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42
- 탐방 보고서 -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프랑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지원분야: 인문사회 (S 0013) : : ( ( S S 0 0 0 0 1 1 3 3 ) ) 소속학교: 고려대학교 : : 탐방팀원: 김정숙 (교육학과 박사과정) : : ( ( ) ) 정해진 (교육학과 석사과정) ( ( ) ) 박현철 (불어불문학과 4 학년) ( ( 4 4 ) ) 지도교수: 강선보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 : ( ( ) )

Upload: others

Post on 12-Oct-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 탐방 보고서 ––– -- 탐탐방방 보보고고서서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교교실실은은 세세상상의의 일일부부이이다다

프랑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프프랑랑스스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에에 기기초초한한 공공교교육육 개개혁혁

지원분야: 인문사회 (S – 0013) 지지원원분분야야:: 인인문문사사회회 ((SS –– 00001133))

소속학교: 고려대학교 소소속속학학교교:: 고고려려대대학학교교

탐방팀원: 김정숙 (교육학과 박사과정) 탐탐방방팀팀원원:: 김김정정숙숙 ((교교육육학학과과 박박사사과과정정))

정해진 (교육학과 석사과정) 정정해해진진 ((교교육육학학과과 석석사사과과정정))

박현철 (불어불문학과 4 학년) 박박현현철철 ((불불어어불불문문학학과과 44 학학년년))

지도교수: 강선보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지지도도교교수수:: 강강선선보보 ((고고려려대대학학교교 교교육육학학과과))

Page 2: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1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목 차 목목 차차

1. 탐방목적적 11.. 탐탐방방목목적

2. 탐방테마마 22.. 탐탐방방테테마

3. 탐방일정 33.. 탐탐방방일일정정

4. 탐방내용 44.. 탐탐방방내내용용

– 국내탐방 / 송순재 교수님, 황성원 교수님 –– 국국내내탐탐방방 // 송송순순재재 교교수수님님,, 황황성성원원 교교수수님님

4 - 1. 셀셀레스땡 프레네의 생애 및 프레네 교육학의 형성 과정 44 -- 11.. 셀레레스스땡땡 프프레레네네의의 생생애애 및및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학학의의 형형성성 과과정정

4 - 2. 셀셀레스땡 프레네의 교육사상 44 -- 22.. 셀레레스스땡땡 프프레레네네의의 교교육육사사상상

– 해외탐방 –– 해해외외탐탐방방

4 – 3. 초기 Ecole Freinet 를 통한 공교육 개혁의 내용 44 –– 33.. 초초기기 EEccoollee FFrreeiinneett 를를 통통한한 공공교교육육 개개혁혁의의 내내용용

4 - 4. 오늘날 Freinet 교육의 실제 (Ange Guep nn, Boileau 학교) 44 -- 44.. 오오늘늘날날 FFrreeiinneett 교교육육의의 실실제제 ((AAnnggee GGuueeppiiin,, BBooiilleeaauu 학학교교))

4 – 5. IICEEM 을 통해 본 프레네 교육운동 44 –– 55.. ICCEMM 을을 통통해해 본본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운운동동

4 - 6. 프레네 교육의 이론적 측면 - 부부마르 교수와의 인터뷰 44 -- 66..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의의 이이론론적적 측측면면 -- 부마마르르 교교수수와와의의 인인터터뷰뷰

5. 탐방내용의 정리 및 요약 55.. 탐탐방방내내용용의의 정정리리 및및 요요약약 6. 프레네 교육이 한국의 공교육 개혁에 주는 시사점 66..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이이 한한국국의의 공공교교육육 개개혁혁에에 주주는는 시시사사점점

7. 프레네 교육과 한국 공교육 개혁의 만남 77..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과과 한한국국 공공교교육육 개개혁혁의의 만만남남

Page 3: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

1. 탐방목적 - 공교육, 空교육이 아닌 公교육을 위하여!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11.. 탐탐방방목목적적

공교육의 위기 혹은 공교육 부실화가 심각한 수위에 이르렀다. 누구나 교육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실현하고, 공공의 목적을 위해 탄생한 공교육을 쉽게

포기할 수 없다면 우리는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처방안을 시급히 마

련해야 한다.

공교육 체계 내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개혁 프로그램이나 교육방법이 필요

하다. 발도로프(Waldorf), 몬테소리(Montessori), 써머힐(Summerhill), 협약학

교(Charter school)와 같이 특정 형태의 학교를 설립해야만 실천할 수 있는

모델이 아니라, 기존의 공교육 체계 내부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개혁 모델

이 필요하다.

프랑스와 유럽 여러 지역에서 성공적 공교육 개혁 사례로 꼽히고 있는 프레

네 교육(Pedagogie Freinet)이 한국의 공교육 개혁의 유용한 모델이 될 수

있다. 프레네는 민중을 위한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프레네 기술이라는 독특

한 교육방법을 통해 프랑스 공교육 개혁에 큰 역할을 한 인물이다.

2. 탐방테마 – 삶으로부터 출발하는 프레네 교육! 22.. 탐탐방방테테마마

프레네 교육철학의 핵심 내용을 살펴보고, 프레네 교육이 공교육에 미친 영

향과 프레네 기술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프레네가 1930년대에 설립한 Ecole Freinet를 방문하여 그의 초기 교육 활동

의 흔적들을 살펴본다.

프레네 기술을 활용하는 학교를 방문하여, 프레네 기술의 실제를 살펴본다:

자유글쓰기, 인쇄작업, 편지왕래, 학급위원회 등.

프레네 교육운동의 산실, 현대학교협의회(ICEM)의 주요 활동과 기능에 대해

조사한다.

Page 4: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기대효과 및 문제점 그리고 한국적 개혁

모델이 되기 위한 전략 및 방법을 모색.

3. 탐방일정 - 2003년 7월 28일 ‾ 8월 10일 33.. 탐탐방방일일정정

날 짜 탐방국

/ 도시 탐 방 기 관 탐 방 내 용

2003.7.28 한국 출발 →프랑스/빠리(Paris) 도착

→ 프랑스/렌느(Rennes)로 이동

2003.7.29 프랑스/렌느

Haute

Bretagne

University

P. Boumard 교수와 인터뷰

2003.7.30 프랑스/낭트(Nantes)로 이동

2003.7.31 프랑스/낭트 ICEM

국제홍보교육 담당자 Thyde

씨의 강의, 견학, 비디오 시

2003.8.01 〃 Ange Guepin

학교

Ange Guepin 학교 방문

비디오 시청

2003.8.02 “ ICEM 프레네 교육운동 전반에 대

한 Thyde씨의 강의

2003.8.03 프랑스/니스(Nice)로 이동

2003.8.04 프랑스/벙스

(Vence) Ecole Freinet Ecole Freinet 학교 탐방 1

2003.8.05 프랑스/벙스

(Vence) Ecole Freinet Ecole Freinet 학교 탐방 2

2003.8.06 프랑스/빠리(Paris)로 이동

2003.8.07 프랑스/빠리 Boileau 학교 사전 탐방

2003.8.08 〃 Boileau 학교 Boileau 학교 탐방 및 촬영

2003.8.09

~ 8. 10 프랑스/빠리 출발 (8월 9일) → 한국 도착 (8월 10일)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5: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

4

4. 탐방내용 44.. 탐탐방방내내용용

국내탐방 송순재 교수님, 황성원 교수님 국국내내탐탐방방

송순재 교수님은 감리교 신학대학교의 기독교

교육학과에 재직중이시며, 개혁교육학과 대안교육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특히 선생님은 유럽에서

일어났던 다양한 교육운동들을 한국에 알려

교육학자들뿐만 아니라 일선의 교사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한국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교육자들과 교육사상 및 교육방법

등을 소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의

일환으로 선생님은 프레네 교육에 관한 책을

번역하여, 국내에 프레네 교육학을 소개하였고,

프레네 교육학에 대한 작은 세미나를 운영하고 있다.

황성원 교수님은 프랑스에서 프레네 교육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에 돌아와서도 학회지를 통해

프레네 교육에 대해 소개한 바 있다. 현재는 건양대학교

아동보육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두 선생님의 말씀과 연구자료 및 번역서 등을 통해

프레네의 삶과 프레네 교육학의 근본 철학 및 의미, 그리고

실제적인 방법의 실제 등, 프레네 교육학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들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들을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프레네의 삶과

프레네 교육학의 형성배경, 그리고 교육철학 등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4 - 1. 셀레스땡 프레네의 생애 및 프레네 교육학의 형성 과정 44 -- 11.. 셀셀레레스스땡땡 프프레레네네의의 생생애애 및및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학학의의 형형성성 과과정정

-- 프프레레네네의의 탄탄생생과과 어어린린 시시절절

Page 6: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5

1896 년 10 월 15 일 셀레스땡 프레네는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니스(Nice)와 이탈리아 국경에 근처의 가르 (Gars)라는 시골 마을에서

태어났다. 프로방스의 토박이로 알프스 고지에서 농부들과 함께 지냈던

프레네의 성장과정은 이후, 그가 교육에 관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데 있어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전전쟁쟁과과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학학의의 동동인인

1912 년 프레네는 초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 니스의 교육대학에

입학했다. 1914 년 말 잠시 생 세제르(St-Cezaire)에서 실습교사로 일하던

그는 세계 제 1 차 대전이 발발하여,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끝마치지 못하고

1915 년 4 월 징집되었다. 교사양성 과정을 온전히 마치지 못한 프레네는

이로 인한 부족함을 보충하기 위해 언제나 혁신적인 교육방법을 습득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결과로 그는 시행 착오에 기초한 학습과정(경험에 따른

더듬어 찾기 이론 혹은 모색하는 시도라 불리는)에 강한 확신을 갖게

되었다.

1917 년 4 월에, 프레네는 세맹 데 담(Chemin des Dames) 전투에서

폐에 심한 부상을 당하게 된다. 이는 그의 삶에 큰 장애가 되기도 했지만,

그가 생각해왔던 “자발성의 교육학”을 새로운 차원에서 발전시키는 새로운

동인이 되기도 하였다. 즉, 아동의 활동이 주를 이루는 수업방식을

발견하려고 노력 하면서 교육에 부단한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 프프레레네네 사사상상의의 형형성성과과 실실천천,,

그그리리고고 국국제제적적 운운동동의의 시시작작

1919 년 프레네는 그라스(Grasse)에 인접한 작은 도시인

바쉬르루(Bar-Sur-Loup)에 위치한 남학교에 보조 교사로

임명되었다. 그가 정치참여적인 활동, 사회적 혁명의 과정에

있어서 교육의 역할에 대한 공적인 논의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다. 1923 년 6 월에 프레네는 몽트로

(Montreux)에서 열린 제 2 회 국제 신교육연맹회의에 참석하여,

삐에르 보베(Pierre Bovet), 아돌프 페리에르(Adolphe Ferriere)와 같은

제네바 (Geneva)의 장-자크 루소 연구소에 있는 스위스 교육자들과 사귈 수

있게 되었다.

1924 년부터는 교육에 관한 프레네의 새로운 시도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해 6 월, 프레네는 작은 인쇄기를 하나 구입하여, 자신의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7: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6

학생들과 함께 “자유로운 글쓰기” 작업을 한 것을 인쇄하였다. 이 때부터

그는 학교인쇄소, 자유로운 글쓰기, 학교신문, 영화상영 등과 같은 새로운

원리와 방법들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1926 년 프레네는 학교 교사이자 재능 있는 목판화가였던

엘리제 라지 브리노(Elise Lagier-Bruno)를 만나 결혼하게

된다. 그녀는 프레네와 함께 협력함으로써 프레네의 활동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1926 년 6 월에는 Tregunc-St-

Philibert 의 교사인 르네 다니엘(Rene Daniel)이 인쇄기를

구입하면서 그는 프레네의 첫 번째 정기적인 편지 교환자가

되었다.

1927 년에는 프레네의 교육방법에 동조하는 교사들이 꾸준히 늘어나

“학교인쇄공운동조합”(Coorperative d’entraide L’imprimierie a l’ecole)이

결성되었고 기관지도 발행되었다. 이 단체에서는 아이들이 만든 잡지를

간행하기도 하였다. 그 이듬해에 프레네는 학교간 교류의 핵심적인 구성원

6 명과 함께 공립학교 교사연합(La Cooperative de L'Enseignement La c:

CEL)을 설립하였다. 이 시기에는 벨기에와 스페인 에서도 학교인쇄소를

도입하는 교사단체들이 생겨났고, 프레네 운동은 국제적 운동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i

-- 프프레레네네의의 교교육육운운동동과과 장장애애들들

1932 에서 1934 년까지 프레네는 그의 혁신적인 교수 방법과 사회주의적

성향에 반대하는 사람들에 의해 많은 장애에 부딪치게 된다. 한 예로 1932 년

8 월 초에 프레네는 니스에서 열린 신교육협회의 국제회의에 참석하였는데,

회의 참석자들이 자신의 학급을 참관하러 온 날 100 여 명이 되는 참석자들과

함께 가두시위를 주도하게 된다. 그 일은 프레네의 학급신문에 실린 두 편의

자유로운 글쓰기에서 시장과 신부가 부정적인 모습으로 그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편집 없이 그 글을 학급신문에 실었다는 데서 발단이

되었다.

이는 단순히 자유로운 글쓰기의 문제를 넘어 교육개혁 전체의 문제로

비화되어, 교육관리, 시의회 의원, 정치가, 신학자들과 교육학 교수들,

언론까지 가세된 본격적인 논쟁이 되었다. 2 년 간이나 계속된 이 논쟁과

싸움은 프랑스 전역에서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많은 교사들이 연대하도록

했으며, 아돌프 페리에르(Adolphe Ferriere), 로망 롤랑(Roman Roland)와

같은 당대의 인물들의 적극적인 연대가 있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국은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8: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7

프레네가 교사직을 그만두는 것으로 이 사건은 끝을 맺었다(김명신,

2002:106-108 참조).

-- 프프레레네네 학학교교의의 설설립립과과 제제 22 차차 세세계계대대전전

그러한 마찰로 인해 결국 생 폴(Saint-Paul)의

공교육 체제에서 쫓겨난 그는, 칸느 근교의 벙스

(Vence)에 1934 년 학교를 세우고, 1935 년에

프레네 학교 (L'Ecole Freinet)로 이름 붙여진

새로운 사립학교를 열었다. 이 학교는 사회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아이들, 독일에서 넘어오는 유대인

고아들, 스페인 내전을 피해 프랑스로 넘어오는

스페인 난민의 아이들을 받아들였다.

프레네는 사회, 정치적인 참여들로 인해 1940 년

3 월부터 여러 번 체포되고 감금 되었다. 그는

1941 년 10 월에 풀려나게 되었지만, 가택 연금 상태에 처하게 되었고, 그의

학교는 1941 년 7 월 문을 닫았다. 수용소와 가택연금 상태에 있던

1941 년부터 1943 년까지 그는 실제적인 교육활동은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그는 자신이 저널에 발표한 글들과 컨퍼런스에서 발표했던

연설문, 그리고 자신의 주최했던 세미나의 내용을 책으로 확장시킨 축복의

시기이기도 했다. 교육에 관한 프레네의 중요한 영향력은 바로 이러한

사상과 실천에 놓여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 프프레레네네의의 활활동동과과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 운운동동의의 활활성성화화

1946 년 프레네 학교는 다시 문을 열었으나 그는 더 이상 학교에서

수업을 하지 않고 공립학교 교사연합(La Cooperative de L'Enseignement

Laic: CEL)이 있는 칸느에서 자신의 교육학 운동을 전파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그는 1947 년 4 월 디종 (Dijon)에서 2 차대전 이후 첫 번째

회의를 열었다. 이러한 모임을 통해 프랑스 교사들과 프레네 운동의

교육자들 그리고 전세계 에서 온 -일본, 바르셀로나, 폴란드, 러시아,

벨기에- 교사와 교육자들은 서로 교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회의들의

결과로, 프레네는 본격적으로 공립학교 교사연합(CEL)을 창립하였는데, 그

단체는 자신들의 교육 회보(L'Imprimerie a l'ecole)와 아이들의 학교신문(La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9: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개혁

8

Gerbe), 그리고 8-mm 영화(Pathe-Baby)를 생산 하고 보급하는 일을

도맡아 하였다.

1932 년부터 새로운 학습총서(Bibliotheque de travail: BT)를 발간하기

시작한 프레네는, 1947 년에 이르러, 자신이 전쟁의 파괴로부터 되돌아와

교육체제를 현대화하려는 싸움의 최전선에 서있다는 점을 외부 세계에

인식시키기 위해 프레네 운동을 “현대학교협의체”(L'Institut cooperatif de

l'Ecole Moderne: ICEM)로 재명명하였다. 현재에도 현대학교협의체는 학습

총서(BT)와 현재 프레네 기법(techniques)을 따르는 학교에서 사용하는

다른 모든 출판물들을 간행하고 보급하고 있다.

1957 년에는 프레네 운동의 국제적 연합인 “현대학교 운동

국제연합”(Federation Internationale des Mouvements de l’Ecole

Moderne)이 창립되었다. 이러한 단체들은 여러 가지 종류의 기관지를

발간하였으며, 1953 년에는 “학급당 25 명의 학생을!”이라는 캠페인을

시작하기도 하였다.

프레네는 1966 년 10 월 벙스에서 숨을 거두고, 가르(Gars)에 묻혔다.

프레네가 세상을 떠난 이후에도 그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여러 단체들은

오늘날에도 조금씩 그 모습을 달리하거나, 그대로 남아, 프레네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44 -- 22.. 셀레스땡 프레네의 교육사상 셀셀레레스스땡땡 프프레레네네의의 교교육육사사상상

프레네 교육의 기본사상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의의 기기본본사사상상

프레네의 교육사상은 프레네 개인만의 독자적인 생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기보다는 이전의 많은 교육자들의 교육사상에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당대의 다양한 교육가들의 교육 사상을 정합적으로 추출해내고

발전시킴으로써, 자신만의 독 특한 교육사상을 새로이 만들어낼 수 있었다.

이러한 프레네 교육사상은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을 것이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오비드

데끌로리

장 삐아제

(Jean Piajet)

폴 로뱅

(Paul Robin)

아돌프

페리에르

뷔송

(Buisson) 프레네

교육학

타고르의

“오픈 스쿨”

존 듀이

(John Dewey)

몬테소리

(Montessori)

루소의 에밀

(L'Emile)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학학

Page 10: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9

민민중중을을 위위한한 교교육육((EEdduuccaa ittioonn ppuuppoollaa irriee))

교육에 있어서 프레네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 중 하나는 사회에서

가장 불리한 위치에 있는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올바른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프레네는 모든 사람들이 조화를 이루어,

평등하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이상으로 삼았다. 그는 특정한

계급을 위한 학교가 아닌,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교육받을 수 있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민중의 학교를 만들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는 비용이

많이 드는 특정한 형태의 사립학교를 설립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무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공교육 체제 내에서의 교육방법과 내용을 변화

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프레네 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자유로운 글쓰기와, 지정된 교과서 사용하기 않기,

노작교육, 학급회의 등을 들 수 있다.

자자연연스스러러운운 교교육육방방법법

프레네는 아동의 자발적인 동기를 자연스럽게 이끌어낼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육방법을 생각해냈다. 그는 교사가 아동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전달욕구와 의사소통의 욕구를 자연스럽게 충족시킬 수 있도록 배려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아동의 학습을 유도해낼 수 있다고 보았다.

이처럼 교사가 아동에게 근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살펴서 그

부분을 채워주고, 아동 역시 자신에게 필요한 것, 또는 자신에게 잘 맞는

것이 무엇인가를 찾아내어 학습하는 과정에서 “자발적”으로 그리고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생각해볼 수 있는 다른 한 가지는 바로 “삶” 또는

“주변”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이다. 아이들은 자신에게

제공된 여러 가지 가능성들 중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합자연적 교수학습법은 생생한 삶으로부터 유리된

인위적인 교육을 거절하고, 대신 건강한 인간을 기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학교생활과 학습에서의 연대성을 강조하고 공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11: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10

교육방법으로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글쓰기”,

“모둠활동”, “개인과 공동 학습계획”, “탐사”와 “프로젝트법” 등을 들 수

있다.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학학의의 기기본본 명명제제 -- 새새로로운운 학학교교를를 위위한한 근근본본원원리리

프레네는 20 세기 중엽을 살고 있는 어린이들에게 그 시대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공적인 학교를 개혁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그는 “현대 프랑스 학교(L'Ecole

Moderne Francaise )”라는 저작에서 10 가지의 본질적인 원리를 기술하고

있다. 이 책에서 프레네가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학교를 위한 일반적인

근본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의 목적

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어린이를 사려 깊은 공동체의 품에서 키우면서 그

인격이 최대한 폭넓게(기품 있고 힘차게) 자라나도록 하여, 어른이 되어서는

조화롭고 균형 있는 사회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두어야 한다.

어린이에게 적합한 학교

앞으로의 학교는 어린이를 공동체의 한 일원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그

중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 도야재는 어린이의 근본적인 욕구와 필요에서

출발하여, 그가 속한 사회적 관심사에 지향시켜 준비해야 한다.

어린이는 교사의 도움으로 자신의 인격을 스스로 형성한다

어린이는 스스로 자라나는 존재라는 점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어린이의 흥미에 맞는 환경을 조성하고, 여기에 상응하는 학습자료와

어린이에게 적합한 교수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내일의 학교는 “일하는 학교”가 되어야 한다

일은 향토적, 민족적 교육학의 원리로서 동력의 근원이자 철학이 되어야

한다. 모든 교육에서 지향하는 바는 자발성이다. 일하는 민족이 만들어내는

사회에서 이런 방식으로 쇄신된 학교는 삶의 과정으로 완전히 통합된다.

각성된 머리와 능숙한 손은 지식으로 가득 채운 머리보다 낫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12: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11

학교는 학생들의 능동성에 근거하고 있어야 한다. 기존의 학습체계는

공부에 대한 수동적인 자세만을 기르고, 공허한 지식만을 제시할 뿐이다.

이와는 달리 새로운 교육은 뇌를 신선하게 깨우고 수작업을 활용하는

능동적인 방법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조직적 학습의 기초로서 사려 깊은 원리

내일의 학교는 어린이의 자유라는 명목 아래 혼돈스러운 곳이 되어서는

안 된다. 내일의 학교가 가져야 할 규율은 학생들의 능동성과 학교

공동체생활이 기능적으로 잘 조직되어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표현이자

결과이다.

20 세기의 학교는 20 세기의 인간을 위하여 존재한다.

새로운 삶과 새로운 현실성을 지향하는 학교는 그들이 교실이나 수업

계획이나 시간표뿐 아니라, 기술문명이 진보한 시대가 요구하는 학습활동의

수단과 수업기술을 쇄신해야 한다.

개혁은 뿌리로부터 일어나야 한다.

학교제도의 개혁이나 현대화는 그 어떤 것도 환상이나 유행, 혹은

상급관청의 지시로부터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새로운 교육을 위한 개혁은

현실 생활로부터 전개되어야 하는 것으로, 그렇게 할 때, 교육은 굳건한

뿌리를 가지고 잘 양육되고 힘차고 견고하게 자랄 수 있을 것이다.

개혁의 사회적 복합성

이상에서 언급한 학교개혁의 문제는 학교의 사회적 불가결성이라는

맥락에서 다시금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재정문제나 교사

재교육과 같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혁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개혁은 단번에 오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수반한 부단한 노력을 통해서 조금씩 이루어지는 것이다. 강요보다는

내적 확신으로, 말이 아니라 존재의 움직임으로 현실적 변화를 입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민족과 민중의 학교는 민족과 민중의 공동체성이 없이 존재할 수 없다.

교육은 경제가 정치구조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개혁 작업

역시 그러한 구조에 의해 변질될 수 있다. 우리는 사회적 혼돈상태로부터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13: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12

빠져 나와 앞으로 맞이하게 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교육학과 학교를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해외탐방 해해외외탐탐방방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14: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13

Ecole Freinet

(프레네 학교) Ange Guepin 학교 Boileau 학교 ICEM

탐방일

2003.8.04

– 8. 05 2003.8.01

2003.8.07

– 8. 08

2003.7.31/

8. 02

위치

벙스 근처의 “비

우리에다”라는

작은 마을

낭트 파리 시내 낭트

특성

초기에 프레네

가 세운 사립

초등학교

전교생 65명 규

모의 작은 학교

동물과 포도밭

그리고 숲이 있

는 학교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시설들

교사와 아이가

함께 만든다 양

한 작품들

야외 원형극장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지역의 학교

교장이 없이 교사

전원 (5 명) 이

공동으로 책임을

지는 구도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는 도구들과

장난감(?)이 가득한

학교

형광등 대신 창문과

천정으로 들어 오는

빛을 이용할 수 있는

건물구조

큰 규모의

도시형 학교

복층 구조의

저학년 교실

다양한 교실

구조와 아이

들을 위한

도서관

일종의 사범대

학 부설학교

낭뜨 시내의 한

건물에 위치한

작은 사무실에

위치.

프레네 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

ICEM에 가입한

교사들의 매우

적극적인 활동

탐방내

프레네식 교육

방법의 전반

학교의 구조

학급회의 참관

학생평가 방법

학급구성

시간표 구성과 평가

자유로운

글쓰기 작업

학급신문

학교 도서관

ICEM 의 활동

ICEM 의 역할

프레네 교육과

관련된 비디오

자료 시청

4 - 3. 초기 Ecole Freinet를 통한 공교육 개혁의 내용 44 -- 33.. 초초기기 EEccoollee FFrreeiinneett를를 통통한한 공공교교육육 개개혁혁의의 내내용용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15: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14

우리가 프레네 교육운동에 대해 조사하고 탐방하고자 했던 학교는

Rennes에 있는 Henri Guerin 학교였다. 그런데 학교를 소개 시켜 주겠다

는 교사의 확답을 듣지 못한 터였고, 프랑스 전역의 학교에서 교사의 도움

을 받고 학교를 탐방할 가능성이 적다면 프레네가 초기에 설립했다는

Ecole Freinet를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하였기에

탐방 일정을 바꾸게 되었다. 다음의 내용은 ICEM의 프레네 교육 국제홍보

담당 교사인 Thyde씨가 소개해 준 내용과 Ecole Freinet의 정원사이자 이

학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인 Impelizzeri씨의 설명을 정리한 것이

다. 참고로 프레네 교육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랑스 초등학

교 학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프랑스 초등교육은 5년제이며, 학년과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프랑스 초등학교 1학년: 준비반(CP), 2학년: 초보

반1(CE1),: 3학년 초보반2(CE2), 4학년: 중급반1(CM1), 5학년: 중급반

2(CM2).

프레네 학교에서의 프레네 교육 프프레레네네 학학교교에에서서의의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

프레네 학교는 프랑스의 남쪽 끝에 위

치한 니스(Nice)에서 1시간 거리에 있는

벙스 (Vence)라는 곳에 위치해 있다. 벙

스는 오래되고 한적한 시골 마을로 프레

네 학교는 벙스에서 다시 3Km 정도 떨어

진 푸른 언덕 숲 속에 자리잡고 있다. 문

도 담도 없는 학교 건물은 자유로움을 상

징적으로 나타내는 듯 했다. 이 학교는

1935년에 설립되어 프레네의 부인 엘리

제와 딸 마들렌에 의해 운영되다 1991년

에 공립학교로 전환되었다.

생수와 학급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

Page 16: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15

전교 학생수는 65명이며, 학급수는 3개

이다. 3-5세반의 초급, 6-8세 중심의 중급,

9-11세 중심의 고급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우리 나라의 학교에서처럼

연령에 따라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여러 연령의 아이들이 함께 공부하는 각 학급의 학생수는 대개 20명 내외이

다. 방학기간이었기 때문에 이 학교에서는 직접 수업장면을 볼 수는 없었으

나, 초기 프레네의 교육방법들을 자세히 들을 수 있었다.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어, 매우 아름다운 풍경을 가진 이 학교는 흰색과 하늘색으로 이루어진 아

담한 건물들, 그리고 아이들을 위한 작은 수영장이 인상적이었다. 학교 곳곳

에 있는 아이들의 조각과 작품, 그림 또한 매우 인상적인 부분이었다.

수업의 조직과 운영

수업의 원어는 일(travail, 영어로는 work)이다. 프레네에게 있어 교육은

일의 개념과 떨어질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학습활동 그 자체도 travail의

의미를 지닌다. 불어의 travail에는 공부하는 것, 일하는 것 모두의 의미가 포

함된다고 한다.

아침모임

아침모임은 하루 일과를 시작하기 전에 아이들이 둘러 앉아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손을 들고 의장의 지명을 받아 이야기하는 시간이다. 숙제

로 내준 책을 읽거나, 노트에 책의 내용에 관한 질문의 답을 써온 아이는 교

사에게 보여주기도 한다.

월요일 아침모임에는 먼저 의장을 뽑는다. 의장은 모든 아이들이 돌아가

면서 한 차례씩 하고 나면 입후보제가 되어 투표로 뽑는다. 새로운 의장을

뽑기 전에 전 의장에 대한 학생들의 소감을 들어본다. 아침모임에서 교환되

는 이야기들, 혹은 아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도록 하는 이 과정

은 프레네 교육에서 강조하는 민주주의 원리와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학습표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17: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16

2주 1회씩 새로운 학습표를 시작하는 월요일에는 각자가 가진 지난 학습

표의 뒷면에 적힌 학습표에 대한 아이들, 교사, 부모들의 감상과 평가를 교

사가 모든 학생들에게 읽어준다. 그 후 새로운 학습표를 나누어 주고 각자

새로운 학습목표를 정한다. 학습표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감상은 우리 식

의 성적표처럼 한 학기에 한 번씩 쓰여지는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아이들

이 학습하고 있는 내용에 대한 격려나 주의를 주는 구체적인 내용들로 채워

진다.

학습표는 모든 아이들이 별도로 자신의 학습진도와 능력에 따른 학습의

원칙에 바탕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아동에게 알맞은 교재가

마련되어 있다. 학습표는 무엇을 학습하겠다는 계획예정표이자, 자신이 학습

하고 있는 내용의 진행기록표이며, 그 목표치에 얼마만큼 도달했는지를 나

타내 주는 평가표이기도 하다.

2주가 지나면 아동, 친구, 교사 3자가 학습표의 실천에 대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내린다. 그리고 자신과 교사의 감상과 평가를 기입한 뒤 집으로 가

져가서 부모의 평가를 적게 한다. 이런 식의 평가가 1년에 16-17회 정도가

반복된다. 이처럼 프레네 학교에서는 개인학습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이것

이 주된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간혹 아동 개인이 스스로 계획해서

하는 학습이 어떻게 진행되고, 진도는 어떻게 나가는가에 대한 불안감을 가

지게 될 수도 있지만, 그 모든 것은 이 학습표가 답해 주며 2주 동안 아이

들은 각자가 이른 진도 수준을 보여주게 된다.

개인학습

아동 개인의 자율적인 학습을 강조했던 프레네 학교의 시간표를 보게 되

면 개인학습 시간이 많음을 알 수 있다. 프레네는 학습은 그 양이 문제가 아

니라 스스로 익히는 자율적인 학습방법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곧 저마다의

수준에 맞게 만들어진 교재에 따라 스스로 배우고 이해하며, 답이 나오면 스

스로 점검하여 잘못을 바르게 고치는 것이 학습의 중심이다. 예를 들면 산수

응용문제를 풀 경우 스스로 시계의 침을 돌려보고, 무게나 길이를 실제로 재

어 보는 식으로 자신의 손과 발을 움직여 만들어가며 구체적으로 납득하게

될 때까지 공부한다. 이때 교사는 아이들의 자리를 돌면서 아이들의 질문을

받거나 조언을 해주면서 아이들의 스스로 학습이 잘 이행되도록 지도한다.

자유 글쓰기, 인쇄 출판작업, 학급신문 그리고 편지왕래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18: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

17

자유글쓰기는 삶에 있어서 일종의 기술이다. 언제 어디

서나, 어떤 바탕 위에서든 아이가 원해서 쓰여지는 하나의

본문이다. 이것은 또한 토론, 논의 그리고 대화를 이끌어

내는 요인이 된다. 맞춤법을 고려하고, 아이의 생각을 정

확하게 만들어가면서, 아이가 잘 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것은 아이가 스스로 선택한 표현이다. 중

요한 것은 이 표현이라고 하는 것인데 이것은 비록 성인

들의 미적이거나 지적인 범주에 맞지 않더라도 아이가 자

기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 스스로 선택한 것이기 때문이다.

자유글쓰기는 일종의 수업방식이나 예식절차가 아니며 소위 자유 주제를

다루는 것과도 다르며, 주어진 주제를 가지고 쓰는 글도 아니다. 아이들이 느

끼는 것, 말하고자 하는 것을 언어의 틀 속에 넣어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거

꾸로 언어에 의해 해방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는 작문교육의 하나라고 말하

기 보다는, 오히려 생활표현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자유글쓰기가 이루어지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아이들에게 매일 글을

쓰게 한다. 아이들의 생활 밖에 있는 어떤 것을 억지로 쓰게 하는 것이 아니

라, 아이들 속에 있는 것, 자발적인 것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게 한다. 그

렇다고 자유글쓰기가 아이들이 멋대로 쓰도록 방치하는 것이 아님은 분명하

다.

그 이유는 첫째, 자유글쓰기의 과정에서 교사가 아이들의 자발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조언자로 관여하기 때문이다. 둘째, 국어교육방법이 자유글쓰

기로 이어지기 때문에 언어표현의 측면에서 아이들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공

하여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자유글쓰기는 매일 가장 긴 시간에 걸쳐 하는 작

업이기 때문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을 통해 알게 된 낱말이나 구

분, 문법 지식을 총체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셋째, 자유글쓰기는 쓴 것 자체

로 끝나거나 그것을 교사에게 보여주고 점수를 받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

니다. 자유글쓰기가 끝나면 모든 사람 앞에서 읽고, 질문과 감상, 의견을 교

환한다. 아이들은 자유글쓰기 중 투표를 통해 ‘오늘의 글’을 뽑고 그것을 인

쇄하는 작업도 하게 된다. 그리고 인쇄된 글을 가지고 문법, 낱말, 발음, 철자

등을 함께 공부하기도 한다. 자유글쓰기는 아이들이 자유롭게 쓴 글이지만 이

후에는 그것이 하나의 텍스트가 되어 학습자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인쇄 출판작업은 아이의 글쓰기가 갖는 가치를 높여

Page 19: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18

주기 위한 수단이다. 즉 인쇄된 면은 공식적인 글과 동

일시되며, 독자들은 보통 여기에 대해 특별한 가치를 부

여하게 된다. 인쇄된 본문은 아이의 글에 대해 어른의

글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가치를 부여한다. 직접 인쇄함

으로써 아이들은 인쇄된 글을 비판적으로 판단

할 수 있게 된다.

학급신문은 자유롭게 쓴 글들, 자유 그림들, 작업과 탐

구결과들, 학급생활에 관해 모둠들이 작업한 글들, 놀이

등의 내용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도구이다. 그것은 발전된

인쇄나 복사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신문 면을 꾸며 보고,

삽화 기술을 이용해 봄으로써 가능해진다. 학급신문은 또

한 일종의 소통매체이기도 한다. 학급신문의 교환과 상호

비판을 통해 인쇄 기술과 내용이 개선될 수도 있고, 새로

운 작업가능성이 발견될 수도 있으며, 편지왕래가 가능해지기도 한다. 이것은

아이들의 창의성을 나타내주는 하나의 증거라고 볼 수 있다.

자유연구 발표회(프로젝트 수업)

자유연구 발표회는 자유글쓰기와 함께 프레네 교육의 두 기둥을 이루는

것이다. 자유연구발표회는 한 사람이 몇 회를 해야 하는 식으로 강요되지 않

는다. 어떤 아이는 1년에 몇 번씩 하지만, 어떤 아이는 한 번도 하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자주적으로 자유롭게 행해진다. 자유발표의 주제는 매우 다양하

다. 동식물이나 곤충에 관한 것에서부터 자연, 인문, 역사, 지리 등 다채롭다.

주제의 선택은 완전히 아이들의 자유이며, 교사는 학생들이 선택한 주제가

마음에 들지 않아도 간섭하지 않는다. 물론 교사는 학생의 연구에 필요한 참

고도서나 자료집을 제공하고 조언을 한다.

발표의 기본은 아이들의 관심에서 출발한다는 점이다. 아이들은 주말에

본 것, 휴가 때 가본 곳 등과 같이 자신의 체험으로부터 선택한다. 일상생활

의 호기심에서 출발하여 설탕, 커피, 소금 등을 주제로 선택하는 경우도 있고

대통령 선거와 전쟁 등 시사문제가 선택되는 경우도 있다. 아이들의 관심을

중요시하고 생활과 체험으로부터 자유롭게 주제를 선택하게 하는 것이 프레

네 학교 자유발표의 특징이다.

이는 단순한 자연이나 사회와 같은 과목의 차원을 떠나 종합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프레네 학교에서는 개인학습시간에 국어와 산수 과목을 중심

으로 하고 자연이나 사회에 관한 수업은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은데 자유발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20: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19

표 시간에 그것이 충분히 보완된다. 발표의 내용은 학생들이 나름대로 조사

한 것이지 백과사전식의 나열은 아니다. 자신이 이 흥미를 느끼는 부분을 조

사하고 그 가운데 자연스럽게 새로운 내용을 배운다는 것이 프레네 자유교육

의 원리라고 할 수 있다.

학생집회

학생집회는 모든 학생이 참여하는 합동집회와 학급회의로 나뉘며 1 주일에

한 번씩 열린다. 모든 학생들에게 관련된 문제는 합동집회에서 논의되고,

한 학급에 관련된 문제는 학급회의에서 토론된다. 그러나 어느 집회에서나

아이들이 말하고 싶은 것을 말할 수 있으며, 하고 싶은 말을 자유롭게 쓴

일종의 벽신문을 중심으로 회의가 이루어진다는 점은 동일하다.

합동집회용 벽신문은 학교 복도에 붙여지고, 학급회의용 벽신문은 교실에

붙여진다. 벽신문에는 ‘나는 칭찬한다’, ‘나는 비판한다’, ‘나는 희망한다’, ‘나

는 실천한다’라는 주제에 대해 적도록 네 개의 빈칸이 마련되어 있다. 이 네

가지 항목에 쓰여지게 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벽 신문에 쓰여지는 내용

나는

칭찬한다

누군가 좋은 일을 한 경우 칭찬하고 그것이 발표되면 모두가

박수를 친다.

나는

비판한다

잘못된 행동을 지적하는 공간이다. 비판내용이 집회에서 발표

되기 이전에 해결되면 ‘해결’이라고 적혀져 발표되지 않지만

해결되지 않으면 집회에서 자세한 내용이 밝혀지고 해결책을

모색해보는 식으로 진행된다.

나는

희망한다

이 항목에서는 누구나 말하고 싶은 것을 쓸 수 있다.

나는

실천한다

자신의 솔선수범을 적는 공간이다.

어떤 항목에도 자신의 이름을 밝혀야 한다. 특히 비판하는 항목의 경우

그러하다. 익명으로 비판하는 것은 비겁하다고 생각된다. 학생도 교사도 모두

동등한 위치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며 토론하

게 된다. 아이들은 이러한 회의 과정을 통해 민주주의를 몸소 배우게 된다.

4 - 4. 오늘날 Freinet 교육의 실제제 (Ange Guepin, Boilleau 학교) 44 -- 44.. 오오늘늘날날 FFrreeiinneett 교교육육의의 실실제 ((AAnnggee GGuueeppiinn,, BBooiileeaauu 학학교교))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21: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0

A

.

프랑스의 일반 학교는 7, 8월에 바캉스 시즌이라 모든 학교가 문을 닫

는다. 그런데 Ange Guepin 학교는 바캉스 시즌에도 휴가를 떠날 수 없

는 학생들을 위해 정부의 지원으로 방학 기간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

었다. 우리는 학교를 참관하며 사진을 찍고 싶었으나, 이 학교 아이들 중

단 한명이라도 사진 찍기를 거부한다면(한 아이가 거부했다) 사진을 찍을

수 없다 하여 학교 내부와 학급회의 장면은 사진에 담아 오지 못했다. 대

신 학교 운영에 관련된 자료는 얻어올 수 있었다.

Ange Guepin학교 에서의 프레네 교육 AAnnggee GGuueeppiinn학학교교 에에서서의의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

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학급회의

급회의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

이 학교의 정식 명칭은 Ecole pubulique

nge Guepin이며 낭트(Nantes) 시에 소재하고

다. 6명의 교사와 5학급으로 구성된 이 학교

교장과 같은 특별한 책임자가 없으며 모든

사가 공동책임으로 학교를 운영하고 있었다.

난한 아이들이 사는 지역에 있는 곳이어서.

소 허름하고 작은 학교였지만, 아이들과 함께

만반의 준비가 되어있는 듯한 교사들의 자유로운 옷차림과 모습은 매우

상적이었다. 이 학교에서 우리는 일주일에 한번씩 열리는 학급회의에 함께

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참여를 통해 우리는 학급회의의 진행과 운영, 그

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Thyde로부터 이 학교의 학급구성과 교육과정

수업활동과 프로젝트과 관련된 활동

를 통해 아이

은 민주주의와 시민사회의 규칙들을 훈련할 수 있게 된다.

집단생활을 하면서 필요한 것들(vie de groupe)

집단생활을 하면서 생겨나는 문제점들

학급회의에서는 학생들의 논의가 명확하게 끝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

의 의견 일치를 이루는 선에서 마치게 된다고 한다. 학급회의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

Page 22: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1

학급회의와 학생회의의 구성

규칙대로 회의를 주관하며 의견을 말할 기회를 부여한다.

말하지 못하거나 하지 않

는 학생들에게 말할 기회를 주기 위함이다.

이 모인 전체회의를 함께 운영한다. 회의결과는

의장(President)

서기(secrietaire)

의장을 돕는 역할을 하며 회의 내용을 기록한다. 서기는 의견을 말하는

학생의 이름을 매번 적는 일을 맡게 되는데, 그 이유는 학급에서 누가

말을 많이 하고 적게 하는 지를 살펴서 의견을

운영

학급별 회의와 각 학급

회의록에 기록한다.

학교회의(conseil ecole)

학급회의

학급회의

학급회의

학급회의의 주제

우리가 참관한 학급회의에서 논의된 주제들은 흥미로운 것들이었다.

이야기하기

주제 1: 학교에서 필요한 용품들은 무엇인가?

2: 여학생들과 남학생들이 서로에 대해 가지고 있는 불만

3: 오늘 학급활동으로 하고 싶은 것에 대해 이야기하기

특히 주제2를 놓고 학생들과 교사들이 꽤 심도 깊은 논의를 하였다. 그러

나 회의가 끝난 후 교사 회의실로 돌아와서 Thyde씨와 이 학교 교사간에 논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23: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2

쟁이 이루어졌다. 꽤 오랜 시간 동안 이루어졌던 이 논쟁에서 Thyde씨는 그

학급회의에 대한 몇 가지 비판점을 지적하였는데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에 폭력적인 내용들이 있

상호 협력적인 분위기에서 회의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의장의 역할이 제

대로 살려지지 않

토론에서 소외된 학생들이 많았다. 즉, 몇몇 학생만이 말을 하였다.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의 문제에 대한 논의 중

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가 중재하지 않았다.

교사의 의견과 태도가 너무 권위적이었다.

았다.

학생회의의 운영

각 학급은 바캉

학급회의의 의

학생회의의 절차

회의 날짜의 순

각 학급은 회의

- 다음 회의에

- 회의 시기에

아들여지고 의

학생 대표 헌장

나는 내 자신의

즉, 학급의 대

나는 내 학급의

나는 학생회의

1.

학급회의는 매

2.

대표는 다음의

만약 적어도 세

대표들은 다음

3.

나는 대표단에

이들의 토론문화와

스 기간에 교체된 두 명의 대표를

장은 각 바캉스 시기마다 바뀐다.

서는 매주 초에 각 학급에 전달된다.

시기에 관한 학급의 제안과

서 논의될 학급의 제

관한 학급의 결정

장단 회의의 결정에 따르

이름으로 말하

표로서 말한다.

제안과 결정을 보고한다.

의 보고를 내 학급에 전달한

Ange Guepin 학교 학생회의 회칙

파견한다.

주 토요일 아침 9시 30분부터 10시 15분까지 열린다.

결정을 나타낸다.

내용을 회의에서 전달한다.

학급이 동일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면, 그 제안은 받

게 된다.

회의 시기를 보고한다.

지 않는다.

다.

참여할 것을 약속한다.

비판정신이 낯설기도 하고, 부럽기도 하였다. 이러한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

Page 24: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3

학습회의를 통해 아이들은 진정한 민주시민 사회의 규칙을 배울 수밖에 없겠

음은 Ange Guepin 학교의 학급회의에 관한 회칙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급구성 및 교과의 운영

다양한 연령을 포괄하는 학급구조

구나 하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아이들 서로간의 관계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이와 교사가 만드는 시간표

한 사람의 교사가 2년 동안 같은 학급을 맡게 되며, 연령대가 다른(8세-

10세 등) 아이들로 한 학급이 구성된다. 학급은 유동적이다. 즉, 각자 배우는

내용과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과목이라도 연령대가 다른 아이들이 함께

배울 수 있다. 풋불 경기에서는 키가 크고 나이가 많은 아이가 유리할 수 있

지만 수학 과목에서는 나이가 어린 아이들과 함께 공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령이 다른 아이들도 충분히 함께 학습할 수 있다. 이처럼 함께 공부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은 서로를 돕고 교류하며 연대하는 법을 배우기도 한다. 예

를 들어 나이가 많은 아이는 자신보다 어린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 주거나 공

부를 도와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각 과목에

대해

다.

있는 학습과정표에서 이수한 과목에는 초

색 스티커를 붙여서 표시한다.

타이너, 몬테소리 교육과의 차이점

프레네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이 학교에서는 아이들에게 일방적인 시간표

를 제시하지 않는다. 아이들은 자신들이 듣고 싶은 과목을 선택할 수도 있고,

요일 별로 해야 할 일을 교사가 이야기해 줄 수도 있다. 아

짜여있는 과정들을 졸업 전까지 모두 들으면 된다.

아이들은 월요일마다 어떤 공부를 하고 싶은가에 대한 질문지를 받게 되

고, 그곳에 자신이 그 주에 공부하고 싶은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표시한

이때 교사는 아이가 바람직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조언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과목에 비해 수학을 잘 못하는 아이는 다른 과목은 자신

과 같은 또래의 친구들과 같은 반에서 공부를 하지만, 수학은 자신보다 어린

아이들이 수업을 듣는 반에서 공부하게 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이러한 선

택은 교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사와 아동이 함께 상의하여

결정한다는 것이다. 각자가 가지고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25: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4

게 도와주거나, 그것을 포기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슈타이너와 몬테소리 교육에서는 아이들이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알아서 하도록 내버려 두는 경향이 있다. 즉

학습의 모든 과정에서 아이들이 스스로 계획하고 진행하

며 교사는 간섭하지 않는다. 하지만 프레네 교육에서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교사와 학생이 함께

계획한 후 아이들이 진행하고, 진행하는 가운데 어려운

점은 교사에게 도움을 구한다. 프레네 교육에서 교사의

중요한 역할은 학생들이 하고자 하는 일을 성공할 수

BBBoooiii llleeeaaauuu 학학학교교교에에에서서서의의의 프프프레레레네네네 교교교육육육

학교 교사 회의실에서 탐방작업에 열

중인 대원들. 뒤쪽에 서 있는 분이

ICEM의 프레네 국제교육 홍보담당 교

사인 Thyde!

우리가 Boileau 학교를 탐방하고자 했던 이유는 이 학교가 부설 초등

학교이며 교사양성프로그램을 참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그러나 우리가 낭트(Nantes)에서 Thyde로부터 들은 설명에 의하면, 프랑

스에서 프레네 교육방법과 철학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대학은 세곳 뿐

이었다. 즉 캥(Caen), 렌느(Rennes), 보르도(Bordeaux)에 있는 대학이

전부였다. 따라서 우리가 예상했던 것처럼 교사양성 프로그램을 접할 수

는 없었다. 우리는 이 학교에서 자유글쓰기와 학급신문에 관한 자료들을

입수할 수 있었다.

유로운 글쓰기 (text libre)

개방적인 분위기에서, 학급에서 자신에 대해 표현하는데 익숙해진 아이들

살아가면서 접했던 일,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자유롭게 글로 적는다.

프레네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자유롭게 쓴 글을 ‘삶의 책’(Livre de vie)으로

어 낸다. 그 책에는 아이들이 쓴 개인적인 이야기에서부터 죽음과 같은 철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

Page 26: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5

학적인 이야기까지 다양하다. 자유글쓰기는 교사가 주제를 정해주지 않는 경

가 많지만 간혹 주제를 함께 정하고 글쓰기를 하기도 한다.

글쓰기를 위한 아이디어

학급전원이 보물을 찾기 위해 아프리카로 여행을

신할 능력이 있다. 네가 한 모험을

변했다. 어떤 경험을 할

현을 적어보기, 그것을 가지고 새로운

어들이 등장하는 시나 다른 형식을 글을 써 보

라.

자유글쓰기의 예

산책을 가다가 유괴를 당했다. …이야기 릴레이

떠났다. 여기서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너에겐 동물로 변

얘기해 보아라.

어느 날 아침 투명 인간으로

있는지 이야기 해 보아라.

두 세 편의 시를 찾아서 읽기, 그리고 단어 혹은 마

음에 드는 표

시를 만들기

도시라는 단어와 관련해서 떠오르는 단어와 표현을

써보라. 마음에 드는 것에 밑줄을 쳐라. 그런 표현이

나 단

L'oiseau voyageur va l'ecole pour appre

voler car il a envie de partir en Afrique.

Mais ses copains se moquent de lui.

L'oiseau voyageur est

pas partir en Afrique.

Jordan

나그네 새는 날기를 배우기 위해 학교로 간다. 왜냐하면 그 새는 아프리카

로 떠나기를 갈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의 친구들은 그를

나 그네 새는 슬프다. 그는 아프리카로 떠날 수 없기 때문이다.

ndre

triste, il ne pourra

비웃는다.

조단

아이들이 자신이 쓴 글을 학급에서 읽고 그것에 관해 반 친구들과 대화를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27: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6

나누게 되면 아이들의 동기는 강화될 수 있다. 아이들은 일주일에 여러 편의

글을 쓰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글쓰기는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나 발전하

게 됨을 알 수 있다. 아이들은 사물과 사건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경험함으

로써 감각과 표현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게 되며, 그것은 철학적인 주제로까

지 이어져 깊이 사고하고 보다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자유롭게 쓰

여진 글은 학급에 게시되거나 학급신문에 게재되거나 편지왕래학급에 보냄으

써 전달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교신문 (Le journal scolaire)

왕래를 하는 학급에서 온 편지 등으

2003년 6월에 발간된 이 학교 신문의 목차이

다.

지왕래 (correspance scolaire)

Sommaire

- La sortie de fin d'annee des CM2

- Les CE2A en finale du tournoi de

- Mais c'est quoi Internet ?

- Le spectacle des correspondants

- La Clis en classe Poney

Page 4 :

- Recette

목차

-CM2(5학년) 한 해의 끝

-CE2A (3학년 A반) 공놀이 시합의

-인터넷은 무엇이지?

-편지왕래의 활동

-Poney 학급의 Clis

4 페이지

-요리법

학교 신문의 내용은 각 학급에서 일어난 특별한

사건, 각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젝트 수업

의 내용, 수업 활동 중 어떤 곳을 방문한 후에 아이

들이 쓴 글, 편지

로 구성된다.

다음은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1 :

- La visite du college Jean Moulin

Page 2 :

theque

- La violence a l'ecole

Page 3 :

- La classe de cirque

- Jeux

1 페이지

-Jean Moulin 중학교 방문

2 페이지

마지막

-학교 폭력

3 페이지

-학급 서커스

-Fun

Page 28: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7

일들에 대해 학급 아이들이 쓴

글이다.

부왈로 학교 3학년 학생들은 부르따뉴

지역의 Rennes에 있는 Loudeac 학교 아이

들과 편지왕래를 하고 있다. 이 학급 아이

들이 파리를 방문하였는데 함께 지내는 동

안 일어난

Pendant la duree de leur sejour, les Loudeaciens

ont ete loges sur une peniche (appartenant aux

Pupilles de l'Enseignement Public) qui stationnera

sous le Musee d'Orsay. Pendant le sejour des

correspondants, nous avons voyage souvent en

bus et en metro. No

Loudeac 학교 아이들은 파리에 머무르는 동안,

오르세 미술관 아래 정박해 있는 배에서 머물렀다.

이 학교 아이들과 부왈로 학교 아이들은 버스나

us avons fait des recherches

sur le metropolitain.

지하철을 타고 파리 시내 여기 저기를 관광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생활 속에서 아이들이 체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해서 쓰여진 자유글쓰기는 학급신문의 중요한 소재가 된다. 학급에서

만들어진 신문은 편지왕래를 하는 학급에게 보내지기도 하고, 학교신문에

실리기도 한다. 아이들은 자유롭게 글쓰기 소재를 찾고 다양한 표현 방법을

동원하여 자신의 생각을 전달한다. 아이들은 자신이 관심 있어 하거나

평소에 궁금했던 주제들을 조금씩 더듬어 찾아 나간다. 그 과정에서

개별학습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협동학습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아이들은

스스로가 학습하는 방법을 배우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아이들은

자신이 알게 된 사실이나 느끼게 된 감정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표현과 의사소통 기술 또한 배우게 된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29: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8

IIICCCEEEMMM 을을을 통통통해해해 444 --- 555... 본본본 프프프레레레네네네 교교교육육육운운운동동동

켜 주는 것이 현대 학교이다. 이것이

바로 현대 학교 협력체의 계획이다.

오늘날의 아이들이 내일의 세상에 동참할 수 있

도록 준비시

(ICEM 공식 팜플렛)

프레네 교육운동의 산실, ICEM

프레네의 천재적인 직관은 바로 자신과 자신의 친구들을 중심으로 하나의

교육학적 운동을 창조했다. 연구자나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운운동동의의 산산실실,, IICCEEMM

교수가 아니라 실무 전문가들로 구성된

이 집단은, 최대한 많은 수의 민간인들을 활용하고 그 이후에 그에 대한 이

론화 과정이 이루어졌다. 즉, 그들은 실험에 의거해서만 자신들의 실천이 가

지는 효력을 입증해 낼 수 있었다.

이들의 '운동'을 독창적으로 만들어 주는 것은 첫째 이들의 운동이 실무

전문가들의 운동으로 남아있다는 점, 둘째 이러한 교사 협력망이 하나의 독

창적인 교육학을 갖고 그것에 매진해 왔으며, 세대가 바뀜에 따라서 갱생될

수 있었다는 점, 셋째 그들의 운동은 수많은 실천과 진행 방식들이 스스로

발전하고, 갱생하며, 풍부해 질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프레네 교육학의 실천은 항구적으로 행위와 탐구, 탐구와 개인, 사람들 혹

은 소그룹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행위들의 합이다. 이러한 탐구와 행위들은 '

현대학교' 운동이라는 이 거대한 용광로에 부어진다. 프레네 교육학의 실천은

여명의 교육자들로 하여금 이미 충분히 실천된 영역을 더 진척시키기 위

육학은 표

현과

대한 비판적인 실천들을 철저하게 전개 시켜나가는 축이 된다.

동안 이끌어온 운동에서 고려된 몇 가지 주

작업과 기계를 이용한 창작,

것뿐 아니라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기 위해서 매우 다양한 영역을 탐사해

보도록 인도한다.

오늘날 현대학교협력체-프레네 교육학-는 항상 배움의 주체인 아이들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교육학을 옹호하고 있다. 이러한 프레네 교

대화, 실험적인 모색, 개별작업, 그리고 협력활동의 4개의 축으로 나뉜

다. 마지막 축인 협력활동은 학습을 조직하고 구축해 나가면서 동시에 사회

현대학교협력체가 지난 몇 년

와 성찰들을 살펴보는 것은 이들 운동의 실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학습 그룹의 성찰 주제들

아동의 권리, 협동과 참여, 예술과 창작, 수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30: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29

정보와 통신에 대한 정보처리와 기술들, 유치원 교육, 비디오와 음향효과

별, 지역별 단체들, 위원회 혹은 국정 사업들에 정기적으로 참

여하는 대략 2천 여명의 민간인들은 공동으로 그들의 과업과 학습 도구들

친구들(Les Amis de Freinet)과 앵포르마띠셈(Informaticem), 프

어 낸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몇 년 전부터 교사 양성대학연합(IUFM)이 교육

과정을 통해서 편찬하는 막대한 양의 자료들에도 주목해야 한다. 이 연합

은 ICEM이 많은 교육학 책을 편찬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의 사용, 2학년 교육실천, 불어 교육, 수학, 구어들, 에스페란토어, 실험적

모색, 환경에 대한 교육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도

을 내놓고 그렇게 함으로써 운동이 조직하는 협력사업에 자신들의 기반을

다진다.

프레네의

레네 기술과 제도교육학(Techniques Freinet et Pedagogie Institutionnelle)

등과 같은 가맹 단체들 또한 이들의 교육학적 성찰에 기여하고 있다.

개별 작업 도구들의 중요성에 대해서 잊지 않으면서 이들이 방대한 교육

학 잡지들(Le Nouvel Educateur, Cooperation pedagogique et Creations)

과 서적들(J-magazine, BTJ, BT, BT2, Periscope)을 만들

IIICCCEEEMMM 의의의 활활활동동동

교육학

을 전파하기 위한 하나의 교육학 운동이다. 또한 이 단체는 교육청소년체육

현대학교협력체의 실무자들은 현대의 아이들에게 프레네 원칙을 마련해 줌

으로써, 그들이 내일의 세상에 동참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 준다. 프레네 원

표현과 대화, 개별화된 작업, 실험적 모색, 학급협동조직은 교육공동체의

현대학교협력체(ICEM)-프레네 교육학-는 탐구와 혁신 그리고 프랑스뿐 아

니라 현대학교운동세계연맹(FIMEM)을 통해 세계 방방곡곡에 프레네

부에 의해서 공인 받았으며, 교육 활동들, 교육 수단들의 개념정의와 초점

맞추기, 교육학 서적의 편집을 통해서 공립학교에 참여하고 있다.

칙은 “학교에서의 민주주의를 통해서 내일의 민주주의를 준비한다”는 것이

다.

일원인, 아동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교육학을 위한 수많은 요소가 된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31: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0

이 교육학은 아동들이 보다 더 큰 책임감과 보다 더 많은 자율성을 가지도

록 인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현대학교협력체(ICEM)-프레네 교육학-은 사회적, 정치적, 철학적 참여의

운반자이며, 1968년 채택된 '현대학교헌장'에 포함된 약속으로, 1978년 출판

전망들' 속에서 전개되었으며, 1997년 가결된 행동강

령에 맞게 실행된다.

래 전에 작성되었다 할지라도, 그 철학

만큼은 확실히 (오늘날에도) 지속되고 있다. 현대학교헌장은 현대학교협력체

(ICEM)와 현대학교운동세계연맹(FIMEM)의 모든 구성원들이 항상 동의하는

된 '대중교육에 대한

현대학교헌장(1968)

비록 현대학교헌장(1968)이 다소 오

편의 기초문건을 구성하고 있다.

1. 교육은 지식의 축적, 훈련 혹은 조작이 아니라 발달이자 향상이다.

성인이 된 아이들의 행동뿐 아니라, 사회에서 하나의 새로운 역할을

의 행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확

신을

우리는 우리 학생들을 의식 있고 책임감 있는 어른으로 만들어, 그들

, 정치적 거대 흐름들 밖에 그 자

담당해야 할 소명이 있는 교육자들

가지고 있다.

2. 우리는 모든 교의에 반대한다.

로 하여금 전쟁과 인종주의, 그리고 모든 형태의 차별과 인간에 대한 착

취가 금지된 세상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3. 우리는 교육을 조건 짓는 사회적 체

로 도 충분한 하나의 교육이 있다는 환상을 거부한다.

칙이자 토대이다. 노동과 책임을 통해서 새로워진 학교는 오늘날 서로

분리되어 있는 사회와 문화 속에 완벽하게 편입될 것이다.

사회적, 정치적 맥락과 부모들의 삶과 노동 조건들이 젊은 세대들을

교육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4. 내일의 학교는 노작 학교가 될 것이다.

창조적 노동은, 자유롭게 선택되고 집단이 담당하는, 대중교육의 큰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

Page 32: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1

.

.

다.

.

5. 학교는 아동을 중심으로 할 것이다. 우리의 도움으로 스스로 자신의

개성을 만들어 가는 사람은 바로 아동이다.

자연스러운 방법들을 통한 자유로운 표현으로 특징지어지는 프레네

교육학은, 자연스럽고, 생기 넘치며, 교양 있는 교육을 허락해주는 조력

공간, 용품, 기술들을 준비함으로써, 진정한 심리학적, 교육학적 재정립

을 수행한다

6. 기본적으로 실험적인 탐구는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교 현대화에

대한 우리 노력의 첫째 조건이다.

우리는 경험상 우리가 수업을 하면서 효율적인 것으로 드러난 기준들

과 원칙들에 의거해서 우리의 교육학 운동을 운영한다.

7. 현대학교협력체의 교육자들은 오직 자신들의 공조 노력의 방향을 결

정하고, 그것을 이용하는데 책임을 진다.

공조하는 삶은 삶은 우리의 근본들과 노력, 사고로 부양해야 하고,

우리의 공익에 해가 될 모든 사람에 대항하여 우리가 수호해야 하는 우

리의 집이자 작업장이다

8. 우리의 현대학교운동은 동일한 의미에서 일을 하는 모든 단체와 공

감,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

우리가 우리 활동에 참여한 모든 단체들과의 합법적이고도 효율적인

협력을 완전히 독립적으로 끊임없이 제안하는 것은 우리에게는 공립학교

에 최대한 봉사하고, 여전히 우리의 목표인 교육의 현대화를 앞당기고자

하는 바램이 있기 때문이다.

9. 행정과 우리와의 관계

우리의 수업이 이루어지는 실험실에서, 교원양성센터에서, 도별 혹은

국가연수원에서, 우리는 교육학의 현대화를 위해서 우리의 경험을 우리

의 동료들에게 제공할 준비가 되어있다

10. 프레네 교육학은 본질적으로 국제적이다.

우리는 바로 노동 협력단체들의 원칙에 의거해서 국제적인 차원으로

우리의 노력을 전개시켜 나가고자 한다. 우리에게 있어서 이러한 국제주

의는 우리의 믿음에 대한 선언일 뿐 아니라, 노동을 하는데 있어서의 필

요성이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

Page 33: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2

4 - 6. 프레네 교육의 이론적 측면면 - 부마르 교수와의 인터뷰 44 -- 66..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의의 이이론론적적 측측면 -- 부부마마르르 교교수수와와의의 인인터터뷰뷰

우리가 만난 부마르(Patrick Boumard) 교수는 Universite de Haute

Bretagne in Rennes 의 교육학과 교수로 프랑스 내에서 프레네 교육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는 5 명의 교수들 중 한 사람이다. 이전에는 직접

학교에서 아이들과 생활하며, 프레네 교육을 실천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분이기도 하다.

프레네 교육운동의 핵심철학은 무엇인가?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운운동동의의 핵핵심심철철학학은은 무무엇엇인인가가??

프레네 교육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프레네의 사상 및 철학과

교육에 대한 그의 생각과 현장에서 실천했던 여러 가지 교육방법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20 세기 초, 대부분의 지식인들은 당시의 사회

속에 급속하게 번져갔던 자본주의와 그로 인해 생겨난 사회의 부정의에 대해

강하게 저항했으며, 그에 대한 하나의 방편으로 사회주의를 추구하였다.

프레네 역시 이러한 지식인들 중의 한 사람이었으며, 그는 “교육”을 통해

사회의 부정의를 해결하고, 삶으로부터 시작하는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특히 중요시 여겨야 할 것은 프레네가 가지고 있었던 “아동에 대한

믿음”과 “삶에 대한 믿음”이다.

프레네 교육에 사람들이 주목하는 이유는?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에에 사사람람들들이이 주주목목하하는는 이이유유는는??

프레네 교육의 교육철학과 새로운 교육방법 때문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보다 나은 삶을 위해서는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던 교육 및

가르침의 방법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프레네는 자신이

고안해낸 교수방법을 통해 아동들 사이의 보다 원활하고 올바른 의사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 길러낸 아동의 능력으로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사람들은 이러한 프레네의 교수방법을

통해 앞으로 더 나은 사회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의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사람들이 프레네 교육에 주목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프랑스 내에서 프레네 교육의 위상과 영향은 어떠한가? 프프랑랑스스 내내에에서서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의의 위위상상과과 영영향향은은 어어떠떠한한가가??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34: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3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사실상, 거의 영향력이 없으며, 위상도 그다지 높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는 ICEM 에서 일하고 있는 교사들과의 생각과는 매우

다른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프레네 교육이 프랑스의 공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생각할 것이다. 내가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이전에도

말했듯이, 프레네의 교육사상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몇 가지 교육 방법만을

차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기존에 그가 실현하고자 했던, 교육의 사상이나 정신을 살릴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프레네 교육을 위한 정부차원의 또는 조직적인

교사양성 기관이나 프로그램은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면에서,

프레네 교육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가지는 위상이라는 것은 매우 적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나의 생각이다.

그렇다면, 프레네의 교육은 의미가 없다다고 생각하는 것인가? 그그렇렇다다면면,, 프프레레네네의의 교교육육은은 의의미미가가 없없다고고 생생각각하하는는 것것인인가가??

그렇지 않다. 물론 프레네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교육의

역사적인 맥락에서 그는 매우 중요하다. 그는 교육에 있어서 매우 훌륭한 생

각(great idea)과 훌륭한 방법(great way), 그리고 훌륭한 이정표(great arrow)

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이미 한 세기 전에 일어났던 일이다. 그것을 현

재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따라서 그것을 현재에 그대로 반복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중요한 것은 당시에 그가 하고자 했던 것을 당시의 역

사적 맥락에서 올바로 이해하는 것이다.

현대의 심리학과 과학 등은 당시에 비해 많은 부분 발전을 이루었으며,

따라서 많은 부분이 변화되었다. 이제는 이러한 현재의 사회적 맥락에서 프

레네가 가지고 있던 정신을 뿌리로 두고, 시대와 사회 상황에 맞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프레네 교육에 대한 “해석학

적” 관점에서의 새로운 해석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프레네 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의의 장장점점은은 무무엇엇인인가가??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그 중 몇 가지를 지적해 보면 다음과

같다. 프레네는 아이들은 자유로운 상태에 있을 때, 더욱 열심히 공부할

것이라 생각했다. 나의 경험을 예로 들자면, 프레네식 교육을 했던 우리반의

아이들은 학교 공부가 끝나도 집에 돌아가기 보다는 학교에 남아있고

싶어했다. 또한 교실 안에서의 여러 가지 학습활동(activity)은 ‘벌’로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 그리고, 즐거운

것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그가 교육활동을 하던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35: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4

당시의 그리고 어쩌면 현재 대다수의 사람들의 생각과 반대가 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프레네는 교육을 “아동이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는 “교육은 아동을 교정해주는 것(correct)”이라 생각했던 이전의 생각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교육에 대한 그의 이러한 생각이 바로 프레네 교육의

장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네 교육의 단점 및 극복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의의 단단점점 및및 극극복복해해야야 할할 문문제제는는 무무엇엇인인가가??

프레네가 과거에 사용했던 방법들 중 한 두 가지를 기본 사상이나 철학에

대한 이해 없이 오늘날에도 그대로 차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현재 프랑스 공교육 내에서 이루어지는 프레네 교육에는 그러한 경향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그의 사상을 올바로 이해하여 받아들이고, 시대의

맥락에 맞는 다양한 방법들을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5. 탐방내용의 정리 및 요약 55.. 탐탐방방내내용용의의 정정리리 및및 요요약약

5 -1. 프레네 교육방법의 핵심 55 --11..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방방법법의의 핵핵심심

읽기와 쓰기

읽기를 배우기

독서는 처음부터 아동의 권한이 되어야 하는 활동으로 아동은 그 활동의

주체가 될 때 잘 배울 수 있다. 거기에는 전체 가운데에서의 개인, 그의 내력,

그의 감정적·인지적·사회적 차원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만 한다.

독서-쓰기라는 자연스러운 방법

독서-쓰기는 아동의 근원적인 표현을 강조한다. 아동이 자신의 감정을 표

현하고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더라도, 학교에서 발견하는 것은 그가 살고 있

는 세상, 즉 그를 둘러싼 친밀한 환경이다. 독서-쓰기는 문학 전체를 풍요롭

게 한다.

아동의 이야기, 집단적 삶의 구성, 협동적 프로젝트의 생성 혹은 편지왕래

는 행위의 필요성에 새겨진 참된 쓰기 활동을 만들어낸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36: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5

표현과 의사소통

아동의 표현활동은 아이들이

학교 밖에서의 경험, 문제, 발견들을 서로 공유하는 아침담화 과정에서,

자유로운 본문 쓰기를 하는 과정에서

예술적 혹은 신체적 표현 활동에서(조형 미술, 연극, 무용, 음악),

학급의 협동적 활동의 환경에서

그들의 위치를 발견하도록 해주며, 배움에 동기를 부여한다

의사소통 활동은 아동들에게.

구어와 문어의 근본적인 기능을 회복시켜 주고,

타인과의 관계를 가치롭게 하면서 타인을 배려할 수 있게 한다.

편지 왕래 (correspondance scolaire)

편지왕래는 상이한 지원체계(종이, 비디오, 정보통신, 전송복사, 인터

넷)의 도움으로 학급 사이에 집단적, 개인적 수준의 관계를 형성해준다.

학급신문 (le journal scolaire)

학급신문은 아동과 학교 밖의 환경간에 진실한 관계를 만들어준다. 그

것은 아동과 학급의 표현 매개체이다.(텍스트, 데생, 관찰, 토론…)

학급신문은 가치부여의 도구이며, 외부를 향한 열림(개방성)이며, 또한

학생과 교사 사이에 학습의 매개물이다.

새로운 의사소통의 기술

미니텔(minitel), 전송복사(telecopie), 인터넷(internet) 등의 새로운 매

체는 국제적인 자료 기반에의 접근, 지연 없는 글의 급속한 확산망의

활용, 국제적 교류(왕래)의 개막 등을 가능하게 한다.

개별 작업

학습의 개별화는 개인의 전지구화, 집단 생활과 의사소통의 활동, 탐색에

기대고 있다. 개별화와 사회화는 밀접한 상호작용을 한다. 개인의 작업은 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37: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6

험적 더듬어 찾기의 원리 위에 기초해 있으며 탐색의 상황에 놓인 학습자는

스스로의 앎과 기량을 구성해간다.

학급의 협동 조직

학습의 집단적, 개인적 활동에 여지를 주며 학급 생활을 관리 하도록 한다.

작업에 대한 개인의 약속

자유와 강제를 결합하고 학생에게 자신의 리듬대로 진행하도록 허용하는

체계를 구성한다. 아동은 자신의 학습에 책임을 지니게 된다.

시행의 조건

이러한 장치의 성공을 결정한다. 조정되고 유동적인 시간 운영은 집단과

개인의 범위 사이에 훌륭한 절합을 보장한다. 심사 숙고된 공간 구성은 학

생과 교사간 의사소통, 카드함, 참고자료와 아뜰리에에 접근하는데 도움을 주

어 학생의 성공을 보장한다.

자료들(outils)

교실 안에서 개인적, 협동적 작업을 가능하게 만

든다.

자기수정을 위한 자료 (책, 카드함, 문서 등)

참고자료(사전, 요람)

production 자료(컴퓨터, 현미경, 비디오 등)

참고자료(J. Magazine/ Grand J./ B.T.J./B.T./B.T.2/Periscope)

교사

아동의 제안(제의)을 그의 학습 발전과 조화시키기 위해

개인과 집단 프로젝트간의 긴밀함을 보장하기 위해

적당한 순간에 필요한 아동들에게 지원과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학생들이 사용하는 자료들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외국어 학습

어학 수업에서의 프레네 기술

다른 모든 수업에서처럼 같은 것일 수 있다

: 의사소통의 기술 / 학습 운영의 자료 / 그리고 학급-모둠 운영.

어학 학습의 특수성에 따른 프레네 기술의 재구성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38: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7

편지왕래는 상호간 이행된 질문지의 교환에 기초할 수 있다.

학급신문은 두 가지 언어로 쓰여질 수 있다(외국어-모국어).

자유글쓰기의 수정은 학급 친구들 앞에서 발표되기 전에 자주 행해진다.

새로운 기술의 협동적 활용은 많이 활용될 수 있다. 외국인과의 교류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프레네 교육의 핵심

개별 작업

작업약속, 형성평가, 카드함, 안내서

협동조직

-작업운영과 갈등 조절

을 위한 합동회의

-책임감의 분배

-생활과 작업규율의 생성

표현과 의사소통

-아침담화,자유글쓰기,

신체적· 예술적 표현

-편지왕래,학급신문,

회의, 토론, 보고서

실험적 더듬어 찾기(모색하기)

실제 현상과 문제들에 대한 탐색을 통

한 학습

아동중심의

교육

활동적인

교사

생활

속에서

개인의 지구화를 고려

책임감, 자발성, 사회성

6. 프레네 교육이 한국의 공교육 개혁에에 주는 시사점 66..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이이 한한국국의의 공공교교육육 개개혁혁에 주주는는 시시사사점점

프레네 교육을 주제로 삼았던 이번 프랑스 탐방을 통해 우리는 프랑스의

교육사상가이자 교육실천가였던 프레네의 교육사상이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

되고 실천되어 왔으며 프랑스의 교육을 어떻게 변화시켜왔는가에 대하여 살

펴볼 수 있었다.

몇 해 전부터 새로운 교육을 모색하던 사람들은 그 동안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프레네”라는 인물과 그의 교육사상을 접하게 되었다. 그의 교육사상

을 접하게 된 사람들은 프레네의 교육사상과 방법이 우리교육의 문제를 해결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39: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8

하기 위한 노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는 희망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프레네 교육이 한국의 공교육을 개혁하

는 데 있어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지금부터 그 동안의 탐방을 통해 얻은

몇 가지 결론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프레네의 교교육사상과 정신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프프레레네네의의 교육육사사상상과과 정정신신에에 대대한한 이이해해가가 바바탕탕이이 되되어어야야 한한다다.

프레네의 교육방법과 실천을 받아들이기 전에 우리는 그 이면에서 프레네

가 추구하고자 했던 교육의 목적과 정신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한 이해 없이

프레네 기술 또는 방법의 일부만을 차용하여 교실에 적용하는 것은 단순히

과거의 방법을 반복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현대적 맥락에서 프레네 교육을 받아들여야 한다.. 현현대대적적 맥맥락락에에서서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을을 받받아아들들여여야야 한한다다.

프레네의 교육학은 20세기 초반을 배경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그의

방법들을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부적합한 부분도 있다. 프레네 교육은 과거

에 멈추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따라서 프레네 교육의 적

용은 시대와 상황에 알맞게 변화되어, 조화를 이루어 나아갈 수 있는 것이

어야 한다. 물론 가장 중심에 있는 근본적인 정신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

서의 변화라는 점은 전제로 한다. 방법과 형식은 시대화 상황에 따라 얼마든

지 다양하고 새롭게 고안되고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시에 프레네가 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는 현재에도 우리가 떠

안고 있는 문제들이다..

당당시시에에 프프레레네네가가 궁궁극극적적으으로로 해해결결하하고고자자 했했던던 문문제제는는 현현재재에에도도 우우리리가가 떠떠

안안고고 있있는는 문문제제들들이이다다.

프레네가 활동을 시작한 때로부터 따져본다면, 이미 70여 년이 지났다.

따라서 그가 남긴 글이나 작품들 가운데 많은 부분은 그 의미가 잘 이해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공교육에 대한 프레네의 비판은 여전히 타당성을 가

진다. 예를 들어, 그는 현재까지도 끊임없이 지적되고 있는 효율성과 경쟁을

강조하는 사회와 기존 학교의 기준에 대해 비판하였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

의 학교들이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취약점으로, 학교 선발제도와 학교 내에

서의 경쟁적 구도, 어린 시절부터 아이를 압박하기 시작하는 성적에 대한 압

력, 학교사회에의 적응을 강요하는 분위기, 수동적인 학습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는 현재의 우리 사회가 그리고 우리의 교육이 고스란히 안고 있는 문제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40: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9

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현실에 대한 비판 아래 프레네가 제시했던 교육

에 대한 새로운 생각과 방법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가 처해있는

교육현실을 바라보고, 그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제안

이 될 것이다.

교사의 역할과 활동이 가장 중요하다.. 교교사사의의 역역할할과과 활활동동이이 가가장장 중중요요하하다다.

프레네 교육이 공교육 내에서 살아 움직이는 과정에서 가장 큰 기여를 한

사람들은 다름아닌 바로 ‘교사’였다. 사실상 프레네가 주장했던 교육의 근본

원리나 사상, 그리고 방법들은 당시에도, 그리고 현재에도 국가적인 측면에서

는 그리 환영 받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교육방법

이 이처럼 프랑스의 공립 학교들에 널리 보급될 수 있었던 것은 헌신적인 교

사들의 열정과 노력 때문이었다. 특히, 프랑스 내에서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연결망을 가지고 교육에 관한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고, 교류하는 그들의 노

력이 가지는 영향력은 매우 강력하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교사들에게, 그

리고 한국 교사들의 모임에 이들의 모습은 매우 의미 있는 모델이 될 수 있

을 것이다.

어려움과 장애는 어디에나 존재한다.. 어어려려움움과과 장장애애는는 어어디디에에나나 존존재재한한다다.

한국의 공교육은 어떻게 개혁될 수 있을 것인가. 어느 시기에나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제도를 변화시키는 데는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이다. 프랑스의

새로운 교육을 살리고자 했던 프레네의 교육운동 역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프레네는 개혁은 단번에 오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수반한 부단한 노력을 통

해서 조금씩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그의 책에서 밝히고 있다.

한국의 공교육을 개혁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 어떤 방법도

단번에 모든 것을 쉽게 변화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개혁의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많은 장애들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조금씩 앞으로 나아갈 때, 변

화를 위한 노력은 그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7. 프레네 교육과 한국 공교육 개혁의 만남 77.. 프프레레네네 교교육육과과 한한국국 공공교교육육 개개혁혁의의 만만남남

-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 어어떤떤 의의미미를를 가가지지고고 있있는는가가??

우리의 공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들은 이미 그 위험수위를 넘어서고 있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41: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40

그러나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만큼 병든 교육을 치료해보고자 하는 노력이

교육에 관계하고 있는 각계각층의 사람들 사이에서 전개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노력과 고민의 결과로 현재 많은 사람들이 “대안교육”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의 다른 부분에서는 또 다른 목소리

가 들려온다. 오늘날 교육현실의 대다수를 점하고 있는 공교육의 문제는 어

떻게 해결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현재의 공교육을 변화

시키고, 그 안에서 대안학교들이 실천하고 있는 교육의 방법들을 함께 실천

하는 방안을 들 수 있을 것이다. 2003년 6월에 발표된 “대안교육 확대, 내실

화 추진계획안”에서 정부는 대안교육과 공교육이 서로 만날 수 있는 방안들

을 제시하고 있으며, 2003년 9월 현재 이를 위한 구체적인 작업들(관련 법률

의 개정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안교육과 공교육의 만남. 이에 대해 프랑

스의 공교육과 만났던 프레네의 교육철학과 방법이 가지는 의미를 정리해보

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실상 대안교육은 “교육이 가져야 하는 본연의 올바른, 그리고 정

상적인 모습”을 찾아가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레네 교육이 추구하고 있

는 본질적인 부분은 현재 우리나라의 대안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교육의 모습

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둘째, 우리가 현재 적용하고자 하는 대안교육의 방법들은 대부분 사립학

교의 틀 속에서 실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현 공교육에 적

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따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반해 프레네의 교육방

법은 처음부터 공교육 체제 내에서 실천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여 고안된 것

이었기 때문에 우리의 공교육 속에서 실천하기에 보다 적합할 수 있을 것이

다. 따라서 프레네가 고안해냈던 교육방법들을 현재의 한국적 맥락에서 잘

활용한다면, 공교육의 모습을 변화시키는데 매우 좋은 도구가 되어줄 것이다.

셋째, 프레네 교육은 공교육 개혁을 위해 적용하는 과정에서 이미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프레네 교육은 학문적 이론보다는 이러한 경험과 시행

착오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발전해온 것이다. 따라서 공교육 속에서 프레네

방법을 사용해온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이나 노하우는 우리의 공교육개

혁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특히 교사들에게 있어

서는 생생한 참고자료가 되어 줄 것이다.

넷째, 그러나 한 사람만의 교육철학이나 교육방법만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프레네가 그러했듯이, 보다 다양한 교육자들의 교육철

학과 방법들을 살피고, 그에 대한 충분한 연구를 통해, 우리에게 가장 적합한

우리 나름의 교육방법과 철학을 만들어나가는 것은 사실상 무엇보다 중요하

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과정에서, 프레네 교육학은 우리에게 좋은 본보기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Page 42: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lgchallengers.com/wp-content/uploads/global/global_pdf/s0013.pdf ·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3 프레네 교육을 한국 교육에의 적용:

교실은 세상의 일부이다

프레네 교육에 기초한 공교육 개혁

41

가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