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38 mac02...

6
38 1. 문학의 성격 ‘무소유(無所有)’는 글쓴이가 자신의 구체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깨달음을 제시한 작품이다. 글쓴이의 인생관, 가치관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활동을 해 보자. 작품 선정 취지 ‘무소유’는 독서와 체험, 즉“간디 어록”을읽은뒤의소감과‘난(蘭)’에얽 힌 자신의 사연을 토대로 진정한 행복은 무소유로부터 오는 것임을 깨닫게 주는 수필로, 문학이 인간 개개인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함을 이해하 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이 글을 통해 글쓴이는 누구나 무소유의 자세를 갖게 때, 진정한 행복을 느낄 있다는 교훈을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쓴이의 가치관에 공감하거나 비판하는 활동을 해 봄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시각을 타인의 시각과 견주어 보는 객관화의 기회를 갖게 것이며, 이를 통해 인간과 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깨닫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작품 연구 •갈래: 경수필 •성격: 체험적, 교훈적, 사색적 •제재: 소유와 무소유, 난초 •주제: 무소유의 참된 의미와 정신적 자유의 소중함 •특징 - 깊이 있는 철학적 주제를 담담한 어조로 쉽게 제시함. - 인용과 예시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함. - 인생의 참된 의미를 역설적 논리로 이야기함. - 불교적 인생관이 짙게 반영됨. •구성 - 기: “간디 어록”을 읽고 난 후의 깨달음 - 서: 난초에 대한 집착에서 괴로움을 느낌. - 결: 무소유의 원리를 깨달음. 핵심 정리 1. 표현상의 특징 2. ‘소유’와‘무소유’의관계 3. ‘난초’의상징적의미 난초는 글쓴이에게 기쁨을 주기도 하지만 끊임없이 집착하게 하고 구속하 는존재로서‘소유욕’이나‘집착’의대상을상징한다. 4. 글쓴이가 깨달음을 얻어 가는 과정 “간디 어록”을 읽고 후의 사색과 성찰 + 글쓴이 자신의 난초에 얽힌 체험 소유 무소유 •자유 •홀가분함 •온 세상을 갖게 됨. •집착 •괴로움 •이해(利害)와 정비례 인용 “간디어록”을인용함. 예시 ‘난초’에얽힌사례를제시함. 역설 ‘크게 버리는 사람만이 크게 얻을 수 있다.’ 난초를 정성을 다해 기름. 난초에 너무 집착하 여 괴로움을 느낌. 무소유의 역리(逆理) 를 깨달음.

Upload: others

Post on 10-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38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사실, 이세상에처음태어날때나는아무것도갖고오지않았었다

3 8 1. 문학의 성격

‘무소유(無所有)’는 글쓴이가 자신의 구체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깨달음을 제시한

작품이다. 글쓴이의 인생관, 가치관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활동을 해 보자.

작품선정취지

‘무소유’는 독서와 체험, 즉“간디 어록”을 읽은 뒤의 소감과‘난(蘭)’에 얽

힌 자신의 사연을 토대로 진정한 행복은 무소유로부터 오는 것임을 깨닫게

해 주는 수필로, 문학이 인간 개개인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함을 이해하

게 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이 글을 통해 글쓴이는 누구나 무소유의 자세를

갖게 될 때,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교훈을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글

쓴이의 가치관에 공감하거나 비판하는 활동을 해 봄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시각을 타인의 시각과 견주어 보는 객관화의 기회를 갖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인간과 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깨닫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작품연구

•갈래: 경수필

•성격: 체험적, 교훈적, 사색적

•제재: 소유와무소유, 난초

•주제: 무소유의참된의미와정신적자유의소중함

•특징

- 깊이있는철학적주제를담담한어조로쉽게제시함.

- 인용과예시를통해자신의생각을뒷받침함.

- 인생의참된의미를역설적논리로이야기함.

- 불교적인생관이짙게반영됨.

•구성

- 기: “간디어록”을읽고난후의깨달음

- 서: 난초에대한집착에서괴로움을느낌.

- 결: 무소유의원리를깨달음.

핵심정리

1. 표현상의특징

2. ‘소유’와‘무소유’의관계

3. ‘난초’의상징적의미

난초는 글쓴이에게 기쁨을 주기도 하지만 끊임없이 집착하게 하고 구속하

는존재로서‘소유욕’이나‘집착’의대상을상징한다.

4. 글쓴이가깨달음을얻어가는과정

“간디어록”을읽고난후의사색과성찰 + 글쓴이자신의난초에얽힌체험

소유 무소유

➞ ➞

•자유

•홀가분함

•온세상을갖게됨.

•집착

•괴로움

•이해(利害)와 정비례

인용 “간디어록”을인용함.

예시 ‘난초’에얽힌사례를제시함.

역설 ‘크게버리는사람만이크게얻을수있다.’

난초를 정성을 다해

기름.

난초에 너무 집착하

여괴로움을느낌.

무소유의 역리(逆理)

를 깨달음.

(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38 mac02 T

Page 2: (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38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사실, 이세상에처음태어날때나는아무것도갖고오지않았었다

3 9[2] 문학의 역할

법정(法頂, 1932~2010)

승려, 수필가. 1954년에 효봉

선사의 문하로 입산하였으며, 불교

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일상적인 일

들을 소재로 삼아 쉽고 간결하게

표현한 수필을 많이 썼다. 주요 작

품으로‘무소유’, ‘설해목’, ‘나그

네 길에서’등이 있다.

“나는 가난한 탁발승(托鉢僧)■

이오. 내가 가진 거라고는 물레와 교도소에서

쓰던 밥그릇과 염소젖 한 깡통, 허름한 요포(腰布)■

여섯 장, 수건, 그리고

대단치도 않은 평판(評判), 이것뿐이오.”

마하트마 간디■

가 1931년 9월 런던에서 열린 제2차 원탁회의(圓卓會議)에

참석하기 위해 가던 도중 마르세유■

세관원에게 소지품을 펼쳐 보이면서 한 말

이다. K. 크라팔라니가 엮은“간디 어록(語錄)”을 읽다가 이 구절을 보고 나는

몹시 부끄러웠다. 내가 가진 것이 너무 많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적어도

지금의 내 분수로는.

사실, 이 세상에 처음 태어날 때 나는 아무것도 갖고 오지 않았었다. 살 만

큼 살다가 이 지상의 적(籍)■

에서 사라져 갈 때에도 빈손으로 갈 것이다. 그런

데 살다 보니 이것저것 내 몫이 생기게 된 것이다. 물론 일상에 소용되는 물

건들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없어서는 안 될 정도로 꼭 긴요한 것들만일

까? 살펴볼수록 없어도 좋을 만한 것들이 적지 않다.

우리들이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게 되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적잖

이 마음이 쓰이게 된다. 그러니까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

인가에 얽매인다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가졌던 것이 도리어 우리를 부자유하

게 얽어맨다고 할 때 주객이 전도되어 우리는 가짐을 당하게 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흔히 자랑거리로 되어 있지만, 그만큼 많이

얽히어 있다는 측면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다.

나는 지난해 여름까지 이름 있는 난초(蘭草) 두 분(盆)■

을 정성스레, 정말 정

성을 다해 길렀었다. 3년 전 거처를 지금의 다래헌(茶來軒)으로 옮겨 왔을 때

어떤 스님이 우리 방으로 보내 준 것이다. 혼자 사는 거처라 살아 있는 생물

이라고는 나하고 그 애들뿐이었다. 그 애들을 위해 관계 서적을 구해다 읽었

고, 그 애들의 건강을 위해 하이포넥슨가 하는 비료를, 바다 건너가는 친지들

01 무소유(無所有) 법정

■ 탁발승(托鉢僧) 경문(經文)을 외

면서 집집마다 다니며 시주를 받는

승려.

■ 요포(腰布) 인도나 중동 사람들

이 허리에 두르는 넓은 띠. 담요로

도 사용된다.

■ 간디(M. K. Gandhi, 1869~

1948) 인도의 정치가, 민족 운동

지도자. 영국에 대해 무저항, 불복

종, 비폭력, 비협력주의 운동을 전

개하여 인도의 독립운동을 이끌었

으나 한 힌두교 청년에게 암살되

었다.

■ 마르세유(Marseille) 프랑스 남

부에 있는 도시. 지중해에서 가장

큰 항구이다.

■ 적(籍) 병적, 당적, 학적 등과

같이 자신의 일신상의 일을 적어

놓은 문서. 여기서는‘세상살이’라

는 뜻으로 쓰였다.

■ 분(盆) 흙을 담아 화초나 나무

를 심는 그릇.

05

10

15

20

25

“간디어록”을읽으며느낀부끄러움

소유에대한생각

법정의 생애 및 작품 세계

(ppt) 활용

‘무소유’관련법정스님인터뷰

(hwp) 활용

세상살이

소유욕이앞서면그물건때문에오히려사람이물건에얽매이는결과가된다는뜻(소유의두가지측면)

물건에얽매이게되면그물건이도리어인간을구속하고꼼짝못하게만들어버림.(소유의역설)

중심소재

소유욕과소유물에

글쓴이가거처하는암자의이름

난초의의인화 - 난초를사람처럼여기며애정을쏟음.

『 』: “간디어록”의한부분 - 인용

『 』: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 - 재물에집착하는것의허망함

(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39 mac02 T

Page 3: (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38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사실, 이세상에처음태어날때나는아무것도갖고오지않았었다

4 0 1. 문학의 성격

에게 부탁하여 구해 오기도 했었다. 여름철이면 서늘한 그늘을 찾아 자리를

옮겨 주어야 했고, 겨울에는 필요 이상으로 실내 온도를 높이곤 했었다.

이런 정성을 일찍이 부모에게 바쳤더라면 아마 효자 소리를 듣고도 남았을

것이다. 이렇듯 애지중지 가꾼 보람으로 이른 봄이면 은은한 향기와 함께 연

둣빛 꽃을 피워 나를 설레게 했고, 잎은 초승달처럼 항시 청청했었다. 우리

다래헌을 찾아온 사람마다 싱싱한 난을 보고 한결같이 좋아라 했다.

지난해 여름 장마가 개인 어느 날 봉선사로 운허■

노사(耘虛老師)를 뵈러 간

일이 있었다. 한낮이 되자 장마에 갇혔던 햇볕이 눈부시게 쏟아져 내리고 앞

개울물 소리에 어울려 숲 속에서는 매미들이 있는 대로 목청을 돋우었다.

아차! 이때에야 문득 생각이 난 것이다. 난초를 뜰에 내놓은 채 온 것이다.

모처럼 보인 찬란한 햇볕이 돌연 원망스러워졌다. 뜨거운 햇볕에 늘어져 있을

난초 잎이 눈에 아른거려 더 지체할 수가 없었다. 허둥지둥 그 길로 돌아왔

다. 아니나다를까, 잎은 축 늘어져 있었다. 안타까워하며 샘물을 길어다 축여

주고 했더니 겨우 고개를 들었다. 하지만 어딘지 생생한 기운이 빠져버린 것

같았다.

나는 이때 온몸으로, 그리고 마음속으로 절절히 느끼게 되었다. 집착(執着)

이 괴로움인 것을. 그렇다. 나는 난초에게 너무 집념해 버린 것이다. 이 집착

에서 벗어나야겠다고 결심했다. 난을 가꾸면서는 산철 — 승가(僧家)의 유행기

(遊行期)■

— 에도 나그네 길을 떠나지 못한 채 꼼짝 못하고 말았다. 밖에 볼

일이 있어 잠시 방을 비울 때면 환기가 되도록 들창문■

을 조금 열어 놓아야 했

고, 분(盆)을 내놓은 채 나가다가 뒤미처 생각하고는 되돌아와 들여놓고 나간

적도 한두 번이 아니었다. 그것은 정말 지독한 집착이었다.

며칠 후, 난초처럼 말이 없는 친구가 놀러 왔기에 선뜻 그의 품에 분을 안겨

주었다. 비로소 나는 얽매임에서 벗어난 것이다. 날 듯 홀가분한 해방감. 삼 년

가까이 함께 지낸‘유정(有情)’을 떠나보냈는데도 서운하고 허전함보다 홀가분

한 마음이 앞섰다. 이때부터 나는 하루 한 가지씩 버려야겠다고 스스로 다짐

을 했다. 난을 통해 무소유(無所有)의 의미 같은 걸 터득하게 됐다고나 할까.

인간의 역사는 어떻게 보면 소유사(所有史)처럼 느껴진다. 보다 많은 자기네

몫을 위해 끊임없이 싸우고 있는 것 같다. 소유욕(所有慾)에는 한정도 없고 휴

■ 운허(耘虛, 1892~1980) 승

려, 독립 운동가. 속명은 이학수.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에, 광복

후에는 불교 경전을 한글로 옮기는

일에 전념하였다.

■ 유행기(遊行期) 승려들이 여기

저기 돌아다니며 수행하는 시기.

■ 들창문 벽의 위쪽에 아래위로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게 자그맣

게 만든 창.

05

10

15

20

25

난초에 대한 애착이 괴로움이

된 원인은 무엇인가?

?

난초에 대한 글쓴이의 정성과

애착이 드러난 부분을 찾아보자.

?

예시 답|‘그 애들을 위해 관계

서적을 ~ 실내 온도를 높이곤 했

었다.’

예시 답|난초에 대한 애착이 집

착을 불러와, 난초에 얽매여 자유

를잃어버렸기때문이다.

난초에대한애착

집착에서괴로움이나온다는깨달음

무소유의의미를깨달음.

매우사랑하고소중히여김.

싱싱하게푸르렀다.

소유에대한집착때문에생긴괴로운마음상태

글쓴이의깨달음(소유→집착→부자유→괴로움)

집착 집착과구속을벗어나자유를만끽함.

(불교에서) 마음을가진살아있는중생 - 난초 집착에서벗어나는해방감

무소유의의미를실천하겠다

아무것도갖지않을때비로소온세상을갖게된다.

소유라는관점으로보면인간의역사는더많은것을소유하기위해싸워온역사같다는의미

읽기 중 활동 예시 답안(ppt)

활용

『 』: 난초에대한지극한정성과애정이드러남.』

『 』: 소유에대한집착을느끼지못했을때의편안한마음상태

『 』: 난초에대한집착으로인한괴로움의구체적인내용

참고|인간의욕심과관련된속담

•말 타면 경마 잡히고 싶다: 처음에는 말이나 탔으면 하고 바라다가, 말을 타게 되면 다시 말을 부리는 사람까지 두

고싶은욕심이생긴다는뜻으로, 사람의욕심이끝이없음을이르는말이다.

•한 섬 빼앗아 백 섬 채운다: 곡식을 99섬 가진 사람이 한 섬밖에 갖지 못한 사람의 곡식을 빼앗아 100섬을 채운다

는뜻으로, 자신의욕망을위해서라면남의어려움은아랑곳하지않는태도를비판한말이다.

•감기 고뿔도 남은 안 준다: 감기 고뿔은 병이므로 남에게 줄 수만 있으면 당연히 주어야겠지만 자기 것이기 때문에

(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40 mac02 T

Page 4: (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38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사실, 이세상에처음태어날때나는아무것도갖고오지않았었다

4 1[2] 문학의 역할

일도 없다. 그저 하나라도 더 많이 갖고자 하는 일념으로 출렁거리고 있는 것

이다. 물건만으로는 성에 차질 않아 사람까지 소유하려 든다. 그 사람이 제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는 끔찍한 비극도 불사(不辭)하면서. 제 정신도 갖지 못

한 처지에 남을 가지려 하는 것이다.

소유욕은 이해(利害)■

와 정비례한다. 그것은 개인뿐 아니라 국가 간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어제의 맹방(盟邦)■

들이 오늘에는 맞서게 되는가 하면, 서로 으르

렁대던 나라끼리 친선 사절을 교환하는 사례를 우리는 얼마든지 보고 있다.

그것은 오로지 소유(所有)에 바탕을 둔 이해관계 때문인 것이다. 만약 인간의

역사가 소유사(所有史)에서 무소유사(無所有史)로 그 향(向)을 바꾼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 싸우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주지 못해 싸운다는 말은 듣지 못

했다.

간디는 또 이런 말도 하고 있다. “내게는 소유가 범죄처럼 생각된다…….”

그가 무엇인가를 갖는다면 같은 물건을 갖고자 하는 사람들이 똑같이 가질 수

있을 때 한한다는 것. 그러나 그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므로 자기 소유에 대

해서 범죄처럼 자책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들의 소유 관념(所有觀

念)이 때로는 우리들의 눈을 멀게 한다. 그래서 자기의 분수까지도 돌볼 새 없

이 들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언젠가 한 번은 빈손으로 돌아갈 것이

다. 내 이 육신마저 버리고 홀홀히 떠나갈 것이다. 하고 많은 물량일지라도

우리를 어떻게 하지 못할 것이다.

크게 버리는 사람만이 크게 얻을 수 있다는 말이 있다. 물건으로 인해 마음

을 상하고있는사람들에게는한번쯤생각해볼말씀이다. 아무것도갖지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 된다는 것은 무소유(無所有)의 역리(逆理)■

이니까.

“무소유(無所有)”(1976)

■ 이해(利害) 이익과 손해를 아울

러 이르는 말.

■ 맹방(盟邦) 서로 동맹을 맺은

나라.

■역리(逆理) 역설적인 논리.

05

10

15

20 ‘크게 버리는 사람만이 크게

얻을 수 있다.’라는 말의 의미에 대

해 생각해 보자.

?

이 작품은 글쓴이의 체험을 바탕으로‘소유’의 본질에 대한 깨달음을 제시한 교훈적인 수필이다. 인간의 고통과 번뇌는

소유에 대한 집착에서 비롯하며, 이 소유욕을 버리면 마음의 평정과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이 작품은

두 개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간디 어록”의 한 부분을 인용하여 글쓴이 자신은 간디에 비해 너무 많은 것

을 가지고 있어서 몹시 부끄러웠던 경험을 고백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이 직접 난초를 키우며 집착 때문에 괴로웠던 경

험을 제시하여‘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으로 무엇인가에 얽매이는 것이다.’라는 깨달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글쓴이는 인간의 역사가 자기네 몫을 차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싸워 온 소유의 역사임을 분명히 하면서 다시 한 번 간디

의 말을 인용하여 물질 만능주의에 빠진 현대인들이 무소유의 자세를 가질 것을 강조하고 있다.

예시 답|아무것도 갖지 않은 무

소유자가 될 때 비로소 참된 자유

와행복을얻을수있다는의미로,

인생의 진리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말이다.

→ 표현상의 특징: ‘크게 버리는’

과‘크게 얻을’은 서로 상반된 내

용으로, 모순된 논리 적용을 통해

어떤 깨달음이나 진리를 제시했다

는 점에서 역설법이 사용되었다고

볼수있다.

소유의부정적인측면

소유의본질

무소유의역리

사양하지않음. 기꺼이함.

이익과손해를따지는정도가클수록소유욕이커지고, 그 정도가작을수록소유욕도작아진다는의미

목적을서로같이하여동맹을맺은나라

소유하기위해싸워온역사 소유하지않기위해노력하는역사로전환한다면

자기가무언가를가지게되면다른사람이그만큼못가지게되므로, 그 사람에게죄를짓는것이된다는의미

소유물

아무것도갖지않은무소유자가될때비로소참된자유와행복을얻을수있다는의미(무소유의역리)

아무것도가지지않을때에모든것을가질수있다는것은역설적진리

마음을모두비웠을때비로소세상을바로볼수있고, 진정으로세상을소유하는것이된다

읽기중활동 +

•‘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 된다.’라는 말의

의미에대해생각해보자.

⇡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말은

소유에 대한 욕심을 모두 버린다

는 뜻으로, 소유욕에서 벗어나야

비로소 세상을 바로 볼 수 있고,

그것을 통해 마음의 참된 자유와

평안을얻을수있다는의미이다.

•이 글을 통해 글쓴이는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가?

⇡ 소유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마

음을비우며사는삶

욕심을부리고주려하지않는다는말로, 지독하게인색하다는의미이다.

•공것이라면 양잿물로 먹는다: 공짜라면 무엇이든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거머들인다는 뜻으로, 욕심을 부리며 좋

은것나쁜것가리지않는태도를이르는말이다.

•벼룩의 간을 내먹는다: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에게서 금품을 뜯어 냄을 비유하는 말로, 욕심 때문에 더럽고 인색

한행동을하는사람을이르는말이다.

(034~063)169Ⅰ-1(2)OK 2012.1.2 7:4 PM 페이지41 mac02 T

Page 5: (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38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사실, 이세상에처음태어날때나는아무것도갖고오지않았었다

2 ‘무소유’에 나타난 글쓴이의 깨달음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이 글에서글쓴이가깨달음을얻어가는과정을다음과같이정리해보자.

깊게이해하기문학을 통한 삶의 고양

문학 작품에 담긴 다양한 삶의 모습은 독자가 자신의 사회적 삶을 비추어 보는 거울이 되며, 타인과의 관계를

반성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계기가 된다. 우리는 작품 속에 나타난 인물이나 작가의 시각에 공감하거나 비판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자신의 시각을 타인의 시각과 견주어 보는 객관화의 기회를 갖게 된다. 이를 통해 인간과 세계

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깨닫게 되는 것이다.

⇡ ⇡

난초에 대한 애착

지난해 여름 선물 받

은 난초 두 분(盆)을 정

성을 다해 기름.

소유에 대한 깨달음

소유란

집착으로 인한 괴로움

4 2 1. 문학의 성격

(2) 소유에 대해 가지고 있던 자신의 생각과 글쓴이의 생각을 비교해 보고 차이를 말

해보자.

1 ‘무소유’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글쓴이는소유에대한사람들의태도가어떠하다고판단하고있는지말해보자.

(2) 이 글에나타난글쓴이의체험을정리해보자.

■간접체험:

■직접체험:

다가서기

3 다음은 소유의 문제에 대해 쓴 고전 수필‘차마설’이다. 이 글을‘무소유’와 비교하여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내가 집이 가난해서 말이 없으므로 혹 빌려서 타는데, 여위고 둔하여 걸음이 느린

말이면 비록 급한 일이 있어도 감히 채찍질을 가하지 못하고 조심조심하여 곧 넘어질

것같이 여기다가, 개울이나 구렁을 만나면 곧 내려 걸어가므로 후회하는 일이 적었

다. 발이 높고 귀가 날카로운 준마■로서 잘 달리는 말에 올라타면 의기양양하게 마음

대로 채찍질하여 고삐를 놓으면 언덕과 골짜기가 평지처럼 보이니 심히 장쾌■

하였다.

예시 답|인간의 소유욕은 끝이 없어서 항상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가지고 싶어 하며, 그래서 생활에 꼭 필요

한 것 이상의 욕심을 부리게 된다. 그럼으로써 집착이 생기고 이 집착으로 말미암아 시기하고 질투하고 다투게 된

다. 인간의역사는자기몫을위해싸우는소유(所有)의 역사로보이기까지한다.

“간디어록”을읽은후간디에비해자신은분수에넘치게소유하고있다는생각으로부끄러움을느낌.

난(蘭)을 기르면서난에얽매여외출마저자유롭지못하게되면서집착의괴로움을알게됨.

예시답|

이끌기|1-(2) 이 글에서

글쓴이는 두 가지의 체

험, 즉 독서를 통한 간접

체험과 자신이 몸소 겪은

직접 체험을 바탕으로 무

소유의 삶이 가지는 의미

를 말하고 있다. 두 체험

이 내용상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이해하면서 글쓴

이의 체험을 정리해 보도

록한다.

예시답|

난초에 얽매여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할 만큼 자유롭지 못하게 되면

서집착의괴로움을알게됨.

욕심에서 비롯되는 번

뇌와 고통을 가져오는 대상으로,

소유욕을 버리면 그것보다 더 큰

마음의평정과자유를얻게됨.

예시 답|나는 물질 중심의 사회인 현대를 살아가기 위해서 소유는 필요불가결한 것이고, 부정한 행위로 얻는 것이

아니라면소유는많을수록좋다고생각하였다. 그러나 글쓴이는인간의소유욕이역사의비극과인간성의상실을초

래하므로이러한욕심에서해방될때진정한자유와행복을얻을수있다고말하고있다.

이끌기|2-(1) 이 글은

글쓴이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소유의 본질에

대한 깨달음을 제시한 교

훈적 수필이다. 위의 1-

(2) 활동에서 정리한 직

접 체험의 내용을 바탕으

로 깨달음을 얻어 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정리

할수있도록한다.

이끌기|2-(2) 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 된다는 소유

에 대한 글쓴이의 생각과

평소 학생들이 갖고 있던

소유에 대한 생각을 비교

하여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지도한다.

작품 정리(ppt), 학습 활동예시답안(ppt) 활용

말을빌려타게된계기

말에서떨어져다칠위험이적으므로

(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42 mac02 T

Page 6: (034~063)169Ⅰ-1(2)OK 2011.11.25 7:21 PM 페이지38 mac02 T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사실, 이세상에처음태어날때나는아무것도갖고오지않았었다

넓게생각하기

4 3[2] 문학의 역할

(1) 이 글의 글쓴이는 무엇을 소유한다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말해

보자.

(2) 이글과‘무소유’를읽고자신이새롭게깨달은소유에대한생각을말해보자.

4 ‘소유와 행복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 가치관을 한 문단 정도의 수필로 표현하여 친구

들과 서로의 생각을 나누어 보자.

그러나 어떤 때에는 위태로워서 떨어지는 근심을 면치 못하였다.

아! 사람의 마음이 옮겨지고 바뀌는 것이 이와 같을까? 남의 물건을 빌려서 하루 아

침 소용에 대비하는 것도 이와 같거든, 하물며 참으로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이랴.

그러나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이 어느 것이나 빌리지 아니한 것이 없다. 임금은 백

성으로부터 힘을 빌려서 높고 부귀한 자리를 가졌고, 신하는 임금으로부터 권세를 빌

려 은총과 귀함을 누리며, 아들은 아비로부터, 지어미는 지아비로부터, 비복(婢僕)은

상전으로부터 힘과 권세를 빌려서 가지고 있다.

그 빌린 바가 또한 깊고 많아서 대개는 자기 소유로 하고 끝내 반성할 줄 모르고 있

으니, 어찌 미혹(迷惑)한 일이 아니겠는가?

그러다가도 혹 잠깐 사이에 그 빌린 것이 도로 돌아가게 되면, 만방(萬邦)■의 임금도

외톨이가 되고, 백승(百乘)■을 가졌던 집도 외로운 신하가 되니, 하물며 그보다 더 미

약한 자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맹자가 일컫기를“남의 것을 오랫동안 빌려 쓰고 있으면서 돌려주지 아니하면, 어

찌 그것이 자기의 소유가 아닌 줄 알겠는가?”하였다.

내가 여기에 느낀 바가 있어서 차마설을 지어 그 뜻을 넓히노라.

- 이곡, ‘차마설(借馬說)’

■준마(駿馬) 빠르게 잘 달리는 말. ■장쾌(壯快) 가슴이 벅차도록 장하고 통쾌함.

■만방(萬邦) 세계의 모든 나라. ■백승(百乘) 백 대의 수레. ‘승(乘)’은 수레 등을 세는 단위.

예시 답|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것은 근본적으로 다 빌린 것이므로 소유에서 비롯되는 인간의 심리는 허망하다고

생각하고있다.

예시 답|이 글과‘무소유’는 모두 소유에 집착하는 태도를 경계하고 있다. 나는 이 두 글을 읽고 소유에 과도하게

집착하면내가소유한물건에오히려내가구속되어나의자유가제한되며괴로움을느낄수있다는것을깨달았다.

예시 답|행복의 최소한의 조건은 기본적인 생활인 의식주(衣食住)에 곤란을 겪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러므로 소유는 기본적인 생활에 곤궁을 느끼지 않을 정도는 있어야 한다. 기본적인 생활이 해소되어도“말 타

면경마잡히고싶다.”라는말이있듯이사람들은더많은것을소유하고싶어한다. 그러나많이소유한사람

이 반드시 행복하다고 할 수는 없다. 인간의 역사를 보면 과도한 소유욕이 비극을 불러왔음을 알 수 있다. 한

편 행복이란 자신의 마음에 달려 있는 것이다. 아무리 많이 소유해도 행복하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것이고, 비

록 가난해도행복한 사람이있을것이다. 그러므로 기본적인생활을 할수있을정도의 소유를바탕으로 과도

한욕심을부리지않을때행복을느낄수있다.

이끌기|3-(1) ‘차마설’의

글쓴이는 말을 빌려 탄

경험을 통해 자기 소유에

대한 인간 심리의 변화를

유추하여 소유의 허망함

을 말하고 있다. 즉, 사람

들이가지고있는모든것

은, 유형이든무형이든간

에 모두 빌린 것이기에,

쓸데없는 소유욕을 버리

고 겸손한 삶의 자세를

가져야한다는것이다.

참고|‘무소유’와‘차마설’에나타난소유에대한관점의차이

•‘무소유’: 소유는 욕심에서 비롯되는 번뇌와 고통을 가져오는 대상으로, 소유의 집착으로 인한 괴로움에서 벗어나기 위

해서는무소유의자유와평화가필요하다고봄.

•‘차마설’: 사람의소유란본래다빌린것이므로이에집착하지말아야한다고봄.

문제은행(쪽지시험, 형성평가) 활용

개인적인체험으로부터일반화된화제로전환

소유의본질에대한깨달음(주제)

여자종과남자종

마음이어둡고흐려서무엇에홀린듯한상태

고려말의학자

글쓴이의생각을뒷받침해주는말(소견논거) - 인용

말을빌려탄경험제시

외물과소유에따른심리변화

소유의개념 - 남에게빌린것

미혹한소유관념과태도비판

작품연구|‘차마설’

•갈래: 수필, 설(設)

•성격: 교훈적, 철학적,

체험적, 우의적

•제재: 차마(借馬: 말을

빌린경험)

•주제: 소유에 구애받지

않는 삶의 자세(무소유의

깨달음)

•구성: 2단 구성(사실 -

의견)

•해제: 말을 빌려 탄 경

험을 소재로 인간의 그릇

된 소유욕을 비판하고 무

소유의 교훈을 이끌어 내

고 있다. 한문 문체의 하

나인‘설(設)’에 속하며,

현대문학의갈래로는‘수

필’에해당한다. 권력과부를상징그릇된소유심리의허망함

맹자의견해인용

『 』: 유추를통한깨달음『

(034~063)169Ⅰ-1(2)OK 2012.1.2 7:4 PM 페이지43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