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신산업의 제도적 장애요인 분석...적 서비스 등의 에너지...

102
에너지 신산업의 제도적 장애요인 분석 수시 연구 보고서 15-09 이 유 수

Upload: others

Post on 25-Jan-2020

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에너지 신산업의제도적 장애요인 분석

    수시연구 보고서

    15-09

    이 유 수

  • 참여연구진

    연구책임자 : 연구위원 이유수

    연구참여자 : 부연구위원 김지효

  • 요약 i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파리협정에 의한 신기후체제의 채택으로 세계적으로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정부도

    신기후체제 대응과 장기적인 에너지 공급안정성 확보 차원에서 에너

    지 신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에너지 신산업

    은 대규모 에너지 설비중심의 전통적 에너지 공급방식과는 달리 친환

    경 소규모 분산형 전원의 결합과 수요관련 에너지 서비스 산업을 기

    반으로 하는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의 원동력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이

    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전력부문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스마

    트그리드를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정보교환과 소규모 친환경 설비기

    술의 발전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소비자의 수요반응 및 다양한 에너

    지 결합 서비스가 에너지 신산업과 관련한 주요한 사업모델로서 개발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와 같은 에너지 부문의 추세변화에 부응하여 전력산

    업에 ICT를 적용한 스마트그리드 기술기반 위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

    델의 개발을 통하여 에너지 신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금년 4

    월과 11월에 각각 발표된 8대 에너지 신산업 모델과 에너지 신산업

    확산 전략에서 에너지 신산업의 육성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에

    너지 신산업 관련 사업모델은 주로 친환경 에너지 생산설비의 결합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방식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기본적으로 에너

    지 신산업은 수요 측과의 양방향 정보교환을 통한 소비자의 행동변화

  • ii

    와 관련된 수요반응 및 에너지 결합서비스 측면에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수익성 있는 모델이 개발될 수 있다. 그리고 세계적인 에너지

    신산업의 추세도 소비자의 주도적인 역할 및 잠재적 욕구의 충족과

    관련되는 다양한 서비스 산업의 융복합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돌파구를 찾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에너지 공급위주에서 수요중심으

    로 에너지 정책의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는 것과도 일맥상통하고 있

    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수요 측의 새로운 변화보다는 에너지 설비

    중심의 변화를 추진하는 개별 사업모델 형태로 에너지 신산업이 진행

    되고 있다. 정부가 주도하는 공급설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하는 개별

    사업모델 위주의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는 자생적으로 민간투자 증대

    를 유도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현재의 에너지

    제도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

    서는 우리나라 에너지 신산업의 활성화에 제도적으로 장애가 되는 요

    인을 분석하고, 자생적이고 지속적인 에너지 신산업의 민간투자 확대

    를 위한 제도적 개혁방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2. 주요 내용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에너지 공급 및 수요 방식의 변화를 파악

    하는 것이 우선이다. 과거 전통적인 에너지 시스템은 주로 대규모 에

    너지 설비를 중심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수송과정을 거쳐 소비자들

    에게 판매하는 형태였다. 전력 및 가스 등 에너지네트워크 산업의 구

    조개편 이전에는 수직통합적인 형태로 하나의 독점기업이 에너지를

  • 요약 iii

    생산하여 판매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구조개편 이후에는

    대체로 생산 및 판매부문은 시장자유화를 통한 경쟁구조가 형성되고,

    수송부문은 독점형태로 남는 시장구조로 변화되었다. 이와 함께 전력

    부문에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되고 발전설비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서 에너지 거래형태가 급속도로 변화되는 과정에 있다.

    에너지 공급 측면에서는 친환경 소규모 분산형 전원과 에너지저장

    장치의 결합을 통한 지역적 자급자족이 가능해졌으며, 수요 측면에서

    는 공급 측과의 양방향 정보교환이 실현됨에 따라 소비자의 수요반응,

    에너지원의 결합서비스 제공, 효율적 에너지관리 시스템의 구축 등 다

    양한 에너지 서비스 산업의 개발이 용이해졌다. 에너지 신산업의 창출

    은 변화되는 에너지 시스템의 환경을 바탕으로 사업자들이 수익성 있

    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함으로써 가능하게 된 것이다.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에너지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업모델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다양한 사업형태에 투자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

    다. 특히 에너지, 통신, IT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업들이 에너지 융복

    합 서비스 사업에 투자하여 생활의 변혁을 주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전력부문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하는 스

    마트그리드 기술 기반위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 에너지 신산업

    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데 정부가 추

    진 중인 에너지 신산업 관련 비즈니스 모델은 대체로 에너지 공급설

    비의 변화와 관련된 개별 사업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비자의 역할

    제고와 잠재적 욕구 충족의 관점에서 에너지 서비스 관련 새로운 모

    델의 개발과 활성화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수요 측면에서의 에너지 서비스 산업의 새

  • iv

    로운 모델이 개발되기 어려운 이유는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 주된 이유는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전통적인 규제체

    제가 여전히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가격 및 시장진입과 관련

    된 규제는 소비자의 수요반응과 여러 에너지원의 결합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소비관련 서비스를 포함하는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에 장애요

    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선 에너지 가격규제로 인한 전반적으로 낮은

    요금수준, 경직적인 요금체계 등으로 에너지 신산업 관련 수익성 모델

    의 개발이 어려운 상황이다. 그리고 시장의 진입규제로 인하여 다양한

    사업자의 시장진입 허용이 차단됨으로써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의 기

    회조차 주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 뿐만 아니라 에너지원별 관

    리와 업역간 구분이 명확한 법적 규정으로 인하여 에너지원의 융복합

    적 서비스 등의 에너지 거래형태가 형성되기 어려운 구조이다.

    이러한 제도적 장애요인으로 인하여 에너지 신산업의 활성화는 정

    부주도 형태의 초기 시장창출에는 다소 성과가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에너지 시스템의 제도적 개혁 없이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이러한 제도적 요인들이 완화 또는 제거되어 어느 정도 경쟁적

    인 시장구조 하에서 자율적인 요금결정으로 사업자들이 에너지 신산

    업관련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면, 에너지 신산업이 자생적이

    고 지속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소비자의

    후생증대와 에너지 시스템 전반의 효율성 제고를 달성할 수 있는 가

    능성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에너지 신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에너지 수

    요와 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정해지도록 가격기능의 정상화가 필요하

    고, 시장의 진입장벽뿐 아니라 에너지원간 구분의 완화 또는 철폐를

  • 요약 v

    통하여 다양한 사업자의 활동을 보장할 필요가 있으며, 독점화된 에너

    지 정보를 개방하여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사업자들이 에너지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

    할 필요가 있다.

  • Abstract i

    ABSTRACT

    1. Research Purpose

    With the adoption of the Paris Agreement recently, the world is

    growing more and more interested in the New Energy Industry. The

    Korean government also shows the positive will of the investment on

    the New Energy Industry in the light of the new climate system

    response and long-term energy supply stability. The New Energy

    Industry, unlike the conventional energy supply by the large-scale

    energy facilities, is taken notice as a momentum of new business

    model development based on the fusion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small-scale distributed generation resources and energy

    demand-related service industry. In particular, the consumer’s

    demand response and a variety of the energy bundle services are

    developed as important business models related to the New Energy

    Industry.

    Korea is promoting the activation of the New Energy Industry

    through new business model development based on the smart grid

    technology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electricity industry in response to the world’s trend change in energy

    sector. The Korean government expressed the fostering will of the

    New Energy Industry in primary 8 models and the proliferation

    strategy of the New Energy Industry announced in April and

  • ii

    November, 2015, respectively. Howerver, the New Energy

    Industry-related new business models in Korea primarily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change of supply mode based on the

    fusion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energy production facilities.

    Basically, the profitable business model in the New Energy Industry

    can be developed better in the light of demand response and energy

    bundle services related to consumer’s behavior change through a

    two-way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upply and demand side. The

    trend of New Energy Industry all over the world is to look for the

    breakthrough in the fusion of a various energy services related to

    consumer’s leading role and potential needs satisfaction. This trend is

    consistent with the change of energy policy paradigm from energy

    supply-oriented policy to energy demand-oriented policy.

    However, Korea is proceeding with the New Energy Industry in

    the form of individual business model promoting energy facility-

    related change rather than new demand-side change. This situation

    has to do with the current energy system. So, it seems that the

    activation of the New Energy Industry in Korea will have a

    limitation in the increase on voluntary private investm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institutional barrier factors and discuss the direction of institutional

    reform of the current energy system for the activation of the New

    Energy Industry.

  • Abstract iii

    2. Summa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for the New Energy Industry,

    the primary task is to find out the change on energy supply and

    demand mode represented in the process of change in energy system.

    The conventional energy system took on the form of producing and

    selling the energy by using large-scale energy facilities and vertically

    integrated monopolistic firm operated the system before the

    restructuring of the energy network industry. But, after the

    restructuring of the energy network industry, energy production and

    sale sector is operated in a competitive market structure and energy

    transportation sector still remained in monopolistic manner. In

    addition, the energy system is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energy trade type due to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electric power industry.

    In energy supply side, it was possible to operate self-sufficiency

    within an particular area by combining the environmental-friendly

    small-scall distributed generation resources and energy storage

    system. In energy demand side, it became easy to develop a diverse

    energy service industry such as comsumer’s demand response, energy

    resource bundle services, and the building of efficient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so on due to a two-way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upply and demand side. In foreign countries’

    case study, they are developing new business model and tend to

  • iv

    invest on the diverse business type focused on energy service

    industry. In particular, various firms including the trade of energy,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are leading us to the

    revolution of life by investing on the fusion of the energy resources

    and the energy bundle service.

    Korea is trying to activate the New Energy Industry as a new

    business model based on the smart grid technology constructed by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electric

    power industry. By the way, the New Energy Industry-related models

    presented by the Korean government consists of individual business

    related to the change of energy supply facility, and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energy service-related new model in the light of

    the promotion of consumer’s role and potential needs satisfaction are

    not still satisfactory.

    The reason why it is not easy to develop energy services industry

    in demand side in Korea is connected with the current energy

    system. The main reason is that the conventional regulation of

    energy system still works, and energy prices and entry regulation

    acts as barrier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new business model

    including diverse consumption-related services such as consumer’s

    demand response and energy bundle services. In the first place, the

    low energy tariff level and inflexible tariff system makes it difficult

    to develop the profitable model connected with the New Energy

    Industry. In addition, the entry regulation does not allow new diverse

    businessmen to enter the energy market and even to have

  • Abstract v

    opportunities to develop new business models. Furthermore, the

    management by respective energy resource and the clear legal

    division prevent to form energy trade type such as the integrated

    services of individual energy resource.

    Due to this institutional barrier factors, although the activation of

    the New Energy Industry led by the Korean government can have

    the outcome a little bit in the market creation in an early stag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limitation if there is no institutional

    reform in the long-term. If new businessmen can develop business

    models related to the New Energy Industry with self-controlling

    energy tariff design under the competitive market structure caused by

    mitigating or getting rid of this institutional barrier factors, we will

    be able to activate the New Energy Industry constantly and

    spontaneously. It seems that this process will have a high possibility

    to achieve the consumer’s welfare increase and the promotion of

    efficiency in the entire energy system.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the New Energy Industry, we need

    to recover the function of energy price so that it may be determined

    by the energy supply and demand, to guarantee new businessmen’s

    activity through the mitigation or abolition of clear division among

    energy resources as well as market entry barrier, and to support

    institutionally so as for diverse businessmen to develop new business

    models on the basis of energy information by opening and sharing

    monopolized energy information.

  •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론 ···················································································· 1

    제2장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메커니즘 ·········································· 5

    1. 전통적 에너지 시스템 ··································································· 5

    2. 에너지 설비 기술의 발달 ······························································ 8

    3. 정보통신기술(ICT)의 적용 ·························································· 10

    4.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의 방향 ····················································· 14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 17

    1.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 ································································· 18

    2. 에너지 신산업의 사례 ································································· 20

    3. 에너지 신산업의 발전방향 ·························································· 35

    제4장 현행 에너지 시스템의 문제와 신산업의 장애요인 ············· 39

    1. 우리나라 에너지 신산업의 현황 ················································· 39

    2. 에너지 시스템의 문제와 신산업의 장애요인 ····························· 46

    제5장 에너지 신산업을 위한 제도개혁의 방향 ···························· 61

    1. 제도개혁의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영향 ···································· 61

    2. 에너지 시스템의 제도개혁 방향 ················································· 65

  • ii

    제6장 결론 ·················································································· 71

    참고문헌 ······················································································ 77

  • 차례 iii

    표 차례

    EnerNOC 서비스 개요 ······················································· 23

    에너지 신산업 주요 사업모델 ············································ 45

    전기요금의 원가회수율 ······················································· 51

  • iv

    그림 차례

    [그림 2-1] AMI 시스템 ······································································· 12

    [그림 2-2] 미래 통합 지능형 전력 시스템 ········································ 15

    [그림 3-1] 소비자 역할 변화와 신규 전력 결합상품 및 서비스 ····· 19

    [그림 3-2] Opower의 HER 예시 ························································ 24

    [그림 3-3] 스마트홈 서비스 솔루션 ··················································· 26

    [그림 3-4] AT&T Digital Life 결합상품 ··········································· 28

    [그림 3-5] Vivint Smart Complete 결합상품 ···································· 29

    [그림 3-6] Enphse Envoy-S ································································ 31

    [그림 3-7] Tesla Powerwall ································································ 32

    [그림 4-1] 스마트그리드 확산 단계 ··················································· 41

    [그림 4-2]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계획 ············································ 42

    [그림 4-3] 규제에 따른 에너지시장의 상호 왜곡 ····························· 49

    [그림 4-4] OECD 주요국의 가정용 전기요금 추이 비교 ················ 53

    [그림 4-5] OECD 주요국의 산업용 전기요금 추이 비교 ················ 53

    [그림 5-1] 에너지 시스템과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과정 ·················· 66

  • 제1장 서론 1

    제1장 서론

    최근 에너지 부문에서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에너지 신산업

    이다. 에너지 신산업은 전통적 에너지 공급방식에서 벗어나 기술발전

    에 따른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과정 속에서 창출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원동력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과정에는 에너

    지 부문에 정보통신기술(ICT)의 적용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데,

    특히 전력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기반으로 하

    여 새로운 전력운영 시스템으로의 변화가 그 주축을 이루고 있다.

    전력망에 ICT를 접목하여 에너지 시스템의 자동화 및 원격제어 장

    치를 활용함으로써 공급 측과 수요 측의 지속적인 정보교환을 기반으

    로 에너지 시스템 전체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에너

    지 공급방식의 변화는 물론 에너지 서비스의 환경까지 달라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에너지 공급 및 소비 형태의 변화도 수반되고

    있다. 다양한 친환경 분산형 에너지원의 결합과 에너지 서비스를 활용

    하는 에너지 신산업의 부상은 기후변화대응과 관련한 온실가스 감축

    과 에너지공급의 안정성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되고 있다. 특히 ICT를 활용한 소비자의 수요반응과 다양한

    에너지 서비스 결합 등 소비자의 행동변화를 유발하는 비즈니스 모델

    이 새로운 영역으로 개발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기존 전력산업에 ICT를 적용하

    고 기술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추진하는

    과정에 있다. 정부는 금년 4월에 에너지 신산업을 활성화하고 구체적

  • 2

    인 성과 창출을 위해 8대 에너지 신산업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11월

    에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에너지 신산업 확산사업을 발표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에너지 신사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그러

    나 ICT를 활용한 소비자의 수요반응과 다양한 에너지 서비스 산업의

    활성화보다는 친환경 에너지 생산설비의 결합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방식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 모습이다.

    기본적으로 에너지 신산업은 에너지 설비의 기술발달과 ICT의 적용

    에 따른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과정 속에서 기술 및 서비스의 융복합

    을 통하여 새로운 에너지 관련 산업으로 창출될 수 있다. 특히 전통적

    인 에너지 산업 모델과는 다른 소비자의 주도적인 역할과 관련되는

    다양한 서비스 산업의 융복합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고

    있는 세계적 추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론 외국의 사례에서도 친

    환경 에너지를 중심으로 분산형 에너지원의 결합과 다양한 에너지 서

    비스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우리의 경우는 전자에 더 중점을 두

    고 있는 형태이다.

    우리나라에서 에너지 부문의 다양한 서비스 산업관련 융복합적 모

    델이 개발되기 어려운 이유는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제도와

    무관하지 않다.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가격 및 시장진입과 관

    련된 규제는 다양한 에너지 신산업의 자생적 창출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정부가 에너지 신산업의 개별 모델별 초기 시장창출에 대한 노

    력을 가시화하여 일정부분 성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현행

    에너지 제도에 대한 개혁 없이 향후 민간투자의 증대를 통한 에너지

    신산업의 활성화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에너지 신산업의 활성화에

  • 제1장 서론 3

    대한 제도적 장애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에너지 신산업의 활성화

    를 위해서는 제도적으로 어떤 부분이 뒷받침되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신산업

    의 활성화를 위한 에너지 제도개혁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에

    너지 시스템이 전통적 방식에서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으로 어떻게 변

    화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너지 설비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기

    술(ICT)의 적용이 에너지 신산업의 개발과 발전에 이르는 과정을 에

    너지 시스템의 변화 과정 속에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

    다. 제3장은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는데, 에

    너지 신산업의 특성과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에너지 신산

    업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제4장은

    현행 우리나라 에너지 신산업의 진행상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에너

    지 시스템의 문제와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장애요인을 분석한다. 제5

    장에서는 에너지 신산업을 위한 제도개혁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는

    데, 우선 제도개혁에 따른 에너지 신산업의 영향을 살펴보고, 에너지

    제도개혁의 방향에 대해서 짚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 부문에

    서 전체 내용을 요약하고 시사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 제2장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메커니즘 5

    제2장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메커니즘

    1. 전통적 에너지 시스템

    전통적 에너지 시스템은 대규모 생산 및 수송 설비를 이용하여 에

    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는 비용체감 산업이

    다. 그러나 1990년대 초부터 전력, 가스 등 에너지산업의 구조개편을

    통하여 시장의 규제완화와 경쟁도입을 추진함으로써 과거의 수직 통

    합적 에너지 공급방식과는 다르게 변화되었다. 에너지 산업은 규모의

    경제가 여전히 실현되는 수송부문은 독점형태로, 규모의 경제가 소진

    되었다고 판단되는 생산 및 소비부문은 경쟁을 도입하는 형태로 변화

    되고 있다. 에너지 시장구조의 변화가 전통적 에너지 시스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는 했으나 에너지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

    은 아니다.1) 에너지 시장의 구조변화보다는 에너지 생산 및 수송 설

    비기술의 변화와 ICT의 접목 등이 에너지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기존 에너지 산업의 영역을 파괴시키는 변혁의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우선 본 절에서는 과거 전통적인 에너지 시

    스템의 특징을 살펴보고, 향후 에너지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

    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1) 여기서 언급하는 에너지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는 에너지 산업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뿐 아니라 다른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산업의 출현 등 산업의 전반적인 변혁을 일컫는 의미이다. 에너지 산업의 구조개편은 에너지 시스템의 근본적 변화를 촉발하는 데 일정부분 기여하고 있으나, 에너지 산업 내에서의 변화로 한정되고 있다.

  • 6

    가. 대규모 설비와 장기적 투자회수

    전통적인 에너지 시스템은 대규모 설비를 통한 에너지 공급이 이루

    어지는 시스템이며, 설비투자에 대한 자본금의 회수도 장기적으로 이

    루어진다. 대규모 설비투자에 대한 의사결정도 에너지원의 국제가격

    및 물량의 변동성 등에 따른 사업의 위험요소를 고려한다면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이 에너지 생산설비에 대한 투자는 에너지 사업의 특성

    상 초기에 거대자본이 투자되고 장기간에 걸친 투자회수로 사업의 수

    익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

    또한, 에너지 산업은 공급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한 이슈인데, 특히

    전력산업의 경우 전력공급 중단이 발생되면 단기적으로 국가전체에 미

    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위험요인에 의해서 에너지 공급 사

    업이 중단되는 경우를 배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거대 자본이 투자되는 에너지 설비건설도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을 고

    려하여 사업의 위험관리에 민감한 민간부문의 투자보다 공기업을 통한

    공공부문의 투자형태로 이루어진 사례가 다수이다.

    결국, 전통적 에너지 시스템은 대규모의 에너지 설비투자를 위한 거

    대자본의 투입과 장기간에 걸친 투자회수로 인한 사업의 위험요인, 그

    리고 에너지의 공급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단일 공기업이

    독점하는 형태로서 에너지 시스템이 형성되는 경우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에너지산업의 구조개편을 거치면서 생산 및 판매부문에 경쟁이

    도입됨으로써 수직통합적 설비의 분할 매각과 민간기업의 시장참여가

    증가하였다. 에너지 시장에 다수의 사업자들에 의한 경쟁이 도입됨으

    로써 시장의 구조는 변화되었으나 여전히 대규모 에너지 설비에 의한

    에너지 공급방식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 제2장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메커니즘 7

    나. 일방적 중앙공급 시스템

    전통적 에너지 설비는 대규모 생산설비와 수송설비로 구분되는데,

    전력산업의 경우 발전설비와 송배전설비, 가스산업의 경우 가스저장

    및 가스배관망 설비, 집단에너지사업의 경우 열병합발전, 열전용보일

    러, 쓰레기 소각로 등의 설비와 송배전 및 열배관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전력산업은 주로 석탄, 가스, 석유, 우라늄 등 화석연료와

    방사성 원소를 사용하여 발전터빈을 구동하거나 자연의 힘을 활용하

    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다. 전력

    소비자는 전력의 생산 및 수송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지만 전력사용

    량에 따른 전력요금의 정보를 미리 제공받지 못하고 전력소비가 필요

    할 때 실시간으로 전력소비량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전력공급 방식은 소비자의 전력사용량에 따라

    발전설비의 규모가 결정되고 생산 및 수송량이 정해진다. 소비자의 전

    력사용량이 증가하면 할수록 발전 및 송배전 설비를 증축하는 형태로

    전력공급이 이루어졌다. 즉, 소비자의 전력수요량 증가를 예측하여 발

    전 및 송배전 설비를 사전에 미리 계획하여 건설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대규모의 발전설비는 에너지원별로 상이한 건설기간을 가

    지고 있기 때문에 발전사업자가 미리 건설계획을 세우고 실행함으로

    써 향후 수요증가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2)

    전통적 전력공급 방식에서 전력사업자는 가격 및 물량의 변동에서

    오는 모든 사업위험을 전적으로 책임지고 소비자에게는 고정적인 요

    금을 책정하여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소비

    2) 원자력 및 석탄 등 기저발전 설비의 공기는 통상적으로 6~10년, 첨두부하를 담당하는 가스발전의 경우 2~3년이 소요되는데,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발전소들의 적절한 조합이 필요하다.

  • 8

    자는 고정된 요금덕택에 전혀 사업위험에 노출되어 있지도 않고 필요

    시에 전력을 사용하는 형태로 소비행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에너지

    산업의 구조개편을 통하여 소매시장에 대한 규제완화와 시장자유화가

    수요반응을 통한 소비자의 역할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2. 에너지 설비기술의 발달

    가. 생산방식의 변화

    에너지 설비기술의 발달은 전통적인 대규모 에너지 생산설비의 효

    율을 지속적으로 높일 뿐만 아니라 소규모 에너지 생산설비도 개발하

    여 운영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방식의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대한 기술개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제는 화석연료 발전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그리드패리티를 거의

    달성해 가고 있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3) 이에 따라 전통적인 대규모

    설비에 의한 에너지 생산과 소규모 분산형 전원 등이 혼합되어 에너

    지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가능해졌다. 또한 전력부문에서는 막대

    한 비용에 따른 전기의 저장이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

    로 인해 실시간으로 전력수요에 대응해야 하는 제약으로 인해 충분한

    공급설비의 예비력을 유지해야 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스마트그리드의 핵심기기인 전력 저장장치의 출

    현은 획기적으로 전력생산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에너지 저장

    3)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소규모 열병합발전의 경우 경제성 문제로 인한 보급이 지연되었고,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경우에도 전력생산의 간헐성 문제와 여전히 높은 설비투자비에 따른 경제성 문제로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신재생에너지의 그리드패러티를 달성하려면 여전히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제2장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메커니즘 9

    장치는 신재생에너지의 경우에 전력생산의 출력변화에 따른 간헐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소규모의 분산형 전원과 결합이 가능해짐으로

    써 특정한 지역에서 자급자족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주로 대규모 설비를 활용한 전통적

    인 중앙집중적 에너지 공급방식에서 지역적으로 자급자족이 가능한

    소규모 분산형 전원에 의한 에너지 공급방식과 전통적 대규모 에너지

    공급방식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있다. 소

    규모의 분산형 전원의 핵심은 신재생에너지와 저장장치의 결합에 따

    른 친환경적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온실가스 감축문제와 에

    너지 공급의 안정성 문제를 동시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이다.

    나. 유통방식의 변화

    전통적인 에너지의 유통방식은 대규모 발전설비를 통해서 생산된

    전력을 대규모 송배전 설비를 통하여 중앙집중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었다. 그리고 에너지 설비기술의 발달은 발전설비와 같은 전력생산 부

    문의 발전을 가져왔으나 송배전 설비는 여전히 과거와 동일한 형태로

    수송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의 적용을 통한 스마트그

    리드는 송배전망에 대한 수송 방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전력부문에서 보면, 발전에서부터 판매에 이르

    기까지 일방적으로 전달되던 정보가 소비자의 소비행동 변화에 따른

    수요변화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방식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계통운영 기술측면에서 보면, 스마트그리드 기술은 전력망에 정보

    통신기술(ICT)을 융합함으로써 발전, 송전 및 배전망의 전력계통을 자

  • 10

    동화하여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컴퓨터나 통신기술

    을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배전선로용 개폐기를 조작하고 고장구간을

    광범위하게 자동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전력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으

    로 진화함으로써 송배전망에서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정전구간과

    정전시간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이 기술은 신재생에

    너지와 관련된 분산형 전원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발전기를 간선망의

    장벽 없이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산형 발전원의 전력 수송

    망의 연계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4)

    이와 같이 스마트그리드의 기술발전은 현장에서 수동적으로 모든

    설비를 제어하던 전통적인 에너지 유통방식에서 벗어나 원격시스템과

    자동화 방식으로 에너지 생산에서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에너지공급

    을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개선시켜 나가고 있다.

    3. 정보통신기술(ICT)의 적용

    가. 양방향 정보교환 및 수요반응

    산업부문에 대한 정보통신기술의 적용은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

    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상품시장에서 공급자와 소비자의

    사업 아이템을 다양한 플랫폼 형태로 결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의 수

    익성 모델로 개발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성, 편의성, 수익성을 충족시

    킬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다. 이미 통신시장의 구조변화와 시

    장개혁을 통하여 무선통신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결합으로 인한

    생활의 변화가 일상화되어 있으며, 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산업과의

    4) 도윤미·김선진·허태욱 외, 스마트그리드 기술동향: 전력망과 정보통신의 융합기술,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4권 제5호, 2009.10, p. 78.

  • 제2장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메커니즘 11

    융복합화를 통하여 소비자들은 다양한 혜택을 누리고 있다.

    에너지 산업도 소비자가 일방적으로 전력공급을 받기만 하던 시대

    에서 정보통신기술의 적용에 따른 양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함에 따라

    스마트그리드를 중심으로 한 지능형 원격검침시스템을 활용하여 소비

    자의 수요반응을 유도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즉, 다양한 소비자의 소비반응 패턴과 요금정보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소비행동이 변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

    운 사업모델의 개발이 가능해진 것이다.

    특히 지능형 원격검침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는 에너지 소비패턴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스마트미터, 수요반응기기, 지능형 정보관리시스템, 지능형 전력서비스

    네트워크 등 4가지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AMI는 주로 양방향 통신과

    전력사용 정보의 제공, 수요반응 등을 용이하게 하도록 지원하고 수요

    측의 대용량 전력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5)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MI는 지능형 에너지 분배 자동화기기를 통

    하여 에너지의 분배량 및 사용량을 측정하고 축적한 후 분석을 통하여

    통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우선 스마트미터는 소비자와 전력회사에게

    에너지 소비정보를 전달하고 다른 미디어를 통해서 축적된 정보를 전

    달한다. 정보 축적장치는 계량정보를 모아서 계량관리시스템으로 보내

    고, 계량관리시스템은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여 서비스 공급자에게 유

    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공급자는 계량정보를 바탕으로 정전에

    대한 파악과 망의 결함, 그리고 설비의 유지보수를 개선할 수 있다.6)

    5) 도윤미·김선진·허태욱 외, 스마트그리드 기술동향: 전력망과 정보통신의 융합기술,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4권 제5호, 2009.10, p. 79.

    6) Sato Takuro et al(2015), “Smart Grid Standards”, pp. 188~189.

  • 12

    [그림 2-1] AMI 시스템

    자료 : Sato Takuro et al, “Smart Grid Standards”, 2015, p. 191.

    또 한편으로 스마트미터는 가정 부문 네트워크를 통하여 가정에서

    전력소비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인홈디스플레이(In-Home

    Display, IHD)와 통신함으로써 소비자의 에너지사용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함께 소비자는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

    하는 전력요금 정보 하에서 비용과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에너지 사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서비스 공급자는 주어진

    사용량과 요금정보 하에서 나타나는 소비자의 수요반응 관련 편익을

    누릴 수 있는데,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원격적으로 부하를

    조정할 수도 있다.7)

    7) Sato, Takuro et al(2015), “Smart Grid Standards”, p. 189.

  • 제2장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메커니즘 13

    나. 시장 참여자의 역할 변화

    전력산업에서 공급자와 소비자의 양방향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통신기술의 적용은 스마트그리드의 출현을 통하여 모든 에너지부

    문간의 구분뿐만 아니라 공급자와 소비자의 구분도 모호하게 하고 있

    다. 더 나아가 정보통신기술의 적용은 에너지 산업과 타 산업 간의 융

    복합을 통하여 일상생활을 변혁하는 수준까지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에너지 시장의 참여자인 에

    너지 생산 및 공급자와 소비자의 역할에 대한 변화이다.

    전통적 에너지 시스템 하에서 에너지 생산자 및 공급자가 모든 위

    험을 감수하면서 소비자의 에너지 수요증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에

    너지 공급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수동적이고 일방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던 시대에서 이제는 에너지 정보교환을 통해서 능동

    적이고 적극적으로 에너지 소비를 제어할 수 있는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전력의 경우, 소비자도 가격정보에 근거하여 전력사용량을 적절

    하게 조절함으로써 잉여 전력을 판매하거나 저장장치에 보관했다가

    재판매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게 된 것이다. 에너지 생산자 및 공급

    자도 잉여전력을 구입하여 다시 판매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고 있

    으므로 에너지 시장참여자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

    다. 그리고 에너지 사업 외에 여타 다른 사업자의 경우에도 발전설비

    를 소유하지 않고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다양한 컨설팅과 판매 등 에

    너지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가고 있다. 시장의 자유로운 사업기반과 정보통신기술이 적용될 수 있

    는 상황이라면 경제활동 주체의 구분 없이 에너지의 생산 및 판매와

    동시에 다양한 에너지 서비스의 결합 상품의 제공이 가능한 시대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 14

    4.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의 방향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은 양방향 에너지 정보의 교환, 소규모 분산형

    전원에 의한 에너지 자급자족, 에너지 결합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

    그리고 타 산업과의 융복합적 기술결합을 통한 생활변화 등 전통적

    에너지 수급시스템과는 다른 새로운 기반에 근거하여 변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에너지 시스템 하에서의 비즈니스 모델도 새로

    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로 대체되거나 사라질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최근까지도 전력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서 외형적 틀을 비교적 안

    정적으로 유지하여 왔으나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출현으로 파괴적 변

    화(disruptive change)가 시작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 다른 산업의 변

    화처럼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산업영역이 구축되는 형태로

    진화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적용은 전력산업의

    지속적인 변화과정과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이행되고 있

    으며, 전력산업 내에서의 단순한 기술혁신을 넘어서서 전력산업 구조

    의 근본적인 변화에 이를 수 있는 산업의 변혁을 가져올 수 있다.8)

    이러한 변화의 가능성 속에서 미래의 에너지 시스템은 시스템적 사

    고(system thinking)를 통해 부문 간 통합과 최적화가 진행되어 가속

    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력시스템은 모든 구성요소가 통합될수

    록 더 복잡해질 수 있지만 통합이 진전될수록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

    이 증진되고 시스템 자체의 복원력이 개선되는 동시에 에너지 자원과

    투자가 최적화 될 것이다.9) 이 과정에서 통합된 전력 시스템의 효율

    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규제체계와 시장의 구조변화를 지속

    8) Shomali, A. & J. Pinkse(2015), p. 10.9) OECD/IEA(2014), p. 7.

  • 제2장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메커니즘 15

    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도적인 변화과정이 에너지 신산업

    관련 기술과 서비스의 융복합 모델의 창출을 가속화시키는 형태로 발

    전하고 있다.

    [그림 2-2] 미래 통합 지능형 전력 시스템

    자료 : OECD/IEA(2014), p. 7.

    미래의 에너지 시스템은 에너지 시스템의 개혁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과의 융복합적 형태로 생활의 변혁을 주도하는 형태로 발전될 것

    이다. 지역적 자급자족 에너지 시스템을 중심으로 중앙집중적 에너지

    공급방식이 전체적 균형을 조절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주거, 전력, 수

    송, 산업 분야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이 구현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친환경 효율적 에너지 시스템을

    근간으로 경제구조가 변화되고 새로운 에너지 산업이 성장동력의 역

    할을 하는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17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정부의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면, 에너지효율향상, 에

    너지절약 또는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거나 에너지공급이나 수요관리

    를 혁신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으로 정의되어 있다. 여기에는 수요관리,

    소형전력망, ESS 서비스, 전기차, 친환경에너지타운, 제로에너지 빌딩,

    발전소온배수, 태양광 대여 등 다수의 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에너지

    신산업이 주로 개별 에너지 비즈니스 모델별로 선정되어 초기 시장창

    출과 자생적인 시장 확산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10)

    그러나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개념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

    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시스템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에너지 신산업

    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에너지 신산업은 에너지 시스템

    의 패러다임 변화11) 속에서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과 에너지 서비스

    를 제공하는 방식에 변화가 나타나면서 새로운 에너지 관련 산업이

    창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개별 비즈니스 모델별 에너지

    신산업의 선정과 정부주도의 시장형성이 지속적이고 자생적으로 민간

    의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와 직결될 수 있다. 정부주도

    10) 관계부처합동,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 및 핵심기술 개발전략 이행계획”, 2014. 4.

    11) 에너지 시스템의 패러다임 변화는 제1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너지산업에서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정보통신기술의 적용, 그리고 설비확충과 사회적 갈등에 따른 비용증가 요인 등으로 과거 공급중심에서 수요중심의 에너지 정책의 변화가 요구되며, 소비자의 적극적 역할이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 18

    의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시장형성은 초기 시장창출에는 기여할 수

    있으나 민간이 투자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이 마련되지 않으면 자생

    적인 시장 확대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너지 시스템의 전반적인 변화와 함께 민간의 투자가 활성

    화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진다면 현재로선 예측할 수

    없는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자생적으로 형성되어 확대될 가

    능성이 높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수익성이 있는 사업모델이 개발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구축되어 있다면 민간투자는 자연스럽게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장에서는 에너지 신산업의 특성과 에너지

    신산업이 에너지 시스템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어떻게 발전가능한

    가에 대해서 논의해 보기로 하자.

    1.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

    에너지 신산업의 형태를 에너지 시스템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이

    해한다면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에너지 공급시스

    템의 변화를 통하여 나타날 수 있는 신산업의 형태를 파악해 볼 수 있

    다. 둘째, 에너지 서비스 제공측면에서 소비자를 중심으로 나타날 수

    있는 새로운 사업 또는 산업의 형태가 주목될 수 있다. 에너지 공급시

    스템의 경우에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중심

    으로 하는 다양한 에너지 생산설비의 결합을 통하여 일정 지역 내의

    자급자족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의 변화로부터 수익모델의 창출이 가능

    하다. 반면에 에너지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에서는 소비자의 역할과 잠

    재적 욕구 변화에 따른 에너지 간 또는 타 서비스 상품 및 서비스간의

    결합을 통한 상품개발로 새로운 수익모델을 찾을 수 있다.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19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에너지 공급시스템의 변화는 소규

    모 지역단위의 자급자족을 위한 분산전원 중심으로 발전원의 융복합

    에 초점에 맞춰지고 있다. 제1장에서 언급한 에너지 설비기술의 발전

    으로 생산과 수송 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지역단위에서 생산 및 소비

    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하는 소규모

    분산형 전원의 역할은 저장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환경 친화적인 전

    원들의 결합적 생산방식을 통하여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생

    산 및 소비 방식은 마이크로그리드, 가상발전소 등을 통하여 지역적

    에너지 분산에 기여할 수 있다. 소규모 형태의 분산형 전원을 중심으

    로 하는 지역적 에너지 공급방식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현재의 중앙

    집중적 에너지 공급방식과 조화되도록 하는 시스템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

    [그림 3-1] 소비자의 역할 변화와 신규 전력 결합상품 및 서비스

    한편 다양한 에너지 서비스 제공은 ICT의 적용으로 에너지 공급 측

    과 수요 측의 상호 정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비자의 수요반응을

    전제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됨으로써 가능하다. 소비자는 사

    전에 제공된 에너지 가격과 소비정보를 통하여 스스로 수요감축 또는

  • 20

    수요이전을 통하여 에너지의 합리적 소비를 구현할 수 있게 된 것이

    다. 한편으로는 소비자도 소규모 저장장치나 전기자동차를 활용하여

    전력판매를 할 수 있는 프로슈머화로서의 역할이 가능해짐에 따라 보

    다 폭넓게 에너지 시장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다른 한 가지는 에너지 서비스 부문에서 소비자의 욕구변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는 점이다. 즉 에너지 결합상품이

    나 다양한 에너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만족도

    를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양한 판매사업자들은 경쟁을 통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편의성을 제공하는 한편, 수익

    성까지 고려하는 사업모델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에너지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새로운 사업으로는 전력 및 가스 등

    에너지 상품과 방송, 통신 등을 결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들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외에 다른 사업자가 전력사업자와 제휴하여 전

    력사용 할인 포인트 제도를 도입하거나 전력구매를 대행해 주는 서비

    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2. 에너지 신산업의 사례

    에너지 신산업이라는 명칭은 우리나라에서 창안된 것이기는 하나,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신산업으로 분류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산

    업들이 태동하고 있다. 이들 에너지 신산업은 우리나라 정부가 발표한

    8대 신산업12)과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8대 신산

    업에 비해 기술(또는 사업영역) 융·복합의 정도가 훨씬 더 공격적이라

    12) 제4장의 우리나라 에너지 신산업 현황에서 8대 신산업 참고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21

    고 볼 수 있다. 이는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전 지구적 명제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가 적절한 규제를 도입하고, 시장은 이 규제를 준수하는 동

    시에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자 경쟁하는 과정에서 기술 및 사업영역

    을 넘나드는 창의적 아이디어들이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통

    에너지산업이 설비중심 산업이었다면, 에너지 신산업은 서비스 산업

    의 형태에 가까워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장에서는 해외 에너지신산

    업 사례를 에너지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수요관리 서비스 산업, 복

    합 에너지서비스 산업, 분산형 에너지서비스 산업, 시스템 매니지드

    서비스 산업 등 4개 범주로 분류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가. 수요관리 서비스 산업

    전통적인 에너지절약 산업은 설비개체, 공정개선 위주의 하드웨어

    중심 산업이었다. 그러나 에너지절약 산업은 ICT 기반 솔루션을 바탕

    으로 소프트웨어 중심인 수요관리 서비스 산업으로 진화해가고 있다.

    설비개체, 공정개선 없이도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에

    너지이용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에너지를 절감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수요관리 서비스 산업의 토대가 되는 시장 환경으로

    는 수요자원 거래시장을 들 수 있다. 수요자원을 개방된 전력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고, 수요자원이 발전자원과 비교하였을 때 어느

    정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여건이 중요하다. 제도적 기반으로는

    에너지효율향상 의무화(EERS: 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

    제도13)를 들 수 있다. EERS는 유틸리티로 하여금 고객들의 전력소비

    13) 에너지공급자에게 에너지소비 감축목표(대개는 총 판매량의 일정비율 감축) 달성을 의무화하고, 사업자는 소비자의 효율향상을 유인해 해당 목표를 달성하는

  • 22

    량을 적극적으로 줄이게 하는 유인이 되어, 수요관리 서비스 산업의

    시장규모를 확대하게 하는 핵심 동인이 된다.14) 기술적 특징은 ICT를

    활용하여 의뢰인의 에너지정보를 분석한 뒤, 이에 맞춘 최적 에너지절

    약 솔루션을 제안하는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수요관리 서비스 산업을

    견인하고 있는 대표적 사례로 EnerNOC과 Opower를 들 수 있다.

    EnerNOC은 클라우딩 기반 에너지 인텔리전스 소프트웨어(EIS)를

    이용한 에너지관리 서비스를 유틸리티, 산업체 등의 고객들에게 제공

    하는 기업이다.15) EIS는 에너지구입 방식, 에너지소비 방식 및 시기를

    최적화하여 고객들의 에너지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해 고안된 소프트

    웨어 기반 솔루션이다. 주 고객은 유틸리티 및 기업으로, EnerNOC은

    고객별 니즈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또

    한, 단순 에너지관리에 그치지 않고 확보된 수요자원을 수요자원 거래

    시장에 입찰하여 수익을 올리고 있기도 하다. EnerNOC은 2014년 기

    준 전력회사 50여개, 수용가 1,300여개를 모집한 바 있으며, 2001년부

    터 2014년까지 약 10억 달러 이상의 고객 에너지비용을 절감하는 성

    과를 거두었다고 알려져 있다.

    제도이다. 미국 24개주 및 EU 11개국 이상에서 시행 중이다.14) http://aceee.org/topics/energy-efficiency-programs-utility-customers15) 본 문단의 내용은 EnerNOC 홈페이지(http://www.enernoc.com) 및 KEMRI 전

    력경제 REVIEW 2015년 제16호 “ EnerNOC의 EIS기반 수요자원 운영현황”을 주로 참조하여 작성되었다.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23

    고객 니즈 서비스 종류 서비스 내용

    언제 사용할

    것인가?

    Demand Response 고객 수익 최대화 및 비용최소화를 위한 전략

    제공Demand Management

    얼마나 사용할

    것인가?

    Visibility and Reporting 타 고객 벤치마킹 에너지낭비 관련 정보

    제공

    Facility Optimization

    Project Management

    어떻게 구매할

    것인가?

    Supply Management 에너지구매 및 리스크 관리

    에너지소비 분석Utility Bill Management

    출처: KEMRI 전력경제 REVIEW 2015년 제16호, p. 10

    EnerNOC 서비스 개요

    Opower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빅데이터, 행동경제학을 결합한

    서비스를 유틸리티에 제공하여, 유틸리티 고객들의 에너지소비량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고객의 만족도를 높여 수익을 창출하는 일

    종의 컨설팅 기업이다. Opower는 2008년부터 70개 이상의 유틸리티

    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Opower의 핵심 비즈니스 모델은

    HER(Home Energy Report) 발송을 통한 고객 에너지소비 행동변화

    유도이다.16) 이 서비스는 유틸리티로부터 받은 에너지소비 정보를 가

    공하여 고객에게 HER을 발송하는 것이다. HER은 일종의 에너지소비

    정보를 보여주는 안내 자료인데, HER의 핵심원리는 에너지를 많이

    16) 그 외에도 피크기간 시 고객들에게 수요자원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수요자원 참여를 모집하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24

    절약하는 가구, 평균 가구에 비교해서 고객 본인 가구에 대한 에너지

    소비 수준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에너지를 더 많이 절약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 고객별 에너지소비 정보 분석결과에 의

    한 컨설팅을 알기 쉽게 제시하고, 고객 개인이 각자 에너지절감 목표

    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는 것을 돕는다. 이에 그치지 않고 고객들의 에

    너지소비 특성 분석결과를 토대로 에너지소비 감축을 위한 조언을 유

    틸리티 측에도 제공한다.

    [그림 3-2] Opower의 HER 예시

    자료: https://gigaom.com/wp-content/uploads/sites/1/2011/10/opowerfacebookapp.jpg?quality=80&strip=all

    Opower의 성공 이후, 행동경제학을 활용하여 에너지소비를 감축하

    는 솔루션을 유틸리티 측에 제공하는 에너지효율 컨설팅 업체들이 늘

    어나는 추세이다. Navigant Consulting, ICF International, DNG GL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25

    등 종합 컨설팅 회사도 에너지효율 컨설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

    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들의 에너지소비 특성을 파악하

    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에너지소비 감축 방안에 대한 조언을 유틸

    리티에게 제시하는 컨설팅 산업도 활발해지는 추세이다.

    나. 복합 에너지서비스 산업

    2015년 2월 개최된 소비자 전자제품 박람회(Consumer Electronics

    Show 2015) 이후, 스마트홈 서비스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급속히 높

    아지고 있다.17) 스마트홈 서비스는 통신, 보안, 에너지관리, 자가발전,

    오락, 쇼핑 등 가정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

    하는 플랫폼으로 유틸리티, 통신업체, 보안업체, 태양광 발전업체, 대

    형마트들은 이 플랫폼 시장을 선점하고자 경쟁하고 있다. 유틸리티들

    이 에너지 사용에 대해 염려하는 소비자들을 초기 타겟으로 설정하여

    홈 에너지관리 솔루션을 기반으로 스마트홈 서비스 시장에 진입한 것

    처럼 다른 종류의 서비스 제공업체들도 각각의 영역을 기반으로 스마

    트홈 서비스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스마트홈 서비스의 초기 기반은

    각 사업체의 고유영역에 두고 있으나, 아래 그림과 같이 복합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각 기업은 다른 영역에 강점

    을 갖는 기업을 인수하거나 협업을 맺는 방식으로 제공 서비스의 영

    역을 다각화하고 있다.

    17) 본 문단의 내용은 Greentech media 2015년 3월 24일자 기사(“Why Companies Like AT&T and Vivint Will Be Tomorrow’s Connected-Home Innovators”)를 참조하여 작성되었다(http://www.greentechmedia.com).

  • 26

    [그림 3-3] 스마트홈 서비스 솔루션

    자료: Greentech Media 2015년 3월 24일 기사(“Why Companies Like AT&T and Vivint Will be Tomorrow’s Connected-Home Innovators”)

    에너지 신산업의 관점에서 스마트홈 서비스는 복합 에너지서비스

    산업으로 환언될 수 있다. 전통 에너지산업에서는 소비자에게 에너지

    를 단순 공급하기만 하였다면, 이제는 에너지공급 뿐만 아니라 스마트

    미터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실내온도, 에너지사용량, 에너지요금 등

    을 확인하여 원격으로 에너지소비를 조절하는 에너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복합 에너지서비스 산업에서는 에너지공

    급, 에너지관리 서비스뿐 만 아니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27

    에너지생산 및 관리, 통신 및 오락, 보안 및 모니터링 등 가정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들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미국의 AT&T, Vivint

    등의 기업은 이러한 복합 에너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을 이미 출시

    한 바 있다.

    미국의 거대 통신기업인 AT&T는 2010년 가정 자동화 플랫폼

    (Home Automation Platform) 개발업체인 Xanboo를 인수하면서 복합

    에너지서비스 산업에 뛰어들었다. Xanboo는 보안, 조명, 온도계 등의

    가정용 기기를 인터넷, 휴대폰 등의 통신기기를 이용해 원격으로 관리

    하는 기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2015년 4월 AT&T는 Digital Life

    라는 결합상품을 출시하였다. Digital life18)는 보안, 에너지관리, 통신

    등의 기능을 결합하여 어디에서나 24시간 무선으로 가정 보안 및 자

    동화 상황을 PC 및 모바일기기(태블릿, 스마트폰)로 모니터링하고 제

    어할 수 있는 결합상품 서비스이다. Digital Life를 통해 어린이, 반려

    동물 등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온도계, 조

    명 등의 기기를 조정할 수 있다. 현재 3종의 Digital Life 상품을 월

    $39.99~64.99 수준에서 이용할 수 있다. AT&T는 기존에 개인이 보유

    하고 있는 가정 설비와 호환될 수 있는 센서를 같이 제공하여, Digital

    life의 호환성을 높이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19)

    18) Digital life에 대한 설명은 AT&T 홈페이지에 게시된 제품설명을 참조하여 작성되었다(http://www.att.com/shop/digital-life.html).

    19) 우리나라에서는 SK 텔레콤이 복합 에너지서비스 개발을 추진 중이다. AT&T와 달리 SK 텔레콤은 보일러, 가전 제작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연동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 28

    [그림 3-4] AT&T Digital Life 결합상품

    자료: https://my-digitallife.att.com/learn/explore-home-automation

    Vivint는 1999년 APX Alarm이라는 보안솔루션 기업으로 출발하였

    으나, 2009년 원격조정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을 출시하면서 종합

    적인 가정 자동화 솔루션(Home Automation Solution) 전문 기업으로

    진화하였다.20) 2011년 APX Alarm은 사명을 Vivint로 바꾸고 본격적

    으로 가정 자동화와 보안 서비스를 결합한 통합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탈바꿈하였다. Vivint는 현재 보안 솔루션을 기반으로 에너지관리, 가

    정 자동화, 클라우딩 저장 서비스, 고속 인터넷 솔루션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북미 지역 35만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Vivint는 현재

    Smart Complete라는 결합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Smart Complete는

    가정 모니터링 및 보안 관리, 온도계(thermostat) 등 에너지관리 플랫

    폼, 도어락, 클라우딩 저장 서비스를 한꺼번에 제공하는 결합상품이다.

    Smart Complete에 가입한 소비자는 모바일 앱을 이용해 보안, 에너지

    20) 본 문단은 Vivint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작성되었다(http://www.vivint.com).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29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제어할 수 있다. AT&T와 마찬가지로

    Vivint도 결합상품 가입 시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각종 센서들을 제공

    하여 소비자가 기존에 보유하던 설비와의 호환성을 높이는 전략을 취

    하고 있다.

    [그림 3-5] Vivint Smart Complete 결합상품

    자료: http://www.vivint.com/packages/smart-home

    현재 출시된 복합 에너지서비스 상품은 에너지소비 현황의 모니터

    링 및 에너지소비 제어만 가능하다. 그러나 결국에는 이러한 복합 에

    너지서비스 상품에 에너지 요금 납부 기능이 포함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복합 에너지서비스 산업이 진화함에 따라 유틸리티와 통신

    업체, 보안업체 간 간극이 사라지고, 인수합병, 기술개발 등을 통해 이

    들 산업의 기능을 통합한 산업이 도래할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 30

    다. 분산형 에너지서비스 산업

    신재생에너지 기술 발전에 따라 소규모 지역단위에 필요한 전력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분산형 에너지서비스 산업이 태동하고 있다. 가

    정, 상업, 공공기관 등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설치를 주저하게 만들었던

    애로사항들을 해소하여 보다 편리하게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게 만드

    는 것이 분산형 에너지서비스 산업의 특징이다. 미국의 Enphase

    Energy와 Tesla Motors는 가정, 상업,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태양광에

    기반한 소규모 분산형 에너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Enphase Energy는 2006년 마이크로 인버터(micro-inverter)21) 제조

    업체로 출발하였으나, Envoy라는 Energy Management System을 출시

    하며 가정·상업 부문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 종합 솔루션 개발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22) Enphase는 Envoy-S라는 분산형 에너지서비

    스 솔루션을 출시하였는데, 이는 태양광 모듈에 연결된 마이크로 인버

    터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

    여 소비자로 하여금 온라인으로 태양광 발전, 저장, 에너지관리를 모

    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통합 플랫폼이다. 2015년 9월 출시

    된 Next-Generation Envoy-S 중 일부 모델은 자체 모뎀을 탑재하여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도 이용가능하다. 특히, Envoy-S

    에 포함되어 있는 모바일 커넥트(Mobile Connect) 설비는 일종의 무

    선 모뎀으로 이 모뎀을 통해 AT&T의 모바일 데이터 플랜을 이용하

    는 옵션을 제시하고 있기도 하다 즉, Envoy-S는 단순히 태양광 발전

    21) 마이크로 인버터는 단일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되는 직류(DC) 전력을 교류(AC) 전력으로 변환해주는 기기이다. 마이크로 인버터는 태양광(열) 발전의 효율을 높이는데 강점을 가진다.

    22) 본 문단은 Enphase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작성되었다(https://enphase.com).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31

    및 에너지소비 관리·제어 플랫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Wi-fi 인프라

    로도 기능할 수 있다. Enphase는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방대한 에너지

    데이터를 클라우딩을 통해 안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AT&T와 협업

    을 하고 있기도 하다.23)

    [그림 3-6] Enphase Envoy-S

    자료: https://enphase.com/en-us/products-and-services/envoy

    전기차 분야의 선두주자 중 하나인 Tesla Motors는 전기차 배터리

    기술을 토대로 Powerwall이라는 가정용 배터리를 2015년 9월 출시하

    였다.24) Powerwall은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을 충전하거나 또

    는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유틸리티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충

    전한다. 이는 태양광 발전의 피크타임과 피크수요 간 갭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유틸리티 요금을 줄이고 전력망으로부터의 독립성을 높

    23) PR Newswire 2015년 9월 8일자 기사(“AT&T Improves Solar Energy Management with Enphase Energy Using IoT Technology”)를 참조하였다(http://www.prnewswire.com).

    24) 본 문단의 내용은 Tesla Motors의 Powerwall 제품 설명을 주로 참조하여 작성하였다(https://www.teslamotors.com/powerwall).

  • 32

    이는데 기여하며, 비상 정전 시 예비전원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현재

    출시한 Powerwall의 용량은 7kWh로 5kW를 방전할 수 있으며,

    Powerwall의 가격은 약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훨씬 저렴한

    $3,000 수준으로 책정되었다. Powerwall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태양

    광 패널 설치서비스 업체와의 협업이 필요한데, 미국 내 보급의 경우

    Tesla Motors 창업자인 앨론 머스크가 설립한 SolarCity25)와의 협업이

    예상되고 있다. 호주의 경우 SunEdison Australia가 Tesla Motors와

    파트너쉽을 맺고 Powerwall 설치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이르렀다.26)

    [그림 3-7] Tesla Powerwall

    자료: https://www.teslamotors.com/powerwall

    25) SolarCity는 미국의 최대 규모의 태양광 공급자로, 주로 가정, 상업, 공공기관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공급한다(http://www.solarcity.com).

    26) Clean Technica 2015년 8월 22일자 기사(“SunEdison Australia Taking Delivery of Tesla Powerall”)를 참조하였다(http://cleantechnical.com).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33

    라. 시스템 매니지드 서비스

    시스템 매니지드 서비스(system managed service)는 스마트그리드

    가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전력, 가스 등 유틸리티를 대상으로 스마트미

    터나 AMI 등 스마트그리드 관련기기의 설정, 네트워크 구축, 보수·관

    리, 데이터저장 및 처리 등을 일체적으로 제공하는 산업이다.27) 시스

    템 매니지드 서비스는 통신업체가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필요한 하드

    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보유하고 각종 서비스를 패키지화하여 전력,

    가스 등의 판매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사업”28)으로 정의될 수 있다. 미

    국 유명 통신기업인 AT&T, Verizon, 유럽 최대 통신기업인 Vodafone

    모두 시스템 매니지드 서비스를 개발하여 에너지공급 또는 판매사업

    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Vodafone은 machine-to-machine(M2M) 통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그리드 및 스마트미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29) 뉴질랜드의 스마

    트미터링 솔루션 제공업체인 AMS(Advanced Metering Services)는 스

    마트미터 데이터 전송을 위해 Vodafone의 GPRS 무선 네트워크 기반

    통신 솔루션을 활용하고 있다.30) AMS는 Vodafone에서 공급받은 심

    (SIM) 카드를 스마트미터의 모뎀에 삽입하여 미터기에서 생성되는 모

    든 데이터를 Vodafone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는다. 이 과정에서

    Vodafone은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AMS의 니

    즈에 맞춘 과금체계를 개발한다.31) 네덜란드 최대 에너지망 운영자인

    27) 김남일·박명덕(2015), p. 51.28) 김남일·박명덕(2015), p. 51.29) 본 문단은 Vodafone 홈페이지를 참조하였다(http://www.vodafone.com).30) Vodafone(2012), p. 4.31) Vodafone(2012), p. 4.

  • 34

    Enexis도 Vodafone의 M2M 심카드를 내장한 스마트미터를 보급하였

    으며32), Vodafone의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스마트미터 데이터를

    전송받고 있다.33) 현재 이러한 스마트미터는 네덜란드 내 약 10만개

    가 보급되었으며, 향후 15만개의 추가보급이 이루어질 전망이다.34)

    Verizon은 에너지기업 및 유틸리티 대상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Smart Energy Solution)을 개발하였다.35) 이 솔루션은 에너지

    기업 및 유틸리티를 자동화하고, 배전망을 개선하며, 정보의 보안성을

    제고하고, 이와 더불어 핵심적 정보를 의뢰기업에게 제공한다. 핵심기

    술은 스마트미터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안정적인 네트

    워크 및 통신기술, 에너지 빅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클라우딩 기술,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통제할 수 있는 무선 기술, 설비(machine)부

    터 최종 관리시스템(back-end management system)까지 정보를 전송

    하는 사물인터넷 기술, 정보보안 기술로 구성된다.

    AT&T는 2015년 2월 산업용 사물인터넷을 위한 스마트 에너지 솔

    루션 개발을 위해 GE와 파트너쉽을 체결하였다.36) 이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은 GE의 스마트그리드 인프라를 AT&T의 네트워크에 연결하

    32) EU는 2020년까지 80% 이상의 에너지 소비자가 에너지소비량을 모니터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목표를 지난 2008년에 수립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 정부는 에너지망 운영자로 하여금 가정에 스마트미터를 설치하도록 요구하는 규정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규제는 유럽의 에너지망 운영자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스마트미터를 보급하게 만들었으며, 이 과정에서 에너지망 운영자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odafone과 같은 통신업체와의 협업이 이루어졌다.

    33) Vodafone(2014), p. 4.34) Vodafone(2014), p. 4.35) 본 문단은 Verizon 홈페이지를 참조한다(http://www.verizonenterprise.com).36) AT&T 2015년 2월 4일자 홍보자료(“AT&T and GE Strengthen Alliance, Fuel

    Innovation with Smart Energy Solutions”)를 참조하였다(http://www.about. att.com).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35

    여, M2M 기술 적용 시 발생하는 대량의 정보를 AT&T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다. GE와 AT&T는 GE의 스마트미터 및 무선솔루

    션 기술과 AT&T의 보안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을 결합하여 진화된

    미터링 솔루션(advanced metering solution)을 개발하기 위해 아이디어

    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GE의 조명 및 무선솔루션 기술을 활용하여

    웹 기반 조명 컨트롤 인터페이스 구축 사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AT&T는 통합 유틸리티 요금 납부 서비스를 대행하는 PayGo37)와

    2013년 파트너쉽을 체결하기도 하였다.38) 스마트그리드는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전력사용량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정량의 전력이용에 대

    해 사전에 요금을 지불하는 선불제 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 AT&T는

    PayGo와의 제휴를 맺고 2013년 전력요금 선불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출시하였다.

    3. 에너지 신산업의 발전방향

    에너지 신산업의 사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에너지 신산업은 스마

    트그리드의 기술 기반위에서 지속적이고 자생적으로 투자가 활성화된

    다면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뿐만 아니라 생활전반의 변화를 가져오는

    혁신적인 형태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의 기술은 전기사용과 관련된 모든 제품의 스마트화를 비롯하여 아파

    트와 빌딩에서부터 마을, 도시 등에 이르기까지 주거 및 생활양식의

    37) PayGo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유틸리티 요금을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다(http://paygoutilities.com/).

    38) AT&T 2013년 5월 29일자 홍보자료(“AT&T Amps Smart Grid Offering Through Exclusive Relationship with PayGo”)를 참조한다(http://www.att.com).

  • 36

    스마트화를 가능하게 하고, 에너지 신산업은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사업모델로서 진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신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민간투자 및 소비

    자의 역할 증대 가능성과 소비자의 잠재적 욕구충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에너지 신산업을 개발하고 확대할 필요가 있다. 민간기업의

    다양한 신규 에너지 인프라 기반에 대한 투자가 선행되고 이를 기반

    으로 한 소비자의 소비패턴 변화는 새로운 기술개발에 대한 유인을

    제공할 것이다.

    먼저, 에너지 신산업과 관련된 민간기업의 인프라 투자에 대한 유인

    은 시장이 유연하고 경쟁을 통한 수익창출이 가능한 구조에서 더 커

    질 수 있다. 미래 전력 소매시장의 구조에 대한 불확실성은 기업의 투

    자를 더 지연시킬 가능성이 클 것이다. 에너지 시장의 진입장벽이 견

    고한 상황 하에서 민간의 투자가 확대되기 어렵고, 특히 전력 소매시

    장의 개방에 대한 일정도 없는 상황 하에서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신

    규 투자를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다음으로 소비자의 역할 증대 및 변화를 주목해야 할 부분인데, 소

    비자가 적극적으로 에너지 소비를 제어하는 한편, 에너지의 생산 및

    판매까지도 가능한 상황으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에너

    지 소비와 관련한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통하여 수익이 발생될 수 있

    는 새로운 사업모델의 발굴이 중요하다.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동태적

    요금제가 적용될 경우, 소비행동의 변화에 따라 수익의 창출이 가능하

    기 때문에 소비정보를 바탕으로 요금제의 설계와 소비행동 변화를 유

    도하는 모델의 개발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욕구는 제품의 효용가치에 의해서 충족될 수

  • 제3장 에너지 신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 37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에 대한 새로운 결합 상품이나 서

    비스 등에 대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효용가치에 대한 판단기준이 모

    호하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이미 통신, 방송, 인터넷 등과 관련된 다양

    한 결합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했기 때문에 에너지 서

    비스의 추가적 결합과 할인 또는 포인트 제공 등에 대해서는 수용성

    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에너지 소비의 패턴변화

    와 절약 등으로 비용절감에 따른 편익이 증대된다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궁극적으로 에너지 신산업의 지속적인 확대를 위해서는 에너지 시

    스템의 전반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새로운 사업 또는 산업 모델이 개

    발되도록 시장여건과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현재

    의 에너지 시장구조 하에서는 민간의 투자를 유도하기에는 시장구조

    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민간 기업이 섣불리 투자를 할 수 없

    는 상황이다. 따라서 에너지 신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나아가서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도약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자생적으로 신산업이

    창출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의 기반 조성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이

    를 토대로 다양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이 에너지 신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에너지 시장의 여건이 경쟁적이며 자유로

    운 상황 하에서 수익성이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