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cdnvod.yonhapnews.co.kr/.../public/yearbook/2019/a/12_17.pdf · 2020-06-10 ·...

4
지 방 l 461 농촌일손돕기, 김장나누기 행사 등으로 도민과 소통하는 분위 기를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의장단의 현지 의정활동으로 지역 현안 청취와 현안 해결에 주력했다. 조례 등 235건 처리로 적극적인 도민의사 반영 총 126건의 조례안과 각종 건의안 등 235건의 안건을 처리했다. 27명의 도 의원이 103건의 도정 질문을 했고, 46명의 도의원이 71건의 5 분 자유발언을 했다. 활발한 의원 입법활동 및 행정사무 감사로 집행부 견제 69 건의 의원발의 조례를 제·개정했고, ‘경상남도교육청 응급처 치교육 지원 조례’, ‘경상남도교육청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교육지원 조례’, ‘경상남도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에 관한 조례’, ‘경상남도 공공조형물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조 례’, ‘경상남도 석면안전관리 및 지원에 관한 조례’, ‘경상남도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 조례’, ‘경상남도 문화콘텐츠산업 육성 조례’ 등 총 27건을 제정했다. 경상남도, 경상남도교육청 등 17개 기관을 대상으로 행정사 무 감사를 실시해 시정·처리 요구사항 355건, 건의사항 309 건 등 총 664건을 발굴했다. 제주특별자치도 道花 : 참꽃 道木 : 녹나무 道鳥 : 제주큰오색딱따구리 캐릭터 : 돌이와 소리(돌하르방과 해녀) 도청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연로 6 도지사 : 원희룡(元喜龍) 개 관 연 혁 제주특별자치도는 상고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는 탐라(耽羅) 또는 탁라(羅)국으로 불렸다. 탐라라는 국호는 1105년(고려 숙종 10년) 탐라군이 설치되면서 폐지됐다. 제주 (濟州)라는 명칭은 고려 고종 연대(1192∼1259년)에 탐라군을 개칭하면서 처음 사용됐다. 조선시대인 1397년 제주목(牧)이 설치됐다. 일제 강점기인 1915년 5월 제주·정의·대정 3개 군제(郡制) 가 폐지되고 도제(島制)로 개편하면서 행정권과 경찰권을 행 사하는 도사(島司)를 뒀다. 도사는 전남도지사의 지휘·감독을 받아 행정사무를 맡았다. 도제는 해방 이후 미 군정 때도 계속 됐다. 해방 후인 1946년 8월 1일 전라남도 행정구역에서 분리 해 도(道)로 승격되면서 북제주군과 남제주군 등 2군·1읍·12 면이 설치됐다. 제주시는 1955년 9월 1일, 서귀포시는 1981년 7 월 1일 각각 읍에서 시로 승격됐다. 2006년 7월 1일 단일 광역행정체제인 제주특별자치도가 출 범하면서 기초자치단체인 제주시와 서귀포시, 북제주군과 남 제주군이 폐지되고 자치권이 없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등 2행 정시, 7읍, 5면, 31동으로 개편됐다. 면 적 2018년 말 기준 총면적은 1천849.1㎢로, 남한 전체 면적의 1.85%를 차지한다. 용도별 점유율은 경지 28.7%, 임 야 47.1%, 대지 3.7%, 도로 4.7%, 기타 15.8% 등이다. 부속 섬 은 유인도 8개, 무인도 71개 등 모두 79개다. 해안선 길이 는 본섬 415.56㎞, 부속섬 136.22㎞ 등 총 551.78㎞다. 본섬 과 부속섬의 전체 자연 해안선은 359.45㎞(본섬 250.74㎞), 항만 등 인공 구조물로 생성된 인공 해안선은 192.33㎞(본섬 164.82㎞)다. 자연환경 제주특별자치도의 지형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 서 사면은 경사도가 3∼5°로 완만하고, 남북 사면은 5° 정도로 약간 급한 경사를 이룬다. 지질은 퇴적암층과 현무암, 조면질안산암(粗面質安山岩), 조 면암 등의 화산암류와 기생화산에서 분출한 화산쇄설암(火山 碎屑岩)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대부분 흑갈색의 화산회토로 덮여 있다. 동물은 한대성과 열대성이 함께 서식한다. 포유류 77종, 조 류 198종을 비롯해 파충류, 양서류가 각각 8종, 곤충류 873 종, 거미류 74종 등이다. 식물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아열대, 온대, 한대식물 등이 수직으로 분포한다. 종류는 2천여 종(백 두산 500여 종, 지리산 1천여 종)에 달해 식물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한라산 일대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제주는 유네스코로 부터 2002년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 2007년 세계자연유산 등 재, 2010년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통해 유네스코 자연과학분야 3관왕을 달성한 세계 최초 지역이 됐다. 산업으로 활용이 가능 한 생물자원이 50여 가지가 넘게 파악될 정도로 제주 생물자 원의 가치는 높이 평가된다. 인 구 2018년 말 기준 28만7천104가구 69만2천32명(외국 인 2만4천841명 포함)이다. 제주시는 20만4천621가구 50만1천 791명, 서귀포시는 8만2천483가구 19만241명이다. 전체 인구는 2017년도 27만8천203가구 67만8천772명에 견줘 가구 수는 8 천901가구, 인구 수는 1만3천260명 증가했다. 제주특별자치도 면적·가구·인구(세대)·행정구역 (2018년 12월 31일 현재) 구 분 면 적(㎢) 가구 수 인 구(명) 행정단위 한국인 외국인 1,849.1 287,104 692,032 667,191 24,841 7 5 31 514 172 5,381 제주시 978.4 204,621 501,791 485,946 15,845 4 3 19 449 96 4,129 서귀포시 870.7 82,483 190,241 181,245 8,996 3 2 12 65 76 1,252

Upload: others

Post on 03-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지 방 l 461

    농촌일손돕기, 김장나누기 행사 등으로 도민과 소통하는 분위

    기를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의장단의 현지 의정활동으로 지역

    현안 청취와 현안 해결에 주력했다.

    조례 등 235건 처리로 적극적인 도민의사 반영 총 126건의

    조례안과 각종 건의안 등 235건의 안건을 처리했다. 27명의 도

    의원이 103건의 도정 질문을 했고, 46명의 도의원이 71건의 5

    분 자유발언을 했다.

    활발한 의원 입법활동 및 행정사무 감사로 집행부 견제 69

    건의 의원발의 조례를 제·개정했고, ‘경상남도교육청 응급처

    치교육 지원 조례’, ‘경상남도교육청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교육지원 조례’, ‘경상남도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에

    관한 조례’, ‘경상남도 공공조형물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조

    례’, ‘경상남도 석면안전관리 및 지원에 관한 조례’, ‘경상남도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 조례’, ‘경상남도 문화콘텐츠산업

    육성 조례’ 등 총 27건을 제정했다.

    경상남도, 경상남도교육청 등 17개 기관을 대상으로 행정사

    무 감사를 실시해 시정·처리 요구사항 355건, 건의사항 309

    건 등 총 664건을 발굴했다.

    제주특별자치도

    道花 : 참꽃 道木 : 녹나무

    道鳥 : 제주큰오색딱따구리

    캐릭터 : 돌이와 소리(돌하르방과 해녀)

    도청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연로 6

    도지사 : 원희룡(元喜龍)

    개 관

    연 혁 제주특별자치도는 상고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는

    탐라(耽羅) 또는 탁라(乇羅)국으로 불렸다. 탐라라는 국호는 1105년(고려 숙종 10년) 탐라군이 설치되면서 폐지됐다. 제주

    (濟州)라는 명칭은 고려 고종 연대(1192∼1259년)에 탐라군을

    개칭하면서 처음 사용됐다. 조선시대인 1397년 제주목(牧)이

    설치됐다.

    일제 강점기인 1915년 5월 제주·정의·대정 3개 군제(郡制)

    가 폐지되고 도제(島制)로 개편하면서 행정권과 경찰권을 행

    사하는 도사(島司)를 뒀다. 도사는 전남도지사의 지휘·감독을

    받아 행정사무를 맡았다. 도제는 해방 이후 미 군정 때도 계속

    됐다. 해방 후인 1946년 8월 1일 전라남도 행정구역에서 분리

    해 도(道)로 승격되면서 북제주군과 남제주군 등 2군·1읍·12

    면이 설치됐다. 제주시는 1955년 9월 1일, 서귀포시는 1981년 7

    월 1일 각각 읍에서 시로 승격됐다.

    2006년 7월 1일 단일 광역행정체제인 제주특별자치도가 출

    범하면서 기초자치단체인 제주시와 서귀포시, 북제주군과 남

    제주군이 폐지되고 자치권이 없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등 2행

    정시, 7읍, 5면, 31동으로 개편됐다.

    면 적 2018년 말 기준 총면적은 1천849.1㎢로, 남한 전체

    면적의 1.85%를 차지한다. 용도별 점유율은 경지 28.7%, 임

    야 47.1%, 대지 3.7%, 도로 4.7%, 기타 15.8% 등이다. 부속 섬

    은 유인도 8개, 무인도 71개 등 모두 79개다. 해안선 길이

    는 본섬 415.56㎞, 부속섬 136.22㎞ 등 총 551.78㎞다. 본섬

    과 부속섬의 전체 자연 해안선은 359.45㎞(본섬 250.74㎞),

    항만 등 인공 구조물로 생성된 인공 해안선은 192.33㎞(본섬

    164.82㎞)다.

    자연환경 제주특별자치도의 지형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

    서 사면은 경사도가 3∼5°로 완만하고, 남북 사면은 5° 정도로

    약간 급한 경사를 이룬다.

    지질은 퇴적암층과 현무암, 조면질안산암(粗面質安山岩), 조

    면암 등의 화산암류와 기생화산에서 분출한 화산쇄설암(火山

    碎屑岩)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대부분 흑갈색의 화산회토로

    덮여 있다.

    동물은 한대성과 열대성이 함께 서식한다. 포유류 77종, 조

    류 198종을 비롯해 파충류, 양서류가 각각 8종, 곤충류 873

    종, 거미류 74종 등이다. 식물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아열대,

    온대, 한대식물 등이 수직으로 분포한다. 종류는 2천여 종(백

    두산 500여 종, 지리산 1천여 종)에 달해 식물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한라산 일대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제주는 유네스코로

    부터 2002년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 2007년 세계자연유산 등

    재, 2010년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통해 유네스코 자연과학분야

    3관왕을 달성한 세계 최초 지역이 됐다. 산업으로 활용이 가능

    한 생물자원이 50여 가지가 넘게 파악될 정도로 제주 생물자

    원의 가치는 높이 평가된다.

    인 구 2018년 말 기준 28만7천104가구 69만2천32명(외국

    인 2만4천841명 포함)이다. 제주시는 20만4천621가구 50만1천

    791명, 서귀포시는 8만2천483가구 19만241명이다. 전체 인구는

    2017년도 27만8천203가구 67만8천772명에 견줘 가구 수는 8

    천901가구, 인구 수는 1만3천260명 증가했다.

    제주특별자치도 면적·가구·인구(세대)·행정구역

    (2018년 12월 31일 현재)

    구 분 면 적(㎢) 가구 수인 구(명) 행정단위

    통 리 반계 한국인 외국인 읍 면 동

    합 계 1,849.1 287,104 692,032 667,191 24,841 7 5 31 514 172 5,381

    제 주 시 978.4 204,621 501,791 485,946 15,845 4 3 19 449 96 4,129

    서귀포시 870.7 82,483 190,241 181,245 8,996 3 2 12 65 76 1,252

  • 462 l 지 방

    재 정

    2019년도 제주특별자치도 총 예산액은 5조2천851억원(일반

    회계 4조4천936억원, 특별회계 7천915억원)으로 2018년 당초

    예산 5조297억원(일반회계 4조1천832억원, 특별회계 8천465억

    원)보다 5.1% 증가했으며, 재정자립도는 33.0%다.

    중점 추진사업

    사람과 대중교통 중심의 제주형 교통체계 구축 제주시 대천

    동과 서귀포시 동광리에 복합환승센터를 건설하기 위한 기본

    계획 수립 용역을 시행하고, 버스정보시스템(BIS) 기능을 개선

    하기로 했다. 교통 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20대를 추가로 도입

    하고, 수요응답형 버스 20대와 소형버스 대체 등을 통해 맞춤

    형 교통수단을 제공하기로 했다.

    주차정책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2019년 1

    월 1일부터 도 전역을 대상으로 차고지 증명제를 확대 시행했

    다. 2022년 시행 예정이었으나 교통 혼잡과 주차난 가중으로

    앞당겼다. 총 318억원을 투입해 도심지 주차장을 확충하고, 모

    든 공영 주차장을 유료화했다.

    어르신 행복택시, 버스 환승 행복택시, 관광 행복택시 등 제

    주형 행복택시 3종을 출시했다. 어르신 행복택시는 읍·면 지

    역 70세 이상 노인이 1회당 최대 7천원(호출비 1천원 포함) 내

    에서 연간 24회 이용할 수 있다. 버스 환승 행복택시는 대중교

    통 이용 후 40분 이내 택시를 타는 이용자에게 기본요금 2천

    800원 중 800원을 도에서 지원한다. 관광 행복택시는 대중교

    통 사각지역에 있는 관광객을 위한 서비스로, 시간운임제로 운

    영한다.

    제주형 일자리 정책 본격 시동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매

    년 5천 개씩 총 2만5천 개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제주 일

    자리 정책 5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도민의 삶을 바꾸는 더 나

    은 일자리 만들기를 목표로 한 로드맵에서는 일자리 인프라

    구축, 공공·민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질 개선, 맞춤형 일자리

    지원 등 5대 분야 8대 중점과제 70개 실천과제를 추진한다.

    도정 정책을 일자리 관점에서 설계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일자리과’를 신설해 일자리 관련 총괄 기능을 강화했다.

    일자리 예산 비중을 확대하고, 실국별 일자리 창출 업무협약을

    통해 관광·투자정책 등을 일자리 우위로 설계한다.

    다함께 누리는 행복한 복지공동체 24개 읍·면·동에서

    운영 중인 ‘맞춤형 복지팀’을 43개 읍·면·동으로 확대하기

    로 했다. 저소득층 특별생계비 지원액을 7만∼20만원에서 16

    만5천∼61만2천원으로 높여서 저소득층의 생활안정을 도모

    한다.

    2025년까지 추진할 주거종합계획을 수립하고, 2019년 안

    에 404억원(국비 191억원, 지방비 213억원)을 투입해 행복주택

    570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주거 급여, 장애인 주택 개조, 신

    혼부부 전세자금 지원 등 취약계층 주거를 지원한다.

    지속 가능한 글로벌 관광 선도 중국 중심의 관광시장을 동

    남아와 일본 등지로 다변화하고,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

    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을 개정해 송객수수료 가이드라

    인을 마련, 저가 관광을 개선하기로 했다. 음식, 숙박, 쇼핑업체

    등에 대한 제주관광품질인증제를 시범 운영해 시설과 서비스

    품질 향상을 추진한다.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내 제주국제컨벤션센터의 마이스

    (MICE) 다목적 복합시설을 확충하고, 단지 전체를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했다. 제주시 동문재래시장에 야시장을 개

    장하고 도심 공원을 활용해 야간 문화 이벤트를 실시, 야간

    2019년도 제주특별자치도 세입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항 목 2019년 예산액 2018년도

    예산액비교증감계 일반회계 특별회계

    총 계 5,285,111 4,493,557 791,555 5,029,743 255,368

    지방세 1,437,348 1,437,348 - 1,399,001 38,347

    보통세 1,281,998 1,281,998 - 1,244,347 37,651

    목적세 145,050 145,050 - 144,854 196

    2018년도 수입 10,300 10,300 - 9,800 500

    세외수입 319,388 132,154 187,234 309,112 10,276

    경상적 세외수입 275,111 115,739 159,373 262,506 12,605

    임시적 세외수입 44,277 16,415 27,861 46,606 △2,329

    지방교부세 1,516,382 1,500,427 15,955 1,326,739 189,643

    보조금 1,357,175 1,090,187 266,987 1,272,337 84,838

    지방채 150,000 150,000 - - 150,000

    보전수입 등 내부거래 504,819 183,441 321,378 722,554 △217,735

    보전수입 203,825 101,600 102,225 263,244 △59,419

    내부거래 300,994 81,841 219,153 459,310 △158,316

    2019년 제주특별자치도 세출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항 목 2019년 예산액 2018년도

    예산액비교증감계 일반회계 특별회계

    총 계 5,285,111 4,493,557 791,554 5,029,743 322,683

    일반 공공행정 535,594 503,311 32,283 580,911 △50,480

    공공질서 및 안전 169,371 128,433 40,938 163,906 5,355

    교 육 114,178 109,122 5,055 100,604 13,866

    문화 및 관광 265,739 265,739 - 270,629 △2,742

    환경보호 692,733 309,144 383,590 699,892 △3,684

    사회복지 1,132,648 1,013,301 119,347 1,006,206 125,163

    보 건 65,186 65,186 - 66,452 191

    농림해양수산 545,482 515,913 29,569 539,453 3,546

    산업·중소기업 216,462 190,232 26,229 223,650 △2,468

    수송 및 교통 442,214 373,657 68,557 482,967 36,717

    국토 및 지역개발 359,802 315,157 44,646 206,060 154,045

    과학기술 714 714 - 659 55

    예비비 59,899 59,899 - 37,703 7,933

    기 타 685,089 643,748 41,341 650,650 35,187

  • 지 방 l 463

    문화관광을 활성화했다. 스마트관광 인프라 고도화, 관광사

    업체 경쟁력 강화, IT 융복합 벤처형 관광산업 육성에도 힘

    썼다.

    자원 순환형 쓰레기 처리 시스템 구축 제주시 구좌읍 동복

    리에 조성 중인 광역폐기물 처리시설인 제주환경자원순환센

    터 공사를 철저히 관리해 2019년 5월 1단계 매립 부분 준공할

    예정이다. 2020년 2월까지 35년 이상 매립 가능한 200만㎡의

    매립시설과 1일 500t을 소각할 수 있는 시설을 완공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했다.

    재활용도움센터를 20개소에서 70개소로 확대하기로 했다.

    생활폐기물의 자원순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생활폐기물

    과 재활용품 수집운반체계를 개선해 공공수거 부분은 민간에

    위탁했다. 해양환경자원 재활용 선별시설 구축, 바다지킴이 확

    대, 중간집하장 현대화 등 해양·해안에 대한 체계적 정화시스

    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미래를 담보할 핵심산업 육성 정부 4대 혁신과제와 연계해

    해양경제시범도시 조성, 동북아환경수도 조성, 제주스마트시

    티 조성, 전기차 특구 조성 및 연관산업 육성, 제주혁신클러스

    터 특화산업 육성 등 5대 전략과제를 중점 추진했다. 국립제주

    대학교와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를 중심으로 제주산학융합지

    구를 조성하고, 지속 가능한 제주형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상청 구 청사를 리모델링해 창업 보육공간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상생과 화해로 하나되는 제주 공동체 4·3 70주년 2018 제

    주 방문의 해를 계기로 4·3의 완전한 해결과 해군기지 반대

    투쟁으로 갈등을 빚는 강정마을 공동체 회복 사업을 추진했다.

    4·3 역사를 상생과 화해로 승화 발전시키기 위해 전국화,

    세계화를 진행한다. 4·3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유해

    발굴과 추가신고, 4·3 유적지 정비를 통한 평화·인권 성지

    화, 4·3 희생자와 유족 복지 확대 등의 사업도 시행하기로

    했다.

    강정마을 공동체 회복사업은 1조771억원이 투입되는 지역발

    전계획에 반영하고, 해군기지 방사능 오염물질 측정을 제도화

    하기로 했다. 강정마을 사법 처리자 463명에 대한 특별사면에

    힘쓰기로 했다.

    산 업

    경제지표 2016 잠정 경제성장률은 6.9%, 1인당 지역내총생

    산(GRDP)은 2천734만원이다. 2016년 지방세 및 국세 증가율

    각 22.4%, 33.3%다. 2016년 기준 지역총생산 산업구조는 1차

    12.5%, 2차 18%, 3차 69.9%다. 도내 사업체는 5만7천791개소,

    종사자는 25만8천188명이다.

    농 업 2016년 말 기준 농지는 6만2천140㏊며 밭 6만2천123

    ㏊, 논 17㏊다. 감귤재배농가는 3만1천525가구로 전체 농가 수

    의 95.2%를 차지했다. 2016년도에는 2만491㏊에 감귤이 재배

    돼 60만t을 생산했다. 감귤 조수입은 9천114억원, 기타 과수 조

    수입은 476억1천300만원이다. 그 밖의 농업분야 조수입은 식

    량작물 840억900만원, 채소류 6천767억6천만원, 특용작물

    300억600만원 등이다

    축 산 2017년 말 기준 사육 가축은 한우 3만4천225마리, 육

    우 1천519마리, 젖소 4천169마리, 돼지 55만7천703마리, 닭 173

    만3천61마리, 말 1만5천177마리, 사슴 584마리, 양봉 7만6천263

    군 등이다. 이들 8개 축종 농가 수는 2천678가구다. 목장은 관

    영목장 3개, 기업목장 24개, 마을공동목장 53개 등 80개소다.

    초지 면적은 1만6천123㏊다. 2017년도 축산물 수출량은 950t,

    수출액은 157만1천 달러다.

    임 업 2017년 말 기준 임야는 8만8천22㏊로 공유림 4천589

    ㏊, 국유림 3만6천366㏊, 사유림 4만7천67㏊다. 전체 산림 가

    운데 임목지는 6만4천914㏊, 무임목지는 2만3천108㏊다.

    관광자원 현황

    구 분 개 소 주 요 안 내

    영주10경 10

    1. 성산일출 2. 녹담만설 3. 귤림추색 4. 영구춘화 5. 산포조어 6. 고수목마 7. 정방하폭 8. 산방굴사 9. 사봉낙조 10. 영실기암

    신(新) 영주10경 10

    1. 철새들의 낙원, 하도리2. 눈이 그린 그림, 1100도로3. 이어도가 보이는 언덕, 송악산4. 사랑의 언덕, 섭지코지5. 신이 빚은 조각, 지삿개 주상절리6. 용(龍)이 사는 연못, 용연7.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 돈내코8. 바람이 빚은 곡선미, 아부오름9. 노을이 아름다운 포구, 자구내 포구10. 섬 속의 섬, 우도

    계 곡 6탐라계곡, 구구계곡, 안덕계곡, 무수천, 돈내코, 수악계곡

    폭포 및 소연 6천지연, 천제연, 정방폭포, 용연, 엉또폭포, 용소연포

    동 굴 10만장굴, 빌레못굴, 김녕사굴, 미천굴, 소천굴, 협재굴, 쌍용굴, 와흘굴, 구린굴, 황금굴

    기 암 14용두암, 성산기암, 외돌개, 바람바위, 영실기암, 방선문, 절부암, 우두암, 용암수형, 산방산, 백록담, 성판악, 삼각봉, 왕관(릉)

    수 림 4 비자림, 동백군, 구상나무군, 철쭉

    기생화산 368월랑봉(다랑쉬), 용눈이, 어승생악, 산굼부리, 송악산 등

    식 물 종 1,841 왕벚나무, 문주란, 난(한란, 새우란) 등

    곤충 등 동물 종 3,315물장군, 왕은점 표범나비, 팔색조, 노루, 오소리, 제주족제비 등

    해수욕장 10이호, 삼양, 곽지, 함덕, 협재, 김녕, 화순, 중문, 표선, 신양

    낚시터 15사라봉, 서부두, 용두암, 도두, 다려도, 비양도, 토끼섬, 두모, 용수, 하가, 차귀도, 마라도, 우도, 추자도, 형제섬

    등 산 코스 6어리목, 영실, 성판악, 관음사, 어승생악자연학습탐방로, 돈내코

    수 렵 2 대유수렵장, 도전역(금렵구 제외)

    보 물 2 관덕정, 불탑사 5층 석탑

    사적지 1 삼성혈

  • 464 l 지 방

    수산업 2016년 12월 말 기준 어업 종사자는 4천82가구, 9

    천457명이다. 어선은 1천952척, 총톤수는 1만8천795t이다. 수

    산물 생산량은 15만4천971t, 금액으로는 9천373억원이다. 수출

    액은 3천513t 4천196만1천 달러다. 어항은 99개소다. 국가어항

    은 도두·하효·모슬포 등 6개소, 지방어항은 법환·대포·

    우도 등 18개소다. 어촌 정주항은 46개소, 소규모 어항은 29개

    소다. 항만은 무역항으로 제주·서귀포항이 있고, 연안항으로

    성산포·한림·애월항 등 5개 항이 있다. 어촌계는 102개가

    있다.

    관 광 2017년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총 1천475만3천 명(내

    국인 1천352만2천 명, 외국인 123만 명)이다.

    관광사업체 수는 1천989개소다. 여행업 1천109개소, 관광

    숙박업 408개소, 휴양펜션 98개소, 종합·전문휴양업 35개

    소, 유람선업 8개소, 자동차야영장업 25개소, 일반야영장업

    22개소, 국제회의시설업 1개소, 국제회의기획업 25개소, 유원

    시설업 57개소, 관광유흥음식점업 1개소, 외국인 전용 유흥

    음식점업 9개소, 관광식당업 127개소, 관광극장유흥업 4개소,

    관광사진업 3개소, 시내 순환 관광업 1개소, 관광면세업 5개

    소, 카지노 8개소, 기타 관광편의시설 3개소, 골프장 40개소

    등이다.

    사 회

    주 택 2016년 말 기준 22만9천337가구에 23만6천430호로

    주택 보급률이 103.1%다. 단독주택 12만1천400호, 아파트 6만5

    천567호, 연립 2만1천181호, 다세대 2만8천282호 등이다.

    교 통 2016년 연간 항공기 이용객은 국내선 2천697만 명,

    국제선 274만 명 등 총 2천971만 명이다.

    항공기 화물수송량은 27만t이다. 제주국제공항은 부지 357

    만3천599㎡에 활주로 2개로, 연간 17만2천 회 운항 처리능력

    (슬롯35회)을 갖췄다. 계류장은 40만3천994㎡로 동시 주기능

    력은 36대다.

    자동차는 2016년 말 현재 관용 1천973대, 자가용 35만4천

    642대, 영업용 11만628대 등 모두 46만7천243대다. 차종별로는

    승용차 36만8천293대, 승합차 2만1천139대, 화물차 7만6천781

    대, 특수차 1천30대다.

    도로는 4천393개 노선에 총연장 3천216㎞, 포장도는 2천740

    ㎞로 포장률은 85.2%다. 지방도(옛 국도 포함)는 16개 노선 752

    ㎞, 시·군도는 4천377개 노선 2천463㎞다.

    교육·문화

    교 육 유치원 119개, 어린이집 527개, 초등학교 113개, 중학

    교 45개, 고등학교 30개, 특수학교 3개, 국제학교 4개교가 있

    다. 2개 대학(제주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2개 전문대(제주한

    라대학, 제주관광대학)가 있다. 공공도서관은 22개소다.

    문화재 보물 7, 사적 7, 천연기념물 49, 명승 9, 중요민속

    문화재 9, 국가무형문화재 5, 등록문화재 23 등 국가지정문화

    재 109점이 있다. 도 지정문화재는 유형문화재 36, 무형문화재

    21, 기념물 128, 민속문화재 82, 문화재자료 10 등 모두 277점

    이 있다.

    문화시설 박물관 61개소, 미술관 19개소, 공연장 32개소, 영

    화관 5개소, 문예회관 1개소, 문화의집 20개소, 문화원 3개소,

    문화학교 14개소, 작은도서관 177개소, 전수관 8개소가 있다.

    언론사는 지상파 3개, 케이블TV 1개, 교통방송 1개, 종교방송 1

    개, 라디오방송 2개, 일간지 6개, 주간지 12개, 인터넷매체 45개

    가 있다.

    의회활동

    원 구성

    김태석(더불어민주당)

    김희현(더불어민주당), 허창옥(무소속)

    더불어민주당 29, 자유한국당 2, 바른정당

    2, 정의당 1, 무소속 4, 교육의원 5명 등이다.

    제10대 상임위원회 및 특별위원회 구성현황

    운영위원회 11명, 행정자치위원회 7명, 복지안전위원회 6명,

    환경도시위원회 7명, 문화관광위원회 6명, 농수축지식산업위

    원회 7명, 교육위원회 9명, 예산결산특별위원회 13명, 윤리특별

    위원회 12명, 4·3특별위원회 13명으로 구성돼 있다.

    • 조례안 : 171건

    ▲ 제주특별자치도 금연구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 제주특별자치도 4·3평화문학상 운영 조례 일부개

    정조례안

    ▲ 제주특별자치도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

    조례안

    ▲ 제주특별자치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념사업 지원

    조례안

    • 예산·결산안 : 38건

    ▲ 2018년도 제주특별자치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세

    입·예산안

    ▲ 2017년도 제1회 제주특별자치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

    계 세입·세출 추가경정 예산안 등

    • 동의·승인안 : 210건

    ▲ 2018 국내외 문화예술교류 사업에 관한 민간위탁 동

    의안

    ▲ 무오법정사 항일운동 발상지 활성화 사무의 민간위

    탁 동의안

    ▲ 세계자연유산 선각자 부종휴 선생 기념행사 추진 사

    무의 민간위탁 동의안

    • 건의문·결의문 : 6건

    ▲ 제2공항에 대한 갈등해결 방안 마련 촉구 결의안

    ▲ 4·3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

    ▲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대책마련 촉구 결의안

    제11대 도의회 주요 의안처리(2018. 7 ~ 201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