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16
IT l::::Ji * ** D W I V U W m ••• l

Upload: others

Post on 03-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원씁 1춤해 S융협 第十五卷 第一號 2005年 8月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곽 수 일** 문 종

〈目 次〉

l::::Ji * ** D

요약 W 실증분석

I 서 론 V 걸롤 및 시사점

U 문헌연구 W 연구의 의의와 한계

m 연구모형

요약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달과 e-Business의 등장은 기업의 경영환경과 사업방식을 바꾸고 있

으며, 공급사슬의 관리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회와 과제를 제공하고 있다 마지럴 정보기술의

발달은 공급사슬 상의 구성원들과 활동들을 전체의 입장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

게 하며. e-Business의 등장으로 인하여 심화되는 경쟁은 공급사슬의 통합을 요구하고 있다

이제 시장에서의 경쟁은 기업과 기업 간의 경쟁차원을 넘어서 공급사슬과 공급사슬 간의

경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공급사슬의 관리는 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과제인

것이다‘ 공급사슬관리의 목적은 신제품 개발, 구매, 생산, 마케팅 등 기업 내부의 기능을 밀

접하게 통합하고, 이를 공급자 고객, 그 밖의 공급사슬의 다른 구성원과 외부기능에 효율적

으로 연결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따라서 공급사슬관리의 기본은 공급사슬

의 통합이며, 공급사슬의 통합 없는 공급사술관리는 진정한 의미에서 공급사슬관리가 이루어

진다고 볼 수 없다

이러한 배경에서 공급사슬의 통합은 기업의 성과와 공급사슬관리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

한 요인으로 등장하게 되었으나, 공급사슬관리와 공급사슬통합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공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와 경영정보연구소의 연구비 지왼에 의해 작성되었응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박사

l

Page 2: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훌훌↑홉報훌훌훌

급사슬통합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단편적인 분석이 주룰 이루어, 공급사슬통합의 전략을 수

렵하는데 방향을 제시하는 실제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기반의 공급사슬통합이 기업의 성과에 마치는 영향을 구조적으

로 분석하여, 정보시스댐을 기반으로 한 공급사슬의 통합과 기업의 성과 간에는 ‘정보시스뱀

공급사슬의 통합-공급사슬통합의 성과 기업의 시장성과-기업의 재무성과’로 연결되는 구조적

인 관계가 성립됨을 증명하였다

1 , 서 론

오늘날 공급사슬관리 (SCM ‘ Supp]y Chain Management)는 경영학의 핵심 이슈이며,

실제 기업경영에 있어서도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오늘날 기업의 경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패러다임의 변화 중의 하나는 기업의 개별적인 경영은 더 이상 하나의 독립적인 개체

로서 경쟁할 수 없다는 것이다(Lambert & Cooper , 2000) 따라서 이제 시장에서의 경쟁

은 기업파 기업 간의 경쟁차원을 넘어서 공급사슬과 공급사슬 간의 경쟁으로 발전하고 있으

며, 성공적인 공급사슬의 관리는 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과제인 것이다

공급사슬관리의 기본은 공급사슬의 통합이며, 공급사슬의 통합 없는 공급사슬관리는 진정

한 의미에서 공급사슬관리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공급사슬관리의 목적

은 신제품 개발, 구매, 생산, 마케팅 등 기업 내부의 기능을 밀접하게 통합하고, 이를 공급

자, 고객, 그 밖의 공급사슬의 다른 구성원과 외부기능에 효율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공급사슬의 통합이 공급사슬관리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함에 따

라 공급사슬의 통합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공급사슬통합에 관한 많은

기존 연구들은 정보시스탬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나, 공급사슬의 통합의 중요성, 공

급사슬의 통합과 공급사슬통합의 성과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정보시스템이 공급

사슬통합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이나 공급사슬의 통합이 어떠한 과정이나 경로를 통하여 기

업의 성과로 나타나는 지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이 공급사슬관리를 어떻게 개선시키는가를 공급사슬통합의

차원에서 분석하고, 정보시스빔을 기반으로 하는 공급사슬통합의 각 요소들이 기업의 성과에

마치는 구체적인 경로들의 분석을 통하여 기업성과의 극대화를 위한 공급사슬통합 전략수립

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Page 3: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II. 문헌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시스랩, 공급사슬 통합 그리고 기업의 성과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의

분석을 통하여 기업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공급사슬통합 전략수럽에 유용한 자료와 방향을 제

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위한 적합한 연구모형과 구성변수의 개발을 위

하여 정보시스템과 공급사슬통합 그리고 기업의 성과에 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정보시스템과 공급사슬관리의 관계

정보시스템은 공급사슬상의 왼활한 정보의 흐름과 공급사슬 내 조직 간 정보의 공유를 통

한 공급사슬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 의 역 할을 한다 공급사슬은 하나의 기 업 이 아닌

공급과 생산, 판매 등을 담당하는 여러 조직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급사슬 전체의 정보

의 흐름과 네트워크의 형성을 위해서는 통합된 정보시스템의 구축이 그 기반이 된다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통합 정보시스범은 품질을 증대시키고, 배달소요 시간을 단축시키며,

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경쟁력과 앞으로의 성장을 위한 공급사

슬관리의 지위를 강화한다(La Londe and Masters. 1990; Kaeli. 1990; Kaltwasser.

1990)

초기단계에서 정보시스템의 도입은 단순한 사무 기능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였으나(Nicholas

et a1 .. 1997). 정보시스템의 이용을 통하여 기업들은 서로 다른 영역에 펼쳐져 있던 유사한

기능을 통합하고 불필요한 활동틀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객들의 세분화된 요구

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Bardi. 1994:

Narasimhan and Carter. 1998)

또한,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기업틀은 자신들의 공급사슬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하여 공급

사슬 내 프로세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보시스템을 활용하기 시작하였다(Nicholas

et a1 .. 1997)

Ramamurthy and Premkumar (l 995)는 기업이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여 이를 성공적으

로 구현하고 성과를 얻도록 하는 데는 정보기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공급사슬의 통

합은 정보시스템으로 인하여 가능하며, 정보시스템의 구축은 공급사슬통합의 기반이 된다고

정리할 수 있다

- 3 -

Page 4: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經營↑뿜報論홉홉

2. 공급사슬통합의 대상

공급사슬관리는 기업 내부의 다양한 기능 영역을 통합시키고 이를 기업 외부의 공급자, 유통

업자 빚 고객의 활동 영역과 효과적으로 연계시킴으로서 기업성과 및 공급사슬의 경쟁력 향상

을 추구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사슬통합은 성공적인 공급사슬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과제이며,

공급사슬의 통합을 위해서는 공급사슬통합의 대상에 대한 명확한 파악이 션행되어야 한다

공급사슬통합에 관한 기존의 문헌들을 검토한 결과, 공급사슬의 통함은 공급사슬상의 다양한

기능 영역을 통합의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공급사슬의 통합의 대상에 대한 연구는 공급사슬의

통합 대상을 공급사슬의 기능을 기준으로 한 분류와 공급사슬의 단계에 의한 분류의 크게 두 가

지 유형으로나누어진다

Stevens (1 990)는 공급사슬통합의 발전 단계에 대한 연구에서 초기 단계인 기능별 단계에서

는 기업 내 관련 기능 영역들 간 기술적 • 운영적 연계가 강조되어야 하는 반면, 기업 내 모든

기능 영역틀 간 내부 통합 및 공급자 · 고객과의 외부 통합의 단계에서는 전략적 · 조직적 융합

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Narasimhan and Jayaram. 1998)

공급사슬통합의 대상이 되는 기능들에 대한 분류는 학자틀에 따라 다양하나, 공급사슬의 통

합을 기능별로 분류한 연구 중 대표적인 몇 가지의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Bowersox et al. (1 999)은 공급사슬의 통합을 고객 통합(Customer Integration). 내부

통합(Internal Integration) , 자원 및 공급자 통합(Material and Service Supplier

Integration) , 기술과 계획의 통합(Technology and Planning Integration) , 성과 측정의

통합(Measurement Integration) , 관계의 통합(Relationship Integration)의 6가지 기능

의 통합으로보았다

Morash and Clinton (1 998)은 공급사슬의 통합을 기업 내 프로세스 통합(Intra←

organizational integration) , 기 업 간 협 력 적 통합(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ve

integration) , 조직 간 운영의 통합(Inter-organizational operational integration)으로

분류하였다

Lee and Billington (1 993)은 공급사슬의 통합 대상에 따라 정보통합(information

integration) , 조화와 자원의 공유(coordination and resource sharing) , 조직 간 관계의

통합(organizational relationship integration)으로 분류하였다

공급사슬통합을 발전 단계에 의해 분류한 대표적인 경우는 Stevens (1 989) 의 공급사슬통합

의 발전 단계 (Developmental Stages of SC Integration)이다 Stevens는 공급사슬의 발

전 단계를 개별 기업의 차원에서 독립된 형태로 기업을 운영하는 단계인 독럽 운영 단계

- 4 -

Page 5: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Ondependent operation)를 공급사슬통합의 1단계, 기업 내부의 관련 부서 간의 기능적인

통합(functional integration) 이 이루어진 경우를 공급사슬통합의 2단계, 기업 내부의 모든

활동들이 통합된 내부 통합(internal integration) 의 단계를 3단계 , 공급자와 고객을 포함하

는 공급사슬 전반에 걸친 통합의 단계인 외부 통합(external integration) 의 단계를 4단계로

하여 공급사슬의 유형 을 딸전 단계 에 따라 4단계 로 분류하였다

3 공급사슬통합의 성과

공급사슬통합의 성과 측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통합된 공급사슬 구성원 전체의 노

력으로 달성된 통합의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성과 지표는 달라질 수 있지만 거

의 모든 경우에 운영상에서 나타나는 효과와 최종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의 향상이라는 공통

된 초점을 유지해야 한t:.j- (Chow et al .. 1995)

Levi(2000)는 전략통합을 통한 공급사슬의 통합으로 제품 가치의 상승, 용이한 시장 접

근, 생산성 향상, 기술력 발전, 전략적 성장, 조직 관리 기능 강화 재정적 건전성을 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공급사슬의 통합은 기업의 경쟁력 향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rmstead와 Mapes (l 993)는 영국 38개 기업의 경영자 조사를 통하여 공급사슬의 통합

정도에 따라 품질과 생산성이 향상됨을 보인 바 있으며. Narasimhan & Jayaram (l 998)

은 공급사슬통합의 설증적인 증명을 통하여 자원 조달과 생산 목표 달성의 상관관계를 밝힘

으로써 공급사슬통합이 고객 대응과 생산 실적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Johnson (l 999)은 산업 장비 판매자에 대한 조사에서 전략적 통합이 기업에 경제적 보상을

준다는 것을 보였다

Wheelwright and Bowen (l 996)은 SCM의 성과를 왼가, 품질, 납기, 유연성과 시장 경

쟁력으로 구분하였다 원가는 고정비. 변동비를 포함한 모든 비용의 감소로 생산 비용, 유통

및 수송 비용, 창고 비용, 거래 비용, 인건비, 기회 비용 등이 모두 포함된다 풍질에는 제품

품질과 관련한 모든 성과가 포함되며‘ 납기는 생산 • 유통 시간의 최소화, 빠른 시장 출시, 제

품 개발 시간 단축 등의 리드 타임 성과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유연성은 제품 · 공정 · 수량

유연성을 포함한다 시장 경쟁력은 기업의 경쟁력이 시장 평가의 결과로 달성되는 성과로서

고객서비스 만족, 대량 고객화 달성, 시장 경쟁력, 경쟁력 개선, 경쟁적 위치 등을 의미한다

Stewart(l995)는 공급사슬 성과를 납품성과, 유연성 (Flexibility) 및 반응성(Responsiveness)

물류비용, 자산 관리 능력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측정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5

Page 6: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훌흉↑홉짧훌옵훌홉

측정치에 의해 성과가 높게 나타난 기업들의 경우에는 수익 성장률과 주식의 가지가 높다고

하였다 납품 성과는 고객 요청 시간에 대한 납품 충족률과 고객에게 약속한 시간에 대한 주

문 충족률로 측정하였으며, 유연성 및 반응성에 대해서는 ‘수요예측←조달 및 생산-주문 리드

타입’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물류 비용에 대한 성파의 측정은 주문 관리 비용, 자

재 조달 비용, 재고 유지 비용, 정보 통신 관련 비용 등을 사용하고, 자산관리 능력의 측정에

는 원자재에 투입한 자금이 고객으로부터 회수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성과 측정치로 사용

하였다

Beamon (1999)은 제조업체의 공급사슬 성과측정 시스멈의 체계를 제안하면서 성과 측정

의 형태를 자원 (Resource) . 산출(Output) . 그리고 유연성 (Flexibility) 의 3가지 영역으로 나

누어 설명하였다 자원 성과는 재고 비용‘ 생산 비용.ROI 등 기업의 수익성과 관련된 요소

들을 사용하였고, 산출 성과는 고객서비스, 주문 충족률, 정시 납풍률, 생산 리드 타임, 고객

주문 반응 시간 등으로 공급사슬의 대응 능력을 측정하였고, 유연성에 대해서는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수량 유연성, 납품 유연성, 믹스 유연성 및 제품 개발 유연

성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Gunasekaran et a1. (2001) 등은 폭넓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공급사슬의 성과를 측정하

기 위한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들은 성과 측정의 체계를 전략적 수준, 전술적 수준, 그리고

운영적 수준으로 나누어 각 수준에 해당하는 핵심 성과 측정치를 구성하였다 전략적 수준에

서는 주문 사이클 타입, 고객 요구 충족 유연성, 납품 리드 타임, 총 현금 흐름 시간 등과 같

이 일반적으로 고객에 초점을 맞춘 공급사슬의 대응 능력을 나타내는 성과 측정치들로 구성

하였으며, 전술적인 수준에서는 품질 개선 협조 체계, 총 운송 비용, 수요 예측 능력, 제품

개발 소요시간 등과 같이 고객 수요 충족을 위해 필요한 생산 부문의 대응 능력들이 주요성

과 측정치로 사용되었으며, 운영적인 수준에서는 제조비용, 재고 비용 등과 같은 생산 프로

세스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측정치들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공급사슬의 성과에 대한 연구는 비용과 같은 정량적인 성과측정 지표

와 고객만족과 같은 정성적인 성과측정 지표를 활용하고 있음을 얄 수 있다

m 연구모형

1 연구모형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그립 1) 정보시스템 • 공급사슬통합 • 통합의 성과 • 기업의 성

6

Page 7: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과.의 경로 즉, 정보시스템의 구측이 전략 통합. 조직 통합, 물류통합 등 공급사슬통합의 과

정을 거쳐 생산 유연성과 고객서비스와 같은 공급사슬통합의 성과로 이어지며, 공급사슬통합

의 성과는 시장성과와 재무성과 같은 기업의 성과로 연결되는 경로를 통하여 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공급사슬의 통합이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지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림 1) 실증연구 모형

절북꾀스엠 골륨좌승를휠 동합결과 21업결과

2 구성개념의 조작적 정의

갱보시스댐: 본 연구에서는 “공급사슬 내 서로 다른 조직 간의 정보의 공유와 네트워크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시스템의 구축”을 정보시스템의 통합에 관한 정의로 본다(Wyse

and Higgins , 1993)

Schafer and Mudy (l 985) 에서는 정보시스템통합이S integration)은 단순한 데이터나

응용프로그램의 활용 등을 개선시키는 차원이 아니라‘ 기업이 경영환경이나 시장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기업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정보시스템의 통합에 대한 기존의 문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측

정하는 항목으로서 데이터의 통합차원에서 데이터의 표준화 정도, 네트워크의 통합차원에서

EDI의 구축과 정보시스템간의 호환성, 그리고 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지원하는 통합계획의 수

립을 정보시스템의 통합에 대한 하위항목으로 개념화하였다

7

Page 8: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經營↑줍행論월용

공급사슬통합: 공급사슬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는 통합과 조정에 관한 것이

다(Bowersox and Closs , 1996 ‘ Lee et a} , 1997) 공급사슬의 통합은 관계, 활동, 기

능, 프로세스, 입지 등을 결합하여 고객, 공급자, 공급사슬 내의 다른 구성왼틀을 기업과 연

결한다 이러한 통합의 움직임은 기업 간 관계가 기존의 갈등 기반의 전통적 관계에서 협력

적 장기적 파트너십, 전략통합관계로 이전하는 현상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Morash

and Clinton , 1998) 통합은 흩어져 있는 공급자 네트워크의 개별적 활동들이 마치 하나의

가상조직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공급사슬 네트워크를 설계하는 것을 포함한다 공급사슬통합

의 필요성이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공급사슬의 통합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접근법이 요구된다(Stevens , 1989; Wikner et a/" 1991; Bowersox

and Closs , 1996)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공급사슬의 통합을 위해서는 공급사슬의 전략, 조직‘ 정

보, 물류 등의 요인의 통합이 중요하다(Marien , 2000)는 것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연구를 통하여 이들 네 가지 요소들 중 정보의 통합은 정보시스템의 구축으로 인하

여 가능해 지는 것으로, 공급사슬의 다른 통합요인들의 선행요소임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정

보의 통합을 제외한 전략, 조직, 물류의 세 가지 요소들에 대한 통합의 과제로 전략통합, 조

직 통합 물류통합으로 조작적 으로 정 의 한다

공급사슬통합의 생과 Slack (1991) 은 생산유연성을 범위 유연성(Range flexibility)과

대응 유연성(Response Flexibility)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범위유연성은 생산 활

동이 어느 정도 변화 가능한가로 정의하였으며. 대응유연성은 생산 공정 중 무엇이 얼마나

빨리 변화될 수 있는가로 정의하였다

그는 생산유연성을 측정하는 항목으로 고객요구의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 신제품을 개발하

여 새로운 시장에 출시하는 능력, 생산 공정이나 제품설계의 변동 능력 등을 제시하였다

Rogers (l 993)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에게 진정한 가치를 주는 것은 고객이며 고객이

제품에 대한 가치를 극대화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서비스를 “기업이 고객에 제공하는 최종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준”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PRTM (l 994) 의 성과측정 방법에 근거하여 고객서비스를 측정하는 하

위개념으로 제품의 품질과 주문처리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둔다

기업의 성과: 재무성과는 실증적 전략 연구에서 지배적인 모텔이었다(Hofer , 1983:

- 8 -

Page 9: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Venkatraman and Ramanujam , 1987) 하지만 제조와 공급사슬에서 재무성과 척도만을

사용하는 것이 불충분함을 증명하는 연구틀이 많다(Skinner , 1971: Hall , 1983: Johnson

and Kaplan , 1987: Dixon et a1. 1990: Geanuracos and r..‘eiklejogn , 1993: Chen

and Lee , 1995: Medori et a1. 1995: Neely et a1. 1995: Neely , 1998: Beamon ,

1999) 재무 성과에만 의존하는 것은 섬각한 한계를 지닌다(Eccles and Pyburn , 1992)

이런 전통적인 척도는 요약적이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지만, 조직의 성과에 대하여 한정적이

고 오해를 불러 일으킬만한 결과를 제시하기도 한다(Tarr , 1995)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

무성과 이외에 시장점유율, 신규고객확보율, 기존고객유지율과 같은 시장성과의 측정항목툴

도 기업의 성과에 포함시켰다

N , 실증분석

1. 요인분석

독립변수군에 대한 요인분석 결파: 본 연구에서는 Marien (2000) 및 김수욱(2005) 에

근거하여 공급사슬의 통합 변수들을 크게 ‘전략통합’, ‘조직통합 ’물류통합의 3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모형화하였다 그리고 공급사슬통합과 관련된 방대한 문헌틀을 종합하여 검

토한 결과, 전략통합으로 공급사슬 내 구성원 간 공통의 전략수립, 구성원 간의 통합비전 공유,

구성왼 간 전략실행 성과의 공동평가, 조직통합으로 공급사슬 내 조직 간 명확한 Contact

Point의 설정, 조직 간 동일한 성과평가 기준의 작성, 조직간 원활한 의사소통채널의 확립

이, 물류통합으로 공급사슬 내 재화의 흐름 파악, 통합 재고관리의 실시, 물류통합시스템의

구축과 활용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하위개념들을 모두 포함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이론적 연구의 결과와 같

이 세 가지 통합요소들로 묶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요인추출방법은 주성분분석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였고, 회전방식은

간명하고 요인 간 병확한 해석을 추구하기 위하여 직각회전방식인 Varimax Rotation 방볍

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아이겐 값이 1이상인 세 가지 요인으로 구

성됨을 알 수 있다

9 •

Page 10: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훌훌↑홉報훌웅훌훌

〈표 1 ) 공급사슬통합 변수군의 요인분석 결과

개녕변수 측정항목 요인1

요인

요인2 요인3

공통의 전략 .818 ‘027 230 전략통합 비전의 공유 .747 268 222

공동명가 .799 230 ‘ 121

명확한 contact P. 168 .666 289 조직통합 동일한평가기준 ‘ 108 .860 176

의사소통채널 .159 .822 ‘ 208 재화의 흐름 파악 171 178 .826

물류통합 통합 재고관리 151 283 .763 통합 물류 시스댐 ‘ 320 245 .758

고유치 (Eigenvalue) 2.156 2.112 2.086

전체분산(%) 23.173 23.467 23.956

성파 변수군의 요인분석 : 연구에서는 Beamon (1999). PRTM (2000) 및 김수욱(2005)

에 근거하여 공급사슬통합으로 인한 성과변수틀을 크게 생산유연성, 고객서비스, 시장성과,

재무성과의 4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모형화하였다 공급사슬의 성과와 관련된 문헌

틀을 종합하여 검토한 결과, 생산유연성으로 신제품 개발, 제품설계변경, Time to Market

이, 고객서비스로 제품의 풍칠, 주문처리의 정확성, 주문처리의 신속성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기업의 성과와 관련한 문헌연구 결과, 시장성과로 시장점유율, 기존고객유치율, 신규고객확보

율이, 재무성과로 투자수익률, 자산수익률, 순이익증가율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하위개념들을 모두 포함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이론적 연구의 결과와 같

이 네 가지 성과변수들로 분류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요인추출방법은 주성분분석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였고, 회전방식은

간명하고 요인 간 명확한 해석을 추구하기 위하여 직각회전방식인 Varimax Rotation 방법

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 〈표 2)와 같이 아이겐 값이 1이상인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

됨을 얄 수 있었다

10

Page 11: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표 2) 성과 변수군의 요인분석 결과

개념변수 측정항목 요인1 요인2

요인

요인3 요인4

신제품개발 754 254 -.128 • 056 생산유연성 제품설계변경 735 256 235 228

공급사슬 Time to Market 712 018 363 174 통합성과 제품의 풍질 090 753 333 057

고객서비스 주문처리정확성 122 835 125 080 주문처리 속도 250 732 088 146

시장정유율 004 260 760 149 시장성과 기존고객 유지율 249 389 535 289

기엽의 신규고객 확보율 281 246 698 082 성과 투자수익률(ROI) 134 211 079 815

재무성과 자산수익률(ROA) 056 102 124 838 순이익 증가 077 016 366 722

고유치 (Eigenvalue) l.870 2.401 1.708 2.113

전체분산(%) 15.582 20.011 14.236 17.606

2 확인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은 측정항목 간의 판별타당성과

수렴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데 유용한 방법론이 q(Anderson and Gerbing , 1988)

앞서 실시한 요인분석에서는 모형의 각 단계에 따라 차왼이 적절히 분리되는지와 측정항목들

。1 적절히 묶이는지를 분석하고, 자료의 정보를 손실하지 않으면서 모형검증에 투입될 측정

변수틀의 개수를 중이기 위해 일종의 탐색적 요인분석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MOS 4.0을 사용하여 CFA를 실시함으로써 실증모형에 투입된 측정변수들에 의한 측정모

형이 열마나 타당한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모형의 CFA결과를 〈그림 2)에 나타나 있다

11

Page 12: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영營↑좁報論 g흥

0081' (0028)

* 전반적 적할도지수

〈그림 2)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0228’ (0056

| Chi~Square (df) .327193(247) , CFI = 0.952 , TLI = 0941 , RMSEA = 0.042 I .. ‘ a < 0.01. ", a < 0.05. ()안의수치는 R준오쳐

3 결과해석

본 연구 모형의 전반적 적합도는 〈표 3)에 나타나 있으며 모든 지표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

으로 나타나, 연구모형이 현실의 분석 자료와 충분한 수준에서 일치한다고 판단하여 가설검

증을 실시하였다

다음의 〈그렴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보시스범은 전략통합, 조직통합, 물류통합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시스댐과 공급사슬통합 간의 모든 가설이 채택됨을

알 수 있다-

공급사슬통합과 공급사슬의 성과에서는 전략통합과 조직통합이 생산유연성에, 물류통합이

납기 및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에 있어서는 생산유연성이 시장성과와 납기 및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납기 및 품질이

시장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장성과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2 ~

Page 13: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x2(df)

374 025(260)

1 ‘ 결과의 요약

IT 기반의 공급사슬동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석 관계에 관한 연구

〈표 3)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그림 3)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 모형 실증 결과

0.623 (O.01ð)

※ ( )만의 수치는 유의수준임

V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공급사슬의 통합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과, 공급사슬의 통합이 기업의 성과로 연결되는 과정을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한 e←Business의 등장은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디지럴 정보기술의 발달은 공급사슬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며. e-Business로 인

한 경쟁의 심화는 공급사슬의 통합을 요구하고 있다

공급사슬의 관리는 공급사슬의 다른 구성원과 외부기능에 효율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경쟁

력을 높이고자 하며, 공급사슬의 통합을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구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의 발달이 공급사슬의 통합을 어떻게 가능하게 하며, 성공적인 공

급사슬의 통합을 위해서는 정보시스댐을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며, 공급사슬의 통합이 어떠한

-]3

Page 14: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훌쩔↑햄報홈i훌

경로를 거쳐 기업의 성과를 높이는 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공급사슬의 통합과 기업의 성과 사이에는 ‘정보시스뱀→공급사슬통합→통합

생과→기업성과’의 경로가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경로들의 분석을 통하여 정보시스템

의 구축은 전략통합, 조직통합, 물류통합 등 공급사슬의 통합에 긍정척인 영향을 미치고, 공

급사슬의 통합 요소 중 전략통합과 조직통합은 생산유연성에, 물류통합은 납기 및 품질에 긍

정척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또한 공급사슬의 성과인 생산유연성은 납기 및 품질과 시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며, 납기 및 품질은 시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보시스빔을 기반으로 한 공급사

슬통합의 성파에 영향을 받은 시장성과는 기업의 재무성과에 긍정척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2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공급사슬의 통합과 기업의 성과의 관계에 대한 개염

적인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사슬의 통합이 정보시스템의 구축을 기반으로 이루어짐을 증명하고, 정보시스템

이 공급사슬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규병하였다

둘째,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 과거 통합과 성과와의 직접적인 영

향에 대한 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통합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그 경로를 명확히 규

명하였다

셋째. 공급사슬통합전략의 성과는 시장성과나 재무성과로 곧바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따라서 공급사슬의 통합과 기업의 성과 간의 경로를 분석하여

통합전략의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Armistead , C.G. and Mapes , J .. “ The Impact of Supp!y Chain Integration on

ûperating Performance ,"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 Vo l. 6 , NO.4 ,

1993 , pp.9-14

2. Beamon , Benita M .. “ Measuring supp!y chain performance ," International

• 14

Page 15: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l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Vo l. 19. No. 3. 1999 ‘ pp.

275-292

3. Bhatt , Ganesh D .. “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information

Systems integration on business improvement , l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Vo 1. 20 No. 11 , 2000 , pp 1331 •1: 359

4. Bowersox , Donald J. and Closs , David J" Logistics Management: The

lntegrated Supply Chain Process , McGraq-Hill Companies , 1996

5. Bowersox , Donald J" David J. Closs , and Theodore P. Stand , 21st Century

Logistics: Making Supply Chain lntegration a ReaJi ty. Oak Brook. IL ‘ Council

of Logistics Managemnet , 1999

6. Chandra , Charu and Kumar , Sameer , "Enterprise architectural framework for

wupply-chainintegration. l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 Vo l. 101 ,

No. 6 , PP.290-303

7. Christopher. Martin and Towill. Denis “ An integrated model for the design of

agile supply chains , l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Management , Vo l. 31. No.4. 200 1. pp.235-246

8 ‘ Cigolini. R. , Cozzi M. and Pcrona , M" "A new framework for supply chain

management: conceptual model and empirical test. l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Vo l. 4 , No. 2. 1993 , pp.7 • 41

9. Cooper , Martha C. and Ellram. Lisa M" "Characteristics of Supply Chain

Manage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Purchasing and Logistics Strategy. The

l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Vo 1. 4 , NO.2 , 1993 , PP.13-24

10. Johnston , Russell and Lawrence. Paul R. "Beyond Vertical Integration-The

Rise of the Value-Adding Partnership ," Harvard Business Review , July-August

1998 , pp. 94-100

11. Lambert , Douglas M. and Pohlen , Terrance L" ‘ Supply Chain Metrics. The

l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 Vo l. l2 , No. l. 2001

12. Lambert , Douglas M ‘ Martha C. Cooper. and Janus D. Pagh. "Supply Chain

Management: Implementation Issues and Research Opportunities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Vo l. 9. NO.2 (1998). pp 1-20

15

Page 16: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업의 성과간의 구조적s-space.snu.ac.kr/bitstream/10371/29892/3/management... · 2020-06-25 · IT 기반의 공급사슬통합과 기엽의

經營↑홈報論홉홉

13. Lee. Hau L and Billington. Corey. “ Materia! management in decentra!ized

supp!y chains ‘ Operations Research. Vo l. 41. NO.5. Sep-Oct 1993. pp. 835 • 847

14. Mabert. Vincent A. and Venkatramanan. M. A .. "Specia! Research Focus on

Supp!y Chain Linkage: Challenges for Design and Management for the 21

Century: Decision Science. Vo l. 29. No. 3. Summer 1998. pp.537-552

15. Marien. Edward J.. “The Four Supp!y Chain Enab!ers. ’ SUPPJy Chain

Management Review. March/ Apri! 2000. PP.60-68

16. Mejias-Saca!uga. Ana and Prado • Prado. J. Car!os.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in the Grocery Supp!y Chain." The InternationaJ JournaJ o[

Logistics Management. Vo l. 13. No.2. 2002

17. McAdam. Rodney and McCormack. Danie l. "Integrating business process for

g!oba! a!ignment and supp!y chain management. Business Process Management

JournaJ. Vo l. 17. No.2. 2001. pp.113

18. Morash. Edward A. and C!inton Steven R .. "Supp!y Chain Integration ‘

Customer value through collaborative closeness versus operationa! excellence.

JournaJ o[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 l. 6. No .4. Fa l! 1998

19. Parker. Geoffrey G. and Anderson JR. Edward G .. "From buyer to integrator

the transformation of the supp!y-chain manager in the verticalIy disintegrating

firm. Produc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Vo l. 11. NO.l. Spring 2002

20. Skjoett-Larsen. Tage .. “Supp!y Chain Management: A New Challenge for

Researchers and Managers in Logics. The InternationaJ JournaJ of Logistics

Management. Vo l. 10. NO.2. 1999. pp .41-53

21. Stevens. G.C.. “ Integrating the supp!y chain." InternationaJ JournaJ o[

Distribution and MateriaJ Management. Vo l. 19. No. 8(989). pp.3-8

22. Wa!ton. Steve V. and Gupta. Jatinder N.D .. “ E!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process change in an integrated supp!y chain. ’ InternationaJ JournaJ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Vo l. 19. NO.4. 1999. pp.372-38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