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발루개황%282011.5%291

22
투발루

Upload: drtravel

Post on 25-Jan-2015

10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Page 2: 투발루개황%282011.5%291
Page 3: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국기

o 투발루의 국기는 1978년 10월 1일에 처음 제정되었으며, 1995년 잠시 폐기

되었다가 1997년에 다시 국기로 제정됨. 1995년에는 영국의 국기 디자인을

없앤 형태를 채택하였으나 투발루 국민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지 못하여

1997년 다시 현재의 국기를 채택함.

o 왼쪽 상단에 그려진 영국의 국기는 이 나라가 영국 연방의 일원임을 의미

하며, 하늘색 바탕에 그려져 있는 9개의 노란색 별은 이 나라를 구성하고

있는 9개의 섬을 의미함. 국기를 세로 방향으로 게양할 때 지리적으로

올바르게 배치되도록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음.

투발루 국장

o 투발루 국장의 금색 방패 바깥쪽에는 여덟 개의 바나나 잎과 여덟 개의

홍합이 장식되어 있으며 방패 안쪽에는 오두막이, 오두막 아래에는 파란색과

금색 두 가지 색으로 구성된 물결무늬가 그려져 있음.

o 방패 아래쪽에 있는 리본에는 투발루의 나라 표어이며 투발루의 국가 제목

이기도 한 "전능함을 위한 투발루" ("Tuvalu mo te Atua") 라는 문구가

쓰여져 있음.

Page 4: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지도

Page 5: 투발루개황%282011.5%291

목 차

Ⅰ 일반개황 357

1. 개 관

2. 지리적 특성

3. 약 사

357

358

359

Ⅱ 정치 ․ 외교 361

1. 정치제도

2. 최근정세

3. 외 교

361

361

363

Ⅲ 경 제 365

1. 개 관

2. 투발루신탁기금(TTF)

3. 2010년도 경제평가 및 2011년도 전망

4. 주요 경제통계

365

366

367

367

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368

1. 외교관계

2. 주요 인사교류

3. 경제 ․ 통상협력

4. 개발협력

5. 재외동포 ․ 영사 관계

368

368

370

371

372

Page 6: 투발루개황%282011.5%291
Page 7: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개황-Ⅰ. 일반개황 357

Ⅰ. 일반개황

1. 개 관

❏ 국 명 : 투발루(Tuvalu)

❏ 면 적 : 26㎢(9개 산호초 섬으로 구성)

❏ 인 구 : 11,800명(2008년)

※ 2002년 센서스 결과 : 총 인구 9,561명, 수도 Funafuti

4,492명

❏ 수 도 : 푸나푸티(Funafuti)

❏ 시 차 : 3시간(한국보다 3시간 빠름)

❏ 인 종 : 투발루인(폴리네시아인, 96%), 기타(4%)

❏ 언 어 : 투발루어, 영어(공용어), 길버트어(Nui 섬)

❏ 종 교 : 대부분 개신교(97%)

❏ 기 후 : 열대해양성

❏ 독 립 일 : 1978년 10월 1일(영국으로부터 독립)

❏ 정부형태 : 입헌군주제(의원내각제)

❏ 국가원수 :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 총 독 : Iakoba Taeia Italeli(이아코바 이탈렐리)

❏ 총 리 : Willy Telavi(윌리 텔라비) (내무장관 겸직)

❏ 외교장관 : Apisai Ielemia(아피사이 이엘레미아)

❏ 의회구성 : 단원제(총 15명, 임기 4년)

❏ 화폐단위 : 호주 달러

❏ 국내총생산(GDP) : US$29.7백만(2008년)

Page 8: 투발루개황%282011.5%291

358 태평양도서국 개황

❏ 1인당 GDP : US$2,515(2008년)

❏ 경제성장률 : 1.3%(2008년)

❏ 물가상승률 : 0.9%(2008년)

❏ 수출입 현황 :

• 수 출 : US$0.1백만 • 수 입 : US$15.5백만(2007년)

❏ 주요 자원 : 코프라, 수산자원(참치)

※ 상기 통계 가운데 인구, GDP는 IMF 내부자료,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수출입 현황은 ADB「Asian Development Outlook」(2010년 4월 발간)

에서 인용

2. 지리적 특성

❏ 투발루는 남태평양 적도 아래에 위치한 9개의 섬으로 구성된

국가이며, 전체 국토 면적이 26㎢에 불과한 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국가의 하나임.

• 대부분의 섬이 산호초 섬(atoll)으로서 해발고도가 매우

낮아(최고 해발고도가 약 5m에 불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시 수몰 위험이 있는 국가로서 최근 국제적 관심을

모으고 있음.

• 국토 면적이 매우 좁을 뿐만 아니라 토질 특성상 농업 경작이

어려우며, 수산자원 이외에는 특별한 부존자원이 없음.

❏ Funafuti, Nukufetau, Nui, Nanumaga, Niutao, Nanumea,

Nukulaelae, Vaitupu, Niulakita의 9개 섬으로 구성되어 있음.

• 이 가운데 수도는 Funafuti 섬이며, 동 섬의 Fangafale

지역에 국제공항 및 정부 건물이 소재하고 있음.

※ 국명인「Tuvalu」는“8개의 무리”라는 의미인데, 이는 20세기 전까지

가장 작은 섬인 Niulakita에는 사람들이 거주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됨.

Page 9: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개황-Ⅰ. 일반개황 359

3. 약 사

가. 투발루의 기원

❏ 투발루에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약 2,000년 전으로,

이들의 대부분은 폴리네시안인으로서 사모아와 통가지역으로

부터 이동해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한편 Nui 섬을 비롯하여 키리바시에 가까운 편인 북쪽 섬들에는

마이크로네시아인들도 이주해옴.

❏ 투발루 전통 사회는 알리키(aliki)라 불리는 추장을 중심으로

계층적으로 구성되었으며, 가족별로 대를 이어 전승되는

각각의 직능(고기잡이, 목수, 의사 등)에 종사하였음.

나. 유럽인의 방문과 기독교 전파

• 1568년 스페인 탐험가인 Alvaro de Mendana가 페루에서

솔로몬 군도로 항해중 투발루의 Nui 섬을 목격하기도 하였고,

1781년 Francisco Antonio Mourelle이라는 스페인인이

Niutao 섬을 방문하기도 하였으나, 투발루는 1820년대 이후

에야 비로소 유럽인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됨.

• 1819년 투발루를 방문한 영국 상선 Rebecca호의 선장인

미국인 De Peyster는 동인의 친구인 영국 정치인 Edwards

Ellice의 이름을 따서 Funafuti 섬을「Ellice's Island」라고

명명함.

❏ 1865년 영국의「London Missionary Society (LMS)」로부터

파견된 사모아인 선교사들이 각 섬들에 거주하게 된 이래 투발루

사회에서 전통 추장(aliki)의 권위는 점차로 약해져 갔으며,

투발루인들은 기독교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됨.

Page 10: 투발루개황%282011.5%291

360 태평양도서국 개황

다. 영국의 통치와 분리 독립

❏ 투발루는 1886년 영국의 영향권 하에 편입되었으며, 1892년

에는 키리바시와 함께「Gilbert and Ellice Islands」보호령의

일부가 되었다가 1916년 영국의 정식 식민지가 되었음.

• 이때부터 수백명의 투발루인이 키리바시 바나바 섬과 나우루의

인광석 광산에서 근로자로 일하기 시작하였고, 일부는 상기

보호령의 행정중심지였던 키리바시 타라와 섬에서 일하기도

하였음.

❏ 제2차 세계대전시 일본의 태평양 점령지 확장에 대응하기 위하여

약 6,000명의 미군이 투발루에 진주하는 등 미군 기지로

이용되었으나, 큰 피해 없이 종전을 맞을 수 있었음(현 국제

공항을 당시 미군이 건설).

• 한편, 일본군에 점령되었던 키리바시와 나우루에서 일하던

투발루인들은 전쟁중 억류되었다가 2차대전 종전 후 투발루로

귀국함.

❏ 투발루는 1974년 주민투표 결과에 따라 키리바시와 분리된

별도의 행정단위가 되었다가, 1978년 10월 1알 영국으로부터

독립함.

• 투발루가 분리를 희망한 이유는 키리바시(마이크로네시아인)와

투발루(폴리네시아인)간의 인종 ․ 문화적 상이성과 함께, 투발루의

인구가 적어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을 우려하였기 때문임.

❏ 투발루는 1979년 미국과 우호조약을 맺었으며, 미국측은

동 조약을 통해 투발루 4개 섬에 대한 기존의 영유권 주장을

포기함.

Page 11: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개황-Ⅱ. 정치 ․ 외교 361

순번 성 명 재임연도 비 고

1 Toaripi Lauti 1978-1981 정기총선

2 Tomasi Puapua 1981-1989 (1985년 재선) 정기총선

3 Bikenibeu Paeniu 1989-1993 정기총선

4 Kamuta Latasi 1993-1996 사임 권고

5 Bikenibeu Paeniu 1996-1999 (1998년 재선) 불신임안 가결

6 Ionatana Ionatana 1999-2000 재임중 서거

7 Faimalaga Luka 2001.2-2001.12 불신임안 가결

8 Koloa Talake 2001-2002 정기총선

Ⅱ. 정치 ․ 외교

1. 정치제도

❏ 투발루는 입헌군주제 및 의원내각제 국가로서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국가원수임.

• 영국 여왕은 총리의 권고에 따라 투발루에서 영국 여왕을

대표하는 투발루인 총독(Governor-General)을 임명함.

❏ 행정수반인 총리는 의회에서 선출되며, 총리의 권고에 따라

총독이 임명하는 각료들(현재 6명)로 내각이 구성됨.

❏ 투발루 의회는 단원제로서 총 15명의 의원이 8개의 지역구에서

선출되며, 정당제도는 확립되어 있지 않음(의회 임기는 4년).

• 2010년 정기 총선이 실시되었으며, 차기 총선은 2014년 9월경

예정

❏ 투발루는 경찰조직은 있으나 군대는 보유하고 있지 않음.

2. 최근정세

가. 역대 총리 명단

Page 12: 투발루개황%282011.5%291

362 태평양도서국 개황

순번 성 명 재임연도 비 고

9 Saufatu Sopoanga 2002-2004 불신임안 가결

10 Maatia Toafa 2004-2006 정기총선

11 Apisai Ielemia 2006-2010 정기총선

12 Maatia Toafa 2010.9-2010.12 불신임안 가결

13 Willy Telavi 2010-현재

나. 2010년 Willy Telavi 정부의 수립

❏ 2006년 출범한 Apisai Ielemia 내각은 안정적으로 4년 임기를

마치고 2010년 9월 16일 정기 총선이 실시되었으며, 2010년

9월 29일 의회에서 실시된 선거에서 Maatia Toafa 전 총리가

8:7로 신임 총리로 선출되어 동일 Maatia Toafa 내각이 취임함.

❏ 그러나 투발루 의회는 2010년 12월 21일 동 총리에 대한

불신임 투표안을 가결하였으며, 2010년 12월 24일 의회에서

실시된 선거에서 Willy Telavi 전 내무장관을 8:7로 신임 총리로

선출하였음.

• 이러한 총리 교체는 당초 Toafa 내각에 각료로 참여하고 있던

Telavi 신임 총리가 반대파 의원들의 총리 후보직 약속에

따라 이들과 합류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짐.

<신임 내각 명단(2010년 12월 24일 출범)>

No. Name Portfolio

1 Willy Telavi 총리 겸 내무장관

2 Kausea Natano 부총리겸 교통 ․ 통신, 공공서비스 장관

3 Apisai Ielemia 외교, 환경, 무역, 노동 및 관광 장관

4 Lotoala Metia 재무, 경제개발 장관

5 Dr. Falesa Pitoi 교육, 청소년, 스포츠 장관

6 Taom Tanukale 보건장관

7 Isaia Italeli Taeia 자원장관

※ 의회 의장 : Sir Kamuta Latasi

Page 13: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개황-Ⅱ. 정치 ․ 외교 363

3. 외 교

가. 개 관

❏ 투발루는 2000년 9월 5일 유엔에 189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한

이래 다수 국제기구에 가입하고 있으며 영연방의 일원임.

❏ 제한된 외교 역량상 투발루 정부는 태평양도서국포럼(PIF:

Pacific Islands Forum) 등 태평양 지역기구를 통한 역내관계

증진과 일부 직접적 이해관계국과의 양자 관계에 외교의 중

점을 두고 있음.

나. 기후변화 문제와 투발루

❏ 투발루는 산호초 섬으로서 해발고도가 매우 낮아 해수면 상승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상징하는 국가로서 최근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짐.

❏ 투발루 정부는 기후변화를 자국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로 보고,

관련 국제회의에서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각국의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해 적극 발언해오고 있음.

다. 주요국과의 관계

(1) 피 지

❏ 투발루는 태평양도서국 가운데에서도 인근 국가인 피지와 정치,

경제, 무역, 교육 및 인적 교류 측면에서 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

• 투발루는 피지 수도 수바에 자국 대사관을 두고 있고, 투발루와

피지 수바간에는 투발루와 해외를 연결하는 유일한 국제

항공편이 주2회 운항되고 있음.

Page 14: 투발루개황%282011.5%291

364 태평양도서국 개황

(2) 호주 ․ 뉴질랜드

❏ 역내 중심국가인 호주와 뉴질랜드는 투발루는 주요 교역상대

국이자 공여국으로서 호주는 2010-2011 회계 연도에 8.9백만

호주불 상당의 개발원조를 제공하였고, 뉴질랜드는 같은 해

3백만 뉴불 상당의 개발원조를 제공함.

(3) 대 만

❏ 투발루는 대만과 수교하고 있는 6개 태평양도서국(키리바시,

마샬군도, 나우루, 팔라우, 솔로몬군도, 투발루) 가운데 하나로,

1978년 이래 대만과 수교관계를 맺고 있음.

• 대만 정부는 투발루 수도 푸나푸티에 상주 대사관을 두고,

투발루 정부청사 건물과 국영 Vaiaku Lagi 호텔 건립자금을

제공하는 등, 많은 경제 원조를 제공하고 있음.

◈ 투발루 소재 외국 공관 : 대만대사관

◈ 투발루의 해외공관 : 대사관 1(피지), 대표부 1(유엔)

Page 15: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개황-Ⅲ. 경제 365

Ⅲ. 경 제

1. 개 관

❏ 투발루는 유엔이 지정한 최빈국(LDCs)의 하나로서, 산업 기반이

미비하여 수도 푸나푸티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어로

및 풀라카(pulaka) 재배 등 전통적 자급경제에 의존하고 있음.

• 따라서 투발루 경제에서는 정부 부문이 압도적이며(2009년

기준 GDP의 89.6%), 해외 원조도 큰 비중을 차지함.

※ 풀라카(pulaka)는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재배되는 타로와 유사한

뿌리식물로서 투발루 주민들의 전통적 탄수화물 공급원임.

❏ 투발루는 수출 품목이 거의 없는 반면 생활에 필요한 대부분의

물품은 해외로부터 수입하기 때문에, 만성적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

• 2007년 기준 투발루의 주요 수입대상국은 1) 호주, 2) 피지,

3) 싱가포르, 4) 뉴질랜드, 5) 중국이며, 투발루의 수출

품목은 코프라(말린 코코넛 열매), 우표, 수공예품, 수산자원

정도에 불과함.

❏ 투발루의 주요 수입원은 1) 투발루 해외근로자(주로 선원) 송금,

2) 외국 정부로부터의 입어료, 3) 투발루신탁기금(TTF) 수익,

4) 인터넷 국가 도메인명(.tv) 대여료 등임.

※ 2008년 기준 해외입어료 수입은 투발루 전체 GDP의 23.8%, 도메인

대여료는 6.3%에 해당함.

Page 16: 투발루개황%282011.5%291

366 태평양도서국 개황

2. 투발루신탁기금(TTF)

❏ 투발루 정부는 영국 정부가 독립후 제공해오던 투발루 정부에

대한 재정 지원을 1987년부터 16년간에 걸쳐 점차로 중단해

나가기로 결정하자, 펀드 설립을 통한 지속적 정부 수입원

마련 방안을 추진함.

❏ 이에 따라 1987년 투발루, 영국, 호주, 뉴질랜드 정부가 기여

하여「투발루 신탁기금(Tuvalu Trust Fund)」을 설립하였으며,

현재 동 기금의 수익이 투발루 정부 재정에 있어 중요한 자산이

되고 있음.

◈ 투발루 신탁기금 개요

1. 설 립 ㅇ 설립연도 : 1987년 투발루, 호주, 뉴질랜드, 영국 정부간 합의에 의하여

설립 ※ 투발루 국내법상 근거 :“Tuvalu Trust Fund(Finance

and Information) Act 1987" ㅇ 설립목적 : 투발루 정부의 재정적자 보완 및 국가 경제발전 도모,

재정자립도 및 지속성 제고

2. 각국 기여금 현황 ㅇ 1987년 발족 당시 총액은 27.1백만 호주달러였으며, 이후 펀드 수익

및 각국의 추가 기여 등으로 2007.6.30 기준 평가액이 약 1억 호주달러로 증가

- 국별 기여금(설립당시) : 투발루 160만불, 호주 800만불, 뉴질랜드 830만불, 영국 850만불, 일본 70만불, 우리나라 31,000불

- 우리나라는 1991년 3만 미불, 2010년 3만 미불 추가 기여 ㅇ 기금 구좌는 자본금 구좌(A account)와 투발루 정부가 사용가능한

수익금 구좌(B account)로 구분하여 운영

3. 펀드 운영 구조 ㅇ 이사회(Board of Directors) : 주요 의사결정기관 - 투발루(의장), 호주, 뉴질랜드, 영국측 임명 이사 각 1명으로 구성 - 연 2회 이사회 개최 ㅇ 자문위원회(Advisory Committee) : 이사회 보조기관 - 투발루(2명), 호주, 뉴질랜드, 영국측 임명 위원(각 1명)으로 구성 - 이사회 개최 1개월전 자문회의를 개최, 이사회에 보고서 제출 ㅇ 사무국 : 투발루 수도 Funafuti 소재 ㅇ 펀드운영 : 펀드 매니저(호주 소재 2개사)가 운용하며, 이외 정기적 펀드

모니터링 및 연례감사(Audit) 체제 운영중

Page 17: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개황-Ⅲ. 경제 367

3. 2010년도 경제 평가 및 2011년도 전망

※ 출 처 : ADB,「Asian Development Outlook 2010 Update」, 2010년 9월

ADB,「Pacific Economic Monitor」, 2010.12

❏ 2010년도 투발루 경제는 정부 지출 증가로 약 1.6% 성장한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2011년에도 비슷한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나, 해외선원들의 해외송금액 감소 지속시

성장률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

❏ 한편, 2010년도 투발루 정부 수입은 3% 감소한 24.2백만

호주불에 그친 반면, 개발 및 의료 분야 지출로 인해 정부

지출은 9.3% 증가한 37.6 백만 호주불을 기록함으로써, 투발루

정부의 재정 적자는 11.5백만 호주불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4. 주요 경제통계

❏ 주요 경제지표(2001-2010)

※ 아래 통계는 ADB,「Asian Development Outlook」(2010년 4월 발간)에서 인용

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1인당 GDP

(PPP/불)․ ․ ․ ․ ․ ․ ․ ․ ․ ․

GDP

(PPP/백만불)․ ․ ․ ․ ․ ․ ․ ․ ․ ․

경제성장률(%) 13.2 5.5 -3.2 -1.3 -4.1 6.6 4.9 1.3 1.5 ․물가상승률(%) 1.3 8.0 3.3 2.8 3.2 0.9 0.6 0.9 ․ ․

❏ 주요 무역통계

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상품수출

(백만불)0.0 0.1 0.1 0.1 0.1 0.1 0.1 ․ ․ ․

상품수입

(백만불)3.5 11.1 15.6 11.4 12.9 13.5 15.5 ․ ․ ․

Page 18: 투발루개황%282011.5%291

368 태평양도서국 개황

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 외교관계

가. 외교관계 수립

❏ 우리나라는 1978년 10월 1일 독립과 동시에 투발루를 국가

승인하고, 1978년 11월 15일 양국간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음.

• 양국 모두 상대국에 상주 대사관은 설치하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주피지대사관에서 투발루를 겸임하고 있음.

※ 투발루는 북한과는 미수교

❏ 투발루 정부는 1994년 9월 김승호 보령제약 회장(현 명예회장)을

주한 투발루 명예 총영사로 임명함.

• 주 소 : 서울시 종로구 원남동 66-21(전화 : 708-8000)

나. 양국관계 현황

❏ 양국은 1978년 11월 15일 수교 이래 우호적 관계를 유지해왔으며,

투발루측은 국제무대에서 우리측 입장을 적극 지지해옴.

• 우리측은 국제 무대에서의 지지 확보 및 어업분야 협력,

투발루측에서는 개발원조 확보가 주요 관심사항임.

2. 주요 인사교류

❏ 투발루인사 방한

• 1979.3.12-15 Sione 상무 ․ 자연자원부 장관 방한

Page 19: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개황-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369

• 1979.6.11-15 Ionatana 비상주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한

• 1980.6.15-19 Ionatana 비상주 주한대사, 어업회담

참석차 방한

• 1982.3.4-6 Seluka 자원장관 방한

• 2002.12.9-12 Sio Tine Leuelu 외무차관 및 Patiale

의회의원 방한

(민주주의 공동체 회의 참석차)

• 2007.12.8-10 Apisai Ielemia 총리 내외 실무 방한

• 2008.8 Iakoba Italeli 보건장관, 태평양도서국

보건장관 회의 참석차 방한

• 2009.8.19-21 Apisai Ielemia 총리, 인천 세계도시물

포럼 참석차 방한

❏ 아국인사 방문

• 1978.11.8-16 주뉴질랜드 대사관 강승구 참사관, 수교

교섭차 투발루 방문

• 1979.5.28-6.7 이춘성 주뉴질랜드대사 방문

• 1982.1.10-15 장기안 주피지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문

• 1983.12.6-9 김성구 주피지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문

• 1987.5.13-15 김현진 주피지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문

• 1990.9.8-11 백영기 주피지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문

• 1993.7.24-27 강근택 주피지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문

• 1995.7.27-28 김승호 주한 투발루 명예 총영사(보령

제약 회장) 방문

• 1996.1.11-12 강근택 주피지대사, 이임 인사차 방문

Page 20: 투발루개황%282011.5%291

370 태평양도서국 개황

• 1996.7.2-5 문병록 주피지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문

• 1999.2.10-12 문병록 주피지대사, 이임 인사차 방문

• 1999.11.18-20 임대택 주피지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문

• 2000.12.11-13 임대택 주피지대사, 고 Ionatana 총리

장례식 참석차 방문

• 2004.1.12-15 박병연 주피지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문

• 2006.3.6-9 김봉주 주피지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문

• 2008.1.22-25 전남진 주피지대사, 신임장 제정차 방문

• 2008.12.16-18 전남진 주피지대사, 무상원조 전달식

참석차 방문

• 2010.12.21-23 전남진 주피지대사, 정기 업무협의차 방문

3. 경제 ․ 통상협력

가. 양국간 교역 현황

❏ 투발루의 경제 규모가 작고 수출 품목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양국간 교역 수준은 미미하며, 최근 양국간 교역 통계는

아래와 같음.

<연도별 양국간 교역통계>

구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수출 130 128 156 88 90 58 33 81 80 128

수입 ․ ․ 58 0 ․ 0 0 1 1 1

(단위 : 천미불, 자료 : 무역협회)

Page 21: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 개황-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371

사업형태 사업내용

물자지원

1991년 구급차, 차량, 자전거, 신탁기금(6만불)

1992년 공공행정 물자지원(1만불)

1993년 차량 지원(3만불)

1994년 모터사이클 지원(2만불)

1995년 차량 지원(1만불)

1996년 차량 및 부품 지원(2만불)

1997년 트럭(1.5만불), 사무기기(5천불) 지원

1998년 차량 지원(1만불)

2001년 차량 지원(1만불)

2005년 차량 지원(4만불)

2008년 차량 지원(16만불)

2009년 경제정책활동지원(1만불), 신탁기금출연(3만불)

나. 양국간 수산협력

❏ 투발루 주변 해역은 우리나라 원양어선이 조업하는 수역이며,

우리나라와 투발루 정부는 1980년 6월 18일 양국간 어업협정을

체결하였음.

4. 개발협력

가. 지원 현황

❏ 1991-2009년간 KOICA 지원 총액 : 47만불

• 주로 소규모 물자지원 및 연수생 국내초청 형태

※ KOICA를 통하지 않은 각 부처별 지원액 불포함

<연도별 지원금액>

(단위 : 만불)

연도 1991-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지원액 21 2 ․ ․ ․ ․ ․ 16 ․ 8

나. 주요 지원내역

Page 22: 투발루개황%282011.5%291

372 태평양도서국 개황

사업형태 사업내용

긴급구호 1993년 긴급원조(5천불)

1999년 한발피해 현금지원(1만불)

민간단체 지원 1건 2천불

연수생 초청

1991년 어로기술․수산양식(1명)

2005년 한 ․ 싱가포르 공동연수(도시 및 지역개발/싱측) 2명

※ 총 2건 3명

※ 상기와 별도로 2008-2010년간 외교부 주관 대 PIF 회원국 협력사업인 대

PIF 전자정부 연수사업에 2008년, 2009년 2명, 2010년 1명, 총 5명 참가

5. 재외동포 ․ 영사 관계

가. 비자 관련 사항

❏ 우리나라 국민의 투발루 방문시 30일간 무비자 체류 가능

나. 재외동포 현황

❏ 투발루에 상주하고 있는 우리나라 교민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