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116

Upload: others

Post on 04-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Page 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1. 일반사항

Contents

제2장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2-1. 리모델링/신축 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2-2. 화장실 위치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2-3. 공사비책정 가이드라인

2-4. 실내설비 및 마감재 가이드라인

2-5. 정화조설치 가이드라인

2-6. 경사로/난간치수 가이드라인

2-7. 안전

2-8. 유지관리 가이드라인

2-9. 사회적 여건을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1장 일반사항

1-1. 서울시 공원화장실 개선사업

1-2. 연구목적 및 범위

1-3. 대상지 선정

1-4. 디자인 기본전략

제3장 단위공간계획

3-1. 관련법률 및 세부치수 검토

3-2. 적정치수 제안

3-3. 평형별 대/소변기개수 검토 및 제안

3-4. 남자화장실 평형별 단위공간

3-5. 여자화장실 평형별 단위공간

3-6. 평형별 단위공간 비교

06

07

08

09

12

12

12

13

14

14

15

15

16

20

22

24

24

26

27

Page 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3

제5장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5-1. 평지형 화장실디자인

5-2. 산지형 화장실디자인

5-3. 설계세부지침

제6장 디자인 활용방안

6-1. 단위공간을 활용한 설계 프로세스

6-2. 배치에 따른 VARIATION

6-3. 외장재료 및 색을 통한 VARIATION

6-4. 안내표시 계획

제4장 디자인개념

4-1. 대지분석

4-2. 배치개념

4-3. 입면개념

* 부록

첨부1 : 화장실 우수사례

첨부2 : 서울디자인위원회 운영개요 및 자문

첨부3 : 디자인심의 사례

첨부4 : 화장실 유지관리방안

* 참고문헌

30

31

32

37

49

62

71

72

76

78

86

88

98

108

Page 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1. 일반사항

Page 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5

제1장 일반사항

1-1. 서울시 공원화장실 개선사업

1) 현황 및 문제점

1-2. 연구범위 및 목적

1) 연구목적

2) 적용범위

1-3. 대상지선정

1-4. 디자인 기본전략

1) 디자인방향

2) 디자인목표

Page 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1. 일반사항

구 분 2011 2012 2013 2014

개소수 31 EA 32 EA 32 EA 32 EA

소요예산 74 억 76 억 76 억 76 억

제1장 일반사항

1-1. 서울시 공원화장실 개선사업

1) 현황 및 문제점

(1) 현황

▸노후 화장실 중장기 개선계획(푸른 도시국)에 따라 최근 공원, 산, 하천 변에 공중화장실 개 선공사

가 증가하고 있음

▸서울시, 자치구 공원화장실 총 721개 중 214개를 연차별로 개선

▸1단계사업 (2010년까지) : 87개소, 소요예산 203억

구 분 2008 2009 2010

개소수 14 EA 35 EA 38 EA

소요예산 28 억 84 억 91 억

▸2단계사업 (2014년까지) : 127개소, 소요예산 302억

※ 규모 : 66㎡기준, 3.3㎡ 당 1,200만원 으로 예산 측정됨

화장실 1개소당 약1.5억 ~ 2억

(2) 문제점

▸장소에 맞지 않는 과도한 디자인

주변 경관과 이질적인 형태, 기능을 무시한 형태 위주의 계획

화장실은 기능적인 시설로서, 시설 자체가 부각되지 않아야 함

공원, 하천변 등에 설치되는 공중화장실은 주변 경관과 사람, 수목이 주가 되는 디자인 필요

▸공간계획 불합리

변기간 공간이 좁아 사용 불편

세면기와 출입구 사이 공간부족으로 입구 혼잡발생

장애인 화장실 이동동선 복잡

Page 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7

▸창호계획 불합리

변기 주변 커다란 창호 설치로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 유발

<공간계획 불합리> <창호계획 불합리>

▸유지관리 고려 미흡

홑문 설치로 겨울철 동파에 대한 대비책 미비

둥근 창호 등 장식적인 형태의 유리창호는 파손시 교체 비용과 시간 증대

▸관련법 미준수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 변기수량 (남: 소변기2, 대변기 3, 여: 대변기 5)

장애인 화장실 설치기준

: 신축의 경우 최소폭 1.4m x 1.8m

▸주변과 조화되지 못한 외장재료

알루미늄 판넬, FRP, 드라이비트, 과도한 유리구조는 주변 수목 등이 많은 공원내 화장실 외장재료

로는 부적합

환경친화적인 외장 마감 검토.(벽돌, 목재 등)

1-2. 연구목적 및 범위

1) 연구목적서울시의 노후화장실 중장기 개선계획에 따라 최근 공원, 산, 하천 변에 공공화장실 개선사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설계 수준은 아직 시민들의 눈높이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제한된 예산

과 규정에 적합한 공공화장실 설계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함

또한 현 공공화장실의 과도한 디자인 및 직설적인 표현을 극복하고 공공시설물로서 일관성 있는 이미지와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디자인개발을 목표로 함

2) 적용범위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자인가이드라인의 적용범위는 공중화장실 중 공원내 공공화장실을 그 대상으로 함

※ 공중화장실과 공공화장실 정의

(1) "공중화장실"이라 함은 공중의 이용에 제공하기 위하여 국가·지방자치단체·법인 또는

개인이 설치하는 화장실을 말한다.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정의)]

(2) "공공화장실"이라 함은 공중의 이용에 제공하기 위하여 공원과 같은 공공장소에 국가·지방

자치단체와 같은 공공기관이 설치운영하는 화장실을 말한다. 그러므로 공공화장실은 공중

화장실의 다양한 운영주체 중 공공기관에 의해 설치운영되는 화장실을 분류/정의하기위한

용어임

Page 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1. 일반사항

사업명 대지의 형태 위치 면적

사직근린공원 평지 공원 출입구부 50평

북한산 도시자연공원 산지형 산책로 변 15평

효창근린공원 평지 출입구 변 10평

응봉근린공원 평지 공원 주위 15.16평

용마산 도시자연공원 (긴골지구) 산지 등산로 변 20평

용마산 도시자연공원 (중곡지구) 평지 주차장 변 20평

봉화산 근린공원 평지 중앙광장 변 30평

용마도시자연공원 (용마폭포공원) 평지 주차장 변 40평

오동근린공원 평지 산책로 변 16.67평

개운산 근린공원 산지 산책로 변 20평

모랫말 근린공원 평지 공원 주위 10평

수락산 도시자연공원 (동막골 주차장) 평지 주자장 변 15평

궁동 근린공원 평지(경사지) 근린공원 입구 12.72평

백련 근린공원 평지(경사지) 공원 내 산책로 변 12.12평

계남 근린공원 평지 등산로 입구 30평

개웅산 근린공원 산지 근린공원 입구 30평

관악산 도시자연공원 (광장화장실) 평지 관악산등산로 입구 50평

관악산 도시자연공원 (낙성대지구) 평지 낙성대 사당입구 25평

오금근린공원 (테니스장) 평지 테니스장 입구 15평

오금근린공원 (인라인경기장) 평지 인라인장 입구 15평

일자산 도시자연공원 산지 등산로 입구 13.31평

동명 근린공원 평지 운동장 주위 30평

샛마을 근린공원 평지 공원 내 도로변 30평

1-3. 대상지선정

서울시가 공원화장실 개선사업으로 선정한 총 23개 대상지를 분석해보면, 공원의 종류와 상관없이 대

지의 형태가 산지형, 평지형으로 구분되어지므로 산지형 2개소(일자산도시자연공원, 개웅산근린공원),

평지형 2개소(오금근린공원, 동명근린공원)를 선정하여 공원입지조건에 적합한 디자인안을 제시하고자 함

Page 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9

1-4. 디자인 기본전략

1) 디자인방향

(1) 공원 이용자 중심의 정비

▸접근이 용이한 화장실을 설계할 것

▸수요를 고려한 화장실 및 변기를 확충할 것

(2) 쾌적하고 편안한 화장실 조성

▸복지형 화장실을 추구할 것

▸고품질의 위생공간을 확보할 것

(3) 공원별 특성에 적합한 화장실 시설 도입

▸공원부지에 적합한 외부디자인 및 위치를 선정할 것

(4) 여성 및 유아를 고려한 화장실 조성

▸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것

(5) 장애인화장실 시설 확충

▸남/여장애인화장실을 분리 설치할 것

▸가족화장실로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할 것

(6) 효율적인 유지관리

▸관리인 교육을 통한 효율적 유지관리 방안을 모색할 것

▸이용자가 지켜야할 에티켓을 화장실내부에 표기할 것

2) 디자인목표

(1) 합리성(Rationality) (2) 일관성(Consistency) (3) 순응성(Adaptability) (4) 유연성(Flexibility)

▸공공화장실의 합리적 기능 ▸공공시설물로서 일관된 이미지 ▸주변 경관과의 외형적 조화 ▸부지 상황에 유연한 디자인

(편리성, 쾌적성)

Page 1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1. 일반사항

Page 1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1

제 2장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2-1. 리모델링/신축 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2-2. 화장실 위치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1) 가시성

2) 접근성

3) 인접성

2-3. 공사비책정 가이드라인

2-4. 실내설비 및 마감재 가이드라인

1) 일반사항

2) 환기설비

3) 변기

4) 세면대

2-5. 정화조설치 가이드라인

2-6. 경사로/난간치수 가이드라인

1) 손잡이

2) 유효폭

3) 기울기

2-7. 안전

2-8. 유지관리 가이드라인

1) 일상청소

2) 정기청소

3) 전문관리

2-9. 사회적 여건을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Page 1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2.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제2장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2-1. 리모델링/신축 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1) 적정변기수 확보여부

2) 적정면적(남/여화장실/관리실) 확보여부

3) 적정설비기능(급수/배수/오수) 작동여부

4) 화장실 사용 및 접근성 용이여부

※ 상기사항이 가능할 경우 리모델링을 권장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신축을 권장함

2-2. 화장실 위치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1) 가시성

(1) 화장실 위치는 쉽게 발견되고 쉽게 드나들 수 있는 곳에 선정할 것

(2) 위치 선정 시 이용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할 것

(3) 교통량이 많고 보행자가 많은 곳에 설치할 것

(4) 행사나 야외활동이 잦은 곳에 설치할 것

(5) 사방에서 식별이 가능한 곳에 설치할 것

2) 접근성

(1)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의 접근이 쉬운 곳에 설치할 것

(2) 부지훼손이 크게 예상되는 경우, 예상되는 이용수요 및 규모 등을 사전 조사하여 부지 상황

에 맞도록 화장실을 분리 설치할 것

(3) 화장실 지중화 방안도 검토할 것

3) 인접성

(1) 주차시설과 최대한 가까운 곳에 설치할 것

(2) 주변 편의시설과 연계 가능한 위치에 설치할 것

2-3. 공사비책정 가이드라인

1) 공사비 책정 시 디자인안을 반영하기 위한 설계비를 반영할 것

2) 공사비 책정 시 설계비 및 지형에 따른 토목공사비를 구분하여 반영할 것

3) 전기배선/배관인입/정화조설치비용 또한 설계비와 구분하여 반영할 것

4) 산지형 화장실은 평지형 화장실보다 비용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비 책정 시 이를 고려할 것

5) 충분한 공사비를 확보하여 시공의 질을 높일 것

Page 1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3

2-4. 실내설비 및 마감재 가이드라인

1) 일반사항

아름다운 화장실을 만들기 위해서는 좋은 디자인과 기능에 적합한 설비/마감재의 선택 및 시공이 중요

함으로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공사비를 먼저 확보해야 한다.

(1) 이용자의 쾌적성을 고려한 점검사항

▸실내온도 : 동파방지 및 냉/난방을 위한 설비시설 확충

▸실내악취 : 하수도와 정화조의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방지장치 및 환기 시설 확충

▸급수 : 쾌적한 화장실 사용을 위한 수질, 수압, 급탕, 급수방식 고려

(2) 사용자 편리성을 고려한 점검사항

▸내벽 : 프라이버시 보장을 위한 재료 선택

▸바닥 : 미끄럼방지를 위한 재료 선택. / 배수를 위한 경사 고려

▸칸막이 : 화장실 칸에 넓고 밝은 느낌을 줄 수 있는 재료 선택

▸문 : 프라이버시를 위한 사인기능 고려

(3) 실내 미관을 고려한 점검사항

▸색 : 화장실 내부에 밝은 느낌을 줄 수 있는 도색 고려. / 빛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색타일 선택

▸조명 : 태양광에 가까운 자연스런 조명을 고려

▸천창 : 자연 채광창 적극 설치 권장

2) 환기설비

(1)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은 이용인원이 많기 때문에 자연 통풍만으로는 원활한 악취 배출이 곤

란하므로 강제 환기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2) 화장실안은 칸막이가 많아 공기흐름이 용이하지 않고 배변 냄새가 확산될 수 있으므로 배기

(흡입)구는 냄새가 발생되는 장소인 대변실과 소변실에 설치하며 배기량의 70% 이상을 대

변실에 할당할 것

(3) 벽면 또는 창문에 구멍을 내어 환기팬을 설치할 경우에는 소형 팬으로 여러 개 설치하여

악취 배출의 효율성을 높이고 겨울철에 기온이 낮을 때 동파방지를 위한 배기량 하향 조절

이 용이하도록 할 것

※ 옆 창문에 1개의 팬 설치금지

(4) 적정 환기량

▸이용 인원이 적은 곳 : 화장실 용적의 5~10배/시간

▸이용 인원이 많은 곳 : 화장실 용적의 10~15배/시간

(5) 충분히 환기가 되는 상태에서 향기 발생장치를 가동할 것

3) 변기

(1) 서양식 변기를 설치하는 것이 화장실 청소 또는 악취 관리에 좋으나, 여성들의 60% 정도는

소변볼 때 동양식 변기(쪼그려 앉는 것)를 선호하므로 변기 5개마다 1개 정도는 동양식으로

하고 화장실문 바깥쪽에 변기유형을 표시하는 것을 권장함

(2) 소변기에 요석이 발생하기 쉬우며 요석은 악취발생의 원인을 제공하므로 소변기 세척수가

자동으로 분사되는 것을 권장함

Page 1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2.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3) 절수를 위해 절수형 대변기 수세밸브와 대/소변을 구분하여 작동시키는 절수형 제품을 사용

할 것

(4) 소변기의 경우 다수인의 사용으로 인한 불결한 느낌과 비접촉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

도록 전자감지식으로 작동되는 자동소변기를 권장함

4) 세면대

(1) 세면대에 떨어진 물을 세면기 안으로 쉽게 쓸어 넣을 수 있도록 세면대와 세면기 사이의 턱

을 없앨 것

(2) 세면대 수도꼭지는 이용자를 배려하기 위하여 냉/온수 원터치형 사용을 권장함

(3) 세면대 주변에 물건을 놓을 수 있는 선반을 설치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것

2-5. 정화조설치 가이드라인

1) 정화조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장실 바로 아랫 부분에 정화조를 설치하는

것을 피하고, 부득이한 사유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악취가 화장실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봉하고 정화조

뚜껑은 외부에 설치할 것

2) 정화조 오수 배출구는 반드시 오수 관로에 연결하고 화장실 인근에 합류식 오수관로의 맨홀을 설치

하는 경우에는 악취 방지용 빗물받이를 설치할 것

3) 정화조 가스 배출구는 악취의 원활한 확산을 위하여 화장실 지붕상단 보다 높게 설치할 것을 권장함

4) 공사비 책정 시 정화조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예산을 반영할 것

2-6. 경사로/난간치수 가이드라인

경사로는 훨체어가 보도의 높이차를 극복하기에 매우 좋은 대안이다. 따라서 휠체어에 적합한 구조를

가져야한다.

1) 손잡이

(1) 경사로 길이가 180㎝ 이상 또는 높이 150㎝ 이상인 경우에는 양측면에 연속된 손잡이를 설

치할 것

(2) 경사로의 시작과 끝부분에는 30㎝이상의 수평손잡이를 설치할 것

(3) 손잡이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85㎝±5㎝ 이내로 하고, 손잡이의 지름은 3.2㎝~3.8㎝ 이

내로 한다.(손잡이 지름은 5.8㎝이상을 권장함)

2) 유효폭

(1) 계단과 병행 설치된 경사로는 통과 유효폭을 90㎝이상으로 설치할 것

(2) 계단등 또다른 이동로가 없는 경우에는 최소유효폭을 120㎝이상으로 설치할 것

(3) 시작과 끝지점, 방향전환지점은 150㎝이상의 활동공간을 확보할 것

Page 1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5

3) 기울기

(1) 경사로 기울기는 1/12이하를 원칙으로 할 것

(2) 신축이 아닌 기존시설에 설치된 경사로는 1/8까지 완화할 수 있음

(3) 높이 1m이하인 경사로는 1/8까지 완화할 수 있음

(4) 시설관리자 등으로부터 상시 보조서비스가 제공된 곳은 1/8까지 완화할 수 있음

2-7. 안전

1) 안전을 위해 화장실 출입 통로에 CCTV설치를 권장함

2) 사생활보호를 위해 CCTV위치를 신중히 선택할 것

2) 남성과 여성이 서로 다른 출입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분리 설치할 것

3) 화장실바닥에 미끄럼 방지타일과 같은 바닥 재료를 사용할 것

4) 화장실에 필요한 안전장치를 설치하기위해 충분한 예산을 확보할 것

2-8. 유지관리 가이드라인

화장실의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화장실 성립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가 필요

하다. 즉, 화장실은 관리자, 설계자 그리고 유지관리 작업자 상호간의 정보교환 속에서 만들어지며, 이

용자의 편의를 계속 추구해가는 과정 속에서 유지관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지관리를 설계단계

부터 이용자의 불편함과 유지관리 작업자의 작업편의성까지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화장실 이용

에티켓 캠페인과 같은 활동을 통해 이용자의 매너향상에도 힘써야 한다.

1) 일상청소

일상청소는 당일 또는 전날에 발생한 지저분함 등에 대하여 작업자가 제일 먼저 대응하는 일반적인 청소

이다.

(1) 일반사항

▸화장실 이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저분함 등을 위한 청소이며, 원칙적으로는 매일 1회 이상 해야

하지만 산지형공원화장실과 같이 이용자가 많은 화장실이나 주말의 경우 청소횟수를 증가해야함

▸1주일에 1회는 변기를 중점적으로 청소하는 등 작업내용에 대한 지침을 마련해 둘 필요가 있음

▸청소가 끝나면 화장실 상태 및 훼손된 설비 등의 내용을 점검표에 기록하며, 관리자에게 보고해야함

※ 별첨참조: 일반작업자용 점검표(일상적 점검)

(2) 일상청소 내용

일상청소는 화장실의 재질이나 청소도구 등에 따라 작업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1> 작업준비를 하고 큰 쓰레기를 줍는다

<2> 세면기 및 주변벽을 청소한다

<3> 소변기 및 주변벽을 청소한다

<4> 대변기 부스를 청소한다

<5> 바닥청소를 한다

<6> 손잡이 선반, 비품을 닦는다

<7> 벽면, 파티션을 청소한다

<8> 건물의 외부를 청소한다

Page 1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2.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9> 소모품을 보충한다

<10> 청소를 확인, 점검한다

<11> 점검표를 작성한다

2) 정기청소

매일 여러 번에 걸쳐 일상청소를 잘하고 있어도, 서서히 쌓여가는 지저분이나 일상청소의 범위밖에 있는

높은 위치나 옥외주변의 지저분해짐 등에 대하여 주ㆍ월 단위 등으로 계획을 세워 정기적으로 행하는 청

소이다.

(1) 일반사항

▸정기청소를 통해 일상청소를 하더라도 오랜 시간에 걸쳐 쌓이는 지저분함, 또는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오염에 대하여 월단위 혹은 분기단위로 계획을 세워 정기적으로 청소 할 것

※ 별첨참조 : 관리담당자용 점검표(정기적 점검)

▸원칙적으로는 월 1회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화장실 이용현황, 청소구역 등을 고려하여 회수를 정

하며, 청소용구 및 작업매뉴얼을 정해놓고 실시하면 더 효과적임

▸약품을 사용하여 청소하며 일상청소에서 할 수 없는 트랩청소를 하거나 세면대의 물때를 제거

하는 일도 포함됨

(2) 정기청소 내용

▸화장실마다 지저분함이 제각각이므로 상황에 따라 정기청소 빈도의 조정이 필요하다.

※ 별첨참조 : 정기청소 시 체크사항

▸정기청소는 일반 일상청소 작업자가 담당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있음으로 아무리해도 제거되지

않는 지저분함 등은 전문 유지관리 담당자에게 의뢰를 하여 보완을 하여야 한다.

3) 전문관리

전문 관리는 설비의 구조, 건재의 재질, 약품 그리고 지저분해짐의 매카니즘 등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전문가(전문회사)가 지저분한 곳이나 악취 및 고장난 부분을 전문적으로 해결하는 유지관리이다. 이미 지

저분해짐의 정도가 심해진 화장실에서 전문 관리를 도입함으로 일상 및 정기청소의 작업효율을 높여 줄

수 있다.

(1) 일반사항

▸화장실 기기의 구조, 건재의 재질, 약품 등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전문가가 지저분한 곳이나 악취

및 고장부분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도록 할 것

▸원칙적으로 분기별로 1회 정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화장실 여건에 맞춰 계획을 세우면 되

며, 일상청소나 정기청소 시 발견된 설비나 건물의 고장부분에 대한 보수가 이뤄지며,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예산관리를 하는 것도 좋음

(2) 전문관리 내용

※ 별첨참조: 전문적인 유지관리의 항목

2-9. 사회적 여건을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화장실 디자인 시 기본적인 화장실 지침과 이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여 최근 사회적 여건을 반영

해야함

Page 1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7

1) 변기

양변기 설치를 원칙으로 하되 동양식변기는 자체실정에 맞게 검토할 것

2) 다목적 화장실

(1) 화장실 건축면적 확보가 가능하면 가급적 화장실 내 장애인화장실을 두는 것보다 입구에 장

애인과 가족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화장실을 설치할 것

(2) 다목적 화장실은 남/여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이용가능하도록 개별설치를 권장함

(3) 남/여 다목적 화장실 모두 유아용 시설(유아용 좌변기, 유아용 의자, 유아용 침대)을 설치할 것

(4) 변기 및 세면기에 장애인용 손잡이를 설치할 것

(5) 편의 시설(에어타월, 선반, 파우더코너)등을 구비할 것

(6) 접근이 용이하도록 턱을 제거할 것

(7) 휠체어 이용이 가능하도록 일정공간을 확보하고 이용 설비를 올바로 설치할 것

3) 남/여 변기수 비율

현행 법은 남여 변기수 비율을 1:1로 규정하고 있지만, 최근 사회적 추세는 점차 1:1.5 이상을 요구함

4) 파우더룸 등 여성배려공간

휴식공간겸용 파우더룸 설치할 것

5) 청소도구함

유지관리 용품 및 기타 청소도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청소도구함을 필수적으로 설치할 것

Page 1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2.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Page 1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9

제3장 단위공간계획

3-1. 관련법률 및 세부치수 검토

1) 관련법률 검토

3-2. 적정치수 제안

1) 대/소변기치수

2) 세면대치수

3) 다목적화장실치수

3-3. 평형별 대/소변기개수 검토 및 제안

1) 관련연구 검토

2) 대/소변기개수 제안

3-4. 남자화장실 평형별 단위공간

1) 대/소변기(직렬 배치형)

2) 대/소변기(병렬 배치형)

3-5. 여자화장실 평형별 단위공간

1) 대변기(병렬 배치형)

3-6. 평형별 단위공간 비교

Page 2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3. 단위공간계획

제3장 단위공간계획

3-1. 관련법률 및 세부치수 검토

1) 관련법률 검토

공공화장실 등의 설치기준 (제6조 제3항 및 제 6조의 2관련)참조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제 8조 편의시설의 구조/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

조 제1항 관련) 참조

(1) 대/소변기 치수

▸일반변기가 설치된 대변기 칸(내치수): 850mm(이상)x1150mm(이상), 양변기가 설치된 대변기 칸(내

치수): 850mm(이상)x1300mm(이상)

▸소변기 칸막이 치수: 750mm(이상)

▸어린이용 소변기: 벽걸이 소변기의 벽체 배수구 높이는 바닥 면에서 200mm(이상)~300mm(이하)

<재래식 변기 화장실 칸 치수> <양변기 화장실 칸 치수> <소변기 칸막이 치수>

(2) 어린이용 세면대 치수

▸바닥 면에서 세면대 상단까지의 높이가 600mm(이하)

(3) 장애인 화장실 치수

a. 일반사항

▸유효바닥면적:1400mm(이상)x1800mm(이상)

▸화장실의 0.3미터 전면에는 점형 블록을 설치하거나 시각장애인이 감지할 수 있도록 바닥재의 질

감 등을 달리하여야 한다.

▸화장실의 출입구(문)옆 벽면의 1.5미터 높이에는 남자용과 여자용을 구별할 수 있는 점자표 지판을

부착하여야 한다.

▸장애인복지시설은 시각장애인이 화장실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내표시와 함께

음성유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Page 2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21

b. 대/소변기 손잡이 치수 및 세면기 치수

c. 바닥재질 및 마감/비상호출장치/안내표시/보조의자/유아침대/기타설비 등에 관한 기준이 있음

Page 2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3. 단위공간계획

3-2. 적정치수 제안

1) 대/소변기치수

(1) 양변기 화장실 칸 치수 : 1000mmx1400mm

(2) 소변기 칸막이 치수 : 900mm

(3) 소변기 치수 : 450mmx440mmx1090mm(가로x세로x높이)

<양변기 화장실 칸 치수> <소변기 칸막이 치수>

<소변기 치수>

2) 세면대치수

(1) 유아용 세면대 : 공중화장실 등의 설치기준(제6조 제3항 및 제 6조의 2관련)을 따른다.

(2) 장애인용 세면대 : 편의시설의 구조/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 제1항 관련)을 따른다.

3) 다목적화장실치수

(1) 관련연구검토

▸아름다운 화장실 매뉴얼(2005)

: 다목적화장실 치수 : 2400mmx2700mm (대/소변기, 세면대, 기저귀 갈이대, 기저귀 갈이대용 선반,

유아보호용의자)

Page 2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23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2006)

: 장애인전용화장실 : 2400mmx2150mm (대변기, 세면대, 기저귀 갈이대)

(2) 제안치수

▸다목적화장실 유효바닥면적 : 2000mmx3000mm

▸포함시설 : 장애인 대변기/장애인 세면기/장애인 소변기/유아용 대변기/기저귀 갈이대/기저귀 갈이

대용 선반/유아보조의자/파우더코너

Page 2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3. 단위공간계획

3-3. 평형별 대/소변기개수 검토 및 제안

1) 관련연구 검토

(1) 관련연구검토

▸아름다운 화장실 매뉴얼(2005) : 10/15/20평형을 위한 남/여 변기 개수 제시

면적구분

변기 세면대

다목적화장실청소

도구함파우더룸 관리실 기타

남자변기 여자

변기

유아용대변기

유아보호용의자

유아용침대

남 여대 소 남 여 남 여 남 여장애인용대변기

장애인용세면기

장애인용소변기

유아용대변기

유아용 침대

유아보호용 의자

개수 면적

10평형 1 3 4 ․ ․ 1 1 ․ ․ 1 1 1 1 1 ․ 1 1 12400x2700

․ ․ ․15평형 2 4 6 ․ ․ 1 1 ․ ․ 2 2 1 1 1 ․ 1 1 1

2400x2700

․ ․ ․20평형 3 4 7 ․ ․ 1 1 ․ ․ 2 2 1 1 1 ․ 1 1 1

2400x2700

․ ․ 1

2) 대/소변기개수 제안

(1) 20평형

▸남자 7개(대변기 3개/소변기 4개)

▸여자 7개

(2) 30평형

▸남자 9개(대변기 3개/소변기 6개)

▸여자9개

* 최소 9개, 최대 11개

3-4. 남자화장실 평형별 단위공간

1) 대/소변기(직렬 배치형)

(1) 20평형

Page 2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25

(2) 30평형

2) 대/소변기(병렬 배치형)

(1) 20평형

(2) 30평형

Page 2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3. 단위공간계획

3-5. 여자화장실 평형별 단위공간

1) 대변기(병렬 배치형)

(1) 20평형

(2) 30평형

Page 2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27

3-6. 평형별 단위공간 비교

평형 20평형 30평형

단위공간 남화장실 여화장실 다목적실 관리실 남화장실 여화장실 다목적실 관리실

실수 1 12

1 1 12

1남 여 남 여

변기

대 37

2 2.

39

2 2.

소 4 1 0 6 1 0

면적㎡

(평)

31.94㎡

(9.67평)

40.82㎡

(12.36평)

8.028㎡

(2.43평)

(남녀 화장실면적에 포함됨.)

9.46㎡

(2.86평)

35.65㎡

(10.8평)

67.43㎡

(20.43평)

8.028㎡

(2.43평)

(남녀 화장실면적에 포함됨.)

9.46㎡

(2.86평)

면적합 82.22㎡ (24.91평) 112.54㎡ (34.10평)

비교

▸20평형 화장실의 단위공간 면적은 총 79.2㎡(24평) 이상이

되어야 함

▸시스템화 된 20평형 화장실은 내부공간이 매우 협소함 으로

설계자는 배치계획에서부터 이용자가 AMENITY- SPACE을

경험할 수 있도록 외부공간을 적극 활용해야 함

▸30평형 화장실의 단위공간면적은 총 112.2㎡(34평)이상이 되어야 함

▸20평형 보다 실내조경공간 및 파우더 공간을 추가로 계획 할 수

있음

Page 2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3. 단위공간계획

Page 2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29

제4장 디자인개념

4-1. 대지분석

1) 평지형 공원

2) 산지형 공원

4-2. 배치개념

1) 평지형 공원

2) 산지형 공원

4-3. 입면개념

1) 평지형 공원

2) 산지형 공원

Page 3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4. 디자인개념

제4장 디자인개념

4-1. 대지분석

1) 평지형 공원

2) 산지형 공원

(1) 비유연성(Inflexibility)

▸대지주변의 엄격성

: 대지 내부에 이용자를 위한 Amenity

- Space 필요

(2) 단일 경사(Single Level)

▸접근의 용이성

: 다양한 접근방법 필요

(1) 유연성(Flexibility)

▸대지주변으로의 확장 가능성

: 대지 내/외부에 이용자를 위한

Amenity공간 필요

(2) 다수 경사(Multiple Levels)

▸접근의 비용이성

: 경사로를 활용한 접근방법 필요

Page 3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31

4-2. 배치개념

1) 평지형 공원

(step_1) (step_2) (step_3) (step_4) (step_5)

▸Step_1 : 엄격한 대지

▸Step_2 : 기능적인 그리드체계 삽입

▸Step_3 : 그리드 사이에 Amenity생성을 위한 켜공간 삽입.(y축방향)

▸Step_4 : 적절한 공간프로그램 배치

▸Step_5 : 그리드 위에 생성된 Open-Space에 Amenity-Space 계획

2) 산지형 공원

(step_1) (step_2) (step_3) (step_4) (step_5)

(step_6) (step_7)

▸Step_1 : 엄격한 대지

▸Step_2 : 기능적인 그리드체계의 삽입 및 확장

▸Step_3 : 그리드 사이에 Amenity생성을 위한 켜공간 삽입(x축방향)

▸Step_4 : 적절한 공간프로그램 배치

▸Step_5 : Amenity 생성에 적합한 MASS의 이동

▸Step_6 : x축방향으로 건물지면 확장

▸Step_7 : 그리드 위에 생성된 Open-Space에 Amenity-Space 계획

Page 3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건물외벽, 지붕, 바닥의 시각적 일체화는

이용자가 공공화장실을 쉽게 인식 할 수

있도록 그 형태와 볼륨을 제공 함

▸건물외벽과 지붕을 지면에 확장/연결 시

킴으로써 화장실과 주변경관과의 시각적

조화를 추구함

▸미니멀하고 투명한 입면을 통해 자연경관

과 이용자 간의 시각적 소통을 추구 함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4. 디자인개념

4-3. 입면개념

1) 평지형 공원

2) 산지형 공원

Page 3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33

Page 3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Page 3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35

제5장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5-1. 평지형 화장실디자인

1) DESIGN CONCEPT

2) DESIGN TYPE ALT_1(근린공원형)

5-2. 산지형 화장실디자인

1) DESIGN CONCEPT

2) DESIGN TYPE ALT_1(산지공원형)

3) DESIGN TYPE ALT_2(산지공원형)

5-3. 설계세부지침

1) 외부계획

(1) 재료 및 색채계획

(2) 방수 및 지붕공사

(3) 각종 후레싱공사

(4) 장애인용 시설물 설치

(5) 난간공사

2) 실내계획

3) 전기 / 설비계획

(1) 설비계획

(2) 정화조계획

4) 기타계획

Page 3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Page 3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37

제5장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제시

5-1. 평지형 화장실디자인

1) DESIGN CONCEPT

- 평지형 화장실의 대지는 일반적으로 근린공원의 개방되어진 진입

광장 변이나 진입도로 주위에 그 대지를 갖게 되는 경우가 대부

분이다. 이러한 대지의 특성은 대개 평탄한 부지 상황을 제공하

여 계획 및 시공에 유리하기도 하나 자칫 이용자들의 프라이버시

가 노출될 가능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배치를 통해 외부

에서의 시선을 차단하는 한편 내부에 준 공공공간을 형성하여 위

요감을 갖도록 하며, 이러한 기능을 하는 중정공간을 조경 및 진

입공간으로 적극 활용한다.

- 기능적으로는 관리기능과 중정공간을 사이에 두고 남/여화장실을

분리 배치함으로써 이용자들 간의 프라이버시 욕구를 충족시키도

록 한다.

- 별동으로 계획된 남/여 화장실동을 종,횡 방향으로 연장하여 향후

증축 등에 대한 여지를 남기고, 이를 통해 20평형 및 30평형 화

장실 계획의 일관성을 확보한다.

Page 3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2) DESIGN TYPE ALT_1 (근린 공원형)

Design Type Alt_1 (근린공원형) 20평형

오금 근린공원

배치도 / Site Plan

Page 3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39

건축개요

연 면 적 : 82.22m2 (24.91py)

규 모 : 지상1층

구 조 : 철근 콘크리트조

주요시설

남자 화장실 : 다목적화장실, 세면기2조,

대변기 3조, 소변기 4조,

여자 화장실 : 다목적화장실, 세면기2조,

대변기 7조

파우더코너, 청소도구실.

다목적화장실 : 장애인용대변기/소변기

각 1조, 유아용변기1조,

장애자용세면기, 기저귀갈이대,

유아용의자 각1조

기 타 : 창고 / 기계실

Page 4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평면도 / 1st Floor lan

Page 4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41

부분 투시도 / Perspective

Page 4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2) 30평형(동명 근린공원)

건축개요

연 면 적 : 112.54m2 (34.10py)

규 모 : 지상1층

구 조 : 철근 콘크리트조

주요시설

남자 화장실 : 다목적화장실, 세면기 2조,

대변기 4조, 소변기 5조,

여자 화장실 : 다목적화장실, 세면기 4조,

대변기 9조, 소도구실,

파우더코너,

다목적화장실 : 장애인용대변기/소변기

각1조, 유아용변기 1조,

장애인용세면기, 기저귀

갈이대, 유아용의자 각1조

기 타 : 창고/기계실

Design Type Alt_1 (근린공원형) 30평형

동명 근린공원

배치도 / Site Plan

Page 4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43

현장사진 / Site Photo

Page 4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평면도 / 1st Floor lan

Page 4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45

좌측면도 / Side Elevation

정면도 / Front Elevation

Page 4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전경투시도 / Perspective

Page 4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47

Page 4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Page 4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49

5-2. 산지형 화장실디자인

1) DESIGN CONCEPT

- 산지형 화장실이 입지하는 대지는 주로 경사가 심하고, 대지

가 협소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대지상황에 맞게 경사

에 따라 높이를 변화시키며 배치하고 이들 사이를 램프 등으

로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환경 훼손을 최소화 한다.

- 또한 각 켜와 그 사이 공간을 따라 주위경관이 상호 관입하

게 하여 경관에 순응하는 건축물이 되도록 한다.

- 기본적인 계획의 방향은 중간 레벨에 관리영역을 배치하여 효

율적인 관리 및 안전을 기하며, 이 공간을 통해 남, 여 화장

실과 연계되도록 한다. 또 이 켜에는 중정 등 공공영역을 배

치하여 semi-private 공간으로 기능하게 하여 화장실만의 준

사적공간으로 조성한다.

- 별동으로 계획된 남/여 화장실동을 종 방향으로 연장하여 향

후 증축 등에 대한 여지를 남기고, 이를 통해 20평형 및 30

평형 화장실 계획의 일관성을 확보한다.

- 본 디자인안에서는 ALT_1의 2단 배치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기본 유닛을 이용하여 대지 상황에 따라 2.5 / 3단 등의 배

치방법에 대해서도 창의적으로 적용하도록 한다.

DESIGN TYPE ALT_1

DESIGN TYPE ALT_2

Page 5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2) DESIGN TYPE ALT_1(산지 공원형)

건축개요

연 면 적 : 80.44m2 (24.33py)

규모 및 구조 : 지상1층,철근콘크리트조.

주요시설

남자 화장실: 다목적화장실, 세면기3조,

대변기 3조, 소변기 4조,

여자 화장실: 다목적화장실, 세면기3조,

파우더코너, 청소도구실.

다목적화장실: 장애인용대변기/소변기 각1조,

유아용변기1조, 장애자용세면기,

기저귀 갈이대, 유아용의자각1조

배치도 / Site Plan

Design Type Alt_1 (산지공원형) 20평형

일자산 도시자연공원

Page 5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51

현장사진 / Site Photo

Page 5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평면도 / 1st Floor Plan

Page 5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53

여자화장실 내부투시도 / interior perspective

Page 5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위치도 / Site Condition

Design Type Alt_1 (산지공원형) 30평형

개웅산 도시자연공원

Page 5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55

건축개요

연 면 적 : 102.6m2 (31.04py)

규모 및 구조 : 지상1층 , 철근콘크리트조.

주요시설

남자 화장실 : 다목적화장실, 세면기3조

대변기 4조, 소변기 5조

여자 화장실 : 다목적화장실, 세면기5조

파우더코너, 청소도구실

다목적화장실 : 장애인용대변기/소변기 각 1조

유아용변기 1조, 장애자용 세면기

기저귀갈이대, 유아용의자 각 1조

Page 5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평면도 / 1st Floor Plan

단면도_1 / Section_1

Page 5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57

좌측면도 / Side Elevation

Page 5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정면도 / Front Elevation

Page 5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59

단면도_2 / Section_2

Page 6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3) DESIGN TYPE ALT_2 (산지 공원형)

TYPE Alt_2는 주위의 산세와 어우러질 수 있는 형태를 강조하여 보다 자연 친화적인 느낌을 살

릴 수 있는 타입으로, 기본 평면 유니트는 Alt_1과 같이 적용하였으며 외피형태와 재료 등을 구

별하여 각각의 켜가 주변의 지형 속으로 스며들게 구성하였고 주어진 대지의 상황에 따라 진입

의 위치를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Design Type Alt_2 (산지공원형) 30평형

개웅산 도시자연공원

Page 6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61

Page 6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5-3. 설계세부지침

1) 외부계획

(1) 재료 및 색채계획

▸본 디자인안에서는 alt_1의 2단 배치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기본 유닛을 이용하여 대지 상황에 따라

2.5 / 3단 등의 배치방법에 대해서도 창의적으로 적용하도록 한다. 재료의 선정은 재료 variation

을 참고하여 하되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추어 창의적인 디자인이 되도록 한다.

▸본 디자인안에서는 alt_1의 2단 배치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기본 유닛을 이용하여 대지 상황에 따라

2.5 / 3단 등의 배치방법에 대해서도 창의적으로 적용하도록 한다. 유리는 투명유리를 사용하도록

한다. 단 시각적 간섭 등이 염려되며 조망을 위한 창이 아닌 경우에는 유백색 유리나 백색 시트지

등을 사용하거나 유리블럭,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등 투시가 되지 않는 재료로 변경하는 것도 검토

한다.

Page 6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63

(2) 방수 및 지붕공사

▸본 디자인안에서는 alt_1의 2단 배치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기본 유닛을 이용하여 대지 상황에 따

라 2.5 / 3단 등의 배치방법에 대해서도 창의적으로 적용하도록 한다. 지붕 스라브의 디자인에 따

르기 위해서는 방수 및 보호층의 두께가 제한되기 때문에 구체 시공 시 구배 스라브 등으로 미리

경사를 주는 방안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본 디자인안에서는 alt_1의 2단 배치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기본 유닛을 이용하여 대지 상황에 따

라 2.5 / 3단 등의 배치방법에 대해서도 창의적으로 적용하도록 한다. 도포형 방수재를 시공할 경

우 마감 색상이 주변과 조화를 이루도록하며 콩자갈 등 자연재료로 마감하여 이질감이 들지 않도

록 한다.

▸본 디자인안에서는 alt_1의 2단 배치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기본 유닛을 이용하여 대지 상황에 따

라 2.5 / 3단 등의 배치방법에 대해서도 창의적으로 적용하도록 한다. 지붕 드레인은 충분히 설치

하며 공중화장실이 주로 위치하는 대지의 특성상 나뭇잎 등 이물질에 의한 막힘에 대해 대책을 마

련한다.

▸홈통은 되도록 내부에 감추어서 설계하고, 불가피하게 외부 노출형으로 설치 할 경우 재료 및 색

채의 조화를 고려하여 계획하도록 한다.

산지형 화장실 지붕 평면도

Page 6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3) 각종 후레싱공사

창호하부 및 지붕 방수부분 등에는 후레싱을 설치하여 벽면의 오염을 최소화하며 외벽 재료와

의 조화를 고려한 후레싱 재료를 선택하도록 한다.

우레싱 설치부 상세도

Page 6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65

(4) 난간공사

난간은 스테인레스 등 이질적인 재료의 사용을 지양하고 건물의 주 마감재료와 어울릴 수 있는 재

료 및 색상을 적용하며 내구성 등과 함께 법규 및 편의성을 맞추는 구조로 계획한다. 특히 노약자

및 장애자용을 위해 난간의 설치 위치를 충분히 고려하여 자주식과 벽면 부착식 등 설치방식을 결

정하여야 한다.

(5) 장애인용 시설물 설치

법규상 설치 되어야하는 장애인용 유도블럭, 점자표지판 및 손잡이 등의 계획을 설계 시부터 반영

하여 전체 건물과의 조화를 고려한 재료가 적용될 수 있게 한다.

난간설치 상세도

Page 6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5. 부지 및 평형별 디자인

2) 실내계획

▸이중문이나 덧문을 상황에 맞게 계획하여 설치하여 겨울철 동파 등에 대비하여야 한다.

▸실내 공간계획 시 개방감을 줄 수 있도록 천장의 높이를 되도록 높게(2.3m 이상) 잡도록 한다.

▸실내 마감재료의 선정에서도 상투적인 재료 및 색상을 지양하고 외관과의 조화, 유지관리의 용이

성, 위생 및 안전등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하며, 특히 전체적인 디자인 의도와는 관련 없는 화려한

문양 및 색상의 재료가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청소 등으로 항시 물기가 있을 수 있는 공간이므로 벽체 및 바닥재는 메지사이의 오염으로 인한

훼손 및 악취발생이 되지 않는 재료이어야 하며, 특히 바닥재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

로 계획하여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창호 계획은 외관과의 관계 및 실내 채광과 환기를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하고, 천창 의 적극적 도

입 등 외부에서 투시가 되지 않는 위치에 계획하여야 한다. 특히 실내에서 외부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창호를 계획하여 실내공간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한다.

▸소변기 및 대변기 공간에 창대 등을 이용하여 가벼운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편의성을 높인다.

▸내부칸막이 등의 소재 및 시공법에 대해 실내 인테리어적 측면을 설계단계에서부터 검토하도록 한

다. 특히 큐비클의 색상은 단일 색상의 재료로 표현되는 것 을 우선하며 손잡이 등과의 조화를 고

려하여 선택한다.

▸대 / 소변기 등 내부 도기류는 실용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선정하되 중상급 이상의 제품을 설치

하여 공공화장실 공간의 수준을 끌어올 수 있도록 한다.

Page 6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67

3) 전기 / 설비계획

(1) 설비계획

▸화장실 하부에는 피트공간을 확보하여 점검 및 유지관리가 원활하도록 계획한다.

▸천정 내부 설비배관 및 에어컨 등이 전기 배관 등과 충돌하여 시공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

부문별로 충분한 검토를 거쳐 설계하도록 한다.

▸천정배기 및 벽면 환기팬 등의 배출구는 이용객이 진입하는 쪽 등으로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주변

이용객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게 한다.

(2) 정화조계획

▸정화조 및 정화조 배기구의 위치 및 정화방식 등은 유관부서 등과 충분히 협의를 거쳐 위치를 선

정하도록 하며 되도록 이용객의 접근로나 광장 쪽을 피하되, 향후 유지에 유리한 곳으로 정하며

주변부로 악취가 퍼지지 않도록 하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정화방식에 따라 운전용 패

널 등 노출되어지는 부분이 건축계획과 상충하지 않도록 설계 시 계획에 반영하여야 한다.

4) 기타계획

화장실 외부에 설치하는 사인은 본 계획에 포함된 표지만을 사용하여야 하며, 구청 등 관리 주체별로 계

획된 사인을 게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설계안 작성 시 서울시 디자인 심의를 거쳐 확인을 받도록 한다.

Page 6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6. 디자인 활용방안

Page 6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69

제6장 디자인 활용방안

6-1. 단위공간을 활용한 설계 프로세스

6-2. 배치에 따른 VARIATION

1) 대지형태 및 경사

2) 진입방식

3) 배치활용 예시

6-3. 외장재료 및 색을 통한 VARIATION

1) 조형개념의 이해

2) 재료의 선정

3) 외장재료계획 예시

(1) ALT_1

(2) ALT_2

(3) ALT_3

6-4. 안내표시 계획

1) 디자인계획

(1) 표지판의 종류

(2) 표지판의 위치

(3) 서체

(4) 글자크기

(5) 색채

(6) 픽토그램

2) 상세계획

(1) 입형 표지판

(2) 동별 표지판

(3) 기타 표지계획

Page 7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6. 디자인 활용방안

Page 7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71

제6장 디자인 활용방안

6-1. 단위공간을 활용한 설계 프로세스

단위공간을 활용한 설계프로세스는 총 4_STEP으로 구성되어있다.

STEP_1

<요구면적에 따른 단위공간 선택>

- 평형별: 20평형/30평형

- 대/소변기 배치유형: 병렬형/직렬형

STEP_2

<부지조건에 따라 선택된 단위공간의

적합성 검토 및 배치>

- 부지조건 : 대지형태

진입동선

내부동선

경사

조망

:

STEP_3

<세부 계획>

- 외장재료 및 색채

- 실내 설비 및 마감재

- 픽토그램

STEP-4

<최종디자인>

※ 본보고서에서 제시한 디자인안을 실제설계에 적용 시, 설계자는 부지여건에 맞지 않는 획일적이고 동일한

건물이 나오지 않도록, 개별 부지현황을 철저히 분석하여 부지별 상황에 맞도록 설계를 창의적으로 보완/발

전시켜야한다.

▸현 화장실의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수요면적에 따른 평형별(20/30

평) 단위공간과 적합한 대/소변기 배치유형(병렬/직렬)을 선택한다.

▸설계자는 수요면적에 따라 선택된 단위공간이 다양한 부지 여건

(부지형태, 진입동선, 내부동선, 경사, 조망, 향 등)에 부합한지 면

밀히 검토하여 이를 배치계획에 반영한다.

▸공공화장실에 관한 법률 및 세부지침사항을 설계에 반영한다.

▸앞서 수행한 설계과정을 종합적으로 발전시켜 부지에 적합한 최

종 디자인을 도출한다.

Page 7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6. 디자인 활용방안

6-2. 배치에 따른 VARIATION

1) 대지형태 및 경사

화장실의 위치는 이용객들의 이용에 편리한 위치에 있어야 하나 현실적인 부지의 제약으로 인해 부득이

경사지나 비정형의 대지에 위치하게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본 표준 설계안을 적용함에 있어 그 단위공

간의 조합방식에 유의하여 창의적으로 배치계획을 진행하여야 한다. 본 설계안은 각 단위 유닛이 홀로

또는 대지가 협소할 경우 두 개가 조합하여 하나의 켜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켜들이 대지의 흐름

및 경사에 대응하여 놓여지면서 그 사이에 내부공간을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은 진입의 공간과

더불어 경사지를 극복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어진다.

Page 7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73

2) 진입방식

주어지는 부지의 상황에 따라 진입구의 방향이 다양하게 주어질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배치형식을 각

단위 유니트의 배치를 달리하며 진입방식을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대지의 상황에 맞추도록 한다. 또 주진

입 방향 만이 아니 부진입에 대해서도 고려하여 다양한 상황에 맞는 설계가 되도록 한다.

특히 내부 공간으로서의 중정을 이러한 진입방식의 변화가 가능한 매개로 적극 활용하며, 필요한

경우 가벽 등의 장치를 추가하여 외부에서 직접 보여지지 않게 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도록 한다.

Page 7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6. 디자인 활용방안

3) 배치 활용예시

기본배치

ⓐ : 여자화장실

ⓑ : 남자화장실

ⓒ : 관리실

3열배치 1

3열배치 3

2열배치 2

3열배치 2 램프설치 방식 변경

(산지공원형, 30평형)

Page 7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75

ⓐ : 여자화장실

ⓑ : 남자화장실

ⓒ : 관리실

기본배치

배치대안 2

배치대안 3_1 배치대안 3_2

배치대안 1 진입 방향에 따라 역전배치

배치대안 1 진입구 중앙배치

(평지공원형, 30평형)

Page 7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6. 디자인 활용방안

6-3. 외장재료 및 색을 통한 VARIATION

표준 설계안의 적용 시 작가의 창의성을 해치지 않으며, 획일화된 적용으로 인한 도시경관의 획일화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배치 및 조합 방식과 더불어 재료의 적용에서도 변화가 가능한 계획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각 프로젝트 별로 다음의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고려 담당

디자이너가 창의적으로 계획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1) 조형개념의 이해

(1) 재료를 통한 변화요소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 디자인안의 조형방식에 대한 이해 선행되어

져야한다.

(2) 본 설계안의 모든 디자인은 크게 전체를 싸고 있는 주 외장재와 그 틀 사이에 끼워져 있는 인필

(infill)재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이러한 조형개념으로 계획된 본 디자인안은 형태적 조합을

통해 특징적인 공공시설로서의 아이덴티티를 확보하여 시민과 이용자들에게 서울에 대한 인상적

인 이미지의 기본형을 제공한다.

2) 재료의 선정

(1) 기본적인 조형의 이미지는 자칫 획일적인 이미지로 굳어져 주변경관과 괴리된 진부한 형태로만

인식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같은 형태의 조형 속에서, 주변 환경에 따라 재료의 조합을

달리 적용함으로서, 경관에 순응하는 공공건축물이 될 수 있는 방식을 고려하여 설계안을 적용하

도록 한다.

(2) 또 본 보고서에서 제시하는 조합 이외에도 특징적인 재료 및 색채의 건물로 계획이 가능하나 되

도록 재료 자체의 성질을 이용한 색채 및 재료 계획을 수립하여 건물로서의 내후성과 함께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건물의 고급화를 추구한다.

재료 vARIATION예시

Page 7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77

구분 주재료 인필(INFILL)재료

재료명 목재사이딩, 금속외장재, 노출콘크리트 목재사이딩, 노출콘크리트. 전벽돌 등 조적재, 석재

3) 외장재료계획 예시

(1) ALT_1

외피를 감싸는 주재료로 자연

친화적 재료인 목재패널을 사

용하여 딱딱한 인공물의 느낌

을 배제하고, 특징적 내부 벽

채 등에 포인트 재료를 적용

하여 변화를 주도록 한다.

(2) ALT_2

주재료로 내후성 강판 등의 금

속재료를 사용하여 시공성 및

내후성을 도모하며 시간에 따

른 재료 자체의 변화를 통해

다양 한 이미지의 건물로 기억

될 수 있도록 한다.

(3) ALT_3

주재료로 구조재인 콘크리트를

노출시켜 설계하고 이와 잘 어

울리는 목재 패널 등을 인필재

로 적용하여 계획. 단 콘크리트

면은 페인트 등의 사용을 지양

하고, 재료 자체의 색과 질감이

느껴지도록 적절한 패턴 등으로

표현한다.

※ 부위별 적용가능 재료

ALT_1

ALT_2

ALT_3

Page 7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6. 디자인 활용방안

6-4. 안내표시 계획

1) 디자인 계획

안내표지판의 내용들은 전달하고자하는 의미를 시각적으로 기호화한 것으로 해당 시설에 대한 정보와 위

치를 전달하는 일종의 매개수단이다. 이용자가 손쉽게 정보를 습득하고 시설을 찾아갈 수 있도록 안내표

지판의 내용은 신속정확하게 읽혀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건물내 시설의 내용과 방향을 표

기한다.

(1) 표지판의 종류

▸공원 내 화장실의 경우 공원시설에 대한 안내 계획이 따로 존재하므로 본 설계에 적용하는 표지판

의 종류는 화장실 전면의 입형 표지판과 건물 동별 남/여화장실 표시만을 적용한다.

(2) 표지판의 내용

▸입형 표지판 : 화장실내 보유 시설을 나타내는 픽토그램과 화장실 명치 그리고 진입구 방향을 표

시한다.

▸동별 표지판 : 남,여 화장실 구분 / 화장실내 보유 시설 픽토그램을 표시한다.

(3) 서체

▸안내표지판에 사용하는 서체는 표준적이고 알기 쉬워야 한다,

▸서체는 서울서체를 기본으로 일관성 있게 적용하고 가독성과 조합이 용이한 산세리프 서체(San

serif : 장식을 가지지 않는 비장식적 서체)인 서울 남산체 Bold타입을 사용한다.

한글 Bold

서울 화장실영문 Bold

City Toilet(4) 글자 크기

▸안내표지판의 가독성은 글자의 표현방법과 주변 환경 등 여러 가지에 영향을 받는다. 그 중 글자

는 큰 것이 상대적으로 가독성이 좋지만 이용자의 시인거리와 설치환경을 고려하여야 하며, 서체

크기로 인한 표지판의 크기 확대로 주변경관을 해치지 않아야 한다.

▸글자의 크기는 입형 표지판의 경우 이용자로부터 적정 가시거리(10m~20m)에서 읽기 쉬운 크기로

결정한다.

▸글자의 크기를 적용할 경우 한글의 높이는 받침이 있는 글자 중 가장 높은 글자를 기준으로 하고

영문 및 기타 외국어의 경우 첫 번째 대문자(첫글자)의 크기에 맞춘다.

Page 7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79

Seoul Darkgray (기와진회색)

S 7502-Y

5Y 3/0.5(dE2.3)

33/0/4

80/78/72

81/79/74

65/55/60/28

(5) 색채

▸텍스트와 배경간의 밝기차이가 커짐에 따라 가독성이 증가하지만 밝기 차이가 극단적으로 커질 경

우 시각적인 피로감이 생겨 오히려 가독성이 커질 수 있다. 다만 어두운 바탕의 밝은 글씨는 글씨

가 팽창되어 보이고 야맹 등의 시각장애 이용자들이 읽기가 쉽다.

▸입형 표지판과 동별 표지판의 색채는 서울대표색 중에서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저채도

색채 (기와 진회색)으로 정하고 표지면과 고정철물 등에 단일색으로 적용한다.

▸표지면의 정보(텍스트 /픽토그램 /기호)는 흰색을 적용하여 배경색과의 명도차를 이용하여 가독성

을 높인다.

Page 8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6. 디자인 활용방안

(6) 픽토그램

▸픽토그램은 언어, 민족, 문화, 종교, 습관 등의 차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그 의미를 쉽

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그림 기호로 만들어 국가에서 제정 보급하고 있다. 그러므로 별도

의 문자 표지보다 외국인이나 관광객 등을 고려, 표시 역할로 사 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여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한다.

▸화장실 안내표시 픽토그램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국가표준을 사용할 것

서울시 화장실 표시 픽토그램

Page 8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81

2) 상세계획

(1) 입형 표지판

안내표지의 디자인은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전제로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장식적

요소는 최대한 배제하고 기능에 따른 기하학적 모듈로 제작성, 호환성, 대량생산을 고려하여

디자인 되어야 한다.

▸본 설계에 적용하는 입형 안내 표지판은 아래의 배열을 참고하여 철제 등 내구성을 고려한 재질

의 자주형으로 제작 설치한다.

▸입형 안내표지판의 설치 위치는 화장실 진입부 등 건물과 인접한 곳에 설치하여 건물로 유도하

는 기능을 담당하며, 미리 공원 안내 체계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설치 여부를 결정한다.

입형 표지판 상세도

Page 8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6. 디자인 활용방안

(2) 동별 표지판

▸건물로 진입 후, 남, 여화장실로 진입하기 위한 표지를 설치하여 이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특

히 본 설계에서는 남, 여화장실을 별동으로 계획하였으므로 이러한 동별 표지판을 통해 기능별 인

지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 외에도 출입문에 별도의 픽토그램을 적용하여 기저귀갈이대 / 유아용 소변기 등의 설치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동별 표지판의 색채는 울 현상색 중 건물 사용 재료 및 색채와의 조화를 고려하여 자유롭게 결정

한다.

ⓐ : 동별 표지판

ⓑ : 출입문 표지

ⓒ : 벽면형 화장실 표지

동별 표지판 상세도

동별 표지판 설치위치도

Page 8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83

(3) 기타 표지계획

▸문맹자나 시각장애인을 배려한 표지계획도 계획 시 고려한다.

▸원할한 안내를 위한 바닥표지 등의 사용도 계획 시 고려한다.

▸관리실에 개폐시간, 청소시간, 관리자연락처 등을 표기한다.

▸화장실 이용시 지켜야할 에티켓을 화장실 내부에 별도로 표시하는 방식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 본 계획에서 예시한 표지 외에 각 주관부서별 홍보사인 등은 설계 단계에 그 위치와 표기방식 등을 고려하여 서울시

디자인 심의를 거쳐 게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동별 표지판 설치위치도

Page 8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06. 디자인 활용방안

Page 8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85

※ 부 록

첨부1 : 화장실 우수사례

1) 이동식화장실 해외사례

2) 이동식화장실 국내사례

3) 고정식화장실 해외사례

첨부2 : 서울디자인 위원회 운영 개요 및 자문

1) 서울디자인위원회 운영 개요

2) 서울디자인위원회 (공공건축물 부문) 자문

3) 서울특별시 도시디자인 조례

첨부3 : 디자인 심의 사례

첨부4 : 화장실 유지관리방안

1) 일반작업자용 점검표(일상적 점검)

2) 관리담당자용 점검표(정기적 점검)

3) 정기청소 시 체크사항

4) 전문적인 유지관리의 항목

Page 8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1. 화장실 우수사례

첨부 1] 화장실 우수사례

1) 이동식화장실 해외사례

2) 이동식화장실 국내사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필라델피아, 미국 / 2. 위셀도르프, 독일 / 3. 런던, 영국 / 4. 프랑스 / 5. 파리, 프랑스 / 6. 코펜하겐, 덴마크 / 7. 프랑스 / 8. 시애틀, 미국 / 9. 바르셀로나, 스페인 / 10. 오슬로, 노르웨이 / 11. 뱅쿠버, 캐나다 / 12. 런던, 영국

한강시민공원, 서울void architect

Page 8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87

3) 고정식화장실 해외사례

3) 고정식화장실 국내사례

1 2

2 3 4

1. 세이와(清和) 분라쿠 인형극 마을 / 2. 그레이브스앤드, 켄트, 영국 / 4. 오사카, 일본 / 5. 상 로망 공원, 포르투갈

인왕산 공중화장실, 서울void architect

Page 8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2. 서울디자인위원회 운영 개요 및 자문

[첨부 2] 서울디자인 위원회 운영 개요 및 자문

1) 서울디자인위원회 운영 개요

○ 설치근거 : 『서울특별시도시디자인조례』 제6조

○ 주요기능

- 공공시설물 디자인 심의 및 공공건축물 외관 디자인 자문

- 경관법 제24조 규정에 의한 경관위원회 심의 및 자문업무

- 도시디자인조례의 제정․개정에 관한사항

- 도시디자인기본계획의 수립․시행

○ 구 성 : 100인 이내 (현재 100 - 당연직 11, 위촉직 89)

건축

(24)

도시계획,

토목

(12)

조 명

( 6)

조 경

( 6)

광고물

( 1)

디자인

(34)

미술

문화

( 6)

시의원

( 5)

당연직

( 6)

합 계

(100인)

- 위원장 : 서울특별시장

- 공동부위원장(3명) :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 위촉직 2명

- 임기 : 2년

2) 서울디자인위원회 (공공건축물 부문) 자문

○ 근 거 : 『서울특별시도시디자인조례』 제6조 제4호(별표 1)

○ 심의유형 : 사전 자문

○ 자문대상 : 서울시내 소재하는 모든 공공건축물 외관 디자인 (민간건축물은 제외)

○ 자문시기 : 기본설계 완료 전

※ 계획설계 단계에서 디자인 사전 자문을 거쳐 설계에 반영 후 실시설계 등 후속 절차 진행

사업계획수립 →기본계획(안)수립

<기본 설계(안)>→

디자인심의

(자문)→

기본계획(안) 확정 →

실시설계

- 인허가절차

- 개별법에 의한 심의

(건축위원회, 도시건축공동위원회 등)

Page 8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89

○ 개최시기 : 매주 목요일 오후2시(※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자문위원 선정 : 위원회 위원 중 당일 참석 가능한 위원 (10여명 내외)

○ 자문 절차

안건 제출 → 안건 검토 및 보완 → 상정안건 확정 및 통보 →

(요청부서→본부)

심의전주 목요일까지 (본부)

심의자료 송부(자문위원)

상정확정 통보(본부→요청부서)

위원회 개최 → 심의 결과 통보

(매주 목요일) (본부→요청부서)

○ 신청 서류 마감 : 심의전 주 목요일 오후3시까지 자문요청 공문 및 심의서류

(심의용 PPT 및 인쇄물 17부) 제출분에 한함

○ 심의 참석 대상 : 설계자, 발주부서, 사업주관부서(필요시) 등 3인 이내

○ 심의 준비 자료 및 내용

▶ 심의 제출 자료 : 심의용 PPT자료 17부 (A4규격 가로편철, 부득이한 경우 종방향 가능)

CD에 두개 파일 (ppt파일과 pdf파일)을 저장하여 제출

▶ 심의용 PPT 내용

- 사업개요 및 심의상정 사유

- 추진경위, 관련부서 검토의견 및 반영내용(필요시)

- 종전 심의에서의 지적사항 및 보완내용 비교하여 명기(재상정시에 한함)

- 세부 디자인 계획(안)

- 위치도(계획의 범위 및 세부 시설물 표기 포함)

- 대상지 주변의 현황 및 사진(※ 파노라마식 사진촬영 권장)

- 디자인 Concept(계획의 의도, 기본방향 등)

- 디자인 검토(안)

- 기본도면(배치도, 평면계획, 입면·단면계획 등)

- 세부 시설물에 대해서는 재질, 마감재, 색채, 형태등을 각각 정확히 명기

- 디자인(안)시물레이션 권장 (※ 실제 현황과 비교할 수 있도록 현황사진에 디자인(안)

Overlap)

- 향후 추진일정 등

- 기타 필요한 자료 1식

▶ 자료작성시 유의사항

- PPT와 인쇄물이 동일해야 함

- page 표기

- 파일용량 20M 이하로 변환

- 표지 및 제목의 글씨체와 크기는 예시된 형태를 준수하되, 배경과 글씨색은 자유롭게 구성

- 자료 내용의 크기, 색채, 디자인 등은 상정안건의 성격에 맞추어 자유롭게 작성

- 심의 신청서 양식 / 도서작성 요령 : 디자인서울총괄본부 홈페이지 참조

Page 9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2. 서울디자인위원회 운영 개요 및 자문

○ 심의 진행 순서

- 안건 설명(10분이내) ----- 설계자

- 위원 질의 및 답변

- 설계자 퇴실

- 위원회 안건 검토(위원별 의견 교환)

- 위원회 의결

디자인서울총괄본부 홈페이지(http://design.seoul.go.kr)→주요정책→위원회 및 포럼→위원회

Page 9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91

3) 서울특별시 도시디자인 조례

2006.07.19 조례 제4420호 (제정)

2007.11.01 조례 제4582호 (개정)

2008.05.29 조례 제4628호 (타법규개정)

제1조 (목적)

이 조례는 서울특별시의 도시경관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개선ㆍ관리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도시의 효율적 보전ㆍ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용어의 정의)

이 조례에서“도시디자인”이라 함은 서울특별시(이하“시”라 한다) 도시경관의 보전ㆍ개선을 위해 도시건

축물 등 도시공간, 도시시설물의 형태·윤곽·색채·조명·주변과의 조화성 등 도시의 디자인에 대한 계획

및 사업을 말한다. (개정 2007.11.01)

제3조 (도시디자인기본계획)

① 서울특별시장(이하“시장”이라 한다)은 도시디자인을 종합적ㆍ체계적으로 개선ㆍ관리하기 위하여

5년 단위로 서울특별시도시디자인기본계획(이하“도시디자인기본계획”이라 한다) 을 수립ㆍ시행

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도시디자인기본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도시디자인의 기본목표 및 추진방향

2. 도시디자인의 권역별ㆍ지역별 및 가로별 구축ㆍ관리

3. 도시디자인에 대한 제도개선 및 주요시책

4. 그 밖에 도시디자인의 수준향상 및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③ 시장은 도시디자인기본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하는 때에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서울디자인 위원회

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개정 2007.11.01)

④ 시장은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에 따라 도시디자인기본계획을 수립ㆍ변경한 때에는 이를 서울특별

시보에 공고하여야 한다.

제4조 (야간경관기본계획) (본조삭제 2008.05.29)

① 삭제(2008.05.29)

② 삭제(2008.05.29)

1. 삭제(2008.05.29)

2. 삭제(2008.05.29)

3. 삭제(2008.05.29)

4. 삭제(2008.05.29)

③ 삭제(2008.05.29)

Page 9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2. 서울디자인위원회 운영 개요 및 자문

제5조 (관계기관의 협조)

① 시장은 도시디자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관계기관에게 도시디자인의 추진에 필요한 시책의 마련

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예산 및 행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② 시장은 제1항 규정에 의한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도시디자인 수준향상에 필요한 자료의 제작ㆍ보급

과 교육ㆍ홍보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

제6조 (위원회의 설치)

도시디자인의 추진에 관한 다음 각 호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시장 소속하에 서울디자인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개정 2007.11.01)

1.「서울특별시 도시디자인 조례」의 제정·개정에 관한 사항 (신설 2007.11.01)

2. 도시디자인기본계획의 수립ㆍ시행(개정 2007.11.01)

3. 삭제 (2008.05.29)

4. 별표 1의 도시디자인 대상시설물(자치구 및 기타 공공기관의 장이 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하는

시설물을 포함한다) 및 가로환경조성사업의 디자인에 관한 사항 (개정 2007. 11.01)

5. 별표 2의 관리대상 광고물의 규격ㆍ색상 등 관리에 관한 자치구간의 형평성과 통일성 확보를

위한 조언ㆍ권고 (개정 2007.11.01)

6. 「경관법」 제24조 규정에 따른 경관위원회의 심의 또는 자문 사항 (신설 2008.05.29)

7. 그 밖에 도시디자인의 추진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개정 2007.11.01,

2008.05.29)

제7조 (위원회의 구성)

① 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공동부위원장 3명을 포함하여 10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개정 2007.11.01)

② 위원회의 위원장은 시장이 되고, 공동부위원장은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과 위촉위원 중에서 호선되

는 민간공동부위원장 2명으로 하며, 위원은 관계공무원과 건축ㆍ도시계획ㆍ조경ㆍ조형예술ㆍ색채

ㆍ환경 및 조명 등의 분야에 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중에서 시장이 임명 또는 위촉한 자가

된다. (개정 2007.11.01)

③ 위촉직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1회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다만, 보궐위원의 임기는 전임자

의 잔임기간으로 한다.

제8조 (위원장의 직무)

①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고, 위원회의 직무를 통괄한다.

② 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정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공동부위원장 중 1명이 그 직무를

대행하며,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 민간공동부위원장 중 연장자 순으로 한다. (개정 2007.11.01)

③ 위원회의 사무처리를 위하여 간사를 두되, 간사는 관계공무원 중에서 위원장이 지명한다.

제9조 (회의) (본조개정 2007.11.01)

① 위원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회의를 소집하며, 그 의장이 된다.

② 회의는 위원장이 매 회의마다 지정하는 위원을 포함하여 총 20명으로 구성한다.

Page 9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93

③ 회의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구성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10조 (소위원회) (본조개정 2007.11.01)

① 위원장은 위원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5인 이상의 위원으로 소위원회를 구

성·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안건은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친 것

으로 본다.

② 소위원회의 회의 및 운영에 대해서는 제8조, 제9조 및 제11조부터 제13조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11조 (회의록 등의 비치) (본조신설 2007.11.01)

위원회는 회의록 또는 심의의결서를 작성·비치하여야 하며, 속기사로 하여금 회의록을 작성하게 할 수 있다.

제12조 (협조요청) (본조개정 2007.11.01)

위원회는 직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공무원ㆍ전문가 또는 이해관계인 등을 회의에 출석하게 하

여 그 의견을 듣거나 관계기관 또는 단체 등에 대하여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제13조 (수당) (본조개정 2007.11.01)

위원회에 참석한 위원ㆍ전문가 등에 대하여는 예산의 범위안에서 수당ㆍ여비 등의 실비를 지급할 수 있다.

다만, 공무원이 그 직무와 직접 관련하여 참석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제14조 (운영세칙) (본조개정 2007.11.01)

위원회 및 소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이 조례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정

한다.

Page 9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2. 서울디자인위원회 운영 개요 및 자문

부 칙 (2006.07.19)

① (시행일)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 (다른 조례의 폐지) 「서울특별시 도시환경디자인위원회 설치 및 운영조례」는 이를 폐지한다.

③ (다른 조례의 개정) 「서울특별시 기성시가지 환경개선 지원조례」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 한다.

제3조제2항중“서울특별시도시환경디자인위원회(이하“위원회”라 한다)”를“「서울특별시 도

시디자인 조례」 제6조 규정에 의한 서울특별시도시디자인위원회(이하“위원회”라 한다)”로

한다.

부 칙 (2007.11.01)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별표 1 제1호의 개정규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2008.05.29)

제1조(시행일)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조례의 개정) 서울특별시 도시디자인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 및 제6조제3호를 각각 삭제한다.

제6조제6호를 제7호로 하고, 같은 조에 제6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하며, 같은 조 제7호(종전의 제6호)

중 “그 밖에 야간경관관리에 관한 자문 등 도시디자인”을 “그 밖에 도시디자인”으로 한다.

Page 9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95

분 류 시 설 물 의 종 류 비 고

도로시설물

가. 교량(철교를 포함한다)

나. 고가차도(철도위에 설치한 고가차도를 포함한다)

다. 입체교차

도로부속

시 설 물

가. 보도육교

나. 20M이상 도로에 설치하는 석축 및 옹벽

다. 방음벽

라. 방호울타리․중앙분리대․낙석방지망 등

분 류 대 상 건 축 물 비 고

공공건축물

가. 공공청사(시청, 구청, 동 주민센터)

나. 시 출자․출연기관에서 건축하는 건축물(공동주택 등 포함)

다. 시 및 자치구에서 건축하는 (허가)협의 대상 건축물(의료시설, 노유자시설, 교육연구시설 등)

라. 중앙정부에서 건축하는 (허가)협의 대상 건축물(파출소, 소방서, 우체국 등)

마. 공공 문화․집회시설(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전시장, 동․식물원 등)

바. 공공 화장시설(화장장, 납골당 등)

사. 기타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건축물

【별표 1】(개정 2007.11.01)

도시디자인 대상 시설물

1. 사전자문 : 건축물 외관디자인

2. 도시구조물

Page 9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3. 디자인 심의 사례

3. 가로시설물

분 류 시 설 물 의 종 류 비 고

도로부속시설물가. 가로등

나. 도로명판

문화관광시설

가. 관광안내소

나. 관광안내도

다. 시티투어 안내표지판

라. 동상․기념비 등(「서울특별시 문화예술진흥에 관한 조례」제22조제1항의 심의대상시설물은 제

외한다)

가로녹지시설

가. 가로수 보호덮개

나. 가로 녹지대

다. 가로 화분대

라. 분수대

환경관리시설

가. 휴지통

나. 환경미화원 대기소

다. 공중화장실

라. 대기오염 전광판

교통관련시설

가. 보행자안내표지

나. 택시․마을버스․시내버스 및 공항버스 승차대

다. 정류소 표지판

라. 택시 표지판

마. 자전거보관대

바. 주차장 안내표지판 및 주차요금 표지판

사. 주차장 관리소(박스형)

아. 부설주차장 진․출입표지

자. 버스전용차선 단속초소

차. 교통 감시시설

지하철시설

가. 지하철출입구(캐노피를 포함한다)

나. 지하철안내표지판

다. 환기구(흡․배기구)

라. 지상노출 엘리베이터

도로점용허가

대상 시설물

(미관지구내

도로에 설치 된

시설물에 한한다)

가. 분전함․공중전화 등 지상시설물

- 가로등,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 변압탑, 무선전화기지국, 종합유선방송용단자함,

발신전용휴대전화기지국, 교통량검지기, 우체통,

소화전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 공중전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

나. 사설안내표지․아취 기타 이와 유사한 것

다. 가로판매대․구두수선대․버스카드판매대․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노점, 자동판매기, 상품진열대)

라. 고가도로의 노면밑에 설치하는 사무소, 점포, 창고, 자동차주차장, 광장, 공원,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Page 9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97

Page 9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3. 디자인 심의 사례

[첨부 3] 디자인 심의 사례

변경전

사업

개요

한강공원 이동식 수세식 화장실∙ 위 치 : 한강공원 내

∙ 자문시기 : 2008. 5

조감도

입 면

평 면

∙ 자문내용

- 한강의 경관을 살리고 보존하기 위하여 존재감을 줄이고, 주변 자연경관 속에 묻히는 느낌의 디자인 필요

- 모든 장소에 단일 디자인의 화장실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 재고

- 디자인을 보다 간결하게 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갖춘 재료를 사용

- 내부디자인은 사용의 편의성, 유지관리 및 청결에 중점을 두어 설계하기 바람

Page 9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99

변경후(안)

ALT_1

여자화장실 남자화장실

평 면

ALT_2

ALT_3

∙ 변경후

- 부지 상황에 맞도록 선택 가능한 3가지 유형의 디자인 개발

- 주변 경관과 조화되며, 간결하고 깨끗한 이미지의 디자인으로 개선

- 내부 사용의 편의성, 유지관리 및 청결을 고려하여 설계

Page 10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3. 디자인 심의 사례

변경전

사업

개요

남산공원 화장실 리모델링 계획안

∙ 위 치 : 중구 회현동1가 산1-2 (잠두공원)

∙ 건물개요

ㆍ 용 도 : 공공화장실

ㆍ 구 조 : 철근콘크리트조

ㆍ 규 모 : 잠두공원화장실 지상2층 109㎡

∙ 자문시기 : 2008. 11

위 치

현 장

사 진

입 면

∙ 자문내용

- 화장실 디자인으로 전통 한옥형태를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함

- 주변 경관과 장소에 어울리지 않는 과잉된 디자인임

- 남산 공원이라는 입지를 고려할 때, 주변 산책로와 수목이 부각되도록 디자인되어야 함

Page 10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01

변경후(안)

조감도

평 면

1층 2층

입 면

∙ 변경후

- 남산 공원 입지, 주변 산책로와 수목이 부각되도록 디자인

- 공원내 화장실이 부각되어 드러나지 않도록 마감재 선택. (화강석 난적쌓기, 토석벽돌, 징크판 사용)

- 경사를 이용하여 상층부에 테라스 설치

Page 10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3. 디자인 심의 사례

변경전

사업

개요

봉제산 근린공원 화장실 신축

∙ 위 치 : 강서구 화곡본동 산43-20

∙ 건물개요

ㆍ 용 도 : 공중화장실

ㆍ 구 조 : 철근콘크리트조

ㆍ 규 모 : 지상 1층

ㆍ 연 면 적 : 83m2

∙ 자문시기 : 2008. 7

조감도

평 면

입 면

∙ 자문내용

- 주변 산지, 공원 입지현황을 고려할 때, 화장실 자체가 부각되어 드러나는 형태는 적절하지 않음

- 기능에 충실하도록 평면 계획 선행후, 그에 맞추어 가능한 단순하고 간결한 외관으로 디자인 필요

ㆍ이용에 편리한 내부공간(공간의 길이ㆍ폭, 출입문 배치 등), 동선계획(남녀화장실 출입 시야 차단, 장애인 진입

동선 등) 개선 필요

Page 10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03

변경후(안)

조감도

평 면

입 면

지붕층

∙ 변경후

- 공원내 시설이 배경이 되도록 색상, 형태 단순화

- 내부공간 길이ㆍ폭, 출입문 배치 등 변경, 남녀화장실 출입 분리로 시야 차단, 천창, 유리블럭 활용으로 채광 개선

Page 10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3. 디자인 심의 사례

변경전

사업

개요

북악산 등산로 공중화장실 신축

∙ 위 치 : 종로구 부암동 창의문 관리사무소 옆

(북악산 등산로 창의문)

∙ 건물개요

ㆍ 용 도 : 공공화장실

ㆍ 구 조 : 철근콘크리트조

ㆍ 규 모 : 지상1층 73㎡

∙ 자문시기 : 2008. 7

조감도

평 면

∙ 자문내용

- 공원 내 화장실은 화장실 시설 자체가 부각되지 않고 공원의 배경으로 디자인 되어야 함

- 남녀 화장실의 진출입시 시야 차단 등 동선 검토

- 남녀 화장실 변기수 등 공중화장실 관련 법령의 내용 확인

Page 10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05

변경후(안)

조감도

평 면

입 면

∙ 변경후

- 주변 공원, 산지임을 감안하여, 장식적으로 드러나보이는 디자인 단순화

- 남녀 화장실 출입부 분리, 남녀 화장실 변기수 1:1 이상으로 조정

- 장애인 화장실은 출입문에서 직접 출입 가능하도록 동선 개선

Page 10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3. 디자인 심의 사례

사업

개요

응봉근린공원 화장실 신축

∙ 위 치 : 성동구 옥수동 428-6

∙ 건물개요

ㆍ 용 도 : 공중화장실

ㆍ 구 조 : 철근콘크리트조

ㆍ 규 모 : 지상 2층

ㆍ 연 면 적 : 44m2

∙ 자문시기 : 2008. 6

변경전 변경후

정 면

우측면

단 면

비 고

- 주변 공원현황, 경사지형을 고려하지 않은 건물

배치 및 입면계획으로 공원 내 화장실 건물이

부각되어 드러나보임

- 1층 실효용성 저하. (pit층의 과다한 높이)

- 화장실 기능에 충실하고, 공원내 건물이 부각되지 않도록 계획. (적벽돌, 목재 사용)

- pit층을 지하화, 경사지형 이용하여 건물높이

최소화

- 산책로와 연계하여 상부에 테라스 설치로

시민편의 제공

Page 107: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07

Page 108: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4. 화장실 유지관리방안

[첨부 4] 화장실 유지관리방안

1) 일반작업자용 점검표(일상적 점검)

일반 작업자용 점검표(일상적 점검) -1회/일

화장실명: (남·녀) 년 월 일

항목 항목 점검란 비고

대변기 대변기에 때가 남아있지 않은가

물기가 없는가, 센서, 후레시밸브는 정상인가

변기물이 바로 배수되는가

변기통에 고장이 없는가

소변기 소변기에 때가 남아있지 않은가

물기가 없는가, 센서, 후레시밸브는 정상인가

변기물이 잘 배수되는가

탈착식 트랩은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세면기 세면기에는 때가 남아있지 않은가(수도꼭지 주위포함)

물기가 없는가, 금구류는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바닥 배수구가 잘 배수되는가, 봉수는 들어있는가

벽면·파티션 파티션, 문의 금구류(경첩, 열쇠, 걸고리, 도아스토퍼)에 고장은 없는가

낙서는 없는가

거미줄, 먼지, 죽은 벌레가 남아있지 않은가

조명, 환기팬 전구, 형광등이 고장나 있지 않은가

환기팬에 먼지가 끼어 있지 않은가

비품관리 손잡이, 휴지걸이, 휴지통, 유아용 침대 등의 파손, 지저분함이 없는가

거울은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휴지는 보충되어 있는가

외부 각종 부착물은 제대로 붙어 있는가

쓰레기가 떨어져 있지 않은가

낙서는 없는가

기타(고객요구사항)

(양호 : ○ 보통 : △ 불량 : × 파손 : ※) 점검자 :

Page 109: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09

2) 관리담당자용 점검표(정기적 점검)

관리담당자용 점검표(정기적 점검) -1회이상/월

화장실명: (남·녀) 년 월 일

항목 항목 점검란 비고

대변기 및 주변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세정수량은 적당한가(급수)

물이 잘 배수되는가(배수)

후레시 밸브, 정상작동 및 누수는 없는가

오염물질, 오석 등이 붙어있지 않은가

금구류에 부식(녹)이 발생하지 않은가

소변기 및 주변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세정수량은 적당한가(급수)

물이 잘 배수되는가(배수)

후레시 밸브, 정상작동 및 누수는 없는가

전자감응식센서(수세밸브)가 작동하는가

오염물질, 요석 등이 붙어있지 않은가

금구류에 부식(녹)이 발생하지 않는가

세면기 및 주변

수도꼭지, 파손 및 누수가 없는가

세면기의 파손이 있는가

세면기의 물이 잘 배수되는가

자동센서가 정상 작동하는가

트랩(배수관)에 고장이 없는가

거울이 파손, 오염되어 있지 않은가

오염물질 등이 뭍어있지 않은가

금구류에 부식(녹)이 발생하지 않은가

바닥면

배수구의 물이 잘 빠지는가

배수구의 봉수가 들어있는가

타일 등이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오염된 때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가

화장실문

문이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도어 경첩이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잠금장치가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칸막이 문짝에 불법광고물, 낙서,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가

트랩, 배수관

배수관 내부의 오염물질(유기물)이 붙어있지 않은가

배수관이 막혀있지 않은가

배수관에서 악취가 나지 않는가

배수관의 부식이 없는가

(양호 : ○ 보통 : △ 불량 : × 파손 : ※) 점검자 :

Page 110: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4. 화장실 유지관리방안

항목 항목 점검란 비고

벽면

타일 등이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낙서, 불법광고물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가

먼지,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가

유리창이 파손되어 있지 않은가

유리창의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가

조명, 환기장치

조명, 전구 등이 파손되어 있는가

조명, 전구 등이 고장나 있지 않은가

조명의 밝기는 적당한가

환풍기가 정상 작동하는가

환기구에 오염물질이 없는가

비품관리

휴지걸이의 파손이 없는가

쓰레기통의 파손이 없는가

유아용의자, 기저귀교환대의 파손이 없는가

걸고리, 선반의 파손이 없는가

수건걸이, 페이퍼타올기, 물비누용기, 손건조기 등의 파손, 고장이 없는가

방향제 기기가 정상 작동하는가

에티켓벨, 위생시트, 비데 등이 정상 작동하는가

인테리어소품 그림액자, 명시, 공익캠페인 안내문, 화장실 안내표시의 파손이 없는가

건축물 외부

지붕, 벽, 기둥, 문이 탈색되어 있지 않은가

지붕, 벽, 기둥, 문에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가

지붕, 벽, 기둥, 문이 파손되어 있지 않는가

외부에 청소기구가 방치되어 있지 않은가

청소도구함

청소도구함이 설치되어 있는가

청소기구걸이가 부착되어 있는가(선반, 걸고리)

청소기구가 정돈되어 있는가

장애인화장실에 청소기구를 방치하지 않는가

기 타

수도시설의 파손 및 누수가 없는가

전기 및 수도계량기가 정상 작동되는가

냉·난방기는 정상 작동하는가

Page 111: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11

3) 정기청소 시 체크사항

항목 작업대상 빈도

1. 세면기에 쌓여있는 지저분함 누런색, 검은색으로 변한 띠 때 1회이상/월

2. 소변기에 쌓여있는 지저분함 누런색, 검은색으로 변한 띠 때, 요석 1회이상/월

3. 대변기에 쌓여있는 지저분함 누런색, 검은색으로 변한 띠 때, 요석 1회이상/월

4. 파티션, 벽면등에 발생한 지저분함 일반적 방법으로 손이가지 않는 부분의 먼지 1회이상/월

5. 배수시설의 지저분함 배수구등의 막힘 1회이상/월

6. 조명기구의 지저분함 조명등에 끼어 있는 먼지 등 1회이상/2개월

7. 환기구, 팬의 지저분함 기구에 끼어 있는 먼지 등 1회이상/2개월

8. 외장 홈통 등의 지저분함 낙엽, 쓰레기 등 4회이상/년

9. 기타부분의 지저분함 창문, 창틀, 톱라이트의 먼지 등 1회이상/2개월

10. 살균·소독 화장실 내·외부 1회이상/월

Page 112: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4. 화장실 유지관리방안

항목 주요내용

위생기기 등

1. 세면기의 지저분함 제거

· 세면기의 검은 띠 때, 누런 때 제거

· 수도꼭지 및 배수트랩의 녹이나 지저분함 제거

· 고장 부분 수리 또는 교체

2. 소변기의 지저분함과 악취제거

· 소변기 트랩의 요석 제거

· 소변기의 요석, 검은 띠 때, 누런 때 제거

· 소변기 주변(바닥, 벽)요석, 검은 띠 때, 누런 때 제거

· 금속부분의 녹이나 지저분함 제거

· 고장 부분의 수리 또는 교체

3. 대변기의 지저분함과 악취제거

· 대변기의 요석, 검은 띠 때, 누런때 제거

· 대변기 주변(바닥, 벽)의 검은 때 제거

· 금속부분의 녹이나 지저분함 제거

· 고장부분의 수리 또는 교체

배수관

4. 배수관의 막힘제거

· 세면기, 소변기, 대변기의 배수관 고압청소

· 수체 및 바닥 배수관 고압청소

실내

5. 실내의 지저분함 제거

· 내벽 대청소 및 낙서지우기

· 전청 대청소

· 바닥면 대청소

· 환기팬, 조명등 점검

· 수체 및 청소도구 보관공간 대청소

· 고장, 훼손부분 수리 또는 교체

실외

6. 외장부분의 지저분함 제거

· 외벽 대청소

· 지붕 및 홈통, 우수배수관 대청소

소독 7. 소독 및 잡균처리

· 소독액으로 실내외 소독작업

4) 전문적인 유지관리의 항목

Page 113: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13

Page 114: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첨부4. 화장실 유지관리방안

참고문헌

<간행물>

1. 디자인서울총괄본부,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2008

2. 디자인서울총괄본부, <서울색 정립 및 체계화>, 2008

3. 문화시민운동중앙협의회, <아름다운 화장실 매뉴얼>, 2005

4. 문화시민운동중앙협의회, <2007년 제2회 공중화장실 설계공모전 작품집>, 2007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공원내 화장실 개선방안 연구>, 2008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공원의 편안한 화장실 지침>, 1999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공중화장실 관리 및 시설향상 방안 연구>, 1999

8. 서울특별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 2006

9. 서울특별시, <공중화장실 수준향상 및 청결관리 종합대책(안)>, 1999

10. 수원시, <바람직한 화장실 문화의 방향정립과 대안모색>, 1997

11. 한국화장실협회, <제1회 전국대학생 공중화장실 설계공모전>, 2006

12. 행정자치부, <제8회 아름다운화장실 대상 수상 작품집>, 2006

<일반서>

1. 권영걸, <권영걸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사미헌, 2008

2. 권영걸, <공공디자인>, 서울특별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 2007

<논문>

1. 박소영, 전영훈, <공공디자인을 통해 발현되는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8. 8.

2. 이도화, 이찬, <도심지 공중화장실의 context적 표현 실태조사를 위한 예비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논

문집, 2002

3. 이수현, <실태분석을 통한 공중화장실 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대석논, 2000

4. 신우철, <사용자 중심의 도시 공중화장실 계획을 위한현장 연구>, 중앙대석논, 2000

<외국원서>

1. Clara Greed, <Inclusive Urban Design: Public Toilets>, 2003

2. Bridget Vranckx, <Urban Landscape Architecture>, 2007

3. Cristina del Valle Schuster, <Public Toilet Design: From Hotels, Bars, Restaurants, Civic Buildings and

Businesses Worldwide (Trends in Architecture)>, 2005

4. Architectural Science Review, <Design of public toilets,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Architecture>, March

1, 2004

5. Morna E. Gregory and Sian James ,Merrell, <Toilet of the World>, 2006

6. C3topic, <Celebrating the city: Urban Facilities>, September 1, 2008

7. C3topic, <Waterfront Diversion Proap Next-Gene>, 20, May 1, 2008

Page 115: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115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

발 행 처 : 서울특별시

발 행 인 : 서울특별시장 오세훈

발행부서 : 디자인총괄본부

발행일자 : 2009. 02

기획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 : 권영걸

디자인서울총괄부본부장 : 류경기, 김순직(전)

디자인서울총괄기획관 : 이경돈

공공디자인담당관 : 한병용

공간디자인팀장 : 국승열

건축디자인팀장 : 홍성덕(전)

디자인지원실장 : 최인규

건축디자인팀 : 곽명희, 김종범, 이영욱(전)

공간디자인팀 : 임대성

디자인지원실 : 권은선

푸른도시정책과 : 손병도

위생과 : 김기조

책임연구원

이규상 (주)보이드아키텍트건축 대표

연구원

배윤천 연구실장

장기욱 소장

권미리 대리

본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수록된 작품 및 내용은 무단으로 사용되

는 것을 금하며, 본 출판물의 소유권 및 판권은 서울특별시에 있

습니다.

Page 116: Contentsnews.seoul.go.kr/culture/files/2013/02/511c8f6dd86f61.69397802.pdf베이비시트 및 유아용 의자 등을 확충할 것 어린이용 세면대 및 변기시설을 확충할

서울시 공원내 공공화장실 디자인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