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정치 사상 속의 여성 · 2020. 2. 26. ·...

39
동양정치 사상 여성

Upload: others

Post on 02-Oct-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동양정치 사상 속의 여성

  • 동양 정치 사상 속에서는 여성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이해한다.

    한국 문화에 근간이 되는 유교적 사상 속에는

    여성차별적 요소가 있는지 알아본다.

    한국 무속 신앙의 뿌리가 되는 도교에서는

    여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본다.

    불교는 여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본다.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학습목표

  • 목차

  • 1차시

    유교속의여성 1

  • 동양정치사상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동양 정치 사상은 한국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음

    유교

    도교

    불교

    가부장적 특성

    모계사회를 지향하면서 전통적으로 여성을 숭배

    여성은 성불할 수 없는가

  • 유교속의여성

    유교

    - 유교에 대한 일반적 견해 : 남성의 절대적 권위와 여성의 복종을 당연시하는

    성차별적 문화와 제도를 조성해 옴

    - 여성의 사회적 발전을 저해하는 사상이라고 비판

    - 특히 음양론과 삼강오륜이 남성중심적이면서 여성 차별적이라고 비판

    출처 : pixbay.com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유교속의여성

    유교의 원칙이 본질적으로 남성 중심적이고 여성 차별적

    - 고대 유교 사상에는 차별적 요소가 없음

    - 여성과 남성을 구별할 뿐 차별하는 것은 아님

    - 남녀 상호 조화 중시

    - 그러나 중국 한나라 시대부터 차별적으로 변하여 오늘에 이름

    유교에 대한 상반된 두 견해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음양론

    음양론

    - 우주의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법칙이며 인간 사회에도 적용되는 자연 법칙

    - [설괘전]

    “옛날 성인이 [역경(易經)]을 지을 때 성명(性命)의 이치를 따랐기 때문에 하늘의 도를 세워서

    음(陰)과 양(楊)이라 하고, 땅의 도를 세워서 유(柔)와 강(剛)이라 하고, 사람의 도(道)를 세워서

    인(仁)과 의(義)라고 한다”

    - 양과 음은 건(乾)과 곤(坤)으로 대비

    “위대하도다 건원이여, 만물이 이에서 시작하여 하늘을 건드리고 있다.

    지극하도다 곤원이여, 만물이 모두 이곳에서 생긴다. 이에 하늘의 뜻을 순종하여 받든다.

    곤은 두터워서 만물을 싣고…”

    [단사]

    → 건은 만물을 조형하는 시작이요, 곤은 이 시작을 계승해 조형의 완성을 이룬다는 것

    → 따라서 곤의 조형이 있어야 만물은 형태를 드러내면서 생함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음양론

    음양의 역할

    건, 하늘, 남성

    곤, 땅, 여성

    - 음양은 서로 다른 기능적 역할을 담당

    → 남녀의 차이는 기능적 역할의 차이

    → 단순한 기능적 역할의 차이인가 아니면 차별인가는 해석에 따라 논란의 여지가 있음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음양론

    - 음양론은 남녀 차이만을 의미

    - 음양론은 기본적으로 건곤, 음양의 가치를 우열로 나눔

    음양론이 가진 차이 및 우열

    출처 : https://de.wikipedia.org 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음양론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삼강오륜

    - 오륜(五倫)이란 유교 사회에서 실현되어야만 하는 정치적·사회적 규범을 의미

    삼강오륜

    부자유친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는 친함이 있다

    군신유의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정의가 있다

    부부유별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이 있다

    장유유서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다

    붕우유신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다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삼강오륜

    오륜을 평등의 윤리라고 보는 입장

    - 오륜을 평등의 윤리라고 보는 유학자들은 부부유별이 차별이 아니라 구별이라고 주장

    출처 : svgsilh.com

    부부유별은 남편과 아내의 거처와 직분을 구분 지음

    → 아내는 안채에서 남편은 사랑채에서 기거함

    아내는 집안일을, 남편은 바깥일을 분담해서 하고 상대방의 일에 간섭하지 않음

    → 집안일 : 방적, 길쌈, 봉제사, 손님 접대일 등을 의미

    → 바깥일 : 학문, 정치 참여를 의미

    부부의 직분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어느 것도 소홀할 수 없는 상호보완적인 관계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삼강오륜

    오륜은 수평적이고 상호적인 규범 체계

    유교의 내외법이 원래 부부간 거처 및 직분의 차이를 의미

    상하존비의 차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아내는 남편과 몸을 가지런히 하는 동등한 자이다.

    황제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그 뜻은 동일하다.

    아내의 말도 동등하다.”

    - 한대의 유학자 반고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유교에대한남녀차별적인시각

    유교 사상을 남녀 차별적으로 보는 시각

    - 여성은 가정에 매몰되어 국가나 사회와 관련된 일에서는 배제됨 → 성차별적 관점

    한대에 와서 여성의 지위가 낮아지고 남성에게 의존적인 존재로 하락함

    → 진시황의 분서갱유로 선진(先秦) 시대 유가의 책들이 거의 소멸됨

    한대에 와서 새로이 유교가 이론화되면서 편협한 여성관이 반영됨

    유교의 내외법에서 정치가 남성의 일이라고 주장한 부분

    → 유교가 과연 남녀의 일을 동등한 가치로 보았는가?

    → 집안일과 바깥일이 똑같이 중요하다고 보았는가?

    공사 영역의 분리 자체가 이미 여성 차별적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1차시유교속의여성 1

  • 2차시

    유교속의여성 2

  • 여성의정치참여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2차시유교속의여성 2

    여성의 정치 참여에 관한 유교의 설명

    자연 상태

    - 금수와 다를 바 없는 상태

    - 배고프면 먹고 추우면 따뜻하게 입고 안일하게 거주하여 가르침이 없으면 금수와 비슷해지는 상태

    - 예도 없고 정치적·사회적 규범도 결여

    - 금수와 같은 욕망의 상태

  • 여성의정치참여

    여성의 정치 참여에 관한 유교의 설명

    자연 상태

    - 금수와 같은 자연 상태에서 성인의 가르침에 의해 도덕 가치의 세계로 이행

    - 인간다운 인간이 됨

    - 도덕적 가치의 세계로 인도되는 인간(피치자)의 복종이라는 지배와 복종의 정치적 기능 성립

    도덕적 가치의 세계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2차시유교속의여성 2

  • 유교의통치자

    - 유교의 통치론에 의하면 덕 있는 자가 통치해야 함 → 덕치주의(德治主義)

    - 통치자는 지적인 수양을 통해서 덕을 수양하고 우주의 질서를 이해한 자

    - 학문 수양과 정치를 분담 받은 남성의 영역

    → 여성은 정치에서 배제됨

    성인을 비롯한 통치자는 누구인가?

    출처 : svgsilh.com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2차시유교속의여성 2

  • 여성의정치참여금지역사

    주왕의 비 달기가 정치에 간여하여

    은 왕조가 망했다고 무왕이 생각함

    무왕은 여불간정(女不干政) 정책을 취함

    한(漢)대로 이어졌고 조선에도 이어져

    여성의 정치 참여 불허함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 주왕이 달기의 말에 따라

    정치를 하다가 나라를 망쳤다는

    이야기로부터 발단된 것임

    출처 : commons.wikimedia.org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2차시유교속의여성 2

  • 여성의정치참여금지역사

    - 조선시대 유학의 입문서로 큰 영향을 미쳤던 주자의 소학(小學)에도 반영되어

    조선시대 여성의 정치적 배제가 이루어짐

    → 소학 : 유학의 아동교육지침서, 남녀칠세부동석, 남아와 여아의 역할에 대한 구분

    - 조선시대 여성들은 [소학]이나 [여사서(女四書)] 등만 공부함

    - 여러 집안의 성씨, 선대의 족보, 역대 나라 이름, 성현의 이름자나 아는 수준으로 학습

    - 그 이상의 학문을 해서는 안 됨

    정책의 결과

    출처 : https://ko.wikipedia.org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2차시유교속의여성 2

  • 부부유별의성격

    고대 유교

    한대 유교

    ‘부부유별’은 남녀 간의 수평적이며 횡적인 관계 의미

    - ‘부부유별’이 남존여비의 상하 위계의 성격으로 변화됨

    - [예기(禮記)] : 성차별적인 원칙을 체계화하고 정비함

    - 삼강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

    신하에 대한 임금의,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아내에 대한 남편의 상하위계질서를 말함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2차시유교속의여성 2

  • 부부유별의성격

    고대 유교

    한대 유교

    ‘부부유별’은 남녀 간의 수평적이며 횡적인 관계 의미

    - ‘부부유별’이 남존여비의 상하 위계의 성격으로 변화됨

    - [예기(禮記)] : 성차별적인 원칙을 체계화하고 정비함

    - 삼강, 부창부수, 삼종지도

    여성은 결혼 전에는 아버지를 따르고 결혼 후에는 남편을 따르고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함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2차시유교속의여성 2

  • 부부유별의성격

    고대 유교

    한대 유교

    ‘부부유별’은 남녀 간의 수평적이며 횡적인 관계 의미

    - ‘부부유별’이 남존여비의 상하 위계의 성격으로 변화됨

    - [예기(禮記)] : 성차별적인 원칙을 체계화하고 정비함

    - 삼강, 부창부수, 삼종지도,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 죄목

    → 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않음, 아들을 못 둠, 음란, 투기, 질병, 말 많음, 도벽

    칠거지악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2차시유교속의여성 2

  • 부부유별의성격

    고대 유교

    한대 유교

    ‘부부유별’은 남녀 간의 수평적이며 횡적인 관계 의미

    - ‘부부유별’이 남존여비의 상하 위계의 성격으로 변화됨

    - [예기(禮記)] : 성차별적인 원칙을 체계화하고 정비함

    - 삼강, 부창부수, 삼종지도, 칠거지악

    - 여성의 재혼 금지, ‘열녀’와 ‘정절’의 강요, 일부일처제의 법제화 등

    - 남성의 첩 허용, 그러나 서자와 적자의 구별

    → 신분 차별에 바탕을 둔 대표적 봉건 제도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2차시유교속의여성 2

  • 비판

    - 유교는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차이를 본질화하면서 남성을 양, 여성을 음으로 대비

    - 유교는 그 근본에서부터 위계적이며 남성중심적 관계성에 기초를 둠

    - 유교는 한국사에서 여성을 위한 해방적, 변혁적 원리가 된 적이 없고 현재도 아님

    유교에 대한 페미니즘의 비판

    출처 : pixabay.com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2차시유교속의여성 2

  • 3차시

    도교속의여성

  • 도교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3차시도교속의여성

    - 도교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

    - 무교, 방선도, 황로도 등의 전통적인 민간 신앙 등이

    수용되어 발전한 종교 사상

    - 중국이 동한시대에 본격적으로 형성되어

    한국, 일본, 베트남 등지에 수용됨

    - 유교 사상과는 달리 남존여비적 차별의식이나

    성차별적 고정 관념이 없고 오히려 여성 숭배적 특성

    도교

    출처 : pixabay.com

  • 도교속의여성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3차시도교속의여성

    - 신화 속 여신에 대한 숭배와 여성 신선에 대한 숭배 사상이 융합되어 있음

    - 여성 숭배의 특징이 ‘도(道)’ 개념을 형성하는데 절대적인 영향

    - 노자는 만물의 원천인 도를 천지의 어머니로 표현함

    도교 속 여성 숭배적 요소

    “하늘의 문이 열리고 닫힐 때도 능히 암컷처럼 할 수 있겠는가”

    “수컷을 알면서도 암컷을 지킨다”

    “큰 나라는 아래로 흐르는 물이니 천하의 암컷이며 천하가 모이는 것이다. 암

    컷은 항상 고요함으로 수컷을 이긴다”

    - 노자 [도덕경(道德經)] 중

  • 도교속의여성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3차시도교속의여성

    - 물은 약하나 어떤 강한 것도

    물을 이길 수 없음

    -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김

    - 고요함이 움직임을 이김

    도교 속에 나타난 페미니즘적 요소

    물, 부드러움, 고요함

    불, 강함, 움직임

  • 비판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3차시도교속의여성

    도교에 대한 페미니즘의 비판

    - 유약한 것은 여성적인 것이고 강한 것은 남성적인 것이라는 관점을 가진 도교는

    오히려 성에 대한 고정 관념을 답습하고 가부장적인 여성 규범을 반영한 것

    - 도가가 부드러움, 생명, 자연애의 순응에 대한 강조는 가부장적인 여성 규범이 아니라

    가부장적, 종법적 사회 질서에 대한 대안으로 자연의 원리에 따라야하는 인간의 규범으로

    제안한 것임

    반론

  • 4차시

    불교속의여성

  • 불교와페미니즘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4차시불교속의여성

    불교와 페미니즘의 관계

    - 불교에서의 억압은 여성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이 처해있는 보편적인 실존적 상황에서 발생

    - 유교의 종법가부장제적인 사상은 여성에게 역사상 여러 가지 불이익을 부가하여 여성에 대한

    성차별적인 억압 기제로 작용해 옴

    기본적으로 불교의 억압은 남녀 불문의 성 중립적 개념

    → 페미니즘과는 맥을 달리함

    억압에서 벗어나 해탈에 도달할 수 있는 역량에서 불교는 처음부터 성별의 차이를

    문제 삼지 않음

    → 페미니즘과 연결될 수 있음

  • 불교와페미니즘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4차시불교속의여성

    여성의 성불

    - 여자는 성불할 수 없다는 말의 오류

    → 인간이 태어날 때 여인의 몸을 받으면 여인의 몸 그대로는 불신이 될 수 없다는 뜻

  • 여신불성불설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4차시불교속의여성

    여신불성불설

    - 불교 교단이 단일 교단으로 전승될 시대까지는 나타나지 않았고 후대 경전이 집필 될 때 나타남

    → 경전이 집필 될 당시에 열악해진 여성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편견을 첨가하여 원시 불교를

    재해석한 것임

    → 종교가 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변화를 종교가 수용한 것임

    출처 : svgsilh.com

  • 불교사상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4차시불교속의여성

    불교의 평등 사상

    불교의 개방성은 남성에게만 적용되지 않고 여성에게도 적용됨

    → 브라만 교권 지배 하에 여성의 지위가 매우 낮고 여성은 교육을 받을 기회가 없음

    → 종교적인 활동에의 참여나 사원 출입 금지

    → 붓다는 카스트 제도 부정, 여성에 대한 차별 대우에도 매우 비판적

    - 여신불성불설이 후대에 추가되었다는 주장의 근거

    브라만 제일주의에 대한 반대 : 사성평등(四聖平等) 주장

    인간 평가 기준을 출생이 아니라 행위로 봄

    → 귀속적인 계급 층하가 아니라 행위에 의해서 인간을 평가해야 함

    → 사회적 신분이나 출생에 관계없이 동일한 권리를 가지고 평등하게 대우받을 가치가 있음

    → 출가하여 수행하는 과정에서 출신 계급에 관계없이 평등하다고 봄

  • 불교사상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4차시불교속의여성

    불교의 근본 사상

    - 불교의 만물관은 상호 의존적이며 상호 침투적인 상관관계를 가짐

    → 인간은 이러한 만물 세계에서 독특한 존재

    - 독특한 인간은 불성이라는 특별한 정체성을 가짐

    → 이는 모든 인간의 특성이며 남녀의 차별을 거론하기 어려움

    출처 : pixnio.com

  • 불교적페미니즘

    3강동양정치사상과여성

    4차시불교속의여성

    불교적 페미니즘의 모색

    - 너와 나의 분별심을 뛰어넘는 관계론적인 맥락 : 가부장제 속에서의 이분법적인 남녀 관계를

    비판하는 단초가 됨

    - 평등성, 무아성, 실천성을 내포하는 불교의 자비 개념 : 가부장제적인 도덕 원리와 윤리 관념의

    한계를 극복하거나 보완할 수 있음

    - 남성 중심의 공리주의적 사회에서는 의미를 상실하는 모성의 행위, 돌봄의 행위,

    양육의 행위, 자비와 사랑의 행위는 페미니즘과 통할 수 있음

    출처 : svgsilh.com 출처 : https://ko.wikipedia.org

  • 정리하기

    1차시

    3차시

    4차시

    2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