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차정보통신표준총회46 2005.12.21( )10:00~12:00, tta 1 …...

1131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문서번호 : 2005TA-020 2005 12 21 차 정보통신표준총회 46 회의실 2005. 12. 21( ) 10:00~12:00, TTA 1 처 : TTA 차 정보통신표준총회 안건 안 : 46 ( ) 안건 항목 문서번호 Page 1. 개회 2. 안건 소개 3. 보고 안건 3.1 전차 차 서면 정보통신표준총회 개최 결과 (44 , 45 ( )) 016, 019 3.2 하반기 운영위원회 개최 결과 (51 , 52 , 53 ) 021 3.3 년도 정보통신표준화 위원회 활동 현황 2005 022 3.4 제 회 정보통신표준화 우수 논문 공모전 결과 1 023 4. 의결 안건 4.1 정보통신단체표준 채택 ( 297 ) [TC1: 32 , TC2: 170 , TC3: 37 , TC4: 58 ] 024 4.2 정보통신표준화 중기 및 년도 과제계획 채택 2006 025 4.3 정보통신표준화 관련 지적재산권 취급 요령 개정 026 4.4 정보통신표준총회 차기 의장 선출 027 5. 수상식 5.1 표준화위원회 우수 위원 표창 028 5.2 정보통신표준화 우수 논문 표창 029 6. 향후 회의 6.1 차 정보통신표준총회 47 : 2006 6월말 예정 ( ) 7. 폐회

Upload: others

Post on 01-Dec-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문서번호 : 2005TA-020

    년 월 일2005 12 21

    제 차 정보통신표준총회46수 제 회의실2005. 12. 21( ) 10:00~12:00, TTA 1

    출 처 : TTA

    제 목 제 차 정보통신표준총회 안건 안: 46 ( )

    안건 항목 제 목 문서번호 Page

    1. 개 회

    2. 안건 소개

    3. 보고 안건

    3.1 전차 차 차 서면 정보통신표준총회 개최 결과(44 , 45 ( )) 016, 019

    3.2 하반기 운영위원회 개최 차 차 차 결과(51 , 52 , 53 ) 021

    3.3 년도 정보통신표준화 위원회 활동 현황2005 022

    3.4 제 회 정보통신표준화 우수 논문 공모전 결과1 023

    4. 의결 안건

    4.1정보통신단체표준 채택 총 건( 297 )

    건 건 건 건[TC1: 32 , TC2: 170 , TC3: 37 , TC4: 58 ]024

    4.2 정보통신표준화 중기 및 년도 과제계획 채택2006 025

    4.3 정보통신표준화 관련 지적재산권 취급 요령 개정 026

    4.4 정보통신표준총회 차기 의장 선출 027

    5. 수상식

    5.1 표준화위원회 우수 위원 표창 028

    5.2 정보통신표준화 우수 논문 표창 029

    6. 향후 회의

    6.1 제 차 정보통신표준총회47 년: 2006 6월말 예정( )

    7. 폐 회

  • 의결 안건 제 호12005TA-024년 월 일2005 12 21

    정보통신단체표준 채택

    배경1.정보통신표준화 운영규정 제 조 표준의 채택 등 에 의거 제 차 정보통신표준총회에42 ( ) 46

    정보통신단체표준 채택의 심의의결을 상정함.․위원회별 상정 안 내역 총 건 제정 건 개정 건2. ( ) 297 ( 256 , 41 )

    담당 위원회위원회

    코드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

    총건수제정 개정

    국문 영문 국문 영문

    가 공통기반. [TC1] 건32

    정보보호기반 PG101 6 - 3 - 9

    인터넷보안 PG102 3 3 - 3 9

    생체인식 PG103 1 - - - 1

    복지통신 PG104 1 - - - 1

    SoC PG107 1 - - - 1

    임베디드S/W PG108 8 - 1 - 9

    공개S/W PG109 2 - - - 2

    나 전송통신. [TC2] 건170

    광전송 PG201 8 1 4 2 15

    광인터넷 PG202 4 8 - - 12

    망관리 PG203 - 8 - - 8

    NGN PG204 3 3 - - 6

    액티브인터넷 PG205 - 15 - 14 29

    신호방식 PG206 8 - - - 8

    VoIP PG208 5 15 - 6 26

    요금및상호접속 PG209 1 - 1 1 3

    IPv6 PG210 2 39 - - 41

    인터넷주소자원 PG211 3 - - - 3

    구내통신 PG212 1 - - - 1

    디지털홈 PG214 4 - - - 4

    서비스품질 PG215 4 6 - - 10

    접지 PG216 4 - - - 4

    다 전파방송기술. [TC3] 건37

    차세대이동통신 PG301 - 7 - - 7

    휴대인터넷2.3GHz PG302 3 - 1 - 4

    무선랜 PG303 1 - - - 1

    WPAN PG304 - 10 - - 10

    LBS PG305 2 - 1 - 3

    디지털 TV PG306 1 - 1 - 2

    DMB PG307 1 - - - 1

    디지털케이블 PG308 - - 1 - 1

    텔레매틱스/ITS PG310 1 - - - 1

    RFID/USN PG311 7 - - - 7

  • 상정 단체표준 안 목록3. ( )

    담당 위원회위원회

    코드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

    총건수제정 개정

    국문 영문 국문 영문

    라 응용 기술. IT [TC4] 건58

    웹 PG401 2 11 - - 13

    전자거래 PG403 10 - 1 - 11

    공공정보 PG405 1 - - - 1

    메타데이터 PG406 7 - 1 - 8

    컴포넌트S/W PG408 3 - - - 3

    NGIS PG409 6 - - - 6

    그리드 PG411 6 - - - 6

    품질평가S/W PG412 3 - - - 3

    지능형서비스로봇 PG413 7 - - - 7

    계 256 41 건297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1 2004-704 부가형 디지털 전자서명 방식 -제 부 기본구조 및 모델1 개정 국문 없음ISO/IEC 14888-1,KSXISOIEC10118-3

    TTAS.KO-09.0003/R1 PG101

    2 2005-001 비트 블록암호알고리즘128-SEED 개정 국문 없음IETF RFC 4009

    TTAS.KO-12.0004/R1 PG101

    3 2005-002 해쉬함수표준 제 부 해쉬함수- 2 :알고리즘표준(HAS-160) 개정 국문 없음ISO/IEC10118-1, 3,KSX1208-1

    TTAS.KO-12.0011/R2 PG101

    4 2005-003 전자서명 인증서 경로처리 알고리즘 제정 국문 없음IETF RFC 3280 TTAS.KO-12.0028 PG101

    5 2005-004 식별번호를 이용한 본인확인 기술 제정 국문 없음 외IETF RFC 2459다수 TTAS.KO-12.0029 PG101

    6 2005-167 암호메시지 규격에서 사용되는알고리즘 제정 국문 없음IETF RFC 3370 TTAS.IT-RFC3370 PG101

    7 2005-168 와 키 싸기3-DES RC2 제정 국문 없음 IETF RFC 3217 TTAS.IT-RFC3217 PG101

    8 2005-169 키 싸기 알고리즘AES 제정 국문 없음 IETF RFC 3394 TTAS.IT-RFC3394 PG101

    9 2005-170 홈서버 중심의 홈네트워크 사용자인증 메커니즘 제정 국문 없음IETF RFC 3748,2716, 3546 TTAS.KO-12.0030 PG101

    10 2004-602 인증과 권한제어 및 과금용 다이아메터 베이스 프로토콜(Diameter) 제정 영문 없음IETF RFC 3588 TTAS.IT-RFC3588 PG102

    11 2004-788 프로토콜EAP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 3748 TTAS.IT-RFC3748 PG102

    12 2004-789 인증 프로토콜EAP-TLS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 2716 TTAS.IT-RFC2716 PG102

    13 2005-622 안전한 무선랜 사용을 위한 가이드 제정 국문 없음IEEE Std 802.외 다수11i TTAS.KO-12.0031 PG102

    14 2005-624 표준적합성IPv6 IPSec AH/ESP시험 제정 국문 없음IETF RFC 2401,2402, 2406 TTAS.KO-12.0032 PG102

    15 2005-678 표준적합성 시험IPv6 IPSec IKE 제정 국문 없음 IETF RFC 2407,2408, 2409 TTAS.KO-12.0033 PG102

    16 2005-679 인증헤더IP 개정 영문 없음 IETF RFC 2402 TTAS.IT-RFC2402 PG102

    17 2005-680 캡슐화 보안 페이로드IP 개정 영문 없음 IETF RFC 2406 TTAS.IT-RFC2406 PG102

    18 2005-681 인터넷 프로토콜을 위한 보안구조 개정 영문 없음 IETF RFC 2401 TTAS.IT-RFC2401 PG102

    19 2005-683 생체정보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 국문 없음 - TTAS.KO-12.0034 PG103

    20 2003-111 시각장애인 정보접근을 위한 핫키 제정 국문 없음- TTAS.KO-11.0036 PG104

    21 2004-705 반도체 등록IP 제정 국문 없음DeliverablesDocument(DD)Version 2.6.0

    TTAS.OT-11.0001 PG107

    22 2004-597 임베디드 개발환경 명세S/W 제정 국문 없음 - TTAS.KO-11.0037 PG108

    23 2005-006 센서 네트워크 참조모델 제정 국문 없음 - TTAS.KO-11.0038 PG108

    24 2005-685 임베디드 운영체제 전력관리 제정 국문 있음 - TTAS.KO-11.0039 PG108

    25 2005-686 임베디드 운영체제 멀티미디어파일시스템 제정 국문 없음외ELCPS v1.0

    다수 TTAS.KO-11.0040 PG108

  •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26 2005-687 임베디드 시스템의 그래픽 성3D능 분석 체계 제정 국문 없음- TTAS.KO-11.0041 PG108

    27 2005-688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 개발환경 명세 제정 국문 없음- TTAS.KO-11.0042 PG108

    28 2005-689-01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IT STB 개정 국문 있음-

    TTAS.KO-11.0032/R1 PG108

    29 2005-689-02디지털 홈 통합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제정 국문 있음

    IETF RFC 2616외 다수 TTAS.KO-11.0043 PG108

    30 2005-690 용 운영체제 구성USN API 제정 국문 없음 - TTAS.KO-11.0044 PG108

    31 2005-604 리눅스 서버 규격 제정 국문 없음 외OSDL CGL 2.0다수 TTAS.KO-05.0037 PG109

    32 2005-605 리눅스 데스크탑 규격 제정 국문 없음

    Linux StandardBase CoreSpecification 2.0외 다수

    TTAS.KO-05.0038 PG109

    33 2002-115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수동형광가입자망 제정 국문 없음ITU-T Rec/IEEE TTAS.KO-03.0019 PG201

    34 2003-020 광 전송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 개정 영문 없음 ITU-T G.709 TTAE.IT-G709/R1 PG201

    35 2005-007 장치 스레이브 클럭의 타이SDH밍 특성 개정 국문 없음ITU-T G.813 TTAE.IT-G813/R1 PG201

    36 2005-008 망요소 관점에서 동기식 디지털계위 관리 정보 모델(SDH) 개정 국문 없음ITU-T G.774 TTAS.IT-G774/R1 PG201

    37 2005-009-01동기식디지털 계위에 대한 망노드 인터페이스 개정 국문 없음

    ITU-TG.707/Y.1322 TTAS.IT-G707/R1 PG201

    38 2005-009-02 망 관련 용어 및 정의SDH 개정 영문 없음ITU-T G.780 TTAE.IT-G780/R1 PG201

    39 2005-010 제네릭 보호 스위칭 제정 영문 없음 ITU-T G.808.1 TTAE.IT-G808.1 PG201

    40 2005-011 기반 동기식 광전송시스템SDH의 보호절체 방식 개정 국문 없음ITU-T G.783

    TTAS.IT-G783.A/R1 PG201

    41 2005-692-01이더넷 물리 계층 표준1Gbps :서론Clause 34. 제정 국문 없음

    IEEE 802.3-2002TTAS.IE-802.3-2002-Clause34 PG201

    42 2005-692-02

    이더넷 물리 계층 표준1Gbps :정합 부계층 및 기가Clause 35.

    비트 매체 독립 인터페이스제정 국문 없음 IEEE 802.3-2002 TTAS.IE-802.3-2002-Clause35 PG201

    43 2005-692-03

    이더넷 물리 계층 표준1Gbps :방식의Clause 36. 1000BASE-X

    물리코딩 부계층과 물리매체접속부계층

    제정 국문 없음 IEEE 802.3-2002 TTAS.IE-802.3-2002-Clause36 PG201

    44 2005-692-04

    이더넷 물리 계층 표준1Gbps :용 자Clause 37. 1000BASE-X

    동협상 기능제정 국문 없음 IEEE 802.3-2002 TTAS.IE-802.3-2002-Clause37 PG201

    45 2005-692-05

    이더넷 물리 계층 표준1Gbps :와Clause 38. 1000BASE-LX SX

    물리전송매체종속 부계층과 베이스밴드 전송매체

    제정 국문 없음 IEEE 802.3-2002 TTAS.IE-802.3-2002-Clause38 PG201

    46 2005-692-06

    이더넷 물리 계층 표준1Gbps :용 물Clause 39. 1000BASE-CX

    리전송매체 종속 부계층과 베이스밴드 전송매체

    제정 국문 없음 IEEE 802.3-2002 TTAS.IE-802.3-2002-Clause39 PG201

    47 2005-692-07

    이더넷 물리 계층 표준1Gbps :방식의Clause 40. 1000BASE-T

    물리코딩 부계층 과 물리매(PCS)체접속 부계층 및 베이스밴(PMA)드 전송매체

    제정 국문 없음 IEEE 802.3-2002 TTAS.IE-802.3-2002-Clause40 PG201

    48 2003-017 의 제어에 필요한SONET/SDH의 확장GMPLS 제정 국문 없음IETF RFC3946 TTAS.IF-RFC3946 PG202

    49 2004-021을 위한 일반적인L1 VPN

    요구사항과 구성요소제정 영문 없음 ITU-T Y1312 TTAE.IT-Y1312 PG202

    50 2004-024 에서 레이블 정보 전달BGP-4 제정 국문 없음 IETF RFC3107 TTAS.IF-RFC3107 PG202

    51 2004-032 기반 모빌 서비스MPLS IP 제정 영문 없음 ITU-T Y.1281 TTAE.IT-Y1281 PG202

    52 2004-034 에서 차등 서비스의 지원MPLS 제정 국문 없음 IETF RFC3270 TTAS.IF-RFC3270 PG202

    53 2004-036 네트워크 기반 일반적인 구VPN-조와 서비스 요구사항 제정 영문 없음ITU-T Y.1311 TTAE.IT-Y1311 PG202

    54 2004-037 차등 서비스의 구조 제정 국문 없음 IETF RFC2475 TTAS.IF-RFC2775 PG202

  •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55 2005-792 과 망 연동 셀모드ATM MPLS -사용자 평면 연동 제정 영문 없음ITU-T Y.1411 TTAE.IT-Y1411 PG202

    56 2005-793 과 망 연동 프레임ATM MPLS -모드 사용자 평면 연동 제정 영문 없음ITU-T Y.1412 TTAE.IT-Y1412 PG202

    57 2005-794 과 망 연동 사용자TDM MPLS -평면 연동 제정 영문 없음ITU-T Y.1413 TTAE.IT-Y1413 PG202

    58 2005-795 음성서비스 망 연동- MPLS 제정 영문 없음 ITU-T Y.1414 TTAE.IT-Y1414 PG202

    59 2005-796 이더넷과 망 연동 사용MPLS -자 평면 연동 제정 영문 없음ITU-T Y.1415 TTAE.IT-Y1415 PG202

    60 2003-081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델 제정 영문 없음 DMTF-DSP0140 TTAE.OT-01.0002 PG203

    61 2003-082 공통 개방 정책 서비스 프로토콜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2748 TTAE.IF-RFC2748 PG203

    62 2003-089 통신망운용관리 프레임워크 제정 영문 없음 ITU-T M.3400 TTAE.IT-M3400 PG203

    63 2005-015 상승 절차 제정 영문 없음 ITU-T M.1550 TTAE.IT-M1550 PG203

    64 2005-016 전달망 사건 상관 관계 제정 영문 없음 ITU-T M.2140 TTAE.IT-M2140 PG203

    65 2005-017 관리 평면을 위한 보안 개요: 제정 영문 없음 ITU-T M.3016.0 TTAE.IT-M3016 PG203

    66 2005-018서비스를 위한 인터페IP TMN X-이스에서의 관리 요구QoS/SLA사항

    제정 영문 없음 ITU-T M.3341 TTAE.IT-M3341 PG203

    67 2005-020 확장 통신망운용관리 프레임워크 제정 영문 없음 TMForum GB921 TTAE.OT-01.0003 PG203

    68 2002-100 차세대 네트워크의 망구조 참조모델 제정 영문 없음ITU-T Y.2011 TTAE.IT-Y2011 PG204

    69 2002-106 패킷망에서 서비스 품질 보장을위한 기반구조 제정 영문 없음ITU-T Y.1291 TTAE.IT-Y1291 PG204

    70 2005-024 차세대 네트워크의 일반 요구사항 제정 영문 없음 ITU-T Y.2001 TTAE.IT-Y2001 PG204

    71 2005-177 표준모델BcN 제정 국문 없음 - TTAS.KO-01.0062 PG204

    72 2005-626 가입자 주도형 망 구조IP 제정 국문 없음 ITU-T TR-CMIP TTAS.KO-01.0063 PG204

    73 2005-693 연동을 위한 일반적인 구조모델 제정 국문 없음 ITU-T Y.1251 TTAS.IT-Y1251 PG204

    74 2005-627 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웹서비스 공통Parlay X Part 1: 제정 영문 없음ETSI, ES 202391-1 v1.1.1

    TTAE.ET-ES20239

    1-1PG205

    75 2005-628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삼자Parlay X Part 2:호 제어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2 v1.1.1TTAE.ET-ES20239

    1-2PG205

    76 2005-629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호 알Parlay X Part 3:림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3 v1.1.1TTAE.ET-ES20239

    1-3PG205

    77 2005-630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단문Parlay X Part 4:메시징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4 v1.1.1TTAE.ET-ES20239

    1-4PG205

    78 2005-631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멀티Parlay X Part 5:미디어 메시징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5 v1.1.1TTAE.ET-ES20239

    1-5PG205

    79 2005-632 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웹서비스 지불Parlay X Part 6: 제정 영문 없음ETSI, ES 202391-6 v1.1.1

    TTAE.ET-ES20239

    1-6PG205

    80 2005-633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계정Parlay X Part 7:관리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7 v1.1.1TTAE.ET-ES20239

    1-7PG205

    81 2005-634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단말Parlay X Part 8:상태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8 v1.1.1TTAE.ET-ES20239

    1-8PG205

    82 2005-635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단말Parlay X Part 9:위치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9 v1.1.1TTAE.ET-ES20239

    1-9PG205

    83 2005-636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호Parlay X Part 10:처리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10 v1.1.1TTAE.ET-ES20239

    1-10PG205

    84 2005-637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음성Parlay X Part 11:호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11 v1.1.1TTAE.ET-ES20239

    1-11PG205

    85 2005-638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멀티Parlay X Part 12:미디어 회의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12 v1.1.1TTAE.ET-ES20239

    1-12PG205

  •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86 2005-639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주소Parlay X Part 13:목록 관리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13 v1.1.1TTAE.ET-ES20239

    1-13PG205

    87 2005-640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웹서비스 프레Parlay X Part 14:즌스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2391-14 v1.1.1TTAE.ET-ES20239

    1-14PG205

    88 2005-641 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개요API;Part 1: (Parlay 5) 개정 영문 없음ETSI, ES 203915-1 V1.1.1

    TTAE.ET-ES203

    915-1PG205

    89 2005-642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공통 데이터 정의API;Part 2:(Parlay 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2 V1.1.1TTAE.ET-ES203

    915-2PG205

    90 2005-643 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프레임워크API;Part 3: (Parlay 5) 개정 영문 없음ETSI, ES 203915-3 V1.1.1

    TTAE.ET-ES203

    915-3PG205

    91 2005-644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호 제어API;Part 4: API(Parlay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4 V1.1.1TTAE.ET-ES203

    915-4PG205

    92 2005-645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사용자 상호작용API;Part 5: API(Parlay 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5 V1.1.1TTAE.ET-ES203

    915-5PG205

    93 2005-646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이동성API;Part 6: API (Parlay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6 V1.1.1TTAE.ET-ES203

    915-6PG205

    94 2005-647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단말 능력API;Part 7: API(Parlay 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7 V1.1.1TTAE.ET-ES203

    915-7PG205

    95 2005-648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데이터 세션 제어API;Part 8:API (Parlay 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8 V1.1.1TTAE.ET-ES203

    915-8PG205

    96 2005-649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기본 메시징API;Part 9: API(Parlay 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9 V1.1.1TTAE.ET-ES203

    915-9PG205

    97 2005-650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연결 관리자API;Part 10: API(Parlay 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10 V1.1.1TTAE.ET-ES203

    915-10PG205

    98 2005-651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계정 관리API;Part 11: API(Parlay 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11 V1.1.1TTAE.ET-ES203

    915-11PG205

    99 2005-652 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과금API;Part 12: API(Parlay 5) 개정 영문 없음ETSI, ES 203915-12 V1.1.1

    TTAE.ET-ES203

    915-12PG205

    100 2005-653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정책 관리API;Part 13: API(Parlay 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13 V1.1.1TTAE.ET-ES203

    915-13PG205

    101 2005-654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프레즌스와 유효성API;Part 14:관리 API (Parlay 5)

    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14 V1.1.1TTAE.ET-ES203

    915-14PG205

    102 2005-655개방형 서비스 액세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징API;Part 15:API(Parlay 5)

    제정 영문 없음 ETSI, ES 203915-15 V1.1.1TTAE.ET-ES203

    915-15PG205

    103 2005-696 방식의 인터넷 전화간 번호ACQ이동성을 위한 망기능 제정 국문 없음외ITU-T E.164 TTAS.KO-01.0064 PG206

    104 2005-697 방식의 인터넷전화간 번호이QoR동성을 위한 망기능 제정 국문 없음외ITU-T E.164 TTAS.KO-01.0065 PG206

    105 2005-698 방식의 인터넷전화 간ACQ (VoIP)번호이동성을 위한 ISUP 제정 국문 없음외ITU-T E.164 TTAS.KO-01.0067 PG206

    106 2005-699 방식의 인터넷전화 간QoR (VoIP)번호이동성을 위한 ISUP 제정 국문 없음외ITU-T E.164 TTAS.KO-01.0068 PG206

    107 2005-700 방식의 인터넷전화와 시내전ACQ화간 번호이동성을 위한 망기능 제정 국문 없음외ITU-T E.164 TTAS.KO-01.0069 PG206

    108 2005-701 방식의 인터넷전화와 시내전QoR화간 번호이동성을 위한 망기능 제정 국문 없음외ITU-T E.164 TTAS.KO-01.0070 PG206

    109 2005-702방식의 인터넷전화 와ACQ (VoIP)

    시내전화간 번호이동성을 위한ISUP

    제정 국문 없음 외ITU-T E.164 TTAS.KO-01.0071 PG206

  •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110 2005-703방식의 인터넷전화 와QoR (VoIP)

    시내전화간 번호이동성을 위한ISUP

    제정 국문 없음 외ITU-T E.164 TTAS.KO-01.0072 PG206

    111 2003-158 호 흐름 예SIP 개정 영문 없음 IETF RFC3665 TTAE.IF-RFC3665 PG208

    112 2003-147 의 통과UDP NAT (STUN)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489 TTAE.IF-RFC3489 PG208

    113 2004-061 호 흐름SIP PSTN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666 TTAE.IF-RFC3666 PG208

    114 2004-731 세션 타이머SIP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4028 TTAE.IF-RFC4028 PG208

    115 2005-038기반 프레즌스 서비스 프로SIP

    파일 프레즌스 정보 등록 가입: ,및 통지

    제정 국문 없음IETF RFC3856,RFC3863,RFC3903

    TTAS.KO-01.0073 PG208

    116 2005-039

    사용자 에이전트의 통SIP NAT과 프로파일 인터넷 게: UPnP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통NAT과

    제정 국문 없음

    포럼UPnPUniversal Plugand Play DeviceArchitecture

    등Version 1.0

    TTAS.KO-01.0074 PG208

    117 2005-043 기반 세션타이머 프로파일SIP 제정 국문 없음 IETF RFC 4028등 TTAS.KO-01.0075 PG208

    118 2005-046 통신을 위한 대화형 주관평가AV법 개정 영문 없음ITU-T P.920 TTAE.IT-P920 PG208

    119 2005-044 광대역 디지털 핸(150~7000Hz)드프리 전화기의 전송특성 개정 영문 없음ITU-T P.341 TTAE.IT-P341 PG208

    120 2005-042 광대역 디지털 전(150-7000Hz)화장치의 전송특성 개정 영문 없음ITU-T P.311 TTAE.IT-P311 PG208

    121 2005-041 이하 오디오 부64 kbit/s 7kHz호화 개정 영문 없음ITU-T G.722 TTAE.IT-G722 PG208

    122 2005-040 음성 주파수의 펄스부호 변조 개정 영문 없음 ITU-T G.711 TTAE.IT-G711 PG208

    123 2005-656기반 프레즌스 서비스 프로SIP

    파일 :리소스 리스트 가입 및 통지

    제정 국문 없음 IETF RFC3265,등RFC3261 TTAS.KO-01.0076 PG208

    124 2005-704 미디어 인증을 위한 SIP Private헤더 확장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313 TTAE.IF-RFC3313 PG208

    125 2005-705 신뢰적 네트웍에서의 신원 증명을 위한 확장SIP Private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325 TTAE.IF-RFC3325 PG208

    126 2005-706 메시지 압축SIP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486 TTAE.IF-RFC3486 PG208

    127 2005-707 그룹화 방식을 위한SDP ANAT속성 제정 영문 없음IETF RFC4091 TTAE.IF-RFC4091 PG208

    128 2005-708 옵션 태그SIP sdp-anat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4092 TTAE.IF-RFC4092 PG208

    129 2005-709 를 위한 프라이버시 메커니즘SIP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323 TTAE.IF-RFC3323 PG208

    130 2005-710 에서의 속성SDP RTCP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605 TTAE.IF-RFC3605 PG208

    131 2005-711 인터넷전화 통화 품질 지표 제정 국문 없음 ITU-T P.833/834 TTAS.KO-01.0077 PG208

    132 2005-712 위한 암호알고리즘 적용SIP AES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853 TTAE.IF-RFC3853 PG208

    133 2005-713 에서 장애인을 위한 사용자SIP요구사항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351 TTAE.IF-RFC3351 PG208

    134 2005-714 세션설정프로토콜에서 사전조건프레임워크 업데이트 제정 영문 없음IETF RFC4032 TTAE.IF-RFC4032 PG208

    135 2005-715 세션설정프로토콜에서 사전 미디어와 링톤 생성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960 TTAE.IF-RFC3960 PG208

    136 2005-716 네트워크에서 보장하는 정체성에대한 단기 요구사항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324 TTAE.IF-RFC3324 PG208

    137 2003-056셀룰러 무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국제 육상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의 과금 및 정산

    제정 국문 없음 ITU-T D.93 TTAS.IT-D93 PG209

    138

    2000-026

    국제전화 서비스의 정산 요율에관한 원칙주1)

    개정 국문 없음 ITU-T D.140 TTAS.IT-D140/R1 PG209

    2002-130

    2002-131

    2002-132

    2003-057

    2003-058

    2005-050

    2005-048

  •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139 2005-049 신호방식에서의 신호중계점No.7이용에 관한 국제 정산 개정 영문 없음ITU-T D.211 TTAE.IT-D211 PG209

    140 2004-051 멀티캐스트 라우팅 관리IPv4정보 베이스 제정 영문 없음IETF RFC2932 TTAE.IF-RFC2932 PG210

    141 2004-052 망을 위한 프로토콜 독립IPv4멀티캐스트 관리정보 베이스 제정 영문 없음IETF RFC2934 TTAE.IF-RFC2934 PG210

    142 2004-053 과 를 이용한 애니캐스PIM MSDP트 랑데뷔 지점 방식(RP)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446 TTAE.IF-RFC3446 PG210

    143 2004-054와 듀얼 환경에서TCP/IP

    라우팅을 위한 의 사용OSI IS-IS제정 영문 없음 IETF RFC1195 TTAE.IF-RFC1195 PG210

    144 2004-055 멀티캐스트 소스 발견 프로토콜(MSDP) 제정 영문 없음IETF RFC 3618 TTAE.IF-RFC3618 PG210

    145 2004-056 소스 지정 멀티캐스트 개요(SSM)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569 TTAE.IF-RFC3569 PG210

    146 2004-058 메쉬 그룹IS-IS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2973 TTAE.IF-RFC2973 PG210

    147 2004-059에서 동적 호스트 이름IS-IS

    교환 메커니즘제정 영문 없음 IETF RFC2963 TTAE.IF-RFC2963 PG210

    148 2004-060 레벨 에서 도메인 내 프2- IS-IS리픽스 분배 제정 영문 없음IETF RFC2966 TTAE.IF-RFC2966 PG210

    149 2004-544 AODV(Ad hoc On-Demand라우팅Distance Vector) 제정 국문 없음IETF RFC3561 TTAE.IF-RFC3561 PG210

    150 2004-739 멀티홈의 다중 연결성에대한ISP확장성 지원기법 제정 영문 없음IETF RFC2260 TTAE.IF-RFC2260 PG210

    151 2004-740 플로우 레이블 명세IPv6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697 TTAE.IF-RFC3697 PG210

    152 2004-741 주소할당 지침서IPv6 제정 국문 없음

    APNIC “IPv6addressallocation andassignmentpolicy"

    TTAS.OT-10.0029 PG210

    153 2004-742 프리픽스 위임 요구 사항IPv6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769 TTAE.IF-RFC3769 PG210

    154 2005-055 를 위한 프리픽스DHCPv6 IPv6옵션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633 TTAE.IF-RFC3633 PG210

    155 2005-056 를 위한 설정 옵션DHCPv6 DNS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646 TTAE.IF-RFC3646 PG210

    156 2005-057 를 위한 상태비보존형IPv6 DHCP서비스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736 TTAE.IF-RFC3736 PG210

    157 2005-058 를 사용하는 듀얼스택 호스트BIA변환기법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338 TTAE.IF-RFC3338 PG210

    158 2005-059 를 위한 동적 호스트 설정IPv6프로토콜(DHCPv6)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315 TTAE.IF-RFC3315 PG210

    159 2005-060 와 간의 수송계층 릴IPv6 IPv4레이 전환기법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142 TTAE.IF-RFC3142 PG210

    160 2005-061 기반 게이트웨이SOCKS IPv6/IPv4메커니즘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089 TTAE.IF-RFC3089 PG210

    161 2005-062 릴레이 라우터들을 위한 애6to4니캐스트 프리픽스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068 TTAE.IF-RFC3068 PG210

    162 2005-063 사이트 멀티홈잉 구조의 목표-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582 TTAE.IF-RFC3582 PG210

    163 2005-064 멀티캐스트 소스 필터링을 위한소켓인터페이스 확장기법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678 TTAE.IF-RFC3678 PG210

    164 2005-065 프로토콜을 위한 송신자 주MLD소 선택기법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590 TTAE.IF-RFC3590 PG210

    165 2005-066 와 셀룰라 호스트를 위한2G 3G적용기법IPv6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316 TTAE.IF-RFC3316 PG210

    166 2005-067 사이트 로컬 주소에 대한 사용금-지 절차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879 TTAE.IF-RFC3879 PG210

    167 2005-069 를 위한 기법IPv6 MLDv2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810 TTAE.IF-RFC3810 PG210

    168 2005-070 터널 브로커IPv6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053 TTAE.IF-RFC3053 PG210

    169 2005-071 전환을 위한 라우팅 요구사IPv6항 제정 영문 없음IETF RFC2185 TTAE.IF-RFC2185 PG210

    170 2005-072 글로벌 유니캐스트 주소 형IPv6식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587 TTAE.IF-RFC3587 PG210

    171 2005-073 주소블럭 비트 할당에 대한IPv6유연한 관리 방법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531 TTAE.IF-RFC3531 PG210

  •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172 2005-074 유니캐스트 프리픽스기반 IPv6멀티캐스트 주소 제정 영문 없음IETF RFC3306 TTAE.IF-RFC3306 PG210

    173 2005-075 프로토콜을 위한MLD IPv6 MIB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019 TTAE.IF-RFC3019 PG210

    174 2005-076 에서의 문자 주소 형식URL IPv6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2732 TTAE.IF-RFC2732 PG210

    175 2005-077 를 위한 기법IPv6 MLD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2710 TTAE.IF-RFC2710 PG210

    176 2005-078 예약된 서브넷 애니캐스트IPv6주소 제정 영문 없음IETF RFC2526 TTAE.IF-RFC2526 PG210

    177 2005-079 규격상의 일반적인 패킷 터IPv6널링 제정 영문 없음IETF RFC2473 TTAE.IF-RFC2473 PG210

    178 2005-080 멀티캐스트 주소 할당IPv6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2375 TTAE.IF-RFC2375 PG210

    179 2005-081 를 위한 경로 탐색IPv6 MTU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1981 TTAE.IF-RFC1981 PG210

    180 2005-083 신뢰모델과 위험요소IPv6 ND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756 TTAE.IF-RFC3756 PG210

    181 2005-084 과 메신저 연동ENUM 제정 국문 없음 - TTAS.KO-01.0078 PG211

    182 2005-085 및 서비스 연동ENUM FoIP 제정 국문 없음 등ITU-T T.38 TTAS.KO-01.0079 PG211

    183 2005-086 및 서비스 연동ENUM SMS 제정 국문 없음ETSI TS 123

    등040TTAS.KO-01.0080 PG211

    184 2001-086 급 구내배선 성능 기술표Cat. 6준 제정 국문 없음TIA/EIA 568-B.1

    및& 2 B.2-1 TTAS.KO-04.0034 PG212

    185 2005-657 홈게이트웨이와 홈서버 연동 제정 국문 없음 - TTAS.KO-04.0035 PG214

    186 2005-659 홈디지털 서비스 정의API 제정 국문 없음 KS X 4500-1 TTAS.KO-04.0036 PG214

    187 2005-723 홈오피스응용 컨텍스트 마이그레이션 인터페이스 제정 국문 없음- TTAS.KO-04.0037 PG214

    188 2005-724 홈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레임워크 제정 국문 없음- TTAS.KO-04.0038 PG214

    189 2000-025구조에서의PSTN-IP-PSTN VoIP

    서비스품질을 위한 운용 고려사항

    제정 국문 없음 ITU-T E.470 TTAS.IT-E470 PG215

    190 2004-782향상된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일-대다 멀티캐스트를 위한 서비스품질 관리

    제정 영문 없음 ITU-T X.606.1 TTAE.IT-X606.1 PG215

    191 2004-783 멀티캐스트 중계전송 프로토콜 -프레임워크 제정 영문 없음ITU-T X.603 TTAE.IT-X603 PG215

    192 2004-784 향상된 트랜스포트 서비스 정의 제정 영문 없음 ITU-T X.605 TTAE.IT-X605 PG215

    193 2004-785 그룹 관리 프로토콜 제정 영문 없음 ITU-T X.602 TTAE.IT-X602 PG215

    194 2004-786 향상된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일:대다 멀티캐스트 제정 영문 없음ITU-T X.606 TTAE.IT-X606 PG215

    195 2004-787 다자간 통신 프레임워크 제정 영문 없음 ITU-T X.601 TTAE.IT-X601 PG215

    196 2005-096광대역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IP디지털 비디오서비스의 등QoS급 및 측정방법

    제정 국문 없음 ITU-T J.241 TTAS.IT-J241 PG215

    197 2005-097 라우팅과 관련 트래픽 엔지QoS니어링 기법 용량 관리 기법- 제정 국문 없음ITU-T E.360.6 TTAS.IT-E360.6 PG215

    198 2005-726 기반 네트워크에 대한 운영IP및 관리 프레임워크 제정 국문 없음ITU-T E.417 TTAS.IT-E417 PG215

    199 2005-098 낙뢰에 대한 광케이블 보호 수단과 접지의 적용 제정 국문 없음ITU-T K.25 TTAS.KO-04.0039 PG216

    200 2005-100 접지저항 예측계산 방법 제정 국문 없음 IEEE Std 142/IEEE Std 80 TTAS.KO-04.0040 PG216

    201 2005-101 대지저항률 측정기술 제정 국문 없음 IEEE Std 81 TTAS.KO-04.0041 PG216

    202 2005-661 접지임피던스 측정 제정 국문 없음 IEEE Std 81.2 TTAS.KO-04.0042 PG216

    203 2005-797 물리계층IMT-2000 SAT-CDMA-일반사항- 제정 영문 없음ITU M1457 TTAS.KO-06.0089 PG301

    204 2005-798 물리채널IMT-2000 SAT-CDMA-과 물리채널 전송채널 매핑/ 제정 영문 있음ITU M1457 TTAS.KO-06.0090 PG301

    205 2005-799 다중화 및MT-2000 SAT-CDMA-채널 코딩 제정 영문 없음ITU M1457 TTAS.KO-06.0091 PG301

    206 2005-800 확산 및IMT-2000 SAT-CDMA-변조 제정 영문 없음ITU M1457 TTAS.KO-06.0092 PG301

    207 2005-801 물리계층IMT-2000 SAT-CDMA-절차 제정 영문 있음ITU M1457 TTAS.KO-06.0093 PG301

  •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208 2005-802 물리계층IMT-2000 SAT-CDMA-측정- 제정 영문 없음ITU M1457 TTAS.KO-06.0094 PG301

    209 2005-803 매체접속IMT-2000 SAT-CDMA-제어 프로토콜 규격 제정 영문 있음ITU M1457 TTAS.KO-06.0095 PG301

    210 2005-178-01휴대인터넷 상호호환2.3GHz -

    성 시험 규격 절차서( ) 제정 국문 없음등IEEE802.16e TTAS.KO-06.0096 PG302

    211 2005-178-02휴대인터넷 상호호환2.3GHz -

    성 시험 규격(PICS) 제정 국문 없음등IEEE802.16e TTAS.KO-06.0097 PG302

    212 2005-178-03휴대인터넷 무선 성능2.3GHz -

    적합성 시험 규격 제정 국문 없음등IEEE802.16e TTAS.KO-06.0098 PG302

    213 2005-727-01휴대인터넷 표준 물리계2.3GHz -

    층 및 매체접근제어계층 제정 국문 있음등IEEE802.16e

    TTAS.KO-06.0082/R1 PG302

    214 2005-728간 프로토콜에서 안전한 통신AP

    보장을 위한 RADIUS-Diameter연동 규약

    제정 국문 없음 - TTAS.KO-06.0099 PG303

    215 2005-729-01

    ZigBee Device Profile Stage 1구조 규격: ZigBee Application

    서 Revision 6제정 영문 없음 IEEE802.15.1/ZigBee Alliance TTAE.OT-06.0002 PG304

    216 2005-729-02

    ZigBee Device Profile Stage 1응용 프로파일 홈 제어: ZigBee -

    중에서 전등 응용 프로파일제정 영문 없음 IEEE802.15.1/ZigBee Alliance TTAE.OT-06.0003 PG304

    217 2005-729-03

    ZigBee Device Profile Stage 1디바이스 규격: ZigBee -Dimmer

    Remote Control제정 영문 없음 IEEE802.15.1/ZigBee Alliance TTAE.OT-06.0004 PG304

    218 2005-729-04

    ZigBee Device Profile Stage 1디바이스 규격: ZigBee -Dimmer

    Load Controller제정 영문 없음 IEEE802.15.1/ZigBee Alliance TTAE.OT-06.0005 PG304

    219 2005-729-05

    ZigBee Device Profile Stage 1디바이스 규격: ZigBee -Light

    Sensor Monochromatic제정 영문 없음 IEEE802.15.1/ZigBee Alliance TTAE.OT-06.0006 PG304

    220 2005-729-06ZigBee Device Profile Stage 1

    디바이스 객체: ZigBee 제정 영문 없음IEEE802.15.1/ZigBee Alliance TTAE.OT-06.0007 PG304

    221 2005-729-07

    ZigBee Device Profile Stage 1디바이스 규격: ZigBee

    -Occupancy Sensor제정 영문 없음 IEEE802.15.1/ZigBee Alliance TTAE.OT-06.0008 PG304

    222 2005-729-08

    ZigBee Device Profile Stage 1디바이스 프로파일: ZigBee

    Revision 7제정 영문 없음 IEEE802.15.1/ZigBee Alliance TTAE.OT-06.0009 PG304

    223 2005-729-09

    ZigBee Device Profile Stage 1디바이스 규격: ZigBee -Switch

    Remote Control제정 영문 없음 IEEE802.15.1/ZigBee Alliance TTAE.OT-06.0010 PG304

    224 2005-729-10

    ZigBee Device Profile Stage 1디바이스 규격: ZigBee

    -Switching Load Controller제정 영문 없음 IEEE802.15.1/ZigBee Alliance TTAE.OT-06.0011 PG304

    225 2005-107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기능 인터페이스 항법서비스Stage 2: 개정 국문 없음3GPP TS 22.071등

    TTAS.KO-06.0073/R1 PG305

    226 2004-635-04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기능 인터페이스 디렉토리 서비Stage2:스

    제정 국문 없음 3GPP TS 22.071등 TTAS.KO-06.0100 PG305

    227 2005-662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기능 인터페이스 항법서비스Stage 3:스키마XML

    제정 국문 없음 3GPP TS 22.071등 TTAS.KO-06.0101 PG305

    228 2004-551 맞춤형방송 표준 제정 국문 있음 ETSI TS 102822-3-1 v1.2.1TTAS.ET-TS102822-3-1 PG306

    229 2005-730 텔레비전 자동 경보방송 개정 국문 없음 - TTAS.KO-07.0022/R1 PG306

    230 2001-088 초단파 디지털라디오방송 방송웹사이트 송수신정합표준 제정 국문 없음ETSI TS 101498-1

    TTAS.ET-TS101498-1 PG307

    231 2005-613 디지털 유선방송 송수신정합표준 개정 국문 없음 SCTE 40(formerlyDVS 313TTAS.KO-07.0020/R2 PG308

    232 2005-665 텔레매틱스 단말 서버간 서-TSP비스 프로토콜 요구기능Stage1: 제정 국문 없음GTP A. P.E.Spec. Ver. 1.0 TTAS.KO-06.0102 PG310

    233 2005-736 검색서비스 구조RFID (ODS) 제정 국문 없음 IETF- RFC1034등 TTAS.KO-06.0103 PG311

  •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234 2005-737 서비스를 위한 및RFID URN형식FQDN 제정 국문 없음등IETF RFC 2141 TTAS.KO-06.0109 PG311

    235 2005-738 모바일 컨텐츠 협상프로토콜RFID 제정 국문 없음 등IETF RFC 2616 TTAS.KO-06.0104 PG311

    236 2005-739 모바일 코드체계 및 태그 데RFID이터 구조 제정 국문 없음ISO/IEC 15459-4등 TTAS.KO-06.0105 PG311

    237 2005-745 모바일 응용데이터형식RFID 제정 국문 없음 ISO/IEC 15961, 등KSXISOIEC15961 TTAS.KO-06.0106 PG311

    238 2005-752 모바일 프로토RFID Air Interface콜표준적합성시험규격 제정 국문 없음ISO/IEC 18000-6,KSXISOIEC18000-6 TTAS.KO-06.0107 PG311

    239 2005-754 모바일 서비스 일반 응용 요RFID구사항 제정 국문 없음ISO/IEC TR 18001,

    등KS X ISO18001 TTAS.KO-06.0108 PG311

    240 2003-835 웹서비스 용어 제정 국문 없음 - TTAS.KO-10.0179 PG401

    241 2004-764 확장형 규칙 표식 언어(XRML) 제정 국문 없음 - TTAS.KO-10.0180 PG401

    242 2005-667 메시지 전송 최적화 메카SOAP니즘 제정 영문 없음W3C SOAP V1.2,/IETF RFC2119등

    TTAE.OT-10.0030 PG401

    243 2005-668 자원 표현 헤더 블록SOAP 제정 영문 없음W3C SOAP V1.2,/IETF RFC2119등

    TTAE.OT-10.0031 PG401

    244 2005-669 바이너리 최적 패키징XML- 제정 영문 없음W3C XML 1.0,/IETF RFC2119등

    TTAE.OT-10.0032 PG401

    245 2005-756 이벤트XML 제정 영문 없음 W3C XML Events TTAE.OT-10.0033 PG401

    246 2005-757 포함물XML (XInclude) 제정 영문 없음

    W3C XMLInclusions(XInclude)Version 1.0

    TTAE.OT-10.0034 PG401

    247 2005-758 문서 객체 모델 레벨 핵(DOM) 3심 제정 영문 없음

    W3C DocumentObject Model(DOM) Level 3CoreSpecification

    TTAE.OT-10.0035 PG401

    248 2005-759 문서 객체 모델 레벨 불(DOM) 3러오기와 저장하기 제정 영문 없음

    W3C DocumentObject Model(DOM) Level 3Load and SaveSpecification

    TTAE.OT-10.0036 PG401

    249 2005-760 문서 객체 모델 레벨 유(DOM) 3효성 제정 영문 없음

    W3C DocumentObject Model(DOM) Level 3ValidationSpecification

    TTAE.OT-10.0037 PG401

    250 2005-761 월드 와이드 웹의 아키텍처 제, 1권 제정 영문 없음W3C Architectureof the WorldWide Web, Vol1

    TTAE.OT-10.0038 PG401

    251 2005-762 국제화 자원 식별자 제정 영문 없음 IETF RFC3987 TTAE.IF-RFC3987 PG401

    252 2005-763 월드 와이드 웹에서의 문자 모델기초1.0: 제정 영문 없음

    W3C CharacterModel for theWorld Wide Web1.0:Fundamentals

    TTAE.OT-10.0039 PG401

    253 2004-796 확장성 접근제어 생성언어 제정 국문 없음

    eXtensibleAccess ControlMarkup Language(XACML) Version1.0

    TTAS.OT-10.0040 PG403

    254 2004-798 바인딩과 프로파일SAML 제정 국문 없음 OASIS SAML TTAS.OT-10.0041 PG403

    255 2004-803 구문과 프로토콜SAML 제정 국문 없음 OASIS SAML TTAS.OT-10.0042 PG403

    256 2005-138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도입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 국문 없음- TTAS.KO-10.0181 PG403

    257 2005-139기업을 위한 인터넷 기반의EDI프레임워크 도입 가이드라B2B

    인제정 국문 없음 - TTAS.KO-10.0182 PG403

    258 2005-142 레지스트리 구축 및UDDI 3.0운영을 위한 지침 개정 국문 없음UDDI3.0 STCS

    TTAS.UD-UDDI3.0STCS/R1 PG403

    259 2005-143 이용 지침UDDI 제정 국문 없음 UDDI3.0 STCS TTAS.KO-10.0183 PG403

    260 2005-144 레지스트리 신뢰성 보호를UDDI위한 보안 정보 교환 지침 제정 국문 없음- TTAS.KO-10.0184 PG403

  •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261 2005-189 확장성 생성언어 암호 구문과 처리 제정 국문 없음

    W3C XMLEncryptionSyntax andProcessing Spec.

    TTAS.KO-10.0185 PG403

    262 2005-190 확장성 생성언어 암호 요구사항 제정 국문 없음W3C XMLEncryptionRequirements

    TTAS.KO-10.0186 PG403

    263 2005-191 확장성 생성언어 전자서명을 위한 복호화 변환 제정 국문 없음W3C DecryptionTransform forXML Signature

    TTAS.KO-10.0187 PG403

    264 2005-617 공공부문 사업 발주 관리 표SW ㆍ준 프로세스 제정 국문 없음KICS.IS-12207 TTAS.KO-09.0038 PG405

    265 2002-162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간 데이터 요소 교환 메시지 포맷 개정 국문 없음KS X 1517-3등

    TTAS.KO-10.0130/R1 PG406

    266 2003-184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일관성유지 절차 제정 국문 없음KS X ISO/IEC

    등20943-1 TTAS.OT-10.0043 PG406

    267 2004-548 아바타 메타데이터의 구성요소및 형식 제정 국문 없음ANSI/NISOZ39.85-2001 TTAS.OT-10.0044 PG406

    268 2004-549 멀티플랫폼 메타데이e-Learning터의 구성요소 및 형식 제정 국문 없음ANSI/NISOZ39.85-2001 TTAS.KO-10.0188 PG406

    269 2004-556 공통음성 메타데이터DB 제정 국문 없음 ISO/TC 37/SC 4 TTAS.KO-10.0189 PG406

    270 2005-148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스키마통합 제정 국문 없음ISO/IEC 11179,KSXISOIEC11179

    등-1~6TTAS.KO-10.0190 PG406

    271 2005-149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의미 공유를 위한 모델 제정 국문 없음ISO/IEC 11179,KSXISOIEC11179등-3

    TTAS.KO-10.0191 PG406

    272 2005-670 문헌정보 메타데이터 관리를 위한 공통 온톨로지 제정 국문 없음KSXISOIEC11179등-5 TTAS.KO-10.0192 PG406

    273 2002-172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품질평가 제정 국문 없음 - TTAS.KO-11.0045 PG408

    274 2004-494 웹서비스 비즈니스 계약 품질 명세 제정 국문 없음- TTAS.KO-11.0046 PG408

    275 2004-638 아키텍쳐 설계 프로세스S/W 제정 국문 없음 - TTAS.KO-11.0047 PG408

    276 2003-213 파일 기반 기본지리정보 교환 포멧 제정 국문 없음- TTAS.KO-10.0193 PG409

    277 2004-804 을 위한 그리드 커버리지 인COM터페이스 제정 국문 없음OGC IS:GC1.00 TTAS.OT-10.0045 PG409

    278 2005-156 모바일 용 음성정보 모델GIS 제정 국문 없음 OGC GML 3.1 TTAS.OT-10.0046 PG409

    279 2005-157 그리드 데이터 유통목록 메타데이(터) 제정 국문 없음KSXISO 19115 TTAS.KO-10.0194 PG409

    280 2005-158 기반 기본지리정보 교환GML 제정 국문 없음 OCG GML스키아(V 3.1.0) TTAS.KO-10.0195 PG409

    281 2005-161 모바일 서비스용 프로파일GML 제정 국문 없음 OGC GML3.1 TTAS.KO-10.0196 PG409

    282 2005-618 개방형 그리드 서비스 구조 용어 제정 국문 없음 GGF GFD-I.044 TTAS.OT-10.0047 PG411

    283 2005-619 그리드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성능 인자의 계층화 제정 국문 없음GGF GFD.23 TTAS.OT-10.0048 PG411

    284 2005-620 그리드 인증을 위한 기반의CA신뢰 문제 및 신원 위임 제정 국문 없음GGF GFD-I.17 TTAS.OT-10.0049 PG411

    285 2005-621 개방형 그리드 서비스 하부구조에서 로의 변화WS-RF 제정 국문 없음

    Globus "FromOpen GridServicesInfrastructure toWS-ResourceFramework:Refactoring &Evolution"

    TTAS.OT-10.0050 PG411

    286 2005-671 분자 시뮬레이션 그리드 구조 및명세 제정 국문 없음- TTAS.KO-10.0197 PG411

    287 2005-774 그리드 상에서의 데이터 접근과데이터 프로세싱을 위한 서비스 제정 국문 없음GGF GFD-I.14 TTAS.OT-10.0051 PG411

    288 2000-084 패키지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절차 제정 국문 없음- TTAS.KO-11.0048 PG412

    289 2000-086 패키지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항목 제정 국문 없음- TTAS.KO-11.0049 PG412

    290 2005-672 패키지 소프트웨어 사용자문서작성 지침 제정 국문 없음- TTAS.KO-11.0050 PG412

  • ※ 편재형 환경의 로봇 친구 의 의미를 가지며 현재 수행되는URC(Ubiquitous Robot Companion) : " " ,

    국가 신성장 동력사업인 로봇개발사업의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음

    붙임 활동경위서 및 초안요약서: 1. 각 부 끝1 . .

    No 과제번호 정보통신단체표준 안 명( )제/개정

    국/영문

    IPR유무

    관련국제표준

    채택시 표준번호 담당위 쪽수

    291 2005-777 클라이언트 서버 통신프로URC /토콜 제정 국문 없음- TTAS.KO-10.0198 PG413

    292 2005-778 클라이언트 서버 통신 프로URC /토콜 메시지 제정 국문 없음- TTAS.KO-10.0199 PG413

    293 2005-780 URC용 사용자 인식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API 제정 국문 없음- TTAS.KO-11.0051 PG413

    294 2005-782클라이언트 서버 기반 이동URC /

    로봇을 위한 객체 정보 통신 프로토콜

    제정 국문 없음 - TTAS.KO-10.0200 PG413

    295 2005-783 용 서비스 모델링 언어 및 객URC체 모델 제정 국문 없음- TTAS.KO-10.0201 PG413

    296 2005-784 용 서비스 명령 표현 언어URC 제정 국문 없음 - TTAS.KO-10.0202 PG413

    297 2005-786 장치 추상화를 위한 공통URC로봇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제정 국문 없음- TTAS.KO-10.0203 PG413

  • 표준화 활동 경위서

    부가형 디지털 전자서명 방식 – 제 1부 기본구조 및 모델

    1. 표준(안)명 : 부가형 디지털 전자서명 방식 – 제 1 부

    기본구조 및 모델

    Digital Signature Scheme with Appendix – Part

    1 : General Architecture and Model

    2. 표준화과제명 : 부가형 디지털 서명방식 표준

    3. 표준화과제번호 : 2004-704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정보보호기반

    프로젝트 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2004-07-23 정보보호기반 프로젝트

    그룹(PG101)

    나. 과제채택 : 2004-10-28 제 46 차운영위원회

    다. 초안검토 : 2004-12-16 PG101 제 6 차회의

    라. 의견수렴 : 2005-10-25 ~ 2005-11-21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30 TC1 제 12 차 회의

    사. 운영위 검토 :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부가형 디지털 전자서명 방식 제 부 기본구조 및 모델1. ( ) ( ): - 1

    (2004-704)

    표준의 목적2.

    본 표준은 개방시스템의 상호접속을 지향하는 통신망 또는 정보처리 시스템 상에

    서 이용할 수 있도록 임의의 길이를 갖는 메시지에 대한 부가형 디지털 서명 방식

    이 갖추어야 할 기본기능과 구조를 규정한다.

    주요 내용 요약3.

    본 표준은 먼저 디지털 서명방식의 종류를 구분하고 부가형 디지털 서명방식을,

    설명한다 디지털 서명방식의 일반 모델은 키생성 과정 및 서명 생성 과정 서명 검. ,

    증 과정으로 분류하여 서술된다 마지막으로 부가형 디지털 서명방식의 기술적 요.

    구사항을 명시한다.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4.

    본 표준은 디지털 서명방식의 기본 개념을 일반 모델화 시킴으로써 부가형 디지

    털 서명방식을 기초로 한 표준화 등에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참조권고 및 표준5.

    국제표준 권고5.1 ( )

    - ISO/IEC 14888-1,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Digital

    signature with appendix - Part 1 : General

    국내표준5.2

    정보기술 보안기술 부가형 디지털 서명 제- KSX ISO/IEC 14888-1 : 2001, - - - 1

    부 일반:

    기타 없음5.3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비교6.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관련성6.1 ( )

    본 표준은 을 기반으로 하여 디지털 서명방식을 구체화 한다ISO/IEC 14888-1 .

    참조한 표준 권고 과 본 표준의 비교표6.2 ( )

    TTAS.KO-09.0003/R1 KSX ISO/IEC 14888-1 비 고개요1. - 추가표준의 구성 및 범위2. - 추가용어정의3. - 추가기호와 표기4. - 추가디지털서명의 종류5. - 추가

    부가형 디지털서명 일반 모델6.

    일반모델6.

    생성절차8.

    서명절차9.

    검증절차10.

    일부 수정

    요구사항7. 서명방식과 해쉬함수7. -

    TTAS.KO-09.0003/R1 TTAS.KO-09.0003 비 고개요1. 개요1. -표준의 구성 및 범위2. 적용범위2. 수정용어정의3. 용어정의4. 일부 수정기호와 표기4. 기호와 표기5. 일부 수정디지털서명의 종류5. 일반사항6. 수정부가형 디지털서명 일반 모델6. 일반사항6. 일부 수정요구사항7. 요구사항7. 일부 수정

    지적재산권 관련사항7.

    년 월까지 발견된 지적재산권 없음2005 11

    적합인증 관련사항8.

    적합인증 대상 여부 없음8.1 :

    시험표준제정여부 해당 시험표준번호 없음8.2 ( ) :

    표준의 이력9.

    판수 제 개정일/ 제 개정내역․제 판1 1996. 1. 6 제정

    제 판2 2005. 12. xx 개정

  • 표준화 활동 경위서

    128 비트 블록암호알고리즘 SEED

    1. 표준(안)명 : 128 비트 블록암호알고리즘 SEED

    128-bit Block Cipher SEED

    2. 표준화과제명 : 128 비트 블록암호알고리즘 표준

    3. 표준화과제번호 : 2005-001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정보보호기반

    프로젝트 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나. 과제채택 : 2004-12-23 제 42 차 정보통신 표준총회

    다. 초안검토 : 2005-09-12 PG101 12 차회의

    라. 의견수렴 : 2005-09-30 ~ 2005-10-27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04 TC1 제 11 차 회의

    사. 운영위 검토 : 2005-12-06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비트 블록암호알고리즘1. ( ) ( ): 128 SEED (2005-001)

    표준의 목적2.

    본 표준은 정보처리시스템 및 정보통신망 환경에서 임의의 키 비밀키 를 사용하여( )

    블록단위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암호알고리즘을 규정한다.

    주요 내용 요약3.

    비트 블록암호알고리즘 의 전체구조 및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함수128 SEED F , G

    함수를 정의하고 있으며 의 핵심논리로 사용되고 있는 의 생성방법 및, SEED S-box

    테이블 라운드키 생성과정을 정의하고 있다, .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4.

    본 표준은 기밀성 기능을 제공하는 정보보호시스템 및 암호제품에 다양하게 활용

    되어 국내 정보통신망의 안전성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참조권고 및 표준5.

    국외표준 권고5.1 ( )

    - ISO/IEC 18033-3,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

    Encryption algorithms - Part 3 : Block ciphers", 2005.

    - IETF RFC 4009, "The SEED Encryption Algorithm", 2005.

    국내표준5.2

    비트 블록암호알고리즘- TTAS.KO-12.0004, "128 SEED", 1999.

    기타 해당없음5.3 :

    참조표준 권고 과의 비교6. (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관련성6.1 ( )

    본 표준은 과 에서 기술한 암호알고리즘ISO/IEC 18033-3 IETF RFC4009 SEED

    표준과 동일하다.

    참조한 표준 권고 과 본 표준의 비교표6.2 ( )

    본 표준은 에 비해 참조구현값 및 구현 효율성을 위한 추가적- ISO/IEC 18033-3

    인 방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의 내용과는 동일하다, IETF RFC4009 .

    지적재산권 관련사항7.

    년 월 현재까지 이 표준과 관련하여 확인된 지적재산권 없음2005 9

    적합인증 관련사항 해당사항 없음8. :

    표준의 이력9.

    TTAS.KO-12.0004/R1 TTAS.KO-12.0004 비 고

    알고리즘 및 내부 함수- SEED

    에 대한 설명 추가- 알고리즘 설명추가

    동일한 수식에 대해 동일한 표-

    현 사용

    동일한 수식에 대해 영문 대소-

    문자를 혼용해서 사용수식표현의 일원화

    판수 제 개정일/ 제 개정내역․제 판1 1999.09.08 제정

    제 판2 2005.xx.xx 개정

  • 표준화 활동 경위서

    해쉬함수표준-제 2부 : 해쉬함수알고리즘표준(HAS-160)

    1. 표준(안)명 : 해쉬함수표준-제 2부 :

    해쉬함수알고리즘표준(HAS-160)

    HASH FUNCTION STANDARD-PART 2 : HASH FUNCTION

    ALGORITHM STANDARD(HAS-160)

    2. 표준화과제명 : 해쉬함수표준-제 2부 :

    해쉬함수알고리즘표준(HAS-160)

    3. 표준화과제번호 : 2005-002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정보보호기반

    프로젝트 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나. 과제채택 : 2004-12-23 제 42 차 정보통신 표준총회

    다. 초안검토 : 2005-04-21 PG101 제 9 차 정기회의

    라. 의견수렴 : 2005-09-30 ~ 2005-10-27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04 TC1 제 11 차 회의

    사. 운영위 검토 : 2005-11-30 제 53 차 운영위원회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해쉬함수표준 제 부 해쉬함수알고리즘표준1. ( ) ( ): - 2 : (HAS-160)

    (2005-002)

    표준의 목적2.

    정보처리시스템 및 정보통신망 환경에서 임의의 길이의 비트열을 고정된 길이

    비트 의 출력값인 해쉬코드로 압축시키는 해쉬함수알고리즘표준 을(160 ) (HAS-160)

    규정한다.

    주요 내용 요약3.

    해쉬함수 의 전체구조 및 메시지를 해쉬함수에 적용하기 위한 메시지HAS-160

    덧붙이기 및 메시지 블록 생성방법 등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내부에서. , HAS-160

    사용되는 부울함수 및 내부 연산 함수를 정의하고 있으며 구현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한 참조구현값이 부록에 명시되어 있다.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4.

    본 표준은 국내 표준 전자서명알고리즘인 에 사용되는 해쉬함수로서 국내KCDSA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참조권고 및 표준5.

    국외표준 권고5.1 ( )

    - ISO/IEC 10118-1,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Hash

    functions - Part I : General, 2000

    - ISO/IEC 10118-3(2004), Information Technology - Security techniques

    Hash functions - Part 3 : Dedicated hash function, 2004

    국내표준5.2

    해쉬함수표준 제 부 기본구조- KICS.KO-10.0076, " - 1 : ", 1996.12.

    해쉬함수표준 제 부 해쉬함수알고리즘표준- TTAS.KO-12.0011/R1, " - 2 :

  • (HAS-160), 2000

    - 해쉬함수 제 부 일반KSX1208-1, - 1 : , 2001

    - KSXISOIEC10118-3:2001, 정보기술 보안기술 해쉬함수 제 부 전용 해쉬 함수- - - 3 : , 2001

    기타 없음5.3 :

    참조표준 권고 과의 비교6.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관련성6.1 ( )

    본 표준은 과 및 표준에서ISO/IEC 10118-1 ISO/IEC 10118-3 KICS.KO-10.0076

    해쉬 함수의 기본적인 개념 및 설계 기준을 참조하고 있다.

    참조한 표준 권고 과 본 표준의 비교표6.2 ( )

    지적재산권 관련사항7.

    년 월 현재까지 이 표준과 관련하여 확인된 지적재산권 없음2005 9 .

    적합인증 관련사항8.

    해당사항 없음

    표준의 이력9.

    TTAS.KO-12.0011/R2 TTAS.KO-12.0011/R1 비고

    부울함수 수식오류교정- - 부울함수 수식 오류 수식오류교정

    - 해쉬함수 표현 일원화 - 해쉬함수 표현 상이 수식표현의 일원화

    제 판1 1998.10.27 제정

    제 판2 2000.12.20 개정

    제 판3 2005.xx.xx 개정

  • 표준화 활동 경위서

    전자서명 인증서 경로처리 알고리즘

    1. 표준(안)명 : 전자서명 인증서 경로처리 알고리즘

    Path Processing Algorithm for Digital Signature

    Certificate

    2. 표준화과제명 : 전자서명 인증서 경로처리 알고리즘 표준

    3. 표준화과제번호 : 2005-003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정보보호기반

    프로젝트 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KISA/ISTF

    나. 과제채택 : 2004-12-23 제 42 차 정보통신 표준총회

    다. 초안검토 : 2005-04-21 PG101 제 9 차 정기회의

    라. 의견수렴 : 2005-09-30 ~ 2005-10-27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04 TC1 제 11 차 회의

    사. 운영위 검토 : 2005-12-06 제 53 차 운영위원회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전자서명 인증서 경로처리 알고리즘1. ( ) ( ): (2005-003)

    표준의 목적2.

    본 표준은 인증서를 이용함에 있어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해 인증서를 검증하는 절

    차를 명시한다.

    주요 내용 요약3.

    본 표준은 인증서 경로 처리 절차로써 인증서 경로 구축과 인증서 경로 검증 알

    고리즘으로 나누어 명시한다 인증서 경로 구축은 인증서를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경로를 구축하는 절차를 명시한 것으로 인증서 경로검증의 한 과정이다 또한, .

    인증서 경로검증 알고리즘은 인증경로상의 인증서를 검증하는 절차를 명시한다 인.

    증서 검증 절차에는 서명 검증 인증서 상태 검증 유효기간 검증 정책 검증 등이, , ,

    포함된다.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4.

    본 표준은 국내 전자서명 인증관리체계에서 사용되는 인증서 검증 모듈의 구현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 하고 나아가 인증 관련 기술의 발전과 관련 응용서,

    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인증서 검증 절차의 상호연동성 확보로 인증서.

    이용 범위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다.

    참조권고 및 표준5.

    국외표준 권고5.1 ( )

    - IETF, RFC3280,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and

    Certificate Revocation List(CRL) Profile, April 2002

    국내표준5.2

    공인인증서 경로검증 기술규격- KISA, KCAC.TS.CERTVAL, v1.00, 2004.5

  • 기타 없음5.3 :

    참조표준 권고 과의 비교6.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관련성6.1 ( )

    본 표준에서는 를 기반으로 하여 전자서명법 상에서 구축된 전자IETF RFC3280

    서명 인증관리체계에서 사용되는 전자서명용 인증서의 검증 절차를 규정한다.

    참조한 표준 권고 과 본 표준의 비교표6.2 ( )

    TTAS.KO-XX.XXXX IETF RFC3280 비고

    개요1. - 추가

    표준의 구성 및 범위2. - 추가

    용어정의3. - 추가

    약어4. - 추가

    인증경로 구축5. - 추가

    인증서 경로 검증6.6. Certificate Path Validation 일부내용수정

    검증7. CRL

    지적재산권 관련사항7.

    년 월 현재까지 이 표준과 관련하여 확인된 지적재산권 없음2005 9

    적합인증 관련사항8.

    적합인증 대상 여부 없음8.1 :

    시험표준제정여부 해당 시험표준번호 없음8.2 ( ) :

    표준의 이력9.

    제 판1 2005. xx. xx 제정

  • 표준화 활동 경위서

    식별번호를 이용한 본인확인 기술

    1. 표준(안)명 : 식별번호를 이용한 본인확인 기술

    Subscriber Identification Based on VID

    2. 표준화과제명 : 식별번호를 이용한 본인확인 기술 표준

    3. 표준화과제번호 : 2005-004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정보보호기반

    프로젝트 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나. 과제채택 : 2004-12-23 제 42 차 정보통신 표준총회

    다. 초안검토 : 2005-04-21 PG101 제 9 차 정기회의

    라. 의견수렴 : 2005-09-30 ~ 2005-10-27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04 TC1 제 11 차 정기회의

    사. 운영위 검토 : 2005-12-06 제 53 차 운영위원회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식별번호를 이용한 본인확인 기술1. ( ) ( ): (2005-004)

    표준의 목적2.

    인터넷 상에서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본인확인 시 주민등록번호 및 사업자 등록

    번호를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 정보의 노출 없이 안전하게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검

    증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다.

    주요 내용 요약3.

    주요내용으로는 식별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공인인증서에 넣어서 사용하는데 필요

    한 문법 및 절차에 대해서 크게 부분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먼저 가입자가 공인인3 .

    증서를 발급 받는 과정에서 공인인증기관이 식별번호 정보를 공인인증서에 주입하

    는 전체적인 절차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식별번호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처리하기. ,

    위한 속성을 정의하고 해당 필드들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고 식별번호 관련 정보를,

    인증서에 주입할 때 어느 곳에 어떤 형태로 주입될 것인가에 대한 사항과 공인인증

    서 요청시 암호화된 식별번호를 어디에 담을 것인가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4.

    본 표준은 국내 전자서명 인증관리체계가 구축되어 나가는데 발생할 수 있는 혼

    란을 최소화하고 인증 관련 기술의 발전과 관련 응용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

    다 또한 전자상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여 전자상거래 시장을 자연스럽게 활.

    성화시켜 나갈 것이다.

    참조권고 및 표준5.

    국외표준 권고5.1 ( )

    - ITU-T X.509, "Information technology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The Directory: Authentication Frame work", 2000.

    - IETF RFC 2459,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and

    CRL Profile", 1999

    - IETF RFC2510,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 Management Protocols", 1999

    - IETF RFC2511, "Internet X.509 Certificate Request Message Format", 1999

    - IETF RFC3280,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and

    CRL Profile", 2002

    - PKCS#5v1.5, "Password-Based Cryptography Standard", 1993

    - PKCS#5v2.0, "Password-Based Cryptography Standard", 1999

    - PKCS#8, "Private Key Information Syntax Standard", 1993

    - PKCS#10, "Certification Request Syntax Standard", 2000

    - PKCS#11, "Cryptographic Token Interface Standard Revision 1", 2001

    국내표준5.2

    전자서명 인증서 프로파일- TTA, TTAS.KO-12.0012, " ", 2000.12.

    기타 없음5.3 :

    참조표준 권고 과의 비교6.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관련성6.1 ( )

    본 표준에서는 과 을 기반으로 하여 전자서명법ITU-T X.509 V3 IETF RFC3280

    상에서 구축된 전자서명 인증관리체계에서 사용되는 전자서명용 인증서 프로파일

    중 식별번호를 이용한 본인확인 기술을 규정한다.

    참조한 표준 권고 과 본 표준의 비교표6.2 ( )

    본 표준은 국내에서 자체 개발된 기술로 참조한 표준과 본 표준의 관계성 없음

    지적재산권 관련사항7.

    년 월 현재까지 이 표준과 관련하여 확인된 지적재산권 없음2005 9 .

    적합인증 관련사항8.

    적합인증 대상 여부 없음8.1 :

    시험표준제정여부 해당 시험표준번호 없음8.2 ( ) :

    표준의 이력9.

    제 판1 2005. xx. xx 제정

  • 표준화 활동 경위서

    암호 메시지 규격에서 알고리즘

    1. 표준(안)명 : 암호 메시지 규격에서 알고리즘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Algorithms

    2. 표준화과제명 : 암호 메시지 규격에서 알고리즘

    3. 표준화과제번호 : 2005-167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정보보호기반

    프로젝트 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2004-12-06 인터넷보안기술포럼

    나. 과제채택 : 2005-02-04

    다. 초안검토 : 2005-04-21 PG101 제 9 차 정기회의

    라. 의견수렴 : 2005-10-25 ~ 2005-11-21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30 TC1 제 12 차 정기회의

    사. 운영위 검토 :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암호 메시지 규격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1. ( ) ( ): (2005-167)

    표준의 목적2.

    본 표준은 암호 메시지 규격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에 대한 구문을 정의하기 위

    한 것이다.

    주요 내용 요약3.

    본 표준은 임의의 메시지를 디지털 서명 다이제스트 인증 암호화 하는데 사용되는, , ,

    암호 메시지 규격을 정의한다 또한 암호 메시지 규격에서 사용되는 공통적인 암호학적.

    알고리즘 사용에 대한 내용을 정의한다.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4.

    본 표준은 암호기술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규격 표준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혼란을 최소화 하고 나아가 암호 기술의 발전과 관련 응용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

    이다.

    참조권고 및 표준5.

    국외표준 권고5.1 ( )

    - IETF, RFC 3370,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CMS) Algorithms, August

    2002

    국내표준5.2

    암호 메시지 규격 표준- ISTF-006 , 2002.2

    기타 없음5.3 :

    참조표준 권고 과의 비교6.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관련성6.1 ( )

    본 표준에서는 을 확장하여 작성되었음IETF RFC 3370

    참조한 표준 권고 과 본 표준의 비교표6.2 ( )

    본 표준과 참조 표준은 동일하다.

    지적재산권 관련사항7.

    년 월 현재까지 이 표준과 관련하여 확인된 지적재산권 없음2005 10

    적합인증 관련사항8.

    적합인증 대상 여부 없음8.1 :

    시험표준제정여부 해당 시험표준번호 없음8.2 ( ):

    표준의 이력9.

    판수 제 개정일/ 제 개정내역․제 판1 2005. 12. xx 제정

  • 표준화 활동 경위서

    3-DES 와 RC2 키 싸기

    1. 표준(안)명 : 3-DES 와 RC2 키 싸기

    Triple-DES and RC2 Key Wrapping

    2. 표준화과제명 : 3 중-DES 와 RC2 키 싸기

    3. 표준화과제번호 : 2005-168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정보보호기반

    프로젝트 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2004-12-06 인터넷보안기술포럼

    나. 과제채택 : 2005-02-04

    다. 초안검토 : 2005-04-21 PG101 제 9 차 정기회의

    라. 의견수렴 : 2005-10-25 ~ 2005-11-21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30 TC1 제 12 차 회의

    사. 운영위 검토 :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와 키 싸기1. ( ) ( ): 3-DES RC2 (2005-168)

    표준의 목적2.

    본 표준은 와 에 대한 키 싸기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3-DES RC2 .

    주요 내용 요약3.

    본 표준은 키 싸기 와 키 싸기 방법에 대해 정의한다 키 싸기3-DES RC2 . 3-DES

    는 하나의 키를 다른 키로 싸는 방법을 명시하고 키 싸기는 하나3-DES 3-DES , RC2

    의 키를 다른 하나의 키로 싸는 방법을 정의한다RC2 RC2 .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4.

    본 표준은 암호기술에서 사용되는 키의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혼란을 최소화 하고,

    나아가 암호 기술의 발전과 관련 응용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참조권고 및 표준5.

    국외표준 권고5.1 ( )

    - IETF, RFC 3217, Triple-DES and RC2 Key Wrapping, December 2001

    국내표준5.2

    와 키 싸기- ISTF-024 3-DES RC-2 , 2004.12

    기타 없음5.3 :

    참조표준 권고 과의 비교6.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관련성6.1 ( )

    본 표준에서는 을 한글화하였음IETF RFC 3217

    참조한 표준 권고 과 본 표준의 비교표6.2 ( )

    본 표준과 참조 표준은 동일하다.

    지적재산권 관련사항7.

    년 월 현재까지 이 표준과 관련하여 확인된 지적재산권 없음2005 9

    적합인증 관련사항8.

    적합인증 대상 여부 없음8.1 :

    시험표준제정여부 해당 시험표준번호 없음8.2 ( ) :

    표준의 이력9.

    판수 제 개정일/ 제 개정내역․제 판1 2005. 12. xx 제정

  • 표준화 활동 경위서

    AES 키 싸기 알고리즘

    1. 표준(안)명 : AES 키 싸기 알고리즘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

    Key Wrap Algorithm

    2. 표준화과제명 : AES 키 싸기 알고리즘

    3. 표준화과제번호 : 2005-169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정보보호기반

    프로젝트 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2004-12-06 인터넷보안기술포럼

    나. 과제채택 : 2005-02-04

    다. 초안검토 : 2005-04-21 PG101 제 9 차 정기회의

    라. 의견수렴 : 2005-10-25 ~ 2005-11-21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30 TC1 제 12 차 회의

    사. 운영위 검토 :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키 싸기 알고리즘1. ( ) ( ): AES (2005-169)

    표준의 목적2.

    본 표준은 키 싸기 알고리즘을 인터넷 커뮤니티 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는AES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주요 내용 요약3.

    본 표준은 키 싸기 키 풀기 등의 암호화 알고리즘 설계와 고유의 데이터 무결성 검,

    사 부분으로 나누어 명시한다 키 싸기로 불리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키 데이터를 싸거.

    나 암호화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하고 키 풀기로 불리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싸여진 키,

    데이터를 풀거나 복호화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다 고유의 데이터 무결성 검사는 키.

    싸기 알고리즘을 통해 무결성 정보를 포함한 평문 키를 안전하게 암호화하는 기본단위

    로 사용을 명시한다 마지막으로 인덱스 기반의 키 싸기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테AES .

    스트 벡터 등을 포함한다.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4.

    본 표준은 암호기술에서 사용되는 키의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혼란을 최소화 하고,

    나아가 암호 기술의 발전과 관련 응용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참조권고 및 표준5.

    국외표준 권고5.1 ( )

    - IETF, RFC 3394,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 key Wrap Algorithm, September 2002

    국내표준5.2 : 해당사항 없음

    기타 없음5.3 :

    참조표준 권고 과의 비교6.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관련성6.1 ( )

    본 표준에서는 를 한글화함으로써 규정한다IETF RFC 3394 .

    참조한 표준 권고 과 본 표준의 비교표6.2 ( )

    본 표준과 참조 표준은 동일하다.

    지적재산권 관련사항7.

    년 월 현재까지 이 표준과 관련하여 확인된 지적재산권 없음2005 9

    적합인증 관련사항8.

    적합인증 대상 여부 없음8.1 :

    시험표준제정여부 해당 시험표준번호 없음8.2 ( ):

    표준의 이력9.

    판수 제 개정일/ 제 개정내역․제 판1 2005. 12. xx 제정

  • 표준화 활동 경위서

    홈서버 중심의 홈네트워크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1. 표준(안)명 : 홈서버 중심의 홈네트워크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User Authentication Mechanisms for Home Network

    using Home Server

    2. 표준화과제명 : 홈서버 중심의 홈네트워크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3. 표준화과제번호 : 2005-170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정보보호기반

    프로젝트 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2005-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시큐리티포럼

    나. 과제채택 : 2005-02-04

    다. 초안검토 : 2005-04-21 PG101 제 9 차 정기회의

    라. 의견수렴 : 2005-09-30 ~ 2005-10-27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04 TC1 제 11 차 회의

    사. 운영위 검토 : 2005-12-06 CC 제 53 차 회의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홈서버 중심의 홈네트워크사용자 인증 메커니즘1. ( ) ( ):

    (2005-170)

    표준의 목적2.

    본 표준은 안전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사용자 인증시 다양한,

    인증수단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홈서버 중심의 홈네트워크 사용자 인증메커니즘에 대한 표준기술을 목적으

    로 한다.

    주요 내용 요약3.

    본 표준은 홈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댁내 홈서비스 사

    용을 위한 사용자 인증 댁내 혹은 댁외에서 홈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홈포탈,

    접근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정의한다 이외에 추가적으로 홈서버와 홈네트워크 사.

    업자 인증서버간의 메시지를 보호하기 위한 디바이스 인증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4.

    본 표준은 국내 홈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보안 표준을 제시하여 홈네트워

    크 서비스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나아가기 위한 필

    수적인 핵심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권고 및 표준5.

    국외표준 권고5.1 ( )

    -IETF RFC 3748,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EAP)", 2004.

    -IETF RFC 2716, "PPP EAP TLS Authentication Protocol", 1999.

    -IETF RFC 3546, "Transport Layer Security (TLS) Extensions", 2003.

    국내표준5.2

    생체인식 정보관리 및 보안 표준- TTA, TTAS.AS-X9.84, " ", 2003.12.

  • 기타 없음5.3 :

    참조표준 권고 과의 비교6.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관련성6.1 ( )

    홈네트워크 서비스는 집안의 일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도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안을 위한 인증 수단들도.

    패스워드나 인증서 및 생체정보와 같이 다양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 에 와 같, EAP

    이 다양한 인증 방법을 수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프로토콜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홈네트워크에 적합하지 않. EAP

    으므로 약간의 수정작업을 거쳤으며 이와 더불어 를 이용한 생체 인증 방법, X9.84

    도 규정하고 있다.

    본 표준에서는 의 수정을 거쳐 홈네트워크에 생체를 포함한 다양한 인증 수EAP

    단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강화하고 안전성을 유지하기위한 사용자 인

    증 메커니즘을 규정한다.

    참조한 표준 권고 과 본 표준의 비교표6.2 ( )

    지적재산권 관련사항7.

    년 월 현재까지 이 표준과 관련하여 확인된 지적재산권은 없음2004 11 .

    적합인증 관련사항8.

    적합인증 대8.1 상 여부 없음:

    표준의 이력9.

    TTAS.KO-xx.xxxx IETF RFC3748 비고

    개요1. - 동일

    표준의 구성 및 범위2. - 동일

    참조3. - 동일

    용어 및 약어4. - 동일

    디바이스 인증 메커니즘5. - 동일

    부록 . EEAP-PWⅠ - 동일

    부록 . EEAP-X9.84Ⅱ - 동일

    부록 . EEAP-TLSⅢ - 동일

    판수 제 개정일/ 제 개정내역․제 판1 2005. xx. xx 제 정

  • 표준화 활동 경위서

    인증과 권한제어 및 과금용 다이아메터(Diameter) 베이스

    프로토콜

    1. 표준(안)명 : 인증과 권한제어 및 과금용

    다이아메터(Diameter) 베이스 프로토콜

    Diameter Base Protocol for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2. 표준화과제명 : 인증과 권한제어 및 과금용

    다이아메터(Diameter) 베이스 프로토콜

    3. 표준화과제번호 : 2004-602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인터넷보안

    프로젝트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2004-08-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 과제채택 : 2004-09-10

    다. 초안검토 : 2004-12-23

    라. 의견수렴 : 2005-09-30 ~ 2005-10-27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04 TC1 제 11 차 회의

    사. 운영위 검토 : 2005-12-06 제 53 차 운영위원회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인증과 권한제어 및 과금용 다이아메터 베이스1. ( ) ( ): (Diameter)

    프로토콜 (2004-602)

    표준의 목적2.

    본 표준은 사용되는 다이아메터 베이스 프로토콜에 대한 규격으로써 사용자 인

    증 권한제어 및 과금을 위한 프레임워크 제공이 목적이다, .

    주요 내용 요약3.

    본 표준은 휴대인터넷과 공중망 네트워크 접속이나 이동성 등의 다양한 응용IP

    서비스시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 권한제어 및 과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이아메

    터 베이스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으로써 사용자 인증 및 과금을 필요로 하는 다양,

    한 응용 서비스시 필요한 메시지 형식과 에러 보고 및 보안과 과금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고 있다 이 표준은 상위의 응용에 상관없이 보안성과 확장이 용이하면서도.

    사용자 인증 권한제어 및 통합된 과금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표준 적용 산업 분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4.

    기존의 라디우스 프로토콜 기반 인증서버는 점진적으로 다이아메터로(RADIUS)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 시점에서 본 표준은 다양한 형태의 인증 및 과금 서비,

    스 실현이 가능하여 휴대 인터넷 무선랜 이동통신 등을 이용한 다양한 복합 응용, , ,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현재 운용중인 인증 및 과금 서비스의 신.

    시장이 개척될 것으로 판단되나 과도기적으로는 사업자간 로밍과 라디우스와 다이,

    아메터 간 상호 운용성을 위한 로밍 표준이 필요할 것이다.

    참조권고 및 표준5.

    국외표준 권고5.1 ( )

    - IETF RFC 3588, "Diameter Base Protocol", September 2003

    국내표준5.2 : 없음

    참조표준 권고 과의 비교6. ( )

    참조표준 권고 과의 관련성6.1 ( )

    는 네트워크 접속에 따른 사용자 인증 권한 제어 및 과금시의 다양한 응용IETF ,

    요구사항을 받아들여 스탠다드 트랙 프로토콜로써 다이아메터를 제안하고IETF

    을 만들었으며 이를 기초로 년 월 현재 베이스 프로토콜AAA WG , 2005 6 (RFC

  • 과 트랜스포트 프로파일 에 대한 표준이3588) AAA (RFC 3539) IETF Standard RFC

    에 등록되어 있으며 등의 다양한 응용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 NASREQ, EAP, SIP

    중이다.

    본 표준은 다이아메터 베이스 프로토콜을 정의한 을 완전 수용하IETF RFC 3588

    는 표준으로써 인증 권한 제어 및 과금 서비스를 다이아메터 프로토콜 기반으로, ,

    실현할 경우 필요한 메시지 형식과 메시지 처리 방식 및 에러 보고와 세션 관리를

    위한 상태 천이도를 규정한다.

    참조한표준 권고 과 본 표준의 비교표6.2 ( )

    지적재산권 관련사항7.

    년 월까지 발견된 지적재산권 없음2005 9 .

    적합인증 관련사항8.

    적합인증 대상 여부 없음8.1 :

    시험표준제정여부 해당 시험표준번호 없음8.2 ( ) :

    표준의 이력9.

    TTAx.x.xxx/R1 IETF RFC3588 비고소개1. 1. Introduction 동일규약의 개요2. 2. Protocol Overview 동일다이아메터 헤더3. 3. Diameter Header 동일다이아메터4. AVP 4. Diameter AVPs 동일다이아메터 상대노드5. 5. Diameter Peers 동일다이아메터 메시지 처리6. 6. Diameter Message Processing 동일에러 처리7. 7. Error Handling 동일다이아메터 사용자 세션8. 8. Diameter User Sessions 동일과금9. 9. Accounting 동일

    발생 표10. AVP 10. AVP Occurrence Table 동일고찰11. IANA 11.IANA Considerations 동일

    다이아메터 규약과 관련된 구성 파라12.메터

    12. Diameter Protocol RelatedConfigurable Parameters 동일

    보안에 대한 고찰13. 13. Security Considerations 동일참조14. 14. References 동일감사의 글15. 15. Acknowledgements 동일

    부록 다이아메터 서비스 탬플릿A. Appendix A. Diameter Service Template 동일부록 예제B. NAPTR Appendix B. NAPTR Example 동일부록 중복 탐지C. Appendix C. Duplicate Detection 동일부록 지적 재산에 대한 명세서D. Appendix D. Intellectual Property 동일

    판수 제 개정일/ 제 개정내역․제 판1 2005. xx. xx 제 정

  • 표준화 활동 경위서

    EAP 프로토콜

    1. 표준(안)명 : EAP 프로토콜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

    2. 표준화과제명 : 확장 가능 인증 규약

    3. 표준화과제번호 : 2004-788

    4. 당당 위원회명 : 공통기반 기술위원회 인터넷보안

    프로젝트그룹

    5. 추진경위

    가. 과제제안 : 2004-08-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 과제채택 : 2004-12-09

    다. 초안검토 : 2004-12-23 PG102 제 6 차 정기회의

    라. 의견수렴 : 2005-09-30 ~ 2005-10-27

    - 의견수렴결과 :

    - 의견제출단체 :

    마. 의견검토회의 :

    바. 표준안 채택 : 2005-11-04 TC1 제 11 차 회의

    사. 운영위 검토 : 2005-12-06 제 53 차 운영위원회

    아. 단체표준안심의 :

    자. 표준공고 :

  • 표준초안 요약서

    표준 안 명 과제번호 프로토콜1. ( ) ( ): EAP (2004-788)

    표준의 목적2.

    본 표준은 기반 무선랜 등 사용자 인증을 통한 접속이PPP, IEEE 802.11 , 3GPP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필요한 다양한 인증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정의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내용 요약3.

    본 표준은 다양한 인증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인증 구조인 프로토콜을 정의EAP

    한 것이다.

    본 표준은 일반적으로 환경 혹은 환경에서 동작하지만 혹은PPP IEEE 802 , UDP

    등의 프로토콜에서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표준의 장점은 확Diameter/RADIUS .

    장성 및 유연함에 있으며 내부적으로 어떤 인증 방식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메시지 교환 중에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본 표준은 사용자 인증 방식을 변경해야. ,

    할 경우 장비 혹은 무선랜 에서 인증 방식을 수정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NAS AP

    및 인증 서버의 인증 방식을 수정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본 표준은 기존의 규격인 에서 모호하게 정의된 내용으로 인EAP IETF RFC 2284

    하여 생길 수 있는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하고 사업자 고유의 인증 방식을 추가,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