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24

Upload: others

Post on 04-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2010. 12) : 281-304 281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 충북지역 사회적 기업가 및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1)

Survey on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ing Social

Entrepreneurship Program

- Focused on Social Enterprise Workers and Expert Group in

Chungbuk Area -

네모토 마사쯔구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Abstract

Nemoto Masatsug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ing

social entrepreneurship program in Chungbuk area. There are two research

objects for this study: First, needs survey of social enterprise workers, second,

an expert group on social enterprise. And the differences in result between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as follow: Social enterprise workers have more

interest in economic value than expert group which has concern for social

valu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n Chungbuk area, coordination

between workers and experts who participate in social enterprise will be

involved in development cycle of social entrepreneurship program in addition to

university curriculum as middle-long plan.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resources for financial assistance available to workers pursuing social

enterprises.

주제어: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수요조사, 전문가 집단, 충북지역

Key Words: social entrepreneur, education program, needs survey, expert

group, Chungbuk area

1)* 이 논문은 2009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9-413-B00031).

Page 2: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282

Ⅰ. 서 론

지구적 규모의 환경문제를 위시하여 갈수록 확대되고 심각화되는 다양한 문제에 대

하여 정부의 한계, 시장의 한계가 두드러지면서 이와 다른 시스템으로 활동하는 조직

에 대한 중요성이 세계적으로 재인식되고 있다. 그러한 조류 속에서 한국에서는 2007

년 ‘사회적 기업 육성법’ 제정을 계기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런데 한국 사회적 기업 육성과 관련한 현재적 과제 중에서는 ‘사회적 기업가 양성

및 리더십 증진’, ‘네트워크 형성’,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위상 정립’ 등이 핵심적 과

제로 대두되고 있다(이은애, 2009: 64). 그것은 사회적 기업가가 사회적 기업을 형성하

는 핵심적 주체로서 사회적 기업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

치)의 균형과 조화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장우진, 2010; Bridges, 1992) 창조적인 사회

적 기업의 지속성을 확보하는 주체라는 점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 고용노동부에서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기업 육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사회적 기업이 지역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자발적 기업임을 고려하면, 사회

적 기업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도록 개발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에 층북지역의 경우 다음과 같은 지역특성을 고려한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사회적 기업의 양적성장으로 정부는 2012년까지 인증 사회적 기업 1,000개 육

성, 50,000개 고용창출을 제시하였다. 또한 충청북도 차원에서도 경제통상국 산하에

일자리창출과를 신설하고 2014년까지 충북형 사회적 기업 100개 육성, 8,000개 고용창

출을 고시한 바 있으며, 2010년 7월 현재 18개의 인증 사회적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둘째,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는 역할이 중앙에서부터 지자체 중심 체제로 전환되고

있다. 충청북도는 2009년에 ‘충청북도 사회적 기업 지원조례’를 제정하였고, 2010년부

터는 사업 개발비, 사회적 일자리 사업의 단계적 지자체 위탁이 추진되고 있으며, 지

방자치 확대에 부합한 육성정책 구상 중에 있다.

셋째, 사회적 기업 및 예비 사회적 기업의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이다. 충북지역 사

회적 기업의 애로사항을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마케팅 지원(19%), 참여자 및 관리

자 업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9%), 재무·회계 역량강화(5%) 등의 순으로 조사된

바 있다(최승호, 2009). 또한 충북개발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예비 사회적 기업이 사회

적 기업 전환 저해요인 중 1순위로 전문기술과 운영인력의 부재를 꼽고 있다.

넷째, 충북지역 사회적 기업가 교육체계의 임시성이다. 2010년 현재 충북지역 사회

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은 비상설 교육과정으로 개설되어 있다.

다섯째, 사회적 기업의 시장 친화성 강화이다. 정부 주도적으로 보호된 환경에서부

터 시장경쟁을 통하여 자립하는 방향으로 체질개선 및 역량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Page 3: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283

이처럼 충북지역에 있어서도 사회적 기업의 양적성장, 지자체 중심 및 시장 친화성

강화 등 외부환경의 변화와 동시에 양질의 인적자원을 발굴, 육성, 투입하여 질적 성

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즉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상시적으로

연속성을 구비한 사회적 기업가 양성 교육체계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충북지역 사회적 기업이 형성하는 네트워크에 관현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사회

적 기업의 성정을 위해서는 앞으로 사회적 기업 간의 네트워킹 활성화가 필요하다(최

영출·최외출, 2010). 또한 사회적 기업 평가에 대한 연구에서는 사회적 고용규모, 취약

계층 고용규모, 사회적 서비스 제공정도의 순으로 사회적 성격(사회적 목적 추구성)에

관한 지표의 중요도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최영출·이상엽, 2010). 따라서

네트워킹 강화 및 사회적 성격에 대한 성과측정의 고도화 등이 후속연구의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내용을 포함한 핵심적 과제로서 충북지역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

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하여 기존 연구(민동권 외:

2009; 박재환·김용태: 2010)는 한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구체적으

로 국내의 한 지역에 한정하여 각각 특성에 적합한 내용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북지역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적으로 개발하는

전(前) 단계로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충북지역 사회적

기업가와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 분석하고자 하였다.

Ⅱ. 사회적 기업가와 교육 프로그램

1. 사회적 기업가의 개념

1) 사회적 기업가의 정의

사회적 기업가에 대한 정의는 <표 1>과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그 공통점을 찾으면 사회적 변화를 이끈다는 특징이 있지만, 나머지 요소는 일반적

영리기업과 정부기관에도 해당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사회적 기업가뿐만이

아니라 사회적 기업에도 해당되는 특징이기도 하다.

한편 ‘사회적 기업 육성법’에서 정의되는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사회 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기업으로서 일정한 요건을 갖추어 인

증을 받은 자를 말한다(§2①). 이는 앞서 제시한 사회적 기업가에 대한 이론적 정의를

한정적으로 해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사회적 기업가 및 사회적 기업의 개

Page 4: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284

념은 이론적 정의와 범률적 정의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가 후자를 포섭하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사회적 기업가란 영리·비영리, 정부·비정부의 중첩영역에서 사회

적 변화를 이끌기 위하여 법제도를 포함한 지역자원을 동원하는 자라고 할 수 있다.

<표 1> 사회적 기업가에 대한 정의

구 분 정 의

국외

Ashoka

Foundation· 혁신적 해결책으로 사회의 제일 부담스러운 문제를 풀어 나가는 자.

Dees(1998)

Prabhu(1998)

· 특별한 부류의 리더로서 ‘사회적 사명(mission)을 가진 사업가’.

· 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자원을 축적하고 행동을 실행하며 혁신하고

기회를 이용하며 다양한 방법을 융통성 있게 활용하는 자.

Neck et al(2009)· 사회적 변화 담당자로서 그리고 인본주의를 고양시킬 수 있는 혁신의

개척자.

Roper & Cheney

(2005)

· 자신과 자신이 이끄는 조직을 혁신적이면서 사회적 책임이 있다고 여

기는 새롭게 떠오르는 혹은 경험이 있는 CEO.

· 조직의 성과와 수명의 개선을 위해 사업모델을 도입하는 비영리 기관

이나 사회단체의 관리자.

· 스스로가 조직과 사회의 변화를 위한 역할을 한다고 여기는 자선가.

Dunn & Piley

(2004)

· 사회적 경제 내부에 존재하는 서비스 공급의 새로운 형태와 혁신적 시

장 등을 제도화하는 데 관심을 갖는 자.

Horton(2009)· 환경문제를 포함한 사호적인 문제해결에 기업 및 경영기술을 적용하는

자.

국내

고용노동부· 사회적 가치와 임무를 실현하기 위하여 혁신적 접근방식과 프로그램으

로 사회문제를 풀어 가고자 하는 기업가.

김신양(2009)· 사회적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사회적 자원을 동원하는 주체로서 사회

적 문제 및 지역사회의 필요에 부응하고자 혁신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자.

2) 사회적 기업가의 현황

사회적 기업가는 법률 상 인증된 사회적 기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직체에서

활동하고 있다. 단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위주로 관련한 지원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한국에서는 법률체계와 사회적 실태 간의 관계를 조절해 나가는 관점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충북지역 사회적 기업가의 현황을 살펴보면, 인증 사회적 기업 외

에 자활근로 및 공동체, 시니어 클럽, 장애인 보호 및 표준 작업장, 복지관 등 산하

사업단 등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들 수 있다.

각 규모를 살펴보면 충북지역(12개 시·군) 사회적 기업의 단체 수는 18개, 종사자

수는 766명이다(2010년 8월 현재, 표 2 참조).

시니어 클럽은 청주시(4개소), 충주시(1개소), 청원군(1개소), 진천군(1개소)에 있고

시장형 및 창업 모델형 사업으로 29개 사업단을 운영 중에 있으며 현재 2개 사업단이

‘사회적 일자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2010년 8월 현재).

Page 5: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285

자활근로 및 공동체는 충북 12개 시·군에 1개소씩 있으며, 평균 8.2개(총 98개)의 자

활근로 사업단과 4.6개(총 55개)의 인정 자활 공동체가 운영되고 있으며 그중에서 사

회적 기업 인증을 받은 공동체가 7개 있다(2008년 11월 현재).

장애인 보호 및 표준 작업장은 청주시(4개소), 충주시(2개소), 제천시(2개소), 청원군

(2개소), 영동군(1개소), 옥천군(1개소)에 있다. 그중 2개 작업장이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았으며 2개 작업장이 사회적 일자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2010년 8월 현재).

복지관 등 산하 사업단은 충북지역 종합 사회복지관 10개소, 장애인 복지관 6개소,

노인 복지관 10개소 및 시민사회 단체가 다양한 시장형 일자리 창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중에서 충북 사회교육 센터, 흙살림 등 7개 사업단이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

았고, 충북 이주여성 인권센터, 제천 YWCA, 음성 장애인 복지관 등 10개 사업단이

사회적 일자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2010년 8월 현재).

인증 사회적 기업 내지 ‘사회적 기업 육성법’의 적응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상과

같은 단체에서 사회적 기업가가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표 2> 충청북도 사회적 기업 종사자 현황(2010년 8월 현재)

시·군인증 사회 적기업 예비 사회적 기업(노동부사회적일자리)

단체 수 고용인원(명) 단체 수 고용인원(명)

청주시 9 181 8 201

충주시 1 26 2 23

제천시 2 47 4 63

청원군 3 156 - -

영동군 1 29 - -

진천군 1 7 - -

괴산군 1 23 - -

음성군 - - 1 10

합 계 18 469 15 297

2.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1)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의 기능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는 한국 그리고 국내외를 비교하는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민동권 외(2009)는 한국과 미국의 사회적 기업 관련 교육현황을 조사하고 대학수준

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즉 첫째, 국내대학 사회적 기업가 교육은 대부분 사회적

기업 및 사회적 기업가에 관한 기초적 정보제공 및 비즈니스 모델 소개에 그치고 있

으며, ‘기업가 자질’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만 ‘창의성’, ‘윤리적 기질’ 등을 다루는 과

Page 6: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286

정이 적다. 둘째, 미국대학 사회적 기업가 교육은 대부분 사회적 기업의 핵심적 내용

을 한 과목 내에 적절하게 담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장기적 측면에서 이론전달

및 현장중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한다.

박재환·김용태(2010)는 국내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교육 프로그램 및 해외 주요대

학의 교육내용 및 방법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즉 국내

사회적 기업 관련 교육 프로그램은 사회적 기업의 도입단계에 있어 단기간 내에 진행

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대학 내 학위과정 교육 프로그램으로 지속성과 체계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학위과정이 비학위 과정에 비하여 점유율이 높게 구성

되어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사례도 있다.

일본에서는 NPO(Non Profit Organization, 비영리 조직)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행정 주도적으로 또한 민간 주도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전자의 대표적 사례로서 2009

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내각부(內閣府)가 사업총액 70억 엔을 12개 사업주체에 교부

하여 ①사회적 기업(起業) 육성사업과 ②사회적 기업(企業) 인재창출·인턴십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地域社会雇用創造事業, http://www.chiikisyakai-koyou.jp). 기타 도쿄도

(東京都) 등 지방자치단체 차원에 있어서도 행정 주도적으로 각종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단기간에 예산을 소화시키는 방식으로는 진정한 사회적 기업

가를 육성할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명확한 목표를 세운 조직과 지역사회

의 수요에 기초를 둔 사업이 되지 않는 한, 공적자금에 의존한 단체를 늘리는 뿐이라

는 것이다.

그러한 관점으로 민간차원에서도 교육 프로그램이 추진되고 있다. 그 핵심적 내용

은 지역사회의 수요를 조사하고 그 해결을 위한 사업을 개척하고 제언, 발표함으로써

시민참여를 촉진하고 행정, 기업 등과 연계하면서 영향력이 있는 활동을 펼쳐 나가는

것이다(茨城NPOセンター·コモンズ, 2010: 1). 행정 주도적으로 사회적 기업 육성이 추

진되고 있는 한국에서는 앞으로 이러한 민간 주도적 교육 프로그림의 기능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의 역할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4 가지 영역에서 추진될 수 있다. 즉 첫째 일

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것, 둘째 사회적 기업의 창업 내지 취업 희망자, 셋째 실

제적으로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직원 그리고 넷째로 행정·기업 등을 대상을

한 영역이다(茨城NPOセンター·コモンズ, 2010: 2-75).

첫째, 일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업의 개념, 지역현황 등을 소개함으로써

사회적 기업과 지역주민 간의 협력관계를 촉진할 수 있다.

Page 7: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287

둘째, 사회적 기업의 창업 내지 취업을 희망하는 자로서 학생, 청년 구직자 등에 대

해서는 사회적 기업 창업의 준비, 관련제도 절차와 스케줄에 대한 이해, 세금·보험 등

을 포함한 비용 대 효과의 검토, 성공을 위한 실천내용 및 창업 후 사무작업 내용의

확인 등의 내용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영역에 대한 수요가 예상되는 대상으로 충

북지역에는 총 11개 대학이 있으며, 경영학 관련 6개 학부, 사회복지관련 7개 학부가

있다. 또한 청년 구직자로서 전국 15세∼29세까지의 청년실업율 10.0% 기준(2010년 2

월 현재)으로 산출시 충북지역 청년 구직자는 31,192명으로 추산된다.

셋째, 사회적 기업 또는 예비 사회저 기업 직원에 대해서는 사업 분야별 이해, 사업

전개 유형, 운영(경영관리, 목표·전략의 단계별 설정, 중장기 과제의 정리, 사업계획,

활동재원의 확보, 지원제도의 활용), 조직관리, 홍보(네트워크 구축), 설명책임과 사회

적 신뢰의 확보 등의 내용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행정·기업 등에 대해서는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관점에서 지역과

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회적 기업과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

이 중요하다. 사회적 활동에 협력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사회를 실현하는 방안을 제시

하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사회적 기업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필요성이 제고되면서 이미 국내대학

및 관련기관에서 ‘사회적 기업 아카데미’가 운영되어 왔다. ‘사회적 기업 아카데미’ 운

영은 2008년부터 통합과정과 전문과정으로 나누어 운영되어 온 후, 2010년부터 전문

과정을 보다 세분화하여 창업과정, 실무과정, 연구과정으로 구분하여 운영되고 있다.

나아가 앞으로는 교육 대상자 특성에 따른 세분화와 동시에 지역특성에 접합한 프

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교육과정에 상시적, 체계적

교육과정을 개설하는 것을 전제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충북지역 수요조사가 선행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Ⅲ. 조사설계와 분석방법

1. 조사설계

1) 조사대상

본 연구는 충북지역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수요조사에 목

적을 두었으므로 우선 조사대상을 충북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가로 하였

고, 나아가 교육 프로그램 체계화, 안정성 그리고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사회적

Page 8: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288

기업과 관련한 전문가(프로보노, ‘충청북도 사회적 기업 협의회’, ‘충북 사회적 기업 지

원기관 매니저’, 관련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인

식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 대상별로 먼저 교육 프로그램 잠재적 수요자 조사로서 충청북도 사회적 기업

18개 및 예비 사회적 기업 30여 개의 종사자에 대하여 2010년 10월 5일부터 10월 22

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1) 이어 사회적 기업 관련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2010

년 10월 13일부터 10월 1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2)

(1) 수요조사 응답자의 특성

<표 3> 수요조사 응답자의 특성

특 성 구 분 빈도(n) 소계 비율(%)

소속기관

예비 사회적 기업 39

105

37.1

인증 사회적 기업 43 41.0

기 타 23 21.9

소속기관 내 직위

총괄책임자(대표) 18

105

17.1

중간관리자 44 41.9

현장직원 43 41.0

성 별남 성 45

10542.9

여 성 60 57.1

연 령

20대 10

105

9.5

30대 30 28.6

40대 45 42.9

50대 이상 20 19.0

학 력

고졸이하 20

105

19.0

2년제졸 5 4.8

4년제졸 55 52.4

대학원 이상 25 23.8

근무경력

1년 이하 25

105

23.8

2년 이하 20 19.0

3년 이하 20 19.0

4년 이상 40 38.1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수강경험 유무

있음 35105

33.3

없음 70 66.7

향후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수강의향

잘 모르겠음 25

105

23.8

수강하겠다 20 19.0

시간과 조건이

맞으면 수강하겠다60 57.1

1) 충북지역 소재 (예비) 사회적 기업 근무자(총괄 책임자, 중간 관리자, 현장 직원), 기존 사회

적 기업 아카데미 과정 수강자 총 112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내용기입이 누락된 자와

현재 사회적 기업에 근무하지 않는 자를 제외한 105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 사회적 기업 관련 전문가 26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전체 2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

으나 1차적으로 일관성 비율(CR)이 0.2 이하로 검증된 12부를 최종적으로 AHP 분석에 활용

하였다.

Page 9: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289

수요조사 응답자 특성을 살펴보면 <표 3>과 같다.

소속기관 지위는 예비 사회적 기업 37.1%(39명), 인증 사회적 기업 41.0%(43명), 기

타 21.9%(23명)로 (예비) 사회적 기업이 조사의 주요대상이 되었다. 소속기관 내 직위

는 총괄책임자(대표) 17.1%(18명), 중간관리자 41.9%(44명), 현장직원 41.0%(43명)으로

주로 대표 및 임원을 중심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은 여성이 57.1%(60명)으로 남성

42.9%(45명)보다 다소 많았으며, 학력은 고졸이하 학력군이 19.0%(20명), 전문대졸

4.8%(5명), 대졸이상 학력군이 76.2%(80명)였다. 근무경력은 4년 이상 장기 근무자가

38.1%(40명)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1년 이하 23.8%(25명)였다. 사회

적 기업가 아카데미 수강경험 유무는 ‘있다’ 33.3%(35명)보다 ‘없다’는 응답이

66.7%(70명)로 두 배 높게 조사되었다. 향후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수강 의향

은 ‘시간과 조건이 맞으면 수강하겠다’ 57.1%(60명), ‘잘 모르겠다’ 23.8%(25명), ‘수강

하겠다’ 19.0%(2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상황에 따라 수강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유

보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2) 전문가 집단 응답자의 특성

전문가 집단 응답자 특성을 살펴보면 <표 4>와 같다.

<표 4> 전문가 집단 응답자의 특성

특 성 구 분 빈도(n) 소계 비율(%)

소속기관

충북 사회적 기업 협의회 2

12

16.7

충북 사회적 기업 인증 지원기관 3 25.0

대학·연구·유관기관 5 41.7

기 타 2 16.7

직 위

사회적 기업가 2

12

16.7

사회적 기업 인증 지원 매니저 3 25.0

프로보노 4 33.3

교수·연구원·기타 3 25.0

성 별남 성 10

1283.3

여 성 2 16.7

학 력

2년제졸 1

12

8.3

4년제졸 4 33.3

대학원 이상 7 58.4

경 력

(사회적 기업

관련)

1년 이하 2

12

16.7

2년 이하 4 33.3

3년 이하 0 0.0

4년 이상 6 50.0

Page 10: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290

소속 기관별로는 대학·연구·유관기관에 해당되는 응답자가 5명(41.7%), ‘충북 사회적

기업 인증 지원기관’에 소속된 응답자가 3명(25.0%) 그리고 ‘충북 사회적 기업 협의회’

및 기타 기관에 소속된 응답자가 각각 2명(16.7%)으로 조사되었다. 소속기관의 직위

(역할)는 프로보노 4명(33.3%), ‘충북 사회적 기업 인증 지원기관’ 매니저와 교수·연구

원·기타가 각각 3명(16.7%)씩 조사되었고, 사회적 기업가는 2명(16.7%)으로 조사되었

다. 학력별 특성은 대학원 이상의 학력이 7명(58.4%), 4년대 대학 학력이 4명(33.3%)

그리고 2년제 대학 학력이 1명(8.3%)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적 기업과 관련한 경력은 4

년 이상 경력자 6명(50.0%), 2년 이하 경력자 4명(33.3%) 그리고 1년 이하 경력자가 2

명(16.7%)으로 조사되었다.

2) 조사내용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조사내용은 다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교육 프로그램 영역으로서 수요자와 전문가 집단에 대하여 공통으로 질

문하였다. 둘째, 교육 프로그램 수요자에게는 교육수요, 강좌 내용 및 과정, 시기, 장

소, 비용, 강사선정 등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몇 가지 사항을 추가 조사하였다.

사회적 기업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영역은 다음 <표 5>에 제시한

바와 같이 사회적 기업의 이해, 전략경영, 마케팅, 생산 및 품질관리, 인사 및 조직관

리, 재정, 성과측정, 실습 및 기타 등 8개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각 8개 영역을 설정한 이유는 이미 노동부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표준 교과과정

(이하, ‘표준 교과과정’이라고 함)’에 제시된 바 있으며 이를 참조하였기 때문이다.

참고로 ‘2010 노동부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는 일반과정과 전문과정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의 확대, 후자는 창업 전문과정, 실

무 전문과정, 연구 전문과정으로 분리 운영된다. 이 중에서 본 연구가 상정(想定)하는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은 전자 즉 일반과정에 해당된다.

‘표준 교육과정’은 2008년 노동부 사회적 기업가 아카테미 통합과정 개설에 앞서 구

성된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표준 교과과정 개발팀’에 의하여 개발되었고, 2008년부

터 2009년까지 교육과정 개설에 활용되어 온 것이다.

단 본 연구는 ‘표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8개 영역3)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그 외의 영역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

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라는 두 가지 핵심적 기준을 새로

설정하였고, 이 기준으로 각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대한

3) 2008년은 7개, 2009년은 8개, 2010년은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을 기준으로 하

면 2008년은 ‘전략경영’ 영역이 제외되어 있고, 2010년은 ‘전략경영’과 ‘재정’ 영역이 제외되어

있다. 이 가운데 본 연구는 2009년의 8개 영역을 활용하였다.

Page 11: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291

광범위한 수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표 5>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중요도 결정의 측정영역

프로그램

영역

핵심적

가치프로그램 내용

사회적

기업

이해

사회적

․개요: 사회적 기업의 개념, 가치와 철학 등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전반

적인 이해 도모.

․교과구성: 사회적 경제의 역사․시스템,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특징,

국내외 사회적 기업, 국내외 사회적 기업 발굴, 육성 시스템.

전략경영사회적

경제적

․개요: 사회적 기업의 기본적 경영 프로세스화, 사회적 기업가 전략적

사고를 위한 기초정보 제공.

․교과구성: 사회적 기업의 전략경영 프로세스, 사회적 기업가 자세와

역할,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전략, 사회적 기업의 지역화

전략(심화).

마케팅 경제적

․개요: 사회적 기업의 마케팅 전략 및 실천에 관한 일반이론과 적용모

델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경영능력 향상 도모.

․교과구성: 사회적 기업의 STP 전략, 사회적 기업의 4P 전략, 사회적

기업의 Customer Orientation 구축.

생산 및

품질관리경제적

․개요: 사회적 기업의 생산 및 품질관리에 대한 일반이론과 적용모델

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경영능력 향상 도모.

․교과구성: 사회적 기업의 생산, 품질경영, 사회적 기업의 서비스 경

영.

인사 및

조직관리

사회적

경제적

․개요: 사회적 기업 인사 및 조직관리에 대한 일반이론과 적용모델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인사 및 조직 관리능력 향상 도모.

․교과구성: 사회적 기업 조직형태와 법적지위, 사회적 기업 조직문화,

사회적 기업 의사결정 과정과 소통채널, 사회적 기업 인적자원 관리,

지역사회 자원동원 및 관리, 사회적 기업의 정보관리, 사회적 기업

교육훈련 기획(HRD).

재정 경제적

․개요: 사회적 기업 재정에 관한 이해와 회계, 재무관리에 대한 적용

모델 교육을 통하여 재무와 회계 관리능력 향상 도모.

․교과구성: 사회적 기업 재무관리, 내부통제와 세금, 회계와 자금.

성과측정 사회적

․개요: 사회적 기업 성과측정 및 관리에 대한 일반이론 및 적용모델

교육을 통하여 기업의 성과측정 및 관리능력 향상 도모.

․교과구성: 사회적 가치측정, 사회적 기업 성과관리, 균형 성과표

(BSC).

실습 및

기타

사회적

경제적

․개요: 사회적 기업 관련현장 중심교육을 통하여 현장교류 및 정보공

유 능력향상 및 전문성 강화.

․교과구성: 기관방문(선진지 견학), 사회적 기업가 간담회, 창업 아이

디어 사업계획서 멘토링, 사업 계획서 작성, 특강, 사회적 회계(심화).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수요조사와 전문가 집단 조사에 다른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전자

의 경우 각 영역 및 과목에 대한 개별적 수요를 조사하는 데 초점을 둔 데 비하여 후자

는 전문가 집단 전체의 일관성이 있는 중요도 순서를 분석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즉

Page 12: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292

전자는 수요조사로서 영역 및 과목별 중요도의 평균 값, 후자는 전문가 집단에 대한 조

사로서 영역의 중요도 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1) 수요조사 분석방법

수요조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다. 첫째 조사를 위한 사전회의, 둘째 설문

지 구조화, 셋째 설문조사, 넷째 자료분석, 다섯째 결과취합과 정리이다.

수요조사의 분석방법은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분석 그

리고 Scheff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 프로그램 8개 영역에 대하여

각 2 내지 6개 세부 과목을 선정하고 각 과목별 5점 척도(전혀 중요하지 않음 1점∼

보통 3점∼매우 중요함 5점)로 조사를 실시하여, 영역별 평균을 산출하였다. 평균점수

가 높을수록 중요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응답자 특성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 평균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단 응답

자 특성으로 ‘소속기관 직위’와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수강경험 유무’를 지표로 선

택하였다. 기타 교육시간 배정에 관한 수요 및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상관관계,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수요 등을 분석하였다.

2) 전문가 집단 분석방법

전문가 집단에 대한 조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다. 첫째 문제의 위계 구

조화, 둘째 쌍대비교 행렬구성, 셋째 상대적 가중치 산정, 넷째 일관성 검증 및 우선

순위 종합화이다.

전문가 집단에 대한 분석방법은 ‘Expert Choice 2000’을 사용하여 AHP 분석을 하

였다. 구체적으로 교육 프로그램 8 가지 영역에 대하여 각 영역별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Ⅳ.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수요조사 분석결과

1. 프로그램 중요도 비교

1) 프로그램 영역별 중요도 평균비교(수요조사)

수요조사에서 각 영역별 중요도 점수 평균을 비교해 보면, 제4영역 ‘생산 및 품질관

리’가 평균 4.19점(표준편차=0.74)으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제2

영역 ‘경영전략’(m=4.05, std=0.71), 제6영역 ‘재정’(m=3.95, std=0.78), 제3영역 ‘마케

Page 13: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293

팅’(m=3.94, std=0.81)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기업의 가치와 인적자원 영역

을 다루고 있는 제1영역과 제5영역은 타 영역에 비하여 다소 낮은 평균수치로 나타났

다.

<표 6>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중요도 평균비교(수요조사)(n=105)

영 역 교과목 핵심적 가치 최소값 최대값 평 균 표준편차

제1영역 사회적 기업 이해 사회적 2 5 3.92 0.68

제2영역 경영전략 사회적 경제적 2 5 4.05 0.71

제3영역 마케팅 경제적 2 5 3.94 0.81

제4영역 생산 및 품질관리 경제적 2 5 4.19 0.74

제5영역 인사 및 조직관리 사회적 경제적 2 5 3.78 0.65

제6영역 재정 경제적 3 5 3.95 0.78

제7영역 성과측정 사회적 1 5 3.76 0.98

제8영역 실습 및 기타 사회적 경제적 3 5 3.83 0.56

<그림 1>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중요도 평균비교(수요조사)

또한 제7영역 ‘성과측정’(m=3.76, std=0.98)은 제5영역 ‘인사 및 조직관리’(m=3.78,

std=0.65)와 함께 가장 낮은 중요도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가치실현에 대한 중요도보

다 경제적 가치실현에 대한 중요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6 및 그림 1

참조).

2) 프로그램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비교(전문가 집단)

전문가 집단에 대한 AHP분석의 결과 <표 7> 및 <그림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8개 영역의 상대적 중요도는 ‘사회적 기업 이해’ 0.221, ‘전략경영’ 0.206, ‘재정’ 0.125,

Page 14: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294

‘인사 및 조직관리’ 0.116, ‘마케팅’ 0.092, ‘성과측정’ 0.087, ‘생산 및 품질관리’ 0.077,

‘실습 및 기타’ 0.076 의 순으로 비교적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7>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중요도(전문가 집단 AHP 분석)

영 역 교 과 목 핵심적 가치 상대적 중요도측정요소

우선순위

제1영역 사회적 기업 이해 사회적 0.221 1순위

제2영역 전략경영 사회적 경제적 0.206 2순위

제3영역 마케팅 경제적 0.092 5순위

제4영역 생산 및 품질관리 경제적 0.077 7순위

제5영역 인사 및 조직관리 사회적 경제적 0.116 4순위

제6영역 재정 경제적 0.125 3순위

제7영역 성과측정 사회적 0.087 6순위

제8영역 실습 및 기타 사회적 경제적 0.076 8순위

CR=0.03

Inconsistency=0.03 with 0 missing judgments.

<그림 2>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중요도(전문가 집단 AHP 분석)

3) 응답자 특성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 평균비교

수요조사 응답자 특성 중에서 ‘소속기관 직위’ 및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수강경

력 유무’를 선택하여 영역별 중요도 평균과 비교분석하였다.

(1) 소속기관 직위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 평균비교

총괄책임자(대표)와 중간관리자, 현장직원 세 집단 간에 있어 영역별 중요도의 차이

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순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F검증을 실시한 결과, 제1여역 ‘사

Page 15: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295

회적 기업 이해’(F=9.26, p<0.001), 제2영역 ‘전략경영’(F=11.66, p<0.001), 제3영역 ‘마케

팅’(F=6.66, p<0.01), 제4영역 ‘생산 및 품질관리’(F=2.11, p<0.01), 제6영역 ‘재정’(F=3.51,

p<0.05), 제7영역 ‘성과측정’(F=4.39, p<0.05) 그리고 제8영역 ‘실습 및 기타’(F=12.44,

p<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cheffe의 사후검증 절

차를 실시한 결과, 제1영역은 총괄책임자(대표)가 중간관리자 및 현장직원에 비하여 평

균이 의미 있게 높았으며, 제2여역은 총괄책임자(대표)가 현장직원에 비하여 평균이 의

미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3, 4, 7, 8 영역에 있어서는 총괄책임자(대표)

와 중간관리자가 현장직원에 비하여 평균이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8 참

조).

<표 8> 소속기관 직위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 평균비교(n=105)

영역 교과목중요도

지표

소속기관 직위

F 값Scheffe

test총괄책임자

(대표)(a)

중간

관리자(b)

현장직원

(c)

1사회적

기업 이해

평균 4.44 3.93 3.689.26

*** a>b*

a>c***(표준편차) (0.54) (0.45) (0.81)

2 전략경영평균 4.35 4.11 3.85

11.66***

a>c*

(표준편차) (0.61) (0.46) (0.90)

3 마케팅평균 4.28 4.20 3.52

6.66**a>c**

b>c**(표준편차) (0.57) (0.68) (0.85)

4생산 및

품질관리

평균 4.47 4.36 3.902.11

** a>c*

b>c*(표준편차) (0.36) (0.63) (0.85)

5인사 및

조직관리

평균 4.02 3.81 3.660.39 -

(표준편차) (0.64) (0.54) (0.74)

6 재정평균 4.09 3.95 3.90

3.51* -(표준편차) (0.90) (0.61) (0.87)

7 성과측정평균 4.17 3.90 3.45

4.39* a>c

*

b>c*(표준편차) (0.82) (0.58) (1.25)

8실습 및

기타

평균 4.08 4.02 3.5412.44

*** a>c**

b>c**

(표준편차) (0.61) (0.45) (0.51)

*p<0.05 **p<0.01 ***p<0.001

(2) 수강경혐 유무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 평균비교

Page 16: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296

사회적 기업가 가카데미 수강경험 유무와 영역별 중요도 평균 차이에 대하여 T검증

을 실시한 결과, 제1영역 ‘사회적 기업 이해’(T=2.52, p<0.05), 제4영역 ‘생산 및 품질관

리’(T=3.08, p<0.01), 제6영역 ‘재정’(T=2.56, p<0.01)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수

강경험이 없는 집단이 있는 집단보다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제7영

역 ‘성과측정’(T=3.17, p<0.05)에 있어서는 반대로 수강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

다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9 참조).

<표 9> 수강경혐 유무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 평균비교(n=105)

영역 교과목중요도

지표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수강경험T 값

있 음 없 음

1사회적

기업 이해

평균 3.69 4.032.52

*

(표준편차) (0.76) (0.61)

2 전략경영평균 3.96 4.09

0.92(표준편차) (0.81) (0.66)

3 마케팅평균 3.70 4.05

1.89(표준편차) (0.97) (0.70)

4생산 및

품질관리

평균 3.84 4.363.08**

(표준편차) (0.92) (0.55)

5인사 및

조직관리

평균 3.73 3.810.58

(표준편차) (0.73) (0.61)

6 재정평균 3.69 4.09

2.56*

(표준편차) (0.67) (0.79)

7 성과측정평균 4.17 3.56

3.17*

(표준편차) (0.76) (1.01)

8실습 및

기타

평균 3.79 3.860.62

(표준편차) (0.56) (0.56)

*p<0.05 **p<0.01

2.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수요

1) 교육시간에 대한 수요

노동부의 공통 프로그램 과정 기준을 참고로 8개 영역별 교육시간의 최저, 최고 배

당시간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총 교육시간에 대한 수요가 평균 50.03시간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전에

제시한 31∼88시간 범위의 중간 값(median) 59.5시간보다 약간 적은 시간임으로 응답

자들이 장시간 교육에 대한 부담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Page 17: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297

<표 10> 교육시간 배정 분석결과(수요조사)(n=105)

노동부 공통프로그램 영역/시간 응답조건

(최저∼최고

배당시간)

시간배정 조사결과(단위: 시간)

역교 과 목 시간

최소

최대

값평균

표준

편차

1 사회적 기업 이해 14 6∼14 3 14 7.57 2.82

2 전략경영 6 2∼6 2 6 4.52 1.30

3 마케팅 10 2∼10 2 10 6.52 2.98

4 생산 및 품질 관리 10 4∼6 2 6 4.71 1.89

5 인사 및 조직관리 20 2∼10 2 10 5.33 2.78

6 사회적 기업의 재정 10 2∼4 2 4 3.48 1.30

7 성과측정 4 2∼8 2 8 4.95 2.16

8 사회적기의 성과관리 실습 10 11∼30 2 20 12.95 4.46

합 계 84 31∼88 50.03

2) 영역별 중요도 및 교육시간 수요의 상관관계

수요조사에 있어 각 영역별로 산출된 중요도(전혀 중요하지 않음 1점∼보통 3점∼

매우 중요함 5점)와 각 영역마다 필요한 시간(정해진 범위 내에서 선택)을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영역 ‘사회적 기업 이해’, 제3

영역 ‘마케팅’, 제4영역 ‘생산 및 품질관리’ 그리고 제7영역 ‘성과측정’에 정적(+) 상관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제2영역, 제5영역, 제6영역, 제8영역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 각 영역에 따른 중요도 및 교육시간 수요의 상관관계(n=105)

영 역 제1영역 제2영역 제3영역 제4영역 제5영역 제6영역 제7영역 제8영역

교과목

사회적

기업

이해

전략

경영마케팅

생산 및

품질

관리

인사 및

조직

관리

인사 및

조직

관리

성과

측정

실습 및

기타

시간수요에 대한

Pearson 상관계수0.469** 0.102 0.543** 0.420** -0.074 -0.088 0.394** 0.103

*p<0.05 **p<0.01

3)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관한 수요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관한 수요조사의 결과를 제시한 것이 <표 12>이다. 관심 있

는 교육과정으로 업종별 과정 47.62%(50명), 전문가 과정 42.86%(45명), 공통(일반) 과

정 9.52%(10명)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응답자 분포 상 기존 공

통(일반)과정을 기존에 수강한 응답자 27.7%(29명)를 통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아카데미 과정을 수강하지 않은 70개 사례를 선택하여 분석해 본 결과, 업종별

Page 18: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298

과정 48.6%(34명), 전문가 과정 37.1%(26명), 공통과정 14.3%(10명)의 순으로 기존 결

과와 유사한 분포를 하였다. 즉 업종별 과정에 많은 관심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본 연구가 전제로 한 일반과정에 있어서도 업종별 과정 및 전문가 과정에 대한 수

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표 12>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수요

특 성 구 분 빈도(n) 소계 비율(%)

관심 있는 교육과정

공통(일반) 과정 10

105

9.52

전문가 과정 45 42.86

업종별 과정 50 47.62

적극 참여 가능한

교육과정 개설시기

상반기(3월∼ 6월) 65

105

61.90

하반기(9월∼12월) 30 28.57

상관없음 10 9.52

적극 참여 가능한

교육횟수와 시간

4회(32시간) 40

105

38.10

10회(60시간) 25 23.81

14회(30시간) 30 28.57

14회(64시간) 0 0

15회(54시간) 5 4.76

16회(64시간) 5 4.76

24회(54시간) 0 0

29회(64시간) 0 0

27회(60시간) 0 0

적극 참여 가능한

수강인원

20명 이하 40

105

38.10

21∼30명 이하 55 52.38

31∼40명 이하 0 0

상관없음 10 9.52

적극 참여 가능한 수강료

10만 원 이하 55

105

52.38

11만 원∼20만 원 30 28.57

21만 원∼30만 원 5 4.76

상관없음 15 14.29

적극적으로 참여가 가능한 교육과정 개설시기는 상반기(3∼6월)가 61.90%(65명)로

하반기(9∼12월) 28.57%(30명)에 비하여 두 배 이상 높은 빈도가 있다.

적극적으로 참여가 가능한 교육횟수와 시간은 4회(32시간) 38.10%(40명), 14회(30시

Page 19: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299

간) 28.57%(30명), 10회(60시간) 23.81%(25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14회 이하의 횟

수와 32시간 이하의 시간을 응답자 중 66.67%(70명)가 선택하였고 이는 장시간 교육

에 대한 부담감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적절한 수강인원은 ‘21∼30명’ 52.38%(55명), ‘20명 이하’ 38.10%(40명)의 순으로 나

타났다. 수강료는 ‘10만 원 이하’ 52.38%(55명), ‘11만 원∼20만 원’ 28.57%(30명)의 순

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종합 논의

1. 분석결과에 대한 평가

1) 수요조사에서 분석된 중요도 평가

수요조사에서는 ‘생산 및 품질관리’, ‘경영전략’, ‘재정’, ‘마케팅’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한편 ‘성과측정’, ‘인사 및 조직관리’ 영역은 비교적으로 중요 관심사에서

제외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지속 가능성에 대한 책임에서

비롯된 현실적 판단으로 추측된다. 단 사회적 기업의 목적이 사회적 가치실현에 있고

사회적 가치실현이 지속 가능성 유지 및 성장의 동력이자 타 기업과 차별화되는 원점

임은 교육과정에서 간과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응답자 특성에 따른 평균비교를 살펴보면, 소속기관 직위의 경우, 8개 영역

에 대한 중요도 평균점수는 전체적으로 총괄책임자(대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중간관리자, 현장직원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수강경험 유무의 경우, 전체적으로 수강경험이 없는

자가 더 높은 중요도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제7영역 ‘성과측정’은 예외). 이는 기

존 교육 프로그램의 현실적용 문제, 불필요성 등 부정적 경험에도 기인한 것으로 추

측된다. 따라서 향후 교육 프로그램 선정 및 진행을 위하여 기존 수강자 중 현재 (예

비)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방식을 통하여 보다 구체

적인 수요를 도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전문가 집단 조사에서 분석된 중요도 평가

전문가 집단에 대해서는 AHP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교육 프로그램 영역의 상

대적 중요도는 ‘사회적 기업 이해’, ‘전략경영’, ‘재정’, ‘조직 및 인사관리’의 순으로 높

게 나타난 한편 ‘마케팅’, ‘성과측정’, ‘생산 및 품질관리’는 비교적으로 중요 관심사에

Page 20: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300

서 제외되고 있다. 즉 사회적 가치실현에 대한 중요도가 경제적 가치실현에 대한 중

요도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수요조사 결과와 차이가 있으므로 사회

적 기업 직원과 전문가 간에 있어 중요도에 대한 인식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 중요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사회적 기업 총괄책임자

(대표)와 중간관리자, 현장직원 그리고 전문가 집단 각각 사이에 중요도 차이가 있다

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표 및 중간관리자’, ‘현장직원’, ‘전문가’의 3개 집단으로 나

누어 8 가지 영역에 대한 중요도를 비교하면, <표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 집

단마다 중요시하는 영역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대표 및 중간관리자’는 생산, 마케팅,

경영을 중요시하고, ‘현장직원’ 역시 생산과 경영을 중요시하나 재정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자는 경제적 가치를 중요시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

전문가는 사회적 기업의 이해, 경영, 재정의 순으로 사회적 가치를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육 프로그램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다른 수요를 명학히 파악하고, 이에

맞춘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프로그램 대상자가 경제적 가치를 중요시

하고, 전문가 집단이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고 있다는 차이의 조절이 효과적 프로그램

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표 13> 대표 및 중간 관리자, 현장직원, 전문가 간의 영역별 중요도 순위비교

교과목핵심적

가치

대표 및

중간관리자

(n=62)

현장직원

(n=43)

전문가

(n=12)*

평균

(표준

편차)

평균에

따른

순위

평균

(표준

편차)

평균에

따른

순위

상대적

중요도

상대적

중요도에

따른순위

1 사회적 기업 이해 사회 4.08(0.53) 4 3.68(0.81) 4 0.221 1

2 전략경영 사회 경제 4.18(0.51) 3 3.85(0.90) 3 0.206 2

3 마케팅 경제 4.23(0.65) 2 3.52(0.85) 7 0.092 5

4 생산 및 품질관리 경제 4.40(0.57) 1 3.90(0.85) 1 0.077 7

5 인사 및 조직관리 사회 경제 3.87(0.57) 8 3.66(0.74) 5 0.116 4

6 재정 경제 3.99(0.70) 6 3.90(0.87) 2 0.125 3

7 성과측정 사회 3.98(0.66) 7 3.45(1.25) 8 0.087 6

8 실습 및 기타 사회 경제 4.04(0.50) 5 3.54(0.51) 6 0.076 8

* CR=0.03

Page 21: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301

3)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수요평가

우선 교육시간에 대한 수요는 8개 영역별 교육시간의 최저, 최고 배당시간을 미리

제시하고 총 31시간부터 88시간까지 범위 내에서 각 영역별 교육시간 수요를 조사한

결과 평균 50.03시간이 산출되었다.

중요도 및 교육시간 수요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각 프로그램 영역마다 상관성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으므로 중요도와 시간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다양한 수요를

파악하고 검토할 필요가 있다.

관심 있는 교육과정 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과정

을 수강하지 않은 응답자 7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업종별 과정’ 48.6%(34명),

‘전문가 과정’ 37.1%(26명), ‘공통과정’ 14.3%(10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므로 ‘공통과정’

보다 ‘업종별, 전문가 과정’에 대한 수요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참여 가능한 과정개설 시기는 상반기(3∼6월)가 61.90%(65명)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여 가능한 횟수와 시간은 4회(32시간) 38.10%, 14회(30시간) 28.57%, 10회(60시간)

23.81%의 순으로 나타났으므로 14회 이하의 횟수를 응답자 중의 90.48%가 선택한 것

으로 분석되었다.

적절한 수강인원은 ‘21∼30명’ 52.38%, ‘20명 이하’ 38.10%의 순으로 나타났고, 수강

료는 ‘10만 원 이하’ 52.38%, ‘11만 원∼20만 원’ 28.57%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응답자의 수요를 종합하면, 전문가

및 업종별 과정으로 나누어 상반기 4∼14회(30∼60시간) 수준, 30명 이하 인원으로 비

용은 10만 원 이하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2. 정책적 함의

본 연구의 분석결과로서 도출된 기본적인 시사점은 사회적 기업 종사자와 관련 전

문가가 각각 중요시하는 내용에 차이가 있으며, 또한 사회적 기업 종사자 중에서도

대표 및 중간 관리자와 현장직원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는 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한 내

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단 현장직원에 대해서는 일상업무 상 교육시간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제에 대한 정책적 함의는 한국의 ‘사회적 기업 육성법’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창출 및 서비스 제공을 규정하고 있는 만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교육

기회를 마련하고 이를 현장에게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4)

Page 22: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302

3. 연구의 한계와 향후과제

본 연구의 성과로서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적 수요를 조사

분석하여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였다. 단 연구의 한계로서 교육 프로그램 8 가지 영역

외의 가능성과 세부 교과목에 대한 분석, 수요와 응답자 특성 간의 교차분석을 충분

히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그러한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구체적으로 지역실정에 부합한 사

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교과목, 시간, 장소, 비용, 인원 수, 체계 등)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의 향후 단계별 발전모델 검토(전공과정 개설, 학과개설의 발전적 전망)

가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특히 내용적으로는 지역과제와 자원을 발견하고 사업구상과 전망을 세우며 조직구

성과 시장활동을 실제적으로 시도해 보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기

초이론 강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즉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어 통찰력을 제고함으로

써 자기 안에 있는 상식을 넘어 시야를 넓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사례에 접하고

사람을 만나고 수강자끼리 함께 고민하면서 무엇인가를 해내는 과정도 중요하다.

따라서 향후 개발될 교육 프로그램은 성과목표 설정 및 과정평가를 통하여 지속적

인 발전을 도모하고, 지역사회 자원과 유기적 연계를 통하여 단순한 지식함양 수준에

서 그치지 않고 사회적 기업을 창업, 취업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 지원체계가 병행

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중장기적으로는 대학 정규과정 개설, 행정·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연수

체계 등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각 학과와 사회적 기업 간의 연계, 행정·기

업에 대한 협력관계 구축 등에 대한 연구5)도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순양. (2008). 사회적 기업에 대한 성과평가 지표의 개발 및 적용. 한국지방정부학

회. 「지방정부연구」. 12(1).

4) 이와 관련하여 제한적인 지역노동시장으로 형성되며 시장경쟁이 제한되어 있는 수요자와 공

급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정책방안을 마련하는 필요를 지적한 선행연구가 있다(이재

원 외, 2009).

5) 협력관계 구축에 관하여 신뢰수준, 네트워크 수즌, 집단적 협력수준, 근린의식 수준, 제도적

규범준수 수준, 중재조정 장치 등의 수준으로 커뮤니티 재생 거버넌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선행연구(최영출·최외출, 2008)가 있으며, 향후 현실적으로 그러한 각 기준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23: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303

김신양. (2009).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가, 「청주 사회적 경제 아카데미 보고서」,

청주시 지속가능 발전 협의회: 120-131.

민동권·정예슬·유한나. (2009). 사회적 기업가 양성을 위한 대학교육 현황과 평가 - 한

국과 미국 상황의 탐색. 「한국로고스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1:

144-160.

박재환·김용태. (2010). 사회적 기업가 양성을 위한 학위교과과정 개발 - 국내·외 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경영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1-13.

이은애. (2009). 국내외 사회적 기업의 현황 및 사례. 「2009 충청 사회적 기업가 아카

데미 강의 자료집」. 충북사회적협의회: 43-64.

이재원·이남국·정건섭. (2009). 사회서비스산업과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활성화에 관

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13(1): 223-244.

장우진. (2010). 조직성격을 활용한 사회적 기업 진단. 「민선 5기 당면과제와 정책분

석평가방법론의 재조명」. 한국정책분석학회: 415-441.

주용환 박종구. (2009). 지역 사회자본 형성과 지방정부 효능감 관계 연구: 서울시 4개

자치구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 24(1): 287-310.

최승호. (2009). 「충북 사회적 기업의 발전 방안」. 충북개발연구원.

최영출. (2006). 한국, 영국 및 아일랜드의 지역혁신체제의 네트워크 작동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10(2).

최영출·이상엽. (2010). 사회적 기업 활동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

보」, 14(1): 245-260.

최영출·최외출. (2008). 커뮤니티재생 거버넌스 지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

학보」, 12(2): 185-214.

최영출·최외출. (2010). 사회적 기업간 네트워크 작동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

보」, 14(1): 63-76.

사회적 기업 육성법(일부개정 2010.6.8 법률 제10360호).

고용노동부 사회적 기업(http://www.socialenterprise.go.kr).

충북개발연구원(http://rndc.cbdi.re.kr).

Bridges, W. (1992). The Character of Organizations: Using Personality Type in

Organization Development.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Ins: Palo Alto,

CA.

Dees, J. G. (1998). The Meaning of Social Entrepreneurship. Center for the

Advancement of Social Entrepreneurship, Fuqua School of Business, Duke

University.

Dunn, A. & Riley, C. (2004). Supporting the Not-for-Profit Sector: the

Government’s Review of Charitable and Social Enterprise, Modern Law

Page 24: ssri21.or.krssri21.or.kr/soci/board/downfile/사회적 기업가...9:;?@ABCÍÈ]kW F9[\ ² ÁA xKL Ílùw{ Íst ZÆB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4권 제2호304

Review, 67(4): 632-657.

Horton, R. D. (2009). Social Enterprise: Meaning, Scope, Potential, Social

Enterprise: Concepts and Emerging Trends, Korea Development Institute.

Heidi Neck, Candida Brush & Elaine Allen. (2009). The Landscape of Social

Entrepreneurship, Business Horizons, 52(1): 13-19.

Lechner, C. & Dowling. M. (2003). Firm Networks: External Relationships as

Source for the Growth and Competitiveness of Entrepreneurial Firm.

Entrepreneuriship & Regional Development, 15.

Prabhu, G. N. (1998). Social Entrepreneurial Management. Leadership in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2(2): 130.

Roper, J. & Cheney, G. (2005). The Meanings of Social Entrepreneurship Today.

Corporate Governance, 5(3): 95-104.

Ashoka Foundation(http://www.ashoka.org).

茨城NPOセンター·コモンズ. (2010). 「NPOのつくり方·かかわり方」.

地域社会雇用創造事業(http://www.chiikisyakai-koyou.jp).

접수일(2010년 11월 14일)

수정일자(2010년 11월 28일)

게재확정일(2010년 12월 0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