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for future -...

40

Upload: dangdang

Post on 12-Feb-2018

226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Page 2: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DESIG

N FOR FUTURE

DESIG

N FOR NATURE

DESIG

N FOR PEOPLE

Page 3: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대표적인 건축가의 한 사람인 고 김수근

(1931–1986)은 공학계열의 건축학과와

일반계열의 의상학과, 예능계열의 장식미술

학과, 생활미술학과를 통합하여 조형학부로

개편했으며, 기존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유능하고 열정적이며 투철한 교육관을

가진 젊은 교수들을 영입하여 국제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교과과정을 개편함과 동시에

학생들의 조형기량과 디자인감각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실질적이고 참신한 형식의

조형전 중심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지속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오늘날의

조형대학의 아이덴티티를 갖출 수 있었습니다.

1977년 국민대학보의 사설(제 2회 조형전)은

조형대학의 특성을 명백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대학의 명칭과 학과의 이름은 교육의

이념과 교육방향, 그리고 교육하는

사람의 의식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1975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국민대학 조형학부와 1980년의

국민대학교의 조형대학(College of

Architecture and Design)의 명칭은

인습적인 미술대학(College of Fine

Art)과 근본적으로 다른 아주 획기적인

개념으로서 개성적이고 진취적인 20세기

디자인 교육철학을 반영한 것입니다.

이러한 확고한 디자인 교육관으로부터

발전해 온 조형대학은 학생들의 창의력을

자유롭게 신장할 수 있는 교과과정과 교수법을

끊임없이 개발하는 대학, 틀에 박힌 사고에서

벗어나 실험적이고 창의인 발상을 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대학, 권위적인 일방형 학습보다

상호작용성을 존중하는 학습을 강조하는

대학, 정규수업만이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관련 프로그램과 학생들의 자발적인 창작학습

환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대학, 개방적이며

민주적인 사고를 통해서 디자인 실력을 기를 수

있는 대학, 결론적으로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늘 앞서가는 최고의 디자인 대학(College

of Design)으로 인지되고 있습니다.

21세기 디자인은 대중을 위한 디자인에서

대중과 함께하는 디자인으로, 개발 지향적

디자인에서 지속 가능한 디자인으로, 그리고

과학기술과 예술적 감성을 융합하는 디자인,

국제적으로 공유될 수 있는 디자인, 전통문화의

특성을 계승하는 디자인을 필요로 합니다.

조형대학은 잠시도 정체하지 않고 항상 깨어

있는 의식과 열린 자세로 이러한 시대정신을

디자인 교육에 반영하려고 노력합니다.

Kim, Su-Keon, the most representative architect in korea, became a professor at Kookmin University in 1975.

He was comminssioned to coordinate the architectural engineering, costume design, decorative design, metal work and ceramics programs into the faculty of design.

He also brought in young, open-minded professors with a passion for teaching to renew the curriculum and bring it up to par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and mordern ideas. At the same time, he created many opportunities to enhance students’ abilities by launching ‘thematic design exhibitions’, which became the central part of the curriculum. All these efforts led to the strong identity that the college of design enjoys today.

In naming a department or a college, educational ideas, direction and professors' points of view must be represented.

The use of the names ‘faculty of design’ in 1975 and ‘college of design’ in 1980 reflect an entirely unique concept in 21st century design education in contrast to design programs at other schools wich remain under old-fashioned names like ‘college of fine art’.

Known as soled, determined design educators, we built a college that utilize a new curriences and motivations.

We strive to support each student in his/her creative ideas and experimental concepts in every way while keeping an open-mind to good design sense. Consequently, we are known especially for our teaching expertise.

For the 21st century, design needs to shift its focus from being for people to with people, from being development-focused design to lasting design. At the same time, it is nesessary for design to combine scientific technology with artistic sensiblilities in order to remain current and relevant, all while maintaining important features from our traditions and culture. The college of design will aways keep an open-mind and a positive attitude in order to incorporate the spirit of the time into design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COLLEGE OF DESIGN

Page 4: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2

디자인대학원

1970년대 이후 한국 디자인 교육의 신화를 창조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College of Design)은

30여년간 축적된 창의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1994년에 설립한 디자인 대학원 교육에 접목하여

해마다 지망생이 늘어나는 디자인 명문 대학원으로

발전하고 있다. 디자인 대학원은 오늘의 시대가

요청하는 디자인을 효과적이고 미적으로 창조할 수

있는 다양한 전문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디자인

석사과정이다. 현재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운송-레저 디자인, 시각디자인, 그린디자인, 사진영상,

일러스트레이션, 주얼리디자인, 유리조형디자인,

세라믹디자인, 의상디자인, 패션머천 다이징, 패턴-

모델리즘디자인, 실내설계, 전시디자인, 가구디자인

등의 전공을 개설하고 있다. 디자인 대학원은 오늘날의

기업과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디자인 문제를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 유니버설디자인

(Universal Design), 미적 업그레이드(Aesthetic

Upgrade) 등 미래 지향적으로 인식하는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를 바탕으로 혁신적이고,

실험적이며, 창의적으로 형상화하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실제와 이론을 교육하며, 각 전공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기술(Technology), 마케팅(Marketing),

미적 형상성(Visual Aesthetics)을 잘 융합하여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디자인을

창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교육한다.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TED)은

교육인적자원부의 BK21특화사업을 통해서

설립되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디자인전문대학원

이기도 하다. TED의 기본체제는 전공영역이

아닌 네트워크 중심의 연구 체제로 구축돼 있다.

연구력을 극대화하는 팀워크 형성을 지향하며 첨단

기자재와 프로젝트 중심의 실제적, 학제적 교육을

통하여 미래를 선도할 우수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 산학연 협동체계, 다학제적 연구를 위한 연구

주제별, 프로젝트 중심의 랩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9개 전공(엔터테인먼트디자인, 인터랙션디자인,

시각디자인, 시스템디자인, 건축디자인, 실내디자인,

패션디자인, 금속/주얼리디자인, 도자, 디자인학)을

주축으로 한 각 랩은 전공 간 크로스 오버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과 만나고 있다. 사회인류문명,

경제와 경영, 첨단공학과 예술, 한국철학과

문화현상을 이해하고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광범위한 분야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환경디자인연구소

환경디자인이란 우리의 모든 생활영역에서 여러

분야와 직능들이 종합적으로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이러한 환경디자인의 복합적 속성

때문에 우리의 작업은 하나의 총체적인 체계에서

유기적으로 수행될 경우, 작업의 완결성을 다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미 본 대학이 갖추고 있는

건축, 도시, 공업디자인, 시각디자인, 공예, 의상,

실내디자인, 영상디자인 등의 분야별 연구직능은

이러한 종합적 접근을 위한 기초적인 조건이

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소는 대학이 교육 이외에

갖는 산학협동과 대학연구 직능의 사회적 기여를

도모하고자 초대 연구소장 김수근 교수를 중심으로

1980년에 조직되었다. 각 전공분야별 교수진으로

구성되는 상임연구위원과 각 분야별 연구원이

행하는 연구과제의 형식은 주로 정부부처에서

의뢰되는 정책 프로젝트와 일반 법인체들로부터

주어지는 개발 과제들이며, 연구소의 내부

연구과제가 별도로 진행된다. 동시에 대학원

교육이 실제 프로젝트에 연계되면서 구현적인

교육의 기회가 되며, 모든 연구의 결과는 곧

대학교육의 기초적인 정보로 축적되어 가고 있다.

제로원디자인센터

제로원디자인센터는 국민대학교 조형대학과

디자인대학원의 축적된 내용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보다 많은 이들에게 다양하며 체계화된

교육과정을 제공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그동안

대학이 축적해 온 노하우를 통해 평생교육과

사회봉사 차원의 디자인 교육을 실천하는 디자인

전문 교육공간이자 디자인 문화 진흥공간으로

GRADUATE SCHOOL OF DESIGN

The College of Design in Kookmin University, a myth creator in the field of design education ever since 1970s, has perfectly combined its 30-year-long creative programs of training with those of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stablished in 1994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most prestigious educational institutes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annual applicants.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provides a series of design masters’ courses for the purpose of training a variety of highly-qualified design experts who can efficiently and aesthetically create designer items for the modern world. Now, it has a good selection of courses ranging Product Design, Environmental Design, Transportation & Leisure Product Desig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Green Design, Photography & Film, Illustration, Jewelry Design, Glass Design, Ceramic Design,Fashion Design, Fashion Merchandising, Pattern Modelism Design, Interior Design, Exhibition Design and Furniture Design. With its goal of future-oriented designers’ mentality often referred to as systems thinking, universal design or aesthetic upgrade,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offers practical training and theories for students to learn experimental and creative methods. It also teaches a diversity of practical design methods to enhance the market competitiveness.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TED is a term which refers to the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as Korea’s first graduate school of design, and It was established through the Brain Korea 21 Project of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ED’s basic system is not based on individual fields of study, but rather on network-oriented research. Its lab system is centered around research themes and projects, in order to maximize teamwork and enhance the research capabilities and training of advanced professional designers. These students will someday lead society and they require a practical and interdisciplined education that will allow the to master high-tech equipment. There are nine TED labs(Contents Design Lab, Interaction Design Lab, Brand Design Lab, Industrial Design Lab, Smart Space Lab, Interior & Environment Lab, Fashion Lab, Jewelry Design Lab And Design Studies Lab), and each is related to an individual major. All of the labs are developing new designs based on crossovers between these majors. Socioanthropology, economics, business administration, high technology, arts, Korean philosophy and Korean culture are subjects each lab can use to attempt to fuse a wide range of ideas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The Environmental Design is the work accomplished by synthetically linking diverse fields and skills in every aspects of our life. Due to this compound feature of the environmental design, our work can achieve integrity when performed organically in a comprehensive system. The following branches of study in the College of Architecture and design have basic conditions for the synthetic approach: Architecture Design, Urban Design, Industrial Desig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Craft Design, Fashion Design and Interior Design. The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was organized in 1980, with its first president Kim, Su-Keon at the center, to support the social contribution of school research and the collaboration between business and the college. The subjects of the studies are mainly the political project from the government and the development issues from private corporations; the internal researches are carried out separately. The graduate program linked to actual projects provides practical experience and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accumulated as fundamental data in the college education.

ZEROONE DESIGN CENTER

Zero One Design Center was established to provide a broad audience with systematic and

Page 5: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3

자리잡고 있다. 제로원 디자인센터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디자인 테크닉과 함께 철학을

가진 디자이너를 육성하고 전문화되어가는

디자인 분야에 대한 현장중심 교육을 제공하는

한편 일선에 배출된 디자이너들의 재교육 및

심화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전문

직업인으로서 디자이너가 사회와 교류하고 책임감

있는 디자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데 중점을

두고있으며 또한 다양한 디자인 전시와 영상을

유치, 상영할 수 있는 디자인 갤러리와 디자인

씨어터. 세계의 모든 디자인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디자인도서관, 편하게쉬면서 디자인에 대해 대화하고

토론할 수 있는 디자이너스 카페등을 마련하고

정기적인 행사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국제디자인교육센터 (IDEC)

국민대는 디자인 교육의 글로벌화와 국내 디자인

산업과 교육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반

환경조성을 위하여 2000 년 국제디자인교육센터

(IDEC)를 설립했다. 이는 조형대학, 일반

대학원,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연구소,

테크노디자인연구소 등의 본교 내의 디자인

관련 대학과 연구소 및 본부의 유관부처가 함께

국제디자인교육센터를 전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조형대학은 디자인교육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국제경쟁력을 갖춘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 학생과 교수진의 다양한

국제교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해외 유수의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어 학생교류뿐만 아니라

교환교수, 공동연구, 공동학술회의의 개최 등

다양한 형태로 실질적인 대학간 교류를 진행중이다.

UIT 센터

교육부 2004 대학 특성화 지원사업에 선정된

국민대학교는 UIT(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시대에 적합한 디자이너를 배출하고,

UIT DB구축과 UIT디자인 분야의 지식허브

형성을 목표로 지난 6월말 UIT디자인교육개발원

을 개관했다. 이는 국민대 학생들의 수업공간으로

시설을 제공하고, 전문 인 력들의 시설활용기회를

지원하며 재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새로운 교육공간으로 구축됐다. 앞으로 UIT시스템

구축을 통해 다양한 영역 및 기관과 디자인 분야와의

연계·통합을 꾀하고 더 많은 인프라를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UIT센터는 유수의 기업들로부터

고급 장비들을 기증받아 첨단기술과 전문장비로

중무장 하고 있다. 교육 솔루션의 일환으로 VR

룸과 레이저 커팅기, RP machine, NC machine

등의 장비들을 갖춘 1층과 유저빌리티 테스트

룸usability test room을 비롯한 스캐닝 룸,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룸mobile workstation

room 등을 구비 한 2층으로 구성돼 있어

유비쿼터스를 위한 최고의 설비를 자랑하고 있으며

UIT디자인교육개발원은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소프트웨어 업체인 알리 아스Alias 사와 파트너쉽을

체결한 알리아스 인터내셔널 라이센스인정기관이다.

이곳에서 일정교육을 수료하면 알리아스

인터내셔널 라이센스를 취득할 수 있다.

영상디자인센터 UMDC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영상디자인학과

영상디자인센터 〈UMDC-UIT Motion & Media

Design Center〉는 2008년도 교육과학기술부의

수도권대학특성화지원사업에 선정되어 2010년도에

개관하였다. 영상콘텐츠 제작 및 교육 설비를 갖춘

〈UMDC〉는 비디오스튜디오, 오디오스튜디오,

NLE-SFX스튜디오 및 기타 부대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첨단의 테크놀러지를

연구하면서도 따뜻한 환경으로 조성되었다.

UMDC는 영상디자인학과의 정규 교과목 수업과

더불어 AATC (Apple Authorized Training

Center) 와 ASTC (Adobe Specialist Training

Center)를 유치하여 국민대학교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과 전문인을 대상으로 영상제작에 필요한

전문 소프트웨어의 국제공인인증교육(Authorized

Training)을 실시하고 있다.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design based on the accumulated knowledge and know-how by College of Design and the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at Kookmin University. It is used as a specialized educational space as well as cultural space for design and it keeps the spirit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as a voluntary social service. It intends to provide future designers with insights as well as various techniques and to train them in the real workplace-like atmosphere. Also it has a role to retrain and reinforce those who work as designers. Its curriculum is focused on to make sure that designers will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 society and carry out various design projects responsibly. There are a gallery and a theater where various design exhibitions can be held and films can be watched. Also at its library filled with periodicals on design all information can be accessed. Finally there is a designer’s cafe for just relaxing or live discussion on design and several events take place periodically in the cafe.

THE INTERNATIONAL DESIGN EDUCATION CENTER

The International Design Education Center was established in 2000 to make general environment for promoting globalization of education and strengthening domestic design industr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education. This center is fully

supported by College of Design and its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of Design,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 Techo Design Research Center and administration offices in Kookmin University. College of Design is supporting various international relationships for both its faculty and students to improve design education to international level and to train specialists who are internationally competitive. It is now carrying out various projec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such as affiliating with some noted universities overseas, exchanging professors and students, co-hosting research projects and academic conferences.

THE UIT DESIG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he UIT Desig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was opened in late June, 2005, to train designers that will have to adapt well to the age of UIT, to make a database of UIT, and to form a knowledge hub of UIT. It has been used for students’ lecture rooms, its facilities and equipment have been used by a lot of relevant experts. Also it has provided a new space for retraining or workshops. More various fields and organizations will be incorporated with design through this institute. Several leading businesses have donated high-tech equipment to the institute, so the place bristle with highly specialized devices. On the first floor there are Virtual

Reality Room as a means of education, laser cutter, RP machine, and NC machine. The Usability Test Room, Scanning Room, Mobile Workstation Room are on the second floor. The institute is proud of its excellent equipment. The UIT Desig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is affiliated with Alias, an internationally-recognized software developer, so those who have received certain amount of education are to get a international license from Alias.

UMDC-UIT MOTION & MEDIA DESIGN CEN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selected 〈UMDC-UIT Motion & Media Design Center〉 in the department of Entertainment Design, College of Design, Kookmin University as part of the 2008 Capital Region College Specialization Support Project and it has been opened since 2010. 〈UMDC〉 has a video studio, an audio studio, an NLE-SFX studio, and other additional facilities. It has built a soft, warm environment that encourages students to study advanced technology, but also helps them develop their creativities. 〈UMDC〉 is not just for the student's regular curriculum, but the department has held AATC (Apple Authorized Training Center) and ASTC (Adobe Specialist Training Center) to run Authorized Training Programs in video production specialized softwares for both profesionals and non-professionals.

3

Page 6: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1985

건축학과에 박사과정 신설.

1986

김수근 초대학장이 타계,

김인철 교수 학장직 승계,

김철수 교수 조형대 3대 학장으로 임명.

1987

제 6회 조형전(조형 2000) 개최.

1988

서상우 교수 조형대학 제 4대 학장으로 피선.

의상학과가 의상디자인학과로 개칭.

1990

정시화 교수 조형대학 제 5대 학장으로 피선.

제 7회 조형전(디자인 시대정신) 개최.

1992

정재철 교수 조형대학 제 6대 학장으로 피선.

1979

In 1979, the department of the decorative arts was renamed the departments of industrial arts and was later subdivided into the departments of industrial design an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1980

In 1980, the school of architecture and design became known as the college of architecture and design.In the same year, the institute of design research was established and it began to manage the research activities of the college of architecture and design.│

조형대학 역사

1975

의상학과, 생활미술학과, 장식미술학과,

건축학과가 통합하여 조형학부가 신설.

1976

조형학부의 제 1회 조형전(한국인의 손)

전국 5대 도시(서울, 광주, 부산, 대구, 전주) 순회전시.

1977

제 2회 조형전(한국인의 눈).

전국 5대 도시(서울, 대전, 대구, 광주, 춘천) 순회전시.

1978

제 3회 조형전(한국의 조형미).

전국 5대 도시(서울, 광주, 마산, 대구, 청주) 순회전시.

1979

장식미술학과가 산업미술학과로 개칭.

KOOKMIN UNIVERSITY

COLLEGE OF DESIGN HISTORY

1946

Kookmin Uninversity was established by Shin, Ik Hee in 1946 as the first private university followng the liberation of korea.│

1968

In 1968 the first departments to be formed were the departments of fashion and applied arts.│

1974

Subsequently, the decorative arts and architecture departments came into existence in 1974.│

1980

국민대학교 종합대학 승격.

조형학부 조형대학 승격.

초대학장 고 김수근 교수(1931-1986).

조형대학 부설 환경디자인연구소 설립.

1981

제 4회 조형전(인간의 의지와 생활문화 창조)

개최(한국디자인포장센터, 현 KIDP에서).

1983

산업미술학과가 공업디자인학과와

시각디자인학과로 개편.

1984

제 5회 조형전 개최 (한국디자인포장센터,

현 KIDP에서). 생활미술학과가 공예미술학과로 개칭.

금속 공예와 도자공예로 전공분리.

1975

In 1975, these four departments were combined to form the school of architecture and design, which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college of architecture and design.│

1976

In 1976, the school of architecture and design held it first comprehensive exhibition in seoul which later toured through five additional major cities in korea. Most recently, the 12st comprehensive exhibitoin was held in 2006.│

1978 – 1988

Between 1978 and 1988,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was the first to establish its own graduate program, later followed by the departments of applied arts and industrial arts.│

DEPARTMENTS

FULL-TIME

PROFESSORS

LECTURERS

Page 7: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51984

In 1984, the department of applide arts Was renamed the department of crafts to concentrate on the field of metal crafts and ceramics.│

1985

In 1985,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established its first doctoral course.│

1988

In 1988, the department of fashion was renamed th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1994

윤호섭 교수 조형대학 제 7대 학장으로 피선.

조형대학이 4호관으로 이전.

디자인대학원 개원

1995

제 8회 조형전(GREEN 21) 개최.

1996

박길용 교수 조형대학 제 8대 학장으로 피선.

1998

실내디자인학과(야간) 신설,

김인철 교수 제 9대 학장으로 피선.

제 9회 조형전(CYDEX - 21세기 키워드를 찾아서)

개최(국내 최초로 사이버 공간에서 전시).

1999

BK(BRAIN KOREA)21 사업 디자인 특화분야

선정으로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개원.

실내디자인학과 주간으로 편입.

2000

전용일 교수 제 10대 학장으로 피선.

제1회 전국고등학교 조형실기대회 개최.

2001

건축학과 5년제 건축대학으로 독립,

공예미술학과가 금속공예학과와 도자공예학과로 분리.

제 10회 조형전(소수를 위한 디자인) 개최

2002

유영우 교수 제 11대 학장으로 피선.

2004

노경조 교수 제12대 학장으로 피선.

동숭동 제로원 디자인센터 개원.

2006

정도성 교수 제13대 학장으로 피선.

UIT디자인컴패니언센터 설립.

2008

노경조 교수 제14대 학장으로 피선.

2010

변추석 교수 제15대 학장으로 피선.

영상디자인학과 신설.

제13회 조형전. 제1회 해외조형전.

영상디자인센터 UMDC 개관.

2012

변추석 교수 제16대 학장으로 피선.

조형관 리노베이션.

2014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신설

현재 조형대학은 총 8개의 학과에

48명의 전임교수와 91명의 강사진,

1067명의 학생들과 519명의

대학원생들이 함께 하고 있다.

1994

In 1994,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opened with seven masters degree programs which entailed evening courses for five samesters.│

1998

In 1998, the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opened.│

1999

In 1999, the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opened with masters and phd programs.│

2001

In 2001,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separated from the college of architecture and design ; the college of architecture and design was renamed the college of design.│

2004

In 2004, Zeroone Design Center opened.│

2006

In 2006, UIT Design Center was established.│

2010

In 2010, the department of Entertainment design and UMDC are opened.│

2014

In 2014, the department of Automotive & Transportation Design opened.│

Presently, the college has 8 departments with 48 full-timeprofessors, 91 lecturers, 1067 undergraduate students and 519 graduate students.

UNDERGRADUATE

STUDENTS

GRADUATE

STUDENTS

Page 8: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6

Page 9: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7

Page 10: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Page 11: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Page 12: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10

Page 13: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11

Page 14: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공업디자인학과

09학번전봉근

Jeon, Bong Geun

Page 15: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13

공업디자인학과는 우리 일상생활에 요구되는 여러 제품을 디자인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유능한 전문 디자이너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예술, 과학기술, 인문사회의 종합 학문적 관점에서 산업제품, 운송기기, 환경 및 VR 디자인 분야의 문제들을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디자인 문제해결 능력과 예술적 감수성, 상상력 및 표현력 등의 조형능력을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실제를 조화시켜 교육하고 새로운 매체를 적극 활용하는 미래지향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IMS TO EDUCATE COMPETENT PROFESSIONAL

DESIGNERS THOSE WHO DESIGN VARIETY OF

PRODUCTS FOR OUR DAILY LIFE. WE PROVIDE

FUTURE-AIMED PROGRAMS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RTISTIC SUSCEPTIBILITY

AND IMAGINATIVE AND EXPRESSIVE POWER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OF INDUSTRIAL,

TRANSPORTATIONAL, ENVIRONMENTAL, AND

VIRTUAL REALITY DESIGN IN THE PERSPECTIVE

OF COMPREHENSIVE STUDY OF ART, TECHNOLOGY

AND HUMAN SCIENCE.

Page 16: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시각디자인학과

10학번이미미

Lee, Mi Mi

시각디자인은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순간마다, 그리고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수많은 영역에 이르기까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언어와 문자로서, 그리고 이미지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는 그 오래된 역사를 바탕으로, 수많은 미디어들의 변화 속에서 시각적 소통의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VISUAL COMMUNICATION DESIGN DOES A ROLE

THAT CONNECTS PEOPLE TO PEOPLE WITH

LANGUAGES, TEXTS AND IMAGES IN EVERY

MOMENT THAT WE GO THROUGH LIFE, UP TO

THE AREA OF MANY THAT WERE NOT THOUGHT

THAT FAR. ON THE BASIS OF ITS LONG

HISTORY, VISUAL COMMUNICATION DESIGN

DEPARTMENT IS CONTINUING TO CREATE NEW

POSSIBILITIES OF VISUAL COMMUNICATION

IN CHANGES OF NUMEROUS MEDIA.

Page 17: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Page 18: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금속공예학과 대학원 11학번오지현

Oh, Ji Hyun

Page 19: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예술과 디자인을 잇는 공예는 우리에게 주어진 다양한 물질을 직접 다루면서, 인간이 가진 풍부한 상상력과 정신세계를 구현하는 일입니다. 국민대학교 금속공예학과는 우리의 삶속에서 아름다움과 꿈을 심어가는 젊은 작가들의 산실입니다.

CRAFT COMBINES ART AND DESIGN.

IT REALIZES AN IMAGINATIVE WORLD OF

HUMAN BEINGS BY UTILIZING HAND SKILLS

AND NUMEROUS MATERIALS AROUND US.

THE DEPARTMENT OF METALWORK AND

JEWELRY AT KOOKMIN UNIVERSITY

ENCOURAGES STUDENTS TO IMPLANT

BEAUTY AND DREAMS INTO THE LIVES OF

OUR DAILY SOCIETY.

Page 20: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한국인들의 삶을 담아낸 소박한 그릇부터 여유롭고 아름다운 깊이를 만드는 작품까지, 도자공예학과는 누구나에게 소중한 도자기를 빚습니다. 오랜 시간 한국인들의 삶을 빚어내왔던 도자기에 시간이 흐르며 달라지는 의미와 변화를 모두 담아내기 위해, 끊임없이 우리의 마음을 담은 작품을 만듭니다. 도자공예학과는 세계 속에 빛나는 전통과 작가들의 열정을 담아 한국 도자기의 의미를 더 깊고 넓게 만드는 젊은 도예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FROM POTTERY CONTAINING SIMPLICITY

OF KOREAN LIVING TO ART PIECES HAVING

PLACIDITY AND ALSO THE DEPT OF BEAUTY,

DEPARTMENT OF CERAMICS HAVE MADE PIECES

OF VALUE TO ANY OTHER. WE MAKE PIECES

CONTINUOUSLY WITH ALL OUR HEARTS WHICH

INVOLVES KOREAN LIVES FOR A LONG TIME,

TO SERVE WITH CHANGES AND MEANING WHICH

KEEPS VARIES FROM DAY TO DAY. DEPARTMENT

OF CERAMICS TRAINS YOUTHFUL CERAMISTS

WITH GLOBALLY ILLUSTRIOUS TRADITIONS AND

PASSION OF ARTISTS TO BE BROAD

AND MEANINGFUL.

Page 21: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도자공예학과

12학번

정세민

Jeong, Se Min

Page 22: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의상디자인학과

11학번나누리

Na, Nu Ri

Page 23: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우리의 몸에 가장 가까운 디자인으로서 의상디자인은 단순히 인간의 몸을 둘러싼 기능적 역할과 개성의 표현이라는 의미를 넘어서서 우리가 속한 사회의 문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일 뿐만 아니라 그 변화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는 그 흐름을 새롭게 만들어나가는 디자이너들을 키워내고 있습니다.

AS A DESIGN THE CLOSEST TO HUMAN BODY,

FASHION DESIGN HAS NOT BEEN ONLY

SIGNIFICANT ASPEET COMPOSING OF THE

CULTURE IN OUR SOCIETY, BUT ALSO LEAD

THE CILTURAL CHANGE EXCEEDING THE

FUNCTIONAL ROLE TO PROTECT HUMAN-BODY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S

IDENTITY.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IN KOOKMIN UNIVERSITY HAS ENCOURAGED

AND GROWN SUCH DESIGNERS WHO TAKE

A PART TO CREATE THE NEW FLOW.

Page 24: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실내디자인의 실내는 단순히 건물의 내면을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사람과 사람들이 마주치고 함께 살아가는 그 모든 순간, 그 모든 공간으로부터 실내디자인이 해야 할 고민들이 시작됩니다.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은 삶의 패러다임이 바뀌어가는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을 새롭게 정의하고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THE DESIGNING INTERIOR SPACE HAS MORE

MEANING THAT JUST PROVIDING DESIGN, OR MERE

DECORATION FOR OUR PHYSICAL ENVIRONMENT.

WHEN THERE IS A CONTACT BETWEEN PEOPLE IN

THE BUILDING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INDIVIDUAL BEGINS AND

EVENTUALLY IT DEMANDS THE WELL-QUALIFIED

CONSIDERATION AND PROCESS. THE DEPT OF

INTERIOR DESIGN IS ABOUT PROVIDING AND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 LIFE BY

DELIVERING THE BEST COMBINATION OF PLANNING,

DESIGN, PRODUCTS, AND PROCESS TO YOUR

HABITABLE AND OCCUPIABLE SPACE. WE ARE TRYING

TO REDEFINE THE SPACE, WHERE WE LIVE AND

INHABIT, TO ACCOMMODATE THE NEW PARADIGM OF

OUR RAPIDLY CHANGING LIFESTYLE.

Page 25: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실내디자인학과

13학번김유미

Kim, Yu Mi

실내디자인학과

13학번김휘수

Kim, Hwi Soo

Page 26: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영상디자인학과

10학번

이영민

Lee, Young Min

영상디자인학과

10학번

강석민

Kang, Suk Min

Page 27: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우리는 오랫동안 소중히 지켜 내려온 유산인 '풍류'를 지금 다시 생각합니다. 우리의 삶을 더 풍요롭게 누리고자 했던 역사적 자산의 증거로서 '풍류'를 지금 우리가 만들어나가는 문화 속에 다시금 품어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국민대학교 영상디자인학과는 문화와 기술, 그리고 디자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새로운 영상 엔터테인먼트 문화를 선도해나가고 있습니다.

WE SHOULD REMIND OURSELVES OF “POONG-

RUE”, WHICH IS A TRADITIONAL AESTHETIC

VALUE WE HAVE PRESERVED OVER THOUSANDS

OF YEARS. POONG-RUE IS AN EVIDENCE OF

HISTORIC ASSETS OF US ENRICHING OUR

LIVES. IT IS A HOPE THAT THIS IS INFUSED IN

THE CULTURE WE CREATE. THE DEPARTMENT

OF ENTERTAINMENT DESIGN IN KOOKMIN

UNIVERSITY IS IN THE LEAD OF CREATING A

NEW CULTURE OF ENTERTAINMENT, ESPECIALLY

MOTION PICTURES THAT RECONCILES CULTURE,

TECHNOLOGY AND DESIGN.

Page 28: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26

Page 29: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27

국민대학교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는 세계 5대 자동차 강국으로 성장한 대한민국 자동차산업의 국제적 위상을 바탕으로, 국내 최고의 디자인교육과 자동차공학교육 인프라를 융합해 설립된 최초의 학과로써, 실무와 이론을 겸비한 탁월한 교수진에 의해 자동차를 비롯한 철도, 해상, 우주·항공 및 레저용 차량 등 운송기기 전반을 다루는 국제적 수준의 전문적 디자인 교육을 지향한다.

THE DEPARTMENT OF AUTOMOTIVE &

TRANSPORTATION DESIGN OF THE KOOKMIN

UNIVERSITY IS THE FIRSTLY FOUNDED ON

THE BASES OF INTERNATIONAL REPUTATIONS

OF KOREA AS THE GLOBAL 5TH AUTOMOTIVE

INDUSTRY NATION BY BLENDING NATIONAL

LEADING DESIGN EDUCATION OF THE SCHOOL

WITH EMINENT FACULTY MEMBERS AND

AUTOMOTIVE ENGINEER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WHICH POINTS GLOBAL

LEVEL DESIGN SPECIALIZED EDUCATION FOR

AUTOMOBILES, RAILWAY TRAINS, VESSELS,

AEROSPACE SHIPS AND LEISURE VEHICLES.

Page 30: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28

시각, 제품, 영상, 공간, 가구, 금속, 도자, 광고, 인터랙션, 패션 등

각 분야의 루키들의 작품들과 그들의 활동을 보실 수 있습니다.

Page 31: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29

INDUSTRIAL DESIGN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contributes to the society by creating the desirable modern life and competent and professional designers who can play a primary role to the advancement of the standard of the living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behalf of this goal, we provide future-focused educating programs based on the interlaboratory standpoint such as art, scientific technique and human culture,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creatively. We also focus on our programs to be well-balanced of theoretical and also practical by using new mediums. By our educating process, our students can be prepared for modelling abilities, artistic sensibility, imaginative and expressive power all over the fields of industrial, transportational, environmental, inner part and exterior designs.

공업디자인학과

공업디자인학과에서는 바람직한 생활문화

창조에 크게 기여함으로써 국가의 경쟁력과 생활

수준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유능한 전문 디자이너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학과에서는 예술, 과학기술,

인문사회의 종합 학문적 관점에서 산업제품,

운송기기, 환경 디자인분야의 문제들을 창의적

으로 해결하고 조형적으로 구체화시키는데

필요한 문제해결 능력과 예술적 감수성, 상상력

및 표현력 등의 조형 능력을 이론과 실제를

조화시켜 교육하고 새로운 매체를 적극 활용하는

미래지향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공업디자인학과 교수진

김관배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학사, 동대학원 석사

엠마뉴엘

영국 왕립예술학교 제품디자인 석사

연명흠

서울대학교 산업디자인과 학사

일본 츠쿠 바대학교 예술학연구과 생산디자인 석박사

장중식

국민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 학사, 동대학원 석사

테크노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 박사

정도성

국민대학교 조형학부 학사

일본 토우카이대학 대학원 석사

동서대학교 디지털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 박사

김철수 –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업디자인전공 석사

동서대학교 디지털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 박사

교과과정

1학년 디자인제도

조형의발상

형태와구조

컴퓨터응용제도

형태와기능 입체조형

산업디자인론

산업디자인사

2학년 산업디자인프로세스

그린디자인

2D CAID

인간공학

아이디어표현기법

색채기획

재료와구조

산업디자인프로그램

유니버셜디자인

3D Modeling

디자인방법론

디자인제시기법

디자인그래픽스

생산과공정

3학년 생활기기디자인

산업기기디자인

공공시설물디자인

VR제품기획

인터페이스디자인

디자인커뮤니케이션론

제품개발론 스포츠 / 레저용품디자인

정보기기디자인

공공환경디자인

VR제품디자인

인터랙션디자인

디지털컨텐츠개발론

디자인기획론

4학년 운송시스템디자인 1, 2

제품시스템디자인 1, 2

환경시스템디자인 1, 2

VR제품시스템디자인

디자인비즈니스론

디자인문화론 포트폴리오

PROFESSORS’ PROFILE

Kim, Kwan Bae

B.F.A. & M.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Emmanuel Wolfs

M.A., Royal College of Art, UK

Yeoun, Myeong Heum

B.F.A.,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D & Ph.D., Univ. of Tsukuba, Japan

Jang, Jung Sik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Ph.D., Techno-Design Graduate School, Korea

Chung, Do Sung

Dea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M.F.A., Tokai University, Japan

Ph.D., 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y,

Korea

Kim, Chul Soo

Professor Emeritus

B.F.A. & M.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h.D., 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y,

Korea

CURRICULUM

BFA 1

Design technical drawing

Conception of design

Form and structure

Computer aided drafting(cad)

Form and function

3-Dimentional practice

Theory of industrial design

History of industrial design

BFA 2

Industrial design process

Green design

2D caid

Human factors

Idea visualization techniques

Color planning

Material and structure

Industrial design program

Universal design

3D modeling

Theory of design method

Design presentation technique

Design graphics

Production and process

BFA 3

Design for living equipment

Design for industrial equipment

Design for public equipment

VR product planning

Interface design

Theory of design

communication

Theory of product development

Design for information

equipment

Design for spots leisure

equipment

Public environment design

VR product design

Interaction design

Theory of design planning

Theory of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BFA 4

Transportation design 1, 2

Product system design 1, 2

Environmental design 1, 2

Vr product system design 1, 2

Theory of design business

Theory of design culture

Portfolio

Page 32: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30

시각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는 정보를 디자인하는 지적

통찰력과 이것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논리적,

감성적 조형능력을 길러 정보의 시각화로부터

생산과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해서 창의적

사고와 실질적인 기량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창조할 수 있는 내용을

교수한다. 시각디자인학과의 교과 과정은 그래픽

트랙, 브랜딩 트랙, 영상 트랙, 미디어 트랙으로

나누어지며 다양한 매체의 경험과 전문적 깊이를

동시에 성취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 수업과 실기 수업의 균형을 통해 전문

기술과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문화 창조자 및

해석자로서 디자이너의 자질 배양을 교육

목표로 한다.

시각디자인학과 교수진

변추석

중앙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학사

미국 Pratt Institute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석사

김양수

성균관대학교 건축과 학사

미국 Pratt Institute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석사

김민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학사

미국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그래픽디자인 석사

이준희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학사

미국 School of Visual Arts 일러스트레이션 석사

조현신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

영국 Middlesex University 디자인이론, 디자인사 석사

반영환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과 학사,

동 대학원 인간공학 석사, 박사

성재혁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학사

미국 Cleveland Institute of Art 그래픽디자인 학사

미국 California Institute of Arts 그래픽디자인 석사

정진열

영남대학교 철학과 학사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학사

미국 Yale University 그래픽디자인 석사

정연두

서울대학교 조소과 학사

영국 Univ. of London,

Goldsmiths College 예술학 석사

이지원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학사

미국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그래픽디자인 석사

최승준

단국대학교 물리학 학사,

동대학교 이학석사

박경근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문학 학사

미국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Film & Video 석사

정시화 –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학사

동 대학원 시각디자인 석사

동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석사

윤호섭 –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학사

김인철 –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학사

동 대학원 시각디자인 석사

유영우 –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미국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사진 석사

교과과정

1학년

기초디자인

드로잉

디자인사

타이포그라피 1

미디어디자인 1

사진 1

2학년

타이포그래피 2

타입 & 컨텐츠

미디어디자인 2

사진 2

디자인과 글쓰기 1, 2

그래픽디자인 1, 2

이미지메이킹 1

영상디자인 1

인터랙션디자인 1

3학년

타입 & 미디어

디자인 론

그래픽디자인 3, 4

이미지메이킹 2

영상디자인 2, 3

인터랙션디자인 2

브랜딩 1

광고디자인 1

디자인 전략 1

4학년

디자인세미나 1, 2

브랜딩 2

광고디자인 2

디자인 전략 2

디자인워크샵 1, 2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he departmen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osters the growth of students’ aesthetic abilities and intellectual insights needed to design information. From visualizing information, it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 department oversees processes of creative thinking to achieve pragmatic solutions. The curriculum is structured dynamically in order for students to be exposed simultaneously to diverse medium and to gain in-depth specialized knowledge. Courses can be channeled into three different tracks: the graphic track, branding track, the film/video and the media track. By balancing studio and theoretical courses, students are intensively trained to expand their professional skills as well as developing themselves as thoughtful, cultural producers.

PROFESSORS’ PROFILE

Byun, Choo Suk

B.F.A., Chung-Ang University, Korea

M.S., Pratt Institute, USA.

Ghim, Yahnshu

B.S.,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M.S., Pratt Institute, USA.

Kim, Min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F.A.,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USA.

Lee, Jacob Joonhee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M.F.A., School of Visual Arts, USA.

Jo, Hyun Shin

B.A., Yonsei University, Korea

MA., Middlesex University, UK

Pan, Young Hwan

B.S., M.S., Phd,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Korea

Sung, Jae-Hyouk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B.F.A., Cleveland Institute of Art, USA

M.F.A., California Institute of Arts, USA

Jung, Jin Yeoul

B.A., Youngnam University, Korea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M.F.A., Yale University, USA.

Yeondoo Jung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F.A., Univ. of London, Goldsmiths

College, UK

Jiwon Lee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M.F.A., California Institute of Arts, USA.

Choi Seungjoon

B.S., M.S., Dankook University, Korea

Park, Kyung Kun

B.A., University of California, USA

M.F.A., California Institute of Arts, USA.

Chung, Siwha

Professor Emeritus

B.A., MA., M.E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Yoon, Hoseob

Professor Emeritus

B.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Kim, In-Chul

Professor Emeritus

B.A., M.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S., Pratt Institute, USA.

Ph.D., Dongseo University, Korea

Yu, Young-Woo

Professor Emeritus

B.A., Seoul National University

M.B.A., Yonsei University, Korea

M.S.,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USA.

CURRICULUM

BFA 1

Basic Design : Form, Color,

Structure & Typeface

Drawing

History of Design

Media Design 1Typography 1Photography 1

BFA 2

Typography 2

Type & Contents

Photography 2Media Design 2Design & Text 1, 2Graphic Design 1, 2Image Making 1

Introduction of Motion Design 1Interaction Design 1

BFA 3

Type & Media

Design Theory

Graphic Design 3, 4

Image Making 2Motion Design 2, 3Interaction Design 2Branding 1Advertising Design 1Design Strategy 1

BFA 4

Design Seminar 1, 2Branding 2Advertising Design 2Design Strategy 2

Design Workshop 1, 2

Page 33: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금속공예학과

표현 예술의 매체이며 동시에 디자인의 한 분야인

공예는 공예가가 직접 제작을 통해 인간의

정신세계와 물질의 세계를 결합하는 일이다.

공예는 현대의 산업주의와 대량생산의 획일화된

공산품에 둘러싸인 생활환경 속에 인간의 개성과

심미감을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재료인 금속을 다루는

금속공예는 귀금속, 보석으로부터 현대과학의

신소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창작의

매개체로 다루며, 이를 통해 예술품, 생활공예품,

장신구, 각종 제품디자인의 원형 등을 제작한다.

조형대학의 금속공예학과와 대학원은 국내

최고의 공예교육기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내 미술대학의 전학과 중 가장 활발한 국제

교환학생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그동안 배출된

졸업생들은 금속공예가, 장신구작가, 제품디자이너,

생활용품과 문화상품 디자이너, 행사기획 및

연출자, 큐레이터, 교육자 등 국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금속공예학과 교수진

금누리

홍익대학교 조소과 학사

홍익대학교 대학원 조각과 석사

국립파리응용미술공예대학 입체조형과 연구과정 졸업

전용일

서울대학교 응용미술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예과 석사

미국 마이애미대학 대학원 석사

정용진

국민대학교 공예미술과 학사

위스콘신 주립대학 미술대학원 석사

이동춘

국민대학교 공예미술학과 학사

독일 포르츠하임 조형대학 석사

강연미

서울대학교 공예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예과 석사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대학원 석사

박정관

국민대학교 공예미술학과(금속공예전공) 학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금속공예전공) 석사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미술학 석사

현지연

서울대학교 공예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예과 석사

영국 버밍험 씨티 대학교 미술학 석사

김승희 –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학사

크렌부르크 미술대학원 수학

인디아나 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

교과과정

1학년 디지털드로잉

환경과 디자인

디지털모델링

렌더링

평면미술

기초금속공예 1

공예의 이해

조형실기

기초금속공예 2

2학년

사진 1

속공예사 1

디지털조형 1

형태와 구조 1

재료와 기법 1

금속공예 1

공예연구와 토론 1

장신구제작 1

사진 2

금속공예사 2

디지털조형 2

형태와 구조 2

재료와 기법 2

금속공예 2

공예연구와 토론 2

장신구제작 2

3학년

동양미술사

유리공예 1

공예세미나 1

귀금속과 보석 1

예술장신구 1

공예조형 1

디지털기법과 생산

현대미술론

유리공예 2

공예세미나 2

귀금속과 보석 2

예술장신구 2

공예조형 2

4학년

공예경영

유리조형

산업금속과장신구 1

예술장신구 3

공예조형 3

문화연구와 기획

산업금속과장신구 2

예술장신구 4

공예조형 4

31

METALWORK AND JEWELRY

As a medium of artistic expression as well as a branch of design, craft is especially emphasized in modern society – it can bridge the human spirit with the material environment. For more than 30 years the Metalwork and Jewelry department has offered distinctive and professional education in the find of contemporary metalwork.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ncludes jewelry, hollowware, metal sculpture, metal product design, and the historyof metals and contemporary issues.Our curriculum provides a framework fordeveloping a high degree of professional competence, while pursuing individual creative goals. With our high quality facilities, internationally recognized faculty, a variety of lectures, and exchange student program, the Metalwork and Jewelry program at Kookmin University provides one of the highest quality educations in the world.

PROFESSORS’ PROFILE

Gum, Nuri

B.F.A., Hongik Univ. (Sculpture), Korea

M.F.A., Hongik Univ. (Sculpture), Korea

Research Student Ensaama de Paris, (Volume

Metal), France

Jeon, Yong Il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M.F.A., Graduate School of Fine Art, Miami

University, U.S.A.

Chung, Yong Jin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M.F.A., University of Wisconsin_madison, U.S.A.

Lee, Dong Chun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Diplom, Fachhochschule Fuer Gestaltung

Pforzheim, Germany

Kang, Yeon Mi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F.A., Graduate School of Fine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F.A., College of Fine and Applied

Art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_champaign(Metals), USA

Park, Jung Kawn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M.F.A., Kookmin University, Korea

M.F.A., Illinois State University, USA

Hyun, Ji Yeon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F.A., Graduate School of Fine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F.A., Univ. of Central England, Birmingham, UK

Kim, Seung Hee

Professor Emeritus

B.F.A, College of Fine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Cranbrook Academ of Art, Michigan, U.S.A.

M.F.A., Indiana University, U.S.A.

CURRICULUM

BFA 1

Digital Drawing

Environment and Design

Digital Modeling

Rendering

Drawing

Basic Metal Craft 1Introduction to Craft

Formative Art

Basic Metal Craft 2

BFA 2

Photography 1History of Metal Craft 1Forming Discipline through

Dital Media 1Form and Structure 1Meterial and Technique 1Metal Craft 1Reserch and Critic 1Jewelry Making 1Photography 2History of Metal Craft 2Forming Discipline through

Dital Media 2

Form and Structure 2Meterial and Technique 2Metal Craft 2Reserch and Critic 2Jewelry Making 2

BFA 3

Oriental Art History

Glass Making 1Craft Semina 1Jewelry Design 1Art Jewelry 1Art and Craft 1Digital Technology and Production

Contemporary Art Theory

Glass Making 2Craft Semina 2Jewelry Design 2Art Jewelry 2Art and Craft 2

BFA 4

Craft Management

Glass Forming

Industrial Metal Work

and Jewelry 1Art Jewelry 3Art and Craft 3Research and Planning

on Cultural Event

Industrial Metal Work and

Jewelry 2Art Jewelry 4Art and Craft 4

Page 34: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32

도자공예학과

인간의 개성표현과 창작적 제작능력은

미래의 조형인에게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

도자공예는 인간이 가진 개성, 개별적인 사고와

표현을 중요시하며 인간의 가치와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 문화를 주도 현대사회의 문화적

잠재의식을 찾아내고 발견하여 도자공예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친환경적인 미래 지향적

교육을 추구한다. 조형대학의 도자공예학과에서는

전공학생들에게 한국인의 전통적 미의식과 문화를

현대의 조형세계와의 조화를 통한 한국적 특성을

바탕으로 세계무대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국제적 감각을 지닌 전문 도자공예인의 양성을

위한 교육컨텐츠를 개발하고 이러한 교육을 통해

예술적 표현능력과 폭넓은 창의력을 갖추며

직업인으로서의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졸업생들의 사회적 역할은

성격에 의해 도예가, 공방운영자, 전시기획 및

화랑운영자, 문화상품디자이너, 공예잡지기자,

박물관의 학술연구원, 대학교육자 등 국내외에서

졸업생들이 많은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CERAMICS

Ceramics have been an integral part of human civilizations ever since agrarian societies began to create communities and store grains. We now treasure those utilitarian forms of pottery in museums. Attempting to unravel the mysteries of their forms and decorations often leads to a better understanding our ancestors. Korean ceramic has also played a vital role as a nexus through which korean culture has been preserved and presented. Today we can say that ceramics as art form embodies the cultures department of ceramic at Kookmin University actively encourages students to recognize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its guiding influences in shaping of both historical and contemporary ceramic works. The students also achieve a disciplined skill base through various explorations into their own originality and exposure the textile of the nature various mediums. In combining these aspects of academia and studio practice it is our desire to produce professionals of ceramic artist, ceramic owner, exhibition planner, picture gallery owner, culture craft designer, craft magazine reporter, scientific museum inv estigator etc, many of graduation students are work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in various possessions.

도자공예학과 교수진

이상용

국민대학교 공예미술학과 도예전공 학사

국민대학교 공예미술학과 대학원 석사

가나자와 미술공예대학 대학원석사

노경조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요업공예학과 학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학과 석사

일본 시립 가나자와 미술공예대학 수료

박경순

서울대학교 응용미술과 학사, 동 대학원 석사

정진원

경기대학교 공예디자인학과 도예전공 학사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예전공 석사

미국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New Paltz, Ceramic 석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건축 디자인전공 디자인학 박사

민세원

이화여자대학교 도예과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

미국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석사

교과과정

1학년

조형연습 1, 2

형의 구조와 표현 1, 2

기초도자공예 1, 2

2학년

공예도자 1, 2

조형도자 1, 2

도자재료학 1, 2

세라믹 페인팅 1, 2

디지털표현기법 1, 2

도자장식 1, 2

공예론 1, 2

3학년

공예도자 3, 4

조형도자 3, 4

도자제형 1, 2

도자장식 1, 2

유리공예 1, 2

도자장신구

현대미술론

공예경영

도자사

4학년

공예도자 5, 6

환경도자 1, 2

산업도자 1, 2

현대도자론 1, 2

포트폴리오

UIT도자제작 및 유통

PROFESSORS’ PROFILE

Lee, Sang Yong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M.F.A., Kanazawa College of Art, Japan

M.F.A., The Graduate School of Kookmin

University, Korea

Roe, Kyung Jo

B.F.A., Kyunghee University, Korea

M.F.A., Kyunghee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M.F.E, Kanazawa College of Art, Japan

Park, Kyoung Soon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F.A,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Chung, Jin Won

B.F.A., Kyonggi University, Korea

M.F.A., Hongik University, Korea

M.F.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New Paltz, U.S.A

Ph.D., Kookmin University, Korea

Minn, Se Won

M.F.A.,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U.S.A

M.F.A.,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Korea

B.F.A.,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Art& Design, Ceramics, Korea

CURRICULUM

BFA 1

Drill for Plastic Arts 1, 2Form and Structure 1, 2Basic Ceramic Craft 1, 2

BFA 2

Ceramic Work 1, 2Ceramic Forming 1, 2Study on Ceramic Materials 1, 2Ceramic Painting 1, 2Digital Visual Techniques 1, 2Decoration Technique

in Ceramic 1, 2Theory on Craft 1, 2

BFA 3

Ceramic Work 3, 4Ceramic Forming 3, 4Ceramic Moulding 1, 2Decoration Technique

In Ceramic 1, 2Glassmaking 1, 2Ceramic Jewelry

Theory on Contemporary Art

Craft Management

History of Ceramic

BFA 4

Ceramic Work 5, 6Environmental Ceramic Work 1, 2Industrial Ceramic Work 1, 2Theory on Contemporary

Ceramics 1, 2Portfolio

UIT Ceramic Management

Page 35: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의상디자인학과

의상디자인은 인간의 의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종합적인 문화 활동으로, 오늘날

의상디자인의 경향은 다양한 정보와 기술,

개인적인 감성을 바탕으로 현대인의 생활

환경과 함께 급변하고 있다. 의상디자인학과는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의상디자인을 위해

의복의 형태, 소재 및 색채에 대한 과학적인

이론과 실습교육을 통해 표현감각을 기른다.

시대변화에 따른 새로운 디자인의 흐름을

이해시키고 개개인의 잠재능력을 개발함과

동시에 아이디어의 구체화에 필요한 전개

과정을 연마시켜 패션디자이너, 머천다이저,

코디네이터, 스타일리스트로서 패션업계에

활약하도록 하고 있다.

의상디자인학과 교수진

이재정

서울대학교 응용미술과 학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F.I.T. A.A.S.

김일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학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전공 석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전공 박사과정 수료

박선경

서울대학교 조소과 학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F.I.T. A.A.S.

진성모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학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

박주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 박사

이은정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 박사

켄트대학교 조교수

신영선 – 명예교수

국민대학교 가정학과 학사

일본오사카시립대학 대학원 석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원영옥 – 명예교수

국민대학교 대학원 가정학 석사

유수경 – 명예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가정학과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졸업, 문학박사

교과과정

1학년 조형연습 1, 2

기초디자인 1, 2

드로잉 1, 2

의복재료론

기초의복구성

2학년

의복구성 1, 2

컴퓨터패션 1, 2

편물디자인 1, 2

염색 1, 2

패션드로잉 1, 2

직물디자인

서양복식사

20세기패션

현대디자인의 흐름

드레이핑Ⅰ

3학년

의복구성 3

테일러링

의상디자인 1, 2

드레이핑 2

패션일러스트레이션

패션마케팅

패션사진

패션악세사리

색채와소재기획

한국복식사

소재연구

콜렉션 드레이핑 연구

4학년

의복연구 1, 2

의상디자인스튜디오 1, 2

남성복디자인

한국의상

의복관리

미술의상

웨어러블컴퓨터디자인

인터넷패션마케팅

포트폴리오제작

패션디자인프로세스

사제동행세미나

현장실습

FASHION DESIGN

Th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is dedicated to provide student with specific theoretical practical and social skills necessary for achieving success in the fashion industry. The department provides an organized and innovative educational program for developing creative and sensual designers through extensive training. The program is intended to take students through all aspects of fashion design, from functional to experimental design, and emphasizes a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design process, materials, construction and merchandising. Diversification within the curriculum prepares students to meet the highest requirements within the fashion industry.

PROFESSORS’ PROFILE

Lee, Jae Jung

B.F.A., M.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A.A.S., New York State University F.I.T., U.S.A.

Gim, Il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M.F.A., Hong Ik University, Korea

M.B.A.,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 University

Ph.D.,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 University

Park, Sun Kyung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 Korea

M.F.A., Hong Ik University, Korea

A.A.S., New York State University

F.I.T., U.S.A.

Jin, Sung Mo

B.F.A., Kookmin University, Korea

M.F.A., Hong Ik University, Korea

Park, Ju hee

B.S.,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Seoul

National University

M.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Lee, Eun Jung

B.S.,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Seoul

National University

M.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ent State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Shin,Young Sun

Professor Emeritus

B.A., Dept. of Home Economics,

Kookmin University seninar

course

M.A., Granduate School of Osaka

City University(Clothing)

D.Sc., Graduate school of

Sungshin Womes’s University

Won Yeong-ok

Professor Emeritus

M.S., Graduate School of

Kookmin University

Yoo, Soo Kyung

Professor Emeritus

B.S. in Home Economics, Ewha

Women’s University

M.S. in Clothing and Textile, Ewha

Women’s University

CURRICULUM

BFA 1

Drill for Plastic Arts 1, 2Drawing 1, 2Material of Clothing

Fundamentals of Design 1, 2Intermediate Construction

BFA 2Apparel Construction 1, 2Computer-Aided

Fashion Design 1, 2Knit Design 1, 2History of Western Costume

Fashion Drawing 1, 2Art Fabric Design

Dyeing 1, 2Human Factors and Clothing

Survey of Design History

Draping 1

BFA 3

Apparel Construction 3Tailoring

Fashion Design 1, 2Draping 2Fashion Illustration

Fashion Marketing

History of Korean Costume

Fashion Accessory

Color and Textile Planning

Fashion Photo

Textile study

Studies on Draping Collection

BFA 4

Apparel Design Study 1, 2Fashion Design Workshop 1, 2Men’s Wear Design

Korean Clothing Construction

Care of Clothing

Wearable Computer Design

Portfolio Development

Internet Fashion Marketing

Practical Training

Fashion Design Process

33

Page 36: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3434

실내디자인학과

다가오는 미래사회에서는 질 높은 생활문화

추구와 함께 인간존중과 삶의 가치가 더욱

중요시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공간문화를

창출하기 위하여 창조적 가치로서의 미와 기능

및 기술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목표로 한다.

또한 디지털시대에 맞는 새로운 공간 개념의

이해와 유비쿼터스적 상황의 공간 패러다임에

맞는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실내디자인학과는 이론과 실습을 바탕으로

디자이너로서의 전인적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과목들을 운영하고 있다.

INTERIOR DESIGN

Future society, we think that will be pursued high quality life culture, respecting people, and highly emphasize value of life. So our main goal is research and education to create new kind of space cultures.It also has the educational value suit for digital era and ubiquitous space paradigm. For that our department “interior design” is based on theory and practice run the courses to provide students to be general specialists.

실내디자인학과 교수진

허범팔

홍익대학 건축학과 학사, 동대학원 석사, 박사

이찬

서울대학교 응용미술과 학사

Istituto Europeo di Design 실내건축학 석사

윤재은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학사

Pratt Institute, 인테리어 디자인학과 석사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박사

최경란

서울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업디자인 전공, 석사

U.C.L.A 산업디자인 전공, 석사

김개천

중앙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선학과 박사수료

안성모

서울대 디자인학부 학사, 동 대학원 석사

The Cooper Union 건축학과 석사

윤성호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학사

미국 Cornell University 인테리어 디자인 석사

교과과정

1학년

기초조형

기초실내제도

실내디자인개론 1, 2

AUTOCAD 1

공간조형

2학년

컴퓨터응용디자인 1, 2

컴퓨터응용디자인 2

실내디자인 1, 2

공간디자인사

실내투시및표현기법 1, 2

한국실내건축론

공간과오브제

AUTOCAD 2

색채론

실내조형론

인테리어그래픽 1

재료연구

디스플레이디자인 1

실내공간론

실내환경설비

3학년

실내디자인 3, 4

가구디자인 1, 2

VR스페이스 1, 2

라이팅디자인 1, 2

전시디자인

현대공간디자인사

디자인과미학

시공과적산

실무제도

디스플레이디자인 2

실내디자인스튜디오

현장실습

4학년

실내디자인 5, 6

가구와공간디자인 1, 2

실내디자인세미나

법규와구조

유비쿼터스스페이스디자인 1, 2

인테리어그래픽 2

현장실습

PROFESSORS’ PROFILE

Hur, Bum Pall

B.A., Hongik University, Architecture, Korea

Hongik University, Architecture, Korea

Phd, Hongik University, Architecture, Korea

Lee, Chan

B.A., Seoul National University, Applied Arts, Korea

Graduation Interior Design,

Istituto Europeo di Design, Italy

Yoon, Jae Eun

B.A., Hongik University, Industrial Design, Korea

M.A., Pratt Institute, Master of Science In

Interior Design, U.S.A.

Choi, Kyung Ran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ial Design, Korea

M.F.A.,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ial Design, Korea

M.F.A.,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Industrial Design, U.S.A.

Kim, Kai Chun

M.A., Chung-ang University,

Architecture, Korea

Doctrine of the Zen,

Dongguk University, Korea

Ahn, Seong Mo

B.F.A., Seoul University Design, Korea

M.F.A., Seoul University Design, Korea

M.Arch. The Irwin S.Chanin School of

Architecture, The Cooper Union, U.S.A.

Yoon, Sung Ho

B.S., Hongik University,

Architecture, Korea

M.A., Cornell University, Interior

Design, U.S.A.

CURRICULUM

BFA 1

Basic Dimensional Practice

Basic Drawing

Theory of Interior Desing 1, 2Autocad 1Space Dimensional Practice

BFA 2

Two Dimension, Three

Dimension

Web Design

Interior Design 1, 2History of Spatial Design

Interior Perspective &

Expression Technique

Theory of Korean Style

of Interior Design

Space and Object

Autocad 2Theory of Color

Theroy of Formarive Art

of Interior

Interior Graphic 1Material Study

Display Design 1Theory of Interior Space

Interior Environment

Equipment

BFA 3

Interior Design 3, 4Furniture Design 1, 2Virtual Reality Space 1, 2Lighting Fixture Design 1, 2Exhibition Design

History of Contemporary

Space Design

Uit Design & Esthetic

Construction & Estimate

Professional Drawing

Display Design 2Interior Design Studio

Practical Training

BFA 4

Interior Design 5, 6Furniture &

Space Design 1, 2Interior Design Seminar

Architectural Code &

Structure

Ubiquitous Space Design 1, 2Interior Graphic 2Practical Training

Page 37: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33

영상디자인학과

영상디자인학과는 문화_기술_디자인이 융합된

고부가가치 엔터테인먼트문화를 선도하고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를 실천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현대사회의

핵심적 문화산업인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가치와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문화는 이미 풍류라는 오랜 고품격 엔터테인먼트

전통을 가지고 있다. 영상디자인학과는 이러한

문화적 역사성에 디자인과 첨단기술이 융합된

현대성을 구현하여 궁극적으로는 몰입과 감동을

통한 진보된 인간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고자한다.

영상디자인학과는 디지털영상특수효과_VFX,

3D애니메이션, 모션그래픽, 영상광고, 뮤직비디오

등의 영상콘텐츠산업과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미술, 공연예술, 건축, 게임, 통신, IT, 공학 등

학제간의 융합으로 새롭게 탄생, 진화하고 있는

뉴폼엔터테인먼트분야 그리고 유, 무형의 총체적

문화서비스콘텐츠인 이벤트디자인에 대한 심도 있고

체계적인 전문 교육을 제공한다. 영상디자인학과는

매체 중심의 디자인교육이 아닌 개념 중심의

융합적이고 생성적인 교육 패러다임으로

학문과 문화적 경계를 초월한 고품격의 글로벌

엔터테인먼트문화 정착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영상디자인학과 교수진

전승규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학사

동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석사

영국 골드스미스 대학원 일렉트로닉 그래픽스 애니매이션 전공 석사

오승환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디자인전공 학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석사

하준수

서울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학사

미국 국무성 Fulbright Grant Scholarship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School of Film

and Video 석사

장줄리앙 푸

프랑스 Supinfocom Valenciennes 석사

교과과정

1학년 디지털 드로잉

환경과디자인

디지털모델링

세계미술사

디자인과문화 1, 2

기초조형 1, 2

조형워크숍 1, 2

사진워크숍

한국미술사

기초비디오워크숍

2학년

세계디자인사

색채연구

영상프로덕션 1, 2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 1, 2

기초3D애니메이션

미디어테크놀러지 1, 2

고급비디오워크숍

기초NLE&FCP인증과정

한국디자인사

스토리텔링연구

고급3D애니메이션

기초애니메이션

기초모션디자인&AE인증과정

3학년

영상미디어의 역사

한국문화디자인전략

다큐멘터리 1, 2

VFX 1, 2

뉴미디어디자인

캐릭터디자인

고급애니메이션

고급모션 & 브로드캐스트디자인

엔터테인먼트문화론

졸업작품연구

뉴폼엔터테인먼트디자인

콘셉트아트

고급포스트프로덕션

사운드디자인 & Pro Tool 인증과정

4학년

프로듀싱

엔터테인먼트스튜디오 1,2

디자인융합전략 1, 2

엔터테인먼트비지니스

ENTERTAINMENT DESIGN

The department of entertainment design, newly opened in 2010 is a challenging vision for future design which 40 years of the history in design education of Kookmin University presents. In today’s circumstance that the value and importance of entertainment industry are emphasized, korean culture already possesses the rich tradition of highly-valued entertainment spirit, pung-ryu(風流). The department of entertainment design is achieving advanced communication for human being by endowing futuristic convergence of design and technology to the historic heritage. The broad range of education on entertainment contents industry such as VFX-visual special effects, 3d animation, motion graphics, commercial filM.S., etc and new form entertainment fields amalgamating art, design and it is provided in systematic and professional methodology. Ultimately the department of entertainment design is contributing to creation of high-class global entertainment culture with conceptual design education paradigm of convergence sublating conventional medium-centered education methodology.

PROFESSORS’ PROFILE

Jeon, Seung Kyu

B.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A.,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t. Industrial Desig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Korea

PGD, Goldsmiths College, Dept. Media &

Communications, Electronic Graphics &

Animation, UK

Oh, Seung Hwan

M.F.A., Kookmin University, Communication Design, Korea

Ph.D., Kyung Sung University,

Digital Design, Korea

Ha, Joon Soo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F.A.,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School of Film And Video, USA

Jean-Julien Pous

B.A., Computer Science Institute, Bordeaux 1

M.A., Supinfocom Valenciennes

BFA 3

History of Motion Pictures

and Media Art

Korean Design Strategy

Documentary 1, 2VFX 1, 2New Media Design

Character Design

Advanced Animation

Advanced Motion &

Broadcast Design

Media Culture Study

Thesis Study

New Form Entertainment Design

Concept Art

Advanced Post Production

Sound Design & Pro Tools

Authorized Program

BFA 4

Producing

Entertainment Studio 1, 2Integrated Design Strategy 1, 2Entertainment Business

35

CURRICULUM

BFA 1

Digital Drawing

Eco Design

Digital Modeling

History of World Art

Design and Culture 1, 2Formative Fundamental 1, 2Photography Workshop

History of Korean Art

Basic Video Workshop

BFA 2

History of World Design

Color Theory

Motion Contents Production 1, 2Visual Communication

Design 1, 2Basic 3D Animation

Media Technology 1, 2Advanced Video Workshop

Basic NLE & Final Cut Pro

Authorized Program

History of Korean Design

Storytelling Theory

Advanced 3D Animation

Introduction to Animation

Basic Motion Design & After

Effects Authorized Program

Page 38: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436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본 학과는 자동차 디자인을 중심으로 하는

운송기기에 전문화 된 디자인 교육을 제공하여,

승용차를 중심으로 하는 자동차와 건설,

레저스포츠 등 특수한 목적을 가진 차량과,

철도, 선박, 항공우주산업 등 미래의 고부가가치

운송기기산업에 종사하는 세계적 수준의

창의적 운송기기 디자이너를 양성하고, 미래

자동차·운송기기 산업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한다.

AUTOMOTIVE & TRANSPORTATION DESIGN

The department provides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programs for total transportation system which cultivate global class creative automotive & transportation designers for future high valued transportation industries of automobiles as well as specialty vehicles for construction, leisure sports, railway traffics, ocean cruise, aerospace, etc. and presents novel directions for future automotive & transportation industry.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교수진

구상

서울대학교 산업미술과 학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 석사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디자인학 박사

기아자동차 디자인연구소 연구원

기아자동차 북미 디자인연구소

Senior Designer

송인호

서울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공업디자인전공 졸업

기아자동차 디자인센터 책임연구원

현대.기아자동차 미국디자인센터 선임연구원

미국 General Motors Design Center 리드디자이너

교과과정

1학년

디지털 드로잉

입체조형

형태와 구조

디자인 제도

산업디자인론

기초 VISCOM

컴퓨터 응용디자인

기초자동차운송디자인스튜디오

2학년

모더니즘 연구

자동차운송디자인스튜디오

레터링디지털스케치

인간공학과 패키징

아이디어 시각전달 1

색채기획

생산과 공정

자동차운송디자인스튜디오2

공기역학디자인연구

ALIAS 모델링

모형제작기법

아이디어 시각전달 2

자동차와 운송기 발달사

재료의 응용

3학년

운송디자인스튜디오 1

자동차디자인스튜디오 1

아이디어 시각전달 3

차량실내 디자인스튜디오 1

스토리텔링

운송디자인스튜디오 2

자동차디자인스튜디오 2

아이디어 시각전달 4

차량실내 디자인스튜디오 2

상상력 스튜디오

제품기획론

4학년

자동차디자인스튜디오 3

고급 아이디어 시각전달 1

운송시스템디자인 1

고급 상상력 스튜디오 1

자동차산업과 디자인경영

포트폴리오와 프레젠테이션

자동차디자인스튜디오

고급 아이디어 시각전달 2

운송시스템디자인 2

고급 상상력 스튜디오

PROFESSORS’ PROFILE

Koo, Sang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F.A., Hongik University, Korea

Ph.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Designer, Kia Motors, Korea

Senior Designer, Kia Engineering

California, U.S.A

Song, In Ho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Manager, Kia Motors Design Center, Korea

Senior Designer, Hyundai-Kia America

Design Center, USA

Lead Designer, General Motors Design

Center, USA

CURRICULUM

BFA 1

Digital Drawing

3-Dimensional Design Practice

Forms & Structures

Design Drafting

Industrial Design Studies

Foundation VISCOM

Basic Software Exercise

Freshmen Automotive Design

Studio

BFA 2

Modernism Studies

Automotive Design Studio 1Typeface Study

Digital Sketching Practice

Ergonomics/Packaging

Visual Communication 1Color Planning

Productions and Processes

Automotive Design Studio 2Aerodynamics Design Studies

ALIAS Modeling

Physical Modeling Exercises

Visual Communication 2History of Automobiles &

Transportation Means

Material Applications

BFA 3

Vehicle Design Studio 1Automotive Design Studio 1Visual Communication 3Vehicle Interior Design Studio 1Storytelling Studies

Vehicle Design Studio 2Automotive Design Studio 2Visual Communication 4Vehicle Interior Design Studio 2Story-based Imagination Studio

Product Planning

BFA 4

Automotive Design Studio 3Advanced Visual Communication 1Transportation System Design

Studio 1Advanced Story-based

Imagination Studio 1Automotive Industry &

Design Oriented Management

Portfolio & Presentation

Automotive Design Studio 4Advanced Visual Communication 2Transportation System

Design Studio 2Advanced Story-based

Imagination Studio 2

Page 39: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5

Dean's Office | 02.910.4581

Office of Academic Affairs Facsimile | 02.910.4583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 02.910.4600

Departmen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02.910.4610

Department of Metalwork and Jewelry | 02.910.4631

Department of Ceramics | 02.910.4620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 02.910.4630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 02.910.4640

Department of Entertainment Design | 02.910.5650

Department of Automotive & Transportation Design | 02.910.5791

Metalwork And Jewelry Studio | 02.910.4588

Ceramic Studio | 02.910.4588

Glass Studio | 02.910.4324

Machinery Workshop | 02.910.4877

Institute Of Environmental Design(IED) | 02.910.4584

International Design Education(IDEC) | 02.910.5584

UIT Motion & Media Design Center(UMDC) | 02.910.5374

Kookmin University College of Design

77, Jeongneung.ro Seongbuk.Gu Seoul, 136.702, Korea

design.kookmin.ac.kr

Phone +82.2.910.4583 / +82.2.910.4512

Fax +82.2.910.4589

학장실 | 02.910.4581

교학팀 | 02.910.4583

공업디자인학과 | 02.910.4600

시각디자인학과 | 02.910.4610

금속공예학과 | 02.910.4631

도자공예학과 | 02.910.4620

의상디자인학과 | 02.910.4630

실내디자인학과 | 02.910.4640

영상디자인학과 | 02.910.5650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 02.910.5791

금속공예실 | 02.910.4631

도자공예실 | 02.910.4620

유리조형디자인실 | 02.910.4324

종합실습실 | 02.910.4877

환경디자인연구소 | 02.910.4584

국제디자인교육센터 | 02.910.5584

영상디자인교육센터(UMDC) | 02.910.5374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36.702, 서울시 성북구 정릉로 77

design.kookmin.ac.kr

Phone 02.910.4583 / 02.910.4512

Fax 02.910.4589

Page 40: DESIGN FOR FUTURE - kmudesign.orgkmudesign.org/wp/wp-content/themes/twentythirteen/src/KMU_College... · 1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1975년 국민대학 교수로 초빙된 “한국의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