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138
연구보고 부연구위원 연 구 위 원

Upload: others

Post on 24-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연구보고 R750 | 2015. 10.

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방안

마 상 진

김 종 인

김 경 덕

연 구 위 원

부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Page 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연구 담당

마상진

김종인

김경덕

연구위원

부연구위원

연구위원

연구 총괄, 이론 고찰, 설문 조사 및 육성 방안 개발

인력수급 전망, 외국 사례

인력수급 전망

Page 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머 리 말

현 정부들어 농업의 미래 성장 동력의 하나로 6차 산업화가 의욕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농업의 6차 산업화란 농업경영체가 농산물의 단순 생산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가공, 유통, 체험 등의 부가가치 창출 활동을 조직화

하자는 것이다. 경영체 입장에서 보면 많은 품과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활

동이라 할 수 있다. 관련 선행 연구나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6차 산업화에

있어 인력의 전문성, 전문인력의 확보는 6차 산업화 성공의 관건이라는 평

가다. 아직 6차 산업화 인력에 대한 국내의 논의는 걸음마 수준이다. 농림축

산식품부 뿐 아니라 다양한 유관 기관들에 의해 수 많은 관련 사업이 추진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를 6차 산업화 경영체 입장에서는 누가 이를 어떻

게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방안을 다

루고 있다.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관련 이론과 정책 분석 뿐 아니라 농

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현황과 수급 전망, 그리고 농업 6차 산업화 전

문인력 육성 실태와 관련 요구를 분석하고, 관련 국내외 관련 사례를 토대

로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아무쪼록 이 연구에

서 제시된 관련 정보와 방안이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문제에 대한 본

격적 논의의 토대가 되고, 나아가 관련 정책 기획자들에게 사업 아이디어

구상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연구 수행과정 상에 많은 이들의 도움이 있었다. 연구수행과정에서 자문

을 해준 전북연구원의 황영모 박사님, 설문조사에 도움을 준 국민농업포럼

정기수 이사와 채선욱 사무국장,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의 김재훈 대

리, 일본 사례조사에 도움을 준 교토대학교 김두환 박사께 깊은 감사의 말

씀을 전한다.

2015.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세 균

Page 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Page 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iii

요 약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방

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세부 연구목표는 농업의 6차 산업화와 관련한 ① 전

문인력 관련 이론과 정책 분석, ② 전문인력 현황분석과 수급 전망, ③ 전

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분석, ④ 전문인력 육성방안 제시 등이었다.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관련 이론으로 ‘저숙련·고숙련 균형 이론’

그리고 6차 산업 및 전문인력 개념과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이 연

구의 관점을 정리하고, 관련 정책을 분석하였다.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

력 현황과 수급 전망을 위해 통계청의 2005년 이후 농업(총)조사와 농업법

인조사 그리고 농촌진흥청의 ‘농업·농촌 6차 산업화 기초실태조사’를 재분

석하여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현 규모를 분석하고, 이후 2020년,

2025년 시점의 인력 공급과 수요를 전망하였다.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분석을 위해 농업계 학교와 각종 직업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 육성과 관련한 문헌 및 통계 재분석, 관련자(6차 산업화 경영체, 농업

계 학생, 예비 귀농·귀촌인 등) 설문조사 그리고 기존 관련 연구 설문 조사

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관련 이론 및 정책 분석, 전문인력 현황 및

수급 분석, 전문인력 육성 실태 및 요구 분석 등과 더불어 국내 우수사례

와 선진국 사례, 그리고 비농업분야의 사례 고찰 부문을 토대로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육성 방안을 기본방향과 세부 추진과제로 나누어 제시

하였다.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의 기본방향으로 ‘6차 산업화를 통

한 농업인력구조의 고도화’와 ‘지역 중심의 전문인력 육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구명한 관련 문제점 해결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로

중앙정부 차원의 ‘중앙정부의 관련 정책기반 마련’, ‘NCS 신직업자격체계

개발’, ‘경력경로 설정을 통한 관련 자원 통합연계’, ‘농업계 학교의 역할

Page 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iv

강화’, ‘괜찮은 일자리 만들기’, ‘지역의 인력육성 펀드 조성 운영’ 그리고

지방정부차원의 ‘인력육성 거버넌스와 계획 추진’, ‘인력육성 전담조직 통

합운영’ 등 여덟 가지를 제시하였다.

Page 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v

ABSTRACT

How to Develop 6th Industralization Skilled Workfo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easures for agricultural skilled workforces fostering for 6th industrializ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 on low skill and high skill equilibrium theory, definitions of 6th industralization and skilled workforce, and 6th in-dustralization skilled workforces fostering related policies; analyze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4)’s 6th Industralization Survey, Korea Farm Census (2005~2013) and Agricultural Corporate Census (2006~2013); surveyed 6th industralization management units, agricultural highschool stu-dents, agricultural college and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s, and adults preparing urban to rural migration; and studied 6th industralization skilled workforces fostering-rela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is study suggested basic direction and several specific measures for fostering 6th industralization skilled workforces. The skilled workforce de-velopment measures in the 6th industralization sector should be directed to-ward advancement of the current agricultural skilled workforce structure by means of 6th industralization policy, and a local area based skilled work-forces development approach. Under these directions, the following specific measures were suggested: central government’s 6th industralization skilled workforces development pla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based new vocational qualification system in the 6th industralization sector; career paths for the 6th industralization related jobs and related resources integration; agricultural high school, agricultural college and university’s strengthened roles in 6th industralization skilled workforces development; decent jobs in the 6th industralization sector; local funds for new 6th in-dustralization management units; local area based 6th industralization skil-led workforces development governance, specific plans, and the agency in charge.

Page 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vi

Researchers: Ma Sangjin, Kim Jongin, and Kim KyeongdukResearch Period: 2015. 1. ~ 2015. 10.E-mail Address: [email protected]

Page 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vii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내용과 방법 ··················································································3

3. 연구 범위 ·······························································································5

제2장 관련 이론 및 정책

1. 저숙련·고숙련 균형 이론 ·····································································7

2.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개념 ·································································13

3.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관련 정책 ·······················································18

4. 소결 ·······································································································27

제3장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

1.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 ·································································29

2.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수급 전망 ·······················································34

3. 소결 ·······································································································37

제4장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1.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 ·······················································39

2.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관련 요구 ·······················································52

3. 소결 ·······································································································57

제5장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1. 문제점 종합 ·························································································59

2. 기본 방향 ·····························································································61

3. 추진 과제 ·····························································································64

Page 1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viii

제6장 요약 및 결론

1. 요약 ·······································································································87

2. 결론 ·······································································································89

부록: 설문지 ·······························································································97

참고 문헌 ···································································································119

Page 1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ix

표 차례

제1장

표 1- 1. 이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현황 ·······································3

제2장

표 2- 1. 우리나라의 산업분야별 취업자의 교육수준 ························11

표 2- 2.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유형 및 대표 사례 ···························14

표 2- 3. 귀농·귀촌 지원사업 총괄(2014년 현재) ·······························26

제3장

표 3- 1. 6차 산업화 관련 농가경영체 변화 ·······································30

표 3- 2. 6차 산업화 분야별 농업법인 수 ···········································33

표 3- 3. 농가인구 전망 ·········································································36

표 3- 4. 농가인구 중 농업종사자 비중 변화(1990~2010) ···············36

표 3- 5.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인력수급 전망(2020~2025) ··············37

제4장

표 4- 1. 최근 3년간의 농업계 고등학생의 취업·진학 현황 ·············40

표 4- 2. 농업계 대학 졸업생 취업현황 ··············································41

표 4- 3. 농업계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의 현장 연계 충분성 평가 · 42

표 4- 4. 6차 산업화 경영체의 농업계 학교 연계 경험 ····················42

표 4- 5. 농업계 학생들의 6차 산업화에 대한 인지 수준 ················43

표 4- 6. 농업계 학생들의 6차 산업 관련 역량을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학생 비율 ·················································································43

표 4- 7. 출신학교 유형별 농가의 6차 산업 종사비율 ······················44

표 4- 8. 6차 산업화 경영체의 농고·농대 졸업생 고용 현황 ···········44

표 4- 9. 귀농·귀촌 교육인원 ································································45

Page 1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x

표 4-10. 6차 산업화 경영체 고용자중 귀농·귀촌인 비중 ················48

표 4-11. 농촌진흥기관을 통한 농업인 대상 6차 산업교육 ··············49

표 4-12. 6차 산업화 경영체 전문인력의 전문성 개발 기회 ············55

표 4-13. 6차 산업화 경영체와 주요 인력공급처의 기대 임금수준 비교

··································································································55

표 4-14.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필요한 지원내용 요구 ····························································56

제5장

표 5- 1. 농업계 학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 ·········································72

표 5- 2. 6차 산업화 경영체의 농업도제교육 참여 의향 ··················74

Page 1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xi

그림 차례

제1장

그림 1- 1.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체계도 ·········································5

제2장

그림 2- 1. 숙련의 공급과 수요 균형화 전략 ·····································10

그림 2- 2. 농가의 영농교육 참여 현황 ··············································12

그림 2- 3. 국가직업능력표준(NCS)에서의 능력수준체계 ·················16

그림 2- 4. 농업 6차 산업화 지원정책 현황 ·······································19

그림 2- 5. 농업전문인력 육성 기본계획 ·············································23

제4장

그림 4- 1. 예비 귀농 귀촌인의 농업교육 이수내용(복수응답) ········46

그림 4- 2. 예비 귀농 귀촌인의 6차 산업화에 대한 인지도 ············47

그림 4- 3. 예비 귀농 귀촌인의 6차 산업화 관련 역량 수준에 대한 인식

·····························································································47

그림 4- 4. 농업인의 교육이수 내용(복수 응답) ·································50

그림 4- 5. 일반농가와 6차산업농가의 전문분야별 역량수준 인식

·····························································································51

그림 4- 6.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전문분야별 역량 수준 ··················52

그림 4- 7.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사업 애로사항(복수 응답) ············53

그림 4- 8. 6차 산업화 경영체가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 분야 ·········54

그림 4- 9. 6차 산업화 경영체의 분야별 전문인력 보유 현황(복수 응답)

·····························································································54

Page 1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xii

제5장

그림 5- 1.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관련 문제점과 세부 추진과제

·····························································································65

그림 5- 2.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경력경로(안) ··································71

그림 5- 3. 지역 6차 산업화 투자조합 운영 모형(안) ·······················80

Page 1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서 론 제1장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농가가 농산물 가공·유통 활동에까지 참여하여 부가가치를 증대시킴으

로써 소득을 올리려는 접근은 오래전부터 시도되어 왔었다. 우리의 경우

1970년대 새마을 운동 때부터 일종의 부업소득 증대정책으로서 본격화되

었다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농업의 6차 산업

화는 과거의 부업소득 증대정책이나 소득원 다각화와는 달리 체계적이고

정교한 접근을 하고 있다. 비농업부문의 다양한 가공, 유통, 마케팅 관련한

새로운 노하우(knowhow)를 농업과 융합시키고 있다. 기존의 생산-가공-유

통이라는 직선적인 농식품 가치사슬에 농업·농촌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

체험, 관광, 교육 등의 사회·문화적 활동과 연계시킨 가치사슬을 거미줄처

럼 얽히게 하여 농가와 농촌지역 내에서 보다 많은 부가가치가 창출되도록

하고자 한다. 특히 농업과 관련한 각종 활동의 성과와 이득을 지역 농업

내부로 회수되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활동의 주체성을 강조한 측면도 중요

하다.

농업의 6차 산업화는 농업경영체에게 그 전보다는 좀 더 많은 분야에 깊

이 있는 전문성을 요구한다. 새로운 차원의 농업 경영 기법·기술과 숙련도

가 요구되어, 지금까지 농업 생산활동을 중심으로 경영해온 농업경영체의

입장에서 보면 개별적인 접근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 많은 경우

보다 조직화된 경영체로의 혁신이 요구되며, 경영·재무 능력 뿐 아니라, 마

Page 1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서론2

케팅, 홍보, 정보화, 특허, 디자인, 관광 및 체험, 상품 기획·개발, 품질관리,

식품 가공 공정, 고객서비스 등의 세분화된 전문분야 인력의 활용을 필요

로 한다.

농업의 6차 산업화의 성패는 인력의 전문성, 전문인력의 확보에 달려있

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1990년대부터 6차 산업화를 추진한 일본은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개발시켜왔는데, 6차 산업의 활성화에 가장 시급

한 과제로 인력육성 문제를 들고 있다(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2013:

13). 6차 산업 도입에 앞장섰던 국내 지자체에서도 성공의 관건을 리더와

생산-가공-판매 가치사슬을 엮어갈 전문인력으로 보고 있다(강승진 2013:

137; 장덕기 2013: 101; 장민기 2015: 105).

최근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이 시행(2015년 6월)되

면서, 중앙정부 뿐 아니라 지방정부 차원의 6차 산업화 기본계획이 수립·

시행되게 되었다. 2010년대 초반부터 이미 많은 관련 정책들이 추진되어

왔지만, 법적 근거가 없어 안정적인 정책이 되지 못했던 점을 감안하면 새

법의 시행은 안정적으로 예산을 확보하여 관련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 연구에서는 농업의 6차 산업화 관련 정책이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그

성패의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전문인력의 관점에서 관련 정책을 분

석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세부 목표는 다음

과 같았다.

첫째,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관련 이론을 검토하고 정책을 분석한다.

둘째,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을 전망한다.

셋째,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를 분석한다.

넷째,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방안을 제시한다.

Page 1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서론 3

조사대상 6차 산업화 경영체 농업계 학생 예비 귀농·귀촌인

조사규모 205개 경영체농고 1,802명

농대 1,242명201명

대상선정

2014년 예비

인증업체(379개)중

임의로 선정

농업교육협회 소속

농고 19개

농대학장협의회 소속

농대 13개

지자체 귀농·귀촌홍보관 방문자,

정부지원 귀농 귀촌

교육생

조사시기 2015. 8. 3.~9. 4. 2015. 6. 1.~6. 12. 2015. 8. 3.~9. 4.

표 1-1. 이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현황

2. 연구 내용과 방법

이 보고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2장에서 전문인력 문제를 바라보는 이론적 관점인 저숙련·고숙련 균

형 이론을 살펴보고,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개념과 관련된 선행연

구를 고찰하고 이 연구의 전문인력에 대한 관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

재까지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관련 정책을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을 다루었다.

통계청의 2005년 이후 농업(총)조사와 농업법인조사 그리고 농촌진흥청

(2014a)의 ‘농업·농촌 6차 산업화 기초실태조사’를 재분석하여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규모를 추산하고, 이후 2020년, 2025년 시점의 전문인

력 공급과 수요를 전망하였다.

제4장에서는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를 분석을 하

였다. 농업계 학교와 각종 직업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육성과 관련한 문헌

및 통계 재분석, 관련자(6차 산업화 경영체, 농업계 학생, 예비 귀농·귀촌

인 등) 설문조사 그리고 기존 관련 연구 설문 조사 재분석을 토대로 관련

현황, 문제점 및 관련 요구를 도출하였다.

Page 1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서론4

(계속)

조사내용

6차 산업화 관련 전

문성, 애로사항

전문인력 채용 현황

과 향후 계획

농업계 학교와의 교

류 현황과계획

6차 산업화에 대한 교

육 및 현장경험

농산업현장과 학교의

연계

졸업후 진로계획

6차 산업화에 대한 교

육 및 현장경험

귀농·귀촌후

경제활동 계획

주: ‘6차 산업화 경영체 조사’와 ‘예비 귀농 귀촌인 조사’는 국민농업포럼에 위탁하여 수

행하였음. 경영체 조사 부문은 ‘6차 산업화 인증업체 전문인력 실태 조사’라는 제목

으로 별도 발행.

제 5장에서는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앞선 장에서의 관련 이론과 정책 분석, 인력 현황 및 수급 분석, 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분석 등에서 나온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관련 문제점을

재정리하였다. 그리고 농업분야 국내 우수사례와 선진국 사례,1 그리고 비

농업분야의 관련 사례 고찰을 추가하여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

안의 기본방향을 제시한 다음, 앞서 제기된 관련 문제점 해결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1 일본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사례 조사(일본의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관련 정책 및 사례 조사: 교토부를 중심으로(미간행))는 교토대학교 김두환 박

사에게 의뢰하여 실시하였음.

Page 1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서론 5

그림 1-1.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체계도

3. 연구 범위

농업 6차 산업화의 개념과 보는 시각은 연구자와 추진 정책별로 차이가

있어, 이 연구에서는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과 관련한 논의를 좀 더 명

확히 하기 위하여 연구 범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6차 산업’ 또는 ‘6차 산업화’를 동일한 개념2으로 사용하였다. ‘6차 산

2 두 개념이 사전적으로는 다소 다른 의미일 수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동일 개

념으로 보았음.

Page 2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서론6

업화 전문인력’이란 용어는 6차 산업화 경영체를 이끌어나가는 경영주와

그를 도와 경영체내에서 전문분야별로 실무를 해나가는 중견인력(무급 고

용자, 상시 고용자)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농업 6차 산업화 경영

체는 농가나 농업법인 등의 경영체에 의해 주도되는 농가형, 마을공동체

조직형, 기업형을 중심으로 보았다. 따라서 계절제·단순 노무 인력(외국인

노동자 포함)과 시·군 지자체가 운영하는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인력 등은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농가나 법인체의 6차 산업화를 설계 실

행단계에서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 근무자 또는 현장의 전문가 등은 관련

자료 등의 한계로 전문인력 현황 및 수급 전망 등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전문인력 육성방안에서는 부분적으로 다루었다.

Page 2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제2장

이 장에서는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과 관련한 정책 개선의 출발점 점

검으로서 관련 이론과 개념, 정책을 정리 분석하였다. 산업인력구조 고도

화 논의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저숙련·고숙련 균형이론,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범위와 관련한 이론 그리고 전문인력 관련 정책을 고찰하였다.

1. 저숙련 고숙련 균형 이론

저숙련·고숙련 균형 이론은 Finegold와 Soskice(1988: 22)가 영국 교육·

훈련 정책의 실패 원인 진단과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면서 처음 등장하였다

(Wilson & Hogarth 2003: 4). 영국 정부는 1980년대 말까지 정부차원의 숙

련된 인력 양성을 위한 여러 조치들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독일 등 경쟁

상대국과의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이에 인력의 숙련

도(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숙련인력의 공급에 대한 논의에만 매몰되어서

는 곤란하며, 숙련인력의 수요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하게 된다(김영생 외 2006: 61, 조우현 2010: 429).

저숙련·저부가가치 제품이 해당 분야 경제를 주도하면 장기적으로 시장

에서 경쟁지위를 잃고 노동자수가 감소하면서 임금이 하락하고 실업률이

올라가는 큰 부담을 지게 된다는 것이다. 한 나라가 교육·훈련제도 때문에

‘낮은 숙련인력의 공급 → 기술혁신 애로 → 고부가가치의 차별화된 제품

Page 2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8

생산의 애로 → 산업의 저생산성 → 낮은 숙련인력만을 수요 → 낮은 숙련

인력의 공급’이라는 악순환 고리에 빠져있을 때 이를 저숙련 균형(low-

skill equilibrium)이라 한다(조우현 2010: 430). 이 상황에서는 개인이나 기

업은 자신이나 근로자를 위한 전문성 개발을 위한 투자를 하지 않으려 한

다. 저숙련 균형은 일부가 변화를 위해 노력하더라도 저숙련 상태의 균형

을 유지하려는 상호연계 구조 때문에 이후 설명되는 고숙련 균형 상태로

쉽게 이동하지 않는다. 일부 산업이나 엘리트 관리자 계층은 높은 수준의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대다수는 숙련이 필요 없는 기술을

채택하여 경쟁력을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수 근로자들이 저

숙련직에 고용됨으로써 고용 및 분배구조가 양극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

러한 저숙련 균형은 노동시장이 상대적으로 유연하고, 저임금 구조와 기업

합병을 통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사회에서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김영생 외 2006: 64-65).

반면에 고숙련 균형(high-skill equilibrium)이란 숙련 인력을 양성하기 위

한 투자 확대로 고숙련 인력이 충분히 양성되고, 이들이 고품질·고가 제품

과 서비스를 생산하여 경쟁시장에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 개인은 많은 임

금을, 조직은 많은 수익을 얻고, 수익 일부는 새로운 숙련을 창출하기 위한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이루어진 상태를 말한다. 고숙련 균형이라 하여

모든 구성원들이 높은 수준의 숙련된 기술을 가져야한다는 것은 아니고,

다수의 근로자들이 적어도 중간 수준을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김영생 외

2006: 62-63). 고숙련 균형이라는 것은 한 사회(산업부문)가 발전하면서 자

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라기보다는 그 산업무문 주요 구성원간의 합의와

약속을 바탕으로 한 계획의 산물이다(Brown 2001; 박동열 외 2011: 26에

서 재인용). 따라서 단기적 이해관계에 따라 행동하는 개별 경영체의 기회

주의적 행동을 유발하는 인센티브를 줄이고, 산업계의 숙련 수요를 파악하

고 조정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산업계 연합조직이 필요하다. 그리고 인적자

원개발에서의 시장 실패문제와 경영체와 근로자들 간의 정보와 이해관계

를 매개해주는 중요한 행위자로서 국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산업 국가에서 농업·농촌 분야는 고질적인 저숙련 균형 상황에

Page 2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9

빠져있다. 상공업 중심의 발전 전략으로 젊은 인구의 도시 유출이 지속되어

농촌은 고령화되고 저학력·저숙련 상태의 인력이 산업의 인적자원 대부분

을 구성하고 있다. OECD(2014)는 최근 농촌의 혁신과 농촌경제의 현대화

(Innovation & Modernising the Rural Economy)를 위해 농촌지역의 저숙련

균형을 개선할 이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Froy와 Giguère(2010: 29-30)가 OEC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한 ‘지역

경제와 고용 개발’에 관한 보고서에서 다음과 같은 농촌 지역의 고용의 질

을 높이고 숙련 인력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경영주의 신기술 투자를 촉진하고, 혁신과 신기술 공유를 위한 파트너

십 형성 지원

근무조건과 노동조직의 개선을 위한 기술 지원

경영주와 근로자 모두의 훈련 참여 장려

중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인내하는(patient) 자본 가용성 보장

품질 기반 공급사슬(quality-driven supply chain) 개발: 중장기 공공구

매(public procurement)를 활용하여 일정수준 품질, 직업훈련 등을 의

무화하여 지역기업들의 안정적인 투자여건 조성

장기적 관점에서 직원의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업 지원

지역의 고용지원기관들이 직업 소개·알선을 함에 있어 고용 양이 아니

라 고용의 질적인 측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체계 개선

숙련 정책이 제반 경제 정책과 연계 추진될 수 있도록 경제발전, 교육,

고용 분야의 정책담당자와 산업계간 파트너십 구축

조합 또는 해당 분야 협회나 중간지원조직 활성화 지원·육성

Page 2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10

그림 2-1. 숙련의 공급과 수요 균형화 전략

자료: Froy와 Giguere(2010: 31).

한국의 농업 부문 인력이 어느 정도의 숙련 상태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

할 수 있는 자료는 마땅히 없다. 다만 학력과 교육 이수 등과 관련한 관련

통계와 조사를 통해 대략적인 파악이 가능하다. 통계청 2010년 농업총조사

에 따르면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농가 경영주는 34.8%였다. 또 다른 통

계인 산업부분별 취업자의 학력 수준(통계청 2015)을 보면 농업은 고졸이

상 취업자 비중이 30.8%로 전 산업의 취업자 평균 82.3%에 크게 못 미치

는 가장 낮은 수준이다<표 2-1>.

Page 2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11

표준산업분류 취업자

교육수준별 고졸

이상

비율

중졸

이하고졸

대졸

이상

전체 25,900 4,381 10,076 11,444 83.1

A. 농업, 임업 및 어업 1,428 979 330 119 31.4

농업 1,356 938 307 111 30.8

임업 17 7 5 4 52.9

어업 56 34 17 4 37.5

B. 광업 13 3 6 5 84.6

C. 제조업 4,455 558 2,130 1,767 87.5

D.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95 2 24 69 97.9

E. 하수·폐기물 처리 등 88 14 37 37 84.1

F. 건설업 1,838 357 902 578 80.5

G. 도매 및 소매업 3,775 438 1,746 1,591 88.4

H. 운수업 1,415 256 780 380 82.0

I. 숙박 및 음식점업 2,112 485 1,149 478 77.0

J.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정보서비스업

770 9 137 624 98.8

K. 금융 및 보험업 784 21 252 512 97.4

L. 부동산업 및 임대업 523 80 222 221 84.7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009 9 146 854 99.1

N.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1,246 376 512 358 69.8

O.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956 172 212 572 82.0

P. 교육 서비스업 1,796 55 252 1,489 96.9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759 234 419 1,107 86.8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446 38 187 221 91.5

S. 협회 및 단체, 수리 서비스업 1,288 243 598 447 81.1

T. 자가소비 생산활동 89 52 32 5 41.6

U. 국제 및 외국기관 16 0 5 11 100.0

표 2-1. 우리나라의 산업분야별 취업자의 교육수준

단위: 천 명(%)

자료: 통계청(2015).

한편, 전문성 개발을 위한 중요한 수단인 교육 훈련에 대한 농가의 참여

현황을 보면 그렇게 활발한 편도 아니다. 농업조사에서는 2011년부터 농가

의 영농교육 참여 현황을 파악하고 있는데 매년 60% 정도의 농가는 일 년

에 단 하루도 영농교육에 참여하지 않았다. 2014년의 경우 58.6%가 영농

교육에 참여하지 않았고, 참여한 적이 있는 경우도 대부분이 5일 미만이었다

(1~5일이 35.9%)(통계청 2014). 5일 이상 영농교육을 받아 어느 정도 영농

Page 2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12

58.6%

35.9%

4.0% 1.6%

참여 없음 1~5일 미만 5~10일 10일 이상

교육에 열의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농가는 극소수(5.6%)에 지나지 않

았다<그림 2-2>. 마상진(2006: 45-46)은 농업 관련 교육기회가 소수에 의

해 독점되는 현상을 구명하고 농업교육기회 사각지대에 있는 다수의 농업

인들의 참여를 촉진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그림 2-2. 농가의 영농교육 참여 현황

자료: 통계청(2014b).

통계청의 통계와 관련 연구들이 보여주는 바로는 우리나라 농업분야 인

력은 타산업에 비해 학력이 낮고, 전문성 개발과 관련한 활동이 상대적으

로 활발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 때문에 농업인력이 숙련도

가 낮다고 단정하기는 힘들지만 교육수준과 농업생산성의 관계에 대한 연

구3, 타 산업분야와의 농업부문 생산성 비교4 등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

는 것은 농업분야 인력이 숙련도가 높다고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저숙련

균형상태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우리 농업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 상황은 좀 더 전문성을 가진 인력들이 내부적으로 길

3 김경덕 외(2012: 111)가 2000~2010년의 농업총조사 분석에 따르면 경영주 학

력수준에 따라 판매금액의 차이가 달랐음(고학력일수록 판매금액이 높음).4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4)에 따르면 2010년 전체산업의 경제활동 1인당 부가

가치 창출액은 47.4백만 원인 데 비해 농림어업은 17.8백만 원이었음.

Page 2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13

러지고, 역량을 갖춘 신규 인력이 외부에서 유입될 필요가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농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각종 정

책과 사업들에서 저숙련 균형을 고숙련 균형으로 이동시키려는 노력이 잘

보이지 않고 있다.

2.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개념

‘6차 산업화’란 용어는 1990년대 초반 일본의 이마무라 나라오미(今村奈良

臣 2009)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당초 농업을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을

덧셈한 산업으로, 생산 뿐 아니라 농산물가공, 식품가공, 유통, 판매에도 농업

인이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그동안 2·3차 산업 사업자가 얻고 있었던 부가가치

를 농업인 스스로 벌어서 농업을 활성시키자는 의미에서 사용한 것이다. 이후

1차 산업인 농업이 쇠퇴하고는 6차 산업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

(0×2×3=0)하여 덧셈 대신 유기적·종합적 결합을 의미하는 곱셈의 개념으로

다시 정의하였다(今村奈良臣 2012). 김태곤 외(2011: iii)는 ‘6차 산업화’를

“농업생산이라는 1차 산업을 중심으로 하여, 농산물 가공이나 특산품 개발

등 2차 산업과 직판장이나 음식업·숙박업·관광업 등 3차 산업을 농촌지역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우리 정부는 ‘6차 산업’과 ‘농촌융복합산업’을

동일 개념으로 보고 있으며, “농업인 또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자가 농촌지

역의 농산물·자연·문화 등 유형·무형의 자원을 이용하여 식품가공 등 제조업,

유통·관광 등 서비스업 및 이와 관련된 재화 또는 용역을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창출하거나 높이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농림

축산식품부 2014a: 3). 한편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는 6차 산업화를 ‘farm

diversification’이라 하여 ‘농장 자원(토지, 노동 또는 자본)의 재배치(reallocation)

와 재결합(recombination)을 통해 농장에서(on the farm or ranch) 새로운 환금 품목

(new unconventional crops/animal) 재배·사육 또는 비농업분야(non-agricultural)

사업을 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Ilbery 1991; Barbieri et al. 2009: 59 재인용).

Page 2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14

주체사용 내용

가 공 음 식 유 통 관 광

개별

농가

·서산 참샘골호박농원

·제주 청정원

·양평 다물한과

·안동 화련

·서산 소박한 밥상

·공주 미마지

·봉화 파머스마켓

·홍성 평촌목장

·남원 안터원 목장

·여주 은아목장

·횡성 에덴양봉원

·영동 사토미소

법인

단체

·평택 미듬영농조합

·보령 돼지마블로즈

·영주 미소머금고

·함양 상림영농조합

옥연가

·당진 신평 양조장

·세종 뒤웅박고을

·파주장단콩연구회

·언니네 텃밭

·김포 엘리트농부

·예산 사과와인

·제주 귤림성

·원주 돼지문화원

마을

단위

·양양 송천떡마을

·서천 달고개모시마을

·횡성금나루무지개마을

·남원 흥부밥상

·삼례 비비정마을

·진도 운림예술촌

·상주 승곡마을꾸

러미

·안동삼배마을유통

·파인토피아 봉화

꾸러미

·아산외암민속마을

·창원감미로운마을

·단양 한드미마을

시 군

광역

단위

·김포 인삼쌀맥주

·문경 오미자

·고창 복분자

·제천 약채락

·문경 산채비빔밥

·완주로컬푸드협

동조합

·고창황토배기유통

·진안 로컬푸드사

업단

·양평 농촌나드리

·화천 산천어축제

·고창청보리밭축제

표 2-2.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유형 및 대표 사례

농업 현장에서 나타나는 6차 산업화의 실제 모습은 사업내용, 가치형성,

주체에 따라 다양한 유형화가 가능하다(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2013:

7-8). 사업다각화 내용(가공, 유통, 음식, 관광 등), 사업방향(산업·비즈니스

지향 對 지역커뮤니티 지향), 사업내용(유통채널 활용 유형 對 교류유형), 사업

에 중심이 되는 농산물 종류 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유형화할 수 있다. 6차

산업화의 주체(경영체)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개별 농가형, 기업(법인 등

단체)형, 마을공동체(마을단위)형, 지자체주도(시·군광역단위)형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농림축산식품부 2014a: 5)<표 2-2>.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4a: 5).

Page 2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15

전문인력(專門人力)이란 사전적으로 ‘어떤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오직 그 분야만 연구하거나 맡는 인력’을 의미한다(국립국어원

2015). 관련 연구에서는 지식과 경험 수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하

고 있다. 손수정(2013: 73)은 ‘해당 분야의 환경, 구조, 작동원리 등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고, 전문적 과정을 거쳐 관련 자격증 등을 소유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일정 기간 이상의 경력을 통해 전문적 지식수준이 높은’ 인

력으로 정의하였다. 신윤호 외(2012: 100)는 산림분야 전문인력을 정의하

면서 ‘일정 수준 이상의 학력 혹은 경력(지식, 기술 포함)을 활용하여 관련

산림현장에서 종사하는 자’라고 하며, 해당 일자리는 장기적이고 적절한

수준의 임금과 고용 안정성이 확보된 일자리라 하였다. 한편 전문인력의

숙련 수준은 여러 단계로 세분화가 가능한데, 현 정부 들어 의욕적으로 추

진되고 있는 국가직업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에서

는 여덟 단계로 세분화하고 있다<그림 2-3>.

Page 3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16

그림 2-3. 국가직업능력표준(NCS)에서의 능력수준체계

자료: 한국산업인력공단(2015: 14-15).

이상의 6차 산업화와 전문인력에 대한 개념 검토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

는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을 ‘농촌지역의 농산물·자연·문화 등 유형·무형의

Page 3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17

자원을 이용하여 식품가공 등 제조업, 유통·관광 등 서비스업 및 이와 관

련된 재화 또는 용역을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창

출하거나 높이는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

를 경영단위, 지식 및 기술수준, 업무영역, 고용기간 등의 관점에서 좀 더

엄밀하게 조작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자 한다.

경영단위 관점에서는 개별 농가, 농업법인체에서 활동하는 경영주, 중간

관리자 또는 분야별 실무인력을 의미한다. 지식 및 기술 수준은 고등학교

이상의 교육기관에서 6차 산업 관련 분야 전문 교육을 이수하고 일정기간

관련 현장에서의 경험을 가진 상태의 인력을 의미한다. 관련 전문교육 이

수와 관련하여서는 선행학습경험인정(RPL)5의 관점에서 형식(formal), 비

형식(nonformal), 무형식(informal) 학습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학습한 결

과가 이에 준한다고 정책적으로 판단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 예로 중졸이하의 학력을 가졌더라도 정착기를 넘어 일정 기간 이상(5

년) 영농에 종사하면서 자신의 농산물의 가공, 유통을 하고, 체험이나 관광

활동을 접목시켜 부가가치를 높이는 경영주와 그 경영체의 (무급) 노동자

(가족 노동자, 임원 포함) 역시 전문인력으로 볼 수 있다. 전문인력이 담당

하는 업무영역으로는 경영일반 또는 경영·금융·관리(기획·법률·회계), 정보

화·디자인, 생산(생산기술: 농학, 원예, 축산; 생산기반: 농기계, 농화학, 농

생물), 가공(식품, 기계), 유통·판매, 체험·관광, 연구 및 교육·훈련 등이 있

을 수 있는데, 한 개 영역 또는 여러 영역에 전문성을 가지고 6차 산업화

활동에 종사하는 인력을 포함한다. 고용기간의 관점에서 보면 경영주와 경

영체의 운명을 같이 하는 가족 노동자 또는 이사 그리고 경영체에 상시(18

개월 이상) 고용된 실무 인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5 선행학습의 인정(Recognition for Prior Learning)은 성인의 직장과 일상에서 습

득한 학습 결과를 상급 교육기관 진학 시 인정하는 제도임. 미국이나 유럽에서

는 1970~80년대에 성인의 대학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대안적 입학 절

차로 시작됨.

Page 3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18

3.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관련 정책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과 관련한 정부차원의 체계적인 계획은

아직까지 없다. 다만 박근혜 정부가 최근 제시한 ‘농업·농촌 6차 산업화 대

책’, ‘농업전문인력 육성 기본계획’, 그리고 지난 정부시절 부터 추진되어

오던 ‘농업계 학교 역량강화 지원사업’, ‘귀농·귀촌 종합대책’ 관련 사업을

통해 관련 인력 육성이 지원되고 있다.

3.1. 농업·농촌 6차 산업화 대책

농정 당국은 2014년 5월 ‘농업·농촌 6차 산업화 대책’을 통해 농업의 6

차 산업화를 위한 정책 방향과 기본 사업을 제시하였다(농림축산식품부

2014a).6 이 대책에 준하는 정책사업으로 농림축산식품부 등 17개 기관과

9개 지자체가 6차산업화 관련 금융, 컨설팅, 교육, R&D, 인증 등의 분야에

219개가 있다<그림 2-4>. 이 대책 중 ‘6차 산업화 창업·보육 지원’, ‘6차

산업화 사업자(농촌융복합사업자) 인증제 운영’, ‘6차 산업 활성화 지원센

터 운영 및 전문인력 육성 교육’ 등이 전문인력 육성과 관련 있는 사업

이라 할 수 있다.

‘6차 산업화 창업·보육 지원’의 일환으로 시 군 농업기술센터에서는 농

식품 제조 가공분야 창업교육 확대 및 관광분야 창업교육을 추진하고, 농

산물 종합가공지원센터를 통해 창업 코칭을 하며, 농과계 대학에서는 6차

산업화 창업교육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농촌융복합사업자 인증제’를

통해서는 농촌 자원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경영체를 6차 산

업화 사업자로 2017년까지 1,000개소까지 인증하여 육성하도록 하였다. 이

6 2015년 6월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이 시행되면서 추진

근거를 갖게 되었다.

Page 3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19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지원분야지원기관

합계 금융 컨설팅 교육 수출 R&D 인증 시설지원 마케팅 체험‧관광 지역개발

합계 219 17 23 9 26 25 18 38 39 20 4농림축산식품부 24 1 2 8 5 2 3 3농촌진흥청 6 4 2산림청 8 1 1 2 3 1

한국농수산물식품유통공사 47 4 11 1 15 1 13 2한국농어촌공사 5 1 1 3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 1 1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4 4

한국식품연구원 2 1 1한국식품산업협회 2 2

농협중앙회 8 2 3 3산림조합중앙회 2 1 1한국마사회 3 1 1 1

농업기술실용화재단 12 2 1 5 3 1농업정책자금관리단 1 1

중소기업청 24 4 4 3 11 1 1식품의약품안전처 1 1한국발명진흥회 10 3 2 5지방자치단체 58 4 2 7 1 3 21 14 5 1

들에 대해서는 컨설팅, 자금 지원, 모태펀드 지원, 사업자 홍보, 멘토링 지

원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그리고 6차 산업화를 위한 현장 지원체계로 광

역단위로 ‘6차 산업 활성화 지원센터’를 1개소씩 지정하고, 여기에서 현장

멘토단을 구성하여 사업 추진자들에게 전문 맞춤형 교육과 상담을 실시한

다. 이밖에 농촌진흥청,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식품공무원교육원

등을 통해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교육을 실시한다. 농가, 관련 공

무원,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6차 산업화에 대한 이해 증진 교육, 관련 기

술교육 그리고 컨설턴트 양성 교육 등을 실시한다.

그림 2-4. 농업 6차 산업화 지원사업 현황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4d: 5).

Page 3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20

자료: 국가법령정보센터(2015); 농림축산식품부(2015b).

농업의 미래성장 산업화를 위한 중요한 핵심 사업으로 6차 산업화가 법

률적 뒷받침하에 다양한 정책이 강력하게 추진됨에 따라 6차 산업화를 농

업 현장에서 실행할 관련 분야별 전문인력의 수요는 높다. 하지만 정책 수

요에 비해 해당 분야의 체계적인 인력공급 정책은 매우 미흡하다. 대부분의

지원사업은 경영체가 필요로 하는 전문 영역에 대해 부분적 전문성을 가지

Page 3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21

고 있는 외부 전문가에 의한 일회적 컨설팅(현장 코칭)을 제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충남연구원 2015: 21-23). 6차 산업화 경영체 내에서 여러 부문

별 지원정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경영체의 지속성을 책임질 주체(경영

주, 중간 실무인력 등)의 체계적 육성 정책은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지역에서는 전문인력 육성 전략이 없다. 중앙정부가 다양한 관련

사업의 법적인 틀을 마련하고, 지원 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당

연하다. 하지만 정책의 집행은 현장인 지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역

나름의 계획과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농업은 지역마다 특성이 다양하고

주어진 관련 자원 역시 다르기 때문에 중앙 정부의 정책을 지역 특성에 맞

게 수정·적용하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스스로 관련 정책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각 지자체에서 6차 산업 발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세우도록 하고 있다. 그

리고 광역단위 6차 산업 활성화 지원센터를 두어 지역 특성을 반영한 6차

산업화가 추진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관련 재정과 인력의 부족 그리고

전문성의 한계로 인해 중앙 정부 위탁 사업 추진에만 급급한 나머지 실제

지역 관련 자원과의 융합 속에 지역 특성을 반영한 계획과 운영을 하지 못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특히 시·군 수준의 현장 밀착형 지원체계 마련

은 아직 생각조차 할 수 없는 상태이다(장민기 2015: 8).

3.2. 농업전문인력 육성 기본계획

박근혜 정부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2014년 11월에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방안을 내놓았다(농림축산식품부 2014b). 이 방안에서는

‘정예농업인력육성 종합대책(2004~2013)’(농림부 2004)이후에 농업분야 인

력을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 기본안으로 ‘농업전문인력 육성 기본

계획’을 제시하였다(농림축산식품부 2014c). 이 계획은 학교 직업교육 체계

강화, 농업인 대상 첨단 교육 체계화, 직업교육과 연계된 취·창업 지원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그림 2-5>.

Page 3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22

학교 직업교육 강화 차원에서 기존 농고 중 소수를 ‘창조농업선도고’로

선정하여, 현장·기술 중심 교육을 집중 실시하려고 하고 있다. 자율적인 교

육과정 운영을 기반으로 농업현장의 전문가를 적극 활용하고 공모교장, 산

학겸임교사 등의 교육 주체를 혁신하고, 선도농가 도제식 훈련, 영농조합

모의훈련, 학교기업 운영을 통해 현장실기능력, 경영마인드 향상 교육을

집중 실시하도록 한다. 한국농수산대학에 재직자 일·학습 병행과정을 신설

하고, 우수한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첨단기술·경영·외국어·시장동향 교육,

창업보육 등을 포함한 농과대학 영농창업 특화과정 설치를 추진한다. 농업

인 대상 교육과 관련해서는 첨단기술교육체계(예: 토마토 대학)를 구축하

여, ICT 기반 첨단시설제어, 시설내 토양 및 양분관리 등 현장중심 지식

습득을 가능케 하고,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스마트 학습조직을 육성하여 선

도 농가, 농업기술센터, 전문가 간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현장애로를 해

결하고, 맞춤형 기술 정보를 전파하도록 추진한다. 이밖에 새만금 부지를

활용하여 직업학교 공동실습장을 설치하고, 외국계 교육·컨설팅 업체와 제

휴하여 학생·농업인 교육 및 컨설턴트 양성을 위탁하도록 한다. 그리고 청

년세대의 취·창업 지원 차원에서 청년 농업법인 공동창업, 우량농지 확보

등 창업여건을 개선하고, 농산업 인턴 및 선도농가 실습 등 기존사업을 내

실화한다는 계획이다(농림축산식품부 2014c).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를 위한 농업 전문인력 육성계획이 이처럼 야심

차게 추진되고 있지만, 실제 6차 산업화와 연계가 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

다. 농업계 학교를 중심으로 농업 생산 영역(1차 산업)에 종사할 인력의 안

정적 공급에만 계획이 치중되어 있는 나머지, 농산업 전반에 있어 필요한

2·3차 산업 인력, 특히 6차 산업화에 필요한 분야별 전문인력 육성 사업을

담지 못하고 있다(마상진 외 2013: 163-165). 여기에는 농정당국의 사업 추

진 담당부서의 칸막이 행정에 원인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내에서 6차 산

업화 정책은 농촌산업과, 전문인력 육성 정책은 경영인력과에서 담당한다.

두과 모두 같은 농촌정책국 소속이지만 관련 사업간 연계가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농정 전반에 있어 농업 전후방 산업, 농촌 인력을 포괄

하는 농업 전반의 인력 문제를 다뤄야할 경영인력과는 오직 농업생산 종사

Page 3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23

인력의 육성에만 초점을 둔 농업계 학교 지원, 귀농 귀촌자 육성을 업무로

하고 있어 실제 농업전문인력 기본계획에 6차 산업과 관련한 인력육성계

획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교육, 경영·컨

설팅, 연구·개발, 자금 지원 등의 세부 관련 사업 간의 엇박자 발생의 여지

가 크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사업 간의 역할 분담도 명확하지 않아 기능과 투자의 중복 및 정책 효과의

저하 가능성 또한 무시할 수 없다.

그림 2-5. 농업전문인력 육성 기본계획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4c: 5).

3.3. 농업계 학교 역량강화 지원사업

농정 당국은 한·칠레 FTA 대응책의 하나로 2006년부터 농업분야 학교

에 대한 투자를 강화했는데, 그 일환으로 추진된 것이 농고 대상 ‘농업계

고교 산업연계교육과정’과 농대 대상 ‘미래 전문농업경영인 교육’이다.

Page 3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24

‘농업계 고교 산업연계교육과정’은 농고 재학생을 대상으로 농산업분야

진출 촉진을 위한 역량강화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농업교육협회를 통

해 71개 농업계 고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전국 FFK(Future Farmers

of Korea)전진대회 운영, 선도농업인과 소통, 교사 직무연수 등을 실시하

고, 농고생과 선도농업인과의 매칭을 통해 농산업 진출 마인드를 강화하

고, 선도농의 경영노하우를 습득하도록 하고 있다. 이밖에 농고생과 교사

국외연수, 마이스터고 희망 학교에 대한 컨설팅 등을 실시한다. 2014년에

는 16개교, 57개 과정, 15,719명을 교육하였다(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

원 2015: 6).

‘농대 미래 전문농업경영인 교육’은 농대 재학생을 대상으로 졸업 후 농

산업분야 진출 촉진을 위한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농산업분야

취업 및 창업을 위한 현장실습, 인턴십, 창업 및 취업교육, 컨설턴트 양성

교육, 국외연수 등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한다. 2014년에는 14개(15개 단과

대학) 농업계 대학, 55개 과정, 7,382명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였다(농림수

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15: 8).

아직 농업계 학교 역량강화 지원사업의 성과는 뚜렷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의 농업에 대한 인식, 진로 계획의

수정 등에서 나름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2006년 이후 꾸준히 추진

되어오면서 차츰 지역의 농업계획과 연계도 강화되고 있다(마상진 외

2013: 120-122). 하지만 최근 발표된 ‘농업전문인력 육성 기본계획’은 일부

선별된 소수 학교에 지원을 집중함으로써 다수 농업계 학교가 소외될 가능

성이 높다. 이는 보다 긴 안목을 가지고 지역에서 예비 농업인력 육성을

해나가는 터전을 흔들리게 할 위험이 있다. 농업계 학교는 농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설립된 직업교육기관이다.7

7 4년제 대학을 직업교육기관으로 볼 수 있느냐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학문교육적 측면과 동시에 직업교육적 측면을 가지고 있고, 최근 정책적으로

이러한 측면이 많이 강조되고 사회적인 요구가 많기에 이 연구에서는 직업교

육기관으로 보았다.

Page 3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25

특히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상당수가 농업계 학교를 통해 배출되어야 한

다는 점에서 보면 농업계 학교에 대한 농산업 현장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농정 당국의 지원의 범위가 줄어드는 것은 문제가 있다.

3.4. 귀농·귀촌 종합대책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와 더불어 한국전 후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다시

활발해진 귀농·귀촌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부 당국은 2009년 ‘귀농·귀촌 종합

대책’(농림수산식품부 2009)을 내놓았다. 이 정책에 따른 세부 사업들은 초기

단순 정착 지원을 넘어 최근에는 농업과 농촌개발 현장에서 귀농·귀촌인들의

선도적 역할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수정되고 있다. 특히 귀농·귀촌인들을 6차

산업화 활성화의 핵심인력으로 활용하려는 정책 구상을 제시하고 있다(농림

축산식품부 2014e: 7). 한 예로 전국 9개도 ‘6차산업 활성화 지원센터’의 전문

가 풀에 지역내 다양한 전문성을 가진 귀농·귀촌인을 우선 포함시켜, 기술,

경영, 유통, 디자인, 마케팅·홍보 등 맞춤형 상담자 및 컨설팅요원으로 활동

기회를 제공하거나, 이들의 6차 산업화 창업 지원, 가공품 생산, 유통·판매,

체험관광, 서비스 등 6차 산업 활성화 핵심 주체로 육성한다는 것이다(농림축

산식품부 2014. 3. 20.). 하지만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정책들은 귀농·귀촌인들이

기존 농업인 대상 사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수준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정책은 아직 단순 정착위주의 사업들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김종태 2015: 74-75).

Page 4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26

단계 구분 지원내용 대상

1단계

(관심)

정보제공 및 상담

(농식품부)

귀농귀촌종합센터(www.returnfarm.com, 상담전화: 1544-8572)

∙종합정보 제공, 상담(방문) 등 원스톱 서비스 제공

∙교육안내, 농지, 빈집정보, 작목 및 정착지 선택,

자금지원 등 종합상담

∙157개 시 군별 상담센터와 연계

예비

귀농 귀촌인

귀농 귀촌

창업박람회

(농식품부)

∙정부, 지자체 등 귀농 귀촌 관련 종합정보제공

예비

귀농 귀촌인

도시민농촌

유치지원

(농식품부)

지자체의 도시민 유치활동 활성화 지원

∙40개 시·군, 3년 6억 원 지원(국고 50%, 지자체 50%)

∙지원내용: 상담, 교육, 귀농체험소개, 빈집정보제공 등

* 의향, 준비, 실행, 정착단계별 지원

도시민유치

희망시·군

(공모사업)

2단계

(실행)

귀농

귀촌교육

기관별 역할분담을 통해 귀농 귀촌 준비 단계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농식품부

∙대학, 선도농가, 민간단체 등 36개 기관 44개

과정(공모사업)

∙3주~2개월 과정

∙기초소양(농촌이해), 농업경영(작목재배, 판매/유통

등, 농촌 비즈니스, 주택 및 농지 등 창업과정

운영

귀농 귀촌

관심 및

희망자 등

농진청∙도농업기술원 및 시군농업기술센터

∙기초 영농교육(이론 및 실습)신규 농업인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신축자금

(농식품부)

농지, 축사, 농기계 구입 및 시설 지원(최대 2억 원)

주택구입 및 신축(최대 4천만 원 융자)

∙연리 3%,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 2014년도

융자규모 700억 원

* 대출기관: 농협중앙회 시 군 지부 및 지역조합

신규 농업인

3단계

(정착)

체류형 농업

창업 지원센터

(농식품부)

일정기간 가족과 함께 체류(입주)하면서 농촌체험, 교육

등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착 할 수 있도록 귀농인

인큐베이터 사업 지원

* 2013년도(제천, 영주), 2014년도(홍천, 구례, 금산)

예비귀농인

선도농가

실습지원

(농진청)

선도농업인 농장에서 영농기술 습득

∙실습지원 5개월 이내(120만 원 지급, 국고 50%

지자체 50%)

∙신청: 시 군농업기술센터

* 2014년도: 560명(16.8억 원), 104개 시·군

5년이내의

귀농인

(신규농업인)

농산업 인턴지원

(고용부)

선도농업인 농장에서 영농기술 습득

∙인턴훈련 6개월 임금의 1/2 지원(80만 원 한도

국고 100%)

* 2014년도 : 150명(10.8억 원)

미취업자

농고, 농대

졸업자 등

(만 15~44세)

지자체 지원

(각 지자체)

기술교육, 이주비, 주택수리비, 창업자금 등

* 구체적 지원조건 및 지원내용은 시 군에 따라 다름귀농인 등

표 2-3. 귀농 귀촌 지원사업 총괄(2014년 현재)

자료: 농촌진흥청(2014b: 17).

Page 4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 27

4. 소결

저숙련·고숙련 균형 이론은 숙련된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산업부문에서

요구하는 숙련수준과 인력시장에서 공급하는 숙련수준간의 차이(gap)가 존

재할 때 그 산업분야의 기술혁신은 이뤄지지 않고 생산성은 떨어진다는 진

단을 한다. 우리 농업 분야는 타산업 분야보다 저숙련 균형 상태에 있어

이를 고숙련 균형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농업 주체들 간의 합의와 약

속을 바탕으로 한 의도적 계획이 필요하다. 단기적 이해관계에 따라 행동

하는 개별 경영체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유발하는 인센티브를 줄이고, 산업

계의 숙련인력 수요를 파악하고 조정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산업계 연합조

직 그리고 인적자원개발에서의 시장 실패문제와 경영체와 근로자들 간의

정보와 이해관계를 매개해주는 중요한 행위자로서 국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이란 농촌지역의 농산물·자연·문화 등 유형·무형의

자원을 이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을 의미

한다. 고등학교 이상의 교육기관에서 6차 산업 관련 분야 전문 교육을 이

수하고 일정기간 관련 현장 경험을 가진 인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실적으

로는 선행학습경험인정(RPL)의 관점을 고려할 때, 6차 산업화 경영체의

경영주와 무급 고용자(가족 노동자, 임원 등)및 상시 고용 인력이라 볼 수

있다.

관련 정책 분석 결과 농업의 6차 산업화와 관련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됨

에 따라 전문인력의 수요는 높지만 막상 6차 산업화에 필요한 분야별 전문

인력의 체계적인 공급 정책은 전무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6차 산업화

대책과 농업 전문인력 육성 계획 간 연계가 부족하여 전문인력 육성 교육

뿐 아니라 경영·컨설팅, 연구·개발, 자금 지원 등의 세부 관련 사업 간의 엇

박자가 발생하여 사업 효율성이 떨어질 위험이 많고, 관련 사업 간의 역할

분담이 명확하지 않아 투자의 중복 및 정책 의 효과의 성 저하가 예측되었다.

또한 지역 중심의 전문인력 육성 전략이 아직은 부족하다. 6차 산업화가

특히 지역 특성의 반영, 주어진 지역의 다양한 자원 간의 연계를 중시하는

Page 4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관련 이론 및 정책28

정책임을 감안하면 지역 중심의 6차 산업화 추진 전략과 더불어 그에 걸맞

은 인력육성 계획이 필요하다. 현재 운영되는 광역단위 6차 산업 활성화

지원센터의 기능은 너무 소극적이다. 기존 경영체의 전문성을 키우고 신규

전문인력 개발 및 배치와 관련한 적극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

어야 할 것이다.

Page 4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 제3장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을 농업(총)조사, 농업법인

조사, 농촌진흥청(2014a) 등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은 농산물의 생산 활동을 기반으로 가공, 유통, 체험·관광에 선별적·종합적

으로 종사(1×2차, 1×3차, 1×2×3차)하는 경영체(농가와 법인)의 경영주, 무

급 고용자(가족노동자, 임원 등)와 상시 고용자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1.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

6차 산업화는 그 정의상 지역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우선 지역

농업의 근간인 농가단위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 6차 산업화 농가경영체

규모는 통계청의 농업(총)조사 원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농업(총)조

사의 ‘농업 관련 사업별 경영 농가’ 항목에서 영농이외에 2·3차 산업 활동,

즉 농가의 6차 산업 활동 여부를 통해 6차 산업화 농가영영체를 파악할 수

있다. 이 항목은 복수응답을 허용하였기에 1×2차, 1×3차 유형뿐만 아니라

1×2×3차 형태의 융복합 유형도 포함된다. 또한, 1×2차 융합유형, 1×3차

융합유형은 명시적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1×2×3차의 복합융합유형은 명

시적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2차 산업 활동은 농가가 직접 생산한 농축산물

을 일부 활용하여 된장, 감식초, 딸기잼, 과일즙 등으로 가공하여 판매하는

‘농축산물 가공업’이 있다. 3차 산업 활동은 ① 인터넷, 전화, 우편 등을 활

Page 4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30

구 분 2005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증감률

2013/

2005

2013/

2011

6차산업화농가99,879

(7.8)

131,227

( 11.1)

117,878

( 10.1)

107,870

( 9.4)

124,685

(10.9)2.8 2.85

농축산물 가공 6,503 8,564 10,111 12,083 13,687 9.7 16.35

농축산물 직거래88,290

89,107 91,750 82,440 98,258 3.3 3.49

농축산물 직판장 28,127 11,436 6,174 5,577 - -30.17

식당경영 5,174 9,043 9,756 10,559 11,566 10.6 8.88

농촌관광 4,014 4,468 4,279 4,158 4,462 1.3 2.12

총 농가수  1,272,908

(100.0)

1,177,318

(100.0)

1,163,209

(100.0)

1,151,116

(100.0)

1,142,029

(100.0)-1.3 -0.91

표 3-1. 6차 산업화 관련 농가경영체 변화단위: 호(%)

용하여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농축산물 직거래’ 사업, ② 과수원, 원

두막, 밭, 도로변 등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농축산물 직판장’사

업, ③ 직접 생산한 농축산물을 일부 활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여 판매하

는 ‘식당경영’, ④ 주말농원, 민박경영 등 도시민들이 농촌생활 체험을 할

수 있게 농원을 조성하여 수입을 올리거나 민박을 경영하는 사업인 ‘농촌관

광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석결과 6차 산업 관련 농가경영체수는 2005년 99,879호에서 2013년

124,685호로 이 기간 중 연평균 2.8%씩 증가하였다<표 3-1>. 농산물생산

과 제조·가공의 융복합 형태(1×2차 산업)인 농축산물 가공업에 종사하는

농가수는 이 기간 연평균 9.7%라는 높은 증가세를 보였고, 농산물생산과

유통·판매·관광(직거래, 직판장, 식당경영, 농촌관광) 등과 같은 융복합 형

태(1×3차 산업)에 종사하는 농가는 연평균 2.6%씩 증가(2005년 97,478호

→ 2013년 119,863호)하였다. 세부내역별로 연평균 증감률을 보면 ‘농축산

물 직판장’이 30.2% 감소(2010년 → 2013년)한 반면 ‘농축산물 직거래’가

3.3% 증가하였고, ‘식당경영’도 10.6% 증가하였다. 총 농가 중 6차 산업에

관련된 농가의 비중은 같은 기간 중 전체 농가의 7.8%에서 10.9%로 상승

하여, 향후에도 이들 6차 산업 관련 농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사료된다.

Page 4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 31

‘농축산물 직거래’ 제외한 6차 산업화 농가 현황

○ 6차 산업화와 관련하여 농축산물 직거래 농가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

다보니(2013년 농업조사에 따르면 전체 6차 산업화 활동의 78.8%

수준) 생산 이외에 이 활동만 할 경우를 6차 산업화 경영체로 볼 것

이냐에 대한 논란이 있음. 이들을 포함시킬 경우 6차 산업화 경영체

가 과다 추정된다는 것임.

6차 산업화 농가 중 ‘농축산물 직거래’ 농가 비중 변화

○ ‘농축산물 직거래’ 농가를 제외할 경우 6차 산업 관련 농가수는 2010

년 48,521호에서 2013년 39,979호로 이 기간 중 연평균 6.3%씩 감소

하였음. 직거래 농가를 포함시켰을 때와 비교하면 2013년 기준

84,706호가 빠지게 됨.

자료: 통계청a(2010~2013).

주 1) ‘농축산물 직거래’와 ‘농축산물 직판장’의 연평균 증감률은 2005년 데이터가 분리되

어 있지 않아 2010년부터 2013년까지를 대상으로 계산한 것임.

2) 각 연도의 농업관련사업 경영농가의 총수와 세부항목별 합계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

는 해당되는 농업관련사업 항목에 중복으로 체크하는 것을 허용했기 때문임.

자료: 통계청a(2005~2013).

Page 4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32

구 분 2010 2011 2012 2013연평균 증감률2013/2010

6차 산업화농가수

48,521

(4.1)

33,040

(2.8)

30,440

(2.6)

39,979

(3.5)-6.3

농축산물가공업

8,564 10,111 12,083 13,687 16.9

농축산물직판장

28,127 11,436 6,174 5,577 -41.7

식당 경영 9,043 9,756 10,559 11,566 8.5

농촌 관광 4,468 4,279 4,158 4,462 0.0

‘농축산물 직거래’ 제외 시 6차 산업화 농가수

단위: 호(%)

6차 산업화 농업법인의 규모는 통계청의 농업법인조사 원자료를 분석하

여 도출하였다. 농업법인조사의 ‘농업생산이외 사업수입’ 항목을 이용하여

6차 산업화 농업법인을 파악하였다. ‘농업생산이외 사업수입’ 중 ① ‘농축

산물가공업’, ② ‘농축산물유통업’, ③ ‘관광 및 음식업’, ④ ‘농업서비스업’

및 ‘기타사업수익’이 있는 농업법인을 선별하여 분석한 결과8, 6차 산업 관

련 농업법인체수는 2006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체

농업법인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게 높아지고 있었다. 2006년에 1,258개

로 전체 농업법인체 중 34.4%였는데, 2013년의 경우 6,938개로 52.0%를

차지하였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24.4% 증가하였다. 사업분야

별로 관광 숙박 분야의 증가가 41.2%로 가장 두드러졌고, 그 다음이 농축

산물유통 분야(24.9%), 농축산물가공 분야(22.8%) 순이었다<표 3-2>.

8 농업법인의 경우 농업생산을 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시켰는데, 이는 농업법인의

경우 조합원의 형태로 농업인이나 농업관련 생산자 단체가 참여하고 있기 때문임.

Page 4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 33

구분 2006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증감률

2013/2006

2013/2010

6차 산업화농업법인

1,258 3,502 4,496 5,677 6,93824.4 22.8

(34.4) (41.9) (46.4) (48.3) (52.0)

농축산물 가공 612 1,713 2,046 2,472 3,022 22.8 18.9

농축산물 유통 681 1,959 2,525 3,243 3,896 24.9 22.9

관광·숙박 36 225 340 506 644 41.2 35.1

총 농업법인3,657

(100.0)

8,361

(100.0)

9,692

(100.0)

11,747

(100.0)

13,333

(100.0)18.5 15.6

표 3-2. 6차 산업화 분야별 농업법인 수

단위: 개(%)

주 1) 2005년 이전 조사는 ‘서비스’와 ‘관광, 숙박’을 분리해서 파악하지 않아 2006년 자

료부터 분석함.

2) 각 년도의 농업생산외 사업을 하는 농업법인체 총수와 세부항목별 합계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해당되는 사업 항목에 중복으로 체크하는 것을 허용했기 때문임.

자료: 통계청b(2006~2013).

전체 6차 산업화 경영체에 근무하는 전문인력의 규모는 농업(총)조사와

농업법인조사 자료를 통해서는 직접적으로 파악하기가 힘들다. 농업(총)조

사에서는 근로자 현황을 조사하지 않고, 농업법인조사는 무급 종사자 현황

을 조사하지 않는다.9 이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2014a)의 ‘농업·농촌 6차

산업화 기초실태조사,10에서의 종사인력 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전체 전문

인력 규모를 추정하였다.11 농촌진흥청(2014a) 자료에서는 6차 산업화 경

영체 유형(농가, 농업법인)별로 무급 노동자와 상시 고용 근로자현황을 파

악하고 있는데, 이와 6차 산업화 경영체수의 곱을 통해 6차 산업화 경영체

9 상근출자자, 상용근로자, 임시 및 일용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등만을 파악함.10 6차 산업화 관련 농가 9,000개와 농업법인 1,000개를 표본조사하여 전체 6차 산업

화 경영체 규모를 추정함.11 농촌진흥청(2014a) 자료는 농기계작업 대행 서비스 경영체도 6차 산업화 경영체

에 포함하고 있어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추정에 그래도 사용할 수가 없음. 이 연구

에서는 농업(총)조사, 농업법인조사를 기본으로 하여 고용인원 부분만 농촌진흥

청 자료를 활용함.

Page 4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34

전문인력의 규모를 가늠하였다. 농촌진흥청(2014a) 자료에 따르면 6차 산

업화 농가경영체에서 일하는 전문인력(무급 종사자 + 상시 종사자)은 농가

당 평균 2.3명(무급 1.93명, 상시 0.36명)이었고, 농업법인 전문인력은 법인

당 11.8명(무급 7.3명, 상시 4,5명)이었다.

농업(총)조사와 농업법인조사 그리고 농촌진흥청(2014)의 6차 산업화 경

영체 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6차 산업화 경영체에서 일하는 고용 전문인

력의 규모를 추산하면 2013년 현재, 6차 산업화 농가경영체 125천 호에 호

당 2.3명, 농업법인 6.9천 개에 법인당 약 12명이 일하고 있어 대략 369천

명 정도12로 파악할 수 있다.

2.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수급 전망

현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변화추세를 토대로 향후 수급을 전

망하였다. 전문인력 수급 전망은 수요, 공급 순으로 진행하고 전망 시기는

2020년, 2025년 두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현재의 전문인력 수요는 농촌

진흥청의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6차 산업화 농가경영체와 6차 산업화 농업

법인의 전문인력을 합산하여 구하고, 향후 전망은 ‘6차 산업 관련 농가수’

와 ‘6차 산업화 분야별 농업법인 수’의 최근 변화 추세가 향후에도 그대로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력공급은 오직 농가인구를 통

해 공급된다는 가정하에, 먼저 전체 농가인구를 전망하고, 이 중 6차 산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연령대를 ‘15세 이상 농가인구’로 가정하여, 이 중에

서도 1년 중 1개월 이상 농업에 종사한 농업종사자를 대상으로 그 규모를

전망하였다.

12 6차 산업화 농가 전문인력: 124,685호(6차 산업화 농가)×2.3명(농가당 전문인력수)

= 286,775명

농업법인 전문인력: 6,938개(6차 산업화 농업법인수)×11.8명(농업법인당 전문인

력수)= 81,686명

Page 4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 35

2005~2013년의 6차 산업화 농가경영체의 연평균 증가율13이 이후 그대

로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2015년 124천호에서 2020년에 151천 호, 2025년

에 173천호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2014년 6차 산업화 농가경

영체별 전문인력수(2.3명)가 그대로 유지될 경우 6차 산업화 농가경영체에

서 일하는 전문인력수는 2020년 347천 명, 2025년 398천 명(2025년)으로

추정된다.

한편 2006~2013년의 6차 산업 농업법인체수 연평균 증가율14의 변화 추

이가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2020년에 18.2천 개(2020년), 2025년에는

27.7천 개로 각각 전망된다. 2014년 6차 산업화 농업법인체별 전문인력수

(11.8명)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6차 산업화 농업법인체 전문인력수는 2020년

215천 명, 327천 명(2025년)으로 추정된다.

6차 산업화 전문인력에 대한 공급 전망은 김경덕 외(2012: 40-41)의 농

가인구 코호트(Cohort)분석 결과를 활용하였다. 코호트 분석 결과 농가인

구는 2,317천 명(2020년), 1,950천 명(2025년)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

로 예상된다. 전체 분석기간인 2010~25년 기간 중 농가인구 변화가 연평균

-3.0%로 전망되는데, 기간별로는 2010~15년에는 -2.6%, 2015~20년은

-3.0%, 2020~25년은 -3.4% 등으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폭이 커졌다.

연령별로는 14세 이하 인구가 연평균 4.3% 감소, 15~64세 농가구원 인구

는 연평균 4.4% 감소, 65세 이상 인구는 0.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표

3-3>.

13 2005~2013년의 연평균 변화율 2.4%로 이후 기간 동안 이 추세가 그대로 유지된다

고 가정하고 계산함.14 2006~2013년의 연평균 변화율이 24.4%이지만 이 기간 동안의 변화율이 감소 추

세에 있기에 그 변화 추세를 적용(변화율의 변화 -8%)하여 계산함.

Page 5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36

연령대 2015 2020 2025

유소년(0~14세)  219(8.1) 181(7.8) 141(7.2)

청장년(15~64세) 1,514(56.2) 1,215(52.4) 940(48.2)

노년(65세이상) 961(35.7) 921(39.7) 870(44.6)

합 2,694(100.0) 2,317(100.0) 1,950(100.0)

표 3-3. 농가인구 전망

단위: 천 명(%)

자료: 김경덕 외(2012: 41).

전체 농가인구 중 6차 산업 활동이 가능한 ‘15세 이상 농가인구’는 각각

2,475천 명(2015년), 2,136천 명(2020년), 1,809천 명(2025년)으로 전망된

다. 이 중에서도 1년 중 1개월 이상 농업에 종사한 농업종사자 비중을 고

려하여 농가의 6차 산업활동이 가능한 최대 공급인력을 가늠할 수 있다.

15세 이상 농가인구 중에서 1년 중 1개월 이상 농업에 종사한 농업종사자

비중은 1990년 80%에서 2010년 81%로 지난 30년 동안 큰 변화가 없었으

므로 향후 2025년까지 15세 이상 농가인구 중 농업종사자 비중 또한 80%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가정해도 큰 무리는 없다(김경덕 외 2012: 85). 따라

서 15세 이상 농가인구에 농업종사자 비중을 고려하여 해당 연도의 6차 산

업활동 최대 공급인력을 계산하면 1,980천 명(2015년), 1,709천 명(2020

년), 1,447천 명(2025년)으로 전망된다<표 3-4>.

1990 1995 2000 2005 2010

15세 이상 농가인구 중농업종사 비중

0.80 0.79 0.78 0.78 0.81

15세 이상 농가인구 중농업주종사 비중

0.58 0.61 0.67 0.68 0.66

표 3-4. 농가인구 중 농업종사자 비중 변화(1990~2010)

단위: %

자료: 김경덕 외(2012: 86)

Page 5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 37

앞서 추정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수급 전망치를 바탕으로 수요대비 최

대 공급 인력을 보면,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공급 여력은 급격히 감소할 전

망이다. 2013년 현재 6차 산업화 전문인력(369천명)은 농가를 통해 최대

공급 가능한 인력(1,753천명) 대비 20.9%에 지나지 않지만, 2020년에는

32.9%(수요인력 562천명, 최대 공급가능인력 1,709천명), 그리고 2025년에

는 50.1%(수요인력 725천명, 최대 공급가능인력 1,447천명)으로 올라갈 전

망이다<표 3-5>.

2013 2020 2025

인력수요

소 계 (A) 369 562 725

6차산업화경영체

농가경영체 287 347 398

농업법인체 82 215 327

인력공급

농가를 통한 최대 공급가능인력(B) 1,753 1,709 1,447

최대 공급가능인력 대비 수요인력 (A/B) 20.9% 32.9% 50.1%

표 3-5.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인력수급 전망(2020~2025)

단위: 천 명

3. 소결

6차 산업 활동 인력수급 전망은 최근의 인력수요와 인력공급의 추세가

향후 그대로 지속된다는 다소 강한 가정 하에 분석한 것이므로, 이에 따른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주의를 요한다. 통계적으로 ‘농축산물 직거래’ 농가

를 6차 산업화 경영체로 포함시키느냐 마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짐을 확

인하였다. 또한 ‘농기계작업 대행’ 및 ‘농업 서비스’ 등의 활동도 6차 산업

화 활동으로 포함시키느냐 여부에 따라 농촌진흥청(2014a)의 6차 산업화

Page 5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38

경영체 기초 실태조사와 이 연구에서의 농업(총)조사, 농업법인조사 원자

료 분석결과와 다름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수요는 농업법인을 중심으로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농가를 통한 전문인력 공급은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

되는 만큼 앞으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부족 상황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심

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만은 확실하다. 특히,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6차

산업 추진 시 중심적 역할이 기대되는 청장년(15~64세) 연령대가 전체 농

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기에 그 심각성

이 크다. 이러한 청장년 연령대를 중심으로 한 전문인력 공급의 감소를 막

을 정책적 노력이 수반되지 않을 경우,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수급에 차질

을 빚어 6차 산업화를 통한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는 힘들어 질 수 있다.

Page 5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제4장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이 농업 교육 및 농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육성되고

전문인력 육성과 관련한 요구는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관련 문제점과 시사

점을 도출하였다.

1.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

현재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적절한 통계나

행정 자료는 없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농업계 학생의 교육·진로 통계

자료, 농업인 및 귀농·귀촌인 대상 교육 관련 자료 분석과 농업계 학생, 예

비 귀농 귀촌인 대상의 설문조사 분석 그리고 기존 관련 연구자료의 원자

료15 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육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1.1. 농업계 학교

한국농업교육협회 소속 학교를 중심으로 보면 2014년 현재 71개의 농고

가 있다. 농업계열 학과만 있는 순수 농고는 23개, 비농업 부문 학과를 포

15 마상진 외(2015)의 귀농·귀촌인 조사, 박대식 외(2015)의 농업인(한국농촌경제연

구원 통신원) 조사.

Page 5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40

함하여 농업계열 학과를 설치하고 있는 농업계고 48개이다. 이들 71개 농

고에는 735개 학급이 있으며 약 2만여 명(2014년 21,027명)의 학생이 재학

하고 있다. 매년 약 7,000여 명의 학생이 졸업하는 데, 졸업생의 1% 미만

이 영농 현장에 진출하고, 동일계열 취업이 15% 수준, 동일 계열 진학이

20~30% 수준이다<표 4-1>.

 연도

졸업생수

영농종사자

취업자 진학자

기타동일계열

타 계열 소계동일계열

소계공공기관

기업체

2012 6,977 17 - 1,012 1,191 2,134 2,157 3,922 693

(100.0) (0.2) (0.0) (14.5) (17.1) (30.6) (30.9) (56.2) (9.9)

2013 7,353 16 82 1,151 1,407 2,652 1,628 3,314 1,185

(100.) (0.2) (1.1) (15.7) (19.1) (36.1) (22.1) (45.1) (16.1)

2014 7123 44 34 1,201 1,372 2,615 1,247 2,739 1,675

(100.) (0.6) (0.5) (16.9) (19.3) (36.7) (17.5) (38.5) (23.5)

표 4-1. 최근 3년간의 농업계 고등학생의 취업 진학 현황

단위: 명(%)

자료: 한국농업교육협회(2015).

한편 농업계 대학(2년제 포함)의 경우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소속 학

교를 중심으로 보면 전국에 37개가 있다. 학과수는 국·공립 23개 대학에

170개, 사립 14개 대학에 50개가 운영 중이며, 여기에 약 3만 4천여명

(2013년 34,177명)이 재학 중이다. 2013년 기준 전국 농과계 대학 졸업생

수는 총 5,953명이고 취업자는 총 3,058명으로 취업률은 51.3%였다<표

4-2>. 전공 직접관련 분야 취업자는 25.6%, 간접관련 분야 9.0%, 타산업

부문은 16.7%였다. 직·간접 분야 취업자 중에 영농자는 650명으로 전체 졸

업생의 10.9%를 차지하고(이 중 과반이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농산업

창업자는 2.5%였다.

Page 5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41

지 역 졸업생

취업인원

영농농산업창업

직접관계

간접관계

전공무관

합계

전국5,953 1,526 536 996 3,058 650 152

(100.0) (25.6) (9.0) (16.7) (51.4) (10.9) (2.6)

서울권 970 134 44 147 325 2 7

경기권 625 244 106 73 423 242 25

강원권 643 181 49 111 341 75 2

충남권 764 222 110 110 442 90 3

충북권 360 82 27 36 145 25 0

전남권 523 143 40 85 268 24 2

전북권 489 144 39 100 283 80 68

경남권 736 186 34 186 406 65 14

경북권 795 181 82 140 403 40 30

제주권 48 9 5 8 22 7 1

표 4-2. 농업계 대학 졸업생 취업현황

단위: 명(%)

자료: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2014: 48).

아직까진 농업계 학생을 대상으로 한 6차 산업화에 대한 체계적 교육은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다만 농업계 학교 역량강화 지원 대상 농고, 농대를

중심으로 부분적인 6차 산업화 창업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농고의 경우 농

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지원 하에 산학연계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

를 중심으로 ‘농업비전경진대회’를 통해 참여자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고,

농대의 경우 농대미래전문농업경영인 교육을 실시하는 14개 농과계 대학

을 중심으로 6차 산업 정책소개(6차 산업화 정책방향 및 지원내용, 성공사

례 등) 관련 순회 특강 그리고 6차 산업 창업동아리 활동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정도이다.

이상의 6차 산업 교육활동은 교육현장과 산업현장이 밀착·연계되지 않

은 채 이루어지고 있어 효과를 제대로 얻고 있지 못하다. 농업계 학생들

대상으로 농업계 학교의 농산업 현장과의 교육내용, 방법, 취업지도, 강사

등의 관점에서 연계 정도에 대한 질문에, 연계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

고 답변한 학생 비율이 30%를 넘지 않았다. 개설과목의 현장 관련성은

Page 5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42

교육과정의 현장연계성 농고생 농대생 전체

개설된 과목들의 현장(지역) 관련성 20.7 20.9 20.8

실제 교육 내용의 현장(지역) 관련성 23.6 23.4 23.5

교수-학습방법상의 현장(지역) 연계성 20.6 27.5 23.4

진로(취업) 지도상의 현장(지역) 연계성 22.7 25.4 23.8

교수(강사) 현장(지역) 연계 역량 24.8 35.7 29.3

표 4-3. 농업계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과 현장 연계의 충분성 평가

단위: %

20.8%, 교육내용의 관련성 23.5%, 교육방법 관련성 23.4%, 진로(취업)지도

의 현장성 23.8%, 교수(교사) 역량의 현장성 29.3% 등이었다<표 4-3>.

주: 각 항목에 대하여 5점 척도로 응답. 충분한 편, 매우 충분으로 응답한 학생 비율.

6차 산업화 경영체의 경우도 실제 농업계 학교와 교육 연구 활동을 연

계해본 경험이 거의 없었다. 설문조사 대상 업체 중 63.5%가 농업계 학교

와 한 번도 연계 활동을 한 경험이 없다고 했고, 한 두 번 경험이 있는 경

우가 26.5%, 3회 이상은 9.8%였다<표 4-4>.

연계 경험 빈도조직유형

전체개별농가형 법인중심형 마을중심형

전혀 없음 39(75.0) 71(57.7) 19(67.9) 129(63.5)

1∼2회 9(17.3) 38(30.9) 7(25.0) 54(26.6)

3회 이상 4(7.6) 14(11.4) 2(7.2) 20(9.8)

합계 52(100) 123(100) 28(100) 203(100)

표 4-4. 6차 산업화 경영체의 농업계 학교와 연계 경험

단위: 개(%)

농업계 학생들은 학교 교육과정에 6차 산업화와 관련 내용을 접하지 못

하고, 현장과의 연계활동도 미흡하다보니, 6차 산업화 관련 인지 수준은

높지 않았고, 분야별 전문역량도 미흡한 수준이었다. 농업계 학생의 59.4%

(농고생의 경우 69.6%, 농대생의 경우 44.7%)가 농업 6차 산업화에 대한

Page 5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43

인지 정도는 보통 이하였다<표 4-5>. 6차 산업화 관련한 역량 부문(농업

경영, 농식품가치사슬에 대한 이해, 재배·사육기술, 농식품 가공, 판매 유

통, 체험 관광 등)별 수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 부문에서 충분한 역량을

갖춘 것으로 답한 학생의 비율은 40%를 넘지 않았다. 충분하다고 판단하

는 학생 비중이 농업 경영은 21.2%, 농식품 가치사슬은 33.2%, 재배 사육

기술은 28.1%, 가공은 26.8%, 판매 유통은 34.85, 체험 관광은 39.7% 등

이었다<표 4-6>.

인지 수준 농고생 농대생 전체

전혀 모름 461(25.8) 115( 9.3) 576(19.1)

거의 모름 368(20.6) 131(10.6) 499(16.5)

보통 415(23.2) 306(24.8) 721(23.9)

어느 정도 알고 있음 342(19.1) 464(37.6) 806(26.7)

많이 알고 있음 202(11.3) 219(17.7) 421(13.9)

합 1,788(100) 1,235(100) 3,023(100)

표 4-5. 농업계 학생들의 6차 산업화에 대한 인지 수준

6차 산업 관련 역량 농고생 농대생 전체

농업 경영 18.2 25.5 21.2

농식품 가치사슬 28.0 40.8 33.2

재배·사육 29.6 26.0 28.1

가공 29.0 23.7 26.8

판매·유통 31.0 40.5 34.8

체험·관광 36.3 44.6 39.7

표 4-6. 농업계 학생들의 6차 산업 관련 부문별 역량을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학생 비율단위: %

주: 각 항목에 대하여 5점 척도로 응답. 충분한편, 매우 충분으로 응답한 학생의 비율.

실제 농업계 학교 출신의 6차 산업 관련 종사 실태를 보면 일반 농업인

에 비해 농업계 학교 출신자의 6차 산업화 종사 비율이 다소 높았다. 하지

Page 5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44

만 아직까지 6차 산업화 경영체에서의 고용이 활발한 수준은 아니었다.

박대식 외(2015)의 농업인 대상 조사자료를 재분석한 결과, 일반농업인의

6차 산업 종사율은 25.4%인 데 비해 농고 출신자의 6차 산업 종사비율은

28.2%, 농대 출신자의 6차 산업 종사 비율은 31.0%였다<표 4-7>. 한편 이

연구를 통해 실시된 농업계 학교 출신자들의 6차 산업화 경영체로의 취업

실태 조사에 의하면, 6차 산업화 경영체의 76.8%가 농업계 학생을 고용한

경험이 없다고 하였고, 9.9%는 현재 고용하고 있고, 13.3%는 과거 고용 경

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표 4-8>.

출신학교

종사 분야

합생산

6차 산업(생산+관련)

비농업계 학교 220(74.6) 75(25.4) 295(100.0)

농업계 학교 76(71.0) 31(29.0) 107(100.0)

- 농고 56(71.8) 22(28.2) 78(100.0)

- 농대 20(69.0) 9(31.0) 29(100.0)

전체 296(73.6) 106(26.4) 402(100.0)

표 4-7. 출신학교 유형별 농가의 6차 산업 종사비율

단위: 명(%)

자료: 박대식 외(2015)의 원자료 재분석.

고용 경험조직유형

전체개별농가형 법인중심형 마을중심형

아직없음 43(82.7) 87(70.7) 26(92.9) 156(76.8)

과거 고용했었음 7(13.5) 19(15.4) 1(3.6) 27(13.3)

현재 고용하고 있음 2(3.8) 17(13.8) 1(3.6) 20(9.9)

합 52(100) 123(100) 28(100) 203(100)

표 4-8. 6차 산업화 경영체의 농고·농대 졸업생 고용 실태

단위: 개소(%)

Page 5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45

1.2. 귀농 귀촌 교육

귀농 귀촌인 교육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지원 하에 36개 기관에

서 44개 과정(귀농창업 관심·탐색형 24개, 귀농 창업 준비실행 4개, 귀촌창업

관심·탐색 16개)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기타 농촌진흥청, 농림수산식품유

통공사 그리고 민간기관 등을 통해 연 3만 명(2012년 28,581명, 2013년

32,165명) 정도가 교육을 받았다<표 4-9>.

구 분 2013년 2012년

계 32,165 28,581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1,573 1,162

도시민농촌유치지원사업 1,852 1,243

농수산공무원교육원 270 100

농촌진흥청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325 567

도 농업기술원국비 1,600 -

자체 800 2,158

시 군농업기술센터

국비 2,975 -

자체 21,000 22,801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170 50

보훈교육연구원 400 200

민간교육기관 1,200 300

표 4-9. 귀농 귀촌 교육인원

단위: 명

자료: 농촌진흥청(2014b: 19).

귀농 귀촌 교육 중에 6차 산업화 관련 교육의 얼마나 되는지를 분석하

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예비 귀농 귀촌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

고 그들이 받은 농업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예비 귀농·귀촌인이 받은 교

육 중에 6차 산업화 관련 교육으로 농어촌 체험 관광 관련 교육이 24.8%

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농산물 가공 15.2%, 홍보·마케팅 6.1% 등이었다

<그림 4-1>. 하지만 아직은 대부분의 귀농 귀촌 교육이 6차 산업화보다는

Page 6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46

귀농·귀촌과 관련한 기본소양(81.8%), 지자체의 지원정책(64.2%), 전통적

인 품목 생산기술(37.6%) 등에 치중되어 있었다.

그림 4-1. 예비 귀농·귀촌인의 농업교육 이수내용

(복수응답)

이러다 보니 귀농·귀촌 예정자들의 농업의 6차 산업화와 관련된 인지 수

준과 관련 전문성(역량)은 높지가 않았다. 예비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농

업의 6차 산업화에 대한 인지 수준을 조사한 결과 40.8%가 모른다(전혀

모름 13.9%, 거의 모름 16.9%)고 응답하였다<그림 4-2>. 6차 산업화 관련

한 전문 역량 부문(농업 경영, 농식품가치사슬에 대한 이해, 재배·사육기

술, 농식품 가공, 판매·유통, 체험·관광 등)별 자신의 수준을 진단하도록 한

결과 전 영역에서 충분하다는 응답은 25% 이하였다<그림 4-3>. 아직 귀

농·귀촌을 준비하는 예비단계이기 때문에 교육내용이 구체화되지 않은 측면

도 있겠지만, 관련 교육이나 현장 경험 자체가 너무 부족한 것으로 생각된다.

Page 6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47

그림 4-2. 예비 귀농·귀촌인의 6차 산업화 인지도

그림 4-3. 예비 귀농·귀촌인의 6차 산업화 전문 역량

수준에 대한 인식

주: 5점 척도에서 충분한 편, 매우 충분으로 응답한 비율.

하지만 귀농·귀촌자들은 일반 농업인들에 비해 6차 산업화 활동에 종사

하는 비율이 높고, 상당수는 현재 6차 산업화 경영체에 고용되어 활동하고

있었다. 마상진 외(2015)의 귀농·귀촌인 조사와 박대식 외(2015)16의 농업

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통신원은 농정에 대한 여론 파악을 위한 지역, 연령대 등

을 고려하여 선정된 농업인으로, 일반 농업인보다 교육수준이 다소 높고 농업

관련 활동도 활발하므로 이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Page 6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48

인 조사 자료를 재분석한 결과, 귀농·귀촌인 중 6차 산업 관련 활동을 하는

경우가 35.9%로 일반(비 귀농·귀촌) 농업인의 경우(24.9%)보다 많았다. 한

편 귀농·귀촌인 중 상당수는 6차 산업화 경영체에 취업하고 있었다. 이 연

구에서의 6차 산업화 경영체 대상 조사에 의하면, 귀농·귀촌인 고용비중이

10% 미만인 6차 산업화 경영체가 46.8%였지만, 50% 이상을 고용하고 있

는 비중도 22.2%나 되었다<표 4-10>.

 귀농 귀촌인비중

조직유형전체

개별농가형 법인중심형 마을중심형

없음 2(3.8) 2(1.6) 0(0.0) 4(2.0)

10% 미만 22(42.3) 56(45.5) 13(46.4) 91(44.8)

10~30% 5(9.6) 27(22.0) 7(25.0) 39(19.2)

30~50% 6(11.5) 14(11.4) 4(14.3) 24(11.8)

50~70% 4(7.7) 12 (9.8) 4(14.3) 20(9.9)

70~90% 1(1.9) 5(4.1) 0(0.0) 6(3.0)

90% 이상 12(23.1) 7(5.7) 0(0.0) 19(9.4)

합 52(100) 123(100) 28(100) 203(100)

표 4-10. 6차 산업화 경영체 고용자중 귀농·귀촌인 비중

단위: 개(%)

1.3. 농업경영체 교육 및 창업보육

기존 농업인과 농업경영체를 대상으로 한 6차 산업화 교육은 주로 농촌

진흥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시·군 농업기술센터는 농식품 제조·

가공분야 및 관광분야 6차 산업 기본교육, 창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

농산물 종합가공지원센터(전국 22개소)를 통한 시범 생산·창업 코칭을 하

고 있다. 가공센터 중 일부는 지역특화거점센터로 지정하여, 교육, 시설,

설비를 지역실정에 맞게 차별화하고, 가공센터 간 네트워크 거점으로 활용

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 2014a). 세부 추진내용을 보면 가공·외식 분야

의 경우 농산물가공교육장(전국 140개소)에서는 농업인 대상으로 가공·음

식 기초교육과 관련 자격취득 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22개 농산물종합가공

Page 6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49

가공·외식분야 체험·관광분야

기본

교육

①농산물가공교육장(140개소, 센터)

◦교육인원: 496과정 6만 명(연)

◦교육대상: 일반 농업인, 귀농귀촌인

◦교육단계

- 기 초: 가공·음식 기초교육

- 자격증: 기능사, 기사반 등

① 농업인대학(12개소, 센터)

◦교육인원: 500명(연)

◦교육대상: 일반 농업인, 귀농·귀촌인◦교육내용

- 체험관광일반: 체험관광, 민박기초, 서비

스 품질, 위생안전, 프로그래밍

- 농업강사 해설사 및 관광경영자 양성과정

창업

보육

② 농산물종합가공센터(22개소)

◦교육인원: 7천 명(연)

◦교육대상: 가공창업 희망자

◦교육내용

-(고급과정) 제조기술, 창업법률, 기업가

마인드, 마케팅 등

-(상품화) 시제품생산, 공동장비 활용

② 농촌교육농장 교사 양성(농촌진흥청)

◦교육인원: 2과정 82명(’14)

◦교육대상: 체험창업 희망 농장주

◦교육내용

-(기초) 농업농촌의 교육적 가치 및

체험학습 이해

-(고급) 체험프로그램 개발(체험상품) 및 적용,

서비스 품질관리

표 4-11. 농촌진흥기관을 통한 농업인 대상 6차 산업교육

센터에서는 가공창업희망자를 대상으로 제조기술, 창업법률, 기업가 마인

드, 마케팅 등과 시제품생산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체험·관광 분야의 경우

농업인대학 12개소에서 지역 농업인 대상으로 장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에선 농촌교육농장 창업 희망 농장주를 대상으로

농업농촌의 교육적 가치 등과 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하

고 있다<표 4-11>.

자료: 농림축산식품부(2014a: 13).

농촌진흥청에서는 이밖에 관련 공무원 대상 6차 산업화 전문가 과정과

6차 산업화 촉진 및 경영체 지원 코디네이터, 핵심리더 양성과정을 운영하

고 있다. 농식품공무원교육원에서는 중앙·지자체공무원, 마을리더 대상 6

차산업화 정책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농업·농촌교육 공모사업을 통한 6차산업 현장인력 양성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데, 2014년에 6차산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 27개 과정에 2,097명을

교육하였다(농림축산식품부 2014a: 29-30).

Page 6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50

그림 4-4. 농업인의 교육이수 내용(복수 응답)

농업경영체 교육의 6차 산업화 관련성 분석을 위해, 박대식 외(2015)의

농업인의 교육실태 조사 자료를 재분석하였다. 이에 따르면 농업인이 이수

하고 있는 농업교육 내용으로 가장 많은 것은 재배·사육 기술(전체 응답자

의 78.1%가 이수하고 있음)이었다<그림 4-4>. 그밖에 경영전략 및 재무,

마케팅, 마을개발·조직화, 홍보·정보화, 관광·체험, 품질관리·위생 등의 순

으로 많았다. 농업인들이 받는 교육은 아직 품목 기술 교육이나 농업경영

등 전통적인 농업교육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6차 산업화 관련 부

분도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료: 박대식 외(2015) 재분석.

농가의 6차 산업화 관련 전문성은 6차 산업화 활동 농가가 일반 농가에

비해 대체로 높았지만 전문역량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답변한 농가가 많았

다. 박대식 외(2015)의 자료 재분석 결과, 6차 산업화 관련 활동 농가 중

전문역량 부문(농업 경영, 농식품가치사슬에 대한 이해, 재배·사육기술, 농

식품 가공, 판매 유통, 체험 관광 등)별로 충분(충분한 편, 매우 충분이라

응답 농가)하다고 판단한 농가 비율은 농업경 영은 26.9%, 농식품 가치사

슬은 24.0%, 재배사육기술은 54.8%, 가공기술은 21.2%, 판매 유통은

Page 6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51

33.8%, 체험 관광은 18.6%였다. 모든 전문영역에 있어 일반 농가보다 현

재 역량이 충분하다는 비율이 높았지만, 재배사육기술, 판매 유통 부문을

제외하고는 충분하다는 비율이 모두 30% 미만이었다<그림 4-5>.

그림 4-5. 일반농가와 6차산업농가의전문분야별역량수준인식

주: 5점 척도에서 충분한 편, 매우 충분으로 응답한 비율.

자료: 박대식 외(2015) 재분석.

6차 산업화 경영체의 경우 재배사육 기술, 고객서비스, 품질 관리·위생 분

야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전문 영역에서 역량이 충분하다고 답변한 비율은

50%이하였다. 6차 산업화 경영체를 대상으로 12개 전문 영역별로 전문성

수준을 조사한 결과, 부문별 충분(충분한 편, 매우 충분)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재배·사육기술 75.6%, 고객 서비스 71.4%, 품질관리·위생 66.1% 등이었다.

그밖에 상품 기획·개발(45.8%), 교육·조사·연구(39.9%), 제품 가공(39.3%),

건축·전기(35.1%), 디자인(34.5%), 마케팅(28.6%), 경영전략·재무(26.2%),

홍보·정보화(25.0%), 특허·법률(19.6%) 등은 대체로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하

였다<그림 4-6>.

Page 6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52

그림 4-6.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전문분야별 역량 수준

주: 5점 척도에 서 충분한 편, 매우 충분으로 응답한 비율.

2.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요구

6차 산업화 경영체(농가, 법인체)를 대상으로 6차 산업화 관련 사업 애

로사항과 필요 전문분야 및 6차 산업화 관련 전문인력 향후 채용 계획 및

교육 등 관련 요구 등을 분석하였다.

먼저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사업상의 애로사항은 ‘시설 확충’, ‘운영자금’

과 같은 경제적 문제, 그리고 이와 일차적으로 관계된 ‘판로개척’ 등이 가

장 많았고, 전문인력 문제는 우선 순위에서 다소 뒤처진 것으로 조사되었

다. 시설확충이라는 응답이 57.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운영자금

42.2%, 판로개척 40.7%, 상품 및 기술개발 15.2%, 인허가 문제 13.7%, 전

문인력 확보 13.2%, 단기노동력 확보 6.4%, 회계 관리 4.9% 등의 순이었다

<그림 4-7>.

Page 6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53

그림 4-7.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사업 애로사항(복수 응답)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요구를 전문인력 부문으로 초점을 좁혀, 경영체에

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 분야를 조사한 결과, 마케팅 분야가 29.8%로 가

장 많았고, 그 다음이 경영전략 및 재무 분야(13.7%), 제품가공(13.1%), 홍

보 및 정보화(11.9%), 농촌 체험 및 관광(8.3%), 상품기획·개발(5.4%), 품

질관리 및 위생(4.8%) 등의 순이었다<그림 4-8>. 한편 현재 경영체에서 보

유하고 있는 전문인력 비율은 마케팅 분야가 69.6%, 경영전략 및 재무분야

는 64.3%로 매우 높지만, 다른 분야의 경우 20% 이하 수준이었다<그림

4-9>. 경영전략이나 재무 분야, 마케팅 분야의 경우 여전히 전문성이 필요

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이들 분야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존 인력의 전

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훈련을 필요로 하고, 기타 분야의 경우 신규 전문

인력의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age 6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54

그림 4-8. 6차 산업화 경영체가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 분야

그림 4-9. 6차 산업화 경영체의 분야별 전문인력 보유 현황

(복수 응답)

실제 전문성 개발과 관련 기회에 대한 질문에 경영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문성 개발 기회가 많은 반면 전문 실무 인력의 경우는 부족하다고 답변

하였다. 경영자의 경우 전문성 개발 기회가 많은 편이거나 매우 많다는 응

답이 51.8%인 데 비해, 전문 실무 인력은 31.0%였다<표 4-12>.

Page 6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55

전문성 개발 기회 정도 경영자 전문 실무 인력

전혀 없음 16(7.9) 30(14.8)

없는 편 20(9.9) 31(15.3)

보통 62(30.5) 79(38.9)

많은 편 60(29.6) 48(23.6)

매우 많음 45(22.2) 15(7.4)

합 203(100.0) 203(100.0)

표 4-12. 6차 산업화 경영체 전문인력의 전문성 개발 기회

단위: 명(%)

월 급여수준수요

(6차산업체)

공급

농고생 농대생예비

귀농·귀촌인

150만 원 미만 - 15.6 4.5 6.6

150만 원 수준 17.7 18.4 13.0 15.1

200만 원 수준 42.4 24.2 30.0 34.9

250만 원 수준 29.6 14.1 22.5 33.1

300만 원 수준 6.9 14.6 19.6 6.1

350만 원 이상 3.4 13.1 10.4 4.2

합 100.0 100.0 100.0 100.0

표 4-13. 6차 산업화 경영체와 주요 인력공급처의 기대 임금수준 비교

단위: %

향후 전문분야별 실무인력을 채용할 계획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87.2%

가 실무인력 채용계획이 있다고 하였다(개별농가형의 경우 92.3%, 법인중심

형은 87.8%, 마을중심형은 75.0%). 이들에 대한 적정 보수 수준은 월 200만

원이 42.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월 250만 원(29.6%), 월 150만 원

(17.7%) 등의 수준이었다. 이는 실제 농업계 학생 그리고 예비 귀농·귀촌인들

의 기대 월급 수준과 큰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었다. 농고·농대생 그리고

예비 귀농·귀촌인들이 기존 경영체에 취업하여 일할 경우 기대하는 월 급여

수준이 모두 월 200만 원에서 최빈값을 나타냈다(농고 24.2%, 농대 30.0%,

예비 귀농·귀촌인 34.9%)<표 4-13>.

Page 7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56

전문인력 및 전문성 개발과 관련하여 가장 필요한 지원내용은 전문인력

인건비 지원(40.9%)을 가장 많이 원했고, 그 다음은 전문인력의 육성 공급

(15.8%), 전문인력 육성기관과 상시 연계(12.3%), 전문성 개발 기회 강화

(10.8%) 순으로 답변하였다<표 4-14>. 여러 가지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 경영체의 입장을 생각할 때, 월 2백만 원 수준의 인건비 지급이

가능하다 했지만, 전문인력에 대한 안정적 인건비 확보가 쉽지만은 않은

것으로 보인다.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전문성신장을 위해 필요한 지원 

조직유형

전체개별농가형

법인중심형

마을중심형

전문인력 육성 공급 7(13.5) 18(14.6) 7(25.0) 32(15.8)

전문인력 정보 제공 및 알선 3 (5.8) 10 (8.1) 2 (7.1) 15 (7.4)

전문인력 육성기관과 상시 연계 7(13.5) 16(13.0) 2 (7.1) 25(12.3)

전문인력 인건비 지원 22(42.3) 50(40.7) 11(39.4) 83(40.9)

전문가 컨설팅 강화 4 (7.6) 10 (8.1) 2 (7.1) 16 (7.9)

권역별 전문인력 지원단 운영 3 (5.8) 7 (5.7) 0 (0.0) 10 (4.9)

전문성 개발 기회 강화 6(11.5) 12 (9.8) 4(14.3) 22(10.8)

합 52(100.0) 123(100.0) 28(100.0) 203(100.0)

표 4-14.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필요한 지원내용 요구단위: 명(%)

Page 7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57

3. 소결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 및 요구 분석 결과 몇 가지 문제점과 시

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을 육성할 수

있는 사회·제도적 역량이 아직 전반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현재 농촌

진흥기관 및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의 위탁 하에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6차 산업화 관련 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단편적, 일회적

이고 기본소양중심이다. 아직까지 6차 산업화 관련 교육을 시작한지가 얼

마 되지 않아서 전문가 강사 자원이 부족한 데에서 우선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아직 지역에 6차 산업화 관련 성공 경영체 사례가 많지 않을 뿐

아니라 현재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 다수도 6차 산업화와 관련한

부문별 전문성은 있다할지라도, 농식품 가치 사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6차 산업화를 파악하고 있지 못하다. 6차 산업 전반에 걸친 전문 역량을

갖춘 전문가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6차 산업 분야별로 전문인력이 어떤 역량을 갖춰야 하는지에 대한 산업

계 내부의 공감대 마련이 중요하다. 6차 산업화 전문인력에게 공통적으로

필요한 역량, 전문분야별 요구되는 특수 역량 그리고 지역별 특성이 반영

된 역량 등의 도출이 필요하다.

신규 농업인력(농업계 학생, 예비 귀농·귀촌인)에 대한 6차 산업화 관련

교육은 기존 농업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기존 농업인에 대해서는

각 지자체에 100여 개가 넘는 농업기술센터에서 농업인대학, 농산물가공교

육장 등을 통해 기본교육과 더불어 창업보육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

다. 반면 농업계 학생에 대해서는 매우 원론적 수준에서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것도 농정 당국의 지원을 받는 일부 학생에게만 강의

실 중심으로 교육이 이뤄져 농산업 현장과의 밀착성이 떨어졌다. 한편 예

비 귀농·귀촌인에 대한 교육도 기존 농업인 교육과 차별화 되지 못하여 이

들이 기존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관련 교육을 별도로 찾아 나서지 않으면

Page 7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58

적절한 교육을 받기가 힘든 상황이다. 이러다 보니 이들 예비 전문인력들

의 6차 산업화에 대한 인지도는 낮고, 관련 전문역량 수준도 미흡했다.

대부분의 6차 산업화 경영체는 전형적인 저숙련 균형 상태에 놓여있었

다. 시설 확충, 운영 자금 확보, 판로 개척 등의 사업 초반기에 나타나는 문

제를 안고 있으며, 전문인력 확보, 상품·기술 개발 등에 대한 관심은 우선

권에서 상대적으로 밀려 있었다. 일부 전문영역에 대한 전문성 보강 요구

가 있었지만 경영전략 및 재무, 마케팅 등 기본적인 경영 영역에 한정되어

있었다. 한편 전문인력의 교육·훈련 실태 조사 결과 경영주는 상대적으로

전문성 개발 기회가 많은 반면 실무 인력의 경우는 다소 부족하였다.

기존 농업인보다 농업계 학생이나 귀농 귀촌인과 같은 신규 인력이 6차

산업화 활동에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보인다. 기존 자료 재분석 결과 농업

계 학교 졸업생은 기존 농업인보다 5% 내외, 귀농·귀촌인들은 10% 정도 6

차 산업 종사 비율이 높았다. 기존 농업인 보다 귀농·귀촌인이나 농업계

학생들은 영농기반이 취약하지만 상대적으로 젊고 학력 수준도 높아서 경

영혁신에 적극적이고 기존 자원의 다양한 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대

한 유연한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들 신규인력을 효과적으로 6차 산업화 전문인력화 하는데 좀 더 심혈

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들은 영농기반이 취약하기 때문에 농업 생산 분

야 창업 보다는 6차 산업 경영체 취업이 효과적일 수 있다. 6차 산업화 경영

체 요구 조사 결과 신규 전문인력을 채용할 계획을 대부분(87.2%)이 가지고

있었고, 이들에 대해 지급할 수 있는 보수수준이 월 2백만 원대로, 농업계

학생이나 예비 귀농·귀촌인들의 기대 수준과 큰 차이가 없었다. 농업계 학

생, 귀농·귀촌인의 농업·농촌 현장으로의 연착륙 유도 그리고 이들이 6차

산업화 전문인력으로 커갈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Page 7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제5장

이 장에서는 관련 이론 및 정책 분석, 전문인력 현황 및 수급 분석, 전문

인력 육성 실태 및 요구 분석에서의 논의 결과를 종합하여 문제점을 재정

리하고, 농업분야 관련 국내 우수사례와 선진국 사례, 그리고 비농업분야의

사례 고찰 부문을 토대로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체계적 육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의 기본방향을 먼저 제시하고

앞서 제기된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1. 문제점 종합

앞선 정책 분석과 전문인력 수급 분석 그리고 전문인력 육성 실태 결과

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관련 문제들을 정리하였다.

첫째, 6차 산업화 전문인력에 대한 수급 분석 결과 지금 추세로 가면 추

후 인력 부족이 전망된다.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수요는 농업법인을 중심으

로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전문인력 공급은 점차 감소할 것으

로 예상되어 앞으로 전문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농업의 6차 산업화와 관련한 전문인력 육성 정책이 체계적이지 않

다. 현재 다양한 6차 산업화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실제 경영체에 전문

인력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해 정책이 경영체의 경영성과로 이어지지 못하

Page 7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60

고 있다. 전문인력의 체계적인 공급을 뒷받침할 정책이 없기 때문이다. 또

한 농정 당국의 6차 산업화 대책과 농업 전문인력 육성 대책 간 상호 연계

가 부족하여 사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투자의 중복 및 정책 효과의 저

하가 우려된다.

셋째, 지역 중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전략이 부족하였다. 6차 산

업화는 지역별로 다양한 부존자원을 연계·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제고시키

는 것이 핵심전략이고 여기에는 전문인력의 육성계획이 반드시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로는 6차 산업화와 관련한 지역의 자체의 추진 역량과 동력이

부족하다.

넷째,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역량의 부족 문제이다. 현재는

다양한 공공기관이나 민간 조직에서 6차 산업화 관련 인력 육성 사업을 추

진하고 있지만, 육성 주체의 전문성이 떨어지고, 산업계 내에서 6차 산업

화와 관련하여 육성해야 할 인력과 역량분야에 대한 방향성이나 공감대가

부족한 형편이다.

다섯째, 기존 농업인의 전문성 개발 노력에 비해 신규 전문인력 육성 노

력이 부족했다. 농업인 대상 교육은 각 지자체의 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지만, 농업계 학생들에게는 현장과의 연계 없이 원론

적 수준의 교육이 중심이 되고 있고, 귀농·귀촌인에 대한 교육은 기존 농

업인 교육과의 큰 차이 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섯째, 대부분의 6차 산업화 경영체는 전형적인 저숙련 균형 상태에 있

지만, 이를 스스로 타파할 여력이 부족하였다. 대부분의 경영체가 시설 확

충, 운영 자금 확보, 판로 개척 등의 사업 초반기에 나타나는 애로를 겪고

있고, 전문인력 확보, 상품·기술 개발 등은 우선순위에 밀려 상대적인 관심

도가 약했다. 또한 기존 전문인력도 전문성 개발 기회의 부족을 애로사항

으로 지적하였다.

Page 7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61

2. 기본방향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의 기본방향으로 ‘6차 산업화를 통한 농

업인력구조의 고도화’와 ‘지역 중심의 전문인력 육성’을 제시하였다.

□ 6차 산업화를 통한 농업인력 시장의 체질 개선 및 구조 고도화

농업은 다른 산업보다 특히 인력부문의 저숙련 균형 상황이 심각하다.

각종 외국의 값싼 농산물이 수입되어 무한 가격·품질 경쟁 상황이고, 각종

농업 투입재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대부분의

농업경영체로 하여금 장기적 투자보다는 단기적 생존 전략에만 신경쓸 수

밖에 없도록 만든다. 인력과 관련해서는 저숙련 단순 인력의 단기적 활용

을 통해 생산비를 낮추려는 노력을 하게 되고, 이 때문에 고숙련 균형 상

태의 경쟁 경영체와 비교한 상대적 생산성은 지속적으로 낮아질 수밖에 없

다. 이러한 상황은 저임금의 좋지 않은 일자리를 양산하기에 고숙련 인력

이 진입할 수 없는 구조를 만든다.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를 위한 핵심 전략 중 하나로 의욕적으로 추진되

는 농업 6차 산업화는 노령화된 저임금·저학력 중심의 저숙련 균형 상태의

농업인력 구조를 고숙련 균형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귀농·귀촌인들이 현장에서 토로하는 가장 큰 정

착 장애요인 중 하나가 높은 진입비용이다. 농지 등 생산자원의 구입비용은

높고 영농기술과 경영능력 등은 하루아침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높은 진입비용을 커버하고도 남는 인센티브를 갖기 위해서는 농업 취업에

서 얻는 부가가치가 높아야 한다. 농업의 6차 산업화는 이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다. 기존 농업경영체의 6차 산업화 촉진을 위한 조직화와 더불어 그에

필요한 분야별 전문인력을 농업계 학교와 귀농·귀촌인력으로부터 취업의

형태로 공급받고 이를 통해 농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부가가치를 배가시

켜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고숙련 균형의 구조로 전환시켜야 한다.

Page 7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62

일본 교토부의 10차 산업화

○ ‘10차 산업화’는 1차 산업인 농림수산업이 농림수산물 생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를 원료로 가공 식품 제조·판매와 관광농원과 같은 지역 자원을

활용한 서비스 등의 2차 3차 산업까지 시행하는 ‘6차 산업’과, 이를 담당하

는 인재 육성인 ‘4차 산업’을 일체적으로 추진하는 것.

○ 농업 비즈니스 지원을 통하여 성장 산업을 담당하는 인재와 경영체 육성.

- 교토부 안의 각 광역 진흥국에 설치된 농업 비즈니스 상담 창구인 ‘지역 애

그리넷’ 정보를 연계하여 농림수산업자와 상공업자 등이 참여하는 ‘교토 농

업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상품 기획에서부터 시험 생산, 상품화, 판매 전략

만들기까지 농업 비즈니스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

- 중소기업자의 경영을 지원하는 ‘교토 산업21’과 기술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기술 센터’, 농업자의 상담 창구로 농업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농업 비즈니

스 센터 교토’가 연계하여 농업 비즈니스를 지원.

이와 관련하여 일본의 교토부의 사례는 많은 시사점을 준다. 교토부는 5

년 단위로 수립·추진되는 지역 농업·농촌발전계획에서 제일순위 정책을 인

력 정책(사람 만들기)에 두고 있었다. 그리고 농업의 6차 산업화의 관건은

결국 사람이라 하여 농업분야 4차 산업17(교육, 정보) 육성을 통해 10차(1

차+2차+3차+4차) 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저숙련 균형은 시스템의 실패에서 오는 것으로 정부가 거시적 구조적으

로 풀어가야 한다. 6차 산업화를 계기로 농업경영체의 경쟁력 제고에 필요

한 전문인력의 체계적 공급을 통해 저숙련 균형의 농산업 인력구조를 고숙

련 균형 상태로 전환 하도록 해야 한다.

17 정보기술, 정보생성과 공유, 미디어, 연구개발, 그리고 컨설팅, 교육, 재정계획,

디자인과 같은 지식기반 경제 분야를 가리킴(위키피디아 2015). 정보·지식 산

업의 진전과 더불어 사용되고 있는 산업분류임. 사회의 문화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정보·지식을 자본으로 한 기업을 제3차산업과 구별한 것임(미국에서는

이미 국민총생산의 3분의 1이 이 지식산업에 종사하고 있음). 이 분류에서는

좁은 의미의 제3차 산업을 상업 금융 보험 수송 등에 한정하고 제4차 산업으

로서 정보 의료 교육서비스산업 등 지식집약형 산업을 묶고 있음.

Page 7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63

(10차 산업화의 예: ‘단고(丹後) 왕국 음식 수도’라는 음식 챌린지 센터는 호

텔, 직판장, 농장, 음식점, 상점, 체험 농원, 산책 코스, 간단한 놀이 시설을

겸비한 서일본에서 규모가 가장 큰 도로 휴게소(미치노에키, 道の駅).

- 단고의 신선한 야채, 해산물, 육류, 유제품 등을 사용한 음식을 테마로 하여

농가와 연계한 6차 산업 관련 시설임. 6차 산업뿐만 아니라 지역의 농업 관

련 인재육성 기관인 단고 농업 실천형 학사, 어민 학사 등과도 연계하여 음

식 관련 인재 육성과 음식 관련 비즈니스를 추진하는 10차 산업화 추진.

자료: 京都府農林水産部(2015).

□ 지역 중심의 전문인력 육성

현재 6차 산업화 경영체들의 열악한 경영여건을 고려할 때 전문인력 육

성은 정부가 책임지고 시스템을 구축·지원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 관

련 정책과 사업의 실천은 지역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되어야 하고, 기존에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자원들이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현재 농촌융복합산

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에서 각 지역으로 하여금 6차 산업 발전을

Page 7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64

위한 기본계획을 세우도록 하고 있고, 이미 6차 산업 활성화 지원센터를

두어 지역 특성을 반영한 6차 산업화를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관

련 재정과 인력의 부족 그리고 전문성의 한계로 인해 중앙 정부 위탁 사업

의 추진에만 급급한 나머지 실제 기존 지역의 관련 자원과의 융합 속에 지

역 특성을 반영한 계획과 운영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역마

다 농업 특성과 요구에 맞게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이 육성될 수 있도록 관

련 주체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거버넌스의 구축·운영하고 기본계획을 실

행에 옮기고 추진조직을 정비해야 한다. 지역의 6차 산업화 정책과 전문인

력 육성정책이 연계된 고숙련 생태계(관련 주체들의 인식개선, 괜찮은 일

자리 관련 최저임금설정, 지역 주도의 품질기준 제시, 지역 공공 R&D, 지

역 중심의 펀드 운영 등)가 조성되도록 지역의 관련 인적·물적 자원을 유

기적으로 연계시켜야 한다. 특히 지역단위 학생 ‘선발→교육→취·창업’으

로 이어지면서 농업교육 현장과 농산업현장이 연계되도록 해야 한다.

3. 추진과제

‘6차 산업화를 통한 농업인력구조의 고도화’와 ‘지역 중심의 전문인력

육성’을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의 기본방향으로 하고 세부 추진과

제로 중앙정부 차원의 ‘중앙정부의 관련 정책기반 마련’, ‘NCS 신직업자격

체계 개발’, ‘경력경로 설정을 통한 관련 자원 통합연계’, ‘농업계 학교의

역할 강화’, ‘괜찮은 일자리 만들기’, ‘지역의 인력육성 펀드 조성·운영’ 그

리고 지방정부차원의 ‘인력육성 거버넌스와 계획 추진’, ‘인력육성 전담조

직 통합운영’ 등 여덟 가지로 제시하였다<그림 5-1>.

Page 7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65

그림 5-1.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관련 문제점과 세부 추진과제

□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중앙정부 정책기반 마련

농업의 6차 산업화 정책은 농림축산식품부 등 17개 기관과 9개 광역 지

자체가 금융, 컨설팅, 교육, 수출, R&D, 인증 등의 분야에 200여 개 지원

정책을 연계하여 추진하는 정책이다. 수많은 정책이 추진되는 만큼 정책

간 통합성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은 부처 내 같은 국의 관련 과끼

리의 업무 조율조차 원만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관료 중심의 전형

적인 칸막이(sile) 행정의 산물이다. 여러 부처와 관련 사업이 관계된 만큼

6차 산업화와 관련한 통합적 업무 추진이 필요하다. 현 정부의 역점사업으

로 추진되는 만큼, 특정 과에서 담당하기보다 농정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별도 전담팀을 만들어 기본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각 지역의

정책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 다양한 정부 유관 기관이 수많은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

고, 6차 산업화 경영체들도 사업 확장18과 신규 인력 채용 의지가 높은 만

18 이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6차 산업화 경영체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 사업규모와

사업영역을 확장하겠다는 응답(‘소규모 확장’과 ‘대규모 확장’ 포함)이 각각 전체

의 89.3%와 90.2%로서 대부분의 사업체들이 사업 확장 계획을 가지고 있었음.

Page 8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66

큼, 그에 걸맞은 적절한 전문인력 공급 정책이 요구된다. 기존의 계절제 단

순 농업노동력 공급이나 외부 전문가 컨설팅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야 한

다. 이들 인력은 단기적 도움을 줄 수 있을지 모르지만, 경영체의 지속적인

역량 축적과 고숙련 균형으로의 전환이라는 중장기적 문제 해결에는 큰 도

움을 주지 못한다. 오히려 방해가 될 수도 있다. 경영체의 전문역량 축적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다양한 관련 정책과 사업을 각 경영체 단위로 제대로

수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분야별 전문 실무인력이 6차 산업화 경영체에 육

성 배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 연구에서 개략적으로

시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수급을 전문분야별로 보다 정교하게 전망

하고, 정부 당국의 6차 산업화를 위한 경제 활성화 목표 등을 토대로 전문

인력 육성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현재의 가용한 전문인력 육성

체계, 즉 농업계 학교와 귀농·귀촌 교육 및 기존의 경영체 교육을 통해 분

야별로 얼마나 육성할 수 있고,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육성 방안을 도출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육성된 전문인력들이 어떻게

현장과 연계를 통해 취업·창업을 하도록 지원할 것인지에 대한 대책을 제

시해야 한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6차 산업분야 신직업자격체계 개발

현 정부는 최우선 국정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내세우고 있다. 그리고 그

실현을 위한 세부 과제로 능력중심 사회 구현을 위해 국가직업능력표준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이 전 산업분야에서 개발 도입되고

있다. 농업분야는 24개 분야 대 영역의 하나로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타

분야 비해 주요 주체들 간의 내부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다른 산업 분

야에 비해 개발 경험이 부족하고, 관련 전문가도 부족하다보니, 능력 세분

화가 덜되어 있고, 일부 개발된 농업관련 능력체계도 현장에서의 활용은

엄두도 못 내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는 농업계 내의 NCS의 효용에 대한

인식 부족도 작용하고 있다.

NCS를 통한 능력체계의 표준화는 농산업의 전문분야별 인력수급 정보

Page 8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67

일본 ‘6차 산업화 프로듀서’

○ 일본은 6차 산업화 관련 지식과 실무능력의 기준을 제시하여 6차 산업화를

담당하는 인재를 육성하려는 목적으로 2012년부터 6차 산업화 관련 인력의

숙련도를 인증하는 ‘食의 6차 산업화 프로듀서’ 검정제도를 운영해 오고 있음.

- 농림수산물의 생산·가공·유통·판매와 같은 6차 산업화 관련 지식·실무능력을

6단계에 걸쳐 세분화하여 응시자의 6차 산업화 관련 숙련도를 검정하는 제

도로서 농림어업자 등을 주요 대상으로 하나 응시자격에 특별한 제한은 없음.

- 정부는 이 제도의 도입을 통해 6차 산업화를 위해 필요한 지식과 실무능력

에 대한 공통기반을 확립하여 6차 산업화 추진을 지원하는 한편, 경력관리

의 모델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젊은 층의 참여 확대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

○ 6차 산업화 관련 지식과 실무능력을 6단계에 걸쳐 세분화하여 응시자의 6차

산업화 관련 숙련도를 검정(국가자격시험)

를 제공하여 분야별 미스매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분야별 각종 교육내

용의 표준화 및 현장과 지역에 맞는 특성화 교육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교육내용의 개선이 보다 수월하게 한다. 각종 교육과 관련된 물적, 인

적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주체의 의해서 수행되는 다양한 교육

들을 연계·체계시킴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농업분야

의 NCS체계의 개발과 이용 활성화가 필요하고, 우선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부문부터 역점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일본은 2012년부터 ‘6차 산업화 프로듀서’ 검정제도를 통해 6차 사업화

관련 전문 지식과 실무능력의 기준을 제시하고 6차 산업화를 담당하는 전

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NCS를 기반으로 한 ‘신직업자격체계’를 통해 기존의 직업자격의 현장성을

높이는 시도를 하고 있다.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의 관점에서 ‘신직업

자격체계’를 통해 6차 산업화 전문분야별로 인력을 육성하고 그것이 자격

으로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농산업 현장과 농업교육 현장이 연계가 촉진되

도록 해야 한다. 특히 현장 다양한 주체에 의해 실행되는 6차 산업화 농업

교육·훈련이 이를 통해 제대로 누적·관리되어 국가자격이나 학력인증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

Page 8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68

- 레벨1은 농고·수산고 졸업생 수준의 지식을 지닌 인재를 상정하며, 최고 단

계인 레벨6은 6차 산업화 분야를 대표할 수 있는 수준의 인재에게 주어짐.

- 레벨2: 농업대학 수준의 지식과 지시에 따라 일정 수준의 업무수행 가능

- 레벨3: 전문 교육프로그램(경영전략, 경영관리, 마케팅 등의 분야)을 이수하

고 6차 산업화 분야에서 경험 및 실적이 있어, 지시 없이도 업무수행 가능

- 레벨4: 6차 산업화와 관련된 경험 및 실적을 보유하고, 식품산업 분야에서

사업화, 매니지먼트, 컨설팅 등이 가능하여, 팀의 지도자로서 활동이 가능

- 레벨5: 사업을 다각화하여, 복수의 상품 및 분야(관광·수출 등)에서 진출하

여 지속적으로 실적을 올리는 등, 고도의 전문성을 보유

○ (도입 목적) 다양한 지역과 주체에 의해 6차 산업화가 추진되고 있지만 이를

위해 필요한 지식과 실무능력에 대한 공통기반이 부족해 이를 체계화하여 6차

산업화 추진을 가속화하고, 아울러 젊은 층의 참여를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

○ (대상) 응시자격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농림어업자 및 식품제조·가공·유

통·판매분야와 같은 1, 2, 3차 산업의 각 분야 종사자 및 6차 산업화 관련

컨설팅 업무 종사자 등을 주요 대상으로 함.

○ (검정체계) ‘지식’과 ‘실무능력’ 두 가지 분야로 나누어서 평가하는데, 각 레

벨에 따라 지식과 실무능력을 함께 갖추어야 하는 경우도 있고, 두 가지 중

한 분야의 검정만 통과해도 되는 경우가 있음.

- 레벨1은 지식, 레벨2·3은 지식 및 실무능력, 레벨4·5까지는 실무능력만 요구

되는데, 이 때 레벨2·3에서의 실무능력은 서류심사로 대체되고, 레벨4·5의

경우는 서류심사 및 면접을 통해 통과 여부가 결정됨.

- 레벨4·5는 실무능력만으로 통과 여부가 결정되므로, 본인이 실무능력이 충분

하다고 판단할 경우 레벨1~3 단계를 거치지 않고 레벨4부터 응시할 수 있음.

○ (활용) ‘食의 6차 산업화 프로듀서’ 검정에 통과하면 운영기관 홈페이지의

전문가리스트에 게재되고, 본인의 명함에도 인증마크를 삽입할 수 있어 6차

산업화 전문가로서의 비즈니스 기회가 확대되는 효과가 기대됨.

○ (운영현황) ’15년 9월 기준 504명이 ‘食의 6차 산업화 프로듀서’ 검정을 통과

하였고, 52개 교육프로그램이 ‘6차 산업화 육성프로그램’으로 인증을 받았음.

- ‘6차 산업화 육성프로그램’ 수강이 가능한 지역은 현 단위 기준으로 전국의

60% 수준에 육박하고 있으며, 이 중 농고·수산고는 10개교가 인증을 마쳤음.

- ’12년에 도입되어 ’14년까지는 정부의 보조사업으로 운영되었고 ’15년부터

위탁 운영처(食農共創プロデューサーズ)가 사업을 이양받아서 실시 중임.

자료: 内閣府(2011); 食農共創プロデューサーズ(2015).

Page 8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69

뉴질랜드의 농업 전문인력 분야별 경력경로

○ 뉴질랜드는 농업인력의 경력경로를 중등교육단계를 시작점으로 하여 직업교

육기관 및 일반교육기관으로부터 각 단계별로 어떠한 교육과 현장 경험을 이

수하고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지를 승계 및 창업형(On-farm Career), 취업형

(Off-farm Career)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음.

- (승계·창업형) 농고 졸업(자격수준 2 취득) →농장 훈련생으로 일하면서 수준 3, 4를 취득→ 농장 직원 취업 후, 농업경영 관리과정 이수 후, 중간관

리자, 관리자, 농장 주인으로 성장

□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경력경로 설정 및 관련 자원 통합 연계

경력경로(career path, 진로경로)는 특정 직업 분야에 종사하기까지의 준

비과정 그리고 입직이후 경력을 쌓고, 전문성을 개발하여 조직 내에서 상

위 직급 또는 그 산업분야에서의 고숙련 직군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체계화

한 것이다. 농업계 학교 또는 귀농·귀촌 교육을 통한 신규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유입 그리고 기존 농업경영체의 6차 산업화 경영체화 등의 여

러 경우로 나누어 어떠한 경로를 밟아 6차 산업화 분야별 전문인력으로 성

장하는지, 나아가 6차 산업화 경영체의 최고 경영자가 될 수 있는지를 현

직자 및 내용 전문가 대상 조사 또는 성공경력자의 경력경로 추적 등의 조

사를 통해 구축할 필요가 있다.

경력경로를 통해 잠재, 예비 인력에게는 자신의 6차 산업 분야로의 진

로에 대한 명확한 계획을 수립하도록 도움을 주고, 경영주 및 인력육성 관

련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전문성 개발과 관련한 각

종 자원(인적자원, 물적자원, 관련 정책과 사업)을 유기적으로 통합할 수

있게 해준다. 뉴질랜드, 호주, 미국 등에서는 농업 분야의 직업 종사자 및

농업계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진로경로 모형을 제시하고 있었다. 뉴질랜드

의 예를 보면 중등교육을 마친 이후 학교를 떠나 어떠한 경험을 더 쌓고,

추가로 교육기관을 이수하여 어떠한 수준의 자격을 취득한 후 농장 경영

주, 농업 컨설턴트, 농업유관기관 사무직 종사자가 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마상진 외 2013).

Page 8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70

- (취업형) 농업 자격 수준 2와 일반 교육(학문중심교육) 수준 1, 2 취득→ 전

문직업교육기관에서 중등이후 교육 이수→4년제 농업대학에서 학위 취득

후 농업분야 전문가(은행원, 연구자, 컨설턴트 등)로 진출

자료: 마상진 외(2013: 162).

농업계 고등학교 단계에서부터 학생들이 농업분야에서 자신의 미래 비

전을 발견할 수 있도록 명확한 성장경로를 제시해주고, 이에 따라 자신의

삶을 설계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보강해주어야 한다(마상진 외

2011: 126-127). 한 예로 영농기반이 있는 농업계 학생들은 ‘(농고 →) 농

대 → 농가 경영 승계 → 6차 산업화 농가 경영주’로 이어질 수 있게 하고,

비농가 출신 농업계 학생들은 ‘(농고 → )농대 → 6차 산업화 법인 취업 →

창업 또는 중간관리자 → 6차 산업화 농가 경영주 또는 법인 경영자’ 또는

‘(농고 →) 농대 → (6차 산업화 법인 취업 →) 전문가 양성과정 → 6차 산

업화 교육 연구자(전문 교수요원·컨설턴트)’로 성장하여 부모의 영농기반

Page 8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71

여부에 관계없이 6차 산업화 분야 및 농산업분야에서 자신의 적성을 찾고,

꿈을 펼칠 수 있는 경로가 제시되어야 한다<그림 5-2>. 그리고 이를 토대

로 기존의 농업계 학교 및 농업인력육성 기관들의 관련 프로그램과 자원들

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계될 것인가를 설계하고 그에 따라 조직·운영되도

록 해야 한다.

그림 5-2. 6차 산업화 전문인력 경력경로(안)

자료: 마상진 외(2011: 126)를 수정·보완.

□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에 있어 농업계 학교의 역할 강화

앞서 살펴보았듯이 농업계 학교를 통한 6차 산업화 관련 교육은 기존 농

업인 대상 교육에 비해 매우 미흡하다. 최근 추진되는 ‘농업전문인력 육성

기본계획’(농림축산식품부 2014c)은 선별된 일부 소수 학교에 지원을 집중

함으로써 다수 농업계 학교가 소외되어 장기적으로 보면 지역의 예비 농업

인력 육성기반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농업계 학생의 6차 산업분야에 대한 진로 계획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영

농 승계, 영농 창업, 농업 법인체 취업 등 6차 산업화 경영체로의 성장과

직·간접적으로 관계되어 있는 분야로 30.4%의 학생이 준비하고 있었다<표

5-1>. 여기에 더하여 농업법인체 취업 의지(일정 보수가 안정적으로 확보

Page 8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72

졸업 후 진로 계획 학교급

전체농고생 농대생

농업분야 진로 계획 없음 999(60.8) 338(28.0) 1337(46.9)

부모님 영농 승계 127(7.7) 117(9.7) 244(8.6)

영농 창업 101(6.1) 72(6.0) 173(6.1)

6차 산업(가공·유통·체험 등) 창업 106(6.4) 97(8.0) 203(7.1)

6차 산업 관련 법인체 취업 119(7.2) 126(10.4) 245(8.6)

농업·6차 산업 교육·컨설팅 40(2.4) 55(4.6) 95(3.3)

농업 유관 공공기관 취업 117(7.1) 370(30.6) 487(17.1)

농업 민간기업 취업 56(3.4) 52(4.3) 108(3.8)

농업유관 연구·교육자 36(2.2) 56(4.6) 92(3.2)

합 1,644(100) 1,208(100) 2,852(100)

표 5-1. 농업계 학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

단위: 명(%)

된다는 가정하에)를 조사한 결과 농고생은 62.3%, 농대생은 78.8%(예비

귀농·귀촌인 82.6%)가 그럴 의지가 있었다. 그리고 앞선 장에서 보았듯이

이들의 기대하는 월 보수수준은 6차 산업화 경영체에서 줄 수 있다는 수준

과 큰 차이가 없었다.

농업계 학생들이 좀 더 체계적으로 공부하여 생산농업 부문이 아닐지라

도 농업분야 창업·취업을 통해 추후 6차 산업화 관련 분야로 진출할 수 있

도록 기회를 확대해주어야 한다. NCS를 기반으로 보다 체계적으로 6차 산

업화 전문분야별 신직업자격과정을 개발 제공함과 동시에서 이를 바탕으

로 농업계 학생 대상 6차 산업화 프로그램 개설을 확대·지원해주어야 한

다. 그리고 이들 학교가 지역의 농산업과 교육 계획 및 운영에 있어 상호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구가톨릭대학교의 경우 농정당국의 사업이 아닌 교육부의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19을 활용하여 대구·경북지역의 6차 산업 전문인력 육성을 위

19 지방대학 특성화사업(CK-I)은 지역 수요에 기반한 특성화를 통한 대학체질 개

선과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201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사업임. 지역산업과

사회 수요에 기반한 지역경제 발전을 선도하고, 학문 간의 융복합을 통한 교육

과정 개선을 통해 창의적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함(한국연구재단 2015).

Page 8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73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경북 6차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단

○ 교육부의 지방대학 특성화사업에 공모하여 선정. 농도인 경북의 6차산업화

를 통해 농업과 농촌지역의 발전을 이끌 인재양성을 목표

○ 사업단 참여학과 및 교수(2015년)

- 주관학과: 원예조경학부 원예학전공

- 참여학과: 환경과학과

- 협력학과: 원예조경학부 조경학전공

※ 2016년부터 환경원예조경학부로 통합(원예학 전공, 환경학 전공, 조경학 전공)

○ 농산업 현장과의 업무협약체결: 송광매원, 일본큐슈대학교, 경상북도농업기

술원, 문경시농업기술센터, 영천시농업기술센터, 경산시어린이급식관리센터

○ 연계전공명: 6차 산업 전공, 55학점(교과 이수)

○ 교과 내용(교과목)

- 6차 산업화 개론 - 6차 산업화 사례연구

- 식품가공 및 푸드 코디네이터 - 농산물 유통·판매 전략

- 친환경농업 - 해외 6차 산업 비교

- 마케팅 전략 - 상품개발론

- 6차 산업화 비즈니스 플랜

○ 비교과 프로그램: 특성화 교육과정(연계전공)과 병행하여, 현장 실습 및 체

험 중심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 방학을 이용한 4주간 현장실습 운영: 2015년 7∼8월 4주간 8명의 학생이

3곳의 업체 및 기관에서 현장실습

- 농촌진흥청 6차 산업화 민간컨설턴트 양성 과정 이수: 2015년 4월, 6명

- 국외 답사: 학생들이 직접 계획 및 추진

- 릴레이 특강: 2주 간격으로 6차 산업 실무진을 초빙하여 특강 실시

- 찾아가는 현장 수업: 교내에서 실습하기 어려운 교과목에 대하여 산업체

현장에서 실습 위주로 산업체 담당자와 함께 수업 진행

한 사업단을 운영하고 있었다. 대구가톨릭대학교의 농업관련과(원예, 조경,

환경과학)들은 농업계 단과대학의 형태가 아니라 일반 자연대학에 속해 있

고 학과 분야도 매우 제한적이지만 학과 연합으로 지역 농산업현장과 유기

적으로 연계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기존의 학위 외에 부전공으로 6차 산

업 전공학위를 부여하고 있었다.

자료: 대구가톨릭대학교(2015).

Page 8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74

한편 고용노동부는 교육부와 연계를 통해 ‘스위스식 도제학습’을 통해

산 학이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었다. 스위스식 도제

학습은 학생이 학교와 기업을 오가며 배우는 현장중심 직업교육모델로, 도

제교육에 적합한 분야에 50명 이상의 학생을 선발해 기업과 함께 2~3학년

의 도제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하되 학교와 기업 여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하도록 하는 제도이다(뉴시스 2014. 11. 05.).

6차 산업화 경영체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경영체들은 농업계 학생들을

일정기간 도제로 활용하면서 이들에게 현장의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의 교육에 대한 참여 의사가 높았다(97.5%가 참여의향)<표

5-2>. 농정당국은 교육부, 고용노동부 등 관련 정부당국과의 협의를 통해

기존 농업계 학교들이 기존 학문중심의 교육과정 틀에서 벗어나 보다 자율

적인 교육과정 편성을 통해 6차 산업화 현장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학생들

의 교육뿐 아니라 취업과 연결시키는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도제교육참여의향

조직유형전체

개별농가형 법인중심형 마을중심형

의향 없음 3 (5.7) 3 (2.4) 1 (3.6) 5 (2.5)

조금 있음 12(23.1) 40(32.5) 9(32.1) 61(30.0)

매우 많음 33(63.5) 75(61.0) 17(60.7) 125(61.6)

이미 하고 있음 4 (7.7) 5 (4.1) 1 (3.6) 10 (4.9)

합 52(100) 123(100) 28(100) 203(100)

표 5-2. 6차 산업화 경영체의 농업도제교육 참여 의향

단위: 명(%)

□ 6차 산업화 ‘괜찮은 일자리’ 만들기

고숙련 인력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농업계 학생과 비농업분야의 다

양한 직업경험을 가진 고학력의 귀농 귀촌인들이 6차 산업화 분야에서 전

문인력으로 활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 6차 산업화 분야의 전문인력

일자리가 ‘괜찮은 일자리’가 되어야 한다.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란 개

념은 국제노동기구(ILO)에서 ‘빈곤과 고용의 관계’와 관련하여 논의된 ‘괜

Page 8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75

찮은 노동(decent work)'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이 개념은 전 세계적으로

대량실업이 발생하고 직업의 안정성이 크게 하락하면서, 단순한 일자리의

양보다는 질적인 측면이 중요하게 되면서 등장하였다(정혜영 2010: 4).

Anker(2002)는 괜찮은 노동을 질적으로 판단하는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

였는데, 여기에는 ① 고용기회 ② 적합하지 않은 노동의 제외 ③ 적절한

임금과 생산적 노동 ④ 적절한 시간 ⑤ 노동의 보장과 지속성 ⑥ 노동과

가족생활의 결합 ⑦ 고용에 있어서의 공평한 처우 ⑧ 안전한 노동환경 ⑨

사회보호 ⑩ 작업장 및 사회수준의 노사협의 ⑪ 괜찮은 노동에 대한 사회

경제적 맥락 등이 포함된다(최옥금 2006: 232-233 재인용).

전문교육을 받은 농업계 학생이나 관련 전문가가 6차 산업화 경영체에

취업하여 전문인력으로 활약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수와 더불어

괜찮은 일자리 요건을 갖추도록 여러 장치가 보완되어야 한다. 우선 일정

수준이상의 안정된 임금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6차 산업화 경영체가 전문인

력에게 줄 수 있는 임금이 월 2백만 원 수준이라고 하지만, 실제 여러 경영

상의 어려움으로 인건비를 안정적으로 마련할 수 있는 경영체는 많지 않다.

대다수 6차 산업화 경영체는 전문인력 인건비 지원을 전문성 보강차원에서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의 ‘청년취농급부금제도’의 신규

취농자에 대한 파격적 지원, 비농업분야의 전문인력 채용지원제도(사회적

기업 전문인력 지원사업, 고용노동부 ‘고용창출지원사업’의 전문인력 채용

지원사업)를 벤치마킹하여, 기존에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농업경영체

전문인력 채용지원사업’20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사업규모를 확대하고, 이를

보다 안정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21 경우에 따라 경영체 단위로 안정적

20 농업경영체가 전문인력 채용시 인건비 중 일부를 지원하는 제도로 특히 농고·

농대 졸업생의 농업경영체 취업 지원을 통해 젊은 신규인력의 농산업 유입 도

모하기 위함. 농업법인으로 최근 3개년 연평균 매출액 5,000억 원 이하. 농정대

상 경영체(벤처농업 및 곤충산업 지원경영체, 농촌공동체회사, 식품제조업 및

브랜드경영체 등) 등에 대해 인건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지급되며, 지

원분야 및 연차에 따라 1인 월 180만 원 이내 차등지급함. 지원기간은 최대 36

개월 지원(농림축산식품부 2015a).

Page 9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76

일본 청년취농급부금 제도

○ 일본 농업인구의 심각한 노령화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2012년 부터 ‘청

년 신규 취농 배증 프로젝트’ 진행. 기존 1만명 규모의 신규 취농인력에 더

해 추가로 1만 명(법인취업 4,000명, 창업 6,000명) 확보하려는 계획

○ 지원내용

- 신규 취농 준비자: 현 농업대학교나 선진농가 선진농업법인 등에서 연수를

받을 경우 연간 150만 엔 2년(1200시간 관련 교육 이수)

- 농업법인 취업자: 법인에 취직한 청년에 대한 연수경비로 연간 최대 120만

엔을 최장 2년간 지원

- 독립 자영 취농자: 인정신규취농자 등에 대해 연간 최대 150만 엔을 최대

5년간 지원

고용이 힘든 경우, 지자체 단위로 고용하여 이들 인력을 지역단위로 공동

활용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일본의 교토부는 전공을 불문하고 지역

공공인재로 일할 전문인력(주로 석사학위 이상자)에게 월 35만 엔을 3년 한

도에서 지급하면서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地域公共人材

開發機構 2015). 이와 같은 안정적인 임금 제공 기반 마련이외에도 노무, 회

계 등을 포함한 각종 조직체의 행정잡무를 공동으로 지원하고 휴가와 전문

성 개발을 위한 교육 참여 기회를 보장해줄 필요가 있다. 현재 여성농업인

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출산 및 교육 등으로 인한 휴가 확보를 위한 도우미

제도, 일반 기업의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22 등의 사례를 6차 산업화 전

문인력의 복지와 관련하여 확대 적용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자료: 허덕 외(2015: 47).

21 농업경영체 전문인력 채용지원사업 활용 법인체 중 61%가 매출액 증가에 도움

이 되었다고 응답(기타 인력부족 문제 해결 87.0%, 이직률 감소 59.7%)(농림수

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14).22 Employee Assistance Program(EAP):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직무스

트레스, 조직 내 갈등, 업무과다, 건강관리, 정서 성격, 자녀양육 부부관계, 신용

관리, 법률, 학업, 이직 전직, 성폭력 등) 에 대하여 상담이나 서비스 연계 등을

통하여 해결 방안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제도를 말함(근로복지공단 2015).

Page 9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77

사회적기업 전문인력 지원사업

○ (예비)사회적기업이 경영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인력을 채용하는 경우 전문

인력 인건비 일부를 지원

○ 기업당 3인(단, 유급근로자수가 50인 미만인 기업은 2인)을 한도로 최대 3년

간, 예비사회적기업은 기업당 1인을 한도로 최대 2년간 전문인력 인건비 일

부를 지원. 월 200만 원을 한도로 지원하되 전문인력에게 지급하는 급여의

일정 부분은 사업 참여기업이 자부담

-예비사회적기업: 20%(1차년도)→ 30%(2차년도)

-사회적기업: 20%(1차년도)→ 30%(2차년도)→ 50%(3차년도)로 차등 지원

자료: 고용노동부(2015a).

고용노동부 ‘고용창출지원사업’의 전문인력 채용지원사업

○ 고용보험위원회에서 정한 업종에 해당하는 우선지원대상기업의 사업주가 사

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인력을 신규로 고용하거나 대기업으로부터

지원받아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하는 경우 인건비 일부 지원

○ 새로 고용 또는 사용된 전문인력 1명당 아래의 금액을 1년의 기간 내에서

지급함. 최초 6개월 이상 고용(사용)한 경우 1차로 432만 원을 지급하고, 이

후 추가로 6개월 이상 고용(사용)한 경우에 한하여 2차로 648만 원을 지급함.

자료: 고용노동부(2015b).

□ 6차 산업화 전문인력육성 관련 지자체 펀드 조성・운영

지역중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장기

적 안목을 가지고 신규 경영체 또는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재정적 토대가 우선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농촌을 기반으로 한

지방정부는 대부분 예산이 중앙정부 관련 사업에 매칭 방식으로 예속되어

있어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자금이 부족하다(마상진 외 2014: 90). 최

근 중앙 정부의 지원사업이 보조, 융자 방식에 더하여 펀드 방식의 지원을

늘리고 있다. 지자체도 인력육성과 관련한 자율적 운영 재정 확보 차원에

서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23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할 필

요가 있다.

Page 9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78

진천군 ‘센트럴 생거진천 투자조합’

○ 펀드 조성

- 2014년 캐피탈 회사(CL인베스트→ 센트럴투자파트너십)의 제안에 따라 진

천군 농업지원과에서 펀딩 진행

- 캐피탈 회사 10억 + KU 5억 + 지자체 15억 + 모태펀드 70억 ⇒ 센트럴생

거진천투자조합(5년에 거쳐 조성 2014년 20억 조성) 결성

○ 투자

- 지자체 추천 전문가 및 투자회사에 의해 투자 심사를 통해 최종 2개사(참채

원, 후드원)에 15억 투자

- C 농업회사법인: 친환경 채소 유통. 진천의 친환경 영농조합 참여, 향후 체

험활동까지 연계

- H 사(외지에서 신규로 유입): 관내 농산물 가공 이후 유통. 지역의 농업계

특수목적고인 한국바이오마이스터고와 인재육성·취업을 위한 산학협력

진천군과 안동시는 2년 전부터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중 특수목적 펀드

인 ‘6차 산업 펀드’를 활용하여 민간투자회사와 함께 투자조합(‘센트럴 생

거진천 투자조합’, ‘L&S농식품 6차 산업화 투자조합’)을 형성하여 지역에

민간자본을 유치하고 이들의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농산업 경영체를

지원하고 있었다.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신규 전문인력의 6차 산업화

창업 또는 기존 농업경영체의 6차 산업화)을 위해서는 산업을 위한 ‘6차 산

업 펀드’보다 더 신규 인력과 경영체를 배려하는 펀드가 운영되어야 한다.

자료: 허덕 외(2015: 84-85).

일반적으로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의 의해 결성된 투자조합은 농식품 기

업 중에 우수한 기술력이 있지만 자금 부족과 네트워크의 한계로 시설 확

대나 활발한 마케팅을 하지 못하고 있을 때 전문성과 자금력 지원으로 그

물꼬를 터준다는 측면에서 효과가 발휘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대

23 농림수산식품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농림수산식품산업의 규모화 및 경

쟁력 강화를 위하여 정부가 조성하는 투자펀드시스템으로, 농어업경영체, 식품

사업자 등 농림수산식품경영체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 설립된 농림수산식품

투자조합 또는 사모투자전문회사에 출자하는 방식의 펀드들의 펀드(Fund of

Funds)이다(농업정책보험금융원 2015).

Page 9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79

청년창업 펀드

○ 1세대 선배 벤처 및 대기업이 출자하여 청년창업자에 투자하는 펀드. 중소기

업청이 청년창업을 육성하기 위해 1050억원 규모의 청년창업펀드 조성. 청

년창업펀드는 대표이사가 39세 이하이거나 임직원 절반 이상이 29세 이하인

창업기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펀드

○ 정부와 창업투자회사 외에 카카오와 스마일게이트 등 청년창업에 성공한 선

배기업들이 210억 원을 출자해 5개 펀드를 조성. 지금까지 4개 창업기업에

12억 5천만 원을 투자하고, 12개 기업에 대한 투자검토를 마친 상태. 2017

년까지 총 200개 기업에 투자할 계획

○ 펀드는 창업기업에 자금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창업보육센터에 입주시켜

전문적인 멘토링을 제공하며 제품 사업화와 마케팅 등 다양한 부분을 지원

부분 기존의 규모화된 농가의 규모·사업 확장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신규 사업체나 전문인력의 육성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대부분 농업 분

야의 신규 인력은 보호 육성(incubating)의 대상이지 투자 대상은 아니기

때문이다. 새롭고 기발한 상품 아이디어나 기술이 있지만, 적절한 투자자

를 받지 못해 사업을 펼칠 수 없는 다른 분야 벤처 기업들과는 다른 접근

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펀드는 기본적으로 일정 수준(10% 정도) 이상의

높은 수익이 있어야 운영이 가능한데, 살아남기에도 급급한 농업분야 신규

사업체나 인력들에게 기존 개념의 펀드 투자란 부적절할 수 있다. OECD

에서도 농촌지역의 저숙련 균형 타파를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인

내하는 자본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Froy & Giguère 2010). 우리나라

의 비농업분야에서는 중소기업청 주도로 ‘청년창업펀드’를 통해 40세 이하

젊은 인력의 창업만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후계 전문인

력 육성의 관점에선 수익보다는 생산자와 투자자 간의 신뢰·협동·연대 등

사회적 자본을 형성이 중요하고, 그 토대가 튼튼히 마련된 후에 경제적 자

본, 창의적 인적 자본의 확충이 가능하다. 중소기업청의 청년창업펀드와

같이 고위험이나 긍정적 외부효과가 큰 경우 정부의 적극적인 위험분담으

로 민간투자 확대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자료: 중소기업뉴스(2013. 10. 2.)

Page 9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80

정부에서는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내 농업분야 신규 전문인력 육성 그

리고 기존 경영체의 6차 산업화를 위한 단기적 수익보다는 중장기적으로

인내하는 특수 목적 펀드를 별도로 운영하여 지자체의 참여 가능성을 높여

야 한다. 그리고 펀드 운영의 공공성이 요구되는 바 일반 민간 투자운영사

가 아닌 농협 자회사에서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를 활용하여 지역농협과

지자체가 연계한 투자조합을 설립 및 운영하도록 NH캐피탈과 같은 농업

유관 투자사를 투자조합 운영사로 지정하고, 지역의 주요 농업 주체인 지

방자치단체(광역지자체는 광역단위에서 투자하고 광역 내 경영체 연계),

지역 농협, 지역 6차 산업화 경영체와 더불어 지역 주민이 조합원으로 참

여하도록 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지역 전문

인력육성 계획을 수립하며, 지역 농협은 지자체에 부족한 금융전문성을 지

원하고, 경영체의 생산·가공·유통 시스템을 지원(공동 구매 → 공동 재배·

사육 → 공동 가공·판매 → 공동 정산)하도록 운영해야 한다<그림 5-3>.

그림 5-3. 지역 6차 산업화 투자조합 운영 모형(안)

자료: 허덕 외(2015: 161)를 수정 보완.

Page 9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81

□ 지역 중심의 농업인력 육성 거버넌스 활성화

농업 6차 산업화는 기존 자원의 융복합 활용을 특징으로 하고 있기에 다

른 어느 정책 사업보다 지역의 다양한 농업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현재

의 관련 법령과 정책에도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규정되어 있기는 하

다. 광역단위로 ‘6차 산업 활성화 지원센터’가 이미 활동하고 있고, 2015년

발효된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광역 ·기초 지방자

치단체 단위로 6차 산업 발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세우도록 하고 있다. 하

지만 앞서 지적했듯이 관련 재원과 인력의 양적, 질적 부족으로 인해 지방

자치단체의 추진역량이 취약하다. 민간의 다양한 역량이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거버넌스란 정치 과정에서 공공영역 뿐 아니라 민간영역의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하는 행위이다. 어찌보면 지역 농업의 6차 산업화는 지역 농

업의 거버넌스 활성화와 맥을 같이하는 활동이라 볼 수 있다.

고숙련 균형의 활성화 관점에서 네덜란드의 녹색지식협력체계(Green

Knowledge Cooperative)는 많은 시사점을 준다. 네덜란드에서는 지역 농업

인력 육성과 관련하여 농업교육 및 연구 관련 기관들 전부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의 농업분야 지식순환, 농업교육, 지원 인프라 개발 등을 수

행하고 있었다(마상진 외 2013: 169-170). 6차 산업화를 테마로 하여 지역

중심의 농업인력육성 거버넌스를 통해 지역에서 가용한 각종 인적·물적 자

원을 연계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행정에서는 6차 산업화의 전략적

추진을 위한 담당조직을 지정하고, 농정·관광·건설 등을 아우르는 행정내

부의 정책협의팀 등 행정지원 체계화 노력이 필요하다(전라북도의 경우 도

단위 뿐 아니라 군단위에서도 6차 산업화를 위한 별도의 전담팀을 운영하

고 있음)(장민기 2015: 8). 그리고 현재 명문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지역 6

차 산업화 기본계획에 전문농업인력 목표와 규모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인

력육성·배치·활용 계획을 담고 이것이 산업정책과의 연계 속에 실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age 9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82

네덜란드의 Green Knowledge Cooperative(GKC)

○농업교육(green education) 및 연구기관간의 협약 체결하고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를 성공요인으로 설정(2006년~)

- 산업체의 참여(Involvement of business community)

- 지식에 가치부여(More value to knowledge)

- 지역 기반(Regional embedding)

- 매력 있는 교육(Attractive education)

- 동기화된 참여자(Motivated students)

○ 13개 AOC(중등단계 농업교육기관)와 5개 HAO(실용중심대학수준의 농업

교육기관), Wageningen 대학교(UR) 및 연구센터가 멤버로 참여(총 75,000

명의 학생, 15,000명의 관계자(교사, 교수, 연구자))

○ GKC 협력 프로그램

- 지식 순환(Knowledge-circulation): 학생 실습과 연구를 연결, 지역의 지식

센터로서의 학교 운영, 지식의 활용 강화, 현장에 요구기반

- 교육 혁신(Innovation of education): 현장에서의 교육, 평생학습

- 지원 인프라 개발(Development of supporting infrastructure): 인프라 공동

활용, 학교의 개발과 연계

자료: 마상진 외(2013: 169).

□ 지역단위 농업인력 육성 전담조직 운영

지역 중심의 농업인력 육성 거버넌스 활성화와 지역 6차 산업화 전문인

력 육성 계획의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을 포함한 전

체 농업인력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조직적으로 공급하는 업무를 안정적

으로 담당할 전담조직이 운영되어야 한다. 지역의 농업인력 전담조직은 지

역단위 농업인력 정책을 실질적으로 집행하는 중간지원조직으로 지자체의

지역농업 인력육성 지원 조례 및 종합계획에 의거하여 구체적인 업무를 담

당하도록 해야 한다(마상진 외 2013: 173).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는 기존의

6차 산업 활성화 지원센터의 기능 확장도 가능하지만 전북(농식품인력개

발원), 경북(농민사관학교)의 경우처럼, 기존 농업인력육성 전담기구에 역

할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기초지자체의 경우 이미 관련

Page 9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83

된 교육과 창업보육을 하고 있는 농업기술센터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보다

민간 주도의 조직 운영이 바람직하다.

일본 교토부의 경우 농업종합지원센터를 통해, 농업회의소 지원 업무뿐

아니라 기존의 농업관련 중간지원조직들의 업무를 통합하여 농지업무, 농

업비즈니스 지원업무, 귀농자 및 청년 농업인 정착 및 취업 지원업무 등을

중첩되지 않게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우리의 경우 칸막이 행정이

중앙 뿐 아니라 지역에서도 심하다. 농업·농촌 관련 각종 지원조직의 통폐

합 또는 농어업회의소의 활성화를 통해 민간 주도의 전담조직을 두어 지역

단위 농업인력 육성 지원이 안정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광역단위에서는 농과대학, 농업기술원 그리고 농업·농촌 관련 각종

민간 컨설팅 기관 등이 연계하여 6차 산업화 경영체의 기초 역량개발 지

원, 경영주와 분야별 전문인력의 교육 강화, 지역 대학생들의 6차 산업화

창업보육 그리고 기초단위 전담조직에서 하기 힘든 6차 산업화 경영체간

의 네트워킹 지원, 6차 산업화 촉진에 중추역할을 하게 될 코디네이터24 육

성 및 6차 산업화 관련 조사·연구를 수행한다(마상진 2011: 74). 기초단위

에서는 지역 밀착형 창업·보육 및 역량개발을 지원하고 신규 인력을 발굴

할 필요가 있다. 기초 단위 전담조직에서는 농업인력육성과 관련하여 다음

과 같은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마상진 외 2013: 173-174).

- 농업교육 코디네이팅(지역의 농민단체, 농협, 농업기술센터 등의 구심

점, 농업계 학교와 민간의 교육 연계)

- 농업 구인·구직 연계(계절 노동 포함) 및 농업계 학생 취업정보 제공

- 외국인 노동자, 일용직, 도시 유휴 노동력에 대한 기초 농업교육

- 가업 승계자, 신규 취농자(귀농·귀촌 포함) 지원

- 농업법인체 지원(전문인력 취업 및 경력교육, 근로자지원프로그램)

- 노령농업인의 농장 활용(신규 취농자 연계) 활성화

24 농업·농촌에 대한 전문지식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업 간 연계, 지역 간 연계,

생산자-소비자 연계를 지원하고, 농촌자원 활용을 촉진하여 농촌 활력에 기여하

는 전문가를 의미함(이창한 2015: 2).

Page 9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84

연도 조직 변천

1970년「농지법」 일부 개정으로 ‘농지보유합리화법인’으로 ‘재단법인 교토부

농업개발공사’ 설립(교토부 지사 인가)

1995년「청소년 취농 촉진을 위한 지금 대부 등에 관한 특별 조치법」근거,

교토부 지사가 ‘청년농업자 등 육성 센터’로 지정

2009년 ‘농업 비즈니스 센터 교토’ 설치

2010년 ‘농업 인재 만들기 서포트 센터’설치

2010년 6월 ‘농림수산업 일자리 카페’가 교토부 농업회의에서 지원 센터로 이관

2011년 7월40년에 걸친 명칭을 ‘사단 법인 교토부 농업 종합센터’(가칭: 교토 애

그리21)로 조직 명칭 변경

2012년 4월 ‘공익재단법인 교토부 농업 종합 지원센터’(교토 애그리21)로 이행.

2014년 6월 교토부 지사가 ‘농지중간관리기구’로 지정

일본 교토부 농업종합지원센터

○ 농상공 연대와 6차 산업화 지원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 과감히 도전하는

경영을 지원하여, 경영자 의욕 확대 도모. 전체적으로 국내 경영기반을 강

화하여, 농업의 폐쇄적 상황을 타개

○ 농업 비즈니스화 종합 지원 거점으로 ‘교토부 농업 종합 지원센터’(교토 애

그리21) 설치

○ 2015년부터 새로이 마을 단위를 초월한 지역 농업자와 연계하여, 작업 수탁

과 농지 집적, 계약 재배 등으로 ‘판매액 2천만 엔’을 목표로 하는 농기업자

를 지원하는 ‘농기업자 육성 사업’을 창설

○ 지원센터는 크게 ‘사원 총회·이사회’, ‘사무국’으로 나누어져 있다. 사무국에

서 실무를 담당한다. 사무국은 총무 ① 총무기획과, ② 농지이용추진과, ③

인재육성과, ④ 농업 비즈니스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세 개(②③④)의 과

가 실질적인 세부 사업을 시행

○ 이 세 개의 과의 실질적 사업 내용을 추진하기 위한 세부 조직이 있음.

- 농지이용추진과에는 ‘농지중간관리기구’가 있음.

- 인재육성과에는 ‘농림수산업 신규 취업 지원실’, ‘농림수산업 일자리 카페’,

‘청년 농업자 등 육성 센터’, ‘인재 육성 실천 농장 추진실’, ‘인재 만들기

서포트 센터’가 있음

- 농업 비즈니스과에는 ‘농업 비즈니스 센터 교토’가 있음. 농업 비즈니스과

에서 6차 산업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직원 9명이며 이 중 4명은 사무 업무

Page 9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방안 85

를 보는 정직원(이 중 1명은 지역 코디네이터 겸임)이며, 나머지 5명은 농업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코디네이터임. 코디네이터는 수석 코디네이터가 1명

(전체 총괄), 서브 코디네이터가 1명(기업 진출 담당), 지역 코디네이터 4명

(이 중 1명은 정직원이 겸임)(6차 산업화 담당)으로 구성. 코디네이터는 6차

산업화 종합화 추진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농림수산성의 교부금으로 고용

자료: 京都府農業総合支援センター(2013).

Page 10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Page 10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요약 및 결론 제6장

1. 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와 관련한 전문인

력 육성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세부 연구목표를 ① 농업 6차 산업화 전문

인력 관련 이론과 정책 분석, ②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

망, ③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분석, ④ 농업 6차 산

업화 전문인력 육성방안 제시 등으로 설정하였다.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과 관련하여 ‘저숙련·고숙련 균형’ 이론을

검토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6차 산업 및 전문인력 개념과 이 연구의

관점을 정리한 다음 관련 정책을 분석하였다. 저숙련·고숙련 균형 이론은

숙련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산업부문에서 요구하는 숙련수준과 인력시장에

서 공급하는 숙련수준간의 차이가 존재할 때 기술혁신은 이뤄지지 않고 생

산성은 떨어진다는 진단을 하였다.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은 농촌지역의 농

산물·자연·문화 등 유형·무형 자원을 이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을 의미한다. 관련 정책 분석 결과 농업의 6차 산

업화와 관련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전문인력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필요한 분야별 전문인력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고 있으며 육성정

책도 미흡하다. 특히, 지역 중심의 전문인력 육성 전략이 부족하였다.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과 수급 전망을 위해 통계청의 2005년

이후 농업(총)조사와 농업법인조사 자료 그리고 농촌진흥청의 ‘농업·농촌

Page 10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요약 및 결론88

6차 산업화 기초실태조사’를 재분석하여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의 규모

를 추산하고, 이후 2020년, 2025년 시점의 인력 공급과 수요를 전망하였다.

분석 결과 6차 산업화와 관련한 전문인력 수요는 농업법인을 중심으로 뚜

렷한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전문인력 공급은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

는 만큼 앞으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부족 상황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심화

될 가능성이 컸다.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실태와 요구 분석을 위해 농업계 학교와

각종 직업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육성과 관련한 문헌 및 통계 재분석, 관련

자(6차 산업화 경영체, 농업계 학생, 예비 귀농·귀촌인 등) 설문조사 그리

고 기존 관련 연구 설문 조사 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을 육성할 수 있는 우리사회의 제반 역량이 부족하였다.

현재 공공 기관주도 또는 민간 위탁을 통해 다양한 주체들이 6차 산업화와

관련한 인력 육성 활동을 전개하고 있지만, 육성 주체의 전문성이 떨어지

고, 산업계 내부에서 6차 산업화와 관련하여 어떤 역량을 사람들을 어떻게

육성해야 할 지에 대한 공감대가 부족하였다. 또한 기존 농업인의 전문성

개발 노력에 비해 신규 전문인력 육성 노력이 부족하였다. 농업인 대상 교

육은 각 지자체의 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지만, 농

업계 학생 대상 교육의 경우 현장과의 연계없이 원론적 수준의 강의 위주

로 이뤄지고 있고, 귀농·귀촌 대상 교육은 이들의 특성을 제대로 차별화

시키지 못하고 기존 농업인 대상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지고 있었다. 6

차 산업화 경영체는 전형적인 저숙련 균형 상태에 놓여있지만, 이를 스스

로 타파할 능력이 없었다. 대부분의 경영체가 시설 확충, 운영 자금 확보,

판로 개척 등의 사업 초반기에 나타나는 문제에 애로를 겪고 있고, 전문인

력 확보, 상품·기술 개발 등은 우선 관심대상이 아니었다. 농업계 학교 졸

업생이나 귀농·귀촌인의 6차 산업화 활동 참여가 더 활발한데, 이들에 위

한 6차 산업화 연착륙 제고 대책이 필요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련 이론 및 정책 분석, 전문인력 현황 및 수급 분석, 전문

인력 육성 실태 및 요구 분석 등과 더불어 농업분야 관련 국내 우수사례와

선진국 사례, 그리고 비농업분야의 사례 고찰 부문을 토대로 농업 6차 산

Page 10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요약 및 결론 89

업화 전문인력의 육성 방안을 기본방향과 세부 추진과제로 나누어 제시하

였다. 농업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의 기본방향으로 ‘6차 산업화를 통한

농업인력구조의 고도화’와 ‘지역 중심의 전문인력 육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구명한 관련 문제점 해결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로

중앙정부 차원의 ‘중앙정부의 관련 정책기반 마련’, ‘NCS 신직업자격체계

개발’, ‘경력경로 설정을 통한 관련 자원 통합연계’, ‘농업계 학교의 역할

강화’, ‘괜찮은 일자리 만들기’, ‘지역의 인력육성 펀드 조성·운영’ 그리고

지방정부차원의 ‘인력육성 거버넌스와 계획 추진’, ‘인력육성 전담조직 통

합운영’ 등 여덟 가지를 제시하였다.

2. 결론

기상이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식품의 안전성이 위협받으면서 안전하

고 신선한 먹을거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농업

이 우리의 모든 생활의 중심으로 등장하고 최고의 미래 산업이 될 것이라

고 세계적 투자자들은 강조를 한다. 하지만 당장의 우리 농업 현장의 현실

을 녹록하지 않다. 많은 농업경영체들은 높아만 가는 농업 경영비와 낮은

수익성 때문에 하루하루 연명을 걱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의 6

차 산업화는 희망적인 메시지로 다가오고 있다. 농업 생산 활동 이외에 가

공·유통·체험 등의 활동 연계를 통해 농업경영체의 경쟁력을 높이자는 것

이다.

이전까지 해오던 농가소득의 다각화 또는 농외소득 증대 활동과는 다른

농가 경영체 단위의 적극성과 다른 비농업분야의 지식·경험과의 접목이 필

요하다. 하지만 6차 산업화 농업경영체 상당수는 저학력·고령화된 인력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상황으로 6차 산업화에 필요한 다양한 전문성을 갖추

고 있지 못하다. 농업의 미래 성장 산업화 이전에 농업경영체의 지속성을

Page 10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요약 및 결론90

위해서라도 새로운 전문인력의 외부 수혈 또는 기존 인력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다양한 유관 기관이 수많은 6차 산업화 관련 정책사업을 수행하고

있고, 대다수 6차 산업화 경영체도 경영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경영체 외

부에서의 지원보다는 내부에서 일하는 중견 인력, 단순 인력보다는 숙련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이 체계적으로 육성·공급되어야 한다. 하지만 6차 산업

과 관련한 전문인력의 육성정책은 중앙 정부나 지자체 모두 아직 부족하기

짝이 없다.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공공과 민

간의 제반 역량 또한 미흡하다. 아직 6차 산업계 내부에서 조차 어떤 역량

을 갖춘 사람들을 어떻게 육성해야 할 지에 대한 공감대 역시 부족하다.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의 핵심 전략 중 하나로 추진되는 농업 6차 산업

화를 계기로 저숙련 균형 상황의 농업인력 구조를 고숙련 균형으로 전환하

도록 해야 한다. 숙련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투자 확대로 고숙련 인력이

충분히 양성되고, 이들이 고품질·고가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여 경쟁시장

에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 개인은 많은 임금을, 조직은 많은 수익을 얻고,

수익 일부는 새로운 숙련을 창출하기 위한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이루

어지도록 해야 한다. 농업인력의 고질적인 저숙련 상황은 일부가 변화 노

력을 하더라도 그 지속성을 유지하려는 상호 연계 구조를 가지고 있어 쉽

게 변화하지 않는다. 거시적·구조적으로 풀어가야 한다. ‘저숙련·고숙련 균

형이론’에서 강조하듯 단기적으로 행동하는 개별 경영체의 기회주의 행동

을 규제하고, 산업계의 숙련 수요를 공급 시장과 체계적으로 매개해주는

정부 차원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농업의 6차 산업화를 추진할 구체적인 전문인력 육성 계획과 관련 제도

적 장치를 마련하고 실행 전담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 6차 산업화 전문인

력 수급 분석을 통해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차원의 분야별 인력육성 규모

를 설정하고, 관련 공공 및 민간 주체가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통해 구체적

인 전문인력육성 계획을 수립해야한다. 국가직업능력표준(NCS)을 기반으

로 한 신직업자격체계와 같은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고, 분야별 경력경로를

개발·제공하여 육성 주체들의 관련 인적·물적 자원들이 유기적으로 통합·

Page 10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요약 및 결론 91

연계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신규 인력의 확보 측면에서 농업계 학생들이

체계적으로 6차 산업화 분야로 유입되도록 농업계 학교 관련 프로그램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역별 특성이 반영이 되는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별도의 펀드가 조성되도록 중앙정부 차원의 제도 설계가 필요

하다. 지방정부는 관련 주체(지역 농협, 민간투자사, 농업계 학교, 지역 6차

산업 경영체)들과의 연대 활동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6차 산업화 전문

인력 육성계획 수립과 더불어, 계획 실행을 위한 전담조직을 지정하고 지

역 필요에 맞는 6차 산업화 전문인력 및 경영체 육성 활동을 주도해야 할

것이다.

Page 10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Page 10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설문지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문인력 현황 및 요구조사

안녕하십니까?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국무총리실 산하 농업・농촌・식품 정책을 연구하는 곳으로 이번에 농업 6차 산업화 인증업체를 대상으로 전문인력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조사결과는 농업의 6차 산업화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오니 성실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조사결과는 수치화되어 통계 처리되기에 신상자료가 노출되는 일은 없습니다. 조사관련 문의사항은 아래 연구책임자나 조사책임자에게 문의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5. 8.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 연구책임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마상진 (061-820-2258, [email protected])■ 조사책임 : 국민농업포럼 사무국장 채선욱 (02-3471-4245, [email protected])

※ 질문을 잘 읽고 해당란에 표시(○ 또는 √)하시거나 직접 써 주십시오.

사업체 기본 실태

1. 귀 사업체가 현재의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기는? ( )① 3년 미만 ② 3년~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15년 미만 ⑤ 15년 이상

2. 귀 사업체의 조직 형태는? ( )① 개인 ② 농업회사법인 ③ 영농조합법인 ④ 주식회사 ⑤ 협동조합 ⑥ 사회적기업⑦ 기타( )

Page 10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94

3. 귀 사업체의 조직 구성 유형은 어디에 가깝습니까? ( )① 개별 농가형 ② 법인 중심형 ③ 마을 중심형④ 시·군 주도형

4-1. 아래 항목에서 귀 사업체의 사업 내용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 , , , )

① 농산물 생산 ② 농산물 가공 ③ 식당 (외식) ④ 숙박 ⑤ 온라인판매(직거래) ⑥ 직판장/직매장 ⑦ 교육・체험・관광 ⑧ 농작업 대행⑨ 기타 ( )

4-2. 위의 항목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사업을 하나만 선택해주십시오 ( )

5. 아래 품목에서 귀 사업체가 생산하는 농산물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 ( , , , )

① 쌀 ② 쌀 이외 식량작물(보리, 옥수수, 감자, 고구마, 콩 등) ③ 채소 ④ 과수 ⑤ 과채(수박, 참외, 토마토, 딸기, 오이, 풋고추 ⑥ 산나물 ⑦ 특용작물(인삼, 참깨, 들깨, 땅콩 등) ⑧ 약용작물 ⑨ 화훼 ⑩ 한우 ⑪ 돼지 ⑫ 젖소 ⑬ 닭 ⑭ 오리 ⑮ 기타( )

5-1. 위의 품목에서 가장 생산액이 많은 품목을 하나만 선택해주십시오 ( )

6. 사업품목, 매출액 비중 등을 고려할 때, 귀 사업체의 사업 유형은 어디에 가깝습니까? ( )① 농산물 생산 중심형 ② 농산물 가공 중심형 ③ 농촌 체험·판매 중심형

7. 2014년 귀 사업체의 매출액은 어느 수준입니까? ( )① 5천만 원 미만 ② 5천만 원~1억 원 미만 ③ 1억~2억 원 미만 ④ 2억~5억 원 미만 ⑤ 5억~10억 원 미만 ⑥ 10억~20억 원 미만⑦ 20억~30억 원 미만 ⑧ 30억 원 이상

Page 10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95

8. 2014년 귀 사업체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대략 %정도 되십니까? ( )① 5% 미만 ② 5~10% 미만 ③ 10~20% 미만 ④ 20~30% 미만 ⑤ 30~40% 미만 ⑥ 40% 이상(※ 영업이익=매출총액–매출원가–판매비–일반관리비)

9. 귀 사업체의 연간 인력・운영 현황은? ○ 상시적으로 참여하는 가족 노동인력: 본인 이외 ( )명 ○ 급여를 주는 상근 고용자: ( )명 ○ 연간 고용하는 임시 고용자: 일 평균 ( )명 × 고용일수 ( )일

10. 귀 사업체의 상근・임시 인력은 어디에서 주로 확보하는지 각각 번호를 선택해 주십시오

상근인력

① 마을 내 ② 동일 읍·면 ③ 동일 시·군 ④ 다른 시·군 ( )

임시인력

① 마을 내 ② 동일 읍·면 ③ 동일 시·군 ④ 다른 시·군 ( )

11. 귀 사업체 활동(생산, 가공, 유통, 체험 등)에 참여하는 농가수는? ( )가구

12. 귀 사업체의 현재 사업 발전단계를 평가한다면? ( )① 창업기 ② 발전기 ③ 정착기

사업 전문성 분야

13. 귀 사업체가 사업을 하면서 겪는 가장 큰 애로사항을 두 개만 선택해주세요. ( , )① 시설확충 등 시설자금 확보 ② 운영 자금 확보 ③ 판로 개척④ 인허가 등 규제 ⑤ 전문 인력 확보 ⑥ 단기 노동 인력 확보⑦ 상품 및 기술 개발 ⑧ 회계·경영 관리 ⑨ 참여농가 확보⑩ 가공·판매 원료 농산물 확보 ⑪ 기타( )

Page 11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96

14. 귀 사업체는 아래 분야의 전문성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판단하십니까? 각각의 선택란에 번호를 적어 주십시오

전문성 분야전문성 수준

해당없음

선택낮음 ← 보

통 → 높음

경영전략, 재무, 생산성 향상 ① ② ③ ④ ⑤ ⑥ ( )

마케팅 ① ② ③ ④ ⑤ ⑥ ( )

홍보, 정보화(SNS, 쇼핑몰, 웹디자인) ① ② ③ ④ ⑤ ⑥ ( )

특허, 법률 ① ② ③ ④ ⑤ ⑥ ( )

디자인 (상품, 상표 포함) ① ② ③ ④ ⑤ ⑥ ( )

품목 생산(사육, 재배)기술 ① ② ③ ④ ⑤ ⑥ ( )

상품 기획・개발 ① ② ③ ④ ⑤ ⑥ ( )

품질관리, 위생, 식품법규 ① ② ③ ④ ⑤ ⑥ ( )

건축, 전기 ① ② ③ ④ ⑤ ⑥ ( )

제품 가공(가공공정, 공정개선, 자동화기기) ① ② ③ ④ ⑤ ⑥ ( )

고객 서비스 ① ② ③ ④ ⑤ ⑥ ( )

교육, 조사, 연구 ① ② ③ ④ ⑤ ⑥ ( )

15. 귀 사업체는 향후 사업 확장 계획은? 각각 번호를 선택해 주십시오

사업규모

① 확장 계획 없음 ② 현재 수준 유지 ③ 소규모 확장 ④ 대규모 확장

( )

사업영역

① 확장 계획 없음 ② 현재 수준 유지 ③ 소규모 확장 ④ 대규모 확장

( )

16. 귀 사업체의 향후 사업 계획에 있어 전문 인력의 확보의 중요성 정도는? ( )① 매우 낮음 ② 낮은 편 ③ 보통 ④ 높은 편 ⑤ 매우 높음

Page 11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97

17-1. 아래 표에서 귀 사업체에서 가장 필요한 전문성 분야를 하나만 선택해 주십시오 ( )

17-1. 귀 사업체는 아래 항목(전문분야)에 전문 인력(실무인력)을 두고 있습니까? 두고 있다면 분야를 모두 표시해 주십시오

① 없음 ② 있음 (세부분야 : , , , , )

① 경영(경영전략, 재무, 생산성 향상) ② 마케팅(수출, 유통)③ 홍보, 정보화(SNS, 쇼핑몰, 웹디자인) ④ 특허, 법률⑤ 디자인 (상품, 상표 포함) ⑥ 농촌관광 및 체험 프로그램 운영⑦ 품목 생산(사육, 재배)기술 ⑧ 상품 기획・개발⑨ 품질관리, 위생, 식품법규 ⑩ 건축, 전기 ⑪ 제품가공(가공공정, 공정개선, 자동화기기) ⑫ 고객 서비스⑬ 교육・조사・연구 ⑭ 기타( )

18. 귀 사업체 상근 고용 실무인력의 평균적인 월 보수 수준은? 월평균 ( )만원

19. 귀 사업체는 추가로 전문 실무인력을 채용할 계획이 있습니까? ( )① 현재 채용인원이 없고, 앞으로 계획도 없음 ② 현재는 없지만, 채용계획이 있음③ 현재 채용하고 있어, 추가 채용계획은 없음④ 현재 채용하고 있고, 추가 채용계획도 있음

20. 귀하는 전문 실무인력의 적정 보수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보십니까? ( )① 월 100만 원 ② 월 150만 원 ③ 월 200만 원④ 월 250만 원 ⑤ 월 300만 원 ⑥ 월 350만 원⑦ 월 400만 원 ⑧ 월 500만 원 이상

21. 현재는 채용계획이 없더라도, 전문 실무인력 고용 시 인건비 지원이 있다면 채용할 의향이 있으십니까? ( )

① 없음 ② 있음

Page 11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98

22. 귀 사업체 운영의 전문성 보완을 위해 긴밀한 협력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조직이나 기관은 어디입니까? 1순위( ), 2순위( ), 3순위( )

① 도청, 시・군청 ② 농업기술센터 등 농업관련 공공기관③ 6차 산업 중간지원조직 ④ 농협・임협·수협⑤ 농업 관련 대・중소 기업 ⑥ 비농업분야 일반 기업 ⑦ 일반 민간단체나 조직 ⑧ 대학이나 연구소 ⑨ 지역의 농업 관련 법인 및 경영체⑩ 농업 컨설팅 업체 ⑪ 다른 6차 산업업체 ⑫ 기타( )

23. 귀 사업체는 경영자, 종사자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이나 교육・훈련을 하고 있습니까?

인력 유형교육・학습 실시정도

선택전혀없음 ← 보통 → 매우

많음경영자 ① ② ③ ④ ⑤ ( )전문 실무 인력 ① ② ③ ④ ⑤ ( )단순 노동인력 ① ② ③ ④ ⑤ ( )

24. 귀 사업체의 필요한 전문 실무인력을 어떠한 경로로 채용하고 있습니까? ( )① 인근 지역주민 활용 ② 개인적 네트워크 활용 ③ 공공기관 인력알선④ 민간 인력회사 활용 ⑤ 대학 연계를 통해 추천 ⑥ 기타( )

25. 귀 6차 산업관련 사업체의 전문성 신장 및 원활한 인력 공급을 위해 어떤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① 분야별 전문 인력의 체계적 육성・공급② 분야별 전문 인력 정보 제공 및 알선 강화③ 6차 산업 전문인력 육성기관(대학 포함)과의 상시적 연계 강화④ 분야별 전문인력 채용시 인건비 지원⑤ 6차 산업 전문 분야별 전문가 컨설팅 강화⑥ 권역별・사업분야별 사업체 공동의 전문인력단 운영 ⑦ 현 직원들의 교육・훈련 및 전문성 개발 기회 강화⑧ 기타( )

Page 11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99

농업계 학교 연계 분야

26. 농업계 학교(농고, 농대)는 농산업 인력을 배출하고, 농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을 중요한 사명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농업계 학교가 역할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의사항

역할 평가잘모름

선택매우부족

← 보통 →

매우잘함

농산업 현장과의 일상적 교류 ① ② ③ ④ ⑤ ⑥ (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자문(컨설팅) 제공 ① ② ③ ④ ⑤ ⑥ (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수행 ① ② ③ ④ ⑤ ⑥ (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 ① ② ③ ④ ⑤ ⑥ ( )

27. 지역의 농업계 학교의 교육・연구 활동과 연계하여 사업 활동을 한 적이 있습니까? ( )① 전혀 없음 ② 1~2회 있음 ③ 3~5회 있음 ④ 5회 이상

28. 귀 사업체에서는 농업계 학교 출신 학생을 고용한 적이 있습니까? ( )① 아직 없음 ② 고용한 적 있음 ③ 현재 고용 중임

29. 현장의 농산업 경영체에 필요한 인력 육성을 위해 농업계 학교에게 바라는 사항은 무엇인지 2개를 선택해 주십시오 ( , )

① 성적이 우수한 학생의 확보 ② 농업 적성(흥미)이 높은 학생 확보③ 학생들의 농산업에 대한 지식・이해 교육 확대④ 학생들의 농산업체 실습 강화⑤ 교장(교사)・교수와 농산업 경영체 리더들과의 일상적 교류 강화⑥ 농산업 현장 수요에 맞는 교육・컨설팅 서비스 제공 ⑦ 농산업 현장 중심의 공동 연구 수행 강화⑧ 농업계 학생의 농산업 경영체 채용 활성화 ⑨ 기타( )

Page 11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100

30. 농업의 6차 산업에 필요한 인력의 핵심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순위( ), 2순위( ), 3순위( )① 경영 역량 ② 마케팅(수출, 유통) 역량③ 홍보, 정보화 역량 ④ 특허, 법률 관련 역량⑤ 디자인 역량 ⑥ 농촌관광 및 체험 프로그램 운영 역량⑦ 품목 생산(사육, 재배)기술 ⑧ 상품기획・개발⑨ 품질관리, 위생, 식품법규 관련 역량 ⑩ 건축, 전기 등 기술 역량 ⑪ 제품가공에 대한 역량 ⑫ 고객 서비스 역량⑬ 교육・조사・연구 역량⑭ 농업 생산-가공-유통 등 농식품 가치사슬(value-chain) 이해와 역량⑮ 농업, 농촌에 대한 이해와 열정적 태도⑯ 농촌 주민에 대한 이해와 주민 조직화⑯ 기타( )

31. 귀 사업체는 적절한 지원과 여건(인건비 보조 및 관련 교육・컨설팅 제공)이 주어진다면, 농업계 졸업생이나 귀농자가 정착 과정에서 인력으로 활용하면서 이들의 지역 정착을 돕는(도재식 창업보육) 역할을 할 의사는 있습니까? ( )

① 전혀 없음 ② 거의 없음 ③ 조금 있음 ④ 매우 많음 ⑤ 이미 하고 있음

응답자 현황

1. 귀 사업체에서 본인의 위상? ( )① 경영주(대표) ② 경영주의 가족 ③ 상근 임원이나 직원

2. 귀 사업체 경영주의 학력은? ( )① 초졸 이하 ② 중졸 ③ 고졸 ④ 전문대졸 ⑤ 대졸 ⑥ 대학원졸 이상

3. 귀 사업체 경영주의 연령은? 만 ( )세

Page 11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101

4. 귀 사업체 경영주의 성별? ( )① 남 ② 여

5. 귀 사업체 경영주(대표)는 귀농・귀촌하셨습니까? 하였다면 그 유형은? ( )① 농촌 출생 → 도시 취업 → 고향 귀농② 농촌 출생 → 도시 취업 → 타 지역 귀농③ 도시 출생 → 도시 취업 → 귀농 ④ 귀농·귀촌하지 않음

6. 귀 사업체 경영주는 부모님의 영농기반/사업기반을 물려 받았습니까? ( )① 예 ② 아니오

7. 귀 사업체의 실무 인력 중에 귀농자 비중은? ( )① 10% 미만 ② 10~30% ③ 30~50% ④ 50~70%⑤ 70~90% ⑥ 90% 이상

- 성실한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 -

Page 11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102

예비 귀농・귀촌자의 6차 산업 관련 교육 및 요구 조사

안녕하십니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국무총리실 산하 농업・농촌・식품 정책을 연구하는 곳으로 이번에 예비 귀농・귀촌자의 농업관련 교육 및 요구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조사지는 총 6쪽입니다 (소요시간은 약 5분). 조사결과는 귀농・귀촌자 교육 개선을 위한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오니 성실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조사결과는 수치화되어 통계 처리되기 때문에 신상자료가 노출되는 일은 없습니다. 조사관련 문의사항이 있으면 아래 연구책임자나 조사책임자에게 문의바랍니다.감사합니다.

2015. 8.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 연구책임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마상진(061-820-2258, [email protected])○ 조사책임자 국민농업포럼 사무국장 채선욱(02-3471-4245, [email protected])

※ 질문을 잘 읽고 해당란에 표시(○ 또는 √)하시거나 직접 써 주십시오.

1. 귀하는 ‘농업의 6차 산업화’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 ( )① 전혀 모름 ② 거의 모름 ③ 들어 본적 있음 ④ 어느 정도 알고 있음 ⑤ 잘 알고 있음

※ 농업의 6차 산업화: 농업 생산을 위한 영농활동에서 더 나아가 가공・유통・체험 등을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농업 활동. 농산물 생산(1차) × 가공(2차) × 판매・유통・체험・관광(3차) = 6차

Page 11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103

관련 지식이나 경험 전혀모름

거의모름

보통

어느정도알고있음

잘 알고있음

선택

농업 경영 (농업 생산계획・관리, 재무, 회계, 법률) ① ② ③ ④ ⑤ ( )농식품 가치사슬(농산물이 생산이후 가공・유통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

① ② ③ ④ ⑤ ( )

농산물 재배・사육 관련 기술 ① ② ③ ④ ⑤ ( )농산물 가공 기술(포장, 발효, 음료 등) ① ② ③ ④ ⑤ ( )농산물 판매・유통 ① ② ③ ④ ⑤ ( )농업・농촌 체험・관광 ① ② ③ ④ ⑤ ( )농촌 전통문화, 다원적 가치, 농촌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① ② ③ ④ ⑤ ( )

2. 다음 사항에 대한 귀하의 현재 이해(지식)나 경험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합니까?

3. 귀하가 귀농・귀촌을 준비하면서 지금까지 받은 교육내용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 , )(해당사항 모두 표기)

① 귀농·귀촌 기본 소양(농업·농촌알기) ② 지역·지자체 소개 (지원정책 등)③ 품목 생산(사육, 재배) 기술 ④ 집짓기·관리(황토집, 보일러 등)⑤ 농촌관광 및 체험 프로그램 개발·운영 ⑥ 농산물 가공⑦ 농업 관련 상품 기획·개발 ⑧ 농업 경영(계획, 관리, 재무, 회계)⑨ 홍보·마케팅(SNS, 홈페이지 구축) ⑩ 토지·주택 구매 인허가 관련 법규⑪ 기타( ) ⑫ 없음

3-1. 귀하에게 가장 필요하거나, 가장 도움이 되었던 교육내용은 무엇입니까? 위 문항 중 2개만 선택해주세요. ( ), ( )

없다면 직접 내용을 적어주세요.( )

4. 귀하가 지금까지 귀농・귀촌 준비와 관련하여 이수한 교육의 총 시간은? 대략 ( )시간

5. 귀하는 언제쯤 귀농・귀촌을 실행할 계획이십니까? ( )① 이미 실행 중 ② 1년 이내 ③ 2년 이내 ④ 5년 이내⑤ 아직 모르겠음

Page 11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104

6. 귀하가 귀농・귀촌하려는 이유는? ( )① 도시에서는 생활비가 많이 들어서② 농촌이 도시보다 주택 구입이 쉬워서 ③ 실업이나 사업실패 등의 이유로 ④ 도시생활에 회의를 느껴서⑤ 집안의 가업 이음(승계) ⑥ 농사일이 좋아서⑦ 자신과 가족의 건강 때문에 ⑧ 은퇴 후 여가생활을 위해서⑨ 가족・친지와 가까운 곳에 살고 싶어서 ⑩ 자녀교육을 위해서⑪ 조용한 전원 생활을 위해서 ⑫ 생태‧공동체 등의 가치추구를 위해⑬ 새 일자리나 농업・농촌관련 사업을 위해 ⑭ 기타( )

6-1. 귀하의 귀농・귀촌 이유를 간단히 다음 세가지로 재분류하자면 어디에 해당합니까? ( )

① 영농 종사(귀농) ② 전원생활③ 도시 경험을 농어촌에 적용(비농업분야 종사)

7. 귀하는 귀농・귀촌이후 농촌에서 다음 중 어떤 형태로 경제활동을 할 계획입니까? ( )① 아직 모르겠음 ② 부모님의 영농 승계 ③ 영농분야 창업④ 농업 관련 6차 산업분야(가공・유통・체험 등) 창업⑤ 6차 산업 분야 농업 법인경영체(영농조합, 농업회사)로 취업 ⑥ 농어촌 마을의 사무장 취업⑦ 농업유관기관(농협, 농업 공공기관) 취업⑧ 도시에서 활동하던 유관분야 창업⑨ 도시에서 활동하던 유관분야 취업⑩ 기타( )

7-1. 귀하가 계획하는 귀농・귀촌이후 경제활동과 현재(귀농・귀촌전)의 직업과 연관성 정도는? ( )

① 0% ② 25% 미만 ③ 25%~50% 미만 ④ 50%~75% 미만 ⑤ 75%~100% 미만 ⑥ 100%(동일함)

Page 11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105

7-2. 귀농・귀촌하여 영농에 종사 시 계획하는 구체적인 영농품목은? ( )① 쌀・식량작물 ② 특용작물・버섯・약용작물 ③ 과수④ 화훼・관상작물 ⑤ 채소・산나물 ⑥ 축산⑦ 기타( ) ⑧ 해당 없음 ⑨ 아직 모름

8. 현재 농촌에는 농업 생산・가공・유통 및 체험과 관련하여 법인경영체(영농조합, 농업회사)가 1만개 이상 운영되고 있고, 농촌 마을별로는 사무장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귀하는 일정 보수가 안정적으로 확보된다면 농업 법인경영체나 농촌 마을의 실무인력으로 취업해 일할 생각이 있습니까? ( )

① 있음 ② 없음

8-1. (8번-①응답자만) 위 같은 농업・농촌 일자리 취업시 보장되어야 할 최소 급여 수준은 어느 정도입니까? ( )

① 상관 없음 ② 월50만 원 ③ 월100만 원 ④ 월150만 원⑤ 월200만 원 ⑥ 월250만 원 ⑦ 월300만 원 ⑧ 월400만 원⑨ 월500만 원 이상

8-2. 위 같은 농업・농촌 일자리 취업에 있어 장애요인은? ( )① 농업 관련 직업(일자리)에 대한 취업정보 부족② 농업 관련 직업 분야에 대한 이해 부족③ 농업 분야에 대한 현장 경험 부족④ 농업 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 및 자긍심 부족⑤ 농업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이미지⑥ 관련 기반(토지, 자금 등)의 부족⑦ 농업의 불명확한 비전이나 장래성 ⑧ 기타( )

8-3. 만약 귀하가 위 같은 농업・농촌 일자리에 취업된다면 어떠한 분야에 전문성을 발휘하실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해당사항 모두 표기) ( , , , )

① 경영(경영전략, 재무, 생산성 향상) ② 마케팅(수출, 유통)③ 홍보, 정보화(SNS, 쇼핑몰, 웹디자인) ④ 특허, 법률⑤ 디자인(상품, 상표 포함) ⑥ 농촌관광 및 체험 프로그램 운영⑦ 품목 생산(사육, 재배)기술 ⑧ 상품기획・개발⑨ 품질관리, 위생, 식품법규 ⑩ 건축, 전기

Page 12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106

⑪ 제품가공(가공공정, 공정개선, 자동화기기) ⑫ 고객 서비스⑬ 교육・조사・연구 ⑭ 마을 개발 ・ 주민조직화 ⑮ 기타( ) 없음

■ 응답자 개인특성

1. 귀하의 연령은? 만 ( )세

2. 귀하의 성별은? ( ) ① 남 ② 여

3. 결혼상태는? ( ) ① 미혼 ② 결혼

4. 귀하의 최종학력은(중퇴포함)? ( )① 초졸이하 ② 중졸 ③ 고졸 ④ 전문대졸⑤ 대졸 ⑥ 대학원이상

5. 귀하는 농업계학교를 졸업하셨습니까?(해당사항 모두표시) ( , )

① 아니오 ② 농고졸 ③ 농대졸

6. 귀하가 귀농・귀촌을 하게 된다면 다음 중 어느 유형에 해당합니까? ( )① 농촌 출생 → 도시 취업 → 고향 귀농② 농촌 출생 → 도시 취업 → 타 지역 귀농③ 도시 출생 → 도시 취업 → 귀농 ④ 기타( )

7. 귀농·귀촌을 할 경우 본인을 포함하여 몇 명의 가구원이 귀농·귀촌하실 계획이십니까? ( )

① 1명 ② 2명 ③ 3명 ④ 4명 ⑤ 5명 이상

8. 귀하는 양가 부모나 친척으로부터 물려받을 영농기반이 있습니까? ( )

① 전혀 없음 ② 있음

9. 귀하가 태어나 주로 자란 곳은? ( )

① 광역시이상 ② 중소도시 ③ 농어촌지역

10. 귀하는 자라면서 농사나 농작업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 )

① 없음 ② 있음

Page 12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107

① 농림어업 ⑫ 부동산업 및 임대업② 광업 ⑬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연구, 기술)③ 제조업 ⑭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④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⑮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⑤ 하수・폐기물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복원업 교육서비스업⑥ 건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⑦ 도매 및 소매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⑧ 운수업 협회, 단체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⑨ 숙박 및 음식점업 가구내 고용 또는 분류되지 않은 자가 활동⑩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가정주부⑪ 금융 및 보험업 기타( )

11. 귀하가 현재 종사하고 있는(혹은 최근에 종사하신) 가장 대표적인 직업분야는? ( )

11-1. 해당 직업분야의 관련 학위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습니까?(해당사항 모두표기) ( , , )

① 석사 ② 박사 ③ 기술사, 기능장 ④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⑤ 기타 자격( )

11-2. 귀하는 귀농・귀촌 전 해당분야 직업경력은 몇 년입니까? ( )① 5년 미만 ② 5년~10년 미만 ③ 10년~15년 미만 ④ 15년~20년 미만 ⑤ 20년 이상

11-3. 귀하의 귀농・귀촌 전 해당 직업 활동을 통한 월 수입 정도는? ( )① 100만 원 미만 ② 100~200만 원 미만 ③ 200~300만 원 미만④ 300~400만 원 미만 ⑤ 400~500만 미만 ⑥ 500만 원 이상

-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Page 12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108

농업계 고등학생의 6차 산업 관련 교육 및 진로 실태 조사

안녕하십니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국무총리실 산하 농업・농촌・식품 정책을 연구하는 곳으로 이번에 농업계 고등학생들의 농업관련 교육 및 진로 현황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조사지는 총 5쪽입니다(소요시간은 약 5분). 조사결과는 농고 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오니 성실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조사결과는 수치화되어 통계처리되기에 신상자료가 노출되는 일은 없습니다). 조사관련 문의사항이 있으면 아래 연구책임자에게 문의바랍니다.

2015. 6.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연구책임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마상진 (02-3299-4258, [email protected])

※ 다음에 나오는 질문을 잘 읽고 해당란에 표시(○ 또는 √)하시거나 직접 써주십시오.

□ 농산업 교육 및 현장에 대한 경험

1. 학생은 ‘농업의 6차 산업화’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① 전혀 모름 ② 거의 모름 ③ 들어 본적 있음 ④ 어느 정도 알고 있음 ⑤ 잘 알고 있음

※ 농업의 6차 산업화: 농업 생산을 위한 영농활동에서 더 나아가 가공・유통・체험 등을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농업 활동. 농산물 생산(1차) × 가공(2차) × 판매・유통・체험・관광(3차) = 6차

Page 12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109

농업・농촌 관련 이해나 경험전혀모름

거의모름

보통

어느정도알고있음

잘알고있음

농업 경영 (농업 생산계획・관리, 재무, 회계, 법률) ① ② ③ ④ ⑤농식품 가치사슬(농산물이 생산이후 가공・유통되어 소비자에게까지 전달되는 과정)

① ② ③ ④ ⑤

농산물의 재배・사육 관련한 기술 ① ② ③ ④ ⑤농산물 가공 기술(포장, 발효, 음료 등) ① ② ③ ④ ⑤농산물 판매・유통 ① ② ③ ④ ⑤농업・농촌 체험・관광 ① ② ③ ④ ⑤농촌 전통문화, 다원적 가치, 농촌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① ② ③ ④ ⑤

농고 교육 매우부족

부족한편 보통 충분한

편매우충분

개설된 과목들의 현장(지역) 관련성 ① ② ③ ④ ⑤실제 교육 내용의 현장(지역) 관련성 ① ② ③ ④ ⑤교수-학습방법상의 현장(지역) 연계성 ① ② ③ ④ ⑤진로(취업) 지도상의 현장(지역) 연계성 ① ② ③ ④ ⑤

교사(강사) 현장(지역) 연계 역량 ① ② ③ ④ ⑤

2. 다음 사항에 대한 학생의 현재 이해(지식)나 경험 수준은 어느 정도라 생각합니까?

3. 다음 사항 중 학생이 경험한 것이 있으면 모두 표시해주십시오.① 농산업 현황, 비전 관련 교과 수강② 농업 현장의 성공한 농업인이나 농업법인 경영자 만남③ 농가 및 농산업 현장학습 및 체험④ 농업 현장과 관련한 구체적인 직업소개나 상담 경험⑤ 농산업 관련한 정규교과외 활동(동아리, 학습모임 등)⑥ 해외 농업 선진국가 탐방

4. 학생은 농고 교육이 농산업 현장 및 지역과의 연계 측면에서 다음 사항이 어떻다고 봅니까?

Page 12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110

□ 졸업후 진로 계획

5. 학생의 학교 졸업 후 진로계획은 무엇입니까?① 창업 ② 취업 ③ 상급학교(대학) 진학 ④ 아직 모르겠음

6. 학생은 농산업 분야를 직업으로 선택할 계획(진학자도 대학졸업이후 진로계획)이 있습니까? 있다면 다음에서 골라주세요.① 없음 ② 부모님의 영농 승계 ③ 영농으로 창업 ④ 농업 관련 6차 산업분야(가공・유통・체험 등) 창업 ⑤ 6차 산업 분야 농업 법인체(영농조합, 농업회사)로 취업 ⑥ 영농 및 6차 산업 분야 교육자・컨설턴트⑦ 농업유관기관(농협, 농업 공공기관)으로 취업 ⑧ 농업관련 민간기업 취업 ⑨ 농업유관분야 연구・교육자 ⑩ 기타( )

7. 학생의 직업 결정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무엇입니까?(두개 선택)① 적성(흥미) ② 임금(수입) ③ 보람(자아성취) ④ 근무환경 ⑤ 고용안정성 ⑥ 직업의 전망이나 비전 ⑦ 기타 ( )

8. 현재 1만개가 넘는 농업 생산・가공・유통 및 체험과 관련하여 법인경영체(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학생은 일정 보수가 안정적으로 확보된다면 농업 법인경영체에 취업할 생각이 있습니까? ① 없음 ② 있음

9. 만약 학생이 농산업 분야(위 6번 응답분야중 ②~⑥ 분야)의 직업을 선택한다고 가정할 때 최소한 보장되어야 할 월 급여(소득) 수준은 어느 정도라 생각합니까? ① 상관 없음 ② 월 50만 원 ③ 월 100만 원 ④ 월 150만 원 ⑤ 월 200만 원 ⑥ 월 250만 원 ⑦ 월 300만 원 ⑧ 월 400만 원 ⑨ 월 500만원 이상

10. 학생이 입장에서 농산업 분야로 진출하는데 있어서 장애요인은?① 농산업 관련 직업에 대한 기본 정보 부족 ② 농산업 관련 직업 분야에 대한 이해 부족

Page 12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111

③ 농산업 분야에 대한 현장 경험 부족 ④ 농산업 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 및 자긍심 부족⑤ 농업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이미지 ⑥ 관련 기반(토지, 자금 등)의 부족⑦ 농업의 비전이나 장래성 불명확 ⑧ 기타( )

□ 응답자 개인특성

P1. 학생은 어떤 학교에 몇학년 입니까? ( )학교 ( )학년

P2. 학생의 전공(학과)을 분류하자면? ① 식량작물계열 ② 원예・특용작물계열 ③ 축산계열④ 조경・임학계열 ⑤ 식품계열 ⑥ 농공(기계, 토목, 환경)계열 ⑦ 생명・화학계열(생물, 유전) ⑧ 정보・컴퓨터계열 ⑨ 사회・경제계열(경제・지역계획・관광) ⑩ 기타( )

P3. 학생의 나이는? 만 ( )세

P4. 학생의 성별은? ① 남 ② 여

P5. 학생이 태어나 주로 자란 곳은?

① 대도시 ② 중소도시 ③ 도시인근 읍면 ④ 산간벽지

P6. 부모님의 연세는? ① 45세 미만 ② 40대 후반 ③ 50대 초반 ④ 50대 후반 ⑤ 60대 이상 ⑦ 해당없음

P7. 부모님은 학생이 농업 분야(농업 생산・가공・유통・체험)에 종사하는 것을 원하십니까?

① 절대 원하지 않음 ② 원하지 않는편 ③ 그저 그렇다(잘 모름) ④ 원하는 편 ⑤ 매우 원함

P8. 학생은 초・중학교 시절을 보내면서 농사나 농작업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① 없음 ② 있음

P9. 학생의 중학교 시절 학업성적은 어느 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까? ① 상위권(10% 이내) ② 중상위권(20~30%대)

Page 12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112

③ 중위권(40~60%대) ④ 중하위권(70~80%대) ⑤ 하위권(90%대)

P10. 학생의 가정 경제형편은 어느 정도라 볼 수 있습니까? ① 상 ② 중상 ③ 중 ④ 중하 ⑤ 하

P11. 학생이 농업계 고등학교를 진학한 이유는 어디에 가깝습니까?① 적성(흥미)이 맞아 ② 성적 때문에 ③ 가족(주변)의 권유 ④ 농업을 성장산업으로 판단해서

P12. 부모님은 농업관련 분야에 종사하십니까? ① 영농에 종사 ② 농업관련 사업체 운영 ③ 농업관련기관 근무 ④ 해당 없음

P13. (부모님 영농 종사 경우만 응답) 학생 부모님의 가장 많이 재배(사육)하는 농업품목은? (여러 품목인 경우 가장 비중이 높은 것 1개만 선택)

① 쌀 ② 쌀 이외 식량작물(보리, 옥수수, 감자, 고구마, 콩 등)③ 채소 ④ 과수 ⑤ 과채 (수박, 참외, 토마토, 딸기, 오이, 풋고추) ⑥ 산나물 ⑦ 특용작물 (인삼, 참깨, 들깨, 땅콩 등)⑧ 약용작물 ⑨ 화훼 ⑩ 한우 ⑪ 돼지 ⑫ 젖소 ⑬ 닭 ⑭ 오리 ⑮ 기타( )⑯ 해당사항 없음 (잘 모름)

P14. (부모님 영농 종사 경우만 응답) 학생이 판단하기에 주변 농업인들과 비교할 때 부모님의 대략적인 영농규모는?

① 소규모 ② 중소규모 ③ 중대규모 ④ 대규모 ⑤ 해당사항없음

-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 합니다 -

Page 12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113

농업계 대학생의 6차 산업 관련 교육 및 진로 실태 조사

안녕하십니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국무총리실 산하 농업・농촌・식품 정책을 연구하는 곳으로 이번에 농업계 대학생들의 농업관련 교육 및 진로 현황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조사지는 총 5쪽입니다(소요시간은 약 5분). 조사결과는 농고 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오니 성실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조사결과는 수치화되어 통계처리되기에 신상자료가 노출되는 일은 없습니다). 조사관련 문의사항이 있으면 아래 연구책임자에게 문의바랍니다.

2015. 6.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연구책임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마상진 (02-3299-4258, [email protected])

※ 다음에 나오는 질문을 잘 읽고 해당 란에 표시(○ 또는 √)하시거나 직접 써주십시오.

□ 농산업 교육 및 현장에 대한 경험

1. 학생은 ‘농업의 6차 산업화’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① 전혀 모름 ② 거의 모름 ③ 들어 본적 있음 ④ 어느 정도 알고 있음⑤ 잘 알고 있음

※ 농업의 6차 산업화: 농업 생산을 위한 영농활동에서 더 나아가 가공・유통・체험 등을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농업 활동. 농산물 생산(1차) × 가공(2차) × 판매・유통・체험・관광(3차) = 6차

Page 12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114

농업・농촌 관련 이해나 경험전혀모름

거의모름

보통

어느정도알고있음

잘알고있음

농업 경영 (농업 생산계획・관리, 재무, 회계, 법률) ① ② ③ ④ ⑤농식품 가치사슬(농산물이 생산이후 가공・유통되어 소비자에게까지 전달되는 과정)

① ② ③ ④ ⑤

농산물의 재배・사육 관련한 기술 ① ② ③ ④ ⑤농산물 가공 기술(포장, 발효, 음료 등) ① ② ③ ④ ⑤농산물 판매・유통 ① ② ③ ④ ⑤농업・농촌 체험・관광 ① ② ③ ④ ⑤농촌 전통문화, 다원적 가치, 농촌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① ② ③ ④ ⑤

농대 교육 매우부족

부족한편 보통 충분한

편매우충분

개설된 과목들의 현장(지역) 관련성 ① ② ③ ④ ⑤실제 교육 내용의 현장(지역) 관련성 ① ② ③ ④ ⑤교수-학습방법상의 현장(지역) 연계성 ① ② ③ ④ ⑤진로(취업) 지도상의 현장(지역) 연계성 ① ② ③ ④ ⑤

교수(강사) 현장(지역) 연계 역량 ① ② ③ ④ ⑤

2. 다음 사항에 대한 학생의 현재 이해(지식)나 경험 수준은 어느 정도라 생각합니까?

3. 다음 사항 중 학생이 경험한 것이 있으면 모두 표시해주십시오.① 농산업 현황, 비전 관련 교과 수강② 농업 현장의 성공한 농업인이나 농업법인 경영자 만남③ 농가 및 농산업 현장학습 및 체험④ 농업 현장과 관련한 구체적인 직업소개나 상담 경험⑤ 농산업 관련한 정규교과외 활동(동아리, 학습모임 등)⑥ 해외 농업 선진국가 탐방

4. 학생은 농대 교육이 농산업 현장 및 지역과의 연계 측면에서 다음 사항이 어떻다고 봅니까?

Page 129: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115

□ 졸업후 진로 계획

5. 학생의 학교 졸업 후 진로계획은 무엇입니까?① 창업 ② 취업 ③ 상급학교(대학원) 진학 ④ 아직 모르겠음

6. 학생은 농산업 분야를 직업으로 선택할 계획이 있습니까? 있다면 다음에서 골라주세요.① 없음 ② 부모님의 영농 승계 ③ 영농으로 창업 ④ 농업 관련 6차 산업분야(가공・유통・체험 등) 창업 ⑤ 6차 산업 분야 농업 법인체(영농조합, 농업회사)로 취업 ⑥ 영농 및 6차 산업 분야 교육자・컨설턴트⑦ 농업유관기관(농협, 농업 공공기관)으로 취업 ⑧ 농업관련 민간기업 취업 ⑨ 농업유관분야 연구・교육자 ⑩ 기타( )

7. 학생의 직업 결정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무엇입니까?(두개 선택)① 적성(흥미) ② 임금(수입) ③ 보람(자아성취) ④ 근무환경 ⑤ 고용안정성 ⑥ 직업의 전망이나 비전 ⑦ 기타( )

8. 현재 1만개가 넘는 농업 생산・가공・유통 및 체험과 관련하여 법인경영체(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학생은 일정 보수가 안정적으로 확보된다면 농업 법인경영체에 실무인력으로 취업할 생각이 있습니까? ① 없음 ② 있음

9. 만약 학생이 농산업 분야(위 6번 응답분야중 ②~⑥ 분야)의 직업을 선택한다고 가정할 때 최소한 보장되어야 할 월 급여(소득) 수준은 어느 정도라 생각합니까? ① 상관 없음 ② 월 50만 원 ③ 월 100만 원 ④ 월 150만 원 ⑤ 월 200만 원 ⑥ 월 250만 원 ⑦ 월 300만 원 ⑧ 월 400만 원⑨ 월 500만 원 이상

Page 130: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116

10. 학생이 입장에서 농산업 분야로 진출하는데 있어서 장애요인은?① 농산업 관련 직업에 대한 기본 정보 부족 ② 농산업 관련 직업 분야에 대한 이해 부족③ 농산업 분야에 대한 현장 경험 부족 ④ 농산업 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 및 자긍심 부족⑤ 농업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이미지 ⑥ 관련 기반(토지, 자금

등)의 부족⑦ 농업의 비전이나 장래성 불명확 ⑧ 기타( )

□ 응답자 개인특성

P1. 학생은 어떤 학교에 몇학년 입니까? ( )학교 ( )학년P2. 학생의 전공(학과)을 분류하자면?

① 식량작물계열 ② 원예・특용작물계열 ③ 축산계열 ④ 조경・임학계열 ⑤ 식품계열 ⑥ 농공(기계, 토목, 환경)계열 ⑦ 생명・화학계열(생물, 유전, 소재) ⑧ 정보・컴퓨터계열 ⑨ 사회・경제계열(경제・지역계획・관광) ⑩ 기타( )

P3. 학생의 군복부 여부? ① 해당사항없음 ② 복무예정 ③ 제대P4. 학생의 나이는? 만 ( )세P5. 학생의 성별은? ① 남 ② 여P6. 학생이 태어나 주로 자란 곳은? ① 대도시 ② 중소도시 ③ 도시인근 읍면 ④ 산간벽지P7. 부모님의 연세는? ① 45세 미만 ② 40대 후반 ③ 50대 초반 ④ 50대 후반

⑤ 60대 이상 ⑦ 해당사항없음P8. 부모님은 학생이 농업 분야(농업 생산・가공・유통・체험)에 종사하는 것을

원하십니까? ① 절대 원하지 않음 ② 원하지 않는편 ③ 그저 그렇다(잘 모름) ④ 원하는 편 ⑤ 매우 원함P9. 학생은 초・중・고 시절을 보내면서 농사나 농작업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① 없음 ② 있음

Page 131: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부록 117

P10. 학생은 어떤 유형의 고등학교를 졸업하셨습니까?① 일반계 ② 상업・정보계 ③ 공업계 ④ 농업계 ⑤ 예체능계 ⑥ 기타

P11. 학생의 고등학교 시절 학업성적은 어느 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까?① 상위권(10% 이내) ② 중상위권(20~30%대) ③ 중위권(40~60%대) ④ 중하위권(70~80%대) ⑤ 하위권(90%대)

P12. 학생의 가정 경제형편은 어느 정도라 볼 수 있습니까?① 상 ② 중상 ③ 중 ④ 중하 ⑤ 하

P13. 학생이 농업계 대학교를 진학한 이유는 어디에 가깝습니까?① 적성(흥미)가 맞아서 ② 성적상의 이유로 ③ 가족이나 주변의 권유로 ④ 농축산식품 분야를 성장산업으로 판단해서

P14. 부모님은 농업관련 분야에 종사하십니까? ① 영농에 종사 ② 농업관련 사업체 운영 ③ 농업관련기관 근무 ④ 해당없음P15. (부모님 영농 종사 경우만 응답) 학생 부모님의 가장 많이 재배(사육)하

는 농업품목은? (여러 품목인 경우 가장 비중이 높은 것 1개만 선택)① 쌀 ② 쌀 이외 식량작물(보리, 옥수수, 감자, 고구마, 콩 등)③ 채소 ④ 과수 ⑤ 과채 (수박, 참외, 토마토, 딸기, 오이, 풋고추) ⑥ 산나물 ⑦ 특용작물 (인삼, 참깨, 들깨, 땅콩 등) ⑧ 약용작물 ⑨ 화훼 ⑩ 한우 ⑪ 돼지 ⑫ 젖소⑬ 닭⑭ 오리 ⑮ 기타( ) ⑯ 해당사항 없음(잘 모름)

P16. (부모님 영농 종사 경우만 응답) 학생이 판단하기에 주변 농업인들과 비교할 때 부모님의 대략적인 영농규모는?

① 소규모 ② 중소규모 ③ 중대규모 ④ 대규모 ⑤ 해당사항 없음

-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 합니다 -

Page 132: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Page 133: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참고 문헌

강승진. 2013. 제주지역 농업의 다각화를 위한 6차 산업화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고용노동부. 2015a. 2015년 (예비)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업무매뉴얼.. 2015b. 2015년 고용창출지원사업.

국가법령정보센터. 2015.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http://www.law.go.kr/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검색일: 2015년 8월 18일 11시).

국립국어원. 2015. 표준국어대사전. <http://www.korean.go.kr/전문인력>. (검색일:

2015년 8월 19일 13시).

근로복지공단. 2015. “근로자지원프로그램.” <http://www.kcomwel.or.kr/근로자지원

프로그램>. (검색일: 2015년 10월 14일 14시).

김경덕·김정호·김종선. 2012. 농업생산·경영구조의 변화와 전망: 2000·2005·2010

농업총조사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영생·정무권·최영섭. 2006. 고숙련사회와 혁신전략.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종태(국회의원). 2015. 귀농귀촌 현주소와 정부 정책 진단 토론회.김태곤·허주녕. 2011. 농업의 6차산업화와 부가가치 창출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부. 2004. 정예농업인력육성 종합대책(2004~2013).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14. 2014 농업경영체 전문인력 채용지원사업 성과분석.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15. 2015년 농업·농촌교육훈련지원사업 세부추진계획.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2013. “일본의 6차산업화 R&D 동향.” 농림수산식품

R&D해외동향: 우물밖개구리 2013-6호: 1-14.

농림수산식품부. 2009. 귀농 귀촌 종합대책.농림축산식품부. 2014a. 농업 농촌 6차산업 활성화 대책.

. 2014b.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방안.

. 2014c. 농업전문인력 육성 기본계획.

. 2014d. 6차산업화 지원정책 매뉴얼.

. 2014e. 2013년 귀농·귀촌 동향과 향후 정책방향.농림축산식품부. 2014. 3. 20. “2013년 귀농·귀촌 32,424가구(56,267명)로 사상

최대.” 보도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15a. 2015년 농업경영체 전문인력 채용지원사업.

Page 134: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참고문헌120

. 2015b. 융복합 6차사례 및 향후추진계획.농업정책보험금융원. 2015.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란.” <http//fund.moaf.kr/농림

수산식품모태펀드>. (검색일: 2015년 9월 15일 11시).

농촌진흥청. 2014a. 농업 농촌 6차 산업화 기초실태조사.. 2014b. 농촌진흥청 귀농귀촌종합센터 운영 실적.

뉴시스. 2014. 11. 05. “스위스 도제식 직업교육 시범학교 9곳 선정” <http://www.newsis.com/

도제식 직업교육>. (검색일: 2015년 8월 12일 16시).

대구가톨릭대학교. 2015. 대구경북 6차 산업화 전문인력양성 사업단. 내부자료.

마상진. 2006. “농업인의 교육 훈련 참여 요인.” 농촌경제 29(3): 33-50.

마상진. 2011. 사회적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 육성과 네트워크 활

성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마상진 박성재 김강호. 2011. 농림수산식품 인력육성정책 진단 및 발전방안 연구.한국농촌경제연구원.

마상진 오내원 김경덕 남기천. 2013. 정예 농어업인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마상진 박대식 최윤지 남기천 임지은. 2015. 귀농 귀촌인의 정착실태 장기추적

조사: 2차년도(20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대식 마상진 박지연. 2015. 귀농 귀촌인 사회경제적 역할에 관한 농촌주민 의식

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동열 조은상 윤형한 이용길. 2011. 고숙련사회에서의 숙력기술인 육성 방안.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손수정. 2013. “창조경제 관점의 지식재산 전문인력 수급전망.” 과학기술정책23(4): 72-88.

신윤호·김재수·이건남. 2012. 산림분야 전문인력 수급방안 연구. 산림청.

위키피디아. 2015. “제4차 산업.” <http://wikipedia.org/제4차산업>. (검색일: 2015년 9월

1일 10시).

이창한. 2015. “6차 산업화 코디네이터의 개념과 역할.” 농촌진흥청 교육자료.

장덕기. 2013. 전남 로컬푸드 6차산업 활성화 방안. 전남발전연구원.

장민기. 2015. “지역 6차산업 발현을 위한 지원시스템 구축 방안.” 6차 산업화와

지역의 대응 방안. 충남농어업6차산업화 정책포럼(2015 8. 20).

장민기 이준우 허재욱 유리나. 2015. 장수군 6차산업화 추진 전략 개발 연구.장수군 농정연구센터.

Page 135: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참고 문헌 121

정혜영. 2010. 괜찮은 일자리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 2014. 농과계 대학교 재학현황 및 졸업생 진로현황 조사․분석.조우현. 2010. 일의 세계 경제학. 범문사.

중소기업뉴스. 2013. 10. 02. “중기청, 청년창업펀드 1050억원 조성.” <http:// news.kbiz.or.kr/

청년창업펀드>. (검색일: 2015년 8월 12일 15시).

최옥금. 2006.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정의 및 실태파악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2(2): 227-252.

충남연구원. 2015. 8. 20. “충남농어업6차산업화센터 사업추진 현황 및 과제.” 6차

산업화와 지역의 대응 방안. 충남농어업6차산업화 정책포럼.

통계청a. 2015. 지역별 고용조사. <http://kosis.kr/지역별고용조사>. (검색일: 2015

년 10월 27일 10시).

통계청. 2014. 농업조사. <http://kosis.kr/농업조사>. (검색일: 2015년 11월 2일 15시).

통계청a. 2005~2013. 농업(총)조사.통계청b. 2005~2013. 농업법인조사.한국농업교육협회. 2015. 농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취업 진학 현황.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농업은 미래성장산업이다.한국산업인력공단. 2015. NCS 개발 가이드북.한국연구재단. 2015. “지방대학특성화사업.” <http://www.nrf.re.kr/지방대학특성화사업>.

(검색일: 2015년 8월 12일 14시).

허덕·마상진·이동소. 2015. FTA 확대에 따른 축산기반 강화대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Barbieri, C. and Mahoney, E. 2009. “Why is diversification an attractive farm

adjustment strategy? insights from Texas farmers and ranchers.” Journal of

Rural Studie, 25: 58-66.

Brown, P., Green, A. and Lauder, H. 2001. High skills: Globalization, competitive-

ness, and skill form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Finegold, D. and Soskice, D. 1988. “The Failure of Training in Britain: Analysis and

Prescription.” Oxford Review of Economy Policy 4(3): 21-53.

Froy, F. and S. Giguère 2010. Putting in Place Jobs that Last: A Guide to

Rebuilding Quality Employment at Local Level. OECD Local Economic and

Employment Development (LEED) Working Papers.

Ilbery, Brian W. 1991. “Farm diversification as an adjustment strategy on the urban

fringe of the West Midlands.” Journal of Rural Studies 7 (3): 207–218.

Page 136: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참고문헌122

OECD. 2014. Innovation and Modernising the Rural Economy.

Wilson, R. and Hogarth, T. 2003. Tackling the Low Skills Equilibrium: A Review of

Issues and Some New Evidence. DTI.

京都府農林水産部. 2015. 農林水産京力プラン~セカンドステージ~.京都府農業総合支援センター. 2013. 京都府農業総合支援センターの要覧(京都アグリ21) .

今村奈良臣. 2009. 第六次産業の創造を 21世紀農業を花形産業にしよう. <http://www.chii-

ki-dukuri-hyakka.or.jp/book/monthly/9611/html/t0.htm>. (검색일: 2015년 8월 12일 11시)

今村奈良臣. 2012. 農業の6次産業化の理論と実践の課題. 日本水土総合研究所(The Japanese Institute of Irrigation and Drainage : JIID).

内閣府. 2011. 6次産業化人材の育成のねらい・ターゲットについて).食農共創プロデューサーズ. 2015. 食の6次産業化プロデューサー.地域公共人材開發機構. 2015. “京の地域力」未来を担う人づくり推進事業の概要.”

<http://www.colpu.org/地域公共人材>. (검색일: 2015년 10월 14일 13시).

Page 137: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

연구보고 R750

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방안

등 록 제6-0007호(1979. 5. 25.)

인 쇄 2015. 10.

발 행 2015. 10.

발행인 최세균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http://www.krei.re.kr

인쇄처 이호문화사 (프리비 )

061-332-1492 http://www.pribe.co.kr

ISBN 978-89-6013-816-2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Page 138: R750 마상진-농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6차 산업화 전문인력 육성 ...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441/1... · 2019-01-16 · 요 약 이 연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