특성들은 대표적으로 8가지이며 이것들은 모든 교회 내에 존재

하는 요소이다 Schwarz의 연구는 양적 성장 자체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질적 성장의

원리를 통한 접근방식을 취한다 이 방법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가정은 좋은 lsquo질적

특성rsquo은 lsquo양적 성장rsquo이라는 결과를 반드시 가져온다는 것이다 lsquo질적 특성rsquo이라는 용어

는 어떤 상황에 처한 모든 종류의 교회들에게 타당한 원리로서 묘사된다 여덟 가지

질적 특성의 모든 측면들은 질적 및 양적 성장을 경험하기를 원하는 어떤 교회에 대

해서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며 연구 결과이다82)

계속해서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에 대해 개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NCD 이론을 통해 제시하는 교회건강의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이다 지도자의 리더십에 따라 교회가 나아가는 방향과 목회철학을 비롯한 사

역들이 정해진다 리더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질적으로 건강

하고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면 교회 지도자는 교인

들을 양육하고 훈련하여 교회 사역자로 세우고 그들에게 권한과 책임을 위임하는데

있다는 사실이다 그와 같은 지도력은 lsquo유능한 지도력rsquo이 아니라 lsquo사역자를 세우는 지

도력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83)

NCD의 조사 연구 결과는 lsquo목표 지향적rsquo이 지도력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이긴 하

지만 흥미로운 것은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나 성장하지 않는 교회의 지도자나 이 점

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며 건강한교회의 지도자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세우는

지도자라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 유념할 부분은 평신도를 사역의 동역자로 세우는 교

회 지도자가 있는 교회가 lsquo성장한다rsquo는 것을 이유로 교회건강을 위한 질적 특성들 중

82) Christian A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18383) Ibid 28

48

하나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는 것이다84)

2 은사 중심적 사역

두 번째 질적 특성인 은사 중심적 사역 역시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과 긴한 관

계가 있다고 한다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가 가져야 할 첫 번째 리더십이 사역자를 세

우는 리더십이라면 두 번째 질적 특성은 지도자가 교인들을 사역자로 세워 실제적으

로 어떤 분야의 사역을 감당하도록 교인의 은사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을 말하

는데 하나님께서는 이미 각각의 그리스도인들 마다 그들이 해야 할 사역을 이미 정해

놓으셨다는 것이고 교회 지도자들의 역할은 교인들이 그들의 은사를 발견하여 은사와

연관된 사역을 하도록 돕는 것이 교회 리더십의 역할이라고 규정짓고 있다85)

교회 지도자의 역할은 교인들이 자신의 은사가 무엇인지를 발견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은사를 따라 사역할 수 있도록 잘 조정해 주는 것인데 그리스

도인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은사를 따라 섬길 때 인간의 힘으로 하는 부분은 줄어드는

대신 성령의 능력 안에서 이뤄지는 일은 더 많아지게 된다 NCD의 조사 결과 흥미롭

게도 은사 사용 여부만큼 그리스도인의 삶에 만족을 가져다주는 요소는 없다는 사실

이 나타났다 ldquo은사 중심rdquo(나의 사역은 내 은사와 맞다)과 ldquo기쁨이 넘치는 삶rdquo(나는 나

자신을 행복하고 만족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연관성이 있다

는 사실이 조사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이라는 것이다86)

3 열정적 영성

세 번째 질적 특성으로서 lsquo열정적 영성rsquo은 구체적으로 교인들이 실제로 헌신하며

사는 믿음과 뜨거운 열심을 의미한다 질적으로 평균 이상이거나 평균 이하인 것을

불문하고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분해 주는 핵심적 요소는 영적

신조나 영적 관계는 아니었다 ldquo이 교회 성도들은 불붙어 있는가 성도들이 기쁨과 열

정으로 헌신과 믿음의 삶을 살고 있는가rdquo하는 점이다 이 점에 있어서 성장하는 교회

나 퇴보하는 교회 사이에는 그 교회의 영적 문화의 모습에 관계없이 큰 차이가 있으

84) Ibid 2285)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3086)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4

49

므로 NCD는 이러한 질적 특성을 lsquo열정적 영성rsquo이라 부른다87)

NCD는 열정적 영성이라는 질적 특성을 교인들의 기도 생활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들이 조사한 교회의 성도가 기도하는 데 얼마만큼의 시간(양)을 보내느냐

하는 것은 그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에 미미한 영향밖에는 주지 못한다 반면 그 기

도가 영감 있는 경험이었나 하는 것은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개인적으로 성경을 보는 것과 개인의 영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들의 조사 결과도

이와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NCD가 말하는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사

이에서 눈에 띄게 다른 것은 영적 열정의 정도이다 교인들이 얼마나 기쁨과 헌신적

으로 살고 있으며 이러한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것이 질적

성장을 하는 교회의 세 번째 특징이라고 말하고 있다88)

4 기능적 조직

네 번째 특성에 숨은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한 교회 내의 형식과 조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느냐의 여부이다 교회

조직 자체는 절대로 궁극적인 목적이 될 수 없고 오히려 조직은 단순히 목적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요구 사항에 맞지 않는 것들(지도력을 감소시키는 조직

불편한 예배 시간 교인들에게 효과적이지 못한 프로그램 등)은 모두 바뀌든지 중단되

어야 한다는 것이 NCD의 조사결과이다89) 이러한 질적 특성은 어떤 교회가 가지고

있는 조직의 수가 많고 적음 혹은 이 조직의 신구(新舊)가 중요치 않음을 가리킨다

오히려 그 기준은 그 조직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lsquo얼마나 유용한가rsquo로 결정된다는 것이

다90)

NCD는 적절하고 기능적인 교회 조직에 관한 수많은 사례들을 수집하고 이 조직

들을 비교하면서 이러한 조직들은 명백하게 의미 있는 공통 요소들을 갖고 있다고 말

한다 첫째 조직들은 지도노선(또는 목회철학)에 맞추어 방향을 정한다 둘째 성공적

조직들은 유용치 않은 모든 것을 기꺼이 제거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87) Ibid 268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689)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3590) Christian A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228

50

목회 철학에서 정의한 특정한 초점에 집중한다 셋째 성장하는 교회의 조직들은 거의

전적으로 증식 조직들이고 이 증식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자율성과

자활 능력을 갖는 하부구조를 만든다는 것이다91) 이처럼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는

사역의 효과를 높이고 어떤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조직을 개발하고 갱

신하는 교회라는 것이 NCD의 네 번째 질적 특성이다

Schwarz의 연구가 바탕이 된 NCD의 이론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그 질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고 이를 교회의 건강성

의 척도라고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다른 질적 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5 영감 있는 예배

교회 성장을 결정짓는 요소 가운데 하나는 예배이다 모든 교회는 예배한다 단

순히 예배드리는 것이 교회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문계는 어떠한 예배인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예배의 어떤 방법으로 드려야 하는가하는 방법상의 문제도 아니

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교회의 예배가 예배 참석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예배인가 하

는 것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별해주는 한 가지 기준은 성

장하는 교회는 영감 있는 예배를 드린다는 것이 NCD의 진단이다 교회 성장에 있어

서 결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진 다른 기준이 있다면 그것은 ldquo예배가 과연 성도들에게

영감 넘치는 예배인가rdquo라는 점이다 NCD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회들을 상대로 예

배에 관해 질문한 11개에 대한 대답 모두가 서로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체되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와 성장하는 교회를 구분하는 확실한 기준은 바로 예배라고 말

한다92)

예배는 신자 중심으로 드려지거나 불신자 중심으로 드려질 수도 있고 전통적 스

타일로나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드려질 수도 있고 사용되어지는 언어가 거룩하거나

세상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교회 성장과 무관한 것이다93) 어떤 특정한 예배

형태가 교회성장을 좌우하는 것이 아니고 lsquo영감 있는 예배rsquo가 있는 교회가 질적으로

91)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2992)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93) Ibid

51

성장하는 교회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NCD는 lsquo영감 있는rsquo이라는 말의 근원인 인

스피라티오(inspiratio)라는 단어의 뜻에는 하나님의 영으로부터 오는 영감이라는 의미

가 내포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관념적인 성령의 임재가 아니라 성령이 진정으로 역사

할 때에 예배의 분위기는 물론 예배 절차에 구체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94)

6 전인적 소그룹

NCD는 420만 개의 응답을 분석한 후 170개의 교회성장 요소를 발견하였고 그

가운데 다시 8가지 요소들을 정리했는데 그 8가지 요소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성장

요소로 lsquo전인적 소그룹rsquo을 들고 있다 그들은 전 세계에 걸쳐 성장하는 교회나 쇠퇴하

는 교회에 관해 연구하면서 소그룹의 계속적인 번식은 보편적 교회 성장 원리가 된다

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더 나아가 소그룹이 교회의 질적 특성과 양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려면 어떻게 소그룹이 운영되어야 하는지 또한 밝혀냈다 그렇게 되려면

소그룹이 단순히 성경구절을 공부하는 데 그치지 말고 그 구절의 메시지를 매일의 삶

에 적용시키는 전인적(단지 각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온전한)인 소

그룹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소그룹 안에서는 사람들이 자기가 실제 처해 있는

개인적인 문제나 질문들을 내어놓을 수 있어야 한다95) 여기서 말하는 전인적 소그룹

이란 교인 개개인이 서로 간에 친한 교제를 나눌 수 있고삶의 현실적인 영역에서

도움을 받으며 또한 강한 영적 교제도 나눌 수 있는 체제를 의미한다 소그룹이라는

소우주(小宇宙)내부에서도 교회 전체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동일한 과정이 발생한

다고 말하고 있다96)

질적 지수가 높은 교회와 수적으로 성장하는 교회에서는 예배 참석보다는 소그

룹에 우선을 두는 경향이 다분하다 소그룹이라는 것은 좋기는 하지만 안 해도 되는

취미생활과 같은 선택 활동이 아니다 교회 생활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들 중

많은 부분이 소그룹 안에서 이뤄진다 교회가 커질수록 소그룹 원리는 계속되는 성장

을 위한 결정적 요인이라는 사실을 NCD 연구가 확인해 주고 있다97)

94)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3195) Ibid 3296)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479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2

52

사실 이 소그룹은 다른 질적 특성들과 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소그룹이 이루어

지려면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필수적이고 소그룹 환경 내에서 은사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다 소그룹은 조직을 언제든지 갱신할 수 있는 순발력이 있고 즐거운 예

배를 경험케 되며 불신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전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한 친한 사랑의 관계를 나눌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소그룹인 것이다 이처럼 NCD

가 8가지 질적 특성 가운데 소그룹을 가장 중요한 원리로 꼽는 것은 소그룹이 갖는

장점이 다른 질적 특성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2장에서도 살핀 바와 같이

소그룹은 포스트모던이라는 시대에 현대인들의 진정한 관계에 대한 필요를 채워주는

중요한 도구라는 면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7 필요 중심적 전도

성장하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 이것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전도를 하지 않

는 교회는 없다 모든 교회는 전도에 힘을 쓴다 그러나 문제는 전도의 필요성이 아니

라 전도를 통해 교회가 실제로 성장하는가 하는 것이다

Schwarz는 우리의 관심을 끄는 문제는 전도의 필요 여부가 아니라 실제로 하고

있는 전도가 교회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며 성장하는 교회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어붙이는 인위적인 전도 방법과 전혀 반대되는 불신자들의 의문에 답해

주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방법이라고 말한다98) 전도의 은사가 있는 사람과 하나

님께서 다른 분야의 일로 부른 사람을 반드시 구분해야 한다 연구 조사 결과 높은

질적 지수를 갖고 있는 교회의 지도자는 누가 전도의 은사를 갖고 있는지를 알고 그

들에게 맞는 사역을 맡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99)

교회 성장의 열쇠는 교회가 전도의 초점을 불신자들이 당면한 문제와 필요를 충

족시키는 것에 맞추는 데 있다 이러한 lsquo필요 중심적rsquo 접근 방식은 불신자들의 필요를

충족시켜주지 못함으로 불가피하게 불신자들에게 부담과 압력을 느끼게 하는 인위적

프로그램과 다르다 이미 갖고 있는 관계를 전도를 위한 기회로 사용하는 것이 핵심

이다100) 현존하는 불신자들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전도의 초점을 그들의 필요를

98)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4499) Ibid100)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5

53

충족시키는 실제적 전도를 실행하는 교회가 NCD가 제시하는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

의 일곱 번째 특성이다

8 사랑의 관계

마지막으로 NCD는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실제적으로 경험

되는 교회라는 것이다 인간의 관계에서 사랑이 다양한 모습으로 자주 경험되는 교회

가 그렇지 못한 교회보다 질적 양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평균적으로 볼 때 성장

하는 교회들은 정체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에 눈에 띄게 높은 lsquo사랑 지수rsquo(love

quotient)를 갖고 있다 웃음이 넘치는 교회 생활과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 사이에는

중요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놀라운 사실은 이것이 그렇게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교회 성장 문헌에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NCD의 연구 자료에

의하면 그것은 분명히 교회 성장 원리로서 충분한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우리가 사랑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듣기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사랑이 정말

어떻게 역사하는지 경험하기를 원한다101)

낮은 사랑 지수를 보인 교회들은 행하는 전도는 대개 단지 말로만 하는 활동으

로 제한되지만 잘 발달된 사랑 지수를 가진 교회들은 언어적 방법으로만 움직이는 교

회들보다 다른 사람들을 훨씬 더 크게 끌어들인다는 것이다 조사에 참가한 1000명

이상이 출석하는 교회들을 조사해 본 결과 그들에게 있어야 할 여러 가지 질적 특성

들 중 가장 빈번하게 최소치 요소가 lsquo사랑의 관계rsquo였다는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었

다 사랑이 부족한 곳에서는 어디서나 교회가 더 성장할 수 없도록 심각하게 방해받

는다는 것이 NCD의 마지막 질적 특성과 관련된 주장이다102)

이상으로 Schwarz의 연구를 바탕으로 둔 NCD의 교회건강의 이론적 근거인 8가

지 질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위의 8가지 특성을 수치화하여 그 중 가장 낮은

수치의 영역을 보완함으로써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그들이 말하는 lsquo최소치

전략rsquo이다103) 이를 통해 Schwarz의 연구가 질적인 특성을 말하고 있지만 결국 이 또

한 양적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얼마나 결과 중심적으로 교회의 건강을 다루고

101)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6102) Ibid 37103)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51

54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적교회성장은 교회건강이 목적이 아닌 교회의 양

적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Schwarz의 연구와 함께 교회성장과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연결시켜 제시한 다른

학자로는 Peter Wagner가 있다 이어서 Wagner가 제시한 건강한교회의 7가지 특성들에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Wagner는 그의 책 Your Church Can Grow에서 건강한교회의 일곱 가지 생체적인

특성들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아픈 환자들이 의사를 찾아 치료해야 하는 것과 같이

교회 또한 잘못된 많은 행동으로 말미암아 아프게 될 수 있지만 질병을 치료하고 건

강을 회복할 때 교회를 다시 성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일곱 가지의 요소들이 있다

고 말한다

1 긍정적인 목회자

그 첫 번째의 특성은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모든 성도들에게 동

기를 부여할 수 있는 역동적인 리더십을 가진 목회자에게서 찾고 있다 성장하는 건

강한교회의 목사는 전형적으로 성도들과의 생생한 관계들을 통해 획득한 강한 권위를

바탕으로 교회를 이끌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104) 목사가 특별한 은사를 가지고 성도들

의 원하는 바를 파악하고 그들에게 나아갈 길을 제시함으로서 교회 전체의 사역들을

열정적으로 이끌어 갈 때 사람들은 목사를 신뢰하고 그를 따르게 됨으로써 건강한 교

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5)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두 번째의 특성은 성장을 위해서 자신의 은사를 분명히 발견하고 잘 사용하도록

훈련된 평신도라는 것이다 평신도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

104) C Peter Wagn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66105) Ibid 75

55

용할 수 있겠지만 성경에서 묘사된 영적인 은사들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구성원들로서 기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

사람은 주어진 영적 은사를 개발하고 그 은사를 사용하여 직무를 수행해야 하며 성도

들이 자신의 영적인 은사와 그 은사의 이점을 발견하는 것은 성장하는 교회를 위해

필요한 다양하고 복잡한 필요들을 채울 수 있으며 이를 위해 27가지106)의 영적인 은

사를 구분지어 제시하고 있다107)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세 번째의 특성은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의 필요와 기대를 얼마만큼 충분히 채

워줄 수 있는가를 말하는 성도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이다 새신자들이 정착하고 싶은

교회가 되기 위해서 교회는 그 구성원들을 잘 섬겨야 하며 이를 통해 외부적으로 좋

은 평판을 갖게 된 교회는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함께 얻게 된다고 한다

친한 교제 목회적 돌봄 어린 자녀들을 위한 주일학교 교육과 같은 사역들은 교회

가 성도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성도들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것들이

다 만약 교회의 자원이 좀 더 넉넉하다면 독신들을 위한 사역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을 통해 그 지역에 독신인 사람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

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것은 교회의 크기와 무관하게 교회가 속한 지역의 불신자들

의 필요를 주의 깊게 살피고 이를 목회에 적용하는 사역의 철학을 통해 사람들을 필

요에 민감한 교회구조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8)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Wagner가 말하는 교회성장을 위한 네 번째 특성으로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내

부 기관들에 관한 것인데 축제로서의 각종 의식과 회중 셀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이라 한다 이 말은 세 가지의 기본적인 회집이 주어진 상황

106) Wagner는 그의 책 교회성장 될 수밖에 없는 성령의 은사 27가지라는 책 전반을 통해 예

언 섬김 가르침 권면 헌금 지도자 긍휼 지혜 지식 믿음 병 고침 기적 영분별 방언 방언통역 사도 서로 돕는 일 행정 전도 목회 독신 궁핍을 자처함 순교 대접함 선교 중보기도 귀신을 쫒음의 27가지 은사들을 정의하고 있다107) C Peter Wagner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6108) Ibid 17

56

속에 있는 교회를 위해 올바른 균형감각을 찾도록 고려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가장

큰 규모로서 멤버십 모임은 거의 어떤 규모로든 가능하고 중간 규모로서 친교모임과

가장 작은 규모로서 영적인 친족 모임으로 8~12명 정도가 적당한데 이러한 세 가지

구조를 Wagner는 lsquoCelebration Congregation Cell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의 큰 단위로서 교회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진 조직적인 형태로의 소그룹에 대한 내용

이 그가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네 번째 특성이다109)

5 동질집단의 원리

다섯 번째는 동질집단의 원리의 적용으로서 성도들이 자신이 속한 그룹으로부터

벗어나서 교회에만 속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문화적 사회적인 그룹에

그대로 머물면서 고립되거나 문화적인 장벽을 넘지 않고도 신앙생활을 유지할 수 있

도록 교회가 구조를 갖추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사회적인 구조를 중요시하는 교회성

장이라야 건강한교회를 이룰 수 있다는 Wagner의 주장은 lsquo그의 교회성장의 주된 원리

를 유지하면서 또한 건강한교회가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서 구성원

들이 자신이 속한 동질집단과의 관계를 잘 유지하고 이를 통해 그 집단 전체에게 그

리스도의 영향력을 전함으로서 속해 있는 집단 전체를 아우르는 형태rsquo를 동질집단이

라 부르고 있다110)

6 효과적인 전도

여섯 번째는 효과적인 전도방법에 대한 것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실용주의

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요구사항을 찾아 그것을 충족시키며 대집회를 통한

전도 집중 전도대회 교회성장이라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나아가는 몸의 전도운동

등의 방법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에는 동질 집단

구성의 원리를 통하여 사람들을 요구를 분간해 낼 수 있다고 하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정신은 다양하고 효과적이며 지역사회에 적합한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되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분명한 목적을 세우는 것이다 사용하는 방법에는 개교회 단

위의 협력도 있지만 경쟁심을 활용하는 것도 있고 효과가 없는 옛 방법을 과감히 버

109) Wagner The Healthy Church 18110) Ibid

57

리고 보다 더 효과적인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필요에 민감한 전도를

하는 방법도 있으며 이를 통해 교회가 성장할 수 있다고 Wagner는 말하고 있다111)

7 성경적인 우선순위

일곱 번째는 lsquo성경적인 우선순위rsquo를 말하는데 지금까지의 여러 가지의 특성들을

성경적인 순서로 적절하게 배열하여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서 이루어

지고 있는 여러 가지 정책에서 사용되는 우선순위의 적절한 배치를 말한다 또한 사

람들이 요구하는 많은 항목들 중 오직 교회만이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을

아는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교회가 세울 수 있는 가장 최선의 우선순위는 그리스도

께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이고 이어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

마지막은 전도 사회봉사를 위시한 이 세상에서의 그리스도의 사역에 전적으로 의탁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112)

이상으로 Schwarz의 이론과 함께 Wagner가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가 되

기 위한 7가지 요소들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제시하는

다른 두 가지 이론을 살펴보려 하는데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이 그것이다 두 이

론도 공히 위에서 언급한 교회내부의 요소들을 분명히 다루고 있지만 Anderson의 경

우 건강한교회의 중요한 특성으로서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관계를 주장하고 있고

Macchia의 경우는 교회의 건강을 하나님과 성도와 그리고 세상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분하고 있음은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건강을 판단하는 시

점에서 중요한 대안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먼저는 Anderson의 건강한교

회의 특성 6가지를 살펴본 뒤 Macchia의 세 가지로 구분된 10가지 특성들에 대하여

하나씩 살펴보겠다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NAE113)의 회장을 맡고 있고 미네소타 주의 미네아폴리스에 있는 우데일교회를

111)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71112)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87113) NAE(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는 40개의 교단 45000개 이상 교회의 연합체로서

58

담임하고 있는 Leith Anderson은 건강한교회에 대하여 6가지 특성을 다음과 같이 말하

고 있다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첫째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교회란 하나님의 평판을 그 지역이나 전 세계의

신자나 불신자에게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교회인데 많은 지역사회 속에서 하나님의

평판은 교회의 평판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서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약속을 정확

히 지키고 섬김을 받으려는 것보다 섬기려하는 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기독교적 방법

으로 어려운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교회로서의 조직을 유지시키고 교단을 대변하려

하는 대신 사회적 관계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에 더 관심

을 갖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첫 번째 특성으로 말하고 있다114)

2 제자 삼음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특성 두 번째는 제자 삼는 교회로서 같은 교회

에 그 교인을 계속 유지시키게 하는 것보다 교인이 훈련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며

모든 신자들이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인식을 바꾸어 훈련된 사람을 배출하려고

계속적으로 애를 쓰는 교회이다 실제적인 측면에서 항상 제자 지향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 그들의 프로그램과 형태를 구비하고 주일학교를 제자를 길러내도록 고무하고

장려하는 교회이다 문제를 일으키는 성도에 대해서도 그저 교회에 계속 출석하면 되

는 모양새로 방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성도가 그 문제성을 인식하고 성경적인 신자로

변화되도록 계속해서 사랑하고 만나고 훈련시키고 지도하는 실제적인 교회를 의미한

다는 것이다115)

3 영적은사의 훈련

셋째는 영적 은사가 활용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 말하는데 Anderson

미국 사회에서 개혁주의 신앙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을 원칙으로 삼고 있는 협의회이다114) Leith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165115) Ibid 167

59

이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건강한교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영적인 은사는 세속적인 직

업과 유사한 직무로서 사역은 직함보다 중요하고 은사는 주로 개인보다는 교회에 주

어졌음을 교육하면서 모든 그리스도인이 적어도 한 가지의 은사를 갖고 있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위원회나 조직을 최대한 축소하면서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사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말하고 있다 교회 조직이 필요한 곳에 사람을

두기 보다는 성령이 은사를 준 그 사역에 그들로 하여금 힘을 다하도록 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일컫고 있다116)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네 번째의 특징은 주변 환경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는 교회로서 고립되지 않고

주변 사회와 소통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거룩이라

는 영적인 본성 때문에 필연적으로 반문화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예수님께서 이 땅

에 오심으로 죄악 된 세상 환경에 자신을 참여시켰던 것처럼 건강한교회는 종교적이

지 않은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방법을 찾고 죄인들과

같이 되기 위해서 참소와 오해를 무릅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 건물의 사용

에 있어서도 정규 교회 활동과 외부 세속 활동 사이의 구별을 없앰으로써 세상에 좀

더 가까이 갈 수 있으며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며 적극적으로 세상

과 관계를 맺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모습 중 하나라고 이야기하고 있다117)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다섯 번째 특징은 건강의 증거로서 재생산에 대

한 내용이다 협력전도를 통해 전교인이 재생산에 참여하고 모든 사람이 직접적으로

전도에 참여하지 않을지라도 모든 사람이 복음 전도에 기능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전해

야 한다는 것이다 숫자의 함정에 빠져 많은 수가 교회에 등록하는 형태의 전도를 건

강의 척도로 삼을 것이 아니라 lsquo얼마나 새신자들이 교회에 동화되어 어떤 모습으로라

도 전도에 참여하기까지 이르고 있는가rsquo를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측정해야 함을 주

장함으로서 새로운 사람들이 교회생활에 적절히 동화되어 교회라는 공동체 조직이 빈

116)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68117) Ibid 170

60

틈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레고 조각이 짜 맞추어지는 것처

럼 교회 또한 새로운 신자들이 들어올 때 다시 재편성되어 새신자와 기존 신자가 다

시 새롭게 짜 맞추어 들어감으로서 관계성을 형성하고 기존 구조에서 새로운 구조로

기꺼이 변화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진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118)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마지막으로 건강한교회는 건강한 믿음을 소유함으로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자신

들이 하나님께 속해 있으며 또한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이심을 실제로 받아들

이고 믿으며 하나님이 무엇을 원하시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교회의 나아갈 바를 정하

되 기도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통해 모든 교회 생활을 일구어가는 교회라는 것이

다 그들은 성경으로부터 모범과 사례를 인용하여 그들의 교회 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성경의 구절들을 연구 비교하고 영감과 방향을 가르쳐 주는 자원으로 성

경을 확신하며 토론의 중간에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기도모임을 요청하는 것에

불편을 느끼는 않을 때 그러한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할 수 있다고 Anderson은 말하

고 있다119)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는 이전 이론들과 달리 성장에 대한 요소가 빠져

있고 대신 교회내부를 비롯해서 외부적으로도 적절한 관계 속에 있어야 함을 통해

세워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런 와중에 교회 내부 요소들에 대한 언급이 소홀해진

면이 있다 교회의 내부적 특성과 외부적 특성에 대해 적절한 균형을 가지고 3가지로

분류해서 제시하고 있는 Macchia의 주장을 이어서 제시하려 한다

제 4 절 Stephen A Macchia120)의 교회건강이론

Macchia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100개의 중소형교회121) 8000

118)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75119) Ibid 182120) Stephen A Macchia은 LTI(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교회 내에서 요구

되는 리더십과 팀사역을 위한 영적 섬김을 위한 사역을 감당하고 있으며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의 Pierce Center for Disciple-Building에서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또한Phoenix Seminary에서도 교수진으로 사역하고 있다

61

명의 회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교회의 특성을 연구하면서 이 자료를 토대로

건강한교회로서의 10가지 특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ldquo건강한교회는 성장이 아닌 각 특성들이 얼마나 개선되어져 가는지를 통해 평가되어

야 한다rdquo는 것이다122) 그 10가지의 특성들은 또 다시 세 가지의 개별적인 영역인 하

나님 성도들 세상과의 관계요소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이어서 설

명할 하나님의 임재가 충만한 공동체로서의 특성에 대한 것이다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acchia가 말하는 건강한교회로서의 첫 번째 특징은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 능력

을 힘입게 됨을 의미한다고 한다 건강한교회는 활발하게 성령의 인도를 구하고 날마

다의 삶과 사역에서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는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강력한 임재에 대

하여 하나님의 임재가 경험될 때 나타나는 가장 가시적인 현상은 기쁨이 충만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기쁨이 충만한 건강한교회는 새신자들의 마음을 움직여 교회

공동체로 이끄는 매력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123)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성령을 부어주

실 때 우리는 그분의 사랑과 주되심을 더욱 이해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우리를 통해

하나님께서 일하시며 그런 성도들이 모인 교회가 건강과 생명력으로 가득 차면서 교

회를 구성하는 이들의 삶 속에서 성령의 열매인 사랑 희락 평화 오래 참음 친절

선함 신실함 온화함 자기절제를 가득하게 맺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충만

한 임재를 통해 성령께서 교회를 주관할 때 성령의 은사가 충만하게 될 것이며 이것

이 바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모습이며 또한 건강한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124)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건강한교회로서의 두 번째 특성은 마음과 뜻과 힘과 정성을 다해 하나님을 예배

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모여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표징을 나타내는 것이고 한다 모

121) NCD의 연구와 달리 대형교회가 아닌 대부분의 교회 현실에 가까운 사이즈인 중소형교회

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122)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13123) Ibid 27124) Ibid 37

62

든 피조물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음 받았지만 오직 인간만은 아

버지 되신 하나님과 사랑의 관계를 누리도록 창조되었다 우리는 우리가 하는 모든

일들을 통해 하나님을 높이고 영화롭게 하는 삶의 방식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우리는

우리의 사랑을 밖으로 흘려보내는 행위를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며 예배하도록

독특하게 지음 받았다는 것이다125) 이러한 접근을 통해 우리는 형태적인 면에서도 사

람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보다는 하나님께서 예배 속에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가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예배의 방식을 바꾸어 갈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의 성도들은 예배 속에서 단지 푹신한 자리에 앉아서 수동적으로 행해지

는 일이 아닌 하나님과 의미 있는 체험을 하게 되기를 갈망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

장 효과적인 방법은 회중들이 마음과 뜻과 정성과 힘을 다해 예배 속에 참여할 수 있

도록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발전시키는 것으로써 하나님의 사람들이 능동적으로 예배

가운데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교회의 건강정도를 판단할 수 있

음을 Macchia는 말하고 있다126)

다 영적인 제자훈련

Macchia가 이야기하는 또 다른 특징은 날마다 영적인 제자도를 개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전 연령대의 성도들에게 영적인 훈련과 모델 그리고 기회들을 제공하는 교

회가 건강한교회라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우리의 관계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우리가 결정을 내리는 능력과 방식들 우리의 사명을 이해하는

정도 사역 속에서 섬김을 위한 우리의 비전들과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건강한

교회의 성도는 무엇이 헌신된 삶인지를 잘 배워서 그리스도와 함께 걸으며 생동감 있

게 사는 것의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다른 이들에게 이러한 영적인 삶의 여

정 속으로 동참하기 위한 성장을 권면할 수 있다127)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제자가 된

다는 것은 우리가 믿음의 삶 속에서 훈련받고 사랑의 열매들을 맺으며 자기절제를 훈

련하고 주님과 동행하는 활동들 속으로 참여하며 동시에 분주함과 싸우고 그러한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순종하는 삶을 이야기한다128) 또한 내적인 평온을 통해

125)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41126) Ibid 46127) Ibid 60

63

하나님의 이끄심에 민감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그러므로 건강한교회란 ldquo성도들의 삶

이 영적인 제자로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교회를 의미한다rdquo고 말한다129)

여기까지의 특성들은 성도가 어떻게 하나님과 건강한 관계 속에 설 수 있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는 부분이다 다음은 성도들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이어서 Macchia는 하나님과 관계뿐만 아니라 성도들과의 관계가 필수요소라고

말하는데 그 첫 번째는 공동체를 통해 배움과 성장을 성취할 수 있는 교회가 건강한

교회라고 주장한다 교회는 신자들이 안전하고 견고한 상황 속에서 하나님과 다른 사

람들과 함께 걷는 여정 속에 자라가도록 돕는 교회이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공동체

속으로 불러서 훈련하시고 그분의 가르침과 모범을 따르도록 하셨으며 이것을 세상

가운데 증거 하도록 하셨다 예수님은 늘 크건 작건 모임 속에서 가르치시고 때로는

먹이기도 하셨다 공동체를 창조한 놀라우신 이는 우리가 날마다의 삶과 사역 속에

성장하고 배워하는 모델을 직접 행하심을 통해 가르치셨다 맞벌이를 해야 하는 많은

가족들은 벅찬 업무와 해야 할 일들에 둘러싸여 있다 보니 소득은 조금 늘어나지만

정작 가족을 세우고 견고하게 하며 가족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쓸 수 있는 자원을

잃고 만다 그뿐만 아니라 아직 독신의 경우에도 그들의 시간을 빼앗아가는 수많은

일들에 파묻혀 친구들과 가족을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여분의 시간은 점점 줄

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도 건강한교회는 신자들이 공동체 속에 들어

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환경을 조성해내는 교회여야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130)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가정에서 화목한 관계를 유지하고 성도들 사이에 사랑의

관계를 가지며 그들이 섬기는 공동체 내에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세워가도록 그들을

128)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68129)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61130)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81

64

위한 노력을 다하는 교회를 의미한다고 한다 우리가 행하는 서로를 향한 사랑과 돌

봄은 우리의 교회가 함께 모일 수 있게 만드는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

은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계들로는 무조건적인 표현 서로

에게 진실함과 신실함으로 대하는 것 은혜 자비 용서 갈등을 해결하고 소통을 원활

하게 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노력들을 요구한다 교회는 성도들의 각 가정을 위한 사

역을 통해 그들이 가족 속에서 연합을 경험하게 해야 하며 공예배를 포함한 모든 사

역의 활동영역에서 가족에게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관계를 세우

는 행위를 통해 교회는 성도들안에 예수님의 사랑의 삶의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보일

수 있고 하나님이 원하셨던 진정한 공동체로서 서로의 필요를 채워주고 함께 물건을

통용하는 초대교회 사랑의 기독교를 실현시킬 수 있는 건강한교회로 세워져갈 수 있

다고 말하고 있다131)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교회의 건강성은 각 성도들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인식하고 각자에게 지도자로서

부여한 은사를 깨달으며 그 은사를 활용하여 서로에게 서번트리더가 되도록 권면하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요한복음 131~17을 통해 예수님께서 친히 겉옷을 벗

고 수건을 두르시고 제자들의 발을 하나하나 씻으신 후에 다신 옷을 걸치고 자리에

앉아 제자들에게 자신과 같이 행할 것을 가르치시는 모습에서 서번트리더의 모델을

찾을 수 있는데 우리는 다른 사람 위에 군림하도록 부름 받은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

들을 섬김으로써 예수님의 모범을 따르도록 부름 받았다 또 다른 서번트리더의 모습

은 인도함을 받는 리더 사랑 많은 리더 배우는 리더 잘 들을 수 있는 리더 다른 사

람들의 짐을 가볍게 해 주는 리더 계급구조를 내버리는 리더가 됨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한다132)

여기까지의 배움과 성장이 가능한 공동체 서로 사랑으로 돌보는 관계 섬기는

자의 삶은 모두 교회 내부에서 서로간의 관계를 세우는 요소들이다 이어서 Macchia

가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서 말하는 요소들은 세상 속에서 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에 관련된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131)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11132) Ibid 131

65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이어서 제시하는 내용은 교회의 세상과 관계회복을 위해 생각해봐야 할 부분과

함께 교회 조직을 어떻게 건강하게 이끌어갈 것인가에 대하여 다루고 있고 특별히 교

회마다 많은 갈등의 주요인이 되고 있는 행정과 재정적인 부분까지 다루고 있다는 면

에서 다른 이론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건강한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진리를 증거하고 그분의

사랑을 나타내기 위한 일에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교회라는 것이다 신자는 자신 안

에 일어나는 기쁨을 세상 속으로 흘려보내는 삶을 살아야 한다 이 기쁨은 단순한 감

정이 아닌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충만함의 결과로 나타나는 희락이다 이처

럼 세상을 향해 초점을 맞춘 삶은 성령의 도움으로 가능한 일로서 실용성을 지향하는

긍정주의와는 다른 것인데 사람들과 복음을 나누며 그리스도의 몸이 갖는 잠재적 본

성을 이용하여 먼저 믿는 우리가 서로 사랑으로 교제하고 떡을 떼며 기도와 예배와

공동체적인 삶을 통해 하나님을 찬미할 때 이를 통해 날마다 구원받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났던 사도행전적인 역사가 현재에도 일어나야 한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

도를 알도록 우리는 오케스트라의 악기가 되어 아름다운 음악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도구로서 세상지향적인 교회가 되어야 하고 이런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

하고 있다133)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의 자원 재정 그리고 조직이 성장과 사역의 개발을 최대한 지원할 수 있도

록 적절하게 사용되는 것이 교회건강의 중요한 요소라고 한다 많은 교회에서 정말

능력 있는 행정가는 담임목사가 아닐 수도 있다 담임목사들의 경우 교회행정에서 주

도권을 잃는 것을 용납하지 않지만 한 사람에게 너무 많은 책무를 부여하는 것보다는

목회자와 동일한 비전을 가지고 교회와 그리스도께 헌신된 사람을 주의 깊게 성령의

인도함을 따라 교회의 행정가로 선택하고 목사와 행정가가 긴한 관계로 이어진다면

133)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4

66

교회는 한층 건강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러한 행정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전략적

인 계획수립과 목표결정 하나님의 뜻을 이룸을 최선으로 하는 재정구조 계속적인 평

가와 권면 그리고 장기적인 사역에서 발생하는 변동요소들을 잘 관리해나가는 것들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134)

다 교회들의 연합

건강한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들이 서로 협력하고 자원을 공유하며

배움의 기회들을 높이고 서로 연합된 예배공동체를 이루어가도록 노력하는 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우리 앞에 놓인 사명을 교회가 이

루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필요를 실감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협력과 연합은 훨씬 더 효과적인 전도와 사역을 이루어낸다 각

교회들은 예배의 형식 교회정책 지역의 선호도 교회에 대한 기본적인 신학에 있어

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공통되는 요소를 발견함을 통해 도시단위 지역

단위로 연합할 수 있으며 그 지역 도시의 복음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수행해감으로써

우리가 섬기도록 부름 받은 지역을 위한 효과적이고 영속적인 영향들을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135)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자원들의 청지기라고 가르치며 그

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도록 충분히 관대한 희생의 마음으로 살아가도록 도전하는

교회라고 Macchia는 말한다 교회가 시간 재능 재정을 관대하고 선한 목적을 가지고

기꺼이 나눔으로서 물질만능의 세속적인 시대상을 극복할 수 있고 세상 속에 그리스

도의 몸 됨을 알리는 복음증거의 좋은 발판이 되어 진다 청지기정신은 지난 시대 속

에서는 개혁교회의 감춰진 주제였지만 갈수록 그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예

수님께서 ldquo네 보물 있는 그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마태복음 621 개역개정4

판)rdquo라고 가르치신 것 외에도 신구약성경 2000곳 이상에서 재정과 물질자원의 사용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더욱 이 주제에 대하여 교육하고 알려야할 이유를

134)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9135) Ibid 186

67

제시한다 자원은 나누어질 때 더 많은 열매를 거둘 수 있고 하나님은 기꺼이 나누는

사람을 사랑하신다 건강한교회는 우리들 각자에게 속한 자원들을 우리 자신의 것이

아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도록 잠정적으로 맡기신 것을 삶 속에서 실제로 실

천하도록 성도들을 이끌어가는 교회라는 것이다13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Schwarz는 그의 책 자연적교회성장의 서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서 교회를

유기체로 인식하고 외적 장애요인이 성장과 접한 관련이 있음에 대한 공헌을 하였

우리가 교회성장을 만들어 내려고 해서는 안 되고 오히려 하나님

께서 이미 교회에 부여하신 생명체적 잠재력을 풀어놓아 스스로

운행되도록 해야 한다 교회 내부나 외부에 존재하는 성장 장애

요인(환경장애)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교회 밖에 존

재하는 요인들은 우리가 다룰 수 없는 사항들이기 때문에 우리는

교회 성장과 부흥을 방해하는 교회의 내적 요인 제거에 초점을 두

어야 한다 그럴 때 교회 성장은 저절로 이루어진다137)

교회성장에 대하여 인위적인 방식이 아닌 하나의 생명체로서 교회의 성장을 방

해하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교회성장이 자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

고 이에 대하여 교회성장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를 주장하는 데에는 교회 성

장과 관련하여 큰 공헌을 한 점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이것을 교회의 건강으

로 연결하여 건강한교회는 성장한다는 원리로 규정짓는 데에는 교회건강에 대한 분명

한 개념정립이 다시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적 질적 특성을 구분할 때 양적인

것은 인간의 오감을 통해 쉽게 외부로 나타내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을 말하는 반면 질

적 특성은 그러한 체제 속에 담겨있는 정신과 비가시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의 양적인 성장이란 단순하게 교인들의 숫자나 건물의 크기 교회재

136)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1013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10

68

정의 규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교회 안에 있는 교인들의 신앙연륜 성경에 대한

지식의 정도 날마다 성경을 묵상하는 성도의 수 기도하는 시간과 같은 것을 포함하

는 개념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Schwarz가 말하는 질적 특성의 많은 부분이 실은

양적 특성에 해당하며 실제로 질적 특성이라 함은 비가시적이고 시간이 흐르면서 검

증되어야 하는 부분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Schwarz의 질적 특성의 8가지 원

리만을 가지고 교회건강의 정도와 연결시키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오히려 교회

의 건강이란 위에서 다룬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흐트러뜨리는 교회의 내적 요인과 외

적 요인이 없는 상태로서 질병이 제거되어 각 기관들이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함으로

써 교회존재의 본질적 요소인 소금과 빛의 사명을 감당하는 상태라 함이 건강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에 빗대어 더 바람직한 정의가 된다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또한 Schwarz의 이론 중 유익한 공헌으로는 큰 교회가 작은 교회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에 대한 실제 조사결과이다 교회성장과 관련된 170가지 변

수들 중에서 교회의 크기는 자유주의적 신학과 전통주의의 뒤를 이어 세 번째로 강한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사실과 실제 통계 조사로써 5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50

여명 정도의 소형교회들과 3000명 정도 모이는 대형교회들의 출석률 변화를 보았을

때 소형교회는 평균 출석수의 변화는 32명의 새신자가 생겼던 반면 대형교회의 경우

는 같은 기간 112명의 새신자가 생겼고 이를 상대적인 비율로 계산했을 때 소형교회

가 대형교회에 비해 1600퍼센트나 높은 성장가능성을 보였다는 사실을 알려준다138)

복음전도의 효과 면에서 소형교회가 대형교회보다 통계적 비율이 더 높다는 사

실은 대형교회일수록 자체시스템을 유지하는데 많은 자원을 사용하며 성도들이 자신

의 은사에 따라 일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139)

NCD 연구가 우리에게 끼치는 유익은 단지 이러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들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교회가 8가지 질적 특성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는 데에 있다

즉 세계 32개국 1000여개 교회를 대상으로 420만개의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것을

13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47139) Ibid 48

69

바탕으로 해서 각각의 질적 특성을 점수로 표시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했

다 따라서 어떤 교회든지 1명의 담임목사와 30명의 교인들이 설문지에 응답한다면

각각의 질적 특성에 대하여 구체적인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이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가장 낮은 질적 특성 최소치 요인이다 한 교회의 성장은 바로 이 최소치 요인에 의

해서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최소치 요인이 밝혀졌을 때 그것을 개선시키면 자연적

으로 거의 대부분(994 퍼센트)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140) 이러한 원리를 최소치 전

략이라 부른다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NCD측에서 제시하는 이론은 자본주의적 논리에 의해 들어간 비용 대비 이윤 창

출이라는 구조에 맞게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방법으로써 유기체의 건강을 다

루기에는 불충분하다 게다가 그 결과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도 25교단 1000개 교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많은 교회가 속한 평균 점수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평가점수

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부분은 교회건강이라는 목표를 다른 교회와의 비교를 통해 점

수를 매기는 방식으로써 전체 교회에서 그 교회의 점수의 위치는 알 수 있지만 상대

적인 기준을 가지고 그것을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평가하기에는 부적절하다 교회의

건강에는 절대적인 기준이 필요하고 그 기준은 물론 모든 지혜의 원천인 성경 속에서

찾아져야만 한다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이나 설문 모두 교회의 숫자적 성장을 중심동기로 하고

있는데 이를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으로 연결하는 것은 무리이다 이는 교회의 숫자적

성장 잠재력에 대한 평가이다 이 수치가 높을 때 교회가 건강하다고 하는 것은 논리

적 비약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부분은 사역자를 세우는 일에 있어서이다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들은 사역을 위해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기회와 권한을 부여하는 일에 중점을 둔다 그들은 평신도들

을 자신들이 설정해 놓은 목표나 자신들의 비전을 이루는 데 필요한 lsquo조력자rsquo 정도로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피라미드형의 권위구조를 거꾸로 뒤집어서 리더들이 교인들을

섬기며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부여해 주신 영적 잠재력을 개발하여 쓸 수 있도록

140)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81

70

돕는다 이런 목회자들은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자들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을 준비시키고 격려하고 동기를 부여하고 훈련시키는데 주안점을 둔

다 이런 지도자들은 교회의 수많은 일들을 자신들이 다 하느라 시간을 뺏기는 대신

그들의 시간을 제자훈련 권한 위임 그리고 재생산에 투자한다 이런 식으로 투자한

노력의 결과는 상상할 수 없는 성장을 가져온다 이것이 바로 영적 lsquo자생조직rsquo이 생겨

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141) 이처럼 교회의 건강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있음에도 교회

의 성장여부를 통해 목회리더십의 성취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교회건강을 성장이라는

열매와 과도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NCD이론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8가지 질적 특성이 모두 교회건강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이 아니라 교회성장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으로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지

표를 세운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각 특성들이 모두 결과물을 가지고 교회성장이라

는 열매를 맺었을 때의 지표를 기준으로 하여 교회건강지표를 만들었다 건강에 대한

정의가 성장이라는 결과를 통해서만 측정하고 있다 교회가 건강하면 반드시 양적인

성장이 뒤따른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이 연구조사에서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을 조사해서 그 교회

의 괄목할만하게 외부로 드러나는 특성을 조사해서 그 중 높은 수치를 기록한 8가지

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교회의 특성이라는 주장은 다분히 시작과 과정이 배제

된 체 결과만으로 판단하는 주장이다 교회가 성장하던 도중 외적규모의 정체가 일어

날 때 그중 낮은 점수를 기록한 특성을 보완하면 다시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고 이것이 건강이 회복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라면 수적으로 비교

적 작은 교회 목회상황 자체가 다른 곳 더 이상 유동인구가 없어서 성도수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특수한 곳에서의 건강한교회란 이루기 불가능한 요원한 일이 될 뿐

이다 그러므로 NCD와 Wagner의 이론 모두 특정한 장소 특정한 규모의 교회에 적용

했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지역교회가 반드시 성

장을 이루어야만 건강한교회라는 결론은 객관적이지 못하다

141) Christian A Schwarz 윤수인 역 자연적 교회성장 23

71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교회가 속한 노회나 교단에서의 다른 교회와의 관계가 중요하며 더불어 교회와

주변 사회(이웃)와의 관계와 평가 또한 중요한 교회건강의 요소이다 수적으로 거대해

진 교회들마다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공예배 때마다 지역

주민과 심각한 주차갈등을 겪는 도심대형교회의 경우를 예로 들더라도 지역사회와 상

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교회를 단지 양적으로 성장했고 8가지 질적 요소를

충족시켰다는 이유로 건강한교회라 지칭하는 것은 억지스런 주장이다 교회는 존재

자체로도 물론 의미가 있지만 사명공동체임을 생각할 때 교회가 자신의 사명의 대상

으로서 세상 속에서 외면당하고 있다면 그곳에서 교회의 건강을 논하는 것은 주변 이

웃들과 먼저 화해한 후에 예배의 자리로 나오도록 말씀하신 예수님의 권면과도 맞지

않다 교회의 건강을 논하기 위해서는 세상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분명

살펴야 한다

그리고 교회는 개별적인 존재로서의 교회이기도 하지만 지상의 모든 교회는 그

리스도를 몸으로 연합체로서의 교회의 특성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서로 경쟁

의 대상이 아니다 교회와 이웃과의 관계 뿐 아니라 교회와 다른 교회와의 관계 또한

해당 교회가 건강한교회인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요소일진데 지금까지 살펴본

Schwarz와 Wagner의 이론에서는 배제되어 있다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양적 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의 기준으로 삼던 앞선 두 이론들과 달리 Anderson과

Macchia는 성장이라는 요소 자체를 배제한 체 교회가 내부 외부적으로 어떤 관계 속

에 있는지를 중시하고 있다 Anderson의 경우는 지역사회의 관계에서 교회의 평판을

통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지역사회와의 관계맺음에 대해 별도

의 특성을 규정지음으로써 세상과의 관계에 대하여 많은 강조점을 두고 있다

Macchia의 이론이 여타 교회건강이론과 다른 점은 세 가지 관계의 회복 측면에

서 교회의 건강을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다142) 그래서 구분 자체부터 하나님과의 관계

142)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3

72

요소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로 나누어 건강한교회로 세워

져가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관계위주의 기준을 가져야함을 말하고 있다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한국교회 상황에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중대한 문제의 대부분이 실제로 교회 행

정과 재정문제에서 불거지고 있음이 현실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교회행정에 대해 목

회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위임함으로써 건강한교회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부분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많은 한국교회들의 재정 권한이 담임목회자나 소수의 상위 리더

십에 집중되어 있기에 일어나는 어려움들을 두고 건강한교회로의 나아감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기에 교회의 재정 관리는 일정한 전문가를 통해 사역을 해나가고 평가와

권면으로 보호하는 구조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거기에 마지막 요소로 이야기한 청

지기정신은 그러한 재정 관리에 더더욱 필요성을 제기하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예수님의 제자들이 미리 겪었던 갈등과 같이 성도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운 부분

들 중 하나는 서로 비교하고 시기 질시하는 현실에 대한 것이다 교회 안의 한 지체

임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몸과 같이 사랑하기는커녕 비교하며 서로를 깎아 내리려는

구조가 존재함을 2장에서 잠시 다루었다 특히나 한국교회에서는 서로를 향한 섬김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성도의 관계는 사랑과 섬김이면 어느 정도 회복이 가능한 부분이

다 목회에서 가장 힘든 때가 건축과 직분자를 세울 때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교회

안에서마저 경쟁과 비교로 직분을 감투로 여기며 끝나지 않는 갈등요소를 품고 있는

현실에서 lsquo섬기는 자가 큰 자rsquo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에 충실한 서번트리더십의 개발은

질병이 없는 건강한교회를 위한 필수적이 요소라 할 수 있다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다음 표는 위에서 연구한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의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을 Schwarz의 이론을 기준으로 유사한 것들끼리 모아 놓은 표이다 최대한 유사

73

점을 찾아보았지만 그 안에는 서로 다른 점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교회 내부의

문제를 제대로 분석하여 최소치이론을 가지고 교회의 성장 가능성을 연구한 면에서

Schwarz의 이론이 중심이 된 NCD의 건강한교회의 특성에는 나름대로의 균형과 포괄

적인 교회 내부에 대한 분석이 있음에도 교회의 본질과 사명이 내부 외부가 모두 균

형 잡힌 건강한교회의 필수 요소라는 점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긍정적인 목회자 제자 삼음 영적인 제자훈련

은사 중심적 사역잘 동기 부여된

평신도영적 은사의 훈련

열정적 영성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기능적 조직

영감 있는 예배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전인적 소그룹 동질집단의 원리

필요중심적 전도

효과적인 전도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사랑의 관계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기타요소들 성경적인 우선순위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하게 반응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연합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표 1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74

오히려 10가지 특성과 이를 세 가지 관계적인 면에서 나누어 주장하는 Macchia

의 교회건강이론은 교회의 본질적인 면에서 하나님과의 관계 세움을 추구하는 영성적

인 측면과 교회 안에서 성도들의 관계를 강조하는 성도들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해 지

적하고 있으며 교회의 사명적인 측면에서 지역사회에 속한 교회의 역할을 보충함으로

써 본질과 사명을 모두 포함하는 교회건강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이

세 가지 관계적인 측면에서 교회건강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건강한교회와 그

렇지 않은 교회를 구분하는 기준 또한 외부적인 성장을 가지고 논하기 보다는 교회가

추구하는 관계성143)의 성취 여부를 기준으로 교회건강여부를 결정해야한다고 주장한

Schwarz의 이론과 비교했을 때 Wagner의 이론은 상당부분 구분상의 유사성을 가

지고 있다 Anderson의 이론은 여러 요소를 축약한 흔적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강조

하고 있다 그러면서 발견된 특이점은 표에 밑줄 친 요소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관계

성에 대한 것들이다 밑줄 친 특성들은 다음 장에서도 다루겠지만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적 요소라 할 수 있는 것들인데 직관적으로만 보기에도 많은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들은 사실 관계성에 대한 주장을 이미 내세우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이 이론을 활용할 때 관계에 대한 강조점을 단지 교회성장을 위한

도구로 오용한 면이 없지 않다 Schwarz의 교회성장 이론에서 다루는 8가지 질적 특

성 중 소그룹과 사랑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이미 교회 구성원들의 관계가 교회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43) 관계성(Relationship)의 정의에 대하여 사전적인 의미로서 관계(關係)는 둘 이상의 사물 사람 현상 등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특별히 둘 이상의

사람들 사이가 우호적인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관련됨을 추구하는 성향 또는 정신이나 마

음으로 관계성을 정의하려 한다

75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지난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이론들 중에서 Leith Anderson과

Stephen Macchia의 주장을 통해 교회공동체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의 건강성이 교회 전

체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특징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Macchia의 경우는 그

러한 관계를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분야로 구분지어 세 관계 모두가 적절

하게 건강해야 건강한교회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음으로는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을 위해 치유회복 사역을 하고 있는

세 단체를 살펴보고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관계성 중심의 사역에 관한 내용과 특징

을 살펴보려 한다

1 온누리교회의 예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온누리교회는 한남동 한국기독교선교원에서 故하용조 목사를 중심으로 12가정이

모여 기도하며 제자훈련을 시작하면서 세워진 교회이다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

를 꿈꾸며 성경적인 교회론을 토대로 목회방향을 설정하였고 1985년 10월 6일 78명

의 성도가 모여 온누리교회 설립예배를 드렸다 온누리교회의 목회 비전은 한마디로

Acts29 비전이다 교회를 시작할 때 주셨던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의 비전을 새

롭게 하고 구체화한 것이 Acts29 비전인데 Acts29란 사도행전 29장을 의미하는 것으

로 사도행전은 끝나지 않았고 계속 씌어져야 함을 뜻하며 사도행전 28장 이후의 기

록이 바로 이 시대 교회들의 기록이 된다면 온누리교회를 통해 기록되기를 원하는 마

76

음에서 Acts29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144)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한국의 대표적인 교회 중 하나인 온누리교회의 관계성 프로그램은 크게 두 가지

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회복사역과 가정사역이다 회복사역은 영적 정신적 육체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건강한 인격체로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자신과 같은 어려움

을 겪는 사람들을 돕는 사역자로 설 수 있도록 도우며 궁극적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

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예배자로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종류로는 자신

을 이해하고 성경적인 정체성 회복을 돕기 위해 역기능가정 자존감 숨겨진 아픔 용

서와 축복의 주제로 구성된 자아회복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회복을 통해 혼자서도 안

정된 관계를 세워가도록 돕는 동반의존 소모임 자신의 관계성을 돌아보며 건강한 관

계를 유지하고 발전을 위한 관계회복 소그룹 등이 있다145)

가정 사역 분야에는 하나님께서 꿈꾸는 아름다운 가정의 모델을 성경적으로 제

시하고 여러 훈련과정으로 짜여진 하나님의 가정훈련학교 이론과 실제를 통해 성경

적인 바른 가정을 세워가도록 돕는 젊은 부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부부간의 관계를

진단하고 치유와 개선을 돕는 코칭 프로그램인 아름다운 동행 그리고 사별에 의해

혼자된 성도가 영적치유와 회복을 경험하도록 돕는 야베스맘(여성사별자모임)과 이혼

자가 겪는 아픔과 상처를 함께 돌보는 이혼자치유학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46)

대부분의 한국교회가 그러하듯 온누리교회의 관계중심 프로그램은 주로 회복과

돌봄을 목적을 가지고 실시되고 있는데 소그룹 코칭 상담의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

다 그리고 이루어지는 사역이 주로 사후 회복과 돌봄에 대한 것으로 여러 가지 다양

한 가치들이 혼재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뒷전에 려있는 관계성에 대한 사

회적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144)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145) 온누리교회 홈페이지 참조 2013년 정기모임 안내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 groups146)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참조

77

2 뉴욕관계학교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관계학교는 뉴욕청소년센터의 스텝들을 훈련시키며 시작되었다 그 후 청소년센

터 상담 사역부로 활동하다 lsquo뉴욕관계학교rsquo라는 이름으로 독립해서 뉴욕청소년센터의

협력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는 단체이다 목회자반(15주) 사모반(15주) 셀그룹 리더반

(15주) 청소년사역자반(15주) 부모반(10주) 부부반(10주) 교사반(8주)으로 나뉘어 정

규 과정반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lsquo찾아가는 공개강의rsquo도 진행하

고 있으며 대표는 김사훈 박사가 맡고 있다14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남편의 아내에 대한 정서적 지지가 건강한 결혼 생활을 만들고 바로 그 지지가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태도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강조하는 김사훈 박

사148)는 또한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모델이 되려할 때 거기에는 부모를 모방하며 시

행착오를 경험할 수 있는 충분한 자유와 책임감의 부여가 필수적임을 겸하여 강조하

고 있다 김박사에 의해 설립된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 부모자녀의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 관계학교에서 시행하는 공개강좌의 경우 lsquo관계

와 영성rsquo이라는 주제로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이 강좌의 진행도

주로 모든 관계의 원시경험을 제공하는 가족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관계는

피할 수 없는 도전으로서 자신과 하나님과의 관계 교인과 교인관의 관계 목회자와

교인과의 관계 교인의 가정에서의 관계 등이 건강하게 이끌어 질 때 결국 건강한교

회가 될 수 있다는 기치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비전을 가지고 사역중이다149)

뉴욕관계학교의 경우는 사후 회복사역과 더불어 사전 준비교육으로서 관계에 대

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소그룹 인도에 대한 교육은 시대흐름에 필요한 교

147)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기사 인용148) 목회상담 전문가 한국기독교 상담 심리치료학회 전문가 상담실 로뎀나무아래 대표

149)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기사 인용

78

회의 변화를 이끌어 가는데 나름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 교회들의 호

응이 그다지 적극적이지 못한 이유로 초반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으로 소개할 관계학교 유형은 비록 기독교적 신앙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지

만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루고 있는 스웨덴 비영리 단체가 운영하는 웹기반

의 온라인 관계학교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3 웹 기반의 관계학교

가 온라인 관계학교의 소개

The Relationship School은 여러 가지 관계 속에 있는 이들이 영감을 얻고 실제적

인 도움을 받으며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들을 습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온라인

강의들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스웨덴의 한 비영리 단체이다 제공되는 논문과 영상

강의들은 Filippa와 Markus에 의해서 대부분 제작되었다150) 시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어디서든 접근이 용이하도록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으며 온라인피드백을 위한

각종 사이트들과 연결되어 있다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The Relationship School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은 총 26개의 클래스가 있고 그 내

부에는 강의마다 자신의 상황들을 점검해보고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소개 글과

관련 논문 그리고 영상 강의로 구성되어 있는데 26가지 강의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150)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79

l 관계의 세 가지 단계들

l 이해하는 것과

이해받는 것

l 사랑의 강을 건너는

다리

l 네 가지 위험신호

l 상호거래적인 분석들

l 조절

l 마음표현의 놀라운 힘

l 인간의 필요들에 대하여

l 필요 이상의 것

l 돈과 사랑

l 나부터 시작해서

우리로 나아가기

l 신뢰와 존중

l 남자에게 편지쓰기

l 관계들 속의 투사

l 피드백

l 극단성과 열정

l 관계의 유형

l 관계게임의 규칙

l 회상에 대하여

l 변화

l 갈등과 갈등다루기

l 가치 있는 것

l 관계에 대한 지식

l 사랑과 친밀감

l 긍적적 부정적

소용돌이

l 삶의 균형 잡기

표 2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위와 같은 강의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삶이 다음과 같이 변화될 수 있기를 바라

는 그들의 목적을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사람들이 아침에 일어나 마음을 두근거리게 하는 긍정감정을 느끼

고 어른들이 자신의 상황에 대하여 스스로가 책임을 지겠다는 다

짐을 하고 아이들이 지속적이고 삶을 풍성하게 하는 관계들 속에

있을 그 때가 바로 우리들이 이 메시지를 통해 바라던 우리의 최

종 목적이 달성된 것입니다151)

위 사이트의 경우 인터넷이 연결된 어디에서든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과정들을

숙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고 다양한 관계들 속에 응용할 수 있는 영역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번역된 자막이 따로 없어서 영어권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강의내용

은 주로 심리상담 분야를 통해서이고 시공간적 제약이 없이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

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도 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하여 강의 내용이 새로운 업데이트가

되지는 못하고 있다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지금까지 관계사역에 대해 힘쓰고 있는 세 단체의 사례를 살펴보았는데 그들이

가진 몇 가지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1)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80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관계사역을 구성하는 커리큘럼의 내용들이 회복과 치유에 집중되어 있다 이혼

자 사별자에 대한 위로가 필수적인 사역임에는 틀림없으나 그 전에 이혼까지 이르지

않도록 예방을 위한 사역 또한 함께 진행할 필요가 있다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관계

라는 부분이 문제가 생겨나고 그것이 외부로 드러나기 전까지는 잠재되어 있는 경우

가 많고 그 속에서 상황이 상당히 악화된 뒤에야 치료를 위한 훈련과 더불어 예방과

그 과정 중에서도 충분히 서로를 개방하고 점검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

이 현실이다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관계성이라는 분야가 심리상담학의 발전과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 부분이기에

대부분의 관계에 대한 회복과 훈련에 인문학적인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위

사례를 비롯해서 많은 한국 교회들이 여건이 되는 데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단연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곳은 가정회복에 대한 내용이다 그만큼 가

정문제 자녀교육의 문제가 사회 전반적인 어려움으로 교회마다 부부관계 부모자녀관

계의 회복을 위해 각종 양육프로그램을 세워가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그럼에도 관

계라는 것이 대상에 따라 한 형태로만 회복되는 것이 아닌 유기적으로 다양한 관계가

모두 포괄적으로 회복될 때 제대로 된 치유가 가능한데 이처럼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돌아보고 점검하며 방향을 제시해주는 곳은 기존의 교회 관계사역에 대한 리서

치 과정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다 관계는 신앙 가정 사회 교회 직장 학교 속에서 다

양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고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러므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전인적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1 프로그램의 동기

성화의 과정으로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우리가 이 땅에서 살아가는 동안 만나게

81

되는 모든 만남에서 어떻게 하면 건강한 만남을 가지고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교

회를 이루어 갈 수 있는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은 관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다 어떻게 교회 공동체를 관리하는가에 대해 경영학적인 입장이 아닌 사회학적인 입

장에서 개인의 유기적 연결에 집중한다면 결국 교회의 건강은 건강한 성도들의 연결

이라는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강은 질병이 없이 본연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는 것이다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

는 바탕은 구성원들로서 성도의 건강한 관계성에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

면 건강한 관계를 이룰 수 있는 것인가 건강한 관계를 위해서는 선험적인 앎이 필요

하다 선험적인 앎이란 관계의 창조자가 가지신 생각에 대한 인식이다 그러므로 건강

한 관계를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하나님께서 관계를 어떻게 지으셨고 무엇을 원하시는

가에 대한 기본적인 훈련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관계학교를 제안하려

한다 필자가 제안하는 관계학교는 기존 성도들을 포함하여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함께 하는 개개인 모두가 기본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서 일정한 훈련기간을 가

지고 입학과 졸업이 명확하며 일정한 기준을 성취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

된다

여기에서 다른 많은 명칭들이 있음에도 학교라는 친숙한 명칭을 사용한 의도는

입학과 졸업이 분명하고 성취도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고 각 개인에게만 교육의 성취

에 대한 책임을 맡기지 않고 모두가 일정한 수준 이상의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교

육 주체 또한 교육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도록 힘써야 하는 존재

임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서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관계학교는 이전 장에서 다루었던 Macchia의 건

강한교회의 10가지 특성에 대한 이해와 Anderson의 6가지 특성들 가운데 관계성을 드

러내는 요소들을 취합하여 그 내용을 구성해보려 한다 또한 사례연구에서 살펴보았

던 여타의 기존 관계회복 프로그램들이 이미 중점을 두는 분야를 재론하기보다는 성

도들이 현장에서 살아가면서 얽혀있는 주변관계의 전반을 다루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프로그램의 방향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82

위의 관계프로그램 사례연구에서도 살펴본 것처럼 대부분의 관계회복 프로그램

이 상담신학 기반에 시행되고 있다 이 또한 현대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접근이다 필

자는 Bonhoeffer의 ldquo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될 때 그곳에는 하나의 공동체가 세워지며

이사야 5511의 말씀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은 기독교적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 안에

역사하며 교회는 또한 하나님과 말씀과 깊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성도의 공동체는 결

국 말씀의 활동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rdquo152)라는 명제를 바탕으로 성경중심의 관

계학교 프로그램을 제안해 보려 한다 건강한교회를 위한 모든 시도는 하나님의 말씀

인 성경에서부터 비롯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교회의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의

모든 커리큘럼의 구성을 성경중심으로 편성하고 있다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본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짧은 차시 안에 모든 영역을 깊이 있게 다루는 것

은 어렵겠지만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관계 요소의 전반적인 부분을 다루어보고 함께

생각을 나누며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보려 한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부

정적인 면을 감쇄시키는 방향의 훈련이 아니라 이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긍정적

요인들에 대한 강화의 방향을 갖는 것이 이 관계훈련의 목적이다 매주 한 회기씩 8

주 동안 진행될 관계학교의 모든 과정은 지향하는 목적이 성도들의 관계훈련에 있는

바 매 회기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실제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현장은 지극히 평범하고 쉬운 사고를 좋아하는 일반성도일 경우가 많다 게다

가 한국교회 현장은 감성적 접근이 효율적인 여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게 형성되어 있

다 교육이라는 말 자체가 갖는 부담감을 극복하기 위해서 실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커리큘럼은 최대한 성도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학문적인 용어와 내용구성보다는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것들로 진행하려 한다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관계의 문제는 모든 현대인의 고민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에서 시행하되 지역사

회 전체에 홍보를 통하여 관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성경을 그

152) Dietrich Bonhoeffer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238

83

저 일상적인 삶과 무관한 기독교의 교리서신이 아닌 일반인 모두가 듣고 지혜를 얻을

수 있는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한국의 2030 세대는 어려서부터 사교육을 강요당하고 청소년기에는 공부 기계가

되었으며 대학생이 되어서는 학점 관리하고 스펙 쌓느라고 그 좋다는 청춘 시기의

낭만조차 맛보지 못한 채 사회로 내몰린다 그러나 이들은 분명 그들만의 잘못이 아

님에도 취직을 못 했다는 이유로 동년배들에게서 존중받지 못하고 사회에서도 존중받

지 못하며 심지어는 가족에게서조차 존중받지 못한다 그 결과가 청년 고독사라는 믿

을 수 없는 현실로 나타나 갈수록 젊은 청년들이 젊은 나이에 월세가 몇 달째 린

쪽방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믿을 수 없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153)

그러한 세상 가운데 교회에서 lsquo관계학교rsquo라는 일반인에게도 공감할 수 있는 프로

그램을 가지고 나아간다면 좋은 접촉점이 될 수 있고 교회의 문턱을 낮추어 비신자에

게로 다가가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게다가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내용 또한

우리의 일반적인 삶의 이야기이기에 이 기회를 통해 전도대상자들과 신뢰관계를 형성

할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도 좋을 듯하다

3 프로그램 시행준비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다음은 교회 내에서 관계학교를 시행하기 전에 모든 성도들이 자신의 관계를 돌

아보고 교육에 대한 필요와 동기를 가질 수 있는 몇 가지 설문을 제시하려 한다 따

로 문서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되던 주보의 공간을 활용하여 관계학교 개설에 대한 광

고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참여를 독려하며 동기 부여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관계학교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은 다음과 같다

lt 당신의 관계들에 대하여 확인해 봅시다 gt

1 당신은 가족을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친한 우리는 함께 있는 것 그리고 서로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

아한다

화목한 서로 어울리기는 하지만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한다

153)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32

84

말이 없는 아무도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삶을 나누지 않는다

불신하는 가족들 사이의 관계는 대체로 서로 시기하며 적의를 품

고 있다

2 다음 중 친한 친구나 가족과 있을 때 당신을 가장 잘 표현한 내용은 무

엇입니까

자연스러운 편하게 느끼며 자연스럽게 행동한다

열린 내가 믿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소극적인 사람들이 먼저 말을 걸어 주기를 기다리는 편이다

갈등하는 믿는 것에 항상 굳게 서 있는 것은 아니다

불만스러운 아무도 나를 이해해 주지 않는 것처럼 느낀다

3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당신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어느 것

입니까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민감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를 이해심

이 많은 사람으로 생각한다

나는 깊이 있게 나누지를 못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대체로 피상적이다

나는 다른 사람을 아무렇게나 막 대한다 그래서 쉽게 화를 내서

갈등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나는 다른 사람과 갈등을 겪을 때 이를 쉽게 해결한다

나는 가능하면 조화를 이루고 싶기 때문에 비그리스도인 친구 앞

에서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것을 억제한다

나 소그룹 리더교육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먼저 전체 프로그램 내내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할 소그룹

의 리더들을 세우는 것부터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 기본적인 신앙이 제대로 세워져

있고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진 소그룹리더를 선발하고 교육하는 일의 전체

관계학교 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교육의 많은 부분

이 소그룹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소그룹 인도자의 훈련이 선행되어

야 한다 4단계로 진행하며 그 내용은 성경적 이해 인도법 문제해결 요령 리더의 중

요성과 자질의 순서로 구성해 본다 각 차시들을 구성할 간략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

85

소그룹리더를 위한 교육에서 첫 번째 차시는 소그룹의 기원에 대하여 구약과 신

약 성경의 내용을 통해 이해하는 시간이다

먼저 구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습은

1 창세기 218~25 본문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지으신 뒤 가정이라는 소그룹

을 만드시는 장면인데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을 좋지 못하다하시며 관계의

시작점을 만드시는 내용이다 최초의 가정 소그룹을 만드신 분은 하나님

이시다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소그룹의 일원으로서 하와를 지으신 뒤 어

떻게 하셨는가 그리고 아담은 하와를 보고 어떻게 반응했는가 아담에게

로 데려가셨고 하와를 극찬으로 반응하였다

2 소그룹은 인간 공동체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이다 본문에 기록된 결혼

원리를 통해서 소그룹은 하나님께서 설계하신 창조물임을 보게 된다 이

것이 구약성경에 나타난 인류 최초의 소그룹이다

3 출애굽 후 모세의 장인 이드로의 제안으로 시작된 천부장 백부장 오십부

장 십부장 형태 또한 구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델로서 힘든 광야

생활에서 백성들의 결속과 관계의 효율을 추구하였던 예가 된다

이어서 신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전형적인 모습은

4 예수님께서 직접 뽑아서 훈련하고 파송한 열두제자 소그룹이다 예수님의

지상사역은 결국 열두 제자를 부르시고 그들과 함께하신 이야기이다

5 사도행전은 성령강림으로 시작된 초대교회가 성전교회와 가정교회라는 이

중구조 안에서 진행되며 발전된 모습을 곳곳에 소개하고 있고 이 내용은

에베소교회와 로마교회의 시작인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의 가정소그룹의

배경을 기록하고 있다154)

두 번째 차시는 지도자의 자세와 소그룹 인도를 위한 내용이다

1 마태복음 23장 3~11절을 보면 예수님께서 당시 지도자적 위치에 있던

이들의 모습을 거울삼아 제자들을 가르치는 부분이 나오는데 우리가 선생

님(랍비) 혹은 지도자라 불리기를 즐겨하지 말라고 가르치신다 그 이유

154)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17

86

는 우리는 모두 다 한 아버지 아래에서 한 형제이며 지도자는 한분 오직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이라고 말씀한다 또한 올바른 지도자는 섬김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이다 예수님이야말로 이러한 섬김의 모범

을 보이신 분이다(빌 26~9 참조)

2 소그룹의 인도는 준비단계 성경공부 개인적인 적용과 나눔 기도라는 4

단계로 구성된다 시간도 최장 2시간이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잘 들어주기 관찰하기 정리하기 본이 되기 집중하기 성령

충만함을 구하기의 몇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155)

3 이와 함께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모임을 미리 계획하되 그 계획한 것에

맞추느라 쫓기듯 진행하지 말아야 하며 흔히 생길 수 있는 잠시의 침묵을

당황하지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성령의 인도하심에 민감하며 반응하면서

각 사람들 하나하나를 존중하고 고무시키는 방향을 유지한다면 소그룹이

지향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함을 나눠본다

세 번째 차시에서는 소그룹을 이끌어 가면서 생겨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소그룹

지도자들이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대해 다루게 된다

1 흔히 생겨나는 문제로는 미묘한 파벌형성 흥미와 즐거운 모임에만 치우

쳐서 본래의 방향성을 상실하거나 때로는 소그룹 구성원들의 필요와 기대

를 어긋나서 소그룹이 운영되는 경우 등이 있다

2 이외에도 사람들의 모임이기 때문에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구성원들 간

의 대인관계의 어려움이라든지 지도자가 훈련과정에 있을 때의 비효과적

인 지도력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3 이러한 문제에 대한 최선의 반응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든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마음을 이끌어내야 한다

4 그리고 언제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인 모임의 기본 규칙으로서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마칠 수 있어야 한다 중간 중간 제기되는 논쟁의 불씨

가 될 수 있는 토론을 회피하는 기술도 필요하다 일단 문제가 발생한다

155)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35

87

면 다음 자리를 기약하지 말고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그 자리에서 처리해

야 한다

3 사람은 문제의 해결을 통해 성숙하는 것처럼 소그룹 또한 문제를 잘 다루

고 지혜롭게 처리해낸다면 이후보다 소그룹 전체가 성숙됨의 자리로 나아

갈 수 있음도 주지해야 할 내용이다156)

4 소그룹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중 가장 빈번한 것이 서로의 기질의 차

이 비교의식 신앙스타일의 상이함으로 유발되는 갈등상황이다 현세대를

lsquo갈등회피세대rsquo라고 부르는 이들이 있는데 갈등은 피할 것만이 아니라 온

유한 언어의 사용과 용서 그리고 믿음의 기도를 통해 극복된다면 그 잠

재적 유익은 소그룹의 결속에 강한 촉매제가 된다157)

네 번째 차시에서는 데살로니가전서 2장 5~12절 말씀을 묵상하면서 믿음의 지

도자에 대한 구체적인 실례를 나누어본다

1 7절과 11절 말씀을 통해 소그룹 지도자가 추구해야할 모습은 유순함과

더불어 7절에서 예로 든 lsquo유모가 자녀를 위해rsquo 헌신하는 모습처럼 구성원

들을 대할 수 있는 존경받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개발해 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소그룹에서 리더는 그 모임이 나아가야할 미래의 모습을 제시하고 구성원

들을 함께 성장시키며 최종 목적을 이루어 갈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자질

과 능력을 한데 모으는 역할을 감당한다

3 이를 통해 얻어낸 결과물을 함께 구성원들이 누릴 수 있도록 배분하는 역

할도 감당하게 된다 그래서 소그룹은 지도자의 모습만큼 자라날 수 있기

에 지도자는 소그룹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해내야 한다158)

4 이러한 소그룹 지도자에게는 부르심에 대한 확신과 함께 몇 가지 자질을

갖추도록 해야 하는데 성숙된 신앙인으로서 늘 주님과 가까이 하는 삶을

살아야하고 사랑 중심의 성품을 개발시켜야 하고 자신의 부족함을 잘 살

156)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1157) Jimmy Long IVF자료 개발부 편역 소그룹리더핸드북 (서울 IVP 1996) 121158)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7

88

펴 늘 겸손함으로 노력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

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구성원들이 스스럼없이 말할 수

있도록 이끌며 혼자만의 지도력이 아닌 함께 일구는 팀워크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자질이 요구된다

이상은 관계학교를 진행하면서 4~5명 정도로 편성될 소그룹을 이끌어갈 리더들

을 위해 말씀을 중심으로 소그룹을 인도하도록 하기 위한 간단한 교육 내용이다 소

그룹 리더의 경우 일단 기본적으로 신앙에 대한 연륜이 되어있어야 하며 관계학교를

이끌어가는 목회자와 계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 전반에 대한 상황을 그때그때 전

달할 수 있도록 지혜로움을 배양시키는 훈련은 필수적이다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양적성장을 기준으로 한 건강한교회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지금까

지의 문제제기와 신학적 연구를 거쳐 실제 목회현장에서 대안으로 제시해볼 수 있는

관계학교에 대한 개략적인 교육내용을 제안하려 한다 전술한 것처럼 이 프로그램은

주로 성경본문을 강의의 주된 내용으로 삼고 거기에 동기유발 질문과 적용과 나눔의

시간을 통해 교육생들이 관계에 대한 지평을 넓혀가는 과정으로 구성해 보았다 학교

라는 명칭이 갖는 일정수준이상의 성취가 객관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각 차시의 마

침에서 확인질문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소그룹 활동을 통해 진솔한 대화가 나누어지도

록 진행하는 요령이 필수적이다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총

10주에 걸쳐 소그룹편성으로 진행된다 강의 내용은 시작단계에서는 그동안 자기 안

에 있던 관계의 문제들 교회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단절과 갈등 속에서 제대로 반응

하지 못했던 자기 모습을 돌아보면서 관계에 대한 훈련이 필요함을 인정하는 단계로

부터 시작해서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의 이웃들 그리고 가장 가까이에 있는 가족들

과의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가르침을 함께 학습하며 토론 나눔 격려를 통해 9주를

학습한 뒤 마지막 10주째에는 이 모든 가르침을 통해 이루어야 할 건강한교회는 결국

사명공동체로서 세상 속에서 전도와 선교의 삶을 섬기는 자로 살아가도록 서로에게

89

도전함으로써 마무리를 짓게 된다

1 교육 과정 편성

이처럼 전체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차시별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서 서술하고자 한다

2 성취기준

관계학교를 통해 이루어가고자 하는 전반적인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다

l 좋은 관계는 당연한 것이 아닌 노력을 필요로 하는 열매인 것을 배운다

l 건강한 관계는 모두 하나님과의 건강한 관계를 맺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한국인에게는 쉽지 않은 자기 개방의 활동을 통해 성도들과 좋은 관계를 시작할 수

있다

l 갈등은 중요한 전환점을 위한 생산적 과정으로 여기고 관리를 통해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나갈 수 있음을 배운다

l 그리스도인이 세상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의 모델을 배운다

l 관계의 황금률이라고 불리는 마태복음 7장 12절에 대해 배운다

l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을 통해 건강한 관계를 배울 수

있고 세대를 넘어 전수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건강한 가족관계야 말로 건강한교회 공동체를 위해 이 시대에 가장 절실한 과제인

것을 확인하고 배운다

대주제(영역) 관계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

소주제

(핵심개념 또는

학습주제)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 각 영역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발견하기

일반화된 지식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

중점 함양 역량 상호이해와 의사소통 그리고 개방성의 증대

90

3 차시별 강의계획

이어서 10차시로 구성된 관계학교의 각 차시별 학습내용을 표로 구성해 보았다

구분 차시 영역 주제 기능 성취도평가

건강한

교회를 위한

도움

주제

발견1

관계안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고

인정하기

시작하기 자기평가 자기이해

주제

학습

2

하나님과

의 관계

복음과 믿음으로 시작된

하나님과의 관계

정체성수

립소그룹활동

구원의

확신

3 하나님의 친밀감을 통해

애착관계 형성하기수용하기 자기평가 신앙의 성숙

4

성도와의

관계

용납과 용서 표현하기 소그룹활동

열린

공동체로의

나아감

5 갈등관리 조절하기 소그룹활동내부

갈등해결

6

세상과의

관계

의사소통 낮아지기 자기평가외부지향적

당위성부여

7대접받고 싶은 데로 먼저

대접하기대접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이웃사랑의

실천

8가족과의

관계

타인이해를 통해 가족

이해하기이해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서로의

차이를

이해

건강한 가족 속에서 관계의

완성실행하기 소그룹활동

건강한

가족공동체

주제

적용9

주제

실천10 실천 섬김과 돌봄 반복하기 실제 활동 재생산

표 3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91

4 진행상 유의점

l 학교라는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예습과제와 복습과제를 충실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동기를 부여한다

l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과 경험을 고려하여 강의자의 일방적인 흐름이 아닌 학습

자의 나눔을 통해 교육이 더욱 풍성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교육적 요소들을 잘 활용하되 성경적인 배경과 범위 안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l 각 차시마다 실천과제를 두고 적절한 확인을 통해 교육기간동안 자신 안에 일

어나는 관계의 변화를 서로가 확인해 주며 체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각 시간마다 나누어지는 간증과 나눔에 대해 철저하게 교육생 내에서만 비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강조를 반복한다

5 본시 강의의 설계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관계학교 강의가 시작되기에 앞서 참가학생들과의 개별적인 면담이나 주변 지인

을 통해 해당자의 관계에 대한 사전지식을 평가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정도로 구성되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전체 진행에서 교육의 내용을 조절하고 특별히

관심이 집중되어야 할 참가자를 구별하여 함께 기도함으로써 참가학생들에 대한 실태

분석과 강의 방법을 선정해 볼 수 있다 아래는 그 내용과 방법이다

구분 조 사 내 용 상 중 하 실태분석 및 교육방향

지식

건강한교회를 위해 요구되

어지는 것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일반 성도들과 지역사회

참가자들로 구성된 교육

생의 관계에 대한 이해

도를 파악하고 그에 적

절한 수준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내용과 깊이

의 정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한다

경험 관계에 대한 교육이나 훈

련을 받아본 적이 있는가

필요

자신의 삶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관계들의 목표는

무엇인가

92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한 주간 중 정한 요일에 서로가 약속한 시간을 통해 1차시씩 10주 단위로 시행

되는 본시 강의의 시작은 먼저 차시별 목적을 제시하고 이후 도입부에 10분정도의 찬

양 간식 간단한 레크레이션의 순서를 배치한다 어느 정도 교육생들의 집중이 이루

어지면 지난 한 주간동안의 자신의 삶을 나누면서 마음을 여는 시간을 갖는다 이후

활동 내용은 먼저 탐색하기 과정으로 동기유발과 탐구하기 시간으로서 주제에 대한

이론적 교육이 이루어진다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다과를 나눈 뒤 제시된 내용에 대

해 자신에게 어떻게 적용해 볼 것인가를 소그룹 단위로 함께 고민하며 나누는 시간을

진행한 뒤 차시별 평가의 방법으로서 진행된 강의에 대한 만족도와 자신의 삶에 어떻

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그 동안의 개념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등을 묻는 설

문 평가를 진행하고 개인 상담이 필요한 경우도 질문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마

치면서 다음 차시에 대한 예습질문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함께 주제에 적합한 찬양

을 하면서 기도하는 것으로 각 차시가 구성된다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1) 관계 안의 나

하나님께서는 창조의 과정 속에서 마지막으로 사람을 창조하실 때 아담 홀로 만

드시지 않고 하와를 만드시며 더불어 동역할 수 있도록 하셨다 이는 인간이 기본적

으로 무리를 지어 사는 존재임을 피력한 것이다 인간은 아무도 혼자 살 수는 없다

우리는 도움이 필요한 인간이다 우리 인간은 아무도 다른 사람과의 사랑과 친함이

필요 없을 정도로 강하지 못하다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어머니에게 의존한다 우리는

lsquo나rsquo이기 이전에 이미 lsquo우리rsquo인 것이다 그리하여 상당한 의존이 이루어지고 충족된 후

에 자동적으로 밖으로 탐험을 하기 시작한다 이때 우리 자신의 한계를 배워감으로

도움이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 계속되는 삶의 여정에서 성공을 하든지

독립적이 되던 간에 우리는 여전히 도움이 필요한 존재임을 알아가게 된다159) 이 차

시에서는 중심성구인 창조 때 하나님의 아담의 모습에 대한 판단을 시작으로 인간은

관계 속에 사는 존재임을 함께 나누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59) John Bradshaw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23

93

차 시 제 1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관계 안의 나 토론형식 질의답변 및 자율토론

중심성구 창세기 218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강의목표 우리는 관계 속에 살도록 창조되었음을 이해한다

강의주제 나는 다른 사람이 필요합니다 나도 다른 이들에게 필요한 존재입니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속한 직장(학교 교회) 안에서 나와 진정성 있는 관계를 찾아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현대는 혼밥 혼여 혼영과 같은 개인주의 문화가 극

도로 팽배해져 있습니다교회 안에서도 서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관계가 점

점 사라지고 있습니다하나님께서는 홀로 살아가는 것을 싫어하십니다

현대 문화에

대한 통계

PPT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롬 125 이와 같이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히 1025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더욱 그리하자

전 49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빌 24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전 412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요 1335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

l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었

습니다

l 그리스도 안에서 자꾸 모이는 것을 하나님께서 기뻐하

십니다

l 어려운 시간들이 다가올 때 혼자보다 함께 나눔으로써

그 짐을 가볍게 할 수 있습니다l 우리가 서로 사랑하고 돌보는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 땅에 보내신 사명입니다

94

(2) 복음과 믿음

이번 차시의 교육목표는 본 단계를 통해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의 복음

에 대한 믿음을 재확인하고 구원사건이 하나님과의 관계의 시작인 것에 대하여 함께

나누고 이를 통해 모든 회복된 관계의 시작이 어디에서부터여야 하는지를 규명한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차 시 제 2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복음과 믿음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구원확신에세이

중심성구로마서 815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짖느

니라

강의목표 복음과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자녀 됨의 관계가 회복되었음을 배운다

강의주제 모든 관계의 회복은 하나님과의 회복에서부터 시작된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복음제시 영상

예습적과제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이 있는지 그 순간이 언제였는지를

생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왜 우리에게 예수님이 필요한가구원받은 삶이란 어떤 삶인가우리가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

는 무엇인가

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을 다시

점검하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창 217 선악을 알게 하는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롬 310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요 316~17 독생자를 주셨으니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요 524 내 말을 듣고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구원 얻는

복음에 대해

성경말씀을

통해 다시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살면서 다른 이들의 도움이 간절히 필요했던 순간이

있습니까

주변 사람들 중에 나의 도움이 꼭 필요한 사람이 있

다면 누가 있을까요

정직성과

비유지에

대해

주지시키기

95

(3) 하나님과의 친감

믿음은 동적이며 관계적이다 현상유지가 아닌 변화를 추구하며 하나님과의 아들

됨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믿음이란 하나님의 아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매일

매일 하나님을 추구하는 삶이며 그것이 가능해졌음을 세상 앞에 말씀으로 보여주신

것을 우리는 복음이라 부른다 믿음이란 결코 일방적일 수 없으며 단독으로 사용되어

지는 종류가 아니다 믿음이란 대상과 주체를 이어주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믿

음을 지적인 앎과 고백에서 더 나아가 믿음의 대상이 되는 하나님과 회복된 영원한

관계 안에 있음을 인정하고 누리는 것이다161) 이상 Leonard Sweet의 언급처럼 하나님

과의 친감으로 더욱 나아가야 함을 이 차시를 통해 학습하게 된다

160) Sweet 관계의 영성 51161) 김영선 관계신학 55

학습

정리

얻으리라

행 1631 이르되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 하고

고전 1652 나팔소리가 나매 죽은 자들이 우리도 변화되

리라

계 225 다시 밤이 없겠고 세세토록 왕노릇하리로다

창156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

로 여기시고

l 우리 모두는 죄악으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입니

l 자기의 힘으로 죄악을 극복하거나 죽음의 굴레를 벗을

수 있는 이는 없습니다l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자로 고백할 때 우리

자신 뿐 아니라 가정 가운데에도 영생이 임하게 됩니다

l 마지막 때에 우리 모두는 신령한 몸으로 변화되어 세세

토록 예비하신 본향에서 완전한 영생의 삶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l 아브람의 믿음은 기대고 맡기며 의지하는 것을 의미한

l 기독교의 목적은 사람들이 믿음을 갖도록 하나님과 예

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회복된 관계를 갖도록 하는 것

이다160)

확인하며

혹시 미비한

부분들은

없는지

개인적으로

점검하는

시간을

갖는다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예수님을 믿고 구원의 은혜를 받은 뒤 나의 삶은 어

떻게 변했습니까서로가 자신의 구원 간증을 나누며 구원이후 하나님

과의 관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확인해봅니다

96

차 시 제 3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영적 친감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요한복음 423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이렇게 예배하는 자

들을 찾으시느니라

강의목표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의 깊은 친함 속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과 사귐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자신의 예배생활(공예배와 개인예배)을 돌아보기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을 영으로 예배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진정한 예배를 드릴 때 우리 안에 어떤 일이 일어납니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신 277 또 화목제를 드리고 거기에서 먹으며 네 하나님 여

호와 앞에서 즐거워하라

대하 71 솔로몬이 기도를 마치매 번제물과 제물을 사르고

여호와의 영광이 그 성전에 가득하니

대하 2930 히스기야 왕이 여호와를 찬송하게 하매 몸을굽혀 예배하니라

롬 325 이 예수를 화물제물로 세우셨으니눅 2219 감사기도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내 몸이

라 나를 기념하라벧전 25 너희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신령한 제사

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

l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의 관계로 나아간다

l 예배 가운데 하나님의 임재가 있다

l 예수님께서 영영한 화목제물이 되셔서 우리를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케 하신다

l 우리는 예수님을 덕입어 하나님 앞에 나아가 그분을 만

나며 더불어 사귐의 자리로 나아간다

ppt 자료

성막제사

예배에 대한

영상물

97

(4) 용납과 용서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성도들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멀리 있을 때와는 전혀

다른 상대방의 진면목을 보게 된다 그때 우리는 관계가 더욱 깊어지는 경험보다는

실망과 서로 다름에 대해 배타적인 타인과 자신의 모습을 피할 수 없다 게다가 연약

한 우리는 필수적으로 말과 행동에서 실수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다 이때 닫힌 관계

를 푸는 열쇠가 있는 데 그것은 용서이다 깨어지고 멀어진 관계를 회복하려면 용서

의 기술이 필요하다162)

용납은 공동체의 삶에 특별히 중요하다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는 부득불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이는 결국 여러 가지 면에서 너무나도 다른 상대방을 참아내야

하는 상황이 생기게 마련이다 게다가 우리에게 죄를 범하고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이들을 대할 때 용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가 하나님께 잘못한 일에 대하여

무지하거나 완악하여 인정하지 않을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용납하고 기다려 주신

다163) 이 차시에서는 성도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적극적인 실천과 상대방과 나의 다른

면 상대방이 가진 부족한 면을 받아들이는 용납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162) 김영선 관계신학 309

163)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353

l 예배가운데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며 찬송 말씀과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더 깊이 알아가며 우리의 모

습을 고백할 수 있다

탐 구

활 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하나님께 대한 예배를 통해 우리는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게 하신다

주제상황 마 524 예물을 제단 앞에 두고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자기 체험을

나누어보기

차 시 제 4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용납과 용서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토론

중심성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강의목표 용서와 용납의 차이를 이해하고 성도들 간의 관계에서 실천할 수 있다

98

164) John Bevere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204

강의주제 용납은 약함에 대한 이해이고 용서는 악함에 대한 이해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습적과제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내가 용서받은 죄의 목록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과거에 누군가로부터 크게 용서받아본 적이 있는가

내게 잘못한 것이 명백함에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상

대방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

용납과

용서를

주제로 한

찬양활용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마 1820~35 두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몇 번이나 용

서하여 주리이까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형제를 용서

하지 아니하면잠 1911 노하기를 더디 하는 것이 사람의 슬기요 허물을

용서하는 것이 자기의 영광이니라

엡 432 서로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그리스도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

고후 111 원하건대 너희는 나의 좀 어리석은 것을 용납하

라 청하건대 나를 용납하라

l 하나님께서 주신 용서를 경험한 우리는 타인을 용서할

수 있어야 한다l 두세 사람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일 때 그 가운데 예수

님께서 함께 해주시겠다는 말씀 뒤에 나오는 일만 달란

트 빚진 자의 비유는 우리에게 성도간의 용서에 대한 중

요한 메시지를 주고 있습니다164)

l 상대방의 허물을 용서하는 것은 자신을 위한 일이기도

합니다l 서로의 연약함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용납하는 것은 공동

체를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일만 달란트

빚진 자와

일백

데나리온

빚진 자의

스토리를

역할극으로

구성해보기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용납과 용서는 어떻게 다릅니까

자신을 세 번이나 부정한 베드로를 예수님께서 대하셨던

모습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있나요

소그룹별로

나누기

99

(5) 갈등관리

이 차시에서는 관계 속에서 원하시는 하나님의 의도를 성경을 통해 살펴보고 그

럼에도 늘 끊임없이 생겨나던 성경 속의 갈등 문제를 어떻게 다루셨는지를 함께 공부

하면서 참가학생들 안에 있는 갈등의 문제를 다루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 시 5차시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식 배열

단 원 갈등관리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토의

중심성구 마태복음 59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강의목표교회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상황을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을 통해 공동체의 견고한 연합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갈등은 더욱 깊은 관계로의 디딤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교회생활에서 가장 어려운 순간은 언제인지에 대해 고민해보기

과정

(시간)

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시편 3412~14 잠 171 마522~24을 통해서 볼 때 화

평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많은 갈등상황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민202~13 막 933~34 약41~2 행151~35

갈등은 왜 일어납니까

성경본문 들

에 대한 ppt

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다툼과 갈등이 일어나면 당신은 어떻게 반응합니까

l 모세는 (민 202~13)

l 예수님께서는 어떻게 하셨습니까 (막 933)

l 야고보사도는 (약 41~2)

l 초대교회에서는 (행 151~35)

사도행전 1536~41

초대교회에는 많은 갈등이 있었지만 그 속에서도 순기능이

나타나서 오히려 복음의 확대가 있었습니다

l 갈등에 대해 공부하고 훈련하십시오

l 갈등을 피하지 말고 긍정적으로 여기십시오

ppt자료

중간 중간 각

개인의 의견

도 들어보기

100

(6) 의사소통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성경이 성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의

핵심이다 그런 면에서 성도는 이웃사랑에 대한 피할 수 없는 도전 앞에 서 있다 성

도들이 맺고 있는 모든 관계는 의사소통을 통해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의사소통이 부재하면 관계가 깨지며 관계가 계속해서 발전하려면 의사소통을 충분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의사소통은 쉽지 않다 의사소통은 과학이 아니라 예술에

가깝다 관계에 있어서 건강한 의사소통은 기계적이고 직접적이기 보다는 의미의 섬

세한 묘사와 차이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65) 그렇기 때문에 성도가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에 그 모든 관계에 있어서 신뢰라는 기초 위에 세워져야 하며 마음

이 담겨 있어야 하고 또한 정직해야 한다 위와 같이 세상과의 건강한 관계를 세워

가는데 있어서 신뢰의 기반이 되는 의사소통 문제를 이번 차시에서 다루게 된다

165) Tom Holladay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150

차 시 제 6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의사소통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나눔

중심성구 잠언 1820 사람은 입에서 나오는 열매로 말미암아

강의목표 의사소통에 있어서 개방적이고 명확하며 세한 방법들을 학습한다

학습

정리

l 갈등을 기회로 승화시키고 관리하십시오

l 그리스도를 본받고 본을 보이십시오

l 도저히 해결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떠나는 것도 지

혜입니다

토의

상호

피드

소그

룹별

토의

실습

소그룹별로 한 주제상황을 설정 후에 서로 자유로운 토의

를 거친 후 전체발표를 통해 다른 소그룹의 피드백을 확인

해봅니다

주제상황 1 행 61~7 헬라파 유대인들의 불평

주제상황 2 몬 111~18 빌레몬과 오네시모의 갈등

소그룹리더의

적절한

토의진행에

유의

101

강의주제 지혜로운 의사소통은 관계와 전도의 핵심요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개인체험간증

예습적과제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타인의 견해를 들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질문

가까운 누군가와 제대로 된 대화를 나누어본 것이 최근

언제인가

우리의 언어생활이 늘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는 무엇이

라고 여기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마 537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

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

을 알리라

약 119 너희가 알지니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

기는 더디하며잠 1727 말을 아끼는 자는 지식이 있고

l 의사소통의 기본은 거짓을 피하고 정직함을 타협하지

않는 것이다l 때론 침묵보다 뭔가 시도하는 것이 지혜이다

l 말하기보다 잘 듣는 경청의 태도가 필수적이다

l 누군가와의 의사소통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이다

탐구

활동

정리

의견

나눔

통해

정리

하기

예수님께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신 적절한 방법

들의 예를 성경에서 찾아보자

질문 ldquo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rdquo 비유 ldquo천국 씨뿌리기rdquo 만져주심

102

(7) 먼저 대접하기

황금률은 사랑의 진정한 본질을 보여주는 공용 언어이다 사랑은 다른 사람에게

받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냥 주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것은 앎과 행동 사이가 쉽

지 않으나 우리의 불완전함 때문에 포기할 수 없는 세상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우리의

모습이다166) 세상에 대해 우리의 필요를 채우려는 마음을 뒤로 두고 먼저 세상의 필

요를 채워주는 이들이 많아진다면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차시

에서는 교회가 어떻게 세상의 필요를 채워주고 더 가까워질 수 있는지를 배워나갈 것

이다 그 시작은 마태복음 7장 12절 말씀인 황금률에서부터 비롯한다 그 대략적인 내

용에 대해 다룰 이 차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66) Tom Holladay 양영선 역 사랑으로 가꾸는 삶 315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먼저 대접하기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누가복음 631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강의목표 이웃사랑의 실천은 적극적으로 다가가서 먼저 대접하는 삶임을 배운다

강의주제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은 대접하고 섬기는 모습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시영상

예습적과제 이웃에게 먼저 다가가서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기를 시도해 본다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복음을 전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가요

이웃과의 관계를 이끌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규칙은

무엇일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롬 58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우리를 위하여 죽

으심으로눅 635 오직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고 선대하며요 1315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103

(8) 타인이해

이번 차시에서는 타인을 이해하기 위한 성경적인 시도로서 lsquo긍휼rsquo에 대한 내용을

제시해 보려한다 그동안 살아온 삶의 히스토리가 전혀 다른 존재를 이해한다는 것은

제한된 지혜안에 있는 성도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에 앞서 성도들을 향해 세상

을 향해 하나님의 한결같은 마음이신 긍휼함을 품는 다면 타인이해에 한 발짝 더 나

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간략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타인이해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유다서 12 긍휼과 평강과 사랑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 지어다

강의목표 이웃을 이해하고 그들을 사랑할 수 있는 존재로 나를 지으셨음을 안다

강의주제타인을 받아들일 수 없는 우리가 이해하는 길은 그들을 긍휼히

여김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학습

정리

마 540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까지도 가지게

하며

요일 418 사랑 안에 두려움이 없고 온전한 사랑이 두려움

을 내쫓나니

l 우리는 자격이 없을 때 사랑을 받았음을 기억해야합니

l 희생적인 사랑으로 세상에 그 모습을 내보여야 한다

l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 우리는 예수님의 모범을 기억해

야 합니다

l 소유보다 사람에게 더 높은 가치를 두는 것이 이웃사랑

이다

l 세상을 향한 우리의 태도는 빚진 자로서의 섬김입니다

탐구

활동

정리

토론

나눔

으로

정리

하기

오늘 내가 먼저 필요를 채워 주어야 할 대상이 있다

면 누구일까요

내가 아니면 그 사람에게 도움을 베풀 수 없는 이웃

이 옆에 없는지 찾아봅시다

104

(9) 건강한 가족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한 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가장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 대해 백문백답을 만들어서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나와 생각이 다른 이들을 나는 어떻게 대하고 있는

가정 직장 학교 교회에서 나는 왜 타인을 수용해야

하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출 3319 은혜 베풀 자에게 은혜를 베풀고 긍휼히 여길

자에게 긍휼을 베푸느니라

잠 1012 미움은 다툼을 일으켜도 사랑은 모든 허물을 가

리느니라

잠 1429 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크게 명철하여도 마음

이 조급한 자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느니라

잠 1917 가난한 자를 불쌍히 여기는 것은 그의 선행을

그에게 갚아주시리라

행 436일컬어 바나바라(번역하면 위로의 아들이라)하니사 423 상한 갈대를 꺽지 아니하며눅 2251예수께서그 귀를 만져 낫게 하시더라

요일 47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l 하나님께서는 아무 자격이 없는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

셨다

l 타인을 향한 하나님의 명령은 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l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만져주심으로 이해하셨다

l 이해보다는 사랑이 먼저이다

l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긍휼이 필요한 존재이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가족들이 서로를 사랑하면서도 자꾸만 다툼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나를 통해 속한 공동체가 서로를 이해하

는 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105

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건강한 가족은 결국 건강한 가족관계에서 출발한다 이

차시에서는 성경에서 말씀하는 동등성을 기반으로 한 부부관계에 대해서 배우게 된

다 사실 부부관계훈련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이 과정만을 따로 떼어서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포괄적으로 다

루기 때문에 깊이 있는 학습보다는 넓게 다루되 심화과정을 따로 개설하는 것이 효과

적일 것이다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 이어서 다루게 된다

차 시 제 9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건강한 가정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나눔

중심성구잠언 171 마른 떡 한 조각만 있고도 화목한 것이 제육이 집에 가득하고도

다투는 것보다 나으니라

강의목표 가족 구성원의 상호헌신을 통해 건강한 가정을 이루어감을 안다

강의주제 건강한 가정을 이루는 것은 성경적인 인간관계를 세우는 주춧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성경 속에 나타난 가족들의 특징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자기가 속한 가정의 모습에 아쉬운 부분은 없나요

나는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미 76 아들이 아버지를 멸시하며 사람의 원수가 곧 자기

의 집안 사람이리로다

엡 521 그리스도를 경외함을 피차 복종하라

잠 1822 아내를 얻는 자는 복을 얻고 여호와께 은총을 받

는 자니라

엡 533 그러나 너희도 각각 자기의 아내 사랑하기를 자신

같이 하고 아내도 자기 남편을 존경하라

잠 1632 노하기를 더디하는 자는 용사보다 낫고 자기의 마

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나으니라

잠 2325 네 부모를 즐겁게 하며 너를 낳은 어미를 기쁘게

106

(10) 섬김과 돌봄

10주간의 관계학교를 마무리하면서 이번 차시에서는 성도들의 사명적 과제인 세상

을 섬기는 삶에 대해 다루려 한다 모든 관계의 문제는 결국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

서 모범을 보이신 것처럼 섬김의 삶에서 종결된다 성도들 또한 모든 관계라는 상황

가운데 섬기는 자로 부름 받았음을 도전함으로써 모든 차시를 마무리 지으려 한다

학습

정리

하라

잠 243 집은 지혜로 말미암아 건축되고 명철로 말미암아

견고하게 되며

l 가정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작은 하나님 나라이다l 말세의 때에 가정을 향한 영적인 공격이 극에 달하고

있다l 가정의 건강성은 가족들 개개인 모두가 자기 역량에 따

른 헌신을 감당해내는가를 통해 결정된다l 너무 쉽게 분노와 다툼에 자신을 내어주는 모습을 돌아

보아야 한다l 가족을 위한 지혜는 하나님께로부터 나온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우리 가정은 함께 예배하는 시간이 있는가

우리 가족은 서로에 대한 헌신의 정도가 어떠한가

차 시 제 10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섬김과 돌봄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사명에세이 작성

중심성구빌 22~4 마음을 같이하여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강의목표 우리는 하나님 세상 성도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기는 사람임을 안다

107

강의주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관계는 주께 하듯 섬기는 관계이다

관계요소

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섬기는 분으로 이 땅의 삶을 사셨던 예수님을 묵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 세상 성도와의 관계에서 어떨 때 가장 평안

한 마음이 들던가요

주께 하듯 섬긴다는 말은 어떤 뜻인가요

강사 자신의

체험을

나눠보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벧전 38 형제를 사랑하며 불쌍히 여기며 겸손하며롬 1216 서로 마음을 같이하며 도리어 낮은 데 처하며잠 1717 형제는 위급한 때를 위하여 났느니라

고전 135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롬 152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빌 127 오직 너희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

라골 323 무슨 일을 하든지 주께 하듯 하고엡 67 기쁜 마음으로 섬기기를 주께 하듯 하고 사람들에게

하듯 하지 말라

l 형제를 불쌍히 여길 때 그를 사랑할 수 있습니다l 우리의 마음을 겸손히 할 때 섬길 수 있습니다l 어려운 상황에 있는 이웃을 더욱 돌보아야 합니다l 우리는 서로를 섬기도록 지음 받았습니다l 주께 하듯 형제를 사랑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l 건강한 관계는 나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상대방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길 때 성취할 수 있습니다

말씀 본문

PPT영상준비

각각의

소주제에서

강사의

전달보다

학생들의

반응에 더

집중하기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관계 속에서 가장 힘든 때는 언제 인가요혹시 내 안에 아직도 이기적인 편견에 빠져있지 않을

까요오늘 내가 섬기도록 내 곁에 두신 사람은 누구인가

정직과

비유지에

대한

사전교육

108

이상으로 10주간의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내용의 개요를 제시해보았다 세부적인

내용은 교회마다 특성과 여건이 다르기에 그 상황에 맞추어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본

다 관계학교라고는 하지만 바쁜 현대를 살아가는 성도들의 모습을 감안하여 하나님

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10차시 정도로만

요약해 보았다 개별적으로 좀 더 깊은 내용은 추후 교회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진행

하면 되리라 여기며 여기까지 해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대략적인 개요 내용을 정리

하고자 한다

109

제 6 장

결 론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에서 한국교회는 시대적응에 실패한 모양새이다 이러한 현상

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들 중 하나는 기존 교회

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

의 외적인 요소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

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현실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의 유일한 소망이다 여타 다른

나라의 기독교 발전과 달리 한국 기독교는 짧은 순간에 급속한 수적 성장을 이루었는

데 급격한 변화에는 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처럼 한국 개신교 내부에서 교회를 이루

는 구성원으로서 각 개인 간의 거리가 너무 긴해지고 말았으며 이는 상대방을 충분

히 수용하고 이해하기에 중간에 필수적이었던 시간들을 생략하고 만다 결국 이는 교

회 내부에서 관계의 문제로 불거져 나오게 된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여전히 한국교

회는 양적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성을 확인하려 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시작된 이 논문은 지금까지 포스트모더니티와 모더니티의 사

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시작으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주장하는 4가지 이론들

을 살펴보았다 그 속에서 Anderson과 Macchia의 주장에서 발견된 관계적 특성을 교회

의 건강성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이를 위한 이론적 뒷받침으로 관계신

학을 살펴보았다 관계중심의 사역을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주장

하면서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이루어지는 관계훈련의 사례를 찾아보았는데 여기에

110

서 발견된 특징은 사후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중심 상담기법이 주로 사용되어짐을 발

견하면서 필자는 성경을 중심으로 하면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공부하는 것

을 통해 전도의 기회로도 활용 가능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안해보는 것으

로 본 논문을 진행해왔다

제한된 지면에 방대한 주제를 연구하다보니 아무래도 각 내용들이 심도 깊게 연

구되지 못하고 단지 관계학교라는 10차시의 과정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가벼이 지

나갈 수밖에 없었던 한계가 있음을 인정한다 또한 포스트모던이든 교회건강이론이든

관계신학이든 그 안에 담긴 내용은 훨씬 다양하고 여러 가지 한계에 대한 나름의 보

완책을 가지고 있지만 양적성장을 통해 건강한교회를 구분 지으려는 현 세태에 대한

비판을 강조하려 하다 보니 그러한 보완점을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다

제 2 절 제언

미래의 교회는 그동안 집중하던 사역지향의 틀을 넘어서 관계에 기초를 두는 공

동체로 세워져야 할 것인데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평가를 받으며 서로를 자랑

하며 서로의 성공을 축하해 주며 서로의 문제해결을 도와주며 서로를 칭찬해 주며

서로를 높여 주는 관계성의 개발을 그 공동체의 핵심가치와 목표로 하는 교회를 세우

는 목회가 이 시대에 절실하다 교회마다 그동안 성장과정에서 소홀히 되었던 부분으

로 인한 성장 통을 앓고 있고 거기에 최상위 리더십이 교체되는 시점에 그 문제는 불

거져 나와 결국은 분립의 길을 선택한 많은 교회의 예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고 세상을 아우르며 자신의 존재의미와 본질에 충실한 건강한교

회는 하나님과도 성도들과도 이웃과도 건강한 교회여야 할 것을 주장하며 이 논문을

마치려 한다

111

참고 문헌

1 국내 서적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김점옥 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신국원 문화이야기 서울 IVP 2002

______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최애경 인간관계의 이해와 실천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06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 2008년 1월호(통권

제589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112

2 번역 서적

Augustine(Saint) 성아우구스티누스 삼위일체론 김종흡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Bevere John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Bonhoeffer Dietrich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Bradshaw John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Calvin Joh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Clair Michael St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Clowney Edmund P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George Carl F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Gibbs Eddie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Hiebert Paul G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사람 2010

Holladay Tom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Kun Hans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Long Jimmy 소그룹리더핸드북 IVF자료 개발부 편역 서울 IVP 1996

Newbigin Lesslie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Richardson Ronald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_______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Robinson Dave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Schwarz Christian A 자연적 교회성장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2001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윤수인 역 서울 NCD 201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Stott John R W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113

Sweet Leonard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_______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Walsh Brian and Middleton J Richard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 외국 서적

Anderson Leith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15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92

_______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Grenz Stanley J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Guinnes O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Gunton Colin E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Klemm David Hermeneutical Inquiry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David Klemm

ed Atlanta Scholars Press 1986

Macchia Stephen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_______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Smith James K A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Wagner C Pet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_______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14

4 웹사이트

httpwwwwhointaboutmissionen세계보건기구헌장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groups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httprelationshipschoolcom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fn1-11529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115

Vita ofSeongBaek Park

Present PositionSenior Pastor of Grace-Truth Chruch in GwangJu South Korea

Personal Data

Birthdate 01201972Marital Status MarriedHome Address 12 SangmuDaero 263 GwangsanGu GwangJuPhones +82-10-2587-5579Denomination PresbyterianOrdained 10072008

Education

B A 2001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in PhysicsM Div eq 2007 Gwangshin Theological SeminaryTh M 2009 Gwangshin UniversityDMin 201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 Recommended Citation
      • vartmpStampPDFG81n_kR6vhtmp1568331363pdfQYYRp
Page 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이 논문을 풀러 신학교목회학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지도 주 종 훈 박사

박 성 백

2019년 2월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ii

Abstract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Developing Church Health

in the Context of the Postmodern Korean ChurchSeongBaek Park

Doctor of Ministry2019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This paper argues for assessing church health on the basis of

relationshipsmdasha structural foundation of the churchmdashin contrast to a theory that

bases the health of a church on numerical growth even when viewing the church

as an organism The use of growing churches as the standard of church growth

scholars including natural church growth theorists cannot encompass the differing

situations of ministries and individual churches Various church reformation

movements point to the burden of proving church health in a saturated market of

an aging population as impoverishing church infrastructure Consequently the

current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requires churches to overcome the bias that

thinks a church that does not grow is not a healthy church Moreover postmodern

society pursues relativity and plurality which isolates individuals who ultimately

desire meaningful relationships This paper thus argues for the Korean church to

actively develop relationship schools that strengthen healthy relationships thereby

improving church health

Chapter 1 identifies the problem of church health in the Korean church

and chapter 2 describes qualities of a postmodern society and its beginnings in

modernity Chapter 3 then establishes relationship theology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aper and its argument In chapter 4 various church health theories

iii

centered on relationships are compared This examination of theories of existing

church health scholars leads to this projectrsquos theoretical basis of relationship

theology constructed on the thinking of two specific scholars

Cases of relationship recovery programs and characteristics of such

programs tried by the Korean Church are surveyed in chapter 5 The chapter goes

on to emphasize the need for a biblical relationship training program and then to

construct 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improving church health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by proposing a 10-lesson program for biblical relationship

development Chapter 6 concludes the paper ultimately arguing that relational

health as a core value of the church enabled by member training from a

perspective of relationship theology must be a new standard for measuring church

health Effectively running such a relationship school focused on relationships with

God the world and believers can improve church health via improved

relationships

Theological Mentors Jong Hun Joo PhD

Yea Sun E Kim DSocSci

Euiwan Cho PhD

iv

헌 사

이 논문을 아들을 위해 불철주야 기도로 지원해주신 어머님과 사랑하는 아내 그

리고 하나님께서 주신 최고의 선물인 예은 다윗 정은에게 바칩니다

v

감사의 글

오늘 이 날에 이르기까지 늦은 나이에 목회학박사 과정을 위한 도미를 허락해주

시고 이후에 귀국해서 멈출 수도 있었을 논문과정을 끝까지 마치게 인도해주신 하나

님께 먼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신약성경에 대한 탁월한 통찰을 통해 세속화되

어 가는 교회를 향한 안타까움 가득한 외침으로 깨어있는 목회자의 길을 몸소 보여주

신 김세윤 교수님 외롭고 어려운 유학 시절동안 부족한 목회자가 자신을 가두던 껍

질을 깨고 세상 앞에 당당히 설 수 있도록 보석 같은 개인상담의 시간을 통해 목회적

인 사고의 지평을 넓혀주신 엄예선 교수님 먼 나라를 오가며 분주한 사역 중에도 부

족한 목사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격려와 채찍으로 논문을 마치기까지 세심하게 지

도해 주신 주종훈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여러 가지로 모자라기 만한 아들을 귀히 여겨 주시고 항상 후원해 주신 어머니

와 힘들 때마다 따뜻한 위로자와 상담자가 되어준 사랑하는 아내와 내가 이 땅에서

감당해야할 첫 번째 사명이자 다른 모든 사역을 위한 발걸음에 힘을 더해주던 세 아

이들에게도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그 동안 많은 기도와 도움을 주신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많고 많은 교회

속에 개척이라는 길을 여시고 맡겨주신 은혜와진리교회가 관계라는 교회 존재의 기초

위에 더욱 건강한 교회로 자라나 많은 열매를 맺어낼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더욱 열심

히 헌신하겠습니다

2019년 2월 박 성 백

vi

목 차

제 1 장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1 해체주의 인간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2 상대주의 진리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다원주의 종교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4 극단적 개인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과학기술의 발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 자본주의경제의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4 모더니티의 위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vii

2 교회와 코이노니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1 하나님의 백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2 그리스도의 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3 성령의 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1 관계중심의 리더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4 가정 중심의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2 은사 중심적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3 열정적 영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4 기능적 조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9

5 영감 있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6 전인적 소그룹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7 필요 중심적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8 사랑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1 긍정적인 목회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viii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5 동질집단의 원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6 효과적인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7 성경적인 우선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2 제자 삼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3 영적은사의 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맺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절 Stephen A Macchia의 교회건강이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영적인 제자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다 교회들의 연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ix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1 온누리교회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2 뉴욕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3 웹기반의 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가 온라인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1 프로그램의 동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2 프로그램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x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3 프로그램 시행준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나 소그룹 리더교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1 교육과정편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2 성취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3 차시별 강의계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4 진행상 유의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5 본시 강의의 설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1) 관계 안의 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2) 복음과 믿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3) 하나님과의 친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4) 용납과 용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5) 갈등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6) 의사소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7) 먼저 대접하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8) 타인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

(9) 건강한 가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

(10) 섬김과 돌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

제 6 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2 절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

xi

참고 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1

Vit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xii

표 목 차

lt표 1gt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lt표 2gt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lt표 3gt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1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980~90년대를 지나면서 한국교회는 기록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어내었다 1910년

에만 하여도 한국 전체인구의 단지 1에 불과했던 개신교 인구는 고도 성장기를 거

치면서 전체 5천만 인구의 거의 20에 달하는 성장을 이루었고 수많은 대형교회들이

생겨났으며 바야흐로 한국 개신교의 전성기라 불리기에 충분한 시대였다 그러나 21

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 개신교는 정체되기 시작하였고 게다가 사회적으로 많은 비판

을 받게 되었으며 반기독교진영의 공격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그중 중요한 원인 하나는 기존 교회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의 외적인 요소

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

의 유일한 소망이다 산업화로 인하여 풍요해진 것처럼 보이는 세상의 이면에는 온갖

공해물질로 범벅된 자연환경의 오염과 이로 인해 야기된 각종 질병으로 인간의 육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를 비롯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되어가고 있

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질병과 가족들의 육신의 질고로 말미암아 건강에 대해 갈

수록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이 건강이라는 용어의 사용도 단순하게 인

간의 육신에 대한 표현에서 벗어나 정신의학의 영역 사회과학적인 영역 영적인 영역

에까지 그 사용 폭이 넓어져 가고 있으며 이는 결국 교회의 건강이라는 표현에까지

2

이르게 된다 이처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결국 그만큼 각종 분

야에서 많은 질병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만큼 각종 질병으로부터의 치료가 중요시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건강의 의미에 대하여 직관적으로는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

하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정의하면 소극적인 의미인 질병이 없음을 넘어서 각 개체가

가진 본연의 목적을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감당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

인 개념1)이다 이것을 교회공동체와 관련하여 다시 진술한다면 건강한교회란 교회 내

부의 질병이나 연약한 부분이 없이 모든 지체들이 물리적 관계적으로 온전한 상태에

있으면서 사회적으로 감당해야할 책무로서의 소금과 빛 됨의 역할을 다하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작금에 와서 교회의 건강은 늘 교회의 성장이라는 열매와 결부

시켜 표현되고 있다 교회의 건강지수를 조사하는 대부분의 기준들이 교회가 양적으

로 성장하고 있는가라는 결과를 통해서 판단되어 왔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수적

성장하지 않는 교회는 건강하지 않고 병들어있는 교회로 치부되고 마는 것이다

한국경제가 한창 발전을 하던 과정에서 사람들은 수적 양적인 요소들을 판단의

근거로서 최선이라 여길 수 있었지만 이러한 세속적 세계관이 교회 내에도 여과 없이

반영되어 교회조차도 숫자를 판단의 주된 요인으로 삼는 오류를 범하게 된 것이다

왜 사람들은 숫자를 통해 진리를 판단하려 드는 것인가 이는 다른 요인들과 달리 가

시적이며 객관적인 근거로의 활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기에 계산하는 것

이 쉽지 않을지라도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건강의 진정한 본질적 요소들

에 집중해야만 할 필요가 있다

lsquo교회 성장rsquo과 함께 lsquo교회건강rsquo을 강조하게 된 데에는 전통적인 교회성장에 대한

생각들이 지나치게 기계적인 수적 성장을 강조하는 것에 반기를 든 모양새이다2) 그

러나 이렇게 등장한 lsquo교회건강rsquo에 대한 이론들조차도 결국은 lsquo성장하면 건강하다rsquo라는

개념과 같이 숫자의 함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lsquo건강하면 성장한다rsquo라는 논리로 확대

적용되어 교회의 건강이 마치 양적 성장을 위한 기본 전제이어야 하는 것처럼 받아들

여지게 되었다 즉 교회의 건강성을 수적 성장의 여부로 판단하게 되어버린 것이다

특별히 한국교회에서 많이 활용되어 온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자연적교회성장

1) 세계보건기구헌장 참조 httpwwwwhointaboutmissionen2) 김점옥 차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7

3

(Natural Church Development)이론은 질적 요소의 충족을 통한 건강은 양적성장으로 결

론지어진다는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시하며 양적성장과 교회건강에 대한 연결을 오히

려 더 정당화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적 현실에 대하여 필자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자인 Schwarz와 교

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과소평가

된 교회의 본질적 요소인 lsquo관계rsquo를 교회건강의 새로운 기준으로 주장하고자 한다 건

강은 결코 성장만으로 판단되어서는 타당하지 않다 현대 교회에 만연한 성장주의는

결국 교회 내부 건강의 부실함을 야기하였고 각종 폐단 및 후유증의 주된 원인이 되

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관계가 성경적이고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관계

성으로 볼 수 있는가 그것은 삼위일체의 교제를 칭하는 개념인 페리코레시스에 바탕

을 둔 공동체적 관계성이다 그 관계를 원리로 해서 하나님 성도 세상 사이 관계의

균형을 추구하는 모습이 필요하고 이렇게 세워진 관계신학적 이론을 적용하는 lsquo관계

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교회건강개선rsquo이라는 논제를 가지고 필자의 주장을 정리해 나

가려 한다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위와 같은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시작된 교회건강성에 대한 논문을 위해 필자는

먼저 숫자중심 성장주의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근대 모더니즘과 관계지향적 특성

을 가진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살펴본 후 NCD

의 이론과 다른 북미지역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서적들을 대상으로 기존 이론의 약점

들을 드러내고 더불어 다른 교회건강 학자들의 이론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연구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계신학이라는 아직은 생소한 신학분야의 이론적 기반을 마

련한 후에 각 교회나 단체에서 행해지는 관계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를 연구할 것

이다 그러고 나서 교회건강을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이라는 대안을 마

련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따라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현대 한국교회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는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먼저 현대 한국교

4

회의 배경연구로서는 모던시대의 특징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을 바탕으로 모던과

포스트모던이 교차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며 그러한 한국교회 상황

에서 현재 주로 인용되어왔던 Christian Schwarz를 통해 세워진 NCD의 교회 건강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과 교회 건강에 대한 다른 견해들인 피터 와그너(Peter Wagner)

리스 앤더슨(Leith Anderson)3) 스티븐 마치아(Stephen Macchia)4)의 이론들을 살펴본 뒤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서 그동안 성장주의 영향 아래 한국교회에서 배제되어왔던 부분

에 관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교회의 핵심특성인 공동체적 본질로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사역이 교회 건강성의 새로운 기준임을 제시해보려 하고 이론적인 기

반으로서 관계신학이라는 개념을 정리해 본 뒤 이를 실제 목회 현장에 적용할 수 있

는 lsquo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rsquo까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범위 안에서 연구를 진행하

고자 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문제제기와 목적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어 연구

의 방법 및 범위를 서술한다

제2장에서는 모던과 포스트모던 두 시대 사이에서 양쪽 모두의 영향 아래 있기

에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두 가지 특성 모두를 가지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

과 영향을 배경연구로서 활용해 보려 한다

제3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연구를 위해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개념을 근거로

관계신학적 관점으로 교회의 본질을 연구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한국교회에 영향을 주고 있고 교회성장운동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

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와 주장을 정리하고 교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연구를 살펴보고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성장을 논하던 기존 이론과 달리 하나님

3) NAE(국제복음주의연합)의 의장을 역임하였고 Minnesota에 있는 Woodale Church에서 35년동안 사역하다 지난 6월 은퇴하였으며 Fuller Theological Semianr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강의를

하고 있으며 Dying for Change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Winning the Values War의 저자이

다4) 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Vision New England(The Evangelistic Association of New England)의 의장을 역임

하였으며 Becoming a Healthy Church 외 다수의 저작물이 있는 지역교회와 선교단체를 위해

국제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역자이다

5

성도 세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교회건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Macchia와 Anderson

의 이론을 연구 정리하면서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들을 비교하여 기존 이론 가운데

에도 관계지향적인 요소들이 이미 자리하고 있었음을 더불어 밝혀보려 한다

제5장에서는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행해지던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로서 국내

온누리교회 미국의 뉴욕관계학교 웹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스웨덴의 온라인 관계학

교의 경우를 조사하여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를 찾아보고 그동안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경을 중심으로 하여 10차시 과정으로 구성된 관계학교 전체과정의 개요를 제안하려

한다

제6장에서는 연구에 따른 최종적인 결론으로 논문 전체에 대한 요약과 결론 그

리고 그에 따른 적용 및 다른 연구자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어

보려 한다

6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양적성장에 치중하던 한국교회가 질적성장이라는 관점에서 건강한교회를 지향하

게 된 일은 분명 긍정적인 현상임에도 이마저도 또 하나의 교회성장운동으로 변질되

어가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살펴보기 전에 그에 대한 환경적 배경을 제공하게 된 이

시대의 전체적인 문화와 사고의 큰 흐름으로서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더불어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그 모태라고 할 수 있는 모더니티

사회의 현상과 특징들을 비교하여 논함으로서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을 좀 더 이해

할 수 있고 그 영향들이 교회 안에 어떻게 작용하게 되었는지를 알아가 보고자 한다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인류는 과학산업기술의 발전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이성을 긍정적으로만 맹신하

게 된 것이 모더니티 근대주의의 발로이다 이를 통해 계몽주의 경험주의 유토피아

적 이상향에 젖어 중세 신앙을 거부하게 되면서 인간 이성의 자유를 구가하던 시대인

모더니티 사회는 결국 이성의 과신에 대한 수많은 부작용과 또 하나의 공허한 신앙을

선택하게 된 결과로 이어진다 포스트모더니티로의 진입은 이러한 모더니티를 비판하

면서 해체하는 것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가고자 하는 시도였다 그러므로 포스트

모더니티는 모더니티의 사상적 기반을 떠나서는 정확한 이해가 불가하다 포스트모더

니즘의 시작은 일차세계대전 이후 그동안 팽배해 왔던 근대주의적 유토피아 이상에

대한 환멸과 비판을 기초로 하였다 또한 과학의 한계에 대한 의식과 자원고갈 인구

와 환경문제라는 위기의식을 기반으로 문명 전체의 불분명한 미래상에 대한 불안을

뿌리로 하게 된다 이는 그동안 근대문명을 지배해온 모더니즘의 주된 사고체계인 계

7

몽주의사상과 과학주의적 세계관의 문제의식에서부터 기인하였다는 의미이다5) 이처

럼 모더니티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사상적 특징들을 먼

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해체주의 인간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의 사상적 발단을 제공한 이는 프리드리

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이다 니체는 기독교적 가치의 무의미를 선포하

였고 진리의 체계를 주장하는 모든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사상을 주장하는데 형이상학

을 부정하는 근거는 모든 형이상학이 자신이 전제한 가정에서부터 출발하고 있기 때

문이라는 것이다 니체의 허무주의적 주장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

을 형성하였다 니체에게 있어서 우리 자신과 세계에 대해 유일하게 참된 진리는 만

물이 지닌 억제할 수 없는 lsquo힘에의 의지rsquo와 lsquo통제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rsquo뿐이라는

것이다 lsquo지식rsquo과 lsquo진리rsquo는 단지 효과적인 도구일 뿐이지 초월적 실체가 아니며 인간

이 고안한 개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것들은 항상 인간의 이익이나

목적에 공헌하기 때문에 결코 lsquo객관적rsquo일 수 없다는 주장이 포스트모더니티의 특징으

로서 니체로부터 시작된 해체주의의 주된 사상이다6) 이러한 해체주의는 또한 허무주

의로 연결되어 결국 인간 본연의 가치상실과 존재에 대한 회의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더 이상 개인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존재가치가 전과 같이 존중받지 못할 위기에 처하

게 되었다는 것은 베이비부머시대의 인구폭발과 맞물려 인간의 가치상실이라는 결과

를 낳게 된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에 저항해야 할 한국교회는 오히려 한 영혼 한 영

혼의 가치를 소홀히 함으로써 세상을 닮아가는 형국이 되었고 결과를 중심으로 한 교

회건강 이론을 비판 없이 도입하였다

2 상대주의 진리관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대주의는 세계를 역사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보편

적 원리나 통일성이 없는 파편더미로 보는 가치체계이다 공통적 가치와 기준이 없으

5) David Klemm Hermeneutical Inquiry Volume 1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Atlanta Scholars Press 1986) 196) Dave Robinson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21-22

8

며 진리에 상대적 국면이 있음을 인정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신적권위라든지 이성적

법칙이라든지 절대성을 표방하는 것 자체를 모두 배격하기에 이르게 된다 상대주의

의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포스트 모던적 상대주의는 상대성 자체를 궁극적인 것으로

절대시하고 규범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대주의에서는 lsquo절대rsquo나 lsquo절대적rsquo이란 존재할

수 없다 진리라는 주장들은 지역적 역사적 요인들이 만들어낸 상대성을 지니기 때문

에 그 어떤 것도 절대적 진리라고 판단할 수 있는 초문화적인 기준은 존재할 수 없

다7)

절대적 진리의 존재가 인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사회나 문화의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거대담론이 사라지게 됨으로 공동의 lsquo너와 내rsquo가 이루어낸 공동체성은 찾기

힘들고 파편화된 개인만 남아 외롭게 존재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또 이런 상대주의

는 가치와 도덕을 무너뜨려 극단적 실용주의를 만들어낸다 또 신앙이나 이성에 의해

규제되던 감성 관능 탐욕 등의 폭발적 해방을 이미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상대주의

의 만연은 결국 아무것도 절대적인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극단을 낳음으로써 자체적인

모순에 빠지게 됨으로 해체주의와 연결되어 인간의 존재가치를 상실하고 회의를 불러

일으키고 결국 이는 쾌락을 진리의 기준으로 삼아 단지 lsquo즐거운 것이 좋은 것rsquo이라는

사고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도 종국에는 극단적 고독과 소외를 낳음으

로써 인간 내부에 잠재해 있던 공동체에 대한 갈망을 원하게 된다8)

그러므로 이 시대에 교회가 접근해야 할 세상은 대상이 특정화되지 않은 일방적

인 전파를 통한 복음사역이 아닌 소외와 외로움에 빠진 이들에게 먼저 다가갈 수 있

는 관계가 중심이 되는 건강한교회를 통한 공동체적인 접촉점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된

3 다원주의 종교관

포스트모더니티의 세 번째 특징으로서 근대의 문제가 이성주의에 입각하여 문화

와 사회를 획일화하는 세계관으로 삶을 억압하고 비인간화 하는데서 비롯된다고 반기

를 드는 데로부터 결국 그에 대한 해체작업과 그 결과로 말미암는 다원성에 대한 강

조로 흐르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이성의 객관성을 부정하여 문화와 사회의 토대역

7)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2388) Ibid 241

9

할을 박탈하려 하게 된다 이성주의 학문인 철학과 과학이 기초적 중심 위치를 상실

하면 문화가 다원화될 것이라고 여기는데 이 전략이 근대문화를 해체하게 된다 이

다원주의 특성은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어 오늘날 삶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다원화된

사회가 되어버렸다

이런 변화 속에 교회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경험하게 된다

긍정적인 영향은 기독교와 줄곧 충돌해온 인본주의와 독단적 합리주의의 지배력이 약

화되어 기독교의 전도나 문화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고 반면 부정적인 영향은

모든 종교와 신앙의 균등을 주장하는 종교다원주의가 득세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다원주의는 오늘의 세속 사회에 가장 잘 부합하는 문화적 이데올로기이며 이러

한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믿음을 고백하거나 일방적으로 전파하는 것을 무식과 교만

독선으로 여기게 되어 금기시하게 된 것이다9)

뿐만 아니라 뉴비긴은 한걸음 더 나아가 한 사회 안에 있는 여러 다양한 문화들

과 생활방식들을 환영하고 이런 것이 인간의 삶을 풍요하게 해준다고 믿는 문화적 다

원주의와는 달리 종교적 다원주의 대해서는 그 입장을 달리하여 종교들 간의 차이가

진리와 거짓의 문제가 아니라 진리에 대한 다른 인식 방법의 차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종교적인 믿음에서 어떤 것은 옳고 어떤 것은 그르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종교적인 믿음은 개인의 문제이고 각 사람은 자신의 믿음을 가질 권

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종교적 다원주의의 특징이고 뿐만 아니라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할 포스트모던시대의 특징이다10)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이러한 종교적 다원주의를 다원주의의 맥락에서 지지하

고 있다 그리고 종교적 다원주의는 이제 서구교회 전체가 고민하고 있는 심각한 문

제가 되었으며 우리 한국교회 역시도 더 이상 자유롭지가 않다 복음의 순수성과 절

대성이 더 이상 그 자리를 지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회 내부에서조차도 그 영향력

이 약화되어가고 있는 이 시대는 네트워크의 비약적인 기술발전 영상매체와 미디어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시각적 자극에 민감해질 데로 민감해진 다원화된 개인들만이

존재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한 상황 속에 건강한교회에 대한 견해들 또한 다양

하게 되었고 그만큼 통합적인 평가가 어렵다 그만큼 가시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한

9)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1310) Lesslie Newbigin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40

10

숫자 중심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은 많은 이들에게 수용되어질 수 있었다

4 극단적 개인주의

앞부분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티사회의 특징들은 우리를 서로에게로부터 분리시

켜 자아를 봉인하고 개인 영역에 한정시키는 극단적 개인주의 성향으로 나타나게 된

다 이러한 흐름은 절대적인 권위와 연합을 부정한다는 의미에서 포스트모던이 기독

교 신앙에 대한 심각한 도전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면에서는 기존 질서로서 이성 중심

의 과학문명이 낳은 모더니티에 대한 지극한 회의에서 시작되었기에 하나님 중심의

절대적 신앙관의 확립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과도기적 시기로 보아야 한

다11)

오늘날의 사람들은 지금까지 지나온 여러 세대들보다 더욱 초자연적인 것들 특

별히 영적인 것들에 대해 열려있게 되었으며 사람들은 교회나 조직화된 종교체계에는

적대적일 수 있으나 예수님을 포함하여 영적인 것에는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포

스트모더니즘 기반의 문화에서는 서로 간의 공통점을 주장하지 않음으로 모두가 함께

동의하여 논쟁을 종결할 수 있는 공통적 토대가 사라지고 보편적 세계관을 부정하게

됨으로써 차이에 대한 존중과 지역적이고 개체적인 것을 환영하는 정서가 대중적인

것이 되었다 이성주의 문화의 해체 속에 기독교적 문화를 사람들이 또 다른 진리 중

의 하나로 인식하게 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독교에 대한 도전일 뿐 아니라 만인이 편견 없이 기독교 신앙을 기본적으로 받아들

일 수 있게 하는 기회로서 작용하기도 한다12)

포스트모던사회의 특징인 해체주의 상대주의 다원주의 개인주의의 포괄적 특징

은 반공동체적이라는 것이다 각 개체를 중시하고 함께 하는 가치를 배격하며 진리의

상대성을 기치로 삼는 시대정신 속에 단일 목표를 세우고 함께 가는 공동체 지향은

반시대적이 되어버린 것처럼 외부적으로 나타나지만 결국 그 속에서 각 개인의 가치

를 상실당하고 소외되며 피폐해진 이들은 오히려 진실한 공동체 속에서 관계를 찾게

되는 성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1) James K A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5612) Stanley J Grenz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12

11

이로써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탈관계적이면서 오히려 더욱 관계를 추구하는 이

중성을 지니게 될 것임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한국 사회뿐 아니라 한국교회가 성장과

성공에 치중하게 된 배경으로서 현대 한국사회의 급속한 근대화 현대화 과정에서 포

스트모더니티와 함께 스며들게 된 모더니티적 특성들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모더니티 사회의 사고관은 인류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경험함으로 이성의 능력을

신뢰하게 되면서 계몽주의와 경험주의 자본주의 경제이론 그리고 역사발전이론에 대

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그 뿌리에는 다음과 같은 사고의 전환이 중심

이 된다

그 첫 번째는 자연주의적 세계관으로서 창조주와 창조세계를 구분하여 그동안

창조주에 의존된 창조세계를 바라보던 관점이 무너지고 창조주인 초자연과 창조세계

인 자연을 둘로 구분하는 이분법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게 되었다는 것이다13) 자연은

더 이상 창조주로부터 나온 산물로서의 지배가운데 있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진

화라는 흐름 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사물가운데 존재하는 법칙을 발견하고 우주를 지

배하는 기본원리를 파헤침으로서 인류의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두 번째는 진보주의적 역사관인데 이 속에 뿌리깊이 자리 잡은 기본적인 사관은

진화론적 역사관으로 역사도 자연과 같은 과정을 통해 미개한 상태에서 계몽된 상태

로 발전하며 이와 같은 발전과정을 통해 인간은 자연법칙을 찾아내고 자연과학적 지

식을 축적함으로써 인간 문명사회는 더 나은 단계로 lsquo계속해서 진보해 나갈 것이고

이를 통해 인간은 행복을 얻게 될 것rsquo이라는 사고이다14) 이와 같은 생각들이 교회 안

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다 이는 과거의 전통과 새로운 문화의 충돌에서 자꾸만 새롭

고 신선한 프로그램들을 추구하는 모습들로 나타나고 있다

자연주의적 세계관과 진보주의적 역사관이라는 두 가지 사고의 바탕 위에 세워

진 모더니티 사회의 특징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3) Paul G Hiebert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 사람 2010) 277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41

12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근대 이전의 시대인 전근대를 신화와 교권의 시대로 규정할 수 있다면 근대는

이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과학과 이성의 시대였다 15세기 활자의 발명과 함

께 한 인쇄술의 발전은 일반 대중에게까지 큰 영향을 주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계몽

주의 운동이 시작되는 기틀이 마련되게 된다 대체적으로 계몽주의는 lsquo17세기 후반부

터 18세기에 걸쳐 유럽을 지배했던 사상 풍조를 가리키는 것rsquo으로서 르네상스의 인본

주의 정신과 17세기 과학의 혁명적인 발달을 한데 묶어 근대세계를 출현 시키는 결정

적인 계기를 만들었다15) 이성의 노력으로 인간 영혼에 있는 신성을 무한히 계발할

수 있다는 사상인 낙관적인 인본주의로서 르네상스 인문주의 운동은 신학의 도움 없

이 이성으로 자연의 원리를 발견하고 과학을 발전시키며 인류의 행복을 기약할 수 있

는 진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서유럽을 통해 철학 과학과 같은 사회 다방면

에 걸쳐 영향을 주게 되면서 계몽주의 사상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계몽주

의는 근대의 정신세계와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된다

그러므로 계몽주의 시대는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

는 도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

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부하게 되었다16)

결국 이러한 이성 중심의 사고는 인간의 자발적인 노력과 기술의 발달을 통한

진보로 물리적 자연환경과 사회와 문화를 더 좋은 것으로 만들어갈 것이라는 인간 자

신에 대한 낙관적 믿음을 낳게 하였으며 더 이상 외부의 어떤 존재를 신뢰의 대상으

로 삼지 않고 인간 자신에게 집중하게 되는 사상적인 배경으로 교회의 성장이 주관자

로서 하나님께 전적으로 달린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노력을 통한 교회 공동체의 건강

성을 향상시킴을 통해 성장과 번영을 얼마든지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근대주의적 낙관

론이라는 모순이 가능하게 되었다

15)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8116)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3

2 과학기술의 발달

16-17세기 유럽 특히 영국에서 시작한 과학혁명은 오늘날까지 IT혁명으로 영향

을 주고 있다 과학은 근대 문명 진보의 기초를 놓았고 17세기 초 프랜시스 베이컨이

세계를 이해하고 자연의 비을 풀기위한 노력으로 경험주의를 주장하는 배경이 되었

으며 인류에게 많은 유익한 변화를 이루게 하였다17) 인류는 항상 도구를 사용해왔는

데 18세기 초부터 과거와 달리 굉장히 복잡하고 효율적인 기계가 갑자기 출현했고 자

연에 대한 과학적 지식으로 자연을 지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현대기술을 통해 우리

는 원자를 분열시킬 수 있고 방대하고 복잡한 정보를 마이크로 칩에 저장할 수도 있

다 과학이 우리에게 통찰력과 지식을 주었다면 기술은 우리에게 힘을 주었다 그리고

인간은 그 힘으로 환경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모더니티는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에 대해 확고한 인식론적이고 과학기술적 자

기 확신에 사로잡힌 대답을 내어놓는다 모더니티의 과학적 방법론으로 대상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기술을 통해 세계를 조종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18) 과학

기술의 발전과 산업혁명은 대량생산과 이를 판매하기 위한 시장개척으로 이어져 식민

주의적 제국주의로 발전되었고 힘을 가진 인간의 정복욕을 부추기는 도구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사회과학적 발전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이 삶의 전반에 대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이러한 기술문화는 교회 안으로까지 이어져 적절한

도구와 기술의 사용이 가능한 토양을 제공하게 되었다

3 자본주의 경제의 성장

계몽주의와 과학기술의 발달에 이은 경제성장을 통해 문맹이 극복되고 질병은

사라지며 가난이 근절되고 제한된 자원을 서로 차지하기 위한 전쟁은 없어질 것이며

더 이상 물질적 사회적 궁핍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로지 진보만이 있는 사회로의 전

환과 그런 문명을 통해 어쩌면 모든 사람들이 역사상 처음으로 참된 행복과 참된 자

유를 누릴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이와 같은 무한긍정주의야말로 모더니티

사회를 규정짓는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그리고 그 자본주의적 성장주의는 교회의 급

17) Brian Walsh J Richard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118) Ibid 35

14

속한 성장의 틈바구니에 파고들어 교회가 하나의 조직으로서 여겨지고 관리와 경영을

통해 얼마든지 성장시킬 수 있는 대상물로 여겨지게 되었다 교회는 엄연히 그리스도

의 피 값으로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여야 함에도 인위적 조작이 주도력을 발휘

하는 또 하나의 인간 자아실현의 장이 되어 버린 것이다

4 모더니티의 위기

이러한 모더니티의 사상적 흐름을 인간존재와 관련하여 이형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첫째는 개인주의로서 자율적인 개인이 공동체 혹은 전통의 속박으

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홀로 생각하는 인간이다둘째는 합리주의로서 이성은 하나의 보편적인 인간 능력이며 한

개인에게 이성적인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도 이성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셋째는 방법론적 회의를 통해 진리에 이르는 방법이 lsquo이해를 추구

하는 신앙rsquo이 아니라 lsquo이성의 철저한 비판적인 반성rsquo으로 바뀌었

다넷째는 이원론으로 실재가 정신과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몸과 마음의 이분법뿐만 아니라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을 뒷받침하게 된다다섯째는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 미신으로부터 해방되어 참 지식

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으며 일단 과거로부터 벗어난 이성

은 과학과 문화를 통해서 인간사회와 역사를 불가피하게 진보시킨

다는 생각이다19)

위와 같은 특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모더니티는 인간에 대한 맹신으로 인

간의 이성이 부각됨으로써 하나님을 떠난 인간상을 자리 잡게 하였다 또한 하나님

없이도 인간이 충분히 선을 추구하고 행복을 이뤄낼 수 있는 착각 속으로 인간의 역

사를 몰고 갔다 게다가 신앙의 개인화를 비롯한 개인주의가 시작하면서 개인의 고립

현상과 소외 고독의 문제들이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이성에 의지하던 인간은 자

신의 뿌리로서의 창조자와의 관계를 잃어버리고 배회하는 인간상이 서서히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화려하게 등장했던 계몽주의와 과학혁명으로 말미암은 승승장구하던 모더니티

19)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36

15

사회의 사상적 흐름도 결국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모더니티의 위기는 12차 세계대전

후 유럽의 실존주의 운동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20세기에 들어서 갑작스럽게 등장

한 위기의 전조들은 이미 19세기부터 있어왔고 당시 진보적이고 혁신적이라 불리던

영국의 공장 생산 시스템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과 아동 노동의 착취 속에서 위기

의 조짐이 시작됐는데 이미 3백 년 전 유럽과 아메리카의 진보의 토대가 되었던 아프

리카 노예 산업에서부터 위기의 조짐이 있었으며 어쩌면 모더니티의 위기는 근대가

태동하던 바로 그 시점 즉 콜럼버스가 인디언을 노예로 삼던 그 때부터 시작된 것이

라고 볼 수 있다20) 서양의 근대는 계몽주의 세계관이 주도한 시대였으며 그 주된 사

상과 같이 인간의 이성을 신앙으로부터 독립시키려는 시도와 더불어 이성의 능력에

대한 무한한 신뢰로까지 연결되게 되었다 그러한 신뢰가 무너지면서 결국 모더니즘

의 위기는 시작되었다21) 모더니티라는 바벨탑의 붕괴는 획일적인 전체주의적 야망을

제한하고 민족과 문화의 다양성을 창출해 내시는 하나님의 섭리로서 세상을 향한 하

나님의 역사적 목표를 가로막는 오만한 시도였던 바벨탑의 결과를 다시 기억하게 한

다 그러므로 이런 배경 속에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는 신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복음

을 위한 긍정적인 역사적 기회로 생각될 수 있는 여지를 가진다22)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모더니티가 교회에 대해 끼친 영향 또한 지대하고 파괴적이다 지금 한국 사회에

혼재에 있는 두 사상 모두는 여전히 사회 일각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 특별히 합리화

라는 이름으로 들어온 세속화의 물결은 모더니티의 잔재로 교회를 흔들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단연 교회성장운동이 일으킨 영향은 지대하다 긍정 주의적이고 진보적 역

사관으로 무장한 모더니티는 인간 이성과 기술의 진보에 의해 실용화시킨 방법들로

인간의 속성에서조차 특성화 수치화시킴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23)

20)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4521)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6722)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8923) Os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48

16

모더니티가 끼친 가장 큰 영향은 ldquo세속주의(secularism)rdquo에 의한 것이 아니라 ldquo세

속화(secularization)rdquo에 의한 것으로 세속주의는 단지 철학이고 세속화는 하나의 일어나

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세속화에 대해 가장 알기 쉬운 특징은 숫자들과 기술에

대한 찬사로서 알 수 있다 두 가지는 대형교회운동(megachurch movement)에서 두드러

지게 나타난다24)

큰 것이 좋은 것이라는 근대주의적 사고가 교회에도 깊이 뿌리 박혀 있다 또한

이제 교회 안에 있는 목회자도 거룩한 종교인이 아닌 종교적 경영자로 변질되어 가고

있음도 현 세대에 나타나고 있는 모더니티적 경향의 산물이다 교회 생활에서 조차도

얼마나 기술주의적 사고가 커져 있는지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많은 기술들 기도하

는 방법들 성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 기독교 서점을 빼곡히 메우고 있는 뭔가

를 위한 방법들과 기술들에 관한 책들은 현대 시대에 남아있는 기술의 진보성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로서의 모더니티의 잔재들인 것이다

문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시대에 있는 교회들이 아직도 성장주의 무천년설 등과

같은 모더니티의 기반 위에 있다는 사실이다 현대 한국교회가 시대를 앞서가기는커

녕 오히려 과거의 영화를 부여잡고 있기에 교회는 계속해서 사회와 문화의 흐름에

려가고 있는 현실이 부인할 수 없는 현재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모더니티를 통해 형성된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원리가 교회 안에 들어오면서부터

교회는 숫자에 민감해지기 시작했으며 교회의 교회됨을 그저 여러 가지 수치적 지표

를 통해 판단하고 순위를 매기기까지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요와 공급의 입장으

로 교회와 성도의 관계를 표현할 때 결국 교회는 수요자이며 소비자인 성도들의 입맛

을 가장 우선으로 놓아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필요에 의해 언제든 응답할 준비를

해야만 하고 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공급자이자 판매자로서의 교회 상을

만들어 버리고 말았다 결국에는 강단에서 선포되는 메시지조차도 그 자체의 사명으

로서 예언자적인 기능을 잃어버리고 청중이 요구하고 당장 필요로 하는 값싼 복음을

전하고 있는 모습은 그야말로 모더니티가 낳은 숫자 우선 성장주의의 침투에 의한 결

과로 보아야 한다25)

20세기를 통해 일어났던 교회성장운동은 결국 그리스도의 교회가 근본적으로 자

24) Ibid4925) Eddie Gibbs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73

17

신의 특성과 부르심에 의해 인도받고 형성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사업가적 경제논

리에 의해 인도될 것인가라는 혼란을 야기 시켰다 하나님으로 하나님 되게 함으로써

그분의 말씀과 성령으로 그 존재와 결정적인 원리들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닌 모더니

티에 의해 파생된 다양한 산업적인 결과물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하나

님의 권위는 더 이상 결정권을 잃어버리고 ldquo사람이 떡으로 사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말씀으로 사는 것이다(마태복음 44 개역개정4판)rdquo라는 말씀조차

그 수정을 요구할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다 모더니티의 잔재는 결국 신적 권위와 신

앙의 힘을 평가절하시킴으로서 종교자체를 영적인 실제가 없이도 얼마든지 수사학적

이고 조직적인 방법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처럼 만들어가고 있다26)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

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는 기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

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

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

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

부하게 되었고 결국 이러한 시대 흐름의 영향으로 교회에서조차 눈에 보이는 가시적

성과에 집중하게 된 것이다27)

세상의 모습은 모더니티를 비판하고 포스트모더니티의 새로운 경향으로 접어들

었음에도 교회 안에는 여전히 가시적인 성장주의의 흐름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모더

니티 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교회라면 응당 그 전 시대

의 특징들이 부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잔재되어 있는 현대 한국사회의 모

더니티적 잔재물들은 교회 내부에까지 영향을 끼쳐 건물의 규모 신도 수 각종 자산

의 성장을 통한 성공주의 모델을 양산시키게 된 것이다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현재 한국교회가 겪고 있는 위기의 상황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평범한 이들로

구성된 사회와의 소통 부재와 단절에서부터 빚어진 것이다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대표되는 한국교회의 일방적인 선교를 통해 기독교적인 언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함으

26)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3527)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8

로써 세상과의 분리를 자초하였다 듣는 이의 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언어의

전달로 말미암아 오히려 세상은 교회에 귀를 닫아 버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세상을 향

해 나아가 소금과 빛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교회가 lsquoAgain 1907rsquo을 외치며 일어

났던 부흥의 열정으로 말미암은 후유증에 오히려 교회와 세상 사이의 담은 더욱 높아

져만 가고 있다 기독교의 언어는 세상의 언어로 번역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세상에

서 소통되는 언어가 교회에서 사용되어야 하고 삼위일체의 비을 간직하신 하나님께

서 하늘의 높은 보좌를 버리시고 이 땅에 성육신하심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한 함

으로써 자력으로는 도저히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는 인간의 무능력함을 친히 자신을

세상 가운데 계시하시는 행위를 통해 구원의 다리를 건설하신 것은 하나님의 언어를

세상의 언어로 번역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28)

그럼에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각 개인들이 그러한 것처럼 교회조차도 극단적 개

교회주의에 빠져 교회의 연합까지도 도외시되고 있다 성장이라는 기치아래 성도 개

개인을 소중히 하기 보다는 건축을 위해 쏟아 부은 재정적 부담을 감당하기 위한 교

회를 위한 존재로 여긴다 거기에 서로 돕는 교회의 모습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성장을 위해서라면 다른 교회의 성도라도 받아들여 빈자리를 채워야만 생존

할 수 있는 처지가 되어버린 현대 한국교회의 이기적인 모습 앞에 세상은 더 이상의

대화를 원치 않는다 교회의 연합이 희미해진 이 시대에 교회는 세상에서조차도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교회는 세상 속에서 이웃과의 관계를 통해 그 존재감을 드러

내며 사명을 성취해야 함에도 이기적인 교회의 모습 앞에 세상은 교회를 점점 멀리하

고 되고 말았다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1970년대를 지나는 동안 한국은 국가적인 경제재건 사업을 통해 괄목할 만한 단

기간의 급속한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제 성장과 함께 한국교회의 동반성장

의 과정을 통해 성공이라는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약속되고 풍요와 안녕이라는 복을

획득하는 것과 맥을 함께 함으로써 성취의 정도와 내용이 높고 풍족할수록 축복을 많

28)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통권 제589호) 2008년 1월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169

19

이 받은 존재로 인정되는 사고방식이 한국 교회 안에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축

복을 위한 공급자로서 목회자의 위신을 세움으로써 목회자가 축복을 인가하는 허가자

의 권위를 갖게 되었고 이는 정치 경제에서 소수에게 집중된 권력과 자본의 모습과

동일한 형태로 교회 안에서도 축복권이라는 것이 생겨나 그것이 목회자에게만 집중됨

으로써 목회자의 신격화와 권위주의를 부추겼으며 사회적 물질적 성공에 대한 종교

적인 정당성을 부여하게 되었다29) 성도의 신앙생활이라는 것이 결국 하나님과의 관

계가 중심이 아닌 목회자와의 관계에 달린 것이 되어버리고 말았고 이는 근대 권위주

의에 익숙한 교회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성과 맞물려 갈등은 더욱 커져갔다 인간의 필요를

채우는 데 일조하던 목회자의 리더십은 결과적으로 인간의 상황에 대해 근본적인 문

제 해결을 이루어 낸다기보다는 오히려 점점 더 커지는 요구와 까다로운 입맛을 경험

하게 하고 필요충족을 통해 만족감을 얻어내기 보다는 오히려 더 커진 요구와 그로

말미암은 목회자에 대한 실망으로 연결되어 종국에는 교회자체에 대한 회의와 부정을

낳게 된다30)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흐름에 따라 성도들의 요구는 다양화되어가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맹목적 믿음과 순종이라는 핵심가치를 추구하던 모더니즘 사고에 익

숙하던 기성세대와 포스트모던 문화에 익숙해져 설득과 표현의 다양화를 바라는 신세

대 사이의 갈등이 교회 안에서도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청년들의 이탈

현상으로 이어져 교회마다 청년이하 차세대와의 문화단절 세대단절 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다31) 이는 결국 교회를 나가지 않으면서도 자신을 그리스도인으로 여기

며 다양한 매체와 방법들을 통해 홀로 신앙생활을 해나가는 성도들인 가나안 성도라

는 기형적 구조로까지 이어지게 되었고 그 수는 무려 전체 그리스도인의 10퍼센트 정

도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32) 이외에도 다른 많은 요인들로 야기된 교회 내부의 갈

등이 셀 수 없이 발생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29)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5030)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6531)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44032)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35

20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 중 하나는 이성을 중시하던 모더니티와 달리 탈 이성주

의를 주창하며 신비로운 체험이나 감성을 중시하게 된 데에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는

영상과 이미지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시대이다33) 그러므로 포스트모던 사회에

서는 영상매체를 통해 사람들의 감성을 이끌어내고 지식과 정보를 전달한다 그 속에

서 사람들은 정형화된 진리에 입각한 논리와 판단보다는 순간순간의 느낌에 의존하여

어떤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한 시대의 영향아래 있는 교회 또한 영상과 이미지

가 주는 감성에 좌우되어 진리의 말씀으로서 성경 보다는 감성에 호소하는 목회자의

언변에 성도들은 오히려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그 속에서 체험하는 감정을 은혜

라 여기며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의 능력이 아닌 잠시 동안 감정의 위로를 주지만

오래지 않아 기억 속에 흘러가고 마는 언어유희에 반응하고 있는 현실이다

현대인들에게 종교는 하나의 기호품과 같이 되어서 자신이 원하고 선택하는 것

옳다고 여기는 것을 진리로 생각하며 절대적 진리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강한 체험을 제공하며 그럴듯하게 왜곡된 진리 앞에 사람들은 쉽게 넘어가고 있고34)

결국 어느 때 못지않게 이교집단이 많아진 것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에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교회에서 조차도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고 전도를 위한 행사들이 마련

되지만 그 속에는 시대적 특징과 관련된 신비적 체험과 감성에 호소하는 다양한 기법

들이 사용되고 있다 게다가 그것들이 사람들을 움직여 교회의 성도수가 증가하면 또

다른 많은 교회들은 그것을 그대로 답습하기에 이른다 이에 대해 한국교회는 절대적

진리로서 성경말씀에 기초한 건강한교회의 원리들을 세워가야 할 절실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교회는 그리스도의 교회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감

당하기 위해서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라는 과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지금까지

많은 교회들이 큰 것 많은 것을 추구해왔고 어떤 면에서 그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

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교회가 물량적인 면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비

해 세상 속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은 이에 전혀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언론과 온라

인 사이트를 통한 사회적인 비판의 정도는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를 그저 말세에 성

33)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3934) Ibid 238

21

도들이 당하는 고난이나 핍박으로 받아들이고 무시할 것인가 아니면 자신을 반성하고

새로운 변화의 몸부림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영향력을 다시

금 회복할 것인가는 한국 교회건강성의 정도에서 판가름 나게 된다 모더니즘의 잔재

가 아직도 상존하고 있지만 포스트모던 사회를 살아내야 하고 시대를 변혁시키는 주

체로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어야 하는 한국교회는 중요한 도전 앞에 서있다 그동안

성장이라는 가치를 최고로 여기던 시대에서 좀 더 성숙하여 사람들의 다양성을 이해

포용하고 행사 위주의 전도가 아닌 진정한 관계맺음을 통한 사명의 실천이 필요한 때

이다

이제 필자는 양적성장에 치우친 교회건강이론을 대신할 새로운 기준으로서 관계

가 중심인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이론적인 기반을 세우기 위해 관계가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아직은 생소한 분야이지만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관계

신학적 근거를 가지고 다음 장에서 연구해 보려한다

22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35)

이번 장에서는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이해를 위해 관계신학에 대해 살펴 보려한

다 그리고 관계가 어떻게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 건강한교

회를 세우는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이론적인 기초를 마련해보려 한다

신학의 분야는 가장 기본적인 4가지의 분야36)를 비롯해서 시대적인 필요에 따라

연구되어지는 선교신학 현대신학 해방신학 목회신학 윤리신학 등의 가지들로 구성

되어 있다 그러나 관계신학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전혀 생소한 신학 분야이다 20세

기 후반 들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는 삼위일체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와 갖가지 환

경문제에 대응하여 기독교의 생태학적인 역할들이 강조되고 있고 교회마다 심각한 어

려움을 겪고 있는 관계적인 갈등이라는 배경 속에서 관계신학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필요가 있고 기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이해가 가능하지만 아직은 관계신학에 대한

의미가 명료하게 정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건강한교회를 위한 연구라는

시각에서 관계신학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관계신학은 하나님이 관계하시는 하나님이라는 것과 하나님은 관계 속의 순종을

35) 관계신학이라는 용어는 주로 에큐메니컬 진영의 사상적 기반으로서 인종과 문화를 뛰어넘

어 서로 간의 원만한 하나 됨을 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보다는 하나님과

인간 세상 사이의 관계를 그 연구의 중심으로 삼아 신학적인 기반으로서 성경 전체에 흐르는

창조와 구원의 해석을 관계의 건설과 무너짐 회복의 과정으로 이해하여 lsquo하나님과 성도rsquo lsquo성도들의 모임으로서 교회와 세상rsquo lsquo교회 안에서의 성도들rsquo이라는 관계의 완성을 연구하려는 의

도에서 이 단어를 사용하려 한다36) 주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23

원하신다는 것과 진리는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관계신학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 이루어지는 인격적 관계를 우선적으로 강조한다 관계신학은 하나님은 관계를

떠나서는 생각되어질 수 없는 실재이심을 분명히 제시하는 신학이다 관계신학의 관

점에서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하나님과 바른 관계 속에 있는 것이요 또한 하나님 안

에 그리고 하나님과 함께 있는 것이다

관계신학의 의미에 대해 김영선37)은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관계신학은 모든 신학적 진리를 관계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

하는 신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님 인간 세계 신앙 교회 세례 기도 예배 목회를 비롯한 신앙의 내용을 관계라는 관점

에서 해석하며 신학적 진리의 자료와 신학적 진리를 전달하는 수

단을 묘사하는 술어이다 관계신학 관점에서 신학은 관계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진리이고 복음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선

물이다38)

관계신학은 이론적 근거가 전무한 독보적 신학분야가 아닌 그동안 관계성을 추

구하던 많은 학자들의 견해를 기반으로 하나님 성도 이웃에 대한 관계를 중심으로

보고 신학적 진리를 탐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신학분야인데 이러한 학자들로는

관계철학의 마틴 부버 관계성의 신학의 에 부루너 하나님 만남의 신학의 루이스

세릴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 신학 관계론적 신학의 마조리 수하키 관계론적 신학의

폴 스폰하임 등이 있다39)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지식은 모두 그분의 계시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러므로 필

자가 관계신학을 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이론적 기초로 삼고자 하는 이유는 하나님의

완성된 계시로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얼마나 관계를 이야기하고 있고 그 관계를

세우기 위해 하나님의 수많은 인내와 개입이 존재해왔으며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이

망가진 하나님과 우리 인간 그리고 세상간의 관계회복을 위한 은혜의 자리였음을 상

기시키려는 목적이다 그리고 그 목적을 잘 이해하는 기초 위에서야 비로소 성경적인

건강한교회가 세워질 수 있음을 말하려 한다

37) 영국 런던대학에서 조직신학으로 M Th PhD 학위를 받고 현재 협성대 교수로 재직 중

이다3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4839) Ibid 50

24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건강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하는 사람들 간의 연합성과 개별성의 균형

이 필요하다 연합성이란 생물학적 측면에 뿌리를 둔 생명력으로서 이를 통해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거나 연합하기를 원하게 되며 우리로 하여금 공동체를 지향하게

만들고 서로 의존하게 만든다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예민하게 반응

하며 돌봄과 사랑을 통해 서로가 가까워지기를 추구하게 된다 연합성을 추구하는 힘

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삶을 나누고 가까이 하는 기쁨이며 이를 통해 공동체는 부스

러지지 않고 유지되고 하나 됨을 향해 서로가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도 그 가운데 소속된 구성원 중에 불안수준이 높거나 정서적 성숙이 낮은 사람이

있을 경우 그 사람은 전체적인 공동체에 긴장요인을 높임으로서 서로 간의 가까워짐

이 과도한 기대나 요구로 나타나게 되면서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 개별성이란 자기 자신이 독립적으로 되도록 이끄는 생물학적인 생명력이

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개개인이 정서적으로 독립된 사람이 되고 자신에게 개인적으

로 와 닿는 사실에 근거하여 독자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존재가 되게 한

다 공동체 전체의 비전을 중시하지만 그 속에서도 자기 자신의 관점이나 기준을 근

거로 행동하여 개인의 비전이 희생되지 않도록 하여 다른 사람과 구별된 개별적인 존

재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개인은 온전히 자기 자신이 될 수 있을 때

비로소 정서적으로 성장하고 자신의 꿈과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공동체적인 목표를

좇을 때보다 활력 있고 개인으로서 삶의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것도 공동체에 속한 각 개인이 개별성만을 추구하게 된다면 단연 공동체는 존재할

수 없게 될 것이다40)

그러므로 연합성과 개별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때 그 공동체는 건강

한 공동체로서의 사명과 본질에 충실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적절한 균형으로

서의 기준을 어디에서 발견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필자는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와

교회의 코이노니아 신구약 성경을 통해 제시해보려 한다

40) Ronald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97-104

25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역대의 교부와 신학자들은 삼위일체의 상호 관계성을 들추어내면서 삼위일체의

공동체성을 파악하고 있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관계 개념을 사용하여 삼위일체를 다

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한 분 하나님의 존재 안에는 세 가지 관계성이 존재하고 이 관계

성은 곧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으로서의 관계인데 여기서 관계라는

것은 하나님이 인간이나 피조세계와 가지는 관계가 아니라 삼위

하나님간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규정하면서 삼위일체 하나님

의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려고 노력하였다는 것은 사실이라 할 것

이다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기 위한 노력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lsquo관계rsquo(relation)라는 범주(category)를 도입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또한 갑바도기아 교부들에게서 보여 지는 것처럼 이 삼위를 구체

적인 개체들로 인식하지 않고 그보다는 어떤 관계로 정의하였다

즉 삼위일체의 위격들의 동일 신적 본질의 시각에서 삼위의 구별

을 이해하고자 함으로 그 삼위 사이의 구별은 본질과 관련되지 않

고 관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삼위는 서로

나누어 가질 수 없는 것으로서의 각기 고유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서보다는 오직 그 위격들 상호간의 관계 혹은 비교(즉 아버지 되

심 paternity 아들 되심 filiation 은사 gift 등과 같은)에 의해서만

구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삼위 중 제2위가 성자라고 불리는 이유

는 본성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제1위 곧 성부

와의 관계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삼위 중 제1위이

신 성부가 성부라 불리는 것은 제2위이신 성자와의 관계 때문이

다)41)

칼뱅도 ldquo하나님은 자신을 한 하나님으로 선포하시면서 동시에 우리의 보기에는

구별된 세 위로 자신을 드러내신다rdquo42)고 하면서 삼위 하나님이 개별적인 존재이면서

관계 속에 존재하시는 분이심을 말하고 있다

칼 바르트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논하면서 ldquo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는 창조자와

피조자의 관계나 피조자들끼리의 관계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관계의 표본이다rdquo43)라고

말하고 있다 그 관계성은 삼위 중 어느 한 분도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세 분

은 다 같이 상호관계 안에서만 존재하며 영원하신 한 분 하나님 안에서 공통으로 존

41) 아우구스티누스 김종흡 역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 (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174-17642) John Calvi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13 2143) Karl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402

26

재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곧 성부 성자 성령이 상호 관계 속에서 하나가 되며

한 위격의 존재가 다른 위의 존재 안에 관계적으로 동참하면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

다 또한 바르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은 영원히 고독하게 자족적이고 자아 의존적으로 존재하는

분이 아니라 삼위일체론적 본성 안에서 상호 관계적인 공동체로

존재하신다고 믿는다 즉 성부 성자 성령 사아에 일어나는 관계

공동체의 상호 교제가 하나님과 인간의 코이노니아와 인간과 인간

의 코이노니아의 근거와 모본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의 모든 관계는 하나님 안에서 영원히 계

속되는 관계적 공동체를 반영하는 것이며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

와 성령 안에서 인간들 속에 이러한 공동체를 창조하려 하신다44)

중세 가톨릭교회의 극히 잘못된 교리 중의 하나였던 lsquo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rsquo

라는 대목 또한 단순하게 오직 교회만이 구원을 위한 은혜와 중재자로서의 시여자라

는 의미가 아닌 오히려 단순하게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로부터 분리된 기독교적

신앙이 존재할 수 없음을 말한다45)

전술한 바와 같이 성령이 성부 성자와 나누는 삶은 코이노니아의 삶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알아보면 삼위하나님의 코이노니아로서 내적 특성은 lsquo페리코레시스

(perichoresis)rsquo라는 개념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는 삼위

가 서로의 정체성이나 상호성을 잃지 않고 서로 내재하며 서로 관통하는 역동적인

관계성을 의미한다 즉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란 상호침투(mutual interpenetration) 또는 상호내

제(mutual indwelling)를 말한다 상호내재에 대한 개념을 좀 더 살펴보면 이는 삼위 각

각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삼위 간의 상호침투와 상호순환을 통해 역할과 기능을

상호 역동적으로 교환하며 함께 움직여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성부는 자신의

초월성과 능력을 유지하면서도 성자의 고난에 함께 동참할 수 있고 성자는 자신의

위엄 능력 창조적 주동성을 유지하면서도 성부께 순종하실 수 있다는 뜻으로 설명될

수 있다46)

교부들부터 바르트까지의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주장을 정리해보면 성부 하나

님은 단순하게 권위를 가지고 명령하는 위치로서가 아니라 성자와 성령을 섬기기 위

44)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6345)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3046) 김영선 관계신학 22

27

해 존재하는데 이는 자신을 비우고 주는 모습들로 나타나며 성자는 성부의 뜻에 순종

하며 드리기 위해 존재함으로서 성부가 성자가 되거나 성령이 성자가 되려는 모습을

주장하지 않고 성령은 자신의 뜻대로 하지 않고 성부와 성자의 뜻을 드러내며 각각

그 역할을 감당해 나감을 말한다 서로의 자리를 존중하고 서로를 위해 봉사함으로

그 존재의 삼위하나님의 신성을 찾는다47)

이처럼 삼위 하나님은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로서 우리에게 자신을 계시하신

관계적인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2 교회와 코이노니아

16세기 종교 개혁가들은 부패한 중세 가톨릭교회에 대항하여 내건 구호로서 lsquo성

도의 교통(Communio Sanctorum)rsquo을 사용하였다 성도의 교통이란 그리스도를 주로 고

백하는 무리들인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공동체 즉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를 의미하

는 말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수직적으로는 하나님과 교제하고 수평적으로는 성도들이

서로 하나 되어 교제하는 모임인 공동체는 교회의 본질적 요소이자 교회가 관계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는 당위적 이유가 된다

성도의 교통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오순절 성령 강림을 통해 하나님과 사람

이 하나 되고 성령의 교제케 하는 역사로 lsquo나rsquo에서 lsquo우리rsquo로 바뀌어 사람과 사람이 하

나 되는 전인격적인 교제가 가능한 공동의 몸이 되었다 그것이 바로 신약의 교회이

며 실제적인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모습이다 그리고 그 교회를 실제적인 공동체로 되

게 하는 것은 성령의 코이노니아를 통해서이다48)

이러한 성령의 코이노니아 사역은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하나님과 우리를 교제케 해주시고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서로 교제하게 해주시며

또 나아가서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도 교제의 관계를 이루

게 하신다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코이노니아의 유형들을 좀 더 세하게 살펴보면

첫 번째 사역인 수직적 관계에서는 성도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와 하나님과 교제하게

하는 것인데 이는 인간의 죄로 하나님과 단절되었던 관계를 예수님의 구속사역으로

회복시키는 속에서 예수님 한 분과 전 사회적인 구속사역을 예수님과 성도 개인 간의

47) 김영선 관계신학 5548) Ibid 57

28

구속사역의 관계가 되게 하는 역할 자가 성령이라는 것이다 더불어서 성령의 역사를

통해 성도는 그리스도와의 교제를 통해 하나님과의 무너졌던 관계를 다시 회복하게

된다 두 번째 사역으로서 수평적 관계에서는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될 수 있

도록 상호 간에 교제를 가능케 해주는 일이다 사도행전 2장의 마지막 부분인 42-47절

은 초대 교회의 공동체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코이노니아라는 용어 또한 본

격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세 번째로 코이노니아는 예수 믿는 자들끼리만 아름다

운 나눔의 삶을 갖는 집단 이기주의적인 교제의 모습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더 나아가 온전한 코이노니아로서 교회공동체라는 울타리를 넘어서 지역 사회 속에

있는 고통당하는 이웃을 돌아보고 더불어 삶을 만들어가는 영역까지를 일컬으며 이는

사도 바울이 디모데전서 618에서 ldquo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하고 나눠주기를

좋아하며 동정하는 자가 되게 하라rdquo는 말씀에 분명하게 등장하고 있다49)

이러한 성령의 사역 가운데 있는 교회공동체의 사명은 세 가지 차원의 관계회복

으로 정리해볼 수 있으며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본질과 사명을 고려할 때 교회의 건

강성의 척도는 결국 관계성과 관련된 사명으로 규정되어야 합당하다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신구약성경 전체를 통틀어서 나타난 하나님의 현현과 계시는 다분히 관계를 세

우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창조물을 향한 주된 관심은 분명

관계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내용을 모두 나열할 수는 없지만 그 중 세

가지 정도만을 가지고 성경의 관계성의 근거로 삼아보고자 한다

창세기에 나타난 아담과 하와는 선악과를 따먹음으로 인해 죽음에 합당한 죄를

범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죄와 함께 하나님을 더욱 마음 아프게 한 행동은 그들

이 범죄함으로 인하여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숨어버린 것이다 즉 그들은 그들 편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에 단절을 선언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깨져버린 관계는 결국 하나님

과의 영영한 관계의 파괴로 이어지게 된다50)

또한 사도행전 2장 42~47절 초대교회의 모습을 바탕으로 존 스토트는 살아있는

교회의 네 가지 특질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49)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6950) 창세기 3장 10절 참조

29

첫째 성도들은 사도들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

침에 전념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사도적인 교회이다둘째 성도들은 서로서로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서로 사랑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돌봄과 나눔의 교회이다셋째 성도들은 하나님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떡을 떼고 기

도하면서 기쁨과 경건으로 하나님을 예배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예

배하는 교회이다넷째 성도들은 바깥세상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증거하며 밖

으로 나아갔다 살아있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위의 모든 특질들이 지칭하고 있는 것은 성도들과 다른 대상과의

관계를 중심개념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51)

에베소서 2장 21절을 보면 ldquo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

전이rdquo의 본문에 사용된 lsquo연결하여(συναρμολογεω)rsquo는 lsquo함께(συν)rsquo와 lsquo서로 결합하여(α

ρμολογεω)rsquo의 합성어로써 건물의 이음새가 한 치의 오차 없이 정확하게 결합된 상태

를 나타내는 표현이며 그리스도와 성도 간의 상호 긴하고 유기적인 관계성을 나타

낸다

부부관계를 향한 에베소서 5장 22절 이하의 말씀에서처럼 아내가 없는 남편이

가능할 수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을 성경은 말씀하고 있다 아내가 없는 남편이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

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성부와 성자 성령은

상호관계 속에서 그 존재적인 구별과 위격이 발견된다 그러나 본질은 동등하다 인간

은 인간 홀로 있어서는 본질적인 구별이 불가하다 만물이 함께 존재하므로 관계를

통해서 인간의 인간됨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관계가 바로 본질이다 관계를 발전시키

는 기준과 핵심요소 중의 하나는 믿음(faith)에 관련된 것이다 구원은 결국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끊어진 관계의 회복을 의미한다고 할 때 그러한 맥락에서 구원의 근거로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이 바로 믿음인 것이다

단지 몇 부분만을 탐색한 것에 불과하지만 신구약전체를 망라하여 하나님께서

그분의 말씀을 통해 인간에게 계시하시는 것은 건강한 관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그 하나님의 비전은 신약시대 들어 성령강림 이후 세워진 교회에서 성취된다 그러므

로 교회의 건강성을 세워가는 데는 관계신학적 기초가 타당하다고 본다

51) John R W Stott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39

30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포스트모던 시대 한국교회의 일탈에 대한 부작용으로 lsquo가나안성도rsquo라 불리는 나

홀로 신앙이 또 하나의 선택 가능한 대안이 되고 있는 지금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관계는 기독교의 중심축이다 예수님께서도

십자가 위에서 마지막 순간에 자신의 관계공동체인 가족 즉 어머니를 끝까지 배려하

셨다 이처럼 현대인들의 영적인 생활은 하나님과 함께 나 홀로 집에서 이루는 것이

아닌 서로 간의 다면적 관계 속에서 해야 한다 우리가 공동체로 있을 때 하나님이

임재하시며 우리와 소통하신다52)

그런 면에서 현대 신학의 주된 관심이 lsquo교회란 무엇인가rsquo에 대한 교회의 본질에

있기 보다는 lsquo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rsquo라고 하는 외적인 모습 또는 기능과 관

련된 질문에 더한 관심을 가진 이유는 지금까지의 교회론이 교회의 실제적인 모습과

역동적인 사역과 동떨어진 형이상학적이고 관념적인 이론 이상의 것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53) 이론만 반복하는 것은 분명 실제와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흐를 수 있는

함정을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성경적인 교회에 대한 본질을 분명히 하는 것 없이

실용적인 측면에서만 교회론을 다루는 것 또한 위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단은 교

회의 본질이 성도의 교제이며 관계에 대한 것임을 성경적인 이해를 통해 명확히 할

필요를 가지게 된다

1 하나님의 백성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관은 일차적으로 하나님이 친히 그의 백성과 맺은

관계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택하시고 자신의 백성으로 삼

으셨다는 전제 위에 교회는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그 속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누리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모임이다54)

신약에서 표현된 그리스도인들을 하나님이 선택한 이스라엘 백성의 연속과 확장

의 개념은 신약 교회에서 새로운 이스라엘로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으

52) Leonard Sweet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15653) 김현진 공동체신학 2254) Ibid 30

31

로서의 교회를 의미하며 이는 결국 민족적 구분이 아닌 그리스도 안에서 이스라엘 백

성을 초월하여 유대인만 아니라 이방인들도 하나님의 동일한 백성이 될 수 있음을 의

미하며 이를 정리할 때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란 개념은 종말론적 개념으로서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고대하며 현재에로 돌입하는 하나님 나라의 표징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제 하에 세

상 한가운데서 세상을 위해 살아야 하지만 세상에 물들지 않고 오히려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는 것이야말로 종말론적 하나님의 백성이 취해야 할 삶의 방식으로 큉은 말하

고 있다55)

하나님의 백성은 그와 관계를 맺었던 이전에 존재했던 백성이 아니고 하나님의

모으심으로써 그리고 하나님의 거주하심으로써 새로이 구성된다 하나님의 백성은 그

들이 하나님께 연합되어 있다는 유일한 이유 때문에 서로서로에게 연합될 수 있게 된

것이다56)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말하는 또 다른 특성은 교회의 공동체적 성경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개인주의적 교회관과는 대립되는 개념이다 교회는 신앙을 가진 개인들

의 단순한 집합정도가 아니라 공동체를 통해 개인과 성도의 교제로 나아감을 말한

다57) 즉 교회는 개인의 모임을 넘어선 개인 간의 사귐과 섬김의 교제가 있는 공동체

를 말하는 것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관점의 의미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규정은 그의 사명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난 새 관계를 통해서이다 그에 대해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

하나님의 그 자신에게로 그의 백성을 부르심은 세상에 대한 사명

에 종속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궁극적인 계획은 그리스도

안에서 택함 받은 새 인류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하는 것이기 때

문이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남은 자를 택하시고 구속하신 하

나님의 주권의 두려운 신비를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세상에서의 하나님의 사명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것에

대한 그의 계시를 알아야 한다58)

55) Hans Kung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169-17156) Edmund P Clowney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2757) Kung 교회 17358)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2

2 그리스도의 몸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보는 시각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기독론적인 방법

으로서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 중심의 본질성과 그리스도와 성도의 불가분의 연합

성을 나타내는 표현이며 더불어 유기적인 구조로서 교회를 가장 잘 나타내는 말이다

그리스도의 몸이 강조하는 것은 온 성도가 머리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히 연합하

여 한 생명의 근원 아래서 몸에 붙여 있는 지체로서 각자의 역할과 생물학적인 관계

와 연결 아래 있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를 보는 시각은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몸으로서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간의 관계와 함께 서로 지체로 영향을 주고받는 성도들 상호간의 관

계를 강조하는데 고전 1227에서 ldquo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rdquo고

말함으로써 바울은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 성도 개개인의 상호연결성과 서로 간에 의

존관계로 교회를 다루면서 개개인에게 주어진 다양한 은사들마저도 개인의 유익을 위

한 것이 아니라 몸 전체의 덕을 세우기 위해 주어진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자신이 세상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표징과 도

구로서 자신 만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세상을 위한 존재이며 그리스도의 몸인 동시에

죄인들의 공동체이다

교회의 본질을 그리스도의 몸으로 비유함에 있어서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

하고 있다

그리스도께서 구약으로부터 계속 반복되어진 언약의 머리되심이라

는 배경 위에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언약의 머리가 그

리스도일 때 그 언약 안에서 화해의 장이라는 역할을 감당하는 교

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 비유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안에 관계적인

어려움이 무너지고 진정한 화해가 이루어지는 것 또한 그리스도께

서 십자가에 달리신 그 몸에서 부터인데 우리 안에 원수 된 것은

그 안에서 소멸되었고 우리 둘은 그로 말미암아 아버지께 나아감

을 얻게 되었음을 확실히 하고 있다59)

그리스도의 몸이란 개념 속에는 교회를 계급 제도보다는 예배공동체로 정의하는

데 이 예배를 통하여 현존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몸을 이루어 나가시는 사건으

로 예배를 통해 한 인간의 모습이 아닌 성도의 교제로서 공동체의 모습을 취하게 된

59)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3

다 예배의 참됨은 성도들의 사랑의 교제 속에서 입증되며 이러한 생각은 거룩한 존

재와의 교제를 통해 성도들이 일치되는 것을 교회의 본질로 보는 사도신경의 교회론

과도 일치하는 부분이다60)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이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이며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

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

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한다61)

그리스도께서 성도들을 그의 몸의 일부분이 되도록 함으로써 은혜가운데 두신

이유는 성도들 또한 서로 간에 한 몸이 되도록 노력할 것을 요구하심이다 어느 한

부분이 약해져있거나 병들어 있다면 그것은 몸 전체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심지어

는 생명 전체를 위협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 건강한 몸은 건강한 각 지체들이 건강

한 관계로 서로 상호작용할 때 가능한 일이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건강한교

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각 지체가 건강해야할 뿐만 아니라 그 연결을 의미하는 관계에

서도 건강한 관계를 이루고 있음으로 해서 몸된 교회는 존재의 건강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공동체는 보이는 않는 그리스도의 몸의 가시적인 형태이다 역사적으로 이 그리

스도의 몸이란 용어를 너무나 추상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어왔는데 이는 지극히

구체적인 형상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이 공동체적인 삶으로 함께 살아감으로써 그리스도

의 한 몸이 됨을 나타내야 하고 이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주체의 자리를 회복할

때 보이지 않는 그리스도가 몸된 교회로서 그리스도의 공동체를 통해 보여져 나타나

게 될 것이다62)

60)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29061)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33462) 김현진 공동체신학 37

34

3 성령의 전

오순절에 성령이 강림하심으로 비로소 신약 교회의 탄생이 이루어졌고 이후로

성령께서는 계속해서 교회를 세우시고 교회 안에 내주하고 계신다 고전 1213에서는

ldquo우리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자나 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

이 되었고 또 다 한 성령을 마시게 하셨느니라rdquo63)고 말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바울은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들 안에 계심으로 우리가 lsquo하나님의 성전인 것(고전 316)rsquo과 우

리 각자의 몸이 lsquo성령의 전(고전 619)rsquo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또한 에베소서 2장 21~22

절에서는 lsquo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가고rsquo이며 lsquo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거하실 처소가 되

어간다rsquo고 말하고 있다 게다가 성령은 오순절강림을 통해 각 제자들이 방언을 말함으

로 복음을 증거하며 기사와 표적을 나타내었던 것과 같이 교회 안에 자신의 능력을

부어주심으로 교회를 교회되게 하며 교회가 감당해야할 사명을 주관하신다 예수 그

리스도를 믿고 하나님을 아는 것은 성령의 능력으로 말미암는 사건이고 초대 교회의

형성은 성령의 능력 안에서만 가능한 사건이었다

클라우니는 신약시대 교회에 대하여 교회의 통일성을 성령의 교제의 결과로 보

았다 성령의 사역을 그리스도와의 생명의 연합으로 이야기하면서 결국 교회란 그리

스도 안에서의 공동의 삶으로 해석하고 있다64)

예수님이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

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완

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암

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

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다65)

또한 성령의 가장 중요한 사역 중의 하나는 고린도후서 13장 13절 ldquo성령의 교통

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rdquo의 말씀과 같이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사이의

교제가운데 그 능력을 나타냄으로 교회 안에 사랑의 교제와 연합이 있게 하신다 성

령께서는 성도들로 화목제물 된 그리스도의 구속을 바탕으로 하나님과 화목한 관계로

교제하게 하며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되는 교제와 관계를 이끌어가는 실제적인

63) 성경인용은 한국어 개정판 성경을 사용하였다64) Edmund P Clowney 교회론 8765)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

35

주관자이시다 성령이 각 사람 마음에 임할 때 그 사람은 성령의 교통케 하심을 통하

여 하나님과 끊어진 관계가 회복되며 이뿐 아니라 교회를 이루는 지체로서 각 성도들

과 연합하며 교제를 가능케 하신다 더불어 각 지체들이 은혜로 받게 되는 각양 다양

한 은사들이 모두 성령께서 그 뜻을 따라 나누어 주는 성령의 은사로서 이를 통해 교

회는 하나의 모임에서 더 나아가 유기적으로 각 기능을 감당하는 부분을 통해 교회의

본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

자가 속해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

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

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게 된 것이다66)

창조주 하나님과 각 개인의 관계 속에 혼란과 왜곡이 일어날 때 그 관계는 병든

모습을 띠게 되고 이는 구조적으로 창조세계 전체에도 함께 혼란을 불러일으키게 되

는데 이를 다른 용어로 lsquo죄rsquo라고 한다67) 나의 죄는 셀 수 없이 많은 형태로 다른 이

들에게 영향을 끼치며 그리고 다른 사람의 죄 또한 나에게 그러하다 개인이 모두의

영역 안으로 그리고 모두가 내 안의 영역에 대해 동일하게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보게 된다68)

많은 프로그램들을 시행하는 모임들을 가진 교회가 아닌 그저 모임들로 이루어

진 교회 관계가 중심이 되는 사역을 위해서는 당연히 교회는 접촉과 보살핌이 가능

한 구조로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이는 전체 교회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

핌 조직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결코 큰 수를 단위로 해서는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즉 교회가 작아질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다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

66) Ronald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5867) Colin E Gunton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5968) Ibid 63

36

든 구성원이 얼마나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린 것이다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지금까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성도들 사이의 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직접적인 참여나 헌신을 통하여 관계를 세워가고 깨어진 관계를 치료하며 약해진 관

계를 강화시키는 것에 주로 집중해왔으며 신학자들은 그 모든 과정을 하나님의 섭리

와 주권으로 이해해왔다 현재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관계로 인하여 죽어가고

고통당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 관계신학은 모든 사람들을 죄와 고통가운데에

서 구원하기 원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한 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그들의 집이 불타며

많은 잔인한 사람들로 인해 일어나는 범죄들 속에서 입고 있는 상처까지도 살펴야한

다 게다가 자연세계는 무분별한 인간의 개발에 신음하고 있다 교회는 관계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를 통해 세상을 돌보며 연약한 자에게 찾아가며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에까지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일을 해내야 하는 사명을 품고 있다 이어

서 관계신학의 관점에서 교회 사역가운데 필요한 관계중심의 실천적 과제에 대해 논

해보고자 한다

1 관계중심의 리더십

목회자 리더십의 근원은 하나님과의 관계로부터 나와야 한다 목회자가 관계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으로 세워질 때는 단연 하나님과 사명을 맡은 자로서 하나님과의

바르고 건전한 관계가 우선되어져야 한다 그 다음 목회자는 특정한 교회나 특정한

영역에 파송 받아 목회를 하는 특수한 지도자로서 목회를 하는 자리인 교회와의 관계

에서 제대로 된 리더십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더불어 목회자는 교회가 속한 지역

사회 속에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만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풀러신학교의 교수로 재직했던 Carl F George는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는 무엇

37

인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람들을 억지로 조직에 끼워 맞추지 않으며 오히려 사람들이 상

호 간에 친근감을 갖도록 도와줌으로서 미래의 교회에서는 목회자

들이 관계목회를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모든 지도자들은 사역이 아니라 관계를 중시하고 또한 소그

룹들조차도 그들의 직무나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양육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핌을 중심 가치로 여겨야 한다69)

목회사역은 주로 관계와 관련되어 있으며 성도들의 정서적 경험과 연관되어 있

음으로 해서 성공적인 사역은 단순히 성경적 신학적 지식이나 사역자의 경건 수준

혹은 기도의 분량이나 헌신도 어떤 특정한 목회기술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아닌 오

히려 사역자의 정서적 성숙 및 그 수준과 불가분의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70)

또한 Carl F George는 미래교회의 모습을 예견하면서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의

실천적 모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1 사람들이 의존에서 벗어나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2 사람들이 공동체 내에서 자신들의 영적 은사를 활용할 수 있도

록 그들에게 힘과 권한을 부여한다3 목회 자체를 방법이나 커리큘럼보다는 변화된 삶과 더 많이 연

결시킨다4 사람들을 성씨(姓氏)의 가나다순이나 우편번호(지역)나 나이 등

을 기준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친근감에 기초를 둔 관계를

기준으로 나눈다5 부끄러움 죄의식 또는 책임보다는 목회자가 먼저 본을 보이는

것에 의해 동기를 부여한다71)

Schwarz가 이야기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성장하는 교회에서 가능한 것은

그 교회가 이미 성장이라는 궤도에 올라서 있기 때문이다 작은 교회에서 성직자와

구별되어 교회로부터 일체의 사례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 이미 지적으로 높은 수준에

올라있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새롭게 훈련시켜 세우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69) Carl F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7470)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571)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75

38

이는 결국 성장하지 않는 교회로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의 부재라는 외적인 모습

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은 이미 성장한 교회에서

가능할뿐더러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것은 상황과 특수성을 무시한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도 적용 가능한 것이 바로 관계중심의 리

더십을 통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이다 평신도를 사역자로 훈련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적 재정적 시간적인 요소들이 필요하지만 반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을 위해서는

훨씬 작은 훈련과 재정으로도 가능하다 물론 여기에서 관계가 의미하는 바는 그리스

도의 온전한 제자로서 하나님과 교회와 세상과의 관계를 말한다 포스트모던 시대

성도들은 어느 때보다 건강한 관계에 목말라 있다 교회에서 목회자부터 관계를 세우

는 목회의 자리로 나아가야 한다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그동안의 복음이 일관되게 각 개인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해서만 거론되고 있

는데 이를 바로잡아 개인과 개인의 모임으로서 교회공동체를 통한 복음이 선포되어야

한다 배고픔에 처한 자에게는 음식을 얻을 수 있는 길이 복음이 될 것이고 불치의

병에 걸려 죽음을 앞에 둔 이에게는 병으로부터의 치유에 대한 방법이 복음이 될 것

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순간적인 것이 아닌 영원과 관련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교회

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자가 속해

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

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

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

게 된 것이다72)

예수님께서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72)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58

39

완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

암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

들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라고 김세윤은 말

하고 있다73) 즉 예수님의 복음은 늘 공동체적이고 교회지향적이었다 복음이 단순하

게 불신자를 설득해 교회 안으로 데리고 들어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수의 복음을

통해 회복된 관계를 증거해야한다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에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으로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의 모습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하고

있다74) 그러므로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요약되는 가진 자들에겐 부의 연장으로서

없는 자들에겐 고통스런 인내 후에 성취될 보상으로서의 천국에 대한 복음이 아닌 현

세에 이미 이루어진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가 바로 예수님이 증거하신 하나님 나라의

복음임을 증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

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든 구성원이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

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

린 것이다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더불어 예배는 하나님과 인간의 진지한 만남이기에 그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체험이 존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많은 은사주의 교회들은 방언과 같은 가시적인 현

상을 강조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예수 그리스도의 마지막 만찬을 통해 세운 의례로서

73)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74) Ibid 334

40

성만찬의 회복은 예배에서의 만남과 임재의 체험의 증거로서 건전한 방편이 될 수 있

기독교는 관계의 종교이다 많은 관계들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은 그리스도

와 맺는 관계이며 모든 것은 그 관계를 어떻게 관리하고 유지하는가에 달려 있는데

실제로 성도들로 하나님이신 예수님과의 관계에 대해 제대로 된 훈련의 기회가 제공

되지 못해 왔다75)

삼위일체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은 관계를 맺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

고 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서로 다른 인격체들과의 관계 속에서 사랑과 협력 그리

고 일치된 공동체의 본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이 하나님을 닮아가는 삶을 살고자 노

력한다면 하나님은 은혜를 베풀어 인간의 공동체도 삼위일체를 닮아 가도록 인도하

신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서로 교제하고 섬기는 것은 그것이 서로에게 기쁨이 되기

때문으로 진정한 사귐에는 기쁨이 나타나는데 이처럼 삼위일체 하나님의 서로 간의

사귐과 섬김을 통해 그 존재 목적을 나타내며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코이노니아의 모

범을 보이고 있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상호 사귐과 섬김의 공동체이듯 교회 안에서

성도들 사이에도 이와 같은 사귐과 섬김을 통한 온전한 공동체를 이루어 나아가야 한

다 구원사역의 본질도 이처럼 하나님과 세상과 성도들 사이의 사귐과 교제를 회복하

는 본질적으로 삼위 하나님의 모습과 동일하다 가장 초기의 모습으로서 삼위일체 하

나님이 관계적 공동체의 모습은 다시 성부 하나님의 계획과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을

통해 성령께서 이루신 교회 공동체 속에 다시 투영되어 모든 관계의 모범으로서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공동체를 세워가야 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드려지는 진정한

예배란 하나님과의 사귐 성도들과의 사귐 그리고 세상을 향한 사귐으로서의 결단이

함께 하는 예배여야 할 것이다

함께 모여 드리는 공예배가 각 개인이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는 자리에서 더욱

성숙해서 공동체가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며 그 안에서 일어나는 공동체적 경험으로

서 성만찬과 같은 개별적이었던 개인의 연합을 경험하는 화해의 역사가 일어나는 예

배여야 한다 교회 안에서부터 막힌 담이 무너지지 않고 어떻게 세상 속에서 관계의

회복을 논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모든 공예배는 다양한 방편을 통해 서로 안에 공

75) Leonard Sweet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52

41

동체로서의 체험을 가능케 하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4 가정 중심의 사역

건강한교회의 바탕으로서 건강한 가정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에 대한 아이의 느낌

과 이미지는 부모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나님의 이미지와 그 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부모 사이의 연속성은 직접적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정반대일수도 있다76)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

한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

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교회 내에서 가정을 위하고 자녀 부부 부모자녀 간에 있어지는 일등에

대하여 많은 가르침과 다양한 사역의 실행들이 있어왔다 게다가 한국적인 정서 또한

가정에서 효(孝)와 경(敬)을 중시하는 문화적 전통으로 인해 늘 가정은 중요시되어왔

고 가정교육의 중요성 또한 늘 강조되어 왔던 부분이다 그럼에도 현대에 들어와서

나타나는 많은 가정의 문제들 앞에서 교회는 그리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무기

력하게 방관자적 입장에 놓여할 때가 많았다 그러는 중에 사회적인 추세보다는 앞선

입장에서 많은 신학교들에서 상담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거기에 발맞추어 교

회에서 가정 사역을 적극적으로 나서서 시행하기 시작하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

이지만 여전히 교회는 양적인 성장과 결과에 민감하게 가정 사역을 대하고 있다는 사

실은 아직 성숙하지 못한 가정사역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현대 사회는 이러한 친감을 다시 가정으로부터 빼앗아 여러 가지 상업

적인 목적을 가진 대형기업과 각종 디지털장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소셜네트웍이 차

지해 가고 있으며 포스트모던사회가 추구하는 쾌락중심의 관계를 최고의 선으로 여김

으로서 이 세대 가운데 가정이 설 자리는 갈수록 좁아져 가고 있다

교회 안에 함께 하는 이들에게는 저마다 가족에 대한 해결되지 않은 애착의 문

제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자기의 일이나 사역의 현장에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교회를 대리 가족으로 삼아 그곳에서 가족의 묵은 문제를 다루거나 개선하려는 시도

76) Michael St Clair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24

42

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으며 가족에게서 받지 못했던 미흡했던 관계의 개선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본인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과

거의 가족 경험에 대한 자동적인 반응으로서 원가족 경험은 부부 및 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교회에서 사역하는 방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77) 때로는 이것들이

교회의 건강성을 훼손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가정

을 더 이상 교회성장의 밑거름으로가 아닌 교회가 도달해야할 목표로 삼아 가정을 회

복시키고 세우며 성도들이 건강한 가정에서 진정한 사랑의 관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삶과 신앙의 일치 신앙과 신학의 건설적인 만남을 추구하는 모든 신학은 lsquo하나

님의 주권rsquo을 전제로 한다 하나님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창조하셨기 때문에 이 세상

의 어떤 것도 그의 주권적 질서 밖에 존재 할 수 없다 하나님이 정치 경제 문화 생

활 전반을 포함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주관하신다는 것은 하나님이 교회 안에서만 아

니라 정치 경제 문화 영역에서도 일하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교회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강조로써 교회의 신뢰도 추락에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요소 가

운데 하나인 이원론적 사고와 편견을 극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관계신학적 입장에서

교회는 더욱 세상 속으로 나아가야 하고 특별히 주변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세우는 사

명을 감당해야 한다 우주는 하나님의 영광이 펼쳐지는 무대라는 칼뱅의 고백처럼 정

치 경제 문화를 망라한 전 사회의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이 인정되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정치 경제 사회적 부정 비리 사건들에 거의 빠짐

없이 교회와 관련된 이들 더욱이 교회의 중직자들까지도 연루되어 있어 왔다 교회의

중직을 맡아 봉사하던 이들이 어떻게 세상의 비판과 조롱거리가 될 정도의 삶을 살게

되었을까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지만 첫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세

상이 그만큼 골고루 악해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교회의 중직

을 맡을 정도로 교회 생활을 많이 해 온 그들이지만 세상의 악한 세력과 맞서 싸우며

77)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8

43

살기에는 너무 무력해서 세상과 타협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그들은 우

리에게 lsquo교훈을 주고 책망하며 또한 바르게 하여 줌으로써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여 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온전케 하여 주는 말씀의 능력rsquo을 체험하지 못했기 때

문에 악한 세상의 세력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 악해지고 더욱 속이기도 하고

속기도 해서 lsquo정직한 사람은 성공하기 힘들다rsquo는 말이 옳은 말로 들릴 정도로 악한 세

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이다 그렇지만 말씀을 우리 삶의 우선적인 등불로 삼아 그 말

씀으로부터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여 ldquo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더욱 온전케 되

어rdquo(딤후317) 진정으로 하나님의 사람들이라 불릴 수 있는 정직한 그리스도인들이 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신뢰도가 높지 못하다는 비판은 바로 한국 기독교인들이

신앙인답지 못함 즉 정직하지 못함을 지적한다 한국 교회의 부정직성은 한국교회가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을 향한 충성이 부족함을 뜻한다 그러므로 지역사회가 교회

를 신뢰하게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신앙인 됨의 기초인 영성을 점검해야 한

다 신앙과 삶의 일치에 대한 당위성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고백 뿌리 깊은

죄성에 대한 통찰에 기초한 계속적인 자기개혁 등은 한국 교회 신뢰도 증진에 전제

요소들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신앙적 내용들에 대한 확인과 점검 즉 신학적 작업은

성도들로 하여금 복음을 개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삶의 태도를 갖게 할 것이다 이

러한 복음에 대한 개방적 수용은 한국 교회로 하여금 ldquo개혁되어진 교회라도 계속 개

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78))rdquo라는 종교개혁의 정

신을 계승하도록 할 것이다 하나님의 주권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확고한 비전은 한

국 교회와 사회 전반에 대해 일관된 개혁적인 태도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전

하게 한다 또한 기본적인 영성에 대한 점검은 기독교인들을 자신의 삶과 태도를 절

대시하거나 그 안에 안주하지 않고 하나님 나라의 비전 즉 lsquo하나님과 이웃사랑의 삶rsquo

과 lsquo작은 자와 함께 하는 삶rsquo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므로 신뢰받는 교회 즉 건강

한교회가 될 수 있다 지역사회가 병들고 위험에 처하게 될 때 교회 또한 그러한 위

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교회는 세워진 그 지역을 위해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터전

78)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 fn1-11529

44

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과감하게 그 안에 참여하고 소금과 빛

의 역할을 감당해 나가야 한다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Leonard Sweet은 그의 책 관계의 영성에서 ldquo성경에서 일관되게 정의하는 믿음은

기본적으로 하나님과 이웃 세상 그리고 자연과 맺는 일련의 관계rdquo79)라고 말하고 있

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라함은 결국 성도 개인과 하나님 뿐 아니라 하나님께서 창

조한 자연 만물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관계적 믿음 안에 있는 사역의 모습은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고 지키며 가꾸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일이어야 한다

교회 건축에서부터 환경친화적 건축이 되어야 하고 교회 안의 모든 활동에서 교회는

하나님의 창조세계인 자연의 보호자임을 나타내야 한다 일회용품 사용의 억제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교회차량의 친환경화에까지 비록 많은 비용 부담을 감내해

야 하고 당장 모든 교회가 시행할 수는 없지만 하나님의 교회는 창조세계에 대한 책

임을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한다 주일 하루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하는 일과 같은

경우도 교회 내의 성도들에게 뿐만 아니라 세상을 향한 교회의 사명을 증거하는 강력

한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더불어서 주차 때문에 일어났던 교회 주변 이웃들과의 갈등

을 줄이는 효과를 더불어 누릴 수 있다

지구 온난화로부터 야기된 해수온도 상승과 빙하의 감소는 생태계의 커다란 파

괴를 초래하고 있다80) 이외에도 각종 환경오염과 오존층파괴 생태보호종의 무분별

한 남획은 지구 생태계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인간의 탐욕에 의해 일어난 환

경재앙이 이제는 인간의 삶의 터전을 무너뜨리며 결국에는 전 지구적인 재앙을 일으

키게 될 것은 자명하다 거듭난 그리스도인으로서 성도는 자연 만물과도 회복된 관계

속으로 나아가야 한다 환경을 지키고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일에 교회의 역할이 필요

하다 기후붕괴를 일으킨 지구온난화를 관계신학적인 관점에서 인식하고 생태계의 위

기 상황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회복을 위한 사역에 대한 논의와 비전이 일어나야 한

다81)

79) Sweet 관계의 영성 3780)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한국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참고

45

다음 장에서는 다양한 교회건강이론들에 대해 살펴보면서 특징들을 비교하고 이

시대에 필요한 건강한교회는 어떤 교회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81) 김영선 관계신학 336

46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그동안 한국교회는 성장과 부흥에 집중해 왔다 양적으로 많이 모이고 규모가 큰

교회는 다른 교회들의 모범적인 부흥의 사례가 되었고 그 교회 목회자 또한 부흥의

방법을 배우려는 이들의 모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이슈들

을 겪으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인다는 단지 그 이유로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시점에서 질적인 성장을 강조하는 교회건강에 대

한 움직임은 고무적인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그 내부를 좀 더 살펴보면 그 또한

변형된 양적성장운동임을 보게 된다 일정한 활동을 통해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양적

성장을 통해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규정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그동안의

양적성장에 비해 뒤쳐진 질적 특성을 보완하여 계속적인 교세의 성장을 위한 것이다

건강은 교회의 외적 규모를 가지고 결정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크지만 병이

걸려있는 교회가 얼마든지 존재하며 작지만 내실이 든든해서 건강한교회들 또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번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을 살펴보면서 먼저는 독일에

본부를 두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을 연구한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이론과

Wagner Anderson Macchia의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을 연구한 결과들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비교해서 NCD 이론에 나타난 약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

운 방안으로서 다음 장의 관계성 중심 사역을 위한 관계신학으로의 주장에 대한 근거

를 마련해 보려 한다

47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Schwarz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NCD의 이론에 따르면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는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보다 괄목할만하게 개발된 질적 특성들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질적 특성들은 대표적으로 8가지이며 이것들은 모든 교회 내에 존재

하는 요소이다 Schwarz의 연구는 양적 성장 자체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질적 성장의

원리를 통한 접근방식을 취한다 이 방법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가정은 좋은 lsquo질적

특성rsquo은 lsquo양적 성장rsquo이라는 결과를 반드시 가져온다는 것이다 lsquo질적 특성rsquo이라는 용어

는 어떤 상황에 처한 모든 종류의 교회들에게 타당한 원리로서 묘사된다 여덟 가지

질적 특성의 모든 측면들은 질적 및 양적 성장을 경험하기를 원하는 어떤 교회에 대

해서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며 연구 결과이다82)

계속해서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에 대해 개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NCD 이론을 통해 제시하는 교회건강의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이다 지도자의 리더십에 따라 교회가 나아가는 방향과 목회철학을 비롯한 사

역들이 정해진다 리더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질적으로 건강

하고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면 교회 지도자는 교인

들을 양육하고 훈련하여 교회 사역자로 세우고 그들에게 권한과 책임을 위임하는데

있다는 사실이다 그와 같은 지도력은 lsquo유능한 지도력rsquo이 아니라 lsquo사역자를 세우는 지

도력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83)

NCD의 조사 연구 결과는 lsquo목표 지향적rsquo이 지도력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이긴 하

지만 흥미로운 것은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나 성장하지 않는 교회의 지도자나 이 점

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며 건강한교회의 지도자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세우는

지도자라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 유념할 부분은 평신도를 사역의 동역자로 세우는 교

회 지도자가 있는 교회가 lsquo성장한다rsquo는 것을 이유로 교회건강을 위한 질적 특성들 중

82) Christian A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18383) Ibid 28

48

하나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는 것이다84)

2 은사 중심적 사역

두 번째 질적 특성인 은사 중심적 사역 역시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과 긴한 관

계가 있다고 한다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가 가져야 할 첫 번째 리더십이 사역자를 세

우는 리더십이라면 두 번째 질적 특성은 지도자가 교인들을 사역자로 세워 실제적으

로 어떤 분야의 사역을 감당하도록 교인의 은사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을 말하

는데 하나님께서는 이미 각각의 그리스도인들 마다 그들이 해야 할 사역을 이미 정해

놓으셨다는 것이고 교회 지도자들의 역할은 교인들이 그들의 은사를 발견하여 은사와

연관된 사역을 하도록 돕는 것이 교회 리더십의 역할이라고 규정짓고 있다85)

교회 지도자의 역할은 교인들이 자신의 은사가 무엇인지를 발견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은사를 따라 사역할 수 있도록 잘 조정해 주는 것인데 그리스

도인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은사를 따라 섬길 때 인간의 힘으로 하는 부분은 줄어드는

대신 성령의 능력 안에서 이뤄지는 일은 더 많아지게 된다 NCD의 조사 결과 흥미롭

게도 은사 사용 여부만큼 그리스도인의 삶에 만족을 가져다주는 요소는 없다는 사실

이 나타났다 ldquo은사 중심rdquo(나의 사역은 내 은사와 맞다)과 ldquo기쁨이 넘치는 삶rdquo(나는 나

자신을 행복하고 만족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연관성이 있다

는 사실이 조사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이라는 것이다86)

3 열정적 영성

세 번째 질적 특성으로서 lsquo열정적 영성rsquo은 구체적으로 교인들이 실제로 헌신하며

사는 믿음과 뜨거운 열심을 의미한다 질적으로 평균 이상이거나 평균 이하인 것을

불문하고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분해 주는 핵심적 요소는 영적

신조나 영적 관계는 아니었다 ldquo이 교회 성도들은 불붙어 있는가 성도들이 기쁨과 열

정으로 헌신과 믿음의 삶을 살고 있는가rdquo하는 점이다 이 점에 있어서 성장하는 교회

나 퇴보하는 교회 사이에는 그 교회의 영적 문화의 모습에 관계없이 큰 차이가 있으

84) Ibid 2285)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3086)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4

49

므로 NCD는 이러한 질적 특성을 lsquo열정적 영성rsquo이라 부른다87)

NCD는 열정적 영성이라는 질적 특성을 교인들의 기도 생활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들이 조사한 교회의 성도가 기도하는 데 얼마만큼의 시간(양)을 보내느냐

하는 것은 그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에 미미한 영향밖에는 주지 못한다 반면 그 기

도가 영감 있는 경험이었나 하는 것은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개인적으로 성경을 보는 것과 개인의 영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들의 조사 결과도

이와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NCD가 말하는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사

이에서 눈에 띄게 다른 것은 영적 열정의 정도이다 교인들이 얼마나 기쁨과 헌신적

으로 살고 있으며 이러한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것이 질적

성장을 하는 교회의 세 번째 특징이라고 말하고 있다88)

4 기능적 조직

네 번째 특성에 숨은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한 교회 내의 형식과 조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느냐의 여부이다 교회

조직 자체는 절대로 궁극적인 목적이 될 수 없고 오히려 조직은 단순히 목적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요구 사항에 맞지 않는 것들(지도력을 감소시키는 조직

불편한 예배 시간 교인들에게 효과적이지 못한 프로그램 등)은 모두 바뀌든지 중단되

어야 한다는 것이 NCD의 조사결과이다89) 이러한 질적 특성은 어떤 교회가 가지고

있는 조직의 수가 많고 적음 혹은 이 조직의 신구(新舊)가 중요치 않음을 가리킨다

오히려 그 기준은 그 조직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lsquo얼마나 유용한가rsquo로 결정된다는 것이

다90)

NCD는 적절하고 기능적인 교회 조직에 관한 수많은 사례들을 수집하고 이 조직

들을 비교하면서 이러한 조직들은 명백하게 의미 있는 공통 요소들을 갖고 있다고 말

한다 첫째 조직들은 지도노선(또는 목회철학)에 맞추어 방향을 정한다 둘째 성공적

조직들은 유용치 않은 모든 것을 기꺼이 제거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87) Ibid 268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689)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3590) Christian A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228

50

목회 철학에서 정의한 특정한 초점에 집중한다 셋째 성장하는 교회의 조직들은 거의

전적으로 증식 조직들이고 이 증식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자율성과

자활 능력을 갖는 하부구조를 만든다는 것이다91) 이처럼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는

사역의 효과를 높이고 어떤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조직을 개발하고 갱

신하는 교회라는 것이 NCD의 네 번째 질적 특성이다

Schwarz의 연구가 바탕이 된 NCD의 이론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그 질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고 이를 교회의 건강성

의 척도라고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다른 질적 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5 영감 있는 예배

교회 성장을 결정짓는 요소 가운데 하나는 예배이다 모든 교회는 예배한다 단

순히 예배드리는 것이 교회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문계는 어떠한 예배인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예배의 어떤 방법으로 드려야 하는가하는 방법상의 문제도 아니

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교회의 예배가 예배 참석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예배인가 하

는 것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별해주는 한 가지 기준은 성

장하는 교회는 영감 있는 예배를 드린다는 것이 NCD의 진단이다 교회 성장에 있어

서 결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진 다른 기준이 있다면 그것은 ldquo예배가 과연 성도들에게

영감 넘치는 예배인가rdquo라는 점이다 NCD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회들을 상대로 예

배에 관해 질문한 11개에 대한 대답 모두가 서로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체되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와 성장하는 교회를 구분하는 확실한 기준은 바로 예배라고 말

한다92)

예배는 신자 중심으로 드려지거나 불신자 중심으로 드려질 수도 있고 전통적 스

타일로나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드려질 수도 있고 사용되어지는 언어가 거룩하거나

세상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교회 성장과 무관한 것이다93) 어떤 특정한 예배

형태가 교회성장을 좌우하는 것이 아니고 lsquo영감 있는 예배rsquo가 있는 교회가 질적으로

91)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2992)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93) Ibid

51

성장하는 교회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NCD는 lsquo영감 있는rsquo이라는 말의 근원인 인

스피라티오(inspiratio)라는 단어의 뜻에는 하나님의 영으로부터 오는 영감이라는 의미

가 내포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관념적인 성령의 임재가 아니라 성령이 진정으로 역사

할 때에 예배의 분위기는 물론 예배 절차에 구체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94)

6 전인적 소그룹

NCD는 420만 개의 응답을 분석한 후 170개의 교회성장 요소를 발견하였고 그

가운데 다시 8가지 요소들을 정리했는데 그 8가지 요소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성장

요소로 lsquo전인적 소그룹rsquo을 들고 있다 그들은 전 세계에 걸쳐 성장하는 교회나 쇠퇴하

는 교회에 관해 연구하면서 소그룹의 계속적인 번식은 보편적 교회 성장 원리가 된다

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더 나아가 소그룹이 교회의 질적 특성과 양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려면 어떻게 소그룹이 운영되어야 하는지 또한 밝혀냈다 그렇게 되려면

소그룹이 단순히 성경구절을 공부하는 데 그치지 말고 그 구절의 메시지를 매일의 삶

에 적용시키는 전인적(단지 각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온전한)인 소

그룹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소그룹 안에서는 사람들이 자기가 실제 처해 있는

개인적인 문제나 질문들을 내어놓을 수 있어야 한다95) 여기서 말하는 전인적 소그룹

이란 교인 개개인이 서로 간에 친한 교제를 나눌 수 있고삶의 현실적인 영역에서

도움을 받으며 또한 강한 영적 교제도 나눌 수 있는 체제를 의미한다 소그룹이라는

소우주(小宇宙)내부에서도 교회 전체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동일한 과정이 발생한

다고 말하고 있다96)

질적 지수가 높은 교회와 수적으로 성장하는 교회에서는 예배 참석보다는 소그

룹에 우선을 두는 경향이 다분하다 소그룹이라는 것은 좋기는 하지만 안 해도 되는

취미생활과 같은 선택 활동이 아니다 교회 생활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들 중

많은 부분이 소그룹 안에서 이뤄진다 교회가 커질수록 소그룹 원리는 계속되는 성장

을 위한 결정적 요인이라는 사실을 NCD 연구가 확인해 주고 있다97)

94)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3195) Ibid 3296)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479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2

52

사실 이 소그룹은 다른 질적 특성들과 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소그룹이 이루어

지려면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필수적이고 소그룹 환경 내에서 은사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다 소그룹은 조직을 언제든지 갱신할 수 있는 순발력이 있고 즐거운 예

배를 경험케 되며 불신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전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한 친한 사랑의 관계를 나눌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소그룹인 것이다 이처럼 NCD

가 8가지 질적 특성 가운데 소그룹을 가장 중요한 원리로 꼽는 것은 소그룹이 갖는

장점이 다른 질적 특성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2장에서도 살핀 바와 같이

소그룹은 포스트모던이라는 시대에 현대인들의 진정한 관계에 대한 필요를 채워주는

중요한 도구라는 면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7 필요 중심적 전도

성장하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 이것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전도를 하지 않

는 교회는 없다 모든 교회는 전도에 힘을 쓴다 그러나 문제는 전도의 필요성이 아니

라 전도를 통해 교회가 실제로 성장하는가 하는 것이다

Schwarz는 우리의 관심을 끄는 문제는 전도의 필요 여부가 아니라 실제로 하고

있는 전도가 교회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며 성장하는 교회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어붙이는 인위적인 전도 방법과 전혀 반대되는 불신자들의 의문에 답해

주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방법이라고 말한다98) 전도의 은사가 있는 사람과 하나

님께서 다른 분야의 일로 부른 사람을 반드시 구분해야 한다 연구 조사 결과 높은

질적 지수를 갖고 있는 교회의 지도자는 누가 전도의 은사를 갖고 있는지를 알고 그

들에게 맞는 사역을 맡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99)

교회 성장의 열쇠는 교회가 전도의 초점을 불신자들이 당면한 문제와 필요를 충

족시키는 것에 맞추는 데 있다 이러한 lsquo필요 중심적rsquo 접근 방식은 불신자들의 필요를

충족시켜주지 못함으로 불가피하게 불신자들에게 부담과 압력을 느끼게 하는 인위적

프로그램과 다르다 이미 갖고 있는 관계를 전도를 위한 기회로 사용하는 것이 핵심

이다100) 현존하는 불신자들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전도의 초점을 그들의 필요를

98)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4499) Ibid100)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5

53

충족시키는 실제적 전도를 실행하는 교회가 NCD가 제시하는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

의 일곱 번째 특성이다

8 사랑의 관계

마지막으로 NCD는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실제적으로 경험

되는 교회라는 것이다 인간의 관계에서 사랑이 다양한 모습으로 자주 경험되는 교회

가 그렇지 못한 교회보다 질적 양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평균적으로 볼 때 성장

하는 교회들은 정체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에 눈에 띄게 높은 lsquo사랑 지수rsquo(love

quotient)를 갖고 있다 웃음이 넘치는 교회 생활과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 사이에는

중요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놀라운 사실은 이것이 그렇게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교회 성장 문헌에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NCD의 연구 자료에

의하면 그것은 분명히 교회 성장 원리로서 충분한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우리가 사랑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듣기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사랑이 정말

어떻게 역사하는지 경험하기를 원한다101)

낮은 사랑 지수를 보인 교회들은 행하는 전도는 대개 단지 말로만 하는 활동으

로 제한되지만 잘 발달된 사랑 지수를 가진 교회들은 언어적 방법으로만 움직이는 교

회들보다 다른 사람들을 훨씬 더 크게 끌어들인다는 것이다 조사에 참가한 1000명

이상이 출석하는 교회들을 조사해 본 결과 그들에게 있어야 할 여러 가지 질적 특성

들 중 가장 빈번하게 최소치 요소가 lsquo사랑의 관계rsquo였다는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었

다 사랑이 부족한 곳에서는 어디서나 교회가 더 성장할 수 없도록 심각하게 방해받

는다는 것이 NCD의 마지막 질적 특성과 관련된 주장이다102)

이상으로 Schwarz의 연구를 바탕으로 둔 NCD의 교회건강의 이론적 근거인 8가

지 질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위의 8가지 특성을 수치화하여 그 중 가장 낮은

수치의 영역을 보완함으로써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그들이 말하는 lsquo최소치

전략rsquo이다103) 이를 통해 Schwarz의 연구가 질적인 특성을 말하고 있지만 결국 이 또

한 양적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얼마나 결과 중심적으로 교회의 건강을 다루고

101)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6102) Ibid 37103)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51

54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적교회성장은 교회건강이 목적이 아닌 교회의 양

적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Schwarz의 연구와 함께 교회성장과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연결시켜 제시한 다른

학자로는 Peter Wagner가 있다 이어서 Wagner가 제시한 건강한교회의 7가지 특성들에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Wagner는 그의 책 Your Church Can Grow에서 건강한교회의 일곱 가지 생체적인

특성들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아픈 환자들이 의사를 찾아 치료해야 하는 것과 같이

교회 또한 잘못된 많은 행동으로 말미암아 아프게 될 수 있지만 질병을 치료하고 건

강을 회복할 때 교회를 다시 성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일곱 가지의 요소들이 있다

고 말한다

1 긍정적인 목회자

그 첫 번째의 특성은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모든 성도들에게 동

기를 부여할 수 있는 역동적인 리더십을 가진 목회자에게서 찾고 있다 성장하는 건

강한교회의 목사는 전형적으로 성도들과의 생생한 관계들을 통해 획득한 강한 권위를

바탕으로 교회를 이끌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104) 목사가 특별한 은사를 가지고 성도들

의 원하는 바를 파악하고 그들에게 나아갈 길을 제시함으로서 교회 전체의 사역들을

열정적으로 이끌어 갈 때 사람들은 목사를 신뢰하고 그를 따르게 됨으로써 건강한 교

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5)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두 번째의 특성은 성장을 위해서 자신의 은사를 분명히 발견하고 잘 사용하도록

훈련된 평신도라는 것이다 평신도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

104) C Peter Wagn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66105) Ibid 75

55

용할 수 있겠지만 성경에서 묘사된 영적인 은사들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구성원들로서 기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

사람은 주어진 영적 은사를 개발하고 그 은사를 사용하여 직무를 수행해야 하며 성도

들이 자신의 영적인 은사와 그 은사의 이점을 발견하는 것은 성장하는 교회를 위해

필요한 다양하고 복잡한 필요들을 채울 수 있으며 이를 위해 27가지106)의 영적인 은

사를 구분지어 제시하고 있다107)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세 번째의 특성은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의 필요와 기대를 얼마만큼 충분히 채

워줄 수 있는가를 말하는 성도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이다 새신자들이 정착하고 싶은

교회가 되기 위해서 교회는 그 구성원들을 잘 섬겨야 하며 이를 통해 외부적으로 좋

은 평판을 갖게 된 교회는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함께 얻게 된다고 한다

친한 교제 목회적 돌봄 어린 자녀들을 위한 주일학교 교육과 같은 사역들은 교회

가 성도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성도들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것들이

다 만약 교회의 자원이 좀 더 넉넉하다면 독신들을 위한 사역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을 통해 그 지역에 독신인 사람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

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것은 교회의 크기와 무관하게 교회가 속한 지역의 불신자들

의 필요를 주의 깊게 살피고 이를 목회에 적용하는 사역의 철학을 통해 사람들을 필

요에 민감한 교회구조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8)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Wagner가 말하는 교회성장을 위한 네 번째 특성으로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내

부 기관들에 관한 것인데 축제로서의 각종 의식과 회중 셀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이라 한다 이 말은 세 가지의 기본적인 회집이 주어진 상황

106) Wagner는 그의 책 교회성장 될 수밖에 없는 성령의 은사 27가지라는 책 전반을 통해 예

언 섬김 가르침 권면 헌금 지도자 긍휼 지혜 지식 믿음 병 고침 기적 영분별 방언 방언통역 사도 서로 돕는 일 행정 전도 목회 독신 궁핍을 자처함 순교 대접함 선교 중보기도 귀신을 쫒음의 27가지 은사들을 정의하고 있다107) C Peter Wagner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6108) Ibid 17

56

속에 있는 교회를 위해 올바른 균형감각을 찾도록 고려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가장

큰 규모로서 멤버십 모임은 거의 어떤 규모로든 가능하고 중간 규모로서 친교모임과

가장 작은 규모로서 영적인 친족 모임으로 8~12명 정도가 적당한데 이러한 세 가지

구조를 Wagner는 lsquoCelebration Congregation Cell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의 큰 단위로서 교회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진 조직적인 형태로의 소그룹에 대한 내용

이 그가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네 번째 특성이다109)

5 동질집단의 원리

다섯 번째는 동질집단의 원리의 적용으로서 성도들이 자신이 속한 그룹으로부터

벗어나서 교회에만 속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문화적 사회적인 그룹에

그대로 머물면서 고립되거나 문화적인 장벽을 넘지 않고도 신앙생활을 유지할 수 있

도록 교회가 구조를 갖추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사회적인 구조를 중요시하는 교회성

장이라야 건강한교회를 이룰 수 있다는 Wagner의 주장은 lsquo그의 교회성장의 주된 원리

를 유지하면서 또한 건강한교회가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서 구성원

들이 자신이 속한 동질집단과의 관계를 잘 유지하고 이를 통해 그 집단 전체에게 그

리스도의 영향력을 전함으로서 속해 있는 집단 전체를 아우르는 형태rsquo를 동질집단이

라 부르고 있다110)

6 효과적인 전도

여섯 번째는 효과적인 전도방법에 대한 것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실용주의

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요구사항을 찾아 그것을 충족시키며 대집회를 통한

전도 집중 전도대회 교회성장이라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나아가는 몸의 전도운동

등의 방법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에는 동질 집단

구성의 원리를 통하여 사람들을 요구를 분간해 낼 수 있다고 하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정신은 다양하고 효과적이며 지역사회에 적합한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되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분명한 목적을 세우는 것이다 사용하는 방법에는 개교회 단

위의 협력도 있지만 경쟁심을 활용하는 것도 있고 효과가 없는 옛 방법을 과감히 버

109) Wagner The Healthy Church 18110) Ibid

57

리고 보다 더 효과적인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필요에 민감한 전도를

하는 방법도 있으며 이를 통해 교회가 성장할 수 있다고 Wagner는 말하고 있다111)

7 성경적인 우선순위

일곱 번째는 lsquo성경적인 우선순위rsquo를 말하는데 지금까지의 여러 가지의 특성들을

성경적인 순서로 적절하게 배열하여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서 이루어

지고 있는 여러 가지 정책에서 사용되는 우선순위의 적절한 배치를 말한다 또한 사

람들이 요구하는 많은 항목들 중 오직 교회만이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을

아는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교회가 세울 수 있는 가장 최선의 우선순위는 그리스도

께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이고 이어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

마지막은 전도 사회봉사를 위시한 이 세상에서의 그리스도의 사역에 전적으로 의탁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112)

이상으로 Schwarz의 이론과 함께 Wagner가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가 되

기 위한 7가지 요소들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제시하는

다른 두 가지 이론을 살펴보려 하는데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이 그것이다 두 이

론도 공히 위에서 언급한 교회내부의 요소들을 분명히 다루고 있지만 Anderson의 경

우 건강한교회의 중요한 특성으로서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관계를 주장하고 있고

Macchia의 경우는 교회의 건강을 하나님과 성도와 그리고 세상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분하고 있음은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건강을 판단하는 시

점에서 중요한 대안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먼저는 Anderson의 건강한교

회의 특성 6가지를 살펴본 뒤 Macchia의 세 가지로 구분된 10가지 특성들에 대하여

하나씩 살펴보겠다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NAE113)의 회장을 맡고 있고 미네소타 주의 미네아폴리스에 있는 우데일교회를

111)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71112)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87113) NAE(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는 40개의 교단 45000개 이상 교회의 연합체로서

58

담임하고 있는 Leith Anderson은 건강한교회에 대하여 6가지 특성을 다음과 같이 말하

고 있다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첫째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교회란 하나님의 평판을 그 지역이나 전 세계의

신자나 불신자에게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교회인데 많은 지역사회 속에서 하나님의

평판은 교회의 평판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서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약속을 정확

히 지키고 섬김을 받으려는 것보다 섬기려하는 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기독교적 방법

으로 어려운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교회로서의 조직을 유지시키고 교단을 대변하려

하는 대신 사회적 관계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에 더 관심

을 갖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첫 번째 특성으로 말하고 있다114)

2 제자 삼음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특성 두 번째는 제자 삼는 교회로서 같은 교회

에 그 교인을 계속 유지시키게 하는 것보다 교인이 훈련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며

모든 신자들이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인식을 바꾸어 훈련된 사람을 배출하려고

계속적으로 애를 쓰는 교회이다 실제적인 측면에서 항상 제자 지향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 그들의 프로그램과 형태를 구비하고 주일학교를 제자를 길러내도록 고무하고

장려하는 교회이다 문제를 일으키는 성도에 대해서도 그저 교회에 계속 출석하면 되

는 모양새로 방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성도가 그 문제성을 인식하고 성경적인 신자로

변화되도록 계속해서 사랑하고 만나고 훈련시키고 지도하는 실제적인 교회를 의미한

다는 것이다115)

3 영적은사의 훈련

셋째는 영적 은사가 활용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 말하는데 Anderson

미국 사회에서 개혁주의 신앙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을 원칙으로 삼고 있는 협의회이다114) Leith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165115) Ibid 167

59

이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건강한교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영적인 은사는 세속적인 직

업과 유사한 직무로서 사역은 직함보다 중요하고 은사는 주로 개인보다는 교회에 주

어졌음을 교육하면서 모든 그리스도인이 적어도 한 가지의 은사를 갖고 있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위원회나 조직을 최대한 축소하면서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사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말하고 있다 교회 조직이 필요한 곳에 사람을

두기 보다는 성령이 은사를 준 그 사역에 그들로 하여금 힘을 다하도록 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일컫고 있다116)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네 번째의 특징은 주변 환경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는 교회로서 고립되지 않고

주변 사회와 소통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거룩이라

는 영적인 본성 때문에 필연적으로 반문화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예수님께서 이 땅

에 오심으로 죄악 된 세상 환경에 자신을 참여시켰던 것처럼 건강한교회는 종교적이

지 않은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방법을 찾고 죄인들과

같이 되기 위해서 참소와 오해를 무릅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 건물의 사용

에 있어서도 정규 교회 활동과 외부 세속 활동 사이의 구별을 없앰으로써 세상에 좀

더 가까이 갈 수 있으며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며 적극적으로 세상

과 관계를 맺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모습 중 하나라고 이야기하고 있다117)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다섯 번째 특징은 건강의 증거로서 재생산에 대

한 내용이다 협력전도를 통해 전교인이 재생산에 참여하고 모든 사람이 직접적으로

전도에 참여하지 않을지라도 모든 사람이 복음 전도에 기능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전해

야 한다는 것이다 숫자의 함정에 빠져 많은 수가 교회에 등록하는 형태의 전도를 건

강의 척도로 삼을 것이 아니라 lsquo얼마나 새신자들이 교회에 동화되어 어떤 모습으로라

도 전도에 참여하기까지 이르고 있는가rsquo를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측정해야 함을 주

장함으로서 새로운 사람들이 교회생활에 적절히 동화되어 교회라는 공동체 조직이 빈

116)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68117) Ibid 170

60

틈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레고 조각이 짜 맞추어지는 것처

럼 교회 또한 새로운 신자들이 들어올 때 다시 재편성되어 새신자와 기존 신자가 다

시 새롭게 짜 맞추어 들어감으로서 관계성을 형성하고 기존 구조에서 새로운 구조로

기꺼이 변화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진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118)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마지막으로 건강한교회는 건강한 믿음을 소유함으로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자신

들이 하나님께 속해 있으며 또한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이심을 실제로 받아들

이고 믿으며 하나님이 무엇을 원하시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교회의 나아갈 바를 정하

되 기도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통해 모든 교회 생활을 일구어가는 교회라는 것이

다 그들은 성경으로부터 모범과 사례를 인용하여 그들의 교회 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성경의 구절들을 연구 비교하고 영감과 방향을 가르쳐 주는 자원으로 성

경을 확신하며 토론의 중간에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기도모임을 요청하는 것에

불편을 느끼는 않을 때 그러한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할 수 있다고 Anderson은 말하

고 있다119)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는 이전 이론들과 달리 성장에 대한 요소가 빠져

있고 대신 교회내부를 비롯해서 외부적으로도 적절한 관계 속에 있어야 함을 통해

세워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런 와중에 교회 내부 요소들에 대한 언급이 소홀해진

면이 있다 교회의 내부적 특성과 외부적 특성에 대해 적절한 균형을 가지고 3가지로

분류해서 제시하고 있는 Macchia의 주장을 이어서 제시하려 한다

제 4 절 Stephen A Macchia120)의 교회건강이론

Macchia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100개의 중소형교회121) 8000

118)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75119) Ibid 182120) Stephen A Macchia은 LTI(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교회 내에서 요구

되는 리더십과 팀사역을 위한 영적 섬김을 위한 사역을 감당하고 있으며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의 Pierce Center for Disciple-Building에서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또한Phoenix Seminary에서도 교수진으로 사역하고 있다

61

명의 회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교회의 특성을 연구하면서 이 자료를 토대로

건강한교회로서의 10가지 특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ldquo건강한교회는 성장이 아닌 각 특성들이 얼마나 개선되어져 가는지를 통해 평가되어

야 한다rdquo는 것이다122) 그 10가지의 특성들은 또 다시 세 가지의 개별적인 영역인 하

나님 성도들 세상과의 관계요소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이어서 설

명할 하나님의 임재가 충만한 공동체로서의 특성에 대한 것이다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acchia가 말하는 건강한교회로서의 첫 번째 특징은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 능력

을 힘입게 됨을 의미한다고 한다 건강한교회는 활발하게 성령의 인도를 구하고 날마

다의 삶과 사역에서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는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강력한 임재에 대

하여 하나님의 임재가 경험될 때 나타나는 가장 가시적인 현상은 기쁨이 충만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기쁨이 충만한 건강한교회는 새신자들의 마음을 움직여 교회

공동체로 이끄는 매력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123)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성령을 부어주

실 때 우리는 그분의 사랑과 주되심을 더욱 이해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우리를 통해

하나님께서 일하시며 그런 성도들이 모인 교회가 건강과 생명력으로 가득 차면서 교

회를 구성하는 이들의 삶 속에서 성령의 열매인 사랑 희락 평화 오래 참음 친절

선함 신실함 온화함 자기절제를 가득하게 맺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충만

한 임재를 통해 성령께서 교회를 주관할 때 성령의 은사가 충만하게 될 것이며 이것

이 바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모습이며 또한 건강한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124)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건강한교회로서의 두 번째 특성은 마음과 뜻과 힘과 정성을 다해 하나님을 예배

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모여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표징을 나타내는 것이고 한다 모

121) NCD의 연구와 달리 대형교회가 아닌 대부분의 교회 현실에 가까운 사이즈인 중소형교회

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122)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13123) Ibid 27124) Ibid 37

62

든 피조물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음 받았지만 오직 인간만은 아

버지 되신 하나님과 사랑의 관계를 누리도록 창조되었다 우리는 우리가 하는 모든

일들을 통해 하나님을 높이고 영화롭게 하는 삶의 방식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우리는

우리의 사랑을 밖으로 흘려보내는 행위를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며 예배하도록

독특하게 지음 받았다는 것이다125) 이러한 접근을 통해 우리는 형태적인 면에서도 사

람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보다는 하나님께서 예배 속에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가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예배의 방식을 바꾸어 갈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의 성도들은 예배 속에서 단지 푹신한 자리에 앉아서 수동적으로 행해지

는 일이 아닌 하나님과 의미 있는 체험을 하게 되기를 갈망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

장 효과적인 방법은 회중들이 마음과 뜻과 정성과 힘을 다해 예배 속에 참여할 수 있

도록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발전시키는 것으로써 하나님의 사람들이 능동적으로 예배

가운데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교회의 건강정도를 판단할 수 있

음을 Macchia는 말하고 있다126)

다 영적인 제자훈련

Macchia가 이야기하는 또 다른 특징은 날마다 영적인 제자도를 개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전 연령대의 성도들에게 영적인 훈련과 모델 그리고 기회들을 제공하는 교

회가 건강한교회라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우리의 관계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우리가 결정을 내리는 능력과 방식들 우리의 사명을 이해하는

정도 사역 속에서 섬김을 위한 우리의 비전들과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건강한

교회의 성도는 무엇이 헌신된 삶인지를 잘 배워서 그리스도와 함께 걸으며 생동감 있

게 사는 것의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다른 이들에게 이러한 영적인 삶의 여

정 속으로 동참하기 위한 성장을 권면할 수 있다127)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제자가 된

다는 것은 우리가 믿음의 삶 속에서 훈련받고 사랑의 열매들을 맺으며 자기절제를 훈

련하고 주님과 동행하는 활동들 속으로 참여하며 동시에 분주함과 싸우고 그러한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순종하는 삶을 이야기한다128) 또한 내적인 평온을 통해

125)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41126) Ibid 46127) Ibid 60

63

하나님의 이끄심에 민감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그러므로 건강한교회란 ldquo성도들의 삶

이 영적인 제자로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교회를 의미한다rdquo고 말한다129)

여기까지의 특성들은 성도가 어떻게 하나님과 건강한 관계 속에 설 수 있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는 부분이다 다음은 성도들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이어서 Macchia는 하나님과 관계뿐만 아니라 성도들과의 관계가 필수요소라고

말하는데 그 첫 번째는 공동체를 통해 배움과 성장을 성취할 수 있는 교회가 건강한

교회라고 주장한다 교회는 신자들이 안전하고 견고한 상황 속에서 하나님과 다른 사

람들과 함께 걷는 여정 속에 자라가도록 돕는 교회이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공동체

속으로 불러서 훈련하시고 그분의 가르침과 모범을 따르도록 하셨으며 이것을 세상

가운데 증거 하도록 하셨다 예수님은 늘 크건 작건 모임 속에서 가르치시고 때로는

먹이기도 하셨다 공동체를 창조한 놀라우신 이는 우리가 날마다의 삶과 사역 속에

성장하고 배워하는 모델을 직접 행하심을 통해 가르치셨다 맞벌이를 해야 하는 많은

가족들은 벅찬 업무와 해야 할 일들에 둘러싸여 있다 보니 소득은 조금 늘어나지만

정작 가족을 세우고 견고하게 하며 가족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쓸 수 있는 자원을

잃고 만다 그뿐만 아니라 아직 독신의 경우에도 그들의 시간을 빼앗아가는 수많은

일들에 파묻혀 친구들과 가족을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여분의 시간은 점점 줄

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도 건강한교회는 신자들이 공동체 속에 들어

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환경을 조성해내는 교회여야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130)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가정에서 화목한 관계를 유지하고 성도들 사이에 사랑의

관계를 가지며 그들이 섬기는 공동체 내에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세워가도록 그들을

128)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68129)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61130)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81

64

위한 노력을 다하는 교회를 의미한다고 한다 우리가 행하는 서로를 향한 사랑과 돌

봄은 우리의 교회가 함께 모일 수 있게 만드는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

은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계들로는 무조건적인 표현 서로

에게 진실함과 신실함으로 대하는 것 은혜 자비 용서 갈등을 해결하고 소통을 원활

하게 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노력들을 요구한다 교회는 성도들의 각 가정을 위한 사

역을 통해 그들이 가족 속에서 연합을 경험하게 해야 하며 공예배를 포함한 모든 사

역의 활동영역에서 가족에게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관계를 세우

는 행위를 통해 교회는 성도들안에 예수님의 사랑의 삶의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보일

수 있고 하나님이 원하셨던 진정한 공동체로서 서로의 필요를 채워주고 함께 물건을

통용하는 초대교회 사랑의 기독교를 실현시킬 수 있는 건강한교회로 세워져갈 수 있

다고 말하고 있다131)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교회의 건강성은 각 성도들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인식하고 각자에게 지도자로서

부여한 은사를 깨달으며 그 은사를 활용하여 서로에게 서번트리더가 되도록 권면하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요한복음 131~17을 통해 예수님께서 친히 겉옷을 벗

고 수건을 두르시고 제자들의 발을 하나하나 씻으신 후에 다신 옷을 걸치고 자리에

앉아 제자들에게 자신과 같이 행할 것을 가르치시는 모습에서 서번트리더의 모델을

찾을 수 있는데 우리는 다른 사람 위에 군림하도록 부름 받은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

들을 섬김으로써 예수님의 모범을 따르도록 부름 받았다 또 다른 서번트리더의 모습

은 인도함을 받는 리더 사랑 많은 리더 배우는 리더 잘 들을 수 있는 리더 다른 사

람들의 짐을 가볍게 해 주는 리더 계급구조를 내버리는 리더가 됨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한다132)

여기까지의 배움과 성장이 가능한 공동체 서로 사랑으로 돌보는 관계 섬기는

자의 삶은 모두 교회 내부에서 서로간의 관계를 세우는 요소들이다 이어서 Macchia

가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서 말하는 요소들은 세상 속에서 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에 관련된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131)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11132) Ibid 131

65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이어서 제시하는 내용은 교회의 세상과 관계회복을 위해 생각해봐야 할 부분과

함께 교회 조직을 어떻게 건강하게 이끌어갈 것인가에 대하여 다루고 있고 특별히 교

회마다 많은 갈등의 주요인이 되고 있는 행정과 재정적인 부분까지 다루고 있다는 면

에서 다른 이론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건강한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진리를 증거하고 그분의

사랑을 나타내기 위한 일에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교회라는 것이다 신자는 자신 안

에 일어나는 기쁨을 세상 속으로 흘려보내는 삶을 살아야 한다 이 기쁨은 단순한 감

정이 아닌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충만함의 결과로 나타나는 희락이다 이처

럼 세상을 향해 초점을 맞춘 삶은 성령의 도움으로 가능한 일로서 실용성을 지향하는

긍정주의와는 다른 것인데 사람들과 복음을 나누며 그리스도의 몸이 갖는 잠재적 본

성을 이용하여 먼저 믿는 우리가 서로 사랑으로 교제하고 떡을 떼며 기도와 예배와

공동체적인 삶을 통해 하나님을 찬미할 때 이를 통해 날마다 구원받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났던 사도행전적인 역사가 현재에도 일어나야 한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

도를 알도록 우리는 오케스트라의 악기가 되어 아름다운 음악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도구로서 세상지향적인 교회가 되어야 하고 이런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

하고 있다133)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의 자원 재정 그리고 조직이 성장과 사역의 개발을 최대한 지원할 수 있도

록 적절하게 사용되는 것이 교회건강의 중요한 요소라고 한다 많은 교회에서 정말

능력 있는 행정가는 담임목사가 아닐 수도 있다 담임목사들의 경우 교회행정에서 주

도권을 잃는 것을 용납하지 않지만 한 사람에게 너무 많은 책무를 부여하는 것보다는

목회자와 동일한 비전을 가지고 교회와 그리스도께 헌신된 사람을 주의 깊게 성령의

인도함을 따라 교회의 행정가로 선택하고 목사와 행정가가 긴한 관계로 이어진다면

133)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4

66

교회는 한층 건강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러한 행정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전략적

인 계획수립과 목표결정 하나님의 뜻을 이룸을 최선으로 하는 재정구조 계속적인 평

가와 권면 그리고 장기적인 사역에서 발생하는 변동요소들을 잘 관리해나가는 것들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134)

다 교회들의 연합

건강한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들이 서로 협력하고 자원을 공유하며

배움의 기회들을 높이고 서로 연합된 예배공동체를 이루어가도록 노력하는 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우리 앞에 놓인 사명을 교회가 이

루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필요를 실감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협력과 연합은 훨씬 더 효과적인 전도와 사역을 이루어낸다 각

교회들은 예배의 형식 교회정책 지역의 선호도 교회에 대한 기본적인 신학에 있어

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공통되는 요소를 발견함을 통해 도시단위 지역

단위로 연합할 수 있으며 그 지역 도시의 복음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수행해감으로써

우리가 섬기도록 부름 받은 지역을 위한 효과적이고 영속적인 영향들을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135)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자원들의 청지기라고 가르치며 그

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도록 충분히 관대한 희생의 마음으로 살아가도록 도전하는

교회라고 Macchia는 말한다 교회가 시간 재능 재정을 관대하고 선한 목적을 가지고

기꺼이 나눔으로서 물질만능의 세속적인 시대상을 극복할 수 있고 세상 속에 그리스

도의 몸 됨을 알리는 복음증거의 좋은 발판이 되어 진다 청지기정신은 지난 시대 속

에서는 개혁교회의 감춰진 주제였지만 갈수록 그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예

수님께서 ldquo네 보물 있는 그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마태복음 621 개역개정4

판)rdquo라고 가르치신 것 외에도 신구약성경 2000곳 이상에서 재정과 물질자원의 사용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더욱 이 주제에 대하여 교육하고 알려야할 이유를

134)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9135) Ibid 186

67

제시한다 자원은 나누어질 때 더 많은 열매를 거둘 수 있고 하나님은 기꺼이 나누는

사람을 사랑하신다 건강한교회는 우리들 각자에게 속한 자원들을 우리 자신의 것이

아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도록 잠정적으로 맡기신 것을 삶 속에서 실제로 실

천하도록 성도들을 이끌어가는 교회라는 것이다13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Schwarz는 그의 책 자연적교회성장의 서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서 교회를

유기체로 인식하고 외적 장애요인이 성장과 접한 관련이 있음에 대한 공헌을 하였

우리가 교회성장을 만들어 내려고 해서는 안 되고 오히려 하나님

께서 이미 교회에 부여하신 생명체적 잠재력을 풀어놓아 스스로

운행되도록 해야 한다 교회 내부나 외부에 존재하는 성장 장애

요인(환경장애)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교회 밖에 존

재하는 요인들은 우리가 다룰 수 없는 사항들이기 때문에 우리는

교회 성장과 부흥을 방해하는 교회의 내적 요인 제거에 초점을 두

어야 한다 그럴 때 교회 성장은 저절로 이루어진다137)

교회성장에 대하여 인위적인 방식이 아닌 하나의 생명체로서 교회의 성장을 방

해하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교회성장이 자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

고 이에 대하여 교회성장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를 주장하는 데에는 교회 성

장과 관련하여 큰 공헌을 한 점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이것을 교회의 건강으

로 연결하여 건강한교회는 성장한다는 원리로 규정짓는 데에는 교회건강에 대한 분명

한 개념정립이 다시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적 질적 특성을 구분할 때 양적인

것은 인간의 오감을 통해 쉽게 외부로 나타내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을 말하는 반면 질

적 특성은 그러한 체제 속에 담겨있는 정신과 비가시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의 양적인 성장이란 단순하게 교인들의 숫자나 건물의 크기 교회재

136)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1013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10

68

정의 규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교회 안에 있는 교인들의 신앙연륜 성경에 대한

지식의 정도 날마다 성경을 묵상하는 성도의 수 기도하는 시간과 같은 것을 포함하

는 개념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Schwarz가 말하는 질적 특성의 많은 부분이 실은

양적 특성에 해당하며 실제로 질적 특성이라 함은 비가시적이고 시간이 흐르면서 검

증되어야 하는 부분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Schwarz의 질적 특성의 8가지 원

리만을 가지고 교회건강의 정도와 연결시키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오히려 교회

의 건강이란 위에서 다룬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흐트러뜨리는 교회의 내적 요인과 외

적 요인이 없는 상태로서 질병이 제거되어 각 기관들이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함으로

써 교회존재의 본질적 요소인 소금과 빛의 사명을 감당하는 상태라 함이 건강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에 빗대어 더 바람직한 정의가 된다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또한 Schwarz의 이론 중 유익한 공헌으로는 큰 교회가 작은 교회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에 대한 실제 조사결과이다 교회성장과 관련된 170가지 변

수들 중에서 교회의 크기는 자유주의적 신학과 전통주의의 뒤를 이어 세 번째로 강한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사실과 실제 통계 조사로써 5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50

여명 정도의 소형교회들과 3000명 정도 모이는 대형교회들의 출석률 변화를 보았을

때 소형교회는 평균 출석수의 변화는 32명의 새신자가 생겼던 반면 대형교회의 경우

는 같은 기간 112명의 새신자가 생겼고 이를 상대적인 비율로 계산했을 때 소형교회

가 대형교회에 비해 1600퍼센트나 높은 성장가능성을 보였다는 사실을 알려준다138)

복음전도의 효과 면에서 소형교회가 대형교회보다 통계적 비율이 더 높다는 사

실은 대형교회일수록 자체시스템을 유지하는데 많은 자원을 사용하며 성도들이 자신

의 은사에 따라 일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139)

NCD 연구가 우리에게 끼치는 유익은 단지 이러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들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교회가 8가지 질적 특성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는 데에 있다

즉 세계 32개국 1000여개 교회를 대상으로 420만개의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것을

13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47139) Ibid 48

69

바탕으로 해서 각각의 질적 특성을 점수로 표시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했

다 따라서 어떤 교회든지 1명의 담임목사와 30명의 교인들이 설문지에 응답한다면

각각의 질적 특성에 대하여 구체적인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이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가장 낮은 질적 특성 최소치 요인이다 한 교회의 성장은 바로 이 최소치 요인에 의

해서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최소치 요인이 밝혀졌을 때 그것을 개선시키면 자연적

으로 거의 대부분(994 퍼센트)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140) 이러한 원리를 최소치 전

략이라 부른다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NCD측에서 제시하는 이론은 자본주의적 논리에 의해 들어간 비용 대비 이윤 창

출이라는 구조에 맞게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방법으로써 유기체의 건강을 다

루기에는 불충분하다 게다가 그 결과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도 25교단 1000개 교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많은 교회가 속한 평균 점수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평가점수

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부분은 교회건강이라는 목표를 다른 교회와의 비교를 통해 점

수를 매기는 방식으로써 전체 교회에서 그 교회의 점수의 위치는 알 수 있지만 상대

적인 기준을 가지고 그것을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평가하기에는 부적절하다 교회의

건강에는 절대적인 기준이 필요하고 그 기준은 물론 모든 지혜의 원천인 성경 속에서

찾아져야만 한다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이나 설문 모두 교회의 숫자적 성장을 중심동기로 하고

있는데 이를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으로 연결하는 것은 무리이다 이는 교회의 숫자적

성장 잠재력에 대한 평가이다 이 수치가 높을 때 교회가 건강하다고 하는 것은 논리

적 비약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부분은 사역자를 세우는 일에 있어서이다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들은 사역을 위해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기회와 권한을 부여하는 일에 중점을 둔다 그들은 평신도들

을 자신들이 설정해 놓은 목표나 자신들의 비전을 이루는 데 필요한 lsquo조력자rsquo 정도로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피라미드형의 권위구조를 거꾸로 뒤집어서 리더들이 교인들을

섬기며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부여해 주신 영적 잠재력을 개발하여 쓸 수 있도록

140)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81

70

돕는다 이런 목회자들은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자들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을 준비시키고 격려하고 동기를 부여하고 훈련시키는데 주안점을 둔

다 이런 지도자들은 교회의 수많은 일들을 자신들이 다 하느라 시간을 뺏기는 대신

그들의 시간을 제자훈련 권한 위임 그리고 재생산에 투자한다 이런 식으로 투자한

노력의 결과는 상상할 수 없는 성장을 가져온다 이것이 바로 영적 lsquo자생조직rsquo이 생겨

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141) 이처럼 교회의 건강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있음에도 교회

의 성장여부를 통해 목회리더십의 성취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교회건강을 성장이라는

열매와 과도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NCD이론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8가지 질적 특성이 모두 교회건강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이 아니라 교회성장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으로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지

표를 세운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각 특성들이 모두 결과물을 가지고 교회성장이라

는 열매를 맺었을 때의 지표를 기준으로 하여 교회건강지표를 만들었다 건강에 대한

정의가 성장이라는 결과를 통해서만 측정하고 있다 교회가 건강하면 반드시 양적인

성장이 뒤따른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이 연구조사에서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을 조사해서 그 교회

의 괄목할만하게 외부로 드러나는 특성을 조사해서 그 중 높은 수치를 기록한 8가지

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교회의 특성이라는 주장은 다분히 시작과 과정이 배제

된 체 결과만으로 판단하는 주장이다 교회가 성장하던 도중 외적규모의 정체가 일어

날 때 그중 낮은 점수를 기록한 특성을 보완하면 다시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고 이것이 건강이 회복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라면 수적으로 비교

적 작은 교회 목회상황 자체가 다른 곳 더 이상 유동인구가 없어서 성도수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특수한 곳에서의 건강한교회란 이루기 불가능한 요원한 일이 될 뿐

이다 그러므로 NCD와 Wagner의 이론 모두 특정한 장소 특정한 규모의 교회에 적용

했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지역교회가 반드시 성

장을 이루어야만 건강한교회라는 결론은 객관적이지 못하다

141) Christian A Schwarz 윤수인 역 자연적 교회성장 23

71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교회가 속한 노회나 교단에서의 다른 교회와의 관계가 중요하며 더불어 교회와

주변 사회(이웃)와의 관계와 평가 또한 중요한 교회건강의 요소이다 수적으로 거대해

진 교회들마다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공예배 때마다 지역

주민과 심각한 주차갈등을 겪는 도심대형교회의 경우를 예로 들더라도 지역사회와 상

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교회를 단지 양적으로 성장했고 8가지 질적 요소를

충족시켰다는 이유로 건강한교회라 지칭하는 것은 억지스런 주장이다 교회는 존재

자체로도 물론 의미가 있지만 사명공동체임을 생각할 때 교회가 자신의 사명의 대상

으로서 세상 속에서 외면당하고 있다면 그곳에서 교회의 건강을 논하는 것은 주변 이

웃들과 먼저 화해한 후에 예배의 자리로 나오도록 말씀하신 예수님의 권면과도 맞지

않다 교회의 건강을 논하기 위해서는 세상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분명

살펴야 한다

그리고 교회는 개별적인 존재로서의 교회이기도 하지만 지상의 모든 교회는 그

리스도를 몸으로 연합체로서의 교회의 특성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서로 경쟁

의 대상이 아니다 교회와 이웃과의 관계 뿐 아니라 교회와 다른 교회와의 관계 또한

해당 교회가 건강한교회인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요소일진데 지금까지 살펴본

Schwarz와 Wagner의 이론에서는 배제되어 있다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양적 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의 기준으로 삼던 앞선 두 이론들과 달리 Anderson과

Macchia는 성장이라는 요소 자체를 배제한 체 교회가 내부 외부적으로 어떤 관계 속

에 있는지를 중시하고 있다 Anderson의 경우는 지역사회의 관계에서 교회의 평판을

통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지역사회와의 관계맺음에 대해 별도

의 특성을 규정지음으로써 세상과의 관계에 대하여 많은 강조점을 두고 있다

Macchia의 이론이 여타 교회건강이론과 다른 점은 세 가지 관계의 회복 측면에

서 교회의 건강을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다142) 그래서 구분 자체부터 하나님과의 관계

142)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3

72

요소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로 나누어 건강한교회로 세워

져가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관계위주의 기준을 가져야함을 말하고 있다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한국교회 상황에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중대한 문제의 대부분이 실제로 교회 행

정과 재정문제에서 불거지고 있음이 현실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교회행정에 대해 목

회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위임함으로써 건강한교회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부분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많은 한국교회들의 재정 권한이 담임목회자나 소수의 상위 리더

십에 집중되어 있기에 일어나는 어려움들을 두고 건강한교회로의 나아감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기에 교회의 재정 관리는 일정한 전문가를 통해 사역을 해나가고 평가와

권면으로 보호하는 구조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거기에 마지막 요소로 이야기한 청

지기정신은 그러한 재정 관리에 더더욱 필요성을 제기하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예수님의 제자들이 미리 겪었던 갈등과 같이 성도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운 부분

들 중 하나는 서로 비교하고 시기 질시하는 현실에 대한 것이다 교회 안의 한 지체

임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몸과 같이 사랑하기는커녕 비교하며 서로를 깎아 내리려는

구조가 존재함을 2장에서 잠시 다루었다 특히나 한국교회에서는 서로를 향한 섬김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성도의 관계는 사랑과 섬김이면 어느 정도 회복이 가능한 부분이

다 목회에서 가장 힘든 때가 건축과 직분자를 세울 때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교회

안에서마저 경쟁과 비교로 직분을 감투로 여기며 끝나지 않는 갈등요소를 품고 있는

현실에서 lsquo섬기는 자가 큰 자rsquo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에 충실한 서번트리더십의 개발은

질병이 없는 건강한교회를 위한 필수적이 요소라 할 수 있다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다음 표는 위에서 연구한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의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을 Schwarz의 이론을 기준으로 유사한 것들끼리 모아 놓은 표이다 최대한 유사

73

점을 찾아보았지만 그 안에는 서로 다른 점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교회 내부의

문제를 제대로 분석하여 최소치이론을 가지고 교회의 성장 가능성을 연구한 면에서

Schwarz의 이론이 중심이 된 NCD의 건강한교회의 특성에는 나름대로의 균형과 포괄

적인 교회 내부에 대한 분석이 있음에도 교회의 본질과 사명이 내부 외부가 모두 균

형 잡힌 건강한교회의 필수 요소라는 점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긍정적인 목회자 제자 삼음 영적인 제자훈련

은사 중심적 사역잘 동기 부여된

평신도영적 은사의 훈련

열정적 영성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기능적 조직

영감 있는 예배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전인적 소그룹 동질집단의 원리

필요중심적 전도

효과적인 전도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사랑의 관계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기타요소들 성경적인 우선순위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하게 반응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연합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표 1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74

오히려 10가지 특성과 이를 세 가지 관계적인 면에서 나누어 주장하는 Macchia

의 교회건강이론은 교회의 본질적인 면에서 하나님과의 관계 세움을 추구하는 영성적

인 측면과 교회 안에서 성도들의 관계를 강조하는 성도들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해 지

적하고 있으며 교회의 사명적인 측면에서 지역사회에 속한 교회의 역할을 보충함으로

써 본질과 사명을 모두 포함하는 교회건강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이

세 가지 관계적인 측면에서 교회건강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건강한교회와 그

렇지 않은 교회를 구분하는 기준 또한 외부적인 성장을 가지고 논하기 보다는 교회가

추구하는 관계성143)의 성취 여부를 기준으로 교회건강여부를 결정해야한다고 주장한

Schwarz의 이론과 비교했을 때 Wagner의 이론은 상당부분 구분상의 유사성을 가

지고 있다 Anderson의 이론은 여러 요소를 축약한 흔적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강조

하고 있다 그러면서 발견된 특이점은 표에 밑줄 친 요소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관계

성에 대한 것들이다 밑줄 친 특성들은 다음 장에서도 다루겠지만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적 요소라 할 수 있는 것들인데 직관적으로만 보기에도 많은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들은 사실 관계성에 대한 주장을 이미 내세우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이 이론을 활용할 때 관계에 대한 강조점을 단지 교회성장을 위한

도구로 오용한 면이 없지 않다 Schwarz의 교회성장 이론에서 다루는 8가지 질적 특

성 중 소그룹과 사랑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이미 교회 구성원들의 관계가 교회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43) 관계성(Relationship)의 정의에 대하여 사전적인 의미로서 관계(關係)는 둘 이상의 사물 사람 현상 등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특별히 둘 이상의

사람들 사이가 우호적인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관련됨을 추구하는 성향 또는 정신이나 마

음으로 관계성을 정의하려 한다

75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지난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이론들 중에서 Leith Anderson과

Stephen Macchia의 주장을 통해 교회공동체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의 건강성이 교회 전

체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특징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Macchia의 경우는 그

러한 관계를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분야로 구분지어 세 관계 모두가 적절

하게 건강해야 건강한교회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음으로는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을 위해 치유회복 사역을 하고 있는

세 단체를 살펴보고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관계성 중심의 사역에 관한 내용과 특징

을 살펴보려 한다

1 온누리교회의 예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온누리교회는 한남동 한국기독교선교원에서 故하용조 목사를 중심으로 12가정이

모여 기도하며 제자훈련을 시작하면서 세워진 교회이다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

를 꿈꾸며 성경적인 교회론을 토대로 목회방향을 설정하였고 1985년 10월 6일 78명

의 성도가 모여 온누리교회 설립예배를 드렸다 온누리교회의 목회 비전은 한마디로

Acts29 비전이다 교회를 시작할 때 주셨던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의 비전을 새

롭게 하고 구체화한 것이 Acts29 비전인데 Acts29란 사도행전 29장을 의미하는 것으

로 사도행전은 끝나지 않았고 계속 씌어져야 함을 뜻하며 사도행전 28장 이후의 기

록이 바로 이 시대 교회들의 기록이 된다면 온누리교회를 통해 기록되기를 원하는 마

76

음에서 Acts29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144)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한국의 대표적인 교회 중 하나인 온누리교회의 관계성 프로그램은 크게 두 가지

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회복사역과 가정사역이다 회복사역은 영적 정신적 육체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건강한 인격체로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자신과 같은 어려움

을 겪는 사람들을 돕는 사역자로 설 수 있도록 도우며 궁극적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

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예배자로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종류로는 자신

을 이해하고 성경적인 정체성 회복을 돕기 위해 역기능가정 자존감 숨겨진 아픔 용

서와 축복의 주제로 구성된 자아회복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회복을 통해 혼자서도 안

정된 관계를 세워가도록 돕는 동반의존 소모임 자신의 관계성을 돌아보며 건강한 관

계를 유지하고 발전을 위한 관계회복 소그룹 등이 있다145)

가정 사역 분야에는 하나님께서 꿈꾸는 아름다운 가정의 모델을 성경적으로 제

시하고 여러 훈련과정으로 짜여진 하나님의 가정훈련학교 이론과 실제를 통해 성경

적인 바른 가정을 세워가도록 돕는 젊은 부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부부간의 관계를

진단하고 치유와 개선을 돕는 코칭 프로그램인 아름다운 동행 그리고 사별에 의해

혼자된 성도가 영적치유와 회복을 경험하도록 돕는 야베스맘(여성사별자모임)과 이혼

자가 겪는 아픔과 상처를 함께 돌보는 이혼자치유학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46)

대부분의 한국교회가 그러하듯 온누리교회의 관계중심 프로그램은 주로 회복과

돌봄을 목적을 가지고 실시되고 있는데 소그룹 코칭 상담의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

다 그리고 이루어지는 사역이 주로 사후 회복과 돌봄에 대한 것으로 여러 가지 다양

한 가치들이 혼재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뒷전에 려있는 관계성에 대한 사

회적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144)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145) 온누리교회 홈페이지 참조 2013년 정기모임 안내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 groups146)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참조

77

2 뉴욕관계학교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관계학교는 뉴욕청소년센터의 스텝들을 훈련시키며 시작되었다 그 후 청소년센

터 상담 사역부로 활동하다 lsquo뉴욕관계학교rsquo라는 이름으로 독립해서 뉴욕청소년센터의

협력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는 단체이다 목회자반(15주) 사모반(15주) 셀그룹 리더반

(15주) 청소년사역자반(15주) 부모반(10주) 부부반(10주) 교사반(8주)으로 나뉘어 정

규 과정반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lsquo찾아가는 공개강의rsquo도 진행하

고 있으며 대표는 김사훈 박사가 맡고 있다14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남편의 아내에 대한 정서적 지지가 건강한 결혼 생활을 만들고 바로 그 지지가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태도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강조하는 김사훈 박

사148)는 또한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모델이 되려할 때 거기에는 부모를 모방하며 시

행착오를 경험할 수 있는 충분한 자유와 책임감의 부여가 필수적임을 겸하여 강조하

고 있다 김박사에 의해 설립된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 부모자녀의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 관계학교에서 시행하는 공개강좌의 경우 lsquo관계

와 영성rsquo이라는 주제로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이 강좌의 진행도

주로 모든 관계의 원시경험을 제공하는 가족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관계는

피할 수 없는 도전으로서 자신과 하나님과의 관계 교인과 교인관의 관계 목회자와

교인과의 관계 교인의 가정에서의 관계 등이 건강하게 이끌어 질 때 결국 건강한교

회가 될 수 있다는 기치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비전을 가지고 사역중이다149)

뉴욕관계학교의 경우는 사후 회복사역과 더불어 사전 준비교육으로서 관계에 대

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소그룹 인도에 대한 교육은 시대흐름에 필요한 교

147)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기사 인용148) 목회상담 전문가 한국기독교 상담 심리치료학회 전문가 상담실 로뎀나무아래 대표

149)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기사 인용

78

회의 변화를 이끌어 가는데 나름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 교회들의 호

응이 그다지 적극적이지 못한 이유로 초반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으로 소개할 관계학교 유형은 비록 기독교적 신앙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지

만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루고 있는 스웨덴 비영리 단체가 운영하는 웹기반

의 온라인 관계학교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3 웹 기반의 관계학교

가 온라인 관계학교의 소개

The Relationship School은 여러 가지 관계 속에 있는 이들이 영감을 얻고 실제적

인 도움을 받으며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들을 습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온라인

강의들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스웨덴의 한 비영리 단체이다 제공되는 논문과 영상

강의들은 Filippa와 Markus에 의해서 대부분 제작되었다150) 시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어디서든 접근이 용이하도록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으며 온라인피드백을 위한

각종 사이트들과 연결되어 있다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The Relationship School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은 총 26개의 클래스가 있고 그 내

부에는 강의마다 자신의 상황들을 점검해보고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소개 글과

관련 논문 그리고 영상 강의로 구성되어 있는데 26가지 강의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150)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79

l 관계의 세 가지 단계들

l 이해하는 것과

이해받는 것

l 사랑의 강을 건너는

다리

l 네 가지 위험신호

l 상호거래적인 분석들

l 조절

l 마음표현의 놀라운 힘

l 인간의 필요들에 대하여

l 필요 이상의 것

l 돈과 사랑

l 나부터 시작해서

우리로 나아가기

l 신뢰와 존중

l 남자에게 편지쓰기

l 관계들 속의 투사

l 피드백

l 극단성과 열정

l 관계의 유형

l 관계게임의 규칙

l 회상에 대하여

l 변화

l 갈등과 갈등다루기

l 가치 있는 것

l 관계에 대한 지식

l 사랑과 친밀감

l 긍적적 부정적

소용돌이

l 삶의 균형 잡기

표 2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위와 같은 강의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삶이 다음과 같이 변화될 수 있기를 바라

는 그들의 목적을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사람들이 아침에 일어나 마음을 두근거리게 하는 긍정감정을 느끼

고 어른들이 자신의 상황에 대하여 스스로가 책임을 지겠다는 다

짐을 하고 아이들이 지속적이고 삶을 풍성하게 하는 관계들 속에

있을 그 때가 바로 우리들이 이 메시지를 통해 바라던 우리의 최

종 목적이 달성된 것입니다151)

위 사이트의 경우 인터넷이 연결된 어디에서든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과정들을

숙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고 다양한 관계들 속에 응용할 수 있는 영역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번역된 자막이 따로 없어서 영어권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강의내용

은 주로 심리상담 분야를 통해서이고 시공간적 제약이 없이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

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도 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하여 강의 내용이 새로운 업데이트가

되지는 못하고 있다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지금까지 관계사역에 대해 힘쓰고 있는 세 단체의 사례를 살펴보았는데 그들이

가진 몇 가지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1)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80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관계사역을 구성하는 커리큘럼의 내용들이 회복과 치유에 집중되어 있다 이혼

자 사별자에 대한 위로가 필수적인 사역임에는 틀림없으나 그 전에 이혼까지 이르지

않도록 예방을 위한 사역 또한 함께 진행할 필요가 있다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관계

라는 부분이 문제가 생겨나고 그것이 외부로 드러나기 전까지는 잠재되어 있는 경우

가 많고 그 속에서 상황이 상당히 악화된 뒤에야 치료를 위한 훈련과 더불어 예방과

그 과정 중에서도 충분히 서로를 개방하고 점검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

이 현실이다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관계성이라는 분야가 심리상담학의 발전과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 부분이기에

대부분의 관계에 대한 회복과 훈련에 인문학적인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위

사례를 비롯해서 많은 한국 교회들이 여건이 되는 데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단연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곳은 가정회복에 대한 내용이다 그만큼 가

정문제 자녀교육의 문제가 사회 전반적인 어려움으로 교회마다 부부관계 부모자녀관

계의 회복을 위해 각종 양육프로그램을 세워가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그럼에도 관

계라는 것이 대상에 따라 한 형태로만 회복되는 것이 아닌 유기적으로 다양한 관계가

모두 포괄적으로 회복될 때 제대로 된 치유가 가능한데 이처럼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돌아보고 점검하며 방향을 제시해주는 곳은 기존의 교회 관계사역에 대한 리서

치 과정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다 관계는 신앙 가정 사회 교회 직장 학교 속에서 다

양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고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러므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전인적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1 프로그램의 동기

성화의 과정으로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우리가 이 땅에서 살아가는 동안 만나게

81

되는 모든 만남에서 어떻게 하면 건강한 만남을 가지고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교

회를 이루어 갈 수 있는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은 관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다 어떻게 교회 공동체를 관리하는가에 대해 경영학적인 입장이 아닌 사회학적인 입

장에서 개인의 유기적 연결에 집중한다면 결국 교회의 건강은 건강한 성도들의 연결

이라는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강은 질병이 없이 본연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는 것이다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

는 바탕은 구성원들로서 성도의 건강한 관계성에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

면 건강한 관계를 이룰 수 있는 것인가 건강한 관계를 위해서는 선험적인 앎이 필요

하다 선험적인 앎이란 관계의 창조자가 가지신 생각에 대한 인식이다 그러므로 건강

한 관계를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하나님께서 관계를 어떻게 지으셨고 무엇을 원하시는

가에 대한 기본적인 훈련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관계학교를 제안하려

한다 필자가 제안하는 관계학교는 기존 성도들을 포함하여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함께 하는 개개인 모두가 기본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서 일정한 훈련기간을 가

지고 입학과 졸업이 명확하며 일정한 기준을 성취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

된다

여기에서 다른 많은 명칭들이 있음에도 학교라는 친숙한 명칭을 사용한 의도는

입학과 졸업이 분명하고 성취도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고 각 개인에게만 교육의 성취

에 대한 책임을 맡기지 않고 모두가 일정한 수준 이상의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교

육 주체 또한 교육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도록 힘써야 하는 존재

임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서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관계학교는 이전 장에서 다루었던 Macchia의 건

강한교회의 10가지 특성에 대한 이해와 Anderson의 6가지 특성들 가운데 관계성을 드

러내는 요소들을 취합하여 그 내용을 구성해보려 한다 또한 사례연구에서 살펴보았

던 여타의 기존 관계회복 프로그램들이 이미 중점을 두는 분야를 재론하기보다는 성

도들이 현장에서 살아가면서 얽혀있는 주변관계의 전반을 다루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프로그램의 방향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82

위의 관계프로그램 사례연구에서도 살펴본 것처럼 대부분의 관계회복 프로그램

이 상담신학 기반에 시행되고 있다 이 또한 현대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접근이다 필

자는 Bonhoeffer의 ldquo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될 때 그곳에는 하나의 공동체가 세워지며

이사야 5511의 말씀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은 기독교적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 안에

역사하며 교회는 또한 하나님과 말씀과 깊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성도의 공동체는 결

국 말씀의 활동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rdquo152)라는 명제를 바탕으로 성경중심의 관

계학교 프로그램을 제안해 보려 한다 건강한교회를 위한 모든 시도는 하나님의 말씀

인 성경에서부터 비롯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교회의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의

모든 커리큘럼의 구성을 성경중심으로 편성하고 있다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본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짧은 차시 안에 모든 영역을 깊이 있게 다루는 것

은 어렵겠지만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관계 요소의 전반적인 부분을 다루어보고 함께

생각을 나누며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보려 한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부

정적인 면을 감쇄시키는 방향의 훈련이 아니라 이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긍정적

요인들에 대한 강화의 방향을 갖는 것이 이 관계훈련의 목적이다 매주 한 회기씩 8

주 동안 진행될 관계학교의 모든 과정은 지향하는 목적이 성도들의 관계훈련에 있는

바 매 회기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실제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현장은 지극히 평범하고 쉬운 사고를 좋아하는 일반성도일 경우가 많다 게다

가 한국교회 현장은 감성적 접근이 효율적인 여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게 형성되어 있

다 교육이라는 말 자체가 갖는 부담감을 극복하기 위해서 실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커리큘럼은 최대한 성도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학문적인 용어와 내용구성보다는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것들로 진행하려 한다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관계의 문제는 모든 현대인의 고민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에서 시행하되 지역사

회 전체에 홍보를 통하여 관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성경을 그

152) Dietrich Bonhoeffer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238

83

저 일상적인 삶과 무관한 기독교의 교리서신이 아닌 일반인 모두가 듣고 지혜를 얻을

수 있는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한국의 2030 세대는 어려서부터 사교육을 강요당하고 청소년기에는 공부 기계가

되었으며 대학생이 되어서는 학점 관리하고 스펙 쌓느라고 그 좋다는 청춘 시기의

낭만조차 맛보지 못한 채 사회로 내몰린다 그러나 이들은 분명 그들만의 잘못이 아

님에도 취직을 못 했다는 이유로 동년배들에게서 존중받지 못하고 사회에서도 존중받

지 못하며 심지어는 가족에게서조차 존중받지 못한다 그 결과가 청년 고독사라는 믿

을 수 없는 현실로 나타나 갈수록 젊은 청년들이 젊은 나이에 월세가 몇 달째 린

쪽방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믿을 수 없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153)

그러한 세상 가운데 교회에서 lsquo관계학교rsquo라는 일반인에게도 공감할 수 있는 프로

그램을 가지고 나아간다면 좋은 접촉점이 될 수 있고 교회의 문턱을 낮추어 비신자에

게로 다가가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게다가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내용 또한

우리의 일반적인 삶의 이야기이기에 이 기회를 통해 전도대상자들과 신뢰관계를 형성

할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도 좋을 듯하다

3 프로그램 시행준비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다음은 교회 내에서 관계학교를 시행하기 전에 모든 성도들이 자신의 관계를 돌

아보고 교육에 대한 필요와 동기를 가질 수 있는 몇 가지 설문을 제시하려 한다 따

로 문서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되던 주보의 공간을 활용하여 관계학교 개설에 대한 광

고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참여를 독려하며 동기 부여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관계학교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은 다음과 같다

lt 당신의 관계들에 대하여 확인해 봅시다 gt

1 당신은 가족을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친한 우리는 함께 있는 것 그리고 서로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

아한다

화목한 서로 어울리기는 하지만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한다

153)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32

84

말이 없는 아무도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삶을 나누지 않는다

불신하는 가족들 사이의 관계는 대체로 서로 시기하며 적의를 품

고 있다

2 다음 중 친한 친구나 가족과 있을 때 당신을 가장 잘 표현한 내용은 무

엇입니까

자연스러운 편하게 느끼며 자연스럽게 행동한다

열린 내가 믿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소극적인 사람들이 먼저 말을 걸어 주기를 기다리는 편이다

갈등하는 믿는 것에 항상 굳게 서 있는 것은 아니다

불만스러운 아무도 나를 이해해 주지 않는 것처럼 느낀다

3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당신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어느 것

입니까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민감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를 이해심

이 많은 사람으로 생각한다

나는 깊이 있게 나누지를 못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대체로 피상적이다

나는 다른 사람을 아무렇게나 막 대한다 그래서 쉽게 화를 내서

갈등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나는 다른 사람과 갈등을 겪을 때 이를 쉽게 해결한다

나는 가능하면 조화를 이루고 싶기 때문에 비그리스도인 친구 앞

에서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것을 억제한다

나 소그룹 리더교육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먼저 전체 프로그램 내내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할 소그룹

의 리더들을 세우는 것부터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 기본적인 신앙이 제대로 세워져

있고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진 소그룹리더를 선발하고 교육하는 일의 전체

관계학교 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교육의 많은 부분

이 소그룹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소그룹 인도자의 훈련이 선행되어

야 한다 4단계로 진행하며 그 내용은 성경적 이해 인도법 문제해결 요령 리더의 중

요성과 자질의 순서로 구성해 본다 각 차시들을 구성할 간략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

85

소그룹리더를 위한 교육에서 첫 번째 차시는 소그룹의 기원에 대하여 구약과 신

약 성경의 내용을 통해 이해하는 시간이다

먼저 구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습은

1 창세기 218~25 본문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지으신 뒤 가정이라는 소그룹

을 만드시는 장면인데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을 좋지 못하다하시며 관계의

시작점을 만드시는 내용이다 최초의 가정 소그룹을 만드신 분은 하나님

이시다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소그룹의 일원으로서 하와를 지으신 뒤 어

떻게 하셨는가 그리고 아담은 하와를 보고 어떻게 반응했는가 아담에게

로 데려가셨고 하와를 극찬으로 반응하였다

2 소그룹은 인간 공동체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이다 본문에 기록된 결혼

원리를 통해서 소그룹은 하나님께서 설계하신 창조물임을 보게 된다 이

것이 구약성경에 나타난 인류 최초의 소그룹이다

3 출애굽 후 모세의 장인 이드로의 제안으로 시작된 천부장 백부장 오십부

장 십부장 형태 또한 구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델로서 힘든 광야

생활에서 백성들의 결속과 관계의 효율을 추구하였던 예가 된다

이어서 신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전형적인 모습은

4 예수님께서 직접 뽑아서 훈련하고 파송한 열두제자 소그룹이다 예수님의

지상사역은 결국 열두 제자를 부르시고 그들과 함께하신 이야기이다

5 사도행전은 성령강림으로 시작된 초대교회가 성전교회와 가정교회라는 이

중구조 안에서 진행되며 발전된 모습을 곳곳에 소개하고 있고 이 내용은

에베소교회와 로마교회의 시작인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의 가정소그룹의

배경을 기록하고 있다154)

두 번째 차시는 지도자의 자세와 소그룹 인도를 위한 내용이다

1 마태복음 23장 3~11절을 보면 예수님께서 당시 지도자적 위치에 있던

이들의 모습을 거울삼아 제자들을 가르치는 부분이 나오는데 우리가 선생

님(랍비) 혹은 지도자라 불리기를 즐겨하지 말라고 가르치신다 그 이유

154)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17

86

는 우리는 모두 다 한 아버지 아래에서 한 형제이며 지도자는 한분 오직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이라고 말씀한다 또한 올바른 지도자는 섬김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이다 예수님이야말로 이러한 섬김의 모범

을 보이신 분이다(빌 26~9 참조)

2 소그룹의 인도는 준비단계 성경공부 개인적인 적용과 나눔 기도라는 4

단계로 구성된다 시간도 최장 2시간이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잘 들어주기 관찰하기 정리하기 본이 되기 집중하기 성령

충만함을 구하기의 몇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155)

3 이와 함께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모임을 미리 계획하되 그 계획한 것에

맞추느라 쫓기듯 진행하지 말아야 하며 흔히 생길 수 있는 잠시의 침묵을

당황하지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성령의 인도하심에 민감하며 반응하면서

각 사람들 하나하나를 존중하고 고무시키는 방향을 유지한다면 소그룹이

지향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함을 나눠본다

세 번째 차시에서는 소그룹을 이끌어 가면서 생겨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소그룹

지도자들이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대해 다루게 된다

1 흔히 생겨나는 문제로는 미묘한 파벌형성 흥미와 즐거운 모임에만 치우

쳐서 본래의 방향성을 상실하거나 때로는 소그룹 구성원들의 필요와 기대

를 어긋나서 소그룹이 운영되는 경우 등이 있다

2 이외에도 사람들의 모임이기 때문에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구성원들 간

의 대인관계의 어려움이라든지 지도자가 훈련과정에 있을 때의 비효과적

인 지도력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3 이러한 문제에 대한 최선의 반응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든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마음을 이끌어내야 한다

4 그리고 언제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인 모임의 기본 규칙으로서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마칠 수 있어야 한다 중간 중간 제기되는 논쟁의 불씨

가 될 수 있는 토론을 회피하는 기술도 필요하다 일단 문제가 발생한다

155)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35

87

면 다음 자리를 기약하지 말고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그 자리에서 처리해

야 한다

3 사람은 문제의 해결을 통해 성숙하는 것처럼 소그룹 또한 문제를 잘 다루

고 지혜롭게 처리해낸다면 이후보다 소그룹 전체가 성숙됨의 자리로 나아

갈 수 있음도 주지해야 할 내용이다156)

4 소그룹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중 가장 빈번한 것이 서로의 기질의 차

이 비교의식 신앙스타일의 상이함으로 유발되는 갈등상황이다 현세대를

lsquo갈등회피세대rsquo라고 부르는 이들이 있는데 갈등은 피할 것만이 아니라 온

유한 언어의 사용과 용서 그리고 믿음의 기도를 통해 극복된다면 그 잠

재적 유익은 소그룹의 결속에 강한 촉매제가 된다157)

네 번째 차시에서는 데살로니가전서 2장 5~12절 말씀을 묵상하면서 믿음의 지

도자에 대한 구체적인 실례를 나누어본다

1 7절과 11절 말씀을 통해 소그룹 지도자가 추구해야할 모습은 유순함과

더불어 7절에서 예로 든 lsquo유모가 자녀를 위해rsquo 헌신하는 모습처럼 구성원

들을 대할 수 있는 존경받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개발해 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소그룹에서 리더는 그 모임이 나아가야할 미래의 모습을 제시하고 구성원

들을 함께 성장시키며 최종 목적을 이루어 갈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자질

과 능력을 한데 모으는 역할을 감당한다

3 이를 통해 얻어낸 결과물을 함께 구성원들이 누릴 수 있도록 배분하는 역

할도 감당하게 된다 그래서 소그룹은 지도자의 모습만큼 자라날 수 있기

에 지도자는 소그룹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해내야 한다158)

4 이러한 소그룹 지도자에게는 부르심에 대한 확신과 함께 몇 가지 자질을

갖추도록 해야 하는데 성숙된 신앙인으로서 늘 주님과 가까이 하는 삶을

살아야하고 사랑 중심의 성품을 개발시켜야 하고 자신의 부족함을 잘 살

156)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1157) Jimmy Long IVF자료 개발부 편역 소그룹리더핸드북 (서울 IVP 1996) 121158)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7

88

펴 늘 겸손함으로 노력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

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구성원들이 스스럼없이 말할 수

있도록 이끌며 혼자만의 지도력이 아닌 함께 일구는 팀워크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자질이 요구된다

이상은 관계학교를 진행하면서 4~5명 정도로 편성될 소그룹을 이끌어갈 리더들

을 위해 말씀을 중심으로 소그룹을 인도하도록 하기 위한 간단한 교육 내용이다 소

그룹 리더의 경우 일단 기본적으로 신앙에 대한 연륜이 되어있어야 하며 관계학교를

이끌어가는 목회자와 계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 전반에 대한 상황을 그때그때 전

달할 수 있도록 지혜로움을 배양시키는 훈련은 필수적이다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양적성장을 기준으로 한 건강한교회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지금까

지의 문제제기와 신학적 연구를 거쳐 실제 목회현장에서 대안으로 제시해볼 수 있는

관계학교에 대한 개략적인 교육내용을 제안하려 한다 전술한 것처럼 이 프로그램은

주로 성경본문을 강의의 주된 내용으로 삼고 거기에 동기유발 질문과 적용과 나눔의

시간을 통해 교육생들이 관계에 대한 지평을 넓혀가는 과정으로 구성해 보았다 학교

라는 명칭이 갖는 일정수준이상의 성취가 객관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각 차시의 마

침에서 확인질문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소그룹 활동을 통해 진솔한 대화가 나누어지도

록 진행하는 요령이 필수적이다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총

10주에 걸쳐 소그룹편성으로 진행된다 강의 내용은 시작단계에서는 그동안 자기 안

에 있던 관계의 문제들 교회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단절과 갈등 속에서 제대로 반응

하지 못했던 자기 모습을 돌아보면서 관계에 대한 훈련이 필요함을 인정하는 단계로

부터 시작해서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의 이웃들 그리고 가장 가까이에 있는 가족들

과의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가르침을 함께 학습하며 토론 나눔 격려를 통해 9주를

학습한 뒤 마지막 10주째에는 이 모든 가르침을 통해 이루어야 할 건강한교회는 결국

사명공동체로서 세상 속에서 전도와 선교의 삶을 섬기는 자로 살아가도록 서로에게

89

도전함으로써 마무리를 짓게 된다

1 교육 과정 편성

이처럼 전체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차시별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서 서술하고자 한다

2 성취기준

관계학교를 통해 이루어가고자 하는 전반적인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다

l 좋은 관계는 당연한 것이 아닌 노력을 필요로 하는 열매인 것을 배운다

l 건강한 관계는 모두 하나님과의 건강한 관계를 맺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한국인에게는 쉽지 않은 자기 개방의 활동을 통해 성도들과 좋은 관계를 시작할 수

있다

l 갈등은 중요한 전환점을 위한 생산적 과정으로 여기고 관리를 통해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나갈 수 있음을 배운다

l 그리스도인이 세상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의 모델을 배운다

l 관계의 황금률이라고 불리는 마태복음 7장 12절에 대해 배운다

l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을 통해 건강한 관계를 배울 수

있고 세대를 넘어 전수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건강한 가족관계야 말로 건강한교회 공동체를 위해 이 시대에 가장 절실한 과제인

것을 확인하고 배운다

대주제(영역) 관계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

소주제

(핵심개념 또는

학습주제)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 각 영역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발견하기

일반화된 지식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

중점 함양 역량 상호이해와 의사소통 그리고 개방성의 증대

90

3 차시별 강의계획

이어서 10차시로 구성된 관계학교의 각 차시별 학습내용을 표로 구성해 보았다

구분 차시 영역 주제 기능 성취도평가

건강한

교회를 위한

도움

주제

발견1

관계안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고

인정하기

시작하기 자기평가 자기이해

주제

학습

2

하나님과

의 관계

복음과 믿음으로 시작된

하나님과의 관계

정체성수

립소그룹활동

구원의

확신

3 하나님의 친밀감을 통해

애착관계 형성하기수용하기 자기평가 신앙의 성숙

4

성도와의

관계

용납과 용서 표현하기 소그룹활동

열린

공동체로의

나아감

5 갈등관리 조절하기 소그룹활동내부

갈등해결

6

세상과의

관계

의사소통 낮아지기 자기평가외부지향적

당위성부여

7대접받고 싶은 데로 먼저

대접하기대접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이웃사랑의

실천

8가족과의

관계

타인이해를 통해 가족

이해하기이해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서로의

차이를

이해

건강한 가족 속에서 관계의

완성실행하기 소그룹활동

건강한

가족공동체

주제

적용9

주제

실천10 실천 섬김과 돌봄 반복하기 실제 활동 재생산

표 3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91

4 진행상 유의점

l 학교라는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예습과제와 복습과제를 충실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동기를 부여한다

l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과 경험을 고려하여 강의자의 일방적인 흐름이 아닌 학습

자의 나눔을 통해 교육이 더욱 풍성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교육적 요소들을 잘 활용하되 성경적인 배경과 범위 안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l 각 차시마다 실천과제를 두고 적절한 확인을 통해 교육기간동안 자신 안에 일

어나는 관계의 변화를 서로가 확인해 주며 체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각 시간마다 나누어지는 간증과 나눔에 대해 철저하게 교육생 내에서만 비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강조를 반복한다

5 본시 강의의 설계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관계학교 강의가 시작되기에 앞서 참가학생들과의 개별적인 면담이나 주변 지인

을 통해 해당자의 관계에 대한 사전지식을 평가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정도로 구성되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전체 진행에서 교육의 내용을 조절하고 특별히

관심이 집중되어야 할 참가자를 구별하여 함께 기도함으로써 참가학생들에 대한 실태

분석과 강의 방법을 선정해 볼 수 있다 아래는 그 내용과 방법이다

구분 조 사 내 용 상 중 하 실태분석 및 교육방향

지식

건강한교회를 위해 요구되

어지는 것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일반 성도들과 지역사회

참가자들로 구성된 교육

생의 관계에 대한 이해

도를 파악하고 그에 적

절한 수준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내용과 깊이

의 정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한다

경험 관계에 대한 교육이나 훈

련을 받아본 적이 있는가

필요

자신의 삶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관계들의 목표는

무엇인가

92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한 주간 중 정한 요일에 서로가 약속한 시간을 통해 1차시씩 10주 단위로 시행

되는 본시 강의의 시작은 먼저 차시별 목적을 제시하고 이후 도입부에 10분정도의 찬

양 간식 간단한 레크레이션의 순서를 배치한다 어느 정도 교육생들의 집중이 이루

어지면 지난 한 주간동안의 자신의 삶을 나누면서 마음을 여는 시간을 갖는다 이후

활동 내용은 먼저 탐색하기 과정으로 동기유발과 탐구하기 시간으로서 주제에 대한

이론적 교육이 이루어진다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다과를 나눈 뒤 제시된 내용에 대

해 자신에게 어떻게 적용해 볼 것인가를 소그룹 단위로 함께 고민하며 나누는 시간을

진행한 뒤 차시별 평가의 방법으로서 진행된 강의에 대한 만족도와 자신의 삶에 어떻

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그 동안의 개념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등을 묻는 설

문 평가를 진행하고 개인 상담이 필요한 경우도 질문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마

치면서 다음 차시에 대한 예습질문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함께 주제에 적합한 찬양

을 하면서 기도하는 것으로 각 차시가 구성된다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1) 관계 안의 나

하나님께서는 창조의 과정 속에서 마지막으로 사람을 창조하실 때 아담 홀로 만

드시지 않고 하와를 만드시며 더불어 동역할 수 있도록 하셨다 이는 인간이 기본적

으로 무리를 지어 사는 존재임을 피력한 것이다 인간은 아무도 혼자 살 수는 없다

우리는 도움이 필요한 인간이다 우리 인간은 아무도 다른 사람과의 사랑과 친함이

필요 없을 정도로 강하지 못하다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어머니에게 의존한다 우리는

lsquo나rsquo이기 이전에 이미 lsquo우리rsquo인 것이다 그리하여 상당한 의존이 이루어지고 충족된 후

에 자동적으로 밖으로 탐험을 하기 시작한다 이때 우리 자신의 한계를 배워감으로

도움이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 계속되는 삶의 여정에서 성공을 하든지

독립적이 되던 간에 우리는 여전히 도움이 필요한 존재임을 알아가게 된다159) 이 차

시에서는 중심성구인 창조 때 하나님의 아담의 모습에 대한 판단을 시작으로 인간은

관계 속에 사는 존재임을 함께 나누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59) John Bradshaw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23

93

차 시 제 1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관계 안의 나 토론형식 질의답변 및 자율토론

중심성구 창세기 218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강의목표 우리는 관계 속에 살도록 창조되었음을 이해한다

강의주제 나는 다른 사람이 필요합니다 나도 다른 이들에게 필요한 존재입니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속한 직장(학교 교회) 안에서 나와 진정성 있는 관계를 찾아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현대는 혼밥 혼여 혼영과 같은 개인주의 문화가 극

도로 팽배해져 있습니다교회 안에서도 서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관계가 점

점 사라지고 있습니다하나님께서는 홀로 살아가는 것을 싫어하십니다

현대 문화에

대한 통계

PPT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롬 125 이와 같이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히 1025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더욱 그리하자

전 49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빌 24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전 412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요 1335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

l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었

습니다

l 그리스도 안에서 자꾸 모이는 것을 하나님께서 기뻐하

십니다

l 어려운 시간들이 다가올 때 혼자보다 함께 나눔으로써

그 짐을 가볍게 할 수 있습니다l 우리가 서로 사랑하고 돌보는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 땅에 보내신 사명입니다

94

(2) 복음과 믿음

이번 차시의 교육목표는 본 단계를 통해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의 복음

에 대한 믿음을 재확인하고 구원사건이 하나님과의 관계의 시작인 것에 대하여 함께

나누고 이를 통해 모든 회복된 관계의 시작이 어디에서부터여야 하는지를 규명한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차 시 제 2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복음과 믿음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구원확신에세이

중심성구로마서 815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짖느

니라

강의목표 복음과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자녀 됨의 관계가 회복되었음을 배운다

강의주제 모든 관계의 회복은 하나님과의 회복에서부터 시작된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복음제시 영상

예습적과제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이 있는지 그 순간이 언제였는지를

생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왜 우리에게 예수님이 필요한가구원받은 삶이란 어떤 삶인가우리가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

는 무엇인가

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을 다시

점검하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창 217 선악을 알게 하는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롬 310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요 316~17 독생자를 주셨으니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요 524 내 말을 듣고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구원 얻는

복음에 대해

성경말씀을

통해 다시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살면서 다른 이들의 도움이 간절히 필요했던 순간이

있습니까

주변 사람들 중에 나의 도움이 꼭 필요한 사람이 있

다면 누가 있을까요

정직성과

비유지에

대해

주지시키기

95

(3) 하나님과의 친감

믿음은 동적이며 관계적이다 현상유지가 아닌 변화를 추구하며 하나님과의 아들

됨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믿음이란 하나님의 아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매일

매일 하나님을 추구하는 삶이며 그것이 가능해졌음을 세상 앞에 말씀으로 보여주신

것을 우리는 복음이라 부른다 믿음이란 결코 일방적일 수 없으며 단독으로 사용되어

지는 종류가 아니다 믿음이란 대상과 주체를 이어주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믿

음을 지적인 앎과 고백에서 더 나아가 믿음의 대상이 되는 하나님과 회복된 영원한

관계 안에 있음을 인정하고 누리는 것이다161) 이상 Leonard Sweet의 언급처럼 하나님

과의 친감으로 더욱 나아가야 함을 이 차시를 통해 학습하게 된다

160) Sweet 관계의 영성 51161) 김영선 관계신학 55

학습

정리

얻으리라

행 1631 이르되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 하고

고전 1652 나팔소리가 나매 죽은 자들이 우리도 변화되

리라

계 225 다시 밤이 없겠고 세세토록 왕노릇하리로다

창156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

로 여기시고

l 우리 모두는 죄악으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입니

l 자기의 힘으로 죄악을 극복하거나 죽음의 굴레를 벗을

수 있는 이는 없습니다l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자로 고백할 때 우리

자신 뿐 아니라 가정 가운데에도 영생이 임하게 됩니다

l 마지막 때에 우리 모두는 신령한 몸으로 변화되어 세세

토록 예비하신 본향에서 완전한 영생의 삶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l 아브람의 믿음은 기대고 맡기며 의지하는 것을 의미한

l 기독교의 목적은 사람들이 믿음을 갖도록 하나님과 예

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회복된 관계를 갖도록 하는 것

이다160)

확인하며

혹시 미비한

부분들은

없는지

개인적으로

점검하는

시간을

갖는다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예수님을 믿고 구원의 은혜를 받은 뒤 나의 삶은 어

떻게 변했습니까서로가 자신의 구원 간증을 나누며 구원이후 하나님

과의 관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확인해봅니다

96

차 시 제 3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영적 친감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요한복음 423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이렇게 예배하는 자

들을 찾으시느니라

강의목표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의 깊은 친함 속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과 사귐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자신의 예배생활(공예배와 개인예배)을 돌아보기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을 영으로 예배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진정한 예배를 드릴 때 우리 안에 어떤 일이 일어납니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신 277 또 화목제를 드리고 거기에서 먹으며 네 하나님 여

호와 앞에서 즐거워하라

대하 71 솔로몬이 기도를 마치매 번제물과 제물을 사르고

여호와의 영광이 그 성전에 가득하니

대하 2930 히스기야 왕이 여호와를 찬송하게 하매 몸을굽혀 예배하니라

롬 325 이 예수를 화물제물로 세우셨으니눅 2219 감사기도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내 몸이

라 나를 기념하라벧전 25 너희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신령한 제사

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

l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의 관계로 나아간다

l 예배 가운데 하나님의 임재가 있다

l 예수님께서 영영한 화목제물이 되셔서 우리를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케 하신다

l 우리는 예수님을 덕입어 하나님 앞에 나아가 그분을 만

나며 더불어 사귐의 자리로 나아간다

ppt 자료

성막제사

예배에 대한

영상물

97

(4) 용납과 용서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성도들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멀리 있을 때와는 전혀

다른 상대방의 진면목을 보게 된다 그때 우리는 관계가 더욱 깊어지는 경험보다는

실망과 서로 다름에 대해 배타적인 타인과 자신의 모습을 피할 수 없다 게다가 연약

한 우리는 필수적으로 말과 행동에서 실수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다 이때 닫힌 관계

를 푸는 열쇠가 있는 데 그것은 용서이다 깨어지고 멀어진 관계를 회복하려면 용서

의 기술이 필요하다162)

용납은 공동체의 삶에 특별히 중요하다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는 부득불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이는 결국 여러 가지 면에서 너무나도 다른 상대방을 참아내야

하는 상황이 생기게 마련이다 게다가 우리에게 죄를 범하고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이들을 대할 때 용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가 하나님께 잘못한 일에 대하여

무지하거나 완악하여 인정하지 않을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용납하고 기다려 주신

다163) 이 차시에서는 성도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적극적인 실천과 상대방과 나의 다른

면 상대방이 가진 부족한 면을 받아들이는 용납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162) 김영선 관계신학 309

163)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353

l 예배가운데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며 찬송 말씀과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더 깊이 알아가며 우리의 모

습을 고백할 수 있다

탐 구

활 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하나님께 대한 예배를 통해 우리는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게 하신다

주제상황 마 524 예물을 제단 앞에 두고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자기 체험을

나누어보기

차 시 제 4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용납과 용서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토론

중심성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강의목표 용서와 용납의 차이를 이해하고 성도들 간의 관계에서 실천할 수 있다

98

164) John Bevere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204

강의주제 용납은 약함에 대한 이해이고 용서는 악함에 대한 이해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습적과제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내가 용서받은 죄의 목록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과거에 누군가로부터 크게 용서받아본 적이 있는가

내게 잘못한 것이 명백함에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상

대방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

용납과

용서를

주제로 한

찬양활용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마 1820~35 두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몇 번이나 용

서하여 주리이까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형제를 용서

하지 아니하면잠 1911 노하기를 더디 하는 것이 사람의 슬기요 허물을

용서하는 것이 자기의 영광이니라

엡 432 서로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그리스도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

고후 111 원하건대 너희는 나의 좀 어리석은 것을 용납하

라 청하건대 나를 용납하라

l 하나님께서 주신 용서를 경험한 우리는 타인을 용서할

수 있어야 한다l 두세 사람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일 때 그 가운데 예수

님께서 함께 해주시겠다는 말씀 뒤에 나오는 일만 달란

트 빚진 자의 비유는 우리에게 성도간의 용서에 대한 중

요한 메시지를 주고 있습니다164)

l 상대방의 허물을 용서하는 것은 자신을 위한 일이기도

합니다l 서로의 연약함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용납하는 것은 공동

체를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일만 달란트

빚진 자와

일백

데나리온

빚진 자의

스토리를

역할극으로

구성해보기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용납과 용서는 어떻게 다릅니까

자신을 세 번이나 부정한 베드로를 예수님께서 대하셨던

모습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있나요

소그룹별로

나누기

99

(5) 갈등관리

이 차시에서는 관계 속에서 원하시는 하나님의 의도를 성경을 통해 살펴보고 그

럼에도 늘 끊임없이 생겨나던 성경 속의 갈등 문제를 어떻게 다루셨는지를 함께 공부

하면서 참가학생들 안에 있는 갈등의 문제를 다루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 시 5차시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식 배열

단 원 갈등관리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토의

중심성구 마태복음 59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강의목표교회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상황을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을 통해 공동체의 견고한 연합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갈등은 더욱 깊은 관계로의 디딤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교회생활에서 가장 어려운 순간은 언제인지에 대해 고민해보기

과정

(시간)

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시편 3412~14 잠 171 마522~24을 통해서 볼 때 화

평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많은 갈등상황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민202~13 막 933~34 약41~2 행151~35

갈등은 왜 일어납니까

성경본문 들

에 대한 ppt

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다툼과 갈등이 일어나면 당신은 어떻게 반응합니까

l 모세는 (민 202~13)

l 예수님께서는 어떻게 하셨습니까 (막 933)

l 야고보사도는 (약 41~2)

l 초대교회에서는 (행 151~35)

사도행전 1536~41

초대교회에는 많은 갈등이 있었지만 그 속에서도 순기능이

나타나서 오히려 복음의 확대가 있었습니다

l 갈등에 대해 공부하고 훈련하십시오

l 갈등을 피하지 말고 긍정적으로 여기십시오

ppt자료

중간 중간 각

개인의 의견

도 들어보기

100

(6) 의사소통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성경이 성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의

핵심이다 그런 면에서 성도는 이웃사랑에 대한 피할 수 없는 도전 앞에 서 있다 성

도들이 맺고 있는 모든 관계는 의사소통을 통해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의사소통이 부재하면 관계가 깨지며 관계가 계속해서 발전하려면 의사소통을 충분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의사소통은 쉽지 않다 의사소통은 과학이 아니라 예술에

가깝다 관계에 있어서 건강한 의사소통은 기계적이고 직접적이기 보다는 의미의 섬

세한 묘사와 차이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65) 그렇기 때문에 성도가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에 그 모든 관계에 있어서 신뢰라는 기초 위에 세워져야 하며 마음

이 담겨 있어야 하고 또한 정직해야 한다 위와 같이 세상과의 건강한 관계를 세워

가는데 있어서 신뢰의 기반이 되는 의사소통 문제를 이번 차시에서 다루게 된다

165) Tom Holladay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150

차 시 제 6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의사소통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나눔

중심성구 잠언 1820 사람은 입에서 나오는 열매로 말미암아

강의목표 의사소통에 있어서 개방적이고 명확하며 세한 방법들을 학습한다

학습

정리

l 갈등을 기회로 승화시키고 관리하십시오

l 그리스도를 본받고 본을 보이십시오

l 도저히 해결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떠나는 것도 지

혜입니다

토의

상호

피드

소그

룹별

토의

실습

소그룹별로 한 주제상황을 설정 후에 서로 자유로운 토의

를 거친 후 전체발표를 통해 다른 소그룹의 피드백을 확인

해봅니다

주제상황 1 행 61~7 헬라파 유대인들의 불평

주제상황 2 몬 111~18 빌레몬과 오네시모의 갈등

소그룹리더의

적절한

토의진행에

유의

101

강의주제 지혜로운 의사소통은 관계와 전도의 핵심요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개인체험간증

예습적과제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타인의 견해를 들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질문

가까운 누군가와 제대로 된 대화를 나누어본 것이 최근

언제인가

우리의 언어생활이 늘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는 무엇이

라고 여기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마 537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

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

을 알리라

약 119 너희가 알지니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

기는 더디하며잠 1727 말을 아끼는 자는 지식이 있고

l 의사소통의 기본은 거짓을 피하고 정직함을 타협하지

않는 것이다l 때론 침묵보다 뭔가 시도하는 것이 지혜이다

l 말하기보다 잘 듣는 경청의 태도가 필수적이다

l 누군가와의 의사소통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이다

탐구

활동

정리

의견

나눔

통해

정리

하기

예수님께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신 적절한 방법

들의 예를 성경에서 찾아보자

질문 ldquo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rdquo 비유 ldquo천국 씨뿌리기rdquo 만져주심

102

(7) 먼저 대접하기

황금률은 사랑의 진정한 본질을 보여주는 공용 언어이다 사랑은 다른 사람에게

받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냥 주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것은 앎과 행동 사이가 쉽

지 않으나 우리의 불완전함 때문에 포기할 수 없는 세상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우리의

모습이다166) 세상에 대해 우리의 필요를 채우려는 마음을 뒤로 두고 먼저 세상의 필

요를 채워주는 이들이 많아진다면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차시

에서는 교회가 어떻게 세상의 필요를 채워주고 더 가까워질 수 있는지를 배워나갈 것

이다 그 시작은 마태복음 7장 12절 말씀인 황금률에서부터 비롯한다 그 대략적인 내

용에 대해 다룰 이 차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66) Tom Holladay 양영선 역 사랑으로 가꾸는 삶 315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먼저 대접하기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누가복음 631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강의목표 이웃사랑의 실천은 적극적으로 다가가서 먼저 대접하는 삶임을 배운다

강의주제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은 대접하고 섬기는 모습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시영상

예습적과제 이웃에게 먼저 다가가서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기를 시도해 본다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복음을 전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가요

이웃과의 관계를 이끌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규칙은

무엇일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롬 58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우리를 위하여 죽

으심으로눅 635 오직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고 선대하며요 1315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103

(8) 타인이해

이번 차시에서는 타인을 이해하기 위한 성경적인 시도로서 lsquo긍휼rsquo에 대한 내용을

제시해 보려한다 그동안 살아온 삶의 히스토리가 전혀 다른 존재를 이해한다는 것은

제한된 지혜안에 있는 성도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에 앞서 성도들을 향해 세상

을 향해 하나님의 한결같은 마음이신 긍휼함을 품는 다면 타인이해에 한 발짝 더 나

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간략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타인이해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유다서 12 긍휼과 평강과 사랑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 지어다

강의목표 이웃을 이해하고 그들을 사랑할 수 있는 존재로 나를 지으셨음을 안다

강의주제타인을 받아들일 수 없는 우리가 이해하는 길은 그들을 긍휼히

여김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학습

정리

마 540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까지도 가지게

하며

요일 418 사랑 안에 두려움이 없고 온전한 사랑이 두려움

을 내쫓나니

l 우리는 자격이 없을 때 사랑을 받았음을 기억해야합니

l 희생적인 사랑으로 세상에 그 모습을 내보여야 한다

l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 우리는 예수님의 모범을 기억해

야 합니다

l 소유보다 사람에게 더 높은 가치를 두는 것이 이웃사랑

이다

l 세상을 향한 우리의 태도는 빚진 자로서의 섬김입니다

탐구

활동

정리

토론

나눔

으로

정리

하기

오늘 내가 먼저 필요를 채워 주어야 할 대상이 있다

면 누구일까요

내가 아니면 그 사람에게 도움을 베풀 수 없는 이웃

이 옆에 없는지 찾아봅시다

104

(9) 건강한 가족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한 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가장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 대해 백문백답을 만들어서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나와 생각이 다른 이들을 나는 어떻게 대하고 있는

가정 직장 학교 교회에서 나는 왜 타인을 수용해야

하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출 3319 은혜 베풀 자에게 은혜를 베풀고 긍휼히 여길

자에게 긍휼을 베푸느니라

잠 1012 미움은 다툼을 일으켜도 사랑은 모든 허물을 가

리느니라

잠 1429 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크게 명철하여도 마음

이 조급한 자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느니라

잠 1917 가난한 자를 불쌍히 여기는 것은 그의 선행을

그에게 갚아주시리라

행 436일컬어 바나바라(번역하면 위로의 아들이라)하니사 423 상한 갈대를 꺽지 아니하며눅 2251예수께서그 귀를 만져 낫게 하시더라

요일 47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l 하나님께서는 아무 자격이 없는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

셨다

l 타인을 향한 하나님의 명령은 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l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만져주심으로 이해하셨다

l 이해보다는 사랑이 먼저이다

l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긍휼이 필요한 존재이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가족들이 서로를 사랑하면서도 자꾸만 다툼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나를 통해 속한 공동체가 서로를 이해하

는 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105

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건강한 가족은 결국 건강한 가족관계에서 출발한다 이

차시에서는 성경에서 말씀하는 동등성을 기반으로 한 부부관계에 대해서 배우게 된

다 사실 부부관계훈련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이 과정만을 따로 떼어서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포괄적으로 다

루기 때문에 깊이 있는 학습보다는 넓게 다루되 심화과정을 따로 개설하는 것이 효과

적일 것이다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 이어서 다루게 된다

차 시 제 9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건강한 가정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나눔

중심성구잠언 171 마른 떡 한 조각만 있고도 화목한 것이 제육이 집에 가득하고도

다투는 것보다 나으니라

강의목표 가족 구성원의 상호헌신을 통해 건강한 가정을 이루어감을 안다

강의주제 건강한 가정을 이루는 것은 성경적인 인간관계를 세우는 주춧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성경 속에 나타난 가족들의 특징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자기가 속한 가정의 모습에 아쉬운 부분은 없나요

나는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미 76 아들이 아버지를 멸시하며 사람의 원수가 곧 자기

의 집안 사람이리로다

엡 521 그리스도를 경외함을 피차 복종하라

잠 1822 아내를 얻는 자는 복을 얻고 여호와께 은총을 받

는 자니라

엡 533 그러나 너희도 각각 자기의 아내 사랑하기를 자신

같이 하고 아내도 자기 남편을 존경하라

잠 1632 노하기를 더디하는 자는 용사보다 낫고 자기의 마

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나으니라

잠 2325 네 부모를 즐겁게 하며 너를 낳은 어미를 기쁘게

106

(10) 섬김과 돌봄

10주간의 관계학교를 마무리하면서 이번 차시에서는 성도들의 사명적 과제인 세상

을 섬기는 삶에 대해 다루려 한다 모든 관계의 문제는 결국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

서 모범을 보이신 것처럼 섬김의 삶에서 종결된다 성도들 또한 모든 관계라는 상황

가운데 섬기는 자로 부름 받았음을 도전함으로써 모든 차시를 마무리 지으려 한다

학습

정리

하라

잠 243 집은 지혜로 말미암아 건축되고 명철로 말미암아

견고하게 되며

l 가정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작은 하나님 나라이다l 말세의 때에 가정을 향한 영적인 공격이 극에 달하고

있다l 가정의 건강성은 가족들 개개인 모두가 자기 역량에 따

른 헌신을 감당해내는가를 통해 결정된다l 너무 쉽게 분노와 다툼에 자신을 내어주는 모습을 돌아

보아야 한다l 가족을 위한 지혜는 하나님께로부터 나온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우리 가정은 함께 예배하는 시간이 있는가

우리 가족은 서로에 대한 헌신의 정도가 어떠한가

차 시 제 10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섬김과 돌봄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사명에세이 작성

중심성구빌 22~4 마음을 같이하여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강의목표 우리는 하나님 세상 성도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기는 사람임을 안다

107

강의주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관계는 주께 하듯 섬기는 관계이다

관계요소

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섬기는 분으로 이 땅의 삶을 사셨던 예수님을 묵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 세상 성도와의 관계에서 어떨 때 가장 평안

한 마음이 들던가요

주께 하듯 섬긴다는 말은 어떤 뜻인가요

강사 자신의

체험을

나눠보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벧전 38 형제를 사랑하며 불쌍히 여기며 겸손하며롬 1216 서로 마음을 같이하며 도리어 낮은 데 처하며잠 1717 형제는 위급한 때를 위하여 났느니라

고전 135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롬 152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빌 127 오직 너희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

라골 323 무슨 일을 하든지 주께 하듯 하고엡 67 기쁜 마음으로 섬기기를 주께 하듯 하고 사람들에게

하듯 하지 말라

l 형제를 불쌍히 여길 때 그를 사랑할 수 있습니다l 우리의 마음을 겸손히 할 때 섬길 수 있습니다l 어려운 상황에 있는 이웃을 더욱 돌보아야 합니다l 우리는 서로를 섬기도록 지음 받았습니다l 주께 하듯 형제를 사랑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l 건강한 관계는 나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상대방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길 때 성취할 수 있습니다

말씀 본문

PPT영상준비

각각의

소주제에서

강사의

전달보다

학생들의

반응에 더

집중하기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관계 속에서 가장 힘든 때는 언제 인가요혹시 내 안에 아직도 이기적인 편견에 빠져있지 않을

까요오늘 내가 섬기도록 내 곁에 두신 사람은 누구인가

정직과

비유지에

대한

사전교육

108

이상으로 10주간의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내용의 개요를 제시해보았다 세부적인

내용은 교회마다 특성과 여건이 다르기에 그 상황에 맞추어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본

다 관계학교라고는 하지만 바쁜 현대를 살아가는 성도들의 모습을 감안하여 하나님

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10차시 정도로만

요약해 보았다 개별적으로 좀 더 깊은 내용은 추후 교회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진행

하면 되리라 여기며 여기까지 해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대략적인 개요 내용을 정리

하고자 한다

109

제 6 장

결 론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에서 한국교회는 시대적응에 실패한 모양새이다 이러한 현상

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들 중 하나는 기존 교회

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

의 외적인 요소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

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현실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의 유일한 소망이다 여타 다른

나라의 기독교 발전과 달리 한국 기독교는 짧은 순간에 급속한 수적 성장을 이루었는

데 급격한 변화에는 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처럼 한국 개신교 내부에서 교회를 이루

는 구성원으로서 각 개인 간의 거리가 너무 긴해지고 말았으며 이는 상대방을 충분

히 수용하고 이해하기에 중간에 필수적이었던 시간들을 생략하고 만다 결국 이는 교

회 내부에서 관계의 문제로 불거져 나오게 된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여전히 한국교

회는 양적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성을 확인하려 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시작된 이 논문은 지금까지 포스트모더니티와 모더니티의 사

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시작으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주장하는 4가지 이론들

을 살펴보았다 그 속에서 Anderson과 Macchia의 주장에서 발견된 관계적 특성을 교회

의 건강성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이를 위한 이론적 뒷받침으로 관계신

학을 살펴보았다 관계중심의 사역을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주장

하면서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이루어지는 관계훈련의 사례를 찾아보았는데 여기에

110

서 발견된 특징은 사후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중심 상담기법이 주로 사용되어짐을 발

견하면서 필자는 성경을 중심으로 하면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공부하는 것

을 통해 전도의 기회로도 활용 가능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안해보는 것으

로 본 논문을 진행해왔다

제한된 지면에 방대한 주제를 연구하다보니 아무래도 각 내용들이 심도 깊게 연

구되지 못하고 단지 관계학교라는 10차시의 과정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가벼이 지

나갈 수밖에 없었던 한계가 있음을 인정한다 또한 포스트모던이든 교회건강이론이든

관계신학이든 그 안에 담긴 내용은 훨씬 다양하고 여러 가지 한계에 대한 나름의 보

완책을 가지고 있지만 양적성장을 통해 건강한교회를 구분 지으려는 현 세태에 대한

비판을 강조하려 하다 보니 그러한 보완점을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다

제 2 절 제언

미래의 교회는 그동안 집중하던 사역지향의 틀을 넘어서 관계에 기초를 두는 공

동체로 세워져야 할 것인데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평가를 받으며 서로를 자랑

하며 서로의 성공을 축하해 주며 서로의 문제해결을 도와주며 서로를 칭찬해 주며

서로를 높여 주는 관계성의 개발을 그 공동체의 핵심가치와 목표로 하는 교회를 세우

는 목회가 이 시대에 절실하다 교회마다 그동안 성장과정에서 소홀히 되었던 부분으

로 인한 성장 통을 앓고 있고 거기에 최상위 리더십이 교체되는 시점에 그 문제는 불

거져 나와 결국은 분립의 길을 선택한 많은 교회의 예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고 세상을 아우르며 자신의 존재의미와 본질에 충실한 건강한교

회는 하나님과도 성도들과도 이웃과도 건강한 교회여야 할 것을 주장하며 이 논문을

마치려 한다

111

참고 문헌

1 국내 서적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김점옥 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신국원 문화이야기 서울 IVP 2002

______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최애경 인간관계의 이해와 실천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06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 2008년 1월호(통권

제589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112

2 번역 서적

Augustine(Saint) 성아우구스티누스 삼위일체론 김종흡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Bevere John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Bonhoeffer Dietrich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Bradshaw John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Calvin Joh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Clair Michael St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Clowney Edmund P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George Carl F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Gibbs Eddie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Hiebert Paul G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사람 2010

Holladay Tom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Kun Hans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Long Jimmy 소그룹리더핸드북 IVF자료 개발부 편역 서울 IVP 1996

Newbigin Lesslie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Richardson Ronald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_______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Robinson Dave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Schwarz Christian A 자연적 교회성장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2001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윤수인 역 서울 NCD 201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Stott John R W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113

Sweet Leonard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_______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Walsh Brian and Middleton J Richard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 외국 서적

Anderson Leith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15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92

_______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Grenz Stanley J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Guinnes O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Gunton Colin E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Klemm David Hermeneutical Inquiry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David Klemm

ed Atlanta Scholars Press 1986

Macchia Stephen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_______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Smith James K A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Wagner C Pet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_______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14

4 웹사이트

httpwwwwhointaboutmissionen세계보건기구헌장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groups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httprelationshipschoolcom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fn1-11529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115

Vita ofSeongBaek Park

Present PositionSenior Pastor of Grace-Truth Chruch in GwangJu South Korea

Personal Data

Birthdate 01201972Marital Status MarriedHome Address 12 SangmuDaero 263 GwangsanGu GwangJuPhones +82-10-2587-5579Denomination PresbyterianOrdained 10072008

Education

B A 2001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in PhysicsM Div eq 2007 Gwangshin Theological SeminaryTh M 2009 Gwangshin UniversityDMin 201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 Recommended Citation
      • vartmpStampPDFG81n_kR6vhtmp1568331363pdfQYYRp
Page 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ii

Abstract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Developing Church Health

in the Context of the Postmodern Korean ChurchSeongBaek Park

Doctor of Ministry2019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This paper argues for assessing church health on the basis of

relationshipsmdasha structural foundation of the churchmdashin contrast to a theory that

bases the health of a church on numerical growth even when viewing the church

as an organism The use of growing churches as the standard of church growth

scholars including natural church growth theorists cannot encompass the differing

situations of ministries and individual churches Various church reformation

movements point to the burden of proving church health in a saturated market of

an aging population as impoverishing church infrastructure Consequently the

current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requires churches to overcome the bias that

thinks a church that does not grow is not a healthy church Moreover postmodern

society pursues relativity and plurality which isolates individuals who ultimately

desire meaningful relationships This paper thus argues for the Korean church to

actively develop relationship schools that strengthen healthy relationships thereby

improving church health

Chapter 1 identifies the problem of church health in the Korean church

and chapter 2 describes qualities of a postmodern society and its beginnings in

modernity Chapter 3 then establishes relationship theology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aper and its argument In chapter 4 various church health theories

iii

centered on relationships are compared This examination of theories of existing

church health scholars leads to this projectrsquos theoretical basis of relationship

theology constructed on the thinking of two specific scholars

Cases of relationship recovery programs and characteristics of such

programs tried by the Korean Church are surveyed in chapter 5 The chapter goes

on to emphasize the need for a biblical relationship training program and then to

construct 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improving church health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by proposing a 10-lesson program for biblical relationship

development Chapter 6 concludes the paper ultimately arguing that relational

health as a core value of the church enabled by member training from a

perspective of relationship theology must be a new standard for measuring church

health Effectively running such a relationship school focused on relationships with

God the world and believers can improve church health via improved

relationships

Theological Mentors Jong Hun Joo PhD

Yea Sun E Kim DSocSci

Euiwan Cho PhD

iv

헌 사

이 논문을 아들을 위해 불철주야 기도로 지원해주신 어머님과 사랑하는 아내 그

리고 하나님께서 주신 최고의 선물인 예은 다윗 정은에게 바칩니다

v

감사의 글

오늘 이 날에 이르기까지 늦은 나이에 목회학박사 과정을 위한 도미를 허락해주

시고 이후에 귀국해서 멈출 수도 있었을 논문과정을 끝까지 마치게 인도해주신 하나

님께 먼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신약성경에 대한 탁월한 통찰을 통해 세속화되

어 가는 교회를 향한 안타까움 가득한 외침으로 깨어있는 목회자의 길을 몸소 보여주

신 김세윤 교수님 외롭고 어려운 유학 시절동안 부족한 목회자가 자신을 가두던 껍

질을 깨고 세상 앞에 당당히 설 수 있도록 보석 같은 개인상담의 시간을 통해 목회적

인 사고의 지평을 넓혀주신 엄예선 교수님 먼 나라를 오가며 분주한 사역 중에도 부

족한 목사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격려와 채찍으로 논문을 마치기까지 세심하게 지

도해 주신 주종훈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여러 가지로 모자라기 만한 아들을 귀히 여겨 주시고 항상 후원해 주신 어머니

와 힘들 때마다 따뜻한 위로자와 상담자가 되어준 사랑하는 아내와 내가 이 땅에서

감당해야할 첫 번째 사명이자 다른 모든 사역을 위한 발걸음에 힘을 더해주던 세 아

이들에게도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그 동안 많은 기도와 도움을 주신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많고 많은 교회

속에 개척이라는 길을 여시고 맡겨주신 은혜와진리교회가 관계라는 교회 존재의 기초

위에 더욱 건강한 교회로 자라나 많은 열매를 맺어낼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더욱 열심

히 헌신하겠습니다

2019년 2월 박 성 백

vi

목 차

제 1 장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1 해체주의 인간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2 상대주의 진리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다원주의 종교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4 극단적 개인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과학기술의 발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 자본주의경제의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4 모더니티의 위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vii

2 교회와 코이노니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1 하나님의 백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2 그리스도의 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3 성령의 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1 관계중심의 리더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4 가정 중심의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2 은사 중심적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3 열정적 영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4 기능적 조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9

5 영감 있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6 전인적 소그룹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7 필요 중심적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8 사랑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1 긍정적인 목회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viii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5 동질집단의 원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6 효과적인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7 성경적인 우선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2 제자 삼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3 영적은사의 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맺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절 Stephen A Macchia의 교회건강이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영적인 제자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다 교회들의 연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ix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1 온누리교회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2 뉴욕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3 웹기반의 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가 온라인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1 프로그램의 동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2 프로그램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x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3 프로그램 시행준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나 소그룹 리더교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1 교육과정편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2 성취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3 차시별 강의계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4 진행상 유의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5 본시 강의의 설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1) 관계 안의 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2) 복음과 믿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3) 하나님과의 친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4) 용납과 용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5) 갈등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6) 의사소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7) 먼저 대접하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8) 타인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

(9) 건강한 가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

(10) 섬김과 돌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

제 6 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2 절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

xi

참고 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1

Vit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xii

표 목 차

lt표 1gt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lt표 2gt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lt표 3gt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1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980~90년대를 지나면서 한국교회는 기록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어내었다 1910년

에만 하여도 한국 전체인구의 단지 1에 불과했던 개신교 인구는 고도 성장기를 거

치면서 전체 5천만 인구의 거의 20에 달하는 성장을 이루었고 수많은 대형교회들이

생겨났으며 바야흐로 한국 개신교의 전성기라 불리기에 충분한 시대였다 그러나 21

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 개신교는 정체되기 시작하였고 게다가 사회적으로 많은 비판

을 받게 되었으며 반기독교진영의 공격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그중 중요한 원인 하나는 기존 교회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의 외적인 요소

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

의 유일한 소망이다 산업화로 인하여 풍요해진 것처럼 보이는 세상의 이면에는 온갖

공해물질로 범벅된 자연환경의 오염과 이로 인해 야기된 각종 질병으로 인간의 육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를 비롯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되어가고 있

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질병과 가족들의 육신의 질고로 말미암아 건강에 대해 갈

수록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이 건강이라는 용어의 사용도 단순하게 인

간의 육신에 대한 표현에서 벗어나 정신의학의 영역 사회과학적인 영역 영적인 영역

에까지 그 사용 폭이 넓어져 가고 있으며 이는 결국 교회의 건강이라는 표현에까지

2

이르게 된다 이처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결국 그만큼 각종 분

야에서 많은 질병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만큼 각종 질병으로부터의 치료가 중요시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건강의 의미에 대하여 직관적으로는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

하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정의하면 소극적인 의미인 질병이 없음을 넘어서 각 개체가

가진 본연의 목적을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감당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

인 개념1)이다 이것을 교회공동체와 관련하여 다시 진술한다면 건강한교회란 교회 내

부의 질병이나 연약한 부분이 없이 모든 지체들이 물리적 관계적으로 온전한 상태에

있으면서 사회적으로 감당해야할 책무로서의 소금과 빛 됨의 역할을 다하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작금에 와서 교회의 건강은 늘 교회의 성장이라는 열매와 결부

시켜 표현되고 있다 교회의 건강지수를 조사하는 대부분의 기준들이 교회가 양적으

로 성장하고 있는가라는 결과를 통해서 판단되어 왔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수적

성장하지 않는 교회는 건강하지 않고 병들어있는 교회로 치부되고 마는 것이다

한국경제가 한창 발전을 하던 과정에서 사람들은 수적 양적인 요소들을 판단의

근거로서 최선이라 여길 수 있었지만 이러한 세속적 세계관이 교회 내에도 여과 없이

반영되어 교회조차도 숫자를 판단의 주된 요인으로 삼는 오류를 범하게 된 것이다

왜 사람들은 숫자를 통해 진리를 판단하려 드는 것인가 이는 다른 요인들과 달리 가

시적이며 객관적인 근거로의 활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기에 계산하는 것

이 쉽지 않을지라도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건강의 진정한 본질적 요소들

에 집중해야만 할 필요가 있다

lsquo교회 성장rsquo과 함께 lsquo교회건강rsquo을 강조하게 된 데에는 전통적인 교회성장에 대한

생각들이 지나치게 기계적인 수적 성장을 강조하는 것에 반기를 든 모양새이다2) 그

러나 이렇게 등장한 lsquo교회건강rsquo에 대한 이론들조차도 결국은 lsquo성장하면 건강하다rsquo라는

개념과 같이 숫자의 함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lsquo건강하면 성장한다rsquo라는 논리로 확대

적용되어 교회의 건강이 마치 양적 성장을 위한 기본 전제이어야 하는 것처럼 받아들

여지게 되었다 즉 교회의 건강성을 수적 성장의 여부로 판단하게 되어버린 것이다

특별히 한국교회에서 많이 활용되어 온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자연적교회성장

1) 세계보건기구헌장 참조 httpwwwwhointaboutmissionen2) 김점옥 차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7

3

(Natural Church Development)이론은 질적 요소의 충족을 통한 건강은 양적성장으로 결

론지어진다는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시하며 양적성장과 교회건강에 대한 연결을 오히

려 더 정당화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적 현실에 대하여 필자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자인 Schwarz와 교

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과소평가

된 교회의 본질적 요소인 lsquo관계rsquo를 교회건강의 새로운 기준으로 주장하고자 한다 건

강은 결코 성장만으로 판단되어서는 타당하지 않다 현대 교회에 만연한 성장주의는

결국 교회 내부 건강의 부실함을 야기하였고 각종 폐단 및 후유증의 주된 원인이 되

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관계가 성경적이고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관계

성으로 볼 수 있는가 그것은 삼위일체의 교제를 칭하는 개념인 페리코레시스에 바탕

을 둔 공동체적 관계성이다 그 관계를 원리로 해서 하나님 성도 세상 사이 관계의

균형을 추구하는 모습이 필요하고 이렇게 세워진 관계신학적 이론을 적용하는 lsquo관계

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교회건강개선rsquo이라는 논제를 가지고 필자의 주장을 정리해 나

가려 한다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위와 같은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시작된 교회건강성에 대한 논문을 위해 필자는

먼저 숫자중심 성장주의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근대 모더니즘과 관계지향적 특성

을 가진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살펴본 후 NCD

의 이론과 다른 북미지역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서적들을 대상으로 기존 이론의 약점

들을 드러내고 더불어 다른 교회건강 학자들의 이론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연구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계신학이라는 아직은 생소한 신학분야의 이론적 기반을 마

련한 후에 각 교회나 단체에서 행해지는 관계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를 연구할 것

이다 그러고 나서 교회건강을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이라는 대안을 마

련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따라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현대 한국교회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는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먼저 현대 한국교

4

회의 배경연구로서는 모던시대의 특징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을 바탕으로 모던과

포스트모던이 교차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며 그러한 한국교회 상황

에서 현재 주로 인용되어왔던 Christian Schwarz를 통해 세워진 NCD의 교회 건강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과 교회 건강에 대한 다른 견해들인 피터 와그너(Peter Wagner)

리스 앤더슨(Leith Anderson)3) 스티븐 마치아(Stephen Macchia)4)의 이론들을 살펴본 뒤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서 그동안 성장주의 영향 아래 한국교회에서 배제되어왔던 부분

에 관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교회의 핵심특성인 공동체적 본질로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사역이 교회 건강성의 새로운 기준임을 제시해보려 하고 이론적인 기

반으로서 관계신학이라는 개념을 정리해 본 뒤 이를 실제 목회 현장에 적용할 수 있

는 lsquo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rsquo까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범위 안에서 연구를 진행하

고자 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문제제기와 목적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어 연구

의 방법 및 범위를 서술한다

제2장에서는 모던과 포스트모던 두 시대 사이에서 양쪽 모두의 영향 아래 있기

에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두 가지 특성 모두를 가지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

과 영향을 배경연구로서 활용해 보려 한다

제3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연구를 위해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개념을 근거로

관계신학적 관점으로 교회의 본질을 연구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한국교회에 영향을 주고 있고 교회성장운동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

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와 주장을 정리하고 교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연구를 살펴보고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성장을 논하던 기존 이론과 달리 하나님

3) NAE(국제복음주의연합)의 의장을 역임하였고 Minnesota에 있는 Woodale Church에서 35년동안 사역하다 지난 6월 은퇴하였으며 Fuller Theological Semianr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강의를

하고 있으며 Dying for Change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Winning the Values War의 저자이

다4) 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Vision New England(The Evangelistic Association of New England)의 의장을 역임

하였으며 Becoming a Healthy Church 외 다수의 저작물이 있는 지역교회와 선교단체를 위해

국제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역자이다

5

성도 세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교회건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Macchia와 Anderson

의 이론을 연구 정리하면서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들을 비교하여 기존 이론 가운데

에도 관계지향적인 요소들이 이미 자리하고 있었음을 더불어 밝혀보려 한다

제5장에서는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행해지던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로서 국내

온누리교회 미국의 뉴욕관계학교 웹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스웨덴의 온라인 관계학

교의 경우를 조사하여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를 찾아보고 그동안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경을 중심으로 하여 10차시 과정으로 구성된 관계학교 전체과정의 개요를 제안하려

한다

제6장에서는 연구에 따른 최종적인 결론으로 논문 전체에 대한 요약과 결론 그

리고 그에 따른 적용 및 다른 연구자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어

보려 한다

6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양적성장에 치중하던 한국교회가 질적성장이라는 관점에서 건강한교회를 지향하

게 된 일은 분명 긍정적인 현상임에도 이마저도 또 하나의 교회성장운동으로 변질되

어가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살펴보기 전에 그에 대한 환경적 배경을 제공하게 된 이

시대의 전체적인 문화와 사고의 큰 흐름으로서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더불어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그 모태라고 할 수 있는 모더니티

사회의 현상과 특징들을 비교하여 논함으로서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을 좀 더 이해

할 수 있고 그 영향들이 교회 안에 어떻게 작용하게 되었는지를 알아가 보고자 한다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인류는 과학산업기술의 발전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이성을 긍정적으로만 맹신하

게 된 것이 모더니티 근대주의의 발로이다 이를 통해 계몽주의 경험주의 유토피아

적 이상향에 젖어 중세 신앙을 거부하게 되면서 인간 이성의 자유를 구가하던 시대인

모더니티 사회는 결국 이성의 과신에 대한 수많은 부작용과 또 하나의 공허한 신앙을

선택하게 된 결과로 이어진다 포스트모더니티로의 진입은 이러한 모더니티를 비판하

면서 해체하는 것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가고자 하는 시도였다 그러므로 포스트

모더니티는 모더니티의 사상적 기반을 떠나서는 정확한 이해가 불가하다 포스트모더

니즘의 시작은 일차세계대전 이후 그동안 팽배해 왔던 근대주의적 유토피아 이상에

대한 환멸과 비판을 기초로 하였다 또한 과학의 한계에 대한 의식과 자원고갈 인구

와 환경문제라는 위기의식을 기반으로 문명 전체의 불분명한 미래상에 대한 불안을

뿌리로 하게 된다 이는 그동안 근대문명을 지배해온 모더니즘의 주된 사고체계인 계

7

몽주의사상과 과학주의적 세계관의 문제의식에서부터 기인하였다는 의미이다5) 이처

럼 모더니티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사상적 특징들을 먼

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해체주의 인간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의 사상적 발단을 제공한 이는 프리드리

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이다 니체는 기독교적 가치의 무의미를 선포하

였고 진리의 체계를 주장하는 모든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사상을 주장하는데 형이상학

을 부정하는 근거는 모든 형이상학이 자신이 전제한 가정에서부터 출발하고 있기 때

문이라는 것이다 니체의 허무주의적 주장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

을 형성하였다 니체에게 있어서 우리 자신과 세계에 대해 유일하게 참된 진리는 만

물이 지닌 억제할 수 없는 lsquo힘에의 의지rsquo와 lsquo통제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rsquo뿐이라는

것이다 lsquo지식rsquo과 lsquo진리rsquo는 단지 효과적인 도구일 뿐이지 초월적 실체가 아니며 인간

이 고안한 개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것들은 항상 인간의 이익이나

목적에 공헌하기 때문에 결코 lsquo객관적rsquo일 수 없다는 주장이 포스트모더니티의 특징으

로서 니체로부터 시작된 해체주의의 주된 사상이다6) 이러한 해체주의는 또한 허무주

의로 연결되어 결국 인간 본연의 가치상실과 존재에 대한 회의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더 이상 개인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존재가치가 전과 같이 존중받지 못할 위기에 처하

게 되었다는 것은 베이비부머시대의 인구폭발과 맞물려 인간의 가치상실이라는 결과

를 낳게 된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에 저항해야 할 한국교회는 오히려 한 영혼 한 영

혼의 가치를 소홀히 함으로써 세상을 닮아가는 형국이 되었고 결과를 중심으로 한 교

회건강 이론을 비판 없이 도입하였다

2 상대주의 진리관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대주의는 세계를 역사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보편

적 원리나 통일성이 없는 파편더미로 보는 가치체계이다 공통적 가치와 기준이 없으

5) David Klemm Hermeneutical Inquiry Volume 1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Atlanta Scholars Press 1986) 196) Dave Robinson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21-22

8

며 진리에 상대적 국면이 있음을 인정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신적권위라든지 이성적

법칙이라든지 절대성을 표방하는 것 자체를 모두 배격하기에 이르게 된다 상대주의

의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포스트 모던적 상대주의는 상대성 자체를 궁극적인 것으로

절대시하고 규범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대주의에서는 lsquo절대rsquo나 lsquo절대적rsquo이란 존재할

수 없다 진리라는 주장들은 지역적 역사적 요인들이 만들어낸 상대성을 지니기 때문

에 그 어떤 것도 절대적 진리라고 판단할 수 있는 초문화적인 기준은 존재할 수 없

다7)

절대적 진리의 존재가 인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사회나 문화의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거대담론이 사라지게 됨으로 공동의 lsquo너와 내rsquo가 이루어낸 공동체성은 찾기

힘들고 파편화된 개인만 남아 외롭게 존재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또 이런 상대주의

는 가치와 도덕을 무너뜨려 극단적 실용주의를 만들어낸다 또 신앙이나 이성에 의해

규제되던 감성 관능 탐욕 등의 폭발적 해방을 이미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상대주의

의 만연은 결국 아무것도 절대적인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극단을 낳음으로써 자체적인

모순에 빠지게 됨으로 해체주의와 연결되어 인간의 존재가치를 상실하고 회의를 불러

일으키고 결국 이는 쾌락을 진리의 기준으로 삼아 단지 lsquo즐거운 것이 좋은 것rsquo이라는

사고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도 종국에는 극단적 고독과 소외를 낳음으

로써 인간 내부에 잠재해 있던 공동체에 대한 갈망을 원하게 된다8)

그러므로 이 시대에 교회가 접근해야 할 세상은 대상이 특정화되지 않은 일방적

인 전파를 통한 복음사역이 아닌 소외와 외로움에 빠진 이들에게 먼저 다가갈 수 있

는 관계가 중심이 되는 건강한교회를 통한 공동체적인 접촉점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된

3 다원주의 종교관

포스트모더니티의 세 번째 특징으로서 근대의 문제가 이성주의에 입각하여 문화

와 사회를 획일화하는 세계관으로 삶을 억압하고 비인간화 하는데서 비롯된다고 반기

를 드는 데로부터 결국 그에 대한 해체작업과 그 결과로 말미암는 다원성에 대한 강

조로 흐르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이성의 객관성을 부정하여 문화와 사회의 토대역

7)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2388) Ibid 241

9

할을 박탈하려 하게 된다 이성주의 학문인 철학과 과학이 기초적 중심 위치를 상실

하면 문화가 다원화될 것이라고 여기는데 이 전략이 근대문화를 해체하게 된다 이

다원주의 특성은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어 오늘날 삶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다원화된

사회가 되어버렸다

이런 변화 속에 교회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경험하게 된다

긍정적인 영향은 기독교와 줄곧 충돌해온 인본주의와 독단적 합리주의의 지배력이 약

화되어 기독교의 전도나 문화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고 반면 부정적인 영향은

모든 종교와 신앙의 균등을 주장하는 종교다원주의가 득세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다원주의는 오늘의 세속 사회에 가장 잘 부합하는 문화적 이데올로기이며 이러

한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믿음을 고백하거나 일방적으로 전파하는 것을 무식과 교만

독선으로 여기게 되어 금기시하게 된 것이다9)

뿐만 아니라 뉴비긴은 한걸음 더 나아가 한 사회 안에 있는 여러 다양한 문화들

과 생활방식들을 환영하고 이런 것이 인간의 삶을 풍요하게 해준다고 믿는 문화적 다

원주의와는 달리 종교적 다원주의 대해서는 그 입장을 달리하여 종교들 간의 차이가

진리와 거짓의 문제가 아니라 진리에 대한 다른 인식 방법의 차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종교적인 믿음에서 어떤 것은 옳고 어떤 것은 그르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종교적인 믿음은 개인의 문제이고 각 사람은 자신의 믿음을 가질 권

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종교적 다원주의의 특징이고 뿐만 아니라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할 포스트모던시대의 특징이다10)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이러한 종교적 다원주의를 다원주의의 맥락에서 지지하

고 있다 그리고 종교적 다원주의는 이제 서구교회 전체가 고민하고 있는 심각한 문

제가 되었으며 우리 한국교회 역시도 더 이상 자유롭지가 않다 복음의 순수성과 절

대성이 더 이상 그 자리를 지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회 내부에서조차도 그 영향력

이 약화되어가고 있는 이 시대는 네트워크의 비약적인 기술발전 영상매체와 미디어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시각적 자극에 민감해질 데로 민감해진 다원화된 개인들만이

존재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한 상황 속에 건강한교회에 대한 견해들 또한 다양

하게 되었고 그만큼 통합적인 평가가 어렵다 그만큼 가시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한

9)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1310) Lesslie Newbigin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40

10

숫자 중심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은 많은 이들에게 수용되어질 수 있었다

4 극단적 개인주의

앞부분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티사회의 특징들은 우리를 서로에게로부터 분리시

켜 자아를 봉인하고 개인 영역에 한정시키는 극단적 개인주의 성향으로 나타나게 된

다 이러한 흐름은 절대적인 권위와 연합을 부정한다는 의미에서 포스트모던이 기독

교 신앙에 대한 심각한 도전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면에서는 기존 질서로서 이성 중심

의 과학문명이 낳은 모더니티에 대한 지극한 회의에서 시작되었기에 하나님 중심의

절대적 신앙관의 확립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과도기적 시기로 보아야 한

다11)

오늘날의 사람들은 지금까지 지나온 여러 세대들보다 더욱 초자연적인 것들 특

별히 영적인 것들에 대해 열려있게 되었으며 사람들은 교회나 조직화된 종교체계에는

적대적일 수 있으나 예수님을 포함하여 영적인 것에는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포

스트모더니즘 기반의 문화에서는 서로 간의 공통점을 주장하지 않음으로 모두가 함께

동의하여 논쟁을 종결할 수 있는 공통적 토대가 사라지고 보편적 세계관을 부정하게

됨으로써 차이에 대한 존중과 지역적이고 개체적인 것을 환영하는 정서가 대중적인

것이 되었다 이성주의 문화의 해체 속에 기독교적 문화를 사람들이 또 다른 진리 중

의 하나로 인식하게 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독교에 대한 도전일 뿐 아니라 만인이 편견 없이 기독교 신앙을 기본적으로 받아들

일 수 있게 하는 기회로서 작용하기도 한다12)

포스트모던사회의 특징인 해체주의 상대주의 다원주의 개인주의의 포괄적 특징

은 반공동체적이라는 것이다 각 개체를 중시하고 함께 하는 가치를 배격하며 진리의

상대성을 기치로 삼는 시대정신 속에 단일 목표를 세우고 함께 가는 공동체 지향은

반시대적이 되어버린 것처럼 외부적으로 나타나지만 결국 그 속에서 각 개인의 가치

를 상실당하고 소외되며 피폐해진 이들은 오히려 진실한 공동체 속에서 관계를 찾게

되는 성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1) James K A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5612) Stanley J Grenz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12

11

이로써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탈관계적이면서 오히려 더욱 관계를 추구하는 이

중성을 지니게 될 것임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한국 사회뿐 아니라 한국교회가 성장과

성공에 치중하게 된 배경으로서 현대 한국사회의 급속한 근대화 현대화 과정에서 포

스트모더니티와 함께 스며들게 된 모더니티적 특성들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모더니티 사회의 사고관은 인류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경험함으로 이성의 능력을

신뢰하게 되면서 계몽주의와 경험주의 자본주의 경제이론 그리고 역사발전이론에 대

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그 뿌리에는 다음과 같은 사고의 전환이 중심

이 된다

그 첫 번째는 자연주의적 세계관으로서 창조주와 창조세계를 구분하여 그동안

창조주에 의존된 창조세계를 바라보던 관점이 무너지고 창조주인 초자연과 창조세계

인 자연을 둘로 구분하는 이분법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게 되었다는 것이다13) 자연은

더 이상 창조주로부터 나온 산물로서의 지배가운데 있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진

화라는 흐름 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사물가운데 존재하는 법칙을 발견하고 우주를 지

배하는 기본원리를 파헤침으로서 인류의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두 번째는 진보주의적 역사관인데 이 속에 뿌리깊이 자리 잡은 기본적인 사관은

진화론적 역사관으로 역사도 자연과 같은 과정을 통해 미개한 상태에서 계몽된 상태

로 발전하며 이와 같은 발전과정을 통해 인간은 자연법칙을 찾아내고 자연과학적 지

식을 축적함으로써 인간 문명사회는 더 나은 단계로 lsquo계속해서 진보해 나갈 것이고

이를 통해 인간은 행복을 얻게 될 것rsquo이라는 사고이다14) 이와 같은 생각들이 교회 안

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다 이는 과거의 전통과 새로운 문화의 충돌에서 자꾸만 새롭

고 신선한 프로그램들을 추구하는 모습들로 나타나고 있다

자연주의적 세계관과 진보주의적 역사관이라는 두 가지 사고의 바탕 위에 세워

진 모더니티 사회의 특징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3) Paul G Hiebert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 사람 2010) 277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41

12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근대 이전의 시대인 전근대를 신화와 교권의 시대로 규정할 수 있다면 근대는

이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과학과 이성의 시대였다 15세기 활자의 발명과 함

께 한 인쇄술의 발전은 일반 대중에게까지 큰 영향을 주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계몽

주의 운동이 시작되는 기틀이 마련되게 된다 대체적으로 계몽주의는 lsquo17세기 후반부

터 18세기에 걸쳐 유럽을 지배했던 사상 풍조를 가리키는 것rsquo으로서 르네상스의 인본

주의 정신과 17세기 과학의 혁명적인 발달을 한데 묶어 근대세계를 출현 시키는 결정

적인 계기를 만들었다15) 이성의 노력으로 인간 영혼에 있는 신성을 무한히 계발할

수 있다는 사상인 낙관적인 인본주의로서 르네상스 인문주의 운동은 신학의 도움 없

이 이성으로 자연의 원리를 발견하고 과학을 발전시키며 인류의 행복을 기약할 수 있

는 진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서유럽을 통해 철학 과학과 같은 사회 다방면

에 걸쳐 영향을 주게 되면서 계몽주의 사상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계몽주

의는 근대의 정신세계와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된다

그러므로 계몽주의 시대는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

는 도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

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부하게 되었다16)

결국 이러한 이성 중심의 사고는 인간의 자발적인 노력과 기술의 발달을 통한

진보로 물리적 자연환경과 사회와 문화를 더 좋은 것으로 만들어갈 것이라는 인간 자

신에 대한 낙관적 믿음을 낳게 하였으며 더 이상 외부의 어떤 존재를 신뢰의 대상으

로 삼지 않고 인간 자신에게 집중하게 되는 사상적인 배경으로 교회의 성장이 주관자

로서 하나님께 전적으로 달린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노력을 통한 교회 공동체의 건강

성을 향상시킴을 통해 성장과 번영을 얼마든지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근대주의적 낙관

론이라는 모순이 가능하게 되었다

15)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8116)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3

2 과학기술의 발달

16-17세기 유럽 특히 영국에서 시작한 과학혁명은 오늘날까지 IT혁명으로 영향

을 주고 있다 과학은 근대 문명 진보의 기초를 놓았고 17세기 초 프랜시스 베이컨이

세계를 이해하고 자연의 비을 풀기위한 노력으로 경험주의를 주장하는 배경이 되었

으며 인류에게 많은 유익한 변화를 이루게 하였다17) 인류는 항상 도구를 사용해왔는

데 18세기 초부터 과거와 달리 굉장히 복잡하고 효율적인 기계가 갑자기 출현했고 자

연에 대한 과학적 지식으로 자연을 지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현대기술을 통해 우리

는 원자를 분열시킬 수 있고 방대하고 복잡한 정보를 마이크로 칩에 저장할 수도 있

다 과학이 우리에게 통찰력과 지식을 주었다면 기술은 우리에게 힘을 주었다 그리고

인간은 그 힘으로 환경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모더니티는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에 대해 확고한 인식론적이고 과학기술적 자

기 확신에 사로잡힌 대답을 내어놓는다 모더니티의 과학적 방법론으로 대상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기술을 통해 세계를 조종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18) 과학

기술의 발전과 산업혁명은 대량생산과 이를 판매하기 위한 시장개척으로 이어져 식민

주의적 제국주의로 발전되었고 힘을 가진 인간의 정복욕을 부추기는 도구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사회과학적 발전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이 삶의 전반에 대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이러한 기술문화는 교회 안으로까지 이어져 적절한

도구와 기술의 사용이 가능한 토양을 제공하게 되었다

3 자본주의 경제의 성장

계몽주의와 과학기술의 발달에 이은 경제성장을 통해 문맹이 극복되고 질병은

사라지며 가난이 근절되고 제한된 자원을 서로 차지하기 위한 전쟁은 없어질 것이며

더 이상 물질적 사회적 궁핍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로지 진보만이 있는 사회로의 전

환과 그런 문명을 통해 어쩌면 모든 사람들이 역사상 처음으로 참된 행복과 참된 자

유를 누릴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이와 같은 무한긍정주의야말로 모더니티

사회를 규정짓는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그리고 그 자본주의적 성장주의는 교회의 급

17) Brian Walsh J Richard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118) Ibid 35

14

속한 성장의 틈바구니에 파고들어 교회가 하나의 조직으로서 여겨지고 관리와 경영을

통해 얼마든지 성장시킬 수 있는 대상물로 여겨지게 되었다 교회는 엄연히 그리스도

의 피 값으로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여야 함에도 인위적 조작이 주도력을 발휘

하는 또 하나의 인간 자아실현의 장이 되어 버린 것이다

4 모더니티의 위기

이러한 모더니티의 사상적 흐름을 인간존재와 관련하여 이형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첫째는 개인주의로서 자율적인 개인이 공동체 혹은 전통의 속박으

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홀로 생각하는 인간이다둘째는 합리주의로서 이성은 하나의 보편적인 인간 능력이며 한

개인에게 이성적인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도 이성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셋째는 방법론적 회의를 통해 진리에 이르는 방법이 lsquo이해를 추구

하는 신앙rsquo이 아니라 lsquo이성의 철저한 비판적인 반성rsquo으로 바뀌었

다넷째는 이원론으로 실재가 정신과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몸과 마음의 이분법뿐만 아니라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을 뒷받침하게 된다다섯째는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 미신으로부터 해방되어 참 지식

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으며 일단 과거로부터 벗어난 이성

은 과학과 문화를 통해서 인간사회와 역사를 불가피하게 진보시킨

다는 생각이다19)

위와 같은 특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모더니티는 인간에 대한 맹신으로 인

간의 이성이 부각됨으로써 하나님을 떠난 인간상을 자리 잡게 하였다 또한 하나님

없이도 인간이 충분히 선을 추구하고 행복을 이뤄낼 수 있는 착각 속으로 인간의 역

사를 몰고 갔다 게다가 신앙의 개인화를 비롯한 개인주의가 시작하면서 개인의 고립

현상과 소외 고독의 문제들이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이성에 의지하던 인간은 자

신의 뿌리로서의 창조자와의 관계를 잃어버리고 배회하는 인간상이 서서히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화려하게 등장했던 계몽주의와 과학혁명으로 말미암은 승승장구하던 모더니티

19)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36

15

사회의 사상적 흐름도 결국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모더니티의 위기는 12차 세계대전

후 유럽의 실존주의 운동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20세기에 들어서 갑작스럽게 등장

한 위기의 전조들은 이미 19세기부터 있어왔고 당시 진보적이고 혁신적이라 불리던

영국의 공장 생산 시스템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과 아동 노동의 착취 속에서 위기

의 조짐이 시작됐는데 이미 3백 년 전 유럽과 아메리카의 진보의 토대가 되었던 아프

리카 노예 산업에서부터 위기의 조짐이 있었으며 어쩌면 모더니티의 위기는 근대가

태동하던 바로 그 시점 즉 콜럼버스가 인디언을 노예로 삼던 그 때부터 시작된 것이

라고 볼 수 있다20) 서양의 근대는 계몽주의 세계관이 주도한 시대였으며 그 주된 사

상과 같이 인간의 이성을 신앙으로부터 독립시키려는 시도와 더불어 이성의 능력에

대한 무한한 신뢰로까지 연결되게 되었다 그러한 신뢰가 무너지면서 결국 모더니즘

의 위기는 시작되었다21) 모더니티라는 바벨탑의 붕괴는 획일적인 전체주의적 야망을

제한하고 민족과 문화의 다양성을 창출해 내시는 하나님의 섭리로서 세상을 향한 하

나님의 역사적 목표를 가로막는 오만한 시도였던 바벨탑의 결과를 다시 기억하게 한

다 그러므로 이런 배경 속에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는 신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복음

을 위한 긍정적인 역사적 기회로 생각될 수 있는 여지를 가진다22)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모더니티가 교회에 대해 끼친 영향 또한 지대하고 파괴적이다 지금 한국 사회에

혼재에 있는 두 사상 모두는 여전히 사회 일각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 특별히 합리화

라는 이름으로 들어온 세속화의 물결은 모더니티의 잔재로 교회를 흔들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단연 교회성장운동이 일으킨 영향은 지대하다 긍정 주의적이고 진보적 역

사관으로 무장한 모더니티는 인간 이성과 기술의 진보에 의해 실용화시킨 방법들로

인간의 속성에서조차 특성화 수치화시킴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23)

20)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4521)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6722)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8923) Os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48

16

모더니티가 끼친 가장 큰 영향은 ldquo세속주의(secularism)rdquo에 의한 것이 아니라 ldquo세

속화(secularization)rdquo에 의한 것으로 세속주의는 단지 철학이고 세속화는 하나의 일어나

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세속화에 대해 가장 알기 쉬운 특징은 숫자들과 기술에

대한 찬사로서 알 수 있다 두 가지는 대형교회운동(megachurch movement)에서 두드러

지게 나타난다24)

큰 것이 좋은 것이라는 근대주의적 사고가 교회에도 깊이 뿌리 박혀 있다 또한

이제 교회 안에 있는 목회자도 거룩한 종교인이 아닌 종교적 경영자로 변질되어 가고

있음도 현 세대에 나타나고 있는 모더니티적 경향의 산물이다 교회 생활에서 조차도

얼마나 기술주의적 사고가 커져 있는지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많은 기술들 기도하

는 방법들 성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 기독교 서점을 빼곡히 메우고 있는 뭔가

를 위한 방법들과 기술들에 관한 책들은 현대 시대에 남아있는 기술의 진보성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로서의 모더니티의 잔재들인 것이다

문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시대에 있는 교회들이 아직도 성장주의 무천년설 등과

같은 모더니티의 기반 위에 있다는 사실이다 현대 한국교회가 시대를 앞서가기는커

녕 오히려 과거의 영화를 부여잡고 있기에 교회는 계속해서 사회와 문화의 흐름에

려가고 있는 현실이 부인할 수 없는 현재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모더니티를 통해 형성된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원리가 교회 안에 들어오면서부터

교회는 숫자에 민감해지기 시작했으며 교회의 교회됨을 그저 여러 가지 수치적 지표

를 통해 판단하고 순위를 매기기까지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요와 공급의 입장으

로 교회와 성도의 관계를 표현할 때 결국 교회는 수요자이며 소비자인 성도들의 입맛

을 가장 우선으로 놓아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필요에 의해 언제든 응답할 준비를

해야만 하고 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공급자이자 판매자로서의 교회 상을

만들어 버리고 말았다 결국에는 강단에서 선포되는 메시지조차도 그 자체의 사명으

로서 예언자적인 기능을 잃어버리고 청중이 요구하고 당장 필요로 하는 값싼 복음을

전하고 있는 모습은 그야말로 모더니티가 낳은 숫자 우선 성장주의의 침투에 의한 결

과로 보아야 한다25)

20세기를 통해 일어났던 교회성장운동은 결국 그리스도의 교회가 근본적으로 자

24) Ibid4925) Eddie Gibbs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73

17

신의 특성과 부르심에 의해 인도받고 형성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사업가적 경제논

리에 의해 인도될 것인가라는 혼란을 야기 시켰다 하나님으로 하나님 되게 함으로써

그분의 말씀과 성령으로 그 존재와 결정적인 원리들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닌 모더니

티에 의해 파생된 다양한 산업적인 결과물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하나

님의 권위는 더 이상 결정권을 잃어버리고 ldquo사람이 떡으로 사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말씀으로 사는 것이다(마태복음 44 개역개정4판)rdquo라는 말씀조차

그 수정을 요구할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다 모더니티의 잔재는 결국 신적 권위와 신

앙의 힘을 평가절하시킴으로서 종교자체를 영적인 실제가 없이도 얼마든지 수사학적

이고 조직적인 방법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처럼 만들어가고 있다26)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

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는 기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

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

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

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

부하게 되었고 결국 이러한 시대 흐름의 영향으로 교회에서조차 눈에 보이는 가시적

성과에 집중하게 된 것이다27)

세상의 모습은 모더니티를 비판하고 포스트모더니티의 새로운 경향으로 접어들

었음에도 교회 안에는 여전히 가시적인 성장주의의 흐름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모더

니티 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교회라면 응당 그 전 시대

의 특징들이 부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잔재되어 있는 현대 한국사회의 모

더니티적 잔재물들은 교회 내부에까지 영향을 끼쳐 건물의 규모 신도 수 각종 자산

의 성장을 통한 성공주의 모델을 양산시키게 된 것이다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현재 한국교회가 겪고 있는 위기의 상황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평범한 이들로

구성된 사회와의 소통 부재와 단절에서부터 빚어진 것이다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대표되는 한국교회의 일방적인 선교를 통해 기독교적인 언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함으

26)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3527)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8

로써 세상과의 분리를 자초하였다 듣는 이의 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언어의

전달로 말미암아 오히려 세상은 교회에 귀를 닫아 버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세상을 향

해 나아가 소금과 빛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교회가 lsquoAgain 1907rsquo을 외치며 일어

났던 부흥의 열정으로 말미암은 후유증에 오히려 교회와 세상 사이의 담은 더욱 높아

져만 가고 있다 기독교의 언어는 세상의 언어로 번역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세상에

서 소통되는 언어가 교회에서 사용되어야 하고 삼위일체의 비을 간직하신 하나님께

서 하늘의 높은 보좌를 버리시고 이 땅에 성육신하심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한 함

으로써 자력으로는 도저히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는 인간의 무능력함을 친히 자신을

세상 가운데 계시하시는 행위를 통해 구원의 다리를 건설하신 것은 하나님의 언어를

세상의 언어로 번역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28)

그럼에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각 개인들이 그러한 것처럼 교회조차도 극단적 개

교회주의에 빠져 교회의 연합까지도 도외시되고 있다 성장이라는 기치아래 성도 개

개인을 소중히 하기 보다는 건축을 위해 쏟아 부은 재정적 부담을 감당하기 위한 교

회를 위한 존재로 여긴다 거기에 서로 돕는 교회의 모습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성장을 위해서라면 다른 교회의 성도라도 받아들여 빈자리를 채워야만 생존

할 수 있는 처지가 되어버린 현대 한국교회의 이기적인 모습 앞에 세상은 더 이상의

대화를 원치 않는다 교회의 연합이 희미해진 이 시대에 교회는 세상에서조차도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교회는 세상 속에서 이웃과의 관계를 통해 그 존재감을 드러

내며 사명을 성취해야 함에도 이기적인 교회의 모습 앞에 세상은 교회를 점점 멀리하

고 되고 말았다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1970년대를 지나는 동안 한국은 국가적인 경제재건 사업을 통해 괄목할 만한 단

기간의 급속한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제 성장과 함께 한국교회의 동반성장

의 과정을 통해 성공이라는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약속되고 풍요와 안녕이라는 복을

획득하는 것과 맥을 함께 함으로써 성취의 정도와 내용이 높고 풍족할수록 축복을 많

28)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통권 제589호) 2008년 1월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169

19

이 받은 존재로 인정되는 사고방식이 한국 교회 안에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축

복을 위한 공급자로서 목회자의 위신을 세움으로써 목회자가 축복을 인가하는 허가자

의 권위를 갖게 되었고 이는 정치 경제에서 소수에게 집중된 권력과 자본의 모습과

동일한 형태로 교회 안에서도 축복권이라는 것이 생겨나 그것이 목회자에게만 집중됨

으로써 목회자의 신격화와 권위주의를 부추겼으며 사회적 물질적 성공에 대한 종교

적인 정당성을 부여하게 되었다29) 성도의 신앙생활이라는 것이 결국 하나님과의 관

계가 중심이 아닌 목회자와의 관계에 달린 것이 되어버리고 말았고 이는 근대 권위주

의에 익숙한 교회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성과 맞물려 갈등은 더욱 커져갔다 인간의 필요를

채우는 데 일조하던 목회자의 리더십은 결과적으로 인간의 상황에 대해 근본적인 문

제 해결을 이루어 낸다기보다는 오히려 점점 더 커지는 요구와 까다로운 입맛을 경험

하게 하고 필요충족을 통해 만족감을 얻어내기 보다는 오히려 더 커진 요구와 그로

말미암은 목회자에 대한 실망으로 연결되어 종국에는 교회자체에 대한 회의와 부정을

낳게 된다30)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흐름에 따라 성도들의 요구는 다양화되어가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맹목적 믿음과 순종이라는 핵심가치를 추구하던 모더니즘 사고에 익

숙하던 기성세대와 포스트모던 문화에 익숙해져 설득과 표현의 다양화를 바라는 신세

대 사이의 갈등이 교회 안에서도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청년들의 이탈

현상으로 이어져 교회마다 청년이하 차세대와의 문화단절 세대단절 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다31) 이는 결국 교회를 나가지 않으면서도 자신을 그리스도인으로 여기

며 다양한 매체와 방법들을 통해 홀로 신앙생활을 해나가는 성도들인 가나안 성도라

는 기형적 구조로까지 이어지게 되었고 그 수는 무려 전체 그리스도인의 10퍼센트 정

도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32) 이외에도 다른 많은 요인들로 야기된 교회 내부의 갈

등이 셀 수 없이 발생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29)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5030)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6531)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44032)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35

20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 중 하나는 이성을 중시하던 모더니티와 달리 탈 이성주

의를 주창하며 신비로운 체험이나 감성을 중시하게 된 데에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는

영상과 이미지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시대이다33) 그러므로 포스트모던 사회에

서는 영상매체를 통해 사람들의 감성을 이끌어내고 지식과 정보를 전달한다 그 속에

서 사람들은 정형화된 진리에 입각한 논리와 판단보다는 순간순간의 느낌에 의존하여

어떤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한 시대의 영향아래 있는 교회 또한 영상과 이미지

가 주는 감성에 좌우되어 진리의 말씀으로서 성경 보다는 감성에 호소하는 목회자의

언변에 성도들은 오히려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그 속에서 체험하는 감정을 은혜

라 여기며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의 능력이 아닌 잠시 동안 감정의 위로를 주지만

오래지 않아 기억 속에 흘러가고 마는 언어유희에 반응하고 있는 현실이다

현대인들에게 종교는 하나의 기호품과 같이 되어서 자신이 원하고 선택하는 것

옳다고 여기는 것을 진리로 생각하며 절대적 진리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강한 체험을 제공하며 그럴듯하게 왜곡된 진리 앞에 사람들은 쉽게 넘어가고 있고34)

결국 어느 때 못지않게 이교집단이 많아진 것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에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교회에서 조차도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고 전도를 위한 행사들이 마련

되지만 그 속에는 시대적 특징과 관련된 신비적 체험과 감성에 호소하는 다양한 기법

들이 사용되고 있다 게다가 그것들이 사람들을 움직여 교회의 성도수가 증가하면 또

다른 많은 교회들은 그것을 그대로 답습하기에 이른다 이에 대해 한국교회는 절대적

진리로서 성경말씀에 기초한 건강한교회의 원리들을 세워가야 할 절실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교회는 그리스도의 교회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감

당하기 위해서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라는 과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지금까지

많은 교회들이 큰 것 많은 것을 추구해왔고 어떤 면에서 그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

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교회가 물량적인 면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비

해 세상 속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은 이에 전혀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언론과 온라

인 사이트를 통한 사회적인 비판의 정도는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를 그저 말세에 성

33)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3934) Ibid 238

21

도들이 당하는 고난이나 핍박으로 받아들이고 무시할 것인가 아니면 자신을 반성하고

새로운 변화의 몸부림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영향력을 다시

금 회복할 것인가는 한국 교회건강성의 정도에서 판가름 나게 된다 모더니즘의 잔재

가 아직도 상존하고 있지만 포스트모던 사회를 살아내야 하고 시대를 변혁시키는 주

체로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어야 하는 한국교회는 중요한 도전 앞에 서있다 그동안

성장이라는 가치를 최고로 여기던 시대에서 좀 더 성숙하여 사람들의 다양성을 이해

포용하고 행사 위주의 전도가 아닌 진정한 관계맺음을 통한 사명의 실천이 필요한 때

이다

이제 필자는 양적성장에 치우친 교회건강이론을 대신할 새로운 기준으로서 관계

가 중심인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이론적인 기반을 세우기 위해 관계가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아직은 생소한 분야이지만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관계

신학적 근거를 가지고 다음 장에서 연구해 보려한다

22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35)

이번 장에서는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이해를 위해 관계신학에 대해 살펴 보려한

다 그리고 관계가 어떻게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 건강한교

회를 세우는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이론적인 기초를 마련해보려 한다

신학의 분야는 가장 기본적인 4가지의 분야36)를 비롯해서 시대적인 필요에 따라

연구되어지는 선교신학 현대신학 해방신학 목회신학 윤리신학 등의 가지들로 구성

되어 있다 그러나 관계신학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전혀 생소한 신학 분야이다 20세

기 후반 들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는 삼위일체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와 갖가지 환

경문제에 대응하여 기독교의 생태학적인 역할들이 강조되고 있고 교회마다 심각한 어

려움을 겪고 있는 관계적인 갈등이라는 배경 속에서 관계신학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필요가 있고 기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이해가 가능하지만 아직은 관계신학에 대한

의미가 명료하게 정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건강한교회를 위한 연구라는

시각에서 관계신학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관계신학은 하나님이 관계하시는 하나님이라는 것과 하나님은 관계 속의 순종을

35) 관계신학이라는 용어는 주로 에큐메니컬 진영의 사상적 기반으로서 인종과 문화를 뛰어넘

어 서로 간의 원만한 하나 됨을 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보다는 하나님과

인간 세상 사이의 관계를 그 연구의 중심으로 삼아 신학적인 기반으로서 성경 전체에 흐르는

창조와 구원의 해석을 관계의 건설과 무너짐 회복의 과정으로 이해하여 lsquo하나님과 성도rsquo lsquo성도들의 모임으로서 교회와 세상rsquo lsquo교회 안에서의 성도들rsquo이라는 관계의 완성을 연구하려는 의

도에서 이 단어를 사용하려 한다36) 주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23

원하신다는 것과 진리는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관계신학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 이루어지는 인격적 관계를 우선적으로 강조한다 관계신학은 하나님은 관계를

떠나서는 생각되어질 수 없는 실재이심을 분명히 제시하는 신학이다 관계신학의 관

점에서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하나님과 바른 관계 속에 있는 것이요 또한 하나님 안

에 그리고 하나님과 함께 있는 것이다

관계신학의 의미에 대해 김영선37)은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관계신학은 모든 신학적 진리를 관계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

하는 신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님 인간 세계 신앙 교회 세례 기도 예배 목회를 비롯한 신앙의 내용을 관계라는 관점

에서 해석하며 신학적 진리의 자료와 신학적 진리를 전달하는 수

단을 묘사하는 술어이다 관계신학 관점에서 신학은 관계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진리이고 복음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선

물이다38)

관계신학은 이론적 근거가 전무한 독보적 신학분야가 아닌 그동안 관계성을 추

구하던 많은 학자들의 견해를 기반으로 하나님 성도 이웃에 대한 관계를 중심으로

보고 신학적 진리를 탐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신학분야인데 이러한 학자들로는

관계철학의 마틴 부버 관계성의 신학의 에 부루너 하나님 만남의 신학의 루이스

세릴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 신학 관계론적 신학의 마조리 수하키 관계론적 신학의

폴 스폰하임 등이 있다39)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지식은 모두 그분의 계시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러므로 필

자가 관계신학을 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이론적 기초로 삼고자 하는 이유는 하나님의

완성된 계시로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얼마나 관계를 이야기하고 있고 그 관계를

세우기 위해 하나님의 수많은 인내와 개입이 존재해왔으며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이

망가진 하나님과 우리 인간 그리고 세상간의 관계회복을 위한 은혜의 자리였음을 상

기시키려는 목적이다 그리고 그 목적을 잘 이해하는 기초 위에서야 비로소 성경적인

건강한교회가 세워질 수 있음을 말하려 한다

37) 영국 런던대학에서 조직신학으로 M Th PhD 학위를 받고 현재 협성대 교수로 재직 중

이다3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4839) Ibid 50

24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건강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하는 사람들 간의 연합성과 개별성의 균형

이 필요하다 연합성이란 생물학적 측면에 뿌리를 둔 생명력으로서 이를 통해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거나 연합하기를 원하게 되며 우리로 하여금 공동체를 지향하게

만들고 서로 의존하게 만든다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예민하게 반응

하며 돌봄과 사랑을 통해 서로가 가까워지기를 추구하게 된다 연합성을 추구하는 힘

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삶을 나누고 가까이 하는 기쁨이며 이를 통해 공동체는 부스

러지지 않고 유지되고 하나 됨을 향해 서로가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도 그 가운데 소속된 구성원 중에 불안수준이 높거나 정서적 성숙이 낮은 사람이

있을 경우 그 사람은 전체적인 공동체에 긴장요인을 높임으로서 서로 간의 가까워짐

이 과도한 기대나 요구로 나타나게 되면서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 개별성이란 자기 자신이 독립적으로 되도록 이끄는 생물학적인 생명력이

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개개인이 정서적으로 독립된 사람이 되고 자신에게 개인적으

로 와 닿는 사실에 근거하여 독자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존재가 되게 한

다 공동체 전체의 비전을 중시하지만 그 속에서도 자기 자신의 관점이나 기준을 근

거로 행동하여 개인의 비전이 희생되지 않도록 하여 다른 사람과 구별된 개별적인 존

재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개인은 온전히 자기 자신이 될 수 있을 때

비로소 정서적으로 성장하고 자신의 꿈과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공동체적인 목표를

좇을 때보다 활력 있고 개인으로서 삶의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것도 공동체에 속한 각 개인이 개별성만을 추구하게 된다면 단연 공동체는 존재할

수 없게 될 것이다40)

그러므로 연합성과 개별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때 그 공동체는 건강

한 공동체로서의 사명과 본질에 충실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적절한 균형으로

서의 기준을 어디에서 발견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필자는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와

교회의 코이노니아 신구약 성경을 통해 제시해보려 한다

40) Ronald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97-104

25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역대의 교부와 신학자들은 삼위일체의 상호 관계성을 들추어내면서 삼위일체의

공동체성을 파악하고 있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관계 개념을 사용하여 삼위일체를 다

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한 분 하나님의 존재 안에는 세 가지 관계성이 존재하고 이 관계

성은 곧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으로서의 관계인데 여기서 관계라는

것은 하나님이 인간이나 피조세계와 가지는 관계가 아니라 삼위

하나님간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규정하면서 삼위일체 하나님

의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려고 노력하였다는 것은 사실이라 할 것

이다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기 위한 노력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lsquo관계rsquo(relation)라는 범주(category)를 도입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또한 갑바도기아 교부들에게서 보여 지는 것처럼 이 삼위를 구체

적인 개체들로 인식하지 않고 그보다는 어떤 관계로 정의하였다

즉 삼위일체의 위격들의 동일 신적 본질의 시각에서 삼위의 구별

을 이해하고자 함으로 그 삼위 사이의 구별은 본질과 관련되지 않

고 관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삼위는 서로

나누어 가질 수 없는 것으로서의 각기 고유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서보다는 오직 그 위격들 상호간의 관계 혹은 비교(즉 아버지 되

심 paternity 아들 되심 filiation 은사 gift 등과 같은)에 의해서만

구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삼위 중 제2위가 성자라고 불리는 이유

는 본성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제1위 곧 성부

와의 관계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삼위 중 제1위이

신 성부가 성부라 불리는 것은 제2위이신 성자와의 관계 때문이

다)41)

칼뱅도 ldquo하나님은 자신을 한 하나님으로 선포하시면서 동시에 우리의 보기에는

구별된 세 위로 자신을 드러내신다rdquo42)고 하면서 삼위 하나님이 개별적인 존재이면서

관계 속에 존재하시는 분이심을 말하고 있다

칼 바르트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논하면서 ldquo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는 창조자와

피조자의 관계나 피조자들끼리의 관계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관계의 표본이다rdquo43)라고

말하고 있다 그 관계성은 삼위 중 어느 한 분도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세 분

은 다 같이 상호관계 안에서만 존재하며 영원하신 한 분 하나님 안에서 공통으로 존

41) 아우구스티누스 김종흡 역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 (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174-17642) John Calvi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13 2143) Karl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402

26

재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곧 성부 성자 성령이 상호 관계 속에서 하나가 되며

한 위격의 존재가 다른 위의 존재 안에 관계적으로 동참하면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

다 또한 바르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은 영원히 고독하게 자족적이고 자아 의존적으로 존재하는

분이 아니라 삼위일체론적 본성 안에서 상호 관계적인 공동체로

존재하신다고 믿는다 즉 성부 성자 성령 사아에 일어나는 관계

공동체의 상호 교제가 하나님과 인간의 코이노니아와 인간과 인간

의 코이노니아의 근거와 모본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의 모든 관계는 하나님 안에서 영원히 계

속되는 관계적 공동체를 반영하는 것이며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

와 성령 안에서 인간들 속에 이러한 공동체를 창조하려 하신다44)

중세 가톨릭교회의 극히 잘못된 교리 중의 하나였던 lsquo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rsquo

라는 대목 또한 단순하게 오직 교회만이 구원을 위한 은혜와 중재자로서의 시여자라

는 의미가 아닌 오히려 단순하게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로부터 분리된 기독교적

신앙이 존재할 수 없음을 말한다45)

전술한 바와 같이 성령이 성부 성자와 나누는 삶은 코이노니아의 삶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알아보면 삼위하나님의 코이노니아로서 내적 특성은 lsquo페리코레시스

(perichoresis)rsquo라는 개념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는 삼위

가 서로의 정체성이나 상호성을 잃지 않고 서로 내재하며 서로 관통하는 역동적인

관계성을 의미한다 즉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란 상호침투(mutual interpenetration) 또는 상호내

제(mutual indwelling)를 말한다 상호내재에 대한 개념을 좀 더 살펴보면 이는 삼위 각

각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삼위 간의 상호침투와 상호순환을 통해 역할과 기능을

상호 역동적으로 교환하며 함께 움직여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성부는 자신의

초월성과 능력을 유지하면서도 성자의 고난에 함께 동참할 수 있고 성자는 자신의

위엄 능력 창조적 주동성을 유지하면서도 성부께 순종하실 수 있다는 뜻으로 설명될

수 있다46)

교부들부터 바르트까지의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주장을 정리해보면 성부 하나

님은 단순하게 권위를 가지고 명령하는 위치로서가 아니라 성자와 성령을 섬기기 위

44)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6345)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3046) 김영선 관계신학 22

27

해 존재하는데 이는 자신을 비우고 주는 모습들로 나타나며 성자는 성부의 뜻에 순종

하며 드리기 위해 존재함으로서 성부가 성자가 되거나 성령이 성자가 되려는 모습을

주장하지 않고 성령은 자신의 뜻대로 하지 않고 성부와 성자의 뜻을 드러내며 각각

그 역할을 감당해 나감을 말한다 서로의 자리를 존중하고 서로를 위해 봉사함으로

그 존재의 삼위하나님의 신성을 찾는다47)

이처럼 삼위 하나님은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로서 우리에게 자신을 계시하신

관계적인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2 교회와 코이노니아

16세기 종교 개혁가들은 부패한 중세 가톨릭교회에 대항하여 내건 구호로서 lsquo성

도의 교통(Communio Sanctorum)rsquo을 사용하였다 성도의 교통이란 그리스도를 주로 고

백하는 무리들인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공동체 즉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를 의미하

는 말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수직적으로는 하나님과 교제하고 수평적으로는 성도들이

서로 하나 되어 교제하는 모임인 공동체는 교회의 본질적 요소이자 교회가 관계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는 당위적 이유가 된다

성도의 교통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오순절 성령 강림을 통해 하나님과 사람

이 하나 되고 성령의 교제케 하는 역사로 lsquo나rsquo에서 lsquo우리rsquo로 바뀌어 사람과 사람이 하

나 되는 전인격적인 교제가 가능한 공동의 몸이 되었다 그것이 바로 신약의 교회이

며 실제적인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모습이다 그리고 그 교회를 실제적인 공동체로 되

게 하는 것은 성령의 코이노니아를 통해서이다48)

이러한 성령의 코이노니아 사역은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하나님과 우리를 교제케 해주시고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서로 교제하게 해주시며

또 나아가서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도 교제의 관계를 이루

게 하신다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코이노니아의 유형들을 좀 더 세하게 살펴보면

첫 번째 사역인 수직적 관계에서는 성도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와 하나님과 교제하게

하는 것인데 이는 인간의 죄로 하나님과 단절되었던 관계를 예수님의 구속사역으로

회복시키는 속에서 예수님 한 분과 전 사회적인 구속사역을 예수님과 성도 개인 간의

47) 김영선 관계신학 5548) Ibid 57

28

구속사역의 관계가 되게 하는 역할 자가 성령이라는 것이다 더불어서 성령의 역사를

통해 성도는 그리스도와의 교제를 통해 하나님과의 무너졌던 관계를 다시 회복하게

된다 두 번째 사역으로서 수평적 관계에서는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될 수 있

도록 상호 간에 교제를 가능케 해주는 일이다 사도행전 2장의 마지막 부분인 42-47절

은 초대 교회의 공동체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코이노니아라는 용어 또한 본

격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세 번째로 코이노니아는 예수 믿는 자들끼리만 아름다

운 나눔의 삶을 갖는 집단 이기주의적인 교제의 모습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더 나아가 온전한 코이노니아로서 교회공동체라는 울타리를 넘어서 지역 사회 속에

있는 고통당하는 이웃을 돌아보고 더불어 삶을 만들어가는 영역까지를 일컬으며 이는

사도 바울이 디모데전서 618에서 ldquo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하고 나눠주기를

좋아하며 동정하는 자가 되게 하라rdquo는 말씀에 분명하게 등장하고 있다49)

이러한 성령의 사역 가운데 있는 교회공동체의 사명은 세 가지 차원의 관계회복

으로 정리해볼 수 있으며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본질과 사명을 고려할 때 교회의 건

강성의 척도는 결국 관계성과 관련된 사명으로 규정되어야 합당하다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신구약성경 전체를 통틀어서 나타난 하나님의 현현과 계시는 다분히 관계를 세

우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창조물을 향한 주된 관심은 분명

관계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내용을 모두 나열할 수는 없지만 그 중 세

가지 정도만을 가지고 성경의 관계성의 근거로 삼아보고자 한다

창세기에 나타난 아담과 하와는 선악과를 따먹음으로 인해 죽음에 합당한 죄를

범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죄와 함께 하나님을 더욱 마음 아프게 한 행동은 그들

이 범죄함으로 인하여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숨어버린 것이다 즉 그들은 그들 편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에 단절을 선언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깨져버린 관계는 결국 하나님

과의 영영한 관계의 파괴로 이어지게 된다50)

또한 사도행전 2장 42~47절 초대교회의 모습을 바탕으로 존 스토트는 살아있는

교회의 네 가지 특질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49)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6950) 창세기 3장 10절 참조

29

첫째 성도들은 사도들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

침에 전념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사도적인 교회이다둘째 성도들은 서로서로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서로 사랑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돌봄과 나눔의 교회이다셋째 성도들은 하나님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떡을 떼고 기

도하면서 기쁨과 경건으로 하나님을 예배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예

배하는 교회이다넷째 성도들은 바깥세상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증거하며 밖

으로 나아갔다 살아있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위의 모든 특질들이 지칭하고 있는 것은 성도들과 다른 대상과의

관계를 중심개념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51)

에베소서 2장 21절을 보면 ldquo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

전이rdquo의 본문에 사용된 lsquo연결하여(συναρμολογεω)rsquo는 lsquo함께(συν)rsquo와 lsquo서로 결합하여(α

ρμολογεω)rsquo의 합성어로써 건물의 이음새가 한 치의 오차 없이 정확하게 결합된 상태

를 나타내는 표현이며 그리스도와 성도 간의 상호 긴하고 유기적인 관계성을 나타

낸다

부부관계를 향한 에베소서 5장 22절 이하의 말씀에서처럼 아내가 없는 남편이

가능할 수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을 성경은 말씀하고 있다 아내가 없는 남편이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

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성부와 성자 성령은

상호관계 속에서 그 존재적인 구별과 위격이 발견된다 그러나 본질은 동등하다 인간

은 인간 홀로 있어서는 본질적인 구별이 불가하다 만물이 함께 존재하므로 관계를

통해서 인간의 인간됨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관계가 바로 본질이다 관계를 발전시키

는 기준과 핵심요소 중의 하나는 믿음(faith)에 관련된 것이다 구원은 결국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끊어진 관계의 회복을 의미한다고 할 때 그러한 맥락에서 구원의 근거로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이 바로 믿음인 것이다

단지 몇 부분만을 탐색한 것에 불과하지만 신구약전체를 망라하여 하나님께서

그분의 말씀을 통해 인간에게 계시하시는 것은 건강한 관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그 하나님의 비전은 신약시대 들어 성령강림 이후 세워진 교회에서 성취된다 그러므

로 교회의 건강성을 세워가는 데는 관계신학적 기초가 타당하다고 본다

51) John R W Stott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39

30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포스트모던 시대 한국교회의 일탈에 대한 부작용으로 lsquo가나안성도rsquo라 불리는 나

홀로 신앙이 또 하나의 선택 가능한 대안이 되고 있는 지금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관계는 기독교의 중심축이다 예수님께서도

십자가 위에서 마지막 순간에 자신의 관계공동체인 가족 즉 어머니를 끝까지 배려하

셨다 이처럼 현대인들의 영적인 생활은 하나님과 함께 나 홀로 집에서 이루는 것이

아닌 서로 간의 다면적 관계 속에서 해야 한다 우리가 공동체로 있을 때 하나님이

임재하시며 우리와 소통하신다52)

그런 면에서 현대 신학의 주된 관심이 lsquo교회란 무엇인가rsquo에 대한 교회의 본질에

있기 보다는 lsquo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rsquo라고 하는 외적인 모습 또는 기능과 관

련된 질문에 더한 관심을 가진 이유는 지금까지의 교회론이 교회의 실제적인 모습과

역동적인 사역과 동떨어진 형이상학적이고 관념적인 이론 이상의 것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53) 이론만 반복하는 것은 분명 실제와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흐를 수 있는

함정을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성경적인 교회에 대한 본질을 분명히 하는 것 없이

실용적인 측면에서만 교회론을 다루는 것 또한 위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단은 교

회의 본질이 성도의 교제이며 관계에 대한 것임을 성경적인 이해를 통해 명확히 할

필요를 가지게 된다

1 하나님의 백성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관은 일차적으로 하나님이 친히 그의 백성과 맺은

관계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택하시고 자신의 백성으로 삼

으셨다는 전제 위에 교회는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그 속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누리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모임이다54)

신약에서 표현된 그리스도인들을 하나님이 선택한 이스라엘 백성의 연속과 확장

의 개념은 신약 교회에서 새로운 이스라엘로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으

52) Leonard Sweet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15653) 김현진 공동체신학 2254) Ibid 30

31

로서의 교회를 의미하며 이는 결국 민족적 구분이 아닌 그리스도 안에서 이스라엘 백

성을 초월하여 유대인만 아니라 이방인들도 하나님의 동일한 백성이 될 수 있음을 의

미하며 이를 정리할 때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란 개념은 종말론적 개념으로서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고대하며 현재에로 돌입하는 하나님 나라의 표징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제 하에 세

상 한가운데서 세상을 위해 살아야 하지만 세상에 물들지 않고 오히려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는 것이야말로 종말론적 하나님의 백성이 취해야 할 삶의 방식으로 큉은 말하

고 있다55)

하나님의 백성은 그와 관계를 맺었던 이전에 존재했던 백성이 아니고 하나님의

모으심으로써 그리고 하나님의 거주하심으로써 새로이 구성된다 하나님의 백성은 그

들이 하나님께 연합되어 있다는 유일한 이유 때문에 서로서로에게 연합될 수 있게 된

것이다56)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말하는 또 다른 특성은 교회의 공동체적 성경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개인주의적 교회관과는 대립되는 개념이다 교회는 신앙을 가진 개인들

의 단순한 집합정도가 아니라 공동체를 통해 개인과 성도의 교제로 나아감을 말한

다57) 즉 교회는 개인의 모임을 넘어선 개인 간의 사귐과 섬김의 교제가 있는 공동체

를 말하는 것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관점의 의미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규정은 그의 사명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난 새 관계를 통해서이다 그에 대해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

하나님의 그 자신에게로 그의 백성을 부르심은 세상에 대한 사명

에 종속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궁극적인 계획은 그리스도

안에서 택함 받은 새 인류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하는 것이기 때

문이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남은 자를 택하시고 구속하신 하

나님의 주권의 두려운 신비를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세상에서의 하나님의 사명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것에

대한 그의 계시를 알아야 한다58)

55) Hans Kung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169-17156) Edmund P Clowney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2757) Kung 교회 17358)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2

2 그리스도의 몸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보는 시각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기독론적인 방법

으로서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 중심의 본질성과 그리스도와 성도의 불가분의 연합

성을 나타내는 표현이며 더불어 유기적인 구조로서 교회를 가장 잘 나타내는 말이다

그리스도의 몸이 강조하는 것은 온 성도가 머리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히 연합하

여 한 생명의 근원 아래서 몸에 붙여 있는 지체로서 각자의 역할과 생물학적인 관계

와 연결 아래 있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를 보는 시각은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몸으로서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간의 관계와 함께 서로 지체로 영향을 주고받는 성도들 상호간의 관

계를 강조하는데 고전 1227에서 ldquo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rdquo고

말함으로써 바울은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 성도 개개인의 상호연결성과 서로 간에 의

존관계로 교회를 다루면서 개개인에게 주어진 다양한 은사들마저도 개인의 유익을 위

한 것이 아니라 몸 전체의 덕을 세우기 위해 주어진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자신이 세상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표징과 도

구로서 자신 만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세상을 위한 존재이며 그리스도의 몸인 동시에

죄인들의 공동체이다

교회의 본질을 그리스도의 몸으로 비유함에 있어서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

하고 있다

그리스도께서 구약으로부터 계속 반복되어진 언약의 머리되심이라

는 배경 위에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언약의 머리가 그

리스도일 때 그 언약 안에서 화해의 장이라는 역할을 감당하는 교

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 비유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안에 관계적인

어려움이 무너지고 진정한 화해가 이루어지는 것 또한 그리스도께

서 십자가에 달리신 그 몸에서 부터인데 우리 안에 원수 된 것은

그 안에서 소멸되었고 우리 둘은 그로 말미암아 아버지께 나아감

을 얻게 되었음을 확실히 하고 있다59)

그리스도의 몸이란 개념 속에는 교회를 계급 제도보다는 예배공동체로 정의하는

데 이 예배를 통하여 현존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몸을 이루어 나가시는 사건으

로 예배를 통해 한 인간의 모습이 아닌 성도의 교제로서 공동체의 모습을 취하게 된

59)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3

다 예배의 참됨은 성도들의 사랑의 교제 속에서 입증되며 이러한 생각은 거룩한 존

재와의 교제를 통해 성도들이 일치되는 것을 교회의 본질로 보는 사도신경의 교회론

과도 일치하는 부분이다60)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이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이며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

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

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한다61)

그리스도께서 성도들을 그의 몸의 일부분이 되도록 함으로써 은혜가운데 두신

이유는 성도들 또한 서로 간에 한 몸이 되도록 노력할 것을 요구하심이다 어느 한

부분이 약해져있거나 병들어 있다면 그것은 몸 전체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심지어

는 생명 전체를 위협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 건강한 몸은 건강한 각 지체들이 건강

한 관계로 서로 상호작용할 때 가능한 일이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건강한교

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각 지체가 건강해야할 뿐만 아니라 그 연결을 의미하는 관계에

서도 건강한 관계를 이루고 있음으로 해서 몸된 교회는 존재의 건강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공동체는 보이는 않는 그리스도의 몸의 가시적인 형태이다 역사적으로 이 그리

스도의 몸이란 용어를 너무나 추상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어왔는데 이는 지극히

구체적인 형상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이 공동체적인 삶으로 함께 살아감으로써 그리스도

의 한 몸이 됨을 나타내야 하고 이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주체의 자리를 회복할

때 보이지 않는 그리스도가 몸된 교회로서 그리스도의 공동체를 통해 보여져 나타나

게 될 것이다62)

60)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29061)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33462) 김현진 공동체신학 37

34

3 성령의 전

오순절에 성령이 강림하심으로 비로소 신약 교회의 탄생이 이루어졌고 이후로

성령께서는 계속해서 교회를 세우시고 교회 안에 내주하고 계신다 고전 1213에서는

ldquo우리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자나 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

이 되었고 또 다 한 성령을 마시게 하셨느니라rdquo63)고 말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바울은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들 안에 계심으로 우리가 lsquo하나님의 성전인 것(고전 316)rsquo과 우

리 각자의 몸이 lsquo성령의 전(고전 619)rsquo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또한 에베소서 2장 21~22

절에서는 lsquo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가고rsquo이며 lsquo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거하실 처소가 되

어간다rsquo고 말하고 있다 게다가 성령은 오순절강림을 통해 각 제자들이 방언을 말함으

로 복음을 증거하며 기사와 표적을 나타내었던 것과 같이 교회 안에 자신의 능력을

부어주심으로 교회를 교회되게 하며 교회가 감당해야할 사명을 주관하신다 예수 그

리스도를 믿고 하나님을 아는 것은 성령의 능력으로 말미암는 사건이고 초대 교회의

형성은 성령의 능력 안에서만 가능한 사건이었다

클라우니는 신약시대 교회에 대하여 교회의 통일성을 성령의 교제의 결과로 보

았다 성령의 사역을 그리스도와의 생명의 연합으로 이야기하면서 결국 교회란 그리

스도 안에서의 공동의 삶으로 해석하고 있다64)

예수님이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

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완

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암

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

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다65)

또한 성령의 가장 중요한 사역 중의 하나는 고린도후서 13장 13절 ldquo성령의 교통

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rdquo의 말씀과 같이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사이의

교제가운데 그 능력을 나타냄으로 교회 안에 사랑의 교제와 연합이 있게 하신다 성

령께서는 성도들로 화목제물 된 그리스도의 구속을 바탕으로 하나님과 화목한 관계로

교제하게 하며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되는 교제와 관계를 이끌어가는 실제적인

63) 성경인용은 한국어 개정판 성경을 사용하였다64) Edmund P Clowney 교회론 8765)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

35

주관자이시다 성령이 각 사람 마음에 임할 때 그 사람은 성령의 교통케 하심을 통하

여 하나님과 끊어진 관계가 회복되며 이뿐 아니라 교회를 이루는 지체로서 각 성도들

과 연합하며 교제를 가능케 하신다 더불어 각 지체들이 은혜로 받게 되는 각양 다양

한 은사들이 모두 성령께서 그 뜻을 따라 나누어 주는 성령의 은사로서 이를 통해 교

회는 하나의 모임에서 더 나아가 유기적으로 각 기능을 감당하는 부분을 통해 교회의

본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

자가 속해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

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

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게 된 것이다66)

창조주 하나님과 각 개인의 관계 속에 혼란과 왜곡이 일어날 때 그 관계는 병든

모습을 띠게 되고 이는 구조적으로 창조세계 전체에도 함께 혼란을 불러일으키게 되

는데 이를 다른 용어로 lsquo죄rsquo라고 한다67) 나의 죄는 셀 수 없이 많은 형태로 다른 이

들에게 영향을 끼치며 그리고 다른 사람의 죄 또한 나에게 그러하다 개인이 모두의

영역 안으로 그리고 모두가 내 안의 영역에 대해 동일하게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보게 된다68)

많은 프로그램들을 시행하는 모임들을 가진 교회가 아닌 그저 모임들로 이루어

진 교회 관계가 중심이 되는 사역을 위해서는 당연히 교회는 접촉과 보살핌이 가능

한 구조로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이는 전체 교회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

핌 조직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결코 큰 수를 단위로 해서는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즉 교회가 작아질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다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

66) Ronald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5867) Colin E Gunton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5968) Ibid 63

36

든 구성원이 얼마나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린 것이다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지금까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성도들 사이의 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직접적인 참여나 헌신을 통하여 관계를 세워가고 깨어진 관계를 치료하며 약해진 관

계를 강화시키는 것에 주로 집중해왔으며 신학자들은 그 모든 과정을 하나님의 섭리

와 주권으로 이해해왔다 현재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관계로 인하여 죽어가고

고통당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 관계신학은 모든 사람들을 죄와 고통가운데에

서 구원하기 원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한 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그들의 집이 불타며

많은 잔인한 사람들로 인해 일어나는 범죄들 속에서 입고 있는 상처까지도 살펴야한

다 게다가 자연세계는 무분별한 인간의 개발에 신음하고 있다 교회는 관계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를 통해 세상을 돌보며 연약한 자에게 찾아가며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에까지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일을 해내야 하는 사명을 품고 있다 이어

서 관계신학의 관점에서 교회 사역가운데 필요한 관계중심의 실천적 과제에 대해 논

해보고자 한다

1 관계중심의 리더십

목회자 리더십의 근원은 하나님과의 관계로부터 나와야 한다 목회자가 관계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으로 세워질 때는 단연 하나님과 사명을 맡은 자로서 하나님과의

바르고 건전한 관계가 우선되어져야 한다 그 다음 목회자는 특정한 교회나 특정한

영역에 파송 받아 목회를 하는 특수한 지도자로서 목회를 하는 자리인 교회와의 관계

에서 제대로 된 리더십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더불어 목회자는 교회가 속한 지역

사회 속에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만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풀러신학교의 교수로 재직했던 Carl F George는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는 무엇

37

인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람들을 억지로 조직에 끼워 맞추지 않으며 오히려 사람들이 상

호 간에 친근감을 갖도록 도와줌으로서 미래의 교회에서는 목회자

들이 관계목회를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모든 지도자들은 사역이 아니라 관계를 중시하고 또한 소그

룹들조차도 그들의 직무나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양육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핌을 중심 가치로 여겨야 한다69)

목회사역은 주로 관계와 관련되어 있으며 성도들의 정서적 경험과 연관되어 있

음으로 해서 성공적인 사역은 단순히 성경적 신학적 지식이나 사역자의 경건 수준

혹은 기도의 분량이나 헌신도 어떤 특정한 목회기술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아닌 오

히려 사역자의 정서적 성숙 및 그 수준과 불가분의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70)

또한 Carl F George는 미래교회의 모습을 예견하면서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의

실천적 모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1 사람들이 의존에서 벗어나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2 사람들이 공동체 내에서 자신들의 영적 은사를 활용할 수 있도

록 그들에게 힘과 권한을 부여한다3 목회 자체를 방법이나 커리큘럼보다는 변화된 삶과 더 많이 연

결시킨다4 사람들을 성씨(姓氏)의 가나다순이나 우편번호(지역)나 나이 등

을 기준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친근감에 기초를 둔 관계를

기준으로 나눈다5 부끄러움 죄의식 또는 책임보다는 목회자가 먼저 본을 보이는

것에 의해 동기를 부여한다71)

Schwarz가 이야기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성장하는 교회에서 가능한 것은

그 교회가 이미 성장이라는 궤도에 올라서 있기 때문이다 작은 교회에서 성직자와

구별되어 교회로부터 일체의 사례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 이미 지적으로 높은 수준에

올라있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새롭게 훈련시켜 세우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69) Carl F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7470)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571)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75

38

이는 결국 성장하지 않는 교회로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의 부재라는 외적인 모습

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은 이미 성장한 교회에서

가능할뿐더러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것은 상황과 특수성을 무시한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도 적용 가능한 것이 바로 관계중심의 리

더십을 통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이다 평신도를 사역자로 훈련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적 재정적 시간적인 요소들이 필요하지만 반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을 위해서는

훨씬 작은 훈련과 재정으로도 가능하다 물론 여기에서 관계가 의미하는 바는 그리스

도의 온전한 제자로서 하나님과 교회와 세상과의 관계를 말한다 포스트모던 시대

성도들은 어느 때보다 건강한 관계에 목말라 있다 교회에서 목회자부터 관계를 세우

는 목회의 자리로 나아가야 한다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그동안의 복음이 일관되게 각 개인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해서만 거론되고 있

는데 이를 바로잡아 개인과 개인의 모임으로서 교회공동체를 통한 복음이 선포되어야

한다 배고픔에 처한 자에게는 음식을 얻을 수 있는 길이 복음이 될 것이고 불치의

병에 걸려 죽음을 앞에 둔 이에게는 병으로부터의 치유에 대한 방법이 복음이 될 것

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순간적인 것이 아닌 영원과 관련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교회

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자가 속해

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

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

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

게 된 것이다72)

예수님께서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72)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58

39

완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

암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

들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라고 김세윤은 말

하고 있다73) 즉 예수님의 복음은 늘 공동체적이고 교회지향적이었다 복음이 단순하

게 불신자를 설득해 교회 안으로 데리고 들어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수의 복음을

통해 회복된 관계를 증거해야한다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에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으로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의 모습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하고

있다74) 그러므로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요약되는 가진 자들에겐 부의 연장으로서

없는 자들에겐 고통스런 인내 후에 성취될 보상으로서의 천국에 대한 복음이 아닌 현

세에 이미 이루어진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가 바로 예수님이 증거하신 하나님 나라의

복음임을 증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

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든 구성원이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

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

린 것이다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더불어 예배는 하나님과 인간의 진지한 만남이기에 그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체험이 존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많은 은사주의 교회들은 방언과 같은 가시적인 현

상을 강조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예수 그리스도의 마지막 만찬을 통해 세운 의례로서

73)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74) Ibid 334

40

성만찬의 회복은 예배에서의 만남과 임재의 체험의 증거로서 건전한 방편이 될 수 있

기독교는 관계의 종교이다 많은 관계들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은 그리스도

와 맺는 관계이며 모든 것은 그 관계를 어떻게 관리하고 유지하는가에 달려 있는데

실제로 성도들로 하나님이신 예수님과의 관계에 대해 제대로 된 훈련의 기회가 제공

되지 못해 왔다75)

삼위일체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은 관계를 맺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

고 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서로 다른 인격체들과의 관계 속에서 사랑과 협력 그리

고 일치된 공동체의 본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이 하나님을 닮아가는 삶을 살고자 노

력한다면 하나님은 은혜를 베풀어 인간의 공동체도 삼위일체를 닮아 가도록 인도하

신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서로 교제하고 섬기는 것은 그것이 서로에게 기쁨이 되기

때문으로 진정한 사귐에는 기쁨이 나타나는데 이처럼 삼위일체 하나님의 서로 간의

사귐과 섬김을 통해 그 존재 목적을 나타내며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코이노니아의 모

범을 보이고 있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상호 사귐과 섬김의 공동체이듯 교회 안에서

성도들 사이에도 이와 같은 사귐과 섬김을 통한 온전한 공동체를 이루어 나아가야 한

다 구원사역의 본질도 이처럼 하나님과 세상과 성도들 사이의 사귐과 교제를 회복하

는 본질적으로 삼위 하나님의 모습과 동일하다 가장 초기의 모습으로서 삼위일체 하

나님이 관계적 공동체의 모습은 다시 성부 하나님의 계획과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을

통해 성령께서 이루신 교회 공동체 속에 다시 투영되어 모든 관계의 모범으로서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공동체를 세워가야 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드려지는 진정한

예배란 하나님과의 사귐 성도들과의 사귐 그리고 세상을 향한 사귐으로서의 결단이

함께 하는 예배여야 할 것이다

함께 모여 드리는 공예배가 각 개인이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는 자리에서 더욱

성숙해서 공동체가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며 그 안에서 일어나는 공동체적 경험으로

서 성만찬과 같은 개별적이었던 개인의 연합을 경험하는 화해의 역사가 일어나는 예

배여야 한다 교회 안에서부터 막힌 담이 무너지지 않고 어떻게 세상 속에서 관계의

회복을 논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모든 공예배는 다양한 방편을 통해 서로 안에 공

75) Leonard Sweet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52

41

동체로서의 체험을 가능케 하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4 가정 중심의 사역

건강한교회의 바탕으로서 건강한 가정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에 대한 아이의 느낌

과 이미지는 부모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나님의 이미지와 그 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부모 사이의 연속성은 직접적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정반대일수도 있다76)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

한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

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교회 내에서 가정을 위하고 자녀 부부 부모자녀 간에 있어지는 일등에

대하여 많은 가르침과 다양한 사역의 실행들이 있어왔다 게다가 한국적인 정서 또한

가정에서 효(孝)와 경(敬)을 중시하는 문화적 전통으로 인해 늘 가정은 중요시되어왔

고 가정교육의 중요성 또한 늘 강조되어 왔던 부분이다 그럼에도 현대에 들어와서

나타나는 많은 가정의 문제들 앞에서 교회는 그리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무기

력하게 방관자적 입장에 놓여할 때가 많았다 그러는 중에 사회적인 추세보다는 앞선

입장에서 많은 신학교들에서 상담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거기에 발맞추어 교

회에서 가정 사역을 적극적으로 나서서 시행하기 시작하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

이지만 여전히 교회는 양적인 성장과 결과에 민감하게 가정 사역을 대하고 있다는 사

실은 아직 성숙하지 못한 가정사역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현대 사회는 이러한 친감을 다시 가정으로부터 빼앗아 여러 가지 상업

적인 목적을 가진 대형기업과 각종 디지털장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소셜네트웍이 차

지해 가고 있으며 포스트모던사회가 추구하는 쾌락중심의 관계를 최고의 선으로 여김

으로서 이 세대 가운데 가정이 설 자리는 갈수록 좁아져 가고 있다

교회 안에 함께 하는 이들에게는 저마다 가족에 대한 해결되지 않은 애착의 문

제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자기의 일이나 사역의 현장에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교회를 대리 가족으로 삼아 그곳에서 가족의 묵은 문제를 다루거나 개선하려는 시도

76) Michael St Clair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24

42

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으며 가족에게서 받지 못했던 미흡했던 관계의 개선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본인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과

거의 가족 경험에 대한 자동적인 반응으로서 원가족 경험은 부부 및 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교회에서 사역하는 방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77) 때로는 이것들이

교회의 건강성을 훼손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가정

을 더 이상 교회성장의 밑거름으로가 아닌 교회가 도달해야할 목표로 삼아 가정을 회

복시키고 세우며 성도들이 건강한 가정에서 진정한 사랑의 관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삶과 신앙의 일치 신앙과 신학의 건설적인 만남을 추구하는 모든 신학은 lsquo하나

님의 주권rsquo을 전제로 한다 하나님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창조하셨기 때문에 이 세상

의 어떤 것도 그의 주권적 질서 밖에 존재 할 수 없다 하나님이 정치 경제 문화 생

활 전반을 포함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주관하신다는 것은 하나님이 교회 안에서만 아

니라 정치 경제 문화 영역에서도 일하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교회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강조로써 교회의 신뢰도 추락에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요소 가

운데 하나인 이원론적 사고와 편견을 극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관계신학적 입장에서

교회는 더욱 세상 속으로 나아가야 하고 특별히 주변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세우는 사

명을 감당해야 한다 우주는 하나님의 영광이 펼쳐지는 무대라는 칼뱅의 고백처럼 정

치 경제 문화를 망라한 전 사회의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이 인정되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정치 경제 사회적 부정 비리 사건들에 거의 빠짐

없이 교회와 관련된 이들 더욱이 교회의 중직자들까지도 연루되어 있어 왔다 교회의

중직을 맡아 봉사하던 이들이 어떻게 세상의 비판과 조롱거리가 될 정도의 삶을 살게

되었을까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지만 첫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세

상이 그만큼 골고루 악해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교회의 중직

을 맡을 정도로 교회 생활을 많이 해 온 그들이지만 세상의 악한 세력과 맞서 싸우며

77)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8

43

살기에는 너무 무력해서 세상과 타협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그들은 우

리에게 lsquo교훈을 주고 책망하며 또한 바르게 하여 줌으로써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여 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온전케 하여 주는 말씀의 능력rsquo을 체험하지 못했기 때

문에 악한 세상의 세력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 악해지고 더욱 속이기도 하고

속기도 해서 lsquo정직한 사람은 성공하기 힘들다rsquo는 말이 옳은 말로 들릴 정도로 악한 세

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이다 그렇지만 말씀을 우리 삶의 우선적인 등불로 삼아 그 말

씀으로부터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여 ldquo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더욱 온전케 되

어rdquo(딤후317) 진정으로 하나님의 사람들이라 불릴 수 있는 정직한 그리스도인들이 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신뢰도가 높지 못하다는 비판은 바로 한국 기독교인들이

신앙인답지 못함 즉 정직하지 못함을 지적한다 한국 교회의 부정직성은 한국교회가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을 향한 충성이 부족함을 뜻한다 그러므로 지역사회가 교회

를 신뢰하게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신앙인 됨의 기초인 영성을 점검해야 한

다 신앙과 삶의 일치에 대한 당위성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고백 뿌리 깊은

죄성에 대한 통찰에 기초한 계속적인 자기개혁 등은 한국 교회 신뢰도 증진에 전제

요소들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신앙적 내용들에 대한 확인과 점검 즉 신학적 작업은

성도들로 하여금 복음을 개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삶의 태도를 갖게 할 것이다 이

러한 복음에 대한 개방적 수용은 한국 교회로 하여금 ldquo개혁되어진 교회라도 계속 개

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78))rdquo라는 종교개혁의 정

신을 계승하도록 할 것이다 하나님의 주권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확고한 비전은 한

국 교회와 사회 전반에 대해 일관된 개혁적인 태도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전

하게 한다 또한 기본적인 영성에 대한 점검은 기독교인들을 자신의 삶과 태도를 절

대시하거나 그 안에 안주하지 않고 하나님 나라의 비전 즉 lsquo하나님과 이웃사랑의 삶rsquo

과 lsquo작은 자와 함께 하는 삶rsquo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므로 신뢰받는 교회 즉 건강

한교회가 될 수 있다 지역사회가 병들고 위험에 처하게 될 때 교회 또한 그러한 위

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교회는 세워진 그 지역을 위해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터전

78)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 fn1-11529

44

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과감하게 그 안에 참여하고 소금과 빛

의 역할을 감당해 나가야 한다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Leonard Sweet은 그의 책 관계의 영성에서 ldquo성경에서 일관되게 정의하는 믿음은

기본적으로 하나님과 이웃 세상 그리고 자연과 맺는 일련의 관계rdquo79)라고 말하고 있

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라함은 결국 성도 개인과 하나님 뿐 아니라 하나님께서 창

조한 자연 만물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관계적 믿음 안에 있는 사역의 모습은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고 지키며 가꾸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일이어야 한다

교회 건축에서부터 환경친화적 건축이 되어야 하고 교회 안의 모든 활동에서 교회는

하나님의 창조세계인 자연의 보호자임을 나타내야 한다 일회용품 사용의 억제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교회차량의 친환경화에까지 비록 많은 비용 부담을 감내해

야 하고 당장 모든 교회가 시행할 수는 없지만 하나님의 교회는 창조세계에 대한 책

임을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한다 주일 하루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하는 일과 같은

경우도 교회 내의 성도들에게 뿐만 아니라 세상을 향한 교회의 사명을 증거하는 강력

한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더불어서 주차 때문에 일어났던 교회 주변 이웃들과의 갈등

을 줄이는 효과를 더불어 누릴 수 있다

지구 온난화로부터 야기된 해수온도 상승과 빙하의 감소는 생태계의 커다란 파

괴를 초래하고 있다80) 이외에도 각종 환경오염과 오존층파괴 생태보호종의 무분별

한 남획은 지구 생태계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인간의 탐욕에 의해 일어난 환

경재앙이 이제는 인간의 삶의 터전을 무너뜨리며 결국에는 전 지구적인 재앙을 일으

키게 될 것은 자명하다 거듭난 그리스도인으로서 성도는 자연 만물과도 회복된 관계

속으로 나아가야 한다 환경을 지키고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일에 교회의 역할이 필요

하다 기후붕괴를 일으킨 지구온난화를 관계신학적인 관점에서 인식하고 생태계의 위

기 상황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회복을 위한 사역에 대한 논의와 비전이 일어나야 한

다81)

79) Sweet 관계의 영성 3780)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한국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참고

45

다음 장에서는 다양한 교회건강이론들에 대해 살펴보면서 특징들을 비교하고 이

시대에 필요한 건강한교회는 어떤 교회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81) 김영선 관계신학 336

46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그동안 한국교회는 성장과 부흥에 집중해 왔다 양적으로 많이 모이고 규모가 큰

교회는 다른 교회들의 모범적인 부흥의 사례가 되었고 그 교회 목회자 또한 부흥의

방법을 배우려는 이들의 모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이슈들

을 겪으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인다는 단지 그 이유로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시점에서 질적인 성장을 강조하는 교회건강에 대

한 움직임은 고무적인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그 내부를 좀 더 살펴보면 그 또한

변형된 양적성장운동임을 보게 된다 일정한 활동을 통해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양적

성장을 통해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규정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그동안의

양적성장에 비해 뒤쳐진 질적 특성을 보완하여 계속적인 교세의 성장을 위한 것이다

건강은 교회의 외적 규모를 가지고 결정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크지만 병이

걸려있는 교회가 얼마든지 존재하며 작지만 내실이 든든해서 건강한교회들 또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번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을 살펴보면서 먼저는 독일에

본부를 두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을 연구한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이론과

Wagner Anderson Macchia의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을 연구한 결과들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비교해서 NCD 이론에 나타난 약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

운 방안으로서 다음 장의 관계성 중심 사역을 위한 관계신학으로의 주장에 대한 근거

를 마련해 보려 한다

47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Schwarz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NCD의 이론에 따르면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는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보다 괄목할만하게 개발된 질적 특성들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질적 특성들은 대표적으로 8가지이며 이것들은 모든 교회 내에 존재

하는 요소이다 Schwarz의 연구는 양적 성장 자체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질적 성장의

원리를 통한 접근방식을 취한다 이 방법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가정은 좋은 lsquo질적

특성rsquo은 lsquo양적 성장rsquo이라는 결과를 반드시 가져온다는 것이다 lsquo질적 특성rsquo이라는 용어

는 어떤 상황에 처한 모든 종류의 교회들에게 타당한 원리로서 묘사된다 여덟 가지

질적 특성의 모든 측면들은 질적 및 양적 성장을 경험하기를 원하는 어떤 교회에 대

해서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며 연구 결과이다82)

계속해서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에 대해 개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NCD 이론을 통해 제시하는 교회건강의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이다 지도자의 리더십에 따라 교회가 나아가는 방향과 목회철학을 비롯한 사

역들이 정해진다 리더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질적으로 건강

하고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면 교회 지도자는 교인

들을 양육하고 훈련하여 교회 사역자로 세우고 그들에게 권한과 책임을 위임하는데

있다는 사실이다 그와 같은 지도력은 lsquo유능한 지도력rsquo이 아니라 lsquo사역자를 세우는 지

도력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83)

NCD의 조사 연구 결과는 lsquo목표 지향적rsquo이 지도력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이긴 하

지만 흥미로운 것은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나 성장하지 않는 교회의 지도자나 이 점

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며 건강한교회의 지도자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세우는

지도자라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 유념할 부분은 평신도를 사역의 동역자로 세우는 교

회 지도자가 있는 교회가 lsquo성장한다rsquo는 것을 이유로 교회건강을 위한 질적 특성들 중

82) Christian A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18383) Ibid 28

48

하나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는 것이다84)

2 은사 중심적 사역

두 번째 질적 특성인 은사 중심적 사역 역시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과 긴한 관

계가 있다고 한다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가 가져야 할 첫 번째 리더십이 사역자를 세

우는 리더십이라면 두 번째 질적 특성은 지도자가 교인들을 사역자로 세워 실제적으

로 어떤 분야의 사역을 감당하도록 교인의 은사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을 말하

는데 하나님께서는 이미 각각의 그리스도인들 마다 그들이 해야 할 사역을 이미 정해

놓으셨다는 것이고 교회 지도자들의 역할은 교인들이 그들의 은사를 발견하여 은사와

연관된 사역을 하도록 돕는 것이 교회 리더십의 역할이라고 규정짓고 있다85)

교회 지도자의 역할은 교인들이 자신의 은사가 무엇인지를 발견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은사를 따라 사역할 수 있도록 잘 조정해 주는 것인데 그리스

도인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은사를 따라 섬길 때 인간의 힘으로 하는 부분은 줄어드는

대신 성령의 능력 안에서 이뤄지는 일은 더 많아지게 된다 NCD의 조사 결과 흥미롭

게도 은사 사용 여부만큼 그리스도인의 삶에 만족을 가져다주는 요소는 없다는 사실

이 나타났다 ldquo은사 중심rdquo(나의 사역은 내 은사와 맞다)과 ldquo기쁨이 넘치는 삶rdquo(나는 나

자신을 행복하고 만족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연관성이 있다

는 사실이 조사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이라는 것이다86)

3 열정적 영성

세 번째 질적 특성으로서 lsquo열정적 영성rsquo은 구체적으로 교인들이 실제로 헌신하며

사는 믿음과 뜨거운 열심을 의미한다 질적으로 평균 이상이거나 평균 이하인 것을

불문하고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분해 주는 핵심적 요소는 영적

신조나 영적 관계는 아니었다 ldquo이 교회 성도들은 불붙어 있는가 성도들이 기쁨과 열

정으로 헌신과 믿음의 삶을 살고 있는가rdquo하는 점이다 이 점에 있어서 성장하는 교회

나 퇴보하는 교회 사이에는 그 교회의 영적 문화의 모습에 관계없이 큰 차이가 있으

84) Ibid 2285)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3086)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4

49

므로 NCD는 이러한 질적 특성을 lsquo열정적 영성rsquo이라 부른다87)

NCD는 열정적 영성이라는 질적 특성을 교인들의 기도 생활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들이 조사한 교회의 성도가 기도하는 데 얼마만큼의 시간(양)을 보내느냐

하는 것은 그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에 미미한 영향밖에는 주지 못한다 반면 그 기

도가 영감 있는 경험이었나 하는 것은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개인적으로 성경을 보는 것과 개인의 영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들의 조사 결과도

이와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NCD가 말하는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사

이에서 눈에 띄게 다른 것은 영적 열정의 정도이다 교인들이 얼마나 기쁨과 헌신적

으로 살고 있으며 이러한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것이 질적

성장을 하는 교회의 세 번째 특징이라고 말하고 있다88)

4 기능적 조직

네 번째 특성에 숨은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한 교회 내의 형식과 조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느냐의 여부이다 교회

조직 자체는 절대로 궁극적인 목적이 될 수 없고 오히려 조직은 단순히 목적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요구 사항에 맞지 않는 것들(지도력을 감소시키는 조직

불편한 예배 시간 교인들에게 효과적이지 못한 프로그램 등)은 모두 바뀌든지 중단되

어야 한다는 것이 NCD의 조사결과이다89) 이러한 질적 특성은 어떤 교회가 가지고

있는 조직의 수가 많고 적음 혹은 이 조직의 신구(新舊)가 중요치 않음을 가리킨다

오히려 그 기준은 그 조직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lsquo얼마나 유용한가rsquo로 결정된다는 것이

다90)

NCD는 적절하고 기능적인 교회 조직에 관한 수많은 사례들을 수집하고 이 조직

들을 비교하면서 이러한 조직들은 명백하게 의미 있는 공통 요소들을 갖고 있다고 말

한다 첫째 조직들은 지도노선(또는 목회철학)에 맞추어 방향을 정한다 둘째 성공적

조직들은 유용치 않은 모든 것을 기꺼이 제거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87) Ibid 268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689)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3590) Christian A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228

50

목회 철학에서 정의한 특정한 초점에 집중한다 셋째 성장하는 교회의 조직들은 거의

전적으로 증식 조직들이고 이 증식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자율성과

자활 능력을 갖는 하부구조를 만든다는 것이다91) 이처럼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는

사역의 효과를 높이고 어떤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조직을 개발하고 갱

신하는 교회라는 것이 NCD의 네 번째 질적 특성이다

Schwarz의 연구가 바탕이 된 NCD의 이론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그 질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고 이를 교회의 건강성

의 척도라고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다른 질적 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5 영감 있는 예배

교회 성장을 결정짓는 요소 가운데 하나는 예배이다 모든 교회는 예배한다 단

순히 예배드리는 것이 교회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문계는 어떠한 예배인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예배의 어떤 방법으로 드려야 하는가하는 방법상의 문제도 아니

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교회의 예배가 예배 참석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예배인가 하

는 것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별해주는 한 가지 기준은 성

장하는 교회는 영감 있는 예배를 드린다는 것이 NCD의 진단이다 교회 성장에 있어

서 결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진 다른 기준이 있다면 그것은 ldquo예배가 과연 성도들에게

영감 넘치는 예배인가rdquo라는 점이다 NCD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회들을 상대로 예

배에 관해 질문한 11개에 대한 대답 모두가 서로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체되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와 성장하는 교회를 구분하는 확실한 기준은 바로 예배라고 말

한다92)

예배는 신자 중심으로 드려지거나 불신자 중심으로 드려질 수도 있고 전통적 스

타일로나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드려질 수도 있고 사용되어지는 언어가 거룩하거나

세상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교회 성장과 무관한 것이다93) 어떤 특정한 예배

형태가 교회성장을 좌우하는 것이 아니고 lsquo영감 있는 예배rsquo가 있는 교회가 질적으로

91)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2992)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93) Ibid

51

성장하는 교회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NCD는 lsquo영감 있는rsquo이라는 말의 근원인 인

스피라티오(inspiratio)라는 단어의 뜻에는 하나님의 영으로부터 오는 영감이라는 의미

가 내포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관념적인 성령의 임재가 아니라 성령이 진정으로 역사

할 때에 예배의 분위기는 물론 예배 절차에 구체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94)

6 전인적 소그룹

NCD는 420만 개의 응답을 분석한 후 170개의 교회성장 요소를 발견하였고 그

가운데 다시 8가지 요소들을 정리했는데 그 8가지 요소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성장

요소로 lsquo전인적 소그룹rsquo을 들고 있다 그들은 전 세계에 걸쳐 성장하는 교회나 쇠퇴하

는 교회에 관해 연구하면서 소그룹의 계속적인 번식은 보편적 교회 성장 원리가 된다

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더 나아가 소그룹이 교회의 질적 특성과 양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려면 어떻게 소그룹이 운영되어야 하는지 또한 밝혀냈다 그렇게 되려면

소그룹이 단순히 성경구절을 공부하는 데 그치지 말고 그 구절의 메시지를 매일의 삶

에 적용시키는 전인적(단지 각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온전한)인 소

그룹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소그룹 안에서는 사람들이 자기가 실제 처해 있는

개인적인 문제나 질문들을 내어놓을 수 있어야 한다95) 여기서 말하는 전인적 소그룹

이란 교인 개개인이 서로 간에 친한 교제를 나눌 수 있고삶의 현실적인 영역에서

도움을 받으며 또한 강한 영적 교제도 나눌 수 있는 체제를 의미한다 소그룹이라는

소우주(小宇宙)내부에서도 교회 전체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동일한 과정이 발생한

다고 말하고 있다96)

질적 지수가 높은 교회와 수적으로 성장하는 교회에서는 예배 참석보다는 소그

룹에 우선을 두는 경향이 다분하다 소그룹이라는 것은 좋기는 하지만 안 해도 되는

취미생활과 같은 선택 활동이 아니다 교회 생활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들 중

많은 부분이 소그룹 안에서 이뤄진다 교회가 커질수록 소그룹 원리는 계속되는 성장

을 위한 결정적 요인이라는 사실을 NCD 연구가 확인해 주고 있다97)

94)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3195) Ibid 3296)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479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2

52

사실 이 소그룹은 다른 질적 특성들과 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소그룹이 이루어

지려면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필수적이고 소그룹 환경 내에서 은사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다 소그룹은 조직을 언제든지 갱신할 수 있는 순발력이 있고 즐거운 예

배를 경험케 되며 불신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전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한 친한 사랑의 관계를 나눌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소그룹인 것이다 이처럼 NCD

가 8가지 질적 특성 가운데 소그룹을 가장 중요한 원리로 꼽는 것은 소그룹이 갖는

장점이 다른 질적 특성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2장에서도 살핀 바와 같이

소그룹은 포스트모던이라는 시대에 현대인들의 진정한 관계에 대한 필요를 채워주는

중요한 도구라는 면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7 필요 중심적 전도

성장하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 이것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전도를 하지 않

는 교회는 없다 모든 교회는 전도에 힘을 쓴다 그러나 문제는 전도의 필요성이 아니

라 전도를 통해 교회가 실제로 성장하는가 하는 것이다

Schwarz는 우리의 관심을 끄는 문제는 전도의 필요 여부가 아니라 실제로 하고

있는 전도가 교회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며 성장하는 교회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어붙이는 인위적인 전도 방법과 전혀 반대되는 불신자들의 의문에 답해

주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방법이라고 말한다98) 전도의 은사가 있는 사람과 하나

님께서 다른 분야의 일로 부른 사람을 반드시 구분해야 한다 연구 조사 결과 높은

질적 지수를 갖고 있는 교회의 지도자는 누가 전도의 은사를 갖고 있는지를 알고 그

들에게 맞는 사역을 맡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99)

교회 성장의 열쇠는 교회가 전도의 초점을 불신자들이 당면한 문제와 필요를 충

족시키는 것에 맞추는 데 있다 이러한 lsquo필요 중심적rsquo 접근 방식은 불신자들의 필요를

충족시켜주지 못함으로 불가피하게 불신자들에게 부담과 압력을 느끼게 하는 인위적

프로그램과 다르다 이미 갖고 있는 관계를 전도를 위한 기회로 사용하는 것이 핵심

이다100) 현존하는 불신자들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전도의 초점을 그들의 필요를

98)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4499) Ibid100)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5

53

충족시키는 실제적 전도를 실행하는 교회가 NCD가 제시하는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

의 일곱 번째 특성이다

8 사랑의 관계

마지막으로 NCD는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실제적으로 경험

되는 교회라는 것이다 인간의 관계에서 사랑이 다양한 모습으로 자주 경험되는 교회

가 그렇지 못한 교회보다 질적 양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평균적으로 볼 때 성장

하는 교회들은 정체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에 눈에 띄게 높은 lsquo사랑 지수rsquo(love

quotient)를 갖고 있다 웃음이 넘치는 교회 생활과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 사이에는

중요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놀라운 사실은 이것이 그렇게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교회 성장 문헌에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NCD의 연구 자료에

의하면 그것은 분명히 교회 성장 원리로서 충분한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우리가 사랑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듣기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사랑이 정말

어떻게 역사하는지 경험하기를 원한다101)

낮은 사랑 지수를 보인 교회들은 행하는 전도는 대개 단지 말로만 하는 활동으

로 제한되지만 잘 발달된 사랑 지수를 가진 교회들은 언어적 방법으로만 움직이는 교

회들보다 다른 사람들을 훨씬 더 크게 끌어들인다는 것이다 조사에 참가한 1000명

이상이 출석하는 교회들을 조사해 본 결과 그들에게 있어야 할 여러 가지 질적 특성

들 중 가장 빈번하게 최소치 요소가 lsquo사랑의 관계rsquo였다는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었

다 사랑이 부족한 곳에서는 어디서나 교회가 더 성장할 수 없도록 심각하게 방해받

는다는 것이 NCD의 마지막 질적 특성과 관련된 주장이다102)

이상으로 Schwarz의 연구를 바탕으로 둔 NCD의 교회건강의 이론적 근거인 8가

지 질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위의 8가지 특성을 수치화하여 그 중 가장 낮은

수치의 영역을 보완함으로써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그들이 말하는 lsquo최소치

전략rsquo이다103) 이를 통해 Schwarz의 연구가 질적인 특성을 말하고 있지만 결국 이 또

한 양적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얼마나 결과 중심적으로 교회의 건강을 다루고

101)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6102) Ibid 37103)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51

54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적교회성장은 교회건강이 목적이 아닌 교회의 양

적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Schwarz의 연구와 함께 교회성장과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연결시켜 제시한 다른

학자로는 Peter Wagner가 있다 이어서 Wagner가 제시한 건강한교회의 7가지 특성들에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Wagner는 그의 책 Your Church Can Grow에서 건강한교회의 일곱 가지 생체적인

특성들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아픈 환자들이 의사를 찾아 치료해야 하는 것과 같이

교회 또한 잘못된 많은 행동으로 말미암아 아프게 될 수 있지만 질병을 치료하고 건

강을 회복할 때 교회를 다시 성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일곱 가지의 요소들이 있다

고 말한다

1 긍정적인 목회자

그 첫 번째의 특성은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모든 성도들에게 동

기를 부여할 수 있는 역동적인 리더십을 가진 목회자에게서 찾고 있다 성장하는 건

강한교회의 목사는 전형적으로 성도들과의 생생한 관계들을 통해 획득한 강한 권위를

바탕으로 교회를 이끌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104) 목사가 특별한 은사를 가지고 성도들

의 원하는 바를 파악하고 그들에게 나아갈 길을 제시함으로서 교회 전체의 사역들을

열정적으로 이끌어 갈 때 사람들은 목사를 신뢰하고 그를 따르게 됨으로써 건강한 교

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5)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두 번째의 특성은 성장을 위해서 자신의 은사를 분명히 발견하고 잘 사용하도록

훈련된 평신도라는 것이다 평신도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

104) C Peter Wagn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66105) Ibid 75

55

용할 수 있겠지만 성경에서 묘사된 영적인 은사들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구성원들로서 기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

사람은 주어진 영적 은사를 개발하고 그 은사를 사용하여 직무를 수행해야 하며 성도

들이 자신의 영적인 은사와 그 은사의 이점을 발견하는 것은 성장하는 교회를 위해

필요한 다양하고 복잡한 필요들을 채울 수 있으며 이를 위해 27가지106)의 영적인 은

사를 구분지어 제시하고 있다107)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세 번째의 특성은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의 필요와 기대를 얼마만큼 충분히 채

워줄 수 있는가를 말하는 성도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이다 새신자들이 정착하고 싶은

교회가 되기 위해서 교회는 그 구성원들을 잘 섬겨야 하며 이를 통해 외부적으로 좋

은 평판을 갖게 된 교회는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함께 얻게 된다고 한다

친한 교제 목회적 돌봄 어린 자녀들을 위한 주일학교 교육과 같은 사역들은 교회

가 성도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성도들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것들이

다 만약 교회의 자원이 좀 더 넉넉하다면 독신들을 위한 사역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을 통해 그 지역에 독신인 사람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

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것은 교회의 크기와 무관하게 교회가 속한 지역의 불신자들

의 필요를 주의 깊게 살피고 이를 목회에 적용하는 사역의 철학을 통해 사람들을 필

요에 민감한 교회구조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8)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Wagner가 말하는 교회성장을 위한 네 번째 특성으로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내

부 기관들에 관한 것인데 축제로서의 각종 의식과 회중 셀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이라 한다 이 말은 세 가지의 기본적인 회집이 주어진 상황

106) Wagner는 그의 책 교회성장 될 수밖에 없는 성령의 은사 27가지라는 책 전반을 통해 예

언 섬김 가르침 권면 헌금 지도자 긍휼 지혜 지식 믿음 병 고침 기적 영분별 방언 방언통역 사도 서로 돕는 일 행정 전도 목회 독신 궁핍을 자처함 순교 대접함 선교 중보기도 귀신을 쫒음의 27가지 은사들을 정의하고 있다107) C Peter Wagner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6108) Ibid 17

56

속에 있는 교회를 위해 올바른 균형감각을 찾도록 고려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가장

큰 규모로서 멤버십 모임은 거의 어떤 규모로든 가능하고 중간 규모로서 친교모임과

가장 작은 규모로서 영적인 친족 모임으로 8~12명 정도가 적당한데 이러한 세 가지

구조를 Wagner는 lsquoCelebration Congregation Cell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의 큰 단위로서 교회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진 조직적인 형태로의 소그룹에 대한 내용

이 그가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네 번째 특성이다109)

5 동질집단의 원리

다섯 번째는 동질집단의 원리의 적용으로서 성도들이 자신이 속한 그룹으로부터

벗어나서 교회에만 속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문화적 사회적인 그룹에

그대로 머물면서 고립되거나 문화적인 장벽을 넘지 않고도 신앙생활을 유지할 수 있

도록 교회가 구조를 갖추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사회적인 구조를 중요시하는 교회성

장이라야 건강한교회를 이룰 수 있다는 Wagner의 주장은 lsquo그의 교회성장의 주된 원리

를 유지하면서 또한 건강한교회가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서 구성원

들이 자신이 속한 동질집단과의 관계를 잘 유지하고 이를 통해 그 집단 전체에게 그

리스도의 영향력을 전함으로서 속해 있는 집단 전체를 아우르는 형태rsquo를 동질집단이

라 부르고 있다110)

6 효과적인 전도

여섯 번째는 효과적인 전도방법에 대한 것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실용주의

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요구사항을 찾아 그것을 충족시키며 대집회를 통한

전도 집중 전도대회 교회성장이라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나아가는 몸의 전도운동

등의 방법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에는 동질 집단

구성의 원리를 통하여 사람들을 요구를 분간해 낼 수 있다고 하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정신은 다양하고 효과적이며 지역사회에 적합한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되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분명한 목적을 세우는 것이다 사용하는 방법에는 개교회 단

위의 협력도 있지만 경쟁심을 활용하는 것도 있고 효과가 없는 옛 방법을 과감히 버

109) Wagner The Healthy Church 18110) Ibid

57

리고 보다 더 효과적인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필요에 민감한 전도를

하는 방법도 있으며 이를 통해 교회가 성장할 수 있다고 Wagner는 말하고 있다111)

7 성경적인 우선순위

일곱 번째는 lsquo성경적인 우선순위rsquo를 말하는데 지금까지의 여러 가지의 특성들을

성경적인 순서로 적절하게 배열하여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서 이루어

지고 있는 여러 가지 정책에서 사용되는 우선순위의 적절한 배치를 말한다 또한 사

람들이 요구하는 많은 항목들 중 오직 교회만이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을

아는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교회가 세울 수 있는 가장 최선의 우선순위는 그리스도

께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이고 이어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

마지막은 전도 사회봉사를 위시한 이 세상에서의 그리스도의 사역에 전적으로 의탁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112)

이상으로 Schwarz의 이론과 함께 Wagner가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가 되

기 위한 7가지 요소들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제시하는

다른 두 가지 이론을 살펴보려 하는데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이 그것이다 두 이

론도 공히 위에서 언급한 교회내부의 요소들을 분명히 다루고 있지만 Anderson의 경

우 건강한교회의 중요한 특성으로서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관계를 주장하고 있고

Macchia의 경우는 교회의 건강을 하나님과 성도와 그리고 세상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분하고 있음은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건강을 판단하는 시

점에서 중요한 대안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먼저는 Anderson의 건강한교

회의 특성 6가지를 살펴본 뒤 Macchia의 세 가지로 구분된 10가지 특성들에 대하여

하나씩 살펴보겠다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NAE113)의 회장을 맡고 있고 미네소타 주의 미네아폴리스에 있는 우데일교회를

111)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71112)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87113) NAE(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는 40개의 교단 45000개 이상 교회의 연합체로서

58

담임하고 있는 Leith Anderson은 건강한교회에 대하여 6가지 특성을 다음과 같이 말하

고 있다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첫째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교회란 하나님의 평판을 그 지역이나 전 세계의

신자나 불신자에게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교회인데 많은 지역사회 속에서 하나님의

평판은 교회의 평판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서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약속을 정확

히 지키고 섬김을 받으려는 것보다 섬기려하는 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기독교적 방법

으로 어려운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교회로서의 조직을 유지시키고 교단을 대변하려

하는 대신 사회적 관계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에 더 관심

을 갖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첫 번째 특성으로 말하고 있다114)

2 제자 삼음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특성 두 번째는 제자 삼는 교회로서 같은 교회

에 그 교인을 계속 유지시키게 하는 것보다 교인이 훈련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며

모든 신자들이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인식을 바꾸어 훈련된 사람을 배출하려고

계속적으로 애를 쓰는 교회이다 실제적인 측면에서 항상 제자 지향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 그들의 프로그램과 형태를 구비하고 주일학교를 제자를 길러내도록 고무하고

장려하는 교회이다 문제를 일으키는 성도에 대해서도 그저 교회에 계속 출석하면 되

는 모양새로 방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성도가 그 문제성을 인식하고 성경적인 신자로

변화되도록 계속해서 사랑하고 만나고 훈련시키고 지도하는 실제적인 교회를 의미한

다는 것이다115)

3 영적은사의 훈련

셋째는 영적 은사가 활용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 말하는데 Anderson

미국 사회에서 개혁주의 신앙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을 원칙으로 삼고 있는 협의회이다114) Leith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165115) Ibid 167

59

이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건강한교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영적인 은사는 세속적인 직

업과 유사한 직무로서 사역은 직함보다 중요하고 은사는 주로 개인보다는 교회에 주

어졌음을 교육하면서 모든 그리스도인이 적어도 한 가지의 은사를 갖고 있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위원회나 조직을 최대한 축소하면서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사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말하고 있다 교회 조직이 필요한 곳에 사람을

두기 보다는 성령이 은사를 준 그 사역에 그들로 하여금 힘을 다하도록 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일컫고 있다116)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네 번째의 특징은 주변 환경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는 교회로서 고립되지 않고

주변 사회와 소통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거룩이라

는 영적인 본성 때문에 필연적으로 반문화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예수님께서 이 땅

에 오심으로 죄악 된 세상 환경에 자신을 참여시켰던 것처럼 건강한교회는 종교적이

지 않은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방법을 찾고 죄인들과

같이 되기 위해서 참소와 오해를 무릅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 건물의 사용

에 있어서도 정규 교회 활동과 외부 세속 활동 사이의 구별을 없앰으로써 세상에 좀

더 가까이 갈 수 있으며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며 적극적으로 세상

과 관계를 맺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모습 중 하나라고 이야기하고 있다117)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다섯 번째 특징은 건강의 증거로서 재생산에 대

한 내용이다 협력전도를 통해 전교인이 재생산에 참여하고 모든 사람이 직접적으로

전도에 참여하지 않을지라도 모든 사람이 복음 전도에 기능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전해

야 한다는 것이다 숫자의 함정에 빠져 많은 수가 교회에 등록하는 형태의 전도를 건

강의 척도로 삼을 것이 아니라 lsquo얼마나 새신자들이 교회에 동화되어 어떤 모습으로라

도 전도에 참여하기까지 이르고 있는가rsquo를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측정해야 함을 주

장함으로서 새로운 사람들이 교회생활에 적절히 동화되어 교회라는 공동체 조직이 빈

116)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68117) Ibid 170

60

틈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레고 조각이 짜 맞추어지는 것처

럼 교회 또한 새로운 신자들이 들어올 때 다시 재편성되어 새신자와 기존 신자가 다

시 새롭게 짜 맞추어 들어감으로서 관계성을 형성하고 기존 구조에서 새로운 구조로

기꺼이 변화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진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118)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마지막으로 건강한교회는 건강한 믿음을 소유함으로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자신

들이 하나님께 속해 있으며 또한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이심을 실제로 받아들

이고 믿으며 하나님이 무엇을 원하시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교회의 나아갈 바를 정하

되 기도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통해 모든 교회 생활을 일구어가는 교회라는 것이

다 그들은 성경으로부터 모범과 사례를 인용하여 그들의 교회 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성경의 구절들을 연구 비교하고 영감과 방향을 가르쳐 주는 자원으로 성

경을 확신하며 토론의 중간에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기도모임을 요청하는 것에

불편을 느끼는 않을 때 그러한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할 수 있다고 Anderson은 말하

고 있다119)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는 이전 이론들과 달리 성장에 대한 요소가 빠져

있고 대신 교회내부를 비롯해서 외부적으로도 적절한 관계 속에 있어야 함을 통해

세워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런 와중에 교회 내부 요소들에 대한 언급이 소홀해진

면이 있다 교회의 내부적 특성과 외부적 특성에 대해 적절한 균형을 가지고 3가지로

분류해서 제시하고 있는 Macchia의 주장을 이어서 제시하려 한다

제 4 절 Stephen A Macchia120)의 교회건강이론

Macchia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100개의 중소형교회121) 8000

118)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75119) Ibid 182120) Stephen A Macchia은 LTI(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교회 내에서 요구

되는 리더십과 팀사역을 위한 영적 섬김을 위한 사역을 감당하고 있으며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의 Pierce Center for Disciple-Building에서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또한Phoenix Seminary에서도 교수진으로 사역하고 있다

61

명의 회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교회의 특성을 연구하면서 이 자료를 토대로

건강한교회로서의 10가지 특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ldquo건강한교회는 성장이 아닌 각 특성들이 얼마나 개선되어져 가는지를 통해 평가되어

야 한다rdquo는 것이다122) 그 10가지의 특성들은 또 다시 세 가지의 개별적인 영역인 하

나님 성도들 세상과의 관계요소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이어서 설

명할 하나님의 임재가 충만한 공동체로서의 특성에 대한 것이다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acchia가 말하는 건강한교회로서의 첫 번째 특징은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 능력

을 힘입게 됨을 의미한다고 한다 건강한교회는 활발하게 성령의 인도를 구하고 날마

다의 삶과 사역에서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는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강력한 임재에 대

하여 하나님의 임재가 경험될 때 나타나는 가장 가시적인 현상은 기쁨이 충만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기쁨이 충만한 건강한교회는 새신자들의 마음을 움직여 교회

공동체로 이끄는 매력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123)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성령을 부어주

실 때 우리는 그분의 사랑과 주되심을 더욱 이해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우리를 통해

하나님께서 일하시며 그런 성도들이 모인 교회가 건강과 생명력으로 가득 차면서 교

회를 구성하는 이들의 삶 속에서 성령의 열매인 사랑 희락 평화 오래 참음 친절

선함 신실함 온화함 자기절제를 가득하게 맺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충만

한 임재를 통해 성령께서 교회를 주관할 때 성령의 은사가 충만하게 될 것이며 이것

이 바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모습이며 또한 건강한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124)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건강한교회로서의 두 번째 특성은 마음과 뜻과 힘과 정성을 다해 하나님을 예배

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모여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표징을 나타내는 것이고 한다 모

121) NCD의 연구와 달리 대형교회가 아닌 대부분의 교회 현실에 가까운 사이즈인 중소형교회

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122)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13123) Ibid 27124) Ibid 37

62

든 피조물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음 받았지만 오직 인간만은 아

버지 되신 하나님과 사랑의 관계를 누리도록 창조되었다 우리는 우리가 하는 모든

일들을 통해 하나님을 높이고 영화롭게 하는 삶의 방식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우리는

우리의 사랑을 밖으로 흘려보내는 행위를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며 예배하도록

독특하게 지음 받았다는 것이다125) 이러한 접근을 통해 우리는 형태적인 면에서도 사

람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보다는 하나님께서 예배 속에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가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예배의 방식을 바꾸어 갈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의 성도들은 예배 속에서 단지 푹신한 자리에 앉아서 수동적으로 행해지

는 일이 아닌 하나님과 의미 있는 체험을 하게 되기를 갈망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

장 효과적인 방법은 회중들이 마음과 뜻과 정성과 힘을 다해 예배 속에 참여할 수 있

도록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발전시키는 것으로써 하나님의 사람들이 능동적으로 예배

가운데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교회의 건강정도를 판단할 수 있

음을 Macchia는 말하고 있다126)

다 영적인 제자훈련

Macchia가 이야기하는 또 다른 특징은 날마다 영적인 제자도를 개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전 연령대의 성도들에게 영적인 훈련과 모델 그리고 기회들을 제공하는 교

회가 건강한교회라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우리의 관계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우리가 결정을 내리는 능력과 방식들 우리의 사명을 이해하는

정도 사역 속에서 섬김을 위한 우리의 비전들과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건강한

교회의 성도는 무엇이 헌신된 삶인지를 잘 배워서 그리스도와 함께 걸으며 생동감 있

게 사는 것의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다른 이들에게 이러한 영적인 삶의 여

정 속으로 동참하기 위한 성장을 권면할 수 있다127)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제자가 된

다는 것은 우리가 믿음의 삶 속에서 훈련받고 사랑의 열매들을 맺으며 자기절제를 훈

련하고 주님과 동행하는 활동들 속으로 참여하며 동시에 분주함과 싸우고 그러한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순종하는 삶을 이야기한다128) 또한 내적인 평온을 통해

125)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41126) Ibid 46127) Ibid 60

63

하나님의 이끄심에 민감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그러므로 건강한교회란 ldquo성도들의 삶

이 영적인 제자로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교회를 의미한다rdquo고 말한다129)

여기까지의 특성들은 성도가 어떻게 하나님과 건강한 관계 속에 설 수 있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는 부분이다 다음은 성도들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이어서 Macchia는 하나님과 관계뿐만 아니라 성도들과의 관계가 필수요소라고

말하는데 그 첫 번째는 공동체를 통해 배움과 성장을 성취할 수 있는 교회가 건강한

교회라고 주장한다 교회는 신자들이 안전하고 견고한 상황 속에서 하나님과 다른 사

람들과 함께 걷는 여정 속에 자라가도록 돕는 교회이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공동체

속으로 불러서 훈련하시고 그분의 가르침과 모범을 따르도록 하셨으며 이것을 세상

가운데 증거 하도록 하셨다 예수님은 늘 크건 작건 모임 속에서 가르치시고 때로는

먹이기도 하셨다 공동체를 창조한 놀라우신 이는 우리가 날마다의 삶과 사역 속에

성장하고 배워하는 모델을 직접 행하심을 통해 가르치셨다 맞벌이를 해야 하는 많은

가족들은 벅찬 업무와 해야 할 일들에 둘러싸여 있다 보니 소득은 조금 늘어나지만

정작 가족을 세우고 견고하게 하며 가족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쓸 수 있는 자원을

잃고 만다 그뿐만 아니라 아직 독신의 경우에도 그들의 시간을 빼앗아가는 수많은

일들에 파묻혀 친구들과 가족을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여분의 시간은 점점 줄

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도 건강한교회는 신자들이 공동체 속에 들어

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환경을 조성해내는 교회여야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130)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가정에서 화목한 관계를 유지하고 성도들 사이에 사랑의

관계를 가지며 그들이 섬기는 공동체 내에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세워가도록 그들을

128)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68129)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61130)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81

64

위한 노력을 다하는 교회를 의미한다고 한다 우리가 행하는 서로를 향한 사랑과 돌

봄은 우리의 교회가 함께 모일 수 있게 만드는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

은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계들로는 무조건적인 표현 서로

에게 진실함과 신실함으로 대하는 것 은혜 자비 용서 갈등을 해결하고 소통을 원활

하게 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노력들을 요구한다 교회는 성도들의 각 가정을 위한 사

역을 통해 그들이 가족 속에서 연합을 경험하게 해야 하며 공예배를 포함한 모든 사

역의 활동영역에서 가족에게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관계를 세우

는 행위를 통해 교회는 성도들안에 예수님의 사랑의 삶의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보일

수 있고 하나님이 원하셨던 진정한 공동체로서 서로의 필요를 채워주고 함께 물건을

통용하는 초대교회 사랑의 기독교를 실현시킬 수 있는 건강한교회로 세워져갈 수 있

다고 말하고 있다131)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교회의 건강성은 각 성도들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인식하고 각자에게 지도자로서

부여한 은사를 깨달으며 그 은사를 활용하여 서로에게 서번트리더가 되도록 권면하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요한복음 131~17을 통해 예수님께서 친히 겉옷을 벗

고 수건을 두르시고 제자들의 발을 하나하나 씻으신 후에 다신 옷을 걸치고 자리에

앉아 제자들에게 자신과 같이 행할 것을 가르치시는 모습에서 서번트리더의 모델을

찾을 수 있는데 우리는 다른 사람 위에 군림하도록 부름 받은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

들을 섬김으로써 예수님의 모범을 따르도록 부름 받았다 또 다른 서번트리더의 모습

은 인도함을 받는 리더 사랑 많은 리더 배우는 리더 잘 들을 수 있는 리더 다른 사

람들의 짐을 가볍게 해 주는 리더 계급구조를 내버리는 리더가 됨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한다132)

여기까지의 배움과 성장이 가능한 공동체 서로 사랑으로 돌보는 관계 섬기는

자의 삶은 모두 교회 내부에서 서로간의 관계를 세우는 요소들이다 이어서 Macchia

가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서 말하는 요소들은 세상 속에서 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에 관련된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131)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11132) Ibid 131

65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이어서 제시하는 내용은 교회의 세상과 관계회복을 위해 생각해봐야 할 부분과

함께 교회 조직을 어떻게 건강하게 이끌어갈 것인가에 대하여 다루고 있고 특별히 교

회마다 많은 갈등의 주요인이 되고 있는 행정과 재정적인 부분까지 다루고 있다는 면

에서 다른 이론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건강한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진리를 증거하고 그분의

사랑을 나타내기 위한 일에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교회라는 것이다 신자는 자신 안

에 일어나는 기쁨을 세상 속으로 흘려보내는 삶을 살아야 한다 이 기쁨은 단순한 감

정이 아닌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충만함의 결과로 나타나는 희락이다 이처

럼 세상을 향해 초점을 맞춘 삶은 성령의 도움으로 가능한 일로서 실용성을 지향하는

긍정주의와는 다른 것인데 사람들과 복음을 나누며 그리스도의 몸이 갖는 잠재적 본

성을 이용하여 먼저 믿는 우리가 서로 사랑으로 교제하고 떡을 떼며 기도와 예배와

공동체적인 삶을 통해 하나님을 찬미할 때 이를 통해 날마다 구원받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났던 사도행전적인 역사가 현재에도 일어나야 한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

도를 알도록 우리는 오케스트라의 악기가 되어 아름다운 음악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도구로서 세상지향적인 교회가 되어야 하고 이런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

하고 있다133)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의 자원 재정 그리고 조직이 성장과 사역의 개발을 최대한 지원할 수 있도

록 적절하게 사용되는 것이 교회건강의 중요한 요소라고 한다 많은 교회에서 정말

능력 있는 행정가는 담임목사가 아닐 수도 있다 담임목사들의 경우 교회행정에서 주

도권을 잃는 것을 용납하지 않지만 한 사람에게 너무 많은 책무를 부여하는 것보다는

목회자와 동일한 비전을 가지고 교회와 그리스도께 헌신된 사람을 주의 깊게 성령의

인도함을 따라 교회의 행정가로 선택하고 목사와 행정가가 긴한 관계로 이어진다면

133)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4

66

교회는 한층 건강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러한 행정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전략적

인 계획수립과 목표결정 하나님의 뜻을 이룸을 최선으로 하는 재정구조 계속적인 평

가와 권면 그리고 장기적인 사역에서 발생하는 변동요소들을 잘 관리해나가는 것들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134)

다 교회들의 연합

건강한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들이 서로 협력하고 자원을 공유하며

배움의 기회들을 높이고 서로 연합된 예배공동체를 이루어가도록 노력하는 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우리 앞에 놓인 사명을 교회가 이

루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필요를 실감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협력과 연합은 훨씬 더 효과적인 전도와 사역을 이루어낸다 각

교회들은 예배의 형식 교회정책 지역의 선호도 교회에 대한 기본적인 신학에 있어

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공통되는 요소를 발견함을 통해 도시단위 지역

단위로 연합할 수 있으며 그 지역 도시의 복음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수행해감으로써

우리가 섬기도록 부름 받은 지역을 위한 효과적이고 영속적인 영향들을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135)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자원들의 청지기라고 가르치며 그

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도록 충분히 관대한 희생의 마음으로 살아가도록 도전하는

교회라고 Macchia는 말한다 교회가 시간 재능 재정을 관대하고 선한 목적을 가지고

기꺼이 나눔으로서 물질만능의 세속적인 시대상을 극복할 수 있고 세상 속에 그리스

도의 몸 됨을 알리는 복음증거의 좋은 발판이 되어 진다 청지기정신은 지난 시대 속

에서는 개혁교회의 감춰진 주제였지만 갈수록 그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예

수님께서 ldquo네 보물 있는 그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마태복음 621 개역개정4

판)rdquo라고 가르치신 것 외에도 신구약성경 2000곳 이상에서 재정과 물질자원의 사용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더욱 이 주제에 대하여 교육하고 알려야할 이유를

134)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9135) Ibid 186

67

제시한다 자원은 나누어질 때 더 많은 열매를 거둘 수 있고 하나님은 기꺼이 나누는

사람을 사랑하신다 건강한교회는 우리들 각자에게 속한 자원들을 우리 자신의 것이

아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도록 잠정적으로 맡기신 것을 삶 속에서 실제로 실

천하도록 성도들을 이끌어가는 교회라는 것이다13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Schwarz는 그의 책 자연적교회성장의 서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서 교회를

유기체로 인식하고 외적 장애요인이 성장과 접한 관련이 있음에 대한 공헌을 하였

우리가 교회성장을 만들어 내려고 해서는 안 되고 오히려 하나님

께서 이미 교회에 부여하신 생명체적 잠재력을 풀어놓아 스스로

운행되도록 해야 한다 교회 내부나 외부에 존재하는 성장 장애

요인(환경장애)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교회 밖에 존

재하는 요인들은 우리가 다룰 수 없는 사항들이기 때문에 우리는

교회 성장과 부흥을 방해하는 교회의 내적 요인 제거에 초점을 두

어야 한다 그럴 때 교회 성장은 저절로 이루어진다137)

교회성장에 대하여 인위적인 방식이 아닌 하나의 생명체로서 교회의 성장을 방

해하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교회성장이 자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

고 이에 대하여 교회성장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를 주장하는 데에는 교회 성

장과 관련하여 큰 공헌을 한 점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이것을 교회의 건강으

로 연결하여 건강한교회는 성장한다는 원리로 규정짓는 데에는 교회건강에 대한 분명

한 개념정립이 다시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적 질적 특성을 구분할 때 양적인

것은 인간의 오감을 통해 쉽게 외부로 나타내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을 말하는 반면 질

적 특성은 그러한 체제 속에 담겨있는 정신과 비가시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의 양적인 성장이란 단순하게 교인들의 숫자나 건물의 크기 교회재

136)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1013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10

68

정의 규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교회 안에 있는 교인들의 신앙연륜 성경에 대한

지식의 정도 날마다 성경을 묵상하는 성도의 수 기도하는 시간과 같은 것을 포함하

는 개념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Schwarz가 말하는 질적 특성의 많은 부분이 실은

양적 특성에 해당하며 실제로 질적 특성이라 함은 비가시적이고 시간이 흐르면서 검

증되어야 하는 부분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Schwarz의 질적 특성의 8가지 원

리만을 가지고 교회건강의 정도와 연결시키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오히려 교회

의 건강이란 위에서 다룬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흐트러뜨리는 교회의 내적 요인과 외

적 요인이 없는 상태로서 질병이 제거되어 각 기관들이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함으로

써 교회존재의 본질적 요소인 소금과 빛의 사명을 감당하는 상태라 함이 건강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에 빗대어 더 바람직한 정의가 된다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또한 Schwarz의 이론 중 유익한 공헌으로는 큰 교회가 작은 교회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에 대한 실제 조사결과이다 교회성장과 관련된 170가지 변

수들 중에서 교회의 크기는 자유주의적 신학과 전통주의의 뒤를 이어 세 번째로 강한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사실과 실제 통계 조사로써 5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50

여명 정도의 소형교회들과 3000명 정도 모이는 대형교회들의 출석률 변화를 보았을

때 소형교회는 평균 출석수의 변화는 32명의 새신자가 생겼던 반면 대형교회의 경우

는 같은 기간 112명의 새신자가 생겼고 이를 상대적인 비율로 계산했을 때 소형교회

가 대형교회에 비해 1600퍼센트나 높은 성장가능성을 보였다는 사실을 알려준다138)

복음전도의 효과 면에서 소형교회가 대형교회보다 통계적 비율이 더 높다는 사

실은 대형교회일수록 자체시스템을 유지하는데 많은 자원을 사용하며 성도들이 자신

의 은사에 따라 일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139)

NCD 연구가 우리에게 끼치는 유익은 단지 이러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들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교회가 8가지 질적 특성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는 데에 있다

즉 세계 32개국 1000여개 교회를 대상으로 420만개의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것을

13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47139) Ibid 48

69

바탕으로 해서 각각의 질적 특성을 점수로 표시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했

다 따라서 어떤 교회든지 1명의 담임목사와 30명의 교인들이 설문지에 응답한다면

각각의 질적 특성에 대하여 구체적인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이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가장 낮은 질적 특성 최소치 요인이다 한 교회의 성장은 바로 이 최소치 요인에 의

해서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최소치 요인이 밝혀졌을 때 그것을 개선시키면 자연적

으로 거의 대부분(994 퍼센트)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140) 이러한 원리를 최소치 전

략이라 부른다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NCD측에서 제시하는 이론은 자본주의적 논리에 의해 들어간 비용 대비 이윤 창

출이라는 구조에 맞게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방법으로써 유기체의 건강을 다

루기에는 불충분하다 게다가 그 결과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도 25교단 1000개 교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많은 교회가 속한 평균 점수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평가점수

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부분은 교회건강이라는 목표를 다른 교회와의 비교를 통해 점

수를 매기는 방식으로써 전체 교회에서 그 교회의 점수의 위치는 알 수 있지만 상대

적인 기준을 가지고 그것을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평가하기에는 부적절하다 교회의

건강에는 절대적인 기준이 필요하고 그 기준은 물론 모든 지혜의 원천인 성경 속에서

찾아져야만 한다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이나 설문 모두 교회의 숫자적 성장을 중심동기로 하고

있는데 이를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으로 연결하는 것은 무리이다 이는 교회의 숫자적

성장 잠재력에 대한 평가이다 이 수치가 높을 때 교회가 건강하다고 하는 것은 논리

적 비약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부분은 사역자를 세우는 일에 있어서이다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들은 사역을 위해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기회와 권한을 부여하는 일에 중점을 둔다 그들은 평신도들

을 자신들이 설정해 놓은 목표나 자신들의 비전을 이루는 데 필요한 lsquo조력자rsquo 정도로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피라미드형의 권위구조를 거꾸로 뒤집어서 리더들이 교인들을

섬기며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부여해 주신 영적 잠재력을 개발하여 쓸 수 있도록

140)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81

70

돕는다 이런 목회자들은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자들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을 준비시키고 격려하고 동기를 부여하고 훈련시키는데 주안점을 둔

다 이런 지도자들은 교회의 수많은 일들을 자신들이 다 하느라 시간을 뺏기는 대신

그들의 시간을 제자훈련 권한 위임 그리고 재생산에 투자한다 이런 식으로 투자한

노력의 결과는 상상할 수 없는 성장을 가져온다 이것이 바로 영적 lsquo자생조직rsquo이 생겨

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141) 이처럼 교회의 건강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있음에도 교회

의 성장여부를 통해 목회리더십의 성취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교회건강을 성장이라는

열매와 과도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NCD이론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8가지 질적 특성이 모두 교회건강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이 아니라 교회성장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으로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지

표를 세운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각 특성들이 모두 결과물을 가지고 교회성장이라

는 열매를 맺었을 때의 지표를 기준으로 하여 교회건강지표를 만들었다 건강에 대한

정의가 성장이라는 결과를 통해서만 측정하고 있다 교회가 건강하면 반드시 양적인

성장이 뒤따른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이 연구조사에서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을 조사해서 그 교회

의 괄목할만하게 외부로 드러나는 특성을 조사해서 그 중 높은 수치를 기록한 8가지

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교회의 특성이라는 주장은 다분히 시작과 과정이 배제

된 체 결과만으로 판단하는 주장이다 교회가 성장하던 도중 외적규모의 정체가 일어

날 때 그중 낮은 점수를 기록한 특성을 보완하면 다시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고 이것이 건강이 회복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라면 수적으로 비교

적 작은 교회 목회상황 자체가 다른 곳 더 이상 유동인구가 없어서 성도수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특수한 곳에서의 건강한교회란 이루기 불가능한 요원한 일이 될 뿐

이다 그러므로 NCD와 Wagner의 이론 모두 특정한 장소 특정한 규모의 교회에 적용

했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지역교회가 반드시 성

장을 이루어야만 건강한교회라는 결론은 객관적이지 못하다

141) Christian A Schwarz 윤수인 역 자연적 교회성장 23

71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교회가 속한 노회나 교단에서의 다른 교회와의 관계가 중요하며 더불어 교회와

주변 사회(이웃)와의 관계와 평가 또한 중요한 교회건강의 요소이다 수적으로 거대해

진 교회들마다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공예배 때마다 지역

주민과 심각한 주차갈등을 겪는 도심대형교회의 경우를 예로 들더라도 지역사회와 상

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교회를 단지 양적으로 성장했고 8가지 질적 요소를

충족시켰다는 이유로 건강한교회라 지칭하는 것은 억지스런 주장이다 교회는 존재

자체로도 물론 의미가 있지만 사명공동체임을 생각할 때 교회가 자신의 사명의 대상

으로서 세상 속에서 외면당하고 있다면 그곳에서 교회의 건강을 논하는 것은 주변 이

웃들과 먼저 화해한 후에 예배의 자리로 나오도록 말씀하신 예수님의 권면과도 맞지

않다 교회의 건강을 논하기 위해서는 세상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분명

살펴야 한다

그리고 교회는 개별적인 존재로서의 교회이기도 하지만 지상의 모든 교회는 그

리스도를 몸으로 연합체로서의 교회의 특성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서로 경쟁

의 대상이 아니다 교회와 이웃과의 관계 뿐 아니라 교회와 다른 교회와의 관계 또한

해당 교회가 건강한교회인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요소일진데 지금까지 살펴본

Schwarz와 Wagner의 이론에서는 배제되어 있다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양적 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의 기준으로 삼던 앞선 두 이론들과 달리 Anderson과

Macchia는 성장이라는 요소 자체를 배제한 체 교회가 내부 외부적으로 어떤 관계 속

에 있는지를 중시하고 있다 Anderson의 경우는 지역사회의 관계에서 교회의 평판을

통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지역사회와의 관계맺음에 대해 별도

의 특성을 규정지음으로써 세상과의 관계에 대하여 많은 강조점을 두고 있다

Macchia의 이론이 여타 교회건강이론과 다른 점은 세 가지 관계의 회복 측면에

서 교회의 건강을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다142) 그래서 구분 자체부터 하나님과의 관계

142)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3

72

요소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로 나누어 건강한교회로 세워

져가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관계위주의 기준을 가져야함을 말하고 있다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한국교회 상황에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중대한 문제의 대부분이 실제로 교회 행

정과 재정문제에서 불거지고 있음이 현실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교회행정에 대해 목

회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위임함으로써 건강한교회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부분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많은 한국교회들의 재정 권한이 담임목회자나 소수의 상위 리더

십에 집중되어 있기에 일어나는 어려움들을 두고 건강한교회로의 나아감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기에 교회의 재정 관리는 일정한 전문가를 통해 사역을 해나가고 평가와

권면으로 보호하는 구조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거기에 마지막 요소로 이야기한 청

지기정신은 그러한 재정 관리에 더더욱 필요성을 제기하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예수님의 제자들이 미리 겪었던 갈등과 같이 성도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운 부분

들 중 하나는 서로 비교하고 시기 질시하는 현실에 대한 것이다 교회 안의 한 지체

임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몸과 같이 사랑하기는커녕 비교하며 서로를 깎아 내리려는

구조가 존재함을 2장에서 잠시 다루었다 특히나 한국교회에서는 서로를 향한 섬김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성도의 관계는 사랑과 섬김이면 어느 정도 회복이 가능한 부분이

다 목회에서 가장 힘든 때가 건축과 직분자를 세울 때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교회

안에서마저 경쟁과 비교로 직분을 감투로 여기며 끝나지 않는 갈등요소를 품고 있는

현실에서 lsquo섬기는 자가 큰 자rsquo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에 충실한 서번트리더십의 개발은

질병이 없는 건강한교회를 위한 필수적이 요소라 할 수 있다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다음 표는 위에서 연구한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의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을 Schwarz의 이론을 기준으로 유사한 것들끼리 모아 놓은 표이다 최대한 유사

73

점을 찾아보았지만 그 안에는 서로 다른 점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교회 내부의

문제를 제대로 분석하여 최소치이론을 가지고 교회의 성장 가능성을 연구한 면에서

Schwarz의 이론이 중심이 된 NCD의 건강한교회의 특성에는 나름대로의 균형과 포괄

적인 교회 내부에 대한 분석이 있음에도 교회의 본질과 사명이 내부 외부가 모두 균

형 잡힌 건강한교회의 필수 요소라는 점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긍정적인 목회자 제자 삼음 영적인 제자훈련

은사 중심적 사역잘 동기 부여된

평신도영적 은사의 훈련

열정적 영성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기능적 조직

영감 있는 예배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전인적 소그룹 동질집단의 원리

필요중심적 전도

효과적인 전도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사랑의 관계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기타요소들 성경적인 우선순위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하게 반응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연합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표 1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74

오히려 10가지 특성과 이를 세 가지 관계적인 면에서 나누어 주장하는 Macchia

의 교회건강이론은 교회의 본질적인 면에서 하나님과의 관계 세움을 추구하는 영성적

인 측면과 교회 안에서 성도들의 관계를 강조하는 성도들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해 지

적하고 있으며 교회의 사명적인 측면에서 지역사회에 속한 교회의 역할을 보충함으로

써 본질과 사명을 모두 포함하는 교회건강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이

세 가지 관계적인 측면에서 교회건강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건강한교회와 그

렇지 않은 교회를 구분하는 기준 또한 외부적인 성장을 가지고 논하기 보다는 교회가

추구하는 관계성143)의 성취 여부를 기준으로 교회건강여부를 결정해야한다고 주장한

Schwarz의 이론과 비교했을 때 Wagner의 이론은 상당부분 구분상의 유사성을 가

지고 있다 Anderson의 이론은 여러 요소를 축약한 흔적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강조

하고 있다 그러면서 발견된 특이점은 표에 밑줄 친 요소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관계

성에 대한 것들이다 밑줄 친 특성들은 다음 장에서도 다루겠지만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적 요소라 할 수 있는 것들인데 직관적으로만 보기에도 많은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들은 사실 관계성에 대한 주장을 이미 내세우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이 이론을 활용할 때 관계에 대한 강조점을 단지 교회성장을 위한

도구로 오용한 면이 없지 않다 Schwarz의 교회성장 이론에서 다루는 8가지 질적 특

성 중 소그룹과 사랑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이미 교회 구성원들의 관계가 교회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43) 관계성(Relationship)의 정의에 대하여 사전적인 의미로서 관계(關係)는 둘 이상의 사물 사람 현상 등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특별히 둘 이상의

사람들 사이가 우호적인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관련됨을 추구하는 성향 또는 정신이나 마

음으로 관계성을 정의하려 한다

75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지난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이론들 중에서 Leith Anderson과

Stephen Macchia의 주장을 통해 교회공동체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의 건강성이 교회 전

체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특징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Macchia의 경우는 그

러한 관계를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분야로 구분지어 세 관계 모두가 적절

하게 건강해야 건강한교회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음으로는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을 위해 치유회복 사역을 하고 있는

세 단체를 살펴보고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관계성 중심의 사역에 관한 내용과 특징

을 살펴보려 한다

1 온누리교회의 예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온누리교회는 한남동 한국기독교선교원에서 故하용조 목사를 중심으로 12가정이

모여 기도하며 제자훈련을 시작하면서 세워진 교회이다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

를 꿈꾸며 성경적인 교회론을 토대로 목회방향을 설정하였고 1985년 10월 6일 78명

의 성도가 모여 온누리교회 설립예배를 드렸다 온누리교회의 목회 비전은 한마디로

Acts29 비전이다 교회를 시작할 때 주셨던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의 비전을 새

롭게 하고 구체화한 것이 Acts29 비전인데 Acts29란 사도행전 29장을 의미하는 것으

로 사도행전은 끝나지 않았고 계속 씌어져야 함을 뜻하며 사도행전 28장 이후의 기

록이 바로 이 시대 교회들의 기록이 된다면 온누리교회를 통해 기록되기를 원하는 마

76

음에서 Acts29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144)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한국의 대표적인 교회 중 하나인 온누리교회의 관계성 프로그램은 크게 두 가지

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회복사역과 가정사역이다 회복사역은 영적 정신적 육체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건강한 인격체로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자신과 같은 어려움

을 겪는 사람들을 돕는 사역자로 설 수 있도록 도우며 궁극적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

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예배자로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종류로는 자신

을 이해하고 성경적인 정체성 회복을 돕기 위해 역기능가정 자존감 숨겨진 아픔 용

서와 축복의 주제로 구성된 자아회복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회복을 통해 혼자서도 안

정된 관계를 세워가도록 돕는 동반의존 소모임 자신의 관계성을 돌아보며 건강한 관

계를 유지하고 발전을 위한 관계회복 소그룹 등이 있다145)

가정 사역 분야에는 하나님께서 꿈꾸는 아름다운 가정의 모델을 성경적으로 제

시하고 여러 훈련과정으로 짜여진 하나님의 가정훈련학교 이론과 실제를 통해 성경

적인 바른 가정을 세워가도록 돕는 젊은 부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부부간의 관계를

진단하고 치유와 개선을 돕는 코칭 프로그램인 아름다운 동행 그리고 사별에 의해

혼자된 성도가 영적치유와 회복을 경험하도록 돕는 야베스맘(여성사별자모임)과 이혼

자가 겪는 아픔과 상처를 함께 돌보는 이혼자치유학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46)

대부분의 한국교회가 그러하듯 온누리교회의 관계중심 프로그램은 주로 회복과

돌봄을 목적을 가지고 실시되고 있는데 소그룹 코칭 상담의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

다 그리고 이루어지는 사역이 주로 사후 회복과 돌봄에 대한 것으로 여러 가지 다양

한 가치들이 혼재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뒷전에 려있는 관계성에 대한 사

회적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144)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145) 온누리교회 홈페이지 참조 2013년 정기모임 안내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 groups146)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참조

77

2 뉴욕관계학교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관계학교는 뉴욕청소년센터의 스텝들을 훈련시키며 시작되었다 그 후 청소년센

터 상담 사역부로 활동하다 lsquo뉴욕관계학교rsquo라는 이름으로 독립해서 뉴욕청소년센터의

협력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는 단체이다 목회자반(15주) 사모반(15주) 셀그룹 리더반

(15주) 청소년사역자반(15주) 부모반(10주) 부부반(10주) 교사반(8주)으로 나뉘어 정

규 과정반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lsquo찾아가는 공개강의rsquo도 진행하

고 있으며 대표는 김사훈 박사가 맡고 있다14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남편의 아내에 대한 정서적 지지가 건강한 결혼 생활을 만들고 바로 그 지지가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태도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강조하는 김사훈 박

사148)는 또한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모델이 되려할 때 거기에는 부모를 모방하며 시

행착오를 경험할 수 있는 충분한 자유와 책임감의 부여가 필수적임을 겸하여 강조하

고 있다 김박사에 의해 설립된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 부모자녀의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 관계학교에서 시행하는 공개강좌의 경우 lsquo관계

와 영성rsquo이라는 주제로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이 강좌의 진행도

주로 모든 관계의 원시경험을 제공하는 가족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관계는

피할 수 없는 도전으로서 자신과 하나님과의 관계 교인과 교인관의 관계 목회자와

교인과의 관계 교인의 가정에서의 관계 등이 건강하게 이끌어 질 때 결국 건강한교

회가 될 수 있다는 기치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비전을 가지고 사역중이다149)

뉴욕관계학교의 경우는 사후 회복사역과 더불어 사전 준비교육으로서 관계에 대

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소그룹 인도에 대한 교육은 시대흐름에 필요한 교

147)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기사 인용148) 목회상담 전문가 한국기독교 상담 심리치료학회 전문가 상담실 로뎀나무아래 대표

149)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기사 인용

78

회의 변화를 이끌어 가는데 나름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 교회들의 호

응이 그다지 적극적이지 못한 이유로 초반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으로 소개할 관계학교 유형은 비록 기독교적 신앙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지

만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루고 있는 스웨덴 비영리 단체가 운영하는 웹기반

의 온라인 관계학교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3 웹 기반의 관계학교

가 온라인 관계학교의 소개

The Relationship School은 여러 가지 관계 속에 있는 이들이 영감을 얻고 실제적

인 도움을 받으며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들을 습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온라인

강의들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스웨덴의 한 비영리 단체이다 제공되는 논문과 영상

강의들은 Filippa와 Markus에 의해서 대부분 제작되었다150) 시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어디서든 접근이 용이하도록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으며 온라인피드백을 위한

각종 사이트들과 연결되어 있다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The Relationship School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은 총 26개의 클래스가 있고 그 내

부에는 강의마다 자신의 상황들을 점검해보고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소개 글과

관련 논문 그리고 영상 강의로 구성되어 있는데 26가지 강의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150)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79

l 관계의 세 가지 단계들

l 이해하는 것과

이해받는 것

l 사랑의 강을 건너는

다리

l 네 가지 위험신호

l 상호거래적인 분석들

l 조절

l 마음표현의 놀라운 힘

l 인간의 필요들에 대하여

l 필요 이상의 것

l 돈과 사랑

l 나부터 시작해서

우리로 나아가기

l 신뢰와 존중

l 남자에게 편지쓰기

l 관계들 속의 투사

l 피드백

l 극단성과 열정

l 관계의 유형

l 관계게임의 규칙

l 회상에 대하여

l 변화

l 갈등과 갈등다루기

l 가치 있는 것

l 관계에 대한 지식

l 사랑과 친밀감

l 긍적적 부정적

소용돌이

l 삶의 균형 잡기

표 2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위와 같은 강의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삶이 다음과 같이 변화될 수 있기를 바라

는 그들의 목적을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사람들이 아침에 일어나 마음을 두근거리게 하는 긍정감정을 느끼

고 어른들이 자신의 상황에 대하여 스스로가 책임을 지겠다는 다

짐을 하고 아이들이 지속적이고 삶을 풍성하게 하는 관계들 속에

있을 그 때가 바로 우리들이 이 메시지를 통해 바라던 우리의 최

종 목적이 달성된 것입니다151)

위 사이트의 경우 인터넷이 연결된 어디에서든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과정들을

숙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고 다양한 관계들 속에 응용할 수 있는 영역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번역된 자막이 따로 없어서 영어권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강의내용

은 주로 심리상담 분야를 통해서이고 시공간적 제약이 없이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

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도 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하여 강의 내용이 새로운 업데이트가

되지는 못하고 있다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지금까지 관계사역에 대해 힘쓰고 있는 세 단체의 사례를 살펴보았는데 그들이

가진 몇 가지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1)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80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관계사역을 구성하는 커리큘럼의 내용들이 회복과 치유에 집중되어 있다 이혼

자 사별자에 대한 위로가 필수적인 사역임에는 틀림없으나 그 전에 이혼까지 이르지

않도록 예방을 위한 사역 또한 함께 진행할 필요가 있다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관계

라는 부분이 문제가 생겨나고 그것이 외부로 드러나기 전까지는 잠재되어 있는 경우

가 많고 그 속에서 상황이 상당히 악화된 뒤에야 치료를 위한 훈련과 더불어 예방과

그 과정 중에서도 충분히 서로를 개방하고 점검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

이 현실이다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관계성이라는 분야가 심리상담학의 발전과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 부분이기에

대부분의 관계에 대한 회복과 훈련에 인문학적인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위

사례를 비롯해서 많은 한국 교회들이 여건이 되는 데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단연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곳은 가정회복에 대한 내용이다 그만큼 가

정문제 자녀교육의 문제가 사회 전반적인 어려움으로 교회마다 부부관계 부모자녀관

계의 회복을 위해 각종 양육프로그램을 세워가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그럼에도 관

계라는 것이 대상에 따라 한 형태로만 회복되는 것이 아닌 유기적으로 다양한 관계가

모두 포괄적으로 회복될 때 제대로 된 치유가 가능한데 이처럼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돌아보고 점검하며 방향을 제시해주는 곳은 기존의 교회 관계사역에 대한 리서

치 과정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다 관계는 신앙 가정 사회 교회 직장 학교 속에서 다

양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고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러므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전인적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1 프로그램의 동기

성화의 과정으로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우리가 이 땅에서 살아가는 동안 만나게

81

되는 모든 만남에서 어떻게 하면 건강한 만남을 가지고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교

회를 이루어 갈 수 있는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은 관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다 어떻게 교회 공동체를 관리하는가에 대해 경영학적인 입장이 아닌 사회학적인 입

장에서 개인의 유기적 연결에 집중한다면 결국 교회의 건강은 건강한 성도들의 연결

이라는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강은 질병이 없이 본연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는 것이다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

는 바탕은 구성원들로서 성도의 건강한 관계성에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

면 건강한 관계를 이룰 수 있는 것인가 건강한 관계를 위해서는 선험적인 앎이 필요

하다 선험적인 앎이란 관계의 창조자가 가지신 생각에 대한 인식이다 그러므로 건강

한 관계를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하나님께서 관계를 어떻게 지으셨고 무엇을 원하시는

가에 대한 기본적인 훈련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관계학교를 제안하려

한다 필자가 제안하는 관계학교는 기존 성도들을 포함하여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함께 하는 개개인 모두가 기본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서 일정한 훈련기간을 가

지고 입학과 졸업이 명확하며 일정한 기준을 성취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

된다

여기에서 다른 많은 명칭들이 있음에도 학교라는 친숙한 명칭을 사용한 의도는

입학과 졸업이 분명하고 성취도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고 각 개인에게만 교육의 성취

에 대한 책임을 맡기지 않고 모두가 일정한 수준 이상의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교

육 주체 또한 교육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도록 힘써야 하는 존재

임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서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관계학교는 이전 장에서 다루었던 Macchia의 건

강한교회의 10가지 특성에 대한 이해와 Anderson의 6가지 특성들 가운데 관계성을 드

러내는 요소들을 취합하여 그 내용을 구성해보려 한다 또한 사례연구에서 살펴보았

던 여타의 기존 관계회복 프로그램들이 이미 중점을 두는 분야를 재론하기보다는 성

도들이 현장에서 살아가면서 얽혀있는 주변관계의 전반을 다루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프로그램의 방향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82

위의 관계프로그램 사례연구에서도 살펴본 것처럼 대부분의 관계회복 프로그램

이 상담신학 기반에 시행되고 있다 이 또한 현대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접근이다 필

자는 Bonhoeffer의 ldquo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될 때 그곳에는 하나의 공동체가 세워지며

이사야 5511의 말씀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은 기독교적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 안에

역사하며 교회는 또한 하나님과 말씀과 깊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성도의 공동체는 결

국 말씀의 활동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rdquo152)라는 명제를 바탕으로 성경중심의 관

계학교 프로그램을 제안해 보려 한다 건강한교회를 위한 모든 시도는 하나님의 말씀

인 성경에서부터 비롯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교회의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의

모든 커리큘럼의 구성을 성경중심으로 편성하고 있다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본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짧은 차시 안에 모든 영역을 깊이 있게 다루는 것

은 어렵겠지만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관계 요소의 전반적인 부분을 다루어보고 함께

생각을 나누며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보려 한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부

정적인 면을 감쇄시키는 방향의 훈련이 아니라 이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긍정적

요인들에 대한 강화의 방향을 갖는 것이 이 관계훈련의 목적이다 매주 한 회기씩 8

주 동안 진행될 관계학교의 모든 과정은 지향하는 목적이 성도들의 관계훈련에 있는

바 매 회기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실제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현장은 지극히 평범하고 쉬운 사고를 좋아하는 일반성도일 경우가 많다 게다

가 한국교회 현장은 감성적 접근이 효율적인 여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게 형성되어 있

다 교육이라는 말 자체가 갖는 부담감을 극복하기 위해서 실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커리큘럼은 최대한 성도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학문적인 용어와 내용구성보다는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것들로 진행하려 한다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관계의 문제는 모든 현대인의 고민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에서 시행하되 지역사

회 전체에 홍보를 통하여 관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성경을 그

152) Dietrich Bonhoeffer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238

83

저 일상적인 삶과 무관한 기독교의 교리서신이 아닌 일반인 모두가 듣고 지혜를 얻을

수 있는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한국의 2030 세대는 어려서부터 사교육을 강요당하고 청소년기에는 공부 기계가

되었으며 대학생이 되어서는 학점 관리하고 스펙 쌓느라고 그 좋다는 청춘 시기의

낭만조차 맛보지 못한 채 사회로 내몰린다 그러나 이들은 분명 그들만의 잘못이 아

님에도 취직을 못 했다는 이유로 동년배들에게서 존중받지 못하고 사회에서도 존중받

지 못하며 심지어는 가족에게서조차 존중받지 못한다 그 결과가 청년 고독사라는 믿

을 수 없는 현실로 나타나 갈수록 젊은 청년들이 젊은 나이에 월세가 몇 달째 린

쪽방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믿을 수 없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153)

그러한 세상 가운데 교회에서 lsquo관계학교rsquo라는 일반인에게도 공감할 수 있는 프로

그램을 가지고 나아간다면 좋은 접촉점이 될 수 있고 교회의 문턱을 낮추어 비신자에

게로 다가가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게다가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내용 또한

우리의 일반적인 삶의 이야기이기에 이 기회를 통해 전도대상자들과 신뢰관계를 형성

할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도 좋을 듯하다

3 프로그램 시행준비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다음은 교회 내에서 관계학교를 시행하기 전에 모든 성도들이 자신의 관계를 돌

아보고 교육에 대한 필요와 동기를 가질 수 있는 몇 가지 설문을 제시하려 한다 따

로 문서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되던 주보의 공간을 활용하여 관계학교 개설에 대한 광

고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참여를 독려하며 동기 부여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관계학교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은 다음과 같다

lt 당신의 관계들에 대하여 확인해 봅시다 gt

1 당신은 가족을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친한 우리는 함께 있는 것 그리고 서로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

아한다

화목한 서로 어울리기는 하지만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한다

153)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32

84

말이 없는 아무도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삶을 나누지 않는다

불신하는 가족들 사이의 관계는 대체로 서로 시기하며 적의를 품

고 있다

2 다음 중 친한 친구나 가족과 있을 때 당신을 가장 잘 표현한 내용은 무

엇입니까

자연스러운 편하게 느끼며 자연스럽게 행동한다

열린 내가 믿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소극적인 사람들이 먼저 말을 걸어 주기를 기다리는 편이다

갈등하는 믿는 것에 항상 굳게 서 있는 것은 아니다

불만스러운 아무도 나를 이해해 주지 않는 것처럼 느낀다

3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당신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어느 것

입니까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민감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를 이해심

이 많은 사람으로 생각한다

나는 깊이 있게 나누지를 못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대체로 피상적이다

나는 다른 사람을 아무렇게나 막 대한다 그래서 쉽게 화를 내서

갈등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나는 다른 사람과 갈등을 겪을 때 이를 쉽게 해결한다

나는 가능하면 조화를 이루고 싶기 때문에 비그리스도인 친구 앞

에서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것을 억제한다

나 소그룹 리더교육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먼저 전체 프로그램 내내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할 소그룹

의 리더들을 세우는 것부터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 기본적인 신앙이 제대로 세워져

있고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진 소그룹리더를 선발하고 교육하는 일의 전체

관계학교 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교육의 많은 부분

이 소그룹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소그룹 인도자의 훈련이 선행되어

야 한다 4단계로 진행하며 그 내용은 성경적 이해 인도법 문제해결 요령 리더의 중

요성과 자질의 순서로 구성해 본다 각 차시들을 구성할 간략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

85

소그룹리더를 위한 교육에서 첫 번째 차시는 소그룹의 기원에 대하여 구약과 신

약 성경의 내용을 통해 이해하는 시간이다

먼저 구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습은

1 창세기 218~25 본문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지으신 뒤 가정이라는 소그룹

을 만드시는 장면인데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을 좋지 못하다하시며 관계의

시작점을 만드시는 내용이다 최초의 가정 소그룹을 만드신 분은 하나님

이시다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소그룹의 일원으로서 하와를 지으신 뒤 어

떻게 하셨는가 그리고 아담은 하와를 보고 어떻게 반응했는가 아담에게

로 데려가셨고 하와를 극찬으로 반응하였다

2 소그룹은 인간 공동체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이다 본문에 기록된 결혼

원리를 통해서 소그룹은 하나님께서 설계하신 창조물임을 보게 된다 이

것이 구약성경에 나타난 인류 최초의 소그룹이다

3 출애굽 후 모세의 장인 이드로의 제안으로 시작된 천부장 백부장 오십부

장 십부장 형태 또한 구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델로서 힘든 광야

생활에서 백성들의 결속과 관계의 효율을 추구하였던 예가 된다

이어서 신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전형적인 모습은

4 예수님께서 직접 뽑아서 훈련하고 파송한 열두제자 소그룹이다 예수님의

지상사역은 결국 열두 제자를 부르시고 그들과 함께하신 이야기이다

5 사도행전은 성령강림으로 시작된 초대교회가 성전교회와 가정교회라는 이

중구조 안에서 진행되며 발전된 모습을 곳곳에 소개하고 있고 이 내용은

에베소교회와 로마교회의 시작인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의 가정소그룹의

배경을 기록하고 있다154)

두 번째 차시는 지도자의 자세와 소그룹 인도를 위한 내용이다

1 마태복음 23장 3~11절을 보면 예수님께서 당시 지도자적 위치에 있던

이들의 모습을 거울삼아 제자들을 가르치는 부분이 나오는데 우리가 선생

님(랍비) 혹은 지도자라 불리기를 즐겨하지 말라고 가르치신다 그 이유

154)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17

86

는 우리는 모두 다 한 아버지 아래에서 한 형제이며 지도자는 한분 오직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이라고 말씀한다 또한 올바른 지도자는 섬김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이다 예수님이야말로 이러한 섬김의 모범

을 보이신 분이다(빌 26~9 참조)

2 소그룹의 인도는 준비단계 성경공부 개인적인 적용과 나눔 기도라는 4

단계로 구성된다 시간도 최장 2시간이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잘 들어주기 관찰하기 정리하기 본이 되기 집중하기 성령

충만함을 구하기의 몇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155)

3 이와 함께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모임을 미리 계획하되 그 계획한 것에

맞추느라 쫓기듯 진행하지 말아야 하며 흔히 생길 수 있는 잠시의 침묵을

당황하지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성령의 인도하심에 민감하며 반응하면서

각 사람들 하나하나를 존중하고 고무시키는 방향을 유지한다면 소그룹이

지향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함을 나눠본다

세 번째 차시에서는 소그룹을 이끌어 가면서 생겨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소그룹

지도자들이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대해 다루게 된다

1 흔히 생겨나는 문제로는 미묘한 파벌형성 흥미와 즐거운 모임에만 치우

쳐서 본래의 방향성을 상실하거나 때로는 소그룹 구성원들의 필요와 기대

를 어긋나서 소그룹이 운영되는 경우 등이 있다

2 이외에도 사람들의 모임이기 때문에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구성원들 간

의 대인관계의 어려움이라든지 지도자가 훈련과정에 있을 때의 비효과적

인 지도력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3 이러한 문제에 대한 최선의 반응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든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마음을 이끌어내야 한다

4 그리고 언제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인 모임의 기본 규칙으로서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마칠 수 있어야 한다 중간 중간 제기되는 논쟁의 불씨

가 될 수 있는 토론을 회피하는 기술도 필요하다 일단 문제가 발생한다

155)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35

87

면 다음 자리를 기약하지 말고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그 자리에서 처리해

야 한다

3 사람은 문제의 해결을 통해 성숙하는 것처럼 소그룹 또한 문제를 잘 다루

고 지혜롭게 처리해낸다면 이후보다 소그룹 전체가 성숙됨의 자리로 나아

갈 수 있음도 주지해야 할 내용이다156)

4 소그룹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중 가장 빈번한 것이 서로의 기질의 차

이 비교의식 신앙스타일의 상이함으로 유발되는 갈등상황이다 현세대를

lsquo갈등회피세대rsquo라고 부르는 이들이 있는데 갈등은 피할 것만이 아니라 온

유한 언어의 사용과 용서 그리고 믿음의 기도를 통해 극복된다면 그 잠

재적 유익은 소그룹의 결속에 강한 촉매제가 된다157)

네 번째 차시에서는 데살로니가전서 2장 5~12절 말씀을 묵상하면서 믿음의 지

도자에 대한 구체적인 실례를 나누어본다

1 7절과 11절 말씀을 통해 소그룹 지도자가 추구해야할 모습은 유순함과

더불어 7절에서 예로 든 lsquo유모가 자녀를 위해rsquo 헌신하는 모습처럼 구성원

들을 대할 수 있는 존경받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개발해 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소그룹에서 리더는 그 모임이 나아가야할 미래의 모습을 제시하고 구성원

들을 함께 성장시키며 최종 목적을 이루어 갈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자질

과 능력을 한데 모으는 역할을 감당한다

3 이를 통해 얻어낸 결과물을 함께 구성원들이 누릴 수 있도록 배분하는 역

할도 감당하게 된다 그래서 소그룹은 지도자의 모습만큼 자라날 수 있기

에 지도자는 소그룹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해내야 한다158)

4 이러한 소그룹 지도자에게는 부르심에 대한 확신과 함께 몇 가지 자질을

갖추도록 해야 하는데 성숙된 신앙인으로서 늘 주님과 가까이 하는 삶을

살아야하고 사랑 중심의 성품을 개발시켜야 하고 자신의 부족함을 잘 살

156)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1157) Jimmy Long IVF자료 개발부 편역 소그룹리더핸드북 (서울 IVP 1996) 121158)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7

88

펴 늘 겸손함으로 노력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

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구성원들이 스스럼없이 말할 수

있도록 이끌며 혼자만의 지도력이 아닌 함께 일구는 팀워크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자질이 요구된다

이상은 관계학교를 진행하면서 4~5명 정도로 편성될 소그룹을 이끌어갈 리더들

을 위해 말씀을 중심으로 소그룹을 인도하도록 하기 위한 간단한 교육 내용이다 소

그룹 리더의 경우 일단 기본적으로 신앙에 대한 연륜이 되어있어야 하며 관계학교를

이끌어가는 목회자와 계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 전반에 대한 상황을 그때그때 전

달할 수 있도록 지혜로움을 배양시키는 훈련은 필수적이다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양적성장을 기준으로 한 건강한교회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지금까

지의 문제제기와 신학적 연구를 거쳐 실제 목회현장에서 대안으로 제시해볼 수 있는

관계학교에 대한 개략적인 교육내용을 제안하려 한다 전술한 것처럼 이 프로그램은

주로 성경본문을 강의의 주된 내용으로 삼고 거기에 동기유발 질문과 적용과 나눔의

시간을 통해 교육생들이 관계에 대한 지평을 넓혀가는 과정으로 구성해 보았다 학교

라는 명칭이 갖는 일정수준이상의 성취가 객관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각 차시의 마

침에서 확인질문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소그룹 활동을 통해 진솔한 대화가 나누어지도

록 진행하는 요령이 필수적이다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총

10주에 걸쳐 소그룹편성으로 진행된다 강의 내용은 시작단계에서는 그동안 자기 안

에 있던 관계의 문제들 교회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단절과 갈등 속에서 제대로 반응

하지 못했던 자기 모습을 돌아보면서 관계에 대한 훈련이 필요함을 인정하는 단계로

부터 시작해서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의 이웃들 그리고 가장 가까이에 있는 가족들

과의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가르침을 함께 학습하며 토론 나눔 격려를 통해 9주를

학습한 뒤 마지막 10주째에는 이 모든 가르침을 통해 이루어야 할 건강한교회는 결국

사명공동체로서 세상 속에서 전도와 선교의 삶을 섬기는 자로 살아가도록 서로에게

89

도전함으로써 마무리를 짓게 된다

1 교육 과정 편성

이처럼 전체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차시별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서 서술하고자 한다

2 성취기준

관계학교를 통해 이루어가고자 하는 전반적인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다

l 좋은 관계는 당연한 것이 아닌 노력을 필요로 하는 열매인 것을 배운다

l 건강한 관계는 모두 하나님과의 건강한 관계를 맺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한국인에게는 쉽지 않은 자기 개방의 활동을 통해 성도들과 좋은 관계를 시작할 수

있다

l 갈등은 중요한 전환점을 위한 생산적 과정으로 여기고 관리를 통해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나갈 수 있음을 배운다

l 그리스도인이 세상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의 모델을 배운다

l 관계의 황금률이라고 불리는 마태복음 7장 12절에 대해 배운다

l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을 통해 건강한 관계를 배울 수

있고 세대를 넘어 전수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건강한 가족관계야 말로 건강한교회 공동체를 위해 이 시대에 가장 절실한 과제인

것을 확인하고 배운다

대주제(영역) 관계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

소주제

(핵심개념 또는

학습주제)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 각 영역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발견하기

일반화된 지식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

중점 함양 역량 상호이해와 의사소통 그리고 개방성의 증대

90

3 차시별 강의계획

이어서 10차시로 구성된 관계학교의 각 차시별 학습내용을 표로 구성해 보았다

구분 차시 영역 주제 기능 성취도평가

건강한

교회를 위한

도움

주제

발견1

관계안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고

인정하기

시작하기 자기평가 자기이해

주제

학습

2

하나님과

의 관계

복음과 믿음으로 시작된

하나님과의 관계

정체성수

립소그룹활동

구원의

확신

3 하나님의 친밀감을 통해

애착관계 형성하기수용하기 자기평가 신앙의 성숙

4

성도와의

관계

용납과 용서 표현하기 소그룹활동

열린

공동체로의

나아감

5 갈등관리 조절하기 소그룹활동내부

갈등해결

6

세상과의

관계

의사소통 낮아지기 자기평가외부지향적

당위성부여

7대접받고 싶은 데로 먼저

대접하기대접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이웃사랑의

실천

8가족과의

관계

타인이해를 통해 가족

이해하기이해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서로의

차이를

이해

건강한 가족 속에서 관계의

완성실행하기 소그룹활동

건강한

가족공동체

주제

적용9

주제

실천10 실천 섬김과 돌봄 반복하기 실제 활동 재생산

표 3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91

4 진행상 유의점

l 학교라는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예습과제와 복습과제를 충실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동기를 부여한다

l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과 경험을 고려하여 강의자의 일방적인 흐름이 아닌 학습

자의 나눔을 통해 교육이 더욱 풍성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교육적 요소들을 잘 활용하되 성경적인 배경과 범위 안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l 각 차시마다 실천과제를 두고 적절한 확인을 통해 교육기간동안 자신 안에 일

어나는 관계의 변화를 서로가 확인해 주며 체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각 시간마다 나누어지는 간증과 나눔에 대해 철저하게 교육생 내에서만 비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강조를 반복한다

5 본시 강의의 설계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관계학교 강의가 시작되기에 앞서 참가학생들과의 개별적인 면담이나 주변 지인

을 통해 해당자의 관계에 대한 사전지식을 평가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정도로 구성되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전체 진행에서 교육의 내용을 조절하고 특별히

관심이 집중되어야 할 참가자를 구별하여 함께 기도함으로써 참가학생들에 대한 실태

분석과 강의 방법을 선정해 볼 수 있다 아래는 그 내용과 방법이다

구분 조 사 내 용 상 중 하 실태분석 및 교육방향

지식

건강한교회를 위해 요구되

어지는 것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일반 성도들과 지역사회

참가자들로 구성된 교육

생의 관계에 대한 이해

도를 파악하고 그에 적

절한 수준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내용과 깊이

의 정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한다

경험 관계에 대한 교육이나 훈

련을 받아본 적이 있는가

필요

자신의 삶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관계들의 목표는

무엇인가

92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한 주간 중 정한 요일에 서로가 약속한 시간을 통해 1차시씩 10주 단위로 시행

되는 본시 강의의 시작은 먼저 차시별 목적을 제시하고 이후 도입부에 10분정도의 찬

양 간식 간단한 레크레이션의 순서를 배치한다 어느 정도 교육생들의 집중이 이루

어지면 지난 한 주간동안의 자신의 삶을 나누면서 마음을 여는 시간을 갖는다 이후

활동 내용은 먼저 탐색하기 과정으로 동기유발과 탐구하기 시간으로서 주제에 대한

이론적 교육이 이루어진다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다과를 나눈 뒤 제시된 내용에 대

해 자신에게 어떻게 적용해 볼 것인가를 소그룹 단위로 함께 고민하며 나누는 시간을

진행한 뒤 차시별 평가의 방법으로서 진행된 강의에 대한 만족도와 자신의 삶에 어떻

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그 동안의 개념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등을 묻는 설

문 평가를 진행하고 개인 상담이 필요한 경우도 질문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마

치면서 다음 차시에 대한 예습질문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함께 주제에 적합한 찬양

을 하면서 기도하는 것으로 각 차시가 구성된다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1) 관계 안의 나

하나님께서는 창조의 과정 속에서 마지막으로 사람을 창조하실 때 아담 홀로 만

드시지 않고 하와를 만드시며 더불어 동역할 수 있도록 하셨다 이는 인간이 기본적

으로 무리를 지어 사는 존재임을 피력한 것이다 인간은 아무도 혼자 살 수는 없다

우리는 도움이 필요한 인간이다 우리 인간은 아무도 다른 사람과의 사랑과 친함이

필요 없을 정도로 강하지 못하다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어머니에게 의존한다 우리는

lsquo나rsquo이기 이전에 이미 lsquo우리rsquo인 것이다 그리하여 상당한 의존이 이루어지고 충족된 후

에 자동적으로 밖으로 탐험을 하기 시작한다 이때 우리 자신의 한계를 배워감으로

도움이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 계속되는 삶의 여정에서 성공을 하든지

독립적이 되던 간에 우리는 여전히 도움이 필요한 존재임을 알아가게 된다159) 이 차

시에서는 중심성구인 창조 때 하나님의 아담의 모습에 대한 판단을 시작으로 인간은

관계 속에 사는 존재임을 함께 나누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59) John Bradshaw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23

93

차 시 제 1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관계 안의 나 토론형식 질의답변 및 자율토론

중심성구 창세기 218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강의목표 우리는 관계 속에 살도록 창조되었음을 이해한다

강의주제 나는 다른 사람이 필요합니다 나도 다른 이들에게 필요한 존재입니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속한 직장(학교 교회) 안에서 나와 진정성 있는 관계를 찾아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현대는 혼밥 혼여 혼영과 같은 개인주의 문화가 극

도로 팽배해져 있습니다교회 안에서도 서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관계가 점

점 사라지고 있습니다하나님께서는 홀로 살아가는 것을 싫어하십니다

현대 문화에

대한 통계

PPT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롬 125 이와 같이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히 1025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더욱 그리하자

전 49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빌 24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전 412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요 1335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

l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었

습니다

l 그리스도 안에서 자꾸 모이는 것을 하나님께서 기뻐하

십니다

l 어려운 시간들이 다가올 때 혼자보다 함께 나눔으로써

그 짐을 가볍게 할 수 있습니다l 우리가 서로 사랑하고 돌보는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 땅에 보내신 사명입니다

94

(2) 복음과 믿음

이번 차시의 교육목표는 본 단계를 통해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의 복음

에 대한 믿음을 재확인하고 구원사건이 하나님과의 관계의 시작인 것에 대하여 함께

나누고 이를 통해 모든 회복된 관계의 시작이 어디에서부터여야 하는지를 규명한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차 시 제 2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복음과 믿음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구원확신에세이

중심성구로마서 815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짖느

니라

강의목표 복음과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자녀 됨의 관계가 회복되었음을 배운다

강의주제 모든 관계의 회복은 하나님과의 회복에서부터 시작된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복음제시 영상

예습적과제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이 있는지 그 순간이 언제였는지를

생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왜 우리에게 예수님이 필요한가구원받은 삶이란 어떤 삶인가우리가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

는 무엇인가

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을 다시

점검하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창 217 선악을 알게 하는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롬 310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요 316~17 독생자를 주셨으니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요 524 내 말을 듣고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구원 얻는

복음에 대해

성경말씀을

통해 다시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살면서 다른 이들의 도움이 간절히 필요했던 순간이

있습니까

주변 사람들 중에 나의 도움이 꼭 필요한 사람이 있

다면 누가 있을까요

정직성과

비유지에

대해

주지시키기

95

(3) 하나님과의 친감

믿음은 동적이며 관계적이다 현상유지가 아닌 변화를 추구하며 하나님과의 아들

됨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믿음이란 하나님의 아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매일

매일 하나님을 추구하는 삶이며 그것이 가능해졌음을 세상 앞에 말씀으로 보여주신

것을 우리는 복음이라 부른다 믿음이란 결코 일방적일 수 없으며 단독으로 사용되어

지는 종류가 아니다 믿음이란 대상과 주체를 이어주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믿

음을 지적인 앎과 고백에서 더 나아가 믿음의 대상이 되는 하나님과 회복된 영원한

관계 안에 있음을 인정하고 누리는 것이다161) 이상 Leonard Sweet의 언급처럼 하나님

과의 친감으로 더욱 나아가야 함을 이 차시를 통해 학습하게 된다

160) Sweet 관계의 영성 51161) 김영선 관계신학 55

학습

정리

얻으리라

행 1631 이르되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 하고

고전 1652 나팔소리가 나매 죽은 자들이 우리도 변화되

리라

계 225 다시 밤이 없겠고 세세토록 왕노릇하리로다

창156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

로 여기시고

l 우리 모두는 죄악으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입니

l 자기의 힘으로 죄악을 극복하거나 죽음의 굴레를 벗을

수 있는 이는 없습니다l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자로 고백할 때 우리

자신 뿐 아니라 가정 가운데에도 영생이 임하게 됩니다

l 마지막 때에 우리 모두는 신령한 몸으로 변화되어 세세

토록 예비하신 본향에서 완전한 영생의 삶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l 아브람의 믿음은 기대고 맡기며 의지하는 것을 의미한

l 기독교의 목적은 사람들이 믿음을 갖도록 하나님과 예

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회복된 관계를 갖도록 하는 것

이다160)

확인하며

혹시 미비한

부분들은

없는지

개인적으로

점검하는

시간을

갖는다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예수님을 믿고 구원의 은혜를 받은 뒤 나의 삶은 어

떻게 변했습니까서로가 자신의 구원 간증을 나누며 구원이후 하나님

과의 관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확인해봅니다

96

차 시 제 3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영적 친감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요한복음 423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이렇게 예배하는 자

들을 찾으시느니라

강의목표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의 깊은 친함 속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과 사귐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자신의 예배생활(공예배와 개인예배)을 돌아보기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을 영으로 예배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진정한 예배를 드릴 때 우리 안에 어떤 일이 일어납니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신 277 또 화목제를 드리고 거기에서 먹으며 네 하나님 여

호와 앞에서 즐거워하라

대하 71 솔로몬이 기도를 마치매 번제물과 제물을 사르고

여호와의 영광이 그 성전에 가득하니

대하 2930 히스기야 왕이 여호와를 찬송하게 하매 몸을굽혀 예배하니라

롬 325 이 예수를 화물제물로 세우셨으니눅 2219 감사기도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내 몸이

라 나를 기념하라벧전 25 너희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신령한 제사

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

l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의 관계로 나아간다

l 예배 가운데 하나님의 임재가 있다

l 예수님께서 영영한 화목제물이 되셔서 우리를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케 하신다

l 우리는 예수님을 덕입어 하나님 앞에 나아가 그분을 만

나며 더불어 사귐의 자리로 나아간다

ppt 자료

성막제사

예배에 대한

영상물

97

(4) 용납과 용서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성도들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멀리 있을 때와는 전혀

다른 상대방의 진면목을 보게 된다 그때 우리는 관계가 더욱 깊어지는 경험보다는

실망과 서로 다름에 대해 배타적인 타인과 자신의 모습을 피할 수 없다 게다가 연약

한 우리는 필수적으로 말과 행동에서 실수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다 이때 닫힌 관계

를 푸는 열쇠가 있는 데 그것은 용서이다 깨어지고 멀어진 관계를 회복하려면 용서

의 기술이 필요하다162)

용납은 공동체의 삶에 특별히 중요하다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는 부득불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이는 결국 여러 가지 면에서 너무나도 다른 상대방을 참아내야

하는 상황이 생기게 마련이다 게다가 우리에게 죄를 범하고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이들을 대할 때 용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가 하나님께 잘못한 일에 대하여

무지하거나 완악하여 인정하지 않을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용납하고 기다려 주신

다163) 이 차시에서는 성도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적극적인 실천과 상대방과 나의 다른

면 상대방이 가진 부족한 면을 받아들이는 용납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162) 김영선 관계신학 309

163)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353

l 예배가운데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며 찬송 말씀과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더 깊이 알아가며 우리의 모

습을 고백할 수 있다

탐 구

활 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하나님께 대한 예배를 통해 우리는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게 하신다

주제상황 마 524 예물을 제단 앞에 두고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자기 체험을

나누어보기

차 시 제 4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용납과 용서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토론

중심성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강의목표 용서와 용납의 차이를 이해하고 성도들 간의 관계에서 실천할 수 있다

98

164) John Bevere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204

강의주제 용납은 약함에 대한 이해이고 용서는 악함에 대한 이해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습적과제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내가 용서받은 죄의 목록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과거에 누군가로부터 크게 용서받아본 적이 있는가

내게 잘못한 것이 명백함에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상

대방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

용납과

용서를

주제로 한

찬양활용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마 1820~35 두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몇 번이나 용

서하여 주리이까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형제를 용서

하지 아니하면잠 1911 노하기를 더디 하는 것이 사람의 슬기요 허물을

용서하는 것이 자기의 영광이니라

엡 432 서로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그리스도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

고후 111 원하건대 너희는 나의 좀 어리석은 것을 용납하

라 청하건대 나를 용납하라

l 하나님께서 주신 용서를 경험한 우리는 타인을 용서할

수 있어야 한다l 두세 사람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일 때 그 가운데 예수

님께서 함께 해주시겠다는 말씀 뒤에 나오는 일만 달란

트 빚진 자의 비유는 우리에게 성도간의 용서에 대한 중

요한 메시지를 주고 있습니다164)

l 상대방의 허물을 용서하는 것은 자신을 위한 일이기도

합니다l 서로의 연약함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용납하는 것은 공동

체를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일만 달란트

빚진 자와

일백

데나리온

빚진 자의

스토리를

역할극으로

구성해보기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용납과 용서는 어떻게 다릅니까

자신을 세 번이나 부정한 베드로를 예수님께서 대하셨던

모습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있나요

소그룹별로

나누기

99

(5) 갈등관리

이 차시에서는 관계 속에서 원하시는 하나님의 의도를 성경을 통해 살펴보고 그

럼에도 늘 끊임없이 생겨나던 성경 속의 갈등 문제를 어떻게 다루셨는지를 함께 공부

하면서 참가학생들 안에 있는 갈등의 문제를 다루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 시 5차시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식 배열

단 원 갈등관리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토의

중심성구 마태복음 59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강의목표교회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상황을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을 통해 공동체의 견고한 연합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갈등은 더욱 깊은 관계로의 디딤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교회생활에서 가장 어려운 순간은 언제인지에 대해 고민해보기

과정

(시간)

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시편 3412~14 잠 171 마522~24을 통해서 볼 때 화

평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많은 갈등상황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민202~13 막 933~34 약41~2 행151~35

갈등은 왜 일어납니까

성경본문 들

에 대한 ppt

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다툼과 갈등이 일어나면 당신은 어떻게 반응합니까

l 모세는 (민 202~13)

l 예수님께서는 어떻게 하셨습니까 (막 933)

l 야고보사도는 (약 41~2)

l 초대교회에서는 (행 151~35)

사도행전 1536~41

초대교회에는 많은 갈등이 있었지만 그 속에서도 순기능이

나타나서 오히려 복음의 확대가 있었습니다

l 갈등에 대해 공부하고 훈련하십시오

l 갈등을 피하지 말고 긍정적으로 여기십시오

ppt자료

중간 중간 각

개인의 의견

도 들어보기

100

(6) 의사소통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성경이 성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의

핵심이다 그런 면에서 성도는 이웃사랑에 대한 피할 수 없는 도전 앞에 서 있다 성

도들이 맺고 있는 모든 관계는 의사소통을 통해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의사소통이 부재하면 관계가 깨지며 관계가 계속해서 발전하려면 의사소통을 충분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의사소통은 쉽지 않다 의사소통은 과학이 아니라 예술에

가깝다 관계에 있어서 건강한 의사소통은 기계적이고 직접적이기 보다는 의미의 섬

세한 묘사와 차이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65) 그렇기 때문에 성도가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에 그 모든 관계에 있어서 신뢰라는 기초 위에 세워져야 하며 마음

이 담겨 있어야 하고 또한 정직해야 한다 위와 같이 세상과의 건강한 관계를 세워

가는데 있어서 신뢰의 기반이 되는 의사소통 문제를 이번 차시에서 다루게 된다

165) Tom Holladay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150

차 시 제 6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의사소통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나눔

중심성구 잠언 1820 사람은 입에서 나오는 열매로 말미암아

강의목표 의사소통에 있어서 개방적이고 명확하며 세한 방법들을 학습한다

학습

정리

l 갈등을 기회로 승화시키고 관리하십시오

l 그리스도를 본받고 본을 보이십시오

l 도저히 해결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떠나는 것도 지

혜입니다

토의

상호

피드

소그

룹별

토의

실습

소그룹별로 한 주제상황을 설정 후에 서로 자유로운 토의

를 거친 후 전체발표를 통해 다른 소그룹의 피드백을 확인

해봅니다

주제상황 1 행 61~7 헬라파 유대인들의 불평

주제상황 2 몬 111~18 빌레몬과 오네시모의 갈등

소그룹리더의

적절한

토의진행에

유의

101

강의주제 지혜로운 의사소통은 관계와 전도의 핵심요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개인체험간증

예습적과제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타인의 견해를 들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질문

가까운 누군가와 제대로 된 대화를 나누어본 것이 최근

언제인가

우리의 언어생활이 늘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는 무엇이

라고 여기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마 537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

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

을 알리라

약 119 너희가 알지니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

기는 더디하며잠 1727 말을 아끼는 자는 지식이 있고

l 의사소통의 기본은 거짓을 피하고 정직함을 타협하지

않는 것이다l 때론 침묵보다 뭔가 시도하는 것이 지혜이다

l 말하기보다 잘 듣는 경청의 태도가 필수적이다

l 누군가와의 의사소통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이다

탐구

활동

정리

의견

나눔

통해

정리

하기

예수님께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신 적절한 방법

들의 예를 성경에서 찾아보자

질문 ldquo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rdquo 비유 ldquo천국 씨뿌리기rdquo 만져주심

102

(7) 먼저 대접하기

황금률은 사랑의 진정한 본질을 보여주는 공용 언어이다 사랑은 다른 사람에게

받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냥 주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것은 앎과 행동 사이가 쉽

지 않으나 우리의 불완전함 때문에 포기할 수 없는 세상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우리의

모습이다166) 세상에 대해 우리의 필요를 채우려는 마음을 뒤로 두고 먼저 세상의 필

요를 채워주는 이들이 많아진다면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차시

에서는 교회가 어떻게 세상의 필요를 채워주고 더 가까워질 수 있는지를 배워나갈 것

이다 그 시작은 마태복음 7장 12절 말씀인 황금률에서부터 비롯한다 그 대략적인 내

용에 대해 다룰 이 차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66) Tom Holladay 양영선 역 사랑으로 가꾸는 삶 315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먼저 대접하기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누가복음 631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강의목표 이웃사랑의 실천은 적극적으로 다가가서 먼저 대접하는 삶임을 배운다

강의주제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은 대접하고 섬기는 모습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시영상

예습적과제 이웃에게 먼저 다가가서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기를 시도해 본다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복음을 전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가요

이웃과의 관계를 이끌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규칙은

무엇일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롬 58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우리를 위하여 죽

으심으로눅 635 오직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고 선대하며요 1315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103

(8) 타인이해

이번 차시에서는 타인을 이해하기 위한 성경적인 시도로서 lsquo긍휼rsquo에 대한 내용을

제시해 보려한다 그동안 살아온 삶의 히스토리가 전혀 다른 존재를 이해한다는 것은

제한된 지혜안에 있는 성도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에 앞서 성도들을 향해 세상

을 향해 하나님의 한결같은 마음이신 긍휼함을 품는 다면 타인이해에 한 발짝 더 나

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간략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타인이해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유다서 12 긍휼과 평강과 사랑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 지어다

강의목표 이웃을 이해하고 그들을 사랑할 수 있는 존재로 나를 지으셨음을 안다

강의주제타인을 받아들일 수 없는 우리가 이해하는 길은 그들을 긍휼히

여김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학습

정리

마 540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까지도 가지게

하며

요일 418 사랑 안에 두려움이 없고 온전한 사랑이 두려움

을 내쫓나니

l 우리는 자격이 없을 때 사랑을 받았음을 기억해야합니

l 희생적인 사랑으로 세상에 그 모습을 내보여야 한다

l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 우리는 예수님의 모범을 기억해

야 합니다

l 소유보다 사람에게 더 높은 가치를 두는 것이 이웃사랑

이다

l 세상을 향한 우리의 태도는 빚진 자로서의 섬김입니다

탐구

활동

정리

토론

나눔

으로

정리

하기

오늘 내가 먼저 필요를 채워 주어야 할 대상이 있다

면 누구일까요

내가 아니면 그 사람에게 도움을 베풀 수 없는 이웃

이 옆에 없는지 찾아봅시다

104

(9) 건강한 가족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한 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가장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 대해 백문백답을 만들어서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나와 생각이 다른 이들을 나는 어떻게 대하고 있는

가정 직장 학교 교회에서 나는 왜 타인을 수용해야

하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출 3319 은혜 베풀 자에게 은혜를 베풀고 긍휼히 여길

자에게 긍휼을 베푸느니라

잠 1012 미움은 다툼을 일으켜도 사랑은 모든 허물을 가

리느니라

잠 1429 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크게 명철하여도 마음

이 조급한 자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느니라

잠 1917 가난한 자를 불쌍히 여기는 것은 그의 선행을

그에게 갚아주시리라

행 436일컬어 바나바라(번역하면 위로의 아들이라)하니사 423 상한 갈대를 꺽지 아니하며눅 2251예수께서그 귀를 만져 낫게 하시더라

요일 47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l 하나님께서는 아무 자격이 없는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

셨다

l 타인을 향한 하나님의 명령은 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l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만져주심으로 이해하셨다

l 이해보다는 사랑이 먼저이다

l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긍휼이 필요한 존재이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가족들이 서로를 사랑하면서도 자꾸만 다툼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나를 통해 속한 공동체가 서로를 이해하

는 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105

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건강한 가족은 결국 건강한 가족관계에서 출발한다 이

차시에서는 성경에서 말씀하는 동등성을 기반으로 한 부부관계에 대해서 배우게 된

다 사실 부부관계훈련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이 과정만을 따로 떼어서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포괄적으로 다

루기 때문에 깊이 있는 학습보다는 넓게 다루되 심화과정을 따로 개설하는 것이 효과

적일 것이다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 이어서 다루게 된다

차 시 제 9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건강한 가정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나눔

중심성구잠언 171 마른 떡 한 조각만 있고도 화목한 것이 제육이 집에 가득하고도

다투는 것보다 나으니라

강의목표 가족 구성원의 상호헌신을 통해 건강한 가정을 이루어감을 안다

강의주제 건강한 가정을 이루는 것은 성경적인 인간관계를 세우는 주춧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성경 속에 나타난 가족들의 특징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자기가 속한 가정의 모습에 아쉬운 부분은 없나요

나는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미 76 아들이 아버지를 멸시하며 사람의 원수가 곧 자기

의 집안 사람이리로다

엡 521 그리스도를 경외함을 피차 복종하라

잠 1822 아내를 얻는 자는 복을 얻고 여호와께 은총을 받

는 자니라

엡 533 그러나 너희도 각각 자기의 아내 사랑하기를 자신

같이 하고 아내도 자기 남편을 존경하라

잠 1632 노하기를 더디하는 자는 용사보다 낫고 자기의 마

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나으니라

잠 2325 네 부모를 즐겁게 하며 너를 낳은 어미를 기쁘게

106

(10) 섬김과 돌봄

10주간의 관계학교를 마무리하면서 이번 차시에서는 성도들의 사명적 과제인 세상

을 섬기는 삶에 대해 다루려 한다 모든 관계의 문제는 결국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

서 모범을 보이신 것처럼 섬김의 삶에서 종결된다 성도들 또한 모든 관계라는 상황

가운데 섬기는 자로 부름 받았음을 도전함으로써 모든 차시를 마무리 지으려 한다

학습

정리

하라

잠 243 집은 지혜로 말미암아 건축되고 명철로 말미암아

견고하게 되며

l 가정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작은 하나님 나라이다l 말세의 때에 가정을 향한 영적인 공격이 극에 달하고

있다l 가정의 건강성은 가족들 개개인 모두가 자기 역량에 따

른 헌신을 감당해내는가를 통해 결정된다l 너무 쉽게 분노와 다툼에 자신을 내어주는 모습을 돌아

보아야 한다l 가족을 위한 지혜는 하나님께로부터 나온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우리 가정은 함께 예배하는 시간이 있는가

우리 가족은 서로에 대한 헌신의 정도가 어떠한가

차 시 제 10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섬김과 돌봄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사명에세이 작성

중심성구빌 22~4 마음을 같이하여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강의목표 우리는 하나님 세상 성도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기는 사람임을 안다

107

강의주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관계는 주께 하듯 섬기는 관계이다

관계요소

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섬기는 분으로 이 땅의 삶을 사셨던 예수님을 묵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 세상 성도와의 관계에서 어떨 때 가장 평안

한 마음이 들던가요

주께 하듯 섬긴다는 말은 어떤 뜻인가요

강사 자신의

체험을

나눠보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벧전 38 형제를 사랑하며 불쌍히 여기며 겸손하며롬 1216 서로 마음을 같이하며 도리어 낮은 데 처하며잠 1717 형제는 위급한 때를 위하여 났느니라

고전 135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롬 152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빌 127 오직 너희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

라골 323 무슨 일을 하든지 주께 하듯 하고엡 67 기쁜 마음으로 섬기기를 주께 하듯 하고 사람들에게

하듯 하지 말라

l 형제를 불쌍히 여길 때 그를 사랑할 수 있습니다l 우리의 마음을 겸손히 할 때 섬길 수 있습니다l 어려운 상황에 있는 이웃을 더욱 돌보아야 합니다l 우리는 서로를 섬기도록 지음 받았습니다l 주께 하듯 형제를 사랑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l 건강한 관계는 나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상대방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길 때 성취할 수 있습니다

말씀 본문

PPT영상준비

각각의

소주제에서

강사의

전달보다

학생들의

반응에 더

집중하기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관계 속에서 가장 힘든 때는 언제 인가요혹시 내 안에 아직도 이기적인 편견에 빠져있지 않을

까요오늘 내가 섬기도록 내 곁에 두신 사람은 누구인가

정직과

비유지에

대한

사전교육

108

이상으로 10주간의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내용의 개요를 제시해보았다 세부적인

내용은 교회마다 특성과 여건이 다르기에 그 상황에 맞추어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본

다 관계학교라고는 하지만 바쁜 현대를 살아가는 성도들의 모습을 감안하여 하나님

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10차시 정도로만

요약해 보았다 개별적으로 좀 더 깊은 내용은 추후 교회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진행

하면 되리라 여기며 여기까지 해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대략적인 개요 내용을 정리

하고자 한다

109

제 6 장

결 론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에서 한국교회는 시대적응에 실패한 모양새이다 이러한 현상

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들 중 하나는 기존 교회

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

의 외적인 요소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

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현실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의 유일한 소망이다 여타 다른

나라의 기독교 발전과 달리 한국 기독교는 짧은 순간에 급속한 수적 성장을 이루었는

데 급격한 변화에는 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처럼 한국 개신교 내부에서 교회를 이루

는 구성원으로서 각 개인 간의 거리가 너무 긴해지고 말았으며 이는 상대방을 충분

히 수용하고 이해하기에 중간에 필수적이었던 시간들을 생략하고 만다 결국 이는 교

회 내부에서 관계의 문제로 불거져 나오게 된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여전히 한국교

회는 양적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성을 확인하려 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시작된 이 논문은 지금까지 포스트모더니티와 모더니티의 사

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시작으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주장하는 4가지 이론들

을 살펴보았다 그 속에서 Anderson과 Macchia의 주장에서 발견된 관계적 특성을 교회

의 건강성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이를 위한 이론적 뒷받침으로 관계신

학을 살펴보았다 관계중심의 사역을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주장

하면서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이루어지는 관계훈련의 사례를 찾아보았는데 여기에

110

서 발견된 특징은 사후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중심 상담기법이 주로 사용되어짐을 발

견하면서 필자는 성경을 중심으로 하면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공부하는 것

을 통해 전도의 기회로도 활용 가능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안해보는 것으

로 본 논문을 진행해왔다

제한된 지면에 방대한 주제를 연구하다보니 아무래도 각 내용들이 심도 깊게 연

구되지 못하고 단지 관계학교라는 10차시의 과정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가벼이 지

나갈 수밖에 없었던 한계가 있음을 인정한다 또한 포스트모던이든 교회건강이론이든

관계신학이든 그 안에 담긴 내용은 훨씬 다양하고 여러 가지 한계에 대한 나름의 보

완책을 가지고 있지만 양적성장을 통해 건강한교회를 구분 지으려는 현 세태에 대한

비판을 강조하려 하다 보니 그러한 보완점을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다

제 2 절 제언

미래의 교회는 그동안 집중하던 사역지향의 틀을 넘어서 관계에 기초를 두는 공

동체로 세워져야 할 것인데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평가를 받으며 서로를 자랑

하며 서로의 성공을 축하해 주며 서로의 문제해결을 도와주며 서로를 칭찬해 주며

서로를 높여 주는 관계성의 개발을 그 공동체의 핵심가치와 목표로 하는 교회를 세우

는 목회가 이 시대에 절실하다 교회마다 그동안 성장과정에서 소홀히 되었던 부분으

로 인한 성장 통을 앓고 있고 거기에 최상위 리더십이 교체되는 시점에 그 문제는 불

거져 나와 결국은 분립의 길을 선택한 많은 교회의 예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고 세상을 아우르며 자신의 존재의미와 본질에 충실한 건강한교

회는 하나님과도 성도들과도 이웃과도 건강한 교회여야 할 것을 주장하며 이 논문을

마치려 한다

111

참고 문헌

1 국내 서적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김점옥 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신국원 문화이야기 서울 IVP 2002

______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최애경 인간관계의 이해와 실천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06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 2008년 1월호(통권

제589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112

2 번역 서적

Augustine(Saint) 성아우구스티누스 삼위일체론 김종흡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Bevere John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Bonhoeffer Dietrich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Bradshaw John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Calvin Joh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Clair Michael St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Clowney Edmund P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George Carl F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Gibbs Eddie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Hiebert Paul G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사람 2010

Holladay Tom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Kun Hans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Long Jimmy 소그룹리더핸드북 IVF자료 개발부 편역 서울 IVP 1996

Newbigin Lesslie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Richardson Ronald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_______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Robinson Dave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Schwarz Christian A 자연적 교회성장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2001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윤수인 역 서울 NCD 201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Stott John R W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113

Sweet Leonard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_______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Walsh Brian and Middleton J Richard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 외국 서적

Anderson Leith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15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92

_______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Grenz Stanley J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Guinnes O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Gunton Colin E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Klemm David Hermeneutical Inquiry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David Klemm

ed Atlanta Scholars Press 1986

Macchia Stephen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_______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Smith James K A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Wagner C Pet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_______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14

4 웹사이트

httpwwwwhointaboutmissionen세계보건기구헌장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groups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httprelationshipschoolcom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fn1-11529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115

Vita ofSeongBaek Park

Present PositionSenior Pastor of Grace-Truth Chruch in GwangJu South Korea

Personal Data

Birthdate 01201972Marital Status MarriedHome Address 12 SangmuDaero 263 GwangsanGu GwangJuPhones +82-10-2587-5579Denomination PresbyterianOrdained 10072008

Education

B A 2001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in PhysicsM Div eq 2007 Gwangshin Theological SeminaryTh M 2009 Gwangshin UniversityDMin 201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 Recommended Citation
      • vartmpStampPDFG81n_kR6vhtmp1568331363pdfQYYRp
Page 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iii

centered on relationships are compared This examination of theories of existing

church health scholars leads to this projectrsquos theoretical basis of relationship

theology constructed on the thinking of two specific scholars

Cases of relationship recovery programs and characteristics of such

programs tried by the Korean Church are surveyed in chapter 5 The chapter goes

on to emphasize the need for a biblical relationship training program and then to

construct a relationship school program for improving church health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by proposing a 10-lesson program for biblical relationship

development Chapter 6 concludes the paper ultimately arguing that relational

health as a core value of the church enabled by member training from a

perspective of relationship theology must be a new standard for measuring church

health Effectively running such a relationship school focused on relationships with

God the world and believers can improve church health via improved

relationships

Theological Mentors Jong Hun Joo PhD

Yea Sun E Kim DSocSci

Euiwan Cho PhD

iv

헌 사

이 논문을 아들을 위해 불철주야 기도로 지원해주신 어머님과 사랑하는 아내 그

리고 하나님께서 주신 최고의 선물인 예은 다윗 정은에게 바칩니다

v

감사의 글

오늘 이 날에 이르기까지 늦은 나이에 목회학박사 과정을 위한 도미를 허락해주

시고 이후에 귀국해서 멈출 수도 있었을 논문과정을 끝까지 마치게 인도해주신 하나

님께 먼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신약성경에 대한 탁월한 통찰을 통해 세속화되

어 가는 교회를 향한 안타까움 가득한 외침으로 깨어있는 목회자의 길을 몸소 보여주

신 김세윤 교수님 외롭고 어려운 유학 시절동안 부족한 목회자가 자신을 가두던 껍

질을 깨고 세상 앞에 당당히 설 수 있도록 보석 같은 개인상담의 시간을 통해 목회적

인 사고의 지평을 넓혀주신 엄예선 교수님 먼 나라를 오가며 분주한 사역 중에도 부

족한 목사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격려와 채찍으로 논문을 마치기까지 세심하게 지

도해 주신 주종훈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여러 가지로 모자라기 만한 아들을 귀히 여겨 주시고 항상 후원해 주신 어머니

와 힘들 때마다 따뜻한 위로자와 상담자가 되어준 사랑하는 아내와 내가 이 땅에서

감당해야할 첫 번째 사명이자 다른 모든 사역을 위한 발걸음에 힘을 더해주던 세 아

이들에게도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그 동안 많은 기도와 도움을 주신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많고 많은 교회

속에 개척이라는 길을 여시고 맡겨주신 은혜와진리교회가 관계라는 교회 존재의 기초

위에 더욱 건강한 교회로 자라나 많은 열매를 맺어낼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더욱 열심

히 헌신하겠습니다

2019년 2월 박 성 백

vi

목 차

제 1 장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1 해체주의 인간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2 상대주의 진리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다원주의 종교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4 극단적 개인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과학기술의 발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 자본주의경제의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4 모더니티의 위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vii

2 교회와 코이노니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1 하나님의 백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2 그리스도의 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3 성령의 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1 관계중심의 리더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4 가정 중심의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2 은사 중심적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3 열정적 영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4 기능적 조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9

5 영감 있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6 전인적 소그룹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7 필요 중심적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8 사랑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1 긍정적인 목회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viii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5 동질집단의 원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6 효과적인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7 성경적인 우선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2 제자 삼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3 영적은사의 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맺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절 Stephen A Macchia의 교회건강이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영적인 제자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다 교회들의 연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ix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1 온누리교회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2 뉴욕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3 웹기반의 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가 온라인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1 프로그램의 동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2 프로그램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x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3 프로그램 시행준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나 소그룹 리더교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1 교육과정편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2 성취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3 차시별 강의계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4 진행상 유의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5 본시 강의의 설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1) 관계 안의 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2) 복음과 믿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3) 하나님과의 친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4) 용납과 용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5) 갈등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6) 의사소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7) 먼저 대접하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8) 타인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

(9) 건강한 가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

(10) 섬김과 돌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

제 6 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2 절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

xi

참고 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1

Vit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xii

표 목 차

lt표 1gt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lt표 2gt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lt표 3gt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1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980~90년대를 지나면서 한국교회는 기록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어내었다 1910년

에만 하여도 한국 전체인구의 단지 1에 불과했던 개신교 인구는 고도 성장기를 거

치면서 전체 5천만 인구의 거의 20에 달하는 성장을 이루었고 수많은 대형교회들이

생겨났으며 바야흐로 한국 개신교의 전성기라 불리기에 충분한 시대였다 그러나 21

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 개신교는 정체되기 시작하였고 게다가 사회적으로 많은 비판

을 받게 되었으며 반기독교진영의 공격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그중 중요한 원인 하나는 기존 교회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의 외적인 요소

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

의 유일한 소망이다 산업화로 인하여 풍요해진 것처럼 보이는 세상의 이면에는 온갖

공해물질로 범벅된 자연환경의 오염과 이로 인해 야기된 각종 질병으로 인간의 육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를 비롯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되어가고 있

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질병과 가족들의 육신의 질고로 말미암아 건강에 대해 갈

수록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이 건강이라는 용어의 사용도 단순하게 인

간의 육신에 대한 표현에서 벗어나 정신의학의 영역 사회과학적인 영역 영적인 영역

에까지 그 사용 폭이 넓어져 가고 있으며 이는 결국 교회의 건강이라는 표현에까지

2

이르게 된다 이처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결국 그만큼 각종 분

야에서 많은 질병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만큼 각종 질병으로부터의 치료가 중요시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건강의 의미에 대하여 직관적으로는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

하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정의하면 소극적인 의미인 질병이 없음을 넘어서 각 개체가

가진 본연의 목적을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감당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

인 개념1)이다 이것을 교회공동체와 관련하여 다시 진술한다면 건강한교회란 교회 내

부의 질병이나 연약한 부분이 없이 모든 지체들이 물리적 관계적으로 온전한 상태에

있으면서 사회적으로 감당해야할 책무로서의 소금과 빛 됨의 역할을 다하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작금에 와서 교회의 건강은 늘 교회의 성장이라는 열매와 결부

시켜 표현되고 있다 교회의 건강지수를 조사하는 대부분의 기준들이 교회가 양적으

로 성장하고 있는가라는 결과를 통해서 판단되어 왔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수적

성장하지 않는 교회는 건강하지 않고 병들어있는 교회로 치부되고 마는 것이다

한국경제가 한창 발전을 하던 과정에서 사람들은 수적 양적인 요소들을 판단의

근거로서 최선이라 여길 수 있었지만 이러한 세속적 세계관이 교회 내에도 여과 없이

반영되어 교회조차도 숫자를 판단의 주된 요인으로 삼는 오류를 범하게 된 것이다

왜 사람들은 숫자를 통해 진리를 판단하려 드는 것인가 이는 다른 요인들과 달리 가

시적이며 객관적인 근거로의 활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기에 계산하는 것

이 쉽지 않을지라도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건강의 진정한 본질적 요소들

에 집중해야만 할 필요가 있다

lsquo교회 성장rsquo과 함께 lsquo교회건강rsquo을 강조하게 된 데에는 전통적인 교회성장에 대한

생각들이 지나치게 기계적인 수적 성장을 강조하는 것에 반기를 든 모양새이다2) 그

러나 이렇게 등장한 lsquo교회건강rsquo에 대한 이론들조차도 결국은 lsquo성장하면 건강하다rsquo라는

개념과 같이 숫자의 함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lsquo건강하면 성장한다rsquo라는 논리로 확대

적용되어 교회의 건강이 마치 양적 성장을 위한 기본 전제이어야 하는 것처럼 받아들

여지게 되었다 즉 교회의 건강성을 수적 성장의 여부로 판단하게 되어버린 것이다

특별히 한국교회에서 많이 활용되어 온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자연적교회성장

1) 세계보건기구헌장 참조 httpwwwwhointaboutmissionen2) 김점옥 차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7

3

(Natural Church Development)이론은 질적 요소의 충족을 통한 건강은 양적성장으로 결

론지어진다는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시하며 양적성장과 교회건강에 대한 연결을 오히

려 더 정당화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적 현실에 대하여 필자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자인 Schwarz와 교

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과소평가

된 교회의 본질적 요소인 lsquo관계rsquo를 교회건강의 새로운 기준으로 주장하고자 한다 건

강은 결코 성장만으로 판단되어서는 타당하지 않다 현대 교회에 만연한 성장주의는

결국 교회 내부 건강의 부실함을 야기하였고 각종 폐단 및 후유증의 주된 원인이 되

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관계가 성경적이고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관계

성으로 볼 수 있는가 그것은 삼위일체의 교제를 칭하는 개념인 페리코레시스에 바탕

을 둔 공동체적 관계성이다 그 관계를 원리로 해서 하나님 성도 세상 사이 관계의

균형을 추구하는 모습이 필요하고 이렇게 세워진 관계신학적 이론을 적용하는 lsquo관계

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교회건강개선rsquo이라는 논제를 가지고 필자의 주장을 정리해 나

가려 한다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위와 같은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시작된 교회건강성에 대한 논문을 위해 필자는

먼저 숫자중심 성장주의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근대 모더니즘과 관계지향적 특성

을 가진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살펴본 후 NCD

의 이론과 다른 북미지역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서적들을 대상으로 기존 이론의 약점

들을 드러내고 더불어 다른 교회건강 학자들의 이론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연구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계신학이라는 아직은 생소한 신학분야의 이론적 기반을 마

련한 후에 각 교회나 단체에서 행해지는 관계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를 연구할 것

이다 그러고 나서 교회건강을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이라는 대안을 마

련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따라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현대 한국교회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는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먼저 현대 한국교

4

회의 배경연구로서는 모던시대의 특징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을 바탕으로 모던과

포스트모던이 교차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며 그러한 한국교회 상황

에서 현재 주로 인용되어왔던 Christian Schwarz를 통해 세워진 NCD의 교회 건강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과 교회 건강에 대한 다른 견해들인 피터 와그너(Peter Wagner)

리스 앤더슨(Leith Anderson)3) 스티븐 마치아(Stephen Macchia)4)의 이론들을 살펴본 뒤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서 그동안 성장주의 영향 아래 한국교회에서 배제되어왔던 부분

에 관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교회의 핵심특성인 공동체적 본질로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사역이 교회 건강성의 새로운 기준임을 제시해보려 하고 이론적인 기

반으로서 관계신학이라는 개념을 정리해 본 뒤 이를 실제 목회 현장에 적용할 수 있

는 lsquo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rsquo까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범위 안에서 연구를 진행하

고자 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문제제기와 목적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어 연구

의 방법 및 범위를 서술한다

제2장에서는 모던과 포스트모던 두 시대 사이에서 양쪽 모두의 영향 아래 있기

에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두 가지 특성 모두를 가지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

과 영향을 배경연구로서 활용해 보려 한다

제3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연구를 위해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개념을 근거로

관계신학적 관점으로 교회의 본질을 연구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한국교회에 영향을 주고 있고 교회성장운동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

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와 주장을 정리하고 교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연구를 살펴보고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성장을 논하던 기존 이론과 달리 하나님

3) NAE(국제복음주의연합)의 의장을 역임하였고 Minnesota에 있는 Woodale Church에서 35년동안 사역하다 지난 6월 은퇴하였으며 Fuller Theological Semianr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강의를

하고 있으며 Dying for Change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Winning the Values War의 저자이

다4) 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Vision New England(The Evangelistic Association of New England)의 의장을 역임

하였으며 Becoming a Healthy Church 외 다수의 저작물이 있는 지역교회와 선교단체를 위해

국제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역자이다

5

성도 세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교회건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Macchia와 Anderson

의 이론을 연구 정리하면서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들을 비교하여 기존 이론 가운데

에도 관계지향적인 요소들이 이미 자리하고 있었음을 더불어 밝혀보려 한다

제5장에서는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행해지던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로서 국내

온누리교회 미국의 뉴욕관계학교 웹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스웨덴의 온라인 관계학

교의 경우를 조사하여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를 찾아보고 그동안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경을 중심으로 하여 10차시 과정으로 구성된 관계학교 전체과정의 개요를 제안하려

한다

제6장에서는 연구에 따른 최종적인 결론으로 논문 전체에 대한 요약과 결론 그

리고 그에 따른 적용 및 다른 연구자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어

보려 한다

6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양적성장에 치중하던 한국교회가 질적성장이라는 관점에서 건강한교회를 지향하

게 된 일은 분명 긍정적인 현상임에도 이마저도 또 하나의 교회성장운동으로 변질되

어가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살펴보기 전에 그에 대한 환경적 배경을 제공하게 된 이

시대의 전체적인 문화와 사고의 큰 흐름으로서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더불어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그 모태라고 할 수 있는 모더니티

사회의 현상과 특징들을 비교하여 논함으로서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을 좀 더 이해

할 수 있고 그 영향들이 교회 안에 어떻게 작용하게 되었는지를 알아가 보고자 한다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인류는 과학산업기술의 발전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이성을 긍정적으로만 맹신하

게 된 것이 모더니티 근대주의의 발로이다 이를 통해 계몽주의 경험주의 유토피아

적 이상향에 젖어 중세 신앙을 거부하게 되면서 인간 이성의 자유를 구가하던 시대인

모더니티 사회는 결국 이성의 과신에 대한 수많은 부작용과 또 하나의 공허한 신앙을

선택하게 된 결과로 이어진다 포스트모더니티로의 진입은 이러한 모더니티를 비판하

면서 해체하는 것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가고자 하는 시도였다 그러므로 포스트

모더니티는 모더니티의 사상적 기반을 떠나서는 정확한 이해가 불가하다 포스트모더

니즘의 시작은 일차세계대전 이후 그동안 팽배해 왔던 근대주의적 유토피아 이상에

대한 환멸과 비판을 기초로 하였다 또한 과학의 한계에 대한 의식과 자원고갈 인구

와 환경문제라는 위기의식을 기반으로 문명 전체의 불분명한 미래상에 대한 불안을

뿌리로 하게 된다 이는 그동안 근대문명을 지배해온 모더니즘의 주된 사고체계인 계

7

몽주의사상과 과학주의적 세계관의 문제의식에서부터 기인하였다는 의미이다5) 이처

럼 모더니티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사상적 특징들을 먼

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해체주의 인간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의 사상적 발단을 제공한 이는 프리드리

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이다 니체는 기독교적 가치의 무의미를 선포하

였고 진리의 체계를 주장하는 모든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사상을 주장하는데 형이상학

을 부정하는 근거는 모든 형이상학이 자신이 전제한 가정에서부터 출발하고 있기 때

문이라는 것이다 니체의 허무주의적 주장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

을 형성하였다 니체에게 있어서 우리 자신과 세계에 대해 유일하게 참된 진리는 만

물이 지닌 억제할 수 없는 lsquo힘에의 의지rsquo와 lsquo통제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rsquo뿐이라는

것이다 lsquo지식rsquo과 lsquo진리rsquo는 단지 효과적인 도구일 뿐이지 초월적 실체가 아니며 인간

이 고안한 개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것들은 항상 인간의 이익이나

목적에 공헌하기 때문에 결코 lsquo객관적rsquo일 수 없다는 주장이 포스트모더니티의 특징으

로서 니체로부터 시작된 해체주의의 주된 사상이다6) 이러한 해체주의는 또한 허무주

의로 연결되어 결국 인간 본연의 가치상실과 존재에 대한 회의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더 이상 개인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존재가치가 전과 같이 존중받지 못할 위기에 처하

게 되었다는 것은 베이비부머시대의 인구폭발과 맞물려 인간의 가치상실이라는 결과

를 낳게 된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에 저항해야 할 한국교회는 오히려 한 영혼 한 영

혼의 가치를 소홀히 함으로써 세상을 닮아가는 형국이 되었고 결과를 중심으로 한 교

회건강 이론을 비판 없이 도입하였다

2 상대주의 진리관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대주의는 세계를 역사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보편

적 원리나 통일성이 없는 파편더미로 보는 가치체계이다 공통적 가치와 기준이 없으

5) David Klemm Hermeneutical Inquiry Volume 1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Atlanta Scholars Press 1986) 196) Dave Robinson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21-22

8

며 진리에 상대적 국면이 있음을 인정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신적권위라든지 이성적

법칙이라든지 절대성을 표방하는 것 자체를 모두 배격하기에 이르게 된다 상대주의

의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포스트 모던적 상대주의는 상대성 자체를 궁극적인 것으로

절대시하고 규범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대주의에서는 lsquo절대rsquo나 lsquo절대적rsquo이란 존재할

수 없다 진리라는 주장들은 지역적 역사적 요인들이 만들어낸 상대성을 지니기 때문

에 그 어떤 것도 절대적 진리라고 판단할 수 있는 초문화적인 기준은 존재할 수 없

다7)

절대적 진리의 존재가 인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사회나 문화의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거대담론이 사라지게 됨으로 공동의 lsquo너와 내rsquo가 이루어낸 공동체성은 찾기

힘들고 파편화된 개인만 남아 외롭게 존재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또 이런 상대주의

는 가치와 도덕을 무너뜨려 극단적 실용주의를 만들어낸다 또 신앙이나 이성에 의해

규제되던 감성 관능 탐욕 등의 폭발적 해방을 이미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상대주의

의 만연은 결국 아무것도 절대적인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극단을 낳음으로써 자체적인

모순에 빠지게 됨으로 해체주의와 연결되어 인간의 존재가치를 상실하고 회의를 불러

일으키고 결국 이는 쾌락을 진리의 기준으로 삼아 단지 lsquo즐거운 것이 좋은 것rsquo이라는

사고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도 종국에는 극단적 고독과 소외를 낳음으

로써 인간 내부에 잠재해 있던 공동체에 대한 갈망을 원하게 된다8)

그러므로 이 시대에 교회가 접근해야 할 세상은 대상이 특정화되지 않은 일방적

인 전파를 통한 복음사역이 아닌 소외와 외로움에 빠진 이들에게 먼저 다가갈 수 있

는 관계가 중심이 되는 건강한교회를 통한 공동체적인 접촉점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된

3 다원주의 종교관

포스트모더니티의 세 번째 특징으로서 근대의 문제가 이성주의에 입각하여 문화

와 사회를 획일화하는 세계관으로 삶을 억압하고 비인간화 하는데서 비롯된다고 반기

를 드는 데로부터 결국 그에 대한 해체작업과 그 결과로 말미암는 다원성에 대한 강

조로 흐르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이성의 객관성을 부정하여 문화와 사회의 토대역

7)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2388) Ibid 241

9

할을 박탈하려 하게 된다 이성주의 학문인 철학과 과학이 기초적 중심 위치를 상실

하면 문화가 다원화될 것이라고 여기는데 이 전략이 근대문화를 해체하게 된다 이

다원주의 특성은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어 오늘날 삶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다원화된

사회가 되어버렸다

이런 변화 속에 교회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경험하게 된다

긍정적인 영향은 기독교와 줄곧 충돌해온 인본주의와 독단적 합리주의의 지배력이 약

화되어 기독교의 전도나 문화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고 반면 부정적인 영향은

모든 종교와 신앙의 균등을 주장하는 종교다원주의가 득세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다원주의는 오늘의 세속 사회에 가장 잘 부합하는 문화적 이데올로기이며 이러

한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믿음을 고백하거나 일방적으로 전파하는 것을 무식과 교만

독선으로 여기게 되어 금기시하게 된 것이다9)

뿐만 아니라 뉴비긴은 한걸음 더 나아가 한 사회 안에 있는 여러 다양한 문화들

과 생활방식들을 환영하고 이런 것이 인간의 삶을 풍요하게 해준다고 믿는 문화적 다

원주의와는 달리 종교적 다원주의 대해서는 그 입장을 달리하여 종교들 간의 차이가

진리와 거짓의 문제가 아니라 진리에 대한 다른 인식 방법의 차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종교적인 믿음에서 어떤 것은 옳고 어떤 것은 그르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종교적인 믿음은 개인의 문제이고 각 사람은 자신의 믿음을 가질 권

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종교적 다원주의의 특징이고 뿐만 아니라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할 포스트모던시대의 특징이다10)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이러한 종교적 다원주의를 다원주의의 맥락에서 지지하

고 있다 그리고 종교적 다원주의는 이제 서구교회 전체가 고민하고 있는 심각한 문

제가 되었으며 우리 한국교회 역시도 더 이상 자유롭지가 않다 복음의 순수성과 절

대성이 더 이상 그 자리를 지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회 내부에서조차도 그 영향력

이 약화되어가고 있는 이 시대는 네트워크의 비약적인 기술발전 영상매체와 미디어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시각적 자극에 민감해질 데로 민감해진 다원화된 개인들만이

존재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한 상황 속에 건강한교회에 대한 견해들 또한 다양

하게 되었고 그만큼 통합적인 평가가 어렵다 그만큼 가시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한

9)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1310) Lesslie Newbigin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40

10

숫자 중심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은 많은 이들에게 수용되어질 수 있었다

4 극단적 개인주의

앞부분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티사회의 특징들은 우리를 서로에게로부터 분리시

켜 자아를 봉인하고 개인 영역에 한정시키는 극단적 개인주의 성향으로 나타나게 된

다 이러한 흐름은 절대적인 권위와 연합을 부정한다는 의미에서 포스트모던이 기독

교 신앙에 대한 심각한 도전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면에서는 기존 질서로서 이성 중심

의 과학문명이 낳은 모더니티에 대한 지극한 회의에서 시작되었기에 하나님 중심의

절대적 신앙관의 확립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과도기적 시기로 보아야 한

다11)

오늘날의 사람들은 지금까지 지나온 여러 세대들보다 더욱 초자연적인 것들 특

별히 영적인 것들에 대해 열려있게 되었으며 사람들은 교회나 조직화된 종교체계에는

적대적일 수 있으나 예수님을 포함하여 영적인 것에는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포

스트모더니즘 기반의 문화에서는 서로 간의 공통점을 주장하지 않음으로 모두가 함께

동의하여 논쟁을 종결할 수 있는 공통적 토대가 사라지고 보편적 세계관을 부정하게

됨으로써 차이에 대한 존중과 지역적이고 개체적인 것을 환영하는 정서가 대중적인

것이 되었다 이성주의 문화의 해체 속에 기독교적 문화를 사람들이 또 다른 진리 중

의 하나로 인식하게 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독교에 대한 도전일 뿐 아니라 만인이 편견 없이 기독교 신앙을 기본적으로 받아들

일 수 있게 하는 기회로서 작용하기도 한다12)

포스트모던사회의 특징인 해체주의 상대주의 다원주의 개인주의의 포괄적 특징

은 반공동체적이라는 것이다 각 개체를 중시하고 함께 하는 가치를 배격하며 진리의

상대성을 기치로 삼는 시대정신 속에 단일 목표를 세우고 함께 가는 공동체 지향은

반시대적이 되어버린 것처럼 외부적으로 나타나지만 결국 그 속에서 각 개인의 가치

를 상실당하고 소외되며 피폐해진 이들은 오히려 진실한 공동체 속에서 관계를 찾게

되는 성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1) James K A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5612) Stanley J Grenz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12

11

이로써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탈관계적이면서 오히려 더욱 관계를 추구하는 이

중성을 지니게 될 것임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한국 사회뿐 아니라 한국교회가 성장과

성공에 치중하게 된 배경으로서 현대 한국사회의 급속한 근대화 현대화 과정에서 포

스트모더니티와 함께 스며들게 된 모더니티적 특성들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모더니티 사회의 사고관은 인류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경험함으로 이성의 능력을

신뢰하게 되면서 계몽주의와 경험주의 자본주의 경제이론 그리고 역사발전이론에 대

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그 뿌리에는 다음과 같은 사고의 전환이 중심

이 된다

그 첫 번째는 자연주의적 세계관으로서 창조주와 창조세계를 구분하여 그동안

창조주에 의존된 창조세계를 바라보던 관점이 무너지고 창조주인 초자연과 창조세계

인 자연을 둘로 구분하는 이분법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게 되었다는 것이다13) 자연은

더 이상 창조주로부터 나온 산물로서의 지배가운데 있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진

화라는 흐름 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사물가운데 존재하는 법칙을 발견하고 우주를 지

배하는 기본원리를 파헤침으로서 인류의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두 번째는 진보주의적 역사관인데 이 속에 뿌리깊이 자리 잡은 기본적인 사관은

진화론적 역사관으로 역사도 자연과 같은 과정을 통해 미개한 상태에서 계몽된 상태

로 발전하며 이와 같은 발전과정을 통해 인간은 자연법칙을 찾아내고 자연과학적 지

식을 축적함으로써 인간 문명사회는 더 나은 단계로 lsquo계속해서 진보해 나갈 것이고

이를 통해 인간은 행복을 얻게 될 것rsquo이라는 사고이다14) 이와 같은 생각들이 교회 안

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다 이는 과거의 전통과 새로운 문화의 충돌에서 자꾸만 새롭

고 신선한 프로그램들을 추구하는 모습들로 나타나고 있다

자연주의적 세계관과 진보주의적 역사관이라는 두 가지 사고의 바탕 위에 세워

진 모더니티 사회의 특징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3) Paul G Hiebert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 사람 2010) 277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41

12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근대 이전의 시대인 전근대를 신화와 교권의 시대로 규정할 수 있다면 근대는

이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과학과 이성의 시대였다 15세기 활자의 발명과 함

께 한 인쇄술의 발전은 일반 대중에게까지 큰 영향을 주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계몽

주의 운동이 시작되는 기틀이 마련되게 된다 대체적으로 계몽주의는 lsquo17세기 후반부

터 18세기에 걸쳐 유럽을 지배했던 사상 풍조를 가리키는 것rsquo으로서 르네상스의 인본

주의 정신과 17세기 과학의 혁명적인 발달을 한데 묶어 근대세계를 출현 시키는 결정

적인 계기를 만들었다15) 이성의 노력으로 인간 영혼에 있는 신성을 무한히 계발할

수 있다는 사상인 낙관적인 인본주의로서 르네상스 인문주의 운동은 신학의 도움 없

이 이성으로 자연의 원리를 발견하고 과학을 발전시키며 인류의 행복을 기약할 수 있

는 진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서유럽을 통해 철학 과학과 같은 사회 다방면

에 걸쳐 영향을 주게 되면서 계몽주의 사상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계몽주

의는 근대의 정신세계와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된다

그러므로 계몽주의 시대는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

는 도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

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부하게 되었다16)

결국 이러한 이성 중심의 사고는 인간의 자발적인 노력과 기술의 발달을 통한

진보로 물리적 자연환경과 사회와 문화를 더 좋은 것으로 만들어갈 것이라는 인간 자

신에 대한 낙관적 믿음을 낳게 하였으며 더 이상 외부의 어떤 존재를 신뢰의 대상으

로 삼지 않고 인간 자신에게 집중하게 되는 사상적인 배경으로 교회의 성장이 주관자

로서 하나님께 전적으로 달린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노력을 통한 교회 공동체의 건강

성을 향상시킴을 통해 성장과 번영을 얼마든지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근대주의적 낙관

론이라는 모순이 가능하게 되었다

15)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8116)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3

2 과학기술의 발달

16-17세기 유럽 특히 영국에서 시작한 과학혁명은 오늘날까지 IT혁명으로 영향

을 주고 있다 과학은 근대 문명 진보의 기초를 놓았고 17세기 초 프랜시스 베이컨이

세계를 이해하고 자연의 비을 풀기위한 노력으로 경험주의를 주장하는 배경이 되었

으며 인류에게 많은 유익한 변화를 이루게 하였다17) 인류는 항상 도구를 사용해왔는

데 18세기 초부터 과거와 달리 굉장히 복잡하고 효율적인 기계가 갑자기 출현했고 자

연에 대한 과학적 지식으로 자연을 지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현대기술을 통해 우리

는 원자를 분열시킬 수 있고 방대하고 복잡한 정보를 마이크로 칩에 저장할 수도 있

다 과학이 우리에게 통찰력과 지식을 주었다면 기술은 우리에게 힘을 주었다 그리고

인간은 그 힘으로 환경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모더니티는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에 대해 확고한 인식론적이고 과학기술적 자

기 확신에 사로잡힌 대답을 내어놓는다 모더니티의 과학적 방법론으로 대상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기술을 통해 세계를 조종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18) 과학

기술의 발전과 산업혁명은 대량생산과 이를 판매하기 위한 시장개척으로 이어져 식민

주의적 제국주의로 발전되었고 힘을 가진 인간의 정복욕을 부추기는 도구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사회과학적 발전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이 삶의 전반에 대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이러한 기술문화는 교회 안으로까지 이어져 적절한

도구와 기술의 사용이 가능한 토양을 제공하게 되었다

3 자본주의 경제의 성장

계몽주의와 과학기술의 발달에 이은 경제성장을 통해 문맹이 극복되고 질병은

사라지며 가난이 근절되고 제한된 자원을 서로 차지하기 위한 전쟁은 없어질 것이며

더 이상 물질적 사회적 궁핍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로지 진보만이 있는 사회로의 전

환과 그런 문명을 통해 어쩌면 모든 사람들이 역사상 처음으로 참된 행복과 참된 자

유를 누릴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이와 같은 무한긍정주의야말로 모더니티

사회를 규정짓는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그리고 그 자본주의적 성장주의는 교회의 급

17) Brian Walsh J Richard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118) Ibid 35

14

속한 성장의 틈바구니에 파고들어 교회가 하나의 조직으로서 여겨지고 관리와 경영을

통해 얼마든지 성장시킬 수 있는 대상물로 여겨지게 되었다 교회는 엄연히 그리스도

의 피 값으로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여야 함에도 인위적 조작이 주도력을 발휘

하는 또 하나의 인간 자아실현의 장이 되어 버린 것이다

4 모더니티의 위기

이러한 모더니티의 사상적 흐름을 인간존재와 관련하여 이형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첫째는 개인주의로서 자율적인 개인이 공동체 혹은 전통의 속박으

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홀로 생각하는 인간이다둘째는 합리주의로서 이성은 하나의 보편적인 인간 능력이며 한

개인에게 이성적인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도 이성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셋째는 방법론적 회의를 통해 진리에 이르는 방법이 lsquo이해를 추구

하는 신앙rsquo이 아니라 lsquo이성의 철저한 비판적인 반성rsquo으로 바뀌었

다넷째는 이원론으로 실재가 정신과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몸과 마음의 이분법뿐만 아니라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을 뒷받침하게 된다다섯째는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 미신으로부터 해방되어 참 지식

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으며 일단 과거로부터 벗어난 이성

은 과학과 문화를 통해서 인간사회와 역사를 불가피하게 진보시킨

다는 생각이다19)

위와 같은 특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모더니티는 인간에 대한 맹신으로 인

간의 이성이 부각됨으로써 하나님을 떠난 인간상을 자리 잡게 하였다 또한 하나님

없이도 인간이 충분히 선을 추구하고 행복을 이뤄낼 수 있는 착각 속으로 인간의 역

사를 몰고 갔다 게다가 신앙의 개인화를 비롯한 개인주의가 시작하면서 개인의 고립

현상과 소외 고독의 문제들이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이성에 의지하던 인간은 자

신의 뿌리로서의 창조자와의 관계를 잃어버리고 배회하는 인간상이 서서히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화려하게 등장했던 계몽주의와 과학혁명으로 말미암은 승승장구하던 모더니티

19)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36

15

사회의 사상적 흐름도 결국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모더니티의 위기는 12차 세계대전

후 유럽의 실존주의 운동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20세기에 들어서 갑작스럽게 등장

한 위기의 전조들은 이미 19세기부터 있어왔고 당시 진보적이고 혁신적이라 불리던

영국의 공장 생산 시스템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과 아동 노동의 착취 속에서 위기

의 조짐이 시작됐는데 이미 3백 년 전 유럽과 아메리카의 진보의 토대가 되었던 아프

리카 노예 산업에서부터 위기의 조짐이 있었으며 어쩌면 모더니티의 위기는 근대가

태동하던 바로 그 시점 즉 콜럼버스가 인디언을 노예로 삼던 그 때부터 시작된 것이

라고 볼 수 있다20) 서양의 근대는 계몽주의 세계관이 주도한 시대였으며 그 주된 사

상과 같이 인간의 이성을 신앙으로부터 독립시키려는 시도와 더불어 이성의 능력에

대한 무한한 신뢰로까지 연결되게 되었다 그러한 신뢰가 무너지면서 결국 모더니즘

의 위기는 시작되었다21) 모더니티라는 바벨탑의 붕괴는 획일적인 전체주의적 야망을

제한하고 민족과 문화의 다양성을 창출해 내시는 하나님의 섭리로서 세상을 향한 하

나님의 역사적 목표를 가로막는 오만한 시도였던 바벨탑의 결과를 다시 기억하게 한

다 그러므로 이런 배경 속에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는 신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복음

을 위한 긍정적인 역사적 기회로 생각될 수 있는 여지를 가진다22)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모더니티가 교회에 대해 끼친 영향 또한 지대하고 파괴적이다 지금 한국 사회에

혼재에 있는 두 사상 모두는 여전히 사회 일각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 특별히 합리화

라는 이름으로 들어온 세속화의 물결은 모더니티의 잔재로 교회를 흔들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단연 교회성장운동이 일으킨 영향은 지대하다 긍정 주의적이고 진보적 역

사관으로 무장한 모더니티는 인간 이성과 기술의 진보에 의해 실용화시킨 방법들로

인간의 속성에서조차 특성화 수치화시킴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23)

20)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4521)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6722)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8923) Os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48

16

모더니티가 끼친 가장 큰 영향은 ldquo세속주의(secularism)rdquo에 의한 것이 아니라 ldquo세

속화(secularization)rdquo에 의한 것으로 세속주의는 단지 철학이고 세속화는 하나의 일어나

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세속화에 대해 가장 알기 쉬운 특징은 숫자들과 기술에

대한 찬사로서 알 수 있다 두 가지는 대형교회운동(megachurch movement)에서 두드러

지게 나타난다24)

큰 것이 좋은 것이라는 근대주의적 사고가 교회에도 깊이 뿌리 박혀 있다 또한

이제 교회 안에 있는 목회자도 거룩한 종교인이 아닌 종교적 경영자로 변질되어 가고

있음도 현 세대에 나타나고 있는 모더니티적 경향의 산물이다 교회 생활에서 조차도

얼마나 기술주의적 사고가 커져 있는지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많은 기술들 기도하

는 방법들 성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 기독교 서점을 빼곡히 메우고 있는 뭔가

를 위한 방법들과 기술들에 관한 책들은 현대 시대에 남아있는 기술의 진보성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로서의 모더니티의 잔재들인 것이다

문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시대에 있는 교회들이 아직도 성장주의 무천년설 등과

같은 모더니티의 기반 위에 있다는 사실이다 현대 한국교회가 시대를 앞서가기는커

녕 오히려 과거의 영화를 부여잡고 있기에 교회는 계속해서 사회와 문화의 흐름에

려가고 있는 현실이 부인할 수 없는 현재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모더니티를 통해 형성된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원리가 교회 안에 들어오면서부터

교회는 숫자에 민감해지기 시작했으며 교회의 교회됨을 그저 여러 가지 수치적 지표

를 통해 판단하고 순위를 매기기까지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요와 공급의 입장으

로 교회와 성도의 관계를 표현할 때 결국 교회는 수요자이며 소비자인 성도들의 입맛

을 가장 우선으로 놓아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필요에 의해 언제든 응답할 준비를

해야만 하고 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공급자이자 판매자로서의 교회 상을

만들어 버리고 말았다 결국에는 강단에서 선포되는 메시지조차도 그 자체의 사명으

로서 예언자적인 기능을 잃어버리고 청중이 요구하고 당장 필요로 하는 값싼 복음을

전하고 있는 모습은 그야말로 모더니티가 낳은 숫자 우선 성장주의의 침투에 의한 결

과로 보아야 한다25)

20세기를 통해 일어났던 교회성장운동은 결국 그리스도의 교회가 근본적으로 자

24) Ibid4925) Eddie Gibbs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73

17

신의 특성과 부르심에 의해 인도받고 형성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사업가적 경제논

리에 의해 인도될 것인가라는 혼란을 야기 시켰다 하나님으로 하나님 되게 함으로써

그분의 말씀과 성령으로 그 존재와 결정적인 원리들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닌 모더니

티에 의해 파생된 다양한 산업적인 결과물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하나

님의 권위는 더 이상 결정권을 잃어버리고 ldquo사람이 떡으로 사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말씀으로 사는 것이다(마태복음 44 개역개정4판)rdquo라는 말씀조차

그 수정을 요구할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다 모더니티의 잔재는 결국 신적 권위와 신

앙의 힘을 평가절하시킴으로서 종교자체를 영적인 실제가 없이도 얼마든지 수사학적

이고 조직적인 방법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처럼 만들어가고 있다26)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

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는 기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

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

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

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

부하게 되었고 결국 이러한 시대 흐름의 영향으로 교회에서조차 눈에 보이는 가시적

성과에 집중하게 된 것이다27)

세상의 모습은 모더니티를 비판하고 포스트모더니티의 새로운 경향으로 접어들

었음에도 교회 안에는 여전히 가시적인 성장주의의 흐름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모더

니티 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교회라면 응당 그 전 시대

의 특징들이 부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잔재되어 있는 현대 한국사회의 모

더니티적 잔재물들은 교회 내부에까지 영향을 끼쳐 건물의 규모 신도 수 각종 자산

의 성장을 통한 성공주의 모델을 양산시키게 된 것이다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현재 한국교회가 겪고 있는 위기의 상황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평범한 이들로

구성된 사회와의 소통 부재와 단절에서부터 빚어진 것이다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대표되는 한국교회의 일방적인 선교를 통해 기독교적인 언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함으

26)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3527)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8

로써 세상과의 분리를 자초하였다 듣는 이의 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언어의

전달로 말미암아 오히려 세상은 교회에 귀를 닫아 버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세상을 향

해 나아가 소금과 빛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교회가 lsquoAgain 1907rsquo을 외치며 일어

났던 부흥의 열정으로 말미암은 후유증에 오히려 교회와 세상 사이의 담은 더욱 높아

져만 가고 있다 기독교의 언어는 세상의 언어로 번역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세상에

서 소통되는 언어가 교회에서 사용되어야 하고 삼위일체의 비을 간직하신 하나님께

서 하늘의 높은 보좌를 버리시고 이 땅에 성육신하심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한 함

으로써 자력으로는 도저히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는 인간의 무능력함을 친히 자신을

세상 가운데 계시하시는 행위를 통해 구원의 다리를 건설하신 것은 하나님의 언어를

세상의 언어로 번역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28)

그럼에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각 개인들이 그러한 것처럼 교회조차도 극단적 개

교회주의에 빠져 교회의 연합까지도 도외시되고 있다 성장이라는 기치아래 성도 개

개인을 소중히 하기 보다는 건축을 위해 쏟아 부은 재정적 부담을 감당하기 위한 교

회를 위한 존재로 여긴다 거기에 서로 돕는 교회의 모습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성장을 위해서라면 다른 교회의 성도라도 받아들여 빈자리를 채워야만 생존

할 수 있는 처지가 되어버린 현대 한국교회의 이기적인 모습 앞에 세상은 더 이상의

대화를 원치 않는다 교회의 연합이 희미해진 이 시대에 교회는 세상에서조차도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교회는 세상 속에서 이웃과의 관계를 통해 그 존재감을 드러

내며 사명을 성취해야 함에도 이기적인 교회의 모습 앞에 세상은 교회를 점점 멀리하

고 되고 말았다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1970년대를 지나는 동안 한국은 국가적인 경제재건 사업을 통해 괄목할 만한 단

기간의 급속한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제 성장과 함께 한국교회의 동반성장

의 과정을 통해 성공이라는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약속되고 풍요와 안녕이라는 복을

획득하는 것과 맥을 함께 함으로써 성취의 정도와 내용이 높고 풍족할수록 축복을 많

28)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통권 제589호) 2008년 1월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169

19

이 받은 존재로 인정되는 사고방식이 한국 교회 안에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축

복을 위한 공급자로서 목회자의 위신을 세움으로써 목회자가 축복을 인가하는 허가자

의 권위를 갖게 되었고 이는 정치 경제에서 소수에게 집중된 권력과 자본의 모습과

동일한 형태로 교회 안에서도 축복권이라는 것이 생겨나 그것이 목회자에게만 집중됨

으로써 목회자의 신격화와 권위주의를 부추겼으며 사회적 물질적 성공에 대한 종교

적인 정당성을 부여하게 되었다29) 성도의 신앙생활이라는 것이 결국 하나님과의 관

계가 중심이 아닌 목회자와의 관계에 달린 것이 되어버리고 말았고 이는 근대 권위주

의에 익숙한 교회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성과 맞물려 갈등은 더욱 커져갔다 인간의 필요를

채우는 데 일조하던 목회자의 리더십은 결과적으로 인간의 상황에 대해 근본적인 문

제 해결을 이루어 낸다기보다는 오히려 점점 더 커지는 요구와 까다로운 입맛을 경험

하게 하고 필요충족을 통해 만족감을 얻어내기 보다는 오히려 더 커진 요구와 그로

말미암은 목회자에 대한 실망으로 연결되어 종국에는 교회자체에 대한 회의와 부정을

낳게 된다30)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흐름에 따라 성도들의 요구는 다양화되어가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맹목적 믿음과 순종이라는 핵심가치를 추구하던 모더니즘 사고에 익

숙하던 기성세대와 포스트모던 문화에 익숙해져 설득과 표현의 다양화를 바라는 신세

대 사이의 갈등이 교회 안에서도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청년들의 이탈

현상으로 이어져 교회마다 청년이하 차세대와의 문화단절 세대단절 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다31) 이는 결국 교회를 나가지 않으면서도 자신을 그리스도인으로 여기

며 다양한 매체와 방법들을 통해 홀로 신앙생활을 해나가는 성도들인 가나안 성도라

는 기형적 구조로까지 이어지게 되었고 그 수는 무려 전체 그리스도인의 10퍼센트 정

도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32) 이외에도 다른 많은 요인들로 야기된 교회 내부의 갈

등이 셀 수 없이 발생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29)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5030)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6531)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44032)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35

20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 중 하나는 이성을 중시하던 모더니티와 달리 탈 이성주

의를 주창하며 신비로운 체험이나 감성을 중시하게 된 데에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는

영상과 이미지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시대이다33) 그러므로 포스트모던 사회에

서는 영상매체를 통해 사람들의 감성을 이끌어내고 지식과 정보를 전달한다 그 속에

서 사람들은 정형화된 진리에 입각한 논리와 판단보다는 순간순간의 느낌에 의존하여

어떤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한 시대의 영향아래 있는 교회 또한 영상과 이미지

가 주는 감성에 좌우되어 진리의 말씀으로서 성경 보다는 감성에 호소하는 목회자의

언변에 성도들은 오히려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그 속에서 체험하는 감정을 은혜

라 여기며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의 능력이 아닌 잠시 동안 감정의 위로를 주지만

오래지 않아 기억 속에 흘러가고 마는 언어유희에 반응하고 있는 현실이다

현대인들에게 종교는 하나의 기호품과 같이 되어서 자신이 원하고 선택하는 것

옳다고 여기는 것을 진리로 생각하며 절대적 진리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강한 체험을 제공하며 그럴듯하게 왜곡된 진리 앞에 사람들은 쉽게 넘어가고 있고34)

결국 어느 때 못지않게 이교집단이 많아진 것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에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교회에서 조차도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고 전도를 위한 행사들이 마련

되지만 그 속에는 시대적 특징과 관련된 신비적 체험과 감성에 호소하는 다양한 기법

들이 사용되고 있다 게다가 그것들이 사람들을 움직여 교회의 성도수가 증가하면 또

다른 많은 교회들은 그것을 그대로 답습하기에 이른다 이에 대해 한국교회는 절대적

진리로서 성경말씀에 기초한 건강한교회의 원리들을 세워가야 할 절실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교회는 그리스도의 교회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감

당하기 위해서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라는 과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지금까지

많은 교회들이 큰 것 많은 것을 추구해왔고 어떤 면에서 그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

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교회가 물량적인 면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비

해 세상 속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은 이에 전혀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언론과 온라

인 사이트를 통한 사회적인 비판의 정도는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를 그저 말세에 성

33)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3934) Ibid 238

21

도들이 당하는 고난이나 핍박으로 받아들이고 무시할 것인가 아니면 자신을 반성하고

새로운 변화의 몸부림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영향력을 다시

금 회복할 것인가는 한국 교회건강성의 정도에서 판가름 나게 된다 모더니즘의 잔재

가 아직도 상존하고 있지만 포스트모던 사회를 살아내야 하고 시대를 변혁시키는 주

체로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어야 하는 한국교회는 중요한 도전 앞에 서있다 그동안

성장이라는 가치를 최고로 여기던 시대에서 좀 더 성숙하여 사람들의 다양성을 이해

포용하고 행사 위주의 전도가 아닌 진정한 관계맺음을 통한 사명의 실천이 필요한 때

이다

이제 필자는 양적성장에 치우친 교회건강이론을 대신할 새로운 기준으로서 관계

가 중심인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이론적인 기반을 세우기 위해 관계가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아직은 생소한 분야이지만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관계

신학적 근거를 가지고 다음 장에서 연구해 보려한다

22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35)

이번 장에서는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이해를 위해 관계신학에 대해 살펴 보려한

다 그리고 관계가 어떻게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 건강한교

회를 세우는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이론적인 기초를 마련해보려 한다

신학의 분야는 가장 기본적인 4가지의 분야36)를 비롯해서 시대적인 필요에 따라

연구되어지는 선교신학 현대신학 해방신학 목회신학 윤리신학 등의 가지들로 구성

되어 있다 그러나 관계신학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전혀 생소한 신학 분야이다 20세

기 후반 들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는 삼위일체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와 갖가지 환

경문제에 대응하여 기독교의 생태학적인 역할들이 강조되고 있고 교회마다 심각한 어

려움을 겪고 있는 관계적인 갈등이라는 배경 속에서 관계신학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필요가 있고 기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이해가 가능하지만 아직은 관계신학에 대한

의미가 명료하게 정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건강한교회를 위한 연구라는

시각에서 관계신학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관계신학은 하나님이 관계하시는 하나님이라는 것과 하나님은 관계 속의 순종을

35) 관계신학이라는 용어는 주로 에큐메니컬 진영의 사상적 기반으로서 인종과 문화를 뛰어넘

어 서로 간의 원만한 하나 됨을 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보다는 하나님과

인간 세상 사이의 관계를 그 연구의 중심으로 삼아 신학적인 기반으로서 성경 전체에 흐르는

창조와 구원의 해석을 관계의 건설과 무너짐 회복의 과정으로 이해하여 lsquo하나님과 성도rsquo lsquo성도들의 모임으로서 교회와 세상rsquo lsquo교회 안에서의 성도들rsquo이라는 관계의 완성을 연구하려는 의

도에서 이 단어를 사용하려 한다36) 주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23

원하신다는 것과 진리는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관계신학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 이루어지는 인격적 관계를 우선적으로 강조한다 관계신학은 하나님은 관계를

떠나서는 생각되어질 수 없는 실재이심을 분명히 제시하는 신학이다 관계신학의 관

점에서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하나님과 바른 관계 속에 있는 것이요 또한 하나님 안

에 그리고 하나님과 함께 있는 것이다

관계신학의 의미에 대해 김영선37)은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관계신학은 모든 신학적 진리를 관계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

하는 신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님 인간 세계 신앙 교회 세례 기도 예배 목회를 비롯한 신앙의 내용을 관계라는 관점

에서 해석하며 신학적 진리의 자료와 신학적 진리를 전달하는 수

단을 묘사하는 술어이다 관계신학 관점에서 신학은 관계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진리이고 복음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선

물이다38)

관계신학은 이론적 근거가 전무한 독보적 신학분야가 아닌 그동안 관계성을 추

구하던 많은 학자들의 견해를 기반으로 하나님 성도 이웃에 대한 관계를 중심으로

보고 신학적 진리를 탐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신학분야인데 이러한 학자들로는

관계철학의 마틴 부버 관계성의 신학의 에 부루너 하나님 만남의 신학의 루이스

세릴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 신학 관계론적 신학의 마조리 수하키 관계론적 신학의

폴 스폰하임 등이 있다39)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지식은 모두 그분의 계시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러므로 필

자가 관계신학을 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이론적 기초로 삼고자 하는 이유는 하나님의

완성된 계시로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얼마나 관계를 이야기하고 있고 그 관계를

세우기 위해 하나님의 수많은 인내와 개입이 존재해왔으며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이

망가진 하나님과 우리 인간 그리고 세상간의 관계회복을 위한 은혜의 자리였음을 상

기시키려는 목적이다 그리고 그 목적을 잘 이해하는 기초 위에서야 비로소 성경적인

건강한교회가 세워질 수 있음을 말하려 한다

37) 영국 런던대학에서 조직신학으로 M Th PhD 학위를 받고 현재 협성대 교수로 재직 중

이다3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4839) Ibid 50

24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건강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하는 사람들 간의 연합성과 개별성의 균형

이 필요하다 연합성이란 생물학적 측면에 뿌리를 둔 생명력으로서 이를 통해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거나 연합하기를 원하게 되며 우리로 하여금 공동체를 지향하게

만들고 서로 의존하게 만든다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예민하게 반응

하며 돌봄과 사랑을 통해 서로가 가까워지기를 추구하게 된다 연합성을 추구하는 힘

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삶을 나누고 가까이 하는 기쁨이며 이를 통해 공동체는 부스

러지지 않고 유지되고 하나 됨을 향해 서로가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도 그 가운데 소속된 구성원 중에 불안수준이 높거나 정서적 성숙이 낮은 사람이

있을 경우 그 사람은 전체적인 공동체에 긴장요인을 높임으로서 서로 간의 가까워짐

이 과도한 기대나 요구로 나타나게 되면서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 개별성이란 자기 자신이 독립적으로 되도록 이끄는 생물학적인 생명력이

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개개인이 정서적으로 독립된 사람이 되고 자신에게 개인적으

로 와 닿는 사실에 근거하여 독자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존재가 되게 한

다 공동체 전체의 비전을 중시하지만 그 속에서도 자기 자신의 관점이나 기준을 근

거로 행동하여 개인의 비전이 희생되지 않도록 하여 다른 사람과 구별된 개별적인 존

재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개인은 온전히 자기 자신이 될 수 있을 때

비로소 정서적으로 성장하고 자신의 꿈과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공동체적인 목표를

좇을 때보다 활력 있고 개인으로서 삶의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것도 공동체에 속한 각 개인이 개별성만을 추구하게 된다면 단연 공동체는 존재할

수 없게 될 것이다40)

그러므로 연합성과 개별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때 그 공동체는 건강

한 공동체로서의 사명과 본질에 충실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적절한 균형으로

서의 기준을 어디에서 발견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필자는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와

교회의 코이노니아 신구약 성경을 통해 제시해보려 한다

40) Ronald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97-104

25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역대의 교부와 신학자들은 삼위일체의 상호 관계성을 들추어내면서 삼위일체의

공동체성을 파악하고 있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관계 개념을 사용하여 삼위일체를 다

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한 분 하나님의 존재 안에는 세 가지 관계성이 존재하고 이 관계

성은 곧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으로서의 관계인데 여기서 관계라는

것은 하나님이 인간이나 피조세계와 가지는 관계가 아니라 삼위

하나님간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규정하면서 삼위일체 하나님

의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려고 노력하였다는 것은 사실이라 할 것

이다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기 위한 노력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lsquo관계rsquo(relation)라는 범주(category)를 도입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또한 갑바도기아 교부들에게서 보여 지는 것처럼 이 삼위를 구체

적인 개체들로 인식하지 않고 그보다는 어떤 관계로 정의하였다

즉 삼위일체의 위격들의 동일 신적 본질의 시각에서 삼위의 구별

을 이해하고자 함으로 그 삼위 사이의 구별은 본질과 관련되지 않

고 관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삼위는 서로

나누어 가질 수 없는 것으로서의 각기 고유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서보다는 오직 그 위격들 상호간의 관계 혹은 비교(즉 아버지 되

심 paternity 아들 되심 filiation 은사 gift 등과 같은)에 의해서만

구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삼위 중 제2위가 성자라고 불리는 이유

는 본성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제1위 곧 성부

와의 관계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삼위 중 제1위이

신 성부가 성부라 불리는 것은 제2위이신 성자와의 관계 때문이

다)41)

칼뱅도 ldquo하나님은 자신을 한 하나님으로 선포하시면서 동시에 우리의 보기에는

구별된 세 위로 자신을 드러내신다rdquo42)고 하면서 삼위 하나님이 개별적인 존재이면서

관계 속에 존재하시는 분이심을 말하고 있다

칼 바르트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논하면서 ldquo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는 창조자와

피조자의 관계나 피조자들끼리의 관계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관계의 표본이다rdquo43)라고

말하고 있다 그 관계성은 삼위 중 어느 한 분도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세 분

은 다 같이 상호관계 안에서만 존재하며 영원하신 한 분 하나님 안에서 공통으로 존

41) 아우구스티누스 김종흡 역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 (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174-17642) John Calvi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13 2143) Karl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402

26

재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곧 성부 성자 성령이 상호 관계 속에서 하나가 되며

한 위격의 존재가 다른 위의 존재 안에 관계적으로 동참하면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

다 또한 바르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은 영원히 고독하게 자족적이고 자아 의존적으로 존재하는

분이 아니라 삼위일체론적 본성 안에서 상호 관계적인 공동체로

존재하신다고 믿는다 즉 성부 성자 성령 사아에 일어나는 관계

공동체의 상호 교제가 하나님과 인간의 코이노니아와 인간과 인간

의 코이노니아의 근거와 모본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의 모든 관계는 하나님 안에서 영원히 계

속되는 관계적 공동체를 반영하는 것이며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

와 성령 안에서 인간들 속에 이러한 공동체를 창조하려 하신다44)

중세 가톨릭교회의 극히 잘못된 교리 중의 하나였던 lsquo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rsquo

라는 대목 또한 단순하게 오직 교회만이 구원을 위한 은혜와 중재자로서의 시여자라

는 의미가 아닌 오히려 단순하게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로부터 분리된 기독교적

신앙이 존재할 수 없음을 말한다45)

전술한 바와 같이 성령이 성부 성자와 나누는 삶은 코이노니아의 삶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알아보면 삼위하나님의 코이노니아로서 내적 특성은 lsquo페리코레시스

(perichoresis)rsquo라는 개념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는 삼위

가 서로의 정체성이나 상호성을 잃지 않고 서로 내재하며 서로 관통하는 역동적인

관계성을 의미한다 즉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란 상호침투(mutual interpenetration) 또는 상호내

제(mutual indwelling)를 말한다 상호내재에 대한 개념을 좀 더 살펴보면 이는 삼위 각

각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삼위 간의 상호침투와 상호순환을 통해 역할과 기능을

상호 역동적으로 교환하며 함께 움직여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성부는 자신의

초월성과 능력을 유지하면서도 성자의 고난에 함께 동참할 수 있고 성자는 자신의

위엄 능력 창조적 주동성을 유지하면서도 성부께 순종하실 수 있다는 뜻으로 설명될

수 있다46)

교부들부터 바르트까지의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주장을 정리해보면 성부 하나

님은 단순하게 권위를 가지고 명령하는 위치로서가 아니라 성자와 성령을 섬기기 위

44)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6345)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3046) 김영선 관계신학 22

27

해 존재하는데 이는 자신을 비우고 주는 모습들로 나타나며 성자는 성부의 뜻에 순종

하며 드리기 위해 존재함으로서 성부가 성자가 되거나 성령이 성자가 되려는 모습을

주장하지 않고 성령은 자신의 뜻대로 하지 않고 성부와 성자의 뜻을 드러내며 각각

그 역할을 감당해 나감을 말한다 서로의 자리를 존중하고 서로를 위해 봉사함으로

그 존재의 삼위하나님의 신성을 찾는다47)

이처럼 삼위 하나님은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로서 우리에게 자신을 계시하신

관계적인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2 교회와 코이노니아

16세기 종교 개혁가들은 부패한 중세 가톨릭교회에 대항하여 내건 구호로서 lsquo성

도의 교통(Communio Sanctorum)rsquo을 사용하였다 성도의 교통이란 그리스도를 주로 고

백하는 무리들인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공동체 즉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를 의미하

는 말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수직적으로는 하나님과 교제하고 수평적으로는 성도들이

서로 하나 되어 교제하는 모임인 공동체는 교회의 본질적 요소이자 교회가 관계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는 당위적 이유가 된다

성도의 교통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오순절 성령 강림을 통해 하나님과 사람

이 하나 되고 성령의 교제케 하는 역사로 lsquo나rsquo에서 lsquo우리rsquo로 바뀌어 사람과 사람이 하

나 되는 전인격적인 교제가 가능한 공동의 몸이 되었다 그것이 바로 신약의 교회이

며 실제적인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모습이다 그리고 그 교회를 실제적인 공동체로 되

게 하는 것은 성령의 코이노니아를 통해서이다48)

이러한 성령의 코이노니아 사역은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하나님과 우리를 교제케 해주시고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서로 교제하게 해주시며

또 나아가서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도 교제의 관계를 이루

게 하신다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코이노니아의 유형들을 좀 더 세하게 살펴보면

첫 번째 사역인 수직적 관계에서는 성도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와 하나님과 교제하게

하는 것인데 이는 인간의 죄로 하나님과 단절되었던 관계를 예수님의 구속사역으로

회복시키는 속에서 예수님 한 분과 전 사회적인 구속사역을 예수님과 성도 개인 간의

47) 김영선 관계신학 5548) Ibid 57

28

구속사역의 관계가 되게 하는 역할 자가 성령이라는 것이다 더불어서 성령의 역사를

통해 성도는 그리스도와의 교제를 통해 하나님과의 무너졌던 관계를 다시 회복하게

된다 두 번째 사역으로서 수평적 관계에서는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될 수 있

도록 상호 간에 교제를 가능케 해주는 일이다 사도행전 2장의 마지막 부분인 42-47절

은 초대 교회의 공동체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코이노니아라는 용어 또한 본

격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세 번째로 코이노니아는 예수 믿는 자들끼리만 아름다

운 나눔의 삶을 갖는 집단 이기주의적인 교제의 모습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더 나아가 온전한 코이노니아로서 교회공동체라는 울타리를 넘어서 지역 사회 속에

있는 고통당하는 이웃을 돌아보고 더불어 삶을 만들어가는 영역까지를 일컬으며 이는

사도 바울이 디모데전서 618에서 ldquo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하고 나눠주기를

좋아하며 동정하는 자가 되게 하라rdquo는 말씀에 분명하게 등장하고 있다49)

이러한 성령의 사역 가운데 있는 교회공동체의 사명은 세 가지 차원의 관계회복

으로 정리해볼 수 있으며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본질과 사명을 고려할 때 교회의 건

강성의 척도는 결국 관계성과 관련된 사명으로 규정되어야 합당하다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신구약성경 전체를 통틀어서 나타난 하나님의 현현과 계시는 다분히 관계를 세

우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창조물을 향한 주된 관심은 분명

관계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내용을 모두 나열할 수는 없지만 그 중 세

가지 정도만을 가지고 성경의 관계성의 근거로 삼아보고자 한다

창세기에 나타난 아담과 하와는 선악과를 따먹음으로 인해 죽음에 합당한 죄를

범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죄와 함께 하나님을 더욱 마음 아프게 한 행동은 그들

이 범죄함으로 인하여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숨어버린 것이다 즉 그들은 그들 편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에 단절을 선언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깨져버린 관계는 결국 하나님

과의 영영한 관계의 파괴로 이어지게 된다50)

또한 사도행전 2장 42~47절 초대교회의 모습을 바탕으로 존 스토트는 살아있는

교회의 네 가지 특질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49)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6950) 창세기 3장 10절 참조

29

첫째 성도들은 사도들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

침에 전념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사도적인 교회이다둘째 성도들은 서로서로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서로 사랑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돌봄과 나눔의 교회이다셋째 성도들은 하나님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떡을 떼고 기

도하면서 기쁨과 경건으로 하나님을 예배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예

배하는 교회이다넷째 성도들은 바깥세상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증거하며 밖

으로 나아갔다 살아있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위의 모든 특질들이 지칭하고 있는 것은 성도들과 다른 대상과의

관계를 중심개념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51)

에베소서 2장 21절을 보면 ldquo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

전이rdquo의 본문에 사용된 lsquo연결하여(συναρμολογεω)rsquo는 lsquo함께(συν)rsquo와 lsquo서로 결합하여(α

ρμολογεω)rsquo의 합성어로써 건물의 이음새가 한 치의 오차 없이 정확하게 결합된 상태

를 나타내는 표현이며 그리스도와 성도 간의 상호 긴하고 유기적인 관계성을 나타

낸다

부부관계를 향한 에베소서 5장 22절 이하의 말씀에서처럼 아내가 없는 남편이

가능할 수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을 성경은 말씀하고 있다 아내가 없는 남편이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

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성부와 성자 성령은

상호관계 속에서 그 존재적인 구별과 위격이 발견된다 그러나 본질은 동등하다 인간

은 인간 홀로 있어서는 본질적인 구별이 불가하다 만물이 함께 존재하므로 관계를

통해서 인간의 인간됨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관계가 바로 본질이다 관계를 발전시키

는 기준과 핵심요소 중의 하나는 믿음(faith)에 관련된 것이다 구원은 결국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끊어진 관계의 회복을 의미한다고 할 때 그러한 맥락에서 구원의 근거로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이 바로 믿음인 것이다

단지 몇 부분만을 탐색한 것에 불과하지만 신구약전체를 망라하여 하나님께서

그분의 말씀을 통해 인간에게 계시하시는 것은 건강한 관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그 하나님의 비전은 신약시대 들어 성령강림 이후 세워진 교회에서 성취된다 그러므

로 교회의 건강성을 세워가는 데는 관계신학적 기초가 타당하다고 본다

51) John R W Stott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39

30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포스트모던 시대 한국교회의 일탈에 대한 부작용으로 lsquo가나안성도rsquo라 불리는 나

홀로 신앙이 또 하나의 선택 가능한 대안이 되고 있는 지금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관계는 기독교의 중심축이다 예수님께서도

십자가 위에서 마지막 순간에 자신의 관계공동체인 가족 즉 어머니를 끝까지 배려하

셨다 이처럼 현대인들의 영적인 생활은 하나님과 함께 나 홀로 집에서 이루는 것이

아닌 서로 간의 다면적 관계 속에서 해야 한다 우리가 공동체로 있을 때 하나님이

임재하시며 우리와 소통하신다52)

그런 면에서 현대 신학의 주된 관심이 lsquo교회란 무엇인가rsquo에 대한 교회의 본질에

있기 보다는 lsquo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rsquo라고 하는 외적인 모습 또는 기능과 관

련된 질문에 더한 관심을 가진 이유는 지금까지의 교회론이 교회의 실제적인 모습과

역동적인 사역과 동떨어진 형이상학적이고 관념적인 이론 이상의 것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53) 이론만 반복하는 것은 분명 실제와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흐를 수 있는

함정을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성경적인 교회에 대한 본질을 분명히 하는 것 없이

실용적인 측면에서만 교회론을 다루는 것 또한 위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단은 교

회의 본질이 성도의 교제이며 관계에 대한 것임을 성경적인 이해를 통해 명확히 할

필요를 가지게 된다

1 하나님의 백성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관은 일차적으로 하나님이 친히 그의 백성과 맺은

관계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택하시고 자신의 백성으로 삼

으셨다는 전제 위에 교회는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그 속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누리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모임이다54)

신약에서 표현된 그리스도인들을 하나님이 선택한 이스라엘 백성의 연속과 확장

의 개념은 신약 교회에서 새로운 이스라엘로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으

52) Leonard Sweet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15653) 김현진 공동체신학 2254) Ibid 30

31

로서의 교회를 의미하며 이는 결국 민족적 구분이 아닌 그리스도 안에서 이스라엘 백

성을 초월하여 유대인만 아니라 이방인들도 하나님의 동일한 백성이 될 수 있음을 의

미하며 이를 정리할 때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란 개념은 종말론적 개념으로서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고대하며 현재에로 돌입하는 하나님 나라의 표징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제 하에 세

상 한가운데서 세상을 위해 살아야 하지만 세상에 물들지 않고 오히려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는 것이야말로 종말론적 하나님의 백성이 취해야 할 삶의 방식으로 큉은 말하

고 있다55)

하나님의 백성은 그와 관계를 맺었던 이전에 존재했던 백성이 아니고 하나님의

모으심으로써 그리고 하나님의 거주하심으로써 새로이 구성된다 하나님의 백성은 그

들이 하나님께 연합되어 있다는 유일한 이유 때문에 서로서로에게 연합될 수 있게 된

것이다56)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말하는 또 다른 특성은 교회의 공동체적 성경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개인주의적 교회관과는 대립되는 개념이다 교회는 신앙을 가진 개인들

의 단순한 집합정도가 아니라 공동체를 통해 개인과 성도의 교제로 나아감을 말한

다57) 즉 교회는 개인의 모임을 넘어선 개인 간의 사귐과 섬김의 교제가 있는 공동체

를 말하는 것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관점의 의미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규정은 그의 사명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난 새 관계를 통해서이다 그에 대해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

하나님의 그 자신에게로 그의 백성을 부르심은 세상에 대한 사명

에 종속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궁극적인 계획은 그리스도

안에서 택함 받은 새 인류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하는 것이기 때

문이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남은 자를 택하시고 구속하신 하

나님의 주권의 두려운 신비를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세상에서의 하나님의 사명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것에

대한 그의 계시를 알아야 한다58)

55) Hans Kung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169-17156) Edmund P Clowney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2757) Kung 교회 17358)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2

2 그리스도의 몸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보는 시각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기독론적인 방법

으로서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 중심의 본질성과 그리스도와 성도의 불가분의 연합

성을 나타내는 표현이며 더불어 유기적인 구조로서 교회를 가장 잘 나타내는 말이다

그리스도의 몸이 강조하는 것은 온 성도가 머리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히 연합하

여 한 생명의 근원 아래서 몸에 붙여 있는 지체로서 각자의 역할과 생물학적인 관계

와 연결 아래 있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를 보는 시각은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몸으로서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간의 관계와 함께 서로 지체로 영향을 주고받는 성도들 상호간의 관

계를 강조하는데 고전 1227에서 ldquo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rdquo고

말함으로써 바울은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 성도 개개인의 상호연결성과 서로 간에 의

존관계로 교회를 다루면서 개개인에게 주어진 다양한 은사들마저도 개인의 유익을 위

한 것이 아니라 몸 전체의 덕을 세우기 위해 주어진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자신이 세상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표징과 도

구로서 자신 만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세상을 위한 존재이며 그리스도의 몸인 동시에

죄인들의 공동체이다

교회의 본질을 그리스도의 몸으로 비유함에 있어서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

하고 있다

그리스도께서 구약으로부터 계속 반복되어진 언약의 머리되심이라

는 배경 위에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언약의 머리가 그

리스도일 때 그 언약 안에서 화해의 장이라는 역할을 감당하는 교

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 비유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안에 관계적인

어려움이 무너지고 진정한 화해가 이루어지는 것 또한 그리스도께

서 십자가에 달리신 그 몸에서 부터인데 우리 안에 원수 된 것은

그 안에서 소멸되었고 우리 둘은 그로 말미암아 아버지께 나아감

을 얻게 되었음을 확실히 하고 있다59)

그리스도의 몸이란 개념 속에는 교회를 계급 제도보다는 예배공동체로 정의하는

데 이 예배를 통하여 현존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몸을 이루어 나가시는 사건으

로 예배를 통해 한 인간의 모습이 아닌 성도의 교제로서 공동체의 모습을 취하게 된

59)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3

다 예배의 참됨은 성도들의 사랑의 교제 속에서 입증되며 이러한 생각은 거룩한 존

재와의 교제를 통해 성도들이 일치되는 것을 교회의 본질로 보는 사도신경의 교회론

과도 일치하는 부분이다60)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이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이며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

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

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한다61)

그리스도께서 성도들을 그의 몸의 일부분이 되도록 함으로써 은혜가운데 두신

이유는 성도들 또한 서로 간에 한 몸이 되도록 노력할 것을 요구하심이다 어느 한

부분이 약해져있거나 병들어 있다면 그것은 몸 전체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심지어

는 생명 전체를 위협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 건강한 몸은 건강한 각 지체들이 건강

한 관계로 서로 상호작용할 때 가능한 일이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건강한교

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각 지체가 건강해야할 뿐만 아니라 그 연결을 의미하는 관계에

서도 건강한 관계를 이루고 있음으로 해서 몸된 교회는 존재의 건강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공동체는 보이는 않는 그리스도의 몸의 가시적인 형태이다 역사적으로 이 그리

스도의 몸이란 용어를 너무나 추상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어왔는데 이는 지극히

구체적인 형상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이 공동체적인 삶으로 함께 살아감으로써 그리스도

의 한 몸이 됨을 나타내야 하고 이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주체의 자리를 회복할

때 보이지 않는 그리스도가 몸된 교회로서 그리스도의 공동체를 통해 보여져 나타나

게 될 것이다62)

60)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29061)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33462) 김현진 공동체신학 37

34

3 성령의 전

오순절에 성령이 강림하심으로 비로소 신약 교회의 탄생이 이루어졌고 이후로

성령께서는 계속해서 교회를 세우시고 교회 안에 내주하고 계신다 고전 1213에서는

ldquo우리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자나 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

이 되었고 또 다 한 성령을 마시게 하셨느니라rdquo63)고 말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바울은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들 안에 계심으로 우리가 lsquo하나님의 성전인 것(고전 316)rsquo과 우

리 각자의 몸이 lsquo성령의 전(고전 619)rsquo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또한 에베소서 2장 21~22

절에서는 lsquo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가고rsquo이며 lsquo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거하실 처소가 되

어간다rsquo고 말하고 있다 게다가 성령은 오순절강림을 통해 각 제자들이 방언을 말함으

로 복음을 증거하며 기사와 표적을 나타내었던 것과 같이 교회 안에 자신의 능력을

부어주심으로 교회를 교회되게 하며 교회가 감당해야할 사명을 주관하신다 예수 그

리스도를 믿고 하나님을 아는 것은 성령의 능력으로 말미암는 사건이고 초대 교회의

형성은 성령의 능력 안에서만 가능한 사건이었다

클라우니는 신약시대 교회에 대하여 교회의 통일성을 성령의 교제의 결과로 보

았다 성령의 사역을 그리스도와의 생명의 연합으로 이야기하면서 결국 교회란 그리

스도 안에서의 공동의 삶으로 해석하고 있다64)

예수님이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

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완

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암

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

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다65)

또한 성령의 가장 중요한 사역 중의 하나는 고린도후서 13장 13절 ldquo성령의 교통

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rdquo의 말씀과 같이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사이의

교제가운데 그 능력을 나타냄으로 교회 안에 사랑의 교제와 연합이 있게 하신다 성

령께서는 성도들로 화목제물 된 그리스도의 구속을 바탕으로 하나님과 화목한 관계로

교제하게 하며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되는 교제와 관계를 이끌어가는 실제적인

63) 성경인용은 한국어 개정판 성경을 사용하였다64) Edmund P Clowney 교회론 8765)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

35

주관자이시다 성령이 각 사람 마음에 임할 때 그 사람은 성령의 교통케 하심을 통하

여 하나님과 끊어진 관계가 회복되며 이뿐 아니라 교회를 이루는 지체로서 각 성도들

과 연합하며 교제를 가능케 하신다 더불어 각 지체들이 은혜로 받게 되는 각양 다양

한 은사들이 모두 성령께서 그 뜻을 따라 나누어 주는 성령의 은사로서 이를 통해 교

회는 하나의 모임에서 더 나아가 유기적으로 각 기능을 감당하는 부분을 통해 교회의

본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

자가 속해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

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

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게 된 것이다66)

창조주 하나님과 각 개인의 관계 속에 혼란과 왜곡이 일어날 때 그 관계는 병든

모습을 띠게 되고 이는 구조적으로 창조세계 전체에도 함께 혼란을 불러일으키게 되

는데 이를 다른 용어로 lsquo죄rsquo라고 한다67) 나의 죄는 셀 수 없이 많은 형태로 다른 이

들에게 영향을 끼치며 그리고 다른 사람의 죄 또한 나에게 그러하다 개인이 모두의

영역 안으로 그리고 모두가 내 안의 영역에 대해 동일하게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보게 된다68)

많은 프로그램들을 시행하는 모임들을 가진 교회가 아닌 그저 모임들로 이루어

진 교회 관계가 중심이 되는 사역을 위해서는 당연히 교회는 접촉과 보살핌이 가능

한 구조로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이는 전체 교회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

핌 조직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결코 큰 수를 단위로 해서는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즉 교회가 작아질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다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

66) Ronald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5867) Colin E Gunton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5968) Ibid 63

36

든 구성원이 얼마나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린 것이다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지금까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성도들 사이의 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직접적인 참여나 헌신을 통하여 관계를 세워가고 깨어진 관계를 치료하며 약해진 관

계를 강화시키는 것에 주로 집중해왔으며 신학자들은 그 모든 과정을 하나님의 섭리

와 주권으로 이해해왔다 현재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관계로 인하여 죽어가고

고통당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 관계신학은 모든 사람들을 죄와 고통가운데에

서 구원하기 원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한 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그들의 집이 불타며

많은 잔인한 사람들로 인해 일어나는 범죄들 속에서 입고 있는 상처까지도 살펴야한

다 게다가 자연세계는 무분별한 인간의 개발에 신음하고 있다 교회는 관계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를 통해 세상을 돌보며 연약한 자에게 찾아가며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에까지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일을 해내야 하는 사명을 품고 있다 이어

서 관계신학의 관점에서 교회 사역가운데 필요한 관계중심의 실천적 과제에 대해 논

해보고자 한다

1 관계중심의 리더십

목회자 리더십의 근원은 하나님과의 관계로부터 나와야 한다 목회자가 관계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으로 세워질 때는 단연 하나님과 사명을 맡은 자로서 하나님과의

바르고 건전한 관계가 우선되어져야 한다 그 다음 목회자는 특정한 교회나 특정한

영역에 파송 받아 목회를 하는 특수한 지도자로서 목회를 하는 자리인 교회와의 관계

에서 제대로 된 리더십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더불어 목회자는 교회가 속한 지역

사회 속에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만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풀러신학교의 교수로 재직했던 Carl F George는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는 무엇

37

인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람들을 억지로 조직에 끼워 맞추지 않으며 오히려 사람들이 상

호 간에 친근감을 갖도록 도와줌으로서 미래의 교회에서는 목회자

들이 관계목회를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모든 지도자들은 사역이 아니라 관계를 중시하고 또한 소그

룹들조차도 그들의 직무나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양육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핌을 중심 가치로 여겨야 한다69)

목회사역은 주로 관계와 관련되어 있으며 성도들의 정서적 경험과 연관되어 있

음으로 해서 성공적인 사역은 단순히 성경적 신학적 지식이나 사역자의 경건 수준

혹은 기도의 분량이나 헌신도 어떤 특정한 목회기술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아닌 오

히려 사역자의 정서적 성숙 및 그 수준과 불가분의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70)

또한 Carl F George는 미래교회의 모습을 예견하면서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의

실천적 모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1 사람들이 의존에서 벗어나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2 사람들이 공동체 내에서 자신들의 영적 은사를 활용할 수 있도

록 그들에게 힘과 권한을 부여한다3 목회 자체를 방법이나 커리큘럼보다는 변화된 삶과 더 많이 연

결시킨다4 사람들을 성씨(姓氏)의 가나다순이나 우편번호(지역)나 나이 등

을 기준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친근감에 기초를 둔 관계를

기준으로 나눈다5 부끄러움 죄의식 또는 책임보다는 목회자가 먼저 본을 보이는

것에 의해 동기를 부여한다71)

Schwarz가 이야기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성장하는 교회에서 가능한 것은

그 교회가 이미 성장이라는 궤도에 올라서 있기 때문이다 작은 교회에서 성직자와

구별되어 교회로부터 일체의 사례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 이미 지적으로 높은 수준에

올라있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새롭게 훈련시켜 세우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69) Carl F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7470)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571)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75

38

이는 결국 성장하지 않는 교회로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의 부재라는 외적인 모습

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은 이미 성장한 교회에서

가능할뿐더러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것은 상황과 특수성을 무시한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도 적용 가능한 것이 바로 관계중심의 리

더십을 통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이다 평신도를 사역자로 훈련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적 재정적 시간적인 요소들이 필요하지만 반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을 위해서는

훨씬 작은 훈련과 재정으로도 가능하다 물론 여기에서 관계가 의미하는 바는 그리스

도의 온전한 제자로서 하나님과 교회와 세상과의 관계를 말한다 포스트모던 시대

성도들은 어느 때보다 건강한 관계에 목말라 있다 교회에서 목회자부터 관계를 세우

는 목회의 자리로 나아가야 한다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그동안의 복음이 일관되게 각 개인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해서만 거론되고 있

는데 이를 바로잡아 개인과 개인의 모임으로서 교회공동체를 통한 복음이 선포되어야

한다 배고픔에 처한 자에게는 음식을 얻을 수 있는 길이 복음이 될 것이고 불치의

병에 걸려 죽음을 앞에 둔 이에게는 병으로부터의 치유에 대한 방법이 복음이 될 것

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순간적인 것이 아닌 영원과 관련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교회

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자가 속해

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

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

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

게 된 것이다72)

예수님께서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72)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58

39

완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

암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

들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라고 김세윤은 말

하고 있다73) 즉 예수님의 복음은 늘 공동체적이고 교회지향적이었다 복음이 단순하

게 불신자를 설득해 교회 안으로 데리고 들어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수의 복음을

통해 회복된 관계를 증거해야한다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에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으로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의 모습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하고

있다74) 그러므로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요약되는 가진 자들에겐 부의 연장으로서

없는 자들에겐 고통스런 인내 후에 성취될 보상으로서의 천국에 대한 복음이 아닌 현

세에 이미 이루어진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가 바로 예수님이 증거하신 하나님 나라의

복음임을 증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

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든 구성원이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

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

린 것이다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더불어 예배는 하나님과 인간의 진지한 만남이기에 그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체험이 존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많은 은사주의 교회들은 방언과 같은 가시적인 현

상을 강조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예수 그리스도의 마지막 만찬을 통해 세운 의례로서

73)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74) Ibid 334

40

성만찬의 회복은 예배에서의 만남과 임재의 체험의 증거로서 건전한 방편이 될 수 있

기독교는 관계의 종교이다 많은 관계들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은 그리스도

와 맺는 관계이며 모든 것은 그 관계를 어떻게 관리하고 유지하는가에 달려 있는데

실제로 성도들로 하나님이신 예수님과의 관계에 대해 제대로 된 훈련의 기회가 제공

되지 못해 왔다75)

삼위일체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은 관계를 맺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

고 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서로 다른 인격체들과의 관계 속에서 사랑과 협력 그리

고 일치된 공동체의 본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이 하나님을 닮아가는 삶을 살고자 노

력한다면 하나님은 은혜를 베풀어 인간의 공동체도 삼위일체를 닮아 가도록 인도하

신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서로 교제하고 섬기는 것은 그것이 서로에게 기쁨이 되기

때문으로 진정한 사귐에는 기쁨이 나타나는데 이처럼 삼위일체 하나님의 서로 간의

사귐과 섬김을 통해 그 존재 목적을 나타내며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코이노니아의 모

범을 보이고 있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상호 사귐과 섬김의 공동체이듯 교회 안에서

성도들 사이에도 이와 같은 사귐과 섬김을 통한 온전한 공동체를 이루어 나아가야 한

다 구원사역의 본질도 이처럼 하나님과 세상과 성도들 사이의 사귐과 교제를 회복하

는 본질적으로 삼위 하나님의 모습과 동일하다 가장 초기의 모습으로서 삼위일체 하

나님이 관계적 공동체의 모습은 다시 성부 하나님의 계획과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을

통해 성령께서 이루신 교회 공동체 속에 다시 투영되어 모든 관계의 모범으로서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공동체를 세워가야 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드려지는 진정한

예배란 하나님과의 사귐 성도들과의 사귐 그리고 세상을 향한 사귐으로서의 결단이

함께 하는 예배여야 할 것이다

함께 모여 드리는 공예배가 각 개인이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는 자리에서 더욱

성숙해서 공동체가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며 그 안에서 일어나는 공동체적 경험으로

서 성만찬과 같은 개별적이었던 개인의 연합을 경험하는 화해의 역사가 일어나는 예

배여야 한다 교회 안에서부터 막힌 담이 무너지지 않고 어떻게 세상 속에서 관계의

회복을 논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모든 공예배는 다양한 방편을 통해 서로 안에 공

75) Leonard Sweet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52

41

동체로서의 체험을 가능케 하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4 가정 중심의 사역

건강한교회의 바탕으로서 건강한 가정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에 대한 아이의 느낌

과 이미지는 부모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나님의 이미지와 그 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부모 사이의 연속성은 직접적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정반대일수도 있다76)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

한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

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교회 내에서 가정을 위하고 자녀 부부 부모자녀 간에 있어지는 일등에

대하여 많은 가르침과 다양한 사역의 실행들이 있어왔다 게다가 한국적인 정서 또한

가정에서 효(孝)와 경(敬)을 중시하는 문화적 전통으로 인해 늘 가정은 중요시되어왔

고 가정교육의 중요성 또한 늘 강조되어 왔던 부분이다 그럼에도 현대에 들어와서

나타나는 많은 가정의 문제들 앞에서 교회는 그리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무기

력하게 방관자적 입장에 놓여할 때가 많았다 그러는 중에 사회적인 추세보다는 앞선

입장에서 많은 신학교들에서 상담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거기에 발맞추어 교

회에서 가정 사역을 적극적으로 나서서 시행하기 시작하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

이지만 여전히 교회는 양적인 성장과 결과에 민감하게 가정 사역을 대하고 있다는 사

실은 아직 성숙하지 못한 가정사역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현대 사회는 이러한 친감을 다시 가정으로부터 빼앗아 여러 가지 상업

적인 목적을 가진 대형기업과 각종 디지털장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소셜네트웍이 차

지해 가고 있으며 포스트모던사회가 추구하는 쾌락중심의 관계를 최고의 선으로 여김

으로서 이 세대 가운데 가정이 설 자리는 갈수록 좁아져 가고 있다

교회 안에 함께 하는 이들에게는 저마다 가족에 대한 해결되지 않은 애착의 문

제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자기의 일이나 사역의 현장에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교회를 대리 가족으로 삼아 그곳에서 가족의 묵은 문제를 다루거나 개선하려는 시도

76) Michael St Clair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24

42

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으며 가족에게서 받지 못했던 미흡했던 관계의 개선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본인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과

거의 가족 경험에 대한 자동적인 반응으로서 원가족 경험은 부부 및 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교회에서 사역하는 방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77) 때로는 이것들이

교회의 건강성을 훼손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가정

을 더 이상 교회성장의 밑거름으로가 아닌 교회가 도달해야할 목표로 삼아 가정을 회

복시키고 세우며 성도들이 건강한 가정에서 진정한 사랑의 관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삶과 신앙의 일치 신앙과 신학의 건설적인 만남을 추구하는 모든 신학은 lsquo하나

님의 주권rsquo을 전제로 한다 하나님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창조하셨기 때문에 이 세상

의 어떤 것도 그의 주권적 질서 밖에 존재 할 수 없다 하나님이 정치 경제 문화 생

활 전반을 포함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주관하신다는 것은 하나님이 교회 안에서만 아

니라 정치 경제 문화 영역에서도 일하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교회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강조로써 교회의 신뢰도 추락에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요소 가

운데 하나인 이원론적 사고와 편견을 극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관계신학적 입장에서

교회는 더욱 세상 속으로 나아가야 하고 특별히 주변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세우는 사

명을 감당해야 한다 우주는 하나님의 영광이 펼쳐지는 무대라는 칼뱅의 고백처럼 정

치 경제 문화를 망라한 전 사회의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이 인정되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정치 경제 사회적 부정 비리 사건들에 거의 빠짐

없이 교회와 관련된 이들 더욱이 교회의 중직자들까지도 연루되어 있어 왔다 교회의

중직을 맡아 봉사하던 이들이 어떻게 세상의 비판과 조롱거리가 될 정도의 삶을 살게

되었을까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지만 첫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세

상이 그만큼 골고루 악해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교회의 중직

을 맡을 정도로 교회 생활을 많이 해 온 그들이지만 세상의 악한 세력과 맞서 싸우며

77)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8

43

살기에는 너무 무력해서 세상과 타협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그들은 우

리에게 lsquo교훈을 주고 책망하며 또한 바르게 하여 줌으로써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여 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온전케 하여 주는 말씀의 능력rsquo을 체험하지 못했기 때

문에 악한 세상의 세력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 악해지고 더욱 속이기도 하고

속기도 해서 lsquo정직한 사람은 성공하기 힘들다rsquo는 말이 옳은 말로 들릴 정도로 악한 세

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이다 그렇지만 말씀을 우리 삶의 우선적인 등불로 삼아 그 말

씀으로부터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여 ldquo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더욱 온전케 되

어rdquo(딤후317) 진정으로 하나님의 사람들이라 불릴 수 있는 정직한 그리스도인들이 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신뢰도가 높지 못하다는 비판은 바로 한국 기독교인들이

신앙인답지 못함 즉 정직하지 못함을 지적한다 한국 교회의 부정직성은 한국교회가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을 향한 충성이 부족함을 뜻한다 그러므로 지역사회가 교회

를 신뢰하게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신앙인 됨의 기초인 영성을 점검해야 한

다 신앙과 삶의 일치에 대한 당위성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고백 뿌리 깊은

죄성에 대한 통찰에 기초한 계속적인 자기개혁 등은 한국 교회 신뢰도 증진에 전제

요소들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신앙적 내용들에 대한 확인과 점검 즉 신학적 작업은

성도들로 하여금 복음을 개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삶의 태도를 갖게 할 것이다 이

러한 복음에 대한 개방적 수용은 한국 교회로 하여금 ldquo개혁되어진 교회라도 계속 개

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78))rdquo라는 종교개혁의 정

신을 계승하도록 할 것이다 하나님의 주권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확고한 비전은 한

국 교회와 사회 전반에 대해 일관된 개혁적인 태도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전

하게 한다 또한 기본적인 영성에 대한 점검은 기독교인들을 자신의 삶과 태도를 절

대시하거나 그 안에 안주하지 않고 하나님 나라의 비전 즉 lsquo하나님과 이웃사랑의 삶rsquo

과 lsquo작은 자와 함께 하는 삶rsquo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므로 신뢰받는 교회 즉 건강

한교회가 될 수 있다 지역사회가 병들고 위험에 처하게 될 때 교회 또한 그러한 위

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교회는 세워진 그 지역을 위해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터전

78)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 fn1-11529

44

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과감하게 그 안에 참여하고 소금과 빛

의 역할을 감당해 나가야 한다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Leonard Sweet은 그의 책 관계의 영성에서 ldquo성경에서 일관되게 정의하는 믿음은

기본적으로 하나님과 이웃 세상 그리고 자연과 맺는 일련의 관계rdquo79)라고 말하고 있

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라함은 결국 성도 개인과 하나님 뿐 아니라 하나님께서 창

조한 자연 만물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관계적 믿음 안에 있는 사역의 모습은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고 지키며 가꾸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일이어야 한다

교회 건축에서부터 환경친화적 건축이 되어야 하고 교회 안의 모든 활동에서 교회는

하나님의 창조세계인 자연의 보호자임을 나타내야 한다 일회용품 사용의 억제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교회차량의 친환경화에까지 비록 많은 비용 부담을 감내해

야 하고 당장 모든 교회가 시행할 수는 없지만 하나님의 교회는 창조세계에 대한 책

임을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한다 주일 하루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하는 일과 같은

경우도 교회 내의 성도들에게 뿐만 아니라 세상을 향한 교회의 사명을 증거하는 강력

한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더불어서 주차 때문에 일어났던 교회 주변 이웃들과의 갈등

을 줄이는 효과를 더불어 누릴 수 있다

지구 온난화로부터 야기된 해수온도 상승과 빙하의 감소는 생태계의 커다란 파

괴를 초래하고 있다80) 이외에도 각종 환경오염과 오존층파괴 생태보호종의 무분별

한 남획은 지구 생태계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인간의 탐욕에 의해 일어난 환

경재앙이 이제는 인간의 삶의 터전을 무너뜨리며 결국에는 전 지구적인 재앙을 일으

키게 될 것은 자명하다 거듭난 그리스도인으로서 성도는 자연 만물과도 회복된 관계

속으로 나아가야 한다 환경을 지키고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일에 교회의 역할이 필요

하다 기후붕괴를 일으킨 지구온난화를 관계신학적인 관점에서 인식하고 생태계의 위

기 상황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회복을 위한 사역에 대한 논의와 비전이 일어나야 한

다81)

79) Sweet 관계의 영성 3780)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한국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참고

45

다음 장에서는 다양한 교회건강이론들에 대해 살펴보면서 특징들을 비교하고 이

시대에 필요한 건강한교회는 어떤 교회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81) 김영선 관계신학 336

46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그동안 한국교회는 성장과 부흥에 집중해 왔다 양적으로 많이 모이고 규모가 큰

교회는 다른 교회들의 모범적인 부흥의 사례가 되었고 그 교회 목회자 또한 부흥의

방법을 배우려는 이들의 모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이슈들

을 겪으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인다는 단지 그 이유로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시점에서 질적인 성장을 강조하는 교회건강에 대

한 움직임은 고무적인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그 내부를 좀 더 살펴보면 그 또한

변형된 양적성장운동임을 보게 된다 일정한 활동을 통해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양적

성장을 통해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규정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그동안의

양적성장에 비해 뒤쳐진 질적 특성을 보완하여 계속적인 교세의 성장을 위한 것이다

건강은 교회의 외적 규모를 가지고 결정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크지만 병이

걸려있는 교회가 얼마든지 존재하며 작지만 내실이 든든해서 건강한교회들 또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번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을 살펴보면서 먼저는 독일에

본부를 두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을 연구한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이론과

Wagner Anderson Macchia의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을 연구한 결과들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비교해서 NCD 이론에 나타난 약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

운 방안으로서 다음 장의 관계성 중심 사역을 위한 관계신학으로의 주장에 대한 근거

를 마련해 보려 한다

47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Schwarz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NCD의 이론에 따르면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는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보다 괄목할만하게 개발된 질적 특성들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질적 특성들은 대표적으로 8가지이며 이것들은 모든 교회 내에 존재

하는 요소이다 Schwarz의 연구는 양적 성장 자체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질적 성장의

원리를 통한 접근방식을 취한다 이 방법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가정은 좋은 lsquo질적

특성rsquo은 lsquo양적 성장rsquo이라는 결과를 반드시 가져온다는 것이다 lsquo질적 특성rsquo이라는 용어

는 어떤 상황에 처한 모든 종류의 교회들에게 타당한 원리로서 묘사된다 여덟 가지

질적 특성의 모든 측면들은 질적 및 양적 성장을 경험하기를 원하는 어떤 교회에 대

해서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며 연구 결과이다82)

계속해서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에 대해 개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NCD 이론을 통해 제시하는 교회건강의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이다 지도자의 리더십에 따라 교회가 나아가는 방향과 목회철학을 비롯한 사

역들이 정해진다 리더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질적으로 건강

하고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면 교회 지도자는 교인

들을 양육하고 훈련하여 교회 사역자로 세우고 그들에게 권한과 책임을 위임하는데

있다는 사실이다 그와 같은 지도력은 lsquo유능한 지도력rsquo이 아니라 lsquo사역자를 세우는 지

도력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83)

NCD의 조사 연구 결과는 lsquo목표 지향적rsquo이 지도력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이긴 하

지만 흥미로운 것은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나 성장하지 않는 교회의 지도자나 이 점

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며 건강한교회의 지도자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세우는

지도자라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 유념할 부분은 평신도를 사역의 동역자로 세우는 교

회 지도자가 있는 교회가 lsquo성장한다rsquo는 것을 이유로 교회건강을 위한 질적 특성들 중

82) Christian A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18383) Ibid 28

48

하나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는 것이다84)

2 은사 중심적 사역

두 번째 질적 특성인 은사 중심적 사역 역시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과 긴한 관

계가 있다고 한다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가 가져야 할 첫 번째 리더십이 사역자를 세

우는 리더십이라면 두 번째 질적 특성은 지도자가 교인들을 사역자로 세워 실제적으

로 어떤 분야의 사역을 감당하도록 교인의 은사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을 말하

는데 하나님께서는 이미 각각의 그리스도인들 마다 그들이 해야 할 사역을 이미 정해

놓으셨다는 것이고 교회 지도자들의 역할은 교인들이 그들의 은사를 발견하여 은사와

연관된 사역을 하도록 돕는 것이 교회 리더십의 역할이라고 규정짓고 있다85)

교회 지도자의 역할은 교인들이 자신의 은사가 무엇인지를 발견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은사를 따라 사역할 수 있도록 잘 조정해 주는 것인데 그리스

도인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은사를 따라 섬길 때 인간의 힘으로 하는 부분은 줄어드는

대신 성령의 능력 안에서 이뤄지는 일은 더 많아지게 된다 NCD의 조사 결과 흥미롭

게도 은사 사용 여부만큼 그리스도인의 삶에 만족을 가져다주는 요소는 없다는 사실

이 나타났다 ldquo은사 중심rdquo(나의 사역은 내 은사와 맞다)과 ldquo기쁨이 넘치는 삶rdquo(나는 나

자신을 행복하고 만족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연관성이 있다

는 사실이 조사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이라는 것이다86)

3 열정적 영성

세 번째 질적 특성으로서 lsquo열정적 영성rsquo은 구체적으로 교인들이 실제로 헌신하며

사는 믿음과 뜨거운 열심을 의미한다 질적으로 평균 이상이거나 평균 이하인 것을

불문하고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분해 주는 핵심적 요소는 영적

신조나 영적 관계는 아니었다 ldquo이 교회 성도들은 불붙어 있는가 성도들이 기쁨과 열

정으로 헌신과 믿음의 삶을 살고 있는가rdquo하는 점이다 이 점에 있어서 성장하는 교회

나 퇴보하는 교회 사이에는 그 교회의 영적 문화의 모습에 관계없이 큰 차이가 있으

84) Ibid 2285)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3086)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4

49

므로 NCD는 이러한 질적 특성을 lsquo열정적 영성rsquo이라 부른다87)

NCD는 열정적 영성이라는 질적 특성을 교인들의 기도 생활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들이 조사한 교회의 성도가 기도하는 데 얼마만큼의 시간(양)을 보내느냐

하는 것은 그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에 미미한 영향밖에는 주지 못한다 반면 그 기

도가 영감 있는 경험이었나 하는 것은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개인적으로 성경을 보는 것과 개인의 영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들의 조사 결과도

이와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NCD가 말하는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사

이에서 눈에 띄게 다른 것은 영적 열정의 정도이다 교인들이 얼마나 기쁨과 헌신적

으로 살고 있으며 이러한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것이 질적

성장을 하는 교회의 세 번째 특징이라고 말하고 있다88)

4 기능적 조직

네 번째 특성에 숨은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한 교회 내의 형식과 조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느냐의 여부이다 교회

조직 자체는 절대로 궁극적인 목적이 될 수 없고 오히려 조직은 단순히 목적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요구 사항에 맞지 않는 것들(지도력을 감소시키는 조직

불편한 예배 시간 교인들에게 효과적이지 못한 프로그램 등)은 모두 바뀌든지 중단되

어야 한다는 것이 NCD의 조사결과이다89) 이러한 질적 특성은 어떤 교회가 가지고

있는 조직의 수가 많고 적음 혹은 이 조직의 신구(新舊)가 중요치 않음을 가리킨다

오히려 그 기준은 그 조직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lsquo얼마나 유용한가rsquo로 결정된다는 것이

다90)

NCD는 적절하고 기능적인 교회 조직에 관한 수많은 사례들을 수집하고 이 조직

들을 비교하면서 이러한 조직들은 명백하게 의미 있는 공통 요소들을 갖고 있다고 말

한다 첫째 조직들은 지도노선(또는 목회철학)에 맞추어 방향을 정한다 둘째 성공적

조직들은 유용치 않은 모든 것을 기꺼이 제거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87) Ibid 268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689)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3590) Christian A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228

50

목회 철학에서 정의한 특정한 초점에 집중한다 셋째 성장하는 교회의 조직들은 거의

전적으로 증식 조직들이고 이 증식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자율성과

자활 능력을 갖는 하부구조를 만든다는 것이다91) 이처럼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는

사역의 효과를 높이고 어떤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조직을 개발하고 갱

신하는 교회라는 것이 NCD의 네 번째 질적 특성이다

Schwarz의 연구가 바탕이 된 NCD의 이론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그 질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고 이를 교회의 건강성

의 척도라고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다른 질적 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5 영감 있는 예배

교회 성장을 결정짓는 요소 가운데 하나는 예배이다 모든 교회는 예배한다 단

순히 예배드리는 것이 교회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문계는 어떠한 예배인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예배의 어떤 방법으로 드려야 하는가하는 방법상의 문제도 아니

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교회의 예배가 예배 참석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예배인가 하

는 것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별해주는 한 가지 기준은 성

장하는 교회는 영감 있는 예배를 드린다는 것이 NCD의 진단이다 교회 성장에 있어

서 결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진 다른 기준이 있다면 그것은 ldquo예배가 과연 성도들에게

영감 넘치는 예배인가rdquo라는 점이다 NCD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회들을 상대로 예

배에 관해 질문한 11개에 대한 대답 모두가 서로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체되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와 성장하는 교회를 구분하는 확실한 기준은 바로 예배라고 말

한다92)

예배는 신자 중심으로 드려지거나 불신자 중심으로 드려질 수도 있고 전통적 스

타일로나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드려질 수도 있고 사용되어지는 언어가 거룩하거나

세상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교회 성장과 무관한 것이다93) 어떤 특정한 예배

형태가 교회성장을 좌우하는 것이 아니고 lsquo영감 있는 예배rsquo가 있는 교회가 질적으로

91)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2992)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93) Ibid

51

성장하는 교회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NCD는 lsquo영감 있는rsquo이라는 말의 근원인 인

스피라티오(inspiratio)라는 단어의 뜻에는 하나님의 영으로부터 오는 영감이라는 의미

가 내포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관념적인 성령의 임재가 아니라 성령이 진정으로 역사

할 때에 예배의 분위기는 물론 예배 절차에 구체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94)

6 전인적 소그룹

NCD는 420만 개의 응답을 분석한 후 170개의 교회성장 요소를 발견하였고 그

가운데 다시 8가지 요소들을 정리했는데 그 8가지 요소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성장

요소로 lsquo전인적 소그룹rsquo을 들고 있다 그들은 전 세계에 걸쳐 성장하는 교회나 쇠퇴하

는 교회에 관해 연구하면서 소그룹의 계속적인 번식은 보편적 교회 성장 원리가 된다

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더 나아가 소그룹이 교회의 질적 특성과 양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려면 어떻게 소그룹이 운영되어야 하는지 또한 밝혀냈다 그렇게 되려면

소그룹이 단순히 성경구절을 공부하는 데 그치지 말고 그 구절의 메시지를 매일의 삶

에 적용시키는 전인적(단지 각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온전한)인 소

그룹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소그룹 안에서는 사람들이 자기가 실제 처해 있는

개인적인 문제나 질문들을 내어놓을 수 있어야 한다95) 여기서 말하는 전인적 소그룹

이란 교인 개개인이 서로 간에 친한 교제를 나눌 수 있고삶의 현실적인 영역에서

도움을 받으며 또한 강한 영적 교제도 나눌 수 있는 체제를 의미한다 소그룹이라는

소우주(小宇宙)내부에서도 교회 전체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동일한 과정이 발생한

다고 말하고 있다96)

질적 지수가 높은 교회와 수적으로 성장하는 교회에서는 예배 참석보다는 소그

룹에 우선을 두는 경향이 다분하다 소그룹이라는 것은 좋기는 하지만 안 해도 되는

취미생활과 같은 선택 활동이 아니다 교회 생활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들 중

많은 부분이 소그룹 안에서 이뤄진다 교회가 커질수록 소그룹 원리는 계속되는 성장

을 위한 결정적 요인이라는 사실을 NCD 연구가 확인해 주고 있다97)

94)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3195) Ibid 3296)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479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2

52

사실 이 소그룹은 다른 질적 특성들과 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소그룹이 이루어

지려면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필수적이고 소그룹 환경 내에서 은사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다 소그룹은 조직을 언제든지 갱신할 수 있는 순발력이 있고 즐거운 예

배를 경험케 되며 불신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전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한 친한 사랑의 관계를 나눌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소그룹인 것이다 이처럼 NCD

가 8가지 질적 특성 가운데 소그룹을 가장 중요한 원리로 꼽는 것은 소그룹이 갖는

장점이 다른 질적 특성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2장에서도 살핀 바와 같이

소그룹은 포스트모던이라는 시대에 현대인들의 진정한 관계에 대한 필요를 채워주는

중요한 도구라는 면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7 필요 중심적 전도

성장하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 이것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전도를 하지 않

는 교회는 없다 모든 교회는 전도에 힘을 쓴다 그러나 문제는 전도의 필요성이 아니

라 전도를 통해 교회가 실제로 성장하는가 하는 것이다

Schwarz는 우리의 관심을 끄는 문제는 전도의 필요 여부가 아니라 실제로 하고

있는 전도가 교회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며 성장하는 교회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어붙이는 인위적인 전도 방법과 전혀 반대되는 불신자들의 의문에 답해

주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방법이라고 말한다98) 전도의 은사가 있는 사람과 하나

님께서 다른 분야의 일로 부른 사람을 반드시 구분해야 한다 연구 조사 결과 높은

질적 지수를 갖고 있는 교회의 지도자는 누가 전도의 은사를 갖고 있는지를 알고 그

들에게 맞는 사역을 맡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99)

교회 성장의 열쇠는 교회가 전도의 초점을 불신자들이 당면한 문제와 필요를 충

족시키는 것에 맞추는 데 있다 이러한 lsquo필요 중심적rsquo 접근 방식은 불신자들의 필요를

충족시켜주지 못함으로 불가피하게 불신자들에게 부담과 압력을 느끼게 하는 인위적

프로그램과 다르다 이미 갖고 있는 관계를 전도를 위한 기회로 사용하는 것이 핵심

이다100) 현존하는 불신자들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전도의 초점을 그들의 필요를

98)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4499) Ibid100)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5

53

충족시키는 실제적 전도를 실행하는 교회가 NCD가 제시하는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

의 일곱 번째 특성이다

8 사랑의 관계

마지막으로 NCD는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실제적으로 경험

되는 교회라는 것이다 인간의 관계에서 사랑이 다양한 모습으로 자주 경험되는 교회

가 그렇지 못한 교회보다 질적 양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평균적으로 볼 때 성장

하는 교회들은 정체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에 눈에 띄게 높은 lsquo사랑 지수rsquo(love

quotient)를 갖고 있다 웃음이 넘치는 교회 생활과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 사이에는

중요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놀라운 사실은 이것이 그렇게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교회 성장 문헌에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NCD의 연구 자료에

의하면 그것은 분명히 교회 성장 원리로서 충분한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우리가 사랑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듣기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사랑이 정말

어떻게 역사하는지 경험하기를 원한다101)

낮은 사랑 지수를 보인 교회들은 행하는 전도는 대개 단지 말로만 하는 활동으

로 제한되지만 잘 발달된 사랑 지수를 가진 교회들은 언어적 방법으로만 움직이는 교

회들보다 다른 사람들을 훨씬 더 크게 끌어들인다는 것이다 조사에 참가한 1000명

이상이 출석하는 교회들을 조사해 본 결과 그들에게 있어야 할 여러 가지 질적 특성

들 중 가장 빈번하게 최소치 요소가 lsquo사랑의 관계rsquo였다는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었

다 사랑이 부족한 곳에서는 어디서나 교회가 더 성장할 수 없도록 심각하게 방해받

는다는 것이 NCD의 마지막 질적 특성과 관련된 주장이다102)

이상으로 Schwarz의 연구를 바탕으로 둔 NCD의 교회건강의 이론적 근거인 8가

지 질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위의 8가지 특성을 수치화하여 그 중 가장 낮은

수치의 영역을 보완함으로써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그들이 말하는 lsquo최소치

전략rsquo이다103) 이를 통해 Schwarz의 연구가 질적인 특성을 말하고 있지만 결국 이 또

한 양적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얼마나 결과 중심적으로 교회의 건강을 다루고

101)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6102) Ibid 37103)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51

54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적교회성장은 교회건강이 목적이 아닌 교회의 양

적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Schwarz의 연구와 함께 교회성장과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연결시켜 제시한 다른

학자로는 Peter Wagner가 있다 이어서 Wagner가 제시한 건강한교회의 7가지 특성들에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Wagner는 그의 책 Your Church Can Grow에서 건강한교회의 일곱 가지 생체적인

특성들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아픈 환자들이 의사를 찾아 치료해야 하는 것과 같이

교회 또한 잘못된 많은 행동으로 말미암아 아프게 될 수 있지만 질병을 치료하고 건

강을 회복할 때 교회를 다시 성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일곱 가지의 요소들이 있다

고 말한다

1 긍정적인 목회자

그 첫 번째의 특성은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모든 성도들에게 동

기를 부여할 수 있는 역동적인 리더십을 가진 목회자에게서 찾고 있다 성장하는 건

강한교회의 목사는 전형적으로 성도들과의 생생한 관계들을 통해 획득한 강한 권위를

바탕으로 교회를 이끌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104) 목사가 특별한 은사를 가지고 성도들

의 원하는 바를 파악하고 그들에게 나아갈 길을 제시함으로서 교회 전체의 사역들을

열정적으로 이끌어 갈 때 사람들은 목사를 신뢰하고 그를 따르게 됨으로써 건강한 교

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5)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두 번째의 특성은 성장을 위해서 자신의 은사를 분명히 발견하고 잘 사용하도록

훈련된 평신도라는 것이다 평신도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

104) C Peter Wagn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66105) Ibid 75

55

용할 수 있겠지만 성경에서 묘사된 영적인 은사들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구성원들로서 기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

사람은 주어진 영적 은사를 개발하고 그 은사를 사용하여 직무를 수행해야 하며 성도

들이 자신의 영적인 은사와 그 은사의 이점을 발견하는 것은 성장하는 교회를 위해

필요한 다양하고 복잡한 필요들을 채울 수 있으며 이를 위해 27가지106)의 영적인 은

사를 구분지어 제시하고 있다107)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세 번째의 특성은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의 필요와 기대를 얼마만큼 충분히 채

워줄 수 있는가를 말하는 성도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이다 새신자들이 정착하고 싶은

교회가 되기 위해서 교회는 그 구성원들을 잘 섬겨야 하며 이를 통해 외부적으로 좋

은 평판을 갖게 된 교회는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함께 얻게 된다고 한다

친한 교제 목회적 돌봄 어린 자녀들을 위한 주일학교 교육과 같은 사역들은 교회

가 성도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성도들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것들이

다 만약 교회의 자원이 좀 더 넉넉하다면 독신들을 위한 사역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을 통해 그 지역에 독신인 사람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

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것은 교회의 크기와 무관하게 교회가 속한 지역의 불신자들

의 필요를 주의 깊게 살피고 이를 목회에 적용하는 사역의 철학을 통해 사람들을 필

요에 민감한 교회구조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8)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Wagner가 말하는 교회성장을 위한 네 번째 특성으로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내

부 기관들에 관한 것인데 축제로서의 각종 의식과 회중 셀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이라 한다 이 말은 세 가지의 기본적인 회집이 주어진 상황

106) Wagner는 그의 책 교회성장 될 수밖에 없는 성령의 은사 27가지라는 책 전반을 통해 예

언 섬김 가르침 권면 헌금 지도자 긍휼 지혜 지식 믿음 병 고침 기적 영분별 방언 방언통역 사도 서로 돕는 일 행정 전도 목회 독신 궁핍을 자처함 순교 대접함 선교 중보기도 귀신을 쫒음의 27가지 은사들을 정의하고 있다107) C Peter Wagner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6108) Ibid 17

56

속에 있는 교회를 위해 올바른 균형감각을 찾도록 고려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가장

큰 규모로서 멤버십 모임은 거의 어떤 규모로든 가능하고 중간 규모로서 친교모임과

가장 작은 규모로서 영적인 친족 모임으로 8~12명 정도가 적당한데 이러한 세 가지

구조를 Wagner는 lsquoCelebration Congregation Cell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의 큰 단위로서 교회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진 조직적인 형태로의 소그룹에 대한 내용

이 그가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네 번째 특성이다109)

5 동질집단의 원리

다섯 번째는 동질집단의 원리의 적용으로서 성도들이 자신이 속한 그룹으로부터

벗어나서 교회에만 속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문화적 사회적인 그룹에

그대로 머물면서 고립되거나 문화적인 장벽을 넘지 않고도 신앙생활을 유지할 수 있

도록 교회가 구조를 갖추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사회적인 구조를 중요시하는 교회성

장이라야 건강한교회를 이룰 수 있다는 Wagner의 주장은 lsquo그의 교회성장의 주된 원리

를 유지하면서 또한 건강한교회가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서 구성원

들이 자신이 속한 동질집단과의 관계를 잘 유지하고 이를 통해 그 집단 전체에게 그

리스도의 영향력을 전함으로서 속해 있는 집단 전체를 아우르는 형태rsquo를 동질집단이

라 부르고 있다110)

6 효과적인 전도

여섯 번째는 효과적인 전도방법에 대한 것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실용주의

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요구사항을 찾아 그것을 충족시키며 대집회를 통한

전도 집중 전도대회 교회성장이라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나아가는 몸의 전도운동

등의 방법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에는 동질 집단

구성의 원리를 통하여 사람들을 요구를 분간해 낼 수 있다고 하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정신은 다양하고 효과적이며 지역사회에 적합한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되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분명한 목적을 세우는 것이다 사용하는 방법에는 개교회 단

위의 협력도 있지만 경쟁심을 활용하는 것도 있고 효과가 없는 옛 방법을 과감히 버

109) Wagner The Healthy Church 18110) Ibid

57

리고 보다 더 효과적인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필요에 민감한 전도를

하는 방법도 있으며 이를 통해 교회가 성장할 수 있다고 Wagner는 말하고 있다111)

7 성경적인 우선순위

일곱 번째는 lsquo성경적인 우선순위rsquo를 말하는데 지금까지의 여러 가지의 특성들을

성경적인 순서로 적절하게 배열하여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서 이루어

지고 있는 여러 가지 정책에서 사용되는 우선순위의 적절한 배치를 말한다 또한 사

람들이 요구하는 많은 항목들 중 오직 교회만이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을

아는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교회가 세울 수 있는 가장 최선의 우선순위는 그리스도

께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이고 이어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

마지막은 전도 사회봉사를 위시한 이 세상에서의 그리스도의 사역에 전적으로 의탁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112)

이상으로 Schwarz의 이론과 함께 Wagner가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가 되

기 위한 7가지 요소들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제시하는

다른 두 가지 이론을 살펴보려 하는데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이 그것이다 두 이

론도 공히 위에서 언급한 교회내부의 요소들을 분명히 다루고 있지만 Anderson의 경

우 건강한교회의 중요한 특성으로서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관계를 주장하고 있고

Macchia의 경우는 교회의 건강을 하나님과 성도와 그리고 세상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분하고 있음은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건강을 판단하는 시

점에서 중요한 대안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먼저는 Anderson의 건강한교

회의 특성 6가지를 살펴본 뒤 Macchia의 세 가지로 구분된 10가지 특성들에 대하여

하나씩 살펴보겠다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NAE113)의 회장을 맡고 있고 미네소타 주의 미네아폴리스에 있는 우데일교회를

111)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71112)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87113) NAE(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는 40개의 교단 45000개 이상 교회의 연합체로서

58

담임하고 있는 Leith Anderson은 건강한교회에 대하여 6가지 특성을 다음과 같이 말하

고 있다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첫째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교회란 하나님의 평판을 그 지역이나 전 세계의

신자나 불신자에게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교회인데 많은 지역사회 속에서 하나님의

평판은 교회의 평판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서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약속을 정확

히 지키고 섬김을 받으려는 것보다 섬기려하는 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기독교적 방법

으로 어려운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교회로서의 조직을 유지시키고 교단을 대변하려

하는 대신 사회적 관계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에 더 관심

을 갖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첫 번째 특성으로 말하고 있다114)

2 제자 삼음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특성 두 번째는 제자 삼는 교회로서 같은 교회

에 그 교인을 계속 유지시키게 하는 것보다 교인이 훈련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며

모든 신자들이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인식을 바꾸어 훈련된 사람을 배출하려고

계속적으로 애를 쓰는 교회이다 실제적인 측면에서 항상 제자 지향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 그들의 프로그램과 형태를 구비하고 주일학교를 제자를 길러내도록 고무하고

장려하는 교회이다 문제를 일으키는 성도에 대해서도 그저 교회에 계속 출석하면 되

는 모양새로 방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성도가 그 문제성을 인식하고 성경적인 신자로

변화되도록 계속해서 사랑하고 만나고 훈련시키고 지도하는 실제적인 교회를 의미한

다는 것이다115)

3 영적은사의 훈련

셋째는 영적 은사가 활용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 말하는데 Anderson

미국 사회에서 개혁주의 신앙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을 원칙으로 삼고 있는 협의회이다114) Leith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165115) Ibid 167

59

이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건강한교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영적인 은사는 세속적인 직

업과 유사한 직무로서 사역은 직함보다 중요하고 은사는 주로 개인보다는 교회에 주

어졌음을 교육하면서 모든 그리스도인이 적어도 한 가지의 은사를 갖고 있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위원회나 조직을 최대한 축소하면서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사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말하고 있다 교회 조직이 필요한 곳에 사람을

두기 보다는 성령이 은사를 준 그 사역에 그들로 하여금 힘을 다하도록 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일컫고 있다116)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네 번째의 특징은 주변 환경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는 교회로서 고립되지 않고

주변 사회와 소통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거룩이라

는 영적인 본성 때문에 필연적으로 반문화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예수님께서 이 땅

에 오심으로 죄악 된 세상 환경에 자신을 참여시켰던 것처럼 건강한교회는 종교적이

지 않은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방법을 찾고 죄인들과

같이 되기 위해서 참소와 오해를 무릅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 건물의 사용

에 있어서도 정규 교회 활동과 외부 세속 활동 사이의 구별을 없앰으로써 세상에 좀

더 가까이 갈 수 있으며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며 적극적으로 세상

과 관계를 맺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모습 중 하나라고 이야기하고 있다117)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다섯 번째 특징은 건강의 증거로서 재생산에 대

한 내용이다 협력전도를 통해 전교인이 재생산에 참여하고 모든 사람이 직접적으로

전도에 참여하지 않을지라도 모든 사람이 복음 전도에 기능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전해

야 한다는 것이다 숫자의 함정에 빠져 많은 수가 교회에 등록하는 형태의 전도를 건

강의 척도로 삼을 것이 아니라 lsquo얼마나 새신자들이 교회에 동화되어 어떤 모습으로라

도 전도에 참여하기까지 이르고 있는가rsquo를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측정해야 함을 주

장함으로서 새로운 사람들이 교회생활에 적절히 동화되어 교회라는 공동체 조직이 빈

116)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68117) Ibid 170

60

틈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레고 조각이 짜 맞추어지는 것처

럼 교회 또한 새로운 신자들이 들어올 때 다시 재편성되어 새신자와 기존 신자가 다

시 새롭게 짜 맞추어 들어감으로서 관계성을 형성하고 기존 구조에서 새로운 구조로

기꺼이 변화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진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118)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마지막으로 건강한교회는 건강한 믿음을 소유함으로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자신

들이 하나님께 속해 있으며 또한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이심을 실제로 받아들

이고 믿으며 하나님이 무엇을 원하시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교회의 나아갈 바를 정하

되 기도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통해 모든 교회 생활을 일구어가는 교회라는 것이

다 그들은 성경으로부터 모범과 사례를 인용하여 그들의 교회 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성경의 구절들을 연구 비교하고 영감과 방향을 가르쳐 주는 자원으로 성

경을 확신하며 토론의 중간에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기도모임을 요청하는 것에

불편을 느끼는 않을 때 그러한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할 수 있다고 Anderson은 말하

고 있다119)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는 이전 이론들과 달리 성장에 대한 요소가 빠져

있고 대신 교회내부를 비롯해서 외부적으로도 적절한 관계 속에 있어야 함을 통해

세워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런 와중에 교회 내부 요소들에 대한 언급이 소홀해진

면이 있다 교회의 내부적 특성과 외부적 특성에 대해 적절한 균형을 가지고 3가지로

분류해서 제시하고 있는 Macchia의 주장을 이어서 제시하려 한다

제 4 절 Stephen A Macchia120)의 교회건강이론

Macchia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100개의 중소형교회121) 8000

118)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75119) Ibid 182120) Stephen A Macchia은 LTI(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교회 내에서 요구

되는 리더십과 팀사역을 위한 영적 섬김을 위한 사역을 감당하고 있으며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의 Pierce Center for Disciple-Building에서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또한Phoenix Seminary에서도 교수진으로 사역하고 있다

61

명의 회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교회의 특성을 연구하면서 이 자료를 토대로

건강한교회로서의 10가지 특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ldquo건강한교회는 성장이 아닌 각 특성들이 얼마나 개선되어져 가는지를 통해 평가되어

야 한다rdquo는 것이다122) 그 10가지의 특성들은 또 다시 세 가지의 개별적인 영역인 하

나님 성도들 세상과의 관계요소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이어서 설

명할 하나님의 임재가 충만한 공동체로서의 특성에 대한 것이다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acchia가 말하는 건강한교회로서의 첫 번째 특징은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 능력

을 힘입게 됨을 의미한다고 한다 건강한교회는 활발하게 성령의 인도를 구하고 날마

다의 삶과 사역에서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는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강력한 임재에 대

하여 하나님의 임재가 경험될 때 나타나는 가장 가시적인 현상은 기쁨이 충만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기쁨이 충만한 건강한교회는 새신자들의 마음을 움직여 교회

공동체로 이끄는 매력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123)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성령을 부어주

실 때 우리는 그분의 사랑과 주되심을 더욱 이해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우리를 통해

하나님께서 일하시며 그런 성도들이 모인 교회가 건강과 생명력으로 가득 차면서 교

회를 구성하는 이들의 삶 속에서 성령의 열매인 사랑 희락 평화 오래 참음 친절

선함 신실함 온화함 자기절제를 가득하게 맺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충만

한 임재를 통해 성령께서 교회를 주관할 때 성령의 은사가 충만하게 될 것이며 이것

이 바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모습이며 또한 건강한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124)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건강한교회로서의 두 번째 특성은 마음과 뜻과 힘과 정성을 다해 하나님을 예배

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모여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표징을 나타내는 것이고 한다 모

121) NCD의 연구와 달리 대형교회가 아닌 대부분의 교회 현실에 가까운 사이즈인 중소형교회

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122)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13123) Ibid 27124) Ibid 37

62

든 피조물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음 받았지만 오직 인간만은 아

버지 되신 하나님과 사랑의 관계를 누리도록 창조되었다 우리는 우리가 하는 모든

일들을 통해 하나님을 높이고 영화롭게 하는 삶의 방식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우리는

우리의 사랑을 밖으로 흘려보내는 행위를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며 예배하도록

독특하게 지음 받았다는 것이다125) 이러한 접근을 통해 우리는 형태적인 면에서도 사

람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보다는 하나님께서 예배 속에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가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예배의 방식을 바꾸어 갈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의 성도들은 예배 속에서 단지 푹신한 자리에 앉아서 수동적으로 행해지

는 일이 아닌 하나님과 의미 있는 체험을 하게 되기를 갈망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

장 효과적인 방법은 회중들이 마음과 뜻과 정성과 힘을 다해 예배 속에 참여할 수 있

도록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발전시키는 것으로써 하나님의 사람들이 능동적으로 예배

가운데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교회의 건강정도를 판단할 수 있

음을 Macchia는 말하고 있다126)

다 영적인 제자훈련

Macchia가 이야기하는 또 다른 특징은 날마다 영적인 제자도를 개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전 연령대의 성도들에게 영적인 훈련과 모델 그리고 기회들을 제공하는 교

회가 건강한교회라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우리의 관계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우리가 결정을 내리는 능력과 방식들 우리의 사명을 이해하는

정도 사역 속에서 섬김을 위한 우리의 비전들과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건강한

교회의 성도는 무엇이 헌신된 삶인지를 잘 배워서 그리스도와 함께 걸으며 생동감 있

게 사는 것의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다른 이들에게 이러한 영적인 삶의 여

정 속으로 동참하기 위한 성장을 권면할 수 있다127)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제자가 된

다는 것은 우리가 믿음의 삶 속에서 훈련받고 사랑의 열매들을 맺으며 자기절제를 훈

련하고 주님과 동행하는 활동들 속으로 참여하며 동시에 분주함과 싸우고 그러한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순종하는 삶을 이야기한다128) 또한 내적인 평온을 통해

125)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41126) Ibid 46127) Ibid 60

63

하나님의 이끄심에 민감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그러므로 건강한교회란 ldquo성도들의 삶

이 영적인 제자로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교회를 의미한다rdquo고 말한다129)

여기까지의 특성들은 성도가 어떻게 하나님과 건강한 관계 속에 설 수 있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는 부분이다 다음은 성도들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이어서 Macchia는 하나님과 관계뿐만 아니라 성도들과의 관계가 필수요소라고

말하는데 그 첫 번째는 공동체를 통해 배움과 성장을 성취할 수 있는 교회가 건강한

교회라고 주장한다 교회는 신자들이 안전하고 견고한 상황 속에서 하나님과 다른 사

람들과 함께 걷는 여정 속에 자라가도록 돕는 교회이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공동체

속으로 불러서 훈련하시고 그분의 가르침과 모범을 따르도록 하셨으며 이것을 세상

가운데 증거 하도록 하셨다 예수님은 늘 크건 작건 모임 속에서 가르치시고 때로는

먹이기도 하셨다 공동체를 창조한 놀라우신 이는 우리가 날마다의 삶과 사역 속에

성장하고 배워하는 모델을 직접 행하심을 통해 가르치셨다 맞벌이를 해야 하는 많은

가족들은 벅찬 업무와 해야 할 일들에 둘러싸여 있다 보니 소득은 조금 늘어나지만

정작 가족을 세우고 견고하게 하며 가족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쓸 수 있는 자원을

잃고 만다 그뿐만 아니라 아직 독신의 경우에도 그들의 시간을 빼앗아가는 수많은

일들에 파묻혀 친구들과 가족을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여분의 시간은 점점 줄

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도 건강한교회는 신자들이 공동체 속에 들어

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환경을 조성해내는 교회여야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130)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가정에서 화목한 관계를 유지하고 성도들 사이에 사랑의

관계를 가지며 그들이 섬기는 공동체 내에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세워가도록 그들을

128)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68129)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61130)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81

64

위한 노력을 다하는 교회를 의미한다고 한다 우리가 행하는 서로를 향한 사랑과 돌

봄은 우리의 교회가 함께 모일 수 있게 만드는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

은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계들로는 무조건적인 표현 서로

에게 진실함과 신실함으로 대하는 것 은혜 자비 용서 갈등을 해결하고 소통을 원활

하게 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노력들을 요구한다 교회는 성도들의 각 가정을 위한 사

역을 통해 그들이 가족 속에서 연합을 경험하게 해야 하며 공예배를 포함한 모든 사

역의 활동영역에서 가족에게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관계를 세우

는 행위를 통해 교회는 성도들안에 예수님의 사랑의 삶의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보일

수 있고 하나님이 원하셨던 진정한 공동체로서 서로의 필요를 채워주고 함께 물건을

통용하는 초대교회 사랑의 기독교를 실현시킬 수 있는 건강한교회로 세워져갈 수 있

다고 말하고 있다131)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교회의 건강성은 각 성도들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인식하고 각자에게 지도자로서

부여한 은사를 깨달으며 그 은사를 활용하여 서로에게 서번트리더가 되도록 권면하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요한복음 131~17을 통해 예수님께서 친히 겉옷을 벗

고 수건을 두르시고 제자들의 발을 하나하나 씻으신 후에 다신 옷을 걸치고 자리에

앉아 제자들에게 자신과 같이 행할 것을 가르치시는 모습에서 서번트리더의 모델을

찾을 수 있는데 우리는 다른 사람 위에 군림하도록 부름 받은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

들을 섬김으로써 예수님의 모범을 따르도록 부름 받았다 또 다른 서번트리더의 모습

은 인도함을 받는 리더 사랑 많은 리더 배우는 리더 잘 들을 수 있는 리더 다른 사

람들의 짐을 가볍게 해 주는 리더 계급구조를 내버리는 리더가 됨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한다132)

여기까지의 배움과 성장이 가능한 공동체 서로 사랑으로 돌보는 관계 섬기는

자의 삶은 모두 교회 내부에서 서로간의 관계를 세우는 요소들이다 이어서 Macchia

가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서 말하는 요소들은 세상 속에서 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에 관련된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131)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11132) Ibid 131

65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이어서 제시하는 내용은 교회의 세상과 관계회복을 위해 생각해봐야 할 부분과

함께 교회 조직을 어떻게 건강하게 이끌어갈 것인가에 대하여 다루고 있고 특별히 교

회마다 많은 갈등의 주요인이 되고 있는 행정과 재정적인 부분까지 다루고 있다는 면

에서 다른 이론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건강한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진리를 증거하고 그분의

사랑을 나타내기 위한 일에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교회라는 것이다 신자는 자신 안

에 일어나는 기쁨을 세상 속으로 흘려보내는 삶을 살아야 한다 이 기쁨은 단순한 감

정이 아닌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충만함의 결과로 나타나는 희락이다 이처

럼 세상을 향해 초점을 맞춘 삶은 성령의 도움으로 가능한 일로서 실용성을 지향하는

긍정주의와는 다른 것인데 사람들과 복음을 나누며 그리스도의 몸이 갖는 잠재적 본

성을 이용하여 먼저 믿는 우리가 서로 사랑으로 교제하고 떡을 떼며 기도와 예배와

공동체적인 삶을 통해 하나님을 찬미할 때 이를 통해 날마다 구원받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났던 사도행전적인 역사가 현재에도 일어나야 한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

도를 알도록 우리는 오케스트라의 악기가 되어 아름다운 음악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도구로서 세상지향적인 교회가 되어야 하고 이런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

하고 있다133)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의 자원 재정 그리고 조직이 성장과 사역의 개발을 최대한 지원할 수 있도

록 적절하게 사용되는 것이 교회건강의 중요한 요소라고 한다 많은 교회에서 정말

능력 있는 행정가는 담임목사가 아닐 수도 있다 담임목사들의 경우 교회행정에서 주

도권을 잃는 것을 용납하지 않지만 한 사람에게 너무 많은 책무를 부여하는 것보다는

목회자와 동일한 비전을 가지고 교회와 그리스도께 헌신된 사람을 주의 깊게 성령의

인도함을 따라 교회의 행정가로 선택하고 목사와 행정가가 긴한 관계로 이어진다면

133)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4

66

교회는 한층 건강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러한 행정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전략적

인 계획수립과 목표결정 하나님의 뜻을 이룸을 최선으로 하는 재정구조 계속적인 평

가와 권면 그리고 장기적인 사역에서 발생하는 변동요소들을 잘 관리해나가는 것들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134)

다 교회들의 연합

건강한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들이 서로 협력하고 자원을 공유하며

배움의 기회들을 높이고 서로 연합된 예배공동체를 이루어가도록 노력하는 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우리 앞에 놓인 사명을 교회가 이

루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필요를 실감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협력과 연합은 훨씬 더 효과적인 전도와 사역을 이루어낸다 각

교회들은 예배의 형식 교회정책 지역의 선호도 교회에 대한 기본적인 신학에 있어

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공통되는 요소를 발견함을 통해 도시단위 지역

단위로 연합할 수 있으며 그 지역 도시의 복음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수행해감으로써

우리가 섬기도록 부름 받은 지역을 위한 효과적이고 영속적인 영향들을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135)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자원들의 청지기라고 가르치며 그

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도록 충분히 관대한 희생의 마음으로 살아가도록 도전하는

교회라고 Macchia는 말한다 교회가 시간 재능 재정을 관대하고 선한 목적을 가지고

기꺼이 나눔으로서 물질만능의 세속적인 시대상을 극복할 수 있고 세상 속에 그리스

도의 몸 됨을 알리는 복음증거의 좋은 발판이 되어 진다 청지기정신은 지난 시대 속

에서는 개혁교회의 감춰진 주제였지만 갈수록 그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예

수님께서 ldquo네 보물 있는 그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마태복음 621 개역개정4

판)rdquo라고 가르치신 것 외에도 신구약성경 2000곳 이상에서 재정과 물질자원의 사용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더욱 이 주제에 대하여 교육하고 알려야할 이유를

134)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9135) Ibid 186

67

제시한다 자원은 나누어질 때 더 많은 열매를 거둘 수 있고 하나님은 기꺼이 나누는

사람을 사랑하신다 건강한교회는 우리들 각자에게 속한 자원들을 우리 자신의 것이

아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도록 잠정적으로 맡기신 것을 삶 속에서 실제로 실

천하도록 성도들을 이끌어가는 교회라는 것이다13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Schwarz는 그의 책 자연적교회성장의 서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서 교회를

유기체로 인식하고 외적 장애요인이 성장과 접한 관련이 있음에 대한 공헌을 하였

우리가 교회성장을 만들어 내려고 해서는 안 되고 오히려 하나님

께서 이미 교회에 부여하신 생명체적 잠재력을 풀어놓아 스스로

운행되도록 해야 한다 교회 내부나 외부에 존재하는 성장 장애

요인(환경장애)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교회 밖에 존

재하는 요인들은 우리가 다룰 수 없는 사항들이기 때문에 우리는

교회 성장과 부흥을 방해하는 교회의 내적 요인 제거에 초점을 두

어야 한다 그럴 때 교회 성장은 저절로 이루어진다137)

교회성장에 대하여 인위적인 방식이 아닌 하나의 생명체로서 교회의 성장을 방

해하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교회성장이 자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

고 이에 대하여 교회성장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를 주장하는 데에는 교회 성

장과 관련하여 큰 공헌을 한 점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이것을 교회의 건강으

로 연결하여 건강한교회는 성장한다는 원리로 규정짓는 데에는 교회건강에 대한 분명

한 개념정립이 다시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적 질적 특성을 구분할 때 양적인

것은 인간의 오감을 통해 쉽게 외부로 나타내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을 말하는 반면 질

적 특성은 그러한 체제 속에 담겨있는 정신과 비가시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의 양적인 성장이란 단순하게 교인들의 숫자나 건물의 크기 교회재

136)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1013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10

68

정의 규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교회 안에 있는 교인들의 신앙연륜 성경에 대한

지식의 정도 날마다 성경을 묵상하는 성도의 수 기도하는 시간과 같은 것을 포함하

는 개념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Schwarz가 말하는 질적 특성의 많은 부분이 실은

양적 특성에 해당하며 실제로 질적 특성이라 함은 비가시적이고 시간이 흐르면서 검

증되어야 하는 부분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Schwarz의 질적 특성의 8가지 원

리만을 가지고 교회건강의 정도와 연결시키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오히려 교회

의 건강이란 위에서 다룬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흐트러뜨리는 교회의 내적 요인과 외

적 요인이 없는 상태로서 질병이 제거되어 각 기관들이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함으로

써 교회존재의 본질적 요소인 소금과 빛의 사명을 감당하는 상태라 함이 건강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에 빗대어 더 바람직한 정의가 된다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또한 Schwarz의 이론 중 유익한 공헌으로는 큰 교회가 작은 교회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에 대한 실제 조사결과이다 교회성장과 관련된 170가지 변

수들 중에서 교회의 크기는 자유주의적 신학과 전통주의의 뒤를 이어 세 번째로 강한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사실과 실제 통계 조사로써 5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50

여명 정도의 소형교회들과 3000명 정도 모이는 대형교회들의 출석률 변화를 보았을

때 소형교회는 평균 출석수의 변화는 32명의 새신자가 생겼던 반면 대형교회의 경우

는 같은 기간 112명의 새신자가 생겼고 이를 상대적인 비율로 계산했을 때 소형교회

가 대형교회에 비해 1600퍼센트나 높은 성장가능성을 보였다는 사실을 알려준다138)

복음전도의 효과 면에서 소형교회가 대형교회보다 통계적 비율이 더 높다는 사

실은 대형교회일수록 자체시스템을 유지하는데 많은 자원을 사용하며 성도들이 자신

의 은사에 따라 일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139)

NCD 연구가 우리에게 끼치는 유익은 단지 이러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들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교회가 8가지 질적 특성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는 데에 있다

즉 세계 32개국 1000여개 교회를 대상으로 420만개의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것을

13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47139) Ibid 48

69

바탕으로 해서 각각의 질적 특성을 점수로 표시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했

다 따라서 어떤 교회든지 1명의 담임목사와 30명의 교인들이 설문지에 응답한다면

각각의 질적 특성에 대하여 구체적인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이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가장 낮은 질적 특성 최소치 요인이다 한 교회의 성장은 바로 이 최소치 요인에 의

해서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최소치 요인이 밝혀졌을 때 그것을 개선시키면 자연적

으로 거의 대부분(994 퍼센트)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140) 이러한 원리를 최소치 전

략이라 부른다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NCD측에서 제시하는 이론은 자본주의적 논리에 의해 들어간 비용 대비 이윤 창

출이라는 구조에 맞게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방법으로써 유기체의 건강을 다

루기에는 불충분하다 게다가 그 결과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도 25교단 1000개 교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많은 교회가 속한 평균 점수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평가점수

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부분은 교회건강이라는 목표를 다른 교회와의 비교를 통해 점

수를 매기는 방식으로써 전체 교회에서 그 교회의 점수의 위치는 알 수 있지만 상대

적인 기준을 가지고 그것을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평가하기에는 부적절하다 교회의

건강에는 절대적인 기준이 필요하고 그 기준은 물론 모든 지혜의 원천인 성경 속에서

찾아져야만 한다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이나 설문 모두 교회의 숫자적 성장을 중심동기로 하고

있는데 이를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으로 연결하는 것은 무리이다 이는 교회의 숫자적

성장 잠재력에 대한 평가이다 이 수치가 높을 때 교회가 건강하다고 하는 것은 논리

적 비약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부분은 사역자를 세우는 일에 있어서이다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들은 사역을 위해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기회와 권한을 부여하는 일에 중점을 둔다 그들은 평신도들

을 자신들이 설정해 놓은 목표나 자신들의 비전을 이루는 데 필요한 lsquo조력자rsquo 정도로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피라미드형의 권위구조를 거꾸로 뒤집어서 리더들이 교인들을

섬기며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부여해 주신 영적 잠재력을 개발하여 쓸 수 있도록

140)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81

70

돕는다 이런 목회자들은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자들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을 준비시키고 격려하고 동기를 부여하고 훈련시키는데 주안점을 둔

다 이런 지도자들은 교회의 수많은 일들을 자신들이 다 하느라 시간을 뺏기는 대신

그들의 시간을 제자훈련 권한 위임 그리고 재생산에 투자한다 이런 식으로 투자한

노력의 결과는 상상할 수 없는 성장을 가져온다 이것이 바로 영적 lsquo자생조직rsquo이 생겨

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141) 이처럼 교회의 건강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있음에도 교회

의 성장여부를 통해 목회리더십의 성취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교회건강을 성장이라는

열매와 과도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NCD이론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8가지 질적 특성이 모두 교회건강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이 아니라 교회성장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으로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지

표를 세운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각 특성들이 모두 결과물을 가지고 교회성장이라

는 열매를 맺었을 때의 지표를 기준으로 하여 교회건강지표를 만들었다 건강에 대한

정의가 성장이라는 결과를 통해서만 측정하고 있다 교회가 건강하면 반드시 양적인

성장이 뒤따른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이 연구조사에서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을 조사해서 그 교회

의 괄목할만하게 외부로 드러나는 특성을 조사해서 그 중 높은 수치를 기록한 8가지

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교회의 특성이라는 주장은 다분히 시작과 과정이 배제

된 체 결과만으로 판단하는 주장이다 교회가 성장하던 도중 외적규모의 정체가 일어

날 때 그중 낮은 점수를 기록한 특성을 보완하면 다시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고 이것이 건강이 회복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라면 수적으로 비교

적 작은 교회 목회상황 자체가 다른 곳 더 이상 유동인구가 없어서 성도수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특수한 곳에서의 건강한교회란 이루기 불가능한 요원한 일이 될 뿐

이다 그러므로 NCD와 Wagner의 이론 모두 특정한 장소 특정한 규모의 교회에 적용

했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지역교회가 반드시 성

장을 이루어야만 건강한교회라는 결론은 객관적이지 못하다

141) Christian A Schwarz 윤수인 역 자연적 교회성장 23

71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교회가 속한 노회나 교단에서의 다른 교회와의 관계가 중요하며 더불어 교회와

주변 사회(이웃)와의 관계와 평가 또한 중요한 교회건강의 요소이다 수적으로 거대해

진 교회들마다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공예배 때마다 지역

주민과 심각한 주차갈등을 겪는 도심대형교회의 경우를 예로 들더라도 지역사회와 상

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교회를 단지 양적으로 성장했고 8가지 질적 요소를

충족시켰다는 이유로 건강한교회라 지칭하는 것은 억지스런 주장이다 교회는 존재

자체로도 물론 의미가 있지만 사명공동체임을 생각할 때 교회가 자신의 사명의 대상

으로서 세상 속에서 외면당하고 있다면 그곳에서 교회의 건강을 논하는 것은 주변 이

웃들과 먼저 화해한 후에 예배의 자리로 나오도록 말씀하신 예수님의 권면과도 맞지

않다 교회의 건강을 논하기 위해서는 세상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분명

살펴야 한다

그리고 교회는 개별적인 존재로서의 교회이기도 하지만 지상의 모든 교회는 그

리스도를 몸으로 연합체로서의 교회의 특성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서로 경쟁

의 대상이 아니다 교회와 이웃과의 관계 뿐 아니라 교회와 다른 교회와의 관계 또한

해당 교회가 건강한교회인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요소일진데 지금까지 살펴본

Schwarz와 Wagner의 이론에서는 배제되어 있다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양적 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의 기준으로 삼던 앞선 두 이론들과 달리 Anderson과

Macchia는 성장이라는 요소 자체를 배제한 체 교회가 내부 외부적으로 어떤 관계 속

에 있는지를 중시하고 있다 Anderson의 경우는 지역사회의 관계에서 교회의 평판을

통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지역사회와의 관계맺음에 대해 별도

의 특성을 규정지음으로써 세상과의 관계에 대하여 많은 강조점을 두고 있다

Macchia의 이론이 여타 교회건강이론과 다른 점은 세 가지 관계의 회복 측면에

서 교회의 건강을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다142) 그래서 구분 자체부터 하나님과의 관계

142)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3

72

요소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로 나누어 건강한교회로 세워

져가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관계위주의 기준을 가져야함을 말하고 있다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한국교회 상황에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중대한 문제의 대부분이 실제로 교회 행

정과 재정문제에서 불거지고 있음이 현실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교회행정에 대해 목

회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위임함으로써 건강한교회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부분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많은 한국교회들의 재정 권한이 담임목회자나 소수의 상위 리더

십에 집중되어 있기에 일어나는 어려움들을 두고 건강한교회로의 나아감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기에 교회의 재정 관리는 일정한 전문가를 통해 사역을 해나가고 평가와

권면으로 보호하는 구조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거기에 마지막 요소로 이야기한 청

지기정신은 그러한 재정 관리에 더더욱 필요성을 제기하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예수님의 제자들이 미리 겪었던 갈등과 같이 성도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운 부분

들 중 하나는 서로 비교하고 시기 질시하는 현실에 대한 것이다 교회 안의 한 지체

임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몸과 같이 사랑하기는커녕 비교하며 서로를 깎아 내리려는

구조가 존재함을 2장에서 잠시 다루었다 특히나 한국교회에서는 서로를 향한 섬김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성도의 관계는 사랑과 섬김이면 어느 정도 회복이 가능한 부분이

다 목회에서 가장 힘든 때가 건축과 직분자를 세울 때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교회

안에서마저 경쟁과 비교로 직분을 감투로 여기며 끝나지 않는 갈등요소를 품고 있는

현실에서 lsquo섬기는 자가 큰 자rsquo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에 충실한 서번트리더십의 개발은

질병이 없는 건강한교회를 위한 필수적이 요소라 할 수 있다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다음 표는 위에서 연구한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의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을 Schwarz의 이론을 기준으로 유사한 것들끼리 모아 놓은 표이다 최대한 유사

73

점을 찾아보았지만 그 안에는 서로 다른 점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교회 내부의

문제를 제대로 분석하여 최소치이론을 가지고 교회의 성장 가능성을 연구한 면에서

Schwarz의 이론이 중심이 된 NCD의 건강한교회의 특성에는 나름대로의 균형과 포괄

적인 교회 내부에 대한 분석이 있음에도 교회의 본질과 사명이 내부 외부가 모두 균

형 잡힌 건강한교회의 필수 요소라는 점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긍정적인 목회자 제자 삼음 영적인 제자훈련

은사 중심적 사역잘 동기 부여된

평신도영적 은사의 훈련

열정적 영성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기능적 조직

영감 있는 예배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전인적 소그룹 동질집단의 원리

필요중심적 전도

효과적인 전도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사랑의 관계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기타요소들 성경적인 우선순위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하게 반응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연합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표 1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74

오히려 10가지 특성과 이를 세 가지 관계적인 면에서 나누어 주장하는 Macchia

의 교회건강이론은 교회의 본질적인 면에서 하나님과의 관계 세움을 추구하는 영성적

인 측면과 교회 안에서 성도들의 관계를 강조하는 성도들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해 지

적하고 있으며 교회의 사명적인 측면에서 지역사회에 속한 교회의 역할을 보충함으로

써 본질과 사명을 모두 포함하는 교회건강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이

세 가지 관계적인 측면에서 교회건강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건강한교회와 그

렇지 않은 교회를 구분하는 기준 또한 외부적인 성장을 가지고 논하기 보다는 교회가

추구하는 관계성143)의 성취 여부를 기준으로 교회건강여부를 결정해야한다고 주장한

Schwarz의 이론과 비교했을 때 Wagner의 이론은 상당부분 구분상의 유사성을 가

지고 있다 Anderson의 이론은 여러 요소를 축약한 흔적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강조

하고 있다 그러면서 발견된 특이점은 표에 밑줄 친 요소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관계

성에 대한 것들이다 밑줄 친 특성들은 다음 장에서도 다루겠지만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적 요소라 할 수 있는 것들인데 직관적으로만 보기에도 많은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들은 사실 관계성에 대한 주장을 이미 내세우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이 이론을 활용할 때 관계에 대한 강조점을 단지 교회성장을 위한

도구로 오용한 면이 없지 않다 Schwarz의 교회성장 이론에서 다루는 8가지 질적 특

성 중 소그룹과 사랑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이미 교회 구성원들의 관계가 교회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43) 관계성(Relationship)의 정의에 대하여 사전적인 의미로서 관계(關係)는 둘 이상의 사물 사람 현상 등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특별히 둘 이상의

사람들 사이가 우호적인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관련됨을 추구하는 성향 또는 정신이나 마

음으로 관계성을 정의하려 한다

75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지난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이론들 중에서 Leith Anderson과

Stephen Macchia의 주장을 통해 교회공동체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의 건강성이 교회 전

체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특징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Macchia의 경우는 그

러한 관계를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분야로 구분지어 세 관계 모두가 적절

하게 건강해야 건강한교회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음으로는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을 위해 치유회복 사역을 하고 있는

세 단체를 살펴보고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관계성 중심의 사역에 관한 내용과 특징

을 살펴보려 한다

1 온누리교회의 예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온누리교회는 한남동 한국기독교선교원에서 故하용조 목사를 중심으로 12가정이

모여 기도하며 제자훈련을 시작하면서 세워진 교회이다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

를 꿈꾸며 성경적인 교회론을 토대로 목회방향을 설정하였고 1985년 10월 6일 78명

의 성도가 모여 온누리교회 설립예배를 드렸다 온누리교회의 목회 비전은 한마디로

Acts29 비전이다 교회를 시작할 때 주셨던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의 비전을 새

롭게 하고 구체화한 것이 Acts29 비전인데 Acts29란 사도행전 29장을 의미하는 것으

로 사도행전은 끝나지 않았고 계속 씌어져야 함을 뜻하며 사도행전 28장 이후의 기

록이 바로 이 시대 교회들의 기록이 된다면 온누리교회를 통해 기록되기를 원하는 마

76

음에서 Acts29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144)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한국의 대표적인 교회 중 하나인 온누리교회의 관계성 프로그램은 크게 두 가지

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회복사역과 가정사역이다 회복사역은 영적 정신적 육체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건강한 인격체로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자신과 같은 어려움

을 겪는 사람들을 돕는 사역자로 설 수 있도록 도우며 궁극적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

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예배자로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종류로는 자신

을 이해하고 성경적인 정체성 회복을 돕기 위해 역기능가정 자존감 숨겨진 아픔 용

서와 축복의 주제로 구성된 자아회복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회복을 통해 혼자서도 안

정된 관계를 세워가도록 돕는 동반의존 소모임 자신의 관계성을 돌아보며 건강한 관

계를 유지하고 발전을 위한 관계회복 소그룹 등이 있다145)

가정 사역 분야에는 하나님께서 꿈꾸는 아름다운 가정의 모델을 성경적으로 제

시하고 여러 훈련과정으로 짜여진 하나님의 가정훈련학교 이론과 실제를 통해 성경

적인 바른 가정을 세워가도록 돕는 젊은 부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부부간의 관계를

진단하고 치유와 개선을 돕는 코칭 프로그램인 아름다운 동행 그리고 사별에 의해

혼자된 성도가 영적치유와 회복을 경험하도록 돕는 야베스맘(여성사별자모임)과 이혼

자가 겪는 아픔과 상처를 함께 돌보는 이혼자치유학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46)

대부분의 한국교회가 그러하듯 온누리교회의 관계중심 프로그램은 주로 회복과

돌봄을 목적을 가지고 실시되고 있는데 소그룹 코칭 상담의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

다 그리고 이루어지는 사역이 주로 사후 회복과 돌봄에 대한 것으로 여러 가지 다양

한 가치들이 혼재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뒷전에 려있는 관계성에 대한 사

회적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144)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145) 온누리교회 홈페이지 참조 2013년 정기모임 안내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 groups146)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참조

77

2 뉴욕관계학교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관계학교는 뉴욕청소년센터의 스텝들을 훈련시키며 시작되었다 그 후 청소년센

터 상담 사역부로 활동하다 lsquo뉴욕관계학교rsquo라는 이름으로 독립해서 뉴욕청소년센터의

협력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는 단체이다 목회자반(15주) 사모반(15주) 셀그룹 리더반

(15주) 청소년사역자반(15주) 부모반(10주) 부부반(10주) 교사반(8주)으로 나뉘어 정

규 과정반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lsquo찾아가는 공개강의rsquo도 진행하

고 있으며 대표는 김사훈 박사가 맡고 있다14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남편의 아내에 대한 정서적 지지가 건강한 결혼 생활을 만들고 바로 그 지지가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태도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강조하는 김사훈 박

사148)는 또한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모델이 되려할 때 거기에는 부모를 모방하며 시

행착오를 경험할 수 있는 충분한 자유와 책임감의 부여가 필수적임을 겸하여 강조하

고 있다 김박사에 의해 설립된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 부모자녀의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 관계학교에서 시행하는 공개강좌의 경우 lsquo관계

와 영성rsquo이라는 주제로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이 강좌의 진행도

주로 모든 관계의 원시경험을 제공하는 가족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관계는

피할 수 없는 도전으로서 자신과 하나님과의 관계 교인과 교인관의 관계 목회자와

교인과의 관계 교인의 가정에서의 관계 등이 건강하게 이끌어 질 때 결국 건강한교

회가 될 수 있다는 기치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비전을 가지고 사역중이다149)

뉴욕관계학교의 경우는 사후 회복사역과 더불어 사전 준비교육으로서 관계에 대

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소그룹 인도에 대한 교육은 시대흐름에 필요한 교

147)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기사 인용148) 목회상담 전문가 한국기독교 상담 심리치료학회 전문가 상담실 로뎀나무아래 대표

149)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기사 인용

78

회의 변화를 이끌어 가는데 나름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 교회들의 호

응이 그다지 적극적이지 못한 이유로 초반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으로 소개할 관계학교 유형은 비록 기독교적 신앙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지

만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루고 있는 스웨덴 비영리 단체가 운영하는 웹기반

의 온라인 관계학교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3 웹 기반의 관계학교

가 온라인 관계학교의 소개

The Relationship School은 여러 가지 관계 속에 있는 이들이 영감을 얻고 실제적

인 도움을 받으며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들을 습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온라인

강의들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스웨덴의 한 비영리 단체이다 제공되는 논문과 영상

강의들은 Filippa와 Markus에 의해서 대부분 제작되었다150) 시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어디서든 접근이 용이하도록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으며 온라인피드백을 위한

각종 사이트들과 연결되어 있다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The Relationship School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은 총 26개의 클래스가 있고 그 내

부에는 강의마다 자신의 상황들을 점검해보고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소개 글과

관련 논문 그리고 영상 강의로 구성되어 있는데 26가지 강의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150)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79

l 관계의 세 가지 단계들

l 이해하는 것과

이해받는 것

l 사랑의 강을 건너는

다리

l 네 가지 위험신호

l 상호거래적인 분석들

l 조절

l 마음표현의 놀라운 힘

l 인간의 필요들에 대하여

l 필요 이상의 것

l 돈과 사랑

l 나부터 시작해서

우리로 나아가기

l 신뢰와 존중

l 남자에게 편지쓰기

l 관계들 속의 투사

l 피드백

l 극단성과 열정

l 관계의 유형

l 관계게임의 규칙

l 회상에 대하여

l 변화

l 갈등과 갈등다루기

l 가치 있는 것

l 관계에 대한 지식

l 사랑과 친밀감

l 긍적적 부정적

소용돌이

l 삶의 균형 잡기

표 2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위와 같은 강의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삶이 다음과 같이 변화될 수 있기를 바라

는 그들의 목적을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사람들이 아침에 일어나 마음을 두근거리게 하는 긍정감정을 느끼

고 어른들이 자신의 상황에 대하여 스스로가 책임을 지겠다는 다

짐을 하고 아이들이 지속적이고 삶을 풍성하게 하는 관계들 속에

있을 그 때가 바로 우리들이 이 메시지를 통해 바라던 우리의 최

종 목적이 달성된 것입니다151)

위 사이트의 경우 인터넷이 연결된 어디에서든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과정들을

숙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고 다양한 관계들 속에 응용할 수 있는 영역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번역된 자막이 따로 없어서 영어권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강의내용

은 주로 심리상담 분야를 통해서이고 시공간적 제약이 없이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

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도 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하여 강의 내용이 새로운 업데이트가

되지는 못하고 있다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지금까지 관계사역에 대해 힘쓰고 있는 세 단체의 사례를 살펴보았는데 그들이

가진 몇 가지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1)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80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관계사역을 구성하는 커리큘럼의 내용들이 회복과 치유에 집중되어 있다 이혼

자 사별자에 대한 위로가 필수적인 사역임에는 틀림없으나 그 전에 이혼까지 이르지

않도록 예방을 위한 사역 또한 함께 진행할 필요가 있다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관계

라는 부분이 문제가 생겨나고 그것이 외부로 드러나기 전까지는 잠재되어 있는 경우

가 많고 그 속에서 상황이 상당히 악화된 뒤에야 치료를 위한 훈련과 더불어 예방과

그 과정 중에서도 충분히 서로를 개방하고 점검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

이 현실이다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관계성이라는 분야가 심리상담학의 발전과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 부분이기에

대부분의 관계에 대한 회복과 훈련에 인문학적인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위

사례를 비롯해서 많은 한국 교회들이 여건이 되는 데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단연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곳은 가정회복에 대한 내용이다 그만큼 가

정문제 자녀교육의 문제가 사회 전반적인 어려움으로 교회마다 부부관계 부모자녀관

계의 회복을 위해 각종 양육프로그램을 세워가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그럼에도 관

계라는 것이 대상에 따라 한 형태로만 회복되는 것이 아닌 유기적으로 다양한 관계가

모두 포괄적으로 회복될 때 제대로 된 치유가 가능한데 이처럼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돌아보고 점검하며 방향을 제시해주는 곳은 기존의 교회 관계사역에 대한 리서

치 과정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다 관계는 신앙 가정 사회 교회 직장 학교 속에서 다

양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고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러므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전인적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1 프로그램의 동기

성화의 과정으로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우리가 이 땅에서 살아가는 동안 만나게

81

되는 모든 만남에서 어떻게 하면 건강한 만남을 가지고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교

회를 이루어 갈 수 있는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은 관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다 어떻게 교회 공동체를 관리하는가에 대해 경영학적인 입장이 아닌 사회학적인 입

장에서 개인의 유기적 연결에 집중한다면 결국 교회의 건강은 건강한 성도들의 연결

이라는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강은 질병이 없이 본연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는 것이다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

는 바탕은 구성원들로서 성도의 건강한 관계성에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

면 건강한 관계를 이룰 수 있는 것인가 건강한 관계를 위해서는 선험적인 앎이 필요

하다 선험적인 앎이란 관계의 창조자가 가지신 생각에 대한 인식이다 그러므로 건강

한 관계를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하나님께서 관계를 어떻게 지으셨고 무엇을 원하시는

가에 대한 기본적인 훈련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관계학교를 제안하려

한다 필자가 제안하는 관계학교는 기존 성도들을 포함하여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함께 하는 개개인 모두가 기본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서 일정한 훈련기간을 가

지고 입학과 졸업이 명확하며 일정한 기준을 성취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

된다

여기에서 다른 많은 명칭들이 있음에도 학교라는 친숙한 명칭을 사용한 의도는

입학과 졸업이 분명하고 성취도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고 각 개인에게만 교육의 성취

에 대한 책임을 맡기지 않고 모두가 일정한 수준 이상의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교

육 주체 또한 교육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도록 힘써야 하는 존재

임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서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관계학교는 이전 장에서 다루었던 Macchia의 건

강한교회의 10가지 특성에 대한 이해와 Anderson의 6가지 특성들 가운데 관계성을 드

러내는 요소들을 취합하여 그 내용을 구성해보려 한다 또한 사례연구에서 살펴보았

던 여타의 기존 관계회복 프로그램들이 이미 중점을 두는 분야를 재론하기보다는 성

도들이 현장에서 살아가면서 얽혀있는 주변관계의 전반을 다루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프로그램의 방향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82

위의 관계프로그램 사례연구에서도 살펴본 것처럼 대부분의 관계회복 프로그램

이 상담신학 기반에 시행되고 있다 이 또한 현대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접근이다 필

자는 Bonhoeffer의 ldquo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될 때 그곳에는 하나의 공동체가 세워지며

이사야 5511의 말씀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은 기독교적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 안에

역사하며 교회는 또한 하나님과 말씀과 깊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성도의 공동체는 결

국 말씀의 활동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rdquo152)라는 명제를 바탕으로 성경중심의 관

계학교 프로그램을 제안해 보려 한다 건강한교회를 위한 모든 시도는 하나님의 말씀

인 성경에서부터 비롯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교회의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의

모든 커리큘럼의 구성을 성경중심으로 편성하고 있다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본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짧은 차시 안에 모든 영역을 깊이 있게 다루는 것

은 어렵겠지만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관계 요소의 전반적인 부분을 다루어보고 함께

생각을 나누며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보려 한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부

정적인 면을 감쇄시키는 방향의 훈련이 아니라 이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긍정적

요인들에 대한 강화의 방향을 갖는 것이 이 관계훈련의 목적이다 매주 한 회기씩 8

주 동안 진행될 관계학교의 모든 과정은 지향하는 목적이 성도들의 관계훈련에 있는

바 매 회기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실제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현장은 지극히 평범하고 쉬운 사고를 좋아하는 일반성도일 경우가 많다 게다

가 한국교회 현장은 감성적 접근이 효율적인 여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게 형성되어 있

다 교육이라는 말 자체가 갖는 부담감을 극복하기 위해서 실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커리큘럼은 최대한 성도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학문적인 용어와 내용구성보다는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것들로 진행하려 한다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관계의 문제는 모든 현대인의 고민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에서 시행하되 지역사

회 전체에 홍보를 통하여 관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성경을 그

152) Dietrich Bonhoeffer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238

83

저 일상적인 삶과 무관한 기독교의 교리서신이 아닌 일반인 모두가 듣고 지혜를 얻을

수 있는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한국의 2030 세대는 어려서부터 사교육을 강요당하고 청소년기에는 공부 기계가

되었으며 대학생이 되어서는 학점 관리하고 스펙 쌓느라고 그 좋다는 청춘 시기의

낭만조차 맛보지 못한 채 사회로 내몰린다 그러나 이들은 분명 그들만의 잘못이 아

님에도 취직을 못 했다는 이유로 동년배들에게서 존중받지 못하고 사회에서도 존중받

지 못하며 심지어는 가족에게서조차 존중받지 못한다 그 결과가 청년 고독사라는 믿

을 수 없는 현실로 나타나 갈수록 젊은 청년들이 젊은 나이에 월세가 몇 달째 린

쪽방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믿을 수 없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153)

그러한 세상 가운데 교회에서 lsquo관계학교rsquo라는 일반인에게도 공감할 수 있는 프로

그램을 가지고 나아간다면 좋은 접촉점이 될 수 있고 교회의 문턱을 낮추어 비신자에

게로 다가가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게다가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내용 또한

우리의 일반적인 삶의 이야기이기에 이 기회를 통해 전도대상자들과 신뢰관계를 형성

할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도 좋을 듯하다

3 프로그램 시행준비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다음은 교회 내에서 관계학교를 시행하기 전에 모든 성도들이 자신의 관계를 돌

아보고 교육에 대한 필요와 동기를 가질 수 있는 몇 가지 설문을 제시하려 한다 따

로 문서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되던 주보의 공간을 활용하여 관계학교 개설에 대한 광

고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참여를 독려하며 동기 부여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관계학교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은 다음과 같다

lt 당신의 관계들에 대하여 확인해 봅시다 gt

1 당신은 가족을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친한 우리는 함께 있는 것 그리고 서로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

아한다

화목한 서로 어울리기는 하지만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한다

153)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32

84

말이 없는 아무도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삶을 나누지 않는다

불신하는 가족들 사이의 관계는 대체로 서로 시기하며 적의를 품

고 있다

2 다음 중 친한 친구나 가족과 있을 때 당신을 가장 잘 표현한 내용은 무

엇입니까

자연스러운 편하게 느끼며 자연스럽게 행동한다

열린 내가 믿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소극적인 사람들이 먼저 말을 걸어 주기를 기다리는 편이다

갈등하는 믿는 것에 항상 굳게 서 있는 것은 아니다

불만스러운 아무도 나를 이해해 주지 않는 것처럼 느낀다

3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당신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어느 것

입니까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민감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를 이해심

이 많은 사람으로 생각한다

나는 깊이 있게 나누지를 못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대체로 피상적이다

나는 다른 사람을 아무렇게나 막 대한다 그래서 쉽게 화를 내서

갈등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나는 다른 사람과 갈등을 겪을 때 이를 쉽게 해결한다

나는 가능하면 조화를 이루고 싶기 때문에 비그리스도인 친구 앞

에서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것을 억제한다

나 소그룹 리더교육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먼저 전체 프로그램 내내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할 소그룹

의 리더들을 세우는 것부터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 기본적인 신앙이 제대로 세워져

있고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진 소그룹리더를 선발하고 교육하는 일의 전체

관계학교 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교육의 많은 부분

이 소그룹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소그룹 인도자의 훈련이 선행되어

야 한다 4단계로 진행하며 그 내용은 성경적 이해 인도법 문제해결 요령 리더의 중

요성과 자질의 순서로 구성해 본다 각 차시들을 구성할 간략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

85

소그룹리더를 위한 교육에서 첫 번째 차시는 소그룹의 기원에 대하여 구약과 신

약 성경의 내용을 통해 이해하는 시간이다

먼저 구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습은

1 창세기 218~25 본문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지으신 뒤 가정이라는 소그룹

을 만드시는 장면인데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을 좋지 못하다하시며 관계의

시작점을 만드시는 내용이다 최초의 가정 소그룹을 만드신 분은 하나님

이시다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소그룹의 일원으로서 하와를 지으신 뒤 어

떻게 하셨는가 그리고 아담은 하와를 보고 어떻게 반응했는가 아담에게

로 데려가셨고 하와를 극찬으로 반응하였다

2 소그룹은 인간 공동체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이다 본문에 기록된 결혼

원리를 통해서 소그룹은 하나님께서 설계하신 창조물임을 보게 된다 이

것이 구약성경에 나타난 인류 최초의 소그룹이다

3 출애굽 후 모세의 장인 이드로의 제안으로 시작된 천부장 백부장 오십부

장 십부장 형태 또한 구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델로서 힘든 광야

생활에서 백성들의 결속과 관계의 효율을 추구하였던 예가 된다

이어서 신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전형적인 모습은

4 예수님께서 직접 뽑아서 훈련하고 파송한 열두제자 소그룹이다 예수님의

지상사역은 결국 열두 제자를 부르시고 그들과 함께하신 이야기이다

5 사도행전은 성령강림으로 시작된 초대교회가 성전교회와 가정교회라는 이

중구조 안에서 진행되며 발전된 모습을 곳곳에 소개하고 있고 이 내용은

에베소교회와 로마교회의 시작인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의 가정소그룹의

배경을 기록하고 있다154)

두 번째 차시는 지도자의 자세와 소그룹 인도를 위한 내용이다

1 마태복음 23장 3~11절을 보면 예수님께서 당시 지도자적 위치에 있던

이들의 모습을 거울삼아 제자들을 가르치는 부분이 나오는데 우리가 선생

님(랍비) 혹은 지도자라 불리기를 즐겨하지 말라고 가르치신다 그 이유

154)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17

86

는 우리는 모두 다 한 아버지 아래에서 한 형제이며 지도자는 한분 오직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이라고 말씀한다 또한 올바른 지도자는 섬김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이다 예수님이야말로 이러한 섬김의 모범

을 보이신 분이다(빌 26~9 참조)

2 소그룹의 인도는 준비단계 성경공부 개인적인 적용과 나눔 기도라는 4

단계로 구성된다 시간도 최장 2시간이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잘 들어주기 관찰하기 정리하기 본이 되기 집중하기 성령

충만함을 구하기의 몇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155)

3 이와 함께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모임을 미리 계획하되 그 계획한 것에

맞추느라 쫓기듯 진행하지 말아야 하며 흔히 생길 수 있는 잠시의 침묵을

당황하지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성령의 인도하심에 민감하며 반응하면서

각 사람들 하나하나를 존중하고 고무시키는 방향을 유지한다면 소그룹이

지향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함을 나눠본다

세 번째 차시에서는 소그룹을 이끌어 가면서 생겨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소그룹

지도자들이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대해 다루게 된다

1 흔히 생겨나는 문제로는 미묘한 파벌형성 흥미와 즐거운 모임에만 치우

쳐서 본래의 방향성을 상실하거나 때로는 소그룹 구성원들의 필요와 기대

를 어긋나서 소그룹이 운영되는 경우 등이 있다

2 이외에도 사람들의 모임이기 때문에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구성원들 간

의 대인관계의 어려움이라든지 지도자가 훈련과정에 있을 때의 비효과적

인 지도력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3 이러한 문제에 대한 최선의 반응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든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마음을 이끌어내야 한다

4 그리고 언제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인 모임의 기본 규칙으로서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마칠 수 있어야 한다 중간 중간 제기되는 논쟁의 불씨

가 될 수 있는 토론을 회피하는 기술도 필요하다 일단 문제가 발생한다

155)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35

87

면 다음 자리를 기약하지 말고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그 자리에서 처리해

야 한다

3 사람은 문제의 해결을 통해 성숙하는 것처럼 소그룹 또한 문제를 잘 다루

고 지혜롭게 처리해낸다면 이후보다 소그룹 전체가 성숙됨의 자리로 나아

갈 수 있음도 주지해야 할 내용이다156)

4 소그룹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중 가장 빈번한 것이 서로의 기질의 차

이 비교의식 신앙스타일의 상이함으로 유발되는 갈등상황이다 현세대를

lsquo갈등회피세대rsquo라고 부르는 이들이 있는데 갈등은 피할 것만이 아니라 온

유한 언어의 사용과 용서 그리고 믿음의 기도를 통해 극복된다면 그 잠

재적 유익은 소그룹의 결속에 강한 촉매제가 된다157)

네 번째 차시에서는 데살로니가전서 2장 5~12절 말씀을 묵상하면서 믿음의 지

도자에 대한 구체적인 실례를 나누어본다

1 7절과 11절 말씀을 통해 소그룹 지도자가 추구해야할 모습은 유순함과

더불어 7절에서 예로 든 lsquo유모가 자녀를 위해rsquo 헌신하는 모습처럼 구성원

들을 대할 수 있는 존경받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개발해 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소그룹에서 리더는 그 모임이 나아가야할 미래의 모습을 제시하고 구성원

들을 함께 성장시키며 최종 목적을 이루어 갈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자질

과 능력을 한데 모으는 역할을 감당한다

3 이를 통해 얻어낸 결과물을 함께 구성원들이 누릴 수 있도록 배분하는 역

할도 감당하게 된다 그래서 소그룹은 지도자의 모습만큼 자라날 수 있기

에 지도자는 소그룹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해내야 한다158)

4 이러한 소그룹 지도자에게는 부르심에 대한 확신과 함께 몇 가지 자질을

갖추도록 해야 하는데 성숙된 신앙인으로서 늘 주님과 가까이 하는 삶을

살아야하고 사랑 중심의 성품을 개발시켜야 하고 자신의 부족함을 잘 살

156)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1157) Jimmy Long IVF자료 개발부 편역 소그룹리더핸드북 (서울 IVP 1996) 121158)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7

88

펴 늘 겸손함으로 노력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

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구성원들이 스스럼없이 말할 수

있도록 이끌며 혼자만의 지도력이 아닌 함께 일구는 팀워크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자질이 요구된다

이상은 관계학교를 진행하면서 4~5명 정도로 편성될 소그룹을 이끌어갈 리더들

을 위해 말씀을 중심으로 소그룹을 인도하도록 하기 위한 간단한 교육 내용이다 소

그룹 리더의 경우 일단 기본적으로 신앙에 대한 연륜이 되어있어야 하며 관계학교를

이끌어가는 목회자와 계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 전반에 대한 상황을 그때그때 전

달할 수 있도록 지혜로움을 배양시키는 훈련은 필수적이다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양적성장을 기준으로 한 건강한교회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지금까

지의 문제제기와 신학적 연구를 거쳐 실제 목회현장에서 대안으로 제시해볼 수 있는

관계학교에 대한 개략적인 교육내용을 제안하려 한다 전술한 것처럼 이 프로그램은

주로 성경본문을 강의의 주된 내용으로 삼고 거기에 동기유발 질문과 적용과 나눔의

시간을 통해 교육생들이 관계에 대한 지평을 넓혀가는 과정으로 구성해 보았다 학교

라는 명칭이 갖는 일정수준이상의 성취가 객관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각 차시의 마

침에서 확인질문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소그룹 활동을 통해 진솔한 대화가 나누어지도

록 진행하는 요령이 필수적이다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총

10주에 걸쳐 소그룹편성으로 진행된다 강의 내용은 시작단계에서는 그동안 자기 안

에 있던 관계의 문제들 교회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단절과 갈등 속에서 제대로 반응

하지 못했던 자기 모습을 돌아보면서 관계에 대한 훈련이 필요함을 인정하는 단계로

부터 시작해서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의 이웃들 그리고 가장 가까이에 있는 가족들

과의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가르침을 함께 학습하며 토론 나눔 격려를 통해 9주를

학습한 뒤 마지막 10주째에는 이 모든 가르침을 통해 이루어야 할 건강한교회는 결국

사명공동체로서 세상 속에서 전도와 선교의 삶을 섬기는 자로 살아가도록 서로에게

89

도전함으로써 마무리를 짓게 된다

1 교육 과정 편성

이처럼 전체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차시별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서 서술하고자 한다

2 성취기준

관계학교를 통해 이루어가고자 하는 전반적인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다

l 좋은 관계는 당연한 것이 아닌 노력을 필요로 하는 열매인 것을 배운다

l 건강한 관계는 모두 하나님과의 건강한 관계를 맺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한국인에게는 쉽지 않은 자기 개방의 활동을 통해 성도들과 좋은 관계를 시작할 수

있다

l 갈등은 중요한 전환점을 위한 생산적 과정으로 여기고 관리를 통해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나갈 수 있음을 배운다

l 그리스도인이 세상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의 모델을 배운다

l 관계의 황금률이라고 불리는 마태복음 7장 12절에 대해 배운다

l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을 통해 건강한 관계를 배울 수

있고 세대를 넘어 전수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건강한 가족관계야 말로 건강한교회 공동체를 위해 이 시대에 가장 절실한 과제인

것을 확인하고 배운다

대주제(영역) 관계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

소주제

(핵심개념 또는

학습주제)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 각 영역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발견하기

일반화된 지식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

중점 함양 역량 상호이해와 의사소통 그리고 개방성의 증대

90

3 차시별 강의계획

이어서 10차시로 구성된 관계학교의 각 차시별 학습내용을 표로 구성해 보았다

구분 차시 영역 주제 기능 성취도평가

건강한

교회를 위한

도움

주제

발견1

관계안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고

인정하기

시작하기 자기평가 자기이해

주제

학습

2

하나님과

의 관계

복음과 믿음으로 시작된

하나님과의 관계

정체성수

립소그룹활동

구원의

확신

3 하나님의 친밀감을 통해

애착관계 형성하기수용하기 자기평가 신앙의 성숙

4

성도와의

관계

용납과 용서 표현하기 소그룹활동

열린

공동체로의

나아감

5 갈등관리 조절하기 소그룹활동내부

갈등해결

6

세상과의

관계

의사소통 낮아지기 자기평가외부지향적

당위성부여

7대접받고 싶은 데로 먼저

대접하기대접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이웃사랑의

실천

8가족과의

관계

타인이해를 통해 가족

이해하기이해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서로의

차이를

이해

건강한 가족 속에서 관계의

완성실행하기 소그룹활동

건강한

가족공동체

주제

적용9

주제

실천10 실천 섬김과 돌봄 반복하기 실제 활동 재생산

표 3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91

4 진행상 유의점

l 학교라는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예습과제와 복습과제를 충실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동기를 부여한다

l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과 경험을 고려하여 강의자의 일방적인 흐름이 아닌 학습

자의 나눔을 통해 교육이 더욱 풍성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교육적 요소들을 잘 활용하되 성경적인 배경과 범위 안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l 각 차시마다 실천과제를 두고 적절한 확인을 통해 교육기간동안 자신 안에 일

어나는 관계의 변화를 서로가 확인해 주며 체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각 시간마다 나누어지는 간증과 나눔에 대해 철저하게 교육생 내에서만 비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강조를 반복한다

5 본시 강의의 설계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관계학교 강의가 시작되기에 앞서 참가학생들과의 개별적인 면담이나 주변 지인

을 통해 해당자의 관계에 대한 사전지식을 평가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정도로 구성되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전체 진행에서 교육의 내용을 조절하고 특별히

관심이 집중되어야 할 참가자를 구별하여 함께 기도함으로써 참가학생들에 대한 실태

분석과 강의 방법을 선정해 볼 수 있다 아래는 그 내용과 방법이다

구분 조 사 내 용 상 중 하 실태분석 및 교육방향

지식

건강한교회를 위해 요구되

어지는 것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일반 성도들과 지역사회

참가자들로 구성된 교육

생의 관계에 대한 이해

도를 파악하고 그에 적

절한 수준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내용과 깊이

의 정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한다

경험 관계에 대한 교육이나 훈

련을 받아본 적이 있는가

필요

자신의 삶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관계들의 목표는

무엇인가

92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한 주간 중 정한 요일에 서로가 약속한 시간을 통해 1차시씩 10주 단위로 시행

되는 본시 강의의 시작은 먼저 차시별 목적을 제시하고 이후 도입부에 10분정도의 찬

양 간식 간단한 레크레이션의 순서를 배치한다 어느 정도 교육생들의 집중이 이루

어지면 지난 한 주간동안의 자신의 삶을 나누면서 마음을 여는 시간을 갖는다 이후

활동 내용은 먼저 탐색하기 과정으로 동기유발과 탐구하기 시간으로서 주제에 대한

이론적 교육이 이루어진다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다과를 나눈 뒤 제시된 내용에 대

해 자신에게 어떻게 적용해 볼 것인가를 소그룹 단위로 함께 고민하며 나누는 시간을

진행한 뒤 차시별 평가의 방법으로서 진행된 강의에 대한 만족도와 자신의 삶에 어떻

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그 동안의 개념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등을 묻는 설

문 평가를 진행하고 개인 상담이 필요한 경우도 질문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마

치면서 다음 차시에 대한 예습질문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함께 주제에 적합한 찬양

을 하면서 기도하는 것으로 각 차시가 구성된다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1) 관계 안의 나

하나님께서는 창조의 과정 속에서 마지막으로 사람을 창조하실 때 아담 홀로 만

드시지 않고 하와를 만드시며 더불어 동역할 수 있도록 하셨다 이는 인간이 기본적

으로 무리를 지어 사는 존재임을 피력한 것이다 인간은 아무도 혼자 살 수는 없다

우리는 도움이 필요한 인간이다 우리 인간은 아무도 다른 사람과의 사랑과 친함이

필요 없을 정도로 강하지 못하다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어머니에게 의존한다 우리는

lsquo나rsquo이기 이전에 이미 lsquo우리rsquo인 것이다 그리하여 상당한 의존이 이루어지고 충족된 후

에 자동적으로 밖으로 탐험을 하기 시작한다 이때 우리 자신의 한계를 배워감으로

도움이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 계속되는 삶의 여정에서 성공을 하든지

독립적이 되던 간에 우리는 여전히 도움이 필요한 존재임을 알아가게 된다159) 이 차

시에서는 중심성구인 창조 때 하나님의 아담의 모습에 대한 판단을 시작으로 인간은

관계 속에 사는 존재임을 함께 나누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59) John Bradshaw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23

93

차 시 제 1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관계 안의 나 토론형식 질의답변 및 자율토론

중심성구 창세기 218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강의목표 우리는 관계 속에 살도록 창조되었음을 이해한다

강의주제 나는 다른 사람이 필요합니다 나도 다른 이들에게 필요한 존재입니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속한 직장(학교 교회) 안에서 나와 진정성 있는 관계를 찾아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현대는 혼밥 혼여 혼영과 같은 개인주의 문화가 극

도로 팽배해져 있습니다교회 안에서도 서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관계가 점

점 사라지고 있습니다하나님께서는 홀로 살아가는 것을 싫어하십니다

현대 문화에

대한 통계

PPT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롬 125 이와 같이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히 1025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더욱 그리하자

전 49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빌 24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전 412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요 1335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

l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었

습니다

l 그리스도 안에서 자꾸 모이는 것을 하나님께서 기뻐하

십니다

l 어려운 시간들이 다가올 때 혼자보다 함께 나눔으로써

그 짐을 가볍게 할 수 있습니다l 우리가 서로 사랑하고 돌보는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 땅에 보내신 사명입니다

94

(2) 복음과 믿음

이번 차시의 교육목표는 본 단계를 통해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의 복음

에 대한 믿음을 재확인하고 구원사건이 하나님과의 관계의 시작인 것에 대하여 함께

나누고 이를 통해 모든 회복된 관계의 시작이 어디에서부터여야 하는지를 규명한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차 시 제 2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복음과 믿음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구원확신에세이

중심성구로마서 815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짖느

니라

강의목표 복음과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자녀 됨의 관계가 회복되었음을 배운다

강의주제 모든 관계의 회복은 하나님과의 회복에서부터 시작된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복음제시 영상

예습적과제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이 있는지 그 순간이 언제였는지를

생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왜 우리에게 예수님이 필요한가구원받은 삶이란 어떤 삶인가우리가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

는 무엇인가

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을 다시

점검하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창 217 선악을 알게 하는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롬 310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요 316~17 독생자를 주셨으니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요 524 내 말을 듣고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구원 얻는

복음에 대해

성경말씀을

통해 다시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살면서 다른 이들의 도움이 간절히 필요했던 순간이

있습니까

주변 사람들 중에 나의 도움이 꼭 필요한 사람이 있

다면 누가 있을까요

정직성과

비유지에

대해

주지시키기

95

(3) 하나님과의 친감

믿음은 동적이며 관계적이다 현상유지가 아닌 변화를 추구하며 하나님과의 아들

됨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믿음이란 하나님의 아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매일

매일 하나님을 추구하는 삶이며 그것이 가능해졌음을 세상 앞에 말씀으로 보여주신

것을 우리는 복음이라 부른다 믿음이란 결코 일방적일 수 없으며 단독으로 사용되어

지는 종류가 아니다 믿음이란 대상과 주체를 이어주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믿

음을 지적인 앎과 고백에서 더 나아가 믿음의 대상이 되는 하나님과 회복된 영원한

관계 안에 있음을 인정하고 누리는 것이다161) 이상 Leonard Sweet의 언급처럼 하나님

과의 친감으로 더욱 나아가야 함을 이 차시를 통해 학습하게 된다

160) Sweet 관계의 영성 51161) 김영선 관계신학 55

학습

정리

얻으리라

행 1631 이르되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 하고

고전 1652 나팔소리가 나매 죽은 자들이 우리도 변화되

리라

계 225 다시 밤이 없겠고 세세토록 왕노릇하리로다

창156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

로 여기시고

l 우리 모두는 죄악으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입니

l 자기의 힘으로 죄악을 극복하거나 죽음의 굴레를 벗을

수 있는 이는 없습니다l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자로 고백할 때 우리

자신 뿐 아니라 가정 가운데에도 영생이 임하게 됩니다

l 마지막 때에 우리 모두는 신령한 몸으로 변화되어 세세

토록 예비하신 본향에서 완전한 영생의 삶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l 아브람의 믿음은 기대고 맡기며 의지하는 것을 의미한

l 기독교의 목적은 사람들이 믿음을 갖도록 하나님과 예

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회복된 관계를 갖도록 하는 것

이다160)

확인하며

혹시 미비한

부분들은

없는지

개인적으로

점검하는

시간을

갖는다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예수님을 믿고 구원의 은혜를 받은 뒤 나의 삶은 어

떻게 변했습니까서로가 자신의 구원 간증을 나누며 구원이후 하나님

과의 관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확인해봅니다

96

차 시 제 3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영적 친감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요한복음 423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이렇게 예배하는 자

들을 찾으시느니라

강의목표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의 깊은 친함 속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과 사귐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자신의 예배생활(공예배와 개인예배)을 돌아보기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을 영으로 예배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진정한 예배를 드릴 때 우리 안에 어떤 일이 일어납니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신 277 또 화목제를 드리고 거기에서 먹으며 네 하나님 여

호와 앞에서 즐거워하라

대하 71 솔로몬이 기도를 마치매 번제물과 제물을 사르고

여호와의 영광이 그 성전에 가득하니

대하 2930 히스기야 왕이 여호와를 찬송하게 하매 몸을굽혀 예배하니라

롬 325 이 예수를 화물제물로 세우셨으니눅 2219 감사기도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내 몸이

라 나를 기념하라벧전 25 너희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신령한 제사

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

l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의 관계로 나아간다

l 예배 가운데 하나님의 임재가 있다

l 예수님께서 영영한 화목제물이 되셔서 우리를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케 하신다

l 우리는 예수님을 덕입어 하나님 앞에 나아가 그분을 만

나며 더불어 사귐의 자리로 나아간다

ppt 자료

성막제사

예배에 대한

영상물

97

(4) 용납과 용서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성도들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멀리 있을 때와는 전혀

다른 상대방의 진면목을 보게 된다 그때 우리는 관계가 더욱 깊어지는 경험보다는

실망과 서로 다름에 대해 배타적인 타인과 자신의 모습을 피할 수 없다 게다가 연약

한 우리는 필수적으로 말과 행동에서 실수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다 이때 닫힌 관계

를 푸는 열쇠가 있는 데 그것은 용서이다 깨어지고 멀어진 관계를 회복하려면 용서

의 기술이 필요하다162)

용납은 공동체의 삶에 특별히 중요하다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는 부득불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이는 결국 여러 가지 면에서 너무나도 다른 상대방을 참아내야

하는 상황이 생기게 마련이다 게다가 우리에게 죄를 범하고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이들을 대할 때 용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가 하나님께 잘못한 일에 대하여

무지하거나 완악하여 인정하지 않을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용납하고 기다려 주신

다163) 이 차시에서는 성도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적극적인 실천과 상대방과 나의 다른

면 상대방이 가진 부족한 면을 받아들이는 용납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162) 김영선 관계신학 309

163)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353

l 예배가운데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며 찬송 말씀과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더 깊이 알아가며 우리의 모

습을 고백할 수 있다

탐 구

활 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하나님께 대한 예배를 통해 우리는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게 하신다

주제상황 마 524 예물을 제단 앞에 두고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자기 체험을

나누어보기

차 시 제 4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용납과 용서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토론

중심성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강의목표 용서와 용납의 차이를 이해하고 성도들 간의 관계에서 실천할 수 있다

98

164) John Bevere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204

강의주제 용납은 약함에 대한 이해이고 용서는 악함에 대한 이해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습적과제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내가 용서받은 죄의 목록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과거에 누군가로부터 크게 용서받아본 적이 있는가

내게 잘못한 것이 명백함에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상

대방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

용납과

용서를

주제로 한

찬양활용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마 1820~35 두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몇 번이나 용

서하여 주리이까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형제를 용서

하지 아니하면잠 1911 노하기를 더디 하는 것이 사람의 슬기요 허물을

용서하는 것이 자기의 영광이니라

엡 432 서로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그리스도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

고후 111 원하건대 너희는 나의 좀 어리석은 것을 용납하

라 청하건대 나를 용납하라

l 하나님께서 주신 용서를 경험한 우리는 타인을 용서할

수 있어야 한다l 두세 사람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일 때 그 가운데 예수

님께서 함께 해주시겠다는 말씀 뒤에 나오는 일만 달란

트 빚진 자의 비유는 우리에게 성도간의 용서에 대한 중

요한 메시지를 주고 있습니다164)

l 상대방의 허물을 용서하는 것은 자신을 위한 일이기도

합니다l 서로의 연약함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용납하는 것은 공동

체를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일만 달란트

빚진 자와

일백

데나리온

빚진 자의

스토리를

역할극으로

구성해보기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용납과 용서는 어떻게 다릅니까

자신을 세 번이나 부정한 베드로를 예수님께서 대하셨던

모습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있나요

소그룹별로

나누기

99

(5) 갈등관리

이 차시에서는 관계 속에서 원하시는 하나님의 의도를 성경을 통해 살펴보고 그

럼에도 늘 끊임없이 생겨나던 성경 속의 갈등 문제를 어떻게 다루셨는지를 함께 공부

하면서 참가학생들 안에 있는 갈등의 문제를 다루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 시 5차시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식 배열

단 원 갈등관리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토의

중심성구 마태복음 59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강의목표교회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상황을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을 통해 공동체의 견고한 연합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갈등은 더욱 깊은 관계로의 디딤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교회생활에서 가장 어려운 순간은 언제인지에 대해 고민해보기

과정

(시간)

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시편 3412~14 잠 171 마522~24을 통해서 볼 때 화

평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많은 갈등상황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민202~13 막 933~34 약41~2 행151~35

갈등은 왜 일어납니까

성경본문 들

에 대한 ppt

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다툼과 갈등이 일어나면 당신은 어떻게 반응합니까

l 모세는 (민 202~13)

l 예수님께서는 어떻게 하셨습니까 (막 933)

l 야고보사도는 (약 41~2)

l 초대교회에서는 (행 151~35)

사도행전 1536~41

초대교회에는 많은 갈등이 있었지만 그 속에서도 순기능이

나타나서 오히려 복음의 확대가 있었습니다

l 갈등에 대해 공부하고 훈련하십시오

l 갈등을 피하지 말고 긍정적으로 여기십시오

ppt자료

중간 중간 각

개인의 의견

도 들어보기

100

(6) 의사소통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성경이 성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의

핵심이다 그런 면에서 성도는 이웃사랑에 대한 피할 수 없는 도전 앞에 서 있다 성

도들이 맺고 있는 모든 관계는 의사소통을 통해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의사소통이 부재하면 관계가 깨지며 관계가 계속해서 발전하려면 의사소통을 충분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의사소통은 쉽지 않다 의사소통은 과학이 아니라 예술에

가깝다 관계에 있어서 건강한 의사소통은 기계적이고 직접적이기 보다는 의미의 섬

세한 묘사와 차이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65) 그렇기 때문에 성도가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에 그 모든 관계에 있어서 신뢰라는 기초 위에 세워져야 하며 마음

이 담겨 있어야 하고 또한 정직해야 한다 위와 같이 세상과의 건강한 관계를 세워

가는데 있어서 신뢰의 기반이 되는 의사소통 문제를 이번 차시에서 다루게 된다

165) Tom Holladay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150

차 시 제 6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의사소통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나눔

중심성구 잠언 1820 사람은 입에서 나오는 열매로 말미암아

강의목표 의사소통에 있어서 개방적이고 명확하며 세한 방법들을 학습한다

학습

정리

l 갈등을 기회로 승화시키고 관리하십시오

l 그리스도를 본받고 본을 보이십시오

l 도저히 해결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떠나는 것도 지

혜입니다

토의

상호

피드

소그

룹별

토의

실습

소그룹별로 한 주제상황을 설정 후에 서로 자유로운 토의

를 거친 후 전체발표를 통해 다른 소그룹의 피드백을 확인

해봅니다

주제상황 1 행 61~7 헬라파 유대인들의 불평

주제상황 2 몬 111~18 빌레몬과 오네시모의 갈등

소그룹리더의

적절한

토의진행에

유의

101

강의주제 지혜로운 의사소통은 관계와 전도의 핵심요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개인체험간증

예습적과제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타인의 견해를 들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질문

가까운 누군가와 제대로 된 대화를 나누어본 것이 최근

언제인가

우리의 언어생활이 늘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는 무엇이

라고 여기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마 537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

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

을 알리라

약 119 너희가 알지니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

기는 더디하며잠 1727 말을 아끼는 자는 지식이 있고

l 의사소통의 기본은 거짓을 피하고 정직함을 타협하지

않는 것이다l 때론 침묵보다 뭔가 시도하는 것이 지혜이다

l 말하기보다 잘 듣는 경청의 태도가 필수적이다

l 누군가와의 의사소통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이다

탐구

활동

정리

의견

나눔

통해

정리

하기

예수님께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신 적절한 방법

들의 예를 성경에서 찾아보자

질문 ldquo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rdquo 비유 ldquo천국 씨뿌리기rdquo 만져주심

102

(7) 먼저 대접하기

황금률은 사랑의 진정한 본질을 보여주는 공용 언어이다 사랑은 다른 사람에게

받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냥 주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것은 앎과 행동 사이가 쉽

지 않으나 우리의 불완전함 때문에 포기할 수 없는 세상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우리의

모습이다166) 세상에 대해 우리의 필요를 채우려는 마음을 뒤로 두고 먼저 세상의 필

요를 채워주는 이들이 많아진다면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차시

에서는 교회가 어떻게 세상의 필요를 채워주고 더 가까워질 수 있는지를 배워나갈 것

이다 그 시작은 마태복음 7장 12절 말씀인 황금률에서부터 비롯한다 그 대략적인 내

용에 대해 다룰 이 차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66) Tom Holladay 양영선 역 사랑으로 가꾸는 삶 315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먼저 대접하기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누가복음 631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강의목표 이웃사랑의 실천은 적극적으로 다가가서 먼저 대접하는 삶임을 배운다

강의주제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은 대접하고 섬기는 모습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시영상

예습적과제 이웃에게 먼저 다가가서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기를 시도해 본다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복음을 전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가요

이웃과의 관계를 이끌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규칙은

무엇일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롬 58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우리를 위하여 죽

으심으로눅 635 오직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고 선대하며요 1315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103

(8) 타인이해

이번 차시에서는 타인을 이해하기 위한 성경적인 시도로서 lsquo긍휼rsquo에 대한 내용을

제시해 보려한다 그동안 살아온 삶의 히스토리가 전혀 다른 존재를 이해한다는 것은

제한된 지혜안에 있는 성도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에 앞서 성도들을 향해 세상

을 향해 하나님의 한결같은 마음이신 긍휼함을 품는 다면 타인이해에 한 발짝 더 나

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간략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타인이해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유다서 12 긍휼과 평강과 사랑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 지어다

강의목표 이웃을 이해하고 그들을 사랑할 수 있는 존재로 나를 지으셨음을 안다

강의주제타인을 받아들일 수 없는 우리가 이해하는 길은 그들을 긍휼히

여김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학습

정리

마 540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까지도 가지게

하며

요일 418 사랑 안에 두려움이 없고 온전한 사랑이 두려움

을 내쫓나니

l 우리는 자격이 없을 때 사랑을 받았음을 기억해야합니

l 희생적인 사랑으로 세상에 그 모습을 내보여야 한다

l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 우리는 예수님의 모범을 기억해

야 합니다

l 소유보다 사람에게 더 높은 가치를 두는 것이 이웃사랑

이다

l 세상을 향한 우리의 태도는 빚진 자로서의 섬김입니다

탐구

활동

정리

토론

나눔

으로

정리

하기

오늘 내가 먼저 필요를 채워 주어야 할 대상이 있다

면 누구일까요

내가 아니면 그 사람에게 도움을 베풀 수 없는 이웃

이 옆에 없는지 찾아봅시다

104

(9) 건강한 가족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한 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가장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 대해 백문백답을 만들어서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나와 생각이 다른 이들을 나는 어떻게 대하고 있는

가정 직장 학교 교회에서 나는 왜 타인을 수용해야

하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출 3319 은혜 베풀 자에게 은혜를 베풀고 긍휼히 여길

자에게 긍휼을 베푸느니라

잠 1012 미움은 다툼을 일으켜도 사랑은 모든 허물을 가

리느니라

잠 1429 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크게 명철하여도 마음

이 조급한 자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느니라

잠 1917 가난한 자를 불쌍히 여기는 것은 그의 선행을

그에게 갚아주시리라

행 436일컬어 바나바라(번역하면 위로의 아들이라)하니사 423 상한 갈대를 꺽지 아니하며눅 2251예수께서그 귀를 만져 낫게 하시더라

요일 47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l 하나님께서는 아무 자격이 없는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

셨다

l 타인을 향한 하나님의 명령은 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l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만져주심으로 이해하셨다

l 이해보다는 사랑이 먼저이다

l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긍휼이 필요한 존재이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가족들이 서로를 사랑하면서도 자꾸만 다툼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나를 통해 속한 공동체가 서로를 이해하

는 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105

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건강한 가족은 결국 건강한 가족관계에서 출발한다 이

차시에서는 성경에서 말씀하는 동등성을 기반으로 한 부부관계에 대해서 배우게 된

다 사실 부부관계훈련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이 과정만을 따로 떼어서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포괄적으로 다

루기 때문에 깊이 있는 학습보다는 넓게 다루되 심화과정을 따로 개설하는 것이 효과

적일 것이다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 이어서 다루게 된다

차 시 제 9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건강한 가정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나눔

중심성구잠언 171 마른 떡 한 조각만 있고도 화목한 것이 제육이 집에 가득하고도

다투는 것보다 나으니라

강의목표 가족 구성원의 상호헌신을 통해 건강한 가정을 이루어감을 안다

강의주제 건강한 가정을 이루는 것은 성경적인 인간관계를 세우는 주춧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성경 속에 나타난 가족들의 특징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자기가 속한 가정의 모습에 아쉬운 부분은 없나요

나는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미 76 아들이 아버지를 멸시하며 사람의 원수가 곧 자기

의 집안 사람이리로다

엡 521 그리스도를 경외함을 피차 복종하라

잠 1822 아내를 얻는 자는 복을 얻고 여호와께 은총을 받

는 자니라

엡 533 그러나 너희도 각각 자기의 아내 사랑하기를 자신

같이 하고 아내도 자기 남편을 존경하라

잠 1632 노하기를 더디하는 자는 용사보다 낫고 자기의 마

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나으니라

잠 2325 네 부모를 즐겁게 하며 너를 낳은 어미를 기쁘게

106

(10) 섬김과 돌봄

10주간의 관계학교를 마무리하면서 이번 차시에서는 성도들의 사명적 과제인 세상

을 섬기는 삶에 대해 다루려 한다 모든 관계의 문제는 결국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

서 모범을 보이신 것처럼 섬김의 삶에서 종결된다 성도들 또한 모든 관계라는 상황

가운데 섬기는 자로 부름 받았음을 도전함으로써 모든 차시를 마무리 지으려 한다

학습

정리

하라

잠 243 집은 지혜로 말미암아 건축되고 명철로 말미암아

견고하게 되며

l 가정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작은 하나님 나라이다l 말세의 때에 가정을 향한 영적인 공격이 극에 달하고

있다l 가정의 건강성은 가족들 개개인 모두가 자기 역량에 따

른 헌신을 감당해내는가를 통해 결정된다l 너무 쉽게 분노와 다툼에 자신을 내어주는 모습을 돌아

보아야 한다l 가족을 위한 지혜는 하나님께로부터 나온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우리 가정은 함께 예배하는 시간이 있는가

우리 가족은 서로에 대한 헌신의 정도가 어떠한가

차 시 제 10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섬김과 돌봄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사명에세이 작성

중심성구빌 22~4 마음을 같이하여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강의목표 우리는 하나님 세상 성도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기는 사람임을 안다

107

강의주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관계는 주께 하듯 섬기는 관계이다

관계요소

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섬기는 분으로 이 땅의 삶을 사셨던 예수님을 묵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 세상 성도와의 관계에서 어떨 때 가장 평안

한 마음이 들던가요

주께 하듯 섬긴다는 말은 어떤 뜻인가요

강사 자신의

체험을

나눠보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벧전 38 형제를 사랑하며 불쌍히 여기며 겸손하며롬 1216 서로 마음을 같이하며 도리어 낮은 데 처하며잠 1717 형제는 위급한 때를 위하여 났느니라

고전 135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롬 152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빌 127 오직 너희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

라골 323 무슨 일을 하든지 주께 하듯 하고엡 67 기쁜 마음으로 섬기기를 주께 하듯 하고 사람들에게

하듯 하지 말라

l 형제를 불쌍히 여길 때 그를 사랑할 수 있습니다l 우리의 마음을 겸손히 할 때 섬길 수 있습니다l 어려운 상황에 있는 이웃을 더욱 돌보아야 합니다l 우리는 서로를 섬기도록 지음 받았습니다l 주께 하듯 형제를 사랑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l 건강한 관계는 나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상대방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길 때 성취할 수 있습니다

말씀 본문

PPT영상준비

각각의

소주제에서

강사의

전달보다

학생들의

반응에 더

집중하기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관계 속에서 가장 힘든 때는 언제 인가요혹시 내 안에 아직도 이기적인 편견에 빠져있지 않을

까요오늘 내가 섬기도록 내 곁에 두신 사람은 누구인가

정직과

비유지에

대한

사전교육

108

이상으로 10주간의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내용의 개요를 제시해보았다 세부적인

내용은 교회마다 특성과 여건이 다르기에 그 상황에 맞추어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본

다 관계학교라고는 하지만 바쁜 현대를 살아가는 성도들의 모습을 감안하여 하나님

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10차시 정도로만

요약해 보았다 개별적으로 좀 더 깊은 내용은 추후 교회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진행

하면 되리라 여기며 여기까지 해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대략적인 개요 내용을 정리

하고자 한다

109

제 6 장

결 론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에서 한국교회는 시대적응에 실패한 모양새이다 이러한 현상

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들 중 하나는 기존 교회

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

의 외적인 요소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

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현실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의 유일한 소망이다 여타 다른

나라의 기독교 발전과 달리 한국 기독교는 짧은 순간에 급속한 수적 성장을 이루었는

데 급격한 변화에는 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처럼 한국 개신교 내부에서 교회를 이루

는 구성원으로서 각 개인 간의 거리가 너무 긴해지고 말았으며 이는 상대방을 충분

히 수용하고 이해하기에 중간에 필수적이었던 시간들을 생략하고 만다 결국 이는 교

회 내부에서 관계의 문제로 불거져 나오게 된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여전히 한국교

회는 양적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성을 확인하려 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시작된 이 논문은 지금까지 포스트모더니티와 모더니티의 사

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시작으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주장하는 4가지 이론들

을 살펴보았다 그 속에서 Anderson과 Macchia의 주장에서 발견된 관계적 특성을 교회

의 건강성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이를 위한 이론적 뒷받침으로 관계신

학을 살펴보았다 관계중심의 사역을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주장

하면서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이루어지는 관계훈련의 사례를 찾아보았는데 여기에

110

서 발견된 특징은 사후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중심 상담기법이 주로 사용되어짐을 발

견하면서 필자는 성경을 중심으로 하면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공부하는 것

을 통해 전도의 기회로도 활용 가능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안해보는 것으

로 본 논문을 진행해왔다

제한된 지면에 방대한 주제를 연구하다보니 아무래도 각 내용들이 심도 깊게 연

구되지 못하고 단지 관계학교라는 10차시의 과정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가벼이 지

나갈 수밖에 없었던 한계가 있음을 인정한다 또한 포스트모던이든 교회건강이론이든

관계신학이든 그 안에 담긴 내용은 훨씬 다양하고 여러 가지 한계에 대한 나름의 보

완책을 가지고 있지만 양적성장을 통해 건강한교회를 구분 지으려는 현 세태에 대한

비판을 강조하려 하다 보니 그러한 보완점을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다

제 2 절 제언

미래의 교회는 그동안 집중하던 사역지향의 틀을 넘어서 관계에 기초를 두는 공

동체로 세워져야 할 것인데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평가를 받으며 서로를 자랑

하며 서로의 성공을 축하해 주며 서로의 문제해결을 도와주며 서로를 칭찬해 주며

서로를 높여 주는 관계성의 개발을 그 공동체의 핵심가치와 목표로 하는 교회를 세우

는 목회가 이 시대에 절실하다 교회마다 그동안 성장과정에서 소홀히 되었던 부분으

로 인한 성장 통을 앓고 있고 거기에 최상위 리더십이 교체되는 시점에 그 문제는 불

거져 나와 결국은 분립의 길을 선택한 많은 교회의 예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고 세상을 아우르며 자신의 존재의미와 본질에 충실한 건강한교

회는 하나님과도 성도들과도 이웃과도 건강한 교회여야 할 것을 주장하며 이 논문을

마치려 한다

111

참고 문헌

1 국내 서적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김점옥 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신국원 문화이야기 서울 IVP 2002

______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최애경 인간관계의 이해와 실천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06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 2008년 1월호(통권

제589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112

2 번역 서적

Augustine(Saint) 성아우구스티누스 삼위일체론 김종흡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Bevere John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Bonhoeffer Dietrich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Bradshaw John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Calvin Joh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Clair Michael St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Clowney Edmund P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George Carl F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Gibbs Eddie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Hiebert Paul G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사람 2010

Holladay Tom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Kun Hans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Long Jimmy 소그룹리더핸드북 IVF자료 개발부 편역 서울 IVP 1996

Newbigin Lesslie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Richardson Ronald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_______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Robinson Dave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Schwarz Christian A 자연적 교회성장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2001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윤수인 역 서울 NCD 201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Stott John R W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113

Sweet Leonard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_______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Walsh Brian and Middleton J Richard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 외국 서적

Anderson Leith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15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92

_______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Grenz Stanley J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Guinnes O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Gunton Colin E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Klemm David Hermeneutical Inquiry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David Klemm

ed Atlanta Scholars Press 1986

Macchia Stephen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_______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Smith James K A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Wagner C Pet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_______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14

4 웹사이트

httpwwwwhointaboutmissionen세계보건기구헌장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groups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httprelationshipschoolcom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fn1-11529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115

Vita ofSeongBaek Park

Present PositionSenior Pastor of Grace-Truth Chruch in GwangJu South Korea

Personal Data

Birthdate 01201972Marital Status MarriedHome Address 12 SangmuDaero 263 GwangsanGu GwangJuPhones +82-10-2587-5579Denomination PresbyterianOrdained 10072008

Education

B A 2001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in PhysicsM Div eq 2007 Gwangshin Theological SeminaryTh M 2009 Gwangshin UniversityDMin 201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 Recommended Citation
      • vartmpStampPDFG81n_kR6vhtmp1568331363pdfQYYRp
Page 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iv

헌 사

이 논문을 아들을 위해 불철주야 기도로 지원해주신 어머님과 사랑하는 아내 그

리고 하나님께서 주신 최고의 선물인 예은 다윗 정은에게 바칩니다

v

감사의 글

오늘 이 날에 이르기까지 늦은 나이에 목회학박사 과정을 위한 도미를 허락해주

시고 이후에 귀국해서 멈출 수도 있었을 논문과정을 끝까지 마치게 인도해주신 하나

님께 먼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신약성경에 대한 탁월한 통찰을 통해 세속화되

어 가는 교회를 향한 안타까움 가득한 외침으로 깨어있는 목회자의 길을 몸소 보여주

신 김세윤 교수님 외롭고 어려운 유학 시절동안 부족한 목회자가 자신을 가두던 껍

질을 깨고 세상 앞에 당당히 설 수 있도록 보석 같은 개인상담의 시간을 통해 목회적

인 사고의 지평을 넓혀주신 엄예선 교수님 먼 나라를 오가며 분주한 사역 중에도 부

족한 목사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격려와 채찍으로 논문을 마치기까지 세심하게 지

도해 주신 주종훈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여러 가지로 모자라기 만한 아들을 귀히 여겨 주시고 항상 후원해 주신 어머니

와 힘들 때마다 따뜻한 위로자와 상담자가 되어준 사랑하는 아내와 내가 이 땅에서

감당해야할 첫 번째 사명이자 다른 모든 사역을 위한 발걸음에 힘을 더해주던 세 아

이들에게도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전합니다

또한 그 동안 많은 기도와 도움을 주신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많고 많은 교회

속에 개척이라는 길을 여시고 맡겨주신 은혜와진리교회가 관계라는 교회 존재의 기초

위에 더욱 건강한 교회로 자라나 많은 열매를 맺어낼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더욱 열심

히 헌신하겠습니다

2019년 2월 박 성 백

vi

목 차

제 1 장 서 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

1 해체주의 인간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2 상대주의 진리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

3 다원주의 종교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

4 극단적 개인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

2 과학기술의 발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3 자본주의경제의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4 모더니티의 위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vii

2 교회와 코이노니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1 하나님의 백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2 그리스도의 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3 성령의 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1 관계중심의 리더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

4 가정 중심의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2 은사 중심적 사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3 열정적 영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8

4 기능적 조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9

5 영감 있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0

6 전인적 소그룹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1

7 필요 중심적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8 사랑의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1 긍정적인 목회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viii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5 동질집단의 원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6 효과적인 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6

7 성경적인 우선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7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2 제자 삼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3 영적은사의 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맺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제 4 절 Stephen A Macchia의 교회건강이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0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1

다 영적인 제자훈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2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3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5

다 교회들의 연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ix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9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0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1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2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1 온누리교회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5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6

2 뉴욕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7

3 웹기반의 관계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가 온라인관계학교의 소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8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1 프로그램의 동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0

2 프로그램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x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3 프로그램 시행준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나 소그룹 리더교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1 교육과정편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2 성취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9

3 차시별 강의계획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4 진행상 유의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5 본시 강의의 설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1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1) 관계 안의 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2

(2) 복음과 믿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3) 하나님과의 친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5

(4) 용납과 용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7

(5) 갈등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9

(6) 의사소통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0

(7) 먼저 대접하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8) 타인이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3

(9) 건강한 가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

(10) 섬김과 돌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

제 6 장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제 2 절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0

xi

참고 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1

Vita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5

xii

표 목 차

lt표 1gt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3

lt표 2gt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79

lt표 3gt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0

1

제 1 장

서 론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980~90년대를 지나면서 한국교회는 기록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어내었다 1910년

에만 하여도 한국 전체인구의 단지 1에 불과했던 개신교 인구는 고도 성장기를 거

치면서 전체 5천만 인구의 거의 20에 달하는 성장을 이루었고 수많은 대형교회들이

생겨났으며 바야흐로 한국 개신교의 전성기라 불리기에 충분한 시대였다 그러나 21

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 개신교는 정체되기 시작하였고 게다가 사회적으로 많은 비판

을 받게 되었으며 반기독교진영의 공격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그중 중요한 원인 하나는 기존 교회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의 외적인 요소

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

의 유일한 소망이다 산업화로 인하여 풍요해진 것처럼 보이는 세상의 이면에는 온갖

공해물질로 범벅된 자연환경의 오염과 이로 인해 야기된 각종 질병으로 인간의 육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를 비롯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되어가고 있

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질병과 가족들의 육신의 질고로 말미암아 건강에 대해 갈

수록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이 건강이라는 용어의 사용도 단순하게 인

간의 육신에 대한 표현에서 벗어나 정신의학의 영역 사회과학적인 영역 영적인 영역

에까지 그 사용 폭이 넓어져 가고 있으며 이는 결국 교회의 건강이라는 표현에까지

2

이르게 된다 이처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결국 그만큼 각종 분

야에서 많은 질병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만큼 각종 질병으로부터의 치료가 중요시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건강의 의미에 대하여 직관적으로는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

하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정의하면 소극적인 의미인 질병이 없음을 넘어서 각 개체가

가진 본연의 목적을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감당하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

인 개념1)이다 이것을 교회공동체와 관련하여 다시 진술한다면 건강한교회란 교회 내

부의 질병이나 연약한 부분이 없이 모든 지체들이 물리적 관계적으로 온전한 상태에

있으면서 사회적으로 감당해야할 책무로서의 소금과 빛 됨의 역할을 다하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작금에 와서 교회의 건강은 늘 교회의 성장이라는 열매와 결부

시켜 표현되고 있다 교회의 건강지수를 조사하는 대부분의 기준들이 교회가 양적으

로 성장하고 있는가라는 결과를 통해서 판단되어 왔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수적

성장하지 않는 교회는 건강하지 않고 병들어있는 교회로 치부되고 마는 것이다

한국경제가 한창 발전을 하던 과정에서 사람들은 수적 양적인 요소들을 판단의

근거로서 최선이라 여길 수 있었지만 이러한 세속적 세계관이 교회 내에도 여과 없이

반영되어 교회조차도 숫자를 판단의 주된 요인으로 삼는 오류를 범하게 된 것이다

왜 사람들은 숫자를 통해 진리를 판단하려 드는 것인가 이는 다른 요인들과 달리 가

시적이며 객관적인 근거로의 활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보이지 않기에 계산하는 것

이 쉽지 않을지라도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을 극복하고 건강의 진정한 본질적 요소들

에 집중해야만 할 필요가 있다

lsquo교회 성장rsquo과 함께 lsquo교회건강rsquo을 강조하게 된 데에는 전통적인 교회성장에 대한

생각들이 지나치게 기계적인 수적 성장을 강조하는 것에 반기를 든 모양새이다2) 그

러나 이렇게 등장한 lsquo교회건강rsquo에 대한 이론들조차도 결국은 lsquo성장하면 건강하다rsquo라는

개념과 같이 숫자의 함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lsquo건강하면 성장한다rsquo라는 논리로 확대

적용되어 교회의 건강이 마치 양적 성장을 위한 기본 전제이어야 하는 것처럼 받아들

여지게 되었다 즉 교회의 건강성을 수적 성장의 여부로 판단하게 되어버린 것이다

특별히 한국교회에서 많이 활용되어 온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자연적교회성장

1) 세계보건기구헌장 참조 httpwwwwhointaboutmissionen2) 김점옥 차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7

3

(Natural Church Development)이론은 질적 요소의 충족을 통한 건강은 양적성장으로 결

론지어진다는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시하며 양적성장과 교회건강에 대한 연결을 오히

려 더 정당화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적 현실에 대하여 필자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자인 Schwarz와 교

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과소평가

된 교회의 본질적 요소인 lsquo관계rsquo를 교회건강의 새로운 기준으로 주장하고자 한다 건

강은 결코 성장만으로 판단되어서는 타당하지 않다 현대 교회에 만연한 성장주의는

결국 교회 내부 건강의 부실함을 야기하였고 각종 폐단 및 후유증의 주된 원인이 되

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다면 어떤 관계가 성경적이고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을 회복할 수 있는 관계

성으로 볼 수 있는가 그것은 삼위일체의 교제를 칭하는 개념인 페리코레시스에 바탕

을 둔 공동체적 관계성이다 그 관계를 원리로 해서 하나님 성도 세상 사이 관계의

균형을 추구하는 모습이 필요하고 이렇게 세워진 관계신학적 이론을 적용하는 lsquo관계

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교회건강개선rsquo이라는 논제를 가지고 필자의 주장을 정리해 나

가려 한다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위와 같은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시작된 교회건강성에 대한 논문을 위해 필자는

먼저 숫자중심 성장주의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근대 모더니즘과 관계지향적 특성

을 가진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살펴본 후 NCD

의 이론과 다른 북미지역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서적들을 대상으로 기존 이론의 약점

들을 드러내고 더불어 다른 교회건강 학자들의 이론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연구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계신학이라는 아직은 생소한 신학분야의 이론적 기반을 마

련한 후에 각 교회나 단체에서 행해지는 관계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를 연구할 것

이다 그러고 나서 교회건강을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이라는 대안을 마

련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따라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현대 한국교회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는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먼저 현대 한국교

4

회의 배경연구로서는 모던시대의 특징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을 바탕으로 모던과

포스트모던이 교차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을 살펴볼 것이며 그러한 한국교회 상황

에서 현재 주로 인용되어왔던 Christian Schwarz를 통해 세워진 NCD의 교회 건강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과 교회 건강에 대한 다른 견해들인 피터 와그너(Peter Wagner)

리스 앤더슨(Leith Anderson)3) 스티븐 마치아(Stephen Macchia)4)의 이론들을 살펴본 뒤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서 그동안 성장주의 영향 아래 한국교회에서 배제되어왔던 부분

에 관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교회의 핵심특성인 공동체적 본질로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사역이 교회 건강성의 새로운 기준임을 제시해보려 하고 이론적인 기

반으로서 관계신학이라는 개념을 정리해 본 뒤 이를 실제 목회 현장에 적용할 수 있

는 lsquo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성경중심 관계학교 프로그램rsquo까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범위 안에서 연구를 진행하

고자 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문제제기와 목적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어 연구

의 방법 및 범위를 서술한다

제2장에서는 모던과 포스트모던 두 시대 사이에서 양쪽 모두의 영향 아래 있기

에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두 가지 특성 모두를 가지고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

과 영향을 배경연구로서 활용해 보려 한다

제3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연구를 위해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개념을 근거로

관계신학적 관점으로 교회의 본질을 연구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한국교회에 영향을 주고 있고 교회성장운동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

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의 연구와 주장을 정리하고 교회성장학자인 Peter Wagner의

연구를 살펴보고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성장을 논하던 기존 이론과 달리 하나님

3) NAE(국제복음주의연합)의 의장을 역임하였고 Minnesota에 있는 Woodale Church에서 35년동안 사역하다 지난 6월 은퇴하였으며 Fuller Theological Semianr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강의를

하고 있으며 Dying for Change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Winning the Values War의 저자이

다4) 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Vision New England(The Evangelistic Association of New England)의 의장을 역임

하였으며 Becoming a Healthy Church 외 다수의 저작물이 있는 지역교회와 선교단체를 위해

국제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역자이다

5

성도 세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교회건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Macchia와 Anderson

의 이론을 연구 정리하면서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들을 비교하여 기존 이론 가운데

에도 관계지향적인 요소들이 이미 자리하고 있었음을 더불어 밝혀보려 한다

제5장에서는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행해지던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로서 국내

온누리교회 미국의 뉴욕관계학교 웹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스웨덴의 온라인 관계학

교의 경우를 조사하여 관계훈련에 대한 사례를 찾아보고 그동안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경을 중심으로 하여 10차시 과정으로 구성된 관계학교 전체과정의 개요를 제안하려

한다

제6장에서는 연구에 따른 최종적인 결론으로 논문 전체에 대한 요약과 결론 그

리고 그에 따른 적용 및 다른 연구자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어

보려 한다

6

제 2 장

모던과 포스트모던 사이 한국교회의 특징

양적성장에 치중하던 한국교회가 질적성장이라는 관점에서 건강한교회를 지향하

게 된 일은 분명 긍정적인 현상임에도 이마저도 또 하나의 교회성장운동으로 변질되

어가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살펴보기 전에 그에 대한 환경적 배경을 제공하게 된 이

시대의 전체적인 문화와 사고의 큰 흐름으로서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더불어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그 모태라고 할 수 있는 모더니티

사회의 현상과 특징들을 비교하여 논함으로서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을 좀 더 이해

할 수 있고 그 영향들이 교회 안에 어떻게 작용하게 되었는지를 알아가 보고자 한다

제 1 절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로서의 특징

인류는 과학산업기술의 발전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이성을 긍정적으로만 맹신하

게 된 것이 모더니티 근대주의의 발로이다 이를 통해 계몽주의 경험주의 유토피아

적 이상향에 젖어 중세 신앙을 거부하게 되면서 인간 이성의 자유를 구가하던 시대인

모더니티 사회는 결국 이성의 과신에 대한 수많은 부작용과 또 하나의 공허한 신앙을

선택하게 된 결과로 이어진다 포스트모더니티로의 진입은 이러한 모더니티를 비판하

면서 해체하는 것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가고자 하는 시도였다 그러므로 포스트

모더니티는 모더니티의 사상적 기반을 떠나서는 정확한 이해가 불가하다 포스트모더

니즘의 시작은 일차세계대전 이후 그동안 팽배해 왔던 근대주의적 유토피아 이상에

대한 환멸과 비판을 기초로 하였다 또한 과학의 한계에 대한 의식과 자원고갈 인구

와 환경문제라는 위기의식을 기반으로 문명 전체의 불분명한 미래상에 대한 불안을

뿌리로 하게 된다 이는 그동안 근대문명을 지배해온 모더니즘의 주된 사고체계인 계

7

몽주의사상과 과학주의적 세계관의 문제의식에서부터 기인하였다는 의미이다5) 이처

럼 모더니티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사상적 특징들을 먼

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해체주의 인간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의 사상적 발단을 제공한 이는 프리드리

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이다 니체는 기독교적 가치의 무의미를 선포하

였고 진리의 체계를 주장하는 모든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사상을 주장하는데 형이상학

을 부정하는 근거는 모든 형이상학이 자신이 전제한 가정에서부터 출발하고 있기 때

문이라는 것이다 니체의 허무주의적 주장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해체정신

을 형성하였다 니체에게 있어서 우리 자신과 세계에 대해 유일하게 참된 진리는 만

물이 지닌 억제할 수 없는 lsquo힘에의 의지rsquo와 lsquo통제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rsquo뿐이라는

것이다 lsquo지식rsquo과 lsquo진리rsquo는 단지 효과적인 도구일 뿐이지 초월적 실체가 아니며 인간

이 고안한 개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것들은 항상 인간의 이익이나

목적에 공헌하기 때문에 결코 lsquo객관적rsquo일 수 없다는 주장이 포스트모더니티의 특징으

로서 니체로부터 시작된 해체주의의 주된 사상이다6) 이러한 해체주의는 또한 허무주

의로 연결되어 결국 인간 본연의 가치상실과 존재에 대한 회의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더 이상 개인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존재가치가 전과 같이 존중받지 못할 위기에 처하

게 되었다는 것은 베이비부머시대의 인구폭발과 맞물려 인간의 가치상실이라는 결과

를 낳게 된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에 저항해야 할 한국교회는 오히려 한 영혼 한 영

혼의 가치를 소홀히 함으로써 세상을 닮아가는 형국이 되었고 결과를 중심으로 한 교

회건강 이론을 비판 없이 도입하였다

2 상대주의 진리관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대주의는 세계를 역사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보편

적 원리나 통일성이 없는 파편더미로 보는 가치체계이다 공통적 가치와 기준이 없으

5) David Klemm Hermeneutical Inquiry Volume 1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Atlanta Scholars Press 1986) 196) Dave Robinson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21-22

8

며 진리에 상대적 국면이 있음을 인정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신적권위라든지 이성적

법칙이라든지 절대성을 표방하는 것 자체를 모두 배격하기에 이르게 된다 상대주의

의 역사는 오래 되었지만 포스트 모던적 상대주의는 상대성 자체를 궁극적인 것으로

절대시하고 규범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대주의에서는 lsquo절대rsquo나 lsquo절대적rsquo이란 존재할

수 없다 진리라는 주장들은 지역적 역사적 요인들이 만들어낸 상대성을 지니기 때문

에 그 어떤 것도 절대적 진리라고 판단할 수 있는 초문화적인 기준은 존재할 수 없

다7)

절대적 진리의 존재가 인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사회나 문화의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거대담론이 사라지게 됨으로 공동의 lsquo너와 내rsquo가 이루어낸 공동체성은 찾기

힘들고 파편화된 개인만 남아 외롭게 존재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또 이런 상대주의

는 가치와 도덕을 무너뜨려 극단적 실용주의를 만들어낸다 또 신앙이나 이성에 의해

규제되던 감성 관능 탐욕 등의 폭발적 해방을 이미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상대주의

의 만연은 결국 아무것도 절대적인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극단을 낳음으로써 자체적인

모순에 빠지게 됨으로 해체주의와 연결되어 인간의 존재가치를 상실하고 회의를 불러

일으키고 결국 이는 쾌락을 진리의 기준으로 삼아 단지 lsquo즐거운 것이 좋은 것rsquo이라는

사고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도 종국에는 극단적 고독과 소외를 낳음으

로써 인간 내부에 잠재해 있던 공동체에 대한 갈망을 원하게 된다8)

그러므로 이 시대에 교회가 접근해야 할 세상은 대상이 특정화되지 않은 일방적

인 전파를 통한 복음사역이 아닌 소외와 외로움에 빠진 이들에게 먼저 다가갈 수 있

는 관계가 중심이 되는 건강한교회를 통한 공동체적인 접촉점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된

3 다원주의 종교관

포스트모더니티의 세 번째 특징으로서 근대의 문제가 이성주의에 입각하여 문화

와 사회를 획일화하는 세계관으로 삶을 억압하고 비인간화 하는데서 비롯된다고 반기

를 드는 데로부터 결국 그에 대한 해체작업과 그 결과로 말미암는 다원성에 대한 강

조로 흐르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이성의 객관성을 부정하여 문화와 사회의 토대역

7)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2388) Ibid 241

9

할을 박탈하려 하게 된다 이성주의 학문인 철학과 과학이 기초적 중심 위치를 상실

하면 문화가 다원화될 것이라고 여기는데 이 전략이 근대문화를 해체하게 된다 이

다원주의 특성은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어 오늘날 삶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다원화된

사회가 되어버렸다

이런 변화 속에 교회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경험하게 된다

긍정적인 영향은 기독교와 줄곧 충돌해온 인본주의와 독단적 합리주의의 지배력이 약

화되어 기독교의 전도나 문화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고 반면 부정적인 영향은

모든 종교와 신앙의 균등을 주장하는 종교다원주의가 득세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다원주의는 오늘의 세속 사회에 가장 잘 부합하는 문화적 이데올로기이며 이러

한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믿음을 고백하거나 일방적으로 전파하는 것을 무식과 교만

독선으로 여기게 되어 금기시하게 된 것이다9)

뿐만 아니라 뉴비긴은 한걸음 더 나아가 한 사회 안에 있는 여러 다양한 문화들

과 생활방식들을 환영하고 이런 것이 인간의 삶을 풍요하게 해준다고 믿는 문화적 다

원주의와는 달리 종교적 다원주의 대해서는 그 입장을 달리하여 종교들 간의 차이가

진리와 거짓의 문제가 아니라 진리에 대한 다른 인식 방법의 차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종교적인 믿음에서 어떤 것은 옳고 어떤 것은 그르다고 이야기하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종교적인 믿음은 개인의 문제이고 각 사람은 자신의 믿음을 가질 권

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종교적 다원주의의 특징이고 뿐만 아니라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할 포스트모던시대의 특징이다10)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이러한 종교적 다원주의를 다원주의의 맥락에서 지지하

고 있다 그리고 종교적 다원주의는 이제 서구교회 전체가 고민하고 있는 심각한 문

제가 되었으며 우리 한국교회 역시도 더 이상 자유롭지가 않다 복음의 순수성과 절

대성이 더 이상 그 자리를 지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회 내부에서조차도 그 영향력

이 약화되어가고 있는 이 시대는 네트워크의 비약적인 기술발전 영상매체와 미디어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시각적 자극에 민감해질 데로 민감해진 다원화된 개인들만이

존재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한 상황 속에 건강한교회에 대한 견해들 또한 다양

하게 되었고 그만큼 통합적인 평가가 어렵다 그만큼 가시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한

9)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1310) Lesslie Newbigin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40

10

숫자 중심의 교회건강성에 대한 이론은 많은 이들에게 수용되어질 수 있었다

4 극단적 개인주의

앞부분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티사회의 특징들은 우리를 서로에게로부터 분리시

켜 자아를 봉인하고 개인 영역에 한정시키는 극단적 개인주의 성향으로 나타나게 된

다 이러한 흐름은 절대적인 권위와 연합을 부정한다는 의미에서 포스트모던이 기독

교 신앙에 대한 심각한 도전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면에서는 기존 질서로서 이성 중심

의 과학문명이 낳은 모더니티에 대한 지극한 회의에서 시작되었기에 하나님 중심의

절대적 신앙관의 확립을 위한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과도기적 시기로 보아야 한

다11)

오늘날의 사람들은 지금까지 지나온 여러 세대들보다 더욱 초자연적인 것들 특

별히 영적인 것들에 대해 열려있게 되었으며 사람들은 교회나 조직화된 종교체계에는

적대적일 수 있으나 예수님을 포함하여 영적인 것에는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포

스트모더니즘 기반의 문화에서는 서로 간의 공통점을 주장하지 않음으로 모두가 함께

동의하여 논쟁을 종결할 수 있는 공통적 토대가 사라지고 보편적 세계관을 부정하게

됨으로써 차이에 대한 존중과 지역적이고 개체적인 것을 환영하는 정서가 대중적인

것이 되었다 이성주의 문화의 해체 속에 기독교적 문화를 사람들이 또 다른 진리 중

의 하나로 인식하게 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독교에 대한 도전일 뿐 아니라 만인이 편견 없이 기독교 신앙을 기본적으로 받아들

일 수 있게 하는 기회로서 작용하기도 한다12)

포스트모던사회의 특징인 해체주의 상대주의 다원주의 개인주의의 포괄적 특징

은 반공동체적이라는 것이다 각 개체를 중시하고 함께 하는 가치를 배격하며 진리의

상대성을 기치로 삼는 시대정신 속에 단일 목표를 세우고 함께 가는 공동체 지향은

반시대적이 되어버린 것처럼 외부적으로 나타나지만 결국 그 속에서 각 개인의 가치

를 상실당하고 소외되며 피폐해진 이들은 오히려 진실한 공동체 속에서 관계를 찾게

되는 성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1) James K A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5612) Stanley J Grenz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12

11

이로써 포스트모더니티 사회는 탈관계적이면서 오히려 더욱 관계를 추구하는 이

중성을 지니게 될 것임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한국 사회뿐 아니라 한국교회가 성장과

성공에 치중하게 된 배경으로서 현대 한국사회의 급속한 근대화 현대화 과정에서 포

스트모더니티와 함께 스며들게 된 모더니티적 특성들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잔재된 모더니티적 특징

모더니티 사회의 사고관은 인류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경험함으로 이성의 능력을

신뢰하게 되면서 계몽주의와 경험주의 자본주의 경제이론 그리고 역사발전이론에 대

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그 뿌리에는 다음과 같은 사고의 전환이 중심

이 된다

그 첫 번째는 자연주의적 세계관으로서 창조주와 창조세계를 구분하여 그동안

창조주에 의존된 창조세계를 바라보던 관점이 무너지고 창조주인 초자연과 창조세계

인 자연을 둘로 구분하는 이분법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게 되었다는 것이다13) 자연은

더 이상 창조주로부터 나온 산물로서의 지배가운데 있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진

화라는 흐름 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사물가운데 존재하는 법칙을 발견하고 우주를 지

배하는 기본원리를 파헤침으로서 인류의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두 번째는 진보주의적 역사관인데 이 속에 뿌리깊이 자리 잡은 기본적인 사관은

진화론적 역사관으로 역사도 자연과 같은 과정을 통해 미개한 상태에서 계몽된 상태

로 발전하며 이와 같은 발전과정을 통해 인간은 자연법칙을 찾아내고 자연과학적 지

식을 축적함으로써 인간 문명사회는 더 나은 단계로 lsquo계속해서 진보해 나갈 것이고

이를 통해 인간은 행복을 얻게 될 것rsquo이라는 사고이다14) 이와 같은 생각들이 교회 안

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다 이는 과거의 전통과 새로운 문화의 충돌에서 자꾸만 새롭

고 신선한 프로그램들을 추구하는 모습들로 나타나고 있다

자연주의적 세계관과 진보주의적 역사관이라는 두 가지 사고의 바탕 위에 세워

진 모더니티 사회의 특징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3) Paul G Hiebert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 사람 2010) 277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41

12

1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 사조

근대 이전의 시대인 전근대를 신화와 교권의 시대로 규정할 수 있다면 근대는

이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과학과 이성의 시대였다 15세기 활자의 발명과 함

께 한 인쇄술의 발전은 일반 대중에게까지 큰 영향을 주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계몽

주의 운동이 시작되는 기틀이 마련되게 된다 대체적으로 계몽주의는 lsquo17세기 후반부

터 18세기에 걸쳐 유럽을 지배했던 사상 풍조를 가리키는 것rsquo으로서 르네상스의 인본

주의 정신과 17세기 과학의 혁명적인 발달을 한데 묶어 근대세계를 출현 시키는 결정

적인 계기를 만들었다15) 이성의 노력으로 인간 영혼에 있는 신성을 무한히 계발할

수 있다는 사상인 낙관적인 인본주의로서 르네상스 인문주의 운동은 신학의 도움 없

이 이성으로 자연의 원리를 발견하고 과학을 발전시키며 인류의 행복을 기약할 수 있

는 진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서유럽을 통해 철학 과학과 같은 사회 다방면

에 걸쳐 영향을 주게 되면서 계몽주의 사상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계몽주

의는 근대의 정신세계와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된다

그러므로 계몽주의 시대는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

는 도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

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부하게 되었다16)

결국 이러한 이성 중심의 사고는 인간의 자발적인 노력과 기술의 발달을 통한

진보로 물리적 자연환경과 사회와 문화를 더 좋은 것으로 만들어갈 것이라는 인간 자

신에 대한 낙관적 믿음을 낳게 하였으며 더 이상 외부의 어떤 존재를 신뢰의 대상으

로 삼지 않고 인간 자신에게 집중하게 되는 사상적인 배경으로 교회의 성장이 주관자

로서 하나님께 전적으로 달린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노력을 통한 교회 공동체의 건강

성을 향상시킴을 통해 성장과 번영을 얼마든지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근대주의적 낙관

론이라는 모순이 가능하게 되었다

15)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8116)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3

2 과학기술의 발달

16-17세기 유럽 특히 영국에서 시작한 과학혁명은 오늘날까지 IT혁명으로 영향

을 주고 있다 과학은 근대 문명 진보의 기초를 놓았고 17세기 초 프랜시스 베이컨이

세계를 이해하고 자연의 비을 풀기위한 노력으로 경험주의를 주장하는 배경이 되었

으며 인류에게 많은 유익한 변화를 이루게 하였다17) 인류는 항상 도구를 사용해왔는

데 18세기 초부터 과거와 달리 굉장히 복잡하고 효율적인 기계가 갑자기 출현했고 자

연에 대한 과학적 지식으로 자연을 지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현대기술을 통해 우리

는 원자를 분열시킬 수 있고 방대하고 복잡한 정보를 마이크로 칩에 저장할 수도 있

다 과학이 우리에게 통찰력과 지식을 주었다면 기술은 우리에게 힘을 주었다 그리고

인간은 그 힘으로 환경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모더니티는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에 대해 확고한 인식론적이고 과학기술적 자

기 확신에 사로잡힌 대답을 내어놓는다 모더니티의 과학적 방법론으로 대상을 객관

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기술을 통해 세계를 조종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18) 과학

기술의 발전과 산업혁명은 대량생산과 이를 판매하기 위한 시장개척으로 이어져 식민

주의적 제국주의로 발전되었고 힘을 가진 인간의 정복욕을 부추기는 도구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사회과학적 발전의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이 삶의 전반에 대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이러한 기술문화는 교회 안으로까지 이어져 적절한

도구와 기술의 사용이 가능한 토양을 제공하게 되었다

3 자본주의 경제의 성장

계몽주의와 과학기술의 발달에 이은 경제성장을 통해 문맹이 극복되고 질병은

사라지며 가난이 근절되고 제한된 자원을 서로 차지하기 위한 전쟁은 없어질 것이며

더 이상 물질적 사회적 궁핍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로지 진보만이 있는 사회로의 전

환과 그런 문명을 통해 어쩌면 모든 사람들이 역사상 처음으로 참된 행복과 참된 자

유를 누릴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이와 같은 무한긍정주의야말로 모더니티

사회를 규정짓는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그리고 그 자본주의적 성장주의는 교회의 급

17) Brian Walsh J Richard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118) Ibid 35

14

속한 성장의 틈바구니에 파고들어 교회가 하나의 조직으로서 여겨지고 관리와 경영을

통해 얼마든지 성장시킬 수 있는 대상물로 여겨지게 되었다 교회는 엄연히 그리스도

의 피 값으로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여야 함에도 인위적 조작이 주도력을 발휘

하는 또 하나의 인간 자아실현의 장이 되어 버린 것이다

4 모더니티의 위기

이러한 모더니티의 사상적 흐름을 인간존재와 관련하여 이형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첫째는 개인주의로서 자율적인 개인이 공동체 혹은 전통의 속박으

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홀로 생각하는 인간이다둘째는 합리주의로서 이성은 하나의 보편적인 인간 능력이며 한

개인에게 이성적인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도 이성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셋째는 방법론적 회의를 통해 진리에 이르는 방법이 lsquo이해를 추구

하는 신앙rsquo이 아니라 lsquo이성의 철저한 비판적인 반성rsquo으로 바뀌었

다넷째는 이원론으로 실재가 정신과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몸과 마음의 이분법뿐만 아니라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을 뒷받침하게 된다다섯째는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 미신으로부터 해방되어 참 지식

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으며 일단 과거로부터 벗어난 이성

은 과학과 문화를 통해서 인간사회와 역사를 불가피하게 진보시킨

다는 생각이다19)

위와 같은 특징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모더니티는 인간에 대한 맹신으로 인

간의 이성이 부각됨으로써 하나님을 떠난 인간상을 자리 잡게 하였다 또한 하나님

없이도 인간이 충분히 선을 추구하고 행복을 이뤄낼 수 있는 착각 속으로 인간의 역

사를 몰고 갔다 게다가 신앙의 개인화를 비롯한 개인주의가 시작하면서 개인의 고립

현상과 소외 고독의 문제들이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이성에 의지하던 인간은 자

신의 뿌리로서의 창조자와의 관계를 잃어버리고 배회하는 인간상이 서서히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화려하게 등장했던 계몽주의와 과학혁명으로 말미암은 승승장구하던 모더니티

19)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36

15

사회의 사상적 흐름도 결국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모더니티의 위기는 12차 세계대전

후 유럽의 실존주의 운동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20세기에 들어서 갑작스럽게 등장

한 위기의 전조들은 이미 19세기부터 있어왔고 당시 진보적이고 혁신적이라 불리던

영국의 공장 생산 시스템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과 아동 노동의 착취 속에서 위기

의 조짐이 시작됐는데 이미 3백 년 전 유럽과 아메리카의 진보의 토대가 되었던 아프

리카 노예 산업에서부터 위기의 조짐이 있었으며 어쩌면 모더니티의 위기는 근대가

태동하던 바로 그 시점 즉 콜럼버스가 인디언을 노예로 삼던 그 때부터 시작된 것이

라고 볼 수 있다20) 서양의 근대는 계몽주의 세계관이 주도한 시대였으며 그 주된 사

상과 같이 인간의 이성을 신앙으로부터 독립시키려는 시도와 더불어 이성의 능력에

대한 무한한 신뢰로까지 연결되게 되었다 그러한 신뢰가 무너지면서 결국 모더니즘

의 위기는 시작되었다21) 모더니티라는 바벨탑의 붕괴는 획일적인 전체주의적 야망을

제한하고 민족과 문화의 다양성을 창출해 내시는 하나님의 섭리로서 세상을 향한 하

나님의 역사적 목표를 가로막는 오만한 시도였던 바벨탑의 결과를 다시 기억하게 한

다 그러므로 이런 배경 속에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는 신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복음

을 위한 긍정적인 역사적 기회로 생각될 수 있는 여지를 가진다22)

제 3 절 시대 상황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과 특징

1 모더니티의 산물로써 성장주의

모더니티가 교회에 대해 끼친 영향 또한 지대하고 파괴적이다 지금 한국 사회에

혼재에 있는 두 사상 모두는 여전히 사회 일각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 특별히 합리화

라는 이름으로 들어온 세속화의 물결은 모더니티의 잔재로 교회를 흔들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단연 교회성장운동이 일으킨 영향은 지대하다 긍정 주의적이고 진보적 역

사관으로 무장한 모더니티는 인간 이성과 기술의 진보에 의해 실용화시킨 방법들로

인간의 속성에서조차 특성화 수치화시킴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23)

20)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4521)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6722) Walsh Middleton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8923) Os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48

16

모더니티가 끼친 가장 큰 영향은 ldquo세속주의(secularism)rdquo에 의한 것이 아니라 ldquo세

속화(secularization)rdquo에 의한 것으로 세속주의는 단지 철학이고 세속화는 하나의 일어나

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세속화에 대해 가장 알기 쉬운 특징은 숫자들과 기술에

대한 찬사로서 알 수 있다 두 가지는 대형교회운동(megachurch movement)에서 두드러

지게 나타난다24)

큰 것이 좋은 것이라는 근대주의적 사고가 교회에도 깊이 뿌리 박혀 있다 또한

이제 교회 안에 있는 목회자도 거룩한 종교인이 아닌 종교적 경영자로 변질되어 가고

있음도 현 세대에 나타나고 있는 모더니티적 경향의 산물이다 교회 생활에서 조차도

얼마나 기술주의적 사고가 커져 있는지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한 많은 기술들 기도하

는 방법들 성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 기독교 서점을 빼곡히 메우고 있는 뭔가

를 위한 방법들과 기술들에 관한 책들은 현대 시대에 남아있는 기술의 진보성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로서의 모더니티의 잔재들인 것이다

문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시대에 있는 교회들이 아직도 성장주의 무천년설 등과

같은 모더니티의 기반 위에 있다는 사실이다 현대 한국교회가 시대를 앞서가기는커

녕 오히려 과거의 영화를 부여잡고 있기에 교회는 계속해서 사회와 문화의 흐름에

려가고 있는 현실이 부인할 수 없는 현재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모더니티를 통해 형성된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원리가 교회 안에 들어오면서부터

교회는 숫자에 민감해지기 시작했으며 교회의 교회됨을 그저 여러 가지 수치적 지표

를 통해 판단하고 순위를 매기기까지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요와 공급의 입장으

로 교회와 성도의 관계를 표현할 때 결국 교회는 수요자이며 소비자인 성도들의 입맛

을 가장 우선으로 놓아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필요에 의해 언제든 응답할 준비를

해야만 하고 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공급자이자 판매자로서의 교회 상을

만들어 버리고 말았다 결국에는 강단에서 선포되는 메시지조차도 그 자체의 사명으

로서 예언자적인 기능을 잃어버리고 청중이 요구하고 당장 필요로 하는 값싼 복음을

전하고 있는 모습은 그야말로 모더니티가 낳은 숫자 우선 성장주의의 침투에 의한 결

과로 보아야 한다25)

20세기를 통해 일어났던 교회성장운동은 결국 그리스도의 교회가 근본적으로 자

24) Ibid4925) Eddie Gibbs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73

17

신의 특성과 부르심에 의해 인도받고 형성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사업가적 경제논

리에 의해 인도될 것인가라는 혼란을 야기 시켰다 하나님으로 하나님 되게 함으로써

그분의 말씀과 성령으로 그 존재와 결정적인 원리들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닌 모더니

티에 의해 파생된 다양한 산업적인 결과물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하나

님의 권위는 더 이상 결정권을 잃어버리고 ldquo사람이 떡으로 사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말씀으로 사는 것이다(마태복음 44 개역개정4판)rdquo라는 말씀조차

그 수정을 요구할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다 모더니티의 잔재는 결국 신적 권위와 신

앙의 힘을 평가절하시킴으로서 종교자체를 영적인 실제가 없이도 얼마든지 수사학적

이고 조직적인 방법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처럼 만들어가고 있다26)

계몽의 주체로서 과학적 사고에 의해 훈련된 이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 이성

은 고대나 중세까지 주어진 우주의 원리나 계시를 이해하는 기구가 되었고 자율적 주

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아름다움과 선한 조화의 체

계로 인식하게 되면서 모든 진리도 조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이

러한 자연주의적 사고는 초월적인 기적이나 신적 개입과 같은 초자연적인 것들을 거

부하게 되었고 결국 이러한 시대 흐름의 영향으로 교회에서조차 눈에 보이는 가시적

성과에 집중하게 된 것이다27)

세상의 모습은 모더니티를 비판하고 포스트모더니티의 새로운 경향으로 접어들

었음에도 교회 안에는 여전히 가시적인 성장주의의 흐름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모더

니티 사회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의 교회라면 응당 그 전 시대

의 특징들이 부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잔재되어 있는 현대 한국사회의 모

더니티적 잔재물들은 교회 내부에까지 영향을 끼쳐 건물의 규모 신도 수 각종 자산

의 성장을 통한 성공주의 모델을 양산시키게 된 것이다

2 개교회주의와 세상과의 소통부재

현재 한국교회가 겪고 있는 위기의 상황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평범한 이들로

구성된 사회와의 소통 부재와 단절에서부터 빚어진 것이다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대표되는 한국교회의 일방적인 선교를 통해 기독교적인 언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함으

26)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3527)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169

18

로써 세상과의 분리를 자초하였다 듣는 이의 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언어의

전달로 말미암아 오히려 세상은 교회에 귀를 닫아 버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세상을 향

해 나아가 소금과 빛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교회가 lsquoAgain 1907rsquo을 외치며 일어

났던 부흥의 열정으로 말미암은 후유증에 오히려 교회와 세상 사이의 담은 더욱 높아

져만 가고 있다 기독교의 언어는 세상의 언어로 번역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세상에

서 소통되는 언어가 교회에서 사용되어야 하고 삼위일체의 비을 간직하신 하나님께

서 하늘의 높은 보좌를 버리시고 이 땅에 성육신하심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한 함

으로써 자력으로는 도저히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는 인간의 무능력함을 친히 자신을

세상 가운데 계시하시는 행위를 통해 구원의 다리를 건설하신 것은 하나님의 언어를

세상의 언어로 번역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28)

그럼에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각 개인들이 그러한 것처럼 교회조차도 극단적 개

교회주의에 빠져 교회의 연합까지도 도외시되고 있다 성장이라는 기치아래 성도 개

개인을 소중히 하기 보다는 건축을 위해 쏟아 부은 재정적 부담을 감당하기 위한 교

회를 위한 존재로 여긴다 거기에 서로 돕는 교회의 모습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성장을 위해서라면 다른 교회의 성도라도 받아들여 빈자리를 채워야만 생존

할 수 있는 처지가 되어버린 현대 한국교회의 이기적인 모습 앞에 세상은 더 이상의

대화를 원치 않는다 교회의 연합이 희미해진 이 시대에 교회는 세상에서조차도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교회는 세상 속에서 이웃과의 관계를 통해 그 존재감을 드러

내며 사명을 성취해야 함에도 이기적인 교회의 모습 앞에 세상은 교회를 점점 멀리하

고 되고 말았다

3 교회 내부 갈등의 심화

1970년대를 지나는 동안 한국은 국가적인 경제재건 사업을 통해 괄목할 만한 단

기간의 급속한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제 성장과 함께 한국교회의 동반성장

의 과정을 통해 성공이라는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약속되고 풍요와 안녕이라는 복을

획득하는 것과 맥을 함께 함으로써 성취의 정도와 내용이 높고 풍족할수록 축복을 많

28)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통권 제589호) 2008년 1월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169

19

이 받은 존재로 인정되는 사고방식이 한국 교회 안에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축

복을 위한 공급자로서 목회자의 위신을 세움으로써 목회자가 축복을 인가하는 허가자

의 권위를 갖게 되었고 이는 정치 경제에서 소수에게 집중된 권력과 자본의 모습과

동일한 형태로 교회 안에서도 축복권이라는 것이 생겨나 그것이 목회자에게만 집중됨

으로써 목회자의 신격화와 권위주의를 부추겼으며 사회적 물질적 성공에 대한 종교

적인 정당성을 부여하게 되었다29) 성도의 신앙생활이라는 것이 결국 하나님과의 관

계가 중심이 아닌 목회자와의 관계에 달린 것이 되어버리고 말았고 이는 근대 권위주

의에 익숙한 교회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성과 맞물려 갈등은 더욱 커져갔다 인간의 필요를

채우는 데 일조하던 목회자의 리더십은 결과적으로 인간의 상황에 대해 근본적인 문

제 해결을 이루어 낸다기보다는 오히려 점점 더 커지는 요구와 까다로운 입맛을 경험

하게 하고 필요충족을 통해 만족감을 얻어내기 보다는 오히려 더 커진 요구와 그로

말미암은 목회자에 대한 실망으로 연결되어 종국에는 교회자체에 대한 회의와 부정을

낳게 된다30)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흐름에 따라 성도들의 요구는 다양화되어가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맹목적 믿음과 순종이라는 핵심가치를 추구하던 모더니즘 사고에 익

숙하던 기성세대와 포스트모던 문화에 익숙해져 설득과 표현의 다양화를 바라는 신세

대 사이의 갈등이 교회 안에서도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청년들의 이탈

현상으로 이어져 교회마다 청년이하 차세대와의 문화단절 세대단절 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다31) 이는 결국 교회를 나가지 않으면서도 자신을 그리스도인으로 여기

며 다양한 매체와 방법들을 통해 홀로 신앙생활을 해나가는 성도들인 가나안 성도라

는 기형적 구조로까지 이어지게 되었고 그 수는 무려 전체 그리스도인의 10퍼센트 정

도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32) 이외에도 다른 많은 요인들로 야기된 교회 내부의 갈

등이 셀 수 없이 발생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한국교회의 실정이다

29)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5030) Guinnes Dining with the Devil 6531)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44032)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35

20

4 체험과 감성에 치우친 신앙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 중 하나는 이성을 중시하던 모더니티와 달리 탈 이성주

의를 주창하며 신비로운 체험이나 감성을 중시하게 된 데에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는

영상과 이미지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시대이다33) 그러므로 포스트모던 사회에

서는 영상매체를 통해 사람들의 감성을 이끌어내고 지식과 정보를 전달한다 그 속에

서 사람들은 정형화된 진리에 입각한 논리와 판단보다는 순간순간의 느낌에 의존하여

어떤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한 시대의 영향아래 있는 교회 또한 영상과 이미지

가 주는 감성에 좌우되어 진리의 말씀으로서 성경 보다는 감성에 호소하는 목회자의

언변에 성도들은 오히려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그 속에서 체험하는 감정을 은혜

라 여기며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의 능력이 아닌 잠시 동안 감정의 위로를 주지만

오래지 않아 기억 속에 흘러가고 마는 언어유희에 반응하고 있는 현실이다

현대인들에게 종교는 하나의 기호품과 같이 되어서 자신이 원하고 선택하는 것

옳다고 여기는 것을 진리로 생각하며 절대적 진리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강한 체험을 제공하며 그럴듯하게 왜곡된 진리 앞에 사람들은 쉽게 넘어가고 있고34)

결국 어느 때 못지않게 이교집단이 많아진 것도 포스트모던 시대의 특징에 연결 지어

볼 수 있다 교회에서 조차도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고 전도를 위한 행사들이 마련

되지만 그 속에는 시대적 특징과 관련된 신비적 체험과 감성에 호소하는 다양한 기법

들이 사용되고 있다 게다가 그것들이 사람들을 움직여 교회의 성도수가 증가하면 또

다른 많은 교회들은 그것을 그대로 답습하기에 이른다 이에 대해 한국교회는 절대적

진리로서 성경말씀에 기초한 건강한교회의 원리들을 세워가야 할 절실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교회는 그리스도의 교회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감

당하기 위해서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라는 과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지금까지

많은 교회들이 큰 것 많은 것을 추구해왔고 어떤 면에서 그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

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교회가 물량적인 면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비

해 세상 속에서 발휘하는 영향력은 이에 전혀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언론과 온라

인 사이트를 통한 사회적인 비판의 정도는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를 그저 말세에 성

33) 신국원 포스트모더니즘 13934) Ibid 238

21

도들이 당하는 고난이나 핍박으로 받아들이고 무시할 것인가 아니면 자신을 반성하고

새로운 변화의 몸부림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영향력을 다시

금 회복할 것인가는 한국 교회건강성의 정도에서 판가름 나게 된다 모더니즘의 잔재

가 아직도 상존하고 있지만 포스트모던 사회를 살아내야 하고 시대를 변혁시키는 주

체로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어야 하는 한국교회는 중요한 도전 앞에 서있다 그동안

성장이라는 가치를 최고로 여기던 시대에서 좀 더 성숙하여 사람들의 다양성을 이해

포용하고 행사 위주의 전도가 아닌 진정한 관계맺음을 통한 사명의 실천이 필요한 때

이다

이제 필자는 양적성장에 치우친 교회건강이론을 대신할 새로운 기준으로서 관계

가 중심인 교회건강이론에 대한 이론적인 기반을 세우기 위해 관계가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아직은 생소한 분야이지만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관계

신학적 근거를 가지고 다음 장에서 연구해 보려한다

22

제 3 장

교회건강의 근거로서 관계신학35)

이번 장에서는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이해를 위해 관계신학에 대해 살펴 보려한

다 그리고 관계가 어떻게 교회의 본질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 건강한교

회를 세우는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이론적인 기초를 마련해보려 한다

신학의 분야는 가장 기본적인 4가지의 분야36)를 비롯해서 시대적인 필요에 따라

연구되어지는 선교신학 현대신학 해방신학 목회신학 윤리신학 등의 가지들로 구성

되어 있다 그러나 관계신학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전혀 생소한 신학 분야이다 20세

기 후반 들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는 삼위일체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와 갖가지 환

경문제에 대응하여 기독교의 생태학적인 역할들이 강조되고 있고 교회마다 심각한 어

려움을 겪고 있는 관계적인 갈등이라는 배경 속에서 관계신학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필요가 있고 기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이해가 가능하지만 아직은 관계신학에 대한

의미가 명료하게 정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건강한교회를 위한 연구라는

시각에서 관계신학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절 관계신학의 의미

관계신학은 하나님이 관계하시는 하나님이라는 것과 하나님은 관계 속의 순종을

35) 관계신학이라는 용어는 주로 에큐메니컬 진영의 사상적 기반으로서 인종과 문화를 뛰어넘

어 서로 간의 원만한 하나 됨을 추구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보다는 하나님과

인간 세상 사이의 관계를 그 연구의 중심으로 삼아 신학적인 기반으로서 성경 전체에 흐르는

창조와 구원의 해석을 관계의 건설과 무너짐 회복의 과정으로 이해하여 lsquo하나님과 성도rsquo lsquo성도들의 모임으로서 교회와 세상rsquo lsquo교회 안에서의 성도들rsquo이라는 관계의 완성을 연구하려는 의

도에서 이 단어를 사용하려 한다36) 주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23

원하신다는 것과 진리는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관계신학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 이루어지는 인격적 관계를 우선적으로 강조한다 관계신학은 하나님은 관계를

떠나서는 생각되어질 수 없는 실재이심을 분명히 제시하는 신학이다 관계신학의 관

점에서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하나님과 바른 관계 속에 있는 것이요 또한 하나님 안

에 그리고 하나님과 함께 있는 것이다

관계신학의 의미에 대해 김영선37)은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관계신학은 모든 신학적 진리를 관계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

하는 신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님 인간 세계 신앙 교회 세례 기도 예배 목회를 비롯한 신앙의 내용을 관계라는 관점

에서 해석하며 신학적 진리의 자료와 신학적 진리를 전달하는 수

단을 묘사하는 술어이다 관계신학 관점에서 신학은 관계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진리이고 복음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선

물이다38)

관계신학은 이론적 근거가 전무한 독보적 신학분야가 아닌 그동안 관계성을 추

구하던 많은 학자들의 견해를 기반으로 하나님 성도 이웃에 대한 관계를 중심으로

보고 신학적 진리를 탐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신학분야인데 이러한 학자들로는

관계철학의 마틴 부버 관계성의 신학의 에 부루너 하나님 만남의 신학의 루이스

세릴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 신학 관계론적 신학의 마조리 수하키 관계론적 신학의

폴 스폰하임 등이 있다39)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지식은 모두 그분의 계시에서부터 비롯된다 그러므로 필

자가 관계신학을 건강한교회를 세우는 이론적 기초로 삼고자 하는 이유는 하나님의

완성된 계시로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얼마나 관계를 이야기하고 있고 그 관계를

세우기 위해 하나님의 수많은 인내와 개입이 존재해왔으며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이

망가진 하나님과 우리 인간 그리고 세상간의 관계회복을 위한 은혜의 자리였음을 상

기시키려는 목적이다 그리고 그 목적을 잘 이해하는 기초 위에서야 비로소 성경적인

건강한교회가 세워질 수 있음을 말하려 한다

37) 영국 런던대학에서 조직신학으로 M Th PhD 학위를 받고 현재 협성대 교수로 재직 중

이다3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4839) Ibid 50

24

제 2 절 관계신학의 근거

건강한 공동체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하는 사람들 간의 연합성과 개별성의 균형

이 필요하다 연합성이란 생물학적 측면에 뿌리를 둔 생명력으로서 이를 통해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거나 연합하기를 원하게 되며 우리로 하여금 공동체를 지향하게

만들고 서로 의존하게 만든다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에게 예민하게 반응

하며 돌봄과 사랑을 통해 서로가 가까워지기를 추구하게 된다 연합성을 추구하는 힘

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삶을 나누고 가까이 하는 기쁨이며 이를 통해 공동체는 부스

러지지 않고 유지되고 하나 됨을 향해 서로가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습도 그 가운데 소속된 구성원 중에 불안수준이 높거나 정서적 성숙이 낮은 사람이

있을 경우 그 사람은 전체적인 공동체에 긴장요인을 높임으로서 서로 간의 가까워짐

이 과도한 기대나 요구로 나타나게 되면서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 개별성이란 자기 자신이 독립적으로 되도록 이끄는 생물학적인 생명력이

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개개인이 정서적으로 독립된 사람이 되고 자신에게 개인적으

로 와 닿는 사실에 근거하여 독자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존재가 되게 한

다 공동체 전체의 비전을 중시하지만 그 속에서도 자기 자신의 관점이나 기준을 근

거로 행동하여 개인의 비전이 희생되지 않도록 하여 다른 사람과 구별된 개별적인 존

재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개인은 온전히 자기 자신이 될 수 있을 때

비로소 정서적으로 성장하고 자신의 꿈과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공동체적인 목표를

좇을 때보다 활력 있고 개인으로서 삶의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것도 공동체에 속한 각 개인이 개별성만을 추구하게 된다면 단연 공동체는 존재할

수 없게 될 것이다40)

그러므로 연합성과 개별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때 그 공동체는 건강

한 공동체로서의 사명과 본질에 충실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적절한 균형으로

서의 기준을 어디에서 발견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필자는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와

교회의 코이노니아 신구약 성경을 통해 제시해보려 한다

40) Ronald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97-104

25

1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역대의 교부와 신학자들은 삼위일체의 상호 관계성을 들추어내면서 삼위일체의

공동체성을 파악하고 있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관계 개념을 사용하여 삼위일체를 다

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한 분 하나님의 존재 안에는 세 가지 관계성이 존재하고 이 관계

성은 곧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으로서의 관계인데 여기서 관계라는

것은 하나님이 인간이나 피조세계와 가지는 관계가 아니라 삼위

하나님간의 관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규정하면서 삼위일체 하나님

의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려고 노력하였다는 것은 사실이라 할 것

이다 삼위 사이의 구별을 두기 위한 노력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lsquo관계rsquo(relation)라는 범주(category)를 도입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또한 갑바도기아 교부들에게서 보여 지는 것처럼 이 삼위를 구체

적인 개체들로 인식하지 않고 그보다는 어떤 관계로 정의하였다

즉 삼위일체의 위격들의 동일 신적 본질의 시각에서 삼위의 구별

을 이해하고자 함으로 그 삼위 사이의 구별은 본질과 관련되지 않

고 관계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삼위는 서로

나누어 가질 수 없는 것으로서의 각기 고유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서보다는 오직 그 위격들 상호간의 관계 혹은 비교(즉 아버지 되

심 paternity 아들 되심 filiation 은사 gift 등과 같은)에 의해서만

구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삼위 중 제2위가 성자라고 불리는 이유

는 본성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제1위 곧 성부

와의 관계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삼위 중 제1위이

신 성부가 성부라 불리는 것은 제2위이신 성자와의 관계 때문이

다)41)

칼뱅도 ldquo하나님은 자신을 한 하나님으로 선포하시면서 동시에 우리의 보기에는

구별된 세 위로 자신을 드러내신다rdquo42)고 하면서 삼위 하나님이 개별적인 존재이면서

관계 속에 존재하시는 분이심을 말하고 있다

칼 바르트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논하면서 ldquo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는 창조자와

피조자의 관계나 피조자들끼리의 관계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관계의 표본이다rdquo43)라고

말하고 있다 그 관계성은 삼위 중 어느 한 분도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세 분

은 다 같이 상호관계 안에서만 존재하며 영원하신 한 분 하나님 안에서 공통으로 존

41) 아우구스티누스 김종흡 역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 (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174-17642) John Calvi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13 2143) Karl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402

26

재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곧 성부 성자 성령이 상호 관계 속에서 하나가 되며

한 위격의 존재가 다른 위의 존재 안에 관계적으로 동참하면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

다 또한 바르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은 영원히 고독하게 자족적이고 자아 의존적으로 존재하는

분이 아니라 삼위일체론적 본성 안에서 상호 관계적인 공동체로

존재하신다고 믿는다 즉 성부 성자 성령 사아에 일어나는 관계

공동체의 상호 교제가 하나님과 인간의 코이노니아와 인간과 인간

의 코이노니아의 근거와 모본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의 모든 관계는 하나님 안에서 영원히 계

속되는 관계적 공동체를 반영하는 것이며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

와 성령 안에서 인간들 속에 이러한 공동체를 창조하려 하신다44)

중세 가톨릭교회의 극히 잘못된 교리 중의 하나였던 lsquo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rsquo

라는 대목 또한 단순하게 오직 교회만이 구원을 위한 은혜와 중재자로서의 시여자라

는 의미가 아닌 오히려 단순하게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로부터 분리된 기독교적

신앙이 존재할 수 없음을 말한다45)

전술한 바와 같이 성령이 성부 성자와 나누는 삶은 코이노니아의 삶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알아보면 삼위하나님의 코이노니아로서 내적 특성은 lsquo페리코레시스

(perichoresis)rsquo라는 개념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는 삼위

가 서로의 정체성이나 상호성을 잃지 않고 서로 내재하며 서로 관통하는 역동적인

관계성을 의미한다 즉 lsquo페리코레시스rsquo란 상호침투(mutual interpenetration) 또는 상호내

제(mutual indwelling)를 말한다 상호내재에 대한 개념을 좀 더 살펴보면 이는 삼위 각

각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삼위 간의 상호침투와 상호순환을 통해 역할과 기능을

상호 역동적으로 교환하며 함께 움직여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성부는 자신의

초월성과 능력을 유지하면서도 성자의 고난에 함께 동참할 수 있고 성자는 자신의

위엄 능력 창조적 주동성을 유지하면서도 성부께 순종하실 수 있다는 뜻으로 설명될

수 있다46)

교부들부터 바르트까지의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주장을 정리해보면 성부 하나

님은 단순하게 권위를 가지고 명령하는 위치로서가 아니라 성자와 성령을 섬기기 위

44) Barth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6345) Smith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3046) 김영선 관계신학 22

27

해 존재하는데 이는 자신을 비우고 주는 모습들로 나타나며 성자는 성부의 뜻에 순종

하며 드리기 위해 존재함으로서 성부가 성자가 되거나 성령이 성자가 되려는 모습을

주장하지 않고 성령은 자신의 뜻대로 하지 않고 성부와 성자의 뜻을 드러내며 각각

그 역할을 감당해 나감을 말한다 서로의 자리를 존중하고 서로를 위해 봉사함으로

그 존재의 삼위하나님의 신성을 찾는다47)

이처럼 삼위 하나님은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로서 우리에게 자신을 계시하신

관계적인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2 교회와 코이노니아

16세기 종교 개혁가들은 부패한 중세 가톨릭교회에 대항하여 내건 구호로서 lsquo성

도의 교통(Communio Sanctorum)rsquo을 사용하였다 성도의 교통이란 그리스도를 주로 고

백하는 무리들인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공동체 즉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를 의미하

는 말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수직적으로는 하나님과 교제하고 수평적으로는 성도들이

서로 하나 되어 교제하는 모임인 공동체는 교회의 본질적 요소이자 교회가 관계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는 당위적 이유가 된다

성도의 교통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면 오순절 성령 강림을 통해 하나님과 사람

이 하나 되고 성령의 교제케 하는 역사로 lsquo나rsquo에서 lsquo우리rsquo로 바뀌어 사람과 사람이 하

나 되는 전인격적인 교제가 가능한 공동의 몸이 되었다 그것이 바로 신약의 교회이

며 실제적인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모습이다 그리고 그 교회를 실제적인 공동체로 되

게 하는 것은 성령의 코이노니아를 통해서이다48)

이러한 성령의 코이노니아 사역은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하나님과 우리를 교제케 해주시고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서로 교제하게 해주시며

또 나아가서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도 교제의 관계를 이루

게 하신다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코이노니아의 유형들을 좀 더 세하게 살펴보면

첫 번째 사역인 수직적 관계에서는 성도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와 하나님과 교제하게

하는 것인데 이는 인간의 죄로 하나님과 단절되었던 관계를 예수님의 구속사역으로

회복시키는 속에서 예수님 한 분과 전 사회적인 구속사역을 예수님과 성도 개인 간의

47) 김영선 관계신학 5548) Ibid 57

28

구속사역의 관계가 되게 하는 역할 자가 성령이라는 것이다 더불어서 성령의 역사를

통해 성도는 그리스도와의 교제를 통해 하나님과의 무너졌던 관계를 다시 회복하게

된다 두 번째 사역으로서 수평적 관계에서는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될 수 있

도록 상호 간에 교제를 가능케 해주는 일이다 사도행전 2장의 마지막 부분인 42-47절

은 초대 교회의 공동체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코이노니아라는 용어 또한 본

격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세 번째로 코이노니아는 예수 믿는 자들끼리만 아름다

운 나눔의 삶을 갖는 집단 이기주의적인 교제의 모습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더 나아가 온전한 코이노니아로서 교회공동체라는 울타리를 넘어서 지역 사회 속에

있는 고통당하는 이웃을 돌아보고 더불어 삶을 만들어가는 영역까지를 일컬으며 이는

사도 바울이 디모데전서 618에서 ldquo선한 일을 행하고 선한 사업에 부하고 나눠주기를

좋아하며 동정하는 자가 되게 하라rdquo는 말씀에 분명하게 등장하고 있다49)

이러한 성령의 사역 가운데 있는 교회공동체의 사명은 세 가지 차원의 관계회복

으로 정리해볼 수 있으며 교회건강의 기준으로서 본질과 사명을 고려할 때 교회의 건

강성의 척도는 결국 관계성과 관련된 사명으로 규정되어야 합당하다

3 신구약에 나타난 관계성

신구약성경 전체를 통틀어서 나타난 하나님의 현현과 계시는 다분히 관계를 세

우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의 창조물을 향한 주된 관심은 분명

관계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내용을 모두 나열할 수는 없지만 그 중 세

가지 정도만을 가지고 성경의 관계성의 근거로 삼아보고자 한다

창세기에 나타난 아담과 하와는 선악과를 따먹음으로 인해 죽음에 합당한 죄를

범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죄와 함께 하나님을 더욱 마음 아프게 한 행동은 그들

이 범죄함으로 인하여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숨어버린 것이다 즉 그들은 그들 편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에 단절을 선언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깨져버린 관계는 결국 하나님

과의 영영한 관계의 파괴로 이어지게 된다50)

또한 사도행전 2장 42~47절 초대교회의 모습을 바탕으로 존 스토트는 살아있는

교회의 네 가지 특질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49)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6950) 창세기 3장 10절 참조

29

첫째 성도들은 사도들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

침에 전념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사도적인 교회이다둘째 성도들은 서로서로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서로 사랑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돌봄과 나눔의 교회이다셋째 성도들은 하나님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떡을 떼고 기

도하면서 기쁨과 경건으로 하나님을 예배했다 살아있는 교회는 예

배하는 교회이다넷째 성도들은 바깥세상과 관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증거하며 밖

으로 나아갔다 살아있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위의 모든 특질들이 지칭하고 있는 것은 성도들과 다른 대상과의

관계를 중심개념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51)

에베소서 2장 21절을 보면 ldquo그의 안에서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

전이rdquo의 본문에 사용된 lsquo연결하여(συναρμολογεω)rsquo는 lsquo함께(συν)rsquo와 lsquo서로 결합하여(α

ρμολογεω)rsquo의 합성어로써 건물의 이음새가 한 치의 오차 없이 정확하게 결합된 상태

를 나타내는 표현이며 그리스도와 성도 간의 상호 긴하고 유기적인 관계성을 나타

낸다

부부관계를 향한 에베소서 5장 22절 이하의 말씀에서처럼 아내가 없는 남편이

가능할 수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을 성경은 말씀하고 있다 아내가 없는 남편이 없는 것처럼 존재에 의미

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본질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성부와 성자 성령은

상호관계 속에서 그 존재적인 구별과 위격이 발견된다 그러나 본질은 동등하다 인간

은 인간 홀로 있어서는 본질적인 구별이 불가하다 만물이 함께 존재하므로 관계를

통해서 인간의 인간됨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관계가 바로 본질이다 관계를 발전시키

는 기준과 핵심요소 중의 하나는 믿음(faith)에 관련된 것이다 구원은 결국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끊어진 관계의 회복을 의미한다고 할 때 그러한 맥락에서 구원의 근거로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이 바로 믿음인 것이다

단지 몇 부분만을 탐색한 것에 불과하지만 신구약전체를 망라하여 하나님께서

그분의 말씀을 통해 인간에게 계시하시는 것은 건강한 관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그 하나님의 비전은 신약시대 들어 성령강림 이후 세워진 교회에서 성취된다 그러므

로 교회의 건강성을 세워가는 데는 관계신학적 기초가 타당하다고 본다

51) John R W Stott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39

30

제 3 절 교회의 본질에 대한 이해

포스트모던 시대 한국교회의 일탈에 대한 부작용으로 lsquo가나안성도rsquo라 불리는 나

홀로 신앙이 또 하나의 선택 가능한 대안이 되고 있는 지금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관계는 기독교의 중심축이다 예수님께서도

십자가 위에서 마지막 순간에 자신의 관계공동체인 가족 즉 어머니를 끝까지 배려하

셨다 이처럼 현대인들의 영적인 생활은 하나님과 함께 나 홀로 집에서 이루는 것이

아닌 서로 간의 다면적 관계 속에서 해야 한다 우리가 공동체로 있을 때 하나님이

임재하시며 우리와 소통하신다52)

그런 면에서 현대 신학의 주된 관심이 lsquo교회란 무엇인가rsquo에 대한 교회의 본질에

있기 보다는 lsquo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rsquo라고 하는 외적인 모습 또는 기능과 관

련된 질문에 더한 관심을 가진 이유는 지금까지의 교회론이 교회의 실제적인 모습과

역동적인 사역과 동떨어진 형이상학적이고 관념적인 이론 이상의 것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53) 이론만 반복하는 것은 분명 실제와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흐를 수 있는

함정을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성경적인 교회에 대한 본질을 분명히 하는 것 없이

실용적인 측면에서만 교회론을 다루는 것 또한 위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단은 교

회의 본질이 성도의 교제이며 관계에 대한 것임을 성경적인 이해를 통해 명확히 할

필요를 가지게 된다

1 하나님의 백성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관은 일차적으로 하나님이 친히 그의 백성과 맺은

관계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택하시고 자신의 백성으로 삼

으셨다는 전제 위에 교회는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그 속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누리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모임이다54)

신약에서 표현된 그리스도인들을 하나님이 선택한 이스라엘 백성의 연속과 확장

의 개념은 신약 교회에서 새로운 이스라엘로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으

52) Leonard Sweet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15653) 김현진 공동체신학 2254) Ibid 30

31

로서의 교회를 의미하며 이는 결국 민족적 구분이 아닌 그리스도 안에서 이스라엘 백

성을 초월하여 유대인만 아니라 이방인들도 하나님의 동일한 백성이 될 수 있음을 의

미하며 이를 정리할 때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란 개념은 종말론적 개념으로서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고대하며 현재에로 돌입하는 하나님 나라의 표징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제 하에 세

상 한가운데서 세상을 위해 살아야 하지만 세상에 물들지 않고 오히려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는 것이야말로 종말론적 하나님의 백성이 취해야 할 삶의 방식으로 큉은 말하

고 있다55)

하나님의 백성은 그와 관계를 맺었던 이전에 존재했던 백성이 아니고 하나님의

모으심으로써 그리고 하나님의 거주하심으로써 새로이 구성된다 하나님의 백성은 그

들이 하나님께 연합되어 있다는 유일한 이유 때문에 서로서로에게 연합될 수 있게 된

것이다56)

교회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말하는 또 다른 특성은 교회의 공동체적 성경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개인주의적 교회관과는 대립되는 개념이다 교회는 신앙을 가진 개인들

의 단순한 집합정도가 아니라 공동체를 통해 개인과 성도의 교제로 나아감을 말한

다57) 즉 교회는 개인의 모임을 넘어선 개인 간의 사귐과 섬김의 교제가 있는 공동체

를 말하는 것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관점의 의미이다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규정은 그의 사명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난 새 관계를 통해서이다 그에 대해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

하나님의 그 자신에게로 그의 백성을 부르심은 세상에 대한 사명

에 종속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궁극적인 계획은 그리스도

안에서 택함 받은 새 인류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하는 것이기 때

문이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남은 자를 택하시고 구속하신 하

나님의 주권의 두려운 신비를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세상에서의 하나님의 사명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그것에

대한 그의 계시를 알아야 한다58)

55) Hans Kung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169-17156) Edmund P Clowney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2757) Kung 교회 17358)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2

2 그리스도의 몸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보는 시각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기독론적인 방법

으로서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 중심의 본질성과 그리스도와 성도의 불가분의 연합

성을 나타내는 표현이며 더불어 유기적인 구조로서 교회를 가장 잘 나타내는 말이다

그리스도의 몸이 강조하는 것은 온 성도가 머리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히 연합하

여 한 생명의 근원 아래서 몸에 붙여 있는 지체로서 각자의 역할과 생물학적인 관계

와 연결 아래 있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를 보는 시각은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몸으로서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간의 관계와 함께 서로 지체로 영향을 주고받는 성도들 상호간의 관

계를 강조하는데 고전 1227에서 ldquo너희는 그리스도의 몸이요 지체의 각 부분이라rdquo고

말함으로써 바울은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 성도 개개인의 상호연결성과 서로 간에 의

존관계로 교회를 다루면서 개개인에게 주어진 다양한 은사들마저도 개인의 유익을 위

한 것이 아니라 몸 전체의 덕을 세우기 위해 주어진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는 자신이 세상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표징과 도

구로서 자신 만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세상을 위한 존재이며 그리스도의 몸인 동시에

죄인들의 공동체이다

교회의 본질을 그리스도의 몸으로 비유함에 있어서 클라우니는 다음과 같이 말

하고 있다

그리스도께서 구약으로부터 계속 반복되어진 언약의 머리되심이라

는 배경 위에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언약의 머리가 그

리스도일 때 그 언약 안에서 화해의 장이라는 역할을 감당하는 교

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 비유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안에 관계적인

어려움이 무너지고 진정한 화해가 이루어지는 것 또한 그리스도께

서 십자가에 달리신 그 몸에서 부터인데 우리 안에 원수 된 것은

그 안에서 소멸되었고 우리 둘은 그로 말미암아 아버지께 나아감

을 얻게 되었음을 확실히 하고 있다59)

그리스도의 몸이란 개념 속에는 교회를 계급 제도보다는 예배공동체로 정의하는

데 이 예배를 통하여 현존하시는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몸을 이루어 나가시는 사건으

로 예배를 통해 한 인간의 모습이 아닌 성도의 교제로서 공동체의 모습을 취하게 된

59) Edmund P Clowney 교회론 39

33

다 예배의 참됨은 성도들의 사랑의 교제 속에서 입증되며 이러한 생각은 거룩한 존

재와의 교제를 통해 성도들이 일치되는 것을 교회의 본질로 보는 사도신경의 교회론

과도 일치하는 부분이다60)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이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이며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

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

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한다61)

그리스도께서 성도들을 그의 몸의 일부분이 되도록 함으로써 은혜가운데 두신

이유는 성도들 또한 서로 간에 한 몸이 되도록 노력할 것을 요구하심이다 어느 한

부분이 약해져있거나 병들어 있다면 그것은 몸 전체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심지어

는 생명 전체를 위협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 건강한 몸은 건강한 각 지체들이 건강

한 관계로 서로 상호작용할 때 가능한 일이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건강한교

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각 지체가 건강해야할 뿐만 아니라 그 연결을 의미하는 관계에

서도 건강한 관계를 이루고 있음으로 해서 몸된 교회는 존재의 건강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공동체는 보이는 않는 그리스도의 몸의 가시적인 형태이다 역사적으로 이 그리

스도의 몸이란 용어를 너무나 추상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어왔는데 이는 지극히

구체적인 형상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이 공동체적인 삶으로 함께 살아감으로써 그리스도

의 한 몸이 됨을 나타내야 하고 이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는 주체의 자리를 회복할

때 보이지 않는 그리스도가 몸된 교회로서 그리스도의 공동체를 통해 보여져 나타나

게 될 것이다62)

60)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29061)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33462) 김현진 공동체신학 37

34

3 성령의 전

오순절에 성령이 강림하심으로 비로소 신약 교회의 탄생이 이루어졌고 이후로

성령께서는 계속해서 교회를 세우시고 교회 안에 내주하고 계신다 고전 1213에서는

ldquo우리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자나 다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한 몸

이 되었고 또 다 한 성령을 마시게 하셨느니라rdquo63)고 말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바울은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들 안에 계심으로 우리가 lsquo하나님의 성전인 것(고전 316)rsquo과 우

리 각자의 몸이 lsquo성령의 전(고전 619)rsquo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또한 에베소서 2장 21~22

절에서는 lsquo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가고rsquo이며 lsquo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거하실 처소가 되

어간다rsquo고 말하고 있다 게다가 성령은 오순절강림을 통해 각 제자들이 방언을 말함으

로 복음을 증거하며 기사와 표적을 나타내었던 것과 같이 교회 안에 자신의 능력을

부어주심으로 교회를 교회되게 하며 교회가 감당해야할 사명을 주관하신다 예수 그

리스도를 믿고 하나님을 아는 것은 성령의 능력으로 말미암는 사건이고 초대 교회의

형성은 성령의 능력 안에서만 가능한 사건이었다

클라우니는 신약시대 교회에 대하여 교회의 통일성을 성령의 교제의 결과로 보

았다 성령의 사역을 그리스도와의 생명의 연합으로 이야기하면서 결국 교회란 그리

스도 안에서의 공동의 삶으로 해석하고 있다64)

예수님이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

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완

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암

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

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다65)

또한 성령의 가장 중요한 사역 중의 하나는 고린도후서 13장 13절 ldquo성령의 교통

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rdquo의 말씀과 같이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 사이의

교제가운데 그 능력을 나타냄으로 교회 안에 사랑의 교제와 연합이 있게 하신다 성

령께서는 성도들로 화목제물 된 그리스도의 구속을 바탕으로 하나님과 화목한 관계로

교제하게 하며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하나가 되는 교제와 관계를 이끌어가는 실제적인

63) 성경인용은 한국어 개정판 성경을 사용하였다64) Edmund P Clowney 교회론 8765)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

35

주관자이시다 성령이 각 사람 마음에 임할 때 그 사람은 성령의 교통케 하심을 통하

여 하나님과 끊어진 관계가 회복되며 이뿐 아니라 교회를 이루는 지체로서 각 성도들

과 연합하며 교제를 가능케 하신다 더불어 각 지체들이 은혜로 받게 되는 각양 다양

한 은사들이 모두 성령께서 그 뜻을 따라 나누어 주는 성령의 은사로서 이를 통해 교

회는 하나의 모임에서 더 나아가 유기적으로 각 기능을 감당하는 부분을 통해 교회의

본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

자가 속해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

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

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게 된 것이다66)

창조주 하나님과 각 개인의 관계 속에 혼란과 왜곡이 일어날 때 그 관계는 병든

모습을 띠게 되고 이는 구조적으로 창조세계 전체에도 함께 혼란을 불러일으키게 되

는데 이를 다른 용어로 lsquo죄rsquo라고 한다67) 나의 죄는 셀 수 없이 많은 형태로 다른 이

들에게 영향을 끼치며 그리고 다른 사람의 죄 또한 나에게 그러하다 개인이 모두의

영역 안으로 그리고 모두가 내 안의 영역에 대해 동일하게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보게 된다68)

많은 프로그램들을 시행하는 모임들을 가진 교회가 아닌 그저 모임들로 이루어

진 교회 관계가 중심이 되는 사역을 위해서는 당연히 교회는 접촉과 보살핌이 가능

한 구조로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이는 전체 교회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

핌 조직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결코 큰 수를 단위로 해서는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즉 교회가 작아질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다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

66) Ronald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5867) Colin E Gunton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5968) Ibid 63

36

든 구성원이 얼마나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린 것이다

제 4 절 관계신학의 실천적 요소

지금까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성도들 사이의 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직접적인 참여나 헌신을 통하여 관계를 세워가고 깨어진 관계를 치료하며 약해진 관

계를 강화시키는 것에 주로 집중해왔으며 신학자들은 그 모든 과정을 하나님의 섭리

와 주권으로 이해해왔다 현재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관계로 인하여 죽어가고

고통당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 관계신학은 모든 사람들을 죄와 고통가운데에

서 구원하기 원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한 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그들의 집이 불타며

많은 잔인한 사람들로 인해 일어나는 범죄들 속에서 입고 있는 상처까지도 살펴야한

다 게다가 자연세계는 무분별한 인간의 개발에 신음하고 있다 교회는 관계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를 통해 세상을 돌보며 연약한 자에게 찾아가며 지역사회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에까지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일을 해내야 하는 사명을 품고 있다 이어

서 관계신학의 관점에서 교회 사역가운데 필요한 관계중심의 실천적 과제에 대해 논

해보고자 한다

1 관계중심의 리더십

목회자 리더십의 근원은 하나님과의 관계로부터 나와야 한다 목회자가 관계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으로 세워질 때는 단연 하나님과 사명을 맡은 자로서 하나님과의

바르고 건전한 관계가 우선되어져야 한다 그 다음 목회자는 특정한 교회나 특정한

영역에 파송 받아 목회를 하는 특수한 지도자로서 목회를 하는 자리인 교회와의 관계

에서 제대로 된 리더십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더불어 목회자는 교회가 속한 지역

사회 속에서 리더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만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풀러신학교의 교수로 재직했던 Carl F George는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는 무엇

37

인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람들을 억지로 조직에 끼워 맞추지 않으며 오히려 사람들이 상

호 간에 친근감을 갖도록 도와줌으로서 미래의 교회에서는 목회자

들이 관계목회를 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모든 지도자들은 사역이 아니라 관계를 중시하고 또한 소그

룹들조차도 그들의 직무나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양육과 관계에

기초를 둔 보살핌을 중심 가치로 여겨야 한다69)

목회사역은 주로 관계와 관련되어 있으며 성도들의 정서적 경험과 연관되어 있

음으로 해서 성공적인 사역은 단순히 성경적 신학적 지식이나 사역자의 경건 수준

혹은 기도의 분량이나 헌신도 어떤 특정한 목회기술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아닌 오

히려 사역자의 정서적 성숙 및 그 수준과 불가분의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70)

또한 Carl F George는 미래교회의 모습을 예견하면서 관계에 기초를 둔 목회의

실천적 모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1 사람들이 의존에서 벗어나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다2 사람들이 공동체 내에서 자신들의 영적 은사를 활용할 수 있도

록 그들에게 힘과 권한을 부여한다3 목회 자체를 방법이나 커리큘럼보다는 변화된 삶과 더 많이 연

결시킨다4 사람들을 성씨(姓氏)의 가나다순이나 우편번호(지역)나 나이 등

을 기준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친근감에 기초를 둔 관계를

기준으로 나눈다5 부끄러움 죄의식 또는 책임보다는 목회자가 먼저 본을 보이는

것에 의해 동기를 부여한다71)

Schwarz가 이야기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성장하는 교회에서 가능한 것은

그 교회가 이미 성장이라는 궤도에 올라서 있기 때문이다 작은 교회에서 성직자와

구별되어 교회로부터 일체의 사례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 이미 지적으로 높은 수준에

올라있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새롭게 훈련시켜 세우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69) Carl F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7470)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571) George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75

38

이는 결국 성장하지 않는 교회로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의 부재라는 외적인 모습

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은 이미 성장한 교회에서

가능할뿐더러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것은 상황과 특수성을 무시한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도 적용 가능한 것이 바로 관계중심의 리

더십을 통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이다 평신도를 사역자로 훈련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적 재정적 시간적인 요소들이 필요하지만 반면 관계를 세우는 지도력을 위해서는

훨씬 작은 훈련과 재정으로도 가능하다 물론 여기에서 관계가 의미하는 바는 그리스

도의 온전한 제자로서 하나님과 교회와 세상과의 관계를 말한다 포스트모던 시대

성도들은 어느 때보다 건강한 관계에 목말라 있다 교회에서 목회자부터 관계를 세우

는 목회의 자리로 나아가야 한다

2 관계적 복음의 선포

그동안의 복음이 일관되게 각 개인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해서만 거론되고 있

는데 이를 바로잡아 개인과 개인의 모임으로서 교회공동체를 통한 복음이 선포되어야

한다 배고픔에 처한 자에게는 음식을 얻을 수 있는 길이 복음이 될 것이고 불치의

병에 걸려 죽음을 앞에 둔 이에게는 병으로부터의 치유에 대한 방법이 복음이 될 것

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순간적인 것이 아닌 영원과 관련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교회

는 단순히 개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사람들은 교회에 올 때 그들 각자가 속해

있는 많은 관계들과 그 영향을 가지고 함께 온다 그러므로 교회는 단순히 개인들만

의 연결로서 볼 수 없고 이러한 수많은 관계 아래 영향을 받고 있는 개인들이 모여서

또 다시 수많은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또 다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단순하게 이 복잡한 구조만을 집중한다면 그 사실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 그러

나 이러한 사실 때문에 교회 생활은 그 개인과 그 개인이 속한 많은 관계들에게까지

복음의 거룩한 영향력으로 변화와 회복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의 중심에 놓일 수 있

게 된 것이다72)

예수님께서 새로이 짓는 성전은 손으로 만든 건물로서의 성전이 아니라 속죄의

제사를 통하여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유지해 나아가는 성전의 기능을

72) Richardson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58

39

완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신을 속죄와 새 언약을 세우는 제사로 드림으로 말미

암아 새롭게 창조할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의미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

들로서 나단의 예언에 따라 성전을 세우는 직임을 감당하려는 것이라고 김세윤은 말

하고 있다73) 즉 예수님의 복음은 늘 공동체적이고 교회지향적이었다 복음이 단순하

게 불신자를 설득해 교회 안으로 데리고 들어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수의 복음을

통해 회복된 관계를 증거해야한다

그리스도인들이 모여 이룬 유기체로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바로 예수님에

세울 새로운 성전으로서 이 땅에서 종말의 때에 그리스도의 평화가 실현되는 곳으로

그리스도의 속죄의 제사에 의거하여 하나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평화를 누리는 이들

의 모임인데 이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주장하려는 자세를 포기하고 하나님과의 평화

를 통해 함께 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서로를 사랑의 모습으로 섬기는 교회

의 모습일 것이다 바울 서신서들(갈 328 엡 43)에서 고백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성전된 교회는 주인과 직원 남자와 여자 물질적으로 잘 사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의 막힌 담이 무너지고 대립관계가 아닌 서로 협력하여 같은 하나님의

자녀들로서 서로에게 형제자매들로서 하나 되어 존재하도록 부름 받은 모임을 말하고

있다74) 그러므로 lsquo예수천당 불신지옥rsquo으로 요약되는 가진 자들에겐 부의 연장으로서

없는 자들에겐 고통스런 인내 후에 성취될 보상으로서의 천국에 대한 복음이 아닌 현

세에 이미 이루어진 관계공동체로서의 교회가 바로 예수님이 증거하신 하나님 나라의

복음임을 증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공동체로서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그

리스도인의 교제(사귐)의 핵심은 속한 모든 구성원이 은혜로 말미암아 입게 된 하나님

의 사랑을 체험하고 이를 서로 안에 섬김의 모습으로 얼마나 반영할 수 있느냐에 달

린 것이다

3 공동체적 체험이 가능한 예배

더불어 예배는 하나님과 인간의 진지한 만남이기에 그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체험이 존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많은 은사주의 교회들은 방언과 같은 가시적인 현

상을 강조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예수 그리스도의 마지막 만찬을 통해 세운 의례로서

73) 김세윤 예수와 바울 3074) Ibid 334

40

성만찬의 회복은 예배에서의 만남과 임재의 체험의 증거로서 건전한 방편이 될 수 있

기독교는 관계의 종교이다 많은 관계들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은 그리스도

와 맺는 관계이며 모든 것은 그 관계를 어떻게 관리하고 유지하는가에 달려 있는데

실제로 성도들로 하나님이신 예수님과의 관계에 대해 제대로 된 훈련의 기회가 제공

되지 못해 왔다75)

삼위일체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은 관계를 맺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

고 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서로 다른 인격체들과의 관계 속에서 사랑과 협력 그리

고 일치된 공동체의 본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이 하나님을 닮아가는 삶을 살고자 노

력한다면 하나님은 은혜를 베풀어 인간의 공동체도 삼위일체를 닮아 가도록 인도하

신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서로 교제하고 섬기는 것은 그것이 서로에게 기쁨이 되기

때문으로 진정한 사귐에는 기쁨이 나타나는데 이처럼 삼위일체 하나님의 서로 간의

사귐과 섬김을 통해 그 존재 목적을 나타내며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코이노니아의 모

범을 보이고 있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상호 사귐과 섬김의 공동체이듯 교회 안에서

성도들 사이에도 이와 같은 사귐과 섬김을 통한 온전한 공동체를 이루어 나아가야 한

다 구원사역의 본질도 이처럼 하나님과 세상과 성도들 사이의 사귐과 교제를 회복하

는 본질적으로 삼위 하나님의 모습과 동일하다 가장 초기의 모습으로서 삼위일체 하

나님이 관계적 공동체의 모습은 다시 성부 하나님의 계획과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을

통해 성령께서 이루신 교회 공동체 속에 다시 투영되어 모든 관계의 모범으로서 서로

사귐과 섬김의 관계공동체를 세워가야 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드려지는 진정한

예배란 하나님과의 사귐 성도들과의 사귐 그리고 세상을 향한 사귐으로서의 결단이

함께 하는 예배여야 할 것이다

함께 모여 드리는 공예배가 각 개인이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는 자리에서 더욱

성숙해서 공동체가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며 그 안에서 일어나는 공동체적 경험으로

서 성만찬과 같은 개별적이었던 개인의 연합을 경험하는 화해의 역사가 일어나는 예

배여야 한다 교회 안에서부터 막힌 담이 무너지지 않고 어떻게 세상 속에서 관계의

회복을 논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모든 공예배는 다양한 방편을 통해 서로 안에 공

75) Leonard Sweet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52

41

동체로서의 체험을 가능케 하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4 가정 중심의 사역

건강한교회의 바탕으로서 건강한 가정은 필수적이다 하나님에 대한 아이의 느낌

과 이미지는 부모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나님의 이미지와 그 이미지의 기초가

되는 부모 사이의 연속성은 직접적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정반대일수도 있다76)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

한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

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교회 내에서 가정을 위하고 자녀 부부 부모자녀 간에 있어지는 일등에

대하여 많은 가르침과 다양한 사역의 실행들이 있어왔다 게다가 한국적인 정서 또한

가정에서 효(孝)와 경(敬)을 중시하는 문화적 전통으로 인해 늘 가정은 중요시되어왔

고 가정교육의 중요성 또한 늘 강조되어 왔던 부분이다 그럼에도 현대에 들어와서

나타나는 많은 가정의 문제들 앞에서 교회는 그리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무기

력하게 방관자적 입장에 놓여할 때가 많았다 그러는 중에 사회적인 추세보다는 앞선

입장에서 많은 신학교들에서 상담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거기에 발맞추어 교

회에서 가정 사역을 적극적으로 나서서 시행하기 시작하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

이지만 여전히 교회는 양적인 성장과 결과에 민감하게 가정 사역을 대하고 있다는 사

실은 아직 성숙하지 못한 가정사역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현대 사회는 이러한 친감을 다시 가정으로부터 빼앗아 여러 가지 상업

적인 목적을 가진 대형기업과 각종 디지털장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소셜네트웍이 차

지해 가고 있으며 포스트모던사회가 추구하는 쾌락중심의 관계를 최고의 선으로 여김

으로서 이 세대 가운데 가정이 설 자리는 갈수록 좁아져 가고 있다

교회 안에 함께 하는 이들에게는 저마다 가족에 대한 해결되지 않은 애착의 문

제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자기의 일이나 사역의 현장에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교회를 대리 가족으로 삼아 그곳에서 가족의 묵은 문제를 다루거나 개선하려는 시도

76) Michael St Clair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24

42

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으며 가족에게서 받지 못했던 미흡했던 관계의 개선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본인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과

거의 가족 경험에 대한 자동적인 반응으로서 원가족 경험은 부부 및 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교회에서 사역하는 방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77) 때로는 이것들이

교회의 건강성을 훼손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가정

을 더 이상 교회성장의 밑거름으로가 아닌 교회가 도달해야할 목표로 삼아 가정을 회

복시키고 세우며 성도들이 건강한 가정에서 진정한 사랑의 관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5 건강한 지역사회를 세움

삶과 신앙의 일치 신앙과 신학의 건설적인 만남을 추구하는 모든 신학은 lsquo하나

님의 주권rsquo을 전제로 한다 하나님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창조하셨기 때문에 이 세상

의 어떤 것도 그의 주권적 질서 밖에 존재 할 수 없다 하나님이 정치 경제 문화 생

활 전반을 포함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주관하신다는 것은 하나님이 교회 안에서만 아

니라 정치 경제 문화 영역에서도 일하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교회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강조로써 교회의 신뢰도 추락에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요소 가

운데 하나인 이원론적 사고와 편견을 극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관계신학적 입장에서

교회는 더욱 세상 속으로 나아가야 하고 특별히 주변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세우는 사

명을 감당해야 한다 우주는 하나님의 영광이 펼쳐지는 무대라는 칼뱅의 고백처럼 정

치 경제 문화를 망라한 전 사회의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이 인정되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정치 경제 사회적 부정 비리 사건들에 거의 빠짐

없이 교회와 관련된 이들 더욱이 교회의 중직자들까지도 연루되어 있어 왔다 교회의

중직을 맡아 봉사하던 이들이 어떻게 세상의 비판과 조롱거리가 될 정도의 삶을 살게

되었을까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지만 첫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세

상이 그만큼 골고루 악해졌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교회의 중직

을 맡을 정도로 교회 생활을 많이 해 온 그들이지만 세상의 악한 세력과 맞서 싸우며

77) Richardson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28

43

살기에는 너무 무력해서 세상과 타협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그들은 우

리에게 lsquo교훈을 주고 책망하며 또한 바르게 하여 줌으로써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여 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온전케 하여 주는 말씀의 능력rsquo을 체험하지 못했기 때

문에 악한 세상의 세력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 악해지고 더욱 속이기도 하고

속기도 해서 lsquo정직한 사람은 성공하기 힘들다rsquo는 말이 옳은 말로 들릴 정도로 악한 세

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이다 그렇지만 말씀을 우리 삶의 우선적인 등불로 삼아 그 말

씀으로부터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여 ldquo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더욱 온전케 되

어rdquo(딤후317) 진정으로 하나님의 사람들이라 불릴 수 있는 정직한 그리스도인들이 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신뢰도가 높지 못하다는 비판은 바로 한국 기독교인들이

신앙인답지 못함 즉 정직하지 못함을 지적한다 한국 교회의 부정직성은 한국교회가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을 향한 충성이 부족함을 뜻한다 그러므로 지역사회가 교회

를 신뢰하게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신앙인 됨의 기초인 영성을 점검해야 한

다 신앙과 삶의 일치에 대한 당위성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새로운 고백 뿌리 깊은

죄성에 대한 통찰에 기초한 계속적인 자기개혁 등은 한국 교회 신뢰도 증진에 전제

요소들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신앙적 내용들에 대한 확인과 점검 즉 신학적 작업은

성도들로 하여금 복음을 개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삶의 태도를 갖게 할 것이다 이

러한 복음에 대한 개방적 수용은 한국 교회로 하여금 ldquo개혁되어진 교회라도 계속 개

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est78))rdquo라는 종교개혁의 정

신을 계승하도록 할 것이다 하나님의 주권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확고한 비전은 한

국 교회와 사회 전반에 대해 일관된 개혁적인 태도와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전

하게 한다 또한 기본적인 영성에 대한 점검은 기독교인들을 자신의 삶과 태도를 절

대시하거나 그 안에 안주하지 않고 하나님 나라의 비전 즉 lsquo하나님과 이웃사랑의 삶rsquo

과 lsquo작은 자와 함께 하는 삶rsquo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므로 신뢰받는 교회 즉 건강

한교회가 될 수 있다 지역사회가 병들고 위험에 처하게 될 때 교회 또한 그러한 위

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교회는 세워진 그 지역을 위해 세워진 하나님 나라의 터전

78)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 fn1-11529

44

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과감하게 그 안에 참여하고 소금과 빛

의 역할을 감당해 나가야 한다

6 생태계 보호에 적극적인 참여

Leonard Sweet은 그의 책 관계의 영성에서 ldquo성경에서 일관되게 정의하는 믿음은

기본적으로 하나님과 이웃 세상 그리고 자연과 맺는 일련의 관계rdquo79)라고 말하고 있

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라함은 결국 성도 개인과 하나님 뿐 아니라 하나님께서 창

조한 자연 만물과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관계적 믿음 안에 있는 사역의 모습은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고 지키며 가꾸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일이어야 한다

교회 건축에서부터 환경친화적 건축이 되어야 하고 교회 안의 모든 활동에서 교회는

하나님의 창조세계인 자연의 보호자임을 나타내야 한다 일회용품 사용의 억제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교회차량의 친환경화에까지 비록 많은 비용 부담을 감내해

야 하고 당장 모든 교회가 시행할 수는 없지만 하나님의 교회는 창조세계에 대한 책

임을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 한다 주일 하루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하는 일과 같은

경우도 교회 내의 성도들에게 뿐만 아니라 세상을 향한 교회의 사명을 증거하는 강력

한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더불어서 주차 때문에 일어났던 교회 주변 이웃들과의 갈등

을 줄이는 효과를 더불어 누릴 수 있다

지구 온난화로부터 야기된 해수온도 상승과 빙하의 감소는 생태계의 커다란 파

괴를 초래하고 있다80) 이외에도 각종 환경오염과 오존층파괴 생태보호종의 무분별

한 남획은 지구 생태계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인간의 탐욕에 의해 일어난 환

경재앙이 이제는 인간의 삶의 터전을 무너뜨리며 결국에는 전 지구적인 재앙을 일으

키게 될 것은 자명하다 거듭난 그리스도인으로서 성도는 자연 만물과도 회복된 관계

속으로 나아가야 한다 환경을 지키고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일에 교회의 역할이 필요

하다 기후붕괴를 일으킨 지구온난화를 관계신학적인 관점에서 인식하고 생태계의 위

기 상황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회복을 위한 사역에 대한 논의와 비전이 일어나야 한

다81)

79) Sweet 관계의 영성 3780)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한국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참고

45

다음 장에서는 다양한 교회건강이론들에 대해 살펴보면서 특징들을 비교하고 이

시대에 필요한 건강한교회는 어떤 교회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81) 김영선 관계신학 336

46

제 4 장

건강한교회에 대한 이론들

그동안 한국교회는 성장과 부흥에 집중해 왔다 양적으로 많이 모이고 규모가 큰

교회는 다른 교회들의 모범적인 부흥의 사례가 되었고 그 교회 목회자 또한 부흥의

방법을 배우려는 이들의 모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여러 가지 이슈들

을 겪으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인다는 단지 그 이유로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시점에서 질적인 성장을 강조하는 교회건강에 대

한 움직임은 고무적인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그 내부를 좀 더 살펴보면 그 또한

변형된 양적성장운동임을 보게 된다 일정한 활동을 통해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양적

성장을 통해 그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규정하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그동안의

양적성장에 비해 뒤쳐진 질적 특성을 보완하여 계속적인 교세의 성장을 위한 것이다

건강은 교회의 외적 규모를 가지고 결정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크지만 병이

걸려있는 교회가 얼마든지 존재하며 작지만 내실이 든든해서 건강한교회들 또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번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을 살펴보면서 먼저는 독일에

본부를 두고 있는 자연적교회성장을 연구한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이론과

Wagner Anderson Macchia의 건강한교회에 대한 특성을 연구한 결과들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비교해서 NCD 이론에 나타난 약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

운 방안으로서 다음 장의 관계성 중심 사역을 위한 관계신학으로의 주장에 대한 근거

를 마련해 보려 한다

47

제 1 절 Christian A Schwarz의 교회건강 8가지 질적 특성

Schwarz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NCD의 이론에 따르면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는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보다 괄목할만하게 개발된 질적 특성들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질적 특성들은 대표적으로 8가지이며 이것들은 모든 교회 내에 존재

하는 요소이다 Schwarz의 연구는 양적 성장 자체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질적 성장의

원리를 통한 접근방식을 취한다 이 방법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가정은 좋은 lsquo질적

특성rsquo은 lsquo양적 성장rsquo이라는 결과를 반드시 가져온다는 것이다 lsquo질적 특성rsquo이라는 용어

는 어떤 상황에 처한 모든 종류의 교회들에게 타당한 원리로서 묘사된다 여덟 가지

질적 특성의 모든 측면들은 질적 및 양적 성장을 경험하기를 원하는 어떤 교회에 대

해서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며 연구 결과이다82)

계속해서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에 대해 개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NCD 이론을 통해 제시하는 교회건강의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이다 지도자의 리더십에 따라 교회가 나아가는 방향과 목회철학을 비롯한 사

역들이 정해진다 리더십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질적으로 건강

하고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면 교회 지도자는 교인

들을 양육하고 훈련하여 교회 사역자로 세우고 그들에게 권한과 책임을 위임하는데

있다는 사실이다 그와 같은 지도력은 lsquo유능한 지도력rsquo이 아니라 lsquo사역자를 세우는 지

도력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83)

NCD의 조사 연구 결과는 lsquo목표 지향적rsquo이 지도력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이긴 하

지만 흥미로운 것은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나 성장하지 않는 교회의 지도자나 이 점

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며 건강한교회의 지도자는 평신도를 사역자로 세우는

지도자라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 유념할 부분은 평신도를 사역의 동역자로 세우는 교

회 지도자가 있는 교회가 lsquo성장한다rsquo는 것을 이유로 교회건강을 위한 질적 특성들 중

82) Christian A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18383) Ibid 28

48

하나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는 것이다84)

2 은사 중심적 사역

두 번째 질적 특성인 은사 중심적 사역 역시 교회 지도자의 리더십과 긴한 관

계가 있다고 한다 성장하는 교회 지도자가 가져야 할 첫 번째 리더십이 사역자를 세

우는 리더십이라면 두 번째 질적 특성은 지도자가 교인들을 사역자로 세워 실제적으

로 어떤 분야의 사역을 감당하도록 교인의 은사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을 말하

는데 하나님께서는 이미 각각의 그리스도인들 마다 그들이 해야 할 사역을 이미 정해

놓으셨다는 것이고 교회 지도자들의 역할은 교인들이 그들의 은사를 발견하여 은사와

연관된 사역을 하도록 돕는 것이 교회 리더십의 역할이라고 규정짓고 있다85)

교회 지도자의 역할은 교인들이 자신의 은사가 무엇인지를 발견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은사를 따라 사역할 수 있도록 잘 조정해 주는 것인데 그리스

도인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은사를 따라 섬길 때 인간의 힘으로 하는 부분은 줄어드는

대신 성령의 능력 안에서 이뤄지는 일은 더 많아지게 된다 NCD의 조사 결과 흥미롭

게도 은사 사용 여부만큼 그리스도인의 삶에 만족을 가져다주는 요소는 없다는 사실

이 나타났다 ldquo은사 중심rdquo(나의 사역은 내 은사와 맞다)과 ldquo기쁨이 넘치는 삶rdquo(나는 나

자신을 행복하고 만족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연관성이 있다

는 사실이 조사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이라는 것이다86)

3 열정적 영성

세 번째 질적 특성으로서 lsquo열정적 영성rsquo은 구체적으로 교인들이 실제로 헌신하며

사는 믿음과 뜨거운 열심을 의미한다 질적으로 평균 이상이거나 평균 이하인 것을

불문하고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분해 주는 핵심적 요소는 영적

신조나 영적 관계는 아니었다 ldquo이 교회 성도들은 불붙어 있는가 성도들이 기쁨과 열

정으로 헌신과 믿음의 삶을 살고 있는가rdquo하는 점이다 이 점에 있어서 성장하는 교회

나 퇴보하는 교회 사이에는 그 교회의 영적 문화의 모습에 관계없이 큰 차이가 있으

84) Ibid 2285)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3086)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4

49

므로 NCD는 이러한 질적 특성을 lsquo열정적 영성rsquo이라 부른다87)

NCD는 열정적 영성이라는 질적 특성을 교인들의 기도 생활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들이 조사한 교회의 성도가 기도하는 데 얼마만큼의 시간(양)을 보내느냐

하는 것은 그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에 미미한 영향밖에는 주지 못한다 반면 그 기

도가 영감 있는 경험이었나 하는 것은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개인적으로 성경을 보는 것과 개인의 영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들의 조사 결과도

이와 비슷하다는 사실이다 NCD가 말하는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 사

이에서 눈에 띄게 다른 것은 영적 열정의 정도이다 교인들이 얼마나 기쁨과 헌신적

으로 살고 있으며 이러한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것이 질적

성장을 하는 교회의 세 번째 특징이라고 말하고 있다88)

4 기능적 조직

네 번째 특성에 숨은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한 교회 내의 형식과 조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느냐의 여부이다 교회

조직 자체는 절대로 궁극적인 목적이 될 수 없고 오히려 조직은 단순히 목적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요구 사항에 맞지 않는 것들(지도력을 감소시키는 조직

불편한 예배 시간 교인들에게 효과적이지 못한 프로그램 등)은 모두 바뀌든지 중단되

어야 한다는 것이 NCD의 조사결과이다89) 이러한 질적 특성은 어떤 교회가 가지고

있는 조직의 수가 많고 적음 혹은 이 조직의 신구(新舊)가 중요치 않음을 가리킨다

오히려 그 기준은 그 조직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lsquo얼마나 유용한가rsquo로 결정된다는 것이

다90)

NCD는 적절하고 기능적인 교회 조직에 관한 수많은 사례들을 수집하고 이 조직

들을 비교하면서 이러한 조직들은 명백하게 의미 있는 공통 요소들을 갖고 있다고 말

한다 첫째 조직들은 지도노선(또는 목회철학)에 맞추어 방향을 정한다 둘째 성공적

조직들은 유용치 않은 모든 것을 기꺼이 제거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87) Ibid 268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2689)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3590) Christian A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228

50

목회 철학에서 정의한 특정한 초점에 집중한다 셋째 성장하는 교회의 조직들은 거의

전적으로 증식 조직들이고 이 증식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자율성과

자활 능력을 갖는 하부구조를 만든다는 것이다91) 이처럼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는

사역의 효과를 높이고 어떤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조직을 개발하고 갱

신하는 교회라는 것이 NCD의 네 번째 질적 특성이다

Schwarz의 연구가 바탕이 된 NCD의 이론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그 질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고 이를 교회의 건강성

의 척도라고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다른 질적 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5 영감 있는 예배

교회 성장을 결정짓는 요소 가운데 하나는 예배이다 모든 교회는 예배한다 단

순히 예배드리는 것이 교회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문계는 어떠한 예배인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예배의 어떤 방법으로 드려야 하는가하는 방법상의 문제도 아니

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교회의 예배가 예배 참석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예배인가 하

는 것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를 구별해주는 한 가지 기준은 성

장하는 교회는 영감 있는 예배를 드린다는 것이 NCD의 진단이다 교회 성장에 있어

서 결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진 다른 기준이 있다면 그것은 ldquo예배가 과연 성도들에게

영감 넘치는 예배인가rdquo라는 점이다 NCD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회들을 상대로 예

배에 관해 질문한 11개에 대한 대답 모두가 서로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체되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와 성장하는 교회를 구분하는 확실한 기준은 바로 예배라고 말

한다92)

예배는 신자 중심으로 드려지거나 불신자 중심으로 드려질 수도 있고 전통적 스

타일로나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드려질 수도 있고 사용되어지는 언어가 거룩하거나

세상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교회 성장과 무관한 것이다93) 어떤 특정한 예배

형태가 교회성장을 좌우하는 것이 아니고 lsquo영감 있는 예배rsquo가 있는 교회가 질적으로

91)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2992)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93) Ibid

51

성장하는 교회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NCD는 lsquo영감 있는rsquo이라는 말의 근원인 인

스피라티오(inspiratio)라는 단어의 뜻에는 하나님의 영으로부터 오는 영감이라는 의미

가 내포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관념적인 성령의 임재가 아니라 성령이 진정으로 역사

할 때에 예배의 분위기는 물론 예배 절차에 구체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94)

6 전인적 소그룹

NCD는 420만 개의 응답을 분석한 후 170개의 교회성장 요소를 발견하였고 그

가운데 다시 8가지 요소들을 정리했는데 그 8가지 요소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성장

요소로 lsquo전인적 소그룹rsquo을 들고 있다 그들은 전 세계에 걸쳐 성장하는 교회나 쇠퇴하

는 교회에 관해 연구하면서 소그룹의 계속적인 번식은 보편적 교회 성장 원리가 된다

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더 나아가 소그룹이 교회의 질적 특성과 양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려면 어떻게 소그룹이 운영되어야 하는지 또한 밝혀냈다 그렇게 되려면

소그룹이 단순히 성경구절을 공부하는 데 그치지 말고 그 구절의 메시지를 매일의 삶

에 적용시키는 전인적(단지 각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온전한)인 소

그룹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소그룹 안에서는 사람들이 자기가 실제 처해 있는

개인적인 문제나 질문들을 내어놓을 수 있어야 한다95) 여기서 말하는 전인적 소그룹

이란 교인 개개인이 서로 간에 친한 교제를 나눌 수 있고삶의 현실적인 영역에서

도움을 받으며 또한 강한 영적 교제도 나눌 수 있는 체제를 의미한다 소그룹이라는

소우주(小宇宙)내부에서도 교회 전체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동일한 과정이 발생한

다고 말하고 있다96)

질적 지수가 높은 교회와 수적으로 성장하는 교회에서는 예배 참석보다는 소그

룹에 우선을 두는 경향이 다분하다 소그룹이라는 것은 좋기는 하지만 안 해도 되는

취미생활과 같은 선택 활동이 아니다 교회 생활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들 중

많은 부분이 소그룹 안에서 이뤄진다 교회가 커질수록 소그룹 원리는 계속되는 성장

을 위한 결정적 요인이라는 사실을 NCD 연구가 확인해 주고 있다97)

94)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0-3195) Ibid 3296)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2479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2

52

사실 이 소그룹은 다른 질적 특성들과 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소그룹이 이루어

지려면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이 필수적이고 소그룹 환경 내에서 은사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다 소그룹은 조직을 언제든지 갱신할 수 있는 순발력이 있고 즐거운 예

배를 경험케 되며 불신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전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한 친한 사랑의 관계를 나눌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소그룹인 것이다 이처럼 NCD

가 8가지 질적 특성 가운데 소그룹을 가장 중요한 원리로 꼽는 것은 소그룹이 갖는

장점이 다른 질적 특성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2장에서도 살핀 바와 같이

소그룹은 포스트모던이라는 시대에 현대인들의 진정한 관계에 대한 필요를 채워주는

중요한 도구라는 면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7 필요 중심적 전도

성장하는 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이다 이것은 두 말할 것도 없다 전도를 하지 않

는 교회는 없다 모든 교회는 전도에 힘을 쓴다 그러나 문제는 전도의 필요성이 아니

라 전도를 통해 교회가 실제로 성장하는가 하는 것이다

Schwarz는 우리의 관심을 끄는 문제는 전도의 필요 여부가 아니라 실제로 하고

있는 전도가 교회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며 성장하는 교회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어붙이는 인위적인 전도 방법과 전혀 반대되는 불신자들의 의문에 답해

주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방법이라고 말한다98) 전도의 은사가 있는 사람과 하나

님께서 다른 분야의 일로 부른 사람을 반드시 구분해야 한다 연구 조사 결과 높은

질적 지수를 갖고 있는 교회의 지도자는 누가 전도의 은사를 갖고 있는지를 알고 그

들에게 맞는 사역을 맡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99)

교회 성장의 열쇠는 교회가 전도의 초점을 불신자들이 당면한 문제와 필요를 충

족시키는 것에 맞추는 데 있다 이러한 lsquo필요 중심적rsquo 접근 방식은 불신자들의 필요를

충족시켜주지 못함으로 불가피하게 불신자들에게 부담과 압력을 느끼게 하는 인위적

프로그램과 다르다 이미 갖고 있는 관계를 전도를 위한 기회로 사용하는 것이 핵심

이다100) 현존하는 불신자들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전도의 초점을 그들의 필요를

98)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4499) Ibid100)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5

53

충족시키는 실제적 전도를 실행하는 교회가 NCD가 제시하는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

의 일곱 번째 특성이다

8 사랑의 관계

마지막으로 NCD는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실제적으로 경험

되는 교회라는 것이다 인간의 관계에서 사랑이 다양한 모습으로 자주 경험되는 교회

가 그렇지 못한 교회보다 질적 양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평균적으로 볼 때 성장

하는 교회들은 정체해 있거나 쇠퇴하는 교회에 눈에 띄게 높은 lsquo사랑 지수rsquo(love

quotient)를 갖고 있다 웃음이 넘치는 교회 생활과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 사이에는

중요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놀라운 사실은 이것이 그렇게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교회 성장 문헌에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NCD의 연구 자료에

의하면 그것은 분명히 교회 성장 원리로서 충분한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우리가 사랑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듣기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사랑이 정말

어떻게 역사하는지 경험하기를 원한다101)

낮은 사랑 지수를 보인 교회들은 행하는 전도는 대개 단지 말로만 하는 활동으

로 제한되지만 잘 발달된 사랑 지수를 가진 교회들은 언어적 방법으로만 움직이는 교

회들보다 다른 사람들을 훨씬 더 크게 끌어들인다는 것이다 조사에 참가한 1000명

이상이 출석하는 교회들을 조사해 본 결과 그들에게 있어야 할 여러 가지 질적 특성

들 중 가장 빈번하게 최소치 요소가 lsquo사랑의 관계rsquo였다는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었

다 사랑이 부족한 곳에서는 어디서나 교회가 더 성장할 수 없도록 심각하게 방해받

는다는 것이 NCD의 마지막 질적 특성과 관련된 주장이다102)

이상으로 Schwarz의 연구를 바탕으로 둔 NCD의 교회건강의 이론적 근거인 8가

지 질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위의 8가지 특성을 수치화하여 그 중 가장 낮은

수치의 영역을 보완함으로써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그들이 말하는 lsquo최소치

전략rsquo이다103) 이를 통해 Schwarz의 연구가 질적인 특성을 말하고 있지만 결국 이 또

한 양적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얼마나 결과 중심적으로 교회의 건강을 다루고

101)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36102) Ibid 37103)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51

54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적교회성장은 교회건강이 목적이 아닌 교회의 양

적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Schwarz의 연구와 함께 교회성장과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연결시켜 제시한 다른

학자로는 Peter Wagner가 있다 이어서 Wagner가 제시한 건강한교회의 7가지 특성들에

살펴보려 한다

제 2 절 Peter Wagner의 교회건강 7가지 특성

Wagner는 그의 책 Your Church Can Grow에서 건강한교회의 일곱 가지 생체적인

특성들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아픈 환자들이 의사를 찾아 치료해야 하는 것과 같이

교회 또한 잘못된 많은 행동으로 말미암아 아프게 될 수 있지만 질병을 치료하고 건

강을 회복할 때 교회를 다시 성장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일곱 가지의 요소들이 있다

고 말한다

1 긍정적인 목회자

그 첫 번째의 특성은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모든 성도들에게 동

기를 부여할 수 있는 역동적인 리더십을 가진 목회자에게서 찾고 있다 성장하는 건

강한교회의 목사는 전형적으로 성도들과의 생생한 관계들을 통해 획득한 강한 권위를

바탕으로 교회를 이끌어 가고 있다는 것이다104) 목사가 특별한 은사를 가지고 성도들

의 원하는 바를 파악하고 그들에게 나아갈 길을 제시함으로서 교회 전체의 사역들을

열정적으로 이끌어 갈 때 사람들은 목사를 신뢰하고 그를 따르게 됨으로써 건강한 교

회로서 성장하는 교회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5)

2 동기가 잘 부여된 평신도

두 번째의 특성은 성장을 위해서 자신의 은사를 분명히 발견하고 잘 사용하도록

훈련된 평신도라는 것이다 평신도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

104) C Peter Wagn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66105) Ibid 75

55

용할 수 있겠지만 성경에서 묘사된 영적인 은사들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구성원들로서 기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

사람은 주어진 영적 은사를 개발하고 그 은사를 사용하여 직무를 수행해야 하며 성도

들이 자신의 영적인 은사와 그 은사의 이점을 발견하는 것은 성장하는 교회를 위해

필요한 다양하고 복잡한 필요들을 채울 수 있으며 이를 위해 27가지106)의 영적인 은

사를 구분지어 제시하고 있다107)

3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세 번째의 특성은 교회를 구성하는 성도들의 필요와 기대를 얼마만큼 충분히 채

워줄 수 있는가를 말하는 성도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이다 새신자들이 정착하고 싶은

교회가 되기 위해서 교회는 그 구성원들을 잘 섬겨야 하며 이를 통해 외부적으로 좋

은 평판을 갖게 된 교회는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을 함께 얻게 된다고 한다

친한 교제 목회적 돌봄 어린 자녀들을 위한 주일학교 교육과 같은 사역들은 교회

가 성도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성도들의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것들이

다 만약 교회의 자원이 좀 더 넉넉하다면 독신들을 위한 사역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을 통해 그 지역에 독신인 사람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

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것은 교회의 크기와 무관하게 교회가 속한 지역의 불신자들

의 필요를 주의 깊게 살피고 이를 목회에 적용하는 사역의 철학을 통해 사람들을 필

요에 민감한 교회구조를 세워갈 수 있다고 말한다108)

4 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Wagner가 말하는 교회성장을 위한 네 번째 특성으로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내

부 기관들에 관한 것인데 축제로서의 각종 의식과 회중 셀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이라 한다 이 말은 세 가지의 기본적인 회집이 주어진 상황

106) Wagner는 그의 책 교회성장 될 수밖에 없는 성령의 은사 27가지라는 책 전반을 통해 예

언 섬김 가르침 권면 헌금 지도자 긍휼 지혜 지식 믿음 병 고침 기적 영분별 방언 방언통역 사도 서로 돕는 일 행정 전도 목회 독신 궁핍을 자처함 순교 대접함 선교 중보기도 귀신을 쫒음의 27가지 은사들을 정의하고 있다107) C Peter Wagner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6108) Ibid 17

56

속에 있는 교회를 위해 올바른 균형감각을 찾도록 고려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가장

큰 규모로서 멤버십 모임은 거의 어떤 규모로든 가능하고 중간 규모로서 친교모임과

가장 작은 규모로서 영적인 친족 모임으로 8~12명 정도가 적당한데 이러한 세 가지

구조를 Wagner는 lsquoCelebration Congregation Cellrsquo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의 큰 단위로서 교회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진 조직적인 형태로의 소그룹에 대한 내용

이 그가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네 번째 특성이다109)

5 동질집단의 원리

다섯 번째는 동질집단의 원리의 적용으로서 성도들이 자신이 속한 그룹으로부터

벗어나서 교회에만 속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속한 문화적 사회적인 그룹에

그대로 머물면서 고립되거나 문화적인 장벽을 넘지 않고도 신앙생활을 유지할 수 있

도록 교회가 구조를 갖추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사회적인 구조를 중요시하는 교회성

장이라야 건강한교회를 이룰 수 있다는 Wagner의 주장은 lsquo그의 교회성장의 주된 원리

를 유지하면서 또한 건강한교회가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서 구성원

들이 자신이 속한 동질집단과의 관계를 잘 유지하고 이를 통해 그 집단 전체에게 그

리스도의 영향력을 전함으로서 속해 있는 집단 전체를 아우르는 형태rsquo를 동질집단이

라 부르고 있다110)

6 효과적인 전도

여섯 번째는 효과적인 전도방법에 대한 것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실용주의

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요구사항을 찾아 그것을 충족시키며 대집회를 통한

전도 집중 전도대회 교회성장이라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나아가는 몸의 전도운동

등의 방법들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에는 동질 집단

구성의 원리를 통하여 사람들을 요구를 분간해 낼 수 있다고 하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정신은 다양하고 효과적이며 지역사회에 적합한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되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분명한 목적을 세우는 것이다 사용하는 방법에는 개교회 단

위의 협력도 있지만 경쟁심을 활용하는 것도 있고 효과가 없는 옛 방법을 과감히 버

109) Wagner The Healthy Church 18110) Ibid

57

리고 보다 더 효과적인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필요에 민감한 전도를

하는 방법도 있으며 이를 통해 교회가 성장할 수 있다고 Wagner는 말하고 있다111)

7 성경적인 우선순위

일곱 번째는 lsquo성경적인 우선순위rsquo를 말하는데 지금까지의 여러 가지의 특성들을

성경적인 순서로 적절하게 배열하여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서 이루어

지고 있는 여러 가지 정책에서 사용되는 우선순위의 적절한 배치를 말한다 또한 사

람들이 요구하는 많은 항목들 중 오직 교회만이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을

아는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교회가 세울 수 있는 가장 최선의 우선순위는 그리스도

께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이고 이어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전적으로 의탁하는 것

마지막은 전도 사회봉사를 위시한 이 세상에서의 그리스도의 사역에 전적으로 의탁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112)

이상으로 Schwarz의 이론과 함께 Wagner가 건강한교회로서 성장하는 교회가 되

기 위한 7가지 요소들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제시하는

다른 두 가지 이론을 살펴보려 하는데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이 그것이다 두 이

론도 공히 위에서 언급한 교회내부의 요소들을 분명히 다루고 있지만 Anderson의 경

우 건강한교회의 중요한 특성으로서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관계를 주장하고 있고

Macchia의 경우는 교회의 건강을 하나님과 성도와 그리고 세상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분하고 있음은 양적성장을 중심으로 교회건강을 판단하는 시

점에서 중요한 대안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먼저는 Anderson의 건강한교

회의 특성 6가지를 살펴본 뒤 Macchia의 세 가지로 구분된 10가지 특성들에 대하여

하나씩 살펴보겠다

제 3 절 Leith Anderson의 교회건강 6가지 특성

NAE113)의 회장을 맡고 있고 미네소타 주의 미네아폴리스에 있는 우데일교회를

111)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71112) Wagner Your Church Can Grow 187113) NAE(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는 40개의 교단 45000개 이상 교회의 연합체로서

58

담임하고 있는 Leith Anderson은 건강한교회에 대하여 6가지 특성을 다음과 같이 말하

고 있다

1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첫째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교회란 하나님의 평판을 그 지역이나 전 세계의

신자나 불신자에게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교회인데 많은 지역사회 속에서 하나님의

평판은 교회의 평판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서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약속을 정확

히 지키고 섬김을 받으려는 것보다 섬기려하는 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기독교적 방법

으로 어려운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교회로서의 조직을 유지시키고 교단을 대변하려

하는 대신 사회적 관계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에 더 관심

을 갖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첫 번째 특성으로 말하고 있다114)

2 제자 삼음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특성 두 번째는 제자 삼는 교회로서 같은 교회

에 그 교인을 계속 유지시키게 하는 것보다 교인이 훈련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며

모든 신자들이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인식을 바꾸어 훈련된 사람을 배출하려고

계속적으로 애를 쓰는 교회이다 실제적인 측면에서 항상 제자 지향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 그들의 프로그램과 형태를 구비하고 주일학교를 제자를 길러내도록 고무하고

장려하는 교회이다 문제를 일으키는 성도에 대해서도 그저 교회에 계속 출석하면 되

는 모양새로 방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성도가 그 문제성을 인식하고 성경적인 신자로

변화되도록 계속해서 사랑하고 만나고 훈련시키고 지도하는 실제적인 교회를 의미한

다는 것이다115)

3 영적은사의 훈련

셋째는 영적 은사가 활용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 말하는데 Anderson

미국 사회에서 개혁주의 신앙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을 원칙으로 삼고 있는 협의회이다114) Leith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165115) Ibid 167

59

이 특별히 강조하고 있는 건강한교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영적인 은사는 세속적인 직

업과 유사한 직무로서 사역은 직함보다 중요하고 은사는 주로 개인보다는 교회에 주

어졌음을 교육하면서 모든 그리스도인이 적어도 한 가지의 은사를 갖고 있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위원회나 조직을 최대한 축소하면서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사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말하고 있다 교회 조직이 필요한 곳에 사람을

두기 보다는 성령이 은사를 준 그 사역에 그들로 하여금 힘을 다하도록 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로 일컫고 있다116)

4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네 번째의 특징은 주변 환경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는 교회로서 고립되지 않고

주변 사회와 소통하는 교회를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거룩이라

는 영적인 본성 때문에 필연적으로 반문화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예수님께서 이 땅

에 오심으로 죄악 된 세상 환경에 자신을 참여시켰던 것처럼 건강한교회는 종교적이

지 않은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 방법을 찾고 죄인들과

같이 되기 위해서 참소와 오해를 무릅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 건물의 사용

에 있어서도 정규 교회 활동과 외부 세속 활동 사이의 구별을 없앰으로써 세상에 좀

더 가까이 갈 수 있으며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며 적극적으로 세상

과 관계를 맺는 교회를 건강한교회의 모습 중 하나라고 이야기하고 있다117)

5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의 다섯 번째 특징은 건강의 증거로서 재생산에 대

한 내용이다 협력전도를 통해 전교인이 재생산에 참여하고 모든 사람이 직접적으로

전도에 참여하지 않을지라도 모든 사람이 복음 전도에 기능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전해

야 한다는 것이다 숫자의 함정에 빠져 많은 수가 교회에 등록하는 형태의 전도를 건

강의 척도로 삼을 것이 아니라 lsquo얼마나 새신자들이 교회에 동화되어 어떤 모습으로라

도 전도에 참여하기까지 이르고 있는가rsquo를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측정해야 함을 주

장함으로서 새로운 사람들이 교회생활에 적절히 동화되어 교회라는 공동체 조직이 빈

116)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68117) Ibid 170

60

틈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레고 조각이 짜 맞추어지는 것처

럼 교회 또한 새로운 신자들이 들어올 때 다시 재편성되어 새신자와 기존 신자가 다

시 새롭게 짜 맞추어 들어감으로서 관계성을 형성하고 기존 구조에서 새로운 구조로

기꺼이 변화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진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하고 있다118)

6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함

마지막으로 건강한교회는 건강한 믿음을 소유함으로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자신

들이 하나님께 속해 있으며 또한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이심을 실제로 받아들

이고 믿으며 하나님이 무엇을 원하시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교회의 나아갈 바를 정하

되 기도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통해 모든 교회 생활을 일구어가는 교회라는 것이

다 그들은 성경으로부터 모범과 사례를 인용하여 그들의 교회 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성경의 구절들을 연구 비교하고 영감과 방향을 가르쳐 주는 자원으로 성

경을 확신하며 토론의 중간에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기도모임을 요청하는 것에

불편을 느끼는 않을 때 그러한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할 수 있다고 Anderson은 말하

고 있다119)

Anderson이 말하는 건강한교회는 이전 이론들과 달리 성장에 대한 요소가 빠져

있고 대신 교회내부를 비롯해서 외부적으로도 적절한 관계 속에 있어야 함을 통해

세워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런 와중에 교회 내부 요소들에 대한 언급이 소홀해진

면이 있다 교회의 내부적 특성과 외부적 특성에 대해 적절한 균형을 가지고 3가지로

분류해서 제시하고 있는 Macchia의 주장을 이어서 제시하려 한다

제 4 절 Stephen A Macchia120)의 교회건강이론

Macchia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100개의 중소형교회121) 8000

118) Anderson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175119) Ibid 182120) Stephen A Macchia은 LTI(Leadership Transformations Inc)의 설립자로서 교회 내에서 요구

되는 리더십과 팀사역을 위한 영적 섬김을 위한 사역을 감당하고 있으며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의 Pierce Center for Disciple-Building에서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또한Phoenix Seminary에서도 교수진으로 사역하고 있다

61

명의 회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교회의 특성을 연구하면서 이 자료를 토대로

건강한교회로서의 10가지 특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ldquo건강한교회는 성장이 아닌 각 특성들이 얼마나 개선되어져 가는지를 통해 평가되어

야 한다rdquo는 것이다122) 그 10가지의 특성들은 또 다시 세 가지의 개별적인 영역인 하

나님 성도들 세상과의 관계요소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이어서 설

명할 하나님의 임재가 충만한 공동체로서의 특성에 대한 것이다

1 하나님과의 관계 요소

가 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Macchia가 말하는 건강한교회로서의 첫 번째 특징은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 능력

을 힘입게 됨을 의미한다고 한다 건강한교회는 활발하게 성령의 인도를 구하고 날마

다의 삶과 사역에서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는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강력한 임재에 대

하여 하나님의 임재가 경험될 때 나타나는 가장 가시적인 현상은 기쁨이 충만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기쁨이 충만한 건강한교회는 새신자들의 마음을 움직여 교회

공동체로 이끄는 매력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123)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성령을 부어주

실 때 우리는 그분의 사랑과 주되심을 더욱 이해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우리를 통해

하나님께서 일하시며 그런 성도들이 모인 교회가 건강과 생명력으로 가득 차면서 교

회를 구성하는 이들의 삶 속에서 성령의 열매인 사랑 희락 평화 오래 참음 친절

선함 신실함 온화함 자기절제를 가득하게 맺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충만

한 임재를 통해 성령께서 교회를 주관할 때 성령의 은사가 충만하게 될 것이며 이것

이 바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모습이며 또한 건강한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124)

나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건강한교회로서의 두 번째 특성은 마음과 뜻과 힘과 정성을 다해 하나님을 예배

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모여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표징을 나타내는 것이고 한다 모

121) NCD의 연구와 달리 대형교회가 아닌 대부분의 교회 현실에 가까운 사이즈인 중소형교회

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122)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13123) Ibid 27124) Ibid 37

62

든 피조물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음 받았지만 오직 인간만은 아

버지 되신 하나님과 사랑의 관계를 누리도록 창조되었다 우리는 우리가 하는 모든

일들을 통해 하나님을 높이고 영화롭게 하는 삶의 방식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우리는

우리의 사랑을 밖으로 흘려보내는 행위를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며 예배하도록

독특하게 지음 받았다는 것이다125) 이러한 접근을 통해 우리는 형태적인 면에서도 사

람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보다는 하나님께서 예배 속에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가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예배의 방식을 바꾸어 갈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의 성도들은 예배 속에서 단지 푹신한 자리에 앉아서 수동적으로 행해지

는 일이 아닌 하나님과 의미 있는 체험을 하게 되기를 갈망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

장 효과적인 방법은 회중들이 마음과 뜻과 정성과 힘을 다해 예배 속에 참여할 수 있

도록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발전시키는 것으로써 하나님의 사람들이 능동적으로 예배

가운데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교회의 건강정도를 판단할 수 있

음을 Macchia는 말하고 있다126)

다 영적인 제자훈련

Macchia가 이야기하는 또 다른 특징은 날마다 영적인 제자도를 개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전 연령대의 성도들에게 영적인 훈련과 모델 그리고 기회들을 제공하는 교

회가 건강한교회라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우리의 관계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우리가 결정을 내리는 능력과 방식들 우리의 사명을 이해하는

정도 사역 속에서 섬김을 위한 우리의 비전들과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건강한

교회의 성도는 무엇이 헌신된 삶인지를 잘 배워서 그리스도와 함께 걸으며 생동감 있

게 사는 것의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다른 이들에게 이러한 영적인 삶의 여

정 속으로 동참하기 위한 성장을 권면할 수 있다127)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제자가 된

다는 것은 우리가 믿음의 삶 속에서 훈련받고 사랑의 열매들을 맺으며 자기절제를 훈

련하고 주님과 동행하는 활동들 속으로 참여하며 동시에 분주함과 싸우고 그러한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순종하는 삶을 이야기한다128) 또한 내적인 평온을 통해

125)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41126) Ibid 46127) Ibid 60

63

하나님의 이끄심에 민감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그러므로 건강한교회란 ldquo성도들의 삶

이 영적인 제자로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교회를 의미한다rdquo고 말한다129)

여기까지의 특성들은 성도가 어떻게 하나님과 건강한 관계 속에 설 수 있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는 부분이다 다음은 성도들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가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이어서 Macchia는 하나님과 관계뿐만 아니라 성도들과의 관계가 필수요소라고

말하는데 그 첫 번째는 공동체를 통해 배움과 성장을 성취할 수 있는 교회가 건강한

교회라고 주장한다 교회는 신자들이 안전하고 견고한 상황 속에서 하나님과 다른 사

람들과 함께 걷는 여정 속에 자라가도록 돕는 교회이다 예수님은 제자들을 공동체

속으로 불러서 훈련하시고 그분의 가르침과 모범을 따르도록 하셨으며 이것을 세상

가운데 증거 하도록 하셨다 예수님은 늘 크건 작건 모임 속에서 가르치시고 때로는

먹이기도 하셨다 공동체를 창조한 놀라우신 이는 우리가 날마다의 삶과 사역 속에

성장하고 배워하는 모델을 직접 행하심을 통해 가르치셨다 맞벌이를 해야 하는 많은

가족들은 벅찬 업무와 해야 할 일들에 둘러싸여 있다 보니 소득은 조금 늘어나지만

정작 가족을 세우고 견고하게 하며 가족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쓸 수 있는 자원을

잃고 만다 그뿐만 아니라 아직 독신의 경우에도 그들의 시간을 빼앗아가는 수많은

일들에 파묻혀 친구들과 가족을 통해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여분의 시간은 점점 줄

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도 건강한교회는 신자들이 공동체 속에 들어

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환경을 조성해내는 교회여야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130)

나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가정에서 화목한 관계를 유지하고 성도들 사이에 사랑의

관계를 가지며 그들이 섬기는 공동체 내에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세워가도록 그들을

128)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68129) Stephen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61130) Macchia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81

64

위한 노력을 다하는 교회를 의미한다고 한다 우리가 행하는 서로를 향한 사랑과 돌

봄은 우리의 교회가 함께 모일 수 있게 만드는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

은 사랑과 돌봄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계들로는 무조건적인 표현 서로

에게 진실함과 신실함으로 대하는 것 은혜 자비 용서 갈등을 해결하고 소통을 원활

하게 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노력들을 요구한다 교회는 성도들의 각 가정을 위한 사

역을 통해 그들이 가족 속에서 연합을 경험하게 해야 하며 공예배를 포함한 모든 사

역의 활동영역에서 가족에게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관계를 세우

는 행위를 통해 교회는 성도들안에 예수님의 사랑의 삶의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보일

수 있고 하나님이 원하셨던 진정한 공동체로서 서로의 필요를 채워주고 함께 물건을

통용하는 초대교회 사랑의 기독교를 실현시킬 수 있는 건강한교회로 세워져갈 수 있

다고 말하고 있다131)

다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교회의 건강성은 각 성도들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인식하고 각자에게 지도자로서

부여한 은사를 깨달으며 그 은사를 활용하여 서로에게 서번트리더가 되도록 권면하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요한복음 131~17을 통해 예수님께서 친히 겉옷을 벗

고 수건을 두르시고 제자들의 발을 하나하나 씻으신 후에 다신 옷을 걸치고 자리에

앉아 제자들에게 자신과 같이 행할 것을 가르치시는 모습에서 서번트리더의 모델을

찾을 수 있는데 우리는 다른 사람 위에 군림하도록 부름 받은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

들을 섬김으로써 예수님의 모범을 따르도록 부름 받았다 또 다른 서번트리더의 모습

은 인도함을 받는 리더 사랑 많은 리더 배우는 리더 잘 들을 수 있는 리더 다른 사

람들의 짐을 가볍게 해 주는 리더 계급구조를 내버리는 리더가 됨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한다132)

여기까지의 배움과 성장이 가능한 공동체 서로 사랑으로 돌보는 관계 섬기는

자의 삶은 모두 교회 내부에서 서로간의 관계를 세우는 요소들이다 이어서 Macchia

가 건강한교회의 특성으로서 말하는 요소들은 세상 속에서 교회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에 관련된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131)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11132) Ibid 131

65

3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

이어서 제시하는 내용은 교회의 세상과 관계회복을 위해 생각해봐야 할 부분과

함께 교회 조직을 어떻게 건강하게 이끌어갈 것인가에 대하여 다루고 있고 특별히 교

회마다 많은 갈등의 주요인이 되고 있는 행정과 재정적인 부분까지 다루고 있다는 면

에서 다른 이론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가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건강한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는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진리를 증거하고 그분의

사랑을 나타내기 위한 일에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교회라는 것이다 신자는 자신 안

에 일어나는 기쁨을 세상 속으로 흘려보내는 삶을 살아야 한다 이 기쁨은 단순한 감

정이 아닌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충만함의 결과로 나타나는 희락이다 이처

럼 세상을 향해 초점을 맞춘 삶은 성령의 도움으로 가능한 일로서 실용성을 지향하는

긍정주의와는 다른 것인데 사람들과 복음을 나누며 그리스도의 몸이 갖는 잠재적 본

성을 이용하여 먼저 믿는 우리가 서로 사랑으로 교제하고 떡을 떼며 기도와 예배와

공동체적인 삶을 통해 하나님을 찬미할 때 이를 통해 날마다 구원받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났던 사도행전적인 역사가 현재에도 일어나야 한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

도를 알도록 우리는 오케스트라의 악기가 되어 아름다운 음악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도구로서 세상지향적인 교회가 되어야 하고 이런 교회가 건강한교회라고 말

하고 있다133)

나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의 자원 재정 그리고 조직이 성장과 사역의 개발을 최대한 지원할 수 있도

록 적절하게 사용되는 것이 교회건강의 중요한 요소라고 한다 많은 교회에서 정말

능력 있는 행정가는 담임목사가 아닐 수도 있다 담임목사들의 경우 교회행정에서 주

도권을 잃는 것을 용납하지 않지만 한 사람에게 너무 많은 책무를 부여하는 것보다는

목회자와 동일한 비전을 가지고 교회와 그리스도께 헌신된 사람을 주의 깊게 성령의

인도함을 따라 교회의 행정가로 선택하고 목사와 행정가가 긴한 관계로 이어진다면

133)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4

66

교회는 한층 건강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러한 행정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전략적

인 계획수립과 목표결정 하나님의 뜻을 이룸을 최선으로 하는 재정구조 계속적인 평

가와 권면 그리고 장기적인 사역에서 발생하는 변동요소들을 잘 관리해나가는 것들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134)

다 교회들의 연합

건강한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들이 서로 협력하고 자원을 공유하며

배움의 기회들을 높이고 서로 연합된 예배공동체를 이루어가도록 노력하는 교회라고

규정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우리 앞에 놓인 사명을 교회가 이

루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필요를 실감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협력과 연합은 훨씬 더 효과적인 전도와 사역을 이루어낸다 각

교회들은 예배의 형식 교회정책 지역의 선호도 교회에 대한 기본적인 신학에 있어

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공통되는 요소를 발견함을 통해 도시단위 지역

단위로 연합할 수 있으며 그 지역 도시의 복음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수행해감으로써

우리가 섬기도록 부름 받은 지역을 위한 효과적이고 영속적인 영향들을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135)

라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건강한교회는 성도들이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자원들의 청지기라고 가르치며 그

것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도록 충분히 관대한 희생의 마음으로 살아가도록 도전하는

교회라고 Macchia는 말한다 교회가 시간 재능 재정을 관대하고 선한 목적을 가지고

기꺼이 나눔으로서 물질만능의 세속적인 시대상을 극복할 수 있고 세상 속에 그리스

도의 몸 됨을 알리는 복음증거의 좋은 발판이 되어 진다 청지기정신은 지난 시대 속

에서는 개혁교회의 감춰진 주제였지만 갈수록 그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예

수님께서 ldquo네 보물 있는 그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마태복음 621 개역개정4

판)rdquo라고 가르치신 것 외에도 신구약성경 2000곳 이상에서 재정과 물질자원의 사용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더욱 이 주제에 대하여 교육하고 알려야할 이유를

134)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159135) Ibid 186

67

제시한다 자원은 나누어질 때 더 많은 열매를 거둘 수 있고 하나님은 기꺼이 나누는

사람을 사랑하신다 건강한교회는 우리들 각자에게 속한 자원들을 우리 자신의 것이

아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하도록 잠정적으로 맡기신 것을 삶 속에서 실제로 실

천하도록 성도들을 이끌어가는 교회라는 것이다136)

제 5 절 교회건강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1 Schwarz와 Wagner 이론의 특징

가 교회를 유기체로 보고 건강을 강조

Schwarz는 그의 책 자연적교회성장의 서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서 교회를

유기체로 인식하고 외적 장애요인이 성장과 접한 관련이 있음에 대한 공헌을 하였

우리가 교회성장을 만들어 내려고 해서는 안 되고 오히려 하나님

께서 이미 교회에 부여하신 생명체적 잠재력을 풀어놓아 스스로

운행되도록 해야 한다 교회 내부나 외부에 존재하는 성장 장애

요인(환경장애)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교회 밖에 존

재하는 요인들은 우리가 다룰 수 없는 사항들이기 때문에 우리는

교회 성장과 부흥을 방해하는 교회의 내적 요인 제거에 초점을 두

어야 한다 그럴 때 교회 성장은 저절로 이루어진다137)

교회성장에 대하여 인위적인 방식이 아닌 하나의 생명체로서 교회의 성장을 방

해하는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교회성장이 자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

고 이에 대하여 교회성장을 위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를 주장하는 데에는 교회 성

장과 관련하여 큰 공헌을 한 점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이것을 교회의 건강으

로 연결하여 건강한교회는 성장한다는 원리로 규정짓는 데에는 교회건강에 대한 분명

한 개념정립이 다시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적 질적 특성을 구분할 때 양적인

것은 인간의 오감을 통해 쉽게 외부로 나타내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을 말하는 반면 질

적 특성은 그러한 체제 속에 담겨있는 정신과 비가시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의 양적인 성장이란 단순하게 교인들의 숫자나 건물의 크기 교회재

136)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10137)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10

68

정의 규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교회 안에 있는 교인들의 신앙연륜 성경에 대한

지식의 정도 날마다 성경을 묵상하는 성도의 수 기도하는 시간과 같은 것을 포함하

는 개념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Schwarz가 말하는 질적 특성의 많은 부분이 실은

양적 특성에 해당하며 실제로 질적 특성이라 함은 비가시적이고 시간이 흐르면서 검

증되어야 하는 부분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Schwarz의 질적 특성의 8가지 원

리만을 가지고 교회건강의 정도와 연결시키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오히려 교회

의 건강이란 위에서 다룬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흐트러뜨리는 교회의 내적 요인과 외

적 요인이 없는 상태로서 질병이 제거되어 각 기관들이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함으로

써 교회존재의 본질적 요소인 소금과 빛의 사명을 감당하는 상태라 함이 건강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에 빗대어 더 바람직한 정의가 된다

나 최소치 요인의 중요성 부각

또한 Schwarz의 이론 중 유익한 공헌으로는 큰 교회가 작은 교회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에 대한 실제 조사결과이다 교회성장과 관련된 170가지 변

수들 중에서 교회의 크기는 자유주의적 신학과 전통주의의 뒤를 이어 세 번째로 강한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사실과 실제 통계 조사로써 5년 정도의 기간을 두고 50

여명 정도의 소형교회들과 3000명 정도 모이는 대형교회들의 출석률 변화를 보았을

때 소형교회는 평균 출석수의 변화는 32명의 새신자가 생겼던 반면 대형교회의 경우

는 같은 기간 112명의 새신자가 생겼고 이를 상대적인 비율로 계산했을 때 소형교회

가 대형교회에 비해 1600퍼센트나 높은 성장가능성을 보였다는 사실을 알려준다138)

복음전도의 효과 면에서 소형교회가 대형교회보다 통계적 비율이 더 높다는 사

실은 대형교회일수록 자체시스템을 유지하는데 많은 자원을 사용하며 성도들이 자신

의 은사에 따라 일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139)

NCD 연구가 우리에게 끼치는 유익은 단지 이러한 8가지 질적 특성의 원리들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교회가 8가지 질적 특성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는 데에 있다

즉 세계 32개국 1000여개 교회를 대상으로 420만개의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것을

138) Schwarz ldquo자연적 교회성장rdquo 목회와 신학 47139) Ibid 48

69

바탕으로 해서 각각의 질적 특성을 점수로 표시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했

다 따라서 어떤 교회든지 1명의 담임목사와 30명의 교인들이 설문지에 응답한다면

각각의 질적 특성에 대하여 구체적인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이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가장 낮은 질적 특성 최소치 요인이다 한 교회의 성장은 바로 이 최소치 요인에 의

해서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최소치 요인이 밝혀졌을 때 그것을 개선시키면 자연적

으로 거의 대부분(994 퍼센트)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140) 이러한 원리를 최소치 전

략이라 부른다

다 결과 중심적 연구방법

NCD측에서 제시하는 이론은 자본주의적 논리에 의해 들어간 비용 대비 이윤 창

출이라는 구조에 맞게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방법으로써 유기체의 건강을 다

루기에는 불충분하다 게다가 그 결과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도 25교단 1000개 교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많은 교회가 속한 평균 점수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평가점수

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부분은 교회건강이라는 목표를 다른 교회와의 비교를 통해 점

수를 매기는 방식으로써 전체 교회에서 그 교회의 점수의 위치는 알 수 있지만 상대

적인 기준을 가지고 그것을 통해 교회의 건강성을 평가하기에는 부적절하다 교회의

건강에는 절대적인 기준이 필요하고 그 기준은 물론 모든 지혜의 원천인 성경 속에서

찾아져야만 한다

NCD의 8가지 질적 특성이나 설문 모두 교회의 숫자적 성장을 중심동기로 하고

있는데 이를 교회의 전인적인 건강으로 연결하는 것은 무리이다 이는 교회의 숫자적

성장 잠재력에 대한 평가이다 이 수치가 높을 때 교회가 건강하다고 하는 것은 논리

적 비약이다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부분은 사역자를 세우는 일에 있어서이다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들은 사역을 위해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기회와 권한을 부여하는 일에 중점을 둔다 그들은 평신도들

을 자신들이 설정해 놓은 목표나 자신들의 비전을 이루는 데 필요한 lsquo조력자rsquo 정도로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피라미드형의 권위구조를 거꾸로 뒤집어서 리더들이 교인들을

섬기며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부여해 주신 영적 잠재력을 개발하여 쓸 수 있도록

140) Schwarz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81

70

돕는다 이런 목회자들은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자들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을 준비시키고 격려하고 동기를 부여하고 훈련시키는데 주안점을 둔

다 이런 지도자들은 교회의 수많은 일들을 자신들이 다 하느라 시간을 뺏기는 대신

그들의 시간을 제자훈련 권한 위임 그리고 재생산에 투자한다 이런 식으로 투자한

노력의 결과는 상상할 수 없는 성장을 가져온다 이것이 바로 영적 lsquo자생조직rsquo이 생겨

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141) 이처럼 교회의 건강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있음에도 교회

의 성장여부를 통해 목회리더십의 성취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교회건강을 성장이라는

열매와 과도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라 성장한 교회의 방식만이 강조됨

NCD이론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8가지 질적 특성이 모두 교회건강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이 아니라 교회성장과 관련해서 연구된 것으로 이를 가지고 교회의 건강지

표를 세운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각 특성들이 모두 결과물을 가지고 교회성장이라

는 열매를 맺었을 때의 지표를 기준으로 하여 교회건강지표를 만들었다 건강에 대한

정의가 성장이라는 결과를 통해서만 측정하고 있다 교회가 건강하면 반드시 양적인

성장이 뒤따른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이 연구조사에서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연적교회성장 이론은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을 조사해서 그 교회

의 괄목할만하게 외부로 드러나는 특성을 조사해서 그 중 높은 수치를 기록한 8가지

를 선정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교회의 특성이라는 주장은 다분히 시작과 과정이 배제

된 체 결과만으로 판단하는 주장이다 교회가 성장하던 도중 외적규모의 정체가 일어

날 때 그중 낮은 점수를 기록한 특성을 보완하면 다시 교회는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고 이것이 건강이 회복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라면 수적으로 비교

적 작은 교회 목회상황 자체가 다른 곳 더 이상 유동인구가 없어서 성도수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특수한 곳에서의 건강한교회란 이루기 불가능한 요원한 일이 될 뿐

이다 그러므로 NCD와 Wagner의 이론 모두 특정한 장소 특정한 규모의 교회에 적용

했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지역교회가 반드시 성

장을 이루어야만 건강한교회라는 결론은 객관적이지 못하다

141) Christian A Schwarz 윤수인 역 자연적 교회성장 23

71

마 교회 내부의 것만을 다룸

교회가 속한 노회나 교단에서의 다른 교회와의 관계가 중요하며 더불어 교회와

주변 사회(이웃)와의 관계와 평가 또한 중요한 교회건강의 요소이다 수적으로 거대해

진 교회들마다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공예배 때마다 지역

주민과 심각한 주차갈등을 겪는 도심대형교회의 경우를 예로 들더라도 지역사회와 상

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교회를 단지 양적으로 성장했고 8가지 질적 요소를

충족시켰다는 이유로 건강한교회라 지칭하는 것은 억지스런 주장이다 교회는 존재

자체로도 물론 의미가 있지만 사명공동체임을 생각할 때 교회가 자신의 사명의 대상

으로서 세상 속에서 외면당하고 있다면 그곳에서 교회의 건강을 논하는 것은 주변 이

웃들과 먼저 화해한 후에 예배의 자리로 나오도록 말씀하신 예수님의 권면과도 맞지

않다 교회의 건강을 논하기 위해서는 세상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분명

살펴야 한다

그리고 교회는 개별적인 존재로서의 교회이기도 하지만 지상의 모든 교회는 그

리스도를 몸으로 연합체로서의 교회의 특성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서로 경쟁

의 대상이 아니다 교회와 이웃과의 관계 뿐 아니라 교회와 다른 교회와의 관계 또한

해당 교회가 건강한교회인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요소일진데 지금까지 살펴본

Schwarz와 Wagner의 이론에서는 배제되어 있다

2 Anderson과 Macchia의 이론의 특징

가 관계적 요소를 강조함

양적 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의 기준으로 삼던 앞선 두 이론들과 달리 Anderson과

Macchia는 성장이라는 요소 자체를 배제한 체 교회가 내부 외부적으로 어떤 관계 속

에 있는지를 중시하고 있다 Anderson의 경우는 지역사회의 관계에서 교회의 평판을

통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지역사회와의 관계맺음에 대해 별도

의 특성을 규정지음으로써 세상과의 관계에 대하여 많은 강조점을 두고 있다

Macchia의 이론이 여타 교회건강이론과 다른 점은 세 가지 관계의 회복 측면에

서 교회의 건강을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다142) 그래서 구분 자체부터 하나님과의 관계

142) Macchia Becoming a Healthy Church 23

72

요소 성도들 사이의 관계 요소 세상 속에서의 관계요소로 나누어 건강한교회로 세워

져가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관계위주의 기준을 가져야함을 말하고 있다

나 행정과 재정 관리를 추가함

한국교회 상황에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중대한 문제의 대부분이 실제로 교회 행

정과 재정문제에서 불거지고 있음이 현실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교회행정에 대해 목

회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위임함으로써 건강한교회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부분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많은 한국교회들의 재정 권한이 담임목회자나 소수의 상위 리더

십에 집중되어 있기에 일어나는 어려움들을 두고 건강한교회로의 나아감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기에 교회의 재정 관리는 일정한 전문가를 통해 사역을 해나가고 평가와

권면으로 보호하는 구조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거기에 마지막 요소로 이야기한 청

지기정신은 그러한 재정 관리에 더더욱 필요성을 제기하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다 섬김의 요소를 강조함

예수님의 제자들이 미리 겪었던 갈등과 같이 성도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운 부분

들 중 하나는 서로 비교하고 시기 질시하는 현실에 대한 것이다 교회 안의 한 지체

임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몸과 같이 사랑하기는커녕 비교하며 서로를 깎아 내리려는

구조가 존재함을 2장에서 잠시 다루었다 특히나 한국교회에서는 서로를 향한 섬김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성도의 관계는 사랑과 섬김이면 어느 정도 회복이 가능한 부분이

다 목회에서 가장 힘든 때가 건축과 직분자를 세울 때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교회

안에서마저 경쟁과 비교로 직분을 감투로 여기며 끝나지 않는 갈등요소를 품고 있는

현실에서 lsquo섬기는 자가 큰 자rsquo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에 충실한 서번트리더십의 개발은

질병이 없는 건강한교회를 위한 필수적이 요소라 할 수 있다

3 질적 특성의 비교와 요약

다음 표는 위에서 연구한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의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을 Schwarz의 이론을 기준으로 유사한 것들끼리 모아 놓은 표이다 최대한 유사

73

점을 찾아보았지만 그 안에는 서로 다른 점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교회 내부의

문제를 제대로 분석하여 최소치이론을 가지고 교회의 성장 가능성을 연구한 면에서

Schwarz의 이론이 중심이 된 NCD의 건강한교회의 특성에는 나름대로의 균형과 포괄

적인 교회 내부에 대한 분석이 있음에도 교회의 본질과 사명이 내부 외부가 모두 균

형 잡힌 건강한교회의 필수 요소라는 점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Schwarz Wagner Anderson Macchia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긍정적인 목회자 제자 삼음 영적인 제자훈련

은사 중심적 사역잘 동기 부여된

평신도영적 은사의 훈련

열정적 영성하나님의 충만한

임재

기능적 조직

영감 있는 예배축제로서 대예배

회중모임 셀모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나님을 높이는

예배

전인적 소그룹 동질집단의 원리

필요중심적 전도

효과적인 전도

성도들의 필요에

민감함

지역사회와 적극적인

관계 맺음

협력전도를 통한

재생산

외부지향적인 방향성

사랑의 관계

공동체를 통한

배움과 성장

사랑의 서약과 서로

돌보는 관계

기타요소들 성경적인 우선순위그리스도의 뜻에

민감하게 반응

서번트리더십의 개발

현명한 행정과

재정관리

교회연합

청지기정신과 관대함

표 1 건강한교회이론의 질적 특성에 대한 비교

74

오히려 10가지 특성과 이를 세 가지 관계적인 면에서 나누어 주장하는 Macchia

의 교회건강이론은 교회의 본질적인 면에서 하나님과의 관계 세움을 추구하는 영성적

인 측면과 교회 안에서 성도들의 관계를 강조하는 성도들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해 지

적하고 있으며 교회의 사명적인 측면에서 지역사회에 속한 교회의 역할을 보충함으로

써 본질과 사명을 모두 포함하는 교회건강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이

세 가지 관계적인 측면에서 교회건강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건강한교회와 그

렇지 않은 교회를 구분하는 기준 또한 외부적인 성장을 가지고 논하기 보다는 교회가

추구하는 관계성143)의 성취 여부를 기준으로 교회건강여부를 결정해야한다고 주장한

Schwarz의 이론과 비교했을 때 Wagner의 이론은 상당부분 구분상의 유사성을 가

지고 있다 Anderson의 이론은 여러 요소를 축약한 흔적과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강조

하고 있다 그러면서 발견된 특이점은 표에 밑줄 친 요소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관계

성에 대한 것들이다 밑줄 친 특성들은 다음 장에서도 다루겠지만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적 요소라 할 수 있는 것들인데 직관적으로만 보기에도 많은

교회건강에 대한 이론들은 사실 관계성에 대한 주장을 이미 내세우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한국교회가 이 이론을 활용할 때 관계에 대한 강조점을 단지 교회성장을 위한

도구로 오용한 면이 없지 않다 Schwarz의 교회성장 이론에서 다루는 8가지 질적 특

성 중 소그룹과 사랑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이미 교회 구성원들의 관계가 교회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43) 관계성(Relationship)의 정의에 대하여 사전적인 의미로서 관계(關係)는 둘 이상의 사물 사람 현상 등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특별히 둘 이상의

사람들 사이가 우호적인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관련됨을 추구하는 성향 또는 정신이나 마

음으로 관계성을 정의하려 한다

75

제 5 장

교회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제 1 절 관계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지난 장에서는 건강한교회의 특성에 대한 이론들 중에서 Leith Anderson과

Stephen Macchia의 주장을 통해 교회공동체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의 건강성이 교회 전

체의 건강성을 결정하는 특징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Macchia의 경우는 그

러한 관계를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분야로 구분지어 세 관계 모두가 적절

하게 건강해야 건강한교회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음으로는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을 위해 치유회복 사역을 하고 있는

세 단체를 살펴보고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관계성 중심의 사역에 관한 내용과 특징

을 살펴보려 한다

1 온누리교회의 예

가 온누리교회의 소개

온누리교회는 한남동 한국기독교선교원에서 故하용조 목사를 중심으로 12가정이

모여 기도하며 제자훈련을 시작하면서 세워진 교회이다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

를 꿈꾸며 성경적인 교회론을 토대로 목회방향을 설정하였고 1985년 10월 6일 78명

의 성도가 모여 온누리교회 설립예배를 드렸다 온누리교회의 목회 비전은 한마디로

Acts29 비전이다 교회를 시작할 때 주셨던 사도행전적인 lsquo바로 그 교회rsquo의 비전을 새

롭게 하고 구체화한 것이 Acts29 비전인데 Acts29란 사도행전 29장을 의미하는 것으

로 사도행전은 끝나지 않았고 계속 씌어져야 함을 뜻하며 사도행전 28장 이후의 기

록이 바로 이 시대 교회들의 기록이 된다면 온누리교회를 통해 기록되기를 원하는 마

76

음에서 Acts29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144)

나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징

한국의 대표적인 교회 중 하나인 온누리교회의 관계성 프로그램은 크게 두 가지

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회복사역과 가정사역이다 회복사역은 영적 정신적 육체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건강한 인격체로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자신과 같은 어려움

을 겪는 사람들을 돕는 사역자로 설 수 있도록 도우며 궁극적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

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예배자로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종류로는 자신

을 이해하고 성경적인 정체성 회복을 돕기 위해 역기능가정 자존감 숨겨진 아픔 용

서와 축복의 주제로 구성된 자아회복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회복을 통해 혼자서도 안

정된 관계를 세워가도록 돕는 동반의존 소모임 자신의 관계성을 돌아보며 건강한 관

계를 유지하고 발전을 위한 관계회복 소그룹 등이 있다145)

가정 사역 분야에는 하나님께서 꿈꾸는 아름다운 가정의 모델을 성경적으로 제

시하고 여러 훈련과정으로 짜여진 하나님의 가정훈련학교 이론과 실제를 통해 성경

적인 바른 가정을 세워가도록 돕는 젊은 부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부부간의 관계를

진단하고 치유와 개선을 돕는 코칭 프로그램인 아름다운 동행 그리고 사별에 의해

혼자된 성도가 영적치유와 회복을 경험하도록 돕는 야베스맘(여성사별자모임)과 이혼

자가 겪는 아픔과 상처를 함께 돌보는 이혼자치유학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46)

대부분의 한국교회가 그러하듯 온누리교회의 관계중심 프로그램은 주로 회복과

돌봄을 목적을 가지고 실시되고 있는데 소그룹 코칭 상담의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

다 그리고 이루어지는 사역이 주로 사후 회복과 돌봄에 대한 것으로 여러 가지 다양

한 가치들이 혼재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뒷전에 려있는 관계성에 대한 사

회적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144)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145) 온누리교회 홈페이지 참조 2013년 정기모임 안내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 groups146)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참조

77

2 뉴욕관계학교

가 뉴욕관계학교의 소개

관계학교는 뉴욕청소년센터의 스텝들을 훈련시키며 시작되었다 그 후 청소년센

터 상담 사역부로 활동하다 lsquo뉴욕관계학교rsquo라는 이름으로 독립해서 뉴욕청소년센터의

협력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는 단체이다 목회자반(15주) 사모반(15주) 셀그룹 리더반

(15주) 청소년사역자반(15주) 부모반(10주) 부부반(10주) 교사반(8주)으로 나뉘어 정

규 과정반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lsquo찾아가는 공개강의rsquo도 진행하

고 있으며 대표는 김사훈 박사가 맡고 있다147)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남편의 아내에 대한 정서적 지지가 건강한 결혼 생활을 만들고 바로 그 지지가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태도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강조하는 김사훈 박

사148)는 또한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모델이 되려할 때 거기에는 부모를 모방하며 시

행착오를 경험할 수 있는 충분한 자유와 책임감의 부여가 필수적임을 겸하여 강조하

고 있다 김박사에 의해 설립된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뉴욕관계학교는 주로 현대 사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에서 부모자녀의 관계의

회복과 안정을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 관계학교에서 시행하는 공개강좌의 경우 lsquo관계

와 영성rsquo이라는 주제로 교회 및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이 강좌의 진행도

주로 모든 관계의 원시경험을 제공하는 가족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관계는

피할 수 없는 도전으로서 자신과 하나님과의 관계 교인과 교인관의 관계 목회자와

교인과의 관계 교인의 가정에서의 관계 등이 건강하게 이끌어 질 때 결국 건강한교

회가 될 수 있다는 기치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비전을 가지고 사역중이다149)

뉴욕관계학교의 경우는 사후 회복사역과 더불어 사전 준비교육으로서 관계에 대

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소그룹 인도에 대한 교육은 시대흐름에 필요한 교

147)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기사 인용148) 목회상담 전문가 한국기독교 상담 심리치료학회 전문가 상담실 로뎀나무아래 대표

149)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기사 인용

78

회의 변화를 이끌어 가는데 나름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그럼에도 기존 교회들의 호

응이 그다지 적극적이지 못한 이유로 초반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으로 소개할 관계학교 유형은 비록 기독교적 신앙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지

만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루고 있는 스웨덴 비영리 단체가 운영하는 웹기반

의 온라인 관계학교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3 웹 기반의 관계학교

가 온라인 관계학교의 소개

The Relationship School은 여러 가지 관계 속에 있는 이들이 영감을 얻고 실제적

인 도움을 받으며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들을 습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온라인

강의들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스웨덴의 한 비영리 단체이다 제공되는 논문과 영상

강의들은 Filippa와 Markus에 의해서 대부분 제작되었다150) 시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어디서든 접근이 용이하도록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으며 온라인피드백을 위한

각종 사이트들과 연결되어 있다

나 커리큘럼의 구성과 특징

The Relationship School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은 총 26개의 클래스가 있고 그 내

부에는 강의마다 자신의 상황들을 점검해보고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소개 글과

관련 논문 그리고 영상 강의로 구성되어 있는데 26가지 강의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150)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79

l 관계의 세 가지 단계들

l 이해하는 것과

이해받는 것

l 사랑의 강을 건너는

다리

l 네 가지 위험신호

l 상호거래적인 분석들

l 조절

l 마음표현의 놀라운 힘

l 인간의 필요들에 대하여

l 필요 이상의 것

l 돈과 사랑

l 나부터 시작해서

우리로 나아가기

l 신뢰와 존중

l 남자에게 편지쓰기

l 관계들 속의 투사

l 피드백

l 극단성과 열정

l 관계의 유형

l 관계게임의 규칙

l 회상에 대하여

l 변화

l 갈등과 갈등다루기

l 가치 있는 것

l 관계에 대한 지식

l 사랑과 친밀감

l 긍적적 부정적

소용돌이

l 삶의 균형 잡기

표 2 Relationship School의 강의 내용

위와 같은 강의를 바탕으로 사람들의 삶이 다음과 같이 변화될 수 있기를 바라

는 그들의 목적을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사람들이 아침에 일어나 마음을 두근거리게 하는 긍정감정을 느끼

고 어른들이 자신의 상황에 대하여 스스로가 책임을 지겠다는 다

짐을 하고 아이들이 지속적이고 삶을 풍성하게 하는 관계들 속에

있을 그 때가 바로 우리들이 이 메시지를 통해 바라던 우리의 최

종 목적이 달성된 것입니다151)

위 사이트의 경우 인터넷이 연결된 어디에서든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과정들을

숙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고 다양한 관계들 속에 응용할 수 있는 영역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번역된 자막이 따로 없어서 영어권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강의내용

은 주로 심리상담 분야를 통해서이고 시공간적 제약이 없이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

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도 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하여 강의 내용이 새로운 업데이트가

되지는 못하고 있다

4 사례에서 살펴본 특징

지금까지 관계사역에 대해 힘쓰고 있는 세 단체의 사례를 살펴보았는데 그들이

가진 몇 가지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1) httprelationshipschoolcom에서 참조

80

가 사후 회복과 돌봄에 집중

관계사역을 구성하는 커리큘럼의 내용들이 회복과 치유에 집중되어 있다 이혼

자 사별자에 대한 위로가 필수적인 사역임에는 틀림없으나 그 전에 이혼까지 이르지

않도록 예방을 위한 사역 또한 함께 진행할 필요가 있다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관계

라는 부분이 문제가 생겨나고 그것이 외부로 드러나기 전까지는 잠재되어 있는 경우

가 많고 그 속에서 상황이 상당히 악화된 뒤에야 치료를 위한 훈련과 더불어 예방과

그 과정 중에서도 충분히 서로를 개방하고 점검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

이 현실이다

나 상담 기법만이 주로 사용됨

관계성이라는 분야가 심리상담학의 발전과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 부분이기에

대부분의 관계에 대한 회복과 훈련에 인문학적인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위

사례를 비롯해서 많은 한국 교회들이 여건이 되는 데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단연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곳은 가정회복에 대한 내용이다 그만큼 가

정문제 자녀교육의 문제가 사회 전반적인 어려움으로 교회마다 부부관계 부모자녀관

계의 회복을 위해 각종 양육프로그램을 세워가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그럼에도 관

계라는 것이 대상에 따라 한 형태로만 회복되는 것이 아닌 유기적으로 다양한 관계가

모두 포괄적으로 회복될 때 제대로 된 치유가 가능한데 이처럼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돌아보고 점검하며 방향을 제시해주는 곳은 기존의 교회 관계사역에 대한 리서

치 과정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다 관계는 신앙 가정 사회 교회 직장 학교 속에서 다

양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고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러므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전인적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제 2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발

1 프로그램의 동기

성화의 과정으로서 관계에 대한 훈련은 우리가 이 땅에서 살아가는 동안 만나게

81

되는 모든 만남에서 어떻게 하면 건강한 만남을 가지고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교

회를 이루어 갈 수 있는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은 관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다 어떻게 교회 공동체를 관리하는가에 대해 경영학적인 입장이 아닌 사회학적인 입

장에서 개인의 유기적 연결에 집중한다면 결국 교회의 건강은 건강한 성도들의 연결

이라는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강은 질병이 없이 본연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는 것이다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을 충실히 하

는 바탕은 구성원들로서 성도의 건강한 관계성에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

면 건강한 관계를 이룰 수 있는 것인가 건강한 관계를 위해서는 선험적인 앎이 필요

하다 선험적인 앎이란 관계의 창조자가 가지신 생각에 대한 인식이다 그러므로 건강

한 관계를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하나님께서 관계를 어떻게 지으셨고 무엇을 원하시는

가에 대한 기본적인 훈련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관계학교를 제안하려

한다 필자가 제안하는 관계학교는 기존 성도들을 포함하여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함께 하는 개개인 모두가 기본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서 일정한 훈련기간을 가

지고 입학과 졸업이 명확하며 일정한 기준을 성취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

된다

여기에서 다른 많은 명칭들이 있음에도 학교라는 친숙한 명칭을 사용한 의도는

입학과 졸업이 분명하고 성취도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고 각 개인에게만 교육의 성취

에 대한 책임을 맡기지 않고 모두가 일정한 수준 이상의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교

육 주체 또한 교육의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도록 힘써야 하는 존재

임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서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관계학교는 이전 장에서 다루었던 Macchia의 건

강한교회의 10가지 특성에 대한 이해와 Anderson의 6가지 특성들 가운데 관계성을 드

러내는 요소들을 취합하여 그 내용을 구성해보려 한다 또한 사례연구에서 살펴보았

던 여타의 기존 관계회복 프로그램들이 이미 중점을 두는 분야를 재론하기보다는 성

도들이 현장에서 살아가면서 얽혀있는 주변관계의 전반을 다루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프로그램의 방향

가 성경중심 프로그램

82

위의 관계프로그램 사례연구에서도 살펴본 것처럼 대부분의 관계회복 프로그램

이 상담신학 기반에 시행되고 있다 이 또한 현대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접근이다 필

자는 Bonhoeffer의 ldquo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될 때 그곳에는 하나의 공동체가 세워지며

이사야 5511의 말씀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은 기독교적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 안에

역사하며 교회는 또한 하나님과 말씀과 깊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성도의 공동체는 결

국 말씀의 활동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rdquo152)라는 명제를 바탕으로 성경중심의 관

계학교 프로그램을 제안해 보려 한다 건강한교회를 위한 모든 시도는 하나님의 말씀

인 성경에서부터 비롯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교회의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의

모든 커리큘럼의 구성을 성경중심으로 편성하고 있다

나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다룸

본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짧은 차시 안에 모든 영역을 깊이 있게 다루는 것

은 어렵겠지만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관계 요소의 전반적인 부분을 다루어보고 함께

생각을 나누며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보려 한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부

정적인 면을 감쇄시키는 방향의 훈련이 아니라 이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긍정적

요인들에 대한 강화의 방향을 갖는 것이 이 관계훈련의 목적이다 매주 한 회기씩 8

주 동안 진행될 관계학교의 모든 과정은 지향하는 목적이 성도들의 관계훈련에 있는

바 매 회기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실제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현장은 지극히 평범하고 쉬운 사고를 좋아하는 일반성도일 경우가 많다 게다

가 한국교회 현장은 감성적 접근이 효율적인 여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게 형성되어 있

다 교육이라는 말 자체가 갖는 부담감을 극복하기 위해서 실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커리큘럼은 최대한 성도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학문적인 용어와 내용구성보다는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것들로 진행하려 한다

다 복음증거를 위한 접촉점으로 활용

관계의 문제는 모든 현대인의 고민이다 그런 면에서 교회에서 시행하되 지역사

회 전체에 홍보를 통하여 관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성경을 그

152) Dietrich Bonhoeffer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238

83

저 일상적인 삶과 무관한 기독교의 교리서신이 아닌 일반인 모두가 듣고 지혜를 얻을

수 있는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한국의 2030 세대는 어려서부터 사교육을 강요당하고 청소년기에는 공부 기계가

되었으며 대학생이 되어서는 학점 관리하고 스펙 쌓느라고 그 좋다는 청춘 시기의

낭만조차 맛보지 못한 채 사회로 내몰린다 그러나 이들은 분명 그들만의 잘못이 아

님에도 취직을 못 했다는 이유로 동년배들에게서 존중받지 못하고 사회에서도 존중받

지 못하며 심지어는 가족에게서조차 존중받지 못한다 그 결과가 청년 고독사라는 믿

을 수 없는 현실로 나타나 갈수록 젊은 청년들이 젊은 나이에 월세가 몇 달째 린

쪽방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믿을 수 없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153)

그러한 세상 가운데 교회에서 lsquo관계학교rsquo라는 일반인에게도 공감할 수 있는 프로

그램을 가지고 나아간다면 좋은 접촉점이 될 수 있고 교회의 문턱을 낮추어 비신자에

게로 다가가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게다가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내용 또한

우리의 일반적인 삶의 이야기이기에 이 기회를 통해 전도대상자들과 신뢰관계를 형성

할 수 있는 시간으로 삼아도 좋을 듯하다

3 프로그램 시행준비

가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

다음은 교회 내에서 관계학교를 시행하기 전에 모든 성도들이 자신의 관계를 돌

아보고 교육에 대한 필요와 동기를 가질 수 있는 몇 가지 설문을 제시하려 한다 따

로 문서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되던 주보의 공간을 활용하여 관계학교 개설에 대한 광

고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참여를 독려하며 동기 부여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관계학교 동기부여를 위한 설문은 다음과 같다

lt 당신의 관계들에 대하여 확인해 봅시다 gt

1 당신은 가족을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친한 우리는 함께 있는 것 그리고 서로 이야기 나누는 것을 좋

아한다

화목한 서로 어울리기는 하지만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한다

153)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32

84

말이 없는 아무도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삶을 나누지 않는다

불신하는 가족들 사이의 관계는 대체로 서로 시기하며 적의를 품

고 있다

2 다음 중 친한 친구나 가족과 있을 때 당신을 가장 잘 표현한 내용은 무

엇입니까

자연스러운 편하게 느끼며 자연스럽게 행동한다

열린 내가 믿고 생각하는 것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소극적인 사람들이 먼저 말을 걸어 주기를 기다리는 편이다

갈등하는 믿는 것에 항상 굳게 서 있는 것은 아니다

불만스러운 아무도 나를 이해해 주지 않는 것처럼 느낀다

3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당신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어느 것

입니까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민감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를 이해심

이 많은 사람으로 생각한다

나는 깊이 있게 나누지를 못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대체로 피상적이다

나는 다른 사람을 아무렇게나 막 대한다 그래서 쉽게 화를 내서

갈등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나는 다른 사람과 갈등을 겪을 때 이를 쉽게 해결한다

나는 가능하면 조화를 이루고 싶기 때문에 비그리스도인 친구 앞

에서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것을 억제한다

나 소그룹 리더교육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먼저 전체 프로그램 내내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할 소그룹

의 리더들을 세우는 것부터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 기본적인 신앙이 제대로 세워져

있고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진 소그룹리더를 선발하고 교육하는 일의 전체

관계학교 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교육의 많은 부분

이 소그룹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소그룹 인도자의 훈련이 선행되어

야 한다 4단계로 진행하며 그 내용은 성경적 이해 인도법 문제해결 요령 리더의 중

요성과 자질의 순서로 구성해 본다 각 차시들을 구성할 간략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

85

소그룹리더를 위한 교육에서 첫 번째 차시는 소그룹의 기원에 대하여 구약과 신

약 성경의 내용을 통해 이해하는 시간이다

먼저 구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습은

1 창세기 218~25 본문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지으신 뒤 가정이라는 소그룹

을 만드시는 장면인데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을 좋지 못하다하시며 관계의

시작점을 만드시는 내용이다 최초의 가정 소그룹을 만드신 분은 하나님

이시다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소그룹의 일원으로서 하와를 지으신 뒤 어

떻게 하셨는가 그리고 아담은 하와를 보고 어떻게 반응했는가 아담에게

로 데려가셨고 하와를 극찬으로 반응하였다

2 소그룹은 인간 공동체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이다 본문에 기록된 결혼

원리를 통해서 소그룹은 하나님께서 설계하신 창조물임을 보게 된다 이

것이 구약성경에 나타난 인류 최초의 소그룹이다

3 출애굽 후 모세의 장인 이드로의 제안으로 시작된 천부장 백부장 오십부

장 십부장 형태 또한 구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모델로서 힘든 광야

생활에서 백성들의 결속과 관계의 효율을 추구하였던 예가 된다

이어서 신약성경에 나타난 소그룹의 전형적인 모습은

4 예수님께서 직접 뽑아서 훈련하고 파송한 열두제자 소그룹이다 예수님의

지상사역은 결국 열두 제자를 부르시고 그들과 함께하신 이야기이다

5 사도행전은 성령강림으로 시작된 초대교회가 성전교회와 가정교회라는 이

중구조 안에서 진행되며 발전된 모습을 곳곳에 소개하고 있고 이 내용은

에베소교회와 로마교회의 시작인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의 가정소그룹의

배경을 기록하고 있다154)

두 번째 차시는 지도자의 자세와 소그룹 인도를 위한 내용이다

1 마태복음 23장 3~11절을 보면 예수님께서 당시 지도자적 위치에 있던

이들의 모습을 거울삼아 제자들을 가르치는 부분이 나오는데 우리가 선생

님(랍비) 혹은 지도자라 불리기를 즐겨하지 말라고 가르치신다 그 이유

154)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17

86

는 우리는 모두 다 한 아버지 아래에서 한 형제이며 지도자는 한분 오직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이라고 말씀한다 또한 올바른 지도자는 섬김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이다 예수님이야말로 이러한 섬김의 모범

을 보이신 분이다(빌 26~9 참조)

2 소그룹의 인도는 준비단계 성경공부 개인적인 적용과 나눔 기도라는 4

단계로 구성된다 시간도 최장 2시간이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잘 들어주기 관찰하기 정리하기 본이 되기 집중하기 성령

충만함을 구하기의 몇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155)

3 이와 함께 소그룹을 인도할 때는 모임을 미리 계획하되 그 계획한 것에

맞추느라 쫓기듯 진행하지 말아야 하며 흔히 생길 수 있는 잠시의 침묵을

당황하지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성령의 인도하심에 민감하며 반응하면서

각 사람들 하나하나를 존중하고 고무시키는 방향을 유지한다면 소그룹이

지향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함을 나눠본다

세 번째 차시에서는 소그룹을 이끌어 가면서 생겨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소그룹

지도자들이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대해 다루게 된다

1 흔히 생겨나는 문제로는 미묘한 파벌형성 흥미와 즐거운 모임에만 치우

쳐서 본래의 방향성을 상실하거나 때로는 소그룹 구성원들의 필요와 기대

를 어긋나서 소그룹이 운영되는 경우 등이 있다

2 이외에도 사람들의 모임이기 때문에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구성원들 간

의 대인관계의 어려움이라든지 지도자가 훈련과정에 있을 때의 비효과적

인 지도력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3 이러한 문제에 대한 최선의 반응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든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마음을 이끌어내야 한다

4 그리고 언제든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인 모임의 기본 규칙으로서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마칠 수 있어야 한다 중간 중간 제기되는 논쟁의 불씨

가 될 수 있는 토론을 회피하는 기술도 필요하다 일단 문제가 발생한다

155)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35

87

면 다음 자리를 기약하지 말고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그 자리에서 처리해

야 한다

3 사람은 문제의 해결을 통해 성숙하는 것처럼 소그룹 또한 문제를 잘 다루

고 지혜롭게 처리해낸다면 이후보다 소그룹 전체가 성숙됨의 자리로 나아

갈 수 있음도 주지해야 할 내용이다156)

4 소그룹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중 가장 빈번한 것이 서로의 기질의 차

이 비교의식 신앙스타일의 상이함으로 유발되는 갈등상황이다 현세대를

lsquo갈등회피세대rsquo라고 부르는 이들이 있는데 갈등은 피할 것만이 아니라 온

유한 언어의 사용과 용서 그리고 믿음의 기도를 통해 극복된다면 그 잠

재적 유익은 소그룹의 결속에 강한 촉매제가 된다157)

네 번째 차시에서는 데살로니가전서 2장 5~12절 말씀을 묵상하면서 믿음의 지

도자에 대한 구체적인 실례를 나누어본다

1 7절과 11절 말씀을 통해 소그룹 지도자가 추구해야할 모습은 유순함과

더불어 7절에서 예로 든 lsquo유모가 자녀를 위해rsquo 헌신하는 모습처럼 구성원

들을 대할 수 있는 존경받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개발해 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소그룹에서 리더는 그 모임이 나아가야할 미래의 모습을 제시하고 구성원

들을 함께 성장시키며 최종 목적을 이루어 갈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자질

과 능력을 한데 모으는 역할을 감당한다

3 이를 통해 얻어낸 결과물을 함께 구성원들이 누릴 수 있도록 배분하는 역

할도 감당하게 된다 그래서 소그룹은 지도자의 모습만큼 자라날 수 있기

에 지도자는 소그룹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해내야 한다158)

4 이러한 소그룹 지도자에게는 부르심에 대한 확신과 함께 몇 가지 자질을

갖추도록 해야 하는데 성숙된 신앙인으로서 늘 주님과 가까이 하는 삶을

살아야하고 사랑 중심의 성품을 개발시켜야 하고 자신의 부족함을 잘 살

156)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1157) Jimmy Long IVF자료 개발부 편역 소그룹리더핸드북 (서울 IVP 1996) 121158)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47

88

펴 늘 겸손함으로 노력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

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구성원들이 스스럼없이 말할 수

있도록 이끌며 혼자만의 지도력이 아닌 함께 일구는 팀워크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자질이 요구된다

이상은 관계학교를 진행하면서 4~5명 정도로 편성될 소그룹을 이끌어갈 리더들

을 위해 말씀을 중심으로 소그룹을 인도하도록 하기 위한 간단한 교육 내용이다 소

그룹 리더의 경우 일단 기본적으로 신앙에 대한 연륜이 되어있어야 하며 관계학교를

이끌어가는 목회자와 계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 전반에 대한 상황을 그때그때 전

달할 수 있도록 지혜로움을 배양시키는 훈련은 필수적이다

제 3 절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

양적성장을 기준으로 한 건강한교회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지금까

지의 문제제기와 신학적 연구를 거쳐 실제 목회현장에서 대안으로 제시해볼 수 있는

관계학교에 대한 개략적인 교육내용을 제안하려 한다 전술한 것처럼 이 프로그램은

주로 성경본문을 강의의 주된 내용으로 삼고 거기에 동기유발 질문과 적용과 나눔의

시간을 통해 교육생들이 관계에 대한 지평을 넓혀가는 과정으로 구성해 보았다 학교

라는 명칭이 갖는 일정수준이상의 성취가 객관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각 차시의 마

침에서 확인질문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소그룹 활동을 통해 진솔한 대화가 나누어지도

록 진행하는 요령이 필수적이다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은 총

10주에 걸쳐 소그룹편성으로 진행된다 강의 내용은 시작단계에서는 그동안 자기 안

에 있던 관계의 문제들 교회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단절과 갈등 속에서 제대로 반응

하지 못했던 자기 모습을 돌아보면서 관계에 대한 훈련이 필요함을 인정하는 단계로

부터 시작해서 하나님과 성도들과 세상의 이웃들 그리고 가장 가까이에 있는 가족들

과의 관계에 대한 성경적인 가르침을 함께 학습하며 토론 나눔 격려를 통해 9주를

학습한 뒤 마지막 10주째에는 이 모든 가르침을 통해 이루어야 할 건강한교회는 결국

사명공동체로서 세상 속에서 전도와 선교의 삶을 섬기는 자로 살아가도록 서로에게

89

도전함으로써 마무리를 짓게 된다

1 교육 과정 편성

이처럼 전체 프로그램을 진행하되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차시별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서 서술하고자 한다

2 성취기준

관계학교를 통해 이루어가고자 하는 전반적인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다

l 좋은 관계는 당연한 것이 아닌 노력을 필요로 하는 열매인 것을 배운다

l 건강한 관계는 모두 하나님과의 건강한 관계를 맺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한국인에게는 쉽지 않은 자기 개방의 활동을 통해 성도들과 좋은 관계를 시작할 수

있다

l 갈등은 중요한 전환점을 위한 생산적 과정으로 여기고 관리를 통해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나갈 수 있음을 배운다

l 그리스도인이 세상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의 모델을 배운다

l 관계의 황금률이라고 불리는 마태복음 7장 12절에 대해 배운다

l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을 통해 건강한 관계를 배울 수

있고 세대를 넘어 전수할 수 있음을 배운다

l 건강한 가족관계야 말로 건강한교회 공동체를 위해 이 시대에 가장 절실한 과제인

것을 확인하고 배운다

대주제(영역) 관계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

소주제

(핵심개념 또는

학습주제)

하나님과 성도와 세상과 각 영역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발견하기

일반화된 지식 건강한 관계를 통해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

중점 함양 역량 상호이해와 의사소통 그리고 개방성의 증대

90

3 차시별 강의계획

이어서 10차시로 구성된 관계학교의 각 차시별 학습내용을 표로 구성해 보았다

구분 차시 영역 주제 기능 성취도평가

건강한

교회를 위한

도움

주제

발견1

관계안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고

인정하기

시작하기 자기평가 자기이해

주제

학습

2

하나님과

의 관계

복음과 믿음으로 시작된

하나님과의 관계

정체성수

립소그룹활동

구원의

확신

3 하나님의 친밀감을 통해

애착관계 형성하기수용하기 자기평가 신앙의 성숙

4

성도와의

관계

용납과 용서 표현하기 소그룹활동

열린

공동체로의

나아감

5 갈등관리 조절하기 소그룹활동내부

갈등해결

6

세상과의

관계

의사소통 낮아지기 자기평가외부지향적

당위성부여

7대접받고 싶은 데로 먼저

대접하기대접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이웃사랑의

실천

8가족과의

관계

타인이해를 통해 가족

이해하기이해하기

직접

실행과제를

통한 평가

서로의

차이를

이해

건강한 가족 속에서 관계의

완성실행하기 소그룹활동

건강한

가족공동체

주제

적용9

주제

실천10 실천 섬김과 돌봄 반복하기 실제 활동 재생산

표 3 관계학교 10차시 강의내용 개요

91

4 진행상 유의점

l 학교라는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예습과제와 복습과제를 충실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동기를 부여한다

l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과 경험을 고려하여 강의자의 일방적인 흐름이 아닌 학습

자의 나눔을 통해 교육이 더욱 풍성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교육적 요소들을 잘 활용하되 성경적인 배경과 범위 안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l 각 차시마다 실천과제를 두고 적절한 확인을 통해 교육기간동안 자신 안에 일

어나는 관계의 변화를 서로가 확인해 주며 체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l 각 시간마다 나누어지는 간증과 나눔에 대해 철저하게 교육생 내에서만 비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강조를 반복한다

5 본시 강의의 설계

가 실태분석 및 강의 방법 선정

관계학교 강의가 시작되기에 앞서 참가학생들과의 개별적인 면담이나 주변 지인

을 통해 해당자의 관계에 대한 사전지식을 평가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정도로 구성되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전체 진행에서 교육의 내용을 조절하고 특별히

관심이 집중되어야 할 참가자를 구별하여 함께 기도함으로써 참가학생들에 대한 실태

분석과 강의 방법을 선정해 볼 수 있다 아래는 그 내용과 방법이다

구분 조 사 내 용 상 중 하 실태분석 및 교육방향

지식

건강한교회를 위해 요구되

어지는 것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일반 성도들과 지역사회

참가자들로 구성된 교육

생의 관계에 대한 이해

도를 파악하고 그에 적

절한 수준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내용과 깊이

의 정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한다

경험 관계에 대한 교육이나 훈

련을 받아본 적이 있는가

필요

자신의 삶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관계들의 목표는

무엇인가

92

나 본시 강의 진행의 방향

한 주간 중 정한 요일에 서로가 약속한 시간을 통해 1차시씩 10주 단위로 시행

되는 본시 강의의 시작은 먼저 차시별 목적을 제시하고 이후 도입부에 10분정도의 찬

양 간식 간단한 레크레이션의 순서를 배치한다 어느 정도 교육생들의 집중이 이루

어지면 지난 한 주간동안의 자신의 삶을 나누면서 마음을 여는 시간을 갖는다 이후

활동 내용은 먼저 탐색하기 과정으로 동기유발과 탐구하기 시간으로서 주제에 대한

이론적 교육이 이루어진다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다과를 나눈 뒤 제시된 내용에 대

해 자신에게 어떻게 적용해 볼 것인가를 소그룹 단위로 함께 고민하며 나누는 시간을

진행한 뒤 차시별 평가의 방법으로서 진행된 강의에 대한 만족도와 자신의 삶에 어떻

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그 동안의 개념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등을 묻는 설

문 평가를 진행하고 개인 상담이 필요한 경우도 질문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마

치면서 다음 차시에 대한 예습질문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함께 주제에 적합한 찬양

을 하면서 기도하는 것으로 각 차시가 구성된다

다 차시별 강의학습 지도안

(1) 관계 안의 나

하나님께서는 창조의 과정 속에서 마지막으로 사람을 창조하실 때 아담 홀로 만

드시지 않고 하와를 만드시며 더불어 동역할 수 있도록 하셨다 이는 인간이 기본적

으로 무리를 지어 사는 존재임을 피력한 것이다 인간은 아무도 혼자 살 수는 없다

우리는 도움이 필요한 인간이다 우리 인간은 아무도 다른 사람과의 사랑과 친함이

필요 없을 정도로 강하지 못하다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어머니에게 의존한다 우리는

lsquo나rsquo이기 이전에 이미 lsquo우리rsquo인 것이다 그리하여 상당한 의존이 이루어지고 충족된 후

에 자동적으로 밖으로 탐험을 하기 시작한다 이때 우리 자신의 한계를 배워감으로

도움이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 계속되는 삶의 여정에서 성공을 하든지

독립적이 되던 간에 우리는 여전히 도움이 필요한 존재임을 알아가게 된다159) 이 차

시에서는 중심성구인 창조 때 하나님의 아담의 모습에 대한 판단을 시작으로 인간은

관계 속에 사는 존재임을 함께 나누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59) John Bradshaw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23

93

차 시 제 1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관계 안의 나 토론형식 질의답변 및 자율토론

중심성구 창세기 218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강의목표 우리는 관계 속에 살도록 창조되었음을 이해한다

강의주제 나는 다른 사람이 필요합니다 나도 다른 이들에게 필요한 존재입니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속한 직장(학교 교회) 안에서 나와 진정성 있는 관계를 찾아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현대는 혼밥 혼여 혼영과 같은 개인주의 문화가 극

도로 팽배해져 있습니다교회 안에서도 서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관계가 점

점 사라지고 있습니다하나님께서는 홀로 살아가는 것을 싫어하십니다

현대 문화에

대한 통계

PPT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롬 125 이와 같이 우리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 지체가 되었느니라

히 1025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더욱 그리하자

전 49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빌 24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전 412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요 1335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

l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었

습니다

l 그리스도 안에서 자꾸 모이는 것을 하나님께서 기뻐하

십니다

l 어려운 시간들이 다가올 때 혼자보다 함께 나눔으로써

그 짐을 가볍게 할 수 있습니다l 우리가 서로 사랑하고 돌보는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 땅에 보내신 사명입니다

94

(2) 복음과 믿음

이번 차시의 교육목표는 본 단계를 통해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의 복음

에 대한 믿음을 재확인하고 구원사건이 하나님과의 관계의 시작인 것에 대하여 함께

나누고 이를 통해 모든 회복된 관계의 시작이 어디에서부터여야 하는지를 규명한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차 시 제 2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복음과 믿음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구원확신에세이

중심성구로마서 815 양자의 영을 받았으므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짖느

니라

강의목표 복음과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자녀 됨의 관계가 회복되었음을 배운다

강의주제 모든 관계의 회복은 하나님과의 회복에서부터 시작된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복음제시 영상

예습적과제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이 있는지 그 순간이 언제였는지를

생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왜 우리에게 예수님이 필요한가구원받은 삶이란 어떤 삶인가우리가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

는 무엇인가

구원에 대한

분명한

확신을 다시

점검하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창 217 선악을 알게 하는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

롬 310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요 316~17 독생자를 주셨으니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요 524 내 말을 듣고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구원 얻는

복음에 대해

성경말씀을

통해 다시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살면서 다른 이들의 도움이 간절히 필요했던 순간이

있습니까

주변 사람들 중에 나의 도움이 꼭 필요한 사람이 있

다면 누가 있을까요

정직성과

비유지에

대해

주지시키기

95

(3) 하나님과의 친감

믿음은 동적이며 관계적이다 현상유지가 아닌 변화를 추구하며 하나님과의 아들

됨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믿음이란 하나님의 아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매일

매일 하나님을 추구하는 삶이며 그것이 가능해졌음을 세상 앞에 말씀으로 보여주신

것을 우리는 복음이라 부른다 믿음이란 결코 일방적일 수 없으며 단독으로 사용되어

지는 종류가 아니다 믿음이란 대상과 주체를 이어주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믿

음을 지적인 앎과 고백에서 더 나아가 믿음의 대상이 되는 하나님과 회복된 영원한

관계 안에 있음을 인정하고 누리는 것이다161) 이상 Leonard Sweet의 언급처럼 하나님

과의 친감으로 더욱 나아가야 함을 이 차시를 통해 학습하게 된다

160) Sweet 관계의 영성 51161) 김영선 관계신학 55

학습

정리

얻으리라

행 1631 이르되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 하고

고전 1652 나팔소리가 나매 죽은 자들이 우리도 변화되

리라

계 225 다시 밤이 없겠고 세세토록 왕노릇하리로다

창156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

로 여기시고

l 우리 모두는 죄악으로 인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입니

l 자기의 힘으로 죄악을 극복하거나 죽음의 굴레를 벗을

수 있는 이는 없습니다l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자로 고백할 때 우리

자신 뿐 아니라 가정 가운데에도 영생이 임하게 됩니다

l 마지막 때에 우리 모두는 신령한 몸으로 변화되어 세세

토록 예비하신 본향에서 완전한 영생의 삶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l 아브람의 믿음은 기대고 맡기며 의지하는 것을 의미한

l 기독교의 목적은 사람들이 믿음을 갖도록 하나님과 예

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회복된 관계를 갖도록 하는 것

이다160)

확인하며

혹시 미비한

부분들은

없는지

개인적으로

점검하는

시간을

갖는다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예수님을 믿고 구원의 은혜를 받은 뒤 나의 삶은 어

떻게 변했습니까서로가 자신의 구원 간증을 나누며 구원이후 하나님

과의 관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확인해봅니다

96

차 시 제 3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영적 친감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요한복음 423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이렇게 예배하는 자

들을 찾으시느니라

강의목표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의 깊은 친함 속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과 사귐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자신의 예배생활(공예배와 개인예배)을 돌아보기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을 영으로 예배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진정한 예배를 드릴 때 우리 안에 어떤 일이 일어납니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신 277 또 화목제를 드리고 거기에서 먹으며 네 하나님 여

호와 앞에서 즐거워하라

대하 71 솔로몬이 기도를 마치매 번제물과 제물을 사르고

여호와의 영광이 그 성전에 가득하니

대하 2930 히스기야 왕이 여호와를 찬송하게 하매 몸을굽혀 예배하니라

롬 325 이 예수를 화물제물로 세우셨으니눅 2219 감사기도하시고 떼어 그들에게 주시며 내 몸이

라 나를 기념하라벧전 25 너희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신령한 제사

를 드릴 거룩한 제사장이 될지니라

l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의 관계로 나아간다

l 예배 가운데 하나님의 임재가 있다

l 예수님께서 영영한 화목제물이 되셔서 우리를 하나님과

더불어 화목케 하신다

l 우리는 예수님을 덕입어 하나님 앞에 나아가 그분을 만

나며 더불어 사귐의 자리로 나아간다

ppt 자료

성막제사

예배에 대한

영상물

97

(4) 용납과 용서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성도들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멀리 있을 때와는 전혀

다른 상대방의 진면목을 보게 된다 그때 우리는 관계가 더욱 깊어지는 경험보다는

실망과 서로 다름에 대해 배타적인 타인과 자신의 모습을 피할 수 없다 게다가 연약

한 우리는 필수적으로 말과 행동에서 실수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다 이때 닫힌 관계

를 푸는 열쇠가 있는 데 그것은 용서이다 깨어지고 멀어진 관계를 회복하려면 용서

의 기술이 필요하다162)

용납은 공동체의 삶에 특별히 중요하다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는 부득불 다양한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이는 결국 여러 가지 면에서 너무나도 다른 상대방을 참아내야

하는 상황이 생기게 마련이다 게다가 우리에게 죄를 범하고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이들을 대할 때 용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가 하나님께 잘못한 일에 대하여

무지하거나 완악하여 인정하지 않을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용납하고 기다려 주신

다163) 이 차시에서는 성도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적극적인 실천과 상대방과 나의 다른

면 상대방이 가진 부족한 면을 받아들이는 용납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된다

162) 김영선 관계신학 309

163)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353

l 예배가운데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며 찬송 말씀과 기도를 통해 하나님을 더 깊이 알아가며 우리의 모

습을 고백할 수 있다

탐 구

활 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하나님께 대한 예배를 통해 우리는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게 하신다

주제상황 마 524 예물을 제단 앞에 두고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자기 체험을

나누어보기

차 시 제 4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용납과 용서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토론

중심성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강의목표 용서와 용납의 차이를 이해하고 성도들 간의 관계에서 실천할 수 있다

98

164) John Bevere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204

강의주제 용납은 약함에 대한 이해이고 용서는 악함에 대한 이해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습적과제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내가 용서받은 죄의 목록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과거에 누군가로부터 크게 용서받아본 적이 있는가

내게 잘못한 것이 명백함에도 용서를 구하지 않는 상

대방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가

용납과

용서를

주제로 한

찬양활용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골 313 누가 누구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여 피차

용서하되 주께서 너희를 용서하신 것 같이 너희도 그리하고

마 1820~35 두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몇 번이나 용

서하여 주리이까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형제를 용서

하지 아니하면잠 1911 노하기를 더디 하는 것이 사람의 슬기요 허물을

용서하는 것이 자기의 영광이니라

엡 432 서로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그리스도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

고후 111 원하건대 너희는 나의 좀 어리석은 것을 용납하

라 청하건대 나를 용납하라

l 하나님께서 주신 용서를 경험한 우리는 타인을 용서할

수 있어야 한다l 두세 사람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일 때 그 가운데 예수

님께서 함께 해주시겠다는 말씀 뒤에 나오는 일만 달란

트 빚진 자의 비유는 우리에게 성도간의 용서에 대한 중

요한 메시지를 주고 있습니다164)

l 상대방의 허물을 용서하는 것은 자신을 위한 일이기도

합니다l 서로의 연약함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용납하는 것은 공동

체를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일만 달란트

빚진 자와

일백

데나리온

빚진 자의

스토리를

역할극으로

구성해보기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용납과 용서는 어떻게 다릅니까

자신을 세 번이나 부정한 베드로를 예수님께서 대하셨던

모습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있나요

소그룹별로

나누기

99

(5) 갈등관리

이 차시에서는 관계 속에서 원하시는 하나님의 의도를 성경을 통해 살펴보고 그

럼에도 늘 끊임없이 생겨나던 성경 속의 갈등 문제를 어떻게 다루셨는지를 함께 공부

하면서 참가학생들 안에 있는 갈등의 문제를 다루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 시 5차시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식 배열

단 원 갈등관리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토의

중심성구 마태복음 59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강의목표교회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상황을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을 통해 공동체의 견고한 연합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강의주제 갈등은 더욱 깊은 관계로의 디딤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교회생활에서 가장 어려운 순간은 언제인지에 대해 고민해보기

과정

(시간)

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시편 3412~14 잠 171 마522~24을 통해서 볼 때 화

평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많은 갈등상황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민202~13 막 933~34 약41~2 행151~35

갈등은 왜 일어납니까

성경본문 들

에 대한 ppt

자료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다툼과 갈등이 일어나면 당신은 어떻게 반응합니까

l 모세는 (민 202~13)

l 예수님께서는 어떻게 하셨습니까 (막 933)

l 야고보사도는 (약 41~2)

l 초대교회에서는 (행 151~35)

사도행전 1536~41

초대교회에는 많은 갈등이 있었지만 그 속에서도 순기능이

나타나서 오히려 복음의 확대가 있었습니다

l 갈등에 대해 공부하고 훈련하십시오

l 갈등을 피하지 말고 긍정적으로 여기십시오

ppt자료

중간 중간 각

개인의 의견

도 들어보기

100

(6) 의사소통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성경이 성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의

핵심이다 그런 면에서 성도는 이웃사랑에 대한 피할 수 없는 도전 앞에 서 있다 성

도들이 맺고 있는 모든 관계는 의사소통을 통해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의사소통이 부재하면 관계가 깨지며 관계가 계속해서 발전하려면 의사소통을 충분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의사소통은 쉽지 않다 의사소통은 과학이 아니라 예술에

가깝다 관계에 있어서 건강한 의사소통은 기계적이고 직접적이기 보다는 의미의 섬

세한 묘사와 차이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65) 그렇기 때문에 성도가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에 그 모든 관계에 있어서 신뢰라는 기초 위에 세워져야 하며 마음

이 담겨 있어야 하고 또한 정직해야 한다 위와 같이 세상과의 건강한 관계를 세워

가는데 있어서 신뢰의 기반이 되는 의사소통 문제를 이번 차시에서 다루게 된다

165) Tom Holladay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150

차 시 제 6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의사소통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 나눔

중심성구 잠언 1820 사람은 입에서 나오는 열매로 말미암아

강의목표 의사소통에 있어서 개방적이고 명확하며 세한 방법들을 학습한다

학습

정리

l 갈등을 기회로 승화시키고 관리하십시오

l 그리스도를 본받고 본을 보이십시오

l 도저히 해결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떠나는 것도 지

혜입니다

토의

상호

피드

소그

룹별

토의

실습

소그룹별로 한 주제상황을 설정 후에 서로 자유로운 토의

를 거친 후 전체발표를 통해 다른 소그룹의 피드백을 확인

해봅니다

주제상황 1 행 61~7 헬라파 유대인들의 불평

주제상황 2 몬 111~18 빌레몬과 오네시모의 갈등

소그룹리더의

적절한

토의진행에

유의

101

강의주제 지혜로운 의사소통은 관계와 전도의 핵심요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개인체험간증

예습적과제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타인의 견해를 들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질문

가까운 누군가와 제대로 된 대화를 나누어본 것이 최근

언제인가

우리의 언어생활이 늘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는 무엇이

라고 여기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마 537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골 46 너희 말을 항상 은혜가운데서 소금으로 맛을 냄

과 같이 하라 그리하면 각 사람에게 마땅히 대답할 것

을 알리라

약 119 너희가 알지니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

기는 더디하며잠 1727 말을 아끼는 자는 지식이 있고

l 의사소통의 기본은 거짓을 피하고 정직함을 타협하지

않는 것이다l 때론 침묵보다 뭔가 시도하는 것이 지혜이다

l 말하기보다 잘 듣는 경청의 태도가 필수적이다

l 누군가와의 의사소통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이다

탐구

활동

정리

의견

나눔

통해

정리

하기

예수님께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신 적절한 방법

들의 예를 성경에서 찾아보자

질문 ldquo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rdquo 비유 ldquo천국 씨뿌리기rdquo 만져주심

102

(7) 먼저 대접하기

황금률은 사랑의 진정한 본질을 보여주는 공용 언어이다 사랑은 다른 사람에게

받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냥 주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것은 앎과 행동 사이가 쉽

지 않으나 우리의 불완전함 때문에 포기할 수 없는 세상과의 관계회복을 위한 우리의

모습이다166) 세상에 대해 우리의 필요를 채우려는 마음을 뒤로 두고 먼저 세상의 필

요를 채워주는 이들이 많아진다면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이 차시

에서는 교회가 어떻게 세상의 필요를 채워주고 더 가까워질 수 있는지를 배워나갈 것

이다 그 시작은 마태복음 7장 12절 말씀인 황금률에서부터 비롯한다 그 대략적인 내

용에 대해 다룰 이 차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66) Tom Holladay 양영선 역 사랑으로 가꾸는 삶 315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먼저 대접하기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누가복음 631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강의목표 이웃사랑의 실천은 적극적으로 다가가서 먼저 대접하는 삶임을 배운다

강의주제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은 대접하고 섬기는 모습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간증 예시영상

예습적과제 이웃에게 먼저 다가가서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기를 시도해 본다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복음을 전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가요

이웃과의 관계를 이끌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규칙은

무엇일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롬 58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우리를 위하여 죽

으심으로눅 635 오직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고 선대하며요 1315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103

(8) 타인이해

이번 차시에서는 타인을 이해하기 위한 성경적인 시도로서 lsquo긍휼rsquo에 대한 내용을

제시해 보려한다 그동안 살아온 삶의 히스토리가 전혀 다른 존재를 이해한다는 것은

제한된 지혜안에 있는 성도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에 앞서 성도들을 향해 세상

을 향해 하나님의 한결같은 마음이신 긍휼함을 품는 다면 타인이해에 한 발짝 더 나

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간략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차 시 제 7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타인이해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질의답변

중심성구 유다서 12 긍휼과 평강과 사랑이 너희에게 더욱 많을 지어다

강의목표 이웃을 이해하고 그들을 사랑할 수 있는 존재로 나를 지으셨음을 안다

강의주제타인을 받아들일 수 없는 우리가 이해하는 길은 그들을 긍휼히

여김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학습

정리

마 540 속옷을 가지고자 하는 자에게 겉옷까지도 가지게

하며

요일 418 사랑 안에 두려움이 없고 온전한 사랑이 두려움

을 내쫓나니

l 우리는 자격이 없을 때 사랑을 받았음을 기억해야합니

l 희생적인 사랑으로 세상에 그 모습을 내보여야 한다

l 세상 속으로 나아갈 때 우리는 예수님의 모범을 기억해

야 합니다

l 소유보다 사람에게 더 높은 가치를 두는 것이 이웃사랑

이다

l 세상을 향한 우리의 태도는 빚진 자로서의 섬김입니다

탐구

활동

정리

토론

나눔

으로

정리

하기

오늘 내가 먼저 필요를 채워 주어야 할 대상이 있다

면 누구일까요

내가 아니면 그 사람에게 도움을 베풀 수 없는 이웃

이 옆에 없는지 찾아봅시다

104

(9) 건강한 가족

관계의 훈련은 가정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들의 집합체로서의

교회가 건강한 교회로 세워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가정에 대한 훈련과 사역이 필수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가장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 대해 백문백답을 만들어서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나와 생각이 다른 이들을 나는 어떻게 대하고 있는

가정 직장 학교 교회에서 나는 왜 타인을 수용해야

하는가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출 3319 은혜 베풀 자에게 은혜를 베풀고 긍휼히 여길

자에게 긍휼을 베푸느니라

잠 1012 미움은 다툼을 일으켜도 사랑은 모든 허물을 가

리느니라

잠 1429 노하기를 더디 하는 자는 크게 명철하여도 마음

이 조급한 자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느니라

잠 1917 가난한 자를 불쌍히 여기는 것은 그의 선행을

그에게 갚아주시리라

행 436일컬어 바나바라(번역하면 위로의 아들이라)하니사 423 상한 갈대를 꺽지 아니하며눅 2251예수께서그 귀를 만져 낫게 하시더라

요일 47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l 하나님께서는 아무 자격이 없는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

셨다

l 타인을 향한 하나님의 명령은 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l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만져주심으로 이해하셨다

l 이해보다는 사랑이 먼저이다

l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긍휼이 필요한 존재이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가족들이 서로를 사랑하면서도 자꾸만 다툼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나를 통해 속한 공동체가 서로를 이해하

는 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105

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건강한 가족은 결국 건강한 가족관계에서 출발한다 이

차시에서는 성경에서 말씀하는 동등성을 기반으로 한 부부관계에 대해서 배우게 된

다 사실 부부관계훈련을 제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이 과정만을 따로 떼어서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포괄적으로 다

루기 때문에 깊이 있는 학습보다는 넓게 다루되 심화과정을 따로 개설하는 것이 효과

적일 것이다 내용에 대한 요약은 아래에 이어서 다루게 된다

차 시 제 9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소그룹 배열

단 원 건강한 가정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소그룹별 나눔

중심성구잠언 171 마른 떡 한 조각만 있고도 화목한 것이 제육이 집에 가득하고도

다투는 것보다 나으니라

강의목표 가족 구성원의 상호헌신을 통해 건강한 가정을 이루어감을 안다

강의주제 건강한 가정을 이루는 것은 성경적인 인간관계를 세우는 주춧돌이다

관계요소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성경 속에 나타난 가족들의 특징을 적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자기가 속한 가정의 모습에 아쉬운 부분은 없나요

나는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탐구

하기

학습

활동

미 76 아들이 아버지를 멸시하며 사람의 원수가 곧 자기

의 집안 사람이리로다

엡 521 그리스도를 경외함을 피차 복종하라

잠 1822 아내를 얻는 자는 복을 얻고 여호와께 은총을 받

는 자니라

엡 533 그러나 너희도 각각 자기의 아내 사랑하기를 자신

같이 하고 아내도 자기 남편을 존경하라

잠 1632 노하기를 더디하는 자는 용사보다 낫고 자기의 마

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나으니라

잠 2325 네 부모를 즐겁게 하며 너를 낳은 어미를 기쁘게

106

(10) 섬김과 돌봄

10주간의 관계학교를 마무리하면서 이번 차시에서는 성도들의 사명적 과제인 세상

을 섬기는 삶에 대해 다루려 한다 모든 관계의 문제는 결국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

서 모범을 보이신 것처럼 섬김의 삶에서 종결된다 성도들 또한 모든 관계라는 상황

가운데 섬기는 자로 부름 받았음을 도전함으로써 모든 차시를 마무리 지으려 한다

학습

정리

하라

잠 243 집은 지혜로 말미암아 건축되고 명철로 말미암아

견고하게 되며

l 가정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작은 하나님 나라이다l 말세의 때에 가정을 향한 영적인 공격이 극에 달하고

있다l 가정의 건강성은 가족들 개개인 모두가 자기 역량에 따

른 헌신을 감당해내는가를 통해 결정된다l 너무 쉽게 분노와 다툼에 자신을 내어주는 모습을 돌아

보아야 한다l 가족을 위한 지혜는 하나님께로부터 나온다

탐구

활동

정리

질문

답변

정리

하기

우리 가정은 함께 예배하는 시간이 있는가

우리 가족은 서로에 대한 헌신의 정도가 어떠한가

차 시 제 10 강 대 상 학생전원 좌석배치 강의식 배열

단 원 섬김과 돌봄 토론형식 주제 중심 발표 및 사명에세이 작성

중심성구빌 22~4 마음을 같이하여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강의목표 우리는 하나님 세상 성도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기는 사람임을 안다

107

강의주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관계는 주께 하듯 섬기는 관계이다

관계요소

이해 공감 소통 배려 관심 개방 존중 협력 정직

강의자료 성경 유인물 ppt

예습적과제 섬기는 분으로 이 땅의 삶을 사셨던 예수님을 묵상해보기

과정

(시간)학습

요소강의 내용 및 활동

자료 및

유의점

탐색

하기

동기

유발

하나님 세상 성도와의 관계에서 어떨 때 가장 평안

한 마음이 들던가요

주께 하듯 섬긴다는 말은 어떤 뜻인가요

강사 자신의

체험을

나눠보기

탐구

하기

학습

활동

학습

정리

벧전 38 형제를 사랑하며 불쌍히 여기며 겸손하며롬 1216 서로 마음을 같이하며 도리어 낮은 데 처하며잠 1717 형제는 위급한 때를 위하여 났느니라

고전 135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롬 152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빌 127 오직 너희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

라골 323 무슨 일을 하든지 주께 하듯 하고엡 67 기쁜 마음으로 섬기기를 주께 하듯 하고 사람들에게

하듯 하지 말라

l 형제를 불쌍히 여길 때 그를 사랑할 수 있습니다l 우리의 마음을 겸손히 할 때 섬길 수 있습니다l 어려운 상황에 있는 이웃을 더욱 돌보아야 합니다l 우리는 서로를 섬기도록 지음 받았습니다l 주께 하듯 형제를 사랑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입니다

l 건강한 관계는 나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상대방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섬길 때 성취할 수 있습니다

말씀 본문

PPT영상준비

각각의

소주제에서

강사의

전달보다

학생들의

반응에 더

집중하기

탐구

활동

정리

고백

나눔

시간

관계 속에서 가장 힘든 때는 언제 인가요혹시 내 안에 아직도 이기적인 편견에 빠져있지 않을

까요오늘 내가 섬기도록 내 곁에 두신 사람은 누구인가

정직과

비유지에

대한

사전교육

108

이상으로 10주간의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내용의 개요를 제시해보았다 세부적인

내용은 교회마다 특성과 여건이 다르기에 그 상황에 맞추어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본

다 관계학교라고는 하지만 바쁜 현대를 살아가는 성도들의 모습을 감안하여 하나님

과 성도들과 세상과의 세 가지 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10차시 정도로만

요약해 보았다 개별적으로 좀 더 깊은 내용은 추후 교회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진행

하면 되리라 여기며 여기까지 해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대략적인 개요 내용을 정리

하고자 한다

109

제 6 장

결 론

제 1 절 요약과 한계점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에서 한국교회는 시대적응에 실패한 모양새이다 이러한 현상

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들 중 하나는 기존 교회

들이 지나치게 가시적인 성장에만 매달려 교세를 확장하기에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인

책무를 소홀히 하였고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건물 중심 조직중심 목회자중심

의 외적인 요소에 과도한 비중을 둠으로써 교회공동체가 추구해야할 본질적인 요소와

사명을 게을리 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고도화된 물질문명과 달리 피폐

해진 인간의 삶이라는 현실 사회 속에서 교회는 세상의 유일한 소망이다 여타 다른

나라의 기독교 발전과 달리 한국 기독교는 짧은 순간에 급속한 수적 성장을 이루었는

데 급격한 변화에는 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처럼 한국 개신교 내부에서 교회를 이루

는 구성원으로서 각 개인 간의 거리가 너무 긴해지고 말았으며 이는 상대방을 충분

히 수용하고 이해하기에 중간에 필수적이었던 시간들을 생략하고 만다 결국 이는 교

회 내부에서 관계의 문제로 불거져 나오게 된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 여전히 한국교

회는 양적성장을 통해 교회건강성을 확인하려 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시작된 이 논문은 지금까지 포스트모더니티와 모더니티의 사

이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성을 시작으로 건강한교회의 특성을 주장하는 4가지 이론들

을 살펴보았다 그 속에서 Anderson과 Macchia의 주장에서 발견된 관계적 특성을 교회

의 건강성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이를 위한 이론적 뒷받침으로 관계신

학을 살펴보았다 관계중심의 사역을 교회의 건강성 개선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주장

하면서 기존 교회나 단체들에서 이루어지는 관계훈련의 사례를 찾아보았는데 여기에

110

서 발견된 특징은 사후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중심 상담기법이 주로 사용되어짐을 발

견하면서 필자는 성경을 중심으로 하면서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공부하는 것

을 통해 전도의 기회로도 활용 가능한 관계학교 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안해보는 것으

로 본 논문을 진행해왔다

제한된 지면에 방대한 주제를 연구하다보니 아무래도 각 내용들이 심도 깊게 연

구되지 못하고 단지 관계학교라는 10차시의 과정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가벼이 지

나갈 수밖에 없었던 한계가 있음을 인정한다 또한 포스트모던이든 교회건강이론이든

관계신학이든 그 안에 담긴 내용은 훨씬 다양하고 여러 가지 한계에 대한 나름의 보

완책을 가지고 있지만 양적성장을 통해 건강한교회를 구분 지으려는 현 세태에 대한

비판을 강조하려 하다 보니 그러한 보완점을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다

제 2 절 제언

미래의 교회는 그동안 집중하던 사역지향의 틀을 넘어서 관계에 기초를 두는 공

동체로 세워져야 할 것인데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평가를 받으며 서로를 자랑

하며 서로의 성공을 축하해 주며 서로의 문제해결을 도와주며 서로를 칭찬해 주며

서로를 높여 주는 관계성의 개발을 그 공동체의 핵심가치와 목표로 하는 교회를 세우

는 목회가 이 시대에 절실하다 교회마다 그동안 성장과정에서 소홀히 되었던 부분으

로 인한 성장 통을 앓고 있고 거기에 최상위 리더십이 교체되는 시점에 그 문제는 불

거져 나와 결국은 분립의 길을 선택한 많은 교회의 예들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고 세상을 아우르며 자신의 존재의미와 본질에 충실한 건강한교

회는 하나님과도 성도들과도 이웃과도 건강한 교회여야 할 것을 주장하며 이 논문을

마치려 한다

111

참고 문헌

1 국내 서적

교회성장연구소 편집부 소그룹리더학교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김세윤 예수와 바울 서울 두란노 2008

김영선 관계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2

김운용 새롭게 설교하기 서울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5

김점옥 세대 한국교회의 모델 서울 기독신문사 2000

김태형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서울 갈대나무 2018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김형국 풍성한 삶의 기초 서울 포이에마 2014

신국원 문화이야기 서울 IVP 2002

______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IVP 1999

양희송 가나안성도 교회 밖 신앙 서울 포이에마 2014

이형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기독교 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3

최애경 인간관계의 이해와 실천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06

한국조직신학회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한목협 한국기독교 분석리포트 서울 도서출판 URD 2013

김상근 ldquo한국교회의 위기와 목회의 패러다임 전환rdquo 기독교사상 2008년 1월호(통권

제589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신국원 ldquo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생명문화rdquo 신학지남73 서울 신학지남사 2006

한종호 ldquo성공주의 이데올로기에 포장된 복음과 오답 사이에서rdquo 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112

2 번역 서적

Augustine(Saint) 성아우구스티누스 삼위일체론 김종흡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Bevere John 존 비비어의 관계 우수명 역 서울 NCD 2008

Bonhoeffer Dietrich 성도의 교제 이신건 유석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Bradshaw John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middot고영주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2002

Calvin John 기독교강요 I 김종흡 외 3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Clair Michael St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Clowney Edmund P 교회론 오성일 역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3

George Carl F 다가오는 교회혁명 이렇게 대비하라 전의우 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Gibbs Eddie 넥스트 처치 임신희 역 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10

Hiebert Paul G 21세기 선교화 세계관의 변화 홍병룡 역 서울 복있는사람 2010

Holladay Tom 사랑으로 가꾸는 삶 양영선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9

Kun Hans 교회 정지련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7

Long Jimmy 소그룹리더핸드북 IVF자료 개발부 편역 서울 IVP 1996

Newbigin Lesslie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Richardson Ronald 목회는 관계 리더십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_______ 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 유재성 역 서울 국제제자훈련원 2008

Robinson Dave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박미선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2

Schwarz Christian A 자연적 교회성장 목회와 신학 2000년 11월호 서울 두란노

200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첫걸음 윤수인 역 서울 NCD 2001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윤수인 역 서울 NCD 2010

_______ 자연적 교회성장 패러다임 임원주 역 서울 NCD 2001

Stott John R W 살아있는 교회 신현기 역 서울 IVP 2009

113

Sweet Leonard 관계의 영성 윤종석 역 서울 IVP 2011

_______ 모던 시대의 교회는 가라 김영래 역 서울 좋은씨앗 2004

Walsh Brian and Middleton J Richard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세계관 김기현

신광은 역 서울 살림출판사 2007

3 외국 서적

Anderson Leith A Church for the 21st Century Bloomington Bethany House Pub 1992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15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92

_______ Die Kirchliche Dogmatik Studienausgabe Band 2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8

Grenz Stanley J A Primer on Postmodernism Michigan Eerdmans 1996

Guinnes Os Dining with the Devil The Megachurch Movement Flirts With Modernity

Michigan Baker Books 1993

Gunton Colin E The Christian Faith Hoboken Wiley-Blackwel 2001

Klemm David Hermeneutical Inquiry The interpretation of Texts vol 1 David Klemm

ed Atlanta Scholars Press 1986

Macchia Stephen Becoming a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Books 2003

_______ Becoming a Healthy Disciple 10 traits of vital Christian Michigan Baker

Books 2004

Smith James K A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Michigan Baker Academic 2006

Wagner C Peter Your Church Can Grow Eugene Wipf amp Stock Pub 2001

_______ The Healthy Church Michigan Baker Pub Group 1996

114

4 웹사이트

httpwwwwhointaboutmissionen세계보건기구헌장

httpwwwonnuriorgabout-onnurichurch-introduction 2018 718

httpwwwonnuriorgcommunitysmall-groups

httpwwwonnuriorgmissionsministry-introductionfamily-ministry사역-구성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4626

httprelationshipschoolcom

httpusaamennetbbsboardphpbo_table=dataampwr_id=1763amppage=209

httpsinallthingsorgecclesia-semper-reformanda-five-hundred-years-of-the-reformationfn1-11529

httpwwwkmagokrnotifyepeoplefaqjspbid=faqampmode=viewampnum=156amppage=1ampfield=amptext=ampschGrp=02

115

Vita ofSeongBaek Park

Present PositionSenior Pastor of Grace-Truth Chruch in GwangJu South Korea

Personal Data

Birthdate 01201972Marital Status MarriedHome Address 12 SangmuDaero 263 GwangsanGu GwangJuPhones +82-10-2587-5579Denomination PresbyterianOrdained 10072008

Education

B A 2001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in PhysicsM Div eq 2007 Gwangshin Theological SeminaryTh M 2009 Gwangshin UniversityDMin 201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 포스트모던 한국교회 상황에서 교회 건강 개선을 위한 관계학교 프로그램
    • Recommended Citation
      • vartmpStampPDFG81n_kR6vhtmp1568331363pdfQYYRp
Page 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2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2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2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2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2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2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2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2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2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2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3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3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3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3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3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3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3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3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3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3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4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4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4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4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4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4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4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4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4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4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5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5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5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5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5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5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5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5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5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5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6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6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6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6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6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6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6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6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6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6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7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7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7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7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7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7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7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7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7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7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8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9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0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1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0: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1: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2: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3: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4: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5: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6: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7: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8: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
Page 12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igital Commons @ Fuller · 2020. 8. 14. · ministry focus paper .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r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