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17
발레 뤼스(Ballets Russes)발레의 현대화 발레사_8

Upload: others

Post on 27-Jul-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발레사_8

Page 2: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예술의 최전방을 이끌다!

음악가

• 스트라빈스키,

프로코피에프,

드뷔시, 라벨,

사티,

세트/의상디자인

• 브누아, 박스트,

피카소, 브라크,

마티스, 그리스,

미로

각본

• 브누아, 박스트,

장 콕토

Page 3: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발레 뤼스 출신의 무용수들

Tamara Kasavina Leonide Massine Anton Dolin Serge Lifar Frederick Frankin

Vaslav Nijinsky Bronislava Nijinska Ninette de Valois Marie Rambert George Balanchine

Page 4: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최고의 무용흥행사 (impresario)

세르게이 디아길레프 (Sergei Diaghilev)

• 러시아 상류층 출신의 예술애호가.

• 러시아의 회화와 시 관련 잡지 발행하다가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Ballets Russes)을 선보이는 공연기획자가 됨

• 러시아에 대한 통념(이국적이고도 야만적)을 활용하여 특히 파리의 유행을 선두하게 됨

• 당시 최첨단의 예술가들과 협력작업을 통해 “새로운 예술”을 이끔

• “ Surprise Me!” 1872-1929

Page 5: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박스트(Leon Bakst)의 이국적 의상들

Page 6: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남성 무용수들의 재기

Tamara Kasavina Leonide Massine Anton Dolin Serge Lifar Frederick Frankin

Vaslav Nijinsky Bronislava Nijinska Ninette de Valois Marie Rambert George Balanchine

Page 7: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무용수이자 안무가” 발굴

Tamara Kasavina Leonide Massine Anton Dolin Serge Lifar Frederick Frankin

Vaslav Nijinsky Bronislava Nijinska Ninette de Valois Marie Rambert George Balanchine

Page 8: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미셸 포킨 (Michel Fokine, 1880-1942)

• 상트 페테르부르그 왕실학교

출신

• 발레의 상투적, 전형적 형식성에

대한 비판

• 이사도라 던컨의 현대무용에

영향 받아 발레에서의 개혁 추구

• 초창기 발레뤼스 안무가로서

발레뤼스의 개혁성 반영함

Page 9: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새로운 발레의 다섯가지 원칙” (1914년 런던타임즈에 실린 포킨의 글)

1. 움직임은 매 작품마다 주제와 시대, 사회에 맞는 새로운

형태를 창작해야 한다.

2. 극적인 발레의 행위들이 움직임 자체에서 연속적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3. 무용수의 전 신체를 사용하여 아이디어와 감정을

표현해야 한다.

4. 군무는 장식적 존재가 아니라 발레의 주제 발전 및

줄거리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5. 발레에 관련된 모든 예술이 적극적이고 동등한 작업을

통해 하나의 통일된 창조적 힘을 발휘해야 한다.

Page 10: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포킨의 낭만주의적 작품들

<빈사의 백조> (1905) “춤은 몇 분 안에 안무되었다. ...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지만 죽음에 직면한 모든 존재들의 삶에 대한 갈망을 상징하는 시적인 이미지를 창조하는 수단일 뿐이다. 이 춤은 관객의 눈보다는 영혼과 감정을 표적으로 삼고 있다.”

<레 실피드 Les Sylphides>(1907) 전작 <쇼패니아나 Chopaniana>를 각색함 고난도 기술경쟁에서 상실한 시적인 낭만주의의 부활시킴 스토리보다는 분위기에 몰두함으로써 추상발레의 선구작이됨

Page 11: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장미의 정> (1911)

Le Spectre de la Rose

포킨의 낭만적 성향 및 발레작품 관습에 대한 개혁 의지를 잘 드러내는 작품

카사비나와 니진스키

Page 12: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포킨의 “이국적” 발레

<세헤라자데> (1910) 인종간의 성적묘사, 노골적 오리엔탈리즘으로 서유럽 관객취향 사로잡음

Page 13: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포킨의 “민족주의적” 발레

<불새>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긍지를 알리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젝트 작품.

스트라빈스키가 최초로 발레뤼스에 합류한 작품.

러시아적 전설에 나오는 설화를 바탕으로 함.

Page 14: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바슬라브 니진스키

<목신의 오후> (1912)

말라르메의 시, 드뷔시의

곡에 안무.

2차원적 동작, 각지고

발레답지 않은 동작으로

실험

과감한 성적소재로 논란이

Page 15: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봄의 제전> (1913)

• 매년 겨울의 긴 잠에서 깨어나는 이교도 러시아의 이미지를 주제로 함.

• 초연때 단 6회 공연 후 중단됨

• 스트라빈스키의 음악과 작품의 소재는 후대 예술가들의 영감이 됨

Page 16: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초연의 반응(1913)

“야유와 비난이 시작되자, 스트라빈스키는 격노하여 객석을 떠나 무

대 뒤로 가서 공연의 나머지 내내 니진스키의 코트자락을 붙들고 있

었다. 한편 니진스키는 의자에서 일어나 쏟아지는 비난 속에서 러시

아 어로 큰소리로 소리지르며 무용수들의 박자를 맞추었다.”

Page 17: 발레 뤼스(Ballets Russes와 발레의 현대화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Jungokhee/... (1926) 서유럽에 러시아의 예술적 문화적

브로니슬라바 니진스카

<결혼> (1923)

러시아 시골의 결혼풍습 소재로 집단과 개인을 묘사

곤차로바의 암울한 디자인, 의도된 발레테크닉의 결여, 스트라빈스키의 합창곡 등으로 논쟁적 작품이 됨.

Opening E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