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연구 department f croeconomic olicykdi.re.kr/information/down/kdi_leaflet_2016_kor.pdf ·...

14
거시경제연구부 Department of Macroeconomic Policy 거시경제 이론 및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외 경제 동향 및 전망 자료를 발간하고, 우리 경제의 성장구조와 경기변동 사이클에 적합한 거시경제모형을 개발ㆍ운영함으로써 정부의 중장기 경제정책 수립과 경제상황 변화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신속한 대응을 지원한다. 2016년 주요 성과 2017년 주요 추진과제 거시경제 동향 분석 및 전망 KDI 경제전망』 상/하반기 KDI 경제동향』 1~12역동성 제고를 위한 금융정책의 역할: 진입·퇴출 활성화를 중심으로 주택임대시장 구조 변화에 대응한 정책개선 방안 고령화와 가계부채: 장기간 미시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국민연금이 소득분위별 · 금융부채부담별 가계의 저축과 자산구성 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민연금제도 개혁 방안의 거시경제적 파급효과 및 세대 간 비용부담 분석 기업에 대한 정책왜곡의 거시경제적 함의: 생산, 투자 및 생산성에 대한 비교 부동산 관련 동향 분석 글로벌 투자 부진이 우리나라 부가가치 창출에 미치는 영향 국민연금제도 개혁의 거시경제 파급효과 분석 차등보험료율제 개선 연구 OECD 한국경제 검토 및 평가에 대한 대응 방안 우리 경제의 역동성: 기업집단의 경제력 집중을 중심으로 장기 거시경제 전망 부동산 관련 동향 분석 재정지출이 고용 및 GDP 각 항목, 기타 경제지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과제 114생산재정승수와 실업재정승수 간 조화 325통화정책에 대한 최적 지표 對 단순 지표 628전후 실질 GDP추세-변동 분해에 대한 재검토: 풀리지 않은 퍼즐에 대한 빈도주의와 베이지안의 관점 714수평과 수직 양극화: 다부문모델에서의 직무 특화된 기술 변화 721충격과 경제 후생: 생산요소 이동의 역할 826이질적 경제주체 모형에서의 거시건전성 정책 거시포럼 소득과 소비 불평등 추이에 관한 실증 연구 국내외 물가 동조화 현상과 시사점 거시경제 동향 분석 및 전망 경기변동과 투자의 상호작용: 주택건설을 중심으로

Upload: others

Post on 30-May-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거시경제연구부 Department of Macroeconomic Policy

거시경제 이론 및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외 경제 동향 및 전망 자료를 발간하고, 우리 경제의

성장구조와 경기변동 사이클에 적합한 거시경제모형을 개발ㆍ운영함으로써 정부의 중장기

경제정책 수립과 경제상황 변화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신속한 대응을 지원한다.

2016년 주요 성과

2017년 주요 추진과제

거시경제 동향 분석 및 전망

『KDI 경제전망』 상/하반기

『KDI 경제동향』 1~12월

역동성 제고를 위한 금융정책의 역할: 진입·퇴출 활성화를 중심으로

주택임대시장 구조 변화에 대응한 정책개선 방안

고령화와 가계부채: 장기간 미시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국민연금이 소득분위별·금융부채부담별 가계의 저축과 자산구성

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민연금제도 개혁 방안의 거시경제적 파급효과 및 세대 간

비용부담 분석

기업에 대한 정책왜곡의 거시경제적 함의: 생산, 투자 및

생산성에 대한 비교

부동산 관련 동향 분석

글로벌 투자 부진이 우리나라 부가가치 창출에 미치는 영향

국민연금제도 개혁의 거시경제 파급효과 분석

차등보험료율제 개선 연구

OECD 한국경제 검토 및 평가에 대한 대응 방안

우리 경제의 역동성:

기업집단의 경제력

집중을 중심으로

장기 거시경제

전망

부동산 관련

동향 분석재정지출이 고용 및 GDP

각 항목, 기타 경제지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과제

1월 14일

생산재정승수와

실업재정승수 간 조화

3월 25일

통화정책에 대한 최적

지표 對 단순 지표

6월 28일

전후 실질 GDP의

추세-변동 분해에 대한

재검토: 풀리지 않은

퍼즐에 대한 빈도주의와

베이지안의 관점

7월 14일

수평과 수직 양극화:

다부문모델에서의 직무

특화된 기술 변화

7월 21일

충격과 경제 후생:

생산요소 이동의 역할

8월 26일

이질적 경제주체

모형에서의 거시건전성

정책

거시포럼

소득과 소비 불평등

추이에 관한 실증 연구

국내외 물가 동조화

현상과 시사점

거시경제 동향 분석 및

전망

경기변동과 투자의

상호작용: 주택건설을

중심으로

금융경제연구부 Department of Financial Policy

금융시장 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금융부문 현안에 대한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한편, 금융시장,

금융산업, 관련 감독체계 및 법ㆍ제도 연구를 토대로 중장기 금융시스템 안정성 유지 및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제도 변화 분석 등의 연구를 수행한다.

2016년 주요 성과

2017년 주요 추진과제

한국금융감독체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연구

비소구 대출이 가계부문

의사결정과 채무불이행에

미치는 효과

핀테크 주도 금융혁신 전략과

정책적 과제

연구과제금융포럼

3월 22일

ELS구조, 헤징방법 및

금융시장에 대한 영향

주력산업 구조조정과

고도화를 위한 해외사례 연구

국내 금융회사 그룹 리스크

평가와 관련 제도개선 방향

고령화와 가계부채: 장기간

미시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재정책무성 강화를 통한

재정건전성 제고 방안

우리 경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공투자의 역할과 과제

역동성 제고를 위한 금융정책의

역할: 진입·퇴출 활성화를 중심으로

경쟁정책연구부 Department of Competition Policy

정부정책과 기업전략의 상호작용이 시장구조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후생 증진에 기여

하는 시장질서 구축을 위한 연구를 통해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에 필요한 경쟁, 규제, 기업 지배

구조부문의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2016년 주요 성과

2017년 주요 추진과제

경쟁포럼

6월 1일

아프리카 국가의

헌법 형성 및 개정과정,

보상제도와

제도품질의 관계:

점진적 개헌가설의 확인

7월 19일

불확실성이

협력에 주는 영향

연구과제연구과제

서비스산업의 규제 개선

·규제개혁의 이론과 성과

·서비스분야별 규제유형과 규제개혁 방향

대형유통업체 자체상품 확대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전략적 재정지출(중소기업 분과)

계열기업 간 출자에 있어 새로운 규율방안에 관한 연구

카르텔 여부를 선행적으로 판별하는 계량분석 방법 연구

공유경제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기대효과와 우려요인 및 정책적 함의

채권자 손실부담형 은행 정리체제의 실행 가능성과 정책적 시사점

중소기업정책 패러다임 전환 및 지원사업 개편 방안

2016~2020 국가재정운용계획 중소기업분야

공공조달 정책지원 이력관리 및 성과평가 관리체계 연구

공정거래질서 확립과 기업정책 합리화를 통한 기업부문의 활력 제고

ㆍ경제학적 분석을 이용한 담합 입증력 제고 방안

ㆍ부당내부거래 억제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불공정 하도급행위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중소기업의 성장유인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중소기업 공공조달제도의 평가와 개선 방안

·중소기업적합업종제도의 평가와 개선 방안

플랫폼 경제의

시장기제와 정부정책

전략적 관점에 기반한

재정관리를 위한

시스템 재편 필요성

한국금융감독체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연구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지원 사업

(중소기업 분과)

인적자원정책연구부 Departmen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고용, 교육, 보육 등 경제성장과 균형 잡힌 사회발전의 토대인 인적자원 관련 부문의 종합

연구를 통해 한국 경제의 조화로운 미래 달성을 위한 합리적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2016년 주요 성과

2017년 주요 추진과제

연구과제

기업성장 동태성과 청년일자리

공직개혁방안 연구

정부신뢰, 경제성장 및 사회적 화합 간의 관계

기간제 근로의 고용기간 제한에 관한 실증연구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교육개혁 II

중학생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젝트 학습

적용 및 영향평가

구직급여제도의 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 영유아 발달의 결정요인과 정책적 함의

노동시장 친화형 사회안전망 확대 연구

한국의 효과적인 인적역량 전략 모색:

KDI-OECD 평생학습과 교육을 통한 성인의

인적역량 향상을 위한 워크숍(12. 15)

지역노동시장 일자리 창출

정책의 고려요인

일-가정 양립 정책의

효과성과 정책적 시사점

자유학기제 효과성

연구

미스매치에 의한

실업에 대한 연구

학교 매니지먼트에

관한 연구

청년기 일자리 특성의 장기 효과와

청년고용 대책에 관한 시사점

컨퍼런스

산업·서비스경제연구부 Department of Industry and Service Economy

산업별 ㆍ요소별 성장잠재력 분석을 통해 우리 경제 각 부문의 선진화 방안과 새로운 산업

혁신전략을 모색하는 한편, 서비스산업 발전방안, 산업정책 개선, 중소기업 역량강화 등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산업정책의 중장기적 로드맵을 제시한다.

2016년 주요 성과

연구과제

대기업의 개별충격이 우리나라의 GDP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함의

한국 제조업 생산성 변화:

진입, 퇴출과 자원 재분배의 역할 및 시사점

주력산업 구조조정과 고도화를 위한 해외사례 연구

한국 정부 R&D정책의 평가와 정책과제:

집행체계와 정책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기업집단 내부거래의 평가와 정책대응

서비스경제 연구사업

산업·서비스포럼

컨퍼런스

2016년 글로벌 산업경제 포럼:

제4차 산업혁명과 산업의

융·복합(12. 1~2)

2월 26일

한국과 일본의 제조업 국제경쟁력 비교 연구

3월 24일

인공지능, 캄브리아기 대폭발

4월 7일

스타트업의 특성 및 생존률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

7월 6일

OECD ICIO 데이터의 구성과 활용

6월 9일

지적요소 측면에서 다국적기업의 주재원 파견에 대한 실증 분석

7월 26일

조선해양산업은 사양산업이 아니다

9월 1일

세계 1차 대전이 중국경제에 미친 영향

10월 13일

삼성의 미래, 한국의 미래2017년 주요 추진과제

국제무역이 기업의 혁신과

사업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

일본 산업정책의

패러다임 변화와

시사점

국가연구개발 사업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학 기술이전

전담조직을 중심으로

한국 산업지원정책

전달체계와 정책 효과성

분석: 인적자본, 설비투자,

판로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지역산업의

구조변화: 지역산업

협력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노동재분배와

산업 생산성 및 고용효과

진입규제와 고용 및

생산성

국토·인프라정책연구부 Department of Land and Infrastructure Policy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간접자본에 관한 연구, 지역 및 도시에 관한 정책연구,

환경 부문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가ㆍ지역 균형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과제

2016년 주요 성과

2017년 주요 추진과제

철도부문 투자 및 운영체계 효율화 방안 연구

주택임대시장 구조 변화에 대응한 정책개선 방안

재정건전화 계획 수립·평가체계 마련 연구(SOC 교통 분야)

우리 경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공투자의 역할과 과제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지원 사업(교통 분과)

주택연금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개선 방안:

주택가격을 중심으로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지원 사업

(교통·주택 분과)

(코스타리카) 2016/17년

KSP 경제발전 정책자문사업:

국가교통 DB 구축

(에티오피아) 2016/17년

KSP 경제발전 정책자문사업:

주택 및 도시개발

깊은 불확실성하에서의 의사결정

방안에 관한 연구: 교통계획 및

타당성 평가를 중심으로

주요국 민간투자사업

(PPP)의 성과 비교·분석

지역 산업구조재편의

영향과 전략

국가귀속 고속철도시설에

대한 VAT 영세율 적용

조세특례 심층평가

저탄소경제로의 이행과

관련된 분야별 계획 간의

정합성 분석

연구과제

2016년 주요 성과

재정·복지정책연구부 Department of Public Finance and Social Policy

재정건전성 확보 및 효율적인 재정운영방안 수립을 위한 종합연구를 추진한다. 동시에 사회복지,

사회보험 및 보건의료 등 복지정책 분야의 광범위한 기초연구와 정책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복지정책 수립을 지원한다.

공적연금 재정추계

모형 개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심층평가

보완적 노후소득보장

방안 연구

요양병원 이용과 지불제도

개선방안 연구

재정책무성 강화를 통한

재정건전성 제고 방안

국가재정과

정책목표

기초연금의 노인 소득 및

소비 증대 효과 연구

지속가능한

공적연금제도를 위한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관한 연구

경기순환에 따른

재정정책의

시간변동효과 측정

구조적 모형을 이용한

조세제도변화 효과분석

2017년 주요 추진과제

북한경제연구부 Department of North Korean Economy

변화하는 국제관계와 국내외 정치환경 속에서 종합적인 북한경제 여건 및 동향 분석을 토대로

남북경협과 대북경제정책, 남북경제 통합과 북한경제의 체제 전환, 학술교류업무 추진방안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2016년 주요 성과

연구과제

4월 8일

KDI-국토연구원-통일부

공동주최 국책연구기관

북한 분야 연구성과

발표회

10월 5일

대북제재와

북한경제의 변화

11월 16일

미국 신행정부와

한반도

12월 15일

북한경제연구자

대토론회: 북한경제

연구와 북한의 통계

데이터

북한경제연구협의회

북한경제·남북경협 동향 및

북한경제연구협의회 운영

『KDI 북한경제리뷰』 1~12월

- 동향과 분석 38편

- 북한경제연구협의회 자료 4편

- 경제자료 16편

동북아 국제질서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전략

최근 북한의 경제정책 평가 및 향후 전망

대북경제제재의 영향력 추정과 실효성 증진 방안

2017년 주요 추진과제

통일한국의

거시경제 안정화 방안

북한경제의 변화와 남북한

경제통합 분석

북한경제·남북경협 동향 및

북한경제연구협의회 운영

한국의 규제개혁: 평가와 과제(OECD와의 공동연구)

생산성 퍼즐(미 브루킹스연구소와의 공동연구)

ICT 융합과 제도개선(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과제)

산업안전보건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ㆍ영국, 미국, 독일 등 해외 주요국의 산업안전보건체계 구축 동인을 역사적, 정치적 관점에서 조망

ㆍ한국의 산업안전보건체계 현황과 정비에 관한 연구 수행

행정규제 데이터베이스 구축

규제영향분석 검증

ㆍ 규제영향분석 내실화 방안 및 규제비용관리제(CICO: Cost-In Cost-Out system) 절차에 따라

규제영향분석서에 대한 검증 수행

- 규제영향분석: 126건

ㆍ 규제영향분석의 품질개선을 위한 비용ㆍ편익분석 관련 자문 및 교육 실시

e-규제영향분석 시스템 개편

연구과제

규제연구센터 Center for Regulatory Studies

규제품질 개선을 위한 업종ㆍ기능별 규제 설계 및 집행에 관한 연구 등 경제부문 규제

이론ㆍ제도 연구와 실증분석을 수행하고, 규제영향 분석의 내실화를 위한 분석틀 구축 및 관련

교육, 자문 수행, 부처별 규제안 비용ㆍ편익 검증을 통해 합리적인 규제개혁 기반을 마련한다.

2016년 주요 성과

규제 제도 연구 규제영향분석

내실화

행정규제

데이터베이스

구축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 보고서 『신산업발전

을 위한 규제개혁 과제와

사례연구』

2017년 주요 추진과제

경제정보센터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국내외 다양한 경제정보 및 정책여론을 수집ㆍ분석하여 제공하고, 학교 경제교육 지원,

온ㆍ오프라인 경제교육 연수 등 대상별 맞춤식 경제교육을 통해 경제환경 변화에 대한 경제

주체의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한다.

2016년 주요 성과

경제정보 제공 정책여론 및 의견 수렴

월간 『나라경제』 발간

ㆍ1~12월 각 6,200부

ㆍ웹페이지 클릭 수 월 15만여 건

월간 Economic Bulletin 발간

ㆍ1~12월 각 2,250부

경제정책정보 및

국내외 연구자료 DB 운영

ㆍ�경제정책정보�11,291건����������������������

국내외�연구자료�4,681건

ㆍ월�이용�152만건

한국경제·사회발전 60년 기록사업

ㆍ�『코리안�미러클 IV:�외환위기의�파고를�

넘어』�1,600부

ㆍ�『코리안�미러클 I』�영문판�『THE

KOREAN MIRACLE』�2,000부

경제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조사 등

여론조사

120건

중학교 교사 212명

고등학교 교사 358명

경제교육

모니터단 운영

570명

3,600부

27,000부

15,972건DB

경제학 관련 교수 254명

연구기관 144명, 대기업 139명

중소기업 151명, 금융기관 108명

경제전문가

패널 운영

796명경제혁신 포털사이트 운영

ㆍ과제별 월별 정책 추진상황 업로드

ㆍ수혜자별 맞춤형 정보 제공

ㆍ누적 사용자 313,063명

누적 페이지 뷰 940,167건건

KDI-EBS 공동 기획 다큐멘터리

ㆍ�다큐멘터리�<21세기�교육�패러다임,�

세계의�PBL> 20편�

ㆍ����다큐멘터리�<4차�산업혁명:�위기인가,�

기회인가>

313,000명

경제교육

시민사회 경제교육

ㆍ 지역아동센터 교사 및 다문화가정

방문교사 183명 이수

ㆍ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경제캠프

288명 참가

청소년 경제교육 프로그램

ㆍ���중학교�자유학기제�PBL�경제교육�

338명 참가

ㆍ���청소년�경제교실�197명 참가

ㆍ���KDI�방원�프로그램�217명 참가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

검정 관련 연구

�ㆍ��『경제교과서�질적�제고�방안�연구:�

좋은�교과서�개발�방향을�중심으로』

전국 중고교 사회과 교사

직무연수

ㆍ�온라인�연수�331명�이수

ㆍ집합�연수�203명�이수

공무원 및 언론인 대상

국가정책과정

ㆍ�108명�참가�

전국 초등 및 중등 비사회과

교사 대상 경제연수

ㆍ235명 이수

74,400부

21편

공공투자관리센터 Public and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Management Center

대규모 공공투자사업의 게이트키퍼로서 사회기반시설 등에 대한 공공투자사업을 객관적

이고 전문적이며 합리적인 시각으로 분석ㆍ평가하고, 관련 제도 및 분석방법론 연구와 다양한

지원업무 및 정책서비스를 통해 공공투자사업의 내실화와 효율성 제고에 기여한다.

2016년 주요 성과

2017년 주요 추진과제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 . 보완 연구(제6판)

· 민간투자사업의 위험과 BTO 위험분담형(BTO_rs, BTO_a)에 대한 쟁점 연구

연구과제

공공기관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민간투자지원사업

적격성조사 . 제안서 검토 . 타당성 분석 15건

시설사업기본계획(안) 및

제3자 제안공고 작성 . 검토 8건

사업계획 평가, 실시협약 체결을 위한

협상 및 실시협약(안) 검토 14건

자금재조달 및 사업 시행조건 조정 등 51건

질의답변(공문 및 홈페이지) 검토 226건

『조세특례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연구』,

『경쟁적 협의 절차에 관한

세부요령 작성 연구』 등

1) 제4차 국도·국지도 5개년 계획안 예비타당성조사(26건)를 포함한 수치임.

2) 제4차 국도·국지도 5개년 계획안 타당성 재조사(57건)를 포함한 수치임.

국내외 교육 및 국제협력사업

해외 공무원 대상 교육 및 방원 회의,

국제컨퍼런스 개최 및 참석, 양자협력 등

국내 중앙부처, 지자체, 민간기업 대상

교육 및 세미나

예비타당성조사1) 48건

타당성 재조사2) 68건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등 15건

수요예측 재조사 등 9건

6조 952억원

669억원

절감액

8조 694억원

억원 절감조

조세특례 평가

조세특례 예비타당성조사 1건

조세특례(임의) 심층평가 6건

재정사업 타당성조사: 140건

국제개발협력센터 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SP)을 통해 우리나라의 정책 노하우를 협력대상국과 공유함으로써

국제사회의 공동 번영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의 발전경험을 체계화하고 글로벌 개발 이슈를

발굴하는 정책연구사업, 협력대상국의 실질적 발전을 모색하는 정책자문사업, 개발도상국

정책담당자들의 역량 배양을 위한 정책연수사업을 수행한다.

2016년 주요 성과

MDI(Myanmar Development Institute)설립사업

개발협력 전문가포럼

연구과제

2016년도 MDI 연간 보고서

MDI 공동연구 중간보고서

제1차 개발협력 전문가포럼(과학기술 분야)(3. 25)

제2차 개발협력 전문가포럼(노동교육 분야)(6. 30))

한국발전경험 심층연구: 개방과 경제발전

EU 지식공유사업의 체계가 한국의 개발협력전략 수립에 주는

함의에 관한 연구

6월 13~14일

더 나은 교육기회를

위한 글로벌 교육재원

컨퍼런스

9월 28일

2016년 KSP성과 공유세미나

컨퍼런스

27개 협력대상국 대상 KSP 사업 진행

미얀마, 베트남, 에티오피아, 쿠웨이트

4개 협력대상국 대상 역량강화연수사업 진행

국제기구협력 사업

- 글로벌경제성장기금(GFGD) 사업

(WB 거시금융재정국)

- 아프리카 응용과학, 공학,

기술발전 협의체(PASET) 사업

(WB PASET 사무국)

국제개발 협력 포럼

- KSP 품질 개선 방안(1. 29)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한국의 대응

전략(2. 26)

- 개발협력에서 정부-CSO 파트너십

연구(3. 25)

- EDCF, KSP 연계활성화 방안 논의(4. 21)

- 중점지원국 선정(4. 29)

- MDI 설립과 개발협력 시사점(7. 6)

- 한국의 인적개발전략 및

WB 파트너십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발표(11. 14)

KDI-한국개발정책학회 공동 월례세미나

- 라오스 보건 분야 실시간 영향평가,

한국형 개발모형, 민간지원 개발협력

프로그램의 해외사례 분석 및 시사점,

ODA 예산 지원(2. 17)

- 금융협력 활성화를 통한 한국 개발협력의

발전방안(3. 18)

- 한국정부의 SDGs 이행전략(5. 12)

- 인도 초등학교 진학의 결정요인,

우리나라 유무상원조의 수출촉진효과

분석(10. 14)

- 파트너십을 통한 개발원조사업의 성과

차이, 개발사업의 평가방법(12. 16)

PASET1), 과테말라, 니카라과, 라오스, 루마니아, 멕시코,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불가리아,

비세그라드2), 아랍에미리트, 에티오피아,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집트,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캄보디아,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키르기즈공화국, 탄자니아, 태국,

헝가리

1) 아프리카 응용과학, 공학, 기술발전 협의체: 세네갈, 에티오피아, 르완다

2)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헝가리

국제정책대학원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개발 및 공공정책 분야의 국제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경제발전과정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와

교육을 위해 1997년 설립된 국내 유일의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로서, 국내외 환경 변화에

대한 수준 높은 대응능력을 갖춘 글로벌 리더 양성을 통해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

하고, 균형 잡힌 세계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2016년 주요 성과

세계개발교육네트워크

(GDLN) 협력사업 추진

·혼합교육과정 운영

·화상세미나, 아태지역 컨퍼런스,

국제이사회 주관

글로벌리더과정 개최

G20 회원국 및 개발도상국 정책담당자 대상

G20 정상회의 의제 관련 정책사례 공유

한국발전경험 종합DB‘K-Developedia’ 운영

·2016년 200여 개국 58만여 명 이용 ·테마별 통합지식 콘텐츠 제작

경제발전경험 모듈화사업

4건 추진

개발협력사업 영향평가 연구 수행

·WB와의 영향평가 연구 3건

·국내 연구기관 최초 영향평가 이니셔티브

(3ie) 기관회원 가입

·KOICA 농촌공동체 개발사업

영향평가 연구

WB와의 공동사업을 통한

한국발전경험 연구

·디지털 거버넌스 등 공동연구 2건

·집행과학 관점에서의 한국 발전경험

사례연구

2017년 주요 추진과제

IBK 장학 신설한국수자원공사 맞춤형

계약학과 설치

69개국 312명 졸업

석사 309명(국내 142명, 국제 167명)

박사 3명(국내 2명, 국제 1명)85개국 397명 입학

128개국 4,114명 동문 배출

세계 총 31개국

동문회 운영

89명 19개 제휴교 유학

1+1 프로그램

(KDI국제정책대학원 1년,

제휴대학원 1년 수학)

GMP한-EU 교육협력사업

(ICI-ECP) 컨소시엄 주관대학으로

유럽대학과 복수학위 프로그램 운영

개발도상국 대상 중 . 단기 연수과정 39건 개최

·경제개발 정책경험 사례 공유

·정책담당자 역량강화

한국발전경험 종합DB‘K-Developedia’ 운영

·2016년 200여 개국 58만여 명 이용 ·테마별 통합지식 콘텐츠 제작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orea's leading

think t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