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15
Bong-Kee Lee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소성가공 9. Rolling (I)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 소성가공 Overview 압연(rolling) 평판 압연 길이가 평판, 판재, 박판을 고속으로 가공함 냉간 가공인 경우 표면 정도가 좋음 대규모 초기 투자가 필요함 형상 압연 I-빔과 같은 각종 구조용재를 생산함 나사의 전조도 포함함 공형 롤과 고가의 장비가 필요함

Upload: others

Post on 30-Jan-2020

1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Bong-Kee Lee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소성가공

9. Rolling (I)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Overview

압연(rolling)– 평판 압연

• 길이가 긴 평판, 판재, 박판을 고속으로 가공함• 냉간 가공인 경우 표면 정도가 좋음• 대규모 초기 투자가 필요함

– 형상 압연• I-빔과 같은 각종 구조용재를 생산함• 나사의 전조도 포함함• 공형 롤과 고가의 장비가 필요함

Page 2: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압연– 긴 소재를 롤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압축력을 가해줌으로

써 소재의 단면을 감소시키거나 단면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공정

• 후판(plate)– 일반적으로 6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구조용: 선체, 보일러, 교량, 기계구조물, 원자로 등

• 박판(sheet)– 일반적으로 6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후속 공정을 거쳐 판재 제품으로 가공: 자동차 차체, 가전 제품, 음식

및 음료 용기, 주방기기 등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압연

Page 3: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두 개의 회전하는 롤 사이로 소재가

들어와서, 롤 간격(roll gap) 부분에서 압축력을 받아 그두께가 감소되는 공정

– 소재의 속도는 롤 사이를 지나면서 점점 증가함– 일반적으로 소재의 폭도 증가됨

Schematic illustration Friction forces Roll force and torque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최대 압하량(maximum possible draft)

• 소재의 초기 두께와 압연 후 두께의 차이로 정의됨• 일반적으로 (a)소재와 롤 사이의 마찰계수(μ 및 (b)롤 반경(R)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음

• 마찰 및 롤 반경이 클수록, 최대 압하량의 값도 증가함

μ

Page 4: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압하력(roll force), 롤 토크(roll torque), 동력(power)

• 압연 공정 중, 소재의 두께 감소를 위하여 롤은 평판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따라서 압축 하중(압하력, F)이 작용함

– 평판 압연 압하력의 단순 예측

L: 롤과 소재의 접촉호의 길이, w: 소재의 폭, Yavg: 평균 유동응력

• 롤 토크– 압하력 F가 접촉호의 중간에 작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롤 하나의 토

2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압하력(roll force), 롤 토크(roll torque), 동력(power)

• 롤 하나의 동력

(단위; F[N], L[m], N[rpm])

• 두 개의 롤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동력

ωπ60,000

2π60,000

Page 5: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압하력의 감소 방법

• 소재와 롤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킴• 작은 크기의 롤을 이용함: 접촉 면적의 감소• 두께 감소율(압하율)을 감소시킴: 접촉 면적의 감소• 고온에서 압연 공정을 수행함: 소재의 강도 감소• 소재에 장력을 가해줌

– 압연 방향으로 장력을 가함으로써 소재의 압축방향 항복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

– 입구부(후방 장력, back tension)나 출구부(전방 장력, front tension), 또는 양방향에서 가할 수 있음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롤의 배치

4단식(4-high rolling mill)

2단식(2-high mill)

3단식(3-high mill)

클러스터 형(Sendzimir mill)

Page 6: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롤 변형(roll bending)

• 압하력에 의하여 압연 공정 중 롤의 탄성 변형이 나타남• 롤 재료의 탄성 계수(elastic modulus)가 클수록 롤 변형은 적음

압하력에 의한 직선 롤의 변형

캠버(camber)를 가지는 롤의 변형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퍼짐(spreading)

• 두께에 대한 폭의 비(width-to-thickness ratio)가 큰 경우, 압연 중소재의 폭은 일정하게 유지됨: 평면변형률 조건

• 두께에 대한 폭의 비가 작은 경우, 롤 사이를 지나면서 소재의 폭이 크게 늘어남: 퍼짐

– 두께에 대한 폭의 비가 작을수록, 마찰이 작을수록, 소재 두께에 대한 롤 반경의 비가 작을수록; 퍼짐량이 증가함

– 수직롤을 이용한 소재의 옆면을 구속

Page 7: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진동(vibration)과 채터(chatter)

• 압연 공정의 품질과 생산성에 주요한 영향을 줌• 채터: 자려 진동(self-excited vibration)

– 압연뿐만이 아니라 압출, 인발, 절삭, 연삭 등 다른 금속 가공 공정들에서도 나타날 수 있음

– 매우 복잡한 현상으로 압연기 구조와 압연 작업의 동역학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나타남

– 압연 판재의 두께와 표면 정도에 편차가 발생하게 됨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평판 압연 작업

• 압연은 고온에서 처음 시작됨(열간 압연): 잉곳(ingot)이나 연주(continuous casting)된 금속을 미세한 조직과 향상된 연성을 가지는 단련 구조(wrought structure)로 바꾸어 줌(취성 조직 경계의파괴와 기공과 같은 내부 결함의 제거)

– 슬래브(slab) 혹은 블룸(bloom)의 제작

Page 8: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평판 압연 작업

– 슬래브: 일반적으로 사각 단면을 가짐– 블룸: 일반적으로 최소 150m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정사각 단면을

가짐– 빌렛(billet): 블룸과 마찬가지로 정사각 단면을 가지나 그 크기가 작

음; 형상 압연과 같은 후공정을 통하여 환봉(round rods)과 각봉(bars) 등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됨

– 슬래브, 블룸, 빌렛의 열간 압연 전, 일반적으로 소재 표면의 청정작업을 수행함: 화염 가열(scarfing), 거친 연삭 등

• 냉간 압연(cold rolling)– 상온에서 수행됨– 열간 압연 제품에 비하여 매우 뛰어난 표면 정도, 치수 정밀도 및 기

계적 물성을 가짐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평판 압연 작업

• 겹침 압연(pack rolling)–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두 개 이상의 금속을 겹쳐서 압연함– 예. 알루미늄 포일

• 정직 롤(leveling rolls)– 압연된 제품의 평탄도(flatness) 향상을 위하여 수행함

압연 판재 정직 환봉 정직

Page 9: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평판 압연 작업

• 결함– 압연된 후판 및 박판의 표면(표면 결함) 혹은 내부(구조적 결함)에 발

생할 수 있음– 표면 상태의 저하 및 제품의 강도, 성형성, 제작 특성 등에 영향을 줌

파도형 결함(wavy edges) 중앙부 터짐(zipper cracks)

측면 균열(edge cracks) 입벌림 결함(alligatoring)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평판 압연 작업

• 잔류 응력– 롤 사이에서의 불균일한 변형으로 나타나며, 특히 냉간 압연에서 크

게 나타남– 작은 직경의 롤 혹은 압하율이 작은 경우에는 소재의 표면에서만 소

성 변형이 일어남: 표면의 압축잔류응력/내부의 인장잔류응력

Page 10: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평판 압연(flat rolling)– 평판 압연 작업

• 치수 공차– 냉간 압연된 박판의 두께 공차는 일반적으로 0.1에서 0.35mm로 나

타남: 열간 압연의 경우, 온도의 영향으로 공차가 더 크게 나타남– 평탄도 공차: 냉간 압연 15mm/m 이내, 열간 압연 55mm/m 이내

• 표면 거칠기– 냉간 압연된 박판은 매우 뛰어난 표면 정도를 보이기 때문에 추가적

인 표면 가공이 요구되지 않음– 열간 압연의 경우 사형 주조(sand casting)와 비슷한 정도의 표면 거

칠기를 보임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압연기(rolling mill)– 2단 압연기(2-high rolling mill)

• 잉곳 혹은 연주 제품의 열간 압연에 이용됨• 롤 직경: 0.6~1.4m

– 3단 압연기(3-high rolling mill, reversing mill)• 한 번의 압연 공정 후, 소재의 이송 방향이 변경됨• 이송기(elevator) 및 다양한 작동기구(manipulator)가 요구됨

Page 11: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압연기(rolling mill)– 직렬형 압연기(tandem rolling)

• 판재가 다수의 스탠드(stand)를 연속적으로 통과함• 각 스탠드는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롤 세트로 구성되어 있음• 트레인(train): 스탠드들의 군(group)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압연기(rolling mill)– 롤 재료

• 기본적인 요구 조건: 강도, 내마모도(마모 저항)• 주철(cast iron), 주강(cast steel), 단조강(forged steel)• 초경합금(tungsten carbide): 클러스터 압연기의 작업 롤(working

roll)과 같은 작은 직경의 롤에 주로 이용됨

– 윤활• 철 합금의 열간 압연은 윤활이 없이 주로 진행되나, 흑연(graphite)

이 이용되기도 함• 롤의 냉각 및 압연된 판재의 표면 스케일 제거를 위하여 수용성

냉각수가 이용됨

Page 12: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기타 압연 작업– 형상 압연(shape rolling, profile rolling)

• 다양한 모양의 단면재, 채널 강, I-빔, 철도 레일 등과 같이 길이가길고 직선인 구조재

• 특수 설계된 일련의 롤사이를 블룸을 통과시켜열간 압연함•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선재를 이용한 냉간 형상 압연도 이용될 수 있음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기타 압연 작업– 압연 단조(roll forging, cross rolling)

• 그루브 형상을 가지는 롤 사이에서 원형 단면의 소재가 압연되는공정

– 강구전조작업(skew rolling)• 선재나 봉재 형태의 소재가 롤 사이로 이송이 되어 회전하는 롤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형으로 성형됨

압연 단조의 개략도 강구전조작업(베어링용 강구 제조)

Page 13: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기타 압연 작업– 링 압연(ring rolling)

• 두꺼운 링 형상을 이용하여 직경을 늘리고 두께를 줄이는 공정• 링 소재가 두 개의 롤 사이에 놓이고, 하나의 롤이 회전하며 롤 간

격을 줄이면서 두께를 줄여 나감• 로켓이나 터빈 용 대형 링, 기어바퀴 림, 베어링의 레이스, 플랜지,

파이프 보강 링 등의 제작에 이용함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기타 압연 작업– 나사 전조(thread rolling)

• 원형 봉재나 선재의 표면에 직선 또는 테이퍼진 나사산을 성형하는 냉간 가공 공정

• 왕복하거나 회전하는한 쌍의 다이 사이로소재가 압연됨

Page 14: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기타 압연 작업– 나사 전조(thread rolling)

• 기타 나사 가공 공정보다 우수함: 재료 손실이 없고, 치수 공차 및강도가 양호함; 표면 정도가 좋으며, 소재 표면의 압축잔류응력으로 인하여 피로 수명이 증가됨

– 나사 절삭: 소재의 단류선(grain-flow line)을 절단– 나사 전조: 냉간 가공을 통하여 나사의 강도를 높이는 단류선 양상을

얻을 수 있음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기타 압연 작업– 회전 천공(rotary tube piercing, Mannesmann process)

• 두꺼운 벽을 가지는 길고 이음매가 없는 관을 제조하는 열간 가공공정

– 주기적인 압축응력에 의하여 중심부에 공동부가 생김– 내부 맨드렐: 구멍을 확대하고 내벽을 다듬는 역할

Page 15: 9. Rolling (I) - KOCW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2/ChonNam/LeeBongKee2/6-1.pdf– 압연된후판및박판의표면(표면결함)혹은내부(구조적결함)에발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소성가공

Rolling

기타 압연 작업– 관재 압연(tube rolling)

• 튜브와 파이프의 직경과 두께를 줄이는 압연 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