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34
※과제번호 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방안에 대한 연구 2012. 7 · 연구책임자: 홍성기(아주대)

Upload: others

Post on 20-Jan-2021

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과제번호 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방안에 대한 연구

2012. 7

· 연구책임자: 홍성기(아주대)

Page 2: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 -

연구과제명

국 문모듈화․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방안에 대한 연구

영 문A Study on a Plan for Developing and Spreading a Realizable

General Education Model

연구참여자공동연구원 : 4 명

연구보조원 : 1 명

연구참여자

인적사항

구 분 소 속 직 위 성 명 연락처

연구책임자 아주대학교 부교수 홍성기

공동연구원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부교수

대우조교수

연구조교수

송하석

정재영

이진희

연 구 비 400 천원 연구기간 2012년 4월 1일~2012년 6월 30일

연 구 결 과 보 고 서

한 국 교 양 기 초 교 육 원

Page 3: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3 -

연구책임자 홍성기 소 속 아주대학교

연구과제명모듈화․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방안에 대

한 연구

본 연구는 교양기초교육원이 교양교육을 개발하고 확산하는 허브가 될 수 있는 방안

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확산에는 중요한 두 요소가 있다. 하나

는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 교양교육의 이념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이며, 다른 하나는 각 대학의 특수성을 고려한 확산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다.

본 연구팀은 이 두 요소를 충족시키는 교양교육 모형으로 체계화와 모듈화를 제시

한다. 이때 체계화란 하나의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많은 학내 자원이 필요

할 경우, 서로 상이한 대학여건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조정이나 변경을 최대한 가능

하도록 설계부터 여러 파라메터의 민감도를 연구, 도입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모듈화란 프로그램의 실행에 여타 학내 자원이 거의 요구되지 않도록 실행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같이 제공하고 동시에 사용목적에 최적화 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체계화된 교양교육프로그램의 실행주체는 대학당국이 되며, 그 효과는

전면적이므로 도입과 실행에 많은 사전 정지작업과 인적, 물적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

이다. 다른 한편 모듈화된 교양교육프로그램의 실행주체는 개별 교수가 될 수 있고,

그 효과는 국지적며 반드시 사용목적에 부합되도록 최적화될 필요가 있다.

만일 넓은 의미의 교양교육의 목표 즉 일반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의 목표에 부합하

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필요에 따라 체계화하거나 모듈화 한다면 각 대

학들은 자신들의 교육 여건에 맞게 프로그램을 변경, 조정하거나 모듈을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제작된 것을 취사선택하여 효율적 교양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기초교육원이 기획하고 있는 연구사업과 열린강좌에서 확산의

전제조건으로 체계화와 모듈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여기에 추가하여 새로운 형태의

모듈화된 교양교육프로그램으로서 토론과 고전교육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이

두 개의 모듈화된 프로그램은 개별적인 교육콘텐츠 공유를 넘어서서 대학 간에 표준

화와 공동개발을 시도하고, 이 프로그램의 운영 허브의 역할을 교양기초교육원이 담

당한다.

본 연구팀은 토론교육 모형으로는 대학 간 비교과 토론을 중심으로 하는 옥스퍼드

식 토론 교육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고전교육 모형으로는 각 고전에 대한 해제, 발체,

CBT(Computer Based Test)가 하나의 모듈을 구성하는 고전교육 모형으로 구성하였

다. 또한 이러한 토론교육과 고전 교육에서의 교양기초교육원의 역할을 토론의 경우

에는 KIUDP(Korean Inter-University Debate Plattform)의 구축과 운영, 고전의 경우

에는 한국의 Gutenberg 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 연구요약문

Page 4: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 -

○ 본문

모듈화․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방안에 대한 연구

<목차>

1. 연구계획

2. 연구목적

3. 연구내용

가. 체계화 및 모듈화를 통한 한국교양기초교욱원의 연구자료 확산조건

1) 체계화를 통한 확산

2) 모듈화를 통한 확산

나. 모듈화된 비교과 토론 프로그램

1) 옥스퍼드식 토론의 특징

2) 국내 대학의 토론 교육

3) 옥스퍼드 토론의 변형과 온라인 토론

4) 옥스퍼드식 토론 프로그램에 기초한 Ajou Debate 5) KIUDP (Korean Inter-University Debates Plattform)에 기초한 교양기초교

육원의 토론교육 및 확산

6) 모듈화된 KIUDP가 각 대학에 요구하는 자원

다. 모듈화된 고전 교육

1) 한국 대학의 고전 교육 현황

2) 아주대학교 고전 교육 프로그램

3) 고전 교육의 허브로서 교기원

4) 한국형 Gutenberg 프로젝트가 각 대학에 요구하는 자원

4. 결론

Page 5: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 -

1. 연구계획

현재 대부분의 대학들이 우수한 교양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인적, 물적 자원의 한계로 그 실효성을 장담하기 어렵다. 특히 한 대학에서

만 구체화될 수 있는 교양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나 그 구체적 사용이 전제되지 않은

열린강좌(Open Course Ware)의 양적증가는 대부분 비효율적이다.이러한 현실 인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들이 현실적 제약들 속에서

도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이 실제로 시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양교육모형을 제시하

기 위한 조건을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확산 가능한 교양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한

국교양기초교육원이 교양교육을 개발하고 확산하는 허브가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본 연구팀은 이러한 효과적인 교양교육 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해서는 모듈화, 체계

화가 반드시 필요하며, 모듈화에 근거한 구체적인 확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듈화, 체계화에 근거한 교양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이유는 두 개다. 하나

는 국내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 간 교육

프로그램의 공유가 생각보다 어렵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대학에 따라 매우 큰

차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

이 정리될 수 있다:

가) 창의적 지식 기반 사회에 맞은 교양교육이 요구되지만, 현재 국내의 대학들이

이러한 요구를 실현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대부분의 대학들에서 창의적 지식 기

반 사회에 맞는 교양교육의 목표를 제시하는 것을 볼 때,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인식

하고 있지만 이러한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자원의 부족으로 효과적 방안이 있더라

도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나) 교양교육 전담 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교양교육에서는 상대적으로 시간

강사 의존도가 높을 뿐 아니라 전임교원의 경우에도 교양강의 보다는 전공, 대학원

의 교육 및 연구에 절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할애하는 것이 현실이다.

다) 대학사회에서 교양교육은 교수나 학생들에게 일상생활에 있으면 바람직한 상

식을 전수하는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어, 교양교육의 혁신에 필요한 동기 확보가 교

수와 학생 층 모두에 매우 부족하다. 결과적으로 대학에서 맡고 있는 강의부담에 비

해 할당되는 자원이 지극히 부족하다. 결국 동기결여와 자원부족이 서로 맞물려 교

양교육의 질 하락이라는 악순환을 일으키고 있다.

라) 교양교육의 경우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한다는 특성상 상대적으로 수강

인원이 많다. 그러나 학생들의 수요와 사회적 수요 그리고 대학의 현실을 감안한다

Page 6: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3 -

면, 교양교육의 수강인원의 일괄적인 축소는 비현실적이다.

마) 몇몇 대학을 제외하면, 교양교육에 대한 통합적 관리 및 평가 시스템이 존재

하지 않는다. 특히 교양교육의 특성을 감안한 평가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문제는 상대적으로 인적, 물적 자원이 열악한 중, 소 규모대학

에서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교양기초교육원이 이러한 대학에 적용 가능한

교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산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특히 교양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초기부터 이러한 확산을 전제로 해야만 효율적인 교양교육프로그램의 개

발이 가능하다.그러나 교양교육 프로그램의 확산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대학 간에 공유가능한 프

로그램의 디자인이 필수적이다. 현재 대학 간에 학점 교류 프로그램이 있는 것은 사

실이지만, 실제로 그것은 동일한 프로그램이 두 대학 이상에서 실현되는 것이 아니

라 하나의 강의를 여러 대학이 공동사용하는 것으로서, 확산의 개념과는 차이가 있

다. 이러한 공유프로그램의 부재는 비단 대학들의 폐쇄적 문화뿐 아니라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각 대학의 특성에 맞지 않는다는 것, 본질적으로 구상되는 단계에서부터

실행에 필요한 현실적 조건을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지하듯, 국내의 대학들이 교육 여건은 매우 상이할 뿐 아니라 대학들의 교육 목

표 및 이념들 역시 매우 다양하다. 그런데 이러한 대학의 교육 여건과 각 대학이 추

구하는 교육목표와 이념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프로그램은, 그것이 아무리 좋은 프로

그램이라고 할지라도 대학 간 공유를 기대하기 어려울뿐더러 공유한다고 하더러도

소기의 성과를 기대하기는 더욱 어렵다. 그리고 이 점이 교양교육 프로그램을 공유

하기 위해서는 연구단계부터 체계화 내지는 모듈화가 필요한 이유이다.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교양교육의 목표에 부합하고 확산을 전제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부터 그것이 실현될 수 있는 조건을 분명히 하여 여

러 상이한 조건하에서 프로그램을 어떻게 재조정, 변경할 수 있는지를 같이 제공하

는 체계화를 실현한다면, 각 대학들은 자신들의 교육 여건에 맞는 교육체제나 프로

그램을 취사선택하여 효율적 교양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아주 좋은 환경

에서만 실현가능한 교양교육체제나 프로그램은 확산가능성이 극히 적어 연구 자체

가 시도되지 않아, 그 만큼 확산가능성이 높은 교육개발 연구에 자원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듈화를 통해서 추가 자원이 거의 요구되지 않는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할 경우, 각 대학은 물론 교수나 수강생의 차원에서 필요에 부합하는 교양

교육 모듈을 부담 없이 선택하여 교육효과를 높이고 또 그 평가를 객관화 할 수 있

다.체계화와 모듈화는 단지 확산의 성과뿐 아니라 교양교육의 질 개선에도 중요한 요

소로 작용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교양교육은 일반교육의 특성을 갖는다. 그래서

많은 경우 교양교육의 목표는 매우 추상적으로 설정되기 쉬우며, 이러한 추상적 목

Page 7: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4 -

표설정은 교양교육에 대한 체계적 접근과 개선을 가로막는 장애로 작용한다. 그러나

체계화와 모듈화는 교양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평가를 구체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아래, 본 연구팀은 교양기초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사

업 중에서 연구기획에서 체계화 결여가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또 각종 OCW의

확산을 막는 문제점으로서 모듈화의 결여를 지적하였다. 동시에 교양교육프로그램의

확산에서 OCW의 모듈화나 교육체제의 체계화와는 별개로, 여러 대학이 공유하고

공동개발할 수 있는 모듈화된 토론프로그램 및 고전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지식창출의 대중화의 폐해를 극복하는 두 가지 방법은 고전교육의 전면적 도입과,

대학사회의 구성원 모두가 민주적으로 참여하는 On-line 토론 프로그램이다. 이때

평생학습의 일환으로서 고전교육의 필요성은 이들이 지식창출과정에서 일종의 검증

된 배경지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 토론 프로그램은 지식선별, 비판적 사고, 예의 및 글쓰기 능력 모두를 종합적으로 요구하는 장이며 이 둘은 적극적 진술능력 배

양을 위한 기둥이다.

어쩌면 당연한 결과로서 교양교육은 多讀, 多作, 多商量이라는 송나라 문인 歐陽脩의 좋은 글쓰기 방법론과 대략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이 변하지 않는 한 ‘인간만들기(Menschenbildung)’로서 교양교육(Bildung)의 본질 역시 크게 바뀔 수는 없

다. 우리는 토론과 고전교육의 허브, 즉 多商量의 중심지로서 교양기초교육원이 기능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2. 연구목표

본 연구의 목표는 국내 중소규모 대학의 현실을 반영한 확산 가능한 교양기초교육

원의 프로그램 개발 조건으로서 체계화와 모듈화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유

가능한 모듈화된 토론 프로그램과 고전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모색하면서, 교양기초

교육원이 허브가 되어 확산시킬 수 있는 토론과 고전교육의 구체적 프로그램을 제

시하고자 한다. 우선 교양기초교육원의 각종 프로그램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조건으로서 체계화와

모듈화에 대해서는 그 대강(大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왜냐하면 교양기

초교육원의 연구기획총람에 수록된 여러 연구프로젝트들은 내용적으로 상이하여 체

계화 내지는 모듈화의 필요성이 있다하더라도 세부적인 분석은 아마도 그 연구결과

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가능하거나, 더 바람직한 것은 연구자 스스로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토론의 경우 토론교육의 기본에 충실한 옥스퍼드식 토론교육 프로그램을 웹공간에

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구체화할 것이며, 고전 교육의 경우에는 발제, 해제, 평가가

Page 8: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5 -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고전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토론 및

고전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에 기초해서, 교양기초교육원이 수행해야할 토론 및 고전

프로그램의 과제로 토론의 경우에는 KIUDP(Korean Inter-University Debate Plattform)의 구축과 운영, 고전의 경우에는 한국의 Gutenberg 프로젝트를 제안할 것

이다.KIUDP란 각 대학이 공유하고 참여하는 토론공간으로, 교기원에서 토론의 기획 및

운영을 주관하는 것이며, 한국의 Gutenberg 프로젝트는 다양한 고전들에 대한 발제, 해제, 평가의 시스템을 교양기초교육원이 마련하여 고전교육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3. 연구내용

가. 체계화 및 모듈화를 통한 교양기초교육원의 연구자료 확산방안

1) 체계화를 통한 확산: 한 기관 또는 대학에서 개발한 교양교육방식을 체계화를 통

해 확산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그 교육방식을 받아들이는 대학에서 이런 새로운 교육

체계를 실행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조건들의 도입, 조정, 변경, 삭제 등이 필요한 경우

를 말한다. 예를 들어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에서 흔히 채용되고 있는‘영역별 교양’ 방식을‘융복합형 교양’으로 바꾸는 것은 교양교육체제의 변경에 해당되나 그 성패

여부는 매우 많은 조건들에 달려 있다. 즉 학생들의 수준과 관심도, 교수들의 관심과

능력, 관련 학점과 학칙 그리고 무엇보다도 대학의 규모와 투입 가능한 인적-물적 자

원 및 기존의 전임-비전임 교수들의 수, 그리고 정량화 불가능한 ‘교수 사회의 의사

소통정도’우리는 어떤 교육체계의 실현에 필요한 제반 조건을‘교육체계-인프라’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놀랍게도 어떤 교육방식을 실행하고 확산하는 데에 교육체계-인프라가 필수적이라는

당연한 사실이 한국의 교육현장에서는 너무 쉽게 망각되고 있다. 특히 외국대학에서의

교육프로그램을 한국대학에 이식시키려는 시도는 도처에서 볼 수 있지만, 이런 시도가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요구되는 인프라에 대한 몰이해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것은 마치 한국의 대학입시제도가 유형, 무형의 관련 인프라에 대한 무관심

으로 인해 매년 바뀌는 것과, 즉 실패하는 것과 매우 흡사하다. 이점은 각종 선거에서

출현하는 교육관련 공약에서도 그대로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정책연구의 주

체는 교수이며 이들에게는 연구결과를 제출하는 것으로서 이 연구와 관련된 이해관계

가 소멸되므로 연구결과의 확산은 물론 실행에도 관심이 없는 경우가 적지 않다. 치밀한 체계화가 요구되는 자원 요구성 교육체제의 도입이나 실행은 교수 개인의 결정이

아니라 대학 당국의 결정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실제 상황에 무관심한 경우가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정책연구와 실행을 담당하는 교수가 서로 다를 경우, 정책연구의

Page 9: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6 -

연구기획 확산과 관련된 언급

1. 교양교육의 위상 및 교육과정-학사구조 선진화 방

안 (일종의 자료수집 및 분석 연구, 필자주)

․국가 별로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이 상이한 이유를

체계적으로 설명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에서의

교양교육 시스템 비교, 분석

2. 쌍방향 (In/Out Bound) 국제화 시대의 바람직한 대

학 교양교육과정연구

․개발된 교양교육과정 모델은 전국 대학으로 확산하여

대학이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게 목적

3. 대학 교육목적 유형별 기초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

․우리나라 대학이 선택 운영할 수 있는 교양교육과정의

모델 제시

․개발된 모델의 현실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

4.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모형 개발․교양-전공 연계교육 모델의 공유 및 확산을 통해

학부교육 혁신에 이바지

5. 이공계 통합인문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통합인문사회 교육의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 뒤 전체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

6. 전공 연계 글쓰기 교육과정 개발

․전공 연계 글쓰기(WAC) 교육 방식을 국내 대학에

도입하기가 그리 쉽지 않은 이유는 전공 교수들의

교양교육에 대한 무관심, 빈약한 ‘대학의 글쓰기

문화’와 교육 역량 그리고 넉넉지 못한 재정 등이

주된 요인이지만, 재정부족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은

대학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반드시 타파해야

할 관행적 의식

결과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점은 이를 웅변한다.따라서 교양교육 체계와 관련된 연구 내용 혹은 교내의 자원을 상당히 이용하는 교

육프로그램의 도입에는 반드시 이 체계의 실행, 확산에 필요한 제반 조건을 명시해야

한다. 마치 특정 OS와 특정 컴퓨터 사양이 갖추어진 상황에서만 특정 프로그램이 원활

하게 작동함을 명시하거나 서로 상이한 번전의 OS하에서도 작동함을 보장하는 것이

소프트웨어 매매에 필수적인 것과 마찬가지이다. 물론 어떤 교육체제나 프로그램의 도

입이나 확산이 매우 바람직할 경우는 많다. 그리고 이런 교육체제-교육프로그램의 도

입과 동시에 인프라 구축을 시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설사 물질적 자원이 확보되더라

도 다른 인프라의 결여로 화려하게 보이는 교육프로그램이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되는

경우는 흔하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2011년 9월에 공개한 『기초교양교육강화사

업 연구기획 총람(제1차년도)』의 「I. 교양기초교육 과정 관련 연구」에 수록된 6개의

연구계획서에는 확산가능성이 연구목적의 하나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이 제안하거나 조사하려는 교양교육과정이 작동하기 위한 제반 조건, 즉 ‘교육체계-인프라’를 연구내용의 주요부분으로 제시한 연구기획은 거의 없다. 대부분‘우리학교

를 위해 개발한 모형이 타 대학으로 확산되려면 조정 및 변경이 필요할 것이다’라는

상식적 직관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따라서 이런 연구들의 결과에 대한 관심과 연구결과에 대한 확산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우선 연구자는 개발한, 연구한 교육체제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최소한 어떤 자

원이 얼마만큼 요구되는 지를 밝혀야 한다. 또한 인프라의 일부가 결여되어 있을 때

Page 10: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7 -

어떻게 관련 파라메타를 조정, 도입된 프로그램을 변형시킬 수 있는 지를 제시해야 한

다. 이런‘교육체계-인프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할 수 있는 연구결과만이 실현 및

확산 가능성이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지 이론이나 아이디어 차원에서 제시되었

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문제는 대부분 모형 제시에 불과한 연구가 어떻게 확산에 필

요한 구체적인 조건들을 제시할 수 있을까? 사실상 없다. 여기서 교육프로그램 확산은 실행과 운영에 대한 경험축적을 전제로 한

다는 점이 거의 망각되었다. 그러나 ‘교육체계-인프라’에 대한 종합적 판단은 상점

에서 물건을 살 때 가격을 파악하는 것처럼 필수적이다. 또한 상품구매에서 고가 혹은

저가의 물건만이 선호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는‘가격 대비 만족도’,‘가격 대

비 성능’이 구입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처럼,1) 확산을 위해서는 실행된 프로그

램에 대한 평가지표설정과 달성이 필수적이다. 바꿔 말해 확산을 요구하거나 제안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는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프로젝트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중요

한 점은 장기적 프로젝트인‘프로그램개발-실행-평가-확산’의 과정에 설계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어떤 교육체계-인프라를 요구하는 지를 연구의 중심에 놓는 체계화 작

업을 처음부터 도입하는 것이다. 그것은 결코 다른 모든 연구가 끝난 뒤 ‘전문가와의

좌담’을 통해서 검토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는 성격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런 전문

가는 최소한‘유사 프로그램개발-실행-평가-확산’을 경험한 사람일 것이나, 그렇다면

그 프로그램을 다시 개발할 필요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차라리 하나의 교육프로그

램 개발을 서로 상이한 환경의 대학들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실행-평가하여 여러 파라

메터의 민감도를 측정하여 체계화를 제시하는 것이 확산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

는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2) 모듈화를 통한 확산: 한 기관 또는 대학에서 개발한 교양교육 프로그램을 모듈화

를 통해 확산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그 프로그램을 받아들이는 대학에서 실행을

위하여 요구되는 조건이 매우 적고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경우를 말한다. 상품의 매

매와 관련된 비유를 사용한다면, 가격이 거의 없거나 구입자가 많을수록 가격이 떨

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모듈화를 통한 프로그램의 확산에서는 반대급부가

없는 확산 자체가 그 프로그램의 개발자에게 유리한 환경을 형성해야 한다. 일단이런 프로그램의 예로서는 현재 무료로 접근이 가능한 수많은 열린강의, 이른바

OCW(Open Course Ware) 들이 있다. 현재 교육과학기술부는 Korea OCW(http://www.kocw.net)를 통해서 대학에서 개발한 OCW 및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

을 받은 콘텐츠를 무료로 공개하고 있다. 이때 OCW의 확산이 관련기관에게 주는

이익이란 아마도 그 기관에 대한 유리한 평가에 있다고 보인다. 다른 한편 OCW의

수요자는 대부분 관련 강의들의 교수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한 연구에 의하면 실

상은 상당히 다르다.

1) 대부분의 교육관련 정책연구에 요구되는 ‘투입-산출모형(Input-Output-Model)’이 있지만, 이것은 대부분 한 대학 내에서 형

식적으로 작성되어 대학 간의 확산모형에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Page 11: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8 -

학생들이 개별 학습 목적으로 주로 사용될 뿐 교양과목을 포함한 각 대학의 정규 교

과목 운영에 공동 활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렇게 공동활용이 제한적인 이유는

콘텐츠 개발이 특정 대학, 특정 강좌에만 적합하도록 개발된 경우가 많아, 타 대학에

서 이를 활용하기가 쉽지 않고, 무엇보다도 일반 강의실 수업을 고려하지 않고 100% 인터넷 상에서만 강좌가 운영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2)

그러나 위 논문의 저자의 주장과는 달리 동영상으로 제작된 많은 OCW는 인터넷 전

용강의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일반 강의 혹은 특별강의, 심포지움 등 강의실 강의를

동영상화하여 공개한 것이다. 물론 온라인용 특정 제작도구에 의해 만들어진 OCW는 인터넷 상에서 운영되는 사이버강의를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대학의 정규

강의로 이런 OCW의 확산이 되지 않는 이유는 좀 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산에 장애가 되는 몇 가지 이유를 추측할 수 있다.

가) OCW는 대학의 정규강의(오프라인, 온라인)를 대신하기 힘들다: 대학강의의 특성

상 강의자가 성적평가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한편 OCW가 강의를 대신하려면

성적평가자료를 확보해야 하는 데, 이를 위해서는 OCW의 제작자 이외의 강의자가 있

어야 하며, 그것은 OCW의 활용이 현실적으로 정규강의의 대치가 아니라는 점을 말한

다.

나) OCW는 정규강의의 보조교재로 활용되려면 강의에 따르는 적절한 제작 방식이 필

요하나, 현재 OCW는 그렇지 못하다: OCW를 보조교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를 사용하든지 아니면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PC가 필요

하다. 단순히 강의실 장면을 동영상으로 찍은 경우에도 여러 가지의 질적 차이가 있으

며, 온라인 강의도 제작도구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확산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교양

기초교육원이 제작한 OCW를 포함해서 KOCW에 공개된 자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사례 1)

그림 1 작크 데리다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강의

프랑스의 유명한 철학자 데리다의 강의는 비교적 작은 공간에서 1대의 카메라에 의

2) 권성호, 방선희, 이준, 한승연,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이러닝(e-learing) 활용 방안 연구:대학 간 콘텐츠 공동활용을 중심으

로」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1호), 2012, 9~32쪽

Page 12: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9 -

그림 2 울산대의 ‘현대사회학의 사상과 이론’

그림 3 서울대의 ‘미술론 입문’

해 3종류의 화각으로 촬영되었다. 어떤 자막도, 다른 영상물도 삽입되지 않았기에

이런 방식의 OCW는 제작이 극히 간단하다. 사람들은 데리다의 아우라(Aura)가 스며

든 강의를 주의 깊게 청취하는 것으로 족하다. 이때 동영상에서 데리다의 출현은 그

자체가 주요 콘텐츠이며, 단순히 음성파일이 줄 수 없는 생생한 인상을 주지만, 일종의 명사에 대한 기록물을 보는 측면도 있다.

사례 2)

울산대 석좌교수인 신용하 교수가 강의하는 모습을 1대의 고정 카메라로 찍은 것으

로 교수의 모습 보다는 PPT파일이 많이 삽입되고 있다. 그러나 PPT에는 너무 많은

정보가 담겨 있어 스마트폰으로 볼 경우에는 그 글씨가 지나치게 작아진다. 다른 한

편 신용하 교수 특유의 억양으로 강의는 생각보다 지루하지 않다.

사례 3)

서울대의 ‘미술론 입문’은 1개의 카메라로 화각을 고정하고 강의자를 따라 패닝

(panning)하는 수준에서 촬영을 한 후 필요한 자료를 삽입하였으나, 그 배경 디자인

은 미술론 강의에 어울리지 않는 낮은 수준이다. 강의자는 빈번하게 프로젝터를 사

용하면서 시선을 바꾸고 있지만 OCW에는 이점이 잘 반영되지 않고 있다. 또 카메

Page 13: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0 -

그림 4 덕성여대 ‘경영전산처리’

덕성여대의 ‘경영전산처리’는 1개의 카메라로 화각을 고정, 강의 중에 조금도 변

하지 않는다. 또한 강의자가 영사막을 보더라도 OCW에 전혀 반영이 되지 않음은

물론, 음성 또한 카메라의 내장마이크를 사용하여 잘 들리지 않는다. 이런 OCW는

사실 보조교재로 사용하기가 매우 힘들다.

그림 5 충남대 ‘그리스 신화 속의 사랑’

라 화각은 강의자를 영사막 귀퉁이로 고정하여 매우 답답한 느낌을 준다.

사례 4)

사례 5)

충남대의 ‘그리스 신화 속의 사랑’ 역시 온라인 제작툴에 의해 제작되었고, 스마

트 폰에서는 식별이 어려울 만큼 작은 글씨로 쓰여져 있다. 또한 제작툴의 디자인은

대학교의 강의와는 어울리지 않는 키치와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음성은 매우 잘

녹음되어 내용 전달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사례 6)다음의 두 강의는 모두 온라인 강의 제작 툴을 사용하였다. 왼쪽의 계명대의 경우에

는 이동이 가능한 조그마한 동영상 화면에서 강의자를 보여 주지만 강의의 내용이

Page 14: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1 -

그림 7 외국어대 ‘중급태국어 문법’

그림 6 계명대학교 ‘기초논리학’(左), 강원대 ‘논리와 사고’(右)

나 집중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오른쪽의 경우에는 Flash기반으로 각종 개념

설명이나 퀴즈풀이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데, 스마트폰에서는 거

의 사용이 불가능할 만큼 글씨가 작다. 특징적인 점은 ‘(비형식)논리학’의 경우 강

의 내용이 표준화 되어, 만일 매우 잘 만든 OCW가 있다면 그 수요가 상당히 많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KOCW에 공개된 3,500 여개의 국내대학 강의에서 불과 4개밖에 없다.

사례 7)KOCW에는 수많은 국내 대학강의가 Adobe PDF 파일로 제공되고 있다. 일종의 강의

노트와 다를 바가 없으며, 어떤 경우에는 한글파일을 그대로 PDF 전환한 것도 있다.

외국어대학의 ‘중급태국어 문법’강의에는 음성이 제공되지 않고 있어, 어학강의의

경우 보조교재로 활용하는 것은 매우 제한적인 의미만을 지닐 수 있다.

다) 위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현재 OCW가 제공되는 방식이 매우 많지만, 그 질과

내용도 천차만별이며, 실제 대학에서 수요가 많은 강의가 많이 제공되는 것도 아니

다. 따라서 어떤 경우 관련 서적을 보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관련 책을 보는 것보다 동영상 OCW를 듣는 것이 더 효율적이거나 책이 주지 못하

Page 15: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2 -

는 측면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제작이 결코 쉽지 않은 OCW를 만들 필요도 확산시

킬 필요도 없다. 또한 온라인 제작도구에 의해 만들어진 OCW는 스마트폰과 같은

새로운 매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제작되어 확산가능성이 제한되고 있다. 한마디로

기존의 OCW는 충분히 모듈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양기초교육원에서 제작을 의뢰한 OCW가 보다 쉽게 확산되기 위해서는 첫

째, 주제 선택에 있어서 수요조사와 함께 기왕에 제작된 OCW의 질적, 양적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둘째 그 사용목적에 부합한 제작방식을 선택하고 최종 결과물 역시

이에 상응하게 만들어야 한다. 또한 정규강의의 부교재로 사용된다면 굳이 14~16개의 OCW를 만들 필요도 없다. 다른 한편 도구과목의 경우 강의자의 얼굴이 지속적

으로 삽입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교수의 내레이션 자체가 주요 콘텐츠일 경우 강의

실에서 촬영할 필요도 없으며 연구실에서 제작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오프라인 강의를 동영상화 할 경우, 적절한 강의실에서 카메라의 수를 늘려 다

양한 화각과 시각에서 촬영하여 편집을 하여, 마이클 샌들의 「정의란 무엇인가」처

럼 ‘확산성’이 큰 수준의 작품을 만들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의 OCW에는 자기

학습도구로 사용가능하도록 Quiz나 수업점검과 피드백 장치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중요한 점은 OCW의 모듈화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표준화된 제작 방식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관점에서 앞에서 언급한 교양기초교육원의 2011년 『연구기획총람』 의 「Ⅱ. 교양기초교육 교과목 관련 연구」에 포함된 <튜터 부재 대학 수학교육 모델개발>은

모듈화된 OCW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우선 현재의 대학입시제

도 하에서 문과생의 이공계 지망이 가능하고, 수능시험에서 미적분과 물리가 이공계

필수가 아니라는 점에서 한국의 중상위권 대학에서도 기초과학교육이 큰 난관에 부

딪히고 있음에 착안하여, 교육현장에서의 수요에 부응하는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 있

다. 또 이런 상황은 물리학의 경우에도 동일하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성과에 유사한

연구와 OCW가 추가로 제작-확산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그 결과물이 내용에 있어

서 얼마나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차별화되어 있고, 제작형식에서 충분히 높은 수준

에 이를 것인지, 스마트폰과 같은 새로운 매체에 적합한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만일 또 다른 기초수학강의의 녹화에 불과하다면 튜터를 대신할 수 있을 만큼 성과

가 없을 수도 있다.

확산가능성에서는 모듈화된 개별 OCW가 훨씬 더 높지만, 이때 확산의 효과는 국

지적이다. 바꿔 말해 교육체제의 변화와 같은 구조의 변화가 아니며 교양교육의 전

반적인 개혁을 위해서는 체계화된 교육체제나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여기서 우리는

모듈화 되어 쉽게 확산가능 하지만 그렇다고 국지적인 효과를 넘는 프로그램의 사

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그것은 표준화와 대학 간의 공동개발을 모듈화에 추가하

Page 16: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3 -

고, 그 운영을 교양기초교육원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나. 모듈화된 비교과 토론프로그램

대학 간 전파 가능한 토론 프로그램으로서 우리는 옥스퍼드 방식의 비교과 토론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교양기초교육원에서 옥스퍼드 토론 방

식에 기초한 KIUDP(Korean Inter-University Debates Plattform)을 구축하고 이 플랫

폼을 기반으로 대학 간 비교과토론 프로그램을 각 대학으로 확산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안의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양교육에 적합한 효과적인 토론

프로그램을 개발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각 대학의 교육현실에 적합한 방식으로 정

착되기 위해서는 비교, 평가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양기초교육원 중심으로

토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대학 간 비교과 영역에서 운영 후 각 대학으로 전

파하는 것이 효율적이다.다음으로, 대학 내 토론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면서 여러 대학이 공유할 수 있는

토론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점은 토론 교육의 목적과 관련되는

데, 대학에서의 토론 교육의 목적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이

우수한 의사소통능력, 논리적 분석 능력에 기초한 합리적,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물론 상기한 토론 능력을 기르기 위한 다양한 토론교육 프로그램이 이미 제안되었

다. 그러나 고등교육기관이라는 대학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토론교육은 단순한 수사

적 능력이나 말싸움에 가까운 논쟁술을 기르는 것이 아니다.3) 그래서 토론교육은 1) 주어진 문제에 대한 정확한 분석, 2) 관련된 자료에 대한 충분하고 객관적인 조사와

분석. 그리고 그것에 기초하여 3) 상대방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비판하고 문제 해결

에 기여할 수 있는 합리적 대안의 제시에 중점을 두어야 함은 분명하다. 결국 토론

교육의 목적은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종합적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합적 의사소통능력은 단순히 발표와 토론의 기술을 익혀서

논쟁에서 승리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토론 교육은 많

은 경우 의제 설정능력, 문제해결능력 등 종합적 의사소통능력 보다는 논쟁에서 이

기는 기술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교양기초교육원의 토론프로그램은 다음 사항을 감안하

여 구성되어야 한다.

• 정확한 문제설정 능력: 교육기관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토론 조정자의 도움이 효

과적일 수 있다.

3) 이것이 플라톤의 수많은 대화에 나오는 대화(Dialogue)의 의미이며, 그것은 승리만을 목적으로 하는 투기(Agon)과 구별된다.

Page 17: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4 -

• 논리적 분석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 주어진 문제에 대한 정확한 분석 및 관련된

자료에 대한 충분한 조사와 분석. 그리고 그것에 기초한 문제해결 전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 합리적 비판 능력: 토론 참여자들이 문제해결이라는 공동의 과제 아래 문제해결

에 기여하는 합리적 비판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 토론 결과의 반영: 합리적 토론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주장을 단순히 제

시하는 것이 아니라, 토론 결과를 반영한 수정 및 재반박이 이루어져야 한다.

• 토론에 대한 평가 및 합리적 수용: 토론 결과에 대한 합리적 수용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 아래 현재 국내외 토론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옥스퍼드식 토

론 프로그램이 가장 적합한 토론교육프로그램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대학

간 비교과토론 플랫폼인 KIUDP에 기초하는 교양기초교육원의 토론 프로그램은 온라

인으로 실행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이기 위해 다음 장들에서 옥스퍼

드 토론의 장점과 단점을 소개한 후, 특히 확산가능성 및 대학 간 토론의 가능성을

기준으로 국내 토론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에 기초해

서, 옥스퍼드 토론 프로그램을 응용한 아주대학교의 토론 프로그램을 소개한 후

KIUDP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1) 옥스퍼드식 토론의 특징

옥스퍼드 토론(Oxford Union Dedate)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토론프로그

램으로 1823년 옥스퍼드 학생조합(Oxford Union)에서 시작된 프로그램이다. 또한 현

재 전 세계 대학들에서 표준으로 삼는 토론 형식들은 대부분 옥스퍼드 토론에 기초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옥스퍼드식 토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옥스퍼드 토론은 주제의 제한이 없는 찬반 토론 형식을 취한다. 토론 규칙은 중재

자(moderator)가 제안(motion)을 하고 찬성과 반대 진영을 소개하며, 찬성과 반대 측

은 각각 3회의 발표기회를 가지며 토론이 끝난 후 청중들의 투표를 통해 승부를 가

리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옥스퍼드식 토론의 온라인화를 「이코노미스

트」지의 토론에서 확인할 수 있다.

1-1) 옥스퍼드식 토론의 장점

옥스퍼드식 토론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중재자에 의한 논점제시를 통해 효

Page 18: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5 -

율적 토론을 진행할 수 있다. 토론 과정에서 흔히 확인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는

찬성과 반대 측이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해 논의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옥스퍼

드식 토론에서는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중재자가 일반적인 문제 설정뿐 아니라 첫

번째 발표와 토론 후 그 내용을 정리 및 평가하면서, 두 번째 발표를 중재하도록 할

예정이다. 따라서 전체 토론 과정에서 논점을 이탈하거나 잘못된 논거에 의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다음으로 옥스퍼드식 온라인 토론은 찬성과 반대 측이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데 적합하다는 것이다. 인터넷상에서 운영되는 옥스퍼드식 토론은 상대적

으로 지면의 양이 충분하다. 따라서 토론 참여자들은 자신의 주장을 객관적 근거에

입각해서 펼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기존 토론, 특히 대회

형 토론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옥스퍼드식 토론에서는 충분한 지면 및 3회에

걸친 토론 과정에서 토론 참여자들에게 주장의 근거 및 인용 자료의 객관성을 요구

하는 한편 구체화된 논증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토론 참여자들의 분석 및 논리적 재

구성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옥스퍼드 토론의 또 다른 장점은 자신의 주장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갖는다는 것

이다. 옥스퍼드식 토론은 총 3회의 발표기회를 갖는다. 따라서 최초의 자신의 주장

에 대해 반대 측 및 패널들의 평가에 기초한 반성의 기회가 제공된다. 이점이 옥스

퍼드식 토론의 매우 중요한 장점 중 하나이다. 일회성 주장이 아니라 자신의 주장을

토론 참여자들과 함께 논의하고, 그러한 논의에 기초해서 자신의 주장을 재구성하는

것은 문제해결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학생들에게 자신의 주장을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고 및 논리적으로 제시하도록 유도할 것이다. 또한 옥스퍼드식 토론은 토론 결과에 대한 합리적 수용을 요구하기에 적합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제한된 시간에 이루어진 토론을 통한 토론 결과를 수용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총 3회에 걸친 토론 및 패널들의 투표로 구성된 옥스퍼드식 토론은 토

론 참여자에게 토론 결과를 수용하도록 요구하는 충분한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합

리적 토론과 토론 결과에 대한 승복이라는 민주적 가치를 교육하는 데 보다 효과적

이다. 마지막으로 옥스퍼드식 온라인 토론은 많은 학생들이 토론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장

점을 갖는다. 현재 많이 시행되고 있는 대회형 토론은 찬성과 반대 토론자들 이외의

학생들은 대부분 관객의 입장에서 토론을 지켜본다. 그러나 옥스퍼드식 온라인 토론

은 찬성과 반대 투표를 통해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기회를 보장한다. 더 나아가서

온라인 옥스퍼드토로은 이러한 찬/반 투표 이외에도 댓글을 통한 토론 참여를 개방

함으로써 학생을 비롯한 모든 구성원들이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할 수

있다.

1-2) 옥스퍼드식 토론의 전제

Page 19: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6 -

옥스퍼드식 토론을 도입할 경우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것들이 존재한다. 우선

찬성과 반대측 토론 참여자의 동기가 충분하지 않다면, 좋은 토론을 기대하기 어렵

다. 총 3회에 걸친 토론과 토론 결과에 대한 수용을 전제하는 옥스퍼드식 토론은 토

론 참여자들, 특히 찬성과 반대를 주장하는 토론 참여자들에게 상대적으로 많은 시

간과 사고를 요구한다. 이점은 위에서 지적했듯이 옥스퍼드식 토론의 장점이다. 그러나 동기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과정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기대하기 어렵

다. 그러므로 시상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그리고 옥스퍼드식 온라인 토론은 중재자가 없으면 좋은 토론이 되지 못한다는 특

징을 갖는다. 옥스퍼드식 온라인 토론에서는 중재자의 역할이 매우 크다. 옥스퍼드

식 토론의 매우 큰 장점은 사회자가 문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적절한 찬성과 반

대측 발표자를 초대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두 요소가 잘 구성되지 않으면 토론의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중재자는 교수나 그에 버금가는 논리력을 갖춘

사람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2) 국내 대학의 토론 교육

현재 국내의 많은 대학들에서 토론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진행되는

국내의 토론 교육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연구가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교양기초

교육원이 주가되는 확산형 토론 프로그램과 관련된 특징만을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

다. 현재 국내 대학에서의 토론 교육은 크게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필수교육과정과

특정 과목에서 이루어지는 토론 교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정 과목에서 이루어

지는 토론 교육은 교양기초교육원이 주도할 수 있는 확산형 토론 교육프로그램과

성격상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이글에서는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프로그램만

분석하고자 한다.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이전에 한 가지 확인해야 할 것이 있다. 많

은 경우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토론 프로그램은 해당 대학의 정책과 깊게 연관되

어 있다. 그래서 이러한 토론 프로그램은 그것이 우수한 결과를 낳고 있다고 하더라

도 전국의 대학에 쉽게 전파되기 어려운 각 대학의 특성 및 인적 물적 조건과 결합

되어 있다. 따라서 교양기초교육원 중심의 토론 교육 모형을 위한 국내 대학의 토론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은 이러한 교육여건들에 대한 고려를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전제 아래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대학의 토론 프로그램을 분석하면 크

게 두 유형으로 분석될 수 있다. 하나는 논리적 분석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그램

이며 다른 하나는 논쟁형, 대회형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이다. 논리적 분석능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강의 목표를 수강생

들의 발표와 토론 능력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민주시민의 소양을 갖춘 교양인을 육

성하는 데 두고 있다. 학습 내용은 주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토론의

Page 20: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7 -

기본전제인 체계적 사고 능력의 배양을 위해서 기본적인 논리적 개념을 익히는 것

이며, 다른 하나는 앞의 이론적 강의 후 다양한 분야에서 선정된 주제에 대한 발표

와 토론을 실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논리적 분석 능력 중심의 토론교육 프

로그램은 논리적 개념을 강의하고 그것을 직접 발표와 토론을 통해서 훈련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토대가 되는 논리적, 비판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다는 중

요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교수의 직접 강의에 의존하는 것일뿐더러,

전담강의 교수 및 강의 조교 등 많은 교육 인프라가 요구되는 특성을 갖는다. 더욱

이 각 대학의 특성에 따라 강의 내용에 많은 변화가 요구되는 프로그램이기도 한다. 또한 전담 강의교수 및 강의조교의 구체적인 지도와 평가가 없을 경우, 발표 주제가

상투적이거나 전형적이어서 자신의 주장이 아닌 이미 다른 사람에 의해서 제시된

주장을 그대로 반복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논리적 분석능력에 기초한 토론 교육프로램은 개별 대학의 특성에 따라서

는 좋은 프로그램일 수 있지만, 교양기초교육원 중심이 되어 다양한 대학들이 참여

하는 확산형 교육프로그램으로 구체화하기는 어렵다는 난점을 갖는다. 현재 국내에서 많이 진행되고 있는 또 다른 토론프로그램은 논쟁형, 대회형 토론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에 속하는 강의들은 주로 발표훈련과 토론훈련을 구성된

다. 발표 훈련에서는 주로 경청 훈련, 정확한 말하기 훈련, 실용적인 말하기 훈련을

하고, 토론 훈련에서는 비판적 사고능력, 논리적 추론능력, 갈등상황에서의 타인에

대한 설득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훈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숙명여대의

<발표와 토론> 수업은 ‘숙명토론 대회’와 연계되어 ‘칼 포퍼 식’ 토론을 수업

시간에도 적용하여 훈련한다. 이러한 토론프로그램의 특징은 발표 훈련이 전반부에

포함된다는 점과 후반부 토론 관련 수업은 토론대회와 연계되어 토론대회 실습과

유사하게 진행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논쟁형, 대회형 토론프로그램의 장점은 말하기 능력과 짧은 시간에 핵심적

논거를 제시하고 반박하는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 역시 교양기초교육원 중심의 토론프로그램으로는 몇 가지 한계를 갖는다. 우선 대회형 프로그램의 경우 토론 관리자의 정교한 프로그램 제시 및 평가가 선행

되지 않는다면, 단순한 논쟁의 기교를 학습하는데 한정되어 문제에 대한 진지한 성

찰이 배제될 수 있다. 특히 논리적 논증보다는 설득의 기교에 한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직접 대면하지 않는 온라인 토론을 대회형으로 실시할 경

우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교양교육에서의 토론 교육은 토론에서의 승리라는 최종적 결과보다는 문제에

대해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성찰하면서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이러한 토론 교육을 온라인에서 진행할

경우, 자신의 주장에 대한 체계적 논증을 제시하고 제시된 비판을 고려한 반성적 고

찰이 더욱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보면, 교양기초교육원 중심의 토론교육모형

Page 21: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8 -

으로 대회형 토론보다는 앞에서 언급한 옥스퍼드식 토론이 합리적 대안일 수 있다.

3) 옥스퍼드 토론의 변형과 온라인 토론

앞에서 언급했듯이, 옥스퍼드식 토론은 전 세계에서 많은 변형을 갖는 토론 모형

이다. 그 중 대학들에서 옥스퍼드식 토론 모형을 수용하고 변형한 것을 아카데믹 토

론((Academic Debate)이라고 부른다. 또한 교육기관은 아니지만, 이코노미스트에서

는 이러한 옥스퍼드식 토론을 온라인화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옥스

퍼드식 토론의 변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1) 아카데믹 토론

우선 아카데믹 토론은 옥스퍼드 토론과 같이 특정 대학에서 특정한 규칙에 의해서

진행되는 토론을 적시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의 많은 대학에서 진행하는 학술적 토

론을 통칭해서 부르는 포괄적 개념이기 때문에 특정화해서 이야기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옥스퍼드 토론의 전통을 그대로 살려 1) 찬반토론을 기본 축으로 하고 2) 토론

이 종결된 후 투표를 통해서 승부를 가린다는 점에서는 대체로 일치한다. 또한 옥스

퍼드 토론과 같이 찬성과 반대 진영 모두에 3번 정도의 발언 기회를 준다는 점도

대체로 일치한다. 아카데믹 토론에서 다루고자 하는 토픽은 찬반이 뚜렷하게 갈라지는 명제

(proposition) 또는 결의문(resolution)의 서술 형식을 강력하게 권장한다. 때로 이러한

명제(결의문)는 사실 문제를 다루는 사실판단과 관련된 명제인지, 가치문제를 다루는

가치판단과 관련된 명제인지, 또는 정책 문제를 다루는 정책판단과 관련된 명제인지

세분화해서 다루는 것을 권장하기도 한다. 이것은 토론이 겉돌지 않고 쟁점을 분명

하게 짚어내기 위한 교육적 측면이 크게 고려된 것이다.

3-2) 온라인 옥스퍼드식 토론

옥스퍼드 토론을 변용한 온라인 토론으로 교육기관과 언론기관에서는 온라인상에

서 토론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토론의 성공 사례로는 영국의 주간지

이코노미스(Economist)에서 제공하는 이코노미스트 토론(Economist Debate)이 대표적

이다. 이코노미스트 토론은 공개적으로 옥스퍼드 토론 스타일을 따른다고 천명한다. 곧 토론의 호스트는 중재자(moderator)이며, 중재자는 제안(motion)을 하고 여기에

동의하는 찬성 측과 반대 측의 의견을 받는다. 옥스퍼드 토론과 다른 점은 이코노미

스트 토론은 찬성 측이 여러 명으로 구성된 팀이 아니라 1명으로 이루어져 있고, 반대 측 역시 1명이 나선다는 점이다. 찬성 측과 반대 측 발표자가 각각 3번의 진술

Page 22: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19 -

그림 8 Economist Debate 사이트 화면

기회를 갖는다는 점은 옥스퍼드 토론과 동일하다. 이코노미스트 토론은 옥스퍼드 토

론 규칙을 따르면서도 온라인 토론의 특성을 살려 이를 적절하게 변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토론 종결 시점에서 온라인 찬반투표를 통해 승부를 가리고 있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토론 과정에서도 매일 온라인 찬반 투표를 통해 찬반 의견에 대한 추이

를 보여주고 있다는 눈길을 끈다. 또한 청중은 온라인 댓글을 통해 왜 자신이 찬성

또는 반대에 동의하고 있는지 자신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이코노미스트의

토론의 예는 다음과 같다.

4) 옥스퍼드식 토론 프로그램에 기초한 Ajou Debate

현재 아주대학교에서는 옥스퍼드식 토론 모형에 기초한 토론 교육모형을 개발하여

시범 운영하고 있다. 아주대학교에서는 비교과형토론과 교과형 토론을 구분하여 개

발하고 있는데, 교양기초교육원의 토론 프로그램과 가장 유사한 것은 비교과형 토론

Page 23: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0 -

그림 9. Ajou Debate 전용 소프트웨어 아키텍츄어

모형이다. ‘Ajou Debate’라고 부르는 아주대학교의 비교과 토론은 다음과 같은 규

칙으로 운영된다: 우선 논제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논제를 결정하여 이를 방학 중에 공고하고

다음 학기 동안 토론을 실시한다. 그리고 토론에 대한 자세한 매뉴얼을 기초교육대

학의 홈페이지에 게재하며, 토론 규범을 어긴 참여자는 토론에서 제외한다. 토론 규

범은 주로 토론 참여자에 대한 존중과 합리적 토론의 일반적 규칙들로 구성되며, 주제에 대한 합리적 토론의 안내라는 본연의 목적을 충실히 반영한다. 토론 방법은 옥

스퍼드식 토론의 방식을 대부분 수용하지만, 학생들의 토론 교육이라는 측면을 강조

하기 위해, 중재자의 역할을 강화하고, 첫 번째 발표 후 토론의 내용을 다음 발표에

반드시 포함시킬 것을 발표자들에게 요구한다. 구체적인 토론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중재자의 문제 설정 후 찬성과 반대 측 발표와 댓글 토론 및 투표

나) 첫 번째 발표와 댓글에 대한 중재자의 평가와 찬성과 반대 수정안 발표. 댓글토론 및 투표

다) 중재자의 평가와 찬성과 반대 측의 최종 수정안 발표. 댓글 토론 및 최종 투표.

토론의 일정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주제에 대한 토론을 3회 이상 실시하되, 토론의

주제는 방학이나 전학기에 공모를 통해 모집한다. 또한 각 발표는 2주간의 시간을

두어 학생들이 충분히 숙고하면서 댓글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찬성과 반대

발표자들 역시 토론결과에 기초한 다음번 발표문 작성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학기별 학기당 최고의

발표문과 댓글 토론자를 선정하여 별도로 시상할 계획이다.

Page 24: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1 -

5) KIUDP(Korean Inter-University Debates Plattform)에 기초한 교양기초교육원의

토론교육 확산

현재 한국사회에서 널리 사용되는 Twitter와 같은 SNS는 심도 있는 의사소통수단

으로는 매우 부적합하다. 더구나 교양기초교육원의 토론프로그램은 단순한 토론이

아니라 토론교육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이러한 토론 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주어진

문제에 대해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분석에 기초해서 상호 협동하면서 비판하

는 과정을 통해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

다. 간단히 말해 종합적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종합적 의사

소통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주어진 문제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반드시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Twitter와 같은 SNS는 그 일방성과 일회에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제한으로 이와 같은 성찰의 결과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점은 앞에서 지적했듯이 대회형 토론의 한계이기도 하다.다음으로 대학문화의 고급화를 들 수 있다. 현재 한국의 대학의 토론 문화는 지나

치게 승패 혹은 발표 기술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토론 문화는 주제에 대해

숙고하고 반성하는 대학 본연의 문화와 어울리지 않을 뿐 아니라, 토론 교육의 본질

과도 떨어져 있다. 따라서 한 주제에 대해 짧은 에세이 형식의 찬성과 반대 주장을

3회 제시하는 옥스퍼드식 토론은 주어진 문제에 대해 숙고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

며, 이러한 토론이 상시화 되었을 경우 논리적 분석과 숙고 그리고 반성적 고찰이라

는 대학 본연의 문화를 회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대학 간 토론을 통해 대학생에 의한 대학 간의 의사소통 수단 확보할 수 있

다. 현재 국내대학의 경우 각기 다른 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학생들이 함께 토론할

장이 그리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교양기초교육원에서 제공하는 대학간

토론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다른 대학 소속 학생들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

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표준화된 토론 프로그램의 운영으로 각 대학의 인적 자원의 효과적 활

용할 수 있다. 앞의 국내 대학의 토론프로그램에 대해 분석하면서 잠시 언급했듯이, 효과적인 토론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대학의 인적 자원이 요구된

다. 그러나 현재 국내 대학의 경우 이러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

다. 물론 각 대학에서 토론교육을 위해 충분한 인적자원을 확보해야 하지만, 이러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이러한 조건에서 교양기초교육

원이 중심이 되어 대학 간 토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각 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각 대학의 교수들이 토론의 진행자

(moderator)나 찬반 논쟁자 혹은 댓글 토론자로 참여함으로써, 대학 간 의사소통 역

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대학 간 토론프로그램의 공유는 대학별 토론 교육

의 장점과 단점을 상호 평가할 수 있는 기회 역시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렇게 구성

Page 25: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2 -

된 토론을 한국 대학생들의 의식 및 사고 경향 파악 소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교양기초교육원의 KIUDP 구축 및 시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가) 옥스퍼드형 토론 사이트 구축을 위해 표준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예: 대학 간

의 토론 소프트웨어로 기능이 확장된 Ajou Debate 프로그램) 전국 대학에 무상/유상으로 보급한다. 이를 위해 각 계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의 Task Force팀을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나) 교양기초교육원의 주관 하에 KIUDP 사이트 구축 및 위원회를 구성하여, 토론

프로그램의 주제, 중제자, 발표자를 선정하고 운영규칙을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

하다. 특히 각 대학의 교수인적 자원을 동원하여 우수한 모더레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 구성된 토론 프로그램의 시범 실시 후 상시적 토론을 진행하고, 우수한 토론

참여자들에 대한 시상을 통해 참여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6) 모듈화된 KIUDP가 각 대학에 요구하는 자원: 아주대학교의 Ajou Debate의 개발

경험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가) 인적자원: 대형 대학의 경우 비교과 토론을 전담할 수 있는 인력으로 최소한

대우교수의 임용이 바람직하며, 중소형 대학의 경우에는 철학전공 교수가 보조

인력을 도움을 받아 겸임할 수 있다.나) 물적자원: 비교과 온라인 토론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각 대학의 홈페이지에 구

축해야 하나, 그 비용은 무시할 수 있다.다) 대학의 분위기: 온라인 토론의 정착에 필요한 것은 인적, 물적 자원보다 교수들

이 모더레이터로서 적극 참여하고, 합리적 토론을 즐길 수 있는 대학문화 그리

고 학내외의 주제를 제한 없이 다룰 수 있는 개방적 분위기가 훨씬 더 요구되

며, 역으로 옥스포드식 토론 프로그램의 정착은 이런 대학의 아카데믹한 분위

기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나. 모듈화된 고전 교육 프로그램

고전 교육은 현재 국내의 많은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중요한 교양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고전의 중요성을 다시 강조할 필요는 없지만, 직업교육의 부분이 강조

되고 있는 현재의 대학교육의 현실을 감안할 경우 교양교육에서 고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것 역시 사실이다. 고전 교육은 기본적으로 고전교육이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이라는 사실에서

출발해야 한다. 일반교육은 특정 분야에서 요청되는 지식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어

Page 26: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3 -

떤 지식이라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수학 능력을 제고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이점

에서 일반교육은 전공의 예비 단계 또는 전공의 보조 수단으로 바라볼 때 성공조건

에서 멀어진다. 일반 교육으로서의 교양은 학문적 책 읽기(academic reading)을 근간

으로 하되, 학문적 글쓰기(academic writing)와 학문적 토론(academic debate)과 연계

될 때, 성공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그리고 이것이 고전 교육이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검증이 되지 않은 글보다는 검증된 고전을 통한 학문적 일기, 글쓰기, 토론교

육이 갖는 효율성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고전교육은 여러 가지

현실적 어려움을 갖는다. 우선 제한된 수업시간에 고전을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찾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고전은 쉽게 읽혀지지 않는 특성을 갖는 반면, 교양교육에서 고전에 투자할 수 있는 행정적, 인적 자원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

한된 시간에 효율적으로 고전을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점은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확산 가능한 교양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교양기초교육원의 고전교육프로그램에서는 더욱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고전의 다

양한 영역을 전공한 교수자원을 모두 확보하지 못한 중, 소형 대학에서의 고전 교육

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의 도입이 더욱 절실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진은 모듈화된 고전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모듈화된

교양교육프로그램이란, 고전교육의 소재인 고전에 대한 발췌와 해제 그리고 평가의

표준적 요소를 모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듈화를 제안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

다. 앞에서 확인했듯이, 고전교육의 가장 어려운 난점은 제한된 시간에 학생들이 읽기

어려운 고전을 강의해야 한다는 것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은 교육의 범위와

깊이 모두에 해당한다. 수많은 고전을 제한된 시간 안에 교육하기란 불가능할뿐더

러, 특정한 고전 중심으로 교육한다고 하더라도 교양교육에서 교육의 깊이를 지나치

게 요구할 경우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점을 고려해 보았을 경우, 각 영역별로 중요한 고전을 선정한 후 해당 고전의

중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학생들에게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자연스럽

게 도출된다. 또한 난해한 고전을 학생들에게 읽히기 위해서는 친절한 안내가 있어

야 한다. 따라서 영역별로 다양한 고전을 선정한 후 선정된 고전을 발췌하고 해제를

한 후 그 발췌와 해제를 하나의 단위로 모듈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모듈화된

고전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연계하여 교육함으로써, 각 강좌 및 대학의 특성에 맞는

고전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그리고 고전교육의 표준적 평가체계 역시 확립하여야 한다. 특히 전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기초교육원에서는 CBT(Computer Based Test)를 도입함으로써, 기초적 평가의 도구를 마련할 수 있다. 물론 고전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는 도구로

CBT가 갖는 한계는 분명하다. 그러나 이것은 CBT가 평가의 전부라는 오해에 기인

한다. CBT를 제한된 범위의 평가, 즉 학생들이 해당 고전을 읽었는지 여부와 기초적

Page 27: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4 -

고전이해에 대한 평가 수단으로 활용할 경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특정한 고전에 대한 발췌, 해제, CBT를 하나의 모듈로 하는 하위 단위를 구성한

후 이러한 단위를 연계한 다양한 고전 교육프로그램을 각 대학에 제안할 수 있다.고전교육의 허브로서 교양기초교육원은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고전교육

프로그램을 대학들의 공동개발을 통해서 생각보다 쉽게 설계할 수 있고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단계별 고전 교육 시스템을 모듈화하고, 고전 문헌을 표준화하며, 이렇게

표준화 모듈화된 고전 교육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말하자면, 한국의 Gutenberg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 구체적 내용 및 결과

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대학의 고전 교육 현황

앞에서 언급했듯이, 국내 대학들에서는 다양한 고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학들의 고전프로그램은 특정 대학의 특수성에 기반 한 경우가 대부분

이어서 전체 대학으로 확산 가능한 표준적 교육프로그램으로 보기는 어렵다. 더욱이

많은 경우 고전 교육의 목적과 기대성과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진은 국내 대학의 고전교육프로그램

을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적 고전 교과의 사례, 특정 과목을 중심으로 하는

고전교육의 사례, 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고전 교육의 사례로 나누어서

분석 하였다.

가) 현재 국내의 몇 개 대학에서는 고전교육을 교양필수로 지정하여 전교생을 대

상으로 하는 고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즉 인문, 사회, 자연 등 영역별 고전을 선

정하고 강의를 통해 선정된 고전을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전 교육은 고전 전담 교수 및 다양한 인적 물적 인프라를 전제하는 것으로 이러

한 인적, 물적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대학들에서는 실행하기 어려운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더욱이 필요한 인적 자원을 확보했다 하더라도, 다양한 분야의 고전을 모두 다룰

수 있는 교수를 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대부분의 경우 교수진이 정규교원이 아

닌 특임교원들로 구성된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장기적인 피드백을 통한 교육의 질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 역시 사실이다. 또한 교양교육이라는 한계 즉 상대적으

로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한된 강의라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경

우 성공을 장담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이러한 고전교육 모형은 중소 규모 대학을 포

함한 전국의 모든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기초교육원의 고전 교육모형

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나) 현재 국내의 거의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가)에서 언급한 전교생들을 대상으로

Page 28: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5 -

하는 필수 교육과는 달리 선택과목으로 운영된다. 선택과목을 통한 고전 교육은 개

별 과목과 강의자에 따라 완성도의 차이가 매우 크다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

한 선택과목을 통한 고전교육은 대개 인문, 사회대학의 전공과목과의 차별이 크지

않을뿐더러, 전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는 태생적 한계로 교양기초교육원

의 고전 프로그램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모형이다.

다) 각 대학의 도선관을 중심으로 하는 고전 교육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에서는 100권의 권장도서를 선정하고, 해당 도서에 대한 해제, 저자소개, 작품소개, 관련교과목, 도서관서지사항, 관련도서, 묻고 답하기(Q&A)를 제

공하고 있다. 특히 해제와 저자소개 및 작품소개를 묶어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권장도서 해제집’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도선관 중심의 고

전 교육은 비단 서울대학 뿐 아니라 서강대학교 등 많은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며 고전 경시대회 역시 도서관 주관으로 열리기도 한다. 그러나 도서관

중심의 고전 교육은 비교과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더러, 교수에 의한 지도와 평가

가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고전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학생들에

게 맡기는 형식이다. 개인적으로 충분한 동기를 갖고 있을 경우 고전을 이렇게 접근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이 ‘고전교육’이라고 말할 수는 없

다.

정리하면, 현재 국내의 대학에서 다양한 고전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지만, 일반교

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의 특성에 부합하면서 전국의 대학으로 확산할 수 있는 적합한

고전교육프로그램이 없다. 이와 관련해서 최근 연구팀이 속한 아주대학교에서는 모

듈화 가능한 효율적 고전교육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실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아

주대학교의 프로그램을 기초로 교양기초교육원에서 전국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모듈

화된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2) 아주대학교 고전 교육 프로그램

아주대학교의 고전 교육프로그램은 모듈화를 기본으로 구성된다. 인문, 사회, 자연

등 각 영역별 고전을 추천 받은 후 추천된 고전에 대한 발췌, 해제, CBT로 구성된

하위 모듈을 구성하고, 이러한 하위 모듈을 연계한 교육체계를 구성한다.

2-1) 아주고전 선정의 가이드라인

아주고전의 선정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우선 아주고전위원회를 구성하여, 아주대 공동체 구성원에게 ‘아주 위대한 고전’을 추천 받으면서 다음과 같은 고전

선정의 기준을 세웠다.

Page 29: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6 -

가) 지금도 읽을 가치가 있는 책: 우리 시대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현재적 의미(contemporary significance)가 있는 책을 선정한다. 나) 읽을 때마다 새로운 깨달음을 주는 책: 한 번 읽고 덮는 책이 아니라, 평생 곁

에 두고 읽을 책을 선정한다. 다) 인류의 지적 유산으로 검증된 책: 인류 전체 역사를 통해서 지적 유산으로 남

은 위대한 생각을 제공한 책을 선정한다. 라) 우리 학생이 접근할 수 있는 책: 해당 분야의 전문가만 읽을 수 있는 책은 제

외한다.마) 대학 공동체에서 Tutoring을 할 수 있는 책: 아주대 공동체(교수진)에서 어떻게

그 고전을 읽을 것인지 안내를 해줄 수 있는 책을 선정한다.

특히 아주고전은 대학공동체에서 Tutoring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선정함으로써, 선정된 고전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 및 학생 지도의 효율성을 담보하였다. 그리고 이

러한 선정기준에 따라 선정된 고전에 대한 해제 및 발췌기준을 다음과 같이 구체화

하였다.

2-2) 아주고전 발췌 기준

아주고전 해제는 해당 고전의 영역별 특성을 고려해서 집필위원들에게 상당한 폭

의 자율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해제 집의 통일성을 위해 해제 분량과 해제 내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 제시한다.

가) 문헌 당 해제 원고: 200자 원고지 기준 40매 안팎

나) 해제에 들어가야 할 내용: 해당 문헌별 저자 소개, 사상사적 배경, 문헌 해제

등을 포함

다) 문당 문헌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하는 안내

라) 해당 문헌과 함께 읽을 것을 권장하고 싶은 문헌, 권장 번역본이 있으면 명기

마) 문헌발췌는 해당 문헌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전체(부분) 발췌하며 분량

은 A4용지 10포인트 기준 10장 안팎

특히 해제의 내용을 저자소개, 사상사적 배경, 문헌 해제로 나누어서 체계화하면서

권장도서 및 권장 번역본을 소개하도록 하여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

다. 또한 아주고전은 이러한 발췌와 해제 뿐 아니라 각 문헌 당 15문항 정도의 CBT문제를 포함하며, 이 문제은행은 지속적으로 확장가능하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CBT는 여러 한계를 갖는 것이 사실이지만, CBT를 통해 학생들의 기본적 이해도를 객관

적으로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 결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에

Page 30: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7 -

그림 10. 아주고전 CBT 결과 (이메일 전송, 사용 소프트웨어: 영국에서 개발된 Questionwriter

4.0)

서 활용할 수 있다.4) 또한 현재 몇 개의 교양강좌에서 CBT를 활용한 강의를 시범

실시해본 결과, CBT를 통한 1차 평가와 그것에 근거한 2차 평가가 강의에 매우 효

과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사용하는 평가소프트웨어에 따라 평가의 제시형태가

다르겠지만 아주고전의 CBT의 예는 다음과 같다:

4) 다양한 교양강의에서 교수가 필요한 문헌에 대한 CBT 결과를 요구하고 평가에 반영할 수 있다. 즉 모듈화된 고전프로그램을

일종의 수업 인프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Page 31: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8 -

아주 고전

교육의 목표

성공요인

• 일반 교육으로서

아주대 전학생에게

재학 기간 및 졸업

후에 특정한 지식이

아니라 어떤 지식이

라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수학 능력

및 성찰적 사고를 함

양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고전 교육은 학문

적 읽기와 학문적 글

쓰기, 그리고 학문적

토론 등과 연계한 통

합 교육으로 수학 능

력을 제고한다.

학생에게 적절한 고전 읽기 안내가 제공되고 있는가?

학생 눈높이에 맞춘 수준별 고전 교육이 가능한가?

글쓰기와 토론교육과 연계되는가?

전공 교과 과정과 연계되는가?

학생의 관심/문제/주제에 부응하는가?

학생에게 적절한 피드백이 주어지는가

학생에게 문제 발생 시 문제를 해결해 주는가?

대학 입학 전 독서교육과 연계되는가?

대학 졸업 후에도 계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가?

자율적인 학생 주도 고전교육이 이루어지는가?

2-3) 아주고전의 목표와 성공을 위해 필요한 요소

아주 고전프로그램의 전체적 전략을 도식화 하면 다음과 같다.

3) 고전교육의 허브로서 교양기초교육원

상기한 연구결과에 근거한 교양기초교육원의 고전 교육에 적합한 프로그램은 대학

간 전파가 가능하고 학습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모듈화된 고전교육체계이다. 그리고 이러한 고전교육체계가 구체화되기 위해 교양기초교육원이 수행해야할 것은

다음과 같다.

가) 각 대학, 각 학부의 특성에 부합하는 문헌 전체를 읽는 고전프로그램은 개별

대학, 학부에서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며, 고전교육의 허브로서 교양기초교육원

의 고전교육모형은 한국의 모든 대학생(고등학생도 가능)을 대상으로 함을 분

명히 해야 한다. 따라서 문헌 선택, 발췌 및 평가 방식 역시 전대학생 교육을

전제로 설계되어야 한다.

Page 32: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29 -

나) 단계별 고전교육 시스템 모듈화(A Level-based Classics Education System Module): 고전교육 모듈화의 기본 단위는 개별 문헌이다. 그리고 개별 문헌은

저자, 해제, 발췌, CBT로 세분화된다. 이때 모듈화된 문헌선택 및 해제, CBT를

단일 대학이 수행하기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여 교양기초교육원은 전국 대학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표준화된 고전모듈을 공동개발하고 확장하는 한

국 고전교육의 허브로서 기능하는 한국형 ‘Gutenberg Project'의 중심지가 된

다. 또한 저작권 문제해결의 합리적인 모형을 제시하여 확산가능성을 극대화

한다. 다) 고전문헌의 표준화: 고전교육의 허브로서 교양기초교육원은 CBT용으로 표준화

된 문헌 DB를 지속적으로 구축하여 한국의 대학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의 인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전교육 인적 자원 풀을 확

보할 필요가 있다.라) 교양기초교육원은 확보된 고전 DB에 접근할 수 있는 사이트를 구축 운영하여,

Web기반 고전교육의 중심지가 될 필요가 있다. (한국의 Gutenberg 프로젝트)마) 보편적 고전교육을 위해 저작권 문제를 교양기초교육원이 해결할 경우, 교양

기초교육원의 고전교육 기능은 극대화 될 수 있다.바) 고전 CBT를 위한 Software 개발 및 보급(예:아주대 고전CBT 소프트웨어)

4) 한국형 Gutenberg 프로젝트가 각 대학에 요구하는 자원:

가) 인적자원: 표준화된 고전모듈을 대학들이 공동개발하고 공동으로 사용할 때, 추가되는 고전문헌을 선정하고 그 해제를 위촉, 관리하는 담당교수가 필요하

다.나) 문헌해제비: 각 고전모듈 당 소정의 원고비, 출제비. 그러나 고전모듈이 계속

축적될 경우 이 비용은 급격히 줄어들며 사실상 한시적 비용이다.다) CBT 구축비: 각 대학은 부정행위가 원천적으로 차단된 CBT Room이 필요하며,

기존의 컴퓨터실을 개선하여 사용가능하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교양기초교

육원이 제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사용이 편리한 소프트웨어는 CBT 실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4.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본 연구진은 전국의 대학으로 확산 가능한 교양교육의 모형이

체계화와 모듈화에 있음을 조금 더 설득력 있게 제시하였다. 이러한 체계화와 모듈

화가 필요한 교양교육의 모형으로서 교양관련 교육체제 및 프로그램 개발, OCW, 옥스퍼드식 토론교육 모형, 모듈화된 고전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Page 33: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30 -

연구계획에서 밝혔듯이, 이러한 모듈화, 체계화는 대학의 다양한 교육여건을 고려

해 보았을 때, 교기원에서 개발한 교육모형이 전국의 대학으로 확산되기 위한 전제

조건이며, 이를 통해 교양교육연구의 기획 및 평가를 구체화할 수 있다는 장점 역시

갖는다. 우리는 체계화와 모듈화 없이는 교양교육에 대한 수많은 정책연구, 개발연

구, OCW 제작의 결과물의 확산이 지극히 어려워 자원과 시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매우 어렵다고 판단한다. 물론 대학교육은 대량생산되고 표준화된 교육모듈을 소비

하는 시장이 아니다. 교양교육체제와 각종 교양강의는 궁극적으로 대학생을 자유민

주주의적 사회에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지식인으로 만드는 수단이다. 그러나 이

점은 대학교재가 교수의 강의노트가 아니라 대부분 인쇄된 책으로 제공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결코 모듈화에 반대논리가 될 수는 없다. 또한 정책 및 개발연구에

거의 감초처럼 제시되고 있는 확산가능성은 한 프로그램이 한 대학에서 성공하고, 그것을 타 대학의 조건에 맞게 조정 및 변경 가능성을 갖고 있어야만 한다는 점에

서 지극히 어려운 작업이며, 확산가능성은 결코 단기적 연구로서 확보될 수 없다. 본 연구팀의 제안은 체계화가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의 경우 적어도 연구시작

단계에서부터 이 부분이 연구의 중심이 되어야 함을 지적하는 데에 그칠 수밖에 없

었다. 원래 이 문제의 해결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교양기초교육원이 토론의 허브로 기능하는 KIUDP를 기획하고 개발할 경우, 각대학은 매우 적은 자원으로 전국 규모의 토론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한국의 대학생

토론 문화 내지는 한국의 토론 문화 자체를 짧은 시간 내에 높은 수준으로 올릴 수

있다. 이를 위해 교양기초교육원은 Task Force팀을 구성하고, 토론프로그램의 주제, 중제자 및 발표자를 선정하는 위원회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양기초교육원

은 이 위원회를 중심으로 토론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전국 대학의 교수 인적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하여야 한다. 수많은 분야에서 각 대학의 교수들은 뛰어난 중재자나

토론참여자로서 교양기초교육원의 토론 프로그램을 확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

이다. 또한 교양기초교육원에서 우수한 토론자 및 참여자들을 시상함으로써 대학생

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전과 관련해서는 전국 대학의

전교생 및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고전교육모형을 제시하고, 각 대학의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고전모듈의 표준화 및 공동개발을 추진할 경우 매우 빠른 시간 내

에 확산 및 활용 가능한 고전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프로그

램의 설계에서 확산(공동개발과 활용)은 본질적이 요수이기 때문이다.

Page 34: 모듈화 체계화를 통한 실현가능한 교양교육 모형 개발과 확산 ... · 2012. 10. 19. · ※과제번호rr2012-47-428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모듈화․체계화를

� 이 연구는 1차년도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연구 및 교과목개발 사

업에 관한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된 것입니다.� 본 연구의 모든

저작권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 있으며,� 연구에 제시된 정책대안이

나 의견 등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

의 견해임을 밝혀둡니다.�

한국교양기초교육원(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137-748�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25�

Tel� :� 02-6393-5294� � /� Fax� :� 02-6393-5288

Website� :� konige.kr

원 장 :� 손동현 ([email protected])

사무국장 :� 최종철 ([email protected])

전 문 원 :� 김소현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