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159
2001 제4제 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제 제제제 제제 제제 : 2001제 9제 7제 제제제 제제 9:00-제제 5:00 제제 : 제제 제제제제 제제제제 제제 : 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 제제 : 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 : 제제제제, 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 제제제제제제제제제 1. 제제제제 국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 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국국국 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국국국국 국국 국국국국 국국 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국국 국국 국국 국국국국 국국 국국국, 국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 국 국국 국 국국, 국국국 국국국국 국국 국국국국 국국 국국 국국국 국국 국 국국국국국국 국국 국국 2. 제제제제 국국국 국국 국국 국국 국국국국국 국국 국국 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 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 국국국국 국국 국국국국 국 국국 국국 국국, 국국, 국국, 국국, 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 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 국국국국국 국국 국국 국 국국국국 국국국 국 국국 3. 제제제제 국국 국국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국국 국국 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 국 국국. 국국국국 국국 국국- 국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 국국국국국 국국 국 국 국 국국국국국 국국 국국국 국국국 국 국국. 국국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국 국국 국국국 국국국 국 국 국국. 국국국국 국국국국국국 국국국 국국국국국 국국국국 국국국 국 국 국국. 1

Upload: others

Post on 27-Dec-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2001 제4차 국제환경교육심포지움

사회환경교육의 현황과 전망

일시 : 2001년 9월 7일 금요일 오전 9:00-오후 5:00장소 :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

주관 : 환경연합 국제협력위원회, 환경교육센터

후원 : 한국일보사

국제협력기관 : 호한재단, 영국문화원, 미국대사관, 일본지구환경연구소

1. 기획의도 국제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사회환경교육의 중요성 인식재고

어린이, 학생, 성인들에게 평생교육의 형태로 자리잡은 사회환경교육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학교환경교육의 사례를 통한 양자간의 비교 분석

환경교육 관련 전문가, 활동가들의 깊이있는 토론의 장 마련 및 국내, 국제적

네트워크 강화

지속가능 발전 전략 차원의 학교 및 사회환경교육 방향 설정

2. 사업목적 다양한 환경 현장 교육 사례발표를 통한 더욱 실천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 모색

사회환경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고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

교육의 효과적인 접목 가능성과 그 방안 모색

호주, 영국, 미국, 일본, 중국에서 진행중인 각종 환경교육의 사례를 통해 현지

환경교육의 현황 파악 및 구체적인 협력의 틀 마련

3. 기대효과 한국 환경단체들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전국적인 차원에서 통찰할 수 있다. 외국단체 혹은 대학-한국환경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상호 프로그램의 소개 및 양

자 교육내용의 질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환경교육분야의 전문가, 학생, 시민단체 활동가 간의 폭넓은 교류 형성의 계기가 될

수 있다. 환경교육 담당자들간의 국제적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1

Page 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환경교육에 대한 중요한 인식제공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4. 프로그램09:00-09:30 등록

09:30-09:50 개회

사회 : 김혜정 (환경연합 활동처장)

개회사 : 이상곤 (환경연합 국제협력위원장)

축사 : 김명자 (환경부 장관)

09:50-10:00 휴식

Session Ⅰ 평생교육차원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 환경교육의 방향 사회 : 최석진 박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

10:00-10:20 미국의 사회환경교육 (로잔느 W. 포트너, 미국 오하이오대학 교수)

10:20-10:40 한국 사회환경교육과 환경NGO (이시재,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교수)

10:40-11:00 지속가능을 위한 환경교육 : NGO 활동가들의 훈련을 위한 길잡이

(크리스 게이포드, 영국 리딩대학 교수)

11:00-11:20 생태적 관점의 환경교육 (유정길, 한국불교환경교육원 사무국장)

11:20-11:40 휴식

11:40-12:00 환경교육에서의 중국 NGO의 역할

(젱홍잉, 중국 환경청 환경교육센터 프로젝트 책임자)

12:00-13:00 질의응답 13:00-14:00 점심

Session Ⅱ 환경교육 사례 발표 사회 : 이인식 (경남환경연합의장 / 환경을 생각하는 교사모임)

14:00-14:20 전국YMCA 어린이 갯벌생태캠프의 성과와 전망 : 아이들의 감수성 에

파장을 일으켜 미래의 생명지킴이로 (이희출, 서산 YMCA 총무)

14:20-14:40 호주의 사회환경교육 동향(로즈 리드, 호주를 깨끗하게 본부 매니저)

14:40-15:00 숲 체험교육의 사례 (홍혜란, 생명의숲 가꾸기 국민운동 사무처장)

15:00-15:20 야생동물과 함께 사는 길 (박그림, 산양의 동무 작은뿔 대표)

15:20-15:30 휴식

15:30-15:50 일본 환경교육활동 동향 (오사무 아베, 일본 사이타마 대학 교수)

15:50-16:10 종합토론

오창길 (인천성리초등학교 교사 / 환경을 생각하는 교사모임)

주선희 (환경연합 환경교육센터 팀장)

16:10-16:50 질의응답

2

Page 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16:50-17:00 폐회

미국의 사회 환경교육: 최근 프로그램과 실례

로잔느 W. 포트너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

사회 환경교육이란 무엇인가?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볼 때 미국에서 환경교육은 학습(learning)과 전문

(profession) 분야로서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 환경교육의 뿌리는 1950년대

초의 자연 기록, 여행기록, 야외교육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러한 움직임은 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상태, 몇 십년에 걸쳐 환경의 질을 위협하고 있는 사건, 사례들에 대한

대중의 반응으로 나타나고 있다. 역사를 보면 러브 캐널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되고

쿠야호가(Cuyahoga)강이 불타는 위기가 성장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전의 시대에

있어서 성장은 보다 조용이 이루어졌고 인간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꾸준히 생성되면서

진행되었다. 화석연료 연소, 남획과 같이 오랜 기간에 걸쳐 지구를 미세하게

변화시켰다.

환경교육은 유네스코에서 정의내린 바대로 급속도로 뻗어가고 있다. 형식교육(formal education) : 초등학교에서부터 대학교까지 위계적으로

구조되어 있고, 시간 순으로 등급화되어 있는 교육 시스템. 형식적 교육은 학습의

목적을 위해 모아진 같은 나이 집단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형식교육은 대부분

교실에서 이루어지지만 비형식적 환경에서의 현장 경험을 위해 학교를 떠날 수도

있다. 비형식교육(nonformal education) : 형식적인 체계 밖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 비형식적 교육은 형식적이고 나이가 같은 집단과 학습이 아닌 다른 이유로

모인 집단(가족 같은 일차 사회집단, 보이 스카우트와 같은 비학교 단체나 클럽) 모두에게 제공된다. 비형식적 교육은 교실이 아니면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특별한 장소인 박물관, 공원, 자연지역, 동물원, 수족관 등에서 이루어진다. 무형식교육(informal education) : 모든 사람이 대중 매체, 부모, 친구, 개인적

경험으로부터, 자신의 환경에서 매일의 경험과 교육적 영향으로부터 태도, 가치, 기능, 지식을 얻는 삶의 과정.

형식, 비형식, 무형식 환경교육 사이의 경계는 불분명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3

Page 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환경교육에 대한 기회는 경쟁적이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환경교육의 역할은 너무 커서 하나의 교육이 모든 것을 다룰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을 학교환경교육, formal과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을 합쳐서 사회환경교육이라고 하고 있으므로

의사소통의 편의를 위해 이를 따르고자 한다.)

사회환경교육이 학교환경교육을 어떻게 보완하고 보충하는가?

야외기회 ( Outdoor opportunities ) . 미국에서 많은 학교들은 특별 학습이

교과과정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을 맺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로 학교 부지를 야외

실험실, 교정, 자연학습장으로 발달시켰다. 학교와 가까운 지역을 보유함으로써

학생들이 교실을 떠나서 해야 하는 현장 여행을 하지 않아도 되고 비용적인 면에서도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다른 실험실에서 학생들은 소기후(microclimate)의 실례를

발견할 수 있고, 환경적 특징을 측정하고 서식지를 비교할 수 있고 그림이나 책에서

보면서 명확하지 않았던 지구 부분들의 상호작용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일부 학교 지구는 일일 프로그램(day-facility) 또는 며칠동안 야외(통나무집이나

자연지역)에서 지내는 거주형 야외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그들은 과학, 수학, 창작, 지리 뿐만 아니라 하나의 사회에서 함께 지내면서 시민의식을 배우기 위해서 책상 앞에

앉아 있지 않고 실제 세계를 탐구한다. 대학이나 NGO는 또한 형식적 수업이 비형식적 학습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숙박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예로 에리 호수에 있는 암석 학습장(Stone Laboratory on Lake Erie)을 들 수 있는데 이곳은 교사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교육을 받은

교사들이 수생과학(aquatic science) 교육을 위해 학생들을 데리고 온다. 대부분의

교사가 학생들을 호수로 데리고 올 수 없기 때문에 형식적 교육과정 소재는 손으로

접하는 학습 경험을 모의실험하는 것이 가장 좋다.

사회교육단체 ( No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 동물원, 박물관, 수족관 뿐만

아니라 공원의 방문객 센터와 특별 지역은 찾아오는 사람 모두를 위한 비형식적 교육을

하고 있다. 매년 5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미국 박물관을 방문하고 1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동물원과 수족관을 방문한다. 이것은 환경교육에 대한 잠재적 학습자의

인구가 많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러한 시설에서의 프로그램과 전시는 주로 가족과 같은

비동질적인 단체를 위한 것인데 학습 경험은 휴양 학습으로 계획되어 구조화되어 있지

않다. 대부분이 방문하는 학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고, 교사들은 교육과정

시간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특별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다. 연구에 의하면 비형식

시설에서의 가장 효과적인 학습은 수업 프로그램이 현장 여행으로 이루어지는

4

Page 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에서 신문 ( Newspapers in Education ) 은 교육과정에 있어서 어떤 주제에 대한

신문의 특별 쟁점의 다양한 면을 제공하는 미국 프로그램이다. 신문은 또한 교사가 매일

신문을 어떻게 교육과정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환경이 매체의

주의를 끌고 있다면 학교는 이러한 사회교육 매체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미국에서 사회환경교육은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가?

환경교육 지침의 발달 ( Development of EE Guidelines ) . NAAEE(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는 전문적인 조직이다. 이

조직에 있는 구성원의 활동 범위는 매우 다양하지만, 모두 질적인 부분에 있어서 책임과

건강에 관한 관심을 발달시키고, 환경에 대한 학습을 돕는다는 공통의 목적을 위해

일한다. 최상의 사고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이 없다면 이러한 임무는

매우 크기 때문에 우리는 모두가 믿을 만한 일을 하고 있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환경교육의 특징은 실천의 모든 형태에 적용 가능한 환경교육의 목적을 정의하는데

도움을 준다. 환경교육은 환경 주제와 쟁점과 관련이 있다. 환경교육은 학문과 학습의 다양한 분야와 관계하는 간학문적이다. 환경교육은 학습자의 필요, 관심, 동기와 관련된다. 환경교육은 평생 학습 과정이다. 환경교육은 명확하고 사실적인 정보를 근거로 한다. 환경교육은 균형적이고 편견없는 방식으로 정보를 제시한다. 환경교육은 가능하면 언제든지 학습 환경으로서 야외를 구성한다.

명확성, 균형성, 관련성, 간학문성에 대한 중요성은 강조되어야 한다. 이것은 형식적

교육으로 환경교육을 곤고히 한다. 비형식적 교육의 핵심은 단지 사실이나 개념이

아니라 쟁점에 초점을 맞춘 기회이고 야외에서의 교육이며, 평생학습이다. 수월성(Excellence)을 위한 NAAEE 지침은 다음과 같은 주제를 가지고 있다.

환경교육자의 첫 단계 준비

유치원생, 초, 중, 고등 학생의 학습을 위한 지침서

소재 개발과 선택

프로그램 평가

온라인 상(http://naaee.org/npeee/)에서 소책자는 모두 볼 수 있다.해설자 인증 (I nterpreter C ertification ) . 미국 공원에서 사회교육자는 종종 해설자

(interpreter)라고 불린다. 해설국제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Interpretation-

5

Page 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NAI)는 전문가로서 자연과 문화 해설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도력과 탁월성을

고무하는데 봉사하고 있다. NAI는 50개 주 30지역에서 거의 500명의 학생을 포함해서

4500명이 넘는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담당업무는 참여자들의 질적 수준을

보증하는 인증 프로그램의 발달을 고려하는 것이다. 그리고 몇 년 동안 스스로 학습한

이후에 조직은 이러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환경교육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실행을

위한 기준의 발달에 있어서, 성장하고 있는 업무에 있어서 초기 지도자 몇몇이 적절한

유연성없이 그들 자신의 생각만을 반영하는 기준을 세울 위험이 있다. NAI에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구성원을 갖추고, 전문성에 대한 요구도를 평가하고 그리고

나서 새로이 함께 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전체적 기능을 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제안된

인증 유형으로 인증된 유산 해설자(Certified Heritage Interpreter), 인증된 해설

안내자(Certified Interpretive Guide), 인증된 해설 메니저(Certified Interpretive Manager), 인증된 해설 계획자(Certified Interpretive Planner), 인증된 해설 훈련자

(Certified Interpretive Trainer)가 있다. 더 상세한 정보는 온라인

www.interpnet.org에서 이용할 수 있다.

평가 ( Evaluation ) . 학급 교사뿐만 아니라 사회교육자들은 프로그램과 교육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하기 위하여 지식, 기능, 책임을 가져야 한다. 평가는 교수(instruction)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람들은 그들이 방문객 센터를 떠날 때 시험을

보려고 하지는 않지만, 컴퓨터 퀴즈 게임을 할 수도 있고, 카드 놀이를 할 수도 있고, 학습의 핵심적인 목적을 다루는 다른 방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사회교육자를 위한

훈련은 어떻게 평가를 해야 하는가를 포함해야 한다.

교수 기술 사용 ( Use of instructional technology ) . 실제적인 현장 여행이 폭포에

대한 여행으로 대치될 수 없지만 모두가 폭포를 방문할 수 없다면 컴퓨터로 이를 대체할

수 있다. 미국에서 대부분의 사회환경교육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자연지역에 관한 사진과 흥미있는 사실을 담고 있는 웹 사이트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인터넷을 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서 사회환경교육에 대한 이러한 발달을

무시하는 것은 하나의 오점이 될 수 있다.

조직 평가 도구 ( Organizational Assessment Tool ). 국내 환경교육 향상 프로젝트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Advancement Project)는 한정된 자원을

관리하고 최대한의 이익을 창출하고자 노력하는 비정부기구를 위한 지침서를

제시한다. 주제는 문제 해결, 지도력, 경영, 분제 해결, 팀 형성, 조직 강화를 위해

필요한 과정 등을 포함한다. 상식적으로 무슨 일을 하고 어떻게 성공을 최대화 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적 조직 구조화 계획인 OAT는 미국 환경 보호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과 환경교육 훈련 협력(Environmental

6

Page 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Education Training and Partnerships, EETAP), 국가 야생동물 연합(National Wildlife Federation)의 지원을 받고 있다. http://www.uwsp.edu/cnr/neeap/neeapservices/oat/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요약

사회교육과 학교교육은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 미국에서

전체적인 환경교육의 이익을 위해 이러한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많은

사례가 있다. 사회교육은 범위, 효과성, 전문적 기능을 확대하기 위하여 많은 생산적인

방법을 시행하고 있고, 인터넷 자원은 다른 사람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회(비형식, 무형식)환경교육이 이 세기에 환경 결정 능력을 갖춘 인간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학교환경교육을 함께 다루어야 한다.

참고문헌

Byrd, N.J. 1998. The nature center handbook – A manual of best practices from the field. Assoc of Nature Center Administrators.

EETAP Resource Library (at http://eelink.net ): Fact sheets and resource lists as follows:

# 12. Understanding evalua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1997# 25. Assessing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Unobtrusive data

collection, 1998# 35. Environmental Education and Nature Centers, 1998

Ham, S.H. 1992.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 practical guide for people with big ideas and small budgets. Golden, CO: North American Press.

Heimlich, J.E. and others. 1996. Adult learning in nonformal institutions. ERIC Digest #173. ED 399412. On line at http://www.ed.gov/databases?ERIC_Digests/ed399421.htm

Moore, R. and H. Wong. 1997. Natural learning: Creating environments for rediscovering nature’s way of teaching. Berkeley, CA: MIG Communications.

Ruskey, A. and R. Wilke. 1994. Promoting environmental education – An action handbook for strengthening EE I your state and community. Amherst, WI: New Hope Graphics.

Support Center for Nonprofit Management. The Nonprofit Genie. http://www.genie.org/

7

Page 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한국의 사회환경교육과 환경NGO

이시재(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다음은 한국의 환경단체가 전개하고 있는 사회환경교육에 관한 보고이다. NGO,가

수행하고 있는 환경교육을 '비공식'교육이라고 부르고 있는 데 이것은 학생이나 선생이

다같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시민을 위한 환경교육의 제공자는 최근 많이

증가하였다. 환경단체뿐 만아니라, 종교단체, 지방자치단체, 기업과 심지어 군대에

이르기까지 시민과 그 조직원들을 위해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일반시민들도 인간의 태도를 바꾸는데는 환경에 대한 지식이 아니라, 감수성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우리들은 그러한 생태적으로 감성적인 시민이야말로 환경을

지킬 수 있는 세력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자연을 보전하는데 있어서

환경교육은 절대 중요하다. 시민을 위한 환경교육은 공공의 사업이라는 생각을

가져야한다. NGO뿐만아니라, 정부, 기업, 그리고 매스컴이 다같이 참여해야하는

공적인 사업인 것이다. 나는 이 발표문에서 한국의 환경단체의 교육활동에 한정하고자 한다. 그러나 모든

환경단체의 교육활동을 검토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왜냐하면 환경단체의 수는

매우 증가하였고, 그들이 제공하는 정보는 매우 '비공식적'이기 때문이다. 이

발표문에서 특히 강조하고 싶은 것은 한국의 환경NGO의 교육활동을 망라, 열거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사회환경교육의 중요한 특징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1. '비공식' 환경교육

시민들을 위한 환경교육은 1990년대초 한때 한국의 환경단체들 사이에 매우

인기있는 주제이었다. 대안적인 교육은 많은 사회단체들에게 있어서도 인기가 있었다. 사회단체들은 일반시민들을 교육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그러한

교육을 통해서 새로운 회원을 모집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급속하게 줄어들었다. 시민들도 그러한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었고, 다양한 서적과 정보를 통해서 지식을 얻을 수가 었었던 것이다. 또

그러한 사회교육을 위해서 몇주간씩이나 시간을 할애하는데 결심할 수 있는 시민은

결코 많지 않았다. '전통적인' 교실수업이 줄어들고 있으나, 현장경험학습은 한국의

사회환경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트렌드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8

Page 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1) 환경운동연합 (KFEM) 환경운동연합은 1993년에 결성되었으며 한국에서는 가장 큰 환경단체이다.

환경운동연합이 만들기 전에 공해추방운동시민연합(공추련)이 활동하고 있었으며, 공추련은 '배움터'라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갖고 있었다. 배움터에서는

환경문제뿐만아니라, 사회, 정치 평화문제들을 다루고 있었다. 이 교육은 '전통적'인

교실수업으로 이루어졌다. 환경운동연합은 광화문에 사무실을 이전하고 난 다음에

다양한 환경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자리에 옮긴 다음, 환경교육은

청년, 활동가, 주부, 어린이 등 특정집단을 겨냥한 교육프로그램으로 바뀌었다. 1999년현재, 환경운동연합은 6개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주말어린이

환경교육, 여름과 겨울의 캠프활동, 시민환경교육, 어머니 환경교육, 그리고

주부환경글쓰기대회, 그리고 전문환경교육프로그램등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전국에 50개의 지방조직을 갖고 있는데, 대부문의 지방단체들도 이와 유사한 교육프로그램을

갖고 있다. 2000년이후 환경운동연합의 환경교육은 변하고 있다. 교실수업은 현장경험으로

바뀌고 있다. 어린이들을 위한 환경교육도 현장학습으로 바뀌었다. 주말환경교육도

현장중심이 되었으며, 갯벌체험교육, 동강트렉킹프로그램도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봄철에는 들꽃기행, 탐조회 등을 실시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전문활동가가 운영하고 있는 환경교육센터를 갖고 있다. 환경교육은

새로운 회원을 모집하는 수단으로 생각되었다. 환경운동연합의 교육프로그램은

강의식에서 단기간의 현장체험학습으로 바뀌어갔다. 환경운동연합은

시민환경연구소를 부설기관으로 갖고 있으며, 연구소는 환경교육을 위해 전문가를

공급하고 교육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 환경운동연합의 환경정보센터는 많은

비디오자료와 사진, 그리고 문헌을 갖고 있으며 이들도 환경교육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이 강사, 교재, 시설 등 비교적 좋은 교육자원을 갖고 있지만, 환경교육은

학교교육에 비해 매우 빈약하다. 교육활동이 상당히 광범하다고 하더라도, 교육을 위한

지도력은 충분히 체계적인 훈련을 받고 있지 못하다. 교재나 매뉴얼도 잘 정비되어 있지

않다. 학생들은 강사료, 교육재료, 임대료 등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교육간부들은

항상 그러한 비용을 부담할 학생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지 확신을 갖고 있지 못하다.

(2) 불교환경교육원

불교환경교육원은 시민들의 생태의식을 일깨우기 위해 1991년에 설립되었다. 불교환경교육은은 한국불교종단의 공식적인 기관은 아니지만, 환경교육에 관한 한

그것의 영향은 매우 크다. 대부분의 환경의 거대한 NGO들이 전통적인 방식의

환경교육을 중단하고 있는 가운데, 불교환경교육은 오랫동안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중요한 환경교육프로그램은 시민들을 위한 생태학교, 좀더 전문적인 지식을

9

Page 1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한 생명아카데미, 그리고 활동가들을 위한 '생명운동을 위한

작은 대학'이다. 생태학교는 1991년에 개설되었다. 생태학교에서는 6-8주간에 걸쳐 13-15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생태학교를 위해 주요한 환경전문가들과 활동가들이 강사로 나서고

있으며, 그들의 경험을 나누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1박2일의 토론과 현장학습이

포함되기도 한다. 불교환경교육은 2001년 생태학교 20기를 배출하였다. 생태학교에서 다루는 주제는 다양하다. 환경위기, 국토정책, 쓰레기처리, 대기오염, 수질오염, 환경운동, 동양철학, 노동문제, 여성문제, 교통문제, 지역의제, 그리고

대안운동 등이다. 이러한 주제들은 환경문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교, 사회, 정치, 경제와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불교환경교육은 또한 1999년에 환경NGO의 활동가들을 교육하기 위해 생명운동을

위한 작은 대학을 출범시켰다. 생명아카데미는 7-8회로 마감되는 보다 짧은 프로그램이다. 생명아카데미는 환경, 자연, 생태, 생명에 대한 보다 전문화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일반인들에게도 공개되어 있지만, 주 목적은 환경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2001년현재 15번의 코스가 운영되었다. 1999년의 주요이슈는 환경위기, 자연과 인간, 빈곤에 대한 생각, 생태학적 합리성, 온생명, 공생, 생명가치 등이었다. 2001년

불교환경교육원은 아나키즘을 주제로 하는 생명아카데미를 열였다. 불교환경교육원은 생태근본주의의 교두보와 같은 것이다. 이 조직이 지금도

시민들에 매력을 갖게하는 것은 이러한 순수한 생태학적 인식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시민들이 원하는 것은 지식이 아니라, 깨달음이며, 경험이라는

것이다.

(3) YMCA 한국의 YMCA는 오랜 역사를 가진 큰 사회운동단체중의 하나이다. 일제때는

민족운동의 근거지이기도 하였다. 환경교육은 지방YMCA의 중요한 교육프로그램중의

하나이다. YMCA는 환경단체는 아니지만 환경교육을 중요한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는 전형적인 사회단체이다. YMCA는 두 개의 중요한 프로그램을 갖고 있는데, 그 하나는 데이터베이슬 구축하여

환경교육과 강사초빙 등에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지역조직의 간부들을

교육하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YMCA연맹에서 추진하는 것이며 지역조직은 지역에 맞는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YMCA의 환경교육은 지역의환경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회원들을

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하고 있다.

(4) 풀무원과 다른 기업들

10

Page 1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풀무원은 유기농산물을 생산하고 또 판매하는 회사이다. 풀무원의 생태친화적인 정책

그 자체가 판매전략이기도 하다 풀무원은 ISO14000을 획득하였고, 이 회사는

환경경영을 위해 노동자들과 간부들을 정기적으로 훈련하고 있다. 회사는

환경경영위원회를 조직하고 그 위원회가 중요한 환경정책을 결정한다. 두산그룹도, 한때 공해기업으로 비판을 받았지만, 지금은 환경경영의 선두에 서 있다. 두산은

환경교육센터를 만들어, 이를 노동자의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포함제철도

환경교육을 위한 교재를 개발하고 시민과 어린이들에게 배포하고 있다.

(5) 매스컴

유엔환경개발회의가 1992년 리우데자네이로에서 열린 다음, 주요한 신문과 방송은

일제히 환경켐페인을 전개하였다. 조선일보는 "쓰레기를 줄이자'라는 켐페인은 1992년 6월19일부터 시작하여 그 후 3년간 지속하였다. 조선일보는 자동차배기가스

줄이기운동, 자전거타기운동, 강살리기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동아일보는 한변

그린스카웃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린스카웃트운동은 그린훼미리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다른 신문과방송에서도 일정기간동안 환경켐페인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1996년경에는 언론사들이 전개하고 있었던 대부분의 환경켐페인이

중단되었다. 한국일보만이 그 전만큼 활발하지 않지만 환경켐페인을 1999년말까지

전개하였다. 그러나 환경단체의 교육활동에는 많은 부족한 점이 있었다. 전문성, 시설, 도구

그리고 재정에 있어서 항상 부족하였다. 교육담당 간부는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었고, 교재도 표준화되어야 하며, 교육체계가 제도로서 정착되어야 한다. 매스컴기관들은 대대적인 켐페인을 벌렸다. 그들은 쓰레기문제, 수질오염, 산림문제, 재활용, 에너지보전 등을 다루었다. 그 효과는 매우 컸다. 이러한 켐페인은 시민들의

의식을 제고하는데 공헌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업적인 미디아는 때때로

켐페인을 바꾸었고, 지속적인 효과는 없었다. 또 그들은 사람들을 환경행동으로

조직화내지는 못하였다. 환경운동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환경교육은 자연, 인간, 사회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를 바꾸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러한 태도의 변화만으로

환경을 보전하는데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학교환경교육이나 매스미디어켐페인은

때때로 환경문제의 구조적, 제도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 경향이 있다. 현재와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을 바꾸고 정책을 바꾸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 그래서 환경운동은 사람들의 마음속을 바꾸는데 머물지 말고, 사회적, 정치적 구조를 바꾸는데 노력해야 한다.

2. 한국환경NGO의 환경교육방향

11

Page 1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1996년 필자는 환경환경NGO의 교육활동을 조사한 바가 있다. 그때는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환경단체들은 교육프로그램을 갖고 있었다. 경실련 환경개발센터는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갖고 있었지만 그 후신인 환경정의시민연대는 환경교육을 하지

않고 있다. 녹색연합도 그린훼미리도 1996년에는 환경교육에 적극적이었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 많은 한국의 NGO들은 환경교육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도 예외는 아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임원들과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지속성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환경운동연합은 당일코스의 환경탐사나 일박2일정도의 탐사활동을

하고 있을 뿐이다. 교육내용도 바뀌었다. 과거에는 지식전달중심이었으나 지금은

감성훈련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환경단체들의 환경교육의 중요한 장애는 무엇인가? 가장 중요한 것은 재정이다.

강사료도 매우 고액이다. 교육재료도 적절하지 않으며, 공간도 충분하지 못하다. 또

시민들에게 환경교육에 대한 전달체계도 미흡한 형편이다.

현행 개선방향

(1) 지도력 전문강사 중심 훈련받은 활동가

(2) 교육재료 비전문적, 비체계적 체계적 표준화

(3) 시설 사적인 시설 공공시설의 활용

(4) 재정 피교육자 부담 공공재정의 활용

(5) 전달체계 개별조직 수준 공공정보공간 활용

환경교육의 강사를 대학교수 등 전문가를 부를 필요가 있을까? 잘 훈련받은

활동가들이야말로 훨씬 더 좋은 교육을 할 수 있다. 교육재료도 여러단체가

공동개발하여 표준화,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또 시설이용도 공공시설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야 비용이 적게든다. 재정은 물론 공적인 재정,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을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전달체계도 공공정보공간을 활용함으로서 더욱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한국정부는 환경교육이, 특히 시민을 환경교육이 '공적'인 사업이라는 생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NGO가 이러한 공적인 사업을 전개할 때, 정부는 필요한 지도력훈련, 적절한 교육재료의 공급, 재정지원, 그리고 전달체계를 제공해야 한다. 이것이 NGO로

하여금 재정적 부담을 줄이는 길이다.

3. 맺음말

12

Page 1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지난달 필자는 환경과 교통체계의 면에서 세계적인 모델이 되고 있는 브라질의

꾸리찌바에 다녀왔다. 필자는 시장에게 앞으로 꾸리찌바가 해야할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시장은 서슴없이 그것은 환경교육이라고 대답하였다. 환경교육은

그들에게 아름다운 도시를 보전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임에 틀림없다. 생태학적으로

감성적인 시민이 많아야 도시를 지켜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꾸리찌바는 환경개방대학을

갖고 있다. 이것은 환경교육을 위한 사회교육기관이다. 이것은 시가 만들고 운영비를

일정부분 제공하며, NGO가 실제로 운영하는 조직이다. 또한 시정부는 지방공무원, 학교교사, 학생들을 이교육기관에 보내 피교육자를 공급하기도 한다. 이것이

지방정부와 지역NGO가 협력에 의해 운영하는 세3섹터 기관의 모델이다. 환경교육을 크게 확대하기위해서는 한국의 NGO도 공공의 시설과 자금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필요가 있다. 정부도 시민교육에 있어서 NGO와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꾸리찌바는 우리들이 생각해 볼 수 있는 모델이다.

13

Page 1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 NGO 활동가들의 훈련을 위한 길잡이

크리스 게이포드 (영국 레딩대학 교수)

이 연구는 영국 환경 NGO 활동가들을 위한 새로운 훈련 방법을 다루고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방법론은-나중에 보게 되겠지만- 특히 중요하다. 그들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 NGO 활동가들은 현 시대의 생각과 방법론에 밝아야 하며, 그들의 역할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최근 영국의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대중은 NGO가 제공한

정보를 정부나 기업이 제공한 정보보다 훨씬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중요한

점이지만, 그 정보가 믿을 수 없거나 질이 좋지않다면 신용을 쉽게 잃을 수 있다. 또

공공교육을 위해서 NGO가 써왔던 방법들도 시대의 흐름에 맞아야 한다. 그리고 정부의

교육체제와도 자주 협력해야만 한다.

여기에 기록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NGO 교육자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고 있고, 후에 이어질 다른 연구에 대해

모델이 될 수 있는 교육훈련을 개발하는 것.2. 외부의 전문가들에 의해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활동가들이 스스로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그들의 필요를 규정함으로써 서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

3. 활동가들이 지속가능성의 특성과 EFS를 명확히 하도록 하는 것

4. EFS에 대한 이해와 가능한 모델을 탐색하고 구축하도록 하는 것

5. 이러한 모델을 이용하거나 가능한 교수전략을 구안하는 것

이 연구는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EFS)의 목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목표

대상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는 EFS 의 개념과

이해의 급속한 변화가 NGO의 활동가들에게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최근의 행동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은 참여 방법이 이용되었는데,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생각을 탐색하고 이것을 자신들의 필요와 맥락(정황)과

관련시키는 것이 이 방법의 기본적 토대이다. 이 생각은 실제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훈련을 받는 사람들이 다른 어떤 사람들보다 실제의 문제점과 그 해결 방법에

대해 잘 알 것이라는 가정 하에 나왔다. 또한 다양한 집단이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많은 아이디어와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다. 목적은 성인 집단에 적절한 방법을 예증하는 것이다.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는 교육자에게 상이한 여러 과제를 제시한다. 이 주제는 그

목적에 근본적인 불일치가 있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 어떤 교육자들은 이 주제를

14

Page 1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도구적인 방법으로 다루는데, 직접적으로 환경에 적절한 행동을 장려하여 학습자의

행동변화를 요구한다. 이러한 논쟁이 도구적이거나 규범적이 아닌 방식으로 다뤄지고

사람들이 자신과 동료들의 가치와 태도, 행동에 대해서 탐구하게 될 때, 이 연구의

목적은 좀더 자유로워진다.

12개의 NGO에서 온 다양한 경험을 가진 15명의 활동가들이 참여했다. 이 활동은 2단계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첫번째 과정에서는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를 참가자들이

정확히 이해하고, 교육활동에 있어서 가능한 접근방법을 결정하였다. 이 과정 후에

목표 대상에게 이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그들의 활동 중에 이를 적용해

보았다. 두 번째 과정에서는 그들의 생각이 실제로 유효한지 반추해 보고 토론해

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처음에 바람직한 EFS가 무엇인지 설명을

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참가자들은 보다 나은 실행을 위해 그들 나름대로의 기준을

세우고, 가능한 한 제한없이 교육방법을 구상하도록 요구되었다. 나의 역할은 지도자나

전문가로서 활동하기 보다는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참여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다음에 이어지는 토론의 순서는 참여자들에 의해 결정된 것이다.

첫번째 단계(The first block of time)

참고가 될 도서가 필요해서 3개의 짧은 기사를 준비했다. EFS 프로그램에서 강조되어야 하는 목적을 제시한 리스트가 필요해서 이를

준비했다. 이것들은 맥락과 교육 두 가지를 다루었는데, 위에서 말한 3개의 기사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것들에 대해 토론이 이루어졌고 후에 추가되거나 삭제되었다. 참여자들은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과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토론했고, 관련되는 여러 가지 용어들을 제안했다. 이와 같은 아이디어는 지속가능성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는 개념적인 모델을

창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참여자들은 목적 리스트와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지속가능성에 관한 이슈를

가르치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했다. 그들은 그들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했고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개발했다.

그리고 6주 동안 6명의 참가자들이 그들의 아이디어를 시험해보았다. 일부는

학교에서 이루어졌고, 다른 일부는 학교 밖의 청소년 집단에서 이루어졌다.

두 번째 단계(The second block)

15

Page 1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참가자들은 어떻게 그 방법을 발전시킬 것인지에 대하여 토론했다. 그들은 그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그들 나름대로의 기준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어떻게 참가자들이 행동했는가에 대한 세부 사항

먼저 지속가능성의 특성에 대한 중요한 토론이 있었다. 관련된 개념을 각각 작은 종이

(포스트 잍)에 적고 큰 종이에 옮겨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어떤 요인이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같은 중심을 가지고 있는 타원형 모양의 2차원적인

모델이 만들어졌다. 참여자들은 단체 사이의 지속가능성의 특성에 대한 토론을 촉진하는 교육방법으로

평가하는데 기초로서 이 모델을 사용했다. 첫번째로 참가자들은 접근방법의 선택을

지도하고 후에 평가를 도울 수 있는 여러 개의 학습 목표를 정했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개념과 상관이 있는 일반적인 어휘사용의 범위

1.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개념과 사상들, 문제와 이슈들의 상관관계

2. 이슈와 과학적, 기술적, 윤리적, 경제적, 문화적, 정신적인 분야에서 다른 특성을

갖는 지식의 적용방법에 대한 복잡성. 어떤 한 분야만으로 문제를 이해하고

가능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완전한 도움이 될 수 없다는 것

3.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들은 집단과 사회뿐만 아니라 자연환경과

건조환경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

4. 다른 이익 집단이 지속가능성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

5. 지구적인 이슈를 지역적인 맥락과 연결짓는 것

* 이런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필요한 방법:1. 사람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상황을 사용해야 한다

2. 상호적이며 협동적이어야 한다

3. 권위 그 자체나 정보의 주된 공급처로서가 아니라 문제를 돕고 해결하는 역할의

지도자를 사용해야 한다. 4. 세부 정보보다 단체 내에서 지식 공유를 강조해야 한다.

규명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라이프사이클 분석과 환경영향평가에 기초하여

교육방법이 결정되었다. 그들은 대부분의 영국 사람들에게 친숙하면서 캐주얼화 한

켤레를 시작으로 실제적인 예를 사용했다. 교수 자료는 두 번째 모델을 따라

16

Page 1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원료생산에서부터 분배, 마케팅, 사용과 폐기에 이르는 신발의 순환 과정을 다루었다. 이 모델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도왔다. 이중의

일부는 과학적이거나 기술적이고, 다른 일부는 경제적이고, 사회적이거나

문화적이었다. 이 자료를 시험해보면서 지도자들은 훈련자의 입장에서 라이프 사이클

분석과 환경영향평가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러한 영향의 일부는 명백히

지역적이고, 다른 일부는 보다 지구적이다.

가르치는 집단 구성원들에게 다음 사항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하였다.A) 신발은 어디에서 만들어지는가? B) 어떤 물질로 만들어졌는가? 신발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조건에서 신발이 만들어지는가? C) 신발은 판매되어 어떻게

분배되는가? D) 신발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E) 신발이 낡으면 어떻게 되는가? F)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어떤 영향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인가?

2번째 단계의 토론에서, 참가자들은 모든 실험의 시작단계에서 지도자가 모든

이들에게 상세한 지식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말에 동의했다. 자료를 가지고

시험해본 몇몇은 “라이프사이클”의 네 단계 각각을 시나리오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교육을 시작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사람들에게

원료추출과 생산은 보다 가난한 나라에서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그들은 노동자들의

생활과 위생조건을 관리하는 방법이나 이런 과정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된다. 완성된 제품은 광범위한 광고를 필요로 하는 시장경제 체제하에서

세계곳곳으로 연결되는 교통망을 통해 분배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중간 단계를 거치게

되며 그 가격에 상응하는 마진이 첨부된다.

결과 평가

이 시도에서 우리가 한 활동이 여러 유용한 성과를 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성과는 네

가지 범위로 분류된다.

1.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설명하기위해 새로운 단어를 배웠다.

2. 그저 사실적 지식에 기초한 것이 아닌 합리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보다 수준 높은

사고 능력을 강조하였다.

3. 다른 사람들에게 적절한 질문을 하고 의사소통하는 것을 도왔다.

4. 사회적으로 비판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교육방법의 성공을 평가하면서, 참가자들은 이런 활동의 목적이 단지 전문가들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들의 해답을 찾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그들은 문제의

복잡성을 확실히 인식하고, 현재 지식의 한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17

Page 1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이러한 방법으로 인해 사람들은 실생활에서의 상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가자들은 이 방법이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적인 교육방법과는 다르기 때문에,

방법의 진기함은 NGO 활동가들에게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활동은 사람들이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용어를 더 확실히 알고 사용하게 했고, 삶에 있어서 사회적으로

비판적인 자세를 갖도록 도왔다. 게다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한 방법들을 제시했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이 활동을 통해서 얻은 큰 이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EFS 가 여러 다른 방면의 지식에 관하여 만큼 사람들이 갖는 가치에 관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자신들이 그룹 안의 친구들에게서

배울 때 외부 전문가에게서 배울 때보다 훨씬 의욕적이 된다고 했다. 동료와 또래

사이에서의 경험은 특히 중요하다. 참여방법은 매우 효과적이며 또한 즐겁다. 그들은

생각을 해체해고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지속가능성 개념에 대한

관점을 얻었다. 참가자들은 이 교육방법이 여기에서 이용되었고 보다 전문적인 활동가의

발달의 다른 측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여겼다.

생태적관점에서 교육을 다시 생각한다

유정길 (한국불교환경교육원 사무국장)

18

Page 1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들어가는 글

환경적 가치과 생태적 가치는 같은 듯 다르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그 용어를 크게

변별하려고 하지 않지만, 엔드류 돕슨(Andrew Dobson)처럼 이 두가지를 아주

명확하게 구분하려고 하는 사람도 있다. 필자는 환경교육은 대단히 중요하며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생각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환경교육의 끝은 '환경'이라는

과목이 만들어지는 것과 환경교육이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교과와 모든 교육, 나아가 성인교육의 모든 내용에 생태적 세계관이 녹아들어가야만이 진정한

생태적교육의 완성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가장 훌륭한 교육제도는 바로

'사회'이 듯이 생태적 가치는 사회속에 완전히 구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한다면 무엇이 생태적이고 무엇이 생태적이지 않다는 것인가.

이분법적이라고 오해될 수 있음을 무릅쓰고 무엇에서 무엇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언급해 보도록 하겠다.

생태적 세계관과 반생태적 세계관

환경문제는 데카르트 이후부터 시작된 인류역사의 근대적 기획에 대한 포괄적이며

전면적인 부정을 의미한다. 생태위기를 조장해온 페러다임은 주체와 객체를 분리하고

인간과 자연을 분리해왔으며, 자연의 인식에 있어서도 근본입자의 조합으로 인식하는

분절적인 사고를 해왔다. 직선적인 시간관과 인과관계를 기조로 하면서 양적인 것을 중요시하고, 인간의

필요에 복무하는 것만이 중요시 해왔고 획일적인 가치를 초래했다. 그러나 생태적

페러다임은 이와같은 사고를 근본적으로 부정한다. 그래서 주체와 객체의 상호보완과

상호작용하며, 인간과 자연은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모든 지식의

가치중립성보다는 가치관여적인 지식을 지향하고, 분석적이고 분절적인 지식이 아니라

종합적인 인식능력이 강조되며, 순환적인 시간관과 인과관계, 삶의 질과 정신적, 영성적가치, 깨달음의 가치를 지향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자연과 물질은 그것이

인간에게 필요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 자체의 내재적인 가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소중하며, 생태계 내에서의 다양성을 중요한 가치로 인식한다. 반생태적인 페러다임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위계질서와 효율을 중시하고,

시장적 질서를 어쩔 수 없는 것으로 보며, 그 속에서 '경쟁적 삶'을 자연적인 것으로

본다. 그래서 이를 위해 보다 빨리, 보다 높이를 추구한다. 그리고 노동을 자기실현의

가치로 보는 것이 아니라 노동을 돈을 벌기 위한 행위로 인식하고, 더 많은 소비가 더 큰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생태적인 페러다임은 인간의 자연파괴로 자연과 인간

모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본다. 또한 자연환경이 파괴되는 것은 인간의

19

Page 2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공동체파괴와 사회질서의 교란, 인간심성의 파괴를 초래한 원인이라고 생각하며, 생태적인 사회는 이 모든 것의 통합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위계와

효율보다는 평등과 과정, 그리고 참여를 지향하고, 시장적 질서보다는 공동체적 질서와

협동적 삶, 그리고 단순하고 느린 생활양식을 지향한다. 특히 노동은 그 자체의

즐거움이자 자기실현으로 인식한다. 그래서 덜 쓰지만 더 행복한 삶을 지향하는 것이다.또한 반생태적인 가치는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그러한

자연을 상품생산을 위한 자원으로 이용하는데 관심있고, 생태계의 질서보다

경제성장을 우선시하다. 이러한 생각의 근저에 자원은 무한하다는 신념이 도사리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무한한 성장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모든 나라와 사회는

미국과 같이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추구하는 것이 진보나 발전이라고 한다. 또한

문화적 가치는 무시하고 물질적인 가치만을 기준으로 하여 풍요를 이룬 나라를

앞선나라(先進國), 혹은 문명국(文明)이라고 하고 그렇지 못한 나라를 뒤처진 나라(後進國) 혹은 미개발국이라고 말하고 나아가 야만(野蠻)국이라고까지 폄하한다.

그러나 생태적사고는 이러한 사고와 결연한 결별을 의미한다. 인간은 자연을

지배해서는 안되며, 조화와 공존관계여야 한다, 그리고 자연은 인간의 필요 때문에

소중한 것이 아니라 자연 그 자체의 내재적인 가치 때문에 소중한 것이라고 생각하며, 무한성장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경제성장보다는 생태적균형을 중시하고

경쟁보다는 연대와 협동을 강조하며 인구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또한 반생태적인 사고는 오로지 자기와 자기세대의 이익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그리고 과학과 기술을 숭배하고 맹신하며 자원의 한계는 극복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대규모 거대 플랜트의 고도화된 기술개발을 강조한다.

그러나 생태적사고는 과학기술은 비판적으로 통제되어야 하며, 자원은 생태학적인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복원능력이나 정화능력을 벗어나서는 이용이어서는

안되며, 미래세대가 사용해야 할 자원에 대한 분배와 제3세계와의 평등한 자원분배, 나아가 인간을 포함한 많은 생명이 살 수 있는 자연적 조건을 고려한 인간의 발전에

관심을 갖는다. 그리고 정치적으로 반생태적 페러다임은 중앙집중화된 대의제민주주의를 선호하며

소위 전문가들에 의한 지배, 남성중심의 사회와 제도정치가 강조되고, 좌우대립의

이원적인 가치가 강조된다. 그러나 생태적 패러다임은 분권화된 참여민주주의를

지향하며, 지방자치적 풀뿌리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남녀평등의 가치를 지지한다. 생태적정치는 좌우대립이 아니라 경제성장주의와 생태적가치를 대립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생태주의교육과 환경교육

생태적교육은 반생태적인 사회 속에서 만들어진 교육의 부정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20

Page 2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생태적교육은 환경과목을 넣어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생태적인 교육은, 반생태적으로 짜여진 세계에 대한 부정이며, 나아가

반생태적인 교육시스템과 교과에 대한 근본적인 부정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전 교과과목에 대한 변화를 도모하는 것이며 나아가 교육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더욱 나아가 생태교육은 학교교육을 교육의 전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교육은

평생교육이어야 하며 따라서 개인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학습할 수 있는 지역에

기반한 다양한 학습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고, 다양한 사회교육이 지역사회와 긴밀하게

결합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어쨌든 모든 교과과목과 교육시스템, 교사들의 학습방식과 시험방식등에

생태적세계관이 녹아 들어가야만 하며 그것이 근본적으로 살림의 교육이며 생명의

교육인 것이다.

생명운동으로서 생태적교육의 내용

생명운동이 갖고 있는 특징은 "관계성, 순환성, 다양성, 영성"이다. 필자는

생명운동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관계성의 교육, 순환성의 교육, 다양성의

교육, 영성과 깨달음의 교육"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1) 관계성의 교육

현대 사회는 분절적이고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서로 고립된 개체로

인식한다. 따라서 서로의 변화가 나와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인정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을, 인간의 이익을 위해 자연을, 자기 나라의 이익을 위해 다른 나라와 다른

지역을 이용하거나 식민지화, 전쟁 등을 통해 개인과 국가의 이익을 도모한다. 관계성의 교육은 그동안 자기 중심의 이해를 기반으로 한 교육이나, 개인의 성공과

경제적 성장에 집중하는 교육이 아니다. 1) 인간과 인간과의 공동체적 각성을 체득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또한 2) 인간과 자연, 생명과의 관계를 인식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관계성은 무수한 많은 생명들과 자신과의 호흡, 일체의식을 느끼고

체험하는 교육이며, 서로 의존하고, 서로 보완하는 관계임을 인식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한 장의 종이 속에 나무의 향내와 벌레의 울음소리, 물과 바람, 구름과 빗소리를

듣고, 벌목공의 땀내음을 느낄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관계성의

인식은 반드시 참여와 자발성을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게 한다. 그러한 행동을 통해

발전적인 관계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는 교육인 것이다.또한 이 관계성은 동시대의 많은 사람들과의 관계(공간적 관계성), 즉 이웃과 국가,

민족과 지구와의 관계뿐 아니라 선조들의 지혜를 소중히 생각하며 나아가 미래세대의

가능성(시간적 관계성)을 동시에 통찰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인간과의 관계성만이

21

Page 2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아니라 수많은 식물과 동물, 뭇생명과의 관계성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2) 순환성의 교육

관계성은 바로 순환성을 그 성격으로 하고 있다. 모든 것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되어

서로 영향을 미친다면 그 영향의 흐름이 바로 순환성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역사의

인식은 끝임없이 진보로 향한 직선적인 역사로 인식한다. 시작에서 출발하여 끝을 향해

수직 상승하는 발전사관인 것이다. 그것이 서양의 대표적인 역사관이며 바로 그점이

환경위기시대에 제기를 받고 있는 패러다임이다. 과거 많은 사회운동가들이 추구해온

진보에 대한 관념 또한 이러한 직선적인 시간관에 예속되어 있다. 과거는 언제나

미개했고, 미래는 언제나 진보했다는 사고, 그리고 미래에 인간은 행복해 질 것이라는

사고하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위기는 이러한 인간의 선형적 역사관의 유토피아적

사고가 잘못된 것임을 알려주고 있다. 구체적인 현실가능성은 디스토피아로 향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한 것이며, 역사관의 새로운 변화, 진보에 대한 새로운 명제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생태계가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가 순환하는 것처럼, 그리고 생태계에서 탄소와

산소가 순환하고 있는 것처럼 자연의 모든 것은 순환과 윤회를 그 성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사고는 마치 수세식 변기처럼 더러운 것을 물과 함께 가능한 멀리

떠나보내면, 그것은 나와는 관계 없다고 사고한다. 그러나 재래식변소는 순환적

시스템이다. 똥은 더러운 것이 아니며, 또한 물로 씻겨져 한강으로 가서 바다로 흘러

버려져야 할 것이 아니라, 소중한 자원이며 우리가 먹어야 할 채소의 먹이가 되고, 그

채소는 사람의 먹이가 되고 사람은 다시 똥은 만드는 순환의 과정의 소중한 하나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쓰레기란 본래 없는 것이다. 바로 순환, 윤회, 그리고 돌림을 잘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위기는 바로 순환과 윤회, 돌림이 끊어져서 발생한 문제인 것이다.

3) 다양성의 교육

관계성은 다양성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양성은 획일적이고, 단순화를

반대하는 것이다. 오늘날 제도교육은 영어, 수학 등 단지 몇몇 과목의 능력에 의해

사람의 서열과 순위가 만들어진다. 예술적 능력이나, 문학적 감수성, 체육에 대한

능력이 있어도, 그것은 무시된다. 오로지 성적 순으로 가치가 평가되는 것이다.인간의 능력과 관심은 다양하다. 오로지 하나로만 판단하고 평가될 수 없다. 또한

나와 같아져야 한다는 것도 바로 다양성을 헤치는 사고인 것이다. 다양성은 차이를

인정하는 단계를 넘어서 바로 그 차이점 때문에 오히려 소중한 것이다. 나아가 우위와

서열이라는 것이 본래 없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획일성은 우월한 자와 열등한

자와의 순위와 서열만들기와 연관되어 있다. 물질적인 풍요를 유일한 척도로 선진국과

후진국을 나누고 문명과 야만을 나누는 것, 그것 자체가 이미 폭력이다. 나와 같아져야

한다는 강박은 바로 폭력의 뿌리가 되는 것이다. 또한 다양성은 책임감과 독립성을

22

Page 2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의미한다. 다양성은 평등함과 그 속에 참여적 내용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생명교육으로서 환경교육은 바로 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개성과 특성을 차별적인

사회적 요구, 경제적 요구, 문화적 요구에 이끌림 없이 자유롭게 발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4) 영성 및 깨달음의 교육

영성(Spirituality)은 신비적이고 관념적인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철저한

유물주의, 보다 철저한 과학주의를 뜻하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 관계성, 순환성, 다양성을 인지하는 것은 그야 말로 환경위기시대의 과학적 사고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를 온몸으로 채득하는 것이 바로 깨달음이며, 이것을 다른 언어로 영성이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즉 통찰력과 예지력, 직관적 인식, 통합적인 지혜를 말하는 것이다. 합리성과 이성을 넘어서는 문화적인 내용, "깨달음"을 뜻하는 것이다. 조선시대의 입시

(그것을 입시라기보다는 고시라고 할 수 있었는지 모르지만)였던 과거제도는 개인의

기술적 능력이나 전문성을 시험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력, 인격, 풍류를 판단하는

기제였다. 이것은 다른 어떤 것보다 사람으로서의 됨됨이, 그리고 인격적 완성과

깊이를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대학입시는 교육의 패러다임이

과거와는 달라진 것이다. 통합적인 인격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를 다루는 기술과

지식을 원하는 것이다. 영성은 사람과 자연의 모든 관계에 대해 보다 성찰적이 되는

것이다. 물질을 넘어서서 정신적 가치에 대한 소중함, 풍요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나

가난과 자발적인 검소함(Voluntary Poverty), 보이는 것만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가치에 대한 소중함, 자연과 인간사이에서 이해심과 자연 속의 아름다움을 인식하고

삶의 진정한 의미와 근본성을 깨닫는 것이다.

나가는 말

도대체 이러한 교육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까, 결국 과거와 같은 혁명적인

사회변혁으로 사회구조와 교육시스템의 변화를 도모해야 할까, 물론 그렇지 않다. 해충이나 생명을 박멸하겠다는 것도 바로 다양성을 무시하고 획일적인 인식이듯이, 과거사회를 일거에 파괴시키고, 새로운 사회를 만드는 것도 비슷한 상상력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사회의 무게중심이 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생명운동은

산업사회의 '틈'을 비집고 전개되는 운동인 것이다. 산업사회에 있으면서 산업사회에

포섭되지 않은 영역의 틈을 벌려나가는 것, 저항운동 속에 대안적 가치를 실현하는

운동인 것이다.모든 주류는 어제의 비주류였다. 역사는 변방에서 시작되듯이, 모든 사회운동의

에너지는 작은 구석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생태적 세계관에 기초한 모든 변화의

기획들이 오늘날의 현실이 아니라고 5년 뒤까지도 그러리라는 보장이 없는 것이다.

23

Page 2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우리가 과거 10년간의 변화를 당시에는 예측하지 못했듯이, 우리의 인식이 근본과 잘

연결된 것이라면 머지않은 장래에 그것은 현실화될 것이다.

첨부하는 글

UNESCO/일본 아태지역 환경교육세미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교육의 네트워크한국보고서

유정길 (한국불교환경교육원 사무국장)

환경교육을 조금 세부적으로 구분한다면, 크게 생태교육과 환경교육으로 나눌수 있고

생태교육은 다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 환경교육 또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

24

Page 2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구분되어 정리할 수 있다.

1) 사회생태교육

생태교육은 환경문제에 직접적인 해결이 아니라, 환경위기를 새로운 가치관과

깨달음의 전환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고, 환경문제를 야기시킨 사회구조와 인간의

가치관 등, 산업사회의 변화와 문명적 전환을 도모하며, 생태적 대안사회를 위한

총체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활동을 지칭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태주의적 교육은 도시를 벗어나서 친생태적인 삶을 살아가려는 "귀농운동" 또한 그 중 하나이다. 전국귀농운동본부(Return to the Farm Movement National Office)에서는 전국 13개 주요 지역에서 "귀농학교"가 진행되고 있으며 불과 4년간의

활동을 통해 약 3000명이 수료했다. 그리고 한국불교환경교육원(Buddhist Academy for Ecological awakening) 과

같은 교육기관에서 생명운동아카데미나 생태선제기행 등을 통해 다양한 대안적

생태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7년간 약 2000여명이 교육을 받았고, 한겨레문화센타(한겨레신문사운영)에서 실시하고 있는 "생명운동과 생태공동체운동"이라는 교육에서

실시하는 생태마을이나 대안공동체운동에는 약 5회 정도가 실시되어 400여명이

참여하기도 했다.

2) 학교생태교육

또한 교육자체가 이미 반생태적이고 반자연적인 경쟁과 물질문명에 포섭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환경이라는 과목을 넣어 가르친다해도 그것은 진정한 의미의

환경교육이 되기에는 많은 한계를 안고 있다. 그래서 최근 생태친화적인 대안학교

운동은 교육과정 모두를 생태적으로 재구성하려는 교육으로 시도되고 있다. 홍성의

풀무학교, 산청의 간디학교, 무주의 푸른꿈고등학교, 광주의 한빛고등학교, 영산의

영산성지학교 등의 대안교육이 불길처럼 확대되어가고 있다. 또한 탁아 연령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전국에서 공동육아협동조합운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의 생태주의운동을 위한 풀뿌리 지방자치교육들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대안적 실험들은 학교교육에 서서히 영향을 미치고 있고, 최근

합법화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뜻있는 사람들에게도 미래의 대안적 학교교육의

모델을 찾으려는 시도들이 점차 높아가고 있다.

3) 이들간의 네트워크

대안운동으로서 생태교육은 이미 많은 사람들간에 서로 긴밀한 연관을 갖고 아주

활발한 교류와 연대를 하고 있다. 그래서 이 분야에 대한 서로 강력한 동질적 유대를

갖고 있다. 그래서 사회교육이든 학교교육이든 이들간의 빈번한 왕래는 서로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받는 하나의 새로운 교육계의 한 경향으로 자리잡고 있을 정도이다.

25

Page 2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환경교육은 그야말로 직접적으로 환경오염과 개발에 대응하며 환경보전을 위한

의식을 고양시키는 교육이다. 그래서 환경문제해결을 위한 인식 (Awareness),지식

(Knowledge), 기술 (Skill), 태도 (Attitude), 참여(Participation)를 고양시키는

교육을 지칭한다.

1) 사회환경교육

사회에서 진행되는 환경교육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등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고 점차 평생교육차원의

교육으로 방향을 잡아나가고 있다. 우선 성인을 위한 교육으로는 한국불교환경교육원의 생태학교(1500명)가 있고,

환경운동연합(Korea Federation Environment Movement KFEM)에서 진행되는

환경교육이 있으며, 수원환경운동센타에서 진행되는 환경교육이 있으며, 생태보전시민모임에서는 길동 자연생태공원에서 자연관찰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고, 지속가능한 개발네트워크한국본부(Korea Sustainable Development Network KSDN)에서도 한강생태문화학교, 나무학교, 녹색학교 등을 전개해왔고, 두레생태기행에서는 성인들과 청소년들의 환경보전의식을 고양시키기 위한

기행교육을 많이 실시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을 위한 교육으로서는 서울YMCA 및 지역YMCA 와 녹색연합(Green

Korea), 그린훼밀리운동연합(Green Familiy, 환경운동연합, 수원환경운동센타

(Suwan Environment Movement SWEM)에서 활발하기 진행되고 있고 특히

민주시민교육포럼을 만들어 시민단체교육을 받을 때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육참여를 증진시키려는 노력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는 중이다.

2) 학교환경교육

현재 제6차 교육과정에는 중학교에 '환경'과목과 고등학교에 '환경과학'과목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환경과목에 대한 선택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국의 중학교

2,741개 중 환경과목을 선택한 학교는 341학교로 12.4%를 차지하고 있고, 전국

고등학교 1,943학교 중 19%인 370개학교가 환경과학을 선택하여 전국 중,고등학교

4.684개중 15.2%인 711개 학교가 환경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환경담당교사는

1,127명으로 증가하였다. 한문과 컴퓨터, 환경 등 3가지 중에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

있는 학교에서 '환경'을 선택한 학교는 점차 늘어가고 있다. 그리고 전국의

유치원등에서도 많은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 이들간의 네트워크

26

Page 2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환경부에서는 환경강사명단을 작성하여 환경교육을 시행할 때 강사비를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교육부나 환경부 모두 학교환경교육을 위해 사회 단체들이 환경 교사들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1999년 시민단체지원에 관한 법률이

통과되어, 사회단체와 환경교육에 대한 지원이 많이 늘어난 상황이다. 이는 환경교사에

대한 육성을 사회단체와 함께 하려는 모범적인 시도라고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상태적으로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은 서로 긴밀한 교류나 연대가 많지

않고 있다. 상호침투하면서 서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마치면서

1) 통합적, 간학문적 접근의 필요 : 환경교육은 간학문적이고 통합적 학문이다. 따라서 사회환경교육과 학교환경교육 간의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어렵지만

상호침투하는 과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환경교과만으로 근본적인 한계 (경제주의, 물질성장주의)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판단된다. 그래서 풀뿌리

지역사회운동단체에서 실시하는 평생교육이 함께 공조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2) 그리고 현재 사회환경교육단체들 간의 네트워크활동을 전개하고 있고 보다

활력적인 계획을 검토 중에 있다.

중국 사회환경교육에 대한 환경 NGO 의 기여

젱홍잉 (중국 환경청 환경교육센터 프로젝트 책임자)

1. 중국에서 비형식 환경교육에 참여하는 환경 NGO에 대한 접근 (Approaches of Environmental NGO to participate in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ina)

환경 NGO가 공공 환경교육과 학교의 비형식 환경교육에 보다 많이 관여한 이후로

27

Page 2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사회환경교육이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5년 동안 심각한 환경오염

사건에 대한 사실들이 대중 매체에 드러났고 시민들의 환경 인식이 상당히 높아졌다. 일부 지식인들이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수질

오염, 쓰레기 문제, 생물다양성 소실과 같은 환경 오염 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고, 마침내 어린이와 일반 대중을 위한 환경교육이 환경을 개선하는 중요한 방법이라는

것을 깨달았다.첫 번째 환경 NGO인 ‘자연의 친구들(Friends of Nature)’이 1994년에 만들어졌고,

‘베이징 지구마을(Global village of Beijing)’ 또한 1996년에 설립되었다. 사실상 이

두 환경 NGO의 설립은 중국 환경운동 역사에 있어서 주목할만한 사건이다. 이 당시에

일반 대중은 NGO가 무엇이고, NGO가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해 전혀 몰랐다. 이 두

NGO가 대중에게 그들의 힘을 키워가는데 있어서 공통적인 접근방법은 모든 종류의

매체, 그 중에서도 가장 유력한 TV를 통해 대중의 환경 참여를 증대하는 것이다. NGO가 초점을 맞춘 대상 집단은 매체 리포터와 학교 교사였다. 자연의 친구들에서 진행하고

있는 모델을 예로 들어보자. 다음과 같은 모델이 사실상 전형적이다.게다가, 주요 활동들은 학생들의 여름 캠프활동, 리포터와 보고자의 환경교육 훈련과

워크샵, 환경 프로그램 제작, 방송, 환경에 대한 예술품과 사진 전시, 녹색 생활 패턴, 야생조류 보호, 학교에서의 교수활동, 조류 관찰, 나무 심기, 대회, 환경 서적과 신문

발행, 국제 교류와 관련이 있다.

28

환경 NGO활동유형대상집단

야외활동 일반대중

대학과 학교 학생

교사

훈련

출판물

매체기자, 저널리스트

Page 2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2. 사회환경교육에 대한 기업의 적극적인 지원과 참여(Actively supports and participation in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Enterprises)

중국에서는 환경교육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약하기 때문에 환경교육에 대한 기업의

후원은 환경 NGO에 있어서 필요불가결한 요소이다. 지난 5년 동안 대부분의 지원은

Ford, Shell, Mobil, Unilevel Company와 같은 대기업에 의해 이루어졌다. 국제 기구

또한 중국의 환경 현황과 사회환경교육에 관심을 가지는 물론 WWF, FOE of HongKong, IFAW, WRI, Word bank는 형식 환경교육에 영향을 미치는데, WWF는

“중국의 녹색 교육 활동(China Green Education Action)”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프로그램에 의해 MOE의 환경교육 국가 정책에 영향을 미칠 적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약간의 진전을 보이고 있다.대부분의 기금은 환경 활동, 시상, 대회를 지원함으로써 학교 학생들의 환경 인식을

증대시키기 위해 쓰여진다. 예를 들면 환경 예술 대회, 환경 논문 대회, 환경 개선 계획

대회, 환경교육과 환경 보호를 위해 두드러지게 활동한 사람들에게 홍콩의 FOE가

수여하는 지구상이 있다.

3. 매체: 사회와 학교를 위해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 (Media: Playing a major role of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public and school)

최근 5년 동안 거의 모든 매체는 많은 환경 정보와 오염사례를 드러내었는데, 이것은

환경교육에서 교수 자료와 사례 연구로 쓰이고 있다. 일반 대중을 위한 주된 환경정보와

학교 학생들을 위한 환경정보의 약 50%, 환경 정보의 약 70%가 텔레비전으로부터

나온다. 예를 들면 CCTV는 1997년 이후로 매주 15분을 “환경을 위한 시간”이라고

하고 환경에 대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지난 2년 동안 CCTV는 “환경 주

(environmental weekly)”라는 다른 프로그램을 덧붙였다. 환경 기사가 대중의

관심의 초점이 되기 매우 쉬웠다. 많은 신문들이 어린이 매일 녹색 생활, 과학과 기술, 환경 칼럼을 만들었다. 매체는 환경 쟁점을 해결 능력을 길러준다.

4. 사례 연구: 중국에서 정부 색을 띈 CEEC 시스템의 기여(Case Study: Contributions of the CEECs System with Governmental Color in

29

Page 3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China)중국에서 환경교육센터 (CEEC- Cente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는 사회환경교육에 있어서 정부 환경부에 힘입어 67개의 CEEC와

네트워크가 되는, 가장 크고 강력한 시스템이다. 1996년 5월에 설립된 중국 환경청

(SEPA)의 CEEC 시스템 본부는 공식적으로 3개의 부서 광고(홍보), 교육, 시청각

출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고부서는 중국 환경과 지속가능한 개발 관련 연구 센터이다.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SEPA의 계획과 광고 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국가 환경 정책 활동뿐만 아니라 6월 5일

환경의 날과 다른 주요한 환경 행사 계획을 세우고 실행한다. -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환경 보호 관련 시청각 자료와 교수 자료, 환경 자료와

광고물을 편집하고 구성한다. - 또한 SEPA의 환경 관리와 훈련 인증 센터(Center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 Certification Training of SEPA)로서 다양한 유형의 환경 보호

훈련을 제공하고 ISO14000 환경관리 시스템 감사를 위한 훈련과 환경관리 인증을

함유하고, 교수법 연구를 실행한다.- 환경 홍보, 환경 교육, 훈련에 있어서 국제적 교류와 협력을 도모한다.- 환경 홍보와 교육 활동가의 국가적 수준에 있어서 SEPA를 보조하고, 지역 환경 보호

선전과 교육 센터 일에 관한 지도를 한다.

1997-2000동안 주요 프로젝트에 관한 간략한 소개

- 정기적인 국내 학교 학생들의 환경 보호 대회

- 지구의 녹색 리본(A Green Ribbon of the Earth)- 중국의 GLOBE 프로젝트

- 매체의 녹색화

- 환경 보호 관련 야외 광고

- 모빌(Mobil)-중국 환경교육 기금 : 환경보호에 대한 중국의 이유를 촉진하는데

쓰임

- 사업 환경 학습 지도자 프로그램 –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간부급 경영자 훈련

- 녹색 관청 – 정부관청에서의 순환식 계획

- 환경 보호 사무국의 경영자를 위한 국가 서비스 훈련

- 녹색 학교 프로그램

- 3국(중국-일본-한국) 환경교육 네트워크

- 내부 참조 문서: 환경 보호, 장 기간의 임무

- 내부 참조 문서: 중국 생태 문제에 대한 경고

- 원격 환경 훈련을 위한 텔레비전 수업

- ISO14000 환경경영시스템의 국내 auditor 훈련

30

Page 3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5. 사례연구 : 자연의 친구들의 영양 버스 프로젝트 (Antelope Bus project of “Friends of Nature” )– 지역 주민을 위한 광고 활동과 중국 시골 지역에서의 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이동 버스

1) 시골 지역에서 학교 학생들을 위한 이동 교수 학습 환경교육

2000년 5월에 자연의 친구들의 영양 차(Antelope Car) 프로젝트는 베이징

근교 시골 학교에서 첫 교육을 시작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아이디어는

독일 전지역에 걸쳐 환경교육을 위한 여우 버스와 독일 환경 NGO Save Our Future(S.O.F)의 지원을 받은 영양 프로젝트로부터 나왔다.

2000년 5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영양차, 영양 버스의 교사 집단은 중국 북부

세 지방에 있는 몇 개의 박물관과 100개의 시골 초등학교에서 123회 가르쳤다. 환경 교수-학습의 주 분야는 자연교육에 집중되어 있고, 영양 버스의 주된 교육은

게임, 환경 계획 모의 실험, 역할 놀이이다. 매번 교사들은 시골 환경교육에서

쟁점과 문제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지역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2001년 여름에 영양버스는

동생버스로 양생마 버스(Wild Horse Bus)를 가지게 되었고, 중국 서부의 건조한

사막 지대에 시골 학생들의 환경 보호 의식을 일깨우고 가르치기 위해서 Inner Magalia의 Xian, Ningxia, Shanxi에서부터 Gansu, Quinghai, Xinjiang까지

긴 여정을 시작했다.

2) 녹색 생활 실천-사회 환경 활동(Green life practice - community environmental activity)

지난 해에 시골 학교에서의 이동 교수 학습으로 영양 버스는 녹색 생활 실천에

참여했다. 교수 집단이 베이징의 도시에 있는 8개 집단(community)으로 나가서

거주자들이 쓰레기를 줄이고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지도했다. 그들은

지역민들이 종이 1490kg, 베터리 480kg을 재활용하도록 했고, 지역민들에게

500개의 천가방을 나누어 주었다. 결국 2970명의 지역민들이 이 활동에

참여했다.

31

Page 3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첨부하는 글

중국의 환경교육 현황

젱홍잉 (중국 환경청 환경교육센터 프로젝트 책임자)

1. 1992년 이래 중국의 학교 환경교육의 새로운 진보

개발 도상국인 중국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중이다. 점점 강도를 더해가는 자원

개발, 광범위한 경제 성장과 비교적 뒤떨어진 기술과 경영 수준의 결과로 오염 물질

생산량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대체로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는 중국의 경제적,

32

Page 3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사회적 성장을 제약하는 중요한 요인이자 대중들의 주 관심사가 되고 있다.

1992년 중국 국가 교육 위원회(State Education Commission, 중국 교육부의

이전 명칭)에서 만든 의무화된 초.중.고등학교의 요강은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인구, 자원, 환경에 기초적인 국가 정책을 가르치도록 하고 있고 환경 교육을 초등학교의 “

자연” 과정과 중학교의 물리,화학, 생물, 지리 등의 과정에서 강조하도록 하고 있다. 몇몇 이 요강에서 재확인된 자세한 요구 사항은 환경 교육이 국가 교육 정책으로

공식적으로 정부 문서에 첨가되었음을 나타낸다.

1992년 중국 국가 교육 위원회와 중국환경보호국(NEPA) 공동으로 주최한 제 1차

국가 환경 교육 회의는 진보적 방법을 제시했다. “교육은 환경 보호의 기초이다

(education is the basi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이 새로운 문구에서 대다수의 중국인들은 환경의 질(quality)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대중의 환경에 대한 관심과 환경문제를 해결에 대한 요구는 점점 더

강해졌다. 환경 교육 관련 범위에서의 국제적인 협력도 증가했다. 자연적으로 국제

환경 교육으로부터 기술 교육, 상담과 질문, 테마 중심의 교육, 야외 활동과 같은 새로운

환경 교육에 대학 의견들이 중국 본토로 소개되고 있다. 교육자들과 교사들은

대중으로부터 점점 더 많은 지원을 받고 있다.

1992년 유엔 환경 개발에 관한 세계 회의 이래로 중국 정부는 지속적인 개발을 국가

개발의 가장 중요한 정책의 하나로 이행할 것을 확실히 제안하고 있다. 이런 환경

정책과 계획은 1994년 3월에 출판된 21세기 중국의 인구, 환경, 개발에 관한 흰

표지의 책 “ 중국 협의 사항 21(China’s Agenda 21)”, “제 9차 5개년 국가 사회, 경제

개발 계획(The Ninth five-year Plan for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1996년 3월 국회를 통과한 “ 2010년 중국 의회 보고의 목표 전망

(展望)( Goal Prospect of Year 2010 of P. R. China)”에서 잘 드러나 있다. 중국 초,중,고등 학교의 환경 교육의 발전과 유럽의 환경 학교 프로그램의 주된 영향으로 국가

환경 보호청, 중화인민공화국 선전부서 CPC 중앙 위원회, 그리고 중화 인민 공화국

정부 교육위원회에서는 1996년 12월 환경 홍보와 교육에 관한 국가적 운동 프로그램

(The National Action Programme for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1996-2010)을 출판하였다. 그리고 정부 보고서가 제시되었다.

2000년까지 우리는 국가전역에 점진적으로 “녹색 학교(green schools)"를

세웠어야 했다. 그런 학교들의 주요한 지표로서, 녹색 학교 학생들은 다양한 코스

교육자료에 포함된 환경보호에 관한 내용을 성실하게 배우고, 교사들과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강한 인식을 가지고, 환경 감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사회의 필요한

33

Page 3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사람에게 홍보와 교육이 조정되고, 그들의 캠퍼스는 아름답고 깨끗하게 될 것이다.

그때부터 녹색 학교 프로그램은 중국 전역에서 실시 되었다. CEEC와 SEPA에

의하면 약 3000여 개의 녹색 학교들이 여러 공정한 정부 기관들에 의해 임명되었고

105개의 녹색 학교들이 2000년 말에 SEPA에서 상을 받았다.

2. 학교교육에서 환경 교육 시스템

2.1.중국 학교환경교육 시스템.

34

정부 환경 보호국

전문적 혹은 비전문적 환경교육훈련, 간부들

SEPA SYSTEM 환경부서 간부들을 위한 환경 교육 전문 훈련

다른 직업들을 위한 대학 내 환경교육입문선택과정

사범대학 ,일반대학 ,교육 기관 교사들을 위한 연수

환경과학전공 대학생들을 위한 전문적환경교육훈련

Ph.DMS.학사2 년 제 대학고등교육

중고등학교

일반 고등학생(13-18 세 ) 과 목 에 포함된 환경교육

전문고등학생(16-18세)을 위한 환경교육 훈련

초등학교

유치원 교육

“자연” 과목을 통한 환경교육

엄격한 환경교육 요구 없음,게임과 다른 활동을 통해 자연을 보고 인식하기.

교육부

중국환경교육

구조

기술적지원

타 정부 혹은 CPC 부서 아래의대학들

Page 3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표1> 중국 학교환경 교육 시스템

2.2 환경 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

1970년대부터 환경에 대한 홍보와 교육은 일반 대중이 어느 정도 환경과 환경

이슈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것에 일조가 되면서 점진적으로 중국에서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중국 대중이 여전히 환경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다른 지역 다른 집단 간에 환경에 대한 인식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환경에 대한 선전과 교육을 강화하고 전국적으로 환경에 대한 인식을 늘리는 것은

여전히 긴급한 과제이다.현상에 기초하여, 국가 환경 보호청(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예전의 국가 환경 보호국)과 CPC 중앙 국가 교육 위원회의 중화 인민 공화국 선전

부서에서는 1996년 12월 10일 “국가 환경 홍보 및 교육 활동 프로그램 The National Action Programme for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1996-2010) ”을 공포하였다. 이것은 환경 교육의 결정적인 최신 국가 정책으로 보여진다.

이것은 또한 특별히 중 고등학교 교사 학교, 교육기관, 일반 단과 대학과 종합 대학에

필수 환경 교육 과정을 만들고, 고등 교육의 비전문 대학에 선택 혹은 필수 과정으로

35

Page 3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환경 보호 과정을 만들 것을 요구하고 있다.

2.3 중국 환경교육의 재조정

2001년 6월, 중국 국회는 중요한 국가 기초 교육 회의를 개최했다. 환경 교육은 회의

결의안에서 학생들이 기본적인 창조 정신과 행동을 취할 능력, 기술과 교양, 환경에

대한 자각을 가지게 하기 위해 제안 되었던 “중국 국회에 의한 기초 교육 개혁과 개발

결의안(Resolution for Basic Education reform and development by The State Council of China)”으로 다시 설정 되었다. 실제로, 환경에 대한

자각은 학생들을 위한 기본적 교양으로 강조되어 왔다.

2.4 환경 교육 정책에 관한 이슈

- 정부 보고에서 부적절하고 모호한 항목들

비록 환경 교육에 관한 정부 보고가 대부분 환경 교육 강화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을지라도, 모호하고 포괄적이 용어들이 있다. 재정 보조 시스템과 투자와 같이 꼭

행하여져야 할 많은 효율적인 시도들이 정부 보고에서는 찾을 수 없었다. - 환경 교육에 대한 부분적 이해

환경에 대한 홍보와 교육 국가 행동 프로그램(1996-2010)에서 환경 교육은 세 가지

타입의 지식으로 해석되었는데, 이것은 확실히 잘못된 생각이다. 왜냐하면 어떤

교육도 비록 지식이 학생들에게는 중요하다 할지라도 단순히 지식만을 다루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가치, 기술, 법의식, 참여, 감정을 개발하는 것은 점점 더 환경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교육자들은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각들과 교육

개혁의 실권을 가진 정부 관계자들을 이해해야 한다.- 교육부의 분명한 정책 보조의 결여

환경 교육 학교와 대학들에 엄격한 요구 사항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교육 부서들은

충분한 정책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학교와 대학 내의 환경 교육 활동은

강력한 정부의 환경 교육 정책 대신에 교사들과 지역 교육자들의 환경에 대한 자각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는 지역 교육과는 환경 교육이 보통 학교 교육에

부담이 되기만 한다고 생각하고, 지역 환경과와 잘 협조하지 않는다.

3. 초, 중, 고등학교 내의 과정

초,중,고등학교에서 환경 교육의 가장 지배적인 방법은 주입(infusion)이다. 한

연구는 중국어나 역사를 통해 환경에 대한 지식을 얻은 학생들보다 자연, 지리, 도덕으로 환경 지식을 얻은 학생들이 환경 인식 수준이 높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같은

연구는 중,고등학교에서 중국어나 물리로 환경 지식을 얻은 학생들보다는 지리나

생물로 환경에 대한 지식을 얻은 학생들이 환경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을 보여 주었다

36

Page 3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Wangmin, 1997). 우리는 학교에서의 모든 과정과 모든 훈련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다양한 과목은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에 확실히 다르게 영향을 준다. 특히

초등학교의 “자연”과 “사회”와 중, 고등학교의 “지리”는 주입의 가장 좋은 방법이며, Mckeown-Ice(1995)와 Chris Gayford(1993)의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점을 알 수

있다. 중국 조사 단체(Wangmin, 1997)의 조사에 의하면 지리는 고등학교에서 환경

교육을 하는 데에 가장 으뜸가는 과목이고(69%), 두 번째로는 생물(14.3%), 그

다음으로는 화학(12.1%)이었다.

중국 고등학교에서 쓰이는 대부분의 지리 교과서는 인간 교육 출판사(people education press)에서 간행판이다. 이 지리 교과서의 주요 항목은 인구 문제, 자원

문제, 인간과 관련된 환경 이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경이 이 교과서의 30%이상을

차지한다. 고등학교의 생물은 유기적 조직체, 환경, 생태계 보호, 환경과 인간의 건강을

소개한다. 화학은 중금속, 암모니아, 매연, 유기적 오염 물질, 산업 폐수에 의한 오염과

이들의 위험성, 오존층 보호의 내용과 연관되어 있다( 간 교육 출판사의 9년 의무 교육

교과서는 중국 지역의 70%에서 사용하고 있다. 나머지 30 %는 지역 교육 기관에 의해

편집된 여러 다른 버전의 교과서를 쓴다. 국내의 학교들이 쓰는 모든 다양한 버전의

교과서들은 앞으로 중국 교육부에 의해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교육요강에 의거하여

쓰여질 것이다).

여러 교육자와 교사들이 인식하면 문제는 달라질 것이다. 최근 5년간 상담과 질문, 테마 중심의 교육 방법이 중국에 소개 되었고 학생과 교사들에게 환영 받았다. 이

방법들은 전통적 지식 중심이고 종합적인 교양을 무시하는 교육을 하는 대신에, 환경

학교 내의 다양한 수준의 능력, 교육 목표, 환경 교양의 증진의 필요성을 충족하고

발전시킨다.

중국의 기초 교육 개혁이 진행되면서, 중국 교육부는 의지하며 공부하는 배움의 기초, 노동 기술, 지역 봉사, 사회 실습의 4가지 부분으로 구성된 의무 과목 “종합 실습

(comprehensive practice)” 의 개발 착수를 제안했다. 이 네 부분 중에서 한 학기에

한 가지 주제만 다루는 공부가 첫 단계이다. 이 과정은 중국에서 현재 시험 단계에 있고

환경 교육에 보다 넓은 시야를 제공할 것이다. 영국과 홍콩의 환경 교육의 안내로

계발되기 시작한 2000년 이래로 WWF환경 교육 프로그램과의 협력 중에 중국

교육부는 학교 환경 교육에 더 관심을 기울였다. 중국 교육부는 “ 중국 초, 중, 고등학교의 환경 교육 안내(China Environmental Education Guid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를 앞으로 학교 환경 교육을 안내하기 위해 편찬하기

시작했다.

37

Page 3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참고문헌

1, XU Jialin ,Wanghongqi ,Yang Mingchuan,Hao Fanghua, 1996,Environmental Guidebook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2, Zhu Zhengwei, 1991 “EE Teachers Guide” ,Educational Science Press ,

3, 1991NEPA,”Princples And Practice Of EE In China (1985-1990) By Chinese Environmental

Science Press,

4, H.R.Hungerford , 1991 Environmental Education Series 29---A Prototyp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iddle School,(Chinese )Chinese Environmental Science Press

5, Lin Peiying, Zeng Hongying,2000, Teachers Material Of EPD Programme Of UNESCO ,

Chinese Environmental Science Press ,

6, Xu Hui , Zhuhuaixin, 1994,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EE, People's Education Press ,

7, 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eople's Republic Of China Propaganda

Department Of The CPC Central Committee State Education Commission,1996, "The National

Action Programme For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1996-2010)" ,

8,Hopkinson,M. 1978,The Geographyer’s Viepoint Environmental Edcu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123-134p

9,Mckeown-Ice,R.1995,Environmental Education:A Geographical Perspetive, Journal Of

Geography(1-2):40—42

10,Gayford,C. And Patrick,J.D.1995, Policy And The Practice Of Environmenal Education In

England: A Dilemma For Teacher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2):173—183

11,Xinhua Communication Of China, Resolution For Basic Education Reform And

Development By The State Council Of China”,June 15th ,2001

12,MOE, To Understand And Adapt The New Syllabus,China Education Daily, Nov 10,2000

13, Wang Min,1997, Study On Environmental Awareness Of Primary And Seconday School In

China.

14, Zeng Hongying, 1998, Study On Pre-Service Training For Secondary Schools Geography

Teachers.

38

Page 3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전국YMCA 어린이 갯벌생태캠프의 성과와 전망 - 아이들의 감수성에 파장을 일으켜 미래의 생명지킴이로! -

이희출 (서산YMCA 총무)

들어가며

서산YMCA는 1998년부터 올해까지 여름방학을 맞은 전국의 YMCA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갯벌의 생태를 통해 하나님의 참된 창조질서를 깨달으며, 자연과 생명에

대한 올바른 가치를 이해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전국 YMCA 어린이 갯벌캠프'를

펼쳐오고 있습니다. 총괄진행자인 저는 지난 1996년, 1997년, 2년 동안 전북 변산반도에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펼친바 있으며 서산으로 옮겨와 충남 태안군 안면도에서 이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39

Page 4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전국 YMCA 어린이 갯벌생태캠프'가 목적한 부분에 얼마나 성과가 있었는지와

아울러 아쉬운 점들을 객관적으로 짚어보며, 앞으로 이 프로그램이 얼마나 가치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전망을 6년 동안 진행해온 경험과 느낌, 그리고

진행사례를 중심으로 간단히 밝혀보도록 하겠습니다.

캠프의 일정

올해는 7월 23일부터 8월 20일까지 2박 3일 일정이 4회, 3박 4일이 5회 등 총 9회의

일정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인원은 평균 1회당 80여명으로 약 700여명의

어린이 및 교사가 참가하였습니다. 장소는 충청남도 태안군 행정권역에 있는 이름난 섬인(현재는 가장 수난을 받고 있음) 안면도 끝자락에 위치한 '바람아래 갯벌'이란 아름다운 이름을 가진 곳에서 펼쳐지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장소를 이곳으로 선택한 이유는 염전, 뻘갯벌, 혼합갯벌, 모래갯벌, 바위지대, 잘 발달된 숲 등이 한 공간에 같이 형성되어 있는 보기 드문

생태학습공간이라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진행자는 총 10명(음식조리 5명, 프로그램 진행 5명)으로 일정과 프로그램의 각

역할을 을 맡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

첫째 날 프로그램은 캠프장에 오후 3시쯤에 도착하여, 입촌식(기도와 묵상, 생활안내, 방배정 등), 소금에 대한 공부, 염전견학, 저녁식사, 갯벌공부(슬라이드 상영), 밤

모래갯벌 탐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둘째 날은 명상과 산책, 뻘갯벌, 혼합갯벌 탐사, 물놀이, 공동체놀이 등으로

진행합니다

셋째 날은 갯벌 쓰레기 모니터링과 갯벌보호 캠페인, 바위지대(부착생물) 탐사로

진행하며, 점심을 먹고 퇴촌식을 마친 후 집으로 돌아갑니다. 3박 4일 일정은 물놀이를 한번 더 진행하며, 넷째 날에는 숲 생태 탐사활동이 첨가되어

진행합니다.

갯벌생태캠프의 특징

갯벌생태 프로그램이 6년째 많은 아이들이 참가하고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우선, 갯벌생태탐사 프로그램은 움직임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제는 저 멀리

머물던 바닷물이 오늘은 해변 가까이까지 밀려드는 현상의 밀물과 썰물, 서로 다른

형태로 움직이는 게를 비롯한 생물들, 이는 아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충족시키기에 너무나 충분한 조건을 가진 '움직임'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밤바다(모래갯벌)에 손전등을 가지고 나가 여러 가지 생물들을 탐사하는 시간은

40

Page 4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아이들이 TV나 다른 어떤 매체에서 간접적으로도 경험해보지 못한 매우 흥미로운

프로그램이라 평가합니다.

갯벌생태캠프에 참가하는 어린이들의 준비물

어린이가 갯벌에서 경험하는 것은 대개 처음인 경우가 많습니다. 도시의 아이들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아이들에게 직접 체험의 흥미와 학습의 효과를 더할 수 있도록

준비물을 가지고 오게하는 것이 좋으며, 프로그램별로 준비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염전견학 : 소금담는 통(소금에 대해 공부하고 염전을 견학하는 과정에서

소금창고에서 소금을 담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 밤 모래갯벌 탐사 : 손전등(야간에 썰물시간에 맞춰 깜깜한 밤중에 손전등을

비추어 발견하는 생물들의 느낌은 환한 낮과는 느낌이 매우 다르며, 흥미도가

높습니다.)

- 갯벌탐사 : 돋보기(대부분 작은 생물이므로 돋보기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호주 사회-환경교육의 동향 : 호주 정화 운동과 세계 정화 운동(Clean Up Australia and Clean Up The World) 사례 연구

로즈 리드 (호주 클린 업 환경 단체 매니저)

환경교육은 이제 더 이상 자연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에 대해서 학습한다거나, 그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환경교육은 현재나

미래에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관점, 가치, 지식, 기술을 획득하게 하는 것이다.

오늘 필자는 비정부단체들이 호주의 환경교육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호주

환경교육의 변화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고, 이를 다른 국가들과 공유하려 한다.지난 10년 동안, 학교, 사회 환경교육프로그램의 급속한 팽창이 있었다. 이러한

발달과 함께, 지난 해 7월 호주 정부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환경교육

국가활동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은 두 가지 주요한 목적이 있다. 첫째는 환경

교육과 관련된 많은 분야( 즉, 학교 뿐만 아니라, 제 3의, 그리고 비정부 분야 )를

통솔하고자 하는 것이며, 둘째는 호주의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발달을 지지하기

41

Page 4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위한 국가의 노력을 강화하기 위한 출발점이다.이러한 국가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네 영역으로 환경교육방향을 전략적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즉 환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보다는 오히려 호주의 환경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변화를 줄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환경이슈와 교육은 사회, 경제적 이슈와 동등한 영역으로

보장하거나,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와, 다른 환경교육포럼을 통해서 여러

환경교육활동을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주지교육 분야를 모두 섭렵하는

환경교육의 원칙을 통합하려 하는 것이다.

호주 환경교육 국가활동계획의 주요 원칙은 환경교육이 모든 주체(즉 정부, 산업, 매체, 환경 단체, 지역 사회, 비정부 단체, 개인)를 포함하고, 또한 그들의 책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환경교육은 평생동안 이루어지고, 그동안 인지하는 지식과 기술은 새로운 환경의

도전을 설명하기 위해 계속 변화, 개선되어야 한다.환경교육은 전체적이면서도, 상호관련성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즉, 전문가가

강의하는 기초지식보다는 오히려 확산적으로 사고하고, 체계, 연결, 유형,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환경교육의 특징 안에서는 환경문제의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본질이며, 형식적 교육은 토착민을 포함하며,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환경교육은 비실용적인 지식과 기술보다는 좀 더 나은 환경적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실용적인 것을 다루어야 한다. 환경교육은 사회, 경제적 목표와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동등한 지위를 차지해야

한다. (즉, 진공상태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다른 합리적인 사회, 경제적 목적과

균형을 이루어 가면서 배우는 것이다.)

호주에는 작은 지역 사회에 기반한 단체부터 국가 수준 규모의 조직까지 500여 개의

비정부 단체가 있다. 어떤 단체들은 특정 동물 종의 보호와 같은 한정된 이슈와

관련되어 있기도 하며, 반면에 핵폐기물에서 종다양성까지 광범위한 이슈들을 다루는

단체들도 있다. 환경교육과 관련해서 이러한 단체들의 역할은 다양하다. 멸종위기의

종이나 서식지들을 조사하거나 연구하는 활동을 통해서 환경적 지식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거나, 입법상의 변화를 위해 정부에 로비활동을 하기도 하며,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서 사회(구성원, 학교, 재계와 정부)를 계몽하기도 한다. 이러한 단체들의 환경교육프로그램의 공통 주제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칙을 적용하여, 그들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의

능력을 발달시키고, 사회의 활동을 유도하며, 협력을 도모하는 것이다.

42

Page 4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호주정화운동본부(Clean Up Australia) 호주와 세계의 환경교육에 기여하기 위한

비정부단체중의 하나이다. 쓰레기와 물과 관련된 이슈에 중점을 두는 호주정화운동은

사람들이 우리의 환경을 깨끗이 하고, 훼손된 환경을 살리며,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임무이다.호주 건축가이며, 단독 요트 조종자인 이안 키에르넌(Ian Kiernan)에 의해, 1989년

시드니항에서 시작된 호주정화운동은 현재 국가적, 국제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우리의 환경을 치유하고, 회복시키려는 수많은 장기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호주정화운동이 환경교육에 처음 기여하게 된 것은 시드니항의 사람들이 자신의

뒷마당을 청소하는 것, 이러한 단순하고, 실용적인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이 고귀한

항구를 청소하기 위해 하루에 4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밖으로 나왔다. 다음 해에는

호주정화의 날(Clean Up Australia Day)이 정해졌다. 이러한 행사는 사람들이

청소하는 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육시키고, 그들이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더욱 중요한 일들을 가르쳤다.

이 행사가 일정한 조직의 형태를 갖추면서, 호주정화운동본부는 1993년에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의 지원을 받아 호주정화의 날을

세계로 확대하여 세계정화운동(Clean Up The World)을 시작하였다. 매년 9월 한 주

동안 열리는 세계정화운동의 목표는 국민, 정부, 산업, 경제, 지역과 도시를 결합하여, 쓰레기를 줄이도록 태도나 행동을 장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세계정화운동(Clean Up The World)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세계정화운동의 기본 아이디어는 단순하다. 자원봉사자들은 그들이 사는 지역을

좀더 깨끗하고, 건강한 곳으로 만들기 위해 협력하여, 지역정화운동을 실천한다. 지역과 환경 단체, 학교, 스카우트와 지도자, 정부 부처와 직원, 소비자와 산업체, 그리고 열성적인 개인의 협조에 의해 정화운동을 실천하는 것이다.

정화운동은 해변, 수로, 공원, 시장, 길가, 학교 등의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지역

조직위원회는 장소를 정하고, 정화운동을 운영하였다. 각 위원회는 포스터, 가방, 안내서, 정화운동을 장려하는 비디오가 들어있는 자료를 지원받는다.

지원 자료에 최근 세계정화운동 교육 자료가 추가되었다. 교사는 이 자료를 통해

학생들에게 쓰레기의 특성과 물건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자원, 쓰레기가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과 재활용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학교나 사회의 정화운동에 참여하고, 지역 환경을 치유하기 위한 장기적인

행동을 계획하고, 실천한다. 환경정화운동은 지역의 쓰레기를 치우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교육캠페인, 환경

콘서트, 사진 전시회, 나무 심기 프로젝트, 재활용 센터 설립까지 다양하다.멕시코의 산 미구엘(San Miguel)에서 시작된 재활용 프로그램에서부터 인도의

43

Page 4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합성물 처리시설의 건립까지, 이러한 세계정화운동의 예를 통해서 개인의 행동이

환경의 상태에 지대한 변화를 가져오며, 환경과 관련해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정부와

재계, 지역사회의 협력을 구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계정화운동을 통해서 세계 많은 국가들은 뜻을 같이 하는 환경 단체들이

연결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오염과 질병, 부족한 식량과 물 등의 사회 문제와

사회적 혼란을 겪고 있는 환경오염 국가들에게는 세계정화운동이 그들의 대안의

첫번째 선택이기도 하다.호주정화운동이 이러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세계정화운동의 경우는 다르다. 세계정화운동은 사람들이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하고, 자원을 절제하면서 쓰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쓰레기에 대한 대안, 재활용, 재사용, 퇴비로 만들기 등의 방법이 있으며, 이를 통해

바람직한 경제관과 환경관을 갖게 한다. 사람들에게 정화운동을 운영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그들에게 환경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자료를 제공하면서, 우리는 그들이 지역사회의 역할모델이 되도록

돕는다. 또한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다른 사람들과 만나게 하며, 지역 환경 이슈에

대한 매체를 만들게 하고, 정부, 산업, 지역의 환경 이슈 특히, 쓰레기 최소화, 재활용, 쓰레기 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그들에게 지역 환경을 관리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소개한다. 사회는 우리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이해하며, 그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새롭고 긍정적인 방법에 대해 생각한다.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기(Thinking globally, acting locally) :

이것은 변화를 만드는 힘의 열쇠이다. 우리가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은

우리의 고유한 환경을 보존할 수 있다는 희망이 남아있다는 증거이다. 세계정화운동은 지금 환경 프로젝트에 기초한 세계의 가장 큰 공동체로 발달하였다.

2001년에 세계정화운동은 Duskin, National Geographic Channels International, UNEP, KPMG와 QANTAS의 후원을 받아, 세계 환경 인식의 가장 중요한 위치에서 9주년을 맞이하였다. 금년에, 124 개국의 3천 8백만 이상의 사람들이 지구의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해 세계정화운동의 기치아래 참여하였다.한국의 환경 운동을 위하여, 세계 유산인 종묘 거리를 청소하는데 서울의 주한 호주

대사관이 참여한다. 호주정화운동, 세계정화운동의 다음 단계는 바로 이러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확대시키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널리 퍼지는 프로그램은 실용적인 환경정보와 기술, 해결방법에 접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인터넷을 통해서 우리가 직면한 많은 환경의

도전들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와 경험들을 공유하게 할 것이다. National Geographic Channels International의 지원이 이러한 발달을 가져왔다.

호주정화의 날과 같은 프로그램을 가진 호주정화운동과 세계정화운동은 호주의

44

Page 4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환경교육프로그램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발달을

촉진시킨다. 특히 주어진 주제에 관련된 환경자료를 제공하거나(여기서는 쓰레기와 그

영향), 사회가 지역의 행동을 취하고, 지역의 지원을 얻도록 안내하며, 자료를

지원하거나, 고무시키며, 학교교육자료를 학교의 교육과정 활동에 쉽게 통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을 종합해 보면, 호주정화의 날과 세계정화운동과 같은

환경교육프로그램은 모든 사람(지역사회, 산업과 정부, 비정부단체, 개인)이

환경교육에 참여하도록 한다. 또한 환경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환경의

도전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새로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며, 행동을 통해

사람들은 환경체계와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이해하며, 실질적인 환경 이익을 성취하기

위한 실용적인 기술을 발달시킨다. 그리고 환경교육의 노력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며, 환경이슈가 경제와 사회 이슈와 동등한 지위를 획득하게 한다.

모든 주체를 포함하고, 공동으로 책임을 지며,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달의 원칙을

강화하는 환경교육의 접근은 호주의 비정부 단체에 의해 운영되는 환경교육프로그램의

핵심 요소이다.

숲 체험교육의 사례

홍혜란 (생명의 숲 가꾸기 국민운동 사무처장)

1. 들어가며

숲을 생태계의 보고라 하기도 하고 좀더 문학적인 표현으로 생태적 자궁이라고도

부른다. 이런 찬사는 주요한 육상생태계가 숲이라는 공간에 크게 의지하고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숲을 체험하는 행위는 단지 나무들의 단순 집합이 아닌 다양한 생물종들이

어떻게 하나의 살아있는 계(界)를 이루며 생활하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이를 통해 체험 학습자는 생태적 감성을 기를 수 있고 이 감성은 자연환경 전체에

대한 의식적인 애정으로 승화될 수 있다. 현장체험 없는 학습에 의한 숲과 생태계에 대한 당위적인 보전의식의 강조는 효과가

반분될 뿐아니라 본질적으로 생태친화적인 교육이라 할 수도 없다. '무엇을 생태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접어두더라도 사람의 의식은 순의식적 동력에 의해 형성된다기

보다도 감성에 이끌리고 그것이 감동이 된 연후에야 이를 지식으로 나아가 이것들이

융합된 의식으로 형성되는 경로를 가지기 때문에 현장체험의 중요성은 절대적이다.

45

Page 4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불교적 사유에 기대 숲 체험학습의 중요성에 대해 부언하자면, 숲이야말로 '내가 순전한

나로서 살아지는 것이 아니라 나 아닌 여러 존재가 모여 나를 형성한다'는 불법의

진실을 드러내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자기'를 잃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자기회복의

성찰적 계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숲에서는 잣이나 상수리같은

참나무류에서 바닥을 기는 덩굴풀들까지 다 하나의 숲의 일원이며, 이들 사이에

깃들이어 사는 부엉이와 소쩍새와 지렁이와 개미와 여치와 사마귀까지 아니 숲의

부엽토 속에서 숲의 생태적 순환고리를 최종적으로 완성하는 미생물과 박테리아들까지

숲의 정당한 일원으로서 그들 모두가 모여 '숲'이라는 커다란 이름을 완성하는 것처럼, 사람 또한 손 자체가 사람이 아니고 발 자체가, 신장이 심장이, 위가 대장과 소장이

자체로 사람이 아니며 나아가 하나 하나의 세포가 사람이 아니다.아메바나 세균처럼 한 단위 세포가 생명일 수도 있지만 사람은 무수한 세포, 자기를

복제하고 재생산하는 생명의 구조 속에서 사람이다. 그 모든 낱낱의 세포들이 다 '나'라는 의식을 가지지 않는 덕에 다시 말해 합해서 더 큰 나를 위해 자기라는 의식을

죽여주는 덕에 사람이 된다. 스스로를 향해 이러한 생각을 하고 삶 앞에 겸허해지는

사람이 몇 있겠는가.그러나 숲은 우리에게 그러한 드러나지 않는 생명의 비의를 환하게 드러나는

가시적인 것으로 바꿔 보여준다. 흰가슴숲제비도 숲이며 그가 부리에 문 자벌레도

숲이고 물고 날다 앉은 가지도 숲이며 그가 쇠해 숲의 낙엽에 떨어질 때 그를 뜯는 삵도

숲이며 남겨진 뼈와 깃털을 분해하는 개미와 부식박테리아들도 숲이다. 이 커다란

순환고리 속에 적자생존의 참혹한 진실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숲이라는 계를

유지하기 위한 각 생물종들의 협업이 더욱 드러난다. 숲 생태교육은 그래서 생명의 활동을 배우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삶의 공부이다.

2. 우리나라 산림환경교육의 필요성과 전개

숲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생태계이며, 우리민족의 역사가 숨쉬는 곳이다.그러나 70년대 이후 산업화,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많은

숲이 파괴되었고 더불어서 자연과의 괴리감이 발생하게 되었다.산림환경교육은 이러한 과정들 속에서 나타난 생태맹을 극복하고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가치관을 정립하는 훈련의 장으로서도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우리나라에서 산림환경교육, 자연해설이 도입된 것은 1995년도를 전후하여

나타났다고 볼 수 있겠다.초기에 대학 또는 연구자 중심의 프로그램, 그리고 몇몇 환경단체의 자연탐사 등이

초기 산림환경교육으로 볼 수 있다. 이후 90년대 후반부터는 환경단체의 내부의 전문화와 더불어 생명의 숲과 같은

숲전문단체, 숲 해설을 하는 숲 해설가 단체가 탄생하였으며, 국립공원, 휴양림, 수목원

46

Page 4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등과 대학의 연습림에서도 산림환경교육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2000년대에는 좀

더 전문화, 세분화된 자연학교가 개교되기도 했고, 비정기적인 숲 속 학교가 진행되고

있다. 산림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자연과 친숙한 벗이 되어 자연과 인간과 공존하는 철학적

사고와 더불어 나무와 숲의 생태계를 이해하는 형식으로 진행이 된다.유형을 보면 첫째, 전문가(Interpreter)에 의한 숲 해설, 둘째 야외에서 진행하는

자연놀이와 수목관찰과 셋째, 기행 프로그램 넷째, 숲 캠프를 통한 장기간의 체험

프로그램 다섯째, 자원봉사를 겸한 임업체험 교육 등으로 진행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3. 숲체험학습, 생태교육의 진행현황 및 내용

⑴ 생명의 숲 교실

▶ 목 적 : 숲속에서 놀이를 통하여 어려서부터 자연의 소중함과 생명존중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대 상 : 초등학생

▶ 내 용 : 학년별로 진행하며, 계절별로 변하는 나무의 형태나 나무의 생활 알기

① 나무들의 특징/ 나무이름의 알기

② 나무들도 경쟁을 한답니다. ③ 나무들도 스트레스를 받을까요? ④ 나무의 심장소리를 들어 본적 있나요? ⑤ 피부로 숲을 직접 느껴보세요

⑥ 애벌레가 되어 볼까요? ⑦ 숲의 구조가 가진 의미

⑧ 산림토양의 의미

⑨ 숲속 소리지도 그리기

⑩ 나뭇잎 탁본 뜨기

⑪ 내 나무 찾기

⑫ 숲 속의 보물찾기

⑬ 우리 야생화 알기

⑵ 1일 현장체험

▶ 목 적 : 숲을 왜 가꾸어 주어야 하는지, 숲을 가꿔주면 어떠한 혜택이 있는지를

체험을 통하여 느끼도록 한다. ▶ 대 상 : 초등학생부터 일반인 모두

▶ 내 용 : 실제 숲 가꾸기를 체험하므로 숲 가꾸기의 필요성, 숲의 소중함을 직접

체험한다

47

Page 4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① 가지치기 체험

② 간벌을 통한 나이테 관찰

③ 숲 탐방(나무특성 알기. 숲의 구조 의미. 숲속 동물의 생활탐구)

⑶ 생명의 숲 기행

▶ 목 적 :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은 숲을 기행하면서 그 숲의 구조와 숲을

바라보는 방법, 숲이 가진 다양성 등을 통하여 숲의 중요성과 숲가꾸기의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알고 느끼도록 한다. ▶ 대 상 : 초등학생부터 일반인 모두

▶ 내 용 : ① 찾아갈 숲에 대한 산림형태 설명(인공림, 천연림 구분) ② 많이 분포하고 있는 나무의 특성과 그 이유설명

③ 그 숲의 지형에 대한 설명

④ 인근에 있는 숲과 관련 있는 문화와 문화재 설명

⑷ 생명의 숲 캠프

▶ 목 적 : 숲 속에서 생활하면서 숲속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가까이에서

관찰함으로써 자신이 직접 자연과 하나되는 체험을 하여 자연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대 상 : 초등학생

▶ 내용 : ① 산림욕이란? ② 자연놀이

- 풀피리 불기

- 맨발로 걷기와 계곡물에 발 담그기

- 굴참나무 껍질로 분장하기

- 살구씨로 새소리 내기

- 왕관 만들기

③ 숲 가꾸기 산물을 이용한 목가공품 만들기

④ 미래로 보내는 편지 쓰기

⑸ 다음세대를 위하여 나무심기

▶ 목 적 : 우리와 우리의 다음세대를 위하여 나무를 심고 가꾸어 숲을 조성한다. ▶ 대 상 : 관심 있는 사람 모두다

▶ 내 용 : 장소를 선택하여 그곳에 적합한 수종을 선택하여 나무를 심고 가꾼다. ① 장소선택(나무심기가 필요한가?) ② 숲의 기능(어떤 숲으로 만들 것인가?) ③ 수종 선택

48

Page 4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④ 나무심기(봄철) ⑤ 나무 가꾸기(여름방학)/ 풀베기, 덩굴제거

⑥ 나무 가꾸기(가을 ) / 겨울나기 준비/ 비료주기 등

⑹ 대학생 산촌봉사활동

▶ 목 적 : 숲의 생태적 관리를 통한 풍요로운 산촌 만들기와 산촌과 도시민 교류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직접 숲가꾸기를 체험함으로써 숲의 중요성을 깨닫도록 한다. ▶ 대 상 : 대학생

▶ 내 용 : ① 숲 가꾸기 체험: 솎아베기, 가지치기, 덩굴제거, 풀베기 등

② 숲 가꾸기 산물 만들기 : 숲가꾸기의 산물을 우드칲, 톱밥 등을 만들어

퇴비로 전환하는 체험. ③ 숲과 생명에 대한 강연 및 토론

④ 산촌주민 일손 돕기

⑺ 학교 숲 가꾸기

▶ 목 적 : 학교 내에 나무를 심고 숲을 조성함으로써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푸른

자연의 공간에서 생명의 소중함,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면서 자랄 수 있도록 하며

숲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 지역주민, 동창들이

참여를 하여 지역 사회의 유대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대 상 : 초, 중, 고등학교

▶ 내 용 : ① 초기단계: 전체 학교 구성원과 학교 숲 가꾸기의 필요성과 개념을

공유하여 운영그룹을 구성하고 조직한다.② 조사, 발전단계: 학교 옥외환경에는 무엇이 있고,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관리되는지 등의 학교 현황조사를 한다.③ 실행단계: 학교 옥외환경에 개선하고자 하는 학교 숲에 대한 계획안을

마련하고 계획안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자원과 물적자원 등의

요소와 역할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학교 구성원과 지역구성원들의

역할분담을 통하여 학교 숲 가꾸기 활동을 실행한다.④ 활용·관리단계: 학교 숲을 활용한 교육활동과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단계. 특히 학교 숲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보완할

계획도 함께 모색한다.학교구성원과 지역 구성원들의 연계를 통하여 학교 숲 가꾸기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평가하는 활동도 구체적으로 실시한다.

3. 마치며

49

Page 5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자연, 특히 자연의 생명활동을 집약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숲의 체험학습은 다양한

성격을 가지고 또한 다양한 성장과정을 거치며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그들의 다양성이

개별성에 그치지 않고 함께 사는 삶으로서 상호 존중받아야 할 것이라는 깨우침을 줄 수

있다. 생명에 대한 존중심을 일깨우는 숲 체험교육은 가장 먼저 체험자의 감성을

동화시키고 이 감동의 동조를 통해 자연과 생명에 대한 체험자의 의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숲 자체가 가지는 여러 가지 환경 공익적 효과와 역할은 이러한 생명외경에 대한

체험자의 각성이라는 점에 비추어 보면 차라리 작은 것이다.산림(숲)체험 교육이 우리나라에서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또한 아직 숲 체험교육을 시민단체에서 전담하고 있다. 앞으로 숲 체험교육을 더욱

전문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관련 학문들 사이의 학제간 연구를 통해 더욱 풍부해지고

이들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더욱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연구와, 프로그램과 그 실행이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했으면 한다. 이는

민간단체의 숲 체험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해 왔던 필자의 경험을 통해 정리된 것이다.

① 교육참여자의 수준에 따른 콘텐츠와 교육법의 다양화

② 숲 체험교육자(지도교사)의 절대 부족-교육자를 기르는 전문과정의 신설이 긴급하다

③ 전문성을 가지되 다양한 수준을 가진 교육참여자에게 맞는 교재의 다양화

④ 가장 중요한 것으로, 숲 체험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교육장소의 확보와

이를 보호 육성하는 프로그램의 전국적인 확대이다.

야생동물과 함께 사는 길- 설악산 야생동물을 위한 환경교육 -

50

Page 5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박그림 (산양의 동무 작은 뿔 대표)

야생동물을 위한 일이 왜 필요한가?

설악산은 아름답다고 말한다. 아름답다는 것은 살아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살아 있다는 것은 산을 이루고

있는 나무와 숲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뭍짐승들이 있기 때문에 살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설악산은 우리들이 보고 싶어 하는 호랑이나 반달곰이 어슬렁거리고 산양이 뛰어 노는

살아 있는 산일까? 그렇지 않다면 우리와 더불어 살아가야 할 짐승들은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그들과 우리는 함께 살아갈 수 없는 것일까?

1970년 말까지만 해도 설악산을 오르면서 바위산을 오르는 산양을 가끔씩 볼 수

있었다. 먼발치에서 산양을 보고 느끼는 벅찬 감동을 지금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산은 늘 살아서 움직였고 그 속에 들어 청정한 자연의 아름다움과 계곡을 가로지르는

야생동물의 모습은 삶을 풍요롭게 해주었다.

2001년 설악산은 지치고 병들어 누웠다. 많은 탐방객들로 골골이 사람들의 발길이

미치고 야생동물이 살아갈 땅은 좁아졌다. 야생동물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기회는

적어졌고 우리들의 삶도 삭막하게 바뀌고 있다. 더구나 도회지 아이들은 가까이에서

야생동물을 볼 수도 없을 뿐 아니라 배설물이나 발자국 등 흔적조차 보기 어려운 가운데

야생동물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거나 사랑을 이야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야생동물의 발자국을 좇고 배설물을 만져 보고 그들이 누웠던 곳에 누워 봄으로서

동물을 이해하고 사랑하고 보호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게 될 것이다. 그 일은

우리들이 야생동물과 더불어 살아가야 함을 깨우쳐주는 일이다.

“살아있는 생물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것은 인류가 지닌 가장 고귀한 자질과 열망에

대한 사랑과 존중에서 솟아나온다. 세계의 야생동물을 구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동물 애호가에서부터 동식물 연구자, 과학자, 운동선수 또는 단순히

선의와 공공심을 지닌 사람들까지도 모두 함께 협력해서 효과적으로 노력해야만 한다. 단결하면 세계의 야생동물을 구해낼 수 있고 또 구할 것이다. 그러나 분열된다면 영원히

이를 잃어버릴지도 모른다.” -1962년 세계야생동물헌장에서-

어떻게 가까이 갈 수 있을까?

51

Page 5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야생동물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일은 힘들고 어렵다. 마음가짐에서부터 움직임

하나까지 야생동물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이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관심의 정도가 다른 사람들을 상대로 현장체험을

통해 야생동물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우리들도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한

부분으로서 우리들의 역할을 깨닫게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깨달음은 더불어

살아가야 함을 알게 되고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요함을 알게 되는 것이다. 설악산에 도착해서 떠날 때까지 함께하는 일들은 야생동물의 발자취를 따라 흔적을

찾고 흔적을 통해서 야생동물의 세계 속으로 빠져드는 일이다.

* 동물의 세계 들여다보기

+ 설악산 도착 - 저녁 무렵

+ 동물의 세계는 어떤 곳인가? - 생태계 이야기

+ 야생동물의 모습과 사는 곳에 대한 슬라이드 보고 이야기하기

+ 두려움의 대상인 어둠과 친해지기

- 어둠 속에서 움직이는 동물들의 소리 듣기

- 움직임 들여다보기

+ 동물과 가까이 하려면? - 소리 안내기

- 냄새 안피우기

* 발자취를 따라서

+ 야생동물의 발자취를 찾아 산속으로 들어가기

+ 다니는 길과 발자국 찾기

- 어떤 길로 다니는가? = 늘 다니던 길로 다니는 까닭은 무엇일까? = 동물에 따라 다니는 길의 특징은 무엇일까? - 어떤 동물의 발자국인가? = 발자국의 특징과 모양에 따른 구분

= 발자국이 찍혔을 때 동물은 어떤 행동을 하고 있었을까? + 똥을 찾았다

- 어떤 모양의 똥인가? = 크기와 색깔, 모양으로 나눈다

- 어떤 먹이를 먹었는가?

52

Page 5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 육식성, 식물성, 잡식성인가? - 어디에 누었는가? = 바위 위에, 나무 위에, 길에, - 얼만큼인가? = 한 무더기의 크기와 갯수

- 언제 누었는가?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바뀌는가? + 잠자리, 쉼터에서 잘 쉬었니? - 어디에? = 바위 밑, 나무 밑 등

- 크기는? - 주변의 모습은? - 얼마나 드나들고 있는가? + 내 땅이야

- 영역 표시는 어떤 방법으로 하는가? + 먹이를 먹었네

- 풀이 뜯긴 모양을 보고

- 동물의 털을 보고

* 야생동물을 그리워 하면서

+ 야생동물을 쉽게 볼 수 없는 것은? - 사는 곳이 좁다

- 보신을 위한 밀렵

+ 야생동물과 더불어 살기 위한 방법은? - 생명에 대한 외경심

- 야생동물의 삶에 알맞는 보존대책 세우기

* 나만의 세계 속에서 벗어나기

+ 나는 생태계에서 어떤 자리에 있는가? + 앞으로 내가 해야 할 일은?

이런 어려움을 안고서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사는 야생동물의 삶은 위협으로부터 목숨을 이어가야 하는

53

Page 5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일이기 때문에 모든 것에 조심스럽다. 특히 소리와 냄새는 그들을 쉽게 자극해서 멀리

떠나게 만든다. 이런 야생동물의 생태를 알면서 그들에게 가까이 가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 적은 사람만 갈 수 있다. + 한번에 10명을 넘지 않아야 하는 일

+ 소리와 냄새를 없애는 일

+ 가장 단순한 차림이어야 하는 일

* 가끔씩 갈 수 밖에 없다

+ 우리들이 한번 다녀간 곳에는 1-2 달쯤 지나서 다시 오기도 하지만 아주 떠나

버리는 때가 있기 때문이다. + 여러 곳을 볼 수 없으며 한곳도 자주 갈 수가 없다. + 짝짓기 때나 새끼 낳는 때에는 갈 수 없다. * 야생동물에 관한 자료가 없다

+ 포유동물에 관한 자료가 모자라 충분한 준비가 어렵다. + 족적도감이나 야생동물에 관한 도감이 모자랄뿐 아니라 있는 것조차도 가지고

다니기에 불편하고 내용이 전문용어로 쓰여져 일반인들이 보기에 알맞지 않다. + 야생동물의 중요성을 알리는 홍보물이 없어 일반인들의 관심이 적다. * 모든 길은 등산로다

+ 야생동물들이 사는 곳이 날이 갈수록 줄어 들고 있다. + 깊은 산 험한 곳에 살고 있어 쉽게 다가갈 수 없고 위험 부담이 크다. + 여러 날 숨어서 기다려도 볼 수 없을 만큼 야생동물의 수가 적다. + 밀렵꾼이 쳐놓은 올무에 내가 걸리기도 한다. 날 잡아가라.

이 일을 하면서 희망을 본다. 야생동물의 뒤를 좇으면서 발자국을 볼 때마다, 똥을 만져 볼 때마다, 잠자리에 누워 볼

때마다 눈동자는 호기심으로 가득차고 가슴은 고동친다. 그 녀석들의 모습을

떠올리면서 입가에 미소를 떠올리기도 한다. 참가자들이 느끼는 마음이다. 힘들어

뒤쳐지던 사람들도 가까이 다가서고 작은 소리로 물어본다. “무슨 발자국이에요?” 바로

이 질문을 통해서 야생동물과 더불어 살아가는 새로운 세상을 본다.

54

Page 5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한번의 체험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체험을 통해 얻은 느낌들을 삶 속에서 풀어 내고

소박하고 단순한 생태적인 삶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까지 우리들이 할 일은

많다. 모자라는 것은 채우고 넘치는 것은 나누어서 서로가 서로를 위해 가슴을 열고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 때 야생동물도 우리 곁으로 돌아오지 않겠는가.

일본 환경교육 활동 동향- 환경교육 세미나를 위한 짧은 논문

오사무 아베 (일본 사이타마 대학 교수)

55

Page 5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IGES에 대한 정보

지구 환경 전략 연구소(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IGES)는

1998년 4월 1일에 설립되었으나 IGES에 대한 아이디어는 1995년에 수상직속 특별

위원회(Special Council to the Prime Minister)에 의해 제기되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위한 환경 정책 연구소를 세우기 위한 제안이 수상인 토미치 무라야마에게

제출되어 그의 주도하에 IGES를 설립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1997년에

준비기구가 설립되었고 1998년에 현 기구가 조직되었다. 하야마의 국제 마을은 약 30명의 연구자와 20명의 직원을 갖추고 있다. 그들 중 연구자와 직원의 절반은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온 외국인 연구자들이다.

현재 IGES는 6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기후 정책(Climate Policy) 프로젝트이다. 지구 온난화 이슈는 국제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이다. 현재 COP31에서 결정된 교토 메커니즘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CP 프로젝트가

열심히 진행되고 있으며 동시에, IGES는 지구온난화 가스 방출을 줄이기 위한 장기

전략도 진행하려고 한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도시 환경 (Urban Environmental, UE) 프로젝트이다. UE 프로젝트는 중국과 한국의 도시에서 현장 연구를 실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에서의 환경 관리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세 번째 프로젝트는 산림보존(Forest Conservation, FC) 프로젝트이다. FC 프로젝트 또한 현장 연구를 실행하며 동남아시아국가에서 국제

회의와 워크샵을 개최하고 있다. 이것은 인도네시아와 라오스(Lao P.D.R)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이미 실행되어 왔다. 산림보존에 있어서 국제 협력에

대한 정책을 제안하도록 기대되고 있다. 네 번째 프로젝트는 이 회의의 주제인 환경교육

프로젝트이다. 다섯번째는 사업(business)과 환경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2001년 4월에 시작되었다. 사업 분야의 활동이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업 순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평가는 또한

수행되어야 할 연구 분야이다. 이 분야는 매우 유망해서 아시아 사업체를 위한 몇 가지

계획과 구체적인 결과를 내놓을 것이다. 이상의 다섯 가지 프로젝트와 달리 IGES는

또한 장기적 정책 통합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정책결정자를 위한 혁신적인

정책 권고를 위하여 장기적인 관점의 횡단적 접근을 통해 21세기의 환경 쟁점을

제기하는 방법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환경교육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나는 환경교육 프로젝트가 가장

중요하다고 믿는다.환경교육에 대한 연구와 전략이 얼마나 중요한 지에 대한 설명을 할 필요는 없다.

1

56

Page 5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일본 정부는 일본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환경교육 계획을 개발하는데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미국과 일본의 공동 의제에 따라, 일본 정부는 인도네시아에서

환경교육에 관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통합학습시간은 각각의 학교가 특색있는 교육을 발전시키고, 특히 환경 이슈에

있어서 간학문적이고 종합적인 교수 활동을 하는데 노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환경과 에너지 이슈에 대한 아이들의 이해가 깊어지고 아이들이 환경에

대한 존중감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기회가 주어진다. 아이들은 환경을 보전하고 환경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능력과 실천적인 마음가짐을 갖도록

장려된다. 그러므로 문제 해결 학습과 직접 부딪혀서 배우는 것이 강조된다. 지역의

실제 상황을 고려할 때, 환경교육은 통합학습시간뿐만 아니라 관련 수업시간에도

강화될 것이다.

통합학습시간은 아이들이 스스로 문제를 발견해내고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는 능력과

가능성 을 발달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간학문적이고 종합적인 학습은 각 학교의 노력을

반영하고 있고, 아이들의 흥미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통합학습시간은 또한 아이들이 문제 해결활동이나 조사활동을 잘

하기 위하여 창의적이고 독립적으로 배우고,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신의 삶의 방식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각 수업에서 얻는

지식과 기능은 서로 관련이 되어 있어서 통합학습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을 통해

아이들은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고 이것은 아이들에게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각 학교는 통합학습시간을 위한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학습활동은 과목에 따라 짜여진 과업과 활동으로부터 시작하여 발전될 것이다. 내용은 간학문적이고 종합적이며 국제 이해, 정보, 환경, 복지, 건강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용은 아이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지역사회와 학교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초등학교 학생들이 외국어 회화 수업을 할 때, 학습활동은 그들의 나이에 맞는 적절한

hands-on 활동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아이들은 외국어에 노출되면서 외국의

생활과 문화에 친숙해질 수 있다. 통합수업시간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서, 고등학교는

학생들이 자신의 삶의 방식과 미래의 계획을 스스로 조사하고 정하기 위한 지식과

기능을 조합하고 심화시키는 활동을 고려해야 한다. 초등학교에서 3학년 이상 학생들은 매년 105-110 시간이, 중등학교에서는 70시간

이상이 통합교육시간으로 할당될 것이다. 고등학교에서는 총 105-210학점이

57

Page 5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학생들에게 제공될 것이다.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의 조직과 활동

오창길 (인천성리초교 교사, 환경을 생각하는 교사모임)

1. 모임의 방향과 조직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은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에 남달리 관심을 가지고 있는

58

Page 5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전국 각 지역 교사들의 자발적인 네트워크로서, 21세기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보다

근본적인 교육적 접근으로서 생태론적인 교육(녹색교육)의 필요성을 널리 인식시키기

위해 애쓰고 있다. 각 지역모임을 중심으로 다양한 모습의 환경(녹색)교육을 실천하고

있으며, 그러한 실천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고 확산시키기 위하여 자료의 제작과 보급을

통하여 생태론적인 환경교육의 다양한 방법을 확산시키고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의 환경문제를 주제로 다양한 연수,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교사들에게

지역사회에서의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환경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시키는 한편, 지역사회의 생태, 환경을 소재로 한 학생대상의 다양한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하였다. 또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당면

환경현안에 대하여 전국 교사들의 사회적 실천을 이끌어 냄으로써 교사들의

환경교육의 실천 영역을 사회적 운동의 영역으로 폭넓게 확장하였다.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은 96년 6차 교육과정에서 환경과목의 개설, 학교의

환경부서의 설치 등으로 학교환경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조건을 맞이한 가운데

교육행정주도의 환경교육이 지닐 수 있는 교육내용과 방법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환경교육의 현장성을 강화하는 한편, 내용을 보다 풍부히 하고 보완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아래로부터 자발적 교사 네트워크를 구성하였고, 환경과목의 신설로 자칫

학교환경교육이 특정 교과로 협소화될 수 있는 위험성을 극복하고 환경교육이 통합

교과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모든 교과 담당 교사들을 환경교육의 주체로 폭넓게

조직화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자칫 환경교육의 과학기술적 접근이 지닐 수 있는

피상적이고 공리주의적인 성격에서 벗어나 보다 생태론적인 교육론을 확립하기 위하여

회지인 계간 “녹색교육”을 통하여 이론적인 문제제기와 구체적인 방법론을 확산시켰다.91년부터 하계, 동계 방학을 이용하여 8 차례의 전국적인 연수(전교조 참실연수

환경분과)를 개최하면서 네트워크화되었고, 95년 1월 15일 부산에서 13개 지역의

대표와 50여명의 회원들이 모여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을 출범시켰다. 현재 서울, 인천, 대구, 부산, 울산, 광주, 전북, 수원, 안산, 마산, 여수, 해남, 홍성,

속초, 장흥, 총 21개 지역에서 1000여명의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다.1999년 제2회 교보환경문화상 환경교육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 모임의 활동

1) 학교 환경교육의 활성화 : 환경반 운영, 친환경적인 학급 운영, 학교 행사를 통한 환경교육(알뜰시장, 쓰레기

분리수거, 환경의 날 행사 등), 학교 조경 공간을 이용한 환경교육(나무,풀 이름표

붙여주기, 텃밭가꾸기, 식물 관찰, 학교생물도감 만들기 등)을 각 학교에서 실천하고

있으며, 각 지역 모임에서 지원하고 있음

59

Page 6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2) 교사와 학생 대상 생태학습(탐사, 기행, 견학 등)

3) 전국 환경교육 연수실시

- <낙동강 하구댐과 을숙도의 환경문제>, 95. 1.13-15, 부산

- <영종도 갯벌 매립과 환경문제>, 95. 8. 4-6, 인천

- <지역사회의 문화와 환경, 환경교육운동의 모색>, 95. 12.26-28, 해남

- <우포늪의 생태와 지역환경운동>, 96.8.3-5, 경남 창녕 우포늪

- <동해안 석호개발과 환경문제>, 96.12.26-28, 강원 속초

- <공단지역의 환경문제>, 97.7.26-28, 울산

- <대도시의 환경문제, 도시하천 탐사>, 97.12.27-29, 서울 - <생명농업과 함께(유기농업의 현장을 찾아서)>, 98.8.4-6, 충남 홍성

- <나무와 숲에 관한 환경교육, 자연하천(수원천) 탐사>, 98.12.26-28, 수원

- <해양생태계 보전과 환경교육>, 99.8.10-12, 전남 여수

- <환경친화적인 주거문화와 녹색교육>99.12.27-29 전남 담양

- <상족암 일원의 해양생태계 수중체험활동> 2000.7.26-28 경남 고성

- <새만금 간척사업과 갯벌 생태계> 2000.12.26 - 28 전북 부안

- <생태 농업과 마을 공동체> 2001. 8. 13-15 충남 홍성

4)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자료집 발간 : 가. 초, 중, 고 환경반 운영 프로그램개발

생명의 숨결되살리는 녹색교실 ( 내일을 여는 책, 1996)초등 환경반 운영을 위한 자료집 (인천)‘통합교과적 접근에 의한 중등 환경반 운영 자료집’ (서울) ‘환경반 운영자료집’(광주)

나. 각종 생태학습 프로그램등을 개발

다. 자료의 공유

홈페이지( http://konect.ktu.or.kr/)운영

5) 회지 발간 : 계간 ‘녹색교육’ 2500부 발행(현재 통권 34호 발간)

6)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인 실천

환경교육의 실천이 지역사회의 환경사안과 결합되어 실천될 때 환경교육의 의의를

더욱 살릴 수 있다고 보고 지역사회의 쟁점이 되고 있는 환경사안에 대해, 미래에

대한 권리를 지니고 있는 학생들과 함께 운동적 차원에서 노력을 전개해 나가고

있으며 당면한 환경현안에 대한 교사들의 사회적 실천을 이끌어 냄으로써 환경교육의

60

Page 6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실천 지평을 확대하였다. - <우유병 살리기 운동>- <동강댐 건설, 새만금 간척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전국 교사 1만인 선언>,

99.6.4 , 전국교사 1만 2천 630명 참가

- <새만금 간척사업에 1천인 교사 선언>, 99. 4.12 전주 환경운동연합, 전국교사 2130명 참가

- <도시 하천 살리기 주민 참여 캠페인> : 96. 9월 - 11월, 서울YMCA와 공동주관

- <청초호 되살리기 운동> : 94년 9월 - 96년 9월, 청초호 되살리기 시민모임

결성, 참여

- <해남 겨울철새도래지 보존운동> : 98년-99년 원전후보지 해제 운동 참여

- <무등산 운림 온천 건설 반대운동> : 99년

- ‘부산의 낙동강살리기 보존운동’ 2000-20001년

8) 지역 환경단체 및 사회단체연대 및 지원: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습지와 새들의 친구, 카톨릭환경연대, 환경정의시민연대, 습지보전연대회의, YMCA, YWCA와 연대 하여 환경단체의 활성화에 기여

9) 조사활동

98-2000년에 걸쳐 임진강에서 낙동강 하구까지 한국의 습지 현장방문과 조사활동을

펼침

10) 국제교류활동

수원 모임- 1998년 일본과 미국의 환경시설 및 환경교육 현장 견학

인천과 서울 모임- 2000년 스위스와 독일의 숲 갯벌교육현장 견학

부산과 마산모임- 일본 환경교육현장 견학

환경운동연합의 환경교육 활동

주선희 (환경교육센터 부장)

봄에 씨를 심어, 여름의 더위와 어려움을 견디고, 가을이면 열매를 맺고 그리고

겨울이면 다시 봄을 준비하고 이런 자연의 순환처럼 모든 것에는 시작과 과정과 끝이

있고 그 끝은 다시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과정일 것이다.

61

Page 6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자연의 순환에 비교해보면 환경운동연합의 교육은 지금 어디쯤에 있는 것일까?

공해추방운동연합의 배움마당으로부터 시작해서 현재의 환경교육센터라는 부설(전문)기관으로까지 성장했다고 할 수 있겠다. 공해추방운동연합의 배움마당은 88년부터 92년 환경운동연합이 되기까지 일년에 2회 성인과 대학생들을 주 대상층으로

교육이 이루어 졌다. 환경운동연합에서 지금까지도 활동하시는 선배님들이 계시며, 이

때에는 공해에 대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과 함께 활동가들을 배출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었다. 교육의 내용은 환경이나 공해 문제의 현황을 알리고 공해가 심한 지역의

현장을 찾아가 보는 등 환경문제의 심각성 등을 알리는 것이 교육의 주 내용을

이루었다.

1993년 4월 환경운동연합이 태어나고 그 이후의 교육활동도 많은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환경운동연합은 시민환경학교라는 제도를 만들고 모든 교육 프로그램은

시민환경학교라는 틀 안에서 다시 분야별로 진행하는 것으로 제도화 시켜나갔다. 이때의 교육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민환경학교와 수요환경교실 그리고

일반인과 함께 대학생들을 주대상층으로 한 환경전문강좌가 있었으며, 그 외에도

여성환경교실 그리고 어린이환경교실 등의 교육 프로그램이 있었다. 그 중 시민환경학교 교육내용은 환경문제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었으며,

이론교육을 중심으로 환경 일반 총론, 현장학습, 분야별 학습으로 진행되는 강좌로

환경문제의 폭넓은 이해와 당면하고 있는 환경의 문제점을 현실적인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학습의 장의 구실을 하였다. 시민환경학교와 수요환경교실은

교육일정에 있어 조금 차이가 있게 진행된 것 말고는 크게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시민환경학교는 일주일에 2회, 수요환경교실은 매주 수요일에 진행되었다.

시민환경학교 1997년 17기라는 이름으로 막을 내렸다. 약 2년정도 수강자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진행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받으면서도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와 사람들의 관심은 다양화되고 깊어지는데, 교육의 내용이

기초적인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 관심분야별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대안을 생각하면서 막을 내린 시민환경학교의 17기 프로그램과

운영계획안 등을 남아 있는 자료를 기초로 별첨자료로 정리해 보았다.

시민환경학교와 함께 환경운동연합의 교육 프로그램 중 성인 대상 교육으로

대표적인 것을 꼽으라 한다면 환경전문강좌를 꼽을 수 있다. 환경전문강좌는 1주일에 1회(주로 월요일에) 진행되었다. 시민환경학교가 환경문제의 일반적 내용을 다루었다면

전문강좌는 조금 더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전문강좌는

당시 송상용(한림대 인문대학장)교수가 시민환경대학의 학장을 맡고 계셨고, 대부분의

기획과 섭외 등에서 많은 도움을 주셨다. 각 교육의 제목은 환경과 화학, 환경과 문학,

62

Page 6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환경과 경제 등이 있었다. 시민환경대학의 그 외 교육프로그램으로는 14기 이상 진행된 여성환경교육과

노인환경대학 등도 있었다. 여성환경교육은 주로 전업 주부들은 일반인들과 활동할 수

있는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평일 오전시간에 진행되었고, 교육 내용은 남성들에 비해

여성들이 더 관심을 갖는 주제로 먹거리, 쓰레기, 아이들이나 가족들과 할 수 있는

실천꺼리들이 교육내용의 주를 이루었다.1994년부터 환경운동연합의 교육은 내용과 형식의 면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갖는다.

그리고 그 계기는 어린이 교육의 다양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 교육

전담자의 채용과 함께 주말환경학교, 방학 때면 여름에는 2회 겨울과 봄방학 때는 각각

1회 씩의 캠프를 2박3일이나 3박4일 등의 일정으로 진행되었다. 서울 어린이 회원들을 위해 어린이 소식지 “푸름이”를 만들기 시작했고, 모든

교육프로그램를 거쳐간 어린이들은 회원을 가입하게 함으로 94년 초 약 180여명이던

어린이 회원이 2001년 8월 현재(회비를 계속 잘 내는 회원) 약 천 여명의 회원으로

성장하였으며, 푸름이 기자단이라는 이름으로 활동도 하고 있다.

2000년 환경운동연합의 교육 사업은 다양한 시민참여활동과 교육센터로 분화된다. 이것은 단지 분리라는 기계적의미가 아니라 교육의 위상을 환경교육센터라는 이름의

전문기관으로 부설기관화함으로써 사업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였다.교육의 내용은 월 1회 이상의 현장교육과 방학 중의 캠프 그리고 외부의뢰 교육의

기획과 진행 등과 시민참여팀에서의 교육은 주말농장과 전문 강좌인 에코가이드 교육

그리고 월 1회 정도의 현장교육과 방학 중에 이루어지는 캠프 등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2001년 하반기부터는 생태교육관 견학과 체험교육으로 상시교육을 마련할 계획에

있다. 1990년대 후반기 이후 그 전의 교육 사업과 비교해볼 때, 교육의 내용과 대상에 있어

다양화 되었고, 아동이나 가족 중심의 현장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교육 장소는

실내교육 보다는 실외교육으로 그리고 파괴된 자연환경과 오염된 곳을 돌아 보는

현장교육에서 일종의 생태기행이나 나무와 곤충, 야생화 탐사, 갯벌 탐사 등의 현장

교육의 형태를 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그 전에는 몇 회 이상 이어지는 지속적인

교육이었다면, 지금은 프로그램마다 소식지나 광고를 통해 참가자를 모집해서

진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체적인 변화를 본다면 프로그램이나 대상층이 다양화 되었고, 교재나 교구개발을

위해 미약하지만 힘을 쏟고 있고, 외부 프로젝트나 사업의 진행 등도 꾸준히 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분야의 교육은 각 분야별로 구성되어있는 담당팀이나 다른 부설기관

또는 전문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다. 일례로 에너지에 관한 교육은 에너지 대안센터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활동가

재교육의 차원에서 매 주 1회 진행하는 활동가 교육은 시민환경연구소에서 담당하고

63

Page 6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있다. 각각의 분야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내고 전문영역별로 교육을 진행한다는 것은

바람직한 변화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앞으로 교육센터와 함께 각 활동영역별로 함께 고민해야할 것 중의 하나는

전문 영역별로 전문적인 교육을 진행하고 프로그램화 시켜내는 것과 함께

아마데미컬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의 생산을 위해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별첨 1 "제 17기 시민환경학교" 운영계획안

1.사 업 명 : 제 17기 시민환경학교

2.목 적 : 환경문제의 폭넓은 이해와 당면하고 있는 환경의 문제점을 현실적인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3.기 간 : 1997년 1월7일(화)-1월28일(화)(매주 월·화요일,현장교육(일),총8회)

4.강의시간 : 오후 7:00-8:30까지 각 강의당 90분

5.교육장소 : 환경운동연합 교육관

6.참석예상 : 40여 명

7.교육 프로그램(교육안 일정)

64

Page 6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제 17기 시민환경학교" 교육안

(교육내용 및 강사)횟수 날짜 주 제 강 사

제1주(1. 7) 21C를 준비하는 환경운동의 정책과 방향 최 열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제2주(1. 9) 물속생물로 알아보는 수질조사 방법

;slide 상영

류 창 희

(마당생태연구소 소장) 제3주(1.14) 지역주민 운동의 사례

;쓰레기 정책의 문제점

이 대 수

(군포 지역사회 연구소 소장) 제4주(1.16) 마지막 보고, 신비로운 갯벌의 모습

;slide 상영

최 예 용

(환경운동연합 조직국장) 제5주(1.21) 환경보전과 생태관광 이 광 희

(관광개발연구소 실장) 제6주(1.23)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 대안 이 항 규

(EUPEC동아시아 지사장) 제7주(1.26) 현장답사(일요일)

:산림생태조사

이 경 재

(서울 시립대학교 교수) 제8주(1.28) 법과 환경 오 세 훈

(시민 법률상담 실장)

*별첨 2

▶재생가능에너지 시민강좌

에너지대안센터에서 재생가능에너지 시민강좌를 열고 있습니다.2001 년 7 월 27 일부터 12 월 28 일까지, 매월 마지막 금요일 오후 7 시, 대학로 방송통신대에서 재생가능에너지와 지속가능한 에너지미래에 대한 강좌가 있습니다. (아래 표 참조)많이 오셔서 좋은 강좌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날짜 주제 시간

7월27일 에너지위기,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오후7시

65

Page 6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8월31일 태양광발전 : 지붕만 덮어도 핵발전 필요없다 오후7시

9월28일 태양열로 난방과 온수를 해결한다 오후7시

10월26일 풍력, 빠르게 확대되는 재생가능에너지 오후7시

11월30일 수력, 바이오매스, 지열, 연료전지 오후7시

12월28일 미리가 본 에너지미래 오후7시

*별첨 3활동가 교육 프로그램

1) 활동가 교육의 목적

○ 현재 진행중인 활동에 전문성을 부여하고, ○ 체계화된 이론과 효율적인 실무능력을 배양하여 환경운동에 차원 높은 비전을

제시함

2) 교육기간

○ 2001년 4월 26일(목) - 2001년 12월 14일(목) ○ 주 1회 실시 (전체 23강)

3) 교육 시간 장소

○ 매주 목요일 오전 8:00 ∼ 9:30분

○ 장소 : 강당

4) 교육전담 부서

○ 이론 교육과 관계 실무 : 시민환경연구소

○ 실무교육 : 운영처 총무팀

* 교육 내용에 따라 해당활동부서의 협력을 요구

5) 평가 방법 및 평가의 효과

○ 출석, 리포트, 수업참여

○ 올부터 실시되는 활동가에 대한 평가제도에 점수반영

6) 교육 내용 및 일정

분야 주제 일시

생태학 기초 System 이론 4. 26

66

Page 6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에너지 대사와 물질순환 5. 3개체군 생태학 5. 10보전 생태학 5. 17

특강 살아있는것은 모두가 아름답다 5. 24실무교육 리더십 교육 5. 31현장견학 한국유리 6. 7

환경법 관련 국내 환경법과 소송 절차 6. 14입법 운동, 국제 협약 등 6. 21

실무교육 문서작성 요령 6. 28특강 대안 에너지 7. 5

도시계획 및

지방자치

국토관리의 실태와 과제 7. 19지속가능한 도시발전 전략 7. 26

토지이용규제의 현황과 문제점 8. 2성공적인 도시계획 사례 발표 8. 9

환경독성학 환경호르몬 8. 23위해성 평가 방법 8. 30

실무교육 재정과 회계 9. 6특강 최열 총장 9. 13특강 인터넷과 사회운동 9. 27

전체토론 마음의 벽을 허물고 10. 4평가와 시상 10. 11

영문

67

Page 6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ENGLISH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spects and Status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Date : September 7, Friday, 2001Venue :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Office Building,

68

Page 6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Small Conference RoomConvenor :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KFEM)/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Sponsor : / The Hankook Ilbo International Cooperative Org. : Australia-Korea Foundation/

The British Council/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Japan

1. Misson Statement

- Following the Rio Summit on Development and Environment in 1992, there has been a

growing understanding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promoting

environmental awareness among youth, women, labor unions, farmers, indigenous

peoples and the general community. Throughout the world, environmental education is

regard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an increasingly

diverse ran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re being designed and implemented.

- With this in mind, the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hosts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education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s, students and the public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Participants will discuss case studies presented by a wide range of environmental

experts and will explor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Korea and

the world.

2. Objectives

- To overview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organized by Korean environmental

organizations

- To exchange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hrough contacts made

with foreign institutes or groups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quality programs

-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s, students and organizations to keep up to

date with advances in the field and to strengthen international networks.

69

Page 7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3. Program

09:00-09:30 Registration

09:30-09:50 Opening Ceremony

Moderator : Ms. Kim Hye-jeong (Vice-Secretary General, KFEM)

Opening Speech : Dr. Lee Sang-gon

(Chairman of International Cooperative Committee, KFEM)

Congratulatory Remarks: Dr. Kim Myung-ja (Minister of Environment)

09:50-10:00 Coffee Break

Session Ⅰ Direction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on a Life-long Continuing Education Moderator: Dr. Choi Suk-jin

(Senior Research Fellow,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0:00-10:2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urrent Programs

and Practices (Dr. Rosanne W. Fortner : Professor, Ohio State Univ. USA)

10:20-10:40 Environmental NGOs and Social Education for Environment in Korea(Dr. Lee See-jae : Professor, Catholic Univ. of Korea)

10:40-11:00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n Approach to the Training of Workers in NGOs

(Dr. Chirs G.Gayford : Reading Univ. UK)

11:00-11:20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Mr. Ryoo Jung-gil :

Secretary General, Buddhist Academy Ecological Awakening)

11:20-11:40 Coffee Break

11:40-12:00 Contributions of Environmental NGOs to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ina

(Mr. Zeng Hongying : Project Officer, Cente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s of State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

12:00-13:00 Q & A

13:00-14:00 Lunch

Session Ⅱ Case Stud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oderator: Mr. Lee In-sik (Representative, Gyeongnam KFEM / Korea

Organized Network of Ecologically Conscious Teachers)

14:00-14:20 Achievements and Prospects of Wetland Ecology Camp for Children : Inspire

Our Children to Become Environment Watchdogs : YMCA

70

Page 7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Mr. Lee Hee- chool : General Manager, Seosan YMCA)

14:20-14:40 The Trend in Socio-environmental Education in Australia

(Ms. Rose Read : Manager, Environmental Operations, Clean Up Australia)

14:40-15:00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Ms. Hong Hye-ran : Manager, National Campaign “Forest For Life”)

15:00-15:20 Sharing Our Planet with Wild Animals

(Mr. Park Grimm : President, Friends of the the Goral “Little Horn”)

15:20-15:30 Coffee Break

15:30-15:50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Japan

(Prof. Osamu Abe : Saitama Univ. Japan)

15:50-16:10 Overall Discussion

Mr. Oh Chang-kil (Teacher, Sungri Elementary School in Inchon / Korea

Organized Network of Ecologically Conscious Teachers)

Ms. Joo Sun-hee (Manager,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16:10-16:50 Q & A

16:50-17:00 Closing Ceremony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urrent Programs and Practices

Rosanne W. Fortner (The Ohio State University, USA)

What is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71

Page 7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Environmental education (EE) as a field of learning and a profession has a long history

in the United State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The U.S. roots of EE go back to the nature

writing, travel writing, and outdoor education of the early 1950s. The movement has been fed

by changing conditions of the environment, and public response to events and practices that

appeared to threaten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across the decades. In some periods of our

history the growth has been spurred by crises, such as the burning of the Cuyahoga River and

the discovery of carcinogens in Love Canal. At other times the growth was more quiet, working

steadily upward to build the resources and commitments people needed to take on those quiet

crises that subtly change the Earth over long periods, such as burning of fossil fuels, and

overfishing the seas.

Branches of EE have grown fairly rapidly to what we now identify by UNESCO

definitions as:

Formal education: the hierarchically structured, chronologically graded 'education system',

from primary school through the university. Formal EE is characterized by fairly

homogeneous groups assembled for the purpose of learning. They are most often found in

classrooms, but may leave the school for field experiences in nonformal sites.

Non-formal education: any organized educational activity outside the established formal

system. Nonformal EE serves both formal, homogeneous groups and those groups that

assemble themselves for reasons other than learning (primarily social groupings such as

families, or non-school groups such as Boy Scouts or other clubs). Nonformal EE happens

in special places for learning that are not classrooms but have opportunities for learning.

They are museums, parks, natural sites, zoos, aquariums and such.

Informal education: the truly lifelong process whereby every individual acquires attitudes,

values, skills and knowledge from daily experience and the educative influences and

resources in his or her environment – from the mass media, parents, friends, and personal

experiences.

The lines between formal, nonformal and informal EE can blur easily, but in general the

opportunities for EE are all seen as mutually supportive rather than competing forces. The task

of EE is so large that no one kind of education can do it all!

How does nonformal EE complement and supplement formal classroom EE?Outdoor opportunities. Many individual schools in the U.S. work to develop part of

their grounds as an outdoor laboratory, garden, or nature study area, a place where special

learning can occur very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urriculum. Having the area close to the

school prevents the need for elaborate field trips that take students away from their other classes

and can become costly to arrange. In the outdoor lab, students can find real examples of

72

Page 7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microclimates, measur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mpare habitats, and observe first hand

the interactions of the parts of the Earth that may not be apparent from pictures and readings.

Some school districts operate a day-facility or a resident outdoor education program, in

which classes live in the outdoors (in cabins, in a natural area) for several days and have all of

their school lessons taught us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ey do not sit at desks but explore

the real world to learn their science, math, creative writing, geography, as well as good

citizenship while they all participate in living together as a community.

Universities or NGOs may also operate resident facilities where formal classes may

come to a nonformal learning site. The presentation will include examples from Stone

Laboratory on Lake Erie, where the author teaches inservice courses for teachers, and where

those teachers may bring their own students for aquatic science workshops. The curriculum used

for teachers consists of classroom-based activities with outdoor examples and adaptations. Since

most teachers cannot bring their students to the lake, the formal curriculum materials do their

best to simulate the experience with hands-on learning.

No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Zoos, museums, aquarium facilities, as well as

Visitor Centers at parks and special areas exist to deliver nonformal education for whoever

comes. Over 500 million people visit U.S. museums and over 100 million visit zoos and

aquariums in a year. This translates to a huge population of potential learners for EE! The

programs and exhibits at these institutions are mainly for non-homogeneous groups such as

familie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are less structured, designed for leisure learning. Most

are also eager to offer programs for visiting classes, and teachers can arrange for special

programs as their classroom curriculum time allows. Research shows that the most effective

learning from nonformal institutions occurs when classroom programs precede or follow the

field trip to the site.

Newspapers in Education is a U.S. program that provides multiple copies of special

issues of newspapers for certain topics in the curriculum. It also teaches teachers how to use the

everyday news to supplement their curriculum. If the environment is getting media attention, the

school can benefit from this informal education event.

How is nonformal EE growing in the U.S.?Development of EE Guidelines. The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NAAEE) is our professional organization. It is as diverse in its scope as the

membership is in its range of activities, but all are working toward common goals of assisting

people in learning about the environment, developing concern for its health and commitment for

its quality. Because the task is so large, we cannot assure that everyone is doing a credible job

unless we have guidelines that demonstrate what the best thinking is for the profession. The

73

Page 7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characteristics of EE help to define its goals, applicable to all forms of the practice:

• EE relates to an environmental topic or issue.

• EE is interdisciplinary, drawing upon many fields of study and learning.

• EE is relevant to the needs, interests, and motivations of the learner.

• EE is a lifelong learning process.

• EE is based on accurate and factual information.

• EE presents information in a balanced and unbiased manner.

• EE makes use of the outdoors as a learning environment whenever possible and appropriate.

The importance of accuracy, balance, relevance, and interdisciplinarity should be underscored.

This is what makes EE credible as formal education. Nonformal keys are lifelong learning, and

education in the outdoors, as well as opportunity to focus on issues, not just facts and concepts.

The NAAEE Guidelines for Excellence have topics of

Initial Prepa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ors

Guidelings for Learning K-12

Materials Development and Selection

Program Evaluation

The booklets are all available on line at http://naaee.org/npeee/ .

Interpreter Certification. The nonformal educators in U.S. parks are often called

Interpreters. Our National Association for Interpretation (NAI) is devoted to “inspiring

leadership and excellence to advance natur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as a profession.” NAI

has over 4500 members, including nearly 500 student members, in all 50 states and 30

countries. The profession is considering development of a certification program to assure

quality in its practitioners. Only after years of self-study has the organization reached this point.

In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performance in such a diverse field as EE, there is a danger

that a few individuals who are early leaders could establish standards that reflect only their ideas

without leaving adequate flexibility for the growing profession. It has been important in NAI to

build professional strength and a diverse membership, assess the needs of the profession, and

then determine a set of entry skills for newcomers. The types of certification offered are

Certified Heritage Interpreter, Certified Interpretive Guide, Certified Interpretive Manager,

Certified Interpretive Planner, Certified Interpretive Trainer. Information is available on line at

www.interpnet.org.

Evaluation. Nonformal educators, as well as classroom teachers, must possess the

knowledge, skills, and commitment to make evaluation critical to instruction and programs.

Evaluation should be done in the same mode as instruction. People do not expect to take a test

74

Page 7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as they leave a visitor center, but they might play a computer quiz game, or put a set of cards in

order, or demonstrate in some other way that a key goal of learning had been reached. Programs

that do not evaluate their efforts will never know if they have improved, nor what changes

might be needed for success. Training for nonformal educators should include how to do

evaluation.

Use of instructional technology. A virtual field trip will never replace a trip to a

waterfall, but if everyone cannot visit the waterfall the computer could offer a substitute. Most

nonformal EE in the U.S. is now incorporating use of the Internet in programming, at least to

the point of having a web site with some come-and-get-it pictures and intriguing facts about its

natural area. It would be a mistake to ignore this kind of development for nonformal EE in

Korea.

Organizational Assessment Tool. The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Advancement

Project recommends this set of guidelines for NGOs that are struggling to manage scarce

resources and create great benefits. Topics include conflict management, leatership, meeting

management, problem solving, team building and other processes necessary for strong

organizations. A basic organizational structuring plan, with common-sense notes on what to do

and how to maximize success, OAT is sponsored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and Partnerships (EETAP), and the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Information is available at http://www.uwsp.edu/cnr/neeap/neeapservices/oat/.

SummaryNonformal and formal education must be partners for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 are many examples of how this process works for the benefit of all EE in the

U.S. Nonformal EE has embarked on a number of productive ways to expand its reach, its

effectiveness, and its professional skills, and internet resources are available so that this

informaion may be used by others. Together, nonformal and informal EE can work with

classroom environmental education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who are equipped

for environmental decisionmaking in this century.

ReferencesByrd, N.J. 1998. The nature center handbook – A manual of best practices from the field. Assoc

of Nature Center Administrators.

EETAP Resource Library (at http://eelink.net ): Fact sheets and resource lists as follows:

# 12. Understanding evalua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1997

# 25. Assessing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Unobtrusive data collection, 1998

75

Page 7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 35. Environmental Education and Nature Centers, 1998

Ham, S.H. 1992.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 practical guide for people with big ideas and

small budgets. Golden, CO: North American Press.

Heimlich, J.E. and others. 1996. Adult learning in nonformal institutions. ERIC Digest #173.

ED 399412. On line at http://www.ed.gov/databases?ERIC_Digests/ed399421.htm

Moore, R. and H. Wong. 1997. Natural learning: Creating environments for rediscovering

nature’s way of teaching. Berkeley, CA: MIG Communications.

Ruskey, A. and R. Wilke. 1994. Promoting environmental education – An action handbook for

strengthening EE I your state and community. Amherst, WI: New Hope Graphics.

Support Center for Nonprofit Management. The Nonprofit Genie. http://www.genie.org/

Social Education for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NGO in Korea

See-Jae Lee (Professor of Soci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76

Page 7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I would like to report on social education for environment carried out by Korean

environmental NGOs. NGOs' social education is considered 'non-formal', in the sense that

teachers and students of the social education as well are not standardized. Provider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itizens have been extensively increased. Not only environmental

NGOs, but also religious organizations, local government, enterprises, and even military

authorities gives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itizens and its constituents. General citizens

began to be aware that it is not the knowledge on environment which are mattered, but

sensitivity that is needed to change human attitudes. We have to be aware that it is only such

ecologically sensitive citizens that can protect environment. In this sense environmental

education is essential to preserve our natur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itizens should be

considered a public work which not only NGOs, but also government, business enterprises, and

mass media should participate in.

I would like to limit my paper to the activities of Korean NGOs'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review all the environmental NGOs' educational

activities, since they are so many in number, but their information is so much 'non-formal'. What

I want to stress in this paper is not to enumerate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orean NGO,

but point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propose directions that Korean NGO should take in

promotion of citizens' education for environment.

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itizen had once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issues

for Korean environmental NGOs in the early 1990s. Alternative schooling was popular among

many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considered themselves in

a position to teach general citizens, and through such educational programs new members could

be recruited. However, students enrolling in such schools declined rapidly. Citizens now can

make access to such knowledge through books, and various information channel. Not many

citizens are determined to use several weeks for social education. It seems correct to indicate

that 'conventional' classroom education for environment is on the decline, while field experience

education has become a new trend in Korean NGOs' environmental education.

(1) Environmental education of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s(KFEM)

KFEM is the largest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 that formally started in

1993. Prior to its inauguration in 1993, the former Citizens' Federation for Expulsion of

77

Page 7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Pollution held environmental education class called, 'Learning Ground', which not only dealt

with environmental problems but also social and political issues of the time. This education is a

'conventional' classroom education. KFEM ha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when the office

was located at Kwanghwamoon. After its move to the present site, educational programs were

targeted more or less on specific groups such as youth, staffs, housewives, and children.

KFEM has six different program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programs

includes weekend children' environmental school, summer and winter camp activities for

children, citizen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mothers' environmental classes, and

housewives' environmental essay contest, and a professional environmental class. Since KFEM

has more than 50 local offices, and most of the local offices run similar environmental

education.

In 2000 and afterwards, KFEM'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has changed.

Lectures in the classrooms were replaced by the field experience programs. Environmental

classes for children were carried out in the field along with weekend field programs for

children, and touch-on programs for tidal flats, and Donggang River tracking programs. KFEM

holds a wild flower trip, and bird watching programs every year.

KFEM has an environmental educational center, which is staffed by experienced

activitist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s considered an instrument to recruit new

members for KFEM. KFEM's environmental educations changed to a short-term field

experiences from the classroom lecture type. KFEM also has a research arm, the Citizens'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which also provides instructors and educational materials.

KFEM's environmental information center has a lot of video material, photos, and documents to

be us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Even though KFEM has relatively much educational resources such as instructor,

educational aids, and facilities, it should be said they are very poor, compared with the school

education.

Though it can be said that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are very extensive, leader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not systematically trained, and their texts or manual are not well-

prepared.

Students should pay all the expenses for instructors, educational materials, and rents.

Staffs are not confident to recruit sufficient students who can afford paying such expenses..

(2) Buddhist Academy for Ecological Awakening(BAEA)

The Buddhist Academy for Ecological Awakening was established in 1991 with a

special objective to awaken citizens' ecological consciousness. Although the BAEA is not a

78

Page 7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formal organ of the Korean Buddhism, its influence in civil society in ter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very strong. While most of Korea's large NGOs virtually stopped to provide

'conven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itizens, BAEA maintained its educational program

for long time. BAEA's major educational programs are consisted of Ecological School for

citizens, 'Life Academy' for advanced course, Small College for Life Movement.

BAEA has several educational programs. Ecological School was opened in 1991,

which educated citizens for about 13-15 sessions in six to eight weeks. For this ecological

school, major expertises in the environmental studies and staff activists are invited to give

lecture or share their experiences. In the program are included some overnight talk-in and field

experience courses. BAEA celebrated the 20th course in 2001. Major issues taught in the school

are on environmental crisis, development policy of national land, garbage disposal,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environmental movement, oriental philosophy, labor problems,

women's issue, traffic problems, alternative movements, local agenda issues. These issues are

not limited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but extended to issues of religion, societ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BAEA also launched Small College for Life Movement, with an aim to educate NGO

staffs, which however terminated after the 3rd session in 1999.

Life Academy is a shorter program with 7-8 sessions. The Life Academy deals with

more advanced subjects in the area of environment, nature, ecology, and life. The program is

open to general citizens, but its main target is to educate the instructor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AEA finished the 15th course of Life Academy in 2001. The major issue in 1999

were ecological crisis, nature and man, attitude on poverty, ecological rationality, total life,

convivial life and life value. In 2001, BAEA held the Life Academy on the issue of anarchism,

which attracted attention from environmentalists and social scientists.

BAEA is a stronghold of ecological fundamentalism. And this organization still attracts

citizens who demand to get a 'genuine' ecological awareness. It is not knowedge, but a new

awareness and experience that citizens demand.

(3) YMCA

Korea's national YMCA is one of the strongest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which

had a long history of social movements. It function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 stronghold

for nationalist mov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rams for

local YMCA's in Korea. YMCA is one of the typical social organizations that take up

environmental education for its major program. YMCA has two major programs: a database

build-up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 training program of local staffs for environmental

79

Page 8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campaign and education. These two programs were organized by the national center of YMCA,

and local chapters organized their respective educational programs. YMCA's environmental

programs are focused on regional issues, and on training their members.

(4) Pulmuwon and other enterprises.

Pulmuwon is a producer and dealer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Its eco-friendly

policy itself is a sales strategy. It won an ISO 14000, or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certificate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According to ISO 14000 program, it has to train its workers and

staff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company organizes a committee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he committee decides major environmental policy of the company. Doosan

group, that had been criticized of its industrial pollution, now leads environmental management

in Korea. Doosan established environmental educational centers in every production site, and it

uses them for workers' training, and it is open for anyone to make use of the facilities. Pohang

Steel Company also published textbook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distribute to citizens

and students.

(5) Mass media

After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UNCED) in

1992, major newspapers and broadcasting companies competed each other in environmental

campaign. Chosun Daily started 'Reduce Garbage' Campaign from June 19, 1992 and it lasted

for three years. The newspaper took up campaigns for reduced emission of motor gases, riding

bicycles, recovering life of rivers. Dong-A Daily on the other hand launched Green Scout

Movement from 1994, and called various social and administrative groups to participate.

Korea's Green Family Movement was originated from Dong-A's environmental campaign.

Other newspapers and broadcasting companies followed in the environmental campaign for

some periods. However around 1996, major environmental campaigns drastically ceased. At the

moment, there is no active environmental campaign by mass media. Hankuk Daily still

continues environmental campaign, but not as much active as before.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shortcomings in NGO' s educational activities. They

lack in professionalism, facilities, tools, and fiancing. Staffs in charge of education should be

properly trained, their educational materials standardized, educational system more

institutionalized.

Mass media organizations, that is, newspaper and broadcasting companies, carried out

massive campaig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They took up garbage problems, water

pollution, forestation, recycling, and energy conservation. The impact of media campaign

80

Page 8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appeared to be impressive. These campaigns might contributed to enhancing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people in 1990's. However, these commercial media have changed their

campaign from time to time, and they did not have lasting effects, and they failed in organizing

people into environmental action.

Through environmental movement, it is made clear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an

imperative to change people's attitude toward nature, human being and society. But such change

in attitude will not be sufficient to preserve environment. School education and mass media

campaign do not focus so much on the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environmental

problems. In order to properly sustain environment for both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 it is

ultimately necessary to change government policies and institutions. That is, environmental

movement should pursue changes within people's mind, and on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 as

well.

2. Directions for Korean NGOs' environmental education

In 1996, I surveyed Korean environmental NGOs' educational activities. Although they

were not active, but most of NGOs had educational programs. Citizens' Coalition for

Environmental Justice(formerly Environment and Development Center of CCEJ) had

educational programs. Green Korea and Green Family Movement used to be active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1996. But many Korean NGOs stopped such programs. KFEM is

not an exception. KFEM maintai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its staffs and volunteers, not for

general public, although it frequently organizes daily or overnight field trips. Contents of

education have also changed: from classroom lectures to sensitivity training in the field.

Following are major obstacles for Korean NGOs' environmental education. Most

important problem is a financing. Costs for instructors, if they are to recruit from professionals

are too high for NGOs to pay. To make educational materials appropriate for classes also costs

much. NGOs do not have sufficient spaces for training, and sufficient information are not

provided to citizens in term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Current status Direction for Improvement(1) Leadership Professional lecturers Trained staffs and activitists

(2) Educational aids Non-systematic, Systematic, standardized

(3) Facility Private facilities Use of public facilities

(4) Financing Student-paid Use of public financing

(5) Distribution system Individual organization level Use of public information space

81

Page 8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Is it necessary to invite professors and expertis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ell-trained

staffs and activitists can give better education. Educational materials and aids should be

developed in cooperation with environment NGOs and government, so that they can be more

systematic and standardized. Public facilities should be freely used for citizens' education.

Public fiancing should be releas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formation concerning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distributed through public information space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share with Korean government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itizens is 'public' work. When it comes to NGOs' to carry out this public work, government

should provide necessary leadership training, financing, proper educational materials, facilities,

and distribution system so that NGOs' financial burden would be relieved.

3. Concluding remarks

Last month, I visited Curitiba, a Brazilian city which is a world model for environment and

transportation system. I asked the mayor of the city what would be Curitiba's most important

task in the future. He did not hesitate to say it's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seems to be a crucial instrument for him to preserve the beautiful city. It is

ecologically sensitive citizen that will eventually safeguard the city. In fact, Curitiba has the

Open University for Environment, which is a social education organiz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run by NGO. This Open University is set up by the city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also provide running costs, and regularly 'students' from local government officials,

school teachers and pupils. This is a model of 'third sector' institution managed in cooperation

with city government and local NGOs.

In order to expan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itizens, Korean NGOs should seek any

possibility to make use of public facilities and financing. Government should be ready to

cooperate with NGOs in educating citizens. Curitiba is a model for us to think about.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n Approach to the Training of Workers in NGOs.

Dr. Chris Gayford (The University of Reading, UK.)

This paper describes a new approach to the training of environmental NGO workers in

England. The methodology used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will be seen later. In order to fulfil

82

Page 8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heir function workers for NGOs should be upto date with current thinking and methodologies

and have a clear view of their role. A recent survey in the UK revealed that public confidence in

information provided by NGOs was higher than information from government or the

commercial sector. Thi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be easily lost if the information is

unreliable or of poor quality. Also methodologies used by NGOs for public education should be

up to date. Also NGOs frequently haveto work collaboratively with the state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e work reported here was: -

1. to develop an approach to the training of educators for NGOs which would meet their needs

and act as a model for subsequent approaches in their work,

2. for workers to learn from each other by sharing ideas and identifying their own needs rather

than being told by outside experts,

3. to help workers to clarify their ideas about the nature of sustainability and EfS,

4. for workers to construct and explore possible models or understandings of EfS,

5. to use these models or understandings to devise possible teaching strategies,

The work reported here focused on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EfS) and the use of effective methodologies with target audiences. The

motivation for this came from the NGOs who were concerned those rapid changes in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EfS creates problems for their workers. Participatory methods

were used, inspired partly by recent behavioural research, the basis of which is for participants

to explore their own ideas and relate them to their own needs and contexts. The idea is that

those who are directly involved in education programs and receiving the training know better

than anyone does their problems and what solutions might work. The assumption is also that a

diverse group brings most of the ideas and knowledge needed to produce a workable outcome

for their problems. The purpose was to demonstrate a methodology appropriate for adult groups.

The topic of sustainability presents several different types of challenge to educators. It

is controversial because there is fundamental disagreement over the purpose. Some educators

treat it in an instrumental way, seeking behavioural modification in the learner by directly

encouraging environmentally ‘appropriate’ behaviour. Alternatively the purpose is

emancipatory, where controversy is dealt with in a way which is neither instrumental nor

prescriptive and people explore their values, attitudes and behaviours and those of their peers.

The methodology15 workers from 12 NGOs of varied experience to part in the year 2000. The work

occurred in two blocks of time. The first involved exploring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term 'sustainability' and then deciding on a possible approach to their educational work.

After this those who were able to trial the ideas with target audiences during their normal

83

Page 8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working schedule did so. The second block of time allowed discussion and reflec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heir ideas. To achieve the aims of the approach it was necessary at the

beginning not to prescribe what is thought to be good EfS. The participants were expected to

think about methodological approaches with as few constraints as possible, identifying their

own criteria for good practice.

My role was to listen to participants and facilitate the process, rather than act as a

leader or expert. The following sequence for discussion in the sessions was decided by the

participants:

The first block of time Some background reading was requested and three short articles were supplied by myself.

A list of suggested objectives that should be emphasised within EfS programs was requested

and provided by myself. These covered both content and pedagogy and was taken from the

three articles given in Item 1 above. These were discussed and some added or rejected.

The participants discussed their understanding of sustainability, and the factors that threaten

sustainability, suggesting many terms or ideas associated with these in their minds.

These ideas were used by the group to create a conceptual model that reflected their view of

the diversified nature of sustainability.

The participants then suggested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about sustainability issues,

basing their decisions on the model and the list of objectives.

They selected one approach that they could use effectively and went on to develop a

methodology for future use.

There then followed a period of six weeks when six of the participants trialed the ideas, some

in schools and others with youth groups out of school.

The second block The participants discussed ideas about how the methodology could be improved.

They decided to develop their own criteria for evaluation of the methodology.

Further detail about how the participants workedInitially there was considerable discussion about the nature of sustainability. The

concepts involved were each listed on small pieces of adhesive-backed paper and moved around

upon a large sheet of paper. From this a two-dimensional model was created using a series of

concentric oval shapes, showing the factors that most affect sustainability.

The participants used this model as a basis for looking at methodologies that would

facilitate discussion with groups about aspects of sustainability. First they set out a number of

84

Page 8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aims that should both guide selection of the approach and later assist evaluation. Their aims

were to introduce the following: -

1. the range of vocabulary in general use related to concepts associated with sustainability,

2. the interconnections of concepts and ideas, problems and issues related to sustainability,

3. the complexity of the issues and how they use different aspects of knowledge, such as

scientific, technological, ethical, economic, cultural, spiritual etc; and not one of these can

make the total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and possible solution of the problems,

4. that issues affecting sustainability relate to communities and societies as well as the natural

and built environment,

5. that different interest groups have different ideas about how to achieve sustainability,

6. relating global issues to local contexts.

To achieve their aims the methods should: -

1. use situations which people recognise easily,

2. be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3. use the leader in the role of facilitator and problem setter and not as an authority and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4. not emphasise detailed knowledge but shared knowledge from within the group,

To achieve the range of aims that had been identified a methodology was agreed based

on life cycle analysi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y used a practical example

beginning with a pair of casual shoes, something familiar to most people in the UK. The

teaching material followed a second model and involved the life cycle of the shoes from

manufacture from raw materials, distribution and marketing, use and disposal. The model

helped focus on the various factors that are likely to impact upon the environment. Some of

these were scientific or technological, others economic, social or cultural. When trialing the

material the leaders explained the concept of life cycle analysi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relation to the trainers. Some of these impacts may seem obviously local, others

more global.

Those in the groups they were teaching were asked to think about the following: -

Where the shoes were manufactured. b)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were made. How they

were made and the likely conditions under which they were made? c) How they were distributed

to the point of sale. d) How they would be used. e) What happens to them when they are worn

out. f) Ways in which impacts on the environment or society could be reduced.

In discussion in the second block it was agreed that at the beginning of each trialing

session it was important for the leader reassure everyone that detailed knowledge was not

85

Page 8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required. Several of those who trialed the material said that it was helpful to begin by suggesting

a scenario around each of the four phases of the ‘life cycle’. For example one told them that

extraction of the raw materials and the manufacture took place in a poorer country than their

own. They needed to think about possible controls over the health and living conditions of the

workers or the impact of the processes on local communities. Distribution of the finished

product was through world-wide transport networks with competitive markets that require

extensive advertising. There were many intermediaries involved and substantial profits needed

to cover costs.

Evaluation of the outcomesThe trials showed that the activity had a range of useful outcomes. These were in four

categories:

1. Learning new vocabulary to describe some of the factors that affect sustainability.

2. Emphasis on higher order abilities (thinking that involves making reasoned conclusions) not

simply based on factual knowledge.

3. Helping people to ask appropriate questions and communicate their ideas.

4. Encouraging people to be socially critical.

In their evaluation of the success of the approach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thought it was not the purpose of this type of activity to find solutions to problems that defeat

experts. They thought that it important that people should appreciate the complexity of the

problems and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present knowledge. Also, with this approach people

would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f those involved in the real-life situation.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 novelty of the approach was an advantage for workers for

NGOs since the methodology differed from traditional methods used in schools. The activity

also helped people to use and understand the vocabulary associated with sustainability and

encouraged a critical reflection on lifestyle. Furthermore it showed that there is a range of

possible approaches to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ey thought was that one of the

main advantages of the methodology was that it showed that EfS is as much about values held

by people as about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They also agreed that they were more

motivated when learning from each other than from an expert outside their group. The

experiences of colleagues and peers were considered particularly important. The participatory

approach was agreed to be effective and enjoyable. They had gained insights into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by deconstructing the idea and focusing on the factors that seem most influential.

They considered that the methodology used here had and could be applied to many different

aspects of the furthe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workers in their field.

86

Page 8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Ryoo Jung-gil(Secretary General, Buddhist Academy Ecological Awakening)

Prologue

Environmental value is different from ecological one. Though the two terms are used

in the same context in Korea, some like Andrew Dobson define them differently. The

87

Page 8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 believe, can be never overemphasized and our

ultimate goal does not lie in just creat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in our curriculum

but in making ecological world views reflected on the all education subjects including adult

education. Taking one step further, ecological value should be realized within the framework of

society as is the most successful education system.

What do we consider ecological or non-ecological? Though such an approach might be

understood as all-or-nothing way of thinking, I think it will help make my point clear.

Ecological and Anti-ecological World Views

Modern paradigm which has triggered ecological crisis, separates the object from the

subject as well as human beings from Nature, and is based on the fragmented way of thinking,

say, viewing Nature as a cluster of many fundamental particles.

With the human relationship based on linear view, the paradigm values growth in

quantity and whatever that meets human needs, which lead to unified value in the end.

However, ecological paradigm fundamentally denies such view. From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objet and the subjec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human beings and Nature are

inseparable. Furthermore, value-laden knowledge is more pursued than value free one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things of the world rather than analytical view. Ecological

paradigm also pursues human relationship based on circular view, quality of living and spiritual

awakening. On top of that, as all the nature is valuable not because it is necessary to people but

because it has its own inherent value, the ecological paradigm recognizes significant value of

the diversity in the ecological system.

In the mean time, anti-ecological paradigm emphasizes the hierarchical order between

people and between human and nature along with efficiency. In the process, we believe it is

inevitable to have market order in place and take ‘competitive life’ natural, which force people

to pursue something faster and higher. It also lead people to see labor as a means to making

money instead of the value of self-realization, and believe the more they spend, the happier they

become. Yet, under the ecological paradigm, environmental destruction by human beings poses

great threat to both man and nature, disrupts human community as well as social order, and

destroys human nature. Ecological society attempts to bring about changes in all those sectors

by pursuing equity not hierarchical order and communal order rather than market order. In

88

Page 8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particular, labor itself is perceived as pleasure and the way of self-realization, thereby guiding

people to pursue happier life, though spending less.

Whereas, anti-ecological value considers man a conqueror of nature. It only takes

interests in exploiting natural resources to produce products putting emphasis on economic

growth instead of the order of ecological system. Such thoughts are founded on the belief that

natural resources are abundant and using them will make unlimited growth possible. That’s why

every country in the world calls mass-production and mass-consumption pursued by countries

like the U.S. development or progress. Furthermore, while cultural value is ignored,

materialistic value determines whether a country is advanced or civilized. In short, materially

abundant countries are considered developed, but on the other hand, those with scanty material

resources are regarded as underdeveloped, or worse case, barbarians.

However, ecological view is the opposite. In other words, it believes that man must not

dominate but co-exist in harmony with nature. Additionally, nature is valuable not because of its

usefulness to human needs and survival, but because of its inherent value in and of itself. Since

the ecological view doesn’t think unfettered growth is possible, it put more value on ecological

balance instead of economic growth and alliances and cooperation rather than competition.

Anti-ecological view focuses on self-interests and interests of the present generation,

worships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believes that the issue of limited

natural resources can be addressed. Meanwhile, ecological view argue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be critically controlled and given the limited natural resources, we should not

excessively utilize them beyond the purifying or recovering capability of nature. In addition, it

is interested in equal distribu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that our future generation will use as

well as sustainable development, so as to allow all living things including man to live together

on the globe.

From political point of view, anti-ecological paradigm advocates centralized

representative democracy which empowers a few elite, creates male-centric society and stresses

dual values. On the other hand, ecological paradigm seeks for decentralized participatory

democracy based on local grass-root democracy as well as gender equality.

Ecologic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89

Page 9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Ecological education starts from the denial against the anti-ecological education

system. Accordingly, ecological education does not mean just putting environmental course on

the curriculum but attempts to bring fundamental changes to the education system tainted by the

anti-ecological values.

Moreover, ecological education doesn’t think learning from school is all about

education. In pursuit of life-long education, it believes that we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where anyone can learn whenever they want. To that end, various social education system

should be provided in close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In a nutshell, ecological world view should be reflected in the school curriculum,

education system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is is the very life education.

Ecological education as life movement

“Relevance, circulation, variety and spirituality” can characterize life movement. In

order to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life movement, I would like to sum up it in following

order: education on relevance, circulation, variety, and spirituality.

1) Education on relevance

Today's society is fragmented and acknowledges human and nature as two isolated

existences. Therefore, change of the one is considered ot have no relation with the other. And

thus, one uses others for their own benefit. Humans use nature and a country colonizes another

country or conducts war in pursuit of their own benefit. Education on relevance differs from

education of the past that it is based on one's own understanding and focuses on an individual's

success and economical growth. It should be an education that makes us realize the importance

of community life and an education that helps us acknowledge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it should also be an education that makes us feel like one with other living things

and makes us realize the dependent and complementary relation we have with them. It should

be an education in which a piece of paper enables you to smell the wood, hear the crying of

insects, the sound of water, wind, clouds and rain, and smell the sweat of the lumberman. The

acknowledgement of relevance allows you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and

autonomy. It will make you see that such behavior will help you advance into a developing

90

Page 9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relation. Also, such a relevance should enable you to see the relation between one's

contemporaries, neighboring nations, people and the world, but als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our ancestor's wisdom and also perceive the possibility of the future at the same time. And the

relevance should also be expanded to many plants and animals apart from merely the relation

among humans.

2) Education on Circulation

Relevance can be characterized by circulation. If everything is linked together to form

one bit net and influence each other, the flow of such an influence is circulation. We

acknowledge history as one that progresses in a straight line. History has a starting point and

ascends vertically according to this progressive view. It's the main historic view of the West and

it's this point of view that is being criticized in this age of environmental crisis. A lot of

ideologies for progress pursued by many social activists in the past are based on such a historic

view. That the past is always primitive and the future is always developed and therefore that

people will be more happy in the future. But the environmental crisis we are facing now goes to

prove that the Utopian mind based on such a historic view is wrong. The reality that lies in front

of us makes u realize that we are heading towards Distopia and requires us to redefine change

and progress of our historic view. Just as the producer, comsumer and dissolver circulates in our

ecology, and carbon and oxygen does, everything in nature circulates and rotates. But people

today think that once you rid yourself of anything dirty and filthy, it loses all relation with you.

But we are place in a rotation system. For example, excretion is not something filthy. It isn't

something that should be discarded into the river and into the sea but an important resource that

nourishes the vegetables that we eat. People will again eat these vegetables which will once

again become excretion . We must acknowledge that everything is one that repeats circulation

and rotation. Garbage originally doesn't exist. That's because circulation and rotation has

worked well. The crisis that we face today is because such a circulation and rotation has been

cut off.

3) Education on Diversity

Relevance can be characterized by diversity. Diversity is opposed to simplicity and

uniformity. The systematic education of today rank students by their capability in just a few

subjects such as English and Math. Their artistic capability, sensitivity in literature and ability in

physical activities are ignored. They are only judged by their grades. A person's ability and

interest is diverse. He or she can't be judged by one standard. And the thought that the other has

91

Page 9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o be similar to me encroaches on the thought of diversity. We should do more than just accept

the fact that we are different abut realize that it's those differences that make us special. And

further realize that superiority doesn't exist. Uniformity is what makes us rank people as

superior and inferior. Material affluence is the sole standard in discerning advanced and less

developed countries, and civilization and primitiveness. Discerning such itself can be seen as an

act of violence. The obsession that one has to be like me is the seed to violence. Diversity also

comes in hand with responsibility and independence. Diversity also values equality and

particip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as life education enables people to freely develop their

diverse characteristics not yielding to society's discriminatory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requests.

4) Education on Spirituality and Enlightenment

Spirituality isn't something mysterious and abstract. Rather, it is something

materialistic and scientific. Acknowledging the relevance and diversity mentioned above is a

scientific way of thinking in an age of environmental crisis. But realizing it and experiencing it

to the full is enlightenment and is expressed as spirituality in different terms. In other words, it

is perceptiveness, intuitiveness and comprehensive wisdom. If is "enlightenment" that

transcends logic and reaso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t he Chosun Dynasty tested the

person's composition skills, character and artistic skills rather than their technical skills or

expertise. It's because they considered one's character and depth and perfection of one's mind to

be the most important. But the college entrance exam of today is very different from the

paradigm of the past. They don't require a person to possess comprehensive traits but just want

them to possess the knowledge to do such. Spirituality means to become more reflective on the

relations of people and nature around you. It means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mental

worth beyond materialistic obsession, voluntary poverty beyond obsession for affluence, value

that lies in the things that aren't caught in our eyes, and the understanding between nature and

humans and the beauty of nature and therefore understanding the true meaning of life.

Epilogue

How can we realize such an education? Should we pursue a change in our education

system and social structure through a revolution as in the past? Of course, that's not the case.

Killing a bug and depriving it of its life is ignoring diversity and conforming to uniformity. As

such, destroying the past in one blow and developing a new society is no different. It is just that

the median point of society has moved. Looking at i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ife movement

92

Page 9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aking place is a movement being carried out in the chasms of the industry society. It expands

the areas that rae included in the industry society but are not yet subsumed by it and strives sto

realize alternative worth in a resistance movement. All that is of mainstream today wasn't so in

the past. History starts off in remote areas. Like such, the momentum for all social movements

starts in remote areas. Just because the plans for change based on an ecological world view isn't

in full realization at the moment, that doesn't mean that it will still be the case 5 years later. We

couldn't predict the changes to come 10 years before. Like such, if our acknowledgements are

well linked to fundamentals, it won't be long before it is realized in the future.

Network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Towards a Sustainable Society

UNESCO/ Japan Seminar 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Asian-Pacific RegionKorea Report

Ryoo, Jung-gil(Secretary General of the Buddhist Academy for Ecological Awakening)

93

Page 9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1. Education on the Ecology

Environmental education could be divided into two broad categories of Ecologic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se two categories can then be subdivided two

categories, where Ecological Education is divided into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and the sam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 Social Education

Ecological Education is not a direct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Rather, it urges to

set a new value system and change the discourses by awaken to these facts. That is, realising

the ill-structured modern industrialised society and the human value system has been the major

causes for the environmental crisis. Hence, it is demanding the changes in the structures of the

industrialised society and the discourse of the modern civillisation, to achieve the holistic

change for an alternative ecological society.

This kind ecologically minded education includes, among others, an ecologically friendly

life ways away from urban life, also known as return to farm movement. The Return to Farm

Movement National Office operates Return to Farm schools in 13 major districts in South

Korea. Within the 4 years of its operation, about 3000 students have completed its courses.

Ecological Education specialists such as the Buddhist Academy for Ecological Awakening

is implementing with various alternative forms of ecological education through programs such

as the Academy for the Life Movement and the Ecological Field Trip. During the seven years

of operation of such institutions, about 3500 have received ecological education. Furthermore,

Hangyore(han-gyo-re) Cultural Centre( run by the Hangyore Newsapaper) is running the

courses on the Life Movement and the Ecological Community Movement. So far, there have

been five classes with approximately 400people completing the course.

2. School Education

Because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is already anti-ecological and anti-environmental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even for the courses on the environment. Therefore,

recent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s have reorganised their curriculums and syllabus to be

more ecologically-minded system. Alternative schools such as, Pulmu High school Hongsung,

Gandhi School in Sanchung, Green Dream High School in Muju, Hanbit High School of

Kwangju, Youngsan Sungji School in Youngsan are proliferating across the nation.

With the younger generation as the target of focus, National Community Child-Care

Association is attempting various forms of grassroot education for the local ecological

94

Page 9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movement.

These various forms of experimental alternative schooling are gradually influencing the

larger education system. Additional movements include the National Teachers Union that is

increasingly trying to find an alternative models for future education system.

3. Network

Within the whole of Ecological Education, there has been very active internal exchanges

and solidarity. In this regard, there is a strong identity shared among the related schools and

associations. As a result, whether it would be social education or the school education, their

frequent exchanges and network have enriched the movement that also created a new direction

in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Sheet

2.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deed, a direct response to the problems of pollution and the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n this sense it is an education that increases the

awareness of safeguarding the environment. As such, it is defining and developing an

educational form that enhances the awareness, knowledge, skill,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in

resolving environmental issues.

1. Social Education

There are various for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public sector that focuses on

various targets - adults, children, teachers, and so on. These forms are gradually taking the form

of education for life where on learns and implements solutions in everyday life.

For adults, there is the Ecological School (1500 students) run by the Buddhist Academy for

Ecological Awaken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perated by Korean Federation of

Environmental Movement (KFEM), environmental education taught at the Suwon

Environmental Center. Adult education also includes observing nature at the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and other environmental education implemented by the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the Ecology. There is also the Han River Ecology Cultural School run by the

Korea Sustainable Development Network (KSDN) along with other programs like the Tree

School, Green School . For children and adults there is the Ecological Gathering Tour that runs

field trip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protecting and sustaining

the environment.

95

Page 9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Childrens education are actively operated by the Seoul YMCA and the YMCAs in the outer

districts, Green Korea, Green Family, KFEM, SWEM. In particular, Democratic Citizens

Forum was formed through which the government is presently being petitioned for assistance so

as to get benefits when receiving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citizens organizations. This

is done in hopes of increasing students.

2.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At present in the 6th stage of government educational planning, Environment studies in

junior high schooling and Environmental Science in senior high school have become

compulsory. Courses on environmental issue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lemented. Among

the nations 2,741 middle schools, 341 or 12.4% of the schools have adopted environmental

science and among the nations 1,943 high schools, 370 or 19% of the schools have adopted

environmental science and total 4,684 middle and high schools, 711 schools or 15.2% of

schools have adopted environment studies. The number of specialized teachers in this area also

have increased to 1,127. Among schools that have to select from the three subjects of Chinese

characters, computers, and environmental studies, schools selecting environmental studies are

steadily increasing. Even among preschools, many environmental topics have become

implemented into their curriculum.

3. Network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made a list of educators specializing in the environment

to set aside funds for the education by the speakers. Funds are being provided by both the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Department in support of NGOs to implement environmental

studies, which overall enhances environmental studies in schools. In 1999, a bill was passed in

support of funding NGOs resulting in an increased support for NGOs and environment

education. This can be seen as an exemplary move to support the growth of the educators for

the environment and NGOs.

Despite the increased suppor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 still lacks a close

interaction and joint action betwee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What is needed is an effort to develop an organic osmosis between forma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96

Page 9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Concluding Words1. There has to be the inter-disciplinary and holistic approach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us, it follows that a close networking is needed between formal and social

education. Though difficult, an osmotic relationship is needed, that is the text oriented

Environmental studies cannot overcome the fundamental limitations about the materialistic and

growths orientation of the modern industrialised society. Hence together with the grass-root

environmental education by the local NGOs as the life-long education the synergy of the two

would have greater impact.

2. A networking of NGOs conducting the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s developing,

and an ever lively system of interaction is in the process.

Contributions of Environmental NGO to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ina

Zeng Hongying (Project manager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Cente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s

State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 of China (SEPA)

97

Page 9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1. Approaches of Environmental NGO to participate in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ina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plays more and more significant role since

environmental NGO has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public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chool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past five years. Facts of many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events were released by public Medias and increased greatly the

environmental awareness of citizens. Some intellectuals began to concer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ry to call for more people to know the facts of their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water pollution, waste issues, biodiversity loss……, and finally fin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for kids and general public is a significant way to improve the environment.

The first pure environmental NGO ----“Friends of Nature” is set up in 1994 and

“Global village of Beijing” also was found in 1996.Atually the foundation of these two

Environmental NGO is a remarkable news and landmark in the history of Chinese

environmental movement. At that time, general public have never know what is NGO, what

does the Environmental NGOs do. The common approach to enlarge their power to public for

these two NGO is increase the environmental participation of public through all sorts of Medias,

most major of which is TV media. The target groups of the NGO focus are media reports and

school teachers. Take the example the model of running of Friends of Nature, actually the

following model is typical.

In addition, the main activities also refer to students summer camping, reporter and

teachers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or workshops, making TV or broadcasting

environmental porgammes or Videos, Art and photos exhibition for environment, community

publicities for environment, such as calling for green life style, protect wild birds, teaching or

lecturing in schools, bird watching, planting trees,comprtitions,publishing environmental

publications and newletters,international exchanges,.

98

Environmental NGOActivity types Target Group

Outdoor activities General public

Collage and School

students

Teachers

Training

Publications

Media Reporter, Journalist

Page 9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2, actively supports and participation in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Enterprises

Due to Chinese support financially is weak in environmental education, sponsorship

from enterpris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as proved indispensable for environmental

NGOs. In the past five years, most funds were offered by the big companies, such as Ford,

Shell, Mobil, Unilevel Company etc. Meantim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lso concern the

environmental situation and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of China, of course some

organizations like WWF, FOE of HongKong, IFAW, WRI, and Word bank even have impacts

to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such as WWF, which expect to have impacts to

environmental education national policy of MOE by the program named “China Green

Education Action”, and has some progresses.

Most funds is for increasing the environmental awareness of school students by

sponsoring environmental activities, national awards or competitions, for example,

environmental art competition, article for environmental competitions,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ning competition, the earth award sponsored by FOE of Hong Kong for

remarkable persons working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3, Media: Playing a major role of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public and school

In recent five years, almost all Medias released many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pollution cases, which become the teaching material and case study in environmental education.

I t is investigated that the main information resource for general public and about 50%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school students, and of that, about 70% environmental

information resource come from TV . For example, CCTV opened a new program for

environmental named “time for environment” which is 15 minutes every week. since1997, And

last two year CCTV add another program “environmental weekly”. Environmental reports are

very easy to become the focus of public concern. Many newspaper has added environmental

99

Page 10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cololum.such as, youth daily---green life weekly, science and technology daily---green

weekly .Participation of Medias foster the solving of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4. Case Study: Contributions of the CEECs System with Governmental Color in China In China CEEC----Cente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s has become a

biggest and most powerful system or network with 67 CEECs with the background of

Environmental departments in government in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t. As the

Core and headquarter f this System Officially CEEC of State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 (SEPA) of China established in May 1996, which consists of three

departments: Publicity, Education and Audio-visual Publications, in addition, under

Publicity department is The China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Reference

and Research Center;

Its major responsibilities are: Making and implementing plans for the June 5th World Environment Day and other major

environmental commemoration days, as well as national environmental publicity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ity and education program and plan of the Sta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 (SEPA).

Organizing the compilation and production of publicity and educational materials, teaching

materials and audio-visual products concern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etting up a

relevant database.

Also as the Center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 Certification Training of SEPA,

providing various type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raining, including training for

ISO14000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uditors and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certification, and conducting teaching research.

Conducting international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environmental publicity,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raining.

Assisting SEPA in national standardiz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ublicity and

education workers, and giving guidance to the work of local environmental protection

publicity and education centers.

A Brief Introduction to Major Projects during the Period 1997 - 2001 The Regular National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Protection Competition;

A Green Ribbon of the Earth – the GLOBE Project in China;

Making Our Media Greener;

Outdoor Advertisements Concerning Environmental Protection;

100

Page 10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Mobil-China Environmental Education Fund – Devoted to Promoting China’s Caus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Business Environment learning Leadership program – training Qualified Senior

Manager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reen office---a recycling plan mainly in governmental offices;

National in-service Training for Administrator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Bureaus;

The Green Schools Program;

The Tripartite (Sino-Japanese-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TEEN)

Documentary for Internal Reference: “Environmental Protection, an Arduous and Long-

Term Task;

Documentary for Internal Reference: “Warnings of Ecological Problems in China”;

Television Lectures for Remote Environmental Training;

Training for National Auditor of the ISO14000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5. Case study: Antelope Bus project of “Friends of Nature”----a mobile bu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chools in Chinese rural area and publicity activity for community residents.

1) Mobil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

In May of 2000, the Antelope Car project under Friends of Nature began the first teaching in a rural school in Beijing suburban. The original idea of the program was derived from about several dozens of Fox Bu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all over Germany and the antelope project was sponsored by Germany environmental Ngo—Save Our Future (S.O.F).

From May of 2000 to may of 2001, the antelope car, the teacher group of the antelope

bus has taught 123 times and about 100 rural primary middle schools and some museums in

Three North China provinces. The main field of environmental teaching-learning is

concentrated on natural education, the main pedagogy of the antelope Bus is playing Games,

environmental planning simulation, role-playing. Every time the teachers have handed out

questionnaire to local teachers and students to collect the needed information for deeply

understand the issues and problem in rur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summer holiday of

2001,The antelope Bus has her sister Bus---Wild Horse Bus , and began the long march from

Xian of Inner Magalia, Ningxia ,Shanxi to Gansu ,Qinghai,Xinjiang to teach and call for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of rural and poor students in dry and deserted land in

West China.

101

Page 10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2) Green life practice---community environmental activityIn the past year, besides mobile teaching and learning in rural schools, the antelope Bus

also organized and participated in the green life practice activity .the teacher group go into 8

communities in downtown of Beijing and encourage the residents to recycle and How to save

energy and resource and reduce the waste. they encourage the residents to recycle 1490 Kg

paper, 480 Kg batteries, and they handed out 500 cloth bags to residents, In all , 2970 residents

have participated the activities .

The Present Situation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ina

Zeng Hongying (Project manager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Cente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s

State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 of China (SEPA)

1. The new progress of school EE in China since 1992

102

Page 10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As a developing country, China is in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ollutant generation quantity is increasing steadily as a result of the intensifying exploitation in

natural resources, the extensive mode of economic growth and the comparatively backward

technological and managerial standards. On the whol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destruction are becoming important factors restricting China'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major concerns of the general public.

The syllabus of compulsiv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of 1992 made by State

Education Commission(the former name of Ministry of Education of China) required schools to

teach pupil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national policies related to population, resources and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in the course "nature" in

primary schools and the courses such a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geography in junior

high schools." That some detailed requirements reaffirmed in this syllabus is a clear indicat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dded into the national educational policy formally as governmental

document.

The 1st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conference jointly hosted by State Education

Commission and NEPA in 1992 presented a guiding strategy: “education is the basi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is new phrase, most Chinese publics began to concern with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quality. Public's concerns with environment and requirement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 become stronger and stronge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scope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nhanced. Naturally, the new views from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are more introduced to mainland China, such as skills

training, interactive and inquiry ,theme-centered pedagogy and outdoors activit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ducators and teachers have obtained more and more support

from publics.

Since 1992 of UNCED, China government definitively puts forward to implement

sustainable development as one of most important fundamental strategy for national

development .These environmental policies and views are conveyed in “China’s Agenda 21-----

the white-cover book for China’s populati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21 st century”

published in March 1994 , “The Ninth five-year Plan for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Goal Prospect of Year 2010 of P. R. China” passed by National people's

Congress in March 1996.

With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econdary and primary schools

in China and impact mainly from European Eco-Schools Programm ,In December of 1996 ,The

103

Page 10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National Action Programme for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1996-2010) was

published by 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 People's Republic of China

Propaganda Department of the CPC Central Committee and State Education Commiss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governmental report put forward:”

By 2000, we should have gradually founded "green schools" across the country. As the

main indicators of such schools, their students shall conscientiously learn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cluded in the teaching materials of various courses, the teachers

and students shall have intens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y shall take an activepart in

environmental supervision, publicity and education geared to the needs of society, and their

campuses shall be clean and beautiful.

From then on Green school program was implemented all over China, and it is

estimated by CEEC of SEPA that about more than 3000 green schools was named by diffirent

level governments and 105 green schools was awarded by SEPA MOE by the end of Year 2000.

2.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In Formal Education 2.1. The System Of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Of China

104

State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SEPA)

EE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 Training ,cadres

EE Professional Training For Cadres In Environmental Departments of SEPA system

Introductory EE For Other Professions As an Elective Course In Colleges

EE Training For Teachers InColleges,Normal Universities Or In Educational Institutes

Professional EE Training For Colleges Students Majored In Environmental Science

Ph.DMS.Bachelor2year collegeHigher

Education

Secondary Schools

EE Mainly Infused In Subjects For General High School(13-18years)

EE Training For In senior Secondary Professional Schools (16—18 Years Old)

Primary Schools

Kindergarten Education

EE Mainly Trhough The Subject ”Nature”

No Strict EE Teaching Requirement ,Watching And Recognizing Natural Environments By Playing Games and other activities

Ministry of Education (MOE)

China ‘s EE System Structure

Tech-support

Colleges Under Other Governmental Or CPC Departments

Page 10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Figure1 .The System Of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Of China

2.2 National Polic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Since the 1970s,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gradually

in China, helping the general public improve to some extent their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al issues. However, a recent survey indicates that the

environmental awareness of Chinese public remains inadequate and the different regions and

different groups of people differ evidently in environmental awareness. It is still a pressing task

to strengthen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and enhance the environmental awareness

of the entire nation.

Based on the status quo, 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the former name

105

Page 10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of State Environemntal Protection Adiministration), People's Republic of China Propaganda

Department of the CPC Central Committee State Education Commission jointly issued "The

National Action Programme for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1996-2010)" On Dec

10th 1996. It can be looked as the key and newest national strategy for EE.

It also specially requires to set up a compulsive environmental course in teachers

training programs in secondary teachers schools, educational institutes, normal colleges or

normal universities; set up an elective or required cours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for non-

professional colleg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2.3 Reorientation of EE in ChinaIn June 2001, The State Council of China held the important National Basic Education

Conference. EE was re-orientated in the conference resolution” Resolution for Basic Education

reform and development by The State Council of China” which put forward: To make students

have fundamental spirit of creation, capability of take action, science and human literacy and

environmental awareness. Actually environmental awareness has been emphasized as the key

component of basic literacy for school students.

2.4 Policy Issues in EE Inadequate, vague Contents in the governmental reports

As usual most governmental reports in EE seems to be vague and general words, although these

reports mostly mention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EE. Many effective approaches that

should be undertaken haven't been found in most governmental documents in EE, such as fund

support system and invest amounts are vague.

Partial understanding to EE

In The National Action Program for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1996-2010), the

concept of EE was interpreted as three types of knowledge. Clearly, It is a wrong

comprehension, because any education doesn’t merely cover knowledge, although knowledge is

important for pupils. Developing Values, skills, law awareness, participation, emotion also plays

more and more roles in EE. Educators should understand a new view of education and

governmental administers who have more powers to educational reform.

Lacking clear policy support from Ministry of Education

Most educational departments haven't enough support from policy, for no strict requirements in

EE of schools or colleges. So EE activities in schools or colleges mainly depend on the

environmental awareness of teachers and local educators, instead of forceful governmental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y. In some cases, local Education Bureau thinks EE is burden for

the usual school teaching and cooperates with Local Environmental Bureau poorly.

106

Page 10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3. Courses Of EE in Prim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Infusion is the most dominant approach to impl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 study show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is higher for the

students who obtain environmental knowledge from Nature, Geography and Ethic than that of

the students who obtain environmental knowledge from Chinese, History. The same survey

shows that in secondary schools the environmental awareness is higher for the students who

obtain environmental knowledge from Geography and Biology than that of the students who

obtain environmental knowledge from Physics, Chinese (Wangmin, 1997). We think every

course and disciplinary method in schools is needed, but different subjects have different impact

to students’ awareness, attitude evidently. Especially” Nature” and “Society” in Primary Schools

and “Geography” in Secondary is the major subject work best infusing EE contents, which is

same idea with the study by Mckeown-Ice, (1995) and Chris Gayford (1993). A Survey made by

Chinese research group (Wangmin, 1997) indicates that geography is the most major subject

teaching EE in the senior high school (69%), second is biology (14.3%), chemistry is the third

place (12.1%).

Most of Geography textbook used in senior high school in China is the version

published by people education press. The main contents of the version of geography consisting

of population problem, resource problems, and environmental issues according to the main clue

of human ---- environments take up more than 30% coverage of this textbook. Biology for

senior high school introduces organism and environment, protec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s,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Chemistry relates to the contents of industrial pollution of

heavy metal, ammonia, fumes, organic pollutants, industrial effluents, acid rain and its hazards

and protection of ozone layer. (Notes: Textbooks of compulsive education for nine year

published by people's education press are used in 70% area of China. Other 30% textbooks of

other several versions edited and compiled by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All different

versions of textbooks used in schools nationwide will be written according to the newest uniform

educational syllabus made by MOE of China)

The problem will be changed when many teachers and educators have recognized.

Recent five year interactive and inquiry and theme-centered teaching method has been

introduced into China and welcomed by teachers and students, this methods work well in EE in

schools and develop and meet multi-level capability and educational aims and needs for

increase environmental literacy, instead of traditional knowledge-centered and ignoring-of-

comprehensive-literacy teaching method.

107

Page 10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With Chinese basic educational reform going, MOE put forward an initiation to

develop a compulsory subject ”comprehensive practice” which is composed of four parts:

learning base on dependent study ,labor technology, community service and social practice”, Of

the four parts learning base on dependent study which has one theme during one semester is on

the first place. The course is the pilot stage at present in China,it will provide more broder scope

for EE. Since 2000 enlightened by UK and HongKong Guide of EE, MOE pay more attention to

school EE during cooperation with WWF EE Programme MOE started to compiling “ China

Environmental Education Guide in Primary and Scondary Schools “ to guide the school EE in

the future

Reference 1, XU Jialin ,Wanghongqi ,Yang Mingchuan,Hao Fanghua, 1996,Environmental Guidebook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2, Zhu Zhengwei, 1991 “EE Teachers Guide” ,Educational Science Press ,

3, 1991NEPA,”Princples And Practice Of EE In China (1985-1990) By Chinese Environmental

Science Press,

4, H.R.Hungerford , 1991 Environmental Education Series 29---A Prototyp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iddle School,(Chinese )Chinese Environmental Science Press

5, Lin Peiying, Zeng Hongying,2000, Teachers Material Of EPD Programme Of UNESCO ,

Chinese Environmental Science Press ,

6, Xu Hui , Zhuhuaixin, 1994,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EE, People's Education Press ,

7, 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eople's Republic Of China Propaganda

Department Of The CPC Central Committee State Education Commission,1996, "The National

Action Programme For Environmental Publicity And Education (1996-2010)" ,

8,Hopkinson,M. 1978,The Geographyer’s Viepoint Environmental Edcu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123-134p

9,Mckeown-Ice,R.1995,Environmental Education:A Geographical Perspetive, Journal Of

Geography(1-2):40—42

10,Gayford,C. And Patrick,J.D.1995, Policy And The Practice Of Environmenal Education In

England: A Dilemma For Teacher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2):173—183

11,Xinhua Communication Of China, Resolution For Basic Education Reform And

Development By The State Council Of China”,June 15th ,2001

12,MOE, To Understand And Adapt The New Syllabus,China Education Daily, Nov 10,2000

13, Wang Min,1997, Study On Environmental Awareness Of Primary And Seconday School In

China.

14, Zeng Hongying, 1998, Study On Pre-Service Training For Secondary Schools Geography

108

Page 10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eachers.

Achievements and Prospects of Wetland Ecology Camp

for Children : YMCA

- Inspiring Our Children to Become Environment Watchdogs -

Lee Hee-chool (General Manager, Seosan YMCA)

Prelude

109

Page 11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From 1998 till the present, Susan YMCA has been holding a YMCA Wetland Ecology

Camp for Children every summer with a goal of provi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directly experience what God has created for us and to apprehend its value

properly. Based on my experience of planning ecology camp programs at Pyonsanbando in

North Cholla Province for two years from 1996, I was placed in charge of planning the Wetland

Ecology Camp program in Susan located in South Chungchong Province a few years ago.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first, look back in an objective manner upon the

achievements and mistakes that I have made while holding the YMCA Wetland Ecology Camp

for Children, and second, give you my prospects for this valuable program based on experience

and lessons that I gained over the last 6 years and lastly, introduce some case studies.

Camp Schedule

YMCA held a total of 9 camps this year from July 23rd to August 20th. Among which,

four of them were three-day camps while five of them were four-day camps. An average of 80

stud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each camp, which amounts to some 700 people in total.

The camps were held at one of the most beautiful islands in Taeahn-gun, South

Chungchung Province, called An-myon Island. As the name of the island implies, (it means

'wetland under the wind') the island is surely worth a visit although it is currently undergoing

difficulties.

The site was chosen based on our judgment that the ecosystems of the area, such as

saltpans, wetlands, rocky regions and forests, were well preserved and would be a priceless

educational venue for students.

10 people are involved in running the program, and of these, five are responsible for

food preparation while the other five are in charge of actually running the camp programs.

Three-day Camp Programs

Programs for the First Day

1) Entrance Ceremony (Prayers and Meditation, Announcement of Guidelines and Room

Assignment)

2) Learning sessions on salt

3) A field trip to the saltpans

4) Dinner

5) Slides on wetlands

6) Night-time exploration to wetlands.

110

Page 11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Programs for the Second Day

1) Meditation and walk

2) Exploration of wetlands

3) Swimming Time

4) Getting a Taste of Living Together

Programs for the Third Day

1) Collection of Wastes in Wetlands

2) Campaign on Wetland Preservation

3) Explore rocky regions to look for creatures living on the rocks

4) Lunch

5) Camp ending ceremony

6) Go home

Four-day Camp Program

In addition to another swimming time and an exploration of forest ecology, all the

other programs mentioned above will be carried out.

Features of YMCA Wetland Ecology Camp

There are many reasons why so many children are still taking part in the YMCA Wetland

Ecology Camp even after 6 years. The First and foremost reason is the dynamism that YMCA

Wetland Ecology Camp has. And in my view, the dynamism that induces curiosity and interest

of the children stems from the movements made in the wetlands including high and low tides

and movements made by various kinds of sea creatures.

I personally think that exploration of wetlands will provide rare and interesting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see for themselves something that they have never seen before

through TVs or any other mass media.

Things to Prepare for Children Taking Part in a YMCA Wetland Ecology Camp

The majority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camp has never seen wetlands before, since

they have lived in the cities throughout their entire lif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and the level of interest of children, it is better to have them fully prepared. Children

need to take the following:

-For A Field Trip to Saltpans:

111

Page 11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A bucket to fill salt with. (Owners of saltpans allow students, who study salt and visit saltpans,

to take some salt with them.)

- For A Field Trip to Wetlands:

Flashlights. (Taking a trip to the wetlands with flashlights in hand at night is not only an

interesting but also a rare experience that is incomparable to the visits in the daytime.)

- For Wetland Exploration: Magnifying Glass (Most of the creatures living in wetlands are small

so it is better to have a magnifying glass.)

- Daily Life: A pair of slippers. (Due to the watery environment, a pair of slippers is absolutely

essential.)

Rules that children should abide by during the YMCA Wetland Ecology Camp

1. Participation at pre-education as well as review programs

Features of new programs and detailed information on plants and animals will be

provided through pre-education and review programs. All of the program instructors are

instructed to make sure that the students review what they learned after attending the programs

through booklets distributed by YMCA before the camp.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se programs. Only by doing so, will children be able to boost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nature.

At first, when looking at blue crabs, children simply shout, "It's a blue crab." But as the

program goes on, children begin to observe blue crabs through magnifying glasses and try to

find out what breed the crabs are and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All of theses achievements

are possible thanks to a sufficient amount of time being given to students to carry out

exploration in a systematic way step by step. Moreover, the relaxed appearance of instructors,

which gives a sense of comfort to the children, and surprise gifts such as 'Wetland Ecology

Postcards’, are used to keep the concentration of children on the program.

2. Exploration Activities

Our exploration activities put special emphasis on the fact that wetlands are not

playgrounds but rather an important habitat for living creatures.

- Shovels, hoes and other collecting tools are not allowed when entering wetlands. Children can

go into wetlands with only bare feet and hands. Program instructors will dig up to show them

112

Page 11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he creatures such as lobworms and crabs that are hard to catch with bare hands.

- Children are not allowed to run in wetlands. (We emphasize the fact that children have a high

possibility of stepping on these creatures.)

- We tell children to say 'I am sorry' or 'Live well' when children let go of the creatures where

they caught them after observation. (When coming out of wetlands, children should be empty

handed.)

3. Living Guidelines

- During the camp period, children are not allowed to eat instant foods. Meals provided to

children will not use any kind of synthetic flavorings but natural ones.

- Programs with high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campfires, will not be

carried out during the camp.

- Children are instructed to be polite and nice to all the adults they encounter.

Evaluation

1. Hurdles to Overcome

1) Every YMCA assigns one instructor to a team of 10 to 12 children per program. The majority

of these instructors, who are in most cases volunteers, recognize their role as being a mere

guardian for these children. Therefore, they lack ability in providing rich and diverse

perspectives on ecology to children. Considering the fact that Wetland Ecology Camp as well as

other exploration programs requires a high level of ecological knowledge on the part of

instructors, this is truly a lamentable situation. Securing many instructors equipped with a caring

mind and high level of expertise is truly an important task for us all.

2) The number one priority for us is to provide teaching methods as well as facilities that are

suitable for children. But, there is not much progress on this matter either. In this regard, I think

the biggest challenge for us is to equip ourselves with a strong will and wisdom to solve

budgetary and all the other political issues.

3) By holding Wetland Ecology Camp on a continuous basis and thereby increasing the level of

expertise of the program, we hope to make the camp program an exemplary case of our Ecology

Program.

Knowing a lot about ecology is not enough to make a person a good instructor. A good

instructor requires an ability to read children's minds and to induce children's interest. Not only

113

Page 11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hat, an instructor needs patience and devotion as well. To find such an instructor, in my point of

view, we first need to come up with a plan to invest more on human resources on a long-term

basis.

In order to build a place to nurture watchdogs of nature

There is no other ideal educational venue for children than wetlands. When children go

home after two-day or three-day camp, I can see with ease that the light in their eyes has

changed. As a program instructor, I cannot help but feel joy and a sense of achievement after

seeing such changes in children. But at the same time, my heart aches with the thought of

reclaimed wetlands back home.

I was born and grew up until high school graduation nearby Chunsu Bay located in

South Chungchong Province, which was surrounded by wetlands. So, while growing up, I had

abundant opportunities to nurture my sensibility. The wetlands that surrounded my hometown

were known for its high level of ecological diversity and for its spawning grounds. And from

what I hear, people mounted a campaign against reclaiming the wetlands when Japanese

scientists came to develop them. But, back in 1984, Hyundai Group reclaimed it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controversies continue till this day.

I still dream of swimming freely in waters created by broken down dikes. And I am

sure the feelings that I get after waking up from that sweet dream are the same as that felt by

people who lost their homes from dam constructions.

We are now living in an era where even our leftover hopes and dreams gets filled up. Children

are our second pillar for our future. So, by guiding our children to the right path, I think, we will

be able to open a bright future for our nation and our planet.

The Trend in Socio-environmental Education in Australia: Clean Up Australia and Clean Up The World – A Case Study

Rose Read (Manager, Environmental Operations Clean Up Australia Ltd)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 longer simply about learning or raising awareness about

how the natural systems work in isolation – it is about acquiring new perspectives, values

knowledge and skills to equip us to change our behaviours to support an ecologically

sustainable environment for now and the future.

114

Page 11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oday I will outline the changing foc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ustralia, how

non-government organisations contribute to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Australia, and share

this with the world.

The past decade has seen a rapid explos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both

formal and non-formal. As a result of this development the Australian Government in July last

year released its National Action Pla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a Sustainable Future”.

This plan has two important purposes, firstly to provide leadership for the many sectors

involv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i.e. not just schools, but tertiary and non government

sectors) and secondly, to act as a starting point for an enhanced national effort in support of

Australia’s ecologically sustainable development.

What is important about this national plan is the strategic shift in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four areas. Emphasis is now focussed on providing people with

skills and knowledge to actually make a difference to protect and conserve the Australian

environment rather than increasing their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Ensuring

environmental issues and education are accorded the same priority as social and economic

issues. A greater effort in coordin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networking

on the internet and other environmental education forums. Integr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inciples across all areas of mainstream education.

Th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re to Australia’s National Plan of Action

are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nvolves everyone (i.e. government, industry, media, education

institutions, communities, NGOs, individuals) and is the responsibility of everyone.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lifelong, recognising that knowledge and skills need

to be updated and refreshed to address new environmental challenge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holistic and about connections (i.e. to think broadly

and understand systems, connections, patterns and causes rather than specialist discipline based

knowledge) where having an appreciation of the context of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essential and where formal education focuses on sustainability, including our indigenous people.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practical so that it leads to better environmental

outcomes rather than inert knowledge or impractical skill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 harmony with social and economic goals and is

accorded equal priority (i.e. it should not be taught in a vacuum but rather in balance with other

legitimate social and economic objectives).

There are more than 500 non government organisations in Australia from small local

community based groups to national organisations. Some focus on a particular issues such as

115

Page 11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conservation of a particular animal species while others may cover a wide range of issues from

nuclear waste to biodiversity. The role of these organisations in environmental education varies,

some groups contribute to the environmental knowledge pool through investigations and

research into threatened species and habitats, others lobby governments to seek legislative

change and resources to conserve our environment and of course all contribute to educating the

community (i.e. individuals, schools, businesses and governments) through various education

programs.

What are the common themes behind these organisation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pplying the principles of ecological sustainable development, developing the

community’s capacity to care for their environment, inspiring community action and working

together.

Clean Up Australia is one such non-government organisation that contributes to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Australia and the globe. Focussing on waste and water issues

Clean Up Australia’s mission is to inspire and work with people to clean up, fix up and conserve

our environment.

Born in Sydney Harbour in 1989 from the inspiration of one man, Australian builder

and solo yachtsman, Ian Kiernan, Clean Up Australia has now grown to become one of the

nation's largest community environmental organizations that conducts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mmunit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numerous long term

projects to restore and repair our environment.

Clean Up Australia’s initial foray into environmental education was through a simple

and practical idea to clean up our own backyard – Sydney Harbour – more than 40,000 people

came out on one day to clean up this majestic harbour. The next year – Clean Up Australia Day

was born. A community event that not only inspires people to clean up their environment but

also educates the community about the impacts of waste on our environment and more

importantly what they can do to conserve our environment.

As this community event has grown so has the organisation, in 1993 Clean Up

Australia with the support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took the Clean Up

Australia Day concept globally by launching Clean Up The World. Held over a weekend in

September each year the aim of Clean Up The World is to bring about long term changes in

attitudes and behaviours that will reduce waste by uniting people, governments, industry,

business, community and civic groups.

How does Clean Up the World work?

116

Page 11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he idea behind a Clean Up the World is simple. Volunteers work together in their own

community to carry out local Clean Up activities that result in a cleaner and healthier place to

live. Clean Ups are co-ordinated by community and environment groups, schools, scouts and

guides, government departments and officials, consumer and industry organisations, and

dedicated individuals.

Clean Ups are held in areas such as beaches, waterways, parks, markets, roadsides and

schools. Local organising committees choose both the sites and manage the Clean Up event.

Each organising committee is provided with a support kit that includes posters, bags, planning

guide, promotional video and promotional materials.

A recent addition to the support kit is the Clean Up the World Education Kit. This

education kit helps teachers teach students about the nature of rubbish and the resource needed

to produce goods, the environmental and health impacts of rubbish, that rubbish production can

be reduced, that rubbish can be reused and recycled, as well as get students ready for a Clean

Up event in their school or community and plan and implement long term action to fix up their

local environment.

Clean Up events vary between communities from local rubbish Clean Ups to education

campaigns, environmental concerts to photographic displays, tree planting projects and

establishing recycling centres.

From the initiation of recycling programs in San Miguel, Mexico, to the building of

compost facilities in India - through Clean Up the World we are seeing that the actions of

individuals can make an enormous difference to the health of the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build partnerships between government, business and the community to achieve the best

possible environmental outcome.

What we have found with Clean Up the World is that in many nations around the globe

we link up with like-minded environmental groups. But to other nations we are often their first

taste of an alternative to the legacy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that leads to a litany of social

problems – poor hygiene, disease, inadequate food and water, and social dislocation.

Clean Up Australia does not have too many illusions about our capacity to address all of

these problems, but that really isn’t what Clean Up the World is about. Rather Clean Up the

World focuses on empowering people to take community responsibility and making the most of

what few resources they have at their command. There are always alternatives to waste –

recycling, reusing and composting, for example, make good economic and environmental sense.

By teaching people how to co-ordinate a Clean Up event and by giving them basic

educational tool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we help people become role models in their

local community, meet other people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 generate media about

their local environmental issues, and raise awareness of government, industries and

117

Page 11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communities about local environmental issues, particularly waste minimisation, recycling and

wast management.

Through this activity people are introduced to new approaches to managing their local

environment. Communities learn and understand how we negatively impact on the environment

opening doors for them to thinking about new and positive ways in which they can turn that

around or minimise that impact.

Thinking globally, acting locally: that is the key to the power that we all have to make a

difference. To know we can and are willing to make a difference is testament that there is still a

hope to preserve our unique environment.

Clean Up the World has now developed into the world’s largest community based

environmental project. In 2001, Clean Up the World, with the support of its sponsors Duskin,

Natioanl Geographic Channels International, UNEP, KPMG and QANTAS celebrates nine years

at the forefront of global environmental awareness. This year, more than 38 million people in

124 countries will join forces under the Clean Up the World banner to make a real difference to

the Earth's environment.

Including, for the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and the Australian

Embassy Seoul who will join together to clean up the back street and surroundings of the world

heritage building, Jongmyo.

Given the response to Clean up The World, Clean Up Australia’s next step is to grow

thi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by building a global outreach program that enables

communities world wide to access practical environmental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olutions year round via the internet as well as share their stories and ideas on how to solve the

many environmental challenges that we face. This development could not be possible with out

the support of the National Geographic Channels International.

Clean Up Australia’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uch as Clean Up Australia

Day and Clean Up the World reflects the nature of man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ithin Australia. That being the promotion of ecological sustainable development; provision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a given subject matter (in this case waste and its impacts);

guidance, resources and encouragement for the community to take local action and generate

local support; and a school education kit that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school curriculum

activities.

By combining these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like Clean Up

Australia Day and Clean Up the World ensures that everyone is involv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i.e. community, industry and government, non-government organisations and

118

Page 11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individuals),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and skills are updated and shared across new

networks to address new environmental challenges, that through action people learn and

understand environmental systems and appreciate the concepts of sustainability, that people

develop practical skills that achieve real environmental benefit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efforts are coordinated, and that environmental issues are given the same priority as economic

and social issues.

This integrated approach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volving everyone, sharing

responsibilities and reinforcing the principles of ecological sustainable development are the core

compon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being delivered by non-government

organisations in Australia.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f “Forest For Life”

Hong Hye-ran (Manager, National Campaign “Forest For Life”)

I. Introduction1. Brief introduction of “Forest For Life (FFL)”

Korea carried out a successful reforestation program (the Green Revolution) during the

1960s and 1970s. A total of 65% of the country comprises mountains densely covered with

immature trees. These forests, properly taken care of by tending and thinning, could grow to

119

Page 12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forests three times healthier than what they are now.

“Forest For Life” is a national campaign founded in 1998. Member organizations are

the Citizens’ Environment Movement Group, Forest Scientists, Korean Forest Cooperation

Federation and the Forest Service. FFL has the following aims:

To promote the con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by caring for forests, not only in

Korea but in the global village;

To contribute to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by providing a focus for citizens

participating in activities related to caring for forests; and

To regain the old tradition and culture of harmony between humanity and nature, and

respect for nature, by promoting the love of forests.

To achieve these aims FFL carries out five (5) major activities.

1) Operation and management of demonstration forests,

2) Volunteer activities by young people and other citizens

3) Monitoring public projects and publicizing case studies

4) Policy development and related activities, and

5)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2.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Korea

Forests are the most common and important ecosystem in Korea. Traditional Korean

culture is very harmonized with nature and the forest. You can find a lot of tangible 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en you go to the forest. However, rural forests have been abandoned,

while since the 1970s urban forests have been changed to residential or commercial areas. City

life is rapidly becoming estranged from nature and the forest. Therefore,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aims to bring back the long tradition of harmony between humanity and

nature.

The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EEP) was introduced in the mid-

1990s. Some forest scientists in Korea went on forest journeys with citizens and some

environmental movement groups had a kind of outdoor class. These activities are believed to

have formed the beginning of FEEP.

In the late 1990s, FEE programs developed very quickly. The Citizens’ Environmental

Movement Group felt the need to develop a ‘forest environment movement’ and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Forest For Life’ and the ‘Forest

120

Page 12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Interpreter Association’ in 1998 and 2000 respectively. Many university and scientist groups

started their own programs or joined with citizens in the FEEP programs. The Forest Service(a

government agency) set up ‘forest guiding or interpreting programs’ in the recreational forests

and botanical gardens. The establishment of natural parks comprising huge beautiful forest

areas has followed. These days, there are also some trials of ‘school in forest (or forest school or

nature school)’ programs, which specialize in forest environment education.

FEEP i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These include forest interpretation

programs; nature game and learning tree programs; forest journeys; long-term forest camps; and

forestry volunteer activities.

II. Major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f FFL1. Learning Tree Classes for Kids

1)Purpose: Give kids the opportunity to be friends with trees and the forest and to learn about

the life of a tree. Encourage kids to respect the forest.

2)Participa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3)Sample activity: Group in different grades. Understand what a tree is.

- Name and character of different trees

- Tree societies and competitions

- Listen, touch, taste, smell, and look

- Be a worm!

2. Volunteer Forestry Activity

1)Purpose: Understand how to care for forests, and the benefits of a well-cared forest.

2) Participant: Students, citizens groups and others

3) Activity

- Practice forestry work like pruning and simple thinning

- Environmental education on forest ecosystems

3. Forest Journeys

1) Purpose : Experience different forest ecosystems with local cultures

2) Participant : For all

3) Activity

- Understand forest types, species, forest ecosystems, and geological situation

- Experience local tradition and culture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

ecosystems and culture in the area.

4. Forest Camp

1)Purpose: Observe the life of a forest closely while stay a couple of days, so that participants

121

Page 12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forest.

2)Participa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3)Activity

- Green shower (woods bathing)

- Nature game like walking with bare foot, maneuvering and decorating by natural things

- Making woodcraft

- Writing a letter for the future

4. Tree Planting For The Next Generation

1)Purpose: Tree planting not for us but for the next generation.

2) Participants: All who want to plant a tree in mountain area.

3) Activity

- Design of the area by forest experts

- Tree planting in spring

- Caring for baby trees from summer to winter

5. Volunteer Activity for Mountain Village

1) Purpose: Help mountain villagers wealthy and their forest healthy and make a good

relationship between urban and rural

2) Participant: University students

3) Activity

- Forestry activities

- Produce wood chips for soil fertilizer by utilizing forest products after thinning or pruning

- Discussion and cultural activities with mountain villagers

- Agricultural activities for farmers in the area

6. School Forest Program

1) Purpose: a)Improve the school environment , b)increase ecological awareness and

sensibility through planting/caring for trees, and c) create a forest culture in the school

community(students, faculty, alumni, and local community).

2) Participan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3) Activity

FFL is developing in 50 model schools.

- the first stage : organize ‘school forest project team’, and develop common ideas of ‘school

forest project’

- the second stage : survey th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of school

- the third stage : planning

- the forth stage : planting, management, and monitoring

122

Page 12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III. Conclusion : Problems and NeedsThe history of forest environment education in Korea is very short, so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and needs.

1)No varied programs and a quantitative shortage of programs -> Diversify FEE Program and

increase the number of FEEP organization.

2)Shortage of forest interpreters and technical knowledge. -> Establish a forest interpreter

training course and develop teaching aids for different needs.

3)Les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EE -> Develop and expand the forest environment

movement

4)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secure a place where programs can be practiced steadily and to

establish a system and law on forest environment education.

Sharing Our Planet with Wildl AnimalsEnvironmental Education on Wild Animals in Sorak Mountain

Park Grimm (President, Friends of Little Horn “Goral”)

Why do We Need to Protect the Wild Animals? When we say something is beautiful, it is because something is full of life and in action.

People say Sorak Mountain is beautiful. I think such a compliment by people is due to the

liveliness that wild animals and plants living in the mountain set off. People hope Mt. Sorak

could maintain its role as a cozy home for tigers, bears, deers and other wild animals. But what

123

Page 12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happened to all the wild animals that we once shared our mountain with? Is it so impossible for

us human beings and wild animals to share a mountain together?

Until the end of the 1970s, mountain climbers were able to see deers running around the

rocky mountain. Mountain climbers of that time still remember the overwhelming sense that

they felt when they saw deers running around in the mountain from far distances. People were

able to live in prosperity by looking at the beautiful views of and by receiving fresh spirit from

Mt. Sorak.

But now in the year 2001, Sorak Mountain is ailing and sick. Because of ceaseless visits

by foreign and domestic travelers, wild animals just don't have enough space to sustain their

living. As a result, people don't see wild animals as often as they used to, which ultimately led to

making their lives more desolate than before. As for children living in cities, they have less

chance than those living in remote areas to see wild plants or the footprints of wild animals or to

see the animals even at far distances.

With this in mind, it will not be too difficult to think how unrealistic it would be to try to

encourage or tell those children to love wild animals. These children will realiz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loving and protecting these wild animals only after they actually see and

touch for themselves the footprints and discharges of these animals. And I believe it is our job to

teach them how to share our planet with these wild animals.

Following is a quote from the World Wild Animal Declaration, which was adopted in

1962:

"Respect and love for living creatures comes out of love and respect for noble nature and zeal

that human beings possess. Whether it be animal and plant researchers, scientists, athletes or a

person with a good will and public spirit, any one who feels the need to save wild animals

should cooperate and exert effort in an effective manner to that end. If we unite, we can and we

will be able to save wild animals. But if we remain disintegrated, we will lose our wild animals

forever."

How can we get closer? Taking a step closer to wild animals is both a difficult and painful process. Therefore,

equipping people's heart with love for wild animals from head to toe is absolutely essential. In

order to stir up their interest in wild animals and make them to realize that they have a role to

play as part of the ecosystem, launching field trips that meet different levels of interest of

participants would be necessary. After realizing their role within the ecosystem, people will

begin to understand that love is absolutely essential in order for them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From the day they arrive at Mt. Sorak to the day they leave, people will have chances to

follow the footprints of the wild animals and look for traces left behind by these animals. In

124

Page 12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other words, the visitors will be given the opportunity to immerse themselves into the world of

wild animals.

* A Look at the World of Animals.

+ Arrival at Mt.Sorak around dinner time.

+ How does the world of wild animals look? - The story of the ecosystem

+ Discussions on the environment where wild animals live in after watching slides related to it.

+ Get use to the darkness, which is an object many people fear.

- Listen to animals cry in the dark.

-- Have a look at how animals move.

+ How to get closer to animals?

- Don't make any sound.

- Don't make any smell.

* Follow the footprints of wild animals.

+ Go into the mountains to look for the traces left behind by wild animals.

+ Look for the path and footprints of wild animals.

- What road did wild animals take?

= Why do wild animals always use the same path?

=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hs that wild animals take?

- Whose footprints are those?

= Categorize footprints according to the animals' shape and characteristics.

= What kind of behaviors of wild animals would leave behind footprints?

+ Find discharges!

- What shape is it?

= Categorize discharges according to their size, color and shape.

- What did wild animals eat?

= Are wild animals meat-eaters, vegetable-eaters or omnivore?

- Where did wild animals lie?

= On the rock? On tree branches? or On paths?

- How many wild animals lay here?

= Number and size of wild animals within a group?

- Looking at the traces, when do you think wild animals lay here?

= How did the traces change as time passed?

125

Page 12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 Did the animals have a good rest at their resting area?

- Where is the resting area?

= Under the rock or tree and etc.

- How big is the resting area?

- Describe the surrounding of the resting area.

- How many wild animals visited here?

+ This is my territory.

- How do wild animals mark a certain area as their own territory?

+ Wild animals ate here.

- By looking at how grasses are chopped off.

- By looking at wild animals' fur.

* Missing wild animals.

+ Why can't we see wild animals as often as we used to?

- Because their living space is very small.

- Because of the rampant poaching for health reasons.

+ Are there ways for us to live with wild animals?

- Have respect for life.

- Come up with preservation measures that suit the life of wild animals.

* Getting out of my own territory. + Where do I stand within the ecosystem?

+ What do I have to do from now on?

Confronted with many challenges

Wild animals are constantly exposed to threats. Any changes in their surrounding such as

unusual sounds or smells will make them run away and hide. Therefore, taking a step closer to

wild animals requires a careful approach. With high level of sensitivity of wild animals in mind,

we can say that there are many challenges ahead in our effort to get closer to these animals.

* The smallest group will be the ones to make it.

+ A group shall not have more than 10 members per trip.

126

Page 12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 Eliminate smell and remain quiet throughout the trip.

+ Wear simple and light clothing.

* Don't go too often.

+ Wild animals sometimes come back to the area where people visited about a month or two

after. However, in most cases, the animals don't come back.

+ People shall not look around several places per trip and shall refrain from revisiting the

already visited area too often.

+ Shall not be allowed to look for wild animals during the mating or breeding period.

* Not enough materials on wild animals.

+ It is difficult to prepare for a trip due to a lack of materials or information on the mammals.

+ We lack illustrated guides of animal footprints or wild animals. Making matters worse, even

the ones that we do have are written in technical terms that are difficult for non-experts to

understand and are inconvenient to carry around.

+ Public interest is low because we do not have sufficient publications that stress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wild animals.

* All paths are used as climbing paths.

+ Wild animals are seeing their territories shrink at a fast pace.

+ We can't check on wild animals because they live high up in the mountains, which entails

huge risks for human beings when considering a visit.

+ Wild animals don't come out for days and one can't see as many wild animals as one wishes

to.

+ Even I get caught in a trap set by poachers. Take me instead!

I see hope.

My heart starts to pound with excitement and my eyes begins to twinkle with curiosity

whenever I look for and find the traces left behind by wild animals and lie where the animals

lay. Even a quick thought of wild animals would be enough to make me smile. I am sure other

members of Green Korea feel the same way too. When we are climbing the mountain and come

across footprints of animals, even those who were falling behind come up with their leftover

127

Page 12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strength and ask in low voices, "Whose footprints are these?" I think this is the very question we

should bear in our minds as we begin our journey to share our mountain and planet with wild

animals.

We sure have a lot of things to do. So this kind of experience should not stop at a one-

time event but rather be reflected in our lives. Only by doing so, will we be able to create a

simple and eco-friendly society. And more importantly, wild animals will come back only when

we create an open society where every one can help each other out.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Japan2

Osamu ABE(Associate Professor, Saitama University, Faculty of the Education)

Information about IGESThe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IGES) was established on April 1st,

1998, but the idea of IGES emerged in 1995, proposed by the Special Council to the Prime

Minister. The proposal to establish an environmental policy oriented institute for Asia-Pacific

2 This report was prepar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Seminar, Seoul, Korea. 7 September 2001.

128

Page 12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region was submitted to then Prime Minister Tomiichi Murayama and under his initiative, the

program to establish IGES started. In 1997, the preparatory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and we

were able to form the present organization in 1998. In Hayama’s International Village, we have

around thirty researchers and twenty supporting staff. Among them, half of research staffs are

foreign researchers mainly from Asian region.

Right now IGES has six operating projects. One of them is the Climate Policy (CP)

Project. Global warming issu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among international society.

The CP Project are now working hard to develop Kyoto mechanisms deiced in COP3, and at the

same time IGES expects them to work on long-term strategies to reduce global warming gas

emissions. The second one is Urban Environmental Management (UE) Project. The UE Project

is conducting field research in Chinese and Korean cities. They are looking for measure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in Asian cities particularly focusing on China. The third project is

the Forest Conservation (FC) Project. The FC Project is also conducting field research and

organizing workshops and international meetings in South East Asian countries. They have

already conducted research in Indonesia and Lao P.D.R as well as other South East Asian

countries. They will be expected to propose some policy ideas to international negotiation in

terms of forest conservation. The fourth one i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 which is

the topic of the conference we are having right now. The fifth project is Business and

Environment Project. This project has just started in April 2001. They are conducting research

on how business sector’s activities influence to environment. Voluntary measures taken by the

business circle is also a part of the study being undertaken. The area is very promising and they

will come up with some concrete products and some proposals for the Asian business

community. Apart from the five projects, IGES also has the Long- Term Perspective and Policy

Integration Project, which aims to study measures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n the twenty-

first century through a crosscutting approach with a long-term view to make innovative policy

recommendation for policy makers. This project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cheme. Taking this fact into consideration, I believ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 is of great importance.

It is not necessary to explain you how the research and strategy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re important. The Japanese government paid serious attention to developing schem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Japan and Asia-Pacific region. And under the US-Japan common

agenda, the Japanese government has started a project 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Indonesia.

“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129

Page 13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he "Period of the Integrated Study" was established in order for individual schools to

be able to develop distinctive education and to make efforts to conduct interdisciplinary and

comprehensive teaching activities, particularly,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issues.

Children are given opportunity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energy issues and develop respect for the environment. They will be encouraged to develop

practical mind and ability to voluntarily take actions to preserve the environment and make it

better. Thus, great emphasis will be placed on problem-solving and hands-on learning

approaches.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ituation of the reg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be enhanced in related classes as well as in the "Period of the Integrated Study".

The "Period of the Integrated Study" aims at helping children develop capability and

ability to discover problems by themselves and solve those problems properly. Interdisciplinary

and comprehensive studies, which reflect each individual schools' efforts, and studies based

upon children's own interests will help achieve this goal. It also aims at helping children to learn

and reason, develop mind independently and creatively to cope with problem-solving activities

and/or inquiring activities, and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own way of life. It is

assumed that children's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in individual classes will be related with

each other and will deepen their understanding through the activities in the "Period of the

Integrated Study", and then they will work comprehensively for children.

Individual schools are expected to make efforts to develop activities for the "Period of

the Integrated Study". Specifically, learning activities will be developed starting from setting

tasks and/o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ubject. Contents are interdisciplinary and

comprehensive in nature and includ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formation, environment,

welfare and health. These contents, in which children are interested in and those activities

closely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school's characteristics.

Wh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study conversation in foreign languages,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hands-on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ir ages. For example, children can be

exposed to foreign languages and get familiar with foreign life and culture. Taking advantage of

the "Period of the Integrated Study", upper secondary schools should consider activities for

students to deepen and put together their knowledge and skills for the tasks they have set

independently and to examine themselves, their own way of life and their future plans.

Annually, 105 or 110 school hours will be allocated to the "Period of the Integrated

Study" for the third graders and older at elementary school, and more than 70 school hours

annually for lower secondary school students. Upper secondary school students will have

105~210 credits in total.

130

Page 13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Korea Organized Network of Ecological Conscious Teachers (KONECT)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h Chang-kil (Incheon Sungri Elementary School Teacher)

1. KONECTs Directions and Organization

Korea Organized Network Ecological Conscious Teachers (KONECT) is a voluntary

network of teachers with a high level of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issues and education.

Enhancing the nation’s awareness on the necessity of using ecological education (green

education) as a fundamental tool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of the 21st century is the

ultimate goal of KONECT. Following are the activities currently conducted by KONECT at

131

Page 13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he local level.

1) Experimentation with various types of green education.

2)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n various ways to teach green education in

order to

share and expand information and experiences.

3) Boost understanding at the community level o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heighten the level of expertise on environmental education by carrying out a series of

education programs that cover a wide range of environmental issues for teachers.

4) Develop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that cover ecology and environment

in the community.

5) Increased the number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by

encouraging more teachers to take action on environmental issues thereby making

environmental education a social movement.

The 1996 curriculum review, which was the sixth of its kind, created an environment

for schools in Korea to facilitate environmental education by requiring all schools to establish

an environmental course and to establish a department on the environment. Amid this

opportune situation, KONECT created a voluntary network with the following goals in mind :

1) To overcome innate problems that exist in the content as well as teaching methods of

environment courses.

2) To instill more dynamism into courses on the environment.

3) To make the content of courses much more rich.

4) To enable environment courses have a complementary role to textbooks.

On one hand, the requirement for an environmental course was good news to both

students and teachers. But on the other hand, the offering entailed the risk of making the course

narrow and making teachers and students think that an environment course was only one of

many courses available in the curriculum. In order to remove these risk factors and thereby

enable green education to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integrates all the other subjects that the

curriculum provides, KONECT reorganized its activities so that all of the teachers within a

school, regardless of what they teach, can participate in environment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has a tendency to become a course that is abstract and

superficial since it requires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pproach. In order break away from

132

Page 133: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this tendency an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method, which has a firm root in ecology,

KONECT redoubled its effort in bringing forward some of the theoretical problems to the

surface and in disseminating specific methods on how to teach environment courses by

distributing a quarterly published bulletin entitled, "Green Education."

A nation-wide network of environmentally conscious teachers began to take shape

from the year 1991 through seminars on the environment, which were held during summer and

winter vacations. On January 15th, 1995 some 50 members from 13 other regions gathered in

Busan and launched KONECT. Currently, some 1000 members are taking an active part in 21

regions including Seoul, Incheon, Daegu, Ulsan, Kwangju, Suwon, Ansan, Masan, Yeosu,

Haenam, Hong-sung, Suk-cho, Jang-heung and North Cholla Province. In the year 1999,

KONECT received an excellency award in environment education from The Kyobo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Culture.

2. Activities of KONECT

1) Facilitating Environment Education in Schools

i) Management of an environment clas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lasses

ii) Teach green education through various events in schools such as 'Thrift Market', 'Separate

Collection of Garbage' and 'Environment Market' and through activities in school gardens

such as 'Giving a name to trees and grasses,' 'Managing vegetable gardens,' 'Observing plants'

and 'Picture books of plants in schools' backed by full support from the local-level KONECT.

2) Programs on Ecosystem for Teachers and Students (Investigations, Travels and Field Trips

etc.)

3) Implementation of Nation-wide Training Programs on Environmental Education

- <’Environmental Problems of Dams at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and Ulsook Island’

was held in Busan from January 13th to 15th in 1995.

- <’Wetland Reclamation in Young-jong Island and Ensuing Environmental Problems’ was

held in Incheon from 4th to 6th of August in 1995.

133

Page 134: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 <’Culture and Environment of Community, Seeking Ways Forward for the Environment

Education Movement’ was held in Haenam from 26th to 28th of December in 1995.

- <’Ecosystem in Upo Swamp and Environmental Movements at the Community Level’ was

held in Upo Swamp in Chang-nyung, South Kyungsang Province from 3rd to 5th of

August in 1996.

- <’Development of Tideland in the East Coast and Environmental Problems’ held in Sokcho,

Kangwon Province from 26th to 28th of December in 1996.

- <’Environmental Issues in Areas Near Industrial Complexes’ was held in Ulsan from 26th to

28th of July in 1997.

- <’Environmental Issues in Major Cities, Exploration of River in Cities’ was held in Seoul

from 27th to 29th of December in 1997.

- <’Together with Bio-agriculture (Visiting Organic Farms)’ was held in Hongsung, South

Chungchong Province from 4th to 6th of August in 1998.

- <’Environmental Education on Trees and Forests, River Exploration in Suwon’ was held in

Suwon from 26th to 28th of December in 1998.

- <’Preservation of Marine Ecosystem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as held Yeosu from

10th to 12th of August in 1999.

- <’Environmentally-friendly Residential Culture and Green Education’ was held in Damyang,

South Cholla Province from 27th to 29th of December in 1999.

-<’Underwater Experience of Marine Ecosystems by Residents in Sangjokam’ was held in

Kosung, South Kyungsang Province from 26th to 28th of July in 2000.

-<’Saemangum Wetland Reclamation Projects and Wetland Ecosystems’ was held in Buan,

North Cholla Province from 26th to 28th of December in 2000.

-<’Eco-Agriculture and the Community’ held in Hongsung, South Chungchong Province from

13th to 15th of August in 2001.

134

Page 135: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4) Development and Publicity of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and Publication of

Materials

A.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Program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Green Classes that Breathe Fresh Breath into Life (A Book to Start A New Day With, 1996)

- Materials for Running Environment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heon)

- Materials for Running Environment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Approach of Environment Integrated Curriculum (Seoul)

- Materials for Running Environment Classes (Kwangju)

B.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Programs on Ecosystems

C. Sharing of Information

Operated a homepage: http://konect.ktu.or.kr/

5) Bulletin Publication

Published quarterly bulletin entitled 'Green Education' (Current Vol.34 of this

quarterly bulletin is the 250th issue.

6) Action on Environmental Issues at the Local Level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environment can be

maximized only when environmental education is supported by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ociety, KONECT is exerting every effort to mount a local-level environmental movement

with students who are entitled to the environmental rights of the future. In addition, KONECT

has expanded the scope of environment education by encouraging more teachers to take an

active part in solving environmental issues.

- <Campaign to Recycle Milk Bottles>

- <Declaration by some 10,000 Teachers Nationwide against Dam Construction in Dong

River and Wetland Reclamation in Saemangum> held in June 4th, 1999 with 12,630

teachers participating.

135

Page 136: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 <Declaration by 1,000 teachers against Saemangum Wetland Reclamation Project> was

organized by Jeonju Branch of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on April

12th in 1999 in Jeonju with 2,130 teachers participating.

- <Campaign by Residents to Save Rivers in Metropolitan Areas> was co-organized with

Seoul YMCA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1996.

- <Campaign to Save Chongcho Lake> was held from September 1994 to September 1996

thanks to an active participation by civic organizations, which was organized with an aim

of saving Chongcho Lake.

- <Campaign to Save Habitat of Winter Birds in Hanam> was held in 1998 to 1999 as part of

a movement to remove Haenam from the list of sites selected as most appropriate for

building nuclear power plants.

- <Campign against Building Unlim Hotsprings in Moodeung Mountain> was held in 1999.

- <Campaign to Save Nakdong River in Busan> was held from the year 2000 to 2001.

8) Creation of and Support for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t the local as well as social level

By forging a strategic alliance with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Green Korea, Friends of Wetlands and Birds, Catholic Environment Federation, Citizens'

Movement for Environmental Justice, Korean Wetlands Alliance, YMCA and YWCA,

KONECT contributed a great deal in facilitating the environmental movement in Korea.

9) Investigation Activities

Launched an investigation activity and field trips to Korean wetlands from 1998 to

2000 in the areas covering Imjin River to Nakdong River.

10) International Exchanges

- Members of Suwon KONECT visited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US and Japan in 1998.

- Members of Seoul and Incheon KONECT made a field trip to wetlands and forests in

Germany and Sweden that ar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 Members of Busan and Masan KONECT visited educational facilities that promot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in Japan.

136

Page 137: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Environmental Education of KFEM

Joo Sun-hee (Manager,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In spring, we sow the seeds. In summer, we endure the high temperatures and ensuing

difficulties. In autumn, we see trees bear fruits. And in winter, we see nature preparing to

embrace the forthcoming spring. This is the cycle of nature. Like the cycle of the nature,

everything has a beginning and an end. And the end point is where we prepare ourselves for a

new start. If we were to compare education programs at Korean Federation of Environmental

Movement (KFEM) to the cycle of the nature, where do we stand now?

Education programs at KFEM date back to the year 1988, when KFEM was operating as

the Korean Anti-Pollution Movement Association. From 1988 to 1992, the Korean Anti-

137

Page 138: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Pollution Movement Association provided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wice a year. From what I hear from my seniors, education programs at the time had dual

purposes: one, to make more people aware of air pollution and two, to make them

environmental activists to a degree. In line with these goals, education programs were mostly

focused on informing people about the seriousness of air pollution. To that end, field trips to

heavily polluted areas were planned. Through these trips, people were able to see for themselves

how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air pollution are in Korea.

Education programs began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with the launch of KFEM in April

of 1993. The biggest change was the introduction by KFEM of an institutional framework called

the Environment College for Citizens. From then on, people were able to receive education

programs in a more systematic way.

Education programs provided under the framework of the Environment College for

Citize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age of applicants. The first group

included programs such as Environment School for Citizens and Wednesday Environment

Class, which were mainly for adults. An Environment Exper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adults constituted the second group. The third group comprised an Environment Class for

Women. And the last group consisted of an Environment Class for Children.

The first group dealt with overall environment issues briefly and took a theoretical

approach towards the environment. Applicants were able to gain an insight into environmental

issues and a realistic view of them through sub-programs such as Environment 101 and field

trips and lessons on various issues. All in all, the first group served as a prerequisite course for

further studying on the environment. With the exception of class schedules, the Environment

School for Citizens and the Wednesday Environment Class were no different to courses in the

first group. The Environment School for Citizens was held twice a week, while the Wednesday

Environment Class met weekly.

After watching a continuing decline in the number of applicants, the Environment School

for Citizens decided to closed its doors in 1997 after taking in applicants for the 17th session.

The decision was, in part, an answer to the very question that the School had been asking itself

through out its existence, "Do we have to go on?" But in the larger context, the decision came

after the realization that the School's education programs needed to become more sophisticated

in order to meet the fastidious tastes and demands of the society and the people. After the

closure of the School, the program planners and teachers got together and began to review

programs that they provided for the 17th session, operating plans and other materials. (Attached

to this document.)

If we were to say that Environment School for Citizens was one pillar of KFEM's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the Environment Expert Program was the other pillar. The

138

Page 139: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Environment Expert Program was held once a week, usually on Monday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 and the Program was that while the former gave an overall review of

environmental issues, the latter gave more detailed information and explanation. At the time,

Song, Sang-yong, who headed the College of Humanity at the Hallym University, taught the

Environment Expert Program. Apart from teaching, Prof. Song extended his help to program

planning and public relations. The sub-programs provided under the Environment Expert

Program were Environment and Chemistry, Environment and Culture and Environment and

Economy.

Other programs provided through the Environment College for Citizens included the

Environment Class for Women and the Environment Class for the Elderly, which held more than

14 sessions. As for the Environment Class for Women, it was held every day in the morning

hours taking into account that housewives had different free hours from the ordinary public.

And the programs provided to housewives centered around issues that women had interests in

such as food, garbage and other fun activities that housewives can carry out with their family

members at home.

The year 1994 marked a pivotal point for KFEM's education programs in terms of both

content and format, especially in children's education programs. Various kinds of activities were

held including Weekend Environment School and Spring, Summer or Winter Camps. Two

camps were held during the summer vacation and one camp during the spring and winter breaks

respectively. In most cases, the camp lasted for 3 or 4 days. In addition to these activities,

KFEM began to publish a newsletter for children living in Seoul entitled, 'Poo-lum-ee.' The

number of members of the newsletter grew exponentially to reach some 1,000 from around 180

in 1994. Thanks to active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the newsletter recently forged a team of

children reporters under the same name to provide updated news.

In the year 2000, education programs at KFEM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ivic

Participation and Education Center. With the establishment of an auxiliary organization entitled

the Environment Education Center, the education programs at KFEM can be said to have

entered maturity. The division means not only the technical division of programs in terms of

content but also provides more independence and freedom to education programmers in

planning and running their courses. Programs run through the Center have included field trips,

camps during vacations and planning and operating education programs commissioned by other

organizations. Programs provided through Civic Participation have included visiting farms on

the weekends, providing ecoguides with a high level of expertise, and monthly field trips and

camps during the vacation. For the latter half of 2001, KFEM is planning to provide continuous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various new activities such as field trips to ecology education

centers and education focused on experience.

139

Page 140: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Compared to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efore 1995, the programs initiated in the last

six years are far more diverse and oriented towards children and family. The venue for

education has also changed from inside the classroom to outside, where people can directly

experience how much our environment is damaged. Ecosystem Journey, Inspection of Trees,

Insects, Wild Plants and Wetlands have all been part of this effort. In the past, regular but not

continuous education was available. But now, continuous education is possible through

newsletters or bulletin boards that are run by each program.

To summarize, the major changes now taking place in the education programs at KFEM

are as follows:

1) Variety in the content of programs according to the age groups of applicants.

2) High level of effort in developing education materials and tools.

3) Increasing number of outside projects and programs.

4) Teams, auxiliary organizations and other professional organizations assuming more

responsibility in providing technical information. For example, programs on energy are carried

out by the Alternative Energy Center and retraining programs for environmental activists are run

by the Civic Environment Research Center on a weekly basis.

▷Attachment 1

Operating Plans for "The 17th Session of Environment School for Citizens"

1. Program Name: The 17th Session of Environment School For Citizens"

2. Purpose: Provide an insight and a realistic view to the public on environmental issues.

3. Period: Jan. 7th, 1997-Jan. 28th, 1998

Lessons are provided every Mondays and Tuesdays and field trips are planned on Sundays.

All in all, 8 meetings are provided.

4.When? 7:00 pm -8:30 pm (90min)

5.Where? KFEM's Education Center

6.Number of Expected Applicants: 40

7.Curriculum for Education Programs

Curriculum for “The 17th Session of Environment School for Citizens"

140

Page 141: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DATE TOPIC INSTRUCTOR

First Week

(Jan. 7th)

Policy and Direction of Environment Movement in the

21st Century

Choi, Yul

(Secretary General of KOFEM)

Second Week

(Jan. 9th)

Finding out the level of water pollution by observing

underwater creatures. (Slides prepared)

Ryoo, Chang-hee

(Director of Madang Ecology Research

Center)

Third Week

(Jan.14th)

Case Study of Civic Movement; Problems in Policy on

Waste

Lee, Dae-su

(Director of Kunpo Community

Research Center)

Forth Week

(Jan. 16th)

Last Treasure House: Wetlands

(Slides prepared)

Choi, Yei-yong

(Organization Director of KOFEM)

Fifth Week

(Jan. 21st)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A Tour Around

Ecology

Lee, Kwang-hee

(Head of Tourism Development

Institute)

Sixth Week

(Jan. 23rd)

Alternative Policy on Sustainable Energy Lee, Hang-kyu

(Head of the EUPEC’s Asia Branch)

Seventh Week

(Jan. 26th)

Field Trip

: Explore Forest Ecology

Lee, Kyung-jae

(Professor at University of Seoul)

Eighth Week

(Jan. 28th)

Law and Environment Oh, Se-hoon

(Head of Civic Law Adviser)

*Attachment 2

- Programs for the Public on Renewable Energy

The Alternative Energy Center is running a session on renewable energy for the public. The

session will last from July 27th, 2001 to December 28th, 2001 and the classes will be provided on

the last Friday of the month from 7 pm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located in Taehak-ro.

The classes will mainly discuss renewable energy and the future of sustainable energy. Why

don’t you come and join us!

Date Topic Time

141

Page 142: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kfem.or.kr/wp-content/uploads/2001/09/data_envinfo_eedu... · Web view통합학습시간(Period of the Integrated Studies) ” 통합학습시간은

July 27th How should we solve the energy crisis? 7 pm

Aug. 31st Generating Electricity through Solar Energy: A Roof is all that is needed to

avoid the need to build nuclear power plants. 7 pm

Sept.28th Solar Energy will heat homes and supply hot water 7 pm

Oct. 26th Wind Energy Gaining High Popularity 7 pm

Nov. 30th Hydroelectric Power, Biomass, Geothermal Energy and Fuel Cell 7 pm

Dec. 8th Future of Energy 7pm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