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육과정의 통합적 근 -...

10
체육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DEPARTEMENT OF PHYSICAL EDUCATION 6주차 강의

Upload: others

Post on 02-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체육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DEPARTEMENT OF PHYSICAL EDUCATION

이 현 수

6주차 강의

개 요

최근 사례와 분석

• 체육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통합적 접근에 대한 이론적 지식이해와 실제적용이해 교과조직과 지도방안

이론적 배경

개 요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 체,지,덕의 조화로운 통합

• 들어가기

체육교과가 실제 체,지,덕에

인과적 효과를 주는가?

실제수업에서 통합적으로 가르치지 못한

한계

교과내용의 통합적 조직

(2개 또는 3개 영역을 통합하여 수업내용을 구성)

• 중등학교 체육교육내용의 통합적 원리

• 조직된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업지도 원리

• 조직원리와 지도방법에 기초한 체육수업모형

체육교과의 통합에 대한 이론, 실험적 경험적 사례

선진국 체육교과 통합 사례 분석/

한국 중등학교 체육에서 활용가능 한 방법

“일관된 체계속에서 하나의 체육수업 모형:하나로 수업”

제언적 내용

통합교과의 이론적 배경

통합

통합적 체육은

• 체육학 세부학문분야의 개념이 가르쳐지는 경우

• 생각하는 사고능력이나 함께 어울려 사는 사회적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의도적으로 목표하거나 그런 내용이 담겨져 있는 경우

• 다른 교과목의 수업내용이 체육수업에 포함된 경우

• 체육교과의 내용이 다른 수업에 포함된 경우

통합적 체육이란 학생에게 단기 운동기능, 스포츠 또는

체력운동만을 가르치지 않고 그 이상을 가르치려는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노력

교과 내 통합 교과 간 통합

Vars(1987) Jacobs(1989) Fogarty(1991)

연합형, 중핵형

혼합형

독립형, 평행형, 보완형

복합형, 통합형,완성형

단절형, 연관형, 동심원형,

계열형, 공유형, 거미줄형

통합형, 직조형, 몰입형

네트워크형

통합교과의 이론적 배경

교과 내 통합

교과내용 (학문적 개념)

사회적능력 (정의적영역)

사고하는 기능

운동기능과 학문적 개념의 통합

•초 중등 내용 통합(개념, 학문중심모형)

•“질 높은 체육프로그램의 결과”

-운동기능 습득은 전체목적 중 절반

-개념적 지식 습득이 중요

운동기능과 지적기능의 통합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 등의 지적기능

• 개방형질문(발문), 전술, 조별 문제해결

• 이해중심 게임수업

운동기능과 정의적 영역의 통합

•우연이 아닌 계획에 의한 정의적 영역 향상

• Hellison의 사회적 책임감 모형, 모험교육모형

• 이해중심 게임수업

통합교과의 이론적 배경

교과 간 통합

체육수업에 타 교과 내용을 통합하기

•운동 후 심장박동 계산(수학)

•비교,분석,측정(수학-멀리뛰기)

•물체이동(과학/스프링-점프동작)

•조깅코스에 대한 사회지도 활용(사회)

•역사

• 스포츠 용어(체조에 사용되는 용어로 글짓기)

• 야외활동 교육

•육체노동의 효율적 수행방법/영양섭취

체육교과내용을 다른 교과에 통합시키기

교과간 통합 방식 P166-170

동업형 공유형 접속형

2개 교과내용

연결

1인지도

2개 교과 또는

그 이상 교과

협동적으로

2인 또는 이상

2개 교과 또는

그 이상 교과

공통적, 균등

팀 티칭

체육교과 통합의 최근 사례와 분석

• 체육교과를 이해하는 패러다임의 변화

(기존의 운동기능숙달중심에서 전인적 성장추구로)

• 학생과 학습과정, 그리고 교사수업과정에 대한

시각이 구조주의에서 구성주의 관점으로 전환

•기능숙달, 지식이해와 함께 비판적 인식능력 강조

•체육교과내용을 주제별로 통합하여 조직

•다양한 체육수업방법과 학생중심적 수업으로 전환

미국, 호주, 영국 내용은 책 참조

7차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안

주요내용에 많이 반영됨

통합적 체육수업 교과조직

통합적 체육교육철학을 근간으로 한다.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체육교과의 성격, (목표:분리적)

• 수행중심으로 묶어 진술(습득, 적용, 평가)

P.189,191, 192,194 표 참조

체육교과의 교육내용 영역을 재분류 한다.

• 구성주의 관점에 기초 • 종목중심이 아닌 주제중심으로 • 스포츠 종목에 대한 체계적 분류 도입

수업 내용 구분의 수준을 여러 단계로 세분화 한다.

• 스포츠 종목군 – 통합주제선정 – 단원내용 - 학습과제

다양한 영역통합과 통합방식을 채택한다.

• 지식 - 태도통합, 기능 - 태도통합, 기능 – 지식 - 태도

통합적 성격을 띤 기존의 체육교육과정 모형을 활용한다.

이해중심게임 스포츠 교육 개념중심

사회적책임감

통합적 체육수업지도방안(체육교사의 역할)

체육교수학습과정에 대한 구성주의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다.

학생이 학습능력을 스스로 활용하고 계발할 수 있도록 한다.

토론중심적, 체험중심적, 활용중심적 수업방법 활용

• 과제중심적 수업(부록3, p.204참조)

협동적인 학습을 조장하는 수업방법을 활용한다.

• 과학적 방식과 예술적 방식의 조화

통합적 수업의 객관적 차원과 주관적 차원의 역동적 균형유지

• 협동적 학습모형(2인1조체크방식,직소방식, 자율협동방식)

이 현 수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