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11
말지각:패러다임과 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이끌어 냈으며, 어느 정도에 서는 아주 강한 주장을 해 왔다. 상향적인 것과, 고도의 단원적인 처리, 말지각의 대 상이 추상적이며, 고도로 구조화된 음운표적이라는 것, 다른 종류의 청지각으로부터 말은 중요한 관점에서 다르다는 것, 특수한 종-특유의 신경기제가 말소리 지각을 지 지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주장들이 입증될 수 있는지와 말지각 연구를 위해 개발되어 온 도구들을 검사하기 위해 그리고 현재 이 분야를 움직이는 논쟁에 접근하기 위해 실험적 증거들을 보다 면밀히 고려할 시기이다. 우리는 포괄적 인 검토를 시도하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 현재의 연구를 이해하는 데 익숙하게 요구 되는 전문화된 실험 패러다임을 소개하고, 몇몇 오래된 주제들을 간략하게 탐구할 것 이다. 말지각 연구를 이끄는 주제 가운데 하나는 말은 특수하다speech is special라는 것이 었다. 지각체계의 특정 적응이 말 의사소통의 요구를 지원하도록 인간 언어의 진화를 통해 발생하는지에 대한 여러 핵심개념과 실험 패러다임들은 이러한 질문에 답하려는

Upload: others

Post on 16-Jul-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이끌어 냈으며, 어느 정도에

서는 아주 강한 주장을 해 왔다. ‘상향적’인 것과, 고도의 단원적인 처리, 말지각의

상이 추상적이며, 고도로 구조화된 음운표적이라는 것, 다른 종류의 청지각으로부터

말은 중요한 관점에서 다르다는 것, 특수한 종-특유의 신경기제가 말소리 지각을 지

지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주장들이 입증될 수 있는지와 말지각

연구를 위해 개발되어 온 도구들을 검사하기 위해 그리고 현재 이 분야를 움직이는

논쟁에 접근하기 위해 실험적 증거들을 보다 면 히 고려할 시기이다. 우리는 포괄적

인 검토를 시도하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 현재의 연구를 이해하는 데 익숙하게 요구

되는 전문화된 실험 패러다임을 소개하고, 몇몇 오래된 주제들을 간략하게 탐구할 것

이다.

말지각 연구를 이끄는 주제 가운데 하나는 ‘말은 특수하다speech is special’라는 것이

었다. 지각체계의 특정 적응이 말 의사소통의 요구를 지원하도록 인간 언어의 진화를

통해 발생하는지에 한 여러 핵심개념과 실험 패러다임들은 이러한 질문에 답하려는

Page 2: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136 제2부 말지각과 청각처리

시도로 개발되었다. 초기의 두 가지 패러다임인 양분 듣기와 범주적 지각은 현재의 논

쟁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개념들을 제공한다. 특히, 양분 듣기는 현재의 말지각에 관

한 신경 상 연구에서 여전히 중심적으로 남아 있는 반구전문화와 피질기제의 문제를

제기한다. 범주적 지각 실험은 말소리 지각을 위한 언어특정 학습과 신경적 성숙이

상호작용하는 방법, 그리고 지각적 처리의 수준에 관한 질문과 관계가 있다.

이 장의 다음 부분은 이러한 ‘전통적인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현재의 관심 주제

들을 이끌고 있는 분야로 안내해 줄 것이다. 지각적 자석perceptual magnet효과와 초기

언어경험의 역할, 더 일찍이 언급되어 온 말소리 분절화의 문제에 한 해결로서의

운율적 자동처리prosodic bootstrapping, 게이팅 패러다임gating paradigm 등이 우리에게 말

소리 지각의 음운표상의 성질에 한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는지가 그것이다.

말소리 양식 가설

앞 장에서 우리는 역설적인 발견을 위한 참조를 만들었다. 모국어로 말하는 이들은

말에서 음소 연속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들이 ‘그들의 귀로 읽어 내는’ 순서에

따라, 각 글자를 하나의 개별 소리로 나타내거나 스캔하면서 간단한 청각 부호를 얻어

내기에는 불가능한 속도이다. 이러한 명백한 독설을 이해하기 위해 말지각 연구의 초

창기에 출현한 많은 접근들이 있다(Liberman et al., 1967).

실험 패러다임의 풍부한 도구armoury로 연구의 전체 프로그램을 이끈 한 가지 반응

은, 발견의 해석에 한 방 한 요약은 아니겠지만 말지각이 다른 청지각의 형식과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다른 청지각 형식과 관련지어 말이 전문

화된 한 가지 방법은, 말지각의 상이 궁극적으로는 산출을 위한 고도로 전문화된

체계와 접하게 결부되어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듣는 방 한 양의 말은 우리 스스로

생성해 내고, 바로 우리처럼 얘기하는 말하는 사람에 의해 산출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그 산출방법을 정확하게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가 일상에서 습관적으로 재인

하는 하나에서부터 천까지의 말 모두에 적용되지는 않는다. 사실상 말을 들을 때 우리

는 말 산출을 위한 신경장치에 자동적으로 종사한다. 말지각의 이러한 운동이론motor

theory에 한 지지로 해석되는 최근의 증거는 신경 상 연구로부터 나온다. ‘거울 뉴

Page 3: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137제6장 말지각:패러다임과 발견

런mirror neuron’의 전문화된 지각-운동 체계는 전전두피질(브로카 역)에 위치하지만,

상측두이랑에 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거울 뉴런은 유인원과 인류의 말과 몸짓을 통

한 의사소통에 필요한 모방 역량의 기초가 되었다(Fadiga et al., 1995; Rizzolatti et al.,

1996; Rizzolatti and Arbib, 1998; Hari et al., 2000; Nishitani and Hari, 2000; Sundara,

2001; Avikainen et al., 2002; Fadiga et al., 2002).

말지각의 운동이론은 현 뇌 상기법보다 앞서 있으며, 오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Liberman, 1957; Lane, 1965; Liberman et al., 1967). 말지각 운동이론의 강력한 관점으

로는 말 산출을 위한 신경조절 기제가 말소리 지각과정에서 활성화된다는 주장이 있

다. ‘말이 특수하다’는 주장에서, 비교적 덜 논쟁적인 형식의 관점은 말지각이 전문화

된 신호처리 역량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그 역량은 아마도 우리의 유일한 언어재

능을 지지하도록 진화되어 왔을 것이다.

Haskins Laboratories1)의 연구자들은 말지각이 특수한 말 청취 양식에 참여한다는

생각을 처음으로 공식화했다. 이것이 말 양식 가설speech model hypothesis(SMH)이다.

말 양식 가설을 검사하기 위해 개발된 실험 패러다임들은 가설보다 중요한데, 가설은

증명되었지만 파악이 어려웠다. 그 증거를 다루기 전에 ‘말 청취 양식에 의한 소리 처

리과정’이 의미하는 바를 분명히 하자. 여기서는 개인적인 일화가 우리의 목표를 제공

해 준다. 당신도 다음과 같은 비슷한 경험2)을 갖고 있을 것이다. 나는 서점에서 시간

을 보내고 있었고, 학생들이 교실 관련 활동 때문에 거리 시위로 시간을 보내는 오후

한때, 멀리서 고함치는 소리가 들렸다. 나는 무슨 소리인지를 파악하려고 노력하며 그

소리를 들었다. 2∼3초 후에 그 소리는 점점 더 분명해졌다. 그것은 진행 중이던 거리

시위의 소리가 아니었고, 서점 안의 바로 옆 오른쪽 커피 끓이는 기구에서 나는 소리

다. 분명 나의 청각체계는 입력을 서투르게 잘못 읽어 냈고, 이탈disengaging 이전의

이어진 기간 동안(2초 정도는 말소리 처리의 세계에서는 긴 시간이다) ‘말소리 처리

양식’으로 변경되었다.

웹에는 청각신호를 말 청취 양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에 해 보다 생생

1) Haskins Laboratories, Connecticut, USA, 20세기에 우수한 말 연구를 진행하 고, 오늘날에도 선두적인

센터로 남아 있다. http://www.haskins.yale.edu/

2) 나는 여기서 언급된 형태의 일시적인 청각적 환각이 완전히 ‘정상적’이라는 것을 독자들에게 서둘러 확신

시키려 한다. 정신분열증의 임상적 신호인 ‘머릿속의 음성’(청각적 환상)과는 분명히 구별되는 것이다.

Page 4: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138 제2부 말지각과 청각처리

한 예시가 제시되어 있다(Robert Remez of Haskins Laboratories의 허가에 의함).

http://www.cambridge.org/9780521791908을 클릭하고, ‘Online resources…6.1 Remez’

로 들어가서, 당신이 들은 것을 짧게 기록해 보자.

앞의 일화에서 읽었던 것처럼, 당신은 ‘별다름odd-ball’처럼 들리는 청각자극을 듣게

될 것이다. 그리고 무엇을 들었는지 확인해야 한다.3)

하지만 부분의 사람들은 처음에는 이러한 자극을 확실한 말이 아닌, 단순히 ‘재미

있는 소리’로 듣는다. 말소리 청취 양식으로 이러한 신호를 듣는 사람들의 부분은

반복적으로 들려준다면 아주 잘 파악할 수 있다. 사인파 말소리sine wave speech 청취는

정확하게 분리된 청각처리 양식 사이에 감각적 체계flip-flop를 유발하는 한 가지 방법

이다. 분명 지각장치에서 이러한 계속되는 증거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자극

이 필요하다. 말소리 연구자들이 갖추는 장비의 기본 항목이 말소리 합성기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4)

말 양식 가설의 강한 주장과 약한 주장

말소리 청취 양식으로 소리를 처리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해 당신이 갖

는 느낌이 있다면, 우리는 말 양식 가설에 한 생각을 좀 더 다듬어갈 수 있을 것이다.

말 양식 가설이 취하는 두 가지 주요 형식들이 있다. 약한 주장weak versions은 논쟁적

이지 않으며, 이 문제에 해 생각하는 모든 이에게 실제로 받아들여진다. 말소리나

그 비슷한 소리를 들을 때 우리는 언어처리를 돕기보다는 언어처리에 참여한다. 언어

처리는 언어획득 과정에서 획득된 말에 한 전문화된 암묵적 지식의 커다란 저장고

에 접근하는 것과 관련된다. ‘말이 특수하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3) 이것이 자연발화의 스펙트로그램으로부터 합성되었던 자극인 사인파 말소리이다. 그것은 원래의 말소리

신호에서 중요한 스펙트럼의 정점 주파수를 추적하는 사인곡선들로 원래의 신호에서 음향 에너지를 치

하 다. 이러한 작용은 중요한 조음방법manner of articulation 단서와 성도 공명 변화에 한 정보를 유지하지

만, 결정적으로 인간에게서 나온 것이 아닌 신호로, 후두에서 성 떨림에 의해 만들어지는 음성을 치한

다. 웹 접근에서 사인파 말소리의 위의 예를 합성하는 데 사용된 원래 신호는 http://www.cambridge.

org/9780521791908에서 이용 가능하다.

4) 독자들 가운데 성실한 학생은 성도 여과기의 흥분처럼 다양한 근원 신호를 치하여 다루기를 원할 것이

다. 나는 말하기 구phrase의 성도 기능에 한 흥분원으로 사용된 베토벤의 5번 교향곡의 첫 번째 두 마디

를 들은 적이 있다.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들은 것은 분명, ‘We were away a year age’라고 말하

고 있었다.

Page 5: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139제6장 말지각:패러다임과 발견

말 양식 가설에 한 강한 주장이 있다. 즉, 어떤 의미로는 뇌에 배선되어 있고, 적어

도 말 재인의 특별한 양상으로, 말지각 과제에 전념하는 전문화된 지각기제들이 요구

된다(상측두이랑의 청각 연합피질이 브로카 역에 가능한 연결로 확증되는 위치). 이

러한 말 양식 가설의 강한 주장을 위해서는 어떠한 증거가 있는가?

우리는 세 가지 실험 패러다임으로부터의 증거인 양분 듣기, 범주적 지각 그리고

이중지각에 해 선택적으로 다루게 될 것이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처음 두 가지는

량생산적인 시골 제조공장의 시 에 처음에는 정상 성인들과의 연구로, 그러고 나

서는 아기, 말과 언어장애를 가지는 듣는 이, 제2언어학습자와 같은 특수한 사람들

의 말지각에 관한 연구로 적응하면서 이뤄졌다.

양분 듣기

Doreen Kimura(1961)는 듣는 이의 헤드폰을 통해 왼쪽과 오른쪽 귀에 동시에 경쟁적

인 청각자극을 처음으로 제시한 사람 가운데 하나이다. 물론 듣는 이에게는 두 가지

자극을 확인하도록 요청하 다. 비록 이러한 기법을 그녀가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아

니었지만(Broadbent, 1956은 몇 년 더 일찍 주의기제 연구에서 그것을 이용하고 있었

다), 그녀는 오른쪽 귀에 제시되는 숫자들을 듣고 지각할 때, 작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우세를 발견한 첫 연구자 다. 그녀는 이러한 오른쪽 귀 우세를 뇌피질의 좌반

구 지배로 불리는 말 언어처리의 국재화에 원인을 돌렸다. 오른쪽 귀 우세는 말소리에

서만 발견되었다. 말이 아닌 소리에서는 오른손잡이의 부분에게서 이러한 귀가 우

세 나타나지 않았고, 어떤 소리에 해서는 약간의 왼쪽 귀 우세가 나타났다.

Haskins Laboratoris의 연구자들과 이후 많은 다른 연구자들은 말지각에 관해 ‘말이

특수하다’는 경향을 미리 만들어 주었고, 패턴 재생5) 말소리 합성기를 사용하면서 합

성된 말소리의 지각과 관련한 많은 연구를 수행하 다. 그들은 어떤 말소리들은 다른

소리들보다 더 강한 오른쪽 귀 우세 경향성을 지속적으로 보여 준다는 것을 발견하

다.

여러 다른 음성군phonetic class의 말소리에 한 오른쪽 귀 우세의 상 적 강점에

5) 패턴 플레이백 말소리 합성기에 관한 웹 접근은, Phillip Rubin, Haskins Laboratories의 허락하에

http://www.cambridge.org/9780521791908에 제시하 다.

Page 6: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140 제2부 말지각과 청각처리

지속적인 귀 우세가 없음 약한 오른쪽 귀 우세 강한 오른쪽 귀 우세

모음 유음([l], [r])

활음([j], [w])

마찰음

정지 자음

표 6.1 양분 듣기에서 오른쪽 귀 우세 경향성

그림 6.1 패턴 재생 합성기에 의해 산출된 정지 자음 + 모음 음절

한 발견은 범주적 지각연구를 위해 고안된 관련 없는 실험 패러다임으로부터의 독립

적인 발견들과 면 하게 한데 모아졌다. 왜 정지 자음은 다른 말소리들보다 더 강한

오른쪽 귀 우세를 이끌어 내는가? 모음은 귀 우세 현상을 보이지 않는가?

그림 6.1에 제시한 이 실험에 사용된 전형적인 평가자극 검사가 그 이유를 보여 준

다. 패턴 재생 합성기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CV(정지 자음+모음) 음절들이 있다.

정지 자음stop consonants의 조음위치(그것이 [b], [d] 또는 [g] 인지에 따라)에 한 정

보는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포르만트 변이forman transitions에 수반된다. 포르만트 변이는

3000240018001200600

0

3000240018001200600

0

3000240018001200600

0

빈도

(cps)

Page 7: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141제6장 말지각:패러다임과 발견

뒤따라오는 모음에 가까운 위치로 조음기관articulators이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성도

공명을 나타낸다. 그런 다음 모음 [i], [a] 또는 [u]를 위한 안정적 상태의 포르만트 표적

이 뒤따른다. 각 모음은 포르만트 주파수의 특징적 패턴을 갖는다는 것에 주목하자.

포르만트 주파수는 모음이 다른 자극과 교차하는 경우 안정적이다. 하지만 모음에

한 포르만트 변이는 특별한 정지 자음을 확인하기 위해 제공되는데,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다양하다. 다른 단어들에서 자음의 음향단서는 맥락에 따라 다양하지만, 모음단

서는 맥락에 한정된다. 맥락 의존적인 음향단서들은 맥락에 따라 다양하지 않은 단서

보다 청각체계의 처리가 보다 어려울 것이다. 지각체계는 맥락에 따라 다양한 단서를

사용하기 위해 맥락으로부터 떨어져 추상적이 되도록 요구될 것이다. 특수한 신경-지

각기제가 이러한 과업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청각 신경생리 실험들에 고무되어, 다양한 종들의 청각피질 내 개별 뉴런으로부터

의 미세 전극 기록을 포함해, 어떤 말소리 연구자들은 말소리재인에 전문화된 신경기

제가 음성자질 탐지기 형식을 만들어 낼 수도 있음을 제안하 다(Eimas and Corbit,

1973). 즉, 감각탐지 뉴런들이 말소리 신호로부터 음성자질을 추출하는 데 이용된다.

확실한 이유가 있으므로, 음성자질 탐지기 연구에서 작은 전극을 가지고 인간 뇌를

검사probing하도록 제안하는 사람은 없다. 물론 식용개구리의 청각피질은 고도로 선택

적 반응을 방출하는 뉴런들 때문에 값비싸게 조사되고 있다. 그 선택적 반응은 ‘적절

한 재료’6)를 가진 다른 식용개구리의 짝짓기 신호에 한 것이다.

Eimas와 다른 연구자들은 아의 말소리 지각 실험을 통해 음성자질 탐지기에 한

간접 증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 다. 바로 양분 듣기 패러다임에서 가장 강력한

오른쪽 귀 효과를 전형적으로 보여 준 음성자질들(조음의 위치, 또는 정지 자음에서

유성음 판별)을 범주적 지각과 관련짓는 것이다. 우리는 다음 부분에서 이러한 증거를

다룰 것이다.

6) 여기서 조심스러워야 한다. 개구리의 뇌에서 특정 뉴런들이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소리에 해 고도로 선

택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우리가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 소리를 특징화하는 신호특성 탐지가 그

러한 세포들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것들이 지각기제의 부분으로 보이지만(말하자면, 어

떤 부수적인 각성기제는 아니지만), 감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그것들의 정확한 역할은 명세화되어 남게

될 것이다. 수컷 개구리의 울음탐지로부터 인간 언어의 음성자질 탐지기로 유사성을 확장시키는 것은 추

론의 더 깊은 사색적인 도약과 관련된다.

Page 8: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142 제2부 말지각과 청각처리

범주적 지각

범주적 지각은 아주 오래된 연구 역사를 지닌 하나의 현상이다. 또한 한때는 특정 음

성자질의 탐지와 인간의 말소리 지각에만 유일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범주적 지각

(Lane, 1965; Liberman et al., 1967)을 둘러싼 논쟁은 초기 연구로 돌아간다. 초기 연구

는 모음이 항상 범주적으로 취급되지 않는 반면, 정지 자음은 범주적이며, 다른 말소

리군은 그 매개 역할로 다뤄진다는 것이었다. 이 논쟁은 이후 의심스러워하던 사람들

의 편에서 해결되었다. 범주적 지각은 말소리 지각에 유일한 것은 아니며, 상재인을

목표로 범주적 지각이 감각 연속체에 부과되는 특정 조건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지

각현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범주적 지각은 지각학습의 진단적 가치 때문에 중요한 흥미를

남긴다. 범주적 지각은 분리되는 지각 상을 구별하는 범주적 경계에서 감각 연속체

의 조를 보다 정확하게 지각하기 위한 경향성으로 략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모

음 포르만트 공간에는 어 말하는 이에게 /ε/(bed)가 /æ/(bad)에서 그 실체가 변화되

는 전이구간이 있다. 비슷하게, /p/가 /b/로 갑자기 실체를 변경하는 장소에서 음성개

시 시간voice onset time(VOT) 지점이 있다(또는 보다 친숙한 예를 사용한다면, 색지각

역이 있다. 점차 초록 색상이 변화하면서 어떤 지점에서 ‘파랑’이 되는 것을 상상해

보자). 당신이 파랑과 초록의 색 스펙트럼 역 내에서 두 가지 색을 변별하는 것보다

는 파랑-초록 경계에서 더 정확하게 변별할 수 있음을 가정해 보자. 이것은 범주적

색 지각을 향한 하나의 경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우리는 범주적 지각이 말 또는 어떤 다른 지각 역에 특수한 특성인지를 평

가하는 목적보다는 그것을 보다 정확하게 정의하고자 한다. 범주적 지각은 같은 자극

을 확인하는 능력과 관련하여, 자극을 구별하는 능력이라는 용어로 조작적으로 정의

될 수 있다. 명목tokens을 구별하는 우리의 능력은 그것들을 분류하는(범주적으로 위

치시키기) 능력보다 더 나은 것이 없는데, 우리는 순수한 범주적 지각의 사례를 갖고

있다. 웹 접근에서 범주적 지각과 비범주적 지각 사이의 구별을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http://www.cambridge.org/9780521791908의 오래된 패턴 재생 말소리 합성기

에서 생성되는 일련의 정지 자음을 들어 보는 것이다.

그 일련의 말소리들을 들으면서, 그것이 [ba]와 같은 정지소리로부터 [da]에서 [ga]에

까지 이어진다는 것에 동의할 수 있는가? ‘b’, ‘d’ 또는 ‘g’와 같은 각각의 자극을 확인

Page 9: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143제6장 말지각:패러다임과 발견

하도록 이러한 자극의 연속체continuum에서 그 소리들이 한 번에 제시된다고 상상해

보자. b-d-g 연속체를 따라 각 지점에 한 당신의 자극확인 점수가 있고, 연속체의

각 지점에 /b/ /d/ 그리고 /g/의 비율을 보여 주면서 그래프에 점으로 나타나 있다는

것을 가정해 보자. 그 결과는 그림 6.2에 나타난 것과 같은 확인기능이다.

이러한 연속체에서 자극 간의 짝을 변별하도록 당신이 요청받았다고 가정해 보자.

변별해야 할 자극은 (1)부터 (9)까지이며 아마도 너무 쉬울 것이다. (1∼2, 2∼3, 3∼4,

… 8∼9)의 또 다른 연속체에 적응하는 자극쌍을 변별할 수 있다면 가장 어려운 경우

일 것이다. 연속체에서 단일-단계 조 각각의 기능으로써 당신의 성공비율을 계획하

고, 이러한 짝 변별을 여러 번 반복해서 제시한다고 가정해 보자. 우리는 그림 6.2에

제시된, 변별기능으로 알려진 그래프를 얻게 된다. 이 그래프에서 한 가지 흥미로운

자질은 연속체의 특정 지점에서 이뤄지는 변별이 다른 지점들보다 더 잘 눈에 띈다는

그림 6.2 세 명의 듣는 이를 위한 /b-d-g/ 변별과 확인기능

변별

-6 0 +8HC

100

0

-6 0 +8PG

100

0

-6 0 +8DL

100

0

확인

-6 0 +8HC

100

0

-6 0 +8PG

100

0

-6 0 +8DL

100

0

/b//d/ /g/

Page 10: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144 제2부 말지각과 청각처리

것이다. 변별이 가장 잘 이뤄지는 연속체의 위치는 확인기능을 위한 지점들과 정확하

게 일치한다. 달리 말하면, 변별은 범주경계에서 최선의 방법이다(/b-d/와 /d-g/ 사

이의).

범주경계에 한 변별민감성의 ‘첨예화sharpening’는 범주적 지각을 향한 경향성을

만들어 낸다. 하지만 엄격한 범주적 지각이라면 그것은 범주경계에 떨어지는 자극 사

이를 우리가 변별할 수 있는 사례여야만 한다. 그림 6.2에 묘사된 정지 자음에서는

엄격한 범주적 지각이 적용되고 있다. 왜냐하면 음소경계 내within 떨어지는 한 단계

변별에서 우연수준으로 수행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더 초기의 이론적 분쟁에서 범주적 지각을 향한 단순한 경향성과 엄격한 범주적 지

각 사이 구분의 중요성은 더 중 하게 느껴진다. 그때는 범주적 지각이 말소리 청취

양식에 유일한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음성 조에 있는 한정된 소리군으로 제한했다.

모음은 범주적 지각을 향한 단지 약간의 경향성만 있는 것으로 전형적으로 다뤄진다.

정지 자음에서 음운 조는 엄격한 범주적 지각을 위한 준거와 전형적으로 만난다.

그리고 공명자음과 마찰음은 그 사이에 분포되어 있다. 결과적으로는 앞서 보고된, 양

분청취에서 오른쪽 귀 우세의 강점에 한 발견과 병렬적이다. 따라서 특정 음운 조

의 범주적 지각은 전문화된 말소리 처리 적정성에 한 독립된 확증을 제공하는 것으

로 보인다.

말소리 청취 양식 가설의 강한 주장의 사례는 Eimas 등(1971)이 1개월 된 아기의

정지 자음의 유성음 조에서 범주적 지각을 보고했을 때 더욱 확실해졌다. 그 사례에

서는 비 양 빨기 패러다임으로 알려진, 새로운 자극 탐지를 위한 행동주의적 검사를

사용하 다. 하나의 ‘별다름odd-ball’ 기법:아기는 고무젖꼭지를 빨며 동일한 말소리

연결(예:[ta ta ta ta…])에 습관화된다. 그러고 나서 하나의 다른 말소리 연결에 무선

적으로 소개된다(예:[ta ta ta da ta…]). 아기의 빨기 비율이 다른 말소리 제시 후 순간

적으로 증가하면, 새로운 자극으로 탐지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Eimas 등은 성인언

어에서 초성 정지 자음의 유성음 조에 한 강력한 단서로 알려진 음성개시 시간을

다루었다. Eimas 등은 아가 음성개시 시간 조를 탐지해 낼 수 있음을 발견하 으

며, 습관화된 자극과 별다른 말소리 사이의 음성개시 시간 차이는 음성개시 시간 연속

체의 결정적 지점에 걸친다는 것을 발견하 다.

Eimas 등의 고유의 발견에 한 강력한 선천성으로서의 해석은 뒤따르는 연구에 의

Page 11: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 2014-07-22 · 말지각:패러다임과발견 제6장 들어가기 이제까지 우리는 말지각에 대한 약간의 시험적인 결론을

145제6장 말지각:패러다임과 발견

해 여러 가지 이유로 침식당했다. Kuhl과 Miller(1975)는 친칠라와 다른 유인원의 음성

개시 시간 지각에서 범주적 경향성을 발견하 다. 그들에게서 음성자질 탐지기phonetic

feature detectors는 분명 의사소통적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발견이 ‘유성음화’

의 선천적인 음성자질 탐지기 가설을 확실하게 바람에 날려 버린 반면, 또 다른 난제

를 야기시켰다. 어와 다른 언어들이(Lisker and Abramson 1964, 1971) 정지 자음들

사이의 음소적 유성음 조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과, 음성개시 시간 청각 연속체의

역에서 친칠라가 강력한 변별적 민감성을 보여 주는 것이 완전히 동일한가? 인류가

특정 음소 조를 강화하기 위한 어떤 특수한 신경기제를 진화시켜 왔다는 주장을 하

기보다는, 일반적으로 포유동물의 청각체계에 공통적인 청각 조의 시간적 차원에

존재하는 자연적인 비연속성을 언어가 간단히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

더욱 이해할 만하다. 감각 연속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비선형성non-linearity의 장

점을 다루는 사례가 그것이다.

‘말이 특수적이다’라는 가설을 보다 격하시키는 것은 범주적 지각(적어도 범주적 경

향성)이 말소리보다는, 현악기를 뜯거나 활을 켤 때 나오는 선율 조와 같은 청지각

조를 통해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사실 Beale과 Keil(1993)은 ‘형태화morphing’로 알려

진 그래픽 왜곡기법을 사용하여, 얼굴재인의 범주적 경향성을 보여 주었으며, 복잡한

시각적 연속체들로 구조화하 다. 그림 6.3에 제시한 것처럼, 얼굴재인에서 확인되는

얼굴은 상당히 친숙하다.

그림 6.3 ‘Clinton-Kennedy’ 연속을 만들기 위한 시각적 이미지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