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28
특수체육학의 이해 1주차 강의

Upload: others

Post on 26-May-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특수체육학의 이해

1주차 강의

Page 2: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용어 논쟁

4. 특수체육학의 정체성을 보는 관점

5. 미국 특수체육지도자 양성 및 교육과정

6. 한국특수체육학의 정체성 탐색

Page 3: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들어가기

19

00

1970-현재

평생 신체활동 (Adapted Physical Activity)

1970

특수체육 (Adapted Physical Education)

1900

1950

교정체육 (corrective Physical Education)

1930

스포츠로의 전환 (Transition to sports)

의료체육 (Medical Gymnastics)

미국의 특수체육

세계 특수체육학회(2001)

Adapted Physical Activity

학령기 및 학교체육

평생 신체활동

Page 4: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들어가기

한국의 특수체육

1.잠재 고객

2005년

2004년

2000년 이후

1995년 이후

1991년 이후

특수학교 장애학생 체육활동과 관련된 연구 및 장애인 엘리트스포츠 관련 연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통합체육 관련 연구

특수체육과가 설립된 대학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특수체육교실 및

장애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얻게 된 현장 연구물들을 주로 발표

장애인체육의 조직 및 행정 이전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면서

장애인체육의 조직 및 행정관련 연구

장애인체육회 설립 문제에 관한 찬반 의견이 대립되면서

장애인체육회 설립에 관한 방안 모색 관련 연구

1900년 한국특수체육 창립

1993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창간호 발간

Page 5: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들어가기

1.잠재 고객 1988년 서울 파랄림픽 2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 특수체육학의

미래 발전 방안 모색관련 연구 2008년

이러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장애인체육 분야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의 인식과 시각, 그리고 역할 및 기능도 변화해야 할 것임.

특수체육의 패러다임 변화

장애인에 대한 시각 변화

장애인 당사자 주위에 입각한 정부 정책의 변화

Page 6: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Page 7: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 미국내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일선 학교현장에서 장애인들에게 체육활동을 지도하는 특수교사들이 주로 사용 • 장애인을 기준으로 그들이 즐기고 참여하는 체육프로그램 의미

• 체육학을 전공하고 장애인들에게 체육활동을 지도하는 사람들이 즐겨 사용하는 용어 • 장애인이 일반인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목적

Special

Physical

Education

Adapted

Physical

Education

• 2001년 이후 APE와 SPE가 APA로 통일되어 사용. • 평생에 걸쳐 나타나는 심동적 문제의 규정과 해결을 위한 다학문적 지식으로 특수체육을 바라봄. • 장애인의 신체활동을 돕기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하는 서비스 전달 체계, 전문성, 연구 및 지식체계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

Adapted

Physical

Activity

Page 8: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APE model to guide understanding of philosophy

Self-actualization

Outcomes Or Benefits

NASPE Standards for

Students

Federal Law Components Of Physical Education

Interaction Domains for Empowering

Change

Active, Healthy lifestyle At all ages

Affective

Cognitive Psycho motor

EMPOWERMENT

Physical & Motor fitness

Motor skills & patterns

Skills in sports, Dance, game,

aquatics

•Physically active lifestyle

•Health-enhancing level of physical fitness

•Competence in many movement forms & proficiency in a few

•Application of movement concepts and principles

•Responsible personal and social behavior in physical activity settings

•Understanding of the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Page 9: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특수체육의 개념

질 높은 전문성

서비스 제공

교육 코칭 훈련 임파워먼트

성공적인 체육활동의 목표 성취

모든 연령의 장애인

Page 10: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APE와 APA의 개념 비교

기준

구분 의미 시간적 공간적 연령 목적

APE 협의적 학령기 교육기관 6-21세 (Winnick, 1995)

회복과 교정 (Winnick, 1995)

APA 광의적 평생 모든 곳 평생 삶의 질

향상

Page 11: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특수체육학의 용어 논쟁

Page 12: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3. 특수체육학(APA)의 용어 논쟁

• 2001년 세계특수체육학회에서 특수체육이라는 용어를 Adapted Physical Education 대신 Adapted Physical Activity로 사용할 것을 선언.

학교체육에서 담당했던 장애학생의 체육활동을 학교체육의 울타리를 벗어나 장애인들이 평생

동안 신체활동을 할 것을 권장

APE APA

Page 13: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특수체육학의 정체성을 보는 관점

스포츠 장애 장애인 스포츠

인식의 변화와 발전

다양하고 복잡한 조직의 형성

목표와 목적이 재정립

운동참여의 기회 확대로 인한 경기력 향상

Page 14: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특수체육학의 정체성을 보는 관점

Page 15: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특수체육의 필요성

특수교육의 정책 변화

교육기회의

확대

교육내용의 질적 향상

특수교육 진흥법 개정안 발표 2006. 9. 21 특수체육

중요성과

역할 증대

• 자아실현

• 건강

• 삶의 질 향상

교육인적자원부

Page 16: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특수체육학의 정체성을 보는 관점

특수체육전공자는 적어도 이러한 내용들을 습득해야만 바람직한 특수체육지도자가 될 수 있다

는 사실을 암시 (Hutzler & Sherrill 2007)

전문직으로서 특수체육

신체활동과 관련 서비스로서의 특수체육

연구 및 지식체계로서의 특수체육

Page 17: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신체활동과 관련 서비스로서의 특수체육

스포츠나 신체활동에서 장애인을 안내 할 수 있는

행동이나 태도

전문직, 학문적인 지식체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의미

APA

미국 캐나다 호주

생동감 있고 살아 있는

기회의 창조를 도울수 있는 지식의 몸체

Page 18: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신체활동과 관련 서비스로서의 특수체육

궁극적인 목적

특수체육

프로그램의 목적

특수체육 프로그램의 목표

특수체육 하위영역의 목표

Page 19: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전문직으로서의 특수체육

실질적인 지적 작용

공공 서비스

연구 지식 기반

의사 소통 능력

실습 자기 조직화

이러한 기준을 통해서 볼 때 특수체육학은 전반적으로

전문성이 있음

Page 20: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연구 및 지식체계로서의 특수체육

연구 및 지식체계로서의 체육의 7가지의 지식체계

첫째. 질문의 해답을 주 수 있느냐

둘째. 하위 전공이론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전통이 있느냐

셋째. 독특한 이론적 개념 구조가 있느냐

넷째. 고유성과 임의의 특성이 있느냐

다섯째. 연구방법과 절차를 인정하느냐

여섯째. 지식의 체계와 연구결과를 인정하느냐

일곱째. 타인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언어가 있느냐

Nixon(1967)

연구방법

과 절차

이론, 모델

패러다임 전문용어

지식기반

Reid와 Stanish(2003)

전문성과 지식체계를 정립을 위한 기본 전제

조건

Page 21: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미국 특수체육지도자 양성 및 교육과정

Page 22: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미국 특수체육지도자 양성 및 교육과정

1995년 미국특수체육지도자를 위한 기준 지식

(APENS)개발 실행

전미장애인체육 및 레크리에이션 협회

1991년부터 특수체육지도자 자격 검정과정을 실시

특수체육 전공자도 아무것도 모른 채 장애인 지도

전문 지식이 요구 되기 시작

Page 23: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미국 특수체육지도자 양성 및 교육과정

인간발달 운동행동 운동과학 측정 및

평가

역사 및

철학

학습자의

독특한 특성

교육과정 이

론 및 개발 교수법

지도설계 및

계획 평가

협의 및 행

정지원 개발

프로그램

평가 계속 교육 윤리학 의사소통

미국 특수체육지도자를 위한 표준지식의 15개 세부 전공 분야 (NCPERID, 1995)

Page 24: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미국 특수체육지도자 양성 및 교육과정

1년차 특수체육지도자의 역할과 책

임을 결정하기 위한 직업 분석

2년차 역할과 책임에 기초한 기준 내

용을 개발하고 타당성 검토

3년차 기준들의 측정을 위한 200개

이상의 평가 질문을 개발 검토

4년차 평가 항목에 대한 국가 수준의

타당성 연구를 수행

5년차 제1회 국가자격시험을 개발하

고 실행하는것에 초점

1992년 미국 특수체육 지도자 국가자격시험 개발 프로젝트

Page 25: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우리나라 특수체육학의 정체성 탐색

우리나라에는 12개 특수체육관련 학과가 개설

특수체육이 발전한 미국조차에도 특수체육학과 없음

체육학 관련학과에 2~3명의 특수체육 교수진 배정

특수체육학의 존재로 특수체육학이 지속적인 발전 기대

Page 26: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우리나라에서의 특수체육학 관련 용어 정의

특수체육은 운동기능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에게 그들이 필요로 하는 특별한 교육적 배려를 하는 넓은 서비스 전달체계를 말한다. 곽준기, 김효선 및 우보경 (1991)

특수체육은 특수와 체육의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수체육은 체육의 특별한 분야로서 개인차 혹은 장애로 인하여 일반체육 프로그램의 수행이 곤란하여 특수한 교육적 장치나 지도를 필요로 하는 개인과 집단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최승권(1994)

특수체육은 장애인들에게 일반인들이 느끼는 신체활동의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체육프로그램의 규정을 개개인에게 적절하도록 변형한 것이다. 김의수, 김광호, 오광진(1996)

특수체육이란 일반인이 수행하는 체육을 정상적인 방법으로 실행할 수 없는 특수한 조건의 사람들을 위하여 만들어진 체육이며 특수체육은 장애인들에게 일반인이 수행하는 전통적인 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규칙과 방법을 변형하여 실행하는 체육을 의미한다. 장명재, 김경숙, 장경호 및 최원현 (1998)

Page 27: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우리나라 특수체육학의 정체성 탐색

1988

• 용인대학

교 특수

체육학과

설립

1994

• 한신대학

교 특수

체육과

설립

1998

• 한국체육

대학교

특수체육

과 설립

2008

• 12개 대

학에서

특수체육

교사 및

지도자

양성

2003년 장애인스포츠지도자 교과목

교양과목

•장애인스포츠론, 건강관리론, 장애인스포츠와 법

일반과목

•장애인스포츠론, 운동처방, 코칭론, 종목별 훈련법,

등급분류, 운동상해와 처치

2008년 특수체육과의 교과과정 개편안

이론과목

•장애인스포츠론, 장애인코칭론, 장애인체육 진단 및 평가, 장

애인트레이닝방법론, 장애인여가레크리에이션, 장애인체육

조직과 행정

실기과목

•지체장애스포츠, 정신지체스포츠, 시·청각장애스포츠, 장애

인운동프로그램론, 장애인스키

우리나라의 특수체육이 점점 발달되고 전문화되고 있다

Page 28: 특수체육학의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Pusan/LeeHyunsu/… · 1. 특수체육 변화 2. spe와 ape, 그리고 apa의 개념 고찰 3. 특수체육학(apa)의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