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53
지하철 서울역 이용 시민들의 AED 인식과 사용 증진에 대한 고찰 지역사회의학 안예빈, 엄영우, 유창윤, 이석현, 임우현, 전재창, 정진섭, 정현석, 채영택, 최윤효, 한연비

Upload: others

Post on 26-Jul-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2: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목차

I. 연구의 배경

II. 연구의 목적

III. 연구의 가설

IV. 연구 방법

V. 연구 결과

VI. 결론 및 고찰

Page 3: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 연구의 배경

Page 4: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 연구의 배경

2006-2010년 국내 119를 통해 이송된 심정지 환자총 112,089건

각 연도별 건수는 매년 조금씩 증가하여 2010년 25,090명심정지 발생 장소: 집(45.3%), 공공장소(19.2%), 거리(15.1%)

Page 5: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 연구의 배경

1분안에 CPR + 5분안에 AED할 수 있다면 생존퇴원율 70%이상, 걸어서 퇴원하는 사람 80% 이상

(T. D. Valenzuela et al., 2000, Caffrey S. L. et al., 2002)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AED를 이용하여 최초대응자가 처치한 경우가 응급구조사가 와서 제세동한 경우보다 좋음

AED는 잠재적인 심정지 환자나 구조자들의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비용-효과가 우수 (Roger A. Winkle, 2010)

Page 6: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 연구의 배경

2009~2013년 1월까지 전국적으로 총 6502대의 AED 설치전국적인 다중이용시설에서의 AED 이용 누적건수 단 33건

서울시 지하철: 260여대의 AED가 각 역사에 설치

Page 7: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I. 연구의 목적

Page 8: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I. 연구의 목적

2013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AED 사용에장애가되는요인을조사하고, 이를바탕으로한지하철역사내 AED 사용률을높일수있는방안을모색

Page 9: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II. 연구의 가설

Page 10: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II. 연구의 가설

서울시지하철역사내 AED 사용에장애가되는요인으로설치여부및 AED 사용법에대한인식의부족이있을것이며, 사용도진척을위한교육과홍보가필요할것이다

Page 11: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II. 연구의 가설

1. 지하철 이용객의 AED에 대한 인식이 없을 것이다2. 지하철 이용객의 AED의 사용법에 대한 인식이 없

을 것이다3. 지하철 이용객의 AED 교육 경험이 없을 것이다4. AED 사용의 장애 요인에는 교육 및 연습부족, 효

용성에 대한 정보부족, 홍보 및 노출 부족 등이 있을 것이다

Page 12: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V. 연구 방법

Page 13: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IV. 연구 방법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작성하고, 이를배포하여 설문 조사 실시

•설문 일시: 2013년 3월 25일 ~ 27일•설문 장소: AED가 설치된 지하철역 중 유동인구가 많고 연령대와 배경이 다양한 서울역

•대상: 무작위 선정된 360명•통계 방법: Excel과 SPSS를 이용한 빈도분석및 카이제곱검정

Page 14: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Page 15: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V. 연구 결과

Page 16: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V. 연구 결과

1. 설문 대상자 특성

2. AED에 대한 인식

3. AED에 대한 교육 실태

4. AED 사용에 대한 장애 요인

Page 17: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과 – 1. 설문대상자특성

(N=360)

항목 구분 빈도

성별 Male 189 53%

Female 171 48%

나이 10-19 9 3%

20-29 167 46%

30-39 67 19%

40-49 35 10%

50-59 42 12%

60- 40 11%

학력 초졸 11 3%

중졸 15 4%

고졸 145 40%

대졸 151 42%

대학원졸 38 11%

189(52%)

171(48%)

남성

여성

9(3%)

167(45%)

67(19%)

35(10%)

42(12%)

40(11%) 10대

20대30대40대50대60대이상

• 총설문대상자: 360명

Page 18: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11(3%)

15(4%)

145(40%)151

(42%)

38(11%) 초졸

중졸

고졸

대졸

대학원졸

(N=360)

항목 구분 빈도

성별 Male 189 53%

Female 171 48%

나이 10-19 9 3%

20-29 167 46%

30-39 67 19%

40-49 35 10%

50-59 42 12%

60- 40 11%

학력 초졸 11 3%

중졸 15 4%

고졸 145 40%

대졸 151 42%

대학원졸 38 11%

• 총설문대상자: 360명

결과 – 1. 설문대상자특성

Page 19: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Q.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용어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

140(39%)

N=360

아니오

Page 20: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용어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

Male

Female

83(23%)

57(16%)

예 아니오

44%56%

33%

67%

여114

(32%)

106(29%)

*p-value : 0.04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Page 21: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용어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

0%

20%

40%

60%

80%

100%

예 아니오

10대20대30대40대50대60대이상

*p-value : 0.002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Page 22: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용어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

0%

20%

40%

60%

80%

100%

예아니오

초졸

중졸

고졸

대졸

대학원졸

*p-value : 0.000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Page 23: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N=360)

구분인식

p-value유 (n=140) 무 (n=220)

성별 Male 83 (44%) 106 (56%) 0.04

Female 57 (33%) 114 (67%)

연령 10-19 0 (0%) 9 (100%) 0.002

20-29 71 (43%) 96 (57%)

30-39 31 (48%) 35 (52%)

40-49 15 (43%) 20 (57%)

50-59 16 (38%) 26 (62%)

60- 6 (15%) 34 (85%)

학력 초졸 2 (18%) 9 (82%) <0.0001

중졸 0 (0%) 15 (100%)

고졸 46 (32%) 99 (68%)

대졸 68 (45%) 83 (55%)

대학원졸 24 (63%) 14 (37%)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Q.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용어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

Page 24: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아십니까?

N=140

140(39%)

N=360

109(78%)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들어본적있다

들어본적없다

아니오

Page 25: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아십니까?

예 아니오

82%

18%

72%

28%남

*p-value : 0.162

N=140

109(78%)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Page 26: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아십니까?

0%

20%

40%

60%

80%

100%

예 아니오

10대20대30대40대50대60대이상

N=140

109(78%)

*p-value : 0.983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Page 27: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아십니까?

N=140

109(78%)

0%

20%

40%

60%

80%

100%

예아니오

초졸

중졸

고졸

대졸

대학원졸

*p-value : 0.456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Page 28: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N=140)

구분지식

p-value유 (n=109) 무 (n=31)

성별 Male 68 (82%) 15 (18%) 0.162

Female 41 (72%) 16 (28%)

연령 10-19 0 (0%) 0 (0%) 0.983

20-29 55 (77%) 16 (23%)

30-39 25 (78%) 7 (22%)

40-49 11 (73%) 4 (27%)

50-59 13 (81%) 3 (19%)

60- 5 (83%) 1 (17%)

학력 초졸 100% 0% 0.456

중졸 0% 0%

고졸 78% 22%

대졸 74% 26%

대학원졸 88% 12%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Q.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아십니까?

Page 29: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지금 계신 지하철 역에 AED가 설치되어 있다는 사실을알고 있습니까?

N=140

140(39%)

N=360

61(44%)79

(56%)

아니오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전체설문인원의 17%

Page 30: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지하철에 AED가 설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안다면,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 알고 있습니까?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79(56%)

16(12%)

45(32%)

61(44%)

아니오

위치까지안다

위치는모른다

N=140전체설문인원의 4.4%

Page 31: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AED에 대해 들어본 사람은 전체 설문자의 39 %(140/360명)에 불과하며, 60대 이상, 저학력, 여성에서 상대적으로낮은 비율을 보였다

AED에 대해 들어 본 사람들 중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아는 사람의 비율은 78%(109/140명)였고,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지하철 역사 내 AED 설치 여부를 아는 사람은 전체 설문자의 17%(61명)이며, 실제 위치를 아는 사람은 4.4% (16명)에 불과했다

결과 – 2. AED에대한인식

Page 32: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140(39%)

N=360

32(9%)

108(30%)

아니오

Q. AED를 작동할 수 있습니까?

결과 – 3. AED에 대한교육실태

Page 33: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140(39%)

N=360

29(8%)

111(31%)

아니오

Q. AED의 기구 작동방법을 교육받은 적이 있습니까?

결과 – 3. AED에 대한교육실태

Page 34: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구분사용능력

p-value유 (n=32) 무 (n=328)

교육여부 유 22 7 <0.0001

무 10 321

*p-value : <0.0001

(N=360)결과 – 3. AED에 대한교육실태

교육 받은 사람 중 , AED를 작동 할수 있는 경우: 76% (22/29명)

교육 받지 않은 사람 중, AED를 작동 할 수 있는 경우: 3% (10/331명)

Page 35: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교육을 받았다면 받은 지는 얼마나 되었습니까?

결과 – 3. AED에 대한교육실태

29(21%)

111(79%)

11(38%)

16(55%)

2(7%)

1년이내2~5년이내5년이상

N=29

Page 36: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AED기구 작동방법을 교육받은 기관은 무엇입니까?

결과 – 3. AED에 대한교육실태

02468

10121416

75

7

16

기타: 군대, 예비군훈련, 고등학교

N=29

Page 38: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때 AED를 사용할 의사가 있습니까?

결과 – 4. AED 사용에대한장애요인

100(71%)

40(29%)

예아니오

N=140

Page 39: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과 – 4. AED 사용에대한장애요인

구분사용의사

p-value유 (n=100) 무 (n=40)

교육여부 유 25 4 0.048

무 75 36

*p-value : 0.048

(N=140)

교육 받은 사람 중 , AED를 사용 할 의사가 없는 경우: 14% (4/29명)

교육 받지 않은 사람 중, AED를 사용할 의사가 없는 경우: 32% (36/111명)

Page 40: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다음 중 어떤 사항이 AED 사용에 장애가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결과 – 4. AED 사용에대한장애요인

1) AED대해 사용 교육받거나 연습해본 적이 없음2) AED의 효용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음3) AED가 설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모름4) 설치돼있는 사실은 알지만 구체적인 위치 모름5) AED 사용시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법적 문제6) 기타(직접 써주세요)

설문문항

Page 41: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다음 중 어떤 사항이 AED 사용에 장애가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결과 – 4. AED 사용에대한장애요인

91%

54%

76%

35%

41%

1%

0% 20% 40% 60% 80% 100%

교육/연습부족

효용성정보부족

설치여부모름

설치위치모름

법적문제

기타기타의견 : 이름을 처음 들어봄, 이름이 너무 어렵다, 알기 쉽게 홍보 필요, 기본적인 의학지식 부족, 높은 비용문제, 실제 사용시 부작용 우려 및성능 미확신

1위

2위

3위

Page 42: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다음 중 어떤 사항이 AED 사용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결과 – 4. AED 사용에대한장애요인

1) 최근에 받은 AED 사용 교육 및 연습2) AED 사용시의 책임과 면책에 관한 정보 제공3) AED의 효용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4) AED 설치 여부와 위치에 대한 홍보5) AED를 눈에 띄는 곳에 설치6) 기타 (직접 써주세요) _______________________

설문문항

Page 43: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Q. 다음중어떤사항이 AED 사용에도움이된다고생각하십니까?

결과 – 4. AED 사용에대한장애요인

79%

40%

47%

74%

59%

1%

0% 20% 40% 60% 80% 100%

교육/훈련강화

법적책임에관한정보제공

효용성정보제공

AED 관련홍보

눈에띄는곳에설치

기타기타의견 :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개량,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지하철 광고면 활용한 홍보, 설명서를 크게 쓴다

1위

2위

3위

Page 44: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과 – 4. AED 사용에대한장애요인

AED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실제로 사용을 하겠다는 사람의 비율은 71 %(100/140명) 였다

장애요인으로는 첫째로 교육 의 부족, 둘째로 설치여부를모르는 것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로 교육 의 강화, 둘째로 AED 관련홍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45: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VI. 결론 및 고찰

Page 46: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론및고찰

AED에 대한 인식이 있는 사람은 전체 설문자의30 %(109/360명)에 불과했다

지하철 역사 내 AED 설치 여부를 아는 사람은 전체 설문자의17% 이며, 실제 위치를 아는 사람은 4.4%에 불과했다

AED 사용법에 대한 교육 받은 사람은 전체 설문자의 8%였고, 그 중 76%가 AED를 사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

AED에 대해 들어 본 사람 중 응급 상황 시 사용 의사가 있는사람은 71%였고, 교육을 받은 사람 중에서는 86% 였다

연구의결론

Page 47: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론및고찰

김숙향(2007)과 국회정책보고서(2006)은 이미 AED의 사용 장애요인으로 확대 보급, 교육 및 홍보의 부재를 제기한 바 있다

우리 연구의 결과에서도 여전히 AED 사용의 장애요인으로는첫째로 교육 의 부족, 둘째로 설치여부를 모르는 것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2009년 응급의료에관한법률 제정으로 AED 확대 보급은달성되었으나 교육 및 홍보를 위한 노력은 부족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연구의결론

Page 48: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론및고찰

따라서, 서울 시내 곳곳에 설치된 AED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1) AED에 관한 교육의 강화2) 공공장소의 AED 설치에 대한 홍보3) 눈에 띄기 쉬운 곳에 찾기 쉽도록 설치하는 것

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연구의결론

Page 49: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론및고찰

1) AED에 관한 교육의 강화

- 초/중/고등학교에 필수 교육과정 개설- 군대/예비군 필수 교육과정 개설- 일정인원이상 사업체에서의 교육 의무화- 3차이상 병원에서의 AED 교육센터 설치 의무화- 심질환 환자 가족 대상 AED 교육 프로그램 개설 의무화

연구의결론

Page 50: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론및고찰

2) 공공장소의 AED 설치에 대한 홍보

- 공익광고- 연예인 홍보대사 지정- AED의 쉬운 이름 공모 예)심장 살리미, 심장마비치료기

- SNS를 활용한 홍보 예)facebook 이벤트

- 영화 시작 전 광고시간에 AED 홍보 영상 의무 상영- AED 관련 앱 개발- 모바일 지도에 AED 위치 의무 표시

연구의결론

Page 51: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론및고찰

3) 눈에 띄기 쉬운 곳에 찾기 쉽도록 설치

- 지하철역 표지판 설치 의무화- AED 기계 위 LED 조명 설치- 지하철역 위치 통일화 예) 교통카드 무인충전기 옆

연구의결론

Page 52: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결론및고찰

공공장소에 AED가 설치된 시점에서, 응급상황 발생시AED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AED에 대한 인식과교육상태 및 장애요인을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의의의

연구의 시간적 제약으로 표본 수가 부족하였고, 표본 선정에 있어 설문 거부와 장소적 제약으로 완전한 무작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의한계점및발전방향

Page 53: 지하철서울역이용시민들의snu-dhpm.ac.kr/pds/files/2013 지역사회의학실습_1... · 2014-04-02 · 2013. 년현재서울시지하철이용객들의. aed. 에대한인식의정도를파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