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31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신흥지역연구단 동남아 이슈페이퍼 통권 18February 2017 저자 : 이 지 혁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선임연구원 / 국제지역학 박사))

Upload: others

Post on 13-Jul-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Tel. 02.880.2695

E-mail. [email protected]

http://seacenter.snu.ac.kr

홈페이지를 통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의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남아 이슈페이퍼 통권 18호February 2017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신흥지역연구단

동남아 이슈페이퍼 통권 18호February 2017

저자 : 이 지 혁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선임연구원 / 국제지역학 박사))C

M

Y

CM

MY

CY

CMY

K

Page 2: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Copyright Ⓒ Southeast Asia Research Center at SNUAC

Published in 2017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발간물 정보

저자: 이지혁

서명: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

서지정보 : 동남아 이슈페이퍼 통권 18호(ISSN 2288-1034)

발행인 : 오명석

발행처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우) 08826

82-2-880-2695

visit our web site at http://www.seasnu.ac.kr

본 간행물은 2014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발

행된 결과물임. (NRF-2014S1A2A3044341)

C

M

Y

CM

MY

CY

CMY

K

Page 3: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이슈페이퍼 2017년 통권 18호

저자: 선임연구원 이지혁 (국제지역학 박사)

Page 4: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 i -

【연구요약】

o 동남아는 이슬람 연구의 주변부에 위치해 있었지만, 동남아 거주 무슬림 인구 증가, 경제적 부상, 강화되는 이슬람화(Islamization) 현상, 중동과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 등으로 인해 동남아 이슬람 연구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음. 특히 최근 대두되고 있는 이슬람 경제와 관련하여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 국가들이 매우 선도적인 위치에 있음.

o 동남아에서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하는 국가로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가 있으며, 태국과 필리핀의 남부 지역에도 일부 무슬림이 거주하고 있음.

o ‘허용된 것’과 ‘금지된 것’을 의미하는 할랄과 하람은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적용에 있어서 제한적이었고 철저하게 지켜지지 않았음. 그러나 20세기 중반이후에 이슬람권에서 종교적 의무의 실천을 중시하고 문자그대로의 해석을 강조하는 ‘이슬람 부흥’(resurgence of Islam) 혹은 ‘이슬람화’(Islamization)가 일어나면서 할랄의 개념이 무슬림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함.

o 동남아에서 이슬람 경제는 말레이시아를 필두로 이웃 국가인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태국 등으로 확산되고 있음.

o 할랄 산업은 말레이시아 경제의 중요 성장엔진 중의 하나이며 2011년 150억 링깃(50억 달러)에서 꾸준히 성장해 2020년에는 국내총생산(GDP)의 5.8%까지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o 동남아에서 말레이시아는 2020년까지 할랄 제품, 서비스, 생산 및 교역의 글로벌 허브로 성장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할랄 산업을 정부의 핵심 산업으로 선정하여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음.

o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무슬림을 보유하고 있는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할랄 시품 시장임. 중산층의 확대와 할랄 소비에 대한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인도네시아의 할랄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o 동남아에서 할랄 산업은 무슬림 인구의 증가, 이슬람화 현상, 중산층의 증가 등으로 인해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강화되는 할랄 인증은 한국 기업을 비롯한 외국계 기업에는 새로운 무역 장벽이 될 수 있음.

Page 5: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 ii -

【목차】

I. 동남아시아 이슬람 현황

II. 할랄과 이슬람 경제 1. 할랄과 하람의 개념 2. 이슬람 경제

III.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성장 1. 말레이시아 2. 인도네시아3. 태국, 싱가포르, 필리핀

IV. 할랄 인증과 할랄 산업 1. 할랄 인증이란?2. 할랄 인증의 발전 3. 동남아 개별 국가의 할랄 인증제도 4. 한국의 할랄 인증 현황

Ⅵ. 요약 및 전망

■ 참고문헌

Page 6: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

I. 동남아시아 이슬람 현황

o 명확한 역사적 기록의 부재로 인해 동남아에 이슬람이 전파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대략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반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15세기 초 말레이 반도의 믈라카(Melaka) 왕국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동남아 서쪽에서 동쪽방향으로 확산되었음.

o 16세기의 서구 열강의 동남아 진출은 이슬람의 확산에 있어 상반된 현상을 야기했는데,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영향력이 공고한 지역에서는 이슬람의 확산이 저지되었고, 그 결과 인도네시아 동부와 필리핀의 북부로 이슬람이 진출하지 못함. 하지만 확산이 차단된 경계 안에 위치한 지역에서는 이슬람이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는 현상이 나타남. 말레이 반도 북부의 경우 불교 왕국인 태국의 아유타야 왕국에 의해 이슬람의 팽창이 저지됨(김형준·홍석준 2014).

o 동남아시아는 이슬람 연구의 주변부에 위치해 있었지만, 동남아 거주 무슬림 인구 증가 및 경제적 부상, 강화되는 이슬람화(Islamization) 현상, 중동과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 등으로 인해 동남아 이슬람 연구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음. 특히 최근 대두되고 있는 이슬람 경제와 관련하여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 국가들이 매우 선도적인 위치에 있음.

o 동남아시아에서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하는 국가로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가 있으며, 태국과 필리핀의 남부 지역에도 일부 무슬림이 거주하고 있음. 인도네시아 인구 2억 5,800여 만 명의 87.2%, 말레이시아 인구 3,000여 만 명의 61.3%, 브루나이 인구 43만 3천여 명의 78.8%, 필리핀 인구 1억 200여 만 명의 5%, 태국의 6천 800여만 명의 4.9%가 무슬림으로 추산되며, 이는 전체 동남아시아 인구의 약 40%인 2억 5,000여 만 명임.

o 태국 정부는 2016년에 태국을 세계 5위 할랄 제품 생산 및 서비스 국가로 성장시키기 위한 5개년 전략 계획(2016~2020년)을 발표함.

o 동남아에서 점차적으로 강화되는 이슬람화 현상은 종교·정치적 영역을 넘어 경제 영역에서 두드러지고 있는데, 이슬람 금융에서 시작해서 식품 영역에서의 할랄 인증, 화장품, 의약품, 미디어, 무슬림 관광 등 점차적으로 범위를 확대하고 있음.

Page 7: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2

<그림 1> 2020년 동남아 무슬림 인구 추정

출처: Pew Research Center. 2015; http://guides.library.cornell.edu/c.php?g=141521&p=926391 재인용.

Page 8: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3

Ⅱ. 할랄과 이슬람 경제

1. 할랄과 하람의 개념 o 할랄(halal)은 이슬람법인 샤리아(Sharia)에서 ‘허용된 것’을 의미하고, 이에 반

대되는 개념인 하람(haram)은 ‘금지된 것’을 의미함.1) o 허용과 금기와 관련하여 이슬람이 확립한 첫 번째 원칙은 알라가 창조한 것들

그리고 그것들로부터 나오는 유익함은 본질적으로 인간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확실한 원문(Nas)에 의해 금지된 것 외에는 금지된 것이 없다는 것임. 두 번째 원칙은 금지와 허용을 결정하는 권한이 종교 및 사회적 지위와 관계없이 인간에게는 주어지지 않았고 오직 알라에게만 있다는 것임(<표 1> 참조)(까르다위 2016).

o ‘허용된 것’과 ‘금지된 것’을 의미하는 할랄과 하람은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적용에 있어서 제한적이었고 철저하게 지켜지지 않았음. 그러나 20세기 중반이후에 이슬람권에서 종교적 의무의 실천을 중시하고 문자그대로의 해석을 강조하는 ‘이슬람 부흥’(resurgence of Islam) 혹은 ‘이슬람화’(Islamization)가 일어나면서 할랄의 개념이 무슬림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함(김형준 2017).

o 일반적으로 할랄과 하람은 음식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도살할 때의 예절, 사냥, 술, 의상과 치장, 노동과 생계비, 욕구와 성욕, 결혼, 남편과 아내의 관계, 피임과 산아제한, 이혼,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 상거래, 운동과 오락, 사회적 관계, 비무슬림과의 관계 등 삶의 전반에 걸쳐 허용된 것과 금지된 것을 규정함.

o 이론적으로 할랄은 무슬림의 모든 삶에 적용되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재화와 서비스에 대해 철저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아직까지 소비에서 할랄이 강제되는 영역은 일부로 한정되어 있음. 그러나 최근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음.

o 식품과 관련하여 할랄을 살펴보면, 이슬람 식품법은 꾸란, 하디스, 그리고 무슬

1) 할랄과 하람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영역에 속한 것을 지칭하는 용어로 마쉬부흐(Mashbooh)와 마크루흐(Makrooh)가 있음. 마쉬부흐는 불분명하거나 의심스러운 것들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학자들의 견해 차이 혹은 식품의 미확인 원재료로 인한 것임. 마크루흐는 분명하게 하람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무슬림이 선호하지 않는 것을 의미함.

Page 9: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4

림 학자들의 설명과 해석에 바탕을 두고 있고 일반적으로 하람이라고 언급된 것을 제외한 모든 것은 할랄 식품임. 하람으로 간주되는 주요 식품으로는 돼지고기, 알코올, 피, 죽은 동물 그리고 알라 이외의 이름으로 언급되면 도축된 동물 등이 있음. 더불어 할랄 식품에 해당되지만 하람 물질에 의해 오염되었거나, 하람 물집과 혼합된 것도 금지됨. 하람에 해당하는 음식을 개괄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리아즈·챠드리 2016).

-부패한 고기 혹은 죽은 동물-흐르고 있거나 응고된 피-돼지고기 및 모든 부산물-알라의 이름을 소리 내지 않으면서 도축된 동물-도체로부터 피가 완전히 방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도축된 동물-알라 이외의 이름을 소리 내면서 도축된 동물-알코올과 약물을 포함해, 모든 형태의 취하게 하는 물질-사자, 개, 늑대 혹은 호랑이와 같이 송곳니를 가진 육식동물-매, 독수리, 올빼미 혹은 수리 조류와 같이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조류(육식성 조류)-개구리나 뱀 같은 육상동물

o 다브흐(Dhabh), 자브흐(Zabh) 혹은 다비하(Dhabiha), 자비하(Zabiha)라고도 불리는 이슬람식 도축은, 도축자가 성인 무슬림이어야하고 도축 직전에 ‘비스밀라-BISMILLAH’(알라의 이름으로) 혹은 ‘비스밀라 알라후 아크바르- BISMILLAH ALLAHU AKBAR’(알라의 이름으로, 알라는 위대하다)라는 기도문을 외치고, 다량의 방혈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리한 칼을 사용하여 동물의 식도와 기도, 경정맥과 경동맥을 단숨에 절단해야 함.

Page 10: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5

<표 1> 허용과 금기에 관한 이슬람의 근본원칙

원칙 내용

어떤 것들을 허용하는 기본원리

알라가 창조한 것들 그리고 그것들로부터 나오는 유익함은 본질적으로 인간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확실한 원문(Nas)에 의해 금지된 것 외에는 금지된 것이 없다는 것임.

허용하는 것과 금지하는 것은 알라의 유일한 권한

금지와 허용을 결정하는 권한이 종교 및 사회적 지위와 관계없이 인간에게는 주어지지 않았고 오직 알라에게만 있음.

할랄을 금기하고 하람을 허용하는 것은 불신 행위

이슬람은 자신의 권위로 할랄과 하람을 결정하는 자들을 비난함.

어떤 것들을 금기하는 것은 불결하고 해롭기 때문

할랄과 하람을 구분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알라의 은총에 있으며, 신은 깨끗하고 순수한 것이 아니면 허락하지 않았고 불결한 것이 아니면 금지하지 않음.

인간생활은 할랄로 충족되므로 하람은 불필요

알라는 인간에게 어떤 것들에 대한 선택을 제한하고 있지만 그 대신에 유사한 것으로 더 좋은 것을 선택할 수 있게 허락함.

하람에 도움이 되는 것은 모두 하람

하람으로 유도되는 모든 수단도 차단.

거짓으로 하람을 할랄로 분류하는 것은 하람

본질은 그대로 있으나 그것의 형태 또는 명칭을 변경하는 것은 교활한 속임수의 책략으로 간주됨.

좋은 의도는 하람을 허용하지 않음

목적이 아무리 고상하고 이상적일지라도 하람은 하람일 수밖에 없고 그것은 알라가 원하는 것이 아니라고 규정함.

의심스러운 것은 피해야 함이슬람은 하람의 영역에 빠지지 않기 위해 의심스러운 것을 피하는 것을 경건한 행위로 간주함.

하람은 누구에게나 금지된 것 하람은 예외 없이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보편적 원리임.

필요에 의한 것은 예외 금기된 식품이라 할지라도 인간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섭취하지 않으면 안 될 경우에는 필요한 양만큼만 허용됨.

출처: Al-Qardawi, Yusuf. 2011: 17-47 내용을 필자가 정리함.

Page 11: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6

2. 이슬람 경제

o 1960-70년대 이슬람 국가에서 이슬람 부흥(Islam resurgence) 현상이 발생하면서 이슬람적 가치를 개인적 삶과 공적 영역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려는 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는 종교적 의무의 실천을 강조하고 서구식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슬람에 부합하는 정치경제체제를 도모하는 이슬람화(Islamization)로 확산되었음.

o 경제적 영역에서는 이자와 투기적 성격의 금융거래를 금지하는 이슬람식 금융이 가장 먼저 주목을 받았으며, 이슬람 금융이 제도적으로 정착되기 시작하면서 이슬람식 경제에 대한 논의는 이슬람식 생산, 유통, 소비로 확대됨.

o 이슬람 금융은 1974년 두바이 이슬람 은행과 이슬람개발 은행이 설립되면서 처음 등장하게 되었음. 이는 이슬람 운동과 맞물려 이란(1983년), 파키스탄(1981년), 수단(1983년), 말레이시아(1983년), 인도네시아(1998년) 등으로 확대되었음(나희량 2011).

o 소비의 영역에서는 할랄 개념이 부각되었으며, 할랄 소비의 개념은 처음에는 주로 식료품에 한정되었으나 점차적으로 금융, 여행, 의약품, 화장품, 미디어 등으로 확대되고 있음.

o 전 세계 이슬람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는 첫 번째 원동력은 무슬림 인구의 빠른 증가인데, 1990년까지 11억 명이었던 무슬림 인구는 20년 동안 약 45% 증가하여 2010년에는 16억 명에 이르렀으며, 2020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26.4%인 19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o 톰슨 로이터(Thomson Reuters)에서 해마다 발행하는 ‘State of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 2016/17’에 따르면, 음식과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걸친 이슬람 경제 규모가 2015년 1.9조 달러에서 2020년 3조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Page 12: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7

<표 2> 품목별 전 세계 할랄시장 규모

부문

2015년 기준2021년

예상

전 세계 시장

할랄 시장전세계시장 대비 할랄 시장 비율

할랄 시장

USD USD % % USD

합계16조 2,210억

1조 8,900억 100.0 11.7 3조

식 음 료(F&B)

7조 490억 1조 1,730억 62.1 16.61조 9,140억

의류 2조 2,130억 2,430억 12.9 11.0 3,680억미 디 어 / 레저

3조 6,900억 1,890억 10.0 5.1 2,620억

관광/여행 1조 3,470억 1,510억 8.0 11.2 2,430억의약품 1조 1,720억 780억 4.0 6.7 1,320억화장품 7,500억 560억 3.0 7.5 810억

출처: Thomson Reuters, State of the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 2016/2017; 중소기업중앙회 2017 재인용.

Ⅲ.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성장

1. 말레이시아

o 동남아에서 이슬람 경제는 말레이시아를 필두로 이웃 국가인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태국 등으로 확산되고 있음.

o 말레이시아는 세계 이슬람 경제의 선도 국가로서 이슬람 금융과 함께 국가주도의 할랄 인증시스템을 도입하였고, 세계 할랄 산업의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말레이시아는 지정학적 위치, 이슬람 국가라는 종교적 요인, 그리고 무슬림이 인구의 주를 이루는 타 국가들에 비해 사회 기반시설이 발달한 점을 내세워 세계 이슬람 금융과 할랄 산업을 선도하고 있음.

o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중동이 아닌 말레이시아에서 이슬람 경제가 발달한 이유에는 말레이시아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인구 구성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음.

Page 13: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8

말레이시아는 말레이계(말레이 50.1%, 원주민 11.8 %), 중국계(22.6%, 중국 남부 광동·복건 출신), 인도계(6.7%, 남부 타밀계)와 외국인 거주자(8.2%)가 함께 어우러진 복합사회로 구성되어있음.

o 따라서 아무런 의심 없이 자신들이 소비하는 모든 것이 할랄이라고 간주하는 중동지역의 무슬림들과 달리 돼지고기를 즐겨먹는 화인과 함께 생활하는 말레이들은 자신들이 하람으로 간주하는 것에 오염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

o 말레이시아에서 이슬람 경제가 발달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인으로는 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적 상황이 열악한 말레이의 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고 이슬람을 바탕으로 종족인식을 고양시키기 위한 국가 주도의 정책적 지원을 꼽을 수 있음.

o 말레이시아는 세계이슬람경제지표(Global Islamic Economy Indicator: GIEI, 이하 GIEI)2)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고 있음. 그러나 2015년까지 전 분야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것과 달리 가장 최근에 발표된 자료에서는 이슬람 금융에서만 다른 국가에 비해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음. 중동의 UAE로부터 도전받고 있음.

o 말레이시아는 이슬람 금융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데, 2013년 기준 말레이시아의 이슬람 금융은 세계 전체 이슬람 금융의 25.53%(약 4,230억 달러)를 차지함(Malaysia Islamic Finance Report 2015). 2015년 기준 16개의 이슬람 은행과 11개 이슬람 보험사가 영업 중임.

2) GIEI는 이슬람 경제 생태계(ecosystem)-할랄 식품, 할랄 금융, 할랄 관광, 정숙한 의상, 할랄 미디어 및 레크리에이션, 할랄 의약품 및 화장품-에 대한 건전성과 발달을 보여주는 지표임. GIEI는 이슬람 경제에 해당하는 영역의 경제 규모와 성장 궤적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이슬람 경제의 발달을 지원하는 관점에서 각국이 처한 경제 생태계에 대한 상대적인 강점을 평가하는 것임(Thomson Reuters, State of the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 2016/2017).

Page 14: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9

<표 3> 상위 15개국의 GIEI 점수

출처: State of the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 2016/2017

o 최근 말레이시아 정부는 비무슬림 소비자에게 할랄 소비를 확대하기 위해 ‘이슬람에 허용되며(Permissible), 건강에 좋고(Wholesome), 안전하며(Safe), 양질(Quality)'이라는 의미를 지닌 '토이반 할랄(Halalan Thoyyiban)’ 개념을 만들고 홍보하고 있음.

o 할랄 산업은 말레이시아 경제의 중요 성장엔진 중의 하나이며 2011년 150억 링깃(50억달러)에서 꾸준히 성장해 2020년에는 국내총생산(GDP)의 5.8%까지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o 말레이시아는 2020년까지 할랄 제품, 서비스, 생산 및 교역의 글로벌 허브로 성장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할랄 산업을 정부의 핵심 산업으로 선정하여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음.

2. 인도네시아

o 인도네시아에서 이슬람식 관점으로 경제에 접근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중후반 이자에 관련한 논의가 전개되면서 시작됨. 1991년 이슬람 은행이 설립되었고, 이어서 이슬람 보험, 증권, 채권, 전당 등으로 확대되었음.

Page 15: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0

o 이슬람 경제가 금융 분야에서 소비 분야로 확대된 계기로는 1988년 시장에서 유통되던 인스턴트 라면과 분유에 돼지기름이 함유되었다는 폭로성 기사가 있음. 10년 후에는 인도네시아 조미료 시장의 절대 강자였던 아지노모토 사의 공장에 돼지 성분이 검출되는 사건으로 식료품뿐만 아니라 돼지 성분이 함유될 수 있는 상품 전반으로 경각심이 확대됨.

o 2000년대 이후 할랄 소비에 대한 인식도와 공감대가 확대되면서 ‘샤리아 인지적’, ‘할랄 마케팅’, ‘이슬람 마케팅’ 같은 개념이 등장함.

o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무슬림을 보유하고 있는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할랄 시품 시장임. 중산층의 확대와 할랄 소비에 대한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인도네시아의 할랄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o 현재 권장사항인 할랄인증이 2019년부터 자국내 유통되는 모든 음식료, 화장품, 화학/바이오제품, 유전자 변형 제품에 대해 할랄 인증이 의무화되기 때문에 할랄 제품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다만 새로 제정된 법안이 매우 강력하고 광범위한 것이라서 실질적으로 실행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함(김형준 2017).

Page 16: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1

<표 4> 무슬림 음식 소비 시장

출처: Thomson Reuter. The State of the Global Islamic Economy Reports 2015/16.

3. 태국

o 태국에는 전체 인구의 4.5%를 차지하는 약 400만 명의 무슬림이 남부 국경 도시인 Yala, Pattani, Narathiwat 등에 거주하고 있음.

o 자국내 무슬림의 규모가 크지 않지만 태국으로 유입되는 무슬림 관광객이 꾸준히 늘어나기 때문에-2010년 155만 명에서 2016년 271만 명으로 6년간 75% 증가- 할랄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있음. 태국의 할랄 시장의 규모는 2015년 기준 60억 달러이며 이중 수출이 절반가량을 차지함. 태국은 세계 13대 할랄 제품 생산국이며 할랄 시장은 연평균 20% 수준으로 성장 중에 있음.

Page 17: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2

<표 5> 태국 내 무슬림 관광객 증감 추이                                                       (단위: 명) 

자료원: 태국 관광국(Department of Tourism) 자료를 기반으로 KOTRA 방콕 무역관 작성

o 태국 정부는 2016년에 태국을 세계 5위 할랄 제품 생산 및 서비스 국가로 성장시키기 위한 5개년 전략 계획(2016~2020년)을 발표함. w 예산 규모는 7조9,000만 밧(2,242억 달러)이며 주요 정부 산하 기관, 태국중

앙 이슬람위원회 및 할랄표준연구소가 협력해 할랄제품 생산기지 설립, 관리 및 인증, 관련 규정 발간 및 수출입 파트너 관리 등을 시행할 예정임(일부는 시행 중)(코트라 방콕무역관 2017).

w 남부 지역에 대규모 원스톱 할랄 인증센터 및 유통센터를 설립해 할랄식품 수출을 활성화할 계획임.

o 2015년 기준 태국의 할랄 식품 수출 시장은 전 세계(약 1,450억) 규모의 4.4%로 5위를 차지함. w 태국 내 약 3만 개 식품 제조공장 중 8,000여 개의 공장에서 할랄식품을 제조

함.

Page 18: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3

<표 6> 세계 할랄식품 수출 주요 국가

 

자료원: 할랄식품정보센터(Halal Food Information Center)

4. 싱가포르

o 2010년 기준 싱가포르의 무슬림 인구는 약 8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7%를 차지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내 무슬림 관광객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2013년 기준 473만 명에 이름.

o 314개 로컬 회사로 구성된 싱가포르 식품 제조자협회(Singapore Food Manufacturers’ Association; SFMA)에 등록된 할랄 인증 업체는 총 31개사인데, 대부분이 종업원 수 100명 미만의 중소기업으로서 주로 내수용 베이커리 재료, 면, 파스타, 양념, 소스, 스낵, 음료 등을 생산하고 있음.

o 싱가포르는 무슬림이 여행하기에 얼마나 편리한지를 수치화한 ‘Global Muslim Travel Index 2015’3)에서 65.1점으로 9위에 위치했는데, 이는 비이슬람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임.

<표 7> Global Muslim Travel Index 2015

3) 마스터카드와 CrescentRating사에서 공동 개발한 지수로 할랄 음식, 기도방 등에 대한 접근 용이성 등을 바탕으로 무슬림이 여행하기에 얼마나 편리한지를 수치화해 나타낸 것임.

순위 국명 점수1 말레이시아 83.82 터키 73.82 아랍에미레이트 72.14 사우디아라비아 71.3

Page 19: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4

자료원: CrescentRating;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2015 재인용

Ⅳ. 할랄 인증과 할랄 산업

1. 할랄 인증이란?

o 할랄 인증서는 “문서에 기재된 제품들이 해당 인증 기관의 이슬람 식이규칙에 부합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이슬람 기관이 발급한 문서임”(리아즈·챠리드 2016).

o 할랄 인증의 유효기간은 대상 제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1년, 2년 혹은 3년으로 발급됨.

o 할랄 인증서 발급 주체는 국가 마다 상이한데, 말레이시아처럼 국가 기관이 관리하는 곳에서부터 이슬람 조직이나 기관, 혹은 무슬림 개인 등 다양하지만, 이러한 할랄 인증의 수용 여부는 제품이나 용역을 제공 받는 국가 혹은 무슬림 공동체에 의해 정해짐.

o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로 수출하는 제품의 할랄 인증의 경우 제조하는 지역의 할랄 인증 발급기관이 해당 국가의 승인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어야 함.

2. 할랄 인증의 발전4)

o 본래 할랄 인증은 제품 생산자가 자신의 제품에 대해 할랄임을 선언하는 방식이었으나, 국가 간 거래가 늘어나면서 거래 당사자가 아닌 보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권한을 가진 기관이 이를 인증하는 방식으로 변형됨.

o 1945년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에서 무슬림을 대상으로 할랄 식사 가이드를 제

4) 코트라 자료 2016. “세계 할랄 시장 동향 및 인증 제도”에서 발췌 및 요약.

5 카타르 68.26 인도네시아 67.57 오만 66.78 요르단 66.49 싱가포르 65.110 모로코 64.4

Page 20: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5

공하기 위해 Muslim Judicial Council Halal Trust가 설립됨. o 1969년 태국 쉐흐알이슬람(Sheikh al-Islam)(이슬람 최고지도자) 사무국에서 쿠

웨이트 닭고기 수출 회사에 할랄 인증서를 발급하기 시작함. o 1975년 사우디의 요청으로 사우디로 수출되는 호주산 육류에 대한 할랄 도축

인증을 AFIC(Australian Federation of Islamic Council)가 담당함. o 동남아에서는 1968년 싱가포르에 MUIS(Majlis Ugama Islam Singapura)가 설립

되었고 공식적인 할랄 인증 서비스는 1976년부터 시작함. o 1979년에는 브라질이 이슬람권 국가에 육류를 수출하기 위해 브라질 중앙이슬

람 할랄센터(CIBHC)를 설립함. o 말레이시아는 1972년에 ‘상품표시법’을 제정(1975년 시행)하여 할랄 식품을 법

제화함. 1994년도에는 JAKIM(Jabatan Kemajuan Islam Malaysia, 말레이시아 이슬람개발부)이 할랄 인증제를 도입함.

o 인도네시아는 1989년에 ‘인도네시아 이슬람지도자 협의회’(Majlis Ulama Indonesia: MUI) 산하에 ‘식품, 약품, 화장품 검사원’(Lembaga Pengkajian Pangan, Obat-obatan, dan Kosmetika: LPPOM)을 설립했고, 1994년부터 할랄 인증서를 발행하고, 할랄 제품을 목록화하였음.

3. 동남아 개별 국가의 할랄 인증제도

(1) 말레이시아

o 1972년에 제정된 상품표시법(Trade Descriptions Act)에 첨부된 1975년 시행령의 ‘할랄 표현의 사용’과 ‘음식의 표지’에 대한 조항에서 식품에 할랄 표지를 부착할 것을 의무화 함. 이는 이슬람법의 일부 규정을 시민법에 포함시킨 사례임.

o 1994년 정부 차원에서 할랄 인증을 발급하는 제도를 도입함. JAKIM이 신청자인 도살업자, 식품제조업체, 유통업체, 식당 등에 대해 심사를 하고 할랄 인증을 발급함. 말레이시아 할랄 인증제는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형태로서 글로벌한 관점에서 매우 선도적인 것인데, 이는 역설적이게도 무슬림이 인구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지 못하는 복합사회적 특성이 반영된 것임.5)

o 2004년 말레이시아표준원(Department of Standards Malaysia)은 새로운 할

Page 21: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6

랄 식품 기준으로 ‘MS 1500(할랄 식품의 생산, 취급, 저장에 관한 일반지침)’을 제정하였고, 이는 국가표준제의 일부가 됨.6) 새로운 규정은 할랄 식품의 정의, 할랄 식품의 가공, 보관, 운송, 포장, 진열, 판매, 포장, 라벨에 대한 일반 지침, 식품 가공에 사용되는 원료인 동물, 해산물, 식품, 미생물, 천연 미네랄, 화학물질,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한 할랄 규정과 이슬람적 도축의 기준까지 포함하는 할랄 인증 업무의 세부적 규칙을 제시함(오명석 2017).

o 2011년 상품표시법 개정을 통해 할랄 인증을 발급할 수 있는 권한을 JAKIM과 주정부 이슬람 종교협의회로 한정함.7) 현재 JAKIM은 자국에서 유통되는 제품의 할랄인증을 총괄하면서 해외 할랄인증 기관들과의 네트워크 구축도 적극 추진하고 있음.

o 국가주도의 엄격한 할랄 규정을 적용하고 있는 말레이시아는 세계 할랄 표준화를 선도하기 위해 할랄 산업의 과학화에 노력하고 있으나, 이슬람의 변방국가로서 종교적 정당성 및 권위가 부족한 한계가 있음.

5) 말레이시아에서 할랄 인증제가 일찍 도입된 배경에는 첫째, 1970년대부터 초부터 시작된 신경제정책(New Economic Policy)으로 과거 주로 농촌에 거주하던 말레이들이 화인들인 다수를 점하고 있었던 도시로 이주하면서 도시가 다민족 공간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임. 둘째, 1970년대 이후 말레이 대학생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이슬람적 의식과 실천을 강조하는 이슬람부흥운동-닥와(dakwah)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쳤음. 셋째, 말레이시아 정부가 이슬람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함(오명석 2012).

6) JAKIM이 내부적으로 제정한 할랄 인증 가이드라인을 말레이시아 표준원이 관장하는 국가표준제의 일부로 공표한 것임.

7) 그동안 JAKIM이 할랄 인증 발급의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기는 했지만, 사설 할랄 인증기관이 난립하여 JAKIM과 경쟁하는 구도였는데, 2011년 상품표시법 개정으로 국내 사설 할랄인증기관의 인증 발급은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음.

Page 22: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7

<표 8> 말레이시아 JAKIM 할랄 인증 절차도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

(2) 인도네시아8)

o 1989년 MUI 산하에 LPPOM을 설립하였으며, 1994년부터 할랄 인증서를 발행하고 할랄 제품을 목록화함. 할랄 인증이 정부에 의해 강제된 것은 아니지만 대규모로 생산, 유통되는 제품의 자발적 인증이 증가함.

o 2000년대 이후 이슬람식 소비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할랄 인증이 필수요건처럼 여겨짐.

o 2001년 종교성이 ‘할랄 음식의 검사 및 인증 방식과 규정에 대한 인도네시아 종교성의 결정’(Departmen Agama 2001)을 발표함.

8) 김형준의 연구논문 “이슬람과 할랄 소비: 인도네시아 할랄제품보장법을 중심으로”(2017)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 및 요약.

Page 23: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8

w 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절차를 구체화함.

<표 9> 2001년 종교부 발표 할랄 검사 및 인증 기준

* 나지스: 이슬람 종교상 불결하고 부정한 상태를 지시함.

o 2008년 ‘할랄확약시스템’(Sistem Jaminan Halal; Halal Assurance System)을 발표함. w 일회적인 검사만으로 제품의 할랄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할랄 인증과 재인증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함. w 할랄확약시스템의 검증 기준을 13가지로 표준화하여 제시함.

<표 10> 할랄확약시스템 매뉴얼의 항목

검사 대상 주요 검사 요소

제품 생산 공장 1) 위생상태 및 나지스(najis)* 해당 여부

2) 하람 재료에 오염될 가능성

제품 생산 도구1) 할랄 제품과 하람 제품 생산 도구의 분리

2) 위생상태 및 나지스 해당 여부

제품 생산 과정

1) 도축과정에서의 아랍어 기도문 암송

2) 도축용 기구의 날카로움

3) 혈관의 절단 제품 재료 1) 돼지, 알코올, 여타 하람으로 규정된 재료 함유 여부

제품 인력1) 도축 관련 인력의 종교 및 종교적 이해도

2) 생산 관련 인력의 건강, 위생, 피부병 감염 등

항목 주요 내용

1. 할랄 정책 할랄 생산에 대한 회사의 의지 선언

2. 할랄 지침제품의 재료 및 생산과정에서 할랄과 관련된 핵심 문

3. 할랄 관리 조직 할랄 생산 관리 조직, 구성원의 자격조건, 업무 분장

4. 표준작업절차전체 공정에서 할랄성(性)을 보장하기 위해 수행되어

야 할 작업 절차

5. 기술적 지침 할랄제품 생산에 요구되는 기술적 측면

6. 행정체계제품 구매, 보관, 개발, 생산, 유통 등과 관련된 행정

처리

7. 기록 및 문서화 할랄 제품 관련 자료의 수집 및 문서화

8. 사회화 프로그램 할랄 제품과 관련된 정보 제공 및 공유

Page 24: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19

o 2012년 ‘HAS’ 23009) 규정이 발표됨으로써 할랄인증절차의 정교화가 가속화됨. w 할랄확약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할랄인증과정을 상세하게 명시하였고, 더불어

‘식품제조업의 할랄확약시스템 기준’(HAS 23101), ‘음식점의 할랄확약시스

템 기준’(HAS 23102), ‘도축장에 대한 할랄확약시스템 기준’(HAS 23103),

‘케터링의 할랄확약시스템 기준’(HAS 23104), ‘할랄식품 재료 요구사

항’(HAS 23201)이 제정되었음. w 2008년 제도에 바탕을 두고 구성되었는데, 2008년 13개 항목이 11개로 정

리되었고, 원재료 및 생산 시설에 대한 기준이 세분화됨.

9) 할랄확약시스템의 영어 명칭인 Halal Assurance System의 약자임.

9. 훈련 프로그램 모든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할랄 관련 교육

10. 내외부 소통체계 할랄과 관련된 내외부 유관 기관과의 연락망 구축

11. 내부감사체계 할랄보장시스템을 감시하고 평가할 회사 내 체계 구축

12. 교정 체계 잘못된 부분을 교정하고 기록할 체계

13. 관리 리뷰 체계 할랄확약시스템 운영의 전반을 검토할 체계 구축

Page 25: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20

<표 11> 할랄인증절차

출처: http://www.halalmui.org/mui14/index.php/main/go_to_section/58/1366/page/1;

김형준 2016 재인용.

o 2014년 9월 ‘할랄제품보장법’(Undang-Undang Republik Indonesia Nomor 33 Tahun 2014)이라는 파격적인 법안이 통과됨. 5년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2019년 10월에 발효될 예정임. w 새로운 법안은 제품을 “음식, 음료, 의약품, 화학제품, 생물학 제품, 유전공학

제품 등과 관련된 물건이나 서비스 그리고 일반인에 의해 착용되고, 이용되며

Page 26: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21

효용이 있는 물건”으로 규정함으로써 대부분의 재화와 서비스를 할랄 인증 대상에 포함시키는 파격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w 할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제품에 대해서는 할랄이 아님을 명시해야 함. w 할랄 인증 대상에 원재료뿐만 아니라 가공 과정 전체를 포함시킴. w 할랄 제품 생산 관리자는 무슬림이어야 한다는 의무 조항을 포함하고 있음. w 할랄 인증의 주체가 과거 MUI 산하의 LPPOM에서 정부가 설립할 인증총괄기

관(BPJPH)과 정부 및 민간의 실행 기관(LPH)에 이양됨.

(3) 태국

o 태국 이슬람 중앙회(The Central Islamic Committee of Thailand)는 2003년 8월 설립된 이슬람 종교 기관으로서 정부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할랄 기준· 규정을 연구 및 승인과 관련된 업무를 추진함.

o 태국 이슬람 중앙회(CICOT: The Central Islamic Committee of Thailand)에서 할랄 관련 업무를 담당함.

o ‘다이아몬드 할랄’이라는 고유한 인증체계를 갖추고, 엄격한 인증 절차 등을 통해 세계적 권위를 인정받고자 노력함.

o 태국산업표준연구원(TISI: Thai Industrial Standard Institute)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태국 내 2,188개 업체의 6만 4,500개 제품이 할랄 인증을 획득함(코트라 방콕무역관 2017).

(4) 싱가포르

o 싱가포르 이슬람 종교 협의회(Majlis Ugama Islam Singapura: MUIS)는 1972년부터 할랄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1978년부터 할랄 품질 경영 시스템(Hal-MQ)에 초점을 맞추어 할랄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음.

o MUIS는 싱가포르 정부의 승인 하에 할랄 인증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유일한 기관이며, 인도네시아의 MUI, 말레이시아의 JAKIM과 더불어 공신력 있는 할랄 인증기관 중 하나임.

o 싱가포르 의회는 1999년에 무슬림 행정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는데, 이 개정안은 할랄 인증과 관련하여 MUIS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함.

o 할랄 발전을 위해 세 개의 정부기구-식품통제국(Food Control Department),

Page 27: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22

국가개발부 산하 농·수의 검역국, 내무부 산하 경제범죄국-가 MUIS와 함께 협업하고 있음.

(4) 브루나이

o 브루나이 할랄 인증 기관은 ‘Brunei Halal’로서 정부가 지원하고 보증하는 공신력 있는 기관임.

o 브루나이에서 할랄 인증은 의무사항이 아니지만 전체 인구의 67%가 무슬림으로 대부분이 할랄 여부에 민감한 소비자들임.

o 2010년부터 할랄 산업을 정부 장기 경제 전략으로 수립하여 산업자원부와 종교부에서 집중적으로 육성·관리하고 있음.10)

4. 한국의 할랄 인증 현황

o 국내에는 유일한 공식 할랄 인증기관 한국이슬람교중앙회(KMF)와 3개(한국할랄인증원, 한국이슬람문화협회, NU Korea)의 해외인증대행기관이 있음. KMF의 할랄 인증은 제일제당을 시작으로 90년대 초부터 시작했음.

o 2015년 기준 국내 120여개의 식품업체가 430여개의 품목에 대해 할랄 인증을 획득했고, 2017년 13개의 식당이 할랄 인증을 받음.

o KMF의 낮은 인지도로 인해 해외의 다른 국가와 상호교차인증이 문제가 되고 있음. 예컨대 인도네시아 MUI의 인증을 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2015년부터 KMF에서 인증을 받은 한국 라면의 인도네시아 수출이 거부당함. 그러나 말레이시아의 JAKIM과는 교차인증이 체결되어 있음.

10) 산업자원부는 외국인 투자자들로부터 3천억 원을 투자받아 할랄 산업단지를 건설하는 중임.

Page 28: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23

Ⅴ. 요약과 전망

o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이슬람 경제에서 동남아는 매우 선도적인 위치에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주력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음.

o 대부분의 인구 구성원이 무슬림이고 모든 제품이 할랄이라고 믿고 있는(실제 아니라하더라도) 중동과 비교하여 동남아에 거주하는 무슬림 소비자들은 할랄 인증에 더 민감하게 반응함.

o 금융부문에서 시작된 이슬람 경제는 소비영역으로 확대되었고, 식품에 대한 할랄 인증에 대한 제도화가 공고화됨에 따라, 할랄 산업은 식품을 넘어서 화장품, 의약품, 미디어, 패션, 관광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음.

o 동남아 무슬림 소비자들의 할랄 제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할랄 인증의 범위가 확대되고, 절차가 복잡해짐에 따라, 무슬림 시장에 진출하려는 외국계 기업에는 큰 부담으로 작용됨.

o 한국에서 할랄 산업이 마치 새롭게 등장하는 블루오션처럼 소개되는 경우가 있지만, 사실 할랄 인증은 시장 진입에 필요한 최소한의 요건을 갖추는 것일 뿐이며, 동남아를 비롯한 이슬람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는 할랄 인증 제도의 정교화는 차후 비관세 장벽과 유사한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음.

o 할랄은 종교에 기반을 둔 문화적 산물로서 할랄 인증을 단지 시장 진출에 필요한 수단으로만 생각하는 접근에서 벗어나, 할랄 인증이 한국 사회에 가져올 문화적 변화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Page 29: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24

출처

: 코

트라

자료

201

6.

Page 30: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25

■ 참고문헌

김형준·홍석준. 2014. 『동남아의 이슬람화 1: 1970년대 이후 종교와 경제의 변화』. 서울: 눌민.

김형준. 2017. “이슬람과 할랄 소비: 인도네시아 할라제품보장법을 중심으로.” 『동아연구』. 36(1): 253-294.

나희량. 2011. “말레이시아 이슬람금융.” 『아시아리뷰』. 1(2): 135-172.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2015. “태국정부 할랄식품 수출진흥 정책.” 리아즈, 미안·챠드리 무함마드. 2016. 조영찬 역. 『할랄식품 생산론』. 서울: 한울아

카데미. 오명석. 2012. “이슬람적 소비의 현대적 변용과 말레이시아의 할랄 인증제: 음식,

이슬람법, 과학, 시장의 관계.” 『한국문화인류학』. 45(3): 3-62. 오명석. 2017. “말레이시아의 할랄식품 시장과 할랄인증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

시아의 소비문화: 맛과 멋 그리고 공간』 출판 예정.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 “주요국 할랄 인증 안내서”. 중소기업중앙회. 2017. 손에 잡히는 할랄시장 코트라 방콕 무역관. 2017. “태국, 다이어몬드 할랄 식품 및 인증제도.” 코트라 자료. 2016. “세계 할랄 시장 동향 및 인증 제도.”까르다위, 유스프. 2011. 『이슬람의 허용과 금기』. 서울: 세창출판사.

Thomson Reuters. 2016. “The State of Global Islamic Economic Reports 2015/16.”

Pew Research Center. 2015. “The Future of World Religions: Populations Growth Projections, 2010-2050.”

Page 31: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seacenter.snu.ac.kr/.../08/이슈페이퍼-통권-18호.pdf · 2017-08-24 · 18 w이 지침을 통해 할랄 인증 검사 대상과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Tel. 02.880.2695

E-mail. [email protected]

http://seacenter.snu.ac.kr

홈페이지를 통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의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남아 이슈페이퍼 통권 18호February 2017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

동남아 이슬람 경제의 동향과 전망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신흥지역연구단

동남아 이슈페이퍼 통권 18호February 2017

저자 : 이 지 혁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센터 선임연구원 / 국제지역학 박사))C

M

Y

CM

MY

CY

CMY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