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03
KACES ANNUAL REPORT 2014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014

Upload: arte

Post on 07-Apr-2016

22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사업소개Introduction of Business Activities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19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5

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61

4.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75

5.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83

6.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91

KaCeS annual report 2014

an

nu

al r

ep

or

t 2

014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Ko

rea a

rts & C

ultu

re e

duca

tion S

erv

ice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014

Page 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Page 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Page 4: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kaces annual report 2014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014

Page 5: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contents

기관소개KACES 01. 기관장 인사말 08

KACES 02. 2014 기관운영성과 09

KACES 0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10

KACES 04. 기관예산서 11

KACES 05. 부서 및 주요업무 소개 12

사업소개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Chaper 01.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0

Chaper 0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30

Chaper 03.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2

Chaper 04. 고3ㆍ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3

Chaper 0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6

Chaper 02.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9

Chaper 03. 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44

Chaper 04. 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및 지역 확산 46

Chaper 0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47

Chaper 06. 소외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54

Chaper 07.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특별한 하루> 57

Chaper 08. 기업사회공헌 사업 58

Page 6: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Chaper 01. 예술강사 연수 운영사업 62

Chaper 02. 사회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65

Chaper 03.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역랑 강화 연수 66

Chaper 0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운영 69

Chaper 05. 예비 기획인력 양성과정, 문화도담 70

Chaper 0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71

Chaper 01. 연구 및 조사 사업 76

Chaper 02. 전문가연구회 및 포럼 78

Chaper 03. 연구서비스화 사업 80

Chaper 01.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84

Chaper 02. 한국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매뉴얼 개발 및 연계 시범사업 85

Chaper 03.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86

Chaper 04. 문화예술교육 온·오프라인 교류 및 조사연구 88

Chaper 01. 대외성과 확산 92

Chaper 02. 아르떼365 93

Chaper 03. 온·오프라인 홍보물 제작 및 확산 94

Chaper 04. 국민소통채널 운영 95

Chaper 05. 2014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96

98

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4.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5.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6.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KACES 바로가기

Page 7: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Page 8: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기관소개Introduction of KACES

KACES 01. 기관장 인사말 08

KACES 02. 2014 기관운영 성과 09

KACES 0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10

KACES 04. 기관 예산서 11

KACES 05. 부서 및 주요업무 소개 12

Page 9: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08

기관소개

안녕하십니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주성혜입니다.

많은 기대 속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설립되고 문화예술교육의

작은 씨앗을 심기 시작한지도 이제 10년이 다 되어 갑니다.

그 사이 교육진흥원의 긴 노력은

씨앗이 새싹이 되어 꽃을 피우고 저마다의 향기로 퍼져 나가듯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이름으로 대한민국 곳곳에서

누군가의 웃음이 되고 행복이 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문화와 예술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교육으로 배우고 외워야 하는 기술적 측면에서의 문화와 예술은 이제

즐겁고 신나는 또 하나의 놀이이자 평범한 일상에서 만나는

쉽고 재밌는 삶의 활력소가 되었습니다.

교육진흥원은 이제 문화예술교육 지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앞으로의 10년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교육방법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문화예술 교육자 및 관계자 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문화예술교육자원 정보뱅크 및 포털 서비스망

구축을 통해 국민들이 문화예술교육을 보다 쉽게 만나고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인프라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2014년에 주셨던 많은 관심과 사랑을 2015년에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기관장 인사말KACES 01

Page 10: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09

KACES 02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확대

지역 연계 사업 추진 및 협력 강화

찾아가는 문화예술교육 지원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관계 증진 및 소통의 장 마련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을 위한 진흥기반 강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전 국민의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아동·청소년기 문화예술교육, 성인기·노년기 문화예술교육에 이어 2014년에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과 프로그램 발굴 등을 통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의 범위를 더욱 확대하였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이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 곳곳에서 자생적으로 꽃피울 수 있도록 지역 연계 사업 및 협력을 강화하였습니다.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자원을 고려한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광역센터와 연계한 지역순회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추진,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16개 시도 운영기관 컨설팅 연구 등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기회 확대 및 지원 기반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도서벽지 등 문화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한 ‘예술상상 체험대’, 농산어촌 지역을 위한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지원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등 문화 사각지대를 찾아 지원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기회를 확대하였습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의무경찰부대 소속 의경, 고3 수험생 등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한 수혜자들을 발굴하여 수혜자의 특성에 맞춘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였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함께 체험하고 즐기는 과정에서 서로 이해하고 소통하는 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2014년에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와 가족이 만나 함께 예술의 즐거움을 발견하는 예술캠프 ‘가가호호’, 함께 악기를 연주하고 노래하며 가족과 소통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가족 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등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높은 호응을 얻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 정책 검토 및 향후 추진방향 모색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연구회’ 운영, 쉽고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 정책 공유를 위한 ‘아르떼 인포그래픽 및 영상보고서 제작’, 문화예술교육의 국제 교류 및 협력·지원을 위한 ‘한국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매뉴얼 개발 및 연계 시범사업’과 ‘ODA사업’,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아르떼 아카데미’ 운영 등 질 높은 문화예술교육의 지속 지원을 위한 기반을 강화하였습니다.

2014 기관운영 성과

Page 1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0

기관소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의거해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입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개개인의 문화예술

향유 능력 및 창의력을 함양시키고, 전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학교문화예술교육지원, 사회문화예술교육지원,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문화예술교육 학술연구 및 조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업무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문화예술체험을 통한 창의성 함양

창의성 고양CO-CREATIVITY

문화예술을 통한 세대, 계층 간 이해 공감 증진

문화수용력 제고CO-LITERACY

상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강화

상생교육 강화CO-EXISTENCE

상생과 공존의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협력체계 구축CO-OPERATION

문화예술교육 인프라 강화

교육기반 질적 제고CO-EDU-INFRA

비전과 미션

핵심가치

CORE VALUES

KACES 03

비전

VISION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실현

미션

MISSION

상생과 공존의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Page 1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1

2014년사업별 예산

60%

26%

14%

기관 예산서KACES 04

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화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 24,861소외아동 오케스트라 지원 4,958

총계 29,819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예술강사 지원 38,408예술강사 지원(지방교육재정) 27,347예술꽃 씨앗학교 지원 3,500문화예술교육사추진단 300

총계 69,555

기타

토요문화학교 운영 | 토요문화학교 운영·문화예술교육사 통합예술교육 11,187전문인력 양성 및 연수 | 문화부 공무원 연수 17문화예술교육 ODA 100진흥원 운영비 4,100특별회계 | 기부금사업 426수익사업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발급 수수료 20

총계 15,850

단위 : 백만 원

115,224

109,739

40,0000 80,000 120,000

2013년

2014년

5,485

Page 1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2

기관소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 진흥 기반을 확충하고 업무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2014년 3본부 1실 11팀 4TFT 체제로 운영되었습니다.

부서 및 주요업무 소개

KACES 05

<조직도>

대외협력팀

학교

문화

예술

교육

본부

사회

문화

예술

교육

본부

교육

진흥

본부

기획

전략실

원장

구성 세부내용 주요업무

학교문화예술교육본부

학교교육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문화의 창조자로 성장시키고, 지역과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지역여건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산시킵니다.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

창의사업팀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유아를 시작으로 초·중·고등학교까지 새로운 교육 모델을 창출하여 확산시킵니다.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 예술강사 신규분야 시범운영,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

문화예술교육캠프TFT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와 가족이 만나 예술의 즐거움을 발견하고 가족 간 소통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가족 문화예술교육 캠프를 기획·운영합니다. ※ 기업 사회공헌 기부금 활용 / 2014년도 사업 종료

정책연구팀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지원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질적 향상을 위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연구 및 조사 사업을 수행합니다.

연구 및 조사 사업, 전문가연구회 및 포럼, 연구서비스화 사업

비전TFT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및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2005년) 이후 10년을 맞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그간의 성과를 정리하고, 미래의 위상 및 역할 수행을 위한 기관의 비전·미션 수립 업무를 수행합니다.

구성 세부내용 주요업무

사회문화예술교육본부

사회교육팀 문화예술교육이 누구에게나 행복하고 즐거운 일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주체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만들어 갑니다.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 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운영, 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및 지역 확산

융합사업팀 학교와 사회, 아동·청소년부터 일반시민까지 모두를 아우르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운영,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운영,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특별한 하루> 운영, 고3·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 기업 사회공헌 사업 운영

꿈의 오케스트라 TFT 오케스트라 교육을 통해 아동ㆍ청소년의 상호학습과 협력을 통한 다면적 성장을 돕고, 지속적으로 양질의 콘텐츠와 인재양성을 위한 기반을 구축합니다.

지역 거점형 꿈의 오케스트라 운영 및 캠프·공연 지원,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교육강사연수 운영,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관련 연구 및 개발 사업

Page 14: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3

구성 세부내용 주요업무

교육진흥본부

인력양성팀 문화예술교육의 창의적 리더와 인재를 육성하고, 다양하고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연수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아르떼 아카데미 (ArtE Academy: AA)를 운영합니다.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 / 의무 / 선택연수,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연수, 교원 및 행정인력 연수, 문화예술교육 키움 (Key-Um) 기획·운영,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대학(원)생 대상 문화도담 운영

국제교류팀 국내ㆍ외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례, 예술교육 철학 및 방법론 등을 교류하며, 해외 현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고 있습니다.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한국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매뉴얼 개발 및 연계 시범사업,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해외 네트워크 구축 및 콘텐츠 관리

문화예술교육사 TFT 문화예술교육인력의 질적 제고 및 사회적 공신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를 운영합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위탁운영,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기반 조성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운영 부서

3본부

1실

11팀

4tFt

구성 세부내용 주요업무

기획전략실

경영기획팀 기관 비전 및 미션에 따른 경영계획 수립과 성과관리를 통해 효과적인 조직 운영방향을 제시하고, 조직 핵심역량 강화로 정책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업무를 수행합니다.

기관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및 혁신업무, 기관 경영ㆍ성과 관리 및 평가, 대정부ㆍ대외업무, 인사 노무 관리 업무, 계약 및 구매, 입찰 업무,청사 및 자산 관리

재무회계팀 예산총괄, 집행 등의 회계업무를 통해 교육진흥원의 예산 수립과 집행, 사업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각 팀의 업무를 지원합니다.

예산관리 및 운용, 회계결산 및 감사, 각종 세무신고 및 제세 납부 관리

정보화팀 전 국민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상시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교육진흥원이 문화예술교육 허브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응용시스템 및 IT 인프라를 운영ㆍ지원합니다.

정보화 기획 및 구축, IT 인프라 운영 및 관리, 각 팀 정보화 관련 업무 지원

대외협력팀

구성

대외협력팀

세부 내용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목표로 대중과의 소통에 중점을 둔 정책공감 사업을 추진, 소통과 상생의 문화예술교육을 만들어갑니다.

주요업무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정책사업 홍보, 홍보캠페인 기획·운영, 아르떼 365 발행, 기관 공식 SNS 등 소통채널 기획 운영, 온오프라인 홍보물 제작 및 확산,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기념행사 개최

Page 15: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Page 16: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사업소개Introduction of Business Activities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19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5

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61

4.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75

5.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83

6.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91

Page 17: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6

한 눈에 보는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전 국민이 행복하게 문화적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개개인의 문화예술 향유능력 및 창의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합니다. 2014년에도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9,898개의 기관과 2,667,262명이 문화예술을 만나고, 7,219명의 예술강사가 교육활동에 참여하였습니다.

수혜자 현황 보기

학교

예술강사

지원

예술꽃

씨앗학교

예술강사

연수

문화예술교육

ODA사업

유아

문화예술교육

사회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강화

연수

예술강사의

아르떼

동아리

CoP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고3·수험생대상

지원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역량강화

연수

문화예술교육포럼

문화도담

문화예술교육

국제

심포지엄

30,000명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20,320

102

2,555,296

6,022

1,888

3,928

764 379 106 34647 395 282 177

학교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5,394명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1,825명

학교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8,007개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1,891개

4,212

복지기관

지원

부처

간 협력

사업

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소외아동청소년오케스트라

꿈다락토요문화학교

문화예술명예교사

26,630

23,164

3,097

1,920

5,901

12,100

75%

25%일자리 창출 수

7,219

81%

19%

지원기관 수

9,898

Page 18: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강화

문화예술교육정책 진흥기반 조성

어린이와 청소년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합니다.

일자리 창출

5,394지원기관

8,007

교육인원

5,495자격증 발급

2,117연구개발

8인포그래픽

6영상보고서

1

수혜자

2,567,134

•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고3ㆍ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 예술강사 연수 운영사업• 사회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역랑 강화 연수•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운영• 예비 기획인력 양성과정, 문화도담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

•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한국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매뉴얼 개발 및 연계 시범사업•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문화예술교육

온·오프라인 교류 및 조사연구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 연구 및 조사 사업• 전문가연구회 및 포럼• 연구서비스화 사업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이 지속될 수 있도록

튼튼한 기반을 만들어요.

예술교육도글로벌하게!

Page 19: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소통

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참여자

21,821총 언론보도 실적

3,860

다양한 사람들이 자신의 삶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만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만들어갑니다.

일자리 창출

1,825지원기관

1,891수혜자

72,812

• 연구 및 조사 사업• 전문가연구회 및 포럼• 연구서비스화 사업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및 지역확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소외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특별한 하루>• 기업사회공헌 사업

• 대외성과 확산• 아르떼365• 온·오프라인 홍보물 제작 및 확산• 국민소통채널 운영• 2014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 예술강사의 발• 문화예술교육포럼•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문화예술교육 국제 심포지엄•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함께 나눠요.

다양한 방법으로소통해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이 지속될 수 있도록

튼튼한 기반을 만들어요.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Page 20: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8

Page 2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9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1.

Project for School Arts & Culture Education

Chapter 01.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20

Chapter 02.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30

Chapter 03.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2

Chapter 04. 고3·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3

Page 2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0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 사업내용

전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감수성을 기르고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문화예술교육활동을 지원합니다. 2014년에는 8개 분야 4,735명의 예술강사가

전국 7,809개교에서 교육활동에 참여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전국 17개 시도 7,809개교에 국악 등 8개 분야 예술강사 4,735명 지원※ 교육 분야별 복수지원 포함시 지원학교는 10,530개교임

Chapter 01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 예술강사 지원 학교 수

7,809

학교 예술강사 지원분야

8

학교 예술강사 수업 시수

1,468,875

학교 예술강사 수

4,735단위: 명

분야별 학교 수 단위: 개교

분야별 강사 수 1,884

919 803

471247 199 137 75

4,312

1,907 1,759

1,097472 441 299 243

국악 무용 연극 영화만화·애니 공예 디자인 사진

학교 수 총계

10,530

강사 수 총계

4,735

국악 무용 연극 영화만화·애니 공예 디자인 사진

분야별 수업 시수 단위: 시수

656,310

286,884219,569

140,67160,632 47,651 36,112 21,046

수업 시수 총계

1,468,875

국악 무용 연극 영화만화·애니 공예 디자인 사진

Page 2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1

<추진 체계도>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 17개 시·도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가 모두 협력하여 재원을 조성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16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국악운영단체가 각 지역별로 사업을 실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전국 초·중·고등학교 - 선정 학교예술강사 교육활동 진행

문화체육관광부사업지원총괄

교육부사업지원

사업계획 수립

지방교육재정교부

사업비 50% 보조

사업비재교부

사업비 재교부국고 50%, 지방비 50%

국고보조

16개 광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7개 분야 선발 및 배치, 지원

16개 국악운영단체 국악 강사 선발 및 배치, 지원

시·도 자치단체사업지원

시·도 교육청지원학교 선정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사업운영총괄

Page 24: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2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신규 분야로 최초 선정된 학교를 대상으로 해당 분야의

교육에 필요한 기자재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2014년에는 총 1,893개교에 분야별 기자재를 지원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분야 교육과정 지원품목 지원 학교수

연극 창의적 체험활동 조명세트 294

영화선택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토요동아리촬영세트 193

무용초,중,특수학교 탈춤한삼, 스피커 479

고등학교 부채, 스피커 12

만화·애니선택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토요동아리조트로프,

디지털카메라 등 380

공예 창의적 체험활동, 토요동아리 청자토(10kg), 한지제작세트

227

사진 창의적 체험활동, 토요동아리 포토프린터기 129

디자인 창의적 체험활동, 토요동아리 버튼제작기 179

총계 1,893

단위: 개교

| 사업내용

예술강사 교수 능력 평가를 통한 전문성 강화 및 교육현장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지원을 위해 8개 분야 예술강사 4,604명을 대상으로 교육활동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단위: 명

1,844

907773

460229 187 133 71

국악 무용 연극 영화만화·애니 공예 디자인 사진

총계

4,604

교육기자재 지원

예술강사 교육활동 및 운영학교 협조도 평가

Chapter 01

Page 25: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3

| 사업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이 현장을 기반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해당 분야별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교육위원회를 운영합니다. 국악, 연극,

무용, 미술, 미디어, 음악, 인사·노무 등 총 28명을 위촉하여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선발·심의, 학교선정, 기자재 지원, 교육활동 평가, 예술강사 처우개선 등에 대한

사항 의결 및 자문 역할을 수행합니다.

| 세부실적

제6기 교육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운영기간 (임기): 2014. 7~2015. 6 (1년간)단위: 명

구분 인원 구분 인원

국악 교육위원 3 미디어 교육위원 6

연극 교육위원 3 음악 교육위원 3

무용 교육위원 3 교육분야 교육위원 2

미술 교육위원 6 인사노무 교육위원 2

총계 28

| 사업내용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17개 시도 교육청 및 자치단체,

16개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및 국악운영단체 등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주체간의 인식 공유와 협력 강화를 위한 워크숍을 운영하여 지속적인 소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예술강사지원사업 관계자워크숍 2월~11월, 총 2회

구분 날짜 참석자 수

1차 관계자 워크숍 2014. 2. 26~27 89명

2차 관계자 워크숍 2014. 9. 25~26 106명

교육위원회 운영

관계기관 협력 강화

Page 26: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4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기관 순차이관 과정에 있어 세부운영 및 효과적인

정책 지원계획 마련을 위해 16개 시도 광역센터 및 국악운영단체 컨설팅을

지원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1. 운영기관별 컨설팅 간담회의 추진

일자 방문지역참여단체

광역센터 국악운영단체

2014. 10. 17 대구권 대구, 경북 대구, 경북

2014. 10. 17 부산권 부산, 울산, 경남 부산, 울산, 경남

2014. 10. 22 전라권 광주, 전북, 전남, 제주 광주, 전북, 전남, 제주

2014. 10. 29 충청권 대전, 충남, 충북 대전, 층남, 충북

2014. 11. 17 서울,경기권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서울, 인천, 경기, 강원

2. 주요 컨설팅 내용

• 인사·노무 분야 및 사업진행 법률 자문 및 애로사항 컨설팅

• 예술강사, 운영학교 등 관계자와 업무상 갈등 처리 절차

• 운영기관 담당자의 낮은 임금 및 고용불안 관련 정책 방향

• 평가제도 개선 및 통합운영시스템 관리 방향

• 운영기관별 위기관리 대응 등

Chapter 01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기관 컨설팅 지원

Page 27: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5

| 사업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민원 응대율 향상 및 전문 응대서비스를 통한 학교교육팀의

업무효율화를 위해 예술강사 지원사업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월 평균 통화 건수: 2,159건(예술강사 및 학교담당교사 등 문의)

<월별통화건수>

<콜센터 ARS 서비스 구조>

예술강사 지원사업 콜센터 운영

월 평균 통화 건수

2,159 통화 수 (건)

11월

2,049

10월

4,119

12월

2,392

9월

2,043

8월

1,657

7월

2,109

6월

2,662

5월

1,209

4월

1,189

통화 수 총계

19,429

외부 전화 (예술강사, 학교 등)

학교교육팀 콜센터(1600-0144)

진흥원 대표번호/학교문화예술교육

민원전화(02-6209-5900

/5988)

학교교육팀 콜센터 담당자

• 관련 민원 응대• 진흥원 내부 부서간 연결• 운영기관 연결

사회교육팀

인력양성팀

ARS 서비스

평균통화비율 63 %

예술강사 문의

37 %

학교담당교사 문의

Page 28: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6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학교 교육현장의 수요 증가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문화예술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관현악, 미디어아트, 서예문화, 문학창작 분야를 시범 운영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1. 운영실적

관현악 문학창작 서예문화 미디어아트

16 15 15 1410 10

4534

운영학교 (개교) 강사 (명)

관현악 문학창작 서예문화 미디어아트

351 366

146

735 참여학생 (명)

2. 일본 교토조형예술대학 및 도호쿠예술공과 대학과 업무협약 체결 2014. 5. 21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사업 효과성 제고와 한-일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구축

및 확대를 위한 목적으로 상호협력 기반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3. 해외전문가 초청 예술강사 대상 연수 2회 운영분야 일시 강연자

미디어아트 2014. 8. 7 (목) 미야지마 타츠오(교토조형예술대학)

서예문화 2014. 8. 15 (금) 카세츠(서예가)

4. 결과발표회 개최분야 일시 장소 참석자 수

미디어아트 2014. 12. 23 (화) 네이버 그린팩토리 192명

문학창작 2014. 12. 27 (토) 동국대학교 중강당 242명

5. 문학창작 분야 참여 학생 작품집 출판

• 제목 : 달콤 쌉쌀한 코코아

• 작품 수 : 총 112편(시 67편, 개인 창작 소설 20편, 공동 창작 소설 7편,

시나리오 5편, 웹툰 1편, 비평 3편, 동화 2편,융합 장르 2편, 참여후기 5편)

* 외부수상내역 : 안산별망성예술제 백일장 시 창작 부문 우수상 등 총 8편 수상

Chapter 01

신규분야 시범사업

운영학교 수

86강사 수

73참여 학생 수

1,598

Page 29: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7

| 사업내용

도서벽지 등 문화소외지역 학교 학생들이 방학기간(동절기 2014.1~2 /

하절기 2014.7~8)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분야별 예술강사들이 장르 통합형,

공연·전시 및 체험형 교육프로그램을 기획·진행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1. 동절기 프로그램

10개팀 5개권역 48개교 실시, 총 2,954명 참여

(학교예술강사 90명, 초등학교 학생 2,710명, 교사 154명)

구분 강원 경기 경남 인천 전남 총계

학교수 (도서벽지) 19 (10) 13 (4) 4 (1) 6 (3) 6 (6) 48 (24)

프로그램 수 19 14 4 6 7 50

참여학생수 1,058 819 256 288 289 2,710

2. 하절기 프로그램 (안산 지역)

7개 팀 안산지역 20개교 실시(학교당 3일간 진행), 총 1,074명 참여

(학교예술강사 66명, 초·중·고등학교 학생 988명, 학교 담당교사 20명)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총계

학교수 12 6 2 20

프로그램 수 13 6 2 21

참여학생수 691 197 100 988

예술상상체험대 블로그 http://blog.naver.com/art_wonjeong예술상상체험대 비메오 http://vimeo.com/92222054

예술상상 체험대

참여자 피드백

“TV에서 카메라와 마이크를 들고 취재하는 기자들의 모습을 보며 나도 언젠가는 그 자리에 서고 싶다는 꿈을 꾸었다. 진짜 기자가 된 기분이다.”

화랑초 4학년 이은민

“짝사랑이라는 대상이 정해져도 표현방식에 대한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아 막막했다. 평소 주도적으로 생각하는 힘이 부족해서인 것 같다. 조별로 머리를 맞대 기획회의를 하고 스토리를 만드는 창작과정에서 많이 배웠다. 수행평가를 준비할 때도 도움이 될 것 같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우리이기에 사진과 영상으로 작업을 하니 흥미로웠다.” 시곡중 3학년 박찬영

출처: 정책브리핑 기사 http://www.korea.kr/policy/mainView.do?newsId= 148783582

Page 30: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8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예술강사 컨퍼런스 ‘예술강사의 발 發’을 운영하여 예술강사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점과 개개인이 축적하고 있는 경험을 공유, 논의, 발전시킬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2014년 컨퍼런스는 ‘OOO이 바라보는 예술강사’라는 대주제로

진흥원 및 4개 지역 광역센터가 연계·협력하여 추진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2014 예술강사 컨퍼런스 ‘예술강사의 발’ 총 5회 개최(각 지역별 1회)

지역 지역별 주제 일시 장소 주관 참석인원

울산 괜찮아, 그게 너야 2014.12.16 (화)14:30~18:40

36.5 카페& M-THEATER

울산광역센터

80

강원 우리 통(通)했나요? 2014.12.16 (화)13:00~20:00

KT&G 상상마당(춘천)

강원광역센터

64

전북토닥씨와 쓰담씨가 바라보는 예술강사

2014.12.17 (수)08:10~21:00

전주서학아트스페이스

& 아프리카 TV

전북광역센터

100

서울사이사이: 예술강사와 제자들의 사적인

이야기

2014. 12.20 (토)13:00~18:00

아이디어 팩토리 &

애플스트리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53

대전예술강사가 바라보는 오늘 그리고 내일

2014. 12.22 (월)13:30~20:00

대전컨벤션센터 2층 그랜드볼룸

대전광역센터

250

예술강사 컨퍼런스 ‘예술강사의 발 發’

Chapter 01

Page 3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9

참여자 피드백

“사람을 알아간다는 것. 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간다는 것 그러면서 더 친밀한 관계를 가지게 되는 것 그것만큼 신나고 재미있는 일도 없을 것입니다.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타인에게 비춰진 예술강사에 대해 한 번 더 고민해보는 뜻 깊은 자리였습니다.”

디렉터 이효광(디자인분야 예술강사)

“‘예술 강사의 발’은 강사뿐만 아니라 참여자, 발표자, 디렉터, 기획자 분들 모두 소중한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발표한 학생들에게는 유쾌한 모임을 경험 할 수 있는 시간이었고 무엇보다 예술 강사에게는 깊은 소속감과 유대감, 자신의 활동에 대한 가치와 능력을 당당히 여기는 마음을 갖게 해 주었습니다.” 퍼실리테이터 윤정연(디자인분야 예술강사)

“컨퍼런스를 통해 만난 다른 예술강사 분들과 그 학생들의 모습에서 제 모습이 투영되었고 저의 모습을 다시 뒤돌아보게 했습니다. 학생들과 예술강의를 하면서 느끼는 자부심과 어려움, 상처와 영웅담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큰 공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퍼실리테이터 황중선(만화애니분야 예술강사)

“다양한 연령층의 발표자분들과 학교분야의 중학생과 대학생까지의 발표자들을 보면서 예술 강사의 역할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그날 현장은 참석한 많은 예술 강사님들에게도 힘을 준 시간이 되지 않았나 미루어 짐작 합니다. 내년 ‘예술강사의 발’은 더 많은 예술 강사님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서 축제의 컨퍼런스가 되길 바랍니다.”퍼실리테이터 박정자(공예분야 예술강사)

예술강사의 발 홈페이지 http://arteconference.kr

Page 3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30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 사업내용

전국 43개 소규모 초·중·고등학교 전교생이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교육환경을 지원하여 공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와 활용도를 높이고

우수모델을 창출·확산하여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거점기관으로 육성하는

사업입니다.

기수 지역 분야 학교명 전교생 수

2기

전북 음악 (국악관현악) 간중초등학교 81충남 통합 (프로젝트형) 거산초등학교 110전북 음악 (국악관현악) 남원초등학교 420경남 음악 (오케스트라) 남포초등학교 35대전 음악 (국악관현악) 대전대신초등학교 78대전 공연 (디지털 뮤지컬) 동명초등학교 85경기 음악 (국악관현악) 만선초등학교 94부산 음악 (농악) 배영초등학교 73경북 시각 (도공예) 백원초등학교 77강원 시각 (디자인) 서상초등학교 62제주 음악 (오케스트라) 영평초등학교 144경기 음악 (퓨전합주) 옥천초등학교 271강원 공연 (음악극) 인제남초등학교 263충북 음악 (브라스밴드) 칠성초등학교 76전남 통합 (프로젝트형) 한천초등학교 46전남 음악 (국악,서양악) 현산초등학교 52

3기

경남 통합 (전통) 거류초등학교 112전남 공연 (연극) 고서초등학교 136대전 음악 (국악) 남선초등학교 47전북 음악 (국악) 당북초등학교 191대구 음악 (관악합주) 대구덕성초등학교 306부산 통합 (총체극) 서명초등학교 210서울 통합 (음악극) 서울개화초등학교 220충남 공연 (뮤페라) 성남초등학교 57경기 통합 (전통 / 디자인) 수남초등학교 75경남 음악(관악3중주) 창호초등학교 73

4기

제주 공연 (뮤지컬) 북촌초등학교 80서울 공연 (뮤지컬) 서울창천초등학교 228충북 음악 (합창) 오선초등학교 82울산 음악 (오케스트라) 함월초등학교 296

5기

경북 음악 (서양악) 경북항공고등학교 345경남 시각 (공예) 고제초등학교 29대구 음악 (플루트오케스트라) 대구월성초등학교 385대전 시각 (디자인) 산서초등학교 260경남 음악 (서양악) 성포중학교 91충남 시각 (영화) 송남초등학교 121충북 음악 (퓨전국악관현악) 수안보초등학교 208제주 통합 (제주전통문화) 애월초등학교 57전북 공연 (뮤지컬) 옥구중 / 군산남고등학교 110세종 음악 (오케스트라) 장기초등학교 103경기 통합 (프로젝트형) 조안초등학교 84부산 시각 (영화) 칠암초등학교 92인천 시각 (디자인) 하점초등학교 57

총계 6,022

단위: 명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지원

전교생 수 총계

6,022

3기 1,427

2기 1,967

4기 686

5기 1,942

4,000

6,000

5,000

3,000

2,000

1,000

0

단위: 명

Chapter 02

Page 3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31

참여자 피드백

예술꽃 씨앗학교 홈페이지 http://flower.arte.or.kr

“학교 덕분에 음악을 다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친구들과 합동공연을 펼 수 있다는 자체가 나중에 기억에 많이 남을 것 같다.”경북항공고 1학년 강동훈

“상대적으로 문화향유 기회가 적은 소외지역에 예술꽃 씨앗학교를 계기로 학생들이 자신들의 적성과 흥미를 발견하고 나아가 진로를 생각해보는 시간이었다. 전교생을 대상으로 학교 안에서 펼쳐지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예술과 삶이 밀접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지금보다 더 많은 학교가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서상초 이중석 교사

• 지원현황

| 세부실적

1. 신규 예술꽃 씨앗학교 13개교 선정, 총 43개교 지원

(2008: 10개교, 2011: 16개교, 2012: 10개교, 2013: 4개교 선정)

2.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관계자 대상 워크숍 추진 (43개교 / 2014. 4. 3 ~ 4)

3.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 및 평가 2014. 7 ~ 12

4. 예술꽃 씨앗학교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2014. 8 ~ 10

5. 예술꽃 씨앗학교 발표회 추진 (2기 16개교 / 2014. 10. 21)

서울 강원

부산

전남

충북

제주

인천

세종

대전

경기

전북울산

경북

경남

2 2

31

4

2

135

3

3

대구

2

충남

3

4

14

지역별 분포현황

단위: 개교분야별 분포현황

시각7

공연7

통합 8

음악 21

단위: 개교지역유형별 분포현황

중소도시 4

도서벽지5

읍지역6

대도시 10

면지역 18

단위: 개교

Page 34: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32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유아의 문화예술 향유능력 및 사회성·창의성 발달을 위해 교육문화적

여건이 취약한 유치원·어린이집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예술강사를

지원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지원대상 기관수 강사수 유아수 시수

유치원·어린이집 50개예술강사 23명 /보조강사 14명 1,888명 1,600시간

| 사업내용

누리과정과 연계 가능한 유아 문화예술교육 우수 프로그램을 공모·선정하여,

콘퍼런스 개최 및 프로그램 모음집 배포를 통해 공유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1. 유아 문화예술교육 우수 콘텐츠 콘퍼런스 실행

구분 날짜 장소 참석자수 비고

유아 문화예술교육 우수 콘텐츠 콘퍼런스

2014. 12. 19 (금)페럼타워

(서울시 중구) 159명아르떼 홈페이지를 통한 현장 생중계

2.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음집 제작 배포(유관기관 116곳)

Chapter 03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 시범사업

유아 문화예술교육 우수 프로그램 발굴 및 확산

Page 35: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33

Chapter 04 고3·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마친 수험생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진학·사회진출 등 진로 고민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문화예술을 통한

소양 함양 기회를 제공합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19개 고등학교에서 대규모 프로그램 운영 (총 19회) 및 통합행사 개최(1회)

2. 권역별 소규모 프로그램 운영 (총 20회)

3. 총 3,928명 참여

프로그램 수

40참여 인원

3,928

참여자 피드백

“수능이 끝난 뒤 학교에서는 자습 또는 영화만 보며 시간을 무의미하게 보냈는데, 여러가지 창의력을 키워주고 새로운 관점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관계의 기술> 프로그램 참여자

“수능 치르고 할 게 없었는데 이렇게 보람있는 활동을 하니까 재밌었어요. 진로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 것 같아요.” <관계의 기술> 프로그램 참여자

“2시간이 금방 지나갔네요. 재미있었어요. 내년 고3 수험생도 이 프로그램을 즐겼으면 좋겠어요.”<놀이의 기술> 프로그램 참여자

Page 36: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34

Page 37: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35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2.

Project for Community Arts and Culture Education

Chapter 01.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6

Chapter 02.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9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44

Chapter 04. 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및 지역 확산 46

Chapter 0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47

Chapter 06. 소외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54

Chapter 07.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특별한 하루> 57

Chapter 08. 기업 사회공헌 사업 58

Page 38: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36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아동양육시설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6개 분야 (국악, 무용, 미술, 연극, 영화,

음악)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체험·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예술활동을 통해 아동·청소년이 안정적인 정서를 갖고,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1. 145개 복지기관 대상 교보재 및 현장학습, 교육기자재 지원

2. 분야별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 및 컨설팅 192회 2014. 8~12

※아동복지시설 수는 총 145개로, 분야별 산출한 수치로 기입(수혜시설 중복)

| 사업내용

노인복지관 내 노인을 대상으로 5개 분야(연극, 무용, 음악, 미술, 사진)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체험 및 창작,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와 협력하여 노인들이 예술활동을 통해 일상과 예술을

가까이하며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교육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1. 190개 복지기관 대상 교보재 및 현장학습, 교육기자재 지원

2. 노인 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시범사업 운영(3개 사업)

수혜시설 수

145

수혜인원 수

4,545

수혜반 수

346

예술강사 수

204

수혜시설 수

190수혜반 수

269

Chapter 01

아동양육시설 문화예술교육 지원

노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지원

구분 장르 수혜시설 수 수혜반 수 수혜인원 수 예술강사 수

아동

국악 36 51 664 33

미술 44 67 825 40

무용 25 36 459 19

영화 36 53 758 36

연극 22 34 478 27

음악 63 105 1,361 49

총계 226 346 4,545 204

Page 39: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37

수혜인원 수

5,353예술강사 수

145

3. 분야별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 및 컨설팅 149회 2014.8~12

구분 장르 수혜시설 수 수혜반 수 수혜인원 수 예술강사 수

노인

미술 43 43 860 25

무용 49 50 980 27

연극 71 72 1,420 42

음악 72 72 1,460 34

사진 32 32 633 17

총계 267 269 5,353 145

※노인복지시설 수는 총 190개로, 분야별 산출한 수치로 기입(수혜시설 중복)

| 사업내용

노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참여한 어르신들의 작품 발표회부터

어르신들이 느낀 삶의 변화에 대한 문화적 경험까지 공유하는 축제입니다.

어르신들이 주도적으로 참여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해 참여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어르신을 위한, 어르신에 의한 축제 운영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청춘제 운영: 2014. 10. 28 (화) 대전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참여자: 19개 복지기관 346명 (공연 10개 팀 162명, 전시·참여 12개 팀 184명)

• 관객: 654명

청춘제 운영

참여자 피드백

청춘제 홈페이지http://artesenior.or.kr

“70의 인생을 새롭게 출발하는 기분이 듭니다.그래서 아침에 일어나면 ‘오늘도 내가 할 일이 있구나!’”금천호암노인종합복지관 김병기 어르신

“내 노년의 생활을 다시 한 번 뒤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노년은 힘없고 재미없고 쓸쓸하고 그런 게 아니다. 노년은 인생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한 막이다.” 대전광역시노인복지관 손정자 어르신

“길가에 조그마한 들국화를 보아도 그림으로 보이고, 작품으로 보이고.”중마노인복지관 손경희 어르신

Page 40: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38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장애인복지관 내 장애인을 대상으로 6개 분야 (무용, 음악, 미술, 영화, 국악, 연극)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체험 및 창작, 향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와 협력하여 장애인들이 예술활동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찾아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함께할 수 있는

교육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장의 수요를 반영하여, 시범사업으로 방학 주말 프로그램 지원사업,

예술가 – 장애인 연계 공동 프로젝트 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1. 124개 복지기관 대상 교보재 및 현장학습, 교육기자재 지원

2. 분야별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 및 컨설팅 135회 2014. 8~12

3.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시범사업 운영 (3개 사업)

구분 장르 수혜시설 수 수혜반 수 수혜인원 수 예술강사 수

장애인

국악 27 27 267 17

미술 65 70 691 30

무용 51 82 408 39

영화 21 21 210 10

연극 30 30 298 14

음악 33 33 328 17

총계 227 263 2,202 127

※장애인복지시설 수는 총 124개로, 분야별 산출한 수치로 기입(수혜시설 중복)

단위: 명단위: 명사업별 수혜인원 분야별 수혜인원

5,3534,545

2,202

노인 아동 장애인

931

2,3761,847

968

2,196

633

국악미술 무용 영화연극음악 사진

3,149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지원

각 사업 실적 한눈에 보기

Chapter 01

수혜시설 수

124

수혜인원 수

2,202

수혜반 수

263

예술강사 수

127

Page 4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39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장병들의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군대생활 적응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자기 개발 및 동아리 활동 등 문화예술을 지속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국방부와 협력하여 군부대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교육인원 예술강사

군부대 89 234 4,942 255

| 사업내용

법무부 사회복귀과 및 소년과와 협력하여 실시하는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은 사회복귀를 준비하는 교정시설 수형자와 소년원학교

재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스스로를 돌아보는 계기를 부여하고,

문화예술을 통한 인성교육을 통해 자율적인 교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지원합니다.

| 세부실적

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교육인원 예술강사

교정시설 28 44 790 69

소년원학교 16 9 365 32

총계 44 53 1,155 101

군부대 문화예술교육 지원

교정시설 / 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

Chapter 02

Page 4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40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법무부 소년과, 보호관찰과, 보호법제과와 협력하여 학교폭력 등 비행 초기

청소년 및 정신질환 재소자 등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인성 함양 및

감성 증진, 사회성 개발 등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세부실적

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교육인원 예술강사

치료감호소 6 1 145 9

보호관찰소 11 12 185 18

청소년비행예방센터 11 12 189 19

총계 28 25 519 46

| 사업내용

산업단지 및 테크노파크 입주기업 CEO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노·사간 화합,

근로자 간 커뮤니티 형성, 사회공헌활동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단지공단 및 한국테크노파크협의회와

협력 추진하고 있으며, 연말에는 결과발표회 등을 통한 근로자 간 교류 및

지역주민 대상 봉사공연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제4회 산업단지 아티스트 행복 페스티벌 개최 (한국산업단지공단 2014. 11)

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교육인원 예술강사

산업단지 20 12 905 39

테크노파크 20 8 317 21

총계 40 20 1,222 60

청소년비행예방센터 / 치료감호소 / 보호관찰소 문화예술교육 지원

근로자 문화예술교육 지원

Chapter 02

Page 4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41

| 사업내용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과 협력하여 청소년수련관 / 청소년문화의집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방과 후 활동을 통해 예술 분야에 대한 감성을 키우고

예술가가 되어 직접 무대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공연·전시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관계를 경험하며 타인과의

소통, 자기 개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공연·전시 사업 결과발표회(총 16개 권역별 발표회 개최 2014. 9 ~ 11)

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교육인원 예술강사

청소년수련시설 16 79 7,670 75

| 사업내용

공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학교 밖 청소년 (가출·자립·탈학교 등)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을 체험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 회복뿐만 아니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서울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등과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교육인원 예술강사

청소년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미인가 대안학교 등

59 68 907 104

방과 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Page 44: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42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참여 기회가 부족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존감 및 문화적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과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교육인원 예술강사

지역아동센터 23 468 9,391 292

| 사업내용

통일부 및 남북하나재단과 협력하여 북한이탈주민 (민간대안학교 재학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체험 및 창작 활동을 통한 자존감 회복 및 사회적 관계성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교육인원 예술강사

북한이탈주민 2 1 62 3

| 사업내용

경찰청과 협력하여 문화적 접근성이 떨어지는 의무경찰부대 소속 의경들을

대상으로 여가시간을 활용한 자기 개발 및 공동체 관계 형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교육인원 예술강사

의경부대 27 34 762 48

북한이탈주민 문화예술교육 지원

지역아동센터 문화예술교육 지원

의경부대 문화예술교육 지원

Chapter 02

Page 45: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43

| 사업내용

지원사업 관계자 (협력기관, 운영단체, 지원시설) 대상 협력체계 구축 및 교육 현장

지원·관리를 위한 현장 모니터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1. 관계자 워크숍: 협력 부처 및 기관, 운영단체, 교육시설 관계자 대상 지원사업

추진현황 공유 및 의견수렴

2. 현장 모니터링: 운영단체 역량 강화 및 우수사례 발굴, 지원사업의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전문가, 담당자, 시민 연계 모니터링 실시

구분 전문가 담당자 시민(기자단) 총계

모니터링 42 70 53 165

부처 간 협력 지원사업 운영 관리

사업별 교육인원 단위: 명

군부대 교정시설 /소년원학교

청소년비행예방센터 등

방과 후 청소년

근로자 학교 밖 청소년

지역아동센터

북한이탈주민

의경부대

4,942

1,1551,222

7,670

907

9,391

62

762519

각 사업 실적 한눈에 보기

Page 46: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44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기획 프로그램

| 사업내용

농산어촌 등 평소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접하기 힘든 지역에 살고 있는 아동

및 어르신들을 위해 직접 찾아가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예술교육

특화형 체험버스 안에서 예술강사 / 예술가와 함께 참여자가 짧지만 인상 깊은

심미적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 세부실적

<참여기관 현황>

구분아동복지시설

지역아동센터

분교노인복지시설

경로당 총계

기관수 6 103 1 14 36 160

<수혜자 현황>

대상 아동 노인

총계프로그램

별빛첨성대

풋풋풋풋버스

옵스큐라

라이징스타

아!이케바나

무빙아트캔버스

사물(事物)놀이

꾀많은토끼

수혜자 수 468 455 447 288 417 292 45 2,412

Chapter 03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지원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참여자 피드백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홈페이지http://artebus.arte.or.kr움직이는 예술정거장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artebus2013

“정말 기분이 좋았어요, 여러 가지 만들고 이야기하면서 무슨 별자리 인지도 공부하고 프로그램도 정말 재미있었어요. 다영선생님, 선생님 말씀처럼 자라면서 슬플 때도 힘들 때도 있겠지만 언젠가는 구멍난 마음 한구석을 빛이 가득 채워줄 거예요. 모두들 감사해요.”

[별빛첨성대] 충남 천안 신명지역아동센터

“정축(丁丑)생으로 처음 받은 교육입니다.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참말로 재미있고 유익했습니다. 행복하세요.” [사물놀이] 강원 춘천 조양1리 경로당

“참 세월이 좋으니 우리들한테 이런 일이 다 오지, 살고 보니 신나는 일도 있네.”[무빙아트캔버스] 강원 고성 까리따스노인복지센터

Page 47: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45

| 사업내용

소외계층 아동들이 방학기간 동안 일상을 벗어나 낯선 공간에서 ‘예술가와 함께

놀며, 예술작업 하는’ 행위를 통해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고 예술적 감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캠프입니다.

| 세부실적

1. 우락부락 season 8 ‘두 번째 호기심’(숲체원 2014. 8. 4 ~ 8. 8) 총 325명 캠프 참여

2. 우락부락 season 9

• 우락부락 인천 ‘동네 한 바퀴’(인천아트플랫폼 2015. 1. 19 ~ 23) 총 169명 캠프참여

• 우락부락 전주 ‘서랍 속 코끼리’(진안 에코에듀센터 2015. 1. 26 ~ 30)

총 167명 캠프 참여

참여자 피드백

우락부락 홈페이지http://www.woorockboorock. or.kr

“다음엔 일주일 있고 싶어요~”캠프 참여자

“무엇이든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캠프 참여자

“웰컴파티 때 천막으로 하늘을 날았던 게 제일 기억에 남아요.”

캠프 참여자

“또 오고 싶어요! 질릴 때까지 올 거예요.”캠프 참여자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Page 48: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46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및 지역 확산

| 사업내용

생활권 단위 주민 통합적 관점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학부모 모임, 청년 조직, 마을협동조합 등 주민조직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필요한 운영비 및 제반 활동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1. 지원사업 공모 사업설명회 개최: 3개 권역, 총 7회 개최, 625명 참여

2. 운영단체 연속 (2~3년차), 신규 (1년차) 선정·지원: 13개 시·도, 30개 단체

3. 운영단체별 맞춤형 컨설팅 지원: 14개 단체, 28회 지원 2014. 11 ~ 2015. 2

4. 시민 문화예술교육 사례집 제작 (㈜티팟 2014. 11 ~ 2015. 2 )

| 사업내용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문화자원을 고려하여 문화지원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지역주민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기획·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사업은 17개 시·도 지자체, 16개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협력하여 지역 이슈와 현장중심의 지원체계를 마련,

운영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1. 광역센터 관계자 워크숍 개최 (총 6회 2014. 5 ~ 11)

2. 지원사업 전략 컨설팅 지원 ( 총 13회 2014. 9 ~ 10)

3. 중앙,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8개) 협력 운영단체 네트워크 워크숍 개최

(전라권, 경상권, 충청권 등 총 3회 2014. 7 ~ 9)

Chapter 04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Page 49: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47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사업내용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 등과 함께하는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주 5일 수업제 실시에 따라 매주 토요일 아동·청소년 및 가족들이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가족 간 소통할 수 있는 여가문화를 조성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255개 기관에서 382개 프로그램 운영

2. 아동·청소년 및 가족 23,164명 프로그램 참여

3. 사업의 성과확산을 위한 성과평가, 운영기관·단체 담당자 및 강사 등 대상

기획워크숍 운영, 계간지 등 홍보물 제작·발행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홈페이지 http://toyo.arte.or.kr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toyoschool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비메오 http://vimeo.com/toyoschool

| 사업내용

미술관 내·외부 자원을 활용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입체적인 방식과 다양한

방법론을 체험하는 감상 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25개 미술관에서 프로그램 운영

2. 아동·청소년 및 가족 1,955명 프로그램 참여

Chapter 05

미술감상교육 프로그램

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382프로그램 참여 인원

23,164

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25프로그램 참여 인원

1,955

Page 50: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48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예술가와 함께 장르·영역 구분 없이 서로 상호 의미 있게 관련지어

과정을 관찰하고 참여자 개개인 감성을 일깨워줄 수 있는 통합예술감상

교육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20개 프로그램 운영

2. 아동·청소년 409명 프로그램 참여

| 사업내용

다양한 콘텐츠를 가진 각 박물관의 특성을 살려 강의·체험·감상 등 여러 형태로

운영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72개 박물관에서 프로그램 운영 (상반기 33개소, 하반기 39개소)

2. 아동·청소년 및 가족 5,177명 프로그램 참여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통합예술감상교육 프로그램

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20참여 인원

409

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72참여 인원

5,177

Chapter 05

Page 5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49

| 사업내용

문화예술분야 국·공립기관과 협력하여 해당 기관의 고유 자원 및 특성을 살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11개 국·공립문화예술기관, 총 19개 프로그램 운영

2. 아동·청소년 및 가족 1,299명 프로그램 참여

기관명 교육분야

국립민속박물관 전통

소마미술관 미술

한국영상자료원 영화박물관 영화

서울예술단 뮤지컬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문학

국립중앙극장 한국무용

국립현대무용단 무용

명동예술극장 연극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역사

국립세종도서관 문학, 미디어

전쟁기념관 역사

국·공립기관 연계 프로그램

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19참여 인원

1,299

Page 5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50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일상의 공간과 가까운 도서관의 높은 접근성을 이용, 일반적인 독서교육이 아닌

문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58개 도서관에서 프로그램 운영

2. 8 ~16세 아동·청소년 3,496명 프로그램 참여

| 사업내용

함께 악기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과정을 통해 가족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세대를 아우르는 적극적인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20개 프로그램 운영

2. 아동·청소년 및 가족 2,200명 프로그램 참여

가족 오케스트라· 합창 프로그램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58참여 인원

3,496

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20참여 인원

2,200

Chapter 05

Page 5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51

| 사업내용

참여자 스스로 여행계획을 세우고 떠나는 과정을 통해 또래·가족과 함께

성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60개 프로그램 운영

2. 아동·청소년 및 가족 925명 프로그램 참여

| 사업내용

청소년이 전문가와 함께 문화예술 전반의 다양한 직업군을 모색하고, 해당

분야의 전반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며 본인의 소질을 발견·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28개 기관·단체에서 58개 프로그램 운영

2. 14~19세 청소년 1,744명 프로그램 참여

| 사업내용

독일 little ART의 프로그램을 토대로 각자의 꿈, 소망, 믿음 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체험 중심의 창의미술교육 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12개 프로그램 운영

2. 8 ~13세 아동 182명 프로그램 참여

3. 독일 little ART 프로그램 디텍터 초청 워크숍 및 작품전시회 총 1,746명 참여

주말 문화여행 프로그램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

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60참여 인원

925

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58참여 인원

1,744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프로그램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12참여 인원

182

Page 54: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52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음악을 배운 적이 없는 어린이 및 가족들이 자신의 생각과 이야기를 작곡을 통해

자유롭게 표현하면서 내재된 창의성을 발견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전국 9개 기관에서 15개 프로그램 운영

2. 아동·청소년 및 가족 212명 참여

| 사업내용

우리의 전통 문화예술자원인 ‘아리랑’을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다양하게 해석하여

우리 문화를 이해·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 세부실적

1. 총 15개 프로그램 운영

2. 아동·청소년 및 가족 365명 참여

| 사업내용

문화예술이 가진 치유와 공감의 힘으로 세월호 사고를 겪은 안산 지역의 아픔을

위로하고 희망을 나눌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1. 총 8개 프로그램 운영

2. 안산 지역 아동·청소년 및 가족, 시민 5,200여 명 참여

안산 지역 프로그램

아리랑 프로그램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전국 프로그램 운영 수

15참여 인원

212

프로그램 운영 수

8참여 인원

5,200

프로그램 운영 수

15참여 인원

365

Chapter 05

Page 55: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53

| 사업내용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토요일 여가 문화 조성을 위해 17개 시·도 지자체,

16개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협력하여 각 지역별 고유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가 구성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 운영하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지역센터별 사업계획 전문가 컨설팅 및 관계자 간담회 개최

| 사업내용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 및 인지도 확대를 위한 사업평가,

운영기관·단체 담당자 대상 기획워크숍을 운영하고, 계간지 등 홍보물을

제작·발행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1. 사업평가: 프로그램 참여자 대상 만족도조사, 관계자 대상 심층인터뷰 등 실시

2. 기획워크숍: 프로그램 운영기관 단체 대상 간담회 및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운영에 관심있는 직간접적 관계자 대상 기획워크숍(컨퍼런스, 체험워크숍,

소규모컨설팅) 운영

3. 홍보물 제작: 계간지 발간(3회), 사업소개 리플릿 제작, 프로그램 현장기록,

홈페이지 개편 등 진행

사업성과 확산 및 관리

지역 연계 프로그램

참여자 피드백

“컴퓨터와 TV에 둘러싸인 아이들이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해 자연 속에서 스스로 놀이를 만들고, 가족끼리 두런두런 이야기를 많이 하게 되어 만족스러워요.”주말 문화여행 프로그램 참여자

“같이 노래를 만들려면 서로의 생각이나 느낌을 많이 이야기하고 나눠야 해요. 그래서 토요일마다 가족과 더 가까워지는 기분이 들어요.” 꼬마작곡가 프로그램 참여자

Page 56: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54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소외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 사업내용

공모를 통해 선정된 거점기관이 합주 중심의 교육체제를 구축하고, 지역의

아동·청소년들이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소통과 협력에 기반을 둔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세부실적

1. 35개 거점기관 지원 및 관리

<2012~2014 꿈의 오케스트라 거점기관 참여자 (기관) 수 추이>

2. 이음캠프 운영 8월

• 4개 권역 아동단원 851명, 음악감독 및 교육강사 95명 참여

구분 1차 2차 3차 4차

일자 2014. 8. 1~3 2014. 8. 8~10 2014. 8. 18~20 2014. 8. 21~23

장소 태권도원(전북 무주) 태권도원(전북 무주) 만해마을(강원 인제) 만해마을(강원 인제)

거점기관 5개 8개 6개 6개

참여인원 162명 236명 217명 236명

주제Listen –

귀로 듣고 몸으로 느끼는 오케스트라

나와라 무지개보렴 – 즐겨보렴,

함께해보렴, 느껴보렴어울림

거점기관별 오케스트라 교육프로그램 지원

Chapter 06

거점기관

35교육아동

1,920<지역별 분포현황>

1,521

979

325 365

1,920

191

거점기관 수

교육아동 수 참여강사 수

3019

35

2012 2013 2014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도

경상남도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충청남도

예비거점기관(3개소)

사업이해도 제고 사업운영 지원

신규·연속지원 거점기관(27개소)

지역자립 지원

지역협력 거점기관(5개소)

예비거점기관 신규·연속지원 거점기관 지역협력 거점기관

Page 57: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55

| 사업내용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강사들과 교육철학과 교육방법, 해외사례를 공유하고,

지역 내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방법을 전파·확산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1. 지역네트워크 확산을 위한 거점기관별 교류공연 지원(총 16회 9~12월 중)

2. 교육인력 역량강화를 위한 워크숍 및 연수 운영

구분 기간 대상 참여자 수

해외전문가초청워크숍(5월) 3일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강사 및 외부 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 관계자, 시민사업 관계자 등

총 543명

상반기(7월) 1박2일 꿈의 오케스트라 1년차 신규강사 총 150명

하반기(11월) 4개 권역별 1일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강사 및 외부 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 관계자 등총 319명

교육강사워크숍(2015년 2월) 2박3일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강사 총 70명 내외

| 사업내용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운영의 안정화 및 체계화를 위하여 교육법 및 레퍼토리,

아동과 사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연구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1. 베네수엘라 엘시스테마 단계별 교육법 교재 번역·제작 7월

2. 2014 꿈의 오케스트라 합동공연 효과성 연구 시행 5~12월

3. 2014 꿈의 오케스트라 사회적 가치를 기반한 효과성 연구 시행 6~11월

4. 2014 한국 전통형 엘시스테마 교육안 개발 12월~2015년 2월

꿈의 오케스트라 네트워크 활성화

연구 및 개발

Page 58: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56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사업내용

완성도 높은 공연을 개최함으로써 아동단원에게는 모범적인 합주 교육 및

연주 경험을 제공하고 관람한 아동단원들에게는 활동참여에 대한 성취동기와

기대감을 심어주었습니다.

| 세부실적

1. 꿈의 오케스트라 합동공연

• 일시 / 장소: 2014년 10월 27일 (월) 19:00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연주: 꿈의 오케스트라 20개 거점 단원 114명(지휘: 채은석)

• 참석: 꿈의 오케스트라 단원 및 가족, 거점기관 관계자, 일반시민 등 1,600여 명

2. 합동공연 리허설 캠프

• 총 4차에 걸쳐 진행

구분 1차 2차 3차 4차

날짜 2014. 6. 5~7 2014. 7. 28~31 2014. 9. 12~14 2014. 10. 25~28

기간 2박 3일 3박 4일 2박 3일 3박 4일

목표기초 수준의

합주감각 익히기느린 템포로 합주 완성하기

원곡 템포로 합주 완성하기

곡별 완성도 높이기

참여자 피드백

꿈의 오케스트라 홈페이지www.orchestrakids.or.kr꿈의 오케스트라 페이스북www.facebook.com/orchestrakid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면서 성격이 많이 밝아지고 친구들도 많이 사귀게 됐다. 주변에서 칭찬을 많이 해주시니 힘이 나고 더 잘하고 싶어진다.”김홍일 단원(바이올린1)

“캠프에 처음 참가했는데 많은 친구들이 모여 평소 해보지 못한 것들을 맘껏 할 수 있어 좋았다. 호른 연주는 재미있고 불면 불수록 내가 힘이 세지는 것 같다.”배병욱 단원(호른)

기획프로그램

Chapter 06

Page 59: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57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특별한 하루>

| 사업내용

문화계 저명인사 및 예술인으로 이루어진 문화예술 명예교사의 창작작업과

연계하여 다양한 형태 및 내용의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고, 잠재적 수혜자

발굴·확산에 기여합니다.

| 세부실적

1. 총 125명의 명예교사 사업 참여

2. 전국 125회차 프로그램 운영, 총 5,901명 프로그램에 참여

3. 명예교사 네트워크 행사 개최

구분 내용 회차

마스터클래스형

명예교사의 창작 작업과 연계하여 문화예술을 직접 체험해보는 프로그램 및 명예교사의 작업공간· 의미있는 공간으로 찾아가는 프로그램 40

감상형명예교사의 창작작품(공연, 전시 등)과 연계한

이야기가 있는 감상 프로그램 40

융합형한 프로그램 안에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 및

수업 방식(강의, 공연, 체험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30

기획형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등 명예교사 프로그램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행사 등과 연계하여 프로그램 15

Chapter 07

참여자 피드백

“여러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많이 배우고 행복했습니다. 소중한 하루, 소중한 순간으로 기억될 것 같습니다.”<살며 여행하며 느끼며> 프로그램 참여자

“누군가에겐 취미나 흥미의 일환이었겠지만 저에게는 꿈을 펼칠 수 있는 너무나 고마운 기회였습니다.”<팟!빙수> 프로그램 참여자

“바쁜 삶 속에서 느릿하게 한 템포 쉬어가는 느낌이 드는 시간이었습니다. 세대 간의 소통이 너무 좋았습니다.”<인생식당> 프로그램 참여자

명예교사 수

125프로그램수

125프로그램 참여인원

5,901

특별한 하루 페이스북 www.facebook.com/arteday특별한 하루 유튜브 www.youtube.com/arteday특별한 하루 블로그 arteday.tistory.com

Page 60: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58

2.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기업 사회공헌 사업

| 사업내용

만성희귀난치성 질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여

참여자의 자존감 형성 및 잠재력 실현을 돕고, 건강한 정서적·신체적 성장에

기여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 세부실적

1. 제 1형 당뇨병 및 담도폐쇄증 아동 대상 교육 프로그램 운영(총 20회차)

2. 병원과 연계하여 문화예술교육 체험 워크숍 진행(총 3회)

3. 만성희귀난치성 질환 아동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에 대한 효과성 연구 진행

| 사업내용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에 참여하고 지원이 종료된 학교를 대상으로

소외·취약지역의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세부실적

예술꽃 새싹학교 6개교 지속 지원

지역 분야 학교명 전교생 수

광주 음악(국악) 광주지산초등학교 165

부산 통합(생태, 음악밴드 등) 금성초등학교 121

경북 영화 봉화초등학교 142

경남 음악(챔버오케스트라) 삼동초등학교 55

경북 통합(관악앙상블 등) 송라초등학교 52

전남 음악(퓨전오케스트라) 여수북초등학교 96

총계 631

Chapter 08

초록산타 상상학교사노피 - 아벤티스코리아, 아름다운가게

예술꽃 새싹학교KB국민은행

Page 6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59

| 사업내용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와 가족이 만나 문화예술교육을 함께 체험함으로써 예술

감수성을 확장하고 예술의 즐거움을 발견하고자 하는 가족 문화예술교육 캠프를

기획·운영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가가호호 캠프 운영(숲체원 / 2014.8.10~14)

• 2박 3일의 캠프 총 2회 운영

• 참여자: 총 100가족, 322명

- 1회차: 초등 고학년 아동과 가족 / 총 57가족 187명

- 2회차: 중·고등 청소년과 가족 / 총 43가족 135명

가족과 함께하는 예술캠프 ‘가가호호’ 현대차 정몽구 재단

참여자 피드백

가가호호 홈페이지http://gagahohocamp.or.kr

“가족의 얼굴을 그려주는 체험을 하며 아이들의 얼굴을 자세히 보게 되었어요. 아이들의 눈동자 속을 들여다본 기억이 아득했는데 평범한 일상의 행복을 캠프에서 느끼게 된 것이 너무나 감사합니다.”가가호호캠프 1회차 참여 가족

“관중 속에서 댄스를 하는시간이 매우 신선하였고,아티스트와의 만남부터헤어지는 순간까지 마음의울림이 계속되었습니다.”가가호호캠프 1회차 참여 가족

“캠프장 분위기도 너무 좋았고, 즐겁게 음악을 하는 방법을 알 수 있어서 친구들에게도 꼭 추천해 주고 싶어요.” 가가호호캠프 2회차 참여 청소년(음악)

Page 6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60

Page 6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61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3.

Human Resource Development

Chapter 01. 예술강사 연수 운영사업 62

Chapter 02. 사회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65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역량 강화 연수 66

Chapter 0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운영 69

Chapter 05. 예비 기획인력 양성과정, 문화도담 70

Chapter 0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71

Page 64: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62

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아르떼 아카데미, AA ArtE Academy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아르떼 아카데미는 문화예술 트렌드 및 현장

사례의 맥락의존적context-dependent; contextual 분석으로 핵심테마를 추출하여 각

대상별 예술기반 창의·인성교육 및 문화적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을

기획하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및 협력자, 예비인력에게 필요한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의무 연수, 선택연수를 비롯하여 주제 중심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아르떼 동아리CoP, 대학(원)생 대상 문화도담,

사회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연수, 문화부 공무원 연수 등 대상별, 단계별로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하였습니다.아르떼 아카데미(AA) 페이스북 www.facebook.com/aakeyum 아르떼 아카데미(AA) HRD시스템 http://hrd.arte.or.kr아르떼 온라인 아카데미 http://lms.arte.or.kr

예술강사 연수 운영사업

| 사업내용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신규 예술강사로 선발된 예술강사 교육활동을

위해서는 학교 및 복지기관 교육현장의 안정적 적응 및 교육활동을 위해 최소한의

직무교육인 의무연수에 참여해야 합니다.

총 60시수로 구성된 의무연수는 상·하반기 방학기간에 집체식으로 진행되며,

주로 ‘사례 중심 현장 기반 예술체험과 교수학습 방법, 교육대상과 현장에

대한 이해’ 등의 내용으로 학교와 복지시설로 출강하는 신규 강사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연간 총 600시수 운영으로 1,098명이 참여하였으며, 교육만족도 4.0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Chapter 01

학교·사회 예술강사 의무연수 운영

Page 65: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63

| 세부실적

| 사업내용

예술강사 기본연수(140H)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도입 시 2급 교육과정의 모태가

되기도 한 교육과정으로,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개정 법령에 따라 2013년도까지

활동한 예술강사에 한하여 예술강사 기본연수(140H) 수료자는 문화예술교육사

2급 취득 자격이 주어지게 됩니다.

‘예술전문성’, ‘교수역량’, ‘관계&관리역량’의 세 가지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분야별, 코스별(A, B, C) 집체연수와 원격연수로 나누어 운영합니다.

연간 총 915시수 운영으로 총 1,481명이 참여하였으며, 교육만족도 평균

3.8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세부실적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운영

구분 과정명 일시 시간 인원교육 만족도

학교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국악 등 8개 분야 2014. 2. 6~10 320 551 4.0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무용 등 7개 분야 2014. 7. 28~30 140 336 3.8

사회상반기 사회 예술강사 아동/노인/장애 의무연수 2014. 2. 17~21 120 111 4.2

하반기 사회 예술강사 아동/노인/장애 의무연수 2014. 8. 9~11 20 100 4.0

총계 600 1,098 4.0

총 교육 시간

600

평균 교육 만족도

4.0

총 교육 인원

1,098

총 교육 시간

915

평균 교육 만족도

3.8

총 교육 인원

1,481구분 과정명 일시 시간 인원

교육 만족도

학교상반기 학교 예술강사 기본연수 국악 등 8개 분야 2014. 1. 20~2. 10 380 887 3.8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기본연수 무용 등 7개 분야 2014. 8. 3~14 160 347 3.9

사회상반기 사회 예술강사 아동 / 노인 / 장애 의무연수 2014. 2. 17~21 140 85 3.7

하반기 사회 예술강사 아동 / 노인 / 장애 의무연수 2014. 8. 9~11 60 54 3.6

학교·사회상반기 온라인 위탁연수 2014. 1. 7~2. 28 150 44 -

하반기 온라인 위탁연수 2014. 7. 1~8. 24 25 64 -

총계 915 1,481 3.8

Page 66: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64

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 사업내용

학교 및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활동 경력이 쌓인 강사를 위해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 전문성을 강화하고 예술가이자 예술교육자로서 경력 개발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연수를 개설 운영합니다.

예술분야별 교수학습 역량 강화, 예술놀이 체험 워크숍,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기획 워크숍, 상담기법 등 예술강사의 수요와 현장의 니즈를 반영한 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였습니다.

연간 총 79개 프로그램, 1,398시수 운영으로 1,633명이 참여하였고,

교육만족도 평균 4.2점으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세부실적

학교·사회 예술강사 선택연수 운영

참여자 피드백

“학교에서 수업을 할 때 진행이 어렵고 힘들 때가 있는데 그 문제에 관하여 다양한 모의수업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찾고 피드백을 통해 작은 해답을 찾게 되었습니다.” 의무연수 만화애니메이션 분야 참여자

“사회 연수의 경우 예술강사에 대한 프라이드를 많이 갖게 해주었어요. 또한 선택 수업이 있어서 내 전문 분야 말고도 부족한 부분에 대한 충족이 가능하도록 해주었구요.”

장애연극 의무연수 참여자

“예술강사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것들을 나눌 수 있어 좋았고, 마지막 날 갈등해결 기술 훈련 시간에 우선 자신의 것을 해결하고 그 동안에 갖고 있던 고민들의 대상을 이해하는 시간이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소시오드라마 체험을 통한 교육대상의 이해 참여자

총 교육 시간

1,398

평균 교육 만족도

4.2

총 교육 인원

1,633

교육과정 영역 횟수 시간 인원교육 만족도

매체와 문화예술교육 5 82 110 4.3

문화예술교육 수업 성찰 10 172 211 4.4

학습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13 226 280 4.2

예술놀이와 학습동기 유발 2 36 61 4.0

예술과 인문학의 만남 1 18 14 4.2

문화예술교육 기초 소양 3 54 58 4.2

프로젝트 기반 문화예술교육 기획 2 36 48 4.2

예술체험과 교수학습 43 774 851 4.3

총계 79 1,398 1,633 4.2

Chapter 01

Page 67: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65

사회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 사업내용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장 실무자의 창의적인 기획

역량과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기초 직무 소양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단체 실무자 및 강사를

중심으로 실제 현장업무에 도움이 되는 연수과정을 구성하여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양질의 프로그램이 풍부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간 총 40개 프로그램, 712시수 운영으로 764명이 참여하였고, 교육만족도 평균

4.2점으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세부실적

참여자 피드백

“교과목 내용과 강사 선생님들의 열정, 연수교육 운영담당자 모두의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고심과 열정들이 연수생들에게 그대로 전달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꼭 필요한 좋은 프로그램 부탁드리면서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공감과 설득을 위한 파워포인트 스킬 참여자

“실용적인 연수였다는 점이 가장 마음에 들었어요. 실사업에 이번 수업 내용을 접목해 활용하면 회계 및 여러 부분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문화예술교육단체의 효과적인 업무를 위한 엑셀 실무 참여자

Chapter 02

총 교육 시간

712

평균 교육 만족도

4.2

총 교육 인원

764

교육과정 영역 횟수 시간 인원 교육만족도

공동체 기반 문화예술교육 기획 7 126 135 4.1

프로젝트 기반 문화예술교육 기획 6 108 129 4.3

문화예술교육 기획의 기초 소양 18 316 291 4.3

예술과 인문학의 만남 2 36 42 4.2

예술체험과 교수학습 5 90 121 4.0

매체와 문화예술교육 2 36 46 4.5

총계 40 712 764 4.2

Page 68: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66

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역량 강화 연수

| 사업내용

학교 교육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교원을 대상으로

서울시교육연수원 특수분야 직무연수로 교원 학점을 연계하여 보다 적극적인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연수를 운영합니다.

총 2개 프로그램, 30시수 운영으로 73명이 참여하였고, 교육만족도 평균

4.6점으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세부내용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의 원활한 네트워킹 및 동반 성장을 위해 실무자와

관리자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해 직무 중심의 연수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총 4개 프로그램, 40시수 운영으로 106명이 참여하였고, 교육만족도 평균

4.3점으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세부실적

Chapter 03

교원 문화예술교육 역량 키움Key-Um 연수

행정인력 문화예술교육 역량 키움Key-Um 연수

과정명 일시 시수 인원 교육만족도

상반기 행정인력 역량키움 실무자코스 2014. 2. 4~5 10 39 4.1

상반기 행정인력 역량키움 관리자코스 2014. 2. 27~28 10 14 4.9

하반기 행정인력 역량키움 실무자코스 2014. 8. 13~14 10 44 3.9

상반기 행정인력 역량키움 관리자코스 2014. 8. 28~29 10 9 4.3

총계 40 106 4.3

과정명 일시 시수 인원 교육만족도

예술로 만드는 역사 교과서 1기 2014. 8. 7~8 15 34 4.7

예술로 만드는 역사 교과서 2기 2013. 11. 14~15 15 39 4.5

총계 30 73 4.6

총 교육 시수

30

평균 교육 만족도

4.6

총 교육 인원

73

총 교육 시수

40

평균 교육 만족도

4.3

총 교육 인원

106

Page 69: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67

| 사업내용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문화정책 기획역량 강화 및 문화적

리더십 함양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융합의 이해, 문화예술교육

정책현장 탐방 등 문화정책 전반의 교육과정을 기획·운영합니다.

연간 총 52시수 운영으로 63명이 참여하였고, 교육만족도 4.0점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세부실적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공무원 연수 운영사업

총 교육 시수

52

평균 교육 만족도

4.0

총 교육 인원

63과정명 일시 시수 인원 교육만족도

신입 공무원 대상 ‘업무분야별 기본교육’ 2014. 5. 12~14 21 19 4.0

소속 공무원 대상 ‘문화예술현장과 문화정책’ 상반기 연수

2014. 5. 22~23 15 25 3.9

소속 공무원 대상 ‘문화예술현장과 문화정책’ 하반기 연수

2014. 11. 13~14 16 19 4.0

총계 52 63 4.0

Page 70: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68

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 사업내용

대상별, 분야별 다양한 연수프로그램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핵심 주제 중심의

다소 특별한 문화예술교육 키움 Key-Um 연수를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인문, 창의, 융합, 생각, 감성, 예술, 역량의 7가지 키움 (Key-Um)

총 5개 프로그램, 112시수 운영으로 137명이 참여하였고, 교육만족도 평균

4.0점으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세부실적

과정명 일시 시수 인원교육 만족도

[역량키움]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 만들기 2014. 1. 20~22 18 18 4.2

[인문키움] 인문학과 문화예술교육, 만남과 탐구 2014. 2. 4~5 10 39 3.9

[인문키움] 인문학으로 예술강사 마음 읽기 2014. 7. 15~17 18 17 4.6

[융합키움] 새로운 융합적 시각으로 문화예술 들여다보기

2014. 8. 18~20 18 26 3.4

2014. 8. 25~27 30 18 4.1

[창의키움] 문화예술교육 창의놀이 개발 프로젝트 2014. 8. 21~25 18 19 3.7

총계 112 137 4.0

주제 중심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연수

참여자 피드백

“역사와 예술을 접목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교육현장에서 활용하는 데 유용한 연수였습니다. ‘불꽃으로 타오르다’, ‘교과서 속 삽화를 웹툰으로’ 등 교실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어서 좋았고, 전문지식을 가진 교육 강사들의 열정적인 강의와 내용 또한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것 같습니다.” 교원 연수 참여자

“저는 다른 무엇보다 이 연수를 통해 중앙기관인 진흥원과 머리를 맞대고 고민을 나눌 수 있다는 점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고 싶어요. 전보다 진흥원이 더욱 현장지향적으로 바뀌어서 대화를 많이 하려고 하는 것 같아요. 적극적으로 고민에 응하고 함께 소통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행정인력 역량키움 참여자 박은정 팀장

총 교육 시수

112

평균 교육 만족도

4.0

총 교육 인원

137

Chapter 03

Page 7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69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운영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자발적인 학습을 유도하며, 문화예술교육 인력의 자생적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공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하여

학습공동체 CoP, Community of Practice, 아르떼 동아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4년에는 두 개의 학습 동아리를 4개월간 운영하였으며, 총 106명이 참여,

3.8점의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세부실적

※ Level 3 CoP: 총 14모둠, 223회 모둠별 자율모임 진행(감상교육·기업교육 매뉴얼 제작 5모둠, 학교·지역사회 활용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5모둠, 미디어·통합 문화예술교육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4모둠)

※ Level 4 CoP: 총 6모둠, 65회 모둠별 자율모임 진행(교과연계 연수개발 3모둠, 학습분위기 조성 예술 놀이 체험 연수 개발 1모둠, 예술강사 셀프리더십 연수 개발 1모둠, 예술 연계 기업교육 개발 1모둠)

총 교육 시수

120

평균 교육 만족도

3.8

총 교육 인원

106

구분 참여자구분 과정구분 시수 인원 교육만족도

Level 3

모둠 참여자(14모둠)

오프닝 워크숍 18

50

3.8

중간점검 워크숍 8

지식공유 네트워크 모임 4

2차 지식공유 네트워크 모임 4

모둠별 자율모임(17회) 36

외부 참여자지식공유 네트워크 모임 - 20

2차 지식공유 네트워크 모임 - 18

Level 4모둠 참여자(6모둠)

오프닝 워크숍 18

18 3.8지식공유 네트워크 모임 8

모둠별 자율모임(12회) 24

총계 120 106 3.8

Chapter 04

참여자 피드백

“나에게 AA는 날 키워주는 엄마 같은 존재예요!! 2014년 2월말, 자발적 학습공동체 CoP로 좀 더 깊이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어요. 매주 청주에서 고양까지 2시간 넘는 시간을 오고가지만 이 시간이 아깝지 않은 것은 문화예술교육이 주는 힘을 더 많은 사람과 나누고 싶은 마음 때문인 것 같아요.” 아르떼 동아리 참여자 박상희

Page 7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70

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예비 기획인력 양성과정, 문화도담

| 사업내용

다양하고 풍부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기획인력 양성을 위해 예비인력

양성과정인 문화도담 연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있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지역 현장 전문가와 함께 문화예술교육 사업 현장 탐방을

하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창의적 기획활동을 해볼 수 있는

과정입니다.

2014년에는 총 34명이 참여하여 38시간 교육하였고, 평균 4.2점의 높은

교육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세부실적

Chapter 05

과정명 일시 시수 인원 교육만족도

문화도담 1차 워크숍 2014. 6. 30~7. 2 18

34

4.4

문화도담 2차 워크숍 2014. 7. 22~24 10 4.1

문화도담 결과발표회 2014. 8. 28~29 10 4.2

총계 38 34 4.2

총 교육 시수

38

평균 교육 만족도

4.2

총 교육 인원

34

참여자 피드백

“문화도담은 문화예술교육에는 장벽이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교육이었습니다. 저와 다르지만 같은 길을 걷는 동지(?)들을 만난 기분이었고, 무엇보다 선생님들의 활동 모습을 엿보는 것만으로도 저에게 커다란 힘이 되었습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눈높이를 맞추는 시간이 바로 문화예술교육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문화도담 참여자 정회원 대학생

Page 7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71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

문화예술교육사는 인성과 자질을 겸비한 우수한 문화예술교육 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자격제도입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차별화된 역량으로 수준

높은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는 국가공인의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를 배출합니다.문화예술교육사 홈페이지 http://acei.arte.or.kr/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시행령 제21조(업무의 위탁) 제2항에 의거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문화예술교육사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자격요건의

심사 및 자격증의 발급업무,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적합여부의 확인에 관한

업무를 운영합니다.

| 세부실적

1. 2기 문화예술교육사 운영위원 출범 2014.10

2. 문화예술교육사 운영위원회 추진 실적

• 총 6회 추진 2014. 3~12

• 제7회 3. 11, 제8회 5. 12, 제9회 6. 16, 제10회 9. 26, 제11회 11. 7, 제12회 12. 19

3.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발급 실적

구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총계

인원 760 481 618 258 2,117

4. 교육과정 적합여부 확인 실적구분 접수대학 수 검토 교과 수 인정 조건부 인정 불인정 보류

건 수 96 847 46 234 557 10

Chapter 0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위탁운영

단위: 명

자격교부 인원

2,117

Page 74: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72

3.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사업

| 사업내용 2014. 9~12

문화예술교육사의 사회진출과 자격제도의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자

문화예술교육사 활용 운영 모델을 발굴하고 지원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지원단체명 소재지 프로그램명

문화예술교육사 협동조합 전북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천사들의 문화예술놀이

뮤지엄교육연구소 서울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서촌바람 솔솔~ 예술바람 술술~

예술꿈학교 경기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그.순.간. 그대의 순간을 간직해>

전북문화예술교육원 전북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베짱이봉사단’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북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Dream Theater’

한서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충남 우리 동네 문화예술교육사

| 사업내용 2014. 10~12

문화예술교육사의 공공기관 활용 확산 및 문화예술교육사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하여 국공립 문화기반 시설 14개 기관에 문화예술교육사를 지원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지원기관명 소재지 분야

경기도문화의전당 경기 국악

고양문화재단 경기 미술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미술

구로문화재단 서울 디자인

국립경주박물관 경북 디자인

농성문화의집 광주 공예

대구시립두류도서관 대구 공예

대전무형문화재전수회관 대전 미술

미추홀도서관 인천 디자인

수성아트피아 대구 음악

울산남부도서관 경남 디자인

익산보석박물관 전북 국악

전남문화예술재단 전남 디자인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 서울 공예

문화예술교육사 활용모델 발굴 지원사업

국공립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사 활용 시범사업

Chapter 06

Page 75: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73

| 사업내용 2014. 11~2015. 2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교육기관을 지원하여 예술을 통해 확산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지원기관명 소재지 프로그램명

강원대학교 강원 프로젝트 감자

(Project GaMJA: Gangwon Magical Jump to Arts)

경일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경북 문화예술의 나눔과 소통 체험 캠퍼스

계원예술대학교 경기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나의 꿈을 찾아서’

배재대학교 충북 토요 오페라 공작소 ‘모차루~트’

부산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부산 장영실, 다빈치를 만나다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전북 아트플레이 캠프 - ‘생각하고 꿈꾸는 몸’

이화여자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서울 예술교육을 통한 융합형 인재 만들기

중부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충남 이해, 기억, 상상의 인문과학융합형 예술교육 - ‘JUMP! 사진탐험대’

한서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충남 전통과 현대를 잇는, 비빔팝 캠프

호남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전남내가 만드는 창의융합·참여지향

열린 ‘다빈치박물관’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사의 진입장벽을 완화하고 교육과정을 합리적으로 개편하여

자격취득 부담을 줄였습니다.

| 세부실적

1.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시행령 개정 : 2014. 12. 23

2. 주요 개정 내용

• 원격대학·학점은행제 예술분야 학위취득자의 전공학력 인정

•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감축·조정 : 기존 19과목(720시간/48학점)을

15과목(600시간/40학점)으로 축소

• 교육과정 개설 시 적합 여부 확인 요청 의무화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개선

Page 76: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74

Page 77: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75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4.

Arts and Culture Education R&D

Chapter 01. 연구 및 조사 사업 76

Chapter 02. 전문가연구회 및 포럼 78

Chapter 03. 연구서비스화 사업 80

Page 78: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76

4.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연구 및 조사 사업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지원사업 추진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통계조사, 정책연구, 효과연구, 콘텐츠 개발연구를

추진합니다.

|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를 통한 관련 자료수집과

기존 현황자료 분류체계 및 분석을 통해 정책수립의 효율성 제고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기초 통계자료 정보 마련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문화융성위원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 교육청 협력 추진)※ 전국 약 1만 2,000여 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 8,000여 개 학교 조사 완료

|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상황 및 사업운영 현황에 대한 관련 자료를

취합·분석하여 분류체계를 마련하는 동시에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관·시설

기반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등의 조사를 통해 지난 10년간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지형을 파악·분석하고 향후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방향성 제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정책사업, 각 부처, 지역 문화재단 및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역 문화기반시설 등의 문화예술교육 추진현황 조사

| 학교문화예술교육 협력수업 유형분석 및 모델 개발 연구

학교 현장에서 예술강사와 학교 교사 간의 협력수업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수업 운영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 제시※ 교급·영역·교수방법 등 5개 요인을 고려한 협력수업 유형을 적용

Chapter 01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및 정책연구

Page 79: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77

문화예술교육 효과 연구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 문화역량 조사

기 개발된 문화역량지수 조사 연구의 검토·보완을 통해 도출된 문화역량 조사

도구를 활용하여 국민의 문화역량을 측정하고 향후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여야

할 방향성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문화역량 기초조사를 실시

| 예술강사 지원사업 효과분석 연구

예술강사 지원사업 효과측정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 및 도구를

보완하고, 이를 활용하여 예술강사와 참여 학교 및 학생 대상으로 본 지원사업이

지니는 효과를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분석※ 4년 연속 수혜학교, 5년 이상 비수혜학교 대상 비교 분석

| 융합적 접근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이 아동·청소년의 뇌기능을 촉진시키고 정서, 사회성, 인지영역 등

다양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사실의 근거를 위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 ※ 문화예술교육 참여학생, 비참여학생 대상 비교 분석

|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관련하여 참여학생의 즐거움 및

정서적 안정, 스트레스 해소 등의 측면에서 효과성을 분석※ 9개 소년원학교의 문화예술교육 참여학생 200여 명 및 비참여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

| 학교문화예술교육 교수 - 학습 지도안 개발 연구(3종)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콘텐츠

제공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고 예술강사 연수와 연동될 수 있는

무용·디자인·영화 분야의 교수 - 학습지도안을 개발※ 총 3개 분야 지도안 개발(무용, 디자인, 영화)

Page 80: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78

4.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전문가연구회 및 포럼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효과 분석, 문화예술교육 관련 문화역량의 개념 및 체계화,

문화예술교육정책 검토 및 향후 추진방향 논의 등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정책방향 분석을 위해 전문적·체계적인 의견수렴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위한

연구모임을 운영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회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관련 연구자 간의 결과 공유의 장을

마련하고, 축적된 효과분석 연구들의 메타적 접근을 통해 기존

효과분석 측정 지표들의 종합적 검토 및 향후 효과분석 연구의

발전방향 논의

문화예술교육 문화역량 연구회

관련 분야의 연구자 및 전문가와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환경·역량과

관련한 지표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걸쳐 참고·활용

가능한 문화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기초조사의 체계적 추진을 위한

근거 제시

문화예술교육 정책 발굴 간담회

문화예술 관련기관(13개) 협의회 운영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보 공유 및 협력사업 모색과 더불어 각계 문화정책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거시적 방향 점검·미시적

추진전략에 대한 의견수렴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연구회

Chapter 02

1분과

2분과

3분과

Page 8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79

문화예술교육 포럼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의 동향 및 주요 이슈,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및 성과와 미래에 대한

방향성 및 전망을 검토하고 각계의 전문가 및 관계자 대상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하는 포럼을 기획·운영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1차 포럼: 새로운 사회를 여는 키워드, 문화예술교육(210명 참석 2014. 5. 22)

• Session 1.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상상력, 사회를 만나다

• Session 2. 문화예술교육, 도전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 Session 3.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라운드 테이블

2차 포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변화를 모색하다(약 185명 참석 2014. 12. 17)

• Subject 1.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학술적 제고

• Subject 2. 나라 밖 이야기, 변화를 이끄는 문화예술교육

• Subject 3. 우리의 이야기, 그리고 공감과 실천

Page 8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80

4.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연구서비스화 사업

| 사업내용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 총서 기획·발간을 통해 일반 국민 및 관계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식의 저변을 확대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2014 문화예술교육 총서 Arte Library 번역서

「새로운 창의적 공동체: 예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발간

New Creative Community: The Art of Cultural Development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연구 및 사업의 주요 성과와 현장 사례를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공유하고자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양적·질적 데이터 및 정보를 시각화한

인포그래픽을 제작하여 뉴스 콘텐츠 및 각 온라인 채널을 통해 제공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아르떼 인포그래픽 6건, 아르떼 영상보고서 1건<영상보고서>

문화예술교육 총서

아르떼 인포그래픽및 영상보고서

Chapter 03

아르떼 인포그래픽 핀터레스트http://pinterest.com/arternd

Page 8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81

<인포그래픽>

1 / 어르신들의 제2의 전성기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한국경제 게재, 2014. 09. 01) 2 /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매일경제 인포그래픽 게재, 2014. 06. 23) 3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매일경제 게재, 2014. 10. 05) 4 /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문화예술교육 (머니투데이 게재, 2014. 11. 24) 5 / 문화예술교육으로 풍성해진 토요일 여가문화 (노컷뉴스 게재, 2014. 07. 14) 6 / 청소년의 내일을 만들어나가는 문화예술교육 (조선닷컴 게재, 2014. 11. 03)

1 2

5 6

3 4

Page 84: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82

Page 85: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83

Chapter 01.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84

Chapter 02. 한국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매뉴얼 개발 및

연계 시범사업 85

Chapter 03.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86

Chapter 04. 문화예술교육 온·오프라인 교류 및 조사연구 88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5.

International Exchange

Page 86: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84

5.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 사업내용

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다양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방법론을 공유하고, 교육현장의 이슈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체험·토론형

워크숍입니다. 또한 광역센터와 연계한 지역순회 워크숍을 개최하여 각 지역

참가자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 세부실적

Chapter 01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참여자 피드백

“전문적인 스킬도 유용했지만 창의적 자질 및 긍정적인 힘이 보여주는 가능성과 청소년의 창의성을 조금 더 쉽게 이끌어낼 수 있는 팁을 얻을 수 있어 좋았다.”31차 워크숍 참가자

“한자에 대한 기본 이해를 그림과 동일화시켜 자신의 감정과 감성을 반영한 공동협동 그림으로 진행시키는 수업진행형식에 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32차 워크숍 참가자

“호주의 예술교육 환경에 대해 조금 더 알고, 여러 예술교육의 측면에 관해 토론하고 공감대를 찾은 것이 좋았다.”33차 워크숍 참가자

차시 구분 세부내용

31차

주제예술을 통한 청소년 역량강화 - 창조공동체 모형과 창의촉진기술

(Creative Facilitation for Youth Empowerment)

일시 / 장소서울: 5. 20(화)~5. 21(수) / 문화역 서울 284 전남: 5. 23(금)~5. 24(토) / 전남여성플라자울산: 5. 26(월)~5. 27(화) / 울산문화예술회관

초청강사 / 협력기관

찰리 머피(Charlie Murphy), 실비아 지오바노니(Silvia Giovannoni) / 청소년 역량강화센터(Partners for Youth Empowerment,

PYE Global), 미국

참가인원 총 116명

32차

주제 아동 대상 서예프로그램 기획 및 교수법·우수사례 체험

일시 / 장소 8. 13(수) / ‘문학의 집·서울’ 산림문학관

초청강사 /협력기관

카세츠(華雪), 미야모토 타케노리(宮本武典) / 도호쿠예술공과대학, 일본

참가인원 총 25명

33차

주제어린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과 공간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Spaces for Children)

일시 / 장소서울: 11. 3(월)~11. 4(화) / 인천아트플랫폼

전북: 11. 6(목)~11. 7(금) / 전주전통문화연수원

초청강사 /협력기관

사이먼 스페인(Simon Spain), 빅토리아 라일(Victoria Ryle) / 아트플레이(ArtPlay), 호주

참가인원 총 65명

34차

주제위기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at-risk Youth)

일시 / 장소12. 15(월)~12. 16(화) / KT&G 상상마당

12. 18(목)~12. 19(금) / KT&G 경주수련관

초청강사 /협력기관

지지 앤토니(Gigi Antoni), 리사 슈미트(Lisa Schmidt) / 빅 쏘우트(Big Thought), 미국

참가인원 총 76명

Page 87: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85

한국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매뉴얼 개발 및 연계 시범사업

| 사업내용

아시아 6개국 대상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유형 및 사례를 정리하는

‘국제실행 매뉴얼’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아시아 국가(인도네시아)에 국내

예술교육가를 파견, 현지 예술교육과와의 교류를 통해 기획한 교육 프로그램을

현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범운영하는 사업입니다.

| 세부실적

1. 2014 한국 문화예술교육 국제 실행 매뉴얼 개발 연구보고서

• 한국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의 정책 및 동향 분석, 시사점 제시

• 매뉴얼 개발을 위한 전문가* 심층조사 결과분석

* 문화예술교육 정책 / 기획자 그룹 및 국제실행 인력 등

• 포커스 대상국(아시아) 선정 및 현지조사 결과분석

2. ‘ 문화예술교육자가 지구촌과 만나는 방법 -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도움책 1.0’ 개발

•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활동의 의미와 전반적 흐름

•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유형 및 실행과정 단계별 분석

•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대표유형 및 유형별 사례 제시

• 아시아 6개국(베트남, 라오스, 인도네시아, 필리핀, 몽골, 네팔) 정보 및

현지 실행가 체크리스트 제공

<문화예술교육 국제실행 유형 >

프로그램 유형 세부유형

유형1개인 미적 체험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1-1. 예술과의 새로운 만남

1-2. 예술가·예비예술가 간 협업을 통한 상호교육

1-3. 현지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학습공동체 지원

유형 2지역사회 공동체 학습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2-1. 우리가 사는 지역, 동네 문화 알기

2-2. 지역을 가꾸는 생활디자인과 적정기술

2-3. 지역 활성화를 돕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유형 3지구촌 공동과제 해결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3-1. 어린이·청소년의 꿈과 미래 찾기 3-2. 지구촌 평화를 위한 문제 해결

3-3. 소수자에 대한 이해와 존중

※ 2014년 2월 중 국제실행 매뉴얼 개발 연계 시범사업(인도네시아) 종료 예정

Chapter 02

Page 88: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86

5.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 사업내용

수원국 문화존중 및 쌍방향 소통이 강화된 문화예술교육 ODA 실행으로

국제사회 내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문화예술교육 가치 확산에 기여하고자

기획된 사업입니다. 현지 수요 및 문화를 접목한 어린이·청소년 대상 교육과

지속 가능 기반 조성을 위한 매개자 교육이 함께 제공됩니다.

| 세부실적

1. 문화예술교육 실적

교육프로그램 기간 대상 주요내용

매개자교육

사파현 프로그램

2014. 9. 29(월)~10. 1(수) /총 21시간

베트남 라오까이성 사파현 현지 교사

20명

체험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현장 참관 및 현지 문화 접목한

문화예술교육 기획 아이디어 공유 등

라오까이 사범대 프로그램

2014. 10. 20(월)~10. 21(화) /총 18시간

2013 사범대 매개자교육 기 참여자를 포함한 라오까이성 내 예비교사 및 교수

21명

문화예술교육과 매개자교육의 이해, 문화예술교육 방법론 기획 실습,

커리큘럼 구성, 제작 수업안 공유회 등

어린이·청소년

대상 수혜자 교육

초등학교 교육

2014. 9. 18(목)~11. 6(목) /

3시간 / 8차시

사파초등학교 학생 21명

타인의 시선으로 세상보기, 교내 미니 전시회 개최, 나만의 장소 표현하기, 지역민의 이야기를 담은 우리가

꿈꾸는 마을 만들기, 최종 전시 준비 및 개최 등

중학교 교육

2014.9.16.(화)~11.8.(토) /2시간 30분 /

16차시

낌동중학교 학생 20명

서로 알기, 마음 나누기, 마을의 숨은 이야기 찾기, 꿈꾸는 마을, 우리 마을 사용 설명서 제작,

전시 준비 및 개최 등

지역 동아리 교육2014. 9. 21(일)~11. 9(일) /

3시간 / 9차시

2013년 기 교육 참여자 중 20명

기 습득한 문화예술교육 내용을 기반으로 참여자 주체 프로젝트 및

전시 기획·실행

Chapter 03

베트남 라오까이성 사진, 미술 장르 융합 교육 프로그램 ‘예술이 싹트는 마을’

Page 89: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87

2. 현지 교육 결과발표회 개최

발표회명 전시작품 수 일 시 참여자 주요내용

예술이 싹트는 마을총 663점(사진, 그림, 조형물 등)

2014.11.15(토)

10:00~17:00

교육 참여자 총 61명 및 학부모, 유관기관 관계자,

지역주민 약 1,500여 명

교육별 결과물 기획전시, 지역주민 참여형 이벤트, 교육 참여자의

섹션 별 도슨트 등

참여자 피드백

“새로운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담아내는 교육방식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보조교사로 수업과정에 참여하며 학생들의 ‘성장’을 보았다. 예술을 통해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고 자신만의 능력을 발견하게 되면서 학생들의 사진에는 점차 ‘의미’가 담기기 시작했다.” Tr n Bích Ng c 쩐 빅 느억 (사파 매개자 교육, 지역동아리 교육 보조교사 참여자)

“사진예술가가 아닌 정치인이 되고 싶은 꿈이 생겼다.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사람이 되어 ODA사업과 같은 좋은 기회를 많이 만들고 싶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어야 나도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행복은 그냥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찾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산사호 마을 아이들처럼 사진 수업을 받기 힘든 이들에게 내가 배운 것을 전달하겠다.” Truong Ng c Ánh h 쯔엉 응옥 아잉 (지역 동아리교육 중학생 참여자)

‘A Story of Vietnam’ 페이스북 www.facebook.com/gemmyproject

Page 90: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88

5.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사업

문화예술교육 온·오프라인 교류 및 조사연구

| 사업내용

기존에 다양한 공간에서 각기 다른 주체로부터 실행되어 온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공간 확장 및 활용사례를 공유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과

공간의 관계성, 확장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이고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의 미래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세부실적

• 주제: 문화예술교육 ‘공간’의 확장과 활용

• 일시: 2014. 10. 17 금 14:00~18:00

• 장소: 한국언론진흥재단 20층 국제회의장

• 주요 발제자: 국가별(한국, 호주, 덴마크, 싱가포르) 문화예술교육 정부기관,

민간단체 관계자 및 국내 토론자 6명

• 참가자: 국내 문화예술교육 단체·기관 담당자 및 예술강사, 교수, 학생 등

총 177명

• 주요내용

- 사례발표: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공간활용 및 확장 사례발표

- 종합토론: 해외사례별 패널토론 및 참가자 질의응답

독일 및 싱가포르 사례 관련 토론: 이원재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

호주 및 덴마크 사례 관련 토론: 김정희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국가 발표내용 발제자

한국‘공간이 교육을 혁신한다’

한국 문화예술교육 공간의 활용 및 확장의 흐름과 새로운 시도 조망

조주연사회적기업 티팟㈜ 대표

호주디지털 기술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공간 확장 가능성 호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쌍방향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

소개 및 예술강사의 역할, 향후 발전방향 조망

브리짓 반 로이벤시드니 오페라하우스

아동, 가족 및 창의학습 부서장

덴마크시민(성인)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비정규 학교 운영 사례

덴마크 보른홀름 시민학교의 문화예술교육 시스템, 교수법 및 지역 문화활동 기여 사례, 덴마크 비정규 성인교육의 배경 소개

앤 메테 조르쇼덴마크 보른홀름 시민학교 문화예술(도자기) 수석교사

싱가포르

문화예술 커뮤니티 공간 ‘노드(node)’ 구축을 통한 지역문화예술 공간활용 활성화

싱가포르 ‘문화예술 커뮤니티 노드’ 배경 및 기획·운영구조, 기대효과, 지역도서관 및 지역공동체 연계 사례

추아 아이 리앙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

예술 및 지역사회 부서 디렉터

2014 문화예술교육 국제 심포지엄 개최2014 International Symposium for Arts & Culture Education

Chapter 04

Page 9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89

| 사업내용

주요 국가별 사회 문화예술교육 정책 현황 및 우수사례 연구를 통해 국내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시사점 제공 및 양질의 문화예술교육 실행을 위한

기반 조성에 기여하고자 기획된 연구사업입니다.

| 세부실적

1. 국가별 사회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례 연구 보고서(1종),

우수사례집(1종) 발간

2. 국내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현장 관계자 대상 온·오프라인 배포

| 사업내용

해외 주요 문화예술교육 기관, 단체, 전문가와 온·오프라인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주요 국제동향을 파악하고 해외 협력 파트너십을

확대해나갑니다.

| 세부실적

1. 해외 온라인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

• 기관 영문홈페이지(http://eng.arte.or.kr) 및

영문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KACESenglish) 관리

: 총 36건의 주요사업 및 행사정보 업로드(좋아요: 588건)

• 기관 영문 대표메일([email protected]) 관리: 총 602건 수신

2. 해외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

• 해외 내방객 관리: 총 24명(북미,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

주요 문화예술교육 인사와의 면담, 향후 협력사업 방향 논의 등)

• 주요 국제행사 참가지원: 총 4건

3. 해외 문화예술교육 소식 스크랩 및 공유

• 총 79개 해외 문화예술교육(정책, 연구, 사례, 행사) 자료 조사 및 관리

국가별 사회 문화예술교육 정책·사례 연구 및 자료집 제작

해외 온·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축

Page 9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90

Page 9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91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6.

Advocacy & Communications

Chapter 01. 대외성과 확산 92

Chapter 02. 아르떼365 운영 93

Chapter 03. 온·오프라인 홍보물 제작 및 확산 94

Chapter 04. 국민 소통채널 운영 95

Chapter 05. 2014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96

Page 94: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92

6.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대외성과 확산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확산하고 대중의 실질적인 공감대 형성을 위하여

다양한 언론매체를 통해 효율적인 홍보 활동을 전개해 나갑니다.

대상별·지역별·계층별로 특화된 홍보 콘텐츠의 발굴 및 공유를 통하여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성의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 세부실적

1. 언론보도실적 총 3,860건(전년대비 128% 증가)

2. 주요 일간지 기획보도 및 논설 75건

• 주요 일간지 연계 국내외를 연결하는 기획기사 보도

※<조선일보>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현장 기획 시리즈, <서울신문> 학교 안 문화예술교육 기획 시리즈 (7회) 등

• 오피니언 리더의 논설, 기고를 통한 여론 형성

3. 주요 방송사 뉴스 및 교양보도 60건

• KBS 다큐 공감

• 지상파 3사 정보교양 및 뉴스보도 등

4. 언론홍보 위기 대응 전략 수립

• 기관 사업에 대한 언론 위기 상황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한

상황관리와 커뮤니케이션 절차 수립

Chapter 01

총 언론보도 실적

3,860

주요방송사 뉴스 및 교양보도

60

주요일간지 기획보도 및 논설

75

1 / KBS 다큐 공감(11. 8) 2 / MBC 뉴스(8. 22)3 / 대전KBS 뉴스 9(11. 27) 4 / SBS 모닝 와이드(8. 8)5 / EBS 스쿨리포트(7. 16)6 / SBS 생방송 투데이(8. 28)

1

4

2

5

3

6

Page 95: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93

Chapter 02 아르떼365 운영

| 사업내용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정보와 소식을 정기적으로 서비스하는 문화예술교육 분야

전문 웹진 ‘아르떼365’를 운영합니다. 정책사업 관련 정보와 현장 이야기를

발굴·소개하여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에 대한 공감과 이해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 세부실적

1. 주 1회 문화예술교육 관련 지식정보 서비스 제공

: 매주 화요일 기사 업데이트 및 뉴스레터 발송(회원수: 81,036명)

2. 해외동향 및 정책연구 리포트 정기 발행(각 월 1회)

3. 연간 누적 콘텐츠: 334건(기획기사 132건)

4. SNS 채널을 활용해 정보 확산 및 쌍방향 소통

5. 웹진 누적 방문자수: 201,921명, 페이지뷰: 540,601회

6. 블로그 누적 방문자수: 122,706명아르떼365 홈페이지 http://www.arte365.kr아르떼365 블로그 http://blog.naver.com/artezine

수혜자 피드백

“다양한 주제의 칼럼과 아이디어, 그리고 교육관련 소식을 매주 메일로 받아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아요! 특히 해외의 사례를 소개하고 국내의 모습과 비교하는 칼럼, 기사들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더 넓은 시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일반 구독자

“현장 이야기뿐만 아니라 해외소식과 국내외 동향은 문화예술교육을 기획하는 입장에서 자극도 되고 공부도 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소식과 국내외 사례를 통해 수업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고,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보다 아름답고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학교 교사

1 2

1 / 아르떼365 뉴스레터 2 / 아르떼365 웹진

Page 96: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94

6.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온·오프라인 홍보물 제작 및 확산

| 사업내용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및 대중의 수요를 적극 반영한 온·오프라인 홍보물을

제작합니다.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현장사례를 수요자 중심의 콘텐츠로 가공하여

공유함으로써 국민 맞춤형 지식과 정보를 제공합니다.

| 세부실적

1. 모바일 앱 운영을 통해 지면 홍보물 제작비용 절감 및 일반 시민 대상 양질의

콘텐츠 제공

2. 오픈소스 기반의 아르떼 아카이브 플랫폼 운영을 통해 사진, 영상, 발간물 등

다양한 콘텐츠를 뉴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재가공 및 공유

아르떼 아카이브 www.artearchive.kr

3. 온·오프라인 홍보물 디자인 활용 매뉴얼 개발을 통해 제작 소요시간 단축 및

개발 비용절감 등 업무 효율화

Chapter 03

1 / 모바일 아르떼북 앱 2 / 모바일 아르떼북 IOS 3 / 모바일 아르떼북

안드로이드

4 / 아르떼 아카이브 메인5 / 아르떼 아카이브

학술/연구 자료6 / 디자인 활용 매뉴얼

베너·포스터·리플렛

7 / 디자인 활용 매뉴얼 웹플라이어

1 2 3

6 7

4 5

Page 97: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95

국민 소통채널 운영

|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정보와 현장 이야기를 누구나 쉽게 만날 수 있도록 정책소식,

사진, 영상, 발간물 등 다양한 콘텐츠를 뉴미디어 환경에 맞는 형태로 재가공하여

SNS 채널을 통해 제공합니다.

| 세부실적

1. 페이스북 ‘좋아요’ 수: 8,158명, 연간 누적 콘텐츠 수: 340건

2. 트위터 팔로워: 2,103명, 연간 누적 콘텐츠 수: 170건

3. 사진·영상·발간물 PDF 누적 콘텐츠 수: 각 10,462 / 172 / 83 건

•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artejockey

• 트위터: http://twitter.com/artejockey

• 플리커(사진): http://www.flickr.com/photos/arte365photo

• 비메오(영상): http://www.vimeo.com/artejockey

• 이슈(발간물 PDF): http://issuu.com/kacesarte

Chapter 04

페이스북 ‘좋아요’ 수

8,158트위터 팔로워

2,103

1

2

3

1 / 아르떼 페이스북 2 / 아르떼 플리커 3 / 아르떼 비메오

Page 98: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96

6.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2014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 사업내용

유네스코·한국정부가 공동주최한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 대회’의

성공 개최를 발판으로 유네스코 총회에서 대회 개최 기간이었던 5월 넷째주를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으로 선포함 2011. 11. 4에 따라,

주도국으로서 매년 5월 넷째주에 기념행사를 개최합니다.

| 세부실적

• 기간: 2014. 5. 19 월~5. 24 토

• 장소: 문화역서울 284 및 전국 문화기반시설과 학교 등

• 참여대상: 어린이 및 초·중·고등학생, 학부모, 일반시민, 문화예술교육계

전문가 등

• 주요내용: 전국 단위 문화예술교육 관련 행사(개폐막식, 학술세미나, 교육포럼

및 워크숍, 공연, 체험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

- 주제(슬로건): 일상을 일으키는 힘, 문화예술교육

- 핵심어: 재생, 재구성, 재발견, 재해석

- 운영 프로그램: 총 303개

- 참여인원: 20,320명

- 언론보도: 160건

- 홈페이지: www.arteweek.kr

Chapter 05

운영 프로그램

303

언론보도

160

참여인원

20,320

Page 99: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97

<주요 프로그램별 개요 및 참여인원>

프로그램 구분 지역 일시 장소 참여인원(명)

개막음악회 서울 5. 19(월)문화역서울 284

중앙홀284

개막강연 서울 5. 19(월)문화역서울 284

그릴홀140

폐막식 서울 5. 23(금)문화역서울 284

중앙홀423

예술체험 박람회

서울 5. 18(일)~23(금)문화역서울 284

RTO / 3등 대합실 391

전북 5. 24(토) 전주 한옥마을 1,000

인천 5. 25(일)인천

부평아트하우스66

총계 1,457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샵1

<예술을 통한 청소년 역량 강화>

서울 5. 20(화)~21(수)문화역서울 284

그릴홀47

전남 5. 23(금)~24(토) 전남 여성플라자 39

울산 5. 26(월)~27(화)울산문화예술회관

대회의실35

총계 121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2<시스테마

뉴 브런즈윅의 교육과 운영>

서울 5. 20(화)~22(목)아라아트센터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543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3<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서울 5. 24(토)선유도 이야기관

3층 1,733

예술강사 연수<예술강사 만남의 날>

서울 5. 21(수)문화역서울 284

RTO 86

예술강사의 이야기 마당

서울 5. 22(목)문화역서울 284

RTO 80

인천 5. 21(수)인천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50

부산 5.22(목) 부산 부전역 23

대전 5. 21(수)대전 국제연극연구소 H.U.E 12

강원 5. 23(금) 원주 북아트 ‘라비’ 22총계 187

포럼<새로운 사회를 여는 키워드 문화예술교육>

서울 5. 22(목)문화역서울 284

그릴홀210

아르떼365 독자 나들이 <구르는 몸, 노래하듯이>

서울 5. 20(화)문화역서울 284

RTO 29

명예교사 장윤규 프로그램 <아빠와 함께 얼렁뚝딱>

서울 5. 23(금)문화역서울 284

RTO 30

특별한 인터뷰 <사이> 상영회

서울 5. 19(월)~23(금)문화역서울 284 부인대합실

400

예술꽃 씨앗학교 전국 5. 19(월)~23 (금) 전국 5,87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전국 5. 24(토) 전국 6,651

참여자 피드백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단어들이 이렇게 벽화, 예술이 되는 것이 신선하고, 직접 참여할 수 있어서 더 의미가 있었습니다.”시민참여형 전시 <말하는 벽화> 참여자

“평소 사람들이 많이 접해본 프로젝트가 아니라 의미있고 색다르게 보였고, 다음에도 이런 기회가 있다면 가능한 많이 참여하고 싶습니다. 또 촬영하면서 그냥 촬영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에 대해서 더 알아갈 수 있어서 더 좋았습니다.” 특별한 인터뷰 <소년, 중년에게 묻다> 참여 이원화 학생(대인고)

“다양한 분야의 예술강사들을 만나 소통하니까 제 분야뿐 아니라 다른 분야의 다양한 교습법도 서로 공유하고, 제 수업에서도 다른 분야를 활용하면 더 즐거운 예술교육이 될 것 같습니다”예술강사의 이야기 마당 참여자

Page 100: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98

KACES 바로가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www.arte.or.kr http://www.facebook.com/artejockey

http://twitter.com/artejockey http://www.flickr.com/photos/ arte365photo

http://www.vimeo.com/artejockey

http://issuu.com/kacesarte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영문)

http://eng.arte.or.kr https://www.facebook.com/KACESenglish

아르떼365

http://www.arte365.kr http://blog.naver.com/artezine

아르떼 아카이브

www.artearchive.kr

아르떼 인포그래픽

http://pinterest.com/arternd

예술상상 체험대

http://blog.naver.com/art_wonjeong

http://vimeo.com/92222054

예술강사의 발

http://arteconference.kr

예술꽃 씨앗학교

http://flower.arte.or.kr

청춘제

http://artesenior.or.kr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http://artebus.arte.or.kr https://www.facebook.com/artebus2013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友樂部落

http://www.woorockboorock.or.kr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http://toyo.arte.or.kr https://www.facebook.com/toyoschool

http://vimeo.com/toyoschool

꿈의 오케스트라

www.orchestrakids.or.kr www.facebook.com/orchestrakid

특별한 하루(명예교사 프로그램)

www.facebook.com/arteday

www.youtube.com/arteday

arteday.tistory.com

가가호호 홈페이지

http://gagahohocamp.or.kr

아르떼 아카데미 AA

www.facebook.com/aakeyum

HRD시스템 http://hrd.arte.or.kr

온라인 아카데미 http://lms.arte.or.kr

문화예술교육사

http://acei.arte.or.kr http://blog.naver.com/aci2013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www.arteweek.kr

문화예술교육ODA A Story of Vietnam

www.facebook.com/gemmyproject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통합운영시스템

http://ums.arte.or.kr/

Page 101: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Page 102: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발행일 2015. 01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www.arte.or.kr / www.arte365.kr

문의 02-6209-5900

기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경영기획팀

디자인 디자인스튜디오203

등록번호 KACES-1490-C001

ISBN 978-89-6748-130-8 0337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연차보고서 2014

Page 103: 201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본 자료집은 저작자와 출처를 표시하면 자유이용을 허락합니다.단, 영리적 이용과 2차적 저작들의 작성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an

nu

al r

ep

or

t 2

014

Ko

rea a

rts & C

ultu

re e

duca

tion S

erv

ice

ISBN 978-89-6748-130-8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