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008발제 mobile hci2015

24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 MobileHCI 2015 - Jenny Paay / 윤정원 x 2015 Autumn

Upload: yoonjungwon

Post on 09-Apr-2017

278 views

Category:

Healthcare


3 download

TRANSCRIPT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 MobileHCI 2015- Jenny Paay / 윤정원x 2015 Autumn

Paay, Jeni; Kjeldskov, Jesper; Skov, Mikael; Srikandarajah, Nirojan; Brinthaparan, Umachanger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Research Centre for Socio+Interactive Design Aalborg University, Aalborg East, Denmark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AUTHOR

ABSTRACT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 담배피는 사람들이 흡연량을 줄이거나 금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앱 디자인

- 이 앱의 특징: Personal counselling

· 면대면으로 상담하는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불편하고 shy한 사람에겐 어려움 · 따라서, 스마트폰으로 상담을 해서 흡연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

INTRODUCTION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 연구 배경

· 흡연은 개인의 건강에 암, 폐질환, 심장질환, 혈액 순환 장애 등을 불러일으킴

· 때문에 금연 캠페인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담배 소비는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매년 6백만명의 사람들이 흡연관련의 질병으로 사망하고 있음

1. Personal Health

· 1:1 면대면 상담이 잘 알려진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비용도 많이 들고

· 특정 장소와 시간을 정해야한다는 점이 불편하고,

· Shy한 성격의 사람들은 어려움

2. Economical costs for societies

·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

· 리얼타임으로 흡연자들의 흡연 맥락과 흡연 습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음

3. Smartphone counseling

Related Works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1) Houston (Consolvo et al.)

· 스텝수를 카운트해주는 만보계· 다른 사람과 공유

3) Fish’n’Steps (Lin et al.)

· 활동량에 따라서 가상의 물고기를 키우는 방식· team player가 가능

2) Playful Bottle (Chui et al.)

· 하루 물 마시는 양을 motivate· 카메라와 가속도계가 측정

4) UbiFit Garden (Lin et al.)

· 활동량에 따라서 가상의 정원을 키우는 방식

1) use of tracking technologies

Related Works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1) Houston (Consolvo et al.)

· 스텝수를 카운트해주는 만보계· 다른 사람과 공유

3) Fish’n’Steps (Lin et al.)

· 활동량에 따라서 가상의 물고기를 키우는 방식· team player가 가능

2) Playful Bottle (Chui et al.)

· 하루 물 마시는 양을 motivate· 카메라와 가속도계가 측정

4) UbiFit Garden (Lin et al.)

· 활동량에 따라서 가상의 정원을 키우는 방식

- 자동적으로 기록되고, 비교적 정확한 data가 input -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visualization -> 사용자들의 행동 변화와 목표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1) use of tracking technologies

THE “QUITTYLINK” APP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 담배 핀 시간과, GPS를 활용해 핀 장소를 tracking (자가 + 자동 기록)

-> 시간과 장소를 트래킹하는 이유는 흡연의 경우,

커피마신 후, 저녁 먹기 전 등 특정한 장소와 시간에 강한 욕구가 생기기 때문

· 시각화해서 트래킹 결과를 보여줌

1. Person’s smoking behaviors

2. personalized counseling

· Quitline (금연상담소) 전문가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어 피드백을 전달함

-> 개개인들의 self-tracking data를 보고 메세지를 weekly로 전달

-> 유저가 읽기 원하는 장소, 시간을 선택해 받을 수 있음

QuittyLink Interaction Design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My Data 화면>

자가 기록한 정보들을 시각화해서 보여주는 화면1) line graph : Total smoked/ resisted, smoked 대비 resisted 수의 변화2) Triggers pie chart: 특정 상황이나 장소에서 smoked/resisted 한 비중3) Places bar chart : 얼마나 많은 담배를 다른 장소에서 피웠는지에 대한 정보 (GPS를 통한 자동 기록의 결과)

<Main 화면>

흡연했거나 resist했던 맥락과, 그 횟수를 버튼으로 기록-> 날짜, 시간, 장소는 자동 기록됨-> 옵션에 없는 맥락은 other로 선택

QuittyLink Interaction Design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Tips 화면>

1) Daily motivations

3) Personal advice

2) Daily tips

: 흡연의 장단점에 대한 글 제공

: 금연 관련한 어드바이스 제공

: 흡연 습관에 기반한 개별 상담 제공/ 동기부여되는 이야기와 데일리 팁들

“ 일주일 동안 핀 흡연량은 4000개의 화학물질과, 69개의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감귤이 금연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몇몇 흡연자들이 이야기하니, 당신도 오렌지 쥬스를 매일 마셔보세요”

Tip 제공: SMS로 유저에게 새로운 컨텐츠가 도착했으니 사용하라고 매일 알림

: 유저가 원하는 시간이나 장소를 지정해서 받을 수 있음

FIELD STUDY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 일주일에 한번 피드백주는 시스템이지만, 실험때는 매일 받을 수 있게 함

2. 기간 : 3주

· 22~52세, 평균 35세

· 4명: 남자, 9명: 여자

· 11명: 이전에 금연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사람

6명: 금연 생각이 있는 사람

4명: 금연을 준비하는 사람

3명: 금연 중인 사람

3. 참여자 : 13명

· 어떻게 흡연자들이 흡연 습관에 관한 데이터와 수신하는 피드백에 반응할지 조사

1. 목적

· 피드백을 주는 것이 단기간에 흡연량을 줄이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 매일 앱을 사용하게 함

FIELD STUDY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 SMS 리마인더로 매일 앱을 사용하게 했으며, 새로운 모티베이션과 팁 또한 매일 SMS 으로 제공

4. 방법

· 1주차: 1주차에는 개인피드백 없이 일단 데이터를 계속 모아서 7일차에 상담사에게 전달

1) 사전 설문

· demographic : 나이, 직업, 거주지 등의 기본적인 정보

· smoking habits : 얼마나 오랫동안 담배를 피워왔는지, 왜, 어떤 상황에서 주로 피는지,

금연을 위한 동기부여 요소와 금연 이유, 니코틴 중독 평가

2) 실험

· 2주차부터 개별 피드백 제공 : 15-25줄의 메세지 형태로 제공

3) 사후 인터뷰

· 앱 사용 경험과 금연 경험에 대한 인터뷰 45분동안 진행: 앱에 대한 인상, 데이터 기록, 그래프 이해도, 개별 피드백의 영향, 개선점 등등

: 앱 사용으로 금연의 동기부여가 어떻게 되었는지 사전 설문과 비교

FINDINGS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1. Feedback

·그래프로 시각화한 피드백에 대해, 13명 중 7명이 몰랐던 새로운 흡연 습관을 알아챘다고 말함

“ 나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핀다고 생각했는데, 집에서 제일 많이 피는걸 보고 흡연에 대한 내 판단이 정직하지 않았음을 알았다”

·그래프로 시각화한 피드백이 금연에 동기부여가 됨

: 저번주와 비교한 흡연량 그래프가 특히 금연에 동기부여가 되었음

·13명 중 11명이 데일리로 SMS 리마인더를 준 것이 유용했고,

금연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 사람들조차도 리마인더 알람을 꺼려하지 않았음

FINDINGS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2. Counselling

·유저의 금연 동기와 상담 메세지 수신이 긍정적인 영향을 보임

: 8명의 참여자가 심각하게 금연을 고려하여 시도했고, 그들의 습관이 바뀌기를 원함

: 흡연을 문제 상황으로 인식하지 않는 5명은 상담메세지가 압박감으로 다가왔음

·사용 후, 9명의 참여자들이 흡연 습관을 바꾸는데 성공함

: 실제 상담사가 개인적으로 메세지를 보내주는것이 동기부여에 큰 도움이 됨

: 흡연을 자주하는 장소를 알게되었으니, 해당 장소에서는 줄이려고 노력함

“담배를 살 때, 소비하는 관점에서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 담배 소비를 줄이고, 금연의 상태로 가는데 도움이 됨

CONCLUSION

QuittyLink: Using Smartphones for Personal Counseling to Help People Quit Smoking

자가 기록 + 개인 피드백 제공의 유용성

·자가 기록 데이터들은 유저들에게 흡연 습관과 행동에 대한 디테일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데 긍정적임

: 그들의 실제 흡연 행동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 금연에 동기부여가 됨

·전문가의 개인 피드백 제공

: 실제 전문가가 개별 데이터를 보고 피드백을 주는 새로운 방식을 택한 점에 있어,

스마트폰을 활용한 금연관련 어플리케이션 제작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었음

: 이 방법은 참여자들이 그들의 활동을 기록하고, 금연하는데 동기부여가 되었음을 증명함

: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과 기록된 실제 습관이 다름을 깨달음

ConCap: Designing to Empower Individual Reflection on Chronic Conditions using Mobile Apps+ MobileHCI 2015- Tom Owen, Jennifer Pearson/ 윤정원x 2015 Autumn

ConCap: Designing to Empower Individual Reflection on Chronic Conditions using Mobile Apps

ABSTRACT

- 만성질환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자가 관리를 위한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개입되고 있으나, 아직 HCI분야에서는 갭이 있음

- 그리고,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이해해서 외부 영향요인으로부터 자가 관리를 할 수 있는 툴이 부족 - 따라서, 모바일 자가 관리 툴로 유저 행동과 요구사항 도출 목적으로 모바일 자가관리 툴 개발 - 당뇨병환자들을 대상으로, 맥락적 정보를 캡쳐해서 자가관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고, 영향력이 있음을 밝힘

ConCap: Designing to Empower Individual Reflection on Chronic Conditions using Mobile Apps

SYSTEM DESIGN

- 당뇨병 사용자가 포도당 수치와 인슐린 단위를 입력하고, 그래프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하는 모바일 앱

- 사용자가 일상적인 활동을 촬영한 사진과 위치정보를 당뇨병 관리에 관한 건강 데이터로 활용 -> 혈당치와 운동량의 관계를 기존의 헬스케어 앱에서의 액티비티 수치가 아니라 사진으로 파악

- 당뇨병 환자: 운동관리가 절실하게 필요한 질환 운동을 안하면 혈당치가 높아지고, 하면 낮아져 적당한 운동량이 필요한 환자군

ConCap: Designing to Empower Individual Reflection on Chronic Conditions using Mobile Apps

Study Methodology

- 어떻게 유저들이 그들의 당뇨병을 관리하는지, ConCap의 영향력을 이해하기위해 4주간 수행

ConCap: Designing to Empower Individual Reflection on Chronic Conditions using Mobile Apps

Study Methodology

1. Procedure

- 참여자들은 이메일로 당뇨병 환자 커뮤니티에서 모집- 4주 총 참여자의 경우, 114파운드 리워드

- 당 수치와 사진찍기와 같은 데이터 입력을 요구함 -> 사진 데이터의 경우, 컨디션 관리하는데 어떤 요소들을 참여자들이 중요하게 간주하는지 알아보는것이 가능

- 실험기간 중 총 2번의 전화 인터뷰 진행: week1의 첫 날, week4의 마지막 날

2. Participants

- 총 12명(남:5, 여:7)을 대상으로 함 : 21~56세(평균 32.25세), 2년이상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 : 일반적으로 당 수치 모니터링 기기를 사용하던 환자, 1년이상 안드로이드 폰 사용자

ConCap: Designing to Empower Individual Reflection on Chronic Conditions using Mobile Apps

RESULTS

1. Participant Contexts

·첫 날과 마지막 날 인터뷰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자신의 건강 정보 관리 상태에 기초해 유저 그룹군을 분류함

- Standard: 참여자의 상태와 습관이 stable한 그룹

- Change: 전반적인 패턴이 조정 과정에 있는 상태의 그룹

standard (rigid), standard (fluctuating)

change (voluntary) and change (forced)

1) standard (rigid)

자기 자신에 대한 엄격한 관리로 주로 안정된 자가 관리 그룹

식품의 선택, 식사 시간과 크기, 그들의 계획과 활동 모니터링을 통해 당 수치를 컨트롤

2) standard (fluctuating)

그들의 건강 상태에 만족하지만, 불확실한 순간을 경험하기도 하는 그룹군

3) change (voluntary)

그들이 만든 선택으로 상태나 관리에 변화가 생긴 그룹, (아이를 갖을 계획을 세워서, 이전에 수행했던 통제 수준을 높힘)

4) Change (Forced)

치료계획이 변화해 통제 불능한 경우의 그룹

ConCap: Designing to Empower Individual Reflection on Chronic Conditions using Mobile Apps

RESULTS

2. Images Captured

·만성질병 관리 맥락에서 어떤 장소에서의 일상 생활이 가장 도움이될지 그 시나리오를 밝히는데 도움

- 음식과 음료, 장소, 이벤트가 일어난 장면(걷거나, 아침전 등의 일상생활), physical Artifact

ConCap: Designing to Empower Individual Reflection on Chronic Conditions using Mobile Apps

RESULTS

2. Images Captured

·사진은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어, 참여자들의 일상을 로깅할 수 있는 데이터가 되었음

- 시각적으로 참여자의 일과 중 이벤트에 대한 흔적을 보여줌

- 간단하고 복잡한 상황 모두를 캡처할 수 있음

- 추후에 가이드를 제공할 때, 비정상적인 당 수치와의 결합으로,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활동 기록이 됨

1. 당시 이 세션을 들으면서, 모바일 헬스케어에서 항상 중요시되는

자가기록을 넘어선 자동기록의 필요성과,

어떤 기능으로 자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해줄 수 있느냐를 다시 한 번 고민하게 만들었던 논문.

2. 본 논문들에서도 여전히 자가기록과 자가관리의 문제점이 존재하지만,

1) 자가기록을 두버튼과 같이 버튼하나로 편리하게, 한 화면에 다 보이도록 심플하게(3화면으로) 만듦

2) 자가 관리를 ‘사진’을 활용해 일상생활의 맥락적 상황 데이터와 건강 데이터를 함께 보여줌

Health & Support 세션의 두 논문을 들으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