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울산여성가족uwfdi.re.kr/img/data/2020_uwfdibrief_17.pdf · 2020-02-03 · 1) 본 brief...

6
Vol. 발행인: 이미영│발행일: 2020년 1월 31일 │발행처: (재)울산여성가족개발원 ISSN 2672-0256 1) 본 BRIEF 17호는 울산여성가족개발원 2019년 수탁연구과제인 「울산 다봄행복센터 건립 조성사업 조사연구」의 일부를 재구성한 것임. 2) 울산시 중구청의 수탁과제를 이수하기 위해 한 지역구(중구)에 한정되어 조사가 이루어진 관계로 본 조사 결과를 울산시 전체의 결과로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음. 2020 울산여성가족 울산 초등 돌봄 실태 및 다함께 돌봄사업 현황 1) 서찬란(울산여성가족개발원, 부연구위원) 핵가족화 심화 및 맞벌이 가구 증가 등의 환경변화에 따라 돌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함. 특히 맞벌이 가구의 초등 학생 대상 돌봄 공백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 방과 후 · 방학 중 돌봄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음. 최근 정부는 초등 돌봄 공백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국고지원확대), 학교·지자체 협력 강화(빈틈없는 돌봄 체계 구현)를 목적으로 “온종일돌봄체계 구축·운영계획”을 발표하였음( 18. 4.). 정부는 온종일 돌봄 정책의 일환으로 마을 돌봄의 한 유형인 “다함께돌봄센터”를 확대 시행하는 추진전략을 계획함. 본 연구는 울산지역 내 초등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마을돌봄 서비스를 확산·정착시키기 위해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들의 자녀 돌봄 실태 및 정책욕구를 파악하고 지역 내 신설된 다함께돌봄센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둠. 연구 배경 및 목적 조사 내용 초등 자녀 돌봄 실태 : 추가돌봄 관련 욕구 조사 초등 돌봄 서비스 이용 실태 다함께돌봄 관련 인식 및 욕구 조사 조사 대상 및 기간 대상 : 울산시 중구 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혹은 외벌이 가구의 모 또는 부 500명 기간 : 2019년 9월 16일 ~ 22일 01 다함께 돌봄 관련 인식 및 욕구 1. 다함께돌봄센터 관련 인지도 및 이용 의향 다함께돌봄센터에 대한 인지율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42.6%가 인지 하고 있으나, 사업 내용을 어느정도 알고있는 경우는 14.8%에 불과함. 다함께돌봄센터 인지율 (단위: %) 전혀모름 57.4 들어는 봤으나 내용은 모름 27.8 들어보았고 대충 내용도 숙지함 11.6 매우 잘 알고 있음 3.2 인지 42.6 2. 다함께돌봄센터 이용 의향 향후 다함께돌봄센터 이용 의향에 대해, 76.2%는 이용 의향이 있는 것으로 응답함. 이용하려는 이유는 ‘방과 후 틈새 시간의 돌봄서비스를 받기 위해’가 51.2%로 가장 높게 차지함. 다음으로 ‘긴급/일시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가 23.9%로 나타나 부모들의 틈새 돌봄과 일시돌봄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음. 다함께돌봄센터 이용의향 및 이유 (단위: %) 23.9 긴급/일시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9.4 현재 이용하고 있는 타 돌봄서비스의 비용 부담 8.4 현재 이용하고 있는 타 돌봄서비스 불만족 5.8 현재 이용하고 있는 타 돌봄서비스 이용불가 상황 이용 76.2 미이용 23.8 51.2 방과 후 틈새시간의 돌봄서비스를 받기위해

Upload: others

Post on 16-Jul-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20 울산여성가족uwfdi.re.kr/img/data/2020_UWFDIBRIEF_17.pdf · 2020-02-03 · 1) 본 brief 17호는 울산여성가족개발원 2019년 수탁연구과제인 「울산 다봄행복센터

Vol.

발행인: 이미영│발행일: 2020년 1월 31일 │발행처: (재)울산여성가족개발원 ISSN 2672-0256

1) 본 BRIEF 17호는 울산여성가족개발원 2019년 수탁연구과제인 「울산 다봄행복센터 건립 조성사업 조사연구」의 일부를 재구성한 것임.2) 울산시 중구청의 수탁과제를 이수하기 위해 한 지역구(중구)에 한정되어 조사가 이루어진 관계로 본 조사 결과를 울산시 전체의 결과로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음.

2020 울산여성가족

울산 초등 돌봄 실태 및 다함께 돌봄사업 현황1)

서찬란(울산여성가족개발원, 부연구위원)

●핵가족화 심화 및 맞벌이 가구 증가 등의 환경변화에 따라 돌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함. 특히 맞벌이 가구의 초등 학생 대상 돌봄 공백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 방과 후 · 방학 중 돌봄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음.●최근 정부는 초등 돌봄 공백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국고지원확대), 학교·지자체 협력 강화(빈틈없는 돌봄 체계 구현)를 목적으로 “온종일돌봄체계 구축·운영계획”을 발표하였음( 18. 4.). 정부는 온종일 돌봄 정책의 일환으로 마을 돌봄의 한 유형인 “다함께돌봄센터”를 확대 시행하는 추진전략을 계획함. ●본 연구는 울산지역 내 초등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마을돌봄 서비스를 확산·정착시키기 위해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들의 자녀 돌봄 실태 및 정책욕구를 파악하고 지역 내 신설된 다함께돌봄센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둠.

연구 배경 및 목적

조사 내용●초등 자녀 돌봄 실태 : 추가돌봄 관련 욕구 조사 ●초등 돌봄 서비스 이용 실태●다함께돌봄 관련 인식 및 욕구 조사

조사 대상 및 기간●대상 :울산시 중구 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혹은 외벌이 가구의 모 또는 부 500명●기간 :2019년 9월 16일 ~ 22일

01 다함께 돌봄 관련 인식 및 욕구1. 다함께돌봄센터 관련 인지도 및 이용 의향

다함께돌봄센터에 대한 인지율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42.6%가 인지하고 있으나, 사업 내용을 어느정도 알고있는 경우는 14.8%에 불과함.

다함께돌봄센터 인지율 (단위: %)전혀모름 57.4

들어는 봤으나 내용은 모름 27.8

들어보았고 대충 내용도 숙지함 11.6

매우 잘 알고 있음 3.2

인지42.6

2. 다함께돌봄센터 이용 의향

향후 다함께돌봄센터 이용 의향에 대해, 76.2%는 이용 의향이 있는 것으로 응답함.

이용하려는 이유는 ‘방과 후 틈새시간의 돌봄서비스를 받기 위해’가 51.2%로 가장 높게 차지함. 다음으로 ‘긴급/일시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가 23.9%로 나타나 부모들의 틈새 돌봄과 일시돌봄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음.

다함께돌봄센터 이용의향 및 이유 (단위: %)

23.9긴급/일시돌봄 서비스를이용하기 위해

9.4현재 이용하고 있는 타 돌봄서비스의 비용 부담

8.4현재 이용하고 있는 타 돌봄서비스 불만족

5.8현재 이용하고 있는 타 돌봄서비스 이용불가 상황이용 76.2

미이용 23.8

51.2방과 후 틈새시간의 돌봄서비스를 받기위해

Page 2: 2020 울산여성가족uwfdi.re.kr/img/data/2020_UWFDIBRIEF_17.pdf · 2020-02-03 · 1) 본 brief 17호는 울산여성가족개발원 2019년 수탁연구과제인 「울산 다봄행복센터

02 초등 자녀 돌봄 실태

1. 추가 돌봄 요구도

현재 초등 자녀에게 추가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돌봄 공백이 있는 지에 대해 48.8%는 추가 돌봄이 필요한 것으로 응답함. 특히 외벌이 가구(28.2%)에 비해 맞벌이 가구(57.0%)에서 추가 돌봄의 필요에 대한 응답률이 높게 나타남.

초등 자녀 돌봄 공백 여부(단위: %)

2. 추가 돌봄 필요 시간대

추가 돌봄 필요 시간대에 대한 1순위 응답 기준으로 ‘자녀 하교 후 부모가 퇴근할 때까지’의 시간에 대한 추가 돌봄 요구도가 23.8%로 가장 높게 나타남. 다음으로 ‘방학 동안 주간돌봄’ 18.4%, ‘부모 출근 후 아이 등교 전까지’ 16.8%의 순으로 나타남. 1·2순위를 합한 응답에서는 ‘자녀 하교 후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시간대의 추가돌봄 요구도가 29.5%로 높게 나타남.

자녀 하교 후부모 퇴근할 때까지23.8

18.4

16.8

15.2

9.0

9.0

7.8

32.0

24.6

29.5

23.0

10.7

11.5

49.6

방학 동안 주간돌봄

부모 출근 후자녀 등교할 때까지

자녀 하교 후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부모가 야근할때

학원과 학원 사이

부모 주말 근무시

1순위 1+2순위

초등 자녀 추가 돌봄 필요 시간대(단위: %)

외벌이28.2

71.8

맞벌이57.0

43.0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51.2

전체

48.8

Page 3: 2020 울산여성가족uwfdi.re.kr/img/data/2020_UWFDIBRIEF_17.pdf · 2020-02-03 · 1) 본 brief 17호는 울산여성가족개발원 2019년 수탁연구과제인 「울산 다봄행복센터

3. 초등 자녀 하교 후 부모 퇴근 전까지 돌봄 방법

평소 초등 자녀가 하교 후 부모가 퇴근하여 집에 도착할 때까지의 돌봄 방법은 ‘학원(학습지 등 포함) 수강’ 등 사교육 활용이 37.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부모 중 한 명이 함께 있음’ 34.2%, ‘조부모 또는 친인척 돌봄’ 16.2% 순으로 나타남. 어른 없이 형제자매와 함께 있거나 아동 혼자 기다리는 비율도 5.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남.

4. 추가 돌봄 운영 방식

추가 돌봄 운영 방식에 대해 ‘학교 내 초등돌봄 교실에서 돌보는 방식’을 가장 선호(34.4%)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지자체에서 제공한 돌봄공간에서 전담인력이 돌보는 방식’을 선호함(30.6%).

5. 초등 자녀 돌봄 공백 시 대처방법

평소 초등 자녀를 돌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처하는 방법 1순위 기준으로, 응답자들은 주로 ‘조부모/친인척’(53.6%), ‘이웃/친구 지인’ (22.4%) 등 가족과 친인척 및 지인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응답자의 6.8%는 돌발 상황 발생 시 도움받기 어려워 초등 자녀 혼자 남겨두는 것으로 나타남.

53.6

22.4

8.2

5.2

2.4

0.6

6.8

58.0

11.8

17.6

8.2

6.6

14.2

70.6

1순위 1+2순위

초등 자녀 돌봄 공백 시 대처방법(단위: %)

학원 (학습지 등 포함) 수강

부모 중 한 명이 돌봄

조부모 또는 친인척

형제자매와 함께 있음

유료 돌봄 인력(가사도우미 등)

아이 혼자 기다림

초등돌봄교실(방과후교실) 이용

정부지원 아이돌보미 돌봄

(부모의) 이웃, 친구에 의한 돌봄

지역아동센터 등 기관 이용

37.4

초등 자녀 하교 후 부모 퇴근 전까지 돌봄 방법(단위: %)

34.2

16.2

3.2 2.0 2.0 2.0 1.4 1.0 0.6

학교 내 초등 돌봄교실에서

돌보는 방식

지자체에서 제공한 돌봄공간에서 전담인력이 돌보는 방식

시간제돌봄시설에서 전담인력이 돌보는

방식

이웃주민들이 자조모임을 만들어 돌봄 품앗이 하는 방식

정부지원 집안에서 돌보는 시간제 아이

돌봄서비스 확대

아동 돌봄을 위한 사회적협동조합 혹은 사회적기업의 서비스 이용

34.4

초등 자녀 추가 돌봄 운영 형태(단위: %)

30.6

6.8

16.010.2

2.0

조부모나친인척 도움요청

이웃/친구지인에게 도움요청

공공아이돌봄서비스

자녀 다니는 기관에연장/지원

가사도우미/육아도우미 시간채용

시간제 보육시행

도움받기 어려움

Page 4: 2020 울산여성가족uwfdi.re.kr/img/data/2020_UWFDIBRIEF_17.pdf · 2020-02-03 · 1) 본 brief 17호는 울산여성가족개발원 2019년 수탁연구과제인 「울산 다봄행복센터

03 초등 자녀 돌봄서비스 이용 실태

이용하는(이용했던) 돌봄서비스 가운데 ‘사설기관’이 이용률과 함께 만족도에서도 평균 3.7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다음으로 ‘방과 후 학교’ (3.61점), ‘초등돌봄교실’ (3.60점) 순으로 높게 나타남.

1. 초등 돌봄 서비스 이용 경험 및 만족도

초등 자녀 돌봄을 위해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과거에는 이용해본 적이 있는 돌봄서비스에 대해 학원과 같은 ‘사설기관’이용 경험이 65.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방과 후 학교’ 47.6%, ‘초등 돌봄교실’ 27.0% 순으로 나타남.

지역아동센터

■ 만족 ■ 보통 ■ 불만족

▶ 5점 평균

초등돌봄교실

방과 후 학교

아이돌봄서비스

공동육아나눔터

청소년방과후 아카데미

유료돌봄인력

사설기관

초등 자녀 돌봄 서비스 이용경험(과거경험 포함) 실태(단위: %)

초등 자녀 돌봄 서비스 이용만족도

(단위: %)

(단위: 점)

47.6

65.4

3.71

5.0

3.243.61

4.0

3.45

7.4

3.41

8.0

3.38

4.6

3.39

27.0

3.60

지역아동센터

초등돌봄교실

방과 후 학교

아이돌봄서비스

공동육아나눔터

청소년방과후 아카데미

유료돌봄인력

사설기관

43

.5

43

.5

13.0

60.0

34

.1

5.9

58.4

39

.5

2.1

40

.0

32

.0

28

.0

45

.0

30

.0

25

.0

43

.2

48

.6

8.1

35

.0

55

.0

10.0

67.9

30

.3

1.8

Page 5: 2020 울산여성가족uwfdi.re.kr/img/data/2020_UWFDIBRIEF_17.pdf · 2020-02-03 · 1) 본 brief 17호는 울산여성가족개발원 2019년 수탁연구과제인 「울산 다봄행복센터

3) 공공 돌봄서비스에는 ‘지역아동센터’, ‘초등돌봄교실’, ‘방과 후 학교’, ‘아이돌봄서비스’, ‘공동육아나눔터’,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를 포함하고 사설기관 서비스는 제외함.

2. 초등 돌봄서비스 이용 이유

주로 이용하는(했던) 돌봄서비스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1순위 기준으로 ‘부모가 돌보기 어려워서’가 41.2%로 가장 높게 나타남.

3. 공공 돌봄서비스3) 미 이용 이유

초등 자녀 돌봄을 위해 공공 돌봄 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없거나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있어 1순위 기준으로 ‘돌봄시설에 대한 정보 부족’이 23.3%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함. 다음으로 공공 돌봄시설 대신 사설기관 즉, ‘학원희망’이 20.6%로 높게 나타남. 1·2순위를 합한 응답에서는 ‘자녀 하교 후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시간대의 추가 돌봄 요구도가 29.5%로 높게 나타남.

4. 신뢰할만한 돌봄 서비스 시설의 충분성

지역사회에 ‘믿고 맡길만한’ 돌봄 서비스의 충분성에 대해, ‘불충분’ 하다는 의견이 78.2%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돌봄서비스에 대한 부모들의 욕구를 살펴볼 수 있음.

초등 돌봄서비스 이용 이유(단위: %)

부모가 돌보기

어려워서

아이의 전인격적 발달 및 사회성·인지발달을 위해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이

좋아서

자녀의 특기교육을

위하여

집/학교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비용이 저렴해서

믿고 안심할 수 있어서

야간돌봄/긴급돌봄 서비스를

제공해서

주위에 놀이 상대가

없어서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해

54.8

15.2

29

.3

14.1

26

.0

13.6

29

.0

4.3

13.1

3.3 6

.3

2.8

12.6

2.0 5

.3

2.0

7.1

1.5

11.1

■ 1순위 ■ 1+2순위

초등 돌봄서비스 미 이용 이유 (단위: %)

돌봄시설 정보부족

학원 희망 가족어른 대리양육

낮은 접근성

이용시간 제한

경비부담 환경/시설 열악

저소득층 아이들 이용

프로그램 낮은 품질

정원 초과

37.2

20

.6

28

.9

16.1 19

.4

13.3

31.

1

6.1

15.6

5.0 7

.2

2.8 4

.4

2.8

7.8

2.2 4

.4

1.7

11.1

■ 1순위 ■ 1+2순위

신뢰할만한 돌봄 서비스 시설의 충분성(단위: %)

매우불충분불충분보통충분매우충분

37.6

40.6

18.8

2.6

0.4

불충분78.2

41.2

23.3

Page 6: 2020 울산여성가족uwfdi.re.kr/img/data/2020_UWFDIBRIEF_17.pdf · 2020-02-03 · 1) 본 brief 17호는 울산여성가족개발원 2019년 수탁연구과제인 「울산 다봄행복센터

울주군

남구

중구

중구 다봄행복센터 (2020년 상반기 오픈 예정)

● 주 소 : 울산 중구 종가3길 15 중구종합사회복지관 4층● 연락처 : 추후 공지● 운영 시간 : 미정● 비용 : 미정

북구 다함께돌봄센터 2호점● 주 소 : 울산 북구 효문동 코오롱하늘채 아파트 주민센터 내 ● 연락처 : 052-289-2505● 운영 시간 :학기 중 - 11:00~20:00 방학 중 - 10:00~19:00● 비 용 : 상시돌봄(월 40,000원) 일시돌봄(시간당 1000원)

북구

동구

04 울산광역시 다함께 돌봄센터 개소 현황

북구 다함께돌봄센터 1호점● 주 소 : 울산 북구 동대5길 31● 연락처 : 052-286-0025● 운영 시간 :학기 중 - 11:00~20:00 방학 중 - 10:00~19:00● 비 용 : 상시돌봄(월 40,000원) 일시돌봄(시간당 1000원)

울주군 미담돌봄센터● 주 소 : 울산 울주군 범서읍 구영로 86 GM 프라자 403호● 연락처 : 052-709-9870● 운영 시간 :학기 중 - 13:00~20:00 방학 중 - 09:00~20:00● 비 용 : 상시돌봄(월 120,000원) 일시돌봄(회당 6,500원)

울주군 푸실돌봄센터● 주 소 : 울산 울주군 두동면 대밀길 14● 연락처 : 052-254-7709● 운영 시간: 10:00~19:00 ● 비용 - 상시돌봄(월 40,000원, 간식비 별도) - 일시돌봄(1일 5,000원)

남구 대현돌봄센터● 주 소 : 울산 남구 대암로 90번길 34 ● 연락처 : 052-984-0098● 운영 시간 :학기 중 - 10:00~19:00 방학 중 - 08:00~19:00● 비 용 : 상시돌봄(월 40,000원) 일시돌봄(회당 4000원)

울주군 원동돌봄센터● 주 소 : 울산 울주군 온양읍 터실3길 31● 연락처 : 052-239-0877● 운영 시간 :학기 중 - 11:00~19:00 방학 중 - 09:00~18:00● 비 용 상시돌봄(월 70,000원, 간식비 별도) 일시돌봄(1일 5,000원, 간식비 별도)

* 각 돌볼센터 관련 제시된 정보는 2019~2020년 기준 업데이트 된 것을 토대로 작성되어 추후 변경사항이 있을 수 있음* 동구 다함께 돌봄센터 (2020년 내 오픈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