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good-schlatter 병에 대한 초음파진단1 · 2017. 4. 6. · 파진단에 따른 osgood...

6
1995; 32(4 ) : 607-612 Osgood-Schlatter · · Osgood -Schlatter : Osgood -Schl atter Osgood -Schlatter Osgood -Schlatter X X Osgood -Schlatter X Osgood - Schlatter ). X (5- 7). Osgood -Schlatter Osgood - Schlatter Acuson(128 XP /10, 7 MHz transsonic - 607-

Upload: others

Post on 30-Jan-2021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대 한 방사 선 의 학회 지 1995; 32(4) : 607-612

    Osgood-Schlatter 병에 대한 초음파진단1

    이 선 화· 최 혜 영 · 백 승연 · 이 석 범2

    목 적 Osgood -Schlatter 병에 대한 초음파소견을 평가하고 이를 단순 x -선 사진소견과 비교하여

    이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검사의 소견 및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Osgood -Schl atter 병으로 진단된 20명의 환자(22예) 및 정상대조군으로 유사한 연렁

    층의 남아 15명에서 단순 슬관절 x -선촬영 및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다. Osgood -Schlatter 병으로 진

    단된 20명중 10명에서는 2-6개월후에 추적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다.7MHz의 선배열 탐촉자로 전경

    골 조면에 대한 횡단 및 종단 스캔을 시행하였다.

    결 과: Osgood -Schlatter 병의 초음파검사 소견으로는 전경골 조면 연골의 종창이 16예, 전경골 조면

    골화중심의 불규칙한외연이나분절화가 14예,슬개인대의 국한적 비후가 14예, 비후된 슬개인대내의

    소골이 3여| 및 슬개하 활액낭의 팽창이 2예였다. 초음파소견을 단순 X 선사진과 비교분석하면 7예에

    서늠 단순 X 선사진상 정상이었으나 초음파검사상 슬개인대 비후, 연글 종창이나 분절화 소견이 관잘

    되었다. 15예에서는 단순 x-선사진 및 초음파검사상 이상 소견이 있었으며 초음파진 단상 단순 x -선사

    진상 관찰되는 골조직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을뿐 아니라 슬개인대나 연골등의 연부조직의 변화에

    관해 보다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수 있었다.

    결 론:초음파검사는 Osgood -Schlatter 병의 진단에 있어 특징적 골변화뿐 아니라 단순 X 선 사진에

    비해 질환의 조기변화인 연부조직 병변을 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하고 믿을만한 검사법으로 사료

    된다.

    서 로 」

    Osgood -Schlatter 병은 성장중인 전경골 조변을 침범하

    는 골연화증으로 외상성 요인에 의한다(1 -4 ). 이 질환의

    진단은 주로 특징적 임상소견에 의존하나 방사선학적 검사

    법으로 연부조직 X 선 사진촬영술이나 건조 x-션조영술

    이 이용되기도 하였으나 조기 진단에 있어 제한이 있었다

    (5 -7). 연부조직 질환의 진단에 있어 초음파검사의 유용도

    는 널리 알려져 있어 (8-9) 저자들은 Osgood -Schlatter 병

    의 진단에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이의 진단척 소견 및 가

    치를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1993년 11월부터 1994년 8월까지 임상적으로 Osgood -

    1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진 단방사선과학교실 201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이 논문은 1994년 1 2월 22일 접수하여 1995년 3월 29일에 채택되었음

    Schlatter 병으로 진단된 20명의 환자 (2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아가 18명, 여야가 2명이였고 연령은 11 - 14세

    로 평균 연령은 13세였다. 2명 에서는 양측 전경골 조연을

    침범하였고 12명에서는 우측, 6명에서는 화측 전경골 조면

    을침범하였다.

    사용한 기기는 Acuson(128 XP /10, USA)으로 7 MHz

    의 선배열 탐촉자를 사용하였고 transsonic gel을 전경골

    조변에 부착하여 이 부위에 대한 종단 및 횡단 스캔을 시

    행하였다.

    20명의 환자에서 슬관절 전면 및 측면 단순 X-선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초음파검사와의 시간간격은 7일 이내였다.

    초음파검사를 시행한 20명의 환자중 10명에서는 2-6개월

    후에 추적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다. 유사한 연령층의 건

    강한 남아 15명을 정상 대조군으로 선택하여 전경골 조면

    부위의 초음파검사를 병행하여 관찰된 소견을 정상 소견

    으로참조하였다.

    초음파검사시 전경골 조변의 골화중심부에서는 전반적

    모양, 외연 및 에코양상, 골화중심부 표면의 연골층에서는

    두께, 에코양상 및 외연, 그리고 슬개 인대의 두께 및 에코

    양상을관찰하였다.정상대조군빛 건측정상부위와비교

    - 607-

  • 대 한 방 사 선 의 학 회 지 1995 : 32( 4) : 607 - 612

    하여 이상의 부위에서 에코양상, 외연 및 두께가 변화된 것

    을 이상 소견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슬개하 활액낭( infra

    patellar bursa)의 팽창 여부를 관찰하였다.

    단순 슬관절 x -선사진상 골 및 연부조직 음영의 이상

    유무를 알려진바 소견들에 의해 평가하였다 (5 -7).

    초음파진단시에 연골이 종창된경우는 전경골 조변의 골

    화중심 표면의 연골층중가장두꺼운부분이 종단및 횡

    단 스캔상 반대편 건측이나 유사 연령의 정상대조군과 비

    교하여 2mm이상 두꺼워진 것으로 정하였다. 슬개 인대의

    비후는 전경골 조면부위에서 슬개 인대의 전면이 볼록해

    지고 그 두께가 건측이나 정상대조군에 비해 2mm이상 두

    a b

    꺼워진 경우로 정하였다. 전경골 조변의 분절화는 골화 중

    심부 피질이 불규칙하게 갈라지거나 결손 부위와 더불어

    저 에코 음영 부위가 관찰되는 경우로 정하였다. 또한 정상

    에서는 관찰되지않는 액체가 저류된 저 에코 부위의 슬개

    하 활액냥이 슬개인대 후면에서 관찰되면 슬개하활액낭의

    팽창으로 간주하였다. 이상의 초음파진단의 소견을 근거로

    Osgood -Schlatter 병을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제 1형은

    연골이 종창된 경우, 제 2형은 슬개인대가 국한적으로 비

    후된 경우, 제 3형은 연골 및 슬개인대의 비후가 동반된 경

    우, 제 4형은 전경골 조연의 골변화에 연골이나 슬개인대

    의 병변이 동반된 경우, 제 5형은 전술한 소견 중 한개 이

    Fig. 1. On longitudinal scan 01 the normal tibial tuberosity(T) in a boy aged 11 years(a) and 14 years(b). The patellar tendon

    (black arrows) is inserted on the cartilage over the epiphyseal ossilication center 01 the tibial tuberosity , which is diffusely

    hypoechoic(white sol id arrows)‘ The ossilicat hyperechoic line(white open arrow) in a

    11-year-이d boy. In a 14-year-old boy, the ossilication center is well developed and union 01 the proximal edge to the tibial shaft

    and opening 01 the distal p이 e with spur like appearance(white open arrows ) are seen‘

    a b Fig. 2. On longitudinal sonogram in a 13-year-old boy with pain on the anterior tibial tuberosity(a) , there is irregular outline 01

    the anterior tibial tuberosity ossilication center (small arrows) and mild swelling 01 the overlying cartilage (l arge arrows). On 2 month-Iater lollow-up sonograph (b) , the outline 01 the anterior tibial tuberosity is more regular and echogenic and also cartilage

    swelling is decreased.

    -608

  • a Fig. 3. The long itudinal sonogram 01 type 4 Osgood-Schlatter

    disease (a) reveals swelling 01 the cartilage (arrow heads) and

    obvious Iragmentations 01 the tibial tuberosity ossilication center

    (arrows) , which are delective and irregular in its outline contour

    and reduced in internal echoes. The lateral view 01 knee radio-

    graph(b) shows i rregular indistinct border and mild Iragmen-

    tation 01 the tibial tuberosity

    상과 슬개하 활액낭이 팽창된 경우로 정하였다. 이러한 유

    형에 따른 단순 X 선 사진의 이상 소견 유무를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정상대조군에서 관찰되는전경골조면의 골화중심을둘

    러싸는 연골층은 균등한 두께의 저에코 양상이며 골화중심

    부는 연골내에 고에코 부위로 관찰되며 10-11세 연령군에

    서는 매우 작은 고에코이나 13-14세 연령군에서는 고에코

    의 골화중심부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에코가 있는 균등한

    두께의 슬개인대가 슬개골에서부터 전경골 조면으로 주행

    하여 연골부위 에 부착하며 그 전면은 오목하다 (Fig. 1).

    Osgood-Schlatter 병의 초음파소견으로는 전경골 조변

    의 골화중심부 표변의 연골이 종창된 경우가 16예 (Fig.

    2a, 3a) , 골화중심부 외측 피질이 불규칙하거나 (Fig. 2a)

    내부에 다양한 저에코 부위를 가진 분절화 양상이 14예에

    서 관찰되었고(Fig 3a) , 슬개인대가 전경골 조면부위에서

    국한적으로 비후된 경우가 14예 (Fig. 4a)였고 이중 3예에

    서는 인대내에 소골(ossicle)이 있었다 (Fig.5). 슬개하 활

    액낭이 2예에서 팽창되었다 (Fig. 6) , (Table 1).

    Osgood - Schlatter 병 22예 에 대 한 초음파검 사 및 단순

    x -선 사진의 진단적 정확도를 비교하면 초음파검사상 22

    예에서 이상소견이 관찰된 반면 단순 x-선 사진상 7예에

    서는 정상 소견, 15예에서는 이상소견이 관찰되었다. 초음

    파진단에 따른 Osgood -Schlat ter 병의 유형과 x-선사진

    소견의 이상 유무를 비교하였을때 연골 종창이나 슬개인대

    이선화 오I : Osgood -Schlatter 병에 대한 초음파진단

    b

    Table 1 . Osgood-Schlatter Disease ‘ Sonographic Features (N=22)

    Findings No. 01 Cases

    Swollen tibial tuberosity cartilage 16

    Bony change 01 tibial tuberosity 14

    Fragmentation 12

    Irregularity 2

    Thickened patellar tendon 14

    Ossicle in patellar tendon 3

    Distended inlrapatellar bursa 2

    의 비후 등의 연부조직 변화만 있는 경우엔 단순 X 선사

    진상 정상 소견이 많은 반면에 (Fig.4) 골 및 연부조직의

    변화가 초음파검사상 관찰된 경우 단순 x-선사진상 전형

    적인 소견들이 관찰되는 빈도가 높았다 (Fig. 3) (Table

    2).

    추적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5예에서는 연골의 종창이

    감소되거나 전경골 조면 골화 중심의 불규칙하고 희미한

    외연이 보다 규칙적이고 뚜렷한 고에코 부위로 변화 되었

    으며 이 경우 임상증상 역시 호전 되었으며 단순 x -선 소

    견도 일치 하였다 (Fig. 2). 4예에서는 분절화의 소견이 더

    - 609 -

  • 대 한 방사 선 의 학회 지 1995; 32(4) ; 607 - 612

    Fig. 6. The right parasagittal scan 01 type 5 Osgood-Schlatter

    disease 01 the anterior tibial tuberosity (T) discloses a Iluid

    collection within retro-tendin eal soft tissue 01 the knee

    (arrows) , which is due to burs itis 01 the inlrapatellar bursa

    Fig. 4. The longitudinal scan 01 the anterior tibial tuberosity

    in type 2 Osgood-Schlatter disease reveals thickening 01 the

    patellar tendon with hypoechogenecity near tìbial insertion

    site (arrows) , indicating tendinitis. These changes are not

    delinite on lateral view 01 knee radiograph (not shown).

    욱더 현저하였고 단순 x-선 사진상 역시 동일하였으며 임

    상증상의 호전은 없었다.2개월에 추적 검사를시행한 1예

    에서는 특이한 변화를 관찰할수 없였다.

    Osgood - Schlatter 병에 대한 임상적 진단은 11 - 15세의

    청소년에서 전경골 조면의 동통, 종창 및 압통 여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방사선학적 검사법으로 단순 X 선촬영술이

    고식적으로 이용되었고, 그 전형적 소견으로는 연부 조직

    의 종창, 전경골 조면 골화중심부의 불규칙한 외연 및 분절

    화, 분리된 골편이 알려져있다 (5-7). 단순 X 선촬영시에

    는질환의 조기에 일어나는연부조직의 병변을관찰하는데

    한계가 있을뿐 아니라 전경골 조면의 골화중섬의 다양한

    양상을 평가함이 용이치 않다. 즉 정상인에서도 성장중인

    골화중심의 골화 정도에 따라 전경골 조변의 골화중심이

    다양한 모양으로 분절화될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좌, 우측

    전경골조면의 성장에도차이가 있으므로병적 분절화와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1, 6). 이런 애매모호한 경우에

    이에 대한 감별 진단에 연부 조직의 이상 소견 유무가 매우

    중요하다.

    Osgood- Schlatter 병의 급성 증상과 연관이 있는 조기

    병변인 연부조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저 KVp 연부

    조직 단순 X 선촬영이나 건조 x -션조영술에 의한 것이

    효과적이며 슬개하 지방체 음영의 증가 빛 하각의 둔화 그

    리고 슬개하 지방체의 후하연과 전경골 조변의 전면을 정

    하는연부조직층의 불규칙적 비후가주된소견으로보고된

    바 있다(7). Fornage(8)가 슬개인대에 대한 초음파검사를

    예비보고한이후슬관절주위의 다양한연부조직 병변에 대

    한 고해상력 초음파소견 맞 진단적 우수성이 보고되었다.

    Flaviis(9)등이 Osgood -Schlatter 병에 대하여 초음파검

    사를 체계적으로 처음 시행하여 전형적 소견으로 연골의

    찰 고

    Fig. 5 . The axial scan 01 the anterior tibial tuberosity in a

    14-year-old girl demonstrates an echogenic lesion with pos-

    terior shadowing (arrow) within right lateral side 01 the

    thickened patellar tendon representing intratendineal ossicle

    Table 2. Diagnosis 01 Osgood-Schlatter Disease ‘ Comparison

    。1 Sonography and Radiography

    Radiographic Findings

    - 610 -

    Abnormal

    15

    o o 1

    녕 1

    Normal fl

    η4 끼t f1

    41

    7

    Sonographic Patterns

    Type 1 [n =1 1

    Type 2 [n=21

    Type 3 [n=31

    Type 4 [n =141

    Type 5 [n = 21

    Total

  • 종창, 전경골 조면 골화 중심의 분절화, 슬개인대의 비후

    및 슬개하 활액낭의 팽창을 보고하였다. 저자들의 경우도

    증례는 다소 적으나 이상의 소견들 뿐 아니라 슬개인대내

    의 소골도관찰할수있었다.

    Osgood- Schlatter 병은 알려진바 외상에 의해 대퇴사두

    근 연대의 수축력이 미성숙한 전경골 조면 첨단부에 집중

    되어 견열 골절을 유발함으로써 이 부위에 부착된 슬개인

    대및 연골의 손상을 일으킨다. 이 결과 병리조직학적으로

    는 전경골 조면 펴질골의 미세한 결손 부위가 세포성 및

    혈관성의 결체 조직 및 가골로 채워지며 인접 인대및 연골

    에는 점액성 변성이 일어난다. Flaviis(9)등과 저자들이

    보고한 연부조직 병변언 슬개인대의 비후 빛 연골의 종창

    소견은 이러한 병리 조직학적 변화에 의한 것이며 또한

    Scotti등(7)이 건조 x -선조영술상 관찰한 연부조직 음영

    의 변화와도일치됨을알수있다.슬개인대내의 소골은가

    골을 형성한 전경골 조면의 견열 골절에 의해 떨어져 냐간

    작은 골편 혹은 변성된 슬개인대에서 。1 형성에 의해 형성

    된 골조직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자들의 경우 3예에서 관찰

    할수있였다.

    Flaviis등(9)은 Osgood - Schlatter 병의 단순 x -선 사진

    및 초음파소견을 분석하여 초음파검사가 x-촬영에 비하

    여 연부 조직변화에 보다 더 효과적이며 X 선사진으로는

    초음파검사에서 보다 더 나은 소견을 발견하지 못하였음

    을 보고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도 역시 동일하였으며 X

    선 사진상 관찰된 전경골조변의 연부조직의 종창이 연골

    의 종창이나 슬개인대의 비후에 의한 것으로 초음파 진단

    으로 구별함으로써 병리학적변화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x-선 사진상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도

    。1상의 초음파소견으로 Osgood - Schlatter 병의 조기증상

    을 설명할 수 있었다. x -선사진상 발견못한 경미한 분절

    화 소견도 관찰할수 있였고 이는 전경골 조면을 장축 및

    횡축으로 면밀히 검사할 수 있는 초음파검사의 잇점에 의

    한것으로사료된다.

    Osgood - Schlatter 병 은 대 다수 적 절한 대 증적 치 료나

    겁스고정에 의해 합병증 없이 치유되나 매우드물게 성장

    중인 전경골의 연골판이 조기 유합되거나 슬개골 위증

    (patella alta)가 유발되기도 한다(10, 11). 치유된 경우 추

    이선화 외 ’ Osgood -Schlatter 병에 대한 초음파진 단

    적검사시에 분절화된 전경골 조면의 결손부위는 신생골이

    나 가골에 의해 채워지면서 외연의 변형만 1낭는다. 저자들

    의 경우 10예중 5예에서는 임상 소견의 호전과 더불어 불

    규칙하고 분절된 전경골 조면의 외연이 애끄러운 고에코

    부위로 변화됨을 관찰하였다.

    초음파검사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는 비침

    습적 인 검 사이 며 Osgood - Schlatter 병 에 대 한 초음파진

    단시 전경골 조면 골화중심의 연골 빛 슬개인대에 일어나

    는 조기 변화를 관찰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단순 x-선사

    진에 비해 골 및 연부조직 변화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

    공한다. 고로 초음파검사는 Osgood -Schlatter 병의 진단

    에 매우유용하고믿을만한검사법으로사료된다.

    j;J τ7 = C그

    = 헌

    1. Ogden JA , Southwick WO. Osgood-Schlatter 's disease and tibial tuberosity developmen t. Clin Orthop 1976; 116 : 180-189

    2. Uhry E. Osgood-Schlatter’s disease. Arch Surg 1944; 48: 406

    410

    3. La Zerter A, Rapp IH. Pathogenesis of Osgood-Schlatter ’s

    disease. Am J Patho/1958; 34: 803 -811

    4. Ogden JA. Hempton RF. Development of the tibial tuberosity

    Anat Rec 1975; 182: 431 -445

    5. Hulting B. Roentgenologic features of fracture of the tibial tu-

    berosity. Acta Radiol 1957 ; 48: 161 -174

    6. Resnick D. Niwayama G. Diagnosis of bone and joint

    disorders. 2nd ed. Philadelphia ‘ Saunders , 1988; 3313 -3316

    7. Scotti DM. Sadhu VK. Heimberg F. 0 ’ hara AE. Osgood-Schlatter 's disease. an emphasis on soft tissue changes in

    roentgen diagnosis. Skeletal Radio/1979; 4: 21 -25

    8. Fornage BD. Sonography of the patellar tendon: preliminary

    。bservation. AJR 1984; 143: 179 -182

    9. Flaviis LD. Nessi R. Scaglione P. Albisetti W. Derchi LE

    Ultrasonic diagnosis of Osgod-Schlatter and Smding -Larsen-

    Johansson diseases of the knee. Skeletal Radiol 1989; 18

    193-197

    10. Willner P. Osgood-Schlatter's disease: etiology and treat-

    men t. Clin Orthop 1969;62:178 -181

    11. Woolfrey BF. Chandler EF. Manifestations of Osgood-Schla

    tter ’5 disease in later teenage and early adulthood. J Bone

    Joint Surg[Am} 1960 ;42:327 - 331

    一 611 -

  • 대한방사선의 학회지 1995; 32(4) : 607 - 612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 l Society, 1995 ; 32( 4) : 607- 612

    Sonographic Diagnosis of Osgood-Schlatter Disease'

    Sun Wha Lee, M.D. , Hye Young Choi , M.D. , Seung Yon Baek, M.D. ,

    Suk Beum Lee, M.D.2

    1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Ewha Womans University , College of Medicine

    2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onographic findings of Osgood-Schlatter disease with

    correlation to radiographic findings and to determine value of sonography in the diagnosis of Osgood-Schlatter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he population consist of 22 cases of Osgood-Schlatter disease and 15 healthy

    subjects of the same age range for comparison. The sonographic study was carried out with real time units

    equipped with linear probe of 7 MHz frequency

    Radiography and sonography were done in all cases and follow-up sonography was performed in 10 cases.

    Results: The sonographic features of the Osgood-Schlatter disease were swelling of cartilage over the an-

    terior tibial tuberosity ossification center in 16 cases, fragmentation and/or irregularities of the ossification

    center of the anterior tibial tuberosity in 14 cases, localized thickening of the patellar tendon in 14 cases,

    ossicles in the thickened patellar tendon in 3 cases, and distension of the infrapatellar bursa in 2 cases. Fifteen

    of 22 cases of Osgood-Schlatter disease had abnormal findings on radiographs and sonograms. Out of 7 cases

    which had normal radiograph and abnormal findings on sonogram , 6 cases showed patellar tendon thickening ,

    cartilage swelling , and/or distended infrapatellar bursa and one case showed fragmentation of anterior tibial tu-

    berosity on sonogram.

    Conclusion: Sonographic evaluation of Osgood-Schlatter disease provided a clear picture about pathologic

    changes in the superficial soft tissues and in the cartilage and also yielded the same diagnostic information on

    bony change as radiography Sonography is a reliable and useful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young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Osgood-Schlatter disease.

    Index Words: Knee , US

    Knee, abnormalities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un Wha Lee, M .D.,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 911-1 Mok강ong, Yangcheon-ku, Seoul, 158-056 Korea. Tel. 82- 2-650-5173 Fax. 82-2-644-3362

    - 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