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미 량 · 2014. 8. 25. · 권 미 량 ! "# $% &'() *# +! $%, - ./01234506 789 :; ?@ 7 #a @ 7...

27
* 기독교 유아교육

Upload: others

Post on 26-Jan-2021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생태유아교육연구

    2012. 제11권 제2호 , 1 - 27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

    권 미 량**

    요 약

    본 연구는 기독교의 생태적 위기에 대한 이해와 유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독교의 생태적 이해를 생태적

    위기에 대한 기독교 책임 논란에 이어 자연에 대한 기독교의 이해를 탐색하였다. 또한 기독

    교에 근거한 유아에 대한 이해를 창조, 관계, 출산, 존재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하나님의 형

    상으로서의 유아, 자연인으로서의 유아, 축복으로서의 유아, 전인적 존재인 유아로 고찰하였

    다. 기독교의 생태적 유아교육 실천 원리는 유아교육내용의 원리로 영과 삶을 살펴보았고, 유

    아교육방법의 원리로 관계와 교통을 탐색하였으며, 유아교육환경의 원리는 자연의 동산으로

    고찰하였다.

    주제어 기독교 유아교육(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생태적 접근(ecological approach)

    창조(creation)

    ※ 논문 접수 : 2012. 01. 31 / 수정본 접수 : 2012. 04. 16 / 게재 승인 : 2012. 06. 13

    * 본 연구는 2011년도 고신대학교 교내연구비지원을 받아 연구된 논문임

    **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email protected])

  • 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Ⅰ. 서 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세계화와 성장 발달이라는 가치가 부상하면서 현대사회는 환경 파괴와 인간성 상실이 여

    러 학문적 화두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생태계의 파괴와 지속가능사회에 대한 대안들은 교

    육학에 있어서 필수 과제로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대한 실천방법의 모색이 일어나고 있

    는 실정이다. 환경파괴와 인간성 상실, 양극화 등의 문제는 사회적으로 커다란 과제로 등장하

    면서 새로운 성장과 발달의 개념이 등장해야 함에 인식이 모아지고 있다. 지속가능발전을 통

    한 지속가능사회를 향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국제적 인식의 공유는 새로운 정책을 내놓고 경

    제, 농업, 문화, 교육 등에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독교적 사상이나 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생태적 접근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는 추

    세이다. 기독교의 생태 보존에 대한 책임 의식과 생태관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 동

    향(강성로, 1994; 김철영, 2004; 김현정, 1996; 문금록, 2003; 정희영, 2010)이 나타나고 있고,

    교육에서의 기독교 사상의 정립 필요성(김낙원, 2001) 등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접근들은

    기독교 교육의 생태적 접근이 생태계 문제 해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음을 주장

    한다. 특히 자연과 삶의 첫 출발인 유아기에 대한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는 시

    점에서 유아교육의 기독교적 접근(안서영, 1999; 정희영, 2010)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생태적 관심과 더불어 기독교의 생태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점화된 것은 린 화이트(Lynn

    White)라고 볼 수 있다. 린 화이트(white, 1907)가 서구사회의 환경 파괴의 책임을 성서적 자

    연관에서 찾으면서 기독교의 사회적 책임론이 쟁점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기독교

    의 생태계 파괴에 대한 책임론은 다각적 논쟁을 일으켰다. 특히 이러한 논쟁은 유대교나 기

    독교 전통이 없는 지역의 환경파괴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들과 성경에 대한 잘

    못된 해석이라는 신학적 반박들(김은규, 2003; 김이곤, 1989; 김철영, 2004)로 이어지게 되었

    다.

    이러한 논란과 쟁점에 근거하여 생태적 접근은 탈 인간주의적 입장에 근거하면서도 다양

    성은 인정되나 극단적 포스트모더니즘처럼 개인주의나 허무주의로 빠져들지 않아야 하므로

    (박이문, 1997; 안서영, 1999; 전광식, 1994) 생명을 귀하게 여기면서도 자연과 인간의 특성을

    존재론적으로 인정하는 기독교적 사상 연구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 유아교육이 저출산이나 비인간화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사회적, 시대적 과제는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3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요구하며, 생태유아교육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김은주, 2003; 임

    재택, 2005)을 등장시켰다. 기독교 유아교육에서도 생태적 위기에 직면하여 기독교적 자연관

    에 근거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의 필요성과 요구는 이러한

    실천적 양상으로 발전되어져가고 있다.

    기독교적 입장에서 접근하는 생태적 사상이나 신학적 논의들(강성호, 1994; 김낙원, 2001;

    김이곤; 1989; 김형선, 1994; 문금록, 2003; 이인화, 2009; 조윤주, 2006; 최창국, 2007)과 기독

    교 교육의 생태적 접근에 대한 연구들(김기아, 1996; 김현정, 1996; 윤응진, 2003; 정은아,

    1994)을 살펴보면 다양한 이론적이고 실천적 모색들을 하고 있다. 기독교 생태 관련 연구들

    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는데 정희영(2010)의 연구에 의하면 2006년 이후에

    이루어진 연구가 316편으로 전체의 41%를 차지하며, 특히 교육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경

    향이 나타났다. 초·중·고등교육에 비해 유아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

    는데 이는 유아교육분야에서 생태 관련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그

    러나 대부분이 신학적 이론에 대한 기초연구였으며, 실천연구는 13.9%에 그쳤으며 그 내용도

    교과의 국소적 적용에 그치고 있다.

    이는 기독교 생태 관련 연구들에서 유아교육적 접근들이 시도되고는 있으나 기독교적 사

    상적 논의(김창환, 1997; 안서영, 1999; 이은하, 2009; 이정순, 2009)나 교과영역적 접근(강은

    주, 2011; 이기영, 2002)에 더하여 유아교육과정에서의 실천적 접근을 위한 모색이 필요하다.

    특히 유아교육에서 생태적 접근의 중요성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에서 기독교

    유아교육의 방향이 생태적 접근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이론적 기초를 발견하는 것은 중요

    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하나님의 창조에 담긴 생명의 의미를 되새기며, 생태적 조화와 공존을 향하는 교육적 패러

    다임의 변화를 모색하는 것은 중요한 시대적 과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 유아교

    육에 있어서 생태적 접근의 의미를 모색하고 이를 위한 실천 방향성을 잡아가는 노력이 필요

    하다.

    기독교에서도 생태와 유아를 어떤 관계성에 두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지만

    이것은 하나님, 인간, 자연을 창조적 관계성의 거시적 맥락에 근거하여 유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실천적 원리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 유아교육은 아동중심이 아니라 하나

    님 중심의 창조와 이에 근거한 교육적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Anthony, 2001; Hull, 2003). 따

    라서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의 실천적 의미와 가능성을 발견하기 위하여 기독교적 세계관

    에 근거한 생태적 접근의 원리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독교의 생태적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기독교적 유아에 대한 이해와 기

  • 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유아교육내용, 유아교육방법, 유아교육환경의 측면에서 구체

    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추후 생태유아교육과정의 기독교적 실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서 의미를 가지고, 실천을 위한 구체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Ⅱ. 생태적 위기에 대한 기독교의 이해

    1. 생태적 위기에 대한 기독교 책임 논란

    기독교의 환경적 책임론을 제시한 린 화이트(White, 1967)는 미국과학진흥협회에서 발표한

    「우리의 생태적 위기의 역사적 뿌리(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 Crisis)」라는 논

    문에서 창조주가 인간에게 피조물들을 다스릴 절대적 권한을 주었고, 이것이 자연에 대한 착

    취와 지배를 정당화하도록 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 후 이러한 논의는 생태학이나 신학적 측

    면에서 다각적인 논란을 일으키게 되었다. 드볼과 세션(Devall & Session, 1985)과 같은 심층

    생태학의 비판이나 환경문제를 기독교 자연관에서 해설하고 환경론적 대안을 제시하는 맥하

    그(MacHarg, 1992)의 생태계획이론 등은 이러한 논란에 다양한 시각을 부여하였고, 맥쿼리

    (Macquarri, 1971; Macquarri, 1992)는 이러한 비판적 입장에 근거한 기독교의 변화를 촉구하

    고 있다.

    린 화이트의 생태계 위기에 대한 기독교적 책임론의 근거가 되는 인간중심적인 사상체계

    의 초석은 초대교부들 중의 오리게네스(Origen, 약185-254)를 살펴볼 수 있다. 그는 정신과

    물질의 이원론을 앞세워 자연이 인간의 구원을 위한 도구에 불과하며 궁극적으로 창조주 하

    나님 앞에서 아무런 존재가치가 없다고 함으로써 자연의 위상을 낮추었다(소기석, 2005)는

    비판적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단지 교회에서 공식적으로 확립된 교리가 아

    니었으며, 플라톤주의의 이원론과 스토아주의의 로고스론과 유물론 등에도 영향을 받은 접근

    이었다는 해석(정용석, 2010)도 있다. 그가 비록 인간 영혼 중심의 사고를 폄으로써 자연의

    위상과 역할을 소홀히 하였지만 물질계에 대한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논의는 열어두었던 것

    도 사실이다.

    그러나 기독교의 생태적 관심이 나타난 신학적 입장과 접근들도 논의되고 있다. 기독교 성

    서를 통해 생태신학의 실천적 사상가로서 지목되는 초대교부 이레네우스(Irenaeus)는 자연에

    대한 영지주의의 가르침을 비판하면서 자연계에 대한 교회사상을 정립하기 위해 노력한 인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5

    물이다. 2∼3세기에 교회에 가장 위협적이었던 이단 영지주의는 다양한 사유를 종합한 혼합

    주의적 경향을 띠면서 극단적 이원론적 체계를 형성(김이태, 1970; 주승민, 2010)하였다. 영지

    주의가 보여주는 물질계에 대한 경시사상과 이원론적 성서 해석에 대한 비판에 근거한 이레

    네우스(Irenaeus)의 신학 작업은 신비주의도 아니고, 범신론도 아닌 성서적 관점에서 균형과

    자연계 통합의 원리를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주승민(2010)은 이레네우스를 신학적으로 지리적으로 연관을 맺으면서 하나님, 그리스도,

    인간, 자연에 관한 주제들을 매우 통찰력 있게 다룬 성서 연구가로 평가하고 있다. 이레네우

    스를 기독교 변증가요, 선교를 위해 헌신한 신학자로서 인간의 구원, 우주의 운영, 그리스도

    의 구원 사역의 통합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제시한 생태신학자로 해석하고 있다. 이것은 그리

    스도를 통해 인간은 물론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마저도 새롭게 되어 생명축제에 참여한

    다는 신학적 사상을 통해 기독론을 생태계로 연결시켰다고 볼 수 있다.

    식물이나 동물을 비롯한 모든 생물이 인간에게 종속된 존재가 아니라 하나님 창조의 한 부

    분으로 독립적 존재라고 보아야 한다는 논의들(김은규, 2003; 김철영, 2004)은 기독교가 가진

    창조에서 하나님의 선한 합목적적 창조를 내포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독

    교의 창조는 우연의 산물이거나 비목적적 존재가 아니라 말씀과 영의 권능을 통해 창조되고

    보존되고, 완성되어가는 하나님의 섭리 안에 근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연 파괴의 책임에 대한 또 다른 입장은 기독교적 세계에서 해방된 현대산업사회의 세속

    화된 사회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는 입장(소기석, 2005)이 있다. 이는 자연 파괴의 근원적

    문제는 기독교의 신본주의가 아니라 인본주의적 관점에 근거한 쾌락과 물욕이라고 주장한다.

    인본주의적 경제관은 사람이 주체가 되고 자연은 객체로 보거나 외면해 버리기 때문에 사람

    만이 중심이 되어 있는 노동가치설과 효용가치설을 정립하였다. 이대환(1992)은 이와 반대로

    성경적인 자연가치는 레위기 25장 5절에서 제시한 ‘스스로 난 것’에 대한 가치를 지칭하는 것

    으로 자연을 공유로 돌리므로 자연과 사람이 함께 사는 삶의 의미를 제시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생태적 위기에 대한 기독교 책임론들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자연을 어떻게 바라보

    는가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기독교에서 바라보는 성경적 자연

    관에 대한 정립에 기초하여야 한다.

    2. 자연에 대한 기독교의 이해

    성경에 기초한 기독교적 자연에 대한 이해는 창조의 원리에 기초한다. 기독교의 생태적 이

    해와 각성은 하나님에 의해서 창조된 생명은 “보시기에 좋았더라”라는 선하신 목적에 기초하

  • 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여 있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생명은 존엄하고, 그분에 의해 생명의 권리를 각 개체가 부

    여받았음을 제시하고 있다. 기독교에서 생명에 대한 이해는 본질적으로 인간중심이 아니라

    하나님 중심이다. 즉 생명의 윤리적 척도는 인간이 아니라 하나님(김철영, 2004)라는 관점에

    서 하나님은 구속사적 역사 속에서 생명의 ‘창조자’로서만이 아니라 ‘구속자’이자 ‘보존자’로

    생명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알트(Alt, 2003)는 예수님이 가르쳤던 창조주 사랑의 원리는 ‘생명론(Vita-logy)’이자 ‘생태

    론(Eco-logy)’이라고 하였다. 평화의 새로운 세기로 가는 길을 보여주는 이가 바로 생태적 예

    수이다. 결국 예수님의 생태학이 가지는 이중 메시지는 사람들 사이의 평화 없이는 자연과의

    평화도 없다는 것과 자연과의 평화 없이는 사람들 간의 평화도 없다는 것이다.

    기독교의 자연과 사람의 관계성에 대한 논의에서 기독교가 갖는 자연에 대한 비신성화(안

    서영, 1999)의 본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기독교의 자연에 대한 비신성화는 자연에 대한

    비가치성이나 소외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요, 인간중심주의를 표방하는 것도 아니다. 기독교

    의 그리스도 중심적 자연관은 이원론적 해석이 아니라 창조의 사귐 속에서 삼위일체적 창조

    론에 근거하여(Moltmann, 1987) 창조적 섭리 안에서 만물에 대한 현실적 총체로서 자연을

    이해토록 한다. 이는 초월적 신관과의 단절이 아니라, 초월과 내재의 조화를 이루는 삼위일체

    하나님이 세계의 창조자이자 우주의 영으로 피조물과 사귐 안에 내재하는 총체성으로 드러

    남을 지칭한다.

    기독교의 피조물은 상대적 권력 체제로서가 아니라 총체적 관계성에 근거하여 창조되었음

    에 대한 논의들은 성경에 드러난 사람과 자연의 관계성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

    한 논란에 주요하게 논의되는 성경은 다음의 창세기 1장 28절이다.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

    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God

    blessed them and said to them, “Be fruitful and increase in number; fill the earth and

    subdue it. Rule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the birds of the air and over every living

    creature that moves on the ground.”)[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세기1:28]

    창세기 1장 28절의 해석의 논란은 ‘다스린다’와 ‘정복하다’에 대한 해석적 논란과 이어진다.

    그러나 ‘다스린다’라는 히브리어 ‘Raddah’는 본래 고대 이집트와 바벨론의 궁중 언어 ’돌보다

    ‘라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며 ‘정복하다’라는 히브리어 ’Kabas’는 파괴와 착취가 아니라 인간

    에 대한 하나님의 축복을 의미하는 것(목창균, 1995)이다. 이는 자연 세계와 행복과 평화를

    가꾸고 돌보며 소산물을 먹고 건강하게 사는 축복을 동반하는 청지기적 사명(전광식, 1997;

    Moltmann, 1987)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청지기적 사명은 평화적 관계이지 ‘삶과 죽음에 대한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7

    권한’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청지기적 사명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부여(김재진, 2010; 정기철, 2010;

    Peterson, 2007), 자유에 대한 책임(김형선, 1994; 방지형, 1994; Peterson, 2007), 창조적 교통

    (전광식, 2010; Moltmann, 1987)이 내포된 돌봄과 섬김의 사명으로 해석된다.

    또한 성경적 피조세계는 하나님의 솜씨로 사람과 자연을 만드시고 그들 간의 관계를 창조

    한 것이다. 자연의 모든 신비는 하나님의 솜씨가 나타난 것이므로 자연에서 발견한 경이가

    하나님에 대한 경외로 이어지는 것이 창조론의 기본(양승훈, 1993)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독교는 ‘생명과 생태’ 라는 문제를 단지 자연이라는 환경 안에서 따로 떼어 바라

    보는 것이 아니라 풀 한포기, 미생물 하나도 신의 섭리 안에서 연결되어 공존한다는 틀(김은

    규, 2003)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즉 창조의 목적에서 차이나 특성에 대한 이해는 오히

    려 기독교가 자본주의 논리에 따라 환경파괴의 현실에 무감각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

    는 과제를 남기고 있다.

    Ⅲ. 기독교의 유아에 대한 이해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창조주 하나님은 크고 놀라운 계획을 가지고 창조하셨다고 하였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1:1)”와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지은 바 되었으니

    지은 것이 하나도 그가 없이는 된 것이 없느니라(요1:3)”라는 창조론적 시각에서 유아를 살펴

    볼 수 있다. 유아가 어떻게 창조되었고, 우주적 관계를 가지며, 어떻게 태어나서, 어떤 존재론

    적 특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면 다음의 몇 가지로 논의될 수 있다.

    1. 창조: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유아

    성경은 창조적 원리에서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으로의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

    성경적 인간 이해의 가장 특징적인 선언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으로 창조되었

    다는 것이다. 유아를 하나님의 형상으로 바라보아야 하며, 그 속에 있는 하나님의 형상을 존

    중하는 것이 창조의 뜻이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 기독교 유아관이다(김성수, 2005; 정희영,

    2004; Joy, 1975).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Then God

  • 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sai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in our likeness.....”)[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세기1:26]

    코메니우스(Comenius)에 의하면 유아는 하나님의 형상이 있는 합리적 존재이며, 하나님과

    교제하는 존재로 지음을 받은 가장 온화하고 성스러운 존재이지만, 최초의 인간인 아담의 죄

    로 말미암아 타락하여 부패한 상태라고 하였다(Comenius, 1956). 그러나 본성이 악한 것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형상을 받은 존귀한 존재라고 볼 수 있다. 성경적 관점은 유아

    를 열등한 존재가 아니라 순수하고 최고의 가치를 가진 존재로 제시하고 있다. 성경에 나타

    나는 유아는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로 지칭되기도 하고, 천국에서 큰 자의 모델로 제시

    하기도 하였다.

    가라사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돌이켜 어린아이들과 같이 되지 아니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And he said: “I tell you the truth, unless you change and became

    like little children, you will never enter the kingdom of heaven.”)[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마

    태복음 18:3]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 어린아이와 같이 자기를 낮추는 그이가 천국에서 큰 자니라

    (“Therefore, whoeer humbles himself like this child is the greatest in the kingdom of

    heaven.”)[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마태복음 18:4]

    예수님은 완전한 하나님의 나라를 향한 순수와 열정을 가진 존재로서 어린 아이를 제시하

    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존재론적 가치를 가진 아이에 대한 우리의

    자세를 제시하기도 한다. 즉 어린아이를 돌보고 영접함에 대한 삶의 자세를 제시하면서 유아

    의 돌봄의 가치를 확인시켜주고 있다.

    누구든지 하나님의 나라를 어린 아이와 같이 받들지 않는 자는 결단코 그곳에 들어가지 못하

    리라(“anyone who will not receive the kingdom of God like a little child will never enter

    it.”)[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마가복음 10:15]

    누구든지 내 이름으로 이런 어린 아이 하나를 영접하면 곧 나를 영접함이니(“And whoever

    welcomes a little child like this in my name welcomes me.”)[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마태복

    음 18:5]

    강란혜(2003)는 유아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태어난 천하보다 귀한 존재라고 하였다.

    이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형상대로 창조된 생명 있는 존재인 아동을 귀하게 돌보아야 한다는

    과제와 연결된다. 유아는 원죄라는 본질적 죄성이 있지만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 가능한 최

    고의 존재이며 새로운 피조물의 잠재적 존재로서 이해하여야 한다.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9

    2. 관계: 자연인으로서의 유아

    성경에서 나타난 생명의 시작은 자연이다. 성경은 모든 생물이 흙으로 만들어졌다고 하고

    있다.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그 사람을 자연 속에 공동체적 삶의 양식 속

    에 두셨음을 제시하고 있다.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된지라(the Lord God formed th man from the dust of the ground and breathed into his

    nostrils the breath of life, and the man became a living being) [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세

    기2:7]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각종 들짐승과 공중의 각종 새를 지으시고(Now the LORD God had

    formed out of the ground all the beasts of the field and all the birds of the air.) [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세기2:19]

    이에 대한 창조과학자들의 입장을 살펴보면 현대 과학도 사람을 비롯한 생물이 흙으로 되

    어 있음을 증거하고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정찬문(2006)은 실제로 생물은 그 구성 원소를 분

    석해보면 흙의 성분과 거의 같음을 주장하고 있다. 생물체와 흙, 지각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성분은 산소, 수소, 칼슘, 칼륨, 인, 나트륨, 마그네슘, 철, 구리, 망간, 크롬 등이다. 그리고 생

    물체에 두 번째로 많이 포함된 탄소(C)는 지각 성분에는 없으나, 실제로 흙(토양)에는 유기

    화합물로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엄밀히 말하면 생물체의 모든 성분은 빠짐없이 흙 속에 들어

    있는 성분이다. 우주의 변화와 그 특성, 원소 분석 등을 통해 생명에 대한 출발이 흙으로 되

    어져 있다는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장대식, 1999; MacArthur, 2009).

    성경은 사람이 흙으로 지어졌으므로 결국 흙으로 돌아감을 언급하였다. 이는 인간은 자연

    인으로 자연에서 왔고, 자연으로 돌아가야 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독교적 생명관에서는 유

    아를 하나님이 흙으로 자신의 형상을 따라 지었음 인정하고, 다시 흙으로 돌아가는 존재라는

    인식을 전제로 하고 있다.

    네가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 먹을 것을 먹으리니 네가 그것에서 취함을

    입었음이라.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니라(By the sweat of your brow you will eat

    your food until you return to the ground, since from it you were taken; for dust you are and

    to 연t you will return.)[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세기3:19]

    이는 유아에 대한 교육적 생명 인식이 자연성에 대한 인정을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성

    경적 유아에 대한 이해는 자연에서 와서, 자연으로 돌아갈 존재인 자연인의 관점으로 볼 수

    있다. 성경은 인간의 가장 평온한 상태를 하나님 안에서 자연에 거하며 그 평안의 형통을 누

  • 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리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깨트림으로 인해 영적 평온과

    자연과의 화평이 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사야 11장의 평화의 나라는 젖 먹는 아이가 독

    사와 장난하고, 암소와 곰이 함께 먹으며 살아가는 자연적 조화를 그리고 있다. 하나님의 창

    조된 질서대로 유아는 자연과 선한 관계성을 가지고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 본질임을 발견할

    수 있다.

    저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시절을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

    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He is like a tree planted by streams of water,

    which yields its fruit in season and whose leaf does not wither. Whatever he does

    prospers.)[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시편 1:3]

    내가 너희를 인도하여 기름진 땅에 인도하여 그것의 열매와 그것의 아름다운 것을 먹게 하였

    거늘 너희가 이리로 들어와서는 내 땅을 더럽히고 내 기업을 역겨운 것으로 만들었으며(I

    brought you into a fertile land to eat its fruit and rich produce. But you came and defiled

    my land and made my inheritance detestable.)[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예레미야2:7]

    주의 대적으로 말미암아 어린 아이들과 젖먹이들의 입으로 권능을 세우심이여 이는 원수들과

    보복자들을 잠잠하게 하려 하심이니이다(From the lips of children and infants you have

    ordained praise because of your enemies, to silence the foe and the avenger.)[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시편8:2]

    젖 먹는 아이가 독사의 구멍에서 장난하며 젖 뗀 어린아이가 독사의 굴에 손을 넣을 것이라

    (The infant will play near the hole of the cobra, and the young child put his hand into the

    viper's nest.)[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이사야11:8]

    내 거룩한 산 모든 곳에서 해 됨도 없고 상함도 없을 것이니 이는 물이 바다를 덮음 같이 여

    호와를 아는 지식이 세상에 충만할 것임이니라(They will neither harm nor destroy on all my

    holy mountain, for the earth will be full of the knowledge of the LORD as the waters cover

    the sea.)[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이사야11:9]

    3. 출산: 축복으로서의 유아

    기독교에서의 임신과 출산은 축복이자 애씀에 대한 하나님의 요구를 포함하고 있다. 1933

    년 영국의 의사 그랜틀리 딕 리드(Grantly Dick-read)는 『자연분만』이라는 저서를 통해 자

    연적 출산을 자연분만이라는 용어로 정립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성경적 출산에

    대한 의미를 논의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정환욱(2011)은 이러한 성경적 출산은 글라스

    (Glass)의 연구에서 창세기 3장 16절에 있는 고통(개역 개정, pain-NIV, sorrow - KJV,

    pain- NASB)의 의미 분석을 볼 때 고통 이상의 의미를 가짐을 제시한 바 있다. 창세기 3장

    의 고통(pain)은 히브리 원어로는 “엣제브(etzev)”인데 엣제브의 가장 가까운 영어 번역은 오

    히려 애씀(toil)에 가깝고 이는 단순한 고통이 아니라 아담과 하와의 애씀과 수고로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이다.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11

    기독교의 출산은 창세기 1장 28절에 나타나는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는 하나

    님의 창조 명령이자 축복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담과 하와의 불순종이 낳은 타락으로

    인해 창세기 3장 17절에 의하면 남자에게는 “네 평생에 수고하여야 그 소산을 먹으리라”는

    심판이 있었고, 여자에게는 “네게 임신하는 고통을 크게 더하리니 수고하고 자식을 낳을 것

    이며”라는 결과가 있었다. 이와 더불어 레위기 12장 1절에서 8절은 산모에 대한 정결규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정결규정은 출산한 산모가 부정을 입은 것으로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 정결 예식을 행함으로 부정을 정결케 하는 유대의 정결규정이다.

    이에 대한 일반적 해석은 우선 아담의 불순종으로 인한 타락 이후 출산에 수반 되는 피,

    분비물 등은 죄의 결과인 죽음을 상징한 부정한 부산물에 대한 정결에 대한 입장과 출생과

    그와 관련된 산모의 몸 조리 및 위생 문제에 있어서 깨끗한 보건생활을 유지하려는 히브리인

    들의 교육적, 보건 위생적 의도를 포함한 것이다(서재생, 2005).

    구약성경에서의 출산을 위한 정결규정은 원죄로서의 인간에 대한 제사로서의 회복을 위한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출산에 있어서의 이러한 정결규정이 기독교에서 현재에도 지켜지

    는 규정은 아니라 할지라도 이러한 규정이 내포하고 있는 생명의 탄생에 따른 성결의 중요성

    이나 자연적 위생을 위한 접근은 생명 출산의 자연적 정결을 위한 의미있는 접근(정환욱,

    2011; Davis & Pascali-Bonaro, 2011)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임신과 출산은 아기를 낳는 과정

    이 아니라 한 여성으로서 묵혀두었던 아픔을 치유하면서 새로운 축복으로 나아가는 의례인

    것이다.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여인이 임신하여 남자를 낳으면 그는 이레 동안 부정하리

    니 곧 월경할 때와 같이 부정할 것이며(Say to the Israelites: ‘a woman who becomes

    pregnant and gives birth to a son will be ceremonially unclean for seven days, just as she

    is unclean during her monthly period.’)[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레위기12:2]

    여자를 낳으면 그는 두 이레 동안 부정하리니 월경할 때와 같을 것이며 산혈이 깨끗하게 됨

    은 육십 육일을 지나야 하리라(If she gives birth to a daughter, for two weeks the woman

    will be unclean, as during her period. Then she must wait sixty-six days to be purified

    from her bleeding.)[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레위기12:5]

    그러나 여자들이 만일 정숙함으로써 믿음과 사랑과 거룩함에 거하면 그의 해산함으로 구원을

    얻으리라(But women will be saved through child-bearing - if then continue in faith, love

    and holiness with propriety.)[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디모데전서2:15]

    그가 임신하여 아들을 낳고 이르되 하나님이 내 부끄러움을 씻으셨다 하고(She became

    pregnant and gave birth to a son and said, “God has taken away my disgrace.”)[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세기30:23]

    더불어 출산과 자녀는 성경에서 축복의 일로 언급되어지고 있다. 이삭이 야곱을 축복할 때

  • 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창세기 27장 26절에서 27절까지 “내 아들아 가까이 와서 내게 입 맞추라 그가 가까이 가서

    그에게 입 맞추니 아버지가 그의 옷의 향취를 맡고 그에게 축복하여 이르되”라고 하였다. 이

    는 자녀는 축복의 대상이며, 아비와 어미된 부모는 축복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다음의

    성경구절은 출산과 자녀에 대한 축복을 내포하고 있다.

    보라 자식들은 여호와의 기업이요 태의 열매는 그의 상급이로다(Sons are a heritage from

    the Lord, children a reward from him) [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시편 127:3]

    네 집 안방에 있는 네 아내는 결실한 포도나무 같으며 네 식탁에 둘러 앉은 자식들은 어린 감

    람나무 같으리로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는 이같이 복을 얻으리로다.(Your wife will be like a

    fruitful vine within your house; your sons will be like olive shoots around your table. Thus

    is the man blessed who fears the Lord.) [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시편 128:3~4]

    내 형질이 이루어지기 전에 주의 눈이 보셨으며 나를 위하여 정한 날이 하루도 되기 전에 주

    의 책에 다 기록이 되었나이다.(your eyes saw my unformed body. All the days ordained for

    me were written in your book before one of them came to be.) [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시편

    139:16]

    예수님은 유아의 존재와 그들의 섬김과 축복의 의미를 확인해 주셨다. 또한 마가복음 10장

    14절과 16절을 살펴보면 “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 하나님의 나

    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누구든지 하나님의 나라를 어린 아

    이와 같이 받들지 않는 자는 결단코 그 곳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하시고 그 어린 아이들을 안

    고 그들 위에 안수하시고 축복하시느니라”라고 하였다. 유아에게 안수하고 축복하는 일의 모

    범을 예수님이 보임으로써 섬김과 축복의 실제를 보여주고 있다.

    어린 아이들을 용납하고 내게 오는 것을 금하지 말라 천국이 이런 사람의 것이니라 하시고

    (Let the little children come to me, and do not hinder them, for the kingdom of heaven

    belongs to such as these.)[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마태복음19:14]

    그 어린아이들을 안고 그들 위에 안수하시고 축복하시니라(And he took the children in his

    arms, put his hands on them and blessed them.)[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마가복음10:16]

    이 때에 예수께서 성령으로 기뻐하시며 이르시되 천지의 주재이신 아버지여 이것을 지혜롭고

    슬기 있는 자들에게는 숨기시고 어린아이들에게는 나타내심을 감사하나이다 옳소이다 이렇게

    된 것이 아버지의 뜻이니이다.(At that time Jesus, full of joy through the Holy Spirit, said, “I

    praise you, Father, Lord of heaven and earth, because you have hidden these things from

    the wise and learned, and revealed them to little children”.)[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누가복음

    10:21]

    4. 존재: 전인적 존재인 유아

    성경에서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만한 능력의 대상으로서 유아를 말하고 있다. 성경에서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13

    하나님의 형상대로의 유아는 조화로운 전인적 통합체로 보아야 한다. 성경에서 인간은 독특

    한 존재이자 전인적 존재인 피조물로 해석된다.

    각각 하나님께 받은 은사가 있으니 이 사람은 이러하고 저 사람은 저러하니라(But each man

    has his own gift from God; one has this gift, another has that.)[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고린

    도전서7:7]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우리 모든 사람을 위하여 내주신 이가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은사로 주지 아니하겠느냐(He who did not spare his own Son, but gave

    him up for us all - how will he not also, along with him, graciously give us all things?)[개

    역개정 NIV 한영성경 로마서8:32]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창조하셨고, 지혜와 사랑을 충만케 하셨을 뿐 아니라 하나님을 영화

    롭게 하게 하셨다는 논의들(강란혜, 2003; 김학영, 1997; 손원영, 2004)은 유아를 전인적 존재

    이자 개성을 가진 존재로 해석하고 있다. 김성수(2005)는 인간에 대한 성경적 이해로 하나님

    의 형상, 종교적 존재, 전인적 존재, 다차원적 존재의 특성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때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은 하나님의 선한 청지기로서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도록 부름 받았다는

    것이다.

    우리에게 주신 은혜대로 받은 은사가 각각 다르니 혹 예언이면 믿음의 분수대로(We have

    different gifts, according go the grace given us. If a man's gift is prophesying, let him use

    it in proportion to his faith.)[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로마서12:6]

    각양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이 다 위로부터 빛들의 아버지께로부터 내려오나니 그는 변함

    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시니라(Every good and perfect gift is from above,

    coming down from the Father of the heavenly lights, who does not change like shifting

    shadows.)[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야고보서1:17]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여러 가지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같이 서로 봉사하라

    (Each one shoule use whatever gift he has received to serve others, faithfully administering

    God's grace in its various forms.)[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베드로전서4:10]

    전인적 존재로서 인간은 데살로니가전서 5장 23절에 근거하여 영, 혼, 몸이 조화로운 인격

    체로서 볼 수 있다. 성경은 인간은 육체와 정신, 영혼으로 구성된 존재이며 이것은 영과 육을

    이원론적으로 분리했던 일부 그리스 철학자들과의 이해와는 다른 것으로 몸은 인간 존재의

    일부가 아니라 인간 자아와 인격을 나타내는 전체이며 몸과 정신으로 나뉠 수 없는 전인적

    유기체(김은혜, 박원빈, 연요한, 이종원, 이혁배, 2009)로서 통합적인 존재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평강의 하나님이 친히 너희를 온전히 거룩하게 하시고 또 너희의 온 영과 혼과 몸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강림하실 때에 흠 없게 보전되기를 원하노라(May God himself, the God of

  • 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eace, sanctify you through and through. May your whole spirit, soul and body be kept

    blameless at the coming of our lLord Jesus Christ.)[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데살로니가전서

    5:23]

    또 마음을 다하고 지혜를 다하고 힘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과 또 이웃을 자기 자신

    과 같이 사랑하는 것이 전체로 드리는 모든 번제물과 기타 제물보다 나으니이다(To love him

    with all your heart, with all your understanding and with all your strength, and to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is more important than all burnt offerings and sacrifices)[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마가복음12:33]

    기독교의 성경적 인간의 존재론적 이해의 핵심은 하나님의 선한 창조에 대한 이해, 타락으

    로 인한 죄악의 현실적 실체,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을 통한 해방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

    한 인간은 본질적으로는 선한 창조의 전인적 존재론에서 출발하나 타락 이후의 예수 그리스

    도의 구속에 대한 이해를 포함해야 되는 것이다.

    Ⅳ.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실천 원리

    기독교에 근거한 유아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기본적 원리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교육내

    용, 교육방법, 교육환경의 관점에서 탐색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내용의 원리: 영과 삶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창조에서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의 영성을 제시하고 있

    다. 타락한 인간이 죄의 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지라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는

    선한 가능성은 회복과 살림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기독교 유아교육에서 이러한 측면에

    서 유아를 회복의 가능성을 가진 영적 존재로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의 성경구절을

    살펴볼 때 성경에서는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을 받은 영적인 존재로서 보고 있다.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生

    靈)이 되니라(the Lord God formed the man from the dust of the ground and breathed into

    his nostrils the breath of life, and the man became a living being.)[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세기2:7]

    하나님의 창조는 의와 거룩함을 덧입어 무한한 가능성의 통로를 열었다. 인간의 타락과 죄

    성은 의와 거룩함으로부터 단절을 가져왔다고 할지라도 다시 회복의 가능성은 예수 그리스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15

    도를 통해 열렸다는 것(김이곤, 1989; 전광식, 1997)이 기독교 유아교육의 중요한 내용이다.

    그러나 생명의 회복은 창조, 타락, 구속의 연계에 근거한다(김성수, 1996; 안상님, 1991). 이

    러한 구속사적 회복을 위해서는 하나님과의 교제로 나아가는 영과 삶의 돌봄이 강조되어야

    한다. 하나님은 인간을 생명이 있는 존재로 만드시고 하나님이 주신 호흡으로 숨을 쉬어 생

    명을 유지하게 하셨다. 이는 하나님과의 호흡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하나님의 형상에 따른

    영적인 존재로서 속성을 내포하는 종교적 존재(김성수, 1996; Peterson, 2007)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뜻을 부정하고 관계가 깨어짐으로써 불안과 두려움을 갖게 되는 인간

    (창3:8; 창3:10)은 자연과 사람의 관계가 깨어지고(창3:18-24),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깨어지

    며 생명 파괴의 시작(창3:12; 창4:8)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대한 회복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에 근거한 회복이며 이를 통한 하나님과의 관계 화

    목은 하나님, 인간, 세계의 관계성 회복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독교 유아

    교육은 관계의 화목을 위한 영과 삶에 대한 구속사적 돌봄이 필요하다. 기독교 세계관에 근

    거한 영적 돌봄과 창조적 관계성에 근거한 삶의 돌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유아는 성령

    의 도우심(김학영, 1997; 정희영, 2004)과 영적 자각에 근거한 예수 그리스도의 회복으로 향하

    는 삶의 자람이 있어야 한다.

    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하여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지라 그는 머리니 곧 그리스도라

    그에게서 온 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받으므로 연결되고 결합되어 각 지체의 분량대로

    역사하여 그 몸을 자라게 하며 사랑 안에서 스스로 세우느니라(Instead, speaking the truth in

    love, we will in all things grow up into him who is the Head, that is, Christ. From him the

    whole body, joined and held together by every supporting ligament, grows and builds itself

    up in love, as each part does its work.)[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에베소서4:15-16]

    이러한 돌봄은 하나님이 인간과 자연의 삶을 돌보는 것과 같이 유아의 삶을 돌보도록 위임

    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바쁘고, 외롭고, 불안한 부모를 대신하는 기독교 유아교육은 하나님의

    돌봄의 내용을 담아야 한다. 성경의 구속사적 돌봄에 근거하여 영과 삶에 대한 돌봄을 위임

    받은 사람이 부모와 유아교사라고 볼 수 있다.

    공중의 새를 보라 심지도 않고 거두지도 않고 창고에 모아들이지도 아니하되 너희 하늘 아버

    지께서 기르시나니 너희는 이것들보다 귀하지 아니하냐(Look at the birds of the air; they do

    not sow or reap or store away in barns, and yet your heavenly Father feeds them. Are you

    not much more valuable than they?)[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마태복음6:26]

    여인이 어찌 그 젖 먹는 자식을 잊겠으며 자기 태에서 난 아들을 긍휼히 여기지 않겠느냐

    (“Can a mother forget the baby at her breast and have no compassion on the child she has

    borned?”)[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이사야49:15]

    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 하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

  • 1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누구든지 하나님의 나라를 어린 아이와 같이 받들지 않는 자는

    결단코 그 곳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하시고 그 어린 아이들을 안고 그들 위에 안수하시고 축복

    하시느니라(“Let the little children come to me, and do not hinder them, for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such as these. I tell you the truth, anyone who will not receive the kingdom

    of God like a little child will never enter it.”)[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마가복음10:14-16]

    Brummelen(1996)은 그리스도의 책임 있는 제자가 되도록 영유아들을 돕고 인도하여 그리

    스도인다운 생활양식에 헌신하고,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도록 격려하는 것이 기독교 유아교육

    이라고 하였다.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은 구속사적 관점에서 유아의 영과 삶을 하나님의 마

    음을 품고 기도하는 돌봄의 원리에 근거하여야 할 것이다.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은 수동적 지식 습득이 아니라 유아가 삶을 통해 하나님의 지혜를

    얻고, 하나님을 닮아가며, 그에게 의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어야 한다. 정희영(2004)은 기

    독교 유아교육의 내용은 하나님, 인간, 그리고 자연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어야 한다고 하였

    다. 즉 하나님, 인간, 자연을 구속사적 관점에서 영과 삶의 내용으로 풀어가는 기독교 유아교

    육의 생태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내용이 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본질에 근거하여 자연스

    럽게 삶을 통해 돌볼 수 있기 위해서는 창조론적 관계성의 회복이 필요하다. 유아는 하나님

    의 섭리로 이 땅에 태어났다는 것이 성경적인 유아 이해의 기초이다. 하나님의 청지기로서의

    부모와 유아교사는 창조 섭리에 근거한 관계성에 기초하여 돌봄의 삶을 살아야 한다.

    2. 유아교육방법의 원리 : 관계와 교류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창조에는 자연 만물과 사람과의 조화가 있다. 사람에서 자연과 함

    께 더불어 살아가는 청지기적 사명을 주셨을 뿐 아니라 아담과 하와가 서로 연합하여 교류함

    (창2:24-25)을 삶의 과정으로 제시하고 있다.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은 구속사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김성수,

    1996; 김학영, 1997; 이은하, 1999). 유아교사는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유아와 하나님의

    관계, 유아와 사람들과의 관계, 유아와 자연의 관계가 회복되는 원리에 근거하여 창조적 관계

    성에 참여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인간은 하나님과 호흡하고, 사람과 교류하면서 살아가도록

    지음 받은 것을 나타낸다. 인간은 들숨과 날숨을 통해 하나님과 영적 교통을 하여야 하며, 사

    람과 환경과의 들숨과 날숨을 통해 전인적 발달을 이루어갈 수 있다(권미량, 2009).

    또한 사람은 하나님, 사람, 자연의 창조적 관계성에 근거하여 함께 교류하고 교통하도록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교육방법의 원리로 작용하여야 한다. 창조의 기본 섭리 속에서 사람이

    하나님과 호흡하고 교통하며, 사람과 더불어 교통하며, 자연과 교통하고 교류하는 방법이 필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17

    요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교통의 방법은 하나님과 예수님의 성경적 사

    역에서 그 모범을 탐색할 수 있다.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각종 들짐승과 공중의 각종 새를 지으시고 아담이 무엇이라고 부르

    나 보시려고 그것들을 그에게로 이끌어 가시니 아담이 각 생물을 부르는 것이 곧 그 이름이 되

    었더라(Now the LORD God had formed out of the ground all the beasts of the field and all

    the birds of the air. He brought them to the man to see what he would name them; and

    whatever the man called each living creature, that saw its name.)[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

    세기2:19]

    창세기 2장 19절에 근거하면 하나님은 자연을 만드시고 이를 아담에게 일방적으로 명한

    것이 아님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님은 아담과 대화를 통해 이름을 짓도록 하셨고,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에 근거하여 아담의 반응과 행위를 통한 교통을 중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셨다. 또

    한 아담이 자연을 만나는 과정도 이름을 지으며 그들과 더불어 호흡하는 교통의 시간을 갖게

    하셨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사람을 지으시고 대화하시기를 원하시며, 자연을 만드시고 그 자

    연과 교류하시기를 원하셨음을 드러낸다.

    성경에서 예수님의 가르침과 방식은 생명에 대한 존중과 생명의 특성에 맞춘 교육의 방식

    을 나타내고 있다. 예수님의 관심은 교회나 위계질서가 아니라 생태계와 치유였다. Alt(2003)

    는 예수님이 꿈꾼 것은 생태적 삶의 방식이며, 예수님의 신학은 추상적인 이론이 아니라, 생

    명(삶)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고 하나님을 가까이 경험하는 것으로서 결국 ‘생명론

    (Vita-logy)’이며, ‘생태론(Eco-logy)’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의 방식도 삶에 근거한 교류의 방식을 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수님은 대

    화를 통하거나 실제 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수사법을 활용하였다. 직유법(마23:27), 은유법(요

    6:35, 마5:13, 눅13:32, 마15:26, 눅7:24-25), 제유법(요4:32), 환유법(눅4:43), 돈호법(마11:21), 반

    어법(막7:9), 우화법(요15:1-10), 비유법(마13), 과장법(마19:24, 마15:26, 눅7:24-25), 대조법(마

    21:23-32, 마6:19-21, 마25:1-13, 마16:25, 마25:31-46, 눅10:25-37, 마5:21, 22, 27, 28, 33, 34, 38,

    39, 43, 44) 등의 수사법을 다양하게 사용하신 예수님의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강용원, 2008)

    는 유아교육방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교통의 방식을 설명해 주고 있다.

    예수님은 삶을 통한 교통의 방식으로 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유아교육의 방법에 있어서도

    하나님이 사람을 돌보거나 가르치는 구체적 방법이 보여주는 바대로 노래로(신31:19,22), 비

    유로(막4:2), 역사로(시78:1-8), 온유한 훈계나 교훈으로(딤후2:25, 사28:10), 대화로(눅2:46), 자

    연을 통해서(잠6:6-11) 새로운 관계성을 만들어 가야한다. 이러한 방식들의 기초는 삶이어야

    한다는 면에 착안할 수 있다. 예수님은 의식주와 같은 삶의 양식과 더불어 제자들을 교육하

  • 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셨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와서 조반을 먹으라 하시니 제자들이 주님이신 줄 아는 고로 당신이 누구

    냐 감히 묻는 자가 없더라. 예수께서 떡을 가져다가 그들에게 주시고 생선도 그와 같이 하시니

    라(Jesus said to them, “Come and have breakfast.” Nome of the disciples dared ask him,

    “Who are you?” They knew it was the Lord. Jesus came, took the bread and gave it to

    them, and did the same with the fish.)[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요한복음 21:12-13]

    그들이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While they

    were eating, Jesus took bread, gave thanks and broke it, and gave it to his disciples)[개역개

    정 NIV 한영성경 마태복음26:26]

    또한 예수님은 하나님과의 호흡을 하는 기도의 교통을 모범으로 보이고 계신다.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기 위해 하나님의 창조적 관계성의 방법대로 유아교사는 영적 본을 보이는 역

    할을 해야 한다. 하나님, 이웃, 자연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그 속에서 하나님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기도를 통한 영적 교류의 방법이 예수님의 교육의 방법인 것이다.

    예수께서 한 곳에서 기도하시고 마치시매 제자 중 하나가 여짜오되 주여 요한이 자기 제자들

    에게 기도를 가르친 것과 같이 우리에게도 가르쳐 주옵소서(One day Jesus was praying in a

    certain place. When he finished, one of his disciples said to him, “Lord, teach us to pray,

    just as John taught his disciples.”)[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누가복음11:1]

    새벽 아직도 밝기 전에 예수께서 일어나 나가 한적한 곳으로 가사 거기서 기도하시더니(Very

    early in the morning, while it was still dark, Jesus got up, left the house and went off to a

    solitary place, where he prayed.)[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마가복음1:35]

    하나님은 인간이 하나님과 대화를 통해 호흡하기를 바라시며, 자연과 조화로운 교통을 하

    기를 원하심을 드러낸다. 따라서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방식도 하나님이 사람과 자연이 함께

    조화롭게 살도록 하셨던 교류와 교통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성경적 교육의 방법

    은 유아를 돌보고 안내하는 주체가 성령임을 인정하고, 성령이 활동할 수 있도록 기도하고

    돕는 관계와 교통의 원리에 근거하여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어린 아이들이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막10:14)”는 말씀처럼 예수님은 여

    러 가지 사역 가운데 유아와 함께 하였다. 악한 귀신들린 딸을 고쳐 주셨고(마15:21-28), 벙어

    리 되고 귀먹은 귀신들린 아이를 고치셨으며(막9:25), 회당장 야이로의 딸도 고치는 치유사역

    (막5:35-43)을 통해 유아들에게 치유뿐 아니라 가르침을 주셨다.

    따라서 유아는 인간의 선한 원형에 가까울 수 있는 회복을 위해 예수님과의 교통을 통한

    구속이 필요하며, 이에 근거하여 하나님이 인간을 만들고 돌보던 양상에서 교육의 본질과 목

    적은 발견되어야 한다. 예수님과 교통을 통하여 하나님과의 영적 호흡, 인간 및 자연과의 관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19

    계 회복을 이루는 창조적 관계성에 기초한 구체적 교통의 방법이 기독교 유아교육에서 중요

    한 교육의 원리로 논의될 수 있다.

    3. 유아교육환경의 원리 : 자연의 동산

    성경에서 인간의 삶의 가장 적절한 환경은 에덴동산이었다. 에덴동산은 하나님의 창조 섭

    리 안에서 자연과 인간이 가장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자연적 환경이었지만 인간의 타락으

    로 인해 제한되어져버린 환경(창3:22-24)이기도 하다. 따라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유아에게 가장 적합한 교육환경의 모범은 에덴동산에서 찾을 수 있다.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God saw all that he had

    made, and it was very good.)[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세기1:31]

    여호와 하나님이 동방의 에덴에 동산을 창설하시고 그 지으신 사람을 거기 두시니라(Now

    the LORD God had planted a garden in the east, in Eden; and there he put the man he had

    formed.)[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세기2:8]

    강이 에덴에서 흘러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져 네 근원이 되었으니(A river

    watering the garden flowed from Eden; from there it was separated into four headwaters.)

    [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창세기2:10]

    그렇다면 하나님이 사람을 지어 살아가게 한 터전인 에덴동산과 같은 자연이 유아들이 자

    라기에 가장 적절한 교육 공간이 될 수 있다. 하나님은 사람이 창조하신 창조물과 상호작용

    하며, 조화롭고 통합되게 사는 자연적 터전을 통해 가장 평온한 일상을 허락하셨다. 아담을

    에덴동산으로 이끌어 내어 창조 세계를 보존하고, 봉사하도록 가르치는 명령으로 관리인이

    되어 책임 있는 청지기로서의 역할을 주셨다(김동춘, 2006)는 것이다. 즉 자연과 더불어 교통

    하며, 돌보는 섬김의 과정에서 인간은 하나님의 뜻을 알게 되고, 가장 평온하고 정상적 발달

    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아교육환경의 원리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성경에서 예수님의 가르침의 환경은 자연적 터전에 근거한 일상적 맥락 속에서 이루

    어짐을 발견할 수 있다. 강용원(2008)은 예수님은 성전(마21:12), 회당(마4:23), 산(마5-7장),

    들(눅6:17), 배(눅5:3), 결혼식(요2:1-11), 장례식(눅7), 우물가(요4:1-26), 길가(마21:18-22), 밀

    밭(마12:1), 뜰(마26:69-75) 등 다양한 상황이나 교육장소를 선택하여 교육하셨음을 밝히고 있

    다. 유아교육의 환경은 하나님이 주신 자연과 예수님이 보이는 교육적 맥락을 통해 이루어져

    야 한다. 성경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자연 속에서 교훈과 가르침을 받을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2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게으른 자여 개미에게 가서 그가 하는 것을 보고 지혜를 얻으라 개미는 두령도 없고 감독자

    도 없고 통치자도 없으되 먹을 것을 여름 동안에 예비하여 추수 때에 양식을 모으느니라(Go to

    the ant, you sluggard; consider its ways and be wise! It has no commander, no overseer or

    ruler, yet it stores its provisions in summer and gathers its food at harvest.)[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잠언6:6-8]

    자연의 원리와 관계는 하나님의 창조 섭리가 드러나 있고 교육의 소중한 본이 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유아교사는 자연을 통해 배움의 본을 열어줄 수 있다. 유아교사는 유아들이

    하나님과의 관계에 참여하고 자연과 교통할 수 있도록 연결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유아를 그 원리대로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교육이 중요함을 살펴볼 수 있다. 자연 속에서 하나님의 지혜를 발견하고, 사람과 자연을 사

    랑하고 함께 할 수 있는 삶의 자세를 돌보아주어야 할 것이다.

    이는 지혜와 훈계를 알게 하며 명철의 말씀을 깨닫게 하며(for attaining wisdom and

    discipline; for understanding words of insight;)[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잠언1:2]

    내 아들아 너는 듣고 지혜를 얻어 네 마음을 바른 길로 인도할지니라(Listen, my son, and be

    wise, and keep your heart on the right path.)[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잠언23:19]

    나의 조상들의 하나님이여 주께서 이제 내게 지혜와 능력을 주시고 우리가 주께 구한 것을

    내게 알게 하셨사오니 내가 주께 감사하고 주를 찬양하나이다 곧 주께서 왕의 그 일을 내게 보

    이셨나이다 하니라(I thank and praise you, O God of my fathers: You have given me

    wisdom and power, you have made known to me what we asked of you, you have made

    known to us the dream of the king.)[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다니엘2:23]

    지혜 있는 자는 궁창의 빛과 같이 빛날 것이요 많은 사람을 옳은 데로 돌아오게 한 자는 별과

    같이 영원토록 빛나리라(Those who are wise will shine like the brightness of the heavens,

    and those who lead many to righteousness, like the stars for ever and ever.)[개역개정 NIV

    한영성경 다니엘12:3]

    Ⅴ. 요약 및 논의

    현대사회는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교육의 정체성을 찾아야 하는

    시대적 과제를 안고 있다. 기독교에 있어서 유아교육에 대한 접근은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

    는 생태계의 문제와 삶의 질적 변화를 포함하는 새로운 유아교육의 패러다임이 창조의 원리

    가운데서 제시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에 근거하여 자연에 대한 이해와 유아에 대한 이해를 탐색하고, 기독교

    유아교육을 어떻게 생태적 관점에서 실천할 수 있는가의 원리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21

    우선 기독교가 가지는 생태적 관점을 이해를 위하여 생태적 위기에 대한 기독교 책임론에

    대한 찬반론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성경에 나타난 자연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기독교적

    자연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기독교의 유아에 대한 이해를 성경을 기초로 하여 유아가 어떻게 창조되었고, 자

    연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태어나서, 어떤 존재론적 특성을 가지는가를 창조,

    관계, 출산, 존재론적 특성을 기초도 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근거하여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유아, 자연인으로서 유아, 축복으로서의 유아, 전인적 존재로서의 유아로 이해되었다.

    이러한 유아의 생태적 특성에 근거하여 기독교 유아교육이 생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

    향을 탐색하였다. 유아교육의 실천적 원리를 내용, 방법, 환경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유아교

    육의 내용은 창조, 타락, 구속의 역사적 관점에 근거하여 ‘영과 삶’을 돌보는 내용이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또한 유아교육방법은 하나님과 예수님을 통해 관계를 회복하고 교류 하는 ‘관계

    와 교류’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환경의 원리는 창조의 원리와 성경에 나타난 가

    르침의 맥락인 ‘자연의 동산’으로 요약될 수 있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생태적 접근과 실천을 위한 노력들은 유아교육에서 학문적이고 실천적

    과제를 부여하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와 조기교육의 열풍으로 정체성을 잃어가는 유아교육의

    현주소에서 유아교육의 대안은 창조의 본질에 근거하여 언약을 세워나가는 시도들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독교 유아교육의 창조, 타락, 구속의 개념을 기초로 한 논의들(안서영, 1999; 이문하,

    2009)과 교육과정의 실천적 모색을 위한 연구들(윤응진, 2003; 이정순, 2009; 이혜상, 1994 )

    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유아교육과정에서의 기독교적 접근이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성이나

    생태적 접근을 시도한 것은 소수에 불과하다.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

    되면서 최근 기독교의 생명관이나 자연관에 근거하여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논의들(안서영, 1999; 이은하, 2009)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자연에 대한 이

    해는 이러한 접근과 일맥상통하며, 나아가 유아에 대한 구체적 이해가 교육과정으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의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가 본질

    적으로 생태적 특성을 견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육이 생태적 접근에서 실천

    적 원리를 가지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는 기독교 유아교육이 본질적 특성에 충실하기 위해

    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생태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실천적 모색이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였

    다.

    기독교유아교육의 생태적 실천을 위하여 유아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실천적 현상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추후 기독교유아교육의 생태적 실천을 위

  • 2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기독교 유아교사의 실천적 과제의 이론적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의 가능성에 기초하여 실천적 원리를 고

    찰하였으므로 구체성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이나 교사양성에서 기독

    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의 실천 모색이나 사례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나아가 기독교 유

    아교육과정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모형 개발을 추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의 실천을 위한 부모교육이나 교사교육의 방향도 지속적으로

    모색되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기독교 유아교육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구체

    적이고 실천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조직적이고 협력적인 실천 방향들이 모색되기를

    기대해본다.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23

    참고문헌

    강란혜(2003). 기독교 세계관에서 본 아동관. 한국일본교육학연구, 7(1), 159-174.

    강성호(1994). 창세기 1-11장에 나타난 창조와 생태학.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용원(2008). 기독교교육 방법론. 서울: 기독한교.

    강은주(2011).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기독교 유아생태문학교육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1),

    509-531.

    권미량(2009). 유아교육과정. 서울: 청목출판사.

    김기아(1996).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대안.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낙원(2001). 생태계의 위기와 기독교 윤리의 실천적 과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동춘(2006).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경영관리. 서울: 창지사.

    김성수(1996). 기독교 유아교육의 원리. 고신대학교 논문집, 23, 55-70.

    김성수(2005). 기독교사의 소명과 과업. 한국기독교유아교육학회 2005년 추계학술대회자료

    집, pp3-23. 9월 10일. 서울: 새세대 육영회 대강당.

    김은규(2003). 창세기 1장의 생명과 생태사상: 노장사상과 불교적 이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30, 51-80.

    김은주(2003).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은혜 외(2009). 성서 다시 보기. 서울: 숭실대학교 출판부.

    김이곤(1989). 성경을 통해서 본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기독교사상, 89(9), 3-27.

    김이태(1970). 복음진리의 수호자, 이레네우스. 기독교사상, 141(2), 148-154.

    김재진(2010). 칼빈과 루터신학 유사성에 관한 일고- 노예된 의지와 선택의 자유를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 27, 187-215.

    김창완(1997). 코메니우스의 유아교육사상 연구. 유아교육연구, 17(2), 5-26.

    김철영(2004). 생명과 생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과학기술과 생명가치의 만남에 있어

    서 협의회적 형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31, 503-548.

    김학영(1997). 유아교육에서의 기독교교육의 문제. 신앙과 학문, 2(4), 99-112.

    김현정(1996). 환경문제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형선(1994). 생태계의 위기와 창조론과의 관계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 2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논문.

    목창균(1995). 현대신학논쟁. 서울: 두란노.

    문금록(2003). 생태위기의 극복과 보존을 위한 기독교 윤리적 접근. 호남신학대학교 일반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박이문(1997). 문명의 미래와 생태학적 세계관. 서울: 당대.

    방지형(1994). 교회와 환경윤리. 서울: 쿰란출판사.

    소기석(2005). 기독교와 환경문제에 관한 연구- 현대 창조신학의 창조생태론을 중심으로. 종

    교연구, 38, 281-304.

    송원영(2004). 영성과 교육. 서울: 한들출판사.

    서재생(2005). 목사님도 모르는 세시풍속과 통과의례. 서울: 세줄.

    안상님(1991). 한국교회와 생명운동. 기독교사상, 91(9), 75-85.

    안서영(1999). 기독교의 생명사상이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승훈(1993) 창조 환경교육; 창조론 교육,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교육교회, 203,

    93-98.

    윤응진(2003). 생태학적 기독교교육을 위한 방향 모색. 한국기독교신학논총, 31, 477-501.

    이기영(2002). 기독교 유아생태교육의 한 모델로서 발도르프 교육. 영남신학대학교 일반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대환(1992). 가치이론에 대한 성경적 접근. 통합연구, 5(2), 169-207.

    이선주(2005). 기독교인 어머니의 어린이집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이은하(2009). 생태계 위기의 성서적 조망과 회복을 위한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

    육연구, 8(1), 45-65.

    이인화(2009). 성서에 나타난 자연관의 생태교육적 함의. 교육의 이론과 실천, 14(1),

    107-122.

    이정미(2005). 기독교 정신에 기초한 유아교유기관의 기독교 유아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서

    울 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순(2009). 유아를 위한 기독교적인 생태교육. 칼빈논단, 29, 599-638.

    이현옥 외(2007). 영유아교수방법론. 경기: 공동체.

    이혜상(1994). 기독교유아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재택(2005). 생태유아교육개론. 서울: 양서원.

    장대식(1999). 모든 생물은 흙으로 만들어졌다. 창조, 113, 15-23.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25

    전광식(1994).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

    적 비판. 통합연구, 7(2), 11-67.

    전광식(1997). 성경적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목회자료큰백과, 17, 179-186.

    전광식(2010). 개혁주의 생명신학의 성경적 토대 모색: 생명의 학문으로서의 신학- 총론적 고

    찰. 생명과 말씀, 2, 133-163.

    정희영(2004). 기독교 유아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정희영(2010). 우리나라 기독교 생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신앙과 학문, 15(4), 139-158.

    조윤주(2006). 기독교 생태학적 교육중심의 주말자연학교 모형 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주승민(2010). 이레네우스의 생태신학. 한국교육사학회지, 26, 35-68.

    정기철(2010). 루터의 십자가 신학과 성경 해석학. 신학논단, 61, 115-141.

    정용석(2010). 기독교 역사와 생태: 오리게네스와 ‘만물의 회복’. 한국교회사학회지, 26, 7-34.

    정은아(1994). 생태계 보존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찬문(2006).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원주제일교회실로암. http://www.wjji.or.kr에서 2012

    년 2월 10일 인출.

    정환욱(2011). 자연출산의 기독교적 의미. YWCA 자연출산 특강.

    blog.naver.com/birthinlove/110126543250에서 2012년 2월 10일 인출.

    정희영(2010). 우리나라 기독교 생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신앙과 학문, 15(4), 139-158.

    최창국(2007). 생태와 기독교교육: 창세기 1장 28절을 중심으로 본 인간과 자연. JSRT, 7,

    215-244.

    Alt, F.(2003). 생태주의자 예수 [Der Ökologische Jesus]. (손성현 역). 서울: 나무심는사람.

    (원전은1999에 출판)

    Anthony, M. J. (2001). Introducing christian education: 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Grand Rapids: Baker Acadimic.

    Brummelen, H. V.(1996). 교실에서 하나님과 동행하십니까?; 기독교적 교수-학습방법.

    [Walking with God in the Classroom] (김학연 역). 서울: 한국IVP. (원전은 1988에 출

    판)

    Comenius, J. A.(1910). 대교수학 [The great didactic].(정확실 역). 서울: 교육과학사.

    Davis, E. & Pascali-Bonaro, D.(2011). 황홀한 출산 [Orgasmir Bith]. (김우종 역). 서울: 정

    신세계사.

    Devall, B. & Session, C.(1985). Deep ecology. Salt Lake City : Gibbs smith.

  • 2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Hull, J. E.(2003). Aiming for christian education, settling for christian educating. Christian

    Scholar's Review, 32(2), 203-220.

    Joy, D. M.(1975). Why teach children? In R. B. Zuck, & R. E. Clark(Eds.).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church. Chicago: Moody Press.

    MacArthur, J.(2009). 우주와 인간의 시작 [The battle for the beginning]. (이심주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MacHarg, Ian L.(1992). Design with nature. New York: J. Wiley.

    Macquarri, J.(1971). The concept of peace. London: SCM Press.

    Moltmann, J.(1987). 창조 안에 계신 하느님 [Gott in der schopfung]. (김균진 역). 서울: 한

    국신학연구소. (원전은 1985에 출판)

    Peterson, R. A.(2007). Election and Free Will: God's Gracious Choice and our

    responsibility. Phillipsburg, New Jersey: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mpany.

    Strobel, L.(2005). The case for a creator. Grand Rapids: Zondervan Pub. House.

    White, L. Jr.(1967). 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al crisis. Science, 155, 1203-1207.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고찰․27

    Abstract

    A Study of an Ecological Approach for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Mee-Ryang Kweon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and creation from the Christian Redemptive

    Perspective, and to identify direction for ecological approach of Christian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sought to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Christian-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steeped in a Christian ecological understanding.

    The study explored the debate on the responsibility of Christianity in an ecological crisis. It

    also explored the ecological understanding of nature and humankind in Christian context.

    Additionally, within Christianity, early childhood has been understood to be multi-faceted,

    viewing children as being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s being unique individuals, as being

    blessed beings, and as being whole and complete.

    Christia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es on the following three concepts: care

    of the soul and life, which are princip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tent;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which are the princip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s; and the idea of

    the natural garden, which is a principle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