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12
주소 06974 서울 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310관 406호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지식경영학부 02) 820-5527 http://global.cau.ac.kr 홈페이지 전화번호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지식경영학부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Upload: others

Post on 19-Oct-2021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주소 06974 서울 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310관 406호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지식경영학부

02) 820-5527

http://global.cau.ac.kr홈페이지

전화번호

현 장 경 험 을 바 탕 으 로 한 창 의 적 인 재 육 성

중앙대학교경영경제대학 지식경영학부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Page 2: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School of Knowledge &Business Administration지식경영학부는 글로벌 무한경쟁시대를 선도하고4차 산업혁명 지식기반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지향합니다.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03

MESSAGE연혁교수진학부소개입학안내입시경쟁률 및 졸업현황VISION & MISSION지식경영학이란?CURRICULUM장학제도재직자친화형 학사제도학생생활 및 행사학과 대외소식NEWS310관 소개캠퍼스 안내

04040506080910111214151618192022

Page 3: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04 05

08 특성화고 재직자전형 특별과정 위원회 설립12 글로벌지식학부 설립(고등교육법시행령 제 29조 의거)

03 글로벌지식학부 1기 입학06 현장실습(중국 상해)

01 현장실습(일본 삿포로, 필리핀 마닐라)02 경영경제계열 지식경영학부로 명칭 변경03 지식경영학부 2기 입학

01 교육부 선취업 후진학 지원사업 선정01 현장실습(라오스 비엔티안, 부산, 거제, 여수 등)03 지식경영학부 3기 입학

2009

2010

2011

2012

09 산업체와 산학협력 MOU 체결 : 네모파트너즈11 산업체와 산학협력 MOU 체결 : 형지그룹, ㈜안토니

01 교육부 선취업후진학 지원사업 선정01 현장실습(홍콩, 마카오, 싱가폴)01 공기업과의 산학협력 MOU 체결 : 한국서부발전(주), 한국지역난방공사03 지식경영학부 4기 입학

01 교육부 선취업후진학 지원사업 선정 01 현장실습(베트남, 하노이, 제주도)02 지식경영학부 1회 졸업생 99명 배출03 지식경영학부 5기 입학

2012

2013

2014

01 교육부 평생학습중심대학 선정01 현장실습(태국)02 지식경영학부 2회 졸업생 113명 배출03 지식경영학부 6기 입학(255명)05 학위명 변경10 교육부/교육청 주관 입시설명회11 중등교사 워크샵12 청와대 청년위 간담회

02 교육부 재직자전형 우수교 선정02 현장실습(하계/동계)02 지식경영학부 3회 졸업생 104명 배출03 2016학번 신입생 입학

2015

2016

02 현장실습(하계/동계)02 지식경영학부 4회 졸업생 171명 배출03 산업체와 산학협력 MOU 체결 : 제인파트너스, 하이브랜드 서울03 2017학번 신입생 입학

01 교육부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선정02 현장실습(하계/동계)02 지식경영학부 5회 졸업생 154명 배출03 2018학번 신입생 입학

2017

2018

02 지식경영학부 6회 졸업생 198명 배출03 2019학번 신입생 입학

2019

“일상적인 삶의 방식을 거부하는 비범한 인재를 찾습니다.”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는 남들과 같은 목표로 비슷한 경로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모이는 곳이 아닙니다. 지식경영학부는 남들과 다른 삶의 경험을 가진, 그래서 서로 나눌 것이 많은 이들이 모여 지식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입니다.

전문분야의 실무 현장경험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 이론교육으로 다양한 실무경험을 체계화하고 또한 실무/실천/리더십 능력을 계발하여 무한한 잠재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배움의 장터입니다. 이들이 전문적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갖추어 글로벌 무한 경쟁시대를 선도하고 더 나아가 선진국가 창출과 인류사회 발전에 공헌하는 실천적 창의‧융합형 경영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최명길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교수)지식경영학부장

박찬균 지도교수

학 위 : University of Minnesota Organizational Leadership, Policy and Development Ph.D담 당 : 커리어관리/경영사례분석및개발I/ Effective Communication이메일 : [email protected]연락처 : 02-820-6810

황금주 교수

학 위 : Imperial College, Univ. of London / 경영학박사담 당 : 마케팅, 소비자행동론이메일 : [email protected]연락처 : 02-820-5457

김태하 주임교수

학 위 : University of Arizona, 경영학박사담 당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이메일 : [email protected]연락처 : 02-820-5543

류승완 교수

학 위 : State Univ. of New York at Buffalo / 공학박사담 당 : 경영과학, 경영정보, 기술경영이메일 : [email protected]연락처 : 02-820-5296

김현철 교수

학 위 : Oklahoma State Univ. / 경영학박사담 당 : 마케팅, 촉진관리이메일 : [email protected]연락처 : 02-820-5440

이지은 교수

학 위 : Purdue / 경영학박사담 당 : Consumer Behavior, Retailing, Marketing Research이메일 : [email protected]연락처 : 02-820-5585

임성준 교수

학 위 : Texas at Austin / 경영학박사담 당 : 경영전략, 경영사례분석이메일 : [email protected]연락처 : 02-820-5566

이종건 교수

학 위 : 연세대 / 경영학박사담 당 : 인사관리, 조직행동이메일 : [email protected]연락처 : 02-820-5250

최인혁 교수

학 위 : Columbia / 경영학박사담 당 : 마케팅이메일 : [email protected]연락처 : 02-820-5551

김진수 교수

학 위 : Louisiana State Univ. / 경영학박사담 당 : 기업가정신과�창업트렌드, Design Thinking이메일 : [email protected]연락처 : 02-820-5169

Page 4: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WORKING, LEARNING ANDPERFORMING INGLOBAL PERSPECTIVES

0706

“일상적인 삶의 방식을 거부하는 비범한 인재를 찾습니다.”

중앙대학교지식경영 학부는,

우리는 일상적인 과정을 거쳐 양성된 표준적인 인재보다전문적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갖춘 비범한 인재가 글로벌무한 경쟁 시대를 선도할 것이라고 믿습니다.우리는 또 본인의 선택으로 전문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직업전선에 뛰어든 비범한 인재가 우리 사회 곳곳에서활약하고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이들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기위하여 필요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체계적인전문지식입니다. CAU 지식경영학부가 채워드리겠습니다.

“일상적인 학생 선발방식을 거부합니다.”CAU 지식경영학부는 표준적이지 않은 비범한 인재를선발하기에 일상적인 선발방식을 거부합니다.지원자의 수학능력시험 점수를 선발의 도구로 사용하지않습니다. 삶과 일에 대한 남다른 경험을 가진 인재,무한한 발전 잠재력을 가진 인재를 원합니다.우리는 경험, 열정, 잠재력이 수능 점수로 측정될 수 있다고믿지 않습니다.

Page 5: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0908

모집인원 및 전형방법

전형방법 : 학생부종합전형(2019학년도 신입생 모집요강 기준)

※ 자세한 입학관련 사항은 입학처 홈페이지 참고

입학 자격요건 아래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 산업체 근무 경력이 3년 이상인 재직자 (단, 개강일 기준 재직 중이어야 함) - 특성화고교(대안학교 제외) 졸업자 - 산업수요 맞춤형 고교(마이스터고) 졸업자 - 일반고 졸업자 중 직업교육 훈련과정 이수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중 특성화고 동일 교육과정 이수자 ※ 군 의무복무, 직업군인 등의 군경력도 재직기간으로 인정함 ※ 지원시점 기준(원서접수 시작일) 미재직자는 지원불가

수시모집

정시모집 20명 일괄: 서류 100%

225명 1단계: 서류 100%2단계: 서류 70% + 면접 30%

모집인원 전형요소모집시기

2배수 선발

비고

서류평가 : 학생부, 자기소개서, 직장상사 추천서 등을 근거로 지원자의 학업능력, 사회경력, 자기계발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면접평가 : 학업준비도, 인성 및 의사소통능력, 서류의 신뢰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5인 내외의 집단면접

지식경영학부 학년도별 모집정원‧졸업인원 현황 (2010 ~ 2018)

학년도별 입시경쟁률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글로벌지식학부

지식경영학부

지식경영학부

지식경영학부

지식경영학부

지식경영학부

지식경영학부

지식경영학부

지식경영학부

재직자특별전형 모집단위학년도 모집정원

145

145

149

187

187

255

245

245

245

졸업인원

총 졸업인원

-

-

-

-

99

113

104

171

154

978명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1.2 : 11.5 : 1 1.8 : 1

2.9 : 1

3.9 : 1

4.08 : 13.6 : 1

Page 6: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지식경영학이란?기업의 현장 실무 경험이 풍부한 실무전문가를 대상으로,다양한 경영이론과 최신 산업·기술 지식을 토대로,현장에 맞는 지식 자원을 창출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기업의 혁신을 꾀하려는 분야

경영학 vs 지식경영학

교육 대상

전달 내용

내용의 단위

기업 현장 미경험자

경영학

일반화된 경영 이론의 전달에 치중

경영학 각론의 내용을 별개로 제공

수강자 역할 이론적 내용의 단순한 습득

시장 수요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상과 맞지 않아 최근 들어 취업에 어려움 겪음

기업의 현장 실무 경험 보유자

지식경영학

현장의 상황에 따라 검증되고 특화된 내용

문제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접근

이론을 현장에 맞게 맞춤화·새로운 지식의 개발자 역할도 수행함

오늘날 디지털 경제 사회에서 지식 기반·창의적· 실천적 인력에 대한 수요 증대 전망

기업의 현장 실무 경험

경영 혁신 · 창의 경영

지식 자원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10

선취업 후진학 프로그램의 선도대학으로서지역, 국가, 세계에 임팩트를 주는 대학

“ 선취업 후진학 재직자전형 프로그램의 선도대학 ”

지식경영학부의 인재상

미래의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창의적 사고와문제해결 능력

실무경험과지식경영이론의접목을 통한실용적 지식과실제적 기획능력

지식경영전문 지식을

바탕으로경영, 정보, 기업가

정신을 아우르는통합적 사고력

11

지식경영학부

경영이론

산업/기술 지식

지식관리기법

지구촌의 문화적다양성과 가치를

존중할 줄 아는글로벌

리더쉽 능력창의적

인재

현장형인재

글로벌인재

융합형인재

Page 7: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1312

1학기 : Effective Communication, 경영학원론,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2학기 : 회계학원론, 통계자료분석, 지식정보관리

※ 상기 교과과정은 학사 사정에 따라 다소 변경 될 수 있음.

1학년

2018학년 지식경영학부 교과과정(전공기초 18학점 + 전공필수 21학점 外)

1학기 : 경영정보시스템, 마케팅, 재무회계, 기업가 정신과 창업트랜드, 커리어관리

2학기 : 재무관리, 인사조직관리 (구조직행동론), e-biz실무론 (구e-biz/구지식정보자원관리),

스마트경영, Design Thinking

2학년

1학기 : 지식경영론 (Biz-Analystics), 소비자행동론, 원가회계, 투자론

2학기 : 경영과학 (졸필), 경영전략, Database & Big Data, 세법개론, 촉진관리

3학년

1학기 : 경영사례분석, 세무회계, 국제금융론, 리더쉽

2학기 : 관리회계, 마케팅전략, 노사관계론

4학년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경영정보

시스템

재무회계

마케팅 재무관리

커리어관리

기업가정신과창업

트렌드

경영과학

지식정보관리

E-biz실무론

원가회계

소비자행동론

투자론 인사조직관리

Design

Thinking

경영전략

회계학원론

스마트경영

세법개론

촉진관리

국제금융론

노사관계론

경영사례분석

경제학원론

지식경영론

세무회계

리더쉽

Effective

Communication

Database&

Big Data

관리회계

마케팅전략

통계자료분석

※ 상기 커리큘럼은 학사 사정에 따라 다소 변경 될 수 있음.

기초영역

경영정보

회계영역 마케팅 재무 인사 창업 운영/

전략

실천적 지식경영인 육성기초영역 및 경영핵심영역 학습을 바탕으로 지식관리방법영역, 경영지식통합영역, 경영지식실천영역의 역량을 함양

Page 8: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14 15

※ 2018년 지식경영학부 1인당 장학 수혜율 74.7% (교내, 교외포함)※ 상기 장학제도 外 국가장학 및 교내 근로장학 시행중※ 2018년 교육부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특성화 장학 시행중

직장업무와 학업을 같이 수행해야하는 지식경영학부의특성을 고려하여 필수교양과목을 면제, 졸업여건을 완화,저녁과 토요일에 수업진행 등 재직자전형학부의 성인학습자친화형 학사제도를 운영중

1. 유연한 학위취득요건 -「회계학원론」과목(전공기초) 이수에 따라「앙트레프레너십시대의 회계」 과목(필수교양)이 면제되는 등 일부 필수교양과목을 면제 - 실무경험을 고려하여 일부 졸업요건을 완화

2. 성인학습자 친화형 수업 운영 - 수업을 평일 저녁과 토요일에 진행 - 온라인 강좌 개설(전공과목 CAU-MOOC강좌)

3. 현장실습 - 국내기업(기관) 및 산업현장 등에서 일정기간 동안 전공지식을 응용하고 현장 실무지식과 정보, 기술 등을 습득하여 재직자전형학부의 사회진출 역량과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재취업 · 창업 등 전공 관련 학업증진 프로그램을 운영

4. 학습자지원 튜터링 제도 - 전공 교수진과 대학원생, 우수 졸업생들이 온·오프라인 멘토링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습 관리 및 진로 선택이 가능하도록 지원

기준장학명 금액

- 대학수석(1명), 학과(학부) 수석(1명) : 등록금액 100%- 학년수석(1학년 2명, 2학년 1명, 3학년 1명, 4학년 1명) : 65%- 학년우수 1학년 : 24명 2학년 : 15명 3학년 : 15명 4학년 : 10명 (위의 학생 제외한 상위 10% 인원) : 등록금액 35%

상위 10%1. 16학점이상 신청2. F 학점 없는경우

성적우수장학금

4명200만원지식경영학부홍보대사 선발

홍보대사장학금

인원

4명최우수상 : 200만원우수상 : 100만원장려상 : 50만원

수기공모전 수상수기공모전장학금

5명30만원입시설명회기획·지원인원

입시설명기획·지원단장학금

Page 9: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16 17

1. 입학/졸업

2. 실무역량

· 신입생환영회 / OT- 매년 신입생을 위한 학부소개, 교육과정 안내. 학생생활안내

- 중앙대학교 총장 명의 학사학위 취득 경영경제대학 졸업식

- 학부생 전체의 유대감 형성과 학생간 소속감 고취를 위한 학생 행사

- 교수, 졸업생과 재학생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학부 전체 행사

- Independent Study 방식의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창업 아이템 구상 (하계/동계 방학)

- 재직자 전형제도의 활성화 및 교과과정 운영 전반의 이해

· 현장실습

· 워크숍

- 공공의 이익을 위해 함께 나서는 봉사활동 (하계)

- 학생들의 복지와 원활한 학업을 위한 학생자치활동

· 봉사활동

· 학생회 활동 外

· 학위수여식

3. NETWORKING

4. 학생활동

· 전체 MT

· 동문의 밤

Page 10: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선취업·후진학 우수 선도대학으로 4년 연속 선정되었으며, 2016년에는 교육부 주관 재직자 전형 우수교로 선정되었다.2018년에는 선취업·후진학을 활성화하고, 성인 학습자 친화적 고등교육 학사체계 마련을 위한 교육부의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선정 되었다.

2015학년도 지식경영학부 신입생 우리은행 김성록 (54·사진 오른쪽) 안양중앙금융센터장은 오는 3월 둘째 딸 김솔(21)씨의 중앙대 후배가 된다. 그는 지식 경영학부 특성화고교재직자 전형에 합격한 신입생 이고, 딸은 중국어문학 전공 3학년에 올라간다.

특성화고교재직자 전형은 전문계 고교를 나와 기업 에서 3년 이상 일한 사람이 대상이다. 1980년 광주상고를 졸업해 상업은행에 입사한 김씨는 중학 시절 주산 국가대표로 일본에서 열린 국제대회에서

첫 등교때부터 ‘무슨일이 있어도 수업에 빠지지말자’는게 스스로의 다짐이었다. 실제로 단 한 번의 결석도, 지각도 하지 않았다. 또한 다른 학생들에 비해 직장경력이 길다보니 공부에 조금 더 시간을 투자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는 것도 원인이었다고 생각한다. 긴 회사 경험 역시 ‘경영학’을 이해 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중앙대 지식경영학부에서 배우는 것들은 일반 4년제 대학과 거의 같다. 그만큼 일과 공부를 병행 하기가 쉽지 않다는뜻이다. 단순히 ‘간판’을 원한다면 다른 방법을 생각하는 게 좋을 것같다. 또 학교에 다니면서 회사 상사나 동료들과의 관계를 잘 풀어야 한다. 사실 웬만한 기업은 ‘제도적’ 으로는 자기 계발에 긍정적이다. 그러나 실제 한 사람이 지나치게 자기 계발에만 몰두하면 구성원 사이에 ‘인간적’ 트러블이 생길 수 있다. 이를 잘 풀어야 한다.

앞서 말했듯이 재직자특별전형을 통한 학사 학위 취득은 학사 관리나 커리큘럼 모두 결코 만만치 않다. 일과함께 해야하므로 어떻게 생각하면 개인적으로는 일반전형에 비해 더 어려운 것 같다. 기존 야간대학과는 명확히 다른 점이다. 이를 이해했으면 한다. 이 제도가 잘 운영되기 시작하면 이에 대한 이해가 늘어날 것이라고 본다.

2010년 시작된 재직자특별전형은 2014년 첫 ‘공식 졸업생’을 배출했다. 하지만 윤균철씨는 조기졸업을 통해 2013년 8월 학사 학위를 받은 ‘진정한 첫 재직자 특별전형 졸업생’이다. 그는 “늦은 나이였지만 대학을 무사히 졸업한 게 자랑스럽고 스스로 대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대학은 인생의 큰 터닝포인트가 됐다”고 강조했다.

개인과 팀 우승을 거머쥔 '주산왕' 출신이다. 퇴직 후를 연구하던 그는 '대학에 들어가 노후자산관리 전문가가 되자'고 목표를 세웠고, '중앙대 15학번'으로 딸과 동문으로 캠퍼스에서 만나게 됐다. 낮에는 금융센터장으로 일하고, 퇴근 후에는 신입생으로 공부하는 것. 솔씨는 "아빠는 요즘 틈만 나면 학교 사이트에 들어가 강의 목록을 열어보며 '넌 1학년 때 무슨 수업 들었느냐'고 물으신다"며 웃었다.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대학 졸업은 인생의 터닝포인트가 됐죠” - 한경비지니스 인터뷰

Q. 대학 진학의 계기는.회사에서 어느 정도 자리 잡고 나니 ‘대학 공부를 더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점점 커졌기 때문이다.

Q. 여러 대학 중 중앙대 지식경영학부를 선택한 이유는 .2010년 당시 선택할 수 있는 대학은 세 군데 정도였는데, 중앙대 지식경영학부가 그간의 커리어와가장 맞는 학부였다. 직장인 여의도와 가깝다는 것도 선택 이유 중 하나였다.

Q. 높은 학점의 비결은 무엇인가.

Q. 가장 도움이 된 커리큘럼은.하나는 ‘경영 사례 연구’, 다른 하나는 ‘조직행동론’이었다. 둘 모두 실제 회사 생활에 큰 도움이 됐다.

Q. 재직자특별전형에 도전하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이 있다면.

Q. 회사나 사회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Q. 앞으로의 계획은.그간의 커리어와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새 사업을 준비 중이다. 1~2년 새 이 사업을 안착시키고 대학원이나 MBA 과정에 진학하는 게 목표다.

1회 졸업생 윤균철(경영경제대학

전체수석 4.48/4.5)

18 19

교육부, 재직자전형 우수대학 선정 및2018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선정

둘째 딸 대학 후배 된 왕년의 ‘주산왕’

Page 11: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지식경영학부에 입학해 캠퍼스라이프를 보낼 곳은국내대학 단일건물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100주년기념관 및 경영경제관입니다.

21

중앙대학교 100년의 역사가 담긴 히스토리월 (History Wall)이 보이는 이곳은 웅장함이 느껴지는 로비입니다. 각종 공연이 열리는 소극장과 학교생활에 필수인 카페도 위치하고 있습니다.

1.로비

지하4층에는 학생식당부터 중앙대의 명물 카우버거와 과제를 뽑을 수 있는 캐논 출력센터 그 외에 빵집, 미용실, 우체국, 꽃집, 문구점, 편의점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위치해있습니다.

2.학생편의시설

310관은 다목적 대형강의실부터 Study room 및 소규모 세미나실까지 학업을 지원하고 학습공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3.강의실(첨단강의실, 세미나실)

체력증진을 위한 운동 후에는 지하 1층의 여성샤워실, 지하 2층의 남성샤워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4.샤워실

406호에 지식경영학부 사무실, 507호에 지식경영학부 학생회실이 위치해 있습니다.

5.학부사무실, 학생회실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20

310관 소개

Page 12: School of Knowledge & Business Administration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22

흑석역 /

명수대현대아파트

호선

흑석 (중앙대입구)역 4번 출구

상도터널 / 상도동

지선버스 (초록색) : 5511, 5517, 5524, 6411

간선버스 (파란색) : 151, 350, 360, 462, 640, 642, 752

광역 및 공항버스 (빨간색) : 9408, 6000, 6016

- 흑석역 / 명수대현대아파트 정류장 하차 후 아래 마을버스 이용

- 중앙대 후문까지 도보 20분 거리

⇒ 마을버스 (01, 10, 21) : 중앙대병원 → 중앙대정문 → 중앙대중문 → 중앙대후문

간선버스 (파란색) : 501, 506, 750A, 750B

- 상도터널 / 상도동 정류장 하차 후 아래 마을 버스 이용

- 중앙대 후문까지 도보 10분 거리

⇒ 마을버스 (01, 10, 21) : 상도역 → 이화약국 → 중앙대후문

지 하 철

버 스

중앙대 후문까지 도보 20분 거리

⇒ 마을버스 (01, 10, 21) : 중앙대병원 → 중앙대정문 → 중앙대중문 → 중앙대후문

9

호선

상도역 5번 출구중앙대 후문까지 도보 10분 거리

⇒ 마을버스 (01, 10, 21) : 상도역 → 이화약국 → 중앙대후문

7

호선

노량진역 1번 출구셔틀버스, 마을버스 이용

⇒ 학교셔틀버스 : 노량진역 → 상도역 → 중앙대후문

⇒ 마을버스 (01) : 노량진역 → 상도역 → 이화약국 → 중앙대후문

1

101. 영신관 102. R&D센터 및 약학대학 103. 파이퍼홀 104. 수림과학관 105. 제1의학관 106. 제2의학관

107. 교양학관 201. 본관 202. 전산정보관 203. 서라벌홀 204. 중앙도서관 205. 학생회관 206. 학생문화관

207. 봅스트홀 208. 제2공학관 301. 중앙문화예술관 302. 대학원 303. 법학관 305. 교수연구동 및 체육관

310. 100주년기념관

100주년기념관 (310관) 4층 406호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힘재직자 특별전형의 요람

중앙대학교 지식경영학부

※ 본 제작물은 2018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예산으로 제작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