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에 관한 연구 -...

162
요약보고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에 관한 연구 -매립 및 소각시설을 중심으로- 2005. 7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Upload: others

Post on 25-May-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요약보고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에 관한 연구

-매립 및 소각시설을 중심으로-

2005. 7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 출 문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 귀하

본 보고서를“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용역”의 최종보고서 요약본으로 제출합니다.

2005. 7.

(주)에코프론티어

대표이사 정해봉

연구수행진

1. 시행기관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 연구용역기관 : (주)에코프론티어

3. 총괄연구책임자 : 정정만 연구소장

4. 수행연구원 : 임대웅, 송인경, 권동혁, 안승광, 김미선,

박지혜 외 7인

5. 연구기간 : 2004.6.24~2005.7.24

- 1 -

<목 차>

Part I. 서 론 ·················································································································1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제2장 연구의 범위 및 추진절차 ······················································································ 12

Part II.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현황 ····················································15

제1장 지속가능경영의 개념 및 동향 ·············································································· 17

1. 지속가능경영의 개념 ················································································································· 17

2. 지속가능경영 동향 ····················································································································· 20

제2장 국내․외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동향 ·············································· 21

1. 해외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 21

2. 국내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현황 ······································································· 26

Part III.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가이드라인 ·······································33

제1장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모델 ································································ 35

1.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성 ································································································· 35

2.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모델 ··················································································· 37

제2장 시설설치계획 및 입지선정계획 ············································································ 39

1.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계획 수립 ····························································································· 39

2. 폐기물의 효율적 이용 촉진 ····································································································· 43

3. 환경친화적인 입지 선정 ··········································································································· 49

4. 주민과의 갈등 해소 ··················································································································· 51

제3장 시설 설치(건설) ········································································································ 54

1. 환경친화적 설계 ······················································································································· 54

2. 주민편익시설의 설치 ················································································································· 56

3. 사용종료 단계까지 고려한 시설설치 ····················································································· 58

- 2 -

제4장 시설 운영 ·················································································································· 59

1. 환경경영의 도입 ······················································································································· 59

2.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가이드라인 ··············································································· 62

제5장 사용종료 및 사후관리 ·························································································· 132

1. 현황 및 문제점 ························································································································· 132

2. 대응방안 ····································································································································· 132

3. 매립지 재사용 ··························································································································· 135

Part IV. 정책적 제언 ······························································································139

제1장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보급ㆍ확산 방안 ········································ 141

제2장 기타 정책적 제언 ·································································································· 149

참 고 문 헌 ···························································································································· 151

- 3 -

<표 차례>

Part II.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현황 ····················································15

<표 II-1> Biffa Waste Services의 지속가능경영 주요성과지표(KPI) ······································ 23

<표 II-2> 성과지표 보고의 예-Waste Recycling社 ····································································· 25

<표 II-3> 직매립 금지 규제 항목 ··································································································· 26

<표 II-4> 국내 폐기물처리시설의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현황 ······························ 27

<표 II-5> 연도별 폐기물처리시설 님비(민원)발생 및 해소현황 ············································ 29

<표 II-6> 서울시 자원회수시설의 2004년 가동실적 ··································································· 29

Part III.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가이드라인 ·······································33

<표 III-1> 지속가능한 통합폐기물관리의 주요 측면 ································································· 36

<표 III-2> 환경성/경제성 분석을 위해 고려 가능한 시나리오 ············································· 47

<표 III-3> 소각시설별 특징 및 장단점 ······················································································· 56

<표 III-4> 폐기물처리시설 단계별 환경경영기법 도입 방안 ··················································· 64

<표 III-5> 중소규모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 (예) ······································· 70

<표 III-6> 시설경영지표(안) ··········································································································· 100

<표 III-7> 시설운영지표-매립시설(안) ························································································· 101

<표 III-8> 시설운영지표-소각시설(안) ························································································· 102

<표 III-9> 시설주변지역여건지표(안) ··························································································· 103

<표 III-10> 환경성과지표 가중치 산출 (예) ··············································································· 108

<표 III-11> 보고서 목차 (예) ········································································································· 115

<표 III-12> 정보공개분야 및 항목 ······························································································· 118

<표 III-13> 폐기물 매립시설 현황 ······························································································· 136

Part IV. 정책적 제언 ······························································································139

<표 IV-1> 교육프로그램 대상 ······································································································· 146

- 4 -

<그림 차례>

Part I. 서 론 ·················································································································1

[그림 I-1] 지속가능한 발전의 접근방식 ·························································································· 4

[그림 I-2] 지속가능한 폐기물관리 요소 ·························································································· 6

[그림 I-3] OECD의 환경친화적인 폐기물처리시설 경영 가이드라인 ······································· 7

[그림 I-4] 국가 폐기물관리정책의 변화 ·························································································· 9

[그림 I-5]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1

[그림 I-6] 연구의 범위 ······················································································································ 12

[그림 I-7] 연구 수행 절차 ················································································································ 13

Part II.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현황 ····················································15

[그림 II-1]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지속가능경영 ············································································ 18

[그림 II-2] 전국대형폐기물소각장 연평균 가동률 ····································································· 28

[그림 II-3] 국내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수준 진단 ··················································· 30

Part III.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가이드라인 ·······································33

[그림 III-1] 지속가능한 통합폐기물관리 모델 ·············································································· 35

[그림 III-2]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추진 방향 및 목표 ········································ 37

[그림 III-3]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모델 ······································································ 38

[그림 III-4] 폐기물 처리시설 및 폐기물발생량 DB구축 개요 ·················································· 42

[그림 III-5] 통합폐기물관리 프로세스 ···························································································· 47

[그림 III-6] LCA와 LCC를 이용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최적대안 도출 ····························· 48

[그림 III-7] 처리시설 입지관련 주민과의 갈등 해소방안 ·························································· 52

[그림 III-8]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추진 방향 및 목표 ············································ 60

[그림 III-9]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도입 기대효과 ···························································· 60

[그림 III-10] 환경경영시스템 모델 ·································································································· 65

[그림 III-11] 환경경영시스템 도입의 기대효과 ············································································ 66

[그림 III-12]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규격의 구조 ································································· 66

[그림 III-13] ISO14001 규격에 따른 환경경영시스템 구축과 인증심사 절차 ······················· 67

[그림 III-14] 소규모 시설의 환경경영시스템 ················································································ 68

[그림 III-15] 중규모시설의 환경경영시스템 ·················································································· 72

[그림 III-16] 환경영향분석 절차 ······································································································ 73

[그림 III-17] 직접환경영향과 간접환경영향 ·················································································· 74

[그림 III-18] 대규모시설의 환경경영시스템 도입 절차 ······························································ 77

- 5 -

[그림 III-19] 사전준비단계 절차 ······································································································ 78

[그림 III-20] 환경경영시스템 계획 절차 ························································································ 79

[그림 III-21] 환경경영시스템 추진조직도 (예) ············································································· 80

[그림 III-22] 환경측면과 환경영향 ·································································································· 82

[그림 III-23] 환경영향평가의 절차 ································································································ 83

[그림 III-24] 환경측면 파악시 고려해야할 범주 ·········································································· 85

[그림 III-25]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 수립체계 ·············································································· 89

[그림 III-26] 문서화 구조 ·················································································································· 89

[그림 III-27] 내․외부 의사소통 프로세스 ···················································································· 92

[그림 III-28] 비상사태 대응체계 수립 절차 ·················································································· 93

[그림 III-29] 비상사태 대응시스템 ·································································································· 93

[그림 III-30] 환경성과평가의 활용 방안 ························································································ 97

[그림 III-31] ISO 14031에 따른 환경성과평가의 절차 ······························································· 97

[그림 III-32] 환경성과지표의 체계 ·································································································· 99

[그림 III-33] 환경성과평가 체계의 순차적인 도입 방안 ·························································· 105

[그림 III-34] 매립시설의 환경성과평가 결과 활용 (예) ··························································· 110

[그림 III-35] 환경보고서 발간의 기대 효과 ·············································································· 112

[그림 III-36] 환경보고서 작성절차 ································································································ 113

[그림 III-37] 환경보고서의 순차적인 도입 방안 ········································································ 117

[그림 III-38] 매립지 복원절차 ······································································································ 136

Part IV. 정책적 제언 ······························································································139

[그림 IV-1] 폐기물처리시설 환경경영 로드맵 추진절차 ························································· 142

[그림 IV-2] 폐기물처리시설 환경경영 시범사업 절차 ····························································· 143

[그림 IV-3] 환경성과평가시스템 시범사업 추진절차 및 역할분담 ······································· 144

[그림 IV-4] 환경보고서 시범사업 추진절차 및 역할분담 ······················································· 145

[그림 IV-5] 폐기물처리시설 환경경영 시범사업 교육프로그램 일정(안) ····························· 146

Part I. 서 론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장 연구의 범위 및 추진절차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3 -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1.1.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

1.1.1 지속가능경영의 대두

인구의 증가, 사회적 불평등 가속화, 생태환경의 파괴와 자연자원의 고갈 등 전지구적인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앞으로 인류가 추구해야 할 대안적인 발전상으로 ‘지속가능한 발

전’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1987년에 개최된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의 산물인 브룬

트란트 보고서에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제기된 이후, 1992년 리우 정상회담과

2002년 요하네스버그 정상회담을 통해 그 이행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왔다. 특히 리우

정상회담에서 채택된 의제21(Agenda 21)은 여러 국제협약과 실천과제 형성의 기반이 되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몇몇 국가는 지속가능발전대통령자문위원회를 설립하여 각국의 실

천과제와 의제를 설정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의 핵심개념은 ’다음 세대가 원하는 것을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줄이지

않으면서 지금 세대가 원하는 것을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지금 세대가 원하는

것을 충족한다는 것‘은 우리 세대 모든 인류의 풍족한 삶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하고, ’다음

세대가 원하는 것을 충족한다는 것‘은 현 세대의 잘못된 경제활동이나 생활방식 때문에 우

리 후손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 즉 현재 수준의 환경과 물질자원을 후세

에 남겨주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1)

1) 청정생산지원센터, 2003, "지속가능산업발전“ 가을호, p.53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 -

[그림 I-1] 지속가능한 발전의 접근방식

경제

사회 환경

•효율성

•성장

•안전성

• 비곤

• 권한부여

• 문화/유산

• 생물다양성

• 자연자원

• 환경오염

세대간 형평성

고용평등평가/내부화

세대간 형평성

대중적 참여

지속가능한발전

경제

사회 환경

•효율성

•성장

•안전성

• 비곤

• 권한부여

• 문화/유산

• 생물다양성

• 자연자원

• 환경오염

세대간 형평성

고용평등평가/내부화

세대간 형평성

대중적 참여

지속가능한발전

자료: M. Munasinghe et al, 1995, "Key Concepts and Terminology of Sustainable Development"

이처럼 지속가능한 발전은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폐기, 불평등의 고착화 등 전통적인

생산과 소비방식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21세기 세계를 움직이는 경제, 사회, 정치적 패러다임

으로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이 구체적으로 실천되고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산업계 특히, 기업역할의 중요성이 부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달성하는데 있어 기업의 책임이 강조되면서 등장한 개념이 바로 지속가능경

영(Sustainability Management)이다. 지속가능경영이란 지속가능한 시대에 기업을 경영하는

새로운 방식이자 새롭게 달라지는 경쟁의 양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속가능경영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 및 공공기관, 지자체

등에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국가와 공공기관, 지자체 등은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

한 노력을 해야 하는 책무를 가지므로,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사명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

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발생하는 폐기물을 안정적이고 환경친화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은 경제, 사회, 환경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지속가능경영 체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1.1.2 환경경영의 확산

환경문제와 경제활동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1962년 영국의 레이첼 카슨(Rachel Carson)

의 저서 “침묵의 봄(Silent of Spring)'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이후 1972년 스톡홀름에

서 열린 유엔인류환경회의에서 ‘유엔인간환경선언’을 채택하고, 로마클럽의 ‘성장의 한계

(The Limit to Growth)' 보고서가 발간되면서 이러한 인식은 널리 확산되었다.

환경문제를 범지구적 차원에서 다루기 위해 여러 국제기구들이 창설되었으며, 유럽 등

선진국가들을 중심으로 산업활동으로 인한 환경파괴를 줄이기 위한 정책들을 도입하기에 이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 -

르렀다. 1972년 유엔 산하에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유엔환경계획

(UNEP: UN Environment Program)이 설치되었고, 1982년 유엔 총회에서는 ‘세계 자연헌장’

을 채택하여 24개의 자연보호원칙을 전세계적으로 천명하였다.

이로 인해 환경문제가 기업의 경영활동에서도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으나, 사후관리

와 규제준수에 치중해 있던 기존의 경영관행을 쉽게 바꾸기 힘들었다. 그러나 1980년대 발

생한 인도의 보팔사고, 북미의 엑손 발데즈호 사고 등의 대규모 환경오염 사건을 통해 산업

활동에 따른 환경파괴가 인류의 미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었고,

이러한 사건은 환경문제에 대한 산업계의 대응을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이르러서는 국제기구에서 친환경개발, 환경경영, 지속가능한 발전 등을 위한 각

종 지침서 및 선언들이 채택되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움직임은 환경경영이라는 새로운 경영

철학을 만들었다. 환경경영은 국제적ㆍ국가적 환경규제가 날로 강화되고, 소비자들이 환경문

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나타나게 된 새로운 경영전략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경영의 실천을 위해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 환경회계, 환경보고서, 환경감사, 환

경라벨링 등 여러 관련 기법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1996년 국제표준협회(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는

환경경영시스템 국제규격인 ISO14000 시리즈를 제정하였으며2), 전 세계 기업들이 이를 도입

하고 있다. 이 규격은 조직의 제품 및 프로세스에 대해서 지속적인 환경성과를 개선하기 위

한 환경경영시스템 구축을 요구하고 있으며, 구축된 환경경영시스템이 규격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 제3자(인증기관)로부터 객관적인 심사를 거쳐 인증을 취득하는 제도이

다. 우리나라도 1996년 59개의 기업들이 ISO14001인증을 받기 시작해서 2004년 현재 2천 5

백여개의 대규모 및 중소기업이 ISO14001을 인증 받았다.

1.2. 폐기물분야의 지속가능성 이슈

지속가능한 발전이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이슈로 대두된 이래 ‘지속가능한 사회형성’,

‘자원순환형 사회구축’이라는 용어와 개념이 각종 정책의 기조로 자리잡기에 이르렀다. 대량

생산과 대량소비의 연결고리를 끊고 자원순환형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발전의

요체라는 인식이 높아졌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여러 형태의 자원재생 잠재력을 갖고

있는 폐기물관리부문은 지속가능성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2) ISO 14000 규격은 환경경영체제(EM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환경감사(EA; Environmental Auditing, 환경라벨링(EL; Environmental Labelling), 환경성과평가(EPE; 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 -

1990년대 이후부터는 폐기물 역시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관리되어야 한다는 논지에서 지

속가능한 폐기물관리(Sustainable Waste Management)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2002년 국제

고형폐기물연합(International Solide Waste Association: ISWA)과 UNEP 보고서에서 정의한

지속가능한 폐기물관리란 “환경적으로 안전하고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폐기물을 관리하는

것”이다.3)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발전된 기술의 적극적인 도입과 적절한 폐기물관리 전략

및 정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 보고서에서는 지속가능한 폐기물 관리 요소로 경제적 효

율성, 사회적 수용가능성, 환경보호 등을 제시하였다. 즉 발생하는 폐기물을 관리함에 있어

환경적 영향과 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만족을 극대화하며 폐기물을 자원으로써

활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I-2] 지속가능한 폐기물관리 요소

폐기물의안전한처리

환경보호환경보호(Environmental Protection)(Environmental Protection)

사회적사회적수용성수용성(Social Acceptability)(Social Acceptability)

경제적경제적실현가능성실현가능성(Economic Viability)(Economic Viability)

폐기물처리시설에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대한

사회적

사회적

요구

요구

증가

증가

폐기물 관리 분야 중에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지침도 나오고 있다.

1999년부터 OECD의 폐기물 예방 및 재활용 그룹(WGWPR; Working Group on Waste

Prevention and Recycling)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경영시스템

(ESM;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Wastes)을 도입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2002년 4월 ‘환경친화적인 폐기물관리를 위한 핵심성과요소 가이드라인’(Core

Performance Elements of the Guidelines for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Wastes)이 채택되었다. [그림I-5]에서처럼 OECD는 환경친화적인 폐기물관리를 위해서는 폐

기물처리시설에 관한 법적인 인프라와 처리시설에 대한 허가제도 등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

하고, 폐기물처리시설을 운영함에 있어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폐기

3) UNEP, 2002, "Industry as a partner of Sustainable Development-Waste Management"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7 -

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시스템은 주변지역에 대한 보건 및 안전상황 측정, 시설에 대한 감시

ㆍ기록ㆍ보고ㆍ프로그램 운영, 임직원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 실시, 적절한 비상대응대책 수립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4)

[그림 I-3] OECD의 환경친화적인 폐기물처리시설 경영 가이드라인

법적 인프라구축

처리시설에 대한정부의 허가

환경경영시스템(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모니

터링

/기록

/보고

프로그램

운영

정보교환

프로

그램

운영

비상사

태대응

계획

검증

사후

운영방

안에

대한

계획

수립

훈련

프로그

램도입

작업

장의

환경

/안전

/보건

측정

환경적으로 건전한 시스템(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Wastes)

1.3 해외 폐기물 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지속가능한 발전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면서 해외의 폐기물처리 회사들은 환경경영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매립 및 소각시설에 ISO14001 인증을 받는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Biffa Waste Services, SITA 등 대규모의 다국적 폐기물처리회사들은 자사가 관리하는 대부

분의 시설에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한 후 환경성과지표를 선정ㆍ관리하고 관련 환경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이들 기업들은 각 시설의 환경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ISO14001 인증과 환경정보 공개로 고객에게 신뢰

감을 주기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영국과 벨기에의 38개 폐기물 매립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Biffa Waste Services

사는 모든 매립시설이 ISO14001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유럽의 환경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EMAS(Eco-Management and Audit Scheme) 인증도 받은 상태이다. 매년 정기적인 내부 환

경감사를 수행하고 4년에 1회씩 외부 환경감사를 받고 있다. 또한 경제, 사회, 환경 부문에

서 29개의 성과지표를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1999년부터 환경보고서를 발간하여 이해관

계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하고 있다.

4) OECD, 2003, “Core Performance Elements of the Guidelines for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Wastes“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 -

SUEZ Environment 산하의 폐기물처리전문회사인 SITA 역시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

여 환경성과의 지속적인 개선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사업장 안전을 위한 자

체기준을 만들어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관리하고 있는 성과지표를 지속가능성보고

서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에게 널리 공개하고 있다.

비록 Biffa Waste Services와 SITA 같은 선진 글로벌 대기업들이 민간회사이기 때문에

지속가능경영을 추진할 여건과 동기가 충분하다는 점이, 국내 지자체 소유의 폐기물처리시

설이 처한 상황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해외의 폐기물처리시설이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속적인 환경성과를 관리하고 이를 이해관계자들에게 공개하는 것은 국내 폐기물

처리시설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

1.4 국가 폐기물관리정책 방향과 폐기물처리시설의 현황

글로벌 동향이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국가의 폐기물관리 정책 역시 사후관리 및 청결유

지 등 소극적이고 방어적인 ‘오물청소법’의 수준에서 1970년대 이후부터는 적극적인 환경보

전의 개념이 도입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1987년에는 ‘폐기물관리법’을 제정ㆍ시행함으로써

폐기물관리체계를 일원화하였고, 폐기물의 배출ㆍ처리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 규정을 마련함

으로써 폐기물관리계획 수립과 환경적 오염 최소화를 달성하는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1990년대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폐기물의 감량 및 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이 제정됨으로써 본격적인 폐기물 재

활용의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와 쓰레기종량제도가 실

시되어 폐기물관리의 정책수준이 한단계 높아지게 되었다. 이외에도 문제가 되고 있던 님비

현상을 극복하고 폐기물처리시설을 체계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

변지역지원등에관한법률’에 따라 발생지처리원칙이 대두되고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과정

에서부터 운영까지 주민의 참여를 확대하게 되었다.

그리고 2002년 수립된 ‘제2차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에서는 폐기물의 최소화ㆍ자원화

ㆍ안전처리 등을 원칙으로 하는 지속가능성 개념이 본격적으로 반영되어, 지속가능한 자원

순환형 사회를 확립하기 위한 폐기물 관리 정책과 세부실천계획 등을 담기에 이르렀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 -

[그림 I-4] 국가 폐기물관리정책의 변화

1960 19941977 1987

지속가능성

방어적 위생개념의도입

적극적환경보전개념의

도입

재활용 개념의 도입

현재

3 in 13 in 1

오물청소법 환경보전법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지원등에관한법률

폐기물감량화제도/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도입

지속가능한자원순환형구축개념의 도입

1960 19941977 1987

지속가능성

방어적 위생개념의도입

적극적환경보전개념의

도입

재활용 개념의 도입

현재

3 in 13 in 1

오물청소법 환경보전법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

폐기물의국가간이동및그처리에관한법률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지원등에관한법률

폐기물감량화제도/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도입

지속가능한자원순환형구축개념의 도입

폐기물처리시설도 과거에는 관련 법규 및 감독의 소홀과 인식부족으로 적정하게 설치ㆍ

운영되지 못하였으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체계적인 법제정, 기술 및 시설투자와 운영의 효율

화로 국민의 보건과 안전을 수호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2000년 이후부터는 폐

기물처리시설을 관리하는 위탁업체 및 공사를 중심으로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ISO14001인증을 획득하는 사례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3천여개에 달하는 폐기물처리시설 중에서 ISO14001인증을 받은 곳은

몇 군데에 불과하며, 환경성과를 관리하거나 이해관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환경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적극적인 활동은 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과거 폐기물처리시설 설치ㆍ운영상의 과오로 생겨난 국민들의 불신과 혐오시

설이라는 뿌리깊은 인식을 전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폐기물처리시설

이 국민들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기초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시설설치 과정에서 지역

주민과의 마찰이 끊이질 않고 있으며 이 문제는 정부와 지자체에게 풀기 힘든 숙제로 남아

있다.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앞서 말했듯이 폐기물처리시설은 우리 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공공시설임과 동시에 가장

환경과 밀접한 시설이지만, 주변지역 주민들에게 혐오시설로 인식되고 있어 운영에 많은 어

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급격히 증가된 시민들의 님비현상으로 인해 시설의 설치조차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이미 운영되고 있는 시설에도 각종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 -

이에 대해 정부는 95년 7월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지원등에관한법률’을 제

정하여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과정에 주민참여를 확대하고 주민편익시설 설치, 주민지원

기금 조성 등을 법으로 규정하는 등 님비현상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

해왔다. 그리고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성을 제고하기 위해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에 대한 규

제도 강화하고 있다. 지자체 역시 매립ㆍ소각시설의 위생적인 관리에 힘쓰고 주민들과의 갈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지역마다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에 대한 반대와

소송발생 등 지역갈등이 많이 발생하며 이에 따른 사회적 불안이 초래되고 있다. 또한 폐기

물처리시설에서 다이옥신이나 침출수 등 환경오염물질들이 배출기준치를 초과하여 문제시되

는 사건들도 심심치 않게 언론에 등장하고 있다.

결국 이것은 정부의 법규 제정이나 주민지원정책만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는 것

을 보여준다. 보다 근본적인 문제해결과 국민의 인식전환을 위해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기

존의 경영관행을 새롭게 바꿀 필요가 있다. 즉, OECD의 가이드라인에서 권고하듯이 폐기물

처리시설에 관한 법적인 인프라와 처리시설에 대한 허가제도 등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함께

폐기물처리시설에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시스템의 실행과 지속적인 개선은 폐기물 처리시에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환경영향최소화

와 안전ㆍ보건 등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운영비용을 절감하고 내ㆍ외부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주민들의 환경민원을 감소시키고 설득력

을 확보하는 등 행정적인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법규 위반 가능성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환경성과평가시스템을 통해 환경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관리하고, 이해관계자

들에게 이러한 활동과 성과를 환경보고서 등으로 공개하고 홍보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폐기물처리시설이 환경친화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성과

평가, 환경보고서 등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국민의 신뢰를 형성하고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폐기물

을 자원으로 활용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달성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등 지속가능경영체제

를 도입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운영여건이 열악한 소규모 폐기물처리시설이 많고, 시설의 위탁관리와 지자

체 담당공무원들의 순환보직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해 지속가능경영 또는 환경경영을 자발적

으로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현행법상 폐기물처리시설은 공공기관이 운영하게

되어있어 민간기업에 비해 국내외 동향이나 새로운 변화요구에 대해 민감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경영 도입이나 환경경영시스템 구축에 대한 폐기물처리시설 운영

자들의 인식이 매우 낮고, 여건도 열악하여 자발적인 움직임을 기대하기란 어려운 상황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 -

또한 이와 관련해 학계나 전문연구기관에서의 논의가 전무한 실정이어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개념정립이 미흡하다.

이에 따라 지자체들이 폐기물처리시설에 지속가능경영체제를 도입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차원에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보급시킴으로써, OECD의 환경친화적인 폐기물관리를 권고

안 채택에 대비하고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ㆍ운영성과를 제고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폐기물처리시설에 적합한 지속가능경영 실천 가이드라인의 개발은 전국의 폐기물처리시설들

의 인식을 높이고 자발적으로 경제ㆍ사회ㆍ환경성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들과의

갈등을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국가의 자원순환사회 정착에 기여할 것이다.

[그림 I-5]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폐기물처리시설의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에지속가능경영에 대한대한 정의정의

•• 폐기물처리시설에폐기물처리시설에 적합한적합한 지속가능경영지속가능경영 실천실천 가이드라인가이드라인 개발개발

•• 폐기물처리시설의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에지속가능경영에 대한대한 인식확산인식확산

지속가능경영에지속가능경영에 대한대한폐기물처리시설의폐기물처리시설의 인식부족인식부족

-- 혐오시설 이미지 탈피ㆍ주민관계

개선을 위한 근본적 노력 필요

폐기물처리시설에의폐기물처리시설에의

지속가능경영에지속가능경영에 대한대한 국가적국가적

차원의차원의 가이드라인가이드라인 미흡미흡

폐기물폐기물 자원화자원화 및및 적정처리를적정처리를 통한통한

자원순환사회자원순환사회 정착에정착에 기여기여

본 과업은 폐기물처리시설의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발전을 위하여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

에 관한 국가적 차원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폐기물처리시설이 환경경영기법인 환경경영

체제, 환경성과평가, 환경보고서 등을 도입하여 친환경시설로 거듭날 수 있도록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시설의 설치계획 단계부터 사용종료 단계까지 전과정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실천방안이나 기법들을 제시하고 지자체들의 모범사례

를 함께 수집ㆍ기술하여 널리 전파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내의 폐기물처

리시설 단계에서 경제ㆍ사회ㆍ환경 등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고려해

야 할 사항들에 대해 정책적 제언을 할 것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 -

제2장 연구의 범위 및 추진절차

1. 연구의 범위

본 연구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모델을 개발하고, 시설의 계획, 입지선정, 설

치, 운영, 사후종료 및 사후관리 등 폐기물처리시설의 전과정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로 고려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별로 국ㆍ내외 우수사례를 수집ㆍ

정리하여 제시하고, 정책입안자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폐기물처리시설

이 환경친화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시스템, 환경

보고서 등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보급ㆍ확산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림 I-6] 연구의 범위

환경커뮤니케이션 가이드

시설의 환경성 정보 공개및 인증 제도 제안

우수사례 제시지속가능경영 모델 및

가이드라인 개발정책적 제언

입지선정 우수사례

사후관리 우수사례

시설 설치시추가고려사항 제시

환경경영시스템 가이드

환경성과평가시스템 가이드

국고보조시 최적대안검토 방안 제안

사후관리 및 재사용 지원제안

지속적인 모니터링 제안

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지자체 등)를 위한 가이드 환경부를 위한 제언

시설의 계획/입지선정시설의 계획/입지선정

시설의 사용종료및 사후관리

시설의 사용종료및 사후관리

시설의 운영시설의 운영

시설의 설치시설의 설치

폐기물처리시설의전과정

시설설치 우수사례

시설운영 우수사례

시설계획/입시선정시추가고려사항 제시

사후종료 및 사후관리시추가고려사항 제시

2. 연구의 추진절차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추진절차는 크게 4단계로 나뉜다.

우선 첫 번째 단계로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해외의 정책적인 접근 특히, 지속가능경영

과 관련된 정책과 실제 기업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관련 정책 및 시설현황에 대해서 조사하

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해외 선진 시설의 지속가능경영 현황을 기준으로 국내 현황을 진

단하여 보았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3 -

두 번째 단계에서는 해외사례 및 국내현황, 국내외 관련 연구 등을 토대로 폐기물처리시

설의 지속가능경영 모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속가능성

을 달성하기 위해 폐기물처리시설의 전과정 단계에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제시하고 관련

사례를 정리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 운영단계에서 특히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이 실천 가이드라인은 환경경영시스템 가이드라인, 환

경성과평가시스템 가이드라인, 환경보고시스템(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 등이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지침을 보급ㆍ확산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폐기물처리시

설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그림 I-7] 연구 수행 절차

현황조사

해외 정책 동향 조사

해외 사례 조사

국내 정책 동향 조사

국내 사례 및 현황 조사

지속가능경영모형 개발

지속가능경영 추진 방향 및 목표 개발

지속가능경영 실행 모델 개발

환경성과평가시스템지침 개발

관리지표 리스트 개발

데이터 측정 및 관리방법 제시

척도/가중치/지수도출 방법 제시

환경보고시스템지침 개발

공개항목 개발

공개방법 제시

활용방법 제시

환경경영시스템지침 개발

시설운영단계에서의

환경경영시스템 지침 개발

설계 및 건설, 사용종료 및

사후관리단계에서의 지속

가능성 이슈 관리방안 개발

보급/확산 방안 제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타 정책적 제언

Part II.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현황

제1장 지속가능경영의 개념 및 동향

제2장 국ㆍ내외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동향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7 -

제1장 지속가능경영의 개념 및 동향

1. 지속가능경영의 개념

1.1. 지속가능경영의 도입 배경

산업혁명이후로 200년간의 산업 활동은 전 인류의 지속적인 생존과 팽창을 더 이상 보장

할 수 없을 정도의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폐기로 대변되는 산업사

회는 막대한 에너지와 자원을 소비하고 있다. 일례로 지금 이 순간에도 전세계적으로 1초당

78평방미터의 목초지가 불모지인 사막으로 변화하고 있다. 오늘날 인구증가 추세와 저개발

국가의 삶의 질 향상의 욕구를 감안했을 때 현재와 같은 자원소모, 생산방식, 생활방식으로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전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란 불가능한 과제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등장한 새로운 개념이 바로 “지속가능한 발전”이다.

"다음 세대가 그들이 원하는 것을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줄이지 않으면서 지금 우리 세

대가 원하는 것을 충족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발전의 핵심적인 개념이다. 첫째, 우리가 원하

는 것을 충족한다는 것은 우리 세대 모든 인류의 풍족한 삶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하고 둘

째, 다음 세대가 원하는 것을 충족한다는 것은 현 세대의 잘못된 경제활동이나 생활방식 때

문에 우리 후손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한다는 것, 즉 적어도 현재 수준의 환경과 자원을

남겨 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지속가능한 경제적 성장을 통하여

환경개선, 사회적 형평성, 그리고 빈곤의 경감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매우 추상적인 개념으로 전 세계의 성장전략을 다시 설정하기를 요한

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발전이 구체적으로 실천되고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산업계,

특히 기업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2002년 요하네스버그에서 리우정상회담 10년을

되돌아보는 자리에서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할 방향으로 설정한 것은 '실천'이었다. 지속가능

한 발전이 지난 10년간 정치적인 미사여구에 머물러 있었고 실질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였음

에 대한 반성의 결과였다. 따라서 향후에 지속가능한 발전이 현실적인 대안이 되기 위해서

는 기업에 대한 의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8 -

[그림 II-1]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지속가능경영

지속가능지속가능경영경영

지속가능지속가능경영경영

environmentalaspect

socialaspect

수익성

비전과 리더십

이해관계자 파트너십

일반경영

환경효율성

그린가치사슬

리스크 관리

환경경영

사회적 책임

투명성

인권경영

윤리경영

수익성

비전과 리더십

이해관계자 파트너십

일반경영

환경효율성

그린가치사슬

리스크 관리

환경경영

사회적 책임

투명성

인권경영

윤리경영

침묵의 봄(1962)

인도보팔사고(1984)

리우정상회담

(1992)

요하네스버그정상회담(2002)

비윤리적 운영(Nike, McDonald)

(1990s)

엔론 분식회계

사건(2001)

economicaspect

1.2. 지속가능경영의 필요성

지속가능경영은 전 세계적인 시대적 흐름이며, 글로벌 기업경쟁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필

수적인 요소이다. 2001년 소니(Sony)가 금지물질인 카드뮴 검출로 인해 2천억원 이상의 재

정적 손실을 보았던 사례나, 나이키(Nike)의 동남아 저개발국가 협력업체에서의 아동노동으

로 인한 불매운동 사례, 엔론(Enron)의 분식회계로 인한 파산사례 등은 환경과 사회적 책임

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는 최근 사건이었다.

이러한 사례는 과거 기업평가의 절대적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던, 재무적 성과의 차원을

벗어나 현재는 지속가능경영의 실현이 기업의 궁극적 가치증대에 직,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포춘지 선정 250대 기업 중 45%에 해

당하는 기업이 자신들이 어떻게 지속가능한 경영활동을 전개하고 있는지 매년 지속가능성보

고서를 통하여 외부에 공표하고 있으며, 그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9 -

1.3. 지속가능경영의 정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정의는 전 세계적으로 학제적, 실무적 정의가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국제적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할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정의를

하였다.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 위해 관련 용어에 대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

는 정의들을 조사하였다. Reed(2001)는 Corporate Sustainability란 "주주가치를 제고시키는

동시에 외부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사회 및 환경적 가치를 부가하려는 기업전략"이라 정의하

고 있다. 또한 세계 산업계의 대표기관 중 하나인 WBCSD(2002)의 경우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를 지속가능경영의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이 "근로자, 그들의

가족, 지역사회와 사회전반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며 이들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경제적 발전

을 하기위한 기업들의 노력"이라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EU(2002)에서는 기업 사회 책임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기업이 자발적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과 이해관계

자와의 상호관계에 있어 사회적, 환경적 관심을 통합적으로 반영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경영을 설명하기 위하여 트리플바텀라인 (Triple Bottom Line)이란 용어

가 많이 사용되는데 Elkington(1997)에 따르면 “트리플바텀라인이란 기업이 경제적으로 생존

가능하고, 환경적으로 건전하며 사회적으로 책임이 있도록 조화로운 노력을 하는 상황” 으

로 정의하고 있다. 이에 국내 기관인 KBCSD에서는 “지속가능경영(CSM -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이란 지속가능발전의 환경, 경제, 사회 지속가능성을 위해 기업

이 노력하는 동시에 이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주주가치를 포함한 기업 가치를 제고

시키려는 경영활동” 이라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정의를 종합하여 “지속가능경영이란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리더십을 갖고 책임성과 투명성을 확보하여 세 가지 영역에서 동

시에 높은 성과를 이룰 수 있는 전략과 경영활동”으로 정의하였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20 -

2. 지속가능경영 동향

지속가능경영의 실현을 위해 전 세계의 산업계, 정부, 학계의 모든 분야에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런 활동은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유

도로서 구체화되고 있다.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서는 전사차원의 접근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환경∙경제∙사회의 모든 면에서의 고른 발전이 이루어져야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실현되어

질 것이며, 이를 위해 기업 및 연구기관들은 통합적이며 체계적인 지속가능경영 실현도구

및 성과측정을 위한 관련도구 등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KBCSD를 중심으

로 연구 활동 및 기업간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4년 발행된 '지속가능경영 프레임워

크와 실천과제'에서는 국내실정에 맞게 지속가능경영의 개념을 정의한 후 국내외 연구동향

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또한 해외에서는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에서 기업

의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전략, 시스템 및 성과를 외부에 공개하는 수단인 지속가능성 보고

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공개하였으며 이노베스트(Innovest), SAM과 같은 지속가

능성 평가 및 투자기관들도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기업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21 -

제2장 국내․외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동향

1. 해외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1.1.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사례

1.1.1. Biffa Waste Services (영국)

1) 기업 개요1919년 설립된 Biffa Waste Services사는 영국 및 벨기에에서 38개의 폐기물 매립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폐기물처리 종합회사이다. 현재 영국에서 가장 큰 종합폐기물관리 회사로 발

돋움하였고, 1998년에 벨기에에 진출한 이래로 꾸준한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다. 1991년에는

공공설비(Utility) 분야 대표기업으로 다우존스의 지속가능성 지수(DJSI: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에 포함된 Severn Trent Plc Group의 일부가 되었고 2004년 실적을

기준으로 그룹 매출액의 30%, 그룹 총 고용인원의 3분의 일 정도를 고용하고 있다.5)

2004년까지 영국 내 모든 매립 시설이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받았으며 EMAS

인증을 받았다. 매년 통상적인 내부 환경감사를 수행하고, 4년에 한번씩 정밀한 환경감사를

수행하고 있다. 경제, 환경, 사회 부분에서 29개의 성과지표를 산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경

제부분 12개, 환경부분 13개, 사회부분 4개로 구성되어 관리하고 있다. 1999년 이래로 2년에

한번씩 2개년간의 환경성과를 종합한 환경보고서를 발간하여 왔으며 2005년에는 사회적 성

과를 보다 많이 담은 첫 사회책임보고서를 발간하였다.

2) 환경 방침Biffa는 오염방지와 보건 등에 관한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환경경영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영국의 환경법규, 모기업인 Severn Trent Plc Group의 환경정책 및

규약, ISO14001, EMAS의 기준을 모두 만족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활동의 결과들의 공개를

위해 격년으로 환경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환경오염저감을 위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을 보면 1998년 이후로 사용되는 차량에 대해서

특정 오염물질을 90%까지 저감할 수 있는 저유황 디젤 차량으로 교체하였다. 매립지에서

5) Biffa, 2005, “Corporate Responsibility Report 2004“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22 -

생성되는 매탄가스를 매집하여 전력생산에 이용하고 있다. 발전량은 연간 15만 MWh가량으

로 Biffa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4배에 해당한다. 또한 2010년까지 이산화탄소배출을 1980년

수준의 80%까지 저감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Biffa는 자사의 가장 큰 환경적 영향을 온실가스의 배출로 진단하고 있다. 1998년에서

1999년 사이에 Biffa는 약 백만톤 CO2 당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였다. 이러한 온실가스의

주요인은 매립지에서 나오는 메탄가스와 폐기물 수거차량으로부터 나오는 배출가스이다.

1999년~2000년에는 약 5%정도의 온실가스 저감목표를 달성하였다.

1998~2000년에는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정책, 수거된 폐기물의 재활용비율증대,

매립지 가스의 효과적인 활용, 시설운영에 있어서의 연료저감정책, 사용종료 시설에 대한 복

구 프로그램 체제 확립, 매립지 가스를 이용한 발전용량 확대, 환경과 관련한 연구 활동 확

대 등의 정책을 수립하고 진행하였다. 2000년부터는 운송과 관련된 연료사용억제, 저공해 차

량으로의 교체 등을 통해 재사용 불가한 자원고갈 억제, 대기오염 방지, 대기환경 개선, 환

경오염 발지, 수송 장비의 도로파손 억제를 위한 노력들을 시도하고 있다.

3) 사회 방침Biffa는 종업원의 환경문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교육훈련을 적극적으로 수행하

고 있다.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받은 사업장에 대해서는 운영담당자와 종업원대

표들이 환경/보건/안전에 대한 모임을 정기적으로 진행한다. 또한 각종 사고 기록은

RIDDOR(The Reporting of Injuries, Diseases and Dangerous Occurrence Regulations,

1995)의 요구사항대로 관리당국에 보고하고 있다. 사고율을 줄이기 위해서 안전계획을 수립

한 결과 사고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1998년 1월부터 Biffa는 매립세(Landfill tax)의 일부를 Biffaward라는 기금으로 전환하여,

환경 및 지역공동체 프로젝트에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바로 영국 정부의 Landfill Tax Credit Scheme이다. Landfill Tax Credit Scheme은 1996년

매립세 제도가 실시되면서 함께 도입된 제도로, 매립지 운영자가 매립세의 일부를 인증된

환경단체를 통해 환경 및 지역 사회 관련 프로젝트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Biffa는 이에 따라 Royal Society of Wildlife Trusts를 통해 Biffaward라는 명칭의 기금을 설

립하고 매년 6백만 파운드(115억원) 정도의 규모로 2002년까지 총 4천만 파운드(766억여 원)

를 집행하였다. 2003년에 지원전략을 재정비하여 현재는 Biffa의 각 사이트 주변지역의 삶의

질 개선과 공동체 문화 육성 프로젝트에 초점을 두고 집행하고 있다. Biffaward 측은 또,

Biffaward award 제도를 도입하여, 매년 Biffaward 기금을 지원받은 프로젝트 중에 특히 성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23 -

과가 높은 프로젝트에 대해 표창하고 있다.

4) 지속가능경영 성과지표 관리현황Biffa社는 다음과 같이 경제, 환경, 사회부분에서 31개의 핵심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를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표 II-1> Biffa Waste Services의 지속가능경영 주요성과지표(KPI)

부분 지표 항목

경제

기업매출, 지역 분포, 전기요금, 차량연료비, 수도요금, 매립지 복구비용, 사용

종료된 매립지 관리비용, 매립지 가스 발전 수익, 재활용 수익, 메탄가스를

이용한 발전 비용, 정규 종업원 수 등 총 13개 항목

환경

이산화탄소 배출당량, 매립지 메탄가스 발생량, 이산화황 배출량, 이산화질소

배출량, 운송수단의 총 운행거리 (차량, 비행기, 철도 등), 연료 및 기타 물질로

인한 수질오염건수, 야생서식지 보존 및 생성, 사용 종료 후 복구된 매립지

면적, 수자원 및 가스 사용, 전기사용량, 전기생산량, 연료사용량, 재활용폐기물

수집량 등 총 14개 항목

사회폐기물 서비스 제공인구, 종업원교육훈련수준, 폐기물 서비스 제공가구, 각종법규위반 등 총 4개 항목

5) Redhill 매립지 인증 사례Biffa社의 Redhill 매립지는 유럽 내에서 최초로 EMAS 인증을 받은 매립지이다.

EMAS에서는 환경실적에 관한 정보를 환경선언문(Environmental Statement)의 형태로

일반에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간되는 Biffa의 환경선언문에는 관리책임자

의 선언문, 매립지의 일반현황, 환경방침 및 목표, 주요 환경영향에 대한 데이터, 외부 이해

관계자와의 관계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1.1.2. SITA Group (프랑스)

1) 기업 개요SITA사는 SUEZ Environment 산하의 폐기물 처리를 담당하는 회사이다. SUEZ

Environment 차원에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오고 있으며, 수자원과 관련된 기업인

Ondeo와 폐기물 처리와 관련된 기업인 SITA로 나뉘어져 있다. SITA는 215개의 폐기물 분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24 -

류시설, 111개의 퇴비화 시설, 43개의 소각시설, 231개의 매립지를 보유하고 있다. 유럽을 중

심으로 세계의 30여 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6만여 명의 종업원을 보유한 기업이다.

2) 환경경영시스템SITA의 환경경영시스템은 계획(Plan), 실행(Do), 확인(Check), 조치(Review)의 체계로 구

성되어 있다. 계획단계 내에서는 조직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법규를 포함한 여

러 제약조건을 인지한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사안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관리

하여야 한다. 이러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SITA사의 정상적인 운영상태뿐 아니라 예측 가

능한 비상상태를 포함한다. 실행단계에서는 모든 중요한 사안들이 관리되어야 한다. 잠재적

인 비상사태는 비상사태 방지 과정, 그리고 비상상태 계획 및 절차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

확인 단계에서는 의도한 대로 모든 프로그램이 제 기능을 하고 제어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측

정, 감시, 보정 절차를 포함한다. 법규의 자율 규제 준수 수준에 대한 확인도 필요하다. 조치

단계에서는 감사를 통하여 요구사항 혹은 현재상황에서 가장 적절하고 상태의 기능과 목표

수준의 달성에 대한 검토가 전체 시스템에 대해 이루어져야 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련자들의 적합성, 훈련정도, 회사의

정책과 절차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중요하다. 이것은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적인 관리가 중

요함을 의미한다. 현장관리자는 환경성과의 지속적인 개선, 자율규제준수,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 등에 대한 필요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은 원료의 경제적 사용을

야기하는 폐기물의 감축과 관리, 위험감소로 인한 보험료감소 등에 있어서 경제적인 이득을

가져올 수 있다.

3) 환경 및 안전관리 정책 및 시스템SUEZ Environment는 안전에 대한 책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내부 기준을 마련하였다.

첫째, 모든 사업장은 안전에 대해 월별로 보고를 해야 한다. 중대한 문제 혹은 치명적인 사

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세한 보고가 필요하다. 둘째, 모든 사업장은 사업장 책임자과

직접적으로 의견교환이 가능한 검증된 조정자를 고영하여야 한다. 셋째, 모든 운영조직과 각

사업장은 감사를 일년에 한번씩 반드시 받아야 한다. 넷째, 안전을 위한 계획은 모든 사업장

과 모든 현장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다섯째, 안전에 관한 교육훈련은 임시직, 정규직

에게 제공되어야 하며 연간 0.5일의 도입과정 교육과 1일의 연수과정을 제공해야 한다. 여섯

째, 모든 신규계약과 투자는 안전평가가 선행된 후에 결정되어야한다. 일곱째, 작업 중의 사

고는 최종부서의 사고관련 책임자에 의해 분석되어야 한다. 여덟째, 모든 현장의 안전에 관

한 성과는 명확하게 드러나야 한다. 아홉째, 개인의 성과에 대한 정성적인 평가부분은 안전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25 -

의 달성정도와 결과에 근거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운영조직은 중요하고 기본적인 안전

관련 프로그램을 이행해야 한다.

4) 사회정책 및 사례SITA사는 지역당국, 고객, 비정부단체(NGOs)등의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2000년부터 이

해관계자 회합(Stakeholder Sessions)을 개최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시설 근처 주민들과 대화

를 통해 갈등을 해소해 나가고 있다.

1.3.3. Waste Recycling Group Plc(영국)

1) 기업 개요재활용센터, 퇴비화시설, 소각시설, 매립시설 등 190여개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영국의 대표적인 폐기물 처리 회사이다. 2001년 현재 운영중인 모든 시설이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받았으며, 1년에 1회씩 자체적인 내부감사를 시행하고 있다. 규제준

수, 오염물질 배출, 폐기물의 처리, 생물 다양성, 작업환경, 이해관계자 관계 등 6개의 주요

성과지표(KPIs, Key Performance Indicators)를 채택하여 환경적 성과가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다. 환경 및 사회성과를 체계적으로 외부에 공개하기 위하여 지속가

능경영보고서를 매년 발간하고 있다.

<표 II-2> 성과지표 보고의 예-Waste Recycling社

KPI - 규제준수 성과 1999 2000 2001

- 환경관련 주의사항 건수 11 5 8

- 환경관련 기소사항 건수 1 1 1

- 보건/안전관련 주의사항 건수 0 1 1

- 보건/안전관련 기소사항 건수 0 0 0

- 소각시설의 법규 위반사항 건수 34 26 11

(자료: Waste Recycling, 2002, "Corporate Social and Environmental Report 2001")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26 -

2. 국내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현황

2.1. 환경오염 예방

1) 환경법규 준수 수준

환경부에서는 매립지의 안정화 및 수명연장, 침출수로 인한 오염예방과 재활용 촉진을

위하여 일부 폐기물에 대한 직매립을 단계적으로 금지해왔다.

<표 II-3> 직매립 금지 규제 항목

발효일 추가 금지 항목

2001년 1월 1일 폐타이어․폐가구류 및 폐가전제품 등 가연성 폐기물

2003년 7월 1일 유기성 오니

2005년 1월 1일 시 이상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그러나 감사원에서 2000년 2월에 실시한 “생활폐기물처리 및 폐기물처리시설운영실태”에

대한 감사에서 지적된 주요 사항 4가지 중 하나가 매립장 관리소홀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였

다.6)

2) 법규준수 이상의 환경오염예방활동

많은 수의 폐기물처리시설이 존재하며 폐촉법상 입지선정계획 결정대상 규모인 1일 매립

량이 300톤 이상으로서 조성면적이 15만 제곱미터 이상인 매립시설 및 일일 소각용량이 50

톤 이상인 소각시설 등 대규모 시설도 45개 정도가 있으나,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을 획득한 시설은 10개 미만이다.

6) 감사원, 2000, "감사연보“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27 -

<표 II-4> 국내 폐기물처리시설의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현황

유형 인증대상 명 인증일자 인증범위

소각․매립

대전광역시 2000년 12월 23일환경행정(환경국, 신일동 소각장, 금고동 위생매립장) 체계

소각환경관리공단

일산사업소2001년 12월 17일 일산소각장의 운영 및 관리

매립부산광역시

청소시설관리사업소2002년 8월 2일 생곡매립장의 운영 및 관리

소각 양천자원회수시설 2002년 11월 30일 양천소각장의 운영 및 관리

소각 노원자원회수시설 2003년 6월 14일 노원소각장의 운영 및 관리

소각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2004년 11월 9일

하수, 폐수, 분뇨, 소각처리(다대소각장) 및 행정서비스

소각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2004년 11월 16일

하수, 분뇨, 소각(성서소각장, 명지소각장), 음식물쓰레기 처리 및

침출수 전처리와 행정서비스

매립진해시

환경시설사업소2004년 12월 10일 매립장의 운영 및 관리

매립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04년 12월 28일 매립장의 운영 및 관리

(자료: 한국인정원 홈페이지(http://www.kab.or.kr), 2005년 6월 검색)

이외에 환경성과를 체계적으로 기록하여 정기적으로 환경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환경경영

지원도구를 자발적으로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는 사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2.2. 폐기물의 효율적 이용

1) 폐기물 이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노력

매년 환경부에서는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대해서 보고서를 작성하여 공개하고

있지만 기초 지자체별 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량은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

다. 이러한 통계의 불확실성은 특히 소각시설의 경우 설계용량의 과다로 이어지고 있다. 소

각시설의 경우, 설계용량을 모두 이용하지 못하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다. 대형생활폐기물

소각장의 연평균 가동률을 보면 2000년 75-80%에서 2003년 70-75%로 가동률이 조금씩 감소

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28 -

[그림 II-2] 전국대형폐기물소각장 연평균 가동률

76.5

85.5

78

72.8

80.278.4

7374

19

2730

32

65

70

75

80

85

90

2000 2001 2002 2003

가동

율(%

)

0

5

10

15

20

25

30

35

대형

생활

폐기

물소

각시

설수

(개)

1호기

2호기

총 시설수

(자료: 전국생활폐기물소각시설운영협의회, 2000-2003, “생활폐기물소각시설 운영현황”)

2.3. 지역 사회 공헌

1) 시설운영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노력

최근 소각시설에 대한 혐오적인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다수의 소각시설들이 ‘자원회수시

설’로 명칭을 바꾸는 한편,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의 회수에 나서고 있다. 대부분의 시

설들이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소각열은 전량 회수하여 인근의 지역난방시설로 공급하여 고

온(섭씨 450도 이상)에 의한 스팀압력을 이용하여 터빈발전기를 가동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나머지 온도 (섭씨 200도 - 250도)의 열량을 아파트 지역난방열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폐기물처리시설은 대표적인 비선호시설로 여겨지고 있다. 2003년까지 폐

기물처리시설의 설치를 둘러싸고 총 103건의 분쟁이 발생하였으며, 이중 소각시설을 둘러싼

분쟁은 38건으로 전체 발생건수의 37%를 차지하였다. 현재 진행 중인 분쟁건수 31건 가운

데 소각시설과 관련한 것은 16건으로 전체의 5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매립시설도 예외는 아니어서, 전국의 생활폐기물 매립지는 1996년 496개소에서 2002년

말 232개소로 급격히 감소한 추세이다. 이는 운영되고 있던 비위생매립지를 폐쇄조치 하고

광역매립지를 권장한 것도 그 요인이지만 NIMBY현상으로 새로운 매립부지의 확보가 어려

운 것인 현실적인 이유라고 하겠다.8) 현재 수도권매립지를 뺀 전국의 매립지 잔여용량은 매

7) 환경부, 2005,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관련 갈등해소 워크샵”

8) 이혜경, 2004, “한국에서의 매립지 재활용 전망-기술적 그리고 전략적 측면에서의 고찰”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29 -

우 적어서 매립지 확보문제에 당면하여 있다.

<표 II-5> 연도별 폐기물처리시설 님비(민원)발생 및 해소현황

구 분 계 99년 이전 2000 2001 2002 2003

발 생 103 58 10 18 5 12

해 소 72 51 8 8 2 3

진 행 31 7 2 10 3 9

소 각 시 설

발 생 38 18 1 10 4 5

해 소 22 14 1 3 2 2

진 행 16 4 7 2 3

(자료: 환경부, 2004,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관련 님비(민원)발생 및 해소사례”)

주민들의 불신은 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 성과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울시

의 경우 양천, 노원, 강남 등 3개 소각시설의 경우 형편없는 가동률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해당지역주민들이 과거 건설 당시에 제기된 주민의견이 전면적으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불신감과 가동률 향상시의 피해 확산 등을 우려하며 인접자치구와 함께 공동이용방안의 협

의를 사실상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9)

<표 II-6> 서울시 자원회수시설의 2004년 가동실적

구분 양천 노원 강남 마포

시설용량 (톤/일) 400 800 900 750

소각량 (톤/일) 133 142 159 620

가동률 (%) 33 18 18 83

(자료: 환경부, 2005,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관련 갈등해소 워크샵”)

2.4. 국내 폐기물처리시설 지속가능경영수준 진단

국내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 법규준수,

폐기물자원화, 커뮤니케이션 등 다섯 개 영역에서 선진 폐기물 처리시설과 비교하여 간단히

나타낸 결과는 다음 그림과 같다.

환경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국내폐기물처리시설은 환경법규를 준수하고 최근 폐기물의 효

율적 이용 즉 자원화를 위한 노력이 비교적 활발해지고 있으나, 환경오염 예방을 위한 환경

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 등 자발적으로 환경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노력이 미

9) 환경부, 2005,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관련 갈등해소 워크샵”, p.120-121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30 -

진하다. 많은 폐기물처리시설들이 주민편익시설을 운영하고 주민지원협의체를 두어 지역사

회공헌활동을 하는 등 주민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환경보고서의

발간 등 투명한 경영을 위한 조치가 전무한 상황으로 지역사회로부터 신뢰를 얻는데 실패하

고 있다.

[그림 II-3] 국내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수준 진단

Part III.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가이드라인

제1장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모델

제2장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가이드라인

제3장 시설 설치(건설)

제4장 시설 운영

제5장 사용종료 및 사후관리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35 -

제1장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모델

1.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성

UWEP(Urban Waste Expertise Programme)10)는 지속가능한 폐기물관리를 제도적인 시

스템을 구축하고 실현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향으로 그림과 같은 지속가능한 통합폐기물관리

모형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지속가능한 통합폐기물관리 모델에서 지속가능성을 향한 프로

세스상의 3가지 핵심 구성요소로 폐기물관리시스템의 요소들(waste management system

elements)과 이해관계자, 폐기물관리 관점(aspects) 등이 제시되어 있다. UWEP는 이 세가지

요소의 조화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폐기물관리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림 III-1] 지속가능한 통합폐기물관리 모델

• 지자체

• 지역주민

• 서비스이용자

• NGOs• 민간관련업체

이해관계자

• 경제적 효율성

• 사회적 파트너십

• 환경적 책임

• 기술적 범주

• 정책/법률/정치적 범주

관 점

폐기물관리시스템 요소

발생 및 분류 수집 운송 처리

감량화 재이용 재활용 재회수

지속가능성

• 지자체

• 지역주민

• 서비스이용자

• NGOs• 민간관련업체

이해관계자

• 지자체

• 지역주민

• 서비스이용자

• NGOs• 민간관련업체

이해관계자

• 경제적 효율성

• 사회적 파트너십

• 환경적 책임

• 기술적 범주

• 정책/법률/정치적 범주

관 점

• 경제적 효율성

• 사회적 파트너십

• 환경적 책임

• 기술적 범주

• 정책/법률/정치적 범주

관 점

폐기물관리시스템 요소

발생 및 분류 수집 운송 처리

감량화 재이용 재활용 재회수

폐기물관리시스템 요소

발생 및 분류 수집 운송 처리

감량화 재이용 재활용 재회수

지속가능성

우선 폐기물관리시스템과 관련된 첫 번째 구성요소는 폐기물관리에서의 이해관계자들이

다. 도로나 쓰레기장에서 버려진 용품을 수집하는 넝마주이(waste pickers), 집집마다 방문하

여 버려지는 물건들을 사들이는 고물상(Itinerant waste buyers), 분류된 물건들을 사들이는

중간 거래자(Dealers), 재활용 원료 도매업자, 축적된 산업원료를 재생가능한 자원으로 가공

하는 재활용회사, 최종 생산품을 만들기 위해 재활용자원을 구매하는 산업들은 폐기물관리

에서 모두 나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0) Klundert, Arnold & Anschutz, Justine, 2001, "Integrated Sustainable Waste Management - the concept", Nieuwehaven: WASTE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36 -

두 번째 구성요소는 폐기물의 발생에서 감량, 수집, 재이용 및 재활용, 물질 및 에너지

회수 단계에까지 이르는 폐기물관리시스템의 요소이다. 이는 폐기물시스템이 형성된 도시

및 지역 내에서의 물질 흐름을 관리하는 수많은 단계를 일컫는다. 모든 폐기물시스템 요소

들은 자원의 채광단계에서부터 생산, 소비, 최종 처리에 이르는 각 단계상의 자원이동을 고

려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세 번째 구성요소인 지속가능한 통합폐기물관리의 주요 측면은 아래 표와 같이 6가지로

구분된다. 이를 통하여 폐기물관리 주체는 현재의 시스템을 평가하고 새롭게 확장된 시스템

을 계획할 수 있다.

<표 III-1> 지속가능한 통합폐기물관리의 주요 측면

주요 측면 내 용

환경적인 관점: Environmental aspects

환경적인 관점은 토지, 용수, 대기 및 재생 불가능한 자원의

보존, 오염통제 및 공공보건 등에 있어서의 영향에 중점을 둔다.

정치적/법적인 관점: Political/legal aspects

정치적/법적 관점에서 폐기물관리시스템이 법의 규정안에

존재하도록 규범화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목표와 우선수위를

정하고 의무와 관할권을 결정한다. 또 현재 존재하거나 계획된

법적이고 규범적인 구조와 기초적인 의사결정 절차를 정한다.

제도적인 관점: Institutional aspects

제도적 관점은 폐기물관리시스템을 통제하고 실행시키는 정치적

사회적 구조와 관련이 있다. 기능과 책임의 분배, 조직 구조, 밀접한 연관이 있는 절차와 방법, 사용 가능한 제도적 역량, 실제로 관여할 수 있는 민간 부문의 행동자, 제도적, 조직적

관점과 관련하여 "계획(혹은 기획)"은 종종 기본적인 활동으로

여겨진다.

사회-문화적 관점: Socio-cultural aspects

사회-문화적 관점은 가정과, 기업, 연구소에서의 폐기물 발생 및

관리에 대한 문화적 영향을 포함한다. 지역사회의 참여, 집단 및

지역사회의 관계, 다양한 연령, 성별, 인종들의 사람들과 폐기물

관련 노동자들의 사회적 조건과의 관계 등을 고려한다.

재정-경제적 관점: Financial-economic

aspects

재정-경제적 관점은 폐기물관리시스템 내에서의 예산 및 회계와

관련되며, 지방, 지역, 국가, 국제 경제와 관련이 있다. 사유화, 비용회수와 비용절감, 경제 활동에 대한 환경 서비스의 영향, 생활용품시장과 재활용구조와의 연결여부, 도시고형폐기물관리시스템의 효율성, 거시경제적 차원에서의

자원사용과 보존, 수입발생 등이 주요 이슈이다.

기술적, 이행적 관점: Technical and

performance aspects

기술적, 이행적 관점은 준수해야할 실용적인 수단과 모든

폐기물관리 요소들의 유지 등을 고려한다. 어떤 장비와 설비를

사용하거나 계획하는가, 그것들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무엇을

하기 위해 설계되는가,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 아닌지, 어떻게 시종일관 도시를 깨끗하게 하는지 등을 고려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37 -

2.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모델

지속가능성이란 이른바 ‘다음세대가 원하는 것을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줄이지 않으면

서 지금 우리 세대가 원하는 것을 충족하는 것’으로서, 경제ㆍ사회ㆍ환경의 지속가능성을

기본 전제조건으로 한다. 과거 폐기물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안전한 처리였지만, 오

늘날에는 폐기물처리시설로 인한 환경오염을 근원적으로 예방하고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이

용하며 지역사회에 공헌할 것을 요구하는 등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다양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11) 이러한 환경, 경제, 사회적 요구를 균형 있게 충족시켜 나가는 것이 폐기물 처리시

설의 지속가능경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III-2]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추진 방향 및 목표

따라서 폐기물처리시설을 운영함에 있어 지속가능경영 체제를 도입한다는 것은 환경오염

예방, 폐기물의 효율적 이용, 지역사회 공헌 등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성 이슈를 핵심과

제로 삼고 계획(Plan)-실행(Do)-검토(Check)-개선(Act) 체계에 따라 지속적인 개선을 달성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이 환경오염을 근본적으로 예방하고 환경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

해서는 환경법규를 준수하는 것을 기본으로,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시스템, 환경보고

서 등을 도입ㆍ운영해야 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방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환경 측면

을 관리하는데 활용되는 경영시스템의 일부로써, 시설의 환경영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환경성과를 향상시켜 주민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그리고 환경성과평가시스템은

11) UNEP, 2002, 전게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38 -

환경경영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ㆍ평가하는 내부경영절차로써, 환경경영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시설의 환경성과평가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보고서

는 일정기간마다 시설의 환경전략, 조직 및 시스템, 성과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환경커뮤

니케이션 수단으로써, 환경경영활동을 지역사회와 일반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여 신뢰

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폐기물처리시설은 에너지 회수, 폐기물의 분리ㆍ선별을 통한 자원 재활용 등 폐기물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이용해야만 한다. 이때 폐기물 소각공정에서의 열회수, 매립가스포집

으로 발전 및 난방 등 현재 활용되고 있는 자원화 기법 이외에 고형연료(RDF) 전환, 기계적

ㆍ생물학적 전처리(MBP) 등을 도입하여 자원순환을 더욱 촉진하도록 한다. 그리고 지속적

으로 경영현황을 분석하여 운영ㆍ관리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운영효율성을 달성한다.

또한 폐기물처리시설은 공공시설로써 주민지원사업과 지역사회 고용창출 등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활동을 추진해야 한다. 현재 폐기물처리시설은 설치시에 주민편익시설도 함께 설

치하고 주민지원금을 제공하여 지역주민에게 공헌하도록 하는 법적인 제도가 시행되고 있

다. 이외에 지역주민과의 협력체계를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주민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이해

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하도록 한다.

[그림 III-3]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모델

주민지원사업 추진

지역사회 고용창출

이해관계자와

커뮤니케이션

운영효율성 달성

에너지 회수

분리, 선별을 통한

자원 재활용

P L A N

D O

C H E C K

A C

T

환경경영시스템 구축ㆍ운영

환경성과평가시스템 구축ㆍ운영

환경보고서 발간

환경법규준수

폐기물처리시설이 지속가능경영을 하기 위해서는 전략수립, 전략의 이행 경과 모니터링,

정보의 외부공개 등을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국내 폐기물처리시설은 보다

친환경적인 기초시설로써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39 -

제2장 시설설치계획 및 입지선정계획

시설설치계획 및 입지선정계획 수립과정에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해 시

설계획을 담당하고 있는 지자체는 관련 법규를 준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국가적 목표와

지자체의 실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계획 수립의 타당성을 높이고, 폐기물을 효율적으

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계획을 수립하며, 객관적인 지표에 따라 입지선정의 환경성을 확보

하는 한편, 님비현상 등 주민과의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고려하도록 한다.

1.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계획 수립

1.1. 현황 및 문제점

폐기물관리법은 각 시‧군‧구 차원에서 실정에 맞는 폐기물처리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해당

폐기물처리기본계획을 바탕으로 광역지자체가 계획을 수립하고, 광역지자체의 폐기물처리기

본계획을 수렴하여 국가차원의 국가폐기물관리계획을 수립함으로써 폐기물처리계획이 통일

된 기조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제시된 순서대로 폐기물처리계획이 수립되고 있지 않다. 우선 많은

시‧군‧구에서 폐기물처리기본계획을 제때에 수립하지 않고 있다. 지난 2003년 조사에 따르

면 당시 서울시 25개 자치구중 폐기물처리기본계획을 수립한 자치구는 종로구, 강북구, 강동

구 등 3개구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12) 이에 서울시는 광역시 수준의 계획 수립에 필

요한 정보를 공문을 통한 개별적 접촉을 통해 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계획 수립이 없거나

미진한 지자체들은 광역자치단체에서 계획을 세우면 이를 그대로 반영하여 해당지자체의 목

표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13)

이와 별개로 2004년 말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 수립현황을 확

인한 바에 따르면 서울시에서 강남구 등 8개 자치구, 인천광역시에서 연수구 등 3개구, 경기

도지역에서 수원시 등 13개시가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을 수립하였거나 수립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14) 이는 각 지자체에서는 실제로 폐기물처리기본계획을 세우지 않고서 처리

시설을 계획하고 건설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12) 환경운동연합, 2003, (http://ohmyearth.com/)

13)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04, “수도권매립지 폐기물 반입총량제도 개발 연구”

14)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04, “수도권매립지 폐기물 반입총량제도 개발 연구” pp.140-141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0 -

이렇게 장기적인 관점에서 폐기물처리기본계획을 우선 수립하고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의

필요성을 확인한 후 시설설치계획을 작성하도록 하는 제도의 취지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음

으로 인해서 현실적으로는 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비효율성이 문제가 되어왔다.

매립장의 경우 수용용량과 처리용량을 적절히 추정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입지 선정

시 사용종료년도를 추정하여 미리 계획하여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여 사용종료 시점

에서 지역주민들과의 협의에 난항을 겪고 있다. 소각장의 경우 용량의 과다산정 문제가 발

생하곤 하는데 이는 부정확한 폐기물발생량 통계와, 폐기물처리기본계획과 연계의 불명확성,

국고 보조 시에 면밀한 검토 결여와 관련이 있다.

적절한 처리용량 산정의 실패는 종종 폐기물처리시설의 광역화 논의와 연결되곤 한다.

소각장의 용량이 과다 설계되는 경우 주변지역 지자체와 협의하여 소각시설을 공유하는 협

상이 이루어지곤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광역화 논의는 종종 폐기물 반입량의 증가와 가동일

수 증가에 대한 주변지역 주민들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혀 좌절되곤 한다. 이는 지자체간 구

체적인 사전협약 등을 통해서 폐기물처리시설을 건립하는 것이 아니라 시설이 건립된 이후

에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로 충분한 사전계획 수립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보여준다.

1.2. 대응방안: 폐기물 처리시설 및 폐기물발생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일선지자체의 계획 능력을 돕고 지자체가 폐기물처리시설 공유 등 폐기물처리시설의 광

역화를 통해 불필요한 시설 난립을 막아 국가 전체적으로 폐기물 처리에 드는 자원을 효율

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에서 나서서 폐기물 처리 및 처리시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1.2.1. 사례: 캘리포니아 폐기물 처리 정보 공개시스템

캘리포니아 폐기물종합관리위원회(CIWMB: California Integrated Waste Management

Board)는 폐기물산업분야, 비영리 환경시민단체 구성원, 법률 자문 등의 분야별 전문가 3인

과 주정부 대표인사 2인, 주의회 추천인사 1인으로 주의회 또는 자치단체의 추천 또는 지명

에 의해 선출된 위원회이다.. 각 지방정부, 사업장, 공공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캘리

포니아주 전체의 ‘폐기물 제로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위원회에서는 각 자치단체에서 수

립한 폐기물 종합관리계획을 최소 2년에 한번씩 검토하여 승인 또는 반려하며 자치단체에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1 -

목표에 맞게 계획이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시행한다. 또한 캘리포니아 주

안의 모든 고형폐기물 처리시설에 대해 최소 연 1회 이상의 감사를 실시한다. 감사내용은

위원회의 홈페이지에 ‘countywide, regionwide, and statwide juridiction diversion progress

report'로 공개되어 지역주민들이 지역의 폐기물 처리시설 관리 현황에 대해 투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15)

이 위원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캘리포니아 폐기물처리정보 공개시스템은 정책입안자는 물

론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폐기물관련 정보를 쉽고 편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웹기반으로 캘리

포니아 주 내의 폐기물처리 현황 및 추이, 폐기물처리시설 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운영

하고 있다.16) 해당 시스템은 지역별 각종 수거지점 및 처리시설 정보를 사용자가 보기 편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연동된다. 데

이터는 연중 상시로 업데이트 되고 있으며 자료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공개하는 내부 프로세

스 개선 작업이 진행 중이다. 사이트 이용자를 기업, 어린이, 일반 국민 등 12개 그룹으로

나누고 이용자별로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1.2.2. 활용방안

국가 폐기물처리시설 및 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폐기물처리시설 종료

시점에 대한 국가적 통계시스템을 제공하여 지자체가 폐기물처리기본계획과 시설설치계획을

수립할 때 이용하도록 장려한다. 이를 통해 지자체의 모든 폐기물처리시설의 수명에 대한

예측을 통하여 사전에 폐기물 처리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업무관행이 정착되도록 한다.

15)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04), 수도권매립지 폐기물 반입총량제도 개발 연구

16) http://www.ciwmb.ca.gov/Profiles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2 -

[그림 III-4] 폐기물 처리시설 및 폐기물발생량 DB구축 개요

새로 설립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 폐기물처리시설의 설계시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이

용하여 인접지역의 폐기물처리현황과 처리시설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피도록 한다. 이를 바

탕으로 타시설의 용량과 처리방식 등 시설 측면에서의 고려와 함께, 인구변동, 폐기물의 발

생 및 처리에 대한 예측을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 직매립금지와 같은 새로운 제도와 매립

지 반입총량제도의 도입과 같은 정책적 변수의 변화를 고려하여 시설의 처리용량을 산정하

도록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3 -

2. 폐기물의 효율적 이용 촉진

2.1. 현황 및 문제점

우리나라의 제2차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은 효율적인 “통합폐기물관리” 계획을 위해서

재활용, 소각, 매립 등 각 처리방법의 환경적 부담과 경제적 이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역여건에 맞는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환경부는 “통합폐기

물관리”란 모든 형태의 고형 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며, 가정폐기물, 산업폐기물, 건축 또는

농업폐기물 등 모든 출처의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하였다.

하지만 지자체 수준의 폐기물처리기본계획을 통해 시설설치계획에 통합폐기물관리의 개

념이 충분히 고려된 예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소각에서 최종매립으로 이르는 과정이

최적화되지 않고 있고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시설, 재활용품 선별 시설 등이 연계되지 않

고 따로따로 설치되어 처리의 경제성을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2.2. 대응방안: 시설설치계획에 통합폐기물관리(ISWM) 개념 도입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유기성 폐기물의 직매립을 금지하는 유럽연합 지침의 발효 이전

부터 폐기물을 자원의 관점에서 보고 통합폐기물관리의 관점에서 최대한 이용하려는 움직임

이 있어왔다. 다음의 사례들은 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주체를 막론하고 혁신적인 처리안을

찾기 위해 노력해온 전형적인 사례이다. 독일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기계적 생물학적 전처

리와 열처리 등을 매립대상폐기물에 적용하여 매립량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스

웨덴에서도 폐기물의 전처리가 민간폐기물회사를 중심으로 10여년 전부터 꾸준히 이루어지

고 있다. SITA Sweden은 1980년대부터 생활폐기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연성 폐

기물을 압축하여 팰릿 형태의 고형연료(dRDF: refuse derived fuel)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

하여 스웨덴 내에서 적용하는 한편 해외에 수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페인에서는 지역의

조건에 맞게 수작업으로 재활용품을 선별하는 시설을 추가함으로써 매립지의 활용도를 최대

화한 지역특화사례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탈리아의 사례는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매립지 이용의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전과정환

경영향을 평가한 것으로 전과정평가가 시설설치계획을 보조하는 도구로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음을 실증하는 사례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4 -

2.2.1. 사례: 독일 노이뮌스터(Neumuenster) 폐기물처리단지

독일은 20년 후 매립량 제로화를 정책목표로 삼아 직매립되는 폐기물이 없이 모든 폐기

물에 전처리 개념을 도입한 지자체가 많다. 2005년 유기성폐기물의 직매립 금지 조치를 앞

두고 대다수의 지자체들이 대안으로 기계적․생물학적 전처리(MBP: Mechnical biological

pre-treatment)시설을 도입하거나 폐기물을 RDF의 형태로 소각하는 시설을 갖춘 상황이다.

독일의 MBP시설은 2004년 기준으로 총 51개소로 연간처리용량이 5천 7백여톤에 이르고 있

다.

독일 북부에 위치한 노이뮌스터시는 시에서 100% 출자하여 폐기물처리와 하수처리 등을

담당하는 공사를 설립하였다. 이 공사의 자회사인 MBA Neumuenster GmbH는 MBP시설과

매립장의 관리를 담당하며 이 매립장에서 생산된 RDF를 도심 한복판의 열병합 발전시설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연간 20만톤 매일 700톤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이 시

설은 독일 특유의 MBA의 개념을 구현한 대표적인 시설로 볼 수 있다.

해당 시설에서는 반입된 폐기물을 파쇄하고 자력으로 선별하여 드럼 선별기에서 가볍고

입도가 큰 RDF을 기타 무겁고 입도가 작은 유기물과 기타 협잡물로부터 분리한다. 보통

50%정도가 RDF로 분리된다. 분리된 RDF는 진공압축 수송용기에 넣어 부피를 압축한 다음

열병합발전시설로 이송하여 순환유동상보일러에 투입하여 소각하여 발전하는 한편 폐열을

회수하여 난방열로 주변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해당 열병합발전시설은 연간 15만톤의 RDF

를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6백 50만 kWh의 전기를 주변지역 16,000가

구에 공급하고 있다. RDF가 부족할 때는 유연탄으로 운영하며 RDF를 넣기 시작하면서 유

연탄 사용을 3분의 1로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한편, 매립장에서 RDF를 분리하고 남은 유

기물과 협잡물은 전량 호기성 퇴비화 시설로 유입하여 4주간 분해한 후 2차 선별 과정을 거

쳐 남은 25%만을 매립하고 있다.

노이뮌스터시의 사례에서 주목할 점은 그 경제적 효율성이다. 노이뮌스터시에서 전처리

시설과 열병합발전소는 시의 재정확보에 도움이 되는 수익시설이다. 노이뮌스터시는 장래

수익성을 담보로 민간자본을 NSW의 설립에 끌어 들어 시설 확충을 위한 자금으로 활용하

였다. 인근 지자체로부터 폐기물을 받아 처리비 수익을 얻고 이를 연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전기와 난방열을 부가적인 수익으로 도출하는 동시에 열병합발전소의 연료대체 효과까지 종

합적으로 고려할 때 NSW는 경제적으로 이익을 내는 시설로 분류되고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5 -

2.2.2. 사례: 스웨덴17) 쿠빅 재활용 센터(Kovic Recycling Center)

SITA 스웨덴18)이 소유한 5개의 매립지 가운데 하나인 쿠빅 매립지는 스톡홀름 근교에

위치해 있다. 반입되는 폐기물을 선별작업을 거쳐 재활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사이

트의 명칭도 쿠빅 매립지가 아닌 쿠빅 재활용 센터(Kovic Recycling Center)로 정하였다. 이

재활용 센터는 하루에 약 650톤, 연간 20여만 톤의 폐기물이 반입되는 소형 매립지이다. 현

재 허가된 매립면적 543만 7천 m3의 63%를 사용하고 201만 m3의 공간이 남아있는 상황으

로 SITA 스웨덴 측은 앞으로 10년 내지 15년간 매립을 더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

다.

쿠빅 매립지에서 수거하고 있는 폐기물은 산업계 생활폐기물, 지자체와의 계약을 통해

수거한 도시고형폐기물, 지정된 재활용품 수거 장소 등에서 수거된 폐기물이다. 반입된 폐기

물들은 쿠빅 재활용 센터에서 크레인을 이용한 기본적인 선별과 고형 연료화를 위한 자동

선별 과정을 거쳐, shredded RDF, densified RDF (Brini 팰릿), 연소 가능한 폐기물,

Woodchips, 고철 등으로 선별, 가공되어 판매되고 최종적으로 남은 양만이 매립된다.19) 가

연성 폐기물의 직매립, 유기성 폐기물의 직매립 등 일련의 규제가 실시되면서 재활용되는

폐기물의 양은 꾸준히 증가하여 왔고, 현재 반입량의 50%가 재활용 된다. 폐자원과 고형연

료의 회수 및 판매 이외에도 매립가스로 생산한 에너지 등으로 인해 쿠빅 재활용 센터에서

발생하는 연간 매출액은 236억, 세전이익은 52억원 정도이다

SITA 스웨덴에서는 쿠빅 재활용 센터를 중심으로 1983년부터 매립대상 폐기물을 소각로

에서 연료로 사용이 가능한 고형연료 즉 팰릿의 형태로 전환하는 라인(일명, Brini-process)

을 개발하여 운영해왔다. 이 기술은 부피가 크고 가벼워 이송이 어려운 RDF의 단점을 완

벽하게 보완한 것으로 관련 공정 기술을 이탈리아, 일본, 독일, 스페인, 노르웨이 등에 수출

되고 있다.

쿠빅 재활용 센터에서 생산하는 dRDF를 만들어 내는 기본 원리는 재이용 및 물질 재활

용, 퇴비화가 불가능한 폐기물을 압축하여 열 함유량을 높이는 것이다. 전자동으로 운영되는

“분쇄→선별→건조→압축” 공정의 최종 산물인 팰릿은 나무보다도 함유열량이 높다.20) 따라

17) 사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부록에 수록하였음

18) 폐기물처리와 재활용에 관한 통합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스웨덴 전역에 위치한

60개의 사무소에서 1100여명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으며 지난해 매출은 약 2천 6백억원이다. 50여개 지자체와 계약하여 폐기물을 수집․처리함으로써, 스웨덴의 도시생활폐기물 수집

시장에서 Ragn-Sells 社에 이어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다.

19) 고철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각되어 에너지 회수에 이용된다. 쿠빅 재활용 센터에서 생산되는

산물을 연소시켜 얻는 열에너지의 총량은 221,318 MWh로 9천 5백 가구의 난방수요를

충족시킬 만큼의 양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6 -

서 유동상 소각로(fluid bed incinerator)에서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하다. 팰릿(40%)과 가연

성 폐기물(30%)을 제외한 나머지 폐기물에서 고철류(5%)는 자석을 이용하여 회수가 가능하

고, 침출수(5%)를 제외한 나머지 폐기물(20%) 만이 매립지로 보내지게 된다.

현재 쿠빅 재활용센터에서는 매년 3만 톤의 도시생활폐기물과 산업폐기물을 이 프로세스

를 통해서 처리하여 1만 2천 톤의 팰릿과 9천 톤의 가연성 폐기물을 선별하여 지역난방업체

에 연료로 공급함으로써 주변지역 3천 5백 가구의 난방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2.2.3. 적용 방안

통합폐기물관리(ISWM;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란 무조건 자원화의 최대화

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폐기물관리상의 특정한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모든 기능

요소 간에 균형이 맞도록 적합한 폐기물관리기술과 관리계획을 선정하여 실행해 나가는 것

을 말한다.21) 즉 “폐기물처리의 우선순위원칙에 따라 최종적으로 매립 처리되는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 한다”와 같은 정책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찾아내어

구현하는 것을 뜻한다. 이와 같은 통합폐기물관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폐기물을 각 지역의

여건에 맞게 환경적으로, 경제적으로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관리하고자 하

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합폐기물관리의 원리에 충실한 시스템은 폐기물을 수거하여 분류한 뒤에

재생이나 재활용, 유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에너지 회수를 위한 열처리 중 가장 경제적인 방

법으로 자원화를 거친 후 최종 산물을 매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22) 폐기물관리의 우선

순위에 따라 최대한 재활용한 후 나머지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거나 열처리한 후 불활성상

태에 이르렀을 때 매립하는 방안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통용되고 있지만 통합폐기

물관리의 원칙은 반드시 폐기물관리의 우선순위를 지킬 것을 요구하는 것이라기보다는 폐기

물관리의 전과정에 드는 환경적비용과 경제적비용의 합을 최소화하자는데 초점이 있다. 만

약 분리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지역이라면 애써 재활용율을 최대화하려고 하는 것

은 통합폐기물관리의 원리에는 어긋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재활용, 생물학적 처리, 열처

리 등과 같은 다양한 폐기물처리 방법들 간의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서는 지역의 실정에 맞

게 전과정의 환경적 경제적 비용을 평가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20) SITA Environment, 2002, "Quality and Safety report 2001"

21) 이동훈, 남궁완 역, 1998, “폐기물처리공학(上)”, 동화기술

22) 김광임, 2003, “폐기물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7 -

[그림 III-5] 통합폐기물관리 프로세스

각 시군구에서 통합폐기물관리의 개념을 고려하여 MBP, RDF등 다양한 처리방법을 통해

통합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폐기물관리기본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

다. 폐기물처리기본계획 수립 지침을 개발하여 지자체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보조하고, 통합

폐기물관리의 관점에서 계획된 시설에 대해서만 국고를 지원하는 등으로 폐기물처리시설 국

고지원체계를 변경하면 통합폐기물관리 개념 도입을 촉진할 수 있다.

폐기물처리기본계획 수립지침에는 일선 시군구에서 아래의 (예)와 같이 다양한 폐기물처

리대안을 각 지역의 실정에 따라 수립하고 각 대안에 대해 전과정환경영향평가 및 전과정비

용분석을 실시하여 가장 경제성대비 환경성이 높은 안을 선택하는 내용을 담도록 한다.

<표 III-2> 환경성/경제성 분석을 위해 고려 가능한 시나리오

대안1: 모든 폐기물의 매립

대안2: 모든 폐기물의 콤포스팅 후 잔여 폐기물 매립

대안3: 콤포스팅 가능 폐기물을 선별하여 콤포스팅 후 잔여 폐기물 매립

대안4: 모든 폐기물 소각 후 소각재의 매립

대안5: 소각 가능한 폐기물의 선별 후 소각, 잔여 폐기물의 매립

대안6: 콤포스팅 가능 폐기물의 선별 후 콤포스팅, 소각 가능한 폐기물의 선별 후 소각,

잔여폐기물의 매립

대안7: 콤포스팅 가능 폐기물의 선별 후 콤포스팅, 잔여 폐기물의 소각 후 소각재 매립

매립가스의 자원화, 매립지의 사후관리 방안, 소각시설의 폐열 이용 등도 각각의 시나리

오에 반영하여 최적 대안을 도출함으로써 폐기물처리시설의 전과정에 대한 환경성과 및 경

제성과가 계획 단계에서 고려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8 -

[그림 III-6] LCA와 LCC를 이용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최적대안 도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49 -

3. 환경친화적인 입지 선정

3.1. 현황 및 문제점

폐기물처리시설은 일단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지역사회와 환경영향이 크고 장기간 지속

되므로 입지선정시 세밀한 주의가 요망된다. 그러나 현행 폐기물처리시설 관련법을 살펴보

면 처리시설의 입지에 대해 명확한 선을 긋고 있지 않아 향후 분쟁의 소지가 되고 있다. 현

행 국토법 제76조(시행령 제71조)는 용도지역 안에서 건축을 제한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모

든 공업지역과 생산녹지 및 자연녹지지역, 생산관리지역과 계획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과 계

획관리지역, 농립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등으로 한정하고 있다.

3.2. 대응방안: 입지선정기준 강화

유럽연합이나 미국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과 같이 공익을 위해 필수 불가결하지만 주변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설치가 어려운 시설인 경우 더욱 철저하게 그 환경성을 확보

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설치계획을 사전에 수립하고 환경성 평가를 엄격하게 실시

하며,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가 엄격히 제한되는 지역의 조건을 세밀하게 법으로 정하고 있

는 것이다. 유럽연합과 미국에서 정한 입지선정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3.2.1. 사례: 미국 환경청

미국 환경청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폐기물 매립지의 입지선정에 있어서 필수적인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되어 있다. 첫째, 매립지 주변의 완충영역의 폭은

적어도 500미터 이상이 되어야 한다. 둘째, 음식폐기물을 선호하는 조류와의 충돌을 방지하

기 위하여 매립지는 공항에서 적어도 3킬로미터 이상 거리를 두어야 한다. 셋째 최근 100년

간 홍수가 적어도 한번 발생한 지역, 또는 지표수 영역과 매립지의 거리는 100 미터 이상이

되어야 한다. 넷째, 지질학적으로 불안정한 영역의 100미터 이내에는 매립지를 설치할 수 없

다. 다섯째, 매립지는 경사도가 10% 이상인 지역에는 설치되어서는 안 된다. 여섯째, 염도가

3000 mg/L 이내인 지하수층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지표면과 매립지간의 두께가 15미터 이

상이어야 하며, 염도가 3000 mg/L - 12000 mg/L인 지역과 12000 mg/L 이상인 지역은 그

두께가 각각 5미터, 2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0 -

3.2.2. 사례: 유럽연합

유럽연합의 매립지침(Landfill Directive)에서 정한 매립지의 입지선정에 있어서 고려사항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지역, 휴양지역, 수로, 농업지역, 도심지역등과의 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지하수 관련지역, 연안지역, 자연보호구역 등의 존재여부를 파악하여야 한다. 셋

쩨, 대상지역의 지질학적, 수질학적 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홍수, 함몰, 산사태, 눈사태

등의 위험을 파악하여야 한다. 다섯째, 자연유산, 문화유산 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

다. 매립지침에 따르면 신규매립지는 대상 지역이 위의 필수 고려사항을 만족하고 있으며,

심각한 환경영향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하였을 경우에 승인이 가능하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1 -

4. 주민과의 갈등 해소

4.1. 현황 및 문제점

현재까지도 폐기물처리시설은 대표적인 님비(NIMBY: Not In My Back Yard)시설로서

지역주민들의 기피대상 시설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폐기물처리시설이 이론상 최

적의 입지를 선정하였다 하더라도, 예정부지 주변주민의 원천적인 반대, 지자체 내 지역주민

간의 갈등, 과다한 보상요구, 인접 지자체간의 갈등이라는 벽에 부딪혀 입지선정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폐기물처리시설의 님비성 민원 발생현황으로는 2003년 12월 기준으로 103건 이었다. 이

중 70%인 72건이 해소되었다. 계류중인 민원은 최근 3년 안에 발생된 민원들로 소각시설이

16건, 매립시설이 10건의 민원이 진행중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이 기피되는 까닭은 처리시설의 입지로 인한 사회적 편익의 비대칭성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이 설치됨으로써 전체지역사회에는 그 편익이 균등

하게 배분되는 반면 시설이 설치됨으로써 환경적 위험은 특정지역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따

라서 님비현상의 대부분은 폐기물처리시설 예정 부지 주변 주민의 원천적인 반대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그 밖에 지자체내 지역주민 간 갈등, 과다한 보상요구 등이 있다. 근본적으

로 다음과 같은 사항이 배경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충분한 홍보, 관련 지역주민의 여론 수렴, 계획 수행과정에서의 주민참여 등의 민주적

절차와 배려 미비로 인한 행정에 대한 불신감 팽배

국민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

국내외적으로 위험시설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으로 인하여 잠재적 위해시설에 대한

공포심 확대

혐오시설 입지에 따른 토지가격 하락 등 경제적인 손실에 대한 피해 우려

시간과 경비의 부족으로 인한 부적절한 입지 선정

각 지자체에서 입지선정과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입지선정계획결정/공고부터 폐기물처리

시설 설치계획의 결정/고시까지 걸리는 시간이 점차 길어지는 추세이다. 서울시 노원구 상

계소각장의 경우 1991년 8월 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후 가동 개시까지 총 5년 6개월이 소요

되었다. 이 경우는 부지가 결정되어있던 터라 사업기간이 짧은 편에 속한다.23)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2 -

4.2. 대응방안: 우수사례의 벤치마킹

입지선정과정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폐기물처리시설설치계획의 수립을 통한 사업

수행의 필요성(시설규모의 적정성 포함) 입증, 처리시설의 입지선정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적정한 참여 보장,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한 입지 선정을 통한 분쟁의 소지 최소화, 입지지역

주민들에 대한 정당한 사회적․경제적 보상 조치 등 현행법과 제도상에 제시된 사항들을 충

실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입지선정과정의 문제에 대해서는 하나의 해답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각 지

자체 상황에 맞는 주민지원과 참여를 통한 "운영의 묘"가 필요한 상항이다. 본 연구에서 입

지선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보다는 성공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하고

자 한다.

[그림 III-7] 처리시설 입지관련 주민과의 갈등 해소방안

성공사례에서 제시하고 있는 법으로 규정된 사항 이외에 추가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상당수의 지자체들은 각종 인센티브 제공과 홍보활동을 통해 폐기물처리시설

을 지역주민이 원하는 소위 핌피(PIMFY: Please In My Front Yard)시설로 바꾸려고 노력하

고 있다. 이들 성공사례는 주민에게 처리시설 유치의 동기를 부여하고, 입지선정과정의 초기

에서부터 주민참여를 확대하여 입지선정과정을 공개함으로써 입지선정의 객관성, 공정성, 신

뢰성을 확보하고, 주민대표단의 선진시설 견학, 홍보물의 적절한 이용 등으로 폐기물 처리시

23) 최우석, 1997, "함께 풀어가는 지역갈등", 삼성경제연구소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3 -

설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는데 꾸준히 힘쓰는 것이 폐기물 처리시설의 입지선정에 따르는 갈

등을 최소화하는 방안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4 -

제3장 시설 설치(건설)

입지선정을 마침으로서 시설설치 결정이 완전히 내려진 이후에는 법적 절차에 따라 시설

을 설치하되 향후 운영단계에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시설

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1. 환경친화적 설계

1.1. 현황 및 문제점

폐기물 소각방식은 일반적으로 소각로 형식에 따라 크게 스토커 방식(stoker type), 유동

상 방식(fluidized bed type), 열처리조합 방식(combined thermal treatment type), 로타리킬

른 방식(rotary kiln type)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대형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대부분이 스토

커 방식24)이다. 소각기종은 기술의 안정성, 국내외 운영실적 및 운영비용, 우리나라 쓰레기

에 적합성 등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해야 하고, 기존의 스토커 방식, 유동상 발식,

로타리킬른 방식 이외의 시설(열분해․용융시설, 가스화 용융시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장․단점을 파악한 후 결정해야 한다.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처리시설의

설치계획 자체가 무산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일례로 군산시에서는 내초동에 1997년부터 2000년까지 국․지방비 230억원을 투자하여 1

일 96톤의 쓰레기 소각시설을 설치하고자 추진하였다. 이때 환경단체 및 군산시 의회 등이

소각방식과 다이옥신 등 유해가스 최소화 대책이 강구될 때까지 사업의 보류를 주장하였다.

보류되던 사업은 환경문제와 지방비 확보의 어려움을 이유로 국고보조금을 반납하게 되면서

무산되기에 이르렀다.25)

소각로 이외에 대기오염방지시설과 재처리시설도 운영단계의 환경오염문제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치하여야 한다. 이제까지 대부분의 대형소각시설들은 이러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일례로 비산재(fly ash) 문제를 들 수 있다. 비산재에는 납·카드뮴·아연 등의 중금속과 다이

24) 스토커 방식은 소각대상물을 스토커(stoker), 즉 이동 화격자(moving grate) 위에 투입하고

교반 및 이송시키면서 소각시키는 방식이다. 전처리 과정이 거의 필요 없이 대규모 소각이

가능하여 국내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선호되는 방식이다. 또 비산재의 발생량이 유동상

방식이나 로타리 킬른 방식보다 적다. 그러나 국부 가열로 인한 클링커 생성의 가능성이 크로

용융성 폐기물이나 슬러지, 미세폐기물 등에는 부적합하다. 이외에도 열처리조합

방식(combined thermal treatment type)이 있는데 국내에서는 일부 기업체에서 폐타이어, 폐고무 등 주로 발열량이 높고 성상이 균일한 산업폐기물을 대상으로 국내도입이 적극

고려되고 있다.

25) 전라북도, 2005, “환경백서 2004”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5 -

옥신이 들어 있다. 특히 비산재는 마이크로 또는 그 이하 크기의 입자상물질이므로 조심해

서 다루지 않으면 날아가 작업자와 주변 환경에 해를 끼치게 된다. 전기집진기와 백필터

(bag filter)는 보통 99% 이상의 입자상물질 제거효율을 가지므로 진공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오염방지시설로부터 제거한 뒤 밀폐용기를 이용하여 최종처분지로 수송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대형소각시설 중 비산재를 자체적으로 안정화하여 처리하는 곳은 2003년 기준으

로 전국에 6곳으로 전체 비산재 발생량의 20%만이 안정화처리되고 있다.

1.2. 대응방안-환경친화적 설계

운영단계와 사용종료단계를 고려하여 다이옥신, 침출수 등 각종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예방할 수 있는 설비를 도입하도록 한다. 소각로 설치시에는 가연성쓰레기의 발생과 수집,

발열량, 유해성분, 연소후의 배출가스 처리, 소각잔재물의 처리, 소각열의 이용 등 면밀한 사전

조사를 충분히 하여야 하며, 소각로의 선택에서도 소각시설의 규모와 소각방식(스토커식, 유

동상식, 열처리 조합 방식 등)의 선정에서도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26)

26) 전라북도, 2005, “환경백서 2004”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6 -

<표 III-3> 소각시설별 특징 및 장단점

구분스토커방식

(stoker type)유동상 방식

(fluid bed type)열처리조합방식(combined thermal treatment type)

관리소각대상물을

스토커(회격자)위에 투입하고

교반 및 이송시키면서 소각

모래 등의 입자 층으로

충전시킨 유동층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정량 공급하면서

연소시키는 방식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발생한

가스를 연소 또는 회수하면서

소각재 및 불연물 등을

용융하는 방식

특징전처리과정이 거의

필요없음

대규모 소각이 가능

함수율이 높고 입자가

균일한 슬러지 소각이나

RDF(Refuse Derived Fuel)의 소각에 적용

생활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혼합소각이

가능

다이옥신 발생억제에

효과적임

장점

대량 연소가 가능하여

연소가 안정적임

비교적 안정된 연소를

하므로 비산재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음

다른소각방식에 비하여

좁은 부지에 설치될 수

있음

연소효율이 높아

미연소분의 배출량이 적음

배출가스량도 적음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함

배출가스량이 가장 작음

생성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발전 등

에너지원으로 재활용

가능함

황, 납, 소금, 금속 등

자원의 회수가 가능함

단점

국부가열로 인한 클링커

생성의 가능성이 큼

용융성 폐기물, 슬러지, 미세폐기물 등에는 부적합

소각 대상 생활폐기물의

파쇄 등. 전처리가 필수

분진발생이 많음

순간연소이므로 연소가

다소 불안정적임

기술 축적이 부족하여

기술 및 설비의 안전성이

낮음

국내외적으로 실증 및

실용화 실적이 적음

국내

적용

사례

국내 대부분의 소각시설

경기도 용인 수지

제주도 신북

제주도 산남

없음

(출처: 경기개발연구원, 2003, “소각시설 운영현황 및 문제점”)

2. 주민편익시설의 설치

2.1. 현황 및 문제점

현재 많은 폐기물처리시설들이 주민편익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15개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중 8개 시설은 주민편익시설로 수영장, 테니스

장 등 스포츠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주민들의 이용도도 매우 높아 폐기물 소각시설의

이미지 개선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27) 그러나 폐촉법에서 정하고 있는 주민지원정책에는

가구당 지원금액 상한선, 지리적 위치에 따른 제한적 지원 등은 정하고 있으나 주민사업지

원 및 인센티브의 내용에 대한 가이드가 부재한 실정이다.

27) 경기개발연구원 “소각시설의 위탁관리실태 및 운영효율화 방안” 2003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7 -

2.2. 대응방안- 우수사례의 벤치마킹

본 연구에서 주민편익시설의 설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 보다는, 성공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2.2.1. 사례: 구리소각장

1990년대 초반부터 구리시는 도시의 지속적 성장에 따라 생활폐기물의 양적 증가와 질적

다양화로 그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시 면적의 한계와 혐오시설에 대한 기피

등으로 인하여 매립지는 확보가 힘든 상황이었다. 따라서 구리시는 새로운 폐기물 처리시설

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보고, 1993년 6월 15일에 폐기물처리시설(소각장) 설치계획을 수립하

게 되었다.

구리시 측은 소각장 부지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사업추진 초기부터 시민들의 공감대 형성

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시민대표를 참여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1995

년 9월 19일 시의회 의원 2명과 주민대표 3명, 환경전문가 2명, 관계공무원 2명 등 11명으로

입지선정위원회가 구성되었다. 4차에 걸친 폭넓은 의견 수렴과 일본의 사례 등을 확인하고

구리시와 입지선정위원회는 1995년 12월 15일 현재의 위치에 스토커식 소각로를 설치하기로

결정하고, 1996년 3월21일까지 소각방식에 대한 결정과 소각처리에 대한 시설규모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인구 및 도시 확산을 고려하여 소각용량을 당초 100톤/일에서 200톤/

일로 확대하고 구리시민을 위한 주민편익시설을 확대 설치하게 되었다.

이후 폐촉법에서 정한 환경영향평가 등을 이행한 후 폭넓은 주민의견을 수렴 절차를 거

쳐 1998년 4월 경기도로부터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승인을 받았고 1998년 9월 17일에 소각로

공사를 시작하였다. 입지 선정시 주민과 약속한 운동시설, 구리타워 등의 주민편익시설공사

는 2001년 1월 15일 착공하여 소각시설이 준공된 이후인 2002년 7월말에 완료하게 되었다.

전망대와 레스토랑 등의 부대시설을 갖춘 구리타워는 소각장의 연돌을 활용하여 주민편

익시설을 설치한 대표적인 사례로 지역의 명소로 벤치마킹을 위한 타 기관의 방문이 지속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2.2. 사례: 수도권 매립지

대부분의 소각장에서 주민편익시설이 소각장 건설에 따른 주민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

해 설치가 계획되는 반면, 매립장에서는 그러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매립장의 경우 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8 -

립장을 운영하는 동안 매년 조성하는 기금을 주민의 뜻에 따라 투명하게 운용하는 것이 중

요하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매립지인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반입수수료 수익의 10% 수

준에서 주민지원기금을 조성하여28), 조성된 주민지원기금은 주민지원협의회와의 협의를 통

하여 주민이 원하는 곳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주민지원기금은 주로 생활환경개선사업, 주

민수혜사업, 상수도설치, 도로건설, 복지회관 건립, 정수기 구입비 지원, 교육환경개선사업

등에 사용되었다.29)

이외에도 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 지역문화행사, 국화행사, 생태공원조성, 겨울철 스케이

트장 개장 등 주민들과 함께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지역주민과의 파트너쉽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겨울 방학을 맞아 매립지내 침출수처리장 임시저류조 시

설을 이용하여 3천여평 규모로 설치한 야외스케이트장은 개장기간 동안 지역주민들에게 상

당한 호응을 얻어서 혁신적인 주민편익시설 운영사례로 볼 수 있다.

3. 사용종료 단계까지 고려한 시설설치

특히 매립지의 경우 사용종료 후에 매립부지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거나, 복원하여 재사

용할 수 있다. 이때 매립장을 조성하고 매립작업을 진행할 때 향후 부지활용 계획을 고려하

지 않으면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수도권매립지의 경우에도 1988년 매립지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중장기적으로 사용

종료 부지를 활용할 계획을 세운 후에 매립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2004년 ‘드림파크 기본

계획’의 세부적인 부지활용 계획을 고려하여 매립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매립지 관리자들은 기반시설을 조성할 때 매립작업이 완료된 후 부지를 다른 용

도로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모두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28)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지원등에관한법률 제21조(주민지원기금의 조성)

29)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홈페이지(www.slc.or.kr) 검색, 2004년 11월 14일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59 -

제4장 시설 운영

1. 환경경영의 도입

폐기물처리시설은 우리 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기반시설이며 환경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시설이지만, 주변지역 주민들에게 혐오시설로 인식되고 있어 설치 및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95년 7월 ꡐ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지원등에관한

법률ꡑ을 제정하여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과정에 주민참여를 확대하고 주민편익시설의 설

치, 주민지원 기금 조성 등을 법제화 하는 등 님비현상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리고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성을 제고하기 위해 다이옥신 등 오염물질

배출기준도 강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지역주민과의 갈등은

지자체와 해당 운영업체에게 큰 숙제로 남아있다. 이것은 정부의 정책 이외에 보다 근본적

으로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처리하던 기존의 관리방식에서 벗어나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환경ㆍ

경제ㆍ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지속가능경영30)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폐기물처리

시설의 지속가능경영이란 폐기물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고,

자원화 수단을 통해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지역사회 발전과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

상에 기여하는 것이다.

30) 지속가능경영이란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리더십을 갖고 지속적인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경영활동이다. 이를 통해 책임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글로벌 경쟁시대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기업의

경영형태라고 볼 수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0 -

[그림 III-8]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추진 방향 및

목표

이중에서도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것이 바로 환경문제이

다. 과거부터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다이옥신 문제, 매립지의 악취 문제 등 환경오염배출에

대한 문제 제기가 끊이지 않았으며, 오늘날에는 매립지의 2차 오염문제, 사용종료 매립지의

관리방안, 매립지 주변의 생물다양성 보전, 소각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과 소각재 재활용문제 등 다양한 문제제기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

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처리시설도 환경경영을 도입하여 환경영향을 체계적으로 예

방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환경경영을 도입함으로써 국내 폐기물처리시설은 친환경적인 환경기초시설로써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환경성과의 향상과 비용 절감이라는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그림 III-9]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도입 기대효과

국ㆍ내외 환경관련 규제 대응체제 마련

친환경적인 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

지역주민과의 신뢰성 향상, 갈등해소

체계적인 환경관리체제 구축으로지속적개선 추구

내ㆍ외부 커뮤니케이션 채널 확대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도입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1 -

3.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가이드라인

본 장에서는 환경경영을 도입하고자 하나 관련지식과 인프라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폐기물처리시설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환경경영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환경

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체계와 환경보고 관련 체계 구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소각ㆍ매립시설을 규모와 여건에 따라 1단계에서 3단계까지 단계별로 환경경영

을 도입하여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방침을 개발, 실행, 달성, 검토 및 유지관리를 위한 조직의 구조,

계획활동, 책임, 관행, 절차, 공정 및 자원 등을 포함하는 전제 경영시스템의 일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환경경영시스템의 중요한 구성요소는 첫째, 환경방침을 설정하여 조직의 의지

및 원칙을 기술하고, 조직의 환경목표와 세부 목표의 선정 및 활동을 위한 틀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환경목표(Environmental Objectives)를 환경방침에 근거하고 총체적인 환경목표

로서 조직이 달성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정량화하여 설정해야 한다. 셋째, 환경목표에 따라

환경목표의 달성을 위해 설정하고 만족할 만한 세부목표(Environmental Target)를 설정해야

한다. 조직의 전체 또는 일부에 적용 가능한 세부적인 환경성과 요구사항 등을 가능한 한

정량화하도록 해야 한다. 현재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해서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국제

적인 인증규격인 ISO 14001이 존재한다. 해당 규격에 따라 인증을 받은 후 외부 심사원의

심사를 거쳐 인증을 획득하면 해당 시설에서 환경경영시스템을 국제적인 규격에 맞추어 구

축하고 운영하고 있음을 이해관계자들에게 자신있게 공개할 수 있다.

환경경영시스템 도입에 따른 환경성과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환경성과관리체계(EPE:

Environmental Performance Evlauation)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는 조직 활동의 환경성과에

대한 평가기준을 설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요 내용은 조직의 환경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

는 절차, 그리고 환경성과를 대내․외에 보고하는 방법 등이다.

환경방침 및 목표 등의 달성 정도와 그 성과에 대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환경

보고서(ER: Environmental Report)가 필요하다. 기업에서는 일반 대중을 포함한 다양한 이

해관계자에게 기업의 환경경영에 대한 의지와 노력, 그리고 성과를 널리 알림으로써 기업가

치에 반영되도록 하는 환경커뮤니케이션의 수단 역할을 하는 매체가 필요할 것이다. 환경보

고서란 일정기간마다 기업의 환경전략, 조직 및 시스템, 성과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의사

소통 수단이다. 이러한 환경보고서는 기업의 환경관리상황을 널리 사회에 알림으로서 사회

적 신뢰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환경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서 또한 이해관계자의 기업 사회

적 환경책임 요구에 대한 보고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기업 자체적으로는

전직원의 환경의식 제고와 환경관리 대응능력을 높이는 환경보전활동 추진수단으로서 더 나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2 -

아가서는 사회 전체의 환경보전의식을 향상하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 환경보고서 등의 도입은 시설의 규모와 운영여건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540여개의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이 운영되고 있으

며 각 시설들의 규모차이가 큰 상황이다. 모든 시설이 일률적으로 환경경영을 수행하는 것

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환경경영기법의 도입 절차를 3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환경경영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으로 적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단계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소규모 시설

소규모시설은 관리인원이 10인 미만인 시설이 해당된다. 매립시설은 부지면적이 1만 제

곱미터 미만인 경우, 소각시설은 처리용량이 10톤/일 미만인 경우이다. 소규모 시설의 경우

는 관리인원이 적어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기 힘들기 때문에 폐기물처리 활동으

로 인한 환경법규를 준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보다 친환경시설이 되기 위해 연간 목표

를 수립하여 목표달성여부를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 그리고 환경법규에서 규정된 시설운영

지표를 중심으로 환경성과를 관리하고, 지역주민에게 알릴 수 있는 항목들에 대해 환경보고

서를 발간하도록 한다.

2단계) 중규모 시설

중규모 시설은 관리인원이 10인 이상 30인 미만인 시설이 해당된다. 매립시설은 부지면

적이 1만제곱미터 이상 10만 제곱미터 미만인 경우, 소각시설은 처리용량이 10톤/일 이상

50톤/일 미만인 경우이다. 중규모 시설의 경우는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규격이 요구

하는 모든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조건을 충족하기는 어렵지만, 환경경영방침 수립, 환경영향분

석, 부서별 환경목표 수립, 개선ㆍ조치 등의 일반적인 환경경영시스템의 요건들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시설운영지표와 함께 시설경영지표에 대한 환경성과를 평가하도록

하며, 이러한 성과를 지역주민 및 일반국민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환경보고서를 발간하도록

한다.

3단계) 대규모 시설

대규모 시설은 관리인원이 30인 이상인 시설이 해당된다. 매립시설은 부지면적이 10만

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소각시설은 처리용량이 50톤/일 이상인 경우이다. 보다 많은 이해관

계자와 관련된 대규모 시설은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외부 전문가의 감사를 거쳐

ISO14001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국민들과 지역주민들에게 신뢰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시

설 자체적인 환경지표이외에 주변여건지표 등도 포함하여 성과를 관리하고, 가능한 많은 환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3 -

경활동을 환경보고서를 통해 대내외에 알리도록 한다.

<표 III-4> 폐기물처리시설 단계별 환경경영기법 도입 방안

구 분 환경경영시스템환경성과평가

- 관리지표

환경보고서

- 보고 항목

소규모 시설(1단계)환경법규준수,

환경경영시스템시설운영지표 핵심항목일부

중규모 시설(2단계) 환경경영시스템시설운영지표, 시설경영지표

핵심항목

대규모 시설(3단계)환경경영시스템

ISO14001인증

시설운영지표, 시설경영지표, 주변여건지표

핵심항목, 부가항목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편의상 규모별 여건에 따라 단계별 환경경영기법 도입방안을 제시

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꼭 소규모시설은 최소한의 환경경영시스템을 운용하는 수준에 머물

러야 하고 대규모시설은 ISO14001 인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환경경영시스템을 갖추어

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중규모시설이라도 일반적인 환경경영시스템을 갖추어 오랫동안 안

정적으로 운영해 왔다면 ISO14001 인증을 받아서 대규모 시설 수준의 환경경영시스템을 갖

출 수 있으며 소규모시설이라도 환경성과 관련 데이터 수집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면 환경보

고서 부분에 제시된 핵심항목을 모두 공개하는 환경보고서의 발간을 추진할 수 있다. 따라

서 각 시설은 자체적인 환경경영 수준에 따라 제시된 3단계 중 알맞은 단계를 선택하여 환

경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 환경보고서발간 등을 추진하되 지속적으로 단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다음 각 장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이 환경경영을 도입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환경경영

시스템, 환경성과평가, 환경보고서 등의 핵심내용을 설명하였다. 각 기법들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절차에 따른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고 그리고 각 절차의 요구사항에 대

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폐기물처리시설 특성에 맞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4 -

3.1. 환경경영시스템(EMS: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환경문제가 심화되고 이해관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모든 조직구성원들의 참여하에 사

전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따

라 등장한 환경경영시스템은 조직의 환경성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표 경영(MBO:

Management By Objectives)의 한 방법이다.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는 환경경영시스템을 환경방침의 개발ㆍ실행ㆍ달성ㆍ검토 및 유지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조직과 절차, 관련자원 등을 포괄하는 전체 경영체계의 일부로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환경경영시스템은 최고 책임자의 의지에 기반을 둔 환경방침의 개발 및 이행

과 지속적인 환경성과의 개선이 가능하도록 계획(Plan)-실행(Do)-점검(Check)-검토(Act) 모델

에 따라 구성된다.

[그림 III-10] 환경경영시스템 모델

환경방침

(Environmental policy)

지속적개선(Continual

Improvement)

계획(Planning)

실행및운영(Implementation

& operation)점검및시정조치

(Checking & corrective action)

경영자검토(Management

review)

폐기물 처리시설에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외부 이해관계자의 환경관련 요구사항

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체계적인 환경영향의 관리를 통해 환경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장기적으로 비용 절

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5 -

[그림 III-11] 환경경영시스템 도입의 기대효과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및 유지 여부를 이해관계자에게 보증하기 위해서는 제3자의 인증을

받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보편화된 환경경영에 관한 표준은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으로 아래 그림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림 III-12]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 규격의 구조

ISO14001 인증 규격에 맞는 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인증심사를 받는 과정은 크게 도입

준비과정, 구축 및 실행과정, 인증 심사 과정으로 구분된다. 우선 준비과정에서는 ISO14001

규격의 요구사항과 동종업계 구축사례 등을 분석하고 현재 환경경영현황을 파악하여야 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6 -

다. 구축 및 실행단계에서는 체계의 기본골격을 먼저 구성한 후 ISO14001 규격과 ISO14004

보조규격을 참조하여 환경방침의 제정, 환경영향평가, 환경목표의 수립, 경영추진계획과 관

련 절차 문서의 기획, 내부 감사체제 구축 순으로 환경경영시스템 구축을 진행한다. 최종적

으로는 경영진 검토를 통해 내부적으로 규격에 맞게 환경경영시스템이 구축되었는지 확인하

게 된다.

[그림 III-13] ISO14001 규격에 따른 환경경영시스템 구축과 인증심사 절차

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획득을 위해서는 내부 검토 후에 구축된 환경경영시스템

이 해당 규격에 적합한지를 검증하는 심사를 받아야 한다. 인증심사 과정은 인증기관을 선

정하고 선정된 업체가 심사준비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대부분의 인증기관은 현

장심사에 들어가기 전에 예비심사와 문서심사를 실시한다. 문서심사란 문서화된 환경경영시

스템의 심사로 인증기관은 문서의 적합성, 환경영향평가, 개선계획, 내부심사 및 경영검토,

법규준수 현황 등을 검토한다. 문서심사 후에 이루어지는 현장심사에서는 문서 및 현장 방

문을 통한 확인 심사가 이루어진다. 현장심사도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면 최종적으로 인증심

사를 거쳐 인증서가 발급된다. 2005년 현재 국내에서 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심사를

수행할 수 있는 인증기관은 총 29개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7 -

3.1.1. 소규모 시설(1단계)

국내 폐기물처리시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규모 시설은 관리인원이 적고, 침출수 처리

장, 대기오염물질방지시설 등 환경오염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시설이 없어 대규모 시설에 비

해 환경적 위험이 크다. 이에 따라 주변지역 주민들의 신뢰도가 상당히 낮은 상황이다. 따라

서 소규모시설일수록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환경관리를 하고 대내외적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운영 여건이 다소 열악한 소규모 시설

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환경경영시스템의 프로세스를 모두 갖추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

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소형폐기물처리시설에서는 우선 기본적으로 환경법규를 철저히

준수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한다. 체계적으로 법규 준수 상황을 관리하고 법규 준수 이상의

수준으로 환경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간소하게나마 환경경영시스템의 도입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시설의 규모를 감안할 때 소규모 시설에서는 다음 그림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시설의 환경방침 및 환경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모니터링 하는 기본 프로세스를 구축하

여 운영하는 것으로 간소하게 환경경영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

[그림 III-14] 소규모 시설의 환경경영시스템

환경방침

개선계획

실행

모니터링

1) 환경방침의 수립환경방침이란 전반적인 환경성과와 관련된 시설의 원칙과 의도에 대한 선언이다. 환경방

침을 선언하면서 조직은 구체적인 환경목표와 세부목표의 수립과 실천을 위한 기본틀을 제

시한. 이를 통해 폐기물처리시설을 담당하는 지자체나 운영업체는 환경기초시설을 관리ㆍ운

영하는 단체로써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환경보전을 위한 실천과제를 수행하겠다는 약속을

하게 된다. 환경방침을 수립한 후에는 방침을 주변 지역주민과 정부기관 등 여러 이해관계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8 -

자들에게 공표함으로써 특히 환경을 최우선으로 인식하고 오염방지 및 오염물질 배출을 최

소화하겠다는 것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도록 한다.

2) 개선계획의 수립개선계획의 수립이란 환경목표와 세부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세우는 과정이다. 환경목표는 환경방침을 바탕으로 스스로 달성하고자 설정하는 것인데 가

급적 정량화 되어야 하며, 조직의 필요와 부합되는 정도로 선택한다. 일반적인 환경경영시스

템에서는 환경영향평가 단계를 거쳐 조직의 주요환경측면과 환경영향을 파악한 후 이를 토

대로 환경목표와 세부목표를 수립한다. 그러나 소규모 시설과 같이 복잡한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하기 어려운 여건에 있을 경우에는 환경법규에서 규정한 배출규제물질로 인한 환경오염

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그 외 기본적인 폐기물 감량화 및 재활용확대, 에너지/자

원 사용량 저감, 환경정보 공유 및 성과관리, 보건/안전 등 제반 분야에서 그동안 문제가

되었던 부분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개선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주요 환경영향 분야는 다음과 같으며, 분야별 환경측면을 파악하여 이

에 대한 목표와 세부목표를 수립하도록 한다.

대기, 수질, 폐기물, 소음, 진동, 자원, 에너지, 악취, 비산먼지, 기타(작업환경/작업자 등), 생태계 복원, 주민협력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는 주요 환경영향 부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수립

될 수 있다.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는 소규모ㆍ중규모ㆍ대규모 시설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해당시설의 환경, 현재여건, 우선순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 예도 소규모

시설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중규모ㆍ대규모 시설도 이와 같이 목표를 수립

할 수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69 -

<표 III-5> 중소규모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 (예)

환경목표 세부목표

오염물질 최소화

방류수 수질관리(오수정화 BOD 80, SS 80mg이하, 침출수 처리시설

BOD 80mg/ℓ이하, COD 90mg/ℓ 이하)일산화탄소 300ppm 이하

폐기물 감량화 및

재활용 확대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3% 저감

폐기물발생량 25% 저감

폐기물 100% 분리수거

에너지/자원 사용량

저감

전력 사용량 절감(발전 3.4%, 생활 1%)에너지(가스, 등유, 경유 등) 사용량의 0.5% 절감

용수 재사용(중수도 2%)여름철 에어컨 사용시간 10% 저감

식당 잔반 배출량 10% 절감

환경법규 준수 환경법규 위반건수 0건

보건 및 안전환경사고 0건, 민원건수 10%저감

소음, 진동관리 60dB이하

기타 환경경영

프로그램환경영향관리 현황에 대한 주민 공청회 연간 2회 개최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를 수립하면 이를 실행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 때

에는 각 목표달성에 대한 책임자를 선정하고 단계별 세부 추진일정을 작성하는 등 실질적으

로 업무수행에 필요한 작업을 진행한다.31)

3) 실행환경경영시스템의 실행은 환경개선계획을 계획된 절차대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것을 말한

다. 추진계획에서 각 실행프로그램별로 담당부서 또는 담당자를 지정하게 되는데, 이 담당자

들은 확정된 업무절차에 따라 업무를 수행한다. 담당자들이 업무를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

서는 절차와 방법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각 분야의 담당자들은 업무의 실행과정

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정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환경경영시스템

을 운영하면서 운영결과에 대해 문서로 기록하고 보관하여야 한다.

31) 개선계획 수립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대규모시설(3단계)의 ‘환경개선계획 수립’을 참고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70 -

4) 모니터링모니터링은 환경목표의 달성여부를 평가하고 환경경영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

는지를 검토하는 단계이다. 환경목표의 달성여부는 환경성과평가 체계를 구축하여 실행함으

로써 효과적으로 진단ㆍ평가할 수 있다.32) 이때 처리시설별로 관리할 환경성과지표를 선정

하여 지표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담당자를 선정하고, 평가결과에 따른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환경경영시스템의 운용현황에 대해서는 최고책임자가 검토한 후 지속적인 개

선을 위한 새로운 환경목표를 수립하도록 한다.

32) 환경성과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환경성과평가 가이드라인을 참고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71 -

3.1.2. 중규모 시설(2단계)

중규모 폐기물처리시설은 처한 여건에 따라 다르겠지만 소규모 시설보다 한 단계 발전된

형태의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핵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환경방침을 수립하고 난 후에는 시설의 환경영향에 대해서

체계적인 분석을 실시한 후 환경개선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수립된 계획과 절차를 시행하

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도 직원 교육을 자주 실시하고 비상사태에 대한 계획을 수립

하고 관련 훈련을 실시하는 등 내부적으로 환경경영마인드를 공고히 하도록 한다.

중규모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

다.33)

[그림 III-15] 중규모시설의 환경경영시스템

환경방침

개선계획실행

모니터링 환경영향분석

1) 환경방침의 수립환경방침이란 전반적인 환경성과와 관련된 시설의 원칙과 의도에 대한 선언이다. 환경방

침을 선언하면서 조직은 구체적인 환경목표와 세부목표의 수립과 실천을 위한 기본틀을 제

시한다. 이를 통해 폐기물처리시설을 담당하는 지자체나 운영업체는 환경기초시설을 관리ㆍ

운영하는 단체로써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환경보전을 위한 실천과제를 수행하겠다는 약속

을 한다. 특히 오염방지 및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을 천명하고 이러한 의지를

지역주민과 정부기관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에게 공표하도록 한다.

33) 중규모 시설의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절차에 대한 설명에서 일부 절차는 소규모 시설과

중복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72 -

[그림 III-16] 환경영향분석 절차

2) 환경영향분석환경영향분석이란 시설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로 인한 환경측면을 파악하고, 파악된 환

경측면으로 인한 환경영향의 중요성을 평가하여 시설운영으로 인한 중요한 환경측면을 도출

하는 것이다. 폐기물처리시설에서 환경영향분석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실시된다.

- 각 시설에서 폐기물처리활동의 파악 및 개선- 개선목표 설정 등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 환경경영시스템의 기초 자료로 활용- 발생 가능한 환경사고의 가능성, 특성, 결과의 예측- 근원적 사고 발생 가능성 제거환경영향분석을 할 때에는 폐기물처리 공정과 관리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측면을 모

두 파악하고 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ㆍ부정적 환경 영향을 분석한다. 여기서 ‘환

경측면(Environmental Aspects)’이란 폐기물처리시설에서 환경영향의 원인이 되는 활동, 제

품 및 서비스 요소로써, 침출수의 배출, 매립가스의 발생, 비산먼지의 발생, 자재의 소모 또

는 재사용, 소음발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환경영향(Environmental Impacts)’이란 환경측

면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변화 (예, 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 부영양화, 적조 현상 등)를 말한

다.

환경영향분석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폐기물

처리시설의 처리공정 및 지역에 관한 정보를 수집

하여 범위를 파악하고 평가 대상의 환경측면과 환

경영향을 파악한다. 분석결과 환경영향이 심각한 것

으로 평가된 환경측면에 대해서는 개선계획을 수립

하여 이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환경영향분석은

일정 주기마다 실시하여 시설, 장비, 공정, 인원 및

기술의 변화에 대응하여 적절한 개선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73 -

① 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선정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 폐기물 처리활동 자체가 제품 및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환경영

향평가 대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정, 부지 및 활동에 관련된 문서와 매립장ㆍ소각장 내

부 및 주변 지역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처리시설의 해당 공정 및 지역에 관한 기초정보

를 수집하도록 한다. 기초정보를 수집한 이후에는 환경영향분석의 범위와 대상을 파악한다.

이 단계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을 운영하는 각 부서별 업무기능 및 구역을 단위로 실시하고

있는 활동이나 제공하는 서비스의 내역을 정리해 본다.

② 환경측면 파악환경측면의 파악(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Aspects)은 앞서 선정된 시설 활동 및

서비스와 관련된 환경측면들을 분석하여 그 종류와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말한다. 환경측면

을 파악할 때에는 대기, 수질, 원자재사용, 에너지사용, 폐기물 배출 등 시설 내ㆍ외부활동

및 공정에서 발생하는 직접적인 환경영향과 간접적인 환경영향을 모두 고려하도록 한다.

③ 환경영향 파악환경영향을 파악하는 범위는 시설의 모든 활동 및 공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간흐름에

따른 실재적인 영향과 잠재적 영향요소, 긍정적․부정적 영향요소와 정상/비정상, 사건/사

고/비상사태 하에서의 영향요소, 직접 및 간접측면에 의한 영향요소 등을 포함한다.

[그림 III-17] 직접환경영향과 간접환경영향

• 조직 자체의 제반활동에 의해 나타나는 것

• 예) 오염물질의 처리와 배출, 에너지ㆍ연료 사용 등

• 조직 자체의 제반활동에 의해 나타나는 것

• 예) 오염물질의 처리와 배출, 에너지ㆍ연료 사용 등

• 직접활동을 제외한 외적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것

• 예)차량정비시 폐기물발생, 냉매유출 등

• 직접활동을 제외한 외적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것

• 예)차량정비시 폐기물발생, 냉매유출 등

직접영향직접영향

간접영향간접영향

환경영향의 대상 또는 분야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 토양오염, 천연자원의 고갈,

소음ㆍ진동, 생태계파괴, 작업환경 등으로 환경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자료를 수집하는 것은

중대한 환경측면의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74 -

④ 중대한 환경측면 결정환경측면과 영향이 파악된 뒤에는 그 환경측면들의 심각성을 평가하여 중대한 환경측면

을 선정한다. 환경기준, 법규관련 요구사항, 내․외부 이해관계자의 관심사항에 대한 고려

하에 환경영향의 발생빈도, 발생한 환경영향의 위험성이나 환경법규 위반 가능성을 종합적

으로 고려하여 중대한 환경측면을 결정하도록 한다.

3) 개선계획개선계획의 수립이란 환경목표와 세부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세우는 과정이다. 환경목표는 환경방침을 바탕으로 스스로 달성하고자 설정하는 것인데 가

급적 정량화 되어야 하며, 조직의 필요와 부합되는 정도로 선택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주요

환경영향 분야는 다음과 같으며, 분야별 환경측면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목표와 세부목표를

수립하도록 한다.

대기, 수질, 폐기물, 소음, 진동, 자원, 에너지, 악취, 비산먼지, 기타(작업환경/작업자 등), 생태계 복원, 주민협력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를 수립하면 이를 실행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 때

는 각 목표달성에 대한 책임자를 선정하고 단계별 세부 추진일정을 작성하는 등 실질적으로

업무수행에 필요한 작업을 진행한다.34)

4) 실행환경경영시스템의 실행은 환경영향을 주는 항목에 대한 개선계획을 계획된 절차대로 관

리하고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추진계획에서 각 실행프로그램별로 담당부서 또는 담당자를

지정하게 되는데, 이 담당자들은 확정된 업무절차에 따라 업무를 수행한다. 각 분야의 담당

자들은 새로운 업무의 실행과정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정조치를 취할 수 있도

록 해야 한다. 그리고 환경경영시스템을 운영하면서 결과를 문서로 기록하고 보관하여야 한

다. 담당자들이 이와 같은 업무를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절차와 방법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개선계획의 이행과는 별도로 화재, 침출수 처리시설 등의 고장과 같

이 중대한 환경영향을 가져올 수 있는 사고 및 비상사태에 대해서는 대응방침 및 절차를 수

립하고 직원들에 대한 훈련을 수행하도록 한다.

34) 개선계획 수립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대규모시설(3단계)의 ‘환경개선계획 수립’을 참고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75 -

5) 모니터링모니터링은 환경목표의 달성여부를 평가하고 경영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는지

를 검토하는 단계이다. 환경목표의 달성여부는 환경성과평가 체계를 구축하여 실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진단ㆍ평가할 수 있다.35) 이 때 처리시설별로 관리할 환경성과지표를 선정하여

지표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담당자를 선정하고, 평가결과에 따른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의 운용현황에 대해서는 최고책임자가 검토하고 시스템이 효

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치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새로운 환경목표를 수립

하도록 한다.

35) 환경성과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환경성과평가 가이드라인 참고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76 -

3.1.3. 대규모 시설(3단계)

일반적으로 경영시스템에 대한 기대효과로는 환경경영시스템 규격의 요구사항에 따라 조

직시스템을 적합하게 구축 및 유지함에 따라 환경영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제3자

인증기관을 통해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지역주민에 대한 폐기물처리

시설의 신뢰향상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림 III-18] 대규모시설의 환경경영시스템 도입 절차

사전준비

계획

실행

점검 및

시정조치

경영검토

•초기 환경성 검토•추진계획 수립•환경영향평가•개선계획 수립

•문서화•교육 및 훈련•책임과 권한규정•의사소통•운영관리•비상사태 대응체계마련 및 훈련

•모니터링 및 측정•내부심사•부적합,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경영검토 지속적 개선

•최고책임자 결의•필요한 자원확보, 추진팀 구성

사전준비

계획

실행

점검 및

시정조치

경영검토

•초기 환경성 검토•추진계획 수립•환경영향평가•개선계획 수립

•문서화•교육 및 훈련•책임과 권한규정•의사소통•운영관리•비상사태 대응체계마련 및 훈련

•모니터링 및 측정•내부심사•부적합,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경영검토 지속적 개선

•최고책임자 결의•필요한 자원확보, 추진팀 구성

사전준비

계획

실행

점검 및

시정조치

경영검토

•초기 환경성 검토•추진계획 수립•환경영향평가•개선계획 수립

•문서화•교육 및 훈련•책임과 권한규정•의사소통•운영관리•비상사태 대응체계마련 및 훈련

•모니터링 및 측정•내부심사•부적합,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경영검토 지속적 개선

•최고책임자 결의•필요한 자원확보, 추진팀 구성

대규모 시설의 경우 운영인원과 예산의 수준이 기타 규모의 시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

므로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규격에 따라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증을 받는 작업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따라서 환경경영시스템 규격에 적합하게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조직 운

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스템을 개선하는 동시에 주변지역주민(넓게는 국민까지 포함)의 요

구를 만족함으로써 폐기물처리시설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폐기물처리 활동의 사회적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 ISO 14001 인증규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환경경영시스템의 도입 절차는 위의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다.

1) 사전 준비단계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환경경영시스템이 무엇이고, 왜 도입

해야 하는지, 직원들을 어떻게 설득하여 내부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등을 사전에 공유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77 -

해야 한다. 따라서 최고책임자가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결정하고 이를 내부적으로

합의하며 필요한 업무를 조율하는 과정이 사전준비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사전준비단계에서는 우선 환경경영시스템 도입의 궁극적인 목적을 정의한다. 즉 폐기물

처리시설이 왜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지, 이것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성과는 무엇

인지,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업무와 자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폐

기물처리시설의 최고책임자는 환경경영시스템 도입여부를 결정하고 이것을 직원들에게 공표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최고책임자인 사장, 지자체단체장, 처리시설 운영소장 등의 결의단

계는 사전준비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최고책임자는 환경경영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이익을 판단하고, 조직의 목적을 명확히 해야 순조롭게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최고책임자는 환경경영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책임자를 선정한다. 환경경영

도입 및 실행 책임자는 시설운영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모두 파악하고, 현재 시스템에 환경

경영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는 방법을 알고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책임자가 선정되

면 필요에 따라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추진팀을 구성하여 현재 시설운영의 시스템과 환경경

영시스템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이 둘을 효과적으로 접목시키기 위한 사전검토를 할 수 있

다. 현재 각 지자체의 폐기물처리시설 관리체계에 따르면 추진팀은 청소행정과의 담당과장,

해당 처리시설 소장과 담당직원, 전문업체에 의해 위탁 운영되는 경우에는 위탁운영업체의

운영소장, 운영팀장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성된 추진팀은 현재 조직 및 운영절차, 방침,

훈련프로그램, 환경관리체계 등을 평가하는 업무를 진행하면 된다.

[그림 III-19] 사전준비단계 절차

추진팀이 구성된 후에는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예산을 확보하고 일정을 조율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환경경영시스템은 처리시설의 모든 업무부서와 관계되기 때문에 자원

의 배분과 협조체계를 미리 구축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환경경영시스

템 도입 계획의 진행상황을 모니터하고 조직내부의 의사소통 현황을 파악하도록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78 -

2) 계획단계사전준비가 끝나면, 본격적으로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업무가 진행된다. 앞서

제시한 대로 환경경영시스템의 도입은 계획, 실행 및 운영, 평가, 경영검토 등 4단계의 과정

을 거쳐 진행된다. 우선 계획단계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초기 환경성을 검토하고 환경경

영시스템을 추진할 조직을 구성하며 환경방침을 수립한다. 환경영향평가36)를 실시한 후에는

세부 환경개선계획을 수립한다.

[그림 III-20] 환경경영시스템 계획 절차

이러한 계획단계를 통해 폐기물처리시설은 현재 환경관리 현황 수준을 파악하고 시설운

영으로 발생되는 중요 환경 측면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환경방침과 세부목표

를 수립하게 된다. 그리고 수립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추진조직을 구

성하고 구체적인 일정을 결정한다.

① 초기 환경성 검토초기 환경성 검토 단계에서는 현재 시설의 경영시스템을 분석하고 업무관행을 조사하여

ISO 14001 규격을 적용할 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설정하도록 한다. 초기 환경

성 검토의 결과는 향후 구체적인 추진계획 수립의 바탕이 된다. 초기 환경성 검토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될 수 있다.

가. 현행 환경관련 법규 및 지침 적용 현황 파악: 현행 환경관련 법규 및 지침은 해당

폐기물처리시설과 관련된 폐기물관리법, 폐기물처리시설설치촉진및주변지역등에관한법률 등

과 같은 법률,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설치ㆍ운영지침 등과 같은 지침 및 규정, 해당 지자체의

조례 등 모든 관련 법규 및 지침의 적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나. 중요 환경관련 시설 및 운영현황 파악: 폐기물처리시설의 세부시설 중 환경측면과

관련된 시설 현황과 현재 운영상황을 파악한다.

다. 시설에서 적용되는 문서, 기준 및 경영관행 파악: 공인된 환경경영시스템이나 품질

36) 환경경영시스템에서의 환경영향평가는 대상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가 미치는 중요한

환경측면을 파악하여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며,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시에 행해지는

환경영향평가와는 다른 개념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79 -

경영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지 않더라도 각 폐기물처리시설에는 조직을 운영하기 위한 절차나

기준, 문서와 같은 고유의 경영관행들이 존재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의 관점에서 시설의 환경

경영 관행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리스트를 작성해야 한다.

라. 주요 사건ㆍ사고 및 피드백 평가: 과거 사고 및 비상사태의 발생 현황을 검토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이 있으며 시행되고 있는지 평가한다.

마. 기타 주요 환경프로그램 현황: 환경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기타 다

른 환경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한다.

② 추진계획 수립초기 환경성 검토를 완료한 후에는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수립한

다. 이 단계에서는 환경경영시스템을 전담할 추진조직을 구성하고 각 주관부서와 추진팀원

들의 업무를 명확히 규정한다. 그리고 추진기간 동안의 월별 일정을 수립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추진조직 구성은 최고 경영층의 결정이 끝난 후 환경경영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축 절

차에 따라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팀을 구성하는 것으로써, 사전준비단계의 추진팀

과는 개념이 다르다. 추진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을 주관할 부서의 부서장과 팀원으로 구성

된다.

[그림 III-21] 환경경영시스템 추진조직도 (예)

최고경영자

현장 2현장 1 현장 3

해당 지자체장

팀장 팀장팀장

총괄책임자

지자체 청소과장 & 운영소장

실무책임자

지자체 담당자 & 운영팀장

최고경영자

현장 2현장 1 현장 3

해당 지자체장

팀장 팀장팀장

총괄책임자

지자체 청소과장 & 운영소장

실무책임자

지자체 담당자 & 운영팀장

환경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주관부서는 시설의 추진계획 수립 및 일정관리, 초기현황

검토, 환경영향평가 계획 수립 및 진도관리, 환경방침ㆍ환경목표ㆍ개선계획 수립 등 관련 업

무를 주도적으로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주관 부서가 주도적으로 진행하여야 하는 업무는 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0 -

음과 같다.

- 전체 추진계획 수립 및 일정관리- 초기현황 검토- 환경영향평가 계획 수립과 이행 상황 관리- 환경방침, 환경목표 및 개선계획 수립 상황 관리- 환경경영시스템 절차의 문서화 및 기존 경영시스템과의 통합-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및 실행에 따른 교육훈련- 내부심사계획, 실시 및 시정ㆍ예방조치- (ISO14001 인증 획득시) 인증기관 심사

추진조직에서는 초기현황 검토를 토대로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진행에 따른 진도를 관리

하도록 한다. 추진일정 수립은 다음과 같은 표 형태로 한눈에 전체 진도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관리하도록 한다.

③ 환경방침 수립환경방침은 “최고책임자에 의해 공식적으로 제시된 환경성과와 관련된 조직의 전반적인

의도 및 방향”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의 개발과 실천을 위한 기본틀을

제공하면서 전반적인 환경경영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환경방침의 제정

및 공개는 모든 직원들이 환경경영시스템의 도입에 참여하고 협조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환경방침은 해당 조직의 특성을 반영하여 작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같은

폐기물처리시설이라 할지라도 시설의 여건에 따라 다른 형태의 환경방침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환경방침의 조건과 이에 따라 작성한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방침(예)은 다음과 같

다.

지속적인 개선과 오염예방에 대한 의지를 포함 할 것 환경법규 상의 요구사항 및 자발적으로 준수를 약속한 그 밖의 요구사항을 준수 하겠다는 의지를 포함할 것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를 설정하고 검토하기 위한 틀을 제공할 것 문서화되어 향후 실행되고 개선 사항을 반영하여 유지될 것 조직 내에서 모든 직원들이 내용을 공유할 것 일반 대중이 쉽게 접할 수 있을 것

폐기물처리시설의 향후 관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지닐 수 있는 환경방침은 현재까지의

조직방침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므로 조직 내의 최고위 수준에서 개발되고 실질적으로 지

원받아야 한다. 따라서 환경방침은 조직의 최고책임자가 서명하여야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1 -

④ 환경영향평가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 규격에서는 환경이란 “공기, 물, 토양, 천연자원, 식물군, 동물

군, 인간 및 이들 요소간의 상호관계 등을 포함하여 조직이 운영되고 있는 주변 여건”37)으

로 정의하고 있다. 규격에서는 조직의 운영으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원인과

결과를 엄격히 분리하여 파악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는 우선 환경측면과 환경영향을 파악하여야 한다. ‘환경측면(Environmental

Aspects)’이란 환경영향의 원인이 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 요소로써,

침출수의 배출, 매립가스의 발생, 비산먼지의 발생, 자재의 소모 또는 재사용, 소음발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환경영향(Environmental Impacts)’이란 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 부영양화,

적조 현상 등 조직의 환경측면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환경에 미치는 변화를 말한다.

[그림 III-22] 환경측면과 환경영향

공정(Process)공정(Process)• 에너지, 물, 토양

• 원부자재

• 제품

• 서비스

수계배출폐기물

소음, 진동 대기배출환경측면

생태계에 영향 = 환경영향

환경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주요 환경측면과 환경영향을 파악하

기 위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상 환경영향평가라고 한다. ISO14001 규격에서 정

의한 환경영향평가란 일반적으로 대규모 개발사업을 위해 행해지는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한

환경영향평가와는 다른 개념이며, 대상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가 가지는 중요한 환경

측면을 파악하여 개선ㆍ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다.

ISO 14001 규격에 따르면 ‘환경영향평가’란 조직의 과거, 현재, 미래의 계획된 활동, 제품

및 서비스로 인한 직접 및 간접적인 환경 측면을 파악하고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

거나 미칠 가능성이 있는 환경측면(즉, 중대한 환경측면)을 평가하고 문서화하는 것을 말한

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폐기물처리공정과 관리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측면을 모두

파악하고 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ㆍ부정적 환경 영향을 문서화하게 된다.

37) “surroundings in which and organization operates, including air, water, land, natural resources, flora, fauna, humans, and their interrelation"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2 -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폐기물처리시설의 처리공정 및 지역에 관한 정

보를 수집하여 범위를 파악하고 평가 대상의 환경측면과 환경영향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환

경영향의 심각성을 등급에 따라 평가하여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환경영향등

록부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환경영향등록부에 등록된 항목에 대해서는 개선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환경영향평가는 일정 주기마다 실시하여 시설, 장비, 공정, 인원

및 기술의 변화에 대응하여 적절한 개선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림 III-23] 환경영향평가의 절차

가. 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선정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 폐기물 처리활동 자체가 제품 및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환경영

향평가 대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초기 환경성 검토 결과와 공정, 부지 및 활동에 관

련된 문서와 정보, 매립장ㆍ소각장 내부 및 주변 지역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처리시설

의 해당 공정 및 지역에 관한 기초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기초정보 수집 범위>

- 부서 업무분장 및 업무흐름- 시설내의 건물, 설비 및 시설 배치도(부대시설 포함)- 시설주위 건물, 부지, 농지, 공장, 주민거주지 등의 배치- 협력업체 현황- 시설과 관련된 환경영향분야에 대한 정보 등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3 -

기초정보를 수집한 이후에는 환경영향평가 범위와 대상을 파악한다. 이 단계에서는 폐기

물처리시설을 운영하는 각 부서별 업무기능 및 구역구분에 따른 영향평가 대상목록표를 작

성하게 된다.

수집된 기초자료를 토대로 앞서 선정된 환경영향평가 대상 목록별로 활동ㆍ제품ㆍ서비스

목록표를 작성한다. 활동ㆍ제품ㆍ서비스 목록표는 활동ㆍ제품ㆍ서비스별로 구체적인 활동의

내역과 비정상 및 잠재적인 비상상황을 도출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다음으로 전반적인 활동ㆍ제품ㆍ서비스 단위별 모든 투입ㆍ산출요소를 목록화하고 정량

화하기 위한 물질수지표를 작성한다. 물질수지표는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양의 형태 및

크기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써, 투입 요소가 시스템이나 공정을 통해서 최종 배출물

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추적할 수 있다. 물질수지표는 활동ㆍ제품ㆍ서비스 단위별로 가능

한 투입ㆍ산출요소를 직접적 또는 추론을 통해 정량화한다.

나. 환경측면 파악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이행하고자 하는 목적 중 하나는 환경측면을 파악하여 제거

하거나 감소하기 위한 것이다. 각 시설에는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과 절차, 위치, 설비 및 활

동에 따라 수많은 환경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관리하여야 할 환경측면의 우선순위를 정하

여 관리대상을 선정하는 것이 출발점이다.

환경측면의 파악(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Aspects)은 앞서 선정된 시설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환경측면들을 분석하여 그 종류와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앞서 작성된 물질수지표를 토대로 활동ㆍ공정의 흐름순서에 따라 절차대로 파악하

고, 파악된 환경측면을 영향평가표에 기록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환경측면을 파악할 때에는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 범위 내에서 조직의 내ㆍ외부활동 및

공정의 직접영향에서 간접영향까지 범위를 확장하여 고려해야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4 -

[그림 III-24] 환경측면 파악시 고려해야할 범주

환경측면을 파악할 때 고려하여야 할 대상 및 분야는 다음과 같다.

- 대기로의 배출- 수계로의 방류- 원자재 및 천연자원(토지자원, 물 사용)의 사용- 지방/지역의 환경 문제- 에너지 사용 타 폐기물- 에너지 방출 (예: 열, 복사, 진동 등)- 폐기물 및 부산물- 물리적 특성 (크기, 형태, 색깔, 외관 등)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5 -

다. 환경영향 파악

다음으로 시설 조직의 모든 환경측면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환경영향

을 파악하는 범위는 시설의 모든 활동 및 공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간흐름에 따른 실재

/잠재적 측면에 의한 영향요소, 긍정적/부정적 영향요소와 정상/비정상, 사건/사고/비상사

태 하에서의 영향요소, 직접 및 간접측면에 의한 영향요소 등을 포함한다. 환경영향의 대상

또는 분야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 토양오염, 천연자원의 고갈, 소음ㆍ진동, 생태계파

괴, 작업환경 등이 된다.

라. 중대한 환경측면 결정

환경측면과 영향이 파악된 뒤에는 그 환경측면들에 대한 심각성을 평가하여 중대한 환경

측면을 선정한다. 환경영향의 심각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논리정연한 평가기준이 필요한데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검토하도록 한다.

- 환경적 기준 (크기, 영향의 심각성 및 지속 기간, 또는 환경측면의 형태, 규모 및 빈도 등) - 적용되는 법규 요구사항 (규정되거나 허가된 배출 및 방류 한계 등) - 내부 및 외부 이해관계자의 관심사항 (조직의 가치, 대외적인 이미지, 소음, 악취 또는 시력저하 등)

중대한 환경측면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절한 평가 기준을 수립하는 것은 환경영향평가에

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활동ㆍ서비스의 영향에 대한 심각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환경영

향의 발생가능성과 발생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발생가능성 평가- 관리방법, 물질성상, 발생빈도 등의 요인에 따른 발생가능성

정도의 평가

발생결과 평가- 발생시 위험성 정도, 배출량, 배출기간/지속시간, 법규요건 등의

요인에 따른 발생결과의 심각성 정도 평가

종합 평가 - 발생가능성 평가와 결과평가의 결과에 따른 종합평가

환경영향평가 결과 일정 등급이상으로 평가된 환경측면/영향에 대해서는 중대한 환경영

향으로 등록하여 개선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환경영향등록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6 -

- 부서명

- 등록번호

- 해당 활동ㆍ서비스 명

- 환경영향요소 상세 내용

- 평가방법 구분(단순평가/종합평가 등)- 환경영향평가서 번호

- 법규등록부 관리번호

- 등록부 작성자/작성일자

- 환경영향 분야

- 환경영향요소 상세내용

- 직접/간접, 정상/비정상/비상사태, 과거/현재/미래의 구분

- 심각도 등급

- 환경목표/세부목표 관리번호

이외에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단순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환경영향평가표(활

동/서비스)의 단순평가란에 기록한다.

환경보전의식 확산, 지식습득, 생태계복원 등 긍정적 환경측면과 경제성, 이해관계자와의 관계 등 비즈니스 관점의 환경측면 규정된 요구치가 있는 개별 환경영향 요소, 또는 계량 가능한 개별인자

(양, 농도, 성분 등)로 영향의 심각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환경측면

⑤ 환경개선계획 수립환경영향평가 결과를 토대로 환경개선계획을 수립한다. 환경개선계획은 환경목표 수립,

환경세부목표 수립, 환경경영추진계획 수립 등의 절차로 진행된다. 환경목표란 환경방침을

바탕으로 조직 스스로 달성하고자 설정한 전반적인 목표이다. 그리고 세부목표란 조직 전체

혹은 일부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환경성과 요건으로서 환경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

되는 것이다. 즉, 환경목표는 사업장 차원의 목표 또는 장기 목표이며, 세부목표는 이를 달

성하기 위한 부서단위․공정단위의 목표이다. 또한 환경경영추진계획은 환경목표와 세부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추진계획이다.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 항목은 다음사항으로부

터 도출한다.

환경 방침법규 및 그 밖의 요구사항환경영향평가 결과조직의 기술적 대안 재정, 운용 및 사업장요건이해관계자 견해(종업원, 경영층, 계약자, 지역사회, 관계당국 등)관련 분야에서의 우수사례

환경영향등록부에 등록된 중요 환경측면에 대해서는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에 반영하고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에 반영할 수 없는 경우에는 환경영향등록부에 그 사유를 명시해야 한

다.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를 수립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려하도록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7 -

조직의 필요와 부합되는 정도로 선택한다.특정 법규요건에 관련되는 목표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초기에는 쉽고 저렴하게 달성될 수 있는 목표에 관심을 기울인다.

예) 정보수집, 영향평가, 기존 운영관리의 유지, 기존 관리제도의 단점 보완

(예 : 운영관리절차, 작업표준에 반영) 등

환경목표는 장기적 측면(최소 3년)과 단기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한다.환경성과의 개선이 궁극적인 지향점이지만 항상 직접적인 개선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다음 중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ꋹ 환경성과의 개선ꋹ 환경관리의 개선ꋹ 환경지식 및 정보의 개선ꋹ 환경세부목표는 달성가능하고 그 달성 여부의 검증이 가능한가 등

환경영향평가 결과 4등급 이상으로 판정된 중요 환경측면은 반드시 환경영향등록부에 등

록하여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에 반영한다. 3등급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향후 규제의 강화 또

는 민원 발생의 여지가 있는 환경영향이므로 운영관리 절차나 작업표준에 반영할 수 있고,

해당 부서장의 의지에 따라 환경영향등록부에 등록할 수 있다.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 수립시에는 조직의 필요와 부합되는 정도로 선택하여야 하며, 특

정 법규요건에 관련되는 목표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수립한다. 그리고 초기에는 가능한 쉽

고 저렴하게 달성될 수 있는 목표를 우선 수립하여 실행하도록 한다. 환경목표는 환경성과

를 개선하는 것이 궁극적인 지향점이지만 직접적인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환

경관리, 환경지식 및 정보의 개선 등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환경경영추진계획 수립시에는 계층별, 기능별 목표달성에 대한 책임자를 선정하고, 중요

환경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검토하여 제시한다. 이밖에도 개선방안을 시행하기

위한 예산과 책임부서, 필요한 능력/훈련 수요 등 실무적인 요구사항들을 모두 파악하여 가

능한 계획을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술하도록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8 -

[그림 III-25]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 수립체계

2) 실행단계실행단계는 앞서 개발된 환경경영시스템을 시행에 옮기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환경

경영시스템을 문서화한 후 확정된 업무절차를 근거로 각 조직 및 개인이 업무를 수행하여

환경경영시스템이 제대로 이행되도록 한다.

① 문서화문서화는 환경경영시스템의 핵심요소와 그 요소간의 상호관계를 문서로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이 절차는 환경경영시스템이 ISO14001 규격에 규정된 요구사항대로 구축되어 있음

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기 위한 것이다. 문서화의 범위는 조직에 따라 다르지만 환경경영시스

템을 설명할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한다.

[그림 III-26] 문서화 구조

일반적으로 환경경영시스템에의 문서화는 환경경영매뉴얼을 바탕으로 환경경영의 절차가

규정되고 환경경영절차 문서의 세부사항을 규정한 환경경영지침서가 만들어지게 되며 지침

서의 내용대로 관련 기록을 유지하고 업데이트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89 -

환경경영매뉴얼은 환경경영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문서로 관리자, 지역사회

등을 대상으로 환경방침 및 주요정책에 대해 기술한 문서이다. 환경경영절차는 환경경영업

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직원들의 책임과 권한, 업무수행 방법 및 조직 내의 업무관계를 규정

한 문서이다. 환경경영지침서는 환경경영 업무를 쉽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업무를

수행하는 세부기준 및 방법을 명시한 시험지침, 운전지침, 교정검사표준 등의 문서로 실무자

들을 위한 것이다.

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 규격은 다음의 사항에 대해서는 문서화하도록 정하였다

환경방침, 목표 및 세부목표 환경경영시스템 적용범위의 기술 환경경영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와 상호관계 및 관련 문서에 대한 기술 중요환경측면과 관련한 기획,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특히 문서화가 이루어진 후에는 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문서의 꾸준한 관

리와 최신화를 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발행 전에 적절하게 문서를 승인필요한 경우 문서를 검토, 최신화, 재승인문서의 변경 및 현재 개정 상태가 식별 가능하도록 보장문서의 버전이 사용시점에서 유용함을 보장요구되는 외부출처문서가 파악되고 배포ㆍ관리됨을 보장효력이 상실된 문서의 의도되지 않은 사용을 방치하지 않도록 함효력이 상실된 문서를 그대로 보유할 경우 적절한 식별 조치를 취함

② 책임과 권한 규정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적인 수립과 실행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환경경영 업무와 관련된

책임을 적절하게 할당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환경영향의 잠재적 원인이 될 수 있는 업무

를 수행하는 직원이나 대행업자의 책임과 권한에 대한 규정이 확실히 이루어져야 한다. 폐

기물처리시설의 최고 책임자인 시설관리소장은 환경방침에 대한 이행의지를 강조함으로써

전 직원이 환경관련 업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야하는 핵심적인 책임을

가진다. 모든 직원과 대행업자는 적절한 교육과 훈련 또는 경험에 근거하여 책임과 권한을

가져야 하며 관련기록을 보유해야만 한다.

③ 교육 및 훈련환경경영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훈련이 수반되어야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0 -

특히 폐기물처리시설은 폐기물 반입이 중단되는 경우 등 비정상적인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

기 위한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교육 및 훈련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

을 포함하여야 한다.

환경방침 및 절차, 환경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에 대한 준수의 중요성환경경영시스템 상의 역할 및 책임직원들의 업무와 관련이 있는 중대한 환경측면 개인적인 성과에 따른 환경적 이익업무 미이행시 발생할 직․간접적인 영향

교육 및 훈련의 대상은 중요 환경측면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부터 조직을 대신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대행업자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경영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영

하기 위해서는 책임 및 역할에 맞게 차별화된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의사소통조직의 환경방침의 이행을 용이하게 하고 환경성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폐기물처리시설 내․외부의 의사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종업원과 같은 내부 이해관계자들과

의 의사소통은 전 직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환경성과의 개선을 위한 시설 차원의 노력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내부 의사소통 시에는 회의, 게시판, 내부 소식지, 건의함, 홈페이지, 전

자메일, 회의 또는 각종 위원회 등 다양한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의사소통은 역시 환경경영에 있어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아 왔다. 이러한 의사소통을 원활

히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관련 의사소통 과정에 대해 접수하고 문서화하고,

회신하는 절차를 수립하고 실행하며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ISO 14001에서는 내․외부 의사소통 프로세스의 경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고려해야 한

다고 권하고 있다. 외부 이해관계자를 위한 의사소통 방법 중 가장 체계적인 것이 바로 환

경보고서의 발간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별도의 장을 참고하도록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1 -

[그림 III-27] 내․외부 의사소통 프로세스

⑤ 비상사태 대응 체계 마련 및 훈련화재, 침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 배출기준 초과 등의 비상사태는 중대한 환경영향의 원

인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사회적 파급효과가 클 수 있다. 따라서 각 폐기물처리시설은 사고

및 비상사태에 대한 감시와 기록에 관한 계획을 정기적으로 수립하고 이행해야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비상대응 대책은 현재 존재하는 위험과 잠재적인 위험을 모두 평가하

여 수립되어야 한다. 중대한 환경영향을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인 비상사태 및 사고를 파악

하고 그 대응방법을 마련하는 한편, 실제로 비상사태 및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영향을 최소

화하기 위한 비상시 대비 및 대응 방침 및 절차를 수립하고 유지해야 한다. 대규모 폐기물

처리시설일수록 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건에 대비한 계획과 예방정책 수립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비상사태 대응 체계를 수립하고 훈련하는 절차는 우선 해당 처리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

는 비상사태와 그 발생요인을 파악하여 비상사태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제거하는 예방조치와

비상사태 발생시 대응시스템을 마련하는데서 시작한다. 다음으로 구축된 대응시스템에 대해

서 해당부서별로 업무분장을 하고 개별훈련을 시행하며 예방조치 역시 담당자별로 수행한

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2 -

[그림 III-28] 비상사태 대응체계 수립

절차

[그림 III-29] 비상사태

대응시스템

비상사태 대응시스템은 위와 같이 구축될 수 있다. 비상사태 대응계획에는 예상 가능한

비상사태와 비상시 대응 및 절차, 사고방지 및 손해 최소화 방법, 비상사태 대응 조직도, 비

상사태 및 사고와 관련된 모의훈련 현황 등이 포함된다. 무엇보다 특정 지역에 빈번한 환경

문제에 대하여 원인별로 미리 구체적인 비상사태 대응 방법 및 담당자를 선정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는 비상사태 대응조직이 외부의 비상대

응조직과 연계되어야 한다. 일단 수립된 비상대응계획은 정기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사고

나 비상상황이 실제로 발생되었다면 사태가 수습된 후에는 가동된 대응시스템을 적절히 검

토하고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이를 시정해야 할 것이다.

3) 점검 및 시정조치점검 및 시정조치 단계는 환경경영시스템이 규정대로 실시되고 있는지를 스스로 확인하

고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검토하고 시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모니터링 및

측정체계를 수립하고, 자체적인 내부 심사계획을 수립하며, 환경경영시스템 운영과정에서 발

견된 부적합한 내용을 시정조치하거나 예방조치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스스로

환경경영시스템을 진단하고 개선 분야를 식별할 수 있도록 내부 심사원의 양성과 시스템 검

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① 모니터링 및 측정모니터링 및 측정단계에서는 구축된 환경경영시스템을 통한 환경성과를 자체적으로 적절

한 방법론에 따라 측정하여 기록한다. 측정 결과의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3 -

및 측정 단계를 문서화 하는 등 측정 프로세스에 대한 관리가 중요한다. 이는 측정의 일관

성과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여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모니터링 및 측정의 결과는

분석하여 성공적인 분야와 시정이나 개선이 요구되는 분야를 파악하도록 한다.

② 내부심사내부심사는 자체적인 시스템 운영 및 개선능력을 가지기 위해서 필수적이다. 내부 심사

를 위해서는 자체적으로 환경경영시스템을 진단하고 개선분야를 식별할 수 있는 내부심사원

의 양성과 시스템 검토능력의 향상이 필요하다. 내부심사는 다음과 같은 원칙에 의거하여

실시하도록 한다.

심사대상업무와 독립적이며, 규정된 자격을 갖춘 자를 심사원으로 정한다.문서화된 절차에 따라 계획하고 실행한다.환경방침의 달성여부, 절차 및 문서의 준수여부와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한다.지적된 부적합사항에 대해서는 적시에 시정조치를 취한다.심사 결과는 경영자검토에 반영한다.

내부심사는 정기심사와 비정기심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기심사의 경우 전반적인 시

스템에 대해 연 1회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비정기심사의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한해

시설소장의 승인 하에 실시하도록 한다.

시스템 규격 및 기능상 중요한 변경이 있는 경우심사지적사항의 재발에 따라 시정조치 확인이 필요한 경우시스템의 정비를 위해 필요한 경우경영자의 지시가 있는 경우

효율적이고 엄격한 내부 심사를 위해서는 언제 어느 부서의 어떤 분야를 심사할 것인가

에 대한 심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심사의 세부계획은 심사목적과 범위, 심사기준, 수감부

서, 각 활동/영역을 심사하는 책임, 심사 수행일자 및 장소, 주요 심사활동에 소요되는 시간

과 기간, 심사원 등을 포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심사팀은 심사 실시 이전에 환경경영시스템 관련 문서와 과거의 내부 심사 혹은 인증 심

사 결과보고서, 핵심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과 그간 취하여진 시정/예방 조치에 관한 문서

를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해당 문서들을 근거로 하여 심사팀은 시스템 요건들이 효과적

으로 충족되고 있는지, 부적합사항은 적시에 조치되었는지, 환경개선 프로그램에 따라 환경

방침 및 목표가 실행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여 내부심사 점검표를 작성하도록 한다. 점검

표에 지적된 사항들이 명확하고 타당한지를 검토한 후에는 부적합 사항의 근거로 제시할 수

있는 객관적 증거를 포함하여 심사보고서를 작성한다. 심사보고서는 승인권자의 승인 하에

수검부서에 발송된다. 심사결과를 접수한 수검부서는 지적사항에 대하여 시정조치 완료사항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4 -

또는 이행계획 등을 기록한 부적합 보고서를 작성하여 주관부서장에게 송부하도록 한다.

③ 부적합,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부적합’이란 환경경영시스템의 목표 또는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한 것으로써 부정적

인 성과 도출의 원인이 된다. 경영검토 결과 조치가 결정된 사항, 내․외부 심사에서 지적된

사항, 이해관계자의 의견 중 시정 또는 예방 조치가 요구된 사항, 관련 법규 및 운영기준 초

과와 미준수 등 모니터링 및 측정절차에서 규정하는 부적합 사항 등이 바로 부적합 사항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환경경영시스템에서는 주로 다음의 이유로 부적합이 발생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절차의 생략 및 오류교육 및 훈련 부족요구사항에 대한 이해 부족규제화의 실패주요 문제 원인의 시정 부족

내부 심사의 결과 부적합 항목이나 잠재적인 부적합 항목(현재는 시스템의 요건을 만족

시키고 있으나, 향후 부적합항목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은 사항)을 발견하였을 때는 즉시

해당 사항을 시정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여 향후 부적합 항목이 발생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부적합 시정 및 예방조치를 위한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유사 문제점의 파악근본 원인 파악을 위한 조사재발방지대책 도출재발방지대책 실행재발방지대책 문서화효과성 평가

4) 경영 검토전반적인 환경성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시설의 최고책임자가 환경경영시스템을 주기적으

로 검토하고 평가하여야 한다.

① 경영검토 내용 및 검토사항경영 검토란 환경경영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 적합성 및 유효성을 유지하기 위해 조직

의 경영자가 정기적으로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검토와 평가를 하는 것을 말한다. 경영 검

토는 환경경영방침ㆍ목표ㆍ세부목표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여 환경경영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5 -

요구를 수반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평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환경경영시스템의

최고책임자 검토는 1년에 1회에서 2회 실시하며 그 결과를 문서화하도록 한다. 경영 검토

시에는 다음과 같이 법적 규제 요건의 준수여부와 환경경영 방침 및 목표와 지속적인 개선

여부와 관련된 사항은 물론 환경경영시스템 상의 세부 요소의 변화, 이해관계자의 관심 사

항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도록 한다.

② 지속적 개선환경경영시스템과 환경성과의 지속적 개선을 위해서는 환경경영시스템에 어떠한 결함이

존재하는지 알아야만 할 뿐만 아니라 결함의 근본원인을 분석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정

보를 충분히 수집하고 분석해 보아야 한다.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로부터 얻어진 경험 우수 사례에 대한 외부 벤치마킹 적용되는 법규 요구사항 및 조직이 동의한 그 밖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계획된 변경사항 환경경영시스템 및 준수심사의 결과 운영의 핵심 특성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목표 및 세부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의 결과 종업원, 고객, 공급자를 포함하여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사항

개선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도록 주어진 기회를 평

가해 보아야 한다. 그 결과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져야 한다면 개선을 위한

조치를 순차적으로 철저히 계획한 후 실행하여야 한다.

3.2. 환경성과평가 (EPE: Enviro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환경경영의 목표 및 방침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개선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면

그 성과를 평가하여 지속적인 개선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다. 환경성과평가는 내부

적으로 조직의 환경성과가 환경목표를 만족시키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개선하기

위한 경영기법이다. 기존의 환경심사(Environmental Audit)가 일정기간 동안 관련 환경 법

규에 대한 준수 여부를 평가하는데 반해, 환경성과평가는 해당 조직이 추진해 온 환경경영

목표와 비교하여 매년 성과가 얼마나 향상되고 있는가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

서 환경성과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조직의 사정에 맞게 지표세트와 평가방법을 설

계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만약 각 폐기물 처리시설의 특수한 사정을 반영하여 지표를 선정하고 평가 방법을 개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6 -

하여 이용한다면 환경성과평가는 환경경영에 대한 내부 의사결정 및 공감대 형성을 지원하

고, 부서간 환경성과 비교 및 벤치마킹을 통해 개선을 유도하고, 환경보고서 발간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성과 평가 및 관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림 III-30] 환경성과평가의 활용 방안

현재 환경성과평가와 관련한 국제규격으로 ISO14031 가이드라인이 존재한다. 국제표준화

기구의 환경성과평가 가이드라인(ISO14031)은 환경성과평가의 절차를 “계획(Plan)-실행(Do)-

점검(Check)-조치(Act)" 경영모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권하고 있다.

[그림 III-31] ISO 14031에 따른 환경성과평가의 절차

본 가이드라인은 위 그림에 제시된 ISO14031의 환경성과평가 절차에 따라 환경성과평가

의 절차를 계획, 실행, 검토 및 개선의 3단계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7 -

계획환경성과지표 초안의 개발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의견 수렴최종 대상 지표의 선택지표평가방법의 개발

실행지표에 적합한 자료 수집자료의 분석 및 전환보고 및 의사소통

검토 및 개선

환경성과평가 체계를 점검향후 적용을 위해 개선

계획 단계는 환경성과평가를 위한 지표체계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환경성

과평가의 사용목적과 평가조직, 이미 실시되고 있는 조직 내외의 환경성과평가 및 심사를

검토한 후에 지표 초안을 선정하고 이해관계자의 의견과 측정가능성, 개선가능성, 관리가능

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시설에 알맞은 지표들을 선정하여야 한다. 최종 대상 지표를

선택한 후에는 지표별 평가 방법을 개발하도록 한다.

실행 단계는 선택된 환경성과평가지표로 실제 측정을 하고 환경성과지수를 산출하는 단

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선정된 지표에 적합한 자료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환경성과지수를 산

출하고 조직 내에서 공유하게 된다.

검토 및 개선 단계는 환경성과평가의 완료 후에 현재의 평가시스템에 문제는 없는지 진

단하고 개선하는 과정이다. 환경성과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그 결과를 목표관리에 이

용하기 위해서는 검토 및 개선과정을 통하여 경영환경변수의 변화를 환경성과평가체계에 반

영해야 한다.

3.2.1. 계획단계

환경성과평가의 계획 단계에서는 각 처리시설의 특성에 맞는 환경성과지표 체계를 개발

하여야 한다. ISO14031 환경성과평가 가이드라인은 일반적으로 환경성과지표를 크게 주변지

역의 환경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여건지표(ECI: Environmental Condition

Indicator), 시설의 환경 경영 및 관리 체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영성과지표(MPI: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 시설의 환경성과 자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

성과지표(OPI: Operation Performance Indicator)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8 -

[그림 III-32] 환경성과지표의 체계

환경성과지표 체계의 개발은 지표 초안의 개발,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의견 수렴, 최종대

상지표의 선택, 지표평가방법의 개발 등의 4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할 수 있다. 환경성과의 평

가가 충실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시설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되 시설의 주요 환경측면

이 제외되지 않도록 포괄적인 지표체계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각 폐기물처리시

설의 주요 영향 측면과 현재 환경경영현황과 데이터 관리현황 그리고 다른 폐기물 처리시설

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표의 예를 참고하여 초안을 개발한 후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전

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성과지표를 확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지표 초안의 개발지표 초안의 개발을 위해서는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환경성과지표들을 먼저 수집

해야 한다.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다음과 같이 폐기물 처리시설에 적용되는 환경법규와 환경

경영/환경성과평가에 관한 기존의 여러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각 폐기물처리시설에서 지표

초안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성과지표체계(안)을 제시하였다

① 시설경영지표 (MPI)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관리 노력을 보여줄 수 있는 지표는 4개 분야 17개 지표를 선정하

였다. 법규 준수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분야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을 위해서 반드시 관리

해야 하는 항목이다. 환경성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하고 환

경관련 투자와 그 효과와 관련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99 -

<표 III-6> 시설경영지표 (안)

분류 지표 단위

환경

경영

시스템

(6)

환경경영 방침 및 목표의 달성 정도 %

환경성과 개선프로그램의 목표 달성률 %

환경관련 교육 및 훈련 인원 인/년

ISO14001 인증 여부 Yes or No

비상사태 대응체계 구축 여부 Yes or No

사후운영 방안수립 여부 Yes or No

법규

준수

(3)

환경법규 위반 건수 수/년

환경/안전 관련 사고 건수 수/년

벌금액 백만원/년

환경

회계

(2)

환경성과 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경비절감 금액 백만원/년

환경관련 투자금액(방지시설 등) 백만원/년

지역

사회

와의

관계

(6)

환경관련 민원 건수 수/년

지역사회 환경보전활동 건수 수/년

지역사회 환경보전활동 참가인원 인/년

시설 견학자 수 인/년

지역사회 공헌비용(주민지원기금 등) 백만원/년

환경정보 공개여부(환경보고서 발간여부) Yes or No

② 시설운영지표 (OPI)시설의 운영지표는 매립시설과 소각시설의 핵심 공정을 중심으로 투입물과 산출물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이 실제로 얼마나 관리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따라서 매립시

설과 소각시설별로 다른 운영지표를 사용하여야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0 -

매립시설의 경우 핵심 공정인 매립공정과 침출수 처리공정, 매립가스 처리 공정을 중심

으로 환경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17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매년도의 환경성과의 개선 여

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표를 산출할 때 매년 처리하는 폐기물의 양에 따라 요구되는 자

원의 양이 달라질 수 있음을 감안하여야 한다. 따라서 에너지와 용수, 복토재의 사용량은 매

립시설에서 1년 동안 처리한 폐기물의 양을 기준으로 환산하고 침출수처리에 이용되는 에너

지와 약품 투입량의 경우 발생한 침출수의 양을 기준으로 환산하도록 한다.

<표 III-7> 시설운영지표-매립시설 (안)

분류 지표 단위

매립 및

기타공정

(5)

전기 사용량 (처리폐기물 1kg당) kWh/kg

LNG 사용량 (처리폐기물 1kg당) TOE/kg

경유 사용량 (처리폐기물 1kg당) TOE/kg

용수 사용량 (처리폐기물 1kg당) TOE/kg

복토재 사용량 (처리폐기물 1kg당) ton/kg

침출수

처리공정

(8)

침출수 원수 투입량 m3

에너지 투입량 TOE/m3

약품 투입량 kg/m3

침출수 처리수 배출량 m3

침출수 처리수의 BOD mg/L

침출수 처리수의 COD mg/L

침출수 처리수의 SS mg/L

침출수 처리수의 기타 오염물질 법규 초과 항목수

매립가스

처리공정

(4)

연간 매립가스 포집량 (처리폐기물 1kg당) m3/kg

매립가스 소각비율 %

매립가스 발전비율 %

연간 매립가스 발전전력량 (처리폐기물 1kg당) kWh/kg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1 -

소각시설의 경우 핵심공정이라고 할 수 있는 소각 공정을 중심으로 환경성과를 관리하여

야 한다. 역시 매년도의 환경성과의 개선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이용량과 소각

열 회수실적, 발생되는 소각재의 양 등을 시설에서 1년 동안 처리한 폐기물의 양을 기준으

로 환산하여야 한다.

<표 III-8> 시설운영지표-소각시설 (안)

분류 지표 단위

소각 및

기타공정

(21)

전기 사용량 (처리폐기물 1kg당) kWh/kg

LNG 사용량 (처리폐기물 1kg당) TOE/kg

경유 사용량 (처리폐기물 1kg당) TOE/kg

용수 사용량 (처리폐기물 1kg당) TOE/kg

다이옥신 분석결과 ng/m3

배출가스의 SOx ppm

배출가스의 NOx ppm

배출가스의 염화수소 ppm

배출가스의 일산화탄소 ppm

배출가스의 먼지 mg/m3

방류수의 pH -

방류수의 BOD mg/L

방류수의 COD mg/L

방류수의 SS mg/L

방류수의 Cu mg/L

방류수의 Pb mg/L

방류수의 Cr6+ mg/L

방류수의 페놀 mg/L

연간 소각열 공급량 (처리폐기물 1kg당) TOE/kg

연간 전력 생산량 (처리폐기물 1kg당) kWh/kg

소각재 발생량 (처리폐기물 1kg당) %

기타

(2)

폐기물 반입일수 일수

소각시설 가동률 %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2 -

③ 주변지역 여건지표 (ECI)시설의 주변지역 여건지표는 환경상태를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표이다. 따라

서 폐기물처리시설 주변지역의 대기와 수질, 토양환경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

을 주변지역 여건지표로 선정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표 III-9> 시설주변지역 여건지표 (안)

분류 지표 단위

대기

주변지역의 먼지(TSP/PM10) 농도 μg/m3

주변지역의 악취 악취도(관능법)

주변지역의 소음 dB

수질

주변지역 하천의 pH -

주변지역 하천의 BOD mg/L

주변지역 하천의 SS mg/L

주변지역 하천의 DO mg/L

주변지역 하천의 대장균 군수 개/mL

주변지역 호소의 pH -

주변지역 호소의 COD mg/L

주변지역 호소의 SS mg/L

주변지역 호소의 DO mg/L

주변지역 호소의 대장균 군수 개/mL

주변지역 호소의 총인 mg/L

주변지역 호소의 총질소 mg/L

주변지역 지하수의 pH -

주변지역 지하수의 COD mg/L

주변지역 지하수의 대장균수 수/100mL

주변지역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mg/L

주변지역 지하수의 염소이온 mg/L

토양

주변지역 토양의 pH -

주변지역 토양의 카드뮴 mg/kg

주변지역 토양의 구리 mg/kg

주변지역 토양의 납 mg/kg

주변지역 토양의 비소 mg/kg

주변지역 토양의 수은 mg/kg

주변지역 토양의 시안 mg/kg

주변지역 토양의 6가 크롬 mg/kg

주변지역 토양의 PCB mg/kg

주변지역 토양의 유기인화합물 mg/kg

주변지역 토양의 페놀 mg/kg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3 -

제시된 환경성과지표체계(안)을 참고로 각 시설에 적용할 환경성과지표체계의 초안을 개

발할 때에는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각 지표의 적합성, 개선가능성, 그리고 데이터 수집가능

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적합성과 개선가능성, 데이터 수집가능성을 판정하는

기준의 예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는 것은 데이터 수집이 어렵고 개선

의 여지가 없는 지표 등을 제외하고 조직의 환경성과 측정에 적합한 지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2)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의견수렴

1차적으로 해당 시설에 적용이 가능한 지표를 도출한 후에는 설문과 인터뷰 등을 통해

지자체 공무원, 지역주민 등 시설에 관계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야 한다.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는 각 지표가 갖는 의미와 평가기준을 사전에 설명하는 절차를 두

어서 정확한 지표가 선정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외부 이해관계자를 대

상으로 워크숍을 진행하여 내부적으로 도출된 환경성과지표체계 초안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

고 그 자리에서 설문지를 받는 방법 등이 효과적이다. 필요한 경우 채택된 지표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소수의 환경성과평가 전문가와 폐기물 처리 관련 전문가에게 자문 의견을 구

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3) 최종 대상 지표의 선택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후에는 최종적으로 일정한 수의 지표를 선택하여 환경성과지표 체

계를 구성하도록 한다. 환경성과평가 체계의 도입과 정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환경성

과지표의 범위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환경성과평가체계의 도입

단계에서는 현 시점에서 측정 가능하고 개선 가능한 지표를 위주로 환경성과지표체계를 구

성하되 환경성과평가 체계가 조직 내에 정착되어 감에 따라 평가대상 지표수를 순차적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4 -

[그림 III-33] 환경성과평가 체계의 순차적인 도입 방안

제시한 지표들 중 시설운영지표는 현재 대부분의 시설에서 관리하고 있는 항목으로 구성

되어 있으므로 환경성과평가체계의 도입초기에 평가항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체계적인 환

경관리 노력과 함께 환경성과평가의 활용도가 조직 내에서 점차 확대되는 단계에서는 환경

성과지표의 범위를 시설경영지표까지 확장해 볼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환경성과지표의 범

위를 주변지역여건지표까지 확장하여 지역사회의 환경변화를 시설의 환경경영성과지표와 함

께 관리하도록 한다.

4) 지표 평가 방법의 개발

환경성과평가를 실제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정된 지표를 시설 전체의 환경성과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환경성과지수의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평가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환경성과지

수는 시설의 환경관리실태를 한눈에 보일 수 있도록 각 지표별 성과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

산한 점수이다. 따라서 지수 개발을 위해서는 각 대상 지표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개발하

고 각 지표간의 상대적 중요도 즉 가중치를 산출하는 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① 항목별 척도 개발서로 다른 부문의 환경성과를 하나의 지수로 합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표별 성과를 점

수화하여야 한다. 에너지사용량과 용수사용량을 더하는 것은 단위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불

가능하지만 에너지사용부분 점수와 용수사용부분 점수를 합산하는 것은 가능하기 때문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5 -

점수화를 위한 척도의 개발과정에서는 각 지표의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 정량적인 성과

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인식도 조사로 성과평가를 할 경우(예. 주변지역주민 만족도)에는 척

도점의 수에 면밀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척도점의 수가 너무 적으면(4점 척도 이하) 분

석시 응답자의 태도의 정도(수준)를 정확히 밝힐 수 없으며 분석상의 어려움이 있고, 척도의

수가 너무 많으면(7점 척도 이상) 조사자가 각 척도에 적합한 설명을 붙이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보다 정확한 분석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환경성과지표

(안)의 구성 시에 측정과 척도 설계가 상대적으로 쉬운 정량적인 성과지표를 위주로 제시하

였다.

지표별로 척도를 구성할 때에는 지표의 형태별로 척도를 유사하게 설계하여야 한다.

침출수 처리수의 오염도와 같이 법적 기준과 관련된 지표의 경우 법 기준 대비 성과수준

에 따라 척도를 구성한다.

에너지 사용량(원단위), 용수사용량(원단위)등 시설운영의 효율성과 관련한 지표 혹은 지

역사회와의 관계 부문과 같이 법으로 정해진 최소한의 기준이 없이 자발적으로 관리가 이루

어지고 있는 지표의 경우 전년도 대비 개선정도에 따라 척도를 구성할 수 있다.

환경민원의 수와 같이 ‘민원의 수 제로화’와 같은 궁극적인 목표가 존재하는 경우 이 목

표를 중심으로 척도를 구성하도록 한다.

② 항목별 가중치(Weighting) 부여 방법개별 평가항목을 하나의 지수로 요약하기 위해서는 항목별 가중치 도출이 필요한다. 항

목별 가중치 도출이란 개별 평가항목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가중치를 도

출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최근에는 내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지표의 상

대적인 중요도를 묻는 계층화 의사결정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많이 활용하

고 있다.

AHP 방법은 관련 전문가 설문을 통해 여러 항목의 상대적 중요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두 항목씩 짝을 지어 비교하는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 설문을 설계한다. 예를

들어 지표의 개수가 3개일 경우 우선순위도출을 위해서 쌍대비교를 아래 그림에 제시된 바

와 같이 총 3번 실시해야 한다. 설문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대분류는 대분류끼리 중요도를

비교하고, 세부 지표에 대해서는 대분류 내의 지표끼리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설문 방식은 해당 지표가 상대적으로 얼마나 중요한가를 결정하는 기준이 애매한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응답자가 가능한 일관된 기준에 따라 작성을 할 수 있도록 각 기준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6 -

점에 대한 판단 근거를 사전에 설정하여 알려줄 필요가 있다. 설문 결과의 취합 및 최종 항

목별 가중치 도출은 AHP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설문대상자를 주의 깊게 선정하여야 한다. 적절한 설문 대상자는 평가내용에 대한

사전정보가 충분하여 정확한 대답을 해 줄 수 있는 시설내의 전문가 그룹이다. 가중치 부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7 -

<표 III-10> 환경성과지표 가중치 산출 (예)

대분

중분

류지표

척도 가중

치-2 -1 0 1 2

주변

지역

여건

지표

대기

주변지역 PM10 농도 (μg/m3)3%이상

증가

3%이내

증가

동일~3%감소

3~6% 감소

6%이상

감소0.02

주변지역 악취(도) 3%이상

증가

3%이내

증가

동일~3%감소

3~6% 감소

6%이상

감소0.05

주변지역 소음(dB)3%이상

증가

3%이내

증가

동일~3%감소

3~6% 감소

6%이상

감소0.01

수질

주변지역 하천 BOD (mg/L)3%이상

증가

3%이내

증가

동일~3%감소

3~6% 감소

6%이상

감소0.02

주변지역 하천 SS (mg/L)3%이상

증가

3%이내

증가

동일~3%감소

3~6% 감소

6%이상

감소0.02

시설

경영

지표

경영

체제

환경성과 개선프로그램의 목표달성

률(%)40%미만

40-59% 60-79% 80-99% 100% 0.05

ISO14001 인증 여부 - No - Yes - 0.04비상사태 대응체계 구축 여부 - No - Yes - 0.03사후운영 방안수립 여부 - No - Yes - 0.04

법규

준수법규위반 건수 4건 3건 2건 1건 없음 0.05

환경

회계환경관련 투자금액(백만원)

3%이상

감소

3%이내

감소

동일~3%증가

3~6% 증가

6%이상

중가0.03

지역

사회

와의

관계

환경관련 민원 건수 4건 3건 2건 1건 없음 0.04

시설 견학자 수 (인원)3%이상

감소

3%이내

감소

동일~3%증가

3~6% 증가

6%이상

중가0.03

지역사회 공헌비용 (백만원)3%이상

감소

3%이내

감소

동일~3%증가

3~6% 증가

6%이상

중가0.04

환경보고서 발간여부 - No - Yes - 0.03

시설

운영

지표

매립

공정

에너지 사용량-원단위 (TOE/kg)3%이상

증가

3%이내

증가

동일~3%감소

3~6% 감소

6%이상

감소0.06

용수 사용량-원단위 (kg/kg)3%이상

증가

3%이내

증가

동일~3%감소

3~6% 감소

6%이상

감소0.06

침출

처리

공정

침출수 처리수의 BOD (mg/L)법규

초과

법규대비

51~100%

법규대비

31~50%법규대비

11~30%법규대비

10%이하0.08

침출수 처리수의 COD (mg/L)법규

초과

법규대비

51~100%

법규대비

31~50%법규대비

11~30%법규대비

10%이하0.08

침출수 처리수의 SS (mg/L)법규

초과

법규대비

51~100%

법규대비

31~50%법규대비

11~30%법규대비

10%이하0.08

매립

가스

처리

공정

매립가스 발전율 (발전량/포집량)3%이상

감소

3%이내

감소

동일~3%증가

3~6% 증가

6%이상

중가0.06

매립가스 포집량-원단위 (m3/kg)3%이상

감소

3%이내

감소

동일~3%증가

3~6% 증가

6%이상

중가0.08

합계 1.0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8 -

3.2.2. 실행단계

환경성과평가체계의 개발을 완료한 후에는 지표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환경성과

평가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도출된 척도에 따라 각 지표별 점수를 부여하고 여기에 각 지

표별 가중치를 곱한 후 합산하여 환경성과지수를 산출하게 된다.

1) 자료 수집환경성과평가를 위해서는 지표별 자료를 적절한 정보원으로부터 체계적으로 수집하여야

한다.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시설 내외부의 자료원을 이

용해야 하고 수집 절차가 타당해야 한다. 각 시설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료원은 다음과 같

다.

감시 및 실측 결과

환경법에서 요구하고 있는 보고

환경검토 및 감사 또는 평가 보고서

환경훈련 기록

폐기물 처리 기록

정부기관, 학술 단체 및 시민단체

2) 자료의 분석 및 전환자료의 수집을 마친 후에는 수집한 자료의 유효성과 적합성 등을 분석하고 이미 개발된

지표별 척도를 참고하여 지표별 점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지표별 점수를 산출한 후에는 정

해진 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종 결과를 지수(Index) 형태로 전환하도록 한다.

최종성과지수는 이전 년도의 성과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해당년도 성과지수= 전년도 성과지수 + 전년도 성과지수×∑(지표별 점수 × 가중치)

예를 들어 2004년도의 환경성과지수를 100으로 설정하고 위의 표에 제시된 자료가 2005

년 환경성과지표관련 자료라고 하면, 2005년도의 성과지수는 "2004년 환경성과지수 + {2004

년 환경성과지수 × ∑ (지표별 점수 × 가중치)}" 즉 “100 +100×0.61 = 161”로 계산할 수 있

다. 따라서 해당시설은 전년에 비해 환경성과 및 관리체계가 61%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09 -

최종결과를 표시할 때는 위와 같이 시설운영지표와 시설경영지표 그리고 주변지역 환경

여건 지표 모두에 대해 평가하여 환경성과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으나 각 부문별로 “∑ 지표

별 점수 × 가중치”를 합산함으로써 부문별 환경성과지수를 구할 수도 있다.

3) 보고 및 의사소통환경성과평가의 결과를 도출한 후에는 시설의 최고 책임자를 중심으로 내부적으로 평가

결과를 공유하여야 한다. 환경성과평가 결과를 검토함으로써 시설의 최고책임자들은 체계적

으로 시설 전체의 환경성과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조

치를 내릴 수 있다. 또한 환경성과평가 결과를 내부적으로 직원들 사이에 공유함으로써 자

발적으로 환경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수 있다.

[그림 III-34] 매립시설의 환경성과평가 결과 활용 (예)

1.21

0.85

1.00 0.96

1.20

0.94

0.50

0.00

1.00

환경경영체제 법규준수 환경회계 지역사회관계

매립 및 기타공정 침출수 처리공정 매립가스 처리공정

일례로 위와 같이 매립시설의 환경성과를 각 부문별로 종합하여 제시함으로써 환경경영

체제와 매립 공정의 성과는 비교적 높으나 매립가스처리공정과 법규준수 부분의 성과관리를

위해 좀 더 노력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시설 전체의 환경성과를 하나의 지수 형태

로 나타낸 환경성과지수를 매년 비교하여 환경성과의 변화추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부서별로 환경성과지수를 산출하여 환경성과평가의 결과를 부문별 부서별로 비교하여 보는

것이 가능하다. 환경성과평가 체계를 구축하여 오랫동안 운영해온 기업들은 환경성과평가의

결과를 내부적으로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환경보고서를 통해 외부에 공개하고 있다.

3.2.3. 검토 및 개선단계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0 -

환경성과평가의 정확성과 조직 내의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기적이면서도 지속적

으로 환경성과평가 체계 자체를 검토해야 한다. 이러한 검토는 조직의 경영과 운영부문의

성과개선에 기여하고 결과적으로 환경여건의 개선과 연결될 수 있다.

환경부의 환경성과평가 가이드라인에서는 환경성과평가의 검토 및 개선 단계에서 고려해

야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환경성과평가를 통해 달성된 비용과 편익

환경성과기준의 준수 진척도

환경성과기준의 적절성

선정된 환경성과평가 지표의 적정성

자표원, 자료수집 방법 및 자료의 질

특히 환경성과평가의 검토 및 개선 단계에서는 각 지표별로 자료를 생산하는 부서에서

자료수집 과정에 오류는 없는지, 자료를 취합하는 과정에 문제는 없는지 등 환경성과자료

관리시스템 전반에 대한 분석 작업이 중요한다. 장기적으로는 환경성과평가 체계가 기존의

성과평가 시스템과 통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1 -

3.3. 환경보고서(ER: Environmental Report)

환경보고서란 일정기간마다 환경전략, 조직 및 시스템, 성과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의

사소통 수단이다. 환경커뮤니케이션 활동에는 환경보고서, 환경광고(TV, 신문), 웹사이트 게

제, 전시회, 강의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으나, 현재는 환경보고서가 가장 체계적이

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에서 환경보고서를 발간하는 것은 환경성과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수단이 됨과 동시에 폐기물처리시설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향상시

켜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환경기초시설로의 이미지 전환을 꾀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오

늘날 지역주민, 정부, 환경단체 등 많은 외부 이해관계자들이 소각이나 매립시설과 같은 폐

기물처리시설의 친환경적인 운영여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환경경영 현황 및

성과를 수많은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은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신뢰를

획득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그림 III-35] 환경보고서 발간의 기대 효과

환경보고서는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환경보고서 이용

자는 행정기관에서부터 지역주민까지 광범위하다.

행정기관 입장에서는 환경보고서가 지자체의 환경성과를 모니터링하여 지속적인 환경개

선을 유도하고 환경성과가 뛰어나거나 투명성 있는 정보를 공개하는 지자체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등의 정책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지역주민과의 관계에서는 환경보고서의 발간이 지역주민의 신뢰를 얻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역주민들은 일반적으로 폐기물처리시설의 활동으로 인한 환경영향이나 환경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2 -

보전 또는 환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환경경영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환경보고서가 직원들의 환경의식 고취, 환경 사고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3.3.1. 환경보고서 작성 절차

환경보고서는 ‘환경보고서 작성을 위한 사전조사→이해관계자 설정→환경영향 및 성과규

명→공개항목 및 공개방법 개발→해당항목 기술→정보공개 내용의 검증→발간, 배포, 피드백

' 등 7단계의 과정을 거쳐 작성ㆍ발간된다.

[그림 III-36] 환경보고서 작성절차

1단계

환경보고서 작성을 위한사전조사

2단계

이해관계자 설정

3단계

환경영향 및 성과규명

4단계

공개항목 및 공개방법개발

7단계

발간, 배포, feedback

6단계

정보공개 내용의 검증

5단계

해당항목 기술

1) 환경보고서 작성을 위한 사전조사환경보고서 대상범위 정의, 보고기간 등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대상범위의 경우, 지자체

나 관리사업소가 소각이나 매립시설을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다면 환경보고서를 모든 시설을

대상으로 할 것인지, 1개소만 대상으로 할 것인지 보고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작성기간, 보고서 배포처, 데이터 단위 등을 결정하는 것이 보고서 작성 전에 반드시 이루어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3 -

져야 한다. 보고서 작성기간은 보통 1년 내외이며, 데이터 보고 기간은 공개항목별로 일관성

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보고서 대략적인 구조를 설계하기 위해 외국 폐기물처리시설이나

환경보고서 분야 국내선도기업의 환경보고서에 대한 비교분석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2) 이해관계자 설정 설문조사, 워크숍, 시장조사, 공개 커뮤니케이션 채널 운영 등을 이용하여 환경보고서를

활용하는 이해관계자를 파악하고 이들이 필요로 하는 환경정보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즉, 누구를 위하여 누가 환경보고서를 작성하는가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는 환경보고서가

이해관계자들과의 대화 채널을 열기 위해 발간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해관계자들이 요구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보고서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것이다. 폐기물처리시설

의 경우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는 지역주민이 될 것이며, 정부, 미디어, 임직원 등이 주요

이해관계자에 포함된다. 처음 환경보고서를 발간할 때 이들 이해관계자들이 요구하는 환경

정보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3) 환경영향 및 성과규명폐기물 처리 활동으로 인한 여러 가지 환경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환경관

리 및 환경개선노력의 성과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이때 시설 자체적인 환경경영 현황을 진

단하여, 선진업체와의 갭을 파악하는 업무가 수행된다.

4) 공개항목 및 공개방법 개발환경영향 및 환경성과 분석결과를 토대로 폐기물처리시설의 특성을 감안하여 큰 틀에서

의 환경정보 공개항목을 개발한다. 이 때 본 가이드라인에서 개발한 환경정보공개항목을 참

고할 수 있다. 환경정보 공개항목이 결정되면, 자사의 데이터 관리 현황이나 환경경영 현황

을 기반으로 세부공개항목을 선정한다. 이때 세부항목별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적용해봄으

로써 구체적인 환경보고서의 내용이 정리될 수 있다. 그리고 환경정보 공개항목에 대하여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공개방법을 개발한다. 즉 이해관계자들이 원하는 환경

정보를 가장 이해하기 쉽고 간단하게 공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도형ㆍ그래프ㆍ일

러스트ㆍ흐름도ㆍ사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4 -

5) 해당항목 기술보고서 공개항목과 공개방식이 결정되면, 보고서 목차 및 작성내용을 개발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내용을 기술한다.

<표 III-11> 보고서 목차 (예)

최고책임자 선언○○매립장/○○소각장 소개 연혁

시설개요(면적, 처리용량, 사용연수 등)

환경보고서 개요환경정책환경경영시스템 환경방침

환경목표환경경영체제(EMS)환경성과평가(EPE)시스템교육체계환경사고 대응체계환경심사

환경영향 및 성과 환경친화적 폐기물 처리자원사용오염물질배출환경영향평가안전ㆍ보건ㆍ소음환경회계

이해관계자 파트너십 지역사회와의 협력강화자연생태계 보전 노력지역사회 지원 및 편익시설법규준수대외인증 및 수상

6) 정보공개 내용의 검증보고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서는 보고서 공개내용에 대해 최고책임자가 투명성 선언을

함으로써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구하거나, 외부인사의 검토의견서 또는 전문기관의 검증을

받는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7) 발간ㆍ배포 및 피드백완성된 보고서는 이해관계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이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5 -

의 의견을 수렴하여 차기년도 환경보고서에서 보완하도록 한다.

3.3.2. 환경보고서의 내용

1) 환경보고서 전체구성본 가이드라인은 환경부의 ‘2004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개발되었으며 폐기물

처리시설의 특성을 고려한 정보공개 항목을 제시하였다.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 환경관리

현황(대기, 토양, 수질 등), 지역사회 지원내역, 주변지역 오염저감 계획 등을 중점적으로 다

루어야 한다. 또한 공공시설로써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보고서는 폐기물 처리의 효율성과

예산 운용 내역 등의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보고 항목은 핵심항목과 부가항목

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는데, 핵심항목은 환경경영시스템이 수립된 지자체라면 당장 보고가

가능한 항목들이며, 부가항목은 일부 지자체에만 관련이 있거나 당장 적용하기 어려운 항목

들이다. 보고 항목들은 처리시설의 여건에 따라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는데, 처리시설의 여

건은 ‘도입-성장-정착’ 단계로 구분하였다

모든 폐기물처리시설이 본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구성안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각 처리시설들은 제공된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보고 항목을 선정하고

보고서를 구성하되 각자 ‘유연성’과 ‘창의성’을 발휘해서 시설의 사정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방식으로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보고서 작성절차에서 설명하였

듯이 폐기물처리시설의 주요 이해관계자의 관심이슈를 분석해 해당 자료를 자세하고 이해하

기 쉽게 정리하여 보고하는 것이다.

2) 단계별 정보공개 항목 개발환경보고서 정보공개 항목은 처리시설의 특성에 따라 구성되어야 하므로,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각 처리시설의 환경경영 성숙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보 공개 항목을 점

진적으로 확대해 갈 수 있을 것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6 -

[그림 III-37] 환경보고서의 순차적인 도입 방안

핵심항목(일부)

핵심항목(전체)

부가항목

도입

성장

정착

환경경영체계의 성숙도

환경

보고서

정보

공개

항목

범위

핵심항목(전체)

1) 도입단계 : 환경경영시스템이 아직 도입되지 않았거나 도입 초기의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에는 제시된 핵심항목 중 일부만을 공개한다. 즉 핵심항목 중에서 환경경영시스템과 관

련된 환경경영방침, 목표 및 세부목표 등을 제외하고 폐기물처리시설에서 중점적으로 시행

되는 사업과 목표 등이 있으면 이를 추가하도록 한다.

2) 성장단계 :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한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에는 다음 <표>에서 제시

한 핵심항목(Core Indicator)을 채택하여 작성하도록 한다. 핵심항목은 환경경영체제를 도입

한 시설이라면 자료의 수집과 공개가 가능한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3) 정착단계 :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하고 환경성과평가체계를 통해 성과관리를 하고 있

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에는 핵심항목 이외에 부가항목(additional indicator)도 포함해서

수집하여 보고할 수 있다. 참고로 정착단계에 있지 않은 처리시설의 경우에도 부가항목에

있는 항목 중 보고가 가능한 항목이 있다면 보고할 수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7 -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보고서 정보공개 항목으로 다음과 같이 핵심

항목 17개, 부가항목 13개 총 30개를 제시하였습니다.

<표 III-12> 정보공개 분야 및 항목

공개분야공개항목(30)

핵심(Core Indicator) 부가(Additional Indicator)

1.개요(3)

1.1 최고책임자의 선언

1.2 처리시설 소개

1.3 보고서 개요

2.환경경영시스템(6)

2.1 환경경영방침 2.4 환경교육

2.2 목표 및 세부목표 2.5 환경감사

2.3 환경사고 대응체계 2.6 환경성과평가

3.환경영향 및

성과(13)

3.1 용수 사용 3.9 자원 사용

3.2 에너지 사용 3.10 환경친화적인 수송

3.3 온실가스 배출 3.11 보건 및 안전

3.4 대기오염물질 배출 3.12 소음 및 진동

3.5 수질오염물질 배출 3.13 환경관련 투자

3.6 폐기물 배출 및 재활용

3.7 토양오염관리

3.8 환경영향평가

4.이해관계자

파트너십(5)

4.1 주변지역 파트너쉽 4.4 인증 및 수상

4.2 자연생태계 보전노력 4.5 환경 커뮤니케이션 활동

4.3 법규준수

5.부록(3)5.1 제 3자 검증의견서

5.2 용어정의

5.3 환경데이터

개요분야는 보고서의 도입부분으로써 최고책임자선언, 처리시설의 위치ㆍ면적ㆍ처리용량

ㆍ임직원수ㆍ조직체계 등 처리시설 소개, 보고서 개요 등의 항목이 포함된다.

환경경영시스템 분야에서는 처리시설의 환경경영방침,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 및 세부

목표, 환경 영향측면, 환경사고대응체계, 환경감사 등을 포함하여 환경 경영을 추진하기 위

한 계획 및 실행 체계 등을 설명하게 된다.

다음으로 환경경영시스템을 통한 처리시설의 환경성과를 공개하게 되는데, 환경성과에는

자원사용, 용수사용, 에너지 사용, 온실가스 배출, 대기오염물질 및 수질오염물질 배출, 폐기

물의 배출 및 재활용, 토양오염관리, 환경영향평가 등을 정량적으로 나타낸다.

이해관계자 파트너십 분야는 자연생태계보전노력, 법규준수 등 해당 처리장이 환경경영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8 -

활동을 추구함에 있어 외부 이해관계자들과 연계되어 추진하고 있는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보고서와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정량적으로 제시된 정보와 기타

폐기물처리시설에서 관리하고 있는 환경데이터를 공개하도록 한다.

위 정보공개항목은 환경보고서를 처음 작성하는 지자체를 위한 가이드이며, 공개항목을

정할 때 기준이 될 수 있다. 본 가이드의 공개항목 외에도 처리시설의 환경관리현황, 주변

이해관계자 요구에 따라 다른 항목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3) 항목별 작성내용 및 작성방법

가. 개요① 최고책임자의 선언

‘최고책임자의 선언’ 항목은 폐기물처리시설 운영의 최고 책임자가 환경경영에 대한 관

심정도와 비전 및 전략 등을 기술하는 항목이다. 폐기물처리업과 관련한 환경 이슈의 현황

과 해당시설과 연관성, 경영전략 및 목표에 대한 경영진의 의지, 당해연도 주요달성실적에

대한 강조, 환경친화적인 사회구현에 대한 처리장의 비전 등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환경

경영에 대한 처리시설 및 처리업체의 태도가 전체적으로 표현되며 이해관계자들에게 해당처

리시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환경관리를 하고 있는지를 알게 해주는 부분이다.

【예시】OO 매립지의 환경경영을 위하여....우리 시설은 오랫동안 환경경영의 필요성을 인식해왔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환경문제에 대한 우리 시설의 접근방식뿐만 아니라 관련 성과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담았습니다. 환경적 측면에서 우리 시설은 폐기물 처리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쾌적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지난 일년간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시설투자를 강화하였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주변지역에 대한 환경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시설운영, 주변지역여건 등을 총괄해 볼 수 있는 환경성과지표체계를 개발하여 측정함으로써 지속적인 개선을 이루어 나갈 것입니다. 본 보고서는 우리 시설의 환경경영 강화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앞으로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보다 투명한 환경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 ○처리소장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19 -

② 처리시설 소개처리시설 소개는 해당 처리장의 위치, 규모, 연혁, 임직원수, 연간 반입량 및 처리량, 조

직체계 등과 같이 보고시설의 일반적인 현황을 소개하는 항목이다. 이 항목에는 현재 폐기

물처리시설의 운영현황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정량적인 정보를 이해관계자들이 알아

보기 쉽도록 그래프나 표를 활용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폐기물처리공정이나

현재 처리실적을 상세히 알기 쉽게 소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리시설 소개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는 다음과 같다.

소재지연혁조직체계임직원수처리장 개요(폐기물처리 공정, 처리실적 등)

③ 보고서 개요보고서 개요 항목은 보고서 작성과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들을 요약하여 나타내는 항목이

다. 즉 해당 보고서가 어떤 처리장을 대상으로 작성되었는지 보고 대상기간 및 보고서 게재

방법 등을 정확하게 표시하여 앞으로 제시될 성과지표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한다. 보고서

개요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보고대상 시설의 공간적 범위보고대상 기간 보고서 발행일, 보고서 발간빈도보고서 발간 대상 보고서 관련 담당자 연락처, 홈페이지 주소참고한 가이드라인추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한 방법(이전보고서가 있을 경우) 이전 보고서작성 후 달라진 시설 현황이나 측정방법 등

【예시】

본 보고서는 2004년 1월 1일부터 동년 12월 31일까지 OO 매립지의 환경경영 현황과 성과를 담고 있습니다. 보고서 작성과정에서는 환경부의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 2004’와 함께 지속가능보고서의 발간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GRI의 ‘지속가능성 보고서 가이드라인 2002’을 참조하여 여러 이해관계자가 관심을 가지는 이슈를 빠짐없이 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보고서의 내용에 관한 의문사항이나 추가적인 정보가 있으신 분은 매립지 관리사무소의 환경관리팀(Tel: 033-832-2748)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립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0 -

나. 환경경영시스템① 환경경영방침

환경경영방침 항목은 구체적이거나 정량적인 목표가 아닌 환경경영시스템을 추진하기 위

한 기본적인 원칙과 개념적인 접근법을 제시하는 항목이다.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 지역사

회 공헌, 환경오염 최소화, 폐기물의 효율적인 이용 등에 대한 기본 원칙을 제시하면 된다.

② 목표 및 세부목표목표 및 세부목표 항목은 중장기적으로 처리시설이 자체적으로 설정한 환경경영 목표를

제시하기 위한 항목이다. 목표는 환경경영방침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가능한 정량적이고

측정가능한 목표를 제시하여 연도별로 진척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목

표 및 세부목표를 수립하게 된 배경과 목적에 대한 설명도 추가될 수 있다.

【예시】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

• 환경경영인증을 위한 사전진단 실시

• 전직원 환경교육 1회 이상실시

• 재활용품 구매 10% 확대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 지역환경단체와 자매결연추진

• 환경정보 실시간 공개 추진• 지역주민 간담회 2상이상실시

지역사회 유대 강화

• 환경경영인증을 위한 사전진단 실시

• 전직원 환경교육 1회 이상실시

• 재활용품 구매 10% 확대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 환경경영인증을 위한 사전진단 실시

• 전직원 환경교육 1회 이상실시

• 재활용품 구매 10% 확대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 지역환경단체와 자매결연추진

• 환경정보 실시간 공개 추진• 지역주민 간담회 2상이상실시

지역사회 유대 강화

• 지역환경단체와 자매결연추진

• 환경정보 실시간 공개 추진• 지역주민 간담회 2상이상실시

지역사회 유대 강화

• 소각공정 효율 향상을위한 진단 실시

• 보조연료 사용 5% 감축• 열회수설비 설치 타당성검토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 소각공정 효율 향상을위한 진단 실시

• 보조연료 사용 5% 감축• 열회수설비 설치 타당성검토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③ 환경사고 대응체계환경사고 대응체계 항목은 환경경영시스템 상에 명시되어 있는 환경사고에 대한 응급사

태 대응계획에 관하여 기술하는 항목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사고 대응체계 항목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1 -

비상사태와 비상시 대응계획 및 절차 사고방지 및 손해절감을 위한 방법비상사태 대응을 위한 조직도환경사고와 관련된 종업원 모의훈련 현황 등

【예시】

우리 소각장은 대기오염 방지설비의 가동이 중지되었을 때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 때의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해당 프로세스는 사전 테스트에 의해서 그 적용 가능성이 판명되었으며 전 사원을 대상으로 한 비상사태 대응 훈련을 1년에 두 번 실시한 바 있습니다. 일단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비상사태 활동요령에 따라 환경사고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비상사태비상사태 활동요령활동요령

•해당지사 전직원 비상소집

•사고지역 안전조치

•해당지사 장비.자재.인원 투입복구

•유관기관 비상연락

주.야간 전직원

근무

대내적으로 환경민원을

야기시키는 사고

비상2급

<청색비상>

•해당지사 및 인근지사 전직원 비상 소집

•사고지역 안전조치

•해당지사 및 인근지사 장비.자재.인원 투입 복구

•유관기관 비상연락

주.야간 전직원

근무

대외적으로 환경민원을

야기시키는 사고

비상1급

<적색비상>

조치사항근무형태상황등급

•해당지사 전직원 비상소집

•사고지역 안전조치

•해당지사 장비.자재.인원 투입복구

•유관기관 비상연락

주.야간 전직원

근무

대내적으로 환경민원을

야기시키는 사고

비상2급

<청색비상>

•해당지사 및 인근지사 전직원 비상 소집

•사고지역 안전조치

•해당지사 및 인근지사 장비.자재.인원 투입 복구

•유관기관 비상연락

주.야간 전직원

근무

대외적으로 환경민원을

야기시키는 사고

비상1급

<적색비상>

조치사항근무형태상황등급

다. 환경영향 및 성과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이행하고자 하는 목적 중의 하나는 환경측면과 관련한 리스

크를 미리 파악하여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고서에는 처리시설의

환경경영을 통해 관리해야 할 환경 영향측면을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그 성과와

향후 관련 프로그램의 내용을 공개할 필요가 있다.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주요 환경영향 항목으로 용수사용, 에너지사용, 온실가스 배출, 대

기오염물질 배출, 수질오염물질 배출, 폐기물 배출 및 재활용, 토양오염 등을 선정하였다 각

항목의 중요도는 시설의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항목별 기술에 들어가기 전에 시

설의 환경영향 전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제시하고 어떤 항목이 특히 중요한지 기술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소각장의 경우 대기오염물질 배출, 소각재 등 처리 후

폐기물 배출 실태가 중요하지만 수질오염물질 배출이나 토양오염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

고, 매립장의 경우 대기오염물질배출이나 자체 폐기물 배출량보다는 수질오염물질 배출이나

토양오염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성과 데이터의 공개 시에는 최근 3-5년간의 데이터를 표나 그래프의 형태로 공개함

으로써 성과의 변화 추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2 -

① 용수 사용용수 사용 항목은 폐기물처리시설 자체에서 사용하는 용수에 대해 언급하는 항목으로 연

간 용수 사용량 또는 원단위 사용량 자료를 이용해 전체적인 소비현황을 기술하고 자체적인

용수관리현황에 대해서도 설명하도록 한다.

【예시】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2002년 2003년 2004년

매립공정은 용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공정입니다. 우리 매립장에서 사용되는 용수는 관리사무소에서 사용하는 양이 대부분이며 주변도로에 차량이동으로 인한 먼지발생을 막기 위해서도 소량 사용되고 있습니다. 녹색구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절수기 구입을 확대하면서 최근 3년간 용수사용량은 감소

<연간용수사용량> 하는 추세입니다.

② 에너지 사용에너지 사용 항목은 폐기물처리시설에서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의 종류와 양, 에너지사용

저감을 위한 노력, 재생가능한 에너지의 소비와 생산에 대해 언급하는 항목이다. 에너지원별

총 사용량 또는 원단위 사용량 자료를 이용해 전체적인 소비현황을 기술하고 에너지소비량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에너지 사용 항목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

들이 포함될 수 있다.

과거 3~5년 간 에너지원별 사용량(TOE/년) 또는 원단위(TOE/처리한 폐기물의 양)향후 2~5년 간 에너지 사용에 대한 개선계획 등재생에너지 사용 현황 및 에너지효율 향상 이니셔티브 등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3 -

【예시】

9%

67%

24%

자가발전

열공급량

자체이용

소각시 발생하는 폐열은 소중한 자원입니다. 우리 소각장에서는 2002년부터 소각시 발생하는 폐열로 터빈발전기를 가동하여 전력을 생산하거나 양질의 온수로 인근지역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2004년 한 해 동안 회수된 소각열의 9%는 전력생산에 이용하고 24%는 자체 이용하는 한편 67%를 한국지역난방공사에 판매하여 약 21억원의 수입을 얻었습니다.

열공급량과 전력생산량 원단위의 최근 3개년 간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2004년 한 해 동안 전력생산설비의 효율화 작업을 진행한 결과 폐기물 반입량 대비 전력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는 효과를 거두었습니다.

0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600,000

2002 2003 2004

원단

위(cal/kg)

0

2

4

6

8

10

12

14

16

18

2002 2003 2004

원단위(W

h/kg)

<반입폐기물당 열공급량> <반입폐기물당 전력생산량>

③ 온실가스 배출온실가스 배출 항목은 폐기물처리시설에서 직간접적으로 배출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포

함한 온실가스(CO2, CH4, N2O, HCFCs, PFCs, SF6) 배출에 대해 언급하는 항목이다. 소각장

의 경우 소각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량, 매립장의 경우 매립시 발생하는 매립가스가 주요한

온실가스 배출원이다.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매립되는 폐기물의 양을 이용하여 추

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량 또는 원단위 사용량 자료를 이용하

여 기술하고 자체적인 온실가스 배출 저감활동과 향후계획과 함께 가능하다면 기후변화협약

대응전략(예: 매립가스발전) 등에 대해서도 설명하도록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4 -

【예시】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2002년 2003년 2004년

이산

화탄

소 톤

우리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추정치는 연간 3만여 이산화탄소톤 입니다. 매립량의 감소로 인해 2004년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당량 감소하였습니다.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우리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90%는 바로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입니다. 우리 매립장에서는 지난 2001년부터 그 동안 버려져 왔던 매립가스를 포집하여 자원화해왔습니다. 매립지내의 가스포집관에서 포집된 매립가스는 전량 전처리 후 매립가스 발전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매립가스 발전시설에서 생산된 전력은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어 전량 한국전력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2004년 한 해 동안 자원화된 매립가스는 전체 발생량의 60% 정도입니다.

① 매립지내 가스포집관 ② 매립가스 전처리 ③ 매립가스 발전기

매립가스는 매립되는 폐기물 톤당 112~230 ㎥ 정도 발생하여 매립 후 20년까지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 매립장은 매립장 사용종료 후까지 고려하여 매립가스 포집설비를 확충하여 매립가스 발전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올해는 설비투자 부담은 줄이면서 운영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향후 기후변화협약과 연계한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을 유치하여 할 수 있는 방안의 타당성 분석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5 -

④ 대기오염물질 배출대기오염물질 배출 항목은 대기로 배출되는 주요 오염물질에 대해 기술하고 이 오염물질

을 저감한 성과를 알리는 항목이다. 폐기물처리시설과 관련된 주요 대기오염물질 별로 배출

총량과 농도수준, 원단위를 기술하고 대기오염물질 관리현황에 대해서도 설명하여야 한다.

특히 소각시설의 경우 주변지역 주민들의 관심이 대상이 되고 있는 다이옥신 검출 농도에

대해 주기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정확하게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기오염물질 배출 항목

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다.

과거 3~5년 간 대기오염물질 배출 추이 (총량 및 농도 또는 원단위)대기오염 관리현황당해연도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성과중장기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계획 등

【예시】우리 소각장은 철저히 법적기준 이하로 각종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농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2005년부터 강화되는 대기환경규제 기준도 이미 준수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 법적기준(2005년 적용)

단 위 배출농도(2004년 12월말)

SOx(황산화물) 30 ppm 2.09NOx(질산화물) 80 ppm 36.07HCl(염화수소) 30 ppm 1.1Dust(먼지) 30 mg/s㎥ 1.5CO(일산화탄소) 50 ppm 6

다이옥신 0.1 ng-TEQ/s㎥ 0.01

작년에 노후된 백필터를 교환함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중 특히 먼지의 발생총량이 상당히 줄어들었습니다.

<대기오염물질-먼지 발생총량과 원단위>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6 -

⑤ 수질오염물질 배출수질오염물질 배출 항목은 수계로 배출되는 주요 오염물질 대해 기술하고 이 오염물질을

저감한 성과를 알리는 항목이다. BOD, COD 등 관련법령에서 규제하고 있는 주요 수질오염

물질별로 배출 총량, 농도 및 원단위를 기술하고 수질오염물질 관리현황에 대해서도 설명하

도록 한다. 매립장의 경우 수질오염물질의 배출실적을 공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하수 오

염 모니터링 체계, 우수차단막 등의 설치를 통해 침출수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시

설과 관련 투자 계획 등을 상세히 기술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질오염물질 배출 항목에

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다.

과거 3~5년 간 수질오염물질 배출 추이 (총량, 농도 및 원단위)수질오염 관리현황(COD, BOD, SS, TN, TP 등)당해연도 수질오염물질 배출저감 성과중장기 수질오염물질 배출저감계획폐수배출로 인한 생태계 영향 등

【예시】우리 매립장은 1995년부터 자체적으로 침출수를 처리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고 있습니다. 우리 매립장의 침출수처리시설은 1일 200톤 규모로 BOD와 COD를 법적기준치 이내로 처리하기 위해 역삼투압방식(R/O)를 설치, 운영하여 항시 법적 기준 이하로 침출수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침출수의 처리용량 초과와 기계 고장 등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6천 톤 규모의 비상저류조를 설치하고 시설관리공단으로 침출수 예비이송관로를 매설하는 등 유사시에 대비하여 침출수처리에 완벽을 기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침출수 관리상의 여러 가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우수차단막 설치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수질오염물질 배출총량 및 원단위>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7 -

⑥ 폐기물 배출 및 재활용폐기물 배출 및 재활용 항목은 각 처리시설 자체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배출량과 재활용

비율에 대해 기술하는 항목이다. 폐기물은 사업장폐기물 및 지정폐기물로 구분하여 연도별

총량이나 원단위를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폐기물 관리현황에 대해서도 설명하도록 한

다. 매립장의 경우 폐기물의 최종처리시설로 소각장과 같이 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추가적

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이 없다. 그러나 반입되는 폐기물을 선별 또는 전처리하는 시설에 매

립장에 추가적으로 건설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반입되는 폐기물을 어떻게 선별하여 얼마만큼

다시 재활용하고 있는지 등을 기술하여야 할 것이다. 소각장의 경우에는 소각재의 발생현황

과 처리현황을 상세하게 기술하여 줄 필요가 있다.

【예시】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2002년 2003년 2004년

톤/년

우리 소각장에서는 2004년 총 36,340 톤의 소각재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소각량의 26%에 달하는 양으로 전체 소각재의 13%는 비산재였습니다. 우리 소각장에서는 재추출기, 금속분리기, 재크레인 등 재처리 관련 설비를 갖추고 소각재를 환경친화적으로 처리하는 한편, 소각재 발생량을 원천적으로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⑦ 토양오염관리토양오염관리 항목은 폐기물처리시설이 위치한 지역의 토양오염 현황과 복원노력에 대해

기술하는 항목이다. 특히 매립장의 경우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토양오염평가, 사후 매립지의

관리 및 복원현황, 복원비용 규모 등에 대한 정보를 공개할 필요가 있다. 토양오염관리 항목

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다.

토양오염 유발시설 현황 (매립장 면적, 사용연한 등)토양오염여부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 결과토양오염 복원 현황 등

【예시】우리 매립장은 적극적으로 토양오염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03년 한 해 동안 우리 매립장 주변의 6개 지점에 대한 토양오염도 검사결과 법적 규제치 이내로 분석되었습니다. 우리 매립장은 토양오염 방지를 위해 철저한 위생매립을 실시하는 한편, “토양 오염 관리 지침서”를 발간하여 담당자들의 교육과 매립장 관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8 -

⑧ 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항목은 매립장과 소각장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사업장과 주변지역의 환경

영향과 관리 노력에 대해 기술하는 항목이다. 환경영향평가 항목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시설 내 환경위험요소시설 내 환경위험관리체제 및 관리현황주변지역 환경영향평가 현황 및 개선성과 외부 전문기관에 의한 각종 평가 결과 등

【예시】우리 매립장은 3년마다 한번씩 외부기관을 선정하여 환경상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2년 주민지원협의체와 협의를 거쳐 매립장과 주변지역의 환경상영향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지역 언론을 이용해 공개한 바 있습니다. 올해도 주민지원협의체와 논의를 거쳐 역량 있는 외부기관을 선정하여 환경상영향평가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29 -

라. 이해관계자 파트너쉽① 지역사회 파트너쉽

지역사회 파트너쉽 항목은 폐기물처리시설이 혐오시설이 아닌 지역주민 및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편익시설로써 자리매김하기 위해 전개하고 있는 각종 활동과 그 성과를 공개하는

항목이다. 편익시설의 설치 운영 현황, 주민지원 협의체 현황 등과 함께 환경관련 민원건수,

지역사회 환경보전활동건수, 시설 견학자수, 지역사회 공헌비용, 환경정보 공개여부 등 가능

한 한 정량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공개하도록 한다.

【예시】우리 매립장은 반입수수료의 10%를 주민지원기금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2004년에 약 8억원의 규모로 집행되었으며 2005년에는 폐기물 반입량의 감소로 인해 7억원 정도가 집행될 예정입니다. 2004년 주민지원기금의 58%는 주변지역 초등학교와 유치원등 교육기관에 대한 보조에 쓰였고 22%가량은 주민감시원의 인건비 등으로 지급되었습니다.

협의회 운영보조

10%

교육기관 보조금

58%

민간경상보조

22%

업무추진비

3%자산취득

1%

일반운영비

5%

행사실비보상금

1%

<2004년 주민지원기금 운용내역>

이외에도 매립장 및 재활용시설을 아우르는 견학코스를 개발하여 2004년에만 만여명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지역사회 공헌을 위해 전 직원의 참여 하에 주변하천정리, 나무심기 운동 등을 2달에 1번씩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30 -

② 자연생태계 보전 노력자연생태계 보전 항목은 폐기물 처리 및 소각 등에 의해 영향 받는 지역 서식지 및 생태

계의 보호를 위한 노력에 대해 설명하는 항목이다. 폐기물처리로 인한 주변 지역 생태계의

주요 영향,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지역서식지 및 생태계 보호활동, 환경영향의 정도와

환경피해를 복구하는 활동, 시설 주변 및 기타지역의 환경보호를 위한 자발적인 환경보전활

동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매립장의 경우 해당항목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관심이 최근 증가하

고 있는 추세이므로 매립장 주변지역 자연생태계 보전 계획이나 관련 활동의 내역을 상세하

게 기술하는 것이 좋다.

【예시】 우리 매립장은 철저한 위생매립을 통해 생태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주변지역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하여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04년에는 총 3억원을 투자하여 인근에 위치한 철새보호구역에 대한 정밀영향 조사를 지역 내의 환경단체와 대학에 의뢰하여 실시한 바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관련 조사내용을 반영하여 매립장 부지내 폐기물 매립 순서 등을 조정할 예정입니다.

③ 법규준수법규준수 항목은 폐기물처리시설의 활동이 환경에 관련된 규제를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

해 기술하는 항목으로, 법규준수 여부, 위반횟수, 벌금납부 현황 등을 기술하며, 그 외에도

소비자나 지역주민으로부터의 민원현황 등을 설명한다.

【예시】 우리 매립장에서는 2004년에 1차례 방류수 BOD기준을 초과하였는데, 이는 침출수 처리시설의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한 것이었습니다. 해당 시설은 곧 정상가동에 들어갔습니다. 사후 평가 결과 주변지역으로의 환경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04년에는 제 2 매립장의 추가 건설 문제와 관련하여 주변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최적의 설치 대안을 찾아내기 위해 지역내 OO 대학교에 연구를 의뢰한 상황입니다. 앞으로 현재 매립장의 수명연장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는 한편 추가적인 매립장건설과 관련하여 지역주민 여러분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31 -

제5장 사용종료 및 사후관리

소각시설의 경우 장비교체를 통해 반영구적으로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매립시설

은 그 사용기간이 한정되어 있다. 매립시설에서 사용종료 및 사후관리 단계는 그 환경적 부

채로 인하여 매우 중요한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사용 종료된 부지를 폐기물처리시설로 재사

용하거나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등 가치 있게 활용하면서 지속적인 오염관리로 2차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 현황 및 문제점

매립종료 후 2차 오염관리 차원에서의 문제점은 과거 매립기술의 낙후로 말미암아 비위

생 매립하거나 차수시설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곳이 많아 침출수 관리가 장기간 이루어져

야 한다는 점이다. 지자체가 소유하고 관리에 책임을 가지고 있는 대형 매립지의 경우 문제

가 덜하지만 사유매립지의 경우 20년으로 정하여져 있는 사후관리기간 동안 재원조달 방안

들을 수립하도록 규정되어 있지 않아 사후관리가 어려움을 겪을 우려가 있다.

2. 대응방안

사후매립지 관리 차원에서 토양오염, 수질오염, 매립가스 등에 대한 지자체등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는 더욱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철저한 매립지 사후관리를 운영단계에서 모색

하는 한편 사용종료 매립지가 안정화된 이후에 다양한 방법으로 부지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2.1. 철저한 사후관리 준비

철저한 사후관리 준비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선진국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사전에

사후관리를 위한 재원확충방안을 마련하는 등 운영단계에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대책을 마련

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럽연합의 경우 매립지의 사후관리를 위해 환경부채와 관련한 금전적

인 적립을 권고하고 있다. 사후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차수설비에 대한 기술적 표준을 강화

하는 추세에 있다. 또 기존 매립지가 매립밀도나 활성화 정도를 볼 때 오늘날의 매립시설보

다 수준이 낮다는 점을 고려하여 매립지의 정비 및 복원 사업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32 -

1) OECD의 폐기물처리시설사후운영방안 폐기물처리시설은 사후 운영방안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시설 정리와 사후 운영방안에 대하여 주기적으

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시설은 환경적 부채의 처리를 위해 보험, 기금 등의 적절한 재정적 보증 방안을 마련

하여야 한다.

환경적 부채에는 주요한 오염물질들이 배출되는 경우 혹은 심각한 폐기물과 물질의

잘못된 관리, 시설의 폐쇄 등의 경우에 시설을 정리하기 위한 금액을 포함한다.

시설은 폐기물의 처리활동 중단시 오염위험을 방지하거나 운영되는 시설을 원상복귀

상태로 되돌리기 위하여 필요한 측정을 해야 할 책임이 있다.

2) 미국 환경청의 사후종료계획 수립지침미국 환경청은 'EPA Landfill Disposal Criteria'에 ‘Post-closure care requirements' 항목

을 두어 사후관리기간을 30년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이 기간은 연장 또는 단축 가능하도록

정하고 있다.38)

폐기물처리시설 운영자는 폐기물 시설운영, 사용종료, 사후관리비용(복구비용 등)에

대한 재정조달계획을 환경청에 제출해야 한다.

부패하기 쉬운 폐기물을 포함한 매립지에의 건설계획은 매립지가 안정화된 이후에 시

행해야 한다.

매립지가스회수 및 관리 시스템은 전체적인 매립지의 통합관리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매립지의 초기설계단계에서부터 사용종료 후 최소 25년까지의 운영을 모

두 감안하여 계획되어야 한다.

해당지침에서 정한 계획 수립시 검토항목은 다음과 같다.

총폐기물의 예상부피, 중량, 수명

매립지의 수명종료시의 최종적인 지형형태

보호층의 두께와 투과도를 감안한 최종복토에 대한 설계

사용종료 및 향후 매립시설 등에 대한 지역사회에의 공지절차

38) 환경부, 2002, “제2차 폐기물관리계획”, p.122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33 -

설치류 및 기타 야생동물의 관리계획

지하수, 지표수, 침출수, 매립가스, 침식 등에 대한 사용종료 후 최소 25년간의 감시

계획

매립가스의 수집, 저장, 처리, 사용 등에 대한 최소 25년간의 계획

침출수 수집, 및 처리시스템 등의 공해방지 시설의 가동에 대한 사용종료 후 최소 25

년간의 운영계획

사용종료 및 사후 운영방안 등에 대한 최소 25년간의 추정비용

3) 유럽연합의 매립지침(Landfill Directive)유럽연합의 매립지침에서 정한 사후종료 단계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감독자에 의해 최종 조사가 끝난 이후에 매립지 사용종료절차를 수행하여야 함

감독자는 운영자로부터 보고서를 제출받아 평가하여야 하며 운영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서 사용종료에 대한 승인여부를 판단

시설운영자는 매립지가 명백히 사용 종료된 후, 유지‧감시‧관리 등의 사후관리절차

수행

시설운영자는 환경유해여부에 대한 감독자의 판단에 따라 배출가스와 침출수, 인근의

지하수 상황 등을 감시 분석해야 함

유럽연합의 매립지침은 사후관리기간을 매립지가 더 이상 유해하지 않다는 것을 검증받

은 후까지로 정하고 있다.

2.2. 다양한 사후이용방안 수립

1) 사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Dream Park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매립이 완료되거나 매립중인 제1매립장과 제2매립장의 경우 토

지 이용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수익성 및 집객력을 높일 수 있는 시설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매립이 시작되지 않은 제3매립장과 제4매립장의 경우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위적

인 개발을 최소화하며, 향후 대상지 환경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간계획을 구

상하고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34 -

향후 수도권매립지에 도입될 시설은 크게 2단계에 걸쳐서 계획되었다. 1단계로 수도권매

립지의 사용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0년을 중기계획의 목표연도로 설정하였고, 2단계

로 제4매립장의 안정화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을 장기계획의 목표년도로 설정하고 있다.

중기계획에서 연탄재야적장은 지원단지로서 시민의 숲, 주민체육시설, 입구광장 지원센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며, 제1매립장은 스포츠단지로서 대중 골프장, 실내 스키장, 트레킹 코스,

야생초 화원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제2매립장은 환경이벤트단지로서 수목원, 화훼원, 식물

원, 임대농장 등이 들어설 예정이며, 제3매립장은 환경교육단지/에너지생산단지로서 쓰레기

매립장, 계절 풍경 단지, 환경 교육 센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제4매립장은 자연탐방단지

로서 안암도유수지, 습지/하천/초지/숲 생태지역 등이 들어설 예정이며, 기타지역은 수송단

지/레포츠단지로서 여객 계류장 지상/비행 레포츠 공원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장기계획에서는 중기계획에서 선정된 각 공간별 계획모형 및 도입시설과의 연계성을 최

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일관성 있는 계획모형과 도입시설을 선정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장기계획의 경우 연탄재야적장은 기존의 지원단지에 부가하여 공사 직원들을 위한 생태주거

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를 현 매립지역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제1매립장은 기

존의 스포츠단지를 계속 유지하되 도입시설을 당시의 이용패턴에 맞게 변경하며, 제2매립장

은 기존의 환경이벤트단지의 일부 기능을 변경하여 환경관련 환경산업단지를 유치한다. 제3

매립장은 기존의 환경교육단지/에너지생산단지와 연계하여 환경문화단지를 조성하며, 제4매

립장은 자연탐방단지의 양호한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환경리조트단지를 조성한다. 기타지역

은 수송단지/레포츠단지의 시설을 당시의 이용패턴에 맞게 변경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하도

록 계획하고 있다.

3. 매립지 재사용

3.1. 현황 및 문제점

폐기물 매립시설은 2002년 기준 가동되는 시설은 232개이고 전체용량은 362,561천㎥이며

잔여용량은 222,527천㎥로서 사용가능연수는 15년 정도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수도권 매립

지를 제외할 경우 7.5년 정도 사용이 가능하여 추가 용량확보가 시급하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35 -

<표 III-13> 폐기물 매립시설 현황

연도 설치개수 면적(천㎡) 용량(천㎥)잔여용량

(천㎥)사용가능연수

1996 496 12,765 190,088 109,903 82000 284 28,450 362,577 241,134 162001 242 28,255 361,648 234,698 172002 232 28,164 362,561 222,527 15

폐기물 매립시설의 연차별 용량변화를 검토하면 사용가능연수가 점점 감소하는 반면, 매

립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2002년 기준 41.5%)으로 폐기물발생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처

럼 증가하는 매립지의 필요성에 대처하기 위하여 신규 매립장을 건설하는 것은 님비 현상으

로 인하여 점차 어려움이 더해지고 있으며 좁은 국토의 효율적 이용측면에서도 불리한 점이

많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사용종료 후 매립지를 재활용하여 추가 매립공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3.2. 대응 방안: 매립지의 재사용

매립지 복원은 매립된 물질을 굴착, 이송 및 선별하여 매립지를 그 본래의 장소 내에서

개선하고 동시에 매립용량을 되찾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사업이다.

[그림 III-38] 매립지 복원절차

기초조사악취

안정화굴착 선별 재매립

복원의 세부방법은 다음과 같다.

매립물을 선별 후 재활용

이용 불가능한 매립물은 환경친화적으로 재매립

선별된 매립물의 소각을 통한 열회수나 기타 재활용

환경친화적이며 사후처리가 최소인 매립형태 조성

작업장과 인근주민들을 위한 안전조치 마련 및 환경부담요인 제거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매립지 복원을 통해서 매립물을 선별하여 재활용 물질을 확보함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36 -

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매립용량의 확보로 신규 매립지 조성의 폐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매립물의 처리과정에서 유해물질이나 관련 유발물질을 선별 및 제거가

가능하다. 필요시 복원과정의 일부로 비위생매립지의 경우 매립지 차수시설을 설치하여 환

경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원 이후 잔여매립물을 재매립하는 경우 선별과

정을 통해 유기물이 감소되므로 침출수와 가스의 발생량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Part IV. 정책적 제언

제1장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보급ㆍ확산방안

제2장 기타 정책적 제언

제1장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보급ㆍ확산 방안

국내 현행법상 폐기물처리시설들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계획ㆍ설치 및 운영하고 있어, 민

간기업을 중심으로 확산된 지속가능경영을 공공시설인 폐기물처리시설들이 지금 당장 수행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지금은 지자체들이 폐기물처리시설을 보다 환경친화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ㆍ운영하고 지역주민과의 갈등을 해소하는 방향에 대해서 새로운 인식을 가

지고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실질적인 방안들을 장기적으로 고려하는 자세가 필요할 때이

다. 그리고 정부는 지자체들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경영을 추진할 수 있도록 개발된 가이드

라인을 지속적으로 보급ㆍ확산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본 장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들이 지속가능경영 중 특히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보급ㆍ확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로드맵

현재 폐기물처리시설들이 환경경영을 도입하는데 가장 큰 문제는 환경경영을 도입하고

수행할 담당자들의 인식이 낮다는데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 이들이 자발적으로 환경경영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보급ㆍ확산하는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우선 폐기물처리시설들의 인식이 어느 정도 인지, 환경경영을 도입하는데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인지, 가장 효과적인 보급ㆍ확산 정책이 무엇인지, 중장기적으로는 어떠한 정

책이 필요한지 등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목표와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즉,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로드맵을 짜기 위한 실증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환경경영 로드맵 연구는 폐기물처리시설 담당자 및 운영자들의 환경경영 인식 수준을 파

악하기 위하여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개발된 분석 프레임워크를 통해 분석결과를

도출한다. 그리고 국내 폐기물 처리시설의 실태조사 결과와 해외 폐기물 처리시설의 환경경

영 사례를 토대로 환경경영 갭분석을 실시하여 앞으로 수행해야 할 환경경영 로드맵을 수립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을 확산ㆍ지원하기 위한 시범사업의

필요성과 진행방향 등을 도출하고, 기타 정부에서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보급ㆍ확산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40 -

[그림 IV-1] 폐기물처리시설 환경경영 로드맵 추진절차

해외 폐기물처리시설

환경경영 동향 분석

국내 폐기물처리시설

환경경영 실태 조사

(인터뷰 및 설문조사)

갭 분석

폐기물처리시설

환경경영 로드맵

도출

2. 폐기물처리시설 환경경영 시범사업

본 연구를 통해 폐기물처리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특성화된 환경경영 가이드라인을 제정

하였다. 그러나 본 가이드라인을 보급하고 확산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처리시설로 하여금 환

경경영기법들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ㆍ지원하는 시범사업이 필요하다.

실제로 환경부에서는 환경경영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1999년부터 제조업을 비롯한

국내 산업분야에 환경경영 확산을 위한 시범사업을 실시하며 가이드라인을 개발ㆍ보급하고

있다. 5년여에 걸쳐 진행된 환경경영 시범사업은 기업의 환경경영 활동을 검토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환경보고서, 환경성과평가시스템, 환경회계, 환경경영성과계량화사업 등 다양한

환경경영 관련기법을 산업계에 확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환경경영 시범사업은 환경경영기법의 구체적인 적용방법을 알기 힘든 기업들이

실제로 이것을 적용하고 내부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특히 폐기물

처리시설의 경우 환경경영에 대한 인식이 낮고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이드라인 개발 이

외에 시범사업 형태의 정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시범사업은 다음과 같은 체계로 진행될 수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41 -

[그림 IV-2] 폐기물처리시설 환경경영 시범사업 절차

참여업체 접수

가이드라인연구

국내외사례벤치마킹

가이드(안) 개발

EMS, EPE, ER 시범적용

가이드 확정 성공사례 개발

팀회의

전체회의

워크샵

견학/방문

설문조사조정 •EMS 구축을 위한 매뉴얼

•EPE 지표, 척도, 가중치, 지수개발, 실제 적용

•ER 발간

인센티브, 시상제도 개발

우선 공개접수를 통해 시범사업 참여업체를 선정하고, 국내외 벤치마킹 등을 통해 가이

드라인(안)을 개발한다.39) 이와 함께 시범사업 참여업체 견학/방문, 설문조사, 회의 및 워크

숍 등으로 환경경영시스템 매뉴얼을 개발하고, 환경성과평가 및 환경보고서를 직접 적용하

는 본격적인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 환경보고서 등

을 실제로 도입한 시설의 모범사례를 개발하여 전파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론적인 가이드라

인을 보다 현실적이고 적용 가능한 것으로 수정하여 보급하도록 한다.

시범사업은 환경경영시스템의 경우에는 교육과 매뉴얼 개발 중심으로 진행하고, 환경성

과평가와 환경보고서는 시설에 직접 적용하여 사례를 개발하도록 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전사적인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한 책임부서 담

당자들에게 일반적인 환경경영시스템의 절차와 내용, 주요 항목에 대한 세부시행방안 등에

대해서 교육하고 매뉴얼을 개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해야 한다.

환경성과평가는 참여업체가 시설 여건에 맞는 성과지표를 직접 개발하고 측정 절차를 구

축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고, 이 결과를 가이드라인에 반영하도록 한다.

39) 현재 본 연구를 통해서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가이드라인(안)’은 개발되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42 -

[그림 IV-3] 환경성과평가시스템 시범사업 추진절차 및 역할분담

국내외사례 연구

지표샘플 제시

항목별 척도개발 교육

가중치 도출방법 교육

환경성과평가실행 및 검토 방법 교육

가이드라인 개발 완료

가이드라인/국내외사례 스터디

지표 개발

항목별 척도 개발

가중치 도출

최종 결과 발표

[시범사업주관단체] [시범사업참여업체]

환경보고서 시범사업은 GRI가이드라인, 환경부의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 등 관련된 국내

외 가이드라인 동향을 조사하고, 이 내용을 참여업체에게 교육하도록 한다. 그리고 참여업체

가 국내외 가이드라인과 자체 실정에 맞게 보고항목을 선정하고, 시범사업 주관업체는 선정

된 보고항목의 작성방법을 교육한다. 이에 따라 참여업체는 환경보고서 초안을 작성하고 주

관업체와 참여업체가 모두 최종검토를 한 후 환경보고서를 발간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43 -

[그림 IV-4] 환경보고서 시범사업 추진절차 및 역할분담

국내외 가이드라인 동향 조사

가이드라인 교육 및 사례분석

보고항목 작성 교육

검토팀 구성 및 검토

최종검토

가이드라인 개발 완료

가이드라인 스터디

보고항목 선정

보고서 초안작성 및 발표

보고서 수정 및 보완

최종검토/환경보고서 발간

[시범사업주관단체] [시범사업참여업체]

국내외 가이드라인 동향 조사

가이드라인 교육 및 사례분석

보고항목 작성 교육

검토팀 구성 및 검토

최종검토

가이드라인 개발 완료

가이드라인 스터디

보고항목 선정

보고서 초안작성 및 발표

보고서 수정 및 보완

최종검토/환경보고서 발간

[시범사업주관단체] [시범사업참여업체]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가이드라인이 보급ㆍ확산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시범사업

이 진행되어야 환경친화적인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ㆍ운영하고자 하는 정부의 목적이 달성

될 수 있을 것이다.

3. 교육프로그램 개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이 보급ㆍ확산되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운영업체의 담당자

들을 위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진행되어야 할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크게 폐기물처리

시설의 지속가능경영,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성과평가시스템, 환경보고서 등이다.

본 연구용역을 통해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에 필요한 여러 개념 및 추가고려사

항, 환경경영시스템ㆍ환경성과평가시스템ㆍ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연구ㆍ개발

된 내용을 가지고 폐기물처리시설들이 자발적인 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는 한편, 앞서 제안한

시범사업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5 교육프로그램 대상 및 일정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44 -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교육의 대상은 생활폐기물처리시설의 담당 공무원, 운영

시설의 운영팀장, 실무운영자 등이 될 수 있다.

<표 IV-1> 교육프로그램 대상

전체 교육 대상자 부분 교육 대상자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담당 공무원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 환경경영시스템 추진조직원

- 환경성과평가 추진조직원

- 환경보고서 추진조직원

- 생활폐기물처리시설 최고 책임자

- 환경경영시스템 부분별 담당자

- 환경지표관리 담당자

폐기물처리시설 지속가능경영 및 환경경영 시범사업에서 진행될 교육프로그램의 일정은

대략 다음과 같이 수립될 수 있다.

[그림 IV-5] 폐기물처리시설 환경경영 시범사업 교육프로그램 일정(안)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지속가능경영 개념 및 동향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

환경경영시스템 가이드라인

환경경영시스템 개념 및 의의

ISO14001 요구사항 해설

환경영향평가

환경목표 및 추진계획

환경경영체제 문서화

환경성과평가 가이드라인

환경성과평가 개념 및 의의

지표개발 및 선정

항목별 척도개발

가중치 및 지표평가방법 개발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

환경보고서 개념 및 의의

국내외 가이드라인 교육

보고항목 체크리스트 교육

보고항목 작성 교육

시범사업 교육 일정표4 51 2 3

4. 환경친화적인 폐기물처리시설 지정/인증제도

폐기물처리시설이 자발적인 환경개선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정부에서 환경개선여

부를 검토하여 환경친화시설로 지정하여 제도적ㆍ재정적 혜택을 부여하는 지정제도나 공식

적인 인증을 통해 지역주민의 신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이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45 -

4.1 환경친화적인 폐기물처리시설 지정제도

지정제도란 앞서 말한대로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영향이나 환경경영시스템 운영 현황 등

환경개선여부를 심사하여 환경친화시설로 지정해주는 제도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부터 기업 스스로의 환경개선을 유도하기 위한 ‘환경친화기

업지정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환경친화기업지정제도’란 기업이 환경규제치만 준수하는 규

제중심의 환경정책에서 벗어나 기업 스스로 사업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환경영향을 평가하

고 구체적인 환경목표를 설정하여 자율적으로 환경개선을 도모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환경

친화기업으로 지정받고자 하는 기업은(국내, 해외 현지법인 및 합작법인을 둔 국내 모기업

포함) 환경관리현황, 환경성평가 및 환경개선계획서를 첨부하여 관할 유역환경청장 또는 지

방환경청장)에게 제출하여 일정기준에 따라 심사를 받는다.

환경친화기업으로 지정받기 위해서 기업들은 자율적으로 제품설계에서 원료조달, 생산공

정, 사후관리까지 사업활동 전반에 걸친 환경영향을 평가한 뒤, 이를 토대로 오염물질 삭감

계획과 방법 등이 명시된 구체적인 환경개선계획을 마련하고 이를 시행한다. 또한 공정개선,

관리개선, 현장 재이용 및 방지 시설의 운영 최적화 등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

고 있다.

이처럼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해서도 정부가 환경경영 및 환경성과 개선 여부를 평가하여

환경친화시설로 지정하고 혜택을 주는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을

확산하는데 촉진제가 될 것이다.

4.2 환경성적표지 인증제도

폐기물처리시설의 자발적인 환경경영을 촉진하기 위한 또 다른 제도적 방안으로 환경성

적표지 인증제도를 들 수 있다. 환경성적표지 인증제도란 재료 및 제품의 친환경성 제고를

위하여 재료 및 제품의 생산ㆍ유통, 소비 및 폐기단계 등의 전과정에 대한 환경성 정보를

정량적으로 표시하는 제도로서 제3유형(Type III)의 환경라벨링 제도이다.

국내에서는 주로 제품을 대상으로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해외에서는 폐기물처리과정

에 대한 인증 표준안을 개발하여 환경성적을 외부에 공개한 사례가 있다. 해외 위생매립지

가 스웨덴의 환경성적표지(EPD: Environmental Performace Declaration)40) 인증을 획득한

40) 스웨덴의 환경성적표지제도(EPD)는 기업이 자사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환경영향을

자발적으로 공개하는 제도로써, 제품 품목별로 정해진 규칙(PSR: Product-Specific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46 -

것이다. 2003년 유럽의 Life Programme 지원을 통해 이탈리아의 ACAM사와 제노아 대학이

공동으로 위생매립지에 대한 환경성적표지 인증 표준안(Product Specific Requirements)을

개발하여, 개발된 표준안에 따라 이탈리아의 ACAM, AMIU, ECOSAVONA, IDRO EDIL 등

4개 매립지가 자체적으로 LCA(Life Cycle Assessmen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제3

자의 인증심사를 거쳐 환경성적보고서의 형태로 공개되고 있다.

이처럼 국내에서도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인증 표준안을 개발하여 환경성적표지 인증제

도 프로세스에 따라 제3자 인증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안은 기존의 제도를 활용하

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고, 폐기물처리 공정의 환경정보를 투

명하게 공개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주민에게 신뢰감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 인센티브 및 시상제도 마련

자원과 인력이 부족한 폐기물처리시설에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서는 환경경영 도입 및 성

과에 대한 정부의 제도적ㆍ재정적 인센티브나 시상제도가 시행될 필요가 있다. 현재 환경부

에서는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환경친화기업 지정제도를 통해서 환경경영을 추진하고 있는 기

업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친환경경영대상’ 등의 시상제도를 매년 개최하고 있

다.

이처럼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경영 모범사례를 모니터링하여 일정 기준에 따라 인센티브

를 제공하거나 시상하여 사례를 전파하고 홍보하는 등의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

다.

Requirements)에 따라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를

실시하여 제3의 인증기관의 검토를 거쳐 제품별 환경성적보고서를 발간하도록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47 -

제2장 기타 정책적 제언

1. 정부

1) 통합적인 정보제공시스템 지원앞서 Part III 의 2장에서 제안한 대로 지자체의 효율적인 폐기물처리계획 수립을 지원하

기 위해서 정부는 생활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현황과 폐기물처리시설의 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현재 지자체가 관리하는 생활폐기물 발생 및 처리 데이터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받지 못함으로써, 폐기물처리시설 용량을 과다 산정하거나 비효율적으로 계획

되는 사례가 간혹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지자체들이 신속하고 정확한 정

책대응을 할 수 있도록 전산화된 정보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정보 또는 환경보고서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웹사이트

를 운영하는 방안도 있다. 폐기물처리시설들이 환경보고서 등을 발간하여도 이를 종합적으

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미비하면 이해관계자들에게 이러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는 어려

운 상황이다. 해외의 경우 GRI 가이드라인에 의해 작성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는 GRI 홈페

이지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어서 전 세계 어디에서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가이드라인

및 발간기업별 보고서를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이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보고서를 손쉽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웹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가 필요하다.

2) 통합폐기물관리 개념 도입을 위한 지침마련앞서 Part III의 2장에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지자체들이 시설계획

단계에서 통합폐기물관리 관점에 따라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통합폐기물관리관점에서 지자체들이 폐기물처리기본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침을 개발하

는 방안이 있다. 이밖에 현행 폐기물처리시설의 국고지원체계에 통합폐기물 관점에서 계획

된 시설에 대한 국고 지원을 그렇지 못한 시설 국고지원과 차등화 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가능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 148 -

2. 지자체/운영업체

1) 시설간 협의체 구성/모범사례 전파폐기물처리시설의 지자체 또는 운영업체들은 환경경영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환경적 지

속가능성을 달성하고 경제적ㆍ사회적 지속가능성도 이와 균형을 맞추어 지역주민과 국민의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외에 폐기물처리시설간의 정보공유를 위해 협의체를 구성하는 방안도 효과적일 것이

다. 현재 운영중인 전국소각시설운영협의회와 수도권매립지를 중심으로 구성될 예정인 전국

폐기물매립시설협회 등을 통해 서로 환경경영, 지속가능경영 사례 및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자체적인 역량강화에 큰 도움이 된다.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영향평가나 환경성과지표,

환경보고서 보고 항목 등은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사항들이기 때문에 단일화된 정보교

환 체계에 따라 빠르게 보급ㆍ확산될 수 있다. 이밖에 주민과의 갈등을 해소한 사례나 시설

을 효율적으로 운영한 사례 등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협의체로 수집된 모범사례가

정부의 인센티브제도나 시상제도에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 149 -

참 고 문 헌

감사원, 2000, "감사연보“

경기개발연구원, 2003, "소각시설의 위탁관리실태 및 운영효율화 방안"

김광임, 2003, “폐기물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01, “수도권매립지장기발전계획”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03, “드림파크백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004, “수도권매립지 폐기물 반입총량제도 개발 연구”

이동훈, 남궁완 역, 1998, “폐기물처리공학(上)”, 동화기술

이혜경, 2004, “한국에서의 매립지 재활용 전망-기술적 그리고 전략적 측면에서의 고찰”

자원순환사회연대, 2004, “생활폐기물 소각정책 추진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국정감사자료"

전라북도, 2005, “환경백서 2004”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 2004, “지속가능경영 프레임워크와 실천과제”

청정생산지원센터, 2003, "지속가능산업발전“ 가을호

최우석, 1997, "함께 풀어가는 지역갈등", 삼성경제연구소

환경부, 2001, “제 2차 폐기물처리기본계획 작성지침”

환경부, 2002, “전국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2003, “폐기물관리 제도 개선에 대한 연구”,

환경부, 2003, "2003년도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설치계획

환경부, 2004, "2003년도 대형생활폐기물 소각시설 현황"

환경부, 2004,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관련 님비(민원) 발생 및 해소사례”

환경부, 2005,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관련 갈등해소 워크샵"

환경운동연합, 2003, 서울시 22개구 13년간 폐기물법 위반 (http://ohmyearth.com/)

Biffa, 2005, “Corporate Responsibility Report 2004“

Elkington, J., 1997, "Carnivals with forks"

- 150 -

European Union, 2002, "Green paper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German Federal Environmental Agency, 2005, "Waste from human settlements 2005"

Klundert, Arnold & Anschutz, Justine, 2001, "Integrated Sustainable Waste

Management - the concept", Nieuwehaven: WASTE

KPMG, 2002,“International Survey of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2002“

ISWA, 2002, "Industry as a partner for sustainable development-Waste Management"

OECD, 2003, “Core Performance Elements of the Guidelines for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Wastes“

Rahardyan, B., et al, 2003, "Resident's concerns and attitudes towards Solid Waste

Management facilities", Waste Management Journal

RVF, 2003, "Swedish waste management 2003"

SITA Environment, 2002, "Quality and Safety report 2001"

Suez, 2004, "Group environmental report 2003"

Schurer, H., 2002, "German waste legisl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Development of waste legislation in Germany towards a sustainable closed substance

cycle"

UNEP, 2002, "Industry as a partner of Sustainable Development-Waste Management"

UWEP, 2001, "Integrated Sustainable Waste Management - the Concept"

Green Alliance, 2002, "Creative policy packages for waste: lessons from the 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