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 - mewebbook.me.go.kr/dli-file/pdf/2011/04/5001401.pdf · 분임토의 -...

15

Upload: others

Post on 05-Feb-2020

9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제6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 개최

✽ 화학물질 배출저감 우수사례 교류의 장 열려

✽ ‘08년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 79종 서식 확인

✽ 백두대간, 생물다양성과 자연유산의 보고(寶庫)

✽ 기후변화에 대한 자연생태계 취약지역 영향 예측

국립환경과학원YOUNG ENVIRONMENTAL SCIENCE

CONTENTS

✽ ‘09년도 전국자연환경조사 전문가 워크숍 개최

✽ PM2.5 대기환경기준(안) 결과 보고

✽ 조류포럼 개최

✽ 과학원 6대 핵심 프로젝트 및 중기(‘10~‘14) 환경연구과제 추진

✽ 금강물환경연구소 신청사 준공식 및 기념세미나

✽ 과학원 인사동정

✽ 홍보동영상 2009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환경연구정보센터 확장 및 상황실 구축

주요소식

01주요업무

02외부 알림방

03내부카페

04

주 요 소 식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목적 : 동아시아 환경 보존을 위한 3국 국가환경연구기관 간 환경연구 협력 증진

✽ 일시 : ‘09.11.25(수)~11.27(금)

✽ 장소 : 서울 롯데 호텔

✽ 주요 내용

- 한·중·일 공동연구사업 추진 현황 점검 및 신규 사업 계획

· 월경성 대기오염, 황사공동연구, 호소수질 등 6개 과제

· 신규 우선 공동연구사업으로 재활용제품 위해성평가 추진

- 기후변화 적응을 통한 저탄소 사회 구현 주제 워크숍 개최

· 한국, 중국, 일본 각각 3인 9개 주제 발표

- 3국간 전문가 교환 등 인력 교류

· 중국 국립환경과학연구원으로 우리원 전문가 1인 파견(‘10년, 6개월-1년)

- 제7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 중국 칭다오 2010년 9월 개최 계획

· 회의 연관 워크숍 주제 : 폐자원 관리

제6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 개최

☎ 문의 : 연구기획과 김현미 연구관 (032-560-7011, [email protected])

주 요 소 식

✽ 목적 : 사업장간 배출저감기술 등 정보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로서, 배출저감 노력을 중소기업 등 타 업체에

확산하고 30/50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모색

※ “30/50 프로그램”은 화학물질 배출량을 협약체결 3년 이내에 30%, 5년 이내에 50% 줄이는 것을 목표로,

기업, 시민단체, 지자체, 환경청 등이 함께 체결하는 자발적 협약임

✽ 주요 내용

- ' 10년에 전면 시행되는 사업장별 화학물질 배출량 정보공개, 배출량 산정의 신뢰도 제고 방안, Web 기반의

배출저감기술 지원체계 구축 등에 관한 주제 발표와 정부 정책에 대한 의견 수렴

- “화학물질 배출저감 우수사례 경진대회” 및 “30/50프로그램 중간평가”의 배출저감 우수업체 표창

✽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기업의 자발적인 화학물질 배출저감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교류회 개최 및 저감기술 제안 등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해 나갈 계획임

화학물질 배출저감 우수사례 교류의 장 열려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문의 : 화학물질등록평가팀 이상목 사무관

(032-560-7220, [email protected])

주 요 소 식

✽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08년도 사업의 일환으로 판문점, 철원, 명파, 향로봉 등 민통선 인접지역에 대한 자연환경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함

※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 1954년 2월 미 육군 사령관 직권으로 휴전선 일대의 군사작전과 군사시설 보호,

보안유지 등을 목적으로 민간인의 출입을 금지한 비무장지대 바깥 남방한계선 남쪽 5~20km에 있는 민간인통제구역

※ 조사 분야 : 지형, 식생, 식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곤충, 어류, 양서ㆍ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9개

✽ 조사결과, 민통선 인접지역에 서식하는 동ㆍ식물은 총 3,209종으로 ‘08년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발견된 5,153종의 동ㆍ식물 중

62.3%로 나타났으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 총 221종 중 54종(24.4%)이 출현하는 등 조사도엽 대비(24%)

종 다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짐

✽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종 중 붉은박쥐는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97~'05)에서는 관찰된 바 없었으나 철원에서 최초로

서식함을 확인하였고, 화천군 평화의 댐 부근에서 사향노루를, 산양은 중부 및 동부 지역인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등에서

관찰되었으며, 두루미와 구렁이는 주로 철원군에서 발견됨

✽ 국립환경과학원은 비무장지대(DMZ)의 생태계 보전을 위해서 DMZ는 물론 DMZ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민통선 지역의 생태계

보전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힘

‘08년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 79종 서식 확인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문의 : 생태평가과 서재화 연구관

(032-560-7439, [email protected])

주 요 소 식

✽ 백두대간 전체 684km구간(남한) 중 삼척 댓재~속리산 형제봉구간(232㎞), 지형, 식생, 동·식물상 등 9개 분야에 대하여

46명의 전문가가 조사 수행

✽ 화강암의 풍화·침식과 관련된 보존가치가 높은 지형과 일부 석회암지대 등 다양한 자연경관이 확인됐으며, 20종의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을 비롯한 총 1,653종의 다양한 동·식물이 발견됨

✽ 반면 마루금은 많은 등산객에 의한 주변 교란 및 야생식물 무단채취, 밀렵 등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단속과

종 보존 및 밀도 증진을 위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10년까지 매년 구간별 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축적하여 백두대간보전 및 복원계획 수립, UNESCO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임

백두대간, 생물다양성과 자연유산의 보고(寶庫)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문의 : 자연보전연구과 이중효 연구사

(032-560-7405, [email protected])

주 요 소 식

✽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생태계의 영향평가 기반연구를 위해 “기후변화 민감생태계 평가기법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

✽ 21개 생물기후권역을 대상으로 2050년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동북부 권역과

경기도북부 권역, 울릉도 권역이 취약성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예측됨

✽ 고산수종인 가문비나무는 덕유산과 지리산 지역에서 많은 성목이 사라지고 있고, 어린나무의 발생이 낮아 기후변화에

위험이 높은 것으로 예측됨

✽ 여름철새인 백로류의 월동개체군을 조사한 결과(1999∼2007년 자료), 왜가리는 1,000개체 이상, 중대백로 및 쇠백로는

200개체 이상이 월동하는 등, 겨울철 기온상승과 같은 기후변화 요인이 백로류의 월동생태에 변화를 준 것으로 판단됨

☎ 문의 : 생태평가과 김태규 연구사 (032-560-7447, [email protected])

기후변화에 대한 자연생태계 취약지역 영향 예측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목적

- 전국자연환경조사 분야별 조사 결과 보고 및 평가

- 분임토의 : 생태환경변화에 따른 전국자연환경조사 연계방향

✽ 일정 : '09.11.16(월)~17(화)

✽ 참가자 : 환경부 자연자원과, 국립환경과학원 생태평가과, 분야별 전문조사원 등 약 70명

✽ 주요 내용

- 전국자연환경조사 세부지침(안) 제정 진행사항 보고

- '09년도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발표

- 웹 입력시스템 개선사항 발표 및 시연

✽ 분임토의

- 생태환경변화에 따른 전국자연환경조사 연계 방안

- 전국자연환경조사 발전방향

☎ 문의 : 생태평가과 서재화 연구관

(032-560-7439, [email protected])

‘09년도 전국자연환경조사 전문가 워크숍 개최

주 요 업 무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토의 주제 토의 내용

생태환경변화와 전국자연환경조사 ㆍ생태축과의 연계 방안 ㆍ수생태변화 전후의 결과 모니터링 방안 ㆍ분야별 예측 가능한 과제 발굴

전국자연환경조사 발전 방향 ㆍ전문조사자 선정 기준 ㆍ전문가 워크숍의 개선 방안 ㆍ전국자연환경조사 통계자료의 활용 방안

✽ 배경 : 초미세먼지(PM2.5) 대기환경기준(안)을 제시하여 깨끗한 대기질에 대한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고 국민건강을 보호하고자 함

✽ 추진 경과

- 대기환경기준 개선에 대한 검토 요청('08.2 환경부)

- 대기환경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08~'09년, 국립환경과학원)

- 전문가 의견 수렴('09.5.29)

- PM2.5 대기환경기준(안) 공청회('09.6.29)

- 대기환경기준(안)을 환경부에 제시('09.12)

✽ 주요 내용

- 연간기준(장기) 25㎍/㎥, 24시간기준(단기) 50㎍/㎥ 제시

· 주요 선진국의 대기환경기준 및 WHO의 잠정목표를 고려

※ 미국 : 장기 15㎍/㎥, 단기 35㎍/㎥

WHO 잠정목표2 : 장기 25㎍/㎥, 단기 50㎍/㎥

· 현행 PM10의 대기환경기준을 감안하고, 향후 추진되는 수도권대기질개선대책의 효과를 반영

✽ 향후 계획

- 대기환경기준제시(안) 확정('10) 및 적용('13년) 예정

☎ 문의 : 대기환경연구과 안준영 연구사 (032-560-7274, [email protected])

PM2.5 대기환경기준(안) 결과 보고

주 요 업 무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배경 : 조류문제에 관한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해 연구포럼 구성·운영

✽ 주요 기능 및 역할

- 근원적 조류 저감을 위한 조사·연구 및 토론

- 호소별 조류대책 강구 등 정책 제안·자문

✽ 제1차 포럼 계획

- 일시 : ‘09. 12. 3(목) 11:30~15:00

- 장소 : 한강물환경연구소 세미나실

- 1차 포럼 구성 :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물환경연구소·대학 등 조류 전문가 30명

- 포럼 주제

· 제1주제 : 조류포럼 구성을 위한 회장 선출

· 제2주제 : 조류포럼 구성 배경 보고 및 조류포럼 운영규정 확정

· 제3주제 : 주요 호소별 조류대책에 대한 발표 및 토론

- 대청호·주암호·진양호 등 3개 호소

· 제4주제 : 조류예보제 운영지침 개정(안)에 대한 발표 및 토론

조류포럼 개최

주 요 업 무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문의 : 한강물환경연구소 박혜경 연구관 (031-770-7270, [email protected])

✽ 배경 : 국내·외 연구개발 방향을 반영하고, 미래국가 환경연구를 주도 할 수 있는 연구과제 중 현안·정책·미래대응 등

과학원 6대 핵심프로젝트 및 환경연구과제 선정

✽ 6대 핵심 프로젝트 및 환경연구과제 도출 결과

- “기후변화 적응 및 예측연구” 등 19개 대과제, “인체 노출 및 건강영향 조사 진단평가 연구” 등 71개 중과제 도출

- 6대 핵심 프로젝트 및 환경연구과제 현황

핵심 프로젝트 미래대응 현안해결 정책지원 계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사회구현 지원 연구 5 3 3 11

위해성에 기반한 환경보건 및 건강 증대 연구 3 2 5 10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계 조성 및 복원체계 연구 2 3 6 11

건강한 물환경 조성 및 4대강 살리기 지원 연구 4 6 6 16

녹색성장을 위한 자원순환 사회 구축 연구 3 1 5 9

국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대기질 관리기반 연구 5 5 4 14

계 22 20 29 71

※ 연구분류

· 현안해결 : 환경오염사고 및 현안사항 대응 연구

· 정책지원 : 환경부 등 국가 환경정책지원 연구

· 미래대응 : 미래의 환경변화 대응 연구

과학원 6대 핵심 프로젝트 및 중기(‘10~‘14) 환경연구과제 추진

주 요 업 무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문의 : 미래전략연구팀 이수형 연구관

(031-770-7091, [email protected])

✽ 배경 : 소통의 원활성과 연구의 효율성을 위하여 신청사 건립·이전

✽ 일시 ː ‘09.12.9(수) 11:20~17:30

✽ 장소 ː 금강물환경연구소(충북 옥천군 옥천읍 교동리 287)

✽ 참석 ː 환경부 장관, 국회의원, 유관기관장, 산학연 관계사 및 지역주민 등

✽ 주요 일정

- 준공식 : 11:20∼12:00

- 현판식 : 12:00∼12:10

- 기념세미나 : 14:20∼17:30

· 유역 모형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효율성 평가 : 김태근 교수

· 국가 물환경 관리를 위한 통합유역 수환경 모형화 방안과 응용 : 신현석 교수

·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 모니터링 및 거동 : 김상돈 교수

금강물환경연구소 신청사 준공식 및 기념세미나

주 요 업 무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문의 : 금강물환경연구소 소장 천세억 (031-770-5600, [email protected])

✽ 목적 : 과학원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환경보전 중요성 전달.

과학원에서 현재 주력하고 있는 국가정책 관련 지원연구사업에 대한 정보를 첨가하여 국민들에게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재제작.

✽ 일정 : 촬영(~11.27). 시사회(12.8), 최종 성과물 입수(12.16)

✽ 주요 내용

- 내방한 외국인 고객을 위해 영어, 일어, 중국어 버전으로 각각 제작

- 자연과 사람이 함께하는 친근하고, 깨끗한 과학원 이미지 표현

- 과학원 주요 업무 소개 및 환경연구, 미래비전 등을 소개

· 과학원 소개(연혁, 조직, 발전과정 등)

· 과학원에서 수행 중인 환경연구 및 국제교류 업무 등 주요 업무

· 국민건강 보호를 위한 효율적 환경관리 방안 및 연구 성과

· 환경개선을 위한 과학원의 다양한 노력 및 미래비전 제시

홍보동영상 2009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외 부 알 림 방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문의 : 연구기획과 신창현 연구사(032-560-7014, [email protected])

✽ 목적 : 환경정책 다변화와 환경연구분야의 확대에 따라 정보시스템 장치의 공간 확보와 전산자원 환경을

개선하여 관리·운영하고자 함

✽ 위치 : 국립환경과학원 본관 3층

✽ 크기 : 109㎡(33평)

✽ 주요 내용

- 상황실 구축 공사(전산자원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 위한 공사)

- 안정적 전기 공급을 위한 전기공사(무정전전원장치, 배터리 설치)

- 실내공조를 위한 항온항습기 도입 및 소방 및 보안공사(CCTV, DVR, 하론소화기 등 설치)

환경연구정보센터 확장 및 상황실 구축

외 부 알 림 방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

☎ 문의 : 연구기획과 이계요 전문위원 (032-560-7028, [email protected])

국립환경과학원

인사동정

내 부 카 페

조 용 주환경연구사의원 면직(‘09.11.10)(前 생태평가과 소속)

국립환경과학원 젊은환경과학 12월호 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