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5/s1 추간판 탈출의 단순x선 소견과 5/ ·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8
Yo l. XV Ill, No . 4 , 198 2 - Abstract- L 5/ S 1 Plain Radiographic Findings of L5/S1 Disc Herni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L5/S1 Disc Space Narrowing S.G. Shin, M.D. , I. Y. Choi , M.D. , c.j. Lee, M.D. , I. S. Whang, M.D. Department of Radíology , Natíonal Medícal Center, Seoul, Korea. To set up the criteria determining the significant plain radiographic findings suggesting L5/S1 disc herniation with focusing upon L5/51 disc space narrowing , a retrospective roentgenographic study was carried out 23 patient having surgically.confirmed L5/51 d isc herniation between 18 and 57 years old. Co nsidering the uniqu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 normal and pathological anatomy of the lumbosacral junction was also reviewed briefly. This paper also re.evaluated and re-lightened the impor-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roentgenogram more carefully and accurately. For it will certainly serve as the initial screening method to identify the region of concern for the recently thriving 5pine Com- puted Tomography for rapid , non-invasive, effective diagnosis of the universal disaster-Iumbar disc hernia- tíon. We hav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The method to interpret as positive" L5/51 disc space narrowing when the central height of L5/51 cfisc' disc space is reduded below the central height of L3/4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ppro x imately 70 %) with disc herniation , especially in the lower age group below forty (76.9%). 2.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L5/51 disc space narrowing as a roentgen sign suggesting L5/51 disc herniation is increasing as the more following items are satisfied ; a. When the long-stand ing symptom and neurologic signs suspecting 51 nerve root compression or irritation are presen t. b. When the patient is among the lower age group , such as below fort y. c. When there is no vertebrallesion causi ng spinal instability. D. When there are additional findings suggesting L5/51 disc herniation , especially if the y are limited at L5/51 leve l. 3. Other conditions having L5/51 disc space narrowing are the anatomicall y narrow lumbosacral junction with or without transitional vertebra , the infectious narrowing , the degenerative narrowing without - 80 3-

Upload: others

Post on 15-Ma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L5/S1 추간판 탈출의 단순X선 소견과 5/ ·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roentgenogram more carefully and accurately. For it will certainly serve as the initial

大韓放射線홉學會誌 Yo l. XV Ill, No . 4 , 1982

- Abstract-

L5/ S1 추간판 탈출의 단순 X선 소견과 L 5/ S 1

추간판강 협소의 의미

국립의료원 방사선과

신슴구·최인영·이창준 · 황인순

Plain Radiographic Findings of L5/S1 Disc Herni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L5/S1 Disc Space Narrowing

S.G. Shin, M.D. , I. Y. Choi , M.D. , c.j. Lee, M.D. , I.S. Whang, M.D.

Department of Radíology , Natíonal Medícal Center, Seoul, Korea.

To set up the criteria determining the significant plain radiographic findings suggesting L5/S1 disc

herniation with focusing upon L5/51 disc space narrowing , a retrospective roentgenographic study was

carried out 23 patient having surgically.confirmed L5/51 d isc herniation between 18 and 57 years old.

Co nsidering the uniqu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normal and pathological anatomy of the

lumbosacral junction was also reviewed briefly . This paper also re.evaluated and re-lightened the impor­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roentgenogram more carefully and accurately. For it will certainly

serve as the initial screening method to identify the region of concern for the recentl y thriving 5pine Com­

puted Tomography for rapid , non-invas ive, effective diagnosis of the universal disaster -Iumbar disc hernia­

tíon.

We hav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The method to interpret as “ positive" L5/51 disc space narrowing when the central height of L5/51

cfisc' disc space is reduded below the central height of L3/4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pprox imately ‘

70 %) with disc herniation , especially in the lower age group below forty (76.9%).

2.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L5/51 disc space narrowing as a roentgen sign suggesting L5/51 disc

herniation is increasing as the more following items are satisfied ;

a. When the long-stand ing symptom and neurologic signs suspecting 51 nerve root compression or

irritation are present.

b. When the patient is among the lower age group , such as below forty .

c. When there is no vertebrallesion causing spinal instability.

D. When there are additional f indings suggesting L5/51 disc herniation , especiall y if they are limited

at L5/51 leve l.

3. Other conditions having L5/51 disc space narrowing are the anatomically narrow lumbosacral junction

with or without transitional vertebra , the infectious narrowing , the degenerative narrowing without

본 논문은 1 982 연도 국링 의료원 연구바 로 이루어 정.

- 803-

Page 2: L5/S1 추간판 탈출의 단순X선 소견과 5/ ·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roentgenogram more carefully and accurately. For it will certainly serve as the initial

disc herniation , and th e isolated disc herniation. Those ca n be usua lly differentiated from L5/S1

disc her niation by th eir different clinical featuresand plain radiographic f indings.

1. 서 론

일반안의 약 80%는 요동을 정험하고 그 중 1 2 9'0 는

마침내 요추간판 탈출로 진단받고 수술 치료를 받을 것

이다 1 ) 이처럽 않윤 요추간판 탈출 C lumhar di sc he­

rni ati on ) 윤 주로 L4 /5 냐 L 5/S j 위치에서얼어냐며

보통 L5 와 S j 신경근 압박으로 요흥 및 하지 방사동

을 가져요는 질환이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이 질환의 수

술 치료를 위한 해부학적 진단윤 척수 조영솔파 같윤

칭 습적 인 방법 에 크게 의 좀해 왔다 2 , 3)

그러나 1970 년대를 지 나연서 이 질환의 진단과 치료

방향 설정에 결정척 인 도웅을 주게 펀 “고 붐해능 선산

화 단충 촬영, c이하 CT로 약칭) 이 개발되어 척추 질

환의 영상 진단에도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요추간판 탈

출의 경우 CT는 종전의 적수 조영솔 C pantopaque 0 r

amipaque mye lography) 에 비 해 결코 뒤 떨어 지 지 않

는 진단적 정확성을 가지면서 a 바 칭습적인" Cnon-i n­

vasive) 진단 수단£로 각광을 받게 되 었다 . ) 또한 CT

는 척추 얀팎의 연부 조직까지 거의 생체 그대로 볼 수

있게 되어 척추의 정상 및 영적 해부에 판한 지식이 그

양과 질에 있어 놀랄만큼 좋가하는데 크게 기여해 왔마

,) 이에 따라 요추간판 탈출의 진단을 요천추 단순 X

선과 CT만으로 하려는 추세가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왜 냐하연 환자에 게 보마 더 안전하고 신속한 방법 으로

정확히 진단하여 조기에 치료 방향을 설정해 줌으로 시

간적 , 경제적 손실까지 크게 줄얼 수 있기 때운이 다. 최

근의 이러한 연화는 방사선과 전운의 및 입상 외과의에

게는 scr eening 옥적으로서 요천추 단순 X션상을 보

다 정확, 연일하게 판독할 책임과 의무를 느끼 게 한

다. 왜냐하연 비숫한 입상 증상을 보이는 마른 척 추

질환을 배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음의 CT 촬영에

서 어느 부붐에 숭점을 둘 것인지 추천해 줄 수 있어야

하기 예문이 다.

L5 /S j 에서 추간판 탈출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서양 과 달리 • 한국에서는 L 4/5 에서 약 70%가 발생한다' . '

6 ,7 ) 그러나-한국에서도 LdS j 추간판 탈출의 반도가

전체 요추간판 탈출의 20%냐 되 고, 앞으로 서 구적 인

생활 방식이 정정 더 보펀화되언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많다. 그렁에도 불구하고 L5 /S j 추간의 독특한 해부

학적 위치와 구조 및 개인별 , 연령별 마양성 예운에 L 5

/S j 추간판 탈출을 암시하는 단순 X선 소견이 우엇이

며 얼마냐 진단적 의의가 있는 지에 관해 아직 확렵된

사실이 없기 해문에 그 판옥에 어려움을 주고 있 다.

지금까지 알려진 요추간판 탈출증을 시사하는 단순

X선 소견들윤 (1 )요추 천만의 소설 (2) 측위 만곡 (3)

추간판강 협 소 (4) 제 5 요추의 후방 천위 (5) 탈출된 추

간판 울질의 석회화 (6) 후방 골극 형성 둥이며 8) L 5/

S j 의 경우 그추간판강의 협소소견윤 골극 형성이나

골 경화와 같윤 부가적 인 소견이 없£연 L5 /S j 추간판

탈출이 있다고 진단하는 데 항상 조심해야 한다는 설영、

이 있었다 ,) 그러냐 진단적 의의를 갖는 L 5 / S j 추간

판강협소 소견의 판정 기준이나 연령에 따흔 변화 둥에

대한 보고는 별로 없었 다.

짜라서 저자 둥운 수솔로 확진왼 L5 / S j 추간판 탈

출 환자의 단순 X선 소견을 L 5 /S j 추간판강 협소를

중심 A로 운석 하여 그 판정 기 준을 찾고 , L5 /S j 추간

판강 협소의 강별 진단을 고철하였 다. 또한 lumb osa ­

cra l junc ti on 의 독특한 정 상 및 병 석 해 부를 고찰해

봄A로 pr e- CT s c reening procedure 로서 의 단순 X

션 상 판독의 질을 향상시켈 수 있는 하냐의 예비 자료

카 되도록 노력하였 다.

표. 대상 뭘 방법

관찰대상 ; 1977 년 1 월부터 198 1 년 12 월까지 만 5

년 동안 국럽의료원 신경외과 및 정형외과에서 수울로

확진된 L5 /S j 추간판 탈출 중 단순 X선 전후연 및

측면 상의 질이 양호하고 의무기록이 구비펀 27예를 선

택하고, 그 중 L 5 추체의 외상성 앙박 골절을 동반한

1 예와, L4 /5 추간판강이 선천적으로 혹운 오래된 후 천적 변형 으로 협소된 소견을 동반한 1 예 및 L 5 /S j과

L4/5 뿐 아니라 L 3/ 4 까지 추간판 탈출이 복합된 2 예

를 제외한 냐머지 23 예를 운석하였다,

판찰방법 ; 요천추부 단순 X선 옥연 촬영윤 환자를

정 측와위로 눔게 하고 고판결파 슬판절을 약간 구부런

상태에서 중심 X선이 배꼽 위치를 지나도록 하고, 전

후연 촬영윤 정 앙와위로 중심 X선이 L3 요추를 지나

도록 하고 집정 -필름 거리는 각각 40 인치로 고정하여

촬영하였다.

-804 -

Page 3: L5/S1 추간판 탈출의 단순X선 소견과 5/ ·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roentgenogram more carefully and accurately. For it will certainly serve as the initial

수술로 확진된 L 5 /S 1 추간판 탈출 23 예 중 L 5 /S 1

에 단독으로 있었띤 경우가 17 예, L4/5 에서도 동반된

경우가 6 예였다. 성옐응 낭자 12 여1 , 여자 11 예로 ll]

슷하였고, 연령 붐포는 18 세에서 57 세 까지로 40 세

미 만군윤 13 예 , 40 세 이 상군윤 10 예 를 차지

(Table 1).

하였다

성 m

L 5 /S 1 추간판강의 높이는 Hurxthal 방뱅에 의하여

f 심 높이를 측정하고, 같윤 방법으로 앞. 뒤 높이를

각각 측정하였 다. 즉, 상 요추체의 가장 적운 전후 직

경의 점에서 그 추체와 평행이 되도록 그은 2 개의 연

장선이 추체 하면과 만냐는 점을 각각 A , B 라 하고그

중간정 C를 잡으며, 하 요추체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추체 상연에서 D, E 청과 그 중간정 F를 잡는다. 이

혜 AD를 해 당 추간판강의 앞 높이, BE를 뒷 높이,

CF를 중심 높이로 정의하고 측정 하였마(Fig.l 창조).

Table I. Age Sex Distribution

Total

’l ’J

Q/

ag

?•

모든 증혜의 절과는 마음과 같았다 (Table II 창조) ;

L5 /S 1 추간판강 협소 소견 ;

방법 뒷 높이가 8mm보다 작아진 예는 40 세

만에서 13 예 중 5 예 (38 .5%) , 40 셰 이상에서

중 4 예 (40.0%) 로 총 23 예 중 9 예 (39 .1%) 를 차지

하였마.

방법 I1; 중심 높이가 L3/4 추간판강의 중심 높이보

다작아졌거냐최소한같아진예는 40 세 미만에서

예 중 10 예 (76.9%) , 40 셰 이상에서 10 예 중 6 예

(60.0%) 로 총 23 예 중 16 예 (69.6%) 를 차지 하였다.

방법 U1; 중심 높이가 L4/5 (흑운 L3/4) 의 중싱 높 이 보마 2mm 이상 작아진 에는 40 세 미만에서 13 예

중 7 예 (53.8%) , 40 셰 이상에서 10 예 중 4 예 (40.0

%)로 총 23 예 중 11 예 (47.8%) 를 차지하였다

부가적인 단순 X선 소결들 ;

요추 전만의 소실 (ST) 및 측위 만곡( LI) 윤 40 세

마 만에서 각각 13 예 중 8 예 (61.5%) 와 6 예 (46.2%) ,

40 세 이상에서 각각 10 예중 7 예 (70.0%) 와 5 예

(50.0%) 로 총 23 예중 각각 15 예 (65.2%) 와

(47.8%) 를 차지하였다.

L5 추체의 후방 전위 ( PO) 는

중 1 예(7.7%) , 40 세 이상에서

로 총 23 예중 4 예 (1 7.4%) 를, 추체

23

10 예

Female

4

5

1

11 12

Male

‘‘」,3

‘‘J

’i

Total

Fig. 1. Method of measuring the height of L, /S1 inter

space.

20

20.29

30-39

4049

50.59

Year

13

11 예

40 세 미만에 서

10 예중 3 여1 (30.0%)

관철연의 연골하

13 여l

저자 둥이 L5 /S 1 추간판 탈출을 시사하는 L 5 /S 1 추

간판강 협소의 판정 기준 및 그 진단척 의의를 찾기 위

하여 적용해 본 3 가지 방법윤 다음과 같다.

방법 1 ; L 5 /S 1 추간판강의 뒷 높이 ( BE;Table II

에서 P. Ht. 로 포기함) 가 8.0mm보마 작아졌을 때

를 양성 (positive) 으로 판정 항.

방법 II ; L5/ SI 추깐판강의 중성 높이 (CF ;Table

n 에서 C.Ht. 로 표기함) 가 L3/4 의 경우보다 작거 냐 같아졌을 혜를 양성으로 판정항

방법 m ; L5/S 1 추간판강의 중심 높이 가 정상 L4/5 (L4/ 5 추간판 탈출이 동반된 예에서는 L3/4) 에서 보 다 2mm이상 작아졌을 혜를 양성으로 판정항.

그 후 그 결파를 마시 연령별로 붕석하여 40 세 미만

군과 40 세 이상군에서 어떤 의의있는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고, L5 /S 1 추간판 탈출을 시사하는 마를 5 가지 소견들의 발생 빈도와 연령별 차이도 아울러 조사하였

-805 -

다.

Page 4: L5/S1 추간판 탈출의 단순X선 소견과 5/ ·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roentgenogram more carefully and accurately. For it will certainly serve as the initial

Table 11. L5 /S1 Disc Space Measurement , 3 Methods Evaluating Its Narrowing and Additional

Plain X-ray Findings in 23 Patients Having Operatively Confirmed L5 /S1 Disc Herniation

Additional Plain X-ray Findings Method

III

Method

II

Method L5 /S1 Disc

mterspace

L5 / S1

herniation

FS SC PO Ll ST L5 / S1 C. Ht.

-L4/5 C. Ht.

L5 /S1. C. Ht

-L3 /4 C. Ht

P. Ht-8

(mm)

P. Ht

(mm)

A. Ht. Age/Sex Patient

No. 뼈

12

0

O

O 0

O

O

nU

nU

nU

nU

O

O

0

nU

nU

nU

O

O

0 O

O

5

D

O

O

nj

뎌 0

-이~

3

」」녕 4

4

4

」17

4

‘•

4

껴‘

v

- 0.5

+1.0

O

+2 .5

- 4 .0

- 6.0

- 3.0

3.5

- 2.5

+0.5

- 3.0

- 0.5

3‘S

+1.0

+3 .5

+5.0

+1.5

+3 .0

- 3.0

- 1.0

2.5

- 2.0

+4 .5

+1.0

+0 .5

1.5

9 .0

11.5

13.0

9.5

1 1.。

5.0

7.0

5.5

6.0

12.5

9.0

8.5

6.5

10 .0

12.5

13.0

17.5

11.0

14.0

11.5

11.0

9.0

15.5

17.0

16_。

11.5

18F

22M

23M

23M*

33M

33M

33F

33F

33 F

34M

37M

37M*

38F

l

2

3

4

5

6

7

8

9

m n

O

O

5/ 13 1/ 13 6/13 8 /13 7/ 13**

(53 .8%)

10/13

(7 6.9%)

5 / 13

(38 .5%)

Positive

Rate(%)

13

0 0 0 0 - 5.5

- 0.5

- 2.0

5.5

- 0.5

- 1.5

- 3.。

+1.0

+1.0

5.0

9.0

9.0

8.0

15 .0 nU

nU

nU

O

O

0

0

0

O

O

3

3

3

0

0

3

nU

」。

얘 」H

」애 껴

τ

Mω η mm

얘 때

- 1.0

+1.5

+1.5

• 3.0

- 5.0

+3 .5

+4.0

- 0.5

+1.0

+2.0

7.5

9.0

10.0

10.5

13.0

5 .0

15.0

21.0

13.5

16.0

15 .0

nU

nU

nU

nU

nU

nU

nU

nU

nU

1.5

8.5

+0.5

+2.0

5.。

3.。

11.5

12.0

40F*

42F

43F

45F*

46M*

47F

48M

48M

51M*

57F

낀 깅 깅

0

6/ 10 3/ 10 3/ 10 5/ 10 7/10 4/ 10**

(40.0%)

6/10

(60 .0%)

4/ 10

(40.0%)

Positive

Rate(%)

11 /23 3/ 23 4/23 15 /23 11 /23 11 /23**

(47 .8%)

16/ 23

(69 .6%)

9/23

(39.1 %)

Total

Positive

Rate(%)

Combind Disc Herniation at L5 /S1 and L4/5 , in which L3/41evel was compared with L5 /S11evel in Method II I.

Positive in Method III; When there was narrowing greater than 2mm at the center of L5 / S1 disc compared with

the adjacent normal L4/5 or L3/4 disc.

ST: Straightening of lumbar lordosis SC: Subchondral sc1erosis

LI: Listing of lumber spine to one side FS: Facet joint subluxation

PO: Posterior offset of L5 on SI

* **

14

15

- 806-

Page 5: L5/S1 추간판 탈출의 단순X선 소견과 5/ ·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roentgenogram more carefully and accurately. For it will certainly serve as the initial

경화는 (5C) 23 예중 3 예 (1 3.0%) 로 모두 40 세 이

상에서 보였 다

후방판정 탈와( F5) 는 40 세 미만에서 13 예중 5

예 (38 .5%) , 40 세 이상에서 10 예중 6 예 (60.0%) 로

총 23 예 중 11 예 (47.8%) 에서 판찰되 었 다.

저자 퉁윤 이상의 5 가지 소견들을 단순 X선상 그소

견이 영배한 경우만 양성으로 판정했으며 후방 판절 탈

와는 측연 상에서 51 상 판절올기 상단이 Ls 추체 하

면 위로 영 백히 이동하여 Ls/5 1 추간공이 좁아졌거나

그 모양이 연행되었을 혜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N. 고 찰

요천 정 합부의 정 상 해 부 및 기 능 ,

요천 관절윤 움직이는 요척주와 고정된 천추 사이의

이행 판절로, 생후 I 년 쯤부터 앞으로 볼록해지는 요

만곡이 태생기 때부터 앞A로 오옥한 골반만곡과 만냐

는 신체의 주요 이행부가 된다. 요천 판절은 거의 모든

변에- 있어서 요추골 사이 판절과 >11 슷하여 여러 인대와

근육으로 연철되 어 있는 외 에 장요인대 (l ig. iliolum­

hale) 에 의해 골반에 견고히 부착되어 큰 안전성 을 갖

고 있다. 이 인대는 제 5 요추 횡돌기에서 옆£혹 방사

되어 두 경의 강한 결합조직 띠로서 양쪽의 장골능과

천장 인대에 부착되어 있마10 , 11 ) 요천 후방 관절연운

요추들에서 보다 더 판상연A로 놓여있어 신전 · 굴곡뿐

아니라 측 굴곡 및 1.5~6 도 정도의 축성 회전 운동7, r

지 도 가능하게 해 준다 12 , 13) 요천 후망 판철에서 드

울지 않게 관찰되는 “비 대칭성 판절을기면 >> (tropism)

윤 굴곡 운동에는 항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회전 운동

에는 거의 지장을 주지 않는다 13)

요천 접함부의 척추판윤 정차 작아지 연서 뒤쪽으로치

우쳐지 는 cul de sac ~로 anterior epidural space 가

요추부와 달리 대단히 넓고 풍부한 지방 조직 A로 차

있어서 Ls/51 추칸에 생기는 영변 중 20%는 척수 조

영술에서 정상으로 냐타난다고 한마ul Ls/51 추칸판

의 posterior margin 도 뒤로 약간 오옥한 모양을 보

이는 L4/ S, L3/4 추간판과 달리, 정상적으로 현현하

거냐 뒤로 약간 올록한 모양을 보여주므로 CT 판독 빼 중싱성 추간판 탈출로 요인하지 않아야 한다‘,6)

정상 성안의 추간판강 높이는 L 1/ 2 부터 L4/S 까지

점 점 증가하마가 Ls/5 1 에서 마시 마소간 작아진다고

하였으나1 5)’ 그 정확한 기준이 언급된 적은 벨로 없었다.

그러냐 한국 성안의 정상 Ls/5 1 추간판강의 높이는

그 평균 앞 높이가 남녀 각각 14.67:t2.828mm , 14.25

:t 2 . 733mm이며, 평균 뒷 높이는 각각 0.27 :t 1.862

mm , 9. 16 :t 1. 268mm이껴 그 중심 높이는 L3/4에 비

하여 낭녀 각각 o .133 mm , 1. 009 mm 씩 더 컸고, L4

/s 에서 보다는 0.523mm , 0.193mm 씩 더 작윤 것 으

로 보고된 바 있다7J

51 신경근윤 Ls/51 추간판 탈출에서 가장 흔히 압

박을 받는데 , L3 상방의 신경근과 달리, 경막냥으로부

터 더 예각을 이루면서 나와 척추판내 경막외 지방충

속을 수 cm 뎌 멀리 여행한 다음 51 추간공을 빠져

나가므로 신정 근관 (nerve root canal) 개 념 윤 51 신 경

근에서 상당히 호소력이 있는 것같이 보인마1') 51 신

정근이 지냐는 코스를 Fig. 2 에서 보연 그 코스의 천

변에는 차례로 L, 추체 후연 , L , j5 1 추간판의 후외측

Fig. 2. Normal anatomy of lumbosacral junction,

showing Sl ‘ nerve root cana1.

연, 5 , 추체 후연이 인정 해 있고, 한펀 뒷연에는횡색 인

대와 51 후방 판절의 전내측연이 인정해 었다. 이 혜문

에 병적 상태가 51 신정근관이나 추간공의 어느 부분에

생기든지 51 실정근이 눌러거냐 멀리게 됨으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시키 게 펀다.

요천 섭 함부는 또한 선천적 으로 골붐걸 기 형 (bony

segmental anomal i es) 이 호발하는 곳이 다. 요통의

유무에 관계없이 선인구의 5 ,,-,10%가 Ls 의천추화(sa­

crali zati on) 및 51 의 요추화 ( lumbari zation ) 를 , 2

- 4%가 여 섯 요추 (six lumh ar vertehrae) 를, 1%

가 네 요추 (four lumhar vertehrae) 기 형 을 가진다고

한다. 이와같은 분절 기형이 있을 혜는 추간판 탈출의 정확한

해부학적 진단과 치료에 적지 않은 어려웅을 줄 수있는

데, 그 이유는 L" 51 신정근이 나오는 위치가 다양

-807-

Page 6: L5/S1 추간판 탈출의 단순X선 소견과 5/ ·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roentgenogram more carefully and accurately. For it will certainly serve as the initial

하기 때운이다. 그러나 L, 신경근은 다양한 꼴분절 기형의 정우에도 대체로 (75 %에서) ‘ the last full y

mobil e level >> (정상에서는 Ls/S , J eve J ) 에서 나오

는 것£로 보고되어 있고,그 아래쪽의 partly f ormed

JeveJ 윤 더 얀정된 부붙이으로 추간판 탈출이 애우 드

울마고 한마 17)

Ls /S , 추간판 탈출 소견 및 감별진단 ; 요천부 단순 X선 사진이 요추간판 탈출이 의 심되 는

모든 환자를 평가하는데 거의 필수적이라는 것윤 의 심

의 여지가 없다. 아마도 그 주된 가치는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흔 뱅변들(종양, 감염, 강직성 척추염, spo­

ndyl 0 li s thesis) 을 얼단 배제하는데 있다10 ) 그러나

몇몇의 소견윤 요추간판 탈출을 시사하는( suggesting )

소견윤 되며, 특히 둘 이상의 소견이 어느 한 추간판강

에 국한되면 더욱 그러하다8 )

단순 X선상 추간판강 협소 소견윤 아마도 가장 가치

있는 소견이지 만, 오든 경우에 나타냐지 는 않는다. 왜

냐하연 그 소견윤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를 나타내는 지

표일 뿐이기 때문이다.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는 추간판

탈줄에 선행할 수도, 뒤따라 얼어날 수도 있마8) 추간

판의 퇴행성 변화를 가져오는 주요 원인윤 나이가 드는

것이다. 증상이 없는 정상인 217 예중 요추간판 협소가

40 대에선 6% , 50 대 이상에서 48%에서 보인마는 보

고는 18' 이를 잘 뒷받침한다. 이 때는 보통 마말성 으

로 협소가 있고 추체 의 골극 형성 및 후방 판절의 퇴행

성 변화를 동반하는 예가 많운 것이 특정이다. 또 마른

요인은 척추의 불얀정성을 초래한 선행 병연들로서 오

래펀 추간판 탈출, 후방 판절의 퇴행성 탈와, 오래된척

추 만곡종 spondyJoJ isthesis 둥이 있을 때 추간판이

불균둥한 스트레스를 받게 됨에따라 쉽게 퇴챙성 변화

가 오거냐 그 과정이 가속화된 다. 그러므로 추간판강

협소 소견윤 젊고 건강하며 짧슨 증상을 가진 “급성 추

간판 탈출” 환자에서는 흔히 나타나지 않게 된다.

L4 / S 추칸판 탈출획 경우 L4/ S 추간판강 협소 소

견윤 Hampton 에 의하연 약 1/3 에서 냐타나며 다른

곳보다 더 의의가 있다고 하였으며 19 ) 국내에서도 45.3

%로 보고펀 바 있마7) 반면 Ls /S , 인 경우 DepaJma

퉁윤 수숭로 LslS , 추간판에 퇴행성 연화가 있는 것 A로 확인된 환자의 4 1 %에서 보였고 이것윤 L4/ S 에

서의 19% 보다도 훨씬 높았마고 하였으며 20) Ferge

rson 둥운 Ls/S, 추간판 탈출 100 예를 조사한 결과

L s/S , 추간판강 협소 소견이 30%에서 영백하였고 25

%는 의심이 되었으며 내머지 45%는 정상이었다고 보

고한 바 있마21)

Ls/S, 추간판강 협소의 판정 기준을 쉴정해 보기 위 하여 창고한 바호는 추간판 탈출이 있었띤 경우 그 중

성 높이 가 11. 14mm'), 11.26mm') , 10.48 :t 1 .479

mm 7) 였 ξ며, 평균 뒷 높이는 남녀 각각 8 .03:t0.685

mm , 6 . 30 :t 2 . 232mm로 좁아져 있었다고 하였다7) 또

한 대조군에 비하여 Ls/S , 의 평균 높이는 냥녀 각각 1.494mm , 3. 016mm 더 작아졌다고 하였 마7) 저자둥

의 결과는 정상군의 평균 최저치 1 1. 7mm7l 보마 적어

진 경 우가 23 예중 11 예로 47.8% 밖에 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모든 연령군의 평균인 어떤 결대치를 기준으

로 상는 것보다 그 개인에게 특이한 방법이 더 정확할

것으로 추정되었고 이것윤 방법 II 에서 가장 높운 일치

율 69 .6%(40 대 미만에서는 76.9%) 를 보인 것에서 입

증되었다.

CT는 Ls/S, 추칸판 탈출을 확진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탈출의 해부학적인 위치 • 정도 • 양상을 주위

구조의 변화와 더 불어 보여 주며 , 추간판 탈출파 추간판

팽만 ( buJgin g disc ) 의 강벨 , 척추판 및 외측 함요의

협 소, 후방 판절의 협소 , 경화, 골극 형성 l 비후 둥도

정확히 평가할 수 있게 해 준다.

단순 X선상 Ls/S , 추간판강 협소를 보일 혜 ; Ls /

S, 추간판 탈출과 감별해야 하는 경우는 해부학적 협 소 (anatomicaJ narrowing) , 감영 성 협 소 ( infectious

narrowing ) , 퇴 행 성 협 소 (degenerative narrowir땅

only) 및 고힘 성 추간판 흡수 (iso la t ed disc resorp­

ti on) 둥이 다 10, 22 , 23 , 24)

전이 척추 (transi tional venebra) 로 Ls 의 천추화

가 있으면서, 아우 증상이 없으면 먼저 해부학적 협소

를 생각하고 , 인정한 추체 판결연 주위에 골 파괴가 동

반되어 있~면서 입상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이연 감영

성 협소를 40 대 이후의 연령충에 서 다발성으로 골극

형성 , 골 경화와 같운 소견이 동안되어 있A연 우선 퇴

행성 협소를 생각해야 한마. 또한 추간판강 협소 정도

가 훨씬 더 성하고, 추체의 연골하 경화, 후방 관철의

탈와 및 Ls/S, 추간꽁무로의 침입이 함께 보이연 “고 립 성 추칸판 홉수” 를 먼저 생 각해 야 한마(Fi g. 3 참조)

이것은 단지 추간판이 앓아져서 S, 신경근판을 누르고 Ls / S , 추간공 협소를 가져오는 질환이 다 22)

V. 결 론

Ls/S , 추간판 탈출의 단순 X선 소견을 Ls /S , 추 -808-

Page 7: L5/S1 추간판 탈출의 단순X선 소견과 5/ ·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roentgenogram more carefully and accurately. For it will certainly serve as the initial

F홈.3 . Isolated disc resorption in LS/Sl , showing

SI nerve root compression.

간판강 협소를 중싱으르 그 진단척 의의 및 판정 기준

을 찾기 위하여. 1 977 년 1 월부터 1981 년 12 월 까지

만 5 년동안 국립의료원 신경외파와 정형외과에서 L51 SI 추간판 탈출이 수솔로 확진된 23 예 (18 - 57 세) 를

분석하여 마음과 같운 결과를 얻었다.

1. L 5 /S1 추간판강의 중심 높이 가 L3/4 보마 며 작아졌거냐 최소한 같아졌을 경우를 L5 /S1 추간판강

협소의 양성 소견으로 삼는 방법 g 가 L5 /S 1 추깐판 탈

출과 가장 높윤 일치율 (69.6%) 을 보였다

2. 이 방법운 특히 40 세 미만군에서 한충 더 높윤

(76.9 %)얼치율을 나타내었다

3. 이 방법윤 L 5 /S1 추간판강의 뒷 높이가 8mm

보다 작아진 경우를 양성£료 판정하는 방법 1 (일치율

39. 1 %)이냐. L 5 / S 1 추간판강의 중심 높이가 안정한

정상 추간판장 CL 4 / 5 혹윤 L 3/4 ) 의 높이보다 2mm이 상 작아진 경우를 기준A로 Åch.는 방법 m (알치율 47 . 8

%)보다 더 높윤 일치율을 보이는 것 외에도, 환자 개

인의 연령 , 다른 척추 영변 동의 변수로 인한 영향이

어느 정도 보정되므로 개개인에 득이하며 ( individual

specific) , 실제 임상에서 더 쉽고 간단히 적용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방볍 (practial method) 으로 사려띈다.

4. ,L 5 /S 1 추칸판강 협소와 뎌불어 요추 천만의 소

설 및 측위 만곡 소견도 약 50% 천후에서 냐타났으며,

L5 추체의 후방 전위나 판결연의 경화 소견윤 그반도는

적었지 만, L5 /S 1 후방 판철 탈와 소견은 약 50% 가까

이나보였고. 특히 40 대 이상군에서 L5 /S 1 추간판강

협소가 현저한 경우에서 대부붐 얼어 낮읍윤 특기할만

하였 마.

이상과 같윤 저자 둥의 연구 결과와 국내외 판련 운

핸들에 대한 비교 고찰로 마음과 같은 철론을 얻었다.

즉 단순 X선상 L5 /S 1 추간판강 협소·소견이 보일 혜

그것이 L 5 /S1 추간판 탈출을 시사하는 방사선학적 정

후 (suggesting roentgen sign) 로서 진 단적 의 의 가 높

을 가능성운 다음의 조건들이 않이 만족될수록 높아진

다.

1. 입상적 증상과 신경학적 검사 소견이 L5 / s 1 추

간판 탈출을 암시할 혜 (증상이 오래되고, 신경근 앙박

및 자극 징후가 있을 예) .

2. 환자의 냐이가보다낮윤연령군에 속할해 (40

대 흑윤 50 대 미만).

3. 척추의 불안정성을 가져올 수 있는 다른 척추 명

연이 없을 때.

4. 추간판 달출을 시사하는 다른 부가적인 소견들이

수반되어 있을 해, 특히 L 5 /S1 추긴에 국한되어 있을

그리고 추간판 탈출로 인한 L5/ S 1 추간판강 협소 소

견파 감별을 요하는 것ξ로는 전이 척추가 있을 혜 나

타나는 “해부학적 협소’ , 화농성 세균이나 결핵균에 의

한 “감염성 협소 추간판 탈출 없이 생긴 “퇴행성 협

소” 및 “고립 성 추긴판 흡수” 둥이 다.

REFERENCES

1. Wood KM New approaches to treatment of back

pain, West j Med 130:394-398, 1979.

2. 검영수 : 추깐판 탈출증 1 , 5 00 수술혜의 입 상적 고

첼 , 대한 신경외과 학회지 2:71 - 82 , 1973.

3. 정홍성 : 요추깐 수핵 탈출증 환자에 대한 방사선

학적 고찰, 대한 신경외과 학회지 10: 557 - 567 ,

1981

4. Haughton VM : A prospective comparison of CT and

Mye/ography in the diagnosis of h ern iated /umber

disks, Radi%gy 142: 103.110, january 1982.

5. Haughton VM : 50ft t/ssue anatomy within the spin.

a/ cana/ as seen on Computed TOfrlographYr Radio

/ogy 134: 649-655, March 1980.

6. 이회우 · 요추간 원판 증후군의 방사선학적 고창,

대한 방사선 의학회지 12:320-326 , 1976.

7. 이유근 : 정상인과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요추

간판 간격의 바교 연구, 대한 방사선 의학호|지 12

: 159-170 , 1976.

- 809-

Page 8: L5/S1 추간판 탈출의 단순X선 소견과 5/ · tance to interprete plain lumbosacral roentgenogram more carefully and accurately. For it will certainly serve as the initial

8. J uhl J H Essentials of roentgen interpretation, 4th 17. McCu lIoch J A , Waddell J Variation of lumbosocral

Ed, 423-426, Harper ond Row, Hagerstown, 7987. myotomes with bony segmental anomalies, j Bone

9. Sutton D A textbook of radiology and imaqinq, Joint Surg, 628:475-480, 7980.

3rd Ed, 1: 77 37-7735, Churchi/l Livingston, London, 18. Torgerson WR, Dotter WE : Comparative roentqeno-

7980. graphic study of the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10 Finneson BE : Low bock pain, 2nd Ed 7-43, 69, 306, lumbor spine, j Bone Joint Surg, 58A:850-853, 7976

/8 Lippin cott company, Philadelphia, 7980. 19. Hamapton AO, Robinson J M The roentgenograp-

11 . Goss CM Gray's anotomy, 29th Ed 377, Lea and hic demonstration of rupture of the intervertebral

Febiger, Philadelphia, 7973. disc into the spinal canal after the injection of

12. Gregerson GB , Lucas DB : An in vivo study o f axial Lipiodol, AJR 36:782, 7936.

r‘otation of human thoracic pine, J 80ne joint 20. Depalma A Survey of lumbar spine, C/in Orthop

Surg, 49A:247-262, 7967. 63:762-770, 7969.

13. Lumsden RM 11 , Moris J M An in vivo study of 21. Fergusson AB : Clinicol and roentgenogrophic inter-

oxial rotation and immobilization at lumbosacral pretation of lumbosacral anoma/ies, Radioloqy

jointSurg, 70A:7597.7602, 7968. 22:548, 7934.

14. Hakellus A, Hindmarsh J The significance of neu. 22 . Venner RM , Crock HV : Clinical studies of isolated

ro/ogical signs' and myelographic findings in the disc resorption in the lumbar spine, / Bone joint

diagno sis of lumber root compression, Acta Orthop. Surg(8ritish Ed) 638:497-494, 7987.

Scondinay. 43: 239, 7972. 23. Williams PC Reduced lumbosacral joint space, 15 . Peterson HO Introduction to neuroradiology, 7st jAMA 99:7677, 7932.

Ed, 779, Harper and Row, Hogerstown, 7972. 24. Bradgley CE Clinical and roentgenoloqical study of

16. Crock HV : Normal and pothological anotomy of the low back pain with sciatic radiation, AJ R 37:454

lumbar spinol nerve root canals, J 80ne j oint Surg. 7937.

(8ritish Ed) 638:487.490, 798 7.

-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