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44
2. 고전적 조직이론 1) 과학적 관리론 1) (1) 의 과학적 관리론(scientific management)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 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찾아내기 위한 관리이론이 다. Taylor를 대표자로 하는 이 과학적 관리론은 최초에 산업경영의 합리 화와 능률화를 위해서 출발하였으나 행정운영상의 합리화와 능률화를 위해 서도 많은 기여를 하는 등 행정을 기술의 체계로 파악, 정치행정이원론의 발전계기를 가져왔다(김규정, 1984: 267-268). (2) 성립배경과 전개과정 과학적 관리론은 미국에 있어서 기업의 산업능력이 시장의 수요를 초과 하기 때문에 그 대책으로써 기업의 합리화가 추진되었던 19세기 말에서 20 세기 초에 걸쳐 적극적으로 주장되었다. 거대한 독점기업이 형성되고 불경 기에 의한 공장폐쇄조업단축임금인하 사태와 노동쟁의가 전개되는 배경 하에서 기업경영에 있어서의 낭비와 비능률을 극복할 수 있는 고도의 합리 적인 관리기술이 요구되었다. Halsey & Rowan은 노동의 생산성을 높이면서 노동자가 반대하는 임금 율의 인하 없이 생산 일단위당의 임금지출을 최소화하려는 데 목적을 둔 초 기의 경영관리 합리화운동을 전개하였다. ② Towne의 영향 하에서 Taylor는 실험과 연구를 통하여 공장관리론 (Shop Management, 1903)과 과학적 관리의 원리(The Principles of Scientific Management, 1911)를 발표하였다. 1) F. Taylor L. D. Brandeis 1910 (The Interstate Commerce Commission) (Scientific Management) (J. M. Shafritz & J. Steve. 1992: 12).

Upload: others

Post on 01-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2 고전적 조직이론

1) 과학적 관리론1)

(1) 의 의

과학적 관리론(scientific management)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

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찾아내기 위한 관리이론이

다 Taylor를 대표자로 하는 이 과학적 관리론은 최초에 산업경영의 합리

화와 능률화를 위해서 출발하였으나 행정운영상의 합리화와 능률화를 위해

서도 많은 기여를 하는 등 행정을 기술의 체계로 파악 정치행정이원론의

발전계기를 가져왔다(김규정 1984 267-268)

(2) 성립배경과 전개과정

과학적 관리론은 미국에 있어서 기업의 산업능력이 시장의 수요를 초과

하기 때문에 그 대책으로써 기업의 합리화가 추진되었던 19세기 말에서 20

세기 초에 걸쳐 적극적으로 주장되었다 거대한 독점기업이 형성되고 불경

기에 의한 공장폐쇄조업단축임금인하 사태와 노동쟁의가 전개되는 배경

하에서 기업경영에 있어서의 낭비와 비능률을 극복할 수 있는 고도의 합리

적인 관리기술이 요구되었다

① Halsey amp Rowan은 노동의 생산성을 높이면서 노동자가 반대하는 임금

율의 인하 없이 생산 일단위당의 임금지출을 최소화하려는 데 목적을 둔 초

기의 경영관리 합리화운동을 전개하였다

② Towne의 영향 하에서 Taylor는 실험과 연구를 통하여 공장관리론

(Shop Management 1903)과 과학적 관리의 원리(The Principles of

Scientific Management 1911)를 발표하였다

1) F Taylor의 동료이고 후에 미국 대법원 판사였던 L D Brandeis는 1910년에 주간상업위원회(The

Interstate Commerce Commission)의동부철도요금결정사건증언에서철도회사는과학적관리법을적용하면하루에백만달러의절약을가져올수있기때문에요금인상은허용되어서는안된다는말을 함으로써 과학적 관리(Scientific Management)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J M Shafritz amp J Steve

1992 12)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1

③ 과학적 관리론은 그 후 Gantt의 갠트 과업상여제도(Gantt chart for

planning work output)(L P Alford H Laurence Gantt 1932)

Gilbreth의 동작연구(Cheaper by the Dozen) Emerson의 표준원가이론 등

에 의하여 더욱 발전되었으며 또한 Fayol과 Ford는 경영관리론을 발전시켰

(3) 내 용

Taylor는 비능률적인 전래적 방법(Rule of Thumb Method)을 비판하면서

삽 실험과 Schumidt 실험 등을 통하여 개개의 작업을 가장 간단한 요소동

작으로 분해하여 각 요소동작의 형태순서소요시간을 시간연구2)와 동작연

구3)에 의하여 표준화함으로써 하루의 공정한 작업량을 설정하고 이를 기

준으로 하는 관리의 과학화를 주장하였다(F W Taylor 1992 69-80)

① 과학적 관리론의 4대 기본원리

과학적 관리론의 기본원리로써 관리의 4대 원리 즉 ⅰ) 진정한 과학의

발전 ⅱ) 노동자의 과학적인 선발 ⅲ) 노동자의 과학적 교육과 발전 ⅳ)

관리자와 노동자간의 친밀한 협동 등을 들고 있다

② 과학적 관리론의 2대 목표와 그 달성을 위한 원칙

과학적 관리론의 2대 목표는 노동자의 번영과 고용자의 번영에 있고 이

의 달성을 위한 원칙의 적용이 요구되었다

가 모든 노동자에게 명확하게 정한 충분한 과업을 주어야 한다

나 노동자가 과업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적 여건을 마련해 주

어야 한다

다 노동자가 과업을 완성할 경우 성공에 대한 높은 지불을 하여야 한다

2) 시간연구는표준기본시간의측정과여유시간의가산에의한표준작업시간을설정하기위한것이다

3) 동작연구는기본동작의분석 불필요한동작의배제 기본동작의표준화 기본동작의결합에의한표준작업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라 노동자는 과업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의 손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마 과업은 일류의 노동자만이 달성할 수 있을 만큼 곤란한 정도이어야

한다

(4) 과학적 관리론의 비판과 평가

① 과학적 관리론의 비판

과학적 관리론은 무엇보다도 능률과 생산 그리고 이윤추구를 기본이념으

로 추구하는 기업조직에 있어서 인간을 가능한 한 최선의 방법으로 생산과

정에 활용하는 기술과 지식체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하였으나 다음 몇 가지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김규정 1983 27)

가 인간적 요인의 과소평가

인간기계론의 입장을 취한 과학적 관리론은 인간유기체의 여러 특징을

비교적 단순한 일을 하는 기계처럼 다루고 있으며 작업의 습관성질전통 등

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인간을 생명 없는 기계처럼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은 생산과정에 배치되어 있는 인간의 개성이나 잠재력의 평

가는 거의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기계의 체계에 적용하는 능력만이 인간상

으로부터 유출되어 합리적 경제인관(rational-economic man)에 입각하여

생산적 합리인의 측면만이 평가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인간을 종속변수

로서만 생각할 뿐 독자적으로 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나 능률원리의 행정에 대한 적용의 한계

전통적 행정관리론인 정치행정이원론은 행정의 가치판단의 세계와는 엄

격히 분리시켜 단순히 기술적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행정현상의 연구에 도

입한 전통적 이론인 과학적 관리론은 행정관리를 이윤의 극대화를 추구하

는 기업 관리와 본질적으로 동일시하는 전제에 입각하고 있으며 행정을 정

치적으로 중립적인 비권력적 현상으로 이해하였다 그런데 기업 관리의 결

과는 능률원리에 의하여 수량적으로 측정평가될 수 있으나 공익이 우선되

어야 하고 정치가 개입되는 행정에서는 기계적인 능률원리의 적용에는 일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3

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② 과학적 관리론의 평가

가 조직의 구성원을 교환이 가능한 부속품으로 간주되는 인간기계론으

로써 비판된 과학적 관리론의 결함은 작업자의 개성이나 사회관계가 생산

과정에 있어서의 성과에 있어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촉진시켰다(김규정 1983 271-272) 그러나 과학적 관리론이 전적

으로 부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오히려 인간관계론과의 종합화가 시도되

었다

나 원래 절대주의 혹은 경찰국가를 겪지 못하였던 미국에서는 행정과

경영과의 사이에 원리적인 차이가 있다고는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4) 과학

적 관리론을 정부활동에 적용하여 행정능률을 향상시키려고 하였던 것이며

행정의 능률화를 통하여 민주주의의 정치원리를 옹호할 수 있다고 믿었다

다 공권력이 압도적 비중을 가지며 절대적 관료제의 원리가 통합구조를

지배하여 온 우리나라에서는 기술적 합리성에만 치중하는 과학적 합리론만

으로는 행정현상을 충분히 다룰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행정의 능률화를 강력히 촉구하는 시민의식이 성숙되어 있지 못

하며 또한 과학적 관리의 전통도 실질적으로 미흡한 상태이므로 오히려 행

정의 근대성을 위해서 과학적인 행정관리 행정의 능률화가 절실히 요구되

고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라 미국에서도 1970년대에 들어와서 생산성측정(productivity

measurement) 개념이 행정에 도입되어 연방정부를 비롯하여 주시정부에

걸쳐 적용되었는데 행정의 생산성향상 운동은 절약과 능률을 추구하는 행

정의 과학적 관리와 공통되는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특히 관

리과학의 발전은 과학적 관리론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고 있다

4) 이와같은주장에대하여행정과경영의차이를강조하는견해도많이있다 그리하여바우어교수는경영과행정은하찮은관점에서만유사하다(J L Bower 1977 131)고하였고 앨리슨교수도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L Perry and K L Kraemer 1983 72-92)

2) 행정관리론(Administrative Management Theory)

(1) 의 의

공장 및 운영적 수준에서의 최적관리를 모색하는 과학적 관리론과는 달

리 1930년대에 있어서 보다 고차적인 조직수준에 적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행정 및 조직 원리를 제시해 주는 거시적인 관점이 행정관리론이다 이러

한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는 Fayol과 Gulick을 비롯하여 Urwick Mooney

Reiley 등이 있다

(2) Fayol의 관리론

Fayol은 프랑스의 사업가이며 초기의 관리자로서 관리자의 기능에 관한

실제적이고 명쾌한 접근방법과 관리원칙을 제시하였다(H Fayol 1949

19-42)

① 관리의 일반원리

가 분업(division of work)

나 권한과 책임(authority and responsibility)

다 규율(discipline)

라 명령통일(unity of command)

마 지휘의 통일(unity of direction)

바 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이해관계에의 종속(subordination

of individual interests to general interests)

사 보수(remuneration)

아 집중화(centralization)

자 계층의 연쇄(scaler chain)

차 질서(order)

카 평등(equality)

타 직원의 신분보장(stability of tenure of personnel)

파 솔선(initiative)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5

하 단결심(esprit de corps)

② 관리의 요소

Fayol은 관리 요소로써 계획조직화명령조정통제를 들고 있다

(3) 기타의 관리론

1920년대와 30년대에 정부행정과 기업경영에 직접 간접으로 종사하면

서 많은 연구와 경험에서 얻는 관리에 관한 탁견을 여러 학자들이 발표하였

다 이와 같은 행정관리론의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서 Gulick Mooney와

Reiley Follett 등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① Gulick의 이론

첫째 Gulick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POSDCoRB로 표현하였다(L Gulick

amp L Urwick 1937 13)

즉 ⅰ) 계획(planning) ⅱ) 조직(organizing) ⅲ) 인사(staffing)

ⅳ) 지휘(directing) ⅴ) 조정(coordinating) ⅵ) 보고(reporting)

ⅶ) 예산(budgeting)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표

시할 뿐만 아니라 행정학의 연구범위와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3) 관료제론

(1) 관료제의 개념

관료제는 극히 다의적인 불확정개념이다 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파악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와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로 나누어 살펴본다(김규정 1983 72)

①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구조적 의미에서 볼 때 계층제적 형태를 띤 복잡한 대규모 조직

의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입장은 Max Weber의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ⅰ) 의사결정의 계층적 구조와 ⅱ) 국가행정기구 이외에 사기업노동조합

농업단체 등 모든 대규모 사회집단에서 보는 보편적 성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②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기능적 의미에서 그 행태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개념을 인식

할 수 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합리적 기능과 비합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관료제는 기능을 중심으로 ⅰ) 객관성정확성일관성전문성을 강조

하는 합리적 기능 ⅱ) 책임의 회피형식주의무사안일주의 등 역기능 ⅲ)

일정한 특권층을 구성하고 있는 관료집단이 주로 정치권력의 담당자로서의

지위를 형성하는 권력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Weber의 관료제 이론

① 지배와 권위의 모형

Weber는 지배의 모형으로서 전통적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 합법적 지배

로 나누었다 전통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의 근거가 고래로부터 존속되어

온 전통이나 지배자 권력의 신성성에 대한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

을 의미하며 혈연에 의한 세습적 지배의 조직이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조석준 1993 272-273)

카리스마 지배는 일상적인 것을 초월한 지도자의 비범한 자질이나 능력

에 대한 외경심이 피치자의 복종 근거가 되어 있는 지배유형을 의미한다

카리스마적 지배자는 전통이나 법을 무시하고 개인의 자의에 의하여 지배

한다 그리하여 조직이 위기에 처했을 때 이와 같은 지배자가 탄생할 가능

성이 많다

합법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이 법규화된 질서 또는 명령권의 합법성에

의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을 말하며 합리적 지배라고도 한다

Weber는 합법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이 관료제적 지배라 하였다

② 근대 관료제의 성립요인

근대관료제 성립의 사회적 경제적 전제 조건으로 Weber는 다음의 여섯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7

가지를 들고 있다(금종우전남석 1981 32-56에서 재인용)

가 화폐경제적재정적 전제

봉건관료의 현물급여에 대하여 근대관료는 화폐급여의 형태를 취하고 있

으므로 근대적 화폐경제의 발달이 전제되고 있다

나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

관료제는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을 전제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행정 분

야에 있어서는 대형국가와 대중정당이 관료제의 기반이 되었다

다 행정사무의 질적 변화

근대국가에 있어서 문화의 복잡화 행정에 대한 수요의 증대 등 행정사

무의 질적 변화를 전제하고 있다

라 관료조직의 기술적 이점

완전히 발달된 관료제기구는 합의제 명예직제 겸직제에 비하여 정확

성 신속성 명료성 문서에 대한 정통 지속성 신중성 통일성 엄격한

복종 마찰의 제거 물적인적 비용의 절감 등 순수한 기본적 이점을 가지

고 있다

마 행정수단의 집중

봉건관료들은 행정에 필요한 경비를 자체 조달하였으나 근대관료제는 국

가의 경비를 예산에 계상하여 하급기관에 경상비를 제공하고 그 지출을 규

제하고 통제한다

바 사회적 차별의 평등화

관료제조직은 대체로 행정기능의 담당자로서 경제적사회적 차별이 적어

도 상대적으로 평등화 될 때 지배적인 것이 된다 관료제 조직은 무엇보다

도 동질적인 소규모 단위의 민주주의적 자치와는 대조적인 현대적 대중민

주주의의 불가피한 수반현상이다

③ 근대 관료제의 특징

법적합리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인 근대관료제의 특징을 Weber는 다

음과 같이 적고 있다(H H Gerth and C W Mills 1958 196-204)

가 권한과 관할범위의 규정

법규 즉 법률이나 행정규칙에 의해 일반적으로 계통화된 명확한 공적인

권한의 원칙이 존재한다

나 계층제적 구조

권한의 계층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계층제 속에 모든 직위들이 배치된다

또한 관료간의 제 관계는 계층제적 원칙에 의하여 규율되며 상하 지배복종

관계가 이루어진다

다 문서화의 원리

근대적인 공무집행은 원본 또는 초안의 형태로 보존되는 문서를 바탕으

로 수행된다

라 관료의 전문화

관료는 책임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마 관료의 전임화

관료로서의 직업은 항구적인 생애직 이며 온갖 정력을 그들이 맡은 직위

의 임무수행에 바쳐야 한다

바 임무수행의 비개인화

관료들은 임무수행에 관한 법규의 적용에 있어서 개인적 이익이나 구체

적인 경우의 특별한 사정 또는 고객의 지위 등에 구애되는 일이 없이 공평

무사한 비개인성(impersonality)을 유지해야 한다

(3) 관료제의 역기능과 쇄신

Weber의 관료제에 의하면 관료제적 특징 즉 법규 계층제 문서주의

전문성 비정의성 등을 갖는 조직은 능률성 예측성 안정성 객관성 신

뢰성 획일성 등의 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Merton 등은 원래 Weber가 의

도하지 않은 역기능이 관료제의 특징 자체에서 발생함을 경험적 연구를 통

해서 입증하고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9

① 관료제의 역기능

가 Merton의 모형

Merton은 관료제의 역기능은 최고관리층의 통제욕구(demand for

control)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이 욕구는 조직성원들의 행태의 일관성

또는 신뢰성의 확보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와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게 된

다 그러나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가끔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 즉

동조과잉 목표의 전환 형식주의 등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R K

Merton 1968 249-260)

나 Selznick의 모형

Selznick의 모형은 통제의 필요에 따라 권한의 위임을 강조한 결과 조직

성원의 전문능력을 연마시키고 조직목표달성을 촉진시키게 한다 그러나

이는 하위단위의 번거로운 할거주의를 초래하고 이해관계의 분립을 야기

시키게 된다(P Selznick 1949) 즉 하위목표의 내면화가 촉진되고 조직

하위단위중심의 의사결정이 하위단위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부전략에 의존

하게 되는 역기능을 시사한다

다 Gouldner의 모형

Gouldner의 모형에 의하면 최고관리층은 조직성원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

반적이고 비개인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칙사용의 한 가지 결과는

집단내의 권력관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규칙을

강조하게 되면 조직성원은 규칙을 익히고 그것에 비추어 그들이 용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태가 무엇인가를 알고 그 수준까지만 성과를 내고 그 이

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직의 목표와 조직성원의 업

무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관리자는 더욱 더 철저한 감독을

하게 되고 따라서 권력관계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조직 내의 대인관계에 긴

장감이 증가하며 조직의 균형이 파괴되므로 관리층은 더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A W Gouldner 1954)

라 Thompson의 관료제병리론(bureaupathology)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1

③ 과학적 관리론은 그 후 Gantt의 갠트 과업상여제도(Gantt chart for

planning work output)(L P Alford H Laurence Gantt 1932)

Gilbreth의 동작연구(Cheaper by the Dozen) Emerson의 표준원가이론 등

에 의하여 더욱 발전되었으며 또한 Fayol과 Ford는 경영관리론을 발전시켰

(3) 내 용

Taylor는 비능률적인 전래적 방법(Rule of Thumb Method)을 비판하면서

삽 실험과 Schumidt 실험 등을 통하여 개개의 작업을 가장 간단한 요소동

작으로 분해하여 각 요소동작의 형태순서소요시간을 시간연구2)와 동작연

구3)에 의하여 표준화함으로써 하루의 공정한 작업량을 설정하고 이를 기

준으로 하는 관리의 과학화를 주장하였다(F W Taylor 1992 69-80)

① 과학적 관리론의 4대 기본원리

과학적 관리론의 기본원리로써 관리의 4대 원리 즉 ⅰ) 진정한 과학의

발전 ⅱ) 노동자의 과학적인 선발 ⅲ) 노동자의 과학적 교육과 발전 ⅳ)

관리자와 노동자간의 친밀한 협동 등을 들고 있다

② 과학적 관리론의 2대 목표와 그 달성을 위한 원칙

과학적 관리론의 2대 목표는 노동자의 번영과 고용자의 번영에 있고 이

의 달성을 위한 원칙의 적용이 요구되었다

가 모든 노동자에게 명확하게 정한 충분한 과업을 주어야 한다

나 노동자가 과업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적 여건을 마련해 주

어야 한다

다 노동자가 과업을 완성할 경우 성공에 대한 높은 지불을 하여야 한다

2) 시간연구는표준기본시간의측정과여유시간의가산에의한표준작업시간을설정하기위한것이다

3) 동작연구는기본동작의분석 불필요한동작의배제 기본동작의표준화 기본동작의결합에의한표준작업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라 노동자는 과업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의 손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마 과업은 일류의 노동자만이 달성할 수 있을 만큼 곤란한 정도이어야

한다

(4) 과학적 관리론의 비판과 평가

① 과학적 관리론의 비판

과학적 관리론은 무엇보다도 능률과 생산 그리고 이윤추구를 기본이념으

로 추구하는 기업조직에 있어서 인간을 가능한 한 최선의 방법으로 생산과

정에 활용하는 기술과 지식체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하였으나 다음 몇 가지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김규정 1983 27)

가 인간적 요인의 과소평가

인간기계론의 입장을 취한 과학적 관리론은 인간유기체의 여러 특징을

비교적 단순한 일을 하는 기계처럼 다루고 있으며 작업의 습관성질전통 등

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인간을 생명 없는 기계처럼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은 생산과정에 배치되어 있는 인간의 개성이나 잠재력의 평

가는 거의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기계의 체계에 적용하는 능력만이 인간상

으로부터 유출되어 합리적 경제인관(rational-economic man)에 입각하여

생산적 합리인의 측면만이 평가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인간을 종속변수

로서만 생각할 뿐 독자적으로 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나 능률원리의 행정에 대한 적용의 한계

전통적 행정관리론인 정치행정이원론은 행정의 가치판단의 세계와는 엄

격히 분리시켜 단순히 기술적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행정현상의 연구에 도

입한 전통적 이론인 과학적 관리론은 행정관리를 이윤의 극대화를 추구하

는 기업 관리와 본질적으로 동일시하는 전제에 입각하고 있으며 행정을 정

치적으로 중립적인 비권력적 현상으로 이해하였다 그런데 기업 관리의 결

과는 능률원리에 의하여 수량적으로 측정평가될 수 있으나 공익이 우선되

어야 하고 정치가 개입되는 행정에서는 기계적인 능률원리의 적용에는 일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3

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② 과학적 관리론의 평가

가 조직의 구성원을 교환이 가능한 부속품으로 간주되는 인간기계론으

로써 비판된 과학적 관리론의 결함은 작업자의 개성이나 사회관계가 생산

과정에 있어서의 성과에 있어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촉진시켰다(김규정 1983 271-272) 그러나 과학적 관리론이 전적

으로 부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오히려 인간관계론과의 종합화가 시도되

었다

나 원래 절대주의 혹은 경찰국가를 겪지 못하였던 미국에서는 행정과

경영과의 사이에 원리적인 차이가 있다고는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4) 과학

적 관리론을 정부활동에 적용하여 행정능률을 향상시키려고 하였던 것이며

행정의 능률화를 통하여 민주주의의 정치원리를 옹호할 수 있다고 믿었다

다 공권력이 압도적 비중을 가지며 절대적 관료제의 원리가 통합구조를

지배하여 온 우리나라에서는 기술적 합리성에만 치중하는 과학적 합리론만

으로는 행정현상을 충분히 다룰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행정의 능률화를 강력히 촉구하는 시민의식이 성숙되어 있지 못

하며 또한 과학적 관리의 전통도 실질적으로 미흡한 상태이므로 오히려 행

정의 근대성을 위해서 과학적인 행정관리 행정의 능률화가 절실히 요구되

고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라 미국에서도 1970년대에 들어와서 생산성측정(productivity

measurement) 개념이 행정에 도입되어 연방정부를 비롯하여 주시정부에

걸쳐 적용되었는데 행정의 생산성향상 운동은 절약과 능률을 추구하는 행

정의 과학적 관리와 공통되는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특히 관

리과학의 발전은 과학적 관리론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고 있다

4) 이와같은주장에대하여행정과경영의차이를강조하는견해도많이있다 그리하여바우어교수는경영과행정은하찮은관점에서만유사하다(J L Bower 1977 131)고하였고 앨리슨교수도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L Perry and K L Kraemer 1983 72-92)

2) 행정관리론(Administrative Management Theory)

(1) 의 의

공장 및 운영적 수준에서의 최적관리를 모색하는 과학적 관리론과는 달

리 1930년대에 있어서 보다 고차적인 조직수준에 적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행정 및 조직 원리를 제시해 주는 거시적인 관점이 행정관리론이다 이러

한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는 Fayol과 Gulick을 비롯하여 Urwick Mooney

Reiley 등이 있다

(2) Fayol의 관리론

Fayol은 프랑스의 사업가이며 초기의 관리자로서 관리자의 기능에 관한

실제적이고 명쾌한 접근방법과 관리원칙을 제시하였다(H Fayol 1949

19-42)

① 관리의 일반원리

가 분업(division of work)

나 권한과 책임(authority and responsibility)

다 규율(discipline)

라 명령통일(unity of command)

마 지휘의 통일(unity of direction)

바 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이해관계에의 종속(subordination

of individual interests to general interests)

사 보수(remuneration)

아 집중화(centralization)

자 계층의 연쇄(scaler chain)

차 질서(order)

카 평등(equality)

타 직원의 신분보장(stability of tenure of personnel)

파 솔선(initiative)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5

하 단결심(esprit de corps)

② 관리의 요소

Fayol은 관리 요소로써 계획조직화명령조정통제를 들고 있다

(3) 기타의 관리론

1920년대와 30년대에 정부행정과 기업경영에 직접 간접으로 종사하면

서 많은 연구와 경험에서 얻는 관리에 관한 탁견을 여러 학자들이 발표하였

다 이와 같은 행정관리론의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서 Gulick Mooney와

Reiley Follett 등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① Gulick의 이론

첫째 Gulick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POSDCoRB로 표현하였다(L Gulick

amp L Urwick 1937 13)

즉 ⅰ) 계획(planning) ⅱ) 조직(organizing) ⅲ) 인사(staffing)

ⅳ) 지휘(directing) ⅴ) 조정(coordinating) ⅵ) 보고(reporting)

ⅶ) 예산(budgeting)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표

시할 뿐만 아니라 행정학의 연구범위와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3) 관료제론

(1) 관료제의 개념

관료제는 극히 다의적인 불확정개념이다 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파악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와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로 나누어 살펴본다(김규정 1983 72)

①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구조적 의미에서 볼 때 계층제적 형태를 띤 복잡한 대규모 조직

의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입장은 Max Weber의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ⅰ) 의사결정의 계층적 구조와 ⅱ) 국가행정기구 이외에 사기업노동조합

농업단체 등 모든 대규모 사회집단에서 보는 보편적 성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②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기능적 의미에서 그 행태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개념을 인식

할 수 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합리적 기능과 비합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관료제는 기능을 중심으로 ⅰ) 객관성정확성일관성전문성을 강조

하는 합리적 기능 ⅱ) 책임의 회피형식주의무사안일주의 등 역기능 ⅲ)

일정한 특권층을 구성하고 있는 관료집단이 주로 정치권력의 담당자로서의

지위를 형성하는 권력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Weber의 관료제 이론

① 지배와 권위의 모형

Weber는 지배의 모형으로서 전통적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 합법적 지배

로 나누었다 전통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의 근거가 고래로부터 존속되어

온 전통이나 지배자 권력의 신성성에 대한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

을 의미하며 혈연에 의한 세습적 지배의 조직이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조석준 1993 272-273)

카리스마 지배는 일상적인 것을 초월한 지도자의 비범한 자질이나 능력

에 대한 외경심이 피치자의 복종 근거가 되어 있는 지배유형을 의미한다

카리스마적 지배자는 전통이나 법을 무시하고 개인의 자의에 의하여 지배

한다 그리하여 조직이 위기에 처했을 때 이와 같은 지배자가 탄생할 가능

성이 많다

합법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이 법규화된 질서 또는 명령권의 합법성에

의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을 말하며 합리적 지배라고도 한다

Weber는 합법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이 관료제적 지배라 하였다

② 근대 관료제의 성립요인

근대관료제 성립의 사회적 경제적 전제 조건으로 Weber는 다음의 여섯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7

가지를 들고 있다(금종우전남석 1981 32-56에서 재인용)

가 화폐경제적재정적 전제

봉건관료의 현물급여에 대하여 근대관료는 화폐급여의 형태를 취하고 있

으므로 근대적 화폐경제의 발달이 전제되고 있다

나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

관료제는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을 전제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행정 분

야에 있어서는 대형국가와 대중정당이 관료제의 기반이 되었다

다 행정사무의 질적 변화

근대국가에 있어서 문화의 복잡화 행정에 대한 수요의 증대 등 행정사

무의 질적 변화를 전제하고 있다

라 관료조직의 기술적 이점

완전히 발달된 관료제기구는 합의제 명예직제 겸직제에 비하여 정확

성 신속성 명료성 문서에 대한 정통 지속성 신중성 통일성 엄격한

복종 마찰의 제거 물적인적 비용의 절감 등 순수한 기본적 이점을 가지

고 있다

마 행정수단의 집중

봉건관료들은 행정에 필요한 경비를 자체 조달하였으나 근대관료제는 국

가의 경비를 예산에 계상하여 하급기관에 경상비를 제공하고 그 지출을 규

제하고 통제한다

바 사회적 차별의 평등화

관료제조직은 대체로 행정기능의 담당자로서 경제적사회적 차별이 적어

도 상대적으로 평등화 될 때 지배적인 것이 된다 관료제 조직은 무엇보다

도 동질적인 소규모 단위의 민주주의적 자치와는 대조적인 현대적 대중민

주주의의 불가피한 수반현상이다

③ 근대 관료제의 특징

법적합리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인 근대관료제의 특징을 Weber는 다

음과 같이 적고 있다(H H Gerth and C W Mills 1958 196-204)

가 권한과 관할범위의 규정

법규 즉 법률이나 행정규칙에 의해 일반적으로 계통화된 명확한 공적인

권한의 원칙이 존재한다

나 계층제적 구조

권한의 계층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계층제 속에 모든 직위들이 배치된다

또한 관료간의 제 관계는 계층제적 원칙에 의하여 규율되며 상하 지배복종

관계가 이루어진다

다 문서화의 원리

근대적인 공무집행은 원본 또는 초안의 형태로 보존되는 문서를 바탕으

로 수행된다

라 관료의 전문화

관료는 책임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마 관료의 전임화

관료로서의 직업은 항구적인 생애직 이며 온갖 정력을 그들이 맡은 직위

의 임무수행에 바쳐야 한다

바 임무수행의 비개인화

관료들은 임무수행에 관한 법규의 적용에 있어서 개인적 이익이나 구체

적인 경우의 특별한 사정 또는 고객의 지위 등에 구애되는 일이 없이 공평

무사한 비개인성(impersonality)을 유지해야 한다

(3) 관료제의 역기능과 쇄신

Weber의 관료제에 의하면 관료제적 특징 즉 법규 계층제 문서주의

전문성 비정의성 등을 갖는 조직은 능률성 예측성 안정성 객관성 신

뢰성 획일성 등의 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Merton 등은 원래 Weber가 의

도하지 않은 역기능이 관료제의 특징 자체에서 발생함을 경험적 연구를 통

해서 입증하고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9

① 관료제의 역기능

가 Merton의 모형

Merton은 관료제의 역기능은 최고관리층의 통제욕구(demand for

control)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이 욕구는 조직성원들의 행태의 일관성

또는 신뢰성의 확보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와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게 된

다 그러나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가끔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 즉

동조과잉 목표의 전환 형식주의 등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R K

Merton 1968 249-260)

나 Selznick의 모형

Selznick의 모형은 통제의 필요에 따라 권한의 위임을 강조한 결과 조직

성원의 전문능력을 연마시키고 조직목표달성을 촉진시키게 한다 그러나

이는 하위단위의 번거로운 할거주의를 초래하고 이해관계의 분립을 야기

시키게 된다(P Selznick 1949) 즉 하위목표의 내면화가 촉진되고 조직

하위단위중심의 의사결정이 하위단위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부전략에 의존

하게 되는 역기능을 시사한다

다 Gouldner의 모형

Gouldner의 모형에 의하면 최고관리층은 조직성원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

반적이고 비개인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칙사용의 한 가지 결과는

집단내의 권력관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규칙을

강조하게 되면 조직성원은 규칙을 익히고 그것에 비추어 그들이 용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태가 무엇인가를 알고 그 수준까지만 성과를 내고 그 이

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직의 목표와 조직성원의 업

무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관리자는 더욱 더 철저한 감독을

하게 되고 따라서 권력관계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조직 내의 대인관계에 긴

장감이 증가하며 조직의 균형이 파괴되므로 관리층은 더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A W Gouldner 1954)

라 Thompson의 관료제병리론(bureaupathology)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라 노동자는 과업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의 손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마 과업은 일류의 노동자만이 달성할 수 있을 만큼 곤란한 정도이어야

한다

(4) 과학적 관리론의 비판과 평가

① 과학적 관리론의 비판

과학적 관리론은 무엇보다도 능률과 생산 그리고 이윤추구를 기본이념으

로 추구하는 기업조직에 있어서 인간을 가능한 한 최선의 방법으로 생산과

정에 활용하는 기술과 지식체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하였으나 다음 몇 가지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김규정 1983 27)

가 인간적 요인의 과소평가

인간기계론의 입장을 취한 과학적 관리론은 인간유기체의 여러 특징을

비교적 단순한 일을 하는 기계처럼 다루고 있으며 작업의 습관성질전통 등

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인간을 생명 없는 기계처럼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은 생산과정에 배치되어 있는 인간의 개성이나 잠재력의 평

가는 거의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기계의 체계에 적용하는 능력만이 인간상

으로부터 유출되어 합리적 경제인관(rational-economic man)에 입각하여

생산적 합리인의 측면만이 평가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인간을 종속변수

로서만 생각할 뿐 독자적으로 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는 거의

고려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나 능률원리의 행정에 대한 적용의 한계

전통적 행정관리론인 정치행정이원론은 행정의 가치판단의 세계와는 엄

격히 분리시켜 단순히 기술적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행정현상의 연구에 도

입한 전통적 이론인 과학적 관리론은 행정관리를 이윤의 극대화를 추구하

는 기업 관리와 본질적으로 동일시하는 전제에 입각하고 있으며 행정을 정

치적으로 중립적인 비권력적 현상으로 이해하였다 그런데 기업 관리의 결

과는 능률원리에 의하여 수량적으로 측정평가될 수 있으나 공익이 우선되

어야 하고 정치가 개입되는 행정에서는 기계적인 능률원리의 적용에는 일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3

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② 과학적 관리론의 평가

가 조직의 구성원을 교환이 가능한 부속품으로 간주되는 인간기계론으

로써 비판된 과학적 관리론의 결함은 작업자의 개성이나 사회관계가 생산

과정에 있어서의 성과에 있어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촉진시켰다(김규정 1983 271-272) 그러나 과학적 관리론이 전적

으로 부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오히려 인간관계론과의 종합화가 시도되

었다

나 원래 절대주의 혹은 경찰국가를 겪지 못하였던 미국에서는 행정과

경영과의 사이에 원리적인 차이가 있다고는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4) 과학

적 관리론을 정부활동에 적용하여 행정능률을 향상시키려고 하였던 것이며

행정의 능률화를 통하여 민주주의의 정치원리를 옹호할 수 있다고 믿었다

다 공권력이 압도적 비중을 가지며 절대적 관료제의 원리가 통합구조를

지배하여 온 우리나라에서는 기술적 합리성에만 치중하는 과학적 합리론만

으로는 행정현상을 충분히 다룰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행정의 능률화를 강력히 촉구하는 시민의식이 성숙되어 있지 못

하며 또한 과학적 관리의 전통도 실질적으로 미흡한 상태이므로 오히려 행

정의 근대성을 위해서 과학적인 행정관리 행정의 능률화가 절실히 요구되

고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라 미국에서도 1970년대에 들어와서 생산성측정(productivity

measurement) 개념이 행정에 도입되어 연방정부를 비롯하여 주시정부에

걸쳐 적용되었는데 행정의 생산성향상 운동은 절약과 능률을 추구하는 행

정의 과학적 관리와 공통되는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특히 관

리과학의 발전은 과학적 관리론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고 있다

4) 이와같은주장에대하여행정과경영의차이를강조하는견해도많이있다 그리하여바우어교수는경영과행정은하찮은관점에서만유사하다(J L Bower 1977 131)고하였고 앨리슨교수도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L Perry and K L Kraemer 1983 72-92)

2) 행정관리론(Administrative Management Theory)

(1) 의 의

공장 및 운영적 수준에서의 최적관리를 모색하는 과학적 관리론과는 달

리 1930년대에 있어서 보다 고차적인 조직수준에 적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행정 및 조직 원리를 제시해 주는 거시적인 관점이 행정관리론이다 이러

한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는 Fayol과 Gulick을 비롯하여 Urwick Mooney

Reiley 등이 있다

(2) Fayol의 관리론

Fayol은 프랑스의 사업가이며 초기의 관리자로서 관리자의 기능에 관한

실제적이고 명쾌한 접근방법과 관리원칙을 제시하였다(H Fayol 1949

19-42)

① 관리의 일반원리

가 분업(division of work)

나 권한과 책임(authority and responsibility)

다 규율(discipline)

라 명령통일(unity of command)

마 지휘의 통일(unity of direction)

바 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이해관계에의 종속(subordination

of individual interests to general interests)

사 보수(remuneration)

아 집중화(centralization)

자 계층의 연쇄(scaler chain)

차 질서(order)

카 평등(equality)

타 직원의 신분보장(stability of tenure of personnel)

파 솔선(initiative)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5

하 단결심(esprit de corps)

② 관리의 요소

Fayol은 관리 요소로써 계획조직화명령조정통제를 들고 있다

(3) 기타의 관리론

1920년대와 30년대에 정부행정과 기업경영에 직접 간접으로 종사하면

서 많은 연구와 경험에서 얻는 관리에 관한 탁견을 여러 학자들이 발표하였

다 이와 같은 행정관리론의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서 Gulick Mooney와

Reiley Follett 등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① Gulick의 이론

첫째 Gulick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POSDCoRB로 표현하였다(L Gulick

amp L Urwick 1937 13)

즉 ⅰ) 계획(planning) ⅱ) 조직(organizing) ⅲ) 인사(staffing)

ⅳ) 지휘(directing) ⅴ) 조정(coordinating) ⅵ) 보고(reporting)

ⅶ) 예산(budgeting)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표

시할 뿐만 아니라 행정학의 연구범위와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3) 관료제론

(1) 관료제의 개념

관료제는 극히 다의적인 불확정개념이다 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파악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와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로 나누어 살펴본다(김규정 1983 72)

①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구조적 의미에서 볼 때 계층제적 형태를 띤 복잡한 대규모 조직

의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입장은 Max Weber의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ⅰ) 의사결정의 계층적 구조와 ⅱ) 국가행정기구 이외에 사기업노동조합

농업단체 등 모든 대규모 사회집단에서 보는 보편적 성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②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기능적 의미에서 그 행태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개념을 인식

할 수 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합리적 기능과 비합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관료제는 기능을 중심으로 ⅰ) 객관성정확성일관성전문성을 강조

하는 합리적 기능 ⅱ) 책임의 회피형식주의무사안일주의 등 역기능 ⅲ)

일정한 특권층을 구성하고 있는 관료집단이 주로 정치권력의 담당자로서의

지위를 형성하는 권력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Weber의 관료제 이론

① 지배와 권위의 모형

Weber는 지배의 모형으로서 전통적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 합법적 지배

로 나누었다 전통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의 근거가 고래로부터 존속되어

온 전통이나 지배자 권력의 신성성에 대한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

을 의미하며 혈연에 의한 세습적 지배의 조직이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조석준 1993 272-273)

카리스마 지배는 일상적인 것을 초월한 지도자의 비범한 자질이나 능력

에 대한 외경심이 피치자의 복종 근거가 되어 있는 지배유형을 의미한다

카리스마적 지배자는 전통이나 법을 무시하고 개인의 자의에 의하여 지배

한다 그리하여 조직이 위기에 처했을 때 이와 같은 지배자가 탄생할 가능

성이 많다

합법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이 법규화된 질서 또는 명령권의 합법성에

의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을 말하며 합리적 지배라고도 한다

Weber는 합법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이 관료제적 지배라 하였다

② 근대 관료제의 성립요인

근대관료제 성립의 사회적 경제적 전제 조건으로 Weber는 다음의 여섯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7

가지를 들고 있다(금종우전남석 1981 32-56에서 재인용)

가 화폐경제적재정적 전제

봉건관료의 현물급여에 대하여 근대관료는 화폐급여의 형태를 취하고 있

으므로 근대적 화폐경제의 발달이 전제되고 있다

나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

관료제는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을 전제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행정 분

야에 있어서는 대형국가와 대중정당이 관료제의 기반이 되었다

다 행정사무의 질적 변화

근대국가에 있어서 문화의 복잡화 행정에 대한 수요의 증대 등 행정사

무의 질적 변화를 전제하고 있다

라 관료조직의 기술적 이점

완전히 발달된 관료제기구는 합의제 명예직제 겸직제에 비하여 정확

성 신속성 명료성 문서에 대한 정통 지속성 신중성 통일성 엄격한

복종 마찰의 제거 물적인적 비용의 절감 등 순수한 기본적 이점을 가지

고 있다

마 행정수단의 집중

봉건관료들은 행정에 필요한 경비를 자체 조달하였으나 근대관료제는 국

가의 경비를 예산에 계상하여 하급기관에 경상비를 제공하고 그 지출을 규

제하고 통제한다

바 사회적 차별의 평등화

관료제조직은 대체로 행정기능의 담당자로서 경제적사회적 차별이 적어

도 상대적으로 평등화 될 때 지배적인 것이 된다 관료제 조직은 무엇보다

도 동질적인 소규모 단위의 민주주의적 자치와는 대조적인 현대적 대중민

주주의의 불가피한 수반현상이다

③ 근대 관료제의 특징

법적합리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인 근대관료제의 특징을 Weber는 다

음과 같이 적고 있다(H H Gerth and C W Mills 1958 196-204)

가 권한과 관할범위의 규정

법규 즉 법률이나 행정규칙에 의해 일반적으로 계통화된 명확한 공적인

권한의 원칙이 존재한다

나 계층제적 구조

권한의 계층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계층제 속에 모든 직위들이 배치된다

또한 관료간의 제 관계는 계층제적 원칙에 의하여 규율되며 상하 지배복종

관계가 이루어진다

다 문서화의 원리

근대적인 공무집행은 원본 또는 초안의 형태로 보존되는 문서를 바탕으

로 수행된다

라 관료의 전문화

관료는 책임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마 관료의 전임화

관료로서의 직업은 항구적인 생애직 이며 온갖 정력을 그들이 맡은 직위

의 임무수행에 바쳐야 한다

바 임무수행의 비개인화

관료들은 임무수행에 관한 법규의 적용에 있어서 개인적 이익이나 구체

적인 경우의 특별한 사정 또는 고객의 지위 등에 구애되는 일이 없이 공평

무사한 비개인성(impersonality)을 유지해야 한다

(3) 관료제의 역기능과 쇄신

Weber의 관료제에 의하면 관료제적 특징 즉 법규 계층제 문서주의

전문성 비정의성 등을 갖는 조직은 능률성 예측성 안정성 객관성 신

뢰성 획일성 등의 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Merton 등은 원래 Weber가 의

도하지 않은 역기능이 관료제의 특징 자체에서 발생함을 경험적 연구를 통

해서 입증하고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9

① 관료제의 역기능

가 Merton의 모형

Merton은 관료제의 역기능은 최고관리층의 통제욕구(demand for

control)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이 욕구는 조직성원들의 행태의 일관성

또는 신뢰성의 확보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와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게 된

다 그러나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가끔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 즉

동조과잉 목표의 전환 형식주의 등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R K

Merton 1968 249-260)

나 Selznick의 모형

Selznick의 모형은 통제의 필요에 따라 권한의 위임을 강조한 결과 조직

성원의 전문능력을 연마시키고 조직목표달성을 촉진시키게 한다 그러나

이는 하위단위의 번거로운 할거주의를 초래하고 이해관계의 분립을 야기

시키게 된다(P Selznick 1949) 즉 하위목표의 내면화가 촉진되고 조직

하위단위중심의 의사결정이 하위단위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부전략에 의존

하게 되는 역기능을 시사한다

다 Gouldner의 모형

Gouldner의 모형에 의하면 최고관리층은 조직성원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

반적이고 비개인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칙사용의 한 가지 결과는

집단내의 권력관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규칙을

강조하게 되면 조직성원은 규칙을 익히고 그것에 비추어 그들이 용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태가 무엇인가를 알고 그 수준까지만 성과를 내고 그 이

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직의 목표와 조직성원의 업

무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관리자는 더욱 더 철저한 감독을

하게 되고 따라서 권력관계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조직 내의 대인관계에 긴

장감이 증가하며 조직의 균형이 파괴되므로 관리층은 더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A W Gouldner 1954)

라 Thompson의 관료제병리론(bureaupathology)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4: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3

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② 과학적 관리론의 평가

가 조직의 구성원을 교환이 가능한 부속품으로 간주되는 인간기계론으

로써 비판된 과학적 관리론의 결함은 작업자의 개성이나 사회관계가 생산

과정에 있어서의 성과에 있어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촉진시켰다(김규정 1983 271-272) 그러나 과학적 관리론이 전적

으로 부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오히려 인간관계론과의 종합화가 시도되

었다

나 원래 절대주의 혹은 경찰국가를 겪지 못하였던 미국에서는 행정과

경영과의 사이에 원리적인 차이가 있다고는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4) 과학

적 관리론을 정부활동에 적용하여 행정능률을 향상시키려고 하였던 것이며

행정의 능률화를 통하여 민주주의의 정치원리를 옹호할 수 있다고 믿었다

다 공권력이 압도적 비중을 가지며 절대적 관료제의 원리가 통합구조를

지배하여 온 우리나라에서는 기술적 합리성에만 치중하는 과학적 합리론만

으로는 행정현상을 충분히 다룰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행정의 능률화를 강력히 촉구하는 시민의식이 성숙되어 있지 못

하며 또한 과학적 관리의 전통도 실질적으로 미흡한 상태이므로 오히려 행

정의 근대성을 위해서 과학적인 행정관리 행정의 능률화가 절실히 요구되

고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라 미국에서도 1970년대에 들어와서 생산성측정(productivity

measurement) 개념이 행정에 도입되어 연방정부를 비롯하여 주시정부에

걸쳐 적용되었는데 행정의 생산성향상 운동은 절약과 능률을 추구하는 행

정의 과학적 관리와 공통되는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특히 관

리과학의 발전은 과학적 관리론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고 있다

4) 이와같은주장에대하여행정과경영의차이를강조하는견해도많이있다 그리하여바우어교수는경영과행정은하찮은관점에서만유사하다(J L Bower 1977 131)고하였고 앨리슨교수도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L Perry and K L Kraemer 1983 72-92)

2) 행정관리론(Administrative Management Theory)

(1) 의 의

공장 및 운영적 수준에서의 최적관리를 모색하는 과학적 관리론과는 달

리 1930년대에 있어서 보다 고차적인 조직수준에 적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행정 및 조직 원리를 제시해 주는 거시적인 관점이 행정관리론이다 이러

한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는 Fayol과 Gulick을 비롯하여 Urwick Mooney

Reiley 등이 있다

(2) Fayol의 관리론

Fayol은 프랑스의 사업가이며 초기의 관리자로서 관리자의 기능에 관한

실제적이고 명쾌한 접근방법과 관리원칙을 제시하였다(H Fayol 1949

19-42)

① 관리의 일반원리

가 분업(division of work)

나 권한과 책임(authority and responsibility)

다 규율(discipline)

라 명령통일(unity of command)

마 지휘의 통일(unity of direction)

바 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이해관계에의 종속(subordination

of individual interests to general interests)

사 보수(remuneration)

아 집중화(centralization)

자 계층의 연쇄(scaler chain)

차 질서(order)

카 평등(equality)

타 직원의 신분보장(stability of tenure of personnel)

파 솔선(initiative)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5

하 단결심(esprit de corps)

② 관리의 요소

Fayol은 관리 요소로써 계획조직화명령조정통제를 들고 있다

(3) 기타의 관리론

1920년대와 30년대에 정부행정과 기업경영에 직접 간접으로 종사하면

서 많은 연구와 경험에서 얻는 관리에 관한 탁견을 여러 학자들이 발표하였

다 이와 같은 행정관리론의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서 Gulick Mooney와

Reiley Follett 등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① Gulick의 이론

첫째 Gulick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POSDCoRB로 표현하였다(L Gulick

amp L Urwick 1937 13)

즉 ⅰ) 계획(planning) ⅱ) 조직(organizing) ⅲ) 인사(staffing)

ⅳ) 지휘(directing) ⅴ) 조정(coordinating) ⅵ) 보고(reporting)

ⅶ) 예산(budgeting)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표

시할 뿐만 아니라 행정학의 연구범위와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3) 관료제론

(1) 관료제의 개념

관료제는 극히 다의적인 불확정개념이다 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파악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와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로 나누어 살펴본다(김규정 1983 72)

①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구조적 의미에서 볼 때 계층제적 형태를 띤 복잡한 대규모 조직

의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입장은 Max Weber의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ⅰ) 의사결정의 계층적 구조와 ⅱ) 국가행정기구 이외에 사기업노동조합

농업단체 등 모든 대규모 사회집단에서 보는 보편적 성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②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기능적 의미에서 그 행태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개념을 인식

할 수 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합리적 기능과 비합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관료제는 기능을 중심으로 ⅰ) 객관성정확성일관성전문성을 강조

하는 합리적 기능 ⅱ) 책임의 회피형식주의무사안일주의 등 역기능 ⅲ)

일정한 특권층을 구성하고 있는 관료집단이 주로 정치권력의 담당자로서의

지위를 형성하는 권력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Weber의 관료제 이론

① 지배와 권위의 모형

Weber는 지배의 모형으로서 전통적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 합법적 지배

로 나누었다 전통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의 근거가 고래로부터 존속되어

온 전통이나 지배자 권력의 신성성에 대한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

을 의미하며 혈연에 의한 세습적 지배의 조직이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조석준 1993 272-273)

카리스마 지배는 일상적인 것을 초월한 지도자의 비범한 자질이나 능력

에 대한 외경심이 피치자의 복종 근거가 되어 있는 지배유형을 의미한다

카리스마적 지배자는 전통이나 법을 무시하고 개인의 자의에 의하여 지배

한다 그리하여 조직이 위기에 처했을 때 이와 같은 지배자가 탄생할 가능

성이 많다

합법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이 법규화된 질서 또는 명령권의 합법성에

의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을 말하며 합리적 지배라고도 한다

Weber는 합법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이 관료제적 지배라 하였다

② 근대 관료제의 성립요인

근대관료제 성립의 사회적 경제적 전제 조건으로 Weber는 다음의 여섯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7

가지를 들고 있다(금종우전남석 1981 32-56에서 재인용)

가 화폐경제적재정적 전제

봉건관료의 현물급여에 대하여 근대관료는 화폐급여의 형태를 취하고 있

으므로 근대적 화폐경제의 발달이 전제되고 있다

나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

관료제는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을 전제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행정 분

야에 있어서는 대형국가와 대중정당이 관료제의 기반이 되었다

다 행정사무의 질적 변화

근대국가에 있어서 문화의 복잡화 행정에 대한 수요의 증대 등 행정사

무의 질적 변화를 전제하고 있다

라 관료조직의 기술적 이점

완전히 발달된 관료제기구는 합의제 명예직제 겸직제에 비하여 정확

성 신속성 명료성 문서에 대한 정통 지속성 신중성 통일성 엄격한

복종 마찰의 제거 물적인적 비용의 절감 등 순수한 기본적 이점을 가지

고 있다

마 행정수단의 집중

봉건관료들은 행정에 필요한 경비를 자체 조달하였으나 근대관료제는 국

가의 경비를 예산에 계상하여 하급기관에 경상비를 제공하고 그 지출을 규

제하고 통제한다

바 사회적 차별의 평등화

관료제조직은 대체로 행정기능의 담당자로서 경제적사회적 차별이 적어

도 상대적으로 평등화 될 때 지배적인 것이 된다 관료제 조직은 무엇보다

도 동질적인 소규모 단위의 민주주의적 자치와는 대조적인 현대적 대중민

주주의의 불가피한 수반현상이다

③ 근대 관료제의 특징

법적합리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인 근대관료제의 특징을 Weber는 다

음과 같이 적고 있다(H H Gerth and C W Mills 1958 196-204)

가 권한과 관할범위의 규정

법규 즉 법률이나 행정규칙에 의해 일반적으로 계통화된 명확한 공적인

권한의 원칙이 존재한다

나 계층제적 구조

권한의 계층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계층제 속에 모든 직위들이 배치된다

또한 관료간의 제 관계는 계층제적 원칙에 의하여 규율되며 상하 지배복종

관계가 이루어진다

다 문서화의 원리

근대적인 공무집행은 원본 또는 초안의 형태로 보존되는 문서를 바탕으

로 수행된다

라 관료의 전문화

관료는 책임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마 관료의 전임화

관료로서의 직업은 항구적인 생애직 이며 온갖 정력을 그들이 맡은 직위

의 임무수행에 바쳐야 한다

바 임무수행의 비개인화

관료들은 임무수행에 관한 법규의 적용에 있어서 개인적 이익이나 구체

적인 경우의 특별한 사정 또는 고객의 지위 등에 구애되는 일이 없이 공평

무사한 비개인성(impersonality)을 유지해야 한다

(3) 관료제의 역기능과 쇄신

Weber의 관료제에 의하면 관료제적 특징 즉 법규 계층제 문서주의

전문성 비정의성 등을 갖는 조직은 능률성 예측성 안정성 객관성 신

뢰성 획일성 등의 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Merton 등은 원래 Weber가 의

도하지 않은 역기능이 관료제의 특징 자체에서 발생함을 경험적 연구를 통

해서 입증하고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9

① 관료제의 역기능

가 Merton의 모형

Merton은 관료제의 역기능은 최고관리층의 통제욕구(demand for

control)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이 욕구는 조직성원들의 행태의 일관성

또는 신뢰성의 확보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와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게 된

다 그러나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가끔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 즉

동조과잉 목표의 전환 형식주의 등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R K

Merton 1968 249-260)

나 Selznick의 모형

Selznick의 모형은 통제의 필요에 따라 권한의 위임을 강조한 결과 조직

성원의 전문능력을 연마시키고 조직목표달성을 촉진시키게 한다 그러나

이는 하위단위의 번거로운 할거주의를 초래하고 이해관계의 분립을 야기

시키게 된다(P Selznick 1949) 즉 하위목표의 내면화가 촉진되고 조직

하위단위중심의 의사결정이 하위단위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부전략에 의존

하게 되는 역기능을 시사한다

다 Gouldner의 모형

Gouldner의 모형에 의하면 최고관리층은 조직성원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

반적이고 비개인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칙사용의 한 가지 결과는

집단내의 권력관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규칙을

강조하게 되면 조직성원은 규칙을 익히고 그것에 비추어 그들이 용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태가 무엇인가를 알고 그 수준까지만 성과를 내고 그 이

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직의 목표와 조직성원의 업

무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관리자는 더욱 더 철저한 감독을

하게 되고 따라서 권력관계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조직 내의 대인관계에 긴

장감이 증가하며 조직의 균형이 파괴되므로 관리층은 더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A W Gouldner 1954)

라 Thompson의 관료제병리론(bureaupathology)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5: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2) 행정관리론(Administrative Management Theory)

(1) 의 의

공장 및 운영적 수준에서의 최적관리를 모색하는 과학적 관리론과는 달

리 1930년대에 있어서 보다 고차적인 조직수준에 적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행정 및 조직 원리를 제시해 주는 거시적인 관점이 행정관리론이다 이러

한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는 Fayol과 Gulick을 비롯하여 Urwick Mooney

Reiley 등이 있다

(2) Fayol의 관리론

Fayol은 프랑스의 사업가이며 초기의 관리자로서 관리자의 기능에 관한

실제적이고 명쾌한 접근방법과 관리원칙을 제시하였다(H Fayol 1949

19-42)

① 관리의 일반원리

가 분업(division of work)

나 권한과 책임(authority and responsibility)

다 규율(discipline)

라 명령통일(unity of command)

마 지휘의 통일(unity of direction)

바 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이해관계에의 종속(subordination

of individual interests to general interests)

사 보수(remuneration)

아 집중화(centralization)

자 계층의 연쇄(scaler chain)

차 질서(order)

카 평등(equality)

타 직원의 신분보장(stability of tenure of personnel)

파 솔선(initiative)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5

하 단결심(esprit de corps)

② 관리의 요소

Fayol은 관리 요소로써 계획조직화명령조정통제를 들고 있다

(3) 기타의 관리론

1920년대와 30년대에 정부행정과 기업경영에 직접 간접으로 종사하면

서 많은 연구와 경험에서 얻는 관리에 관한 탁견을 여러 학자들이 발표하였

다 이와 같은 행정관리론의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서 Gulick Mooney와

Reiley Follett 등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① Gulick의 이론

첫째 Gulick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POSDCoRB로 표현하였다(L Gulick

amp L Urwick 1937 13)

즉 ⅰ) 계획(planning) ⅱ) 조직(organizing) ⅲ) 인사(staffing)

ⅳ) 지휘(directing) ⅴ) 조정(coordinating) ⅵ) 보고(reporting)

ⅶ) 예산(budgeting)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표

시할 뿐만 아니라 행정학의 연구범위와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3) 관료제론

(1) 관료제의 개념

관료제는 극히 다의적인 불확정개념이다 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파악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와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로 나누어 살펴본다(김규정 1983 72)

①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구조적 의미에서 볼 때 계층제적 형태를 띤 복잡한 대규모 조직

의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입장은 Max Weber의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ⅰ) 의사결정의 계층적 구조와 ⅱ) 국가행정기구 이외에 사기업노동조합

농업단체 등 모든 대규모 사회집단에서 보는 보편적 성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②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기능적 의미에서 그 행태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개념을 인식

할 수 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합리적 기능과 비합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관료제는 기능을 중심으로 ⅰ) 객관성정확성일관성전문성을 강조

하는 합리적 기능 ⅱ) 책임의 회피형식주의무사안일주의 등 역기능 ⅲ)

일정한 특권층을 구성하고 있는 관료집단이 주로 정치권력의 담당자로서의

지위를 형성하는 권력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Weber의 관료제 이론

① 지배와 권위의 모형

Weber는 지배의 모형으로서 전통적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 합법적 지배

로 나누었다 전통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의 근거가 고래로부터 존속되어

온 전통이나 지배자 권력의 신성성에 대한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

을 의미하며 혈연에 의한 세습적 지배의 조직이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조석준 1993 272-273)

카리스마 지배는 일상적인 것을 초월한 지도자의 비범한 자질이나 능력

에 대한 외경심이 피치자의 복종 근거가 되어 있는 지배유형을 의미한다

카리스마적 지배자는 전통이나 법을 무시하고 개인의 자의에 의하여 지배

한다 그리하여 조직이 위기에 처했을 때 이와 같은 지배자가 탄생할 가능

성이 많다

합법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이 법규화된 질서 또는 명령권의 합법성에

의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을 말하며 합리적 지배라고도 한다

Weber는 합법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이 관료제적 지배라 하였다

② 근대 관료제의 성립요인

근대관료제 성립의 사회적 경제적 전제 조건으로 Weber는 다음의 여섯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7

가지를 들고 있다(금종우전남석 1981 32-56에서 재인용)

가 화폐경제적재정적 전제

봉건관료의 현물급여에 대하여 근대관료는 화폐급여의 형태를 취하고 있

으므로 근대적 화폐경제의 발달이 전제되고 있다

나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

관료제는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을 전제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행정 분

야에 있어서는 대형국가와 대중정당이 관료제의 기반이 되었다

다 행정사무의 질적 변화

근대국가에 있어서 문화의 복잡화 행정에 대한 수요의 증대 등 행정사

무의 질적 변화를 전제하고 있다

라 관료조직의 기술적 이점

완전히 발달된 관료제기구는 합의제 명예직제 겸직제에 비하여 정확

성 신속성 명료성 문서에 대한 정통 지속성 신중성 통일성 엄격한

복종 마찰의 제거 물적인적 비용의 절감 등 순수한 기본적 이점을 가지

고 있다

마 행정수단의 집중

봉건관료들은 행정에 필요한 경비를 자체 조달하였으나 근대관료제는 국

가의 경비를 예산에 계상하여 하급기관에 경상비를 제공하고 그 지출을 규

제하고 통제한다

바 사회적 차별의 평등화

관료제조직은 대체로 행정기능의 담당자로서 경제적사회적 차별이 적어

도 상대적으로 평등화 될 때 지배적인 것이 된다 관료제 조직은 무엇보다

도 동질적인 소규모 단위의 민주주의적 자치와는 대조적인 현대적 대중민

주주의의 불가피한 수반현상이다

③ 근대 관료제의 특징

법적합리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인 근대관료제의 특징을 Weber는 다

음과 같이 적고 있다(H H Gerth and C W Mills 1958 196-204)

가 권한과 관할범위의 규정

법규 즉 법률이나 행정규칙에 의해 일반적으로 계통화된 명확한 공적인

권한의 원칙이 존재한다

나 계층제적 구조

권한의 계층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계층제 속에 모든 직위들이 배치된다

또한 관료간의 제 관계는 계층제적 원칙에 의하여 규율되며 상하 지배복종

관계가 이루어진다

다 문서화의 원리

근대적인 공무집행은 원본 또는 초안의 형태로 보존되는 문서를 바탕으

로 수행된다

라 관료의 전문화

관료는 책임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마 관료의 전임화

관료로서의 직업은 항구적인 생애직 이며 온갖 정력을 그들이 맡은 직위

의 임무수행에 바쳐야 한다

바 임무수행의 비개인화

관료들은 임무수행에 관한 법규의 적용에 있어서 개인적 이익이나 구체

적인 경우의 특별한 사정 또는 고객의 지위 등에 구애되는 일이 없이 공평

무사한 비개인성(impersonality)을 유지해야 한다

(3) 관료제의 역기능과 쇄신

Weber의 관료제에 의하면 관료제적 특징 즉 법규 계층제 문서주의

전문성 비정의성 등을 갖는 조직은 능률성 예측성 안정성 객관성 신

뢰성 획일성 등의 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Merton 등은 원래 Weber가 의

도하지 않은 역기능이 관료제의 특징 자체에서 발생함을 경험적 연구를 통

해서 입증하고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9

① 관료제의 역기능

가 Merton의 모형

Merton은 관료제의 역기능은 최고관리층의 통제욕구(demand for

control)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이 욕구는 조직성원들의 행태의 일관성

또는 신뢰성의 확보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와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게 된

다 그러나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가끔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 즉

동조과잉 목표의 전환 형식주의 등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R K

Merton 1968 249-260)

나 Selznick의 모형

Selznick의 모형은 통제의 필요에 따라 권한의 위임을 강조한 결과 조직

성원의 전문능력을 연마시키고 조직목표달성을 촉진시키게 한다 그러나

이는 하위단위의 번거로운 할거주의를 초래하고 이해관계의 분립을 야기

시키게 된다(P Selznick 1949) 즉 하위목표의 내면화가 촉진되고 조직

하위단위중심의 의사결정이 하위단위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부전략에 의존

하게 되는 역기능을 시사한다

다 Gouldner의 모형

Gouldner의 모형에 의하면 최고관리층은 조직성원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

반적이고 비개인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칙사용의 한 가지 결과는

집단내의 권력관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규칙을

강조하게 되면 조직성원은 규칙을 익히고 그것에 비추어 그들이 용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태가 무엇인가를 알고 그 수준까지만 성과를 내고 그 이

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직의 목표와 조직성원의 업

무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관리자는 더욱 더 철저한 감독을

하게 되고 따라서 권력관계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조직 내의 대인관계에 긴

장감이 증가하며 조직의 균형이 파괴되므로 관리층은 더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A W Gouldner 1954)

라 Thompson의 관료제병리론(bureaupathology)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6: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5

하 단결심(esprit de corps)

② 관리의 요소

Fayol은 관리 요소로써 계획조직화명령조정통제를 들고 있다

(3) 기타의 관리론

1920년대와 30년대에 정부행정과 기업경영에 직접 간접으로 종사하면

서 많은 연구와 경험에서 얻는 관리에 관한 탁견을 여러 학자들이 발표하였

다 이와 같은 행정관리론의 범주에 속하는 학자로서 Gulick Mooney와

Reiley Follett 등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① Gulick의 이론

첫째 Gulick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POSDCoRB로 표현하였다(L Gulick

amp L Urwick 1937 13)

즉 ⅰ) 계획(planning) ⅱ) 조직(organizing) ⅲ) 인사(staffing)

ⅳ) 지휘(directing) ⅴ) 조정(coordinating) ⅵ) 보고(reporting)

ⅶ) 예산(budgeting)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최고관리자의 기능을 표

시할 뿐만 아니라 행정학의 연구범위와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3) 관료제론

(1) 관료제의 개념

관료제는 극히 다의적인 불확정개념이다 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파악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와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로 나누어 살펴본다(김규정 1983 72)

① 구조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구조적 의미에서 볼 때 계층제적 형태를 띤 복잡한 대규모 조직

의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입장은 Max Weber의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ⅰ) 의사결정의 계층적 구조와 ⅱ) 국가행정기구 이외에 사기업노동조합

농업단체 등 모든 대규모 사회집단에서 보는 보편적 성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②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기능적 의미에서 그 행태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개념을 인식

할 수 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합리적 기능과 비합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관료제는 기능을 중심으로 ⅰ) 객관성정확성일관성전문성을 강조

하는 합리적 기능 ⅱ) 책임의 회피형식주의무사안일주의 등 역기능 ⅲ)

일정한 특권층을 구성하고 있는 관료집단이 주로 정치권력의 담당자로서의

지위를 형성하는 권력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Weber의 관료제 이론

① 지배와 권위의 모형

Weber는 지배의 모형으로서 전통적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 합법적 지배

로 나누었다 전통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의 근거가 고래로부터 존속되어

온 전통이나 지배자 권력의 신성성에 대한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

을 의미하며 혈연에 의한 세습적 지배의 조직이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조석준 1993 272-273)

카리스마 지배는 일상적인 것을 초월한 지도자의 비범한 자질이나 능력

에 대한 외경심이 피치자의 복종 근거가 되어 있는 지배유형을 의미한다

카리스마적 지배자는 전통이나 법을 무시하고 개인의 자의에 의하여 지배

한다 그리하여 조직이 위기에 처했을 때 이와 같은 지배자가 탄생할 가능

성이 많다

합법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이 법규화된 질서 또는 명령권의 합법성에

의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을 말하며 합리적 지배라고도 한다

Weber는 합법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이 관료제적 지배라 하였다

② 근대 관료제의 성립요인

근대관료제 성립의 사회적 경제적 전제 조건으로 Weber는 다음의 여섯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7

가지를 들고 있다(금종우전남석 1981 32-56에서 재인용)

가 화폐경제적재정적 전제

봉건관료의 현물급여에 대하여 근대관료는 화폐급여의 형태를 취하고 있

으므로 근대적 화폐경제의 발달이 전제되고 있다

나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

관료제는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을 전제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행정 분

야에 있어서는 대형국가와 대중정당이 관료제의 기반이 되었다

다 행정사무의 질적 변화

근대국가에 있어서 문화의 복잡화 행정에 대한 수요의 증대 등 행정사

무의 질적 변화를 전제하고 있다

라 관료조직의 기술적 이점

완전히 발달된 관료제기구는 합의제 명예직제 겸직제에 비하여 정확

성 신속성 명료성 문서에 대한 정통 지속성 신중성 통일성 엄격한

복종 마찰의 제거 물적인적 비용의 절감 등 순수한 기본적 이점을 가지

고 있다

마 행정수단의 집중

봉건관료들은 행정에 필요한 경비를 자체 조달하였으나 근대관료제는 국

가의 경비를 예산에 계상하여 하급기관에 경상비를 제공하고 그 지출을 규

제하고 통제한다

바 사회적 차별의 평등화

관료제조직은 대체로 행정기능의 담당자로서 경제적사회적 차별이 적어

도 상대적으로 평등화 될 때 지배적인 것이 된다 관료제 조직은 무엇보다

도 동질적인 소규모 단위의 민주주의적 자치와는 대조적인 현대적 대중민

주주의의 불가피한 수반현상이다

③ 근대 관료제의 특징

법적합리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인 근대관료제의 특징을 Weber는 다

음과 같이 적고 있다(H H Gerth and C W Mills 1958 196-204)

가 권한과 관할범위의 규정

법규 즉 법률이나 행정규칙에 의해 일반적으로 계통화된 명확한 공적인

권한의 원칙이 존재한다

나 계층제적 구조

권한의 계층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계층제 속에 모든 직위들이 배치된다

또한 관료간의 제 관계는 계층제적 원칙에 의하여 규율되며 상하 지배복종

관계가 이루어진다

다 문서화의 원리

근대적인 공무집행은 원본 또는 초안의 형태로 보존되는 문서를 바탕으

로 수행된다

라 관료의 전문화

관료는 책임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마 관료의 전임화

관료로서의 직업은 항구적인 생애직 이며 온갖 정력을 그들이 맡은 직위

의 임무수행에 바쳐야 한다

바 임무수행의 비개인화

관료들은 임무수행에 관한 법규의 적용에 있어서 개인적 이익이나 구체

적인 경우의 특별한 사정 또는 고객의 지위 등에 구애되는 일이 없이 공평

무사한 비개인성(impersonality)을 유지해야 한다

(3) 관료제의 역기능과 쇄신

Weber의 관료제에 의하면 관료제적 특징 즉 법규 계층제 문서주의

전문성 비정의성 등을 갖는 조직은 능률성 예측성 안정성 객관성 신

뢰성 획일성 등의 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Merton 등은 원래 Weber가 의

도하지 않은 역기능이 관료제의 특징 자체에서 발생함을 경험적 연구를 통

해서 입증하고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9

① 관료제의 역기능

가 Merton의 모형

Merton은 관료제의 역기능은 최고관리층의 통제욕구(demand for

control)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이 욕구는 조직성원들의 행태의 일관성

또는 신뢰성의 확보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와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게 된

다 그러나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가끔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 즉

동조과잉 목표의 전환 형식주의 등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R K

Merton 1968 249-260)

나 Selznick의 모형

Selznick의 모형은 통제의 필요에 따라 권한의 위임을 강조한 결과 조직

성원의 전문능력을 연마시키고 조직목표달성을 촉진시키게 한다 그러나

이는 하위단위의 번거로운 할거주의를 초래하고 이해관계의 분립을 야기

시키게 된다(P Selznick 1949) 즉 하위목표의 내면화가 촉진되고 조직

하위단위중심의 의사결정이 하위단위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부전략에 의존

하게 되는 역기능을 시사한다

다 Gouldner의 모형

Gouldner의 모형에 의하면 최고관리층은 조직성원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

반적이고 비개인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칙사용의 한 가지 결과는

집단내의 권력관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규칙을

강조하게 되면 조직성원은 규칙을 익히고 그것에 비추어 그들이 용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태가 무엇인가를 알고 그 수준까지만 성과를 내고 그 이

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직의 목표와 조직성원의 업

무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관리자는 더욱 더 철저한 감독을

하게 되고 따라서 권력관계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조직 내의 대인관계에 긴

장감이 증가하며 조직의 균형이 파괴되므로 관리층은 더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A W Gouldner 1954)

라 Thompson의 관료제병리론(bureaupathology)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7: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농업단체 등 모든 대규모 사회집단에서 보는 보편적 성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② 기능적 의미의 관료제

관료제는 기능적 의미에서 그 행태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개념을 인식

할 수 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합리적 기능과 비합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관료제는 기능을 중심으로 ⅰ) 객관성정확성일관성전문성을 강조

하는 합리적 기능 ⅱ) 책임의 회피형식주의무사안일주의 등 역기능 ⅲ)

일정한 특권층을 구성하고 있는 관료집단이 주로 정치권력의 담당자로서의

지위를 형성하는 권력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Weber의 관료제 이론

① 지배와 권위의 모형

Weber는 지배의 모형으로서 전통적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 합법적 지배

로 나누었다 전통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의 근거가 고래로부터 존속되어

온 전통이나 지배자 권력의 신성성에 대한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

을 의미하며 혈연에 의한 세습적 지배의 조직이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조석준 1993 272-273)

카리스마 지배는 일상적인 것을 초월한 지도자의 비범한 자질이나 능력

에 대한 외경심이 피치자의 복종 근거가 되어 있는 지배유형을 의미한다

카리스마적 지배자는 전통이나 법을 무시하고 개인의 자의에 의하여 지배

한다 그리하여 조직이 위기에 처했을 때 이와 같은 지배자가 탄생할 가능

성이 많다

합법적 지배는 지배의 정당성이 법규화된 질서 또는 명령권의 합법성에

의 신념에 입각하고 있는 지배유형을 말하며 합리적 지배라고도 한다

Weber는 합법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이 관료제적 지배라 하였다

② 근대 관료제의 성립요인

근대관료제 성립의 사회적 경제적 전제 조건으로 Weber는 다음의 여섯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7

가지를 들고 있다(금종우전남석 1981 32-56에서 재인용)

가 화폐경제적재정적 전제

봉건관료의 현물급여에 대하여 근대관료는 화폐급여의 형태를 취하고 있

으므로 근대적 화폐경제의 발달이 전제되고 있다

나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

관료제는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을 전제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행정 분

야에 있어서는 대형국가와 대중정당이 관료제의 기반이 되었다

다 행정사무의 질적 변화

근대국가에 있어서 문화의 복잡화 행정에 대한 수요의 증대 등 행정사

무의 질적 변화를 전제하고 있다

라 관료조직의 기술적 이점

완전히 발달된 관료제기구는 합의제 명예직제 겸직제에 비하여 정확

성 신속성 명료성 문서에 대한 정통 지속성 신중성 통일성 엄격한

복종 마찰의 제거 물적인적 비용의 절감 등 순수한 기본적 이점을 가지

고 있다

마 행정수단의 집중

봉건관료들은 행정에 필요한 경비를 자체 조달하였으나 근대관료제는 국

가의 경비를 예산에 계상하여 하급기관에 경상비를 제공하고 그 지출을 규

제하고 통제한다

바 사회적 차별의 평등화

관료제조직은 대체로 행정기능의 담당자로서 경제적사회적 차별이 적어

도 상대적으로 평등화 될 때 지배적인 것이 된다 관료제 조직은 무엇보다

도 동질적인 소규모 단위의 민주주의적 자치와는 대조적인 현대적 대중민

주주의의 불가피한 수반현상이다

③ 근대 관료제의 특징

법적합리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인 근대관료제의 특징을 Weber는 다

음과 같이 적고 있다(H H Gerth and C W Mills 1958 196-204)

가 권한과 관할범위의 규정

법규 즉 법률이나 행정규칙에 의해 일반적으로 계통화된 명확한 공적인

권한의 원칙이 존재한다

나 계층제적 구조

권한의 계층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계층제 속에 모든 직위들이 배치된다

또한 관료간의 제 관계는 계층제적 원칙에 의하여 규율되며 상하 지배복종

관계가 이루어진다

다 문서화의 원리

근대적인 공무집행은 원본 또는 초안의 형태로 보존되는 문서를 바탕으

로 수행된다

라 관료의 전문화

관료는 책임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마 관료의 전임화

관료로서의 직업은 항구적인 생애직 이며 온갖 정력을 그들이 맡은 직위

의 임무수행에 바쳐야 한다

바 임무수행의 비개인화

관료들은 임무수행에 관한 법규의 적용에 있어서 개인적 이익이나 구체

적인 경우의 특별한 사정 또는 고객의 지위 등에 구애되는 일이 없이 공평

무사한 비개인성(impersonality)을 유지해야 한다

(3) 관료제의 역기능과 쇄신

Weber의 관료제에 의하면 관료제적 특징 즉 법규 계층제 문서주의

전문성 비정의성 등을 갖는 조직은 능률성 예측성 안정성 객관성 신

뢰성 획일성 등의 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Merton 등은 원래 Weber가 의

도하지 않은 역기능이 관료제의 특징 자체에서 발생함을 경험적 연구를 통

해서 입증하고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9

① 관료제의 역기능

가 Merton의 모형

Merton은 관료제의 역기능은 최고관리층의 통제욕구(demand for

control)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이 욕구는 조직성원들의 행태의 일관성

또는 신뢰성의 확보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와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게 된

다 그러나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가끔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 즉

동조과잉 목표의 전환 형식주의 등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R K

Merton 1968 249-260)

나 Selznick의 모형

Selznick의 모형은 통제의 필요에 따라 권한의 위임을 강조한 결과 조직

성원의 전문능력을 연마시키고 조직목표달성을 촉진시키게 한다 그러나

이는 하위단위의 번거로운 할거주의를 초래하고 이해관계의 분립을 야기

시키게 된다(P Selznick 1949) 즉 하위목표의 내면화가 촉진되고 조직

하위단위중심의 의사결정이 하위단위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부전략에 의존

하게 되는 역기능을 시사한다

다 Gouldner의 모형

Gouldner의 모형에 의하면 최고관리층은 조직성원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

반적이고 비개인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칙사용의 한 가지 결과는

집단내의 권력관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규칙을

강조하게 되면 조직성원은 규칙을 익히고 그것에 비추어 그들이 용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태가 무엇인가를 알고 그 수준까지만 성과를 내고 그 이

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직의 목표와 조직성원의 업

무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관리자는 더욱 더 철저한 감독을

하게 되고 따라서 권력관계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조직 내의 대인관계에 긴

장감이 증가하며 조직의 균형이 파괴되므로 관리층은 더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A W Gouldner 1954)

라 Thompson의 관료제병리론(bureaupathology)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8: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7

가지를 들고 있다(금종우전남석 1981 32-56에서 재인용)

가 화폐경제적재정적 전제

봉건관료의 현물급여에 대하여 근대관료는 화폐급여의 형태를 취하고 있

으므로 근대적 화폐경제의 발달이 전제되고 있다

나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

관료제는 행정사무의 양적 발달을 전제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행정 분

야에 있어서는 대형국가와 대중정당이 관료제의 기반이 되었다

다 행정사무의 질적 변화

근대국가에 있어서 문화의 복잡화 행정에 대한 수요의 증대 등 행정사

무의 질적 변화를 전제하고 있다

라 관료조직의 기술적 이점

완전히 발달된 관료제기구는 합의제 명예직제 겸직제에 비하여 정확

성 신속성 명료성 문서에 대한 정통 지속성 신중성 통일성 엄격한

복종 마찰의 제거 물적인적 비용의 절감 등 순수한 기본적 이점을 가지

고 있다

마 행정수단의 집중

봉건관료들은 행정에 필요한 경비를 자체 조달하였으나 근대관료제는 국

가의 경비를 예산에 계상하여 하급기관에 경상비를 제공하고 그 지출을 규

제하고 통제한다

바 사회적 차별의 평등화

관료제조직은 대체로 행정기능의 담당자로서 경제적사회적 차별이 적어

도 상대적으로 평등화 될 때 지배적인 것이 된다 관료제 조직은 무엇보다

도 동질적인 소규모 단위의 민주주의적 자치와는 대조적인 현대적 대중민

주주의의 불가피한 수반현상이다

③ 근대 관료제의 특징

법적합리적 지배의 가장 순수한 유형인 근대관료제의 특징을 Weber는 다

음과 같이 적고 있다(H H Gerth and C W Mills 1958 196-204)

가 권한과 관할범위의 규정

법규 즉 법률이나 행정규칙에 의해 일반적으로 계통화된 명확한 공적인

권한의 원칙이 존재한다

나 계층제적 구조

권한의 계층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계층제 속에 모든 직위들이 배치된다

또한 관료간의 제 관계는 계층제적 원칙에 의하여 규율되며 상하 지배복종

관계가 이루어진다

다 문서화의 원리

근대적인 공무집행은 원본 또는 초안의 형태로 보존되는 문서를 바탕으

로 수행된다

라 관료의 전문화

관료는 책임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마 관료의 전임화

관료로서의 직업은 항구적인 생애직 이며 온갖 정력을 그들이 맡은 직위

의 임무수행에 바쳐야 한다

바 임무수행의 비개인화

관료들은 임무수행에 관한 법규의 적용에 있어서 개인적 이익이나 구체

적인 경우의 특별한 사정 또는 고객의 지위 등에 구애되는 일이 없이 공평

무사한 비개인성(impersonality)을 유지해야 한다

(3) 관료제의 역기능과 쇄신

Weber의 관료제에 의하면 관료제적 특징 즉 법규 계층제 문서주의

전문성 비정의성 등을 갖는 조직은 능률성 예측성 안정성 객관성 신

뢰성 획일성 등의 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Merton 등은 원래 Weber가 의

도하지 않은 역기능이 관료제의 특징 자체에서 발생함을 경험적 연구를 통

해서 입증하고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9

① 관료제의 역기능

가 Merton의 모형

Merton은 관료제의 역기능은 최고관리층의 통제욕구(demand for

control)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이 욕구는 조직성원들의 행태의 일관성

또는 신뢰성의 확보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와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게 된

다 그러나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가끔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 즉

동조과잉 목표의 전환 형식주의 등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R K

Merton 1968 249-260)

나 Selznick의 모형

Selznick의 모형은 통제의 필요에 따라 권한의 위임을 강조한 결과 조직

성원의 전문능력을 연마시키고 조직목표달성을 촉진시키게 한다 그러나

이는 하위단위의 번거로운 할거주의를 초래하고 이해관계의 분립을 야기

시키게 된다(P Selznick 1949) 즉 하위목표의 내면화가 촉진되고 조직

하위단위중심의 의사결정이 하위단위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부전략에 의존

하게 되는 역기능을 시사한다

다 Gouldner의 모형

Gouldner의 모형에 의하면 최고관리층은 조직성원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

반적이고 비개인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칙사용의 한 가지 결과는

집단내의 권력관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규칙을

강조하게 되면 조직성원은 규칙을 익히고 그것에 비추어 그들이 용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태가 무엇인가를 알고 그 수준까지만 성과를 내고 그 이

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직의 목표와 조직성원의 업

무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관리자는 더욱 더 철저한 감독을

하게 되고 따라서 권력관계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조직 내의 대인관계에 긴

장감이 증가하며 조직의 균형이 파괴되므로 관리층은 더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A W Gouldner 1954)

라 Thompson의 관료제병리론(bureaupathology)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9: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음과 같이 적고 있다(H H Gerth and C W Mills 1958 196-204)

가 권한과 관할범위의 규정

법규 즉 법률이나 행정규칙에 의해 일반적으로 계통화된 명확한 공적인

권한의 원칙이 존재한다

나 계층제적 구조

권한의 계층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계층제 속에 모든 직위들이 배치된다

또한 관료간의 제 관계는 계층제적 원칙에 의하여 규율되며 상하 지배복종

관계가 이루어진다

다 문서화의 원리

근대적인 공무집행은 원본 또는 초안의 형태로 보존되는 문서를 바탕으

로 수행된다

라 관료의 전문화

관료는 책임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이다

마 관료의 전임화

관료로서의 직업은 항구적인 생애직 이며 온갖 정력을 그들이 맡은 직위

의 임무수행에 바쳐야 한다

바 임무수행의 비개인화

관료들은 임무수행에 관한 법규의 적용에 있어서 개인적 이익이나 구체

적인 경우의 특별한 사정 또는 고객의 지위 등에 구애되는 일이 없이 공평

무사한 비개인성(impersonality)을 유지해야 한다

(3) 관료제의 역기능과 쇄신

Weber의 관료제에 의하면 관료제적 특징 즉 법규 계층제 문서주의

전문성 비정의성 등을 갖는 조직은 능률성 예측성 안정성 객관성 신

뢰성 획일성 등의 순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Merton 등은 원래 Weber가 의

도하지 않은 역기능이 관료제의 특징 자체에서 발생함을 경험적 연구를 통

해서 입증하고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9

① 관료제의 역기능

가 Merton의 모형

Merton은 관료제의 역기능은 최고관리층의 통제욕구(demand for

control)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이 욕구는 조직성원들의 행태의 일관성

또는 신뢰성의 확보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와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게 된

다 그러나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가끔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 즉

동조과잉 목표의 전환 형식주의 등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R K

Merton 1968 249-260)

나 Selznick의 모형

Selznick의 모형은 통제의 필요에 따라 권한의 위임을 강조한 결과 조직

성원의 전문능력을 연마시키고 조직목표달성을 촉진시키게 한다 그러나

이는 하위단위의 번거로운 할거주의를 초래하고 이해관계의 분립을 야기

시키게 된다(P Selznick 1949) 즉 하위목표의 내면화가 촉진되고 조직

하위단위중심의 의사결정이 하위단위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부전략에 의존

하게 되는 역기능을 시사한다

다 Gouldner의 모형

Gouldner의 모형에 의하면 최고관리층은 조직성원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

반적이고 비개인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칙사용의 한 가지 결과는

집단내의 권력관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규칙을

강조하게 되면 조직성원은 규칙을 익히고 그것에 비추어 그들이 용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태가 무엇인가를 알고 그 수준까지만 성과를 내고 그 이

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직의 목표와 조직성원의 업

무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관리자는 더욱 더 철저한 감독을

하게 되고 따라서 권력관계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조직 내의 대인관계에 긴

장감이 증가하며 조직의 균형이 파괴되므로 관리층은 더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A W Gouldner 1954)

라 Thompson의 관료제병리론(bureaupathology)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10: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19

① 관료제의 역기능

가 Merton의 모형

Merton은 관료제의 역기능은 최고관리층의 통제욕구(demand for

control)에서 출발한다고 보는데 이 욕구는 조직성원들의 행태의 일관성

또는 신뢰성의 확보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와 규칙을 제정하고 이에 대하여 통제를 가하게 된

다 그러나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것이 가끔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 즉

동조과잉 목표의 전환 형식주의 등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R K

Merton 1968 249-260)

나 Selznick의 모형

Selznick의 모형은 통제의 필요에 따라 권한의 위임을 강조한 결과 조직

성원의 전문능력을 연마시키고 조직목표달성을 촉진시키게 한다 그러나

이는 하위단위의 번거로운 할거주의를 초래하고 이해관계의 분립을 야기

시키게 된다(P Selznick 1949) 즉 하위목표의 내면화가 촉진되고 조직

하위단위중심의 의사결정이 하위단위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부전략에 의존

하게 되는 역기능을 시사한다

다 Gouldner의 모형

Gouldner의 모형에 의하면 최고관리층은 조직성원을 통제하기 위해서 일

반적이고 비개인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러한 규칙사용의 한 가지 결과는

집단내의 권력관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순기능을 한다 그러나 규칙을

강조하게 되면 조직성원은 규칙을 익히고 그것에 비추어 그들이 용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태가 무엇인가를 알고 그 수준까지만 성과를 내고 그 이

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직의 목표와 조직성원의 업

무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관리자는 더욱 더 철저한 감독을

하게 되고 따라서 권력관계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조직 내의 대인관계에 긴

장감이 증가하며 조직의 균형이 파괴되므로 관리층은 더 엄격하게 규칙을

적용하게 되어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A W Gouldner 1954)

라 Thompson의 관료제병리론(bureaupathology)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11: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Thompson은 역기능(dysfunction)이라는 말 대신 병리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며 관료제 병리현상으로써 ⅰ)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간의 갈등

에서 비롯하는 조직내의 개인이 겪는 불안 ⅱ) 조직의 표준운영절차에서

초래되는 조직의 경직화 ⅲ) 관례적 행태의 준수에서 비롯하는 변화에 대

한 저항 ⅳ) 고객에 대한 무관심과 거만함 그리고 그들과의 갈등 ⅴ) 주

어진 지위와 권한만을 주장하는 현상 등을 지적하고 있다(V A Thompson

1961 161-163)

② 관료제의 역기능 현상

가 문서주의(red tape)형식주의(formalism) 대규모 조직에서는 사무

처리의 비합리성을 배제하고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주로 문서

에 의한 업무처리를 하지만 이로 인하여 번문욕례 형식주의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나 동조과잉(overconformity)과 수단의 목표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규칙의 준수가 요구되는데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인 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 변동에 대한 저항 관료제는 본질적으로 보수주의적현상유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변동에 대한 적극성이 결여되고 있다

라 할거주의(sectionalism)적 경향 관료는 자기가 소속한 조직단위

나 기관에만 관심과 충성심을 가질 뿐 다른 부서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아

조정이 잘 되지 않는다

마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의 의존 문제해결에 적극적 태도

를 취하지 않으려 하고 정책결정을 지연시키며 상급자의 명령에 맹종하

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③ 관료제의 쇄신

오늘날 특히 발전도상국가에 있어서는 관료제의 역기능적 병리현상을 극

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관료제가 순기능을 수행하기 위

하여 끊임없는 쇄신(innovat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12: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1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유기적상황조건 적합적 조직으로의 개편

둘째 조직과 인간의 통합 노력

셋째 조직의 민주성

넷째 행태과학의 지식을 적용한 관료제조직의 계획적 변화

4)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위에서 설명한 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석홍 2003 13-16)

(1) 단일가치기준으로서의 능률주의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efficiency)이라는 단일가치기준(single

standard of value)에 기초를 두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능률이란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효과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계적 능률

을 말한다 그리하여 고전적 조직이론은 능률 제고를 유일한 가치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직의 생산 활동에 관련된 공식적 구조와 과정적 변수에 주

의를 집중하였던 것이다

(2) 공식적 구조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의 공식적인 구조와 기능을 관심의 초점으로

삼았으며 조직 활동의 합리적 계획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구조를 입

안하고 그러한 조직구조 내에서 사람과 그 임무를 관리하는 수단을 합리적

으로 마련하는 일에 고전적 조직이론의 요체가 있다 이와 같은 조직구조

의 중요한 변수로는 권한의 계층 분업 조정 명령의 통일 통솔의 범위

계선과 참모의 구분 등을 열거할 수 있다

(3) 폐쇄 체제적 관점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폐쇄된 체제(closed system)로 다루었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13: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다 조직현상을 연구할 때 계획적으로 예정해 놓지 않은 조직내외의 불확

실성(uncertainty) 또는 비합리적 요인(irrational factors)은 고려 대상

에서 제외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환경적 영향의 존재를 간과하여 조직

과 환경의 교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소홀하였다 즉 조직은 주어진 목표의

추구를 위한 도구이며 조직 내의 제 배열과 결정들은 주어진 목표달성과 조

직의 합리화에 지향된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폐쇄 체제적 가정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4) 합리적경제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고전적 조직이론의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root assumption)은 합리

적 경제적 인간관이었다 따라서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이익을

추구하려는 이기적 존재이므로 그들의 봉사와 희생을 요구하는 조직의 목

적과 조직참여자의 개인적 목적은 본질적으로 대립되는 것이지만 조직의

합리적 유인부여에 의하여 양자간의 갈등을 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

(5) 과학성의 추구와 그 미숙성

고전적 조직이론은 조직현상에 내재하는 보편적 법칙성을 발견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리하여 관리 과정이나 조직구조형성에 관한 원리

(principle)를 산출해 내는 일이 크게 유행하였고 과학적 관리운동은 작업

의 능률 제고를 위한 과학적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러나 고전적 조직이론

의 법칙성 발견을 위한 노력은 대체로 미숙한 것이었으며 과학 활동은 형식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의 원리라는 것들은 대부분 조직적 과정의 경

험과 직감에 의하여 발전시킨 것으로써 비경험적 이었으며 과학적 법칙이

라고 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3 신고전적 조직이론

1) 인간관계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14: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3

(1) 의 의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은 과학적 관리론에서 가정하는

합리적 인간관의 극복으로 1927-32년의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 결과로 나타난 학술적 개념이다

오늘날 행정에 있어서 관리의 민주화 요청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으나 그 의미는 매

우 다양하다

Davis에 의하면 ldquo인간관계는 직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한 성원으로서 상

호 생산적이고 협동적으로 잘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그들의 경제적사회적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면서 그들을 직장의 전체적 정황 속에 통합시키

는 작용rdquo이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조직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외재적 요

인에 중점을 두던 종래의 입장으로부터 인간적 요인에 역점을 두는 관리방

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인간관계론의 성립

인간관계론의 성립을 가져온 일련의 실험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

1기는 1924년 11월부터 1927년 4월까지의 조명실험(illumination

experiment)이며 제 2기에서 제 4기는 1927년부터 1932년까지의 계전기조

립실험(the Relay Assembly Test Room Experiment) 면접계획(Interview

Program) 배전기 접속작업 관찰실 실험(Bank Wiring Observation Room

Experiment) 등 호오손 실험이 E Mayo를 중심으로 행하여졌다

이와 같은 일련의 호오손 실험을 통하여 발견된 여러 사실들을 기초로 하

여 인간관계론을 성립시켰고 그 결과가 시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박연

호 1998 22-28)

① 생산능률은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감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

실을 발견하여 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② 조직구성원의 태도나 감정은 그가 속한 집단내의 인간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15: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여 인간을 인간관계적 존재로 파악하였다

③ 공식적 조직 내에 있어서의 자생적 조직의 발견과 그 기능을 중시하

였다

(3) 인간관계론의 공헌

호오손 실험에 의하여 성립된 초기의 인간관계론이 조직관리 연구에 끼

친 공헌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전적 조직이론에서는 조직을 단순한 공식적 구조로 이해하였는데

인간관계론에서는 조직을 개인비공식집단 및 집단상호간의 관계로 파악하

였고 아울러 조직 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그리하여 W G Scott는 인간관계론자들에 의하여 주창된 새로운 인간관을

가리켜 산업적 인간주의(industrial humanism)라고 표현하였고 그 기본

철학은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을 회복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설계

하는데 있다고 주장하였다(W G Scott 1967 43)

② 인간관계론은 행태주의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오늘날의 행태과학

(behavioral science)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 예컨대 Selznick Homans

Katz와 Kahn 등 사회학자들은 집단집단행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조

를 이해하는 준거 틀을 발전시켰고 McGregor Likert Argyris Herzberg

등 심리학자들은 조직성원의 행동과 영향동기의 원천리더십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 관리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③ 인간관계론은 실제 조직관리 면에서 조직의 인간화와 민주화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직 내에 있어서 개인의 인격창의성 등을 존중하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민주적 리더십을 중시하였으며 조직내부의

의사전달(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16: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5

① 인간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고전적 조직이론자

들은 조직의 구조적 내지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데 반하여 인간관

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직문제

를 해결함에 있어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하였고 감정의 논리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②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보는 단순한 이론이다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

정은 인간관리에 있어서 노동자에게 직무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

나 직무만족감은 다차원적 변수이며 조직구성원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생산성이나 행정능률이 향상될 수 있

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③ 계층제 구조에 입각한 권위적 관리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인간관계론

자들은 전통과 관리체계의 존속을 위하여 관리자에게 인간적 요인의 중요

성을 환기시켰을 뿐 계층제 구조 자체의 유지를 위하여는 오히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신고전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25-27)

(1) 조직 내의 사회적 능률강조

조직은 명시된 공식적 목적을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며 유일한 가

치기준은 능률이라고 본 고전적 조직이론의 입장을 비판하고 새로운 가치

기준으로써 사회적 능률(social efficiency)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사

회적 능률이란 조직참여자의 만족도 특히 사회적 욕구 충족도를 말한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이론이 고전적 조직이론의 능률관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다만 조직활동의 능률만이 유일한 가치라는 명제와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공식적 수단의 추구에 반발한 것뿐이다 신고전적 조직이

론은 조직참여자의 만족 즉 사회적 능률이 공식조직의 능률과 별개로 또

한 병렬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 것이며 또 생산활동의 능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17: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률은 사회적 능률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다

(2) 비공식적 요인의 중시

고전적 조직이론의 공식구조중심적 연구 성향에 대한 대안으로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비공식적 요인중심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신고전적 조직

이론에서는 조직참여자인 인간의 기계적 측면이 아니라 사회적정서적 또

는 심리적 측면을 중요시하였으며 대인관계와 인간집단의 비공식적 관계

그리고 합리적 조직계획의 일관된 운행(consistant operation)에 침투하

는 기타의 불확실한 요인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였다 그러나 신고전적 조직

이론은 조직의 공식적 구조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안에서 움직이는 비공

식적 실재만을 강조하는 경향을 노정하였다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

의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를 결합시켜 관찰하는 노력은 대단히 미숙하였다

(3) 환경유관론의 입장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의 폐쇄체제적 접근태도를 비판하

고 개방체제적 접근방법의 발전에 필요한 터전을 닦는데 힘을 기울였다

조직을 개방체제로 본다는 것은 조직의 합리적 배열 뿐 아니라 그에 추가하

여 두 가지 방면의 영향을 포용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한 추가적인 영향

가운데 하나는 공식조직의 테두리 안에서 발원하는 불확실한 요인인 바 이

를 중요시하는 입장은 비공식적 요인의 구명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경으로

부터 작용해 들어오는 불확실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을 확인한 접근방법

은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관계를 중요시 하는 것이다

(4) 사회적 인간모형에 입각한 연구

신고전적 조직이론에 있어서 인간본질에 관한 근가정은 사회적 인간관이

었다 조직참여자를 사회적 존재(social man)로 파악하는 입장은 인간의

사회적비합리적 측면을 존중하고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사회적인 것을 중

요시한다는 점에서 합리적경제적 인간관의 명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18: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7

있다 그러나 인간을 피동적인 존재라고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점에서 두

가지 인간관은 공통점을 가진다

(5) 경험주의의 제창

신고전적 조직이론은 고전적 조직이론에서 나타난 과학주의의 형식성을

공박하고 경험주의(empiricism)를 제창하였다 즉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사실에 입각한 검증을 통하여 과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게

되었다 과학이 상식적인 수준에서 손쉽게 성립될 수 없다는 것을 자각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4 현대적 조직이론

1) 체제이론

(1) 의 의

자연과학에서 발달한 체제(system) 개념을 가지고 어떠한 현상에 접근하

는 방법이 체제이론이다 체제란 일반적으로 ldquo상호 관련된 부분으로 구성

된 전체rdquo로 정의되는데 Hicks는 ldquo체제란 상호 관련되고 상호의존적이

며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한 집합이다 그것은 유기적이고 복잡한 전체

이며 단일의 전체를 형성하는 사물의 한 결합rdquo(H G Hicks 1972 461)

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체제개념을 이와 같이 정의할 경우 그것은 매우 포

괄적인 의미를 갖는데 따라서 우주의 삼라만상이 체제로 파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Bertalanffy는 모든 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일반체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을 Parsons는 사회현상을 체제로 파악하는 사회

체제이론(social system theory)을 Easton은 정치현상을 체제로 파악하

는 정치체제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Sharkansky는 행정현상을 체

제로 파악하는 행정체제이론을 각각 주장하였다(강신택 1981 358-409

L V Bertalanffy 1968 38 D Easton 1965 3-16 I Sharkansky

1978 9-13 참조)

특히 Sharkansky는 행정체제를 서로 관련된 환경(environment)투입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19: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inputs)전환과정(conversion process)산출(outputs) 및 환류(feedback)

등의 상호작용을 반복하는 개방체제로 파악하고 있다

(2) 개방체제의 특징

개방체제란 체제가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갖는 것으

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D Katz and R L Kahn

19-29 신두범 1993 121-123)

① 에너지의 이입(importation of energy)

개방체제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어떤 형태의 에너지를 이입한다 이것

은 인체의 세포가 혈맥을 통해서 산소를 공급받는 것과 흡사하다

② 전환(throughput)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새로운 산물을 창조하거나 물건을 가공하거나

사람을 훈련하거나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산출(output)

개방체제는 어떤 생산물(발명품 건설회사가 세운 교량 등)을 환경으로

내보낸다 예를 들면 생물학상의 유기체는 폐로부터 이산화탄소와 같은 생

리적인 산출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④ 사상의 순환으로서의 체제(systems as cycles of events)

환경으로 보내어진 생산물은 순환활동을 반복하기 위한 에너지원을 공급

한다 즉 에너지 교류활동의 원형은 순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⑤ 부정적 엔트로피(negative entropy)

개방체제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엔트로피적인 과정을 없애야 한다 즉 이

것은 개방체제가 부정적 엔트로피를 지녀야 함을 뜻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원래 엔트로피란 물질계의 열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의 하나5)이나 여기서 말하는 엔트로피란 ldquo모든 형태의 조직이 해

5) 엔트로피는열역학에서無秩序度라고하며 이러한개념을조직에원용한조직엔트로피는인적물적기술적에너지및기타에너지가조직전체에무작위적으로분포되어있는정도라고정의할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0: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29

체 또는 소멸(disorganization or death)로 향해서 움직여 가는 과정rdquo을

뜻하며 따라서 엔트로피의 발생을 부정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매년 상당수의 조직이 소멸되어 간다는 것은 사실로써 인정하여야

할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조직은 다른 생물학적 유기체와는 달리

엔트로피적 과정을 저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⑥ 정보투입(information inputs)제어 피드백(negative feedback)부호

화 과정(coding process)

개방체제에 있어서의 투입은 에너지 물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환경과

의 관계에 있어서 체제의 기능에 관한 정보가 투입된다 그리고 제어피드

백은 체제로 하여금 정보가 그 진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시정해 준다 한

편 에너지투입은 모두가 체제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입의 수용

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진다 즉 체제는 적절한 정보신호에만 반응을 보

이는데 이러한 체제의 선택적 과정을 부호화과정이라고 한다

⑦ 안정상태(steady state)와 동적 항상성(dynamic homeostasis)

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전술한 엔트로피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에너지

가 이입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 교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면 안정 상태

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항상성(homeostasis)이란 원래 생체에 있어서 내장

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불변성을 뜻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방체제에 있

어서 환경으로부터 계속 에너지가 이입되고 그와 동시에 생산물이 계속

유출되지만 체제의 특질은 변동되지 않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방체제에서는 엔트로피를 저지해 나가면서도 항시 조직이 동적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⑧ 분화(differentiation)

개방체제하에 있어서의 사회조직은 분화의 방향으로 움직여 나가는 것이

특색의 하나이다 여기서 분화란 동질적인 것이 이질적인 것으로 변화함을

수있다 그리하여계층제와관련하여보면 전통적인관료조직의경우는엔트로피가적고 분권적인 조직의 경우는 엔트로피가 크다고 할 수 있다(이창신 1984 564 참조)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1: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뜻한다

⑨ 통합과 조정(intergration and coordination)

개방체제의 사회조직은 단일화(unification)를 성취함에 있어서 두 가

지의 다른 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통합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이

다 여기서 통합이란 소집단 수준에서 그들이 공유하는 규범과 가치를 단

일화 하는 노력을 말하며 조정이란 보다 큰 사회조직에 있어서 과업과 역

할의 기능적 분화를 도모하면서 통제와 배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말한

⑩ 등종국성(equifinality)

끝으로 등종국성이란 시작조건이 서로 다르고 여러 가지 상이한 진로를

통하여도 결국에 가서는 동일한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것을 뜻하는 바 유

연성이 있는개방체제에 있어서는 시작조건이 같지 않아도 투입과 그 이외

의 여러 가지 방법을 변경하거나 규제하면 종국적으로 동일하고 만족할 만

한 산출을 얻을 수 있는 탄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체제의 기능

Parsons는 체제의 필수적 기능으로 AGIL로 표현되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① 적응기능(adaptation) 이것은 환경으로부터 자원을 얻어 그것을 체

제를 통하여 배분하는 기능을 말한다

② 목표달성기능(goal attainment) 이것은 체제의 공통된 가치의 틀

속에서 체제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간의 상대적 우선순

위를 정하며 그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경주하는 것을 말한

③ 통합기능(integration) 이것은 체제를 구성하는 각 부분 및 하위체

제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④ 잠재적 유형유지 및 긴장관리기능(latent pattern maintenance and

tension management) 이것은 체제가 자신의 기본적인 유형(pattern)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2: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1

유지하고 자신의 가치와 규범을 재생산해 가는 것을 말한다

(4) 체제로서의 조직

체제로서의 조직은 자기가 존재하는 환경적 상위체제와 부단히 상호작용

하며 또한 상호간에 의존하고 작용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들로 구성된다 그

리하여 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내부의 하위체제를 lt그림 1gt과 같이 Kast와

Rosenweig의 입장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3-115)

환경적 상위 체제

목표가치적 하위체제 문화 철학 전체목표 집단목표 개인목표

기술적 하위체제 지식 기술

시설 도구

심리 사회적하위체제

인적자원 태도 인식 동기 집단역할 지도력 의사소통 인간관계

구조적하위체제

과업 직무흐름 직업집단 권위 정보흐름 절차 규칙

관리적 하위체제 목표설정 기획자원확보 조직화집행 통제

자료 F E Kast amp J E Rosenzweig 1985 114

lt그림 1gt 조직의 하위체제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3: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① 목표가치적 하위체제(goals and values subsystem)

조직의 목표와 가치는 가장 중요한 하위체제의 하나로 넓은 사회문화적

환경으로부터 가치의 많은 것을 채택하며 또한 사회가치에 영향을 준다

② 기술적 하위체제(technical subsystem)

기술적 하위체제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말한다 즉 투입

으로부터 산출로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설비 과정 등을 의미한다

③ 심리사회적 하위체제(psychosocial subsystem)

사회심리적 하위체제는 개인의 행태 동기부여 지위와 역할관계 집단

역학 영향력망(influence networks) 등으로 구성된다

④ 구조적 하위체제(structural subsystem)

구조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업무를 분화하고 통합하는 활동과 관련되며

공식적으로는 조직도표 직무기술서 규칙과 절차를 의미한다

⑤ 관리적 하위체제(managerial subsystem)

관리적 하위체제는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하

위체제의 확충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5) 문제점

체제이론은 유기체(organism) 개념을 사회나 행정조직의 연구와 문제해

결에 도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윤재풍 1993 67)

① 추상적 개념의 물화(reification)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체제이

론은 추상적인 문제나 현상에 대하여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을 갖는 객관적

사물처럼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현상(예컨대 행정조직현상)을 근본적으

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② 체제이론은 안정성 균형 유형유지 등의 개념을 강조하기 때문에 현

상(status quo)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4: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3

2) 현상학적 접근방법

현상학적 접근방법(the phenomenological approach)은 지금까지의 사회

과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 온 행태주의(behaviorism) 내지 논리적 실증주

의(logical positivism)와는 다른 측면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그것들의 한

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윤재풍

1993 76-77)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실의 출현인 현상(phenomenon)과 사실의 존

재인 실체(noumenon)를 구별한 Kant(1724-1804)까지 올라가지만

Husserl(1859-1938)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Scheler

Schutz 및 Ponty 등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M Scheler A Schutz amp M

Ponty 1968 68-69)

(1) 현상현상학의 의의

현상학적 입장에서 보는 현상(phenomenon)이란 인간의 의식작용을 통해

서 어떤 의미가 부여된 모든 것을 말한다 어떤 방법이든 인간의 주관적 의

식에 다가와 그 의미가 주어진 모든 것이 현상이며 그것은 현실이든 상상

이든 실재이든 관념이든 상관없다

현상학이란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을 중요시하는 학문이며

사회적 세계 속의 인간의 행위 즉 의식적 지향성을 함축하는 행위를 연구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그리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행태주의 방법론에 있어 규범성이 부족함

을 통찰하며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 대신에 사회적 이해(social

understanding) 즉 목적론적 설명(teleological explanation)을 사용한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내용

Husserl에 의하면 사물을 인식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는 ⅰ) 선이론적이

며 자연스러운 태도와 ⅱ) 인위적이며 이론적인 태도가 있는데 전자는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5: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자연적 태도6)와 인격주의7)로 후자는 자연과학주의적 태도8)와 현상학적

태도 즉 선험적 태도로 구분한다(J S Jun amp W B Storm 1973 194)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태도는 지식비판의 태도이며 모든 인식형성 인

식하는 자신 그리고 인식활동에 관한 자기반성의 최종 근거를 반문하는

태도이다

생활세계의 경험에서 고도의 이론적 틀을 갖는 본질에 대한 직관을 통해

서 인간의 행위에 대한 본질을 상호주관적 관찰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현상학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인

간행태의 외면만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을 간과하는 오류에서 탈피하여 인간

의 내면세계를 파고 들어가는데 한 개인의 사적 세계가 아니라 나와 남이

상호작용하는 간주관적 세계를 사색의 주제개념으로 삼는다 남을 나와 동

일한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상호관계를 성립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와 남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사회적 주관으로써 서로의 행

위를 이해하게 된다(김광웅 1975 123)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여기서는 4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

다(M E Kann 1980 174-179 김영수 1984 364-368)

① 판단중지(suspension of beliefs)

이 단계는 타인행위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우선 행위의 객관적주관적 의

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인간이 일상적인 상황에 몰입속박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선입관 편견 관습 전통 등을 배제한 순수한 마음의 상태에서 객관

6) 자연적태도는우리가일상생활에서사물을지각할때아무런비판이나반성없이모든것을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태도이다

7) 인격주의적태도는자아를단순히자연의일부가아닌독립된인격으로보며 세계를단순히대상세계가 아닌 환경세계로 파악하는 태도이다 자아는 환경세계의 주체이며 환경세계는 인격자의지각 기억 등을 통하여 인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다

8) 자연과학주의적태도는자연 세계 자아등모든대상을계량적으로실증하려는자연과학의방법에따라파악하려는태도로써 그특징은모든정신적이며관념적인대상등에서자연화하고물질화하는데있다 따라서이와같은입장은인격적인자아의자기망각을초래함으로써인간의정신적 소외와 인류문화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6: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5

적으로 명백하게 나타난 행위를 관찰할 뿐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와 결부되

는 선입관 동기 의도 등을 이해함으로써 주관적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이

결국 이 단계는 우리 앞에 나타난 사물이나 인간행위를 자연적인 태도에

따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속에 내재된 사물의 현상을 직관하는 것이

② 이론적 해석(theoretical interpretation)

이 단계는 판단중지를 통해 발견된 행위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의미를 어

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일종의 사유실험인 자유로운 변

경(free variation)을 통하여 변경된 것과 변경되지 않은 것을 분석하며

이 분석에서 나타난 성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서술하는 기술의 단계를

거친다

③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이 단계는 의식내면화의 단계로 어떤 의미에서는 상대적인 이론에 일반

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며 이때에 적용되는 것은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④ 실험적 재구성(testing reconstruction)

이 단계에서 바람직한 해석의 검증은 일련의 어떤 기준이 아니고 상상

력 직관 환원 또는 생활세계에서 얻은 의식과 같은 주관적 요소에 의하

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시간과 경험에 관계된 것이다 즉 앞의 세

단계를 거친 이론이 상호주관적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주관적

사고 사이에 일치하는가 이론과 실천이 부합하는가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3) 조직연구에 있어서 현상학의 적용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연구의 주관주의적 접근방법(subjectivist

approach)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Schutz는 사회세계는 일반대중이

일상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주관적 의미 또는 해석에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A Schutz 1963 232) 이와 같은 주관주의적 접근방법은 객관주의적 접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7: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근방법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윤재풍 1993

78-79)

① 존재론(ontology)적인 면에서 객관주의는 객관적 실재론(realism)을

강조하나 주관주의는 유명론(nominalism) 즉 객관적 실재와는 별개의 명

분에 초점을 둔다 객관적 실체와는 관계없이 인간의 의식과 믿음을 중요

시한다

② 우리가 지식을 얻는 방법과 관련된 인식론적(epistemology)인 면에

서 볼 때 객관주의는 실증주의(positivism)를 옹호하나 주관주의는 반실

증주의(antipositivism)적 입장을 지지한다

③ 조직현상의 주체이며 사회과학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대상인 인간의 성격(human nature)에 대하여 객관주의는 결정론적 입장

(determinism)을 취한다 즉 인간성이란 외부환경의 자극과 그에 대한 유

기체의 반응형식으로 결정되는 수동적 비자발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

러나 주관주의적 입장에서는 자발론(voluntarism)적 견해를 지지한다 인

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적극적자율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④ 방법론적인 면에서 보면 객관주의는 일반 법칙적(nomothetic) 방법

의 추구를 강조하지만 주관주의는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ideographic)

적 방법의 추구에 초점을 둔다

(4)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과 문제점

과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이 지니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객관주의 또는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했던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하면 현상학에서 중요시하는 상호주관성9)과

9) 상호주관성과관련된동양의문헌으로는대학 논어 중용등이있다 예를들어 대학의치국평천하장에는 ldquo이른바천하를화평하게함은그나라를다스림에있고 윗자리에있는사람이노인을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8: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7

공감적 이해(emphatic understanding)야 말로 객관적 논리실증주의가 갖

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조직의 문제를 보는 데 있어서 좀 넓은 철학

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은 그것이 지니는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다

현상학을 비판하는 논자들은 현상학이 통제 불가능한 직관과 형이상학적

인 계시에 근거를 둔 반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현상학이 사회적

현실을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의 산물로 보는 것은 전적으로 부정하기 어

려운 것이지만 사회과학의 연구가 그것에 완전히 몰두하려는 것에 대하여

는 비판한다(윤재풍 1993 82)

3) 거시조직론적 접근방법 조직환경론

(1) 의의

조직의 분석단위는 개인집단 혹은 조직수준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

조직에 관한 이론은 그 분석의 단위에 따라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

이론으로 분류된다(J Pfeffer 1982 1-5) 미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인

및 조직내부구조 거시적 분석수준의 경우 개체군10)으로서 조직이나 조직

노인으로 섬기면 백성들에게 효성이 일어나고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어른을 어른으로 받들면백성들에게공경이일어나며 윗자리에있는사람이외로운이들을불쌍히여기면백성들도저버리지 않나니 이러므로군자는 혈구지도를지니는것이다rdquo(所謂平天下在治其國者上 老老而民興孝上長長而民興弟上恤孤而民不倍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와 ldquo웃사람에게싫다고느껴진것으로아랫사람을부리지말것이며 아랫사람에게서싫다고느낀것으로웃사람을섬기지말것이며

앞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뒷사람을먼저하지말것이며 뒷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앞사람을따르지말것이며 오른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왼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며 왼쪽사람에게서싫다고느껴진것으로오른쪽사람에게건네지말것이니이것을일컬어혈구지도라 한다rdquo(所惡於上毋以使下 所惡於下毋以事上所惡於前毋以先後 所惡於後毋以從前 所惡於右 毋以交於左 所惡於左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也)라고 말하고 있다

10) 개체군(population)이란상대적으로동질적인조직의군집을말한다 하나의개체군에속하는모든조직은 그들만의 공통형태를 취하는 특정한 고유 인자를 공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29: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네트워크를 분석단위로 한다11)

조직연구를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은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

하여 보다 적극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직환경론 이라고

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조직환경론은 조직에 대한 환경의 영향력구속제약적대성 등을 극복하고 조직의 계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 개별

조직의 내부적 구조설계 등을 다루는 미시적 분석수준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두된 것이다

다만 거시적 입장에서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는 합리적

조직의 이상과 사회적 조직의 현실간의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

고 있다 조직 관리에 있어서 합리적 조직의 이상은 조직을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폐쇄적 시스템으로 통제하고 이를 가장 능률적으로 체계화하여 기

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운영함으로써 내부능률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

다 반면에 사회적 조직의 현실은 개방적 시스템으로서 조직이란 환경변화

와 이에 따른 불확실성을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내부질서를 유지한

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인간의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하여 조직은 혼

란비합리성무질서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적 능률과 외적 적응의 갈등양상은 조직이 합리적으로 설계

되면 내적 능률은 기할 수 있지만 외적 적응이 곤란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직이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느슨하게 설

계되면 혼란과 무질서로 인하여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2) 조직환경론의 관점

Pfeffer(1982)는 조직이론의 특성화를 위한 분석차원으로 행동관

(perspectives on action taken)과 분석수준을 들고 있다 그가 주장한 행

11) Pfeffer(1960 4-5)는일반적으로분석수준과단위에서고려해야할중요한문제점으로생태학적오류(ecological fallacy)와 개인적 오류(individual fallacy)를 지적하고있다 생태학적 오류는 집합적대규모 조직단위 변수간의 관계분석의 추정이 과장됨으로써 발생하는 통계학적 측면의 오류이며

개인적 오류는 개인수준의 지식으로 조직전체를 설명하는데 따르는 한계를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0: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39

동관은 목표부합적 의도적 목표지향적인 합리적 행동관12)(purposive

intentional goal-directed rational action)과 외부제약적 및 통제적

행동관13)(externally constrained and controlled action) 그리고 창발

적 무작위적 및 과정과 사회적 구조에 입각한 행동관14)(emergent almost

random dependent 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on action)으로 분류

하였다

한편 Astley와 Van de Ven(1983)은 아래 lt표 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

석차원을 이원화시킴으로써 조직환경이론을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였

다 첫째는 분석수준차원으로 개인집단개별조직을 포함하는 미시적 분석

수준과 조직개체군 등을 포함하는 거시적 분석수준이다 둘째는 인간성차

원에서 결정론적 관점(determinism)와 자발론적 관점(voluntarism)15)이

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그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발론적 관점

과 인간의 행동은 그가 처한 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결정론적 관점으로 분

류하는 것이다

12) 이는행동에있어서개인의자유의지와양심적인선택의중요성을강조하여행동의의도적창의적 측면에 비중을 둔 관점으로 구조적 상황이론과 시장 및 위계이론이 대표적이다

13) 이는한마디로상황주의적행동관이다 즉개성선호목표정보과정등의영향을무시하거나경시하는행동관으로행동은의식의결과라기보다는거의통제가곤란하거나인식하기조차힘든어떤힘 요구 제약등에의해결정된다는입장이다 따라서조직구조나형태가관리자의성과지향적혹은목표지향적선택에의해결정되는것이아니라환경군(environmental niches)에의해불가피하게선택되는것으로인식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하는조직이론으로는개체군생태학이론이 제시된다

14) 이는내부지향적이든외부지향적이든기본적으로합리성을부정한다 따라서개인의의도나환경상황에의해사전적으로행동을예측할수없다 조직에대한이러한인지적관점은조직을공통된의미시스템(a system of shared meaning)으로간주한다 따라서조직은상징조직으로이루어지고공통적인조직적원리의발전으로형성되므로행동은사회현상에대한이해를제공하는사회적구조내에서 창발발전하는 의미시스템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또한 공통의 기본 관점과 교섭과정을거쳐시스템의안정과응집성을유지한다 이러한행동관으로조직전체수준을연구대상으로하는조직이론으로는 제도화이론이 있다

15) voluntarism에대한용어를학자마다조금씩다르게번역하고있다 즉윤재풍(1990)은 lsquo主意主義rsquo로 박우순(1996)은 lsquo자율론rsquo으로 신유근 외(1987)는 lsquo任意主義rsquo로 번역하고 있지만 저자는 환경과의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과 조직의 능동성과 적극성을 강조하여 lsquo자발론적 관점rsquo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1: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따라서 자발론적 관점은 개인과 조직이 자율적적응적자기 지시적 기관

임을 강조하며 개인은 조직에 있어서 변화의 원천이며 분석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이다 한편 결정론적 관점은 개인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활

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속에서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태는 조직에 전반적인 안정성과 통제를 부여하는 구조적 제약에

의해서 결정되거나 반응하는 정도인 것이다(박상규 1999 11-15)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2: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1

lt표 1gt 조직환경이론의 분류

larr 결정론적 자발론적 rarr

uarr거시적

미시적

darr

③ 자연적 도태 관점학파 개체군생태학이론 시장및위계

이론구조 환경적 경쟁의 결과변화 환경적소에 적응하는 과정 조직

형태를 자연적인 진화과정에 순응시키는 과정

행동 무계획적 자연적 환경적 선택관리자 역할 무작위

④ 집합적 행동 관점학파 제도화이론 공동체생태학이론구조 집합체의환경규칙조건을수정

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준자율적파당적집단간의공동체혹은 관계망 조직은 개인의 활동을통제작용확대하는집합적행동

변화 파당적상호적응을통한집합적협상 갈등 타협 제휴

행동 합리적이며 집합적으로 구조화된그리고 정치적으로 타협된 질서

관리자 역할 상호작용

① 체제 구조적 관점학파 구조적 상황 이론구조 역할과 직위는 체제의 기능을 효

율적으로달성할수있도록 배열변화 하위시스템이 환경기술규모

및 자원수요면에서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분할되고 통합됨

행동 결정론적 제약적 및 적응적관리자 역할 반응적

② 전략적 선택 관점학파 전략적선택이론 자원의존이론구조 인간과 개인간의 관계성은 권력을

쥐고있는인간의선택과목적에기여하기 위하여 조직화사회화

변화 환경과 구조는 조직화되어 권력이있는개인들의행위의의미를구체화

행동 해석적 자발적 조작적관리자 역할 적극적

자료 Astley and Van de Ven 1983 247에서 재구성

① 체제구조적 관점(system structural view)

체제구조적 관점에 따르면 조직 관리자의 기본적 기능은 반응적인 것이

다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긴급사태에 따라서 조직을 적절하게 설계하는

기술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적응의 형태를

띠며 환경 속의 외생적 변화의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

직 관리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하여 예측하고 과정을 맞추고 대응해 나아

가야 하며 또한 조직의 생존 혹은 효과성을 구축하기 위하여 조직의 내부구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3: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조의 재배열을 통하여 적응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리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의 초점은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전이(transition)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적 수요에 대한 조직반응의 결과를 검토

할 수 있는 기술적 기준을 활용함에 놓여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제 구조적 관점의 대표적인 이론은 구조적 상황이론이다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은 일반적 상황이론16)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에 적합한 조직구조의 설계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

이다 이러한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외부의 환경을 포함한 조직내부의 기

술규모 등과 같은 상황변수에 좌우되며 또한 이러한 상황변수에 적합하게

설계되어야만 조직의 유효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한다(김인수 1997

623-625)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직이란 상황변수의 요구에 조

직구조를 조정 혹은 적응시키는 복수의 하위체제로 구성된 개방체제인 것

이다(J Pfeffer 1961 175)

그러나 구조적 상황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환경변수를 정확히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측면과 현대와

같이 환경변화의 급변성과 복잡성을 비추어 볼 때 조직이 단순히 환경변

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해 나아간다는 차원은 효율적인 조직 관리에 미흡하

다는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② 전략적 선택 관점(strategic choice view)

전략적 선택이란 의사결정자가 일정한 선택의 재량(an available range

of option)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S P Robbins 1983 97) 이와 같

이 전략적 선택 개념을 통하여 볼 때 환경은 조직 활동영역의 선택이라는

조직의 전략에 의해 즉 조직 관리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의해 선택적으

16) 상황이론은조직관리에관한상황적합적이론을개발하려는것으로서시스템이론의관점을따르고 있지만 시스템이론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극복하고 적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직의 현실적인문제에 구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론은 개방시스템관점과 인과관계적 분석에 바탕을두고조직활동이상황에적합하게설계되느냐에따라조직의성과가좌우된다는관점으로서주로상황 조직관련변수 및 조직성과의 기능적 관계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F Luthans and T

Stewart 1978 683-687)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4: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3

로 조직과 관계를 갖게 된다 즉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면

조직 관리자는 조직특성을 환경에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 그 자체를 기

존 조직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

의 자유재량영역이 존재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강조한다는 측면에

서 시스템 구조적 관점의 환경결정론을 극복하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는 상황이론의 대안으로 대두된 전략

적 선택 관점은 환경에 대한 자발론적 관점을 강조하여 의사결정자가 전

략적 선택을 통해 어느 정도는 상황적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

다 따라서 조직구조는 기술적 기준보다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유형화된

다 그러므로 환경은 다루기 어려운 억제의 공식이 아니라 변화되어질 수

있고 정치적 협상이 최고 관리자의 목적에 맞게 조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 관점에는 전략적 선택이론(strategic choice

theory)과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이 있다 전략적 선

택이론은 결정론적 지향을 갖는 구조적 상황이론에서 경시되었던 실제의

환경에 대한 조직 관리자의 지각과 평가에 주목하고 이것이 조직구조의 선

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조직의 관리자는

외부적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을 탄력적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

는 자유재량을 가짐으로써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고 보

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의 환경인식과 의사결정과정이 전략적 선택

이론에서는 핵심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적 선택이론을 공공조직연구에 적용하기에는 다음

과 같은 한계가 지적된다(H E Aldrich 1979 149-159) 첫째 조직의

의사결정자들이 새로운 환경적 적소에 대해서 최적선택을 창출하는데 제약

이 존재한다 즉 이해당사자들 간의 분쟁조정 혹은 사회적 통합성을 이끌

어 내는데 따르는 제약 등이 있는 것이다 둘째 조직이 환경에 영향을 미

치는 권력은 한계가 있다 즉 국민들의 의식향상 및 시민단체의 참여기회

의 확대와 더불어 입법사법부의 견제활동의 증가는 그만큼 공공조직의 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5: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경변화유도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셋째 현실적인 문제로서 공공 조직내

에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기존의 환경지각에 대한 수용을 강화시키는 집단

적 사회화과정을 통하여 전략적이기 보다는 관례적답습적인 의사결정과정

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주체로 보고 상호작

용의 대상물인 광의의 자원17)을 효율적으로 관리통제하는 것이 조직의 목

표달성에 필수적이라는 대전제 하에 조직의 활동을 분석하고 조직구조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은 환경 내에서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성을 극소화하는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조직

의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에 대한 의존성을 극대화하는 자원에 대

한 통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즉 조직

은 환경의 여러 행위자에 대한 의존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원의존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자원

의존이론은 보수적이고 기능주의적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기득권의 유지

및 보존은 외부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는 논리는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자원의존이론

이 주장하고 있는 조직의 환경에 대한 규제 및 관리적 기능을 공공조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공공조직의 권력집중현상이 증대될 것이므로 이

에 대한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③ 자연적 도태관점(natural selection view)

시스템 구조적 관점이 내부적 구조의 적응을 강조하는 반면에 자연적 도

태관점은 외부적 선택을 특히 강조한다 즉 조직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내

부구조 적응문제는 변화에 따르는 비용과 저항 역사적인 선례의 답습 등

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므로 내부적구조적 적응은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응과 생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17) 자원의존이론에서의자원(resources)은모든투입물 산출물및부산물을포함하는것으로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6: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5

수준의 분석이 불가피하며 개별 조직의 적응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을 잘못

이라는 논리이다

결국 자연적 도태관점은 특정 환경에 따라 특정 조직군이 선택된다는 거

시적 환경결정론의 입장이다 즉 특정 환경은 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

소18)(niche)를 형성하고 이에 적합한 특정 조직군 만이 그 속에서 생성발전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관점을 특정상황 특정시점

에서 어떤 조직군이 보다 더 환경적 제약을 잘 극복하고 생존하는가를 규명

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자연적 도태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시장 및 위계

이론(markets and hierarchies theory)과 개체군 생태학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이다

시장 및 위계이론19)은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다 즉

조직이란 반복적인 거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transaction cost)20)

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래관계의 형성 또는 유지는 기본적으로 시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법

과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이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하는 문제는 교환관계 또는 거래관계의 형성에 필

요한 정보의 소요량과 질에 달려 있는 것이다 즉 거래에 따르는 불확실성

18) 적소란어떤제약조건하에서특정개체군이모든다른개체군보다우위를점하는영역으로서그개체군의 생존과 증식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자원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곳을 의미한다

19) 시장및위계이론의발전에기여한학자는 Chandler로서 그에의하면시장은재화와서비스에대한수요창출자로서남아있으나현대에는기업이생산과유통과정을통해미래의생산과유통에대해자금과인력을배분함으로써재화의흐름을조정하는기능을수행한다는것이다 이처럼기업조직이시장이수행해오던기능을대체함으로써기업조직은경제영역에서강력한영향력을행사하며그에따라많은경제부문에서소위보이지않는손대신에보이는손이지배하고있다는것이다 이러한관점에서시장및위계이론은 visible hand approach라부르기도하며 시장의실패를전제로 한다는 의미에서 market failure approach 또는 거래가 분석의 기본단위라는 의미에서transaction approach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20) 거래비용이란경제시스템의운영에필요한비용으로서생산비용을제외한모든경비 즉상담비용 유통비용 정보모색비용 계약비용등을모두포함한다 전통적경제학에서는시장이완전하기때문에이러한거래비용이없는것으로간주하였으나실제시장에서는이러한거래비용이실질적으로 존재한다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7: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의 감소 거래상대방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격차(information

disparities)의 축소 정보처리기술의 발전 등은 두 가지 방식의 상대적

효율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이 어떠한 경우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가를 분석하기 위해서 Williamson은 시장을 통한

계약관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환경적 요

인(environmental factors)과 인간적 요인(human factors)을 가지고 설명

한다 여기에서 환경적 요인이란 불확실성(uncertainty)과 소수자 교환관

계(small-numbers exchange relations)를 가리키며 인간적 요인이란 제

한된 합리성21)(bounded retionality)과 기회주의22)(opportunism)를 말한

Williamson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요인 가운데 환경적 요인이 시장실패

(market failure)를 초래하는 요인으로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 것이기

는 하지만 환경적 요인이 인간적 요인과 특수하게 결합될 때 이러한 시장

실패현상이 보다 심각하게 초래되는 것으로 본다 두 가지 요인의 특수한

결합은 불확실성과 제한된 합리성의 결합 그리고 소수자 교환관계와 기회

주의가 결합하는 경우이다

한편 Williamson은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조직이 시장보다 우월한 수단

임을 강조하였지만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

21) 시장과위계이론에서전제로하고있는인간은제한된합리성을가진존재로서이는의도에있어서는합리적인그러나단지제한적으로그러한(intentional rational but only limited so) 인간을가리킨다 제한된합리성은한편으로는인간의신경생리적한계와 다른한편으로는언어의한계를포함하는것이다 신경생리적한계(neurophysiological limit)라는것은인간이외부에서들어오는정보를수용저장처리하는과정에서오류없이할수있는능력에제약이따른다는것이다 Simon은이런맥락에서조직이란인간이지식예측기술시간등에있어서한계가있기때문에인간에게유용한 수단이라고 하고 있다(H A Simon 1957 199) 언어적 한계(language limit)라 함은 단어나숫자그림등을통해타인이이해할수있도록인간의지식이나감정을전달하는데있어서제약이 따른다는 것이다

22) 인간의 기회주의적 속성 혹은 태도란 거래관계에 있어서 사기성을 띤 이기적 이익을 추구 혹은자기 스스로도 믿지 않는 거짓된 또는 공허한 위협이나 약속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8: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7

계로는 내부전달의 문제23) 무원칙적인 규모확대 경향 현 사업에 대한 집

착과 같은 편견과 목표의 왜곡현상을 들고 있는 데 조직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조직내부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서 M-형 조직24)

(multidivisional organization)의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O E

Williamson 1975 박우순 1994 139)

이와 같은 시장 및 위계이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조직 내

의 정보는 조직구성원의 기회주의적 속성으로 인하여 시장정보보다도 더

한층 신뢰성이 낮을 수도 있다 둘째 조직 내의 유인체계는 시장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쉽게 정치화되거나 조작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조직과 환경과의 동질성(isomorphism)의 유

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직환경이론들은 조직생존을 위하

여 환경에의 적응을 강조하지만 개체군생태학이론은 생물학에서의 적자

생존론 혹은 자연도태설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

부 환경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개체군에 있어서의 변화

는 환경의 선택과정에 의해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M T

Hannan and J H Freeman 1977)

따라서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내부적인 리더십 및 의사결정의 참여

보다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게 되는 조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초점을 두

고 변화선택보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면서 환경에 따른 조직들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이유 다시 말하면 적응문제25)를 설명하는 것이다

23) 예를들면 조직의규모가커지게되면조직의내적조정비용의증가혹은조직내적인거래관계(가격결정혹은회계처리등)의비효율성증가그리고대규모적조직에서의예상치못한상호작용의발생 등을 의미한다(최병선 1991 389)

24) 이러한측면은전통적인 U-형조직(unitary form) 즉기능조직이조직의규모가확대되고사업영역이다양화됨에따라일종의불경제가나타나게되어각부문간의조정이어려워지고개별부서가하위목표의추구에만급급하게되는모습을나타낸다 반면 M-형조직은각사업부분이자신의사업영역내에서이익극대화를위한합리적행동을추구하므로대규모조직에서발생하기쉬운불합리한요인들이제거되고조정이용이해짐으로써조직의효율적인운영이가능해진다는것이다

25) 환경에대한조직의적응을방해하는내부적제약요인으로서는설비투자및매몰비용 현재의조직행동이나조직구조에서야기되는의사결정자에대한정보의제약 자원의재분배를어렵게만드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39: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그러나 개체군 생태학이론은 조직 관리자의 전략적 선택을 배제하고 환

경결정론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으며 특히 개체군내의 조직들 간에 성과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무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체군간의 성과차이

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④ 집합적 행동관점(collective action view)

집합적 행동관점에서 조직이란 환경의 규제와 제약을 받으면서 한편으

로는 환경 그 자체를 수정하거나 구성하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있다 환경은 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은 구성원 혹은 권력연

합체간의 집합적 행동으로 새로운 환경을 창조하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

다(G Astley and A Van de Ven 1983 251) 따라서 집합적 행동 관점은

상징적으로 상호의존성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

자의 기능은 상호반응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집합적 행동관점은 제도화이

론(institutionalization theory)과 공동체생태학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이 있다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제도화과정은 조직내부의 요인에 의해서도 이루어

지나 조직외부 즉 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한

다시 말하면 환경의 제도적 요소들이 조직내부에 제도화된 행동구조절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조직과 환경의 연결은 제도화

의 관점에서도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도화 이론에서는 조직은 이러해야 하며 또 조직의 과업은 이렇

게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환경에 존재하고 조직은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

여 조직의 속성들에 편입시키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결국 조직을 구성하

는 조직내부의 이해관계에 따른 정치적 제약 조직의 역사나 전통으로부터 야기되는 제약 등을들수있다 외부적인제약요인으로서는진입혹은철수장벽 정보입수에대한외부적제약 조직의변화를제약하는법률등이있다 그러므로이러한제약요인으로인해조직의적응노력이제약받기때문에개체군의변화및발전과정에있어서환경의선택과정이중요한메카니즘이되는것이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40: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49

는 구성요소들은 보다 큰 사회의 영향력과 관련되어 배열되며 환경과 조

직과의 관계는 조직의 구조에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을 반영한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이론에서의 조직은 현대사회의 합리화된 환경에 대한

극적인 반영으로서 간주되며(신유근 1987 335) 결국 범사회적으로 합법

화되고 합리화된 요소를 공식구조에 통합하는 조직은 그 정당성을 극대화

하고 자원획득 및 생존가능성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화이론이 조직 환경이론으로써 가지는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최창현 1995 289) 첫째 제도화이론에서는 조직과 제도의 변화과정을

진화론적이고 자체 내에 유전자를 통한 재생산과 같은 지속성이 담보된 과

정으로 이해한다 다시 말하면 조직은 항상 현상을 유지시키려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는 항상 경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

로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변화의 경로 상에서 축적된 관성에 의해 미래의

변화의 방향이 제한되고 규정된다는 논리인 것이다

둘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의 합리성과 효율성보다 정당성이 생존의 기초

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직의 현실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간 그리

고 공식적인 정책과 현실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의 집행은 항

상 많은 문제를 내포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화이론은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정당성유지가 조직생존의

일차적 과제로 봄으로써 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기업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준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현대 행정조직에 요구되는 적극적인 쇄신성 혹

은 혁신성을 충족시키기에는 제도화이론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신유근

1993 359-360)

한편 공동체생태학이론은 개체군 수준을 분석단위로 하는 개체군 생태

학이론도 환경결정론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

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

직을 생태학적 공동체 속에서 상호의존적인 개체군들의 한 구성원으로서

파악하고 이에 따라 조직의 행동과 환경적응과정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관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41: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점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D Beard and G Dess 1988 362-373)

다시 말하면 개체군 생태학이론에서는 조직이 전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존재로 인식되므로 관리자의 역할도

미미한 것으로 파악하는 반면 공동체 생태학이론은 환경을 조직들 간의

공동적인 관계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고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에 의한 능동적인 적응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근

본적인 차이가 있다(김인수 1997 642-643) 이와 같이 조직 간에 공동적

이며 호혜적인 관계망을 형성하는 이유로서 Oliver는 필요성 불균형 호

혜성 효율성 안정성 정당성 등 여섯 가지 요인을 들고 있다(C Oliver

1990 241-265)

그러나 이러한 공동 전략이 모든 조직에게 언제나 강점으로서만 작용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역기능으로서는 개별조직의 전략적 유연성을 감소

시키고 외부적 제약의 영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나 조직의 자체적인 적응

능력을 떨어뜨리고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할 가능성을 들 수 있다

(3) 조직환경론의 공헌과 한계

① 조직환경론의 공헌

조직환경론이 조직과 환경과의 역학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에 미친 공헌

은 다음과 같다(신유근 1993 397-398) 첫째 전통적인 미시조직론은 개

인 또는 집단의 행위조직의 생산성 문제도 단기적 차원보다는 장기적 차원

에서 행위동기만족 등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직환경론은 그 분석단위를

하나의 조직 또는 조직의 개체군공동체수준으로 끌어 올려 중범위이론

(middle-range theory)에의 지향이 가능하도록 만들고 있다 둘째 조직환

경론은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고 조직과 환경과의 적합관계를 유지

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즉 조직은 진공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

고 환경은 조직 자체 및 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조직환경론

은 이들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것이 조직의 성

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42: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1

셋째 조직환경이론은 조직이 환경에의 단순한 적응의 차원을 넘어 때때

로 환경을 조직에 유리하도록 조종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스스로 창조할 수 있다는 측면도 주지시켜 주고 있다 넷째

조직환경이론은 전통적인 학문상의 분업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경영

학사회학경제학정치학행정학심리학생물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를 동원하

여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종합과학적 연구

(interdisciplinary approach) 촉진의 계기를 만들고 있다

② 조직환경론의 한계

조직환경론이 실제의 조직에서 적용될 때 나타나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

로 열거할 수 있다(신유근 1993 398-399) 첫째 서로 상이한 학문적 전

통 하에서 조직이라는 사회현상을 보게 됨에 따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함

은 물론 이론의 칸막이화 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하나의 이론은 물

론 여러 이론을 통합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연구되어야 할 변수들이 너무

나 많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변수들이 여러 개의 차원을 가지고 있는 등 너

무나 복잡하여 환경개념의 측정을 위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지 못하기 때

문에 실제적인 유용성이 의문시된다 셋째 이론발전과 더불어 연구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변수가 매우 복잡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나 신뢰성

(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 및 일반화가능성(generalizability)

을 갖추는 동시에 경험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4) 현대적 조직이론의 일반적 특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조직현상연구의 경험과 지식

위에 성립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합 또는 수용하는 경향성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석홍 2003

40-43)

(1) 가치기준과 접근방법의 분화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43: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현대적 조직이론에서는 인간이 거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변성을 지닌 복

잡한 존재(complex man)임을 인식하고 조직을 복잡한 체제(complex

system)로 보기 때문에 무모한 획일화나 법칙화를 피하려 하고 있다 그러

나 현대이론은 다양성 속에서도 일관성을 찾아 보편적인 요인을 포착하려

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용적인 가치가 있는 통합적 모형(integrated model)

의 정립에 나서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든 것에 관련되어 있다는 체제관

념에 입각하여 있다

한편 통합적인 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만한 변수가 너무나 많고 복잡하

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성을 높이려면 어떠한 관계에서든가 변수를 한정할

필요에 쫒기게 된다 이와 같은 변수한정의 필요는 접근방법의 분화를 다

시 추진하고 있다

(2)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선정의 다양화

집합적으로 본 현대적 조직이론의 가치기준은 다원화되어 있으며 연구대

상으로 선정되는 문제들은 크게 다양화되어 있다

가치기준의 다원화와 문제의 다양화는 위에서 설명한 접근방법의 분화통합경향과 표리의 관계를 가진 것이다

고전적 조직이론의 지배적인 가치기준이 능률이었으며 인간관계론의 등

장은 사회적 능률을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첨가하였고 환경유관론 입장에

서는 대외적인 적합성을 가치기준으로 중시하였다 그리고 조직변수를 크

게 나누어 구조적 측면 인간적 측면 관리적 측면 환경적 측면으로 범주

화할 수 있다면 오늘날의 조직이론은 이 모든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3) 복합과학성

현대적 조직이론은 복합과학이다 즉 학문교호적 활동

(interdisciplinary activities)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또 발전되어가고

있는 학문영역이다 오늘날도 다양한 분야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조직연

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학문분야의 지혜가 조직연구에 동원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

Page 44: 2015 행정조직론 강의공개지원 박수경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ungnam/parksoo... · 2016. 9. 9. · 바.개인적인 이해관계의 조직전체의

제 2 장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53

고 있다 조직이론이 깊이 신세를 지고 있는 학문영역에 관하여도 의견이

분분하나 중요한 것으로 사회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인

류학 등을 들 수 있고 역사학 공학 생물학 수학 등의 학문영역에서도 조

직이론은 필요한 것을 빌려오고 있다

(4) 경험과학의 제고

학문교호적 활동의 확장과 국제적인 연구 정보교류의 증가 그리고 조직

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조사활동의 증가는 조직이론의 과학화 수준을 크게

향상시켜 놓았으며 행태주의의 적용가능성을 크게 넓혀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