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53
◆`대단원 교수·학습 계획(총 10차시) 구분 차시 교수·학습 내용 •대단원명, 중단원명, 삽화로부터 학습 내용과의 연관성 찾기 대단원 표지 단원을 열며 1. 문학과 성장 (1) 쉽게 씌어진 시 2. 문학과 공동체 (1) 모래톱 이야기 (2) 양아록 3. 문학과 문화 (1) 다듬이 (2) 시와 그림 단원을 닫으며 삼인행 •대화와 신경림의 시‘파장’을 보며 학습 내용에 대한 배경 지식 활성화하기 생각 다듬기 •단원 학습 목표와 과제 환기하기 바탕 이론 •문학을 통해 자아 성찰과 내면세계를 확충하며 타자에 대한 이해와 삶의 다양성 수용하기 소단원 본문 •자아 성찰을 통해 현재의 상태를 벗어나 새로운 자아로 나아가는 시적 화자의 모 습 확인하기 작품 들여다보기 •두 자아의 대립과 갈등, 그리고 화해에 대해 이해하기 •시어의 함축적 의미 알아보기 •화자가‘부끄러움’을느끼는이유생각하기 학습 활동 •시상 전개 과정 살펴보기 •현실적 자아와 내면적 자아의 갈등이 작품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파악하기 •대립되는 두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글 써 보기 바탕 이론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와의 연대 의식을 확인하고 문학 활동의 생활화를 통해 공동 체의 문화 발전에 참여하기 소단원 본문 •개인은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 작품 감상 하기 작품 들여다보기 •문학을 통한 공동체의 이해와 연대 의식 이해하기 •등장인물들의 성격 탐구하기 •작품의 배경, 갈등, 주제 정리하기 학습 활동 •서술자의 비판 의식이 드러난 부분 찾기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인 대목 찾고, 그 이유를 친구들과 공유하기 •공동체가 처한 상황과 그에 대한 대응 방식을 다른 시와 비교 감상하기 소단원 본문 •16세기 사대부 남성의 육아 일기라는 점에 유의하며 감상하기 작품 들여다보기 •문학의 생활화, 생활의 문학화가 작품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확인하기 •병에 걸린 손자에 대한 할아버지의 애절한 심정이 드러난 부분 파악하기 학습 활동 •다른 시와 비교하며 내용상의 공통점과 표현상의 차이점 이해하기 •어린 시절의 투병 경험을 떠올리며, 병상 일기 창작하기 바탕 이론 •문학과 인접 예술 간의 관계와 문학 활동의 생활화를 통한 수준 높은 국어 생활 영위에 대해 생각해 보기 소단원 본문 •사라져 가는 전통 문화에 대한 아쉬움과 우리말의 아름다움에 초점을 맞춰 작품 감상하기 작품 들여다보기 •문학을 통해 전통 문화 재인식하기 •작품 속 고유어의 의미를 확인하고 짧은 글 짓기 학습활동 •이 글에서 아름답거나 감동적인 표현 찾고, 그 이유 발표하기 •생활 주변에서 사라져 가는 사물을 떠올려 보고 수필 창작하기 소단원 본문 •문학이 인접 영역과 어떤 관계에 있으며 그 형상화 방법이 어떠한지 이해하기 작품 들여다보기 •시와 그림의 관계를 파악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파악하기 학습활동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작가가 나타내고자 했던 바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두 작품의 작가들이 서로 대화를 주고 받는다고 가정하고, 대화 이어 보기 삼인행 •대화로부터 대단원의 핵심 내용 요약, 정리하기 자기 점검하기 •문학 지식, 문학적 기능과 수행, 맥락을 통한 확장 내용 확인하기 더 공부하기 •점검 내용을 바탕으로 매긴 점수별로 지시에 따르기 10 9 8 7 6 5 4 3 2 1

Upload: others

Post on 17-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대단원교수·학습계획(총 10차시)

구분 차시교수·학습내용

•대단원명, 중단원명, 삽화로부터학습내용과의연관성찾기대단원표지

단원을열며

1. 문학과성장

(1) 쉽게 씌어진시

2. 문학과공동체

(1) 모래톱이야기

(2) 양아록

3. 문학과문화

(1) 다듬이

(2) 시와 그림

단원을닫으며

삼인행 •대화와신경림의시‘파장’을보며학습내용에대한배경지식활성화하기

생각다듬기 •단원학습목표와과제환기하기

바탕이론•문학을 통해 자아 성찰과 내면세계를 확충하며 타자에 대한 이해와 삶의 다양성

수용하기

소단원본문•자아 성찰을 통해 현재의 상태를 벗어나 새로운 자아로 나아가는 시적 화자의 모

습확인하기

작품들여다보기 •두자아의대립과갈등, 그리고화해에대해이해하기

•시어의함축적의미알아보기

•화자가‘부끄러움’을느끼는이유생각하기

학습활동 •시상전개과정살펴보기

•현실적자아와내면적자아의갈등이작품에어떻게형상화되었는지파악하기

•대립되는두이미지를통해자신의삶을성찰하는글써보기

바탕이론•다양한층위의공동체와의연대의식을확인하고문학활동의생활화를통해공동

체의문화발전에참여하기

소단원본문•개인은고립된존재가아니라공동체의구성원이라는점에초점을맞춰작품감상

하기

작품들여다보기 •문학을통한공동체의이해와연대의식이해하기

•등장인물들의성격탐구하기

•작품의배경, 갈등, 주제 정리하기

학습 활동 •서술자의비판의식이드러난부분찾기

•소설에서가장인상적인대목찾고, 그 이유를친구들과공유하기

•공동체가처한상황과그에대한대응방식을다른시와비교감상하기

소단원본문 •16세기사대부남성의육아일기라는점에유의하며감상하기

작품들여다보기 •문학의생활화, 생활의문학화가작품에어떻게드러나는지확인하기

•병에걸린손자에대한할아버지의애절한심정이드러난부분파악하기

학습활동 •다른시와비교하며내용상의공통점과표현상의차이점이해하기

•어린시절의투병경험을떠올리며, 병상 일기창작하기

바탕이론•문학과 인접 예술 간의 관계와 문학 활동의 생활화를 통한 수준 높은 국어 생활

영위에대해생각해보기

소단원본문•사라져 가는 전통 문화에 대한 아쉬움과 우리말의 아름다움에 초점을 맞춰 작품

감상하기

작품들여다보기 •문학을통해전통문화재인식하기

•작품속고유어의의미를확인하고짧은글짓기

학습활동 •이글에서아름답거나감동적인표현찾고, 그 이유발표하기

•생활주변에서사라져가는사물을떠올려보고수필창작하기

소단원본문 •문학이인접영역과어떤관계에있으며그형상화방법이어떠한지이해하기

작품들여다보기 •시와그림의관계를파악하여공통점과차이점파악하기

학습활동•두작품의비교를통해작가가나타내고자했던바가무엇인지이해하기

•두작품의작가들이서로대화를주고받는다고가정하고, 대화 이어보기

삼인행 •대화로부터대단원의핵심내용요약, 정리하기

자기점검하기 •문학지식, 문학적기능과수행, 맥락을통한확장내용확인하기

더공부하기 •점검내용을바탕으로매긴점수별로지시에따르기

10

9

8

7

6

5

4

3

2

1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mac01 T

Page 2: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1. 문학과성장

2. 문학과공동체

3. 문학과문화

문학과삶7

대단원설정취지

이 단원은‘문학과 삶’이라는 대단원을 바탕으로, ‘1. 문학과 성장’, ‘2. 문학과 공동체’, ‘3. 문학과 문화’라는 세 개

의중단원으로이루어져있다.

이 단원에서는문학과자아의성장, 문학과공동체의관계형성및문학과문화의연계성형성을중심으로문학과삶

의 바림직한 관계 형성을 위해 문학적 태도 형성 및 문학의 생활화를 모색하도록 설정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단

원을 구성하고 있는 세 개의 중단원은 문학과 삶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즉‘1. 문학과 성

장’은‘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성찰하고 삶의 의미에 대해 질문하며 내면세계를 확충한다.’, ‘무학을 통하여 타자(他

者)를 이해하고 삶의 다양성을 수용한다.’와 같이 문학의 내면 성찰 기능을 중심으로 자아의 성장을 다룬 문학 작품

을수용하고생산하는활동으로, ‘2. 문학과 공동체’는‘문학을통하여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다양한층위의공동

체와연대의식을가진다.’, ‘문학활동을생활화하여공동체의문화발전에능동적으로이바지한다.’와 같이공동체

속에서의 인간의 삶의 태도를 중심으로 문학을 통한 공동체의 이해와 연대 의식을 다룬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

하는 활동으로, ‘3. 문학과 문화’는‘문학과 음악, 미술, 연극, 영화, 무용, 건축 등 인접 예술과의 관계를 이해한다.’,

‘문학활동을생활화하여수준높은국어생활을영위한다.’와 같이일상에서의문학적삶을중심으로문학생활화를

보여주는문학작품을생산해보는활동으로이루어져있다.

지도상의유의점

이단원을지도할때는다음과같은사항에유의하는것이바람직하다.

첫째, 구체적인 작품을 수용하고 창작하는 활동을 하는 가운데 문학 능력이 신장되도록 지도하는 데 중점을 둔다.

‘문학’과목은 문학 능력의 신장과 문학 문화 발전을 목표로 한다. 이때 문학 능력은 문학 지식, 문학적 사고력, 문

학 소통 능력, 문학에 대한가치와태도, 문학 경험 등의총체로이해할수있다. 말하자면‘문학’과목에서구체적으

로 습득해야 할 내용 요소가 이들인 셈이다. 이들 요소들은 총체적이면서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어, 어느 하나

를따로떼어서지도하는것이불가능하다. 그런데도특히지식이나태도요소에대해서는실제의문학활동과별개

로 인지적·정의적 교수 방법을 동원하여 지도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렇게 지도한 내용은 내면화하여 장기

적인 문학 능력의 변화로 자리 잡기보다는 단기간의 암기나 행동 변화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문학 교육의

모든요소는실제수용및창작행위와더불어서지도하도록하여야한다.

둘째, 문학의 가치를 추상적 개념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지양하고, 구체적 삶과 관련지어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문학

은 지·정·의의 측면에서 인식적, 미적, 윤리적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가치를 개념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구체적

인 수용과 창작 과정에서 체감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문학의 수용과 창작이 실제 생활과 유리된, 고답적

인행위가아니라는점을인식시킬필요가있다. 창작 활동도교사의지시에따라이루어지는것이아니라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그것을 승화하여 미적으로 형상화한다는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제나

소재를학생들의발달단계및삶의구체적모습과밀착된것으로선택해야한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3 mac01 T

Page 3: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일곱 번째 문학 여행을 떠나다

마지막 여행을 위해 지하철역으로 향하면서, 세 친구는 그동안 느낀 점을

서로 이야기한다.

334 7. 문학과삶*

단원을열며

이 단원에서는 정신적 성장과 가치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해 문학이 무엇

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어떻게 문학을 누릴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도록 하자.

재현⋯ 나는 문학이 그 시대와 사회를 반영한다는 입장에서 작품을 읽

어 왔어. 시대와 사회를 어떤 규모로 보느냐에 따라 반영의 성

격도 달라지는 것 같아. 만약 ’70년대나 ’80년대를 각각 한 시

대로 규정한다면, 문학이 반영하는 시대상은 훨씬 역동적이고

가변적이겠지? 반대로 근대 이전이나 근대를 한 시대로 설정하

면, 문학이 시대를 반영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더라도 훨씬 안정

적인 내용이나 형식을 갖춘 것으로 보일 테고.

형식⋯ 하지만 형식에 집중하다 보니, 그 변화의 역동성을 잘 고려하

지 못했던 것 같아. 마르셀 뒤샹의〈샘〉에서 보듯, 화장실 변기

도 전시장에 옮겨 놓으면 예술 작품이 될 수 있지. 우리의 문

학 여행은 결국 사람들이 문학에 대해 갖는 인식이 얼마나 중

요한지 깨닫는 과정이었던 것 같아.

수용⋯ 저기, 지하철 안전 문 유리창을 봐. 신경림 시인의 시‘파장’이

쓰여 있지? 문학 여행이란 건 굳이 멀리 다녀야 하는 게 아니

야. 일상에서 문학을 발견하는 게 소중한 거라고.

지도상의유의점

‘단원을 열며’는 정신적 성장과 의미 있는 공동체적 삶을 위해 문학이 어떠

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또 우리는 그 속에서 문학을 어떻게 향유할 수 있

는지생각해볼수있도록구성되었다. 이러한내용이재현, 형식, 수용 간의

대화에 드러나 있는데, 이들은 모두 문학을 어떻게 감상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을 교사가 일방적으로 설명하기보

다는, 학생들이 제시된 사진과 형식, 재현, 수용이의 주장을 분석하여 거기

에 담긴 의미를 유추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용

의 말에 집중하여 문학과 삶은 일상이라는 테두리에 함께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학생들이이해할수있도록안내한다.

반영론적관점으로문학감상하기

주체적문학인식의중요성

일상에서손쉽게발견할수있는문학과그가치

단원에서학습할내용①

단원에서학습할내용②

삼인행대화살펴보기

‘단원을 열며’의 삼인행 대화

는 문학을 어떻게 보느냐 하는

재현, 형식, 수용의 생각이 드

러나 있다. 재현은 문학을 그

시대와 사회를 반영한다는 입

장에서 감상하는 태도를 보이

며, 형식은 문학의‘형식’에 집

중하다 보니 그 변화의 역동을

잘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수

용은 문학이란 것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소중한 존재라고 주장

한다.

이렇듯 이 단원에서는 정신적

성장과 가치로운 공동체적 삶

을 위한 문학의 역할과 우리가

어떻게 문학을 누릴 수 있는지

에 대해 고민해 볼 기회가 주

어진다. 교사는 이러한 내용을

삼인행에 등장하는 세 사람의

대화를 통해 학생 스스로가 파

악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4 mac01 T

Page 4: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1. 문학과성장(1) 쉽게씌어진시

2. 문학과공동체(1) 모래톱이야기

(2) 양아록

3. 문학과문화(1) 다듬이

(2) 시와그림

●문학과삶이맺고있는다양한연관에주목하여문학의가치와의의에대해알아보자.

●문학이인간의정신적성장과공동체적연대에어떻게기여하는지평가해보자.

●지금까지의문학적체험을되돌아보며, 문학의생활화가자신의삶을어떻게변화시킬지성찰해보자.

생각다듬기

단원을열며 335*

중단원목차와지도방법

이대단원은‘1. 문학과 성장’, ‘2. 문학과 공동체’, ‘3. 문학과 문화’라는세개의중단원에실린작품을소단원제목으로

삼고 있다. 교사는 소단원 제재가 되는 작품을 간략하게 소개해 주어, 학생들이 중단원 제목과 소단원 제목 간의 상관 관

계를유추할수있도록지도한다. 즉, 본 교수·학습에들어가기에앞서, ‘쉽게 씌어진시’는자아성찰을통해현재의상

태를 벗어나 새로운 자아로 나아가는 시적 화자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한 시이고, ‘모래톱 이야기’는 개인은 고립된 존재

가 아니라 공동체의 구성원이며, 다른 구성원들과 연대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하기 위한 소설이라는 점, ‘양아록’은 16세

기 사대부 남성의 육아 일기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문학이 일상을 어떻게 반영하고, 작품으로 옮기는가라는 점을 이해

할 수 있는 작품이며, ‘다듬이’는 사라져 가는 전통 문화에 대한 아쉬움, 그것을 표현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확인할 수

있는 수필이고, ‘시와 그림’은 서정주의‘화사’와 천경자의 그림‘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를 비교 감상하여 문학이 인

접 예술과 어떤 관계에 있으며 그 형상화 방법이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언급한다. 그리하여

이것들이소단원에서배울내용과어떻게관련될지를추측해볼수있도록지도한다.

생각다듬기지도방법

교사는‘생각 다듬기’가 이제부터 학습할 대단원의 학습 목표임을 학생들에게 주지시키고, 본격적인 교수·학습을

전개하기전에반드시읽어볼수있도록지도한다. 본 대단원에서는‘문학과성장’, ‘문학과공동체’, ‘문학과문화’

에 대한 내용을 시, 소설, 수필, 그림 등을 제재로 다루게 된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분명하게 인식하도록 한다. 이때

문학과 삶이 맺고 있는 다양한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문학 활동을 삶 혹은 체험이라는 점과 관련지어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그러한 문학 활동이 자신에게 끼친 영향은 구체적으로

어떤것인지생각해볼기회를제공하는것도잊지말아야한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5 mac01 T

Page 5: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36 7. 문학과삶*

01문학과성장1. 문학을통하여자아를성찰하고삶의의미에대해질문하며내면세계를확충한다.

2. 문학을통하여타자(他者)를이해하고삶의다양성을수용한다.

| 학습목표|

당시(當時)에녀던길흘몃 를 려두고

어듸가 니다가이제 도라온고

이제나도라오나니년듸 마로리.

—이황, ‘도산십이곡’에서

이 노래는 퇴계 이황이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안동으로 물러나 도산 서원

을 세워 후진을 양성할 때 지은 연시조‘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중의 한 수

이다. 작자는 젊었을 때 세운 뜻인 학문 수양의 길을 저버리고 벼슬길에 올랐

던 자신을 탓하며 이제라도 학문 수양에 전념하겠다는 굳은 결의를 드러내고

있다. 이 시조를 읽으면서 우리는 지나온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삶의 진정한

가치에 대해 성찰하는 이황을 만날 수 있다.

인간을 탐구하고 삶의 의미에 대해 질문하는 것이 문학의 본령이다. 작자는

작품 생산을 통해 독자들과 함께 두루 화제로 삼을 만한 인간상과 삶의 모습

을 성찰한다. 그리고 독자는 작품 수용을 통해 작품 속에 그려진 인간상과 삶

의 모습에 비추어 자아와 자신의 삶을 성찰한다. 그리하여 풍부한 감수성, 예

리한 통찰력, 따뜻한 포용력, 바람직한 가치관 등을 두루 아우르는 내면세계

를 갖출 수 있는 것이다.

독자는 문학 활동의 과정에서 생긴 경험과 그 결과를 내면화하여 자아를 성

찰하고 발전시킨다. 또한 삶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자신

의 삶을 고양할 수 있다. 이렇게 문학 활동을 통해 자아를 성찰하고 삶의 진

정한 가치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독자의 내면세계를 보다 넓고 깊게 하는 것

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것은 학습자의 삶을 변화시키고 다시 새로운 문학

활동으로 나아가게 하는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 내는 바탕이 된다. 이를 위해

독자는 작가의 문제의식이나 작품 속 인물의 시각 등 작품의 시각에서 자기

문학을통한자아성찰과내면세계확충

이황의 시조에서

‘당시에 녀던 길’은‘옛 성현들이

걸었던 학문 수양의 길’이며, ‘년

듸’는 화자가 지금 따르고자 하는

학문 수양의 길이 아닌 다른 곳, 즉

과거에 추구했던‘벼슬길’이나‘입

신양명의길’을뜻한다.

이작품은

지도상의유의점

이 단원의 학습 목표는 크게‘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성찰하고 삶의 의미에 대해 질문하며 내면세계를 확충하는 것’과‘문학

을 통하여 타자(他者)를 이해하고 삶의 다양성 수용’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이때‘성찰’, ‘내면세계 확충’과 같은 말은 학

생들이다소어려워할수있으므로이에대한개념을교사가간단하게정리해주는것이필요하다. 개념을 설명할때에는교

사 중심의 일방적인 설명이 아니라, 학생들이 문학 활동 경험을 활용하며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하

다. 예를 들어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스스로를 반성한 적이 있었는지, 있었다면 어떤 점이 자신을 돌아보게 했는지 등을 학

생에게질문하여, ‘자아의성찰’, ‘내면세계확충’등의개념이해에학생들이능동적으로참여할수있도록지도한다.

학습목표 1과 관련되는부분

학문의수양의길

벼슬길(임신양명의길)

다른데

참고자료

•문학을통해내면세계확충하기

문학 활동의 목적은 개인 삶의 질

을 고양하고 공동체의 문학 문화

를 발달시키는 데 있기 때문에, 활

동 결과를 내면화해서 삶의 다른

영역이나 차후의 활동에 재투입하

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내면화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고

결과가 눈에 보이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인성 교육, 교양 교육과 관

련하여 문학 교육의 특성을 잘 보

여 줄 수 있는 부분도 내면화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들 내용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문학 활동을

일상적 경험과 연관지어 해석하고,

작품이 다룬 가치가 자신의 삶에

지니는 의의를 탐색하며, 토의·토

론을 통해 작품의 가치를 내면화

하는활동을하도록한다.

-최현섭,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1999)

문학의본질

문학활동이독자에게미치는영향①

문학활동이독자에게미치는영향②

문학활동이독자에게미치는영향③

문학활동이독자에게미치는영향④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6 mac01 T

Page 6: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1. 문학과성장 337*

문학은 인간을 탐구하므로 문학을 통해 독자는 자신과는 다른 인간, 즉 타

자(他者)를 발견할 수 있다. 이 발견을 바탕으로 독자는 자신의 존재를 새롭

게 인식하며, 타자와 그 타자의 인생에 대한 소중한 지혜를 얻는다. 다시 말

해 자신과는 다른 존재, 평소에는 잘 보이지 않는 타자의 다른 면모, 자신과

가치 지향이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삶 등에 대한 깨달음을 얻게 된다. 또한

타자에 대해서 인식하고 타자의 삶의 다양성에 대해서 새로운 성찰을 하게

되어 타자를 배려하는 지혜도 얻을 수 있다.

독자는 문학 활동의 과정에서 타인을 비롯한 여러 다른 존재를 이해하고,

그 존재들이 영위하는 삶의 다양성과 차이를 존중하고 수용한다. 그 결과 자

신의 삶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아울러 다른 존재들의 삶과 조화를 이

루면서 자신의 개성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문학 작품을 읽

고 감상하는 과정에서 나와는 다른 타자를 이해하고, 타자의 삶의 방식과 조

건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타자를 배려하는 삶의 태도를 가지는 동시에, 타

자와 더불어 사는 삶의 방식과 그 지혜를 발견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자신을 성찰하고, 작품이 문제 삼는 삶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며, 작품이 문제

삼은 삶과 관련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해야 한다.

타자에대한이해와삶의다양성수용

❶문학을통하여독자는어떻게자아를성찰할수있는가?

❷문학을통하여타자를이해한다는말의의미는무엇인가?

짚고가기

문학

자아성찰

타자에대한이해 삶의다양성수용

문학을통한타자발견의결과①

문학을통한타자발견의결과②

문학을통한타자발견의결과③

타자에대한이해가독자에게미치는영향②타자에대한이해가독자에게미치는영향①

짚고가기 1

활동 안내|이 질문에 답하기 위

해, 먼저 문학의 본질을 학생들에

게 일깨워 줄 필요가 있다. 문학은

인간을 탐구하고 삶의 의미에 대

해 질문하는 것을 본령으로 삼는

다. 그렇기 때문에 작자는 의미 있

는 인간상과 삶의 모습을 문학에

재현하며. 독자는 이의 수용을 통

해자신의삶을성찰할수있는것

이다. 이러한 내용에 학생들이 보

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먼저

소설을 읽고 자신의 모습을 반성

해 본 경험이 있는지 혹은 감동의

눈물을 흘린 적이 있는지, 만약 그

러한 경험이 있다면 어떤 점 때문

이었는지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

한다.

예시 답|독자는 작품 수용을 통

해 작품 속에 그려진 인간상과 삶

의 모습에 비추어 자아와 자신의

삶을성찰한다.

활동 안내|짚고 가기 1에서 언급했듯이, 문학은 인간을 탐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문학을 읽는 독자는 그 과

정에서 자신과 다른 인간 즉 타자(他者)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만남은 독자가 다른 존재를 이해하고, 그 존

재들이영위하는삶의다양성과차이를존중하고수용하는독자로거듭날수있는기회를준다.

이는 독자라는한 개인에게 미치는긍정적 가치로 끝나는 것이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삶 또한풍요롭게

해준다. 이런 점에서볼때문학이지니는실제적가치를학생들이이해할수있도록지도하는것이바람직하다.

예시답|독자가문학을통해자신과는다른존재인타자(他者)를 인식하고, 타자의삶의다양성에대해새로운성찰

을하게되어타자를배려하게되는것을의미한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7 mac01 T

Page 7: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38 7. 문학과삶*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六疊房)1)은 남의 나라,

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한 줄 시(詩)를 적어 볼까,

땀내와 사랑 내 포근히 품긴

보내 주신 학비 봉투(學費封套)를 받어

대학(大學) 노—트를 끼고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 들으러 간다.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들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윤 동 주

1) 육첩방(六疊房) 일본식돗자

리인다다미여섯장을깐방. 여

기서는억눌리고암담한공간.

시인. 일제강점당시항일투쟁에나

서지 못한 부끄러움과 지식인으로서

의 반성을 진솔하게 노래했다. 대표

작으로‘서시’, ‘별 헤는 밤’, ‘참회

록’, ‘또다른고향’등이있다.

윤동주(尹東柱, 1917~1945)

자아성찰을통해현재의상태를벗

어나 새로운 자아로 나아가는 시적

화자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어 읽어

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쉽게씌어진시소단원설정취지

이 작품은 일제 강점 당시 항일 투쟁에 나서지 못한 부끄러움과 지식인으로서의 반성을 진솔하게 노래한 윤동주의

시로, 중단원 (1)의 학습 목표인‘문학을 통해 자아를 성찰하고 삶의 의미에 대해 질문하며 내면세계를 확충한다’를

달성하는 데 좋은 제재가 된다. 그리고 앞서 제시한 문학의 본질이 인간을 탐구하고 삶의 의미에 대해 질문하는 데

있다는 내용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시에 등장하는 현실적 자아와 내면적 자아가 보이는 갈등, 화자가

자아성찰결과자신을‘부끄럽다’고느끼는감정등을통해탐구할수있다는점에서의의가있다.

『』̀

낯선공간

『 』̀: 화자는 낯선 공간에서

이방인으로서 왜소함

을느끼고있음.

:̀ 암울한 현실

무기력하고 소극적인

현실적 자아의 구체적

모습

내면적 자아가 현실의 모순을 바로

잡기위해끊임없이자신을성찰함.

⋯ :̀ 현실적 자아

하강의이미지-̀̀부정적현실에순응하는소극적이고무기력한화자를‘가라앉음’으로표현함.

:̀ 어두운시대현실속에서, 무기력하고소극적인자신의모습을성찰한후느끼는감정

작품연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미래 지향적, 고백적

•어조:̀ 고백적

•제재:̀ 쉽게 씌어진시

•주제:̀ 어두운 시대 현실 속에서

의고뇌와자기성찰

•특징:̀ 서술적 표현과 대립적 시

어를통해시각적심상을제시함.

•시상 전개:̀ ① 슬픈 현실에 대한

인식(1, 2연)

② 현재의 삶에 대한 회의

(3~6연)

③반성적자기성찰(7연)

④ 현실에 대한 재인식과 극복

의지(8~10연)

문학(2)07(332~371) 2012.1.5 5:43 AM 페이지338 mac01 T

Page 8: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1. 문학과성장 339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幄手).

**

‘밝은미래’를상징하는시어①

‘밝은미래’를상징하는시어② 내면적자아

밝은 미래에 대한 확신과 의지를

잃지않고기다리는내면적자아

내면적자아와현실적자아의화해→새로운자아로나아감.

내면적자아가현실적자아에게손을내밂. → 부끄러운현재의자아를벗어나려는노력

플러스활동

1. 3연의‘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 한 줄 시(詩)를 적어 볼까’가

의미하는바를구체적으로쓰시오.

예시답|작품에등장하는현실의‘나’는집에서보내준학비로일본유학중인학생이다.

일제에의해억압과구속을받고있는조국의현실에누구보다적극적으로참여해야할지

식인이지만, 그렇지못한현실속에서시를쓰고있는자신의처지를‘슬픈천명’으로표현

하고있는것이다.

2. 1연과 8연에 나타나는 내용의 반복과 변주에 있어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설명

하시오.

예시 답|내용의반복은보통작가가말하고자하는의미의강조를위해나타나는표현상

의특징이다. 1연과 8연은모두공통적으로화자의‘현실인식’으로볼수있으며, 이때반

복을 통해 현실 인식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1연은 이어지는 2~7연에서

알수있듯이‘부정적현실인식’이며, 8연은뒤의 9̀~1̀0연에서확인할수있듯이현실의

자아와내면적자아가화해하고부정적현실극복의가능성을확인하는것으로 1연과는다

른‘현실의재인식’이라는차이점을보인다.

참고자료

•부끄러움의미학

윤동주는 이른바 황민화 정책의 탄압이 극에

달했던 시기에 일본 유학을 결심하고 군국주

의에 물든 지배자의 나라에 들어갔다. 이것

이 그의 나이 26세 때의 일이다. 이때 윤동

주는 도일 수속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자신

의 성을‘히라누마(平沼)’로 창씨 개명하였

다. 창씨 개명은 민족 정신과 기독교 신앙이

라는 정체성을 지닌 시인에게 참담한 굴욕과

부끄러움을체험케한사건이었다.

이 작품에서 다다미 여섯 장이 깔린 일본의

하숙집 방에서 바라본, 밤비가 속살거리는

창은 시인의 내면적 자아를 비추는 매개체가

된다. 시적 화자가 시인이란 정체성을 슬픈

천명으로 인식하는 것은 시를 통해 부끄러움

의 고백을 끊임없이 토설해야 하기 때문이

다. 이제 시적화자는홀로자신의윤리적자

아(내면적자아)에 침전함으로써허물의고백

을일구어내야한다. 죄에 대한주관적가치

척도인허물은즉자(卽自)로서의존재를대자

(對自)로서인식하게되는것이다.

-노승욱, “윤동주시에나타난고백의기독

교적성격연구”(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9 mac01 T

Page 9: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40 7. 문학과삶*

윤동주가 일본 유학 시절에 지은 시이다. 시적 화자는‘육첩방’이란 낯

선 공간에서 이방인으로서 왜소함을 느끼고, ‘시인이란 슬픈 천명’을 감

수해야 한다고 노래한다. 그러면서‘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

러운 일’임을 뼈아프게 깨닫는다. 시인은 시 쓰는 일을 통해서만 자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렇기에 민족적 자아를 깨닫게 되면서 현실에 순

응하는 자신을 질책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등불을 밝혀 어둠을 내몰

고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에게서 우리는 시대의 고통을

자신의 내면으로 끌어들여 놓고 고뇌하는 시인의 참모습을 엿볼 수 있다.

감상의길잡이

‘쉽게씌어진시’는어떤 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두자아의대립과갈등, 그리고화해

넓고깊게이해하기

‘부끄러움’의미학

이 시의 마지막 연에는 두 개의‘나’가 등장한다. 하나는 최후까지 지조

를 지키는‘내면적 자아’이자 화자가 바라는 삶의 모습이다. 다른 하나는

늙은 교수의 강의를 들으러 가는‘현실적 자아’로, 화자가 부끄러워하는

삶의 모습이다. 현실적 자아는 무기력하게 살아가지만, 내면적 자아는 현

실의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한다. 이 두 자아는 어두

운 시대를 살아가는 화자가 마주칠 수밖에 없는, ‘이상과 현실의 어긋남’

을 드러내기 위한 장치이다. 화자는 무기력한 자신을 책망하면서도 밝은

미래에 대한 확신과 삶의 의지를 잃지 않는다. 이렇게 갈등하던 두 자아는

마침내‘눈물과 위안’을 통해‘최초의 악수’에 다다르게 된다.

자기 성찰에는 항상‘부끄러움’이 뒤따르는데, 이는 윤동주의 삶과 시를

지탱해 주는 근원적인 동력이다. 이 시에서도 화자는 자신에게 부끄러움을

느끼고 내적 갈등을 겪지만, 그 속에서 스스로를 다잡으며, 부끄러운 현재

의 자아를 벗어나 새로운 자아로 나아가려 함으로써 갈등을 극복한다.

▶ ▶▶성찰 부끄러움

어려운시대현실

무기력하고소극적인

자신의모습

양심을

지키려는노력

미래에대한

희망

극복,

화해

지도상의유의점

먼저 이 시가 쓰인 시대적 배경과 당시 윤동

주의 상황을 파악한 후 활동할 수 있도록 지

도한다. 이 시는 일제 강점기인 1942년에 쓰

였으며, 이때 윤동주는 일본에서 유학 중이었

다. 암울한 조국의 현실에 적극적 역할을 하

지 못하는 지식인 윤동주의 고뇌가, 작품에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확인하는 활동에 초

점을맞춘다.

지도상의유의점

이 작품에는 두 개의 대립되는 자아가 등장한다. 이 두

자아가 어떠한 갈등의 상황에 놓이며, 또 그 갈등을 어떻

게 극복하고 화해로 나아가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한다.

이때 대립되는 두 자아는 본문을 활용하여 파악할 수 있

다. 먼저 화자가 부끄럽게 여기는 무기력하고 소극적인

‘현실적 자아’는 3~6연을 통해 그 구체적인 모습을 확

인할 수 있고, 그러한 자신을 성찰하며 현실의 모순을 바

로잡기 위해 노력하는‘내면적 자아’는 7연에서 발견된

다. 이러한 대립은 밝은 미래에 대한 확신이 드러나는 9

연을 거쳐 10연에 이르면서, 두 자아가‘악수’를 통해 화

해하며 갈등을 극복하는 모습으로 결론을 맺는다. 이는

전체적 시상 전개 과정을 고려하여 활동할 수 있도록 지

도하는것이바람직하다.

지도상의유의점

윤동주의 작품은‘자아 성찰’과‘부끄러움’이라는 시적

경향으로 설명될 수 있다. ‘쉽게 씌어진 시’는 시인이 부

끄러움의미학을어떻게완성하고있는지를보여주는작

품이다. 그의 시에서 부끄러움의 미학은‘참회록’의 자괴

적 부끄러움을 거치면서‘쉽게 씌어진 시’의 위안적 부끄

러움의 의미로 완성된다. ‘참회록’에서 부끄러움이 창씨

개명으로 인한 시인의 자괴감에 바탕해 있다면, ‘쉽게 씌

어진 시’에서의 부끄러움은“슬픈 천명”을 지니고“남의

나라”에서 시를 써야 하는 자신에 대한 눈물 어린“위안”

이 더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바탕으로 작

품을감상할수있도록지도하는것이바람직하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40 mac01 T

Page 10: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1. 문학과성장 341*

‘자아 성찰’이라는 화자의 의식에 주목하여 다음 시어의 함축적 의미를 알아

보자.1

(1) 밤비:

(2) 침전:

(3) 악수: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2

이 시의 시상 전개 과정을 살펴보자.3

(1) 7연에서 화자가‘부끄러움’을 느끼는 이유를 추리하여 써 보자.

(2) 마지막 연의‘나는 나에게’에 나오는 두 가지‘나’의 의미를‘자아’에 초

점을 맞추어 설명해 보자.

슬픈현실에대한인식1, 2연

현실에순응하는무기력한자아3~6연

자신의행동을반성하는자아7연

무기력한자아와성찰하는자아의화합8~10연

도움닫기

활동 안내 1`-(̀1)|이 작품은 윤동

주가 일본 유학 시절에 지은 시이

다. 창밖에 내리는‘밤비’는 일제

강점기 조선의 암울한 현실이라고

볼 수 있다. 시의 3~6연을 참고하

여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하는

것이바람직하다.

활동 안내 1`-`(2)|‘침전(沈澱)하

다’의 사전적 의미는‘밑바닥으로

가라앉다’이다. 화자는 1·2연에서

나타나는것처럼부정적현실을인

식했지만, 아무 일도 하지 못한 채

집에서 보내오는 학비로 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다. 이러한 시상 전개

를고려할때, 6연에서‘나는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라고

말하는것은부정적현실에적극적

으로 맞서 싸우지 못하고, 무기력

하고소극적인모습으로현실에순

응하는 현실적 자아를 의미한다.

이때‘침전’을 하강의 이미지와 연

결하여부정적현실과대응하는시

어로지도하는것도좋다.

활동 안내 1`-(̀3)|이 부분은 시의

전체적맥락을고려하여이해할수

있도록지도해야한다.

이 활동은 위해 3번의 시상 전개

과정을 먼저 살펴본 후 지도하면

학생들이내용을이해하는데보다

도움이될것이다.

활동 안내 2`-`(2)|이 작품에는

‘나’로 표현되는 두 개의 자아가

등장한다. 이 두 자아는 어두운 시

대를 살아가는 화자가 마주칠 수밖

에없는, ‘이상과현실의어긋남’을

드러내는장치임을이해하게한다.

활동 안내 2`-(̀1)|일본에 강점되

어억압받는조국의현실에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는 지식인으로서,

집에서 보내 준 돈으로 편안하게

일본에서대학을다니는자신의모

습을 반성하며 느끼는 부끄러움임

을알수있도록지도한다.

예시답|밤비는자아성찰의계기를마련하는부정적현실(일제강점기)을의미함.

예시 답|부정적 현실에 적극적으로 맞서 싸우지 못하고, 무기력하고 소극적인 모습으로 현실에 순응하는 현실적 자

아를의미함.

예시 답|화자가 부끄러워하는 현실적 자아와 현실의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는 내면적 자아

의화해를의미함.

예시답|어두운시대현실속무기력하고소극적인자신의모습을반성했기때문이다.

예시 답|현실의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 끊임없이 성찰하는‘내면적 자아’가 무기력하고 소극적인‘현실적 자아’에게

손을내밀어화해하는것으로설명할수있다.

활동안내 3|작품의전체적맥락을파악하여시어와구절의의미를이해하는활동인 1, 2를 위해, 활동 3의 시상전

개 과정을 먼저 지도하는 것이 좋다. 이때, 화자의 부정적 현실 인식(1, 2연), 그러한 현실 속에서 무기력한 자신에게

부끄러움을 느끼고내적갈등을겪는자아(3~6연), 그리고 그 속에서스스로를다잡으며자아성찰끝에부끄러움을

느끼는자아(7연), 마지막으로이러한과정끝에갈등하던두자아의화해(8~10연)라는 점을되짚으며다시한번시

를정리할수있도록지도한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41 mac01 T

Page 11: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42 7. 문학과삶*

윤동주의‘쉽게 씌어진 시’는 시작(詩作) 과정을 통해 일상적 자아와

성찰적 자아, 무기력한 삶과 그것을 극복하려는 실천 의지가 하나로 합치

되지 못하고 분열의 양상을 보이다가 비로소 이 둘이 화합을 이루게 되는

과정으로 시상이 전개된다. 이 과정에서 식민 통치국 일본에서 유학 생활

을 하며 시를 쓰는 젊은 시인이 운명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는 고립감과

자아 분열, 이를 넘어 자아의 합일로 나아가려는 노력 등이 나타난다. 결

국 이 시는 한 인간이 자신이 처한 상황과 자아의 위상을 분명히 깨달음

으로써내적으로도약하는계기를마련하는과정을잘보여준다.

보기

•시에나타나있는‘시어’를구체적으로언급하면서서술할것

조건

〈보기〉의 밑줄 친 부분의 내용이 이 시에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 찾아보자.4

멀리뛰기

▲ 1948년에 초판이 발행된

윤동주의 유고 시집“하늘과 바

람과별과시”

활동 안내 4|이 활동은 <보기>의

밑줄 친 부분을 시상 전개 과정과

연결지어구분한후접근하도록지

도하는 것이 좋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1. 일제에 의해 강제 점령돼 식민

지로 전락한 조선의 현실 →‘밤

비’

2. 식민지인 조선을 조국으로 둔

화자가식민통치국인일본에서유

학 생활을 하며 느끼는 고립감 →

‘육첩방은남의나라’

3. 현실적 자아와 내면적 자아의

분열 → 현실적 자아의 구체적 모

습(3~6연), 내면적 자아의 반성(7

연)

4. 자아 성찰과 미래에 대한 희망

을 통해 분열된 두 자아가 화해함.

→‘부끄러운 일’, ‘등불, 아침’,

‘최초의악수(幄手)’

예시 답|이 작품은 윤동주가 일본에서 유학 중이던 1942년에 쓰였다. 당시 일본에 의해 강점되었던 조선의 암

울한 현실은 시에‘밤비’로 형상화되었으며, 그러한 현실 속에서 화자는 집에서 보내 준 학비로 늙은 교수의 수

업을 들으러 간다. 이렇듯 당대의 지식인으로서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며 느끼는 그의 내면적 갈등은

남의 나라의‘육첩방(六疊房)’이라는 낯선 공간에서 스스로를 왜소화·무기력화시키는 모습을 통해 드러나며, 그

런자신을‘홀로침전(沈澱)’한다고표현한다. 이는소극적인현실적자아와현실의잘못을바로잡기위해끊임없

이 자신을 성찰하는 내면적 자아의 갈등으로 이어지는데, 이 갈등은 화자의 노력그리고‘등불’과‘아침’으로 상

징된 밝은 미래에 대한 의지로 극복된다. 이는 시의 마지막 행에서 분열된 두 자아가‘악수’하는 모습으로 그려

진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42 mac01 T

Page 12: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1. 문학과성장 343*

이 시에는‘빛’과‘어둠’의 대립과 긴장을 통한 자아 성찰이 나타나 있다. 자

신의 삶에서‘빛’과‘어둠’의 이미지를 떠올려 보자. 그런 다음 이를 바탕으

로 자신의 삶을 성찰해 보고, 그 결과를 일기로 써 보자.

5

창작활동

예시답|생략

활동 안내 5|‘쉽게 씌어진 시’는

‘어둠’의 이미지를 형성하는‘일제

강점의 억압적인 현실’과 이러한

현실에서‘소극적인 자세를 취하

는 현실적 자아’가 등장한다. 하지

만 이러한 어둠은‘등불’, ‘아침’

과 같은‘밝음’의 이미지를 통해

극복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 활동을 할 수 있도

록지도한다.

창작 활동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다양한 결과물을 내놓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한 다음의

세 가지 조건들은 갖추어 활동할

수있도록안내해야한다.

첫째, ‘일기’라는 형식을 활용할

둘째, ‘빛’과‘어둠’이라는 대립되

는이미지를활용할것

셋째, 대립되는 이미지를 통해 자

신의 삶을 성찰(자기를 반성하고

살핌.)하는 내용을담을것

참고자료

•‘최후의나’의의미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는

희망의 인간학적 통찰로 비로소 가능해진 최

종적 결단의 표명이다. 미래적 가능성에 마

음을 열어 놓는 이 열정이 없다면 아마도 인

간은 거듭된 퇴행 끝에 죽을 수밖에 없을 것

이다. ‘최후의 나’는 그 등 뒤에 희망의 배수

진을쳐놓고있다. 때문에 재를털고날아오

르는 불사조의 비상을 몇 번이라도 꿈꿀 수

있고, 실현할 수도 있게 된다. 현재 자기가

직면하고 있는 정황을 충실히 파악하면서 통

일된 전체로서 참여하는 자아는 선명한 과단

성의‘최후의나’바로그것이된다.

또한 어느 의미에서 마지막 성실성의 표명이

될 것도 같다. 아울러 위기의 돌파구인 희망

이 바로 이 지점에서 시인에게‘악수’를 청

한다. 가능성에의 열정이 자의식과 통합되는

정경을우리는이시의끝대목에서본다. 즉

그는‘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 눈물

과 위안으로 잡는 최초의 악수’를 성립시켜

놓는다.

유아론적 주관주의로 퇴보하지 않기 위해,

시대 착오가 병들지 않기 위해 실존적 자기

초월에의 결연한 자세를 표명한 이‘최초의

악수’는 경험의 통일을 재정복한 2차적 반성

의한전형이라할수있다.

- 권영민, “윤동주연구”(문학사상사, 1995)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43 mac01 T

Page 13: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44 7. 문학과삶*

02문학과공동체1. 문학을통하여사회, 민족, 역사, 자연등다양한층위의공동체와연대의식을가진다.

2. 문학활동을생활화하여공동체의문화발전에능동적으로이바지한다.

| 학습목표|

문학은 인간을 더불어 사는 존재로서 그려 내는데, 특히 인간을 구성하는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와 개인의 관계를 주목해 왔다. 인간은 가족, 사회, 민

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살고 있으며, 공동체

와의 관계에서 자신이 책임이 있고, 또 필요한 존재라는 연대 의식을 가질 때

삶의 의미를 자각하게 된다. 문학을 매개로 해서 독자는 다양한 층위의 공동

체의 이념이나 가치관을 이해하고 그것에 동의하게 되며, 그 과정을 통하여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가치와 의미를 (재)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동의 형성

과정 자체가 다양한 방식과 수준으로 여러 층위의 공동체와 연대 의식을 형

성하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사회적 공동체, 민족 공동체, 동일 역사를 공유

하는 역사 공동체, 자연 만물과 함께 구성되는 자연 공동체 등 다양한 공동체

들의 이념에 대한 동의와 연대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다양한층위의공동체와의연대의식

새끼 오리도 헌신짝도 소똥도 갓신창도 개니빠디도 너울쪽도 짚 검불도 가

랑잎도머리카락도헝겊조각도막대꼬치도기왓장도닭의 도개터럭도타

는모닥불

재당도초시도문장(門長) 늙은이도더부살이아이도새사위도갓사둔도나

그네도주인도할아버지도손자도붓장사도땜장이도큰개도강아지도모두

모닥불을쪼인다.

—백석, ‘모닥불’에서

이 시는 모닥불에 타 들어간 온갖 사물들과 그 주변에 모여 모닥불을 쬐는

사람들이 일체화되어 있는 모습을 통해 마을 공동체의 정겨운 삶을 노래하고

있다. 이 시를 읽으면서 우리는 인간이 고립된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를 이루

어 살아가는 존재임을 새삼 깨닫게 된다.

가장 하찮은 것들

이 피워 내는 따뜻한 모닥불 가에

사람들과 동물들이 모여 불을 쬐는

광경을묘사함으로써, 모든살아있

는 존재가 하나 되는 모습을 노래

하고 있다. 이 시에 그려진 모닥불

과그것을 쬐는존재들은 특별하지

않으면서도 조화와 평등의힘을이

루어 내는 민중적 삶의 모습을 떠

오르게한다.

이작품은

지도상의유의점

이단원의학습목표는‘문학을통하여다양한층위의공동체와연대의식을가진다’와‘문학활동을생활화하여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이바지한다’는 두 가지로 나뉜다. 이때 학습 목표 1을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문학의 본

질에 대한 설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문학은 인간을 더불어 사는 존재로서 그려 내는데, 특히 인간을 구성하는 다양한

층위와 공동체와 개인의 관계를 주목해 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문학을 통해 학습 목표 1을 달성할 수 있다는 추가 설명

이 필요하다. 그 다음에 이러한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다는 두 번째 학

습목표를확인할수있게끔지도해야한다.

새끼줄오라기

부서진갓에서나온, 말총으로된질긴끈

널판지쪽개의이빨 마른풀

참고자료

•백석, ‘모닥불’

백석의‘모닥불’을 가장 먼저 주목

한임화는이작품을백석의시전

편을 통틀어 합일의 정신을 가장

성공적으로 밀도 있게 다루고 있

는 작품이라고 평했다. 1연에서는

여러 사물이 열거된다. 시골에서

온갖 쓰레기를 다 쓸어 넣고 태워

본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 보다 구

체적이고 생생하게 다가오는 내용

이다. 이어지는 2연에서는 좀처럼

함께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모여

불을 쬔다. 나이나 지식이 많은 재

당·초시·문장 늙은이, 머슴이나

다름없는 더부살이 아이, 새로 인

연을 맺은 갓사둔과 새 사위뿐만

아니라 큰 개, 고양이까지 합세한

모습이다. 이는 다양한 층위의 공

동체와 연대 의식을 갖는 것으로

볼수있다.

- 김응교, “백석 <모닥불>의 열거

법연구”(한국문학연구학회,

2004)

학습 목표 1과 관련된내용

서당의주인또는

향촌의최고어른

한문을아는유식한사람

한문중(門中)에서항렬과나이가제일위인사람

새시돈

『 』̀: 하찮은것들이피워내는모닥불의따뜻한열기

『 』̀: 모닥불을함께쬐는사람들의일체화→공동체의정겨운삶

』『 』̀: 문학을통해형성되는공동체와의연대의식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44 mac01 T

Page 14: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2. 문학과공동체 345*

❶인간이공동체속에서삶의의미를자각할때는언제인가?

❷ 공동체의문화발전에기여하는주체가되기위해필요한것은무엇인가?

짚고가기

다. 문학은 이러한 통합과 연대 형성의 과정을 심화하는 계기를 제공해 줌으

로써 문화 창조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우리는 문학을 통하여 자신이 고립된 개인이 아니라 가족, 사회, 민족, 역

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의 구성원이며, 다른 구성원들과 관계를 맺

고 있는 존재임을 자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공동

체의 이념과 가치관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공동체의 의미와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또한 자신의 문학 활동 경험을 되돌아보고, 크고 작은 수준의 공동체와

연대하는 계기를 찾고 발전시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예컨대 양성 평등, 사회

적 소수자, 생태 환경, 지속 가능한 미래 등 동시대 공동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의제(議題)를 다룬 작품을 읽거나 창작하여, 그 쟁점을 이해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문학의 발전은 공동체 구성원 개개인이 문학 활동을 즐기고 실천하는 데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문학 활동의 생활화는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

로 이바지하는 지름길이다. 문화란 의식적으로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는 활동

이라고 볼 수 있는데, 문학 활동은 이 점에서 가장 적극적인 문화 활동이다.

공동체 구성원이 삶의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는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면 문학

자체의 발전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문화 의식 역시 발전한다.

우리는 문학의 생활화가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는 것을 깨닫고, 문

학의 생활화를 통해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기여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문학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문

학 활동 결과를 공동체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문학활동의생활화를통한공동체의문화발전참여

독자의활동①

독자의활동①

독자의활동②

가장적극적인문화활동인문학을통해이루어지는공동체의문화발전

독자의활동②

독자의활동③ 독자의활동④

참고자료

•문학을 통한 개인적 삶의 고양과 공동체

통합의기능이해하기

문학은 개인으로서의 주체가 세계와 접하는

방식일 뿐 아니라, 하나의 교양이자 제도로

서 문화적 특성을 강하게 가진다. 따라서 학

생들은 문학 활동을 통해 인지·정의·미적

측면에서 삶의 질을 고양하는 동시에, 문학

을 매개로 해서 문학 공동체의 일원으로 편

입된다. 그러므로 이 내용과 관련된 학습에

서는 자아 탐구를 위한 문학과 민족 공동체,

언어 공동체, 문화 공동체의 가치 탐구를 위

한문학을고르게다루어야한다.

이 내용은 문학이 개인에게 끼치는 영향 이

해하기, 문학 공동체의 개념과 의의 이해하

기, 문학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사고와 의사

소통 특성 이해하기, 민족 문학의 가치 이해

하기, 문학적 문화의 특성 이해하기 등으로

세부 내용을 구성한다. 이들 내용을 학습하

기 위해 문학 활동의 경험을 돌아보고, 문학

이 가지는 공동체 통합적 기능을 탐색하며,

소규모 집단을 구성하여 실제 문학 활동을

해보는활동을하도록한다.

-구인환외, “문학교육론”(삼지원, 1998)

짚고가기 1

활동 안내|짚고 가기 1을 해결하

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문학 활동

경험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소설을 읽었던 경험을 떠올

리게 한 후, 당시 작품이 관심을

기울이며 서술했던 대상이 무엇이

었는지 혹은 그 작품을 통해 독자

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것은 무엇

이었는지 등에 대해 생각해 볼 기

회를제공하는것이다.

문학은 인간을 더불어 사는 존재

로서 그려 내는데, 특히 인간을 구

성하는 다양한 층위와 공동체와

개인의 관계에 주목해 왔다. 인간

은 가족,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의 구성

원으로 살고 있으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고

또 자신이 필요한 존재라는 연대

의식을 가질 때 삶의 의미를 자각

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학생 스스

로가 깨달을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예시 답|인간은 공동체와의 관계

에서 자신이 책임이 있고, 또 필요

한 존재라는 연대 의식을 가질 때

삶의의미를자각하게된다.

활동 안내|먼저 문화 발전과 문학 활동이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문화란 의식적으로

의미와가치를추구하는활동이라고볼수있는데, 이 점에서 문학활동은가장적극적인문화활동이라볼수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공동체의 문화 발전은 문학의 발전을 통해 달성 가능하다. 이때 독자는 문학의 생활화에 자

발적,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또한‘공동체’에 주목하며, 개인의

능동적 문학 활동 결과를 공동체 구성원들과 공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

예시답|문학활동에자발적으로참여하고, 자신의문학활동결과를공동체구성원들과공유하는노력이필요하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45 mac01 T

Page 15: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46 7. 문학과삶*

●앞부분의줄거리

K 중학교 교사인 나는 폭우가 내리던 날, 첫 수업에 지각한 건우라는 소년을 알게 된다. 나룻배

를 타고 등교하는 건우는 자신이 사는 낙동강 하구의 조마이섬에 대한 이야기를 글로 쓴다. 건우네

집에 가정 방문을 간 나는 건우 어머니와 함께 저녁을 먹던 중, 윤춘삼 씨가 이 섬에 살고 있다는

말을 듣고 놀란다. 그는 6·25 전쟁 당시 나와 함께 육군 특무대에서 수감 생활을 했던 인물이기

때문이다. 나는 가정 방문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나루터 길목에서 윤춘삼과 건우 할아버지인 갈

밭새 영감을 만난다.

건우 할아버지와 윤춘삼 씨가 들려 준 조마이섬 이야기는 언젠가 건우

가 써 냈던‘섬 얘기’에 몇 가지 기막힌 일화가 붙은 것이었다.

“우리 조마이섬 사람들은 지 땅이 없는 사람들이오. 와 처음부터 없기

싸 없었겠소마는 죄다 뺏기고 말았지요. 옛적부터 이 고장 사람들이 젖

줄같이 믿어 오는 낙동강 물이 맨들어 준 우리 조마이섬은 …….”

건우 할아버지는 처음부터 개탄조로 나왔다.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땅,

자기들 것이라고 믿어 오던 땅이 자기들이 겨우 철들락말락할 무렵에 별

안간 왜놈의 동척(東拓)1) 명의로 둔갑을 했더란 것이었다.

“이완용이란 놈이‘을사 보호 조약’이란 걸 맨들어 낸 뒤라 카더만!”

윤춘삼 씨의 퉁방울 같은 눈에도 증오의 빛이 이글거리기 시작했다.

1905년 — 을사년 겨울, 일본 군대의 포위 속에서 맺어진‘을사 보호

조약’이란 매국 조약을 계기로 소위‘조선 토지 사업’이란 것이 전국적으

로서 실시되던 일, 그리고 이태 후인 정미년에 가서는‘한국 정부는 시정

개선에 관하여 통감의 지도를 수할 사’란 치욕적인 조목으로 시작된‘한

일 신 협약’에 따라 더욱 그 사업을 강행하고 역둔토(驛屯土)2)의 대부분

과 삼림 원야(森林原野)들을 모조리 국유로 편입시키는 등 교묘한 구실과

방법으로써 농민들로부터 빼앗은 뒤, 다시 불하(拂下)3)하는 형식으로 동

5

10

15

20

25

김 정 한

1) 동척‘동양 척식 주식회사’

를줄여이르는말.

2) 역둔토 역토와둔토. 역토는

역에 속한 논밭이고, 둔토에는

변경이나군사요지에주둔한군

대의군량미마련을위하여설치

한토지인둔전과각궁·관아의

경비를충당하던논인둔답이포

함된다.

3) 불하 국가나공공단체의재

산을개인에게팔아넘기는일.

소설가. 근대화 과정에서 소외된 계

층의삶을주로그려냈으며, 거의모

든작품에서삶을줄기차게긍정하는

민중의 자세와, 현실과 대결해 나가

는 생존의 양식을 드러내었다. 대표

작으로‘사하촌’, “수라도”, ‘인간단

지’등이있다.

김정한(金廷漢, 1908~1996)

개인은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공동

체의 구성원이며, 다른 구성원들과

연대하고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

어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모래톱이야기소단원설정취지

이 작품은 조마이섬이라는 농촌을 배경으로 하여 농민들의 땅을 부당하게 빼앗으려는 유력자에 저항하는 민중들의

투쟁을 그리고 있다. 이때 갈밭새 영감을 중심으로 한 조마이섬 사람들의 연대 의식은 중단원 (2)의 학습 목표 1을

드러내는 데 좋은 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조마이섬의 소유권 변천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부조리한 현실을 파악하는

데도움이된다. 이 작품은갈밭새영감을중심으로연대하여유력자에대항하는민중의모습을통해개인은고립된

존재가아니라공동체의구성원이며, 다른 구성원들과관계를맺는존재라는점을확인하는데의의가있다고할수

있다.

조마이섬의소유권변천과정① - 국유화

조마이섬의소유권변천과정② - 동척과일인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46 mac01 T

Page 16: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2. 문학과공동체 347*

척과 일인 수중에 옮겨 놓던 그 해괴망측한 처사들이 문득 내 머릿속에서

도 떠올랐다.

“쥑일 놈들.”

건우 할아버지는 그렇게 해서 다시 국회 의원, 다음은 하천 부지의 매립

허가를 얻은 유력자…… 이런 식으로 소유자가 둔갑되어 간 사연들을 죽

들먹거리더니,

“이 꼴이 되고 보니 선조(先祖) 때부터 둑을 맨들고 물과 싸워 가며 살

아온 우리들은 대관절 우찌 되는기요?”

그의 꺽꺽한 목소리에는, 건우가 지각을 하고 꾸중을 듣던 날“나릿배

통학생임더.”하던 때의 그 무엇인가를 저주하는 듯한 감정이 꿈틀거리고

있는 것 같았다. 얼마나 그들의 땅에 대한 원한이 컸던가를 가히 짐작할

수가 있었다.

“섬 사람들도 한번 뻗대 보시지요?”

이렇게 슬쩍 건드려 봤더니 이번엔 윤춘삼 씨가 그 말을 얼른 받았다.

“선생님은 그런 걸 잘 알면서 그러네요. 우리 겉은 기 멀 알며, 무슨 힘

이 있입니꺼. 하도 하는 짓들이 심해서 한분 해 보기는 해 봤지요. 그

문딩이 떼를 싣고 왔을 때 말임더…….”

윤춘삼 씨는 그때의 화가 아직도 사라지지 않는 듯이 남은 술을 꿀꺽

들이켰다.

“쥑일 놈들!”

마치 그들의 입버릇인 듯 되어 있는 이 말을 안주처럼 되씹으며 윤춘삼

씨는 문둥이들과 싸운 얘기를 꺼냈다.

— 큰 도둑질은 언제나 정치하는 놈들이 도맡아 놓고 한다는 게 서두였

다. 그러면서도 겉으로는 동포애니 우리들의 현 실정이 어떠니를 앞세우것

다! 그때만 해도 불쌍한 문둥이들에게 살 곳과 일거리를 마련해 준다면서

관청에서 뜻밖에 웬 문둥이들을 몇 배 해 싣고 그 조마이섬을 찾아왔더란

거다. 그야 말로 섬 사람들에게는 아닌 밤중에 홍두깨 내미는 격으로 —.

옳아, 이건 어느 놈의 엉큼순지는 몰라도 필연 이 섬을 송두리째 집어삼

킬 꿍심으로 우릴 몰아 내기 위해서 한때 문둥이를 이용하는 거라고 ……

누군가의 입에서부터 이런 말이 퍼지기 시작하고, 그래서 그 섬사람들뿐

아니라 이웃 섬 사람들까지 한 둥치가 되어 그 문둥이 떼를 당장 내쫓기로

했더란 거다. 상대방은 자다가 호박을 주운 격인 병신들인데 오자마자 그

꼴을 당하고 보니 어리둥절은 하였지만, 그렇다고 호락호락 떠나갈 배짱

5

10

15

20

25

30

조마이섬의 소유권 변천 과정을

염두에두고읽어보자.

』̀『 』̀: ‘나’의입장에서조마이섬의불행한역사를요약적으로서술함.

조마이섬의소유권변천과정③ - 국회의원

조마이섬의소유권변천과정④ - 유력자

활동 안내|자연적으로 형성된 조

마이섬의 실질적인 주인은 그곳에

살며 갖은 노력으로 삶의 터전을

일궈 온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 땅

의 소유권은 이들이 아닌 당시의

권력자들이다.

먼저 이러한 점에 유의하며 실제

조마이섬의 주인인 주민들의 분노

를 짐작하며 작품을 읽을 수 있도

록활동한다.

예시 답|일제의 강점기에는 토지

조사사업으로인해‘국유화→동

척(동양 척식 주식회사)과 일인에

게 팔아넘김. → 국회 의원 → 유

력자’순으로 소유권이 변천되고

있다.

참고자료

60년대 말기의 정치적 상황이나 문단 상황

은 그 완력의 주체는 달랐다 해도 30년대나

진배없는 억압적 상황이었다. ‘모래톱 이야

기’의 조마이섬 주민들의 현실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일본 사람들에게서 국회 의원으로,

또 매립 허가를 받은 유력자로, 조마이섬 소

유자는 바뀐다. 선조 때부터 거기에 발을 붙

이고 살아온 사람들과는 무관하게 정권이 바

뀜에 따라 땅의 소유자가 교체되어 간다. 조

마이섬 사람들의 삶과 무관하다는 점에서 해

방 전의 일본 사람이나 해방 이후의 국회의

원, 유력자는 비슷한 인물군이다. “다른 패들

이 나와도 머 벨 수 있더냐?”라는 건우 할아

버지의 말에서 기층 민중에게 충격되는 해방

전후사의연속성을잘보여주고있다.

-이경, “60년대의환부와치유-김정한소설

론”(수련어문학회, 2001)

농민들이연대하여부조리한저항해보기를권유하는부분

유력자를바라보는조마이섬주민들의비판적시선①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47 mac01 T

Page 17: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48 7. 문학과삶*

들은 아니었다. 결국 나가라거니 못 나가겠느니 싸움이 벌어졌다.

“그때 바로 이 갈밭새 부자가 앞장을 안 섰능기요. 어데, 그때 문딩이한

테 몰린 자리 한분 봅시더.”

윤춘삼 씨는 하던 말을 별안간 멈추고 건우 할아버지 쪽을 쳐다보았다.

그러고는 골동품 같은 마도로스 파이프를 뻑뻑 빨고만 있는 건우 할아버

지의 왼쪽 팔을 억지로 걷어올렸다.

나이에 관계없이 아직도 우악스러워 보이는 어깻죽지 밑에 커다란 흉터

가 하나 남아 있었다.

“한 놈이 영감 여길 어설피 물고 늘어지다가 그만 터졌거든!”

윤춘삼 씨는 자랑삼아 이야기를 이었다.

— 그렇게 악을 쓰는 문둥이, 괭이, 쇠스랑 할 것 없이 마구 들이대고

싸웠노라고, 그래서 이쪽에서도 물론 부상자가 났지만, 괜히 문둥이들이

많이 상하고, 덕택에 자기와 건우 할아버지를 비롯해서 많은 사람들이 그

야말로 문둥이 떼처럼 줄줄이 경찰에 붙들려 가고…… 그러나 뒷일이 더

켕겼던지 관청에서는 그‘기막힌 동포애’를 포기하고 그 문둥이들을 도로

싣고 갔다는 얘기였다.

5

10

15

갈밭새영감을중심으로연대하고있는조마이섬주민들

“불쌍한문둥이에게살곳과일거리를마련해준다”는말을가리킴.

플러스활동

1. ‘모래톱 이야기’의 작가 김정

한은억압하는권력자와이에대

한 민중의 연대와 저항 정신에

큰 관심을 가진 작가로, 이러한

경향은 그의 다른 작품에도 잘

나타나 있다. 다음의 <보기>의

밑줄을참고하여그의작품경향

에대해쓰시오.

예시 답|‘사하촌’의 도입부를 장

식하는‘지렁이’와‘쥐’의 삽화는

모두 민중을 나타내는 상징물이다.

‘흙고물 칠을 한’, ‘죽다 남은 듯

한’과 같은 표현들은 모두 가뭄이

라는 자연 재해와 지주 및 보광사

중들의수탈이라는인위적재해속

에서민중의삶이얼마나피폐한지

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모

래톱 이야기’에서도 대대로 삶의

터전을일구어살아온조마이섬사

람들과그들의땅을강탈하는유력

자들을대립구도로그려냄으로써

억압 받는 민중의 편에 서서 권력

의 횡포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그의 작품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2. 이 작품에서 개인이 다른 구성

원들과연대하는모습을그린부분

이어디인지쓰시오.

예시 답|유력자들이 조마이섬을

빼앗기위한농간으로나병환자들

을섬에들여놓은상황에서이러한

연대 의식이 잘 드러나고 있다. 마

을 사람들은갈밭새영감을중심으

로 연대하여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는 윤춘삼 씨가

“그때 바로 갈밭새 부자가 앞장을

안 섰능기요”라고 말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드러난다.

<보기>

난데없는 지렁이 한 마리 만신

에 흙고물 칠을 해 가지고 바동

바동 굴고 있다. 새까만 개미떼

가 물어 뗄 때마다 지렁이는 한

층 더 모질게 발버둥질을 한다.

또 어디선지 죽다 남은 듯한 쥐

한 마리가 튀어 나오더니 종종

걸음으로 마당 복판을 질러서

돌담 구멍으로 쏙 들어가 버린

다. - ‘사하촌’

』̀

『 』̀: 유력자들의농간에피해를입는대상은결국힘없고소외된사람들뿐임.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48 mac01 T

Page 18: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2. 문학과공동체 349*

건우할아버지의말을통해화자

인‘나’가느꼈을감정은무엇인

가?

“그 바람에 저 사람은 육이오 때 감옥살이 또 안했능기요, 머 예비 검거

라카드나…….”

건우 할아버지가 이렇게 한 마디 끼우니,

“그거는 송아지 때문이라 캐도…….”

“누명을 써도 뺄갱이는 되기 싫은 모양이제? 송아지 뺄갱이는 좋고.”

건우 할아버지의 이런 농에는 탓하지 않고서,

“그런 짓들 하다가 결국 그것들이 안 망했나.”

윤춘삼 씨는 지금도 고소한 듯이 웃었다.

“다른 패들이 나와도 머 벨 수 있더나?”

건우 할아버지는 내처 같은 표정을 하였다.

“그놈이 그놈이란 말이지? 입으로만 머니머니 해댔지, 밭 맨드라 카니

제우 맨들어 논 강둑이나 파헤치고, 나리 막는다 카면서 또 섬이나 둘러

마실라카이…….”

윤춘삼 씨도 그리 밝은 표정은 아니었다.

“× 선생님!”

건우 할아버지가 별안간 그 그로테스크한 얼굴을 내게로 돌렸다.

“우리 건우란 놈 말을 들으니 선생님은 글을 잘 씬다 카데요? 우리 섬

에 대한 글 한분 써 보이소. 멋지기! 재밌실 낌데이. 지발 그 썩어 빠진

글을랑 말고……”

“썩어 빠진 글이라뇨?”

가끔 잡문 나부랑이를 써 오던 나는 지레 찌릿해졌다.

“와 그 신문 같은 데도 그런 수타 난다 카데요. 남은 보릿고개를 못 냉

기서 솔가지에 모가지들을 매다는 판인데, 낙동강 물이 파아랗느니 푸

르니 어쩌니…… 하는 것들 말임더.”

갈밭새 영감이 이렇게 열을 내기 시작하자 곁에 있던 윤춘삼 씨가,

“허허이 우리 선생님이 오늘 잘못 걸렸네요. 이 영감이 보통이 아임데

이. 그래도 선배의 씨라꼬…….”

핀잔 비슷이 말했지만 건우 할아버지는 벌인 춤이 되어 버렸다.

“하기싸 시인들이니칸에 훌륭하겠지요. 머리도 좋고…… 선생도 시인

아입니커. 그런데 와 우리 농사꾼이나 뱃놈들의 이바구는 통 안 씨는기

요? 추접다꼬? 글 베린다꼬 그라능기요?”

입이 말을 한다기보다 차라리 수염이 떨어 댄다고 느껴질 정도로 건우

할아버지는 열을 냈다.

5

10

15

20

25

30

건우할아버지와윤춘삼씨가유

력자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어떠

한가?

애꿎은사람들을빨갱이로몰아구속시킨 60년대이승만독재정권의몰락을고소한듯비웃는윤춘삼씨

현실의모순과그에대한관심을촉구하는글을써줄것을바라는건우할아버지

플러스활동

1. ‘예비 검거’가 의미하는 바에

대해쓰시오.

예시 답|불순한 사람들을미리검

거하는일로 6·25 전쟁이전또는

전쟁 중에 공산주의자로 지목된 사

람들이주로그대상이었다. 여기서

는 관청에서 조마이섬 사람들을 몰

아낼 목적으로 나병 환자들을 데려

오자, 이에 앞장서 저항한 갈밭새

영감이 애꿎게 빨갱이로 몰려 구속

된억울한옥살이를의미한다.

2. “다른 패들이 나와도 머 벨 수

있더나?”가 함축하고 있는 바를

서술하시오.

예시 답|다른정권이 등장해도정

치적 부조리는 계속되고 있다는 건

우 할아버지의 조롱섞인 시선이 담

겨 있는 말이다. 이는 바로 이어지

는“그놈이 그놈이란 말이지?”를

통해확인된다.

활동 안내|건우 할아버지와 윤춘

삼 씨의 부정적 시선을 조마이섬

사람들과‘나’와의 대화를 통해 파

악할수있도록활동한다.

예시 답|“큰 도둑질은 언제나 정

치하는 놈들이 한다”는 윤춘삼 씨

의 말과“다른 패들이 나와도 머

벨 수 있더나?”등의 건우 할아버

지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건우 할

아버지와 윤춘삼 씨는 협작과 강

권으로 힘없고 소외된 농민들의

삶의 터전인 조마이섬을 강탈하려

는 유력자들이라는 비판적 시선으

로그들을바라보고있다.

활동 안내|건우 할아버지의 말을

듣고‘나’가 느낀“지레 찌릿”한

감정을 참고하여 화자인‘나’가 느

꼈을 감정을 짐작해 볼 수 있도록

활동한다.

예시 답|건우 할아버지는 현실

참여의식이부족한글을“썩어빠

진 글”이라고 한다. 이런 이야기를

들은‘나’가“지레 찌릿”한 감정을

느끼는 이유는 자신도 건우 할아

버지가 말한 썩어 빠진 글 나부랭

이를써왔기때문이다.

』̀

『 』̀: 부조리한현실은외면한채, 자연의아름다움만을노래하는글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49 mac01 T

Page 19: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50 7. 문학과삶*

‘모래톱 이야기’는 낙동강 하류의 조마이섬

을 배경으로 일제 강점기부터 1960년대에 이

르는 주민들의 삶을 조명하고 있다. 이 소설

은 조마이섬에 살았던 건우와 그의 할아버지

갈밭새 영감, 갈밭새 영감의 친구인 윤춘삼

영감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된다.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비참한 삶,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저항이 주된 사건을 이

루고 있다. 이러한 사건들이 건우의 담임 선생인‘나’에 의해 서술되는 1인

칭 관찰자 시점을 취하고 있다. 섬사람들은 자기들의 땅을 송두리째 집어삼

키려는 유력자에게 저항한다. 그러나 결국은 그들의 횡포에 땅을 빼앗기고,

투쟁에 앞장섰던 건우 할아버지가 투옥되는 비극적 결말을 보여 준다.

감상의길잡이

‘모래톱이야기’는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문학을통한공동체의이해와연대의식

넓고깊게이해하기

김정한소설의문체적특징

문학은 인간을 다른 구성원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 그려 낸다. 따

라서 독자는 문학을 통해 자신이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

의 공동체의 구성원이며, 다른 구성원과 연대하고 있는 현실을 깨달을 수

있다.

이 작품은‘조마이섬’이라는 가상의 공간을 배경으로 권력을 쥔 자가

없는 자를, 가진 자가 못 가진 자를 억압하는 부조리한 현실을 다루고 있

다. 이는 섬 전체가 소수의 유력자의 손으로 넘어가게 되려는 절박한 상황

을 통해 극대화된다. 섬사람들은 갈밭새 영감을 중심으로 연대하여 유력

자들에게 저항한다. 갈밭새 영감은 섬사람들의 저항을 대표하며, 섬사람

들을 하나로 묶는 연대 의식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작가 김정한은 농촌 사회의 현실을 현장 속에서 깊이 관찰하여 치열하

게 그려 낸 작가로서, 농촌 현실의 모순이 몇몇 영웅적 인물에 의해서가

아니라 고통받는 농민 계층의 연대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는 작가 의식

을 보여 준다. 그의 문체적 특징은 등장인물을 통해 작가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낸다는 점이다. 이 소설에서도 작가는 건우의 할아버지인‘갈밭새 영

감’을 등장시켜 작가 자신의 울분을 대신 털어놓으며, 가난하고 약한 자의

억울함을 대변하는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낸다.

지도상의유의점

이 작품은 문학을 통하여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와 연대 의식

을 가진다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

택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소설을 감상할 때,

건우 할아버지를 중심으로 조마이섬 사람들

이 어떻게 연대하여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는

지에 중점을 두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해

야한다.

지도상의유의점

문학은 인간을 더불어 사는 존재로서 그려

내는데, 특히 인간을 구성하는다양한층위와

공동체와개인의관계에주목해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문학 활동을 통해 공동체를

이해하고 연대 의식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다. 이 작품에서도 유력자에저항하는조마이

섬 주민들의 공동체의 형성과 연대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작품 감상을 통해 이러한 내

용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지도상의유의점

김정한은 농촌 사회의 부조리 현실에 관심을

가진 작가이다. 이 작품에서도 그러한 그의

경향이잘드러나는데, 유력자의강탈에저항

하는 조마이섬 사람들의 언행을 중심으로 확

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작가의 관심과 생각이

수식이 많지 않은 문체, 강건한 어조, 부정적

인 어휘의 사용, 인물의 성격 등에서 잘 드러

나고 있다. 이 점을 소설 속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지도해야한다.

참고자료

•김정한문학의본령

김정한 문학은 민중에 대한 애정과 저항 정신으로 집약될 수 있다. 김정한에게 있어서 문학

과인생은별개가아니었다. “문학도인간이사는것도저항이며투쟁”이라여겼다. 그는 현

실을 억압과 수탈의 구조로 파악하고, 억압 받는 민중의 편에 서서 권력의 횡포에 대한 비

판과 저항으로 일관된 삶을 살았다. 그의 작품이 대부분 민중과 반(反)민중, 피탈자와 수탈

자의대립구도로편성되는것도이러한작가정신의소산이다.

- 한창석, “김정한소설어연구-̀̀민중성의구현을중심으로”(한민족문화학회, 2011)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50 mac01 T

Page 20: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2. 문학과공동체 351*

(1) ‘갈밭새 영감’, ‘윤춘삼’, ‘나’의 성격과 작중에서의 역할을 각각 분석한

다음 이를 정리하여 말해 보자.

(2) ‘갈밭새 영감’과‘윤춘삼’이 지니고 있는 성격상의 공통점을 말해 보고,

‘나’와의 차이점을 설명해 보자.

이 작품을 읽고, 등장인물들의 성격에 대해 다음과 같이 탐구해 보자.1

이 작품의 배경, 갈등, 주제에 대해 정리해 본 것이다. 빈칸을 채워 보자.2

배경

갈등

주제

•시간 ─ ( )부터 1960년대까지

•공간 ─ 수난을 겪고 고통받는 ( ) 사람들이 사는 ( )

하류의 모래톱 마을

•사상 ─ ( )의 횡포에 맞서는 섬사람들의 끈질긴 저항 의지

•섬마을 주민들의 ( )와/과 유력자들의 ( ) 사이의 갈등

•섬마을 ( )와/과 부조리한 사회 현실 사이의 갈등

소외 지대 사람들의 ( ) 삶과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 )

도움닫기

활동 안내 1`-(̀1)|이 활동은 작품

의전반적인내용과인물들의대화

와 행동의 확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조마이

섬 일에 항상 앞장서는 갈밭새 영

감의 행동과 수식어 없이 간결한

말, 그리고 그로 인해 전달되는 강

건한 어조를 통해 갈밭새 영감의

성격과 작품 속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적극적으로 동조

하며, 마을 일에 앞장서는 의로운

성격을지닌윤춘삼의성격과작품

속 역할도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있도록한다.

반면‘나’는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는 인물이 아니다. 그래서 작

품 속에서도 관찰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나’의 성격과 역할

이스스로를이방인으로칭하는대

목에서 드러남을 알 수 있게끔 지

도하며 더불어 1인칭 관찰자라는

소설의 시점을‘나’라는 인물과 연

결지어이해할수있도록지도하는

것이바람직하다.

활동 안내 1`-(̀2)|갈밭새 영감과

윤춘삼은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

하는 인물이고‘나’는 소극적인 관

찰만하는 인물이라는 차이점을 중

심으로 이해할 수 있으면 된다. 단

‘나’가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

지않는다고해서갈밭새영감이나

윤춘삼과갈등을빚는인물은아님

을 주지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나’의 성격으로 이 소설은 1인칭

관찰자 시점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만큼 사실을 충실히 전달하고자

하는작가의시점선택이이루어진

것으로볼수있다.

활동 안내 2|이 활동은 문제의

순서이기도 한‘배경 → 갈등 →

주제’순으로 정리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때‘갈등’부분은 본문을

학습할 때 확실히 정리할 수 있도

록 짚어 주어, 어려움을 겪지 않도

록 한다. 이야기는 사건을 둘러싼

인물들의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되

기 마련이므로 본문 학습 중에 갈

등관계를파악하도록지도하는것

이바람직하다.

일제강점기

조마이섬 낙동강

유력자

저항 횡포

주민들

비참한 저항

예시답|

예시답|갈밭새 영감’과‘윤춘삼’은 모두 외압에 억눌리지 않는 의지가 굳고 고집 센 성격을 가진 인물이다. 이러한

성격은 조마이섬을 둘러싼 유력자와 주민들 사이의 갈등 속에서 앞장서서 불의에 항거하는 모습을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하지만‘나’는 현실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이방인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작품 속“나는 자괴감을 느낀다.

나는 이방인처럼 윤춘삼 씨의 컁컁한 얼굴을 건너다 보았다”라는 대목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는 유력자의 수탈에 대

한 민중의 항거에 직접 뛰어들지 못하고 관찰만 하는 지식인‘나’와 부조리한 현실에 직접 뛰어들어 항거하는 민중

‘갈밭새 영감과 윤춘삼’의 대비를 통해 후자인 민중들을 부각시키고자 했던 작가의 의도가 잘 드러난 부분이라고 볼

수있다.

인물

갈밭새

영감

윤춘삼

성격 작중에서의역할

외압에억눌리지않는

의지가굳고고집센성격

마을일에앞장서며, 조마이섬주민들을

하나로연대하게하는역할

의로운성격갈밭새영감과마을의비극을

‘나’에게전해주는역할

나스스로‘이방인’이라칭하는

관찰자로서의성격

이작품의관찰자(서술자)이자

고발자역할수행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51 mac01 T

Page 21: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52 7. 문학과삶*

<보기>는 이 소설의 결말 부분이다. 밑줄 친 부분에서 서술자는 세태에 대한

비판 의식과 함께‘공동체’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 그 내용을 완결된

한 문장으로 서술하시오.

3

이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인 대목을 적고, 그 이유를 친구들과 함께 말해 보자.4

“정말 우리 조마이섬을 지키다시피 해 온 영감인데…… 살인죄라니 우

짜문좋겠능기요?”

게까지 말하고 나를 쳐다보는 윤춘삼 씨의 벌건 눈에서는 어느덧 닭똥

같은눈물이뚝뚝떨어지기시작했다.

법과 유력자의 배짱과 선량한 다수의 목숨……. 나는 이방인처럼 윤춘

삼씨의컁컁한얼굴을건너다보았다.

폭풍우는 끝났다. 육십 년래 처음이니 뭐니 하고 수다를 떨던 라디오와

신문들도 이젠 거기에 대해선 감쪽같이 말이 없었다. 그저 몇몇 일간 신

문의수해구제의연란에다소의금액과옷가지들이늘어갈뿐이었다.

섬사람의 애절한 하소연에도 불구하고 육십이 넘은 갈밭새 영감은 결국

기약없는감옥살이로넘어갔다.

보기

활동 안내 3|앞의 활동 2에서 다

루었던 주제를 먼저 확인한 후 접

근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좋다. 이

작품의주제는소외지대사람들의

비참한삶과부조리한현실에의저

항이다.

이러한 점에서 <보기>의 밑줄 친

부분은 조마이섬 사람들의 비극적

인 삶에 진정한 관심을 보이지 않

는사람들에대한서술자의비판이

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동시에 공

동체와의 연대 의식이 사라져가는

현실에 대한 서술자의 안타까움이

묻어난부분으로도이해할수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비판은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으로 공동체와의

연대의식이회복되기를바라는작

자의 열망을 확인할 수 있는 구절

로지도하는것이바람직하다.

활동 안내 4|이 활동은 학생들마

다 다양한 답이 나올 수 있다. 이

때 모둠을 구성하여, 인상적인 대

목과 그 이유를 친구들과 함께 공

유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그리고 이 활동의 마무

리는 작품의 주제와 학습 목표를

확인하며, 문학을 통해 개인이 고

립된존재가아니라공동체와연대

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존재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시답|서술자는 이 사회가 소외된 인간들에 대해 진정한 관심을 보이지 않음을 비판하는 동시에 그들에 대한

관심을촉구하며공동체회복의의지를보이고있다.

예시 답|•인상적인 대목: 갈밭새 영감이“하기싸 시인들이니칸에 훌륭하겠지요. 머리도 좋고…… 선생도 시인

아입니커. 그런데 와 우리농사꾼이나뱃놈들의이바구는통안씨는기요? 추접다꼬? 글 베린다꼬그라능기요?”

라고말하는부분

•이유: 부조리한 현실에 관심을 가져 주기를 소망하는 갈밭새 영감의 마음이 잘 드러난 부분인 것 같다. 유력자

들에의해땅을강탈당하는조마이섬사람들에대한관심이바로공동체와의연대의식을회복할수있는방법이

고, 우리가 공부하는 중단원 (2)의 학습 목표가‘문학을 통하여 사회, 민족, 역사, 자연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

와연대의식을가진다’임을떠올려보면더욱중요한대목임을확인할수있기때문이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52 mac01 T

Page 22: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2. 문학과공동체 353*

이 글과 다음 시에서 공동체가 처한 상황과 그 상황에 대한 중심인물의 대응

방식을 정리하고, 그 공통점을 말해 보자.5

도움 자료

이 시는 사람과 사람 사이

의 진정한 만남을 통해 형

성되는공동체의연대의식

을 노래하고 있다. 민주화

를 요구하는 시위가 여러

차례 일어났던 1980년대

에발표된이시에서ㄱ씨

와ㅈ양은사과탄(최루탄)

이 날리는 시위 현장에서

서로 만나 이마를 마주했

고, 어깨를 나란히 했으며,

무엇보다 아픔을 공유하는

모습을보여준다.

ㄱ씨와ㅈ양이만났습니다

사과탄노란꽃처럼날리는길위에서

ㄱ씨의이마가ㅈ양의이마를보았습니다

ㅈ양의이마가ㄱ씨의이마를보았습니다

ㅈ양의어깨가ㄱ씨의어깨에부딪혔습니다

ㄱ씨의어깨가ㅈ양의어깨에부딪혔습니다

ㄱ씨의등뼈가ㅈ양의등뼈처럼아팠습니다

ㅈ양의등뼈가ㄱ씨의등뼈처럼아팠습니다

ㄱ씨는ㅈ양을몰라보았지만

ㅈ양은ㄱ씨를몰라보았지만

ㄱ씨와ㅈ양이만났습니다

사과탄노란꽃비되어출렁대는길위에서

—강은교, ‘ㄱ씨와ㅈ양이’

보기

멀리뛰기

활동 안내 5|‘ㄱ씨와 ㅈ양이’는 먼저 1980년대에 여러 차례 발생했던 민주화 시위라는 시대적 배경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 시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사과탄’이란 시어는 최루탄을 의미하는 것으로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파악하는 데 좋은 정보가 된다. 학생들에게 시를 먼저 감상하도록 한 후, ‘사과탄’이라는 시어의

의미가무엇일지생각해보도록한다. 참고로‘사과탄’은손으로던질수있는크기의작은최루탄으로시위를진

압할때사용된다.

이때‘모래톱이야기’와이시의공통된상황이발견되는데, 두 작품모두부조리한현실에억압받고있는민중이

라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설은 갈밭새 영감을 중심으로 한 저항을 통해, 시는 시위에 참여하여 서로의 고

통을공유하는과정에서공동체와의연대의식을확인한다. 이러한 내용을파악하기위해먼저두작품의공통된

부조리한 상황을 파악한 후, 중심 인물과 그 인물의 작품 속 역할을 이해한 후 공동체 정신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것이효과적이다.

시위에참여한불특정한다수의사람들

최루탄-민주화시위가일어났던 1980년대라는시대적배경이드러남.

↓ 부조리한현실에저항하며공동체의연대의식이점점심화됨.

시위현장에서만난ㄱ씨와ㅈ양

아픔을공유하는ㄱ씨와ㅈ양

→심화된공동체의연대의

식확인

예시답|‘모래톱이야기’에서는조마이섬을배경으로하여부당한권력의횡포로인해땅을빼앗기는것은물론

목숨까지 위협 받는 조마이섬 사람들의 부조리한 현실과 이러한 현실 속에서 갈밭새 영감을 중심으로 하나가 되

어공동체와의연대의식을확인하는민중의모습을확인할수있다.

그리고‘ㄱ씨와 ㅈ양이’는 1980년대 여러 차례 일어났던 민주화 시위를 배경으로 하며, 독재 정권이라는 부조리

한현실에ㄱ씨와ㅈ양으로대표되는불특정한수많은사람들이연대하여저항하는내용을담은시이다.

이렇듯 두 작품 모두 부조리한 현실을 공동체와의 연대 의식으로 극복하려는 모습을 담은 작품이라는 점에서 공

통된모습을보인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53 mac01 T

Page 23: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54 7. 문학과삶*

마마를 앓으며〔行疫嘆〕

병진년(丙辰 1556년) 8월 하한에 쓰다.

병진년 봄에서 여름 사이에,

역기(疫氣)1)가 촌마을에 연달아 발생했는데,

처음엔 가벼운 홍역(紅疫)이라더니,

자세히 살펴보니 마마〔天然痘〕였네.

먼 곳으로부터 점차 인근에 퍼졌는데,

먼저 아이들 때문에 두렵도다.

큰일로는 선조께 제사도 중지하고,

작은 일로는 길쌈일도 그만두었네.

5월 20일,

처음에, 어린 종이 앓는데,

두창(痘瘡)2)이 매우 다닥다닥 났으며,

밤낮으로 신음소리가 그치지 않는구나.

고통이 12, 3일 계속되더니,

생기가 제법 돌아오네. 농촌 마을에 발병한 천연두

8월 상현이 되어,

남쪽 정자에서 성주(星州) 목사(牧使)를 배알했다.

손자가 날 따라와 옆에 앉아서,

집노루 불고기를 좀 씹어 먹네.

이튿날 아침 몸에 미지근한 열이 나는데,

전과 달리 노곤해 하는구나. 손자가 천연두에 걸림.

10일째 몸 전체에 열이 나는데, / 갑자기 몸을 움츠리며 뒤틀곤 하네.

5

10

15

20

25

이 문 건이 상 주 옮 김

1) 역기 못된 돌림병을 일으키

는기운.

2) 두창‘천연두’를 한방에서

이르는말.

조선중기의문인. 호는묵재(默齋). 기

록벽이라고할정도로꼼꼼하게일기

를 기록하여 조선 시대 양반의 일상

생활을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자

료를남겼다. 일기집으로“묵재일기”

가있다.

이문건(李文楗, 1494~1567)

16세기 사대부 남성의 육아 일기이

다. 생활속체험의세세한기록이라

는특성에초점을맞추어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양아록소단원설정취지

이 작품은 16세기 조선 사대부 남성의 시문집으로, 한시 형식의 육아 일기이다. 수준 높은 표현이나 현실에 대한 문제 의식은 두

드러지지 않지만‘문학이 일상을 어떻게 반영하고, 작품으로 옮기는가.’라는 점에서는 충분히 본보기가 될 만한 고전이다. 교과서

에 수록된 부분은 그중에서도 세세하게 관찰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한 이 작품의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난‘마마를 앓으며〔行疫嘆〕’

부분이다. 16세기 당시의 질병과 그 치료법을 고찰하게 해 주는‘질병의 임상 보고시’라 할 수 있는‘마마를 앓으며’를 감상하며,

당시의공동체구성원이어떠한삶의의미와가치를추구했는지를엿볼수있다는점에서이제재를설정하였다.

:̀ 천연두

일기의형식임이드러남.

◯:̀ 세세한기록이라는작품의특징이잘드러남.

음력매달 7~8일 경

『 』̀: 손자가천연두에걸렸음을처음알게되는시행

』̀

작품연구

•갈래:̀ 일기, 고시

•제재:̀ 손자의천연두

•주제:̀ 손자의 건강과 가통의 이

어짐을기원함.

•표현:̀ 세세하고사실적인기록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54 mac01 T

Page 24: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2. 문학과공동체 355*

11일째 살펴보니,

팔뚝과 얼굴에 붉은 점이 보이는구나.

이때부터 멈추지 않고 돋아나더니, / 3일 3차에 걸쳐 돋아나네.

돋아 나온 것은 색깔이 선명하며, / 드물지도 또한 촘촘하지도 않네.

밤낮으로 간호하느라 붙어 있자니,

어느새 16, 7일이 지났네.

열이 불덩이 같고 물집은 곪았는데,

몸 전체가 모두 한결같도다.

눕혀 놔도 고통스러워하고 안아 줘도 아파하며,

호소하나 구제할 의술이 없어라.

머리와 발이 바닥에 닿는 것을 싫어하고,

몸을 들추기면 구부러진 나무 같다오.

고통이 심하여 길게 울부짖으며,

낫게 해 달라고 애원하는 소리가 끊이지 않네.

차마 보고 듣기 실로 어려워,

이틀 밤낮을 / 틈틈이 미음을 먹이고,

어루만져 주며 답답함을 위로해 주네.

부부가 번갈아 돌보는데, / 털끝 하나라도 잃을까 걱정이라.

곪은 언저리가 누르스름 변하고,

열이 차도가 있어 좀 덜하구나.

돋아난 순서대로 딱쟁이가 생겼네,

머리 가슴에서부터 넓적다리 무릎까지.

검은 딱쟁이가 손톱으로 떼어지는데,

그것을 떼어 내니 흉터가 볼록 돋아나 있구나.

점점 잠도 잘 자고 잘 먹었으나,

해로운 음식은 절제시키네.

평소 술과 과일을 좋아했는데, / 위가 약해져 먹는 것을 좋아하지 않네.

이로부터 좋아하는 음식을 더욱 편식했으며,

비록 금지하고자 하나 또한 억제하기 어려워라.

7월 초 열흘께,

오른쪽 턱 아래 물집이 잡히더니,

갑자기 뺨에 연이어 종기가 뾰죽이 돋아나는데,

굳고 단단하나 색깔이 붉지를 않네.

5

10

15

20

25

30

참고자료

•이문건이‘양아록’을쓴까닭

정치적으로 유배의 길에 있었고, 자식 복도

없었던 이문건에게 희망의 빛이 찾아 들었

다. 1551년 1월 5일 아들 온이 그렇게 고대

하던 손자를 낳은 것이다. 58세에 맛 본 2대

독자 손자. 그야말로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

을손자였다. 아이의 이름은‘길하라’는뜻으

로 숙길(淑吉)이라 했다.(후에 숙길은 수봉(守

封)으로 이름을 고쳤다) 이제 이문건의 모든

관심은 손자에게 향했다. 아이가 차츰 일어

서고, 이가 나고 걷기 시작하는 모습, 그 모

든 것이 신기했다. 이문건은 이 모든 상황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다. 할아버지가 쓴 손

자의 육아 일기‘양아록’은 이렇게 탄생하였

다. 이문건은 일기를 쓴 동기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있다.

“아이를 기르는 일을 꼭 기록할 것은 없지만

기록하는 것은 할 일이 없어서이다. 노년에

귀양살이를 하니 벗할 동료가 적고 생계를

꾀하려고 해도 졸렬해서 생업을 경영할 수

없으며 아내는 다시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

래서 고독하게 거처하는데 오직 손자 아이

노는 것을 보는 것으로 시간을 보냈다. (…)

습좌(習坐), 생치(生齒), 포복(匍腹) 등의 짧은

글을 뒤에 기록하여 애지중지 귀여워하는 마

음을 담았다. 아이가 장성하여 이것을 보게

되면 아마 글로나마 할아버지의 마음을 알게

될것이다.” - “세계일보”(2009. 5. 12)

손자의천연두에노심초사하는

지은이부부

손자이수봉이어린나이서부터술을즐겼음. → 이후, 할아버지와갈등을빚는이유가되기도함.

천연두의실상과투병, 간호 과정(사실적표현)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55 mac01 T

Page 25: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356 7. 문학과삶

사람들이 계절 탓이라고 하지만,

나는 여독(餘毒)3)이 뭉친 것이 아닌가 두려워,

안신환(安神丸)을 지어 주고, / 간간이 녹두죽을 먹였네.

종기는 곪지 않고 그쳐,

천금처럼 귀한 손자 무사히 양육하게 되었네.

〈중략〉

날마다 바라노니 다른 병에 걸리지 않게 하고,

네 자신이 잘 성장하여

마침내 군자인(君子人) 되어,

훌륭하고 덕망 있는 가문을 이루게 되면,

생각건대 응당 아름다운 복 누리고,

쇠퇴해 가는 가통을 살려 면면히 이을 수 있으리라.

5

10

3) 여독 채 풀리지 않고 남아

있는독기.

**

사를 다루어 왔다. ‘양아록’은 인간의 주요

관심사인 자손 교육 문제까지도 시로 취급할

수있는사례를보여주었다. 이를 통해시가

인간 생활의 세세한 측면까지 표현할 수 있

는 기능을 보유한 예술 수단이라는 점을 확

인했다.

셋째, ‘양아록’은양아를중심으로한것이라

서양아와관련된풍속은물론, 그 당시의생

활 풍속을 살펴볼 수 있다. 또 손자의 많은

병으로 인해 당시의 질병 치료법과 육아의

어려움을여실히알수있다.

위의 습속들은 통상적으로 행해져 왔던 것이

지만, 묵재와 같은 시대의 다른 문헌에는 기

록되어 있는 경우가 흔치 않다. 결론적으로

‘양아록’은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자료 중

에서 자손 교육의 체험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최고의 일기성 시편으로, 아동 교육사와 풍

속 사회사의 귀중한 연구 자료로서 그 의의

가있다.

-이복규, “조선전기의출산·생육관련

민속”(한국민속학회, 1997)

참고자료

•‘양아록’발견의의의

첫째, ‘양아록’은조선전기사대부가문에서

실시했던 사대부형 인간 교육의 실례를 확인

할 수 있는 보기 드문 일기성 시편이다. 16

세기 당시의 보편적인 사회적 통념 하에서는

기록화하기 쉽지 않은 내용이라서 그 문헌적

가치가 높다. 또 16세기경의 교육 내용과 교

육 방법을 알 수 있는 교육사 연구의 호재이

다.

둘째, ‘양아록’은 16세기 중반 아동 교육 문

제를 세심하면서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시

는 성정의 발로로 개인적 정서와 생활 주변

손자의 건강하고 복된 미래 소망

손자를 양육하는 목표가

드러남.

한방에서열을다리는데쓰임.

플러스활동

1. 이 작품의표현상의특징은무엇인지쓰시오.

예시 답|손자가겪은사고나질병을세세하게관찰하여사실적으로표현했다. 이러한표현상의특징은‘천연두의

실상과투병, 간호과정’, ‘후유증과처방및처방의효과’부분에서특히잘드러난다.

2. 이 작품에는장편고시가많은편인데, 그 이유가무엇인지간략히서술하시오.

예시 답|자신이체험하고목격한실상을진솔하고자연스럽게표현하기위해서는구수와압운의제약을덜받는

고시형식이유리했기때문이다.

*고시(古詩)란율시·절구등의근체시(近體詩)와대립되는의미로, 쓰이는운(韻)이다양하고성조와격률에얽매이

지않으며길이또한제한을받지않는다는특징을지닌다.

후유증과처방및처방의효과(사실적표현)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56 mac01 T

Page 26: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2. 문학과공동체 357*

“양아록(養兒錄)”은 16세기 조선 사대부 남성의 시문집으로, 한시 형식

의 육아 일기이다. 조광조의 제자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경

북 성주로 유배된 저자는 손자를 키우면서 경험한 일을 시 41수와 산문

4편 등에 기록해 놓았다. 그는 외아들이 병으로 제구실을 못하고 조카들

마저 당쟁의 화를 입자, 가문의 대를 잇기 위해 손자를 소망하고 있었다.

때마침 유배지에 있을 때 귀한 손자가 태어나니 그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그는 손자를 애지중지 기르면서 손자의 성장과 교육에

대해 세세하게 기록했던 것이다.

감상의길잡이

“양아록”은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문학의생활화, 생활의문학화

넓고깊게이해하기

세밀한관찰을통한사실적표현

‘양아록’에는 아기의 출생부터 걸음마를 떼는 과정, 각종 질병에 시달리

는 모습 등이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손자에 대한 할아버지의 애정

역시 잘 드러나 있다. 이는 문학이 생활 속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활용되고

있는지를 잘 보여 준다. 아이가 심한 설사를 하는‘이질’로 고생했던 것에

서부터 오한으로 떠는‘학질’, 눈이 붉게 충혈되는‘안질’등과 같은 수많

은 사고와 질병을 겪는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이 작품에서 수준 높은 표현이나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러나‘문학이 일상을 어떻게 반영하고, 작품으로 옮기는가.’라

는 점에서는 충분히 본보기가 될 만한 고전이다.

‘양아록’에서 두드러지는 표현상의 특징은, 손자가 겪은 사고나 질병을

세세하게 관찰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이다. 이런 특징이 잘 나타

난 글이 바로‘마마를 앓으며〔行疫嘆〕’이다. 병진년(1556) 봄부터 여름 사

이에 이문건의 유배지에서 천연두가 발병했고, 그의 손자는 집노루 고기

를 먹은 이튿날 증세를 보였다. 그는 부스럼의 크기와 색깔, 분포 상황,

존속 기간, 치유 시간과 시기, 상처의 모양과 크기, 처방과 효과 등을 낱

낱이 적었다. 그런 의미에서 질병에 관한 시들은 16세기 당시의 질병과

그 치료법을 고찰하게 해 주는‘질병의 임상 보고시’라 할 수 있다.

➞ ➞ ➞ ➞

농촌마을에

발병한

천연두

손자가

천연두에

걸리게됨.

천연두의

실상과투병,

간호과정

(사실적표현)

후유증과

처방및

처방의효과

(사실적표현)

손자의

건강하고

복된미래에

대한소망

지도상의유의점

‘양아록’은 16세기 조선사대부남성이쓴한

시 형식의 육아 일기이다. 이 점은 제목을 통

해서도 파악할 수 있는데, 학생들에게 한자어

‘양아록(養兒錄)’의 뜻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작품의 성격을 이해

할수있도록지도하는것이바람직하다.

지도상의유의점

이 작품은 당시 손자의 천연두 발병과 그를

바라보는 할아버지의 감정이 생생하게 묘사

되어 있다. 이를 통해 문학이 일상을 어떻게

반영하고, 일상을 어떻게 옮기는지를 확인할

수있도록지도해야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양아록’은 16세기중반아동교육문제를고

시(古詩)라는 형식을 빌려 세심하면서도 사실

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이전까지 시는 성정

의 발로로 주로 개인적 정서와 생활 주변사

를 다뤄왔지만, 이 작품을 통해 자손 교육 문

제까지도 시로 취급할 수 있다는 확장된 문

학 활동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징

으로‘양아록’은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된 자

료 중에서 자손 교육의 체험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일기성 시편으로, 아동 교육사와 풍속

사회사의 귀중한 연구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는 점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있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57 mac01 T

Page 27: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58 7. 문학과삶*

(1) 손자에게 천연두가 발병한 것을 할아버지가 처음 알게 되는 시행은?

(2) 손자가 천연두를 앓는 동안에 지은이 부부가 얼마나 노심초사했는지 분명

하게 알 수 있는 시행을 찾아보자.

(3) 손자를 양육하는 목표가 나타나 있는 부분을 찾아보고, 그 목표를 간략히

서술해 보자.

이 글이 마마를 앓는 손자를 지켜보는 할아버지의 애절한 심정을 한시 형식으

로 표현한 육아 일기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1

도움닫기

이 작품과 다음 시의 내용상의 공통점과 표현상의 차이점을 파악해 보자.2

멀리뛰기

처마끝에서린연기따라

포도순이기어나가는밤, 소리없이,

가믈음땅에시며든더운김이

등에서리나니, 훈훈히,

아아, 이 애몸이또달아오르노나.

가쁜숨결을드내쉬노니, 박나비처럼,

가녀린머리, 주사찍은자리에, 입술을붙이고

나는중얼거리다, 나는중얼거리다,

부끄러운줄도모르는다신교도(多神敎徒)와도같이.

아아,이애가애자지게보채노나!

불도약도달도없는밤,

아득한하늘에는

별들이참별날으듯하여라.

—정지용, ‘발열(發熱)’

도움 자료

이 작품은 열병(熱病)에

시달리는자식의고통과이

를바라보는아버지의안타

까운마음을형상화한시이

다. 아버지의 애타는 심정

이대자연의신비와아름다

움 속에 조화되어 아이와

부모가겪는고통의순간이

한 폭의 그림과 같은 기도

의식으로승화되어있다.

활동 안내 1`-(̀1)|본문의 내용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병진년 봄에서 여름 사이 농촌 마

을에 발병한 천연두 이야기와 8월

상현에손자가집노루불고기를먹

더니 이튿날 아침 몸에 미지근한

열이 있고 노곤해 한다는 내용을

통해 손자가 천연두가 발병했음을

알게되었음을확인하도록한다.

활동 안내 1`-(̀2)|손자에게 천연

두가 발병한 지 16, 7일 째 내용에

는고통을호소하며울부짖는아이

를안쓰러워하는지은이부부의마

음이 잘 형상화되어 있다. 낫게 해

달라고애원하는아이의모습에노

부부의 마음이 어떠했을지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상상해 볼 수 있도

록지도하는것좋다.

활동 안내 1`-(̀3)|‘양아록’은 이

문건이경상북도성주로유배를가

귀양살이 하는 동안에 쓴 글이다.

그의 외아들‘이온’은 열병과 풍으

로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했던

인물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태어난

손자이수봉은이문건에게있어사

대부의 가문을 계승시킬 수 있는

마지막 희망이었다. 사대부다운 지

적 교양과 예의 범절을 구비해 손

자를 입신양명시키고 가문의 영광

을계승하겠다는작가의절실한의

지가 이 작품에 드러나고 있음을

학생들이이해할수있도록지도해

야한다.

예시답|이튿날아침에몸에미지근한열이나는데, 전과달리노곤해하는구나.

예시답|이틀밤낮을틈틈이미음을먹이고, 어루만져주며답답함을위로해주네.

예시답|“날마다바라노니~ 이을수있으리라.”에서확인할수있듯이, 손자가군자인(君子人)이 되어덕망있는가

문을이루고, 쇠퇴해가는가통을살려대대손손이어가기를바라고있다.

계절적 배

경이 여름

임을 알

수있음.

◯:̀ 시간적배경

①가쁜아이의숨결을박나비의날개짓으로표현②아이가박나비처럼약함.

아이의고통에안타까워하는부모의모습

:̀ 비유적표현

열병에시달리는

아이

주사(朱砂)는 성질이찬광물질로, 주로 한방에서경련을진정시키는데씀.

애가타도록안타깝게

열이남.

아픈아이를위해더이상해줄것이없는어두운밤→답답한부모의마음을캄캄한밤으로형상화

1연:̀ 열병에 시달리는 아이의 고통과 그것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안타까운 심정

2연:̀ 아버지의 안타까운 심정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58 mac01 T

Page 28: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2. 문학과공동체 359*

어린 시절에 질병으로 인하여 투병했던 경험을 떠올려 보고, 그 경험을 바탕

으로 병상 일기를 써 보자. 3

창작활동

(1) 내용상의 공통점:

(2) 표현상의 차이점:

예시 답|이문건의‘양아록’은 손자에 대한 할아버지의 애정과 안타까운 마

음이천연두에걸려고생하는아이를돌보는상황에서드러나며, 정지용의‘발열’또한열병에시달리는자식의

고통과이를바라보는아버지의안타까운마음을형상화했다는내용상의공통점을지닌다.

예시답|‘양아록’에는아기의출생부터걸음마를떼는과정, 각종 질병에시

달리는모습등이사실적으로상세하게표현되어있다. 반면‘발열’은‘-처럼, -같이’와같은비유적표현을사

용하여아이와부모가겪는고통의순간이한폭의그림과같은기도의식으로그려져있다.

예시답|2○○○년 11월 13일일요일흐림

지난주 금요일에는 학교에서 소체육 대회가 있었다. 원래 예정됐던 날에 비가 오는 바람에 한주가 밀려

금요일에 하게 됐다. 단체 줄넘기, 이어달리기에 선수로 참가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땀이 나고 더울 것

같아 반팔과 반바지를 입었다. 그런데 저녁이 되면서 기온이 내려가자 으슬으슬 춥기 시작했다. 친구들

하고떡볶이와튀김을사먹고집으로돌아오는중에도계속몸이덜덜떨렸다.

집으로 돌아와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고 침대에 눕자 그때부터 식은땀이 나고 계속 기침이 났다. 늦은

저녁이라근처에문을연병원도없어, 엄마가 일단해열제를가져다주셨다. 밤새 열이 더심해져부모

님은잠도제대로주무시지못하고계속내곁에서병간호를해주셨다. 다음 날아침다행히열은내렸

지만 기침은 조금씩 계속 났다. 다음날 출근해야 하는 부모님을 잠도 못 주무신 채 병간호를 하게 만들

어 너무 죄송했다. 다음부터는 이런 일이 없도록 따뜻하게 입고 다녀야겠다. 부모님께 걱정을 끼쳐드려

죄송했고, 밤새옆을지켜주셔서너무감사했다.

참고자료

•문학의창작

문학의 기본 갈래인 시, 소설, 희곡, 수필 등의 작품을 직접 창작함으로써 통합적인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 여

기서 굳이 기본 갈래를 강조하는 것은 문학 창작에 관한 관심과 기본적인 창작 능력의 바탕 위에 좀 더 심도 있

는 창작 활동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따라서 학생의 관심과 능력에 따라 발전적인 창작 활동을 하는 것도 가능하

다. 이 내용은 작품을 실제로 창작하는 일을 중심으로 문학 창작 원리 이해하기, 창작을 염두에 두고 작품 감상

하기. 창작의전·중·후활동계획하고조정하기등으로세부내용을구성한다.

또한 창작한 작품을 발표하고 서로 평가하는 것은 학생 개개인의 창작 경험을 공유하고 창작 과정에 대한 비판

적안목을기름으로써문학능력을심화시킬수있다. 특히 다른학생들의작품을감상하는일은전문작가의작

품을감상하는것못지않게창작에대한좋은자극이된다.

-우한용, “문학교육과문화론”(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활동 안내 2`-(̀1)|‘양아록’과‘발

열’의내용상의공통점을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화자, 화자가 바라

보는 대상, 대상이 놓인 상황이라

는 면에서 학생들이 접근할 수 있

도록지도해야한다.

두 작품의 대상 모두 천연두와 발

열이라는 병과 싸우고 있다. 이때

그들을 바라보는 화자의 안타까움

을 작품 안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활동 안내 2`-(̀2)|두 작품 모두

병으로아픔을호소하는아이와이

를바라보는부모의안타까운마음

이라는 내용상의 공통점을 보이나

이를표현하는방법은다르다.

‘양아록’의 본문에서 이미 여러 번

확인했듯이이작품의표현상의특

징은 세밀한 관찰을 통한 사실적

묘사이다. 반면‘발열’은‘~같이,

~처럼, ~듯이’와 같은 비유적 표

현과감각적표현이주로사용되어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한 이미지

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 같은 차

이점을작품의표현상의특징과관

련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활동을

안내한다.

활동 안내 3|창작 활동은 학생들

이 작품을 감상한 후 다양한 방법

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만‘양

아록’과 같은 일기 형식을 활용해

어린 시절의 질병 경험에 대한 창

작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러한 문학 활동의 결과물

을 발표를 통해 다른 학생들과 공

유하도록 하는 것은 또 다른 창작

에 대한 좋은 자극제가 된다. 이

점에유의하여창작활동이발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59 mac01 T

Page 29: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60 7. 문학과삶*

03문학과문화1. 문학과음악, 미술, 연극, 영화, 무용, 건축등인접예술과의관계를이해한다.

2. 문학활동을생활화하여수준높은국어생활을영위한다.

| 학습목표|

문학은 언어 예술로서 예술의 일원이며, 예술로서의 언어활동의 산물이라

는 점에서 문화의 한 영역으로 존재한다. 문학은 음악, 미술, 연극, 영화, 무

용, 건축 등 다른 예술의 동향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변화해 왔다.

문학의 향유는 꼭 문학이 아닌 다른 표현 수단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노

래, 연극, 영화, 방송극은 문학이 다른 표현 수단과 결합한 대표적인 예이다.

노래는 언어로 된 가사가 있어야 하며, 연극은 언어로 된 대본이 있어야 한다

는 점에서 문학의 뒷받침을 받는다. 영화나 방송극도 마찬가지이다. 연극은

물론이고, 영화, 방송극도 우선 대본이 좋아야 하는데, 그 대본이 바로 문학

의 영역에 속한다.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애니메이션이나 심지

어는 광고 문구도 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문학이 이렇게 인접 예술과 밀

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은 문학이 언어를 표현 매체로 하는 예술이기 때문

이다.

우리는 문학이 음악, 미술, 연극, 영화, 무용, 건축 등 다양한 인접 예술과

문학과인접예술

우리가어느별에서만났기에 / 이토록애타게그리워하는가

우리가어느별에서그리워했기에 / 이토록아름답게사랑할수있나

꽃은시들고해마저지는데 / 저문바닷가에홀로어두움밝히는그대

그대와나그대와나 / 해뜨기전에새벽을열지니

해뜨기전에새벽을열지니

—정호승시, 안치환작곡, 안치환노래, ‘우리가어느별에서’에서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진 슬픔과 그 사람에 대한 그리움을 담고 있는 이 노

래는 정호승 시인의 시에 곡을 붙여 만든 것으로, 노래로 만드는 과정에서 시

의 내용이 약간 수정되었다. 이 노래를 통해 우리는 시와 노래, 즉 문학과 음

악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 슬픔 속에 애타게 그리워하

면서 재회를 소망하는 화자의 애틋

한 마음을 담고 있다. 이 노래를 통

해서 우리가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

과 만나 사랑하고 헤어지고 그리워

하게된다는것을알수있다.

이작품은

지도상의유의점

이단원의학습목표는크게‘문학과음악, 미술, 연극, 영화, 무용, 건축 등인접예술과의관계를이해’하는것과‘문학활

동을 생활화하여 수준 높은 국어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다. 문학과 인접 예술 간의 밀접한 관계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

념 설명이 아닌 구체적 사례를 통한 이해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시가 노래의 가사로 활용된다든지, 소설이 영화로 각색

되어만들어진학생들의경험적사례를중심으로중단원 (3)의 학습목표를이해할수있도록지도하는것이바람직하다.

참고자료

•문학의인접영역

문학은 음악, 미술, 연극·영화, 무용, 건축을

비롯하여 다양한 인접 예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더 나아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의 제반 현상과도 관련을 맺고 있다. 문학은

그 자체로 고립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의 한 모습으로 존재한다. 인간의

삶은 매우 복잡하다. 문학은 그러한 복잡한

현상과 관계를 맺으면서 개인과 공동체의 발

전을 추구하는 가치 지향적이며 유목적적인

활동이라는점을인식해야한다.

따라서 문학의 관점에서 인접 예술을 감상하

거나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문학을 다른 예

술로, 또는 다른 예술을 문학으로 변환하며,

사회 현상을 문학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비판

하는활동을하도록한다.

- 구인환외, “문학교수·학습

방법론”(삼지원, 1998)

인접 예술과밀접한관련을맺고있는문학

문학이인접예술과밀접한관련을맺고있는이유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60 mac01 T

Page 30: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 문학과문화 361*

❶문학과인접예술이밀접한관계를맺고있음을사례를들어설명해보자.

❷문학의생활화를위해서자신이실천할수있는활동이무엇인지발표해보자.

짚고가기

문학의 생활화란, 예술로서의 문학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일을 일상생활에

서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다. 우리의 문학은 국어로 이루어진 언어 예술이므

로 문학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활동을 실천함으로써 국어에 대한 감수성을 높

이고 국어를 발전시키며, 국어 생활 자체를 고양할 수 있다.

문학을 통해 국어 생활을 고양하려면‘적확함’, ‘적절함’, ‘아름다움이나

감동’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학 작품에 나

타난 적확한 표현, 적절한 표현, 아름답거나 감동적인 표현을 탐색해 보고,

그러한 표현의 이유 및 효과를 이해하며, 그러한 표현을 사용하여 문학적으

로 소통할 필요가 있다.

수준 높은 국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교실에서의 문학 활동뿐만 아니

라 학교 행사나 교외 행사, 매스컴이나 문학 단체에서 개최하는 문학 행사 등

에 관심을 갖고 적극 참여해야 한다. 학교 행사 가운데 교내 백일장, 시화전

등이 있고, 학교 신문이나 교지에도 많은 문예 작품이 실린다. 신문사, 방송

사, 공공 단체, 문학 단체 등에서 개최하는 문학 행사도 상당히 많다. 현상

공모도 있고, 문학 교실이나 시 낭송회, 작가와의 만남도 있다. 이러한 문학

행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문학적 소양을 기를 수 있다. 요즈음에는 사이

버 공간을 통해서도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인터넷 블로그나 카페

등을 활용하여 자신의 창작물을 여러 사람과 공유하는 활동도 가능할 것이

다. 자신이 주체적으로 참여해서 이루어 낸 것은 아무리 작은 것이라 할지라

도 소중한 의미로 남는 법이다. 이러한 소중한 의미들이 밑거름이 되고, 차곡

차곡 쌓여 공동체의 문학 문화는 발전하게 된다.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이해하고,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을 원활히 하는 능

력을 길러야 한다.

문학활동의생활화를통한수준높은국어생활영위

사이버공간을통한문학활동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새롭게

출현한 문학 활동이다. 기존의

문학이 일방통행식이어서 창작

과정에 독자의 참여가 배제되어

있었던 반면에, 사이버 문학은

쌍방향식이어서 공동 창작이 가

능하게되었다는것이주목할만

한 특징이다. 사이버 문학은 기

존의 일방통행식 전달 방식으로

인해 자기표현의 욕구를 억제당

하고있었던수많은사람에게그

욕구를 발산할 매력적인 분출구

를마련해주었다.

문학활동생활화의결과①

세 가지 기준을 고려한 문학 활동과 국어 생활의 고양

문학 활동의 자발적 참여로 이룰 수 있는 수준 높은 국어 생활

수준높은국어생활영위의방법

② ③

참고자료

•사이버문학

사이버문학은하이텔, 천리안, 나우누리,

유니텔 등 컴퓨터 통신 서비스 업체들이

운영하던 통신 문학에서 시작하였다. 기

존 문학의 틀과 가치가 철저히 무시되며

비평의 권위나 등단의 통과 의례도 없으

므로 누구나 작품을 웹 상에 띄울 수 있

다. 유일한평가기준은‘조회수’이다.

•릴레이소설쓰기

릴레이 소설 쓰기는 운영자가 홈페이지

에 릴레이 소설을 쓸 수 있는 공간을 마

련한다. 그리고 학습자와 협의하여 그들

의 생활과 밀접한 주제를 선택하고 릴레

이 소설 창작 방법을 설명한다. 대체로

창작 순서는 접속자 순서에 따라 자유롭

게 이루어지며, 한 번에 쓰는 분량은 원

고지 2장이내로한다.

-최병우외, “매체언어와국어교육”

(서울대학교국어교육연구소, 2000)

짚고가기 1

활동 안내|이 활동은 먼저 문학

과 인접 예술이 밀접한 관계를 맺

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이해한 후

접근해야한다.

문학은 언어 예술로서 예술의 일

원이며, 예술로서의 언어 활동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문화의 한 영

역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문학뿐 아니라 인접 예술인

노래, 연극, 영화 등도 그 바탕에

언어를 둔 예술 분야로 문학과 밀

접한 관계를 갖게 된 것이다. 이러

한 내용을 위의‘문학과 인접 예

술’을통해명확히파악한후활동

할수있도록한다.

예시답|정호승의시에곡을붙여

노래로만든안치환의노래는문학

과 인접 예술인 음악이 밀접한 관

련을 맺고 있음을 보여 주는 사례

이다.

활동 안내|이 활동을 위해서는 예술로서의 문학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일을 일상 생활에서 꾸준히 실천하는‘문학

의 생활화’라는 개념에 대한 이해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 다음 학생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기회를주도록지도한다.

예시 답|문학의 생활화를 실천하기 위해서는‘교실에서의 문학 활동’뿐만 아니라 백일장, 시화전 등의‘학교 행사’

와현상공모, 문학교실등의‘다양한문학행사’그리고인터넷블로그와같은‘사이버공간’을활용할수있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61 mac01 T

Page 31: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62 7. 문학과삶*

우리 집에는 다듬잇돌이 하나 있다.

방망이도 두어 개 그 옆에 놓여 있다.

아내는 이따금 이 다듬잇돌에다 그 방

망이로 북어를 두들긴다. 이렇게 두들

겨서 찢어 놓은 북어 조각은 술안주로도 좋고, 국을 끓여도 맛이 있다.

어렸을 때 우리 집에도 다듬잇돌이 있었다. 돼지 머리를 삶으면 삼베 보

자기에 싸서 그 다듬잇돌로 눌러 놓았었다. 그러면 고기가 고들고들 맛이

있었다. 그 돼지 머리 고기를 썰어 담은 쟁반 옆에는 언제나 새우젓 종발

이 하나 놓여 있었다.

그러나 다듬잇돌이나 그 방망이의 본래의 기능은 말할 것도 없이 다듬

이질을 하는 데 소용되는 것이요, 북어를 두들기거나 돼지 머리를 누르는

데 쓰이는 것이 아니었다. 요 얼마 전에 이사를 한 일이 있다. 그때 나는

다듬잇돌을 들어다 실으면서 잠시 어린 시절을 생각했다. 나는 어려서 다

듬이질하는 것을 많이 보았다. 풀 먹인 흰 빨래가 꼽꼽해지면, 다듬잇돌

에 맞게 네모로 접어 놓고 방망이질을 했다. 빨래가 너무 마르면 입으로

물을 뿜어서 다시 꼽꼽하게 한 뒤에 다듬이질을 했다. 나는 이따금 바가

지로 찬물 심부름도 했다. 우리 집 다듬이의 용도와 본래 기능

다듬이질은 혼자서도 하고 둘이 마주앉아 하기도 했다. 혼자 하는 소리

는 좀 둔탁한 느낌이었지만, 맞다듬이질을 할 때의 그 소리는 경쾌하고도

청랑한 것이었다. 휘영청 달이 밝은 가을 밤에 혼자 뒷간에 앉아 있자면,

마을은 온통 그 경쾌하고 청랑한 다듬이 소리 투성이였다. 소년은 그 다

듬이 소리에 취했다가 달 한 번 쳐다보고, 그리고 갑자기 생각난 듯이 아

랫배에다 힘을 주었다. 그러다가 뒷간을 나와 보면, 환히 불 밝은 아랫방

문에 맞다듬이질하는 그림자가 보였다. 그때 사립문 뒤에 세워 놓은 수숫

5

10

15

20

25

정 진 권

수필가. 간결하고 소박한 문체로 한

국인 고유의 정서를 재현했으며, 일

상생활에서보고들은여러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진솔하게표현한수필을많이발표하

였다. 수필집으로“푸르른 나무들에

저붉은해를”, “따로따로떨어지기”,

“한국인의향수”등이있다.

정진권(鄭震權, 1935~ )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에 대한 아쉬

움, 그것을 표현한 우리말의 아름다

움등에초점을맞추어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다듬이소단원설정취지

이작품은우리주변에서사라진‘다듬이’를소재로삼아, 전통이사라져가는현실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정적이고 함축적인 의미가 풍부한

고유어를 다양하게 구사함으로써,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드러내고 있는데, 문학을

통해 고유어의 아름다움을 확인하는 것은 국어에 대한 독자의 감수성을 높이는 데 중

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문학 작품에서 아름답거나 감동적인 표현을 찾아 그러한

표현을 사용한 이유 및 표현 효과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은 수준 높은 국어 생활을

영위하는데필수적인요소이다. 이 작품을통해그러한점을탐구해볼수있다는데

의의가있다.

작품연구

•갈래:̀ 수필⋯ ⋯ ⋯ ⋯

•제재:̀ 다듬이

•주제:̀ 사라져 가는 전통 문화에

대한아쉬움

•표현:̀ 고유어를 주로 사용하여

우리말의아름다움을잘드러냄.

사라져가는전통문화에대한아쉬움을불러일으키는소재

혼자가아닌둘일때더욱청랑한다듬이질소리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62 mac01 T

Page 32: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 문학과문화 363*

대의 마른 잎사귀가 우수수 소리를 내기도 했다. 어디선가 컹컹 개 짖는

소리도 들려 왔다.

다듬이질을 하다가 밤이 이슥해지면, 감 껍질 말린 것을 내다 놓고 주근

주근 먹었다. 도토리묵이나 메밀묵으로 밤참을 하는 일도 있었다. 그러면

소년은 배 아픈 핑계로 홍시나 곶감을 졸랐었다. 홍시나 곶감을 먹으면

설사도 그친다고 했다.

다듬잇돌은 여름에도 차가웠다. 그래서 어린 시절의 어느 날, 나는 그

서늘한 다듬잇돌을 베고 누운 일이 있다. 그때 어머니가 이걸 보시고는

깜짝 놀라 나를 일으켜 앉히셨다.

“다듬잇돌을 베고 누우면 입이 돌아간다. 알았니?”

그 후 나는 한 번도 그걸 벤 일이 없다. 찬 것을 베고 누우면 안면 신경

이 마비될 수도 있다는 말은 내가 다 커서 들은 것이다. 다듬잇돌을 보면,

그때 어머니가 놀라시던 그 모습도 문득 떠오를 때가 있다.

다듬이 방망이를 보아도, 또 생각나는 것이 하나 있다. 중학교 3학년 때

우리는 산골로 피란을 갔었다. 그런데 그 이듬해에 호열자1)가 돌아서 온

동네에 울음소리가 끊일 날이 없었다. 그때 세 살이던 내 아우도 그 무서

운 병에 걸리고 말았다. 어머니는 이 아이를 안고 하루 스물네 시간씩 한

주일을 견디셨다. 온몸에 마마 같은 것이 마치 팥을 삶아 뿌린 듯이 돋아

서 방바닥에 누일 수가 없었다. 얼굴도 눈코를 분간할 수가 없고, 입 안도

다 터져서 쌀 한 톨 넣을 수가 없었다. 그때 나는 어머니가 시키시는 대

로 국수를 만들었다. 우선 밀가루를 개고, 그것을 다듬이 방망이로 얇게

밀어서 가늘게 썰어다가 끓이는 것이다. 그러면 어머니는 한 가닥씩 아우

의 입에 넣어 주셨다. 자다가 문득 깨서 일어나 보면, 어머니는 그 애를

안고 말없이 들여다보고 계셨다. 그것은 이 세상에서 가장 슬픈 눈, 가장

간절한 기원이 담긴 그런 눈이었다. 아, 우리 어머니의 그 애절한 기구(祈

求)가 하늘에 사무쳤음인가, 내 아우는 마침내 살아났다. 그 애가 결혼식

을 마치고 신혼여행을 떠날 때, 나는 그 뒷모습을 바라보면서 어머니의

그 눈을 생각했다. 그 애의 콧잔등에는 지금도 마마 자국이 몇 개 흩어져

있다. 하지만 그 애는 그 자국에 어린 슬픈 사연을 모를 것이다. 아니, 이

글을 쓰는 나 자신인들 무엇을 안다 하랴.

이제 다듬잇돌은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바야흐로 지금은 물에 빨아서

다리지도 않고 입는 옷의 시대인 것이다. 그래서 내 아내는 그것으로 북

어나 두들길 뿐이다.

5

10

15

20

25

30

1) 호열자‘콜레라’의음역어.

‘다듬잇돌을 베고 누우면 입이

돌아간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

인가?자식에대한어머니의염려와걱정이드러남.

어린시절다듬이에얽힌추억

어머니의사랑과정성에대한회상

사라져가는전통문화에대한아쉬움시대가변화함에따라본래의용도를잃어버린다듬잇돌

활동 안내|이 작품에서는 어머니

의 자식에 대한 염려와 사람에서

나온말로이해할수있다.

예시답|찬바닥에서자면입가가

돌아갈 수 있다는 얘기인데, 실제

로‘구안괘사’라고 해서 한 쪽의

얼굴이마비되어입과눈가가비뚤

어지는증상을말한다.

플러스활동

1. 이 작품의 문체가 어떠한지 밝

히고, 이를 통해 얻게 된 표현 효

과를서술하시오.

예시 답|우리 주변에서 사라진

‘다듬이’를 소재로삼아, 그것과 관

련된 어린 시절의 기억을‘간결하

고 담백한 문체’로 진솔하게 서술

하고있다. 이러한문체는진솔하고

담백한 한국인 고유의 정서를 작품

에 재현하고자 했던 작가의 의도로

볼수있다.

2. 어린 시절 다듬이에 얽힌 추억

을세부분으로구분하여쓰시오.

예시 답|첫째, 어려서 다듬이질하

는것을많이봄. 둘째, 달밤에들었

던 다듬이 소리의 청랑함. 셋째, 다

듬잇돌을 베고 누었다가 어머니를

놀라게했던일

』『 』̀: 어려서다음이질하는것을많이봄.

『 』̀: 달밤에들었던다듬이소리의청랑함.

『 』̀: 다듬잇돌을베고누웠다가어머니를놀라게했던일

』̀

』̀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63 mac01 T

Page 33: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오늘날은 합성 섬유의 발달과 함께 옷감의 후처리와 가공법이 발달함에

따라 예전처럼 풀을 먹이거나 다듬이질을 하지 않아도 매끈하고 깔끔한

옷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인해 보다 다양한 고성능 다리미가 생산되고 세탁소가 생겨나서, 이제 포

근하고 정겹던 우리의 다듬이 소리는 전설 속으로 묻혀 가고 있다.

364 7. 문학과삶*

‘다듬이’는 정진권의 첫 수필집인“한국인의 향수(鄕愁)”에 수록되어 있

는 작품이다. 이 수필은 요즘은 우리 주변에서 사라진‘다듬이’를 소재로

삼아, 그것과 관련된 어린 시절의 기억을 회상하여 간결하고 담백한 문체

로 진솔하게 서술함으로써 한국인 고유의 정서를 재현하고 있다. 다듬잇

돌과 다듬이 방망이에 얽힌 어린 시절의 추억을 회상하면서 어머니의 세

심한 배려와 사랑을 떠올리고 있으며, 다듬잇돌이 서서히 사라져 가는 현

실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작가는 이 글에서 추상어, 개념

어보다는 구체어, 고유어를 많이 써서 함축적 의미를 풍부하게 드러내고

있다.

감상의길잡이

‘다듬이’는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문학을통한전통문화의재인식

넓고깊게이해하기

사라져가는전통문화

이 작품은‘다듬이’라는 우리 고유의 일상적 생활 도구를 소재로 하여

사라져 가는 전통 문화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내고 있다. ‘다듬이’는 단순

한 생활 도구가 아니라 고된 시집살이의 한을 푸는‘두들김’의 대상으로

서 힘겨운 삶에 흥과 신명을 일으켜 주던 전통문화였는데,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사라지고 있어 안타까움과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이 글은 서

정적이고 함축적 의미가 풍부한 고유어를 많이 구사함으로써,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을 통해 국어에 대한 감수성

을 높이고, 국어 생활 자체를 고양할 수 있을 것이다.

➞ ➞

우리집

다듬이의

용도와

본래기능

사라져가는

전통문화에

대한아쉬움

어머니의

사랑과

정성에대한

회상

⋯ 어린시절다듬이에얽힌추억

•어려서다듬이질하는것을많이봄.

•달밤에들었던다듬이소리의청랑함.

•다듬잇돌을 베고 누웠다가 어머니를

놀라게했던일

지도상의유의점

이 작품을 통해 우리의 전통 문화를 확인하

고 이에 대한 화자의 태도가 어떤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때 중심 소재로 사용

된‘다듬이’는 과거의 회상과 어머니의 사랑

을 떠올리는 전통 문화라는 의미를 갖고 있

다. 이러한 점에 유념하여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활동을안내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이 작품의 주제는 사라져 가는 전통 문화에

대한 아쉬움이며, 이러한 내용이 고유어의 사

용을 통해 형상화되고 있다. 이렇듯 문학을

통해 전통 문화를 재인식할 기회가 마련되며,

이러한 문학 활동을 통해 우리의 국어 생활

이 고양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것이바람직하다.

지도상의유의점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우리의 전통 문화도

사라져 가고 있으며, 화자는 이러한 모습을

안타깝게 바라본다. 이 작품을 통해 사라져

가는 전통 문화에 대한 화자의 태도가 어떠

한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작품

의 마지막 부분에 주목하여 그 아쉬움이 어

떻게형상화되었는지파악할수있도록한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64 mac01 T

Page 34: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 문학과문화 365*

이 글에 사용된 고유어의 뜻을 조사해 보고, 이를 활용하여 짧은 글을 지어

보자.1

(1) 고들고들: (2) 종발:

(3) 꼽꼽하다: (4) 투성이:

(5) 우수수: (6) 이슥해지다:

이 글에서 아름답거나 감동적인 표현을 찾아 적어 보고, 그렇게 느낀 이유나

그 표현이 주는 효과를 써 보자.2

•아름답거나 감동적인 표현(어구, 문장, 문단):

•그렇게 느낀 이유 혹은 그러한 표현이 주는 효과:

•제목(소재): 예⃝ 편지, 한복, 윷놀이, 도시락, 보자기, 바구니, 반짇고리

•내용:

도움닫기

자신의 생활 주변에서 현대화, 정보화의 물결 속에 사라져 가는 사물을 떠올

려 보고, 그것을 소재로 하여 이 글을 패러디하는 형식으로 한 편의 수필을

써 보자.

3

멀리뛰기창작활동

활동 안내 1`|단어의 의미 파악을

위해 곧바로 사전을 찾는 것은 바

람직하지 않다. 먼저 본문에서 고

유어가 사용된 부분을 확인한 후

맥락 상 어떤 의미를 지닌 단어일

지 학생들이 생각해 볼 기회를 갖

도록 지도한다. 그 다음에 사전을

찾아 그 의미를 확인해 보도록 안

내한다. 또한 학습한 단어를 활용

해 짧은 문장을 만들어 그 쓰임을

정리하는것도좋은활동으로추천

할만하다.

활동 안내 2`|작가는 이 글에서

추상어, 개념어보다는 구체어, 고

유어를 많이 써서 함축적 의미를

풍부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는 우

리말의 아름다움을 효과적으로 표

현한 것으로 이를 통해 국어에 대

한 감수성을 높이고, 국어 생활을

고양할 수 있다는 점을 학생들이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 단원의 첫 부분에서 제시한 학

습 목표인‘문학 활동의 생활화를

통한 수준 높은 국어 생활의 영위’

라는내용과연결하여재확인할수

있도록활동한다.

활동 안내 3`|창작 활동은 수준

높은 국어 생활을 영위하는 문학

활동 중 하나이다. 문학의 생활화

란예술로서의문학을수용하고생

산하는일을일생생활에서꾸준히

실천하는 것이다. 문학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

함으로써국어에대한감수성을높

이고 국어를 발전시키며, 국어 생

활 자체를 고양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활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필요하다.

예시답 1|⑴ 고들고들:̀ 밥알 따위가 물기가적거나 말라서속은무르고겉은조금굳은상태. 예⃞ 진눈깨비에 젖고얹힌눈이녹으면서고들고들얼어그의옷은 마

치각장지로기워입은것처럼몹시어석거리고있었다. - 이문구, ‘오자룡’

⑵종발:̀ 중발보다작고, 종지보다는조금넓고평평한그릇. 예⃞ 백부께서는혼란된의식가운데서이약물을아마한종발이나잡수셨던가봅니다. - 이상, ‘약수’

⑶꼽꼽하다:̀ 조금촉촉하다. 예⃞ 그는자기손을쥐고있는상란누나의손이땀에꼽꼽하게젖은채떨리고있음을알았다. - 김원일, ‘불의제전’

⑷투성이:̀ 그것이너무많은상태. 예⃞ 상처투성이인그가어떻게자신의집까지올수있었는지모두들궁금해했다.

⑸ 우수수:̀ 바람에나뭇잎따위가많이떨어지는소리. 또는그모양. 예⃞ 그순간붉은동백꽃들이선혈을뿌리듯우수수땅에떨어졌다. - 현기영, ‘변방에우짖는새’

⑹이슥해지다:̀ 밤이꽤깊다. 예⃞ 혼인잔치는밤이이슥하도록끝이날줄몰랐다. - 심훈, ‘영원의미소’

어구

아름답거나감동적인표현 이유·표현이주는효과

풀먹인흰빨래가꼽꼽해지면‘꼽꼽하다’라는 고유어의 사용으로 우리말

의아름다움을잘드러내고있기때문이다.

문장우리 집에는 다듬잇돌이 하나

있다.

‘다듬이’라는 우리 고유의 일상적 생활 도

구를소재로 하여사라져 가는전통 문화에

대한아쉬움을잘드러내고있기때문이다.

문단다음잇돌은여름에도차가웠다

~ 나를일으켜앉히셨다.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염려와 사랑을 효과

적으로드러내고있다.

예시답|생략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65 mac01 T

Page 35: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66 7. 문학과삶*

사향(麝香) 박하(薄荷)의 뒤안길이다.

아름다운 배암……

얼마나 커다란 슬픔으로 태어났기에, 저리도 징그러운 몸뚱어리냐.

꽃대님 같다.

너의 할아버지가 이브를 꼬여 내던 달변(達辯)의 혓바닥이

소리 잃은 채 낼룽거리는 붉은 아가리로

푸른 하늘이다. …… 물어뜯어라. 원통히 물어뜯어,

달아나거라, 저놈의 대가리!

돌팔매를 쏘면서, 쏘면서, 사향 방초(芳草)길

저놈의 뒤를 따르는 것은

우리 할아버지의 아내가 이브라서 그러는 게 아니라

석유 먹은 듯…… 석유 먹은 듯…… 가쁜 숨결이야.

바늘에 꼬여 두를까 부다. 꽃대님보다도 아름다운 빛…….

화사(花蛇) 서 정 주

시인. 전통적인 서정 세계에 대한 관

심을 바탕으로, 세련된 율격의 향토

어를 구사하였다. 대표작으로‘자화

상’, ‘귀촉도’, ‘동천’, ‘국화 옆에

서’, ‘춘향유문(遺文)’등이있다.

서정주(徐廷柱, 1915~2000)

화가. 자연의 아름다움, 생명의 신비,

인간의 내면세계, 문학적인 사유의

세계 등 폭넓은 영역의 소재를 독특

한 색채로 표현하였다. 대표작으로

‘생태’, ‘여인들’, ‘황혼의 통곡’등

이있다.

천경자(千鏡子, 1924~ )

문학이인접영역과어떤관계에있

으며그형상화방법이어떻게같고

다른지에주목하여읽어보자.

어 떻 게 읽 을 까

시와그림소단원설정취지

이 단원은 문학과 다른 예술 양식에 대한 비교·이해를 바탕으로 문학적 지식과 체험이 다양한 문화 양식을 향유하

는 데 기여함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서정주의 시‘화사’와 천경자의 그림‘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는

모두‘뱀’이라는 시적 대상을 설정하고 있지만, 표현 매체와 대상을 바라보는 화자의 태도에서 비롯된 차이로 인해

뱀을 통해 두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구체적인 의미는 다르다. 이와 같이 두 작품을 통해 문학과 인접 예술 간의

밀접한연관성을파악하여문학의수용과생산활동을원활히하는능력을기를수있다는점에서의의가있다.

작품연구

•갈래:̀ 자유시, 서정시⋯ ⋯

•성격:̀ 상징적, 심미적

•제재:̀ 뱀

•주제:̀ 본능적 충동과 죄의식 사

이의갈등

•표현:̀ ①매혹과 혐오라는 상반

적감정의반복

②시상 전개에 따른 화자

의감정심화

자연속의향기로운길위에서만난뱀

시적대상

•뱀에 대한◯와 `라는 상반된 감정의 연속을

통해본능적충동과죄의식사이의갈등을나타냄.

슬픔과징그러움을내포하는화사의아름다움에이끌림.

화사의아름다움에매료됨.

화사에대한거부감과증오

화사의유혹에완전히‘사로잡혀’화사를따라감.

화사의아름다움에매혹되어‘소유’하기를원하게됨.

1연보다심화된아름다움을느끼며소유하기를원함.

‘돌팔매를쏘는’행위가원죄를안겨준뱀에대한증오심이아님을밝힘.

격정과관능의숨결

비극적결정체인뱀에게절대세계(하늘)에 대한저항과몸부림을권유

이는뱀을보호하려는무의식적인태도가내포된것으로볼수있음.

붉은색의상징성: 고달픔, 슬픔, 끝없는욕망, 욕구에의고통

플러스활동

1. 이 작품에서반복적으로등장하는표현상의특징이무엇인지쓰고, 이를주제와관련하여설명하시오.

예시 답|화자는‘뱀’에대해이중적인태도를취하고있다. 이는뱀을‘아름답다’고말하다가‘슬프고도징그러운몽뚱어

리’라고하는부분과‘달아나거라’며내쫓다가도‘저놈의뒤를따’른다고표현하는부분에서반복적으로드러난다. 이는시

의주제인본능적충동과죄의식사이의갈등을효과적으로전달하게끔도와주고있다.

2. 이 시의중심소재인‘배암’이상징하는의미를간략히쓰시오.

예시 답|뱀은기독교에서원죄를상징한다. 뱀이이브의본능적욕구를자극하여자신의꾐에넘어가도록유혹했기때문

이다. 이작품에서도‘뱀’은징그럽지만아름다운몸뚱이를가지고화자를유혹하는존재로그려진다.

3. 이 작품에서나타나는‘점층법’을본문의내용을활용하여구체적으로쓰시오.

예시 답|화자는뱀을보며처음에는아름답고도징그럽다는상반된감정을느끼나점차뱀의아름다움에매혹된다. 이는

‘매혹·혐오(1연) →아름다움에매료(2연) →거부감과증오(3연) →유혹에완전히사로잡힘.(4연) →소유하기를열망함.(5

연) →화사와혼연일체가되고자함.(6연) →순네(화사)를향한강한욕망표출(7연)’로점점심화되는모습을보인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66 mac01 T

Page 36: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 문학과문화 367*

클레오파트라의 피 먹은 양 붉게 타오르는 고운 입술이다……스며라! 배암.

우리 순네는 스물 난 색시, 고양이같이 고운 입술…… 스며라! 배암.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천 경 자

참고자료

•‘내 슬픈 생애의 22페이지’의

작품해설

그림의 제목을‘내 슬픈 생애의

22페이지’라고 붙인 것은 이 작품

속에서 자기의 과거와 현재에 걸

치는 자서전적인 이미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허공을 바라다보는

큰 눈동자의 여인은 삶에 지친 여

인이지마는 생명의 법칙에 따라서

살아온 애수(哀愁)가 다분히 깃들

여 있다. 고독에 짓눌린 여인의 표

정은 무엇인지 과거에 집착하면서

도 미래에 대한 꿈을 포기하지 않

는다. 머리 부분을 휘감고 있는 꽃

뱀은 흔히 중동 지방 미술에 나타

나는 신성 동물로서의 의미를 부

여하는 동시에 가장 지혜로운 동

물을 상징하기도 한다. 아래쪽에

그려놓은 시들은 한 송이 장미꽃

은 시들어 가는 인생을 상징하는

지도 모른다. ‘22’라는 숫자는 화

가 천경자가 결혼을 하고 첫 딸을

낳았던 1945년 당시의 나이와 관

계가 있다고 한다. 그러한 생애의

중요한 사건을 회상하면서 그녀는

‘내 슬픈 생애의 22페이지’라고

부르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다

분히 인생을 체념하고 속죄하는

것과 같은 초월적인 태도가 엿보

인다.

-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미인의표상인클레오파트라의피를먹어아름다워진듯한뱀의아름다움

뱀과동일시

화사의욕망에이끌려‘혼연일체’가되고자함.

순네(화사)를 향한‘화자의강한욕망표출’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67 mac01 T

Page 37: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68 7. 문학과삶*

‘화사’는 서정주의 첫 시집인“화사집”의 표제작이다. ‘꽃뱀’에 대한 매

혹과 혐오라는 상반된 감정을 통해 우리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본능적

욕망을 섬세하게 그리고 있다. 화자는 화사로 상징되는 순네의 관능적 매

혹에 탐닉하기도 하고, 본능적 충동과 죄의식 사이에서 갈등을 보이기도

하는 것이다. 천경자의 그림에서는 여인이 네 마리의 뱀을 마치 화관처럼

두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뱀은 무섭고 혐오스러운 존재로 인식되지만, 여

기서 뱀은 자신이 지금까지 살아온 서럽고 한스러운 삶의 이미지와 겹쳐

진다. 여인의 얼굴이 창백하고 어두운 표정인데 반해, 뱀과 꽃은 화려한

느낌을 주고 있어 묘한 대조를 이룬다.

감상의길잡이

‘화사’와‘내슬픈전설의

22페이지’는어떤작품인가

작품 들여다보기

기본개념으로이해하기

시와그림의관계

넓고깊게이해하기

‘화사’에나타난화자의

감정변화

문학은 회화나 조각, 음악, 건축, 영화 같은 매체와 서로 관계를 주고받

으며 존재한다. 문학이 인접 영역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며, 반대로 영감

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런데 문학과 인접 예술은 그 표현 매체가 다르고 대

상을 대하는 예술가의 태도가 같지 않다.

서정주의 시와 천경자의 그림은 뱀을 통해 젊은 날의 고뇌와 슬픔을 표

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원초적이고 강렬한 색채가 중시되며, 뱀을 긍정적

인 대상으로 그리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뱀을 통해 두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구체적인 의미는 사뭇 다르다.

슬픔과 징그러움을 내포하는 화사의 아름다움에

이끌림.두가지상반된감정에따른갈등

화사의아름다움에대해매료됨. 서러운저주의운명에대한동정과동화

화사에대한거부감과증오 뱀을보호하려는무의식적인태도가내포됨.

화사의유혹에완전히사로잡혀화사를따라감. 이유모를황홀감

화사의욕망에이끌려혼연일체가되고자함. 강한공격성과소유욕

순네(화사)를 향한화자의강한욕망 본능적욕망의과감한표출

지도상의유의점

시‘화사’와그림‘내슬픈전설의 22페이지’

이는 문학이 인접 예술과 어떤 관계에 있으

며 그 형상화 방법이 어떤 점에서 같고, 또

다른지 파악하기 위해 선정되었다. 이러한 내

용의이해를 위해두 작품에나타나는‘뱀’의

이중적의미를중심으로지도하도록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시‘화사’와그림‘내슬픈전설의 22페이지’

를 통해 문학과 인접 예술과의 연관성을 파

악할 수 있지만, 표현 매체나 대상을 대하는

예술가의 태도에는 차이점이 있다. 두 작품의

중심 소재로 사용된‘뱀’을통해각각의 작가

가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는 무엇이었을지 생

각해볼수있도록활동을안내한다.

지도상의유의점

이 활동은‘화사’의 중심 소재인‘뱀’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

도한다. 이때 뱀에 대한 수식어나 서술어가 거

부감을 나타내느냐 혹은 열망을 나타내느냐에

따라 대상에 대한 화자의 감정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연에서 뱀을 대하는 화자의 태도

및 감정이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강한 열망으

로변화함을이해할수있도록지도한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68 mac01 T

Page 38: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 문학과문화 369*

도움닫기

(1) ‘화사’에서 시인이 주로 나타내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

‘화사’와‘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를 바탕으로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2) ‘화사’와‘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는 소재는 같아도 추구하는 바가 다

르다. 이를 표현 매체와 대상에 대한 작가의 관점이라는 측면에서 설명해

보자.

•표현 매체의 특징: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멀리뛰기

‘화사’와‘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의 작가가 대화를 주고받는다고 가정

하고, 다음의 대화를 이어서 완성해 보자.2

서정주⋯ 천 화백님, 오랜만에 뵙습니다. 선생님의 그림을 보면 말로는 도

저히 표현하기 힘든 슬픔이 뚝뚝 묻어나는 듯해요. 귀기 어린 섬뜩함도

그렇고, 마치 제 젊은 시절을 표현한 것만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은 왜일

까요?

천경자⋯ 저도 선생님의 시를 읽고 있으면 제 젊은 날의 울분과 회한이 겹

쳐지는느낌입니다.

활동 안내 1̀-(̀1)|이 활동은‘뱀’

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먼저 파악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연에서

화자는‘뱀’을 아름답다고 이야기

하면서도 슬프고도 징그러운 몸뚱

어리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이

는 이어지는연에서뱀을따르면서

도 쫓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연속되는데, 이렇게 대상에

대한 화자의 이중적 태도를 통해

본능적충동과죄의식사이에서갈

등하는우리의욕망을그리고있음

을파악할수있도록활동한다.

활동 안내 1`-(̀2)|시와 그림의 관

계는 이 단원의 학습 목표 1. 문학

과인접예술과의관계를이해한다

와 관련된 내용임을 먼저 확인할

수 있도록 설명한 후 접근하는 것

이 좋다. 문학의 갈래에 속하는

‘시’와 선과 색채의 예술에 속하는

‘그림’은 위의 두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바라보는 대상이 모두‘뱀’

이라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하지만이는표현하는매체와대상

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에 의해

추구하는 바는 다를 수 있음을 학

생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지도한

다. 이때 교사의 일방적인 설명이

아닌, 시와 그림을 보며 학생들이

능동적으로감상할수있도록모둠

별 활동을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

법이다.

활동 안내 2|천경자의 그림‘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는 문학과

인접 예술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선택된 자료이다.

시‘화사’와 같이‘뱀’이라는 대상

을 중심 소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물론 차이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활동을 안

내한다.

예시 답|‘화사’에 대한 매혹과 혐오라는 상반된 감정을 통해 우리 내면에 자리잡고 있는 본능적 욕망을 나타내고자

했다.

예시답|시‘화사’는언어라는수단에의해표현된예술이며, 그림‘내슬픈전설의 22페이지’는선이나색채

를사용해사물의형상이나이미지를평면위에나타낸예술이라는차이점을가진다.

예시답|‘화사’의작가는‘뱀’을본능적충동과죄의식사이의갈등을유발하는대상으로바라보고있는반면,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의‘뱀’은 작가 자신이 지금까지 살아온 서럽고 한스러운 삶의 표상이라는 관점의

차이를보인다.

예시 답|저는 서럽고 한스러운 제 삶을‘뱀’을 통해 형상화하고 싶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뱀은 무섭고 혐

오스러운존재로인식되지만, 제 그림에서는조금다른의미라고할수있겠지요. 그림 속여인은저의자

화상이라고할수있는데, 창백하고어두운얼굴표정과대비되는화려한색채의뱀과꽃은여인의슬픔을

부각하고자하는제의도가드러나는부분입니다. 선생님이제그림을보며슬픔이뚝뚝묻어나는듯한느

낌을받으셨다면꽤성공적인작품이라할수있겠는걸요.

문학(2)07(332~371) 2012.1.5 5:43 AM 페이지369 mac01 T

Page 39: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길이 열리고 새로운 여행을 준비하다

여행이 끝났다.

한국 문학의 역사라는 길고 넓은 강을 따라 내려오며 보았던 풍경들은 마

을이 되고 도회가 되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세계로 열려 또 다른 풍경으로

이어졌다가, 이제는 다시 일상의 공간으로 되돌아왔다. 여행을 마치고 난

지금도 재현, 형식, 수용의 목소리가 귓가에 남아 울리는 듯하다.

이들 세 사람은 서로 같은 생각으로 문학 여행을 떠났으면서도, 더러는

다른 생각으로 문학을 향유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모자람을 채워 주는 좋

은 길라잡이 역할을 해 주었다. 이들을 통해 우리는 작가와 그의 시대를 만

났고, 그가 남긴 작품을 만났다. 그뿐만 아니라 독자인 나 자신, 그리고 다

른 독자들과도 만나는 계기를 얻었다.

그러니 지금부터는 우리 삶 속의 문학과 만날 차례이다. 자, 이제 누구와

함께 삼인행의 문학 여행을 떠날까?

370 7. 문학과삶*

단원을닫으며

삼인행대화살펴보기

‘단원을 열며’를 통해 품었던 질문을‘단

원을 닫으며’에서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 문학과 자아의 성장, 문학과 공동체

의 관계 형성 및 문학과 문화의 연계성을

중심으로문학과 삶의바람직한관계형성

을 위해 문학적 태도 형성 및 문학의 생활

화를 모색하는 것이 이번 대단원을 통해

우리가달성하고자했던학습목표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떠났던 긴

여행을 마친수용, 재현, 형식은 서로 같은

생각으로여행을 떠났으나더러는 다른생

각으로 문학을 향유하는 모습을 보였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 세 사람을 통해 작가

혹은 문학이 반영한 시대뿐만 아니라 나

스스로를 성찰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

었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지금까지의 모

든여정을마친다.

마무리로 대단원의 학습 목표를 마지막으

로재확인하는 과정을 통해학생들이 학습

한내용을확실히인지할수있도록한다.

다양한방식으로이루어진문학활동

앞으로우리에게주어진과제 - 우리삶속의문학에관심갖기

지도상의유의점

‘단원을 닫으며’를 통해 대단원을 시작하며 확인했던‘문학과 성장’, ‘문학과

공동체’, ‘문학과 문화’에 대한 내용이 모두 정리되었는지를 교사의 질문을

통해확인한다. 그리고 삼인행대화를통해사람마다다양하게향유되는문학

활동의 모습을 확인하며, 이제는 우리 삶 속의 문학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학생들을안내하도록한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70 mac01 T

Page 40: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더공부하기

>> 다른 친구들의 학습 과정 점검을 도와주자.

>> 중단원 학습 과정에서 익힌 지식을 작품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다시한번 검토해 보자.

>> 스스로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단원의 학습 내용을 처음부터 차분히정리해 보자.

13점이상

9~12점

8점이하

::자기점검하기

문학지식

점검항목 점검내용 평가

나는스스로가이단원에서문학과삶의관계에대

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학에 대한 능동적이고 주체적

인태도를갖추게되었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문학적기능과

수행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에서 다양한 문학 작품들을

학습하는과정에서내자신을성찰하고타인을더깊

이이해할수있게되었으며, 공동체와의연대의식을

심화시킬수있게되었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맥락을통한확장

나는 스스로가 이 단원의 학습을 통해 일상의 삶

속에서 문학을 더 가깝게 대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이전보다 더 수준 높은 언어생활을 누릴 수 있

게되었다고평가한다.

① ② ③ ④ ⑤

단원을닫으며 371*

지도상의유의점

‘자기 점검하기’는 스스로 이 단원을

통해 학습 목표에 도달하였는지를 확

인해 보도록 지도한다. 다만 현재 제시

되어 있는 점검 내용이 추상적이므로

각 중단원에서 제시된 학습 목표를 활

용하여 그 내용이 구체적으로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먼저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때 유의할 점은 학생 스스

로가 자신을 점검하며, 다음 문학 활동

을 수행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

도록안내하는것이다.

지도상의유의점

‘더 공부하기’에서는 학습자가‘자기

점검하기’를 통해 스스로를 평가한 내

용을 바탕으로, 자신이 부족하다고 생

각하는 부분을 다시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때 교사는 13점 이상을 받

은 학생들이 8~12점에 해당하는 학생

들의재확인을과정에도움을줄수있

도록 안내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문

학 활동의 내용을 서로 공유하면 부족

한 부분을 채울 수 있고, 나와는 다른

생각을 가진 친구의 의견을 들으며 자

신의사고를새롭게확장할수있는기

회가제공되기때문이다.

점검항목 점검내용 평가

문학지식

문학적기능과수행

맥락을통한확장

문학을통해자신의내면을성찰할수있음을이해하는가? ① ② ③ ④ ⑤

문학의생활화가갖는의의에대해이해하는가?

문학을통해타자를이해할수있는가?

문학과인접예술과의관계를이해하는가?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수준 높은 국어 생활을 영위할 수 있

는가?

문학을통해내면세계를확충할수있는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문학(2)07(332~371) 2011.11.26 4:29 AM 페이지371 mac01 T

Page 41: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부록 01. 문학사연표

02. 저자및출처

03. 사진·그림출처

373

381

383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72 mac01 T

Page 42: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문학사 연표

시기

고조선 고대단군신화고구려건국신화신라건국신화공무도하가

일리아스·오디세이아(기원전 850,호메로스)시경(기원전 600)

춘추(기원전 480)

오이디푸스 왕(기원전 426, 소포클레스)

귀거래사(기원후 405, 도연명)

대당서역기(646, 현장)

단군, 고조선건국(기원전 2333)

중국, 춘추시대시작(기원전 770)아테네, 민주정확립(기원전 508)

진시황, 중국통일(기원전 221) 유방, 한나라건국(기원전 202)

원왕생가(광덕)화왕계(설총)모죽지랑가(득오)헌화가(견우노옹)원가(신충)제망매가(월명사)도솔가(월명사)찬기파랑가(충담사)도천수대비가(희명)안민가(충담사)처용가(처용)토황소격문(최치원)삼대목(대구화상과위홍)

기원전17, 고구려유리왕3 기원후28, 신라유리왕5

42, 유리왕 19

594, 진평왕 16년600, 진평왕 22년이전612, 영양왕 23년

632~647, 선덕여왕대

삼국시대

한국문학 세계문학 주요사항

황조가(유리왕)도솔가(작자미상)

구지가

혜성가(융천사)서동요(서동) 여수장우중문시(을지문덕)

풍요(작자미상)

힐데브란트의노래(770)만엽집(771)장한가(806, 백낙천)

게오르그의노래(896)

적벽부(1082, 소식)롤랑의노래(1090)

아서왕이야기

중세

박혁거세, 신라건국(기원전 57)주몽, 고구려건국(기원전 37)온조, 백제건국(기원전 18)

김수로, 금관가야건국(기원후 42)

게르만족의대이동(375)

수, 중국통일(589)

당나라건국(618)

신라, 삼국통일완성(676)

발해건국(698)

견훤, 후백제건국(900)궁예, 후고구려건국(901)

661~681, 문무왕681~691, 신문왕697~702, 효소왕대702~737, 성덕왕대737, 효성왕원년760, 경덕왕 19년이전760, 경덕왕 19년765, 경덕왕 24년이전742~765, 경덕왕대765, 경덕왕 24년879, 헌강왕 5881, 헌강왕 7888, 진성여왕 2

통일신라

문학사연표 373*

수이전(박인량)보현십원가(균여)도이장가(예종)삼국사기(김부식)정과정(정서)동명왕편(이규보)공방전·국순전(임춘)

왕건, 고려건국(918)

십자군원정시작(1096)

무신의난(1170)

1019~1083, 문종1075, 문종 20 1120, 예종 151145, 인종 231170, 의종 241193, 명종 231197, 명종 27

고려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73 mac01 T

Page 43: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74 부록*

시기

니벨룽겐의노래(1200년경)

동방견문록(마르코폴로, 1277)

신곡(단테, 1321)

데카메론(보카치오, 1353)

수호전(시내암, 1370)전등신화(1378, 구우)캔터베리이야기(1387, 초서)

영국, 대헌장제정(1215)몽골, 고려침입시작(1231)고려, 금속 활자로“상정고금예문”간행(1234)원, 중국통일(1279)

유럽, 페스트대유행(1348)명나라건국(1368)

위화도회군(1388)고려멸망, 조선건국(1392)

납씨가·문덕곡(정도전)강호사시가(맹사성)용비어천가(정인지외)월인천강지곡(세종)석보상절(수양대군)월인석보(세조)상춘곡(정극인)금오신화(김시습)내훈(소혜왕후한씨)

악학궤범(성현외)만분가(조위)

면앙정가(송순)훈몽자회(최세진)

자상특사황국옥당가(송순)도산십이곡(이황)

고산구곡가(이이)훈민가·관동별곡(정철)사미인곡·속미인곡(정철)규원가(허난설헌)장진주사(정철)

한국문학 세계문학 주요사항

1241, 고종 281216, 고종 3년

1285, 충렬왕 11

1330, 충숙왕 171342, 충혜왕복위 3

1363, 공민왕 12

1392, 공양왕 414세기

백운소설·국선생전(이규보)한림별곡(한림제유)삼국유사(일연)

정시자전(석식영암)동동(작자미상)처용가(작자미상)사모곡(작자미상)청산별곡(작자미상)가시리(작자미상)정석가(작자미상)서경별곡(작자미상)이상곡(작자미상)만전춘(작자미상)상저가(작자미상)

삼국지연의(1494, 나관중)

수호지(1510)유토피아(1516, 토머스모어)아라비안나이트(1516)

가르강튀아와팡타그뤼엘이야기(1534, 라블레)

서유기(1570, 오승은)

수상록 I·II(1580, 몽테뉴)수상록 III(1588)

헨리 6세(1592, 셰익스피어)

근현대

이성계, 한양천도(1396)

세종, 훈민정음반포(1446)

동로마제국멸망(1453)

성종, 경국대전반포(1485)콜럼버스, 아메리카대륙발견(1492)

루터의종교개혁(1517)

코페르니쿠스의지동설(1543)

임진왜란(1592~1598)

1393, 태조 2년1419~1438, 세종대1447, 세종 29년1447, 세종 29년

1459, 세조 5년1470, 성종원년1472, 성종 3년1475, 성종 6년

1493, 성종 24년1503, 연산군 9년

1524, 중종 19년1527, 중종 22년

1546~1567, 명종1565, 명종 20년

1578, 선조 11년1580, 선조 18년1588, 선조 21년1585~1589, 선조대1581~1590, 선조14~23년

조선전기

임진록(작자미상)유충렬전(작자미상)

태평사(박인로)조홍시가(박인로)

한여름밤의꿈(1595, 셰익스피어)로미오와줄리엣(1597, 셰익스피어)

베니스의상인(1600, 셰익스피어)

햄릿(1603, 셰익스피어)오셀로(1604, 셰익스피어)

행주대첩(1593)

영국, 동인도회사설립(1600)

1592 이후, 선조대

1598, 선조 31년1601, 선조 34년

조선후기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74 mac01 T

Page 44: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문학사연표 375*

시기

선상탄(박인로)

사제곡·누항사(박인로)계축일기(어느궁녀)지봉유설(이수광)홍길동전(허균)전우치전(작자미상)농가월령가(정학유)어우야담(유몽인)박씨전·임경업전(작자미상)산성일기(작자미상)

어부사시사(윤선도)

구운몽(김만중)사씨남정기(김만중)서포만필(김만중)청구영언(김천택)

해동가요(김수장)일동장유가(김인겸)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령남씨)인현왕후전(미상)열하일기(박지원)

한중록(혜경궁홍씨)

조침문(유씨부인) 규중칠우쟁론기(작자미상)

북천가(김진형)

연행가(홍순학)가곡원류(박효관, 안민영)

서유견문(유길준)애국가(이용우), 동심가(이중원)

혈의누·귀의성(이인직)치악산·은세계(이인직)금수회의록(안국선)해에게서소년에게(최남선)

돈키호테(1605, 세르반테스)금병매(1606)

실낙원(1658~1667, 존밀턴)

로빈슨크루소(1719, 디포)걸리버여행기(1726, 스위프트)

젊은베르테르의슬픔(1774, 괴테)

적과흑(1830, 스탕달)파우스트 2부(1831, 괴테)제인에어(1847, 샬럿브론테)폭풍의언덕(1847, 에밀리브론테)

보바리부인(1857, 플로베르)레미제라블(1862, 빅토르위고)인형의집(1879, 헨리크입센)카라마조프가의형제들(1888, 도스토예프스키)부활(1896, 톨스토이)

누루하치, 후금건국(1616)

인조반정(1623)병자호란(1636)

영국, 청교도혁명(1642~1649)

영국, 명예혁명(1688)

균역법실시(1750)

영국, 산업혁명시작(1768)

미국, 독립선언(1776)

프랑스혁명발발(1789)청, 백련교도의난발발(1796)나폴레옹황제즉위(1804)홍경래의난(1811)

중국·영국, 아편전쟁(1840)

중국, 태평천국운동(1850)

최제우, 동학창시(1860)미국, 남북전쟁(1861)병인양요(1866)일본, 메이지유신(1868)갑신정변(1884)청일전쟁(1894~1895)갑오개혁(1894)대한제국성립(1897)러일전쟁(1904~1905)“소년”창간(1908)

한국문학 세계문학 주요사항

1605, 선조 38년

1611, 광해군 3년1613, 광해군 5년1614, 광해군 6년1609~1618, 광해군대1609~1622, 광해군대

1622, 광해군 14년1636 이후, 인조대1637 이후, 인조대

1651, 효종 2년

1689, 숙종 15년1689~1692, 숙종15~18년1687~1692, 숙종대1728, 영조 4년

1763, 영조 39년1764, 영조 40년1772, 영조 48년1776~1800, 정조1780~1805, 정조~순조

1795~1805, 정조 20년~순조 5년

1801~1834, 순조

1853, 철종 4

1866, 고종 31876, 고종 13

1895, 고종 321896, 고종 33

1906, 고종 431907, 순종 21908, 순종 3

자유종(이해조)추월색(최찬식)

무정(1917, 이광수)봄은간다(1918, 김억)불놀이(1919, 주요한)

일본, 대한제국강점(1910)신해혁명(1911~1912)중화민국탄생(1912)제1차세계대전(1914~1918)러시아혁명발발(1917)“태서문예신보”창간(1918)3·1 운동(1919)“창조”창간(1919)

기탄잘리(1910, 타고르)인간의굴레(1912, 서머싯몸)

변신(1916, 프란츠카프카)

광인일기(1918, 루쉰)달과 6펜스(1919, 서머싯몸)데미안(1919, 헤르만헤세)

1910, 융희 41912

191719181919

일제강점기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75 mac01 T

Page 45: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76 부록*

시기

아Q정전(1921, 루쉰)

황무지(1922, T. S. 엘리엇)율리시스(1922, 제임스조이스)싯다르타(1922, 헤르만헤세)

마(魔)의산(1924, 토마스만)스무편의사랑의시와한편의절망의노래(1924, 파블로네루다)환상(1925, 윌리엄버틀러예이츠)성(1925, 프란츠카프카)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1926, 헤밍웨이)고요한돈강(1926, M. A. 숄로호프)

등대로(1927, 버지니아울프)어둠속의도시(1927, 에위빈드욘손)서부전선이상없다(1929, 에리히레마르크)왕도(1930, 앙드레말로)나르치스와골트문트(1930, 헤세)지상의주소(1931, 파블로네루다) 대지(1931, 펄벅)야간비행(1931, 생텍쥐페리)

인간의조건(1933, 앙드레말로)

율리시스(1934, 제임스조이스)

설국(1935, 가와바타야스나리)현혹(1935, 엘리아스카네티)

바람과함께사라지다(1936, 미첼)시집‘비너스의손’(1936, 야로슬라프사이페르트)

“폐허”, “개벽”창간(1920)극예술협회결성(1920)“장미촌”창간(1921)

소비에트연방성립(1922)“백조”창간(1922)“조선지광”창간(1922)

“영대”창간(1924)“조선문단”창간(1924)

“해외문학”창간(1927)

미국, 경제대공황(1929~1932)

“시문학”창간(1930)

만주사변(1931)

구인회조직(1933)조선어학회 창립, 한글 맞춤법 통일안발표(1933)

“조광”창간(1935)

에스파냐내전(1936~1939)“시인부락”창간(1936)

“자오선”창간(1937)중일전쟁(1937)

한국문학 세계문학 주요사항

1920

1921

1922

19231924

1925

1926

1927

1930

1931

1932

1933

1934

1935

1936

1937

배따라기(1921, 김동인)표본실의청개구리(1921, 염상섭)빈처·술권하는사회(1921, 현진건)오뇌의무도(1921, 김억)진달래꽃(1922, 김소월)

시집“해파리의노래”(1923, 김억)만세전(1924, 염상섭)운수좋은날(1924, 현진건)

국경의밤(1925, 김동환)감자(1925, 김동인)탈출기(1925, 최서해)화수분(1925, 전영택)B 사감과러브레터(1925, 현진건)시집“님의침묵”(1926, 한용운) 빼앗긴들에도봄은오는가(1926,이상화)향수(1927, 정지용)홍염(1927, 최서해)

삼대(1931, 염상섭)

토막(1932, 유치진)흙(1932, 이광수)고향(1933, 이기영)

모범경작생(1934, 박영준)거울·오감도(1934, 이상)소금·인간문제(1934, 강경애) 소설가구보씨의일일(1934, 박태원)레디메이드인생(1934, 채만식)정지용시집(1935, 정지용)소(1935, 유치진)백치아다다(1935, 계용묵)사랑손님과어머니(1935, 주요섭)봄봄(1935, 김유정)상록수(1935, 심훈)시집“기상도”(1936, 김기림) 시집“사슴”(1936, 백석)날개(1936, 이상)동백꽃(1936, 김유정)바위·무녀도(1936, 김동리)메밀꽃필무렵(1936, 이효석)사하촌(1936, 김정한)탁류(1937, 채만식)복덕방(1937, 이태준)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76 mac01 T

Page 46: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문학사연표 377*

시기

구토(1938, 장폴사르트르)

분노의포도(1939, 존스타인벡)누구를위하여종은울리나(1939,어니스트헤밍웨이)

이방인(1942, 알베르카뮈)

동물농장(1944, 조지오웰)

드리나강의다리(1945, 안드리치)사기꾼(1945, 클로드시몽)

일제, 조선어말살정책(1938)

“문장”창간(1939)독일, 폴란드침공(1939)

태평양전쟁(1941~1945)

8·15 해방(1945)국제연합발족, 유네스코창설(1945)

“육사시집”(1946, 이육사)시집“청록집”(1946, 박목월·조지훈·박두진)시집“지용시선”(1946, 정지용) 해방전후(1946, 이태준)미스터방(1946, 채만식)해(1946, 박두진)시집“생명의서”(1947, 유치환)시집“기항지”(1947, 김광균)국화옆에서(1947, 서정주)시조집“초적(草笛)”(1947, 김상옥)

개선문(1946, 에리히레마르크)

페스트(1947, 알베르카뮈)제3의주소(1947, 파블로네루다)

파리평화회의개최(1946)필리핀독립(1946)

한국문학 세계문학 주요사항

1938

1939

1940

1941194219431944

1945

낡은집(1938, 이용악)태평천하(1938, 채만식)와사등(1938, 김광균)천변풍경(1938, 박태원)패강랭(1938, 이태준)시집“촛불”(1939, 신석정)시집“청마시초”(1939, 유치환)시집“와사등”(1939, 김광균)제1과제1장(1939, 이무영)절정(1940, 이육사)봉황수(1940, 조지훈)시집“화사집”(1941, 서정주)

맹진사댁경사(1943, 오영진)소설집‘병풍에그린닭이’(1944,계용묵)

1946

1947

미군정기

하늘과 바람과별과시(1948, 윤동주)역마(1948, 김동리)목넘이마을의개(1948, 황순원)귀촉도(1948, 서정주)논이야기(1948, 채만식)두파산(1949, 염상섭)임진왜란(1949, 박태원)소설집“첫전투”(1949, 이태준)

나자와사자(1948, N. 메일러)욕망이라는이름의전차(1948, 테네시윌리엄스)

프로스트시선(1949, 로버트프로스트)25시(1949, 콘스탄틴게오르규)1984년(1949, 조지오웰)세일즈맨의죽음(1949, 아서밀러)

대한민국정부수립(1948)

중화인민공화국탄생(1949)한국문학가협회결성(1949)‘문학의 이론’간행(1949, 르네 웰렉·오스틴워렌)

1948

1949

대한민국

해(1950, 박두진)이리도(1950, 황순원)

독짓는늙은이(1952, 황순원)제3인간형(1952, 안수길)소설집“고향길”(1952, 이태준)

생의한가운데(1950, 루이제린저)

호밀밭의파수꾼(1951, 샐린저)노인과바다(1952, 헤밍웨이)에덴의동쪽(1952, 존스타인벡)

6·25 전쟁(1950)

“전선문학”창간(1952)

1950

19511952

6·25 전쟁기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77 mac01 T

Page 47: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78 부록*

시기

고도를기다리며(1953, 새뮤얼베케트)그리고아무말도하지않았다(1953, 하인리히뵐)파리대왕(1954, 윌리엄골딩) 고레이의사탄(1955, 아이작싱어)

닥터지바고(1956, 파스테르나크)

양철북(1957, 귄터그라스)

양철북(1959, 귄터그라스)

금요일의발자국(1960, 나이딘고디머)

불만의겨울(1961, 존스타인벡)

이반데니소비치의하루(1962, 알렉산드르솔제니친)황금노트북(1962, 도리스레싱)어릿광대의의견(1963, 하인리히뵐)

귀향(1965, 해럴드핀터)

어느자연주의자의죽음(1966, 셰이머스히니)

백년동안의고독(1967, 가브리엘마르케스)

모로디의보고서(1970, 보르헤스)마왕(1970, 미셀투르니에)

휴전협정조인(1953)“사상계”창간(1953)

예술원창설(1954)“현대문학”창간(1955)신춘문예제도부활(1955)“현대문학”신인상제정(1955)

소련, 최초의인공위성스푸트니크1호발사(1957)한국시인협회결성(1957)

쿠바혁명발발(1959)

4·19 혁명, 제2공화국탄생(1960)

5·16 군사정변(1961)한국문인협회결성(1961)“아동문학”창간(1962)

미국, 베트남전개입(1965)

중국, 문화혁명전개(1966~1976)“현대시학”창간(1966)“한국문학”창간(1966)“창작과비평”창간(1966)유럽경제공동체발족(1967)

체코, 프라하의봄(1968)미국, 마틴루터킹목사피살(1968)아폴로 11호, 달착륙(1969)

“문학과지성”창간(1970)

한국문학 세계문학 주요사항

1953

19541955

1956

1957

1958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비오는날(1953, 손창섭)

갯마을(1955, 오영수)요한시집(1955, 장용학)바비도·오분간(1955, 김성한)갯마을(1955, 오영수)유예(1955, 오상원)시선집“김관식시선”(1956, 김관식)암사지도(1956, 서기원) 수난이대(1957, 하근찬)학마을사람들(1957, 이범선)불신시대(1957, 박경리)사반의십자가(1957, 김동리)잉여인간(1958, 손창섭)새(1959, 박남수)북간도(1959~1967, 안수길)부다페스트에서의소녀의죽음(1959, 김춘수)바라춤(1959, 신석초)달나라의장난(1959, 김수영)오발탄(1959, 이범선)사수(1959, 전광용)정념의기(1960, 김남조)광장(1960, 최인훈)원고지(1960, 이근삼)

꺼삐딴리(1962, 전광용)김약국의딸들(1962, 박경리)닳아지는살들(1962, 이호철)동행(1963, 전상국)산불(1963, 차범석)만선(1964, 천승세)무진기행·역사(1964, 김승옥) 서울, 1964년겨울(1965, 김승옥)웃음소리(1965, 최인훈)분지(1965, 남정현)모래톱이야기(1966, 김정한)정든땅언덕위(1966, 박태순)병신과머저리(1966, 이청준)국물있사옵니다(1966, 이근삼)금강·껍데기는가라(1967, 신동엽)겨울바다(1967, 김남조)수라도(1967, 김정한)매잡이(1967, 이청준)강(1968, 서정인)

동천(1969, 서정주) 시집“성북동비둘기”(1969, 김광섭)수라도·뒷기미나루(1969, 김정한)토지 1부완성(1969, 박경리)나목(1970, 박완서)황혼의집(1970, 윤흥길)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78 mac01 T

Page 48: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문학사연표 379*

시기

적, 사랑이야기(1972, 아이작싱어)

수용소군도(1973, 솔제니친)술라(1973, 토니모리슨)

안내놔? 못내놔!(1974, 다리오포)

카타리나블룸의잃어버린명예(1975, 하인리히뵐)거미여인의키스(1976, 마누엘푸익)

솔로몬의노래(1977, 토니모리슨)나는훌리아아주머니와결혼했다(1977, 바르가스요사)

밤(1979, 주제사라마구)

예고된죽음이야기(1981, 가브리엘마르케스)

저지대(1982, 헤르타뮐러)고요한집(1982, 오르한파묵)수도원의비망록(1983, 주제사라마구)

“시문학”창간(1971)

“문학사상”창간(1972)

베트남전쟁종결(1975)

호메이니, 이란혁명주도(1979)10·26 사태(1979)

광주민주화운동(1980)이란·이라크전쟁(1980~1988)

한국문학 세계문학 주요사항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객지(1971, 황석영)새(1971, 천상병)소설가구보씨의일일·소문의벽(1971, 이청준)타인의방(1971, 최인호) 관촌수필(1972~1977, 이문구)한씨연대기(1972, 황석영)슬픔이기쁨에게(1973, 정호승)장마(1973, 윤흥길)농무(1973, 신경림)삼포가는길(1973, 황석영)장마(1973, 윤흥길)어둠의혼(1973, 김원일)처용(1974, 김춘수)문의마을에가서(1974, 고은)풀잎(1974, 강은교)우리들의양식(1974, 이성부)이어도(1974, 이청준)부끄러움을가르칩니다(1974, 박완서)파수꾼(1974, 이강백)타는목마름으로(1975, 김지하)

부끄러움을가르칩니다(1976, 박완서)난장이가쏘아올린작은공(1976, 조세희)당신들의천국·황홀한실종(1976, 이청준)도요새에관한명상(1976, 김원일)소설집“아홉켤레의구두로남은사내”(1977, 윤흥길)연작“관촌수필”완성(1977, 이문구)저문강에삽을씻고(1978, 정희성)나는바퀴를보면굴리고싶어진다(1978, 황동규)순이삼촌(1978, 현기영)징소리(1978, 문순태)잔인한도시·연작집“남도사람”(1978, 이청준)소설집“사람의아들”(1979, 이문열)중국인거리(1979, 오정희)아베의가족(1979, 전상국)산문에기대어(1980, 송수권)우상의눈물(1980, 전상국)엄마의말뚝(1980, 박완서)우리들의날개(1981, 전상국)소설집“젊은날의초상”(1981, 이문열)연작집“장난감도시”(1982, 이동하)

새들도세상을뜨는구나(1983, 황지우)그해겨울은따뜻했네(1983, 박완서)소설집“완장”(1983, 윤흥길)먼그대(1983, 서영은)사평역(1983, 임철우)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79 mac01 T

Page 49: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80 부록*

시기

참을수없는존재의가벼움(1984,밀란쿤데라)

하얀성(1985, 오르한파묵)

마지막카니발(1986, 데릭월코트)

도망자(1987, 가오싱젠)

다섯째아이(1988, 도리스레싱)

욕망(1989, 엘프리데옐리네크)교황과마녀(1989, 다리오포)

악마는거울에앉아있다(1991, 헤르타뮐러)

요한패던과아메리카의발견(1992,다리오포)끝과시작(1993, 쉼보르스카)새로운인생(1994, 오르한파묵)

눈먼자들의도시(1995, 주제사라마구)

이름없는자들의도시(1997, 주제사라마구)내이름은빨강(1998, 오르한파묵)황금물고기(1998, 르클레지오)

눈(2002, 오르한파묵)천국은다른곳에(2003, 바르가스요사)

죽음의중지(2005, 주제사라마구)우라니아(2006, 르클레지오)

순수박물관(2008, 오르한파묵)숨그네(2009, 헤르타뮐러)

염소의축제(2010, 바르가스요사)

소련, 페레스트로이카시작(1985)

독일통일(1990)소련해체(1991)

한국, 국제통화기금관리체제수용(1997)

남북정상, 분단이후첫만남(2000)미국대폭발테러사건(2001)한일월드컵개최(2002)이라크전쟁(2003)동남아대규모지진해일피해(2004)

한국, 남북정상회담 (2007)

한국, 최초우주인배출(2008)유럽 연합, 합중국 결성 조약 체결(2009)

한국문학 세계문학 주요사항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1991

1992

1993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2001200220032004

20052006

2007

20082009

2010

풍장(1984, 황동규)시집“노동의새벽”(1984, 박노해)아버지의땅(1984, 임철우)서울로가는전봉준(1985, 안도현)숲속의방(1985, 강석경)흐르는북(1986, 최일남)접시꽃당신(1986, 도종환)원미동사람들(1987, 양귀자)우리들의일그러진영웅·구로아리랑(1987, 이문열)소설집“달빛밟기”(1987, 임철우)시선집“희미한옛사랑의그림자”(1988, 김광규)붉은방(1988, 임철우)입속의검은잎(1989, 기형도)태백산맥완간(1989, 조정래)

바람부는날이면압구정동에가야한다(1991, 유하)그섬에가고싶다(1991, 임철우)

북어대가리(1993, 이강백)토지 5부 16권완간(1994, 박경리)은어낚시통신(1994, 윤대녕)외딴방(1995, 신경숙)

천지간(1996, 윤대녕)소설집“자전거도둑”(1996, 김소진)봄날(1997, 임철우)

외로우니까사람이다(1998, 정호승)그여자네집(1998, 김용택)기차는 7시에떠나네(1999, 신경숙)소설집“내안의깊은계단”(1999, 강석경)황만근은이렇게말했다(2000, 성석제)

지구영웅전설(2003, 박민규)사라진손바닥(2004, 나희덕)거기, 당신(2004, 윤성희)고래(2004, 천명관)시간의쪽배(2005, 오세영)우울씨의 1일(2006, 함민복)시집“나는이세상에없는계절이다”(2006, 김경주)귀중한오늘(2007, 김남조)친절한복희씨(2007, 박완서)광휘의속삭임(2008, 정현종)움직이는산(2009, 이건청)기다린다는것에대하여(2009, 정일근)연작시“만인보”완성(2010, 고은) 시집“시삼백 1”(2010, 김지하)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80 mac01 T

Page 50: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저자및출처 381*

저자 및 출처

대단원명

소단원 (1) 구지가이재호옮김, “삼국유사 1”(솔, 1997)

학습활동 3 해가

학습활동 4 고려가요‘처용가’ 작자미상 김명준지음, “고려속요집성”(다운샘, 2002)

소단원 (2) 동명왕신화이재호옮김, “삼국유사 1”(솔, 1997)

학습활동 3 단군신화

소단원 (1) 찬기파랑가 충담사

김완진지음, “향가해독법연구”(서울대출판부, 1990)

학습활동 2 양주동지음, “고가연구”(일조각, 1990)

학습활동 3 모죽지랑가 득오 김완진지음,“향가해독법연구”(서울대출판부, 1990)

소단원 (2) 제가야산독서당 최치원 이은상외옮김, “국역고운선생문집하”(학예사, 1973)

학습활동 4 거산호 2 김관식 “다시광야에”(창작과비평사, 1998)

오디세이 호메로스 천병희옮김, “오디세이아”(숲, 2006)

장소부에게 왕유이병한지음, “서울대교수들과함께읽는한시명편 2”

(민음사, 2000)

소단원 (1) 서경별곡작자미상

학습활동 3 정읍사, 가시리 김명준지음,“고려속요집성”(다운샘, 2002)

소단원 (2) 한림별곡 한림제유

소단원 (3) 국선생전 이규보 서거정, “국역동문선”(민족문화추진회, 1977)

학습활동 3 ‘만흥’제3수 윤선도 한승옥지음, “이광수”(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춘산에눈노기 람

소단원 (1)•내언제무신 야

우탁외김용찬역주, “교주병와가곡집”(월인, 2001)

•‘도산십이곡’중 황충기역주, “교주해동가요”, (국학자료원, 1994)

•언지제5, 제6

소단원 (2) 만복사저포기 김시습이가원·허경진옮김, “청소년을위한금오신화”(서해

문집, 2007)

아라비안나이트 작자미상 김병철옮김, “아라비안나이트”(범우사, 1993)

도연초 요시다겐코 김충영·엄인경옮김, “쓰레즈레구사”(문, 2010)

소단원 (1) 누항사 박인로 이상보지음, “17세기가사전집”(교학연구사, 1987)

학습활동 3 돈타령 작자미상정문연엮음, “한국구비문학대계 5-1: 전북남원”

(정신문화연구원, 1980)

소단원 (2) 최척전 조위한 이상구역주, “17세기애정전기소설”(월인, 1999)

학습활동 4 박씨전 작자미상김기현, “한국고전문학전집 15”(고려대민족문화

연구소, 1995)

•창내고자

소단원 (1) •댁들에동난지이사오 작자미상 임형택·고미숙엮음, “한국고전시가선”(창비, 1997)

•시집살이노래

소단원 (2) 한중록 혜경궁홍씨 정병설역주, “한중록”(문학동네, 2010)

소단원 (3) 춘향전정규복·인권환·설중환·전경욱 엮음, “한국고소

설선”(문학아카데미, 1990)

소단원 (4) 조웅전 작자미상이헌홍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 23”(고려대민족

문화연구소, 1995)

학습활동 4 유충렬전최삼룡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 24”(고려대민족

문화연구소, 1995)

돈키호테 세르반테스 박철옮김, “돈키호테”(시공사, 2004)

소단원 (1) 경부철도가 최남선 “경부철도노래”(신문관, 1908)

혈의누 이인직 “만세보”1906년 7월~10월

학습활동 4 토끼전 작자미상 구인환엮음, “토끼전”(신원문화사, 2003)

소단원 (2) 나의침실로 이상화 김학동엮음, “이상화전집”(새문사, 1987)

학습활동 3빼앗긴들에도봄은

이상화 김학동엮음, “이상화전집”(새문사, 1987)오는가

소단원 (3) 만세전 염상섭 “한국소설문학대계 5”(동아출판사, 1995)

중단원명 소단원명 저자제재명 출처(저작자또는소장자)

1. 한국문학

의태동과

형성

1. 한국문학의개념과정체성

2. 한국문학의형성

이시기의세계문학

이시기의세계문학

이시기의세계문학

1. 구비문학의발전과기록문학의확대

2. 문학담당층의교체와대응

1. 문학현실의변화

2. 국문문학의확대

1. 근대문학의형성

2. 한국문학

의성장과

발전

3. 한국문학

의성숙과

모색

4. 전환기

한국문학

과근대

문학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81 mac01 T

Page 51: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382 부록*

대단원명

소단원 (1)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백석 김재용엮음, “증보판백석전집”(실천문학사, 2003)

학습활동 3 길 김기림 “김기림전집 5”(심설당, 1981)

소단원 (2) 장수산 1 정지용 김학동엮음, “정지용전집”(민음사, 2000)

학습활동 3 교목 이육사 “이육사시전집”(예옥, 2008)

소단원 (3) 인간문제 강경애 “인간문제”(창비, 2006)

학습활동 4 홍염 최서해 “한국문학대표작선집 25”(문학사상사, 2005)

소단원 (4) 소설가구보씨의일일 박태원 “한국문학전집 15”(문학과지성사, 2005)

학습활동 2 감자 김동인 “한국문학전집 1”(문학과지성사, 2005)

소단원 (5) 소 유치진 “동아일보”(1935)

기탄잘리 타고르 장경렬옮김, “기탄잘리”(열린책들, 2010)

유리동물원테네시윌리

신정옥옮김, “유리동물원”(범우사, 2010)엄스

소단원 (1) 초토의시 1 구상 “초토의시”(1956)

학습활동 3 산도화 박목월 이남호엮음, “박목월시전집”(민음사, 2003)

소단원 (2) 풀 김수영 “김수영전집”(민음사, 1981)

학습활동 3 벼 이성부 “우리들의양식”(민음사, 1974)

소단원 (3) 비오는날 손창섭 “손창섭단편전집 1”(가람기획, 2005)

학습활동 4 수난이대 하근찬 “한국소설문학대계 37”(동아출판사, 1995)

소단원 (4) 원고지 이근삼 “이근삼전집 1”(연극과인간, 2008)

학습활동 4 오발탄 이범선나소운·이종기각색, “한국시나리오선집”(영화진흥

위원회, 1982)

소단원 (1) 퇴근시간 문정희 “문학과경계”2006년가을호

소단원 (2)난장이가쏘아올린

조세희 “난장이가쏘아올린작은공”(이성과힘, 2000)작은공

학습활동 3 삼포가는길 황석영 “삼포가는길”(창비, 2000)

소단원 (3) 인연 피천득 “인연”(샘터사, 2002)

일요일 바르가스요사 송병선옮김, “붐그리고포스트붐”(예문, 2005)

소단원 (1) 노동의새벽 박노해 “노동의새벽”(풀빛, 1984)

소단원 (2) 외딴방 신경숙 “외딴방”(문학동네, 1999)

바탕이론 나자신의노래 월트휘트먼 “나자신의노래”(지만지, 2010)

소단원 (1) 목마와숙녀 박인환 “박인환전집”(실천문학사, 2008)

등대로 버지니아울프 박희진옮김, “등대로”(솔, 2004)

바탕이론 장자못전설서울도봉구

“한국구비문학대계 1-1”,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0)기용규(구술)

롯이야기 “구약성서”의‘창세기’9장

소단원 (1) 신분 하종오 “입국자들”(산지니, 2009)

학습활동 4연변 1 -천지꽃과

석화 “석화시선집”(연변인민출판사, 2006)백두산

바탕이론 ‘도산십이곡’언학제4 이황 한형조지음, “한국의고전을읽는다2”(휴머니스트, 2006)

소단원 (1) 쉽게씌어진시 윤동주 “유고시집: 하늘과바람과별과시”(정음사, 1948)

바탕이론 모닥불 백석 이동순엮음, “모닥불”, (솔출판사, 1998)

소단원 (1) 모래톱이야기 김정한 “모래톱이야기외”(푸른사상, 2007)

학습활동 5 ㄱ씨와ㅈ양이 강은교 “그대는깊디깊은강”(미래사, 2000)

소단원 (2) 양아록 이문건 이상주역주, “양아록”(태학사, 1997)

학습활동 2 발열 정지용 “정지용전집 1”(민음사, 2003)

소단원 (1) 다듬이 정진권 “한국인의향수”(문리사, 1979)

소단원 (2) 화사 서정주 “미당시전집 1”(민음사, 1999)

내슬픈전설의22페이지 천경자 서울시립미술관

중단원명 소단원명 저자제재명 출처(저작자또는소장자)

이시기의세계문학

이시기의세계문학

1. 격동의시기와현대문학의등장

2. 산업화 이후의과제

1. 동시대의한국문학

2. 외국문학과의영향관계

3. 세계문학으로서의한국문학

1. 문학과성장

3. 문학과문화

2. 문학과공동체

5. 한국현대

문학의

발전

6. 한국

문학과

세계문학

7. 문학과삶

2. 근대문학의확립과위기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82 mac01 T

Page 52: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사진출처 383*

사진·그림 출처

대단원명

1. 한국문학의

태동과형성

2. 한국문학의

성장과발전

3. 한국문학의

성숙과모색

4. 전환기한국문학과

근대문학

6.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5. 한국현대문학의

발전

7. 문학과삶

단원을열며

1. 한국문학의

개념과정체성

2. 한국문학의

형성

이시기의

세계문학

1. 구비문학의

발전과기록

문학의확대

2. 한국문학의

성장과발전

이시기의

세계문학

단원을열며

1. 문학현실의

변화

2. 국문문학의

확대

이시기의 세계문학

단원을열며

2. 근대문학의

확립과위기

단원을열며

1. 격동의시기와

현대문학의등장

2. 외국문학과의

영향관계

2. 산업화이후현대

문학의과제

2. 문학과공동체

1. 문학과성장

3. 문학과문학

바탕이론

(1) 오디세이

(1) 국선생전

바탕이론

(2) 만복사저포기

(2) 도연초

바탕이론

(2) 한중록

(1) 돈키호테

바탕이론

(5) 소

바탕이론

바탕이론

(1) 모래톱이야기

쉽게씌어진시

(1) 다듬이

(2) 시와그림

우리나라민화

무용총수렵도

살수대첩

육두품가옥

‘오디세이’삽화

창포

월인천강지곡

금오신화

퉁소

일본풍속화

안견, ‘몽유도원도’

마인데르트호베마, ‘미델

하르니스의가로수길’

부산진순절도

“유충렬전”, “박씨전”,

“홍길동전”표지

한중록

라만차의풍차

증기기관차

1948년정부수립기념행렬

담쟁이

민들레

6·25 전쟁당시폭격으로

폐허가된거리

‘춘풍의처’공연사진

4장

빈센트반고흐, ‘별이빛나

는밤’

낙동강삼각주

시집“하늘과바람과별과시”

다듬이

천경자, ‘내슬픈전설의

22페이지’

셔터스톡

(www.shutterstock.com)

유로크레온

(www.eurocreon.com)

이미지클릭(www.imageclick.com)

위키미디어커먼스

(commons.wikimedia.org)

유로크레온

유로크레온

collection.nl.go.kr

이미지클릭

셔터스톡

셔터스톡

유로크레온

유로크레온

극단목화

유로크레온

이미지클릭

토픽이미지

(www.topicimages.com)

서울시립미술관

위키미디어커먼스

서정민

(http://blog.naver.com/nio_)

14

16

28

40

63

68

69

76

91

92

96

98

115

124

148

154

182

218, 219

230

232

263

312

350

342

362

367

중단원명 소단원명 사진명·그림명쪽수 출처(저작자또는소장자)

문학(2)08(372~384) 2011.11.26 4:31 AM 페이지383 mac01 T

Page 53: 문학(2)07(332~371) 2011.11.26 4:28 AM 페이지332 …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최지현 서울대학교국어교육과및동대학원졸업(문학박사)

현서원대학교국어교육과교수

최인자 서울대학교국어교육과및동대학원졸업(문학박사)

현신라대학교국어교육과교수

한창훈 제주대학교국어교육과및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과대학원졸업(문학박사)

현전북대학교국어교육과교수

백순철 고려대학교국어교육과및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과대학원졸업(문학박사)

현대구대학교국어교육과교수

안학서 서울대학교국어국문학과졸업

현서울보성여자고등학교교사

김주희 서울대학교국어교육과및동대학원수료

현서울숙명여자고등학교교사

최두호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과및고려대학교교육학과대학원수료

현서울오산고등학교교사

편집 김우열, 전재현,

신현정, 김상희

표지디자인 허영인

본문디자인 최윤창

표지그림 정재국

본문삽화 금정수, 박기종,

박선양, 박준,

이경하, 이현아,

정소연, 정재국,

클로이, 한동훈,

홍동선

지은이약력

고등학교 문학Ⅱ교사용지도서

2012. 3. 1. 초판발행 정가      원

지은이: 최지현외6인

발행인: 지학사  서울시마포구신촌로6길5(등록번호: 제13-11호1957. 3. 18.)

인쇄인: 벽호/ 경기도파주시교하읍야당리501-59

감수기관: 국어교육학회

이 교사용지도서의본문용지는우수재활용제품인증을받은재활용종이를사용했습니다.

내용문의 지학사콘텐츠본부국어팀 전화(02) 330-5403 전송 (02) 325-8004

공급업무대행 사단법인한국검정교과서 서울시강서구공항대로395 기도빌딩4~5층

개별판매안내 사단법인한국검정교과서(02)3663-5409~12 홈페이지주소 www.ktbook.com

지학사 (02) 330-5302 홈페이지주소 www.jihak.co.kr

고등문학(최)지도서2권판권 2012.2.13 4:54 PM 페이지1 mac01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