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2014-08-26 · Ë " fg j á[j ÿ Ë " §Å ) *²²

33
전연우 * 김태경 ** 조희숙 ***

Upload: others

Post on 16-Apr-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생태유아교육연구

2013. 제12권 제4호 , 181 - 213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

전연우* ․ 김태경** ․ 조희숙***

요 약

본 연구는 숲 유치원에 대한 자원봉사자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

로 숲 유치원에서 자원봉사자 5명을 선정, 반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숲 유치원에 대한 인

식을 알아보았다. 자원봉사자들이 인식한 숲 유치원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자들은 숲 유치원을 통한 숲 경험이 자신들을 비롯하여 아이들과 교사 모두를 긍

정적인 변화로 이끌어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자원봉사자들은 숲 유치원에서

의 참여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소통, 생명성, 치유력 등과 같은 숲이 지닌 가치를 재발견하

게 된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자원봉사자들은 숲 활동 준비과정의 부담, 제반시

설 부족, 자연과의 조화 부족, 적극성과 세심함 부족 등의 어려움과 문제점이 숲 유치원에

서 보인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자원봉사자들은 대상 숲의 다양화, 실천 중심의 숲 활

동, 숲 프로그램 및 매뉴얼의 구체화 등으로 숲 유치원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나

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숲 유치원 설립의 필요성, 숲 유치원의 개선

방향, 숲반 활동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제어 숲 유치원(forest kindergarten)

자원봉사자(volunteer)

인식(perception)

※ 논문 접수 : 2013. 07. 31 / 수정본 접수 : 2013. 10. 12 / 게재 승인 : 2013. 12. 13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연구원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연구원

***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18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Ⅰ. 서 론

오늘날, 산업화 및 도시화의 심화로 인해 환경의 오염 및 파괴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으

며 그로 인한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숲의 축소는 그것이 곧, 생명력의 감소 및

쇠퇴를 암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우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 숲은 휴식과 휴양의 공간이자

심신을 정화시켜주는 공간이다. 맑고 푸른 숲은 신체적 건강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긴장,

불안, 공격성 등의 내면적 문제들을 완화 또는 순화시켜 줌으로써 정서와 인성의 올바른

형성과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특히 유아들과 관련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 왜냐하면 사람에게 있어 인성과 정서지능이 본격적으로 형성, 발달되기 시작하

는 시기가 바로 유아기이기(강인향, 2009) 때문이다. 그리고 숲은 유아들에게 교육의 장소

이자 치유의 공간이 될 수 있다. 유아들에게 있어 숲은 또 다른 배움을 경험하게 하는 공

간이자 그러한 배움을 바탕으로 유아들을 변화로 이끄는 토양이기도 하다(조규성, 2010).

또한 숲은 유아들의 몸과 마음과 영혼을 연결시켜주는 생명체로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강명희, 2012).

이상과 같이 숲이 지닌 효과 및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그 동안 실내에서

의 교육 및 활동에 얽매여 왔던 유아들을 숲으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

다. 달리 표현하면, 유아들을 기존의 유아교육 방식에서 벗어나게 하여 자연과 놀이와 아이

다움을 되찾아주고 그들이 본래부터 지니고 있는 원기와 생기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생태유아교육(임재택, 2008)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구체적 실

천 방안으로서 아이들이 숲에서 마음껏 뛰어 놀며 오감을 통해 만물과 교감하도록 하는 숲

유치원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임재택, 2010).

숲 유치원은 기존의 정형화된 유치원에서 교사에 의해 주입식 교육을 받는 것과 달리,

아이들을 숲과 만나게 함으로써 자연의 순리와 사람의 도리를 익히게 하는 곳(임재택, 하정

연, 신주연, 2012)이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숲 유치원은 유아들이 맘껏 뛰어놀며 자연과

서로 상호작용하며 관계를 형성하고, 자연 순환 원리와 이치를 체험을 통해 터득할 수 있

는 곳으로 유아의 정신과 신체를 건강하면서도 전인적인 방향으로 성장, 발달시키는 대안

적인 유아교육의 한 형태라고 말할 수 있다(이성자, 2010). 구체적으로, 숲 유치원은 상황에

맞게 주 1회 이상의 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아이들로 하여금 일정한 날, 일정한 장소에서 3

시간 이상을 숲과 그 속의 자연만물을 오감으로 느끼고 상호 교감하는 체험활동을 하게 하

는 체계를 갖춘 유치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문현정, 2013).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183

숲 유치원의 경우 특별한 시설 설비인 건물이 없이 숲이라는 장소에서 유아들과 활동을

하는 것으로 대안교육 형태의 하나이며(김은숙, 2010), 유아들로 하여금 정형적인 교실이라

는 공간을 벗어나 인근의 숲으로 이동하여 숲에서 마음껏 뛰어 놀고, 오감을 통해 자연 만

물과 교감하는 체험중심의 활동을 하도록 만든다(이용수, 2013).

숲 유치원과 같은 숲을 매개로 한 교육기관은 아이들의 자신감, 집중력, 언어 및 의사소

통 능력의 향상에 기여한다(O'Brien, 2009). 그리고 숲 유치원을 통한 숲 체험활동은 유아

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박경희, 2005), 유아의 감성지능을 향상시

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김동욱, 2008). 아울러, 유아들에게 환경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지닐 수 있게 하며(최정애, 서현아, 2010) 환경에 대한 이해와 자연을 보호하려는 마음을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게 해준다(김은숙, 2010). 이러한 점에서 숲 유치원은 앞으로 보다

더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특히 각종 개발에 따른 녹지 훼손 및 감소로 인해 유아들

이 숲을 체험할 수 있는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 더욱 그러하다.

한편, 숲 유치원은 그 역할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 바탕하여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숲 유치원의 운영 인력에 대한 대폭적인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숲 유치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자원봉사자들의 역할에 점점 더 많은 관심

이 부여되고 있다. 여기서, 자원봉사란 스스로 원해서 나누고 섬기는 일을 행동으로 옮기는

일로서(표갑수, 2010), 무보수성, 자발성, 이타성, 공익성, 지속성 등을 기본적 요소로 한다(

주성수, 2005; 최덕경, 이혜자, 서정학, 배은숙, 박주현, 2012). 오늘날, 자원봉사는 남녀노소,

각계각층이 고루 참여해서 작고 쉬운 일부터 크고 어려운 일까지 해내는 범사회적 운동으

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러한 활동을 뒷받침하는데 기초가 되는 인프라(주성수, 2006)도 확대

돼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자원봉사자 또한 기본적으로 어떤 일에 대가없이 자

발적으로 참여하여 돕는 사람을 일컫는다. 자원봉사자는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서비스 전달체계를 개발하며 공적인 활동을 행하기도 한다. 특히, 유아교육과 관련해서는

재정적 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유치원 프로그램의 질을 높여주는데도 기여(김영심, 2012)

할 수도 있다. 자원봉사자의 역할은 개인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다.

우선, 개인적으로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나 지원을 제공할 수 있

다. 이 과정에서 자원봉사자는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긍정적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나

가며, 사회적 연대감과 공동체의식을 기르고 타인이해의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고양시킬

수 있다(임호, 2006). 그리고, 사회적으로는 매개자의 역할을 하면서(전대성, 2006) 개인, 집

단, 지역사회의 문제를 알리고 그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도움을 중재할 수 있다. 더불어,

사회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모니터링 활동 및 건설적 비판의 역할을 할 수도 있

1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원봉사자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을 증진(최덕경, 이혜자,

서정학, 배은숙, 박주현, 2012)시켜 나갈 수 있다.

한편, 유아들을 위한 숲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는 숲 체험 활동이 아동의 환경 친화적

태도, 감성지능, 생명존중 인식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강영식, 2009; 이수경,

2011), 학교 숲이 초등학생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 환경인식, 과학학습, 친환경적 태도

와 행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남궁은미, 2006; 남흥현, 2007; 이재영, 김아연,

2005; 이혜인, 2008) 등이 있었다. 특히, 숲 유치원과 관련해서는 숲 유치원이 유아의 창의

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연구(김 연, 2011; 소명수, 2012), 숲 유치원의 설립, 운영

및 활성화 방안 등에 관해 알아본 연구(강미연, 임소영, 변지혜, 김은주, 임재택, 2011; 장희

정, 2010; 이성자, 2010), 숲 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유아교사, 학부모 등의 인식 및

요구도에 관해 알아본 연구(송주은, 2011; 이용수, 2013; 황지애, 김성재, 2012; 황해익 외,

2012) 등이 있었다. 숲과 관련한 외국의 선행연구에는 숲을 놀이 무대로 사용하는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아이들을 비교한 연구(Fjortoft, 2001), 환경교육과 지속 가능성에 관한 연구

(Huckle, 1993), 자연환경과 교육에 관한 연구(Davis, 1998), 자연환경과 놀이환경에 대한

연구(Fjortoft & Sageie, 2000; Rushton & Larkin, 2001), 영국 숲 학교에 대한 연구(Trisha,

2007) 등이 있었다. 하지만, 숲 유치원에 대한 자원봉사자들의 인식에 대해 살펴본 선행연

구는 지금까지 찾아볼 수 없었다. 숲 유치원에서 자원봉사자는 숲반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

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뒷받침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겉으로 드

러나지 않거나 별로 중요하게 취급되지 않고 있는 세세한 사안들까지 파악해 낼 수도 있다

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떠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유아교사나 학

부모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숲 유치원과 관련하여 자원봉사자들의 직접적

이고도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인식을 알아보는 일은 향후 숲 유치원의 보다 바람직한

운영 및 발전을 위해 바람직한 과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말하면, 숲 유치원의 원활

한 운영과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서비스 제공과 전달 체계 개발을 위해서는 실제 숲 유

치원에 도움을 주는 매개자로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인식을 파악하여 숲 유치원의 활성화와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숲 유치원에 대한 자원봉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

고자 한다. 유아, 교사, 학부모 등 직접적 주체나 이해관계자가 아닌 제 3자로서 숲 유치원

을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자원봉사자가 숲 유치원에 대

해 어떠한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 그들이 인터뷰에서 풀어놓은 이야기의 내용들을 중심으로

알아봄으로써 숲 유치원의 기존 현황 및 문제점들을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그러한 바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185

탕 위에서 보다 바람직한 운영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자들이 숲 유치원을 통해 인식한 숲의 역할과 가치는 무엇인가?

둘째, 자원봉사자들이 인식한 숲 유치원의 어려움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자원봉사자들이 인식한 숲 유치원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Ⅱ. 연구방법

본 연구는 숲 유치원에 대한 자원봉사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

고, 면담내용은 숲에 대한 인식과 관련요인으로 구성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실시하였다. 제작된 질문지는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이 적절성

을 검토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각 항목별로는 개방형 질문을 적용하였다.

1. 연구 참여자 선정 및 배경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P시에 위치한 P어린이집 숲반에서 자원봉사를 하며 자원봉사

자로 숲 활동에 참여한 5명의 자원봉사자들이다.

이들은 일주일에 한번 혹은 매일 숲반에 방문하여 자원봉사를 하며 숲 체험을 하는 과

정을 경험하였다. 이들 연구 참여자들은 연구자 2인이 직접 P어린이집에 요청하고 숲반에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봉사자를 의뢰받는 형식을 취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배경

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배경

이름 연령 / 성별 학력 보육교사자격증 유무

교사경력 자원봉사기간

A 자원봉사자 만 32세 / 여 4년제 대졸 유 3년 1년

B 자원봉사자 만 57세 / 여 대학원졸 유 2개월 5개월

C 자원봉사자 만 29세 / 여 대학원 재학 유 4년 5개월 3개월

D 자원봉사자 만 23세 / 여 전문대 졸 유 없음 2개월

E 자원봉사자 만 34세 / 여 전문대 졸 유 6개월 3개월

1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연구 참여자들은 P어린이집에서 자원봉사자로 근무한 기간이 최소 2개월부터 최대 1년

까지 길지는 않았으나 P어린이집에서의 자원봉사 활동 이전과 이후에도 다른 숲 관련 유

치원에서 자원봉사자로 일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A 자원봉사자는 P어린이집에서 1년간 자원봉사경험이 있었으며, 자원봉사 전에 P어린이

집에서 실습과 부담임의 경험이 있었다. 그래서 P어린이집의 교육목표와 프로그램의 내용

을 잘 알고 있었으며, 평소 숲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고 하였다. 그에 따라 자발적으로 숲반

에 참여 신청을 하여 자원봉사자의 경험과 체험을 하였다. 자원봉사 활동 후 생태관련 어

린이집에서 현재 근무 중이며, 숲 관련 어린이집에서의 근무도 희망한다고 하였다.

B 자원봉사자는 어릴 때 시골 할머니 집에서 자라 자연과 접할 기회가 많았다. 대학에

서는 농학을 전공하였으며 졸업 후 자신의 전공을 살려 자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에

서 일하였다. 이로 인하여 숲 활동에 관심이 많아져 숲 해설가 자격을 취득하였다. B 자원

봉사자는 숲 해설가 활동에 대한 이론적 정보는 충분히 갖추고 있었으나 숲 해설가로서의

실제적 활동을 많이 하지 않았다. 숲 해설가 자격을 취득한 이후에는 보육교사 교육을 받

아 보육교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으며 생태유아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P어린이집 숲반

자원봉사를 지원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현재 생태관련 활동을 하는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

이다.

C 자원봉사자는 교사 경력은 4년 5개월이었으며, 현재 근무는 하지 않고 대학원에 재학

중이며, 1주일에 한번 P어린이집 숲반에서 자원봉사를 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근무한 어린

이집의 특성상 생태프로그램 적용은 힘이 들었지만, 평소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

아 개인적으로 생태관련 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생태중심 P어린이집

의 활동내용에 관심을 갖게 되어 숲반에서 2개월 정도의 비정기적인 자원봉사를 하였으며

이후에는 정기적인 자원봉사에 지원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정기적인 자원봉사 기간이 끝난

지금은 숲 활동에 대한 꾸준한 관심으로 가끔씩 자원봉사에 지원하고 있다고 하였다. 아직

미혼이지만 앞으로 자신의 자녀도 숲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좋겠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하

고 있었다.

D 자원봉사자는 교사 경력은 없으며, 생태관련 기관에서 실습한 계기로 관심을 가지게

되어 숲반에 자원봉사를 지원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2개월의 자원봉사 기간이 끝난 후에도

3개월 정도 비정기적으로 숲 활동에 참여하였다고 하였으며, 보육기관에 정식으로 근무하기

전까지는 가끔 숲 유치원에서 자원봉사를 이어갈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보육교사

자격증은 보유하고 있고 아직 경력은 없지만, 앞으로 생태적인 마인드를 가진 교사가 되고

자 하였고, 숲 유치원 또는 생태활동을 하고 있는 기관에 근무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추후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187

교사가 된 후에도 생태 교사교육이나 숲 교육에 참여하는 것에도 강한 의지를 보였다.

E 자원봉사자는 현재 보육교사로 6개월째 근무하고 있으며,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 후

숲반이 있는 생태 관련 어린이집에서 실습을 한 계기로 숲반에서 2개월 정도 비정기적인

활동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그 후 숲반에 정기적인 자원봉사에 지원하게 되었다고 하였

다. 평소 건강상의 이유로 등산을 하게 되면서 숲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결혼 후에

도 지속적으로 등산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기관은 숲 활동과 무관하

고 어린 연령으로 숲 활동을 하기에는 무리라고 하였지만, 추후 숲 유치원에서 근무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상 5명의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평소 생태교육과 숲 활동에 대한 관심이 많아

자발적으로 숲반에 자원봉사를 신청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숲반에 자원봉사를 한 후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계속적인 숲 유치원의 경험도 희망하고 있었다. 따라

서, 자원봉사자들은 구체적인 선발기준에 따라 모집된 사람들이 아니었으며 순수하게 경험

을 쌓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자신의 거주지나 학교 인근에 위치한 P어린이집에 자원한 사

람들이었다. 그리고 자원봉사자들에게는 교육이 별도로 제공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들 대

부분이 보육교사 자격이나 경험, 또는 어린이집에서의 근무경험을 지니고 있어 그 당시에

익힌 실습내용이 자원봉사자로서 행해야 할 업무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2. 자료 수집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 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숲 유치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숲 유치원은 숲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는 모든 보육·교육기관을 의미

(김묘선, 이민선, 2013)한다고 볼 수 있겠다. 숲 유치원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자원봉사자

가 참여한 숲 유치원은 생태유아교육으로서 인지도가 높고 개원이후 지금까지 산책활동을

실시해 왔으며, 이러한 산책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2011년부터 최근 3년간 하루 종일 숲에

서 생활하며, 3․4․5세 혼합 연령반으로 숲반이 운영되고 있는 곳이다. 이 숲 유치원에서

는 등하원은 어린이집에서 하고, 등원 후 오전 새참을 먹고, 몸짓놀이로 몸을 푼 다음 숲에

갈 준비를 하여 오전 10시경 숲으로 가서 주변 자연과 함께 어울려 숲 활동을 한 후 다시

어린이집으로 돌아와서 새참을 먹고, 오후 바깥놀이를 즐기고 집으로 돌아가는 일과로 숲

반을 운영하고 있었다. 숲반은 숲에 도착하면 따로 어떤 수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

에게 자유롭게 놀게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 2인이 직접 P어린이집 원장과의 전화통

화로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자를 의뢰한 뒤, 원감을 만나 연구 참여자에 대한

1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정보를 수집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면담은 구체적으로 2013년 5월 7일부터 5월 13일까지 연구 참여자별로 1차와 2차 각 2

회의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1차 면담에서는 1시간에서 1시간 30분정도 개별면담이

실시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자원봉사자에 대해 개인별 사전정보를 재확인한 후 숲 유치원

에 대한 인식과 요인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의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수집을 위해 6월 10일부터 6월 14일까지 2차 면담이 진행되었다.

이후 연구결과에 대한 궁금한 점이나 보충 질문할 사항에 대해서는 전화 상담이나 이메일

등으로 빈번히 접촉하여 연구자료를 보충하였다. 연구자료에 대한 보충을 위한 질문을 중

심으로 추가 면담이 실시되었다.

면담을 위한 반구조적 질문지의 항목은 크게 숲 유치원에 대한 자원봉사자의 인식에 관

한 영역과 숲 유치원에서의 자원봉사자의 숲 활동에 대한 내용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구

체적인 질문내용을 살펴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숲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숲 유치

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 내용이, 후자의 경우에는 숲 활동에 대한

자원봉사자의 경험, 역할, 중요성, 어려움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면담 질문지는 면담을

하는 동안 면담자의 응답과 상황에 따라 질문내용을 추가하여 보충하였다.

면담과정에서는 개별면담시 자연스럽고 원활한 진행을 위해 연구의 목적을 간략히 설명

하며 연구 참여자와 라포 형성을 한 후, 참여자들이 자연스럽게 숲 유치원과 관련하여 자

신의 경험, 생각 등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이때 상황에 따라 질문내용을

추가하기도 하였다. 숲 체험 및 봉사활동에 대한 대화내용은 녹음기로 녹취, 기록하였고,

연구자의 저널과 현장을 기록하여 보조자료로 활용하였다. 이후 궁금한 점이 있을 경우 연

구자와 전화 또는 메일로 의견을 주고받으면서 추가로 기록하였다. 녹음된 자료는 가능한

당일 혹은 그 다음날에 걸쳐 전사하였으며, 전사한 자료는 원자료와 함께 일정별로 정리하

고 문서화하였다. 전사한 내용은 일차로 총 A4 94매로 취합되었고, 면담후 기록지와 연구

자 저널 등의 보조 자료들까지 모두 합하여 128매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모두 연구

자료로 충실히 활용되었다.

3. 자료 분석

자료분석은 Hatch(2002/2008)가 제시한 귀납적 방법과 해석적 방법에 기초하여 이루어졌

다. 수집한 자료를 중심으로 일관되게 드러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며 귀납적 방법을 사

용했고, 자료의 해석은 수집 자료를 근거로 하여 연구자 저널과 현장기록을 통해 상황적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189

맥락을 이해하였다. 그리고 숲 유치원에 대한 공통된 의미의 인식을 주제별로 옮겨 기록하

고 텍스트화 하였다. 주제별 상황에 맞는 의미를 추출하며, 연구자들은 1차적으로 숲과 숲

유치원에 대한 인식과 숲 체험에서의 어려움의 의미를 찾아내었고, 포괄적인 용어로 통합

하며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첫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자료에

나타난 관계를 반영하는 의미나 영역의 범주 세트를 찾아내었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두드

러진 영역을 확인하였고, 그것을 중심으로 문서자료를 분석하여 영역의 적합성을 확인하였

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구성된 틀을 좁혀가면서 분석된 주제별로 특성을 끌어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먼저, 전사자료와 수집자료를 반복하여 읽고 현장기록과 면담기록을

반복하여 읽으며 녹음된 내용의 전사본을 만들었다. 둘째, 자원봉사자의 인식에 초점을 맞

추어 전사본을 세밀하게 읽어보면서 공통적인 요소를 모든 구성원들의 변화를 이끄는 긍정

적 힘을 가진 숲 유치원, 숲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재발견, 숲 유치원 활성화를 위한 요

구, 어려움과 문제점이 보이는 숲 유치원으로 범주화하였다. 셋째, 범주화된 자료를 중심으

로 문서자료를 분석하여 유목영역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범주틀을 좁혀가면서 포괄

적이면서도 명료한 특성을 끌어내며 정교화과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이 각각 읽

고 서로 피드백하며 조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몇 가지 작업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첫째, 면담기록지와 연구자 저널, 현장 기록 등의 보조자료와 추후 전화상담의 자료 등으로

수집된 자료는 모두 모아 결과 해석에 대한 오류를 줄이고자 교차확인을 하고 서로 비교하

는 방법으로 삼각측정법을 실시하였다. 둘째, 분석된 자료는 자료의 맥락과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고 편협성을 줄이기 위해 연구자 2인이 모든 자료를 서로 함께 분석하고 연구결과가

왜곡되는 일이 없도록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는 등 동료검토를 하였다. 이후 유아교육 전

문가 1인의 감수를 받으며 조사자 삼각측정법(Merriam, 1994)을 실시하였다. 셋째, 기록된

면담의 내용이 연구참여자의 면담과 일치하는지, 연구참여자의 응답이 왜곡되거나 과장되

거나 축소한 것은 없는지, 보충설명이 있는지 연구 참여자와 다시 한번 전화통화로 다각적

인 질문을 통해 연구결과의 타당도를 확인을 하며 구성원 검토(Lincoln & Guba, 1985)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집된 의견도 모두 기록하여 결과 해석에 반영하였고, 연구

자들의 의미 분석의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1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Ⅲ. 연구 결과

자원봉사자들은 숲 유치원에서 숲 활동에 있어 그 준비 단계부터 마무리 단계에 이르기

까지 많은 일을 수행함으로써 교사 보조자로서의 소극적 역할이 아닌 적극적 참여자의 역

할을 하고 있었다. 그들은 숲 유치원이 모든 구성원들을 긍정적으로 이끌었고, 숲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재발견과 함께 숲 유치원이 활성화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숲 유치원만의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숲 활동 체험 과정에서 숲 유치원 운영과 관련

하여 보다 세심한 배려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1. 모든 구성원들의 변화를 이끄는 긍정적 힘을 가진 숲

숲 유치원에서는 아이들, 교사, 자원봉사자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원들의 숲 체험과 경

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원들은 자연의 일부로써 숲과 어울리며 자연과 상호작

용하고 이들과 함께 공동체로써 자연과 함께 조화로운 삶을 되찾아가고 있었다. 숲 유치원

에서의 구성원들은 자연의 일부로써 숲과 어울리며 자연과 조화롭고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생태계 공동체로 자연과 함께하는 삶을 되찾아 가고 있었다. 따라서 숲 유치원의

자원봉사자들은 아이들이 숲반 활동으로 신체적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고 생

각했으며, 자원봉사자인 자신도 숲에서의 체험과 경험으로 변화되었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

리고 숲 유치원 교사들의 활동범위도 자연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넓어졌

다고 하면서, 숲 유치원이 모든 구성원들을 긍정적인 변화로 이끌었다고 인식하였다.

1) 아이들의 몸도 마음도 모두 달라지게 해요

자원봉사자들은 일반유치원의 아이들과 비교해 볼 때, 숲 유치원 아이들이 성격이 밝고

인성적으로 더 성숙하며 생각이 깊고 신체적으로 보다 튼튼하다고 말하였다. 자원봉사자들

은 숲 유치원 아이들이 자연에 대한 친근감과 모험심이 강해지고 활동범위가 넓어지면서

포용심도 생기며 자립심과 사회성이 더욱 발달되는 것 같다고 인식하였다. 이처럼 자원봉

사자들은 숲 체험 활동이 유아들에게 환경친화적인 태도를 길러주고(강영식, 2009), 정서적

으로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며, 신체적으로 건강하게 해준다(김은숙, 2010; 이명환, 2006)고

생각하고 있었다.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191

숲반 같은 경우에는요...혼합반에 있는 5세는 그냥 ○○반의 5세랑 조금 틀려요. 좀 더 성숙하

고 좀 더 야물고 몸이 여물어져 있어요. 움직이는 것 보면 보통 다른 유치원 아이들하고 달라

요. 바위며 나무둥치며 용감하게 잘 올라가구요. 행동도 빠릿빠릿해요. 그리고 형아 누나가 동

생들도 자연스럽게 잘 챙겨주는 것을 볼 수 있었어요. 7세가 6세 손잡아주고 6세가 5세 손잡아

주고, 큰아이들도 동생들을 배려하는 마음도 많고 놀아주는 마음이 폭이 넓어지는 것 같고, 숲

반을 하면...무거운 것 함께 들어야 할 때는 열심히 힘을 모아 협동심도 발휘하고 이해의 폭도

넓어지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어요. 좀 더 아이들이 성숙해지는 것 같아요. 우리반에서 저번에

○○반을 우리가 동생들을 데리고 가주자 하는 그런 일이 있었어요.

(A 자원봉사자, 2013. 5. 7)

숲에 가면은 놀잇감이 정말 많아요. 아이들의 놀잇감은 무궁무진하게 번창할 수가 있어요. 아

이들은 기발해서 숲 속의 자연물을 가지고 희한한 물건을 만들어서 이름을 짓죠. 나무길을 이용

해서 자동차길이라고 하고, 흙굴을 파서 토끼굴이라고 하고, 활과 화살도 만들고, 새총, 뭐 이끼

나 찰흙같은 걸로 미술작품을 만들기도 하고,,,정말 나중에는 자유자재로 놀잇감을 자기 스스로

만들고 우리가 만든 집 보다는 자기네들이 서로서로 협동해서 집을 만들기 시작해요. 또 특이하

게도 아이들이 자연에 있는 모든 것을 장난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정서적으로 밝아지는 것을

느꼈어요...교실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놀잇감을 사용할 때 서로 가질려고 싸우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었어요.

(A 자원봉사자, 2013. 6. 10)

숲에 가면 아이들도 건강해지고 선생님도 건강해져요. 같이...그게 제일 큰거죠. 좀 감성적으

로 변하고 여유도 갖고, 거기 갔다 오면 아이들만 건강해지는 것이 아니고 선생님도 같이 건강

해져요. 뭐 교실 안에서 종일 떠드는 것 보다는 먼지 구덩이에서 보다는, 맑은 공기와 자연으로

확실히 숲에는 갔다 오면 좋아요. 육체가 건강하면 정신도 건강해지는 거 아닐까요? 좀 산만하

고 그런 아이들이 숲에 다녀오면 하면 좀 효과가 크겠죠...차분한 아이들보다는...불안하고 정서

적으로 그런 아이들도 낫겠죠.

(B 자원봉사자, 2013. 6. 14)

위의 사례에서처럼 자원봉사자들은 숲 유치원 아이들이 숲과 함께 자연스럽게 어울리면

서 뛰어놀며 생명의 존귀함을 알아간다고 하였다. 그리고 숲에서의 활동범위가 넓고 다양

한 자연물과 생명을 만남으로서 정서적·신체적으로 보다 성숙된 아이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또한 새로운 놀이를 만들면서 아이들이 자신의 에너지를 더 많이 발휘하고 자연

에 대한 모험심으로 자연을 탐색하고 경험한다고 인식하였다. 아울러, 자원봉사자들은 아이

들이 숲에서 또래, 형, 동생들과 함께 활동하고 협력해 나가는 과정에서 상호교감과 이해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사회성이 발달할 뿐만 아니라 내면의 에너지와 잠재력도 발휘할 수 있

게 된다고 인식하였다. 이상과 같이, 자원봉사자들은 숲이 아이들을 신체적․정서적으로 성

장하게 한다고 보았으며 이는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감성지능에 효과적

(최금숙, 2013; 곽노의, 2012; 김덕건, 김효진, 2006; 이명환, 2006)이라고 한 선행연구의 결

1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과와도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2) 자원봉사자인 나도 변화시키는 것 같아요

자원봉사자인 자신들도 숲반 경험 이전보다 외면적으로는 신체적 건강이 훨씬 더 향상

되었고 내면적으로는 성격이 보다 차분해지고 여유로워져 아이들을 대할 때에도 보다 따뜻

한 시선과 너그러운 태도로 대할 수 있게 되었다고 이야기하였다. 숲에 대한 인식의 변화

와 관심으로 무의식적으로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느끼고 있었고, 자원봉사라는 역할, 즉 자

원봉사자는 프로그램의 질을 높여주고 재정적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자원(김영

심, 2012)이라는 입장을 넘어서서 아이들을 바라보는 시선도 넓어지고 자연과 아이들 중심

의 태도로 변화되었다고 스스로를 인식하였다.

예전에는 제가 아이들을 좀 가르치는 경향...음...가르칠려고 하는 경향이 있었어요...예전에 저

는 지식을 좀 많이 전달하고 싶은 욕심에 아이들이 꽃을 보고 놀면 이 꽃이 뭔지 이름을 알려주

고 싶고 내가 뭔가 더 많이 알아야 될 거 같고, 그런데 숲에서 교사라는 입장을 대게 많이 중심

적으로 생각해 봤는데 그런 게 다 소용이 없더라구요. 저도 숲반 교사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아

이들과 함께 알아가려고 해요. 꽃 이름 같은 것을 모를 땐 내려오면 아이들과 함께 찾아봐요.

도감을 들고 다니기도 하고, 이 꽃 색깔이랑 생김새를 찾아보자고 하고, 그림을 그려서 가지고

가서 그림 선생님에게 물어보자고. 아이들 중심으로 아이들과 함께 숲 활동을 해요.

(A 자원봉사자, 2013. 5. 7)

저는 등산조차 싫어했었어요. 저는 숲에 대해서 아무 생각도... 한번도 심각하게 생각해본 적

이 없어요. 숲에 대한 정보도 없었어요. 아무런 정보도 없었어요. 차라리 제가 정보도 없었기 때

문에 무식하다면 용감했다고 할까요. 호호. 그래서 알고 싶기도 하고 해서 숲 유치원에 지원을

하게 되었어요. 거기에 제가 지원을 안했으면 후회를 할 뻔 했어요.그런데 숲에서 아이들과 내가

체험하고 경험하면서 정말 많이 온몸으로 배웠던 것 같아요. 마인드가 달라졌어요. 많이 포용할

수 있게 되고, 개인적인 특별성과 개인적인 틀을 폭넓게 이해를 할 수 있게 되는 같더라구요.

(D 자원봉사자, 2013. 6. 11)

숲에서 자원봉사자는 교사라는 입장과 교사의 업무를 보조하는 역할을 넘어서서 숲과

동화되면서 자연과 하나가 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원봉사자들은 봉사를 통해 여가

경험을 높여줌으로써 어린이집과 유치원 조직에 대한 몰입도를 증진(김영심, 2012)시키며,

업무의 효율도 높아진다고 하였다. 더불어 숲 활동을 하면서 자원봉사자들은 아이들을 바

라볼 때 자연과 같은 순수한 마음으로 바라보고 진심으로 대하려는 자세와 마음가짐이나

경험요인 등이 중요한 작용을 한 것 같다고 하였다.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193

이처럼 임현선, 서영아, 권대봉(2008)이 자원봉사활동이 학습을 전제로 하고 있는 활동은

아니지만 참여와 실천을 통하여 무언가를 배우고 있다는 현상, 즉 자원봉사활동이 타인에

게 선생과 도움을 주려는 이타적인 활동이기 전에 스스로 무언가를 깨닫고 삶의 의미를 되

새기게 하는 학습활동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위의 사례들을 통해서 자원봉사자들은 숲에서

체험하고 활동하면서 자연과 아이들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자신의 변화된 모습을 긍정적으

로 인식함은 중요하다.

3) 숲교사가 되면 생각과 태도가 달라지는 것 같아요

효과적인 숲 체험활동이 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은 먼저 다양한 자연 경험을 통하여 올

바른 자연관과 자연친화적 태도를 가지고 자연에 대한 호기심과 탐색을 하며 자연을 즐기

고 더 나아가 전문적인 지식의 전달이 아닌 유아와 함께 자연을 느끼고 경험하며, 교사 자

신도 자연을 즐기고 탐구해 나가는 것이다(이명환, 2011). 자원봉사자들은 숲반 교사가 숲

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미리 예견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임

재택, 하정연, 신주연, 2012), 자연, 숲과 하나가 되어서 아이들을 여유롭고 교사중심이 아닌

아이들 중심적으로 배려를 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말하였다. 이처럼 숲 유치원에서의 자원

봉사자들은 자연이라는 열린 공간에서 숲 유치원 교사들이 마음의 폭이 더 넓고 스트레스

도 덜 받는 것 같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할 때 숲에 가면 아이들이 다칠까봐 걱정되니까 아이들에게 이렇게 해, 이래

야 돼, 저래야 돼 이렇게 교육할 것 같아요. 그런데 숲 유치원에서는 차라리 자유롭게 키우고

있었어요. 숲에서는 교사 자체도 좀 많은 부분에 있어서 아이들에게 제재를 가하는 부분이 없는

거에요..아이들이 자유롭게 숲에서 활동하도록 하는 것 같았어요. 신기하게도 그렇게 하면 아이

들도 스스로 해나가야 할 부분들을 잘 알고 그렇게 하는 거예요.

(C 자원봉사자, 2013. 5. 9)

숲교사가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면서 숲 유치원의 교육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자연에 있다 보면 마음이 통하고 마음이 통하다 보면 생각이 통하게 되고 그런 것 같

아요. 높은 곳을 못 올라가고 있는 두꺼비를 보았을 때 무섭다고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잠시 나

무 막대기로 엉덩이를 밀어 올려준다던지. 또 아이들이 양치한 물도 자연을 훼손한다고 버리지

않고 양동이에 다 모아서 한 곳에 받아서 가지고 내려가는 교사의 모습을 보았을 때에도 ‘아 이

런 사소한 모습들이 다르구나’ 하는 걸 느꼈어요. 교사가 자연을 어떻게 대하는지 보면서 아이

들이 그대로 따라 하더라구요.

(D 자원봉사자, 2013. 5. 10)

숲에서는 교사중심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많이 배려를 해줘요. 아이들이 문제

1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에 부딪혔을 때, 서로서로 문제에 부딪혔을 때 본인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또 할 수 있도록 계속 격려해줘요. 이런 점들이 일반교사와 많이 다른 점들이예요. 또 숲 유치

원 교사는 아이들을 보는 시야가 많이 넓어졌더라구요.

(E 자원봉사자, 2013. 6. 13)

위의 사례에서처럼, 숲에서 교사들은 활동영역이 넓게 진행되다 보니 자연에서 이루어지

는 활동들이 자유롭게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자원봉사자들은 숲교사가 그들의 활동영

역이 넓고 자연스럽게 확장되기 때문에 다른 환경의 교사들에 비해 외부활동이 많고 체험

해야 할 자연의 현상이나 바라보는 시각도 매우 다양해진다고(김묘선, 이민선, 2013)인식하

였다. 아이들은 교실에서 먼지를 마시는 것보다 숲에서 맑은 공기를 마시고 운동을 하면서

육체적으로 건강해지고 감성적으로 변화된다고 보면서, 아이들이 건강해지면 교사도 건강

해진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들은 교사들이 아이들을 중심으로 친환경, 생명존

중 등의 다양한 활동으로 인해 숲교사가 되면 생각과 태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처럼 자원봉사자들은 숲교사들이 자연스럽게 활동영역이 넓어지게 되면서 마음의 여유로

움도 가지게 되면서 정서적인 측면도 변화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2. 숲의 가치에 대한 재발견

숲은 유아들에게 심성을 맑게 해주고,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치유효과를 주는 녹색의 안

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강영식, 김용숙, 2012). 그리고 숲이라는 공간은 유아들이 지

속적으로 노출되고 그 속에서 놀이하며, 관찰하고, 표현하고 생활하는 것이 유아들의 신체

적 능력을 강화시키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하며(신지연, 김정현, 정이정,

2012), 숲은 인간의 생리적 안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2007).

또한, 숲은 건강증진과, 회복, 정화, 순화의 역할을 하며, 생명성, 순수성, 치유력을 지니고

있다(이경희, 2011). 자원봉사들은 숲 유치원의 체험활동이 이상과 같은 숲의 가치와 중요

성을 재발견하도록 해준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1) 숲 활동이 자연과의 만남과 소통을 경험하게 해줘요

숲은 자연을 대표하는 장소이며, 자연이란 원래의 순수한 상태로의 존재를 말하고, 다양

한 생명체가 어울려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이명환, 김은숙, 2011). 자원봉사자들은

숲 유치원에서의 봉사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숲 체험에 함께 동참하게 되면서 신체적 영역

에서의 건강증진과 회복, 정신적 영역에서의 정화 및 순화의 효과를 얻게 되었고 그것이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195

숲에 대해 새로운 생각을 갖게 만들었다고 이야기하였다. 또한 이들은 숲이 아이들, 교사

모두의 신체적 정신적인 안정과 조화를 가져다주게 되어 결국은 자연과 인간이 만나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어째든 나가서 생활하게 되니까 숲이라는 공간에서 모든 것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숲은 굉

장히 넓은 공간이잖아요. 그런데 숲은 참 좋은 것 같아요. 숲은 사람을 꼭 불러들이는 것 같아

요. 묘한 매력이 있어요. 숲이라는 것을 통해서 사람과 자연이 만나게 되고 상호작용하게 되니

까 어째든 우리에게 고마운 존재 같아요.

(C 자원봉사자, 2013. 6. 12)

숲이 인간에게 주는 이로움이 정말 많아요. 인간이 숲을 찾고 길을 걸으면서 오솔길도 만들고

오래된 나무 같은 경우는 좀 치워주기도 하면서 서로 소통을 하니까 자연생태계가 더 윤활유처

럼 돌아가는 것 같아요. 안 그러면 숲이 울창해서 숲 자체도 숨을 쉴 수 없고 사람도 찾지 않으

니 얼마나 외롭겠어요. 숲을 통해서 우리가 자연을 자세히 알 수 있으니까요. 숲은 사람과 자연

이 만날 수 있게 해주는 곳인 것 같아요.

(D 자원봉사자, 2013. 6. 11)

숲이 주는 이로움을 책에서나 이론에서만 배웠는데... 실제로 나가보니 훨씬 이로운 점이 많

았어요. 몸으로 체감이 되니까요...제가 이번에 자원봉사를 하면서 느끼게 된 거예요. 일부러라

도 숲을 찾아오게 되니까. 그게 한번 오는 거랑 주기적으로 오는 거랑 다르더라구요... 예전에는

매일 등산하는 아줌마, 아저씨들보면 참 할 일없다 왜 저렇게 산을 오르나 하고 생각을 했었는

데. 이제는 이해가 가더라구요. 그만큼 좋으니까요.

(B 자원봉사자, 2013. 6. 14)

숲은 자연의 질서 속에서 아이들과 상호작용하는 공간이다. 위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자원봉사자들은 숲이라는 공간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유기적으로 도움

을 주고받을 수 있는 곳으로 숲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었다. 즉, 자원봉사자들은 인간이 숲

과의 만남을 통해 건강증진과 회복의 기능을 할 수 있고, 숲은 인간과의 만남을 통해 자연

이 훼손되지 않고 후세에까지 잘 보존되어 갈 수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자원봉사자들은

숲이 자연의 질서와 인간이 상호작용하고 조화를 이루게 하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2) 숲 활동이 숲의 생명성을 통한 치유의 힘을 느끼게 해줘요

숲은 자연을 대표하는 장소이며, 자연이란 원래의 순수한 상태로의 존재를 말하고, 다양

한 생명체가 어울려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이명환, 김은숙, 2011). 이러한 숲에서의

자연 체험은 지적 능력을 키우는 지식 전달만이 아닌, 아이들 자신이 하나의 생명체로서

자연환경과 함께 한다는 것을 느끼며 하나의 감성을 일깨울 수 있다(이명환, 김은숙, 2011).

1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숲에 대하여 자원봉사자들은 생명성, 순수성, 치유력 등과 같은 숲이 지닌 긍정적이고

순기능적인 측면들을 이야기하면서 숲 체험이 자신들에게 숲의 가치와 중요성을 재발견하

게 해주었다고 하였다. 또한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자연에서 경험하고 체험하면서 자연을

기억하고 자연이 주는 생명성과 순수성으로 자신을 채워나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숲에서 살아있는 자연의 생명성과 순수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자신의 삶과도 결부시켜 자연

의 강한 생명성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치유도 될 수 있는 것 같아요. 마음이 약간 갇혀 있는 그런 부분들에 있어서는 치유가 될 수

있는 것 같아요. 산에 아이들을 데리고 가보면 교사도 그렇고 아이들도 그렇고 자연과 함께 하

니까 닫혀있던 마음의 문도 열리게 되는 것 같더라구요. 등원할 때 엄마와 아빠에게 혼났다든가

짜증이 많은 아이도 선생님과 아이들과 어울려 숲으로 올라가면 정상에 가서는 어느새 다 풀려

져 있는 것을 봐요. 맑은 공기도 마시고 싱그러운 풀잎향도 마시고 예쁜 꽃도 보고 하면 자연스

럽게 기분이 좋아지면서 산 아래에서 느꼈던 스트레스 같은 것들이 풀리는 것 같아요.

(E 자원봉사자, 2013. 6. 13)

어릴 때 자연적인 부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것, 숲은 직접 볼 수 있잖아요. 여기 숲 유치원 아

이들은 여기에서 직접 보잖아요. 도롱뇽도 직접 보고 알고, 자기가 직접 보면서 꽃 이름이나 온

갖 살아있는 생물들에 대한 부분들 실제적으로 생생하게 기억할 수 있는 거에요. 그런 부분들이

대게 좋은 것 같고, 아이들이 대게 모나고 이런 부분들이 없는 것 같아요. 자연 환경적으로 이

렇게 지내니까. 실제로 보면 조금 적응하는데 문제가 되었던 아이나 굉장히 산만한 아이도 있었

는데 그런 아이들도 숲 유치원에 다니면서 좋아진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숲은 이렇게 아이들뿐

만 아니라 우리들에게도 어떤 치유의 힘이 있는 것 같아요.

(C 자원봉사자, 2013. 5. 9)

숲은 일단 깨끗하니깐 환경...건강해질 수 있고. 산을 올라가면서 생명의 위대함을 느끼게 되

는데 항상 우리가 가장 중요한 게 사람이 생명을 중요시해야 된다는 거잖아요. 거기 가면 모든

것이 살아있고, 사철 변하는 것을 볼 수 있게 되지요. 인간이 살아가는 데 숲이 없다고 생각하

면, 인간이 숲보다도 식물이 없으면 사람은 살수가 없어요... 태양을 이용해서 자원을 만들었기

때문에 사람이 동물을 돌보고 사는 거 아니에요~식물이 없으면 사람이 살 수 없으니까요. 자연

적으로 치유되는 것 같아요.

(B 자원봉사자, 2013. 6. 14)

숲이라는 자연은 언제나 변화하고 숲 속에는 모든 것이 살아 있어 아이들에게 생생한

기억을 전달해준다고 하였다. 숲이라는 공간이 아이들에게 순수한 유아로 생활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주며(이명환, 김은숙, 2011), 숲에서 볼 수 있는 많은 동식물들과 어울리면서

아이들은 자연이 생명력이 있다는 것을 알며, 그 속에서 우리는 살아가며 숲의 가치와 중

요성을 인식한다고 보고 있다. 살아있는 동식물이 있는 곳이 숲이며, 그 숲은 사계절이 변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197

하면서 그 자체가 생명력을 지니고 순환하는 공간이며, 숲을 체험하는 아이들과 자원봉사

자들도 숲이 없다면 인간은 살 수 없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숲의 생명력을 통해서 아이들은 자신의 생활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고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느낀다고 하며, 숲의 가치와 중요성에 의미를 부여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 숲 활동이 숲의 소중함을 일깨워줘요

자원봉사자들은 숲의 가치와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숲에 대한 순환적, 체험적 공간으로

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숲 유치원은 숲의 소중함과 고마움을 일깨워주는데 기여할 수 있

는 교육의 근원지가 된다고 하였다. 숲 유치원에서의 체험교육은 자연 속의 어떤 대상을

오감을 통해 경험하고 체험을 통해 다양한 인지를 도울 수 있는 가장 훌륭한 장소로서, 생

명교육에 있어 새로운 이해와 폭넓은 관점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생태교육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김은숙, 2010). 자원봉사자들은 아이들에게 교실이라는 갇힌 공간에서 벗어나

숲이라는 열린 공간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으며, 그에 따라

숲 유치원이 아이들로 하여금 일상생활 속에서의 숲과의 만남, 자연과의 대화, 숲의 가치

및 중요성 자각 등의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하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몸으로 느끼잖아요. 직접 걷고 많이 만져보고 냄새 맡고 촉감도 느껴보

고...이런 것들이 교실에서 교사가 아무리 말해줘도 이해하지 못하던 것들을 아이들은 직접 느

끼면서 배우고 이해하는 것 같아요. 우리아이들이 어쩜 더 똑똑하거든요. 우리는 사고가 많이

굳어있지만 아이들은 머리가 말랑말랑하잖아요. 그런 아이들에게 숲 유치원은 거름을 준다고

해야 할까요.

(C 자원봉사자, 2013. 6. 12)

위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자원봉사자들은 아이들이 숲 유치원을 통해서 숲에서 자연

스럽게 활동영역을 넓혀가며 스스로 자연에서 뭔가를 찾으며 체험하고 놀이를 확장할 수

있는 유용한 곳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원봉사자들은 숲 유치원의 숲반 활동을 직접 체험

하면서 숲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생명존중 숲 체험활동을

활용한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 감수성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강영식, 김용숙,

2012). 숲 체험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놀이는 유아들이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소중함을 느끼

면서 생명을 존중하고 인간과 자연의 상호의존적인 특성을 인식하게 되며(강영식, 2009),

자연환경과 함께 하는 자신을 이해하고 자연과 세계에 대한 이해까지 도울 수 있다.

19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3. 숲 유치원의 어려움과 문제점

1) 숲 활동을 위한 준비과정이 부담스럽고 힘든 것 같아요

자원봉사자들은 숲반 체험과정에서 자신들이 맡아야 할 업무가 너무 과중하여 체력적

부담이 매우 크다고 토로하였다. 숲 유치원의 자원봉사자들은 실제 업무 과정에서 아이들

배식을 위한 밥차, 교재와 교구, 기타 아이들 활동을 위한 각종 준비물 등의 운반을 자신들

이 도맡아야 한다는 데 대해 체력적으로 매우 힘들어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체력적 부담으

로 인해 정작 숲반 활동에서는 아이들이 잘 놀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에 매진할 수 없게

된다고 토로하였다.

큰 수레를 끄는 것이 제일 힘들었던 것 같아요. 그건 정말 무겁거든요. 거기는 식판을 옮기는

무거운 수레가 있어요. 그런데 수레는 혼자서 끌고 가야 하거든요. 한명의 봉사자는 아이들과

앞에 먼저 올라가서 저와 바톤 터치하거든요. 한번은 저도 물어봤어요. 식판은 무거우니까 도시

락으로 하면 안되냐구요. 그랬더니 선생님이 아이들은 따뜻한 밥을 먹어야 되니까 식판을 들고

숲까지 가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이해는 하지만... 숲에 가서 매일 활동을 하는 아이들은 그만큼

준비도 간단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럴려면 준비하는 선생님도 준비하는 것들을 간단하게 해

야 한다고 생각해요.

(D 자원봉사자, 2013. 6. 11)

가방 메고 들고, 전부다 자원봉사자가 해요. 하나씩 돗자리도 들고 가고... 그런 면에서 여기

선생님은 자원봉사자가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어요...물론 부탁은 정중하

게 하시지만. 아이들 인솔 외 부분은 거의 안하시더라구요...가끔은 돗자리 깔고 하는 걸 해주시

거나, 아이들이 밥은 먹었는지 챙기거나 하는 부분은 있긴 한데 제가 봤을 때는 거의 모든 게

자원봉사자의 몫인 것 같았어요. 자원봉사자가 거의 다 해주죠.

(C 자원봉사자, 2013. 5. 9)

온갖 준비물에다 소도구에다 아이들 먹일 밥까지 챙겨야 하다 보니 진이 빠질 때가 많아요.

특히나 배식할 때 음식을 그렇게 몽땅 짊어지고 가서 아이들 밥 나눠주고 나면 정작 자원봉사

자는 또 다른 뒤치다꺼리를 하느라 밥도 못 챙겨 먹을 때도 있었어요. 자원봉사도 배가 고프니

좀... 힘든 것 같아요. 뭐 이런 것들도 감수하고 해야 자원봉사겠지요.

(B 자원봉사자, 2013. 5. 8)

자원봉사자는 교사의 업무를 지원하고 부담을 덜어주고 원활한 활동이 되도록 하는데

있지만, 숲 활동을 위한 준비과정에서 오는 업무에 대해서 자원봉사자가 전적으로 많은 부

분을 책임지고 이행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들은 무엇보다도 숲에서 하는 활동에

서 체력적인 부분이 가장 힘들다고 하였다. 또한 숲에서의 활동을 위한 모든 준비물과 숲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199

에서의 일과를 위한 식사준비와 이동의 문제에서도 과중한 준비물을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숲에서 아이들과 활동하는데 소홀할 수밖에 없다고 하였다. 이러한 자원봉사자들의 역할이

나 활동이 체력적인 부분에서 오는 부담은 곧 숲 활동으로 이어져 아이들의 에너지에 따라

가지 못하고 점점 더 자원봉사자의 다양한 역할들이 한쪽으로 편중 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자의 과중한 신체적 업무의 역할은 체력적이고 신체적인 부담

감과 어려움을 가져왔고 이는 곧 심리적인 고통도 가중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2) 숲 활동을 위한 제반시설이 부족해요.

숲에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가 필요하고, 준비된 물건이나 장비를 숲으로 이

동하는 과정을 거친다. 아이들은 자신의 가방에 물품을 넣어서 이동하지만, 나머지 기타 다

른 물품들은 모두 교사나 자원봉사자가 숲까지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숲 활동

에 필요한 교재교구, 비상시 응급대처 물건들, 손 씻을 물, 날씨의 변화에 따른 여벌옷 등

많은 장비들을 손수레에 실어 숲에 이동한 후(이명환, 2006), 다음날 사용할 것을 생각하여

보관을 해야 하는데 제반물건들을 보관할 곳이 마땅하지 않음을 토로하였다. 이처럼 자원

봉사자들은 숲 활동을 위해 많은 물품이나 장비들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것에 있어 제반시

설이 부족함을 인식하였다.

아이들이 밥 먹을 때 앉을 수 있는 긴 의자나 때에 따라서는 활동에 따라 장기간 아이들이 물

건을 써야 할 때도 있었는데 어디 딱히 놔둘데가 없었어요. 매일매일 써야 하는데 우리 숲 유

치원 아이들만이 쓸 수 있는 보관 창고 같은 것들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D 자원봉사자, 2013. 6. 11)

저희들 물건 중 나무의자 하나를 누가 훔쳐갔어요. 산에 오르는 등산객들이 오가면서 가지고

간 것 같다고 하던데. 사람들이 좀 원망스럽더라구요. 우리 어린이집에서 항상 올라오는 것을

많이들 아시기 때문에 우리 아이들이 만들었다는 것을 아실 텐데도 불구하고 그거를 훔쳐가구

요. 그래서 제가 생각할 때 올라갈 때나 아니면 중간지점이나 도착해서라도 주위에 보관장소나

창고 같은 것이 있으면 하고 생각했어요.

(E 자원봉사자, 2013. 5. 11)

중간에 저희는 경비실을 좀 이용을 했어요. 가까운 곳에 있는 경비실을 이용을 좀 해서 거기

에 물건을 좀 맡겨놓았고, 저번에 돗자리를 누가 좀 훔쳐간 적이 있어서, 초반에 돗자리를 도둑

맞았어요, 그래서 여기 놔두면 안되겠다. 어떻게 맡길 수 없을까? 생각했어요. 입구에 보면 경비

실이 있거든요. 거기다가 돗자리를 맡겨놓고, 또 큰 가방에다가 아이들 화살, 놀잇감을 몇 개 넣

은 것을 맡겨 놓고 저희가 밥 먹으러 가면서 다시 들고 가고 했었거든요. 이런 게 좀 더 지원이

필요한 것 같았어요.

(A 자원봉사자, 2013. 6. 14)

20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위의 사례에서처럼, 자원봉사자들은 숲 활동때 사용하는 의자나 아이들이 직접 만든 물

건, 놀이 시 필요한 보조도구나 기구, 갑작스런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구조물건 등을 보관

할 수 있는 적당한 장소가 부족하다고 말하였으며, 앞으로 숲 유치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숲 활동 시 교재 교구, 기타 물품, 아이들 가방 등의 분실

경험을 이야기하며 숲에서 창고나 보관할 장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제반시설이 부족함

을 느끼며, 시설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3) 자연과의 조화가 부족해요

자연은 본성이다(Collingwood, 2004). 자연은 이미 우리의 세계에서 존재하고 있는 공간

이다. 그리고 인간은 자연과 더불어 살면서, 자연의 일부라는 것을 깨닫고 느낄 때 비로소

‘인간답다’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과의 교류는 유아의 초기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

다고 하였다(홍은주, 2003). 또한 자연이라는 공간은 가능성으로부터 자유로운 공간으로, 유

아는 자연의 대상에게 스스로 기능을 부여하며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존재이다(곽노의,

2006). 이처럼 유아들은 자연 속에 있는 다양한 자연물과 관계를 맺으면서 자연을 즐기고

이해하며 사랑하게 되고, 스스로도 자연의 일부임을 알고 자연 속에서 자라고 배울 수 있

게 된다(최정애, 서현아, 2010). 이처럼 숲 유치원에서 아이들은 자연을 체험하고 경험하면

서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성장해 나간다고 볼 수 있는데, 자원봉사자들은 아이

들의 숲 활동에서 자연과의 관계 속에서 환경을 이해하고 인간과의 조화가 필요하다고 보

고 있다.

숲에 가서 아이들과 함께 큰 나무로 대문을 만들고, 해먹을 설치하고, 가방 걸이를 만들고, 이

러한 것들이 설치된 자연을 제가 보니까 좀 불편했어요. 자연은 우리가 있는 그대로 즐기고 이

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자연에 우리가 인위적으로 어떠한 것을 설치하고 변형을 하는 것은

좀 잘 못 된 것 같아요. 자연의 그 모습 그대로 아이들의 활동도 이루어지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E 자원봉사자, 2013. 5. 11)

그리고 숲이라는 자연은 우리만의 공간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숲은 우리 아이

들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도 이용하는 공동의 공간이라는 것을 잊고 있었던거죠...그런데 저는

자원봉사자라서 잘은 모르지만, 숲 유치원에서 숲 활동의 범위를 어디까지 해야 하고 하지 말아

야 하는지 의문이 들었어요. 자연은 인간의 전유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거죠. 그런 의미에서

자연에서 아이들 중심, 숲 활동 중심의 목표지향적인 숲 교육이 먼저가 아니라 자연은 우리와

함께 어우러지는 것이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E 자원봉사자, 2013. 6. 13)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201

자연은 유아가 자기에게 알맞은 삶의 형태를 찾아내는 교육의 장소이며(이부미, 2005),

이미 소유하고 있는 형식이며, 우리의 의도와 상관없이 존재한다(고민경, 2012). 위의 사례

에서처럼, 자원봉사자들은 아이들이 숲 활동을 하면서 자연이 공동의 공간이고 자연 그 자

체로서의 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자연과 아이들의 숲 활동도 조화

를 이루어야 하며, 자연은 우리가 함께 어우러지는 곳이라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유아는 성장해 나가며 자신의 환경을 이해하고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발견하려하는

욕구가 증가하게 되므로 연령에 따른 숲과 자연에서의 교육적인 내용과 방법도 고려되어야

함(이명환, 2011)이 필요하고, 자연을 대하는 행동뿐만 아니라 자연과 인간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4) 교사의 적극성과 세심함이 좀 더 부족해요

자연세계의 다양성은 숲 유치원 교사로 하여금 그에 상응하는 많은 것을 알아야 할 것

을 요구하고, 동․식물의 관계와 이에 관한 깊은 지식이나 대처능력이 있어야 아이들을 자

연의 생활에서 올바로 능력있게 인도하며, 유아의 끊임없는 질문에 열린 마음으로 함께 공

동으로 답을 찾으려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이명환, 2006). 숲의 계절의 변화와 다양

한 동식물이 있는 자연인 숲은 아이들이 느낄 수 있는 의미있고 교육적 가치가 있는 공간

임에는 분명하지만, 숲 체험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

다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자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유아의 자연관을 형성하는데 있어 결

정적인 역할(홍은주, 2003)을 하며, 자원봉사자들은 아이들에게 숲 활동을 더욱 의미있게

연결해주는 경험요인이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약간 비판적으로 보이는 것이..생태하는 사람들이 아이들과 같이 몸으로 어울려서 놀아줘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보고만 있어요. 멀뚱멀뚱...아이들은 놀아라 이렇게 놀려놓고 자기들끼리 이

야기해요. 오늘 같은 경우도 바깥놀이 가서 보면 아이들과 같이 놀아주면서 놀이도 좀 참여해주

면서 이렇게 되어줘야 되는데 이 교사가 그렇게 하면 몸도 피곤하고 그렇기는 하지만 자기들끼

리 이야기하고 수다떨고 있는 거에요.... 교사는 감독같은 느낌...그냥 수업만 해요...교사가 몸체

험이나 같이 어울려줘야 하는데 교사들이 그냥 방관하는 느낌도 어느 정도 있는 것 같아요...

(B 자원봉사자, 2013. 5. 8)

아이들을 바깥에 풀어 놓으니까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그런 구조적인 부분...안전 장치를 잘

해놔야 된다고 생각해요. 엎어지고 그래도 교사들의 반응이 그럴수도 있지 일어나라 이런 식이

에요. 제대로 확인 안하는 것 같아요. 그냥 털어주면서 괜찮아 이렇게 얘기하고 우리 같으면 어

떻게 되었는지 확인하고 약은 꼭 발라주고 확인하는 이런 식으로 진행되잖아요. 근데 약간 좀

편안하게 넘어가는 것 같아요. 좀 넘어져도. 제가 이 어린이집을 보면서 약간 연두색 계단도 위

20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험하게 느껴지고 그냥 생태유치원 어린이집을 운영할꺼면 안전적인 부분도 신경써야 할 것 같

아요. 놀이기구나 계단, 그런 시설면에서는...교사는 눈높이가 그러면 안된다고 생각하는데...학

벌이나 자부심때문에요...그것 때문에 많이 실망했어요.

(C 자원봉사자, 2013. 6. 12)

숲 체험 교육에 있어, 교사의 역할은 전문적인 지식의 전달이 아닌 유아와 함께 자연을

느끼고 경험하며, 교사 자신도 자연을 즐기고 탐구해 나가는 것이다(이명환, 2011). 위의 사

례에서처럼 자원봉사자들도 숲 활동에서 교사가 아이들과 함께 어울려야 함을 인식하고 있

다. 아이들이 숲에서 자연스럽게 자연을 체험하는 것과 더불어, 교사도 적극적이고 능동적

인 자세로 아이들과 함께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숲이라는 넓은 공간은 그만큼 위험요소도 많아서 교사의 세심함이 요구되며, 숲

에서의 안전상태와 갑작스런 위험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은 필수적임을 인식하

고 있었다.

4. 숲 유치원 활성화를 위한 방안

1) 새로운 숲에도 가보면 좋을 것 같아요

아이들이 체험하는 숲은 언제나 변하지만, 숲이 언제나 그 자리에 있는 하나의 장소라고

볼 때, 다양하고 새로운 숲을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유아는 자연의 대상에게

스스로 어떤 기능을 부여하며 문화를 창조할 수 있고(곽노의, 2006), 숲이라는 공간은 유아

에게 알맞은 삶의 형태를 찾아내도록 돕는 교육의 장소이므로(이부미, 2005), 새로운 숲을

만나게 해 줄수록 그러한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자원봉사자들은 숲 유치원에서 체

험하는 숲이라는 장소는 한 곳으로 정해진 곳을 가므로 반복적이고 한계가 다소 있다고 지

적하였다.

제가 진짜 느끼는 게 그런거거든요...여기는 활동이 없으니까... 활동자체를 하거나 주제에 맞

춰서 나가는 게 아니잖아요. 흐름이 그러니깐 약간 큰 커리큘럼은 있을 수 있지만. 그냥 나갔다

오고 하루 놀고 오면 그만...이렇게 느껴질 수 있는 부분들도 있을 것 같아요.. 매일매일 가보는

것이 아니라 모르겠지만. 놀러가고 산책을 가고 긴 산책을 하고 항상 숲에 가는 부분들이 여기

학교위에만 가는데 아이들이 가다보면 이제는 많이 가본 곳이잖아요. 어릴 때부터 항상 똑같은

곳을 가보고..다 알고 있고 새로운 곳도 가보면 좋을 것 같아요. 한 학기나 일년씩 다른 숲의 공

간을 마련해서 가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숲 1호 숲 2호 처럼요.

(C 자원봉사자, 2013. 5. 9)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203

위의 사례에서 볼 때, 자원봉사자들은 숲 유치원에서 같은 숲을 매일 반복적으로 체험하

여 아이들에게 익숙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반복적으로 똑같은 장소만 가니까 다른 새로운

장소의 숲을 경험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즉, 이들은 숲 유치원이 운영되고 있는

장소가 어릴 때부터 항상 똑같은 장소로서 다양한 종류의 숲을 보여주고 경험하게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하였다.

2) 다양한 실천 중심의 숲 활동이 되면 좋겠어요

숲 유치원에서 교사는 기본적으로 자연에 대한 깊은 지식과 대처 능력이 있어야 하며,

아이들의 끊임없는 질문에 대해서 열린 마음으로 아이들과 함께 공동으로 답을 찾으려는

자세가 중요하다(이명환, 2006). 그런데, 본 연구 참여자인 자원봉사자들은 아이들을 자연

속에 그대로 뛰어놀게 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많이 가져다주지만 숲에서의 활동이 소

수의 과정에 그치고 있어서 실천적 측면에서 다채롭지 못하다는데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하

였다. 또한 숲 유치원만의 독특한 실천 중심으로의 숲 활동 전환의 노력이나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도록 교사 스스로의 내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자원봉사자들은 숲교사의

연수와 재교육이 수반되어야 함은 물론, 교사와 원장의 숲 체험교육에 대한 실천의지가 무

엇보다 중요한데(이명환, 2011), 본 연구 참여자인 자원봉사자들도 그러한 인식 변화와 관

련하여 숲교사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에 더불어 자신들을 위한 교육도 함

께 필요하다고 하였다.

약간 숲 활동이 숲 활동이 아닌 느낌. 색깔을 잃을 수 있는 부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제가 봤

을 때는 활동하고 있는 것이 다른 유치원에서 하는 그런 구조적인 부분들과 똑같이 하는 것을

많이 느끼거든요. 그런데 중심을 잘 잡아야 하는 것 같아요 ... (중략) ... 겉표면적으로만 숲 활

동 이런 식으로 많이 될 수 있는 것 같아요. 중심을 잃지 않아야 되는 것 같아요. 숲에 대한 철

학은 있는데 이런 실천적인 부분이 많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를 비판적으로 듣는다고 하더라구

요. 이 철학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지금 현재의 상황에서 모형만 숲 활동이 될 수 있는 것 같아

요, 그냥 놀기만 시킨다는 느낌이 들 수도 있어요. 그때는 좋은 데 숲에서는 좋은데 숲을 내려

오면 또 현실이잖아요.

(C 자원봉사자, 2013. 6. 12)

숲교사는 어찌보면 정말 쉬우면서도 어찌보면 정말 어려운 것 같아요. 숲 유치원은 선생님도

공부를 많이 해야 되는 것 같아요...인내심을 가지고 해야 되고... 숲 활동도 구조화는 아니지만

좀 더 색다르게 운영되면 좋을 것 같아요. 기존의 긴 산책활동과 다른 뭔가가 뚜렷한 게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E 자원봉사자, 2013. 6. 13)

20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위의 사례에서 보듯이 자원봉사자들은 숲 활동이 아이들에게 다양한 실천 경험을 제공

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안타까움과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었다. 그리고 숲 활동이

숲에 대해서 지나치게 일반론적 관점에서만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의 인식 또한 달라

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자원봉사자들은 숲 활동에 대한 교사의 적극적 태도와 실천

적 의식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해 교사들이 태도와 의식의 변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과정

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명환, 2006)고 하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3) 구체화된 숲 프로그램과 매뉴얼이 필요해요

유아교육기관에서 숲 체험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숲 체험교육 프로

그램 개발과 더불어 프로그램이 일반화될 수 있도록 자료를 보급하는 것이 중요하며 숲에

서의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교육 및 부모교육도 함께 실천되어야 한다(이명환, 2011). 일반

유치원과는 차별화된 숲 유치원만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적용함으로써 숲반 활동을 보다

체계화시키고 내실화시킬 필요가 있다. 자원봉사자들은 아이들과 교사들에게 숲의 가치와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동시에 숲이라는 공간에 보다 쉽고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

는 숲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더불어, 그들은 그러한 프로그램

이 숲반을 운영하는 숲 유치원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보다 체계화된 매뉴얼을 바탕으로 운

영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아이들이 산에 가면은 산에 막 올라가고 그런 것을 자연스럽게 하거든요. 숲에서 놀아야 된다

고 생각하거든요.. 그런 아이들이 다른 곳에 견학을 갔었어요. 거긴 정원 같은 것이 예쁘게 꾸며

져 있잖아요. 건물 앞에...거기도 막 타고 올라가는 거에요. 숲인 줄 알고. 저는 막 황당했어요...

얘네들을 위한 좀 그런 거는 일관성있게 지침도 있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네요. 깜짝 놀랐어요.

이럴 때 나도 아이들의 입장에서 올라가게 놔둬야 할지 우리의 입장을 모르는 사람들은 얼마나

당황하겠어요. 숲에서도 너무 그렇게 숲을 타고 노는 것도 문제이지만, 그런 것은 아이들한테도

교육이 필요하겠다 생각했어요.

(B 자원봉사자, 2013. 5. 8)

그냥 제 생각에는 숲 유치원 프로그램을 조금 더 구체화시켰으면 좋겠어요. 지금 뭐 막연하게

논다 하고 생각하기에는 좀 체계가 없는 것 같아요. 숲에서 아이들이 그렇게 자연스럽게 다 느

끼려면 진짜 몇 년 동안 다녀야 느끼는데, 우리는 졸업하자마자 초등학교에 들어가야 하잖아요.

그럴려면 그 전에 짧은 기간 동안에 뭔가 그래도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가지고 단계적인 교육도

필요할 것 같아요. 이것도 지금 숲반 운영하는 어린이집과 유치원마다 다 틀려도 여건마다 다

맞춰서 다 하고 있겠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어떤 단계를 밟고 가면 아이들도 무리 없이, 초등

교사도 반감없이 적응하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복잡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간단하면서도 기본적

인 지침이 있으면 그걸 하고자 하는 어린이집에서 쉽게 따라오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D 자원봉사자, 2013. 6. 11)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205

숲 유치원에 대한 매뉴얼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음..너무 구체적으로는 아니더라도... 그

냥 좀 간단하게 내가 만약에 어린이집 원장을 하겠다하면 조금은 변화시켜서 해야 할 것 같아

요. 그러면 기본적으로 어떻게 되어야 되고 어떤 단계를 거쳐서 해야 되고 고민도 많이 될 것

같은데요. 그게 사실 보면은 지금 생태를 하는 어린이집이라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것 같아요.

운영면에서 말이죠. 숲반이 원에 따라 스타일이 다 달라요. 교사에 따라 원에 따라 다르기는 하

겠지만 그 지역의 특성이나 이런 것에 따라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뉴얼이 만들어지면

좋을 것 같아요.

(B 자원봉사자, 2013. 5. 8)

위의 사례에서처럼 자원봉사자들도 숲 활동에 대한 막연한 접근으로 아이들에게 생길

수 있는 부분을 지적하며, 자연스러운 숲 활동을 바탕으로 단계적이이고 교육적인 숲 프로

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숲 유치원은 자연 속에서 놀이중심 교육으로 너무 치우쳐

교육이 행해진다고 비판받을 수 있는 여지가 있다(이명환, 2006). 또한 아이들에게 숲에 대

한 인식과 교육적인 부분도 강조하며 숲 활동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는 만큼,

자원봉사자들은 숲 유치원만의 기본적인 프로그램이 구체화 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Ⅳ. 논 의

본 연구는 숲 유치원의 숲 활동에 보조적 지원자로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이 그러한 지원

과정에서 숲 유치원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게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숲 유치

원에 대한 자원봉사자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그들은 숲 유치원이 모든 구성원들을 긍정적

인 변화로 이끌고 숲의 가치에 대한 재발견을 가능하게 한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는 한편으

로, 숲반 체험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한 대처가 필요하며 숲 유치원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의 실현이 필요하다는 인식도 함께 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자들은 아이들의 성숙, 자원봉사자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 교

사의 태도 및 자세 변화 등 숲 유치원이 가져다주는 긍정적 효과를 목격하였다. 우선, 본

연구의 결과는 숲에서 아이들은 매일 산행을 하기에 하체근력이 강화되어 신체가 건강해지

고 정서적 안정감, 유아의 주의집중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이명환, 김은숙,

2011)와 맥을 같이 한다. 다음으로, 자원봉사자들은 자기 자신의 신체적 건강 향상과 함께

20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차분한 마음과 아이들에 대한 너그러운 태도 등 정신적 건강의 향상을 자각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자연에 대한 사랑과 호기심의 증진 등과 같은 자연과 관련한 태도 및 자세의 변화

를 교사에게서 발견하였다. 요약해 보자면, 자원봉사자들은 숲 유치원이 모든 참여 구성원

들을 긍정적인 변화로 이끈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기존 숲 유치원의 지속

가능성을 암시해 주는 것일 뿐만 아니라 향후 보다 많은 숲 유치원의 설립, 보급 및 활성

화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둘째, 자연과 인간을 이어주는 매개이자 생명성과 치유력을 지닌 공간으로서의 숲이 지

닌 가치에 대한 자원봉사자들의 재발견은 숲과 거리를 둔 삶을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

에게 뿐만 아니라 일상적 체험을 위한 수단적 공간으로서의 숲의 의미에 익숙해 있는 아이

들과 교사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즉, 평소 숲과 접할 기회가 드물었던 자원봉

사자들이 길지 않은 기간 동안 숲 유치원의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얻게 된 숲에 대한 인식

이 숲이 도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를 함께 지닌 공간(김대군, 2006)임을 다시금 일깨워주

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인간은 자연과 단절된 삶을 살아가면서 인간 본연의 생명력

을 상실해 가고 있는 상황에 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 오늘날 태어나는 순간부터 이미 산

업화, 도시화에 기반한 물질적 풍요의 환경을 획득하게 되지만 그로 인해 애초부터 놀 친

구, 이웃, 텃밭과 야산, 햇빛과 바람을 잃어버린 채(하정연, 2013)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이러

한 상황은 아이들을 메마르고 삭막한 삶으로 내몰며 몸과 마음, 그리고 영혼의 위기를 겪

게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아이들에게 메마르거나 삭막하지 않는 공간, 넘치는 포용력과 생

명력의 공간 등의 상징화되는 숲을 만나게 해주는 일은 그러한 위기를 해소할 수 있는 대

안이 될 수 있으며, 바로 이러한 점에서 아이들을 숲으로 유도하는 숲 유치원의 의미와 중

요성, 그리고 그 필요성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숲 유치원의 숲 활동이 원활히 운영되고 그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관

련 구성원 모두의 상호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숲 유치원 자원봉사자들 또한 그러한

협력의 필요성을 잘 알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실제로, 숲 유치원을 비롯한 많은 유치원의 교사들이 학급 보조 자원봉사자 활동은

교사를 도와주고 보조해 주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남미라, 2009), 같은 맥락에

서 어린이집 역시 장시간 보육에 따른 교사들의 힘든 일을 덜어주기 위해 자원봉사자의 도

움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김상균, 1992). 그런데, 숲 유치원 자원봉사자들의 경우 자신이 수

행하는 역할에 대한 보람과 긍지를 나타내는 한편으로 숲 활동과 관련한 여러 가지 어려움

과 문제점에 대해서도 토로하고 있었다. 그들에 따르면 우선, 숲 활동 진행에 있어 자원 봉

사자에게 과도하게 주어지는 체력적 부담은 그들로 하여금 흔히 자원봉사의 만족도를 향상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207

시키는 것으로 여겨지는 아이들과의 직접적인 접촉(최진원, 2006)에 제대로 매진할 수 없게

하고 있다. 더불어, 그들은 숲 활동 준비과정에서의 미흡한 지원, 숲 활동이 초래하는 자연

훼손, 숲 활동 과정에서의 교사의 소극성과 부주의함 등도 모두가 숲 활동이 지닌 진정한

취지와 목표를 실천하고 달성하는 데 있어 저해 요인이 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

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자와 교사, 그리고 부모를 비롯한 기타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숲 활동의 특정 단계가 아닌 전 단계에 걸쳐 개개인이 책임의식을 갖도록

하는 재교육, 연수, 부모교육 등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심지어 이세나(2008)는 유

아교육기관, 부모, 지역사회의 파트너쉽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어야 하는데 유아교육현장에

서 어머니 자원봉사활동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유아교사들

은 자원봉사자로서 부모들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박화윤, 2002)을 볼 때에도 그

러하다. 아울러, 숲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매뉴얼에 상호 유기적 협력의 필요성과 의무

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자원봉

사자들 스스로도 자원봉사활동이 점점 더 전문화되어 가는 추세(조휘일, 2002)임을 감안하

여 새로운 기술의 습득을 통해 전문가적 능력을 기름으로써(이은수, 2002) 자원봉사활동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숲 유치원은 설립 및 보급에 더하여 그 자체의 변화도 요구된다. 사람이든 사물이

든 변화가 없으면 정체되기 마련이고 정체가 되면 외면을 받게 되어 있다. 이러한 진리는

숲 유치원도 예외가 아니다. 자원봉사자들은 대상으로 하는 숲이 고정화되어 있고 숲 활동

이 융통성있게 진행되기 보다는 미리 제시된 이론에 따라 전개되는 경향이 있으며 숲 활동

을 위한 프로그램과 매뉴얼이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숲 유치원의 활성화에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활동 대상 숲의 다양화, 실천

중심으로의 전환, 관련 프로그램과 매뉴얼의 구체적 정립 등 자원봉사자가 숲 유치원과 관

련하여 읽어내는 방안들은 기존 숲 유치원에 대한 변화의 외침일 뿐만 아니라 향후 설립될

숲 유치원의 바람직한 운영을 담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바램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러한 숲 유치원의 변화 방향은 숲 유치원 자체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생각되며 따라서 관련 기관과 법률, 제도, 정책 등에 의한 지원이 바탕이 되어

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숲 유치원 자원봉자들이 숲 활동을 보조하는 과정에서 인식

한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숲 활동의 직접적 당사자인 교사나 유아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자원봉사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한 것은 그들이 숲 유치원과 직접적 이해관계를 갖고 있지

않음으로 해서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연구

20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대상 자원봉사자들의 인식에서는 숲의 역할과 가치에 관한 긍정적인 시각과 숲 활동의 어

려움과 문제점에 따른 부정적인 시각, 그리고 그들이 생각하는 숲 유치원 활성화 방안 등

을 결과로서 파악해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그 같은 결과들은 숲 체험의 확대 및 촉진

필요성, 숲 활동의 효율화를 위한 개선 필요성, 숲 유치원의 발전적 미래를 위한 구체적 실

천의 필요성을 명백히 시사해 주고 있으며, 이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P어린이집 한 곳의 자원봉사자 5명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

키는데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숲 유치원과 자

원봉사자들을 선정하여 광범위하고 심도있는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209

참고문헌

강명희(2012). 숲유치원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유림어린이집 숲 체험활동 사례 중심으

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영식(2009). 숲체험 활동이 환경친화적 태도와 생명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

육연구, 14(4), 137-158.

강영식, 김용숙(2012). 생명존중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열

린유아교육연구, 17(4), 1-18.

강인향(2009). 어머니 특성변인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

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고민경(2012). 유아의 숲 체험에 나타난 ‘관계’의 현상학적 접근.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1), 225-251.

곽노의(2006). 자연주의 교육사상에 기초한 유아교육. 한국초등교육, 17(1), 249-268.

(2012). 숲유치원에서의 놀이와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홀리스틱교육연구, 15(4),1-23.

김동욱(2008). 학교숲 체험활동을 통한 유아의 감성 변화.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대군(2006). 숲에 대한 인간의 도덕적 의무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 10, 163-177.

김덕건, 김효진(2006).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5(1), 57-82.

김묘선, 이민선(2013). 매일형 숲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현장에서의 어려움과 보람. 생태유

아교육연구, 12(1), 75-112.

김 연(2011). 한국 최초의 숲유치원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인

천대학교 숲 유치원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심(2012). 유아교육기관 자원봉사자들의 여가경험 제공을 통한 조직몰입도 증진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7(1), 25-31.

김은숙(2010). 한국 최초 숲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 인천대학교 숲 유치원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상균(1992). 지역복지 봉사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출판부.

남궁은미(2006). 학교 숲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춘

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미라(2009). 유치원 학급보조 자원봉사자 활동의 실태와 개선방안. 금오공과대학교 교육

2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흥현(2007). 학교 숲가꾸기 활동이 아동의 환경인식 및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

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현정(2013). 숲 유치원 교사와 일반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과학교과 교육학지식 및 교사교

육요구.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희(2005).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박화윤(2002). 유치원에서의 부모 자원봉사활동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2(1), 163-185.

소명수(2012). 숲유치원에서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서

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주은(2011). 숲유치원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부산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2007). 숲 체험이 인간 심리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

지, 11(3), 37-43.

신지연, 김정현, 정이정(2012). ‘숲유치원 접근’의 유치원과 일반 유치원 유아의 기초체력 및

행복감 비교. 유아교육논총, 16(6), 5-25.

이경희(2011). 자연치유개념이 도입된 힐링센터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명환(2006). 숲유치원의 교육학적 원리와 실제.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125-142.

(201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숲체험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생태유아교육연구,

10(1), 175-200.

이명환, 김은숙(2011).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

구, 10(4), 149-170.

이부미(2005). 공동육아 놀면서 자라고 살면서 배우는 아이들. 서울: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

화.

이성자(2010). 숲 유치원 운영사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경(2011). 숲․예술 창의 프로젝트 효과 연구 - 아동의 창의성․창의적 미술표현․감성

지능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44, 205-230.

이세나(2008). 예비보육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

회지, 17(2), 181-190.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211

이용수(2013). 숲유치원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와 교원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충청남

도를 중심으로. 배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수(2002).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재영, 김아연(2005). 학교 숲이 초등학생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환경

교육, 18(2), 90-100.

이혜인(2008).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및 친환경적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

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현선, 서영아, 권대봉(2008). 학습으로서의 자원봉사활동 이해 -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4(2), 147-170.

임재택(2008). 생태유아교육개론. 서울: 양서원.

(2010). 이제는 숲유치원이다: 숲과 아이들의 만남. 제 2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발

표자료집, 4-16p. 6월 4일. 서울: 국회 의원회관 1층 대회의실.

임재택, 하정연, 신주연(2012). 유치원·어린이집에서 실천할 수 있는 숲유치원 운영 매뉴

얼. 경기: 공동체.

임 호(2006). 자원봉사자원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부산: 세종문화사.

장미연, 임소영, 변지혜, 김은주, 임재택(2011). 국내 숲유치원 운영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7-46.

장희정(2010). 숲유치원. 서울: 호미.

전대성(2006). 지역사회복지 서비스 향상을 위한 자원봉사 활성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규성(2010). 아이들은 숲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 숲에 대한 아이들의 기억에 관한 질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주성수(2005). 자원봉사. 서울: 도서출판 아르케.

조휘일(2002). 현대사회와 자원봉사. 서울: 홍익재.

최금숙(2013). 숲 체험활동이 어린이집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덕경, 이혜자, 서정학, 배은숙, 박주현(2012). 현대사회와 자원봉사. 경기: 도서출판 공동체.

최정애, 서현아(2010).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

는 영향. 생태유아교육 연구, 9(1), 71-94.

최진원(2006). 보육시설 자원봉사 활동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 유아교육·보육행

정연구, 10(4), 91-111.

2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4호

표갑수(2010). 자원봉사론. 경기: 나남.

하정연(2013).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아이들. 서울: 라이온북스.

홍은주(2003). 자연환경구성의 교육적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지애, 김성재(2012).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전남지역 3년째

유아교육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99-177.

황해익, 김은주, 송주은, 김미진, 유주연(2012).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 교사

의 인식 및 요구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165-188.

Collingwood, R, G. (2004). 자연이라는 개념. (유원기 역). 서울: 이제이북스. (원저 1945년

출판)

Davis, J. (1998). Young childr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future, Early Children

Education Journal, 26(2), 117-123.

Huckle, J. (1993).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ustainablility: a iew from critical theory,

In J. Fien(Ed.), Environment Education: A Pathway to Sustainability. Melbourne:

Deakin University.

Fjortoft, I. (2001).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playground for children: the impact of

outdoor play activities in pre-activities in pre-primary 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9(2), 111-117.

Fjortoft, I., & Sageie, J. (2000).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playground for children:

landscape description and analyses of a natural playscap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8, 83-97.

Rushton, S., & Larkin, E. (2001). Shaping the learning environment: connecti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to brain research,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9(1), 25-33.

Trisha, M. (2007). Forest schools in Great Britain: An initial exploration.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8(4), 320-331.

O'Brien, L. (2009). Learning outdoors: the forest school approach. Education, 37(1),

45-60.

숲 유치원에 참여한 자원봉사자 이야기․213

Abstract

Stories of volunteers as forest kindergarten participants

Yeon Woo Jun, Tae Kyung Kim, Hea Soog J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olunteers' perceptions of forest kindergarte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five people who

volunteered at forest kindergarte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olunteers said that not only they, but also the children and their teachers

positively changed through the forest experiences provided by the forest kindergarten.

Second, they responded that participation in the forest kindergarten led them to rediscover

the benefits of forests such as increased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nature, renewed

vitality and enhanced healing powers. Third, the volunteers perceived that some obstacles to

a better operation of the forest kindergarten includes burden in relation to forest activity

preparation, lack of relevant facilities, poor reconciliation with nature and teachers' lack of

positivity and carefulness. Fourth, the subjects reported that increased number of forests to

be visited, practice-oriented forest activities and well-organized forest programs and manuals

would be need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orest kindergartens.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to establish forest kindergartens,

ways to improve them, and methods with which to solve problems with forest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