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계와도시 6호...

9
World & Cities Vol.6 35 1. 개 요 후에시(Hue City)는 베트남 최초의 통일왕조이자 마지막 왕조인 응우 옌 왕조(Nguyen Dynasty, 1802~1945)의 고도(古都)로서 한국의 경주 와 유사한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후에 기념물 복합지구, 1993년)으로 등재된 다수의 역사유적과 세계 무형문화유산(후에 궁중음악, 2005년)을 보유하고 있다. 도시 내 세계문화유산과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후에시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보존과 개발을 통한 도시성장이라는 두 가지 이슈를 해결해야 할 과제로 가지고 있다. 특히 후에시는 1999년 수 립된 도시 마스터플랜이 있으나 10여년 동안 변화하는 시대여건과 도시 현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한국의 원조사업(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으로 후에시 마스터 플랜 수립사업을 요청하였으며,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후에시의 지 속가능한 성장 및 발전을 위해 2011년부터 28개월간 350만 달러의 예산 을 지원하여 후에시 마스터플랜 수립사업을 진행하였다. 한국 컨설턴트 에 의해 수립된 후에시 마스터플랜은 2014년 5월 베트남 수상실 승인을 받음으로써 한국 ODA 사업으로서는 최초로 베트남 법률에 근거한 행정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베트남의 대표적 역사문화도시인 후에시를 대상으로 한 국의 ODA 사업으로 추진된 도시계획 사례 소개를 통해 신흥도상국 역사 문화도시에서의 도시보존과 개발의 주요 현안, 마스터플랜 수립과정, 그 리고 역사문화도시 관리방안에 대한 한국의 개발경험공유(Knowledge Sharing)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2. 베트남 후에시의 역사문화 자원 현황 후에시는 하노이시로부터 700km, 호치민시로부터 1,000km 거리에 위치한 베트남 중부지역 투아티엔후에성(Thua Thien Hue Province)의 성도로서, 2011년 말 현재 약 34.2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규모 는 70.99㎢이다. 또한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을 비롯한 역사문화유적과 천혜 의 자연경관자원인 향강(Huong River)을 기반으로 베트남 중앙정부로부 터 2007년 페스티벌 도시(Festival City)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까지 중 앙도시(Centrally-run City)로의 승격이 결정된 베트남 중부의 중심도시 이다. 3 서울시는 600년 역사도시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도 시에 해당되며 풍부한 유무형의 역사문화자원을 보유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역사문화자원의 보존과 도시 관리방안에 대한 선진적 제도와 정책을 보유하고 있 는데, 지자체 단위에서 도시계획(서울 도시기본계획, 서울 도심부 관리기본계획, 서울 도심부 발전계획 등) 과 세부계획(북촌가꾸기 기본계획, 인사동 지구단위계 획 등)을 수립함으로써 실행력 높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서울시는 역사문화보존정책과 더불어 스토리텔 링, 전통마을 관광문화프로그램 등 역사문화콘텐츠 개 발과 활용계획을 함께 수립하여, 경제발전도 함께 고 려해야 하는 신흥도상국 역사도시에 좋은 모범사례가 될 수 있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도시관리방안 홍나미 실장 [email protected] ㈜한아도시연구소 글로벌도시본부

Upload: others

Post on 16-Oct-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계와도시 6호 특집3.pdf ·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World & Cities Vol.6 35

1. 개 요

후에시(Hue City)는 베트남 최초의 통일왕조이자 마지막 왕조인 응우

옌 왕조(Nguyen Dynasty, 1802~1945)의 고도(古都)로서 한국의 경주

와 유사한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후에 기념물 복합지구, 1993년)으로 등재된 다수의 역사유적과 세계

무형문화유산(후에 궁중음악, 2005년)을 보유하고 있다.

도시 내 세계문화유산과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후에시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보존과 개발을 통한 도시성장이라는 두

가지 이슈를 해결해야 할 과제로 가지고 있다. 특히 후에시는 1999년 수

립된 도시 마스터플랜이 있으나 10여년 동안 변화하는 시대여건과 도시

현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한국의

원조사업(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으로 후에시 마스터

플랜 수립사업을 요청하였으며,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후에시의 지

속가능한 성장 및 발전을 위해 2011년부터 28개월간 350만 달러의 예산

을 지원하여 후에시 마스터플랜 수립사업을 진행하였다. 한국 컨설턴트

에 의해 수립된 후에시 마스터플랜은 2014년 5월 베트남 수상실 승인을

받음으로써 한국 ODA 사업으로서는 최초로 베트남 법률에 근거한 행정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베트남의 대표적 역사문화도시인 후에시를 대상으로 한

국의 ODA 사업으로 추진된 도시계획 사례 소개를 통해 신흥도상국 역사

문화도시에서의 도시보존과 개발의 주요 현안, 마스터플랜 수립과정, 그

리고 역사문화도시 관리방안에 대한 한국의 개발경험공유(Knowledge

Sharing)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2. 베트남 후에시의 역사문화 자원 현황

후에시는 하노이시로부터 700km, 호치민시로부터 1,000km 거리에

위치한 베트남 중부지역 투아티엔후에성(Thua Thien Hue Province)의

성도로서, 2011년 말 현재 약 34.2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규모

는 70.99㎢이다.

또한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을 비롯한 역사문화유적과 천혜

의 자연경관자원인 향강(Huong River)을 기반으로 베트남 중앙정부로부

터 2007년 페스티벌 도시(Festival City)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까지 중

앙도시(Centrally-run City)로의 승격이 결정된 베트남 중부의 중심도시

이다.

3

서울시는 600년 역사도시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도

시에 해당되며 풍부한 유무형의 역사문화자원을 보유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역사문화자원의 보존과 도시

관리방안에 대한 선진적 제도와 정책을 보유하고 있

는데, 지자체 단위에서 도시계획(서울 도시기본계획,

서울 도심부 관리기본계획, 서울 도심부 발전계획 등)

과 세부계획(북촌가꾸기 기본계획, 인사동 지구단위계

획 등)을 수립함으로써 실행력 높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서울시는 역사문화보존정책과 더불어 스토리텔

링, 전통마을 관광문화프로그램 등 역사문화콘텐츠 개

발과 활용계획을 함께 수립하여, 경제발전도 함께 고

려해야 하는 신흥도상국 역사도시에 좋은 모범사례가

될 수 있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

홍나미 실장 [email protected]㈜한아도시연구소 글로벌도시본부

Page 2: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계와도시 6호 특집3.pdf ·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특집 도시의 보전과 개발

36

예를 들어 응우옌 왕조의 수도 후에시의 후

에 황성(Citadel)은 둘레에는 오각형의 포대를

설치한 프랑스의 보반식(Vauban) 성벽을 두

르고, 내부는 고대 중국의 도성제도를 도입하

여 격자형으로 도시를 구획하고 있다. 또한, 고

대 중국의 궁궐제도를 따라 궁궐을 짓고 전각

의 명칭을 제정하였다. 이밖에도 향강에 인접

한 지리적 특성을 살려 강물을 끌어들여 성벽

둘레에 해자(護城河)를 파고, 성 내부로도 운하

(御河)를 건설하여 방어와 운송체계를 구축하

였으며, 도성 주위에 중국의 풍수이론에 따라

수호신을 설정함으로써 이상적인 도성의 요건

을 갖추었다.

후에 도성은 고유한 문화적인 토대 위에 외

래문화를 수용하여 이룩한 베트남 전통문화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도성 이외에 향강 물길을 따라 분포해있는 황

제의 무덤, 사묘와 제단, 사원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현재 후에시와 그 주변에는 전통문화의 유

산으로써 국가지정문화재 38건을 포함해 총

76건의 지정문화재가 있으며, 이 중에서 후에

황성을 비롯한 16건의 유적이 그 역사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3년 후에 기념물 복합지

구(Complex of Hue Monuments)로 명명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현황

역사적으로 베트남의 전통문화는 외래문명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형

성되었다. 특히 중국으로부터 받은 영향이 커서, 10세기에 중국으로부

터 독립한 이후에도 역대왕조들은 적극적으로 중국문화를 받아들였고,

응우옌 왕조는 중국의 문자인 한자로 역사를 기록하였다. 또한 프랑스

인들이 들어오기 시작한 17세기 이후부터는 후에의 남쪽에 인접한 항구

도시 다낭시를 통해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유럽문명이 베트남에 전해졌

고, 19세기 이후 응우옌 왕조시기에 프랑스 문명의 영향은 절정을 이루

었다.

이처럼, 베트남은 전통문화의 기반 위에 중국과 프랑스 등과 같은 외

래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독특한 문화를 이루어 내었다. 베트남 전

통문화의 중층적 구조는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인 응우옌 왕조의 수도였

던 후에시에 집중되어 현재까지 잘 이어져 오고 있다.

그림1 후에시 전경

그림2 후에시 위치도

자료 : ㈜한아도시연구소

자료 : ㈜한아도시연구소

Page 3: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계와도시 6호 특집3.pdf ·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World & Cities Vol.6 37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

나. 역사문화자원 보존상태 및 보호구역

설정현황

19세기 프랑스 침략, 남북 분단시기를 거

쳐 시작된 베트남 전쟁의 포화 속에서 응우

옌 왕조의 유적들은 큰 수난을 겪게 되었으며,

1975년 베트남 통일 이후에도 사회주의 국가

체제 속에서 봉건왕조의 잔재로 취급받으며

방치되었다. 이후 1990년대에 이르러 개방정

책이 시행되고 199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으로 지정되면서 파괴되었던 유적지가 새롭게

조명받고 복구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 문화재보호법상 문화재 보호구역은

Zone 1(Core Zone)과 Zone 2(Buffer Zone)

의 두 단계로 설정되어 있다. 후에시 내 문화

재 또한 보호구역이 설정되어 있으나, 보호

구역 내 민가와 민묘의 침입이 현저하고 문

화재 보호구역 설정과 주변지역 관리에 대한

현지 주민들의 이해와 인식이 부족한 상태이

다. 특히 후에황성은 한변의 길이가 2,235m

의 정방형으로 면적이 500ha가 넘는 구시가

지로서 인구 10만 명 이상이 내부에 거주하고

있어 역사문화자원을 보존함과 동시에 현재

살고 있는 주민들의 삶에 대한 배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다. 베트남의 역사문화보존에 대한 제반여건

베트남의 문화재는 2009년 제정된 문화재

보호법에 근거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후에시와

같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도시

는 ‘유네스코 권고사항’과 ‘문화재보호법’에 따

라 관리되고 있다.

후에시에 대한 ‘유네스코 권고사항’은1 문화

표1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현황

구분 내용

명칭 후에 기념물 복합지구(Complex of Hue Monuments)

등재년도 1993년 12월 11일

등재기준

- 후에는 19세기 초 부흥했던 베트남의 마지막 봉건왕조의 세력을 뛰어나게

설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역

- 후에 기념물 복합지구는 동양 봉건왕조 수도의 대표적 사례

지정유적

- 후에황성, 자롱황릉, 민망황릉, 띠에우찌황릉, 뜨득황릉, 죽득황릉, 동카인황

릉, 카이딘황릉, 남교단, 티엔무사원, 문묘와 무묘, 홍첸사원, 호권, 안딘궁,

뜨궁기념관, 쩐하이성

자료 : UNESCO 홈페이지

그림3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분포현황

자료 : 한국국제협력단, 2013, 베트남 후에시 마스터플랜 개선 및 수립사업 보고서

후에황성 전경

태화전

카이딘황릉

티엔무 사원

1 자료 : UNESCO_Report of the 17th Session of the Committee(1993), 18EXTBUR V.B.1.2 (1994), 18EXTBUR V.B.2.1(1994), 18COM IX(1994), 18COM XII.3(1994), 19COM VII.C.2.49(1995), 20COM VII.D.70(1996), 21COM VII.C.54(1997), 21COM X.1-2(1997), State of Conservation Report(1998), 22COM VII.43(1998), State of Conservation Report(1999), 23COM X.B.45(1999), 24COM VIII.iii.35-43(2000), Periodic Reporting–Cycle1(2003), 28COM 15B.61(2004), 29COM 7B.58(2005), 30COM 7B.71(2006), 33COM 7B.85(2009), 35COM 7B.81(2011)

Hue Citadel

Thien Mu Pagoda

Royal Arena

Dong Khanh Tomb Nam Giao Esplanade

Hon Chen Temple

Minh Mang Tomb

Khai Dinh Tomb

Gia Long Tomb

Thieu Tri Tomb

Duc Duc Tomb

An Dinh Castle

Tu Duc Tomb

Temple of Liteature andTemple of Military Mandains

Memorial House 79Phan Dinh Phung Street

0 750 1500 3000m

N

Tran Hai Fortress

Page 4: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계와도시 6호 특집3.pdf ·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특집 도시의 보전과 개발

38

표2 후에시 마스터플랜 개선 및 수립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기간 2011.08~2013.12 (28개월)

대상지역 베트남 후에시 (도시 확장구역을 포함한 348㎢ 일대)

발주처 한국국제협력단 (KOICA)

수행기관 ㈜한아도시연구소, ㈜도화엔지니어링

사업내용

- 후에시 마스터플랜 2030 비전 2050 수립

- 현지 워크숍 및 사업설명회 개최

- 한국 연수초청

- 기자재 지원

자료 : 한국국제협력단, 2013, 베트남 후에시 마스터플랜 개선 및 수립사업 보고서

재 보존을 위한 종합적인 관리계획 수립의 요

구, 주변의 관련 유적까지 포함 가능한 기존 문

화재 영역의 확장 요구, 보호구역 내 토지이용

과 개발행위에 대한 규제의 재검토 및 개선사항

요구, 문화재 보존을 위한 기술 및 복구비 지

원, 각종 개발행위가 문화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니터링 요구 등을 권고하고 있다. 이러

한 권고사항은 도시 전체의 역사문화자원 보존

관리를 위한 큰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구체

적 실행방안은 부족하다.

베트남 ‘문화재보호법’은 두 단계의 문화재

보호구역 설정을 통해 문화재 보호방안을 제시

하고 있으나, 보호구역 설정기준이 문화재보호

법 상에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정

문화재의 점적인 보호를 위한 보호구역 설정에

그치고 있으며, 보호구역 내 건설행위에 대한

구체적 규제내용이 미포함 되어 있다.

3. 역사문화보존과 개발을 고려한 후에시 도시관리방안

가. 후에시 마스터플랜 개선 및 수립사업 개요

한국 ODA 사업으로 추진된 ‘후에시 마스터

플랜 수립 및 개선사업’은 베트남 법률(도시계

획법: Law on Urban Planning, 건설법: Law

on Construction)상의 법정 도시계획인 ‘후에

시 마스터플랜 2030 비전 2050’을 베트남 지

방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한국 컨설턴트

가 수립해준 프로젝트이다.

베트남 법률상의 마스터플랜은 도시에 대한

20년 장기계획으로서 도시비전, 계획지표, 도

시공간구상, 토지이용계획뿐만 아니라 역사문

화보존, 관광, 경제, 교통·상하수도 등 인프

라 부문을 포함하는 총체적 계획의 성격을 지

닌다.

사업기간은 2011년 8월부터 2013년 말까지 총 28개월이며, 사업내용

은 후에시 마스터플랜 수립, 현지워크숍 및 사업설명회 개최, 국내 연수초

청, 기자재 지원으로 구성되었다. 후에시 마스터플랜은 향후 2015년까지

중앙도시로의 승격을 고려하여 현재 후에시를 포함하여 도시 확장구역 일

대(약 348㎢)를 대상으로 수립되었다.

나. 후에시 역사문화자원 보존 및 주변지역 관리방안

후에시 마스터플랜 계획이슈

후에시 마스터플랜 수립시 고려된 주요 계획이슈는 크게 세 가지이

다. 역사문화자원의 보존과 도시개발의 조화, 우수한 자연환경의 보존과

활용, 집중호우에 따른 상습적인 홍수범람 문제의 기술적 해결방안이 주

요 이슈였으며, 그 중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계획이슈가 가장 주요한 사

안이었다.

프랑스 양식의 근대건축물이 다수 분포한 후에시 신시가지의 경우 평

균 4~5층 정도의 낮은 스카이라인을 유지하였지만 최근 호텔, 주택 등

도시개발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10층 이상의 고층 건축물 개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티엔무사원, 황릉 등 역사문화자원이 다수 분포한

향강변 개발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나, 도시 내 역사문화자원 보존과

주변지역 관리에 대한 구체적 해결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지방정부 차원

에서 도시를 관리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후에시 마스터플랜에서는 증가하는 도시개발수요를 역사문화

자원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신규 외곽지역으로 유도하고, 역사문화자원 및

주변지역에 대해서는 한국의 역사문화보존에 대한 제도와 경험을 토대로

베트남 현지에 적용 가능한 관리방안을 검토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Page 5: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계와도시 6호 특집3.pdf ·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World & Cities Vol.6 39

련 제도 사례(문화재 주변 현상변경허가 처리

기준,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를 검토하여 적

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베트남의 제도에

적용될 수 있도록 4단계 조닝구역 개념을 계획

후에시 역사문화자원 보존의 기본방향

후에시는 1802년 응우옌 왕조의 수도로서 건설될 당시 풍수사상이 도

입되어 누빈산(Ngu Binh Mountain)을 천연병풍으로, 향강 내 콘헨섬

(Con Hen Island) 및 다비엔섬(Da Vien Island)이 좌청룡, 우백호를 상

징하도록 계획되었다. 또한 황릉의 배치 또한 향강 상류부터 하류를 향

해 초대 황제부터의 능이 배치되어 향강을 따라 역사문화경관이 형성되

었다. 따라서 후에시의 전통적인 도시계획이념을 준용하여 풍수적 경관

형성 요소에 대한 보존과 조망확보를 고려하였다.

또한 개발행위로부터 역사문화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문화재 보호구

역의 재설정을 검토하여 제시하고,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룬 역사문화경

관의 보존을 위해 도시의 주요 경관축과 문화재간의 연계, 향강 수변경

관의 보존, 자연과 건조환경의 조화 등을 고려하여 역사문화 보존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역사문화자원(세계문화유산) 보호구역 조닝 재설정 제안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베트남 문화재보호법은 문화재 보호구역 설정

을 통해 역사문화자원의 보존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행방안이 구체

적이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베트남 역사문화보존 관련 제도

(유네스코 권고사항, 문화재보호법)를 토대로 한국의 역사문화보존 관

표4 역사문화보존을 위한 보호구역 조닝개념 보완 필요성

베트남 보호구역

한계점⇒

- 베트남에서 규정한 Zone1과 Zone2는 한국의 문화재지정구역

(Zone1), 문화재보호구역(Zone2)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당해 문

화재와 인접지역만을 보존·관리하기 위한 최소범위에 그침

문화유적의

역사적 진정성 ⇒

- 문화유적의 원형을 밝히고 후대의 인위적인 훼손이나 환경변화

요소를 정비하여 그 원형을 보존·회복해야 할 필요성 보유

후에시

역사문화경관 특성⇒

- 문화재가 계획·건립되는 과정에 주변 지형과 수계 등이 풍수지

리적으로 고려되어 광범위한 역사문화경관을 형성

▶ 개별 문화재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행해지는 개발행위에 대한 문화재 영향검토 실시

▶ 향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후에황성과 황릉 등이 위치한 지역의 자연경관 보존을 연계하여

역사문화도시를 지향하는 후에시의 광역적 역사문화경관 보존·관리

표3 후에시 역사문화 보존방안 수립절차

유네스코

권고사항,

베트남 문화재보호법

및 당사국의 기수립

계획 검토

역사문화자원

현장답사

( 유적지 보존상태

및 주변지역

개발·관리현황)

+

한국의

역사문화보존 관련

제도 사례 검토

(문화재 주변 현상

변경 허가처리기준,

고도보존 특별법)

후에시에 적합한

역사문화자원

(세계문화유산)

보호구역

설정(안) 제시

표5 역사문화자원 보호구역 조닝의 구역별 개념

구분 구역별 개념

보호구역

- 문화재 보호를 위해 해당 문화재구역 및 주

변 일대를 포괄하는 구역으로, 어떠한 개발

행위도 불가능한 구역

특별

정비구역

- 훼손된 문화재 인접 경관을 보호하기 위해

정비계획 수립이 요구되는 구역

영향

검토구역

- 문화재 주변 경관을 보호하기 위해, 미래의

개발 행위가 문화재 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토하는 구역

• 도심: 보호구역 주변 300m 범위

• 교외: 보호구역 주변 500m 범위

역사문화

경관

보호구역

- 문화재의 경관을 통합적으로 보존하기 위

해 설정하는 구역으로, 경관 정비를 위한

최소한의 현상변경만 허용

• 향강 양안 200m 범위 및 기타 구역

4단계 보호구역 조닝의 개념

자료 : 한국국제협력단, 2013, 베트남 후에시 마스터플랜 개선 및

수립사업 보고서

역사문화경관보호구역

영향검토구역

특별정비구역

보호구역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

0 50 100 200m

N

100m

200m

300m

400m

500m

Historic Cultural Landscape Protection

Zone

Zone1

Zone7

Zone2

Zone3

Special Maintenance Zone

Temple of Literature and Temple of Military Mandarins

Consideration Zone

Page 6: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계와도시 6호 특집3.pdf ·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특집 도시의 보전과 개발

40

(안)으로서 제안하였다.

또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16개 역사문화자원 중 3개 대상지(안

딘궁, 티엔무사원, 티에우찌 황릉)를 선택하여 상세 현황분석을 토대로

영향검토구역 내 현상변경 허용기준을 수립하여 예시로 제시하였으며,

나머지 역사문화자원에 대해서는 베트남 측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검토하

여 수립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한국의 역사문화보존 관련 제도

▶ 문화재 주변 현상변경허가처리기준 : 개발행위로부터 문화재 및 주변 경관을 보호하

기 위해 문화재지정구역(혹은 주변의 문화재보호구역) 외곽으로부터 일정 범위(국가

지정문화재 500m, 시도지정문화재 300m)를 영향검토구역으로 설정하여, 영향검

토구역 내에서의 개발행위에 대하여 별도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

▶ 고도(古都)보존에 관한 특별법 : 점적인 문화재 보존의 한계를 벗어나 광역적인 역사

문화 환경을 보존하고, 단일 문화재를 대상으로 하는 규제 위주의 보존정책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2004년에 제정한 법률. ‘고도’는 과거 한국의 정치, 문화의 중심지

였던 왕도를 지칭하는 것으로 현재 경주, 공주, 부여, 익산이 고도로 지정됨

그림4 영향검토구역 내 현상변경허용기준 수립을 위한 현황분석 예시(안딘궁 사례)

지형단면

건축물 규모(층수)

건축물 지붕형태

건축물 용도조망점 분석

0 50 100 200m

N

0 50 100 200m

N

0 50 100 200m

N

Page 7: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계와도시 6호 특집3.pdf ·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World & Cities Vol.6 41

후에시 역사문화자원(세계문화유산) 보호구역 계획안 제시

도시 내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보호구역 설정과 조닝개념 제안에 대해

서는 현지 워크숍 및 실무회의 개최를 통해 베트남 현지 전문가 및 후에시

공무원들과 수차례의 협의과정을 거쳐 대안을 선정하였다.

후에시 역사문화보존방안 현지 협의과정

- 2012년 2∼4월 : 현지조사 및 베트남 관계기관 협의

(후에시 현안문제 및 마스터플랜 기본방향)

- 2012년 4월 : 현지 워크숍 개최(후에시 도시성장을

위한 역사문화 보존과 개발 이슈)

- 2012년 5∼6월 : 한국 연수초청 시행(한국의 역사

문화도시 방문-경주, 수원, 공주, 부여; 한국의 세계

문화유산과 도시발전 사례 강의)

- 2012년 8월 : 1차 중간회의 개최 및 협의

- 2012년 10월 : 현지 조사, 베트남 관계기관 협의(역사

문화 보존방안의 세부 계획방향)

- 2012년 12월 : 2차 중간회의 개최 및 협의

- 2013년 5월 : 사전실무협의(역사문화 보존방안의

실현화를 위한 구체적 제언)

※ 베트남 관계 협의기관 : 투아티엔후에성 인민위

원회, 후에시 인민위원회, 후에유적관리센터(Hue Monument Conservation Center, HMCC), 후에

성 건설계획원(Hue Planning Institute, HPI) 등

그림5 영향검토구역 내 현상변경허용기준 수립 예시(안딘궁 사례)

조닝허용기준

평지붕 경사지붕 (경사도 3:10 이상)

Zone 1현 규모 수준에서 리모델링 또는 확장

(현재 연면적의 10% 이내)

Zone 2 건축물 높이 8m (2층) 이하 건축물 높이 12m (2층) 이하

Zone 3 건축물 높이 11m (3층) 이하 건축물 높이 15m (3층) 이하

Zone 4 건축물 높이 14m (4층) 이하 건축물 높이 18m (4층) 이하

Zone 5 건축물 높이 17m (5층) 이하 건축물 높이 21m (5층) 이하

Zone 6 건축물 높이 20m (6층) 이하 건축물 높이 24m (6층) 이하

Zone 7 후에시 도시계획에 따름

특별

정비구역

안딘궁 동측 담장에 인접한 건축물 정비

안딘궁 남측 안구강변 가로경관 복원 및 정비

자료 : 한국국제협력단, 2013, 베트남 후에시 마스터플랜 개선 및 수립사업 보고서

후에시 마스터플랜 상의 보호구역 계획안은

역사문화자원의 위치에 따라 차별화하여 제시

하였는데 후에황성, 안딘궁 등 도심지에 위치

한 역사문화자원은 문화재 보호구역 외곽으로

부터 300m 범위, 이외 도심지 외곽에 위치한

역사문화자원은 문화재 보호구역 외곽으로부터

500m 범위를 영향검토구역으로 설정하고, 개

별 유적의 영향검토구역에 대한 현상변경허용

기준을 마련하였다.

프랑스식 건축물이 다수 분포한 신시가지

는 현재 개발수요가 집중되고 있으나 후에황성

과 향강 경관과의 조화, 기존 건축양식 및 경관

보호를 위해 검토구역 내 포함되었다. 또한 향

강의 양안 외곽 200m 범위는 역사문화경관을

최대한 현재 생태로 보존하되 자연재해 예방과

문화관광 자원 확보 등을 위한 최소한의 현상

변경은 별도의 영향검토를 거쳐 시행하도록 제

안하였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

0 50 100 200m

N

Zone1

Zone2

Zone4

Zone3

Zone7

300m

200m

100m

Memorial House of Queen Mother Tu Cung

Special Maintenance Zone

Consideration Zone

Page 8: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계와도시 6호 특집3.pdf ·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특집 도시의 보전과 개발

42

실행방안 제안

마지막으로 후에시 역사문화자원 보존방안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역사문화자원 보호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이다. 후에시에

소재하는 역사문화유적의 가치와 보존의 당위성에 대한 지속적 주민홍보를

통해, 정책실행 단계에서 민원 발생의 소지를 최소화하고 역사문화보존 정

책 수립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역사, 문화, 건

축, 도시, 문화유적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자문위원회(가칭 역사문화환

경 보존 위원회)를 구성하여 역사문화자원 주변의 정비, 개발 등에 대한 정

책과 현상변경 등의 행위에 대한 심의와 자문을 실시함으로써, 역사문화환

경이 경제적 논리에 의해 훼손되지 않고 온전하게 정비·보존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역사문화환경 보호구역 설정 개념이 반영된 법안을 마련하여

역사문화유적 보호 정책(유적 조사·연구 및 정비, 보호구역 설정, 현상변

경허용기준안 마련 등)의 법적 근거를 확보하고, 절차와 기준을 명시하여야

한다. 또한 역사문화환경 보존 위원회(가칭)의 구성과 운영, 역할 등에 관한

사항을 법규에 반영하여 위원회의 심의결과, 자문내용 등이 역사문화자원

보존정책의 수립과 행정지도에 법적 구속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두 번째 역사문화유적 보존사업 실행방안에 대한 사항이다. 역사문화

자원 보존을 위한 기초학술조사·연구, 역사문

화자원을 포함한 주변지역에 대한 지표조사,

개별 유적에 대한 현황 정밀 실측조사와 3차원

스캔(3D Scan)을 통하여 유적의 현황을 도면

과 3차원 디지털 기록으로 자료화하여 향후 정

비·보존을 위한 학술연구 기초자료로 활용하

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개별 유적의 특성을 고

려한 역사문화유적 및 환경 정비·보존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인 유적 정비·보존사업을 실

시하여야 한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후에

황성, 안딘궁, 황릉 등에 대한 개별 유적 현상

변경 허용기준을 마련하여 주변 역사문화환경

보존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시·관람, 교육, 체험 등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역사문화콘텐츠의 개발 및 활용

계획 수립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4. 역사문화도시로서 서울시 정책 노하우 전수의 기회

후에시 마스터플랜 상에서 제시한 역사문화

보존방안은 한국의 개발경험과 기술을 공유하고

베트남의 역량개발을 유도하는 개발협력사업 취

지에 부합하는 제안이었다. 특히 한국의 계획기

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베트남 현지

의 제도 검토와 현장조사를 토대로 계획내용을

제안하고 베트남 관계기관 및 전문가들과의 현

지워크숍, 실무협의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여 베

트남 현지에 적합한 계획안을 수립하였으며, 이

를 통해 한국에서 제안한 계획안이 베트남 정책

으로 반영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또한 국내 연수초청 과정을 통해

한국의 역사문화도시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경주, 수원, 공주, 부여를 방문하고, 한국의 세계

그림6 역사문화유적 보호구역

0 0.5 1 2km

N

보호구역(Protection Zone)

영향검토구역(Consideration Zone)

역사문화경관보호구역(Historic Cultural

Landscape Protection Zone)

Page 9: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계와도시 6호 특집3.pdf · 절차상의 모든 승인과정을 거친 도시계획 성공사례가

World & Cities Vol.6 43

문화유산과 역사문화도시 관리방안에 대한 강의 프로그램을 운용함으로써

한국의 경험을 베트남 관계자들에게 전달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신흥도상국 중에는 베트남 후에시와 같은 역사문화도시로서 역사문

화자원의 보존과 도시의 체계적 관리에 대한 의지는 있으나 자금문제 또

는 도시성장과 개발이 우선시되는 사회적 요구로 인해 역사문화보존과

도시관리를 위한 계획수립이 미비한 국가 또는 지자체가 다수 있을 것으

로 예상된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세계유산도

시(World Heritage Cities)는 250여개에 달한다. 예를 들어 라오스 루

앙프라방(LAOS Luang Prabang), 베트남 후에(Vietnam Hue), 호이안

(Vietnam Hoi An), 중국 리장(China Lijiang), 필리핀 비간(Philippines

Vigan), 태국 아유타야(Thailand Ayutthaya) 등은 과거 국가의 수도로

서 기능한 고도이거나 도시 전체가 역사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유

산도시로 지정된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이다.

한국은 이러한 세계유산도시 중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세계유산도시에 해당되는 도시는 시장회의(Mayor Forum)를 개최하여 도

시관리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2012년에는 한국에서 유네스코 아시아태평

양 세계유산도시 시장단 회의(UNESCO Asia-Pacific Mayors’ Forum for

World Heritage Cities)가 개최되어 41개 도시의 시장이 모인 가운데 도시

계획수준에서의 역사도시관리방안, 유네스코에서 제안하는 역사도시경관

(Historic Urban Landscape) 개념의 발전방향 등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특히, 서울시는 600년 역사도시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도시에 해당되

며 풍부한 유무형의 역사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역사문

화자원의 보존과 도시관리방안에 대한 선진적 제도와 정책을 보유하고 있

는데, 지자체 단위에서 도시계획(서울 도시기본계획, 서울 도심부 관리기

본계획, 서울 도심부 발전계획 등)과 세부계획(북촌가꾸기 기본계획, 인사

동 지구단위계획 등)을 수립함으로써 실행력 높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역사문화보존정책과 더불어 스토리텔링, 전통마을 관광문화프로그

램 등 역사문화콘텐츠 개발과 활용계획을 함께 수립하여, 경제발전도 함

께 고려해야 하는 신흥도상국 역사도시에 좋은 모범사례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서울시는 도시계획이라는 큰 틀 안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보

존 및 활용방안, 지자체 차원에서의 도시 관리방안에 대한 노하우를 가

지고 있다. 이러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세계의 여러 역사문화도시 중 역

사문화보존 및 도시관리 정책과 제도가 미비한 신흥도상국을 대상으로

공적개발원조(ODA) 또는 개발컨설팅 형태로 정책 및 제도를 전수함으로

써, 역사문화도시로서의 서울시 위상을 제고하고 신흥도상국 역량강화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국제협력단, 2013, 베트남 후에시 마스터플랜 개선 및

수립사업 보고서

- UNESCO 홈페이지 (http://en.unesco.org/)

참고문헌

베트남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 후에시의 도시관리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