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장 염색과 가공 -...

4
[의복재료 2]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2015년 5월 19, 20, 교과서 p.398-407 제19장 염색과 가공 제직, 편직 생지 (生地, Gray) 전처리 ➡➡➡ 발호, 정련, 표백 후처리 ➡➡➡ 염색, 가공 의복재료 (Commercial) 전처리 (前處理, Pre-treatment)란? : 염색가공하기 전에 직물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 후처리 (後處理, After-treatment) : 염색가공 처리공정, 상품가치 향상됨 1. 전처리 : 발호, 정련, 표백 (1) 가호 (加糊, Sizing) / 발호 ( 拔糊, De-sizing) : 제직시 가호(풀먹이기), 제직후 발호(풀빼기) 천연호료 : 전분 합성호료 :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CMC, PVA → 수용성이므로 발호제 불필요함 발호제(효소) : 전분→ 아밀라제(amylase), 젤라틴(protease) (2) 정련 (精練, Scouring) : 제직 공정 중에 불순물(기름 등), 섬유자체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 고온의 알칼리용액에서 처리, 면직물은 삶는다. (3) 표백 (漂白, Bleaching) : 정련 후에도 남아있는 색소를 분해/제거 표백제 (시제품의 예 : 유한락스, 옥시크린, 칼라모아), Blueing, 형광증백제 < 의복의 색상과 무늬 를 위해 염색 혹은 날염의 예 : APEC 정상회담시 각국 전통의상을 입은 정상들의 모습 > 2. 염색 (染色, Dyeing) Key words: 색상, 염료(천연염료, 합성염료), 섬유와의 친화력(affinity), 염색방법 (침염, 날염), 염색견뢰도(color fastness), 조제(촉염제, 완염제) 염색조건 (염색시간, 염액농도, 염색온도) (1) 염료 (染料, dyestuff)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매염염료, 산성매염염료, 배트염료, 황화염료, 아조익염료, 산화염료, 분산염료, 반응성염료, 안료 < 표 1 > 각종섬유와 염료의 염색성 및 염색방법 (p.46) 염법 염료 섬유 직접염법 매염염법 환원염법 발색염법 분산 염법 반응 염법 수지 염법 직접 염료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 매염 염료 산성매 염염료 배트 염료 황화 염료 아조익 염료 산화 염료 분산 염료 반응성 염료 안료 레이온 O O X X X X O O O O O O O O X X O O O O 양모 O O O O O O X X X X X X X 아세테이트 X X X X X X X O X X 나일론 비닐론 폴리에스터 아크릴 X X O X X O X X X O O X X X O X X X X X X X X X O O X X X (O: 최적 △: 염색가능 X: 부적합) < 표 2 > 염료의 견뢰도 (p.404) 견뢰도 염료 일광 세탁 다리미 마찰 알칼리 염소 (표백제)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매염염료 산성매염염료 배트염료* 황화염료 아조익염료* 분산염료 반응성염료 2 2 1 5 5 5 4 4 4 5 2 4 1 4 4 5 4 4 2 5 4 4 1 4 4 4 4 4 4 4 2 4 2 4 4 5 4 4 4 4 4 4 2 4 4 5 4 4 4 4 2 2 2 2 2 5 5 5 2 2 1 1 1 1 1 5 1 4 1 1 (* 배트염료, 아조익염료: 염색견뢰도가 최우수인 염료) (2) 염색법 (染色法, Dyeing method) ① 침염 (浸染, Dyeing) ◈ 원액염색 (原液染色, Solution dyeing) : 인조섬유고분자 방사원액에 색소첨가 후 방사 (p.134) ◈ 톱 염색 (Top dyeing) : 소모사가 되기 전 중간제품인 톱 상태에서 염색 후 실을 완성 (p.248) ◈ 선염 (先染) / 사염색 (絲染色, Yarn dyeing) : 줄무늬 , 체크무늬, 이카트직물 ◈ 후염 (後染) / 포염색 (布染色, Fabric dyeing) ◈ 의복염색 (衣服染色, Garment dyeing) ◈ 이색염색 (異色染色, Cross dyeing): 혼방직물, 교직물의 염색 ◈ 섬유의 종류와 염색성에 따라, 한 번에 다른 색으로 염색, 멜란지 효과 ◈ 서모솔 염색법 (Thermosol): 분산염료, 염액 중에 침지 건조 후, 180-220℃에서 30-60초 처리 ② 날염 (捺染, Printing) : 무늬를 염색, 날염호(염료+조제+호료) 직접날염법 : Screen printing, Roller printing - 날염호로 직물표면에 무늬를 날인한 후, 증기로 쪄서 염료를 섬유내부까지 침투염착 날염방법으로는 Screen printing, Roller printing, 도장 발염법 (拔染法, Discharge) - 염색직물에 호료+발염제(표백제)를 배합하여 날인, 증기로 쪄서 탈색 된 부분이 흰 무늬

Upload: others

Post on 21-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19장 염색과 가공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anyang/parkmyengja/12.pdf · - 특수종이에 분산염료로 도안을 그려, 이것을 직물

- 1 -

[의복재료 2] 한양대학교 의류학과2015년 5월 19, 20, 교과서 p.398-407

제19장 염색과 가공

➡➡➡

제직, 편직

생지

(生地, Gray)

전처리

➡➡➡발호, 정련, 표백

후처리

➡➡➡염색, 가공

의복재료

(Commercial)

전처리 (前處理, Pre-treatment)란? : 염색가공하기 전에 직물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

후처리 (後處理, After-treatment) : 염색가공 처리공정, 상품가치 향상됨

1. 전처리 : 발호, 정련, 표백

(1) 가호 (加糊, Sizing) / 발호 (拔糊, De-sizing) :

제직시 가호(풀먹이기), 제직후 발호(풀빼기)

천연호료 : 전분

합성호료 : 젤라틴, 알긴산나트륨, CMC, PVA → 수용성이므로 발호제 불필요함

발호제(효소) : 전분→ 아밀라제(amylase), 젤라틴(protease)

(2) 정련 (精練, Scouring) : 제직 공정 중에 불순물(기름 등), 섬유자체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

고온의 알칼리용액에서 처리, 면직물은 삶는다.

(3) 표백 (漂白, Bleaching) : 정련 후에도 남아있는 색소를 분해/제거

표백제 (시제품의 예 : 유한락스, 옥시크린, 칼라모아), Blueing, 형광증백제

< 의복의 색상과 무늬를 위해 염색 혹은 날염의 예 : APEC 정상회담시 각국 전통의상을 입은 정상들의 모습 >

2. 염색 (染色, Dyeing) Key words: 색상, 염료(천연염료, 합성염료), 섬유와의 친화력(affinity), 염색방법 (침염, 날염),

염색견뢰도(color fastness), 조제(촉염제, 완염제)

염색조건 (염색시간, 염액농도, 염색온도)

(1) 염료 (染料, dyestuff)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매염염료, 산성매염염료, 배트염료, 황화염료, 아조익염료,

산화염료, 분산염료, 반응성염료, 안료

- 2 -

< 표 1 > 각종섬유와 염료의 염색성 및 염색방법 (p.46)

염법

염료

섬유

직접염법 매염염법 환원염법 발색염법 분산염법

반응염법

수지염법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매염염료

산성매염염료

배트염료

황화염료

아조익염료

산화염료

분산염료

반응성염료 안료

면레이온

OO

XX

△△

△△

XX

OO

OO

OO

OO

XX

OO

OO

양모견

△△

OO

OO

△△

OO

△△

XX

△△

△△

XX

X△

XX

아세테이트 X X X X X X X △ △ O X X

나일론비닐론

폴리에스터아크릴

△△XX

OXX△

OXX△

△△XO

OXXX

△OX△

X△XX

△△XX

△XXX

△△OO

△△X△

△△XX

(O: 최적 △: 염색가능 X: 부적합)

< 표 2 > 염료의 견뢰도 (p.404)

견뢰도 염료 일광 세탁 땀 다리미 마찰 알칼리 염소

(표백제)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매염염료 산성매염염료 배트염료* 황화염료 아조익염료* 분산염료 반응성염료

2215554445

2414454425

4414444444

2424454444

4424454444

2222255522

1111151411

(* 배트염료, 아조익염료: 염색견뢰도가 최우수인 염료)

(2) 염색법 (染色法, Dyeing method)

① 침염 (浸染, Dyeing)

◈ 원액염색 (原液染色, Solution dyeing) : 인조섬유고분자 방사원액에 색소첨가 후 방사 (p.134)

◈ 톱 염색 (Top dyeing) : 소모사가 되기 전 중간제품인 톱 상태에서 염색 후 실을 완성 (p.248)

◈ 선염 (先染) / 사염색 (絲染色, Yarn dyeing) : 줄무늬 , 체크무늬, 이카트직물

◈ 후염 (後染) / 포염색 (布染色, Fabric dyeing)

◈ 의복염색 (衣服染色, Garment dyeing)

◈ 이색염색 (異色染色, Cross dyeing): 혼방직물, 교직물의 염색

◈ 섬유의 종류와 염색성에 따라, 한 번에 다른 색으로 염색, 멜란지 효과

◈ 서모솔 염색법 (Thermosol): 분산염료, 염액 중에 침지 건조 후, 180-220℃에서 30-60초 처리

② 날염 (捺染, Printing) : 무늬를 염색, 날염호(염료+조제+호료)

◈ 직접날염법 : Screen printing, Roller printing

- 날염호로 직물표면에 무늬를 날인한 후, 증기로 쪄서 염료를 섬유내부까지 침투염착

날염방법으로는 Screen printing, Roller printing, 도장

◈ 발염법 (拔染法, Discharge)

- 염색직물에 호료+발염제(표백제)를 배합하여 날인, 증기로 쪄서 탈색된 부분이 흰 무늬

Page 2: 제19장 염색과 가공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anyang/parkmyengja/12.pdf · - 특수종이에 분산염료로 도안을 그려, 이것을 직물

- 3 -

* 염료의 종류에 따라 아조기가 분해되어도 색이 남는 경우가 있다.

◈ 착색발염법

- 발염제에 탈색되지 않는 염료를 혼합하여 날인, 탈색된 부분에 염색

◈ 방염법 (防染法, Resist dyeing) : 판염(woodblock), 홀치기염(tie-dying), 형염(Stencil)

납방염(wax-resist), 구타염

- 직물표면에 염료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염제를 날인하거나,

혹은 물리적인 힘(실/나무 묶음)으로 처리 후에 염색

◈ 전사날염법 (傳寫捺染法, Transfer dyeing) : 분산염료의 승화성을 이용

- 특수종이에 분산염료로 도안을 그려, 이것을 직물 위에 놓고 가압열처리

분산염료가 증발하여 직물상에서 다시 응축하여 무늬형성

원액염색 톱염색 사염색(선염) 포염색(후염) 의복염색

이색염색 판염 혹은 발염법 직접날염법 이카트직물 홀치기염

판염 납방염(바틱직물) 크랙염 발염 전사날염

- 4 -

3. 가공 (加工, Finishing)

가공이란? : 섬유제품의 외관, 용도, 재질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떠한 처리를 하는 것이며,

염색과 함께 섬유제품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 기계적 가공 : 풀먹이기, 폭내기, 광내기, 축융, 기모, 털깎기, 열고정, 기계적 방축가공 등

* 화학적 가공 : 품질이나 성능을 개선할 목적으로 섬유를 반영구적으로 개질하는 가공.

면섬유 제품에는 견과 같은 광택을 주는 머서화가공(mercerization), 마와 같은 촉감을 주는 의마(擬麻)가공, 구김이 잘생기지 않고 빨리 건조하게 하는 워시 앤드 웨어(wash and wear)가공 및 듀어러

블 프레스(durable press)가공 등이 있으며, 합성섬유 제품에는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때가 잘 타

지 않게 하는 대전방지가공 및 방오가공, 수분을 잘 흡수하게 하는 친수화가공 등이 있다. 이밖에

모든 섬유제품이 대상이 되는 방수가공, 유연가공, 경화가공, 증량가공, 감량가공, 방충가공, 항균.방

취가공, 방염가공(난연화가공) 등.

* 고기능화 가공 : 물리적 방법이나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체-제사-제포-가공 공정의 수직 기술 복합

화로부터 새로운 기능을 가진 소재를 만드는 가공으로, 최첨단 섬유제품을 만드는 기술.

1) 일반가공

(1) 털태우기 (Singeing) :

스테이플섬유(면, 마, 레이온)에 적용, 필라멘트 합성섬유는 불필요

실이나 직물표면의 잔털 태우기 : 표면 평활, 조직선명 효과

가스 불 속이나 강렬 된 금속판 또는 전열선위를 급속히 통과시켜 털을 태움.

가스사 : 털태우기를 한 실

* 털일으키기 : 기모가공 : 부드럽고, 볼륨감이 있으며 보온성이 좋아져 겨울철에 많이 이용됨

털태우기 (예) 면개버딘 털 일으키기 전 / 후(기모가공의 예)

(2) 머서화가공 (Mercerization) :

제직 공정 중에 불순물(기름 등), 섬유자체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

가공조건 : 저온, 긴장상태, 짙은 NaOH 용액, 무긴장상태(Slack Mercerization)

면직물에 적용, Silkette 가공 --> 광택, 강도, 흡습성/염색성, 형태안정성 증가

< 머서화가공 의한 면섬유의 측면과 단면의 변화 >

<미가공> <머서화가공>

Page 3: 제19장 염색과 가공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anyang/parkmyengja/12.pdf · - 특수종이에 분산염료로 도안을 그려, 이것을 직물

- 5 -

(3) 축융가공 (Feting) :

모직물에 적용, 축융수축

수분, 압력, 마찰, 온도, 알칼리(혹은 산)

(4) 캘린더 (Calender) 가공 :

뜨거운 롤러사이를 통과 직물 다림질, 직물표면 평활 효과

합성섬유 : 시레가공(Cirē)

(5) 엠보스 (Emboss) 가공, (그림 참고 p.409)

직물표면에 요철 형성

열가소성섬유 : 영구적 효과

면직물 : 수지가공 후 엠보스 가공하면 영구적

(6) 플리스 (Plisse, Ripple) 가공, (그림 참고 p.410)

면직물, 진한 NaOH용액 + 풀 → 처리부분 수축, 미처리부분 파상

2) 방축가공

(1) 셀룰로오스 직물 (그림 참고 p.411)

Sanforization : 안정화수축(제직시 받은 장력이 이완되어 안정화됨에 따라 수축발생)

--> 면, 마, 레이온 직물을 강제로 수축시켜 사용시 이완수축방지

(2) 모직물 (그림 참고 p.412)

① London Shrunk : 안정화수축(제직시 받은 장력이 이완되어 안정화됨에 따라 수축발생)

--> 모직물을 강제로 수축시켜 사용시 이완수축 방지가공

② Coating, Chlorination(염소처리) : 축융수축 방지가공

--> 모섬유 표면의 스케일을 합성수지로 코팅하거나 화학약품으로 용해하여 제거

Original Wool Original Wool Resin-coated Wool Chlorinated Wool (Dry-cleaning) ('Coolwool' : Washable)

3) 방추 및 형체고정가공

(1) 방추가공 (그림 참고 p.413)

면/마/레이온 → 반응성수지용액에 침지 → 건조 → 큐어링(Curing) → 옷제작 혼방 (DMDHEU) 가열중합공정

(2) 듀러블 프레스(Durable press, Permanent press, Wash & wear) 가공 (그림 참고 p.415)

면/마/레이온 → 반응성수지용액에 침지 → 건조 → 옷제작 → 큐어링(Curing) 혼방 (DMDHEU) 가열중합공정

- 6 -

(3) 양모의 주름 고정가공 (그림 참고 p.416)

양모의 시스틴 결합이용, 영구적 효과 → 시로셋 (Si-Ro set) 가공

사람의 머리 퍼머넌트 웨이브의 원리와 동일

4) 기타 가공

(1) 방수 및 발수가공 (그림 참고 p.418-419)

불소화합물 코팅 발수, 발유성 부여 → Scotch gard 가공 Teflon mark

발수발유가공 코팅

(2) 알칼리감량가공 (그림 참고 p.420) 천연 견섬유와 유사한 외관 (‘물실크’)

폴리에스터 + NaOH용액에 처리 : 섬유의 외층부가 가수분해가 되어 용해되고,

이로 인해 실과 실 사이의 간격이 커짐 → 유연성, 촉감, 드레이프성, 염색성 향상

(3) 대전방지가공

섬유린스(양이온계면활성제) 처리 : 일시적 효과

섬유자체의 개질(친수화) : 친수성 피막코팅, 친수성 중합체 Grafting

(4) 방염가공 (그림 참고 p.421)

용융성 염 첨가 : 용융시 산소공급차단, 불꽃발생 방지

(5) 방충가공

양모카펫, 양모솜 등에 염소화합물 적용 영구적 효과

주로 단백질 섬유에 적용

천식, 알레르기, 아토피 등을 유발하는 진드기

(6) 위생가공

미생물에 의한 악취발생 방지

: 환자복, 노인복, 행주, 속옷, 양말, 침구 등에 적용

항미생물가공제 상품화 : Nonstac, Biosil

SF Mark (Sanitary Finished)

Page 4: 제19장 염색과 가공 - contents.kocw.net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hanyang/parkmyengja/12.pdf · - 특수종이에 분산염료로 도안을 그려, 이것을 직물

- 7 -

[의복재료 2: 직물분석실습 12] 염색과 가공한양대학교 의류학과, 2015년 5월 20일

가공직물 (번아웃, Burn-out)의 분석- 혼방니트, 혼방직물, 교직물, 파일직물, 이중직물, 복합직물 -

- 섬유(실) 성분 : rayon(흰색)/polyester(검정) 혼방사- Fabric 구성 : T/R 혼방사, 합연사- 염료종류와 염색방법 : 검정 분산염료 폴리에스터 사염- 효과 : 일부 투명, 무늬생성, 촉감/색 변화, 통기성↑

- 섬유(실) 성분 : 표면 100% rayon / 이면 100% polyester- Fabric 구성 : T/R 이중직 (이중 교직물)- 염료종류와 염색방법: (반응성+분산)혼합염색, Union dyeing- 효과 : 무늬생성, 두께ㆍ표면요철ㆍ촉감변화, 광택변화

- 섬유(실) 성분 : cotton/polyester 혼방사- Fabric 구성 : T/C 혼방직물- 염료종류와 염색방법 : 분산염료, 날염(직접날염법)- 효과 : 일부 투명 효과, 표면요철, 촉감변화, 통기성↑

- 섬유(실) 성분 : 경사 100% cotton / 위사 100% polyester- Fabric 구성 : T/R 교직물- 염료종류와 염색방법 : 반응성염료, 분산염료, 날염법- 효과 : 두께변화, 촉감변화, 통기성↑

- 섬유(실)성분 : 100% rayon 파일사 / 100% polyester 바탕사- Fabric 구성 : 컷(cut) 파일직물- 염료종류와 염색방법: (반응성+분산)혼합염색, Union dyeing- 효과 : 투명(See-through), 무늬생성, 촉감, 유연ㆍ통기성↑

- 섬유(실) 성분 : 표면 100% cotton / 이면 100% polyester- Fabric 구성 : 데님직물/라셀경편 복합직물 (변형 누비)- 염료종류와 염색방법 : 사염, 반응성염료(면), 분산염료 polyester) - 효과 : 파일직물효과, 투명(See-through), 무늬생성, 촉감, 유연ㆍ통기성↑

- 8 -

[의복재료 2: 직물분석실습 13] 염색과 가공한양대학교 의류학과, 2015년 5월 20일

각종 가공직물의 분석 ( 감성, 기능성 부여 )

- 섬유성분 : 양모 혼방- 가공이름 : 털 태우기, Clear Cut 가공- 가공방법 : 방적사의 잔털을 제거- 가공효과 : 깔끔한 직물표면, 표면의 직물조직 선명

- 섬유성분 : 100% 양모섬유- 가공이름 : 기모 가공 (털 일으키기)- 가공방법 : 직품표면을 긁어서 잔털을 생성- 가공효과 : 조직 불분명, 부드러운 촉감, 보온성↑, 볼륨감

- 섬유성분 : 합성섬유- 가공이름 : Cire 가공 (시레 가공)- 가공방법 : 표면에 열처리- 가공효과 : 표면의 매끄러움, 표면 광택

- 섬유성분 : 100% 면섬유- 가공이름 : 플리세(Plisse)가공, 혹은 리플(Ripple)가공- 가공방법 : 부분 머서화, NaOH 처리부분의 수축- 가공효과 : 표면의 요철 효과, 촉감의 거칠기

- 섬유성분 : 열가소성섬유(합성섬유, 트리아세테이트)- 가공이름 : 열고정 가공 (엠보스 가공)- 가공방법 : (열+압력+수분)처리, 영구적 변형- 가공효과 : 요철무늬 형성, 촉감 거칠기

- 섬유성분 : 100% 면섬유- 가공이름 : 투습발수 가공 (Scotchgard 가공)- 가공방법 : 직물 표면에 테프론 코팅- 가공효과 : 투습발수성, 발유성 기능 (기능성 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