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21
세상 속의 5강

Upload: others

Post on 24-Aug-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세상 속의 나5강

Page 2: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1

2

따라가는 나

배척하는 나

바로잡는 나

Mapping your life

3

4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2

Page 3: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1. 따라가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3

세상 속의 나5강

Page 4: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1) 피델 카스트로와 피그만 침공 사건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4

세상 속의 나5강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 나

집단 의사 결정 상황에서 집단 구성원들이 응집력과 획일성을 강조하고

반대 의견을 억압하여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사고방식 (Janis, 1972)

집단사고(groupthink)

케네디 대통령과 자문위원들의 쿠바 침공 계획 토의

만장일치로 결정됨

그러나 작전 실패로 끝남(Higgins, 1987)

Page 5: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1. 따라가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5

세상 속의 나5강

Page 6: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1. 따라가는 나

1-2. 동조

단지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 행동을 따라 하는 것

(Schacter, Gilbert & Wegner, 2009)

동조(conformity)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6

세상 속의 나5강

Page 7: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1) 동조 실험(Asch, 1955)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7

세상 속의 나5강1. 따라가는 나

‘기준 막대의 길이와 같은 것은?’이라고 질문.

모두가 오답을 말할 경우 진짜 참여자도 오답을 말함.

자신의 의견과 달라도 집단의 압력 때문에 동조함

집단 의사결정 상황에서 한 사람의 반대 의견이 역사를 바꿀 수 있음

3의 법칙: 3명만 있어도 일어나는 동조

집단 크기와 동조(Asxh, 1956)

Page 8: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1. 따라가는 나

1-3. 복종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8

히틀러가 정복한 국가들

세상 속의 나5강

히틀러의 배경

히틀러의 연설(Levyatan, 2009)

Page 9: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히틀러를 따른 아이히만

한나 아렌트(Hanna Arendt): 아이히만의 행동이

복종과 추종에 의한 것이었다고 주장함

1. 따라가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9

세상 속의 나5강

에릭슨이 본 히틀러(Erikson, 1942, 1950)

남자 아동이 어머니의 사랑을 얻기 위해 아버지와 경쟁하는 삼각 관계에서

경험하는 복잡한 심리적인 갈등(Freud, 1913)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Page 10: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1) 복종 실험(Milgram, 1963, 1974)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세상 속의 나5강1. 따라가는 나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남의 명령을 따르는 것(Milgram, 1963, 1974)

복종(obedience)

교사역할과 학생역할(가짜)를 두고, 기억 과제를 틀릴 때마다

전기충격을 주어 학생을 처벌하도록 지시함

그 결과, 대부분이 300V 이상의 전기충격 줌

10

Page 11: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2. 배척하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11

세상 속의 나5강

편 가르기의 진화심리학적 설명(Workman & Reader, 2013)

같은 집단끼리 협동 = 자원 획득

다른 집단의 등장 = 자원 고갈

편가르기: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집단을 적으로 생각하여 배척

편가르기의 심리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Page 12: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2. 배척하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12

세상 속의 나5강

Page 13: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2. 배척하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13

세상 속의 나5강

한 집단 내에서 한 명이 두 명 이상에 의해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행동에 노출되는 현상 (곽금주, 1999; 곽금주, 2008)

왕따(wang-ta)

2-1. 왕따

1)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왕따

Page 14: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2. 배척하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14

세상 속의 나5강

집단 생활을 하는 모든 동물에게서 나타남

종 보편적

면신례: 신입관리들의 신고식

시대 보편적

세계 각국에서 볼 수 있는 현상, 나라 별 왕따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함(Smith et al. 2002)

문화 보편적

Page 15: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2. 배척하는 나

2) 왕따의 동서양 차이(Smith, Kwak, & Toda, 2016)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15

세상 속의 나5강

사회적 배제

“둘 씩 진행하는 놀이에서 아무도 줄리아의 짝이 되어주지 않는다.

이것은 왕따인가?”라는 질문에

서양권보다 동양권에서 이를 왕따라고 대답한 비율이 더 높았음

Page 16: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2. 배척하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16

세상 속의 나5강

성별에 근거한 배제

“여자 아이들은 마크가 남자라서 함께 줄넘기를 하지 못하게 한다.

이것은 왕따인가?"라는 질문에

동양권은 ‘왕따가 아니다’라는 반응을 보인 반면

서양권에서는 이를 왕따로 여김

Page 17: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2. 배척하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17

세상 속의 나5강

연령에 근거한 배제

“팀은 밀리의 실력이 뛰어나지만 후배라는 이유로

시합에 참여하지 못하게 했다. 이것은 왕따인가?”라는 질문에

서양권은 이를 왕따라고 생각했지만

동양권은 유교의 영향으로 이를 왕따로 보지 않음

국가마다 상이한 왕따의 기준

Page 18: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3. 바로잡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18

세상 속의 나5강

Page 19: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3. 바로잡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19

3-1. 감성소통

세상 속의 나5강

감성소통,

말보다 감정으로 하는 것

1) 내 이야기만 하지 마라(Savoy, 2010)

존 매케인(John McCain)의 연설 vs. 버락 오바마(Barack Obama)의 연설

메케인은 ‘I’, ‘my’라는 용어를 더 자주 씀

오바마는 ‘you’, ‘us’라는 용어를 더 자주 씀(Savoy, 2010)

Page 20: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2) 귀를 기울여라(Seltzer et al., 2010)

3. 바로잡는 나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20

세상 속의 나5강

상대의 말에 귀를 기울여주는 것 = 심리적 포옹(psychological hug)

Page 21: 5강 세상속의나 · 2017. 4. 2. · 5강 세상속의나 1-1. 집단사고 1. 따라가는나 집단의사결정상황에서집단구성원들이응집력과획일성을강조하고

3. 바로잡는 나

3) 정서를 이해하라

흔들리는 20대 (곽금주) 21

책을 통한 경험(Gonzalez et al., 2006)

글과 뇌의 활성화(Speer et al., 2009)

세상 속의 나5강

독서량이 많을수록 공감 능력 높음

독서량을 늘려라(Mar et al., 2009)

글을 읽을 때 자신이 직접 하듯이 뇌가 활성화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