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김수진, 김윤희수진).pdf · 진행순서...

47
재해의학(Disaster Medici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수진 , 김윤희

Upload: others

Post on 09-Sep-2019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재해의학(Disaster Medicine)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수진, 김윤희

진행순서

Disaster의 기본개념, 구분 및 단계

재난의 특성

중증도 분류 (Triage)

재해와 관련된 질병

국내, 국외 재해사례

재해대책의 현주소 & 문제점, 대책

Disaster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인구증가 및 위험요소의 증가 → 재난 발생빈도 증가

화재 : 대구지하철, 씨랜드, 천안 초등학교

붕괴 :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지하철공사장

지진 : India, Turkey, Taiwan…

Hurricane, flood…

적절한 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성

Disaster의 정의 Ⅰ

재해 : 태풍, 홍수, 호우, 폭풍, 해일, 폭설, 가뭄 또는 지진, 기타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해

(자연재해대책법 제 2조)

재난 :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화생방사고, 환경오염사고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주는 사

고로 자연재해를 제외한 모든 사고

(재난관리법 제 2조)

경기도 문산 96.7.28

1995. 1월 고베

1999. 8월 터키

1999. 9월대만

2002. 3월 대만

2003. 2월 김해

Disaster의 정의 Ⅱ

재난: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다음 각 목의 것을 말함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령 제 3조)태풍,홍수,호우,폭풍,해일,폭설,가뭄,지진,황사,적조 그밖에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화재,붕괴,폭발,교통사고,화생방사고,환경오염사고 그밖에 이와 유사한 사고로 대통령이 정하는 규모이상의피해

에너지,통신,교통,금융,의료,수도 등 국가기반체계의마비와 전염병 확산 등으로 인한 피해

2004. 3월 SARS

Disaster의 정의 Ⅲ

WHO: as a sudden ecologic phenomenon of sufficient magnitude to require external assistance

UN: 사회적 기본조직 및 정상기능을 와해시키는 갑작스런 사건이나 큰 재해로써 재해의 영향을 받은 사회가 외부의 도움 없이 극복할 수 없고, 정상적인 능력으로 처리할수 없는 재산, 사회간접시설, 생활수단의 피해를 일으키는단일 또는 일련의 사건

의학적 재해: 해당지역의 의료자원으로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환자수가 많아서 모든 환자에게 최선의 의료를제공할 수 없는 경우

재해의 구분

자연 재해1. 기후성 재해: 태풍, 홍

수 등

2. 지진성 재해: 지진, 화산폭발, 해일 등

인위적 완전 근절이 불가능한 불가항력적 요소가 있으나 피해 최소화 노력 필요

인적 재해1. 사고성 재해: 교통사고,

산업사고, 폭발사고, 화재, 생물학적·화학적 사고, 방사능 등

2. 계획적 재해: 테러, 폭동, 전쟁 등

인간의 힘이 자연환경에 미칠 정도로 커지면서 자연 재해와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추세

재해규모에 따른 등급

재해가 발생한 지역의 자체대책으로 수습이 가능한 규모의 재해

재해가 발생한 지역의 자체 대책으로 수습하기 어려운 규모의 재해로, 인근지역으로부터의 지원이 요구되는 재해

재해의 규모가 커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재해

재해 1급

재해 2급

재해 3급

정 의등 급

재해의 단계

제 1단계 : 재해신고 및 비상소집

제 2단계 : 재해진압, 구조 및 처치

제 3단계 : 복구단계

재해본부 기능위원회 구성도

재해본부장

계획부서 실행부서 재정부서 지원부서

소방부 인원지원부응급의료부경찰부 물자지원부 공급부 유지부

대량재해시 응급의료체계현장 지휘소

통제관항공대

현장 응급의료지휘소장 항공구급대

선발 의료진공중 보건반

사망자 관리반임시 영안실

중증도 분류반 이송반응급처치반의료지원반

긴급환자 처치팀

응급환자 처치팀

비응급환자 처치팀

중증도 분류팀 의료통신

이송기록

이송분류

재해장비와 물품

기초물품외상처치물품, 고정장비, 수액투여 세트 등

재해물품대형텐트, 들것, 전기등, 자가발전기, 침구류 등

특수물품크레인, 불도저, 절단장비, 방한 혹은 방수장비

기타물품재해팀의 의식주에 필요한 물품

재해의학의 특성

목표 : 가능한 최대한 인명을 보존하는 것

“모든 환자의 완벽한 치료”가 아닌 “생존 가능한 환자에게 최선의 처치를 시행하는 것”

재해대책의 필수요소

중증도 분류

통신체계

부서간 협조체계

재해훈련 및 평가

주민교육 : 재해 또는 대형사고시 신고방법, BLS, first aid, 대피방법 등

재해의료 대책의 기능

현장에서의 구조와 기본 응급처치

안전 지역으로의 피해자 이동

의학적 분류 : 중증도 분류

현장에서의 외과 처치

결정적 의료 처치

재해나 대형 사고시 신고방법

1. 119, 1339, 112로 전화를 건다

2. 재해 장소를 정확히 알 수 있는 표식이나 상징물을 말한다.(예: 기념탑, 건물명)

3. 자신의 전화번호를 말한다

4. 교통사고시 사고차량의 수, 차량종류, 적재물질, 차량의 상태를 말한다. (예: 유류를 실은 트럭이전복된 상태)

5. 대략적인 환자수와 중증환자의 비율을 말한다

6. 사고현장에 있는 위험 요소에 대해 말한다. (예: 위험물질 누출, 고압 전기줄 노출, 교통완전마비 등)

재난시 단계별 대처내용

보건, 소방의료기관으로 수송이 송

의료결정적 의료처치병원처치

보건, 소방중증도 분류에 따라 처치의 우선순위

결정하고 의료진 배치응급처치

보건, 소방처치의 우선순위 및 수준 결정중증도 분류

소방, 보건화재진압, 유류 유출방지 등 현장

위험요소제거현장 안정화

소방, 군사상자의 위치 확인 및 구조수색 및 구조

소방, 각 기관단체긴급구조구난기관, 단체에 신고전파신고전파

소방, 응급정보센터목격자로부터 사고내용을 신고접수신고접수

담 당 부 문내 용단 계

현장 의료지원의 주요 관점

중증도 분류 (Triage)

처치 (Treatment)

이송 (Transport)

사망자의 신원확인

(Responsibility for the Dead)

“T3”

중증도 분류 (Triage)

정의: 응급처치 및 환자이송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중증도별로 구분

Field medical care

START methodSimple Triage And Rapid Transport (treatment)

METTAG method : 긴급,응급,비응급,지연

SAVE triage

NATO triage : war

START Method

시작

1. 1. 걸을걸을 수수 있는가있는가??비응급 예 아니오: 호흡을보고,듣고,느낀다

2. 2. 호흡이호흡이 있는가있는가??아니오

기도개방호흡이있는가?예: 긴급아니오: 지연

예호흡횟수?

>30/분 , < 10/분 긴급

10-30/분 : 순환평가

3. 3. 순환순환 평가평가

요골맥박

긴급 지혈 없다있다 정신 없다 긴급

있다 비응급

중증도 분류법 (METTAG)

긴급환자 : 수분 혹은 수시간이내의 응급처치를 요하는 중증환자

응급환자 : 수시간이내의 응급처치를 요하는중증환자

비응급 환자 : 수시간/수일 후에 치료하여도생명에 관계가 없는 환자

지연환자 : 사망하였거나 생존의 가능성이 없는 환자

긴급환자 (urgent)

기도폐쇄, 심한 호흡곤란 또는 호흡정지심장마비순간이 인지된 심정지경추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혼수상태의 중증 두부손상개방성 복부열상, 골반골 골절을 동반한 복부손상대량출혈에 의한 쇽 (수축기 혈압 < 80 mmHg)긴장성 기흉 또는 Flail chest기도화상을 동반한 중증의 화상원위부 맥박이 촉지되지 않는 골절기타: 심장병, 저체온증, 지속적인 천식 혹은 경련 등

“응급차량이나 항공기를 이용하여 병원으로 이송한다.”

응급환자

경추를 제외한 부위의 척추골절중증의 출혈다발성 골절안정된 흉부손상안정된 복부손상개방성 안구손상중증의 화상

응급차량으로 병원까지 이송된다

비응급환자 (non-urgent)

경증의 열상 혹은 단순골절

소량의 출혈

경증의 화상 혹은 타박상

일명 'Ambulatory patients' 라고도 불리는 경증 환자들을 지칭이송은 주로 대중 교통수단(버스 등)을 이용한다.

SAVE triage

Die

Survive

Start protocol + save triage

중증도 분류법(NATO)

긴급환자

생명이나 사지를 구하기 위한 수술필요,

수술시간 짧음. 생존의 가능성 높음

응급환자

시간이 많이 걸리는 수술

처치가 늦어도 생명에 위협적이지 않음

지연이 되어도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경우

중증도 분류법(NATO)

비응급 환자

가벼운 부상

숙련된 요원에 의해 처치를 받지 않아도 됨

지연환자

심각한 다발성 손상

치료가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

인력과 자원의 낭비

중증도 분류표

중증도 분류표 기록내용

환자의 인적 사항

사고현장에 관한 정보

병력에 관한 사항

신체적 손상에 관한 사항

처치 사항 (시간별로 기재) : 치료, 투약

중증도 분류 (색상을 이용함)

중증도 분류의 시행횟수

1차 중증도 분류

긴급환자 파악에 중점

2차 중증도 분류

환자수집소 및 응급처치소에서 재 분류

3, 4차 중증도 분류

병원도착시 응급센터, 일부 수술후 또는 중환자실에서 최종적 분류를 시행

Disaster와 관련된 질병

압좌 증후군 (Crush syndrome)

정신과적 질환 (PTSD)

감염증, 전염병

순환 및 호흡기계 손상

기도 손상

둔상 (blunt trauma)

압좌증후군(crush syndrome)

증상

국소 : 구획증후군

전신 : 저혈량, 젖산성 산증, 고칼륨혈증

신장 : 허혈 및 급성신부전

치료

적극적 수액요법 및 이뇨제 사용

중탄산 나트륨 및 감염예방 치료 등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

반복적 회상 및 악몽, 일시적 기억장애

일상생활에의 집중곤란, 흥미상실

짜증, 놀람, 수면장애 동반

예후

급성 및 만성

치료 : 정신치료, 투약(tricyclic antidepressant)

국내 사고사례

목포 “연”호(여객선) 침몰사고 ‘63. 1. 18서울 대연각 호텔 화재 사고 ‘71. 12. 25부산 구포열차 전복 사고 ‘93. 3. 28목포 공항 아시아나 항공기 추락 '93. 7. 26서울 성수 대교 붕괴 사고 ‘94. 10. 21충주 유람선 화재 사고 ‘94. 10. 24서울 아현동 가스 폭발 사고 ‘94. 12. 7대구 지하철 도시가스 폭발 사고 ‘95. 4. 28서울 삼풍 백화점 붕괴 사고 ‘95. 6. 29

괌 공항 대한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 ‘97. 8. 6화성 씨랜드 수련원 화재 사고 ‘99. 6. 30인천 호프집 화재 사고 ‘99. 10. 30전북군산시 개복골목 윤락가 화재 ‘02. 1. 29부평 다세대주택 폭발 ‘02. 3. 20서울 청량리 여관 화재 ‘02. 4. 2경남 김해시 중국 여객기 추락 ‘02. 4. 15대구 중앙역 지하철 화재 ‘03. 2. 18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

총 환자 : 199명 / 22개 병원으로 이송

300병상 이상 규모 : 155명 (77.9%)

연령 20 ~ 30 대 : 52.9%

3차 병원 이송 (73명) : 평균 이송시간

82.3분

2차 병원 이송 (37명) : 평균 124.7분

1Km 이내 병원 이송 : 84명 (86.2분)

환자 중증도와는 무관하게 이송

세계무역센터 테러사고

세계무역센터 테러사고

◇ 뉴욕 : 세계무역센터(WTC) ...실종 4972명 ; 사망 152명

아메리칸 항공 AA11편 탑승객....사망 92명

유나이티드 항공 UA175편 탑승객....사망 65명

◇ 워싱턴 : 국방부 청사...사망 또는 실종 125명 아메리칸

항공 AA77편 탑승객....사망 64명

◇ 펜실베이니아 : 유나이티드 항공 UA93편 탑승객 ....사망

45명

재해현장 개략도

재해 사고 현장

수색-구조

구급차출동병원병원

분류반분류반 : 1: 1차차 평가평가 및및 환자환자 분류분류

이송반이송반 : : 환자환자 이송이송 결정결정

사고현장 지휘본부

구급차대기

제 2 경계지역

제 1 경계지역

바람방향

출입통제

긴급환자

치료소

응급처치반응급처치반 ::

22차차 평가평가 및및 현장처치현장처치

임시

영안소응급의료소

현장 응급처치소

Key point

일상적인 응급실에서의 환자 진료나 일반적인 병원전 처치와

다르다는 점을 인식

재해 현장의 여건, 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없다면 몰려

드는 환자에 파묻혀 어떤 처치도 할 수 없게 된다.

재해 현장의 지휘 체계를 모르거나 이를 무시하고 독자적으로

행동한다면 의료진의 어떠한 행위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재해 현장에 대한 이해 아래 현장의 응급의료 지휘본부를 통

한 신속한 환자 수색과 구조, 1차 평가와 환자 분류, 2차 평

가와 현장 처치, 적절한 병원으로의 환자 이송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만 재해를 입은 환자들에게 최선의 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