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서비스 권역분석을 활용한 대구광역시 응급의료 취약지 분석 ·...

57
Citation for published version: Maharaj , AR, Edginton, AN & Fotaki, N 2016, 'Assessment of age-related changes in pediatric gastrointestinal solubility', Pharmaceutical Research, vol. 33, no. 1, pp. 52-71. https://doi.org/10.1007/s11095-015-1762-7 DOI: 10.1007/s11095-015-1762-7 Publication date: 2016 Document Version Peer reviewed version Link to publication This is a post-peer-review, pre-copyedit version of an article published in Pharmaceutical Research. The final authenticated version is available online at: https://doi.org/10.1007/s11095-015-1762-7. University of Bath General rights Copyright and moral rights for the publications made accessible in the public portal are retained by the authors and/or other copyright owners and it is a condition of accessing publications that users recognise and abide by the legal requirements associated with these rights. Take down policy If you believe that this document breaches copyright please contact us providing details, and we will remove access to the work immediately and investigate your claim. Download date: 03. Jan. 2020

Upload: others

Post on 21-Sep-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Vol.11.No.12012.4.pp1~9 1

†이 논문은 공간정보 문인력 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주 자:경북 학교 공간정보학과 석사과정(Master’scourse,DepartmentofSpatialInformationScience,Kyungpook

NationalUniversity),E-mail:[email protected]

**공동 자:경북 학교 공간정보학과 석사과정(Master’s course,DepartmentofSpatialInformation Science,

KyungpookNationalUniversity),E-mail:[email protected]

***교신 자:경북 학교 공간정보학과 박사과정(Doctor’s course,Departmentof SpatialInformation Science,

KyungpookNationalUniversity),E-mail:[email protected],Tel:010-9414-0147

GIS 서비스 역분석을 한 대 역시 응 의료 취약지 분석

주승민·이경하 ·최진

To Identify the Vulnerable Area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Daegu City in 2012

Seung-Min Joo · Kyeong-Ha Lee · Jin-Ho Choi

국문 요약

본연구는 근성의 개념을기반으로 구 역시의 응 의료서비스취약지를분석하는데목 을두

고있다.분석은GIS의 표 인공간분석기법인서비스권역분석을기 로하 으며, 근성분석은

이송시간에 을 두어진행하 다.연구결과 구시의 응 의료기 은 부분 도심지역에 치하여

시외곽으로갈수록서비스권역에서벗어나고있었으며,특히노령층인구가많은달성군일 는응 의

료서비스가매우취약하게나타나고있음을확인할수있었다.본연구의결과는향후 구시의응 의

료서비스 개선과 공간 형평성을 한 안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단된다.

주제어:GIS,ServiceAreaAnalysis,응 의료서비스, 구 역시, 근성

Abstract

Thepurposeofthisstudyistoanalyzevulnerableareasinemergencymedicalservicein

DaeguMetropolitanCitybasedontheconceptofaccessibility.Theanalysiswasbasedon

ServiceAreaAnalysis,thetypicalmethodofspatialanalysisofGIS,andtheanalysisof

accessibilitywasconductedfocusingontransferringtime.Asaresultofthestudy,most

emergencymedicalcenterswerelocatedinthedowntownareaofDaegu,souptownareas

becameoutoftheservicearea.And especially,itwasconfirmed thatareasaround

Dalseong-gunwheretherearequitealotelderlypeoplereceivedquitevulnerableemergency

medicalservice.Itisjudgedthattheresultofthisstudywillsuggestanalternativeandaway

* ** ***

2 주승민 ·이경하 ·최진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forimprovingemergencymedicalserviceandforspatialequityinDaeguinthefuture.

Keywords:GIS,ServiceAreaAnalysis,EmergencyMedicalServices,Daegu,accessibility

Ⅰ. 서 론

1. 연 경 적

응 의료서비스는 일반 외래 환자에 비해 생

존 후가 발생 기의 신속한 응 처지에

따라 생존율에 크게 향을 받으므로,서비스의

질과 양 인 측면에서 고강도의 서비스가 요구

되며 특히,환자의 이송시간은 환자의 생존 여

부에 큰 향을 미치기 때문에 환자발생지와 의

료기 과의 근성이 매우 요한 요소로 작용

한다(김경아,1997).즉,응 의료서비스는 신체

상의 박한 장애치유가 발생한 경우 이에 상응

하는 응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고,그 성

격상 시간을 지체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

에 시·공간 으로 근 한 지역에서 지역주민과

연결되어야 한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2).

그러나 구의 경우 응 의료 서비스 기 이

도심지역에 편 되어 분포하고 있어,상 으

로 응 의료서비스의 근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지역과 근성이 어려워 응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기 어려운 지역으로 구분되어,도심지역

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신속한 응 의료서비스를

받기 힘든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

즉,응 의료시설은 일반 인 리 목 의 의

료시설과 달리 그 목 이 리보다는 공공의 복

지에 있으며,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요한 사

항임을 고려 할 때 형평성을 고려한 의료시설의

시 소의 배치가 필요하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구지역의 최근 응 구

활동 건수는 2010년 23,920건에서 2011년 28,879

건으로 해마다 증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구에서는 응

의료서비스 미비로 인한 의료사고가 발생하는

등 응 의료서비스에 한 많은 문제 을 노출

하고 있다.

따라서,향후 유사 사례의 응 의료사고

방 노령인구 증가에 따른 응 의료서비스의

요구 증 를 만족시키기 해서는 구지역의

응 의료 서비스기 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지역 특성과 응 환자의 수송로인 도

로 상황까지 고려한 지리 근성 분석을 통해

응 의료서비스의 취약지와 추가 입지 지역에

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술된 요건들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기 해 GIS(GeographicInformation

System)의 Network분석기법의 확장모듈인 서

비스 권역 분석을 활용하여 재 구 역시의

응 의료서비스 취역지역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

으로 향후 지역 주민들에게 보다 효과 인 응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한 추가 인 응 의료

기 의 입지 필요 지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선행연

응 의료서비스의 취약지와 다양한 문제 을

해결하기 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

고 있으며,특히 최근에는 응 의료서비스에

한 GIS를 이용하여 근성의 개념에 주목한 연

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의료 보건 련 분야 시설의 분포특성과

입지에 한 표 인 연구에서 이특구(2000)는

직 조사와 장 조사를 바탕으로 응 환자의

시설이용형태를 분석하고 응 의료기 의 정

GIS서비스 권역분석을 활용한 구 역시 응 의료 취약지 분석 3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그림 1> 대 역시 지역, 역응 의료센터의 분포

진료권 범 를 제시하 으며,김 정(1996)은 지

역 으로 실제 의료 기 의 계층 구조가 어떠

한 패턴으로 분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의료 기 의 입지는 그 특성상 공 자 수

의 리 측면과 의료서비스에 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공익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고 제시하 다.허수진(1996)은 인구,경제수 ,

도로망, 근 등을 고려하기 해 입지-배분 모

델을 용하여 의료시설의 지선정 결과를 도

출하여 실제 의료기 의 비교를 통해 입지를

평가하 다.

최근의 GIS를 이용한 응 의료서비스에

한 연구에는 Albert(1992)이 GIS소 트웨어인

Mapinfo를 활용 의료 권역을 1차,2차,3차 권

역으로 세분화 하여 제시한 사례를 시작으로,

ParkerandCampbell(1998)이 GIS를 이용하여

일차 진료권에 한 근성을 분석한 연구가

있다.

국내의 경우 도병수와 이상범(2000)이 구

역시 응 의료체계 련기 단체를 조사형

구성요소별 황을 분석하여 지역응 의료체계

의 개선책을 제시한 사례가 있으며,양병운과

황철수(2005)는 강원도 지역의 응 의료기 을

상으로 응 의료지의 효과 분포 입지를

분석하 다.

이러한 연구들은 공통 으로 응 의료자원의

형평성을 고려한 기 의 효과 분포가 반드시

필요하며, 근성의 측면을 고려한 응 의료서

비스의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를 역설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근성의 고려를 도로

상황,즉 이용되는 도로의 이동 가능 속도 등의

실 요소가 고려되지 못한 을 보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이에 본 연구는 이 에 고려하

여 각 도로에서 이동속도와 정확한 치정보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 다.

Ⅱ. 션가

1. 연 위

본 연구는 구 역시의 응 의료서비스의 취

약지역을 분석하고자 하 다.이에 따라 의료법

제3조에 따라 응 의료서비스가 가능한 병원으

4 주승민 ·이경하 ·최진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로 지정된 구시의 앙응 의료기 ,권역응

의료센터,지역응 의료센터,지역응 의료기

의 치 정보와 속성 정보를 앙응 의료센

터에서 취득하여 분석하 다.

구 역시의 응 의료서비스체계는 1개의 권

역응 의료센터,5개의 지역응 의료센터,12개

의 지역응 의료기 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수 많은 응 환자와 상황에

한 다양한 분석 결과의 제시보다는 실 수

요가 가장 많은 응 의료상황에 해 고려하는

것이 보다 효과 인 분석일 것으로 단하여,

이에 따라 사망률이 높고 신속한 환자의 이동과

처리가 요구되는 심 뇌 환자에 해

으로 고려하 다.

따라서 심 뇌 환자에 한 응

의료서비스가 가능하고,실제 재 구시의

정책상 심·뇌 환자는 학병원인 센터

병원을 심으로 응 서비스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을 고려하여 권역응 의료선테와 지역

응 의료센터를 분석 범 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 다.

<그림 1>은 2012년 재 구 역시에 지정

된 권역 지역 응 의료센터의 치를 나타

낸다.

2. 연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

을 극복하고자 응 환자의 이송시간 등 실

요소를 고려하기 해 GIS의 네트워크분석

의 모듈 하나인 서비스 권역 분석을 활용

하 다.

서비스 권역 분석은 환자의 이송과 련된

도로의 속성정보를 반 하여 이송소요시간의

가 치를 이용하여 근성 범 를 악할 수

있다.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서비스 권역분석

은 선형의 공간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

인자를 고려할 수 있어 하천의 유량,교통망

분석,상·하수 분석, 기,가스와 송유 등의

분석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연구에 사용된 네트워크 분석 데이터는 국토

해양부와 한국교통연구원이 「국가교통DB구축

사업」으로 구축한 교통주제도를 기반으로 제

작된 네트워크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하 으며,

이에 한 변동 상황은 국토지리정보원의 NGIS

수치지도(1:5000)과 장조사를 통해 갱신

보완하여 활용하 다.

사용된 네트워크 분석 데이터는 node(시 ,

종 ),link(도로망,센트로이드 커 테)로 구성

되어 있으며 도로의 기하구조를 반 하기보다는

도형과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방향성이나

node와 link의 연결성에 을 두어 이송시간

의 실 인 반 수 을 높여 활용하 다.더

불어 네트워크 분석과정에서 구성된 도로구간의

이동 소요 시간과 규정된 최 속도(제한 속도),

차선 수 등을 속성 정보로 포함하여 실 조

건을 추각 으로 반 하여 응 의료시설로의 도

로 정보 networkattribute를 기반으로 분석에

도로의 속성정보를 용함으로서 실제 환자

이송 차량이 운행하는 여건과 가장 가까운 환

경에서 분석을 시행하 다.

응 의료서비스의 취약지 분석을 한 요건

은 심 뇌 환자의 응 의료 가능

시간과 생존율이 각각 5분(심폐소생술 가능 시

간)과 10분(뇌 손상후 응 의료 가능 시간)으

로 연구되어 이를 고려하여 이송시간 변수로

선정하여 각 의료기 에서 5분과 10분 동안

도달 할 수 있는 권역을 분석의 기 으로 설

정하 다(김세경,2002).

연구에서 활용된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ESRI

사의 ArcGISver9.3을 활용하 으며,통계분

GIS서비스 권역분석을 활용한 구 역시 응 의료 취약지 분석 5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 1> 5분내 응 의료시설 도착 가능 지역

행정구도착가능

행정동비고

구 13 모든 동 도착가능

남구 13 이천동, 덕1,2,3동, 명1,2,3,4,5,6,9,10,11동

달서구 17성당1,2동,두류1,2,3동,감삼동,죽 동,본리동,월성1동,진천동,상인1,2,3동,

도원동,송 1,2동,본동

동구 13 신암1,2,3,4,5동,신천1,2,3,4동,효목1,2동,불로 무동,지 동,동 동

북구 14 고성동,칠성동,침산1,2,3동,노원동,산격1,2,3,4동, 1,2동,복 1,2동

서구 17 내당1,2,3,4동,비산1,2,3,4,5,6,7동,평리1,2,3,4,5,6동,상 이동,원 동

수성구 13 범어1,2,3,4동,만 1,2동,수성1,2,3,4가동,황 2동, 동,상동,두산동

석과 데이터 속성 정보 구성에는 MicroSoft사

의 MS-OFFICEExcel2010을 활용하 다.

Ⅲ. 서비스 역 분석을 통한 응 의료시

설 취약지 분석

1. 이송시간 5분 지역

서비스권역 분석을 통해 구 역시의 5분내

응 의료시설로의 이송 가능 권역은 <그림 2>

와 같이 나타났다.

<그림 2> 5분 내 응 의료시설 도착 가능 지역

이는심 뇌 질환자의심폐소생술의

효과가유지될수있는시간의권역으로 구

역시 구의 모든 지역은 해당 권역에 포함되지

만,이를제외한지역은시외곽으로갈수록그권

역에 해당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구 역시 체 면 883.68㎢의 약

15.1%(133.5㎢)만이 5분내의 응 의료서비스가

가능한 곳으로,나머지 84.9%의 지역이 심폐소

생술의 응 의료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것으로

확인된다.

<표 1>은 각 행정구역에서 5분내 응 의료기

으로 도착이 가능한 지역을 나타낸 것으다.

이 결과를 살펴보면 구의 경우 모든 행정동에

서 5분내에 응 으료기 으로 도착할 수 있으

나,동구와 남구는 상 으로 해당 응 의료서

비스에 취약한 지역이 많았다.권역내에 해당된

지역을 살펴보면 달서구가 17개동,북구 14개동,

동구와 수성구,남구가 13개동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달성군의 경우는 5분내에 응 의료환자를

이송 할 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주승민 ·이경하 ·최진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 2> 10분내 응 의료시설 도착 가능 지역

행정구도착가능

행정동비고

구 13 모든 동 도착가능

남구 13 이천동, 덕1,2,3동, 명1,2,3,4,5,6,9,10,11동

달서구 24성당1,2동,두류1,2,3동,감삼동,죽 동,장기동,용산1,2동,이곡1,2동,신당동,

본리동,월성1,2동,진천동,상인1,2,3동,도원동,송 1,2동,본동

동구 18신암1,2,3,4,5동,신천1,2,3,4동,효목1,2동,도평동,불로 무동,지 동,동

동,방 동,해안동,안심1,2동

북구 18고성동,칠성동,침산1,2,3동,노원동,산격1,2,3,4동, 1,2동,복 1,2동,검

단동,무태조야동, 문동,태 2동

서구 17 내당1,2,3,4동,비산1,2,3,4,5,6,7동,평리1,2,3,4,5,6동,상 이동,원 동

수성구 19범어1,2,3,4동,만 1,2,3동,수성1,2,3,4가동,황 1,2동, 동,상동, 동,두산

동,지산1,2,3동

달성군 2 화원읍,다사읍

2. 이송시간 10분 지역

서비스권역 분석을 통한 구 역시의 10분내

응 의료시설로 이송 가능한 권역은 <그림 3>

과 같다.이는 뇌 질환 뇌 손상 후 응

의료 환자의 소생률이 높은 지역의 시공간

권역이다.

<그림 3> 10분 내 응 의료시설 도착 가능 지역

10분 기 의 응 의료서비스권역은 약 356.24

㎢으로 구 역시 체 면 의 약 40.3%에 해

당된다.이는 5분 기 의 권역보다는 많은 비율

은 차지하지만 나머지 59.7%가 응 의료서비스

를 제 시간에 받지 못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표 2>는 10분을 기 으로 응 의료기 에

도착 가능한 지역을 나타는 것으로,그 결과는

국 지역,남구의 13개동,달서구 24개동,동

구 18개동,북구 18개동,수성구 19개동,달성군

2개동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 지역 응 의료서비스 취약지

구의 응 의료서비스의 취약지는 최 10분

의 이송시간을 기 으로 최 임계치를 반 하

면 구시 체 면 의 약 59.7%인 것으로 분

석 되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그림 4>와 같이 응

의료서비스의 취약지를 볼 수 있다.5분 내에

응 의료시설에 이송이 불가능한 지역은 수성구

10개동,북구 10개동,동구 7개동,달서구 7개동

이며,특히 달성군의 경우 모든 지역에서 5분

GIS서비스 권역분석을 활용한 구 역시 응 의료 취약지 분석 7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 3> 5분내 응 의료시설 도착 불가능 지역

행정구도착불가

행정동비고

달서구 7 장기동,용산1,2동 ,이곡1,2동 신당동,월성2동

달성군 9 화원읍,논공읍,다사읍,가창면,하빈면,옥포면, 풍면,유가면,구지면

동구 7 도평동,방 동,해안동,안심1,2,3,4동,공산동

북구 10검단동,무태조야동, 문동,태 1,2동,구암동, 음동,읍내동,국우동,

동천동

수성구 10 만 3동,황 1동, 동,지산1,2동,범물1,2동,고산1,2,3동

< 4> 10분내 응 의료시설 도착 불가능 지역

행정구도착불가

행정동비고

달성군 7 논공읍,가창면,하빈면,옥포면, 풍면,유가면,구지면

동구 2 안심3,4동,공산동

북구 6 태 1동,구암동, 음동,읍내동,국우동,동천동

수성구 4 범물1,2동,고산1,3동

내에 응 의료시설에 이송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10분에 응 의료시설에 이송이 불가능

한 지역은 달성군 7개동,북구 6개동,수성구 4

개동,동구 2개동으로 나타났다.

<그림 4> 대 시 응 의료서비스 취약 지

여기서 달성군 논공읍,가창면,하빈면,옥포

면, 풍면,유가면,구지면과 동구 공산동,안

심 3,4동,북구 태 1동,구암동, 음동,읍내

동,국우동,동천동,수성구 범물 1,2동,고산 1,

3동은 5분과 10분 모두 취약지역으로 나타나

향후 응 의료와 련된 정책 수립과 추가 인

응 의료시설의 입지를 고려해야 될 것으로 사

료된다.

2008년 질병 리본부의 통계에 따르면 심·뇌

환자의 성별은 남자(56.7%)으로 여자가

(43.3%)보다 많으며,연령별로 60 이상의 발

병이 63.2%으로 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통계의 심층 감시체계 자료에서는 심근경

색 환자의 평균 나이는 63.8%로 여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은 통계 결과는 구

시의 경우와도 동일하게 구시의 심·뇌 발

생 가능성이 65세 이상 노년층에서 많이 나타나

고 있다.

8 주승민 ·이경하 ·최진호

대구경북연구 제 11권 제 1호

< 5> 응 의료시설 취약지 지역의 노년 비율

해당구 행정동 인구(명)65세이상노년층(명)

비율 비율-평균

수성구

범물1동 15,541 2,073 0.133 0.028

범물2동 19,421 1,431 0.074 -0.031

고산1동 36,543 2,489 0.068 -0.037

고산3동 36,285 2,640 0.073 -0.032

동구공산동 17,046 2,939 0.172 0.067

안심3.4동 47,521 3,958 0.083 -0.022

북구

태 1동 24,394 2,104 0.086 -0.019

구암동 43,556 2,339 0.054 -0.051

음동 22,534 1,656 0.073 -0.032

읍내동 29,161 2,403 0.082 -0.023

동천동 33,293 1,570 0.047 -0.058

국우동 26,885 1,566 0.058 -0.047

달성군

논공읍 25,055 1,950 0.078 -0.027

가창면 9,075 1,829 0.202 0.096

하빈면 4,615 1,040 0.225 0.120

옥포면 11,007 1,585 0.144 0.039

풍면 11,129 1,620 0.146 0.040

유가면 3,004 784 0.261 0.156

구지면 4,892 1,321 0.270 0.165

자료: 구 역시 통계연보,2011

이러한 통계결과는 노년층의 심·뇌 련

응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가 높을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한 응 의료서비스 취약 지구를 분석

할 필요성이 있다.<표 5>는 구 역시의 응

의료시설 취약지의 노년층 비율로 범물 1동,

공산동,달성군지역에서는 구 역시 노년층의

평균보다 더 높은 노년층이 분포하고 있지만 응

의료서비스는 받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달성군의 경우 노년층비율이 구 역시의

평균에서 2배 이상 분포하고 있어,타 지역에

비해 심·뇌 질환의 발생과 응 의료서비스

에 한 수요 받을 수 있지만 신속한 응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즉,달

성군의 경우 응 의료시설의 입지에 한 형평

성에 문제 이 있다고 단할 수 있다.따라서

향후 구 역시의 응 의료체계에 한 정책이

나 추가 시설 입지를 결정할 때 이러한 을 반

하여 응 의료권역에 한 불균형 문제를 해

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Ⅳ. 결 론

본 연구는 구 역시를 상으로 응 의료

서비스의 근성 분석을 통해 응 의료서비스

한 취약지를 분석하여 이를 시각화하여 제시

하 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첫째,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시간 인 5

분을 기 으로 분석하 을 경우 구 역시

체 면 의 84.9%의 지역에서 5분내 응 의료시

설의 이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뇌 손상후 응 의료가 가능한 시간인 10분을 기

으로는 구 역시 체면 의 59.7%의 지역

GIS서비스 권역분석을 활용한 구 역시 응 의료 취약지 분석 9

JournalofDaeguGyeongbukDevelopmentlnstitute

에서 10분내 응 의료시설 이용이 불가능한 것

으로 나타났다.셋째,심·뇌 질환자 발생 비

율이 높은 65세 이상의 거주 비율을 계상한 결

과 범물 1동,공산동,달성군지역에서는 구

역시 노년층의 평균보다 더 높은 노년층이 분포

하고 있어 심·뇌 질환자에 응 의료서비스

가 수요가 높을 수 있지만 응 의료서비스에

한 취약지로 나타나 이에 한 형평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구에서는 응 의료서비스에 한 미비

로 인해 의료사고가 발생하는 등,여러 문제

을 보이고 있어 지자체에서는 유사 사례의 의료

사고를 막고자 지자체 최로 응 의료 종합 책

을 새로이 마련하고 지역응 의료 기 에 해

약 58억원을 집 투자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이에 해 본 연구의 결과는

구시의 응 의료서비스의 취약지에 한 불균형

문제 지 을 통하여 응 의료서비스의 책에

보완을 한 정책결정의 기 자료를 제시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효율 인 응 의료서비스는 근성 이

외에 사회경제 요소 등 다양한 요소가 반 될

수 있지만 근성을 으로 고려한 은 본

연구의 한계 으로 지 될 수 있다.아울러 추

가 인 의료서비스기 인 입지 결정을 해서는

인구수,이용률,타 질병과의 요소 등을 고려한

공간분석을 통한 추가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

로 단된다.

참 고 문 헌

김경아,1997,“응 의료 서비스의 개선에 한 연구”,

인제 학교 석사학 논문.

김세경,2002,「EMERGENCYMEDICINE」.군자출

사.

김 정,1996,“병원의 분포와 사회,경제 지표의

계 분석”,성신여자 학교 석사학 논문.

도병수·이상범,2000,“ 구 역시 지역응 체계의

황분석을 통한 보완 개선책 제시”, 한응

의학회지,11(2):203~212.

구 역시,2011,「 구 역시 통계연보」.

양병운·황철수,2005,“GIS분석을 통한 긴 의료지도

개발에 한 연구”,한국지도학회지,(5)1:7~14.

이특구,2000,“서울시 응 의료체계에 한 평가”,

6(10):54~77.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2,「응 의료기 구조평가

평가체계 개발」

허수진,1996,“강남구 의료기 입지에 한 연구”,

이화여자 학교 석사학 논문.

Albert,D.P,1992,Multipelocationofmeducal

practiceinNorthCarolina,UniversityofNorth

CarolinaatChapelHill.

Parker,E.B.,andCampbell,J.L.,1998,Measuring

accestoprimarymedicalcare:someexamples

ofthuseofgeographicalinformationsystems.

Health&Place,4(2):183~193.

논문 수일:2012.2.28,심사완료일:2012.3.21

최종원고:2012.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