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 · e-m ail :...

8
, , * , ** , 1027

Upload: others

Post on 22-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 · E-m ail : hchwang@krri.re.kr * , ** ,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ati

† 교신저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신교통연구본부

E-mail : [email protected]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신교통연구본부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광역도시철도연구본부

철도차량 지능형 광대역 통신망의 국제표준화 동향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Intelligent Broadband

Communication of Train

황현철† 이호용* 조봉관** 곽재호*

Hyeon-Chyeol Hwang Ho-Yong Lee Bong-Kwang Cho Jae-Ho Kwak

ABSTRACT

Electronic devices in railway vehicle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not only braking and propulsion but

also monitoring of vehicle condition, on-line diagnosis, and passenger information service, etc. These devices,

distributed in vehicle, should be efficiently connected so as to properly perform the functions.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standardized train communication network (TCN) as IEC 61375-1, -2. TCN can

reduce the interconnecting work load by reducing the number of wire-line, compared with existing hard-wire

connection, and it brings the efficient control by enabling various devices to share the information. But existing

TCN can not satisfy the increasing service demands like passenger internet access and CCTV surveillance, etc.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ECN (Ethernet Consist Network) and ETN (Ethernet Train Backbone) which

are proposed to satisfy these demands and in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by IEC TC9 WG43.

1. 서론

철도 차량의 전자 장치들은 추진이나 제동의 기능뿐만 아니라 차량의 상태에 대한 감시, 온라인 진

단, 승객 정보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철도 차량내에 분산되어 있는 전자

장치들의 효율적인 기능 발휘 및 진단, 감시를 위해서는 이들 장치간에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 재생

산,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는 철도

차량내 실시간 제어네트워크인 TCN (Train Communication Network)을 IEC 61375-1로 표준화하였다. TCN

은 기존의 하드와이어방식에 비하여 배선 수를 줄임으로써 여러 장치들의 결합작업을 줄이고, 장치간

정보공유에 의해 효율적인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기존 TCN의 MVB (Multifunction Vehicle

Bus)와 WTB (Wire Train Bus)가 제공하는 최대 1.5 Mbps의 대역폭은 승객 인터넷 접속, 디지털 음성/ 영

상 전송 등의 증가하는 서비스 요구를 충족하기에는 제한적이다. 현재 MVB와 WTB는 프로세스 데이터

(제어 및 진단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텍스트의 승객표시정보를 전송하는 수준이다.

철도 차량내에서 이러한 음성과 영상 전송 등의 광대역 서비스를 충족하기 위해, 봄바르디아와 지멘

스 등의 주요 유럽 철도 차량 제조사들은 이더넷에 기반한 철도 차량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독일과 프랑스는 이더넷기반 열차내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결과물을 바탕으로 IEC 국제표준

화 작업에도 적극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 차량의 광대역 지능형 통신망의 국제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국재표준화가 작

업중인 TCN 일반 구조, ECN 기술, ETB 기술을 설명한다.

1027

Page 2: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 · E-m ail : hchwang@krri.re.kr * , ** ,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ati

2. TCN 표준화 동향

TCN관련 표준문서들 IEC의 TC9 WG 43에서 관리 및 작업하고 있다. WTB와 MVB의 표준은 2007년

에 IEC 61375-1과 61375-2의 2판이 발간되었다. 2008년부터 IEC 61375-1의 3판이 개정 작업중에 있으며

여기서는 철도차량 네트워크로 기존 WTB와 MVB뿐만 아니라 CCN (CANopen Consist Network), ECN,

ETB를 포함하여 확장될 예정이다. IEC 61375-1 3판은 TCN의 요구사항인 계층적 네트워킹, 이중화, 통신

조성 개시, 기능에 따른 주소부여 등을 개방형 통신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통신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표준화 그룹은 기존 WTB와 MVB 표준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편성 네트워크와

이더넷 기반 통신 사양을 담을 수 있도록 TCN 표준을 확장하고 있다. 기존의 IEC 61375-1과 IEC

61375-1의 2판 표준문서는 3개의 표준문서 (IEC 61375-1 3판, IEC 61375-2-1 1판, IEC 61375-3-1 1판)로

분리되고, 새로운 편성 네트워크를 담을 표준문서들이 <그림 1>과 같이 준비되고 있다.

기존 TCN관련 표준 작업중인 TCN관련 표준

IEC61375-1 TCN General Architecture

IEC61375-2-1 WTB

-2 WTB Conformance Test

IEC61375-1 TCN -3 Communication Profile

-4 Application Profile

-5 ETB

-6 On-board to Ground Commun.

IEC61375-2 TCN Conformance Test IEC61375-3-1 MVB

-2 MVB Conformance Test

-3 CCN

-4 ECN

<그림 1> TCN 표준화 현황

3. TCN 일반 구조 (IEC 61375-1)

3.1 TCN 계층구조, 기술, 구성장치

TCN은 열차내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 1) 열차내 차량간의 데이터 통신, 2) 차량내 데이터 통신, 3)

열차와 지상간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한다. 차량들을 연결하는 열차 백본(TBN : Train Backbone)과 표준

차상 장치들을 연결하는 편성 네트워크 (CN : Consist Network)로 TCN을 계층 구조로 분리하여, 계층간

서로 다른 기술로 호환성을 보장한다. 편성 네트워크는 정적으로 미리 구성된 네트워크로서 MVB, CAN,

ECN 기술의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열차 백본은 열차 조성이 바뀔 때 마다 통신 토폴러지

가 변화하는 동적 네트워크이며 WTB 또는 ETB 기술로 구현한다. 한 편성은 하나 이상의 편성 네트워

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림 2> 열차 백본과 편성 네트워크

1028

Page 3: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 · E-m ail : hchwang@krri.re.kr * , ** ,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ati

<그림 3> 두 개의 편성 네트워크를 갖춘 편성

TCN 기술은 MVB, CANopen, WTB와 같은 버스기술과 ETB, ECN과 같은 스위치 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 버스기술은 하나의 버스가 단일 충돌 도메인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스위치기술은 스위

치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및 충돌 도메인을 분리할 수 있다.

TCN의 구성장치에는 케이블, 커넥터, 리피터, 브리지, 스위치, 라우터, 응용계층 게이트웨이인 네트워

크장치 (ND : Network Device), 컨트롤러 / 표시기 등의 데이터 소스 또는 싱크로 동작하는 종단장치

(ED : End Device)가 있다.

단일 편성은 <그림 4>와 같이 하나 이상의 MCG (Mobile Commun. Gateway)를 통해 GCG (Gateway

Commun. Gateway)와 항시 또는 일시적으로 접속된다.

<그림 4> 열차와 지상간 통신 예시

3.2 열차 백본

TBN (Train Backbone Node)은 이중화할 수 있으나, 정상시 한 장치만 활성화되고 다른 한 장치는 스

탠바이 모드로 동작한다. 동작하지 않는 TBN 또는 단전된 TBN은 바이패스 중계 기능이 있어야 한다.

열차 백본은 버스기술 또는 스위치기술로 구현되며, 이중화를 위해 전송선은 두 선을 사용한다.

<그림 5> 편성간에 열차 백본 연결

모든 활성화된 TBN은 열차 조성 (Train Inauguration)시 유일한 순번이 주어지며 조성이 변경(열차 연

장, 열차 단축, 차량 삽입)되면 새로운 순번이 할당된다. WTB의 경우 순번은 1에서 63까지이며 마터 노

드가 1번이고 좌우 방향으로 내림 또는 오름차순으로 번호가 주어진다.

1029

Page 4: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 · E-m ail : hchwang@krri.re.kr * , ** ,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ati

열차 조성을 위해, 열차 백본 토폴러지 정보, 사용자 정의 정보 등의 열차 네트워크 디렉토리가 TBN

에 저장되며 상세 저장내용은 열차 백본 기술과 통신 프로파일에 의해 결정된다.

3.3 편성 네트워크

표준에서는 편성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1) ED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OSI 계층 1- 7), 2) 편성 네

트워크가 ED에 제공하는 기능과 서비스, 3) 열차 백본과 편성 네트워크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게이

트웨이 기능, 4) 편성 네트워크의 기능을 다루고 있다.

버스기술기반 편성 네트워크는 가용성 향상을 위해 공통 데이터 전송 미디어를 이중화할 수 있고 편

성 네트워크와 열차 백본사이의 통신을 게이트웨이로 구현한다. 게이트웨이는 이중화되어야 하며 TBN

의 일부 기능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스위치기반 편성 네트워크는 송수신시 서로 다른 전송매체를 사용하는 전이중 통신 방식이 필수이고

이중화는 선형/링형/사다리형의 토폴로지로 구현될 수 있다. ED와 스위치간 또는 스위치들간에는 포인트

-대-포인트 통신을 사용한다.

3.4 TCN 데이터 클래스

편성 네트워크와 열차 백본에서 동일하게 사용되는 TCN 데이터 클래스에는 프로세스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스트림 데이터 (영상, 음성), Best Effort 데이터가 있으며 서비스 파라미터(데이터 패킷 크기, 데

이터 전송율, 전송주기, 지연, 지터, 데이터 무결성, 안전 무결성)에 의해 정성적으로 다음 표와 같이 정

의된다. 예를 들어, 제동 제어 메시지에 대한 서비스 파라미터는 64비트 데이터 패킷, 주기적 전송, 0.2

초 이하의 지연, BER < 의 데이터 무결성,

< (시간당 미검지 위험 결함 확률)의 안전 무

결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주요 용도 및

주요 특징

데이터 클래스

프로세스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스트림 데이터

(영상, 음성)Best Effort 데이터

○ 주요 용도열차 제어 및 감시를

위한 실시간 데이터

열차 제어 및 감

시를 위한 데이터

영상, 음성을 위

한 데이터 패킷

벌크 데이터 전송 등, 다른

데이터 클래스 서비스에 영향

을 주지 않는 수준으로 허용

○ 서비스 파라미터

- 데이터 전송율 低 中/低 高

TBD

- 전송주기 주기 - -

- 데이터 무결성 高 高 中/低

- 안전 무결성 高 高 中/低

- 지연 低 中 低

- 지터 低 - 低

<표 1> TCN 데이터 클래스 및 서비스 파라미터

4. 이더넷 열차 백본

이너넷 열차 백본은 3.2절의 열차 백본의 기본 구조를 가지며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은 IEEE

802.3에 따라 동작한다. 물리계층에서 100Base Tx의 전이중방식은 필수사항이며 CCTV 카메라 등의 ED

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PoE (Power over Ethernet) 사용을 권고한다. 또한 전자파 간섭, 진동 등의

열악한 철도환경에 적합하도록 M12 커넥터, 케이블 성능, 차량 연결시 전자파 차폐 방안 등을 제시한다.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 전송은 I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모든 통신장치들 (ED, ND)은 열차 조성시

1030

Page 5: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 · E-m ail : hchwang@krri.re.kr * , ** ,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ati

열차내에서 유일한 IP 주소가 할당되고 조성이 변경되면 재 할당된다. 편성 네트워크내의 장치들은

10.0/9의 IP 주소가 고정적으로 할당되며 다른 편성 네트워크의 IP 주소와 중복될 수도 있으므로 해당

네트워크내에서만 유효하다. 열차수준에서는 10.128/9의 IP 주소가 <표 2>와 같이 통신장치에 부여된다.

<그림 6>은 두 개의 ETBN에 각 각 연결된 두 개의 편성 네트워크로 구성된 열차에서 열차수준 IP주소

할당을 예시한다.

열차수준 IP 주소 형태 : 11111010.1bbxssss.sshhhhhh.hhhhhhhh

[b]

○ 열차 백본 id, 열차 백본 네트워크를 식별

- [0, 3]의 값으로 ETB 정의

- 0 : TCMS, 1 : 멀티미디어, 2 또는 3 : 정의되지 않음

[x] ○ 예약 비트, x=0

[s]

○ 서브넷 id, 열차내의 편성 네트워크 식별

- 1~63 : 편성 네트워크 구별

- Null : ETB와 ETBN을 위해 예약됨

[h] ○ 호스트 id, 편성 네트워크내의 16,382개 호스트 식별

ETBN, ETB IP 주소 형태 : 11111010.1bb00000.00000000.v0tttttt

[v] ○ 가상 비트, 1이면 ETBN 이중화를 위한 가상 IP 주소

[t]○ ETBN id, 이더넷 백본 노드 식별

- [1, 63], 열차 조성에 의해 할당된 순번

<표 2> 열차수준 IP 주소

<그림 6> 두 편성의 열차에 열차수준 IP 주소 할당 예시

열차 조성을 위해서 서브 네트워크(“subnet id")와 ETBN ("ETBN id")에 대한 식별자가 필요하며 이

값은 열차수준 IP주소 매핑, 열차 라우팅 정의, NAT 규칙 등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열차 조성을 개

시하려면 이러한 식별자를 먼저 결정해야 하는 데 표준에서 제시한 열차 토폴러지 검색 프로토콜

(TTDP : Train Topology Discovery Protocol)은 장치들간에 식별자를 결정하는 프로토콜이다.

ETB 데이터 클래스는 3.4절의 데이터 클래스에 ETB 관리 (열차 조성 개시, ETB 무결성)를 위해 사

용하는 감독 데이터 클래스가 추가된다. 각 데이터 클래스에 대한 서비스 파라미터는 <표 3>과 같다.

1031

Page 6: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 · E-m ail : hchwang@krri.re.kr * , ** ,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ati

주요 용도 및

주요 특징

데이터 클래스

프로세스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스트림 데이터

(영상, 음성)Best Effort 데이터 감독 데이터

○ 주요 용도 열차 제어, 감시열차 제어, 감시,

진단, 승객정보

영상, 음성을 위

한 데이터 패킷

S/W, 설정데이터, 승객정

보, 엔터테인먼트 데이터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ETB 개시, ETB 무결성

감독

○ 서비스 파라미터

- 데이터 전송율 < 1.5 kbytes/전송 < 수 kbytes/전송 高 -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

- 전송주기 주기 비주기(이벤트성) - -

- 지연 < 20 ms < 100 ms < 125ms 無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

- 지터 최소화 (TBD) 無 < 25 ms 無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

- 전송우선순위 上 中 中 下 上

<표 3> ETB 데이터 클래스 및 서비스 파라미터

5. 이더넷 편성 네트워크 (ECN : Ethernet Consist Network)

ECN은 편성에 위치한 종단 장치들을 연결한다. ECN의 논리적 구조는 <그림 7>과 같으며 스위치 이

더넷을 기본으로 802.3 표준에 따라 동작하고 편성 스위치 (CS : Consist Switch), 커넥터, 케이블, 리피터

로 구성된다. 하나의 편성은 하나이상의 ECN으로 네트워킹 구성될 수 있고 이들 ECN은 하나이상의

ETBN에 연결된다. ECN이 ETB 또는 WTB에 연결될 때 TBN은 ECN과 열차 백본사이에서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ECN의 주요기능으로 프레임 릴레이, 가상 LAN, 이중화 관리, QoS 보장, 게이트

웨이 기능, 열차 네트워크 관리를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고 동적 IP 주소 할당, 이름 변환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ECN의 물리계층에서 100Base Tx의 전이중방식이 필수사항이며 CCTV 카메라 등의 ED에 전력을 공

급할 수 있도록 PoE (Power over Ethernet) 사용을 권고한다. 또한 전자파 간섭, 진동 등의 열악한 철도환

경에 적합하도록 M12 커넥터, 케이블 전자파 차폐 성능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7> 편성 네트워크의 논리 구조

ECN 데이터 클래스는 3.4절의 데이터 클래스와 감독 데이터 클래스로 정의된다. 각 데이터 클래스별

서비스 QoS 파라미터 값은 응용서비스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해야 하며 ECN은 이들 QoS를 만

족하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표 4>는 일반적인 Qos 파라미터 값을 예시한다. 데이터 클래스별 QoS를 보

1032

Page 7: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 · E-m ail : hchwang@krri.re.kr * , ** ,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ati

장하기 위해, ED는 IP 데이터그램의 DSCP 필드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CS는 IEEE 802.1D의 정의에 따

라 우선순위 대기행렬을 처리한다.

서비스

파라미터

데이터 클래스

프로세스

데이터메시지 데이터

스트림 데이터

(영상, 음성)

Best Effort

데이터감독 데이터

전송주기 < 20 ms 비주기 비주기 비주기 < 10ms

데이터 크기 < 1,500 bytes < 1,500 bytes < 1,500 bytes < 1,500 bytes < 46 bytes

지연 < 10 ms < 100 ms < 125 ms - < 10 ms

지터 < 10 ms - < 25 ms - < 10 ms

우선순위 (CS) 2순위 3순위 3순위 4순위 1순위

<표 4> ECN QoS 파라미터 값 예시

ECN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그림 8>과 같이 선형, 링형, 사다리형이 있으며 ED를 두 개의 CS에

연결(Dual Homing)하여 ED의 링크를 이중화할 수 있다. 이중화 수준에 대한 신뢰성은 IEC 62439의 결함

모델과 계산식에 의해 <표 5>와 같이 계산된다. Dual Homing을 적용하는 토폴러지가 높은 신뢰성과 가

용성을 보인다.

<그림 8> ECN 토폴로지 예시

1033

Page 8: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 · E-m ail : hchwang@krri.re.kr * , ** , ioizdt oenadlligtnfn Iariobol Stad BdtaanenatannrertnI Co mmuni c ati

<표 5> ECN 토폴로지에 한 신뢰성

여기에서

N : 이중화를 위한 CS의 수 : CS의 결함율

: CS-CS 링크의 결함율

: CS-ED 링크의 결함율

: 회복율

6. 결론

본 논문에서는 철도차량 지능형 광대역 통신망과 관련하여 IEC TC9 WG43에서 작업중인 TCN의 일

반구조, 이더넷 백본, 이더넷 편성 네트워크를 소개하였다.

이더넷 통신은 그 시장규모가 크기 때문에 관련 장비 가격이 저렴하고, IEEE 단체에 의해 최신 기술

들이 표준화 및 관리되고 있어 호환성 및 향후 확장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주로 사람이 정보

전송수단으로 사용하였으나 그 활용성이 기계와 기계(Machine to Machine)를 연결하는 산업용 제어 분야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이더넷 통신의 경제성, 확장성, 광대역성으로 향후 철도차량내의 분산되

어있는 제어네트워크, 승객정보서비스 등의 방송네트워크 등은 이더넷 통신망으로 통합될 전망이다. 하

지만 현재 활용중인 WTB, MVB와 연계, 제어데이터의 실시간 통신 보장, 내고장성 설계는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1. 박재현, 한국형 고속전철의 신경망: 제어네트웍(TCN), 대한전기학회 전기의 세계, 제53권, 제6호,

2006.6.

2. Manfred Schmitz, Will Ethernet be the only train bus in the trains of the future?, European Embedded

Computing Magazine, Sept. 2010.

3. IEC 61375-1, Electronic railway equipment - Train communication network - Part 1: TCN - Train

Communication Network General Architecture, 3rd Ed., 2009.11 Voting, RDIS(Text for FDIS received and

registered), 2011.4 공표예정

4. IEC 61375-2-5, Electronic railway equipment - Train Communication Network – Part 2-5: ETB - Ethernet

Train Backbone, 2013.4 공표예정

5. IEC 61375-2-6, Electronic railway equipment - On-board to Ground Communication, under Investigation,

2014.6 공표예정

6. IEC 61375-3-4, Electronic railway equipment – Train bus – Part 3-4: ECN - Ethernet Consist Network,

1st Ed., 2011.1 Voting, 2013.4 예정

1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