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중공업 (298040) - ibks.com

11
본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리서치본부에서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나 당사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과거의 자료를 기초로 한 투자 참고 자료로서 향후 주가 움직임은 과거의 패턴과 다를 수 있습니다. 고객께서는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 종목 선택 이나 투자시기에 대해 최종 결정하시기 바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매수 (유지) 최근 변화 몇 가지 친환경 저탄소 체제 전환을 위한 신사업 추진 변화 내용을 살펴보면 1) STT와의 데 이타센터 합작법인 진행상황은 공정위 계열분리와 주식양도가 마무리되었고, 효성 T&C 안양부지 계약 완료 후 안양시 인허가 및 착공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2) 린데와의 수소관련 합작법인 진행상황은 6/21일 효성 용연공장에서 액화수소 플 랜트 기공식이 개최될 예정이고, 9월에는 현대차, SK, 포스코, 효성 그룹 등 수소기 업협의체가 출범될 예정이다. 3) 풍력관련 합작법인 진행상황은 SE윈드와 해상풍력 터빈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 중이다. 작년말 골드윈드와 MOU를 맺었지만 해상풍력에서 우위에 있 는 SE윈드로 변경되었다. 종속기업인 진흥기업의 매각설 관련해서는 해명공시 내용을 보면 다양한 전략적 검 토를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결정하거나 확정한 사실이 없다고 공시했다. 진흥기업 매각관련 보도에 의하면 시장에서는 효성중공업 보유지 분(48.21%)과 채권단 지분(32.37%)으로 경영권이 포함된 총 80.58%가 매각대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매각 성사시 매각차익 인식이 가능하고 추후 이를 토대로 신 사업 투자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06,000원 매수와 목표주가 106,000원을 유지한다. 올해 실적 개선을 감안하면 현주가수준은 여전히 저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투자포인트는 2021년 실적 개선 기대감 유효, 친 환경 저탄소 체제 전환을 위한 신사업 추진 순항 중, 진흥기업 매각 가능성에 따른 투자여력 증대 등이다. 목표주가 106,000원 현재가 (6/18) 74,800원 KOSPI (6/18) 3,267.93pt 시가총액 697십억원 발행주식수 9,325천주 액면가 5,000원 52주 최고가 87,600원 최저가 23,250원 60일 일평균거래대금 7십억원 외국인 지분율 7.1% 배당수익률 (2021F) 0.0% 주주구성 효성 외 6 인 54.18% 주가상승 1M 6M 12M 상대기준 16% 2% 103% 절대기준 20% 20% 212% 현재 직전 변동 투자의견 매수 매수 - 목표주가 106,000 106,000 - EPS(21) 7,202 7,707 EPS(22) 8,697 9,178 효성중공업 주가추이 (단위:십억원,배) 2019 2020 2021F 2022F 2023F 매출액 3,781 2,984 3,149 3,342 3,479 영업이익 130 44 125 144 168 세전이익 56 -18 90 105 133 지배주주순이익 13 -22 67 81 102 EPS(원) 1,409 -2,382 7,202 8,697 10,943 증가율(%) 300.1 -269.0 -402.3 20.8 25.8 영업이익률(%) 3.4 1.5 4.0 4.3 4.8 순이익률(%) 0.4 -0.6 2.2 2.4 2.9 ROE(%) 1.4 -2.5 7.3 8.2 9.4 PER 18.9 -26.1 10.4 8.6 6.8 PBR 0.3 0.7 0.7 0.7 0.6 EV/EBITDA 8.6 14.9 10.6 9.2 7.8 자료: Company data, IBK투자증권 예상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90,000 100,000 1,880 2,080 2,280 2,480 2,680 2,880 3,080 3,280 3,480 20.6 20.10 21.2 21.6 (P) KOSPI(좌) 효성중공업(우) (원) IBKS 그린뉴딜 시리즈 Analyst 이상현 02) 6915-5662 [email protected] 효성중공업 (298040) 신사업 진행 상황과 진흥기업 매각설 | 자동차/기계 | 2021. 6. 21

Upload: others

Post on 26-Mar-2022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본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리서치본부에서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나 당사는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과거의 자료를 기초로 한 투자

참고 자료로서 향후 주가 움직임은 과거의 패턴과 다를 수

있습니다. 고객께서는 자신의 판단과 책임 하에 종목 선택

이나 투자시기에 대해 최종 결정하시기 바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매수 (유지) 최근 변화 몇 가지

친환경 저탄소 체제 전환을 위한 신사업 추진 변화 내용을 살펴보면 1) STT와의 데

이타센터 합작법인 진행상황은 공정위 계열분리와 주식양도가 마무리되었고, 효성

T&C 안양부지 계약 완료 후 안양시 인허가 및 착공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2) 린데와의 수소관련 합작법인 진행상황은 6/21일 효성 용연공장에서 액화수소 플

랜트 기공식이 개최될 예정이고, 9월에는 현대차, SK, 포스코, 효성 그룹 등 수소기

업협의체가 출범될 예정이다.

3) 풍력관련 합작법인 진행상황은 SE윈드와 해상풍력 터빈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 중이다. 작년말 골드윈드와 MOU를 맺었지만 해상풍력에서 우위에 있

는 SE윈드로 변경되었다.

종속기업인 진흥기업의 매각설 관련해서는 해명공시 내용을 보면 다양한 전략적 검

토를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결정하거나 확정한 사실이

없다고 공시했다. 진흥기업 매각관련 보도에 의하면 시장에서는 효성중공업 보유지

분(48.21%)과 채권단 지분(32.37%)으로 경영권이 포함된 총 80.58%가 매각대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매각 성사시 매각차익 인식이 가능하고 추후 이를 토대로 신

사업 투자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06,000원

매수와 목표주가 106,000원을 유지한다. 올해 실적 개선을 감안하면 현주가수준은

여전히 저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투자포인트는 2021년 실적 개선 기대감 유효, 친

환경 저탄소 체제 전환을 위한 신사업 추진 순항 중, 진흥기업 매각 가능성에 따른

투자여력 증대 등이다.

목표주가 106,000원

현재가 (6/18) 74,800원

KOSPI (6/18) 3,267.93pt 시가총액 697십억원 발행주식수 9,325천주 액면가 5,000원 52주 최고가 87,600원 최저가 23,250원 60일 일평균거래대금 7십억원 외국인 지분율 7.1% 배당수익률 (2021F) 0.0% 주주구성 효성 외 6 인 54.18% 주가상승률

1M 6M 12M 상대기준 16% 2% 103% 절대기준 20% 20% 212%

현재 직전 변동 투자의견 매수 매수 -

목표주가 106,000 106,000 -

EPS(21) 7,202 7,707 ▼

EPS(22) 8,697 9,178 ▼

효성중공업 주가추이

(단위:십억원,배) 2019 2020 2021F 2022F 2023F

매출액 3,781 2,984 3,149 3,342 3,479

영업이익 130 44 125 144 168

세전이익 56 -18 90 105 133

지배주주순이익 13 -22 67 81 102

EPS(원) 1,409 -2,382 7,202 8,697 10,943

증가율(%) 300.1 -269.0 -402.3 20.8 25.8

영업이익률(%) 3.4 1.5 4.0 4.3 4.8

순이익률(%) 0.4 -0.6 2.2 2.4 2.9

ROE(%) 1.4 -2.5 7.3 8.2 9.4

PER 18.9 -26.1 10.4 8.6 6.8

PBR 0.3 0.7 0.7 0.7 0.6

EV/EBITDA 8.6 14.9 10.6 9.2 7.8

자료: Company data, IBK투자증권 예상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90,000

100,000

1,880

2,080

2,280

2,480

2,680

2,880

3,080

3,280

3,480

20.6 20.10 21.2 21.6

(P) KOSPI(좌)

효성중공업(우)(원)

IBKS 그린뉴딜 시리즈

Analyst 이상현

02) 6915-5662

[email protected]

효성중공업 (298040) 신사업 진행 상황과 진흥기업 매각설

| 자동차/기계 | 2021. 6. 21

효성중공업 (298040)

2 │ IBKS RESEARCH

표 1. 효성중공업 부문별 실적 추정

(십억원) 1Q20 2Q20 3Q20 4Q20 1Q21 2Q21F 3Q21F 4Q21F 2020 2021F 2022F

신규수주 547 587 267 1,298 461 2,699 3,026 3,219

중공업 490 456 163 483 380 1,591 1,830 1,940

건설 57 132 104 815 81 1,107 1,196 1,280

수주잔고 5,775 5,644 5,352 5,886 5,859 5,886 5,457 5,335

중공업 2,403 2,388 2,181 2,072 2,129 2,072 2,769 2,800

건설 3,372 3,256 3,171 3,815 3,730 3,815 2,688 2,535

매출액 638 851 661 834 583 825 785 956 2,984 3,149 3,342

중공업 283 504 382 527 326 489 403 539 1,702 1,757 1,909

건설 355 347 278 308 257 336 382 418 1,772 1,392 1,433

매출총이익 65 132 89 109 83 122 106 129 395 440 475

판관비 80 99 70 82 81 84 73 92 351 315 331

영업이익 -56 57 21 21 18 38 32 36 44 125 144

중공업 -77 32 11 8 2 16 10 15 -26 43 56

건설 21 25 11 14 16 22 22 21 70 82 88

금융손익 -21 -12 -7 -11 -10 -9 -8 -9 -51 -36 -37

기타손익 3 -8 10 -16 3 0 0 0 -11 3 0

관계기업투자손익 0 0 0 0 0 -1 -1 -1 0 -2 -2

세전이익 -75 37 25 -5 11 29 23 27 -18 90 105

지배순이익 -59 27 17 -8 6 22 18 21 -22 67 81

(증감률, % y-y) 매출액 -32.5 -20.0 -14.4 -16.6 -8.6 -3.0 18.8 14.6 -21.1 5.5 6.1

중공업 -30.3 -5.2 19.7 -7.2 15.1 -2.8 5.4 2.3 -6.7 3.3 8.6

건설 -34.2 -34.8 -38.4 -28.9 -27.6 -3.3 37.2 35.7 -9.4 -21.5 2.9

영업이익 적전 -3.3 5.6 -26.6 흑전 -33.0 50.1 71.5 -66.2 182.7 15.8

중공업 적지 81.4 흑전 흑전 흑전 -49.7 -8.8 92.9 적지 흑전 30.3

건설 -35.8 -39.4 -66.8 -69.1 -23.8 -11.7 109.4 58.1 -53.2 16.7 8.1

세전이익 적전 -27.3 흑전 적지 흑전 -20.4 -7.6 흑전 적전 흑전 16.7

지배순이익 적전 -19.1 흑전 적전 흑전 -18.2 4.5 흑전 적전 흑전 20.8

(이익률, %)

매출총이익률 10.3 15.5 13.4 13.1 14.3 14.8 13.5 13.5 13.3 14.0 14.2

영업이익률 -8.8 6.7 3.3 2.5 3.0 4.7 4.1 3.8 1.5 4.0 4.3

중공업 -27.0 6.4 2.8 1.5 0.6 3.3 2.4 2.8 -1.5 2.4 2.9

건설 5.8 7.3 3.8 4.4 6.1 6.6 5.9 5.1 4.0 5.9 6.2

세전이익률 -11.7 4.3 3.8 -0.6 1.8 3.5 3.0 2.8 -0.6 2.9 3.2

지배순이익률 -9.2 3.2 2.6 -1.0 1.0 2.7 2.3 2.2 -0.7 2.1 2.4

자료: 효성중공업, IBK투자증권

2021년 실적은 발주 재개 및 기저효과로 개선 전망

효성중공업의 2021년 실적은 저가수주를 지양하며 수익성 위주 경영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외형은 3.2조원(+5.5% yoy)으로 미드싱글 수준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된다. 이는 중공업부문에서 코로나로 지연되었던 해외발주 재개, 한전의 전기료 가격

연동제 도입에 따른 수익구조 개선시 노후설비에 대한 발주 개선이 기대되며, 건설부

문은 수주잔고가 크게 줄지 않는 가운데 공급정책 기대감으로 건설경기 회복 기대감

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현 6915-5662

IBKS RESEARCH │3

수익성 측면에서는 영업이익률 4.0%(+2.5%p yoy) 수준이 기대되는데 이는 전반적으

로 기저효과와 수주회복 효과가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2020년 1분기 대

규모 구조조정을 마무리했고, 수년간 미국 반덤핑 관련 관세부과도 현지화 생산 등으

로 부담이 축소되는 등 기저효과에 따른 수익개선이 가능할 것이다. 부문별로는 중공

업 부문은 코로나 이후 발주재개에 따른 점진적인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고, 건설부문

은 우량 입지, 공사비 확보비율이 높은 현장 등 안정적인 기성불 구도의 사업 수주 추

진을 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유지 이상의 수익성이 기대된다.

2분기 매출액은 저가수주 지양 및 해외 수주의 더딘 회복 등으로 감소세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전년동기 수익성에는 못미치겠지만 1분기보다는 양호한 수익성 개선이 기

대된다. 해외수주 회복이 기대되는 하반기에는 전년동기비 수익성 개선도 가능할 것으

로 기대된다.

친환경 저탄소 체제 전환 가속화

특히 친환경 저탄소 체제로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1) 국내성장 기대가

제한적인 구타입의 컨벤셔널 제품군인 전압기, 차단기, 발전기, 전동기 등에 대한 해

외(미국, 중국, 인도, 베트남 등) 생산시설을 구축해서 해외 매출을 확대하고,

2) 친환경 저탄소 제품군인 ESS, STACOM, HVDC, 인버터 전동기, 상선용 추진기(하

이브리드) 등은 더욱 강화해 국내에서 확장하며,

3) 데이터센터, 액화수소, 풍력터빈 등 신사업 투자를 통해 2023년 매출 본격화를 통

해 친환경 저탄소 전환을 완성해 간다는 그림이다.

신사업 1) STT와 데이타센터 JV 설립

효성중공업은 수익성이 높은 데이타센터 사업에 진출한다. 2020년 7월말 효성중공업

의 자회사 에브리쇼는 데이터센터 신규 사업을 위해 3,180억원의 유상증자를 결정했

다. 효성중공업이 지분율 40%(2,544만주, 1,272억원), 합작투자사인 싱가폴 테마섹

홀딩스 산하 STT GDC(Singapore Technologies Telemedia Global Data Centres)가

지분율 60%(3,816만주, 1,908억원)를 출자한다. STT는 12개국에 직간접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데이타센터는 싱가폴/태국 등 동남아, 중국, 인도, 영국 등에 진출

되어 있고, 아마존 AWS, MS의 Azure와도 Cloud Alliance가 되어 있는 글로벌 데이

타센터 업체다.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공급자 위주의 시장으로 알려져 있는데 Equinix, Digital reality

등 리딩 기업들을 보면 두자리수 영업이익률을 내고 있다. 효성중공업과 STT 합작법

인도 하이퍼스케일 망중립 데이터센터업체를 지향하고 있으며 비슷한 두자리수 영업

이익률을 기대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JV 설립

중으로 효성중공업 40%,

STT 60% 지분출자

공급자 위주 시장으로

두자리수 영업이익률 기대

효성중공업 (298040)

4 │ IBKS RESEARCH

현재 합작법인 진행상황은 공정위 계열분리와 주식양도가 마무리되었고, 안양부지(효

성T&C 부지) 계약 완료 후 안양시 인허가 및 착공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안

양부지를 시작으로 목동 등 두개 정도 사이트가 가시권에 있으며 추후 확장 가능성도

기대된다.

데이터센터는 전력·공조 등의 설비가 중요한 건축물이며, 전력사업 부문의 전력 공급,

에너지 절감 기술과 건설 부문의 시공 경험이 경쟁력이 될 것이므로 효성중공업에게

중요한 신사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데이터센터 건립 과정에서 기자재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건립 후 사이트 하나당 천억원의 매출이 기대되고 매출이 발

생하는 2023년부터 운영수익이 지분법손익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그림 1. 한국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규모 전망

주: SaaS는 Software as a Service, PaaS는 Platform as a Service, IaaS는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자료: BCG, STT, IBK투자증권

2018 2023

($Bil.)

SaaS PaaS IaaS

3.1CAGR +15%

1.5

안양부지를 시작으로

두개이상 사이트 추진

2023년 운영수익 발생

전망

이상현 6915-5662

IBKS RESEARCH │5

신사업 2) 린데와의 JV로 액화수소 밸류체인 추진

국내 수소충전소 수주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효성중공업의 수소충전소 사업도

린데와의 액화수소 JV 추진으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액화수소는 저장운송면에서 기체보다 용이(부피 1/800)하기 때문에 탱크로리 1개에 기

체수소 250kg을 운송하는데 반해 액체수소는 14배인 3,500kg 운송이 가능하며, 저장

용기 부피축소로 기체수소충전소의 30% 부지에도 충전소 건립이 가능하다. 또한 저압

상태여서 안전하고, 액화수소 충전 도입시 충전속도도 기체 충전에 비해 4배 빠른 것

으로 파악된다.

2020년 4월 효성중공업은 산업용 가스 전문 세계적 화학기업인 독일 린데그룹과 함께

오는 2022년말까지 총 3,000억원(각각 1,500억원)을 투자해 액화수소 생산, 운송 및

충전시설 설치와 운영을 망라하는 밸류체인을 구축하기로 한 바 있다.

절차상으로는 2021년 2월 JV Agreement를 체결했고, 6/21일 효성 용연공장에서 액

화수소 플랜트 기공식이 개최될 예정이고, 9월에는 현대차, SK, 포스코, 효성 등 수소

기업협의체가 출범될 예정이다.

합작법인은 린데하이드로젠(생산법인)과 효성하이드로젠(판매법인)으로 구성되며, 생

산법인은 린데와 효성중공업이 각각 51:49, 판매법인은 린데와 효성중공업이 각각

49:51 지분으로 형성된다.

우선 액화수소 공장 건립에 1,500억원을 투자, 효성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울산 용연

공장 내 부지 약 30,000여㎡(약 10,000여평)에 액화수소 공장을 신설하는데 연산

13,000톤 규모(승용차 10만대 사용 가능 물량)로 단일설비로는 세계 최대규모로 알려

져 있다. 즉 효성 용연공장에서 나오는 부생가스로 액화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공장 완공시점에 맞춰 1,500억원을 추가 투자해 액화수소 충전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액화수소 공급을 위해 전국 주요 거점지역에 120여개의 수소충전소를 구축

(신설 50곳, 액화수소 충전설비 확충 70곳)하는 등 수소 공급을 위한 협력적 파트너십

을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액화수소 충전인프라 구축단계에서 효성중공업과의 시너

지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합작법인의 매출은 2023년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액화수소 연산 1.3만톤(kg

당 8,000원 가정시)의 수소 판매로 연 1,000억원 이상 매출이 가능하고, 수소충전소

구축예정 120개(구축비용 충전소 하나당 30억원 가정시)의 매출은 수년에 걸쳐 3,600

억원(5년 가정시 연 720억원, 올해 기존 수소충전소 매출은 370~400억원 예상)이 반

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 사업규모가 수소충전소만 보면 2배 전후 증가하는 것이

고, 생산까지 고려하면 4배이상 확대되는 것이다. 합작법인이므로 손익은 지분법으로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린데와 액화수소 JV 추진

액화수소의 장점

액화수소 밸류체인 구축

추진

6/21일 액화수소 플랜트

기공식 예정, 9월말

수소기업협의체 출범

린데하이드로젠(생산),

효성하이드로젠(판매)

으로 구성

용연공장 부생가스로 연산

1.3톤 액화수소 생산 예정

120여개 충전인프라 구축

예정

2023년부터 JV 매출

본격화 예상. 수소 사업

규모는 충전소 2배 전후,

생산까지 고려시 4배 이상

확대 전망

효성중공업 (298040)

6 │ IBKS RESEARCH

그림 2. 효성중공업이 건설한 여의도 국회 수소충전소

자료: 효성중공업, IBK투자증권

그림 3. 린데의 독일 운터슐리스하임 수소충전소와 수소 트레일러

자료: Linde, IBK투자증권

이상현 6915-5662

IBKS RESEARCH │7

신사업 3) SE윈드로 해상풍력 합작 추진 변경

효성중공업의 풍력사업도 중장기 성장성이 부각되고 있다.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석탄과 원전의 비중이 줄어드는 대신 신재생 설비 용량은 2020년 20.1GW에

서 2034년 77.8GW로 3배 이상 늘어나고, 비중은 2020년 16%에서 2034년 40%로

크게 높아진다. 이 중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용량은 각각 45.6GW, 24.9GW, 2.6GW

이며, 풍력은 신재생에서 32%를 차지할 전망이다.

풍력 중에서는 해상풍력이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데 최근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

는 해상풍력 중 전남 신안 8.2GW 해상풍력 구축(2030년까지 사업규모 48.5조원)에

탄력이 붙고 있다고 보도된 바 있다. 여기에 9개 기자재 업체가 제안서를 제출했는데

두산중공업, 유니슨, 효성중공업, 휴먼컴퍼지트, 현대스틸산업, 세아제강, 대한전선 등

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외에도 인천 1.6GW, 충남 보령/태안/당진 등에

4GW, 전북 새만금 100MW급 등이 추진되고 있다.

효성중공업은 1990년대 중반부터 풍력발전기 개발을 추진해 풍력발전기의 주요 구성

기기인 증속기, 발전기, 제어기, 타워 등의 제품에서도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

다. 지난 2006년 국내 최초로 750kW 풍력 터빈 개발을 완료하고, 2009년 2MW,

2014년 5MW급 해상용 풍력 발전기 등의 개발을 통해 풍력 터빈의 모델 라인업을 구

축하여 기술력 및 종합엔지니어링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5MW 해상용 풍력발전

터빈을 2014년 제주 김녕 국가풍력실증단지에 설치 운영하여 2015년 독일 DEWI-

OCC로부터 국제 형식인증을 획득한바 있다.

다만 향후 대형화되는 해상풍력 터빈용량에는 해외업체와 협력해서 대응한다는 계획

을 가지고 있다. 이는 국산 풍력발전기가 규모의 경제를 이루지 못해 해외제품보다 비

싸고 기술 수준도 열위에 있기 때문이다. 해외업체와 핵심 기자재를 납품한다고 하면

그 외 HVDC(고전압 직류전송), 수소저장(HSS), 한전과의 우호적인 관계, 해상풍력

실증운영 경험 등을 고려했을 때 충분히 역량을 가지고 있다는 판단이다. 참고로 전남

신안의 해상풍력 8.2GW급이면 8MW급 풍력타워가 8천개가 필요하기 때문에 특정업

체가 독점한다기 보다는 몇개 업체가 나누어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최근 진행상황을 살펴보면 효성중공업은 SE윈드와 해상풍력 터빈 생산을 위한 합작법

인 설립을 추진 중이다. 작년말 골드윈드와 MOU를 맺었지만 해상풍력에서 우위에 있

는 SE윈드로 변경했다. 합작내용은 기존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합작법인을 통

해 8MW 이상 해상풍력 터빈을 생산하는 400MW 캐파 공장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

다.

SE윈드는 상해전기그룹의 자회사로 2020년 글로벌 풍력터빈 시장에서 5.07GW로 7

위를 기록했다. 상위 10위권 풍력터빈 업체들의 해상풍력 순위로는 2위를 기록하고

있어 골드윈드보다 해상풍력에서는 더 앞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합작법인에서 터

빈을 제작하고, 효성중공업은 블레이드와 타워 등 기타 서플라이 체인을 구성할 것으

로 보인다. 이를 통해 오스테드와 같은 Developing 회사가 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효성중공업과 골드윈드의 합작법인이 설립하는 400MW 공장은 6,000억원 규모의 연

풍력사업 중장기 성장성

부각

국내 서남해 해상풍력

추진 중

효성중공업은 과거

5MW급 풍력터빈 실증

경험 보유

대형화되는 해상풍력 터빈

용량 대응 위해

해외업체와 협력

SE윈드와 MOU, 기존

골드윈드에서 변경

400MW급 터빈공장 통해

연매출 6,000억원 규모

가능

효성중공업 (298040)

8 │ IBKS RESEARCH

매출이 가능한 것으로 추산된다. 해상풍력은 어업권 보상 등의 문제로 실제 추진이 지

연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단 수주가 되면 선급금을 40~50% 받는 구조이므로 2020년

대 초중반부터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4. 한국 연도별 풍력 보급전망(2020~2034)

주: 설비용량 기준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0~2034), IBK투자증권

그림 5. 글로벌 Top 10 풍력터빈 메이커들(2020년) 그림 6. 글로벌 Top 10 해상 풍력터빈 메이커들(2020년)

자료: BloombergNEF, IBK투자증권 자료: BloombergNEF, IBK투자증권

1.8 2.6 3.45.1

7.19.2

11.012.8

14.416.1

17.719.2

20.922.8

24.9

0%

10%

20%

30%

40%

50%

60%

0.0

5.0

10.0

15.0

20.0

25.0

30.0

202020212022202320242025202620272028202920302031203220332034

풍력(GW) 증가율

GW

0 5 10 15

GE

Goldwind

Vestas

Envison

Siemens Gamesa

Mingyang

Shanghai Electric

Windey

CRRC

Sany

육상(Onshore) 해상(Offshore)

단위: GW 0.00 0.50 1.00 1.50 2.00 2.50

Siemens Gamesa

Shanghai Electric

Mingyang

Envison

Goldwind

Vestas

Sany

Windey

CRRC

GE

단위: GW

이상현 6915-5662

IBKS RESEARCH │9

진흥기업 매각 가능성

종속기업인 진흥기업의 매각설이 보도되면서 이와 관련한 해명 공시를 냈다. 공시내용

을 보면 다양한 전략적 검토를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결

정하거나 확정한 사실이 없다고 공시했다.

진흥기업은 2008년초 효성그룹에 인수된 이후 2011년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채권단

보유 무담보채권이 출자전환되었고, 2019년 워크아웃 졸업하면서 채권단의 지분매각

시도 등으로 매각설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건설경기 회복 기대감과

대우건설 매각 흥행 조짐 등으로 이러한 가능성이 더 크게 부각된 것으로 보인다.

진흥기업 매각관련 보도에 의하면 시장에서는 효성중공업 보유지분(48.21%)과 채권단

지분(32.37%)으로 경영권이 포함된 총 80.58%가 매각대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분율 80.58%에 대한 매각가는 채권단이 지분매각시 설정한 최저하한선이 2,800억

원선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 주가상승을 감안하면 단순 지분율만 계산해도 3,500억원

대까지도 가능한 상황으로 보인다. 2008년 당시 효성이 931억원에 인수한 것으로 알

려지고 있으므로 천억원 이상의 매각차익 인식이 가능하고 추후 이를 토대로 신사업

투자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매각설 해명 공시

2019년 워크아웃 졸업

이후 꾸준히 매각설 제기

매각시 매각차익 토대로

신사업 투자 활용 가능

효성중공업 (298040)

10 │ IBKS RESEARCH

효성중공업 (298040) 포괄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십억원) 2019 2020 2021F 2022F 2023F (십억원) 2019 2020 2021F 2022F 2023F

매출액 3,781 2,984 3,149 3,342 3,479 유동자산 1,579 1,238 1,562 1,578 1,637

증가율(%) 73.4 -21.1 5.5 6.1 4.1 현금및현금성자산 38 52 21 88 209

매출원가 3,389 2,589 2,709 2,866 2,970 유가증권 7 8 0 0 0

매출총이익 393 395 440 475 509 매출채권 727 478 669 647 595

매출총이익률 (%) 10.4 13.2 14.0 14.2 14.6 재고자산 306 319 366 354 350

판관비 262 351 315 331 341 비유동자산 2,422 2,465 2,797 2,781 2,797

판관비율(%) 6.9 11.8 10.0 9.9 9.8 유형자산 1,077 1,135 1,154 1,173 1,198

영업이익 130 44 125 144 168 무형자산 161 146 137 134 135

증가율(%) 160.5 -66.2 182.7 15.8 16.3 투자자산 406 417 385 372 368

영업이익률(%) 3.4 1.5 4.0 4.3 4.8 자산총계 4,001 3,703 4,359 4,359 4,434

순금융손익 -69 -51 -36 -37 -37 유동부채 2,117 1,740 2,170 2,107 2,086

이자손익 -46 -40 -35 -37 -37 매입채무및기타채무 444 369 423 409 405

기타 -23 -11 -1 0 0 단기차입금 822 348 622 601 595

기타영업외손익 -6 -11 3 0 0 유동성장기부채 143 251 241 241 241

종속/관계기업손익 0 0 -2 -2 2 비유동부채 894 995 1,149 1,132 1,126

세전이익 56 -18 90 105 133 사채 373 180 180 180 180

법인세 40 1 20 24 30 장기차입금 94 396 422 422 422

법인세율 71.4 -5.6 22.2 22.9 22.6 부채총계 3,010 2,735 3,320 3,239 3,212

계속사업이익 16 -19 70 81 102 지배주주지분 908 884 951 1,032 1,134

중단사업손익 0 0 0 0 0 자본금 47 47 47 47 47

당기순이익 16 -19 70 81 102 자본잉여금 892 892 892 892 892

증가율(%) 739.5 -220.2 -463.9 15.7 25.8 자본조정등 -1 -1 -1 -1 -1

당기순이익률 (%) 0.4 -0.6 2.2 2.4 2.9 기타포괄이익누계액 -29 -35 -34 -34 -34

지배주주당기순이익 13 -22 67 81 102 이익잉여금 -2 -20 47 128 230

기타포괄이익 -10 -3 1 0 0 비지배주주지분 82 85 88 88 88

총포괄이익 6 -22 71 81 102 자본총계 990 968 1,039 1,120 1,222

EBITDA 201 120 211 232 259 비이자부채 1574 1551 1847 1787 1766

증가율(%) 174.1 -40.5 76.6 9.9 11.5 총차입금 1,436 1,184 1,473 1,452 1,446

EBITDA마진율(%) 5.3 4.0 6.7 6.9 7.4 순차입금 1,391 1,124 1,451 1,365 1,236

투자지표 현금흐름표

(12월 결산) 2019 2020 2021F 2022F 2023F (십억원) 2019 2020 2021F 2022F 2023F

주당지표(원) 영업활동 현금흐름 75 387 62 184 241

EPS 1,409 -2,382 7,202 8,697 10,943 당기순이익 16 -19 70 81 102

BPS 97,403 94,759 101,993 110,690 121,632 비현금성 비용 및 수익 165 201 127 127 127

DPS 0 0 0 0 0 유형자산감가상각비 50 55 69 71 75

밸류에이션(배) 무형자산상각비 21 21 18 17 17

PER 18.9 -26.1 10.4 8.6 6.8 운전자본변동 -59 264 -102 12 50

PBR 0.3 0.7 0.7 0.7 0.6 매출채권등의 감소 121 238 -185 22 53

EV/EBITDA 8.6 14.9 10.6 9.2 7.8 재고자산의 감소 34 -15 -43 12 4

성장성지표(%) 매입채무등의 증가 -209 -75 52 -14 -5

매출증가율 73.4 -21.1 5.5 6.1 4.1 기타 영업현금흐름 -47 -59 -33 -36 -38

EPS증가율 300.1 -269.0 -402.3 20.8 25.8 투자활동 현금흐름 -411 -109 -561 -56 -102

수익성지표(%) 유형자산의 증가(CAPEX) -11 -89 -84 -90 -100

배당수익률 0.0 0.0 0.0 0.0 0.0 유형자산의 감소 0 1 0 0 0

ROE 1.4 -2.5 7.3 8.2 9.4 무형자산의 감소(증가) 0 -2 -12 -14 -18

ROA 0.4 -0.5 1.7 1.9 2.3 투자자산의 감소(증가) -432 -4 32 13 4

ROIC 1.1 -1.3 5.0 5.4 6.9 기타 32 -15 -497 35 12

안정성지표(%) 재무활동 현금흐름 333 -263 467 -61 -18

부채비율(%) 303.9 282.5 319.4 289.0 262.7 차입금의 증가(감소) 64 337 -4 0 0

순차입금 비율(%) 140.5 116.1 139.7 121.9 101.1 자본의 증가 0 0 0 0 0

이자보상배율(배) 2.5 0.8 3.1 3.4 3.9 기타 269 -600 471 -61 -18

활동성지표(배) 기타 및 조정 0 -1 1 -1 1

매출채권회전율 5.4 4.9 5.5 5.1 5.6 현금의 증가 -3 14 -31 66 122

재고자산회전율 11.8 9.5 9.2 9.3 9.9 기초현금 41 38 52 21 88

총자산회전율 1.0 0.8 0.8 0.8 0.8 기말현금 38 52 21 88 209

*주당지표 및 밸류에이션은 지배주주순익 및 지배주주지분 기준

이상현 6915-5662

IBKS RESEARCH │11

Compliance Notice

동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외부의 압력이나 부당한 간섭 없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동 자료는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동 자료는 조사분석자료 작성에 참여한 외부인(계열회사 및 그 임직원등)이 없습니다.

조사분석 담당자 및 배우자는 해당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동자료에 언급된 종목의 지분율 1%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상기 명시한 사항 외 고지해야 하는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종목명 담당자 담당자(배우자) 보유여부 1%이상

보유여부

유가증권

발행관련

계열사

관계여부

공개매수

사무취급 IPO

회사채

지급보증

중대한

이해관계

M&A

관련 수량 취득가 취득일

해당 사항 없음

투자의견 안내 (투자기간 12개월) 투자등급 통계 (2020.04.01~2021.03.31)

종목 투자의견 (절대수익률 기준) 투자등급 구분 건수 비율(%)

적극매수 40% ~ 매수 15% ~ 중립 -15% ~ 15% 매도 ~ -15% 매수 140 95.2

업종 투자의견 (상대수익률 기준) 중립 7 4.8

바중확대 +10% ~ 중립 -10% ~ +10% 비중축소 ~ -10% 매도 0 0

최근 2년간 주가 그래프 및 목표주가(대상 시점 1년) 변동 추이 (◆) 적극매수 (▲) 매수 (●) 중립 (■) 비중축소 (■) Not Rated / 담당자 변경

효성중공업 추천 일자

투자 의견

목표가 (원)

괴리율(%) 추천 일자

투자 의견

목표가 (원)

괴리율(%)

평균 최고/최저 평균 최고/최저

2019.02.06 매수 57,000 -37.52 -17.11

2019.11.27 매수 36,000 -44.44 -24.44

2020.05.29 매수 22,000 -3.69 24.77

2020.06.24 매수 35,000 51.00 104.29

2020.12.28 매수 73,000 -0.63 20.00

2021.03.22 매수 106,000 -32.24 -25.28

2021.06.21 매수 106,000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