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30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를 배워요. 한문과 우리 집이 화목하면 가족 이야기 3 . 1 2 4 . 1 2 함께 살아가며 동네 이야기 5 . 1 2 학교에 들어가서 학교 이야기

Upload: others

Post on 01-Ju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를 배워요.

한문과 우리

집이 화목하면

가족 이야기3. 1

2

4. 1

2

함께 살아가며

동네 이야기

5. 1

2

학교에 들어가서

학교 이야기

Page 2: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단어는 하나의 한자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둘 이상의 한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한, 한문 문장 안에서 끊어 읽는 단위를 나타내는 구절도 하나의 단어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한자들이 서로 어떤 관계로 결합하여 단어를 이루는가를 알

면 단어의 뜻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이를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활용할

수도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많은 어휘는 한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우리가 무엇을 표현할 때

함축적이고 비유적인 뜻을 지닌 성어를 이용하는 경우도 흔하다.

이 단원에서는 한자로 이루어진 단어와 가족·동네·학교에 관한 일상용어, 성어 및 짧은 문장을 배운다. 이를

통하여 단어의 짜임, 성어의 의미와 활용, 바르게 소리 내어 읽기, 토의 구실에 유의하여 끊어 읽기에 관하여 공부

하고, 아울러 일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보자.

단원의 학습 내용 성취 기준 ●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소리 내어 읽는다.

● 토가 달려 있는 글을 토의 역할에 유의하여 바르게 끊어 읽는다.

●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내면화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

한다.

● 한자로 이루어진 일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교과 핵심 역량 ● 한문 자료를 통해 정보 처리 능력을 키운다.

● 한문 자료를 통해 인성 역량을 키운다.

● 한문 자료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키운다.

● 한문 자료를 통해 창의적 사고 능력을 키운다.

Page 3: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024 II. 한문과 우리

집이 화목하면13

夜 야 밤 深 심 깊다 作 작 짓다 文 문 글월 出 출 나다, 나오다

讀 독 읽다 書 서 글, 책 父 부 아버지, 부모 慈 자 사랑 孝 효 효도

同 동 한가지, 같이하다 苦 고 쓰다, 괴롭다 家 가 집 和 화 화하다 萬 만 일만, 모든

事 사 일 成 성 이루다

日出 讀書

夜深 밤 깊다

밤이 깊음.

한자 어휘

한자 뜻

우리말 풀이

作文 짓다 글

글을 지음.

한자 어휘

한자 뜻

우리말 풀이

Page 4: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3.1 집이 화목하면 025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父慈子孝

同苦同樂

家和萬事成

Page 5: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026 II. 한문과 우리

갑골문 금문 전서 예서 해서

집 이야기

•夜深 밤이 깊음.•주술 관계: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의 짜임.

•作文 글을 지음.•술목 관계: ‘서술어’와 ‘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의 짜임.

•日出 해가 나옴(뜸).

•讀書 책을 읽음.

•父慈子孝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성스러움.•주술 관계+주술 관계 •父: 아버지. → 부모. •子: 아들. → 자녀, 자식.

• 同苦同樂 괴로움을 함께하고 즐거움을 함께함. ⇨ 고락(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함. •술목 관계+술목 관계

•家和萬事成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짐.•萬: 일만. → 모든, 많은.

정보 처리 능력

전통 의상을 입은 ‘야오족’ 소녀 ▶

집을 뜻하는 한자 ‘家’의 변천 과정이다. 갑골문에서 ‘ ’은 집의 겉모습을,

‘ ’는 돼지의 모습을 본뜬 것이다. 중국의 소수 민족 가운데 ‘야오족’의

일부는 지금도 집의 1층에서는 돼지를 키우고, 2층과 3층에서 사람들이

생활한다고 한다. ‘집[ ]’과 ‘돼지[豕]’를 결합하여 만든 ‘家[집]’ 자처럼,

‘집’과 관계있는 한자 중에 ‘家’ 자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한자를 찾아

분석해 보자.

•한자의 여러 가지 음과 뜻

(락) 즐기다

樂 (악) 음악

(요) 좋아하다

Page 6: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3.1 집이 화목하면 027

思思

한자 카드를 이용하여 단어를 만들어, ‘月出’과 풀이 방법이 같은 것은 A에,

‘愛國’과 풀이 방법이 같은 것은 B에 넣어 보자.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① 동고동락 ② 동거동락 ③ 동서남북

④ 동분서주 ⑤ 동상이몽

1. 밑줄 친 부분의 음으로 옳은 것은?

그 사람은 나와 오랫동안 同苦同樂하던 친한 사이야.

愛 애 사랑

國 국 나라

2. 다음은 진혁이네 가훈이다. 가훈의 뜻으로 알맞은 것은?① 말조심하자.

② 뿌린 대로 거둔다.

③ 서로 아끼며 살자.

④ 실수는 고치도록 노력하자.

⑤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된다.

성 이루다

家和萬事成

月出: 달이 뜸.

A愛國: 나라를 사랑함.

B

深 讀 文 出 夜 作 書 日

3.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단어를 한자로 써 보자.

20◯◯. ◯◯. ◯◯.

Page 7: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23 가족 이야기

028 II. 한문과 우리

Page 8: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孝’가 무엇인지 묻는 제자들에게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 오늘날 효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맛있는 음식과 좋은 옷으로 부모님을 봉양만 잘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개나 말과 같은 짐승들도 모두 어미를 봉양할 줄 아니, 부모님을 공경하는 마음이 없다면 짐승과 무엇이 다르겠느

냐?”

이 밖에도 공자는 부모님께 항상 공손한 얼굴로 대하기란 어려운 일이라고도 했다. 이처럼 효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님을 존경하고 사랑하는 것이다.

진정한 효도란?생각다지기

•한자로 이루어진 일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한다.

族 족 겨레, 씨족

母 모 어머니

夫 부 지아비

婦 부 며느리, 아내

兄 형 형

弟 제 아우

자 손위 누이

妹 매 누이

男 남 사내, 남자

생각쌓기

3.2 가족 이야기 029

아버지[父]와 어머니[母].

<예시> 父母 夫婦 子女

家族 ‘ ’

兄弟 妹 男妹

Page 9: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030 II. 한문과 우리

•家族 한 집안의 겨레붙이.•家: 집. → 가정(家庭). •族: 겨레, 씨족(氏族).

•夫婦 남편과 아내. •婦: 아내.

•子女 아들과 딸. •子: 자식. → 아들. •女: 여자. → 딸.

•兄弟 형과 아우.

• 妹 언니와 여동생.

•男妹 오라비와 누이. 또는 한 부모가 낳은 남녀 형제와 자매를 통틀어 이르는 말.

그림으로 그린 ‘孝’

오른쪽 그림은 ‘孝道’와 관련된 이야기를 활용하여 ‘孝’ 자를 표현한 문자도이다.

한겨울 병든 어머니께 잉어와 죽순을 구해 드린 왕상과 맹종의 이야기에서 ‘잉어’와

‘죽순’을, 홀아버지를 모시며 여름에는 베갯머리에서 부채질을 하여 시원하게

해 드리고 겨울에는 몸으로 이불을 데워 따뜻하게 해 드렸다는 황향의 이야기에

서 ‘부채’를 소재로 삼았다. 효도와 관련된 선인들의 마음가짐을 이해하고,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효도의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 보자.

인성 역량

•한자의 여러 가지 뜻

집 家屋

家(가) 가족 家風

전문가 大家

•뜻이 비슷한 한자

아내 婦(부) 婦人

妻(처) 妻家

예⃞ 妙技를 부리다.

예⃞ 姓名을 부르다.

예⃞ 好人으로 소문나다.

예⃞ 동갑내기와 結婚하다.

女녀 여자

•女: 다소곳이 꿇어앉은 여자의 모습을 본뜬 글자.

‘孝’ 문자도 ▶

Page 10: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모 어머니

3.2 가족 이야기 031

思思

다음 그림을 보며 빈칸에 가족 구성원과 관계있는 한자를 써 보자.

① 子 ② 女 ③ 兄

④ 父 ⑤ 妹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보기>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 ‘夫’와 음이 같다. •‘母’와 짝을 이룬다.

屋 옥 집

風 풍 바람, 풍속

大 대 크다

妻 처 아내

妙 묘 묘하다

技 기 재주

姓 성 성

婚 혼 혼인하다

結 결 맺다

道 도 길, 도리

祖 조 할아버지

外 외 바깥, 외가

2. 빈칸에 <보기>의 단어를 넣어 문장을 완성해 보자.

⑴ 언니와 나는 서로 꼭 닮은 쌍둥이 다.

⑵ 라이트 는 세계 최초의 동력 비행기 제작자이다.

家族 兄弟 夫婦 妹

父아버지

祖父할아버지

外祖母외할머니

弟남동생

나누나

어머니

형 여동생

할머니

외할아버지

Page 11: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함께 살아가며14

往 왕 가다 來 래 오다 宅 택 집 共 공 한가지, 함께 最 최 가장

善 선 착하다, 좋다 東 동 동녘 西 서 서녘 南 남 남녘 北 북 북녘

美 미 아름답다 良 량 어질다, 좋다 俗 속 풍속 獨 독 홀로, 단 하나의 不 불 아니다

共同 最善

032 II. 한문과 우리

往來 가다 오다

가고 옴.

한자 어휘

한자 뜻

우리말 풀이

住宅 살다 집

사는 집.

한자 어휘

한자 뜻

우리말 풀이

Page 12: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소리 내어 읽는다.

4.1 함께 살아가며 033

東西南北

美風良俗

獨木不成林

Page 13: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034 II. 한문과 우리

東西南北과 前後左右

‘東西南北’은 항상 일정한 방향을 가리키지만, ‘前後左右’는 내가 서 있는 위치와 방향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 예를 들면, 해는 늘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지만, 나에게 왼쪽은 나와

마주 보고 있는 사람에게는 오른쪽이 된다. 이렇게 우리 일상생활에서 ‘동서남북’과 ‘전후좌우’가

사용되는 예와 그 차이점을 알아보자. 이를 통해 한자 어휘 속에 담긴 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길러 보자.

정보 처리 능력

•모양이 비슷한 한자

住(주) 살다 住所

注(주) 붓다, 마음 쓰다

注目

•뜻이 여러 가지인 한자

善(선)

착하다 善惡

잘하다 善處

•住宅 사는 집. ⇨ 사람이 들어가 살 수 있게 지은 건물.

• 共同 함께 (무엇을) 같이함. ⇨ 둘 이상의 사람이나 단체가 함께 일을 하거나,

같은 자격으로 관계를 가짐.•수식 관계: ‘꾸며 주는 말’과 ‘꾸밈을 받는 말’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의 짜임. •同: 같다. → 같이하다.

•最善 가장 좋음. ⇨ 가장 좋고 훌륭함. 또는 온 정성과 힘.•善: 좋다, 훌륭하다.

•東西南北 동쪽과 서쪽과 남쪽과 북쪽. ⇨ 모든 방향.•병렬 관계: 성분이 같은 말들이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단어의 짜임.

•美風良俗 아름다운 기풍과 좋은 풍속. •수식 관계+수식 관계 •風: 바람. → 기풍, 풍속.•바르게 소리 내어 읽기: 미풍량속 → 미풍양속

•獨木不成林 단 하나(한 그루)의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함.

•獨: 홀로. → 단 하나의.

개인의 역량은 한계가 있어 큰일을 이루지 못함.

우회전!

• 두음 법칙: ‘ㄹ’과 ‘ㄴ’이 단어의 첫머리에 발음되는 것을 꺼려 ‘ㅇ’이나 ‘ㄴ’으로 발음되는 일.

예⃞ 樂園: 락원 → 낙원

• ‘不’은 ‘ㄷ’이나 ‘ㅈ’ 앞에서는

‘불’이 ‘부’로 발음된다.

예⃞ 不正: 불정 → 부정

Page 14: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불, 아니다

④ ㉣: 성, 이루다 ⑤ ㉤: 재, 재목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한자의 음과 뜻으로 옳지 않은 것은?

所 소 바, 곳

注 주 붓다, 마음 쓰다

目 목 눈

惡 악 악하다

處 처 곳, 처리하다

園 원 동산

正 정 바르다

前 전 앞

後 후 뒤

左 좌 왼쪽

右 우 오른쪽

必 필 반드시

勝 승 이기다

2. 밑줄 친 부분의 음을 써 보자.

과거에 아름답고 좋았던 풍속을 넘어 현대에도 여전히 가치가 있는 전통을

美風良俗이라고 한다.

다음 단어 카드 중 <보기>와 같이 ‘~와(과) ~’로 풀이되는 것에는 ‘◯’ 표시

를, ‘~의(하는) ~’로 풀이되는 것에는 ‘ ’ 표시를 해 보자.

大小: 큼과 작음. 必勝: 반드시 이김.

3. 빈칸에 방향과 관계있는 한자를 써 보자. 량 어질다

往來 共同 住宅 最善

Page 15: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24 동네 이야기

036 II. 한문과 우리

Page 16: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한자로 이루어진 일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한다.

商 상 장사

街 가 거리

公 공 공평하다, 여러

路 로 길

飮 음 마시다

食 식 먹다

店 점 가게

敬 경 공경

老 로 늙다

堂 당 집

停 정 머무르다

留 류 머무르다

場 장 마당, 장소

將 장 장수

軍 군 군사

地 지 땅

생각쌓기

상점[商]들이

늘어서 있는 거리[街].

<예시> 商街 公園 道路

飮食店 敬老堂 停留場

○○경로당

4.2 동네 이야기 037

옛날, 마을 어귀에는 대개 ‘天下大將軍(천하대장군)’, ‘地下女將軍(지하여장군)’이라고 쓰인 남녀 한 쌍의

장승이 세워져 있었다. ‘장승’은 돌이나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긴 것으로, 사람들은 장승을 5리나 10리 간격으로

세워 거리를 표시하거나 마을과 마을 사이를 구분했다. 옛날 사람들은 이 장승이 나쁜 기운이나 전염병으로부터 마을을

지켜 준다고 믿어 장승을 수호신으로 여겼다. 또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 끝에 얹은 ‘솟대’ 역시 장승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마을 지킴이 ‘장승’과 ‘솟대’생각다지기

Page 17: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038 II. 한문과 우리

•公園 공용 정원. ⇨ 공공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정원.•公: 공평(公平). → 공공(公共), 공용(公用).

•道路 길.•道: 길. •路: 길.

•敬老堂 노인을 공경하는 집. ⇨ 노인들이 모여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마련한

집이나 방.

•停留場 잠시 머무르는 장소. ⇨ 버스나 택시 따위가 사람을 태우거나 내려 주기

위하여 잠시 머무르는 일정한 장소.•停留: 잠시 머무름.

서로 도우며 살았던 우리 조상들

우리 조상들은 품앗이, 두레, 계, 향약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이웃과 함께 삶을

나누고 서로 도우며 살았다. ‘품앗이’는 농촌에서 서로 노동력을 교환하는 방식이

다. 어떤 이가 남의 집에 가서 농사나 개인적인 일을 도와주면, 도움을 받은 사람도

대가 없이 도와준 사람의 일을 해 주었다. ‘두레’는 품앗이가 마을 단위로 조직된 것

이다. ‘계’는 주로 경제적인 도움을 주고받거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향약’은 이웃 간에 사이좋게 지낼 수 있도록 만든 自治 규약으로, 사람들은

향약을 기준으로 삼아 지역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예방하고 해결해 나갔다.

선인들의 이러한 相扶相助의 정신을 생각하며, 현재 내가 속한 공동체의

문제 해결 및 발전을 위해 스스로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인성 역량

•뜻이 반대인 한자

公(공) 여러 公告

私(사) 사사롭다 私席

모내기 ▶

예⃞ 伐木으로 산림이 파괴되다.

예⃞ 信仰을 가지다.

예⃞ 偉大한 업적을 남기다.

예⃞ 지팡이에 몸을 依支하다.

•人: 서 있는 사람의 옆모습을 본뜬 글자.

人( )인 사람

Page 18: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4.2 동네 이야기 039

思思

다음 퍼즐에서 우리 동네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을 찾아 단어에 표시해 보자.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① 私 ② 停 ③ 老

④ 孝 ⑤ 場

1. 밑줄 친 한자와 뜻이 반대인 것은?

公園

① 商街 ② 依支 ③ 偉大

④ 自治 ⑤ 道路

2. 빈칸에 들어갈 단어로 알맞은 것은?

어머니의 사랑은 하다.

3. 빈칸에 <보기>의 단어를 넣어 문장을 완성해 보자.

⑴ 에서 버스를 기다렸다.

⑵ 이 은 음식 맛이 좋아 손님들로 북적인다.

⑶ 할아버지는 아침을 드시면 에 나가 친구 분들과 어울리신다.

飮食店, 停留場, 敬老堂

조 돕다

告 고 고하다

私 사 사사롭다

席 석 자리

伐 벌 치다, 베다

信 신 믿다

仰 앙 우러르다

偉 위 크다

依 의 의지하다

支 지 지탱하다

自 자 스스로

治 치 다스리다

扶 부 돕다

助 조 돕다

Page 19: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040 II. 한문과 우리

入 입 들다, 들어가다 登 등 오르다 校 교 학교 歸 귀 돌아가다 難 난 어렵다

多 다 많다 情 정 뜻, 정 感 감 느끼다 百 백 일백 聞 문 듣다

如 여 같다 見 견 보다

040 II. 한문과 우리

학교에 들어가서15

下校 歸家

入學 들어가다 학교

학교에 들어감.

한자 어휘

한자 뜻

우리말 풀이

登校 오르다 학교

학교에 오름(감).

한자 어휘

한자 뜻

우리말 풀이

Page 20: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3.1 집이 화목하면 041

한서(漢書)_ 중국 후한(後漢) 때 반고(班固, 32~92)가 지은 역사책.

5.1 학교에 들어가서 041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토가 달려 있는 글을 토의 역할에 유의하여 바르게 끊어 읽는다.

難兄難弟

多情多感

百聞이 不如一見이니라. 『한서』

Page 21: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042 II. 한문과 우리

•下校 학교에서 내려옴. ⇨ 학교에서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옴.•술보 관계: ‘서술어’와 ‘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의 짜임.

•歸家 집으로 돌아감.

•難兄難弟 형이라고 하기도 어렵고, 아우라고 하기도 어려움. 두 사물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하기 어려움.

•술보 관계+술보 관계

•多情多感 정이 많고 감정이 풍부함.

•百聞, 不如一見.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직접 경험해 보는 것이 간접적으로 들어 아는 것보다 더욱 확실함. •百: 일백. → 여러 번, 많이. •不如: ~만 못하다.•토의 역할에 유의하여 바르게 끊어 읽기

⑴ 제시의 토: ‘~이’, ‘~는’ 예⃞ 百聞이 不如一見이니라.

⑵ 종결의 토: ‘~이니라’, ‘~하니라’ 예⃞ 百聞이 不如一見이니라.

•뜻이 반대인 한자

難(난) 어렵다 難解

易(이) 쉽다 便易

•모양이 비슷한 한자

如(여) 같다 如前

知(지) 알다 知識

‘難兄難弟’의 유래

아래 만화를 통해 ‘難兄難弟’의 유래를 알아보고, 내가 알고 있는 ‘실력이 비슷함’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나아가 한자 어휘를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길러

보자.

의사소통 능력

우리 아버지가 더 훌륭하셔!

아냐~ 우리 아버지가 더 훌륭하셔!

할아버지, 저희 아버지들 가운데 누가 더 훌륭한가요?

글쎄다. 너희들의 아버지는 모두 훌륭해서 누구를 형이라 하고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렵겠구나.

• 토(吐): 한문을 읽을 때 끊어 읽는 곳에 붙이는 우리말로 된 조사나 어미.

Page 22: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5.1 학교에 들어가서 043

思思

풀이 순서에 유의하여 한자 카드를 이용해 단어를 만들어 보자.

2. 문장의 풀이로 옳은 것은?

① 백 번 듣는 것과 한 번 보는 것이 같다.

②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보다 낫다.

③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④ 한 번 보는 것보다 백 번 보는 것이 낫다.

⑤ 한 번 듣는 것이 백 번 보는 것보다 못하다.

百聞이 不如一見이니라.

解 해 풀다

易 역 바꾸다 이 쉽다

便 편 편하다

知 지 알다

識 식 알다

- 수련 활동 시 유의 사항 -

가. 수련 활동을 하는 동안 질서와 규칙을 잘 지킨다.

나. 승하차 시 질서를 지키고, 승차 후에는 지정된

좌석에 앉아서 안전띠를 맨다.

다. 학교에 도착하면 곧장 집으로 돌아간다.

① 多情

② 入學

③ 登校

④ 兄弟

⑤ 歸家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3. 그림과 관련된 성어를 써 보자.제 아우

1. 학교에 들어감. 2. 학교에 오름(감). 3. 정이 많음.

入 登 家 多 校 學 歸 情

Page 23: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044 II. 한문과 우리

25 학교 이야기

Page 24: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5.2 학교 이야기 045

•한자로 이루어진 일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한다.

訓 훈 가르치다

敎 교 가르치다

室 실 집, 방

生 생 나다, 사람

空 공 비다

책 책

科 과 과목

時 시 때

間 간 사이

表 표 겉, 표

講 강 외다, 익히다

생각쌓기

‘서당’은 옛날의 기초 교육 기관이었다. 서당에서는 『천자문』, 『동몽선습』, 『명심보감』 등을 배웠다. 공부한 글을

외우고 뜻을 풀이하고 훈장님의 질문에 대답하는 ‘講(강)’이라는 시험을 매일 또는 5일이나 10일, 보름이나 한 달

에 한 번씩 치렀다. 통과하지 못하면 회초리로 종아리를 맞거나, 손을 들고 서 있거나, 냉수를 마시는 등의 벌을 받

았다. 이런 반복 학습을 통해 한 권의 책을 모두 익히면 떡과 간단한 음식을 준비해 훈장님께 대접하고 친구들과

나누어 먹기도 했는데, 이를 ‘책거리’또는‘책씻이’라고 했다.

옛날 서당에서는? 생각다지기

學校 ‘ ’

학교[校]의 가르침[訓].

<예시> 校訓 敎室 學生

空 敎科書 時間表

시간표

교훈

Page 25: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046 II. 한문과 우리

성균관 유생의 일상

‘성균관(成均館)’은 조선 最高의 교육 기관으로, 성균관의 유생(儒生)들은 모두

기숙사에서 생활했다. 날이 밝기도 전에 북소리가 울리면, 유생들은 일어나 세수를

하고 복장을 단정히 한 뒤에 식당에 들어가 출석을 표시하고 식사를 했다. 식사를 마

치면 明倫堂으로 가서 수업을 받았고, 수업을 마칠 때는 배운 내용을 평가받았다.

수업이 끝난 후에도 잠들기 전까지 각자의 방에서 공부를 하며 하루를 마쳤다. 교관

은 유생들의 생활 태도를 관찰하여 선악부에 기록했고, 이것은 과거 시험에 응시하

는 유생에 대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성균관 유생의 일상과 나의 일상 사

이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해 보면서,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 능력을 길러 보자.

창의적 사고 능력

• 校訓 학교의 가르침. ⇨ 학교의 이념이나 목표를 간단명료하게 나타낸 표어.

• 敎室 가르치는 방. ⇨ 교사가 학생에게 학업을 가르치는 장소. 또는 학교나 연

구 기관 따위에서 교수 및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

•空 비어 있는 책. ⇨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도록 백지로 매어 놓은 책.

•敎科書 교과의 책. ⇨ 학교에서 교과 과정에 따라 주된 교재로 사용하기 위하

여 편찬한 책. 또는 해당 분야에서 모범이 될 만한 사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敎科: 교육 과목. → 학교에서 교육의 목적에 맞게 가르쳐야 할 내용을 계통적으로 짜 놓은 일정한 분야.

•時間表 시간의[어떤 시간을 나타내는] 표. ⇨ 시간을 나누어서 시간대별로 할

일 따위를 적어 넣은 표.

•모양이 비슷한 한자

校(교) 학교 校服

交(교) 사귀다 交友

•뜻이 비슷한 한자

(책) 書

책 卷(권) 卷數

典(전) 字典

•子: 아기의 모습을 본뜬 글자.

子자 아들

예⃞ 첫째 孫子가 태어났다.

예⃞ 學年이 바뀌었다.

예⃞ 부모님께 孝道하다.

예⃞ 한글은 표음 文字이다.

▲ 성균관 명륜당의 내부 모습

Page 26: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5.2 학교 이야기 047

思思

우리 학교의 ‘교훈’을 쓰고 ‘교표’를 그리며, 그 의미를 생각해 보자.

① ② 間 ③ 時 ④ 表 ⑤ 書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빈칸에 들어갈 것으로 알맞은 것은?

은 종이가 발명되기 전 대나무 조각에

글자를 기록하여 끈으로 엮은 모양을 본떠

서 만든 글자이다.

3. 빈칸에 <보기>의 단어를 넣어 문장을 완성해 보자.

⑴ 동생은 나보다 한 아래이다.

⑵ 은 학교에서 학생들이 규정에 따라 입도록 한 옷이다.

最高 空 學年 校服

服 복 옷

交 교 사귀다

友 우 벗

卷 권 책

典 전 법, 책

字 자 글자

年 년 해

高 고 높다

明 명 밝다, 밝히다

倫 륜 인륜

2.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잘못 나타낸 것은?

① ㉠: 中學生 ② ㉡: 敎室 ③ ㉢: 時間表

④ ㉣: 敎科書 ⑤ ㉤: 敎訓

㉠중학생이 되어 어색하기만 했던 ㉡교실이 이제는 제법 익숙해졌다. 매번 ㉢시간

표에 따라 다른 ㉣교과서를 준비하는 것이 번거롭긴 하지만, 새로운 선생님을 만난다

는 것은 매우 설레는 일이다. 우리 학교의 ㉤교훈이 ‘성실’인 만큼 선생님들은 성실한

생활 태도를 매우 강조하신다.

책 책

교훈(校訓)_ 학교 이념이

나 목표를 간명하게 나타낸

표어

교표(校標)_ 학교를 상징

하는 무늬를 새긴 휘장

쓰기 또는 그려 보기

교훈

(校訓)

교표

(校標)

의미

Page 27: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048 II. 한문과 우리

⑴ 주술 관계: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의 짜임. 예⃝ 日出[해가 나옴(뜸).]

⑵ 술목 관계: ‘서술어’와 ‘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의 짜임. 예⃝ 讀書[책을 읽음.]

⑶ 술보 관계: ‘서술어’와 ‘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의 짜임. 예⃝ 歸家[집으로 돌아감.]

⑷ 수식 관계: ‘꾸며 주는 말’과 ‘꾸밈을 받는 말’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의 짜임.

예⃝ 住宅[사는 집.] - 명사류 수식 / 最善[가장 좋음.] - 동사류 수식

⑸ 병렬 관계: 성분이 같은 말들이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단어의 짜임.

예⃝ 往來[가고 옴.] - 상대 관계 / 道路[길.] - 유사 관계

단어의 짜임1

⑴ ‘가족’ 관련 일상용어

예⃝ 父母, 夫婦, 子女, 兄弟, 妹, 男妹

⑵ ‘동네’ 관련 일상용어

예⃝ 商街, 公園, 道路, 飮食店, 敬老堂, 停留場

⑶ ‘학교’ 관련 일상용어

예⃝ 校訓, 敎室, 學生, 空 , 敎科書, 時間表

가족 ·학교 ·동네 관련 일상용어4

토의 역할에 유의하여 바르게 끊어 읽기

⑴ 제시의 토: ‘~이’, ‘~는’ 예⃝ 百聞이 不如一見이니라.

⑵ 종결의 토: ‘~이니라’, ‘~하니라’ 예⃝ 百聞이 不如一見이니라.

3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소리 내어 읽기 2•美風良俗(미풍량속 미풍양속)

•樂園(락원 낙원)

•不正(불정 부정)

Page 28: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단원 평가 049

1. 다음 중 풀이 순서가 다른 하나는?① 日出 ② 歸家 ③ 最善 ④ 往來 ⑤ 夜深

① 夫婦 ② 家族 ③ 住宅 ④ 入學 ⑤ 兄弟

3. 다음 중 학교와 가장 관계있는 것은?

① 公園: 공부 ② 商街: 상점 ③ 道路: 도로 ④ 食堂: 식사 ⑤ 敎室: 교가

4. 단어의 음이 옳은 것은?

5. 빈칸에 들어갈 단어를 한자로 써 보자.

2. 다음 중 <보기>의 단어와 짜임이 같은 것은?

① 共同 ② 下校 ③ 最善 ④ 作文 ⑤ 住宅

讀書

6. 다음 성어의 음을 써 보자.⑴ 美風良俗: ⑵ 東西南北:

㉠ ㉡ ㉢ ㉣ ㉤

獨 木 不 成 林

7. 풀이 순서가 옳은 것은?

① ㉠ → ㉡ → ㉢ → ㉣ → ㉤ ② ㉠ → ㉡ → ㉤ → ㉣ → ㉢ ③ ㉡ → ㉢ → ㉠ → ㉣ → ㉤

④ ㉢ → ㉣ → ㉠ → ㉡ → ㉤ ⑤ ㉢ → ㉣ → ㉤ → ㉠ → ㉡

월 화 수 목 금

1교시 국어 체육 사회 도덕 한문

영어 역사 국어 음악 수학2교시

( )

Page 29: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뒷면

1. 자신의 이름, 동네 이름, 학교 이름 등을 한자로 쓸 수 있도록 준비한다. 2. 지금 나의 모습을 성찰하면서 내가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3. 구체적인 수식어를 포함한 나의 장래 희망을 생각해 본다. 예⃞ 동물의 마음까지 알아주는 수의사

4. 명함의 ‘앞면’에는 현재의 내 모습으로, ‘뒷면’에는 미래의 내 모습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꾸며 본다.

5. 완성되면 친구들 앞에서 발표한다.

앞면

( 特別市) (鍾路區)

(希望中學校)

‘명함’ 예시▶▶

050 II. 한문과 우리

(金 誠 實)

(金 誠 實)

Page 30: 한문과 우리1)/%EC%A4... · 2020-03-06 · 4.1 함께 살아가며 035 思 思 獨 木 不 成 林 ㉠ ㉡ ㉢ ㉣ ㉤ ① ㉠: 독, 단 하나의 ② ㉡: 목, 나무 ③ ㉢:

앞면 뒷면

내 모습

한글

한자

로마자

특기취미

동네 이름

(한자로)

학교 이름

(한자로)

나의

장래 희망

보다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이름

단원 마무리 활동 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