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fly-2011 korea

88
Copyright © Schattdecor AG 무단복제 불허함 All rights reserved

Upload: -

Post on 09-Mar-2016

218 views

Category:

Documents


5 download

DESCRIPTION

trendfly-2011 Korea

TRANSCRIPT

Page 1: trendfly-2011 Korea

Copyright © Schattdecor AG 무단복제 불허함 All rights reserved

Page 2: trendfly-2011 Korea

순수한 본질은 단순함, 사실성, 그리고 세밀함에 대한 관심을 상징합니다.

내일의 기념품은 1950년과 60년대의 고풍적인 디자인의 새로운 해석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산업의 계승은 현대 디자인과 기법이 접목된 전통기술과

장인정신의 조화에 특별한 관심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다시 경험하는 고전의 가치2011/2012년 샤트데코 제품의 경향은 기본에 충실하고자 하는 일반 소비자들의 바램과 더불어 오래된 전통과 장인정신에 대한 관심의 회복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샤트데코의 디자이너들이 기본에 충실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고전적이며 친근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고개를 돌리게 되었고 그와 더불어, 새로운 기능까지 추가된 제품을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샤트데코의 새로운 디자인 경향에 반영되었습니다. 이것은 고전과 현대의 완벽한 조화 그리고 전통적 제작방식과 더불어, 현대적 디자인과 소재 그리고 적용목적의 결합까지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장인정신의 회복에서, 궁극적으로 디자인이 추구하는 것은 완벽함의 추구가 아닌, 완벽하지 않음입니다.

pure ESSENCE

tomorrow’s Souvenir

industrial HERITAGE

Page 3: trendfly-2011 Korea

Reliving old values Schattdecor’s 2011/2012 trend themes reflect the revival of interest in old tradi-tions and craftsmanship and the general consumer wish for a return to essentials.

In this general search for the ESSENCE of things, designers are turning to classical and familiar forms and combining them with new functions. This is reflected in the new trend themes, which show an accomplished mix of old and new and a merging of earlier means of fabrication with contemporary design, materials and purposes.

In this revival of old handicrafts, the central design concern is not achievement of perfection, but its very opposite – imperfection.

stands for simplicity, authenticity and attention to detail

embodies a complete new interpretation of classic fifties and sixties design

shows particular interest in the pairing of traditional skills and artisan crafts with modern design and functions

pure ESSENCE

tomorrow’s Souvenir

industrial HERITAGE

Page 4: trendfly-2011 Korea
Page 5: trendfly-2011 Korea

pu

re

Material: Act GreenFirma: Römerturm

Farbe: Pantone 447 C

Page 6: trendfly-2011 Korea
Page 7: trendfly-2011 Korea

pure ESSENCE넘치는 정보와 소비재의 과잉 공급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생활 방식을 되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제품의 순수한 본질이라는 주제는 단 기간의, 시즌의 유행이 아닌 지속적인 가치와 영구적인 우수함에 대한 열망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단순함과 세밀함에 대한 관심은 넉넉하고 고요한 스타일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이러한 스타일에는 각지고 기하학적인 형태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가구의 자재, 액세서리 그리고 벽면장식은 부차적인 것이나 제품의 단순함 속에서도 세련된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잘 가공된 천연 원단과 자재는 외형만 강조된 무거운 느낌의 뾰족한 모양과는 대조되는 안락함과 변함없는 가치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천연소재와 장인정신에 대한 장기적인 관심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섬세함에 대한 노력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색상표에서 회갈색 빛은 서로 대조를 이루는 흰색과 회색의 음영 사이에서 그 빛이 만들어 집니다.

Page 8: trendfly-2011 Korea

pure ESSENCEInformation overkill and the glut of consumer goods are making people rethink their lifestyles. The pure ESSENCE theme reflects the longing for enduring values and lasting quality instead of short-lived, seasonal trends.

Simplicity and attention to detail typify the spare and muted style, in which angular and geometric forms play an important role. The materials of furniture, accessories and walls are secondary in importance, yet display sophistication in their simplicity. Finely-worked natural fabrics and materials that express comfort and lasting values form a contrast to the heavy, cubic shapes that embody the style.

The trend reflects a long-term interest in natural materials and craftsmanship as well as quality and attention to detail.

In the colour palette, taupe nuances mediate between contrasting shades of white and grey.

Page 9: trendfly-2011 Korea

10172 Kilkenny Oak 3

pure ESSENCE

Page 10: trendfly-2011 Korea

01015 Mendocino Pine

Page 11: trendfly-2011 Korea

5

pure ESSENCE

Page 12: trendfly-2011 Korea

54078 Vesuv

Page 13: trendfly-2011 Korea

이러한 스타일의 가구 모양지들은 바랜듯한 표현과 흰색을 덧칠해 표현한 나무 결 그리고 3D 디자인 표현으로 자연스러운 모습과 아름다운 시골 풍의 소박함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표면은 세련된 감각을 표현하기 위하여 수공의 느낌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급스러운 품질과 영구성을 위한 디자인 경향은 소나무, 참나무, 웬지나무 그리고 호도나무들로 잘 표현됩니다.

디자인에 보여진 재료들은 라피아 야자 섬유와 현무암과 같은 천연소재의 복제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가구 모양지

Page 14: trendfly-2011 Korea

The furniture decors in the pure ESSENCE style are distinguished by fine rusticality and a natural look. Surfaces make a handcrafted impression for heightened sensory appeal, and patina effects, white washed wood and irregular 3-D texturing add a touch of quality. The trend towards quality and permanence is particularly well represented by pine and oak as well as striking wenge and walnut designs. Decors include reproductions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raffia and basalt.

Furniture decors

Page 15: trendfly-2011 Korea

16016 Wyoming Maple 7

pure ESSENCE

Page 16: trendfly-2011 Korea

01034 Ponderosa Pine

Page 17: trendfly-2011 Korea

10167 Pasadena Oak 9

pure ESSENCE

Page 18: trendfly-2011 Korea

24037 Indian Shesham

Page 19: trendfly-2011 Korea

11

pure ESSENCE

Page 20: trendfly-2011 Korea

23061 Shiraz Wenge

Page 21: trendfly-2011 Korea

20121 Baltimore Walnut 13

pure ESSENCE

Page 22: trendfly-2011 Korea

10162 Cartagena Oak

Page 23: trendfly-2011 Korea

시선을 사로잡는 마루 모양지는 독특한 나뭇결 사이에 기공무늬가 있으며 동시대의 소박한 디자인이 특별히 강조된 부드러운 색조가 돋보이는 패턴들입니다.

흰색이 덧칠해진 소나무와 오래된 느낌을 낼 수 있는 갈색 빛이 나는 회색의 참나무가 이런 특징을 잘 보여 줍니다.

마루 모양지

Page 24: trendfly-2011 Korea

Striking flooring decors stand out to advantage in the down-toned interiors of the pure ESSENCE style, in which woodgrains offering an unusual pore pattern and a contemporary rustic look set special accents. White washed pine and brownish-grey oak with a used look also play a role.

Flooring decors

Page 25: trendfly-2011 Korea

20112 Canyon Lodge Pine 15

pure ESSENCE

Page 26: trendfly-2011 Korea

10629 Western Oak 2-board

Page 27: trendfly-2011 Korea

17

pure ESSENCE

Page 28: trendfly-2011 Korea

10072 Canyon Black Oak

Page 29: trendfly-2011 Korea

20112 Canyon Mountain Walnut 19

pure ESSENCE

Page 30: trendfly-2011 Korea

Notizen l Notes

Page 31: trendfly-2011 Korea
Page 32: trendfly-2011 Korea
Page 33: trendfly-2011 Korea

Material: Grand StyleFirma: Gmund

Farbe: Pantone 5605 C

Page 34: trendfly-2011 Korea
Page 35: trendfly-2011 Korea

내일의 기념품은 1950, 60년대의 디자인을 전혀 새로운 느낌으로 표현하며 이는 미래의 대표적인 디자인으로의 가능성을 가지게 됩니다.

아늑하고 편안한 느낌은 인테리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솜을 많이 채워 넣은 안락의자들, 감각이 살아있는 책상들, 고급스러운 카펫 그리고 개성 있는 콜라주 기법으로 형상화 시킨 독특한 디자인의 액세서리들은 여성스러운 무늬, 전통적인 소재와 고향에 대한 향수를 주어 고향 집이라는 느낌을 갖게 해 줍니다.

내일의 기념품의 아늑하고 편안한 분위기는 가정적이고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어 줄 것입니다.

천연나무결의 색조는 내일의 기념품 색채의 기본 바탕으로 이것은 맑은 하늘색과 노란빛이 감도는 초록색의 배합이 가미된 황토색과 부드러운 꿀과 같은 색조를 제공합니다. 강렬한 겨자색의 사용은 1960년대의 고전적인 느낌을 선사합니다.

tomorrow’s Souvenir

Page 36: trendfly-2011 Korea

tomorrow’s Souvenir embodies fifties and sixties design in a new interpretation that shows the potential to become a future classic. A homely and cosy feel plays a prime role in the interiors of the style.

Feminine patterning, traditional materials and a touch of nostalgia determine the home, with overstuffed armchairs, stylish desks, plush carpets and whimsical accessories forming individualistic collages. The homely and cosy atmosphere of tomorrow’s Souvenir signifies the retreat to familial life.

Woodgrain hues form the basis of tomorrow’s Souvenir colour palette of earthy browns and soft honey shades complemented by fresh blues and yellowish-greens. Use of a glowing mustard colour reflects the classic sixties influence.

tomorrow’s Souvenir

Page 37: trendfly-2011 Korea

11043 Alcantara Ash 3

tomorrow’s Souvenir

Page 38: trendfly-2011 Korea

16017 Stralsund Maple

Page 39: trendfly-2011 Korea

5

tomorrow’s Souvenir

Page 40: trendfly-2011 Korea

10175 Santana Oak

Page 41: trendfly-2011 Korea

1950,60년대 유행한 가구 스타일의 재해석을 통해, 샤트데코는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면서 나무결의 섬세함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느릅나무의 전형적인 색채에서 우러나는 따뜻한 느낌과 열처리된 물푸레나무는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를 잘 나타내 주며, 또한 현대 인테리어 디자인에 영향을 준 자작나무, 단풍나무, 너도밤나무 그리고 참나무와 같은 옅은 나무 무늬의 특징을 잘 나타내 줍니다. 이는 현대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스칸디나비아식 스타일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표면은 자연스럽고 매끈한 느낌을 주고 있으며 자연스러운 섬세한 나무 결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가구 모양지

Page 42: trendfly-2011 Korea

In this reinterpretation of the well-known furniture styles of the fifties and sixties, a focus is placed on finely-textured wood with a particularly natural look. The warm nuances of colour typical of elm and heat-treated ash signify the theme. Pale woodgrains such as birch, maple, beech and oak also play a role in reflection of current Scandinavian influences. Surfaces make a natural or silk matte impression, and there is a noticeable preference for natural fine-grained wood.

Furniture decors

Page 43: trendfly-2011 Korea

11039 Bellinzona Ash 7

tomorrow’s Souvenir

Page 44: trendfly-2011 Korea

12029 Armagnac Elm

Page 45: trendfly-2011 Korea

57078 Numero 9

tomorrow’s Souvenir

Page 46: trendfly-2011 Korea

20153 Winchester Walnut

Page 47: trendfly-2011 Korea

11

tomorrow’s Souvenir

Page 48: trendfly-2011 Korea

12038 Nancy Elm

Page 49: trendfly-2011 Korea

05057 Sundsvall Birch 13

tomorrow’s Souvenir

Page 50: trendfly-2011 Korea

10168 Riyeka Oak

Page 51: trendfly-2011 Korea

내일의 기념품 중 마루 모양지는 우아함과 고급스러움을 표현합니다. 따뜻하고 자연스러운 색채를 지닌 느릅나무, 호두나무, 참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가구에서 찾아볼 수 있는 나무 무늬들은1950,1960년대의 느낌이 되살아 나는 강렬한 색조의 가구들과 대조되는 새로운 느낌의 마루 바닥으로도 잘 표현 됩니다.

마루 모양지

Page 52: trendfly-2011 Korea

The flooring decors in the tomorrow’s Souvenir theme express elegance and quality. Woodgrains include elm, walnut and oak in warm, natural hues. This gives the respective floors a whole new look against the colour accentuation of furnishing details that hark back to the fifties and sixties.

Flooring decors

Page 53: trendfly-2011 Korea

12021 Canyon Elm Markant 15

tomorrow’s Souvenir

Page 54: trendfly-2011 Korea

20618 English Walnut 2-board

Page 55: trendfly-2011 Korea

17

tomorrow’s Souvenir

Page 56: trendfly-2011 Korea

10142 Canyon Natural Oak

Page 57: trendfly-2011 Korea

05603 Birch Viva 2-board 19

tomorrow’s Souvenir

Page 58: trendfly-2011 Korea

Notizen l Notes

Page 59: trendfly-2011 Korea
Page 60: trendfly-2011 Korea
Page 61: trendfly-2011 Korea

Material: Maschinengraukarton GK1Firma: Igepagroupe

Farbe: Pantone 8403 C

Page 62: trendfly-2011 Korea
Page 63: trendfly-2011 Korea

오래된 수공예품은 새로운 시대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통적 기술과 수공예품의 현대적 해석에서 보여지듯이 새로운 인식과의 만남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산업의 계승은 혁신, 창조성 그리고 현대 기술과 어우러진 장인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반영합니다.

단조철로 만든 램프 등의 갓, 작업대 모양의 선반들과 나무로 만든 안락의자들이 보여주듯이 새로운 스타일은 오래된 창고건물, 작업장 그리고 낡은 아파트 모습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기계가공의 발자취 또는 장인정신이 깃든 금속이음새와 같은 세부적인 사항들이 녹아있는 거칠게 작업된 소재들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즉흥적인 것과 불완전함은 가구와 액세서리의 구성 요소라기 보다는 목표입니다. 가구 제품의 디자인은 실험적 감동을 만들어내며 카펫, 커튼, 가구 등의 배치 및 조합은 개별적인 사항 입니다.

검정색, 짙은 회색, 녹슨 철 색은 강철과 철재 그리고 낡은 나무와 같은 스타일을 만드는데 전형적인 색상들입니다. 액세서리는 전통적으로 주된 색상인 노란색, 붉은색 그리고 파란색의 밝은 해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industrial HERITAGE

Page 64: trendfly-2011 Korea

Old handicrafts are experiencing a revival and meeting with new acknowledgement, as seen in the emergence of modern interpretations of traditional skills and handi-crafts.

The industrial HERITAGE theme reflects this interest in artisan skills paired with innovation, creativity and modern technology

The new style is inspired by the look of old warehouses, workshops and lofts, as evidenced by lampshades crafted in forged iron, workbench-type tables and wooden easy chairs. A focus is placed on roughly-worked materials in which traces of machin-ing or details such as metal seams add a quality ethos.

Improvisation and imperfection are the goal rather than considered compositions of furniture and accessories. The design of furniture items makes an experimental impression, and arrangements of furnishing are highly individual.

Black, dark grey and rust are typical for the style along with materials such as steel, iron and used-look wood. Accessories come in bright interpretations of the classic primary colours of yellow, red and blue.

industrial HERITAGE

Page 65: trendfly-2011 Korea

54077 Rustica 3

industrial HERITAGE

Page 66: trendfly-2011 Korea

10183 Sonoma Oak

Page 67: trendfly-2011 Korea

5

industrial HERITAGE

Page 68: trendfly-2011 Korea

10175 Santana Oak

Page 69: trendfly-2011 Korea

가구표면은 목세공의 발자취를 보여주며 오랜 시간 사용한 듯한 익숙한 표면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얗게 바랜 나무 결, 독특한 기공무늬결 그리고 소박한 시골 풍의 효과들은 틀에 박힌 스타일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짙은 호도나무와 자카란다 나무는 톱 자국과 흰색 기공이 특징인 어둡고 짙은 참나무와 함께 잘 어울립니다. 표면은 특별히 감지할 수 있는 질감 또는 시간의 흐름과 낡아짐을 증명하는 부드러운 고색을 띄고 있습니다. 석재와 금속의 복제품은 지난 세월의 매력을 표현하며 낡았지만 세련된 품질의 인상을 더하고 있습니다.

가구 모양지

industrial HERITAGE

Page 70: trendfly-2011 Korea

Furniture surfaces are marked by traces of woodworking and signs of use. Whitened woodgrains, distinct pores and rustic effects underscore the unconventional style. Striking dark oak with sawmarks or white pores is complemented by dark walnut and jacaranda. Surfaces come with a distinctly perceptible texture or the smooth patina that speaks of age and wear. Stone and metal reproductions with a worn but high-quality look express the charm of past industrial times.

Furniture decors

Page 71: trendfly-2011 Korea

54066 Mandu Slate 7

industrial HERITAGE

Page 72: trendfly-2011 Korea

10144 Canterbury Oak

Page 73: trendfly-2011 Korea

54080 Green Iron 9

industrial HERITAGE

Page 74: trendfly-2011 Korea

10156 Casablanca Oak

Page 75: trendfly-2011 Korea

11

industrial HERITAGE

Page 76: trendfly-2011 Korea

57070 Philosophy II

Page 77: trendfly-2011 Korea

10172 Kilkenny Oak 13

industrial HERITAGE

Page 78: trendfly-2011 Korea

10155 Canyon Hidalgo Oak

Page 79: trendfly-2011 Korea

낡고 오래된 것 들의 발 자취를 따르는 것과 새로운 미학을 창조하는 기계가공은 거칠게 마무리된 소재들과 더불어 산업의 계승의 주제라 할 수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낡은 모습은 섬세하게 갈라진 틈, 투박한 매듭, 톱 자국과 소나무나 참나무 나무 결에 페인트작업에 의해서 강조됩니다. 자연스러움과 풍부한 나무의 색감은 짙은 갈색과 현대적인 회색 톤의 갈색으로 표현 될 수 있습니다.

마루 모양지

Page 80: trendfly-2011 Korea

Roughly-worked materials typify the industrial HERITAGE theme, with traces of wear and machining creating a new aesthetic. The used look is underscored by fine cracks, rough knots, sawmarks and traces of paintwork on woodgrains such as pine and oak. Natural and very rich wood hues are encountered along with dark browns and nuances of contemporary greyish-brown.

Flooring decors

Page 81: trendfly-2011 Korea

01021 Canyon Century Pine 15

industrial HERITAGE

Page 82: trendfly-2011 Korea

10169 Canyon Nostalgia Oak

Page 83: trendfly-2011 Korea

17

industrial HERITAGE

Page 84: trendfly-2011 Korea

10640 Exotic Oak 2-board

Page 85: trendfly-2011 Korea

10145 Dartmoor Oak FHS 19

industrial HERITAGE

Page 86: trendfly-2011 Korea

Notizen l Notes

Page 87: trendfly-2011 Korea
Page 88: trendfly-2011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