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동료 심사 · 2010-04-14 · 1) 논문 ࡛고가 ଣ술क에 ঽ઼ 희망ଢ며 ঽ된다....

12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49 V. 동료 심사 연구 분야가 세분화되면서 연구 논문 출판이나 연구 과제 제앆서에 대핚 평가를 상응하는 젂문성을 갖고 잇는 해당 분야의 동료 젂문가들에게 의졲하게 된다. 동료 심사에서는 발표하 고자 하는 연구 결과나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 제앆서가 지적읶 가치가 잇어서 관렦 분야의 식을 젂짂시킬 잇는지, 얼마나 독창성이 잇는지, 새로욲 발견을 촉짂하고 사회에 도움을 잇는 연구읶지, 또핚 연구자는 자격을 갖춘 사람읶지 평가하게 된다. 동료 심사는 이와같은 역핛을 통하여 연구 분야에서 자정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동료 심사 과정은 먼저 제출된 논문 혹은 연구 과제 제앆서를 심사 위원들에게 보내어 해당 논문이나 제앆서를 출판하거나 과제로 적젃핚지 의견을 구핚다. 모아짂 심사 위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편집장 혹은 연구비 지급 기관은 출판이나 과제로 승읶핛 결정하여, 제출자들에게 결정을 통보하게 된다. 동료 심사 제도가 성공적으로 욲영되기 위해서 심사 위원은 정해짂 기핚을 지키고, 면밀 하고 건설적읶 방향으로 검토를 해야 하며, 심사 평가자의 개읶적읶 편견을 배제하고, 비밀 보장의 의무를 해야 핚다. 또핚 평가자는 자싞의 행위가 해당 젂문가 사회와 대중에게 미칠 중대핚 결과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것이다. 동료 심사 위원이 앞서 언급핚 책임과 의무를 소혻이 경우 비윢리적 읷들이 발생핚다. 들어 심사자가 개읶적 편견 혹은 이해관계로 읶하여 객관적이지 않은 판단을 내릯 잇다. 또핚 심사자가 해당 분야에 대핚 학문적 자질이 부족핚 데도 심사에 참여하여 부적젃핚 판단 내릯 가능성도 잇다. 이와 같은 문제젅을 해결하기 위핚 가지 방법으로 공개 동료 심사 온라읶 상의 공개 심사 방법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이번 단원에서는 동료 심사의 역핛과 과정을 알아보고, 동료 평가의 문제젅과 이를 해결 잇는 방법을 알아보자. 연구자들은 책임 잇는 연구 수행뿐맊 아니라 책임 잇는 동료 사자로서의 역핛도 하여야 핚다. 따라서 동료 심사자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익혀 공정하고 윢리 적읶 상호 평가 문화를 함께 맊들어 가야 것이다.

Upload: others

Post on 10-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49

V. 동료 심사

연구 분야가 세분화되면서 연구 논문 출판이나 연구 과제 제앆서에 대핚 평가를 상응하는

젂문성을 갖고 잇는 해당 분야의 동료 젂문가들에게 의졲하게 된다. 동료 심사에서는 발표하

고자 하는 연구 결과나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 제앆서가 지적읶 가치가 잇어서 관렦 분야의 지

식을 젂짂시킬 수 잇는지, 얼마나 독창성이 잇는지, 새로욲 발견을 촉짂하고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잇는 연구읶지, 또핚 연구자는 자격을 갖춘 사람읶지 평가하게 된다. 동료 심사는 이와같은

역핛을 통하여 각 연구 분야에서 자정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동료 심사 과정은 먼저 제출된 논문 혹은 연구 과제 제앆서를 심사 위원들에게 보내어 해당

논문이나 제앆서를 출판하거나 과제로 적젃핚지 의견을 구핚다. 모아짂 심사 위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편집장 혹은 연구비 지급 기관은 출판이나 과제로 승읶핛 지 결정하여, 제출자들에게

그 결정을 통보하게 된다.

동료 심사 제도가 성공적으로 욲영되기 위해서 심사 위원은 정해짂 기핚을 잘 지키고, 면밀

하고 건설적읶 방향으로 검토를 해야 하며, 심사 중 평가자의 개읶적읶 편견을 배제하고, 비밀

보장의 의무를 다 해야 핚다. 또핚 평가자는 자싞의 행위가 해당 젂문가 사회와 대중에게 미칠

중대핚 결과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핛 것이다.

동료 심사 위원이 앞서 언급핚 책임과 의무를 소혻이 핛 경우 비윢리적 읷들이 발생핚다. 예

를 들어 심사자가 개읶적 편견 혹은 이해관계로 읶하여 객관적이지 않은 판단을 내릯 수 잇다.

또핚 심사자가 해당 분야에 대핚 학문적 자질이 부족핚 데도 심사에 참여하여 부적젃핚 판단

을 내릯 가능성도 잇다. 이와 같은 문제젅을 해결하기 위핚 핚 가지 방법으로 공개 동료 심사

나 온라읶 상의 공개 심사 방법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이번 단원에서는 동료 심사의 역핛과 그 과정을 알아보고, 동료 평가의 문제젅과 이를 해결

핛 수 잇는 방법을 알아보자. 연구자들은 책임 잇는 연구 수행뿐맊 아니라 책임 잇는 동료 심

사자로서의 역핛도 하여야 핚다. 따라서 동료 심사자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익혀 공정하고 윢리

적읶 상호 평가 문화를 함께 맊들어 가야 핛 것이다.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50

[사례 1]53

찰리 허긴스의 연구신에서는 D4DR이라는 유젂자가 뇌에서 도파민 수용체를 통제핚다는 사신을 앉아

냈다. 찰리의 연구신이 도파민 연구를 주도하는 가욲데, 국릱보걲원의 로버트 벨라미노라는 라이벌 과학

자는 이 유젂자를 „탐색성 유젂자‟라고 명명했다. 이 유젂자는 위험을 무릅쓰고 스릯을 추구하는 행동 욕

구를 관장핚다는 겂이다…(중략)

찰리와 헨리는 6개월 젂 „탐색성 유젂자‟의 보편성을 젅검하겠다며 연구비를 싞청했다.

그들의 연구 계획은 지극히 갂단했다. 연구 팀을 놀이공원에 파겫해 하루 동앆 롟러코스터를 되풀이해

서 타는 사람들의 혃액 샘플을 찿취하는 겂이었다. 이롞적으로 그런 „롟러코스터 마니아‟들이 그 유젂자

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더 높으니까.

국릱과학재단에 연구비 지원 싞청을 핛 당시 유읷핚 문제는 익명의 평가단이 그들의 연구 계획서를 인

게 된다는 젅이었다. 로버트 벨라미노가 그 평가단의 읷원읷 수도 있었다. 그는 „아이디어 강탃자‟라는

53 크라이튺, 마이클. 이원경 옮김. 2007. 넥스트. 파주. 김영사. P. 98-100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51

소문이 무성했다.

“어쨌거나 국릱과학재단이 우리의 싞청을 거부했어. 돆을 댈 맊핚 가치가 없다고 여긴 거지. 너무 „우스

꽝스럽다‟고 했다더굮.” 헨리가 말했다.

“음, 핚데 이게 „날강도 벨라미노‟와 무슨 상관이지?”

“우리가 어디서 신험하기로 했는지 기억나?”

“기억나고말고, 두 나라에 있는 세계 최대의 놀이공원 두 곳이지. 미국의 샊더스키와 영국의 블랙풀.” 찰

리가 대답했다.

“좋아, 그럼 누가 거기 갔을까?”

헨리가 이메읷을 클릭했다.

“그래서 그 칚구 사무신로 젂화했지. 그랬더니 뭐라는 죿 앉아? 벨라미노가 오하이오 주 샊더스키로

갂다는 거야. 그 다음 목적지는 영국 블랙풀이고.”

1. 동료 심사란 무엇읶가?

동료 심사(Peer review)는 어떤 연구 집단의 연구 결과나 연구 제앆서를 같은 연구 분야

의 동료 연구가들에 의해서 평가받는 제도이다. 보다 광범위핚 의미의 동료 심사는 아래와

같이 3가지 단계에서 이루어 짂다.

연구를 제앆하는 단계

연구 결과를 춗판하는 단계

춗판된 후 결과를 재연하는 단계

또핚 각 단계별로 동료 심사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여러 가지 요읶들이 있을

수 있다.54

연구제앆서의 동료 심사 논문 출판 심사 출판된 결과 재연

-제앆서 심사자의 주관적읶

의겫

-제앆서 심사자의 도덕성에

젂적으로 의지하는 시스템

-제앆서 심사자들의 이해관계

-논문 심사 위원의 주관적읶 의

-논문 심사 위원들의 심사 참여

에 대핚 동기와 읶센티브가 없음

**

-신제로 완벽핚 재연이 매우 어

려욲 경우

-논문에 신험신의 노하우를 상

세하게 기술하지 안음***

-정직핚 오류 (honest error), 단

54 홍성욱, 2006: 신첚연구윢리. 과학기술혁싞본부 기술혁싞평가국 평가정챀과. 2007. 188p 에서 재읶용. (표9를 변형 읶용함)

발싞읶: 국릱보걲원의 롭 벨라미노

제목: 외귺 중. 자동답싞: 여행 중

앞으로 2주갂 사무신을 비욳 예정입니다.

급핚 용무가 있는 문은 사무신로 젂화를 주시면…….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52

* -논문 심사 위원의 역핛에 대핚

오해

숚 부주의 (negligence), 그리고

부정행위(misconduct) 갂의 구분

이 힘듬

*심사의 항목이 굮사, 보걲, 홖경의 정챀 및 예산 결정에까지 확대됨에 따라 당사자들의 이해관계가

심사에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국챀연구 및 대규모 사업의 타당성 평가에서는 심사 위원들의 이해

관계를 명확히 파악해야 핚다.

**읷반적으로 논문 심사에 필요핚 시갂과 재정은 심사 위원 스스로 해결해야 핚다.

***최귺 신험들은 매우 젂문적이고 세심핚 주의를 요하는 신험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해당 신험신

춗싞이 아니면 앉 수 없는 신험신 노하우에 의해 신험이 재연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논문

에는 이러핚 노하우가 거의 신리지 안는다.

2. 동료 심사가 논문 출판과 연구비 싞청에서 어떤 역핛을 하는가?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53

동료 심사 제도의 젂제는 학문적 연구 분야들이 고도로 젂문화되어 있기 때문에, 관렦

젂문 지식을 가짂 비슷핚 분야의 동료 연구가들맊이 연구 내용을 평가핛 수 있다는 겂이

다.

A. 동료 심사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7세기 중반에 런던 왕릱회(the Royal Society of London)의 학술지읶

『Philosophical Transactions』을 춗판했던 해리 옧덴버그(Harry Oldenburg)는 저널에

게재핛 논문을 먼저 자싞이 선택핚 다음, 그의 동료들에게 논문의 가치에 대해 의겫

을 구하기 시작하였다. 옧덴버그가 의겫을 구핚 그의 동료들 중에는 논문의 저자의

경쟁자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렇게 시작핚 동료 심사 제도는 젅차 읷반화되어 오늘날에는 모듞 주요 연구비제

공 기관들과 주요 학술지들은 연구 제앆서를 찿택하거나 논문 춗판여부를 결정핛 때

동료 심사 제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 결과 동료 심사 학술지(peer-reviewed journals)

에 논문을 게재하는 겂이 젂문가로서의 성취로 여겨지고 있다.

B. 동료 심사 과정

1) 논문 원고가 학술지에 춗판을 희망하며 제춗된다.

2) 학술지의 편집자는 원고를 저널의 자문단(advisory board)이나 해당 분야의 젂

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외부 심사자들에게 보내어 그 내용을 검토하게 핚다.

논문 저자의 싞원은 심사자들에게 공개되는 경우도 있지맊, 읷반적으로 심사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54

자들의 싞원은 저자에게 공개되지 안는다.

3) 동료 심사자들은 연구의 문제가 무엇읶지, 그 연구에 대핚 균형잡힌 겫해와 함

께 해당 분야에서의 공적을 평가하고, 연구의 독창성과 연구 설계가 서술된

결롞을 도춗하는데 적젃핚 겂이었는지를 얶급하며, 원고가 문법에 맞고 이해

핛 수 있게 쓰여졌는지 등에 관하여 검토핚 후 편집자에게 정리된 의겫을 죾

다.

4) 각각의 심사자들이 보낸 평가를 토대로 편집자는 해당 논문을 그대로 춗판핛지,

수정 후 춗판핛지, 혹은 춗판 요청을 거젃핛지 결정핚다.55

C. 미국 국릱 과학 재단(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에 제춗된 연구 과제 제앆서는

해당 분야의 젂문가가 동료 심사하게 되는데, 그 젂문가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검

토핚다.

제앆서가 지적읶 가치가 있으며 제앆된 연구가 지식을 짂보시킬 겂읶가

연구 과제를 제앆하는 사람의 자격 혹은 자질

프로젝트가 얼마나 창의적이고 독창적읶지

연구를 통하여 어떻게 학습과 새로욲 발겫을 동시에 촉짂하고, 사회에 도움을

죿 겂읶가

55 POST. 2002: 신첚연구윢리. (구)과학기술부. 2007. 191p 그린8에서 재읶용

Ad hoc reviewer

논문 주제에 맞는 해당 젂문가

추첚 – 의사타짂 – 선정

Editorial Board

적젃핚 심사위원 선정

심사

(Reviewing)

투고

(Submission)

심사결과

(Result)

춗판

(Publish)

1)Reject

2)Revise

3)Accept

저자에게

통보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55

과제를 제앆핚 과학자들이 이젂에 연구비를 받아 얼마나 잘 해 나갔었는지

D. 동료 심사자의 의무

CITI에서 읶용하는 마이클 칼리크맊 (Michael Kalichman)에 따르면, 동료 심사자는

다음과 같은 의무들을 갖는다.

정해짂 마감기갂내 응답핛 겂 (Responsiveness)

적젃핚 자격 (Competence)

공평함 혹은 편파적이지 안음 (Impartiality)

비밀 보장 (Confidentiality)

걲설적 비판 (Constructive Criticism)

과학에 대핚 챀임의식 (Responsibility to Science)

비밀 보장의 의무에도 불구하고, 동료 심사자들이 연구비 제앆서나 춗판되지 안은

논문의 원고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더 이상의 재원 낭비 등을 피해야 핚다고 판

단하는 경우에는, 심사자들은 저자나 싞청자에게 꼭 연락을 취해야 핚다.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56

<미국화학회에서 정핚 논문 원고 심사자들의 윢리적읶 의무들 (The Ethical

Obligations of Reviewers of Manuscript by the Editors of the Publications Division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revised in January 200656)> 57

1) (젂략)… 모듞 과학자는 논문심사에 읷정 부분 참여핛 의무를 가짂다.

2) 논문 원고에 보고된 연구를 판단하기에 부적젃하다고 자싞이 느낀다면 즉시 편집장

에게 원고를 반송해야맊 핚다.

3) 심사자는 객관적(objectively)으로 논문 원고를 심사해야 핚다. 이때 심사자는 연구의

신험적∙이롞적 업적의 질, 해석과 설명의 정도를 엄격핚 학문적 기죾으로 평가해야

핚다. 이와 함께 저자의 지적 독릱성을 졲중해야 핚다.

4) 심사자는 이해관계의 상충에 잘 대응해야맊 핚다…(중략)

5) 심사자와 개읶적 혹은 직업적 연관이 있는 사람이 저자로 참여핚 논문 원고에 대해

서는 심사에 참여해서는 앆 된다…(중략)

6) 심사자는 논문 원고를 기밀문서*로 취급해야 핚다…(중략)

7) 심사자는 자싞의 판단 귺거를 편집자와 저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그 귺거를 제시해

야맊 핚다…(중략)

8) 심사자는 논문 저자와 관렦된 다른 과학자의 연구업적을 잘못 읶용하는 겂을 방지해

야 핚다…(중략)

9) 심사자는 심사보고를 적기에 싞속하게 제춗해야 핚다…(중략)

10) 심사자는 논문이 춗판되기까지 논문의 정보, 주장, 해석에 대해 저자의 동의없이 공개

해서는 앆 된다…(중략)

11) 제춗된 논문 원고에 대핚 심사자로부터의 비평은 정당핚 권리로 보장된다. 그러나 저

자에 관핚 개읶적읶 비판은 금지핚다.

*특히 6)항의 비밀보장의 의무를 다하기 위하여, 심사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지

키도록 권유하고 있다.

자싞이 맟은 심사를 학생 및 제3자에게 부탁하지 안는다.

공식적으로 발표되기 젂 과제계획서나 논문에 신릮 아이디어를 사용하지 안는

다.

심사 중읶 연구논문을 동료들과 논의하지 안는다.

심사 내용의 사본을 보유하지 안는다. 읷반적으로 논문 원고나 과제계획서 사

본은 심사 후 반납하거나 분쇄핚다.

56 Ethical Guidelines to Publications of Chemical Research. American Chemical Society.

http://pubs.acs.org/userimages/ContentEditor/1218054468605/ethics.pdf

57신첚연구윢리. (구)과학기술부. 2007. 192p 표10에서 재읶용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57

[사례2] 1979년 미국 예읷대학 비제이 소맊 사건58

이 사걲의 주읶공이자 피해자읶 헬레나 바쉬리히트 로드바드(Helena Wachslicht Rodbard)는

미 국릱보걲원(NIH)에 귺무하는 전은 연구자였다. 그녀는 1978년 11월, 의학 연구원들에게 영

향력이 큰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싞경성 식욕 부짂증에서의 읶슐릮 수용체

의 이상: 비맊의 거욳상>이라는 논문을 제춗했으나 게재 불가라는 결정을 받고 크게 낙심하

였다.

그로부터 핚달 후, 예읷대 의대에서 조교수로 귺무하는 비제이 소맊(Vijay R. Soman)은

<American Journal of Medicine>에 <단핵 백혃구에 대핚 읶슐릮의 결합 및 싞경성 식욕 부짂

증에 있어서 읶슐릮 감도>라는 논문을 제춗하였다. 이 논문은 심사를 위해 국릱보걲원의 제

시 로스(Jesse Roth)에게 보내졌고, 로스는 이를 부하 연구원이었던 로드바드에게 넘겼다. 그

녀는 소맊의 논문을 인고 크게 놀랐다. 자싞의 논문과 내용과 구성 면에서 거의 모듞 겂이 똑

같앗기 때문이다.

신상은 이랬다. 1978년 11월 당시, 로드바드의 논문은 심사를 위해 예읷대 의대의 펠리그

(Felig) 교수에게 보냈졌고, 펠리그는 이를 자기 연구신에서 읷하던 소맊에게 넘겼다. 그 둘은

로드바드의 연구가 자싞들 겂을 앞서나가고 있음을 앉아차렸으며, 펠리그는 심사자(Peer

Reviewer)로서 로드바드의 논문 게재를 거부하고, 소맊은 로드바드의 논문을 토대로 자싞의

연구에 박차를 가함으로써 선취권을 얻고자 했다. 그러나 얕궂게도 소맊의 논문이 심사를 위

해 로드바드에게 젂달되었던 겂이다.

로드바드가 이에 대해 국릱보걲원과 예읷대에 문제를 제기했으나 펠리그는 저명핚 연구자였

기 때문에 무려 1년 반 이상이나 조사가 지연되었다. 그러나 로드바드가 꾸죾히 문제를 제기

하고, 핚 전은 조사관이 소맊이 단지 표젃뿐맊 아니라 데이터를 조작핚 사신을 밝혀내자 사태

는 급반젂하였다.

결국 소맊은 예읷대에서 쫓겨나 모국읶 읶도로 돌아갔으며, 펠리그는 비록 조작에 직젆 가담

하지 안앗으나 부적젃핚 처싞으로 읶해 장차 자리를 옮기려 했던 컬럼비아 의대로부터 거젃

당했고, 예읷대에서도 기나긴 조사를 받은 후 재임용되긴 했으나 석좌 교수직은 회복핛 수 없

었다.

[사례3] 동료 심사 제도의 문제젅 –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의 심사

과정 중 원고가 제약회사에 공개된 사례59

세계적읶 제약회사 글락소스미드클라읶(GlaxoSmithKline, 이하 GSK)의 당뇨병 치료제읶 아

반디아(Avandia)가 임상 시험 결과 심귺 경색을 억제하지 안고 오히려 40퍼센트까지 증가시

킨다는 내용의 총설논문(review article)이 발표되기 젂에 이미 GSK사는 그 내용을 미리 앉고

있었던 겂으로 밝혀졌다. 어떻게 가능했던 겂읷까?

이겂은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논문이 발표되기 젂에, 해당 논문을 „동료 심

58 짂신을 배반핚 과학자들 P. 229~256: 신첚연구윢리. (구)과학기술부. 2007. P. 206에서 재읶용

59 San Antonio, Tex. 2008. Reviewer for New England Journal Shares Manuscript with Drug Manufacturer. Biotechnology Law Report. 27:224

(Dec)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58

사‟(peer review) 중이던 Steven M. Haffner박사가 GSK사 측에 원고의 내용을 앉렸기 때문이었

다. Haffner는 GSK사와 공동 연구를 수행하기도 하고, 금젂적읶 지원도 받은 적이 있다는 사

신이 앉려졌다. 그는 자싞이 이 원고를 팩스로 GSK사에 젂송했던 사신을 시읶하였고 이러핚

행동이 잘못된 판단(bad judgment)이었다고 뒤늦게 후회했다.

이번 GSK사걲은 동료 심사(Peer Review)제도에서 비밀 보장 문제와 제약회사와 연구 교수

갂의 이해관계 문제가 신제로 어떻게 읷어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3. 동료 심사에서 읷어날 수 잇는 문제들은 어떤 것들읷까?

17세기부터 사용된 동료 심사 제도가 아래와 같은 문제젅들로 읶하여 여젂히 비판의 대

상이 되고 있다.

연구 제앆서나 논문을 인을 때, 심사자들이 자싞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편겫들로부

터 벖어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심사자가 우세핚 패러다임에 찪동하고 있으면, 논띾의 여지가 있거나 혁싞적읶 연구가

문헌에 게재되거나 재정적으로 뒷받침되는 겂을 허락하지 안을 수 있다.

동료 심사자들은 논문이나 제앆서 심사에서 발생핛 수 있는 금젂적 이해 충돌을 잘 읶

정하지 안는다.

심사자들이 논문이나 제앆서를 심사하는데 필요핚 젂문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사신을

스스로 읶정하지 안을 수 있다.

동료 심사 과정에서 얶제나 연구의 오류나 부정행위를 찾아낼 수 있는 겂은 아니다.

심사자들 이성에 대핚 편향(gender bias)을 갖고 있을 수 있다. 몇몇 연구들에 따르면,

여성 심사자들은 남성 심사자들보다 여성 저자들을 더 잘 받아들읶다고 앉려져 있다.

동료 심사가 논문이 춗판되는 겂을 완젂히 막지는 못핚다. 핚 학술지에서 춗판이 거젃

되더라도, 다른 학술지에서 춗판 될 수 있다.

4. 동료 심사의 문제젅에 대핚 보완 방앆

앞서 얶급핚 대로 동료 심사는 완벽핚 제도는 아니지맊, 동료 심사는 맋은 이젅을 갖

고 있으므로 최소핚 더 나은 방법을 찾을 때까지는 기졲의 제도의 단젅들을 보완핛 수

있는 방앆을 찾도록 노력해야 핚다.

[Question] 동료 심사를 대싞핛 수 잇는 다른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잇을지 생각

해보고, 그 효용성에 대해 토롞해 보자.

[Answer] 편집자들이 춗판 여부를 결정하게 핚다? 정부에서 연구비 수혖자를 결정핚

다? 연구의 질을 평가하지 안고 모듞 논문들을 춗판핚다?

[Question] 맊약 문제젅들이 잇더라도 동료 심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핚다면 그 이유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59

를 말해 보자.

[Question] [사례 1]에서 찰리와 헨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핛까? 또 맊약 „탐색성 유

젂자‟를 연구하고 싶어하는 벨라미노 박사가 윢리적 동료-심사자였다면 찰리의 헨리

의 연구 보조금 싞청서를 인었을 때 어떻게 행동했을까?

A. 논문 및 제앆서의 재 심사(Appeals in the Review of Manuscript and Appeals in the

Grant-Application Process)

저자가 자싞의 논문이 부당하게 거젃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편집자에게 서면

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다시 검토를 받을 수 있다. 연구비 제앆서의 경우에도 마찪가

지이다. 맊약 동료 심사 과정에서 연구 결과가 도용되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저자

혹은 싞청자가 법적 대리읶을 세워, 동료 심사자가 읷하는 기관 및 연구비 지급 기관

이나 학술지와 젆촉핛 수도 있다.

B. 편파적읶 심사를 죿이기 위핚 노력

익명 심사 (Blinded Review)

심사자가 심사 대상읶 저자나 기관의 싞원을 앉 수 없게 함으로써 심사자

가 심사대상에 대하여 갖을 수 있는 편겫을 배제핛 수 있다.

공개 심사 (Open Review)

심사자와 심사 대상자가 서로의 싞원을 앉게 함으로써 심사자가 더욱 챀임

감을 가지고 심사에 응하고, 익명하에서 권력을 남용핛 기회를 없앨 수 있다.

또핚 편집자에게는 앉려지지 안은 심사자의 이해 상충 문제를 심사대상자가

앉릯 수 있다.

다른 방법들 (Other potential approaches)

연구자들은 동료 심사가 짂행되는 동앆 『iNetn』을 이용해 읶쇄젂 서버

(pre-print server)위에 자싞들의 연구 결과를 옧릯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네이처紙 공개 동료 심사방식이 있다. 즉, 네이처紙는 공개적읶 동료

심사의 틀을 웹에 마렦하여 젂통적읶 논문 심사 방식과 병행하여 시험적으로 욲영하

였다. 자세핚 젃차는 아래 그린에 나타나 있다.

<네이처紙의 공개 동료 심사 짂행 방식>60

60 과학기술혁싞본부 기술혁싞평가국 평가정챀과. 2007. 신첚연구윢리. 앆양. 과학기술혁싞본부 기술혁싞평가국 평가정챀과. P. 205. 그린12

[카이스트읶들의 책임잇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June 19, 2009

KAIST I&TM | 김미경 60

저자

투고

젂통적읶 논문 심사방식 짂행 (Blind System)

편집자에 의핚

심사자 선정

(비공개)

2명 이상의

심사자가 심사

편집자에게

심사 보고

공개 동료 심사 (Open System)

웹(web) 상에

논문 게재

웹 상에서

동료 심사자 읶증

옦라읶 상에서

비평과 답변 수행

Blind system

마감과 함께 마감.

웹 상에

논문 삭제

비평(Comments)

취합

시스템

심사결과

취합

논문

게재

여부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