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지역천주교공소학교와나바위계명학교 „병구.pdf · 2020. 1. 16. ·...

28
77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 전병구 ** |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 목차 > 머리말 1.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 2. 나바위 성당 계명학교 3. 맺음말 4. 이 논문은 년 제 회 익산학 심포지엄 원광대학교 익산학연구소 주최 * 2019 5 ( , 2019.1 에서의 발표문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을 수정 1.7.) · 보완한 것임.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교사 ** 국문초록 전라도는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이주하여 개항 이후 전국에서 천주교 신자가 가장 많은 곳이었다 익산은 전라도 북 . 단에 자리 잡고 있어서 일찍부터 천주교 신자와 공소 가 많았다 한국천주 . 교 초기 지도자들과 선교사들은 다양한 신앙 서적을 한글 번역하여 한글은 천주교의 공용어가 되었다. 선교사들은 신자들이 쉽게 교리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한글과 한문을 가 르치고자 하였는데 그 방법으로 공소학교 를 운영하였다 익산에서도 , . 189 년에 여산 시오목 공소학교를 시작으로 년 나바위 공소학교가 등장 4 1895 하였다 년에는 여산 시오목 외에 용안 함박재 와 돈다뫼 함열 . 1899 ’, 락이 와 댁말 개 공소학교에 명의 학생이 있었다 년에는 함열 5 13 . 1900 장구재 익산 오산리 노적리 피뫼 가 추가되어 개 공소학교에 학생 ’, ’‘ ’‘ 7 18

Upload: others

Post on 18-Sep-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77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1)

    전병구**2) |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 목 차 >머리말1.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2.나바위 성당 계명학교3.맺음말4.

    이 논문은 년 제 회 익산학 심포지엄원광대학교 익산학연구소 주최* 2019 5 ( , 2019.1에서의 발표문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을 수정1.7.) ·「 」

    보완한 것임.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교사**

    국문초록

    전라도는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이주하여개항 이후 전국에서 천주교 신자가 가장 많은 곳이었다 익산은 전라도 북.단에 자리 잡고 있어서 일찍부터 천주교 신자와 공소가 많았다 한국천주‘ ’ .교 초기 지도자들과 선교사들은 다양한 신앙 서적을 한글 번역하여 한글은천주교의 공용어가 되었다.선교사들은 신자들이 쉽게 교리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한글과 한문을 가

    르치고자 하였는데 그 방법으로 공소학교를 운영하였다 익산에서도, ‘ ’ . 189년에 여산 시오목 공소학교를 시작으로 년 나바위 공소학교가 등장4 ‘ ’ 1895하였다 년에는 여산 시오목 외에 용안 함박재와 돈다뫼 함열 두. 1899 ‘ ’ ‘ ’ ‘ ’, ‘락이와 댁말 등 개 공소학교에 명의 학생이 있었다 년에는 함열’ ‘ ’ 5 13 . 1900장구재 익산 오산리 노적리 피뫼가 추가되어 개 공소학교에 학생‘ ’, ‘ ’ ‘ ’ ‘ ’ 7 18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78

    머리말1.

    한국천주교는 이승훈 이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돌아온 년을 창설( ) 1784李承薰

    연도로 본다 그해에 전주 유항검 은 이종사촌 윤지충 을 통해. ( ) ( )柳恒儉 尹持忠

    명으로 전라도에서 가장 많았다.공소학교는 연속적으로 운영되지도 못하였고 경제 상황도 매우 열악하였

    다 학생 수도 적었고 학교의 유지 여부도 교사나 학생에 따라 유동적이었.다 개신교 학교가 도회지에서 대규모로 운영되고 중등 고등교육까지 성장. ,한 것과는 달리 천주교 공소학교는 산골의 소규모 서당과 비슷했다 개신교.학교의 상당수가 오늘날까지 맥을 이어온 것과는 달리 공소학교는 거의 사라졌기 때문에 그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공소학교는 개신교 학교.나 공립학교보다 이른 시기에 교육의 혜택이 미치지 않던 산골에서 근대교육을 하였다 또 개신교 학교와는 달리 한글을 교육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공소학교 중에는 통감부 시기에 나바위성당 계명학교처럼 보통학교 인가

    를 받기도 하였다 년 공소학교로 출발한 계명학교는 년 베르모렐. 1895 1908신부에 의해 보통학교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교육령을 따르지 못해.비인가학교의 처지였으나 꾸준히 성장하였다 그러다가 년 강경공립보. 1924통학교에 다니던 나바위성당 학생들이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퇴학을 당하면서 본당신부와 강경공보 교장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더니 년 계명학교가1926돌연 폐교하고 말았다 년 후인 년 이약슬 신부에 의해 복교되었고. 3 1929 1

    년에는 교사 명에 학급 명의 학생이 다니는 큰 학교가 되었다933 4 4 125 .일제강점기 계명학교는 년제 비인가 학교로 계명학원이라고 하였다 계4 .

    명학교는 년에 직원이 명이고 학생이 명까지 늘었지만 년 망1936 5 225 1944성국민학교 분교가 되었다 해방 후 학교를 되찾았으나 년 폐교하면서. 1947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나바위 계명학교는 일제강점 말기 전라북도 천주교.학교 중 전동성당 해성심상소학교 다음으로 큰 학교였다.

    주제어 익산 공소학교 계명학교 베르모렐 나바위, , , ,▣ :

  • 전병구

    79

    윤지충의 고종사촌인 정약용 형제를 만나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았다( ) .丁若鏞

    그리고 전라도 책임자가 되어 고향 초남이완주군 이서면 남계리에서 전교를( )

    시작하였다 윤지충은 년에 세례를 받고 년 신해 진산 사건으로. 1786 1791 ( )珍山

    전동성당 자리에서 참수되어 최초의 천주교 순교자가 되었고 유항검 일가는, 1

    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여 치명자산 인 공동 묘에 묻혀있다801 7 .1)

    박해를 받으면서도 천주교 신자들이 꾸준히 증가하자 로마 교황청은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에 조선 전교를 맡겼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순교를 각오하고 입.

    국하여 전교하였고 신자도 꾸준히 늘어 년 병인박해 당시 만 천여 명에, 1866 2 3

    이르렀다.2) 흥선대원군이 일으킨 병인박해로 국내에서 활동하던 프랑스 선교사

    명 중 명이 순교하였고 희생된 신자들은 천 명에 이르렀다 이후 흥선대원12 9 8 .

    군이 하야하고 일본에 의해 개항되어 서구와의 수교가 이어졌는데 년 한1886 ·

    불 수교가 체결되면서 천주교 선교사들의 활동이 자유로워졌다.3)

    선교 자유가 허용되자 선교사들은 신자 마을인 공소( )公所 4)를 찾아 숨어 있던

    신자를 만나 세례를 주고 미사를 지냈다 충청도와 전라도 접경 지역인 익산과.

    고산 전라도 동부 산간지대인 진안 순창 태인 등지에는 신자들이 마을을 이루, , ,

    어 거주하고 있었다 전라도는 개항 이후 전국에서 천주교 신자가 가장 많았다. .5)

    그중 충청도 접경지역인 익산은 신자와 공소가 가장 많은 지역의 하나였다.

    년부터 프랑스 선교사들과 한국인 신부들은 매년 담당 지역 공소를 순회1882

    하고 교세통계표를 작성하여 보고하였다 교세통계표에는 신자 수와 세례자 수.

    를 비롯하여 학교와 학생 수 등 다양한 항목이 있다 년 제 대 조선교구장. 1890 8

    이 된 뮈텔 한국명(Gustave Charles Marie Mutel, , 1854~1933)閔德孝 6) 주

    1) 전라도 천주교 전래에 관해서는 주명준 천주교 전라도 전래와 그 수용에 관한‘ ,연구 윤지충 유항검 가계와 전도활동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

    가 있다1989.’ .2) 김진소 천주교 전주교구사 빅벨 쪽, , , 1998, 273 .Ⅰ3) 최석우 한불조약과 신교 자유 한국교회사의 탐구 한국교회사연구소‘ , , , , 198「 」

    가 있다2.’ .4) 공소는 사제 가 상주하는 본당과 달리 사제가 없는 신자 마을을 가리킨다‘ ’ ( ) .司祭5) 개화기 전라도 지역의 천주교 교세에 관한 연구로는 전병구 개화기 전라도의‘ , 「

    천주교 교세 공소 추이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논문 가 있다, , 1991.’ .– 」6) 뮈텔은 년 입국하여 년 서울에서 병사하였다 뮈텔문서 외에 년1880 1933 . 43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80

    교는 각종 서한과 보고서를 모았는데 이를 뮈텔문서 라고 한다 현재. 1882~1

    년까지 통계표가 남아있는데 년은 신자 수가 없고 년은 공소 별910 , 1882 1883

    로 분류가 안 되어있으며 년은 통계표 자체가 없어졌다 호남교회사1904~1908 .

    연구소 김진소 신부는 년 뮈텔문서 의 교세통계표 중 전라도 부분을 번역1987

    하여 자료집으로 발간하였다.7)

    개신교는 우리나라 근대교육의 중심이었고 우리나라 교육에 이바지한 바가

    매우 크다 개신교는 개항 이후 정부 당국의 박해를 받지 않고 대도시를 중심.

    으로 선교 활동을 할 수 있었고 도회지를 중심으로 학교를 시작하여 중등 고,

    등교육까지 확대하였다 개신교가 설립 운영한 학교는 규모도 크고 그 수가 매.

    우 많았으며8) 상당수 학교가 오늘날까지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개항 이후 개.

    신교 선교사들은 교회마다 학교를 세우려고 하였다.9)

    그만큼 우리 역사에서 근대교육은 개신교가 선도하였고 개신교가 대세였으며

    근대교육에 대한 연구도 개신교 학교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개신교에 비해 교.

    세도 작고 교육도 열세인 천주교는 근대교육이라는 말조차 생소하고 그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천주교는 오랜 박해로 신자들이 산골로 숨어들었고 신앙의 자유가 허용된 후,

    에도 일반인의 부정적인 인식이 쉽게 바뀌지 않아 크고 작은 충돌이 일어났

    다.10) 그러면서도 천주교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늘어났고 지역사회와 융합하며

    동안의 뮈텔주교 일기 가 있다 그는 매년 한국천주교 상황을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 본부에 보고하였는데 이 보고서들은 년 명동천주교회 년사 자, 1984 200료집 서울교구 연보 로 출간되었다( ), ( ) .Ⅰ Ⅱ

    7) 호남교회사연구소, 천주교 전주교구사 연구자료집 교세통계표2, - - , 1987.8) 한국근대사기초자료집 개화기의 교육 교육 통계 외국인이 설립한‘ 2. . 2.〉 Ⅳ 〉

    각종 사립학교 수 년 월 일 현재 에 의하면 장로교 개 감리교(1910 2 15 )’ 501 , 158개 종파 미상 기독교 개 등 개신교 학교는 개였는데 천주교 학교는 개, 84 743 46였다.

    9) 전라북도학사조사 전라북도조사재료 전라북도사립학교일람표에 의, , 1910, ‘ ’「 」하면 전라북도 개 사립학교 중 교명 앞에 기독이라는 말을 붙인 학교는74 ‘ ’ 21개이다.

    10) 지방 관료나 주민에 의한 사사로운 천주교 탄압이나 충돌을 교안 이라고‘ ( )’敎案하는데 선교사나 천주교 신자가 저지른 교폐 와 구분되어야 한다 교안은, ‘ ( )’ .敎弊본래 국내법으로 다루지 않고 외교적으로 해결된 사안을 가리키는 용어로, 190

  • 전병구

    81

    정착해 나갔다 그런 방법의 하나가 바로 교육 활동이라고 본다 박해를 피해. .

    산골로 숨어들어 마을을 이루고 살았던 천주교 신자들은 공소에서 교리교육을

    위해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하였는데 이를 공소학교‘ ’11)라고 한다 익산 지역은.

    신자와 공소가 많아서 공소학교도 많았다 소규모 서당 같은 공소학교 중에는.

    나바위 계명학교처럼 보통학교로 성장한 학교도 있었다 계명학교를 비롯한 보‘ ’ .

    통학교는 당시의 언론 매체인 경향신문 과 동아일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뮈텔문서 중 교세통계표와 신문 기사 등을 분석하여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성당에서 설립한 계명학교를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

    다 장에서는 공소학교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장에서는 통감부 시기 보. 2 , 3

    통학교로 인가받아 해방 후에 폐교한 나바위성당 계명학교의 역사를 정리하였‘ ’

    다 선교 목적으로 교리교육을 위해 시작한 공소학교가 보통학교로 성장하면서.

    근대교육을 시행한 사실을 확인하고자 한다.

    익산은 천주교 박해 이후 전라도에서 가장 신자가 많았고 특히 공소학교가

    많았으며 나바위 성당 계명학교는 통감부 시기 전라도에서 가장 큰 천주교 보

    통학교였다 여기에서 익산은 현재 행정구역 상 익산시 전체로서 도제 가. ( )道制

    시행된 년 당시 익산 여산 용안 함열을 가리킨다1896 , , , .12) 이렇게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를 통해 천주교 근대교육의 실상과 의의를

    년대 초 해서 교안과 제주교안이 대표적인 사건이나 넓은 의미로는 천주0 ( ) ,海西교와 일반인들 사이에 일어난 작은 충돌까지를 포함한다 박찬식 한말 천주교. ,회와 향촌사회 교안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 박사논문 서종- , , 1995. ;태 한말 전라북도 천주교회와 지역사회의 갈등 전북지역 교안을 중심으로, ,「 – 」한국고전학연구소 연구총서 근현대 지역공동체 변화와 유교 이데올로기 사01 .상 종교 흐름 서종태 변주승 외 역 한국고전학연구소 번역총서· 1 , , 2016. ; , ,전라도교안 구한국외교문서 법안 흐름, , 2017.–

    11) 전병구는 에서 학생들을 가르친 소규모의 공부방을 공소학교라 칭하였다‘ ’ .公所전병구 일제강점 이전 전라도 천주교의 교육 현황과 활동 전북사학, , 46, 2「 」

    일찍이 김진소는 이를 서당식 학교라고 하였다 김진소 천주교 전주015. ; ‘ ’ . ,교구사 빅벨 쪽, , 1998, 693 .Ⅰ

    12) 임석규 익산 지역어 조사 연구를 위한 제언 익산학을 위한 토대 마련을, · ‘ ’「 –위하여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권 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17 3 , , 2016,」

    쪽 양은용 익산의 농업기반과 문화정체성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권110 . ; , , 19「 」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쪽3 , , 2018, 7 .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82

    찾고자 한다 전래 이후 유교 사회의 이단으로 줄곧 박해를 받아온 천주교가.

    근대교육을 통해 지역사회와 융합을 시도한 사실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2.

    익산은 병인박해 이후 충청도와 경기도 등지에서 박해를 피해 이주한 천주교

    신자들이 곳곳에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 나바위는 그보다 앞선 년 한국인. 1845

    첫 사제 김대건 신부가 중국에서 입국할 때 첫발을 디딘 곳이다 그 후 나바위.

    는 꾸준히 신자가 증가하여 교세 통계표를 작성하기 시작한 년부터 익산시1882

    신흥동 새실 함열읍 석매리 용왕골 공소와 함께 가장 먼저 등장하였다‘ ’, ‘ ’ .

    한편 여산 숲정이 일대는 전주 남문 밖 전동성당 전주 숲정이와 함께 대표적,

    인 순교 성지이다 년에 시작된 병인박해는 년 무진년까지 이어졌는데. 1866 1868

    당시 도호부였던 여산에서는 고산 용담 금산 진산 등지에서 잡아 온 천주교, , ,

    신자 명을 처형하였다 특히 여산 동헌에서는 도모지사 라고 하는26 . ( )塗貌紙死

    백지사 를 했다고 전해진다 여산 무진 박해 순교자 일부는 완주군( ) . ( )白紙死 戊辰

    비봉면 천호에 조성된 천주교 순교자묘지에 묻혀있다.

    년 교세 통계표에 기록된 익산 지역 공소는 모두 개이다 공소1882~1910 46 .

    수로만 보면 진안 고산 전주 보다 많고 정읍 다음으로 전라도(45), (44), (41) (59)

    두 번째다 이러한 추세는 오늘날까지 이어져 현재 익산에는 시내 개 본당. 11

    외에 함열 여산 용안 금마 황등 나바위 등 개 본당이 있다 진안 고창, , , , , 6 . , ,

    무주는 본당이 읍내에 하나밖에 없으니 읍면 단위에 이렇게 본당이 많은 지역

    은 익산이 유일하다.

    전라도는 년 한국 천주교의 창설과 함께 유항검이 가족 친지에게 교리를1784

    가르쳤고 한국 최초의 천주교 순교자 윤지충이 살았던 곳이다 그만큼 전라도는.

    일찍부터 천주교 신자가 많았는데 박해 이후에는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선교사.

    들은 그 이유 중 하나로 관찰사의 관대한 태도를 꼽기도 하였다.

    이웃 지방에서 박해가 한창일 때 전라도는 비교적 평온했습니다 한때는“ .

  • 전병구

    83

    올바르고 온화한 생각을 가진 감사가 신자들을 탄압하라는 명령을 거부한 일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인근 지방의 수많은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이 지방에.온 것도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그들은 이곳에서 비교적 평온하게 살면서 다른.곳보다 훨씬 긴밀하게 자기네들끼리의 연락을 유지하고 산 덕분에 박해의 폭,풍이 다소 가라앉은 뒤 쉽사리 이들은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13)

    전라도 관찰사들이 비교적 천주교에 관대하여 다른 지역 신자들이 박해를 피

    해 이주해왔다는 것이다.14) 지리적으로 경기도에서 충청도를 거쳐 전라도로 신

    자들이 이어졌고 신자들끼리는 비밀리에 연락하고 소통하고 있었기 때문에 신,

    자 마을을 찾아 모이기도 하였다 그 결과 개항 이후 전라도에는 전국에서 가.

    장 많은 천주교 신자가 있었다 구한말 도별 천주교 신자 수를 비교한 다음 표.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표 도별 천주교 신자 수 비교< 1> 15)

    년1897 년1901 년1903신자 수 비율 신자 수 비율 신자 수 비율

    황해도 1,162 3.2% 4,172 8.4% 5,486 9.7%평안도 1,919 5.3% 2,013 4.1% 3,105 5.5%함경도 592 1.7% 2,270 4.6% 2,270 4.0%강원도 5,571 15.2% 6,152 12.5% 7,010 12.3%경상도 4,060 11.1% 6,293 12.7% 7,005 12.3%제주도 · 94 0.2% 191 0.3%전라도 7,969 21.8% 10,587 21.4% 12,629 22.2%충청도 6,145 16.8% 6,619 13.4% 7,174 12.7%경기도 5,005 13.7% 6,315 12.8% 6,434 11.4%

    서울 기타, 4,126 11.2% 4,879 9.9% 5,467 9.6%계 36,549 100% 49,394 100% 56,771 100%

    13) 명동천주교회 년사 자료집 제 집 서울교구연보 명동천주교회200 1 ( ) , , 1984,Ⅰ쪽274 .

    14) 이동희 조선시대 전라감사의 출신 및 임용실태 전주학총서 전라감영연, , 14「 」구 전주역사박물관 전라문화연구소, · , 2008.

    15) 호남교회사연구소, 천주교 전주교구사 연구자료집 교세통계표2, - - , 1987. ;전병구 위 논문 쪽, , 9 .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84

    이 시기 전라도는 전국 천주교 신자 수 대비 가 넘었다 그리하여20% . 1877

    년부터 블랑 한국명 신부(Blanc, Marie Jean Gustave, , 1844~1890)白圭三

    가 전라도를 근거로 활동을 시작하였고 그 후에도 선교사가 다른 지역보다 많,

    이 파견되었다.16)

    한국천주교 초기 지도급 신자들은 일찍부터 중국에서 가져온 한문본 종교 서

    적을 한글로 번역하거나 풀이하였다 정약종은 최초의 한글 교리서인 주교요.

    지 를 썼고 한글 성경인 성경직해광익 과 한글 번역 교리서인 셩교요리문답,

    한글 기도서인 텬쥬셩교공과 등이 있다 그 결과 년 신유박해 때 관, . 1801

    청에서 압수한 천주교 서적 종 권 책 중 종 권 책이 한글123 117 199 , 86 111 128

    로 된 책이었다 이 중에는 성경 권 전례서 권 성사 권 기도서. 11 , 16 , ( ) 16 ,聖事

    권 묵상서 권 교리서 권 성인 전기 권 등이 있었다28 , 28 , 13 , 15 .17) 한글은 한국

    천주교의 공용어가 되었고18) 신자들은 한문이나 한글을 배워야 했다 이는. 188

    년 명동성당에서 시작한 최초의 천주교학교인 인현서당을 한한학원이라고2 ‘ ’ ‘ ’

    불렀던 데서도 알 수 있다.19)

    조선천주교 제 대 교구장 베르뇌 한국명4 (Berneux Simeon Fran ois, 張敬ç주교는 년 발표한 사목교서에서 부모들은 자녀들이 기도, 1814~1866) 1857 ‘一

    문과 교리를 배울 때 한글과 한문을 먼저 가르치라 라고 명시하였다.’ .20) 이에

    따라 베르뇌는 종교 서적의 한글 번역과 출판에 주력하였고 선교사들은 공소에

    소규모 서당식 학교인 공소학교를 만들어 신자들을 가르치면서 스스로 한글을

    배우려고 노력하였다.21)

    16) 년 블랑 선교사가 전라도에 상주한 이래 년 전국 명 중 명 년1877 1884 8 4 , 1897명 중 명 년 명 중 명의 선교사가 전북지역에서 활동하였다30 5 , 1909 47 6 .

    17) 김진소 천주교 전주교구사 빅벨 쪽 부요진사서, , , 1998, 367 . ; , 邪學懲Ⅰ 「 」쪽, 379~386 .義

    18) 김진소 위의 책 쪽, , 366 .19) 전병구 일제강점 이전 전라도 천주교의 교육현황과 활동 전북사학 전, , 46,「 」

    북사학회 쪽 김진소 위의 책 쪽, 2015, 215 . ; , , 632 .20) 장주교 윤시 제우서 순교자와 증거자들 한국교회사연( ) , ,張主敎輪示諸友書「 」

    구소 쪽, 1981, 169 .21) 프랑스 선교사들은 년대 후반 을 만들었고 년 한글 문법책1860 , 1881韓佛字典

    을 출간하였다.韓語文典

  • 전병구

    85

    전라도에 공소학교가 처음 등장한 시기는 년으로 확인되는데 이 해는 전1889

    라도에 비로소 본당이 세워진 때이다 고산과 진안 등 전라도 북부를 담당했‘ ’ .

    던 보두네 한국명 가 뮈텔(Baudounet, Fran ois Xavier, , 1859~1915)尹沙物ç주교에게 보낸 서한에서 학교 개와 학생 명을 보고하고 있다4 21 .22) 학교의 위

    치나 규모는 밝히지 않아서 곳에서 평균 명을 가르친 사실만 알 수 있다4 5 .

    선교사 보고서에 학교 수와 학생 수를 기록하기 시작한 것은 년부터이‘ ’ ‘ ’ 1892

    다 전주 보두네는 개 학교에 명 고산에 부임한 우도 한국명. 5 29 , (Paul Oudot.

    는 개 학교에 명의 학생을 각각 보고하였다 전라도 전, 1865~1913) 3 18 .吳保祿

    체에 학교 개에 학생 명이 있었다 이때 우도는 개 학교의 위치와 학생13 64 . 3

    수 및 운영 경비까지 상세히 보고하였다.23) 년 전국 통계를 보면 전라도1892

    는 전국 천주교 공소학교 개 중 개로 학생은 명 중 명으로34 13 38%, 215 64 3

    였다0% .

    년부터는 보고서에 학교와 학생 수를 기재하는 난이 생겨서 학교와 학1894

    생이 있는 공소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전라도 전체 개 학교에 학생 명. 6 35

    이 집계되었다 이때 익산 지역 첫 공소학교가 확인되는데 바로 명의 학생이. 3

    있었던 여산 시오목 공소였다 시오목 공소는 익산군 여산면 대성리‘ ’ . 24)에 있었

    고 년에 처음 등장하여 년까지 명 내외의 신자가 꾸준히 유지되었1887 1910 50

    다 시오목 공소학교는 년 이후에 사라졌다. 1909 .

    나바위는 년 명으로 공소학교를 시작하였으나 곧 사라졌다가 년부1895 1 1898

    터 다시 나타났다 년에는 여산 시오목 용안 함박재와 돈다뫼 함열 두. 1899 ‘ ’, ‘ ’ ‘ ’, ‘

    락이와 댁말 등 개 공소학교에 명의 학생이 있었다 년에는 함열 장’ ‘ ’ 5 13 . 1900 ‘

    22) 명동천주교회 년사 자료집 제 집 서울교구연보 명동천주교회200 1 ( ) , , 1984,Ⅰ쪽97 .

    23) 뮈텔문서 우도 신부 서한 년의 개 학교 운영 금액 차1893, ; 1892~93 3 : ‘돌백이 학생 명 냥 석장리 학생 명 냥 되재 학생 명 냥’, 10 , 40 . ‘ ’, 5 , 25 . ‘ ’, 3 , 15 .우도가 거주했던 차돌백이는 완주군 운주면 구제리 백석으로 년 신자 수‘ ’ , 1892가 명이나 된 당시 고산에서 가장 큰 공소였다 석장리는 운주면 용복리127 . ‘ ’,되재는 화산면 승치리이다‘ ’ ‘ ’ .

    24) 공소 위치는 김진소 신부가 답사를 통해 확인한 천주교전주교구사 연구자료‘집 제 집 지명조사보고서 호남교회사연구소 를 참조하였다1 , , 1987.’ .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86

    구재 익산 오산리 노적리 피뫼가 추가되어 개 공소학교에 학생 명으로’, ‘ ’ ‘ ’ ‘ ’ 7 18

    전라도에서 가장 많았다 이후 조금씩 줄어들다가 년 함열 용왕골과 용안. 1909 ‘ ’

    안대동만이 각각 명과 명을 유지하였고 나바위성당은 계명 보통학교‘ ’ 5 3 , ‘ ( ) ’啓明

    로 성장하였다 다음은 익산 지역 공소학교 현황이다. .

    표 익산 지역 연도별 공소학교 현황< 2>

    연도 지역 공소 학교 학생 연도 지역 공소 학교 학생

    1894 여산 시오목 1 3

    1900

    여산 시오목 1 1검못 1

    1895익산 문덕리 1

    용안 돈다뫼 2용안 동지뫼 1 5함박재 1여산 나바위 1 1

    1896용안 돈다뫼 1

    1901

    여산 검못 2

    여산 나바위 2함열

    용왕골 5

    1897 여산 시오목 1 3 댁말 1 2

    1898여산 시오목 1 1

    1902

    여산 두여리 1 2함열 댁말 1

    함열장구재 1

    여산 나바위 1 4 댁말 1 3

    1899

    여산 시오목 1 1용안

    안대동 1 4

    용안함박재 1 1 검못 1 3돈다뫼 1 2

    1903

    함열댁말 1 3

    함열댁말 1 5 용왕골 1 4

    두락이 1 4 익산 피뫼 2

    1900

    함열

    댁말 1 4용안

    돈다뫼 1 2

    두락이 1 3 안대동 1 4

    장구재 1 3

    1909

    함열 용왕골 1 5

    익산오산리 1 1 용안 안대동 1 3

    노적리 1 여산 나바위 1 25피뫼 1 2 계 30 123

    호남교회사연구소 천주교전주교구사 연구자료집 교세통계표* ‘ , 2, (1986)

    천주교 공소학교는 열악한 환경 때문에 꾸준히 유지되거나 성장하지 못하였다 지리적으로 소규모의 공소들이 멀리 떨어져 있고 경제적으로 학교에 보낼.

  • 전병구

    87

    형편이 안 돼 학비도 내지 못하였으며25) 교사를 구하기도 어려웠다.26) 상당수의 부모는 근대교육의 필요성도 절감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공소학교와 학생.은 끊임없이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하였다 학교당 학생 수도 매우 적어서.

    년까지 전라도 공소학교의 평균 학생 수는 명 정도였다 공부는 한문 한1903 5 . ,글과 산술을 기본으로 하였고 여학생에게는 바느질 등 가사도 가르쳤다.27)

    공소학교는 통감부 시기 보통학교령28) 과 사립학교령(1906) 29) 의 영향(1908)으로 더욱 어려워졌다 소학교를 보통학교로 바꾼 보통학교령에서 교원은 반. ‘ ’ ‘ ’드시 면허장을 가진 자만이 할 수 있다고 명시하였다 산골의 공소학교에서 자.격을 갖춘 교사를 초빙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런 상황에서도 최대한 공.소에는 소규모 교육기관을 두고 본당에서는 정규 보통학교를 운영하고자 하여

    년부터 본당마다 학교 설립을 추진하였다1907 .그런데 년 사립학교령 공포 이후 인가 문제가 대두하였다 사립학교령1908 ‘ ’ ‘ ’ .

    에 따라 모든 학교는 반드시 학부의 인가를 받아야 했기 때문이다 을사늑약.이후 전국에는 사립학교가 개에 달하였고 년 익산에도 개의 사립5,000 , 1910 11학교가 있었다.30)

    그러나 학교 설립 인가는 결코 쉽지 않았다 신설 학교뿐 아니라 기존 학교.도 새로 인가를 받아야 했는데 년 월 말까지 전국에서 인가를 신청한, 1909 4 1,

    개 학교 중 개만이 인가를 받았다708 242 .31) 나바위성당 베르모렐(Joseph Ver한국명 신부는 학부에서 계명학교 인가를 빨리morel, , 1860~1937)張若瑟

    내주지 않자 불만을 토로하기도 하였다.

    25) 명동천주교회 년사자료집 서울교구연보 명동천주교회200 ,1 ( ) , , 1984, 31Ⅰ쪽5~316 .

    26) 뮈텔문서 년 월 일자 베르몽 신부 서한1908 12 29 , .27) 명동천주교회 년사자료집 제 집 서울교구연보 명동천주교회200 1 ( ) , , 1984,Ⅰ

    쪽266 .28) 년 칙령 호 보통학교령에 의해 보통학교로 바뀌면서 수학 기간이 년으1906 44 4

    로 단축되었다.29) 년 사립학교령의 주요 내용은 사립학교 설립은 학부의 인가를 받아야 하1908 ‘ ’ ‘

    며 학부대신은 폐교를 명할 수 있다 는 것이었다 사립학교령.’ . ; , 1908.8.26.,「 」칙령 제 호62 .

    30) 전라북도학사조사 ,「 」 전라북도조사재료 전라북도공사립학교일람표, 1910, ‘ ’3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79)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88

    학교 운영 허가를 얻기 위해 저희는 두 차례나 학부에 필요한 교섭을 하였“습니다 이렇듯 회답이 늦어지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요 저. ··· ?희는 그 점이 의심스럽습니다 저희가 다시 한번 신청서를 제출해야 할. ···까요 아니면 더 기다려봐야 할까요 그리고 그런 허가가 정말로 꼭 있어야? ?하는 건지요?”32)

    베르모렐은 인가를 받으면 당국의 통제 때문에 자율성을 잃지는 않을지 인,가를 받아야 학교 운영에 유리할지 확신이 없어 갈등하고 있다.천주교 공소학교는 선교사들이 교리교육을 위해 시작한 소규모 학교지만 개

    신교가 도회지에 세운 근대학교나 갑오개혁 이후 등장한 관 공립학교보다도·앞서 한글과 산술 등을 가르쳤다.33) 규모도 작고 학교나 학생 수가 일정하지도않았으며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운영하지도 못하였으나 우리나라 근대교육의선구였다.공소학교는 재정도 빈약하고 교사를 확보하지 못해 쉽게 문을 닫았다 학생.

    들도 차츰 도회지 공립학교와 개신교 학교에 몰리면서 공소학교는 점점 쇠퇴하였다 또 오늘날까지 맥을 잇지 못하였고 중 고둥 교육 과정도 거의 없어서. ·그 존재조차 드러나지 않았다 그래도 개신교나 공립학교보다 앞서 한글을 가.르쳤고 개신교 학교와 달리 상대적으로 근대교육의 혜택이 덜 미치는 산골에서빈민을 대상으로 교육하였다는 의의가 있다.34)

    나바위성당 계명학교3.

    나바위는 년 베르모렐 신부가 부임하여 전라도 네 번째 본당이 되었다1897 .베르모렐은 강경으로 발령을 받았으나 화산 나바위 에 성당 터를 잡( ) [ ]華山 羅巖

    32) 뮈텔문서 년 월 일 자 베르모렐 신부 서한1909 7 3 , .33) 이만규 다시 읽는 조선교육사 살림터 쪽에 의하면 최초의 개‘ , , , 2010, 397 ’ ,

    신교 학교인 배재학당 학과목은 한문경서 사기 영어 천문 지리 생리 수‘ ( , ), , , , ,학 수공 성경 등이었다, ( ), ’ .手工

    34) 전병구 일제강점 이전 전라도 천주교의 교육 현황과 활동 전북사학, , 46 ,「 」쪽 전라도 천주교의 근대 초등교육 연구 전주대 박사학위 논문2015, 217 . ; , ,「 」쪽2017, 72 .

  • 전병구

    89

    았다 본래는 강경이 나바위보다 고을 규모도 크고 천주교 신자도 배 이상 많.았으나 본당 설립 후에는 나바위에 신자가 급증하였다 나바위 본당은 전라북.도 서북부와 충청남도 서남부 공소들을 담당하였는데 년 이후 전국에서 가1908장 큰 본당이 되었다 그리하여 년에는 용안 안대동 본당 년에는 논. 1910 , 1921산 본당을 분리하였으나 년에도 신자가 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1929 3,200다.35)

    베르모렐은 나바위에 오기 전인 년 금구 배재에서도 공소학교를 운영한1892경험이 있었다 나바위 부임 다음 해인 년 공소학교를 재건한 베르모렐은. 1898년 후인 년 월 일 계명학교를 설립하였다 그해 월 일 자 경10 1908 9 15 ‘ ’ . 12 18

    향신문 에는 다음과 같이 계명학교를 소개하는 기사가 실렸다.

    “ 화산 천주당 학교△화산 천주당학교 교장은 김두환 씨요 교사는 리종갑 씨요 학도는 삼십 명이

    며 공부상 열심히 간절하고 한 형제와 같이 화목하고 교장 교사가 교수에 간절하므로 일반 성도들이 크게 칭양하옵데다.”36)

    교장 김두환과 교사 이종갑 등이 학생 여 명과 함께 열심히 공부하고 있30다는 내용이다 다음 해 월 일에는 계명학교 학감 서재양이 지은 애국 권학. 1 1 ‘가가 신문에 소개되었는데 당시의 교육 목표를 잘 표현하고 있다’ .

    “ 애국 권학가△아세아주 대한제국 부상서일 밝아온다( )浮上瑞日천오백년 밝았더니 후일천년 밝아오네절승 강산 삼천리오 번화 인민 이천만에( ) ( )絶勝 繁華의관 문물 좋거니와 예악법고 더욱좋다( )衣冠전국상하 동포들아 희호세계 그만놀고( )熙晧世界강구연월 취한꿈을 다시깨어 진보하야( )康衢煙月부국강병 도모하고 문명사업 하여보세[ ]愛本國讚揚어화우리 학도들은 국민자격 일워보세수신제가 하온후에 공익 발달 힘을쓰세( ) ( )修身齊家 公益총명재덕 배양하고 충효절의 겸전 하야( ) ( )才德 兼全

    35) 김진소 위의 책 쪽, , 456~459 .36) 경향신문 년 월 일 자1908 12 18 .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90

    대순 증자 효법 하고 용방비간 표준삼아( ) ( ) ( ) ( )大舜 曾子 效法 龍 比干逄충군효부 대의무를 개인마다 담부 로세( )擔負일심단체 지극하면 대사성취 못할손가분골하고 쇄신토록 애국정신 잃지말세

    의[ ]學徒 氣像 達濶혁구종신 허다하니 천고 변태 이아닌가( ) ( ) ( )革舊從新 千古 變態동서학문 교과서는 명덕 신민 방침일세( ) ( )明德 新民중학대학 고등학을 활연 관통 졸업하고( )豁然팔괘 국기 높이들어 육대주에 특립 하니( ) ( )八卦 特立대한일월 명명하고 열강풍운 막막하다무궁화와 선리화 는 천만세에 태평춘을( )仙李花[ ]工業前進

    ”全羅北道 礪山 北一面 華山學校 學監 徐載陽 37)는 필자 주* ( ) .

    서재양의 애국 권학가는 다양한 사상을 동원하여 학생들에게 애국과 기상활달 공업전진 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천주교 교리와 관련된 내용은 전혀, .보이지 않고 유교 도교 증산교 등의 용어를 동원하여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밝혔다 계명학교가 단순히 선교를 위한 교리교육 차원을 넘어 당시 보편적인.근대교육을 지향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계명학교는 베르모렐 신부와 교장 교감을 중심으로 여러 임원과 학부형들이·

    기부한 돈으로 설립되었다 특별히 교장과 교감이 헌신적으로 학교를 경영하고.학생을 교육하였는데 이 사실도 경향신문 에 상세히 소개되었다.

    “ 계명학교 흥왕( )興旺△융희 년 월분에 전라북도 여산 북일면 화산천주교당 안에 계명학교를 설2 8

    립하는데 교주 장베르모렐신부가 돈 백여 환을 연조 하고 교장 김두환[ ] ( )捐助씨와 교감 박익래 씨와 여러 임원과 학교의 부형들이 극력 합심하야 각기 여10환씩 연조하고 학도 여 명을 모아 개학한 후 교사 리종갑 리규하 양 씨가30 ,열심 교수하는 중에 교장 김두환 씨는 자녀제질 간에 아무도 입학한( )子女弟姪이가 없는데 주야로 근무하야 시간을 학도와 같이 보내 개명 상에 필요( )開明함과 현금 형편이 어떠함을 교육에 이익과 학업에 진취할 목적을 자신 있게 열심히 권면하매 청년자제들이 수가 월증 하야 설립한 지 일주년에 학도가( )越增수십여 명이고 또 크게 희한한 일은 교장이 본디 가난하야 농업 자생하는 터,

    37) 경향신문 년 월 일 자1909 1 1 .

  • 전병구

    91

    인데 학교 설립 초에 돈 십 환을 보조하며 어느 때까지라도 해마다 십 환씩을보조하겠다 설명하고 또 학도 중에 빈한 소치로 과량 할 수 없어 반도에( )糧裹퇴학할 수밖에 없는 학도 몇을 만류하야 내가 아무리 간구 하나 죽반( ) (艱苟 粥

    간에 같이 먹자하며 졸업 전에는 먹는 음식을 당하게 하겠다 하고 또 교) ,飯감 박익래 씨도 간구한 학도를 이같이 공급하니 이러한 열심과 가난한 중에 재물을 아끼지 않고 몸의 수고를 돌아보지 않고 교육상에 고심혈성 하( )苦心血誠니 신문에 기재할만한 일이라고 여론이 낭자 합데다( ) .”狼藉 38)

    는 필자 주* ( ) .

    계명학교 학생들은 가난하여 중도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교장이 끼니를 해결해주며 학업을 계속하게 하였고 교감 역시 가난한 학생들을 도와주었다는 내용이다 년 기사에는 교장 김두환과 교사 리종갑만 소개되었는데 여. 1908 ,기에서 교감 박익래와 또 다른 교사 리규하도 알게 되었다.통감부 시기 전라북도에서 천주교가 운영한 보통학교는 개였다 첫 번째는4 .

    베르몽 한국명 신부가 고산 되재 본당에(Jules Bermond, , 1881~1967)睦世榮서 년 신성 학교로 시작하여 년에 이름을 바꾼 태극계명1906 ‘ ( ) ’ 1908 ‘ (晨星 太極啓학교이다 그 외에 년에 설립한 김제 수류 본당 인명 학교와 진) ’ . 1909 ‘ ( ) ’明 仁明

    안 어은동 본당 영신 학교가 있다‘ ( ) ’ .永新 39) 이는 그 당시 통계에서도 확인할수 있다.

    표 전라북도 사립각종학교 년 월 일 현재< 3> (1910 2 15 )40)

    종파별 장로교 천주교 종파 미상 기독교선교사

    국적별 米人 韓人 佛人 한인 米人 한인

    학교 수 3 1 3 1 2 22 41

    중에 있음* , (1910) ;俵孫一 在韓宣敎師 對 意見ニ スル「 」제 권으로부터 전재함· , ( ) 67 .渡部學 阿部洋 編 日本植民地敎育政策史料集成朝鮮篇

    38) 경향신문 년 월 일 자1909 9 24 .39) 전병구 일제강점 이전 전라도 천주교의 교육현황과 활동 전북사학 전, , 46,「 」

    북사학회 쪽, 2015, 219~223 .4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근대사기초자료집 개화기의 교육 교육 통계‘ , , 2 > . >Ⅵ

    외국인이 설립한 각종 사립학교 수 년 월 일 현재 편집 종파마다2. (1910 2 15 )’ .한국인도 있는데 종교단체에서 설립한 학교라고 하지 않고 외국인이 설립한‘ ’ , ‘사립 각종학교라고 했다’ .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92

    프랑스인이 설립한 학교가 개이고 한국인이 세운 학교가 개인데 되재와3 1 ,나바위와 수류 본당은 프랑스 신부가 있었고 진안은 한국인 김양홍 신, ( )金洋洪부였다 개 모두 천주교 신자 집단 거주 지역으로 년대부터 공소학교로. 4 1890시작하여 통감부 시기에 인가를 받아 보통학교가 되었다 나바위 계명학교와.수류 인명학교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후까지 맥을 이었으나 나머지는 곧폐교하였고 현재는 하나도 남지 않았다 가난한 천주교 신자를 대상으로 무료.교육을 한 소규모 학교의 현실이라고 판단한다.41)

    당시 보통학교는 년제 교육 과정을 운영하였다 이는 고산 되재성당 태극4 . ‘계명학교 관련 신문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향신문 은 년 월’ . 1909 6 1일 자에 태극계명학교 제 회 졸업식 상황을 상세히 소개하였는데 졸업생 명1 1 , 3과 재학생 명의 이름을 학년별로 모두 소개하였다 기사를 보면24 . 1, 2, 3, 4학년 순이 아니고 예비과부터 시작하여 학년을 마치고 졸업한 사실을1, 2, 3알 수 있다.42)

    보통학교 인가를 받은 학교들은 그만큼 규모가 큰 공소학교였다 교육령 기.준에 충족할 정도로 성장하였다는 증거였고 정규학교라는 위상과 함께 당국의교육 방침을 따른다는 의미이다 선교사들은 허가받는 일을 불평하거나 거부하.는 속내를 드러내기도 하였는데 자율적인 선교 학교를 유지하고 싶었기 때문이다.43)

    일제강점 이후 각종 근대 교육기관과 공립학교가 늘어나면서 천주교 보통학교는 더욱 열악한 처지에 몰리게 된다 새로운 교육령을 따르지 못하여 비정규.학교로 연명하거나 아예 문을 닫기도 하였다 년 제 차 조선교육령 부터. 1911 1학교 설립 기준이 매우 엄격하였으며 특히 년 사립학교 규칙 에서는 종교1915교육을 금지하기에 이르렀다.

    년 제 차 조선교육령 보통학교 규정에 의하면 보통학교 설립 인가는1922 2 ‘ ’조선 총독에게 신청해야 했다 신청서에는 학교 명칭과 위치 각 교과 수업연한. ,및 교과목 개교 연월일 교지 교사 평면도 취학생 남녀 학년 학급별 표, , · , · · , 1년 수지 개산 그리고 유지 방법을 갖추도록 되어 있다( ), .槪算 44) 한편 제 장3

    41) 전병구 전라도 천주교의 근대 초등교육 연구 전주대 박사학위 논문, , , 2017,「 」쪽48~52 .

    42) 경향신문 년 월 일 자1909 6 11 .43) 전병구 위의 논문 쪽, , 28~36 .

  • 전병구

    93

    설비 조에 의하면 보통학교는 학교의 규모에 알맞은 교사 교지, 67 ‘ ( ), (校舍 校교구 및 체조장을 갖추어야 한다 교지는 도덕상 혹은 위생상 무해), ( ) .地 敎具

    하고 아동의 통학에 편리한 장소를 선택해야 한다 교사는 교수상 관리상 위. , ,생상 적당하며 질박하면서도 견교하게 지어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45)

    그러나 전라도 개의 천주교 보통학교는 공립학교가 설립되기 전에 변변한4교육 시설이 없는 산골 지역에서 근대교육을 시행하였다 실제로 천주교 보통.학교는 호응도 좋았고 지역사회의 평가도 매우 긍정적이었을 뿐 아니라 기대도컸다 학교 재정이 궁핍한 시기에는 신자들 외에 지역 주민들까지 기부에 동참.하면서 학교를 살렸던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년 진안 지역 주민 명이. 1909 316어은동성당 영신학교를 위해 백지 묶음부터 원까지 기부한 일이 있는데2 120경향신문 에 전체 기부자 명단과 기부 내용이 실렸다.46)

    일제강점기 총독부는 한국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각종 교육령을 발표하여 식민지 교육을 추진하였다 식민지 교육정책은 민족교육을 억압하고 사립.학교의 자율성을 침해하면서 상대적으로 식민지 교육기관을 늘려가는 방법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정적으로 열악한 대다수 천주교학교는 교리학교로 전환.하여 갔다 가능한 지역에서는 공립학교와 대등한 정규학교 설립도 추진하였으.나 비정규학교라도 유지하며 정규학교에 입학하지 못한 신자와 빈곤 아동을 교육하였다.나바위성당 계명학교는 꾸준히 유지되다가 년 돌연 폐교하고 만다 나바1926 .

    위 본당 카다스 한국명 신부는 신자 학(Joseph Cadars, , 1878~1950)姜達淳생들의 신사참배 거부로 강경공립보통학교와의 갈등을 보고한 일이 있다.47) 19년 월 강경공립보통학교에 다니던 신자 학생들이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퇴24 10

    학을 당한 것이다.48) 그 과정에서 카다스 신부와 미야무레 교장 사이[ ]宮牟禮

    44) 조선교육령 년 월 칙령 제 호 보통학교 규정 년 월 일 조선총(1922 2 19 ) (1922 2 20독부령 제 호 제 장 설립 및 폐지 제 조8 ) 1 , 2 .

    45) 이혜영 외 한국 근대 학교교육 년사 연구 일제 강점기의 학교교육, 100 ( ) :Ⅱ한국교육개발원 쪽( , 1997), 397~409 .

    46) 경향신문 년 월 일 자1909 5 4 .47) 뮈텔문서 년 월 일자 카다스 신부 서한 호남교회사연구소 전주1925 1 17 , ; , 「

    교구 본당 천주교전주교구사 빅벨 쪽( ) , , 1998, 706 .Ⅱ」48) 전병구 일제 말기 일본이 추구한 인간상 해성심상소학교 학적부 성행 개평‘ , -「

    분석을 통해 전북사학 전북사학회 쪽- , 52, , 2018, 312~313 .」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94

    에 치열한 설전이 오갔다 조선일보. 49)는 이틀에 걸쳐 보도하고 사설을 통해비난하였으며 동아일보, 50)도 이 사건으로 신사참배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다.51) 그러다가 년에 계명학교가 폐교하였으니 신사참배 문제와 무관하지1926않은 듯하다 계명학교가 폐교할 만큼 부실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뒷받침할만한.당시 신문 기사도 있다.

    “순회 탐방 익산지방 대관 교육계 사립계명학교(14) (1) < > ◇ 망성면 화산=리 에 천주교당식의 웅자를 빼트린 건물이 잇스니 불란서 즉 천주교( )羅巖 山腹회의 경영으로 이 융희 년 학부대신 인가를 가진 학교이다 교장 장약슬4 .亦베르모렐[ ]52) 씨로 현 생도 여 명이라 한다60 .”53)

    년 동아일보 가 순회 탐방 코너를 연재하면서 익산 지역 교육계를 소1926 ‘ ’개하였는데 계명학교가 등장한다 그때까지 신문에 소개되었고 학생이 여 명. 60이나 되었는데 갑자기 폐교하였다니 의아하다 년 이약슬 요셉. 1929 ( , )李若瑟 54)

    신부가 부임하여 교사 평을 신축하고 년 만에 복교할 만큼 튼실한 학교였40 3기 때문이다.그러나 년대까지 신사참배를 거부했던 한국 천주교는 년대 들어 식1920 1930

    민통치가 강해지고 일본 천주교의 지배를 받으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일본에.파견된 교황청 사절에 의해 신사참배가 집요하게 왜곡 전달되었고 마침내 교황청은 한국 천주교로 하여금 공식적으로 신사참배를 수용하게 하였다.55)

    천주교학교는 선교를 위해 설립되었으나 신자가 우선이었다 년 드망즈. 1922

    49) 조선일보 자 면 자 면 강경공, 1924. 10. 23. , 2 , ; 10. 24. , 2 ,江普紛糾「 」 「립보통학교 분규사건」

    50) 동아일보 년 월 일 일 자 강제참배 문제 상 하, 1925 3 18 , 19 , ( ), ( )「 」51) 김진소 천주교 전주교구사 빅벨 쪽, , , 1998, 889~895 .Ⅰ52) 베르모렐 신부는 년 대구교구 부감목으로 전임하였고 년에는 카다스1919 1926

    신부가 있었으나 계명학교 교장은 여전히 베르모렐 신부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53) 동아일보 년 월 일 자 면1926 7 15 , 4 .54) 전주 출생의 한국인 사제로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를 졸업하고 년 사제1919

    가 됨.55) 정동훈 일제강점기하의 한국 천주교회와 신사참배에 관한 고찰 교회사연, ,「 」

    구 한국교회사연구소 쪽11( , 1996), 100~106 .

  • 전병구

    95

    한국명 대구교구 주교는(Demange Florian, , 1875~1938)安世華 56) 사목교서에서 교회법 제 조에 의거 천주교학교에서는 비신자 학생이 신자 학생보다‘ 1374현저하게 많아서는 안 된다 비신자 학생 수가 신자 학생의 분의 이 되면 주. 3 1교에게 허가를 받아야 한다 라고 명시하였다.’ .57)

    년 천주교회보에 천주교학교의 신자와 비신자 비율을 알 수 있1932~1933 ‘ ’는 자료가 있다 가톨릭신문의 전신 천주교회보는 년 월부터 년. ‘ ’ ‘ ’ 1932 5 1933 2월까지 전국의 천주교학교 탐방기를 연재하였는데 학교마다 다양한 정보와 함,께 학생 수와 신자 및 비신자 수를 소개하였다 천주교회보 학교 탐방은 개. ‘ ’ 10학교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그중 중등학교인 서울 동성상업학교를 제외한 보통학교만을 표로 작성하였다 개 학교 중 개는 인가받은 정규 보통학교이고 계. 9 6명학교를 포함한 학원 개는 비인가학교이다‘ ’ 3 .

    표 전국 천주교학교 신자 비신자 학생 수 및 비율< 4> 1932~1933, /

    신자 비신자 전체학생

    비고천주교회보학생 비율 학생 비율

    대구 해성 보통학교 130 36% 230 64% 396 자1932.5.1.대구효성여자보통학교 156 39% 247 61% 442 자1932.6.1.서울 계성 보통학교 209 37% 357 63% 603 자1932.7.1.서울 가명 보통학교 250 36% 439 64% 725 자1932.8.1.원산 해성 보통학교 165 27% 455 73% 647 자1932.9.1.평양 해성 보통학교 180 29% 442 71% 651 자1932.10.1.대구 해성 여자학원 41 26% 119 74% 186 자1932.12.1.김천 성의학원 45 32% 95 68% 172 자1933.1.1.익산 계명학원 95 76% 30 24% 201 자1933.2.1.

    계 1,271 31.6% 2,414 68.4% 4,023

    천주교회보 년 월 일 자 년 월 일 자* 1932 5 1 ~ 1933 2 1 .

    드망즈 주교의 사목교서와는 달리 년 후 천주교학교에도 신자 학생보다 비10신자 학생들이 훨씬 많았다 함경도와 평안도는 교육열이 높았던 지역으로 천.

    56) 년 설립된 조선교구는 년 서울교구와 대구교구로 분리되었다1831 1911 .57) 이종흥 역 안세화 주교 공문집 천주교대구대교구 쪽, , , 2003, 246~247 .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96

    주교학교에서도 남쪽 지역 학교보다 비신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오직 계명.학교만 일찍부터 천주교 신자가 많았던 지역 특성상 신자 비율이 월등히 높다.천주교회보 년 월호에 학교 탐방 맨 마지막으로 소개한 계명학교 기사1933 2를 보면 당시 현황을 더욱 상세히 알 수 있다.

    계명학원은 융희 년 월 일 개교 이래 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2 (1908) 9 15 20회에 걸쳐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년 현재 학급 명이 재학15 64 , 1933 4 125

    하고 있다 교사 명은 모두 신자로서 거의 희생적으로 헌신한다. 4 .’58)

    계명학교가 학원인 이유는 통감부 시기 보통학교 인가를 받았으나 일제강‘ ’ ,점기 조선교육령에 따른 인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회까지 졸업생이. 15 64명이니 학교가 얼마나 작았고 졸업까지 성공한 학생이 얼마나 적었는지 알 수있다 또 학급이면 년제라는 의미인데 당시에는 년제 비정규학교가 많았다. 4 4 4 .본래 일제는 본국과 조선 내 일본인 학교인 소학교는 년제였으나 조선인 대‘ ’ 6상의 보통학교만 년제로 차별하다가 년 제 차 조선교육령으로 보통학교‘ ’ 4 1922 2도 년으로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년 또는 년제 비정규 보통학교가6 . 4 5많았다 비정규학교는 상급학교 진학 자격이 주어지지 않아서 진학을 위해서는.졸업 후에 정규학교 학년 또는 학년으로 편입해야 하였다5 6 .59)

    계명학교는 년에 교직원이 명이고 학생이 명까지 성장하였는데1936 5 225 194년에 이르러 망성국민학교 분교가 되고 말았다 이 과정에 계명학교 교사였던4 .이철우 가 학교를 차지하고자 면장과 군청 직원을 동원하였다( ) .李喆雨 60) 해방후 김명제 신부와 김학배 의 노력으로 학교를 되찾아 계명학교( ) ( )金命濟 金學培간판을 다시 걸었으나 년 폐허 상태였던 계명학교를 김영구 신부1947 ( )金榮九가 부임하여 폐교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61)

    나바위 계명학교는 일제강점 말기 전라북도 천주교학교 중 해성심상소학교

    58) 천주교회보 년 월 일 자 면 학교 지상 순방기 계명학원1933 2 1 , 3 , ( )十「 」59) 전병구 일제 말기 사립보통학교 졸업생의 진로 전주해성심상소학교 사례를, -「

    중심으로- ,」 전북사학 전북사학회 쪽55, , 2019, 181 .60) 김후상 화산천주교회 약사 천주교전주교구 쪽 김진소 앞의, , , 1948, 44 , ; ,

    책 쪽, 713 .61) 가톨릭연구 년 월호 쪽 김후상 위의 책 쪽 김진소 위1936 7 , 148 ; , , 30~37 ; ,

    의 책 쪽, 713~714 .

  • 전병구

    97

    다음으로 컸다 전주해성심상소학교는 전주전동성당에서 설립 운영한 학교로. [ ]년 여학당으로 출발하여 년 년제 해성강습소를 거쳐 년에 년제1926 1930 5 1938 6

    심상소학교 인가를 받았다.62) 해성심상소학교는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천주교학교 중 유일한 정규학교였다.63)

    나바위성당 계명학교는 년 교리교육을 위해 한글을 가르쳤던 공소학교로1898시작하여 통감부 시기 보통학교 인가를 받았으나 일제강점기에는 비인가학교로유지되었다 년 전주해성심상소학교가 인가 받기 전까지 전라도 천주교 학. 1938교 중 가장 규모가 컸다.

    맺음말4.

    전라도는 한국 천주교의 창설과 함께 유항검과 윤지충을 중심으로 신자 층을이루고 있었다 그 중 충청도 경계에 있는 익산은 일찍부터 경기도와 충청도.지역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이주한 곳이었다 신자들은 집단 거주지인.공소를 이루고 살았는데 선교사들이 매년 순회 방문하며 공소를 관리하였다.공소에서는 교리교육을 위해 학교를 운영하기도 하였는데 익산은 전라도에서가장 공소가 많은 지역이었고 그만큼 공소학교도 많았다 공소학교는 소규모이.고 학생도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으나 신자 아이들에게 교리와 함께 한글과산술 등을 가르쳤다 공소학교는 오늘날까지 맥을 잇지 못하고 사라졌으나 정.규학교가 없는 산골에서 공립학교나 개신교 학교보다 앞서 빈민들에게 한글을가르쳤다는 의의가 있다.전라도 공소학교 중 년에 발표한 보통학교령에 따라 인가받은 학교가1906 4

    개 있었는데 계명학교도 그중 하나이다 나바위는 년 본당이 된 후 크게, . 1897성장하여 일제강점기 동안 신자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계명학교는. 1895년 공소학교로 시작하여 년에 보통학교가 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계명학1908 ,

    62) 전동성당 년사 호남교회사연구소 쪽 전병구 일제100 , , 1996, 359~362 . ; , 「강점기 전주지역 초등학교 연구 사립해성심상소학교를 중심으로 전북사학,– 」

    전북사학회 쪽49, , 2016, 196 .63) 전병구 전라도 천주교의 근대초등교육 연구 전주대 박사학위 논문, , , 2017,「 」

    쪽83~84 .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98

    원이라는 년제 비인가학교로 유지되었다 년 신사참배 문제로 폐교되었다4 . 1926가 년 복교하여 년 명까지 늘었으나 년 강제로 망성국민학교1929 1936 225 1944분교가 되었다 해방 후 학교를 되찾았지만 년 완전히 문을 닫고 말았다. 1947 .계명학교는 전주성당 해성심상소학교와 함께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천주교학교의 대표였다.

  • 전병구

    99

    참고문헌

    뮈텔문서뮈텔주교일기총독부 통계조선총독부관보경향신문동아일보조선일보천주교회보가톨릭연구사립해성심상소학교 학적부한국천주교회사 한국교회사연구소1~5, .한국근대사기초자료집 국사편찬위원회, .전라북도조사재료 , 1910화산천주교회 약사 천주교전주교구, , 1948,순교자와 증거자들 한국교회사연구소, , 1982.명동천주교회 년사 자료집 제집 서울교구연보 명동천주교회200 1 ( ) ( ) , . 1984.Ⅰ Ⅱ천주교전주교구사 연구자료집 제집 지명조사보고서 호남교회사연구소1 , , 1987.천주교전주교구사 연구자료집 제 집 교세통계표 호남교회사연구소2 , , 1987.천주교전주교구사 연구자료집 제 집 전주교구사 연표 호남교회사연구소3 , , 1993.한국 근대 학교교육 년사 연구 개화기의 학교교육 한국교육개발원100 ( ) : , , 1994.Ⅰ전동성당 년사 호남교회사연구소100 , , 1996.한국 근대 학교교육 년사 연구 일제강점기의 학교교육 한국교육개100 ( ) : ,Ⅱ발원, 1997.국역 전주부사 전주시 전주부사국역편찬위원회, · , 2014.김진소 천주교 전주교구사 빅벨, , , 1998.Ⅰ김정환 뮈텔 일기 연구 내포교회사연구소, , , 2015.노길명 민족사와 천주교회 한국교회사연구소, , , 2005.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100

    노영택 일제하 민중교육운동사 학이시습, , , 2010.오성철 식민지 초등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 , , 2000.윤선자 일제의 종교정책과 천주교회 경인문화사, , . 2001.이종흥 역 안세화 주교 공문집 천주교대구대교구, , , 2003.이만규 다시 읽는 조선교육사 살림터, , , 2010,조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 1990.최석우 한국교회사의 탐구 한국교회사연구소, 1~3, .구희진 대한제국기 국민교육의 추진과 굴절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 , 109,「 」회, 2009.

    권종린, 일제시대의 조선 교육과 정책에 관한 고찰 원광대 석사학위논문, , 2006.「 」김정환 한말 일제강점기 뮈텔 주교의 교육활동 한국근현대사연구 한, · , 56,「 」국근현대사학회, 2011.

    김중복 구한말 천주교의 교육운동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 , 1996.「 」김진소 일제하 한국천주교회의 선교 방침과 민족의식 교회사 연구 한, , 11,「 」국교회사연구소, 1996.

    나상형 일제강점기 전주공립보통학교의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 전북대 석사, ,「 」논문, 2012.

    노길명 구한말 프랑스 선교사의 사회 문화 활동 그 성격과 한계성을 중심, · -「으로 교회사연구 한국교회사연구소, 5, , 1987.」

    류성민 근대 이후 한국 사회변동과 개신교 학교의 종교교육 종교의 자유, ‘ ’ :「과 정교분리 문제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원광대학교 원, 51,」불교사상연구원, 2012.

    박찬식 한말 천주교회와 향촌사회 교안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 박, - ,「 」사논문, 1995.

    변주승, 신유박해의 정치적 배경 한국사상사학 한국사상사학회, 16, , 2001.「 」서종태 한말 전라북도 천주교회와 지역사회의 갈등 전북지역 교안을 중심, 「 –으로 한국고전학연구소연구총서 근현대지역공동체 변화와 유교이데올로, 01」기 사상 종교 흐름. · 1 , , 2016.

    양은용 익산의 농업기반과 문화정체성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권 호 원, , 19 3 ,「 」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이동희 조선시대 전라감사의 출신 및 임용실태 전주학총서 전라감영연, , 14「 」

  • 전병구

    101

    구 전주역사박물관 전라문화연구소, · , 2008.이명실 일본 메이지정부의 문부성훈령 호와 조선총독부의 개정사립학교규, ‘ 12 ’ ‘「칙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사학 한국교육사학회’ , 30, , 2008.」

    이병호 프랑스 선교사들의 영성과 한국교회 교회사연구 한국교회사연구, , 5,「 」소, 1987.

    이재근 남장로교의 전주 신흥학교 기전여학교 설립과 발전, · (1901-1937) ,「 」한국기독교와 역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42, , 2015.

    임석규, 익산 지역어 조사 연구를 위한 제언 익산학을 위한 토대 마련을 위하· ‘ ’「 –여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권 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17 3 , , 2016.」

    전병구 개화기 전라도의 천주교 교세 공소 추이를 중심으로 전북대 석사논, ,「 – 」문, 1991.

    일제강점 이전 전라도 천주교의 교육현황과 활동 전북사학 전, , 46,「 」북사학회, 2015.

    , 일제강점기 전주지역 초등학교 연구 사립해성심상소학교를 중심으「 –로 전북사학 전북사학회, 49, , 2016.」

    , 전라북도 천주교의 근대 초등교육 연구 전주대학교 박사논문, , 2017.「 」일제 말기 일본이 추구한 인간상 해성심상소학교 학적부 성행 개평, -「

    분석을 통해 전북사학 전북사학회- , 52, , 2018.」일제 말기 사립보통학교 졸업생의 진로 전주해성심상소학교 사례, -「

    를 중심으로 전북사학 전북사학회- , 55, , 2019.」정동훈 일제강점기하의 한국 천주교회와 신사참배에 관한 고찰 교회사연구, ,「 」

    한국교회사연구소11, , 1996.조광, 개항기 천주교의 교육운동 교회와 역사 한국교회사연구소, 205, , 1992.「 」주명준 전라도의 천주교 수용 전북사학 전북사학회, , 3, , 1979.「 」

    천주교 전라도 전래와 그 수용에 관한 연구 윤지충 유항검 가계와, ·「 –전도 활동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89.」

    최석우, 한불조약과 신교자유 한국교회사의 탐구 한국교회사연구소, , , 1982.「 」사학징의 를 통해서 본 초기천주교회 한국교회사의 탐구, ( ) ,邪學懲義「 」 」

    한국교회사연구소, . 1982,, 파리외방전교회의 한국진출의 의의 한국진출을 전후한 시기의 국가-「

    와 교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회사연구 한국교회사연구소- , 5, , 1987.」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102

    Abstract

    Catholic Gong-so school and Na-ba-wi Kye-myeong Schoolin Ik-san

    Jeon, Byeong-Gu(Jeon-ju Seong-sim Girls' High School)

    Jeolla Province was the most Catholic in the nation since Open-portbecause Catholics in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migrated from persecution. Ik-san was located in the northern end ofJeolla Province, so there were many Catholics and 'Gong-so' from earlyon. Early Korean Catholic leaders and missionaries translated variousreligious books into Korean, and Han-geul became the official languageof Catholicism.Missionaries tried to teach Hangul and Chinese texts so that

    believers could easily study doctrine, and they operated 'Gong-soschool' as a method. In Ik-san, Na-ba-wi Gong-so school appearedin 1895, starting with Yeo-san 'Si-o-mok' Gong-so school in 1894.In 1899, there were 13 students in five Gong-so schools, includingYong-an 'Ham-bak-jae' and 'Don-da-moe', Ham-yeol 'Du-rak-i'and 'Daek-mal'. In 1900, Ham-yeol 'Jang-gu-jae', Ik-san 'O-san-ri','No-jeok-ri' and 'Pi-moe' were added, and 18 students were the mostin Jeolla province.The Gong-so school was not operated continuously and the

    economic situation was very poor. The number of students was small,and whether the school was maintained was flexible depending on theteacher or the student. Unlike Protestant schools that were run on alarge scale in the city and grew to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the Catholic Gong-so school was like a small Seo-dang in the

  • 전병구

    103

    mountain valley. Unlike many Protestant schools that have continuedto this day, the existence of the Gong-so school is not even knownbecause it is almost gone. However, the Gong-so school had moderneducation in the mountain valley, which had not been able to provideeducation earlier than protestant schools or public schools. It is alsomeaningful that it educated Han-geul unlike protestant schools.Among the Gong-so schools, they were also accredited by ordinary

    schools, such as the Na-ba-wi Catholic church Kye-myeong School.The Kye-myeong School, which started as an Gong-so school in1895, was made a Elementary school by Father Vermorel in 1908.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maintained as anunlicensed school because it could not follow the Jo-seonEducation-ordinance, but it grew steadily. Then, in 1924, theNa-ba-wi Church believers who attended the Kang-gyeong PublicSchool were expelled from the shrine worship. There was a clashbetween Na-ba-wi Church Father and the headmaster ofKang-kyeong public school, and in 1926, the Kye-myeong school wassuddenly closed. Three years later, in 1929, it was reinstated byFather Lee Yak-seul. In 1933, it became a large school with fourteachers and 125 students in four classes.The Kye-myeong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called a four-year non-licensed ‘Hak-won’. In 1936, Kye-myeongSchool increased its staff to 5 and students to 225. In 1944, itbecame a branch school of the ‘Mang-seong’ elementary school. Afterliberation regained Kye-myeong school, but in 1947 it closed due tofinancial difficulties and disappeared into history. Na-ba-wiKye-myeong School was the second largest school in the CatholicSchool of Jeolla-buk-do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 익산 지역 천주교 공소학교와 나바위 계명학교

    104

    Key words▣ : Ik-san, Na-ba-wi, Gong-so school, Kye-myeongschool, Vermorel

    접수일자 심사일자 게재결정: 2019. 11. 15 : 2019. 12. 23 : 2020. 01.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