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늘 쓰고 있는 언어 표현들이며 그...

21
Angela Lee-Smith (Yale University) Angela Lee-Smith. 2004. Teaching Metaphors to Enhance KFL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5-3: 319 339. This paper draws attention to teaching Korean with a powerful message: Teaching metaphors is important to enhance Korean learners’ language competence. We live in a world full of metaphors. Metaphors are not only used as a poetic and rhetorical tool. Ordinary people use metaphors in everyday language. For example, in Korean, ‘I’m wasting my time.’; ‘He is sharp. (personality)’; ‘He has a heavy-mouth’; ‘She fell in love.’ are all metaphorical expressions. We use metaphors to help us learn and understand difficult abstract concepts, by mapping them to easy concrete phenomena reflective of the human experience. Metaphors may vary across languages and cultures, for example, ‘Scrooge is greedy.’: the concept of greedy is lexicalized differently in various languages and cultures, as seen in ‘He is cheap.’ (in English); ‘He is salty’ (in Korean); ‘He is spicy.’ (in Japanese). Therefore, teaching metaphors also must be an essential par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eaching metaphors to Korean learners, and presents pedagogical materials teachers can use practically in Korean language class. (Yale University) : (metaphor), (teaching metaphors), (metaphorical linguistic expressions), (pedagogical material), (Korean language competence) 1. . (metaphor)

Upload: others

Post on 19-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Angela Lee-Smith(Yale University)

Angela Lee-Smith. 2004. Teaching Metaphors to Enhance KFLCompetenc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5-3: 319 339.˜

This paper draws attention to teaching Korean with a powerful message:Teaching metaphors is important to enhance Korean learners’ languagecompetence. We live in a world full of metaphors. Metaphors are notonly used as a poetic and rhetorical tool. Ordinary people use metaphorsin everyday language. For example, in Korean, ‘I’m wasting my time.’;‘He is sharp. (personality)’; ‘He has a heavy-mouth’; ‘She fell in love.’are all metaphorical expressions. We use metaphors to help us learn andunderstand difficult abstract concepts, by mapping them to easy concretephenomena reflective of the human experience. Metaphors may vary acrosslanguages and cultures, for example, ‘Scrooge is greedy.’: the concept of  

greedy is lexicalized differently in various languages and cultures, as seenin ‘He is cheap.’ (in English); ‘He is salty’ (in Korean); ‘He is spicy.’(in Japanese). Therefore, teaching metaphors also must be an essentialpar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of teaching metaphors to Korean learners, and presents pedagogicalmaterials teachers can use practically in Korean language class. (YaleUniversity)

주제어 은유 은유 교수 은유적 언어표: (metaphor), (teaching metaphors),현 교수 자료(metaphorical linguistic expressions), (pedagogical

한국어 능력material), (Korean language competence)

머리말1.

인지언어학이 부상하면서 은유에 대한 새 조명이 시작되었다 은유. (metaphor)

320 Angela Lee-Smith

는 결코 문학 작품에서나 주로 쓰이는 시적수사적인 표현의 도구만은 아․니다 보통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은유를 늘 쓰고 있는데 다만 그것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1) 예를 들면, “우리 종은이는 정말 마음이 따뜻

하기도 하지.”, “사랑이 넘쳐흐른다.”, “그 사람은 정말 짜.”, “ 시간 낭비하지

마.”, “어두운 과거는 이제 잊어버리고 밝은 미래만 생각해 등과 같이 우리.”가 지극히 일상적으로 쓰는 이러한 표현들이 다 은유적인 언어 표현이다.은유는 사고의 도구라고도 할 수 있는데 우리는 은유를 통해서 어렵고 복,잡하고 추상적인 개념들을 아주 쉽고도 구체적인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을

반영하는 현상으로서 이해하기 때문이다 은유는 언어와 문화에 따라 비슷.하거나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구두쇠 라는 개념을 한국어에. , ‘ ’서는 구체적인 경험 즉 짜다 라는 맛을 통해서 일본어에서는, ‘ ’ , ‘ (からい 맵

다 라는 맛을 통해서 그리고 영어에서는)’ , ‘cheap(싸다 과 같은 가치를 통해)’서 개념화하고 있다 이렇게 은유는 지극히 일상적이며 각 언어와 사회 문. , ,화에 따라 보편적이거나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은유의 바로 이러한 특징을 외국어 교육적 측면에서 재조명

해 보고자 한다 곧 목표 언어의 은유는 목표 언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늘 쓰고 있는 언어 표현들이며 그 사회와 문화적 특성을 잘 반영한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은유 교수도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한 부분이 돼야 함을 강.조한다 나아가 한국어 능력 향상 즉 어휘 능력 의사소통 능력 읽기와 쓰. , , ,기 능력 그리고 문화적 능력의 향상을 위해 실제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

는 은유 교수 자료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2.

은유와 이로부터 도출된 개념은유 그리고 은유적 언어표현에 대한 기본,개념을 명확히 살펴 볼 필요성이 있는데 그 이유는 우리가 기존의 은유로,

1) 에서도Lakoff and Turner(1987:1) “Metaphors are so commonplace we often fail to이라하고 일상생활에서 은유라고 심각하게 생각해 보지도 않은 그분notice them.” ‘

이 돌아가셨어 와 같은 은유적 표현의 예를 들어 은유의 일상성을 지목하고 있다’ .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321

서 이해하고 있는 개념과 정의가 이 연구에서의 개념과는 다름을 상기하기

위함이다.

은유 란 무엇인가2.1 ‘ (metaphor)’ ?

인지언어학이 많은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은유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인지언어학적 측면에서 은유에 대한 획기적이자 대표.적인 연구는 부터라 할 수 있는데 그 후 지금까지 이Lakoff & Johnson(1980) .어지는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의 은유 연구의 이론적 틀과 기본적 입장

은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곧 은유를 단순히 문학작품 속에서 주로. ,사용되는 미적 수사적 표현 도구며 특별한 능력을 지녀야 사용할 수 있는/것으로서 보는 전통적인 견해에서 완전히 벗어나 은유를 개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며 평범한 사람들이 별다른 능력이 없어도 일상생활에

서 쓸 수 있는 것으로 보기 시작했다 이렇게 은유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는 언어 현상에 대한 새로운 접근 시야를 제공했다.

에서는 다음과 같이 은유를 정의하고 있다Lakoff & Johnson(1980:5) .

“The essence of metaphor is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one kind ofthing in terms of anothe.”

의 위와 같은 은유에 대한 정의는 우리는 은유를 통해서Lakoff & Johnson ,어렵고 복잡하고 추상적인 개념들을 아주 쉽고도 구체적인 일상 생활에서

의 경험을 반영하는 현상으로서 이해한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한국어뿐만 아니라 여러 언어에서 보편적으로 시간은 돈이다 라, , ‘ ’는 개념 은유 를 찾을 수 있다 우리는 시간 이란 추상(conceptual metaphor) . ‘ ’적인 개념을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보다 구제척이고도 쉬운

돈 의 개념을 통해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시간을‘ ’ . ‘쓰다 시간을 낭비하다 시간을 벌다 시간을 잘 짜다 시간을 내다’, ‘ ’, ‘ ’, ‘ ’, ‘ ’, ’시간을 투자하다 등과 같은 은유적인 표현들 을 아‘ (metaphorical expressions)주 일상적으로 쓰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은유의 일상성과 더불어. Lakoff &

322 Angela Lee-Smith

에서는 은유가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지배한다고 할만큼 일Johnson(1980: 3)상 생활 속에 널리 퍼져있는 개념 구조라고 했다.

개념적 은유와 은유적 언어 표현2.2

에서 말하는 은유를 쉽게 설명하자면 곧 하나의Lakoff and Johnson(1980)개념 영역을 또 다른 하나의 개념 영역으로 이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럼 이제 우리가 흔하게 접할 수 있는 한국어 자료의 예2)를 통해 인지언어,학에서 설명하는 은유에 대한 기본 개념과 용어들을 이해해 보자.

(1) [성격은 온도]그 사람 정말.ㄱ 화끈해.준석이는 다 좋은데 애가 너무. ,ㄴ 차가워.우리 그이는 정말.ㄷ 따뜻한 사람이야.확실히 말 좀 해 봐 빨리 왜 이렇게. , .ㄹ 미지근해 사람이, .난.ㅁ 시원시원한 사람이 제일 좋더라.그 일이 있은 후 내 방친구는 정말. ,ㅂ 차가워졌어 같이 있으면 소름.이 끼칠 정도야.

2)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격에 대한 인지조사 신현숙 에서( (1996)빌어온 용어임 의 구어와 문어 말뭉치 자료에서 뽑은 예들이다 한국어 모국어 화) .자들이 사람의 성격 개념을 과연 어떠한 인지적 동기와 과정을 통해 이해하고 언

어화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쓰고 있는 일상적인 성격에.대한 다양한 언어 표현들이 과연 성격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떤

동기를 부여하는 것일까 바로 이런 표현들 모두의 기저에는 일관된 개념 구조가?존재하며 그 대부분은 은유일 거라는 가정 하에 출발했고 놀랍게도 그 결과는 필,자의 이러한 가정이 옳다는 것을 잘 뒷받침해 준다.인지 조사 결과 가장 높은 성격인지 분포를 보인, 맛 모양, 개념 이외에 밝기 밝다(어둡다 넓이 넓다 좁다 깊이 깊다 얕다 크기 크다 작다 강도 여리다 강하다/ ), ( / ) ( / ), ( / ), ( / ),무게 가볍다 무겁다 굳기 딱딱하다 무르다 농도 진국이다 맹탕이다 투명도 맑( / ), ( / ), ( / ), (다 불투명하다 촉감 거칠다 부드럽다 순도 순하다 독하다/ ), ( / ), ( / ) 등의 다양한 개념으

로 성격 개념을 인지하고 있음을 찾았다 이는 은유가 일상생활에서 우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보다 쉽고 구체적인 개념을 통해 어렵고 추상적인 다른 개념을

이해하도록 한다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이 한국어에도 잘 맞는 언어 보편적인 설명

임을 시사해 준다고 하겠다.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323

의(1) [성격은 온도 와 같이 개념 영역 는 개념 영역 이며 이것이] , [ (A) (B)] ,곧 개념적 은유 라 불리는 것이다 한 개념 를 이해하(conceptual metaphor) . (A)기 위해서 은유적 표현을 끌어들이는 개념 영역 를 근원 영역(B) ( Source

이라 부르며 이런 방식으로 이해되는 개념 영역 를 목표 영역Domain) , (A)이라 한다 따라서 성격 은 목표 영역이고 온도 는 근원 영(Target Domain) . , [ ] , [ ]

역이다 다시 말하면 목표 영역 성격 은 우리가 근원 영역 온도 를 사용해. , [ ] [ ]서 이해하고자 하는 개념이고 따라서 우리는 온도 개념을 통해 성격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성격과 관련되고 온도 영역에서 나온 위의 와 같은 표현들은 모(1 - )ㄱ ㅂ

두 은유적 언어 표현 이고 이 표현들이 구(metaphorical linguistic expression) ,체화하는 개념적 은유는 바로 [성격은 온도 로 정리된다] .

은유의 외국어 교육적 함축3.

지금까지 인지언어학적 접근에서 재조명된 은유란 전통적으로 이해되어

오던 표현기교의 도구로서가 아니라 개념과 깊은 관련을 맺는 것으로서 하,나의 개념을 다른 개념을 통해 쉽고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며 모국어,화자들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일상생활에서 은유적 표현을 아주

많이 쓰고 있다는 것을 실제의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말뭉치 자료 예문을

통해 살펴봤다 그럼 이제 은유가 외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볼 때 도대체 왜.중요한 가를 설명하겠다.3)

3) 인지언어학자인 는 그의 책 서문에서 은유를 통해 새로운 낱말과Kovecses(2002) ,표현을 만들어 내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 사고를 조직하는데 핵심도구로 간주될

수 있으며 따라서 외국어 교육에서의 은유 교육과 모국어의 은유 습득 같은 유용,한 실용적 활용성도 가질 수 있다고 했는데 언어학에서 연구된 은유를 외국어 교,육에 적용해서 정말 유용한 실용적 활용성이 있는지를 찾아보는 것은 이제 우리

언어교사들에게 남겨진 과제라 하겠다 이 글에서 필자는 바로 이러한 과제를 수.행해나가는 한 과정을 다른 동료 교사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324 Angela Lee-Smith

왜 외국어를 배우는가3.1 ?

먼저 외국어 학습의 주된 목적부터 살펴보자 외국어를 왜 배우는가 이, . ?지영이종은 에서는 고전이나 성경 탐독을 위한 목적만으로 라(1996:274)․틴어를 학습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언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은 실제 생,활에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임을 지적하면서 나아가 교재 편찬,은 물론 언어 평가도 학습 목적에 부합하여 나란히 함께 갈 수 있어야 한다

고 주장했다 학문적 연구를 위해 읽기와 쓰기만에 초점을 둔 학습 목적의.경우에도 결국은 읽기나 쓰기를 통해 문어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자 함이므로 이도 역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외국어 학습의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외국어를 배우는 주된 목적이 목표어를 사용해

서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그리고 좀 더 편안하고 유창하게 하는 데에 있음

에 많은 외국어 교사들이 공감하리라 믿는다 그럼 이제 은유가 외국어 교.육에서 과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길 것이다 여기에.대한 대답을 찾고자 도대체 외국어 교육에서 왜 은유를 가르쳐야 하는가‘ ?’에 대해 설명하겠다.

외국어 교육에서 은유를 왜 가르쳐야 하는가3.2 ?

필자가 어려서부터 좋아한 어느 한 한국 가수의 노랫말 속에 인생은 나그‘네 길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와 같은 구절이 있다 우리는..’ . [인생은

여행 이란 개념적 은유를 이렇게 아주 흔히 접하며 또 여기서 비롯된 많은]은유적 언어 표현들을 사용하고 있다 영어에서도. [LIFE IS A JOURNEY 와]같은 개념적 은유가 있는데 필자가 영어를 그다지 잘 하지 못함에서 불구,하고 이와 같은 은유적 언어 표현을 처음 들었을 때에 사실 은유라는 생각

없이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럴 수 있었던 이유는 지금 생각해 보니.첫째는 은유가 그만큼 우리 일상생활 여기 저기에 널리 퍼져 쓰이는 친숙한

언어 표현이라는 점 둘째는 은유가 서로 다른 문화와 언어권일지라도 누구,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325

나 인생을 경험하고 여행을 경험하기 때문에 곧 인생과 여행에 대한 개념,을 보편적으로 공유한다는 점 때문에 낯선 언어인 영어의 [LIFE IS AJOURNEY 란 은유를 처음 접했을 때 즉각적으로 개념화하고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언제나 똑같은 은유가 모든 문화와 언어에서 다 동시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4) 그 예는 실제 한국어 수업에서 서로 다른 언어 문화권에서

온 세 학습자들의 다음과 같은 대화를 통해서도 잘 나타난다.

영어 모국어 학습자(2) : 우리 아버지는 스크루지 예요 너무 싸요‘ ’ . .한국 재미교포 학습자: 아빠가 싸요 아빠가 짜다고요? ?일본어 모국어 학습자: (in English) I think he means hisdad is

cheap-greedy, right?영어 모국어 화자 : 네 맞아요, .한국 재미교포 학습자: 아 그럼 짜다 라고 해야 돼요, ‘ ’ ,

선생님 그렇죠, ?일본어 모국어 학습자: 아 몰랐어요 일본말로는 이럴 때, . ,

맵다 라고 해요 정말 재미있다‘ ’ . !

의 대화에서 보듯이 서로 각자의 가족에 대해서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2) ,서 영어 모국어 학습자가 자신의 아버지가 구두쇠같이 자기한테 인색하다

는 것을 한국말로 그대로 옮겨 표현한 데서부터 다른 두 학습자와 의사소통

이 엇갈리기 시작한다 결국 이 세 학습자는 스크루지라는 전형적인 인물을.통해 구두쇠 라는 개념이 영어 일본어 한국어에서 각기 다르게 언어화된‘ ’ , ,

4) 개념적 은유의 보편성과 문화적 변이성에 대한 연구는 많은 언어학자들이 자기의

모국어에 나타나는 은유 현상을 살피고 다른 언어와 비교함으로써 정리될 수 있을

것이며 실제 많은 나라의 언어학자들이 활발히 연구를 하고 있다, . Matsuki(1995),King(1989), Yu(1995, 1998), Bokor(1997), Taylor & Mbense(1998), Sterns(1994),

임지룡 이유미Kovecses(1999), HCH(1991), Heine(1995) (1999, 2000a, 2001a), (2000),임혜원 외 다수가 있다 최근에는 특히 국내에서도 많은 국어학자들이 국어(2003) .에 나타나는 은유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아주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데 이들의 연,구 결과물을 한국어 교육에서도 적극적으로 선별해서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326 Angela Lee-Smith

다는 것을 찾아낸다 즉 영어에서는 싸다 로 일본어에서는 맵다. , { } , { ( )}からい

로 한국어에서는 짜다 로 언어화되고 있으며 서로 비슷한 문화를 공유하, { } ,는 한국과 일본에서는 맛 개념을 통한 인지동기가 부여된 데에 반해 다른[ ] ,영어권 문화에서는 가치 개념을 통해 이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우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위와 같은 대화와 지금까지 살펴본 은유에 대

한 설명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왜 은유를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명시적

인 대답을 다음과 같이 유추해 낼 수 있다.

(3) 은유는 개념적 구조이며 일상 생활에서 흔히 쓰이는 언어 표현이. ,ㄱ

다 성인 학습자의 경우 자기의 모국어에 나타나는 개념과 은유를. ,이미 습득했다고 불 수 있다.

외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는 은유를.ㄴ

모르면 이해를 못하고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인 한국어 학습의 목적이 궁극적으로는 한국어로 의사소통.ㄷ

을 성공적이고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므로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한국어의 은유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은유를 가르쳐야 한다. , .ㄹ

우리가 한국어 교육에서 은유를 교수 항목으로 제외해서는 안 된다는 필

자의 주장은 현재 외국어 교수법의 가장 큰 주류를 이루는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과 개념 인지 중심의 교수법에서도 그 타당성을 찾을 수 있다 의/ .사소통 중심의 외국어 교수법에서 핵심이 되는 문어적이고 교과서적인 표

현이 아닌 살아있는 실제 언어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언어 표현을 교수해야-한다는 기본적 관점에서 볼 때도 은유는 빠질 수 없는 교수 항목이 되어야

하며 개념과 인지 중심의 외국어 교수법 관점에서도 은유는 개념 구조이고,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327

그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인지하는가를 잘 반영해주는 기재이기 때문에

교수 항목으로서 무심히 지나쳐서는 안 된다.5)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의 실례4.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장에서는 인지언어학적 이, 2론을 바탕으로 은유란 무엇인가에 대해 정리하고 한국어의 은유도 보편적

인 인지언어학의 은유이론에 맞춰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장에서는. 3외국어 교육자로서의 시각으로 은유가 외국어 교육에서 왜 중요한가를 실,제 수업에서 관찰된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화를 통해 도출해 낼 수 있었으

며 은유는 최근 년대 이래 현재까지 외국어 교수법의 큰 양대 축을 이, 80-90루는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과 개념과 인지 중심의 교수법 관점에서도 중

요한 교수 항목으로 인정되어야 함을 보였다.이제 은유를 수업에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실제적인 문제가 남는

다 은유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가를 한국어 교.수 학습적 측면에서 제시해 보겠다 은유를 마치 고급 수준 수업에서만 주로- .다루어야 하지는 않을까 주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장에서 제시하는 고.급은 물론 초급과 중급 수업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은유 교수 학습자료를-보면 당장 내일부터라도 자신이 가르치는 초급 중급 수업에서 은유 교수에,활용할 수 있는 자신감이 생길 것이다.

5) 이종은 에서는 의사소통과 인지중심의 한국어 문법 교수에 대한 논의에서(1998) ,우리의 머리 속에 그려질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인지하기가 아주 어렵다고 하면

서 문법도 그 개념을 우리의 머리 속에 인지하고 그릴 수 있다고 보고 학습자들,이 이렇게 할 수 있도록 교수해야 한다고 했다.

328 Angela Lee-Smith

어휘능력을 향상을 위한 은유학습4.1

은유 학습을 통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학습자들은 은유 학습.을 통해서 어휘를 확장하여 관용어 관용표현까지도 학습할 수 있다, / . Clark

에서도 은유를 사용한 어휘 확장은 어린이들이 모국어를 배울 때에(1981)사용되는 주된 학습 전략중의 하나라고 했다 관용어 관용표현의 상당부분. /이 은유에서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표현이 이젠 너무나도 관습적으로 굳어

져서 많은 사람들이 은유라고 생각을 미처 못하고 있을 뿐이다 어휘 확장.이 중요한 이유는 단순히 학습자들이 더 많은 어휘를 알게 되기 때문이 아

니라 성인 학습자들의 경우 그들의 개념 구조가 이미 형성되어 있고 인지, ,적 능력이 어린이들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발달돼서 어휘 확장이 학습에

큰 부담이 아니며 학습자들의 지적 수준에 맞게 표현하고 싶어하는 욕구를,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초급 학습자에게도 은유와 관용 표현을 쉽게 가르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은유의 개념적 설명이 관용 표현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인지 동기를 부여

해 주기 때문이다 실제로 필자가 가르치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관용 표현.과 그 의미를 단순히 암기하도록 했을 때보다 어떻게 최종적 의미를 지니,게 됐는지에 대한 인지동기를 부여하면서 설명해 줬을 때에 학습자들은 더

쉽고도 빨리 이해했을 뿐만 아니라 기본 어휘와 여기서 파생된 확장 어휘, :관용 표현을 더 오랫동안 기억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6)

6) 에서도 영어 학습자들에게Kovecses and Sxabo(1996), Kovecses(2001), Boers(2000)관용어나 은유를 인지 동기를 부여해서 가르칠 때 더 오랫동안 기억하고 이해도

잘 할 수 있었다고 했다.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329

교수자료 실례 초급(4) :

단어

1. 좋다 나쁘다

2. 크다 작다

3. 높다 낮다

4. 넓다 좁다

5. 무겁다 가볍다

단어 확장: 무슨 뜻인 것 같아요?

1. 눈이 좋다 / 나쁘다

2. 머리가 좋다/ 나쁘다

3. 손이 크다 / 작다

4. 꿈이 크다 / 작다

5. 눈이 높다 / 낮다

6. 마음이 넓다 / 좁다

7. 발이 넓다 / 좁다

8. 입이 무겁다 / 가볍다

9. 엉덩이가 무겁다 / 가볍다

교수 지침

초급에서도 전반에 제시할 수 있는 기본 형용사 어휘이다 거의 대부.①

분의 한국어 교재에서는 단어 목록만 뜻과 함께 제시하는 데에 그치고

있어서 어휘교육에 중요한 비중을 두지 않고 있는 듯 하다 먼저 어휘.의 기본적 의미를 교수하는데 개념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시각적인,제시도 함께 한다 시각적 제시가 불가능할 때는 교사의 몸짓으로 대.신할 수 있다.학습한 각 어휘의 기본 의미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명사구를 대치해②

가며 완전한 한 문장을 생산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교사는 우리 수. , “업에서 가족 중에서 누가 제일 커요 어느 산이 제일 높아요 같이/ , ?”, “ ?”질문을 대치해 가면서 각 학습자들에게 던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초급.의 경우 주격 조사의 쓰임과 더불어 대치되는 명사 어휘를 늘릴수도

있다.교사는 질문의 형식을 단순 어휘 대치형에서 예를 들면 아키코씨 기, “ ,③

숙사 방이 넓어요 와 같이 담화 수준으로 바꿔서 확장시킨다 즉 자?” .연스럽게 학습자와 가깝게 연관된 주제의 대화를 짧게나마 주고받을

330 Angela Lee-Smith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점차 학습자들끼리 질문도 하고 대답하면서 대

화를 수행하도록 한다.이제 이차적으로 확장된 어휘 표현 은유 관용 표현들을 제시한다 교: , .④

사는 학습자에게 먼저 각 표현이 무슨 뜻일 지 상상한 대로 말 해 보

도록 한다 학습자가 추측한 의미를 한국어로 못 할 때에는 학습자의.모국어나 영어를 쓸 수 있도록 허용해 줌으로써 개념 이해의 기회를

충분히 준다 실제로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을 수업에 적극적으로.참여시키고 서로 다른 견해와 문화를 나눌 수 있는 장점이 있다.7)

다음으로 교사는 각 표현에 인지 동기를 부여하면서 그 의미를 설명해⑤

준다 예를 들면 관용 표현 입이 무겁다 의 경우 입이 무거우면 말. , ‘ ’ , “을 많이 할 수 없어요 말을 많이 안 하면 비밀을 잘 지킬 수 있어요.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말을 많이 안 해요 비밀을 잘 지키면 그.사람을 믿고 내 비밀도 말할 수 있어요 그래서 보통 좋은 의미예요. .”다음 단계로 교사는 학습자 자신은 물론 주위에 오늘 배운 표현에 해,⑥

당하는 사람이 있는 지 학습자들에 질문을 하고 학습자의 모국 문화,에도 이러한 표현이 있는지 아니면 아주 다른 지 질문을 하면서 언어,표현을 통해 문화 학습도 가능하도록 이끈다.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학습4.2

은유 학습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의 의사소통.능력이란 구어적 의사소통을 말하는 것으로 말하기와 듣기영역을 통합적으

로 보는 개념이다.

7) 실제 이 자료를 수업에서 필자가 사용할 때마다 교실에 웃음소리가 떠나질 않는

다 한 예를 들면 입이 무겁다 를 한 영어권 학습자는 영어 표현의. , ‘ ’ ‘Big mouth’와 같이 말을 함부로 많이 하거나 또 소문을 퍼뜨리는 사람일거라고 개념화해서

자기 방친구가 그런 사람이라서 너무 싫다고 했다 그러나 한국어 표현에서 입이. ‘무겁다 는 이와는 정반대로 비밀을 잘 지키고 말을 함부로 퍼뜨리지 않는 신중하’ ,고 믿을 수 있는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표현이다 이렇게 초급에서의 간단한 기본.어휘도 그 확장 표현을 함께 가르침으로써 학습자들은 문화학습까지도 함께 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331

외국어를 사용해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은유를 이해하고 사

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된다 그 이유는 반복적으로 말하건 데 은유가 일. ,상 언어생활 속에서 모국어 화자들이 널리 쓰는 언어 표현이기 때문이다.8)

은유적 지식은 외국어 학습 과정에서 언어 표현과 생산을 풍부하게 하고,은유적 표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의사소통 능력

을 향상시켜 준다.9) 외국어 학습자들이 목표어의 은유적 지식을 갖고 있으

면 그만큼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생산적

으로 표현할 수 있게도 된다 따라서 유창성과 나아가 의사소통의 효율성도.함께 늘릴 수 있다.

교수자료 실례 중급(5) :

와 , 이 렇 게 깊 은 뜻 이 !

은 유 들 을 읽 으 면 서 , 같 이 깊 은 뜻 을 말 해 봅 시 다 .

• 시 험 은 악 몽 이 에 요 .

• 삷 은 미 로 예 요 .

• 여 자 는 양 파 예 요 .

• 친 구 는 씨 예 요 .

• 가 족 은 이 불 이 에 요 .

• 돈 은 힘 이 에 요 .

• 시 간 은 물 이 에 요 .

• 학 생 은 스 폰 지 예 요 .

• 선 생 님 은 열 쇠 예 요 .

• 쇼 핑 은 마 약 이 에 요 .

8) 에서는 영어 화자들이 의사소통에서 일주일에 평균 여 개 이Hoffman(1983) 3, 000상의 은유를 사용한다고 조사한 바 있다 그만큼 은유가 일상 생활의 의사소통에.서 널리 쓰인다는 말로 해석된다.

9) 에서는 사람들은 은유적 능력 을 가지고Danesi(1993:493) (metaphorical competence)있다고까지 했다 즉 담화를 은유적으로 프로그래밍하는 것은 모국어 화자의 언. ,어 능력 중에서 기본적인 특징이고 이런 은유적 능력은 외국어 교육에서 전통적,으로 초점을 두고 있는 문법과 의사소통 능력에 견주어 교육적으로 숙고될 수 있

다고 했다.

332 Angela Lee-Smith

교수 지침

개념 은유와 그 인지 동기를 찾아내는 과정으로 말하기와 듣기를 통합①

시킨 학습자료이다 전년도 학습자들이 생산한 개념 은유를 학습자료.로 삼은 이유는 그만큼 개념 공유가 용이하기 때문이다.교사는 자유롭게 학습자들이 주어진 개념 은유의 인지 동기 즉 근원,②

영역의 어떤 특성 개념이 목표 영역의 어떤 특성 개념과 이어질 수 있/ /는가를 서로 말하도록 한다 이 때 정답이란 있을 수 없다 초점은 학. , .생들이 머리속에 있는 개념을 언어 표현으로 끌어내도록 하는 것이 주

된 목적이다.이제 학습자들이 각자 자신의 은유를 생산하도록 한다 목표 영역은.③

가능하면 학습자들이 흥미를 갖고 가깝게 접하는 것들로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학습자들이 대학생들일 경우에는 대학생들 생활.에 밀접한 것들을 주면 높은 흥미와 관심을 가지면서 참여하므로 대,화가 끈기지 않지만 육아 라든지 결혼 과 같은 개념을 주면 경험을, [ ] [ ]못해 봤기 때문에 말문이 막혀서 교수 학습이 생동감있게 진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다음 단계에는 학습자들이 직접 생산한 개념 은유를 서로 말하면서 그④

인지 동기가 무엇인지 말해 보도록 한다 하나의 목표 영역 개념에 대.해서 여러 학습자들의 다양한 근원 영역 개념을 함께 나누면서 말할

수 있도록 이끈다 예를 들면 학습자들이 각기 남자는 돼지 두통 집. , [ / / /새 추운 날의 국 제 의 아버지 오아시스 등과 같이 다양한 근원 영역/ / 2 / ]을 생산했다면 왜 그렇게 생각하는 지를 서로 추측하고 설명하도록,한다.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333

교수자료 실례 고급(6) :

영화 ‘엽기적인 그녀’를 보고… (3) 인물 성격 묘사

이 영화 속에 나오는 인물들의 성격과 특징을 말 해

봅시다.

• 견우

• 그녀

• 견우 아버지

• 견우 어머니

• 고모

• 여관집 주인 아저씨

• …

• …

[성격은 온도]

화끈하다 / 포근하다 / 따뜻하다 / 미지근하다 /

차갑다/차다/쌀쌀맞다/쌀쌀하다/시원(시원)하다

불/냉혈인간/얼음

[성격은 맛]

떫떠름하다 / 맵다 / 느끼하다 /느글거리다 / 싱겁다 / 담백하다 /

신선하다 / 독하다 / 짜다 / 구수하다 / 짠돌이 / 왕소금 / 진국 / 맹탕

/ 맹물

[성격은 모양]

둥글둥글하다 / 원만하다 / 각지다 / 모나다 / 무디다 / 날카롭다 /

예리하다 / 바르다 / 곧다 / 직선적이다 / 꼬이다

[성격은 밝기] 밝다/어둡다 [성격은 마음의 넓이] 넓다/좁다

[성격은 깊이]깊다/얕다 [성격은 강도]여리다/강하다

[성격은 무게]가볍다/무겁다 [성격은 굳기]딱딱하다/무르다

[성격은 농도]진국/맹탕 [성격은 투명도] 맑다/불투명하다

[성격은 촉감]거칠다/부드럽다 [성격은 순도] 순하다/독하다

교수 지침

먼저 영화를 보고 영화에 나오는 등장 인물들의 성격과 특징을 묘사,①

하도록 한다.다음 단계로 고급 수준에 맞게 보다 다양한 한국의 성격 은유표현들,②

을 제시하고 각 성격마다 가장 전형적으로 대응되는 인물의 예를 찾아

가면서 이해를 돕는다.다시 로 돌아가 함께 본 영화 속의 등장인물이나 다른 영화 혹은 드,③ ①

라마 속의 등장인물 연예인 등 모두가 잘 아는 인물들의 성격을 묘사,해 본다.

쓰기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학습4.3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은유 학습은 쓰기와 읽기 능력 향상에 중요한 한

몫을 한다 어떻게 글로써 표현하는가는 모국어 화자에게도 쉽지 않은 영역.이다 그런 어려운 영역을 외국어로 해야 할 때는 더더욱 어렵다 이런 어려. .

334 Angela Lee-Smith

움을 해결하도록 부분적으로 도와주는 기재가 바로 은유이다 복잡하고 추.상적인 개념을 어떻게 목표어로 표현할 것인가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은유?를 사용해서 수사적이고 미적인 표현으로 가득 찬 문학 창작을 하도록 가르

치기 위함이 아니라 은유를 통해서 바로 어렵고 추상적이고 머리 속에서,맴도는 개념을 좀 더 구체적이고도 쉬운 개념으로 이해하고 그것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된다.실제로 필자의 경험에 비추면 은유 교수 학습을 통해서 학습자들이 읽기-

에서의 이해도와 은유적 표현을 인식하는 데에 놀라울 정도로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쓰기에서의 표현력도 더 풍부해짐도 볼 수 있었다.10)

교수자료 실례 중급(7) :

“Shopping Period”

Explain in detail what the “Shopping Period” is at

Yale to people who don’t know about it. Why do we call

it ‘ shopping’?, How do we perform it successfully?

Why is it important? etc.

………………………………………………………………………

………………………………………………………………………

………………………………………………………………………

………………………………………………………………………

………………………………………………………………………

………………………………………………………………………

………………………………………………………………………

10) 에서도 외국어로서의 영어 쓰기Horning(1987), McCarthy(1987), Shaughnessy(1977)교육에 은유가 작문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강조한 바가 있

어 이는 은유 교수 학습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 교육에서 보편적으로 그, - ,필요성과 효과성을 인정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335

교수 지침

는 학생들이 학기초 일정 기간동안 여러 수업을 직접 둘‘Shopping Period’러보고 수강을 결정하도록 배려한 제도이다. 수강과목 결정은 쇼핑[ ]이란

개념 은유로 요약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수강과목 결정을 쇼핑이란.개념과 연결지어 이해할 수 있다 쇼핑 의 어떤 구체적인 면들이 수강 과. [ ] [목 결정 의 어떤 면들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학습자들이 자세히 예를 들어]가면서 쓰도록 한다.

교수자료 실례 고급(8) :

존 케리 상원의원은 '슈퍼 화요일' 결전에서 사실상의 압승을

거두고 한때 민주당 대선 후보 경쟁자였던 인물들의 지지를 한껏

받게 되면서, 수요일(이하 현지시각) 부시 대통령과의 치열한

대결에 모든 초점을 맞추게됐다.

케리 후보는 수요일, 대통령 선거에서의 주요 승부처인

플로리다주의 올랜도 타운홀 미팅에서 "우리는 일반상식을

기반으로 미국 전역의 국민들과 대화할 것이다. 어떻게 미국을

더욱 강하고, 안전한 나라로 만들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그러한

약속을 지켜낼 것인지에 대해 국민들과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말했다. (CNN 한글 뉴스 2004.03.04.)

교수 지침

신문 기사를 통한 읽기 학습의 한 자료이다 너무 지나치게 어렵거나.①

길지도 않으면서 수업 당시의 특정 시기에 크게 대두되는 이슈를 담은

기사를 선정하여 학습자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모을 수 있다 읽기 자.료 선정의 중요성이 여기에 있다.어떤 특정 장르나 주제에서 주로 쓰이는 은유적 표현들이 있음을 학습②

336 Angela Lee-Smith

자들에게 가르친다 예를 들면 여기에 제시한 신문 기사에서 굵게 표. ,시한 어휘 결전 압승 승부처 치열한 대결 등에 나타나듯이 선거나{ , , , } ,운동 경기 주제에서 주로 쓰이는 개념 은유는 선거는 전쟁[ ], 운동[경기는 전쟁]이다.11)

주제별로 읽기나 쓰기를 지도해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인 효과는 학습③

자들로 하여금 특정 주제 장르 상황에서 주로 쓰이는 은유표현들을/ /학습하면서 그 분야에 대한 의사소통의 이해력을 높이고 언어표현 생

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학습자들은 바로 이러한 점을 현.재로서는 교사를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 사실 고급 수준 정도에 이르.면 사전이 있으면 무슨 뜻인지 상당부분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읽기 교수는 무엇을 읽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읽느냐에 초점을 두

어야 한다.

맺음말5.

이 글에서는 년 대 이래 지금까지 인지언어학에서 재조명된 은유를 외80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적인 측면에서 재검토해 봤다 은유는 문화작품에서.주로 쓰이는 수사적인 표현 도구로서의 언어적 차원을 넘어선 인간의 본질

적인 개념구조이며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어떤 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다,른 한 개념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기재가 바로 은유이다 보통 사람들이 은.유를 일상 언어생활에서 널리 쓰고 있고 은유의 바로 이런 특성이 외국어,교육에서의 중요한 활용 가치를 부여한다.

또한 은유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은유를 배우면 외국어 학습에 있어, ?서 학습자에게 어떤 효과와 혜택이 있는가 등의 실제적인 문제를 교수 학? -습적 측면에서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은유 교수자료의 일부를 예로서 지침서와 함께 제시해 보았다 지금까지.한국어 교육에서 교수항목으로서 보지 않았던 은유를 이제는 새로운 시각

으로 재조명하여 교수 학습항목으로서 첨가하자는 것과 필자가 실제로 한- ,

11) 임혜원 에서는 선거 운동경기 기사에 나타난 은유를 연구정리했다(1997,1998) / .․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337

국어 교수 학습에 활용해 온 은유 교수자료나 방법의 한 일부만을 예로서-제시하였는데 보다 실제적이고 깊이 있는 은유 교수 학습을 위한 방법과 많, -은 교수자료들은 워크샾이나 연구 발표회 등을 통해 여러 동료교사들과 함

께 나눌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이 글에서 제안하는 은유의 교수 학. -습을 보다 더 많은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여 그 결과 어떠한 장단점이 발견

되는가를 함께 나눌 수 있기를 동료 한국어 교육자들에게 정중히 부탁하는

바이다.아이들이 첫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이어지는 수 년 간의 언어습

득 과정을 생각할 때에 우리 언어 교사들은 상대적으로 너무나도 짧은 기,간에 학습자들에게 새롭고 낯선 언어를 가르쳐야 된다 이것은 정말 대단한.작업이며 학습자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다 낯선 언어를 일정 기간 내에 배, .우는 것은 상당한 동기와 노력 그리고 인내가 요구된다 끊임없이 보다 효, .과적인 언어 교수법을 찾아내고자 노력하는 교사의 상을 그리며 언어 교수[는 란 개념 은유를 함께 완성해 나가길 바란다......................] .

참고문헌

신현숙 명사 밥 의 형식과 의미 확장 자하어문논집 상명대학교 어문학(1995), “ { } ”, 11,회 쪽, 13-36 .

이유미 은유의 언어문화적 특성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0), , .이종은 의사소통과 인지중심의 문법 교수 한국어교육 국제 한국어 교(1998), “ ”, 9-2,

육 학회 쪽, 143-160 .이지영이종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 수행 중심 방법 자하어문논집(1996), “ - -”,․

상명어문학회 쪽11, , 271-290 .임지룡 감정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언어화 양상 담화와 인지 담화인지(1999), “ ”, 6-2,

언어학회 쪽, 89-118 .화 의 개념화 양상 언어 한국언어학회 쪽(2000a), ‘ ’ , 25-4, , 693-721 .긴장 의 개념화 양상 담화와 인지 담와인지언어학회(2001a), ‘ ’ , 8-2, , 205- 쪽228 .

임혜원 선거 기사문에 나타난 은유 선거는 전쟁이다 담화와 인지 담화(1997), “ :[ ]”, 4-1,인지언어학회, 89-110.

운동경기 기사문에 나타난 은유 운동경기는 전쟁이다 상명논집(1998), “ :[ ]”, 5,

338 Angela Lee-Smith

상명대학교 대학원 쪽, 19-38 .공간개념의 은유적 확장 연구 국어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상명대학(2003), : ,

교 박사학위 논문.Boers, F.(2000), “Metaphor Awareness and Vocabulary Retentio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쪽21-4, 553-571 .Bokor, Zsuzsanna(1997), Body-based constructionism in the conceptualization of anger,

CLEAR series 17, Dept. of English, Hamburg University and the Dept. of AmericanStudies, FLTE, Budapest.

Clark(1981), “Lexical innovations: How Children learn to create new words”, ed. W. Deutsch,The Child’s Construction of Language 쪽, London: Academic Press, 299-328 .

Danesi, M.(1993), “Metaphorical competen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econdlanguage teaching”, Georgetown University Round Table on Language andLinguistics 쪽, ed. J.E. Alatis,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 Press, 489-500 .

Heine, Bernd, Ulrike Claudi, and Friederike Hunnermeyer(1991), Grammaticalization: AConceptual Framework, Chicago:University of Chicago Press.

Heine, Bernd(1995), “Conceptual grammaticalization and prediction”, Language and CognitiveConstrual of the World, ed. John R. Taylor and Robert E. Maclaury, Berlin:

쪽Gruyter, 119-135 .Hoffman, R.R.(1983), “Recent research on metaphor”, Semiotic Inquiry 쪽3. 35-62 .Horning, Alice(1987), Teaching writing as a second language. Carbondale, IL: Southern

Illinois Univ. Press.King, Brian(1989), The conceptual structure of emotional experience in Chinese, Ph.D.

diss., Ohio State University.Kovecses, Zoltan(1999), “Metaphor: Does it constitute or reflect cultural models?”,

Metaphor in Cognitive Linguistics, ed. Raymond W. Gibbs and Gerard Steen,쪽Amsterdam:John Benjamins, 167-188 .

(2001), “A cognitive linguistic view of learning idioms in an FLTcontext”, Applied Cognitive Linguistics II: Language Pedagogy, ed. Martin Putz

쪽and Susanne Neimeier, Berlin: New York, 87-116 .(2002), Metaphor: A pract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Kovecses, Zoltan and Peter Sxabo, (1996), ”"Idioms: A view from cognitive linguistics",Applied Linguistics 쪽17-3:326-355 .

Lakoff, George and Mark Johnson(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ofChicago Press.

Lakoff, George and Mark Turner(1987), More Than Cool Reason: A Field Guide toPoetic Metapho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Matsuki, Keiko(1995), “Metaphors of anger in Japanese”, Language and the cognitive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은유 교수 339

Construal of the World, ed. John R. Taylor and Robert E. Maclaury, Berlin:Gruyter,쪽137-151 .

McCarthy, Lucille Parkinson(1987), “Stranger in strange lands: A college student writingacross the curriculum”,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쪽, 21-3, 233-265 .

Shaughnessy, Mina P.(1977), Errors and expectations: A guide for the teacher of basicwriting. New York: Oxford Univ. Press.

Sterns, Peter (1994), American Cool, New York: NY University Press.Taylor, John R. & Thanti G. Mbense(1998), “Red dogs and rotten mealies: How Zulus

talk about anger, Speaking of emotions”, Conceptualisation and Expression, ed.Angeliki Athanasiadou and Elzbieta Tabakowska, Berlin: Mouton de Gruyter,

쪽191-226 .Yu, Ning(1995), “Metaphorical expressions of anger and happiness in English and Chinese”,

Metaphor and Symbolic Activity 쪽10, 59-92 .(1998), The Contemporary Theory of Metaphor: A Perspective from Chinese,

Amsterdam: John Benjamins.

Angela Lee-SmithEast Asian Languages and LiteraturesYale UniversityP.O.Box 208236, New Haven, CT 06520-8236, U.S.A.TEL: (203) 432-4114, FAX: (203) 432-6729Email: [email protected]

접수일자:게재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