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와 wto 그리고 개도국

Post on 25-Jan-2016

81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전자상거래와 WTO 그리고 개도국. 전자상거래와 WTO 그리고 개도국. 2010. 11. 20. 권평오 박대규. Ⅰ. Ⅱ. 서론. 서론. 전자상거래에 적용할 무역규범. 전자상거래에 적용할 무역규범. Ⅲ. 국경간 공급 / 해외소비. 국경간 공급 / 해외소비. IV. VI. V. 전자상거래와 시장접근. 전자상거래와 개도국. 결론. 전자상거래와 시장접근. 결론. 전자상거래와 개도국. 1. 서 론. 상거래에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급속히 확산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2010. 11. 20.

2

IV

V

VI

3

상거래에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급속히 확산

이에 따라 국제간 교역 및 국내 경제정책에 많은 정책이슈를 제기

① 다자차원 : 국제간 교역 관련

     : 전자상거래에 WTO 규범중 GATT 와 GATS 중 어느 규범이 적용되어야 하는가 ?        GATS 규범 적용될 경우 국경간공급 (mode1) 과 해외소비 (mode2) 중 어느 것으로 간

주 ?      타 회원국들의 시장접근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방향은 ?

   ② 국가차원 : 국내 경제정책 관련

     : 인터넷 서비스의 여건과 거래를 촉진하기 위해 어떠한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가 ?       전자상거래 확산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분야는 ?

 <  보고서 구성 >     - : ⅡⅢⅣ 전자상거래관련 다자간 규범에 대해 논의     - : Ⅴ 전자상거래가 개도국에 미치는 효과와 효용극대화를 위한 개도국 정책 분석

1. 서 론

4

ㅇ 전자적으로 주문 , 결재되나 물리적으로 배송되는 경우 → 상품교역으로 간주되어 GATT 규범 적용에 이견이 없는 상황

ㅇ 문제는 교역의 객체가 전자적으로 ( 즉 , 인터넷 ) 배송될 경우임    - 일견 서비스교역으로 보이나 , 이에 상응하는 상품이 있는 경우도 있는바 ,      ( 서적 , 비디오 , 음악 CD, 소프트웨어 등 )

       이 경우 상품교역 (GATT 적용 ) 으로 볼 것인지 , 서비스로 취급 (GATS 적용 ) 할 것인지 ?      

  < 전자적 주문 + 전자적 배송시에 대한 무역규범 적용 대안 >

    - 대안 1 : 모든 인터넷거래를 상품으로 간주하여 GATT 적용 → UR 협상 및 이후 협상에서 인터넷 거래를 서비스로 간주해온 경향과 불일치

    - 대안 2 : GATT, GATS 를 배제하고 인터넷 교역에 적용될 새로운 규범 제정        GATT, GATS 가 이미 있는 상황에서 신규 규범 제정의 이익은 크지 않음

    - 현실적 대안 3 : 모든 인터넷 거래에 GATS 적용하거나 ,             상응하는 상품이 있는 경우 GATT 적용하고 그 이외에는 GATS 적용

  ㅇ 모든 인터넷 거래에 GATS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the across-the board definition)     - 이유 1 : 실제 상응하는 상품이 없는 경우가 많음     - 이유 2 : 적용 규범의 다툼에 따른 분쟁의 가능성 최소화

2. 전자상거래에 적용할 무역규범

5

ㅇ 전자적 교역의 비용이 실물의 운송비 보다 낮을 경우 실물운송에 관세를 부과하고 전자적 교역에 비과세하는 것은 효율성 측면에서 아무런 문제를 가져오지 않으나 , 현실적으로 “국경간 거래”에 따른 인터넷교역은 두 가지 효율성 문제 초래

① 개도국의 경우 , 소비자는 인터넷에 접근할 수 없고 몇몇 기업만이 인터넷을 통한 교역 참여 ( 예 - 서적을 다운 받아 다시 인쇄하여 판매 )

DD  수요곡선 GG 공급곡선 ( 실물로 교역시 ) 관세부과로 공급곡선은 GtGt 로 상승하고 A 에서

균형 ( 이 경우 관세수입은 ABGGt)

인터넷 교역이 비관세로 도입되면 , 실물로 전환하여 판매할 경우 한계비용이 체증하므로 , EE 가 공급곡선이 됨 수입량은 OQ0 으로 동일하나 0Qe 는 전자적 교역으로 QeQ0 는 실물교역으로 수입됨 (0Qe 만큼의 관세수입 감소 . 이중에서 1 만큼은 인터넷 비용 (deadweight loss), 나머지는 수출자에게 이전 )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터넷교역은 비효율성의 문제를 낳을 수 있음   < 대안 1>  물리적 전송에 대한 무관세 : ABC 크기만큼 효율성 증가   < 대안 2>  인터넷으로 배송된 제품에 물리적 배송시의 관세와 같은 수준의 내국세 부과 : 해당 국가가 NT 를 약속하지 않았을 경우 GATS 내에서 가능

② 둘째 , 인터넷 교역이 서비스교역으로 간주될 경우 , ' 쿼터 ' 를 부과할 수 있다는 점임      - 실행방법을 별도의 문제로 하더라도 , 쿼터가 시행될 경우 less efficient 한 배송방법인 물리적 형태로 전환되어 후생비용 등 비효율성 문제 초래

6

ㅇ GATS 협정은 서비스의 공급형태에 따라 네가지로 분류 ( 제 1 조 )     - mode1 – 국경간공급 , mode2 – 해외소비 , mode3 – 상업적주재 , mode4 - 자연인의이동

ㅇ 상업적주재나 자연인의 이동 없이 전자적 교역이 일어난 경우 , 이를 mode1 으로 간주할지 또는 mode2 로 간주할지의 문제와 관련 , 아직 분명하고 객관적인 기준이 없으나 다음과 같음 두 가지 원칙적 함의가 있음

   1. 서비스 시장개방에 대한 양허와 관련 , 자유화 수준을 결정      - 일반적으로 mode1 보다는 mode2 의 시장개방효과가 큼      - 선진국들은 전자적 서비스의 순수출국으로서 전자적 거래가 mode2 로 간주될 경우 보다 큰 시장개방효과를 향유할 수 있음

   2. 규제목적 및 분쟁조정에 대한 관할권을 결정      - mode1 의 경우 , 구매자 ( 수입국 ) 측에서 거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 → 수입국의 규범이 동 거래에 적용      - mode2 의 경우 , 공급자 ( 수출국 ) 측에서 거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 → 수출국의 규범이 동 거래에 적용

   ( 결론 ) 시장개방을 위해서는 mode2 로 , 구매자 보호를 위해서는 mode1 로 간주하는 것이 유리

             UR 협상 및 그 이후 협상에서는 전자적 거래를 공급자와 소비자가 다른 국가에 존재하는 국경간 거래로 간주 (mode1)

3. Mode 1( 국경간 공급 ) 對 Mode 2(해외소비 )

7

ㅇ 전자무역에 대한 시장접근은 두 가지 요소로 구성 ① 인터넷 인프라에 대한 시장접근 ② 전자적으로 교역되는 서비스에 대한 시장접근     * 상품교역의 경우 , 운송망에 대한 접근과 해당상품시장에 대한 접근으로 구분되는 것과 유사

1.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시장접근

 ⅰ) 인프라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이용도     1 차적으로 원거리 통신망에 대한 접근 , 관련 HW 및 SW 가용성이 확보되어야 함 (ITA

협상 )

 ⅱ) 통신망에 대한 접근 : 통신망에 대한 접근에 적용되는 WTO 규정  ① GATS 제 8 조 ( 모든 회원국에 적용 )

           독점 서비스공급자가 MFN 규정이나 해당국가의 양허와 불일치하게 행동하는 것 금지 ② 통신에 관한 부속서 ( 모든 회원국에 적용 )

           회원국의 서비스 공급자에게 공중통신전송망 및 공중통신전송서비스 (PTTNS : public telecommunications transport networks and servives) 의 비차별적 (NT, MFN) 사용 허용          - 양허와 상관없이 PTTNS 에 대한 비차별적 시장접근         - 독점 및 비독점 서비스 공급자에게 모두 적용 ③ 기본통신조약의 규범에 관한 지침서 (60 개국에 적용 )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호연결성을 제공할 의무 부과 경쟁을 막는 교차보조 및 정보 남용에 대한 규율 등 ④ 기본통신분야 내국민대우 및 시장접근에 대한 특정 양허 (69 개국 통신서비스 양허 , 이중 10 개국 인터넷 서비스 양허 )

           향후 협상에서 IPS(Internet Service Provider) 에 대한 시장접근문제가 중요사항

4. 전자상거래와 시장접근

8

2. 전자적으로 거래되는 서비스에 대한 시장접근

ㅇ 인터넷은 두가지 부문에서 무역기회를 제공 ① 많은 서비스분야 전자적 전송 : 은행 , 보험 , 컴퓨터 프로그래밍 ← GATS 적용 ② 인터넷 주문 , 물리적 배송 ← 물리적 배송시 관세와 함께 GATT 적용

ㅇ 인터넷 교역의 경우에는 정부가 이를 통제할 유효한 수단을 가지지 못해 , 상품교역상의 NT, MFN 과 같은 시장개방 양허 조항의 효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음

ㅇ 대신 서비스시장 개방은 수출국에 인정되는 라이센스 ( 면허 )ㆍ교육 인증 , 수출국의 요구사항 충족여부 , 상호인증 여부 등에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음 ( 차별적 인증 )

      즉 , 서비스시장은 GATS 제 7 조에 의해 차별적 시장개방을 인정하고 있음     ( 예 ) 미국의 회계서비스 시장은 유럽에는 개방되어 있으나 , 인도에는 개방 안됨

9

  1. 개도국이 전자상거래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

ㅇ 전자상거래를 통해 얻는 이익은 국가별 / 시점별 (단기ㆍ장기 ) 로 상이함

   - 전자상거래를 통해 보다 큰 이익을 얻는 국가는 중장기적으로 선진국이 아닌 개도국 (연구자 )

비록 현재는 개도국의 IT 인프라가 뒤져 있으나 , 개도국은 선진국이 경험해야 했던 단계를 건너뛸 수 있고 이를 통해 첨단기술을 쉽게 습득할 가능성

   - 그러나 단기적으로 전자상거래를 통한 개도국 이익에 대해 낙관적이지 않음 . 그 이유로는 ,

     a. 기본적으로 개도국이 전자상거래를 통해 얻는 이익의 크기는 개도국이 전자상거래를 통해 거래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의 크기에 달려 있으나 당장 개도국은 그 규모가 크지 않음     b. 신용카드와 같은 결재수단이 보급되어 있지 않음

ㅇ 개도국이 전자상거래를 통해 얻는 이익을 평가할 경우 ,

    a. 수출뿐 아니라 수입측면까지 고려해야 함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낮은 비용으로 활용 가능 )

    b. 인터넷 교역은 해당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타분야로 파급되어 전반적 거래비용을 낮춤    c. 숙련된 노동력 ,  IT 관련 고급인력이 많은 국가 - ‘ 인도’ 에게 특히 유리 인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영어사용 구급인력 양산 ( 매년 11.5 만명 )

5. 전자상거래와 개도국

10

    d. 자연인의이동 (mod4) 에 대한 협상진전이 크지 않으나 , 인터넷을 통해 실제 이주 없이 해외

고급 노동력의 해외진출이 가능할 경우 그 잠재이익은 매우 클 것임

                       M*M* : 미국내 숙련노동자 초과수요                       EE : 인도의 숙련노동자 초과공급

  mode1 및 mode2 에 의한 시장의 부분적 개방 (Q1까지만 시장접근 )

  - 자연인이동의 경우 M*M* 상에서 임금결정

  - 인터넷을 통한 시장개방의 경우 EE 상에서 임금결정 ⇒ 인도의 숙련노동자 임금은 미국 서비스시장 개방정도에 달려 있음       ( 미국시장 개방정도가 클수록 인도 노동자 임금이 높아짐 )

     - 단 , 인터넷을 통한 시장개방이 자연인의 이동을 100% 대체할 수 없음        ( 보안 , 비교역적 성격 등의 이유에 따른 자연인 주재 필요 )

ㅇ 인터넷이 해외직접투자 (mode3) 를 대체할 수 있는가 ?

     -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어도 어느 정도의 직접투자 감소효과는 있을 것임 이는 서비스 부분별로 어느 mode 가 우세할 것인지 결정할 것임     - 단 , 직접투자의 총계는 투자국과 투자유치국간의 return on capital 에 좌우될 것임 . ( 추가적 실증연구가 필요한 분야 )

11

2. 전자상거래 확대를 위한 정책

개도국 재원은 한정되어 있는 바 , 타분야와의 투자수익률을 비교하여 투자여부를 결정해야 함

 □ 단계 1 : 인터넷 거래를 할 수 있는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가 합리적인 가격대로 가용   - 개도국은 초기단계에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를 ITA 등을 통해 시장장벽을 낮춰

기반구축을 시도할 수 있으나 , 동 분야만의 시장개방이 자원배분의 비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 유념 ( 경우에 따라서는 전자상거래 효용 ≪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

 □ 단계 2 : 인터넷 거래를 할 수 있는 기본 인프라 구축   - 충분하고 저렴한 통신망 (telecommunications network) 마련   - 신뢰성 있는 전력망 구축   - 통신서비스 민영화를 통한 경쟁   - 법체계의 개편 ( 서면계약 , 서면결재 → 전자서명 )    - 전자결재수단 상용화 ( 신용카드 등 ) 및 외환시장 자유화

□ 단계 3 : 개도국이 선진국과 교역할 수 있도록 통신망 및 인터넷교역 대상에 대한 시장 접근   - 통신망에 대한 접근 : GATS 및 Agreement on Basic Telecommunications 에 의해 허용   - 인터넷교역 대상에 대한 시장 접근 지금까지는 주로 mode3 에 관한 시장접근 중심 ( 선진국에 유리 )      mode1, mode2 에 대한 시장개방이 개도국에 중요 (customised S/W - 매년 20% 이상 성장 , back office service - 개도국 주요 수출 분야 , 회계감사 분야 , 조달시장 )

12

□ 이 논문에서는 다자 및 개별 개도국 차원에서 세 가지 처방을 제시

  1. 전자상거래는 GATS 규범이 적용되는 서비스교역으로 간주되는 것이 타당

    - 아직 협상이 진행되고 있어 무관세의 상품교역으로 분류되지는 않은 상황    - 개도국 입장에서 전자상거래는 영속적 무관세 적용을 받는 상품교역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됨 . 그 경우 전자상거래는 자동적으로 자유화가 되어버려 개도국의 협상력을 약화

  2. 국제간 인터넷무역을 Mode1( 국경간공급 ) 으로 잠정적으로 추정하는 것이 논리적

    - 전자상거래가 해외소비로 한정되면 , 국경간공급으로 설명된 거래유형이 공허하게 되는 결과

  3. 개도국은 향후 선진국시장 개방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하여야 함     * 협상을 집중해야 할 분야 a. 개도국이 경재력이 있는 분야                               b. 교육 인정 , 품질 인증 , 라이센스 , 공인제도 등

□ 대부분 개도국의 경우 전자상거래 제약요건은 내부적인 것이 대부분임     - 전자상거래는 거래비용을 낮추는 바 , 국가간 교역 뿐 아니라 국내거래의 확대에도

효율적임 - 개도국의 통신인프라 구축 , 금융제도 개선 등이 선행되어야 함

□ 단기적으로 전자상거래의 효익은 선진국에 집중될 수 있으나 , 중장기적으로 개도국에 보다 많은 혜택이 돌아갈 것임

6. 결 론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