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 disturbance

7
34 Copyright © 2012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ORIGINAL ARTICLE J Korean Sleep Res Soc 2012;9:34-40 ISSN 1738-608X e Influence of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 Disturbance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A Comparison with Chronic Osteoarthritis Geun Tae Kim 1 , Sang-Hyon Kim 2 , Mei Ling Song 3 and Yong Won Cho 1 1 Departments of Neurology, 2 Rheumatology, Dongsan Medical Center,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3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신체 불편감과 수면장애가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와 비교 김근태 1 , 김상현 2 , 송미령 3 , 조용원 1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신경과학교실, 1 류마티스내과, 2 계명대학교 간호대학원 3 Received November 26, 2012 Revised December 16, 2012 Accepted December 16, 2012 Address for correspondence Yong Won Cho, MD Department of Neurology, Dongsan Medial Center,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56 Dalseong-ro, Jung-gu, Daegu 700-712, Korea Tel: +82-53-250-7830 Fax: +82-53-250-7840 E-mail: [email protected] Objectives: e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RLS) had a lower quality of life (QOL) than normal controls. However, it’s debatable which affects their QOL more, disturbing pain or poor sleep quality. We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QOL in patients with RLS, and compared the results to those of patients with chronic osteoarthritis (OA) who were having similar physical discomfort. Methods: is is a prospective case-control study comparing the QOL of 153 RLS patients with those of 153 OA patients. To evaluate the degree of physical discomfort, the QOL and the quality of sleep, all subjects completed various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the SF-36, the 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Korean versions of the Pitts- burg Sleep Quality Index and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and the insomnia severity index. We used the χ 2 -test, t-test, analysis of co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methods for analy- sis. Results: e QOL in patients with RLS was higher than those with OA, though pain severity (physical discomfort) was similar in both groups. However, the quality of sleep in RLS patients was poorer than those with OA. rough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 can recognize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QOL in RLS patients was the severity of their physical symptoms. Conclusions: We found the quality of sleep had less of an influence on the QOL than the physical discomfort of the patients with RLS. J Korean Sleep Res Soc 2012;9:34-40 Key Words: Restless legs syndrome, Osteoarthritis, Sleep quality, Quality of life. 하지불안증후군은 감각운동 신경계 질환으로, 다리를 직이고 싶은 충동과 함께 다리가 불편하거나 불쾌한 느낌을 동반하며, 이러한 증상이 움직이지 않을 시작되거나 악화되며, 움직임에 의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완화되고, 낮보다는 저녁이나 밤에 악화되거나 저녁이나 밤에만 발생 하는 것이 특징이다. 1,2 하지불안증후군은 유럽과 미국에서 7.2~11.5%, 3-9 한국인에서는 3.9%유병률을 보이는 물지 않은 질환이다. 10 하지불안증후군에서 다리가 불편한 증상은 아프다, 저리다, 당긴다, 조인다, 가렵다, 말로 표현하 어렵다 여러 가지 언어들로 표현되며, 11 야간에 주로 발생하여 수면에 들기 어렵거나 유지하기 어려워 수면장애 흔히 동반한다. 지금까지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에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은 정상인보다 삶의 질이 낮다고 알려져 있으며 12,13 고혈압이나 당뇨 등의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과 비교해도 하지불안증후군 환자 삶의 질이 비슷하거나 낮다고 알려져 있다. 13-18 그러나,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이 육체적인 다리의 불편감 때문인지, 혹은 흔히 동반되는 수면 online © ML Comm

Upload: others

Post on 17-Nov-2021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The Influence of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 Disturbance

34 Copyright © 2012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ORIGINAL ARTICLEJ Korean Sleep Res Soc 2012;9:34-40 ISSN 1738-608X

The Influence of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 Disturbance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A Comparison with Chronic Osteoarthritis

Geun Tae Kim1, Sang-Hyon Kim2, Mei Ling Song3 and Yong Won Cho1

1Departments of Neurology, 2Rheumatology, Dongsan Medical Center,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3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신체 불편감과 수면장애가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와 비교

김근태1, 김상현2, 송미령3, 조용원1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신경과학교실,1 류마티스내과,2 계명대학교 간호대학원3

Received November26,2012Revised December16,2012Accepted December16,2012

Address for correspondenceYongWonCho,MDDepartmentofNeurology,DongsanMedialCenter,KeimyungUniversitySchoolofMedicine,56Dalseong-ro,Jung-gu,Daegu700-712,KoreaTel:+82-53-250-7830Fax:+82-53-250-7840E-mail:[email protected]

Objectives: Thepatientswithrestlesslegssyndrome(RLS)hadalowerqualityoflife(QOL)thannormalcontrols.However,it’sdebatablewhichaffectstheirQOLmore,disturbingpainorpoorsleepquality.WeinvestigatedthefactorsthatinfluencetheQOLinpatientswithRLS,andcomparedtheresultstothoseofpatientswithchronicosteoarthritis(OA)whowerehavingsimilarphysicaldiscomfort.Methods: Thisisaprospectivecase-controlstudycomparingtheQOLof153RLSpatientswiththoseof153OApatients.Toevaluatethedegreeofphysicaldiscomfort,theQOLandthequalityofsleep,allsubjectscompletedvariousquestionnaires,whichincludedtheSF-36,theVisualAnalogueScaleforpain,KoreanversionsofthePitts-burgSleepQualityIndexandtheEpworthSleepinessScale,andtheinsomniaseverityindex.Weusedtheχ2-test,t-test,analysisofcovariance,Pearson’scorrelation,multiplestepwiseregressionmethodsforanaly-sis.Results: TheQOLinpatientswithRLSwashigherthanthosewithOA,thoughpainseverity(physicaldiscomfort)wassimilarinbothgroups.However,thequalityofsleepinRLSpatientswaspoorerthanthosewithOA.Throughmultiplestepwiseregressionanalysis,wecanrecognizethatthemostimportantfactoraffectingtheQOLinRLSpatientswastheseverityoftheirphysicalsymptoms.Conclusions: WefoundthequalityofsleephadlessofaninfluenceontheQOLthanthephysicaldiscomfortofthepatientswithRLS. J Korean Sleep Res Soc 2012;9:34-40

Key Words: Restlesslegssyndrome,Osteoarthritis,Sleepquality,Qualityoflife.

서 론

하지불안증후군은 감각운동 신경계 질환으로, 다리를 움

직이고 싶은 충동과 함께 다리가 불편하거나 불쾌한 느낌을

동반하며, 이러한 증상이 움직이지 않을 때 시작되거나 더

악화되며, 움직임에 의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완화되고,

낮보다는 저녁이나 밤에 악화되거나 저녁이나 밤에만 발생

하는 것이 특징이다.1,2 하지불안증후군은 유럽과 미국에서

7.2~11.5%,3-9 한국인에서는 약 3.9%의 유병률을 보이는 드

물지 않은 질환이다.10 하지불안증후군에서 다리가 불편한

증상은 아프다, 저리다, 당긴다, 조인다, 가렵다, 말로 표현하

기 어렵다 등 여러 가지 언어들로 표현되며,11 야간에 주로

발생하여 수면에 들기 어렵거나 유지하기 어려워 수면장애

를 흔히 동반한다. 지금까지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에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은 정상인보다

삶의 질이 낮다고 알려져 있으며12,13 고혈압이나 당뇨 등의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과 비교해도 하지불안증후군 환자

의 삶의 질이 비슷하거나 낮다고 알려져 있다.13-18 그러나,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이

육체적인 다리의 불편감 때문인지, 혹은 흔히 동반되는 수면

online © ML Comm

Page 2: The Influence of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 Disturbance

www.sleepnet.or.kr 35

Kim GT et al.

장애 때문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퇴행

성 골관절염은 노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하지의 퇴

행성 골관절염은 신체적으로 다리에 불편을 호소하는 질환

이다.17,18 본 연구에서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의 삶의 질

저하 요인이 신체적 불편감으로 인함인지 혹은 동반된 수면

장애로 인함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하지불안증후군과 유사

하게 다리의 신체적 불편감을 호소하는 퇴행성 골관절염 환

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두 군의 삶의 질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신체적 불편감과 수면 장애

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본 연구는 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로서, 2008년 1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대학교병원 수면클리닉에 내원한 하지불안

증후군 환자 153명과 같은 병원 및 지역의 관절염 전문 병원

을 내원한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하지불안증후군의 진단은 국제하지불안증후군연구회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의 4가

지 진단 기준1을 사용하고 이 진단 기준을 모두 만족한 환자

를 대상으로 신경과 의사가 직접 병력청취 및 신경학적 검

사를 시행하여 하지불안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다른 질환들과 감별한 뒤 최종 진단하였다. 국제 하지불안증

후군 연구회의 4가지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있으며, 대개 다리가 불편하거나 불쾌

한 느낌을 동반한다. 때때로 불편한 느낌 없이 다리를 움직

이고 싶은 충동만을 느끼거나, 다리와 함께 팔 등의 다른 신

체 부위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2) 움직이고 싶은 충동

및 불쾌한 느낌이 쉬거나, 누워있거나, 앉아있을 때처럼 움

직이지 않을 때 시작되거나 더 악화된다. 3)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나 불쾌한 느낌은 걷거나 뻗는 등의 움직임에 의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완화된다. 4)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나 불쾌한 느낌은 낮보다는 저녁 및 밤에 나빠지거나, 단지

저녁, 밤에만 발생한다(증상이 심해지면 야간 악화가 뚜렷

하지 않을 수 있지만, 과거에는 그런 양상이 분명히 있었던

경우).1 퇴행성 골관절염의 진단은 미국류마티스학회에서 제

시된 퇴행성 골관절염의 진단 기준을 사용하였다.19,20

대상군 중 파킨슨병 등의 만성 퇴행성 뇌질환, 신부전으로

인해 투석을 받는 경우, 간기능을 반영하는 효소가 정상치의

2.5배 이상인 경우, 크레아티닌 수치가 남성은 1.4 mg/dL 이

상, 여성은 1.5 mg/dL 이상인 경우, 최근 14일간 도파민성

악물, 항경련제,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혹은 도파민성 약

물을 포함한 정신과적 약물 등 하지불안 증후군 증상에 중요

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한 경우, 최근 2년 이내

알코올 혹은 약물 중독 과거력이 있는 경우, 직업 등으로 인

해 규칙적인 수면-각성주기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척추협

착증, 만성 요통 등 신체 불편감과 관련된 질환을 가진 경우,

당뇨 혹은 퇴행성 골관절염보다 하지불안증후군 증상이 선

행하는 경우, 이미 슬관절 대체술을 시행 받은 경우, 5년 이

내에 암 진단을 받았으며 완치되지 않은 경우는 제외하였다.

또한, 대상군 중 이차성 하지불안증후군은 제외하였으며, 하

지불안증후군 이외 다른 수면장애가 동반된 환자들도 대상

에서 제외하였다.

평가 방법본 연구에서는 restless legs syndrome(RLS) 환자의 나이,

성별, 시작연령 등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들과 함께 하지불안

증후군 심각도, 하지의 신체 불편감, 삶의 질, 수면의 질, 주

간 졸음, 우울과 불안을 평가하였다.

하지불안증후군 관련 척도

하지불안증후군의 심각도 평가는 국내 환자들을 대상으

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RLS Scale(K-IRLS)21을 사용하였다. K-IRLS는

RLS 주요 증상의 평가, 증상의 정도와 빈도, 수면장애와 관

계, 환자의 기분과 낮 동안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포함하여 총 10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총점은 40점으로

중증도는 총점을 기준으로 0~10점은 경도, 11~20점은 중등

도, 21~30점은 중증, 31~40점은 최중증으로 분류된다.

하지의 신체 불편감은 Visual Analogue Scale(VAS)를 사

용하였다. VAS는 신체 불편감의 정도를 0점에서 10점까지

점수로 나타내어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 불편감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삶의 질 관련 척도

삶의 질의 평가는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SF-36)

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낮은 것을 의

미한다.22 이 SF-36 설문지는 8개 범주와 총 36개의 문항으

로 구성된 일반 건강수준 측정척도로서, 신체적 기능(physi-cal functioning, PF), 신체적 역할 제한(role physical, RP),

신체적 통증(body pain, BP), 일반 건강(general health, GH),

활력(vitality, VT), 사회적 기능(social functioning, SF), 감정

적 역할 제한(role emotion, RE), 정신건강(mental health,

MH)의 8개 범주로 나누어 건강 수준을 평가하며, 이 중 신체

적 요소는 신체건강 점수(physical component summary, PCS)

Page 3: The Influence of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 Disturbance

36

QOL in RLS Patients

로, 정신적 요소는 정신 건강 점수(mental component sum-mary, MCS)로 요약되어 점수가 산정된다. Ware23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각 문항들의 점수는 일부 가중치를 두어 합산

되었고 합산된 점수는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하지불

안증후군 환자와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에서 SF-36 total(전

체 점수)와 세부 항목별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은 이 질환에 선택적

으로 삶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인 Johns Hopkins RL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RLS_QOL)24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

를 이용하여 한 번 더 평가하였다.21 이 척도는 총 18개 항목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난 4주동안 일상활동, 아침 저녁 활

동, 집중력, 성 생활 등에 대해 평가하며 점수가 낮을수록 삶

의 질이 낮음을 의미한다.

수면관련 척도

수면의 질은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K)로 조사하였으며 총점은 21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이 나쁜 것을 의미한다.25 그 외 주간졸림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KESS)26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주간

졸음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기타 척도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에서 삶의 질에 연관되는 변수를 측

정하기 위하여 우울 척도로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KBDI-2)27와 불안 척도로 Hospital Anxiety

Scale(HAS)28을 사용하였다.

통계 처리

통계학적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for windows ver-sion 19.0을 이용하였다. 하지불안증후군과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의 연령, 성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t와 χ2-test

를 사용하였고, 신체 불편감, 수면의 질, 주간 졸음, 삶의 질

을 비교하기 위하여 analysis of covariance(ANCOVA)를 사

용하였다. 하지불안증후군 중증도별 삶의 질 차이를 비교하

기 위하여 one-way ANOVA를 사용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와 Dunnett T3를 사용하였다. 또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군의 삶의 질에 연관되는 변수를 찾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시행하였고, 하지불안증후군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p값이

0.05 미만일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군은 총 153명, 퇴행성 골관절염 환

자군은 총 15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각각 54.7±9.7세와

64.6±7.3세로, 하지불안증후군과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에

서 나이를 보정한 공변량으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와 퇴행

성 골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 신체 불편감, 수면의 질을 각각

비교하였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RLS(n=153) OA(n=153) p-valueAge(years) 54.7±9.7 64.6±7.3 <0.001Gender(female) 106(69.3%) 121(79.1%) 0.05Onsetage 44.6±12.4 ncSymptomduration(month) 122.9±115.5 nc

RLSseverity(K-IRLS) 25.1±8.0 nc

RLS_QOL 68.5±17.1 nc

KBDI-2 15.9±10.7 nc

HAS 7.2±4.2 nc

Pain VAS 5.7±1.8 5.8±2.6 0.554

SleepPSQI-K 10.8±4.5 7.1±4.3 <0.001KESS 7.3±4.9 3.4±3.4 <0.001

QOL SF-36total 59.7±20.1 50.1±21.5 0.022Mean±standarddeviation.Adjustageascovariate,analysisofcovariancewereusedforanalyzingVAS,PSQI-K,KESS,SF-36.RLS:rest-lesslegssyndrome,OA:chronicosteoarthritis,K-IRLS:KoreanversionoftheInternationalRLSScale,RLS_QOL:JohnsHopkinsRLSqualityoflifequestionnaire,KBDI-2:KoreanversionofBeckDepressionInventory,HAS:HospitalAnxietyScale,VAS:VisualAnalogueScale,PSQI-K:KoreanversionofthePittsburgSleepQualityIndex,KESS:KoreanversionoftheEpworthSleepinessScale,SF-36:36-itemshort-formhealthsurvey,nc:notchecked

Page 4: The Influence of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 Disturbance

www.sleepnet.or.kr 37

Kim GT et al.

삶의 질SF-36을 사용하여 삶의 질을 비교하였을 때, 퇴행성 골관

절염 환자(50.1±21.5)보다 하지불안증후군 환자(59.7±

20.1)에서 삶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2).

SF-36에서 세부 항목 별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와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를 비교하였을 때, PCS(p=0.003), PF(p

<0.001), RP(p<0.001), SF(p=0.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Table 2).

수면의 질 및 주간졸리움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는 하

지불안증후군 환자에서 10.8±4.5이었고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에서는 7.1±4.3으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수면의 질

이 유의하게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KESS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에서 7.3±4.9,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에

서 3.4±3.4이었으며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가 퇴행성 골관절

염 환자보다 주간 졸음이 유의하게 더욱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p<0.001)(Table 1).

신체 불편감하지불안증후군 환자와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에서 신체

불편감을 VAS 척도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을 때, 평균 5.7±

1.8 및 5.8±2.6로,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54)

(Table 1).

하지불안증후군의 심각도에 따른 삶의 질하지불안증후군 환자를 K-IRLS 점수에 따라 본 결과 경

도군이 8명(5.2%), 중등도군이 33명(21.6%), 중증군이 73명

(47.7%), 최중증군이 39명(15.5%)이었다. 이에 RLS 환자를

경도_중등도, 중증, 최중증군으로 나누어 SF-36를 통한 삶

의 질을 비교하였다(Fig. 1).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

은 증상이 심할수록 삶의 질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부항목인 BP, VT, SF, PCS, Total SF-36에서 세 그룹 간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RP, RE, MH는 경도_중등도군과 최중

증군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최중증군이 경도_중등

도군보다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MCS는 경도_

Fig. 1. Scores of SF-36 items in each group of RLS patients classified by K-IRLS. *, †, ‡: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a>b>c; †a>c and b>c; ‡a>c. SF-36: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RLS: restless legs syndrome, K-IRLS: Korea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RLS Scale, RP: role physical, BP: body pain, GH: general health, VT: vitality, SF: social functioning, RE: role emotion, MH: mental health, PCS: physical component summary, MCS: mental component summery.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RP BP GH VT SF RE MH PCS MCS Total

a:Mildmoderateb:Severec:Verysevere‡

**

*

**†

Table 2. Scores of SF-36 items in patients with RLS or OA

RLS OA p-valuePF 68.4±24.4 41.5±28.7 <0.001RP 60.1±41.8 30.4±44.4 <0.001BP 48.0±27.5 44.2±24.8 0.348GH 48.0±22.2 50.7±20.9 0.227VT 49.6±20.3 51.7±20.0 0.081SF 72.9±23.5 60.11±27.3 0.002RE 68.3±41.1 60.6±47.8 0.844MH 61.7±20.8 60.4±20.0 0.773PCS 54.8±20.3 43.7±21.0 0.003MCS 60.1±19.4 56.7±21.3 0.832SF-36total 59.7±20.1 50.1±21.5 0.022Mean±standarddeviation.Adjustageascovariate,analysisofco-variancewereusedforanalysis.SF-36:36-itemshort-formhealthsurvey,RLS:restlesslegssyndrome,OA:chronicosteoarthritis,PF:physicalfunctioning,RP:rolephysical,BP:bodypain,GH:generalhealth,VT:vitality,SF:socialfunctioning,RE:roleemo-tion,MH:mentalhealth,PCS:physicalcomponentsummary,MCS:mentalcomponentsummary

Page 5: The Influence of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 Disturbance

38

QOL in RLS Patients

중등도군과 최중증군, 중증군과 최중증군 사이에서 각각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중증군이 기타 두

그룹보다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하지불안증후군 관련변수와 SF-36, RLS_QOL와의 상관관계하지불안증후군 환자에서 나이, 성별, 발병 나이, 유병기

간, K-IRLS, VAS, PSQI-K, KESS, HAS, KBDI-2 등과 총

SF-36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나이, 발병 나이, 유병

기간을 제외한 기타 변수들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이러한 결과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의 삶의 질을 좀 더 특이적으로 반영하는 RLS_QOL

과의 상관분석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Table 3).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Johns Hopkins RL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을 종속

변수로 하여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시

행하였을 때, K-IRLS가 RLS_QOL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 5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Table 4).

고 찰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는 유사한 정도의 신체적 불편감을

호소하는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들보다 삶의 질은 높았으나,

수면의 질은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은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

들 보다 SF-36 total 점수가 높았으며, SF-36의 세부항목

별로 비교하였을 때, PCS, PF, RP, SF항목에서 하지불안증

후군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들은 주로 육체적인 요소

와 관련된 항목이며,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전체적인 삶의

질이 더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BP, GH, VT, RE, MH, MCS

등의 정신적인 요소에서는 두 환자군 사이에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의 삶의 질은

퇴행성골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에 비해서 정신적 요소보다

는 육체적 요소가 상대적으로 적게 영향을 미쳐 삶의 질이

더 좋았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겠다.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에서 신체 불편감은 다양하게 표현

되며, 신체 불편감의 정도가 심할수록 하지불안증후군의 중

증도가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다.29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의

증상 심각도와 SF-36의 범주를 각각 비교하였을 때 SF-36

total 및 대부분 세부항목에서 증상 심각도와 유의한 상관관

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하여 하지불안증후군의 증상의 심각

도가 심할수록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이 나빠지는

Table 3. Correlation various parameters of RLS patients with SF-36 and RLS_QOL

SF-36 RLS_QOLCorrelationcoefficient p-value Correlationcoefficient p-value

Age -0.12 0.139 -0.06 0.434Sex -0.18 0.022 0.08 0.301Onsetage -0.07 0.37 -0.04 0.622Symptomduration -0.02 0.745 -0.01 0.894K-IRLS -0.47 <0.001 -0.75 <0.001VAS -0.39 <0.001 -0.61 <0.001PSQI-K -0.29 <0.001 -0.44 <0.001KESS -0.20 0.010 -0.35 <0.001KBDI-2 -0.56 <0.001 -0.31 <0.001HAS -0.49 <0.001 -0.37 <0.001RLS:restlesslegssyndrome,SF-36:36-itemshort-formhealthsurvey,RLS_QOL:JohnsHopkinsRLSqualityoflifequestionnaire,K-IRLS:KoreanversionoftheInternationalRLSScale,VAS:VisualAnalogueScale,PSQI-K:KoreanversionofthePittsburgSleepQualityIndex,KESS:KoreanversionoftheEpworthSleepinessScale,KBDI-2:KoreanversionofBeckDepressionInventory,HAS:HospitalAnxietyScale

Table 4. Variables effect to the quality of RLS patients

B β R2 t pConstant 109.69 36.47 <0.001K-IRLS -1.51 -0.71 0.57 -12.66 <0.001KESS -0.41 -0.12 0.01 -2.13 0.035

R2=0.58,F=103.01,p<0.001SetRLS_QOLasadependentvariable,K-IRLS,VAS,PSQI,KESS,KBDI-2,HASasindependentvariables,andF-valuemeasuredbystepwisemultipleregressionanalysis.RLS:restlesslegssyndrome,K-IRLS:KoreanversionoftheInternationalRLSScale,KESS:Ko-reanversionoftheEpworthSleepinessScale,VAS:VisualAna-logueScale,PSQI-K:KoreanversionofthePittsburgSleepQualityIndex,KBDI-2:KoreanversionofBeckDepressionInventory,HAS:HospitalAnxietyScale

Page 6: The Influence of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 Disturbance

www.sleepnet.or.kr 39

Kim GT et al.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지불안증후군 환

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표들에 대한 상관분석

을 시행한 결과 나이, 발병 나이, 유병 기간을 제외한 신체

불편감(통증), 수면과 정신건강에 관계된 지표들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RLS_QOL과의 상관분석에도

신체 불편감(통증), 수면과 정신건강에 관련된 지표들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

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가장 의미 있는 요인은 하지불안

증후군의 증상의 심각도였다. 이 결과는 하지불안증후군 증

상이 심할수록 환자들의 삶의 질이 낮았던 결과를 보여준

최근의 여러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13-17

수면장애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에서 50~85%까지 동

반되는 주요 증상이다.8 본 연구에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수면의 질이 골관절염 환자보다 유의하게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간 졸음 증상도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가 골관

절염 환자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이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

가 골관절염 환자보다 더욱 많은 수면관련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의 신체 불편감의 정도

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신체 불편감 정도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수면의 질은 하지불안증후군 환

자가 더 나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지불

안증후군 환자들의 삶의 질이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들의 삶

의 질에 비해 더 높았다. 이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에서

수면의 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

은 것으로 추론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와 퇴행성 골

관절염 환자의 나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러한 나이 차이는 하지불안증후군과 퇴행성 골관절염의 각

각의 발병 연령이 차이에10,30 따른 필연적인 결과의 반영으

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와 퇴

행성 골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 비교에서 교육정도, 경제수

준, 등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몇몇 변수들이 빠져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후행 연구가 필요하겠다.

요 약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과, 유사한 정도의 신체적 불편감

을 호소하는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들의 삶의 질을 비교하였

을 때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이 삶의 질은 높았으나, 수면의

질은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하지불안증후군 환

자는 수면장애를 흔히 동반하지만 수면장애가 삶의 질에 부

정적인 영향은 신체증상으로 인한 영향에 비해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

REFERENCES

1.WaltersAS.Towardabetterdefinitionoftherestlesslegssyndrome.TheInternationalRestlessLegsSyndromeStudyGroup.Mov Disord1995;10:634-642.

2.AllenRP,PicchiettiD,HeningWA,etal.Restlesslegssyndrome:diag-nosticcriteria,specialconsiderations,andepidemiology.AreportfromtherestlesslegssyndromediagnosisandepidemiologyworkshopattheNationalInstitutesofHealth.Sleep Med2003;4:101-119.

3.TisonF,CrochardA,LégerD,BouéeS,LaineyE,ElHasnaouiA.Epi-demiologyofrestlesslegssyndromeinFrenchadults:anationwidesurvey:theINSTANTStudy.Neurology2005;65:239-246.

4.HöglB,KiechlS,WilleitJ,etal.Restlesslegssyndrome:acommunity-basedstudyofprevalence,severity,andriskfactors.Neurology2005;64:1920-1924.

5.BjorvatnB,LeissnerL,UlfbergJ,etal.Prevalence,severityandriskfactorsofrestlesslegssyndromeinthegeneraladultpopulationintwoScandinaviancountries.Sleep Med2005;6:307-312.

6.HeningW,WaltersAS,AllenRP,MontplaisirJ,MyersA,Ferini-Stram-biL.Impact,diagnosisandtreatmentofrestlesslegssyndrome(RLS)inaprimarycarepopulation:theREST(RLSepidemiology,symptoms,andtreatment)primarycarestudy.Sleep Med2004;5:237-246.

7.RothdachAJ,TrenkwalderC,HaberstockJ,KeilU,BergerK.Preva-lenceandriskfactorsofRLSinanelderlypopulation:theMEMOstudy.MemoryandMorbidityinAugsburgElderly.Neurology2000;54:1064-1068.

8.AllenRP,WaltersAS,MontplaisirJ,etal.Restlesslegssyndromeprev-alenceandimpact:RESTgeneralpopulationstudy.Arch Intern Med2005;165:1286-1292.

9.BergerK,LuedemannJ,TrenkwalderC,JohnU,KesslerC.Sexandtheriskofrestlesslegssyndromeinthegeneralpopulation.Arch In-tern Med2004;164:196-202.

10.ChoYW,ShinWC,YunCH,etal.Epidemiologyofrestlesslegssyn-dromeinKoreanadults.Sleep2008;31:219-223.

11.SforzaE,MathisJ,BassettiC.Restlesslegssyndrome:pathophysiologyandclinicalaspects.ARCHIVES SUISSES DE NEUROLOGIE ET DE PSYCHIATRIE2003;154:349-357.

12.KushidaCA,AllenRP,AtkinsonMJ.Modelingthecausalrelationshipsbetweensymptomsassociatedwithrestlesslegssyndromeandthepa-tient-reportedimpactofRLS.Sleep Med2004;5:485-488.

13.HappeS,ReeseJP,Stiasny-KolsterK,etal.Assessinghealth-relatedqualityoflifeinpatientswithrestlesslegssyndrome.Sleep Med2009;10:295-305.

14.HongSY,LeeJH,ChoYW.QualityoflifeinpatientswithrestlesslegssyndromeinKorea:comparisonwithotherchronicdiseases.J Korean Neurol Assoc2010;28:257-262.

15.WinkelmanJW,ShaharE,ShariefI,GottliebDJ.AssociationofrestlesslegssyndromeandcardiovasculardiseaseintheSleepHeartHealthStudy.Neurology2008;70:35-42.

16.McCrinkL,AllenRP,WolowaczS,SherrillB,ConnollyM,KirschJ.Predictorsofhealth-relatedqualityoflifeinsuffererswithrestlesslegssyndrome:amulti-nationalstudy.Sleep Med2007;8:73-83.

17.CookC,PietrobonR,HegedusE.Osteoarthritisandtheimpactonqualityoflifehealthindicators.Rheumatol Int2007;27:315-321.

18.KimIJ,KimHA,SeoYI,etal.Prevalenceofkneepainanditsinflu-enceonqualityoflifeandphysicalfunctionintheKoreanelderlypop-ulation:acommunitybasedcross-sectionalstudy.J Korean Med Sci2011;26:1140-1146.

19.AltmanR,AschE,BlochD,etal.Developmentofcriteriafortheclas-sificationandreportingofosteoarthritis.Classificationofosteoarthri-tisoftheknee.DiagnosticandTherapeuticCriteriaCommitteeoftheAmericanRheumatismAssociation.Arthritis Rheum1986;29:1039-

Page 7: The Influence of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 Disturbance

40

QOL in RLS Patients

1049.20.BálintG,SzebenyiB.Diagnosisofosteoarthritis.Guidelinesandcur-

rentpitfalls.Drugs1996;52Suppl3:1-13.21.YangJG,KimDH,LeeJH,etal.ThereliabilityandvalidityoftheKo-

reanversionsoftheInternationalRestlessLegsScaleandtheRestlessLegsSyndromeQualityofLifeQuestionnaire. J Korean Neurol Assoc2010;28:263-269.

22.NamBH,LeeSW.TestingthevalidityoftheKoreanSF-36healthsur-vey.J Korean Soc Health Stat2003;28:3-24.

23.WareJEJr.SF-36healthsurveyupdate.Spine (Phila Pa 1976)2000;25:3130-3139.

24.AbetzL,VallowSM,KirschJ,AllenRP,WashburnT,EarleyCJ.Valida-tionoftheRestlessLegsSyndromeQualityofLifequestionnaire.Value Health2005;8:157-167.

25.SohnSI,KimdoH,LeeMY,ChoYW.ThereliabilityandvalidityoftheKoreanversionofthePittsburghSleepQualityIndex.Sleep Breath

2012;16:803-812.26.ChoYW,LeeJH,SonHK,LeeSH,ShinC,JohnsMW.Thereliability

andvalidityoftheKoreanversionoftheEpworthsleepinessscale.Sleep Breath2011;15:377-384.

27.SungHM,KimJB,ParkYN,BaiDS,LeeSH,AhnHY.AstudyonthereliabilityandthevalidityofKoreanversionoftheBeckDepressionIn-ventory-II(BDI-II).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2008;14:201-210

28.ZigmondAS,SnaithRP.Thehospitalanxietyanddepressionscale.Acta Psychiatr Scand1983;67:361-370.

29.GodauJ,SpinnlerN,WeversAK,TrenkwalderC,BergD.Pooreffectofguidelinebasedtreatmentofrestlesslegssyndromeinclinicalprac-tice.J Neurol Neurosurg Psychiatry2010;81:1390-1395.

30.KimJ,SongYW,LeeJC,etal.Thestudyofriskfactorsforsymptomat-ickneeosteoarthritisinKorea.J Korean Rheum Assoc2008;15:123-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